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자표시 비영리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 법학석사학위 논문...

78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동일조건변경허락. 귀하가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했을 경우 에는, 이 저작물과 동일한 이용허락조건하에서만 배포할 수 있습니다.

Upload: others

Post on 25-Sep-2019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동일조건변경허락. 귀하가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했을 경우에는, 이 저작물과 동일한 이용허락조건하에서만 배포할 수 있습니다.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2.0/kr/legalcod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2.0/kr/

  • 법학석사학위 논문

    불법외국선박 단속 관련 국제·국내법적 고찰

    -불법행위·불법어업 단속을 중심으로-

    Review for international and Domestic Law

    Enforcement related to Illegal Foreign Vessels

    - Focused on law enforcement about illegal action and fishing

    -

    2011년 8월

    인하대학교 법학대학원

    법학과 공법 전공

    이 천 식

  • 법학석사학위 논문

    불법외국선박 단속 관련 국제·국내법적 고찰

    -불법행위·불법어업 단속을 중심으로-

    Review for international and Domestic Law

    Enforcement related to Illegal Foreign Vessels

    - Focused on law enforcement about illegal action and fishing

    -

    2011년 8월

    지도교수 이 석 우

    이 논문을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인하대학교 법학대학원

    법학과 공법 전공

    이 천 식

  • 이 논문을 이천식의 석사학위논문으로 인정함.

    2011년 월 일

    주심

    부심

    위원

  • - i -

    목 차

    제1장 서론․․․․․․․․․․․․․․․․․․․․․․․․․․․․․․․․․․․․․․․․․․․․․․․․․․․․․․․․․․․․․․․․․․․․․․․․․․․․․․․․․․․․․․․․․․․․․․․․․․․․․․․․․․․․․․․․․․․․․․․․․․․․․․․․․․․․․․․1

    제1절 연구의 목적․․․․․․․․․․․․․․․․․․․․․․․․․․․․․․․․․․․․․․․․․․․․․․․․․․․․․․․․․․․․․․․․․․․․․․․․․․․․․․․․․․․․․․․․․․․․․․․․․․․․․․․․․․․․․․․․․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2

    1. 연구의 범위․․․․․․․․․․․․․․․․․․․․․․․․․․․․․․․․․․․․․․․․․․․․․․․․․․․․․․․․․․․․․․․․․․․․․․․․․․․․․․․․․․․․․․․․․․․․․․․․․․․․․․․․․․․․․․․․․․․․2

    2. 연구의 방법․․․․․․․․․․․․․․․․․․․․․․․․․․․․․․․․․․․․․․․․․․․․․․․․․․․․․․․․․․․․․․․․․․․․․․․․․․․․․․․․․․․․․․․․․․․․․․․․․․․․․․․․․․․․․․․․․․․․3

    제2장 해양관련 국제성 범죄 ․․․․․․․․․․․․․․․․․․․․․․․․․․․․․․․․․․․․․․․․․․․․․․․․․․․․․․․․․․․․․․․․․․․․․․․․․․․․․․․․․․․․․․4

    제1절 국제범죄의 개념과 종류․․․․․․․․․․․․․․․․․․․․․․․․․․․․․․․․․․․․․․․․․․․․․․․․․․․․․․․․․․․․․․․․․․․․․․․․․․․․․․․․․․4

    1. 국제범죄의 개념․․․․․․․․․․․․․․․․․․․․․․․․․․․․․․․․․․․․․․․․․․․․․․․․․․․․․․․․․․․․․․․․․․․․․․․․․․․․․․․․․․․․․․․․․․․․․․․․․․․․․․․․․4

    2. 해양관련 국제범죄의 종류․․․․․․․․․․․․․․․․․․․․․․․․․․․․․․․․․․․․․․․․․․․․․․․․․․․․․․․․․․․․․․․․․․․․․․․․․․․․․․․4

    제 2 절 외국선박의 불법행위와 불법어업․․․․․․․․․․․․․․․․․․․․․․․․․․․․․․․․․․․․․․․․․․․․․․․․․․․․․․․․․․․6

    1. 불법행위와 불법어업의 법적 성질․․․․․․․․․․․․․․․․․․․․․․․․․․․․․․․․․․․․․․․․․․․․․․․․․․․․․․․․․․․6

    2. 불법행위와 불법어업 추세․․․․․․․․․․․․․․․․․․․․․․․․․․․․․․․․․․․․․․․․․․․․․․․․․․․․․․․․․․․․․․․․․․․․․․․․․․․․․․․7

    제 3 절 국제성범죄 단속 현황․․․․․․․․․․․․․․․․․․․․․․․․․․․․․․․․․․․․․․․․․․․․․․․․․․․․․․․․․․․․․․․․․․․․․․․․․․․․․․․․․․․․․․․8

    1. 대한민국의 해양범죄 단속체계․․․․․․․․․․․․․․․․․․․․․․․․․․․․․․․․․․․․․․․․․․․․․․․․․․․․․․․․․․․․․․․․․․․8

    2. 밀입국사범 단속 현황․․․․․․․․․․․․․․․․․․․․․․․․․․․․․․․․․․․․․․․․․․․․․․․․․․․․․․․․․․․․․․․․․․․․․․․․․․․․․․․․․․․․․․․10

    3. 밀수사범 단속 현황․․․․․․․․․․․․․․․․․․․․․․․․․․․․․․․․․․․․․․․․․․․․․․․․․․․․․․․․․․․․․․․․․․․․․․․․․․․․․․․․․․․․․․․․․․․․․․12

    4. 마약사범 단속 현황․․․․․․․․․․․․․․․․․․․․․․․․․․․․․․․․․․․․․․․․․․․․․․․․․․․․․․․․․․․․․․․․․․․․․․․․․․․․․․․․․․․․․․․․․․․․․․12

    5. 불법어업 단속 현황․․․․․․․․․․․․․․․․․․․․․․․․․․․․․․․․․․․․․․․․․․․․․․․․․․․․․․․․․․․․․․․․․․․․․․․․․․․․․․․․․․․․․․․․․․․․․․13

    가. 일본․․․․․․․․․․․․․․․․․․․․․․․․․․․․․․․․․․․․․․․․․․․․․․․․․․․․․․․․․․․․․․․․․․․․․․․․․․․․․․․․․․․․․․․․․․․․․․․․․․․․․․․․․․․․․․․․․․․․․․․․․․․․․․․․․․․․․․․․․․․․․․․․14

  • - ii -

    나. 중국․․․․․․․․․․․․․․․․․․․․․․․․․․․․․․․․․․․․․․․․․․․․․․․․․․․․․․․․․․․․․․․․․․․․․․․․․․․․․․․․․․․․․․․․․․․․․․․․․․․․․․․․․․․․․․․․․․․․․․․․․․․․․․․․․․․․․․․․․․․․․․․․16

    제3장 인접국가간 분쟁·단속 사례 및 문제점․․․․․․․․․․․․․․․․․․․․․․․․․․․․․․․․․․․․․․․․20

    제1절 불법행위 관련 사례․․․․․․․․․․․․․․․․․․․․․․․․․․․․․․․․․․․․․․․․․․․․․․․․․․․․․․․․․․․․․․․․․․․․․․․․․․․․․․․․․․․․․․․․․․20

    1. 개 론․․․․․․․․․․․․․․․․․․․․․․․․․․․․․․․․․․․․․․․․․․․․․․․․․․․․․․․․․․․․․․․․․․․․․․․․․․․․․․․․․․․․․․․․․․․․․․․․․․․․․․․․․․․․․․․․․․․․․․․․․․․․․․․20

    2. 일본 관련 사례․․․․․․․․․․․․․․․․․․․․․․․․․․․․․․․․․․․․․․․․․․․․․․․․․․․․․․․․․․․․․․․․․․․․․․․․․․․․․․․․․․․․․․․․․․․․․․․․․․․․․․․․․20

    가. 내국인 밀입국 사례․․․․․․․․․․․․․․․․․․․․․․․․․․․․․․․․․․․․․․․․․․․․․․․․․․․․․․․․․․․․․․․․․․․․․․․․․․․․․․․․․․․․․․․․․․․․․․․․․․․․․․․20

    나. 영해침범 사례․․․․․․․․․․․․․․․․․․․․․․․․․․․․․․․․․․․․․․․․․․․․․․․․․․․․․․․․․․․․․․․․․․․․․․․․․․․․․․․․․․․․․․․․․․․․․․․․․․․․․․․․․․․․․․․․․․․․․21

    다. 과학조사 방해 사례․․․․․․․․․․․․․․․․․․․․․․․․․․․․․․․․․․․․․․․․․․․․․․․․․․․․․․․․․․․․․․․․․․․․․․․․․․․․․․․․․․․․․․․․․․․․․․․․․․․․․․․21

    3. 중국 관련 사례․․․․․․․․․․․․․․․․․․․․․․․․․․․․․․․․․․․․․․․․․․․․․․․․․․․․․․․․․․․․․․․․․․․․․․․․․․․․․․․․․․․․․․․․․․․․․․․․․․․․․․․․22

    가. 외국 국적 화물선 이용 밀입국 사례․․․․․․․․․․․․․․․․․․․․․․․․․․․․․․․․․․․․․․․․․․․․․․․․․․․․․․․․․․․22

    나. 소형선박 이용 밀입국 사례․․․․․․․․․․․․․․․․․․․․․․․․․․․․․․․․․․․․․․․․․․․․․․․․․․․․․․․․․․․․․․․․․․․․․․․․․․․․․․․․․․22

