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미교실 기록 영화

14
기록 성북의 야설록 삼미교실

Upload: changmin-oh

Post on 08-Jul-2015

219 views

Category:

Documents


4 download

TRANSCRIPT

Page 1: 삼미교실 기록 영화

기록성북의 야설록

삼미교실

Page 2: 삼미교실 기록 영화

강사_최태영(영화제작자, 영화사 황금주전자 대표, 프로듀서)

영화 <주먹이 운다>, <야수와 미녀>, <쏜다>, <아들>, <된장>의 제작스탭, 프로듀서로 참여하

고,

바른손 영화사업부(2010년 ~ 2012년)에서 <교환살인>, <도깨비>, <트레이스> 등 작품의 기획.

현재, 영화 <성인발레>, <뛰다가 눈물이 나면>을 기획 중.

(영화) 2012. <아부의 왕> 제작

2010. <된장> 프로듀서 ㈜필름있수다

2008. TV영화 <천일야화> 프로듀서 ㈜메두사필름

2007. <아들> 라인프로듀서 ㈜KNJ 엔터테인먼트

2007. <쏜다> 제작관리 ㈜시오필름

2006. <아무도 모른다/서울환경영화제 사전제작지원작> 제작팀장

2005. <야수와 미녀> 제작팀장 ㈜시오필름

2005. <주먹이 운다> 제작팀원 ㈜시오필름

2005. <다섯개의 시선/국가인권위 사전제작지원작> 제작팀원

(기타) 2008. 영화진흥위원회 발간 <Who’s Who_감독편> 책임연구원

2007. 영화진흥위원회 발간 <Who’s Who_제작/투자자편> 책임연구원

2003.~2004. 광고대행사 AE ㈜감커뮤니케이션, ㈜실버불렛

2000.~2001. KBS 드라마 제작국 FD

2000 이전 컴퓨터 업체 대표, 학원강사, 정부산하단체 직원...

Page 3: 삼미교실 기록 영화

순서기록이란.

기록의 종류와 매체, 발전

기록의 도구, 영화 이야기

영화란 무엇인가?

영화의 성립원리와 기술적 역사

영화의 사조와 역사

영화의 형태

영화의 제작과정 : 기획개발, PRE, PRO, POST-Production,

Release 아이템 결정, 시놉시스 써보기

잡담

Page 4: 삼미교실 기록 영화

기록이란?

주로 후일에 남길 목적으로 어떤 사실을 적음. 또는 그런 글.

기록의 종류와 매체, 발전

문자, 기호, 숫자, 이미지, 소리, 그림

기록사진, 신문, 라디오, 영화, 방송 등

Page 5: 삼미교실 기록 영화

기록의 도구, 영화 이야기

영화란 무엇인가?

현실재현-Realism으로서의 영화영화는 탁월한 현실재현 능력 때문에 탄생초기부터 예술성이 개입할 여지에 대해 강한 논란을 일으

켰다.

그 이후 영화의 서사적 표현능력이 발달하면서 리얼리즘과 형식주의 논쟁이 벌어졌지만

최근에는 객관적 현실재현이라는 리얼리티는 부정당하고 표현방식으로써 리얼리스틱한 묘사와

그것을 받아들이는 재현 관습이 존재할 뿐이라고 본다.

이야기-Narrative 또는 욕망과 판타지로서의 영화영화도 여타 예술장르처럼 대중과 자본의 요구에 의해 이야기-내러티브라는 속성을 드러내는 방향

으로 발전해왔다 . 이야기라는 것은 인간의 행위와 감정을 재구성하는 것인데 그 점에서 영화 가장

강력하고 효과적인 장치이다. 개인이 처한 사회적 현실은 욕망과 이상을 늘 만족시켜주지 못한다.

관객은 강력한 현실재구성 매체인 영화에 몰입하여 자신이 처한 현실과 대비되는 카니발적 체험을

통해 자신의 욕망을 확인받거나 충족해보고자 한다.

Page 6: 삼미교실 기록 영화

문화-culture로서의 영화영화문화

영화를 보고 이해한다는 것은 영상언어를 이해하고 있어야 하는데 우리는 대부분 이러한 학습과정

이 삶의 초창기부터 지속적으로 일어났기 때문에 의식하지 못한 채 일어난다. 하지만 평소 익숙치

않은 전위영화들이 낯설게 느겨지듯이 영화를 본다(이해한다)는 개념은 자연스러운 것만은 아니다.

영화의 문화적 맥락

언어를 이해할 때 단순히 단어와 뜻의 일대일 매칭을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단어가 쓰인 맥락과 사

용자의 감정, 누적된 문화적 코드를 함께 이해하는 것처럼 영화도 단순한 이미지나 스토리만 전달하

는 것이 아니라 영상 속에 포함된 문화와 감정, 상황의 맥락을 함께 던진다. 따라서 영화를 보는 것

은 문화적 학습 행위의 측면이 존재하고 이것은 영화적으로 가능하다고 생각되는 자연스러운 경계

를 설정해 역으로 영화에 대해 갖는 욕망, 기대, 기호, 지식 등의 범위를 한정하기도 한다.

관람행위

영화를 보는 목적 : 영화관람 행위만이 줄 수 있는 문화적 쾌락과 경험이 존재한다.

관객이 표를 사는 것은 영화에 부여된 사회적 의미와 예측되는 쾌락이라는 영화의 ‘내러티브 이미

지’이다. 극장이라는 공간은 관객들에게 소속감과 분리감을 동시에 주는 체험을 제공한다.

