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음파와 ct를 이용한 아메바성 간농양과 화농성 간농양의 감별* · * 이...

5
199 3 ; 29 (2) : Journa l of Korean Radiological Society, March , 1993 - Abstract- Differentiation of Amebic Versus Pyogenic Liver Abscess with US and C I Jae Min Cho, M.D. , Byung Ihn Choi, M.D. , Joon Koo Han, M.D. , Man Chung Han, M.D. , Chu-Wan Kim , M.D. , Kyoo Byung Chung, M.D. ** 0/ Radiology , National College 0/ Medicine To differentiate amebic a nd pyogenic liver abscesses , sonography (US) and CT findings of 21 amebic and 22 pyogenic liver abscesses were reviewed retrospectivly. US was performed in all cases and CT in 15 cases of each group. Eleven cases of amebic abscesses had well defined margin which was observed in 10 cases of pyogenic abscessed. Amebic abscesses showed hyperechoic wall in 7 cases and calcification in 4 cases. Ten cases of pyo- genic abscesses had mearby duct dilatation which was observed in 2 cases of amebic abscesses. Pneumobilia was seen in 6 casès of pyogenic abscesses. US findings of clear margin and hyperechoic wall , and CT findings of intrahepatic duct dilatation, pneumobilia , and calcification were helpful in differentation of amebic pyogenic liver abscesses Index Words: Liver , ultrasound studies 76 1. 1298 Liver , CT 76 1. 1211 Liver , abscess 76 1. 21 -3). Ra lls * ** ** Radiology, College 0/ Medicine, Korea - 244

Upload: others

Post on 27-Dec-2019

5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초음파와 CT를 이용한 아메바성 간농양과 화농성 간농양의 감별* · * 이 논문은 1992년도 서울대학교병원 특진 연구비의 보조로 이루어졌음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3 ; 29 (2) : 244~248

Journa l of Korean Radiological Society, March , 1993

초음파와 CT를 이용한 아메바성 간농양과 화농성 간농양의 감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조재민 • 최병인 • 한준구 • 한만청 • 김주완 • 정규병**

- Abstract-

Differentiation of Amebic Versus Pyogenic Liver Abscess with US and C ’I ’

Jae Min Cho, M.D., Byung Ihn Choi, M.D., Joon Koo Han, M.D., Man Chung Han, M.D., Chu-Wan Kim , M.D., Kyoo Byung Chung, M.D.**

Departmeηt 0/ Radiology , Seoμl National Uηiversiη College 0/ Medicine

To differentiate amebic and pyogenic liver abscesses, sonography (US) and CT findings of 21 amebic and

22 pyogenic liver abscesses were reviewed retrospectivly. US was performed in all cases and CT in 15 cases of

each group.

Eleven cases of amebic abscesses had well defined margin which was observed in 10 cases of pyogenic

abscessed. Amebic abscesses showed hyperechoic wall in 7 cases and calcification in 4 cases. Ten cases of pyo­

genic abscesses had mearby intr따lepatic duct dilatation which was observed in 2 cases of amebic abscesses .

Pneumobilia was seen in 6 casès of pyogenic abscesses .

US findings of clear margin and hyperechoic wall, and CT findings of intrahepatic duct dilatation, pneumobilia, and calcification were helpful in differentation of amebic pyogenic liver abscesses

Index Words: Liver, ultrasound studies 761. 1298

Liver, CT 761.1211

Liver , abscess 76 1.21

서 르료 」

간농양은 크게 아메바성과 화농성으로 구분되며 치료방

침과 예후가 달라 양자의 감별은 임상적으로 중요시 되어

왔다. 초음파검사나 전산화단층촬영 (CT)등의 진단기기

의 발달과 더불어 간농양병소의 발견은 90%이상으로 가

능해졌으나 그 소견이 매우 다양하여 두 질환의 특징적인

소견은 없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I - 3). Ra lls 등은 초음

파상 원형 혹은 난형의 모양과 정상 간실질보다 낮은 미

세하고 균질성의 내부에표를 갖는 것이 아메바성 간농양

에서 의미있는 소견이라 하였으나 이 역시 두 질환을 감

별하기에는 불충분하다고 보고한 바 있다(1) . 이에 저자

등은 초음파검사와 CT을 이용하여 양자의 감별점을 규

명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서울대학교병원에 1988년 3월부터 1991년 12월까지 내