    다. 밀수 사례․․․․․․․․․․․․․․․․․․․․․․․․․․․․․․․․․․․․․․․․․․․․․․․․․․․․․․․․․․․․․․․․․․․․․․․․․․․․․․․․․․․․․․․․․․․․․․․․․․․․․․․․․․․․․․․․․․․․․․․․․․․․․․․․․23

    제2절 불법어업 관련 사례․․․․․․․․․․․․․․․․․․․․․․․․․․․․․․․․․․․․․․․․․․․․․․․․․․․․․․․․․․․․․․․․․․․․․․․․․․․․․․․․․․․․․․․․․․23

    1. 개 론․․․․․․․․․․․․․․․․․․․․․․․․․․․․․․․․․․․․․․․․․․․․․․․․․․․․․․․․․․․․․․․․․․․․․․․․․․․․․․․․․․․․․․․․․․․․․․․․․․․․․․․․․․․․․․․․․․․․․․․․․․․․․․․23

    2. 일본 관련 사례․․․․․․․․․․․․․․․․․․․․․․․․․․․․․․․․․․․․․․․․․․․․․․․․․․․․․․․․․․․․․․․․․․․․․․․․․․․․․․․․․․․․․․․․․․․․․․․․․․․․․․․․24

    가. 신풍호 사건․․․․․․․․․․․․․․․․․․․․․․․․․․․․․․․․․․․․․․․․․․․․․․․․․․․․․․․․․․․․․․․․․․․․․․․․․․․․․․․․․․․․․․․․․․․․․․․․․․․․․․․․․․․․․․․․․․․․․․․․․․․24

    나. 세진호 사건․․․․․․․․․․․․․․․․․․․․․․․․․․․․․․․․․․․․․․․․․․․․․․․․․․․․․․․․․․․․․․․․․․․․․․․․․․․․․․․․․․․․․․․․․․․․․․․․․․․․․․․․․․․․․․․․․․․․․․․․․․․25

    다. 쌍용호 사건․․․․․․․․․․․․․․․․․․․․․․․․․․․․․․․․․․․․․․․․․․․․․․․․․․․․․․․․․․․․․․․․․․․․․․․․․․․․․․․․․․․․․․․․․․․․․․․․․․․․․․․․․․․․․․․․․․․․․․․․․․26

    3. 중국 관련 사례․․․․․․․․․․․․․․․․․․․․․․․․․․․․․․․․․․․․․․․․․․․․․․․․․․․․․․․․․․․․․․․․․․․․․․․․․․․․․․․․․․․․․․․․․․․․․․․․․․․․․․․․27

    가. 경찰관 사망 사례․․․․․․․․․․․․․․․․․․․․․․․․․․․․․․․․․․․․․․․․․․․․․․․․․․․․․․․․․․․․․․․․․․․․․․․․․․․․․․․․․․․․․․․․․․․․․․․․․․․․․․․․․․․․27

    나. 경찰관 부상 사례․․․․․․․․․․․․․․․․․․․․․․․․․․․․․․․․․․․․․․․․․․․․․․․․․․․․․․․․․․․․․․․․․․․․․․․․․․․․․․․․․․․․․․․․․․․․․․․․․․․․․․․․․․․․28

    다. 충돌·전복 사례․․․․․․․․․․․․․․․․․․․․․․․․․․․․․․․․․․․․․․․․․․․․․․․․․․․․․․․․․․․․․․․․․․․․․․․․․․․․․․․․․․․․․․․․․․․․․․․․․․․․․․․․․․․․․․․28

  • - iii -

    라. 총기사용 검거 사례․․․․․․․․․․․․․․․․․․․․․․․․․․․․․․․․․․․․․․․․․․․․․․․․․․․․․․․․․․․․․․․․․․․․․․․․․․․․․․․․․․․․․․․․․․․․․․․․․․․․․․29

    제3절 문제점 / 시사점․․․․․․․․․․․․․․․․․․․․․․․․․․․․․․․․․․․․․․․․․․․․․․․․․․․․․․․․․․․․․․․․․․․․․․․․․․․․․․․․․․․․․․․․․․․․․․․․․․․31

    제4장 국제법적 적용 검토․․․․․․․․․․․․․․․․․․․․․․․․․․․․․․․․․․․․․․․․․․․․․․․․․․․․․․․․․․․․․․․․․․․․․․․․․․․․․․․․․․․․․․․․․․․32

    제1절 불법 외국선박 단속 관련 국제법적 근거․․․․․․․․․․․․․․․․․․․․․․․․․․․․․․․․․․․32

    1. 다자 조약․․․․․․․․․․․․․․․․․․․․․․․․․․․․․․․․․․․․․․․․․․․․․․․․․․․․․․․․․․․․․․․․․․․․․․․․․․․․․․․․․․․․․․․․․․․․․․․․․․․․․․․․․․․․․․․․․․․․․․32

    가. UN 해양법협약․․․․․․․․․․․․․․․․․․․․․․․․․․․․․․․․․․․․․․․․․․․․․․․․․․․․․․․․․․․․․․․․․․․․․․․․․․․․․․․․․․․․․․․․․․․․․․․․․․․․․․․․․․․․․․․․․32

    1) 연안국 법령의 시행․․․․․․․․․․․․․․․․․․․․․․․․․․․․․․․․․․․․․․․․․․․․․․․․․․․․․․․․․․․․․․․․․․․․․․․․․․․․․․․․․․․․․․․․․․․․․․․․․32

    2) 추적권 행사의 정당성․․․․․․․․․․․․․․․․․․․․․․․․․․․․․․․․․․․․․․․․․․․․․․․․․․․․․․․․․․․․․․․․․․․․․․․․․․․․․․․․․․․․․․․․․․․33

    3) 강제 정선을 위한 무력사용의 한계․․․․․․․․․․․․․․․․․․․․․․․․․․․․․․․․․․․․․․․․․․․․․․․․․․․․․․․․33

    나. 해양오염 방지협약․․․․․․․․․․․․․․․․․․․․․․․․․․․․․․․․․․․․․․․․․․․․․․․․․․․․․․․․․․․․․․․․․․․․․․․․․․․․․․․․․․․․․․․․․․․․․․․․․․․․․․․․․34

    다. 마약 및 향정신성 물질의 불법거래 방지에 관한 국제연합

    협약․․․․․․․․․․․․․․․․․․․․․․․․․․․․․․․․․․․․․․․․․․․․․․․․․․․․․․․․․․․․․․․․․․․․․․․․․․․․․․․․․․․․․․․․․․․․․․․․․․․․․․․․․․․․․․․․․․․․․․․․․․․․․․․․․․․․․․․․․․․․․․․34

    2. 양자 조약․․․․․․․․․․․․․․․․․․․․․․․․․․․․․․․․․․․․․․․․․․․․․․․․․․․․․․․․․․․․․․․․․․․․․․․․․․․․․․․․․․․․․․․․․․․․․․․․․․․․․․․․․․․․․․․․․․․․․․35

    가. 한·일 어업협정․․․․․․․․․․․․․․․․․․․․․․․․․․․․․․․․․․․․․․․․․․․․․․․․․․․․․․․․․․․․․․․․․․․․․․․․․․․․․․․․․․․․․․․․․․․․․․․․․․․․․․․․․․․․․․․35

    나. 한·중 어업협정․․․․․․․․․․․․․․․․․․․․․․․․․․․․․․․․․․․․․․․․․․․․․․․․․․․․․․․․․․․․․․․․․․․․․․․․․․․․․․․․․․․․․․․․․․․․․․․․․․․․․․․․․․․․․․․36

    3. 대한민국과 인접국의 비교법적 검토․․․․․․․․․․․․․․․․․․․․․․․․․․․․․․․․․․․․․․․․․․․․․․․․․38

    가. 영해 및 접속수역에 대한 한·일·중 3국의 법제반영

    현황․․․․․․․․․․․․․․․․․․․․․․․․․․․․․․․․․․․․․․․․․․․․․․․․․․․․․․․․․․․․․․․․․․․․․․․․․․․․․․․․․․․․․․․․․․․․․․․․․․․․․․․․․․․․․․․․․․․․․․․․․․․․․․․․․․․․․․․․․․․․․38

    1) 대한민국․․․․․․․․․․․․․․․․․․․․․․․․․․․․․․․․․․․․․․․․․․․․․․․․․․․․․․․․․․․․․․․․․․․․․․․․․․․․․․․․․․․․․․․․․․․․․․․․․․․․․․․․․․․․․․․․․․․․․․․․․․․․․․38

    2) 일 본․․․․․․․․․․․․․․․․․․․․․․․․․․․․․․․․․․․․․․․․․․․․․․․․․․․․․․․․․․․․․․․․․․․․․․․․․․․․․․․․․․․․․․․․․․․․․․․․․․․․․․․․․․․․․․․․․․․․․․․․․․․․․․․․․․․․․․․38

    3) 중 국․․․․․․․․․․․․․․․․․․․․․․․․․․․․․․․․․․․․․․․․․․․․․․․․․․․․․․․․․․․․․․․․․․․․․․․․․․․․․․․․․․․․․․․․․․․․․․․․․․․․․․․․․․․․․․․․․․․․․․․․․․․․․․․․․․․․․․․38

    나. 배타적 경제수역에 대한 한·일·중 3국의 법제반영 현황

    ․․․․․․․․․․․․․․․․․․․․․․․․․․․․․․․․․․․․․․․․․․․․․․․․․․․․․․․․․․․․․․․․․․․․․․․․․․․․․․․․․․․․․․․․․․․․․․․․․․․․․․․․․․․․․․․․․․․․․․․․․․․․․․․․․․․․․․․․․․․․․․․․․․․․․․․․․39

