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153

Upload: buibao

Post on 13-Feb-2017

242 views

Category:

Documents


1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소셜미디어확산과미디어이용행태변화

도준호․심재웅․이재신

Page 2: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한국언론진흥재단자유과제연구보고서 2010-08

소셜미디어확산과미디어이용행태변화

책임연구 도준호(숙명여자대학교언론정보학부정보방송학과교수)

공동연구 심재웅(숙명여자대학교언론정보학부정보방송학과교수)

이재신(중앙대학교신문방송학과교수)

연구보조 신유경(숙명여자대학교정보방송학과석사과정)

김현정(숙명여자대학교정보방송학과석사과정)

발행인 이성준

편집인 선상신

발행일 2010년11월10일초판제1쇄발행

한국언론진흥재단

100-750 서울특별시중구태평로33 프레스센터12층

전화 (02) 2001-7744 팩스 (02) 2001-7740

www.kpf.or.kr

이 보고서는 2010년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언론진흥기금을 지원 받아 수행한 것입니다.보고서의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공식 견해가 아닌 연구자의 연구 결과임을 밝힙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2010

비매품

Page 3: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소셜미디어확산과미디어이용행태변화

책임연구 : 도준호(숙명여자대학교언론정보학부정보방송학과교수)

공동연구 : 심재웅(숙명여자대학교언론정보학부정보방송학과교수)

이재신(중앙대학교신문방송학과교수)

연구보조 : 신유경(숙명여자대학교정보방송학과석사과정)

김현정(숙명여자대학교정보방송학과석사과정)

Page 4: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Page 5: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목 차 >

Ⅰ. 서론 ·······································································1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1) 문제제기 ···················································································1

2) 연구목적 ···················································································2

2.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1) 연구문제 ···················································································4

2) 연구추진체계 ············································································7

3) 연구방법 ···················································································9

Ⅱ. 소셜 미디어의 정의와 현황 ································11

1. 소셜 미디어의 정의 ······················································11

2. 소셜 미디어의 현황 및 확산 ·······································16

1) 소셜 미디어의 현황 ·······························································16

2) 소셜 미디어의 확산 ·······························································26

3) 소셜 미디어와 스마트폰 ························································28

Ⅲ. 소셜 미디어에 대한 이론적 논의 ·······················31

1. 소셜 미디어의 이용과 충족 ·········································31

1) 소셜 미디어의 이용과 충족 ··················································31

2) 소셜 미디어의 미디어 이용과 대체 ······································34

3) 소셜 미디어와 뉴스소비 ························································36

Page 6: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2. 네트워크사회와 역의제설정 ·········································37

1) 네트워크 사회의 정의와 의미 ···············································37

2) 커뮤니케이션 양식과 사회 소통 구조 ··································38

3) 미디어-대중 커뮤니케이션 양식의 변화: 역의제설정 ·········· 41

3. 소셜 미디어와 시민저널리즘(Citizen Journalism) ······ 44

Ⅳ. 전문가인터뷰 결과 분석 ····································· 50

1. 각 분야별 전문가들의 소셜 미디어와 저널리즘에 대한

인식 ················································································50

1) 기자들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인식 ······································50

2) 학계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인식 ·········································60

3) 업계 전문가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인식 ·····························67

2. 전문가인터뷰 요약 ·······················································75

1) 뉴스 생산자의 입장 ·······························································75

2) 뉴스 소비자의 입장 ·······························································76

Ⅴ. 소셜 미디어 이용현황 분석 ································78

1. 조사개요 및 응답자 특성 ·············································78

2. 조작적 정의 ··································································80

3. 소셜 미디어 이용행태 ··················································82

4. 소셜 미디어 이용동기 및 만족도 ································89

1) 이용동기 ·················································································89

2) 이용동기와 이용 만족도 ························································92

5. 소셜 미디어의 저널리즘적 기능과 정보 교류 ············ 94

6.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미디어 이용행태 ····················· 101

Page 7: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Ⅵ. 결론 및 요약 ····················································· 112

1. 소셜 미디어 이용자 관련 분석 및 함의 ··················112

2. 전문가인터뷰 요약 및 함의 ·····································114

3. 문제점 및 해결방안 ····················································116

4. 소셜 미디어 연구를 위한 제언 ··································117

Page 8: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표> 목차

<표 2-1> 플랫폼에 따른 소셜 미디어의 구분 ·······································12

<표 2-2> 소셜 미디어의 특성 ································································14

<표 4-1> 심층인터뷰 대상자 ··································································50

<표 5-1> 연령대별ㆍ성별 응답자 분포 ··················································79

<표 5-2> 응답자 인구통계학적 속성 ·····················································79

<표 5-3> 소셜 미디어 이용방법 ·····························································82

<표 5-4> 스마트폰 사용자 비율 ·····························································82

<표 5-5> 소셜 미디어 이용여부 ·····························································83

<표 5-6> 가장 자주 이용하는 SNS ························································84

<표 5-7> 하루 평균 대중 매체 이용량 ··················································85

<표 5-8> 소셜 미디어와 스마트폰 이용량(분) ······································86

<표 5-9> 소셜 미디어의 문제점 ·····························································87

<표 5-10> 가장 자주 이용하는 소셜 미디어와 사생활 침해 경험 ······ 88

<표 5-11> 소셜 미디어 이용동기에 대한 탐험적 요인분석 결과 ········ 90

<표 5-12> 소셜 미디어 이용동기에 대한 확증적 요인분석 결과 ········ 91

<표 5-13> 이용동기 요인과 만족도의 평균과 표준편차 ·······················93

<표 5-14> 이용동기와 만족도의 상관관계 ············································93

<표 5-15> 뉴스 이용의 변화에 대한 단일표본 티 검증 결과 ··············95

<표 5-16> 소셜 미디어의 언론 역할에 대한 인식 ································96

<표 5-17> 소셜 미디어의 언론 역할에 대한 인식 ································96

<표 5-18>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보 습득 ············································97

<표 5-19>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보 제공 ············································98

<표 5-20>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이 느끼는 정보과잉 정도 ················· 98

<표 5-21> 소셜 미디어별 정보과잉 인식 정도 ·····································99

<표 5-22> 유용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99

<표 5-23> 라이프스타일 척도 요인분석 결과 ····································· 102

Page 9: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표 5-24> K-평균 군집분석 결과 ·························································103

<표 5-25> 군집별 라이프스타일 특성 ··················································104

<표 5-26> 라이프스타일 군집별 소셜 미디어 이용자 수 ··················· 106

<표 5-27> 라이프스타일 군집별 소셜 미디어 이용동기 차이 ············ 107

<표 5-28> 라이프스타일 군집별 소셜 미디어 만족도 차이 ··············· 108

<표 5-29> 라이프스타일 군집별 미디어 이용량 차이 ························ 109

<표 5-30> 라이프스타일 군집별 스마트폰 이용자 수의 차이 ············ 111

Page 10: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그림> 목차

<그림 1-1> 연구 추진전략 ·······································································8

<그림 2-1> 소셜 미디어 환경 ································································13

<그림 2-2> 인터넷 이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률 ··············· 16

<그림 2-3> 트위터 메인 화면 ································································17

<그림 2-4> 트위터 일일 방문자 수 및 페이지뷰 ·································19

<그림 2-5> 페이스북 메인 화면 ·····························································20

<그림 2-6> 페이스북 일일 방문자 수 및 페이지뷰 ······························21

<그림 2-7> 미투데이 메인 화면 ·····························································23

<그림 2-8> 미투데이 일일 방문자 수 및 페이지뷰 ······························24

<그림 2-9> 한국의 ‘트위터’, ‘페이스북’ 검색어 사용 패턴 ··················25

<그림 2-10> ‘소셜 미디어’에 대한 검색어 경향 ·································26

<그림 2-1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기기 ·······································29

<그림 2-12> 스마트폰 가입자 수와 트위터 사용자 수 ························ 30

<그림 3-1> 대중 사회와 네트워크 사회 ················································40

<그림 3-2> 변화된 의제 설정 과정 ·······················································43

<그림 5-1> 가장 자주 이용하는 SNS ····················································84

<그림 5-2> 하루 평균 대중 매체 이용량(분) ········································85

<그림 5-3> 하루 평균 소셜 미디어 이용량(분) ····································86

<그림 5-4> 이용동기와 만족도 ······························································93

<그림 5-5> 뉴스 이용의 변화 ································································94

<그림 5-6> 라이프스타일 군집별 라이프스타일 특성 ························ 105

<그림 5-7> 라이프스타일 군집별 소셜 미디어 이용자 분포 ··············106

<그림 5-8> 라이프스타일 군집별 종이신문 이용량(분) ······················ 110

<그림 5-9> 라이프스타일 군집별 스마트폰 이용량(분) ······················ 111

Page 11: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요 약 문>급속한 미디어 환경의 변화의 핵심은 콘텐츠와 이용자의 접점(contact

point)의 증가에 있다. 기존 미디어가 인터넷과 융합되면서 이용자들에게 콘텐

츠와의 접점을 점점 확대시켜가고 있고, 이 과정에서 정보의 생산, 유통, 그리

고 이용에 근본적인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이 연구는 소셜 미디어의

확산이 기존 미디어 이용행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

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소셜 미디어 이용현황 및 패턴을 분석했고, 소셜 미

디어가 우리사회에서 어떤 기능을 수행하며, 정보생산과 소비와 관련해 소셜

미디어가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보다 체계적이며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이용자와 기자, 언론학계, 업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병행했다. 이를 통해 소셜 미디어 이용이 한국사회에

서 갖는 의미와 저널리즘 측면에서 갖는 함의를 함께 분석했다.

이용자들은 소셜 미디어 이용을 통해 실시간의 신속한 정보와 사회트렌트

에 대한 파악, 타인의 의견수렴 및 공유, 타인과의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재미

와 즐거움 추구, 그리고 지인과의 관계를 돈독하게 하고 새로운 사람들과의

관계망 구축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셜 미디어 이용에 대한 응

답자들의 만족도가 높다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비교적 단기간에 이용자들로

부터 이용과 만족에 있어 모두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는 점은 소셜 미디

어가 앞으로 더욱 빠르게 한국 사회에 중요한 미디어로 자리매김 할 가능성

이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특성을 보다 세밀하게 파악

하기 위해 응답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소셜 미디어 이용을 분석한 결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의존하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 다르다는 점을 시사해

주목된다.

한편, 소셜 미디어는 신문 독자 및 방송뉴스 시청자의 뉴스이용에 큰 변화

를 끼치면서 저널리즘 지형을 새롭게 형성해가고 있었다. 가장 큰 특징으로는

소셜 미디어 이용자가 자신이 소셜 미디어 이용과정에서 형성한 네트워크에

서 유통되는 일종의 맞춤형 뉴스(tailored news)를 이용하고 이에 만족하고 있

음이 나타난 것이다. 소셜 미디어 이용자 개개인이 형성한 네트워크는 소셜

미디어 이용자 간에 자발적으로 형성되는 상호 호혜적(mutual benefits) 원리

가 작용하여,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네트워크 속에서 유통되는 뉴스 및 정보

Page 12: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는 단순한 뉴스 이상의 가치를 부여받게 된다. 또한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은

소셜 미디어를 통한 오보의 자정작용의 가능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었다.

기자, 학계, 그리고 업계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통해서는 소셜 미디어가 특

히 정보생산과 관련해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저널리즘과 관련해 가장 큰 변화는 게이트키핑 과정에 대한 변화와

기사작성 양식에 있어서의 변화, 독자 및 시청자에 대한 기자들의 인식변화

그리고 기존 언론사의 생존을 위한 전략적 차원에서의 소셜 미디어의 중요성

인식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기존 미디어에서는 중요한 의제를 생산자인 언

론사가 판단했지만 소셜 미디어는 의제의 중요성을 이용자가 판단하고, 사람

들이 관심을 가질수록 그 메시지가 더 중요하게 부각되는 형태의 새로운 의

제형성과정이 일어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신문과 방송저널리즘에 대한 신뢰도

가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소셜 미디어가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소셜 미디어의 활성화는 기자들의 기사작성과 취재에 있어서도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이용자들이 소셜 미디어라는 폭넓은 정보창구를 가지게 됨에

따라 기존 언론사 입장에서는 이에 대한 단순한 취재보다는 이슈에 대한 보

다 심층적이고 분석적인 기사를 생산해내야 하는 필요성이 커졌다. 또한 기사

기획단계에서 소셜 미디어를 통해 이용자들의 의견이나 반응을 미리 파악해

보거나 자신이 쓴 기사를 소셜 미디어를 통해 전달함으로써 이용자들의 평가

와 반응을 살피는 경우도 자주 일어나고 있었다. 소셜 미디어 이용자와 마찬

가지로 전문가들도 소셜 미디어로 인해 자칫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빠르게

전달되면서 잘못된 여론을 형성할 위험이 있지만, 소셜 미디어를 통해서 예전

보다 빠른 속도로 잘못된 정보를 정정할 수 있는 가능성이 시스템적으로 갖

추어졌다는 점에 동의하고 있었다. 이와 함께, 전문가들은 소셜 미디어를 이용

한 뉴스 이용에 익숙해져가는 독자 및 시청자들이 이제는 단순한 정보 수용

자가 아니라 이들 각자가 중요한 정보원이며 기자들이 취재하지 못하는 중요

한 사건사고를 늘 먼저 취재해낼 수 있는 정보생산자라는 관점이 점차 자리

잡고 있다고 평가했다.

소셜 미디어의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소셜 미디어로 인한 프라이버시

침해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에는

개인과 관련한 다양하고 민감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프라

Page 13: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이버시 침해우려가 훨씬 심각하다. 이에 대해 일부 전문가와 이용자들은 프라

이버시 문제는 소셜 미디어가 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이용자의 문제이며, 초기

정착단계인 소셜 미디어가 주는 여러 측면에서의 유용성을 생각할 때 부정적

측면이 먼저 강조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정보과잉 현상 또한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수많은 정보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라는 적절한

정보이용 매니지먼트를 하지 못하게 될 경우, 소셜 미디어 이용자는 오히려

정보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와 잘못된 정보로 인한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크고 자신의 정치적 성향에 의존하거나 심층적인 뉴스보다는 신변잡기와 흥

미위주의 정보를 주로 소비하면서 정보획득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도 있다.

향후 소셜 미디어와 관련한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우선 소셜 미

디어를 위한 이론화 작업이 시급하다. 지금까지는 매스미디어 이용과 관련한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이론들을 토대로 대부분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러한 측면에서 소셜 미디어 연구의 발전을 위한 새로운 이론화 작업이 중요

한 연구주제라고 하겠다. 또한 소셜 미디어는 그 범주와 범주별 구체적 서비

스가 매우 다양하다는 특성을 보이므로 소셜 미디어 전반을 분석대상으로 하

기보다는 구체적 서비스별로 분석대상을 한정하는 것이 소셜 미디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아직 초기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소셜 미디어 연구는 소셜 미디어 이용현황 및 이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국한된 주제와 함께, 소셜 미디어가 저널리즘, 미디어 환경, 일상생활,

및 미디어 산업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방향으로 연구의 폭을 넓혀

갈 필요가 있다고 본다.

Page 14: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Page 15: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 -

Ⅰ. 서론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문제제기

최근 소셜 미디어 중심의 미디어환경 변화는 정보의 생산과 이용 측면에서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급속한 미디어 환경의 변화의 핵심은 바로

콘텐츠와 이용자의 접점(contact point)의 증가에 있다.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의 개발로 인해 이용자들은 그야말로 무한한 접점을 경험하게 되

었고, 이 과정에서 정보의 생산, 유통, 이용에 근본적인 변화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트위터(twitter), 구글(Google), 아이폰(iPhone), 그리고 페이스북

(Facebook)을 상징하는 TGIF가 우리 사회 중요한 키워드로 부상한 점은 접점

과 관련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들은 유례가 없을 만큼 빠른 속도로 우리

의 미디어 일상에 정착하고 있다.

우선적으로, 소셜 미디어의 등장은 사람들의 뉴스이용에 큰 변화를 야기했

다. 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33%가 휴대폰을 통해 뉴스를 접하며, 28%는

뉴스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홈페이지나 블로그에 남긴다고 응답했다. 또한 응

답자의 37%는 페이스북(Facebook)이나 트위터(Twitter)에 뉴스를 링크하거나

언급함으로써, 단순한 뉴스 소비를 넘어 뉴스의 확산과 여론형성 과정에 참여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사용자 중에는 75%가 이메일이나 소셜

미디어를 통해 뉴스를 접하고 있었으며 52%는 이러한 방법으로 링크를 통해

남들에게 뉴스를 전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소셜 미디어를 통한

뉴스소비가 뉴스 공급자에게로부터 일방적으로 뉴스를 전달받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관심 있는 특정 뉴스에 대해 남들과 의견을 나누는 뉴스 필터링과 평

가가 함께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즉, 소셜 미디어를 통한 뉴스

소비는 기존의 방법에 비해 보다 능동적이며 참여적인 형태로 진행되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변화는 저널리즘의 미래와 관련해 중요한 점을 시사한다. 길모어

(Gillmor, 2004)는 참여, 개방, 공유로 상징되는 Web2.0 기반 소셜 미디어는

참여구조를 바탕으로 기존 <강의실 저널리즘>에서 <대화식 저널리즘>으로 획

Page 16: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2 -

기적인 전환을 가져올 것으로 예측했다. <맥락적 저널리즘(contextual

journalism)>이란 개념도 소셜 미디어 환경 속에서 변화하고 있는 이용자들의

특성을 필수적으로 반영하는 방향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즉,

독자의 참여를 강화하고 역동적인 콘텐츠를 제공하며, 개인맞춤형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는 프로페셔널 저널리즘에서도 뉴스의 생산에 있어 소

셜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우리나

라 언론사에서도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취재를 적극 권장하고 있고, 기사의

취재와 기획에 있어 오픈소스(open source) 방식을 적용하기 시작한 점은 프

로페셔널 저널리즘의 변화가 필연적임을 인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최근에 국내외적으로 소셜 미디어 이용에 대한 실태조사와 소셜 미디어가

저널리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광범위한 소셜 미디어의 전반적인 역할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마케팅 활용가

능성에 관한 연구가 많아 소셜 미디어와 관련한 현상을 제대로 파악하기에는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소셜 미디어의 잠재력에 관한 논의는 무성하지만, 과

연 실질적으로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향후 그 영향은 어떠할 지를 체계

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과 자료도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해 소셜 미디어가 이용자들의 미디어 이용과

정보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다방면에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소셜 미디어를 최근 그 중요성이 대두하고 있는 트위터와 페이스

북 및 미투데이(me2day)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블로그(microblog)로 한정할 것

이다. 이를 통해 소셜 미디어의 영향을 더욱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

라 판단된다. 이러한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정보이용 패턴

에서의 변화, 이러한 변화가 이용자 및 저널리즘에 갖는 의미, 그리고 향후 소

셜 미디어의 역할과 발전방향을 모색할 것이다.

2) 연구목적

급속한 미디어 환경 변화의 핵심은 콘텐츠와 이용자 접점(contact point)의

증가에 있다. 기존 미디어가 인터넷과 융합되면서 이용자들에게 콘텐츠와의

접점을 점점 확대시켜가고 있고, 이 과정에서 정보의 생산, 유통, 그리고 이용

에 근본적인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Page 17: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3 -

최근에는 Web2.0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등장과 함

께 콘텐츠와 이용자의 접점의 의미가 더욱 중요해졌다. 특히, 참여 개방 공유

로 상징되는 Web2.0 기반 소셜 미디어인 참여구조를 바탕으로 기존 강의형

저널리즘에서 대화식 저널리즘으로 획기적인 전환을 가져다 줄 것으로 평가

된다(Gillmor, 2004). 소위 맥락적 저널리즘(contextual journalism)이란 개념도

소셜 미디어 환경 속에서 변화하고 있는 이용자들의 특성을 필수적으로 반영

하는 방향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독자의 참여를 강화하고 다이내

믹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개인맞춤형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는 뉴스

의 생산에 있어 주요 생산자들인 기자들이 적극적으로 소셜 미디어를 활용해

야만 하는 당위성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최근 기사의 취재와 기획에 있어 오

픈소스 방식을 적용해 집단들은 전통적인 저널리즘 모델에서는 설명할 수 없

을 만큼 시민의 적극적 지성을 이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사실은 기자들

의 이러한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뉴스의 주요 소비자들의 뉴스 이용에도 많은 변화가 발생했다. 한 조

사 자료에 따르면, 응답자의 33%가 휴대폰을 통해 뉴스를 접하며, 28%는 뉴

스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홈페이지나 블로그에 남긴다는 것이다. 또한, 37%의

사람들은 페이스북(Facebook)이나 트위터(Twitter)에 뉴스를 링크하거나 언급

함으로써, 단순한 뉴스 소비를 넘어 뉴스의 확산과 여론 형성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사용자 중에서는 75%가 이메일이나 소셜 미디

어를 통해 뉴스를 접하고 52%는 이러한 방법으로 링크를 통해 남들에게 뉴스

를 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소셜 미디어를 통한 뉴스 소비는 뉴스 공급

자에게로부터 일방적으로 뉴스를 전달받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관심 있는 특

정 뉴스에 대해 남들과 의견을 나누는 뉴스 필터링과 평가가 함께 일어난다

는 것을 의미한다. 즉, 소셜 미디어를 통한 뉴스 소비는 기존의 방법에 비해

보다 능동적이며 사용자 참여적인 형태로 일어나는 것이다.

최근에 국내외적으로 소셜 미디어가 한국사회 저널리즘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그 현상을 제대로 파악하기는 아직 부

족한 실정이다. 저널리즘에 대한 소셜 미디어의 잠재력에 대한 논의는 많지만,

과연 실질적으로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를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과 자료도 부재한 상황이다.

Page 18: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4 -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해 소셜 미디어가 우리 사회에 미치고 있는 정

보생산과 유통 및 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특히, 다양한

소셜 미디어를 저널리즘 측면에서 그 현황을 파악함과 동시에, 기자들을 대상

으로 소셜 미디어가 뉴스생산과 유통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도 심층인터

뷰를 통해 밝혀내고자 한다. 또한,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정보 이

용에 있어 어떤 변화가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가 이용자들에게는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소셜 미디어의 정보원으

로서의 기능을 보다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연구문제

본 연구의 연구문제 및 각 연구문제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1. 현재 소셜 미디어 현상에 대한 전문가들의 진단은 어떠한가?

소셜 미디어는 우리 사회 중요한 현상으로 대두했다. 그러나 아직까지 소셜

미디어란 무엇인지 그리고 우리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에 대한

일관된 논의와 분석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연구문제 1>에서는

이용자들의 소셜 미디어 이용과 인식을 분석하기에 앞서, 기자, 학계, 업계 전

문가들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이들이 인식하는 소셜 미디어 개념에 대한 정

의, 소셜 미디어의 활성화 및 영향, 소셜 미디어와 저널리즘과의 관계, 소셜

미디어의 장단점에 대해 어떤 진단을 내리고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소셜 미디어 현상에 대한 다양한 담론의 폭을 설정할 수 있을 것

이다.

2. 현재 소셜 미디어 이용현황과 이용패턴은 어떠한가? 이러한 현황과 패턴은

이용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2>에서는 다양한 소셜 미디어의 이용현황과 이용패턴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새로운 매체의 도입과 관련해 유용한 이론적 틀인 이용과 충족

의 관점에서 정보생산과 유통 및 이용의 과정에서 어떠한 특성과 동기를 바

Page 19: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5 -

탕으로 하고 있는 지를 살펴볼 것이다. 현재까지는 일부 소셜 미디어(블로그,

카페)와 전통적 미디어의 기능에 대한 인식비교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최민

재 양승찬, 2009). 이러한 부분을 더 확대해 <연구문제 2>에서는 소셜 미디어

의 이용현황, 이용행태 및 이용목적 등을 전반적으로 파악해 소셜 미디어에

대한 현황과 자료구축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와 함께, 소셜 미디어 이용자

의 라이프스타일(Lifestyle)에 따른 소셜 미디어 이용현황과 이용패턴을 함께

분석할 것이다. 이용자의 라이프스타일은 뉴미디어 도입 및 확산과 관련해 기

존 연구에서 주요 변인으로 간주하여 왔다(Chen & Leung, 2005; Leung,

1998; Wilska, 2003). 기존 미디어에 비해 훨씬 이용자 중심적이며 다양한 사

람과의 연결 및 적극적 참여를 필요로 하는 소셜 미디어 역시 이용자의 라이

프스타일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하겠다.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이용

현황과 이용패턴 분석을 통해 소셜 미디어의 본질적 속성과 향후 소셜 미디

어 수용과 관련한 구체적인 정보를 파악해낼 수 있을 것이다.

3. 소셜 미디어는 우리사회에서 어떤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가? 특히, 저널리즘

측면에서 어떤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가?

소셜 미디어의 기능을 살펴보기 위해서 다양한 범주를 개발하고 그 범주별

역할에 대한 새로운 개념 설정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소셜 미디어가 저널리

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가를 살펴보기 위해서 기존 저널리즘의 개념에 대한

재정의가 필요할 것이다. 소셜 미디어와 저널리즘에 대한 많은 논의 과정에서

저널리즘의 개념은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댄 길모어는 한 인터뷰

에서 소셜 미디어를 통해 저널리즘의 구조는 바뀌지만 전통적인 저널리즘의

가치는 그대로 유지된다고 밝혔다. 즉, 신뢰성, 전문성 등의 가치는 변화해서

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최민재 양승찬(2009)은 소셜 미디어의 저널

리즘 성격으로 참여저널리즘, 대화저널리즘, 그리고 대안저널리즘을 제시했다.

이러한 정의는 일반시민들이 생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주체적 성격을 갖

게 되고, 일방적 정보전달이 아닌 대화와 협력중심의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기

존 저널리즘에 대한 다양한 비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기능을 중심으

로 한 것이다. 소셜 미디어에 대한 담론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저널리즘

기능 수행에 대한 체계적 논의를 위해서는 새로운 개념정의가 요구된다고 하

겠다. 이러한 측면에서 <연구문제 3>은 소셜 미디어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한

Page 20: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6 -

분명한 의미와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4. 소셜 미디어는 정보생산을 위해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 특히, 뉴스 생산

과 관련해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

소셜 미디어란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인터넷 미디어를 일반적으로

의미한다. 사람들이 자신의 생각과 의견, 경험, 그리고 관점을 생산하고 공유

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방화된 플랫폼을 의미한다. 이러한 가운데, 소셜 미디어

는 정보생산을 위해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보적 단

계이다. <연구문제 3>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해, 소셜 미디어의 정보생산 측

면을 보다 자세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전통적인 언론매체에 종사하

는 기자들은 소셜 미디어의 등장으로 인해 뉴스생산에 어떤 변화를 겪고 있

는 가를 분석한다. 몇몇 연구자들은 이론적 차원에서 뉴스 생산에서의 변화를

예측하고 있다. 뉴스의 내용과 형식의 변화(보도 스타일과 전달 형식 포함),

취재 및 제작과정의 변화, 언론의 자유 개념의 변화 등에 있어서의 변화를 포

함해 저널리스트의 역할에 변화가 근본적인 있을 것이다(윤영철, 2001). 한편,

임종수(2006)는 뉴스소비에서 선택권이 강화됨으로써 새로운 뉴스형식, 맥락형

뉴스, 그리고 뉴스 생산자의 역할 변화를 예상했다. 하지만, 소셜 미디어와 뉴

스 생산과 관련해 실제 생산자의 인식과 태도를 구체적으로 조사한 결과는

찾아보기 어렵다. <연구문제 4>는 이에 대한 대답을 제공한다.

5.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의 정보이용 행태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가?

<연구문제 5>를 통해서는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보콘텐츠 이용에 있어 이

용자들은 기존 정보이용행태와 어떤 차이를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해보고자

한다. 먼저,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보 이용방식은 전통적 정보 이용과 어떤 차

이가 있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소셜 미디어 상황에서 일어나는 의

제설정기능의 의미를 재 고찰해 볼 것이다. 뉴스의 전달과 이용방식이 다른

상황에서 전통적 저널리즘 이론인 의제설정이 일어나는지, 그렇다면 그 의미

는 무엇인지를 분석해본다. 또한, 전통적인 뉴스가치가 갖는 개념이 소셜 미디

어를 통한 뉴스콘텐츠에 적용되는지 아니면 뉴스가치에 대한 새로운 개념정

의가 필요한지를 분석한다. 최민재 양승찬(2009)의 연구에서도 소셜 미디어가

저널리즘 기능을 수행하게 되면, 미디어의 의제기능과 이용자의 자질과 조건

Page 21: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7 -

등이 매우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함께 접점의 증가로 콘텐츠에 대

한 이용가능성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어떻게 고급정보를 찾아내는가는 뉴스소

비자의 입장에서 매우 중요한 사안이 됐다. 따라서 다양한 소셜 미디어 플랫

폼과 그를 통한 광범위한 정보의 유통 속에서 이용자들은 어떻게 뉴스정보를

찾아내고 활용하는지에 대한 모델을 모색한다.

2) 연구추진체계

본 연구에서는 <그림 1-1>에 제시된 바와 같이 크게 세 단계에 의해 연구

를 진행하고자 한다. 먼저, 포괄적인 국내외 사례연구를 통해 소셜 미디어의

이용현황에 대한 현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한다. 이는 국내외 소셜 미디어를 통

한 정보의 생산, 유통, 그리고 이용을 살펴보는 것으로 이 연구의 다음 단계는

물론 향후 소셜 미디어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Page 22: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8 -

<그림 1-1> 연구 추진전략

국내외 SNS기반

이용현황 조사

새로운 정보유통

현황 연구

현황파악 및

다음단계기초자료

1. 사례연구 단계

- SNS 서비스 현황 파악

1) SNS 환경의 특성과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2) 이를 통해 다음 단계를 위한 연구 모델 수립

2. 심층인터뷰와 설문연구 단계

3. 정책적 제언

다각적 접근

- 전문가: 심층인터뷰

- 이용자: 설문연구/심층인터뷰

-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통한

SNS 서비스 모델 개발

- 이용자: SNS 정보 이용에 영향

을 주는 요인 탐구

소셜 미디어 기반 정보생산 및

서비스 이용 활성화

소셜 미디어 정보 서비스

수익도출 방안 마련

-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보서비스 활성화와 새로운 유통 구조 및 수익

제고를 위한 정책 방안 마련

Page 23: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9 -

둘째, 현업에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할 것

이다. 전문가들은 본 연구의 4가지 주요 연구문제에 대해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향후 전개될 소셜 미디어를 이

용한 서비스를 예상해볼 수 있다.

셋째, 전문가 인터뷰에 더하여 이용자 설문연구를 통해 스마트폰을 기반으

로 하는 소셜 미디어 이용정도와 미래 사용의도를 조사할 것이다. 이는 결국

서비스의 성공은 이용자의 사용에 달려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즉 아무리 좋

은 서비스라도 사용자가 외면하면 성공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사

용자가 인식하는 소셜 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한 이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피는 것은 본 연구의 핵심적인 단계에 해당한다.

3)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 취하는 단계별ㆍ다각적 접근은 특정 현상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해 매우 효과적인 방안이다. 이러한 연구추진 체계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각 단계의 연구 결과들이 다음 단계의 연구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 충분히 활용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이전 단계의 결과물을

토대로 다음 단계의 연구 진행이 이루어져 각 단계의 연구들이 서로 유기적

인 관계를 형성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관련문헌 조사와 함께 국내외 소셜 미디어

기반의 뉴스 유통 현황조사를 실시하고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발견되는 중요

결과들을 이용한 전문가 인터뷰와 이용자 설문 연구에 이용할 것이다. 즉 현

황 조사를 통해 연구모델을 개발하고 이렇게 개발된 연구 모델은 인터뷰와

설문 연구를 통해 검증할 것이다.

본 연구의 추진 전략은 크게 현황 조사를 이용한 사례적 접근, 질적 방법론

측면의 전문가 인터뷰, 그리고 양적 방법론 측면의 이용자 설문 연구를 통해

다각적 측면에서 소셜 미디어 기반의 뉴스 서비스 및 뉴스 유통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미래 뉴스 서비스 활성화와 수익도출을 위한 방안을 제시

하는 것이 연구의 최종 목표이다.

Page 24: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0 -

본 연구에서 제시된 단계별 연구추진 전략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관

련 연구 분야의 전문가로 이루어진 연구협력팀을 구성하여 이들과의 유기적

인 커뮤니케이션을 도모할 것이다. 즉 과제 시작과 동시에 연구 협력팀을 구

성하여 서로의 의견을 조율한 후 중요 개념에 대한 개념화 작업을 진행할 것

이다. 또한 전문가 인터뷰와 설문을 실시하기 이전, 즉 두 번째 단계로의 진입

이전에 2~3 차례의 회의를 통해 연구 설계가 과제가 목표하는 바를 충분히

달성하고자 하는 바를 충실히 담고 있는가를 점검할 것이다. 또한 연구결과로

부터 보고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도 연구 협력팀을 적극 활용하여 과제의 목

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고자 한다. 이는 부문별 연구결과들이 서로 유기적으

로 연계되어 전체적인 관점에서 스마트폰 기반의 뉴스 소비 활성화 방안을

마련할 것이다.

