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46
1908호 2019.08.07.

Upload: others

Post on 09-Sep-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1908호2019.08.07.

Page 2: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주간기술동향」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 동향분석 및 정책지원」 과제의 일환으로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에서 발간하고 있습니다.

「주간기술동향」은 인터넷(http://www.itfind.or.kr)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본 고의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으로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주간기술동향」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즉, 공공누리의 제2유형에 따라 상업적 이용은 금지하나, “별도의 이용 허락”을 받은 경우에는 가능하오니 이용하실 때 공공누리 출처표시 지침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http://www.kogl.or.kr/info/license.do 참고)

예시)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O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Page 3: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1908호

기획시리즈 2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현주소와 발전 방안

[강병준/전자신문]

Ⅰ. 서론

Ⅱ. 온라인 동영상 정의와 유형

Ⅲ. 서비스 역사와 경쟁 구도

IV. 포털 계열의 부상과 전략

Ⅴ. 확산 배경과 파장

Ⅵ. 결론

ICT 신기술 17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방안

[조재영/클라우드서비스]

Ⅰ.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해

Ⅱ. 클라우드 서비스의 특징

Ⅲ. 클라우드 서비스 업무 도입 방법론

Ⅳ.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시 고려사항

Ⅴ. 결론

ICT R&D 동향 305G 빅데이터 트래픽 초고속 전송 기술

[최영일/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안테나 다중 사용자 간섭채널에서 기계학습 기반 빔포밍 기법 연구 기술

[최완/한국과학기술원]

Page 4: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주간기술동향 2019. 8. 7.

2 www.iitp.kr

I. 서론

국내 1위 포털 업체 네이버가 동영상을 중심으로 지식 콘텐츠 시장을 새로 재편하겠다

고 선언했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2018년 2분기 실적발표에서 “지식 인터넷 시장이

동영상을 중심으로 빠르게 변하고 있다”며 “이에 맞춰 투자를 늘려가겠다”고 말했다. 동영

상 플랫폼에 과감하게 투자하여 네이버 영향력을 넓히겠다는 확실한 의지를 밝힌 것이다.

검색 포털로 성장했던 네이버가 동영상 서비스에 방점을 찍었다.1) 네이버가 동영상 콘텐

* 본 내용은 강병준 부국장(☎ 02-2168-9657, [email protected])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1) 인터넷 플랫폼에 기반을 둔 영상 서비스는 온라인 미디어, 온라인 영상, 온라인 동영상, 인터넷 영상, 인터넷 동영상,

동영상 플랫폼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산업계와 학계에서도 명확한 기준 없이 혼재해서 쓰는 상황이다. 본고에서는 온라인 동영상으로 통일하였다.

본 고에서는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의 과거와 현재를 훑어보고 미래를 조망한다. 특히, 포털을 중심으로 동영상 서비스가 어떻게 발전해 왔고 전체 디지털 영상 분야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점검했다. 포털에서 동영상 서비스가 갖는 지향점과 파급 효과, 콘텐츠 소비 형태에 미친 직간접적인 영향에 대해서도 고찰했다. 기성 미디어를 제치며 확실한 플랫폼으로 부상해 기존 산업을 대체할 정도로 성장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의 발전 방안을 제시해 본다.

chapter 1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현주소와 발전 방안

•••강병준 ‖ 전자신문 산업 취재 총괄 부국장

기획시리즈

Page 5: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방송·스마트미디어콘텐츠

정보통신기획평가원 3

츠의 중요성을 강조한 건 처음이 아니다.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 이사회 의장은 2014년

6월 중소기업 리더스 포럼에서 “구글이 가장 두렵다”며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미 오래전부터 지식 콘텐츠 시장에서 동영상 서비스가 대세가

될 것이라는 사실을 인지했다는 이야기다.

인터넷포털 최강자인 네이버가 사업 기조를 바꿀 정도로 온라인 동영상 시장이 요동치

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에 동영상 중심으로 지식 콘텐츠 소비 패턴이 180도로 전환했다.

다양한 콘텐츠 유형 가운데 하나에 불과했던 온라인 동영상이 변방에서 주류로 부상했다.

영상 위력을 보여주는 게 바로 구글이 인수한 ‘유튜브’이다. 유튜브는 2005년 서비스 당시

신기하고 재미난 서비스 정도였고 콘텐츠 소비 방식을 뿌리부터 바꿔 놓을지 아무도 예상

하지 못했다.

유튜브는 불과 10여년 만에 콘텐츠 시장을 평정했다. 국내도 예외일 수 없다. 국내 모바

일 동영상 업계를 이미 유튜브가 평정했다. 모바일 앱 사용 분석업체 와이즈앱에 따르면

2019년 5월 한국 모바일 동영상 사용시간 점유율 1위는 ‘유튜브’로 3,272만 명이 총 414

억 분을 이용했다. 이는 구글 플레이에 동영상 플레이어·편집기로 등록된 앱의 총 사용시

간인 468억 분 중 88%에 달하는 수치이다. 2018년 5월 유튜브의 총 사용시간은 291억

분으로 동영상 카테고리 총 사용시간 341억 분 중 86%를 차지했다. 지난 1년 동안 2%p

<자료> 모바일 앱 사용분석 업체 ‘와이즈앱’ 2019년 5월 발표

[그림 1] 국내 모바일 미디어 사용시간 비교

Page 6: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주간기술동향 2019. 8. 7.

4 www.iitp.kr

점유율이 높아졌다. 유튜브 점유율은 2017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어

중국 바이트댄스가 만든 ‘틱톡’이 5월 총 사용시간이 11억 분으로 2.4%의 점유율을 기록

했다. 유튜브에 이어 점유율 2위다. ‘아프리카TV’와 ‘옥수수’는 각각 총 9억 분을 사용하여

각각 점유율 1.9%에 그쳤다. 사실상 유튜브가 온라인 동영상 시장을 평정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1]. 이와 같은 압도적인 유튜브 지배력은 데이터 통신 속도와 단말기 성능

등 통신환경이 꾸준히 개선되고 고품질 영상 콘텐츠가 급증해 나타난 결과이다[2].

온라인 동영상은 이제 지식콘텐츠 대세로 자리 잡았다. 영상하면 TV를 떠올리던 시대

는 지났다. 유튜브를 시작으로 모든 서비스 업체가 온라인 동영상에 초점을 맞춰 콘텐츠를

개편 중이다. 본 고에서는 유튜브를 포함하여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가 어떻게 진화 과정을

거쳤는지를 고찰했다. 과거와 현재를 훑어보고 미래 동영상 서비스의 진화 모습을 보여주

는데 초점을 맞췄다.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가 떠오른 배경과 시사점을 분석했으며 전체

디지털 영상 분야에 어떤 기여를 했는지 점검했다. 포털에서 동영상 서비스가 갖는 지향점

과 파급 효과, 콘텐츠 소비 형태에 미친 직간접적인 영향에 대해서도 시사점을 도출해

봤다.

II. 온라인 동영상 정의와 유형

동영상은 일련의 이미지 조합이다. 스토리를 만들고 이를 연속적으로 보여주는 형태로 서비스를 구현한다. 동영상은 영화와 TV 전유물이었다. 제작을 위해서는 카메라부터 저장시스템까지 고가 장비가 필요했다. 전문 인력이 필요하고 편집, 영상과 같은 별도 장비를 갖춰야 했다. 최종 소비자까지 이어지는 서비스 과정도 만만치 않았다. 동영상 신호를 보내는 송신시스템은 물론 수신 중계탑, 다시 신호를 집으로 보내주는 재송신시스템 등 막대한 투자가 필요했다.

“TV=동영상”이라는 선입관을 무너뜨린 주역이 인터넷이다. 엄밀히 말하면 “디지털의

힘”이었다. 방송사가 독점하던 동영상을 인터넷이 생산과 소비 측면에서 대중화했다. 인터

넷이라는 새로운 전송 채널이 대세로 굳어지면서 모바일과 PC로 동영상을 즐기는 시대가

열렸다. 동영상 콘텐츠에서 온라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시간이 지날수록 커지고 있다. “온

라인 동영상”이라는 새로운 서비스 장르까지 만들어졌다. 아직 온라인 동영상의 정의와

Page 7: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방송·스마트미디어콘텐츠

정보통신기획평가원 5

개념, 범위에 대해서는 명확하지는 않다. 모호한 개념을 구체화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

는 상황이다.

유럽전자통신규제기구(BEREC)는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를 “공공인터넷을 통해 최종 이

용자에게 제공되는 콘텐츠,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정의한다. 다른 나라도 이 개념에

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우리도 엇비슷하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를

“케이블TV나 인터넷TV(IPTV) 또는 위성방송이 아닌 지상파TV 방송사, 케이블TV 사업

자, 통신회사나 인터넷 포털에서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로 정의한다. 단, 영상 파일

을 일단 내려 받은 후 모바일 앱이나 프로그램에서 재생하는 경우는 포함하지 않는다.

온라인 동영상을 정리하면, “인터넷으로 콘텐츠를 연속적인 이미지 형태로 제공하며 모든

디바이스에서 볼 수 있는 서비스”라고 대략적으로 결론내릴 수 있다. 주로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며 수요자 주도의 서비스(Video On Demand: VOD)가 기본이다.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는 시간과 공간 제약에서 자유롭게 즐길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TV 영상처럼 가족과 같이 여러 사람이 시청하기보다 1인이 시청하는 “1인 미디어

(Personal Media)” 성격이 짙다. 이 때문에 모바일 앱 푸시를 통해 연관 있는 콘텐츠를

추천하거나, 맞춤형 영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이용자가 선호하는 영화를 별점 형태

로 수집하는 영화 콘텐츠 추천 서비스 기능 등을 통한 개인화된 콘텐츠가 많다.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는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기성미디어 제작 콘텐츠, 웹·모바일

전용 콘텐츠, 스낵 컬처용 콘텐츠, 유사 주문형 비디오로 나뉠 수 있다.2)

첫째, 기성 미디어 제작 콘텐츠(Ready Made Content: RMC)는 지상파와 종합편성채

널처럼 전통 방송사가 제작하는 콘텐츠를 말한다. 유료 서비스가 가능한 수준 높은 전문

콘텐츠로 영화사나 방송사와 같은 전문 제작 업체나 콘텐츠 전문가가 생산한다. RMC는

UCC에 비해 전문적이고 풍부한 내용을 담는다. TV나 영화관과 같은 전통미디어와 유선

과 무선을 아우르는 뉴미디어를 막론하고 다양한 유통 채널로 소비된다. 지상파와 유료방

송사업자는 정규방송을 목적으로 제작하며 이후 온라인 채널로 노출되어 ‘다시보기’ 형태

로 확산된다. 주요 포털에서 서비스하는 대표 콘텐츠의 하나이다.

둘째, 웹·모바일 전용 콘텐츠(Web·mobile Made Contents: WMC)는 기존 방송매체

2) 온라인 콘텐츠 분류는 학술적으로 명확하게 규정된 조항은 없음. 단지 “조동환, 동영상 UCC 트렌드와 전망, 한국전자거래 학술대회 발표집, 2007, pp.115-127.”. “최학현, 손지성, 동영상 UCC 서비스 전략,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7(12), 2007, pp.41-54” 등에서 언급한 내용을 필자 시각에 맞춰 다시 분류했음.