    1) 대한민국․․․․․․․․․․․․․․․․․․․․․․․․․․․․․․․․․․․․․․․․․․․․․․․․․․․․․․․․․․․․․․․․․․․․․․․․․․․․․․․․․․․․․․․․․․․․․․․․․․․․․․․․․․․․․․․․․․․․․․․․․․․․․․39

  • - iv -

    2) 일 본․․․․․․․․․․․․․․․․․․․․․․․․․․․․․․․․․․․․․․․․․․․․․․․․․․․․․․․․․․․․․․․․․․․․․․․․․․․․․․․․․․․․․․․․․․․․․․․․․․․․․․․․․․․․․․․․․․․․․․․․․․․․․․․․․․․․․․․39

    3) 중 국․․․․․․․․․․․․․․․․․․․․․․․․․․․․․․․․․․․․․․․․․․․․․․․․․․․․․․․․․․․․․․․․․․․․․․․․․․․․․․․․․․․․․․․․․․․․․․․․․․․․․․․․․․․․․․․․․․․․․․․․․․․․․․․․․․․․․․․39

    제2절 적용상의 문제점․․․․․․․․․․․․․․․․․․․․․․․․․․․․․․․․․․․․․․․․․․․․․․․․․․․․․․․․․․․․․․․․․․․․․․․․․․․․․․․․․․․․․․․․․․․․․․․․․․40

    1. 형사처벌 문제․․․․․․․․․․․․․․․․․․․․․․․․․․․․․․․․․․․․․․․․․․․․․․․․․․․․․․․․․․․․․․․․․․․․․․․․․․․․․․․․․․․․․․․․․․․․․․․․․․․․․․․․․․․40

    2. 분쟁해결 문제․․․․․․․․․․․․․․․․․․․․․․․․․․․․․․․․․․․․․․․․․․․․․․․․․․․․․․․․․․․․․․․․․․․․․․․․․․․․․․․․․․․․․․․․․․․․․․․․․․․․․․․․․․․41

    3. 제주 남부수역 관할권 문제․․․․․․․․․․․․․․․․․․․․․․․․․․․․․․․․․․․․․․․․․․․․․․․․․․․․․․․․․․․․․․․․․․․․․․․․․43

    가. 농림수산식품부 의견․․․․․․․․․․․․․․․․․․․․․․․․․․․․․․․․․․․․․․․․․․․․․․․․․․․․․․․․․․․․․․․․․․․․․․․․․․․․․․․․․․․․․․․․․․․․․․․․․․․43

    나. 외교통사부 의견․․․․․․․․․․․․․․․․․․․․․․․․․․․․․․․․․․․․․․․․․․․․․․․․․․․․․․․․․․․․․․․․․․․․․․․․․․․․․․․․․․․․․․․․․․․․․․․․․․․․․․․․․․․․․․․44

    다. 소 결․․․․․․․․․․․․․․․․․․․․․․․․․․․․․․․․․․․․․․․․․․․․․․․․․․․․․․․․․․․․․․․․․․․․․․․․․․․․․․․․․․․․․․․․․․․․․․․․․․․․․․․․․․․․․․․․․․․․․․․․․․․․․․․․․․․․․․․․․․․․45

    제5장 국내법적 적용 검토․․․․․․․․․․․․․․․․․․․․․․․․․․․․․․․․․․․․․․․․․․․․․․․․․․․․․․․․․․․․․․․․․․․․․․․․․․․․․․․․․․․․․․․․․․․․46

    제1절 불법 외국선박 단속 관련 국내법적 근거․․․․․․․․․․․․․․․․․․․․․․․․․․․․․․․․․․․46

    1. 영해 및 접속수역법․․․․․․․․․․․․․․․․․․․․․․․․․․․․․․․․․․․․․․․․․․․․․․․․․․․․․․․․․․․․․․․․․․․․․․․․․․․․․․․․․․․․․․․․․․․․․46

    2. 배타적 경제수역법․․․․․․․․․․․․․․․․․․․․․․․․․․․․․․․․․․․․․․․․․․․․․․․․․․․․․․․․․․․․․․․․․․․․․․․․․․․․․․․․․․․․․․․․․․․․․․․․46

    3.배타적 경제수역에서의 외국인 어업 등에 대한 주권적

    권리행사에 관한 법률․․․․․․․․․․․․․․․․․․․․․․․․․․․․․․․․․․․․․․․․․․․․․․․․․․․․․․․․․․․․․․․․․․․․․․․․․․․․․․․․․․․․․․․47

    4. 형 법․․․․․․․․․․․․․․․․․․․․․․․․․․․․․․․․․․․․․․․․․․․․․․․․․․․․․․․․․․․․․․․․․․․․․․․․․․․․․․․․․․․․․․․․․․․․․․․․․․․․․․․․․․․․․․․․․․․․․․․․․․․․․․․․․․47

    가. 형법의 적용․․․․․․․․․․․․․․․․․․․․․․․․․․․․․․․․․․․․․․․․․․․․․․․․․․․․․․․․․․․․․․․․․․․․․․․․․․․․․․․․․․․․․․․․․․․․․․․․․․․․․․․․․․․․․․․․․․․․․․․․․․47

    나. 페스카마호 사례(판례)․․․․․․․․․․․․․․․․․․․․․․․․․․․․․․․․․․․․․․․․․․․․․․․․․․․․․․․․․․․․․․․․․․․․․․․․․․․․․․․․․․․․․․․․․․․․․48

    5. 형사소송법․․․․․․․․․․․․․․․․․․․․․․․․․․․․․․․․․․․․․․․․․․․․․․․․․․․․․․․․․․․․․․․․․․․․․․․․․․․․․․․․․․․․․․․․․․․․․․․․․․․․․․․․․․․․․․․․․․․49

    6. 경찰관직무집행법․․․․․․․․․․․․․․․․․․․․․․․․․․․․․․․․․․․․․․․․․․․․․․․․․․․․․․․․․․․․․․․․․․․․․․․․․․․․․․․․․․․․․․․․․․․․․․․․․․49

    7. 출입국 관리법․․․․․․․․․․․․․․․․․․․․․․․․․․․․․․․․․․․․․․․․․․․․․․․․․․․․․․․․․․․․․․․․․․․․․․․․․․․․․․․․․․․․․․․․․․․․․․․․․․․․․․․․․․51

    제2절 적용상의 문제점․․․․․․․․․․․․․․․․․․․․․․․․․․․․․․․․․․․․․․․․․․․․․․․․․․․․․․․․․․․․․․․․․․․․․․․․․․․․․․․․․․․․․․․․․․․․․․․․․․․․․51

  • - v -

    제6장 해양에서의 법집행 관련 법령제정 검토․․․․․․․․․․․․․․․․․․․․․․․․․․․․․․․․․․․․․53

    제1절 현행 법령의 경향․․․․․․․․․․․․․․․․․․․․․․․․․․․․․․․․․․․․․․․․․․․․․․․․․․․․․․․․․․․․․․․․․․․․․․․․․․․․․․․․․․․․․․․․․․․․․․․․53

    1. 현행 법령의 집행경향․․․․․․․․․․․․․․․․․․․․․․․․․․․․․․․․․․․․․․․․․․․․․․․․․․․․․․․․․․․․․․․․․․․․․․․․․․․․․․․․․․․․․․․53

    제2절 문제점 (논쟁점)․․․․․․․․․․․․․․․․․․․․․․․․․․․․․․․․․․․․․․․․․․․․․․․․․․․․․․․․․․․․․․․․․․․․․․․․․․․․․․․․․․․․․․․․․․․․․․․․․․․54

    1. 해상에서의 검문검색 대상․․․․․․․․․․․․․․․․․․․․․․․․․․․․․․․․․․․․․․․․․․․․․․․․․․․․․․․․․․․․․․․․․․․․․․․․․․․․54

    2. 선박에 대한 추적 및 나포․․․․․․․․․․․․․․․․․․․․․․․․․․․․․․․․․․․․․․․․․․․․․․․․․․․․․․․․․․․․․․․․․․․․․․․․․․․․54

    3. 무기 사용에 대한 요건․․․․․․․․․․․․․․․․․․․․․․․․․․․․․․․․․․․․․․․․․․․․․․․․․․․․․․․․․․․․․․․․․․․․․․․․․․․․․․․․․․․․54

    4. 장비 및 장구의 종류와 그 사용기준․․․․․․․․․․․․․․․․․․․․․․․․․․․․․․․․․․․․․․․․․․․․․․․․․․55

    제3절 외국의 입법 사례․․․․․․․․․․․․․․․․․․․․․․․․․․․․․․․․․․․․․․․․․․․․․․․․․․․․․․․․․․․․․․․․․․․․․․․․․․․․․․․․․․․․․․․․․․․․․․․․55

    1. 해상에서의 검문검색․․․․․․․․․․․․․․․․․․․․․․․․․․․․․․․․․․․․․․․․․․․․․․․․․․․․․․․․․․․․․․․․․․․․․․․․․․․․․․․․․․․․․․․․․․55

    가. 일 본․․․․․․․․․․․․․․․․․․․․․․․․․․․․․․․․․․․․․․․․․․․․․․․․․․․․․․․․․․․․․․․․․․․․․․․․․․․․․․․․․․․․․․․․․․․․․․․․․․․․․․․․․․․․․․․․․․․․․․․․․․․․․․․․․․․․․․․․․․․․55

