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125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 【 원효로접속교 】 2012. 10. 서 울 특 별 시 서부도로사업소 시설보수과

Upload: duongtu

Post on 28-May-2018

238 views

Category:

Documents


2 download

TRANSCRIPT

Page 1: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 원효로접속교 】

2012. 10.

서 울 특 별 시서 부 도 로 사 업 소 시 설 보 수 과

Page 2: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제 출 문

서울특별시 서부도로사업소장 귀하

귀 소와 2012년 05월 09일자로 계약 체결한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을 완료하였기에 그 결과를 본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2년 10월

서울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6길 33

대 한 민 국 상 이 군 경 회

회장 김 덕 남 (인 )

Page 3: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원효로접속교 정밀점검 결과표

1. 기본현황

가. 일반현황

용 역 명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점검기간 2012. 05. 14 ~ 2012. 10. 10

관리주체명서울특별시

서부도로사업소대표자 김 안 식

공동수급 - 계약방법 수의계약

시설물구분 도로 종 류 도로교량 종 별 2종

준 공 일 2006년 과업금액(천원) 7,664 안전등급 B

시설물위치서울특별시 용산구 청암동

169시설물규모 L=158.0m, B=7.0m

나. 점검 실시결과 현황

중대결함 - 해당 사항 없음

점검

주요결과

- 교면포장 : ASP 박락, 강판노출 발생

- 난간 및 연석 : 난간 레일파손, 난간 레일변형, 난간 지주변형, 연석 긁힘, 부식 등

발생

- 배수시설 : 배수구 막힘, 이물질 퇴적, 배수관 설치불량 발생

- 신축이음 : 후타재균열, 후타재 균열군, 유간내 이물질퇴적 등 발생

- 강재주형 : 도장박리, 체수, Splice 실링 미시공 발생

- 교대 및 교각 : 균열, 누수흔적, 오염, 토사적치 등 발생

- 받침장치 : 무수축몰탈균열, 재료분리 등 발생

- 접속옹벽 : 균열, 균열부백태, 충격흡수대 파손 등 발생

주요

보수ㆍ보강

- 주입보수, 단면보수(t=10mm), 도장보수, 난간 레일교체, 난간지주 교체, 배수관 부

분절단, 부식제거 재도장, 스캘럽 실링보수, 배수홈 시공, 실링보수, 절삭후 덧씌우

기 등

다. 책임(참여)기술자 현황

구 분 성 명 과업 참여기간 기술등급

사업 책임 유 연 종 2012년 05월 14일 ~ 2012년 10월 10일 특급기술자

참여기술자

정 창 현 2012년 05월 14일 ~ 2012년 10월 10일 특급기술자

임 성 묵 2012년 05월 14일 ~ 2012년 07월 20일 특급기술자

정 영 두 2012년 07월 23일 ~ 2012년 10월 10일 특급기술자

허 소 영 2012년 05월 14일 ~ 2012년 10월 10일 고급기술자

이 한 범 2012년 05월 14일 ~ 2012년 10월 10일 초급기술자

최 호 영 2012년 05월 14일 ~ 2012년 10월 10일 초급기술자

라. 참고사항

Page 4: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2. 결과 요약

책임기술자 종합의견

•원효로접속교의 정밀점검 수행결과 외관조사 및 비파괴시험에 의한 상태평가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안전등급은 『보조부재에 경미한 결함이 발생하였으나 기능발휘에는 지장이 없으

며, 내구성 증진을 위하여 일부의 보수가 필요한 상태』인“B”등급으로 최종 평가되었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 제시한 보수대책 수립 및 효율적인 유지관리가 이루어진다면 구조물의

안전성 및 내구성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책임기술자 : 유 연 종 (서명)

가. 정밀점검 외관조사 결과 기본사항

상태평가 결과 및 보수ㆍ보강 상태평가 결과 : B

결함발생부재상태평가결과

결함종류 보수ㆍ보강(안)

교면포장 b ASP 박락, 강판노출 절삭후 덧씌우기

난간

b 난간미세변형 유지관리

b 난간 레일파손(3단) 난간 레일교체2)

b 난간 레일변형(1단) 난간 레일교체2)

b 난간 레일변형(3단) 난간 레일교체2)

b 난간 지주변형 난간지주 교체

b 난간 지주이탈 난간지주 교체

연석 b 긁힘, 부식 부식제거 재도장

신축이음

b 후타재 균열(cw=0.3mm이상) 유지관리

b 후타재 균열군 유지관리

b 유간내 이물질퇴적 주기적 청소

b 차수판 미설치 유지관리

배수시설b 배수구 막힘, 이물질 퇴적 주기적 청소

b 배수관 설치불량 배수관 부분절단

강재주형

b 도장박리 도장보수

b 체수스캘럽 실링보수,

배수공 및 배수로 설치

b Splice 실링 미시공 실링보수

교대

b 균열(cw=0.2mm이하) 유지관리

b 박리형 균열(cw=0.3mm이상) 단면보수(T=10mm)

b 누수흔적, 오염 유지관리

b 토사적치 유지관리

교각

b 균열(cw=0.2mm이하) 유지관리

b 균열(cw=0.3mm이상) 주입보수

b 균열군(cw=0.2mm이하) 유지관리

b 파손, 콘크리트 패임 단면보수(T=10mm)

Page 5: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결함발생부재상태평가결과

결함종류 보수ㆍ보강(안)

받침장치

b 무수축몰탈균열(cw=0.2mm이하) 유지관리

b 받침CON'C 균열(cw=0.2mm이하) 유지관리

b 재료분리 유지관리

옹벽 방호벽

b 균열(cw=0.2mm이하) 유지관리

b 균열(cw=0.3mm이상) 주입보수

b 균열부백태(cw=0.2mm이하) 주입보수

- 시선유도 도장박리 유지관리

옹벽

b 균열(cw=0.2mm이하) 유지관리

b 균열(cw=0.3mm이상) 주입보수

- 충격흡수대 파손 일상유지보수

나. 안전성 평가 결과

- 본 용역은 정밀점검 용역으로 안전성평가는 시행하지 않음

다. 내진성능 검토 수행여부

검토대상 부재설계적용여부

결과 검토결과 요약

- Y - 내진설계가 적용됨

라. 현장시험(비파괴 및 추가시험)

시 험 명 시험 부위 시험 결과책임기술자

의견

콘크리트

강도시험하부구조 24.5∼27.0MPa > 기준치 24.0MPa 양 호

콘크리트

탄산화 깊이

측정

하부구조 실측치 4.3∼6.1mm, 철근까지 잔여깊이 44.0mm 양 호

Page 6: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원효로접속교 현황표작성일 : 2012년 10월

구 분 내 용 구 분 내 용

시설물명 원효로접속교 시설물번호 BR2007-0000002

준공년월일 2006. 12. 29 관리번호

시설물위치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암동 169

설계하중 DB-24 노선명 원효로

제원

연장 L = 158.0m([email protected]+39.0m=158.0m)

폭 B = 7.0m (유효폭 : 6.05m)

구조

형식

상부 Steel Box Girder기초

형식

교대 직접기초

하부 T형 교각 교각 파일기초

교량받침 Pot Bearing 신축이음 강핑거 Joint

교차시설물 강변북로 통과높이 4.5m

부착시설내용 -

기 타

성산대교 원효로

P1 P2

P3

성산대교원효로

P1 P2

P3

A1

39,000 40,000 40,000 39,000

158,000

39,000

39,000

40,000

40,000

158,000

7,000

6,000500

1,300 700700700 850 850

4,400

1,300 1,500850 850

6,000

1,500

VAR.

500

1,5

00

VAR.

600

100

400

1,8

00

500

Page 7: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위 치 도

원효로 접속교

폭:7.0m, 연장:158.0m

Page 8: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전 경 사 진

상 부 전 경

측 면 전 경

Page 9: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요 약 문

- I -

요 약 문요 약 문

1. 과업의 목적

본 용역은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이하 “시특법”이라 한다.)에 따른 안

전점검으로서 대상시설물의 물리적․기능적 결함을 조사하고, 구조적 안전성 및 손상상태

를 점검하여 재해를 예방하고 시설물의 요용을 증진시켜 공공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과업의 범위

1) 자료수집 및 분석

2) 현장조사 및 시험

3) 상태평가, 안전성평가(발주청의 지시가 있는 경우 시행)

4) 보수․보강 및 유지관리방안 제시

5) 보고서 작성

6) 기타 발주청이 필요하다고 요구하는 사항

3. 과업수행기간

- 2012. 05. 14 ~ 2012. 10. 10 (착수일로부터 150일)

Page 10: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요 약 문

- II -

4. 교량현황

구 분 내 용 구 분 내 용

시설물명 원효로접속교 시설물번호 BR2007-0000002

준공년월일 2006. 12. 29 관리번호

시설물위치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암동 169

설계하중 DB-24 노선명 원효로

제원

연장 L = 158.0m([email protected]+39.0m=158.0m)

폭 B = 7.0m (유효폭 : 6.05m)

구조

형식

상부 Steel Box Girder 기초

형식

교대 직접기초

하부 T형 교각 교각 파일기초

교량받침 Pot Bearing 신축이음 강핑거 Joint

교차시설물 강변북로 통과높이 4.5m

기타 ※ 평면형상 : 곡선교

상 부 전 경 측 면 전 경

Page 11: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요 약 문

- III -

5. 외관조사

5.1 외관조사결과

가. 교면포장

교면포장은 강 바닥판 위에 아스팔트 포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태이나, 경미한 아스콘 박락이 발생되어 손상 확대 방지를 위해 보수가 요구된다.

나. 난간 및 연석

난간은 곡선구간인 S2∼S4경간 우측에서 차량 충돌에 의한 난간변형, 파손 및 지

주 파손이 부분적으로 발생되었고, 강재 연석 도장박락 및 부식상태가 조사되어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단기 보수대책에 의한 보수가 요구된다.

다. 배수시설

배수시설은 대체적으로 양호하나, 부분적인 배수구 막힘 및 배수관 설치 불량이 조

사되어 유지관리 차원에서 보수조치 후 지속적인 점검이 요구된다.

라. 강 바닥판

강 바닥판 하면은 별도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태로 조사되

어 추가 손상 발생여부에 대한 주기적 점검 및 유지관리가 요구된다.

마. 신축이음 장치

Steel Finger형식으로 시공된 신축이음은 대체적으로 양호하며, 신축 유간 또한

설계 기준치를 만족하는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국부적으로 발생된 후타재 균열 및 신축

유간 토사퇴적에 대해서는 주기적 청소등 유지관리를 함이 바람직 하다. 다만 연석부의

차수시설 미설치로 인해 하부구조 및 거더 내부의 체수 발생 등 추가 손상이 발생되고

있으므로 하부에서 유도배수를 통한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바. 강재주형

강재 주형내부 및 외부는 대체적으로 양호한 상태이나, 신축이음 차수판 미설치로

인해 4경간 지점측 바닥체수가 발생되고있어 신축이음 차수판 설치 및 지점측 스캘럽 실

링보수 등의 조치가 요구되며,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Splice부의 실링보수가 요구된

다.

Page 12: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요 약 문

- IV -

사. 교대 및 교각

교대 및 교각은 경미한 손상이 발생된 대체적으로 양호한 상태이나, 국부적으로 발

생된 균열 및 단면손상부에 대해서는 내구성 저하 방지를 위해 하자보수에 의한 보수후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요구된다.

아. 받침장치

포트받침으로 구성된 받침장치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태이며, 건조수축에 의해 발

생된 0.1mm내외의 받침 콘크리트 및 받침몰탈 균열은 추가 손상 발생에 대한 지속관찰

이 요구된다.

자. 접속옹벽

교량 종점측은 접속 옹벽이 설치되어 있으며, 외관조사 결과 대체적으로 양호한 상

태이나, 방호벽 측에서 0.1∼0.2mm내외의 균열이 간헐적으로 발견되어 내구성 저하 방지

를 위해 주입보수에 의한 보수가 요구된다.

Page 13: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요 약 문

- V -

6. 비파괴시험

6.1 반발경도 시험결과

구 분측정압축강도

(MPa)

평균압축강도

(MPa), A

설계기준강도

(MPa), BA/B × 100(%)

원효로

접속교하부구조 24.5~27.0 25.4 24.0 106.0

6.2 탄산화 시험결과

탄산화깊이 측정 결과 탄산화 깊이는 4.3~6.1㎜(철근까지의 최소잔여깊이:44.0㎜)로

나타나 측정위치의 철근피복두께를 고려할 때 “a”의 상태로 평가되어 전반적으로 탄산화

에 의한 철근의 부식 발생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전 부재에서 잔존수

명(철근까지의 탄산화 도달시간)이 100년 이상 확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7. 상태평가 결과

부재의 분류 상부구조2차부재

기타부재 받침 하부구조 내구성 요소

번호구조형식

바닥판 거더 가로보 포장 배수난간연석

신축이음

교량받침

하부 기초탄산화(상)

탄산화(하)

1 STB a b a b a b b b b Q X X

2 STB a a a a c c X b c Q X a

3 STB a a a a b c X a b Q X X

4 STB a a a a a b X b c Q X a

5 STB X X X X X X c b c Q X a

평균 0.100 0.125 0.100 0.125 0.200 0.300 0.300 0.180 0.320 N/A N/A 0.100

가중치 20 18 5 7 3 2 9 9 20 N/A N/A 7

(평균×가중치)/가중치합

0.020 0.023 0.005 0.009 0.006 0.006 0.027 0.016 0.064 N/A N/A 0.007

1. 환산결함도 점수 = 0.182

2. 상태평가 결과 = B

Page 14: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요 약 문

- VI -

8. 안전등급

구조물명상태평가등급 안전성평가등급

안전등급환산결함도점수 등급 S.F 등급

원효로접속교 0.182 B - - B

안전등급

∙원효로접속교에 대한 상태평가결과, 기 정밀점검(2010년) 결과와 비교했을 때

외관조사시 난간변형 및 부식과 배수구 막힘, 교각 기둥부의 균열, 교량받침 무

수축몰탈 균열 등이 추가 조사되어 결함도지수가 하향 조정된 것으로 평가되었

다.

9. 보수․보강 개략공사비

위 치 보수공법보수

물량단위

발생

개소

보수

단가

개락

공사비

우선

순위

교면포장강재 요철제거 및

절삭후 덧씌우기0.07 ㎡ 1 480,000 34,560 1

난 간

난간 레일교체(3단) 12.00 m 1 119,000 1,428,000 1

난간 레일교체(1단) 20.00 m 8 119,000 2,380,000 1

난간 레일교체(3단) 90.00 m 2 119,000 10,710,000 1

난간지주 교체(변형) 10.00 EA 10 544,000 5,440,000 1

난간지주 교체(이탈) 2.00 EA 2 544,000 1,088,000 1

연석 부식제거 재도장 46.24 ㎡ 28 65,000 3,005,340 1

배수시설 배수관 부분절단 1.00 EA 1 10,000 10,000 1

강재주형

도장보수 0.02 ㎡ 2 30,000 720 2

스캘럽 실링보수 0.96 ㎡

1

20,000 19,200 2

플랜지 배수홈 천공 8.00 EA 10,000 80,000 2

교대 배수홈 시공 11.40 m 11,000 125,400 2

실링보수 28.00 ㎡ 28 10,000 280,000 2

순공사비 24,601,220

제경비(순공사비의 50%) 12,300,610

우선순위별 공사비

(제경비 포함)

단기대책(1순위) 36,143,850

중기대책(2순위) 757,980

개략 공사비(원) 36,901,830

1). 개략공사비는 현장 여건에 따라 증감이 될 수 있음.

2). 2012년도 도로 및 시설물 유지보수공사 설계지침(서울특별시 도시안전실) 참조.

Page 15: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요 약 문

- VII -

10. 중점 유지관리방안

가. 거더

종점측 거더 내부 하부플랜지는 신축이음 차수판 미설치로 인해 상부로부터 유입

된 노면수가 바닥에 체수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스캘러부 실링 및 유도배수 처리

후 Box내부로의 우수 유입 여부에 대한 주의관찰이 요구된다.

나. 받침장치

본 원효로접속교는 곡선교량으로서 부반력 제어를 위해 Box내부에 콘크리트 시설

물이 설치되어 있고, 받침 배치가 접선방향으로 배치되어있는 등 받침장치의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거동시 구속으로 인해 받침 콘크리트 및 몰탈 균열이 발생 될 수 있으므로, 금

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향후 받침부 손상 증가에 대한 주의관찰이 요구된다.

다. 접속옹벽

접속옹벽 신축이음부에 발생된 0.3mm 사방향 균열의 원인은 건조수축 및 상부 방

음벽에 의한 구속으로 판단되므로 단기 보수방안으로 균열부 주입보수를 선행하고, 향후

주의관찰을 통해 재 손상 발생시 상부 방음벽의 신축거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부에 유격을

설치하는 등의 조치가 요구된다.

라. 기타 중점관리 사항

구 분 유지관리방안

교대 및 교각∘균열 진전 여부 및 추가균열 발생여부 확인

∘신축이음을 통한 우수 유입 여부 확인(차수시설 설치 선행)

신축이음∘유간내 토사퇴적에 대한 주기적인 청소 필요

∘주행 차량의 반복하중에 의한 후타재 및 본체 파손 여부 확인

교면포장 ∘아스콘 박락, 체수 손상 진전 및 확대 여부 확인

배수시설

∘배수구 막힘으로 인한 교면 체수 발생 여부 확인

∘배수관 탈락 여부 확인

∘배수구 막힘은 지속적인 청소를 실시하여 우수의 원활한 배수 요망

난간 및 연석∘강재 연석의 부식, 변형 여부 확인

∘난간 변형 및 지주 이탈로 인한 추가 손상 발생여부 확인

Page 16: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요 약 문

- VIII -

11. 종합결론

원효로접속교의 정밀점검 수행결과 외관조사 및 비파괴시험에 의한 상태평가결

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안전등급은 『보조부재에 경미한 결함이 발생하였으나 기능발

휘에는 지장이 없으며, 내구성 증진을 위하여 일부의 보수가 필요한 상태』인“B”등급으로

최종 평가되었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 제시한 보수대책 수립 및 효율적인 유지관리가 이루어진다면

구조물의 안전성 및 내구성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Page 17: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목 차

목 차

제1장 정밀점검 개요 ······························································································1

1.1 과업의 목적 ···································································································································3

1.2 과업의 범위 및 내용 ···················································································································3

1.2.1 과업의 범위 ······························································································································3

1.2.2 과업수행기간 ····························································································································3

1.2.3 과업의 내용 ······························································································································4

1.3 과업수행일정 ·································································································································5

1.3.1 과업수행 흐름도 ······················································································································5

1.3.2 과업수행일정 ····························································································································6

1.4 대상 교량의 현황 ·························································································································7

1.4.1 교량의 현황 ······························································································································7

1.4.2 관련 도면 ··································································································································8

1.5 사용장비 및 시험기기 현황 ····································································································10

1.6 교량 기호의 정의 ·······················································································································10

제2장 자료수집 및 분석 ·····················································································11

2.1 자료수집 ·······································································································································13

2.2 기존 점검 실시결과 ···················································································································13

2.2.1 점검자료 분석 ························································································································13

2.3 보수․보강 이력 ·························································································································16

2.4 내진설계 여부 확인 ···················································································································16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17

3.1 외관조사 개요 ·····························································································································19

3.1.1 부재별, 손상별 발생원인 및 조사방향 ············································································20

3.2 외관조사 결과 ·····························································································································23

3.2.1 상부구조 ··································································································································23

3.2.2 하부구조 ··································································································································31

3.2.3 외관조사 결과 비교 분석 ···································································································39

Page 18: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목 차

3.3 비파괴시험 ···································································································································40

3.3.1 개 요 ········································································································································40

3.3.2 반발경도시험 ··························································································································41

3.3.3 탄산화시험 ······························································································································43

3.3.4 기 점검과의 내구성 비교 ···································································································46

제4장 시설물의 상태평가 ···················································································47

4.1 상태평가 개요 ·····························································································································49

4.2 상태평가 기준 ·····························································································································49

4.3 상태평가 항목 및 기준 ············································································································50

4.3.1 부재별 상태평가 적용범위 ·································································································50

4.3.2 부재별 상태평가 기준 ··········································································································50

4.3.3 구조형식에 따른 부재별 가중치 ·······················································································56

4.4 상태평가결과 산정방법 ············································································································57

4.4.1 상태평가등급 산정절차 ········································································································57

4.4.2 전체 시설물의 상태평가 결과 결정 ·················································································57

4.5 상태평가 결과 ·····························································································································58

4.5.1 구조형식별 상태평가 결과 ·································································································58

4.5.2 전체 교량의 상태평가 결과 ·······························································································58

4.5.3 결과 분석 ································································································································59

제5장 안전등급 지정 ····························································································61

5.1 개 요 ·············································································································································63

5.2 안전등급 ·······································································································································63

제6장 보수·보강 방안 ··························································································65

6.1 개 요 ·············································································································································67

6.1.1 보수․보강 개요 ····················································································································67

6.1.2 보수․보강 우선순위 ············································································································68

6.1.3 보수․보강 방법 ····················································································································68

6.1.4 보수․보강의 업무 흐름도 ·································································································69

6.2 보수․보강 방법 ·························································································································70

6.2.1 보수·보강 필요성 검토 ········································································································70

6.2.2 손상 내용별 보수․보강 방법 ···························································································71

Page 19: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목 차

6.2.3 주요결함 및 손상에 대한 보수․보강 방법 ···································································73

6.3 보수․보강 개략공사비 ············································································································91

6.3.1 총괄 보수·보강 개략공사비 ································································································91

6.3.2 우선 순위별 개략 공사비 ···································································································92

6.3.3 하자보수 물량 산출결과 ·····································································································93

6.4 유지관리방안 ·······························································································································94

6.4.1 개 요 ········································································································································94

6.4.2 유지관리 일반 업무 ··············································································································94

6.4.3 중점유지관리 방안 ················································································································98

6.4.4 유지관리 개선사항 ··············································································································100

6.4.5 점검동선 ································································································································100

제7장 종합결론 ····································································································101

7.1 현장조사 및 시험 결과 ··········································································································103

7.2 정밀안전진단 필요 여부 검토 ······························································································105

7.3 종합결론 ·····································································································································105

Page 20: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목 차

표 목 차

【표 1.1】과업의 내용 ·······················································································································4

【표 1.2】정밀점검 과업수행일정 ··································································································6

【표 1.3】원효로접속교 교량현황 ··································································································7

【표 1.4】점검장비 현황 ·················································································································10