Page 8: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주간기술동향 2019. 8. 7.

6 www.iitp.kr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마, 예능, 영화 등을 모두 포함한다. 단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탈피하여 독창성을 확보하

기 위해 자체 제작 콘텐츠를 늘리는 추세이다. 주된 소비 계층은 10∼20대를 겨냥한 콘텐

츠로 웹 드라마는 2012년 “러브 인 메모리”를 시작으로 2016년까지 67편이 제작되었다.

기존 TV 드라마보다 적은 제작비로 만들며 상대적으로 경험이 부족한 인력이 참여한다는

것이 한계이다. 주로 소수가 제작하여 “1인 미디어 콘텐츠”로도 불린다. CJ, 아프리카TV,

트레저헌터 등이 있으며 대표 기업인 다이아TV는 650개 1인 크리에이터 팀을 보유하고

있다.

셋째, 스낵 컬처(Snack Culture)용 콘텐츠는 과자처럼 편하게 소비하는 형태의 영상이

다. 짧으면서도 빠르게 진행되는 동영상을 즐기는 젊은 세대에게 인기다. “실험성을 내포

하는 짧은 창작물”로 이용자가 흥미 있어 하거나 공감하는 파격적인 소재를 담고 있으며,

최근에는 정의를 더 넓혀 실험적인 창작물 외에도 기존에 제작된 기성미디어 제작 콘텐츠,

웹·모바일 드라마, 1인 미디어 내용을 3분 이내로 편집한 클립 영상까지 포함한다. 주된

고객은 쇼핑이나 오락, 학습까지 모바일로 해결하고 특히 이동 중에 영상을 즐기는 것에

익숙한 밀레니얼 세대(Millennial Generation)이다. 온라인과 모바일에서 주로 소비되

며 초반에는 5분 내외의 콘텐츠 위주였으나, 고정 시청자층이 두터워지면서 최근에는 15

분까지 분량이 늘어났다. RMC도 스낵 컬처용 콘텐츠를 만든다. 해당하는 대표 사례는

스마트미디어렙(Smart Media Rep: SMR)이 제공하는 방송 클립 영상이다. 유튜브를 비

롯한 온라인 영상업체 공세에 공동 대응하자는 취지에서 2014년 6월 SBS와 MBC를 중심

으로 지상파 방송사가 설립했다. 주로 네이버TV와 카카오TV에 클립영상을 공급한다. 국

내에서는 SMR에서 제공하는 방송 클립영상을 제외하면 지상파와 유료 방송사 클립영상

을 다른 채널에서는 볼 수 없다.

마지막으로, 인기 있는 VOD를 묶어 채널로 만든 유사 주문형 비디오(Near Video On

Demand: NVOD)를 꼽을 수 있다. 최근 새로 등장한 온라인 영상 콘텐츠이며, NVOD는

특정 프로그램을 여러 채널로 복수로 제공하여 시청자가 원하는 시간에 시청할 수 있게

만든 채널로 같은 장르 프로그램을 연결해 연속 편성하는 영상을 지칭한다. 장르는 드라

마, 예능, 스포츠, 음악 등 다양하며 플랫폼 사업자가 콘텐츠 판권까지 보유한 경우에 더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자세한 분류는 [표 1]을 참고하면 된다.

Page 9: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방송·스마트미디어콘텐츠

정보통신기획평가원 7

[표 1] 주요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 분류

III. 서비스 역사와 경쟁 구도

국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역사는 세계적인 업체와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다. 2004년

10월 판도라TV가 처음으로 서비스를 시작하며 온라인 동영상 장르를 열었다. 판도라TV

는 동영상과 UCC 선구자로 유튜브에 비해 1년이나 앞서 있으며, 초고속 인터넷 인프라

덕분이었다. 이는 혁신 서비스로 ICT 강국으로의 이정표를 만든 셈이다. 온라인 동영상은

크게 두 방향으로 진화를 거듭해 왔으며, 통신과 방송 같은 전통 미디어가 한 축이고,

또한 포털과 같은 신생 인터넷업체가 주도하는 서비스가 또 다른 축이다.

초기에는 인터넷에서 단순히 RMC나 UCC를 제공했다. 판도라TV를 시작으로 아프리

카TV, 곰TV, 다음팟TV 등이 줄을 이었다. 판도라TV는 유튜브보다 앞서 UCC로 생기는

수입을 콘텐츠 업체로 재분배해 주는 비즈니스 모델을 최초로 도입했다. 이어 개인 방송

위주로 아프리카TV가 출시되었고, 같은 해에 동영상 프로그램 곰 플레이어로 유명세를

떨치고 있던 그래텍(현재 ㈜곰앤컴퍼니)이 곰TV라는 이름으로 서비스에 참여했다. 유튜브

는 2008년 한국 사이트를 출시했고 대형 포털인 다음(현재 ㈜카카오)도 2007년 다음 TV

팟을 출시하여 기존 방송이나 영화 영상뿐 아니라 실시간으로 개인에 의한 방송 스트리밍

이 가능한 인프라를 구축했다. 2012년에는 NHN엔터테인먼트가 네이버 동영상 서비스를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온라인 전문업체가 실험적인 차원에서 서비스를 시작하고 반응이 나쁘지 않자 전통 미

구분 정의

기성미디어 제작 콘텐츠(Ready Made Content, RMC)

지상파 방송사, 종합편성 방송사, 유료방송사, 영화사와 같은 전문 미디어 제작 주체들이 방송편성 혹은 배포를 목적으로 제작하는 콘텐츠

웹과 모바일 전용 콘텐츠(Web∙mobile Made Contents, WMC)

콘텐츠 독창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체 제작하는 웹 드라마, 예능, 영화에 특화된 1인 미디어 콘텐츠로서 개인 주도로 기획, 제작, 유통

스낵 컬처(Snack Culture)용 콘텐츠한 편의 스토리를 온전히 담아내는 5∼15분 분량의 짧은 동영상. RMC나 WMC의 경우, 러닝 타임이 3분 이내로 편집한 매우 짧거나 장르적 제한을 뛰어넘는 콘텐츠

유사 주문형 비디오(Near Video On Demand, NVOD)

인기 있는 VOD를 묶어 채널로 만든 형태로 이동형 시청 환경에 적합한 숏클립 영상

Page 10: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주간기술동향 2019. 8. 7.

8 www.iitp.kr

디어도 움직이기 시작했다. 통신사업자는 IPTV 서비스를 통해 온라인 동영상 시장 진입을 호시탐탐 노렸다. 급기야 실시간 방송을 제외한 클립형 영상 서비스를 출시했고, 관련 법령이 도입되면서 사업권을 획득하자 본격적으로 시장에 뛰어들었다. 바야흐로 온라인 동영상시대가 개막했다.

지상파 방송사는 2000년대 초부터 각 방송사별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유료 다시보기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2009년 지상파 3사 방송콘텐츠를 함께 볼 수 있는 ‘콘팅’이라는 통합 사이트를 오픈했으나 지금은 저작권 문제로 중단했다. 불편한 플랫폼으로 별다른 주목을 끌지 못하자 EBS까지 합류하여 2012년 지상파 계열 콘텐츠를 통합 제공하는 형태로 푹(POOQ) 서비스를 오픈함으로, 이후 온라인 동영상 시장은 춘추전국시대에 돌입했다.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는 크게 사업 주체별로 다섯 계열로 나눌 수 있다. 동영상 전문업체, 방송사업자, 통신사업자, 포털업체, 소셜 미디어 계열이다. 온라인 동영상 전문 업체는 윈도나 맥OS, 모바일 버전 등 자체 플레이어나 개인이 자유롭게 방송을 할 수 있는 1인 방송국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동영상 업로드가 자유로운 동영상 플레이를 전문으로 하는 곰TV(GOM 플레이어), 판도라TV(KM 플레이어), 아프리카TV, 유튜브 등이 대표 선수이다. 원조인 판도라TV는 인터넷 방송 플랫폼에서 ‘채널’을 통해 개인이 만든 동영상을 방송하거나 배포하는 개인 멀티미디어 서비스로, 2004년 설립되어 2008년 1월 세계로 서비스를 확대했다. 2011년에는 IPTV와 스마트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케이블TV 플랫폼 에브리온TV를 출시했다.

곰TV는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인 곰플레이어를 보유하며 온라인 기반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프리카TV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운영하는 유무선 통합 미디어를 표방한다. 개인이 만드는 콘텐츠를 방송 형태로 전달하는 개인방송 형태가 주된 서비스이다. 인터넷 방송이라는 특성에 맞게 채팅 화면을 두고 콘텐츠를 만들며 창작자와 시청자 간 실시간 소통이 가능하다. 시청자가 ‘별풍선’이라는 아이템을 통해 후원하고 방송인은 이를 수익화하는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다.

글로벌 사업자 중에서는 유튜브가 독보적이다. 개인이 제작한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공유하는 플랫폼으로 시작하여 브랜드와 미디어까지 수용하는 플랫폼으로 확장했다. 일평균 1억 개 이상 콘텐츠가 유통되는 전문 미디어 강자로 성장했다. 비즈니스 모델은 광고수익이지만 광고시청 없이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유튜브 레드”를 출시하고 서비스를 강화하는 추세이다.

Page 11: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방송·스마트미디어콘텐츠

정보통신기획평가원 9

[표 2] 온라인 영상 서비스 시대별 역사

연도 사업자 서비스명 주요 특징

2004 판도라TV 판도라TV 세계 최초

2006아프리카TV 아프리카TV  -

그래택 곰TV  -

2007 다음 다음TV팟 클립 영상

2008구글 유튜브 2005 미국 출시

KT 메가TV(올레tv)  -

2009

지상파 3사 콘팅 2017.6.30 서비스 종료

SKB 하나TV(Btv)  -

LGU+ myLGtv 구글TV 결합서비스출시(2012)

2010 CJ헬로비전 TIVING CJ E&M 계열 콘텐츠(2017.1.3 주요 채널 무료 전환)

2011

HCN, 판도라 에브리온TV  -

KT 올레TV모바일 IPTV의 모바일 OTT 시작(실시간 지상파 제외)

SKT 호핀 SKB Btv별개, 2016.3 종료(대체)

2012

네이버 네이버TV캐스트 웹 예능, 웹드라마, 스포츠 생중계 특화 콘텐츠

지상파 연합 POOQ - 

SKB Btv 모바일 실시간 지상파 제외

2013 구글 크롬캐스트 동글(dongle)형 OTT 기기

2014 LG LTE비디오포털 - 생활정보, 학습정보 등 다양한 콘텐츠- 실시간 지상파 제외

2015

판도라TV 플럽 개인방송 기반 모바일 서비스

HCN 에브리온TV캐스트 동글(dongle)형 OTT 기기

다음카카오 카카오TV 카카오톡 내부 기능 추가

2016

넷플릭스 넷플릭스 이용자 경험 중심의 시스템 설계

SKB oksusu  -

프로그램스 왓챠플레이 영화 추천 서비스

2017네이버 네이버TV 미디어 플레이어와 TV 캐스트 통합

카카오 카카오TV 다음tv팟과 카카오TV의 플랫폼 통합

<자료> 주성희, 심홍진, 김청회,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 광고 효과에 관한 관한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7. 10, p.24.

