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장 조직행동의 기초

30
제 1 제 제제제제제 제제

Upload: dane-keller

Post on 02-Jan-2016

39 views

Category:

Documents


6 download

DESCRIPTION

제 1 장 조직행동의 기초. 무리 - 일 군 ( 群 ) 의 사람들이 공간적으로 가깝게 모여있을 때 집단 - 공동의 목표 , 구조 , 구성원 간의 교류가 존재 팀 - 공동목표에 몰입하며 공동책임의식이나 책무감을 가짐. 개인의 자발적인 참여를 전제로 하여 인간이 집단을 형성하게 되는 이유 첫째 , 인간이 집단을 형성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특정한 집단에 소속하게 되었을 때 , 그 집단이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 둘째 , 집단이 갖는 매력 때문이다 .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제 1 장 조직행동의 기초

무리 - 일 군 ( 群 ) 의 사람들이 공간적으로 가깝게 모여있을 때

집단 - 공동의 목표 , 구조 , 구성원 간의 교류가 존재

팀 - 공동목표에 몰입하며 공동책임의식이나 책무감을 가짐

개인의 자발적인 참여를 전제로 하여 인간이 집단을 형성하게 되는 이유

첫째 , 인간이 집단을 형성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특정한 집단에 소속하게 되었을

때 , 그 집단이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

둘째 , 집단이 갖는 매력 때문이다 .

셋째 , 집단의 목적에 매료되는 경우는 빌게이츠의 자산단체에 워렌 버핏이 참여하는

것처럼 집단목적의 대외명분에 이끌릴 때이다 .

넷째 , 경제적인 이유는 회사 취직노력에서 볼 수 있듯이 가장 기본적인 참여 이유이다 .

1. 공식집단• 명령집단 - 보통 조직도에 나타나는 구조와 같이 하부자와 감독자로 구성되는 집단

• 과업집단 - 특정한 과업이나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서 조직내에서 새로

구성되

는 집단

2. 비공식집단

조직내에서 공식목표나 과업에 관계없이 자연적으로 형성된 집

단으로 조직 전체의 만족보다는 구성원 개개인의 만족을 위하여 구성

• 이익집단 - 조직구성원들이 자신들의 개인적인 목표나 이익을 얻기 위하여

형성하게

되는 집단

• 우호집단 - 조직의 구성원들 사이에서 공통된 특성 , 예를 들어 , 연령 , 취미 ,

정치적

성향들이 비슷한 사람들끼리 모여 구성하는 동호회와 같은 집단

집단발달 - 집단이 어떻게 생성되고 발전해 가는가를 설명하는 것

1. 집단의 규모변화에 따른 결과

과정손실 (process loss): 집단과정의 비효율에서 빚어지는 손실

2. 집단의 규모와 과업특성

(1)부가적 과업과 집단의 규모

부가적 (additive) 과업

집단구성원들 각자의 개별적 과업수행의 결과물들

을 산술적으로 합한 것이 곧 집단의 성과가 되는 경우

(2) 우수자 결정과업과 집단의 규모

우수자 (disjunctive) 결정과업

최고의 성과를 올린 개인 ( 또는 소수 ) 의 성과가 곧 집단의 성과가 되는 경우

(3) 열위자 결정과업과 집단의 규모

열위자 (conjunctive) 결정과업

최저의 성과를 기록한 개인의 성과가 집단의 성과를 결정짓는 경우

1. 연 령연령은 집단에서 활동하는 구성원들의 행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이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대인적 행동의 복잡성이 증가한다는 연구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연령이 증가하면 타인에 대한 민감성이 높아지고 보다 복잡한 행동유형을 보이는 경향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2. 성 별남성과 여성은 집단내에서 서로 다른 행동을 보이며 이것은 집단의 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변수이다 .

기대되는 역할 - 집단내에서 어떠한 위치에 있는 사람이 반드시 해야 되는 것으로

요구되는 역할

지각된 역할 - 실제로 특정인의 행동에 대하여 인식된 결과

1.복수의 역할과 역할집합

사람들은 살아가면서 다양한 집단의 구성원이 되고 각 집단에서 다른 역할을 부여받게

된다 .

2. 역할지각

첫번째 - 공식조직내에서의 역할

두번째 - 자신들이 속한 집단내에서의 역할

세번째 - 개인적인 역할

3. 역할갈등

역할갈등은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므로 조직 경영자나 관리자들은 역할갈등 해소를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 .

