한국어표현의특징 3...

48
한국어 표현의 특징 3 복합 사건의 표현 방식 한국어 어휘와 표현 2019. 3. 13.

Upload: others

Post on 03-Jan-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한국어 표현의 특징 3

복합 사건의 표현 방식한국어 어휘와 표현

2019. 3. 13.

동작의 수단을 표현하는 방법

• 나는 촛불을 (후) 불어서 껐다.

• I put out the candle by blowing.

• 영어 문법에 어긋난 것은 아니나, 영어식 발상이 아니라 한국어식 발상에 의한 표현법임.

• 정답: I blew the candle out.

동작이 일어나는 방식의 표현

• 병은 둥둥 떠서 동굴로 들어갔다.

• The bottle entered the cave floating.

• The bottle floated into the cave.

• 연필이 테이블에서 굴러 떨어졌다.

• The pencil rolled off the table.

• 총알이 피융 하고 내 옆을 지나갔다.

• The bullet whistled past me.

복합 사건의 표현

• 주사건: 절에서 표현되는 주된 사건

• 보조사건: 주사건의 수단, 방식, 원인 등

• 동사 틀 언어(verb-framed language)• 주사건이 동사로 표현되고

• 보조사건은 위성으로 표현됨

• 위성 틀 언어(satellite-framed language)• 주사건이 위성으로 표현되고

• 보조사건이 동사로 표현됨

동사 틀 표현 대 위성 틀 표현

• 나는 촛불을 불어서 껐다.• 불어서 = 보조사건(수단) / 위성

• 껐다 = 주사건(상태변화) / 주동사

• I blew the candle out/off.• blew = 보조사건(수단) / 주동사

• out/off = 주사건(상태변화) / 위성

동사 틀 표현 대 위성 틀 표현

• 병은 둥둥 떠서 동굴로 들어갔다.• 둥둥 떠서 = 보조사건(방식) / 위성

• 들어갔다 = 주사건(이동) / 주동사

• The bottle floated into the cave.• floated = 보조사건(방식) / 주동사

• into = 주사건(이동) / 위성

위성 틀 표현의 논리

• 한국어에서 주사건을 주동사로, 보조사건을 위성으로 표현하는것은 상식적이라고 생각됨.

• 반면에 영어에서, 중요한 주사건을 위성으로 표현하고, 덜 중요한 보조사건을 주동사로 표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인과관계(causality)를 도상적으로(iconically) 표현하고자 하는경향과 관련이 있음.

• 인과관계 도상성• 원인을 결과보다 먼저 표현하라.

인과관계의 도상적인 표현

• 나는 촛불을 불어서 껐다.• 불어서 = 원인

• 껐다 = 결과

• I blew the candle out/off.• blew = 원인

• out/off = 결과

인과관계 도상성과 기본 어순

• 한국어의 기본 어순은 SOV, 부사어-서술어• 부사어로써 원인을 나타내고

• 서술어로써 결과를 나타냄.

• 영어의 기본 어순은 SVO, 서술어-부사어• 서술어로써 원인을 나타내고

• 부사어로써 결과를 나타냄.

원인과 결과의 표현

• 그는 쇳덩이를 망치로 납작하게 두들겼다.

• He hammered the metal flat.

• 그가 재채기를 해서 냅킨이 테이블 밖으로 떨어졌다.

• He sneezed the napkin off the table.

• 그녀는 소리를 하도 질러서 목이 쉬었다.

• She shouted herself hoarse.

원인과 결과의 표현

• 매리는 존이 얼이 쏙 빠지도록 키스를 했다.

• Mary kissed John unconscious.

• 그는 얼굴이 퍼렇게 질리도록 지껄여댔다.

• He talked himself blue in the face.

• 그녀는 그에게 겁을 주어서 얼이 빠지게 만들곤 하는, 그런 사람이었다.

• She was exactly the sort of person who'd intimidate him into a panic.

영어의 인과관계 표현 방식

• 영어에서는 이렇게 인과관계의 순서에 따라 수단/원인을 주동사로 먼저 표현하고

• 그 결과로서 일어나는 일은 그 뒤에 2차 술어로 표현하는 일이많이 있다.• 2차 술어: 주동사가 자동사일 때는 주격보어

• 주동사가 타동사일 때는 목적보어

• 동사가 기본적으로 5형식 동사가 아니더라도

• 목적어와 목적보어를 추가하여 5형식으로 표현하는 일이 많이있다.

