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uctivity -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 ey - united …€¦ ·  · 2015-07-232 ernst...

24
직장인 생산성 인식 실태 보고서 성장을 위한 또 다른 대안 Productivity

Upload: haphuc

Post on 12-Apr-2018

21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Productivity -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 EY - United …€¦ ·  · 2015-07-23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Key findings 2 이번 조사의 특징은… 4 한국

직장인 생산성 인식 실태 보고서

성장을 위한 또 다른 대안

Productivity

Page 2: Productivity -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 EY - United …€¦ ·  · 2015-07-23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Key findings 2 이번 조사의 특징은… 4 한국

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Key findings 2

이번 조사의 특징은… 4

한국 직장인들의 하루 6

생산성 수준에 따른 특성 8

생산성 향상을 위한 언스트앤영의 제언 11

Page 3: Productivity -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 EY - United …€¦ ·  · 2015-07-23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Key findings 2 이번 조사의 특징은… 4 한국

1직장인 생산성 인식 실태 보고서 | 성장을 위한 또 다른 대안

언스트앤영은 2011년 11월, 국가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무직 직장인의

생산성 향상이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호주에서 Productivity Survey를 실시한 바

있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호주에서 사무직 종사자들의 생산성 제고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넓히는 계기가 될 만큼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한국에서도 생산성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언스트앤영 한영은 호주의 사례를 참고해 한국 직장인들의 생산성에 대한 인식과

수준을 살펴보는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마침, 새 정부도 ‘희망의 미래’를 열기 위해 ‘국민행복 실현’을 중요한 국정비전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국민행복을 위해서는 ‘복지’를 강조하지 않을 수 없지만 성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그 실현은 어려운 현실입니다.

특별한 자원이 없는 우리나라에서 인적자원은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산입니다. 국민소득 3만 달러 달성과 선진국 진입을 위해서는 인적자원의 생산성

제고가 필수적입니다. 그동안 제조업과 생산직 위주로 이루어졌던 생산성 향상 노력을

서비스업과 사무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사무직 직장인들이 자신의 일을 보다 의미있고 가치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을 통해 개인의 행복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번 조사에서 언스트앤영 한영은 우리나라 직장인들이 인식하고 있는 생산성 실태를

파악해 진단하고 이를 통해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도출했습니다. 이 조사결과가

생산성 향상을 위한 사회적인 의식 제고와 행동 전환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서비스, 사무직 직장인들의 생산성 자기고백을 통해

미래 성장의 가능성을 모색했습니다

권승화

언스트앤영 한영 대표이사

Page 4: Productivity -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 EY - United …€¦ ·  · 2015-07-23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Key findings 2 이번 조사의 특징은… 4 한국

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Key Findings

Page 5: Productivity -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 EY - United …€¦ ·  · 2015-07-23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Key findings 2 이번 조사의 특징은… 4 한국

3직장인 생산성 인식 실태 보고서 | 성장을 위한 또 다른 대안

44조원

개인적인 활동, 비효율적 업무에 소비하는

시간을 30%만 줄여도 연간 44조원의

추가가치 창출 기회 발생

1시간 54분

업무시간 중 SNS, 메신저, 개인적

통화 등 업무와 관련 없는 개인적

활동으로 소비하는 시간

하루 업무시간 중

개인활동 시간

직장인들이 현재 자신의 업무 중

불필요하거나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하는 업무에 투자하는 시간

2시간 30분

하루 업무시간 중

비효율적 업무시간

146조원*

업무시간 중 개인적인 활동,

비효율적 업무에 사용되는 시간을 금액으로

환산하면 연간 146조원

개인활동 시간,

비효율적 업무

연간 경제가치

낭비의 30%만

줄여도...

* 통계청 2011년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에 포함된

5인 이상 사업장의 근로자 수와

직장인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환산한 금액

Page 6: Productivity -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 EY - United …€¦ ·  · 2015-07-23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Key findings 2 이번 조사의 특징은… 4 한국

4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이번 조사의 특징은…

한국 직장인의 생산성 자기 보고

언스트앤영은 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에 의뢰해

한국의 직장인 3,000명을 대상으로 생산성과 관련한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본 조사를 통해 언스트앤영은

한국의 평균적인 직장인들이 업무시간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생산성과 관련된 다양한 요소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묻고, 자신과 자신이 속한

조직의 생산성을 스스로 평가하게 했습니다.

조사대상

전국의 민간기업 및 공공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 3,000명

조사기간

2012년 12월 5일~

2012년 12월 19일

표본할당

직종별/성별/연령별 할당 추출법

(Quota Sampling)

조사방법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

남성 56.7% -1700명

여성 43.3% - 1300명

대졸 72%

고졸이하 17%

대학원 이상 11%

대표/임원급 10%

부장급 16%

차/과장급 24%

대리이하 41%

임시직 10%

응답자 특성

43.3%56.7%

72%

41%

24%

11%

17%

16%

10%

10%

성별 학력 직급

Page 7: Productivity -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 EY - United …€¦ ·  · 2015-07-23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Key findings 2 이번 조사의 특징은… 4 한국

5직장인 생산성 인식 실태 보고서 | 성장을 위한 또 다른 대안

전통적으로 생산성이라고 하면 제조업을 중심으로

생산라인의 효율을 높이는 쪽에 집중해 왔습니다.