* 이 논문은 1992년도 서울대학교병원 특진 연구비의 보조로 이루어졌음.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Departmeη 0/ Radiology, College 0/ Medicine, Korea Uηiversity

이 논문은 1992년 7월 6일 접수하여 1992년 1 2월 23일에 채택되었음.

- 244

Page 2: 초음파와 CT를 이용한 아메바성 간농양과 화농성 간농양의 감별* · * 이 논문은 1992년도 서울대학교병원 특진 연구비의 보조로 이루어졌음

조재민 외 : 초음파와 CT를 이용한 아메바성 간농양과 화농성 간농앙의 감별

원한 환자 중 혈청검사와 흡인천자등으로 확진된 아메바

성 간농양 21예와 화농성 간농양 22예를 대상으로 하였

다. 전 예에서 초음파검사를 시행하였고 각 각 15예에서

CT를 시행하였다.

대상환자의 남여비는 아메바성이 남자 20예와 여자 1

예, 그리고 화농성 남자 19예와 여자 3예로 모두 남자에

서 많이 발생하였고, 연령분포는 두 군 모두에서 20대에

서 70대까지 다양하였으며 40세 이상이 각각 16예와 18

예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농양의 발생비율도 증가하였

다.

초음파기기는 Aloka SSD 630 , 650과 ACUSON 128

을 사용하였으며 검사방법은 앙와위와 우전사위에서 우늑

하 (subcosta l) 및 늑간 ( intercostal)스캔을 하였다. CT

는 GE CT / T 9800 (General Electric Medical Sys.

tem , Milwaukee)을 사용하였으며 조영 증강은 Meg.

lllmine ioxithalamate (Hexabrix 30, Gllerbet, Fran.

ce) 100cc를 빠른 속도로 정맥 주사하였다. 조영증강 전

후의 스캔이 모두 있는 경우는 아메바성 간농양 12예, 화

농성 간농양 7예로 모두 19예였고 나머지는 조영증강후

스캔만을 시행하였으며 스캔간격은 8-10mm였다.

초음파와 CT소견은 1명의 복부 방사선학 전문의와 1

명의 방사선학 전공의가 분석하였다. 초음파검사에서는

농양의 위치, 크기, 갯수, 모양, 내부에코의 양상, 주위

간조직과의 경계, 농양벽의 존재유무, 후방음향증강(pos .

terior enhancement) 등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CT

에서는 내부밀도, 주위 간조직과의 경계, 농양벽의 석회

화유무, 조영 증강양상, 내부격막유무 (internal septa

tion), 여러 농양병소의 군집 ( clllster sign), 그리고 동

반된 간내담도확장소견, 담도공기 (pneumobilia) , 늑막

삼출액등을 분석하였다.

7" 드르

Fig. 1. Amebic liver abscess. Us shows a well-marginated homogeneous hypoe­choic mass with posterior enhancement and edge shadowing. A distinct hyperechoic wall is seen (aπows).

질보다 저에코로 나타났으며 고에코로 나타난 경우도 각

각 4예와 2예가 있었다. 주위 간조직과 경계가 분명했던

경 우 는 아 메 바 성 에 서 17예 (80%), 화 농 성 에 서 10예 (45%) 였으며 고에코의 농양벽이 보였던 경우는 아메바성

에서만 7예 (33%)가 있었다( Fig. 1 , 2) . 이중 4예는 CT에

서 석회화가 있었고 1예는 CT상 석회화가 없었으며 CT

를 시행하지 않은 2예는 초음파에서 후방음영 (posterior

shadowing) 은 보이지 않고 후방음향증강이 동반되 어 있

었다. 후방음향증강은 두군 모두 7예씩에서 보였다.