Page 12: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주간기술동향 2019. 8. 7.

10 www.iitp.kr

방송사업자도 온라인 동영상 시장의 큰 축을 형성한다. 이들은 지상파나 유선방송 사업

자가 방송을 위해 제작, 편성한 콘텐츠를 인터넷으로도 제공하는 서비스로 푹, 티빙, 에브

리온TV가 이에 해당한다. 푹은 지상파 3사가 운영하는 콘텐츠 연합 플랫폼으로, 2011년

10월 서비스를 시작했다. 제휴를 통해 콘텐츠와 스크린을 확보하고 실시간 채널 43개로

지상파 온에어, 다시보기, 영화, 서비스 등 콘텐츠를 제공한다.

통신사업자도 온라인과 모바일 앱으로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한다. 대표 서비스로는 두

비두(Dovido), 옥수수(Oksusu), LTE 비디오 포털이 있다. 두비두는 KT가 제공하는 올레

TV 모바일 서비스로 독점 채널과 VR 콘텐츠 등에 비중을 둔다. 2016년 8월에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동영상 콘텐츠 촬영부터 편집, 업로드, 상품 전자상거래까지 원스톱으로 진행

하는 플랫폼을 표방한다. 초기에 중국 K뷰티 트렌드에 맞춰 뷰티 영역에 특화된 콘텐츠에

집중하고 이후 중장기적으로 영역을 확대했다.

옥수수(Oksusu)는 SK가 제공하는 동영상 플랫폼이다. 2016년 1월 시작했다. 국내 소비자가 선호하는 소설, 시나리오 등을 확보해 이를 드라마뿐 아니라 다큐멘터리, 웹툰 등 20여 편에 달하는 자체 제작물도 선보였다.

소셜 미디어 업체도 동영상 시장에 눈독을 들이는 추세이다. 소셜 미디어는 주로 공유를 목적으로 자유롭게 콘텐츠를 구독하거나 공유하는 서비스이다.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대표 소셜 미디어 서비스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과 같은 외국계 기업 서비스가 해당된다. 페이스북은 2004년 2월에 서비스를 시작했다. 자체 모바일 앱에서 동영상을 찍거나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페이스북 라이브”로 영상 서비스를 시작했다. 140여 개 언론사, 크리에이터, 연예인 등과 계약을 했으며, 미국 내에서 주요 인기 스포츠 협회와 계약을 맺고 스포츠 콘텐츠도 제공한다.

[표 3]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사업 주체별 분류

구분 서비스

온라인 영상 전문업체 판도라TV, 곰TV, 아프리카TV, 유튜브

방송사업자 POOQ, TVING, 에브리온TV

통신사업자 Dovido, 옥수수, LTE 비디오포털

포털 네이버TV, 카카오TV

소셜미디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자료> 주요 업체 자료를 기반으로 필자가 서비스를 재분류

Page 13: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방송·스마트미디어콘텐츠

정보통신기획평가원 11

인스타그램은 사진 공유 위주의 소셜 미디어 채널로서 2010년 시작되었다. 2012년 페이스북에 인수되었으며, 2016년 6월 기준 사용자가 5억 명을 돌파했다. 미국에서는 ‘이벤트’ 채널을 추가하여 스포츠 경기나 콘서트 영상을 실시간으로 시청하는 서비스도 제공 중이다. 여러 업체가 치열한 경쟁에 나서면서 시장은 날로 커지고 있다. 방송사업자뿐 아니라, 통신사, 포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s: SNS) 등 크고 작은 사업자가 경쟁적으로 참여하면서 규모가 폭발적으로 늘었다.

IV. 포털 계열의 부상과 전략

온라인 동영상 시장에서 최근 급부상하는 업체가 포털 계열이다. 포털이 운영하는 동영상 플랫폼으로는 네이버TV, 카카오TV가 있다. 네이버는 동영상 플랫폼인 “네이버TV 캐스트”와 “네이버 미디어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합하여 ‘네이버TV’를 출시해 서비스 중이다. 카카오는 포털 다음(Daum) 시절부터 다음TV팟 서비스를 운영해 왔다. 다음TV팟은 동영상과 실시간 인터넷 방송을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특정 방송사와 제휴하여 실시간 방송을 제공한다.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이 대표 사례로 TV팟 이용자는 편집 이전의 생방송을 시청할 수 있었다. 카카오는 다음TV팟과 카카오TV를 통합한 동영상 라이브 플랫폼을 구축해 서비스하고 있다.

1. 네이버 동영상 서비스 전략

네이버는 1998년 설립 후 큰 위기 없이 검색 플랫폼 ‘네이버’를 중심으로 독보적인 지위를 누려 왔다. 검색과 키워드 광고가 주력이었다. 동영상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여 2005년 12월 네이버 동영상 검색 오픈 베타서비스를 개발했다. 2006년 6월 만화 UCC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 “네이버 툰” 코너를 만들었지만 말 그대로 구색 차원이었다. 텍스트가 당시에 대세일뿐더러 굳이 동영상에 투자하지 않더라도 네이버 위상에 별 영향이 없었다. 하지만 콘텐츠 소비 형태가 텍스트에서 멀티미디어로 넘어가면서 더 이상 좌시할 수 없는 상황이 벌어졌다.

네이버는 2012년 ‘TV캐스트’라는 서비스로 영상 콘텐츠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TV캐스트는 예능과 드라마, 스포츠에 특화된 콘텐츠가 주 무기였다. 파격적인 수익 모델도

Page 14: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주간기술동향 2019. 8. 7.

12 www.iitp.kr

선보였다. 수익의 대부분인 60%를 떼어가는 유튜브와 달리 광고 수익의 90%를 방송사에 제공하고 광고 영업권까지 제공하는 조건을 걸었다. 덕분에 유튜브는 트래픽에 변화가 없는 반면에 TV캐스트는 150% 이상 트래픽이 상승했다. 네이버가 많은 웹 드라마도 선보이며 갖은 노력을 다했지만, 지상파와 종합편성채널 영상을 확보하면서 얻어낸 성과였다. 네이버 스타캐스트에서 진행되었던 인터넷 생방송이 아이돌 팬덤으로부터 지지를 받았고, 이것이 발전해 네이버 ‘V앱’으로 이어졌다.

네이버는 유튜브를 넘어서기 위해 대대적인 투자에 나선다. 동영상 창작 기술 강화,

시청 편의 확대, 인공지능 기반 영상 추천 기술 도입 등 세 측면에서 진행한다. 동영상

창작 기술 수준을 높이기 위해 창작자가 동영상 제작과 송출 과정에 개성을 담고, 끊김

없이 생중계 할 수 있는 “프리즘 라이브 스튜디오”의 기술을 확대 적용한다. 라이브 스튜

디오는 콘텐츠 창작자가 라이브 상황에서 영상의 중단 없이 필터, 스티커, 배경음악 등을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다양한 플랫폼으로 동시 송출도 가능하다. 블로그 안에서 동

영상을 쉽게 편집할 수 있는 ‘무비에디터’도 내놓는다. 영상 검색을 강화하고 가상현실

영상을 개선하는 등 블로그를 통해 영상 콘텐츠가 활발하게 만들어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

하는 것이다.

2. 카카오 동영상 서비스 전략

카카오TV는 네이버와 함께 포털이 주도하는 동영상 서비스의 양대 산맥이다. 전신은 ‘다음TV팟’이다. 다음TV는 아프리카와 함께 개인방송 시대를 주도한 대표 서비스였다. 270여 개 채널을 보유할 정도로 개인 방송의 대명사였다. 다음은 2006년 다음카페, 블로그 등에서 이용자가 올린 동영상을 모아 볼 수 있는 ‘다음동영상’ 서비스를 오픈하면서 동영상 시장에 발을 내디뎠다. 2007년 다음동영상과 미디어다음 ‘tv팟’을 다음tv팟으로 통합했다. tv팟은 당시 UCC 유행으로 수많은 이용자가 올린 영상 콘텐츠가 모이는 공간이었다. tv팟은 외부 사이트로 동영상 퍼가기, 동영상 랭킹, 게임리그 생중계, 개인방송 등을 제공했으며 외부 방송, 케이블, 뉴스 채널 등과 제휴하여 영상을 제공했다. 이후 모바일 앱과 웹, 모바일 라이브 방송, 모바일 HD 화질 등을 제공하며 발전해 왔다.

카카오TV는 무엇보다 개인방송 등 창작자를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예능, 스포츠,

드라마 등 기존 방송에서 봤던 다음의 콘텐츠 동영상 클립을 카카오로 모두 이전했다.

Page 15: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방송·스마트미디어콘텐츠

정보통신기획평가원 13

[표 4] 네이버TV와 카카오TV 서비스 비교

창작자가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기술 지원책도 만들었다. 수익 관리 플랫폼 ‘비즈

스테이션’은 창작자가 직접 동영상과 라이브 방송에 간편하게 광고를 적용하거나 후원받

기를 설정하고 수입과 정산 내역을 한눈에 볼 수 있게 설계했다.

카카오TV로의 브랜드 통합은 통일성을 위한 시도였지만 효과는 나쁘지 않았다. 이용자 수치 측면에서 카카오TV는 다음tv팟 시절보다 크게 나아졌다. 카카오TV에 올라온 VOD 재생 수가 개편 전 대비 2.5배 이상 증가했다. 카카오TV 콘텐츠와 카카오톡 플러스친구를 연동한 결과 덕분이었다. 여기에 포털 서비스 다음의 PC 첫 화면 개편으로 카카오TV 섹션이 생기고, 카카오TV 메인 페이지가 신설되면서 상승세가 이어졌다.

카카오TV 개편 초 제기되었던 여러 문제도 대부분 개선되었다. 개편 당시 이용자는 지난 10년간 다음tv팟을 통해 올라온 동영상 대부분이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는 점에 대한 불만이 컸다. 카카오 측은 다음 계정과 카카오 계정을 분리하여 계정 연동 신청을 하지 않는 이상 임의로 동영상을 옮길 수 없게 조치했다. 다음tv팟이 애플의 iOS 버전 앱을 지원했음에 반해 카카오TV 개편 이후에는 iOS 앱을 지원하지 않아 해외 이용자들의 불만도 나왔지만 이 또한 해결했다.

V. 확산 배경과 파장

온라인 동영상이 확산된 데는 무엇보다 정보통신 인프라가 크게 기여했다. 방송사가

독점하던 동영상을 생산과 소비 측면에서 대중화한 주역이 인터넷이다. 인터넷이라는 새

로운 전송 채널이 대세로 굳어지면서 모바일과 PC로 동영상을 즐기는 시대가 열렸다.

통신망 속도도 빨라지면서 이동 미디어로서의 가치가 높아졌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3G

구분 네이버TV 카카오TV

개편 출시 2017.1.12 2017.2.18

통합 서비스 네이버TV캐스트 + 미디어 플레이어 다음tv팟 + 카카오TV

특징

- 방송사 협업 드라마, 예능 등 주제별 콘텐츠 강화- 연내 누구나 채널 개설, 운영할 수 있도록 개편- 동영상 콘텐츠에 5년간 150억 원 투자

-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와 연동- 대도서관, 허밥 등 유명 크리에이터 “카카오TV PD”

로 참여- 상반기 PD 후원하기, 개인방송 기능 추가

<자료> 네이버와 카카오 홈페이지 자료를 참고해서 재분류

Page 16: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주간기술동향 2019. 8. 7.