작업공정을 개선하거나 자동화 설비를 늘리고, 불량률을

줄이는 등의 노력이 곧 생산성 향상이었습니다.

지금도 그러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고 그 결과 우리나라

제조업의 생산성은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제 문제는 생산라인을 넘어 사무직 직장인의 생산성을

어떻게 높일 수 있는가입니다. 본 조사에서는 사무직

직장인을 중심으로 생산성 수준을 파악하고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를 살펴봤습니다.

생산라인을 넘어 사무직 직장인의 생산성 향상에 주목

생산/기술직 10%

판매/서비스직 10%

일반사무직 60%

경영관리직 13.3%

공무원/교사 6.7%

30세 미만 16.7%

30 ~ 34세 16.7%

35 ~ 39세 16.7%

40 ~ 44세 16.7%

45 ~ 49세 16.7%

50 ~ 59세 16.7%

7천만원 이상 9%

6천 ~ 7천만원 6%

5천 ~ 6천만원 9%

4천 ~ 5천만원 13%

3천 ~ 4천만원 20%

2천 ~ 3천만원 26%

2천만원 이하 18%

* 조사 대상자의 평균연봉(구간 중간값 기준)은

3,785만원으로 5인 이상 사업장 근로자의

평균연봉 3,499만원에 비해 8.2% 높음

제조업 23%

광업/건설 12%

도소매 10%

상업/운수업 6%

금융/보험 5%

방송/정보 7%

전문/과학기술 8%

교육 11%

보건/사회복지 6%

공공행정 5%

기타 9%

60%16.7% 16.7%

16.7%

26%

23%

12%

10%

6%20%

13%

16.7%

16.7% 18%

9%5%

6%

11%

8%

7%5%

9%

9%

6%16.7%13.3%6.7%

10%

10%

직종 연령 연봉 산업

Page 8: Productivity -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 EY - United …€¦ ·  · 2015-07-23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Key findings 2 이번 조사의 특징은… 4 한국

6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설문결과 응답자들은 직장에서 보내는

8시간 30분(점심시간 1시간 제외) 중

업무와 관련 없는 SNS, 인터넷 검색, 메신저

대화, 잡담 등 개인적인 활동으로 소비하는

시간이 전체 업무시간의 22.4%라고

답했습니다. 직장에서 보내는 시간 중

1시간 54분을 개인적인 일에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한국보다 앞서 호주에서

실시된 언스트앤영의 조사결과와 비교해

보면 호주 직장인들이 개인적인 활동으로

소비하는 시간은 18%로 한국의 직장인들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시간을 개인활동에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한국 직장인들은 일주일에 평균 5.21일,

43.4시간을 근무하며 식사시간 1시간을

제외하고 하루 평균 8.5시간을 직장에서

보내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법정근로시간 대비 주 3.4시간을 더 일하고

있는 것입니다. 2012년 고용노동부의

임금근로시간통계의 상용근로자 주 평균

근무시간은 44.71시간, OECD의 2010년

조사결과는 42.17시간이었습니다.

개인활동으로 소비하는 시간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인터넷 검색, 신문·잡지 읽기가

25.8%로 가장 많았고, 동료와의 잡담 및

휴식(22.4%), 업무와 관련 없는 SNS,

메신저 대화(15.6%), 사적인 전화통화

(10.3%) 순으로 시간을 소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업무시간 중

1시간 54분(22.4%)을

개인활동으로 소비

주 평균 43.4시간,

하루 평균 8.5시간 근무

인터넷 검색, SNS,

동료와의 잡담에

많은 시간을 소비

한국 직장인들의 하루

직장에서 보내는 시간 9.5시간

직장/가정 외 보내는 시간 1.9시간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 4.1시간

수면 시간 6.9시간

출퇴근 시간 1.6시간

개인활동에 소비하는 시간

업무에 투자하는 시간

1.6

9.5

6.9

4.1

1.9

22.4%

77.6%

18.0%

82.0%

* 호주 조사에 의하면 호주 직장인들이 개인활동으로

소비하는 시간 18%의 경제적 가치가 1,090억

호주달러

대한민국 직장인의 하루 업무시간 중 개인활동 시간

(한국 호주 비교)

(단위: 시간)

한국 호주

개인활동으로 소비하는 시간 유형

12.3%

5.7%

7.9%

10.3%

15.6%

22.4%

25.8%

인터넷 검색, 신문·잡지 읽기

동료와의 잡담 및 휴식

SNS, 메신저

사적인 전화통화

사적인 외출

흡연

기타 개인활동

Page 9: Productivity -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 EY - United …€¦ ·  · 2015-07-23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Key findings 2 이번 조사의 특징은… 4 한국

7직장인 생산성 인식 실태 보고서 | 성장을 위한 또 다른 대안

한편 개인활동으로 소비하는 시간을

제외하고 실제로 업무를 하는 시간 중에도

자신이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하는 업무에

투자하는 시간이 38%였습니다.

