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9 장 . 작 업 관리

17
제 9 제 . 제제 제제 2012 . 11.08 제제 제제제 제제제 제제제제제제 제제제제제제 : 제 제 제제 1

Upload: aretha-knox

Post on 03-Jan-2016

75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DESCRIPTION

제 9 장 . 작 업 관리. 2012 . 11.08. 안산 대학교 디지털 정보통신학과 공업경영담당 : 조 중 상 교수. 목 차. 1. 작업관리의 개요 2. 공정분석의 의의와 목적 3. 공정분석의 체계 및 기본분석의 체계 4. 공정의 분류 5. 공정분석의 기호 6. 작업분석의 목적 및 순서 7. 동작분석의 목적 8. 서블릭 기호 9. 동작경제의 원칙 10. 작업측정의 의의 12. 작업측정의 기법. 1. 작업관리의 개요.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Page 1: 제 9  장 .  작 업 관리

1

제 9 장 . 작업 관리

2012 . 11.08

안산 대학교 디지털 정보통신학과 공업경영담당 : 조 중 상 교수

Page 2: 제 9  장 .  작 업 관리

2

목 차 1. 작업관리의 개요

2. 공정분석의 의의와 목적

3. 공정분석의 체계 및 기본분석의 체계

4. 공정의 분류

5. 공정분석의 기호

6. 작업분석의 목적 및 순서

7. 동작분석의 목적

8. 서블릭 기호

9. 동작경제의 원칙

10. 작업측정의 의의

12. 작업측정의 기법

Page 3: 제 9  장 .  작 업 관리

1. 작업관리의 개요

Page 4: 제 9  장 .  작 업 관리

2. 공정분석의 의의와 목적

• 공정분석의 의의 공정분석이란 작업 대상물이 순차적으로 가공되어서 제품이 완성되 기까지의

작업경로 전체를 처리되는 순서에 따라 가공 운반 검사 정체 저장의 분석단위로 ⋅ ⋅ ⋅ ⋅분류하고 , 각 공정의 조건과 함께 분석 하는 현상분석 기법이다 .

• 공정분석의 목적 개개의 작업을 전체와의 관련에 의하여 파악하고 개선한다 . 작업 또는 공정 상호간의 관계를 개선한다 . 재료 또는 개개의 공정이 다음 제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다 . 생산관리의 기초자료를 작성한다 . 생산계획 및 레이아웃 등의 기초자료를 확보한다 .

Page 5: 제 9  장 .  작 업 관리

3. 공정분석의 체계

Page 6: 제 9  장 .  작 업 관리

3. 기본분석의 체계

Page 7: 제 9  장 .  작 업 관리

4. 공정의 분류

• 작업 혹은 가공 (Operation)• 검사 (Inspection)• 운반 (Transport)• 정체 (Delay)• 저장 (Storage)

Page 8: 제 9  장 .  작 업 관리

5. 공정분석 기호

Page 9: 제 9  장 .  작 업 관리

5. 공정분석기호

Page 10: 제 9  장 .  작 업 관리

6. 작업분석의 목적

• 작업분석은 작업자의 동작에서 파악되는 문제점 ( 가동분석 , 공정분석 등 ) 을 조금 더 세밀히 분석하고 개선하는 수법이다 . 작업분석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 작업의 세분화와 누락된 사실이 없는가를 조사한다 . 작업을 세분화 하고 주의가 가지 않는 작은 로스까지 발견한다 .

• 사실의 정량적인 파악에 의해 바르게 현재의 방법을 파악한다 . 로스 의 추방과 보다 효율적인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작업을 보다 구체적인 형태에서 발견하고 , 그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

• 작업 중 로스의 추방과 개선을 달성한다 . 요소작업과 그것의 주변( 치 공구 , 설비 , 가공조건 , 부품 정밀도 등 ) 에서 개선을 도출시킨다 .

Page 11: 제 9  장 .  작 업 관리

7. 작업분석의 순서

• 문제점의 명확화• 작업방법을 해석하여 사실을 포착• 개선을 하기 위한 원칙을 적용하여 개선안 도출• 개선안의 선정과 실시• Follow up

Page 12: 제 9  장 .  작 업 관리

8. 동작분석의 목적

• 동작분석은 작업자의 동작을 분석하여 불필요한 동작을 배제하고 최적 의 동작계열을 작성하는 기법이다 . 개선수법 중에서 가장 마이크로적인 것이다 . 동작분석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 현재의 동작계열을 개선한다 .• 새로운 동작계열을 디자인한다 .• Motion Mind 를 체득한다 .

