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29
107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olicy direction for promoting agrofood export in Korea.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alue and importance of agrofood export in Korea. Also the analysis of external and internal environments around the Korean agrofood export are conducted, particularly with the analysis of trade pattern and major factors affecting the export.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considering the recent and future potentiality of agrofood industry, the possibility of Korean agrofood export is promising. Secondly, the Korean agrofood trade patterns show the increase of specialization and the decrease of intra trade with major trade partners. Thirdly, the Korean agrofood export tends to be increased by reducing the distance from Korea to major trade partners. Fourthly, many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ABSTRACT Ⅰ. 머리말 Ⅱ. 농식품 산업의 가치와 수출의 중요성 Ⅲ.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과 여건 :위기와 기회의 공존 Ⅳ.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 참고문헌 본 논문은 2010년 한국식품유통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 농업생명과학연구원 겸임연구원

Upload: phungdan

Post on 05-Feb-2018

228 views

Category:

Documents


3 download

TRANSCRIPT

Page 1: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07

ABSTRACT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olicy direction for promoting agro985103food export in Korea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alue and importance of agro985103food export in Korea Also the analysis of external and internal environments around the Korean agro985103food export are conducted particularly with the analysis of trade pattern and major factors affecting the export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considering the recent and future potentiality of agro985103food industry the possibility of Korean agro985103food export is promising Secondly the Korean agro985103food trade patterns show the increase of specialization and the decrease of intra985103trade with major trade partners Thirdly the Korean agro985103food export tends to be increased by reducing the distance from Korea to major trade partners Fourthly many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ABSTRACTⅠ 머리말Ⅱ 농식품 산업의 가치와 수출의 중요성

Ⅲ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과 여건 위기와 기회의 공존Ⅳ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참고문헌

목 차

본 논문은 2010년 한국식품유통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농업생명과학연구원 겸임연구원

108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exist simultaneously in the Korean agro985103food expor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ective action plan to enhance the Korean agro985103food export in terms of diversification of export products and countries decrease in high dependence on overseas Koreans differentiation of export marketing by trade partner expansion of R amp D on agro985103food industry and change of the concept on agro985103food export

Key Words Agro985103food Export Trade Pattern Index of Trade Conformity Gravity Model

21

Ⅰ 머리말

세기 세계경제는 1995년 출범한 WTO 다자체제와 최근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쌍무적 FTA체결 등으로 인해 모든 분야에 걸쳐 긴밀하게 하나의 시장으로 통합되어 가

는 추세이며 이는 우리 농식품 부문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세계 경제통합 현상의 확대 및 심화는 궁극적으로 우리 농식품 시장의 개방을 가속화할 전망이고 이에 농업계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전통적 1차 농업 생산과 내수 지향적 농산물 유통은 이미 농업 성장의 한계로 작용하고 있으며 특히 현재와 같이 무역자유화로 인한 피해가 없거나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은 품목으로의 생산 집중 현상은 불가피하게 공급과잉을 초래할 것이다 이러한 농산물의 공급과잉 현상과 함께 지금과 같은 내수지향적 생산 및 유통은 가격하락으로 이어져 궁극적으로 농업인의 소득 감소로 이어질 것이다

그런데 사실 지금까지 우리 농업은 국제적인 시장개방의 물결에 너무 수세적이고 방어적인 입장만을 취해왔으며 기회요인을 살리기 위한 노력은 소홀히 해 온 측면이 있다 하지만 lsquo위기는 곧 기회rsquo라 했던가 농식품 시장개방은 위기인 동시에 우리의 주요 무역상대국 시장 또한 개방되는 것이기에 새로운 기회의 장이 열릴 수 있다 예컨대 세계적인 무역자유화 추세는 미국 EU 일본 중국 러시아 동남아 등 주요국 시장에 우리 농식품을 수출할 기회를 증가시켜 주고 있으며 특히 최근 우리나라와 가까운 아시아권을 중심으로 한류 열풍과 맞물려 나타나고 있는 우리 농식품의 수출 증가 추세와 한국 음식에 대한 관심 증대는 이러한 가능성을 확실히 보여주고 있다

109

따라서 향후 우리가 가진 강점과 기회요인을 잘 활용한다면 농식품 수출이 우리 농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원으로 작용하면서 농민들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과 수출농업 육성책이 고부가가치 창출로 국가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고 실질적으로 농어업 성장의 견인차가 되기 위해서는 아직도 갈 길이 멀고 해야 할 일도 많다 하지만 갈수록 한계에 도달하는 국내 농식품 시장을 과감히 탈피하고 신시장

신수요 창출을 위해 적극적으로 해외로 진출하는 것이 국내 농식품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최선의 방책중 하나임에 틀림없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논문은 농식품 산업의 가치와 수출의 중요성 그리고 농식품 수출의 현황과 패턴분석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과 기회요인을 살펴본 후 향후 해결해야할 중점과제를 찾아보고자 한다

Ⅱ 농식품 산업의 가치와 수출의 중요성

1 농식품 산업의 가치와 수출가능성영국 런던에 본사를 두고 있는 세계적 산업동향 조사 및 컨설팅 기업인 데이터모니터

(Datamonitor)가 2009년 3월 발간한 산업별 시장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농식품 시장의 규모는 약 4조 달러에 달한다 이는 자동차산업의 17배 철강산업의 58배 반도체산업의 8배 규모로 이들 3개 유망산업 시장을 모두 합친 것 보다 더 큰 시장이다 또한 이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농식품 시장은 2008sim2013년 동안 연평균 45씩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며 2013년에 5조 달러에 이를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농식품 시장의 연평균 성장세는 자동차산업(35) 반도체산업(18)의 성장세 보다 높은 수치이다 이렇게 세계 농식품 시장은 자동차 철강 반도체 시장보다 규모가 크고 성장률도 높을 뿐 아니라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잠재력이 크다

또한 농식품 산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경기 침체의 영향이 적고 향후 인구증가 소득증대 등으로 시장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으로 미래 산업의 중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110

lt표 1gt 주요 산업별 세계 시장규모(2008년) 및 전망치(2013년) (단위billion $)분 야 2008년 2013년 연평균 증가율농 식 품 40205 50139 45자 동 차 24096 28614 35철 강 6856 16223 188반 도 체 2795 3056 18I T 서 비 스 501 6143 42

자료Datamonitor(20093)

더욱이 식품산업은 전후방 산업의 성장을 견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1차 생산인 농수산업보다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한국은행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분석에 따르면 식품산업에서 10억 원의 생산증대는 식품관련 전후방산업에 20억 원의 생산 증대 유발효과를 보인다 즉 식품산업이 활성화되면 해당 원료를 생산하는 농민뿐만 아니라 유통업자 가공업자 외식사업자 수출업자 등 관련된 사람들이 모두 이익을 본다 이것이 바로 우리 농업이 단순히 1차 농산물을 생산하는 데 그쳐서는 안 되고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농식품 가공산업이 활성화되도록 노력해야 할 또 다른 이유이다 대표적인 사례로 프랑스 와인을 꼽을 수 있다 프랑스 와인의 인기는 결국 포도 농민 가공업자 유통업자 수출업자 외식산업자 관광업자의 이익으로 연결되고 있다 우리 쌀의 경우에도 쌀 10

의 가격은 2만 원 수준이나 이 쌀로 떡을 만들어 팔 경우 12만 5000원이 되고 술을 빚으면 21만 3000원으로 더 커진다

(高)

부가가치

(低)

증류주213천 원

떡125천 원

햇반100천 원

쌀20천 원

(低) 가 공 도 (高)자료농림수산식품부 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2008년 11월)

lt그림 1gt 식품산업의 중요성쌀(10kg) 가공 사례

111

한편 식품산업은 국민 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이 크고 한식 세계화를 통해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이 높다 2008년 기준 국내 식품시장 규모는 약 110조 원(식품제조업 + 음식점업)으로 전체 GDP의 101 그리고 고용은 243만 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103를 차지하고 있다1)

자료통계청 제조업통계조사(종사자수 10인 이상 사업체 대상) 도소매업 통계조사lt그림 2gt GDP 및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율

또한 농식품 산업은 수출가능성이 높은 유망분야이다 우리나라는 일본과 중국은 물론

대만 동남아시아 인도 등 아시아 중동 CIS 국가를 포괄하여 세계 인구의 절반에 가까운 대규모 농식품 소비시장과 인접한 전략적 요충지다 구체적으로 서울을 기점으로 반경 2000km 이내의 지역에 동경 북경 상해 마닐라 등 11개의 주요 도시와 15억 인구 그리고 7300억 달러 규모의 거대한 농식품 수입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시장의 성장세 역시 두드러지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가 속해 있는 아시아지역 식품산업 시장규모는 약 15조 달러이며 이는 세계전체 식품산업의 369를 차지하는 규모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와 인접한 아시아 식품시장은 세계 평균보다 빠른 연평균 49의 고속성장이 예상된다

1) 만일 식품산업에 식품유통업을 포함하면 2008년 기준 214조 원에 달하고 이는 전체 GDP의 210에 해당한다(자료통계청 제조업통계조사(종사자수 10인 이상 사업체 대상) 도소매업 통계조사)

112

lt표 2gt 주요 지역별 식품산업 규모 (단위billion $ )

지 역 식품제조업 (A) 외식업 (B) 식품부문 총괄 (A+B)금 액 비 중 금 액 비 중 금 액 비 중

아시아 985103 태평양 1181 374 3028 351 14838 369

유 럽 9631 305 2528 293 12159 302

아메리카 8463 268 3072 356 11535 287

기 타 1673 53 985103 985103 1673 42

총 계 31577 1000 8628 1000 40205 1000자료Datamonitor(20093)

아울러 최근 아시아에 불고 있는 한류 열풍으로 한국의 문화와 음식에 대해 세계인들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어 우리 식문화를 전파하고 식재료를 수출할 여건이 성숙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한류를 바탕으로 한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한식의 우수성이 국내외 언론 등을 통해 확산 중에 있는 지금이 한식세계화 최적의 시기이다 예컨대 막걸리와 김치의 사례를 들 수 있다

자료국가브랜드위원회(2009)

lt그림 3gt 한국의 대표 이미지

막걸리는 유산균이 많아 건강에 좋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알코올성 음료보다는 건강 발효음료로 최근 선풍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우리뿐 아니라 일본 등 아시아에서 막걸리

113

를 찾는 사람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다 김치도 예전에는 외국인이 손사래치는 것이 보통이었지만 몸에 좋은 유산균이 많고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한 발효음식이라는 사실이 널리 알려지면서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2004년에 한식을 영양적으로 균형을 갖춘 모범식으로 선정한 바 있으며 미국의 대표적 건강잡지인 lsquoHealthrsquo지가 2006년도에 김치를 세계 5대 건강식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2009년도에 국가브랜드위원회가 외국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에서 한국을 대표할 만한 이미지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도 한식이었다

이처럼 농식품 산업의 성장가능성 및 수출가능성을 고려할 때 앞으로 우리가 국산 농식품 수출의 유리한 여건과 기회를 잘 활용하면서 주요국 농식품 시장을 효과적으로 공략할 수 있는 유용한 전략과 방법을 수립한다면 농식품 수출은 한국 농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우리 농식품 산업을 수출산업화 하기 위한 여러 장점과 기회요인이 있으나 동시에 단점과 위협요인도 다수 공존하고 있다 예컨대 200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농식품은 164억 달러 가량의 무역적자를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 우리의 인접국인 일본 중국도 농업의 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농식품 수출 드라이브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어 향후 농식품 수출시장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내부환경

Strength (강점) Weakness (약점)∙ 고품질 생산에 적합한 기후와 자연조건∙ 국민소득 증가에 따른 농업의 6차

산업화와 높은 생산기술 ∙ 농식품업 RampD 확대추세 및 고급인력 ∙ 친환경 농업의 확대 및 고품질화 ∙ 다양한 농식품 분야 정책 지원 사업

∙ 국내 농산물의 국제 경쟁력 취약∙ 협소한 경지면적과 영세농 구조∙ 높은 노동비와 투입재 비용∙ 농촌지역 고령화 및 대체 인력 부족∙ 농업인의 경영 마인드 미미와 농식품

기업의 보수적 경영전략

외부환경

Opportunity (기회) Threat (위협)∙ 안전성 기능성 친환경 고품질 중시

소비시장 변화∙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중요성

인식∙ 농식품 수출시장 확대∙ 한식세계화 amp 식문화 컨텐츠 수출

가능성∙ 미래성장의 기초산업으로 부상

∙ 농식품 수입시장 개방 확대로 인한 경쟁심화

∙ 일부 품목에 집중적인 생산∙ 주요 수출시장의 원산지 및 식품안전

기준 강화∙ 식단의 서구화 다양화로 국산 농산물

소비 감소∙ 지구 온난화로 인한 작부 체계변화

lt표 3gt 우리나라 농식품산업의 여건분석(SWOT)

114

2 농식품 수출의 중요성가 농어업 성장 견인 및 농가소득 제고에 기여농식품의 일반적 특성 중 하나가 다른 상품에 비해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낮다는 점이다

따라서 조금만 생산이 과잉되어도 농가수취가격은 폭락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수출은 과잉 생산된 농식품을 해외에서 소비하게 함으로써 국내가격을 지지하고 궁극적으로 농가소득 제고에 기여하는 효과가 크다

나 국제수준의 고품질 안전 농식품 생산 유도 및 수입 농식품에 효과적 대응농식품 수출은 생산과 유통에 있어서 국제적 수준의 HACCP ISO GAP 등 안전성과 품

질을 국제수준으로 관리해야 하므로 낙후된 국내 농식품 생산 및 유통시스템을 선진국수준으로 향상시키는 촉매제 역할을 한다 또한 고품질 안전 경쟁력을 갖춘 농식품 생산 및 유통체제 구축은 궁극적으로 수입 농식품으로부터 국내 산업을 효과적으로 방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예를 들어 파프리카는 rsquo90년대 중반부터 내수가 없는 상태에서 수출용으로 재배하기 시작하여 현재 총 생산량의 약 50 가량을 수출하고 있으며 2009년도에 파프리카 주요 수출시장인 일본 시장에서 한국산 파프리카가 네덜란드산과 치열한 가격품질경쟁을 통해 시장점유율 1위(60)를 확보하였다 이러한 수출경쟁력 제고노력이 없었다면 현재 우리나라에는 네덜란드산 파프리카가 수입되고 있을 것이다