하루 평균 2시간 30분을 결재를

기다리거나, 불필요한 보고서를 만드는 것과

같은 비효율적 업무에 소비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비효율적인 업무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의사결정, 검토 과정에서 지연,

대기 등으로 소비되는 시간의 비중이

20.1%로 가장 높았고, 불분명한 지시,

실수 등으로 인한 중복작업이 18.4%,

불필요하거나 목적이 불분명한 회의 및

고객응대로 인한 비효율적 시간이 18%,

의미 없는 보고서 작성과 같이 꼭 필요하지

않은 일에 사용하는 시간이

17.9%였습니다. 기술·시스템 미흡이나

장비 고장 등으로 인한 비효율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았습니다.

이렇게 업무시간 중 개인활동으로 소비하는

1시간 54분과 비효율적 업무에 투여하는

2시간 30분을 경제적 가치로 환산하면

연간 146조원*에 이릅니다. 이러한 막대한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근로자들이 보다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하는

방안을 찾는 동시에 실제로 조직의 비효율적

업무가 유형별로 얼마나 되는지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 통계청 2011년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에 포함된

5인 이상 사업장의 근로자 수와 직장인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환산한 금액

의사결정, 검토 과정에서의

지연·대기 등 비효율

개인활동과 비효율적 업무에

소비되는 시간을 금액으로

환산하면 연간 146조원

업무를 하는 시간 중

2시간 30분(38%)이

비효율적이라고 인식

비효율적인 업무 비중 38%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업무 62%

62%38%

비효율적인 업무 비중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하는 업무 유형

기타 비효율적 활동

12.7%

기술·시스템 관련 비효율

12.9%

의미 없는 보고서 작성

17.9%

불필요한 회의 및 고객 응대

18%

불분명한 지시, 실수, 중복작업 등

18.4%

의사결정, 검토 과정에서 지연·대기

20.1%

Page 10: Productivity -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 EY - United …€¦ ·  · 2015-07-23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Key findings 2 이번 조사의 특징은… 4 한국

8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업무 중 개인활동 시간 및 비효율적 업무가 개인의 생산성 수준에 따라 어떻게 차이 나는지

파악하기 위해 조사대상을 생산성 수준별로 분류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설문에서 응답자들에게

자신의 생산성을 10점 만점(1점~10점) 기준으로 어느 정도인지 평가하게 했습니다.

자신의 생산성이 매우 높다고 평가한 응답자(Super Achievers)는 전체의 9%였으며,

비교적 높다(Solid Contributors)고 평가한 응답자는 45%였습니다.

반면 자신의 생산성 수준이 5점~6점 정도로 비교적 낮다고 평가한 응답자(Patchy

Participants)가 35%였으며, 4점 이하로 매우 낮다고 응답한 사람(Lost Souls)의 비율도

11%에 달했습니다.

생산성 수준에 따른 특징

SuperAchievers

SolidContributors

PatchyParticipants

LostSouls

40~50대

남성

임원~차과장급

8.0일

9.5시간

18%

업무 자체

82%

70%

30대

남성

대리이하~계약직

6.2일

10시간

25%

월급 및 인센티브

3%

4%

20~30대

여성

대리 이하~계약직

7.2일

9.4시간

24%

월급 및 인센티브

13%

19%

40~50대

남성

부장~차과장급

8.1일

9.5시간

22%

월급 및 인센티브

72%

68%

연령

성별

직급

휴가사용일

근무시간

업무중 개인활동

동기부여요소

조직생산성 높음

조직만족도 높음

9% 35% 11%45%

Page 11: Productivity -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 EY - United …€¦ ·  · 2015-07-23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Key findings 2 이번 조사의 특징은… 4 한국

9직장인 생산성 인식 실태 보고서 | 성장을 위한 또 다른 대안

생산성이 높을수록

업무 몰입도 높고 더 쉬어

생산성이 낮은 그룹

한국 46% vs 호주 31%

자신이 생산적이라고 응답한 직장인들은 주로 연령대가

높고 금전적 보상보다는 업무 자체를 가장 큰 동기부여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휴가 사용일은 상대적으로

많으며 업무 시간 중 개인활동시간 비중이 낮았습니다. 반면

자신이 생산적이지 않다고 응답한 직장인들은 주로

20~30대이며 금전적 보상을 주요 동기부여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이들은 휴가 사용일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업무시간 중 개인활동시간 비중이 더 높았습니다.