    나. 미 국․․․․․․․․․․․․․․․․․․․․․․․․․․․․․․․․․․․․․․․․․․․․․․․․․․․․․․․․․․․․․․․․․․․․․․․․․․․․․․․․․․․․․․․․․․․․․․․․․․․․․․․․․․․․․․․․․․․․․․․․․․․․․․․․․․․․․․․․․․․․56

    2. 선박에 대한 정선, 승선, 추적권 행사․․․․․․․․․․․․․․․․․․․․․․․․․․․․․․․․․․․․․․․․․․․․․․56

    가. 일 본․․․․․․․․․․․․․․․․․․․․․․․․․․․․․․․․․․․․․․․․․․․․․․․․․․․․․․․․․․․․․․․․․․․․․․․․․․․․․․․․․․․․․․․․․․․․․․․․․․․․․․․․․․․․․․․․․․․․․․․․․․․․․․․․․․․․․․․․․․․․56

    나. 미 국․․․․․․․․․․․․․․․․․․․․․․․․․․․․․․․․․․․․․․․․․․․․․․․․․․․․․․․․․․․․․․․․․․․․․․․․․․․․․․․․․․․․․․․․․․․․․․․․․․․․․․․․․․․․․․․․․․․․․․․․․․․․․․․․․․․․․․․․․․․․56

    3. 무기의 사용․․․․․․․․․․․․․․․․․․․․․․․․․․․․․․․․․․․․․․․․․․․․․․․․․․․․․․․․․․․․․․․․․․․․․․․․․․․․․․․․․․․․․․․․․․․․․․․․․․․․․․․․․․․․․․․․․56

    가. 일 본․․․․․․․․․․․․․․․․․․․․․․․․․․․․․․․․․․․․․․․․․․․․․․․․․․․․․․․․․․․․․․․․․․․․․․․․․․․․․․․․․․․․․․․․․․․․․․․․․․․․․․․․․․․․․․․․․․․․․․․․․․․․․․․․․․․․․․․․․․․․․56

    나. 미 국․․․․․․․․․․․․․․․․․․․․․․․․․․․․․․․․․․․․․․․․․․․․․․․․․․․․․․․․․․․․․․․․․․․․․․․․․․․․․․․․․․․․․․․․․․․․․․․․․․․․․․․․․․․․․․․․․․․․․․․․․․․․․․․․․․․․․․․․․․․․․57

    4. 장비 및 장구의 종류와 사용․․․․․․․․․․․․․․․․․․․․․․․․․․․․․․․․․․․․․․․․․․․․․․․․․․․․․․․․․․․․․․․․․․․․․․57

    제4절 법령 제정 방향․․․․․․․․․․․․․․․․․․․․․․․․․․․․․․․․․․․․․․․․․․․․․․․․․․․․․․․․․․․․․․․․․․․․․․․․․․․․․․․․․․․․․․․․․․․․․․․․․․․․․57

    제7장 결 론․․․․․․․․․․․․․․․․․․․․․․․․․․․․․․․․․․․․․․․․․․․․․․․․․․․․․․․․․․․․․․․․․․․․․․․․․․․․․․․․․․․․․․․․․․․․․․․․․․․․․․․․․․․․․․․․․․․․․․․․․․․․․․․․․59

  • - vi -

    표·그림 목 차

    표-1 국제범죄 처리 현황․․․․․․․․․․․․․․․․․․․․․․․․․․․․․․․․․․․․․․․․․․․․․․․․․․․․․․․․․․․․․․․․․․․․․․․․․․․․․․․․․․․․․․․․․․․․․․․․․․․․․․․․․․․5

    표-2 대한민국 EEZ수역 입어허가 현황․․․․․․․․․․․․․․․․․․․․․․․․․․․․․․․․․․․․․․․․․․․․․․․․․․․․․․․․․․․․․․․․․․․․․8

    표-3 NLL 부근 중국어선 월별 조업 현황․․․․․․․․․․․․․․․․․․․․․․․․․․․․․․․․․․․․․․․․․․․․․․․․․․․․․․․․․․․․․․․8

    표-4 최근 10년간 밀입국자 단속 현황․․․․․․․․․․․․․․․․․․․․․․․․․․․․․․․․․․․․․․․․․․․․․․․․․․․․․․․․․․․․․․․․․․․․11

    표-5 최근 5년간 밀수사범 단속 현황․․․․․․․․․․․․․․․․․․․․․․․․․․․․․․․․․․․․․․․․․․․․․․․․․․․․․․․․․․․․․․․․․․․․․․․12

    표-6 최근 5년간 마약사범 단속 현황․․․․․․․․․․․․․․․․․․․․․․․․․․․․․․․․․․․․․․․․․․․․․․․․․․․․․․․․․․․․․․․․․․․․․․․13

    표-7 일본의 과잉단속에 따른 대한민국 어선의 피해발생 사례

    ․․․․․․․․․․․․․․․․․․․․․․․․․․․․․․․․․․․․․․․․․․․․․․․․․․․․․․․․․․․․․․․․․․․․․․․․․․․․․․․․․․․․․․․․․․․․․․․․․․․․․․․․․․․․․․․․․․․․․․․․․․․․․․․․․․․․․․․․․․․․․․․․․․․․․․․․․․․15

    표-8 한·일 정부선박(경비함정)간 대치 사례․․․․․․․․․․․․․․․․․․․․․․․․․․․․․․․․․․․․․․․․․․․․․․․․․16

    표-9 불법어업 외국어선 나포 현황․․․․․․․․․․․․․․․․․․․․․․․․․․․․․․․․․․․․․․․․․․․․․․․․․․․․․․․․․․․․․․․․․․․․․․․․․․․․․17

    표-10 중국어선 단속시 과잉저항 사례․․․․․․․․․․․․․․․․․․․․․․․․․․․․․․․․․․․․․․․․․․․․․․․․․․․․․․․․․․․․․․․․․․․․․․․18

    표-11 대한민국 어선의 외국수역 불법조업 피랍 현황․․․․․․․․․․․․․․․․․․․․․․․․․․․․․․27

    표-12 민간선박에 대한 무력사용 주요 사례․․․․․․․․․․․․․․․․․․․․․․․․․․․․․․․․․․․․․․․․․․․․․․․․․․․․․․30

    표-13 어업협정 수역의 관할권 행사 및 관리방식 비교․․․․․․․․․․․․․․․․․․․․․․․․․37

    그림-1 불법선박 대응 체계․․․․․․․․․․․․․․․․․․․․․․․․․․․․․․․․․․․․․․․․․․․․․․․․․․․․․․․․․․․․․․․․․․․․․․․․․․․․․․․․․․․․․․․․․․․․․․․․․․․․․9

    그림-2 선원들 폭력 피하다 바다로 떨어져 ~ ․․․․․․․․․․․․․․․․․․․․․․․․․․․․․․․․․․․․․․․․․․․․․․․28

    그림-3 한·일 어업협정도․․․․․․․․․․․․․․․․․․․․․․․․․․․․․․․․․․․․․․․․․․․․․․․․․․․․․․․․․․․․․․․․․․․․․․․․․․․․․․․․․․․․․․․․․․․․․․․․․․․․35

    그림-4 한·중 어업협정도․․․․․․․․․․․․․․․․․․․․․․․․․․․․․․․․․․․․․․․․․․․․․․․․․․․․․․․․․․․․․․․․․․․․․․․․․․․․․․․․․․․․․․․․․․․․․․․․․․․․36

    그림-5 한·중·일 중첩수역도․․․․․․․․․․․․․․․․․․․․․․․․․․․․․․․․․․․․․․․․․․․․․․․․․․․․․․․․․․․․․․․․․․․․․․․․․․․․․․․․․․․․․․․․43

  • - vii -

    국 문 초 록

    1982년 제3차 유엔해양법 회의에서 200해리 경제수역이 인정됨에 따

    라 한반도 주변 해역의 배타적 경제수역은 직선거리 400해리를 넘지 않

    아 연안국가간에 서로 중첩되면서 어자원 고갈로 이어져 어업에 종사하는

    각종 선박들이 불법행위를 자행하고 있으며, 특히 선박을 이용한 밀입국,

    밀수, 마약 등 불법행위와 불법어업 등 자국의 주권확보와 어업자원 보호

    를 위해 한·중·일 3국은 국제법과 각각의 어업협정 및 국내법에 따라

    불법행위 선박을 대상으로 승선·검색·나포 등 무리한 단속을 하거나,

    이 같은 단속을 피하기 위해 흉기를 소지하고 과격한 행동을 함으로써 당

    사국간 분쟁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농후해 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의 국내법 중 영해 및 접속수역법, 배타적

    경제수역법 등 해양관련 특별법은 불법행위 단속에 대한 구체적인 주무기

    관의 명시에 있어 해상공권력 확립으로 해양주권을 수호하고 국민의 생명

    과 재산을 보호하는 핵심기능인 해양경비 기능을 총괄하는 해양에서의 임

    무 및 작용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부족하며, 해양경찰의 불심검문이나 장

    비·무기의 사용 등에 대한 명확한 법적 근거도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불법(위법)행위와 불법

    어업에 대한 단속역량을 강화함은 물론 단속의 주무기관인 해양경찰이 명

    확한 법적 근거를 가지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제언코자

    한다.