다 국민경제 및 국격 향상에 기여한국은행이 발간하는 산업연관분석표를 활용하여 농식품 100억 달러 수출의 국민경제기

여도를 산출해 본 결과 생산유발액은 126억 달러 부가가치 유발액 45억 달러 및 5만 6천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동차(NF 소나타 기준) 수출효과와 비교해 볼 때 생산유발액은 39만대 부가가치 면에서는 47만대를 수출하는 효과와 동일한 수준이다 그 밖에도 식문화 전파를 통한 국가위상 및 품격 제고 농어업의 자신감 회복 식량안보 및 환경유지 등 다양한 부분에서 기여하는 바가 매우 크다

115

Ⅲ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과 여건위기와 기회의 공존

1 세계 농식품 교역현황WTO 체제 출범과 FTA 체결확대로 세계 농식품교역 규모는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이

다 2008년 세계 농식품 수출규모는 약 1조 5775억 달러로 2000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세계적인 FTA체결 확산과 WTO DDA 협상의 타결 등 농식품 무역장벽의 축소와 철폐 움직임으로 농식품 교역규모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2015년에 세계 인구가 약 73억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농식품 교역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

(단위억 달러)

자료Global trade atlas(2008)

lt그림 4gt 세계 농식품 교역(수출기준) 규모 현황

그러나 주요 국가의 농식품 수출액에 비하여 우리의 수출규모는 매우 작다 우리나라는 일본 중국을 비롯하여 대만 동남아 인도 등 세계 인구 절반에 가까운 농식품 소비시장과 인접한 지리적 이점을 갖추고도 2008년 농식품 수출액은 44억 달러로 세계 농식품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3에 불과하다

하지만 우리와 같이 농경지 규모가 아주 작은데도 불구하고 첨단원예 가공품을 생산하

116

여 대량 수출하는 네덜란드 이스라엘 같은 나라도 있다 특히 네덜란드는 2008년 농식품 수출액이 약 1013억 달러로 미국(약 1400억 달러)에 이어 전 세계 2위를 차지한다 네덜란드는 10400ha의 첨단 유리온실에서 고품질 화훼 관상식물 채소를 생산하고 국내외 가공원료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생산하는 한편 전세계로부터 화훼를 수입하여 중개무역을 함으로써 수출농업 대국이 되었다

즉 네덜란드는 1차 농산물 생산에 국한하지 않고 국내외 원료 농산물을 이용한 가공산업을 발전시켜 농식품 부문 전체의 부가가치를 확대하고 있다

lt표 4gt 주요국 농식품 수입시장에서 한국산 비중(단위백만 달러 )

국 가 수입규모 한국산(비중) 주요 수입국일 본 81269 1478(18) 미국(261) 중국 호주 등중 국 62648 341(05) 미국(224)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미 국 111425 387(04) 캐나다(246) 멕시코 중국 등러 시 아 34680 129(04) 브라질(117) 미국 독일 등

자료Global Trade atlas(2008)

2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현황 및 요인 분석 가 수출현황과 특징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상황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식품 수출은 완만하게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이다 연도별 농식품 수출액은 1995

년 342억 달러에서 2009년 481억 달러로 연평균 32씩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증가 속도는 1995sim2009년 같은 기간 동안 연평균 102씩 증가한 우리나라 전체 수출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완만한 수준이다

둘째 농식품 수출액 규모는 점차 증가해 왔으나 국가 전체 수출액 대비 농식품 수출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국가전체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농식품 비중은 1971년 27에서 1995년 27 2000년 이후 10대로 하락하였다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액은 2009년 약 481억 달러로 국가전체 수출액 3635억 달러 가운데 13를 차지하고 있다

117

lt표 5gt 국가 전체 수출액 대비 농식품 수출 비중 (단위백만 달러 )구 분 1971 1977 1995 1998 2007 2008 2009

국가전체(A) 1068 10046 125058 132313 371489 422007 363534농 식 품(B) 285 1592 3419 2999 3759 4402 4809비 중(BA) 267 158 27 23 10 10 13자료농림수산식품부

셋째 신선농산물 보다 가공품 형태의 농식품 수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주력 수출품목이었던 수산식품과 신선 농식품의 수출이 거의 정체된 반면 가공 농식품의 수출은 크게 증가하여 전체 농식품 수출에서 가공농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1995년 약 32

수준에서 2009년에 약 53로 늘어났다 예컨대 상위 10대 수출품의 경우 1999년도에 주력 품목이었던 돼지고기 굴 붕장어 밤 등 원료형 농식품이 탈락한 반면에 2009년도에는 권련 커피조제품 소주 등 가공형 식품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lt그림 5gt 연도별 농식품 수출액

넷째 대일 수출 의존도가 감소하고 있는 반면에 수출선 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으로의 수출이 크게 감소한 반면 중국 미국 러시아 등으로의 수출증가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시장다변화가 진척되고 있다 대일본 농식품 수출비중은 1999년 66에서 2009년 33로 줄어들었다 이렇게 농식품 수출의 대일 수출비중이 감소한 대신 같은

118

기간동안 중국은 47에서 118 미국은 63에서 97 러시아는 19에서 47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미국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대상국 2위였으나 2007년 이후 중국으로의 수출이 미국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중국이 우리나라 농식품의 주요 수출시장으로 부상하였다

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lt그림 6gt 국가별 농식품 수출액

나 산업간 무역 및 산업내 무역 패턴의 변화국제무역이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두 가지 무역 패턴인 산업간 무역(Inter985103Industry

Trade)과 산업내 무역(Intra985103Industry Trade) 개념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의 무역패턴 변화를 분석하였다2)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헥셔985103오린(Heckscer985103Olin) 이론에 근거한 산업간 무역은 국가간 특화구조에 의해 교역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며 산업내 무역은 품질이나 브랜드차이 등으로 인한 독점적경쟁의 산업구조에서 발생하는 교역형태를 의미한다 우선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품목간 무역 형태를 분석하기 위해 무역 보완도(Index of

Trade Conformity)를 식 (1)을 통해 계측하였다 식 (1)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품목별

2) 산업내 무역지수와 산업간 무역지수 계측을 위해 UN985103comtrade 무역통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대상 품목은 국제적으로 농수산물로 인정되는 HS 2단위 기준 1sim24호에 속하는 품목으로 설정하였다(단 실질적인 분석에는 HS 6단위를 기준으로 구성된 무역자료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분석대상 국가는 200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와 농식품 교역이 가장 활발한 10개국으로 선정하였으며(한국무역협회자료) 분석 기간은 1995년에서 2008년으로 하였다

119

비중과 수출대상국의 품목별 수입비중을 이용하여 무역보완도를 계측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해당상품 수출구조와 교역 대상국의 수입구조가 비슷할수록 1에 가까워진다 즉 무역보완도 지수가 1에 가까울수록 우리의 수출상품이 교역대상국의 주요 수입품임을 의미하며 양국간에 교역의 특화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는 상품 수출액이 국(우리나라)의 전체 농식품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 수입액이 국(교역대상국)의 전체 농식품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1)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 주요 수출대상국 중 중국을 제외하고

1995년 이후 전반적으로 무역보완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농식품 10대 교역대상국을 대상으로 측정한 평균 무역보완도는 1995년 015에서 2008년 021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1995년 WTO 출범 이후 농식품 시장개방확대 추세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무역 역시 주요 교역대상국과 분업화와 특화가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구 분 1995년(A) 2000년 2005년 2008년(B) 보완도 차이(B985103A)호 주 0251 0292 0432 0420 0169 브 라 질 0056 0045 0076 0063 0007 중 국 0048 0058 0042 0031 9851030016 일 본 0292 0329 0409 0360 0068 뉴질랜드 0218 0242 0408 0351 0133 필 리 핀 985103 0093 0116 0081 0081 러 시 아 0034 0089 0171 0175 0141 태 국 0170 0152 0228 0236 0066 미 국 0148 0143 0263 0256 0108 베 트 남 985103 0063 0093 0102 0102 평 균 0152 0151 0224 0207 0055

lt표 6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무역 보완도 지수

주평균은 2009년 농식품 무역액을 기준으로 선정된 주요 10개국의 무역보완도 지수 산술평균을 의미한다자료UN985103comtrade 무역자료를 이용한 추정치

120

다음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교역의 산업내 무역지수를 식 (2)를 통해 계측하였다 식 (2)

는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을 구성하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을 가지고 산업내 무역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즉 농식품 산업에 속해 있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이 유사할수록 산업내 무역비중이 1에 가까워진다 일반적으로 농식품분야의 산업내 무역은 교역대상국 사이의 생산 계절성차이 품질차이 및 소비자 선호도 차이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2)

식 (2)를 이용한 추정결과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내 무역지수는 1995년 009에서 2002

년 024까지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그 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면서 2008년에는 015로 나타났다

lt그림 7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산업내 무역 지수

121

연도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농식품 분야도 산업내무역이 상당수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가격 품질 부위별 소득계층 주요 소비처 등의 선호도 차이와 생산의 계절적 차이에 따라 수출과 수입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돼지고기 김치 인삼 키위 등이 대표적 품목이다 따라서 최근 감소 추세에 있는 산업내 무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향후 주요 무역상대국을 대상으로 산업내 무역이 가능한 농식품을 발굴하는 것도 농식품 수출확대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정책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다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 분석여기서는 계량경제학적 추정방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을 분석

하였다 특히 향후 농식품의 높은 수출가능성으로 일반적으로 언급되어지는 우리나라와 가까운 거리에 일본 중국 등 대규모 농식품 소비시장의 존재가 실제 농식품 수출에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분석의 목표로 삼아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본 분석에서 설정한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추정모형은 기본적으로 중력모형을 응용한 식 (3)과 같다

In =In ()+In (

)+In ( )+

+In (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3)

vt = 국가별 확률효과 v t~iid N(oσ2v) εjt = 교란항 ε jt~iid N(oσ2ε)

주지하다시피 추정식 (3)은 일반적인 중력모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중력모형이 양 국가간의 교역(수출입)을 총체적으로 다룬 반면 여기서는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중력모형 중 우리나라의 1인당 GDP를 제외한 수출방정식을 설정하였다(Mary 2004) 식 (3)에서 는 국가별 확률효과를 나타내며 변수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별 특성을 나타낸다3)

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는 lt표 7gt과 같다 본고에서는 중력 모형에 포함되어 있는 1인당 GDP나 거리 변수 이외에 다양한 변수를 포함시켰다 우선 수출의 경우 환율에 영향을

3) 통상적인 패널 분석에서는 와 다른 설명변수들 간의 독립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추정결과의 일치성(consistency)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고정효과모형이 더 선호된다 하지만 패널 토빗모형에서는 패널이 충분히 길지 않는 한 오히려 고정효과 추정치의 일치성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확률효과 추정법이 더 선호된다(Cameron and Trivedi 2005 pp 800985103801) 따라서 본고 역시 이를 따르기로 한다

122

많이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역대상국과 우리나라의 환율을 포함시켰으며 앞서 분석한 무역보완도지수를 설명변수로 채택하여 농식품 교역이 특화되어 있는 정도가 농식품 수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무역장벽이라고 할 수 있는 관세를 포함시켰으며 각 국가의 개방도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WTO 가입여부와 우리나라와의 FTA 체결여부를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와 교역국간의 경제협력 수준을 반영하기 위해 해외직접투자액을 대리변수(proxy variable)로 사용하였다4) 또한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분석 대상국가로 설정하였고 분석기간은 1995년부터 2008년까지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는 패널데이터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품목별 수출량이 0인 연도도 존재하는 점을 감안하여5) 계량적 추정방법으로 김한호(2009) 등에서 사용한 패널토빗 계량모형(panel tobit model)을 이용하였다

변 수 설명 및 자료X jt 주요 10개국에 대한 품목별 수출액UN comtrade자료

distance 한국과의 거리한국과 교역국의 수도 간 거리 (단위Km)httpdistancecalculatorglobefeedcom

교역 대상 국가의 1인당 국민 소득(UNSD 자료와 인구통계 활용)

exchange 한국통화가치수출국통화가치 해외직접투자(한국수출입 은행 해외투자통계 자료)

conformity 무역 보완도지수 관세WTO 자료 WTO가입 여부국가별 가입 연도 기준 FTA 체결 여부국가별 체결 연도 기준

lt표 7gt 통계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 및 내용

주관세의 경우 WTO가 제공하는 각국의 품목별 관세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제공하지 않는 연도에 대해서는 이전 연도의 관세율과 같다고 가정하였다

4) 단 본고에서는 수출액과 해외직접투자가 0인 경우 1로 치환하여 로그값으로 전환시켜 자료의 손실을 줄이고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이러한 점은 본 분석의 한계라고도 볼 수 있다 즉 전체 교역액을 기준으로 대상국가를 선정하였기 때문에 해당 대상국이 실제로 해당 품목의 주요 교역국이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품목별로 주요 대상국을 설정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5) 이는 수출의 경우 0이상의 값만을 가지며 0이하의 값은 관찰되지 않기 때문이며 본고에서는 이를 0이상을 기준으로 데이터가 censored 되었다고 가정하였다

123

품목군별 추정결과는 아래 lt표 8gt sim lt표 10gt과 같으며 여기서는 주요 품목별로 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추정된 설명변수를 중심으로 수출 결정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교역대상국이 WTO 가입국 일수록 우리나라의 과실류의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그리고 신선채소류의 경우 관세가 낮을수록 화훼류는 FTA 체결국 일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과실류 (t 값) 신선 채소류 (t 값) 화훼류 (t 값)ln (fdi) 0165 (246) 0040 (035) 9851030063 (985103066)

ln (distance) 9851030543 (985103312) 9851030193 (985103164) 9851030223 (985103093)

ln (Yit Pit) 9851031015 (985103188) 0207 (053) 0400 (058)

ln (exchange) 0479 (196) 9851030210 (985103112) 0350 (108)

conformity 0115 (317) 0012 (037) 0034 (076)

tariff 0040 (142) 9851030443 (985103199) 0025 (071)

WTO 1645 (191) 9851031410 (985103129) 9851031262 (985103109)

FTA 9851030625 (985103057) 1444 (098) 4400 (297)

상수항 11106 (273) 5200 (181) 9851030232 (985103005)

σ v1) 1279 (307) 0539 (098) 1787 (357)

σ ε 1818 (1476) 2260 (1330) 2421 (1268)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8) 134(22) 134(36)

모형적합성 검증(Wald) 2896(p=0000) 2649(p=0001) 1398(p=0082)

lt표 8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과실류 신선 채소류 화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축산물(신선+가공)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9gt 참조) 그리고 교역 대상국이 FTA체결국인 경우 축산물 수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 축산물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

124

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산가공품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대상국이 FTA