【표 3.1】사전조사를 통한 외관조사 방향 ················································································19

【표 3.2】기 점검 결과를 통한 외관조사 방향 ·······································································19

【표 3.3】상부 포장면의 발생원인 및 조사방향 ·····································································20

【표 3.4】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발생원인 및 조사방향 ···················································21

【표 3.5】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결함 발생원인 및 조사방향 ···········································21

【표 3.6】강재 구조물의 손상 발생원인 및 조사방향 ···························································21

【표 3.7】교량받침의 발생원인 및 조사방향 ············································································22

【표 3.8】교면포장 손상물량 집계 ······························································································23

【표 3.9】난간 및 연석 손상물량 집계 ······················································································25

【표 3.10】배수시설 손상물량 집계 ····························································································26

【표 3.11】강 바닥판하면 손상물량 집계 ··················································································27

【표 3.12】신축이음 계산유간량 산정결과 ················································································28

【표 3.13】신축이음 유간량 검토결과 ························································································28

【표 3.14】신축이음 손상물량 집계 ····························································································29

【표 3.15】강재주형 손상물량 집계 ····························································································30

【표 3.16】교대 및 교각 손상물량 집계 ····················································································31

【표 3.17】받침장치 손상물량 집계 ····························································································33

【표 3.18】연단거리 측정결과 ······································································································35

【표 3.19】교량받침 이동량 산정 ································································································36

【표 3.20】교량받침 이동량 조사결과 ························································································36

【표 3.21】교량받침 이동량 조사결과 ························································································37

【표 3.22】접속옹벽 손상물량 집계 ····························································································38

【표 3.23】전회차 점검과의 손상수량 비교 ··············································································39

【표 3.24】비파괴시험 수행 현황 ································································································40

【표 3.25】반발경도시험에 의한 콘크리트 강도추정 결과 ···················································42

【표 3.26】반발경도시험에 의한 압축강도 추정결과 분석 ···················································42

【표 3.27】탄산화 깊이 측정결과 ································································································45

Page 21: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목 차

【표 3.28】전회차 점검과의 내구성 비교분석 ·········································································46

【표 4.1】부재별 상태평가 적용 범위 ························································································50

【표 4.2】콘크리트 바닥판 상태평가 기준 ················································································50

【표 4.3】강 바닥판, 강거더, 강 교각(강 주탑) 상태평가 기준 ··········································51

【표 4.4】강 가로보와 세로보 상태평가 기준 ·········································································51

【표 4.5】교대 상태평가 기준 ······································································································52

【표 4.6】콘크리트 교각 상태평가 기준 ····················································································52

【표 4.7】기초 상태평가 기준 ······································································································53

【표 4.8】교량받침 상태평가 기준 ······························································································53

【표 4.9】신축이음 상태평가 기준 ······························································································54

【표 4.10】교면포장 상태평가 기준 ····························································································54

【표 4.11】배수시설 상태평가 기준 ····························································································55

【표 4.12】난간 및 연석 상태평가 기준 ····················································································55

【표 4.13】탄산화 상태평가 기준 ································································································55

【표 4.14】구조형식에 따른 일반교량의 부재별 가중치 ·······················································56

【표 4.15】결함도 점수 범위에 따른 기준 ················································································57

【표 5.1】안전등급 기준 ·················································································································63

【표 6.1】손상 내용별 보수방안 ··································································································71

【표 6.2】표면보수공법 비교 ········································································································75

【표 6.3】수지주입공법의 종류 ····································································································76

【표 6.4】수지주입공법의 종류 ····································································································77

【표 6.5】균열폭에 알맞은 수지의 점도 ····················································································77

【표 6.6】균열폭에 따른 주입파이프/패커의 간격 ··································································77

【표 6.7】에폭시계 수지의 규격 ··································································································77

【표 6.8】주입공법 시공개요 ········································································································78

【표 6.9】균열주입 공법 비교 ······································································································79

【표 6.10】단면복구 공법 비교 ····································································································83

【표 6.11】강재도장 공법 비교 ····································································································90

【표 6.12】총괄 보수·보강 개략공사비 ······················································································91

【표 6.13】단기 보수 개략공사비 ································································································92

【표 6.14】중기 보수 개략공사비 ································································································92

【표 6.15】하자보수 대상 물량 산출결과 ··················································································93

【표 6.16】교량 세부 공종별 하자담보책임기간 ·····································································93

【표 6.17】점검주기 및 주요조사항목 ························································································95

【표 6.18】각 구조부재별 중요도 및 점검항목 ·······································································96

Page 22: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목 차

그 림 목 차

【그림 1.1】과업수행 흐름도 ··········································································································5

【그림 1.2】원효로접속교 종·평면도 ····························································································8

【그림 1.3】원효로접속교 일반도 ··································································································9

【그림 3.1】연단거리 측정기준 ····································································································35

【그림 3.2】 비파괴시험 위치도 ··································································································40

【그림 3.3】 탄산화 깊이 시험 결과 ··························································································45

【그림 4.1】전체 교량의 상태평가 결과 산정 방법 ·······························································57

【그림 6.1】보수․보강의 업무 흐름도 ······················································································69

【그림 6.2】표면처리 공법 시공흐름도 ······················································································73

【그림 6.3】균열부 표면보수 공법 개요도 ················································································74

【그림 6.4】단면복구공법(Ⅰ) 시공방법 ·····················································································80

【그림 6.5】단면복구공법(Ⅱ) 시공방법 ·····················································································81

【그림 6.6】단면복구공법(Ⅲ) 시공방법 ·····················································································82

【그림 6.7】절삭 후 덧씌우기 공법 시공흐름도 ·····································································85

【그림 6.8】시공방법 및 유의사항 ······························································································86

【그림 6.9】Box내부 우수 유입경로 ···························································································87

【그림 6.10】Box내부 및 교대 체수 보수방안 ········································································88

【그림 6.11】 도장보수 공법 순서도 ··························································································89

【그림 6.12】유지관리 흐름도 ······································································································97

【그림 6.13】과속방지시설 설치 개요도 ··················································································100

【그림 6.14】점검동선 ···················································································································100

Page 23: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제 1 장 정밀점검 개요

1.1 과업의 목적

1.2 과업의 범위 및 내용

1.3 과업수행일정

1.4 대상 교량의 현황

1.5 사용장비 및 시험기기의 현황

1.6 교량 기호의 정의

Page 24: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Page 25: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1장 정밀점검 개요

- 3 -

제 1장 정밀점검 개요제 1장 정밀점검 개요

1.1 과업의 목적

본 용역은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이하 “시특법”이라 한다.)에 따른 안

전점검으로서 대상시설물의 물리적․기능적 결함을 조사하고, 구조적 안전성 및 손상상태

를 점검하여 재해를 예방하고 시설물의 요용을 증진시켜 공공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2 과업의 범위 및 내용

1.2.1 과업의 범위

1) 자료수집 및 분석

2) 현장조사 및 시험

3) 상태평가, 안전성평가(발주청의 지시가 있는 경우 시행)

4) 보수․보강 및 유지관리방안 제시

5) 보고서 작성

6) 기타 발주청이 필요하다고 요구하는 사항

1.2.2 과업수행기간

- 2012. 05. 14 ~ 2012. 10. 10 (착수일로부터 150일)

Page 26: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1장 정밀점검 개요

- 4 -

1.2.3 과업의 내용

본 과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실시한 정밀점검의 세부내용은【표 1.1】과 같다.

【표 1.1】과업의 내용

과 업 의 범 위 과 업 의 내 용적용

세부지침

과업수행계획의

수립보고

1) 착수계 제출

2) 과업수행계획서 제출(사전 검토 보고서 포함)-

자료수집 및 분석1) 기존의 점검․진단 및 대상시설물의 보수․보강 이력사항

2) 설계도서, 시방서 등 관련자료2010.12

현장

조사

시험

외관

조사

1) 제원조사

2) 교대 및 교각의 상태조사

3) 슬래브의 균열 및 손상상태 조사

4) 교량 주변 현황조사

5) 교면포장, 신축이음장치, 배수시설 등 외관조사

6) 기존점검 결과에 따른 보수 상태조사

2010.12

비파괴

조사

1) 콘크리트 강도 조사(반발경도 측정)

2) 탄산화시험(페놀프탈레인 용액)2010.12

상태평가

종합평가

1) 부재별 상태등급 평가

2) 부재별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고려하여 전체 평가 등급 산정

3) 탄산화시험에 대한 등급 산정 및 상태평가에 반영

4) 상태평가등급을 종합평가등급으로 갈음

5) 안전등급 지정

2010.12

보수 및 보강

대책수립

1) 결함 및 손상 부위에 대한 원인 분석 및 평가

2) 기능 회복 및 향상을 위한 보수․보강 공법제시

3) 보수․보강 우선순위 제시

4) 보수․보강 물량 및 개략공사비 산정

2010.12

유지관리

대책수립

1) 유지 관리상 문제점과 지침 기준 작성

2)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방안 제시

3) 일상점검시 확인을 필요로 하는 주요 점검 위치의 제안

2010.12

보고서 작성

1) 보고서 작성 및 제출

2) e-보고서 작성(한글, PDF, CAD 등의 전산파일 작성)

3) 정밀안전진단 실시여부 결정

2010.12

Page 27: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1장 정밀점검 개요

- 5 -

1.3 과업수행일정

1.3.1 과업수행 흐름도

사 전 조 사

◦구조종별 진단항목 검토

◦기존의 점검/진단 자료 검토

- 구조물의 경시변화 확인

- 진단방향 및 선택과업 항목의 결정

현 장 조 사

(과업지시서에 의거 실시)

기 본 과 업 선 택 과 업

외 관 조 사 조사ㆍ재료시험 외 관 조 사 조사ㆍ재료시험

∘콘크리트 상태변화∙균열, 누수, 박리, 박락,

층분리, 백태, 철근노출

∘강재 상태변화∙균열, 도장상태,

부식상태 등

∘외관조사망도 작성∙주요부재

∘콘크리트 시험∙반발경도시험

∙탄산화깊이 측정시험

∘전체부재의 외관조사

망도 작성∙전체부재 외관조사

∘기타 관리주체의 추

가 요구 및 안전성평

가 등에 필요한 조

사․시험(필요시)

현장조사 결과 검토 및 분석

∘현장조사․시험 결과 정리 및 분석

∘상태평가 기초자료 검토․분석

상 태 평 가 안 전 성 평 가 (미시행)

∘부재별 상태평가 결과 산정- 내구성 평가

∘안전성평가 결과 산정

- 과업범위에 포함되지 않음

종합평가 및 안전등급

∘시설물 종합평가 결과 산정- 상태평가결과를 종합평가로 갈음

- 안전성평가 실시의 경우 비교․평가

∘안전등급 산정

∘손상 및 결함의 정도파악

∘현재와 이전 상태와의

비교 검토․분석 결과

∘실시여부 결정

∘사용제한․금지 등의 판단

∘보수․보강 규모 파악

보고서 작성

【그림 1.1】과업수행 흐름도

Page 28: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1장 정밀점검 개요

- 6 -

1.3.2 과업수행일정

본 과업을 위해 수행한 정밀점검 과업 일정은【표 1.2】와 같다.

【표 1.2】정밀점검 과업수행일정

과 업 내 용비

소요

인원

2012년 공정율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4일 18일 25일 1일 8일 15일 22일 29일 6일 13일 20일 27일 3일 10일 17일 24일 32일 7일 14일 21일 28일 5일 10일 내업 외업

1.사전조사

-관련자료 수집 및 분

석9.2 6.0

3.1 3.1 3.0 9.2

2.0 2.0 2.0 6.0 -

-조사계획수립(답사) 6.2 4.03.1 3.1 6.2

2.0 2.0 4.0 -

2. 현장조사및시

-외관조사 27.7 18.06.2 6.2 6.2 2.9 6.2 29.1

4.0 4.0 4.0 2.0 4.0 - 18.0

-내구성조사 9.2 6.03.0 3.1 3.1 9.8

2.0 2.0 2.0 - 6.0

3. 조사자료 정리

및 분석

-외관조사 상태등급

판정9.2 6.0

3.0 3.1 3.1 9.2

2.0 2.0 2.0 6.0 -

-내구성조사 결과분석 6.2 4.03.1 3.1 9.2

2.0 2.0 6.0 -

4.상태평가 및 안전등급지정 4.7 3.01.7 3.0 4.7

1.0 2.0 3.0 -

5.중간보고 3.0 2.03.0 3.0

2.0 2.0 -

6.보수․보강 대책수림 6.2 4.01.5 1.5 3.2 6.2

1.0 1.0 2.0 4.0 -

7.유지관리방안제시 6.2 4.01.5 1.5 3.2 6.2

1.0 1.0 2.0 4.0 -

8.최종보고 3.0 2.03.0 3.0

2.0 2.0 -

9.보고서 수정 보완 및 준공 9.2 6.03.0 3.1 3.1 9.2

2.0 2.0 2.0 6.0 -

소 계 100.0 65.0

공 정금 회(%) 3.1 3.1 3.0 3.1 3.1 6.2 6.2 6.2 5.9 9.3 6.1 3.1 7.9 6.1 3.0 1.5 3.0 4.7 3.2 3.0 3.0 3.1 3.1 소계

누 계(%) 3.1 6.2 9.2 12.3 15.4 21.6 27.8 34.0 39.9 49.2 55.3 58.4 66.3 72.4 75.4 76.9 79.9 84.6 87.8 90.8 93.8 96.9 100.0 63.0 37.0

투입인원금 회(%) 2.0 2.0 2.0 2.0 2.0 4.0 4.0 4.0 4.0 6.0 4.0 2.0 5.0 4.0 2.0 1.0 2.0 3.0 2.0 2.0 2.0 2.0 2.0 소계

누 계(%) 2.0 4.0 6.0 8.0 10.0 14.0 18.0 22.0 26.0 32.0 36.0 38.0 43.0 47.0 49.0 50.0 52.0 55.0 57.0 59.0 61.0 63.0 65.0 41.0 24.0

Page 29: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1장 정밀점검 개요

- 7 -

1.4 대상 교량의 현황

1.4.1 교량의 현황

본 과업의 대상교량의 현황은【표 1.3】과 같다.

【표 1.3】원효로접속교 교량현황

구 분 내 용 구 분 내 용

시설물명 원효로접속교 시설물번호 BR2007-0000002

준공년월일 2006. 12. 29 관리번호

시설물위치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암동 169

설계하중 DB-24 노선명 원효로

제원

연장 L = 158.0m([email protected]+39.0m=158.0m)

폭 B = 7.0m (유효폭 : 6.05m)

구조

형식

상부 Steel Box Girder 기초

형식

교대 직접기초

하부 T형 교각 교각 파일기초

교량받침 Pot Bearing 신축이음 강핑거 Joint

교차시설물 강변북로 통과높이 4.5m

기타 ※ 평면형상 : 곡선교

상 부 전 경 측 면 전 경

Page 30: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1장 정밀점검 개요

- 8 -

1.4.2 관련 도면

성산대교원효로

P1 P2

P3

A1

39,000

39,000

40,000

40,000

158,000

- 평면도 -

성산대교 원효로

P1 P2

P3

39,000 40,000 40,000 39,000

158,000

- 종단면도 -

7,000

6,000500

1,300 700700700 850 850

4,400

1,300 1,500850 850

6,000

1,500

VAR.

500

1,500

VAR.

600

100

400

1,800

500

- 횡단면도 -

【그림 1.2】원효로접속교 종·평면도

Page 31: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1장 정밀점검 개요

- 9 -

H1

1,500

H

500

100

600

2,200

250 1,700 250

H1

1,500

H

500

100

600

1,300 2,150 100

6,000

2,150100 100

4,400

2,800 800800

700 850 1,300 700850

1,500 850 1,300 850 1,500 100

6,000

- 교각 일반도 -

100

7,000

6,000500 500

5,096

1,200

8,805

2,509

100

5,096

1,200

8,315

2,019

100

2,8002,100 2,100

7,000100 2,900 100100 1,2001,200

5,300

5,096

1,200

8,700

2,404

100

2,100

1,300

300

5003,196

1,200

8,700

2,524

100

880

900

- 교대 일반도 -

【그림 1.3】원효로접속교 일반도

Page 32: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1장 정밀점검 개요

- 10 -

1.5 사용장비 및 시험기기 현황

본 과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한 주요 장비목록은【표 1.4】과 같다.

【표 1.4】점검장비 현황

장 비 명 규 격 용 도 활용방법 사 진

균 열

측정기PSM-20 PIKA 균열폭 측정

균열폭의 크기와 길이를 확대

렌즈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

반 발

경 도

측정기

Schmidt

hammerNR식

콘크리트

강도추정

약 3cm 간격에 20회 정도 타

격하여 그 값의 평균치를 구

탄산화 시험기 Conkit콘크리트 내부

탄산화 체크

체크하고자 하는 면을 채취하

여 페놀프탈레인 용액 1%를

분사하여 대비되는 색깔로 pH

양을 측정

철 근

탐사기Ferroscan RV-10

철근배근∙

피복 두께

측정

본체와 연결된 스케너를 통해

철근의 위치를 액정화면을 통

해 측정

사다리 - 근접조사 시 이용

조명기구 - 강박스 내부 조사시 사용(손전등, 서치라이트, 헤드랜턴 등)

핸드드릴 - 상세 조사를 위한 파취, 탄산화 시험 등에 이용

카메라 - 현장조사 내용 기록

교통시설 - 현장조사 교통 통제(라바콘, 공사안내표지판, 깃발, 신호봉 등)

1.6 교량 기호의 정의

구조 구분 사용기호 비 고

경 간

교 대

교 각

받 침

신축이음

S

A

P

Sh

Exp.

Span

Abutment

Pier

Shoe(Bearing)

Expansion Joint

Page 33: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제 2 장 자료수집 및 분석

2.1 자료수집

2.2 기존 점검 실시결과

2.3 보수․보강 이력

2.4 내진설계 여부 확인

Page 34: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Page 35: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2장 자료수집 및 분석

- 13 -

제 2장 자료수집 및 분석제 2장 자료수집 및 분석

2.1 자료수집

본 과업에 대한 자료조사는 주변현황 자료와 시설물의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관

련 자료로 대별되며, 자료 분석을 통하여 과업 수행의 추진방향과 세부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본 과업 대상구조물은 법정 외 구조물로 관련 자료를 수집한 결과 설계도서 및 시

설물관리현황 등은 미 보유 상태이고, 기타 관리주체 자체점검자료 및 정밀점검 자료는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유한 관련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구조물의 이력 확

인, 결함 및 손상의 원인분석, 손상의 변화 및 진행성 여부, 보수․보강대책 및 유지관리

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2.2 기존 점검 실시결과

2.2.1 점검자료 분석

가. 자체정밀점검

1) 2008. 03. 11 ~ 2008. 08. 06 자체정밀점검

구 분 일 자 내 용 상태등급

자체정밀점검

(전영서외 2인)

2008.03.11

~2008.08.06․A1 신축이음 본체유동으로 소음발생 및 구조물 파손 B

Page 36: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2장 자료수집 및 분석

- 14 -

2) 2010. 01. 27 ~ 2010. 04. 17 자체정밀점검

구 분 청암교외 6개소 정밀점검 용역 (원효로접속교) - 2010년

수 행 기 관 천성봉외 2인

교면포장

․교면포장은 PSMA 혼합물 포장(상층:40mm+하층:40mm)형식으로

편도 1차선으로 전 경간에 걸쳐 포장면에 미끄럼 방지시설(그루빙)이

시공되어진 상태로서 외관조사 결과 균열이나 패임 등의 손상발생 없

이 대체로 양호한 상태임.

․종점측(A1측)에 설치된 토공접속부 포장구간 또한 특이한 손상 없

이 대체로 양호함.

․교면방수는 규사+에폭시 레진 형식으로 시공되어졌으며 외관조사

결과 교면포장부 밀림 현상이나 바닥판 하면 누수, 백태 등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음을 감안할 때 교면방수의 시공상태는 대체로 양호한 것

으로 판단됨.

난간 및 연석

․교량 좌, 우측 전 연장에 걸쳐 강재난간 및 강재형식의 연석이 시공

되어진 상태이다.

․외관조사 결과 강재난간은 대체로 양호한 상태였으나 일부 구간에

서 차량충돌에 의한 난간변형(4개소)이 조사되어 차량의 안전을 위해

교체설치가 요구되며, 강재연석은 부분적으로 차량충돌로 인해 도장긁

힘 및 도장탈락이 발생된 상태로서 부분적 재 도장 보수가 요구됨.

․옹벽접속구간에는 콘크리트 방호울타리 및 방음벽이 설치되어진 상

태로서 콘크리트 방호울타리 벽체면에는 건조수축에 의한 수직균열

(c/w=0.2~0.3mm) 4개소가 발생된 상태로서 내구성 확보를 위하여 표

면처리공법 및 주입공법에 의한 보수조치가 요구됨.

배수시설․배수관은 강재 형식으로서 경간별 2∼3개소씩 설치되어진 상태로서

외관조사 결과 배수기능 및 배수관 설치상태 등 전반적으로 양호함.

신축이음

․신축이음은 A1, MB6위치에 강재형식의 Finger Joint가 설치되어진

상태로서 외관조사 결과 신축이음은 대체로 양호하나, 신축이음의 신

축유간사이로 토사 등 이물질이 퇴적되어 신축거동을 저해시키고 있

으므로 청소가 요구됨.

․후타재 콘크리트는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c/w=0.2~0.3mm) 및 미세

망상균열이 국부적 발생되었으나 손상정도가 경미하므로 지속관찰이

요구됨.

바닥판하면

․대상교량의 상부구조는 단주형 Steel Box Girder형식으로서 강재주

형 양 외측에 데크플레이트로 시공되어진 캔틸레버하면에 대한 외관

조사 결과 변형, 파손, 도장박리 등의 손상없이 대체로 양호한 상태임.

Steel Box

Girder

․대상교량의 상부구조는 단주형 Steel Box Girder형식으로서 Box외

부측에 대한 외관조사 결과 파손, 변형, 도장박리 등의 손상이 발생되

지 않은 대체로 양호한 상태임.

․Box내부측의 경우 도장상태 등 전반적으로 양호하나 전 경간에 걸

쳐 현장이음부(Field Splice)의 틈새를 메우지 않은 상태로서 향후 이

음부 틈새를 통해 우수유입에 따른 부식발생 가능성이 있으므로 실런

트 채움에 의한 보수가 요구됨.