Page 7: 삼미교실 기록 영화

산업으로서의 영화영화를 상품으로 이해하는 시각과 그런 시각이 영화 자체와 관람방식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 영화의 러닝타임은 관객의 만족도와 수익의 극대화의 접점에서 형성된다.

문화적 행위인 영화관람이 산업화되면 관객과 컨텐츠 모두 지속적 수익을 위해 균질화된다 .

하지만 결국 수익의 지속성을 유지시켜주는 것은 끊임없는 참신성과 그에 대한 관객의 호응이다.

여느 산업, 예술분야와 마찬가지로 참신성과 안정성의 불안한 동거도 산업적 측면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기술-technology로서의 영화영화는 탄생과 개념 자체가 테크놀로지의 발달에 의해 탄생, 발전되어 왔기 때문에 테크놀로지가 없

다면 영화는 존재할 수 없다. 테크놀로지의 속성은 곧 영화의 속성은 결정한다.

새로운 테크놀로지는 영화의 언어를 풍성하게 해주고 좀 더 리얼리스틱하게 해주기도 하지만 그것

의 선택과 활용 방식은 전적으로 사회에 의해 결정되어 왔다.

Page 8: 삼미교실 기록 영화

영화의 성립원리와 기술적 역사임계명멸융합효과 Critical flicker fusion effect

1초에 50번 이상 깜빡거리면 빛이 연속적이라고 착각

초당 프레임 수가 너무 적으면 깜빡이는 느낌(flicker)을 주고

프레임 수가 너무 많으면 처리해야 할 정보가 많아 눈의 피로도가 증가

영화는 초당 24 프레임, 방송은 30프레임

1891년 에디슨 롤필름을 축음기에 연결 키네토스코프 (1인용 영사기) 제작

1895년 뤼미에르 형제가 촬영기 겸 영사기인 시네마토그라프 제작

50초짜리 최초영화 상영- 쉬운 촬영방식과 대규모 영사방식, 그리고 상업성의 검증

1927년 최초의 유성 talkie 영화 ‘재즈싱어 ’ 제작, 상영

1930년대 테크니컬러 방식의 컬러영화 등장

1982년 최초의 CG영화 Tron

1990년대 디지털 제작방식

2000년대 디지털 제작방식 대중화, 3D/4D 상영

Page 9: 삼미교실 기록 영화

영화의 사조와 역사초기영화 1893-1903 에디슨의 영화관람도구 키네토스코프 판매

고전 헐리우드 영화 1908-1927

헐리우드의 탄생, 대량생산 스튜디오 시스템과 영화제작 분업화, 서사구조와 문법의 확립

독일 표현주의 1919-1926 UFA란 스튜디오를 만들고 국가차원의 지원과 투자

프랑스 인상주의/초현실주의 1918-1930

소비에트 몽타주 1924-1930

유성영화 시대의 헐리우드영화 1930/40년대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1942-1951

프랑스 누벨바그 1959-1964

뉴 저먼 시네마

뉴 헐리우드 시네마

디지털 시네마

기타 영화운동 시네마 노보, 도그마선언

일본, 홍콩, 한국, 인도, 중국의 영화

Page 10: 삼미교실 기록 영화

영화의 분류

다큐멘터리영화, 전위/실험영화, 독립영화, 장르영화, 상업영화…

영화 용어

Frame + Frame + Frame … = shot

Shot : 카메라를 동작시켜 촬영을 시작해 카메라를 정지시켰을 때까지의 단위, 촬영개념

Cut : 촬영된 Shot중에서 편집에 필요한 만큼을 잘라낸 단위, 편집개념

shot + shot + shot … = scene

scene + scene + scene … = sequence

sequence + sequence + sequence … = 한 편의 영화

Page 11: 삼미교실 기록 영화

영화의 분류

다큐멘터리영화, 전위/실험영화, 독립영화, 장르영화, 상업영화…

영화 용어

Frame + Frame + Frame … = shot

Shot : 카메라를 동작시켜 촬영을 시작해 카메라를 정지시켰을 때까지의 단위, 촬영개념

Cut : 촬영된 Shot중에서 편집에 필요한 만큼을 잘라낸 단위, 편집개념

shot + shot + shot … = scene

scene + scene + scene … = sequence

sequence + sequence + sequence … = 한 편의 영화

Page 12: 삼미교실 기록 영화

영화의 제작과정

기획개발, PRE, PRO, POST-Production, Release(개봉)

1)기록에 필요한 소스를 어떻게 찾을까?

2)어떠한 시각으로 바라보며 (어떠한 시각으로 일상을 새롭게 바라보

며)

3)어떻게 기록에 맞게 적절하게 가공하는가?

주먹이운다, 은밀하게위대하게, 일급비밀, 성인발레, 아부의 왕, 뛰다가

눈물이나면, 아들, 착한아내, 전두환, 정인숙

직업으로서 영화제작자, 감독, 작가, 촬영… 매니저

Page 13: 삼미교실 기록 영화

아이템 결정, 시놉시스 써보기

영화 <아리랑> 나운규, 아리랑 고개1926년 10월 1일 서울 단성사에서 개봉한 흑백무성영화, 각본, 감독, 배우 나운규

길상사(대원각) 김영한(법명 길상화) 기부, 백석(바람벽)

삼청각1972년 건립된 1970년~1980년 요정정치의 산실로 대표되던 곳

정릉조선 태조의 제2비 신덕왕후 강씨(神德王后康氏)의 능.

Page 14: 삼미교실 기록 영화

잡 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