14 www.iitp.kr

의 20~30배에 달하는 광대역 LTE라는 강력한 모바일 플랫폼에 의해 IPTV의 고화질 콘

텐츠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초고속 인터넷이 확산되고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가 활성화하면서 실시간 미디어 시청 환경이 마련된 것이다. 시스코가 조사한 글로

벌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전망(2014~2019년)에 따르면, 모바일 동영상 트래픽은 해마다

35%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트래픽 증가는 대중의 동영상 시청 형태가 이동 미디

어로 계속 집중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증가 추세를 미루어 볼 때 네트워크와 모바일 기기

발달이 앞으로 온라인 영상 시대를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문화 측면도 빼놓을 수 없다. 영화나 TV처럼 앉아서 정적으로 동영상을 감상하는 데서

직접 찾아서 보는 문화가 자리 잡았다. 언제 어디서 누구든지 접속이 가능한 시대가 도래함

으로써 시청형태와 습관이 바뀐 것이다. 자신이 원하는 동영상을 별도 저장장치를 통해 개

인적으로 보관하지 않고 클라우드 저장소를 이용한다. 단순히 보이는 동영상을 수동적으로

시청하던 행태에서 직접 방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양방향성과 능동성이 시청 방식 키워드

로 떠올랐다. 취향에 맞는 방송 프로그램을 소셜 미디어 형태로 공유하는 등 미디어는 더욱

개인화되었다. 덩달아 영상을 소비하는 채널은 TV에서 스마트폰과 PC와 같은 개인 단말로

확대되었다. 방송사 주도의 동영상 독점에서 경쟁 체제로 대변환이 이루어진 것이다.

스트리밍 기술도 한몫 했다. OTT(Over The Top)를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를 확산시킨

주역으로 꼽는 배경이다. OTT는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 기기로 영화와 TV 프로그램과

같은 영상 콘텐츠를 마음껏 볼 수 있는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이다. 인터넷을 통해 볼

수 있는 동영상 서비스를 일컫는다. 전파나 케이블이 아닌 범용 인터넷망으로 영상 콘텐츠

를 제공한다. 고정된 TV 시청에서 벗어나 이동 중에도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콘텐츠를 시청하고 구독하는 동영상 소비 형태가 자리 잡으면서 온라인 영상 콘텐츠 수요

가 크게 늘었다.

무엇보다 동영상 콘텐츠를 생산하는 주체가 폭발적으로 늘었다. 콘텐츠 제작비용과 유

통 비용이 획기적으로 감소하면서 1인 제작자로 불리는 다중 채널 네트워크(Multi Channel

Network: MCN)와 같은 새로운 방식의 콘텐츠 제작업체가 떠올랐다. MCN은 콘텐츠

창작자를 발굴해 지원하고 이들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며 창작자가 콘텐츠를 인터넷에 게재

할 수 있는 플랫폼 역할을 지원해 주는 주역이다.

Page 17: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방송·스마트미디어콘텐츠

정보통신기획평가원 15

VI. 결론

동영상 자원은 일차적으로 창작자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지만 한 사회와 공동체가 직면

한 여러 현상과 이슈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사회 기록으로서의 가치를 갖는다. 사회와 시대

의 문화 정체성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증거로도 의미가 크다. 포털이 주도하는 온라인

동영상은 인스턴트 형태로 당장 소비하는 기록물로 가치가 없는 영상으로 주된 흐름이

아닐 수 있다. 그래서 짤막한 인스턴트 영상이 보존 기록물로서의 가치가 있는가에 대해서

는 여전히 논란거리이. 하지만 온라인 영상은 엄연히 시대를 반영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시대의 트렌드를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한 문화 사회적 지표인 셈이다. 사회 흐름과

콘텐츠 소비층의 시대 분위기를 반영한다는 측면에서 엄연한 기록물로 봐야 한다.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크게 네 가지를 제안하고 싶다. 먼저 체계적인

관리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온라인 동영상은 아직 명확한 분류 체계조차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자료 수집에서 보관, 유통까지 일련의 프로세스를 모두 해당 기업에 일임

해야 한다. 대국민 서비스를 위해서는 포털업체와 함께 분류에서 보관까지 관리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사기업이 이를 감당하기는 한계가 많다.

두 번째, 온라인 동영상을 확보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한다는 측면에서의 중요성이다.

온라인 동영상은 최근 크리에이터가 늘면서 저변이 확보되었지만 여전히 제작과 유통이

독과점 형태로 지상파와 대기업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기업 특성은 경제 원리에 따라

수익 위주 구조를 갖추고 수익을 내기 위해 여러 사업이 진행되었다가 폐지되는 행태를

되풀이 한다. 이 과정에서 사장되는 온라인 동영상이 부지기수다.

세 번째, 문화적 특성을 살리면서 동영상을 글로벌 콘텐츠로 키우는 방안을 기업과 같이

고민해야 한다. 동영상은 문화와 관련된 산업이다. 유튜브와 같은 플랫폼 덕분에 실시간으

로 세계 곳곳에서 온라인으로 동영상을 편하게 즐길 수 있는 시대이다. 동시에 동영상이

세계로 뻗어 나갈 수 있는 기회가 무궁무진하다는 이야기다. 문화적 특성을 살리면서 동영

상을 세계화하는 방안을 기업과 같이 고민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동영상 창작자를 위한 지원 시스템을 강화하는 방안을 꼽을 수 있다.

유튜브가 독주할 수 있는 배경은 강력한 콘텐츠이다. 볼 만한 콘텐츠가 많으니 당연히

사용시간이 길어졌다. 경쟁력 있는 콘텐츠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재능 있는 창작자가 많아

Page 18: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주간기술동향 2019. 8. 7.

16 www.iitp.kr

야 한다.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은 기존 미디어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모바일을 포

함한 온라인은 미디어 시장에 지각변동을 일으킨 주역이다. 당분간 디지털과 모바일화는

가장 강력한 동영상 서비스 변화의 주역이 될 것이 확실시된다. 지식정보를 접근하고 소비

하는 형태에도 지금보다 더 큰 변화가 불가피하다. 온라인 동영상을 단순히 일시적인 현상

이 아닌 시대의 변화상으로 바라봐야 한다.

[ 참고문헌 ]

[1] 뉴스1, “‘유튜브 천하 동영상’, 한국 대표 옥수수TV 등 밀려”, 2019. 6. 18. [2] 조동환, “동영상 UCC 트렌드와 전망”, 한국전자거래 학술대회 발표집, 2007, pp.115-127[3] 최학현, 손지성, “동영상 UCC 서비스 전략”,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07. 7(12), pp.41-54.[4] 김선애. “영상분야 포털자원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 비블리아 발표 논집, 2009. pp.129-150.[5] 김동아, 남정숙, “웹 드라마 등장과 포털의 대응 전략”,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5. pp.38-43.[6] 서기만, “OTT서비스 이해와 전망”, LG경제연구원, 2015, pp.13-15.[7] 이선희, “온라인동영상 서비스 이용자특성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7, 7. 17 7, pp.1-13,[8] 강병준, 류현정, “공저, 구글 vs 네이버”, 전자신문사, 2008, pp.100-113. [9] ETRI 연구원 공저, “훤히 보이는 스마트TV”, 전자신문사, 2012. pp.120-130.[10] 강병준, 전지연, “케이블 전쟁, 이콘”, 2017, pp.120-130.[11]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매체 이용 행태조사”, 2016, 2017, 2018, 주요 지표 트렌드, pp.7-35.

Page 19: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ICT 신기술

정보통신기획평가원 17

I.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해

클라우드 서비스(Cloud Service)는 회사 자체적인 온-프레미스(On-Premise) 서버에서 제공되는 것과는 달리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공급자의 서버에서 인터넷을 통해서 사용자가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서비스를 통칭한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자원 및 서비스 확장이 쉽고, 언제 어디서나 가능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가 서비스를 관리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1]. 본 고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이라는 용어는 Amazon, GCP, Azure, KT 클라우드와 같은 IaaS 및 PaaS를 지칭하고, 클라우드 기반의 SaaS(Software as a Service)를 클라우드 서비스라고 한정적인 의미로 사용하여 클라우드 컴퓨팅과 구분하여 사용한다.1) 대표적인 클라우드 서비스로 Google의 G Suite, 마이크로소프트의 Office365, Sales Force, Slack, Crowdstrike2) 등을 생각하

* 본 내용은 조재영 코디(☎ 070-4795-5595, [email protected])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1) SaaS 서비스도 다양해짐에 따라서 멀티테넌트(Multi Tenant) 기반의 사용자가 서비스를 변경하거나 정의할 수 있는

구조도 있지만, 여기서는 소프트웨어 정의 애플리케이션(Software Defined Application: SDA)은 고려하지 않고 제공되는 기능을 온전하게 사용하는 서비스만을 고려한다.

2) SaaS 형태로 Endpoint Detection & Response 보안 기술을 제공하는 신규 업체(https://www.crowdstrike.com/). Gartner 2018 Magic Quadrant의 Visionary에 올라 있음

chapter 2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방안

•••조재영 ‖ 클라우드서비스 코디

ICT 신기술

Page 20: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주간기술동향 2019. 8. 7.

18 www.iitp.kr

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회사의 이메일 서비스용으로 Office365나 Gmail을 사용하고 회사 내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 Slack이나 잔디를 사용한다. 이 밖에 회사에서 사용되는 HR, Finance, 협업, BI, 보안 분야에서도 사용되고, 심지어 개발 분야에서도 SaaS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에 다양한 회사들이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2].

최근에는 이런 설치형 제품들이 SaaS 형태의 서비스로 전환되고 있다.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 외에도 데이터베이스, 보안 서비스, ERP 등 서비스 관점에서는 카테고리 구분이 쉽지 않은 제품 및 서비스 등도 SaaS 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로 이전하거나 새롭게 개발되고 있다[3].

최근에 국내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비즈니스만 주목받아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들이 부각되지 못하고 있지만 대표적인 SaaS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인 Google과 Microsoft를 제외하더라도 많은 SaaS 서비스 회사들이 기존 비즈니스 영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4].

Ⅱ. 클라우드 서비스의 특징

1. 클라우드 컴퓨팅과의 차이

클라우드 컴퓨팅의 대표적인 서비스는 IaaS, PaaS 서비스이고, IaaS와 PaaS 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SaaS 서비스이다. 업체에 따라서 일부 SaaS 서비스까지 제공하

[그림 1] 글로벌 SaaS 제공 회사 리스트

Page 21: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ICT 신기술

정보통신기획평가원 19

[표 1] 클라우드 컴퓨팅과 클라우드 서비스 비교

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도 있어서 클라우드 컴퓨팅과 클라우드 서비스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은 쉽지 않다[5].