Page 37: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2장 자료수집 및 분석

- 15 -

교량받침

․본 교량의 받침은 Pot Bearing형식으로서 지짐별 2개소씩 설치되어

진 상태로서 받침본체는 수평거치상태, 연단거리 확보 상태 등 전반적

으로 양호함.

․교량받침은 이전(2008년) 점검이후 일부 지점(P1, P2)에 대해 받침

몰탈 보수가 기 시행되어진 상태로서 보수시행부를 포함하여 전반적

으로 양호한 상태이나, 일부 지점에 받침몰탈 미세균열(c/w=0.1mm, 2

개소), 재료분리(1개소) 등의 누락손상이 추가로 조사되었으며, 콘크리

트의 내구성 확보를 위하여 표면처리공법 및 단면복구공법에 의한 보

수조치가 요구됨.

교대 및

교각

․교대는 역T형 형식으로서 외관조사 결과 A1교대 벽체면에 건조수

축에 의한 균열(c/w= 0.2mm) 1개소, 누수흔적 1개소가 조사되었으나

손상정도는 경미하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태임.

․교각은 기둥식으로 총 4개소가 설치되어진 상태로서 교각 코핑부에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c/w=0.2~0.3mm)이 국부적으로 발생된 상태로

서 콘크리트의 내구성 확보를 위하여 균열폭의 크기에 따라 표면처리

공법 및 주입공법에 의한 선별적인 보수조치가 요구됨.

접속옹벽

․교량 종점측(A1) 좌․우측에 설치된 접속옹벽에 대한 외관조사 결

과 좌측옹벽 상단에 건조수축에 의한 수평균열(c/w=0.3mm) 2개소 발

생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양호한 상태임.

콘크리트

비파괴

반발경도

시험

․반발경도시험

- 교대 : 29.0MPa, 교각 :26.5~27.8MPa

․설계기준강도 : 하부구조 24.0MPa

탄산화

시험(㎜)

․하부구조 : 3.5~4.5mm

․철근까지 최소 잔여 깊이는 95.5mm로 잔여깊이 30mm이상

․평가등급 : a

상태평가 ․결함도 점수 : 0.135, 상태평가등급 : B

종합결론

․원효로접속교(2006년 준공)는 준공후 약 4년이 경과된 4경간 연속

Steel Box Girder형식의 편도 1차선 교량으로서 금번 정밀점검 결과

교량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으로 문제가 되는 결함이나 손

상은 발생하지 않은 대체로 양호한 상태이나, 강재난간 변형, 강재연

석부 긁힘 및 도장탈락, 강재주형 내부측 현장이음부 틈새 미 채움,

받침몰탈의 미세균열 및 재료분리, 교각 코핑부의 균열 등에 대해서는

적절한 보수(본 보고서 3장 보수․보강 방안편에서 제시된 각 부재별

보수․보강공법 참조)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교량 좌․우측에 설치되어진 강재난간은 대체로 양호한 상태였으나

일부 구간에서 차량충돌에 의한 난간변형이 조사되어 차량의 안전을

위해 교체설치가 요구되며, 또한 본교는 1차선(유효폭 6.05m) 곡선교

로서 자동차 전용도로에 인접 시공되어진 램프교의 성격상 통행차량

은 고속으로 램프를 진입하게 되어 난간충돌 등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램프 진입전(MB6측) 서행 등 안전표지판의 추가 설치가 필

요할 것으로 사료됨.

․또한, 강상형 주형 내부측의 경우 도장상태 등 전반적으로 양호하나

전 경간에 걸쳐 현장이음부(Field Splice)의 틈새를 메우지 않은 상태

로서 향후 이음부 틈새를 통해 우수유입에 따른 부식발생 가능성이

있으므로 실런트 채움에 의한 보수조치 후 누수발생 등에 대한 지속

적인 주의관찰이 요구됨.

Page 38: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2장 자료수집 및 분석

- 16 -

2.3 보수․보강 이력

기 간 보수ㆍ보강내용 시 공 자 비 고

2008. 1. 01

2008. 5. 31

- 하자보수삼부토건(주)외

1개사

2008. 8. 18

2008. 9. 12

ㆍP1~P2 받침몰탈 파손부 씰링 및 수지주입 후 면처

리 보수

ㆍP2 철근노출부 단면보수

삼부토건(주)외

1개사

2.4 내진설계 여부 확인

원효로접속교는 2종 시설물로 수집자료 분석 결과 내진설계가 반영된 것으로 확인

되었다.

Page 39: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제 3 장 현장조사 및 시험

3.1 외관조사 개요

3.2 외관조사 결과

3.3 비파괴시험

Page 40: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Page 41: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19 -

제 3장 현장조사 및 시험제 3장 현장조사 및 시험

3.1 외관조사 개요

본 과업대상 시설물인 원효로접속교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암동에 위치하고, 총연

장 158.0m, 총폭 7.0m의 2종 시설물로서 2006년 12월 준공 후 6년간 공용중인 4경간의

Steel Box Girder로 구성된 강상판형교이다.

외관조사는 “교량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2010. 12, 국토해양부, 한국

시설안전공단)”의 실시 요령에 따라 시설물에 내재되어 있는 위험요인이나 시설물 기능

및 성능저하, 상태 등을 신속․정확하게 검사․평가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수행하였으며,

사다리를 이용하여 구조물에 근접한 상태에서 실시하였다.

금번 점검은 예비조사와 기 점검 자료를 분석하여 발생된 손상의 진전 및 보수부의

재손상 유무를 체크하고, 결함을 정확히 파악하고 과업지시서 내용을 충분히 반영하여 구간

별, 부위별 균열상태(길이, 방향, 폭), 콘크리트 박리 및 박락, 철근노출 및 재료분리 현상,

신축이음 및 교량받침 가동상태, 보수․보강부위의 상태를 파악한 후 【표 3.1】 및 【표

3.2】와 같이 외관조사 방향을 결정하여 교량의 외관 상태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조사하였다.

【표 3.1】사전조사를 통한 외관조사 방향

구 분 외관조사 방향

현장답사

∘근접 육안조사에 필요한 사다리 등의 접근방법, 장비동원과 일정계획을 수립

∘예비조사를 통해 교량에 발생된 주요 결함을 형태별로 분류

∘결함 및 손상의 발생 원인을 추정하고 조사방향 결정

∘현장조사 안전조치 사항

【표 3.2】기 점검 결과를 통한 외관조사 방향

구 분 외관조사 방향

예비조사

자료검토

결과

∘교면포장 손상발생여부 확인

∘강재 난간 및 연석부 손상 보수 및 추가손상 여부 확인

∘Steel Box 내부 연결부 실링보수 및 누수발생 여부 확인

∘받침콘크리트 균열 및 가동상태 확인

∘신축이음 유간거리 확보여부 확인

∘교대 및 교각 균열부 보수 및 추가손상 발생여부 확인

Page 42: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20 -

고소작업차를 이용한 근접조사 고소작업차를 이용한 근접조사

【사진 3.1】 외관조사 현황

3.1.1 부재별, 손상별 발생원인 및 조사방향

가. 상부 포장면

【표 3.3】상부 포장면의 발생원인 및 조사방향

손상내용 발생원인 조사방향

아스콘

균열, 망상균열 등

∘아스콘 노후화 및 내구성 저하

∘국부적 응력집중

∘아스콘 혼합물의 품질불량

∘시공이음부

∘규 모

∘차량주행성

∘바닥판의 누수, 백태 발생

아스콘 패임 ∘아스콘혼합물 품질불량 및 전압부족 ∘규모 및 바닥판의 누수, 백태 발생

아스콘 소성변형 ∘중차량 통행 ∘규모

아스콘 포트홀∘아스콘혼합물 품질불량 및 전압부족

∘팻칭 보수부위 접착력 부족∘바닥판의 누수, 백태 발생

체수, 배수시설∘청소 불량(배수구 막힘)

∘배수관 유실 및 길이부족∘체수발생 위치 및 규모

신축이음 누수 ∘본체 및 고무재 손상∘발생위치 및 규모, 누수 발생 유무

∘하단 부재 부식, 이물질 퇴적 여부

신축이음 후타재

균열, 파손 등

∘중차량 통과

∘노후화 및 시공불량∘발생위치 및 규모

Page 43: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21 -

나. 교대, 교각 등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표 3.4】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발생원인 및 조사방향

손상내용 발생원인 조사방향

교대

교각

코핑부,

기둥부,

벽체,

균열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

∘수화열에 의한 균열

∘시공이음부 균열

∘균열폭, 방향 및 연속성

∘균열의 시․종점

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결함(박리, 박락, 파손, 철근노출, 재료분리 등)

【표 3.5】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결함 발생원인 및 조사방향

손상내용 발생원인 조사방향

철근 비노출 손상

재료분리, 박리,

박락, 들뜸

∘다짐불량

∘인위적인 손상

∘동결융해에 의한 손상

∘탄산화로 인한 내부철근 부식

∘발생 규모 및 위치

∘청음조사

철근노출 손상

재료분리

파손, 박락 등

∘피복두께 부족

∘내부철근 부식으로 인한 콘크리트 박리

∘인위적인 단면 손상

∘발생 규모 및 위치

∘청음조사

∘부식으로 인한 철근단면 감소 여부

라. 강재

【표 3.6】강재 구조물의 손상 발생원인 및 조사방향

손상내용 발생원인 조사방향

부 재변 형

단면손상

∘기 변형된 부재 사용

∘인위적인 절단, 충겨(하중)

∘발생위치 및 규모

∘2차적인 손상발생 유무

용접부

용접누락 ∘시공시 누락

∘발생위치 및 규모

∘2차적인 손상발생 유무

기공발생

언더컷

용접불량

∘용접전류, 용접속도 불량

∘미숙련자의 용접

∘용접자세 불량

균 열 ∘용접불량 및 응력집중

연결

볼트

누 락

미조임

체결불량

길이부족

천공불량

∘연결부 제작오차로 인한 단차 발생

∘볼트 구멍 어긋남(불일치)

∘다른 규격 볼트 사용 유무

∘발생위치 및 규모

∘2차적인 손상발생 유무

누 수

∘포장부 방수층 손상, 슬래브 균열부를

통한 누수발생

∘종·횡방향 Splice부를 통해 Box내부로

노면수 유입

∘누수발생 진전여부

∘누수강도 확인을 통한 원인분석

∘누수에 따른 추가손상 발생여부

강재부식

도장박리

∘오랜 공용기간으로 인한 도장 열화

∘도막두께 부족

∘신축이음부 누수 및 빗물 유입

∘발생위치 및 규모

∘2차적인 손상발생 유무

Page 44: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22 -

마. 교량받침

【표 3.7】교량받침의 발생원인 및 조사방향

손상내용 발생원인 조사방향

가동 여유량 부족

및 밀착 발생 등

∘온도변화를 정확히 미고려함

∘시공오차에 따른 가동 여유량 부족

∘현 가동여유량 조사

∘발생 위치 및 개소

∘2차 손상 발생 유무

연단부 및 받침

콘크리트 파손

∘시공초기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

∘교량받침 가동불량에 따른 전단파괴

∘교각 연단부 균열발생 여부 및 받

침부 강재 변형여부 관찰

고정앵커 볼트

미조임 및

길이부족,

설치불량 등

∘볼트 나사선 청소불량

∘앵커 볼트 편심 시공 및 근입깊이 부족

∘제작오차로 인한 조임시 하답과 밀착

∘발생 위치 및 개소

∘2차 손상 발생 유무

녹 및 부식∘오랜 공용기간으로 인한 도장열화

∘신축이음부 누수∘발생 위치 및 개소

무수축 몰탈

균열 및 들뜸

∘시공불량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

∘발생 규모 및 개소

∘청음조사

Page 45: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23 -

3.2 외관조사 결과

3.2.1 상부구조

가. 교면포장

1) 외관조사 내용

- 교면포장은 강 바닥판위에 아스팔트 포장으로 구성되어있고, 종방향 글루빙이

시공되어 있는 상태이다.

- 외관조사 결과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태이나, 시점측에서 박스 인양을 위한 강재

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주변 아스콘 박락 및 강판노출이 발생되어 손상 확대

방지를 위해 인양용 강재 제거 후 아스콘 보수가 요구된다.

2) 주요 손상사진

아스콘 박락 및 강판 노출(S1) 교면포장 상태양호(S4)

3) 손상물량 집계

【표 3.8】교면포장 손상물량 집계

위 치 손 상 내 용 물량 단위 개소 보수공법우선

순위

교면

포장ASP 박락, 강판노출 0.06 ㎡ 1

강재 요철제거 및

절삭후 덧씌우기1

Page 46: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24 -

나. 난간 및 연석

1) 외관조사 내용

- 난간은 충격흡수 및 원상회복이 가능한 관절형교량용 노측 방호책(3S 3단

×W2000)이 강재 연석 위에 설치되어있다.

- 외관조사 결과 곡선구간인 S2∼S4경간 우측에서 차량 충돌에 의한 난간 변형,

파손 및 지주파손이 부분적으로 발생되었고, 강재연석 도장박락 및 부식상태가

조사되었다.

- 이는 간선도로에서 이면 도로를 연결하는 곡선교량임을 감안 할 때 추가적인

차량 충돌시 안전사고를 유발 할 수 있으므로 단기대책에 의한 보수가 요구된

다.

2) 주요 손상사진

강재 연석 긁힘 및 부식(S1) 강재 연석 긁힘 및 부식(S4)

난간변형(S3) 난간지주 변형(S2)

Page 47: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25 -

난간파손(S3) 난간지주 이탈(S3)

3) 손상물량 집계

【표 3.9】난간 및 연석 손상물량 집계

위 치 손 상 내 용 물량 단위 개소 보수공법우선

순위

난간

난간미세변형 6.00 m 1 유지관리 4

난간 레일파손(3단) 4.00 m 1 난간 레일교체 1

난간 레일변형(1단) 20.00 m 8 난간 레일교체 1

난간 레일변형(3단) 30.00 m 2 난간 레일교체 1

난간 지주변형 10.00 EA 10 난간지주 교체 1

난간 지주이탈 2.00 EA 2 난간지주 교체 1

연석 긁힘, 부식 38.53 ㎡ 28 부식제거 재도장 1

다. 배수시설

1) 외관조사 내용

- 배수시설은 대체적으로 양호하나, 교면 배수구의 이물질 퇴적에 의한 막힘이 3

개소 발생하여 주기적인 청소가 요구된다.

- 또한 P2 지점의 배수관은 교각 점검통로에 맞닿은 상태로 설치되어 이물질 퇴

적시 원활한 배수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배수관 하단부 절단이 필요한 상태이다.

Page 48: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26 -

2) 주요 손상사진

배수구 막힘(S2) 배수관 설치불량(P2)

3) 손상물량 집계

【표 3.10】배수시설 손상물량 집계

위 치 손 상 내 용 물량 단위 개소 보수공법우선

순위

배수

시설

배수구 막힘, 이물질 퇴적 3.00 EA 3 주기적 청소 4

배수관 설치불량 1.00 EA 1 배수관 부분절단 1

라. 강 바닥판 하면

1) 외관조사 내용

- 강 바닥판 하면은 별도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태로 조

사되어 추가 손상 발생에 대한 주기적 점검 및 유지관리가 요구된다.

2) 주요 손상사진

강 바닥판 상태양호(S1) 강 바닥판 상태양호(S4)

Page 49: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27 -

3) 손상물량 집계

【표 3.11】강 바닥판하면 손상물량 집계

위 치 손 상 내 용 물량 단위 개소 보수공법우선

순위

바닥판하면 상태양호 - - - - -

마. 신축이음 장치

1) 외관조사 내용

- 신축이음 장치는 Steel Finger 형식으로 시·종점측에 2개소 설치되어 있으며,

외관상태는 대체적으로 양호하나, 후타재의 미세 망상형 균열이 조사되어 지속

적인 관찰을 통한 유지관리가 요구된다.

- 또한 A1측 신축이음은 양측 연석부에 차수판이 설치되지 않아 하부구조 및

Steel Box내부에 체수 및 오염을 유발하고 있으므로 하부에서 유도배수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2) 주요 손상사진

후타재 망상형 균열군(cw=0.1mm)(MB6) 연석부 차수판 미설치(A1)

3) 신축이음 유간측정

- 신축이음장치는 교축방향으로의 온도변화, 콘크리트의 크리프 및 건조수축에 의

한 이동량, 그리고 구조적으로 필요한 여유량을 만족해야 한다. 그러나 공용 중

인 교량에 대해서는 설치 및 부가 여유량은 제외토록 하면 공용기간이 2년 이

상된 교량은 콘크리트 크리프 및 건조수축에 의한 영향이 미소하므로 계산이동

량은 온도변화에 의한 이동량으로 산정토록 한다.

Page 50: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28 -

가) 계산 유간량 산정

① 이동량 조사시 온도 : 26.0℃ (2012년 6월 19일)

② 검토온도 : -20℃∼40℃(한랭지방, 강교)

③ 교량받침 이동량 산정

㉠ 온도변화에 의한 이동량

Δℓt = ΔT․α․L

여기서 ΔT : 온도변화 - 동절기(-20℃-26.0=-46.0℃)

- 하절기(40℃-26.0℃=14.0℃)

α : 선팽창계수(1.2×10-5)

L : 신축거더의 길이

㉡ 활하중에 의한 거더의 처짐으로 발생하는 이동량

Δℓr = ∑ (hi × θi )

여기서, hi : 보의 중립축에서 받침 회전 중심까지의 거리 (2/3h)

θi : 받침까지의 보의 회전각(강교=1/150)

∴ Δℓr1 : 2/3 × 1.80 × 103 × 1/150 ≒ 8.0㎜

【표 3.12】신축이음 계산유간량 산정결과

위치

온도변화(ΔT)

선팽창

계수

신축

거더

길이

(L)

온도에 의한

이동량(mm)

활하중에

의한 거더의

처짐으로

발생하는

이동량(mm)

최대이동량(mm)

동절기

(℃)

하절기

(℃)동절기 하절기

동절기

(최대

수축시)

하절기

(최대

신장시)

MB6 46.0 14.0 1.2×10-5 79.0 43.6 13.3 8.0 51.6 21.3

A1 46.0 14.0 1.2×10-5 79.0 43.6 13.3 8.0 51.6 21.3

나) 유간측정 결과

【표 3.13】신축이음 유간량 검토결과

신축이음신축

범위

신축

길이

(m)

설계

유간

(mm)

실측유간(mm) 계산신축량(mm)

평가 고정단위치 규격

수축

여유량

신장

여유량수축량 신장량

MB6 #100 MB6∼P2 79.0 100 63 37 51.6 21.3 O.K P2

A1 #100 P2∼A1 79.0 100 60 40 51.6 21.3 O.K P2

신축이음 유간량 검토결과 하절기 최대 신장시 실측유간이 계산유간을 상회하

는 것으로 측정되어 하절기 온도변화에 의한 신축이음 밀착은 없을 것으로 분석 되었다.

Page 51: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29 -

다) 유간측정 현황

신축유간 측정현황(MB6) 신축유간 측정현황(A1)

4) 손상물량 집계

【표 3.14】신축이음 손상물량 집계

위 치 손 상 내 용 물량 단위 개소 보수공법우선

순위

신축

이음

후타재 균열(cw=0.3mm이상) 2.40 m 4 유지관리 4

후타재 균열군 1.75 ㎡ 1 유지관리 4

유간내 이물질퇴적 9.00 m 3 주기적 청소 4

차수판 미설치 2.00 EA 2유지관리

(하부 유도배수)4

바. 강재주형

1) 외관조사 내용

- 1경간측 강재주형 내부는 부반력 제어를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

으며, 외관조사 결과 별도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은 양호한 상태로 조사되었다.

- 강재주형 내부 및 외부는 대체적으로 양호한 상태이나, 4경간측 하부 플렌지에

서는 신축이음 연석부 차수판 미설치로 인한 누수로 인해 바닥 체수가 발생되

어 우수유입 방지를 위한 차수대책이 요구된다.

- 또한 Splice부의 실링 미처리로 인해 우천시 우수 유입으로 인한 추가 손상이

발생 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해서 현장 이음부의 실링보수가

요구된다.

Page 52: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30 -

2) 주요 손상사진

단부체수

차수판 미설치연석부

우수유입스캘럽을 통한

바닥체수

지점부 하부 플렌지 바닥 체수(S4) 우수유입 경로

도장박리(S1) Splice부 실링 미처리(S2)

부반력 제어 콘크리트 상태양호 강재 주형 외부 상태양호

3) 손상물량 집계

【표 3.15】강재주형 손상물량 집계

위 치 손 상 내 용 물량 단위 개소 보수공법우선

순위

주형

내부

도장박리 0.02 ㎡ 2 도장보수 2

체수 0.80 ㎡ 1 스캘럽 실링보수 2

Splice 실링 미시공 5.60 ㎡ 28 실링보수 2

주형외부 상태양호        

Page 53: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31 -

3.2.2 하부구조

가. 교대 및 교각

1) 외관조사 내용

- A1 교대는 신축이음 연석부 차수판 미설치로 인한 누수로 인해 전면의 누수흔

적 및 오염이 조사되어 교대 상면 유도배수로 설치후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요

구된다.

- 또한 교대 및 교각에서 발생된 0.2mm이내의 미세균열은 지속관찰을 통해 유지

관리가 요구되며, 간헐적으로 발생된 0.3mm이상 균열 및 단면손상부에 대해서

는 하자보수에 의한 보수조치가 요구된다.

2) 주요 손상사진

교대 전면 누수흔적 및 오염(A1) 교각 코핑부 균열(cw=0.1mm)(P2)

3) 손상물량 집계

【표 3.16】교대 및 교각 손상물량 집계

위 치 손 상 내 용 물량 단위 개소 보수공법우선

순위

교대

균열(cw=0.2mm이하) 0.20 m 1 유지관리

박리형 균열(cw=0.3mm이상) 0.30 m 1 단면보수(T=10mm) 1(하자)

누수흔적, 오염 10.30 ㎡ 3

유지관리

(교대상부 유도배수

로 설치 선행)

4

토사적치 2.52 ㎡ 1 유지관리 4

교각

균열(cw=0.2mm이하) 35.55 m 46 유지관리 4

균열(cw=0.3mm이상) 5.30 m 6 주입보수 1(하자)

균열군(cw=0.2mm이하) 1.50 ㎡ 1 유지관리 4

파손, 콘크리트 패임 0.14 ㎡ 3 단면보수(T=10mm) 1(하자)

Page 54: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32 -

나. 받침장치

본 교량의 받침장치는 포트받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받침 배치도는 다음과 같다.

