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born파를 보이는 저체온증 환자의 임상양상 · 2014. 10. 11. · osborn파를...

5
710 Original Articles Korean Circulation J 2002;32( 8) :710-714 Osborn파를 보이는 저체온증 환자의 임상양상 시립동부병원 내과, 1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2 1 ·한강원 1 ·안해련 2 ·임현석 1 ·김민정 1 ·심 1 ·이기형 1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ypothermia with Osborn Wave on ECG Based on the Analysis of 5 Patients Weon Lee, MD 1 , Kang Won Han, MD 1 , Hae Lyun Ahn, MD 2 , Hyun Seok Lim, MD 1 , Min Jeong Kim, MD 1 , Joon Sim, MD 1 and Kee-Hyoung Lee, MD 1 1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Dongbu Municipal Hospital, Seoul, 2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The Osborn wave is the name designated to the wave formation produced when there is a large, prominent deviation of the J point from the baseline. The wave has been reported in many countries, but only 2 case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Thus,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rapy of hypothermia employing the Osborn wave with Koreans. Subjects and MethodsBetween February 2001 and April 2001, five patients visiting our department with hypother- mia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se patients for their distribution, symptoms and signs, asso- ciated disorders, risk factors, electrocardiogram and laboratory findings. ResultsAll 5 patients were male with an average age was 44.8± 12.7 years. Three patients had a semi-comatose mentality and 2 cases had a comatose mentality. Their associated disorders were diabetes ( 2 cases) , psychotic problems ( 1 case) and nutritional deficiency ( 1 case) . Risk factors were alcohol abuse ( 3 cases) and drug in toxication ( 1 case) . Laboratory abnormalities were acidosis ( 4 cases) , increased serum glucose levels ( all 5 cases) and increased serum potassium levels ( 3 cases) . After active core rewarming by a line heat exchanger, 3 of the 5 patients completely recovered from hypothermia, 1 case immediately expired following admission and 1 case survived for 10 days, but later expired due to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The Osborn wave was persistent in 1 case and disappeared in 3 cases. ConclusionWe experienced 5 cases of hypothermia with an Osborn wave. The mortality of patients displaying an Osborn wave is expected to decrease if this anomaly is immediately found and treated by an appropriate method. ( Korean Circulation J 2002 ; 32( 8) : 710-714) KEY WORDSHypothermiaElectrocardiography. Osborn파는 ECG에서 QRS파의 뒤에 나타나는 특이 한 모양(spike and dome morphology)의 파로서, 조 기 재분극이 있을 때 정상변이로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고칼슘혈증, 1) 저체온상태, Brugada 증후군 2)3) 에서 나타 논문접수일:2002년 5월 17일 심사완료일:2002년 6월 25일 교신저자:이기형, 130-707 서울 동대문구 용두2동 118-20 시립동부병원 내과 전화:(02) 920-9121·전송:(02) 920-9313·E-mail:[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03-Feb-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710

    Original Articles Korean Circulation J 2002;;;;32((((8))))::::710-714

    Osborn파를 보이는 저체온증 환자의 임상양상

    시립동부병원 내과,1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2

    이 원1·한강원1·안해련2·임현석1·김민정1·심 준1·이기형1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ypothermia with Osborn Wave on ECG Based on the Analysis of 5 Patients

    Weon Lee, MD1, Kang Won Han, MD1, Hae Lyun Ahn, MD2, Hyun Seok Lim, MD1, Min Jeong Kim, MD1, Joon Sim, MD1 and Kee-Hyoung Lee, MD1 1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Dongbu Municipal Hospital, Seoul, 2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The Osborn wave is the name designated to the wave formation produced when there is a large, prominent deviation of the J point from the baseline. The wave has been reported in many countries, but only 2 case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Thus,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rapy of hypothermia employing the Osborn wave with Koreans. Subjects and Methods:Between February 2001 and April 2001, five patients visiting our department with hypother-mia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se patients for their distribution, symptoms and signs, asso-ciated disorders, risk factors, electrocardiogram and laboratory findings. Results:All 5 patients were male with an average age was 44.8±12.7 years. Three patients had a semi-comatose mentality and 2 cases had a comatose mentality. Their associated disorders were diabetes (2 cases), psychotic problems (1 case) and nutritional deficiency (1 case). Risk factors were alcohol abuse (3 cases) and drug in toxication (1 case). Laboratory abnormalities were acidosis (4 cases), increased serum glucose levels (all 5 cases) and increased serum potassium levels (3 cases). After active core rewarming by a line heat exchanger, 3 of the 5 patients completely recovered from hypothermia, 1 case immediately expired following admission and 1 case survived for 10 days, but later expired due to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The Osborn wave was persistent in 1 case and disappeared in 3 cases. Conclusion:We experienced 5 cases of hypothermia with an Osborn wave. The mortality of patients displaying an Osborn wave is expected to decrease if this anomaly is immediately found and treated by an appropriate method. ((((Korean Circulation J 2002;32((((8)))):710-714)))) KEY WORDS:Hypothermia;Electrocardiography.