클라우드 컴퓨팅은 HW, SW, 네트워크 등의 리소스를 제공받아 회사에서 사용하는 애

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으로 이전하여 사용하는 형태로, 내부에 많

은 비용을 투자하여 전산실이나 관리인원을 구성할 필요가 없고, 요청이 갑자기 많아지는

경우에도 계약범위 내에서 자동 스케일링(Auto Scaling)을 조절하여 변화가 많은 대용량

요청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글로벌한 클라우드 컴퓨팅 업체를

이용한다면 전 세계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에 각 지역의 네트워크를 효과적으

로 이용하여 빠른 응답시간을 보장할 수 있다. 관리측면에서도 필요한 경우에 필요한 리소

스(서버,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를 할당받아 사용하기 때문에 구성도 간편하고 상대적으

로 비용도 저렴한 편이다[6].

클라우드 서비스는 서비스가 SaaS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제공하는 업체에서 운영 환경을 구축하고 서비스도 관리하며 기능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준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만을 이용하며 되기 때문에 브라우저 외에 다른 SW가 필요 없고 서비스의 높은 성능과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2. 클라우드 서비스 특징

클라우드 컴퓨팅은 제공업체의 데이터센터를 통해서 동작되며, 클라우드 서비스인 SaaS도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클라우드 컴퓨팅환경에서 동작을 한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구분 클라우드 컴퓨팅(IaaS, PaaS) 클라우드 서비스(SaaS)

실행 환경 클라우드 클라우드

요금체계 사용량기준 구독비용

서비스 모델 사용하는 업체별로 비즈니스 구현 공통된 서비스 제공

서비스 대상 내부 직원이나 사전에 지정된 고객 서비스가 필요한 고객

제공되는 서비스 Network, Storage, Server, Database, Security, Applications Services

서비스 액세스 방법 내부 인증 및 권한 체계 이용 제공되는 표준방법 이용<자료> 클라우드서비스코디 자제 제작

Page 22: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주간기술동향 2019. 8. 7.

20 www.iitp.kr

① 관리자에 의한 서비스 구축 시간을 절감

② 서비스 요청변화에 따른 서비스 확장성(Scalability) 용이

③ PC, 스마트폰 등에서 서비스를 사용하기 편함

④ 집중화된 보안관리로 다양한 위험에 빠르게 대처

⑤ 글로벌 서비스로 표준화되어 특정국가에 비종속적인 서비스를 제공

⑥ 계획적이고 사용자 요청에 따른 빠른 기능 업그레이드

⑦ 구축 및 운영시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비용

⑧ 사용자 중심의 UI/UX 환경 제공 및 타 인터페이스(I/F)와의 호환

⑨ API 및 웹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한 통합 및 데이터 이용방법을 제공

이런 특징으로 SaaS를 사용하는 고객입장에서는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복잡한 내부

구조나 SW 아키텍처에는 상관할 필요가 없고, 오로지 사용하는 서비스의 기능에만 집중

할 수 있다. 또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PC 및 스마트폰에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고, 다른 시스템과 연동하여 API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사용

자가 원하는 형태로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서비스업체에서 발급받은 라이선스를 이용하여 로그인하면 원하는

환경이 모두 구성되고,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면 간단하게 계약만 해지하면 그만이다. UI

나 새로운 스마트 디바이스의 환경을 고민할 필요 없이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사용

이 가능하고 글로벌 제품일 경우 전 세계 사용자가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소통을 하는데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글로벌 환경에 익숙하게 해주는 추가적인 장점도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사용 품질에 대해서 SLA(Service Level Agreement) 계약을 통해

사용시간을 보장받는데 서비스 업체에서 제시하는 SLA 기준은 일반 소비자가 불편을 느

끼기에는 짧은 시간으로 On-Premise 환경에서의 장애시간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으

로 업무에 불편이 없을 정도의 시간이다[7].

마지막으로 기업이나 학교에서 SaaS 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때 가장 큰 장점

은 국제 표준 업무 프로세스(de factor Standard)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IaaS나

SaaS 등에 직접 개발을 하거나 패키지 SW를 설치하여 이용할 경우에는 기업이나 조직,

학교에 맞게 커스터마이징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이런 단계가 오히려 업그레이드를 방해

하고 새로운 프로세스를 적용하기 어려운 환경을 만들게 된다. 더 좋은 프로세스나 업무방

Page 23: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ICT 신기술

정보통신기획평가원 21

식이 적용되지 않고 내부적인 폐쇄적인 사일로(Silo) 구조가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시

간이 지나면서 내부 독립적인 프로세스 절차는 글로벌하게 사용되는 프로세스보다 생산성

에서 뒤처지고 외부의 프로세스와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3. 클라우드 서비스 Trade-off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클라우드 서비스의 많은 장점들은 기업이나 조직에 도입 시 단점으로 나타나는 상충(Trade-off)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Subscription(사용료) 비용을 내면 누구나 바로 계정이 발급되고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On- Premise 환경에서 구축하는 것보다는 획기적으로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은 있지만, 사용자나 담당자가 해당 서비스에 대해서 충분히 테스트 및 이해를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On-Premise 환경에서 솔루션을 이용하여 업무환경을 구성하거나 동일한 환경을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구성할 경우에는 서비스 기획부터 사용까지 아무리 짧아도 6개월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고, 기획→도입→커스터마이징→테스트→변화관리 과정을 진행하면서 관리하는 담당자나 사용자들이 사전에 학습할 수 있는 시간과 업무조정 단계를 거친다. 필요한 경우에는 기존 솔루션에서 제공하는 기능과 현재 상태의 Gap 분석(차이분석)을 통해 커스터마이징을 진행하게 되어 현행 업무 프로세스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커스터마이징이 일반화된 국내에서는 커스터마이징 단계를 통해 솔루션의 특징도 이해하고 도입시간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었다.

하지만, 클라우드 서비스는 사용 계약을 하고 비용을 지불하는 순간부터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서비스에 익숙해지는 시간이 부족한 상태에서 바로 업무에 사용하게 되면서 혼란과 오해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커스터마이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회사의 업무 프로세스를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프로세스에 맞춰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과거에는 SI업체나 회사 전산실을 통해 요구사항을 전달하면 현재의 업무환경에 딱 맞는 시스템을 사용했었는데, 고성능, 다기능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오히려 회사의 업무 프로세스를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프로세스에 맞춰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회사나 학교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제공되는 기능 중에서 서비스 확인을 통해 적용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결정하고 PoC(Proof of Concept) 및 일부 부서 시범적용을 통해서 서비스의 특징을 이해하고 조직에 적합한 방법 및 서비스

Page 24: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주간기술동향 2019. 8. 7.

22 www.iitp.kr

를 도입, 적용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이런 일련의 변화과정이 생략된 채 전사적으로 서비스를 도입하게 되면 회사에서 생각하는 서비스와 제공되는 서비스의 수준의 차이가 발생하고, 심할 경우에는 동일한 서비스도 사용자가 이해하는 기능 해석의 차이로 기능을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서비스 활용 측면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API나 웹서비스(Web Service)를 이용하여 회사의 시스템들에서 제공할 경우 동일한 서비스를 기존 시스템에 매쉬업(Mash-up)하게 되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사용의 혼란을 느낄 수 있다. 예를 들어, 캘린더 서비스의 경우에는 각 업무별, 각 시스템별로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기존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클라우드 서비스의 일정관리를 모든 시스템에 임베디드(embedded)하게 되면 사용자는 회사 내 다른 시스템에 접속해도 동일한 정보를 접하게 되어 정보의 중복성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시에도 회사 차원에서 충돌 및 관리 부분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Ⅲ. 클라우드 서비스 업무 도입 방법론

앞에서도 언급한 것과 같이 클라우드 서비스는 계약한 비용만 지불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준비된 서비스이다 보니 회사나 조직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이런 장점 때문에 오히려 업무 수행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트레이드오프(Trade-off) 관계의 특성 때문에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해야 부작용 및 실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개발방법론은 다음과 같다. 기존 정보공학

방법론처럼 단계적으로 분석→설계→개발→테스트를 하는 절차와는 다르게 제공받는 서

[표 2]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준비 방식

구분 주요 내용

기능 테스트 - 제공되는 서비스 확인- 단위/통합 테스트

PoC - 사용하려는 테스트 확인- 실제 환경에 맞춰 구성

방식 전환 - 기존 업무방식의 전환- 새로운 표준방식 도입

<자료> 클라우드서비스코디 자제 제작

Page 25: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ICT 신기술

정보통신기획평가원 23

비스 기능을 확인하고, 사용자 요구사항과의 차이를 확인하고, 실제로 업무환경에 맞게

구성하고, 기존 업무방식을 전환하는 등의 절차가 각 단계별로 진행이 되어, 사용자와 담

당자가 기능에 대해서 이해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8].

1. 기능 테스트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에서는 대부분 모든 기능에 대한 기능 리스트(Feature

List)를 제공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제공되는 기능이 너무 많고, 서비스이기 때문에 UI기

준이나 기능단위 개념으로 설명하기에는 너무 복잡하고, 마지막으로 개발 및 변경이 지속

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현재의 리스트가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기존의 설치형 제품의

경우에는 모든 기능이 정리가 되어 있고, 주기적인 업데이트가 문서로 제공될 정도로 변경

이나 업데이트가 많지 않았지만,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수시로 진행되기 때문에 해당 서비

스 직원들도 지속적으로 유튜브나 블로그를 확인하지 않으면 기능 파악이 쉽지 않은 상황

이다.

이렇게 많은 기능을 제어 혹은 관리하지 않고 기업이나 조직에서 바로 사용한다면 사용

자 간의 활용능력에 따라서 혼란이 발생하고 업무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회사나 기업

에서 사용하는 기능의 명칭과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명칭 간에 의미 차이가 발생

할 수 있기 때문에 용어에 대한 정의도 필요하다. 예를 들어, ‘동기화(Sync)’라는 기능의

<자료> 클라우드서비스코디 자제 제작

[그림 2]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방법론

Page 26: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주간기술동향 2019. 8. 7.

24 www.iitp.kr

개념은 사용자 간에서도 수준의 차이와 이해의 차이가 발생하지만 국가별 각각의 기업에

서도 사용하는 방식이나 이해의 깊이가 다르다. 이런 이유로 클라우드 서비스업체에서

제공하는 Sync(동기화) 기능을 내가 이해하는 동기화 기능으로 이해하고 사용한다면 원하

는 서비스 수준과 차이가 발생할 것이다. 일단은 클라우드 서비스의 Sync 기능을 매뉴얼

을 이용하여 직접 테스트해보고, 해당 서비스를 이해한 다음에 내가 아는 동기화 기능과

비교하여 조직이나 기업에서 원하는 동기화와의 차이에 대해서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테스트 단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단위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를 진행한다. 단위 테스트는 하나의 기능에 대한 테스트로 클릭이나 입력을 통한 결과 값 확인을 통해 진행할 수 있고, 사용하려는 기능에 대한 테스트를 작성하여 회사 내에서 공유하며 결과를 확인한다. 통합 테스트의 경우에는 해당 결과가 다른 액션을 추가적으로 요구하거나 다른 사람의 반응이 필요한 테스트들이다. 결재시스템이나 프로세스에 관련한 테스트에서 많이 사용되며, 여러 가지 케이스를 준비하여 경우의 수에 맞게 동작하는지 등을 함께 테스트해서 확인한다.