1) 외관조사 내용

- 포트받침의 외관상태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태이며, 경미한 0.1mm내외의 균열

이 받침 콘크리트 및 받침몰탈에 발생되어 현상태의 보수보다는 유지관리를 통

해 추가 균열 발생에 대한 지속관찰이 요구된다.

2) 주요 손상사진

받침몰탈 균열(cw=0.1mm)(A1) 받침 콘트리트 균열(cw=0.1mm)(P1)

Page 55: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33 -

3) 손상물량 집계

【표 3.17】받침장치 손상물량 집계

위 치 손 상 내 용 물량 단위 개소 보수공법우선

순위

받침

장치

무수축몰탈균열(cw=0.2mm이하) 1.20 m 8 유지관리

받침Con'c 균열(cw=0.2mm이하) 1.20 m 4 유지관리

재료분리 0.04 ㎡ 1 유지관리 4

4) 교량받침 전경

구분SH.1 SH.2

정면 측면 정면 측면

MB.6

P1

P2

• ↔

P3

A1

Page 56: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34 -

5) 교량받침 현황 및 외관조사 결과

구 분 받침종류 받침형식 받침용량 외관조사결과 비고

MB6

Sh1 포트 받침 일방향 1,300kN몰탈균열(0.1/0.1, 2EA)

받침콘크리트 균열(0.1/0.2)

Sh2 포트 받침 양방향 1,600kN몰탈균열(0.1/0.1)

받침콘크리트 균열(0.1/0.3)

P1

Sh1 포트 받침 일방향 3,500kN 받침콘크리트 균열(0.1/0.3)

Sh2 포트 받침 양방향 2,500kN 상태양호

P2

Sh1 포트 받침 일방향 3,000kN 상태양호

Sh2 포트 받침 양방향 2,500kN 상태양호

P3

Sh1 포트 받침 고정단 3,000kN 몰탈균열(0.1/0.1, 2EA)

Sh2 포트 받침 일방향 2,500kN몰탈균열(0.1/0.2, 2EA)

받침콘크리트 균열(0.1/0.4)

A1

Sh1 포트 받침 일방향 1,300kN 몰탈균열(0.1/0.1)

Sh2 포트 받침 양방향 1,000kN 상태양호

6) 연단거리 측정결과

① 개요

- 교대․교대 상부의 받침면은 상부구조로부터 집중하중을 받는 부위로 연단거리

가 짧으면 고정단에서는 교각 및 교대의 전면에서 콘크리트가 파손되거나 받침

이 파손되는 가동단에서는 받침이 벗어나 심한 경우 주 거더가 낙하할 수도 있

다. 교량의 교축방향의 받침연단과 하부구조 정부(頂部)연단 사이의 거리는 다

음 값(S)이상이어야 한다. 교량의 받침부 연단거리측정은 다음과 같이 측정한

다.

∙거더의 경간길이 100m이하 S= 200 + 5L (도로교설계기준)

∙거더의 경간길이 100m이상 S= 300 + 4L (도로교설계기준)

여기서, S : 받침연단거리(mm), L : 거더의 경간길이(m)

Page 57: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35 -

【그림 3.1】연단거리 측정기준

② 연단거리 측정결과

【표 3.18】연단거리 측정결과(단위 : mm)

위 치 SH1 SH2 연장(m) 기준(mm) 평가

MB6 850 850 39.0 S=200+5×39.0=395 O.K

P1시점 940 940 39.0 S=200+5×39.0=395 O.K

종점 940 940 40.0 S=200+5×40.0=400 O.K

P2시점 910 910 40.0 S=200+5×40.0=400 O.K

종점 910 910 40.0 S=200+5×40.0=400 O.K

P3시점 910 910 40.0 S=200+5×40.0=400 O.K

종점 910 910 39.0 S=200+5×39.0=395 O.K

A1 680 675 39.0 S=200+5×39.0=395 O.K

받침 연단거리를 측정한 결과, 도로교 설계기준의 최소값 이상으로 측정되어 연단

거리 부족으로 인한 낙교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7) 교량받침 이동량 검토

① 개요

- 가동받침 이동량 산정시 고려되는 항목은 온도변화, 활하중에 의한 거더의 처

짐, 건조수축, 크리프 등을 고려하나 원효로접속교는 준공 후 6년이 경과하였기

때문에 건조수축 및 크리프에 의한 변형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온도변화

및 활하중에 의한 거더의 처짐으로 발생하는 이동량을 검토하였다.

가) 이동량 조사시 온도 : 26.0℃ (2012년6월19일)

나) 검토온도 : -20℃∼40℃(한랭지방, 강교)

다) 교량받침 이동량 산정

Page 58: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36 -

② 온도변화에 의한 이동량

Δℓt = ΔT․α․L

여기서 ΔT : 온도변화 - 동절기(-20℃-26.0=-46.0℃)

- 하절기(40℃-26.0℃=14.0℃)

α : 선팽창계수(1.2×10-5)

L : 신축거더의 길이

③ 활하중에 의한 거더의 처짐으로 발생하는 이동량

교대부와 신축이음부 받침의 신장여유량에만 적용함.

Δℓr = ∑ (hi × θi )

여기서, hi : 보의 중립축에서 받침 회전 중심까지의 거리 (2/3h)

θi : 받침까지의 보의 회전각(강교=1/150)

∴ Δℓr1 : 2/3 × 1.80 × 103 × 1/150 ≒ 8.0㎜

【표 3.19】교량받침 이동량 산정

위치

온도변화(ΔT)선팽창

계수

신축

길이

(L)

Δℓt(mm)Δℓr

(mm)

최대받침이동량(mm)

동절기

(℃)

하절기

(℃)동절기 하절기

동절기

(최대수축시)

하절기

(최대신장시)

MB6 46.0 14.0 1.2×10-5 79 43.6 13.3 8.0 51.6 21.3

P1 46.0 14.0 1.2×10-5 40 22.1 6.7 0.0 22.1 6.7

P2 고정단

P3 46.0 14.0 1.2×10-5 40 22.1 6.7 0.0 22.1 6.7

A1 46.0 14.0 1.2×10-5 79 43.6 13.3 8.0 51.6 21.3

【표 3.20】교량받침 이동량 조사결과

위치측정 가동여유량(mm) 계산 가동여유량(mm)

평가 비고수축여유량 신장여유량 최대수축시 최대신장시

MB6Sh1 170 130

51.6 21.3양호

Sh2 165 135 양호

P1Sh1 113 87

22.1 6.7양호

Sh2 115 85 양호

P2 고정단

P3Sh1 115 85

22.1 6.7양호

Sh2 114 86 양호

A1Sh1 160 140

51.6 21.3양호

Sh2 160 140 양호

- 교량받침 검토결과 전개소에서 수축 및 신장 여유량은 설계기준을 만족 하는 것으로

측정되어 온도변화 따른 받침 여유량을 확보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Page 59: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37 -

8) 부반력 점검

- 본 교량은 곡선교량으로서 Box내부에 부반력제어를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 등 부반력에 대한 점검이 요구되어 다음과 같이 부반력 점검을

시행 하였다.

【표 3.21】교량받침 이동량 조사결과

점검 부위 점검 항목 점검결과

주거더

상향 처짐 없음

차량 통과시 교량 단부 움직임 없음

교량받침

받침본체 및 Sole Plate 들뜸 상태양호

앵커볼트 뽑힘 및 풀림, 파손 상태양호

받침부 충격음 상태양호

종횡방향 받침 어긋남 상태양호

Set Bolt 손상 및 결손 상태양호

스토퍼 손상 스토퍼 없음

곡선외측 정반력 받침부 손상 상태양호

신축이음부

단차 및 파손 상태양호

소음 및 진동 상태양호

받침부 콘크리트

콘크리트 상단부 균열 및 파손 경미한 균열발생

받침과 콘크리트부 접합상태 상태양호

- 본 교량에 대한 부반력 점검결과 받침 콘크리트 및 받침몰탈에 경미한 균열이

발생되었으나, 대체적으로 양호한 상태로 조사되었으며, 금번 점검결과를 토대

로 손상 진전여부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요구된다.

Page 60: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38 -

다. 접속옹벽

1) 외관조사 내용

- 교량 종점측은 접속 옹벽이 설치되어 있으며, 외관조사 결과 대체적으로 양호한

상태이나, 방호벽 측에서 0.1∼0.3mm내외의 균열이 간헐적으로 발견되어 내구

성 저하 방지를 위해 주입보수에 의한 보수가 요구된다.

- 또한 방호벽 신축이음부에서는 건조수축 및 상부 방음벽 구속등에 의한 원인에

의해 0.3mm 균열이 발생되어 균열 주입보수 후 재 손상 발생시 방음벽의 신축

거동이 가능하도록 조치가 요구된다.

2) 주요 손상사진

신축이음부 균열(cw=0.3mm) 방호벽 균열(cw=0.2mm)

3) 손상물량 집계

【표 3.22】접속옹벽 손상물량 집계

위 치 손 상 내 용 물량 단위 개소 보수공법우선

순위

방호벽

균열(cw=0.2mm이하) 1.30 m 1 유지관리 4

균열(cw=0.3mm이상) 2.50 m 3 주입보수 1(하자)

균열부백태(cw=0.2mm이하) 1.90 m 2 주입보수 1(하자)

시선유도 도장박리 72.00 ㎡ 2 유지관리 4

옹벽

균열(cw=0.2mm이하) 8.50 m 5 유지관리 4

균열(cw=0.3mm이상) 4.80 m 4 주입보수 1(하자)

충격흡수대 파손 1.00 EA 1 일상유지보수 4

Page 61: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39 -

3.2.3 외관조사 결과 비교 분석

가. 전회차 점검과의 손상수량 비교

【표 3.23】전회차 점검과의 손상수량 비교

구분 손 상 내 용 단위2010년 2012년 비고

(증감)물량 개소 물량 개소

포장 ASP 박락, 강판노출 ㎡ - - 0.06 1 ▲

난간

난간미세변형 m  - - 6.00 1 ▲

난간 레일파손(3단) m

8.00 4

4.00 1 ▲

난간 레일변형(1단) m 20.00 8 ▲

난간 레일변형(3단) m 30.00 2 ▲

난간 지주변형 EA - - 10.00 10 ▲

난간 지주이탈 EA - - 2.00 2 ▲

연석 긁힘, 부식 ㎡ 5.85 13 38.53 28 ▲

신축

이음

후타재 균열(0.3mm이상) m - - 2.40 4 ▲

후타재 균열군 ㎡ - - 1.75 1 ▲

유간내 이물질퇴적 m 9.00 3 9.00 3 -

차수판 미설치 EA - - 2.00 2 ▲

배수

시설

배수구 막힘, 이물질 퇴적 EA - - 3.00 3 ▲

배수관 설치불량 m - - 1.00 1 ▲

강재

주형

도장박리 ㎡ - - 0.02 2 ▲

체수 ㎡ - - 0.80 1 ▲

Splice 실링 미시공 EA 5.60 28 5.60 28 -

교대

균열(0.2mm이하) m 0.70 1 0.20 1 ▽

박리형 균열(0.3mm이상) ㎡ 1.00 1 0.30 1 ▽

누수흔적, 오염 ㎡ 1.80 1 10.30 3 ▲

토사적치 ㎡ - - 2.52 1 ▲

교각

균열(0.2mm이하) m 1.60 4 35.55 46 ▲

균열(0.3mm이상) m 5.20 6 5.30 6 -

균열군(0.2mm이하) ㎡ - - 1.50 1 ▲

파손, 콘크리트 패임 ㎡ - - 0.14 3 ▲

받침

장치

무수축몰탈균열(0.2mm이하) m 0.50 4 1.20 8 ▲

받침CON'C 균열(0.2mm이하) m - - 1.20 4 ▲

재료분리 ㎡ 0.04 1 0.04 1 -

균열(0.2mm이하) m 1.30 1 1.30 1 -

균열(0.3mm이상) m 2.50 3 2.50 3 -

균열부백태(0.2mm이하) m - - 1.90 2 ▲

시선유도 도장박리 ㎡ - - 72.00 2 ▲

균열(0.2mm이하) m - - 8.50 5 ▲

균열(0.3mm이상) m 1.10 2 4.80 4 ▲

충격흡수대 파손 EA - - 1.00 1 ▲

Page 62: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40 -

3.3 비파괴시험

3.3.1 개 요

시설물의 구성 재료에 대한 내구성평가는 주재료인 콘크리트의 재료적 건전성을

평가하고, 각 부재에 발생된 손상에 대해 그 원인을 분석하는 기본 자료로 활용할 수 있

도록 하였으며, 시설물의 장기적인 내구성, 사용성 및 안전성 등을 평가하기 위해 본 조

사를 수행하였다.

가. 시험 현황 및 위치도

본 과업의 부재별 비파괴시험 현황 및 위치도는 【표 3.24】, 【그림 3.2】과 같다.

【표 3.24】비파괴시험 수행 현황

구 분 시 험 구 분 시험장비기본과업

재료시험 수량금회 수량 비 고

원효로접속교반발경도시험 Schmidt Hammer 8개소 9개소

탄산화 시험 페놀프탈레인 3개소 3개소

반발경도시험 현황 탄산화 깊이 시험 현황

성산대교 원효로

P1 P2

P3

: 반발경도

범 례

: 탄산화

【그림 3.2】 비파괴시험 위치도

Page 63: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41 -

3.3.2 반발경도시험

개 요

∘콘크리트 표면의 반발경도를 측정하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추정하는 검사방법이다.

∘슈미트해머는 경화된 콘크리트 표면을 타격시, 반발도(R)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f c')와의

사이에 특정 상관관계가 있다는 실험적 경험을 기초로 한다.

시험방법

∘반발경도 측정은 선정된 부위에 그라인딩 작업으로

표면 정리를 한 다음 타격점 상호간의 종․횡 간격을

30mm기준으로 그어 직교되는 부위에 20점 이상을

타격하여 반발경도 값의 산술 평균값을 구하고, 각

반발경도 값이 평균값의 ±20% 범위를 벗어나는

값들은 제외시키고 나머지 값들을 다시 산술평균하여

반발경도를 결정

∘보-기둥의 모서리에서는 최소 30∼60mm 이격 하고,

측정부재의 최소두께는 반발도의 영향을 고려하여

100mm이상을 원칙으로 함

∘측정치는 원칙적으로 정수값을 읽고, 표면 건조상태의

부위를 선정, 측정하여 건습에 따른 보정, 압축응력에

따른 반발도의 보정과 타격 방향에 대한 보정 및

재령에 따른 보정을 적용함

측정기의 기종 선정↓

점검기에 의한 정도확인↓

측정 장소의 확인, 요철제거↓

Marker 등에 의한 측정점의 표시↓

측정, 20점 이상의 평균↓

타격 방향, 습윤 및 재령의 보정↓

강도추정식에 의한 압축강도 산출↓

압축강도의 추정

<반발경도법에의한강도추정흐름도>

보정방법

∘타격방향에 따른 보정(ΔR1)

반발경도(R)

수평과 이루는 각도비고

+90° +45° -45° -90°

10 - - +2.4 +3.2

상향수직

: +90°

하향수직

: -90°

20 -5.4 -3.5 +2.5 +3.4

30 -4.7 -3.1 +2.3 +3.1

40 -3.9 -2.6 +2.0 +2.7

50 -3.1 -2.1 +1.6 +2.2

60 -2.3 -1.6 +1.3 +1.7

∘압축부재의 고정하중 응력에 따른

보정(ΔR2)

압축응력 1.0kgf/cm2 인 경우 ΔR2 =

-0.015R, 2.5kgf/cm2 인 경우 ΔR2 =

-0.05R 정도임

<압축응력에 따른 반발경도 보정곡선>

∘콘크리트의 습윤상태에 따른 보정(ΔR3)

기건상태 : ΔR3=0, 습윤상태 ΔR3= +5

습하고 타격의 흔적 : ΔR3 = +3

■콘크리트 재령에 따른 보정(α)

구분 7일 14일 21일 28일 100일 500일 750일 1000일 2000일 3000일

재령(α) 1.72 1.36 1.12 1.00 0.78 0.67 0.66 0.65 0.64 0.63

∘Ro = R + ΔR (⇒ ΔR = ΔR1 + ΔR2 + ΔR3)

여기서, ΔR1 : 타격방향에 따른 보정값

ΔR2 : 압축부재의 고정하중 응력에 따른 보정값

ΔR3 : 콘크리트의 습윤상태에 따른 보정값

압축강도

추정식

∘산식 1 : Fc = -18.0+1.27×Ro (MPa) ⇒ 일본 재료학회 추정식

∘산식 2 : Fc = (7.3Ro + 100)×0.098 (MPa) ⇒ 일본 건축학회 추정식

※콘크리트 및 강재 비파괴시험 매뉴얼(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2006.12) 참조

※콘크리트 내구성 평가절차 수립(건설교통부, 시설안전기술공단, 1999.12) 참조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국토해양부, 한국시설안전공단, 2010.12) 참조

Page 64: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42 -

가. 평가 근거

반발경도법의 강도조사 결과에 대한 평가근거 및 내용은 아래와 같다.

구 분 내 용

평가근거 ∘설계기준 강도(하부 : 24MPa)

평가내용∘각 제안식의 평균값으로 압축강도를 산정함.

∘부재별 압축강도 산정은 조사 개소의 평균값으로 산정함.

나. 반발경도시험 결과

반발경도시험에 의한 콘크리트 강도 조사결과 전 구간에서 설계기준강도를 상회하

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시험결과는 다음 【표 3.25】와 같다.

【표 3.25】 반발경도시험에 의한 콘크리트 강도추정 결과

구분 위 치

반 발 경 도 기준

경도

(RO)

보정 압축강도

(MPa) 재령

계수

압축

강도

(MPa)

설계

강도

(MPa)평균치타격

각도

보정

계수

산식

(1)

산식

(2)

하부구조

교대 전면벽체 A1 46.7 0° 0.00 46.7 26.4 27.6 0.64 27.0

24.0

교각 코핑부 MB6(1) 45.0 0° 0.00 45.0 25.0 26.9 0.64 25.9

교각 코핑부 MB6(2) 43.7 0° 0.00 43.7 24.0 26.3 0.64 25.1

교각 코핑부 P1(1) 44.4 0° 0.00 44.4 24.5 26.6 0.64 25.6

교각 코핑부 P1(2) 44.1 0° 0.00 44.1 24.3 26.4 0.64 25.4

교각 코핑부 P2(1) 42.8 0° 0.00 42.8 23.2 25.8 0.64 24.5

교각 코핑부 P2(2) 44.1 0° 0.00 44.1 24.3 26.5 0.64 25.4

교각 코핑부 P3(1) 43.7 0° 0.00 43.7 24.0 26.3 0.64 25.1

교각 코핑부 P3(2) 43.4 0° 0.00 43.4 23.7 26.1 0.64 24.9

【표 3.26】 반발경도시험에 의한 압축강도 추정결과 분석

구 분측정압축강도

(MPa)

평균압축강도

(MPa), A

설계기준강도

(MPa), BA/B × 100(%)

원효로

접속교하부구조 24.5~27.0 25.4 24.0 106.0

Page 65: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43 -

3.3.3 탄산화시험

개 요

■경화콘크리트는 표면에서 서서히

탄산화 하여 pH값은 12∼13에서 8

∼10이하로 감소한다. 이 과정을 콘

크리트의 탄산화라고 한다.

CaO + H2O → Ca(OH)2

Ca(OH)2 + CO2 → CaCO3 + H2O

■콘크리트는 탄산화에 의해 직접적

으로 성능이 저하되는 것은 아니며,

단지 탄산화가 문제가 되는 이유는

탄산화가 피복두께를 넘어서 철근

의 표면에 도달하게 되면 철근표면

을 감싸고 있던 부동태 피막이 파

괴되면서 철근표면에 부식이 시작

되기 때문이다.

<탄산화에 의한 콘크리트 성능저하 과정>

측정

방법

■드릴링에 의해 발생되는 콘크리트가루가 페놀프

탈레인용액을 적신 원형시험지에 떨어져 변색되

는 시점을 탄산화깊이로 정하는 방법

시험

순서

① 탄산화시험 위치 선정

② 페놀프탈레인 1% 용액을 적신 원형시험지 준비

③ 페놀프탈레인용액을 적신 원형시험지를 드릴 밑에 두고 드릴링 시작

④ 원형시험지가 변색되는 시점에 드릴링 멈춤

⑤ 드릴링된 깊이(mm) 측정, 평균값 선정

평가

기준

등급

구분a b c d e

탄산화

잔여 깊이30mm 이상

10 mm 이상

∼ 30mm 미만

0 mm 이상

∼ 10mm 미만0mm 미만 -

철근부식의

가능성

탄산화에 의한

부식발생 우려 없음

향후 탄산화에 의한

부식발생 가능성 있음

경우에 따라서

탄산화에 의한

부식발생 가능성 높음

철근부식 발생 -

<탄산화 상태평가 기준>

※콘크리트 및 강재 비파괴시험 매뉴얼(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2006.12) 참조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국토해양부, 한국시설안전공단, 2010.12) 참조

Page 66: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44 -

내 구

수 명

평 가

콘크리트의 탄산화가 진행하여 철근에 다다르게 되면 철근의 부식이 시작된다. 그러나 철근주변

까지 콘크리트가 탄산화 되었다고 해서 바로 부식이 발생하여 철근의 단면 결손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내외의 환경조건에 따라 철근 부식 조건이 달라진다. 실외에서는 탄산화영역이 철근

위치에 도달하면 급속하게 철근의 부식이 발생하는 반면, 실내의 경우는 탄산화영역이 철근에 도달

해도 급속하게 부식하는 경우는 없고, 탄산화영역이 피복두께를 20~30mm 지나치는 시점에서 부식

이 시작된다.

콘크리트가 탄산화 되어 철근의 부식이 시작되고, 수명에 이르는 개념을 아래 그림에 나타내었다.

즉 t1은 탄산화영역이 철근표면에 도달하는 시점, t2는 그 결과 철근이 부식되고 콘크리트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시점, t3은 부재내력이 한계에 달하는 시점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은 t1의 시점이라고 판단되어 왔으나 실제 구조물에 적용할

경우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게 된다. 전문가에 따라서는 t1의 시점이 반드시 철근의 유해한 부식량

의 시점이라고는 생각되지 않기 때문에, t2의 시점을 수명으로 산정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이

있으므로 아직까지는 명확한 수명을 판단하기가 어렵다. 또한 다양한 환경조건에 따라 t1에서 t2 도

달까지의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본 과업에서는 탄산화에 대한 내구수명으로서 t1에 도달할 때까지

의 시간으로 결정하고 내구수명을 산정하였다.