    중국 어선들의 불법행위나 불법어업의 근절을 위해서는 첫째, 불법어업

    의 사전 예방이 우선해야 하므로 중국 정부와 적극적인 협력으로 불법조

    업 의지와 심리를 차단하고, 둘째, 대한민국의 주권 침해와 단속 공무원

    의 생명을 위협하는 극렬 저항행위에 대하여는 형사벌은 물론 선박까지

    몰수하여야 하며, 셋째, 조속한 해상경계획정으로 불법행위 자체를 차단

    하고, 넷째, 객관적인 증거 확보로 어업정지 등 행정벌을 병과하여 실질

    적인 경제적 손실을 주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 - viii -

    이와 병행하여 강력한 법 집행력이 뒤따라야 그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으므로 개별 특별법령에 해양에서의 임무 및 작용에 대한 명확한 근거

    를 명시하는 통일된 법령을 제정하여 국제적 분쟁발생 소지를 제거하야야

    할 것이다.

    ※ 핵심 용어 : 불법행위, 불법어업, 어업협정, 배타적 경제수역, 단속,

    해양경찰,

  • - ix -

    A bstrac t

    Since UN convention of the Sea of The law recognizes Exclusive

    Economic Zone which allows states to have special rights in the

    exploration and use of marine resources from their base lines to

    200 nautical miles in 1982, There have been many sensitive issues

    regarding illegal fisheries on Korean peninsula. Because states

    around the Peninsula have their maritime zones overlapping in

    some areas with each others due to that straight baseline dose not

    exceed 400NM. Especially in order to protect their marine

    resources and sovereignty against illegal immigration by using

    some vessels, smuggling and drugs, Korea, China and Japan have

    taken some unreasonable crackdown such as embarking, search

    and arrest against illegal fishing boats under International law,

    fisheries Agreement and domestic laws. To avoid such a

    crackdown, They possess any deadly weapon and behavior

    violently, it has been come rich that the behavior is likely to

    develop into conflict between nations.

    In facing these situations, as like the law of territorial sea,

    contiguous zone and exclusive economic zone in Korean domestic

    law, maritime special act has not clarified a competent authority

    related to crackdown illegal act. There are not sufficient clear

    legal basis about the duty and the function that are comprehensive

    of the capability of maritime guard which is key features for the

    protection sovereignty by establishing maritime authorities and

    People's lives and property. and The clear legal basis are not quite

    satisfactory for using weapons and equipments and questioning on

    suspicious ships by Korea Coast Guard

    To solve these problems, there should be focus on enhancement

    of the power to curb illegal fisheries and Korea Coast Guard which

    is the competent authority for crackdown against illegal fishing

  • - x -

    boats should carry out their mission with a clear legal basis and

    then I propose as follows.

    For stopping chinese illegal fisheries, First, Since prevention of

    illegal fisheries should be taken priority,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cut intentions of illegal fisheries through active cooperation

    with the Chinese government. Second,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carry out some punitive sanction including forfeiture of the

    ship against violating on the Republic of Korea's sovereignty and

    enforcement officials' life threatening violent resistance act. Third,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block out illegal act through speedy

    specific maritime delimitation around Korean peninsula. Forth,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take the way of giving substantial

    economic losses through obtaining objective evidences for still

    fishing and charging administrative punishment.

    Since It is able to be maximize effects through strong

    enforcement and carrying out above things at the same time, the

    unified law should be legislate for specifying the competent

    authority which is not clearly at separating special statute and

    remove cause of international conflict.

    Key word : illegal act, illegal fisheries, fisheries agreement,

    Exclusive Economic Zone, crackdown, Korea Coast

    Guard,

  • - 1 -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의 목적

    1982년 제3차 유엔해양법 회의에서 영해 12해리는 물론 200해리

    경제수역이 인정됨으로써 세계 각국은 모두 연안국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1) 전 세계의 모든 나라가 해양을 영토개념으로 간주하

    고 연안국의 권리를 최대한 확장함에 따라 국가간의 분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동북아의 중심지인 대한민국과 중국 및 일

    본 간에는 최대거리가 400해리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해양경계선 획정

    에는 상호협의가 이루어 져야 한다.2)

    이러한 국가간의 교류·협력체제는 정치적인 면이나 경제적인 측면에서

    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국제 사법적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영

    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국가간에 연계되는 범죄가 개인적

    차원보다는 국경을 초월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범죄의 국제화라는 면에서

    밀입국·밀수·마약·불법조업 등 대부분의 해양관련 범죄가 조직적이고

    집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해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범죄는 해양이라는 장소적 특수성 때문에 다

    양한 범죄가 조직적이고 광역적으로 이루어지는 양태를 보임으로써 국가

    간의 파급효과는 크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한반도 주변 해역의 경우 1996년 한·중·일 3국이 공히 선포한

    배타적 경제수역(Exclusive Economic Zone)이 중첩되어 1997년 11월

    에 중국과 일본이, 1998년 11월에는 대한민국과 일본이, 2000년 8월에

    대한민국과 중국이 각각 어업협정을 체결하여3) 각국의 영향력이 한정

    1) 장덕종·최명수, "어획량 분석을 통한 배타적 경제수역 불법어업 단속 효과", 『해양환경안전학

    회』 춘계학술발표회, 2006, p.186

    2) 노호래, “불법조업 중국어선에 대한 해양경찰의 대응방안”, 『한국경찰연구』 제9권 제2호,

    2010, p.30

    3) 장덕종·최명수, 앞의 글, p.185

  • - 2 -

    되면서 어업에 종사하는 각종 선박들이 밀입국이나 밀수, 마약운송, 불법

    어업 등 각종 불법행위를 자행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이

    들에 대한 강력한 단속으로 국가간 분쟁발생 소지가 농후한 만큼 국민의

    안전을 담보하고 자국의 해양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국가간 외교적 해결이

    나 명확한 근거에 의한 단속 등의 적절한 해결책 모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구들은 국제성 범죄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는 드물

    고, 국내어선들의 불법어업에 국한된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타국

    선박에 의한 불법어업 실태가 포함된 연구가 미미하여 대한민국 연안해역

    의 어업자원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불법행위에 대한 단속 업무를 수

    행하는 주무기관의 임무 및 작용에 대한 구체적인 적시가 없어 국제관계

    에서 외교적 갈등을 유발하거나 분쟁발생 등 문제가 될 소지를 않고 있다

    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제법이나 당사국간 맺어진 조약 등을 위반

    한 불법행위에 대한 해상공권력 확립으로 해양주권을 수호하고 국민의 생

    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핵심기능인 해양경비 기능을 총괄하는 해양에서의

    임무 및 작용에 대한 명확한 근거를 마련하는 통합된 법령제정4)을 제안

    코자 한다.

    제 2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 연구의 범위

    국제 해양범죄는 국가와 국가간 또는 내국인과 외국인이 관련된 국

    제적 특성을 가진 국제범죄로서 어느 한 가지 범죄로 정형화되지 않고 시

    대에 따라 자주 변화하는 양상을 띠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각종 범죄

    행위 중 선박을 이용한 밀입국과 밀수, 마약범죄 등 불법행위와 외국어선

    4) 박수철(국회 전문위원), “해양경비법안 검토보고”, 『국토해양위원회』, pp.5~6

  • - 3 -

    의 불법조업 등 국제적 성격을 띠는 범죄로 한정하여 단속 방법과 결과에

    대한 각종 사례를 중심으로 단속역량을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국

    제·국내법적 적용 근거를 검토하여 해양에서 법집행 기관에 대한 명시적

    인 근거와 권한 여부를 검토하는데 그 의미를 두고 있다.

    2. 연구의 방법

    대한민국 해양에서의 범죄단속 업무를 관장하고 있는 국가기관인

    해양경찰청을 중심으로 농림수산식품부와 관세청 등 정부부처에서 발간한

    관련 서적과 학술지, 연구논문, 정기간행물, 언론보도, 인터넷 자료 등 여

    러 가지 통계자료를 분석·활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일, 한·중 간 어

    업협정에 기초하여 불법어업에 따른 대응방법 등에 대한 국제·국내법과

    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특히 해양과 관련된 국제범죄의 유형 중 행정기관의 실적자료 분석으로

    대표적인 사례들을 통하여 국내법 적용·처리에 대한 합목적성 여부를 검

    토하고, 불법어업 행위를 단속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강력한 저항행위에

    대응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국가간 분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양경찰

    경비함정에 근무하는 경찰관들의 법집행 근거를 명확히 하는데 중점을 두

    고자 노력하였다.

  • - 4 -

    제 2 장 해양관련 국제성 범죄

    제 1 절 국제범죄의 개념과 종류

    1. 국제범죄의 개념

    국제범죄는 그 유형이 다양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그 개념을 정립

    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통일된 정의는 아직까지

    확립된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어떤 행위가 국제범죄에 해당되

    는지? 국제범죄에 해당된다 하더라도 어떤 법률을 적용하여 어떻게 처벌

    해야 할 것인지?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국제 해양범죄는 국제범죄

    중에서 바다라는 범죄 실현의 장소적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의문

    은 더욱 고려되어야 한다고 본다.

    그러나 실무적으로 국제범죄를 정의하면“범죄의 실행행위는 물론 수사

    와 재판, 형의 집행 등 모든 형사사법과정에서 사건의 전부 또는 일부가

    국제적인 관련성을 가지는 범죄”라고 정의하고 있다.5)

    현재 대한민국 형사사법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국제범죄의 개념은 국

    제성 범죄를 말하는데 이는 국제사회에서 인정하는 국제법상 범죄와 국제

    적 관련성을 가진 범죄, 그리고 특정국가의 형법적용을 받는 국제범죄로

    구성되는데 본 연구에서 말하는 국제범죄는 주로 국제적 관련성을 갖는

    범죄를 의미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밀입국과 밀수, 마약, 불법어업 등 해

    양과 관련된 범죄에 국한하고 있다.