Page 25: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1 -

Ⅱ. 소셜 미디어의 정의와 현황

1. 소셜 미디어의 정의

소셜 미디어란 용어를 가장 먼저 사용한 사람은 가이드와이어 그룹

(Guidewire Group) 공동 창업자로 알려진 크리스 쉬플리(Chris Shipley)로 알

려져 있다. 쉬플리는 2005년 9월에 열린 Demofall 컨퍼런스 키노트 연설을 통

해 소셜 미디어란 용어를 인터넷 상에서 대화를 용이하게 만드는 모든 것이

라는 의미로 사용했다. 그 후 소셜 미디어란 용어는 미디어 간 컨버전스와 함

께 정보소비자의 생산자로의 전환이라는 사회문화적 요인, 온라인 커뮤니티

문화의 성격이 개인적(personal) 측면에서 사회적(social) 측면과 융합되는 방

향으로의 진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도입과 발전, 그리고 인터넷 이용

자들의 네트워킹 형성에 관한 욕구의 증가와 함께 가장 주목받는 현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한국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06). 엘리아 비자네스(Elias

Bizannes, 2008)는 소셜 미디어가 2008년을 기점으로 그 존재와 역할을 이용

자들에게 강하게 형성했다고 주장한다. 2007년 개발된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등장과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트위

터를 통한 성공적인 선거운동 및 각종 위기 상황에서 소셜 미디어의 신속한

정보공유가 그 배경이라는 것이다.

이처럼 소셜 미디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높아졌지만, 상대적으로 소셜 미

디어에 대한 일관된 개념은 아직 존재하지 못한 실정이다. 지금까지 제기된

다양한 정의들은 소셜 미디어가 담고 있는 철학을 중심으로 한 정의, 소셜 미

디어의 플랫폼 구분에 따른 정의, 그리고 소셜 미디어의 마케팅적 기능을 중

심으로 한 정의로 나누어볼 수 있다.

먼저, 설진아(2009)는 소셜 미디어를 측정 가능한 퍼블리싱을 이용해 창출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주장이나 의견을 쉽게 전파하도록 고안된 미디어로

정의한다. 이러한 소셜 미디어의 가장 큰 특징은 커뮤니케이션 행위자를 콘텐

츠 소비자에서 생산자로 변형시킴으로써 지식과 정보의 민주화를 지원하는

미디어의 역할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최민재(2009)는 소셜 미디어가 소셜네트

워크서비스에 기반한 네트워크적 성격과 함께 콘텐츠 생산과 공유라는 미디

어적 측면을 강조하면서 제기된 개념으로 본다. 이상의 정의에는 소셜 미디어

Page 26: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2 -

분류 사례

표현형

블로그티스토리, 네이버블로그, 블로거닷컴, 텍스

트큐브

마이크로 블로그 트위터, 미투데이, 플레이톡, 토씨, 톡픽

기타 위키피디아, 디그닷컴, 마가린

관계형 멤버십 사이트싸이월드, 세이클럽, 카페(네이버/다음), 페

이스북

공유형비디오 공유 사이트 다음 TV 팟, 유튜브, 판도라, 아프리카

사진 공유 사이트 플리커, 피카사, 슬라이드

게임형 온라인 게임와우(월드오브워크래프트), 리니지 등의

RPG게임

의 본질적 속성으로 참여, 공유, 개방이라는 웹2.0의 기본철학을 반영해 이용

자 중심의 미디어 환경구축을 가능하게 하는 미디어라는 의미가 내재되어 있

다.

한편, 소셜 미디어의 다양한 플랫폼을 구분하는 형태의 정의들은 다양한 소

셜 미디어의 기능과 역할을 중심으로 한다. 먼저, 유지연(2010)은 소셜 미디어

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미디어로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고, 정보공유, 인맥

관리 및 자기표현을 통해 타인과의 관계를 관리해나갈 수 있도록 해주는 서

비스로 본다. 에릭 컬만(Erik Qualman, 2009)은 실시간 업데이트 서비스, 마이

크로 블로그 서비스, 참여형 북마크 서비스, 비디오 및 사진공유 서비스로 소

셜 미디어를 구분한다. 박정남(2010)은 소셜 미디어를 퍼블리싱의 소비자와 생

산자가 동일한 미디어로 규정하면서, 그 성격에 따라 표현형, 관계형, 공유형,

게임형으로 분류한다. 구체적으로 표현형에는 블로그나 마이크로 블로그 서비

스 사이트, 관계형에는 주로 멤버십 사이트, 공유형에는 비디오나 사진을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사이트, 게임형에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 사이트가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다(<표 2-1> 참조).

<표 2-1> 플랫폼에 따른 소셜 미디어의 구분

출처 : 박정남(2010, 18쪽).

소셜 네트워킹 위키를 표방하는 Sniki에 따르면, 소셜 미디어는 이용자 간

즉각적인 협동과 정보공유가 가능한 것으로 그 누구라도 출판자, 기자, 예술

Page 27: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3 -

가, 영화제작자, 사진가 또는 각 분야의 전문가가 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정의

하면서, 소셜 미디어의 핵심을 대화로 보고 그 채널로 비디오와 사진, 블로그,

이벤트, 소셜 네트워크, 협동, 위키, 오디오, email, SMS, 마이크로 블로그, 개

인적 사회네트워크로 소셜 미디어를 구분한다(http://sniki.org/what-is-social-

media). 이와 함께, 소셜 미디어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을 중심으로 퍼블리

케이션 서비스, 정보공유 서비스, 토론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마이크

로 퍼블리케이션 서비스, 소셜 모임 서비스, 라이브 캐스트 서비스, 가상세계

서비스, 소셜 게임과 일상적 게임 서비스, MMO와 MMORPG 서비스로 구분

할 수 있다(www.fredcavazza.net).

<그림 2-1> 소셜 미디어 환경

출처 : http://www.fredcavazza.net/2008/06/09/social-media-landscape/

한국정보통신산업진흥원(2006)에서는 소셜 미디어란 사람들이 의견, 생각,

Page 28: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4 -

구분 해설

참여

(Participation)

소셜 미디어는 관심 있는 모든 사람들의 기여와 피드백

을 촉진하며 미디어와 오디언스의 개념을 불명확하게

공개

(Openness)

대부분의 소셜 미디어는 피드백과 참여가 공개되어 있

으며 투표, 피드백, 코멘트, 정보 공유를 촉진함으로써

콘텐츠 접근과 사용에 대한 장벽이 거의 없음

대화

(Conversation)

전통적인 미디어가 ‘Broadcast'이고 콘텐츠가 일방적으로

오디언스에게 유통되는 반면 소셜 미디어는 쌍방향성을

커뮤니티

(Community)

소셜 미디어는 빠르게 커뮤니티를 구성하게 하고 커뮤

니티로 하여금 공통의 관심사에 대해 이야기하게 함

연결

(Connectedness)

대부분의 소셜 미디어는 다양한 미디어의 조합이나 링

크를 통한 연결상에서 번성

경험, 관점 등을 소로 공유하기 위해 사용하는 온라인 툴과 플랫폼으로 정의

하면서, 그 특성을 참여, 공개, 대화, 커뮤니티, 연결로 설명하고 있다. 소셜 미

디어 환경에서는 다양한 피드백으로 인해 미디어와 오디언스의 구분이 불명

확하고, 콘텐츠 접근과 사용에 장벽이 거의 없으며, 쌍방향적 대화와 다양하고

자유로운 연결을 통해 커뮤니티의 활성화가 촉진된다는 것이다.

<표 2-2> 소셜 미디어의 특성

출처 : 정보통신산업진흥원(정보산업지, 2006, p. 53).

이에 반해 조엘 콤(Joel Comm, 2009)은 소셜 미디어는 스토리가 생산되기

보다는 서로 교환되고, 레스토랑에서 담소를 나누는 것과 비슷하게 어떤 커뮤

니티에서 콘텐츠의 교환이 발생하는 형태의 출판이라고 정의한다. 이와 함께,

비즈니스 측면에서는 기업과 마케터들이 수천 명의 사람들 앞에 자신의 메시

지를 제시하고 그들로 하여금 회사에 대한 로열티와 강한 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기회로 정의하기도 한다. 또한, 제레미 오왕와 존 러벗(Jeremiah

Owyang & John Lovett, 2010)은 소셜 미디어를 비즈니스를 위한 최적의 도

구로 표현하면서 각 기업은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확대, 지원군의 확대, 지

원 촉진, 그리고 개혁의 박차라는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맞는 소셜 미디어 전

Page 29: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5 -

략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최근 폴 레빈슨(Paul Levinson, 2009)은 소셜 미디어를 뉴뉴미디어(new

new media)로 표현한다. 그는 유튜브, 블로그, 위키피디아, 트위터, 페이스북,

세컨드라이프를 가장 대표적인 뉴뉴미디어로 명명했다. 이러한 뉴뉴미디어는

누구라도 생산자가 될 수 있으며, 특정 언론기업에 소속되어 누구로부터의 지

시를 받을 필요가 없고, 개인에게 가장 적합한 미디어를 선택할 수 있으며, 미

디어간 경쟁적이면서 동시에 소셜 미디어를 발전시키는 촉매가 될 수 있고,

서치엔진이나 이메일과는 비교할 수 없는 기능과 역할을 하는 특징을 갖는다

는 것이다. 레빈슨의 이러한 정의를 통해 소셜 미디어는 소비자의 생산자로서

의 역할전환과 함께 다양한 소셜 미디어 플랫폼 간 경쟁과 균형을 통한 소셜

미디어의 발전이 소셜 미디어의 진화의 특징임을 동시에 알 수 있다.

소셜 미디어의 실제 활용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환(Hawn,

2009)의 연구에 따르면,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비롯한 소셜 미디어는 의사와

환자 간 상호작용에도 효과적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의 Hello

Health라는 건강프로그램은 병원, 환자 지원 단체, 각종 의료 산업체 등을 아

울러 소셜 미디어를 통한 새로운 의료정보의 유통과 이용을 쉽고 간편하게

함으로써 건강관리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소셜

미디어의 활용이 현대 의학의 이정표라고 평가한다. 또한 미국방부는 소셜 미

디어로 인한 군 보안에 대한 걱정과 우려가 있긴 하지만, 트위터와 페이스북

을 중심으로 한 소셜 미디어의 장점을 위해 이들 미디어의 사용을 허용하기

시작했다(Stewart, 2010).

조엘 콤(Joel Comm, 2009)에 따르면, 트위터와 페이스북은 그 이용자 면에

서 기존 서비스와 큰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 먼저 페이스북은 하버드 대학

에서 처음 시작되면서 최초에 대학생들로 이용자가 제한되는 등 첫 시작점이

다른 서비스와 차이를 보인다. 그로 인해 교육수준이 높은 이용자들의 비율이

특히 높다는 것이다. 특히, 4년제 대학의 시장점유율 측면에서 볼 때 약 85%

의 점유율을 차지할 만큼 대학생들의 이용비율이 높다는 것이다. 트위터 이용

자층 역시 특이하다. 트위터의 가장 큰 이용자층은 35세에서 44세까지 비교적

중장년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이용자의 약 25%를 구성한다. 이는 트위

터가 단순히 젊은이들의 단문문자메시지서비스(SMS) 대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의미한다. 이와 달리 트위터는 다소 연령층이 높으며, 경제적

Page 30: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6 -

여유 및 중요한 정보를 생산해낼 수 있는 전문지식을 가진 이용자층이 두텁

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소셜 미디어는 젊은 층과 함께 보다 스마트하고 교육

수준이 높은 사람들과 소비력이 높은 사람들에게도 매력적인 매체로 인식되

고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소셜 미디어를 마이크로 블로그와 소셜 네

트워크 기반의 미디어로 한정하면서 최근 가장 대표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트

위터, 미투데이, 그리고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 이유는 다

양한 소셜 미디어를 분석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와는 달리(최민재 양승찬,

2009), 공개와 참여라는 소셜 미디어의 주요 특성을 가장 잘 충족시키면서 국

내에서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는 소셜 미디어를 분석함으로써 소셜 미디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며 엄밀한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2. 소셜 미디어의 현황 및 확산

1) 소셜 미디어의 현황

한국인터넷진흥원은 2010년 5월 1일부터 7월 15일까지 인터넷 이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만 6세 이상 인터넷 이용자의 65.7%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다고 밝혔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률은 남성의 경우 66.9%, 여성

의 경우는 64.4%이며, 연령별로는 20대가 89.0%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그림 2-2> 인터넷 이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률

출처 : 방송통신위원회(2010).

Page 31: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7 -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자의 과반수(55.5%)가 주 1회 이상(‘하루에

1회 이상’ 25.4%, ‘일주일에 1회 이상’ 30.1%) 업무 외의 개인 용도로 SNS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 미디어는 점점 더 대중화, 보편화 되며 확산

되고 있다. 이 연구의 연구대상인 대표적인 소셜 미디어 트위터, 페이스북, 미

투데이의 역사와 현황을 통해 소셜 미디어의 확산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1) 트위터

트위터는 한 번에 올릴 수 있는 글자 수가 140자 이내의 짧은 분량이라는

점이 큰 특징이며, 관심 있는 상대방을 뒤따르는 독특한 기능을 중심으로 소

통이 이루어지는 소셜 미디어이다. 다른 사람이 트위터에 올린 글을 받아보는

것을 팔로윙(following)이라고 하는데, 이는 상대방의 허락을 받을 필요가 없

고, 상대방의 글을 재전송(Retweet)하거나 누구에게나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는 것이 다른 소셜 미디어와의 차이점이다. 트위터는 자신의 이야기를 짧게

표현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대방과 실시간 소통을 할 수 있고, 메신저처럼 그

대화에 얽매여 있을 필요가 없다는 장점도 있다.

<그림 2-3> 트위터 메인 화면

트위터는 2006년 3월에 만들어졌으며, 그 해 7월에 정식으로 소개되었다. 미

국의 팟캐스팅회사인 오데오사(Odeo, Inc.) 구성원들의 브레인스토밍에서 시작

되어 발전된 것이다. 잭 도시(Jack Dorsey), 비즈 스톤(Biz Stone), 에반 윌리엄

Page 32: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8 -

스(Evan Williams), 노아 글래스(Noah Glass)는 2007년 4월 자체 회사를 설립

하였다. 처음에 트위터는 단순히 인터넷을 통해 아는 사람과의 단문메시지를

주고받는 서비스였지만, 2007년 유저인터페이스(UI)를 단순화하고 응용프로그

램환경(API)을 공개하는 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로 진화하게 되었다.

트위터가 처음 등장했을 때 트위터의 가치를 폄하하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이

용자가 늘어나면서 신속성과 정보 확산, 정보 전달이라는 강점을 바탕으로 대

표적인 소셜 미디어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트위터가 본격적으로 관심거리가 된 것은 2009년 5월 김연아

선수가 트위터를 시작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부터라고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도 트위터를 통한 김연아 선수의 소식이 이슈가 되고 있는데, 김연아 선수 외

에도 작가 이외수 씨나 두산그룹 박용만 회장과 같은 유명인들의 활동이 화

제가 되면서 트위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트위터에 대한 관심은 선거

에도 영향을 미쳤다. 트위터가 2010년 6.2 지방선거의 높은 투표율에 큰 역할

이 되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1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6.2 지방선거 투

표율은 트위터를 통해 투표 독려 글이 확산되고, 유명인들의 투표 현장 인증

샷과 글들이 알려지면서 팔로워들의 참여를 이끌어 낸 결과라는 것이다.

최근에는 트위터로 유용한 소식을 얻거나 빠른 정보를 얻는 사례들을 자

주 볼 수 있다. 2010년 9월 21일, 추석 연휴기간에 기습 호우가 쏟아지는 상황

을 실시간 알리고 대응방법을 신속히 전파하는 정보관 역할을 하였으며, 10월

초에 발생한 부산의 주상복합 아파트 화재 사건도 트위터에 사진이 즉시 올

라오며 정보가 빠른 속도로 퍼져나갔다. 이러한 사건들로 인해 관계 정보망이

언론 취재망을 눌렀다거나, 빠른 재잘거림이 느린 의사결정을 제쳤다며 방송

이 트위터에 완패했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외국의 경우,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은 선거운동 과정에서 트위터를 효과적

으로 활용하여 홍보 효과를 얻었으며, 2009년 1월 미국 뉴욕에서 이륙 직후

엔진의 고장으로 여객기가 허드슨 강에 비상 착륙한 사건에서 트위터의 빠른

정보 파급력을 볼 수 있다. 현지 언론에서 비행기 추락을 처음 보도한 시각은

Page 33: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9 -

<그림 2-4> 트위터 일일 방문자 수 및 페이지뷰

당일 오후 3시 48분이었는데, 이를 언론매체보다 트위터 사용자들이 12분 먼

저 알린 것이다.

<그림 2-4>를 통해서 트위터의 일일 방문자 수와 페이지뷰가 증가하고 있

는 것을 보면 점점 트위터가 확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2009년 초부

터 중순까지 급격히 성장한 것을 볼 수 있다. 2010년 후반 때를 보면 페이지

뷰가 하락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그 수치가 감소

하였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현재 트위터 사용자는 전 세계 1억 4,500만 명에 달하며, 국내 사용자는 국

내 트위터 사용자 수를 집계하는 통계 사이트인 오이코랩의 조사에 따라 2010

년 10월 18일을 기준으로 180만 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2) 페이스북

페이스북은 개방형 소셜 미디어의 원조라고 불리며, 다른 소셜 미디어 보다

간결하고 자신의 글을 쉽게 관리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가지고 있다. 친구를 맺

고 인맥을 확장하며 안부를 묻거나, 유용한 정보를 친구들 사이에 공유하는

Page 34: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20 -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페이스북은 정보를 공유하고 연결된 인간관계 속에

서 이야기를 하는 것이 트위터와 비슷하지만, 연결성 측면에서 페이스북은 조

금 더 자기중심적이라는 점에서 다르다고 볼 수 있다. 페이스북은 한국의 싸

이월드처럼 자신만의 공간에 글, 사진, 동영상을 자유롭게 올려 남들과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페이스북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이용자가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사적영역을 효과적으로 공략하여 로그인하기 전까지는 아무것도 볼 수 없게

만들었으며 친구로 맺은 사람이 없다면 다른 사람의 정보를 볼 수 없도록 한

점이 큰 장점으로 사람들에게 작용했기 때문이다. 또, 세계 최초로 도입한 F8

이라고 하는 페이스북의 Open API 전략으로 이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누구라

도 페이스북을 개발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도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이유

중 하나이다. 페이스북은 현재 70개국의 언어가 지원되고 있다.

<그림 2-5> 페이스북 메인 화면

페이스북은 2004년 2월에 등장하여, 2006년 9월에 공식 오픈하였다. 이후 인

터넷에서 다양한 사람들끼리 서로 소식과 사진 등을 주고받으며 교류할 수

있는 세계 최대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로 자리 잡았다. 2004년에 하버드대학

의 재학생이었던 마크 주커버그(Mark Zuckerberg)가 교내 학생들을 서로 연

결해 주는 사이트를 만든 것이 시초가 되어 현재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용자

Page 35: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21 -

<그림 2-6> 페이스북 일일 방문자 수 및 페이지뷰

가 생긴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페이스북이 처음 등장했을 때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

다. 국내에는 페이스북보다 먼저 서비스를 시작하고 인기를 끌었던 싸이월드

가 있었기 때문이다. 싸이월드는 서로 친구가 되어야지만 상대방이 올린 글을

볼 수 있고, 사진이나 동영상을 보도록 만든 것으로 이는 페이스북도 마찬가

지다. 처음에 페이스북은 미국판 싸이월드라고 불리기도 했지만 지금은 싸이

월드보다 훨씬 큰 웹사이트로 성장하고 있다. 현재 페이스북은 주요 서비스를

한글로 하고 스마트폰에서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페이스북 한글 어플리케이

션을 선보이며, 공식 한국 페이스북 홈페이지도 운영하기 시작했다. 한국을 담

당하는 하비에르 올리반은 “페이스북은 한국 가입자가 급증하자 한국 시장을

주목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페이스북에 대한 관심은 최근 국내 최초로 페이스북을 통해 드라마 제작

발표회를 생중계하기도 하는 등 페이스북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통

해 알 수 있다. 외국에서는 페이스북과 방송의 접목 사례들이 몇 해 전부터

있었다. 2008년 11월 CNN닷컴이 페이스북과 연동해 미국 대통령 선거를 생

방송하였는데, 그 덕분에 CNN의 2008년 대통령 선거 보도는 하루 213만 건

의 조회 신기록을 세우기도 하였다.

Page 36: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22 -

<그림 2-6>을 보면, 일일 방문자 수와 페이지뷰가 계속적으로 성장하고 있

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그림을 통해 트위터의 일일 방문자 수와 페이지뷰

보다 조금 더 안정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페이스북 통계 사이트인 페이스베이커즈(www.facebakers.com)의 통계 자료

에 따르면 현재 페이스북 가입자는 전 세계적으로 5억 4천 명이 넘고, 국내

페이스북 사용자도 약 150만 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2010년 3월 1

일 자료에서는 국내 페이스북 사용자 수가 40만 명 정도에 불과했으나 6월에

는 90만 명 수준까지 늘었고, 7월에는 100만 명을 돌파해 이용자 수가 급증하

고 있다.

(3) 미투데이

미투데이는 나(me)의 오늘(today)을 가까운 지인들과 나눈다는 의미로 젊은

층들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써 이용될 것이라고 확신하며 만들어진

소셜 미디어이다. 이러한 미투데이는 최대 150자로 제한되어 있으며 트위터와

비슷해 한국형 트위터라고 불리지만 트위터보다 폐쇄적이다. 웹 2.0에 맞는 커

뮤니케이션 방식이며, 트위터와 달리 소소한 일상을 공유하는 내용이 많이 올

라온다. 미투데이는 공간의 개념이 강하지만 트위터는 시간의 개념이 더 크다

는 것도 다른 점이다. 또, 트위터는 what are you doing으로 시작을 해서 현

재 what's happening으로 바뀌어 정보 확산, 인포메이션 네트워크가 되었다

면, 미투데이는 처음에 북마크와 정보공유를 하는 것으로 시작해 지금은 what

are you doing을 추구하고 있다. 미투데이를 통해서 소소한 일상을 나누는 네

트워크 속에서 뉴스를 읽고 말하는 것도 하나의 일상으로 보며 결과적으로

새로운 정보를 계속 접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반복된 과정을 통한 잦은

접촉으로 신뢰감도 형성된다고 보고 있다.

Page 37: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23 -

<그림 2-7> 미투데이 메인 화면

미투데이는 박수만과 도흥석 두 설립자에 의해 2007년 2월에 만들어 졌으

며, 2009년 1월 NHN에 인수되었다. 2009년, 국내 트위터 붐이 시작되면서 미

투데이에 대한 관심도 커졌으며, 연예인 마케팅에 의해 급속도로 성장하였다.

가수 지드래곤이 솔로앨범을 발표하기 전 2009년 8월 5일 미투데이를 시작했

고, 이로 인하여 미투데이가 많은 사람들에게 각인되면서 이때부터 가입자들

이 늘어났다고 보고 있다. 이후에도 연예인 마케팅을 통해 계속적으로 성장하

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스타에 너무 집중되었다는 비판도 있다.

연예인 얘기나 소소한 일상과 관련된 글들이 많이 올라오지만, 2010년 1월

초 미투데이를 통해 가입자들은 실시간으로 폭설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며

뉴스나 기상 예보가 닿지 못하는 곳까지 그 역할을 해내기도 하였다. 폭설이

내렸을 때 NHN의 김상헌 대표는 자신의 미투데이를 통해 “오늘은 지각처리

없도록 조치했으니 안심들 하시고 조심조심 출근하십시오.”라며 직원들에게

메시지를 전하며 실시간 정보 전달자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또, 미친(미투데

이 친구) 간의 효율적인 비상연락으로 출근길 교통속보를 알려준 사례들도 있

다. 2010년 3월에는 국가교통정보센터(ITS)에서 미투데이 운영사 NHN와 업무

협정을 맺고 공공정보의 민간 활용을 통한 국민적 편의성 제공하기로 하였다.

최근에는 국외 소셜 미디어와 국내의 소셜 미디어와의 경쟁에서 사용자의 확

보를 위해 다소 공격적으로 보일 수 있는 홍보를 하기 시작했다.

Page 38: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24 -

<그림 2-8> 미투데이 일일 방문자 수 및 페이지뷰

미투데이의 경우 <그림 2-8>을 보면 아직까지 일일 방문자 수와 페이지뷰

만을 봤을 때 먼저 소셜미디어에 자리를 잡은 트위터나 페이스북에 비해 불

안정하게 보이기는 하지만 2009년 초반보다 성장하였다는 것을 볼 수 있다.

2009년 8월 이후 일일 방문자 수와 페이지뷰가 갑작스럽게 증가한 것은 이

시기에 연예인들의 미투데이 마케팅과 함께 ‘미친’ 이벤트가 진행되는 등 관

심이 집중되었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

미투데이는 현재 빠른 속도로 성장하며 처음 2만 8,000여 명 수준의 가입자

가 2010년 3월 초에 100만 가입자를 돌파했으며, 8월 기준으로 170만 명을 넘

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4) 소셜 미디어 검색어 경향분석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의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면 점점 소셜 미디어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이용자가 많아지는 양상을 보인다. 구글 트렌드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트위터’, ‘페이스북’ 검색어의 사용 패턴과 전 세계적으로 ‘소셜

미디어’의 검색어 사용 패턴은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여기서

는 ‘미투데이’의 검색어 사용 패턴은 알 수 없었기 때문에 ‘트위터’와 ‘페이스

북’만 살펴보겠다. 구글 트렌드를 이용한 검색어 이용 패턴이란 검색어를 입

Page 39: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25 -

력한 수치를 토대로, 그래프를 통해 연대기별로 검색어 추세를 비교, 분석하는

서비스이다.

<그림 2-9> 한국의 ‘트위터’, ‘페이스북’ 검색어 사용 패턴

●● ● ●

●●

△ △ △△ △

트위터는 우리나라에서 2009년이 되어서야 사람들이 검색을 해보며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페이스북은 공식적으로 오픈한 2006년부터 검색을 하기 시작

하였다. 위의 그래프를 통해 검색어로 ‘트위터’, ‘페이스북’ 사용이 2010년 중

순까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올해

6월과 7월 사이 검색어 사용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6.2 지

방선거시기에 정치인들의 소셜 미디어 사용의 증가와 연예인들의 투표 현장

인증샷이 트위터를 통해 전파되면서 소셜 미디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추정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페이스북이 국내 최초로 모바일 페

이스북 서비스를 실시하기도 하였고, 페이스북 가입자가 7월에 5억 명을 돌파

하면서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와 같은 소셜 미디어를 많이 검색해 보게 만들었

을 것이다. 그러나 2010년 9월을 전후로 검색어 패턴이 180도로 바뀐 것은 핫

이슈로 떠올랐던 시기에는 많은 사람들이 검색을 해보고 관심을 가졌고, 지금

은 보편화, 대중화되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Page 40: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26 -

<그림 2-10> ‘소셜 미디어’에 대한 검색어 경향

그렇다면 세계의 추세는 어떠한지 ‘소셜 미디어’의 검색어 경향을 살펴보았

다. 소셜 미디어는 가이드와이어 그룹의 창업자인 크리스 쉬플리가 처음 사용

한 용어로 사람들이 자신의 생각과 의견, 경험, 관점 등을 공유하고 참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방화된 온라인 툴과 미디어 플랫폼을 말한다. 이러한 ‘소셜

미디어’에 대해 꾸준히 검색을 하고 거론이 되었지만, 2008년 이후가 되어서

야 많은 사람들이 검색어로 찾아보게 되었다. 2008년 이후 급격하게 소셜 미

디어에 대한 주목도가 커졌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소셜 미디어가 새

로운 전문 영역으로 부각되면서, 소셜 미디어 활용 사례와 다양한 서비스들의

등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 소셜 미디어의 확산

최근 미국의 시장조사기관인 ComScore(2010.03.03)사는 스마트폰의 시장 확

대에 따른 소셜 미디어의 이용현황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2009년도에 스마트폰 이용자의 33%가 모바일 브라우저를 통해 소셜 미디어에

접속하였으며 모바일 사용자 중 10%는 소셜 미디어에 접속하기 위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다고 응답하였다. 이 보고서는 페이스북이 소셜 미디어의 선두

였던 마이스페이스(MySpace)를 추월하기 시작한 시점이 페이스북의 모바일폰

사용자 수가 마이스페이스의 모바일폰 사용자 수를 넘어선 시기와 일치한다

는 결과도 제시했다. 또한 시장조사업체인 히트와이즈(Hitwise)는 미국 신문사

Page 41: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27 -

와 방송사 웹사이트 트래픽의 최대 기여자는 페이스북 같은 소셜 미디어 이

용자들이며 이들의 충성도는 구글에 비해서도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처럼 소셜 미디어가 인기를 끌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명

이 가능할 것이다. 기본적으로 소셜 미디어가 인간이 지닌 타인과의 커뮤니케

이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서비스라는 점에서 그 인기의 이유를 이해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보다는 이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욕구와 서비스 제공자의

사업적 욕구가 맞아 떨어진 때문이라고 하는 것이 보다 타당한 설명일 것이

다. 즉 마케팅 관점에서 소셜 미디어가 지니는 무한한 잠재력이 사업자에게

매력으로 작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소셜 미디어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가 이루

어지고 있는 것이 소셜 미디어 성공의 큰 요인인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소셜 미디어는 기본적으로 대인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이다. 대인관계

는 그 특성상 친구나 직장 동료 등 일정 정도의 유사성을 지난 사람들 사이에

서 형성되고 유지된다. 대인관계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서로

지니고 있는 정보의 공유이다. 이에 따라 소셜 미디어 서비스의 기본 구성 역

시 사진, 글, 뉴스 기사 등 정보 공유의 형태로 나타난다. 사용자들은 서로 정

보를 공유하며 그 과정에서 알게 되는 새로운 사람들이 새로이 관계 속에 합

류하기도 한다. 연령, 지역, 학교, 직장, 취미 등의 유사성은 잠재적으로 새로

운 관계가 형성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따라서 소셜 미디어에서는 새로

운 관계가 지속적으로 형성되고 이들 관계를 통해 정보가 끊임없이 공유되고

유통되고 있다.

이렇게 일정 정도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하여 형성된 관계에 의해 유지되는

소셜 미디어는 사업자에게는 더없이 좋은 마케팅 기회를 제공해 준다. 가령

서로 취미가 유사한 사람들은 관심사 역시 유사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또

한 이들과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 역시 유사한 관심사를 가질 것으로 예상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을 상대로 광고하는 것은 불특정 다수에게 광고하는

것보다 훨씬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면 보다 손쉽게 이른

바 타깃(target) 광고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뉴스 소비의 측면에서도 이러한 유

사성은 하나의 기회로 작용하게 된다. 특정 개인에게 관심을 끄는 뉴스는 그

와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이에게도 관심을 끌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소셜 미디어의 잠재력에 주목한 언론사들이 소셜 미디어에 많은 관심을 보

이고 있지만 아직까지 소셜 미디어에 특화된 뉴스 서비스가 개발되지는 못한

Page 42: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28 -

실정이다. 즉 아직까지 소셜 미디어의 뉴스 유통구조를 고려하고 이의 특성을

활용한 뉴스 서비스 모델을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가령 이제 이동전

화나 스마트폰을 이용해 소셜 미디어에 접속할 수 있는 정도의 기본적인 서

비스만 제공하고 있을 뿐 이를 특정 사업적 모델로 활용하여 수익을 시도하

는 경우는 아직까지 많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언론사

들은 소셜 미디어를 새로운 사업의 기회로 관심을 쏟고는 있지만 아직까지

이를 위한 서비스 모델을 탐구하고 있을 뿐이다.

3) 소셜 미디어와 스마트폰

소셜 미디어의 확산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은 스마트폰의 확산이다. 사

람들은 스마트폰을 통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를 즐긴다.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는 2009년 11월 말 애플의 아이폰 3GS 출시

이후 급격히 증가했다. 2010년 9월에는 아이폰과 갤럭시S가 100만대 판매를

돌파하여 스마트폰의 대중화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스마트

폰 이용자는 483만 명에 달한다. 이는 전체 휴대폰 가입자 5,000만의 10%에

가까운 수치이다. 9월 말 440만 명을 넘어선 이후 3주 만에 43만 명이 증가할

정도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스마트폰이 국내 시장에서 본격적으로 판

매되기 시작한지 10개월 만에 이동전화 가입자 10명 중 1명 정도가 스마트폰

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스마트폰 이용자가 급증하면서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주고받는 소셜 네트워

크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발표한 ‘2010년 인터넷이용실

태조사’에 따르면 인터넷 이용자(만 6세 이상) 중 이동전화로 트위터 등의 소

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은 5.8%였다. 스마트폰 이용자의 절반 이

상이 휴대폰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직까지

는 이용기기로 PC가 주로 선호되고 있지만, 앞으로 스마트폰 이용자가 늘어

나면서 이동전화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수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Page 43: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29 -

<그림 2-1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기기

출처: 방송통신위원회(2010).

특히 스마트폰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 편리하게 이용할 수 환경은 소셜

미디어 이용자 수의 폭발적인 증가를 가져왔다. 기존 미디어에서는 여러 단계

를 거쳐야 가능했던 일들이 스마트폰을 통해 몇 번의 터치로 즉석에서 사진

과 동영상을 찍고, 현장감 넘치는 메시지를 작성해 올릴 수 있게 됐다. 이와

같은 사용상의 편리함은 스마트폰 이용자가 쉽게 소셜 미디어에 빠져들 수

있게 만들었다.

트위터의 모바일 이용자는 공식 아이폰 및 안드로이드, 블랙베리용 애플리

케이션이 공개되면서 4월 중순보다 62% 증가했다. 또한, 모바일을 통해서 바

로 가입한 사람도 5%에서 16%로 증가했다. 트위터 전 CEO인 에반 윌리암스

는 “지난 4월 공식 애플리케이션이 트위터에 더 많은 사람들을 모아주고 지속

적으로 활동하는 사용자를 증가시켜줄 것으로 기대했다. 현재 활동 사용자의

46%는 정기적으로 모바일로 트위터를 이용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처럼 소셜미디어 열풍의 기폭제는 스마트폰의 등장이며, 스마트폰의 대중

화와 더불어 모바일에서의 소셜 미디어 사용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

폰 보급의 초기였던 지난 2월에는 10만 명 수준에 불과했던 국내 트위터 이용

자 수가 10배 넘게 증가했다. NHN에 따르면 미투데이의 모바일 포스팅 개수

가 스마트폰이 보급되기 전인 지난해에는 20만 개 정도였으나, 스마트폰이 등

장한 이후 40만 개로 2배 가까이 늘었다고 한다. 방문자 수 또한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175만 명에서 2010년 3월에는 270만 명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

다.