    서 론

    Osborn파는 ECG에서 QRS파의 뒤에 나타나는 특이

    한 모양(spike and dome morphology)의 파로서, 조

    기 재분극이 있을 때 정상변이로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고칼슘혈증,1) 저체온상태, Brugada 증후군2)3)에서 나타

    논문접수일:2002년 5월 17일

    심사완료일:2002년 6월 25일

    교신저자:이기형, 130-707 서울 동대문구 용두2동 118-20 시립동부병원 내과 전화:(02) 920-9121·전송:(02) 920-9313·E-mail:[email protected]

  • 711

    난다. Osborn파는 또한 뇌 손상,4) 지주막하 출혈,5) 경부

    교감신경의 손상6) 및 과도한 마취로 인한 심폐정지 시7)

    에 나타나기도 하는데, 주로 저체온증과 고칼슘혈증의

    진단에 중요한 열쇠가 된다.

    Tomaszewski8)에 의해 처음 보고된 이래 여러 학자에

    의해 보고되어 왔으며, 국내에서는 Oh 등9)에 의해 Os-born파를 보이는 저체온증 환자의 증례 보고가 있었다.

    이에 저자들은 Osborn파를 보이는 저체온증 환자의 임

    상양상과 치료결과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2월부터 4월 사이에 발생한 저체온증 환자

    중 ECG에서 Osborn wave를 나타낸 5명을 대상으로

    환자의 연령 및 성별분포, 동반질환, 유발인자를 알아보

    았고, 혈액학적 검사, 생화학적 검사, 동맥혈가스분석을

    시행하였다. 치료는 흉부에 온찜질로 능동적 외부 재가온

    법(active external rewarming)과 따뜻한 수액을 공급

    하기 위해 가온기(line heat exchanger)를 통한 능동

    적 심부 재가온법(active core rewarming)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결 과

    성별과 연령

    5예 모두 남자였으며 20대가 1예, 40대가 1예, 50대

    가 3예이며 4예는 실외에서 저체온증이 발생하였으며,

    1예는 실내에서 발생하였다.

    임상증상

    의식은 혼수상태가 2예, 반혼수상태가 3예이었고, 수

    축기 혈압이 90 mmHg 이하가 2예, 빈호흡과 무호흡은

    각각 1예였다.

    동반질환

    5예 중 당뇨 환자가 2예 있었으며 모두 당뇨병성 케

    톤산혈증 소견을 보였으며, 1예는 정신분열증 환자로 약

    을 복용하고 있었고, 1예는 알코올 중독 환자로 2주일

    간을 술만 먹고 식사를 제대로 하지 못하여 영양실조

    상태였다.

    검사소견

    5예 모두에서 백혈구수가 증가되었으며, 당뇨병이 없

    는 환자 3명 모두 혈당이 증가되어 있었다. BUN은 5예

    Table 1. Clinical characteristics of 5 patients with hypothermia

    Age Leukocytosis pH Glucose BUN K+ Associated disorder

    22 + 6.73 210 19 5.6 Shizophrenia 45 + 6.92 High 50 5.7 Diabetes mellitus 50 + 7.29 147 47 5.3 - 51 + 7.37 198 32 3.9 Nutritional deficiency 55 + 7.11 High 54 4.5 Diabetes mellitus

    BUN:blood urea nitrogen

    Fig. 1. ECG findings of the 5 patients with hypothermia (only lead II). ECG shows Osborn wave (arrows). ECG:electrocardiogram.

  • Korean Circulation J 2002;32(8):710-714 712

    중 4예에서 증가되었으며 칼륨은 5예 중 3예에서 증가

    하였고, 동맥혈 가스 분석 상 5예 중 4예에서 pH 7.30

    이하의 수치를 보였다(Table 1). ECG 상 5명 모두 Os-born파(Fig. 1)가 보였으며 이와 함께 서맥이 1예, 심실

    기외수축을 보인 예가 1예 있었으며, 5예 중 4예에서

    심방세동이 관찰되었다(Table 2).