호주의 경우 1차 조사에서 자신의 생산성이 매우 높다고

평가한 비율이 23%로 한국에 비해 월등히 높은 반면

매우 낮다고 평가한 비율은 7%로 한국에 비해 4% 포인트

낮았습니다. 한국 직장인들은 본인의 생산성이 비교적

낮다고 응답한 비율도 35%에 달했는데, 이는 호주의

24%에 비해 11% 포인트 높은 수치입니다.

일반적으로 설문조사에서 10점 척도로 평가 시 양극단의

점수를 잘 주지 않는 한국인들의 특성을 감안하면 자신의

생산성이 매우 낮다고 평가한 응답자가 11%에 이른다는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한국과 호주의 생산성 수준 그룹별 비교

Super Achievers Solid Contributors

Patchy Participants Lost Souls

9% 23%

35% 24%

45% 46%

11% 7%

한국 한국

한국 한국

호주 호주

호주 호주

Page 12: Productivity -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 EY - United …€¦ ·  · 2015-07-23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Key findings 2 이번 조사의 특징은… 4 한국

10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Page 13: Productivity -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 EY - United …€¦ ·  · 2015-07-23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Key findings 2 이번 조사의 특징은… 4 한국

11직장인 생산성 인식 실태 보고서 | 성장을 위한 또 다른 대안

하루 중 개인활동으로 소비하는 시간

1시간 54분중 34분만 줄이면 연간

18.9조원의 추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가 생깁니다. 여기에 비효율적 업무로

소비하는 시간을 하루에 45분 줄여 창출되는

24.9조원을 더하면 총 44조원에 이르는

추가가치 창출 기회가 생기는 것입니다.

이는 우리나라 GDP의 3.5%에 해당하는

금액입니다.

비효율적이거나 개인활동으로 소비하는 시간 중

30%(1시간 20분)만 줄여도 GDP의 3.5%에

해당하는 추가가치 창출 기회 발생

생산성 향상을 위한 언스트앤영의 제언

생산성 문제가 ‘개인’의 문제가 아닌

‘조직’의 문제임을 인식하고 조직의

비효율적 업무시간을 줄이기 위한

업무환경 개선 노력부터 시작

조직의 비효율적

업무 환경부터 개선하라1

업무 몰입도 향상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할지’ 명확하게 제시하고 공정하게

평가할 것. 성과에 대한 배분에도

신경써야

일할 맛 나게 하는

공정한 평가와 성과배분

제도를 마련하라

2

근무시간 중 집중도를 높이고 충분한

휴식을 권장하는 조직문화 조성

일과 삶의 균형을 통해

개인의 삶의 질도 높이고

생산성도 높일 수 있음을

명심하라

3

생산성이 높은 고연령자의 노하우와

전문성을 은퇴 후에도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마련

고령화 사회에 대비해

생산성이 높은 고연령

은퇴 예정자의 전문성

활용을 고려하라

4

조직과 직장인의 생산성 노력을 지원하는

정책적 지원

조직 및 직장인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부지원

5

개인활동,

비효율적 업무

소비시간

30% 절감

연간44조원

연간 146조원

EYRecommendations

Page 14: Productivity -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 EY - United …€¦ ·  · 2015-07-23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Key findings 2 이번 조사의 특징은… 4 한국

1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조직운영과 관련해 조직 차원에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중점을 둬야 할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했습니다. 그 결과 업무절차의

단순화와 표준화(38.4%), 낭비적인 업무나

일의 최소화(34.7%), 실무자 의사결정 권한

강화(31.4%), 중복 역할과 책임 최소화

(28%) 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앞서 응답자들이 자신의 업무 중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하는 업무의 대표적인

유형이 의사결정이나 검토 과정에서의 지연,

대기나 불명확한 지시로 인한 중복업무,

의미 없는 보고서 작성 등이라고 답한 것과

일맥상통하는 결과입니다.

비효율적 업무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업무를 표준화하고 낭비업무를 제거하는

등 일하는 방식을 개선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입니다. 특히 대기업보다 생산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 노력이 필요한데, 상대적으로 열악한

상황에 있는 중소기업에게만 책임을 떠넘길

것이 아니라 정부의 더 많은 관심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특히 중소기업의 업무수행 환경 개선을 위한

정부차원의 자금지원, 자문 등 지원책이

필요합니다. 설문결과를 보면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서 생산성 수준이 낮은 그룹의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대기업 응답자 중 생산성이 낮은 그룹은

39%인 반면 중소기업은 이보다 10% 높은

49%로 나타났습니다. 중소기업에 보다

많은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의미 없는 일,

불필요한 회의를 줄여야

중소기업에 더 많은 관심과

지원 필요

건설관리사업 분야의 A사는 일하는

방식을 표준화한 메뉴얼을 제작해

업무효율을 높일 수 있었습니다.

업무수행 절차, 시간관리, 업무지시,

이메일 보고 방법 등을 체계화하고

표준화한 것은 물론 팀별로

자율적으로 하루에 1~2시간 집중

업무시간을 정해 업무 몰입도를

높이기도 했습니다.