CT에서는 양군의 전예에서 정상 간실질보다 저밀도음

영으로 나타났고, 아메바성의 8예 (53%)와 화농성의 13

예 (86%) 에서 농양의 변연부를 따라 테두리 조영증강

(rim enhancement) 을 보였다 (Fig.2) . 주위 간조직과의

경계가 분명했던 경우는 아메바성에서 12예 (80%) , 화농

성에서 10예 (66%) 였고, 농양벽의 석회화는 아메바성의

4예 (26%)에서만 보였다(Fig.3). 농양내부의 격막은 아

메 방성 의 3예 (20%)와 화농성 의 6예 (40%) 에서 보였고

농양의 갯수는 단방성이 아메바성에서 14예 (66%) , 화 (Fig.4) , 여러 농양벙소가 군집되어 나타난 경우는 아메

농성에서 13예 (59%) 이었고 3개 이상인 경우는 각 각 4 바성의 3예 (20%)와 화농성의 4예 (26%) 이었다 (Fig. 5)

예 , 7예이었다. 농양의 최대직경은 두군 모두에서 3cm에 간내담도확장소견은 아메바성의 2예(13%)와 화농성의

서 12cm까지 다양하였으며 평균직경은 아메바성에서 6. 10예 (66%) 에서 나타났고 이중 화농성의 8예는 이전의 담

Ocm, 화농성에서 4.5cm이었다. 우엽에 발생한 경우는 도수술이나 담석에 동반되어 농양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각 각 17예 (80%)와 13예 (59%) 로 두군 모두에서 반수이 없었으며 나머지 3예는 비교적 큰 농양의 원위부에서만

상이 우엽에 발생하였고, 양엽에 발생한 경우도 각 각 2 담도확장이 있었다. 담도공기는 화농성의 6예 (40%) 에서

예씩 있었다. 병소의 모양이 원형 흑은 난형인 경우는 아 만 보였으며 ( Fig.4) 이중 5예는 이전의 담도수술경력이

메바성 19예 (90%) , 화농성 16예 (72%)로 나타났다. 있었고 1예는 담석이 동반되어 있었다. 늑막삼출이 동반

초음파검사상에코는양군모두반이상에서 정상간실 된경우는아메바성에서 4예 (26%) , 화농성에서 7예

- 245 -

Page 3: 초음파와 CT를 이용한 아메바성 간농양과 화농성 간농양의 감별* · * 이 논문은 1992년도 서울대학교병원 특진 연구비의 보조로 이루어졌음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3 ; 29 (2) : 244~248

a

b

c

Fig. 2. Arnebic liver abscess. a. US shows a well-defined mixed echoic mass with hyperechoic wall. b. Nonenhanced CT scan shows a round well-mar­ginated mass with homogeneous low attenuation. Note a peripheral rind of low attenuation.

Fig. 3. Arnbic liver abscess Nonenhanced CT scan shows a well-defined mass with wall calcification.

( 46%) 가 있었다.

두 군 사이의 유의성을 검정하였을 때 (chi - square) ,

초음파상 농양의 경계가 분명했던 경우와 고에코의 농양

벽이 존재했던 경우가 아메바성에서 유의하게 (p<0.05)

높게 나타났고, CT상 간내 담도확장소견과 담도공기 가

화농성에서 유의하게 (p<0. 05) 높게 나타났다.

고 ~~

""

간농양은 크게 야메바성과 화농성으로 구분되며 조기진

단과 적절한 배농으로 사망율을 크게 낮출 수 있는 질환

이다. 아메바성 간농양은 Eηtamoeba histolytica에 의하

여 발생하며 대장점막을 침범하여 간문맥을 통해 간으로

전파되어 주로 변엔부에 위치하며 우엽에 호말하는 것으

로 알려 져 있다. 아메 바성 간농양은 Metronidazole의 투

여로 대부분 쉽게 회복되나 늦게 발견되었을 경우 농양이

터져서 기관지-간누공, 심낭염, 복막염등의 합병증이 발

생할수 있고 우측의 늑막과 폐를 직접적으로 침습하여

10-20%에서 늑막삼출을 동반한다.