인과관계 표현의 한-영/중 비교

• 영어, 중국어에서는 원인을 항상 먼저 표현하고 결과를 그 뒤에표현함으로써

• 인과관계 도상성(iconicity)을 철저하게 지키는 경향이 있다.

• 반면에 한국어에서는 결과를 부사어로 앞에 표현하고 원인을서술어로 뒤에 표현하는 일이 흔히 있다.

• 즉 非도상적인 표현이 많이 있는 것이다.

• 한국어는 서술어가 문장 맨 끝에 온다는 철저한 규칙이 있기 때문이다.

영어의 원인-결과 5형식 구문

• I brushed my hair very smooth.

• The tools were wiped clean.• 기구들을 깨끗이 닦았다.

• The dog would bite us all mad.

• He drove his tires bald.• 그는 타이어가 닳도록 차를 오래 몰았다.

• He washed his face shiny clean.• 그는 얼굴을 반짝반짝 윤이 나도록 씻었다.

• Chris shot Pat dead.

영어의 목적보어와 한국어의 부사어

• He painted his house pink.

• 그는 집을 핑크색으로 칠했다.

• John kicked Bill black and blue.

• 존은 빌을 시퍼렇게 멍이 들도록 찼다.

• 존이 빌을 발로 차서, 빌이 시퍼렇게 멍이 들었다.

영어의 원인-결과 자동사 구문

• The river froze solid. 꽁꽁 얼다

• It broke apart. 산산이 부서지다

• 자동사로 원인을 나타내고

• 주격 보어로 결과를 나타냄.

의사 타동 구문

• Their whole life is to eat, and drink ... and laugh themselves fat.

• She laughed herself crooked.

• The Germans cri 'd their throats dry with calling for a general Council.

• Paulo, who had roared himself hoarse, was very willing to be silent.

• 목적어가 없으면 허수아비 목적어를 넣음.

의사 타동 구문

• He ate himself sick.• 그는 과식을 해서 탈이 났다.

• Sam cut himself free. • 샘은 (자신을 묶고 있던 밧줄을) 끊어서 자유의 몸이 되었다.

• He drunk himself sleepy.• 그는 과음을 해서 졸음이 왔다.

• ‘himself’는 ‘ate, cut, drunk’의 진정한 목적어가 아님.

• 먹거나 자르거나 마신 건 자기자신이 아니라 따로 있음.

• ‘himself’는 그런 행위의 결과 상태변화를 겪게 될 뿐.

한국어에서 인과관계 표현법

• 한국어에서 결과를 부사어로서 서술어 앞에 표현할 수도 있지만• ~도록, ~게, ~을 만큼

• 접시를 깨끗하게 닦다

• 목이 쉬도록 소리를 지르다

• 원인과 결과를 2개의 절로 나누어 표현할 수도 있다.• 소리를 많이 질러서 목이 쉬다

• 이렇게 함으로써 인과관계 도상성을 지킬 수 있다.

이동 사건의 표현 방식

• 파리가 윙윙거리며 방으로 날아 들어갔다.

• The fly buzzed into the room.

• 밥은 군중 속을 팔꿈치로 헤치고 나아갔다.

• Bob elbowed his way through the crowd.

• 트럭은 덜커덩거리며 거리를 내려갔다.

• The truck rumbled down the street.

• 짐수레가 덜거덕거리며 지나갔다.

• A cart rumbled along (the road).

영어의 way 구문

• Frank dug his way out of the prison.

• Frank found his way to New York.

• 위의 두 문장 모두 이동을 함축함.

• Frank dug his escape route out of prison.

• Frank found a way to New York.

• 이 두 문장은 이동을 함축하지 않음.

영어의 way 구문

• Sam joked his way into the meeting. • joke는 수단 또는 방식으로 해석 가능.

• He belched his way out of the restaurant.

• The novice skier walked her way down the ski slope.

• The muffin-boy rings his way down the little street.

• Sally drank her way through a case of vodka.

• 방언에 따라 수단 해석과 방식 해석 둘 다 가능한 경우도 있고

• 둘 중 하나만 가능한 경우도 있음.

영어와 한국어의 비교

• 영어에서는 동사가 본래 그런 문형을 취하는 동사가 아니더라도

• 표현하고자 하는 문형 속에 동사를 끼워 넣어서 맞출 수 있는 경우가 많이 있다.