Page 44: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30 -

<그림 2-12> 스마트폰 가입자 수와 트위터 사용자 수

△△△ △ △ △

△△

△△

●●

●●

●●

●●

●● ●

출처: 성현민·조성원·선여미(2010).

스마트폰이 소셜 미디어 이용에 가장 좋은 도구가 될 수 있는 것은 이동성

과 즉시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개인미디어인 스마트폰에서의 이슈생성,

메시지의 신속한 업로드와 확인, 순간적으로 파급되는 실시간 속성이 반영된

다. 언제 어디서나 쉽게 연결되고 콘텐츠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이동성은

소통을 기반으로 한 소셜 미디어 이용에 큰 장점으로 작용한다. 토론회, 신제

품발표회 등의 공적인 상황에서 결혼식과 같은 사적인 상황까지 소셜 네트워

크 서비스를 활용하여 전 세계적으로 생중계하는 사례, 공중화장실, 엘리베이

터 등 폐쇄된 공간에서의 곤란한 상황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빠르

게 해결했던 사례 등은 모두 스마트폰의 이동성 덕분에 가능했다.

즉시성 또한 소셜 미디어의 파급력을 확장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다. 스마트

폰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결합으로 정보가 실시간으로 수집되고 전파된

다. 특히 트위터의 경우, 다른 이의 메시지를 퍼나르는 리트윗(RT-retweet) 기

능이 활성화되어 있다. 집중호우, 화재, 실종 등의 다양한 사건사고 상황은 트

위터에서 리트윗으로 즉각 공유되고 퍼져나간다. 정보를 올리고 공유하는 과

정이 실시간으로 이뤄지며,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소리, 동영상 등 멀티

미디어를 이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매우 높다. 이처럼 실시간 소통을 중심으

로 한 소셜 미디어의 성격 자체가 개인미디어인 스마트폰의 속성과 밀접히

결합하고 있다. 앞으로 스마트폰 이용자가 더욱 증가하고 사용이 대중화, 보편

화 되면서, 소셜 미디어의 이용과 영향력 또한 확산될 것이다.

Page 45: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31 -

Ⅲ. 소셜 미디어에 대한 이론적 논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이용과 충족이론, 미디

어 이용과 대체, 의제설정 기능을 중심으로 논의했다. 이와 함께, 소셜 미디어

가 담당하는 저널리즘 기능과 관련해서는 시민저널리즘의 이론적 논의를 중

심으로 그 가능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했다.

1. 이용과 충족이론

1) 소셜 미디어의 이용과 충족

이용과 충족 이론은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수용자가 특정한 매체를 선택

하는 것과 이용 동기를 설명하는 이론적인 틀을 적용한다. 이용과 충족 이론

이 주목하는 점은 수용자가 주어진 상황에서 특정한 매체를 이용할 때 자신

이 충족시키고자 하는 구체적인 동기를 의식하고 이를 만족시킬 수 있는 매

체를 의도적으로 선택한다는 것이다(Dimmick, Kline & Stafford, 2000; Katz,

Blumer, & Guervitch, 1974). 이용과 충족 이론에 바탕을 둔 많은 연구들은

수용자들이 매체를 의도적으로 선택하는 과정에서 충족시키고자 하는 심리적

동기나 만족감을 밝혀 특정한 매체의 속성을 밝히려는 노력을 했다. 많은 수

의 이용과 충족 이론 연구(김유정, 2005; 이준웅 김은미 심미선, 2006; Rubin

& Bantz, 1989)들은 수용자가 매체를 통해서 무엇을 하는가에 대하여 연구 초

점을 맞추어 수용자의 매체 선택과 이용과정을 이해하려 했다.

매체 이용 동기를 유형화 한 연구 중에 카츠와 그의 동료(Katz, Gurevitch,

& Haas, 1973)들은 인식적 욕구(cognitive needs), 감정적 욕구(affection

needs), 현실도피적 욕구(escapist needs), 사회통합적 욕구(social integrative

needs), 개인통합적 욕구(personal integrative) 등 다섯 가지의 동기 유형을 제

시하였다. 인식적 욕구는 수용자 주변의 환경이나 정보를 이해하려는 욕구이

며 감정적 욕구는 오락적이거나 심미적인 경험과 연관되어 있다. 현실도피적

욕구는 특정 매체이용을 통하여 긴장을 완화하거나 기분 전환하려는 수용자

의 의도이고 사회통합적 욕구는 매체이용을 통하여 가족, 동료 등 지인들 간

의 사회적인 소통과 친밀감을 강화하려는 욕구와 관련이 있다. 개인통합적 욕

Page 46: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32 -

구는 수용자의 자신감, 안정감의 증대나 신뢰 수준의 개인적 정체성 강화와

연관되어 있다.

이처럼 전통적인 이용과 충족이론은 수용자의 매스 미디어 이용과 관련하

여 이론적인 틀을 제공했지만 기술 발달과 더불어 새로운 온라인 미디어들이

도입되면서 새로운 미디어의 선택과 이용 동기에 대해서도 유사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김유정(2005)은 사이버 커뮤니티 이용 동기와 관련해서 정보추구,

동질적 관계형성, 흥미와 오락, 정체성 확인, 현실도피 및 긴장해소, 개인적 관

심사, 여가선용 및 습관, 타인과의 교류, 환경감시, 유용성 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사이버 커뮤니티의 속성을 관심사 공유, 관계형성, 자아정체성

확립으로 파악하고 사이버커뮤니티를 이용하는 동기 요인이 이러한 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를 보면 관심사 공유를 설명하는 동기로

는 정보추구와 개인적 관심사가 관계 형성과 연동된 동기 요인으로는 동질적

관계형성, 흥미와 오락, 정체성 확인, 여가선용 및 습관 등이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정체성 속성과 관련해서는 동질적 관계형성, 흥미와 오락, 타인과의

교류, 유용성 등이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준웅, 김은미, 심미선(2006)은 기존의 이용과 충족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동기들이 다매체 시대에 이용자의 매체 선택행위를 설명하는데 어느 정도 적

합한가에 대하여 검토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이용과 충족이론

이 다매체 시대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매체에 일관되게 적용이 가능한

동기 목록을 만드는 작업이 요구된다는 주장을 폈다. 이용과 충족 연구에서

제시되는 도피, 오락, 환경감시 등의 요인은 모두 ‘동기’라는 개념으로 분류되

지만 개별 동기의 형성과 충족 기제가 각각 상이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성찰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또한 매체 이용자가 특정 매

체를 선택하는 동기나 욕구가 일관되게 유지되는 내제적인 성격을 가지는 것

인지 시간이나 상황에 의해서 변화할 수 있는 지에 대해서도 보다 심도 깊은

고찰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특정한 매체를 선택하는 행위는 필연적

으로 다른 매체 대안에 대한 검토, 다시 말하여 다른 매체 이용으로부터 기대

할 수 있는 충족의 종류나 양과 비교를 통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비

교 과정에 대한 고찰의 중요성을 지적하였다. 이들 연구에서는 1) 환경감시

및 학습동기, 2) 사회관계 통제 동기 3) 오락 및 여유 추구 동기, 4) 자기 현시

및 표현 동기가 다중 매체의 이용을 설명하는 주요 동기로 나타났다.

Page 47: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33 -

페이스 북이나 트위터 등의 소셜 미디어 이용은 기존 매체 이용과 마찬가

지로 이용자가 의도하는 충족을 이끌어내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이용은 사회 구성원 간들 간의 네트워킹 형성에 있어서

인터넷의 속성으로 볼 수 있는 ‘약한 유대의 강함(the strength of weak tie)'

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기존의 인지적 경험이 없는 경우에도 관심에

기반한 새로운 형태의 관계망을 만들어가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배영 외,

2009).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은 효율적으로 지인과의 교류,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한 정보의 추구, 정체성의 확인을 할 수 있다. 이용자 패턴에 따라서 소셜

미디어 이용 행태는 지인 간에 일상생활의 소소한 경험이나 개인의 단상을

공유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고 수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뉴스나 지식을 전

달하거나 특정 사안에 대한 전문가적인 견해를 공유할 수도 있다. 특히 스마

트폰 보급이 활성화 되면서 실시간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이용자의 경험

이나 생각을 공유할 수 있는 폭이 점점 넓어져 가고 있다.

마이크로 블로깅의 이용 동기를 분석한 배영과 그의 동료들의 연구(2009)

결과에서는 정보 및 관계 추구 동기와 개인 성향 추구가 대표적인 두 가지 이

용 동기로 제시되었다. 마이크로 블로깅 이용자들은 자기 생각을 남기거나 정

보를 기록하기 위해서 또는 지인들이나 새로운 사람들과의 교류를 위해서

SNS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등은 서로 다른 서비스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용자들은

차별되는 충족요인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개별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는 결

과가 제시되고 있다. 트위터의 경우는 일방적 팔로우(follow) 신청으로 네트워

킹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개인사 보다는 뉴스와 같은 공동의 관심사를 공유하

게 된다는 것이다. 반면에 미투데이는 친구 위주로 관계가 형성되기 때문에

보다 부담 없이 자기 일상과 관련된 이야기를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서비

스별로 만족도를 살펴보면 친구 글 읽기 기능에 대한 만족도는 페이스북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미투데이, 트위터 순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신이 글을 남기는 기능의 경우 트위터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뒤를 이어 미투데이, 페이스북 순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 블로깅 서비스 혜택

에 대한 인식은 자아성찰>추억공유>생활기억>기록활용>유대관계 강화>정보

저장 및 검색>생활상 공유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마이크로 블로깅 서비

스 이용과 관련된 부작용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는 정보노출>정보악용>감시우

Page 48: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34 -

려와 같은 요인이 가장 심각한 부작용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잘못된 정보

의 유통이나 정보의 악용, 법적 분쟁 소지를 우려하는 경우도 서비스별로 조

금씩 상이한 인식 차이를 보였다.

2) 소셜 미디어의 미디어 이용과 대체

미디어 기술의 발전으로 새로운 미디어의 도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뉴미디어가 기존 미디어의 이용과 상호 대체와 어떠한 관계를 형성하는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매체간의 경쟁 관계를 살펴 본 연구들은 개별

매체가 가지는 ‘기능적 대안성’(Rosengreen & Windahl, 1972), ‘기능적 상호

교환성‘(Katz, Gurevitch & Haas, 1973) 등의 개념을 통해서 매체의 선택 과정

을 설명했다. 특정 매체가 가지는 기능은 충족 요인과 관련이 있고 유사한 기

능을 가지는 매체는 이용자의 선택 과정에서 경쟁적인 관계에 놓일 수 있다

는 것이다. 퍼스와 코트라이트(Perse & Courtright, 1990)는 매체에 대하여 이

용자들은 규범적 이미지(normative image) 가지게 되는데 이용자들 원하는 만

족을 위하여 매체 이용과 관련해서 형성된 특정한 규범적 이미지를 고려하게

된다는 것이다. 기존의 미디어 이용과 뉴미디어의 이용 관계는 뉴미디어 이용

이 증가하면 기존 미디어의 이용이 줄어들게 되는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

거나 뉴미디어 이용량과 기존 미디어 이용량이 동시에 증가하는 상호보완적

인 관계와 양자 사이에 뚜렷한 경쟁 관계나 보완관계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

로 요약해 볼 수 있다(심미선 김은실 하예린, 2009).

미디어의 이용과 대체에 대한 초기 연구들(Perse & Courtright, 1990;

Rubin, 1983)은 주로 이용과 충족의 이론 틀에서 TV, 라디오, 신문 등의 매스

미디어의 기능 분석과 이용행태에 대한 고찰을 위주로 진행되었다. 이후에 인

터넷 보급이 확산되면서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매체 이용과 전통적인 미디

어 이용을 비교하는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인터넷과 TV 이용의 대안적 관계

를 살펴보거나(Ferguson & Perse, 2000)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대안적 매체

이용의 행태를 분석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노기영과 이미영(2005)은 인터

넷 블로그의 유형을 관계지향형 블로그와 정보지향형 블로그로 나누고 양자

가 수행하는 기능을 분석하고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인터넷 미디어와 비교함

으로 매체 간에 경쟁 관계를 분석하였다. 관계지향형 블로그 이용과 관련된

Page 49: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35 -

충족요인으로는 정보, 오락, 유행, 습관, 도피 등의 요인들이 제시된 반면에 정

보 지향형 블로그 이용과 연관된 충족 요인으로는 환경감시, 습관, 내적만족,

유행적 차원의 요인이 나타났다. 정보지향형 블로그와 인터넷 신문과의 적소

중복성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디믹(Dimmick, 2003)이 제시한 적소이론(niche theory)은 미디어간의 경쟁과

대체 및 수용자들의 선택과정을 설명하고 있는데 이 이론에 따르면 유기체

혹은 미디어는 매체시장에서 경쟁력을 발휘하기 위해서 일정한 범위의 자원

에 의존하게 되는데 두 개 이상의 미디어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정 자원에

의존할 경우 적소의 중복이 발생한다. 적소의 중복이 심하면 매체들 간에 경

쟁 정도가 강하게 되는 반면에 서로 간에 유사성이 적은 자원에 의존하는 매

체들은 결과적으로 적소의 중복폭이 작아서 경쟁 관계의 정도가 약하게 된다

(손승혜, 2005).

미디어 조직과 산업이 시장에서 경쟁하기 위해서 의존하는 자원은 소비자

가 지불하는 시간과 비용, 충족 기회 등 소비자 자원과 프로그램과 관련된 콘

텐츠 자원으로 분류할 수 있다(정재민 이화진 김영주, 2005). 적소이론을 적용

하여 미디어 산업의 경쟁 구도를 분석하는 연구는 광고비 점유율이나 프로그

램의 내용, 수용자의 충족 차원에서 이루어지는데 디믹과 그의 동료들은 라디

오와 케이블 TV의 경쟁 구도를 광고비 점유율 차원에서 분석했다(Dimmick,

Patterson & Albarran, 1992). 정재민과 그와 동료들(2005)은 지상파 TV, 케이

블 TV와 인터넷의 적소폭과 중복을 분석하였는데 인터넷이 정보습득, 오락휴

식, 그리고 충족기회에서 적소폭이 가장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소 중복의

경우 지상파방송과 케이블 TV의 중복의 정도가 높아 경쟁이 치열함을 보여

주었으나 상대적으로 인터넷은 지상파방송과 케이블TV와의 중복 정도가 크지

않았다. 적소의 중복 정도를 차원별로 조사해 보았을 때 충족의 기회가 가장

많은 중복의 영역을 보였는데 세 매체가 시공간적 접근성과 선택성이라는 편

의성 면에서 서로 경쟁의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인터넷에

의한 대체가 일어난다면 정보습득이나 오락휴식보다는 얼마나 편리하게 이용

할 수 있는가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편의성이 경쟁 요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최근 확산되

고 있는 스마트폰의 영향으로 소셜 미디어 이용이 증가하고 있음을 예상해

볼 수 있다. PC 기반에서 이용할 수 있었던 페이스북, 트위터, 미투데이 등을

Page 50: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36 -

항상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통해서 접속할 수 있게 되면서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이 느끼는 이용의 편의성이 커지고 이는 궁극적으로 소셜 미디어의

보다 많은 이용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동 중에 생기는 자투리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일상에서 경험하는 일이나 생각을 즉각적으로 공

유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스마트폰 보급의 확산은 소셜 미디어 이용자에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짐작해 볼 수 있다.

3) 소셜 미디어와 뉴스소비

본 연구에서 소셜 미디어 이용과 관련하여 주목하는 미디어 소비 영역 중

의 하나는 뉴스이다. 뉴스의 소비는 기존의 신문, TV, 라디오 등을 통해서 주

로 이루어져 왔으나 인터넷의 등장은 뉴스 소비 패턴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인터넷 이용이 확산되면서 사이버스페이스의 관문인 포털의 영향력은 빠른

속도로 증가했으며 메이저 포털 사이트들이 이용자들에게 어떠한 형식으로

필요한 정보나 뉴스를 제공하느냐가 이용자이 주요한 뉴스 아젠다를 인식하

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되었다.

인터넷 이용 확산과 더불어 포털사이트가 이처럼 뉴스의 의사설정 기능을

강력하게 발휘할 수 있게 된 배경은 이용자와의 접점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

이다. 인터넷 이용자들이 정보를 검색하거나 메일을 이용하거나 동호회 활동

을 위하여 포털과 지속적인 연결 관계를 유지하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메이저

포털이 전달하는 뉴스의 파급력은 계속해서 증가하게 되었다. 기존 매스 미디

어 이용이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포털을 통해서 접하게 되는 뉴스

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보이게 되었다. 특히 젊은 세대에

서는 기존의 신문 매체 보다는 포털 사이트가 더 영향력이 큰 뉴스 공급자 역

할을 하면서 기존 언론사 사이트보다 포털 사이트의 영향력이 더 강력해지는

경향을 볼 수 있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의 이용의 확산되면서 인터넷에서 포털 위주로 진행되

는 뉴스 소비 패턴에도 변화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서 이용자들 사이에는 항상 접점이 형성되어 있고 스마트폰 등을 통해서

포털보다도 신속하게 뉴스가 전달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소셜 미

디어 이용자의 뉴스 소비패턴은 이용자가 과연 어떠한 충족을 얻기 위하여

Page 51: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37 -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단순한 오락추구나 일상

의 소소함의 소통이 주요 이용 동기인 경우와 소셜 미디어의 네트워크를 통

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한 이용자들 간에는 뉴스 소비 패턴에

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다.

소셜 미디어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정보를 추구하는 이용자는 자신의 관심

분야에서 유익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이용자와의 네트워킹이 강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개인적인 친분이 없더라도 해당 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

받고 있는 오피니언 리더와 트위터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해당 분야의 전문

가 그룹 중에는 자신들이 다른 매체를 통하여 접한 뉴스를 트위터를 통해서

공유하거나 아직 보도되지는 않았지만 뉴스 가치를 가질 수 있는 개인적 의

견을 개진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분야의 전문 뉴스를 페이스북 등을 통하여

공유하는 전문적인 기업과의 네트워킹을 통해서도 관심 분야의 뉴스를 접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는 기존 포털처럼 뉴스 소스와 항상 접점이 유지되면서 자신의

관심사에 초점을 맞춘 뉴스를 신속하게 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정

보추구가 주요 동기인 소셜 미디어 이용자 입장에서는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

단말기를 이용할 경우 포털보다 더 신속하게 뉴스를 받아 볼 수 있고 자신이

원하는 분야의 전문가들이 주목하는 뉴스와 해당 이슈에 대한 의견까지 살펴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소셜 미디어 중사용자의 경우 소셜 미디어

를 통해서 먼저 접한 뉴스를 포털사이트나 다른 언론사 사이트를 통해서 다

시 확인하는 방식으로 뉴스 소비행태가 변화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일부

유명 사회인의 경우 트위터에 올린 메시지 자체가 뉴스화 되는 경우도 볼 수

있다. 기업이나 연예인의 경우 노이즈 마케팅을 통한 언론의 주목을 얻기 위

해서 트위터를 이용하는 사례들도 찾아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이용 동기에 따라서 과연 기존의 뉴스 소비 행태가 어떻게 변화하

는가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한다.

2. 네트워크사회와 역의제설정

1) 네트워크 사회의 정의와 의미

네트워크 사회는 그 사회구조가 마이크로전자 기반의 정보와 커뮤니케이션

Page 52: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38 -

기술로 추진되는 네트워크로 구성된 사회이다(Castells, 1996). 네트워크는 노

드(node)들의 상호 연결이며, 중심과 주변의 구별은 존재하지 않는다. 한 네트

워크의 업무수행에는 모든 노드가 필요하지만, 여분의 노드가 생기거나 필요

없어질 때는 조정이 가능하다. 네트워크의 업무수행은 목표와 실행규칙을 설

정하는 프로그램으로 정의되며, 여러 네트워크 사이에서는 경쟁과 협력이 이

루어진다. 네트워크는 포함과 배제의 2진법 논리로 작동한다. 즉 네트워크 내

부의 노드 사이는 무한히 가깝고, 서로 다른 두 네트워크의 노드 사이는 무한

히 멀다. 그러나 커뮤니케이션 프로토콜을 공유하면서 네트워크 내부에 있는

어떤 노드에서 전체 네트워크와 소통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네트워크는 커뮤니케이션의 자체 재구성이 가능하고 복잡한 구조를 이

루게 된다.

네트워크는 모든 종류의 생명에서 근본적인 유형으로, 21세기 사회의 인간

조직에만 특별히 나타나는 유형은 아니다. 네트워크는 다음과 같은 장점들을

지니고 있다. 바로 변화하는 주변 환경에 적응하여 각 요소들을 조정하면서

목표를 견지할 수 있는 유연성, 자유로운 규모의 변경이 가능한 확장성, 그리

고 중심이 없기 때문에 연결을 끊지 않고서는 네트워크를 파괴할 수 없는 생

존성이 그것이다. 역사적으로 네트워크보다 수직적 계급조직이 우세했던 것은

이전의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이러한 네트워크의 장점을 뒷받침해주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이러한 네트워크의 장점을 충분히 뒷

받침해 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21세기 초에 널리 보급된 무선 커뮤니케이션

은, 사회적 단위(개인이나 조직)가 언제, 어디서나 상호작용을 할 수 있게 해

주었다. 이제 이러한 네트워크 속에서 개인의 신체와 정신은 확장되고 증대되

는 것이다(Dijk, 1999).

2) 커뮤니케이션 양식과 사회 소통 구조

네트워크 사회의 등장 원인에 대한 설명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먼저

기술적 요인에 관해서는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혁명적 발전을 들 수 있다.

TCP/IP와 월드 와이드 웹의 발명, 그리고 휴대용 무선 통신 기기의 보급 등

이 그것이다. 이는 시장의 수요나 자본주의의 필요에 따라 형성된 것이 아니

었으며 냉전에서 기술우위를 점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컴퓨터공학자들의 호

Page 53: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39 -

기심이 낳은 부산물이었다. 인터넷은 1990년대에 전 사회적으로 확산되기까지

군사적으로 응용되지 않았다. 개인용 컴퓨터는 컴퓨터 반문화가 만든 획기적

인 발명품이었으며, 최고의 소프트웨어 개발은 오픈소스에 기반을 두었다

(Salus, 1995). 이러한 기술혁명은 자본주의의 구조 개편과 문화적 사회운동의

두 가지 과정과 함께 네트워크 사회를 만들어내었다.

그러나 네트워크 기술을 유도하는 데 가장 결정적 요소는 자유문화였다.

1960년대에 미국에서 진행된 문화운동의 이상과 가치가 네트워크 기술을 개발

한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 것이다. 네트워크의 발전과 총자본 주도의 신

자유주의적 탈규제화, 사유화는 전지구화를 형성했고, 이로부터 네트워크로

연결된 세계 경제가 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정보화주의적 자본주의의 모델

에 반대하는 새로운 사회 운동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이들 사이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네트워크 사회가 발현했다고 설명되고 있다(Castells, 1996).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은 사회의 구조와 개인의 커뮤니케이션 양식에도 변

화를 주게 된다. <그림 3-1>은 산업 도시와 교역 중심지로 대규모의 사람들이

이주하여 살던 산업 혁명 당시의 대중 사회(mass society)의 커뮤니케이션 양

식을 나타낸다. 대중 사회의 기본 요소는 견고한 공동체이며 이들은 물리적으

로 같은 공간에 공존한다. 사람들 간의 대인 네트워크가 견고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집단 간 커뮤니케이션은 대중 매체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편지나 전

화 같은 대인매체는 개인의 사회적 네트워크 유지를 위해 이용되며 집단 혹

은 사회 수준의 커뮤니케이션은 대중 매체에 의해 유지되는 것이다(Castells,

1996, 1998).

그러나 이러한 대중 사회는 인터넷 같은 미디어 네트워크의 등장과 함께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그림 3-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과거와는 다른 형태의

공동 사회가 나타나게 된 것이다. 이 때 전통적인 대인 네트워크는 과거에 비

해 축소되고 사회적 관계의 촘촘함도 사라지게 된다. 즉 전통적인 의미의 대

인 관계는 점점 옅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미디어를 이용한 새로운 대인

네트워크는 점점 확장되며 지리적 위치에 의한 사회의 구분은 더 이상 과거

와 같은 의미를 지니지 못하게 된다. 이른바 네트워크 가상사회가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Castells, 1996, 1997).

Page 54: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40 -

<그림 3-1> 대중 사회와 네트워크 사회

1) 대중 사회 2) 네트워크 사회

과거 견고한 공동체가 대중 사회의 기본 요소였던 데에 반해 이러한 네트

워크 사회의 기본 요소는 개인, 집단, 조직, 기구 등이 된다. 이 때 면대면 커

뮤니케이션은 매개된 커뮤니케이션으로 급속히 대체되거나 보완되는 과정을

거친다. 대중 매체의 영향은 과거에 비해 축소되며 점차 네트워크 커뮤니케이

션이 사회의 중요 커뮤니케이션 양식으로 떠오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네트

워크 커뮤니케이션의 활발한 이용은 네트워크 사회에 가상 공동사회(virtual

community)라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집단을 등장시키게 한다(Wellman et

al., 1996).

이처럼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변화는 사회의 구조에 영향을 주고 개인의 커

뮤니케이션 양식에도 변화를 주고 있다.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커뮤니케이

션 환경은 개인의 커뮤니케이션 동기와 욕구에 영향을 주며 이로 인해 개인

은 새로운 양식의 커뮤니케이션을 추구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추구는 다시

이와 관련된 기술의 등장과 진보를 촉진시킨다. 즉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네트

워크의 진화에 의해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욕구가 증가하게 된 사회에서는 이

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가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Page 55: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41 -

이처럼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은 사회 구조와 문화, 그리고 개인의 커뮤니케이

션 양식에 영향을 주고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양식의 변화는 다시 기술의 발

전과 진화를 야기하게 된다.

3) 미디어-대중 커뮤니케이션 양식의 변화: 역의제설정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 이전의 사회는 대중 매체를 통한 일방향적인 커뮤니

케이션을 중심으로 의제가 형성되었다. 코헨(Cohen, 1963)은 “미디어는 사람

들에게 ‘무엇을 생각할 것인가(what to think)’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에 있어

서는 성공적이지 않지만, ‘무엇에 대하여 생각할 것인가(what to think about)'

에 있어서는 놀라울 만큼 성공적이다.”라고 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맥콤과 쇼(McCombs & Shaw, 1972)는 1968년 대통령 선거 캠페인 동안에 노

스캐롤라이나 주의 채플 힐(Chapel Hill) 지역에서 대중 매체의 의제설정 기

능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미디어에서 보도된 이슈와 유권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슈 간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남으로써 대중매체의 의제설정 기

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 1972년 대통령 선거 기간에 샬롯(Charlott) 지역

에서 실시한 의제설정 연구에서도 미디어의 의제설정기능이 검증되었다. 이처

럼 기존의 사회 체계는 의제를 설정하는데 대중 매체의 역할이 크게 작용하

였음을 알 수 있다.

미디어가 특정한 이슈를 강조하면 공중은 해당 이슈를 중요하다고 인식한

다는 초기 의제설정이 ‘현저성의 전이’를 설명하고자 하였다면, 2차 의제설정

은 한 단계 더 나아가 ‘속성의 현저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미디어의 이슈

자체뿐만 아니라 이슈의 속성에 대한 공중의 이해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반

현ㆍ최원석, 신성혜, 2004). 가령 미디어에서 보도된 낙태 문제에 대해 수용자

가 낙태 문제를 중요한 이슈로 지각하고 있다면 이는 미디어의 1차 의제설정

효과가 있다고 본다. 한편 미디어에서 낙태를 부정적인 논조로 보도하고 이에

대해 공중이 낙태를 부정적으로 이해하고 있다면 이는 2차 의제설정 효과가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즉, “1차 의제 설정에서 대상 혹은 이슈의 현저성이

다른 것과 마찬가지로 2차 의제설정은 각 대상 혹은 이슈의 특정한 속성이 여

타의 속성에 비해 현저화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McCombs, 2004).

최근에는 미디어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함에 따라 TV, 신문과 같은 전통적

Page 56: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42 -

인 매체에 적용되어 의제설정이론을 인터넷 미디어에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

들이 국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반현ㆍMcCombs, 2007). 인터넷 보급

이 확대되고 인터넷 뉴스, 게시판, 토론방 등 이용자의 능동적인 참여가 가능

한 미디어로 인식되면서 인터넷 미디어의 의제설정 기능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2000년대 초반부터 인터넷 미디어의 의제설정에

관한 연구들이 수행되기 시작하였다. 박은희와 이수영(2002)은 여중생 집단 폭

행 사건 일명 ‘성수여중 사건’을 중심으로 사이버 공간 내의 의제 전개 과정

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사이버 의제 전개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3가지 특징

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사이버 공간 내의 최초 발의자가 시민(개인)이

라는 점, 두 번째, 사이버 공간 내의 개인 의제가 매스미디어 의제로 전이되었

다는 점, 세 번째, 사이버 공간을 중심으로 확산된 사건이 오프라인 운동으로

까지 이어졌다는 것이다. 이는 인터넷 내의 의제가 전통적 미디어 의제로 전

이되고 또 이것이 사회 운동으로까지 전개되고 있음을 밝혀준 초기의 인터넷

역의제 설정에 관한 연구라 할 수 있다.

달라진 미디어 환경에 의해 개인의 의사소통 방식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

한 변화는 사회의 제반 현상을 통해 발견되고 있다. 가령 미디어 발전으로 인

한 의사소통 양식의 변화는 개인의 정치참여 방식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이원태, 2009). 지난 2002년의 여중생 촛불시위, 16대 대선의 노

사모, 2004년의 대통령 탄핵, 2008년의 광우병 사태 등을 통해 나타난 시민의

정치참여 방식은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모습의 정치참여 양식이었다. 이들 사

건을 통해 나타난 공통적 특징은 시민 개인이 다양한 미디어를 이용하여 과

거와는 다른 방식으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 이러한 의견이 온라인을 통해

실시간으로 대중에게 전달되면서 막대한 파급효과를 가지고 온다는 것이다.

온라인 네트워크는 과거 매스 미디어에 의해 사회의 주된 의제가 형성되던

과정에도 변화를 주었다(김성태ㆍ이영환, 2006). <그림 3-2>에 제시된 바와 같

이 더 이상 의제 형성이 과거처럼 매스 미디어로부터만 시작되는 것이 아니

다. 인터넷 공간의 초기 발화자들과 의제 파급자들로부터 시작하여 인터넷 언

론을 거쳐 전통 미디어를 통해 확산되고 다시 일반 공중에게 전달되는 역의

제 설정이 이제 우리 사회에서도 빈번히 발견되고 있다(임종수, 2009). 간호조

무사 신생아 학대사건, 개똥녀 사건, 내무반 알몸 진급식 등이 초기 개인 발화

자에 의해 발의된 사건이 퍼나르기를 통해 인터넷 내에서 이슈화되면서 중요

Page 57: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43 -

<그림 3-2> 변화된 의제 설정 과정

한 사회 의제로까지 확산된 사례라 할 수 있다(김성태ㆍ오유원ㆍ박선영,

2007).

인터넷의 의제 형성은 최초 발화자의 메시지를 인터넷 사용자들이 복제를

통해 확산시키는 과정을 거친다. 이 때 초기 메시지는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다가 사건이 확산되고 그 사건을 인터넷상의 여론이 중요하게 다룸으로써

온라인 공간에서 특정 이슈들이 확산되고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는 현상을 보

여준다. 이러한 과정에서 인터넷의 한 발화자에 의해 밝혀진 사건이 누리꾼들

에 의해 주요 관심 사건으로 설정되는 온라인 공간에서의 의제 파급이 일어

나게 된다. 이러한 의제는 전통적 미디어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지게 되며 그

결과 역의제 설정이 이루어진다. 기존 의제설정이론이 미디어가 공중의 의제

에 영향을 미친다는 설명을 견지해 왔다면 역의제설정은 온라인상의 의제가

기존 미디어의 의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상반된 의제설정 방향을 지니

게 된다.