체결국인 경우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전체 (t 값) 신선 (t 값) 가공 (t 값)ln (fdi) 0195 (210) 0366 (445) 0144 (106)

ln (distance) 9851030429 (985103244) 985103311 (985103233) 9851030707 (985103217)

ln (Yit Pit) 0195 (035) 0372 (080) 0579 (063)

ln (exchange) 0002 (001) 0077 (042) 9851030202 (985103046)

conformity 9851030022 (985103053) 9851030010 (985103026) 9851030098 (985103158)

tariff 0044 (155) 0041 (160) 0037 (071)

WTO 0053 (005) 9851030973 (985103091) 0184 (011)

FTA 3285 (225) 1458 (089) 5013 (261)

상수항 4083 (097) 0991 (985103027) 3135 (044)

σ v1) 1069 (278) 134e98510317 (000) 2344 (278)

σ ε 2449 (1413) 2866 (1351) 3096 (1170)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8) 134(32) 132(48)

모형적합성 검증(Wald) 2558(p=0001) 4400(p=0001) 2027(p=0009)

lt표 9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축산물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낙농품은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높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10gt 참조) 또한 교역국과 FTA를 체결할 경우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낙농품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곡물류 수출의 경우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5

변 수 낙농품 (t 값) 곡물류 (t 값)ln (fdi) 0190 (227) 0049 (101)

ln (distance) 9851030515 (985103176) 9851030532 (985103330)

ln (Yit Pit) 9851030686 (985103095) 9851030331 (985103079)

ln (exchange) 0863 (226) 0243 (119)

conformity 0097 (243) 0003 (014)

tariff 9851030190 (985103072) 9851030301 (985103190)

WTO 9851030148 (985103013) 1083 (164)

FTA 3946 (306) 0280 (037)

상수항 9030 (169) 13758 (421)

σ v1) 2113 (341) 1166 (344)

σ ε 2114 (1411) 1266 (1549)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7) 134(0)

모형적합성 검증(Wald) 3450 (p=0000) 1695(p=0031)

lt표 10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낙농품 곡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분석된 대부분 품목군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의 거리가 국산 농식품 수출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농식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부피에 비해 가격이 낮아 수송비가 교역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외에도 교역대상국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생산 및 식생활소비 패턴이 유사할 가능성이 높아 수출 증대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인접하면서 큰 농식품 시장이 있는 중국 일본 대만 중앙아시아 아세안 등에 대한 수출증가 가능성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일류 축산 특히 신선 축산물 낙농 등의 경우 해외직접투자가 많을 수록 수출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교포나 주재원 등의 수요가 많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126

3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과 기회요인가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주요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농식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쟁력 있는 대표 상품이 부족하다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은 14개로 대부분 가공식품이고 신선농산물은 4개에 불과하다

구 분 1999 2009(P)신 선 돼지고기 인삼 밥 김치 인삼 김치 파프리카 배가 공 자당 라면 소주 합판 권련 커피제조품 라면 자당 소주 비스킷수 산 참치 굴 붕장어 오징어 참치 오징어 김 넙치

lt표 11gt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

둘째 수출업체의 영세성으로 해외시장개척 및 국제경쟁력이 취약하고 수출업체의 난립으로 과잉경쟁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2008년 농식품 수출기업 921개 중 1천만 달러 이상은 22개(전체의 24)에 불과하며 1백만 달러 미만 수출업체는 689개(748)에 달한다

셋째 고품질 수출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기반이 미흡하다 수출거래 관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출 시장에서 원하는 품목과 물량을 원하는 시기에 공급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급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 생산 및 출하규모가 영세하고 내수 중심의 경영구조이기 때문에 수출거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적시 적량

정품 공급 기반이 미흡하다 수출 품목의 안전성과 품질이 담보되는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규모가 큰 수출조직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동시에 가공용 농식품 제조를 위한 품질과 가격경쟁력이 있는 원료농산물 공급기반도 미흡하다

넷째 효과적인 수출 물류 시스템 구축이 되어 있지 않다 수출 농식품의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저온유통 시스템이 가능한 물류 구축이 요구된다 하지만 국내 수출 물류시설 및 시스템이 낙후되어 신선도 및 품질 관리가 어렵고 경쟁력 제고에 한계가 많다 수출용 농식품의 국내 출하에서부터 수출 소비시장까지의 수송 저장에 필요한 냉장탑차 예냉저온선별 및 저장시설 냉장컨테이너 등의 시설 여건이 열악하여 품질 저하 감모 및 폐기물량 증가로 수출경쟁력을 제고시키기에 어려움이 많다

127

다섯째 체계적인 수출시장 개척 및 확대 시스템이 미흡하다 수출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하고 수출물량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국 도매업체와 대형판매점의 유통채널 진입과 긴밀한 네트워크유지가 필요하지만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KOTRA

유통공사 한인회 한상 등의 네트워크화를 통한 홍보 판촉 마케팅활동이 저조하다 이외에도 수출국 소매업체나 소비자들의 한국산 농식품 인지도 선호도 파악을 통한 수출 유망품목 수출 잠재품목 개발육성이 저조한 실정이다 수출국 시장 소비자 트렌드 및 라이프 스타일 조사 분석(Consumer Trends amp Lifestyle Analysis)을 통한 효과적 수요 창출 전략이 미흡하다 특히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별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나 농식품 수출의 기회요인 향후 DDA 농업협상의 타결과 FTA 체결 확대로 세계 농식품 교역규모는 큰 폭으로 증

가하여 우리 농식품 수출 증대에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DDAFTA 등으로 인한 관세 비관세 장벽 완화는 한국 농식품시장의 개방 확대와 동시에 수출시장이 확대되는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중국 인도 등 신흥경제권의 경제성장과 소득 증대로 우리나라의 고품질 차별화된 농식품의 수출확대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는 앞서 분석한 수출요인 결정모형의 분석 결과와 연관지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주요 국가와의 FTA의 체결과 해외진출 및 투자의 증가 교역국의 소득 증가 그리고 가까운 거리에 대규모 농식품 수출시장의 존재 등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즉 이러한 농식품 수출여건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은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식품 수출시장이 일본 중심에서 중국 러시아 동남아지역 등으로 다변화되어 가고 있어 시장개척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세계 농식품 시장규모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우리나라 주요 수출대상국의 농식품 수입규모도 증가 추세에 있다 우리 농식품수출의 60 가량을 점유하는 일본middot미국middot중국middot러시아 4개국의 수입규모가 최근 5년간 1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008 Global trade atlas)

우리 농식품의 주요 수출 유망국가에서 식문화의 글로벌화 및 웰빙middot건강식품 선호추세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한식의 세계화가 진전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2008년부터 본격적인 한식세계화 사업추진으로 식문화 수출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슬로우 푸드 건강 middot 기능성식품 수요증가에 따라 저열량 middot 건강식으로서 한식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128

이에 2009년의 경우 세계적 경기침체로 해외에서 우리와 경쟁관계에 있는 주요 선진농업국의 농식품수출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우리 농식품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강 점 (S) 약 점 (W)

인근 거대 잠재시장 존재한국식품에 대한 관심 고조높은 잠재 가능성(다양한 발효 식품 우수한 식문화)

국가대표 수출상품 부족 영세한 수출 구조기술 및 안전관리 수준 등이 선진국과 격차

(O)

세계 교역규모 증가안전middot기능성 관심 증가식문화 글로벌 확산

S ndash O 전략

한식 세계화 전략 구사수출 상품화수출지향 식품클러스터 조성

W ndash O 전략

수출전문 생산단지 설치식재료 및 기능식 상품화식품기업 해외진출 지원

(T)

세계적 경제 침체가격경쟁력 취약구제역 AI 등 안전성관리 애로

S ndash T 전략

잠재력 높은 신시장 개척수출유망품목 발굴 강화수출상품 고부가가치화수출상품 브랜드화

W ndash T 전략

국가대표 수출상품 육성수출 조직화 및 규모화RampD를 통한 신품목개발수출상품 안전체계 구축

lt그림 8gt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 분석(SWOT)

더욱이 정부가 2012년까지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 목표를 설정하고 다각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모색 중에 있어 어느 때보다 농식품 수출에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우선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과거와 달리 정부가 농식품 수출 목표를 높게 잡고 열심히 해보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지금까지 진행된 경제발전과정과 WTO 출범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무역자유화 시대에서 가장 취약한 산업부문으로 여겨져 찬밥신세를 면치 못하던 우리 농수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상징적 지표다 국내 농어업이 2000년 이후 성장정체 경향을 보이고 있는 현실에서 농식품 수출 확대를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신성장 동력원으로써 물꼬를 트겠다는 적극적 자세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수출선도조직 육성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 고품질 수출농식품의 안정적인 생산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려

129

하고 있다6) 수출선도조직과 수출업체의 생산 공급 계열화 시스템은 2009년 10개 품목 13

개 조직에서 2010년 18개 품목 21개 조직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노력은 생산농가985103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균일화된 고품질 농식품의 안정적인 공급으로 해외거래처와의 신뢰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수출업체 간 저가수출과당경쟁 방지 및 공동판촉 등 협력사업 수행으로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자율협력기구인 수출협의회가 구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 품목별 수출업체의 자율협력기구(수출협의회)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농식품 수출활성화 도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Ⅳ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

1 품목별로 차별화된 수출 확대 전략 수립앞서 수출증대요인 분석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품목별 또는 품목군별로 수출결정 요인

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품목별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한 수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무역보완도가 중요한 수출결정요인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 무역보완성이 높은 국가의 시장에 대한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류 내 품목별로 무역보완성을 고려한 목표 시장을 설정하여 수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과실류와 축산물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규모나 시장개방의 정도 즉 WTO 가입이나 FTA 체결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품목의 경우 국내 기업이 많이 진출하고 있거나 시장개방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 국가가 주요 수출시장으로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출결정인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품목별로 주요 수출대상 국가별 수출저해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특히 2012년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라는 수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수출 기반 조성과 방법으로 수출을 추진해야 한다 농식품 수출의 장애요인 발굴과 제거하는 과정은 품목별 국가별 여건과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수출 목표를 빠르게 달6) 수출선도조직은 농식품 수출업체가 생산농가(lsquo생산자조직rsquo 포함)와 상호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고 수

출업체 주도로 품종선택부터 재배 수확 선별 포장 수출 안전성 및 품질관리 정산 농가교육 등의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함으로써 수출 농식품의 경쟁력을 높여 수출확대를 선도하는 조직을 말한다

130

성하기 위해서는 수출 비중과 증가율이 큰 품목과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확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수출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 장애요인 제거 방법도 보다 큰 틀에서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앞서 수출 유망 국가 및 시장 선택에 있어서는 수출결정요인 분석 결과와 함께 수출시장별 기회잠재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차별화된 시장 개척과 확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즉 국가별 수출시장 여건 및 특성에 맞추어 수출증대 노력을 기울여야 효과적인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해외시장에서 성공한 우리 농식품들은 고품질과 단일브랜드 현지형 마케팅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야 한다 특히 한반도를 중심으로 반경 19851032시간 권 안에 있는 중국 일본 대만 등 우리에게 새롭게 열린 시장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수출 확대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해외동포나 현지 교민의 직접적인 수요에 의존한 수출방식에서 이들 국가의 해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방식으로 전환하여 신규 수출수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공급 수출지원시스템 간의 밀접한 상호연계 체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2012년 100억 달러 농식품 수출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현재의 수출증가율을 큰 폭으로 상회해야 하므로 민간 차원에서 하기 힘든 수출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대규모 수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외 농식품 생산 유통업체간 전략적 글로벌 공동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반도를 동아시아 농식품 허브로 개발 육성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극적인 세계 유명 식품 박람회 참가 바이어초청 등을 통해 신규거래선 개척을 지원하여 수출업체985103바이어 간 만남의 장 마련으로 더 많은 수출기회를 제공해 나가야 한다 또한 해외 대형 바이어와의 MOU 체결 주요 식품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한국식품 직수출 유통채널 확보 및 장기대규모 소비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국내적으로도 농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수출유관기관의 역할분담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수출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외교통상부middot무역협회middotKOTRA 각종 협회 해외한인회 등 공공부문 및 민간조직과의 협력방안도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 대표급 주력 수출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2009년 현재 기준 5천만 달러 이상 수출되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은 인삼(1억 달러 rsquo09년) 김치(89백만 달러) 배(54백만 달러) 파프리카(53백만 달러) 정도이고 그 외에 이렇다할 만한 주력 수출상품이 없다는 것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품목별 수출결정요인과 함께 시장의 특성 선호도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전략수출상품을 집중 육성할 필요

131

가 있다 현재 수출규모가 큰 김치 인삼 돼지고기 배 면류 주류 과자류 참치 오징어

김 등은 현재보다 수출규모를 확대하고 세계적인 상품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또한 삼계탕

버섯류 유자차 화훼 전복 넙치 굴 등 농어민 소득증대가 크고 수출성장 가능성이 큰 품목의 발굴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농가985103 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안전성품질관리가 가능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경영체로 육성함으로써 균일화된 고품질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해외 거래선의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 기술과 자본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통해 해외 유통망 확보 노력과 함께 세계인들의 입맛을 붙잡는 그리너리(네델란드) 데니쉬 크라운(덴마크) 제스프리(뉴질랜드) 선키스트(미국) 네슬레(스위스) 등과 같은 세계적 대표 브랜드 육성이 필요하다

2 고부가가가치 농식품 수출 확대계절성이 높은 1차 농산물을 수출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2 middot 3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

치 상품을 수출하여 채산성을 높이고 수출상품을 연중 수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농식품 수출을 빠르게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품목 측면에서 최근 수출 증가율이 높은 가공농식품 중심으로 수출증대 전략을 마련하고 신선농식품 중에서는 수출 비중과 수출 증가율이 큰 과실류와 인삼류 화훼류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수출 증대 효과가 높을 것이다 김치류 등 수출 비중이 크지만 수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은 수출을 감소시킨 원인을 찾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 품목군에서도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간에 다르게 나타난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적 식문화의 세계화를 통해 국산 농식품 및 식자재의 수출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세계적인 건강식품 음식으로 이미 떠오른 김치와 비빔밥이외에도 더 많은 전략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연관된 식자재를 체계적으로 수출하는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식이 세계인의 입맛에 맞을 수 있도록 맛의 표준화를 정립하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메뉴를 개발하고 중점 지원하며 국산 식재료 유통구조의 대형화와 전문화를 통해 국산 식재료가 한식과 세계인의 식재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현재 전 세계 180여개국에 걸쳐 널리 퍼져있는 700만 재외동포와 한민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농식품 수출의 교두보로 삼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즉 해외동포기업들을 우리 농식품 및 식자재 수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전 세계