Super Achievers

Solid Contributors

Patchy Participants

Lost Souls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생산성 수준

그룹별 비교 (단위: %)

생산성 문제가 ‘개인’의 문제가 아닌

‘조직’의 문제임을 인식하고 조직의

비효율적 업무시간을 줄이기 위한

업무환경 개선 노력부터 시작

조직의

비효율적 업무 환경부터

개선하라

대기업

대기업

대기업

대기업

중소기업

중소기업

중소기업

중소기업

9 8

53

43

31

37

812

조직 차원의 개선필요 요소

업무 절차의 단순화 및 표준화

낭비적인 업무나 일의 최소화

실무자 의사결정 권한 강화

중복되는 역할과 책임 최소화

업무에서 발생하는 실수의 최소화

업무 대기시간 단축

조직구조의 단순화

관리 계층 최소화

업무의 하청이나 아웃소싱 강화

5.1%

28.0%

13.8%

31.4%

14.1%

34.7%

15.2%

38.4%

19.2%

Page 15: Productivity -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 EY - United …€¦ ·  · 2015-07-23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Key findings 2 이번 조사의 특징은… 4 한국

13직장인 생산성 인식 실태 보고서 | 성장을 위한 또 다른 대안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동기부여 요소

응답자들에게 자신의 생산성 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동기부여 요소가 무엇인지

물었습니다. 그 결과 월급, 인센티브 및

보너스 등 ‘금전적 보상’이 가장 큰 동기부여

요소라고 답한 응답자가 46%로 가장

많았습니다.

그 다음으로 내가 하는 업무 자체(39.1%),

내 기술과 능력의 활용기회(27.6%),

일과 삶의 균형 정도(27.3%)가 중요한

요소로 꼽혔습니다.

남성에 비해서는 여성이, 4-50대에

비해서는 30대 이하가, 공공분야보다는

민간분야 응답자가 금전적인 요인을 중요한

동기부여 요소로 꼽았습니다.

반면 50대 이상은 유일하게 내가 하는

일(업무 자체)가 금전적 보상보다 더

중요하다고 하는 특징을 보였습니다.

여성, 공공분야 종사자, 자신의 생산성을

높게 평가하는 응답자들이 상대적으로

내가 하는 일(업무 자체)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한편 호주의 응답자들은 금전적인 요인

(3위)보다는 자신이 하는 일 자체(1위)를

더 중요한 요소로 꼽아 한국 응답자들과

차이를 보였습니다.

기업들은 금전적인 요소는 물론 다른

동기부여 요소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직원들이 자신의 역할과 목표에 충분히

공감하게 함으로써 업무에 자부심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환경과 문화를 조성하고,

본인의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직원들의 생산성 향상 의욕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일과

생산성을 자극할 수 있는

조직환경을 만들어야

Top 5 동기부여 요소 (1+2+3위) 한국과 호주의

Top 5 동기부여 요소 비교

구분 동기부여요소

한국 호주

1위 금전적 보상 내가 하는 일

(업무 자체)

2위 내가 하는 일 일과 삶의

(업무 자체) 균형 정도

3위 기술과 능력의 금전적 보상

활용 기회

4위 일과 삶의 고용 안정

균형 정도

5위 나와 같이 나와 같이

일하는 동료 일하는 동료

금전적 보상

내가 하는 일 (업무 자체)

기술과 능력의 활용기회

일과 삶의 균형 정도

나와 같이 일하는 동료

27%

28%

39%

46%

22%

삶의 균형, 함께 일하는 동료 등과

더불어 조직환경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기업들이 생산성이 낮은 직원들의

문제를 단순히 개인의 문제로 돌리지

않고 개인의 생산성을 자극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가는 데 힘을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Page 16: Productivity -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 EY - United …€¦ ·  · 2015-07-23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Key findings 2 이번 조사의 특징은… 4 한국

14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생산성이 비교적 낮은 그룹(Patchy

Participants)의 경우에는 성과 평가

시스템이 대체로 보통수준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현 평가제도가 생산성과

동기부여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생산성이 매우 낮은 그룹

(Lost Souls)의 경우 조직의 성과 평가가

공정하지 못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44.2%에 달해 이들의 동기부여를 위해서는

평가제도의 개선과 정비가 필요합니다.

직장인의 생산성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한 커뮤니케이션과

함께 생산성 향상 성과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보상이 필요합니다.

생산성 증가로 조직 성과 향상 시 증가하는

성과의 배분에 대해 ‘구성원들에게 충분히

배분하거나 충분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는

배분할 것 같다’고 응답한 비율은 60%

였습니다. 반면 ‘약간은 배분하겠지만

생색내기 수준일 것 같다’가 32%, ‘전혀

배분하지 않을 것 같다’는 8.1%였습니다.