D점의 상황부재내력의저하

철근

C점의 상황균열의 발생

B점의 상황철근부식의 발생

탄산화깊이

<콘크리트 내부에서의 철근부식의 개념>

대기 중의 탄산가스에 의한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의 탄산화 진행을 경과시간의 함수로서 표현

한 것이 탄산화 속도식이다. 탄산화가 정상상태에서 탄산가스의 콘크리트내부 확산에 따라 생긴다

고 가정하면, 탄산화깊이 C는 경과시간 t의 평방근에 비례한다고 하는 식이 도출된다. 이것은 통상,

t 법으로 불리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C=A t

위의 식에서 계수 A는 탄산화속도 계수라고 하며, A의 수치가 큰 만큼 탄산화 속도가 크게 된

다. 계수 A는 콘크리트의 재료적 요인 및 환경조건에 의해 정해지는 복잡한 함수이다.

본 과업에서 탄산화에 의한 수명 평가는 경과 년수와 탄산화깊이와의 관계를 통해 탄산화 속도

계수를 역 추적하여 탄산화가 철근에 도달하는 시간을 계산하였다. 앞서 언급한 식 C=A t 에서

준공 후 현재까지의 경과년수 t는 설계도로부터 구할 수 있고 탄산화 깊이 C는 현장조사를 통하여

얻을 수 있으므로 탄산화 속도계수 A를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음 식을 통하여 현재로부터

탄산화가 철근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t d는 현재로부터 탄산화가 철근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 D c는 현장조사로부터 얻

어진 철근까지의 피복두께(mm), A는 탄산화시험으로부터 계산된 계수, t0는 현재의 구조

물 경과시간이다.

Page 67: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45 -

가. 탄산화 깊이 측정결과

탄산화깊이 측정 결과 탄산화 깊이는 4.3~6.1㎜(철근까지의 최소잔여깊이:44.0㎜)로

나타나 측정위치의 철근피복두께를 고려할 때 “a”의 상태로 평가되어 전반적으로 탄산화

에 의한 철근의 부식 발생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전 부재에서 잔존수

명(철근까지의 탄산화 도달시간)이 100년 이상 확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3.27】 탄산화 깊이 측정결과

부 재준공

년도

경과

년수

탄산화깊이

(mm)

최소

철근피복

(mm)

탄산화

속도

계수

(A)

잔존

수명

예측

(년)

철근까지의

잔여깊이

(mm)

상태

평가비고

하부

구조

교대A1

2006 6

4.30 44 1.76 ∞ 39.7 a

교각P1 6.10 85 2.49 ∞ 78.9 a

교각P3 5.50 79 2.25 ∞ 73.5 a

※ 측정된 잔존수명이 100년 이상일 경우 ∞ 로 표기

※ 콘크리트 및 강재 비파괴시험 매뉴얼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2006.12) 참조

※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 교량편 (국토해양부, 한국시설안전공단, 2010.12) 참조

【그림 3.3】 탄산화 깊이 시험 결과

Page 68: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 46 -

3.3.4 기 점검과의 내구성 비교

【표 3.28】전회차 점검과의 내구성 비교분석

구분 2010년 시험결과 2012년 시험결과 비고

반발경도 측정

교대 - 29.0MPa

교각 - 26.5∼27.8MPa

(평균 : 27.2MPa)

교대 - 27.0MPa

교각 - 24.5∼27.0MPa

(평균 : 25.4MPa)

탄산화 시험

교대 - a등급(3.5mm)

교각 - a등급(4.0∼4.5mm)

(평균 : 4.3mm)

교대 - a등급(4.3mm)

교각 - a등급(5.5∼6.1mm)

(평균 : 5.8mm)

<반발경도 측정비교>(MPa) <탄산화 시험비교>(mm)

Page 69: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제 4 장 시설물의 상태평가

4.1 개 요

4.2 상태평가 기준

4.3 상태평가 항목 및 기준

4.4 상태평가결과 산정방법

4.5 상태평가 결과

Page 70: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Page 71: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4장 시설물의 상태평가

- 49 -

제 4장 시설물의 상태평가제 4장 시설물의 상태평가

4.1 상태평가 개요

시설물의 상태평가는 재료시험 및 외관조사에 의해 시설물의 각 부재로부터 발견

된 상태변화(결함, 손상, 열화)를 근거로 하여「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교량

편)」의 상태평가 기준에 따라 실시한다.

상태평가가 정확히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는 동시에 기록용 문서로서 이용하기 위하

여 안전점검을 실시한 사람은 외관조사 결과를 안전점검 서식에 각각의 결함의 형태, 크

기, 양 및 심각한 정도 등을 기록하여야 한다.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상태평가를 위하여 시설물의 외관조사 및 내구성조사 등 각

항목에 대한 상태평가 기준을 수록하였고, 시설물의 평가 체계에 따라 평가 결과를 산정

한다. 또한 안전점검 수행 책임기술자는「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교량편)」

의 상태평가 기준 및 절차에 따라 조사 및 평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2 상태평가 기준

기본시설물 또는 주요 부재에 대하여 점검하고, 외관조사망도를 작성하여 상세히

상태평가를 실시하며, 외관조사망도를 작성하지 않은 부위는 이전의 안전점검 및 정밀안

전진단 보고서에 수록된 상태평가 결과를 참조하여 책임기술자가 시설물 전체에 대한 상

태평가 결과를 작성한다.

Page 72: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4장 시설물의 상태평가

- 50 -

4.3 상태평가 항목 및 기준

4.3.1 부재별 상태평가 적용범위

【표 4.1】부재별 상태평가 적용 범위

부재의 분류 차등 적용범위

상부구조

바닥판, 거더 a, b, c, d, e

2차부재(가로보 및 세로보) a, b, c, d

하부구조 교대 및 교각, 기초 a, b, c, d, e

받침 교량받침 a, b, c, d, e

기타부재 신축이음, 난간 및 연석, 배수시설, 교면포장 a, b, c, d

콘크리트 재료 탄산화 a, b, c, d

4.3.2 부재별 상태평가 기준

가. 콘크리트 바닥판

【표 4.2】콘크리트 바닥판 상태평가 기준

기준균 열

열화 및 손상1방향균열 2방향균열

a ∘균열폭 0.1mm미만 ∙망상균열폭 0.1mm미만 ∙없음

b

∘균열폭

0.1mm이상~0.3mm미만

∘균열율 2%미만

∘망상균열폭

0.1mm이상~0.3mm미만∘표면 손상면적 2%미만

c

∘균열폭

0.3mm이상~0.5mm미만

∘균열율

2%이상~10%미만

∘망상균열폭 0.3mm이상

∘표면 손상면적 2%이상~10%미만

∘철근부식 손상면적 2%미만

∘데크플레이트 박리 및 누수 발생

d

∘균열폭

0.5mm이상~1.0mm미만

∘균열율

10%이상~20%미만

∘망상균열의 진전으로 인한

콘크리트 박리 발생

∘표면 손상면적 10%이상

∘철근부식 손상면적 2%이상

∘데크플레이트 박리가 심하고 누수로

인한 부식발생

e∘균열폭 1.0mm이상

∘균열율 20%이상

∘망상균열에 의한 박리가

심하여 펀칭 파괴 발생 가

능성 있음

∘부식으로 인한 철근의 단면감소가 심

하여 바닥판의 안전성이 저하되는 경

Page 73: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4장 시설물의 상태평가

- 51 -

나. 강바닥판, 강거더 및 강 교각(강 주탑)

【표 4.3】강 바닥판, 강거더, 강 교각(강 주탑) 상태평가 기준

기준

모재 및 연결부 손상

표면열화부재균열 변형, 파단

연결볼트

이완, 탈락용접연결부 결함

a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b∘보조부재의국부적 균열

∘보조부재의국부적 변형

∘보조부재의2%미만

∘부분적 용접불량(기공, 슬래그, 언더컷)

∘도장탈락 면적10%미만∘부식발생 면적2%미만

c

∘보조부재의국부적 균열∘주부재의국부적 균열

∘보조부재의 전반적 변형 및 파단∘주부재의국부적 변형∘주탑하단부 연결볼트 부식

∘보조부재2%이상~10%미만∘주부재2% 미만

∘주부재의 심한용접불량(기공, 슬래그, 언더컷)∘부분적 용입부족,용접누락

∘도장탈락 면적10%이상∘부식발생 면적2%이상~10%미만

d∘주부재의전반적 균열

∘주부재의 전반적변형 및 파단∘좌굴에 의한 주부재 변형∘주탑하단부 연결볼트 파단

∘보조부재10%이상∘주부재2%이상~10%미만

∘인장플랜지 용접연결부 용입부족및 용접누락으로인한 안전성저하

∘부식발생 면적10%이상∘부식에 의한단면손상 면적10%미만

e∘균열의 주부재단면의 20%이상진전

∘좌굴에 의한 과대변형 및 파단으로 주부재의안전성 저하

∘주부재10%이상

∘인장플랜지 용접연결부 균열진전으로 인해 연결기능 상실

∘부식에 의한단면 손상 면적10%이상

다. 강 가로보 와 세로보

【표 4.4】강 가로보와 세로보 상태평가 기준

기준

모재 및 연결부 손상

표면열화부재균열 변형, 파단

연결볼트

이완, 탈락용접연결부 결함

a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b∘보조부재의국부적 균열

∘보조부재의국부적 변형

∘보조부재의2%미만

∘부분적 용접불량(기공, 슬래그, 언더컷)

∘도장탈락 면적10%미만∘부식발생 면적2%미만

c

∘보조부재의국부적 균열∘주부재의국부적 균열

∘주부재의국부적 변형∘변형 및 충격에의한 손상발생

∘보조부재2%이상~10%미만∘주부재2% 미만

∘주부재의 심한용접불량(기공, 슬래그, 언더컷)∘부분적 용입부족,용접누락

∘도장탈락 면적10%이상∘부식발생 면적2%이상~10%미만∘부식에 의한 단면손상 면적 2%미만

d∘주부재의전반적 균열

∘주부재의 압축부좌굴에 의한 변형∘부재의 파단 발생

∘보조부재10%이상∘주부재2%이상

∘인장플랜지 용접연결부 용입부족및 용접누락으로인한 안전성저하

∘부식발생 면적10%이상∘부식에 의한 단면손상 면적 2%미만

e - - - - -

Page 74: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4장 시설물의 상태평가

- 52 -

라. 교대

【표 4.5】교대 상태평가 기준

기준 균 열 열화 및 손상

a ∘구체 균열폭 0.1mm 미만 ∘없음

b ∘구체 균열폭 0.1mm이상~0.3mm미만∘표면 손상면적 2%미만

∘앵커블록 내부 결로 발생

c∘구체 균열폭 0.3mm이상~0.5mm미만

∘교대와 날개벽 사이에 폭 1.0mm이상의 균열발생

∘표면 손상면적 2%이상~10%미만

∘철근부식 손상면적 2%미만

∘앵커블록 내부 결로에 의한 체수

d

∘구체 균열폭 0.5mm이상~1.0mm미만

∘날개벽 기울음 및 손상 심화

(배면토 유출)

∘기초의 부등침하로 인한 구체 기울음

∘표면 손상면적 10%이상

∘철근부식 손상면적 2%이상

e

∘구체 균열폭 1.0mm이상

∘날개벽 전도 위험 있음

∘부등침하로 인한 교대 안전성 저하

∘코핑부 파손으로 인하여 거더의 탈락

가능성 있음

∘심한 철근부식으로 인하여 교대의 안

전성이 저하됨

마. 콘크리트 교각

【표 4.6】콘크리트 교각 상태평가 기준

기준 균 열 열화 및 손상

a ∘균열폭 0.1mm 미만 ∘없음

b ∘균열폭 0.1mm이상~0.3mm미만 ∘표면 손상면적 2%미만

c ∘균열폭 0.3mm이상~0.5mm미만∘표면 손상면적 2%이상~10%미만

∘철근부식 손상면적 2%미만

d∘균열폭 0.5mm이상~1.0mm미만

∘기초의 부등침하로 인한 교각 기울음

∘표면 손상면적 10%이상

∘철근부식 손상면적 2%이상

e∘균열폭 1.0mm이상

∘부등침하로 인한 교각 안전성 저하

∘코핑부 파손으로 인하여 거더의 탈락 가능성 있음

∘심한 철근부식으로 인하여 교대의 안전성이 저하됨

Page 75: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4장 시설물의 상태평가

- 53 -

바. 기초

【표 4.7】기초 상태평가 기준

기준 기초(직접, 말뚝, 케이슨)손상 지반의 안전성

a ∘없음 ∘없음

b∘직접기초(확대기초)에 폭 0.3mm미만의

균열 발생

∘매립된 직접기초(확대기초)의 상부가 세굴 등에

의해 노출됨

c∘직접기초(확대기초)에 폭 0.3mm 이상의

균열 및 단면손상 발생

∘침하가 20mm미만 발생

∘세굴이 직접기초(확대기초)의 하단까지 진행되어

말뚝 및 케이슨기초가 부분적으로 노출됨

d

∘직접기초(확대기초)의 파손으로 인한 철

근노출 발생

∘침식, 충돌 등에 의한 말뚝 및 케이슨 기

초의 철근노출 발생

∘침하가 20mm이상 발생

∘세굴에 의해 말뚝 및 케이슨 기초가 전반적으로

노출됨

∘기초의 부등침하 및 측방유동에 의해 교대/교각이

기울음

e∘기초의 파손 및 침식으로 인한 하부구조

물의 안전성 저하

∘기초의 부등침하 및 측방유동에 의한 교대/교각의

기울음으로 인해 상부구조의 단차 및 파손 발생

사. 교량받침

【표 4.8】교량받침 상태평가 기준

기준받침 본체

받침 콘크리트탄성받침 강재받침

a ∘양호 ∘양호 ∘양호

b∘미세균열, 갈라짐 등

경미한 열화

∘외부 도장 탈락 및 부식

∘도장탈색, 먼지 쌓임

∘부분적 박리, 탈락 등

손상

c

∘측면 부풀음

∘받침두께의 0.3배 미만의 전단

변형

∘미끄럼판 부식 발생

∘부분적 변형, 고정장치 파손 및

이완

∘받침 콘크리트에

0.3mm이상 균열 발생

∘박리, 탈락 등 손상으로

지지단면 감소, 기능상

장애

d

∘고무재 파손 및 단차, 균열심화

∘받침두께의 0.3배 이상의 전단

변형

∘받침이 밀착되지 않고 떠 있는

부분이 전체 면적이 1/2미만

∘받침 본체 부식으로 인한 받침

신축거동 장애발생

∘받침 본체 파손

∘받침이 밀착되지 않고 떠 있는

부분이 전체 면적이 1/2미만

∘받침 콘크리트 파손 및

하부 공동으로 받침의

탈락 및 침하 발생 가능

성 저하

e

∘받침 신축기능 불량으로 인하여

받침 본체 및 거더(바닥판)의

파손 발생

∘받침이 밀착되지 않고 떠있는

부분이 전체 면적의 1/2 이상

∘받침 신축기능 불량으로 인하여

거더 등 주부재의 파손 발생

∘받침이 밀착되지 않고 떠있는 부

분이 전체 면적의 1/2 이상

∘작동불능 상태

-

Page 76: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4장 시설물의 상태평가

- 54 -

아. 신축이음

【표 4.9】신축이음 상태평가 기준

기준 본 체 후타재

a ∘없음 ∘양호

b ∘토사, 이물질 퇴적 ∘고무판 노화 ∘미세균열 발생

c

∘물받이 미설치 또는 파손으로 인한 누수

∘유간사이 이물질로 기능불량, 고무판 마모, 국부

적인 부식 등의 열화

∘고무판 균열, 볼트 또는 너트의 부분 탈락

∘누수로 인하여 신축이음 하부의 받침 및 코핑부

에 이물질 퇴적 및 부식 발생

∘균열이 50cm이하의 간격으로 발생

∘국부적인 박리, 박락, 파손

d

∘강판유동 및 연결 불량으로 이상음 발생

∘신축유간이 밀착으로 인한 거동불량

∘신축유간이 넓어 차량 통행에 지장 초래

∘신축이음 본체 탈락, 파손 및 작동 불능

∘신축이음의 심한 파손 및 단차로 인하여

차량통행시 충격 발생

∘파손 범위가 후타재 폭 이상으로 큼

e - -

자. 교면포장

【표 4.10】교면포장 상태평가 기준

기준 포장불량 배 수

a ∘미세균열 ∘없음 ∘없음

b ∘포장불량 2%미만∘포장손상이 미미하여 주행에

영향 없음

∘배수구배 및 배수시설 불량에 의한

부분적 물고임

c∘포장불량

2%이상~10%미만

∘포장손상으로 인하여 차량의

통행에 영향 있음

∘배수구배 및 배수시설 불량에 의한

물고임 발생으로 주행성 저하

d ∘포장불량 10%이상 ∘전반적인 재포장이 필요한 상태∘배수불량에 의한 물고임으로 통행 차

량의 안전성 저하

e - -

Page 77: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4장 시설물의 상태평가

- 55 -

차. 배수시설

【표 4.11】배수시설 상태평가 기준

기준 상태기준 설명

a ∘양호

b ∘다소의 퇴적물이 있으나 배수에는 이상 없음

c

∘배수시설의 상태불량, 길이부족 ∘많은 퇴적물, 누수

∘누수로 인하여 구조물 부식 발생

∘배수관 유출구 위치가 부적절하여 하부 통행에 따른 위험 초래

d ∘파손이나 노후화로 인하여 재설치가 필요한 상태

e -

카. 난간 및 연석

【표 4.12】난간 및 연석 상태평가 기준

기준 강 재 콘크리트

a ∘양호 ∘양호 ∘양호

b ∘도장 불량 10%미만∘고정장치 및 연결재의 이완이

국부적 발생∘경미한 손상, 0.3mm이하 균열

c

∘도장 불량 10%이상

∘부식으로 안한 단면 손상

10%미만

∘파손 및 탈락 10%미만

∘0.3mm이상 균열

∘박리, 파손, 철근노출 10% 미만

∘철근부식 손상길이 2%미만

d∘부식으로 안한 단면 손상

10%이상

∘파손 및 탈락 10%이상

∘낙석으로 인한 손상 발생

∘고정부 열화 및 손상으로 인한

전도의 위험이 있음(방음벽)

∘박리, 파손, 철근노출 10% 이상

∘철근부식 손상길이 2% 이상

e - -

타. 탄산화

【표 4.13】탄산화 상태평가 기준

기준 탄산화 잔여 깊이 철근부식의 가능성

a ∘30mm이상 ∘탄산화에 의한 부식발생 우려 없음

b ∘10mm이상 ~ 30mm미만 ∘향후 탄산화에 의한 부식발생 가능성 있음

c ∘0mm ~ 10mm미만 ∘탄산화에 의한 부식발생 가능성 높음

d ∘0mm미만 ∘철근부식 발생

e - -

Page 78: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4장 시설물의 상태평가

- 56 -

4.3.3 구조형식에 따른 부재별 가중치

【표 4.14】구조형식에 따른 일반교량의 부재별 가중치

구분결함도

평가항목

슬래브

교량

거더교량 라멘교

일반 거더교바닥판․거더

일체형

아치,

트러스거더

없음

거더있음

(복개구조물)일반

2차

부재

없음

바닥판

없음

바닥판

PSC

박스

콘크

리트

바닥판

바닥판

상부

바닥판 34 18 18 - 20 20 15 34 20 21

주 형 - 20 25 37 18 20 23 - 21 23

2차부재 - 5 - 11 5 3 5 - 5 -

하부교대/교각 20 13 13 18 13 13 34 24 24

기초 7 7 7 7 7 7 7 7 7

받침 교량받침 10 9 9 14 9 9 3 3 3

기타

신축이음 10 9 9 - 9 9 3 3 3

교면포장 7 7 7 - 7 7 7 7 7

배수시설 3 3 3 - 3 3 3 3 3

난간/연석 2 2 2 6 2 2 2 2 2

콘크

리트

탄산화상부 2(4) 2(4) - - 2(4) 2(4) -

4(7)하부 2(3) 2(3) 4(7) 4(7) 2(3) 2(3) 4(7)

염화물상부 2(0) 2(0) - - 2(0) 2(0) -

3(0)하부 1(0) 1(0) 3(0) 3(0) 1(0) 1(0) 3(0)

Page 79: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4장 시설물의 상태평가

- 57 -

4.4 상태평가결과 산정방법

4.4.1 상태평가등급 산정절차

개별부재에서 발견된 결함 및 손상에 대하여 평가한 후 각 상태평가 결과 중 최

저값을 개별부재 상태평가 결과로 산정한다.

한 경간 내에서 여러 부재가 있을 경우는 각 부재의 상태평가 기준 중 최저값을

경간(지점) 상태평가 결과로 산정한다.

4.4.2 전체 시설물의 상태평가 결과 결정

구조형식이 같은 부재에 대해 부재별로 평균하여 부재 상태평가를 결정한 후 구

조형식에 따른 부재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환산 결함도 점수를 구한다. 환산 결함도 점수

는 시설물 전체의 상태평가 결과를 산정하기 위한 기준값이며, 【표 4.15】의 결함도 점

수 범위에 따른 기준을 적용하여 시설물 전체에 대한 상태평가 결과를 구한다.