132

한국교민은 700만 명으로 화교(5500만 명) 유태인(860만 명)에 이어 세계 3번째 규모이다

약 7300개 한국 기업이 아시아 미주 유럽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지 종사자 규모가 약 150만 명에 이르며 해외 한식당은 약 1만 개로 추정된다 이들 해외 거주자는 우선적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될 수 있다

3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 우리 농식품기업의 해외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예컨대 국제적인 농식품 기업을 인수함

으로써 해외 생산기지와 유통망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보유 잉여자금을 이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해외투자활동이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농식품의 수출확대 과정에서 정부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과제 중의 하나는 국내 농어민의 소득 향상과 연계되는 수출방안의 모색이다 사실 현재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비중이 낮고 주로 가공식품위주를 이루고 국내 농업과 연관성이 높은 신선식품의 비중은 크지 않아 수출을 통한 농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농어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농식품 수출이 되도록 더 많은 정책적 고민과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2009년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가공식품은 53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선식품 수출비중이 높은 수산물을 제외하면 신선농축식품 수출비중은 15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농식품 수출이 실질적으로 국내 농어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농어민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어업과 연계된 수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수출유망 품목 발굴 노력과 함께 품목별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수출을 조직화규모화함으로써 과당경쟁 등 우리나라 수출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외에서의 거래교섭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중소규모 수출단지와 영세업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촉진하여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Dole과 선키스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 네덜란드의 그리너리와 같은 세계적인 수출조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식품 수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신선농식품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자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수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파프리카 화훼 버섯 등의 경우에도 종자부터 시설기자재까지 네덜란드 등 농업선진국에 의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2: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08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exist simultaneously in the Korean agro985103food expor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ective action plan to enhance the Korean agro985103food export in terms of diversification of export products and countries decrease in high dependence on overseas Koreans differentiation of export marketing by trade partner expansion of R amp D on agro985103food industry and change of the concept on agro985103food export

Key Words Agro985103food Export Trade Pattern Index of Trade Conformity Gravity Model

21

Ⅰ 머리말

세기 세계경제는 1995년 출범한 WTO 다자체제와 최근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쌍무적 FTA체결 등으로 인해 모든 분야에 걸쳐 긴밀하게 하나의 시장으로 통합되어 가

는 추세이며 이는 우리 농식품 부문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세계 경제통합 현상의 확대 및 심화는 궁극적으로 우리 농식품 시장의 개방을 가속화할 전망이고 이에 농업계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전통적 1차 농업 생산과 내수 지향적 농산물 유통은 이미 농업 성장의 한계로 작용하고 있으며 특히 현재와 같이 무역자유화로 인한 피해가 없거나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은 품목으로의 생산 집중 현상은 불가피하게 공급과잉을 초래할 것이다 이러한 농산물의 공급과잉 현상과 함께 지금과 같은 내수지향적 생산 및 유통은 가격하락으로 이어져 궁극적으로 농업인의 소득 감소로 이어질 것이다

그런데 사실 지금까지 우리 농업은 국제적인 시장개방의 물결에 너무 수세적이고 방어적인 입장만을 취해왔으며 기회요인을 살리기 위한 노력은 소홀히 해 온 측면이 있다 하지만 lsquo위기는 곧 기회rsquo라 했던가 농식품 시장개방은 위기인 동시에 우리의 주요 무역상대국 시장 또한 개방되는 것이기에 새로운 기회의 장이 열릴 수 있다 예컨대 세계적인 무역자유화 추세는 미국 EU 일본 중국 러시아 동남아 등 주요국 시장에 우리 농식품을 수출할 기회를 증가시켜 주고 있으며 특히 최근 우리나라와 가까운 아시아권을 중심으로 한류 열풍과 맞물려 나타나고 있는 우리 농식품의 수출 증가 추세와 한국 음식에 대한 관심 증대는 이러한 가능성을 확실히 보여주고 있다

109

따라서 향후 우리가 가진 강점과 기회요인을 잘 활용한다면 농식품 수출이 우리 농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원으로 작용하면서 농민들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과 수출농업 육성책이 고부가가치 창출로 국가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고 실질적으로 농어업 성장의 견인차가 되기 위해서는 아직도 갈 길이 멀고 해야 할 일도 많다 하지만 갈수록 한계에 도달하는 국내 농식품 시장을 과감히 탈피하고 신시장

신수요 창출을 위해 적극적으로 해외로 진출하는 것이 국내 농식품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최선의 방책중 하나임에 틀림없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논문은 농식품 산업의 가치와 수출의 중요성 그리고 농식품 수출의 현황과 패턴분석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과 기회요인을 살펴본 후 향후 해결해야할 중점과제를 찾아보고자 한다

Ⅱ 농식품 산업의 가치와 수출의 중요성

1 농식품 산업의 가치와 수출가능성영국 런던에 본사를 두고 있는 세계적 산업동향 조사 및 컨설팅 기업인 데이터모니터

(Datamonitor)가 2009년 3월 발간한 산업별 시장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농식품 시장의 규모는 약 4조 달러에 달한다 이는 자동차산업의 17배 철강산업의 58배 반도체산업의 8배 규모로 이들 3개 유망산업 시장을 모두 합친 것 보다 더 큰 시장이다 또한 이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농식품 시장은 2008sim2013년 동안 연평균 45씩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며 2013년에 5조 달러에 이를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농식품 시장의 연평균 성장세는 자동차산업(35) 반도체산업(18)의 성장세 보다 높은 수치이다 이렇게 세계 농식품 시장은 자동차 철강 반도체 시장보다 규모가 크고 성장률도 높을 뿐 아니라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잠재력이 크다

또한 농식품 산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경기 침체의 영향이 적고 향후 인구증가 소득증대 등으로 시장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으로 미래 산업의 중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110

lt표 1gt 주요 산업별 세계 시장규모(2008년) 및 전망치(2013년) (단위billion $)분 야 2008년 2013년 연평균 증가율농 식 품 40205 50139 45자 동 차 24096 28614 35철 강 6856 16223 188반 도 체 2795 3056 18I T 서 비 스 501 6143 42

자료Datamonitor(20093)

더욱이 식품산업은 전후방 산업의 성장을 견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1차 생산인 농수산업보다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한국은행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분석에 따르면 식품산업에서 10억 원의 생산증대는 식품관련 전후방산업에 20억 원의 생산 증대 유발효과를 보인다 즉 식품산업이 활성화되면 해당 원료를 생산하는 농민뿐만 아니라 유통업자 가공업자 외식사업자 수출업자 등 관련된 사람들이 모두 이익을 본다 이것이 바로 우리 농업이 단순히 1차 농산물을 생산하는 데 그쳐서는 안 되고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농식품 가공산업이 활성화되도록 노력해야 할 또 다른 이유이다 대표적인 사례로 프랑스 와인을 꼽을 수 있다 프랑스 와인의 인기는 결국 포도 농민 가공업자 유통업자 수출업자 외식산업자 관광업자의 이익으로 연결되고 있다 우리 쌀의 경우에도 쌀 10

의 가격은 2만 원 수준이나 이 쌀로 떡을 만들어 팔 경우 12만 5000원이 되고 술을 빚으면 21만 3000원으로 더 커진다

(高)

부가가치

(低)

증류주213천 원

떡125천 원

햇반100천 원

쌀20천 원

(低) 가 공 도 (高)자료농림수산식품부 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2008년 11월)

lt그림 1gt 식품산업의 중요성쌀(10kg) 가공 사례

111

한편 식품산업은 국민 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이 크고 한식 세계화를 통해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이 높다 2008년 기준 국내 식품시장 규모는 약 110조 원(식품제조업 + 음식점업)으로 전체 GDP의 101 그리고 고용은 243만 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103를 차지하고 있다1)

자료통계청 제조업통계조사(종사자수 10인 이상 사업체 대상) 도소매업 통계조사lt그림 2gt GDP 및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율

또한 농식품 산업은 수출가능성이 높은 유망분야이다 우리나라는 일본과 중국은 물론

대만 동남아시아 인도 등 아시아 중동 CIS 국가를 포괄하여 세계 인구의 절반에 가까운 대규모 농식품 소비시장과 인접한 전략적 요충지다 구체적으로 서울을 기점으로 반경 2000km 이내의 지역에 동경 북경 상해 마닐라 등 11개의 주요 도시와 15억 인구 그리고 7300억 달러 규모의 거대한 농식품 수입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시장의 성장세 역시 두드러지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가 속해 있는 아시아지역 식품산업 시장규모는 약 15조 달러이며 이는 세계전체 식품산업의 369를 차지하는 규모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와 인접한 아시아 식품시장은 세계 평균보다 빠른 연평균 49의 고속성장이 예상된다

1) 만일 식품산업에 식품유통업을 포함하면 2008년 기준 214조 원에 달하고 이는 전체 GDP의 210에 해당한다(자료통계청 제조업통계조사(종사자수 10인 이상 사업체 대상) 도소매업 통계조사)

112

lt표 2gt 주요 지역별 식품산업 규모 (단위billion $ )

지 역 식품제조업 (A) 외식업 (B) 식품부문 총괄 (A+B)금 액 비 중 금 액 비 중 금 액 비 중

아시아 985103 태평양 1181 374 3028 351 14838 369

유 럽 9631 305 2528 293 12159 302

아메리카 8463 268 3072 356 11535 287

기 타 1673 53 985103 985103 1673 42

총 계 31577 1000 8628 1000 40205 1000자료Datamonitor(20093)

아울러 최근 아시아에 불고 있는 한류 열풍으로 한국의 문화와 음식에 대해 세계인들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어 우리 식문화를 전파하고 식재료를 수출할 여건이 성숙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한류를 바탕으로 한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한식의 우수성이 국내외 언론 등을 통해 확산 중에 있는 지금이 한식세계화 최적의 시기이다 예컨대 막걸리와 김치의 사례를 들 수 있다

자료국가브랜드위원회(2009)

lt그림 3gt 한국의 대표 이미지

막걸리는 유산균이 많아 건강에 좋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알코올성 음료보다는 건강 발효음료로 최근 선풍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우리뿐 아니라 일본 등 아시아에서 막걸리

113

를 찾는 사람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다 김치도 예전에는 외국인이 손사래치는 것이 보통이었지만 몸에 좋은 유산균이 많고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한 발효음식이라는 사실이 널리 알려지면서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2004년에 한식을 영양적으로 균형을 갖춘 모범식으로 선정한 바 있으며 미국의 대표적 건강잡지인 lsquoHealthrsquo지가 2006년도에 김치를 세계 5대 건강식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2009년도에 국가브랜드위원회가 외국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에서 한국을 대표할 만한 이미지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도 한식이었다

이처럼 농식품 산업의 성장가능성 및 수출가능성을 고려할 때 앞으로 우리가 국산 농식품 수출의 유리한 여건과 기회를 잘 활용하면서 주요국 농식품 시장을 효과적으로 공략할 수 있는 유용한 전략과 방법을 수립한다면 농식품 수출은 한국 농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우리 농식품 산업을 수출산업화 하기 위한 여러 장점과 기회요인이 있으나 동시에 단점과 위협요인도 다수 공존하고 있다 예컨대 200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농식품은 164억 달러 가량의 무역적자를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 우리의 인접국인 일본 중국도 농업의 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농식품 수출 드라이브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어 향후 농식품 수출시장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내부환경

Strength (강점) Weakness (약점)∙ 고품질 생산에 적합한 기후와 자연조건∙ 국민소득 증가에 따른 농업의 6차

산업화와 높은 생산기술 ∙ 농식품업 RampD 확대추세 및 고급인력 ∙ 친환경 농업의 확대 및 고품질화 ∙ 다양한 농식품 분야 정책 지원 사업

∙ 국내 농산물의 국제 경쟁력 취약∙ 협소한 경지면적과 영세농 구조∙ 높은 노동비와 투입재 비용∙ 농촌지역 고령화 및 대체 인력 부족∙ 농업인의 경영 마인드 미미와 농식품

기업의 보수적 경영전략

외부환경

Opportunity (기회) Threat (위협)∙ 안전성 기능성 친환경 고품질 중시

소비시장 변화∙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중요성

인식∙ 농식품 수출시장 확대∙ 한식세계화 amp 식문화 컨텐츠 수출

가능성∙ 미래성장의 기초산업으로 부상

∙ 농식품 수입시장 개방 확대로 인한 경쟁심화

∙ 일부 품목에 집중적인 생산∙ 주요 수출시장의 원산지 및 식품안전

기준 강화∙ 식단의 서구화 다양화로 국산 농산물

소비 감소∙ 지구 온난화로 인한 작부 체계변화

lt표 3gt 우리나라 농식품산업의 여건분석(SWOT)

114

2 농식품 수출의 중요성가 농어업 성장 견인 및 농가소득 제고에 기여농식품의 일반적 특성 중 하나가 다른 상품에 비해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낮다는 점이다

따라서 조금만 생산이 과잉되어도 농가수취가격은 폭락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수출은 과잉 생산된 농식품을 해외에서 소비하게 함으로써 국내가격을 지지하고 궁극적으로 농가소득 제고에 기여하는 효과가 크다

나 국제수준의 고품질 안전 농식품 생산 유도 및 수입 농식품에 효과적 대응농식품 수출은 생산과 유통에 있어서 국제적 수준의 HACCP ISO GAP 등 안전성과 품

질을 국제수준으로 관리해야 하므로 낙후된 국내 농식품 생산 및 유통시스템을 선진국수준으로 향상시키는 촉매제 역할을 한다 또한 고품질 안전 경쟁력을 갖춘 농식품 생산 및 유통체제 구축은 궁극적으로 수입 농식품으로부터 국내 산업을 효과적으로 방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예를 들어 파프리카는 rsquo90년대 중반부터 내수가 없는 상태에서 수출용으로 재배하기 시작하여 현재 총 생산량의 약 50 가량을 수출하고 있으며 2009년도에 파프리카 주요 수출시장인 일본 시장에서 한국산 파프리카가 네덜란드산과 치열한 가격품질경쟁을 통해 시장점유율 1위(60)를 확보하였다 이러한 수출경쟁력 제고노력이 없었다면 현재 우리나라에는 네덜란드산 파프리카가 수입되고 있을 것이다

다 국민경제 및 국격 향상에 기여한국은행이 발간하는 산업연관분석표를 활용하여 농식품 100억 달러 수출의 국민경제기

여도를 산출해 본 결과 생산유발액은 126억 달러 부가가치 유발액 45억 달러 및 5만 6천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동차(NF 소나타 기준) 수출효과와 비교해 볼 때 생산유발액은 39만대 부가가치 면에서는 47만대를 수출하는 효과와 동일한 수준이다 그 밖에도 식문화 전파를 통한 국가위상 및 품격 제고 농어업의 자신감 회복 식량안보 및 환경유지 등 다양한 부분에서 기여하는 바가 매우 크다