2. PoC(Proof of Concept) 진행

국내 기업에서 외국과 함께 일할 때 공통적으로 느끼는 어려움 중에 하나는 한국적인 IT 문화이다. 특히, 결재 프로세스는 국내에서만 존재하는 문화로 글로벌 SW로 구현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워크플로우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솔루션과의 업무 이해도가 다르기 때문에 워크플로우 SW를 테스트해보면 대부분이 국내환경에 맞지 않는다는 공통된 생각을 하게 된다. 클라우드 서비스에서도 이런 현상은 국가 간, 업무 간, 사용자 활용능력 간에 나타나게 되고, 조직이나 기업도 이런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사전에 정확하게 사용 방법을 정의하고 사용해야 한다. 사전에 조율을 못하고 도입한다면,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방법 대신에 임의의 방법으로 사용하게 되므로 업무를 정상적으로 처리하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PoC 진행 시에는 다음의 절차를 준수해야 한다.

① 적용하려는 프로세스 정의: 회사의 모든 프로세스(업무)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적용하지 말고 서비스 거버넌스를 통해 필요하고 정리된 서비스에 적용

② 클라우드 서비스와의 갭 분석: 기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클라우드 서비스

Page 27: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ICT 신기술

정보통신기획평가원 25

에서 제공되는 내용과 제공되지 않는 내용을 분석③ 실제 환경에 맞게 구성 후 업무수행: 갭 분석에 의해서 차이점은 프로세스 변경을

통해 변경 후 적용하고, 기존 업무를 그대로 하는 방법이 아닌 새로운 업무 형태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적용

클라우드 서비스 전체를 업무에 적용하는 방식이 아닌 일부 서비스를 사용하여 기존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에는 회사의 서비스 거버넌스 체계를 구성하여 필요로 하는 시스템

이나 사용처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API나

웹서비스 방식을 제공한다면 간단한 OAuth2.0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해당 서비스의 정

보를 이용할 수 있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3. 일하는 방식의 전환(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클라우드 서비스는 클라우드에서 동작하고 해당 데이터가 클라우드에 저장이 되며, 이

용하는 형태도 내부망이 아닌 외부 인터넷 망을 이용한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글로벌하게

<자료> 클라우드서비스코디 자체 작성

[그림 3] 클라우드서비스 정의 및 수행 절차

<자료> 클라우드서비스코디 자체 작성

[그림 4]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 거버넌스 체계

Page 28: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주간기술동향 2019. 8. 7.

26 www.iitp.kr

서비스되기 때문에 지역이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전 세계 많은 사용자의 의견을 수용

하여 글로벌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과거 SAP에서 업무 도메인별 우수한 Practice를 프로

세스에 반영하여 타 기업에서 참조할 수 있도록 했던 방식처럼[9], 클라우드 서비스에서는

전 세계 사용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최적의 사용 프로세스를 만들고 있다. 또한, 경쟁관계

에 있는 서비스라면 상호간의 서비스 경쟁으로 끊임없는 프로세스 개선이 진행되고 있다.

클라우드 시대에서는 회사 자체의 노하우가 녹아있는 업무처리 프로세스보다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한 De Facto Standard(사실상의 표준)를 따르는 것이 업무 생산성을 높일

수가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한 내부 프로세스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할 경우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① 사용자 측면: 내부 사용자뿐만 아니라 업무에 관련한 외부 협력업체 및 일반 사용자

도 참여한 다양한 업무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

고 불필요한 업무를 줄일 수 있음

② 이용자원 제약: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용량이나 데이터베이스의 한계에 따른 제약사항이 없기 때문에 다양한 계산 및 용량 저장이 가능하고 이에 따른 복잡한 계산이 가능

③ 스마트폰 및 외부 기기의 이용: 누구나 갖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 및 개인용 PC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때와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활용이 가능

④ 다양하고 쉬운 서비스 이용: 고성능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면 기존 개발에 의존하던 비즈니스에 새로운 응용이 가능하고 새로운 아이디어가 쉽게 적용될 수 있으며, 글로벌 표준 방식의 도입으로 생산성 향상 및 외부 인터페이스(I/F)에 용이함

Ⅳ.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시 고려사항

클라우드 서비스가 비용만 내면 바로 사용할 수 있고(적시 제공, Just-In-Time) 완성도나 성능이 좋기 때문에 항상 좋을 거라는 기대감이 앞에서 언급한 복잡한 도입방법론을 확인하면서 다소 낮아졌으리라 생각한다. 그래도 클라우드 서비스를 회사에 적용하여 디지털 전환을 시도해보고 싶다면 다음의 사항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Page 29: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ICT 신기술

정보통신기획평가원 27

1. 업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디지털 기술이 소개된 지 20년이 넘었고, 대부분이 100만 원이 넘는 고성능 스마트폰과

고가의 랩톱, 5G 무선인터넷을 사용하지만 업무방식은 아직도 30년 전과 비교해서 별로

달라진 게 없다. 단지, 종이로 일하던 방식이 전자화되어 파일이 스토리지에 저장이 되고

팩스보다는 이메일로 주고받는 정도이다. 아직도 채팅보다는 전화로 소통하고 멀리 있는

사람을 불러서 한 공간에서 회의를 해야 업무를 제대로 한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작성한

보고 내용을 출력해서 내용의 전체를 이해하고 다시 그 문서에 빨간색으로 코멘트를 달아

서 작성자에게 돌려보낸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장점은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업무를 할 수 있는데 이런 기존의

업무방식은 클라우드 환경과는 잘 맞지 않는다. 오히려 빠른 비즈니스 변화나 활용이 기존

업무에 맞지 않을 수도 있다는 걱정스러운 부분이 생긴다. 기존 아날로그식 업무방식을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하지 않는다면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용에는 제한이 있고 큰 효과를

보기 어렵다. 기존의 업무방식을 클라우드 환경에 적합하게 개선하여 변화를 도입하는

등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2. 모니터링체계

온프레미스 방식으로 관리하던 시스템이나 서비스는 IT 부서의 대시보드를 통해 성능

을 모니터링한다. 서비스에 문제가 있으면 바로 알람이 작동을 하고 대처할 수가 있고,

CPU나 리소스 확인을 통해 사용량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다. 클라우드 서비스에서도 이와

유사한 사용 대시보드를 제공하여 사용량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의 사용형태에

따라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변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모니터링 환경 구축이 중요하다. 서비

스 장애는 사용 시 SLA(Service Level Agreement)를 통해 관리가 되기 때문에 장애에

의한 업무의 중단보다는, 서비스가 처음에 계획했던 방법으로 정확하게 사용이 되고 있는

지에 대한 확인이 중요하고, 사용이 안 될 경우에는 제공되는 콘텐츠에 문제가 있는지

아니면 서비스 이용 역량이 부족한지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서비스 사용을 관리해야 한

다. 클라우드 서비스에서는 서비스보다는 오히려 제공되는 콘텐츠의 문제로 사용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콘텐츠에 대한 체계적인 품질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예를

Page 30: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주간기술동향 2019. 8. 7.

28 www.iitp.kr

들어, 문서관리 서비스를 제공 시 실제로 저장되어 있는 회사 문서 품질이 안 좋으면 직원

들의 사용도가 떨어진다. 이런 경우에는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품질

개선 노력도 함께 진행되어야 하고, 향후 저장되는 콘텐츠도 풀질관리 체계를 만들어서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Garbage-In Garbage-Out).

3. 사용자 변화관리

클라우드는 디지털 환경에서 동작이 되고 디지털 환경을 통해 업무전환을 하고 생산성

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디지털 사용역량 향상과 체계적인 디지털로의 변화관리를

통해 진행되어야 한다. 감당하기 힘든 변화보다는 가능한 목표를 정하여 단계별로 역량강

화와 강력한 리더십을 통해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 지나친 욕심이나 방법은 오히려 해가

되어 전환을 중간에 포기하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모든 사용자의 디지털 역량을 높이

고 한 방향으로 가게 하는 과정에는 우리가 경험해보지 못한 어려움이 도처에 쌓여 있어

생각보다 쉽지 않다.

Ⅴ. 결론

클라우드 서비스는 시대적 흐름이다. 업무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서비스들이

지속적으로 소개되고 있고 기존의 서비스들도 외부 환경에 맞게 진화하고 있어, 사용하는

기업이나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IaaS, PaaS와 같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에서 멀티테넌트 환경에서 제공되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과거의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서비스보다 진화된 서비스의 다양성과 성능을 제공한다[10]. 하지만, 이런 장

점이 오히려 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부족하게 하여 부작용과 도입 실패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하여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디지털 사용역량도

보장이 되어야 하고 경영진의 리더십과 함께 구성원들의 의지가 모아질 때 비로소 클라우

드 서비스의 진가가 발휘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서는 승자독식의 시대로 하나

의 회사만이 시장에서 살아남는 무서운 시대가 될 것이고 빠른 비즈니스 환경에 쉽게 적응

하는 역량이 중요한 시대가 될 것이다.

Page 31: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ICT 신기술

정보통신기획평가원 29

클라우드 서비스의 잠재력을 이해해서 기업이나 대학교가 필요한 부분에 도입하여 비용

절감과 함께 글로벌 프로세스 도입에 빠른 비즈니스 전개를 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기를

기대한다.

[ 참고문헌 ]

[1]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품질·성능 안내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18년 3월 [2] SaaSBrief, It’s a Rough Time to Be a Startup – Here’s What You Can Do About It

OpenView Labs, 2019년 5월 20일[3] Hubspot, The Top 30 SaaS Companies & Products to Watch in, 2019년 5월 14일[4] 데이터그리드, [주간 클라우드 동향] 국내SW업계, SaaS에서 기회를, 2019년 7월 1일[5] 고영하, 클라우드컴퓨팅 발전법의 주요 내용 및 개선방향에 관한 소고, 한국인터넷진흥원, KISA

Report, 2016년 3월, 11페이지[6] 권애라, 클라우드 서비스 확산에 따른 IT 생태계의 변화와 대응방안, 산은경제연구소, 2012년 2월,

86페이지[7] 송석현, 클라우드 컴퓨팅 SLA에 대한 고려사항,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TTA Journal Vol.139,

2012년 1월, 59페이지[8]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https://ko.wikipedia.org/wiki/[9] Gartner, 2019.04.02. https://www.gartner.com/en/newsroom/press-releases/[10] 김형환 외, SaaS 기술 개발 동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4권 제4호 2009. 8,

p.15.

Page 32: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주간기술동향 2019. 8. 7.