Page 58: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44 -

한편 과거 대중 매체를 통해서 사회 전반의 의견을 탐구하던 방식에도 변

화가 일어나고 있다. 즉 개인의 여론 탐지 방식과 과정도 함께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가령 최근 진행된 온라인 댓글에 대한 연구들에 의하면 이용자들은

온라인상에서 발견되는 다른 이들의 의견(예: 댓글, 게시판 글)을 통해 서로

여론을 탐지하고 인식한다는 것이다(이재신ㆍ성민정, 2007; 이은주ㆍ장윤재,

2009). 전통적인 의제설정 관점에서 댓글과 토론방, 게시판 등에 게재된 이용

자들의 의견은 2차 수준의 의제설정 기능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김경희,

2008). 댓글, 토론방, 게시판 등이 이슈 자체를 부각시키기도 하지만 이슈의

특정한 속성에 대한 집중적인 공방이 펼쳐진다는 점에서 이용자들의 의견은 2

차 의제 설정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형성되는 가상공간은 대화와 관찰이

동시에 발생되는 여론의 장이며, 새로운 형태의 공론장(public sphere)으로서

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Habermas, 1989; 김영욱, 2003). 공론장은 독립성, 평

등성ㆍ접근성, 다양성 등으로 분석될 수 있다(박은희ㆍ이수영, 2002). 가상공간

은 국가나 경제력이 있는 세력의 통제로부터 자유로우며 익명성으로 인해 지

위가 드러나지 않고 누구나 의견을 게재할 수 있기 때문에 평등성과 접근성

또한 보장되는 공간이다. 한편 가상공간은 매스 미디어에서 주로 다루어지는

공적이슈 뿐만 아니라 사적이슈도 다루어지고 있어 다양한 이슈에 대한 논의

가 이루어지고 있는 공간이다. 가상공간은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새로운 형태

의 공론장이며 이곳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은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양식과 사뭇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3. 소셜 미디어와 시민저널리즘(Citizen Journalism)

시민저널리즘은 뉴미디어의 등장과 함께 기존 프로페셔널 저널리즘에 나타

난 변화를 지칭하는 가장 핵심적인 개념이다. 플루와 윌슨(Flew & Wilson,

2010)에 따르면, 시민저널리즘은 인터넷과 디지털 미디어 기술, 전통적 뉴스가

치와 프로페셔널 저널리즘에 대한 위기의식, 그리고 웹 2.0시대의 중요한 특징

인 온라인을 통한 참여에 대한 욕구의 증대가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등장한 개념이다. 프로페셔널 저널리즘에서는 정보생산자와 정보소비자 간의

Page 59: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45 -

경계가 명백하게 존재했다면, 뉴미디어로 인해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자체가

모든 사람들의 목소리를 위한 매체로 변화해가면서 이러한 경계구분이 사실

상 모호해지는 저널리즘 환경이 구축되었다(Gillmor, 2006). 이러한 환경 속에

서 ‘영웅으로서의 저널리스트(journalist as hero)'라는 이미지를 약화시키면서,

대신 시민 그리고 전문가 수준의 식견과 기술을 지닌 소위 열정적 아마추어

집단(pro-am journalist)에 의해 ’아래로부터(from below)' 뉴스 콘텐츠 생산이

용이해진 점이 시민저널리즘을 발전시키는 동력이 되었다(Flew & Wilson,

2010). 로젠(Rosen, 2008)은 이러한 시민저널리즘을 이전까지 단순한 수용자에

지나지 않았던 사람들이 서로에게 무엇인가를 알리기 위해 자신이 소유한 언

론도구(press tools)를 이용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정의한다.

시민저널리즘의 본질적 특성은 바로 이용자가 뉴스와 정보의 생산에 있어

서 중요한 존재로 인정받고 있다는 점이다. 공개성과 적용성이 강한 디지털

기술은 그 이용자들로 하여금 적극적인 뉴스 콘텐츠 생산, 배포 및 확산에 대

한 동기를 자극했다. 실제 시민저널리스트들이 전달하는 각종 콘텐츠는 그 형

태 및 종류에 있어 무한하다할 만큼 다양하다. 아우팅(Outing, 2005)은 블로그

를 중심으로 한 시민저널리즘이 처음으로 주목을 받은 시점을 2001년 미국

9/11 전후로 본다. 로빈슨과 로빈슨(Robinson & Robinson, 2006)은 2004년 12

월에 발생했던 남아시아의 쓰나미 관련 뉴스에 있어 프로페셔널 저널리즘에

비해 휴대폰을 통한 일반인들의 정보전달이 신속성과 파급력에 있어 더 큰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하면서 시민저널리즘의 개념을 더욱 확장시켰다고 평가

한다.

시민저널리즘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개념이긴 하지만 그 용어가 적

절한가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자비스(Jarvis,

2006)는 네트워크 저널리즘(networked journalism)이란 용어를 통해 현재의

새로운 저널리즘 현상의 핵심은 프로페셔널과 아마추어 저널리즘간 공동체적

속성에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네트워크 저널리즘은 프로와 아마추어 저널리

스트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주류 미디어 중심의 저널리즘을 벗어나 다양한

정보와 관점을 공유하면서 보다 정확하고 실제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함께

노력하는 현상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한편, 일반 대중이 뉴스 이용과 생산의

주체라는 점에서 길모어(Gillmor, 2006)는 풀뿌리 저널리즘이라는 용어를 제시

했다. 네트워크 저널리즘과 풀뿌리 저널리즘 두 용어는 저널리즘이 더 이상

Page 60: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46 -

프로페셔널 저널리스트만의 배타적 영역이아니라 정보를 생산하는데 있어 능

동적 대중이 새로운 주체로 등장했다는 의미를 강조하는 개념이라고 하겠다.

보우맨과 윌리스(Bowman & Willis, 2006)는 참여 저널리즘(participatory

journalism)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여기서는 시민(또는 이들의 집단)이 뉴스

와 정보를 수집하고, 보도, 분석 및 확산하는 과정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

는 점을 강조한다. 시민들이 이처럼 정보 생산 및 확산 과정에 참여하는 의도

는 민주주의가 요구하는 독립성, 신뢰성, 정확성, 광범위성 그리고 적절성을

제공하는데 있다고 보았다. 르위스(Lewis, 2010)는 시민저널리즘이란 개념은

뉴스생산을 국가 정체성의 범주에 속한다는 의미를 내포하며, 프로페셔널 저

널리스트가 시민들처럼 생각하고 행동한다는 사실을 모호하게 만든다고 평가

한다. 그 결과 시민저널리즘이란 용어가 실용적 영역과 학문적 영역 등 모든

분야에서 혼란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시민저널리즘이란 개념은 뉴스생

산을 국가적 정체성의 범주에 속하는 의미를 내포하며, 프로페셔널 저널리스

트가 시민들처럼 생각하고 행동한다는 사실을 모호하게 만든다고 평가한다.

그 결과 시민저널리즘이란 용어가 실용적 영역과 학문적 영역 등 모든 분야

에서 혼란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 르위스(Lewis)는 1970년대 허버트 갠즈

(Hebert Ganz)의 다각적 저널리즘(multi-perspective journalism)이란 용어를

선호한다. 다각적 저널리즘은 주류 뉴스기관들이 뉴스에서 보다 충실한 공동

체적 관점을 반영할 수 없다는 인식에서 시작된다. 갠즈(Ganz)는 뉴스와 뉴스

미디어는 가능한 많은 관점을 제기하고 반영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프로페셔

널 저널리스트에게 일임하기에는 너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다각적

저널리즘으로서의 시민저널리즘은 일반 대중들이 생산하는 무수한 정보에 담

긴 다양한 스펙트럼을 중요하게 평가한다고 하겠다.

이처럼 시민저널리즘을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지만, 시

민저널리즘을 가능하게 한 기본 동력은 디지털 테크놀로지라는 점에는 의견

이 일치한다. 하지만 리브로와 리빙스톤(Lievrouw & Livingston, 2005)은 인터

넷과 관련 디지털 네트워크 기술이 단순한 기존 테크놀로지의 확장이 아니라

뉴미디어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3가지 서로 상호의존적인 요소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먼저, 사람들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가능하게 하고 확장시키는 장

치(기술)가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는 이러한 장치들을 이용하고 발전시키는데

있어 우리가 참여하는 커뮤니케이션 활동과 실천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이러

Page 61: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47 -

한 기술의 이용 및 운영을 발전시키는 사회적 약속, 제도 그리고 조직적 형태

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는 인터넷과 관련 디지털 기술을 단지 융합기술로

인식할 것이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실천과 사회적 제도에 더욱 광범위한 영향

을 끼치는 사회적 기술로 인식해야한다는 점을 내재하고 있다(Flew &

WIlson, 2010).

시민저널리즘의 발전과정과 실질적인 역할을 분석하기 위한 학문적 노력도

함께 진행되어왔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호주에서 2007년 실시한 youdecide

project라고 할 수 있다. 이 프로젝트는 시민들의 저조한 정치참여를 진작시키

는데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만들어진 youdecide 2007 웹사이트는 모든 형태의 멀티미디어 콘텐

츠를 올릴 수 있고,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며, 용이성 및 운영

진과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콘텐츠를 처리하도록 했다.

이 프로젝트는 시민저널리즘이 시민들의 활발한 정치참여를 유도해낼 수 있

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선거 뉴스를 포함한 각종 뉴스생산에 있어 프로페

셔널 저널리스트 중심의 관행이 줄어들고, 시민 중심의 뉴스생산 모델이 점차

확산되어가는 경향을 발견했다. 또한, 주류 뉴스미디어와 시민저널리즘 사이

트가 서로 유기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즉, 주류 저널리즘

사이트와 시민저널리즘 사이트간의 상호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가

능성을 발견한 셈이다. 이와 함께, 시민저널리즘의 발전에 필수적인 것은 바로

경험을 서로 공유하는데 있다는 점도 발견했다(Flew & Wilson, 2010).

한편, 주류 방송사 역시 시민저널리즘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경향을 보이

고 있다. 샘브루크(Sambrook, 2005)는 런던 폭탄 테러를 비롯한 커다란 사건

이 발생할 때마다 일반 공중들은 BBC가 그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정보만큼이

나 많은 새로운 정보를 전달할 수 있었다고 주장하면서 지금부터는 뉴스취재

가 일종의 파트너십이라고 지적한다. 그에 따르면, BBC는 2003년 Action

Network라는 웹사이트를 개발해 사람들이 자신들의 지역사회 관련 정보를 취

재하고 서로 공유하고 걱정되는 이슈들을 게재하도록 했다. 이용자들은 이를

통해 자신과 걱정을 함께 나눌 사람, 정보와 조언을 교환할 사람, 그리고 캠페

인을 함께 조직할 다른 사람들 찾을 수 있었다. BBC는 전지구적 대화(Global

Conversation)라는 시민저널리즘 사이트를 시작해 BBC를 이용하는 모든 사람

들로부터의 정보가 모이는 세계적 규모의 사업을 진행했다. 이러한 시민저널

Page 62: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48 -

리즘은 BBC에 큰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3천여 명에 가까운 일자리를 줄여

그 예산을 전체 뉴스조직을 변화시키는데 투자한 것이다. 시민저널리즘과 함

께 급변하는 방송환경에서 전통적 뉴스모델은 10년 이상을 버텨내지 못할 것

이란 진단을 함께 내렸다.

최근에는 위키, 마이스페이스, 페이스북과 같은 SNS(소셜네트워킹서비스)와

트위터 같은 마이크로 블로깅을 포함하는 소셜 미디어 이용이 확산되면서, 이

들 소셜 미디어와 시민저널리즘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한창이다. 카플란과

핸린(Kaplan & Haenlein, 2010)은 소셜 미디어란 웹2.0이라는 이데올로기 및

기술적 토대에 근거하고 이용자 제작 콘텐츠의 생산 및 교환을 자유롭게 하

는 인터넷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이라고 정의한다. 스미스(Smith, 2009)는 페이

스북, 마이스페이스, 유튜브, 그리고 트위터가 주류에 편입되면서 인터넷 기반

의 사이트들이 이러한 소셜 미디어 서비스와 연동되는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고 평가한다. 특히, 그는 소셜 미디어의 등장으로 청취경제(listening economy)

가 중요한 개념으로 등장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즉,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의

무수한 의견들을 어떻게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으로 반영할 것인가를 알기 위

해서는 이러한 의견들에 민감해야 한다는 의미다.

르위스(Lewis, 2009)는 소셜 미디어들이 뉴스의 제작과 발행에 용이한 플랫

폼을 제공하면서 참여적 뉴스가 증가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고 주장

한다. 그에 따르면 개방성과 공중성(publicness)이 이러한 참여문화에 중요한

가치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사진공유, 블로그 개설, 뉴스에 대한 단순한 코멘

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준에서 이용자들은 공중성, 즉각성, 접근성이 높은

정보를 공유하는 이득을 서로 경험하고 있는 셈이다. 더욱 접근성 높은 정보

를 공유하는 이득을 서로 경험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개방성과 공중성에 근거한 참여를 바탕으로 한 시민저널리즘의 확

산은 다양한 사례에서 보인다. 2009년 초 155명을 태운 US Airways 비행기가

허드슨 강에 불시착한 사건소식을 처음으로 알린 것이 트위터였으며 사진 또

한 트위터를 통해 전 세계에 전달됐다. 이 사건은 소셜 미디어를 통한 시민저

널리즘의 가능성을 확인시켜준 대표적 사건이라고 평가받는다(Beaumont,

2009). 사진 공유사이트인 플리커에서도 비행기 추락에 관한 설명과 사진들이

공유되었다. 또한 올해 이란의 부정선거 관련 뉴스를 처음 알린 것도 트위터

였다. 기자들이 이란의 선거관련 소식들을 제대로 취재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Page 63: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49 -

이란의 트위터 이용자들을 통해 관련 소식이 급속히 확산되기 시작한 것이다.

뷰몬트(Beaumont, 2009)는 중국의 지진과 인도 뭄바이(Mumbai) 테러리스트

공격에 이르기까지 이전의 무수한 사건에서 소셜 미디어는 최초 뉴스보도와

관련 뉴스 확산에 최전선에 있었다고 평가한다. 소셜 미디어는 사건에 관한

실시간 코멘트를 중계하고, 주류 미디어의 정확성, 분석 그리고 비평과 함께

주요한 사건에 대한 풍부한 설명을 제공한다고 평가한다.

이처럼 소셜 미디어를 통한 시민저널리즘의 확산에는 주류 언론에 대한 강

한 불신, 차별화된 콘텐츠에 대한 수요, 및 소통에 대한 욕망이 기본적으로 자

리 잡고 있다는 것이다. 비슷한 뉴스가 넘쳐나는 가운데 트위터는 뉴스를 필

터링하고 뉴스의 우선순위를 다시 조합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하에서 독자들은 이제 보여주는 대로 보지 않고 중요한 것을 직접 골라 보는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미디어 오늘 2010. 6. 30, 10면).

한편 벤틀리(Bentley, 2008)에 따르면 마이스페이스나 페이스북과 같은 사람

관계중심의 소셜 미디어도 시민저널리즘의 속성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고 평

가한다. 투진은 미주리 대학 시민저널리즘 연구팀이 수행했던 보고서를 인용

하면서, 이용자들은 페이스북에서 발견된 뉴스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매우 높

게 평가한다는 것이다. 페이스북 이용자들은 자신의 친구가 올린 뉴스 콘텐츠

가 다른 뉴스 기관에 의해 추천되거나 운영되는 사이트에 비해 더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했다. 소위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은 소셜 미디어와

시민저널리즘의 관계를 설명하는 적절한 용어일 것이다. 즉, 어떤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전문가나 아마추어, 프리랜서 등의 기술이나 수단을 총 동원하는

가운데 저널리즘의 미래가 있다는 것이다. 시민저널리즘 관점을 통해 소셜 미

디어를 통해 새로운 저널리즘 문화를 형성해가는 이용자들의 저널리즘에 대

한 관점과 정보생산이 갖는 함의를 파악해 낼 수 있을 것이다.

Page 64: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50 -

Ⅳ. 전문가인터뷰 결과 분석

이 연구에서는 소셜 미디어와 저널리즘의 관계를 보다 구조적으로 이해하

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했다. 심층

인터뷰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현직 기자, 언론학계, 그리고 소셜 미디어 관련

업계 종사자로 직업별로 3명씩 총 9명이었다. 심층 인터뷰는 연구진 3명이 담

당했다. 사전에 구조화된 질문지를 토대로 인터뷰를 진행했고, 상황에 따라 별

도의 질문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인터뷰는 응답자들이 선호하는 곳

에서 이루어졌고, 평균 40분 정도 소요됐다.

<표 4-1> 심층인터뷰 대상자

직업군 소속 소셜 미디어 이용

기자

주간지(기자A) 트위터, 블로그

경제지(기자B) 트위터, 페이스북

일간지(기자C) 트위터, 페이스북

업계

기업(현업P) 트위터, 페이스북

기업(현업K)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광고대행사(현업J) 트위터, 페이스북

학계

교수A 트위터, 페이스북

교수B 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

교수C 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

1. 각 분야별 전문가들의 소셜 미디어와 저널리즘에 대한인식

1) 기자들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인식

(1) 소셜 미디어의 정의

인터뷰에 응한 기자들은 소셜 미디어를 뉴스유통 구조의 혁신을 가져온 미

디어, 정보생산자와 소비자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누구나가 판단하고 정보를

생산 및 유통시킬 수 있는 채널이자, 그리고 정보생산자가 소비자가 되고, 정

보소비자가 생산자가 되면서 큰 규모의 사회적 속성을 형성하는 이용자 간

Page 65: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51 -

포인트 캐스팅(point casting) 미디어로 정의하고 있었다.

블로그까지는 콘텐츠, 생산의 구조화 과정이었고 이것에 대해서 유통의

구조화가 이런 트위터나 소셜 미디어라고 생각합니다. 시민기자 중심의

오마이뉴스는 다소 종속적인 뉴스생산의 문제화모형이었다면 블로그에

서는 완전히 본인이 기자이면서 데스크이면서 편집인이니까 완벽한 책

임 하에 가는 생태계가 형성이 됐는데 그 생태계를 사실 지탱해주던 힘

은 메타블로그였거든요. 메타블로그에서 발탁이 돼서 그 사람들이 밀어

준거죠. 플랫폼에 노출을 시켜줘서 뉴스 1층에 그 자리를 차지하면서 그

래서 조명을 받은 거죠. 유통에 있어서는 상당히 종속적인 거죠. 파워블

로그가 되려면 메타블로그에서 키워주지 않는 파워블로그는 한계가 있

어요. 특히, 시사 블로거들은 어떤 이슈, 자기가 많이 포스팅 할 수 있는

이슈일 때 크게 올랐다가 그게 아니면 확 떨어지고. 그런 성격이었는데

그렇기 때문에 더 메타블로그에 의존적이었는데 트위터가 등장하면서

그 기사들을 RT(retweet)하면서 그 부분에서 유통이 되더라고요... 사람

들이 뉴스나 뉴스 비슷한 이슈의 유통을 적극적으로 해낸다면 포털이나

메타블로그에 집중되어 있던 유통권력이 다중(多衆)으로 올 수 있을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소셜 미디어 핵심은 연결이자 뉴스유통이라

고 생각합니다.(기자A)

(2) 소셜 미디어의 활성화 이유

기자들은 수용자들의 기존 언론에 대한 불신, 웹1.0 시대를 겪으면서 축적된

사이버 공간에서의 토론 및 경험, 그리고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기술의 발전 등이 소셜 미디어의 활성화에 주요 원인이라고 인

식하고 있었다.

우리 사회에는 ‘정부가 언론에 대해서 통제를 하고 있다’, ‘언론에 제대

로 된 보도가 안 나오고 있다’는 정서가 있기 때문에 주류언론을 극복해

보려는 환경이 확립되어있다고 봅니다. 이처럼 불신과 관련한 감정을 가

진 유저들이 상당히 있기 때문에(특히 20~30대 유저들을 중심으로 한)

Page 66: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52 -

저널리즘에 대한 불신이 커갈 수 있는 터전이 좋다고 봅니다. 또한 블로

그나 아고라와 같은 경험이 있어서 유사 미디어행위를 한 사람들이 많

아요. 블로그에서 기사생산 역할을, 아고라에서 토론자 역할을, 인터넷

생중계했던 PD경험 등 그런 원 경험을 가진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런

사람들이 많이 있어서 어느 정도 수준이 오른 콘텐츠들이 많이 올라오

고, 그런 경험을 하면서 받아들여 줄 준비도 되었고, 서로 만날 수 있게

하는 SNS라는 통로가 생겼기 때문에 이는 저널리즘에 큰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기자A)

(3) 소셜 미디어가 뉴스 생산에 이용되는 방식

기자들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기존의 방식과 다른 형태로 뉴

스를 전달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이 뉴스 생

산과정에 가져온 가장 큰 변화는 언론사의 전통적인 게이트 키핑 체제를 벗

어나서 뉴스를 이용자들에게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점이다. 기자들마

다 얼마나 적극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기사 생

산과 전달 방식에 차이를 볼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독자

들과 직접적인 소통을 하는 경우 게이트 키핑 과정에서 기사화 되지 못한 기

사를 전달하거나 지면에서 다루지 못한 보다 심층적인 내용을 다루는 경우가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독자와 소통하는 기자들의

경우 블로그 사용부터 뉴스를 올리기 시작하여 많은 방문자를 확보하고 그들

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다시 관계를 맺는 행태를 볼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자신들이 생산해 낸 기사들을 공유할 수 있는 이용자들이 많을수

록 적극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전달하는 경향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미디어는 기본적으로 생산자와 소비자로 엄밀하게 구분되는데 반해, 소

셜 미디어는 생산자와 소비자가 섞여 있습니다. 예전 미디어에서는 중요

한 걸 생산자가 판단했고 중요한 이슈에 대해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

고, 근데 소셜 미디어는 중요한 것을 그냥 구성원들이 판단하고 생산자

가 전달하고 싶어 하는 메시지보다는 사람들이 그 때 관심을 가지고 있

Page 67: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53 -

는 메시지가 더 중요하게 부각이 되는 것이 중요한 차이인 것 같아요.

(기자C)

한편, 트위터의 팔로워를 많이 가지고 있으면서 소셜 네트워크를 통하여 뉴

스 유통을 빈번하게 기자들의 경우 이러한 활동이 종종 언론사 데스크와 마

찰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언론사 입장에서 소속사 기자가 소셜 네

트워크를 통하여 많은 이용자들과 소통하면서 많은 트래픽을 일으키는 경우

언론사 본연의 임무에 소홀해 질 수 있는 부분에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회사입장에서 처음에는 단순하게 접근을 해요. ‘이거 해서 유명세가 생

기면 회사도 좋고 너도 좋고 다 좋은 거 아니냐’ 하고 단순하게 생각을

하다가 정작 플레이어가 돼서 생각을 하면 당장 팀장이 견제를 하죠.

‘다른 기자들은 열심히 협동농장에서 일하고 있는 데 너는 왜 혼자 텃밭

만 가꾸냐.’ ‘텃밭에서 힘 다 쓰고 여기서는 시늉만 하는 것 같다.’ 그런

시선으로 보죠. 블로그나 트위터에서 문제가 되면 시비를 걸고, 그게 폭

발하면 왜 또 기사로 안 썼느냐고, 아이템으로 냈는데 kill하지 않았냐

그러면 뭐 아이템으로 낼 때는 그 얘기가 아닌 줄 알았지‘ 이런 식으로

계속 갈등의 원인이 되요.(기자A)

트위터를 통한 뉴스의 확산 과정은 블로그와는 다른 형태로 진행된다는 지

적도 흥미로운 부분이다. 블로그를 통한 뉴스의 확산 과정은 기자가 파워 블

로거로서 어느 정도 영향력을 발휘하느냐에 따라서 상이한 모습을 보이게 된

다. 기자에게 파워 블로거의 지위를 부여하는 기능을 상당 부분 메타 블로그

에 수행했던 반면에 트위터를 통한 뉴스 유통의 경우는 기자를 팔로우 하는

이용자들의 수와 이들이 기사들을 그들의 팔로워에게 재전송하는 리트윗팅

(RT:retweet) 과정에 따라 확산의 범위가 결정지어 진다. 기자를 직접 팔로우

하지 않더라도 몇 단계의 리트윗팅 과정을 거치면 상당히 많은 수의 트위터

유저들에게 기사가 노출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즉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가 뉴스 유통 매체로 가지는 가치는 ‘연결성’에 있다는 것이다. 기자가 올리는

뉴스가 관련된 트윗이 얼마나 촘촘히 형성된 네트워크를 이동하느냐에 따라

서 파급 효과가 달라지는 것이다.

Page 68: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54 -

이처럼 견실하게 구성된 소셜 네트워크는 뉴스 전달에 있어서 기존의 다른

어떤 매체보다도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공백 삭제)

전통적으로 저널리즘에 있어서 속보성은 신문 뉴스 보다는 방송 뉴스가 가지

는 특성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인터넷 포털이 가지는 뉴스 매체로서 영향

력이 커지면서 속보성은 인터넷 뉴스 매체가 가지는 대표적인 속성이 되었다.

마감시간이 따로 없는 인터넷 뉴스와 이를 전달하는 포털의 영향력은 뉴스

유통에 있어서 기존의 헤게모니를 근본적으로 흔들어 놓았다.

포털이 뉴스 전달 매체로서 큰 영향력을 가지는 이유는 이용자와 지속적인

접점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포털이 제공하는 검색 기능이나 메일, 동호

회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하여 포털은 이용자가 폭 넓은 접점을 구성하고 있

고 이 부분이 인터넷 환경에서 포털 사이트가 영향력을 키워온 주된 이유다.

하지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서비스의 본질이 연결망을 통한 접점을 구성

하는 것이고 트위터의 리트윗과 같이 접점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

는 환경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뉴스 유통 매체로서 잠재력에 주목하게 되는

것이다.

뉴스 이슈의 유통을 다른 사람들도 더 한다면 유통권력이 포털이나 메

타블로그에 집중 돼 있던 게 다중으로 올 수 있겠다는 생각입니다. 그래

서 소셜 미디어 핵심은 연결입니다. 뉴스 가치를 대안미디어 이전에는

언론사 데스크나 언론사에서 판단을 했습니다. 대안미디어로 오면서 뉴

스의 패자부활전이 가능했다면, 대형 사이트의 포털이나 그런 곳에 의존

했다면 이제는 다중에 의해서 많이 전달하고 많이 알리는 글이 이슈가

되는 거죠. 그런 모형으로 점점 가고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기자A)

기사를 작성하는 기자의 입장에서 취재원을 만나서 기사 거리를 정하고 취

재하는 방식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조금씩 다른 양상을 보이

는 측면이 있다. 기존에는 사안에 따라서 일반인들이 제보한 내용을 전문가에

의뢰하여 기사를 작성하곤 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누가 전문가인지에 대해서

한정된 정보에 의존하다 보면 적절하지 않은 뉴스 소스를 가지고 기사 작성

을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트위터를 이용하는 경우 해당 분야의 전문가에 대

한 선택이 기존의 올린 글이나 평판을 통해서 비교적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Page 69: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55 -

있다. 기사를 쓰고자 하는 분야에서 적합한 전문가를 팔로우 한다면 훨씬 효

율적으로 해당 분야의 이슈를 파악할 수 있고 전체적인 흐름과 논점들을 정

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특히 IT 분야 같은 경우는 대단히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산업의 변화와 이러한 변화가 가지는 산업적 의미들을 전문

가들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안에서 훨씬 더 양질의 제보자나 양질의 취재원

을 확보하기도 합니다. 기자를 하면 훈련을 통해서 누가 양질의 제보를

하는지 전문가인지에 대해서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자들이 또

어느 정도 도그마에 빠져서 다른 주제를 가지고 똑같은 사람을 취재해

서 써요. 이를 테면 자기 룰 안에서(있는데) 그런 룰도 벗어날 수 있죠.

저 같은 경우 트위터 경우에 아이폰이나 아이패드와 같은 IT관련 기사들

커버스토리도 두 번 정도 쓰고 특집도 두 번 정도 쓰고 그랬는데 이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없었으면 못 쓰는 거죠. 이걸 통해서 이쪽 전문

가들과 빨리 연결이 되고.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이슈성 있는 것들의 주

제도 잡고 검증도 하고 문제도 얘기하고...(기자A)

유명 사회인들이 트위터를 통해서 대중과 소통하는 상황이 늘어나면서 유

명인이 트위터에 올리는 글 자체가 기사화 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또한 기자가 유명인이 올린 트윗에 대하여 질문을 하여 답을 얻어 내는 방식

으로 트위터를 통한 일종의 인터뷰를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사를 작성하

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신세계 부회장 트위터를 열심히 팔로윙해서 ‘(정부회장이)무슨 말을 했

다’ 하는 속보를 쓰기 시작했고 재미가 들어서 (정부회장의) 트위터에

쓴 내용을 뽑아서 그걸 인터뷰로 재구성을 했어요. 맨션으로 몇 가지 질

문도 던지면서. 기자라고 본인은 밝혔으나 알고 답한 건지는 모르겠는데

정부회장이 답도 오고 실제 인터뷰를 트위터로 진행을 해본(사례다). 얼

마 전에 현대카드 정태영 사장 인터뷰를 한경이코노믹스인가 매경이코

노믹스인지 거기서 트위터로 인터뷰를 했대요. 맨션하고 리플라이를 써

서. 그런 식의 일들도 계속 일어나는 거죠.(기자C)

Page 70: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56 -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뉴스 유통이 확산되면서 저널리즘의 신뢰를 어떻게

볼 것인가도 주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 중에 이용자가 개인적으로 알고 있는 신뢰할 수 있는 지인이

전하는 소식은 익명의 이용자가 전하는 메시지 보다 훨씬 더 신뢰감을 가지

게 된다. 이는 마치 인터넷에서 개인적으로 신뢰도를 알 수 없는 정보원들의

글보다 오프에서 친분이 있고 신뢰도를 가지고 있는 지인들의 글이 훨씬 중

요하게 받아들여지는 현상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부분을 고려할 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저널리즘의 신뢰에 있어서 트위터 등으로 게이트 키

핑 과정을 거치지 않은 뉴스가 빠른 속도로 전달되는 부분도 있지만 기존 오

프라인에서 사람들이 이미 신뢰를 가지고 있는 언론사의 뉴스들이 소셜 네트

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다시 확산되는 측면도 크다고 볼 수 있다.

뉴욕타임즈의 영향이 줄었나? 아니거든요. 레퍼런스가 훨씬 더 중요해지

는 거든요. 신뢰를 받는 뭔가가 있어야 하는 거예요. 뉴욕타임즈가 이랬

다고 트위터에서 얘기하고 있는데, 아니 CNN에 나왔다고 그게 결과적

으로 여기에서 있었던 모든 담론들이 믿을만하고 근거 있고 중요한 얘

기였다는 걸 확인해주는 거잖아요. 그런 레퍼런스의 기능을 갖고 있고

언론이 인터넷에, 웹이 처음 등장했을 때 찾게 됐다는 것은 장점인데 지

금 그 분석틀을 가지고 이렇게 진행되어 왔던 것을 무시하고 다시 정보

가 쏟아지면 어떻게 할 거냐 이 얘기를 하는 건 좀 되게 구닥다리 얘기

고요.(기자C)

(4) 소셜 미디어의 장점과 단점

기자들은 저널리즘 측면에서 소셜 미디어의 장점은 오보의 수정가능성과

자정작용을 꼽았다. 기존의 뉴스 매체는 조직 특성상 게이트 키핑 기능이 작

용하면서 구조적으로 사실을 확인하고 검증하는 과정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는 이러한 게이트 키핑 기능이 작동하지 않기 때문

에 제대로 검증되지 않은 기사들이 네트워크를 타고 빠르게 확산되는 문제점

이 있을 수 있다. 그렇지만 트위터는 이러한 문제점을 신속히 솎아낼 수 있는

Page 71: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57 -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기자들은 트위터를 자정기능이 강한 맥

락미디어(contextual media)로 규정하면서, 외관상 독립적으로 보이는 각 메시

지들이 하나의 큰 흐름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자정작용이 발생하고 그 결과

신뢰도가 높아지게 된다고 지적한다.

오보의 문제를 많이 제기하는데, 저는 오보의 문제에 대해서는 많이 모

니터링 하니까. 중요한 건 오보의 가능성은 기존미디어도 있는 것이고

언론의 역사는 오보의 역사고 제일 중요한 건 제가 현장 저널리즘에서

봤을 때는 오보에 대한 수정 가능성이거든요. 트위터는 오보에 대한 수

정 가능성이 열려있는 곳이고 오보가 통용될 때 누군가 이게 오보라고

정확히 지적하면 묵살되지 않아요. 그게 다시 돌면서 오보를 점점 누르

죠. 그 뒤에 완전히 정정보도가 장악하게 되고. 계속 모니터링 하다보면

밑도 끝도 없는 오보가 계속 이슈화 되서 장악하는 그런 경우는 없어요.

그동안에 미디어에 있어서 이정도로 오보에 대해서 열린 미디어가 있었

을까요? 신문, 방송에 나왔던 것에 오보 정정을 요청하기가, 문턱을 넘기

가 얼마나 힘들어요. 분명히 오보여도 언론사가 인정하지 않고 반론이나

자기 수정을 거치려면 비판도 거쳐야 하고 정말 복잡한 과정과 피곤한

과정을 거친 다음에도 정정되는 것도 아니잖아요. 오보라는 걸 놓고 본

다면 여기가 더 우월할 수도 있는 것 같아요.(기자A)

댓글과 다르게 트위터는 자정기능이 있잖아요. 콘텍스트, 즉자적인 반응

이 아니라 맥락미디어에요. 맥락미디어. 콘텍스트 미디어다. 기존 인터넷

댓글은 즉자적인 반응과 즉자적인 해석. 댓글만 놓고 얘기하는 거예요.