    치료결과

    흉부에 온찜질을 해주며 동시에 모두 가온기를 통해

    수액을 40℃로 공급하는 능동적 심부가온법을 시행하였

    다. 5예 중 1예는 체온을 회복하지 못하고 사망하였으

    며 3예는 후유증 없이 회복되었으며, 1예는 정상 체온을

    회복하였으나 입원 10일째 급성호흡부전증으로 사망하

    였다. 체온을 회복한 4예 중 3명은 Osborn파가 사라

    졌으나 나머지 1예는 저체온상태에서의 Osborn파(Fig.

    2A)보다 크기는 작아졌으나 정상체온에서도 지속되었

    다(Fig. 2B).

    고 찰

    저체온증은 심부체온이 35℃미만일 때를 말하며 이 때

    심전도 상에 J 지점(J point)에 나타나는 크고 뚜렷한 J

    파를 camel-hump징후,10) late delta파,11) J-point파,12)

    Osborn 파라고도 부르는데 1938년에 Tomaszewski에

    의해 처음 보고된 이래 여러 사람에 의해 보고되었으며

    이후 Osborn파라는 명칭이 점점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미국심장학회의 한 조사원이 1953년 Osborn13)에 의해

    발표된 논문을 기념하여 이름을 붙인 데서 기인하는 것

    Table 2. ECG findings of 5 patients with hypothermia

    ECG findings Age (years)

    Osborn wave Bradycardia Tachycardia VPC Af

    23 + - - - + 45 + - - - + 50 + + - - + 51 + - - - - 55 + - - + +

    ECG:electrocardiogram, VPC:ventricular premature complex, Af:atrial fibrillation

    Fig. 2A. ECG finding at the time of admission in 45-yearsmale patient. ECG shows Osborn wave in all lead ex-cept lead I, V1 and V2 (arrows). ECG:electrocardio-gram.

    Fig. 2B. ECG finding after treatment in 45-years male patient. ECG shows decreased size of Osborn wave (arrows). ECG:electrocardiogram.

  • 713

    으로 생각된다. Osborn파는 조기 재분극이 있을 때 정

    상변이로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고칼슘혈증, 저체온상태,

    Brugada 증후군에서 나타난다. Osborn파는 또한 뇌 손

    상, 지주막하 출혈, 경부 교감신경의 손상 및 과도한 마취

    로 인한 심폐정지 시에 나타나기도 하는데, 주로 저체온

    증과 고칼슘혈증의 진단에 중요한 열쇠가 된다. Osborn

    파의 기전은 심외막 또는 M 세포의 활동 전위 곡선 중 2

    기의 소실로 인한 특이모양(spike & dome morphology)

    이 강조된 결과14)이며 하방과 외측 흉부유도에서 잘 나타

    나며 체온이 떨어질수록 뚜렷이 나타난다.

    저체온증의 정의는 심부 체온이 35℃미만인 경우를

    말한다. 저체온증의 분류는 32℃이상은 경도 저체온증,

    28℃이상은 중등도 저체온증, 28℃ 미만은 중증 저체온

    증으로 일반적으로 분류하는데, 24℃이하를 심도 저체

    온증(profound hypothermia)이라 하기도 하며 이 때는

    심정지가 나타난다.15)

    저체온증의 원인은 노인, 영유아, 알코올이나 약물복용,

    전신상태가 좋지 않은 사람에게서 낮은 온도에 장시간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며, 실외 저체온증 환자는 알코올

    과 약물중독이 가장 많았고(21%) 실내 저체온증 환자

    는 패혈증과 신경정신학적 장애가 가장 많았다.16) 본 연

    구에서는 5예 중 알코올복용이 3예, 정신과 약물 복용

    이 1예였다.

    증상으로는 경도 저체온증의 경우 건망증, 감각저하, 눌

    어증, 판단력장애, 빈맥, 빈호흡, 다뇨, 운동실조가 나타

    나며, 중등도 저체온증에서는 호흡의 감소, 반사저하가,

    중증 저체온증에서는 무뇨, 혼수상태, 심실 부정맥에서

    부터 무수축 상태까지 진행된다. 이 때 ECG 상의 변화

    가 진단 및 예후와 연관되어 있는데 초기에는 동성빈맥

    이 나타나고 32℃이하에서 동성서맥, PR간격, QRS파,

    QT간격의 연장이 보이며, 30℃이하일 때 심방기외수축

    이 나타나고 심방세동으로 진행된다. 또한 80%의 환자

    에게서 Osborn파가 나타난다. 30℃이하가 되면 QRS연

    장이 진행되면서 심실세동의 위험성이 증가되며 15.6℃

    가 되면 무수축 상태가 된다.17)

    저체온증의 진단은 심부체온을 측정함으로서 쉽게 알

    수 있으며, 직장에서는 15 cm 상부에서, 구강으로 측정

    시에는 후두로부터 24 cm 하방에서 측정해야 한다.