30 www.iitp.kr

*

I. 결과물 개요

II. 기술의 개념 및 내용

1. 기술의 개념

AR/VR, 홀로그램, 자율주행 등 5G 서비스의 대용량/고화질 멀티미디어 트래픽의 고속 처리를 위한 5G 빅데이터 트래픽 초고속 전송 기술은 3GPP 표준 인터페이스 기반

* 본 내용은 최영일 책임연구원(☎ 042-860-5330, [email protected])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은 현재 개발 진행 및 완료 예정인 ICT R&D 성과 결과물을 과제 종료 이전에 공개하는 “ICT

R&D 사업화를 위한 기술예고”를 2014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바, 본 칼럼에서는 이를 통해 공개한 결과물의 기술이전, 사업화 등 기술 활용도 제고를 위해 매주 1~2건의 관련 기술을 소개함

개발목표시기 2019. 12. 기술성숙도(TRL)개발 후

TRL 6

결과물 형태 SW-Platform 검증방법 자체검증

Keywords 5G 코어 네트워크, AMF, SMF

외부기술요소 100% 개발기술 권리성 특허, SW, SW-IP, 설계도

chapter 3-1

5G 빅데이터 트래픽 초고속 전송 기술

•••최영일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ICT R&D 동향

Page 33: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ICT R&D 동향

정보통신기획평가원 31

의 트래픽 제어, 멀티 액세스망을 이용한 트래픽 분산처리, 고속 트래픽 처리 전용 H/W 및 S/W의 세부 기술로 이루어지며, CUPS(Control and User Plane Separation)에 의한 제어와 트래픽의 완전한 분리처리로 빅데이터 트래픽의 고속 전송이 가능- 3GPP Rel 15 표준 인터페이스 기반의 트래픽 제어: CUPS에 의한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와의 N4 인터페이스를 통한 PDR/FAR/QER/URR Rule enforcement를 기반으로 하여 UPF(User Plane Function)를 제어

- 멀티 액세스망을 이용한 트래픽 스플리팅(Splitting): 액세스망에 독립적인 Common 코어 네트워크를 지향하는 5G 코어 망은 멀티 액세스망을 통한 트래픽 스티어링(3GPP에서는 트래픽의 스티어링/스위칭/스플리팅 용어를 구분하여 사용하고, 스플리팅은 동일 데이터 스트림을 분산 처리함을 의미함) 기능을 가짐

- 고속 트래픽 처리 전용 H/W 및 S/W: 대용량 트래픽의 고속처리를 위해서는 CP와 분리된 고속처리용 전용 H/W와 트래픽 전송을 위한 최소한의 패킷 처리 S/W가 필요하므로 별도로 구분하여 처리

2. 기술의 상세내용 및 사업화 제약사항

기술의 상세내용

- 3GPP 표준 기반 트래픽 고속 전송 기술

- 멀티 액세스망을 이용한 트래픽 스플리팅

- 고속 트래픽 처리 전용 H/W 및 S/W

<자료> ETRI 자체 작성

[그림 1] 기술 개념도

Page 34: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주간기술동향 2019. 8. 7.

32 www.iitp.kr

기술이전 범위- CUPS 기반의 트래픽 제어 및 고속 전송 기술

* N4 인터페이스 기반의 PFCP(Packet Forwarding Control Protocol) 프로토콜 기능

* 트래픽 제어를 위한 PDR/FAR/QER/URR rule enforcement API 처리 기능* N3 인터페이스 기반의 확장된 GTP-v1 트래픽 프로토콜 기능 * Intra-GW 및 Inter-GW Handover 처리를 위한 트래픽 제어 및 포워딩 기능

- 트래픽 스플리팅(Splitting) 전송 기술* 트래픽 스플리팅 처리를 위한 게이트웨이 제어 기능* 5G 세션 제어를 통한 스플리팅 응용 및 추가정보 전달 기능* 스플리팅 응용 트래픽 제어를 위한 PDR/FAR/QER/URR rule enforcement API

처리 기능* 스플리팅 응용 트래픽의 통합 전송 기능

사업화 제약사항- 해당 기술이 사용될 서비스 환경 및 사업화 요구사항의 상이함에 따른 환경 정합

및 시스템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수정 작업들이 발생할 수 있음

III. 국내외 기술동향 및 경쟁력

1. 국내기술 동향

국내에서는 KT, SKT, LGU+의 통신사업자를 중심으로 5G 조기 상용화를 위해 LTE 코어 망에 5G 기지국을 연동하여 서비스하는 5G-LTE 복합 표준(NSA-Non Stand Alone) 기반으로 상용화를 추진 중

현재 5G SA(Stand Alone) 표준에 필요한 5G 코어 네트워크 장비는 삼성전자를 비롯한 국내 관련 중소기업이 개발 중이긴 하나 아직 국내에 보급되어 운용되는 사례는 없는 것으로 보임- 특히, 본 기술과 관련된 3GPP 표준기반 대용량 트래픽 분산처리 가능한 UPF 제품은

아직 국내에 상용화가 되어 있지 않음

Page 35: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ICT R&D 동향

정보통신기획평가원 33

2. 해외기술 동향

Verizon은 2018년 11월 자체 규격을 기반으로 FWA(Fixed Wireless Access) 서비스를 개시하였으나, 이는 핸드오버 및 5G 코어망과의 연결이 없는 구조임

Erisson, Nokia, Hauwei 등의 글로벌 제조업체는 각 나라의 통신사업자와 함께 NSA 기반의 5G 상용화를 개시했거나 조만간 개시할 예정이며, China Mobile를 비롯한 통신사업자는 5G 코어 네트워크가 포함된 SA 기반의 5G 서비스를 2019년 하반기 내지는 2020년 전반기에 출시할 예정임

3. 표준화 동향

3GPP에서는 2017년 말 5G NR NSA 표준을 완성하였고, 2018년 6월 5G NR SA 표준을 RAN과 SA 모두 Stage 3 문서를 완성하여 5G Phase 1을 완료함

2020년 3월까지 5G Phase 2가 진행 중이며, 특히 2018년 12월에는 5G 코어망에 eLTE 기지국 기반의 NSA, SA 표준 규격이 완료될 예정임

4. 기술적 경쟁력(우수성 및 차별성)

IV. 국내외 시장 동향 및 전망

1. 국내 시장 동향 및 전망

국내 5G 시장은 2020년 국내 이동통신 시장의 5% 수준에서 2026년 60% 수준인 381억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

국내에서는 NSA 기반의 5G 세계 최초 상용화 이후, 삼성전자를 비롯한 관련 업체들이 SA 기반의 상용화를 위한 5G 코어 네트워크 장비 개발에 힘쓰고 있음

경쟁기술 본 기술의 우수성 및 차별성

LTE EPC 기존의 EPC는 계층적 구조의 집중화된 코어 구조로 대용량 트래픽의 처리가 어려운 점과 완전한 CUPS 및 NFV의 지원 등이 애매하다는 측면에서 한층 발전한 형태로 볼수 있음

<자료> ETRI 자체 작성

Page 36: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주간기술동향 2019. 8. 7.

34 www.iitp.kr

- 본 기술과 관련된 분야의 제품은 아직 국내에 보급되어 운용되고 있는 경우가 없음

2. 해외 시장 동향 및 전망

세계 5G 시장은 2026년 전체 이동통신 시장의 50% 수준인 1조 1,588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세계 5G 접속 단말 수는 2019년 약 100만 대에서 2025년에는 14억 대로 연평균 232% 증가할 것으로 예상(Jupiter Research)

3. 제품화 및 활용 분야

V. 기대효과

1. 기술도입으로 인한 경제적 효과

5G eMBB 서비스 요구사항 해결을 위한 대용량 트래픽의 고속처리를 위한 코어 네트워크 인프라를 기반으로 하는 관련 장비 및 5G 망과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시티 등의 응용 서비스와 연계한 전·후방 산업 전반에 걸쳐 혁신 활성화 유도 및 관련 산업의 세계 시장 창출

2. 기술사업화로 인한 파급효과

국내 이동통신 사업자들에 의한 SA 기반의 5G 서비스 상용화 서비스가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 eMBB뿐만 아니라, mMTC 및 uRLLC 그리고 다양한 액세스망을

활용 분야(제품/서비스) 제품 및 활용 분야 세부내용

5G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다양한 상용제품

- Enhanced Broadband 서비스 제공을 위한 5G 코어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상용 장비 - Massive IoT 서비스 지원을 위한 5G NB IoT Gateway 장비 - 다양한 서비스 네트워크를 위한 5G 네트워크 슬라이싱 코어 네트워크 플랫폼 개발- gNB와 N3IWF 사이의 ATSSS 기능이 지원 가능한 5G 코어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상용 장비

대용량 트래픽 처리 솔루션

- MEC 환경에서 실행 가능한 중소 용량의 네트워크 상용 장비 개발- 대용량 트래픽 분산처리가 요구되는 프록시 서버 구축

<자료> ETRI 자체 작성

Page 37: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ICT R&D 동향

정보통신기획평가원 35

수용하는 5G 서비스를 위한 신속한 새로운 기능 도입이 가능한 차세대 트래픽 처리 장비의 핵심기술 개발을 유도

3GPP 5G 표준에서의 트래픽 처리 기능인 UPF의 요구사항 및 진화하는 동향을 기반으로 5G 트래픽 처리 기능의 최신 표준기술의 발굴 및 선점 확보와 관련 장비의 조기 시장 진입이 기대

Page 38: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주간기술동향 2019. 8. 7.

36 www.iitp.kr

*

I. 결과물 개요

II. 기술의 개념 및 내용

1. 기술의 개념

다중 안테나를 가진 하나의 송신기에서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비디오 스트리밍 등의

데이터 파일을 제공하기 위한 빔포밍을 수행하는 기술

* 본 내용은 최완 책임연구원(☎ 042-350-7426, [email protected])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은 현재 개발 진행 및 완료 예정인 ICT R&D 성과 결과물을 과제 종료 이전에 공개하는 “ICT

R&D 사업화를 위한 기술예고”를 2014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바, 본 칼럼에서는 이를 통해 공개한 결과물의 기술이전, 사업화 등 기술 활용도 제고를 위해 매주 1~2건의 관련 기술을 소개함

개발목표시기 2019년 초 기술성숙도(TRL)현재 상태

TRL 2

결과물 형태 patent 검증방법 자체검증

Keywords Caching, MIMO, multiuser diversity

외부기술요소 100% 개발 기술 권리성 특허

chapter 3-2

다중 안테나 다중 사용자 간섭채널에서 기계학습 기반 빔포밍 기법 연구 기술

•••최완 ‖ 한국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ICT R&D 동향

Page 39: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ICT R&D 동향

정보통신기획평가원 37

송신기는 기회적(opportunistic)으로 사용자를 선택하고 XOR 인코딩하여, 여러 사용

자에게 동시에 각기 다른 요구 파일을 전송(멀티캐스트 전송)

사용자의 캐시에 저장된 파일을 이용하여 하나의 빔을 통해 여러 사용자 단말들에게

동시에 파일을 제공함으로써 채널 이득 손실을 감소시키고, 전송 속도를 높임

2. 기술의 상세내용 및 사업화 제약사항

가. 기술의 상세내용

다중 안테나 환경에서 인덱스 부호화 기반 사용자 선택 및 MU-MIMO 빔포밍 기술다중 기지국의 인덱스 부호화 기반 간섭 제어 및 CoMP 전송 기술인덱스 부호화 이득을 최대화하는 능동 콘텐츠 저장 기법여러 네트워크 환경에서 성공적 파일 복구 확률 최대화를 위한 단일/분할 파일 저장

및 저장 용량 할당 기법MDS 부호화의 패리티 길이 조절을 통한 분할 저장의 기법 최적화기계학습 기법 적용을 위한 콘텐츠 저장 및 용량 할당에 따른 효율을 표현하는 특성

(feature) 개발 및 추출 방식사용자 이동에 따른 소형 기지국 연결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기계학습

기법 관련 파라미터 설정 및 조정사용자의 메모리 용량과 패킷 선호도를 고려한 압축 저장 기술압축 왜곡의 정도를 최소화하는 양자화 압축 기능다중 송신기 환경에서 소형 기지국과 사용자의 메모리 용량을 고려한 HARQ 전송 기법

및 수신 기법

나. 기술이전 범위

기존 통신 기술 대비 평균 사용자 전송량 및 단위 면적당 전송량(500%)을 증가시키고 평균 전송 시간(80%), 평균 백홀 사용량(60%), 재전송 횟수(60%)를 감소시키는 저장 매체를 활용한 신개념 무선 통신기술

평균 전송 시간을 80% 감소시키는 인덱스 부호화 기반/저장 매체기반 고효율 통신 기법 개발

Page 40: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주간기술동향 2019. 8. 7.