근데 트위터는 콘텍스트 미디어에요. 전반적인 맥락이 큰 틀에서 보면,

(하나만 지엽적으로 보면 지엽적이지만) 흐름이 있거든요. 이 흐름을 통

해서 자정을 하게 되고 하는 콘텍스트 미디어이기 때문에 굉장히 신뢰

도가 높아요. 왜냐면 그 안에서 다양한 의견이 나오거든요. 그래서 사람

들이 타임라인을 가지고 ‘이거 내가 봤을 때 좀 아닌데’ 그러면 또 찬성

의견이 뒤에 나오고 끊임없이 흘러가요, 끊임없이. 그 안에 내가 들어가

서 잠깐 노는 것이기 때문에, 굉장히 신뢰도가 높은 미디어에요. 그래서

거기서의 관계는.. 친밀함이 대단하죠, 굉장히 대단한 거죠.(기자B)

Page 72: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58 -

기자들은 소셜 미디어의 문제점으로 프라이버시 침해와 정보이용의 편향성

을 꼽았다.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이 재미를 추구하다보면, 프라이버시 문제를

간과하거나 소홀히 해서 결국 개인에게 큰 피해가 돌아갈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동의했다. 또한 소셜 미디어로 인해 정보이용에 있어 습관화된 편향적

패턴이 더욱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이와 함께, 소셜 미디어를 통한

단문이용에 익숙해지면서 집중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지적도 있었다. 단

문중심의 소셜 미디어에 익숙해지면서 분석적이며 장기간 트렌드를 살펴보는

것보다는 짧은 사건에 매몰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

직은 소셜 미디어의 초기단계이므로 문제점보다는 가능성과 장점을 더 강조

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그리고 소셜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

는 뉴스의 대부분은 올드미디어로 평가받는 신문이나 방송뉴스라면서 소셜

미디어의 등장은 올드미디어의 종말이 아니라 새로운 도약의 기회라는 평가

도 있었다.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트위터와 같은 마이크로 블로그는 회사,

부서, 개인 등 계정을 분절적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편향성은 저도 감지되는 부분이고요. 일단 그 편향성은 사실 대안미디어

공간들, 블로그, 아고라, 아프리카 같은 인터넷 생방송, 그리고 커뮤니티

들이 있어요. 촛불커뮤니티라고 하는데 일반 취미커뮤니티였다가 촛불집

회 이후에 담론 공간화 했던 여러 가지 공간에서 이미 그런 양상에서

역으로 층계 나선형이 형성돼서 이 사안을 이해하고 싶은 대로 이해하

는 그런 방향성이 이미 나타나 있었죠. 촛불과 노무현 서거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올해 가장 큰 이슈는 천안함이었고. 천안함에 대해서도 여기

선 다르게 재구성하는, 그런 모형이 형성됐던 거죠. 그거에 대해서 트위

터에서는 그것도 유통된 거고. 거기에 날개를 달아 준거지만. 편향성은

‘트위터가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 그걸 봐야지 트위터가 원흉이고 진

원지고 그렇게는 보면 안 돼요. 그건 이미 이전에 발생했던 일들이고 그

거에 대해서 좀 더 강화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이게 소셜성이 있으니까

더 강화하는 건 맞는 것 같아요... 프라이버시에 대해서는 여기가 가장

취약하죠.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재미를 느끼지만, 훈련되지 않았기 때문

에 안티나 상대방의 다중의 공격이나, 몇 가지 것들에 대해서...결국, 자

Page 73: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59 -

기에 대한 가장 고급정보를 자기가 다 얘기하는 거잖아요. 그런 면에서

는 너무 재미에 취해서 일반인들이 그런 부분은 많이 있는 것 같아요.

(기자A)

(5)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게 된 계기

기자들의 소셜 미디어 사용계기는 개인적 관심과 취재관련 필요성에서 기

인했다. 소셜 미디어로부터 기사를 쓰고 취재하는데 큰 도움을 받고 자신이

가진 정보를 타인과 공유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기자들은 이를 위해 개

인적 노력 및 투자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인터넷에서는 초기에 몰입을 해야 되요. 너무나 사람들이 오픈 마켓인데

너무 많으니까. 플레이어가. 거기에 존재감을 세우느냐 안 세우느냐가

승부수거든요. 그건 초기에 많이 노출될수록 빨리 타석에 자주 들어설수

록 좋은거니까 블로그든 트윗이든 초기에 집중을 했고. 트위터같은 경우

에는 블로그 때의 후광효과가 있어서, 제 블로그를 통해서 트위터로 유

입시키고 그런 메리트가 있으니까.(기자A)

(6) 전망

기자들은 향후 소셜 미디어가 문화로 자리매김하면서 강력한 영향을 발휘

할 것으로 예상했다. 소셜 미디어가 형성하는 것은 결국 문화이고, 이용자들은

자신에게 익숙한 소셜 미디어 문화를 선택하는 것으로 표현했다. 소위 TGIF

가 형성하는 글로벌 흐름에 적합한 소셜 미디어가 오랫동안 대세를 이룰 것

으로 보았다. 한편, 소셜 미디어도 인터넷 문화의 키워드인 관음의 문화의 연

속이라고 표현했다. 이와 함께, 소위 Peer review가 개인의 행동에 가장 큰 영

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예를 들어) 트위터에서 중요한 건 문화인데 30~40대 직장인이 제일 많

이 해요. 가장 많이 하는 사람들은 직장인들이에요. 그냥 컴퓨터 켜 놓

고 실시간이니까. 그 사람들이 많아서 샐러리맨 문화가 형성돼 있어요.

Page 74: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60 -

이들의 특징은 사회생활을 5년 이상 한 사람들이라서 상대방에 대한 여

유가 크다는 거죠. 그 전에 인터넷 문화는 10대~20대가 주축이다 보니

조그만 문제 가지고 너무 원리원칙적인 잣대를 들이대고 마녀사냥을 쉽

게 했다면 트위터에서는 좀 사회생활 어느 정도 한 사람들에 대한 그런

합의가 있기 때문에 어떤 행위에 대해서 좀 더 여유가 있죠.(기자A)

2) 학계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인식

(1) 소셜 미디어의 정의

언론학계에서는 소셜 미디어를 기존의 소셜 미디어가 기존의 관계유지 및

새로운 관계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데 있어 가장 효율적인 미디어라는데 동의

했다. 이와 함께, 세부적인 정의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먼저 소셜 미디어

는 사람들 간의 관계망 속에서 생성되는 미디어로 정보의 생산자체가 관계망

속에서 집단적으로 만들어진다는 점과 정보의 유통경로가 사람과 사람 간 네

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는 방식을 구현한 미디어라는 정의가 있었다. 반면, 소

셜 미디어는 마케팅 영역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하면서 소셜 미디

어와 소셜네트워킹서비스를 구분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따라서 소셜 미

디어는 즉각적으로 메시지를 공적으로 확장, 전달 공유하도록 하는 새로운 사

교적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정의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말 그대로 사람들 간의 관계망 속에서 생성되는 미디어다. 그렇게 생

각을 하는데, 두 가지 측면이 있는 것 같아요. 하나는 어떤 정보의 생산

이라는 것 자체가 관계망 속에서 집단적으로 만들어지는 이런 측면과

또 하나는 그것이 확산되는, 정보가 유통되는 경로가 특정한 것이 아니

라 물론 플랫폼에 기반은 하지만 그것이 사람과 사람사이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정보가 유통이 되어가는 그런 방식을 구현해 주는 미디어.(교수

B)

소셜 미디어에서의 용어문제고 정의는 웹 환경에서, 웹이 모바일 환경이

든 아니든, 웹 환경에서 충분한 인간적 정서를 가진 사람들이 능동적으

Page 75: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61 -

로 구축한 명시적인 대인관계망. 이게 공동체하고도, 일반 커뮤니티하고

도 구별돼야 될 점이 명시적으로 친구관계를 맺으니까, 팔로워라든지 구

독이라든지 명시적인 대인관계망을 토대로 즉각적인, 이게 즉각적이라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즉각적인 공적 확장 메시지의 전달 및 공유를 수

행하는 새로운 사교적, 여기선 소셜이지만 결국은 그런 의미에서의 사교

적, 사회적이 아니라, 사교적 커뮤니케이션을 양식하는 서비스. 이렇게

정의를 해봤어요.(교수C)

(2) 소셜 미디어의 활성화 이유

소셜 미디어가 활성화되는 이유로 peer review가 절대적 기준으로 인정받

는 시대적 환경이 우선적으로 거론되었다. 이와 함께 한국에 전통적으로 존재

하는 공동체정서의 분절적 통합을 지적하는 입장도 있었다. 즉, 공동체적 온라

인에 익숙해있던 이용자들이 주체적 개체로 변화하고 싶은 욕구를 느끼게 되

면서 블로그와 같은 개인화 미디어가 출현했으나, 이러한 개인화 미디어를 하

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면서 온라인에서 주체적 개체로 존재하면서도 거시적

으로는 하나의 집단에 속하는 구조가 가능해진 결과라는 것이다. 소셜 미디어

라는 플랫폼 속에서 허브역할을 하는 파워브랜드가 작동하고 있으며 이와 함

께 인간적 정서가 반영되는 측면에서 소셜 미디어가 활성화 되고 있다는 지

적도 있었다. 한편 이러한 활성화를 사회병리현상의 상업화로 해석하는 입장

도 있었다. 개인적 차원에서는 관음증과 노출증의 발현이고 대인관계 망과 인

적관계에 대한 욕구의 표출이며 사회가 요구하는 효율성과 합리성을 반영에

대한 욕구라는 해석이다.

여러 가지 요인들이 동시적으로 작용한 거 같아요. 과거에는, 특히 한국

같은 경우에는 공동체정서가 강한 민족성이 있지 않습니까. 그러다보니

까 온라인에서도 끊임없이 공동체를 만들려는 이런 것들이 있었어요. 온

라인 동호회가 활성화된다든지 채팅을 하더라도 뭔가 공통분모를 가진

사람들끼리 모여서 얘기하려는 욕구가 강하죠. 연령별, 지역별, 뭐 이런

채팅방들이 많이 만들어지고. 그랬는데 점차 이제는 사람들이 개인화 성

향이라고나 할까? 그런 것들이 강해지면서 특히나 온라인에서는 오프라

Page 76: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62 -

인과는 다른 경험을 사람들이 맛보고 싶어 하지 않습니까? 오프라인에서

는 여전히 나는 조직의 일원이에요. 온라인도 처음에 온라인이라는 그

자체가 신기했을 때는 그 안에서 온라인에 들어가면서도 익숙해져 있던

어떤 조직문화, 여기에 자꾸만 소속되고자 했는데 이제는 온라인에서 뭔

가 다른 것들을 사람들이 갈망하게 되죠. 다른 게 뭐냐면 조직의 일원이

아니라 내가 스스로 주체가 되는 이런 것들을 요구하게 되고 그러다보

니까 사람들이 다음카페에서 빠져나오면서 블로그 만들고 뭐 이런 개인

화 느낌이 강조화 되니까. 개인화 미디어로 옮겨가다보니까 물론 그 안

에서도 개인화 미디어를 기반으로 해서 다양한 네트워크를 잘 만들어내

는 사람들도 있습니다만 사실 그런 사람들은 소수이죠. 흔히 말하는 파

워 블로거나. 대다수의 사람들은 나와 보니까 외로움을 느끼는 거죠, 다

시. 내가 블로그를 만들어 놨는데 찾아오는 사람도 없고 댓글도 하나 안

달리고 다시 사람들과 만나야겠다. 그런데 집단의 일원으로 들어가기는

싫다. 그러는 와중에 열린 플랫폼이라는 게 나온 거죠. 여기서는 내가

개인의 일원이지만 다양한 만남의 교류가 있으니까. 블로그는 내가 담을

쌓고 내 집을 가지고 있는 거라면 이 소셜 미디어는 광장으로 나오는

거니까 광장 속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으니까 이게 과거의 카

페적인, 다음 카페적인 것과 개인주의 적인 것들 이 두 가지가 다 충족

이 되는. 이런 것이 사람들의 욕구와 잘 부합한, 그런 측면이 있는 것

같아요.(교수B)

(3) 소셜 미디어의 이용 이유

학계에서는 소셜 미디어를 정보이용과 아는 사람과의 교류를 위해 사용한

다는 반응을 보였다. 인터넷을 지속적으로 추적하면서 연구 차원에서 사용하

는 경우도 있으며 불특정 다수와의 광범위한 대화와 정보공유를 위해 사용한

다는 것이다.

(4) 소셜 미디어의 장점과 단점

학계에서는 소셜 미디어의 장점으로 무엇보다 소셜 미디어 자체에 대한 신

Page 77: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63 -

뢰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을 꼽았다. 또한 오프라인에서는 불가능할 수도 있

는 네트워크가 소셜 미디어를 통해서는 쉽게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이와 함께, 집단지성을 통해 한 조직이나 기관이 하기 어려운 일을

신속한 시간에 효율적으로 수행해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미디어라는 점

도 지적했다.

(인간관계가) 돈독해진다기 보다는 그걸 통해서 맺은 어떤 특정한 인간

관계가 더 돈독해진다기 보다는 이제는 앞으로 내가 어느 분야에 대해

서 정보를 얻고 싶다든지 어느 물품을 구매한다든지 이런 걸 정할 때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이런 매체에 대한 신뢰도, 그런 매체를 이용하는

빈도가 더 높아질 거라는 생각이죠.(교수A)

장점이라고 하면 일종의 집단지성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겠고 네트워크

의 영향력, 힘이라고도 볼 수가 있겠는데 이건 정말 일 개인이 혹은 어

떤 하나의 조직체나 기관도 하기 어려운 것들을 개개인들의 네트워크가

어떤 과제를 수행해버리면- 빠른 시간 안에 효율적으로, 이런 사례들을

많이 볼 수가 있어요. 제가 되게 감명 받았던 것 중에 하나가 그건 블로

그 기반이었는데 ‘한글로’라는 닉네임을 쓰는 파워블로그가 있어요. 그

친구가 예전에 이걸 한 적이 있어요. 금융 노조가 파업을 예고한 적이

있어요. 2008년인가? 그러면서 은행시간을 단축시키겠다. 이 친구가 볼

때는 은행 영업시간이 짧은 것 같은데 금융노조 주장은 선진국들은 한

국보다 짧다는 거예요. 그래서 파업하겠다. 이 친구가 자기 블로그에 그

얘기를 쓴 거예요. 금융노조가 이러고 있는데 제 블로그에 오시는 분들

중에 외국에 계신 분들- 교포나, 유학생이나 이런 분들 있으면 자기 지

역에 있는 은행들이 영업시간이 어떻게 되는지 댓글로 보내주세요. 하루

만에 거의 전 세계 주요도시에 있는 은행 영업시간이 댓글로 쫙 모인

거예요. 하루 만에. 이 친구가 이걸 국가별로 표로 정리를 해서 다시 블

로그에 올렸어요. 보니까 대부분이 한국보다 은행 영업시간이 길더라고

요. 토요일도 오전 근무 하고 있는 곳도 많고. 그리고 그게 언론 보도가

돼서 금융노조가 파업을 철회 했어요. 제가 생각해볼 때 만약에 이걸 조

중동 같은 메이저 언론이 전 세계 주요 도시의 은행 영업시간을 취재를

Page 78: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64 -

한다. 돌면서 한 달 걸릴 거예요. 근데 블로거 혼자서 단 하루 만에 이

걸 해버린 거잖아요. 이런 건 정말 엄청난 파워죠.(교수B)

학계에서는 소셜 미디어의 큰 문제점으로 프라이버시 문제와 원하지 않는

정보의 노출을 지적했다. 그리고 필요한 정보와 불필요한 정보를 필터링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또한, 특정한 분야나 특정한 이데올

로기에 편향된 정보들에 계속 의존하는 경향이 일어나고 있고 소셜 미디어란

광장에서 다양한 사람들끼리 섞이기보다는 그 내에서도 동질적인 사람들끼리

의 군집현상, 파편화 현상이 발생하는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영

향력을 인정받은 사람, 영향력을 인정받으려고 애쓰는 사람을 중심으로 새로

운 권력관계가 형성될 뿐 아니라 모든 것이 드러난다는 점에서 감시도 문제

점으로 지적했다.

문제점은 프라이버시가 제일 큰 문제긴 해요. 그래서 어떤 정보를 올려

놓더라도 나도 뭐든지 괜찮을 만한 그런 정보를 올려놓죠.(교수A)

문제점이라고 보는 건 나에게 필요한 정보가 내가 필요하지 않은 정보.

이게 selecting이 안 되는 구조라는 거죠. 그러다보니까 때로는 아주 효

율적으로 아주 빠르게 내가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도 있지만 또 역으로

나에게 전혀 불필요한 정보들, 그다지 내가 필요로 하지 않는 수많은 비

화들, 여기에 내가 빠져서 허우적대게 만드는, 그런 함정도 있는 것 같

아요. 이게 아주 묘한, 마약 중독하고 비슷한 거 같은데(웃음) 계속 내가

나의 상태를 얘기하려면 트윗을 해야 되잖아요. 안 하면 내가 이상해지

잖아. 지금의 대화가 나에게 꼭 필요한 게 아니라 하더라도 당장 이 대

화만 놓고 보면 이거의 가치는 낮지만 나에게, 이 대화에 내가 참여하는

것이 전략적으로 장기적으로 이 소셜네트워크 공간 안에서의 어떤 나의

신뢰도나 나의 명망이나 이런 것들을 유지시키는 데 이게 필요한 거거

든요? 어쩔 수 없이 여기에 시간과 에너지를 소진해야 되는 그런 속성이

분명히 있어요. 기존의 전통 언론이 가지고 있는 아주 중요한 기능 중에

하나가 그런 어떤 필터링 기능이니까 그런 것들이 잘 작동될 수 있는

메커니즘은 이 안에 없고 결국 그것이 전부 내 개인의 몫이라는 건 사

Page 79: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65 -

실 되게 어려운 일이죠. 특히나 이 안에서의 관계망이 넓으면 넓을수록

필터링에 대한 부담감을 점점 더 크게 다가올 수밖에 없는...(교수B)

하나는 권력관계 문제가 좀 있는 것 같고요. 우리나라 카이스트 출신 박

사 중에 차미영이라는 분이 반영이 컸었죠. 거기서 핵심적인 문제가 권

력관계 문제였고 하나는 뉴스미디어냐 아니냐 하는 것이었는데 저는 권

력관계 문제에서 그것을 해석 하고 싶고요. 거기서 기본적으로 어택을

했던 것도 아마 권력관계 문제를 다루고 싶어 했던 것 같고요. 그렇게

팔로워 숫자가 많은 것 자체가 많은 사회적인 임팩트를, 소셜한 임팩트

를 야기하는 것은 아니라는 걸 보여주려고 했던 거였었는데 저는 반대

합니다. 그 결론에 대해서. 팔로워 숫자가 많으면 센 놈이죠, 당연히. 그

렇지 않은 경우도 부분적으로 예를 들면 계량적으로 얘기하자면 세 명

이 있든...이라 하더라도 그런 측면이 분명히 있지 않겠습니까? 그래서

친구관계 많고 대인관계 많은 것 자체가 소셜캐피털이고 소셜파워죠. 사

회적 사교적 파워죠. 그거 자체가 브로드웨이가 얘기하는 것처럼

economic한 캐피털로 그대로 전환될 수 있는 거고요. 그 다음에 감시문

제 같은 거 있는 거고요. 감시 테크놀로지로서의 형성을 분명히 하고 있

는 것 같고. 또 세 번째는 프라이버시 문제가 있는 것 같고요.(교수C)

(5)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게 된 계기

학계에서는 소셜 미디어의 등장으로 신문으로부터 정보를 단순하게 받는

시대는 사라질 것으로 예측했다. 대신 소셜 미디어 이용을 통해 네트워크를

형성한 사람들이 추천하는 기사나 좋아하는 기사를 모아서 제공해주는 웹3.0

개념의 저널리즘이 곧 대두할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기자들도 소셜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취재에 활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소셜 미디어는 영향

력 측면에서 TV와 신문이 하지 못했던 그 이상의 파워를 보여주고 있다는 지

적도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결국 소셜 뉴스로 발전해 저널리스트가 제공하는

뉴스가 아니라 정보원으로부터 여과 없이 직접 전달되고 획득되는 뉴스로 진

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한 TV나 신문사는 오픈 플랫폼 전략을 적극적으

로 모색하고 다가올 관심경제(attention economy)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지

Page 80: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66 -

적했다.

소셜 미디어뿐만이 아니라 인터넷 등장으로 영향을 받았고 소셜 미디어

등장으로 점점 더 신문으로부터 단순한 정보를 받는 이런 건 이제는 점

점 멀어지지 않을까 이런 생각은 들어요. 신문이나 이런 걸 통해서 요즘

CNN이 시도하고 있는 거 있잖아요? 페이스북이나 이런 걸 통해서 나의

페이스북 친구가 봤던 기사라든지 그런 것들을 모아주면서 종합해주는

이런 것들이 약간 웹3.0 서비스 개념을 도입하는 그런 개념이거든요.(교

수A)

이렇게 소셜네트워크를 지나서 소셜뉴스로 간다. 보통 저널리즘에서 소

셜저널리즘으로 간다는 이런 얘기를 하잖아요. 그런 거 같은 얘기들인데

이렇게 정리를 한 거더라고요? 근데 이게 어디 뉴스생산만 그렇겠습니

까? 소셜TV도 그렇고. 소셜TV라는 개념 있잖아요. 소셜 + TV. 이런 거

같은 경우도 그런 양상들일 거 같아서 상당부분에서 텔레비전 프로그램

에서 실제로 방송되고 있는 것도 있고요. 스마트TV 같은 거 나오게 되

면 그대로 구현될 거고요...또 한 가지는 오픈 플랫폼인데요, 현상부분에

서. 플랫폼을 개방하는, 플랫폼 개방전략 같은 것이 콘텐츠 생산이라든

지 중요한데 이것의 핵심이 SNS같은 걸 적어도 활용하겠다는 거거든

요...또 한 가지는 소셜 미디어라는 게 기본적으로 attention 아니겠습니

까? attention의 강도나 빈도. 컨설팅...부분에서는 attention 이코노미가

본격적으로 작용하는 것 같다.(교수C)

(6) 전망

학계에서는 소셜 미디어의 미래에 대해 큰 비중을 두었다. 소셜 미디어는

개인적 호기심의 차원을 넘어 삶의 일부로 자리 잡게 될 것이고, 단순한 붐이

아니라 장기적인 트렌드가 될 것으로 보았다. 소셜 미디어를 수행하는 현재의

미디어 플랫폼은 변화할 수 있지만, 소셜 미디어라는 콘셉트는 커다란 패러다

임으로 작용할 것이란 예측이다.

Page 81: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67 -

3) 업계 전문가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인식

(1) 소셜 미디어의 정의

현업전문가들은 소셜 미디어에 대해 참여와 공유 중심의 소셜네트워킹 서

비스라는 점과 이미 사회에 끼치는 영향력이 막강해진 점을 볼 때 정보사회

에서 밥과 같은 존재로 표현했다. 한편, 현업전문가들은 소셜 미디어를 소통의

도구라는 측면과 함께 비즈니스와 관련한 마케팅 도구로 인식하는 경우도 발

견할 수 있었다.

신문은 정말 공신력 있는 사람들이 쓴 정보를 그냥 내가 보면 끝인 거

잖아요. 예를 들어서 위키피디아 같은 건 정말 이 많은 사람들이 보는

사이트인데 내가 들어가서 의견을 더함으로 해서 얘가 계속 진화하고

뭔가 정보가 변하는 걸 볼 수 있는 거잖아요. 내가 참여함으로 인해서

변화하고 그걸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다는 그런...(현업K)

그 웹사이트에서도 뉴스를 보다가 그냥 밑으로 보내기 같은, 지금은 어

렵게 돼 있는데 이게 점점 더 쉬워질 거고요, 그냥 클릭 한 번이면 얘가

이걸 읽었고 뭐라고 했다 라는게 이 소셜네트워크 안으로 들어오고. 이

게 또 내 친구한테 전달되고 걔도 의미 있다고 생각하면 거기에 대한

리액션을 남길 수 있고. 저는 아직 이제 그런 생활이 전체라고 보긴 어

렵지만 툴과 사람들의 behavior가 같이 발전해 나갈 거라고 저는 보고

있고요, 실제로 저희가 지금 그런 작업을 하고 있고요. 내년 중반만 되

면 아마 그런 걸 더 많이 보여줄 수가 있을 것 같고 사람들의 리액션이

남으니까 그걸 통계적으로 어떤 뉴스를 사람들이 많이 봤다는 평가하는

기준으로도 저희가 쓸 수 있을 거 같고요.(현업P)

(2) 소셜 미디어의 활성화 이유

소셜 미디어는 무엇보다 재미를 제공하고, 소통에 있어 불편함과 단절을 느

끼는 사람들에게 소통의 회복을 가져다주는 매체라는 것이다. 또한 소셜 미디

Page 82: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68 -

어는 나름의 개성이 있어서 이용자와 소셜 미디어의 개성이 서로 어울리도록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와 함께, 콘텐츠를 생산하기 좋은 시스템

환경이 구축되었고, 쌍방향성이 극대화되는 매체. 메시지에 대한 누군가의 즉

각적인 반응을 통해 개인의 존재감을 극대화시켜주는 메커니즘의 결과라는

입장도 있었다.

가장 큰 이유는 굉장히 재미가 있습니다. 도시생활을 하다보면 굉장히

외로움을 느끼게 되고 누군가와 소통하는 것에 대해서 굉장히 불편함을

느끼고 고독하게 되는데 그런 개인적인 감정들을 많은 사람들과 나눌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인거 같고요, 그러한 외로움을 달래는 소통

의 도구? 같다는 얘기를 드리고 싶은데요. 자신이 갖고 있는 감정, 취미

활동들, 그런 감정을 현대인들과 쉽게 소통을 할 수 있고 그러한 점이

사람들에게 어필을 하고 있지 않나 그런 생각이 듭니다.(현업J)

페이스북은 일단 저를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들한테 저를 끊임없이 리마

인드시키고 뭔가 나를 브랜드화 시키는 가장 좋은 툴인 것 같고요. 트위

터같은 경우는 대부분 모르는 사람들하고 말을 걸어요. 그다음에 연예인

들이나 기업 쪽에서 홍보를 많이 올리는데 가끔 보면 읽을 만한 글들도

있기는 하지만 일단은 제가 트위터에 가서 뭔가를 올리는 것 자체가 큰

의미를 갖거나 이 사람들하고 인터넷을 하는 자체가 중요하다고는 안

느껴지거든요. 가서 주로 보고. 페이스북은 뭔가 틀린 것 같아요.(현업K)

PC에서만 쓴다고 하면 상당히 기존에 있었던 여러 툴들이 커버해주는

면이 많듯이 그런데, 이건 내가 잠깐 짬날 때 올릴 수 있고 또 내가 짬

날 때 보면 내 친구들이 올린 내용들을 확인할 수 있어서 툴과 환경의

변화가 이 인기의 요인하고 상당히 관계가 크다고 생각하고요. 아까 말

씀드린 대로 여기 밑에 깔려 있는 게 뭐냐면 기존에 가서 방문해서 하

는 패러다임에서 내가 키면 마치 친구들이 나한테, 예전에는 휴대폰사면

삐삐 때도 그랬지만 사긴 샀는데 울리지가 않잖아요. 지금은 돈 얼마 낸

게 있고 들어가면 항상 써주는 사람들이 있으니까 내가 그거에 가치를

더 느끼고 이미 낸 요금을 훨씬 더 재밌게 의미 있게 쓴다는 생각에서

Page 83: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69 -

일반인들의 패턴이 기존 커뮤니케이션 영역까지도 들어갈 정도로 저

는...(현업P)

(3) 소셜 미디어로 인한 변화

소셜 미디어로 인한 변화는 종이신문과의 단절과 함께 소셜 미디어에 대한

몰입이라고 대답했다. 또한, 새로운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다양한 커뮤니케이

션과 관점을 갖게 된 것도 소셜 미디어로 인한 변화라는 의견이 있었다. 그러

나 한편에서는 새로운 네트워크 형성에 대해 트위터나 미투데이 같은 소셜

미디어의 영향이 아니라 집단에 대한 욕구가 예전부터 강했던 점에서 그 원

인이 있으며 소셜 미디어는 이를 빠른 시간에 가능하게 만든 도구라는 입장

도 있었다.

PC통신 때부터 우리 한국 사람들한테는 있었던 성격이 아닐까 싶고요.

언제든지 서울 경기권에 있어서 번개하면 언제든지 만날 수 있고 그 때

우리가 PC통신 때 만났던 친구들이 계속 30-40대가 돼서도 이어지고 있

는 걸 보면, 우리 사회에서 되게 일어나기 쉬운... 미국 같으면 관심사(같

아도) 너무 머니까 그런데 우리는 대부분 그게 서울 경기에 집중돼 있다

보니 이건 너무나 자연스러운 현상이니까 저는 그런 생각이 드는데요.

트위터가 만들어냈다 그런 생각은 안 들어요. 다만 트위터나 소셜 미디

어가 가지고 있는 짧은 걸로 이렇게 좀 더 실시간에 가깝게 인터렉션할

수 있다는 것 때문에 좀 더 빨리 움직이고 이런 건 있지만 그냥 우리가

사람들이 모이고자 하는 이런 행동은 PC통신 이전에도 있지 않았을까

요?(현업P)

(4) 소셜 미디어의 장점과 단점

소셜 미디어의 장점으로는 자투리 시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

을 지적했다. 그리고 소셜 미디어를 통한 대화를 통해 네트워크가 보다 확산

되고 두터워지며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지적인 측면에서도 도움을 준다는 것

이다. 이와 함께 다양한 의견을 빠르게 접할 수 있고, 정보의 오류가능성과 함

Page 84: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70 -

께 자정작용이 빨리 작동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소셜 미디어의 가장 큰 장점은요, 저 같은 경우에 모바일을 활용해서 소

셜 미디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자투리 시간에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가

장 큰 장점인 것 같습니다. 신문이나 TV같은 경우는 그 미디어를 활용

하기 위해서는 따로 시간을 많이 활용을 해야 되고 그게 짐이 되는 경

우가 굉장히 많이 않습니까, 종이신문 같은 경우는? 그렇지만 소셜 미디

어는 핸드폰을 보면서 신문기사를 접할 수도 있고, 그러한 장점이 있는

것 같고요. 짧은 시간 많은 이야기를 접할 수 있는...(현업J)

짧은 시간에 여러 목소리를 다 스캔할 수가 있는 거예요. 말하자면. 트

위터도 제가 조선일보를 서플라이 할 수 있고 그 똑같은 건에 대해서

내 친구가 얘기하는 것도 볼 수가 있고 연예인이 얘기하는 것도 볼 수

가 있으니까 훨씬 더 한 사건에 대해서 다양한 목소리를 빠른 시간 안

에 스캔할 수 있는 거잖아요. 그런 면에 있어서 아무래도 이쪽을 선호하

게 되는 것 같아요.(현업K)

반면에 자정의 작용도 되게 빨리 나오긴 하죠. 어디 있는 뉴스가 그 사

람이 보고 그게 맞았는지 틀렸는지 모르고 할 수 있는 반면에 여기서는

그 뉴스가 뭐가 잘못됐다든지 이런 반론으로 바뀌는 경우들도 우리가

많이 보잖아요. ‘이건 사실 아닌데’라고 누가 했을 때 그게 더 빨리 퍼지

면서 잘못된 뉴스를 발견하게 되는 경우들이 있는 것 같고요.(현업P)

현업전문가들은 소셜 미디어의 문제점으로 프라이버시 침해, 사생활 노출로

인한 피해 가능성, 지나친 정보홍수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 그리고 필요한

것과 불필요한 것을 구분하기 위한 스트레스 등을 지적했다. 또한, 소셜 네트

워크 서비스에서 다른 유명인을 사칭하여 연결망에 있는 사람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전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어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

원인으로는 트위터 같은 경우 이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절차가 없다 보니

이러한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일반 사용자들이 실제로 유명인과

이를 사칭하는 사람들을 구분하기가 쉽지 않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것도

Page 85: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71 -

문제로 지적했다.

사생활노출이라든지 그러한 것을 통해서 중독이 되고 개인의 정보가 아

무런 걸림 없이, 걸러지는 것 없이 인터넷 상에 노출되는 게 굉장히 큰

문제 같습니다.(현업J)

(가짜 스티브잡스 사건을) 말씀드리면 스티브잡스 사진에 정말 스티브잡

스가 할 것 같은 그런 말들을 계속 올리기 때문에 굉장히 많은 사람들이

팔로우를 하고 있는데, 그 사람이 얼마 전에 아이폰4 때문에 안테나 이슈

때문에 문제가 있었었는데 “아이폰을 출시하는 일정을 연기하겠다”라고

올렸어요. 그랬더니 수십 개의 말들이 올라오면서 '그럴 줄 알았다, 아이

폰 뭐냐' 이런 말들이 오갔었는데 알고 보니까 그 사람이 가짜였던 거고

그거 때문에 신문까지 났었어요. 근데 아직까지 그 사람이 가짠 거 모르

는 사람들도 있을 거예요. 트위터에서의 그런 공신력 없는 정보들에 대해

서 이리저리 휩쓸려 다니는 사람들이 많고... (현업종사자 K)

저는 이게 지금 초기기 때문에 그렇게 아무래도 개방적인 성향을 가진

친구들이 좋아하고 쓰는 게 당연하고 지금은 심플함 때문에 그런 장점

도 있잖아요. 근데 일반인으로 갈수록 저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을 하고

요. 저는 완전히 그걸 그랬던 게, 예전에 제가 창업했던 회사에서 일반

인으로 갈수록 자기 얼굴 공개되고 그런 걸 되게 싫어한다는 걸 느끼고

오히려 새로 창업을 했었을 때가 있었죠. 이제 대중화, 저희가 올해 500

만 갈 거라고 예상하고 있는데요, 이때는 내가 올리는 이 내용이 자기가

예측할 수 있는 어느 범위까지 보여야된다는 걸 제어할 수 있게끔 툴이

가야만 이 시대에 대중하고 맞출 수 있고요. 지금처럼 자기를 드러내는

것에 꺼리지 않고 간혹 있을 수 있는 위험정돈 내가 감수하겠다는 게

돼 있는 상태에서 지금 돌아가고 있지만. 부모들이 일단 자기애들이 그

렇게 하는 걸 원치 않을 거고요. 아이러니컬하게도 아이들이 자기 부모

가 되도 그러기 때문에, 그렇게 가는 거는 저는 수순이라고 생각을 합니

다.(현업P)

Page 86: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72 -

(5) 소셜 미디어와 저널리즘

소셜 미디어는 취재의 기회와 고급 정보획득의 가능성을 높여주었다고 평

가한다. 주어지는 정보로 기사를 쓴다는 생각보다는 보다 적극적으로 취재를

위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국제뉴스의 경우 단순한

알림식 보도는 개선되어야 한다고 본다. 독자나 시청자들이 소셜 미디어를 통

해 훨씬 다양한 외국뉴스를 접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소셜 미디어에서 소통되는 콘텐츠의 상당부분이 전통적인 미디어 콘

텐츠이기 때문에 저널리즘은 이 점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 방

법으로 보다 심층적인 기사, 스타급 저널리스트 육성, 수용자에 대한 서비스

강화가 절실하다고 지적한다. 현업전문가들은 기존 저널리즘의 콘텐츠에 대한

공신력은 높게 평가하면서도 이것이 저널리즘 자체에 대한 신뢰도 향상으로

이어질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표시했다. 특히 뉴스의 소비에 큰 변화가 있어

포털의 링크보다 소셜 미디어를 통한 네트워크에서 링크한 기사를 소비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도 저널리즘에서는 고려해야할 점이라고 지적했다.