    저체온증의 치료는 경도 저체온증은 담요나 의복으로

    환자의 몸을 감싸며 따뜻한 주위환경을 조성해주는 수

    동적 외부 재가온법(passive external rewarming)을

    시행하며, 중등도나 중증의 저체온증환자, 심혈관계 불안

    정(cardiovascular instability), 중추신경계 이상, 내분

    비 이상 또는 이차적 저체온증 환자에게는 능동적 재가

    온법(active rewarming)을 시행한다. 능동적 재가온법

    에는 능동적 외부 재가온법(active external rewarm-ing)과 능동적 심부 재가온법(active core rewarming)

    이 있다. 능동적 외부 재가온법은 온찜질이나 공기담요

    (force-air heating blanket)를 사용하며, 전기담요는

    화상의 우려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능동적 심부 재가

    온법은 산소 마스크나 기도 삽관을 통한 가온·가습된

    산소공급, 더운물 세척(위, 복강, 흉강, 방광 등), 혈액투

    석, 정맥간 가온, 동정맥간 가온법 등을 포함한다. 공기

    담요는 효과적인 외부 재가온법으로 중등도 저체온증 또

    는 중증 저체온증, 안정된 심혈관기능일 때 사용가능18)

    하나 심폐정지시에는 치료방법 선택에 있어 체외 우회

    로(extracorporeal bypass)와 같은 심부 재가온법을 고

    려해야 한다.19) 또한 체외 우회로는 중증 뇌손상이 없을

    때, 입원 당시 pH 6.5이상, 혈중 칼륨농도가 10 mmol/

    L이하, 심부 온도가 12℃이상일 때 가능하다.15)

    재가온법 시 주의할 점은 체온을 올리는 도중 혈관의

    확장으로 심박출량이 감소하며 갑작스럽게 혈압하강이

    발생(rewarming shock)20)하여 환자가 사망하는 경우

    도 있고 말초혈관의 차가운 혈액이 중심순환으로 유입되

    어 심부 온도를 더 낮출 수도 있어(afterdrop pheno-menon)21) 주의를 요한다.

    저체온증의 예후는 무호흡이 있으면 사망확률을 30배

    높이며, 심부 재가온은 20배, 서서히 저체온증에 빠질 경

    우는 10배, 심정지시 무수축 때는 9배, 폐부종 또는 급성

    호흡부전은 8배, 리터 당 칼륨 1 mmol 증가하면 2배, 나

    이가 1년 증가 시 1.03배가 증가한다고 한다. 생존율은

    급속하게 저체온증에 걸렸을 때 10배, 심정지시 심실세동

    이면 9배, 마약 또는 알코올 투여 시는 5배가 증가한다.

    그러나 심부 온도는 생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19) 주

    요 합병증은 급성 신부전증(43%), 흡입성 폐렴(22%),

    횡문근 융해증(22%), 급성호흡부전(12%)이었다.16)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5예 모두 흉부에 온찜질을

    하는 능동적 외부 재가온법과 가온기를 통해 수액공급

    을 하는 능동적 심부 재가온법을 사용하였으나, 저체온

    증의 치료는 어떤 특정한 방법보다 환자 상태와 진료상

    황에 따라 이 모든 것을 적절히 섞어서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저체온증은 진단이 쉬운 만큼 조

  • Korean Circulation J 2002;32(8):710-714 714

    기 진단하여 신속히 치료를 하면 보다 더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요 약

    배경 및 목적:

    Osborn파는 심전도상 J지점(J point)에서 나타나는

    크고 뚜렷한 특이모양(spike and dome morphology)

    의 파를 말하는데 세계적으로 수많은 학자들에게서 보고

    되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2예의 증례 보고가 있었다. 이

    에 저자들은 Osborn파를 보이는 저체온증 환자의 임상

    양상과 치료결과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1년 2월부터 2001년 4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Os-born파를 보이는 저체온증 환자 5예를 대상으로 환자의

    연령 및 성별 분포, 초기 임상 상, 동반 질환, 유발인자

    등을 알아보았고, 혈액학적 검사, 전해질 검사, 동맥혈 가

    스분석과 심전도를 시행하였다.

    결 과:

    5예 모두 남자였고, 평균연령은 44세이었다. 환자의

    의식은 3예는 반 혼수상태였고 2예는 혼수상태였다. 동

    반질환은 당뇨 환자 2예, 정신과 질환 1예, 영양실조가 1

    예였다. 유발인자는 알코올 복용 3예, 약물복용 1예이었

    다. 검사상 이상소견은 산혈증 4예, 혈당수치 증가 5예,

    혈중 칼륨농도 증가 3예, BUN 증가는 4예였다.