• 반면에 한국어에서는 동사가 어떤 문형을 취할 수 있는지가 미리정해져 있어서

• 맞는 문형에만 동사를 집어넣을 수 있다.

동사의 의미

• 하나의 동사 속에 주로 어떠어떠한 의미 성분이 들어 있는가 하는 측면에서도 언어간에 차이가 있다.

• 이동 동사의 경우, 한국어에서는 ‘들-, 나-’, ‘오르-, 내리-’ 등 이동 방향이라는 의미 성분을 포함한 이동 동사가 많이 있으나

• 영어에는 ‘walk, run, creep, crawl, trot, stride, toddle, stroll’ 등 이동방식이라는 의미 성분을 포함한 이동 동사가 많이 있다.

• 한국어에도 ‘걷-, 달리-, 기-’ 등 이동 방식의 의미 성분을 포함한 이동동사가 있기는 하나 영어에 비하면 수가 훨씬 적다.

이동 동사의 대조

• 영어의 경우 이들 이동 방식의 의미 성분을 포함한 이동 동사가 홀로이동 사건을 나타낼 수 있으나

• 한국어의 경우 이들 혼자서는 이동 사건을 나타낼 수 없고

• ‘가-, 오-’와 결합해서 쓰여야만 이동 사건을 나타낼 수 있다.

• 영어: ‘He walked to the school’

• 한국어: ‘*그는 학교로 걸었다’

• ‘그는 학교로 걸어갔다’

이동의 주사건과 보조사건

• 영어는 이동 방향이라는 주사건을 위성으로, 이동 방식이라는보조사건을 동사로 표현한다고 할 수 있다.

• 또는 ‘walk’라는 하나의 단어 속에 이동의 주사건과 이동 방식의의미성분이 함께 들어있다고 볼 수도 있다.

의태, 의성적 의미 성분

• 영어 동사 ‘stride, toddle, stroll’을 한국어로 번역하면 각각 ‘성큼성큼걷다’, ‘아장아장 걷다’, ‘어슬렁어슬렁 걷다’ 정도가 될 것이다.

• 영어에서는 동사 속에 들어 있는 의미 성분이 한국어에서는 의태 부사로 표현됨.

• 의성어의 경우도 비슷한 경향을 볼 수 있다.

• 한국어에서는 의성 부사로 표현될 만한 의미 성분이 영어에서는 동사속에 들어 있는 일이 흔히 있음.

• 그래서 영어에는 다양한 소리와 관련된 소리내기 동사(sound emission verb)가 발달.

소리 내기 동사

• The leaves rustled in the wind.

• 바람이 불자 잎들은 살랑살랑 소리를 냈다.

• The wind rattled the windows.

• 바람이 불자 유리창이 덜컥덜컥 흔들렸다.

• The boys splashed across the stream.

• 소년들은 철벅철벅 개울을 건너갔다.

• The candle sputtered out.

• 촛불이 바지지 하며 꺼졌다.

목적이 달성되었을까?

• 그는 나에게 집에 가라고 설득했다.

• 他劝我回家。

• He persuaded me to go home.

• 답: 한국어/중국어는 목적이 달성되었다는 보장이 없으나

• 영어에서는 목적이 달성되었다는(내가 설득되었다는) 강한 함축을 가짐.

목적이 달성되었을까? (19금)

• 매리는 존을 유혹했다.

• Mary seduced John.

• 답: 한국어에서는 존이 유혹에 넘어갔다는 보장이 없으나

• 영어에서는 존이 유혹에 넘어가서 둘이 동침했다는 강한 함축을 가짐.

• 한국인이 영어로 말할 때 주의해야 함.

목적이 달성되었을까? 영어 대 중국어

• I kicked him.

• 내 발이 그의 몸에 닿았음을 강하게 함축함.

• 我踢了他。

• 내 발이 그의 몸에 닿았는지 안 닿았는지 불확실함.

• I kicked at him.

• 내 발이 그의 몸에 닿았는지 안 닿았는지 불확실함. 안 닿았을가능성이 높음.

• 我踢着了他。

• ‘着’라는 결과보어가 첨가되면 내 발이 그의 몸에 닿았음이 확실함.

목적이 달성되었을까? 영어 대 한국어

• John shot the president.

• 대통령이 총에 맞았다는 강한 함축을 가짐.