115

Ⅲ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과 여건위기와 기회의 공존

1 세계 농식품 교역현황WTO 체제 출범과 FTA 체결확대로 세계 농식품교역 규모는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이

다 2008년 세계 농식품 수출규모는 약 1조 5775억 달러로 2000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세계적인 FTA체결 확산과 WTO DDA 협상의 타결 등 농식품 무역장벽의 축소와 철폐 움직임으로 농식품 교역규모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2015년에 세계 인구가 약 73억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농식품 교역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

(단위억 달러)

자료Global trade atlas(2008)

lt그림 4gt 세계 농식품 교역(수출기준) 규모 현황

그러나 주요 국가의 농식품 수출액에 비하여 우리의 수출규모는 매우 작다 우리나라는 일본 중국을 비롯하여 대만 동남아 인도 등 세계 인구 절반에 가까운 농식품 소비시장과 인접한 지리적 이점을 갖추고도 2008년 농식품 수출액은 44억 달러로 세계 농식품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3에 불과하다

하지만 우리와 같이 농경지 규모가 아주 작은데도 불구하고 첨단원예 가공품을 생산하

116

여 대량 수출하는 네덜란드 이스라엘 같은 나라도 있다 특히 네덜란드는 2008년 농식품 수출액이 약 1013억 달러로 미국(약 1400억 달러)에 이어 전 세계 2위를 차지한다 네덜란드는 10400ha의 첨단 유리온실에서 고품질 화훼 관상식물 채소를 생산하고 국내외 가공원료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생산하는 한편 전세계로부터 화훼를 수입하여 중개무역을 함으로써 수출농업 대국이 되었다

즉 네덜란드는 1차 농산물 생산에 국한하지 않고 국내외 원료 농산물을 이용한 가공산업을 발전시켜 농식품 부문 전체의 부가가치를 확대하고 있다

lt표 4gt 주요국 농식품 수입시장에서 한국산 비중(단위백만 달러 )

국 가 수입규모 한국산(비중) 주요 수입국일 본 81269 1478(18) 미국(261) 중국 호주 등중 국 62648 341(05) 미국(224)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미 국 111425 387(04) 캐나다(246) 멕시코 중국 등러 시 아 34680 129(04) 브라질(117) 미국 독일 등

자료Global Trade atlas(2008)

2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현황 및 요인 분석 가 수출현황과 특징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상황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식품 수출은 완만하게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이다 연도별 농식품 수출액은 1995

년 342억 달러에서 2009년 481억 달러로 연평균 32씩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증가 속도는 1995sim2009년 같은 기간 동안 연평균 102씩 증가한 우리나라 전체 수출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완만한 수준이다

둘째 농식품 수출액 규모는 점차 증가해 왔으나 국가 전체 수출액 대비 농식품 수출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국가전체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농식품 비중은 1971년 27에서 1995년 27 2000년 이후 10대로 하락하였다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액은 2009년 약 481억 달러로 국가전체 수출액 3635억 달러 가운데 13를 차지하고 있다

117

lt표 5gt 국가 전체 수출액 대비 농식품 수출 비중 (단위백만 달러 )구 분 1971 1977 1995 1998 2007 2008 2009

국가전체(A) 1068 10046 125058 132313 371489 422007 363534농 식 품(B) 285 1592 3419 2999 3759 4402 4809비 중(BA) 267 158 27 23 10 10 13자료농림수산식품부

셋째 신선농산물 보다 가공품 형태의 농식품 수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주력 수출품목이었던 수산식품과 신선 농식품의 수출이 거의 정체된 반면 가공 농식품의 수출은 크게 증가하여 전체 농식품 수출에서 가공농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1995년 약 32

수준에서 2009년에 약 53로 늘어났다 예컨대 상위 10대 수출품의 경우 1999년도에 주력 품목이었던 돼지고기 굴 붕장어 밤 등 원료형 농식품이 탈락한 반면에 2009년도에는 권련 커피조제품 소주 등 가공형 식품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lt그림 5gt 연도별 농식품 수출액

넷째 대일 수출 의존도가 감소하고 있는 반면에 수출선 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으로의 수출이 크게 감소한 반면 중국 미국 러시아 등으로의 수출증가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시장다변화가 진척되고 있다 대일본 농식품 수출비중은 1999년 66에서 2009년 33로 줄어들었다 이렇게 농식품 수출의 대일 수출비중이 감소한 대신 같은

118

기간동안 중국은 47에서 118 미국은 63에서 97 러시아는 19에서 47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미국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대상국 2위였으나 2007년 이후 중국으로의 수출이 미국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중국이 우리나라 농식품의 주요 수출시장으로 부상하였다

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lt그림 6gt 국가별 농식품 수출액

나 산업간 무역 및 산업내 무역 패턴의 변화국제무역이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두 가지 무역 패턴인 산업간 무역(Inter985103Industry

Trade)과 산업내 무역(Intra985103Industry Trade) 개념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의 무역패턴 변화를 분석하였다2)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헥셔985103오린(Heckscer985103Olin) 이론에 근거한 산업간 무역은 국가간 특화구조에 의해 교역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며 산업내 무역은 품질이나 브랜드차이 등으로 인한 독점적경쟁의 산업구조에서 발생하는 교역형태를 의미한다 우선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품목간 무역 형태를 분석하기 위해 무역 보완도(Index of

Trade Conformity)를 식 (1)을 통해 계측하였다 식 (1)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품목별

2) 산업내 무역지수와 산업간 무역지수 계측을 위해 UN985103comtrade 무역통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대상 품목은 국제적으로 농수산물로 인정되는 HS 2단위 기준 1sim24호에 속하는 품목으로 설정하였다(단 실질적인 분석에는 HS 6단위를 기준으로 구성된 무역자료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분석대상 국가는 200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와 농식품 교역이 가장 활발한 10개국으로 선정하였으며(한국무역협회자료) 분석 기간은 1995년에서 2008년으로 하였다

119

비중과 수출대상국의 품목별 수입비중을 이용하여 무역보완도를 계측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해당상품 수출구조와 교역 대상국의 수입구조가 비슷할수록 1에 가까워진다 즉 무역보완도 지수가 1에 가까울수록 우리의 수출상품이 교역대상국의 주요 수입품임을 의미하며 양국간에 교역의 특화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는 상품 수출액이 국(우리나라)의 전체 농식품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 수입액이 국(교역대상국)의 전체 농식품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1)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 주요 수출대상국 중 중국을 제외하고

1995년 이후 전반적으로 무역보완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농식품 10대 교역대상국을 대상으로 측정한 평균 무역보완도는 1995년 015에서 2008년 021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1995년 WTO 출범 이후 농식품 시장개방확대 추세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무역 역시 주요 교역대상국과 분업화와 특화가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구 분 1995년(A) 2000년 2005년 2008년(B) 보완도 차이(B985103A)호 주 0251 0292 0432 0420 0169 브 라 질 0056 0045 0076 0063 0007 중 국 0048 0058 0042 0031 9851030016 일 본 0292 0329 0409 0360 0068 뉴질랜드 0218 0242 0408 0351 0133 필 리 핀 985103 0093 0116 0081 0081 러 시 아 0034 0089 0171 0175 0141 태 국 0170 0152 0228 0236 0066 미 국 0148 0143 0263 0256 0108 베 트 남 985103 0063 0093 0102 0102 평 균 0152 0151 0224 0207 0055

lt표 6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무역 보완도 지수

주평균은 2009년 농식품 무역액을 기준으로 선정된 주요 10개국의 무역보완도 지수 산술평균을 의미한다자료UN985103comtrade 무역자료를 이용한 추정치

120

다음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교역의 산업내 무역지수를 식 (2)를 통해 계측하였다 식 (2)

는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을 구성하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을 가지고 산업내 무역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즉 농식품 산업에 속해 있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이 유사할수록 산업내 무역비중이 1에 가까워진다 일반적으로 농식품분야의 산업내 무역은 교역대상국 사이의 생산 계절성차이 품질차이 및 소비자 선호도 차이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2)

식 (2)를 이용한 추정결과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내 무역지수는 1995년 009에서 2002

년 024까지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그 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면서 2008년에는 015로 나타났다

lt그림 7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산업내 무역 지수

121

연도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농식품 분야도 산업내무역이 상당수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가격 품질 부위별 소득계층 주요 소비처 등의 선호도 차이와 생산의 계절적 차이에 따라 수출과 수입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돼지고기 김치 인삼 키위 등이 대표적 품목이다 따라서 최근 감소 추세에 있는 산업내 무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향후 주요 무역상대국을 대상으로 산업내 무역이 가능한 농식품을 발굴하는 것도 농식품 수출확대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정책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다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 분석여기서는 계량경제학적 추정방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을 분석

하였다 특히 향후 농식품의 높은 수출가능성으로 일반적으로 언급되어지는 우리나라와 가까운 거리에 일본 중국 등 대규모 농식품 소비시장의 존재가 실제 농식품 수출에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분석의 목표로 삼아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본 분석에서 설정한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추정모형은 기본적으로 중력모형을 응용한 식 (3)과 같다

In =In ()+In (

)+In ( )+

+In (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3)

vt = 국가별 확률효과 v t~iid N(oσ2v) εjt = 교란항 ε jt~iid N(oσ2ε)

주지하다시피 추정식 (3)은 일반적인 중력모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중력모형이 양 국가간의 교역(수출입)을 총체적으로 다룬 반면 여기서는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중력모형 중 우리나라의 1인당 GDP를 제외한 수출방정식을 설정하였다(Mary 2004) 식 (3)에서 는 국가별 확률효과를 나타내며 변수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별 특성을 나타낸다3)

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는 lt표 7gt과 같다 본고에서는 중력 모형에 포함되어 있는 1인당 GDP나 거리 변수 이외에 다양한 변수를 포함시켰다 우선 수출의 경우 환율에 영향을

3) 통상적인 패널 분석에서는 와 다른 설명변수들 간의 독립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추정결과의 일치성(consistency)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고정효과모형이 더 선호된다 하지만 패널 토빗모형에서는 패널이 충분히 길지 않는 한 오히려 고정효과 추정치의 일치성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확률효과 추정법이 더 선호된다(Cameron and Trivedi 2005 pp 800985103801) 따라서 본고 역시 이를 따르기로 한다

122

많이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역대상국과 우리나라의 환율을 포함시켰으며 앞서 분석한 무역보완도지수를 설명변수로 채택하여 농식품 교역이 특화되어 있는 정도가 농식품 수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무역장벽이라고 할 수 있는 관세를 포함시켰으며 각 국가의 개방도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WTO 가입여부와 우리나라와의 FTA 체결여부를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와 교역국간의 경제협력 수준을 반영하기 위해 해외직접투자액을 대리변수(proxy variable)로 사용하였다4) 또한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분석 대상국가로 설정하였고 분석기간은 1995년부터 2008년까지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는 패널데이터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품목별 수출량이 0인 연도도 존재하는 점을 감안하여5) 계량적 추정방법으로 김한호(2009) 등에서 사용한 패널토빗 계량모형(panel tobit model)을 이용하였다

변 수 설명 및 자료X jt 주요 10개국에 대한 품목별 수출액UN comtrade자료

distance 한국과의 거리한국과 교역국의 수도 간 거리 (단위Km)httpdistancecalculatorglobefeedcom

교역 대상 국가의 1인당 국민 소득(UNSD 자료와 인구통계 활용)

exchange 한국통화가치수출국통화가치 해외직접투자(한국수출입 은행 해외투자통계 자료)

conformity 무역 보완도지수 관세WTO 자료 WTO가입 여부국가별 가입 연도 기준 FTA 체결 여부국가별 체결 연도 기준

lt표 7gt 통계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 및 내용

주관세의 경우 WTO가 제공하는 각국의 품목별 관세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제공하지 않는 연도에 대해서는 이전 연도의 관세율과 같다고 가정하였다

4) 단 본고에서는 수출액과 해외직접투자가 0인 경우 1로 치환하여 로그값으로 전환시켜 자료의 손실을 줄이고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이러한 점은 본 분석의 한계라고도 볼 수 있다 즉 전체 교역액을 기준으로 대상국가를 선정하였기 때문에 해당 대상국이 실제로 해당 품목의 주요 교역국이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품목별로 주요 대상국을 설정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5) 이는 수출의 경우 0이상의 값만을 가지며 0이하의 값은 관찰되지 않기 때문이며 본고에서는 이를 0이상을 기준으로 데이터가 censored 되었다고 가정하였다

123

품목군별 추정결과는 아래 lt표 8gt sim lt표 10gt과 같으며 여기서는 주요 품목별로 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추정된 설명변수를 중심으로 수출 결정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교역대상국이 WTO 가입국 일수록 우리나라의 과실류의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그리고 신선채소류의 경우 관세가 낮을수록 화훼류는 FTA 체결국 일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과실류 (t 값) 신선 채소류 (t 값) 화훼류 (t 값)ln (fdi) 0165 (246) 0040 (035) 9851030063 (985103066)

ln (distance) 9851030543 (985103312) 9851030193 (985103164) 9851030223 (985103093)

ln (Yit Pit) 9851031015 (985103188) 0207 (053) 0400 (058)

ln (exchange) 0479 (196) 9851030210 (985103112) 0350 (108)

conformity 0115 (317) 0012 (037) 0034 (076)

tariff 0040 (142) 9851030443 (985103199) 0025 (071)

WTO 1645 (191) 9851031410 (985103129) 9851031262 (985103109)

FTA 9851030625 (985103057) 1444 (098) 4400 (297)

상수항 11106 (273) 5200 (181) 9851030232 (985103005)

σ v1) 1279 (307) 0539 (098) 1787 (357)

σ ε 1818 (1476) 2260 (1330) 2421 (1268)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8) 134(22) 134(36)

모형적합성 검증(Wald) 2896(p=0000) 2649(p=0001) 1398(p=0082)

lt표 8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과실류 신선 채소류 화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축산물(신선+가공)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9gt 참조) 그리고 교역 대상국이 FTA체결국인 경우 축산물 수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 축산물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

124

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산가공품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대상국이 FTA

체결국인 경우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전체 (t 값) 신선 (t 값) 가공 (t 값)ln (fdi) 0195 (210) 0366 (445) 0144 (106)

ln (distance) 9851030429 (985103244) 985103311 (985103233) 9851030707 (985103217)

ln (Yit Pit) 0195 (035) 0372 (080) 0579 (063)

ln (exchange) 0002 (001) 0077 (042) 9851030202 (985103046)

conformity 9851030022 (985103053) 9851030010 (985103026) 9851030098 (985103158)

tariff 0044 (155) 0041 (160) 0037 (071)