근데 저는 기본적으로 조선일보나 중앙일보의 공신력에 대해서 의문을

던지는 건 아니고요. 기본적으로 아직까지 그들이 굉장히 공신력 있는

얘기를 하고 있다고 생각을 해요. 그렇기 때문에 그걸 제일 먼저 보는

거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일보를 보면 오피니언이란 게 있잖아요.

다른 사람들 생각도 알고 싶은 거예요. 그래야지 여기서 얘기하는 것 외

에 다른 어떤 의견이 있는 지도 알아야 되기 때문에 이거를 보는 거고.

그걸 보는 데 신문이나 TV보다는 훨씬 더 얘가 빠르고 다양하기 때문에

볼 수밖에 없는 거죠. 공신력에 대해서 저는 의심하진 않아요. 예전에는

소수의 선택된 사람들만 뭔가 한 방향으로 전달되는 기사를 만들어낼

수 있었다면 요즘은 누구나 퀄리티 상관없이 기사를 만들어낼 수 있고

얘깃거리를 만들어낼 수 있고. 미디어 종류 상관없이. 그런 변화가 있었

다고 생각을 하고요. 또 그거에 대해서 아까 스티브잡스 얘기도 있었지

만 뭔가 허황된 거에 대한 여론의 형성이랄까? 이런 부작용도 생기는 거

고요.(현업K)

Page 87: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73 -

일반적인 뉴스는 내 관심하고는 딱 맞지가 않으니까, 내 친구가 관심 있

게 보고 논평한 걸 더 많이 보고 있고, 그런 게 점점 더 쉬워지는 게 이

틀에서 발전해나가는 거죠. 웹사이트에서도 뉴스를 보다가 Me today으

로 보내기 같은, 지금은 어렵게 돼 있는데 이런 기능이 점점 더 쉬워질

거고요, 그냥 클릭 한 번이면 얘가 이걸 읽었고 뭐라고 했다라는 게 이

소셜네트워크 안으로 들어오고. 이게 또 내 친구한테 전달되고 걔도 의

미 있다고 생각하면 거기에 대한 리액션을 남길 수 있고요... 소비가 저

는 일단 제일 많이 틀려지는 것 같은데요. 이게 정말 커졌을 때는 기존

에 포탈에 의존하던 게 어느 정도는 줄어들 수 있을 텐데, 그러면 지금

까지도 사실은 블로그 같은 매체가 저널리즘에선 미디어의 역할을 많이

할 거라고 많이 했고, 실제로 미국에서는 블로거 몇 명이서 수익을 내면

서 돌아가는 애들이 (있고), 근데 우리나라에서는 사실 보기가 힘들잖아

요. 그게 진짜로 여기서 퍼질 수 있지 않을까 저는 그런 생각이 들어요.

기사를 만들고 운영하는 데 자체는 거의 온라인으로만 하되 유입이 좀

더 많아 질 수가 있으니까 그리고 정보를 소비하는 게 포탈에서 걸어주

는 것보다도 이 안에서 친구들이 링크한 글들을 하는 게 점점 더 비율

이 높아지다 보면...(현업종사자 P)

(6) 전망

현업전문가들은 소셜 미디어의 활성화가 결국 대부분 외국에서 만든 서비

스에 가입하면서 일어나는 일이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이에 대해 어떤 전략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보다

많은 사람들이 프라이버시 우려에서 벗어나서 사용하게 하려면 이용자가 보

다 많은 재량을 가지고 자신이 올리는 글에 대해서 통제할 수 있는 권한을 가

져야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서비스에 따라서 이러한 기능들이 세분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개인정보 노출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서비스 공급업자 입장에서 이런

측면에 대한 보다 많은 배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지금 초기기 때문에 아무래도 개방적인 성향을 가진 친구들이 좋아하고

Page 88: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74 -

쓰는 게 당연하고 지금은 심플함 때문에 그런 장점도 있잖아요. 근데 일

반인으로 갈수록 저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을 하고요. 대중화가 되면 내

가 올리는 이 내용이 자기가 예측할 수 있는 어느 범위까지 보여야된다

는 걸 제어할 수 있게끔 툴이 가야만 이 시대에 이용자하고 맞출 수 있

고요. 지금처럼 자기를 드러내는 거에 꺼리지 않고 간혹 있을 수 있는

위험정돈 내가 감수하겠다는 게 돼 있는 상태에서 지금 돌아가고 있지

만. 부모들이 일단 자기애들이 그렇게 하는 걸 원치 않을 거고요.(현업종

사자 P)

전 페이스북이랑 트위터의 발전을 무조건 지지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변

화가 더 크다고 생각하는데, 왜냐면 저는 쓰는 데 문제없고 나름대로 프

라이버시 이슈 있는 건 알겠지만 한 번도 그걸로 고생해본적도 없고 그

냥 개인사용자 입장에서 말씀드리면 하나도 문제없이 잘 발전할 거라고

생각을 하거든요. 제가 지금 책을 읽고 있는데―마케팅 책을, 구전 마케

팅 이런 얘기. “구전 마케팅을 하는 데 있어서 요즘 가장 유용한 매체는

페이스북이다. 거기에 많은 사람들이 이 제품을 써보고 실제로 올리게

하는 게 너희들의 앞으로의 역할이다.” 뭐 이런 얘기가 나오더라고요.

그래서 현재 저는 개인적인 용도로 쓰고 있지만 페이스북으로 그런 용

도로 많이 쓰이지 않을까 하는데요. 트위터는 이미 그런 걸로 많이 쓰이

고 있고.(현업K)

SNS라는 말로 우리가 많이 쓰는데 제 생각은, 저는 그전에도 인터넷은

크게 검색, 커뮤니티(카페·블로그), 메신저·이메일 같은 커뮤니케이션 이

세 개였었는데 SNS라는 건 커뮤니티와 커뮤니케이션이라는 걸 하나로

아우르는, 기존 인터넷에서 크게 세 가지로 나눴다고 하면 그거 자체를

좀 개편하는 효과가 있을 거라고 생각을 해요. 여전히 PC인터넷에 패러

다임으로는 검색, 커뮤니티, 커뮤니케이션이 있겠지만 모바일이란 판으

로 바뀌면서 검색은 여전히 있을 거고 대신 커뮤니티에서의 이런 네트

워크, 그 안에서는 그 네트워크가 연결돼있는 게 다가 아니라 서로 액티

브된 네트워크라는 게 의미가 있는 거거든요. 그래서 커뮤니케이션이 활

성화 돼 있는 네트워크들이 연결돼있는, 이게 사실은 SNS다. 좀 더 다양

Page 89: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75 -

항목 내용

게이트키핑

프로세스의

변화

- 전통적인 게이트키핑 체제를 벗어나 직접적으로 수용자에

게 뉴스가 전달되는 통로 확보

- 기존 미디어에서는 중요한 의제를 생산자가 판단했으나 소

셜 미디어는 중요한 의제를 구성원들이 판단하고 사람들

이 관심을 가지는 메시지가 더 중요하게 부각됨

- 소셜 미디어를 통한 뉴스는 기존 미디어 뉴스가 링크 등을

통해 재생산되는 형태와 일반 이용자들이 생산해내는 뉴

스로 구분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속보성에 있어 기존

미디어 뉴스를 앞서고 있음

신뢰도의 문제

- 이용자가 오프라인에서 친분이 있거나 신뢰도를 가지고 있

는 사람이 해당 전문분야에서 보내오는 정보를 더 중요하

게 받아들이게 됨

- 오보의 경우 유포도 빠르지만 검증 및 수정과정도 오프라

인보다 훨씬 빠르게 진행될 수 있음

- 편향적인 정보전달과 정보이용이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

기사작성

양식의 변화

- 트위터를 사용하는 유명인의 경우는 트윗을 모아 기사를

쓰거나 멘션, 리플라이 기능을 이용해 인터뷰가 이루어져

기사화되는 경우도 있음

- 외국의 IT관련 기사 등이 거의 실시간으로 전달되면서 기

존 언론사의 입장에서는 이에 대한 단순한 커버보다는 이

슈에 대한 보다 호흡이 긴 분석이 담긴 심층적인 기사를

하고 사람들이 기존에 쓰던 커뮤니케이션이 이쪽으로 넘어오는. 그래서

이게 PC인터넷과 모바일인터넷의 이용 교차되는 것이 여기는 빠지게 되

는 효과가 있고 얘가 이걸 많이 가져가는. 사실은 굉장히 큰 변화죠.(현

업P)

2. 전문가인터뷰 요약

1) 뉴스 생산자의 입장

Page 90: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76 -

내보내야할 필요성이 커짐

- 신문에 정식으로 기사쓰기 전에 트위터를 통해서 반응을

알아보는 경우

기타

- 블로그 선점효과가 일부 트위터로 전이되는 경우가 있음

- 기자가 팔로우하는 사람들의 트윗은 일종의 백그라운드 라

디오처럼 소화함

- 소셜 미디어가 영향력을 가지게 된 것은 모바일 기기 때문

- 트위터는 전반적인 맥락이 있는 미디어로 타임라인 중의

맥락 파악이 중요함

항목 내용

효율적인 뉴스

소비

- 스마트폰을 통한 뉴스이용이 가능해진 후, 종이 신문 이용

이 급감하고 있음

- 소셜 미디어를 통해 전문분야의 최신 고급 정보도 쉽게 구

할 수 있음

- 케이스북 등에서 제공되는 전문 영역의 정보서비스를 통하

면 특정 이슈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을 볼 수 있기 때문에

기존 미디어가 보도하는 단일 사건 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다른 견해들을 비교할 수 있음

신뢰도의 문제

-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에 대한 공신력은 여전히 가

지고 있지만 소셜 미디어 상에서 개인적으로 신뢰할 수 있

는 사람들이 전해주는 정보와 그들 나름의 그 정보를 보는

프레임을 통해서 훨씬 심도 있는 깊은 사고가 가능해질 수

있음

- 반면에 신뢰의 위기를 느끼는 경우는 트위터에서 유명인을

사칭하는 경우 대다수 사람들이 이를 처음에 구별할 능력

이 없기 때문에 혼란에 빠지는 경우가 있음. 스티브 잡스

의 아이디를 사칭한 경우 처음에 애플과 관련된 상당히 전

2) 뉴스 소비자의 입장

Page 91: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77 -

문적 지식을 전달했기 때문에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으나

아이폰 출시 연기와 같은 주요 사실이 왜곡된 정보로 들어

나면서 사회적 문제로 부각됨

- 정확하지 않은 정보의 전달은 잘못된 여론을 형성할 수 있

는 위험성이 있으나 소셜 미디어를 통해서 예전보다 빠른

속도로 정정도 가능해졌다고 볼 수 있음

프라이버시

관련

- 아직은 사용자가 크지 않아서 충분히 위험이 감지되지 않

는 부분도 있으나 보다 많은 이용자로 확산되는 시점에는

프라이버시 문제는 더욱 커지게 될 것임

- 처음 페이스 북 시작할 때에는 몇몇 아는 친구들만 대상이

었으나 직장 동료들까지 같이 네트워킹 되면서 표현에 조

심하게 됨

- 개발자 입장에서 네트워킹 된 사람들의 차원을 구분해서

관리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요구됨

이용동기

- 나를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들에게 나를 끊임없이 리마인드

시킴

- 일관 관련해서 내가 지금 관심있는 부분이 어떤 내용이라

는 것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목적이 큼

- 페이스북 친구의 90%가 실제로 만나본 사람이 아닌 경우

도 있는데 싸이월드와는 다른 이용 동기

- 페이스북의 경우 반면에 예전부터 알았지만 연락이 없었던

지인들을 다시 묶어서 네트워킹 하는데 좋은 도구로 활용

되는 측면이 있음

- 소셜서비스가 추천해주는 사람들 중에 그룹을 나누어서 커

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욕구가 있음

스마트폰 관련

- PC는 전원을 끄면 끝이지만 스마트폰은 항상 곁에 두고

connected 되어 있다는 느낌 때문에 지속적으로 체크하고

싶은 욕구가 발생함

- 스마트폰 보급과 함께 스스로 콘텐츠를 만들어 공유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구현되었다는 느낌

Page 92: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78 -

Ⅴ. 소셜 미디어 이용현황 분석

1. 조사개요 및 응답자 특성

이제까지 기자, 학계, 그리고 소셜 미디어 관련 업체에 종사하는 전문가들

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의견과 전망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더하

여 실제로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소셜 미디어를 왜 그리고 어

떻게 활용하는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2010년 10월 초에 온라인 설문을 실시

하였다. 설문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웹 페이지의 형태로 구성하여 온라인 설문

전문기관인 패널 인사이트사의 패널을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설문 참여자는

조사 시점에서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과 같이 최근 등장한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로 제한하였다. 싸이월드 미니홈피 서비스나 일반 블로

그 이용자들 역시 넓은 의미에서 소셜 미디어 이용자군(群)에 포함될 수 있지

만 연구 목적을 위해 조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설문을 위해 서울을 포함한 전국 5대 광역시 거주자 중 만 19세 이상 성인

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할당표집을 통해 표본을 추출하였다. 한편

현재 우리 사회에서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폰이 소셜 미디어 접

속 창구로서 활발히 이용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표본의 50%를 스마트폰 이용

자로 구성하였다1). <표 5-1>에는 최종적으로 설문에 참여한 총 500명의 연령

대별ㆍ성별 분포가 제시되어 있다.

<표 5-2>에는 응답자들의 보다 상세한 인구 통계학적 속성이 제시되어 있

다. 표에 제시된 바와 같이 서울 거주자가 254명(50.8%)로 응답자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광주 거주자가 33명(6.6%)로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

다. 학력과 직업의 경우 대졸 학력을 가진 응답자가 전체의 64%에 해당하는

320명이었으며 직장인의 비율이 70.8%(354명)로 가장 높았다. 한편 응답자들의

월평균 가계 수입의 경우 500만 원 이상이 32.8%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율

을 보였다.

1) 조사 시점에서 스마트폰 이용자의 비율이 전체 휴대폰 이용자의 10%에 채 미치지 못한 점

을 감안하면 이는 스마트폰 이용자의 비율이 과도하게 높은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스마

트폰과 관련된 조사 결과를 해석할 때에는 주의를 요함을 미리 밝힌다.

Page 93: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79 -

<표 5-2> 응답자 인구통계학적 속성

항목 내용 빈도 항목 내용 빈도

지역

서울 254(50.8%)

직업

학생 36(7.2%)

인천 64(12.8%) 직장인 354(70.8%)

대구 60(12.0%) 직업주부 48(9.6%)

광주 33(6.6%) 취업준비 15(3.0%)

부산 89(17.8%) 기타 47(9.4%)

교육

중졸 2(0.4%)

수입

100만원 미만 16(3.2%)

고졸 61(12.2%)100만원~

200만원 미만34(6.8%)

대학생 32(6.4%)200만원~

300만원 미만93(18.6%)

대졸 320(64.0%)300만원~

400만원 미만94(18.8%)

대학원생 11(2.2%)400만원~

500만원 미만99(19.8%)

대학원

이상74(14.8%) 500만원 이상 164(32.8%)

<표 5-1> 연령대별ㆍ성별 응답자 분포

성별

연령집단남자 여자 전체

19~29세 67(26.6%) 64(25.8%) 131(26.2%)

30대 70(27.8%) 68(27.4%) 138(27.6%)

40대 66(26.2%) 67(27.0%) 133(26.6%)

50대 49(19.4%) 49(19.8%) 98(19.6%)

전체 252(100%) 248(100%) 500(100%)

Page 94: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80 -

2. 조작적 정의

‣소셜 미디어 이용방법: 응답자들의 소셜 미디어 이용방법은 ‘전적으로 스마트폰을

통해 이용’ ‘스마트폰을 통해 주로 사용하고 PC는 보조적으로 이용’ ‘PC를 통해

주로 사용하고 스마트폰은 보조적으로 이용’ ‘전적으로 PC를 통해’ 4가지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해 측정했다.

‣자주 이용하는 소셜 미디어: 연구의 목적상 응답자들이 자주 이용하는 소셜 미디

어는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중 가장 자주 이용하는 서비스를 선택하게 해

측정했다.

‣소셜 미디어 이용량: 소셜 미디어 이용량은 하루 평균 소셜 미디어 이용 시간을

통해 측정했다.

‣소셜 미디어의 문제점: 소셜 미디어가 야기하는 문제점에 대한 인식 ‘개인정보노

출’ ‘정치적홍보’ ‘정보의 편파성’ ‘상업성’의 4가지항목에 대한 동의정도로 측정

했다. 각 항목은 7점 척도로 구성됐고 점수가 높을수록 동의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생활 침해 경험: 사생활 침해경험은 응답자들이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사생활 침해를 경험했는지의 유무를 통해 측정했다.

‣소셜 미디어 이용 동기: 소셜 미디어 이용 동기는아직까지 일관된 측정도구가 개

발되지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과(예: 최민재·양승찬, 2009) 이용

자 대상 심층인터뷰를 통해 25가지 문항을새롭게 구성했다. 여기에는 ‘정보를 실

시간으로얻을 수 있어서’ ‘온라인에서 사람들과 이야기하는 것이좋아서’ ‘재미있

어서’ ‘습관적으로’ ‘여론을 판단하는데 도움이 되어서’와같은항목들이 포함되었

다. 각 항목은 7점 척도로 측정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항목에 대한 동의정도

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셜 미디어 이용에 대한 만족: 소셜 미디어 이용에 대한 만족도는 소셜 미디어

이용 동기 25가지 항목에 각각에 대해 응답자의 만족도를 7점 척도로 측정했다.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다’는 점에 대한

만족도, ‘온라인에서 사람들과 이야기 하는 것’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소셜 미디

어 이용을 통한 재미추구’에 대한 만족도를 질문했다. 점수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뉴스 이용방법의 변화: 소셜 미디어로 인한 응답자들의 뉴스 이용방법의 변화는

Page 95: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81 -

‘종이신문을 많이 읽게 되었다’ ‘TV뉴스를 더욱 많이 시청하게 되었다’ ‘온라인

뉴스를더많이읽게 되었다’의세가지항목에 대한 각각의 동의정도로 측정했다.

각항목은 7점 척도로 구성되었고, 점수가높을수록해당항목에 대한 동의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셜 미디어의 언론기능에 대한 인식: 소셜 미디어가 언론으로서의 기능을 하는가

에 대한 인식은 ‘정보가믿을만하다’ ‘언론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하고 있다’ ‘뉴

스창구의 역할을 하고 있다’의 세 가지 항목에 대한 동의정도로 측정했다. 각 항

목은 7점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점수가높을수록해당항목에 대한 동의정도가높

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셜 미디어 정보에 대한 평가: 소셜 미디어를 통해얻는 정보에 대한 평가는 ‘필

요한 정보를 유명인이나전문가를 통해얻는 경우가많아졌다’ ‘최신 정보를 신속

하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신뢰할 만한 정보를얻는 경우가많아졌다’의세가지

항목에 대한 동의정도를 7점 척도로 측정했다. 점수가 높을수록 각 항목에 대한

동의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보생산참여: 정보생산참여란응답자들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새로운정보를얼

마나자주 게재하는지와얼마나자주 정보를 유통시키는지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남에게 정보를더욱많이 전달하게 되었다’ ‘이야기 거리가될 만한 정보를많이

올리게 되었다’의두가지항목을 7점 척도로 측정했다. 점수가높을수록해당항

목에 대한 동의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보 과잉에 대한 인식: 정보 과잉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나는 종종내가

처리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양의 정보를 받는다고 느낀다’ ‘나는 종종 내가

필요한 것보다더많은 양의 정보를받는다고 느낀다’ ‘나는 종종남들과내가원

하는 것보다 더 많은 양의 대화를 한다고 느낀다’의 세 가지 항목에 대한 동의정

도를 7점 척도로 질문했다. 세 항목간 신뢰도가 비교적 높아(Alpha=.83), 이들

세 항목의 평균값을 정보과잉에 대한 인식 점수로 활용했다.

‣라이프스타일((lifestyle): 응답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은 AIO(activities, interest,

and opinions) 방법을 통해 측정했다. AIO 방법은웰즈(Wells, 1975)와 플러머

(Plummer, 1971 ; 1974)에 의해 제시된 것으로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서 행동, 관심, 그리고 의견에 대한 진술문을 통해 측정되며 라이프스타일과 관련

해 가장 자주 이용되는 방법이다. 이 연구에서는 안대천과 김상훈(2010)의 연구에

서 사용된 AIO 33개 문항을 이용했다. 여기에는 '나의 장래를 확신한다' '나는

Page 96: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82 -

성공에필요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꼭필요치않은 제품도 구입하곤한다' 등의

항목이 포함되며, 각 항목에 대한 동의정도를 7점 척도로 측정했다.

3. 소셜 미디어 이용행태

응답자들이 어떠한 방법으로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가를 알아본 결과가

<표 5-3>에 제시되어 있다.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응답자들은 주로 PC를 이

용하여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42.8%) PC를 주로 이용하

되 스마트폰을 보조적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그 뒤를 이었다(30.8%). 아직까지

스마트폰을 주로 이용하고 PC를 보조적으로 이용하여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

는 경우나(19.2%) 스마트폰을 전적으로 이용하는 경우(7.2%)는 상대적으로 적

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표 5-4>에 제시된 것처럼 본 연구 응답자의

50.4%(252명)가 스마트폰 이용자인 것을 감안하면 실제로 스마트폰을 이용해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경우는 이보다 더욱 적을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표 5-3 > 소셜 미디어 이용방법

이용방법

내용

전적으로

스마트폰

스마트폰

주로 PC

보조적

PC 주로

스마트폰

보조적

전적으로

PC전체

응답자36

(7.2%)

96

(19.2%)

154

(30.8%)

214

(42.8%)

500

(100%)

<표 5-4> 스마트폰 사용자 비율

사용 비사용 전체

스마트폰

사용여부

252

(50.4%)

248

(49.6%)

500

(100%)

Page 97: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83 -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같은 최근

에 등장한 소셜 미디어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들 서비

스에 대한 사용자 분포가 <표 5-5>에 제시되어 있다. 표에 제시된 사용자 수

는 복수응답을 허락한 결과이며 트위터(66%), 페이스북(43.4%), 미투데이

(22.6%)의 순으로 사용자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트위터와 미투데이 사용

자를 합한 마이크로 블로그(microblog) 사용자는 443명(88.6%)에 이르러 국내

소셜 미디어 이용은 마이크로 블로그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어 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응답자들에게 가장 많이 사용하는 소셜 미디어 하나만을 선

택하게 한 결과가 <표 5-6>과 <그림 5-1>에 제시되어 있다. 이 결과 역시 <표

5-5>의 결과와 유사하게 트위터(56.4%), 페이스북(28.6%), 미투데이(15%)의 순

으로 사용자 수가 많았다.

<표 5-5> 소셜 미디어 이용여부

이용여부

종류사용 비사용 합계

트위터330

(66%)

170

(34%)

500

(100%)

미투데이113

(22.6%)

387

(77.4%)

500

(100%)

페이스북217

(43.4%)

283

(56.6%)

500

(100%)

Page 98: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84 -

<그림 5-1> 가장 자주 이용하는 SNS

<표 5-6> 가장 자주 이용하는 SNS

종류

내용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합계

응답자282

(56.4%)

75

(15.0%)

143

(28.6%)

500

(100%)

응답자들의 각종 미디어 하루 평균 대중 매체 이용량이 <그림 5-2>와 <표

5-7>에 제시되어 있다. 먼저, 대중 매체의 경우 응답자들은 인터넷(4시간 41

분)과 TV(2시간 27분)를 가장 즐겨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신

문 열독량은 이 보다 적은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특히 종이신문의 열독시간은

채 1시간이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 미디어 이용의 경우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의 이용량은 큰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 즉 <그림 5-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미디어의

하루 평균 이용량은 모두 한 시간이 채 안 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통화용도

이외의 하루 평균 스마트폰 이용량은 112분으로 보고되었으며 한 주일 평균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시간은 약 45분으로 보고되었

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소셜 미디어 이용량이 저조한 것은 앞서 응답자들이

소셜 미디어를 주로 PC를 통해 이용한다는 결과와 일맥상통하는 것으로서 아

직까지 국내 이용자들은 스마트폰을 통해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것이 활성

Page 99: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85 -

화되지는 않은 것을 보여준다.

<표 5-7> 하루 평균 대중 매체 이용량

종류

이용량인터넷 TV 온라인신문 종이신문

평균값(분) 281.12 147.25 61.18 41.61

표준편차 177.27 105.24 46.82 39.48

<그림 5-2> 하루 평균 대중 매체 이용량(분)

Page 100: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86 -

<표 5-8> 소셜 미디어와 스마트폰 이용량(분)

종류

이용량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스마트폰

스마트폰을 통한

소셜 미디어

이용(일주일)

평균값(분) 58.48 54.00 58.51 112.63 45.74

표준편차 42.58 39.98 50.43 76.94 39.88

<그림 5-3> 하루 평균 소셜 미디어 이용량(분)

Page 101: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87 -

한편,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셜 미디어를 둘러싸

고 있는 가장 큰 이슈 중 하나는 개인정보 유출과 같은 사생활 침해이다. 소

셜 미디어 이용자들 역시 이의 잠재적 위험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

제로 사생활 침해를 경험한 사례도 있었다. 즉 응답자 중 12.6%에 해당하는

63명이 소셜 미디어 이용 과정에서 사생활 침해를 경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수치는 예상보다 높아 보이지 않을 수 있으나 앞으로 소셜 미디어

이용이 더욱 확산되면 사생활 침해 사례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반영하듯 응답자들은 소셜 미디어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개인정보노출을 꼽

았으며 그 외 정치적 홍보, 정보 편파성, 상업성에 대한 우려가 뒤를 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셜 미디어를 통한 개인정보 노출에 대한 사용자들의 염려수

준이 매우 높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들은 소셜 미디어가 점차 정치적 도구

로 이용되거나 편중된 의견을 담은 정보가 유통되고 정보의 상업화가 이루어

지는 것을 경계하고 있음을 알게 해준다.

<표 5-9> 소셜 미디어의 문제점

중요도

문제점

개인정보

노출정치적 홍보 정보 편파성 상업성

평균(표준편차) 5.20 (1.25) 5.10 (1.21) 5.07 (1.18) 5.04 (1.18)

응답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소셜 미디어 별로 사생활 침해 경험 정도를 조

사한 내용이 <표 5-10>에 나타나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의 순으로

사생활 침해 경험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각 미

디어 사용자 수가 다름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수의 차이를 감안한 소

셜 미디어 간 사생활 침해사례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χ2=.942, df=2, p>.05). 즉 사진이나 동영상 등 보다 풍부한 자료형태의 정보를

공유하는 페이스북과 마이크로 블로그 형태의 트위터나 미투데이 서비스 간

의 사생활 침해사례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이다. 이는 개인정보 유

출 같은 사생활 침해 발생의 이유가 특정 소셜 미디어 서비스의 특성에 기인

하기 보다는 소셜 미디어의 전반적인 특성, 즉 정보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서

Page 102: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88 -

비스적 특성에 기인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표 5-10> 가장 자주 이용하는 소셜 미디어와 사생활 침해 경험

침해 경험

종류있다 없다 합계

트위터32

(50.8%)

250

(57.2%)

282

(56.4%)

미투데이11

(17.5%)

64

(14.6%)

75

(15.0%)

페이스북20

(31.7%)

123

(28.1%)

143

(28.6%)

합계63

(100%)

437

(100%)

500

(100%)

- χ2=.942, df=2, p>.05

Page 103: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89 -

4. 소셜 미디어 이용동기 및 만족도

1) 이용동기

아직까지 도입 초기에 있는 소셜 미디어에 대한 이용동기를 살펴본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미디어 이용동기 문항을 사용하여 소셜 미

디어 이용동기를 탐구하는 방법도 고려하였으나 소셜 미디어만의 특성을 담

은 이용동기 문항들을 마련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를 위해 몇 단계의 과정을

거쳐 이용동기 척도를 개발하였다. 먼저, 대학생과 직장인 등으로 구성된 소셜

미디어 이용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이들이 소셜 미디어

를 이용하는 이유를 살펴보았다.

이후 녹취된 인터뷰 결과를 분석하여 소셜 미디어 이용이유에 대한 25문항

을 구성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이용동기 문항은 소셜 미디어 사용자 20명을

대상으로 문항 구성의 적절성을 검증하였다. 즉 이들에게 제시된 문항들이 소

셜 미디어 이용이유를 잘 나타내고 있는가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부적절한 문항을 제거하거나 수정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 과정을 거쳐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된 세 문항을 제외하고 수정된 이용동기 22문항을 소셜

미디어 이용자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요인분석을 통해 문항들이

올바르게 구성되었는가를 살폈다. 이 과정에서 특정 요인에 잘 적재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세 문항을 제거하고 최종적으로 19문항을 본 설문에 이용하였

다.

<표 5-11>은 이렇게 최종 설문에 이용된 이용동기 문항들에 대한 탐험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결과를 나타낸다. 표에 제시된 바와 같

이 총 19문항 중 14문항이 세 개의 요인에 고르게 적재되는 것으로 나타나 소

셜 미디어 이용동기가 크게 세 개의 요인으로 구성된 것을 보여주었다. 분석

에서는 두 개 이상의 항목이 한 요인에 .5 이상의 적재량을 보이는 동시에 다

른 요인에는 .4 이하의 적재량을 보이는 경우 이를 하나의 이용동기 요인으로

취급하였다. 이러한 기준을 적용하여,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요인에 .4 이상의

적재량을 보이는 5개 항목은 부적절한 항목으로 판단하여 제거하였으며 나머

지 총 14개 항목으로 구성된 3개의 요인을 발견하였다.

Page 104: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90 -

<표 5-11> 소셜 미디어 이용동기에 대한 탐험적 요인분석 결과

요인 내용요인 적재량

1 2 3

정보

추구

정보를 실시간으로얻을 수 있어서 .865

정보를빨리얻을 수 있어서 .854

여론을 판단하는데 도움이돼서 .821

좋은 정보를얻을 수 있어서 .814

새로운관점을얻을 수 있어서 .789

즐거

추구

온라인에서 사람들과 이야기 하는 것이 좋아

서.811

나만의 공간을 가질 수 있어서 .767

재미있어서 .740

습관이 되어서 .688

내가쓴글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어서 .565

유명인과 관계를맺을 수 있어서 .528

관계

유지

내가좋아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니까 .856

주변 사람들이 사용하니까 .826

원래알던사람들과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713

요인 특성값(eigen value) 6.26 2.17 1.02

설명 변량(%) 27.5 23.7 16.4

평균 (표준편차) 4.8(1.2) 4.4(1.0) 4.6(1.2)

- 직교회전법(Varimax rotation) 이용

- 적재량이 0.4 이하인 값들은 표시되지 않았음.

첫 번째 요인은 전체 변량의 27.5%를 설명하는 ‘정보추구’ 요인으로서 ‘정보

를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어서’, ‘뉴스나 신문에는 나오지 않는 좋은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 ‘새로운 관점을 얻을 수 있어서’ 등의 소셜 미디어를 통한

구체적이고 능동적인 정보 획득과 관련된 다섯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두 번째 요인은 ‘온라인에서 사람들과 이야기 하는 것이 좋아서’, 재미있어

서‘, ’내가 쓴 글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어서‘ 등의 소셜 미디어를 통

해 사용자가 추구할 수 있는 다양한 즐거움을 나타내는 여섯 문항들로 구성

된 ’즐거움 추구‘ 요인이었다. 이 요인은 전체 변량의 23.7%를 설명해 주었다.

Page 105: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91 -

<표 5-12> 소셜 미디어 이용동기에 대한 확증적 요인분석 결과

요인 항목2) 평균(SD) 적재값 C.R. α

정보

추구

정보를 실시간으로얻을 수 있어서 4.9(1.3) .842 -

.92

정보를빨리얻을 수 있어서 4.9(1.4) .846 28.8

여론을 판단하는데도움이돼서 4.5(1.4) .850 21.9

좋은 정보를얻을 수 있어서 4.6(1.4) .782 19.4

새로운관점을얻을 수 있어서 4.9(1.2) .779 19.2

즐거움

추구

온라인에서 사람들과이야기 하는 것이좋아서 4.5(1.3) .760 -

.85

나만의 공간을가질 수 있어서 4.6(1.2) .735 16.2

재미있어서 4.7(1.2) .801 17.8

습관이 되어서 4.0(1.3) .692 15.2

내가쓴글을 다른 사람들과공유할 수 있어서 4.7(1.3) .715 15.8

유명인과 관계를맺을 수 있어서 4.1(1.5) .522 12.2

관계

유지

내가좋아하는사람들이 사용하니까 4.6(1.4) .825 -

.79주변 사람들이사용하니까 4.7(1.4) .747 15.4

원래알던사람들과 관계를 유지하기위해 4.4(1.5) .691 14.5

- 적재값은 표준화 계수(standardized coefficient)를 나타냄

- C.R.: Critical Ratio

- χ269=196.8 χ2

/df = 2.9, GFI=.95, AGFI=.92, CFI=.97, RMSEA=.06

마지막으로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니까‘, ’주변 사람들이 사용하니

까‘, 원래 알던 사람들과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의 세 문항으로 구성된 ‘관계

유지’ 요인은 전체 변량의 16.4%를 설명해 주었다. 이들 세 요인의 평균값을

알아본 결과 정보추구, 관계유지, 즐거움 추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간의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이곳에 제시된 문항들은 실제의 문항들을 표에 맞도록 일부 수정하여 제시하였다.