• John shot at the president.

• 저격 시도는 있었으나, 안 맞았을 수도 있음.

• 존은 대통령을 쏘았다.

• 존은 대통령에게 총을 쏘았다.

동사의 목적 달성 함축

• 어떤 목적을 가지고 하는 행위를 나타내는 동사를 과거형이나완료형으로 사용할 경우

• 영어에서는 그 목적이 달성되었다는 강한 함축을 갖는 일이 많으나

• 중국어에서는 목적이 달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중립적인해석을 갖는 일이 많다.

결과 취소 구문

• 철수는 영희에게 집에 가도록 설득했지만, 영희는 집에 가지 않았다.• *John persuaded Mary to go home, but

Mary didn’t go home.

• 영희는 철수를 유혹했지만, 철수는 유혹에넘어가지 않았다.• *Mary seduced John, but John didn’t

succumb.

• 철수는 영희를 속였지만, 영희는 속아 넘어가지 않았다.• *I cheated Mary, but didn't succeed (in

cheating her).

결과 취소 구문

• 물을 끓였으나, (불이 약해서 그런지) 도통 끓지 않았다.• *I boiled the water, but it didn’t boil.• 沸かしたけれど、沸かなかった。

• 我烧了水,但是水没开。

• 철수는 그 옷을 불 속에 던져 태웠지만, 그 옷은 (불연 소재로 만들어져 있어서) 타지 않았다.• *I burned it, but it didn't burn.• 燃やしたけれど、燃えなかった。

• 我点了(它),但是没着。

• 나는 물과 기름을 섞었지만, 도통 섞이지를 않았다.• *I mixed oil and water, but they didn't mix.

중국어의 결과 보어• 중국어에서는 어떤 행위의 결과가 어떻게 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결과 보어가발달하게 되었음.

• 결과보어가 없으면 결과가 불확실하고, 결과보어가 있으면 결과가 확실함.• 我晾了盘子,但是还是很湿。• *我晾干了盘子,但是还是很湿。• 我让船浮(在水里),但是它浮不起来。• *我让船浮起来了,但是它没有浮起来。• 我捡了掉在地上的珠子,但是没有全部捡起来。• *我捡起了掉在地上的珠子,但是没有全部捡起来。• 我舀了(水),但是不行(没有舀起来)。• *我挖出了水,但是不行。• 我沉淀了浑水,但是(水)无法(变得澄清)。• *我澄清了浑水,但是不行。• 我立了一个鸡蛋。但是立不起来。• *我立起来一个鸡蛋。但是不行。

중국어의 결과보어 구문

• 他开开了门。• 앞의 ‘开’=주동사, 뒤의 ‘开’=결과보어

• 我杀死了他。• ‘杀’=주동사, ‘死’=결과보어

• 我踢着了他。• ‘踢’=주동사, ‘着’=결과보어

• 이들 문장에는 결과보어가 있어서,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강하게함축함.

결과 달성 함축의 대조

• 동사가 나타내는 행위가 이루어졌을 때 그 목적이 달성되었는지를 얼마나 강하게 함축하는가 하는 측면에서

• 한국어는 영어와 중국어의 중간쯤 됨.

• ‘설득하다’의 경우 결과 함축이 약하나• 나는 그를 집에 가도록 설득했으나, 그는 집에 가지 않았다.

• ‘열다’의 경우 결과 함축이 강함.• *나는 문을 열었으나, 문은 열리지 않았다.

•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확실하게 표현하고 싶을 때에는 ‘-어 내-’, ‘-어 버리-’ 등의 보조용언 구성을 사용하기도 함.

한국어 동사의 다의성

• ‘설득하다’는 결과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쓰이기도 하고, 결과를 제외한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3시간 동안 끈질기게 설득한 끝에, 마침내 설득했다.

• 한국어에는 이런 다의성을 보이는 동사가 많다.• 찾다, 구하다

• 이들 동사의 두 의미 중, 결과까지 포함한 의미가 본래의 의미라고 하면, 결과를 제외한 의미는 이로부터 환유(metonymy)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 두 의미 중 결과를 제외한 의미가 본래의 의미라고 하면, 결과는 함축(implicature)이라고 할 수 있다.