【표 4.15】결함도 점수 범위에 따른 기준

등 급 A B C D E

결함도범위 0≤ x〈0.13 0.13≤ x〈0.26 0.26≤ x〈0.49 0.49≤ x〈0.79 0.79≤ x

【그림 4.1】전체 교량의 상태평가 결과 산정 방법

Page 80: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4장 시설물의 상태평가

- 58 -

4.5 상태평가 결과

4.5.1 구조형식별 상태평가 결과

부재의 분류 상부구조2차부재

기타부재 받침 하부구조 내구성 요소

번호구조형식

바닥판 거더 가로보 포장 배수난간연석

신축이음

교량받침

하부 기초탄산화(상)

탄산화(하)

1 STB a b a b a b b b b Q X X

2 STB a a a a c c X b c Q X a

3 STB a a a a b c X a b Q X X

4 STB a a a a a b X b c Q X a

5 STB X X X X X X c b c Q X a

평균 0.100 0.125 0.100 0.125 0.200 0.300 0.300 0.180 0.320 N/A N/A 0.100

가중치 20 18 5 7 3 2 9 9 20 N/A N/A 7

(평균×가중치)/가중치합

0.020 0.023 0.005 0.009 0.006 0.006 0.027 0.016 0.064 N/A N/A 0.007

1. 환산결함도 점수 = 0.182

2. 상태평가 결과 = B

4.5.2 전체 교량의 상태평가 결과

구 분환산

결함도점수

상태평가

결과

연장

(m)차선

길이×

차선연장비

환산결함도점수

×연장비

STB 0.182 B 158 1 158 1.000 0.182

합계(∑) 158   158 1 0.182

1. 환산결함도 점수 = 0.182

2. 상태평가 결과 = B

Page 81: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4장 시설물의 상태평가

- 59 -

4.5.3 결과 분석

원효로접속교에 대한 상태평가결과, 기 정밀점검(2010년) 결과와 비교했을 때 외관

조사시 난간변형 및 부식과 배수구 막힘, 교각 기둥부의 균열, 교량받침 무수축몰탈 균열

등이 추가 조사되어 결함도지수가 하향 조정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구 분 형 식

2010년 정밀점검 2012년 정밀점검

비 고결함도

점 수

상태평가

등 급

결함도

점 수

상태평가

등 급

원효로접속교 강상자형 0.135 B 0.182 B

Page 82: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제 5 장 안전등급 지정

5.1 개 요

5.2 안전등급

Page 83: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Page 84: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5장 안전등급지정

- 63 -

제 5장 안전등급 지정제 5장 안전등급 지정

5.1 개 요

본 원효로접속교의 안전등급은 「법」제10조의2 및 「영」제11조의5에 따라서 시

설물에 대해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로부터 안전등급을 지정토록 하며 안전등급은 아래

의 【표 5.1】과 같다.

【표 5.1】안전등급 기준

안전등급 시설물의 상태

A

(우수)문제점이 없는 최상의 상태

B

(양호)

보조부재에 경미한 결함이 발생하였으나 기능 발휘에는 지장이 없으며 내

구성 증진을 위하여 일부의 보수가 필요한 상태

C

(보통)

주요부재에 경미한 결함 또는 보조부재에 광범위한 결함이 발생하였으나 전

체적인 시설물의 안전에는 지장이 없으며, 주요부재에 내구성, 기능성 저하

방지를 위한 보수가 필요하거나 보조부재에 간단한 보강이 필요한 상태

D

(미흡)

주요부재에 결함이 발생하여 긴급한 보수․보강이 필요하며 사용제한 여부

를 결정하여야 하는 상태

E

(불량)

주요부재에 발생한 심각한 결함으로 인하여 시설물 안전에 위험이 있어 즉

각 사용을 금지하고 보강 또는 개축을 하여야 하는 상태

5.2 안전등급

원효로접속교의 상태평가 결과 구조적인 문제점은 없는 상태로 정밀안전진단은 필

요치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각 부재는 기능 발휘에는 지장이 없고 발생한 결함

에 대하여 내구성 증진을 위하여 일부의 보수가 필요한 『B등급』으로 평가되었다.

Page 85: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제 6 장 보수·보강 방안

6.1 개 요

6.2 보수·보강 방법

6.3 보수·보강 개략공사비

6.4 유지관리방안

Page 86: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Page 87: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67 -

안정성의 문제

(활동, 침하, 전도)

안전성의 문제

(단면, 철근량 부족)

제 6장 보수․보강 방안제 6장 보수․보강 방안

6.1 개 요

6.1.1 보수․보강 개요

보수⋅보강은 유지관리의 한 부분으로써 시설물의 내구성능을 회복 또는 향상시

키는 것은 보수(補修)라하며, 시설물의 부재나 구조물의 내하력과 강성 등의 역학적인 성

능을 회복 또는 향상시키는 것은 보강(補强)이라 말한다.

보수⋅보강의 방법과 수준을 정할 때는 구조물 중요도와 손상의 영향정도 사용환경 조건

및 경제성 등을 고려해야하며 특히 각 부재의 중요도, 발생한 손상, 결함의 심각성 등을

종합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해야 한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목적은 내하력(耐荷力)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

이며 그 과정에서 보수는 철근보호, 보강은 안전성(Safety)과 안정성(Stability)의 확보로

구분 할 수 있다.

안전성은 구조적 내적 안전성으로 소요

단면과 철근량의 확보가 목적이며 안정성

은 외적 안정으로 지반의 영향이 지배적

인 활동, 침하, 전도 등에 대한 안정을 의

미한다.

토목구조물이 기능에 문제가 되어 보수·

보강이 필요한 경우는 안전(安全)과 안정(安定)에 기인하여 크게 세 가지로 대별 할 수

있으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① 상기 옹벽<a>그림과 같이 안전성에는 이상이 없으나 안정성이 문제인 경우

② <b>그림과 같이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으나 안전성이 문제가 되는 경우

③ 이 두 가지가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이다.

통상 교량에서 상부구조는 안전성의 범주이고 하부구조는 안전성과 안정성 두가

지 모두를 포함한다.

〈a〉 〈b〉

Page 88: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68 -

6.1.2 보수․보강 우선순위

각 시설물은 주요부재와 보조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부재에서 발생된 각

종 결함에 대한 보수·보강 우선순위를 결정함에 있어 기준이 되는 방향은 다음과 같으며

단계별 평가에서 시설물에 대한 종합평가는 부재 및 시설물에 발생한 결함 및 손상의 심

각성과 부재 및 시설물의 중요도가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보수·보강의 우선순위는 평가단계의 역순으로 추적하여 평가등급이 낮고

중요도가 큰 부재 및 시설물 순서로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보수보다 보강을, 주부재를 보조부재보다 우선하여 실시한다.

시설물 전체에서의 우선순위 결정은 각 부재가 갖는 중요도, 발생한 결함의 심각성 등을 종

합 검토하여 결정한다.

※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터널」2010.12 --- 제12장 보수·보강 방법편 발췌

구 분 순 위 내 용 비고

단기

대책1순위

주요부재에 발생된 결함 및 손상이 커 내하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철근이 노출되어 철근부식에 의한 내하력 저하 가능성이 있는 손상)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12조, 시행규칙 9조에서 정한

결함

1년

이내보수

중기

대책2순위

즉각적인 보수는 요구되지 않지만 내하력, 기능성 저하 방지를 위한 보수가 필

요한 경우

(철근부식 가능성이 있는 손상 또는 기존 보수부 중 손상이 발생되었으나

내부 상태를 관찰할 수 없는 경우)

2∼3년

이내보수

장기

대책3순위

기능발휘에는 지장이 없으나, 내구성 증진을 위해 연차보수가 필요한 경우

(방치시 규모가 증대될 수 있는 손상 및 사용성을 위해 보수가 필요한 경우)

5년

이내보수

유지

관리4순위 발생된 손상이 경미하여, 유지관리를 통한 점검이 필요한 경우 유지관리

6.1.3 보수․보강 방법

가. 보수·보강의 필요성 판단

보수의 필요성은 발생된 손상(균열 등)이 어느 정도까지 허용되는가의 판단에 의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본 지침 및 각종 기중(표준시방서 등)을 참조한다.

보강의 경우는 부재 안전율을 각종 기준에서 정하는 수치 이상으로 하기 위하여

어느 정도까지 부재단면 등을 증가하여야 하는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나. 보수·보강의 수준 결정

보수․보강의 수준은 위험도,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아래의 겨우 중에서 결정한다.

․ 현상유지 ․ 실용상 지장이 없는 성능까지 회복

․ 초기 수준 이상으로 개선 ․ 개축

Page 89: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69 -

다. 보수·보강공법의 선정

구조물 결함에 따른 보수⋅보강은 보수재료와 공법 선정 시 공법의 적용성, 구조

적 안전성, 경제성 등을 검토하여 결정한다. 이 때 중요한 것은 구조물의 결함발생 원인

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며, 이를 통한 적절한 공법과 보수 재료의 선택이다.

6.1.4 보수․보강의 업무 흐름도

점검 개시

정기 점검 정밀 점검 긴급 점검

손상의 발견

조 사

추적 조사

보수․보강 필요성아니오

보수․보강 불필요

보수․보강 필요즉시 조치 필요시

즉시 파괴의 위험이 없음

응급처치

보수․보강공법 검토

보수․보강

비용 과다

사용성

부적절

보수․보강공사

구조물 신설

효과의 확인

보수․보강 완료

【그림 6.1】보수․보강의 업무 흐름도

Page 90: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70 -

6.2 보수․보강 방법

6.2.1 보수·보강 필요성 검토

전회차 점검에서 중점 유지관리 또는 보수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던 주요 손상에

대하여 보수 시행여부를 검토하고 금번 정밀점검 결과에 따라 손상의 진전 및 노후도를

판단하여 보수·보강 시행의 필요성을 다음과 같이 검토 하였다.

구분

2010년 정밀점검보수

여부

2012년 정밀점검

손상내용 보수필요성 점검결과 보수필요성

교면포장 대체적으로 양호 보수불필요 -대체적으로 양호

국부손상 발생일부 보수필요

난간 및 연석 난간 변형 발생 보수필요 미보수손상증가, 안전확보를

위한 보수필요보수필요

배수시설 전반적으로 양호 보수불필요 - 대체적 양호 유지관리필요

신축이음 대체적 양호 보수불필요 -차수판 미설치에 따른

추가손상 발생보수필요

바닥판 하면 상태양호 보수불필요 - 상태양호 보수필요

강재주형 이음부 실링 미실시 보수필요 미보수 이음부 실링미실시 보수필요

받침장치 균열, 재료분리 보수필요 보수 국부손상 발생 유지관리필요

교대 및 교각 균열, 누수흔적 보수필요 미보수 추가손상 발생 보수필요

접속옹벽 균열발생 보수불필요 - 추가균열발생 보수필요

검토

- 본 원효로 접속교는 경미한 손상이 발생된 대체적으로 양호한 상태로서 기 점검 결과와

비교시 손상의 진전은 경미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난간 및 연석에 발생된 손상은 시민

의 안전확보를 위해 조속한 보수가 요망된다.

- 기타 각 부재에 발생된 손상 중 내구성 저하가 우려되는 손상에 대해서는 보수 우선순위

에 의거하여 점진적인 보수 시행으로 구조물의 내구성 확보가 요구됨.

Page 91: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71 -

6.2.2 손상 내용별 보수․보강 방법

가. 보수․보강 공법 선정

외관조사 결과 발견된 손상에 대한 주요 보수방안은 다음과 같다.

【표 6.1】손상 내용별 보수방안

위 치 손 상 내 용손상

물량

발생

개소

보수

물량단위 보수공법

우선

순위

교면

포장ASP 박락, 강판노출 0.06 1 0.07 ㎡

강재요철 제거 및

절삭후 덧씌우기1

난간

난간미세변형 6.00 1 - -  유지관리 4

난간 레일파손(3단) 4.00 1 12.00 m 난간 레일교체2) 1

난간 레일변형(1단) 20.00 8 20.00 m 난간 레일교체2) 1

난간 레일변형(3단) 30.00 2 90.00 m 난간 레일교체2) 1

난간 지주변형 10.00 10 10.00 EA 난간지주 교체 1

난간 지주이탈 2.00 2 2.00 EA 난간지주 교체 1

연석 긁힘, 부식 38.53 28 46.24 ㎡ 부식제거 재도장 1

신축

이음

후타재 균열(cw=0.3mm이상) 2.40 4 - - 유지관리 4

후타재 균열군 1.75 1 - - 유지관리 4

유간내 이물질퇴적 9.00 3 - - 주기적 청소 4

차수판 미설치 2.00 2 2.00 EA 유지관리 4

배수

시설

배수구 막힘, 이물질 퇴적 3.00 3 - - 주기적 청소 4

배수관 설치불량 1.00 1 1.00 EA 배수관 부분절단 1

강재

주형

도장박리 0.02 2 0.02 ㎡ 도장보수 2

체수 0.80 1

0.96 ㎡ 스캘럽 실링보수 2

8.00 EA 플랜지 배수천공 2

11.40 m 교대 배수홈 시공 2

Splice 실링 미시공 5.60 28 28.00 EA 실링보수 2

Page 92: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72 -

【표 6.1】손상 내용별 보수방안(계속)

위 치 손 상 내 용손상

물량

발생

개소

보수

물량단위 보수공법

우선

순위

교대

균열(cw=0.2mm이하) 0.20 1 - -  유지관리 4

박리형 균열(cw=0.3mm이상) 0.30 1 0.09 ㎡단면보수3)

(T=10mm)1(하자)

누수흔적, 오염 10.30 3 - -

유지관리

(교대상부 유도배수

로 설치 선행)

4

토사적치 2.52 1 - - 유지관리 4

교각

균열(cw=0.2mm이하) 35.55 46 - - 유지관리 4

균열(cw=0.3mm이상) 5.30 6 6.36 m 주입보수 1(하자)

균열군(cw=0.2mm이하) 1.50 1 - - 유지관리 4

파손, 콘크리트 패임 0.14 3 0.17 ㎡ 단면보수(T=10mm) 1(하자)

받침

장치

무수축몰탈균열(cw=0.2mm이하) 1.20 8 - - 유지관리 4

받침CON'C 균열

(cw=0.2mm이하)1.20 4 - - 유지관리 4

재료분리 0.04 1 - - 유지관리 4

접속

옹벽

균열(cw=0.2mm이하) 1.30 1 - - 유지관리 4

균열(cw=0.3mm이상) 2.50 3 3.00 m 주입보수 1(하자)

균열부백태(cw=0.2mm이하) 1.90 2 2.28 m 주입보수 1(하자)

시선유도 도장박리 72.00 2 - - 유지관리 4

옹벽

균열(cw=0.2mm이하) 8.50 5 - - 유지관리 4

균열(cw=0.3mm이상) 4.80 4 5.76 m 주입보수 1(하자)

충격흡수대 파손 1.00 1 - - 일상유지보수 4

※ 1). 보수시 시공성 및 효율성을 고려하여 보수물량은 손상물량에 20% 할증을 적용함.

2). 난간 레일교체는 손상이 발생된 연장 × 손상 발생 단수를 적용하여 물량 산출함.

3). 박리형 균열은 균열 발생부의 면적으로 환산하여 물량을 산출함.

Page 93: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73 -

6.2.3 주요결함 및 손상에 대한 보수․보강 방법

가. 표면보수

본 시설물에서의 표면보수 공법의 적용은 균열, 선상 및 면상백태가 발생한 경우에

적용하는 것으로 하며 표면을 피복하여 방수성, 내구성을 지니도록 하는 것으로 그 효과

는 콘크리트 표면의 보수에 그치므로 본 공법 적용시 균열 등의 결함발생 여부에 대한

주기적인 관찰이 요구된다. 공법의 흐름도 및 공법 개요도는 다음과 같다.

(Check Point) (시 공 순 서) ( 시공내용 ) (시공기자재등)

균열상태가 0.3㎜

이하인 것을 확인

개 시

균열 균열상황을 확인

폭을 균열게이지로 측정균열게이지

조사

이물질을 제거콘크리트 표면

치핑, 청소등

균열부 및 주변부의 치핑, 청소

경우에 따라 물청소도 고려.

와이어브러시

그라인더

고압세정기

건조물청소를 실시한 경우

자연건조

기공등을 충진콘크리트 표면

기공등의 충진

퍼티수지를 사용하여 기공메움

실시한다.

흙손

고무주걱

두께가 균일하게

되도록 관리한다.

표 면 피 복 폴리머시멘트페이스트, 시멘트

필라, 도막탄성방수재를 적절히

선택하여 흙손등으로 마감한다.

흙손

고무주걱

양 생

종 료 자연건조

【그림 6.2】표면처리 공법 시공흐름도

Page 94: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74 -

균열의 성장이 정지된 상태에서는【그림 6.3】과 같이 균열선 및 백태를 따라 폭 5

0~100mm를 와이어 브러쉬로 닦아내거나 심한 경우 치핑을 실시한 후 폴리머 시멘트 페

이스트나 모르터로 균일하게 도포한다. 콘크리트 표면에 0.3mm이하의 미세한 균열이 많이

분포해 있는 경우도 같은 방법으로 도포할 수 있으며, 재료를 기계로 분무하여 도포할 수

도 있다.

균열폭의 변동이 큰 경우 경화후의 재질이 단단한 폴리머 시멘트 페이스트나 모르터

로 보수할 경우 보수부위에 다시 균열이 발생하므로【그림 6.3】과 같이 균열면을 와이어

브러쉬로 완전히 청소한 후 균열선을 중심으로 폭 10~15mm 절연재를 부착하고, 절연재

를 중심으로 폭 30~50mm, 두께 2~4mm의 변형성 및 신장성이 큰 실링재를 도포하여

바닥의 변형을 이 테이프 사이에서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재료]

① 폴리머시멘트 페이스트 ② 시멘트 필라

③ 도막탄성방수재(아크릴 수지계) ④ 도막탄성방수재(우레탄 수지계)

【그림 6.3】균열부 표면보수 공법 개요도

Page 95: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75 -

1) 표면보수공법 비교

【표 6.2】표면보수공법 비교

구 분 MA공법하이브리드시스템

을 이용 공법MDF공법(TS) 레미가드공법

개요도

장 점

·내산성, 내화학성, 내

황산염저항성 우수

·산성환경에 대한

내부식성 우수

·유기용제를 사용하

지 않으므로 환경

친화적

·화학적 침식작용을

억제 하므로, 구조

물의 수명연장

·무기계 재료로써,

모체와 일체거동

·특수 수지로써 장

점과 단점을 보완

한 수지를 사용하

여 만들어진 최첨

단 중성화 및 염화

방지용 보호도막제

·부착단면이 증대되

고, 부착력이 강화

되어 들뜸이 업음

·간단한 공정 및 작

업성 우수

·품질유지 확보

·기계화 시공이므로

공기가 단축

·표면의 이중보호로

구조물의 내구년한

을 증진

·시공이 간단하여

공사기간 및 공사

비용 절감

·시공장소에 제약이

없음

·방수성, 염분침투,

동해저항성 우수

·물리, 화학적 복합

장벽을 형성함으로

써 철근부식억제를

통한 내구성, 내화

학성 향상

·시멘트 회사로서

품질확보 및 신뢰

도 우수

·습윤바탕면 접착성

우수

·자외선에 의한 변

색이 없음

·노후화가 심한 구

조물에 적합

단 점

·작업시 숙련자 필

·시공실4적이 상대

적으로 적음

·표면처리가 작고

분산된 경우 작업

효율성 저하

·숙련된 기능공에

의한 정밀시공 요

·동절기( 5℃이하)

작업 불가능

비 고

·차량 통행량이 많

고, 손상보수부재

의 보호가 요구되

는 구조물에 적용

·노후화에 따른 콘

크리트 보호와 둔

치에 위치한 시설

물의 미관이 동시

에 요구되는 구조

물에 적용

·건축시설물 등 일

반 구조물에 적용

·차량 및 시민의 이

용자수가 적은 터

널 및 옹벽 등의

시설물에 적용

단 가 40,000원/㎡ 45,000원/㎡ 36,000원/㎡ 33,000원/㎡

추천안 ●

Page 96: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76 -

나. 균열 보수(수지 주입)

1) 개 요

균열부에 수지를 주입하면 콘크리트와 일체를 이루어 콘크리트의 방수성을 향상

시켜서 내부 철근의 부식방지 및 콘크리트의 열화방지에 효과적이다.

균열보수는 균열 폭 및 균열깊이, 균열의 형태, 구조적 안전성 여부 등을 종합적

으로 판단하여 보수 목적에 따라 가장 유리한 보수 대책을 선정하여야 한다. 또한, 균열

보수는 균열 폭과 균열깊이를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주입속도, 점도 및 양생 속도를 갖는

수지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2) 수지주입 공법의 종류

균열 주입공법에는 압입식과 흡입식이 있다. 압입식 주입공법에는 수동식, 기계식,

저압․저속식 주입 및 자동주입식 기계주입공법이 있으며, 이 중 저압․저속식 주입은 주

입량 파악이 쉽고 균열 구석까지 주입할 수 있는 특징이 있어 유리하다.

【표 6.3】수지주입공법의 종류

압입식 공법 흡입식 공법

∘수동식 주입 : 인력

∘기계식 주입 : 공기압식, 유압식, 기어식

∘저압․저속식 주입 : 고무, 용수철, 공기 등의 압력

∘자동주입식 기계주입 : 자동주입기

∘균열의 양단에 흡기구와 충전재 주입구를

설치하여, 흡입펌프로 충전재를 흡입주입

3) 압입식 수지 주입공법 적용

이 공법은 균열 위에 주입수지가 들어있는 용기를 설치하여 고무, 용수철, 공기

압, 자동식 기계 등으로 수지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압입방식은【표 6.4】와 같다.

이 공법을 적용함에 있어서는 시공위치, 시공시간에 맞는 작업시간 및 균열폭에

대응한 점도의 재료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고. 균열폭에 알맞은 수지의 점성도는 【표

6.5】와 같으며, 일반적인 주입 파이프의 간격은 【표 6.6】과 같다.

Page 97: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77 -

【표 6.4】수지주입공법의 종류

압입 방식 용기의 형태

∘압축용기에서의 압축공기로 주입 ∘플라스틱의 실린더

∘압력탱크내의 압축된 압력으로 주입 ∘플라스틱제의 압력탱크

∘압축실린더에 의한 유입으로 주입 ∘금속제의 실린더

∘고무시트의 복원력으로 주입 ∘플라스틱제 틀에 고무시트를 고정

∘고무풍선압으로 주입 ∘고무풍선

∘고무밴드의 복원력으로 주입 ∘플라스틱제 실린더와 피스톤

∘캡슐내의 용수철로 주입 ∘플라스틱제 캡슐 탱크

【표 6.5】균열폭에 알맞은 수지의 점도

형 상 점도(20°C, cp) 주입 가능한 균열 폭

액 상저점도 500±200 0.1mm 전후

고점도 1,500±500 0.2mm 전후

Gel 상태 6,000±1,000 0.5~5.0mm 전후

【표 6.6】균열폭에 따른 주입파이프/패커의 간격

균열 폭(mm) 주입파이프/패커 간격(mm) 비 고

0.3이하 50~100

0.3~0.5 100~200

0.5~1.0 150~250

1.0이상 200~300

【표 6.7】에폭시계 수지의 규격

시험항목 시험방법 시험조건 단 위실링 및

퍼티용 규격치

주입용

규격치

비 중 KS M 3015 20°C 7일간 1.7±0.2 1.2±0.2

사용가능시간 온도상승법 20°C 분 60이상 30이상

점 도 JIS K 6838 〃 CPS - 5,000이하

압축항복강도 KS M 3015 20°C 7일간 kgf/mm2 5.0이상 5.0이상

휨강도 〃 〃 〃 3.5이상 4.0이상

인장강도 〃 〃 〃 2.0이상 2.0이상

압축탄성계수 ASTM D 695 〃 〃 0.1~0.6 0.1~0.6

인장전단강도 KS M 3722 〃 100이상 100이상

충격강도 KS M 3015 〃 kgf․mm/mm2 0.15이상 0.3이상

경 도 ASTM D 2240 〃 쇼아 D 80이상 80이상

※ “콘크리트교량의 보수․보강관련 신기술 및 표준품셈 공법편람, 국토해양부, 2002.4”

Page 98: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78 -

4) 압입식 수지 주입공법의 특징

수지가 들어 있는 용기를 균열 위에 설치하므로 사람의 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용기 높이의 저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주입되므로 압력에 의한 실링부의 파손도 적어 시

공관리가 용이하다. 주입되는 수지의 거동은 동심원상으로 확대되므로 주입압력에 의한

균열이나 들뜸이 발생되지 않는다. 주입압력은 0.04kgf/mm2 이하로 규정되어 있으나, 실

제로는 0.01kgf/mm2 전후가 사용된다.