Page 106: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92 -

다음으로, 이렇게 발견된 요인들에 대해 확증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와 척도 신

뢰도가 <표 5-12>에 제시되어 있다. 분석에는 AMOS 16이 사용되었다. 표에

제시된 바와 같이 총 14개의 문항들은 세 요인에 각각 유의미한 적재량을 보

여 주었으며(p<.001) 모델 적합도 역시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3). 즉 표에 제

시된 것과 같이 χ2/df = 2.9로서 3 이하의 값을 보였으며 GFI(.95), AGFI(.92),

CFI(.97) 모두 .9 이상의 값을 보였다. 또한 표준잔차를 나타내는 RMSEA는

.06의 값을 보여 모델 적합도에 별다른 문제점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각

요인의 척도 신뢰도는 모두 .7 이상의 값을 보여 각 척도를 신뢰할 만한 것으

로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각 요인에 해당하는 문항들의 평균값으로 이루어진

‘정보추구’, ‘즐거움 추구’. ‘관계유지’ 의 세 이용동기 변인을 구성하여 이후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2) 이용동기와 이용 만족도

설문에서는 각 측정 항목에 대한 이용동기와 함께 각 동기 문항에 해당하

는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이에 따라 세 이용동기 변인을 구한 후 해당 만족도

항목들의 평균값으로 구성된 이용 만족도 변인을 구성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

과가 <표 5-13>과 <그림 5-4>에 나타나 있다. 이용 만족도의 평균 역시 이용

동기와 마찬가지로 정보추구, 관계유지, 즐거움 추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

들 간의 차이 역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용자들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새로운 정보를 얻고자하는 목적이 가장 크며 다른 사람

과의 관계 유지 및 즐거움을 추구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것을 의

미한다. 또한 소셜 미디어는 사용자들의 이러한 욕구를 적절히 만족시키고 있

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표 5-14>의 대각선 셀(cell)에 제시된 바와 같이 각

이용동기와 해당 이용 만족도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사실로부터도 추론할

수 있다.

3) 일반적으로 GFI, AGFI, CFI는 0.9 이상, RMSEA=.05 이하의 값이면 좋은 모델이라고 간주한

다(Jöreskog & Sörbom, 1993). 또한 χ2/df의 비는 3 이하의 값이 권장 된다.

Page 107: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93 -

<표 5-13> 이용동기 요인과 만족도의 평균과 표준편차

구분 이용 동기 이용 만족도

정보추구 4.77 (1.16) 4.78 (1.18)

즐거움 추구 4.42 (1.02) 4.43 (1.05)

관계유지 4.56 (1.19) 4.51 (1.22)

<그림 5-4> 이용동기와 만족도

<표 5-14> 이용동기와 만족도의 상관관계

구분만족도

정보추구 즐거움 추구 관계 유지

이용동기

정보추구 .866 .578 .244

즐거움 추구 .659 .906 .631

관계유지 .272 .534 .856

- 모든 상관관계 값은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함.

Page 108: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94 -

5. 소셜 미디어의 저널리즘적 기능과 정보 교류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소셜 미디어는 새로운 정보유

통의 창구로서 작용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새로운 뉴스 유통 창구로서 각

광받고 있다. 이는 소셜 미디어가 기본적으로 사람들 간의 관계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자신과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사람에 의해 추천되는 뉴스 정보

를 위주로 사용자들이 뉴스를 소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정보 선택을 다

른 사람에게 의존하는 이른바 소셜 내비게이션(social navigation) 현상(Cho &

Lee, 2008)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일어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응답자들은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면서 종이신문과 TV 뉴스를 더욱 적게 접

하게 되었지만 온라인 뉴스를 접하는 빈도는 더욱 늘어난 것으로 보고하였다.

즉 <그림 5-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해당 질문에 대해 척도 중앙값인 4를 넘

은 것은 온라인 뉴스 소비에 관련된 문항 하나이며 나머지는 문항들은 모두 4

보다 작은 값을 보인 것이다.

<그림 5-5> 뉴스 이용의 변화

Page 109: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95 -

<표 5-15> 뉴스 이용의 변화에 대한 단일표본 티 검증 결과

평균 표준편차 t값 자유도 유의확률

종이 신문 3.51 1.44 -7.66 499 <.001

TV 뉴스 3.85 1.37 -2.52 499 <.01

온라인 뉴스 4.47 1.33 7.96 499 <.001

<표 5-15>에는 각 항목의 평균값이 척도 중간값인 4와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는가에 대한 단일표본 티검증에 대한 결과가 제시되어 있다.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의 차이는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응답자들

이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면서 나타난 뉴스 이용의 변화들, 가령 종이신문과

TV 뉴스 소비의 감소와 온라인 뉴스 소비의 증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

화라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소셜 미디어 사용자들이 대중 매체가 전달하는 뉴스를 직접

적으로 소비하기 보다는 다른 소셜 미디어 사용자들이 추천하는 뉴스를 담은

온라인 뉴스를 간접적으로 소비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즉 소셜 미디어

사용자들이 대중 매체 뉴스를 필터링(filtering)하여 다른 사용자들에게 전달하

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소셜 미디어의 저널리즘적 기능은 전문가 인터뷰에서 나타난 의견

과 일치한다. 전문가들은 소셜 미디어를 통한 뉴스 소비가 주류언론에 대한

불신과 전통적인 게이트 키핑에 대한 반감이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한 결과라

고 의견을 피력하였다. 즉 소셜 미디어로 인해 종이신문과의 단절 현상이 가

속화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은 과거처럼 대중 매체를 통

해 일방적으로 정보를 받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정보를 피하고 어떠

한 정보를 습득할지를 스스로 결정하면서 뉴스를 소비하게 된다. 이는 전통적

으로 언론의 큰 권력으로 여겨졌던 게이트 키핑의 역할이 소셜 미디어 이용

자들에게 넘어가고 언론은 단순히 뉴스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만을 하게 된다

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Page 110: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96 -

<표 5-16> 소셜 미디어의 언론 역할에 대한 인식

평균 표준편차 t값 자유도 유의확률

정보신뢰도 4.19 1.11 3.76 499 <.001

언론기능인식 4.72 1.03 15.56 499 <.001

뉴스창구역할 4.66 1.15 12.88 499 <.001

<표 5-17> 소셜 미디어의 언론 역할에 대한 인식

정보신뢰도 언론기능인식 뉴스창구역할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트위터 4.26 1.04 4.76 1.02 4.76 1.11

미투데이 4.18 1.19 4.80 0.95 4.77 1.01

페이스북 4.05 1.19 4.60 1.10 4.42 1.27

이러한 추론은 응답자들이 실제로 소셜 미디어가 언론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가에 대한 응답결과를 나타내고 있는 <표 5-16>의 결과로부터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표는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보의 신뢰도, 소셜 미디어가

언론으로서 역할하고 있는가, 그리고 뉴스 창구로서 역할하고 있는가에 대한

응답자들의 인식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앞서와 마찬가지로 이들 문항의 평균

값에 대한 단일표본 티 검증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에서 알 수 있는 사실

은 응답자들이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보의 신뢰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

고 있으며 소셜 미디어가 언론과 뉴스창구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판단하

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소셜 미디어가 언론으로서 역할하고 있는가에 대한 인식이 자주 사용

하는 소셜 미디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알아보았다(<표 5-16>, <표

5-17> 참조). 그 결과 정보 신뢰도와 언론기능에 대한 인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F=1.73, F=1.43, p>.05). 그러나 뉴스창구로서의 역할

에 대해서는 페이스북 사용자들이 가장 낮게 인식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인 것으로 나타났다(F=4.55, p<.05).

Page 111: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97 -

<표 5-18>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보 습득

평균 표준편차 t값 자유도 유의확률

필요한 정보를 유명인이나

전문가를 통해 얻는 경우가

많아졌다

4.28 1.33 4.71 499 <.001

최신 정보를 신속하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4.67 1.27 11.78 499 <.001

신뢰할만한 정보를

얻는 경우가 많아졌다4.32 1.27 5.67 499 <.001

<표 5-18>은 응답자들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얻는 정보에 대한 사항들이

제시되어 있다. 표에 나타난 것처럼 응답자들은 온라인상에서 유명인이나 전

문가를 통해 전달받고 이로 인해 최신의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빠르게 접하

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결과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언론의 게이트 키

핑 역할이 소셜 미디어상의 전문가들에게 전이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사용자

들은 이러한 현상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이 다른이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생긴다.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이 남들로부터 정보를 제공

받기 위해서는 역으로 자기 자신도 정보제공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

이다. <표 5-19>에는 이에 대한 결과를 담고 있다.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응답자들은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면서 남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가 늘어났으며 특히 이야기 거리가 될 만한 정보를 올리게 되었다고 응답했

다. 이러한 결과는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이 남들로부터 정보를 제공받는 동시

에 자신도 남들에게 정보를 활발히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우려할 만한 사항은 제공되는 정보가 주로 남들에게

이야기 거리가 될 만한 것들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자칫 흥

미위주의 정보교류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편향된 정보만을 주고받게

될 수 있다. 즉 전문가 인터뷰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다양한 흥미를 가진 사

Page 112: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98 -

<표 5-19>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보 제공

평균 표준편차 t값 자유도 유의확률

남에게 정보를 더욱 많이

전달하게 되었다4.37 1.27 6.56 499 <.001

이야기 거리가 될 만한

정보를 많이 올리게 되었다4.35 1.25 6.17 499 <.001

<표 5-20>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이 느끼는 정보과잉 정도

평균 표준편차 t값 자유도 유의확률

정보과잉 인식 4.78 1.05 16.59 499 <.001

람들이 존재하는 소셜 미디어이지만 이 중에서 동질적인 사람들끼리의 군집

현상과 이로 인한 파편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비슷한 흥미를 가

진 사람들끼리 서로에게 흥밋거리가 될 만한 정보만을 교류하다 보면 자칫

편향된 정보만이 유통되고 정보의 다양성이 훼손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과

거의 전통적인 사회 연결망 연구로부터 흔히 지적되어온 ‘강한 관계의 약함

(weakness of strong ties)’ 현상(Flache & Macy, 1996)이 소셜 미디어 정보교

류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소셜 미디어상의 정보교류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인 현상의 하나로서 정보과잉 현상이 지목되었다. 즉 소셜 미디어 사용

자들이 너무 많은 정보에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표 5-20>에 나타난 분석

결과는 이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소셜 미디어를 통

해 지나치게 많은 정보에 노출되고 있는가에 대한 응답이 척도 중앙값인 4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정보과잉에 대한 인식은 특정 소셜 미디어에서만 나타나는 것

이 아니며 모든 소셜 미디어 사용자에게 나타나는 현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Page 113: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99 -

<표 5-21> 소셜 미디어별 정보과잉 인식 정도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평균 4.77 4.73 4.82

표준편차 1.04 1.10 1.09

(<표 5-21> 참조). 즉 자주 사용하는 소셜 미디어에 따라 정보과잉에 대한 인

식이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이다(F=.22, p>.05). 따라서 소셜 미디

어 사용자들의 정보과잉에 대한 인식, 즉 자신이 미처 다루지 못할 정도로 지

나치게 많은 정보에 노출되어 있다는 인식은 소셜 미디어 사용자들 전반에

걸친 일반적인 인식이라고 볼 수 있다.

<표 5-22>에는 소셜 미디어의 저널리즘적 역할에 대한 인식이 소셜 미디어

가 유용하다고 느끼는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는 위계적 회귀

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결과가 제시되어 있다.

<표 5-22> 유용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구분

독립변인

소셜 미디어 유용성 인식

단계1 단계2 단계3beta beta beta

성별 .023 .066 .091연령 -.001 -.034 -.016

정보추구 동기 - .324*** .072즐거움추구 동기 - .360*** .213***

관계유지 동기 - .177*** .169***

뉴스창구역할 인식 - - .355***

언론기능 인식 - - .205***

수정된 R2 .00 .489 .635수정된 R2 증가량 - .489 .146

- ***: p<.001

Page 114: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00 -

분석에서, 1단계에서는 성별과 연령 변인만 투입하였으며 2단계에서는 이용

동기 변인들을 투입하여 이들 변인의 영향을 통제하였다. 이후 마지막 3단계

에서 소셜 미디어가 뉴스 창구로서 기능한다고 인식하는 정도와 언론으로서

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변인들을 투입하였다.

분석결과에서 알 수 있는 사실은 성별과 연령, 그리고 이용동기 변인들로 통

제한 이후에도 소셜 미디어의 저널리즘적 기능은 소셜 미디어의 유용성 인식

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뉴스창구로서의 역할에 대한 변인은 투입된 모든 독립변인들 중에서

가장 높은 회귀계수 값을 보여 이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을 보여주었다. 즉

응답자들은 소셜 미디어가 새로운 뉴스창구로서 기능한다고 인식하며 이로부

터 소셜 미디어가 유용하다고 판단하는 성향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응답자들이 소셜 미디어를 정보추구나 즐거움 추구, 그리고 관계유지

를 위해 사용하고자 하지만 실제로 소셜 미디어의 유용성을 판단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소셜 미디어를 통한 뉴스정보 습득이라는 것을 의미한

다. 따라서 현재 소셜 미디어가 우리사회에서 새로운 뉴스소비창구로서 역할

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소셜 미디어의 이러한 역할이 매우 유용하다고 인식

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Page 115: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01 -

6.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미디어 이용행태

이제까지 소셜 미디어의 전반적인 이용행태와 이로부터 나타나는 사용자들

의 정보 교류의 변화, 그리고 이러한 현상이 뉴스소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

가를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현상들이 사용자들의 라이프스타일

(lifestyle)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를 미디어 이용행위의 차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라이프스타일이란 기본적으로 특정 집단이 사회에서 차지하고 있는 지위에

의해 결정되는 생활 모습의 특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Coreil, Levin, & Jaco,

1985). 최근의 연구에서는 이를 사회와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나는

특징적인 삶의 방식으로 취급하고 있다(Lawson & Todd, 2002). 본 연구에서

는 개인의 삶의 방식에 따라 미디어 이용이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보고 소셜

미디어 이용을 중심으로 이러한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안대천과 김상훈(2010)의 연구에 사용된 33개 문항을 이용하여

응답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요인분석을 통해 응답자의 라

이프스타일이 어떠한 차원으로 구분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표 5-23>에

제시된 바와 같이 33개 문항들 중 총 28개의 문항이 총 7개의 요인에 올바르

게 적재되었다. 표에 제시되지 않은 나머지 5개의 문항은 두 개 이상의 요인

에 동시에 .4 이상의 적재량을 보여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발견된 7개의 요인들은 해당 항목들을 참조하여 각각 ‘소비지향형’, ‘자기

만족형’, 이성적 소비형‘, ’책임 완수형’, ‘인터넷 엔터테인먼트 이용형‘, ’사교

지향형‘, ’가족 중심형‘의 이름으로 구분되었다. 분석 결과로부터 얻어진 요인

점수(factor score)는 각 요인의 이름을 이용하여 변인으로 저장되었다. 이 때

요인점수는 표준점수로 저장되어 모든 라이프스타일 요인 변인의 평균은 0이

며 표준편차는 1로 구성되었다. 이렇게 저장된 표준 요인점수를 이용하여 응

답자 500명을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구분하는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즉 라이

프스타일 변인 7개의 값이 유사한 사용자들을 묶어 같은 집단으로 구분하는

분석을 실시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위계적 군집분석(hierarcical cluster

analsysis)를 실시하였으며 덴드로그램(dendrogram)과 군집 히스토리(cluster

history)를 참조하여 최종적으로 4개의 군집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Page 116: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02 -

<표 5-23> 라이프스타일 척도 요인분석 결과

요인 항 목4)요인 적재량

1 2 3 4 5 6 7

소비

지향형

꼭 필요치 않은 제품도 구입하곤 한다. .83

분수에 맞지 않는 제품도 종종 구입한다. .82

종종 감당키 힘든 비싼 제품을 구입한다. .80

새로운 제품은 반드시 구입하는 편이다. .79

내 눈길이 가는 물건은 꼭 사고야 만다. .79

내 눈길이 가는 물건은 반드시 구매한다. .69

돈을 버는 목적은 소비하기 위함이다. .64

자기

만족형

나의 장래를 확신한다. .81

나는 성공에 필요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78

나의 현재 모습에 만족한다. .73

계획한 일은 반드시 실천하는 편이다. .68

나의 인격을 믿는다. .59

이성적

소비형

나는 제품 구매시 심사숙고하는 편이다. .87

제품 구입시 많은 고민을 하는 편이다. .86

제품 구매시 심사숙고하는 편이다. .80

제품 구매시 중요한건 가격대비 질이다. .54

싼 제품 구입을 위해 광고에 주의한다 .50

책임

완수형

조직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은 중요하다. .75

사회적 지위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72

맡은 일에 책임과 의무를 다해야 한다. .72

사회의 관습을 지키는 편이다. .72

인터넷

오락적

이용형

인터넷에서 음악을 즐겨 듣는다. .81

인터넷에서 영화를 즐겨본다. .78

인터넷 게임을 즐겨한다. .60

사교

지향형

나는 사람들과 잘 어울리는 성격이다. .85

나는 각종 모임에 적극 참여하는 편이다. .76

가족

중심형

가족과 함께 놀러 나가는 것이 즐겁다. .80

가족과 많은 대화를 나누는 편이다. .79

4) 제시된 문항은 표 구성을 위해 일부 수정되었음. 자세한 문항은 부록의 설문지를 참조할 것.

Page 117: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03 -

위계적 군집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이후 K-평균 군집분석(K-means cluste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 때 군집의 수는 위계적 군집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4개로 지정하였다. <표 5-24>에는 이에 대한 결과가 제시되어 있다. 이들 군

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군집별 라이프스타일 요인점수의 평균을 구하였

다.

<표 5-24> K-평균 군집분석 결과

군집1 군집2 군집3 군집4

사례수 229 117 93 61

<표 5-26>과 <그림 5-6>에는 각 군집별 라이프스타일 변인의 평균값이 제

시되어 있다. 표와 그림에 제시된 바와 같이 각 군집은 특정 라이프스타일 변

인의 값이 높거나 낮은 특징을 보이는데 이러한 특징은 각 군집의 라이프스

타일 특성을 판단하는 근거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각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군집 별로 높은 평균값을 보인 특성들을 이용하여 각

군집의 이름을 각각 ‘무책임적 소비지향형’, ‘자기만족적 비소비형’, ‘자기규제

적 이성적 행동형’, ‘자기만족적 사교지향형’으로 결정하였다.

이러한 라이프스타일 군집에 따라 소셜 미디어 사용이 다르게 나타나는가

를 살펴보기 위해 군집별로 자주 사용하는 소셜 미디어 사용자 수를 <표

5-25>에 나타내었다. 카이자승 분석 결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자주 사용하는

소셜 미디어가 유의미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무책임적 소비지향형’과 ‘자기규제적 이성적 행동형’의 두 군집, 그리고 ‘자기

만족적 비소비형’과 ‘자기만족적 사교지향형’ 두 군집은 서로 유사한 소셜 미

디어 이용형태를 보였다. 즉 ‘자기만족적 비소비형’과 ‘자기만족적 사교지향형’

군집은 ‘무책임적 소비지향형’과 ‘자기규제적 이성적 행동형’ 군집에 비해 트

위터 사용자 수가 적고 페이스북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더 많게 나타난 것이

다.

Page 118: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04 -

<표 5-25> 군집별 라이프스타일 특성

구분 군집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소비지향

군집 1 229 0.59 0.69

군집 2 117 -0.80 0.81

군집 3 93 -0.08 0.94

군집 4 61 -0.56 0.99

자기만족

군집 1 229 0.04 0.74

군집 2 117 0.22 1.06

군집 3 93 -0.82 1.01

군집 4 61 0.66 0.94

이성적 소비

군집 1 229 -0.03 0.79

군집 2 117 -0.62 1.02

군집 3 93 0.70 0.86

군집 4 61 0.24 1.11

책임완수

군집 1 229 -0.38 0.80

군집 2 117 0.50 0.81

군집 3 93 0.63 0.99

군집 4 61 -0.50 1.12

인터넷

엔터테인먼트

이용

군집 1 229 0.23 0.76

군집 2 117 -0.31 1.03

군집 3 93 0.03 1.12

군집 4 61 -0.31 1.30

사교지향

군집 1 229 0.07 0.75

군집 2 117 -0.00 0.95

군집 3 93 -0.57 1.20

군집 4 61 0.62 1.13

Page 119: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05 -

<그림 5-6> 라이프스타일 군집별 라이프스타일 특성

군집1:

무책임적

소비지향형

-0.8

-0.4

0

0.4

0.8

소비지향 자기만족 이성적

소비

책임완수 인터넷

오락

사교지향

군집2:

자기만족적

비소비형

-0.8

-0.4

0

0.4

0.8

소비지향 자기만족 이성적

소비

책임완수 인터넷

오락

사교지향

군집3:

자기규제적

이성적

행동형

-0.8

-0.4

0

0.4

0.8

소비지향 자기만족 이성적

소비

책임완수 인터넷

오락

사교지향

군집4:

자기만족적

사교지향형

-0.8

-0.4

0

0.4

0.8

소비지향 자기만족 이성적

소비

책임완수 인터넷

오락

사교지향

Page 120: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06 -

<표 5-26> 라이프스타일 군집별 소셜 미디어 이용자 수

구분

군집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전체

무책임적 소비지향형141

(61.6%)

40

(17.5%)

48

(21.0%)

229

(100%)

자기만족적 비소비형61

(52.1%)

14

(12.0%)

42

(35.9%)

117

(100%)

자기규제적 이성적 행동형54

(58.1%)

14

(15.1%)

25

(26.9%)

93

(100%)

자기만족적 사교지향형26

(42.6%)

7

(11.5%)

28

(45.9%)

61

(100%)

전체282

(56.4%)

75

(15.0%)

143

(28.6%)

500

(100%)

- χ2=19.05, df=6, p<.01

<그림 5-7> 라이프스타일 군집별 소셜 미디어 이용자 분포

0 50 100 150

무책임적소비지향형

자기만족적 비소비형

자기규제적 이성적 행동형

자기만족적 사교지향형

페이스북

미투데이

트위터

Page 121: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07 -

<표 5-27> 라이프스타일 군집별 소셜 미디어 이용동기 차이

평균 표준편차 F

정보추구

동기

무책임적 소비지향형 4.87 0.98

1.85자기만족적 비소비형 4.74 1.27

자기규제적 이성적 행동형 4.76 1.27

자기만족적 사교지향형 4.49 1.34

즐거움추

구 동기

무책임적 소비지향형 4.73 0.83

15.20***

자기만족적 비소비형 4.16 1.04

자기규제적 이성적 행동형 4.26 1.03

자기만족적 사교지향형 3.99 1.25

관계유지

동기

무책임적 소비지향형 4.76 1.05

4.58**

자기만족적 비소비형 4.30 1.27

자기규제적 이성적 행동형 4.46 1.21

자기만족적 사교지향형 4.45 1.39

- **: p<.01, ***: p<.001

라이프스타일 군집 별 소셜 미디어 이용자 분포를 나타내는 <표 5-26>과

<그림 5-7>로부터 알 수 있는 사실은 자기만족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상대적

으로 페이스북을 사용하는 비율이 높은 반면 소비지향이나 이성적 행동을 추

구하는 사람들은 트위터를 사용하는 비율이 높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서

이러한 구체적인 사항보다 관심 있게 살펴야 할 점은 라이프스타일의 특성에

따라 자주 사용하는 소셜 미디어가 다르다는 사실일 것이다.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소셜 미디어 이용동기가 다르게 형성되는가를 살펴보

기 위해 군집별 이용동기 변인의 평균을 비교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가 <표

5-27>에 제시되어 있다. 표에서 알 수 있는 사실은 정보추구 동기를 제외한

나머지 이용동기는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즐

거움 추구동기와 관계유지 동기는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지만 소셜 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얻고자 하는 동기는 모든 집단에서 유사하

게 나타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Page 122: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08 -

<표 5-28> 라이프스타일 군집별 소셜 미디어 만족도 차이

평균 표준편차 F

정보추구

만족

무책임적 소비지향형 4.97 0.92

5.01**

자기만족적 비소비형 4.64 1.31

자기규제적 이성적 행동형 4.71 1.24

자기만족적 사교지향형 4.40 1.50

즐거움추

구 만족

무책임적 소비지향형 4.74 0.88

14.08***

자기만족적 비소비형 4.13 1.05

자기규제적 이성적 행동형 4.27 1.06

자기만족적 사교지향형 4.07 1.26

관계유지

만족

무책임적 소비지향형 4.81 1.09

9.08***

자기만족적 비소비형 4.21 1.25

자기규제적 이성적 행동형 4.37 1.23

자기만족적 사교지향형 4.20 1.40

- **: p<.01, ***: p<.001

한편 <표 5-28>에 제시된 바와 같이 소셜 미디어에 대한 만족도는 집단별

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어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따라 소셜

미디어로부터 얻는 만족이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전반적으로 무책임적

소비지향형 집단의 구성원 수, 이용동기, 만족도가 모두 다른 집단에 비해 높

은 것으로 나타나 이 집단이 소셜 미디어를 가장 활발하게 사용하고자 하며

또 이용에 대해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Page 123: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09 -

<표 5-29> 라이프스타일 군집별 미디어 이용량 차이

평균표준편

차F

TV 시청량

무책임적 소비지향형 149.12 113.19

.10

자기만족적 비소비형 142.60 76.58

자기규제적 이성적 행동형 148.04 116.38

자기만족적 사교지향형 147.92 106.08

인터넷

이용량

무책임적 소비지향형 275.25 168.03

.50

자기만족적 비소비형 279.76 187.83

자기규제적 이성적 행동형 301.08 189.06

자기만족적 사교지향형 275.31 173.95

종이신문

이용량

무책임적 소비지향형 39.97 37.91

3.36*

자기만족적 비소비형 50.62a

44.60

자기규제적 이성적 행동형 34.03b

32.63

자기만족적 사교지향형 42.02 42.00

온라인

뉴스

이용량

무책임적 소비지향형 60.34 44.55

.39

자기만족적 비소비형 64.89 47.65

자기규제적 이성적 행동형 58.23 50.29

자기만족적 사교지향형 61.75 48.78

- *: p<.05- a. b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집단

Page 124: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10 -

<그림 5-8> 라이프스타일 군집별 종이신문 이용량(분)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미디어 이용량이 차이가 나는가를 살펴보기 위한 분

석결과가 <표 5-29>에 제시되어 있다.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TV, 인터넷, 온

라인 뉴스 이용량은 별다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종이신문 이용량은 라

이프스타일에 따라 차이가 나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표 5-29>와 <그림

5-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기만족적 비소비형’의 종이신문 이용량이

다른 집단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나 자기만족적이며 소비를 잘하지 않는

집단은 상대적으로 종이신문을 통해 정보를 습득함을 시사해 주었다.

마지막으로,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스마트폰 이용자 수가 다르게 나타나는가

를 알아보았으며 이에 대한 결과가 <표 5-30>과 <그림 5-9>에 제시되어 있다.

분석 결과, 라이프스타일 군집 별로 스마트폰 이용자 수는 유의미하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직까지 스마트폰 채택이 특정 라이프스타일

에 의해 결정되기보다는 휴대폰 이용자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는 현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본 연구에 참여한 응답자들 중 스마트폰 이용자 수

가 현실보다 많은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결과의 일반화에는 주의가 필요할

것이다.

Page 125: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11 -

<그림 5-9> 라이프스타일 군집별 스마트폰 이용량(분)

<표 5-30> 라이프스타일 군집별 스마트폰 이용자 수의 차이

구분 사용자 비사용자 전체

무책임적 소비지향형127

(55.5%)

102

(44.5%)

229

(100%)

자기만족적 비소비형51

(43.6%)

66

(56.4%)

117

(100%)

자기규제적 이성적 행동형45

(48.4%)

48

(51.6%)

93

(100%)

자기만족적 사교지향형29

(47.5%)

32

(52.5%)

61

(100%)

전체252

(50.4%)

248

(49.6%)

500

(100%)

- χ2=4.87, df=2, p>.05

Page 126: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12 -

Ⅵ. 결론 및 요약

이 연구는 소셜 미디어의 확산이 기존 미디어 이용행태에 어떤 변화를 가

져오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소셜 미디어 이용현황

및 패턴을 분석했고, 소셜 미디어가 우리사회에서 어떤 기능을 수행하며, 정보

생산과 소비와 관련해 소셜 미디어가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 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보다 체계적이며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병행했다. 양적분석을 위해서는 트위터 혹은 미투데이 등 마이크로 블로그나

페이스북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 500명을 대상으로 온

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질적분석을 위해서는 기자, 언론학계, 업계 전문가

들과 개별 심층 인터뷰를 실시했다. 이를 통해 소셜 미디어 이용이 한국사회

에서 갖는 의미와 저널리즘 측면에서 갖는 함의를 함께 분석했다. 이 장에서

는 이용자 대상 양적분석결과와 전문가 대상 질적분석 결과를 요약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고, 소셜 미디어 이용이 갖는 문제점과 그 대응방안을 함께 고

려할 것이다.

1. 소셜 미디어 이용자 관련 분석 및 함의

분석결과 응답자들의 대부분은 PC를 통해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는 응답자들도 소셜 미디어 이용에 있어서는

PC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강했다. 이는 일본능률협회에서 지난 3월 실시한

조사와 비슷한 결과다(JMAR, 2010).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PC를 주로 이용하

고 스마트폰을 보조적으로 이용하는 이유는 화면과 글자입력에서의 불편함이

주된 요인으로 지적됐다.

하지만, 응답자들은 이러한 소셜 미디어 이용을 통해 실시간의 신속한 정보

와 사회트렌트에 대한 파악, 타인의 의견수렴 및 공유, 타인과의 네트워크 형

성을 통한 재미와 즐거움 추구, 그리고 지인과의 관계를 돈독하게 하고 새로

운 사람들과의 관계망 구축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셜 미디어

이용에 대한 응답자들의 만족도가 높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비교적 단기간

에 이용자들로부터 이용과 만족에 있어 모두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는

점은 소셜 미디어가 앞으로 더욱 빠르게 한국 사회에 중요한 미디어로 자리

Page 127: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13 -

매김 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 연구에서는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특성을 보다 세밀하게 파악하기 위해

응답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소셜 미디어 이용을 분석했다. 그 결과, 자기만

족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할수록 이미지 중심의 페이스북을 사용하는 비율이

높았고, 소비 지향적이거나 이성적 행동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할수록 텍스트

중심의 트위터를 사용하는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라이프스타일에 따

라 의존하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 다르다는 점을 시사해 주목된다. 이와 함

께 새로운 정보추구가 소셜 미디어 이용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이라는 사실

이 라이프스타일 분석에서 확인됐다. 타인과의 관계형성 및 재미와 즐거움 추

구와 같은 이용 동기에 있어서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

의했으나 정보추구에 대한 동기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

기 때문이다. 종합적으로 볼 때, 소셜 미디어를 가장 활발하게 사용하는 사람

들의 성향은 꼭 필요하지 않거나 수준에 맞지 않는 제품도 구입할 만큼 소비

지향적이며 조직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이나 사회적 지위 그리고 사회적 관습

에 대한 의무가 다소 약한 특징을 가진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소셜 미디어는 신문 독자 및 방송뉴스 시청자의 뉴스이용에 큰 변화

를 끼치면서 저널리즘 지형을 새롭게 형성해가고 있었다. 주요일간지나 방송

국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뉴스제공서비스를 본격화하면서 이들은 소셜 미

디어를 통해 뉴스를 접하는 경우가 크게 늘었다.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를 통해 소셜 미디어가 새로운 정보유통의 창구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새로운 뉴스유통 창구로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장 큰 특징으로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자신과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사람

들에 의해 추천되는 뉴스정보를 위주로 뉴스가 소비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

용자들은 특정분야의 전문가와의 직접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면서 소셜 미디어에 대한 큰 신뢰감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소셜 미디어 이용자가 자신이 소셜 미디어

이용과정에서 형성한 네트워크에서 유통되는 일종의 맞춤형 뉴스(tailored

news) 이용에 만족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하겠다.