목적 달성과 이를 위한 노력

• ‘찾다1’의 두 가지 의미• 잃어버린 머리핀을 찾고 있다

• 드디어 찾았다

• ‘구(求)하다’의 두 가지 의미• 종업원을 구하고 있다

• 드디어 오늘에야 구했다

• ‘찾다2’의 두 가지 의미• 우물에 가 숭늉 찾는다

• 은행에서 돈을 찾았다

• 어떤 것을 얻기 위한 노력(search, look for, look up, seek; demand)과

• 원하는 것을 실제로 얻음(find, get)의 의미가

• 영어를 비롯한 많은 언어에서는 별개의 동사로 표현되는 데 비해

• 한국어에서는 하나의 동사가 이 두 의미를 나타냄.

중세 한국어와 일본어

• 중세 한국어에서는 ‘얻다’도 이 두 가지 의미가 있었음.

• 가 닐오 “내 小國에 가 얻다가 ”太子ㅣ 닐오 “얻논 藥이 므스것고” <월인석보>

• 중세 일본어의 ‘u(ru)→eru’도 이 두 가지 의미가 있었음.

• 하나의 동사가 ‘목적 달성’과 ’이를 위한 노력’이라는 두 센스를 갖는 다의 현상이 현대 한국어보다 중세 한국어에서 더 활발했음.

• 이 현상은 한국어에만 한정된 것은 아님.

인과관계 도상성: 영어, 중국어

• 전반적으로 복합 사건을 표현함에 있어

• 영어와 중국어는 인과관계의 순서를 도상적(iconic)으로 반영하는 경향이 있다.• 수단·방식 등은 주사건보다 앞에 표현하고

• 결과·목적 등은 주사건보다 뒤에 표현함.

인과관계 도상성: 한국어

• 한국어는 동사 서술어가 철저하게 절의 맨 끝에 오는 언어여서그런지,• 주사건보다 앞선 수단이든

• 주사건과 동시적인 방식이든

• 주사건보다 뒤에 오는 결과·목적이든

• 모두 동사 서술어 앞의 부사어로 표현하는 경향이 있다.

• 인과관계가 非도상적으로 표현되는 일이 많음.

인과관계 도상성: 일본어

• 일본어도 한국어처럼 동사 서술어가 철저하게 절 끝에 오는 언어여서

• 非도상적인 표현이 많이 있으나

• 한국어에서 동사 앞의 부사어로 표현하는 것을 일본어에서는동사 뒤에 표현하는 일이 간혹 있다.• 甘(ama)すぎる(sugiru) 너무 달다

• 除き(nozoki)尽くす(tsukusu) 다 없애다

영어의 to 부정사 구문

• 영어의 ‘to’ 부정사 구문은 목적, 결과 등 다양한 의미를 나타냄.

• 목적이든 결과이든 주사건보다 시간적으로 뒤에 오고

• 문장 내의 위치도 주동사보다 뒤이므로,

• 인과관계의 순서가 어순에 잘 반영되어 있음.

영어 to 부정사 구문의 번역법

• ‘to’ 부정사가 목적을 나타낼 때에는

• ‘-기 위하여’로 끝나는 부사어로 주동사 앞에 표현하면 된다.

• 반면에 ‘to’ 부정사가 결과를 나타낼 때에는

• 주동사 뒤에 표현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영어 to 부정사 구문의 번역법

• Words are combined to form a sentence.

• 단어들은 문장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한다.

• 단어들이 결합하여 문장을 형성한다.

• 특히 주어가 무정 체언일 때에는 ‘to’ 부정사를 결과로 해석하여번역하는 것이 자연스러울 때가 많다.

맺는 말• 중국어는 동사+보어(특히 결과보어) 형식의 구문이 발달했음.

• 동사+결과보어+목적어

• 인과관계의 순서를 철저히 지킴.

• 영어도 5형식 구문이 발달했음.• 동사+목적어+목적보어(결과)

• 역시 인과관계의 순서를 잘 지키는 편임.

• 동사의 개성과 상관없이 구문에 끼워넣어 쓸 수 있음.

• 위성틀 언어: 주사건을 위성으로, 보조사건을 동사로 표시

• 한국어는 서술어가 문장 끝에 오고, 부사어는 그 앞에 옴.• 부사어(결과, 방식 등)+서술어

• 인과관계의 순서를 항상 지키는 것은 아님.

• 동사의 개성을 중시하여, 그 성격이 맞는 것만 구문에 넣을 수 있음.

• 동사틀 언어: 주사건을 동사로, 보조사건을 위성으로 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