38 www.iitp.kr

평균 사용자 전송량 및 단위 면적당 전송량을 500% 증가시키고 평균 백홀 사용량은

60% 감소시키는 저장 기법 및 저장 용량 할당 기법 개발

재전송 횟수를 60% 감소시키는 고효율 압축 기반 HARQ 재전송 및 재압축 기법 개발

이론적 연구결과의 검증을 위한 시뮬레이터 및 USRP 플랫폼 개발

테스트베드 구축을 통한 핵심 기술 검증

WiFi AP의 저장매체 연동기능을 이용하여 개발 기술을 검증할 수 있는 시험 환경

구축 및 기능 검증

다. 사업화 제약사항

실제로 평균 전송 시간, 전송 용량, 백홀 사용량, 재전송 횟수 등과 같은 현 무선 통신의

주요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협력 전송 기반 콘텐츠 분할/비분할 저장 및 활용 기법,

확률적 콘텐츠 비분할 저장기법, 직교적/비직교적 네트워크 배치 기법 등에 대한 기술

의 분석이 진행되어야 함

성공적인 사업화를 위해서는 본 기술을 통해 실제로 콘텐츠를 어떻게 저장하고 네트워

크를 어떻게 배치할지에 대한 분석을 진행한 후, 사업자 입장에서 분석 결과를 검증하

면서 조정 및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

실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상용 서비스 환경 구축(실외 서비스 추진) 필요

이동통신사업자(KT, LG유플러스 등)와의 공동연구 및 시범 테스트 추진 필요

III. 국내외 기술 동향 및 경쟁력

1. 국내기술 동향

콘텐츠 저장 기법에 무선 통신 기법을 적용한 학술적 연구가 본 과제 이외에 진행된

실적이 미비하고, 상업적 이용을 위한 연구는 전무함

국외에서 수행된 캐시 메모리를 배치하는 연구를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최적화

하려는 시도가 있었고 본 과제에서도 연구를 진행 중

대부분의 연구가 기존 국외 연구를 분석하는 정도에 불과함

Page 41: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ICT R&D 동향

정보통신기획평가원 39

2. 해외기술 동향

사용자가 미리 부가 정보를 저장해주고 무선 전송 시 다수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서비스

를 제공할 수 있는 기법과 관련된 연구가 최근에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태동기를

막 벗어난 연구 초기 단계로 볼 수 있음

소형화 셀 및 CoMP 기반 네트워크에서 백홀의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콘텐츠 저장

기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됨

기존 연구들은 무선 채널의 특징/장점을 잘 활용하지 못하거나, 특정 전송 기법에 국한

된 콘텐츠 저장기법에 대한 연구를 다룸

콘텐츠 저장뿐만 아니라 저장 매체를 효과적으로 배치하는 문제가 다루어져야 하며,

다양한 압축 기술에 대한 연구와 무선 채널에서 전송 실패를 고려한 압축 및 전송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

3. 표준화 동향

(국외, ITU-R) 2014년 기술동향보고서에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 재난 통신 등 새로운

서비스 기술, 네트워크 아키텍처 향상 기술 등이 기술되었으며, 이 중 네트워크 아키텍

처 향상 기술은 모바일 CDN 개념을 기반으로 함

(국외, 3GPP) 2016년 3월 Release 14에서 다루어질 아이템들에 대한 소개가 있었으

며, 그 중 맥락인지 서비스(RP-160633)에서는 비디오 콘텐츠 전송을 위한 효과적인

교차 레이어 최적화와 저장기법 등에 본 제안서에서 제안하는 콘텐츠의 저장을 기반으

로 한 무선 통신 기술과 연관된 개념으로 다루어지고 있음

(국외, METIS) E2E 응답속도를 낮추기 위해 지역 기반 콘텐츠 및 트래픽 플로우 기술

이 소개되었고, 모바일 CDN의 개념을 기반으로 기술되었음

Page 42: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주간기술동향 2019. 8. 7.

40 www.iitp.kr

4. 기술적 경쟁력(우수성 및 차별성)

IV. 국내외 시장 동향 및 전망

1. 국내 시장 동향 및 전망

국내 시장은 세계 시장에 비해 규모는 적으나, 2023년 약 30조 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

할 것으로 전망됨

2. 해외시장 동향 및 전망

세계 시장은 연평균 3%씩 성장하여 2023년 약 2조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됨

[표 1] 국내 및 세계 이동통신 시장 전망

연도구분 2016 2021 2023

한국 시장 규모(억 원) 377,595 323,739 300,353

세계 시장 규모(백만 달러) 1,599,346.8 1,857,768.1 1,964,330.8

* 2012년부터 2018년까지 분석된 이동통신 시장규모 자료를 선형 회귀를 통해 예측한 수치임<자료> 김근영, 이상호, 김영진, “5G 통신 동향”,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Vol.30, No.1, Feb. 2015,

pp.1-11.

경쟁기술 본 기술의 우수성 및 차별성

Small Cell 및Massive MIMO

기술

Small Cell 기술은 셀을 소형화하여 사용자들 간 간섭을 줄이고 주파수 재사용률을 높이는 기술이나 대형 기지국과 소형 기지국 사이의 백홀 연결의 부담이 커지며 기술의 성능은 주어진 주파수에 제한됨. 또한, Massive MIMO는 많은 수의 안테나 자원을 활용하여 높은 전송량을 얻는 기술이나 공간적 제한으로 인해 다수의 안테나 및 RF 회로 설치가 어려우며 기술의 성능이 채널 정보의 질에 따라 크게 좌우됨. 본 기술은 메모리라는 새로운 통신 자원을 활용하여 Small Cell 및 Massive MIMO 대비 저렴한 자원을 이용하여 통신 성능을 향상시킴

물리 계층의 타 통신기술

대부분의 무선 통신 기술들은 OSI 모델에서 물리 계층에 집중하여 연구됨. 제안된 기술은 파일을 저장하는 방법 및 저장된 파일을 사용하는 방법까지 연구하므로 상위 계층과 물리 계층의 특성을 모두 파악해야 하며 따라서 계층 간 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임. 통합적인 관점에서의 해법을 제시할 수 있으며 타 기술에 비해 도전적이며 높은 수준의 해법을 보여줄 수 있음

Page 43: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ICT R&D 동향

정보통신기획평가원 41

3. 제품화 및 활용 분야

V. 기대효과

1. 기술도입으로 인한 경제적 효과

원천기술 지적재산권 확보 및 5G/6G 표준화로 인한 경제 효과 창출 기대

고비용의 기존 통신 자원 대신 기존 기지국 및 AP 등에서 저비용의 저장매체를 활용한

고효율 이동통신 인프라 구축 가능

통신 산업과 메모리 산업의 융합으로 관련 사업 활성화 및 새로운 시장 개척 기대

2. 기술사업화로 인한 파급효과

저장매체 활용 5G/6G 이동통신 원천 기술 확보로 이동통신 분야에서 국가 경쟁력

확보 기대

비직교/저지연 무선 전송 기술 개발로 5G/6G 상용화를 촉진시키고 빠른 속도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여 국민의 삶의 질 향상 기대

저장 매체를 활용한 무선 통신 기술 개발로 대중교통 기반 정보 제공 서비스, V2X

통신, 증강 현실 애플리케이션, 비행기 내 콘텐츠 제공 서비스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

및 신제품 개발에 활용 가능

활용 분야(제품/서비스) 제품 및 활용 분야 세부내용

지능형 교통 시스템

- 대중교통의 경우 많은 사용자가 모여 있기 때문에 공동으로 필요한 정보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환경에서 저장매체를 활용한 전송 방식을 통한 대중교통 기반 정보 제공 서비스가 가능함

- 저장 매체를 기반으로 한 무선통신 기술을 V2X 통신에 적용하여 도로 위의 모든 기기들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차량에 필요한 각종 위험 정보 및 교통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가 가능함

증강현실(Augmentedreality) 애플리케이션

- 특정 지역이나 상황에 요구되는 콘텐츠들의 상관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정보를 기존의 저장 매체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 증가없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Page 44: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은 주간기술동향의 ICT 기획시리즈에 게재할 “차세대 보안” 분야 원고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관심 있는 전문가 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원고 주제 : 차세대 보안 관련 기술·시장·정책 동향

(※ 제목과 목차는 저자가 자율적으로 결정)

제출 자격 : 대학, 연구기관, 산업체 재직자

접수 기간 : 2019년 7월 1일~8월 31일 기간 내 수시접수

제 출 처 : 주간기술동향 원고접수메일([email protected])로 제출

원고 양식: 파일참조(원고양식)

원고 분량: 13페이지 내외

기타

- 게재 원고에 대하여 소정의 원고료 지급(200자 원고지 10,000원/1매, 최고 40만 원)

- 기획시리즈 칼럼은 매주 1편씩 발간 예정

- 원고제출 시 반드시 원고심의의뢰서(첨부파일참조)를 함께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게재된 원고로 인해 지적재산권 침해문제가 발생할 경우, 원고저자는 원고료 반환, 게시물 삭제 및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입게 될 손실·비용에 대한 배상 등의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제출 및 문의처

- (34054)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58-4번지 정보통신기획평가원

기술정책단 산업분석팀 주간기술동향 담당

- Tel : 042-612-8296, 8214 / Fax : 042-612-8209 / E-mail : [email protected]

주간기술동향 원고 공모

Page 45: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사업책임자: 문형돈(기술정책단장)

과제책임자: 이성용(산업분석팀장)

참여연구원: 변화성, 이재환, 이효은, 이상길, 안기찬, 김용균, 정해식, 김우진, 장예지, 전영미(위촉)

통권 1908호(2019-30)

발 행 년 월 일 : 2019년 8월 7일발 행 소 : 편집인겸 발행인 : 석제범등 록 번 호 : 대전 다-01003등 록 년 월 일 : 1985년 11월 4일인 쇄 인 : ㈜승일미디어그룹

(34054)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 1548(화암동 58-4번지)

전화 : (042) 612-8296, 8214 팩스 : (042) 612-8209

Page 46: - itfind.or.kr2019... · 가 아닌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우선 제공된다. 또한, 드라 또한, 드라

6

http://www.iitp.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