    치료는 5예 모두 흉부에 온찜질을 하면서 40℃의 가

    온기를 통해 수액을 주입하였다. 이 중 3예는 합병증 없

    이 회복되어 퇴원하였으며, 1예는 정상체온 회복하였으

    나 입원 10일 경과 뒤 급성 호흡부전증이 발생하여 사망

    하였으며, 1예는 체온을 회복하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체

    온이 정상으로 회복된 4예 중 Osborn파가 3예는 사라

    졌으며 1예는 계속 남아 있었다.

    결 론:

    저체온증은 심부체온 측정만으로 진단이 가능하므로

    주의를 기울여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면 보

    다 나은 치료 결과를 보일 것으로 생각된다.

    중심 단어:저체온증;심전도.

    REFERENCES

    1) Gussak I, Bjerregaard P, Egan TM, Chaitman BR. ECG phenomenon called the J wave: history, pathophysiology,

    and clinical significance. J Electrocardiol 1995;28:49-58. 2) Brugada P, Brugada J. Right bundle branch block, persi-

    stent ST segment elevation and sudden cardiac death: a distinct clinical and electrocardiographic syndrome: a multicenterreport. J Am Coll Cardiol 1992;20:1391-6.

    3) Gussak I, Antzelevitch C, Bjerregaard P, Towbin JA, Ch-aitman BR. The Brugada syndrome: clinical, electrophys-iologic and genetic aspects. J Am Coll Cardiol 1999;33: 5-15.

    4) Hersch C. Electrocardiographic changes in head injuries. Circulation 1961;23:853-60.

    5) de Sweit J. Changes simulating hypothermia in the eletro-cardiogram in subarachnoid hemorrhage. J Electrocardiol 1972;5:93-5.

    6) Hugenholz PG. Electrocardiographic changes typical for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 after right neck dissection. Am Heart J 1967;74:438-41.

    7) Jain U, Wallis DE, Shah K, Blakeman BM, Moran JF. Electrocardiographic J waves after resuscitation from car-diac arrest. Chest 1990;98:1294-6.

    8) Tomaszewski W. Changements eletrocardiographiques observes chez un homme mort de froit. Arch Mal Coeur 1938;31:525-8.

    9) Oh YL, Kim HI, Um MS, Kwon HJ, Cho H, Cho WH, Park JS. Cases of hypothermia with Osborne’s J wave on ECG. Korean J Med 2000;59:561-4.

    10) Abbott JA, Cheitlin MD. The nonspecific camel-hump sign. JAMA 1976;235:413-4.

    11) Litovsky SH, Antzelevitch C. Rate dependence of action potential duration and refractoriness in canine ventricu-lar endocardium differs from that of epicardium: role of the transient outward current. J Am Coll Cardiol 1989; 14:1053-66.

    12) Hugo N, Dormehl IC, van Gelder AL. A positive wave at the J-point of electrocardiograms of anaesthetized baboons. J Med Primatol 1988;17:347-52.

    13) Osborn JJ. Experimental hypothermia: respiratory and blood pH changes in relation to cardiac function. Am J Physiol 1953;175:389-98.

    14) Yan GX, Antzelevitch C. Cellular basis for the electro-cardiographic J wave. Circulation 1996;93:372-9.

    15) Antrettrer H, Bonatti J, Dapunt OE. Accidental hypoth-ermia. N Engl J Med 1995;332:1033.

    16) Megarbane B, Axler O, Chary I, Pompier R, Brivet FG. Hypothermia with indoor occurrence is associated with a worse outcome. Intensive Care Med 2000;26:1843-9.

    17) Alhaddad IA, Khalil M, Brown EJ Jr. Osborn waves of hypothermia. Circulation 2000;101:e233-4.

    18) Steele MT, Nelson MJ, Sessler DI, Fraker L, Bunney B, Watson WA, Robinson WA. Forced air speeds rewarming in accidental hypothermia. Ann Emerg Med 1996;27:479-84.

    19) Harris M. Accidental deep hypothermia. N Engl J Med 1998;338:1160-2.

    20) Tveita T. Rewarming from hypothermia: newer aspects on the pathophysiology of rewarming shock. Int J Cir-cumpolar Health 2000;59:260-6.

    21) Anthony SF, Eugine B, Kurt JI, Jean DW, Joseph BM, Dennis LK, Stephen LH, Dan LL. Harrison’s principle of internal medicine. 15th ed. New York: McGraw-Hill Co; 2001. p.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