성과 배분에 대한 인식 수준을 생산성

수준별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면

생산성이 낮을수록 성과 배분에 대한 기대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생산성이 낮은 직장인들도

공정하게 평가받고 있다고

인식할 수 있도록 인사

평가제도 개선 필요

직장인의 40%가 생산성

향상으로 인한 성과가

자신에게 거의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고 인식

Super Achievers

Solid Contributors

Patchy Participants

Lost Souls

구성원들에게는 전혀 배분하지 않을 것

약간은 배분하겠지만 생색내기 수준일 것

충분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배분할 것

구성원들에게 충분히 배분할 것

생산성 수준 그룹별 평가제도에 대한

인식

생산성 향상으로 인한

성과 배분 관련 인식

55

43

19

8

25

44

68

48

20

44

1313

(단위: %)

평가가 공정 평가가 불공정보통

41%

19%

8%

32%

긍정적

인식

60%

부정적

인식

40%

업무 몰입도 향상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할지’ 명확하게 제시하고 공정하게

평가할 것. 성과에 대한 배분에도

신경써야

일할 맛 나게 하는

공정한 평가와

성과배분 제도를

마련하라

Page 17: Productivity -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 EY - United …€¦ ·  · 2015-07-23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Key findings 2 이번 조사의 특징은… 4 한국

15직장인 생산성 인식 실태 보고서 | 성장을 위한 또 다른 대안

업무 성과에 대한 보상에 대해서는

급여, 인센티브 등의 금전적 보상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급여 및 승진을

제외한 휴가, 자기 개발 기회, 표창 등에

대한 보상을 희망하는 비율은 10.4%로

낮았습니다.

금전적 보상이 가장 중요한 동기부여

요소임을 고려하여 경제적 차원의 보상이

개선되어야 하나 동시에 업무 자체로

동기부여할 수 있는 직무 및 역량 중심의

인력운영 환경 마련이 필요합니다.

생산성 인식 제고와 실천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소통이 필요합니다. 직장인

계층별, 업무별 생산성의 정의, 생산성의

구체적 목표 및 생산성 향상 방법을 명확히

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전달, 소통해야

합니다.

또한 생산성의 측정 기준을 명확히 하고

개인별 생산성 배분제도 등 생산성 향상

성과에 대한 인센티브를 통해 인식과 행동의

전환을 유도할 필요가 있습니다.

미국의 대표적인 유통업체 B사는

4주마다 한 번씩 모든 상점의 팀을

대상으로 생산성을 측정하고 다음

월급에 보너스를 지급하는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이를 통해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끔

동기부여하고 아울러 전국 모든

지점, 팀 및 개인의 생산성 성과

및 보상자료를 투명하게 공유하여

유사직무 간의 생산성 비교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금전적 보상과 더불어

업무 자체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게 해야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소통이 필요

Super Achievers

Solid Contributors

Patchy Participants

Lost Souls

생산성 수준 그룹별

성과 배분 관련 인식

34

4235

58

39

6561

66

(단위: %)

성과 배분에

부정적

성과 배분에

긍정적

Page 18: Productivity -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 EY - United …€¦ ·  · 2015-07-23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Key findings 2 이번 조사의 특징은… 4 한국

16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자신이 속한 조직을 일과 삶의 균형

관점에서 평가한 결과 육아휴직, 여성휴게실

등 여성 직장인에 대한 지원이 가장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응답자들은 육아휴직,

여성휴게실 등 여성 배려(27.9%),

여가, 자기개발 활동(28.9%), 직원

개인생활, 휴식 (32.1%) 등이 미흡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중소기업을 포함한 전 사회적인 차원에서의

일과 삶의 균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생산성에 대한 조직차원의 인식 변화와

지원이 있어야 합니다.

조사결과 중소기업의 일과 삶의 균형 수준은

여전히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집중근무 문화를 정착하고 더불어 충분한

휴식을 제공함으로써 생산성과 삶의 질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해 조직에게 기대하는

것은 충분한 휴가, 휴식 보장(30.6%), 정규

퇴근시간 보장(26.6%), 문화생활, 취미활동

지원(12.1%)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충분한 휴식 보장 요구는 대기업

(25.4%)보다 중소기업(31.8%)에서 높게

나타났습니다. 한편 많은 직장인들이

휴가를 제대로 사용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휴가를 1년에 5일 이하로

사용한 경우가 34.9%, 한번도 사용하지

않은 경우도 14.1%에 달했습니다.

충분한 휴가와 휴식을

보장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여야

중소기업, 여성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에 관심 필요

국내 IT 기업 C사는 직원들의

복지 및 휴식에 각별히 신경을

씀으로서 직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시켰습니다. 이 기업은

신입사원에게 1년간 자기개발의

시간을 제공하고 모든 직원에게 연간

20일의 휴가를 부여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직원들이

보다 창의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습니다. 또한 탄력적

근무제를 적용해 주당 35시간

근무만 채우면 개인의 특성에 맞게

자유롭게 근무시간을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업무 몰입도를 높였습니다.