    2. 해양관련 국제범죄의 종류

    국제해양범죄를 일반적인 국제범죄와 비교하면 그 가치나 영향력,

    파급효과 등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위치에 놓여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

    나 해양이라는 장소적 특수성을 고려한다면 육상에서 발생하는 범죄와 대

    조되는 개념이다. 해상에서 발생하는 범죄 중 국제적 성격을 띠고 있는

    범죄에 대한 단속업무는 해상치안기관으로서 해상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

    5) 송일종, "국제 해양범죄 실태와 대응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2009년2월, p.6

  • - 5 -

    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 기관인 해양경찰이며 그의 주요한 임무이기도

    하다.

    해양경찰에서 담당하고 있는 국제 해양범죄는 해양이라는 장소적 특성

    하에서 국제범죄의 주체와 객체, 행위, 보호법익 등의 여러 가지 요소가

    2개국 이상 관련이 있는 범죄로써 “해상에서 발생하거나 발생가능성이

    있는 국제범죄”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국제적 성격을 갖고 있는 범죄는 전통적으로 밀입국과 밀수, 마약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해양오염이나 국제테러행위 등도 국제 범주에 포

    함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유엔해양법협약이 발효된 이후 국제 해양질서의 급격한 변화와

    배타적 경제수역 설정으로 해양관할권이 확대되면서 외국선박에 대한 규

    제를 강화하는 측면으로 각종 협정이 맺어지면서 영해 및 접속수역이나

    배타적 경제수역 내에서의 불법행위로서 외국선박의 나포, 자국 선박의

    외국피랍 등 연안국과 인접 국가간의 관계에서 발생되는 범죄는 다양하다

    고 볼 수 있다.

    대한민국 연안에서 발생한 국제범죄의 추이를 분석해 보면 2006년을

    정점으로 점차 감소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그 이유는 대한민국

    의 국가기관 차원에서 강력한 단속이 이루어지고 있어 범죄의 심리를 저

    하시켰다는 직접적인 측면과 범죄에 따른 분쟁이나 피해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정치적 노력, 국가간의 경제협력에 따른 국제범죄의 감소

    등 정치·경제적인 측면, 그리고 연안국의 해상치안기관간 적극적인 협력

    이 강화된 결과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국제범죄 처리 현황 (단위 : 건,명)

    유형연도별

    계구속 불구속 이첩

    건수 인원(명)

    ’10년 1,475 2,017 55 1,097 865

    ’09년 1,769 2,180 60 1,195 925

    ’08년 2,271 2,655 78 1,527 1,050

    ’07년 1,933 2,599 89 717 1,793

    ’06년 2,288 2,767 50 321 2,396

    자료 : 해양경찰청 외사과

  • - 6 -

    제 2 절 외국선박의 불법행위와 불법어업

    1. 불법행위와 불법어업의 법적 성질

    불법행위에 대한 민법상의 개념은 손해배상의 책임을 생기게 하는

    형태로「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위법행위로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

    위」를 말한다.6) 이러한 불법행위의 의미는 2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법

    적 또는 사회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이익을 정당한 방법에 의하지 않고 침

    해하였다는 의미에서 권리침해적·객관적 불법을 말하는데 위법행위와 같

    은 의미로서 밀입국, 밀수, 마약 등의 행위가 여기에 해당되며, 둘째, 고

    의·과실의 의미를 가진 주관적·구체적 불법을 말한다.7)

    따라서 본 연구에서 열거한 불법행위의 영역은 해상에서 선박을 이용하

    는 국제적 성격을 갖는 범죄행위로서 밀입국, 밀수, 마약 등이 여기에 해

    당된다 하겠다.

    반면 불법어업의 개념은 부적법 또는 위법하게 행하는 어업 즉, 적법요

    건을 결여하여 처벌의 대상이 되는 어업으로 민법상의 불법행위와 달리

    손해의 발생 여부와는 상관없이 수산업법이나 수산자원관리법 등 수산관

    계 법령을 위반하여 행하는 어업을 말한다.8)

    국제농업식량기구(UN-FAO)9)도 ‘당해 국가의 허가 없이 또는 관계

    법령 및 국제법을 위반하거나 국제적 의무를 위반하는 어업활동’이라고

    국내법과 유사하게 정의하고 있다. 그러므로 수산관계 법령의 위반행위가

    국가의 어업자원 관리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한 경우 또는 지원을 이용할

    권리를 가진 자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 그 손해를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불법어업이라고 정의하여도 무방하다고 보고 있다.10)

    6) 민법 제750조

    7) 이종근, “불법어업 단속제도에 관한 연구”, 『수산해양자료연구』, 22(3), 2010, p.305

    8) 서만석·김일평, “우리나라 서해 중남부의 불법어업에 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17(2),

    2005년, p.171

    9) UN-FAO : www.fao.or.kr/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1945

    년 설립, 187개 회원국을 두고 있다.

  • - 7 -

    2. 불법행위와 불법어업 추세

    외국선박의 불법어업 행위가 문제가 되는 대한민국 수역은 영해와

    접속수역 및 배타적 경제수역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국가관계와 연관되어

    지는 불법(위법)행위는 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6년과 2008년

    2,200여건을 상회하였으나, 2010년 1,400여건까지 감소하는 추세를 보

    이고 있으며, 특히 불법어업과 관련하여 외국선박이 대한민국의 배타적

    경제수역에서 어업활동을 하려면 한·일, 한·중 어업협정에 따라 농림수

    산식품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허가를 받고 입어하여 조업을 하

    는 선박과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조업을 하는 무허가 선박이 불법어업을

    자행하고 있다.

    중국의 경우 자국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발생하고 있는 연안해역의

    심각한 오염과 무분별한 어족자원의 남획으로 중국 근해의 어자원이 고갈

    되어 가고 있어 우리나라의 영해 및 배타적 경제수역(EEZ)에서 허가를

    받지 아니한 선박이나, 등록 자체를 하지 아니한 선박, 그리고 허가는 받

    았으나 제한조건을 위반하여 조업하는 선박 등이 집단적으로 불법행위를

    자행하고 있다. 이에 1996년 8월 8일에 제정된 「배타적 경제수역에서

    의 외국인 어업등에 대한 주권적 권리의 행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대한

    민국 해양경찰이 강력하게 단속을 벌이고 있으나, 불법조업이 근절되기는

    커녕 오히려 단속을 회피하기 위한 수법이 조직화 되고 조직화·집단화·

    흉포화 되어 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11)

    대한민국 배타적 경제수역에서 조업을 하기위하여 입어허가를 받은 중

    국과 일본 어선의 현황을 보면 한·일, 한·중 양국간의 어업 협정에 따

    라 매년 쿼터량 조정으로 아래 표와 같이 매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10) 이종근, “불법어업 단속제도에 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2(3), 2010년, p.306

    11) 노호래, “불법조업 중국어선에 대한 해양경찰의 대응방안”, 『한국경찰연구』, 제9권 제2호

    (2010년 여름), p.31

  • - 8 -

    대한민국 EEZ 수역 입어허가 현황

    구 분 ’07 ’08 ’09 ’10 ’11

    계 3,011 2,927 2,740 2,690 2,570

    중 국 1,986 1,927 1,800 1,750 1,700

    일 본 1,025 1,000 940 940 870

    자료 : 농림수산식품부, 어업교섭과

    특히 연평도를 비롯한 서해 5도 인근 해상을 중심으로 대한민국과 북

    한의 해상경계선(NLL)12) 부근에서 조업하는 중국어선은 연평균 5,000

    여척으로 4, 5월과 9~11월에 7천여척에서 1만여척이 집중적으로 조업하

    고 있으며, 이들 중국 어선들은 평소에는 NLL 이북에서 조업을 하다가

    야간이나 기상이 불량하여 해양경찰 경비함정이 활동에 제한을 받을 때

    경계선을 월선하여 영해침범 등 불법행위를 하는 경우가 빈발하고 있어

    어민들의 소득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

    NLL부근 중국어선 월별 조업 현황

    연도별 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07년 61,197 2,141 760 3,133 6,536 7,217 6,157 3,316 6,054 8,426 9,719 5,460 2,260

    ’08년 50,498 1,588 1,629 5,737 7,818 8,900 5,558 1,421 1,849 5,277 5,140 4,481 1,091

    ’09년 19.992 762 88 181 1,842 6,811 549 427 224 497 5,755 2,097 689

    ’10년 58,774 507 426 2,253 10,688 9,676 1,423 2,401 2,742 8,851 9,686 7,683 2,438

    자료 : 해양경찰청 경비과

    제 3 절 국제성범죄 단속 현황

    1. 대한민국의 해양범죄 단속체계

    외국선박의 불법행위나 불법어업과 관련된 대한민국 해양경찰의

    12) 북방한계선(Nothern Limit Line) : 연평도,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우도 등 5개섬의 북단과

    북한의 웅진반도 사이의 중간선, 1953년 8월 30일 유엔사령관 Mark W. Clark가 일방적으로

    설정한 선을 말한다.