화농성 간농양은 담관염, 담관폐색, 담도압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외 간담도계를 비롯한 복강장기의 수술후

나 간외상, 패혈증등에 병발해서 나타날 수 있다. 이의

원인균으로는 E-coli가 가장 많으며 균이 검출되지 않는

무균성농양도 흔히 볼 수 있다. 임상적으로 아메바성에

비해 병이 급격히 진행하며 치료도 항생제 단독으로는 불

충분하며 외과적 배농이 필요하다.

아메바성 간농양의 초음파 소견은 여러 저자들이 보고

c. Enhanced CT scan shows enhancement of the peripheral rind of low attenuation on nonenhanced scan

- 246

Page 4: 초음파와 CT를 이용한 아메바성 간농양과 화농성 간농양의 감별* · * 이 논문은 1992년도 서울대학교병원 특진 연구비의 보조로 이루어졌음

조재민 외 : 초음파와 CT를 이용한 아메바성 간농양과 화농성 간농양의 감별

a

b

c

Fig. 4. Pyopenic liver abscess . a. US shows ill-defined hypoechoic lesion (arrows) with interna1 hyperechoic focus. b. Nonenhanced CT scan shows homogeneously low attenuation mass. Intrahepatic duct dilatation 킹ld

pneumobilia are seen. c. Enhanced CT scan shows a low attenuation mass with interna1 septation.

a

b

c Fig. 5. Pyogenic liver abscess. a. US shows ill-defined heterogeneous iso- or slight­ly hypoechoic lesion (aπows). b. Nonenhanced CT scan shows a homogeneously low attenuation mass. c. Enhanced CT scan shows multiple sma11 clusters of abscess with rim enhancement.

- 247 -

Page 5: 초음파와 CT를 이용한 아메바성 간농양과 화농성 간농양의 감별* · * 이 논문은 1992년도 서울대학교병원 특진 연구비의 보조로 이루어졌음

대 한방사선 의 학회 지 1993 ; 29 (2) : 244~248

한 바 있는 데 (4-7) , Ralls 등은 @명확한 농양벽의 에코

가 없 고 (abscence of significant wall echoes) @ 원 형

혹은 난원형의 병소로서 @정상 간조직보다 낮은 균질성

의 내부에코를 동반하고 @간 피막과 인접해 있으며 @후

방음향증강이 있는 것을 보고하였고, 그 중 @, GJ이 화농

성 간농양의 초음파 소견과 비교하였을 때 의미있게 아메

바성 간농양에 많은 것으로 보고하였다(1, 7) . 국내에서는

전등이 간우엽에 단발성으로 위치한 벙소, 늑막삼출의 동

반, 비교적 경계가 명확한 저에코의 원형벙소, 후방음향

증강, 농양벽이 존재하지 않는 점등을 아메바성 간농양의

초음파소견으로 보고한 바 있다 (5) . 저자들의 경우는 오

히려 고에코의 농양벽이 있었던 경우와 정상 간실질과의

경계가 명확했던 경우가 아메바성 간농양에서 의미있게

많이 보였으며 우엽에 위치한 벙소, 원형 혹은 난윈형의

모양, 저에코의 내부에코양상, 후방음향증강등은 화농성

간농양에서도 다수 관찰되어 두군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간농양의 CT 소견은 매우 다양하여 특징적 인 소견이

없는 것으로 되어있으나(2, 8) 김등은 조영제 주입후에 농 양의 내측 벽면의 경계가 뚜렷해지는 것이 공통된 소견으

로 보고하였고 늑막삼출과 복막 및 늑막의 비 후가 잘 동

반된다고 하였다(8) . 아메바성 간농양의 CT 소견은 조영

증강되는 농양벽의 존재, 농양주위를 완전히 에워싸지 않

는 부종 (incomplete rim of edema) , 내부격막의 존재

(interna l septation) 등이 며 우측늑막삼출, 간주위 복수

등 간외 의 이상을 잘 동반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9). 저자들의 경우에서도 상기의 소견들을 관찰할 수 있