글로벌 의류기업 D사에서도 이와

유사한 탄력적 근무제를 적용해 업무

몰입도를 7% 개선하고 생산성을

16% 향상시키기도 했습니다.

지난 1년간 휴가 사용 정도 일과 삶의 균형 수준 평가

(긍정 응답률 비율)

출산, 육아 등으로 인한 경력 단절, 육아

활동에 따른 업무 집중의 어려움 등

여성 직장인들의 고충을 해결하기 위한

복지지원을 통해 여성 직장인의 생산성을

높이는 것 또한 필요합니다.

근무시간 중 집중도를 높이고 충분한

휴식을 권장하는 조직문화 조성일과 삶의 균형을 통해

개인의 삶의 질도 높이고

생산성도 높일 수 있음을

명심하라

11 - 15일

6 - 10일

25.4%

15%

14.1%

5.9%

9.3%

4.7%

25.6%

21일 이상

16 - 20일

3 - 5일

1 - 2일

0일

불필요한 야근, 휴일 근무

자유로운 휴가 사용

타 조직대비 업무량 수준

직원 개인생활, 휴식에 대한 관심

여가, 자기개발 활동 관련 복지제도

육아휴직, 여성휴게실 등 여성 배려

28.9%

32.1%

39.7%

35.2%

45.5%

27.9%

Page 19: Productivity -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 EY - United …€¦ ·  · 2015-07-23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Key findings 2 이번 조사의 특징은… 4 한국

17직장인 생산성 인식 실태 보고서 | 성장을 위한 또 다른 대안

Page 20: Productivity -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 EY - United …€¦ ·  · 2015-07-23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Key findings 2 이번 조사의 특징은… 4 한국

18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기업 차원에서는 고연령자들에게

단순업무를 맡기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경험과 전문성을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부 차원에서도 고연령의

생산성이 높은 인력에 대한 재고용 보장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자리

제공은 그 자체가 복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생산성 수준별로 그룹을 나누어

업무시간 중 개인활동으로 소비하는 시간을

분석한 결과, 생산성 수준이 가장 높은 그룹

(Super Achievers)이 가장 낮은 그룹(Lost

Souls)에 비해 개인적인 활동으로 소비하는

시간이 30% 이상 적었습니다.

업무 중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하는 시간의

비중에서는 더 큰 차이를 보였는데,

생산성이 가장 낮은 그룹은 자신의 업무중

절반 가까이가 비효율적이거나 가치 없는

일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생산성이 가장

저출산, 고령화 사회로 빠르게 진행되는

상황에서 청·장년층의 일자리 창출과

더불어 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고연령

은퇴 예정자의 지속적 활용 방안이 함께

모색되어야 합니다.

연령대가 비교적 높은 생산성이 매우 높은

그룹(Super Achievers)은 업무 자체를 가장

큰 동기부여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이들은 내가 하는 일(43.8%), 월급 및

인센티브(41.2%),

내 기술의 능력과 활용(31.9%)이 중요한

동기부여 요소라고 답했습니다.

이는 금전적 보상뿐만 아니라 일 자체와

능력 활용 기회가 생산성 동기부여에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입니다.

생산성 수준이 가장 높은

그룹이 가장 낮은 그룹에

비해 개인활동으로 소비하는

시간이 30% 이상 적어 전문성 중심의 고령자 활용

방안 필요

글로벌 제지기업 E사는 최근

55세 이상 Active Senior 를

활용하는 정책을 도입했습니다.

생산성이 높은 은퇴 예정자들을

계약직으로 채용해 단순업무를 맡기기

보다는 노하우와 전문성을 활용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고령 사회인 일본의 경우에는

’13년도에는 61세까지 재고용이

의무화되며 3년마다 1세식 상향

조정해 ’25년에는 65세까지 재고용을

의무화 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높은 그룹은 70% 이상의 일이 가치 있는

일이라고 응답해 대조를 보였습니다.

생산성이 높은 고연령자의 노하우와

전문성을 은퇴 후에도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마련

고령화 사회에 대비해

생산성이 높은

고연령 은퇴 예정자의

전문성 활용을 고려하라

Super Achievers

Solid Contributors

Patchy Participants

Lost Souls

Super Achievers 동기부여 요소

(1+2+3위)

생산성 수준 그룹별 개인활동

소비시간

생산성 수준 그룹별 비효율 업무 시간

11 - 15일

내 기술과 능력의 활용

25.8%

31.9%

41.2%

43.8%

25.4%

내가 하는 일

월급, 인센티브

나와 같이 일하는 동료

상사로부터의 업무능력 인정

업무에 투자하는 시간

가치있다고 생각하는 업무

개인 활동으로 소비하는 시간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하는 업무

82%

71%

18%

29%

78%

64%

22%

36%

76%

59%

24%

41%

75%

52%

25%

48%

Page 21: Productivity -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 EY - United …€¦ ·  · 2015-07-23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Key findings 2 이번 조사의 특징은… 4 한국