  • - 9 -

    대응체계를 살펴보면, 해양경찰 경비함정이 어업지도선 및 해군함정의 협

    조·지원을 받아 단속을 실시하여 해양경찰서 및 지방해양경찰청을 거쳐

    해양경찰청으로 보고하는 지휘체계를 거치고 있으며, 해양경찰청에서는

    관련국 해상치안기관과 정보를 공유하고, 국내적 사법처리와 함께 외교통

    상부를 경유하여 관련국 정부와 협상을 통해 필요한 조치를 하는 등 상당

    히 복잡한 대응체계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와는 별도로 도끼·쇠파이프 등 흉기를 소지하고 집단적으로

    저항하는 불법행위에 대하여는 대한민국의 형법과 형사소송법을 적용하여

    처벌을 가함으로써 대한민국의 해양주권을 확보함은 물론 불법행위의 심

    리적 억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불법선박 대응 체계13)

    해양경찰청

    청와대, 국토해양부 등

    외교통상부농림수산식품부 해군작전사령부

    상황보고

    정보교환

    관련국 해상치안기관

    조치요구

    관련국 정 부

    상황전파 상황전파

    협조/지원협조/지원지침시달지휘/지원상황전파

    함대사령부어정국관 구지 방 청

    정보교환/협의

    협조/지원지침시달지휘/지원

    해양경찰서

    지휘/지원

    상황전파어업지도선 해군함정

    경 비 함 정

    단속

    협조/지원

    외 국 어 선

    13) 해양경찰청, 「불법 외국어선 단속 매뉴얼」, p.7

  • - 10 -

    2. 밀입국사범 단속 현황

    중국을 중심으로 대한민국 연안에서 이루어지는 해상으로의 밀입

    국은 한·중 수교 이후인 1992년경부터 시작되었으며, 중국의 한족과 조

    선족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 이유는 지리적으로 대한민국과 가깝

    고, 한국어에 능통한 조선족들이 취업이나 생활에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이들의 밀입국 조직을 보면, 중국 내 현지조직과 대한민국 내 조직이

    서로 연계하고 모집책, 알선책, 운송책 등으로 역할을 분담하여 국제적인

    조직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운송수단으로 어선과 화물선, 컨테이너 등을

    이용하고 있으며, 밀입국 경로를 보면 ①흑룡강성→서해 공해상→군산으

    로 이어지는 경로 ②요동반도(대련항)→흑산도→홍도 공해상→남해, 사천,

    통영, 거제, 부산지역으로 이어지는 경로 ③산동반도→흑산도 공해상→목

    포 인근 남서해안으로 이어지는 경로 ④요동반도(대련, 여순항)→공해상

    에서 대한민국 선박으로 환승→목포, 부산, 제주 등 남서해안으로 연결되

    는 다양한 경로를 활용하고 있다.14)

    최근 10년간 중국인들의 밀입국 단속 현황을 분석해보면, 2000년대

    초기 3년 동안은 평균 15회 450여명의 많은 밀입국자가 단속 되었으나,

    최근 3년 동안은 평균 7회 65명으로 대폭적인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최근 중국의 급속한 경제발전에 힘입어 ‘코리안 드림’을 꿈꾸던

    중국 조선족들이 중국내에서 경제활동이 가능해짐에 따라 경제적인 측면

    에서 밀입국의 필요성이 감소한 점과, 해양경찰 경비시스템의 체계화·첨

    단화와 각종 감시·단속 장비의 현대화를 지적할 수 있다.

    14) 박재한, 『해상범죄 실태 및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2008.10,

    pp.10~11

  • - 11 -

    최근 10년간 밀입국자 단속 현황 (단위 : 명)

    연도별구 분

    계 ’10 ’09 ’08 ’07 ’06 ’05 ’04 ’03 ’02 ’01

    밀입국(건) 96 8 7 7 8 7 9 6 11 17 16

    계(명) 1,865 71 59 67 166 67 46 30 257 243 859

    조선족 1,082 3 4 - 15 3 34 12 130 184 697

    한 족 740 63 38 67 150 63 12 15 127 48 157

    기 타 43 5 17 - 1 1 - 3 - 11 5

    자료 : 해양경찰청 외사과

    해상을 통한 밀입국은 중국인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국민이 일본에 불법

    취업 한 후 재(再)입국을 위해 공해상에서 대한민국 어선으로 환승하여

    밀입국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의 처벌을 위한 법적 근거로는 유엔해양법협약 제33조와 국내법으

    로 영해 및 접속수역법, 출입국관리법 등의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여러 가지 현실적인 문제점으로 인하여 밀입국이나 밀수 등에

    이용한 선박에 대한 몰수 문제는 형법 제48조에 근거하여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나 선박소유자와 밀수 행위를 한 선장이나 선원과의 공모관계를 밝

    히지 못할 경우에는 몰수가 불가능하다. 또 선박이 편의치적선인 경우 공

    해상 나포 등 절차상 문제와 선적국가의 반발로 국제분쟁이 발생될 가능

    성이 있으며, 몰수를 한다하더라도 법원의 최종판결시까지 몰수 선박에

    대한 보관관리에 따른 많은 비용문제 때문에 몰수에 어려움이 있다.15)

    1991.6.25. 밀수에 제공된 선박(ㅇㅇ호, 16톤)을 세관에서 압

    수하여 보관하던 중 같은해 8월 2일 태풍과 세관직원의 관리소홀

    로 선박은 파손되고 침몰되었다. 이에 11월 30일 법원에서 선주의

    혐의가 무죄로 확정되자 선박파손 당시 선박의 가액과 압수 이후

    매월 선박 임대료 상당액을 국가배상법에 의해 배상한 사례

    15) 해양경찰청, 「국제해양법 실무지침서」, 2007.10, pp.33~37

  • - 12 -

    3. 밀수사범 단속 현황

    해상에서 선박을 이용한 밀수는 2008년부터 급격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그 이유는 대한민국의 수입자유화 확대정책과 대한민국

    상품의 품질향상에 기인하고 있으나, 그 수법은 더욱 지능화·다양화 되

    어가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16)

    밀수 형태는 수입업자들이 정상적인 방법으로 물품을 수입하면서 식별

    이 곤란한 수입제한품목을 위장하여 반입하거나 중국산 농·수산물을 북

    한산으로 위장 반입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특히 금괴, 마약 등 국제

    성을 띠는 경우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최근 5년간 밀수사범 단속 현황 (단위 : 건, 명)

    구 분

    연도

    검 거 처 리금 액

    건수 인원 구속 불구속 이첩

    계 655 725 9 35 681 514억 488만원

    ’10 20 36 3 16 17 34억 9,670만원

    ’09 134 141 - 2 139 17억 9.818만원

    ’08 281 296 3 9 284 177억 2,000만원

    ’07 169 193 - 6 187 54억 6,000만원

    ’06 51 59 3 2 54 229억 3,000만원

    자료 : 해양경찰청 외사과

    4. 마약사범 단속 현황

    대한민국은 러시아나 중국,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들에 비해 마약

    의 청정국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필로폰과 다른 신종마약류인

    야바·엑스터시 등을 외국 유학생이나 외국인들에 의해 대학가를 중심으

    로 유입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점을 악용한 마약조직들은 대

    16) 박재한, 『해상범죄 실태 및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2008.10,

    p.11

  • - 13 -

    한민국을 경유지로 이용하고 있으며, 선박을 이용하여 마약을 밀반입하는

    행위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17)

    지난 5년간 마약사범 단속 현황을 분석해 보면, 2009년까지 240명으

    로 점점 증가하여 오다가 2010년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는 마약류 사용

    계층이 유흥업소 종사자나 연예인 등으로 한정되었던 것이 상대적으로 건

    전계층으로 알려진 회사원, 가정주부, 의료인, 운전기사 등으로까지 광범

    위하게 확산되어 사회문제화 됨으로써 사법기관의 강력한 단속은 물론 사

    회적 관심이 집중되었기 때문에 급격하게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5년간 마약사범 단속 현황

    구 분

    연도

    검 거 처 리

    건수 인원 구속 불구속 이첩

    계 928 543 51 490 2

    ’10 74 28 7 21

    ’09 235 240 3 237

    ’08 148 141 6 135

    ’07 300 44 14 29 1

    ’06 171 90 21 68 1

    자료 : 해양경찰청 형사과

    이러한 밀입국, 밀수, 마약 등 불법행위는 국제성 범죄에 해당하

    는 행위로서 국가간의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점에서 단속에

    대한 명확한 법적 근거와 절차가 필요하기 때문에 반드시 근절시키려고

    강력한 단속 등의 노력을 하고 있으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보다 명확

    한 법적근거를 마련하는 등 실질적인 방안 마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5. 불법어업 단속 현황

    영해 및 접속수역이나 배타적 경제수역 등 대한민국 관할수역에서

    외국 선박들의 불법어업 행위 유형을 현재의 수산관계 법령조항을 참조하

    17) 해양경찰청, 「해양경찰백서」, 2010.8, p.184

  • - 14 -

    여 열거하면 첫째, 당국에 등록된 선박이 연안국으로부터 어업허가증을

    발급받지 않고 하는 어로행위, 둘째, 허가는 가지고 있으나 허가증에 명

    시된 제한조건 즉, 입어량이나 어종, 어망규격 등을 준수하지 않는 어로

    행위, 셋째, 등록되지 않은 선박이 행하는 어로행위 등 주로 3가지를 말

    한다.18)

    이러한 여러 가지 유형의 불법어업 행위를 단속하여 처벌하는 것은 일

    반적으로 어업질서를 바로잡아 대한민국 관할수역에서의 불법어업을 효과

    적으로 방지하고 연안국가의 주권을 확립하기 위한 방안이라 볼 수 있

    다.19)

    대한민국 영해와 NLL 및 배타적 경제수역과 인접한 수역에서 여러 가지

    유형의 불법행위로 대한민국 법령을 위반한 일본과 중국 어선들의 불법어

    업 행위로 해양경찰에 단속·검거된 현황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가. 일 본

    대한민국과 일본의 해상경계 획정은 현재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나 어업과 관련된 경계획정으로 1965년 한·일 어업협정에 이어

    1999년 어업협정에서는 배타적 경제수역과 독도 주변의 동해 및 제주도

    남부수역의 일부를 중간수역으로 설정하여 일정량의 쿼터가 정해짐으로써

    대한민국 어선의 대량감축에 따른 생계를 위한 불법조업이 유발된 이후

    양국 어선 간에는 전반적으로 조업질서가 정착되어 가고 있는데, 일본 측

    배타적 경제수역에서 대한민국 어선이 불법조업이나 항해를 하다가 일본

    순시정의 검문에 불응하고 도주하는 행위를 함으로써 아래 에 나

    타난 바와 같이 일본 순시정의 과잉단속 행위를 유발하여 이 과정에서 선

    체가 침몰되고 선원이 부상당하는 피해가 발생되기도 했다.