소셜 미디어 이용자 개개인이 형성한 네트워크는 소셜 미디어 이용자 간에

자발적으로 형성되는 상호 호혜적(mutual benefits) 원리가 작용하고 있는 것

으로 보인다. 즉, 정보의 생산과 소비에 있어 네트워크에 속한 사람들에 대한

Page 128: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14 -

상호 배려가 강하게 고려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 결과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네트워크 속에서 유통되는 뉴스 및 정보는 단순한 뉴스 이상의 가치를 부여

받게 된다.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이 이러한 정보에 대해 신뢰도와 유용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는 점은 이와 같은 해석을 뒷받침한다. 또한, 소셜 미디어 이

용자들은 소셜 미디어를 통한 오보의 자정작용의 가능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

었다. 즉, 소셜 미디어를 통한 오보확산의 가능성은 크지만, 잘못된 정보에 대

한 수정과 자정작용이 동시에 작동하면서 오보를 신속하게 바로잡는 가능성

도 함께 커졌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2. 전문가인터뷰 요약 및 함의

기자, 학계, 그리고 업계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통해 소셜 미디어가 특히 정

보생산과 관련해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

다. 저널리즘과 관련해 가장 큰 변화는 게이트키핑 과정에 대한 변화와 기사

작성 양식에 있어서의 변화, 독자 및 시청자에 대한 기자들의 인식변화 그리

고 기존 언론사의 생존을 위한 전략적 차원에서의 소셜 미디어의 중요성 인

식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먼저 게이트키핑 과정과 관련해서 소셜 미디어에서는 기존 언론사의 수직

적 게이트키핑 과정 없이 수용자에게 직접 뉴스가 전달되는 통로를 확보했다

는 점이 중요하게 지적됐다. 즉, 기존 미디어에서는 중요한 의제를 생산자인

언론사가 판단했지만, 소셜 미디어는 의제의 중요성을 이용자가 판단하고 사

람들이 관심을 가질수록 그 메시지가 더 중요하게 부각되는 형태의 새로운

의제형성과정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유

통되는 정보의 상당부분이 기존 언론사가 생산해낸 뉴스라는 점에서 언론사

의 수직적 게이트키핑이 그대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지만, 소셜 미디어

에서 유통되는 언론사의 뉴스는 이용자의 필터링을 통해 상호 호혜적 차원의

가치가 부여된 정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하겠다. 기존 미디어가 오보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속보성과 현장성을 동시에 담보하기 위해 서로 경쟁해

왔으나, 이제는 소셜 미디어가 속보성과 현장성 및 정확성까지 담아내면서 기

존 미디어 뉴스를 여러 측면에서 앞서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

한, 전문가들은 신문과 방송저널리즘에 대한 신뢰도가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Page 129: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15 -

소셜 미디어가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는 점 역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소셜 미디어의 활성화는 기자들의 기사작성과 취재에 있어서도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예를 들어, 140자 단문문자서비스로 인식되던 트위터에서 기자

들은 유명인의 트윗모음이나, 트위터를 통해 자주 리트윗되는 이슈를 통해 기

사를 작성하기도 하고, 멘션이나 리플라이 기능을 통해 인터뷰를 하는 등의

변화가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그리고 소셜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독자들의 경우 기자들보다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이슈들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기존 언론사 입장에서는 이에 대한

단순한 취재보다는 이슈에 대한 보다 심층적이고 분석적인 기사를 생산해내

야 하는 필요성이 커졌다. 이와 함께 기사기획단계에서 소셜 미디어를 통해

이용자들의 의견이나 반응을 미리 파악해보거나 자신이 쓴 기사를 소셜 미디

어를 통해 전달함으로써 이용자들의 평가와 반응을 살피는 경우도 자주 일어

나고 있었다.

소셜 미디어 이용자와 마찬가지로 전문가들도 소셜 미디어로 인해 자칫 정

확하지 않은 정보가 빠르게 전달되면서 잘못된 여론을 형성할 위험이 있지만,

소셜 미디어를 통해서 예전보다 빠른 속도로 잘못된 정보를 정정할 수 있는

가능성이 시스템적으로 갖추어졌다는 점에 동의하고 있었다. 이와 함께, 전문

가들은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뉴스 이용에 익숙해져가는 독자 및 시청자들이

이제는 단순한 정보 수용자가 아니라 이들 각자가 중요한 정보원이며 기자들

이 취재하지 못하는 중요한 사건사고를 늘 먼저 취재해낼 수 있는 정보생산

자라는 관점이 점차 자리 잡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러한 변화는 언론사로 하여금 소셜 미디어 서비스 확대에 대해 보다 적

극적인 대응을 하게 만드는 외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인

터페이스가 좋은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

고, 기자들을 대상으로 소셜 미디어를 통한 취재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주

문하고 있으며, 소셜 미디어 활용에서 해당 언론사의 기사가 보다 많이 유통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분석적이며 심층적인 기사발굴을 위한 노력 등의 결

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가능성으로 인해 소셜 미디어는 언론사의 새로운 수익모델

차원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상황은 그리 간단치만은 않다.

Page 130: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16 -

언론사들이 소셜 미디어를 새로운 사업기회로 주목하면서 이를 위한

서비스 모델을 탐구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향후 다양한

방법으로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뉴스서비스가 개발될 것이다. 전문가

들은 소셜 미디어가 과거 새로운 사업기회로 주목받았지만 성공적인

수익모델 창출에는 실패한 동영상 UCC(user created contents)의 전철

을 되풀이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 개발단계부

터 소셜 미디어의 특성을 제대로 활용하는 방안을 철저하게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3. 문제점 및 해결방안

소셜 미디어의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용자들과 전문가들은 모두 소

셜 미디어가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서 비슷한 입장을 보였다. 먼저 소

셜 미디어로 인한 프라이버시 침해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소셜 미

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내용에는 개인과 관련한 다양하고 민감할 수 있는 정

보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프라이버시 침해우려가 훨씬 심각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일부 전문가와 이용자들은 프라이버시 문제는 소셜 미디어가 야기

하는 것이 아니라 이용자의 문제이며, 초기 정착단계인 소셜 미디어가 주는

여러 측면에서의 유용성을 생각할 때 부정적 측면이 먼저 강조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소셜 미디어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우려는 사실 새로

운 이슈라기보다는 정보화 사회의 도래와 함께 오랫동안 지속되어온 정보화

사회의 어두운 측면의 연속선상에 있는 이슈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론적으로

프라이버시는 개인의 매니지먼트 차원(privacy management theory)에서 이해

되어 왔다(Omazu, 2000; Petronio, Petronio, & Altman, 2002; 심재웅 황하성

이호규, 2009). 자신에 대한 정보공개 범위에 대해 개인은 늘 의식하고 판단을

내려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기술의 발전과 정보공

개로 인한 사회적 효용성 등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면서 더욱 영향을 받게 된

다. 일련의 연구에 따르면 인터넷에서 이용자들은 인터넷의 효용성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프라이버시를 일정정도 포기해야 하며, 공개범위를 확

대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느낀다는 것이다(심재웅 외 2009; 이미나 심재웅,

2009). 이러한 외적 요인은 사람들에게 프라이버시 조절과 관련해 새로운 선

Page 131: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17 -

택을 하게하고 그 과정에서 사람들은 프라이버시 공개범위를 넓히는 방향으

로 전환하게 된다, 소셜 미디어는 본질적으로 정보가 쉽게 공유되고 확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소셜 미디어를 둘러싼 프라이버시 우려의 핵심은 역시

무엇을 공개하고 공개하지 않을 것인가에 대한 개인의 프라이버시 조절에 대

한 문제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점에서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성은 특정 소셜

미디어 서비스의 특성에서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공유라는 소셜 미디어

의 특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정보과잉 현상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수많은 정보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는 개개인에게 정보 이용과 관련해 하나의 매니지먼트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적절한 매니지먼트를 하지 못하게 될 경우, 소셜 미디어 이용자는 오히려 정

보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와 잘못된 정보로 인한 피해를 입을 가능성도 크

기 때문이다. 그 결과, 자신의 정치적 성향에 의존하거나 심층적인 뉴스보다는

신변잡기와 흥미위주의 정보를 주로 소비하면서 정보획득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4. 소셜 미디어 연구를 위한 제언

여기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소셜 미디어와 관련한 연구를 위한 제언

을 하고자 한다. 우선 소셜 미디어를 위한 이론화 작업이 시급하다. 지금까지

는 매스미디어 이용과 관련한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이론들을 토대로 대부분

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들의 소셜 미디어 이용과 관련

해서는 이용과 충족이론이, 소셜 미디어의 저널리즘적 기능과 관련해서는 의

제설정 이론과 시민저널리즘 등이 주요 이론적 배경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

한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이론들은 소셜 미디어에 관한 전반적인 설명에는 효

과적이지만, 참여·공개·개방·공유 등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고려하지 못하는 한

계가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측면에서 소셜 미디어 연구의 발전을 위한 새로

운 이론화 작업이 향후 중요한 연구주제라고 하겠다.

소셜 미디어는 그 범주와 범주별 구체적 서비스가 매우 다양하다는 특성을

보인다. 예를 들어, 퍼블리케이션 서비스, 정보공유서비스, 토론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마이크로 퍼블리케이션 서비스, 소셜 모임 서비스, 라이브

캐스트 서비스, 가상세계 서비스, 소셜 게임과 일상적 게임 서비스, 등이 그

Page 132: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18 -

범주이며 범주에 따라 많은 소셜 미디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범

주와 서비스는 특성상 서로 공유되는 부분도 있지만 해당 서비스만의 고유한

특성이 있기 마련이다. 이러한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소셜 미디어

전반을 분석대상으로 하기보다는 구체적 서비스별로 분석대상을 한정하는 것

이 소셜 미디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아직 초기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소셜 미디어 연구는 그 범위를

넓혀가야 할 것이다. 소셜 미디어 이용현황 및 이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국

한된 주제와 함께, 향후에는 소셜 미디어 관련 연구영역을 넓혀 소셜 미디어

가 저널리즘, 미디어 환경, 일상생활, 및 미디어 산업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에 대한 방향으로 연구의 폭을 넓혀갈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실제 언론

사가 소셜 미디어를 통해 얻는 소스를 방송편성이나 지면 구성에 어떻게 반

영하는가에 대한 케이스 스터디도 이 분야에 의미 있는 결과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Page 133: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19 -

참고문헌

고상민․황보환․지용구(2010). 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온라인 사회적 자본.

『한국전자거래학회』, 제15권 제1호, 103~118.

권상희․김위근(2007). 적소이론 관점에서 대인 뉴미디어의 경쟁. 『한국방송

학회』, 통권 제21-1호, 47-97.

김경희(2008). 포털뉴스의 의제설정과 뉴스가치: 포털 뉴스와 인쇄신문의 비교

분석. 『한국언론학보』, 52권 3호, 28-52.

김상현(2010). 소셜미디어와 프라이버시. 『한국정보과학회』, 제28권 제3호,

41-46.

김성태․오유원․박선영(2007). 온라인 의제 파급자의 가치체계 연구- 래더링

(Laddering) 기법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1권 3호, 127-162.

김성태․이영환(2006). 인터넷을 통한 새로운 의제 설정 모델의 적용: 의제 파

급(Agenda-Rippling)과 역의제 설정(Reversed Agenda-Setting)을 중심

으로. 『한국언론학보』, 50권 3호, 175-205.

김승열(2009). 모바일 SNS 서비스 동향 및 전망. 『한국통신학회』, 제26권 제

4호, 19-25.

김종진(2010.07.09). 세상을 바꾸는 소셜미디어의 힘. KBS 9시 뉴스,

http://news.kbs.co.kr/tvnews/news9/2010/07/09/2125881.html

김영욱(2003). 『PR 커뮤니케이션: 체계, 수사, 비판 이론의 통합』. 이화여자

대학교출판부.

김채환(2006). 방송미디어의 이용동기와 경쟁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Page 134: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20 -

410-425.

노기영․이미영(2005). 블로그의 매체경쟁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제

49권 3호, 318-345.

박웅기(2010). 스마트폰 활성화가 통신방송시장에 미칠 영향. 『한국방송학

회』, 141-150.

박은희․이수영(2002). 사이버공간의 특성과 의제 전개과정 - 일반네티즌공간

과 참여네티즌공간의 차이.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18호, 99-131.

박정남(2010). 『Start! 트위터와 미투데이』. 에이콘.

박창희․김미경(2005). 미디어 수용 형태 변화와 대체율 비교 연구. 『문화방

송』, 제6권 제2호, 37-77.

반현․최원석․신성혜(2004). 뉴스의 속성과 2차 의제설정 효과 연구. 『한국

언론정보학보』, 통권 25호, 65-102.

반현․McCombs, M. E.(2007). 의제설정 이론의 재고찰-5단계 진화 모델을 중

심으로. 『커뮤니케이션이론』, 3권 2호, 7-53.

배영․박소라․이동형(2009). 인터넷 미디어 확산과 소비에서의 네트워크 효

과.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제26권 1호, 159-189.

설진아(2009). 소셜 미디어(Social Media)의 진화양상과 사회적 영향. 『한국언

론정보학회』, 35-57.

성민현․조성원․선여미(2010). 『소셜 미디어와 스마트폰이 불러온 월드컵의

새로운 풍경』. KT경제경영연구소.

Page 135: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21 -

손승혜(2005a).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매체간 경쟁과 수용자 선택. 『한국언론

학회』, 193-198.

손승혜(2005b). 미디어 이용량, 연령, 성별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간 경쟁 및 대

체 관계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제16호, 273-308.

송인혁(2010). 소셜미디어란 무엇인가. 『인천문화재단』, 통권 22호, 10-13.

심미선․김은실․하예린 (2009). 미디어 이용의 보완 및 대체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통권 제23-2호, 317-364.

심재웅 황하성 이호규 (2009). UCC 이용량과 연령에 따른 온라인 프라이버시

인식 차이 연구. 『방송통신연구』통권69호, 192-221.

심홍진․황유선(2010). 마이크로블로깅(micro-blogging)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통권 제24-2호, 192-234.

안대천․김상훈(2010). 수용자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모바일 광고태도 및 매체

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12권 1호, 184-220.

안정락(2010.10.21). 스마트폰族 500만명 시대…기업도 개인도 `모바일 혁명

중`. 한국경제신문,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102149

881

FKII 조사연구팀(2006. 12). 소셜미디어(social media)란 무엇인가? 『정보산업

지』, 6호, 52-55.

유지연(2010). SNS에 나타난 취업희망자의 성향조사와 프라이버시 이슈. 『방

송통신정책』, 제22권 12호, 1-16.

Page 136: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22 -

윤영철(2001). 온라인 저널리즘과 뉴스 패러다임의 변화. 『사이버커뮤니케이

션학회』, 제7호, 182-213

이미나·심재웅 (2009). 성별에 따른 온라인 프라이버시 염려와 프라이버시

보호전략 사용의 차이에 관한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12호,

165-190.

이원태(2009).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 미디어 플랫폼의 진화와 정치참여 연

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이은주․장윤재(2009). 인터넷 뉴스 댓글이 여론 및 기사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지각과 수용자의 의견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보』, 53권 4

호, 50-71.

이종영․조성동(2006). 다매체 다채널 시대의 미디어경쟁 상황과 지상파 TV의

시청패턴. 『한국방송학회』, 79-108.

이재신․성민정(2007). 온라인 댓글이 기사 평가에 미치는 영향: PR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9권 4호, 70-45.

이준웅․김은미․심미선(2006). 다매체 이용자의 성향적 동기. 『한국언론학

회』, 제50권 1호, 252-284.

이준호․박창희(2001). 비지상파TV 미디어의 이용과 충족, 경쟁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통권 제53호, 221-256.

이준호(2002). 영상미디어 소비인식에 근거한 미디어간 경쟁현황 연구. 『한국

지역언론학회』, 제2권 2호, 159-194.

임종수(2009). 『가상성과 일상성의 컨버전스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정책연

구원.

Page 137: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23 -

정재민․이화진․김영주(2005). 미디어간 경쟁과 대체. 『한국방송학회』, 제

19-4호, 253-564.

최민재(2009). 소셜 미디어의 확산과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수용자 인식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5-31.

최민재․양승찬(2009). 인터넷 소셜 미디어와 저널리즘. 『한국언론재단』

최순욱(2010.04.19).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4색 열풍. 매일경제신문,

http://news.mk.co.kr/v3/view.php?year=2010&no=198828

한국인터넷진흥원(2010). 『2010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요약보고서』. 방송통

신위원회.

Arceneaux, N., & Weiss, A. (2010). Seems stupid until you try it: Press

coverage of Twitter, 2006-9. New Media & Society, 10(5), 1-18.

Bizannes, E. (2008). Thank you 2008, you finally gave new media a name.

http://eliasbizannes.com/blog/2008/12/thank-you-2008-you-finally-gav

e-new-media-a-name/

Blumler, J. G., & Katz, E. (1974). The uses of mass communications:

Current perspectives on gratifications research. Beverly Hills: Sage

Publications.

Bowman, S. & Willis, C. (2003). We Media: How audiences are shaping the

future of news and information. Report for The Media Center at

The American Press Institute

Castells, M. (1996).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The Information Age:

Page 138: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24 -

Economy, Society and Culture Vol. I. Cambridge, MA; Oxford, UK:

Blackwell.

Castells, M. (1997). The Power of Identity, The Information Age: Economy,

Society and Culture Vol. II. Cambridge, MA; Oxford, UK: Blackwell.

Castells, M. (1998). End of Millennium, The Information Age: Economy, Society

and Culture Vol. III. Cambridge, MA; Oxford, UK: Blackwell.

Cho, H., & Lee, J. S. (2008). Collaborative information seeking in

intercultural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groups: Testing the

influence of social context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Communication Research, 35, 548-573.

Cohen, B. C. (1963). The press and foreign policy. Princeton UniversityPress.

Comm, J. (2009). Twitter power. Hoboken, NJ: John Wiley & Sons, Inc.

Coreil, J., Levin, J., & Jaco, E. (1985). Life style.an emergent concept in thesociomedical sciences. Medicine and Psychiatry, 9(4), 423-437.

Dijk, J. V. (1999). The network society: Social aspects of new media. London:

Sage.

Dimmick, J., Patterson, S., & Albarran, A. (1992). Competition between the

cable and broadcast industries: A niche analysis. Journal of Media

Economics, 13-29.

Dimmick, J., Kline, S., & Stafford, L. (2000). The gratification niches of

personal e-mail and the telephone. Communication Research, 27,

227-248.

Page 139: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25 -

Dimmick, J. (2003). Media Competition and Coexistence: The theory of the

niche.Mahwah, NJ: Lawrence Erlbaum Press.

Farhi, P. (2009). The Twitter explosion. American Journalism Review,

http://www.ajr.org/article.asp?id=4756

Ferguson, D. A., &Perse, E. M. (2000).  The World Wide Web as a

functional alternative to televisio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Electronic Media, 44, 155-174.

Flache, A., & Macy, M. W. (1996). The weakness of strong ties: Collectiveaction failure in a highly cohesive group. Journal of MathematicalSociology, 21(1), 3-28.

Flew, T., & Wilson, J. (2010). Journalism as social networking: The

Australian youdecide project and the 2007 federal election. Journalism,

11(2), 131-147.

Gillmor, D. (2004). We the media. Grassroots journalism by the people,

for the people. Sebastopol: O’Reilly.

Habermas, J. (1989).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An

inquiry into a category of bourgeois society. Translated by T. Burger

with the assistance of F. Lawrence. Cambridge, MA: MIT Press.

Hawn, C. (2009). Take two aspirin and tweet me in the morning: How

Twitter, Facebook, and other social media are reshaping health care.

Health Affairs, 28(2), 361-368.

Hermida, A. (2010). From TV to Twitter: How ambivalent news became

ambivalent journalism. M/C Journal, 13(2).

Page 140: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26 -

http://journal.media-culture.org.au/index.php/mcjournal/article/view

/220

Jansen, B., Zhang, M., Sobel, K., & Chowdury, A. (2009). Twitter power:

Tweets as electronic word of mouth. J

http://www.citeulike.org/user/stringertheory/article/5375036

JMAR (2010. 3. 24). ソーシャルメディアに関する利用実態調査」報道資料を公

開しました! JMA Research Institute.

Jöreskog, K., & Sörbom, J. (1993). LISREL 8: User’s reference guide. Hillsdale,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Juan Carlos Perez(2010.09.06). 트위터 모바일 사용자 62% 증가. 한국IDG신문,

http://www.idg.co.kr/newscenter/common/newCommonView.do?new

sId=62513

Katz, E., Gurevitch, M., and Haas, H. (1973). On the use of the media for

important thing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8, p. 164-181.

Lawson, R., & Todd, S. (2002). Consumer lifestyles: a social stratificationperspective. Marketing Theory, 2(3), 295-307.

Lewis, S., Kaufhold, K., & Lasorsa, D. (2010). Thinking about citizen

journalism: The philosophical and practical challenges of

user-generated content for community newspapers. Journalism Practice,

4(2), 163-179.

McCombs, M. E. (2004). Setting the Agenda: The mass media and publicagenda. Malden, MA: Blackwell.

McCombs, M. E. & Shaw, D. L. (1972). The agenda setting function of

Page 141: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27 -

mass media, Public Opinion Quarterly, 36, 176-187.

O'Connor, R. (2009). Facebook and Twitter are reshaping journalism as we

know it.

http://www.alternet.org/media/121211/facebook_and_twitter_are_resh

aping_journalism_as_we_know_it/

Omarzu, J. (2000). A disclosure decision model: Determining how and

when individuals will self-disclos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4(2), 174-185.

Outing, S. (2005) The 11 Layers of Citizen Journalism. Retrieved March 31,

2007.

Owang, J., & Lovett, J. (2010). Social marketing analytics: A new framework

for measuring results in social media. Available from

http://www.web-strategist.com/blog/2010/04/22/altimeter-report-soci

al-marketing-analytics-with-web-analytics-demystified/

Petronio, S. S., Petronio, S., & Altman, I. (2002). Boundaries of privacy:

Dialectics of disclosur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Salus, P. H. (1995). Casting the Net: From ARPANET to Internet and Beyond.

Addison-Wesley.

Wellman, B., Salaff, J., Dimitrova, D., Garton, L., Gulia, M., &

Haythornthwaite, C. (1996). Computer networks as social networks:

Virtual community,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and

telework. Annual Review of Sociology, 22, 213-238.

Page 142: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28 -

참고사이트

http://www.alexa.com/

http://www.facebook.com

http://www.facebaker.com

http://www.fredcavazza.net

http://www.google.com/trends

http://lab.naver.com/nori/

http://www.me2day.net

http://sniki.org/what-is-social-media

http://www.twitter.com

Page 143: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29 -

부록: 소셜 미디어 이용현황 조사

- 귀하의 거주지역은?

1) 서울 2) 인천 3) 대전 4) 대구 5) 광주 6) 부산

A 다음의 질문에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1. 귀하의 성별은 어떻게 됩니까?

1) 남자 2) 여자

2. 귀하의 연령은 만으로 몇 세입니까?

2-1. 연령집단

1) 19세 미만 2) 19~29세 3) 30대 4) 40대 5) 50대

3. 귀하는 소셜 미디어를 어떻게 사용하십니까? 본 설문에서의 소셜

미디어는 트위터, 미투데이 혹은 페이스북을 의미합니다.

다음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전적으로 스마트 폰 2) 스마트폰을 주로 하되 PC를 보조적으로 이

3) PC를 주로 사용하되 스마트폰을 보조적으로 이용 4) 전적으로 PC

이용

Page 144: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30 -

B. 다음에 제시된 각 서비스를 얼마나 이용하시는지 응답해 주시기 바

랍니다.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는 이용하지 않음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전혀 이용

않음 A

이용일수

(1주 기준)

B

하루 평균

이용시간

C

1주 평균

글 작성

횟수 D

1주 평균

기사

링크(전달)

횟수 E

1. 트위터 ( )일시간

2. 미투데이 ( )일시간

3. 페이스북 ( )일시간

BB 귀하께서 가장 자주 이용하시는 서비스는 무엇입니까?

1) 트위터 2) 미투데이 3) 페이스북

4. TV ( )일시간

5. 인터넷 ( )일시간

6. 종이신문 ( )일시간

7. 인터넷

신문( )일

시간

Page 145: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31 -

C. 귀하가 가장 많이 사용하시는 소셜 미디어의 이용 이유와 그에

대해 만족하는 정도에 대해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내가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이유는… 이유 만족도

1정보를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어서

   

2정보를 빨리 얻을 수 있어서

   

3주변 사람들이 사용하니까

   

4내가 좋아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니까

   

5내가 하는 말에 남들이 반응해 주어서

   

6원래 알던 사람들과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7내가 쓴 글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어서

   

8 뉴스나 신문에는 나오지 않는 좋은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

   

9새로운 관점을 얻을 수 있어서

   

10여론을 판단하는데 도움이 돼서

   

11 낯선 사람들과도 나의 관심분야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어서

   

12온라인을 통해 전문인들과 만나기 쉬워서

   

13관심사가 같은 사람들을 만날 수 있어서

   

14유명인과 관계를 맺을 수 있어서

   

15온라인에서 사람들과 이야기 하는 것이 좋아서

   

16재미있어서

   

17나만의 공간을 가질 수 있어서

   

18내 이미지에 도움이 되니까

   

19습관이 되어서

   

Page 146: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32 -

매우 전혀

그렇다 그렇지 않다

1 나는 소셜 미디어 이용방법이 쉽다고 생각한다

2나는 소셜 미디어 이용방법을 쉽게 익힐 수 있다고생각한다

3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방법은 어렵지 않다

4소셜 미디어 이용은 나의 대인관계 유지에 도움이된다

5 소셜 미디어 이용은 전반적으로 나에게 유용하다

6 소셜 미디어는 새로운 정보를 얻는 데에 유용하다

7만약 소셜 미디어 서비스가 중지되면 정말 속상해 할것이다

8나는 만약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게 되면허전할 것이다

9 나는 소셜 미디어 없이도 한동안 잘 지낼 수 있다

10소셜 미디어는 내가 원하는 대로 빠르게 대화할 수있게 해준다.

11소셜 미디어는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을 쉽게 할 수있게 해준다

12소셜 미디어는 대화 내용과 대상에 따라 내가선택적으로 대화할 수 있게 해준다

13 소셜 미디어는 상호작용적이다

14 소셜 미디어를 통해 얻는 정보의 내용은 공정하다

15소셜 미디어를 통해 얻는 정보의 내용은 편향되어있다

16 소셜 미디어를 통해 얻는 정보의 내용은 신뢰할만하다

17소셜 미디어의 글이나 코멘트 등이 신문/방송의뉴스와 유사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 한다

18 소셜 미디어를 언론의 한 형태라고 생각한다

D. 소셜 미디어에 대한 다음의 문항들에 귀하가 동의하시는 정도를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Page 147: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33 -

19 소셜 미디어를 통한 여론형성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20 소셜 미디어를 통하여 얻는 뉴스에 신뢰가 간다

21 소셜 미디어를 통하여 기존 매체보다 뉴스를 신속하게접할 수 있다.

22소셜 미디어를 통하여 기존 매체보다 내가 관심 있는뉴스를 쉽게 접할 수 있다.

E. 다음의 질문에 동의하시는 정도를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매우 전혀

그렇다 그렇지 않다

나는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면서…

1 기존에 내가 알던 사람들과의 사적인 대화가 늘어났다

2필요한 정보를 유명인이나 전문가를 통해 얻는 경우가많아졌다

3 종이 신문을 많이 읽게 되었다

4 온라인 뉴스를 많이 읽게 되었다

5 TV 뉴스를 더욱 많이 시청하게 되었다

6 최신 정보를 신속하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7 신뢰할만한 정보를 얻는 경우가 많아졌다

8 소셜 미디어를 통해서 교류하는 지인과 친밀도가늘어났다

9 내 인간 관계가 더욱 넓어지고 있다

10 남에게 정보를 더욱 많이 전달하게 되었다

11 이야기 거리가 될만한 정보를 많이 올리게 되었다

Page 148: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34 -

매우 전혀

그렇다 그렇지 않다

1나는 아주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에 소셜 미디어를통해 조언을 구할 사람이 있다

2내가 소셜 미디어를 통해 만나는 사람들은 나를위해 기꺼이 자신의 명예에 흠이 갈 수 있는 일도하는 사람들이다

3내가 소셜 미디어를 통해 만나는 사람들은 내가불공정한 일을 당했을 때 맞서 싸울 수 있도록 나를도울 것이다

4소셜 미디어를 통해 만난 사람들 중에는 내가어려움에 처했을 때 이를 해결하는 데에 도움을 줄것이라고 신뢰할 수 있는 사람들이 있다

5소셜 미디어를 통해 사람들과 교제하는 것은 내가세상 돌아가는 일에 연결되어 있다고 느끼게 해

매우 전혀

그렇다 그렇지 않다

1나는 종종 내가 처리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양의정보를 받는다고 느낀다

2나는 종종 내가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양의 정보를받는다고 느낀다

3나는 종종 남들과 내가 원하는 것보다 더 많은 양의대화를 한다고 느낀다

4 나는 새로운 것을 적극적으로 탐색하는 편이다

5 나는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데 대한 욕구가 강하다

6 나는 새로운 것을 선호하는 편이다

F. 다음은 귀하에 대한 질문입니다. 동의하시는 정도를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G. 소셜 미디어를 통해 귀하가 만난 사람들에 대한 다음의 서술에 대

해 동의하시는 정도를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Page 149: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35 -

준다

6소셜 미디어를 통해 사람들과 교제하는 것은 나와는다른 사람들이 어떤 생각을 하는가에 흥미를 가지게한다

7소셜 미디어를 통해 사람들과 교제하는 것은 내가새로운 일을 시도하는 것을 원하게 해 준다

8소셜 미디어를 통해 사람들과 교제하는 것은 내가보다 큰 공동체의 일원이라고 느끼게 해 준다

H. 다음은 소셜 미디어 이용에 따른 문제점을 나열한 것입니다. 다음

각 항목의 문제점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정도를 표기해 주시기 바

랍니다.

매우 전혀

그렇다 그렇지 않다

1 개인정보 노출

2 상업성

3 정보의 편파성

4 정치적 홍보

I. 귀하는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면서 사생활 침해를 경험한 적이 있나

요?

1) 있다 2) 없다

Page 150: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36 -

매우 전혀

그렇다 그렇지 않다

1 나의 장래를 확신한다

2 나의 인격을 믿는다

3 나는 성공에 필요한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4 계획한 일은 반드시 실천하는 편이다

5 나의 현재 모습에 만족한다

6 나는 인터넷 게임을 즐겨한다

7 나는 인터넷에서 영화를 즐겨본다

8 나는 인터넷에서 음악을 즐겨 듣는다

9 내 눈길이 가는 물건은 반드시 구매한다

10 분수에 맞지 않는 제품도 종종 구입한다

11 새로운 제품은 반드시 구입하는 편이다

12 꼭 필요치 않은 제품도 구입하곤 한다

13 가족과 함께 놀러 나가는 것이 즐겁다

14 가족과 많은 대화를 나누는 편이다

15나는 가족의 화목과 안정이 가장 중요하다고생각한다

16 자식을 위하여 내 자신의 희생이 필요하다

17 나는 사회의 관습을 지키는 편이다

18 나에게 사회적 지위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19 나에게 조직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은 중요하다

20 내가 맡은 일에 책임과 의무를 다해야 한다

21 원만한 인간관계를 위한 타협과 양보를 잘 한다

22 싼 제품 구입을 위하여 광고에 주의를 기울인다

J. 다음의 문항에 동의하시는 정도를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Page 151: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37 -

23 할인행사를 통하여 싼 제품구매를 선호한다

24 보통 제품 구입시 많은 고민을 하는 편이다

25 나는 제품 구매시 심사숙고하는 편이다

26나는 종종 내가 감당하기 힘든 비싼 제품을구입한다

27 나는 사람들과 잘 어울리는 성격이다

28 나는 각종 모임에 적극 참여하는 편이다

29 내 눈길이 가는 물건은 꼭 사고야 만다

30제품 구매시 가장 중요한 것은 가격대비질이라고 생각한다

31대부분의 경우 제품 구매시 심사숙고하는편이다

32 내가 돈을 버는 목적은 소비하기 위함이다

33나는 제품구입시 그다지 많은 고민을 하지않는 편이다

A7점

척도B

7점

척도C

7점

척도

1연예인,

스포츠 스타

호감이

간다

신뢰가

간다

친해진

느낌이다.

2

전문인(교수 ,

연구원, 전문

적종사자 등)

호감이

간다

신뢰가

간다

친해진

느낌이다.

3정 치 인 이나

기업 CEO

호감이

간다

신뢰가

간다

친해진

느낌이다.

4 기자호감이

간다

신뢰가

간다

친해진

느낌이다.

5 일반인호감이

간다

신뢰가

간다

친해진

느낌이다.

K. 귀하께서 소셜 미디어를 통해 만난 다음의 사람들에 대한 귀하의

느낌 정도를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Page 152: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38 -

L. 귀하께서 매체를 통해 정보를 얻을 때 다음의 미디어를 어느 정도

이용하십니까?

매체 의존 정도(%)

1 TV 뉴스

2 종이 신문

3 온라인 신문

4 마이크로 블로그(트위터, 미투데이 등)

5 페이스북/마이스페이스

합계 100%

귀하 현재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계십니까?

1) 예 (계속)

2) 아니오 (N번 문항으로)

M. 다음은 스마트폰에 대한 질문들입니다. 잘 읽고 응답해 주시기 바

랍니다.

1. 전화와 문자통화를 제외한 스마트폰의 사용시간은 하루 평균 얼마

나 되십니까?

시간 분

2. 귀하는 스마트폰을 통해 소셜 미디어를 얼마나 사용하시나요?

일주일 평균 시간 분

N. 다음은 귀하에 대한 질문입니다. 이들 문항에 대한 응답은 철저히

학문적으로만 사용됩니다. 성실히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1. 귀하가 현재 하시는 일은 무엇입니까?

1) 학생 2) 직장인 3) 전업주부 4) 취업준비 5) 기타

Page 153: 자유 2010-08 소셜 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hwp

- 139 -

2. 귀하의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1) 중학생 2) 중학교 졸업 3) 고등학생 4) 고등학교 졸업 5) 대학

생 6) 대학졸업 7) 대학원생 8) 대학원 졸업 이상

3. 귀하 가정의 한 달 수입은(가구 총소득)은 어느 정도 입니까?

1) 100만 원 미만 2) 100만 원 이상 - 200만 원 미만

3) 200만 원 이상 - 300만 원 미만 4) 300만 원 이상 - 400만 원 미만

5) 400만 원 이상 - 500만 원 미만 6) 500만 원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