19직장인 생산성 인식 실태 보고서 | 성장을 위한 또 다른 대안

응답자의 2/3 이상이 조직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과 역할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생산성 향상을 위해 기대하는 정부의 역할

중 생산성 강화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

및 조세 감면 혜택(36.5%)이 첫번째로

꼽혔습니다. 그 밖에 불필요한 규제와

행정절차 간소화(35.4%),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지원 노력(33.5%), 개인의

경력개발 및 교육훈련 지원(32.2%),

중소기업을 위한 정책, 자금 지원 확대

(31.9%)가 정부가 해야 할 역할로

나타났습니다.

국가 차원의 신뢰도 높은 직장인 생산성

측정도구 개발 및 우수사례 기업에 대한

세금 감면, 금융혜택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뉴질랜드 정부는 정부 산하 기관인

Workplace Productivity Working

Group (WPWG)에서 리더십과

경영방식의 개선,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 등 생산성 향상을 위한 7개의

동인을 설정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Toolkit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조직과 직장인의 생산성 노력을 지원하는

정책적 지원조직 및 직장인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부지원

중요함

중요하지 않음

보통

조직 생산성 향상에 대한

정부 지원·역할 중요도

조직 생산성 향상에 대한

정부 지원·역할 중요도 (1+2+3위 )

36.5%

35.4%

33.5%

32.2%

31.9%

30.0%

28.4%

생산성 강화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

불필요한 규제와 행정절차 간소화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지원 노력

개인의 경력개발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 지원

중소기업을 위한 정책, 자금 지원 확대

출산, 보육 등 복지 지원 정책 및 법률 강화

비정규직 해소 및 비정규직 복지강화 노력

67.4%6.5%

26.0%

Page 22: Productivity -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 EY - United …€¦ ·  · 2015-07-23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Key findings 2 이번 조사의 특징은… 4 한국

20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기업은 물론 국가 전체적으로 성장동력을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본 보고서는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 개발, 투자 없이

조직문화와 개인인식의 변화, 혁신활동만으로도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은 없을까 하는 고민에서 출발했습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비효율적인 업무를 줄이고,

개개인이 업무 몰입도를 높임으로써 우리나라 GDP의 3.5%에 이르는

큰 가치를 창출할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우리가 직장인들의 생산성 향상을 이야기할 때 중요한 것은 뺄셈이

아닌 덧셈으로 이야기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생산성 향상이 무조건적인

비용 절감, 인력 감축과 같은 뺄셈으로 바로 연결되어서는 안됩니다.

생산성 향상은 우리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것입니다. 생산성을

높여 추가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그 성과를 구성원 모두가 공유함으로써

우리 사회 구성원들이 더욱 행복해지고 풍요로워질 수 있게 하는 것이

우리가 나아갈 방향입니다.

Page 23: Productivity -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 EY - United …€¦ ·  · 2015-07-23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Key findings 2 이번 조사의 특징은… 4 한국

21직장인 생산성 인식 실태 보고서 | 성장을 위한 또 다른 대안

Contacts

조상욱 부대표 I 어드바이저리 본부장

Advisory LeaderT +82 2 3787 4548E [email protected]

이정욱 파트너 I 전략·혁신·인사 컨설팅 총괄 리더

PartnerT +82 2 3787 4548E [email protected]

정재상 이사 I 인사·조직 컨설팅 리더

Associate DirectorT +82 3787 6600E [email protected]

이호준 대리 I 마케팅·커뮤니케이션

Senior associateT +82 3787 6795E [email protected]

Page 24: Productivity -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 EY - United …€¦ ·  · 2015-07-232 Ernst & Young | Productivity Report Key findings 2 이번 조사의 특징은… 4 한국

Ernst & Young

Assurance | Tax | Transactions | Advisory

About Ernst & YoungErnst & Young is a global leader in assurance, tax, transaction and advisory services. Worldwide, our 167,000 people are united by our shared values and an unwavering commitment to quality. We make a difference by helping our people, our clients and our wider communities achieve their potential.

Ernst & Young refers to the global organization of member firms of Ernst & Young Global Limited, each of which is a separate legal entity. Ernst & Young Global Limited, a UK company limited by guarantee, does not provide services to clients. For more information about our organization, please visit www.ey.com

© 2013 Ernst & Young Han Young © 2013 Ernst & Young Advisory, Inc. All Rights Reserved.

FEA No. 05000687

This publication contains information in summary form and is therefore intended for general guidance only. It is not intended tobe a substitute for detailed research or the exercise of professional judgment. Neither Ernst & Young Korea nor any other member of the global Ernst & Young organization can accept any responsibility for loss occasioned to any person acting or refraining from action as a result of any material in this publication. On any specific matter,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ppropriate advisor.

www.ey.com/ㅏkr

ED 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