5) 시공개요

공 법 주입공법

개요Cw=0.3mm 이상의 균열부 또는 습식균열, 재균열에 수지계 또는 무기질계(시멘트계)

의 재료를 주입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공법

시공도

설치한다.

와이어브러시 등으로 표면의 이물질

균열부를 중심으로 폭 5.0mm 정도를표 면 처 리

등을 제거한다.

표면처리

주입용 파이프 설치

균열부 실링주입

STEP1

STEP2

STEP3

CON'C

CON'C

CON'C

유기계 에폭시를 주입한다.

주입장비를 사용하여 무기계 슬러리 및

균열실링재를 사용하여 실링한다.

균열부를 폭 30mm, 두께 2mm 정도로

주입공에 주입용 파이프를 삽입하고

(유기계 에폭시 주입)

양 생

무기계 슬러리 주입

작업종료 후 양생한다.

균열부 실링

주입용 파이프 설치

시공순서

① 보수범위 확인 ② 균열부위 청소

③ 주입용파이프 설치 ④ 균열면 실링

⑤ 주입 ⑥ 파이프 제거

⑦ 실제거 ⑧ 마감

특 징

① 내하력복원의 안전성을 기대할 수 있다.

② 내구성저하 방지 및 누수방지를 기대할 수 있다.

③ 경화후의 에폭시수지는 화학적 성질이 안정하여 내후성이 좋다.

④ 미관의 유지가 용이하며 경제적이다.

【표 6.8】주입공법 시공개요

Page 99: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79 -

6) 균열주입보수 비교

【표 6.9】균열주입 공법 비교

공종

공법

균열보수(균열폭0.3mm이상)

1안 2안 3안 4안

공법

VOC삭감형

수성에폭시주입공법

(리폼시스템)

SBR계 폴리머시멘트

슬러리주입공법

(쌍용)

마이크로 시멘트

슬러리주입공법

일반 유성에폭시

주입공법

내용 유기계 유,무기계 무기계 유기계

재료적

유사성

․유기계재료이지만 열

팽창계수 및 탄성계수

가 콘크리트와 유사

․유.무기계재료로서 온

도에 따른 열팽창계수

및 탄성계수가 콘크리

트와 유사

․초미립무기계재료로서

열팽창계수 및 탄성계

수가 콘크리트와 유사

․유기계재료로서 열팽

창계수 및 탄성계수

등 물성․특성이콘크

리트와 상이

수축성

․유기계재료이지만 휘

발성화합물 등을 섞지

않으므로 경화에 따른

수축성없음

․SBR계혼화재로모르터

를 구성하므로 수축성

없음

․물과 혼합한 모르터로

다소 수축성있음

․유기계재료로서 휘발

성혼화재 등 을혼합하

므로 경화에 따른 수

축다소발생

침투성 ․균열폭0.02mm까지가능 ․균열폭0.02mm까지가능 ․균열폭0.02mm까지가능 ․균열폭0.02mm까지가능

부착강도 35㎏/㎠ 20㎏/㎠ 10㎏/㎠ 25㎏/㎠

․시공성,접착성 및 주

입성우수

․균열부 콘크리트내

철근의 방청기능있음

․미세균열에의 침투성

이우수

․습윤부 및 수중부시공

가능

․시공실적다수

․내약품성우수

․균열부 콘크리트내 철

근의 방청기능있음

․내중성화기능

․물성․특성이 콘크리

트와 유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

열보수에 범용적으로

적용

․미세균열에의 침투성

이 양호

․공사비 저렴

․시공실적 매우많음

․시공시 온도에 유의 ․공정복잡하여 시공전

문가 필요

․장기부착성 다소 떨어

․시공실적적음

․장기부착성 떨어짐

․콘크리트중성화유발

․장기부착성 기대곤란

검토의견

․시공실적多,콘크리트

친화성및주입성,

장기내구성우수.

․시멘트계통의주입

재료로서부착강도

가 작고 미세균열

깊이까지의 침투성

이 다소 떨어짐.

․시멘트계통의 주입재

료로서 부착강도가 작

고 미세균열깊이까지

의 침투성이 다소 떨

어짐.

․일반적인 보수공법이

나 유성에폭시의 장기

내구성저하 및 콘크리

트중성화 유발로보수

효과 기대곤란.

Page 100: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80 -

다. 단면복구공법

1) 단면복구공법(Ⅰ)

① 철근노출을 동반하지 않은 재료분리, 표면박리 등의 손상부에 적용하는 공법으로

보수 단면 두께는 10.0mm이다

② 시공방법

폴리머 시멘트 몰탈로 단면(≒3cm)을 복구한다.

사용하여 손상부위(T≒3cm)를 완전히 제거한다.

열화된 콘크리트를 수공구 또는 전동공구를

제거한 후 자연건조 시킨다.

고압수 세정기를 사용하여 이물질을 완전히

사용하여 표면처리한 구체에 골고루 도포한다.

로울러나 붓으로 마감재를 도포한다.

로울러나 도로작업용 붓, 에어스프레이건 등을

마감재 도포

단 면 복 구

면처리제 도포

고압물 청소

표 면 처 리T≒1cm

T≒1cm를

【그림 6.4】단면복구공법(Ⅰ) 시공방법

Page 101: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81 -

2) 단면복구공법(Ⅱ)

① 철근노출을 동반하지 않은 파손, 박리, 박락, 들뜸, 공동 등의 손상부에 적용하는

공법으로 보수 단면 두께는 20.0mm이다

② 시공방법

폴리머 시멘트 몰탈로 단면(≒3cm)을 복구한다.

사용하여 손상부위(T≒3cm)를 완전히 제거한다.

열화된 콘크리트를 수공구 또는 전동공구를

제거한 후 자연건조 시킨다.

고압수 세정기를 사용하여 이물질을 완전히

사용하여 표면처리한 구체에 골고루 도포한다.

로울러나 붓으로 마감재를 도포한다.

로울러나 도로작업용 붓, 에어스프레이건 등을

마감재 도포

단 면 복 구

면처리제 도포

고압물 청소

표 면 처 리

【그림 6.5】단면복구공법(Ⅱ) 시공방법

Page 102: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82 -

3) 단면복구공법(Ⅲ)

① 철근노출이 동반된 재료분리, 들뜸, 공동, 박락 등의 손상부와 피복부족에 따른

철근노출에 적용하는 공법이다.

② 시공방법

폴리머 시멘트 몰탈로 단면(≒5cm)을복구한다.

로울러나 붓으로 마감재를 도포한다.마감재 도포

단 면 복 구

손상부위(T=2~5cm)를 완전히 제거한다.

도포한다.

균일하게 도포한다.

로울러나 도로작업용 붓, 에어스프레이건등을 사용하여 표면처리한 구체에 골고루

붓이나 흙손 등을 사용하여 철근 주위에철근 방청도포재

면처리제 도포

철근의 부식 부분을 완전히 제거한다.

고압수 세정기를 사용하여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 후 자연건조 시킨다.고압물 청소

철근 부식 제거

전동해머 등의 전동공구를 사용하여열화된 콘크리트를 수공구 또는

표 면 처 리

【그림 6.6】단면복구공법(Ⅲ) 시공방법

Page 103: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83 -

4) 단면복구공법 비교

【표 6.10】단면복구 공법 비교

구분

공법

리폼시스템공법

(신기술477호)

리플래쉬

(신기술330호)

CROS(크로스)

(신기술288호)

공 법

개 요

상형 용융 슬래그 골재를 이

용한 보수용 모르타르, 개량

형 연속믹서와 압송펌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보수 기술

습윤면에 방식층을 형성하기

위한 무용제형 친수성 폴리

머와 고강도 실리카 및 미립

분 시멘트, 폴리아민계 경화

제를 혼합하여 제조한 항균

성 개질제를 이용하여 화학

적 침식을 유발하는 세균발

생을 억제하여 구조물의 내

구성을 증진시키는 공법

고알카리성, 고농도 방청 성

분을 갖는 방청복합 알카리

회복제와 아질산계분말 방청

제 혼입 폴리머 시멘트 모르

터 병용 사용하여 중성화 및

염해 등에 의해 손상된 RC

구조물을 보수하는 공법

장 점

자원재활용한 환경친화적

신소재

구상형슬래그혼입으로유동성

향상

CORE-CELL폴리머사용으

로강도특성이우수하고,내구

성및내화학성등이뛰어나다.

CORE-CELL폴리머로우수

한조막형성→건조수축균열억

시공성 및 경제성확보

배합시 분진 발생억제,인력

절감

내화학및세균억제성우수

습윤부 부착성우수

하수암거 및 관거에 적합

열화원인 및 열화정도별 보

수시스템공법 확립

콘크리트제거없이 다량 염분

함유된 콘크리트내 철근부식

억제 및 예방효과기대

아질산계폴리머사용으로 내

구성 및 방청성우수

단 점

모르터고유의 특성으로 전문

적인 기술자가 필요함.

시공시온도 및 습도에 유의

장기부착강도가 약하다.

숙련된 기능공에 의한 정밀

시공이 요구됨

고가의 재료를 사용하여 전

반적으로 경제성이 떨어짐

시공공정이 다소 복잡하여

전문적인 기술자가 필요함

습윤면에서의 부착력저하가

예상되므로 철저한 시공관리

가 요구된다.

시공공정이 복잡하여 시공단

가가 고가이다.

단 가 141,000원/㎡(t=20mm) 151,000원/㎡(t=20mm) 140,000원/㎡(t=20mm)

추천안 ●

Page 104: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84 -

5) 시공시 유의사항

① 운영중인 구조물에서는 단면복구 작업 그 자체나 작업대의 설치 및 플랜트 설

비에 제약을 받는 일이 많기 때문에 작업시간, 작업운반차, 반입로 등의 시공조

건을 충분히 검토하여 계획을 세울 필요가 있다.

② 단면복구량은 실시설계를 기초로 하여 구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사전에 구한

복구량은 실제 시공시에 비해 낮을 때가 많으므로 시공상의 단면복구량은 약간

의 여유를 감안해 둘 필요가 있다.

③ 시공 완료 후 각 사용 재료의 사용량, 잔량을 확인하고 계획량과 실 단면복구

량을 비교하여야 한다.

④ 시공시 각 사용 재료의 특성을 충분히 숙지함과 동시에 시공조건, 작업환경에

충분히 주의하여 안전을 확보하여야 한다.

⑤ 단면복구공법 내에 코팅공법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방식코팅이 반영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코팅공정을 실시할 수 있으나 별도의 방식코팅이 보수·보강에 반

영되어 있는 부분은 코팅공정을 제외하여야 한다.

⑥ 캔틸레버부 및 지하차도 시·종점측 단면복구시에는 기존 노치와 동일한 V형

홈을 시공하여 상부 노면수 유입에 따른 차수기능을 유지토록 한다.

Page 105: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85 -

라. 절삭 후 덧씌우기

1) 개 요

포장부의 손상은 중차량 주행의 반복하중, 아스팔트의 부분적인 접착력, 연성도 저

하, 공용에 따른 열화로 내구성 및 주행 안전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보수토록 한다.

2) 시공개요

포트홀, 패임 등이 발생한 곳을 파쇄 절취하고 그 부분을 포장 재료로 채우는 응

급적인 처리공법이다. 절삭 후 덧씌우기의 시공방법으로는 채움재의 혼합방식에 따라 가

열혼합식과 상온혼합식이 사용된다.

3) 시공흐름도

아스콘 포설

직선자 또는 스트링 라인(String line)을 사용한다.

1. 보수 부위의 종단평탄성을 비롯한 품질 관리를 위해서는

작업 규모가 큰 경우에는 8~12t사이의 진동 롤러가 적합하다.

작업의 규모가 작은 보수 공사의 경우에는 진동 컴팩터 또는 1t 진동 롤러가 적합하며

불균일한 표면이나 요철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즉시 수정해야 한다.

1. 포설 후 가능하면 빨리 다짐을 하며, 다짐을 하기 전에 표면을 점검하고

2. 다짐 작업은 보수 규모에 맞는 장비를 선택해야 한다.

커트백 아스팔트를 사용한 플랜트 배합 아스팔트를 사용할 수 있다.

1.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을 채운다.

2. 가열 아스팔트를 포설할 경우에는 온도가 120℃ 이하가 되지 않도록 시공해야 한다.

3. 인력 포설 경우에는 혼합물의 온도가 쉽게 내려가기 때문에 신속히 작업해야 한다.

4. 균일한 밀도 및 두께가 되도록 신중히 포설한다.

5. 포설시 혼합물의 재료 분리가 발생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6.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사용이 불가능하면 유화 아스팔트나

통하여 디스트 리뷰터의 속도와 살포량의 관계를 파악하여 두는 것이 중요하다.

3. 절삭된 면에도 택 코우트를 실시하여 기존 포장면과의 접착력을 증가시켜야 한다.

2. 택 코우트는 적정량을 균일하게 살포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시험 살포를

1. 급속 경화형 커트백 아스팔트를 이용하여 택 코우팅을 실시한다.

5. 먼지 및 부스러기를 깨끗이 청소한다.

4. 포장의 절단은 면이 고르게 나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3. 차량 진행 방향에 직각으로 해야 한다.

2. 제거하는 부분은 수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만든다.

1. 파손된 부분보다 30㎝ 정도 크게 절삭기를 이용하여 절삭한다.

택 코우트 살포

손상부위제거

포트홀, 단차, 부분적인 균열 및 침하 등이 발생한 곳을 파쇄 절취하고 그 부분을 포장재료로

아 스 팔 트 패 칭

교통개방

아스콘 포설

이음부 칩실

텍코팅

안전관리

혼합물온도 포설두께

코팅량(바닥, 측면)

부산물제거 상태

양생

다짐평탄성

유제과다살포여부

청소

싸인카

바브켓 공기압축기

모래

아스콘

탄뎀로라

가열혼합식과 상온혼합식이 사용된다.

교통통제

공 정

제거부분 표시

작업개시

채우는 응급적인 처리공법이다. 팻칭의 시공방법으로는 채움재의 혼합방식에 따라

시공흐름도

절삭두께

안전관리

체크포인트

절삭

시공개요

페인트

PE 드럼, 라바콘

사용재료

싸인카

시공장비

로드컷터

시공방법 및 유의사항

【그림 6.7】절삭 후 덧씌우기 공법 시공흐름도

Page 106: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86 -

4) 시공방법 및 유의사항

아스콘 포설

직선자 또는 스트링 라인(String line)을 사용한다.

1. 보수 부위의 종단평탄성을 비롯한 품질 관리를 위해서는

작업 규모가 큰 경우에는 8~12t사이의 진동 롤러가 적합하다.

작업의 규모가 작은 보수 공사의 경우에는 진동 컴팩터 또는 1t 진동 롤러가 적합하며

불균일한 표면이나 요철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즉시 수정해야 한다.

1. 포설 후 가능하면 빨리 다짐을 하며, 다짐을 하기 전에 표면을 점검하고

2. 다짐 작업은 보수 규모에 맞는 장비를 선택해야 한다.

커트백 아스팔트를 사용한 플랜트 배합 아스팔트를 사용할 수 있다.

1.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을 채운다.

2. 가열 아스팔트를 포설할 경우에는 온도가 120℃ 이하가 되지 않도록 시공해야 한다.

3. 인력 포설 경우에는 혼합물의 온도가 쉽게 내려가기 때문에 신속히 작업해야 한다.

4. 균일한 밀도 및 두께가 되도록 신중히 포설한다.

5. 포설시 혼합물의 재료 분리가 발생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6.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사용이 불가능하면 유화 아스팔트나

통하여 디스트 리뷰터의 속도와 살포량의 관계를 파악하여 두는 것이 중요하다.

3. 절삭된 면에도 택 코우트를 실시하여 기존 포장면과의 접착력을 증가시켜야 한다.

2. 택 코우트는 적정량을 균일하게 살포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시험 살포를

1. 급속 경화형 커트백 아스팔트를 이용하여 택 코우팅을 실시한다.

5. 먼지 및 부스러기를 깨끗이 청소한다.

4. 포장의 절단은 면이 고르게 나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3. 차량 진행 방향에 직각으로 해야 한다.

2. 제거하는 부분은 수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만든다.

1. 파손된 부분보다 30㎝ 정도 크게 절삭기를 이용하여 절삭한다.

택 코우트 살포

손상부위제거

포트홀, 단차, 부분적인 균열 및 침하 등이 발생한 곳을 파쇄 절취하고 그 부분을 포장재료로

아 스 팔 트 패 칭

교통개방

아스콘 포설

이음부 칩실

텍코팅

안전관리

혼합물온도 포설두께

코팅량(바닥, 측면)

부산물제거 상태

양생

다짐평탄성

유제과다살포여부

청소

싸인카

바브켓 공기압축기

모래

아스콘

탄뎀로라

가열혼합식과 상온혼합식이 사용된다.

교통통제

공 정

제거부분 표시

작업개시

채우는 응급적인 처리공법이다. 팻칭의 시공방법으로는 채움재의 혼합방식에 따라

시공흐름도

절삭두께

안전관리

체크포인트

절삭

시공개요

페인트

PE 드럼, 라바콘

사용재료

싸인카

시공장비

로드컷터

시공방법 및 유의사항

【그림 6.8】시공방법 및 유의사항

Page 107: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87 -

마. 교대 및 Box내부 체수 방지 대책

1) 개 요

종점측 신축이음은 연석부 차수판이 설치되지 않아 하부구조 및 Box내부에 누수

를 유발하고 있는 상태이다. 원천적인 차수대책으로서 차수판 또는 차수 조인트를 설치해

야 하나, 본 교량은 교대측은 콘크리트 방호벽이고 바닥판은 강재 연석으로 구성되어 차

수판 설치가 불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상부에서 차수대책 수립보다 다음과 같이 교대

및 Box단부에 유도배수를 설치함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바닥체수

스캘럽을 통한우수유입

연석부차수판 미설치

단부체수

【그림 6.9】Box내부 우수 유입경로

하부 플렌지 바닥체수 연석부 차수판 미설치

Box 단부 체수흔적교대 전면 오염

Page 108: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88 -

2) 보수 방안

- Box내부 우수유입 방지를 위해 단부측 하단 스캘럽부를 실링처리하여 밀폐한다.

- 스캘럽 실링처리시 하부플랜지 단부측 돌출부에 체수가 발생되므로 종리브 주위

를 천공하여 하부로 배수되도록 한다.

- 교대 흉벽 전면 및 하부플랜지 천공부 하단에 배수로를 시공하여 유도배수하도

록 한다.

- 시공개요도는 다음【그림 6.10】과 같다.

스캘럽 실링보수(8EA)

하부플랜지 단부 배수공 천공 ( 25)

배수공 천공

( 25)

배수로 시공(100x100)

배수로 시공(50x50)

배수로 시공(100x100)

배수로 시공(50x50)

Box 횡단면도 교대 측면도

교대 평면도

550

7,000

【그림 6.10】Box내부 및 교대 체수 보수방안

Page 109: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89 -

바. 강재 재도장

1) 개 요

도장보수 공법은 도장 박리 및 부식 등에 의한 결함이 발생한 부재에 대해서 녹

에 의한 부식이 더 이상 진행하지 않도록 녹 및 이물질을 제거한 후 중방식 도장을 실시

하는 공법이다.

2) 시공방법

작업개시

표면처리

재도장

검 사

녹, 먼지, 이물질 제거

표면처리 완료한 당일 실시

【그림 6.11】 도장보수 공법 순서도

3) 시공상세 및 유의사항

① 동력공구 및 수공구(와이어브러쉬, 샌드 페이퍼)로 표면처리한다.

② 구 도장계에 대한 확인 및 확실한 표면처리를 실시한다.

③ 표면처리 후 분무기 또는 붓을 이용하여 재도장 실시한다.

④ 표면처리 후 같은 날 하지도장을 실시한다.(결로 및 이물질 등의 영향)

⑤ 도료의 칠 중복은 충분히 건조한 후에 실시하고 대기온도 및 칠 표면의 온도가

5℃ 이상이어야 한다.

⑥ 표면처리 후 당일 도장을 수행하지 못한 부분은 다시 표면처리 후 도장한다.

⑦ 폐쇄된 개소에서의 작업시에는 통풍 및 조명 등의 환경여건과 안전작업에 대한

대책을 수립한 후에 실시한다.

Page 110: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90 -

4) 강재도장 공법 비교

【표 6.11】강재도장 공법 비교

공 법염화고무계도료

(일반중방식)에폭시계 도료 세라믹계 도료

중방식

금속혼합물피막

시공순서

․표면처리

․무기질징크 하도

․염화고무도료

(중, 상도)

․표면처리

․수용성 무기징크

(1, 2, 3차 도포)

․세라믹코팅 바탕만

들기

․무기 아연말계

․무기 세라믹계

․우레탄 세라믹

․표면처리

․1차피막 (하도)

․2차피막 (중도)

․3차피막 (상도)

장 점

․일반적인 시공성

․국내적용 실적이 많음.

․건조가 빠름.

․내약품성

․강인한 도막, 미관

성 우수

․희생양극방식기능

․내약품성

․강인한 도막, 미관

성 우수

․내구성 우수

․내열성, 내후성, 방청

력, 부착력, 신율 우수

․내마모성 우수

․강인한 도막, 미관성

․내약품성, 내충격성

․희생양극방식 기능

․내염성, 내구성

․Re-Coating이 용이

․음용수 기준에도 적합

한 친환경적 소재

단 점

․내약품성이 나쁨.