① 개인과 역할간의 갈등 : 개인과 역할간의 갈등은 주어진 역할이 한 개인이 갖는

기본적인 가치나 태도 , 욕구 등과 상충될 때 발생한다 .

② 역할내 갈등 : 역할내 갈등은 개인에게 기대되는 역할들 간의 충돌 때문에 발생하게

된다 . 주어진 역할들을 잘 조정할 줄 알아야 한다 .

4. 역할모호성

역할모호성을 장기간 경험하게 되면 불만족이 높아지고 자신감을 잃게 되며 궁극적으로

성과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

규범 (Norm)

집단의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기준이며 구성원들에게 가장 필수적인 요인

규범은 구성원 전체에 적용되는 것이 원칙이나 차별적 특권 (idiocyncracy credit) 을

갖는 구성원들도 있다 .

규범의 정의 ( 맥그래스 (McGrath))

•집단이 처해 있는 환경 속에서 집단과 관련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준거의 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리 규정해 놓은 구성원들의 태도와 행동

바른 태도와 규칙 위반시의 관용에 대하여 기술한 것

•규범에 맞는 행동에는 보상이 주어지고 규범을 벗어난 행동에는 처벌이 따름 .

1. 규범의 발생

① 상사나 동료들의 명시적 선언 : 상사가 명시적으로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을

지시하는 경우 하나의 규범으로 성립된다 .

② 집단활동과정에서의 결정적 사건 : 과거에 있었던 좋은 또는 좋지 않은 사건 때문에

구성원들이 할 수 있는 것과 해서는 안 되는 것을 구별하게 된다 .

③ 초기의 행위 : 집단활동의 초기 행위가 하나의 규범으로 굳혀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

④ 과거 상황으로부터 전이된 행동 : 여러 학급을 가르치는 선생님이 이전 학급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다른 학급 학생들의 행동규범을 설정하는 경우가 여기에 속한다 .

2. 규범의 준수

잭슨 (Jackson) 의 보상잠재력 모델 (Return Potential Model)

결정 ( 結晶 ) 지수 (Crystalization)얼마나 많은 구성원들이 특정 규범에 동의하는가를 나타내는 값

3. 집단규범 준수에 따르는 결과

집단의 중요한 규범을 준수하지 않는 구성원은 자기가 속해 있는 집단으로부터 처벌

또는 불이익을 받게 되는데 다른 구성원들에게 따돌림을 당하거나 무시당하게 된다 .

엄격한 규범은 집단의 다양성과 사고의 유연성을 제한하게 되어 창의적 집단운영을

저해할 수도 있다 .

규범은 그 강도가 강할수록 , 결정화 (Crystalized) 정도가 높을수록 받아 들여지기 쉽

다 .

규범이탈자에 대한 조치에 있어서도 다양한 전략이 존재한다 .

응집력 (Cohesiveness)

집단구성원들의 개인차나 개인적 동기를 초월하는 ‘우리주의’ (We-ness) 정신이며

집단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힘

1. 일반적 팀의 유형

2. 가상팀

팀구성원들이 시간 , 공간 , 또는 조직의 경계를 초월하여 , 주로 전자통신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 하면서 과업을 수행하는 , 다기능팀을 의미

가상팀의 출현은‘텔레코즘의 법칙’ (Law of Telecosm) 과 무관하지 않다 .

가상팀은 비단 글로벌기업들만이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

가상팀을 운영할 때 가장 중요한 도전은 바로 팀원들간의 신뢰 (trust) 일 것이다 .

가상팀의 활용은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이다 .

일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팀을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면 효과적인 팀 설계 및

운영을 위한 몇 가지 사항들을 고려해야 한다 .

첫째는 팀의 규모를 얼마로 할 것인가의 문제

둘째는 팀원 구성을 어떻게 할 것인가의 문제

셋째 , 팀에 주어지는 권한을 확대할 필요

넷째 , 팀 운영의 성패는 신뢰 (Trust) 의 구축에 달려 있음

다섯째 , 팀리더의 역할을 명확히 해야 한다 .

신뢰란 다섯 차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차원간에는 서로 중요도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 .

젱거 (Zenger)

팀 운영에 있어 편승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

① 팀의 규모를 줄인다 .

② 과업을 전문화시킨다 .

③ 개인별 성과를 측정한다 .

④ 직무충실도 (Job enrichment) 를 높인다 .

⑤ 동기수준이 높은 사람을 고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