WTO 0053 (005) 9851030973 (985103091) 0184 (011)

FTA 3285 (225) 1458 (089) 5013 (261)

상수항 4083 (097) 0991 (985103027) 3135 (044)

σ v1) 1069 (278) 134e98510317 (000) 2344 (278)

σ ε 2449 (1413) 2866 (1351) 3096 (1170)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8) 134(32) 132(48)

모형적합성 검증(Wald) 2558(p=0001) 4400(p=0001) 2027(p=0009)

lt표 9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축산물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낙농품은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높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10gt 참조) 또한 교역국과 FTA를 체결할 경우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낙농품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곡물류 수출의 경우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5

변 수 낙농품 (t 값) 곡물류 (t 값)ln (fdi) 0190 (227) 0049 (101)

ln (distance) 9851030515 (985103176) 9851030532 (985103330)

ln (Yit Pit) 9851030686 (985103095) 9851030331 (985103079)

ln (exchange) 0863 (226) 0243 (119)

conformity 0097 (243) 0003 (014)

tariff 9851030190 (985103072) 9851030301 (985103190)

WTO 9851030148 (985103013) 1083 (164)

FTA 3946 (306) 0280 (037)

상수항 9030 (169) 13758 (421)

σ v1) 2113 (341) 1166 (344)

σ ε 2114 (1411) 1266 (1549)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7) 134(0)

모형적합성 검증(Wald) 3450 (p=0000) 1695(p=0031)

lt표 10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낙농품 곡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분석된 대부분 품목군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의 거리가 국산 농식품 수출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농식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부피에 비해 가격이 낮아 수송비가 교역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외에도 교역대상국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생산 및 식생활소비 패턴이 유사할 가능성이 높아 수출 증대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인접하면서 큰 농식품 시장이 있는 중국 일본 대만 중앙아시아 아세안 등에 대한 수출증가 가능성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일류 축산 특히 신선 축산물 낙농 등의 경우 해외직접투자가 많을 수록 수출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교포나 주재원 등의 수요가 많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126

3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과 기회요인가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주요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농식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쟁력 있는 대표 상품이 부족하다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은 14개로 대부분 가공식품이고 신선농산물은 4개에 불과하다

구 분 1999 2009(P)신 선 돼지고기 인삼 밥 김치 인삼 김치 파프리카 배가 공 자당 라면 소주 합판 권련 커피제조품 라면 자당 소주 비스킷수 산 참치 굴 붕장어 오징어 참치 오징어 김 넙치

lt표 11gt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

둘째 수출업체의 영세성으로 해외시장개척 및 국제경쟁력이 취약하고 수출업체의 난립으로 과잉경쟁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2008년 농식품 수출기업 921개 중 1천만 달러 이상은 22개(전체의 24)에 불과하며 1백만 달러 미만 수출업체는 689개(748)에 달한다

셋째 고품질 수출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기반이 미흡하다 수출거래 관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출 시장에서 원하는 품목과 물량을 원하는 시기에 공급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급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 생산 및 출하규모가 영세하고 내수 중심의 경영구조이기 때문에 수출거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적시 적량

정품 공급 기반이 미흡하다 수출 품목의 안전성과 품질이 담보되는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규모가 큰 수출조직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동시에 가공용 농식품 제조를 위한 품질과 가격경쟁력이 있는 원료농산물 공급기반도 미흡하다

넷째 효과적인 수출 물류 시스템 구축이 되어 있지 않다 수출 농식품의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저온유통 시스템이 가능한 물류 구축이 요구된다 하지만 국내 수출 물류시설 및 시스템이 낙후되어 신선도 및 품질 관리가 어렵고 경쟁력 제고에 한계가 많다 수출용 농식품의 국내 출하에서부터 수출 소비시장까지의 수송 저장에 필요한 냉장탑차 예냉저온선별 및 저장시설 냉장컨테이너 등의 시설 여건이 열악하여 품질 저하 감모 및 폐기물량 증가로 수출경쟁력을 제고시키기에 어려움이 많다

127

다섯째 체계적인 수출시장 개척 및 확대 시스템이 미흡하다 수출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하고 수출물량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국 도매업체와 대형판매점의 유통채널 진입과 긴밀한 네트워크유지가 필요하지만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KOTRA

유통공사 한인회 한상 등의 네트워크화를 통한 홍보 판촉 마케팅활동이 저조하다 이외에도 수출국 소매업체나 소비자들의 한국산 농식품 인지도 선호도 파악을 통한 수출 유망품목 수출 잠재품목 개발육성이 저조한 실정이다 수출국 시장 소비자 트렌드 및 라이프 스타일 조사 분석(Consumer Trends amp Lifestyle Analysis)을 통한 효과적 수요 창출 전략이 미흡하다 특히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별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나 농식품 수출의 기회요인 향후 DDA 농업협상의 타결과 FTA 체결 확대로 세계 농식품 교역규모는 큰 폭으로 증

가하여 우리 농식품 수출 증대에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DDAFTA 등으로 인한 관세 비관세 장벽 완화는 한국 농식품시장의 개방 확대와 동시에 수출시장이 확대되는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중국 인도 등 신흥경제권의 경제성장과 소득 증대로 우리나라의 고품질 차별화된 농식품의 수출확대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는 앞서 분석한 수출요인 결정모형의 분석 결과와 연관지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주요 국가와의 FTA의 체결과 해외진출 및 투자의 증가 교역국의 소득 증가 그리고 가까운 거리에 대규모 농식품 수출시장의 존재 등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즉 이러한 농식품 수출여건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은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식품 수출시장이 일본 중심에서 중국 러시아 동남아지역 등으로 다변화되어 가고 있어 시장개척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세계 농식품 시장규모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우리나라 주요 수출대상국의 농식품 수입규모도 증가 추세에 있다 우리 농식품수출의 60 가량을 점유하는 일본middot미국middot중국middot러시아 4개국의 수입규모가 최근 5년간 1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008 Global trade atlas)

우리 농식품의 주요 수출 유망국가에서 식문화의 글로벌화 및 웰빙middot건강식품 선호추세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한식의 세계화가 진전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2008년부터 본격적인 한식세계화 사업추진으로 식문화 수출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슬로우 푸드 건강 middot 기능성식품 수요증가에 따라 저열량 middot 건강식으로서 한식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128

이에 2009년의 경우 세계적 경기침체로 해외에서 우리와 경쟁관계에 있는 주요 선진농업국의 농식품수출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우리 농식품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강 점 (S) 약 점 (W)

인근 거대 잠재시장 존재한국식품에 대한 관심 고조높은 잠재 가능성(다양한 발효 식품 우수한 식문화)

국가대표 수출상품 부족 영세한 수출 구조기술 및 안전관리 수준 등이 선진국과 격차

(O)

세계 교역규모 증가안전middot기능성 관심 증가식문화 글로벌 확산

S ndash O 전략

한식 세계화 전략 구사수출 상품화수출지향 식품클러스터 조성

W ndash O 전략

수출전문 생산단지 설치식재료 및 기능식 상품화식품기업 해외진출 지원

(T)

세계적 경제 침체가격경쟁력 취약구제역 AI 등 안전성관리 애로

S ndash T 전략

잠재력 높은 신시장 개척수출유망품목 발굴 강화수출상품 고부가가치화수출상품 브랜드화

W ndash T 전략

국가대표 수출상품 육성수출 조직화 및 규모화RampD를 통한 신품목개발수출상품 안전체계 구축

lt그림 8gt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 분석(SWOT)

더욱이 정부가 2012년까지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 목표를 설정하고 다각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모색 중에 있어 어느 때보다 농식품 수출에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우선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과거와 달리 정부가 농식품 수출 목표를 높게 잡고 열심히 해보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지금까지 진행된 경제발전과정과 WTO 출범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무역자유화 시대에서 가장 취약한 산업부문으로 여겨져 찬밥신세를 면치 못하던 우리 농수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상징적 지표다 국내 농어업이 2000년 이후 성장정체 경향을 보이고 있는 현실에서 농식품 수출 확대를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신성장 동력원으로써 물꼬를 트겠다는 적극적 자세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수출선도조직 육성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 고품질 수출농식품의 안정적인 생산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려

129

하고 있다6) 수출선도조직과 수출업체의 생산 공급 계열화 시스템은 2009년 10개 품목 13

개 조직에서 2010년 18개 품목 21개 조직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노력은 생산농가985103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균일화된 고품질 농식품의 안정적인 공급으로 해외거래처와의 신뢰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수출업체 간 저가수출과당경쟁 방지 및 공동판촉 등 협력사업 수행으로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자율협력기구인 수출협의회가 구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 품목별 수출업체의 자율협력기구(수출협의회)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농식품 수출활성화 도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Ⅳ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

1 품목별로 차별화된 수출 확대 전략 수립앞서 수출증대요인 분석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품목별 또는 품목군별로 수출결정 요인

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품목별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한 수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무역보완도가 중요한 수출결정요인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 무역보완성이 높은 국가의 시장에 대한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류 내 품목별로 무역보완성을 고려한 목표 시장을 설정하여 수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과실류와 축산물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규모나 시장개방의 정도 즉 WTO 가입이나 FTA 체결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품목의 경우 국내 기업이 많이 진출하고 있거나 시장개방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 국가가 주요 수출시장으로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출결정인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품목별로 주요 수출대상 국가별 수출저해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특히 2012년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라는 수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수출 기반 조성과 방법으로 수출을 추진해야 한다 농식품 수출의 장애요인 발굴과 제거하는 과정은 품목별 국가별 여건과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수출 목표를 빠르게 달6) 수출선도조직은 농식품 수출업체가 생산농가(lsquo생산자조직rsquo 포함)와 상호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고 수

출업체 주도로 품종선택부터 재배 수확 선별 포장 수출 안전성 및 품질관리 정산 농가교육 등의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함으로써 수출 농식품의 경쟁력을 높여 수출확대를 선도하는 조직을 말한다

130

성하기 위해서는 수출 비중과 증가율이 큰 품목과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확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수출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 장애요인 제거 방법도 보다 큰 틀에서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앞서 수출 유망 국가 및 시장 선택에 있어서는 수출결정요인 분석 결과와 함께 수출시장별 기회잠재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차별화된 시장 개척과 확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즉 국가별 수출시장 여건 및 특성에 맞추어 수출증대 노력을 기울여야 효과적인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해외시장에서 성공한 우리 농식품들은 고품질과 단일브랜드 현지형 마케팅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야 한다 특히 한반도를 중심으로 반경 19851032시간 권 안에 있는 중국 일본 대만 등 우리에게 새롭게 열린 시장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수출 확대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해외동포나 현지 교민의 직접적인 수요에 의존한 수출방식에서 이들 국가의 해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방식으로 전환하여 신규 수출수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공급 수출지원시스템 간의 밀접한 상호연계 체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2012년 100억 달러 농식품 수출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현재의 수출증가율을 큰 폭으로 상회해야 하므로 민간 차원에서 하기 힘든 수출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대규모 수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외 농식품 생산 유통업체간 전략적 글로벌 공동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반도를 동아시아 농식품 허브로 개발 육성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극적인 세계 유명 식품 박람회 참가 바이어초청 등을 통해 신규거래선 개척을 지원하여 수출업체985103바이어 간 만남의 장 마련으로 더 많은 수출기회를 제공해 나가야 한다 또한 해외 대형 바이어와의 MOU 체결 주요 식품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한국식품 직수출 유통채널 확보 및 장기대규모 소비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국내적으로도 농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수출유관기관의 역할분담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수출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외교통상부middot무역협회middotKOTRA 각종 협회 해외한인회 등 공공부문 및 민간조직과의 협력방안도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 대표급 주력 수출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2009년 현재 기준 5천만 달러 이상 수출되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은 인삼(1억 달러 rsquo09년) 김치(89백만 달러) 배(54백만 달러) 파프리카(53백만 달러) 정도이고 그 외에 이렇다할 만한 주력 수출상품이 없다는 것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품목별 수출결정요인과 함께 시장의 특성 선호도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전략수출상품을 집중 육성할 필요

131

가 있다 현재 수출규모가 큰 김치 인삼 돼지고기 배 면류 주류 과자류 참치 오징어

김 등은 현재보다 수출규모를 확대하고 세계적인 상품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또한 삼계탕

버섯류 유자차 화훼 전복 넙치 굴 등 농어민 소득증대가 크고 수출성장 가능성이 큰 품목의 발굴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농가985103 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안전성품질관리가 가능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경영체로 육성함으로써 균일화된 고품질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해외 거래선의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 기술과 자본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통해 해외 유통망 확보 노력과 함께 세계인들의 입맛을 붙잡는 그리너리(네델란드) 데니쉬 크라운(덴마크) 제스프리(뉴질랜드) 선키스트(미국) 네슬레(스위스) 등과 같은 세계적 대표 브랜드 육성이 필요하다

2 고부가가가치 농식품 수출 확대계절성이 높은 1차 농산물을 수출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2 middot 3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

치 상품을 수출하여 채산성을 높이고 수출상품을 연중 수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농식품 수출을 빠르게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품목 측면에서 최근 수출 증가율이 높은 가공농식품 중심으로 수출증대 전략을 마련하고 신선농식품 중에서는 수출 비중과 수출 증가율이 큰 과실류와 인삼류 화훼류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수출 증대 효과가 높을 것이다 김치류 등 수출 비중이 크지만 수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은 수출을 감소시킨 원인을 찾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 품목군에서도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간에 다르게 나타난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적 식문화의 세계화를 통해 국산 농식품 및 식자재의 수출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세계적인 건강식품 음식으로 이미 떠오른 김치와 비빔밥이외에도 더 많은 전략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연관된 식자재를 체계적으로 수출하는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식이 세계인의 입맛에 맞을 수 있도록 맛의 표준화를 정립하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메뉴를 개발하고 중점 지원하며 국산 식재료 유통구조의 대형화와 전문화를 통해 국산 식재료가 한식과 세계인의 식재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현재 전 세계 180여개국에 걸쳐 널리 퍼져있는 700만 재외동포와 한민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농식품 수출의 교두보로 삼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즉 해외동포기업들을 우리 농식품 및 식자재 수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전 세계

132

한국교민은 700만 명으로 화교(5500만 명) 유태인(860만 명)에 이어 세계 3번째 규모이다

약 7300개 한국 기업이 아시아 미주 유럽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지 종사자 규모가 약 150만 명에 이르며 해외 한식당은 약 1만 개로 추정된다 이들 해외 거주자는 우선적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될 수 있다

3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 우리 농식품기업의 해외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예컨대 국제적인 농식품 기업을 인수함