    18) 이명규·이남우, “불법어업에 대한 효율적 규제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005년, pp.78~79

    19) Laurence Blakely, The end of the VIARSA SAGA and the legality of australia's vessel forfeiture penalty for illegal fishing in its exclusive economic zone, 2008.6, pp.12~13

  • - 15 -

    일본의 과잉단속에 따른 대한민국 어선의 피해발생 사례

    선 박 명 일시 및 장소 불법 내용 선박 피해사항

    삼 진 호’01.9.26. 부산 대변

    동방 31마일 해상일본 EEZ침범 일본 순시선 추돌로 침몰

    제7 종진호’03.2.12. 일본 EEZ

    내측 4마일 해상임검 불응

    일본 순시선 추돌,

    선체일부 손상

    제339풍운호’04.5.24. 일본 EEZ

    내측 1.5마일 해상임검 불응

    경고투척구 47발, 최루탄 20발

    발사, 선장 눈 부위 부상

    자료 : 해양경찰청 외사과

    그러나 이 정도에 그치지 않고 2000년 이후에는 일본 순시정의 추적을

    받던 대한민국 어선이 해양경찰에 보호요청을 하여 대한민국 해양경찰 경

    비함과 일본 해상보안청 순시정이 서로 대치하여 국가간 분쟁 직전에서

    정치적으로 해결된 상황이 여러 번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한·일 양국이 독도라는 특수한 영토문제를 염두에 두고 대응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대치 상황과는 다르게 도주 후 처리결과 통보 요청에

    대한 사례로 2007년 3월 26일 일본 EEZ내에서 항해 중이던 한국어선

    307동창호가 무허가 어선임을 확인한 일본 순시선의 정선명령에 불응하

    고 사행항해(蛇行航海)를 하면서 도주하자 착색탄(color ball)을 발포하

    여 선체 9곳에 착색도료(着色塗料)가 부착되도록 한 후, 「한·일 어업협

    정 제11조」20)를 근거로 대한민국에 조사·처분결과의 통보를 요청하여

    상호주의 원칙에 따라 성실한 조치를 취하고 행정처분 등의 처분 결과를

    통보한 바 있다.21)

    20) 한·일 어업협정 제11조 : ①양 체약국은 각각 자국의 국민과 어선에 대하여 항행에 관한 국제

    법규의 준수, 양 체약국 어선간 조업의 안전과 질서의 유지 및 해상에서의 양 체약국 어선간

    사고의 원활하고 신속한 해결을 위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②제1항에 열거한 목적을 위하여 양 체약국의 관계당국은 가능한 한 긴밀하게 상호 연락하고

    협력한다.

    21) 해양경찰청, 「국제해양법 실무지침서」, 2007년10월, pp.76~77

  • - 16 -

    관련 선박 일시·장소 개 요 대 치 상 황

    33부성호’01.10.31.

    부 산

    조업중 EEZ 경계선

    까지 조류에 밀림

    해양경찰 함정과 어업지도선이 보호

    조치, 조사 후 무혐의 처리

    101대정호’02.2.19.

    포 항

    어망 일부가 일본

    EEZ 내로 흘러가

    찾던 중

    일본 순시정 1척이 영해외곽까지

    추적, 해양경찰 함정 1척이 근접호송

    으로 입항

    큰영광호’05.12.3.

    부 산

    일본 EEZ 0.4마일

    침범 조업

    일본 순시선 검문검색에 도주, 해양경찰

    함정 3척과 일본 순시정 3척이 대치,

    일본 EEZ 침범사실 확인으로 대마도로

    나포되어 담보금 납부 후 석방

    502신풍호’05.5.31.

    울 산일본 EEZ 항해 중

    해양경찰 함정 6척과 일본 순시정 7척이

    신풍호 양측에 계류, 39시간 동안 대치,

    한국이 인수 조사

    97세진호’08.5.16.

    부 산

    대한민국 EEE에서

    조업 중

    해양경찰 함정 5척과 일본 순시정 5척이

    세진호 양측에 계류, 8시간 동안 대치,

    일본이 사실관계 오인 인정

    99만중호’09.10.31.

    부 산

    일본 EEZ 0.5마일

    침범사실은 인정하나,

    조업사실은 부인

    해양경찰 함정 4척과 일본 순시정 6척이

    만중호 양측에 계류, 17시간 동안 대치,

    한국이 인수 조사

    한·일 정부선박(경비함정)간 대치 사례

    자료 : 해양경찰청 외사과

    나. 중국

    중국의 개혁·개방이 시작된 1978년 당시 국민총생산(GDP)은

    2,165억 달러, 1인당 224.3달러였으나, 2010년에는 GDP가 5조 5000

    억 달러, 1인당 4,000달러로 32년 동안 무려 25배가 증가하는 급속도의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22)

    이러한 사회적 여건에서 대한민국과 중국 간 어업협정 체결 이전에는

    연평균 2만여척 이상의 중국어선이 대한민국 수역에서 조업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2000년 양국간에 어업협정이 체결되면서부터 2011년 현재

    까지 협정된 쿼터량에 따라 조업척수를 매년 지속적으로 축소시켜 나가고

    있다.

    이에 비하여 대한민국 어선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어족자

    원의 치열한 쟁탈전이 빚어지는 양상이 전개되고 있으며, 각국의 배타적

    22) 『동아일보』, 2010.11.13자

  • - 17 -

    경제수역(EEZ) 내에서 조업을 하기 위해서는 업종별·어종별 어획할당

    량과 입어척수 등 여러 가지 조업조건과 입어절차에 따라 어업허가증을

    발급받고 조업을 해야 한다.

    그러나 아래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한민국 EEZ 내에서 조업

    을 허가받은 중국어선 중 제한조건을 위반하는 행위는 점점 감소하고 있

    으나, 무허가로 조업을 하거나 영해를 침범하는 불법행위는 점점 증가하

    고 있다.

    불법어업 외국어선 나포 현황 (단위 : 척)

    연도별 계배타적 경제수역

    영해 침범 훈 방무허가 제한조건위반 (NLL)

    ’10년 375 91 226(51) 53 5

    ’09년 388 86 272(49) 23 7

    ’08년 446 78 342(41) 12 14

    ’07년 508 79 388(40) 27 14

    자료 : 해양경찰청 외사과

    이처럼 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조업을 하고 있는 중국 어선들은 대한민

    국과 북한간 해상경계선인 NLL(Northern limit line)23) 북측에서 조업

    을 하다가 야간이나 기상이 불량한 시기를 틈타 대한민국 영해선 안쪽으

    로 월선하여 조업을 하는 등 제주, 목포, 군산, 인천 등 서해 전역에서 불

    법행위를 자행하면서 대한민국 해양경찰에 피랍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쇠

    파이프나 쇠창살 등 흉기를 소지하고 극렬히 저항하여 단속경찰관이 사망

    하거나 부상을 당하는 등 물의를 일으키는 사례가 빈발하고 있다.

    중국 어선들의 폭력이나 강력한 저항 유형을 보면, ①고속단정을 이용

    하여 단속요원들이 중국어선에 승선할 때 쇠파이프나 도끼 등으로 폭력·

    저항하는 행위, ②중국어선 현측에 2m가 넘는 쇠창살을 설치하여 고속단

    정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려는 행위, ③단속을 피할 목적으로 위력

    23) 1953년 정전 직후 클라크(Mark Wayne Clark) 주한 UN군 사령관이 북한과 협의 없이 일방적

    으로 설정한 해상경계선이나, 국제적으로 영해를 규정하는 경계선은 아니라는 것이 국제법학자

    들의 일반적인 견해임.

  • - 18 -

    일 자 내 용 피해사항 조치 결과

    ’08.9.25

    목포 해양경찰 000함이 소흑산도 서방

    39마일 해상에서 무허가로 추정되는 중국

    어선 정선시도 과정에서 10여척이 집단으로

    쇠파이프 등을 이용 극렬히 저항

    경찰관

    사망 1명,

    부상 6명

    특수공무집행방

    해 11명 구속

    ’08.11.24

    인천 해양경찰 000함이 소청도 남서방

    38마일 해상에서 중국어선 나포 후 인근

    어선 30여 척이 집단으로 극렬히 저항

    경찰관

    1명 부상

    특수공무집행방

    해 1명 구속

    ’09.3.18

    군산 해양경찰 000함이 어청도 북서방

    55마일 해상에서 중국어선 단속 도중 중국

    어선 4척이 집단으로 000함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