었으나 아메바성과 화농성 간농양을 감별하는 데는 도움

을 주지 못하였다. 특히 아메바성 간농양에서 잘 나타난

다고 알려져있는 늑막삼출은 저자들의 경우 화농성 간농

양에서도 비숫한 비율로 관찰할 수 있었다. Jeffrey등은

2cm이하의 작은 농양병소가 군집되아 나타날 때 (cluster

sign) 화농성 간농양을 시사하며, 시간경과에 따라 서로

융합하여 하나의 단일병소로 된다고 보고한바 있다 ( 10).

저자등의 경우에서는 아메바성 간농양에서도 군집성의 병

소를 3예에서 관찰할 수 있어 화농성 간농양의 특이한 소

견은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 나 화농성 간농양의 병

소에서는 대부분 비교적 비슷한 크기의 작은 농양병소가

군집되는 양상으로 나타났고, 아메바성 간농양에서는 대

부분 약간 큰 단일 농양병소 주위에 여러개의 작은 농양

병소가 군집되는 양상으로 두군 사이에 상이점이 있었으

나 각 군에서의 특징적인 소견은 되지 못하였다.

화농성 간농양에서 간내담도확장소견과 담도공기가 아

메바성에 비해 의미있게 많이 관찰되었는 데, 이것은 화

농성 간농양이 담관엽, 담관페색, 간담도 수술후에 많이

발생하는 것과 유관할 것으로 생각되며 실제로 이들 환자

의 대부분에서 담석증이나 이전의 간담도 수술 경력을 찾

을 수 있었다. CT상 농양벽의 석회화가 있있던 경우는

그 수가 적어 의미있는 결과는 나오지 않았으나 아메바성

에서만 관찰된 점이 특이한 소견이다.

결론적으로 초음파상 명확한 경계, 고에코의 농양벽 유

무, 그리고 CT상에서 간내담도확장, 공기담관조영, 농양

벽의 석회화등이 아메바성 간농양과 화농성 간농양을 감

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초음파를

이용한 유도 천자흡인술이나 임상검사소견과 연관시킨다

떤 보다 정확한 감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大L τ1 드프 등4 C그 ~ ι'--'

l. Ralls PW, Barnes PF, Radin DR, Colletti P, Halls

J. Sonographic features of amebic and pyogenic

liver abscesses. A]R 1987; 149:499-501

2. Halvorsen RA, Korobkin M, Foster WL ,

Silverrnan PM, Thompson WM. The variable CT

appearance of hepatic abscesses. A]R 1984; 141:

941-946 3 성동욱, 류한수, 고영태, 임재훈, 윤엽 , 김순용. 간농

양의 초음파소견에 대한 고찰.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83 ; 19 : 430- 437

4. S따‘ov R] , Cohen L] , Sample WF. Sonography of

hepatic amebic abscesses . A]R 1980; 134:911-

91 5 5. 전혜정, 서원혁, 박웅채. 아메바성 간 농양의 초음파소

견. 대한방사신의학회지 1988 ; 24 : 850- 854

6. 송군식, 강흉식, 최 l청 인, 김 주완. 시 간경 과에 따른 간

농양의 초음파소견. 대한초음파의학회지 . 1984; 3

39- 47

7. Ralls PW, Colletti PM , Quinn MF , Halls J. Sonographic findings in hepatic amebic abscess

Radiology 1982; 145:123- 126

8 김호준, 김소선, 허진도 등. 간농양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 CT의 역할.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88 ; 24

637- 644 9. Radin DR, Ralls PW, Colletti PM , Halls ]M. CT

of amebic liver abscess. A]R 1988; 150: 1297

130 1

10. ]effrey RB ]r, Tolentino CS. Chang FC, Federle

MP. CT of small pyogenic hepatic abscesses. A]R

1988; 15 1:487-489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