으로써 해외 생산기지와 유통망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보유 잉여자금을 이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해외투자활동이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농식품의 수출확대 과정에서 정부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과제 중의 하나는 국내 농어민의 소득 향상과 연계되는 수출방안의 모색이다 사실 현재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비중이 낮고 주로 가공식품위주를 이루고 국내 농업과 연관성이 높은 신선식품의 비중은 크지 않아 수출을 통한 농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농어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농식품 수출이 되도록 더 많은 정책적 고민과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2009년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가공식품은 53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선식품 수출비중이 높은 수산물을 제외하면 신선농축식품 수출비중은 15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농식품 수출이 실질적으로 국내 농어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농어민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어업과 연계된 수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수출유망 품목 발굴 노력과 함께 품목별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수출을 조직화규모화함으로써 과당경쟁 등 우리나라 수출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외에서의 거래교섭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중소규모 수출단지와 영세업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촉진하여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Dole과 선키스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 네덜란드의 그리너리와 같은 세계적인 수출조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식품 수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신선농식품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자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수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파프리카 화훼 버섯 등의 경우에도 종자부터 시설기자재까지 네덜란드 등 농업선진국에 의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3: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09

따라서 향후 우리가 가진 강점과 기회요인을 잘 활용한다면 농식품 수출이 우리 농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원으로 작용하면서 농민들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과 수출농업 육성책이 고부가가치 창출로 국가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고 실질적으로 농어업 성장의 견인차가 되기 위해서는 아직도 갈 길이 멀고 해야 할 일도 많다 하지만 갈수록 한계에 도달하는 국내 농식품 시장을 과감히 탈피하고 신시장

신수요 창출을 위해 적극적으로 해외로 진출하는 것이 국내 농식품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최선의 방책중 하나임에 틀림없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논문은 농식품 산업의 가치와 수출의 중요성 그리고 농식품 수출의 현황과 패턴분석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과 기회요인을 살펴본 후 향후 해결해야할 중점과제를 찾아보고자 한다

Ⅱ 농식품 산업의 가치와 수출의 중요성

1 농식품 산업의 가치와 수출가능성영국 런던에 본사를 두고 있는 세계적 산업동향 조사 및 컨설팅 기업인 데이터모니터

(Datamonitor)가 2009년 3월 발간한 산업별 시장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농식품 시장의 규모는 약 4조 달러에 달한다 이는 자동차산업의 17배 철강산업의 58배 반도체산업의 8배 규모로 이들 3개 유망산업 시장을 모두 합친 것 보다 더 큰 시장이다 또한 이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농식품 시장은 2008sim2013년 동안 연평균 45씩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며 2013년에 5조 달러에 이를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농식품 시장의 연평균 성장세는 자동차산업(35) 반도체산업(18)의 성장세 보다 높은 수치이다 이렇게 세계 농식품 시장은 자동차 철강 반도체 시장보다 규모가 크고 성장률도 높을 뿐 아니라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잠재력이 크다

또한 농식품 산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경기 침체의 영향이 적고 향후 인구증가 소득증대 등으로 시장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으로 미래 산업의 중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110

lt표 1gt 주요 산업별 세계 시장규모(2008년) 및 전망치(2013년) (단위billion $)분 야 2008년 2013년 연평균 증가율농 식 품 40205 50139 45자 동 차 24096 28614 35철 강 6856 16223 188반 도 체 2795 3056 18I T 서 비 스 501 6143 42

자료Datamonitor(20093)

더욱이 식품산업은 전후방 산업의 성장을 견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1차 생산인 농수산업보다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한국은행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분석에 따르면 식품산업에서 10억 원의 생산증대는 식품관련 전후방산업에 20억 원의 생산 증대 유발효과를 보인다 즉 식품산업이 활성화되면 해당 원료를 생산하는 농민뿐만 아니라 유통업자 가공업자 외식사업자 수출업자 등 관련된 사람들이 모두 이익을 본다 이것이 바로 우리 농업이 단순히 1차 농산물을 생산하는 데 그쳐서는 안 되고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농식품 가공산업이 활성화되도록 노력해야 할 또 다른 이유이다 대표적인 사례로 프랑스 와인을 꼽을 수 있다 프랑스 와인의 인기는 결국 포도 농민 가공업자 유통업자 수출업자 외식산업자 관광업자의 이익으로 연결되고 있다 우리 쌀의 경우에도 쌀 10

의 가격은 2만 원 수준이나 이 쌀로 떡을 만들어 팔 경우 12만 5000원이 되고 술을 빚으면 21만 3000원으로 더 커진다

(高)

부가가치

(低)

증류주213천 원

떡125천 원

햇반100천 원

쌀20천 원

(低) 가 공 도 (高)자료농림수산식품부 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2008년 11월)

lt그림 1gt 식품산업의 중요성쌀(10kg) 가공 사례

111

한편 식품산업은 국민 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이 크고 한식 세계화를 통해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이 높다 2008년 기준 국내 식품시장 규모는 약 110조 원(식품제조업 + 음식점업)으로 전체 GDP의 101 그리고 고용은 243만 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103를 차지하고 있다1)

자료통계청 제조업통계조사(종사자수 10인 이상 사업체 대상) 도소매업 통계조사lt그림 2gt GDP 및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율

또한 농식품 산업은 수출가능성이 높은 유망분야이다 우리나라는 일본과 중국은 물론

대만 동남아시아 인도 등 아시아 중동 CIS 국가를 포괄하여 세계 인구의 절반에 가까운 대규모 농식품 소비시장과 인접한 전략적 요충지다 구체적으로 서울을 기점으로 반경 2000km 이내의 지역에 동경 북경 상해 마닐라 등 11개의 주요 도시와 15억 인구 그리고 7300억 달러 규모의 거대한 농식품 수입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시장의 성장세 역시 두드러지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가 속해 있는 아시아지역 식품산업 시장규모는 약 15조 달러이며 이는 세계전체 식품산업의 369를 차지하는 규모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와 인접한 아시아 식품시장은 세계 평균보다 빠른 연평균 49의 고속성장이 예상된다

1) 만일 식품산업에 식품유통업을 포함하면 2008년 기준 214조 원에 달하고 이는 전체 GDP의 210에 해당한다(자료통계청 제조업통계조사(종사자수 10인 이상 사업체 대상) 도소매업 통계조사)

112

lt표 2gt 주요 지역별 식품산업 규모 (단위billion $ )

지 역 식품제조업 (A) 외식업 (B) 식품부문 총괄 (A+B)금 액 비 중 금 액 비 중 금 액 비 중

아시아 985103 태평양 1181 374 3028 351 14838 369

유 럽 9631 305 2528 293 12159 302

아메리카 8463 268 3072 356 11535 287

기 타 1673 53 985103 985103 1673 42

총 계 31577 1000 8628 1000 40205 1000자료Datamonitor(20093)

아울러 최근 아시아에 불고 있는 한류 열풍으로 한국의 문화와 음식에 대해 세계인들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어 우리 식문화를 전파하고 식재료를 수출할 여건이 성숙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한류를 바탕으로 한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한식의 우수성이 국내외 언론 등을 통해 확산 중에 있는 지금이 한식세계화 최적의 시기이다 예컨대 막걸리와 김치의 사례를 들 수 있다

자료국가브랜드위원회(2009)

lt그림 3gt 한국의 대표 이미지

막걸리는 유산균이 많아 건강에 좋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알코올성 음료보다는 건강 발효음료로 최근 선풍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우리뿐 아니라 일본 등 아시아에서 막걸리

113

를 찾는 사람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다 김치도 예전에는 외국인이 손사래치는 것이 보통이었지만 몸에 좋은 유산균이 많고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한 발효음식이라는 사실이 널리 알려지면서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2004년에 한식을 영양적으로 균형을 갖춘 모범식으로 선정한 바 있으며 미국의 대표적 건강잡지인 lsquoHealthrsquo지가 2006년도에 김치를 세계 5대 건강식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2009년도에 국가브랜드위원회가 외국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에서 한국을 대표할 만한 이미지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도 한식이었다

이처럼 농식품 산업의 성장가능성 및 수출가능성을 고려할 때 앞으로 우리가 국산 농식품 수출의 유리한 여건과 기회를 잘 활용하면서 주요국 농식품 시장을 효과적으로 공략할 수 있는 유용한 전략과 방법을 수립한다면 농식품 수출은 한국 농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우리 농식품 산업을 수출산업화 하기 위한 여러 장점과 기회요인이 있으나 동시에 단점과 위협요인도 다수 공존하고 있다 예컨대 200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농식품은 164억 달러 가량의 무역적자를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 우리의 인접국인 일본 중국도 농업의 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농식품 수출 드라이브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어 향후 농식품 수출시장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내부환경

Strength (강점) Weakness (약점)∙ 고품질 생산에 적합한 기후와 자연조건∙ 국민소득 증가에 따른 농업의 6차

산업화와 높은 생산기술 ∙ 농식품업 RampD 확대추세 및 고급인력 ∙ 친환경 농업의 확대 및 고품질화 ∙ 다양한 농식품 분야 정책 지원 사업

∙ 국내 농산물의 국제 경쟁력 취약∙ 협소한 경지면적과 영세농 구조∙ 높은 노동비와 투입재 비용∙ 농촌지역 고령화 및 대체 인력 부족∙ 농업인의 경영 마인드 미미와 농식품

기업의 보수적 경영전략

외부환경

Opportunity (기회) Threat (위협)∙ 안전성 기능성 친환경 고품질 중시

소비시장 변화∙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중요성

인식∙ 농식품 수출시장 확대∙ 한식세계화 amp 식문화 컨텐츠 수출

가능성∙ 미래성장의 기초산업으로 부상

∙ 농식품 수입시장 개방 확대로 인한 경쟁심화

∙ 일부 품목에 집중적인 생산∙ 주요 수출시장의 원산지 및 식품안전

기준 강화∙ 식단의 서구화 다양화로 국산 농산물

소비 감소∙ 지구 온난화로 인한 작부 체계변화

lt표 3gt 우리나라 농식품산업의 여건분석(SWOT)

114

2 농식품 수출의 중요성가 농어업 성장 견인 및 농가소득 제고에 기여농식품의 일반적 특성 중 하나가 다른 상품에 비해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낮다는 점이다

따라서 조금만 생산이 과잉되어도 농가수취가격은 폭락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수출은 과잉 생산된 농식품을 해외에서 소비하게 함으로써 국내가격을 지지하고 궁극적으로 농가소득 제고에 기여하는 효과가 크다

나 국제수준의 고품질 안전 농식품 생산 유도 및 수입 농식품에 효과적 대응농식품 수출은 생산과 유통에 있어서 국제적 수준의 HACCP ISO GAP 등 안전성과 품

질을 국제수준으로 관리해야 하므로 낙후된 국내 농식품 생산 및 유통시스템을 선진국수준으로 향상시키는 촉매제 역할을 한다 또한 고품질 안전 경쟁력을 갖춘 농식품 생산 및 유통체제 구축은 궁극적으로 수입 농식품으로부터 국내 산업을 효과적으로 방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예를 들어 파프리카는 rsquo90년대 중반부터 내수가 없는 상태에서 수출용으로 재배하기 시작하여 현재 총 생산량의 약 50 가량을 수출하고 있으며 2009년도에 파프리카 주요 수출시장인 일본 시장에서 한국산 파프리카가 네덜란드산과 치열한 가격품질경쟁을 통해 시장점유율 1위(60)를 확보하였다 이러한 수출경쟁력 제고노력이 없었다면 현재 우리나라에는 네덜란드산 파프리카가 수입되고 있을 것이다

다 국민경제 및 국격 향상에 기여한국은행이 발간하는 산업연관분석표를 활용하여 농식품 100억 달러 수출의 국민경제기

여도를 산출해 본 결과 생산유발액은 126억 달러 부가가치 유발액 45억 달러 및 5만 6천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동차(NF 소나타 기준) 수출효과와 비교해 볼 때 생산유발액은 39만대 부가가치 면에서는 47만대를 수출하는 효과와 동일한 수준이다 그 밖에도 식문화 전파를 통한 국가위상 및 품격 제고 농어업의 자신감 회복 식량안보 및 환경유지 등 다양한 부분에서 기여하는 바가 매우 크다

115

Ⅲ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과 여건위기와 기회의 공존

1 세계 농식품 교역현황WTO 체제 출범과 FTA 체결확대로 세계 농식품교역 규모는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이

다 2008년 세계 농식품 수출규모는 약 1조 5775억 달러로 2000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세계적인 FTA체결 확산과 WTO DDA 협상의 타결 등 농식품 무역장벽의 축소와 철폐 움직임으로 농식품 교역규모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2015년에 세계 인구가 약 73억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농식품 교역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

(단위억 달러)

자료Global trade atlas(2008)

lt그림 4gt 세계 농식품 교역(수출기준) 규모 현황

그러나 주요 국가의 농식품 수출액에 비하여 우리의 수출규모는 매우 작다 우리나라는 일본 중국을 비롯하여 대만 동남아 인도 등 세계 인구 절반에 가까운 농식품 소비시장과 인접한 지리적 이점을 갖추고도 2008년 농식품 수출액은 44억 달러로 세계 농식품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3에 불과하다

하지만 우리와 같이 농경지 규모가 아주 작은데도 불구하고 첨단원예 가공품을 생산하

116

여 대량 수출하는 네덜란드 이스라엘 같은 나라도 있다 특히 네덜란드는 2008년 농식품 수출액이 약 1013억 달러로 미국(약 1400억 달러)에 이어 전 세계 2위를 차지한다 네덜란드는 10400ha의 첨단 유리온실에서 고품질 화훼 관상식물 채소를 생산하고 국내외 가공원료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생산하는 한편 전세계로부터 화훼를 수입하여 중개무역을 함으로써 수출농업 대국이 되었다

즉 네덜란드는 1차 농산물 생산에 국한하지 않고 국내외 원료 농산물을 이용한 가공산업을 발전시켜 농식품 부문 전체의 부가가치를 확대하고 있다

lt표 4gt 주요국 농식품 수입시장에서 한국산 비중(단위백만 달러 )

국 가 수입규모 한국산(비중) 주요 수입국일 본 81269 1478(18) 미국(261) 중국 호주 등중 국 62648 341(05) 미국(224)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미 국 111425 387(04) 캐나다(246) 멕시코 중국 등러 시 아 34680 129(04) 브라질(117) 미국 독일 등

자료Global Trade atlas(2008)

2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현황 및 요인 분석 가 수출현황과 특징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상황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식품 수출은 완만하게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이다 연도별 농식품 수출액은 1995