․내구성이 짧음

․초기접착력은 우수 하

나, 장기 접착력 저하

(계면탈락)

․저온시 증점(점도상승,

유동성 감소) 및 겔화

현상 발생

․공사비 고가

․수축팽창에 대한 유

연성 부족

․자외선에 약해 변색

을 일으키며, 재료

의 변형 유발

․고온에서 황변 현상

있음.

․초기접착력은 우수

하나, 장기 접착력

저하(계면탈락)

․공사비 고가

․수축팽창에 대한 유

연성(신율)부족

․다른 재질이므로 층

간 분리현상이 나타

날 수 있음.

․일반적 도료에 비해 비

교적 고가

․작업시 접착제와 금속혼

합물이 잘 혼합되도록

전동 믹서기를 이용하

여 혼합하여야 한다

․작업전 시공 교육 필요

내구성 3 ~ 4년 5년 10년 20년

단 가30,000원/㎡

(표면처리별도)

35,000원/㎡

(표면처리별도)

51,000원/㎡

(표면처리별도)

40,000원/㎡

(표면처리별도)

추천안 ●

Page 111: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91 -

6.3 보수․보강 개략공사비

6.3.1 총괄 보수·보강 개략공사비

【표 6.12】총괄 보수·보강 개략공사비

위 치 보수공법보수

물량단위

발생

개소

보수

단가

개락

공사비

우선

순위

교면포장강재 요철제거 및

절삭후 덧씌우기0.07 ㎡ 1 480,000 34,560 1

난 간

난간 레일교체(3단) 12.00 m 1 119,000 1,428,000 1

난간 레일교체(1단) 20.00 m 8 119,000 2,380,000 1

난간 레일교체(3단) 90.00 m 2 119,000 10,710,000 1

난간지주 교체(변형) 10.00 EA 10 544,000 5,440,000 1

난간지주 교체(이탈) 2.00 EA 2 544,000 1,088,000 1

연석 부식제거 재도장 46.24 ㎡ 28 65,000 3,005,340 1

배수시설 배수관 부분절단 1.00 EA 1 10,000 10,000 1

강재주형

도장보수 0.02 ㎡ 2 30,000 720 2

스캘럽 실링보수 0.96 ㎡

1

20,000 19,200 2

플랜지 배수홈 천공 8.00 EA 10,000 80,000 2

교대 배수홈 시공 11.40 m 11,000 125,400 2

실링보수 28.00 ㎡ 28 10,000 280,000 2

순공사비 24,601,220

제경비(순공사비의 50%) 12,300,610

우선순위별 공사비

(제경비 포함)

단기대책(1순위) 36,143,850

중기대책(2순위) 757,980

개략 공사비(원) 36,901,830

1). 개략공사비는 현장 여건에 따라 증감이 될 수 있음.

2). 2012년도 도로 및 시설물 유지보수공사 설계지침(서울특별시 도시안전실) 참조.

Page 112: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92 -

6.3.2 우선 순위별 개략 공사비

1) 단기 보수

【표 6.13】단기 보수 개략공사비

위 치 보수공법보수

물량단위

발생

개소

보수

단가

개락

공사비

우선

순위

교면포장강재 요철 제거 및

절삭후 덧씌우기0.07 ㎡ 1 480,000 34,560 1

난 간

난간 레일교체(3단) 12.00 m 1 119,000 1,428,000 1

난간 레일교체(1단) 20.00 m 8 119,000 2,380,000 1

난간 레일교체(3단) 90.00 m 2 119,000 10,710,000 1

난간지주 교체(변형) 10.00 EA 10 544,000 5,440,000 1

난간지주 교체(이탈) 2.00 EA 2 544,000 1,088,000 1

연석 부식제거 재도장 46.24 ㎡ 28 65,000 3,005,340 1

신축이음 차수 덮개 설치 2.00 EA 2 700,000 1,400,000 1

배수시설 배수관 부분절단 1.00 EA 1 10,000 10,000 1

순공사비 25,495,900

제경비(순공사비의 50%) 12,747,950

개략 공사비(원) 38,243,850

2) 중기 보수

【표 6.14】중기 보수 개략공사비

위 치 보수공법보수

물량단위

발생

개소

보수

단가

개락

공사비

우선

순위

강재주형

도장보수 0.02 ㎡ 2 30,000 720 2

스캘럽 실링보수 0.96 ㎡

1

20,000 19,200 2

플랜지 배수천공 8.00 EA 10,000 80,000 2

교대 배수홈 시공 11.40 m 11,000 125,400 2

실링보수 28.00 ㎡ 28 10,000 280,000 2

순공사비 505,320

제경비(순공사비의 50%) 252,660

개략 공사비(원) 757,980

Page 113: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93 -

6.3.3 하자보수 물량 산출결과

본 원효로접속교는 2006년 12월 준공되어 6년간 공용중인 교량으로서 건설산업기

본법에 따른 하자담보 책임기간내에 속하는 교량이므로 다음과 같은 손상에 대해서는 하

자보수에 의한 보수가 요구된다.

【표 6.15】하자보수 대상 물량 산출결과

위 치 손 상 내 용손상

물량

발생

개소

보수

물량단위 보수공법 비고

교대 박리형 균열(cw=0.3mm이상) 0.30 1 0.09 ㎡ 단면보수(T=10mm) 하자

교각

균열(cw=0.3mm이상) 5.30 6 6.36 m 주입보수 하자

파손, 콘크리트 패임 0.14 3 0.17 ㎡ 단면보수(T=10mm) 하자

접속

옹벽

방호

균열(cw=0.3mm이상) 2.50 3 3.00 m 주입보수 하자

균열부백태(cw=0.2mm이하) 1.90 2 2.28 m 주입보수 하자

옹벽 균열(cw=0.3mm이상) 4.80 4 5.76 m 주입보수 하자

【표 6.16】교량 세부 공종별 하자담보책임기간 -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 30조』

구분 세부공종 책임기간

교량

① 기둥사이의 거리가 50m 이상이거나 길이가 500m 이상인 교량의 철

근콘크리트 또는 철골구조부10년

② 길이가 500m 미만인 교량의 철근콘크리트 또는 철골구조부 7년

③ 교량 중 ①·② 외의 공종(교면포장·이음부·난간시설 등) 2년

Page 114: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94 -

6.4 유지관리방안

6.4.1 개 요

교량의 유지관리는 시설물의 기능성과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상점검 및 정

밀점검을 통하여 구조물의 손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특히, 초기 결함을 찾아서 그 결함

정도에 따라 적정한 보수공법의 선정, 보수시기 등을 판단하여 신속한 보수가 실시되어야

한다. 초기에 발견된 결함의 보수시기를 놓치면 나중에는 보수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많은 보수비와 보수기간의 장기화로 통행차량의 불편과 동시에 물류비 증액의 원인이 된

다. 따라서 유지관리를 통하여 손상된 부분을 원상복귀하며, 경과시간에 따라 시설물의

개량, 보수․보강에 필요한 활동을 하는 것으로 교량의 각 부위별로 발생 가능한 손상에

대하여 주의 깊게 점검하여 그 원인을 미리 해소하는 예방활동에 목표를 두어야 한다.

6.4.2 유지관리 일반 업무

유지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항목에 따라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가. 자료관리

자료관리는 대상구조물이 처해있는 상황을 문서를 통하여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종 자료를 관리하는 업무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설계도서, 구조물대

장, 보수․보강대장, 사고이력 등의 자료를 정리․관리하는 일을 말한다. 자료는 구조물의

점검 보수․보강시마다 계속 증가하므로 수정이 편리하도록 작성되어야 하며, 이런 점에

서 볼 때 관련 자료를 전산화하여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유지관리시 필요한 자료를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 설계도서(시공 및 보수도면, 구조계산서 등) - 공사내역서 및 시방서

- 사진 및 시험결과 - 공사내역서 및 시방서 - 시설물 관리대장

- 사고기록, 점검 및 진단이력 - 상태 및 안전성 평가기록

나. 일상관리

일상관리는 구조물의 내구적인 손상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수행하는 작업을 말하는

것으로서 청소가 대표적인 경우이다. 또한 소모성 물품의 교환, 부착물의 정비 등 간단한

작업이 여기에 포함된다.

Page 115: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95 -

1) 교량청소, 배수구 관리

시설물의 접근 가능한 모든 부위에 대해 적어도 1년에 1회 이상 청소를 실시한다.

2) 받침장치 관리

받침장치는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부식부위를 제거하고 윤활유를 주기적으로 주

입한다.

3) 신축이음장치 관리

신축이음장치는 유간을 확보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청소되어야 하며, 후타재에 대

한 주기적인 관찰과 하부로의 누수 여부를 관찰하여야 한다.

4) 균열 관리

바닥판하면, 교대 및 교각에 발생된 균열부는 보수 후에도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

하며, 정기점검을 통해 팰요에 따라서는 계측을 통한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5) 누수 관리

신축이음장치 불량으로 인한 교대 및 교각부 누수, 포장부 방수 불량 및 바닥판하면 균

열부에서 누수 부위에 대해서 보수 후에도 주기적인 관찰을 통한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다. 점검 및 진단

점검은 주기적인 조사 및 관찰을 통해 구조물의 이상 및 손상을 조기에 발견함으로

서 안전하고 원활한 기능을 확보하고 합리적인 유지관리 자료를 획득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점검은 정기점검, 정밀점검(초기점검 포함) 및 긴급점검으로 나누며, 점검결과 이상

의 정도가 심하거나 보수․보강에 대한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는 상세조사를 실시한다. 또

한 위의 조사를 통하여 유지관리 담당자가 대상구조물에 대한 전문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고 판단될 때에는 전문가에 의한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여야 한다.

【표 6.17】점검주기 및 주요조사항목

점검종류 점검주기 주요조사항목

정기점검 반기 1회∘박리, 균열, 박락, 사용하중, 누수 등에 관하여 전회 점검

시와의 변형, 변위 발달상태

정밀점검 2년 1회

∘설계도서 검토

∘형상검사(규격, 변위, 변형, 침하 등)

∘상태검사(파열, 손상, 부식, 균열, 누수, 열화 등)

∘현장시험․측정(강도, 철근, 피복, 철근부식, 탄산화 등)

긴급점검 필요시∘손상의 정도, 보수의 긴급성, 보수작업의 규모, 주요 보조

부재의 내하력, 사용제한 여부 등

정밀안전진단점검결과에 따라

실시

∘구조물의 노후화, 손상정도, 초기 및 정기점검 상태로부터

의 변화 확인

∘구조해석 및 안전성 평가

Page 116: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96 -

【표 6.18】각 구조부재별 중요도 및 점검항목

분 류 유지관리 점검항목

교량의

안전성

측면에서

본 중요도

교량의

내구성측

면에서

본 중요도

교량의

사용자측

면에서

본 중요도

해 당

사 항

교면

포장

- 포장체의균열, 요철, 단차및함몰

- 청소상태및체수가능성▲ ▲ ◎ 유(有)

배수

시설

- 배수구, 배수관의파손상태

- 배수구주위의체수상태및하부구조누수상태

- 배수구주위의퇴적물및오염상태

△ ◎ ○ 유(有)

난간

- 강재난간 :

부식발생여부, 변형및파손여부

- 연석및콘크리트난간 :

균열, 박리, 파손여부와철근의노출

△ ○ ◎ 유(有)

바닥

- 균열및탈락 : 일방향균열, 이방향균열, 콘크리트탈락

및함몰, 철근노출포함

- 누수 및 백태 : 발생 균열 부위의 누수 여부, 백태현상

발생여부및범위

◎ ◎ ◎ 유(有)

거더

- 강재거더및 2차부재 :

부식발생여부, 변형및파손여부

- 볼트풀림및탈락여부

◎ ◎ ◎ 유(有)

교각

- 전단력에의한전단균열

- 교대,교각코핑부의박리및철근노출

- 교대와날개벽사이균열

◎ ◎ △ 유(有)

기초- 기초의세굴진행여부

- 기초의침하와파일노출◎ ◎ △ 유(有)

신축

이음

장치

- 신축이음의작동여부, 유간, 이상음

- 신축이음본체의재료적열화, 균열, 파손

- 본체방수재(씰재)의파손, 하부구조로의누수여부

- 앵커부의이완, 탈락및파손상태

- 본체의이물질유입등오염상태

- 무수축콘크리트의파손및주행성상태

△ △ ◎ 유(有)

받침

장치

- 받침의고정된상태와손상,노화부재의유무

- 가동받침의작동유무

- 앵커볼트의변형파손유무,너트의이완여부

- 강재받침의녹, 부식의범위, 고무재받침의균열

- 고정단, 가동단, 받침의정상유무

- 받침형식(가동․고정의 받침배치도)의 사항을 기재하여

이후의유지관리업무에대비

- 받침부콘크리트와충전모르터의균열발생 상황

○ △ △ 유(有)

주) 1. 국토해양부 시설물 유지관리지침 참조

2. ◎ : 아주 중요 ○ : 매우중요 △ : 보통 ▲ : 미약

Page 117: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97 -

라. 보수 및 보강

점검이나 진단을 통하여 손상을 발견하였을 때는 손상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여

보수․보강 또는 신설이나 교체를 시행하여야 한다. 보수란 손상된 부위를 고쳐서 원래의

기능으로 회복시키는 작업을 의미하며, 보강은 현 상태의 손상방지는 물론 구조적 내하력

및 지지력을 현 상태 이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작업을 말한다.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흐름도는 다음【그림 6.10】과 같다.

구조물의 준공

유지관리 개시

자 연 작 용

하 중 작 용

갱 년 열 화

시 공 불 량

재해(지진,화재)

교 통 사 고

긴급조치필요여부

손상원인판단가능

보수여부판단가능

점검보고서조사보고서 관리 정보

관리 대장

일 상 점 검

정 기 점 검

비상시 점검

점 검 조 사

손상의 발견

손상도 판정

조사결과분석

상 세 조 사

추 적 조 사

손상원안판단가능

고도의 기술적 판단

구조물 마다의

판 정 표 준

보수 필요성

보수교체공법 검토

보 수 교 체 개 축 보 강

사회적 욕구

안전도 향상

Yes

Yes Yes

Yes

No

No

No

No

정기점검

정밀점검

긴급점검

원인

【그림 6.12】유지관리 흐름도

Page 118: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98 -

6.4.3 중점유지관리 방안

가. 거 더

종점측 거더 내부 하부플랜지는 신축이음 차수판 미설치로 인해 상부로부터 유입

된 노면수가 바닥에 체수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스캘러부 실링 및 유도배수 처리

후 Box내부로의 우수 유입 여부에 대한 주의관찰이 요구된다.

지점부 하부 플렌지 바닥 체수(S4) 지점측 단부(외측) 현황

나. 받침장치

본 원효로접속교는 곡선교량으로서 부반력 제어를 위해 Box내부에 콘크리트 시설

물이 설치되어 있고, 받침 배치가 접선방향으로 배치되어있는 등 받침장치의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거동시 구속으로 인해 받침 콘크리트 및 몰탈 균열이 발생 될 수 있으므로, 금

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향후 받침부 손상 증가에 대한 주의관찰이 요구된다.

받침몰탈 균열(cw=0.1mm)(A1) 받침 콘트리트 균열(cw=0.1mm)(P1)

Page 119: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99 -

다. 접속옹벽

접속옹벽 신축이음부에 발생된 0.3mm 사방향 균열의 원인은 건조수축 및 상부 방

음벽에 의한 구속으로 판단되므로 단기 보수방안으로 균열부 주입보수를 선행하고, 향후

주의관찰을 통해 재 손상 발생시 상부 방음벽의 신축거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부에 유격을

설치하는 등의 조치가 요구된다.

연결부 유격설치

신축이음부 균열(cw=0.3mm) 방음벽 현황 및 유격설치 위치

라. 기타 중점관리 사항

구 분 유지관리방안

교대 및 교각∘균열 진전 여부 및 추가균열 발생여부 확인

∘신축이음을 통한 우수 유입 여부 확인(차수시설 설치 선행)

신축이음∘유간내 토사퇴적에 대한 주기적인 청소 필요

∘주행 차량의 반복하중에 의한 후타재 및 본체 파손 여부 확인

교면포장 ∘아스콘 박락, 체수 손상 진전 및 확대 여부 확인

배수시설

∘배수구 막힘으로 인한 교면 체수 발생 여부 확인

∘배수관 탈락 여부 확인

∘배수구 막힘은 지속적인 청소를 실시하여 우수의 원활한 배수 요망

난간 및 연석∘강재 연석의 부식, 변형 여부 확인

∘난간 변형 및 지주 이탈로 인한 추가 손상 발생여부 확인

Page 120: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6장 보수·보강 방안

- 100 -

6.4.4 유지관리 개선사항

본 원효로접속교는 간선도로(강변북로)에서 원효로를 연결하는 교량으로서 차량충

돌에 의한 방호울타리 손상이 빈번하고, 곡선교임을 감안 할 때 차량 진입부에 과속경고

판 부착 및 노면에 과속방지 시설을 설치를 통해 시설물 보호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조치가 요망된다.

성산대교원효로

P1 P2

P3

A1

39.000

39.000

40.000

40.000

158.000사고

많은

속도를

줄이시오

과속방지 도색

과속방지턱

과속방지 도색

【그림 6.13】과속방지시설 설치 개요도

6.4.5 점검동선

본 원효로접속교의 점검동선은 다음【그림 6.14】와 같다.

【그림 6.14】점검동선

Page 121: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제 7 장 종합결론

`

7.1 현장조사 및 시험 결과

7.2 정밀안전진단 필요 여부 검토

7.3 종합결론

Page 122: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Page 123: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7장 종합결론

- 103 -

제 7장 종합결론제 7장 종합결론

본 과업대상 시설물인 원효로접속교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암동에 위치하고, 총연장

158.0m, 총폭 7.0m의 2종 시설물로서 2006년 12월 준공 후 6년간 공용중인 4경간의Steel

Box Girder로 구성된 강 상판형교로서 외관조사, 비파괴시험을 통한 종합결론은 다음과

같다.

7.1 현장조사 및 시험 결과

가. 외관조사 결과

1) 교면포장

교면포장은 강 바닥판 위에 아스팔트 포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태이나, 경미한 아스콘 박락이 발생되어 손상 확대 방지를 위해 보수가 요구된다.

2) 난간 및 연석

난간은 곡선구간인 S2∼S4경간 우측에서 차량 충돌에 의한 난간변형, 파손 및 지

주 파손이 부분적으로 발생되었고, 강재 연석 도장박락 및 부식상태가 조사되어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단기 보수대책에 의한 보수가 요구된다.

3) 배수시설

배수시설은 대체적으로 양호하나, 부분적인 배수구 막힘 및 배수관 설치 불량이

조사되어 유지관리 차원에서 보수조치 후 지속적인 점검이 요구된다.

4) 강 바닥판

강 바닥판 하면은 별도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태로 조사

되어 추가 손상 발생여부에 대한 주기적 점검 및 유지관리가 요구된다.

5) 신축이음 장치

Page 124: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7장 종합결론

- 104 -

Steel Finger형식으로 시공된 신축이음은 대체적으로 양호하며, 신축 유간 또한

설계 기준치를 만족하는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국부적으로 발생된 후타재 균열 및 신축

유간 토사퇴적에 대해서는 주기적 청소등 유지관리를 함이 바람직 하다. 다만 연석부의

차수시설 미설치로 인해 하부구조 및 거더 내부의 체수 발생 등 추가 손상이 발생되고

있으므로 하부에서 유도배수를 통한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6) 강재주형

강재 주형내부 및 외부는 대체적으로 양호한 상태이나, 신축이음 차수판 미설치로

인해 4경간 지점측 바닥체수가 발생 되고있어 신축이음 차수판 설치 및 지점측 스캘럽

실링보수 등의 조치가 요구되며,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Splice부의 실링보수가 요구

된다.

7) 교대 및 교각

교대 및 교각은 경미한 손상이 발생된 대체적으로 양호한 상태이나, 국부적으로

발생된 균열 및 단면손상부에 대해서는 내구성 저하 방지를 위해 하자보수에 의한 보수

후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요구된다.

8) 받침장치

포트받침으로 구성된 받침장치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태이며, 건조수축에 의해

발생된 0.1mm내외의 받침 콘크리트 및 받침몰탈 균열은 추가 손상 발생에 대한 지속관

찰이 요구된다.

9) 접속옹벽

교량 종점측은 접속 옹벽이 설치되어 있으며, 외관조사 결과 대체적으로 양호한

상태이나, 방호벽 측에서 0.1∼0.2mm내외의 균열이 간헐적으로 발견되어 내구성 저하 방

지를 위해 주입보수에 의한 보수가 요구된다.

다. 비파괴시험 결과

1) 콘크리트 강도 시험결과

반발경도시험에 의한 강도 측정결과 하부구조의 압축강도는 24.5~27.0MPa로 측

정되어 설계기준강도(24.0MPa)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강도 저하에 의한 교량의 내구

Page 125: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 종 합 보 고 서opengov.seoul.go.kr/sites/default/files/wordpress/2013/05/...yzc3 p[Ëfi"b*%+Ï)Èmã ... 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서빙고지하차도외 2개소 정밀점검 용역(원효로접속교) 제7장 종합결론

- 105 -

성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2) 탄산화시험 결과

탄산화깊이 측정 결과 탄산화 깊이는 4.3~6.1㎜(철근까지의 최소잔여깊이:44.0㎜)로

나타나 측정위치의 철근피복두께를 고려할 때 “a”의 상태로 평가되어 전반적으로 탄산화

에 의한 철근의 부식 발생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전 부재에서 잔존수

명(철근까지의 탄산화 도달시간)이 100년 이상 확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7.2 정밀안전진단 필요 여부 검토

본 원효로접속교는 시공 상태가 매우 양호하고, 활하중 작용 등 외력에 의한 구조

적 결함이나 손상이 없는 상태로서 국부적으로 발생한 손상․결함부에 대해 보수․보강

을 시행하면 사용재료의 건전성, 구조물의 기능성과 안전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으므로

현재는 정밀안전진단 및 시설물의 사용제한 등의 필요성이 없으며 향후 “시설물의 안전

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의한 정기점검, 정밀점검 등의 실시 등 지속적 유지관리를 시행

하면 설계시 의도한 내구연한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7.3 종합결론

원효로접속교의 정밀점검 수행결과 외관조사 및 비파괴시험에 의한 상태평가결

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안전등급은 『보조부재에 경미한 결함이 발생하였으나 기능발

휘에는 지장이 없으며, 내구성 증진을 위하여 일부의 보수가 필요한 상태』인“B”등급으로

최종 평가되었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 제시한 보수대책 수립 및 효율적인 유지관리가 이루어진다면

구조물의 안전성 및 내구성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