Page 13: 제 9  장 .  작 업 관리

9. 서블릭 분석

• 서블릭 분석은 동작분석시 사용되는 분석기법으로 서블릭 기호를 사 용하여 작업자의 작업을 18 개의 요소동작으로 나누어 분석표를 작성 하고 , 이것을 다시 총괄표에 정리해서 작업개선의 착안점을 찾아내 는 데 이용한다 .

• 서블릭의 대부분은 손의 동작이고 일부는 운동을 동반하지 않는 동 작이거나 심리적 ⋅관념적인 부분도 있다 .

• 서블릭 분석에 의해서 작업개선점을 찾으려면 그 준비단계로서 3 개 의 그룹으로 구분한다 . 작업방법을 개선하려면 먼저 C 그룹 및 B 그 룹에 속하는 것을 제거하고 , 그 다음으로 A 그룹에 속하는 것을 연구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A 그룹에 속하는 서블릭 동작 : 대개 작업을 진행시키는 데 필요한 것이다 .

합리적인 순서와 조합을 고려해서 보다 쉽고 빨리 작업할 수 있도록 개선 연구할 ⋅필요가 있다 .

B 그룹에 속하는 서블릭 동작 : 주의나 판단 또는 망설임을 요하는 동작이므로 작업을 지연시킨다 . 따라서 가급적 이것들은 ‘생각하는 동작’ 외에는 제거하는 것이 유리하다 .

C 그룹에 속하는 서블릭 동작 : 작업수행에 거의 역할을 하지 않는 다 . 작업개선은 이들 부류를 제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

Page 14: 제 9  장 .  작 업 관리

서블릭 기호

Page 15: 제 9  장 .  작 업 관리

10. 동작경제의 원칙

• 동작경제의 원칙은 동작연구의 창시자인 길브레스가 처음으로 사용 하였다 . 그는 동작경제의 원칙을 세 가지로 대별하고 설명하였다 . 인체의 사용에 관한 동작경제원칙 작업장 배열에 관한 동작경제원칙 공구 및 기계설비의 설계에 관한 동작경제원칙

• 동작경제의 원칙은 일반적인 작업동작의 개선을 위한 착안점이라 할 수 있다 . 따라서 이러한 원칙은 부분작업 내지 요소작업의 단계까지 분석함으로써 그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

• 동작경제의 원칙은 22 개의 항목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이는 어떠한 종류의 작업에도 적용될 수 있다 . 비록 모든 작업에의 적용은 불가 능해도 인적 작업에 대해서는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시켜 주며 , 능률 제고를 위한 기본원리 또는 지침이 될 수 있다 .

Page 16: 제 9  장 .  작 업 관리

11. 작업측정의 의의

• 작업측정이란 어떤 작업을 작업자가 수행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어떤 표준적 측정여건 하에서 결정하는 일련의 절차를 말한다 .

• 작업설계나 방법연구는 작업이 어떻게 수행되어야 하는가 하는 작업 방법에 관심이 있다 . 반면에 작업측정은 작업방법대로 직무를 수행 할 때 소요되는 시간이 어느 정도인가에 중점을 둔다 .

• 작업측정을 실시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2 개 이상의 작업방법을 비교할 경우 저생산성이거나 유휴가 많은 기계 및 공정 가공비가 많은 작업 공정관리상 애로가 있는 작업 표준시간의 전면적 설정을 할 경우 작업방법의 변경에 따라 표준시간의 정정이 필요한 경우 기타의 요인으로 분야별 표준시간이 필요한 경우

Page 17: 제 9  장 .  작 업 관리

12. 작업측정의 기법

• 시간연구법 시간연구법이란 계측기와 기록장치 등을 이용하여 직접 측정하는 방 법이며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방법이다 . 측정은 스톱워치나 촬영기 로 한다 .

• 워크 샘플링법 워크 샘플링은 작업측정에 통계적 수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다른 기 법보다 적은

비용으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 워크 샘플링법을 사용 할 경우는 현상의 발생비율을 정확히 알 수 있든지 , 동종 작업의 평 균시간을 일괄적으로 구할 수 있는 경우이다 .

• PTS법 PTS(predetermined time standards) 법이란 기본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 을 미리

작성된 시간치를 적용하여 개개의 작업시간을 합산하는 방법이 다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MTM(method time measurement) 와 WF(work factor)이다 .

• 실적기록법 일정 기간의 작업에 대한 실적기록 자료를 이용하여 이를 통계적으 로 처리하고

임의로 정한 단위 작업당 기준시간을 산출한다 . 즉 생산 에 소요된 작업시간을 생산된 수량으로 나누어 주면 단위당 작업시간 을 구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