년 342억 달러에서 2009년 481억 달러로 연평균 32씩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증가 속도는 1995sim2009년 같은 기간 동안 연평균 102씩 증가한 우리나라 전체 수출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완만한 수준이다

둘째 농식품 수출액 규모는 점차 증가해 왔으나 국가 전체 수출액 대비 농식품 수출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국가전체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농식품 비중은 1971년 27에서 1995년 27 2000년 이후 10대로 하락하였다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액은 2009년 약 481억 달러로 국가전체 수출액 3635억 달러 가운데 13를 차지하고 있다

117

lt표 5gt 국가 전체 수출액 대비 농식품 수출 비중 (단위백만 달러 )구 분 1971 1977 1995 1998 2007 2008 2009

국가전체(A) 1068 10046 125058 132313 371489 422007 363534농 식 품(B) 285 1592 3419 2999 3759 4402 4809비 중(BA) 267 158 27 23 10 10 13자료농림수산식품부

셋째 신선농산물 보다 가공품 형태의 농식품 수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주력 수출품목이었던 수산식품과 신선 농식품의 수출이 거의 정체된 반면 가공 농식품의 수출은 크게 증가하여 전체 농식품 수출에서 가공농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1995년 약 32

수준에서 2009년에 약 53로 늘어났다 예컨대 상위 10대 수출품의 경우 1999년도에 주력 품목이었던 돼지고기 굴 붕장어 밤 등 원료형 농식품이 탈락한 반면에 2009년도에는 권련 커피조제품 소주 등 가공형 식품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lt그림 5gt 연도별 농식품 수출액

넷째 대일 수출 의존도가 감소하고 있는 반면에 수출선 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으로의 수출이 크게 감소한 반면 중국 미국 러시아 등으로의 수출증가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시장다변화가 진척되고 있다 대일본 농식품 수출비중은 1999년 66에서 2009년 33로 줄어들었다 이렇게 농식품 수출의 대일 수출비중이 감소한 대신 같은

118

기간동안 중국은 47에서 118 미국은 63에서 97 러시아는 19에서 47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미국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대상국 2위였으나 2007년 이후 중국으로의 수출이 미국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중국이 우리나라 농식품의 주요 수출시장으로 부상하였다

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lt그림 6gt 국가별 농식품 수출액

나 산업간 무역 및 산업내 무역 패턴의 변화국제무역이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두 가지 무역 패턴인 산업간 무역(Inter985103Industry

Trade)과 산업내 무역(Intra985103Industry Trade) 개념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의 무역패턴 변화를 분석하였다2)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헥셔985103오린(Heckscer985103Olin) 이론에 근거한 산업간 무역은 국가간 특화구조에 의해 교역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며 산업내 무역은 품질이나 브랜드차이 등으로 인한 독점적경쟁의 산업구조에서 발생하는 교역형태를 의미한다 우선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품목간 무역 형태를 분석하기 위해 무역 보완도(Index of

Trade Conformity)를 식 (1)을 통해 계측하였다 식 (1)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품목별

2) 산업내 무역지수와 산업간 무역지수 계측을 위해 UN985103comtrade 무역통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대상 품목은 국제적으로 농수산물로 인정되는 HS 2단위 기준 1sim24호에 속하는 품목으로 설정하였다(단 실질적인 분석에는 HS 6단위를 기준으로 구성된 무역자료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분석대상 국가는 200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와 농식품 교역이 가장 활발한 10개국으로 선정하였으며(한국무역협회자료) 분석 기간은 1995년에서 2008년으로 하였다

119

비중과 수출대상국의 품목별 수입비중을 이용하여 무역보완도를 계측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해당상품 수출구조와 교역 대상국의 수입구조가 비슷할수록 1에 가까워진다 즉 무역보완도 지수가 1에 가까울수록 우리의 수출상품이 교역대상국의 주요 수입품임을 의미하며 양국간에 교역의 특화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는 상품 수출액이 국(우리나라)의 전체 농식품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 수입액이 국(교역대상국)의 전체 농식품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1)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 주요 수출대상국 중 중국을 제외하고

1995년 이후 전반적으로 무역보완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농식품 10대 교역대상국을 대상으로 측정한 평균 무역보완도는 1995년 015에서 2008년 021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1995년 WTO 출범 이후 농식품 시장개방확대 추세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무역 역시 주요 교역대상국과 분업화와 특화가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구 분 1995년(A) 2000년 2005년 2008년(B) 보완도 차이(B985103A)호 주 0251 0292 0432 0420 0169 브 라 질 0056 0045 0076 0063 0007 중 국 0048 0058 0042 0031 9851030016 일 본 0292 0329 0409 0360 0068 뉴질랜드 0218 0242 0408 0351 0133 필 리 핀 985103 0093 0116 0081 0081 러 시 아 0034 0089 0171 0175 0141 태 국 0170 0152 0228 0236 0066 미 국 0148 0143 0263 0256 0108 베 트 남 985103 0063 0093 0102 0102 평 균 0152 0151 0224 0207 0055

lt표 6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무역 보완도 지수

주평균은 2009년 농식품 무역액을 기준으로 선정된 주요 10개국의 무역보완도 지수 산술평균을 의미한다자료UN985103comtrade 무역자료를 이용한 추정치

120

다음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교역의 산업내 무역지수를 식 (2)를 통해 계측하였다 식 (2)

는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을 구성하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을 가지고 산업내 무역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즉 농식품 산업에 속해 있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이 유사할수록 산업내 무역비중이 1에 가까워진다 일반적으로 농식품분야의 산업내 무역은 교역대상국 사이의 생산 계절성차이 품질차이 및 소비자 선호도 차이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2)

식 (2)를 이용한 추정결과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내 무역지수는 1995년 009에서 2002

년 024까지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그 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면서 2008년에는 015로 나타났다

lt그림 7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산업내 무역 지수

121

연도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농식품 분야도 산업내무역이 상당수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가격 품질 부위별 소득계층 주요 소비처 등의 선호도 차이와 생산의 계절적 차이에 따라 수출과 수입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돼지고기 김치 인삼 키위 등이 대표적 품목이다 따라서 최근 감소 추세에 있는 산업내 무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향후 주요 무역상대국을 대상으로 산업내 무역이 가능한 농식품을 발굴하는 것도 농식품 수출확대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정책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다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 분석여기서는 계량경제학적 추정방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을 분석

하였다 특히 향후 농식품의 높은 수출가능성으로 일반적으로 언급되어지는 우리나라와 가까운 거리에 일본 중국 등 대규모 농식품 소비시장의 존재가 실제 농식품 수출에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분석의 목표로 삼아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본 분석에서 설정한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추정모형은 기본적으로 중력모형을 응용한 식 (3)과 같다

In =In ()+In (

)+In ( )+

+In (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3)

vt = 국가별 확률효과 v t~iid N(oσ2v) εjt = 교란항 ε jt~iid N(oσ2ε)

주지하다시피 추정식 (3)은 일반적인 중력모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중력모형이 양 국가간의 교역(수출입)을 총체적으로 다룬 반면 여기서는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중력모형 중 우리나라의 1인당 GDP를 제외한 수출방정식을 설정하였다(Mary 2004) 식 (3)에서 는 국가별 확률효과를 나타내며 변수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별 특성을 나타낸다3)

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는 lt표 7gt과 같다 본고에서는 중력 모형에 포함되어 있는 1인당 GDP나 거리 변수 이외에 다양한 변수를 포함시켰다 우선 수출의 경우 환율에 영향을

3) 통상적인 패널 분석에서는 와 다른 설명변수들 간의 독립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추정결과의 일치성(consistency)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고정효과모형이 더 선호된다 하지만 패널 토빗모형에서는 패널이 충분히 길지 않는 한 오히려 고정효과 추정치의 일치성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확률효과 추정법이 더 선호된다(Cameron and Trivedi 2005 pp 800985103801) 따라서 본고 역시 이를 따르기로 한다

122

많이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역대상국과 우리나라의 환율을 포함시켰으며 앞서 분석한 무역보완도지수를 설명변수로 채택하여 농식품 교역이 특화되어 있는 정도가 농식품 수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무역장벽이라고 할 수 있는 관세를 포함시켰으며 각 국가의 개방도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WTO 가입여부와 우리나라와의 FTA 체결여부를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와 교역국간의 경제협력 수준을 반영하기 위해 해외직접투자액을 대리변수(proxy variable)로 사용하였다4) 또한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분석 대상국가로 설정하였고 분석기간은 1995년부터 2008년까지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는 패널데이터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품목별 수출량이 0인 연도도 존재하는 점을 감안하여5) 계량적 추정방법으로 김한호(2009) 등에서 사용한 패널토빗 계량모형(panel tobit model)을 이용하였다

변 수 설명 및 자료X jt 주요 10개국에 대한 품목별 수출액UN comtrade자료

distance 한국과의 거리한국과 교역국의 수도 간 거리 (단위Km)httpdistancecalculatorglobefeedcom

교역 대상 국가의 1인당 국민 소득(UNSD 자료와 인구통계 활용)

exchange 한국통화가치수출국통화가치 해외직접투자(한국수출입 은행 해외투자통계 자료)

conformity 무역 보완도지수 관세WTO 자료 WTO가입 여부국가별 가입 연도 기준 FTA 체결 여부국가별 체결 연도 기준

lt표 7gt 통계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 및 내용

주관세의 경우 WTO가 제공하는 각국의 품목별 관세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제공하지 않는 연도에 대해서는 이전 연도의 관세율과 같다고 가정하였다

4) 단 본고에서는 수출액과 해외직접투자가 0인 경우 1로 치환하여 로그값으로 전환시켜 자료의 손실을 줄이고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이러한 점은 본 분석의 한계라고도 볼 수 있다 즉 전체 교역액을 기준으로 대상국가를 선정하였기 때문에 해당 대상국이 실제로 해당 품목의 주요 교역국이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품목별로 주요 대상국을 설정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5) 이는 수출의 경우 0이상의 값만을 가지며 0이하의 값은 관찰되지 않기 때문이며 본고에서는 이를 0이상을 기준으로 데이터가 censored 되었다고 가정하였다

123

품목군별 추정결과는 아래 lt표 8gt sim lt표 10gt과 같으며 여기서는 주요 품목별로 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추정된 설명변수를 중심으로 수출 결정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교역대상국이 WTO 가입국 일수록 우리나라의 과실류의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그리고 신선채소류의 경우 관세가 낮을수록 화훼류는 FTA 체결국 일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과실류 (t 값) 신선 채소류 (t 값) 화훼류 (t 값)ln (fdi) 0165 (246) 0040 (035) 9851030063 (985103066)

ln (distance) 9851030543 (985103312) 9851030193 (985103164) 9851030223 (985103093)

ln (Yit Pit) 9851031015 (985103188) 0207 (053) 0400 (058)

ln (exchange) 0479 (196) 9851030210 (985103112) 0350 (108)

conformity 0115 (317) 0012 (037) 0034 (076)

tariff 0040 (142) 9851030443 (985103199) 0025 (071)

WTO 1645 (191) 9851031410 (985103129) 9851031262 (985103109)

FTA 9851030625 (985103057) 1444 (098) 4400 (297)

상수항 11106 (273) 5200 (181) 9851030232 (985103005)

σ v1) 1279 (307) 0539 (098) 1787 (357)

σ ε 1818 (1476) 2260 (1330) 2421 (1268)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8) 134(22) 134(36)

모형적합성 검증(Wald) 2896(p=0000) 2649(p=0001) 1398(p=0082)

lt표 8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과실류 신선 채소류 화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축산물(신선+가공)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9gt 참조) 그리고 교역 대상국이 FTA체결국인 경우 축산물 수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 축산물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

124

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산가공품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대상국이 FTA

체결국인 경우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전체 (t 값) 신선 (t 값) 가공 (t 값)ln (fdi) 0195 (210) 0366 (445) 0144 (106)

ln (distance) 9851030429 (985103244) 985103311 (985103233) 9851030707 (985103217)

ln (Yit Pit) 0195 (035) 0372 (080) 0579 (063)

ln (exchange) 0002 (001) 0077 (042) 9851030202 (985103046)

conformity 9851030022 (985103053) 9851030010 (985103026) 9851030098 (985103158)

tariff 0044 (155) 0041 (160) 0037 (071)

WTO 0053 (005) 9851030973 (985103091) 0184 (011)

FTA 3285 (225) 1458 (089) 5013 (261)

상수항 4083 (097) 0991 (985103027) 3135 (044)

σ v1) 1069 (278) 134e98510317 (000) 2344 (278)

σ ε 2449 (1413) 2866 (1351) 3096 (1170)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8) 134(32) 132(48)

모형적합성 검증(Wald) 2558(p=0001) 4400(p=0001) 2027(p=0009)

lt표 9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축산물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낙농품은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높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10gt 참조) 또한 교역국과 FTA를 체결할 경우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낙농품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곡물류 수출의 경우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5

변 수 낙농품 (t 값) 곡물류 (t 값)ln (fdi) 0190 (227) 0049 (101)

ln (distance) 9851030515 (985103176) 9851030532 (985103330)

ln (Yit Pit) 9851030686 (985103095) 9851030331 (985103079)

ln (exchange) 0863 (226) 0243 (119)

conformity 0097 (243) 0003 (014)

tariff 9851030190 (985103072) 9851030301 (985103190)

WTO 9851030148 (985103013) 1083 (164)

FTA 3946 (306) 0280 (037)

상수항 9030 (169) 13758 (421)

σ v1) 2113 (341) 1166 (344)

σ ε 2114 (1411) 1266 (1549)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7) 134(0)

모형적합성 검증(Wald) 3450 (p=0000) 1695(p=0031)

lt표 10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낙농품 곡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분석된 대부분 품목군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의 거리가 국산 농식품 수출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농식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부피에 비해 가격이 낮아 수송비가 교역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외에도 교역대상국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생산 및 식생활소비 패턴이 유사할 가능성이 높아 수출 증대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인접하면서 큰 농식품 시장이 있는 중국 일본 대만 중앙아시아 아세안 등에 대한 수출증가 가능성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일류 축산 특히 신선 축산물 낙농 등의 경우 해외직접투자가 많을 수록 수출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교포나 주재원 등의 수요가 많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126

3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과 기회요인가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주요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농식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쟁력 있는 대표 상품이 부족하다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은 14개로 대부분 가공식품이고 신선농산물은 4개에 불과하다

구 분 1999 2009(P)신 선 돼지고기 인삼 밥 김치 인삼 김치 파프리카 배가 공 자당 라면 소주 합판 권련 커피제조품 라면 자당 소주 비스킷수 산 참치 굴 붕장어 오징어 참치 오징어 김 넙치

lt표 11gt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

둘째 수출업체의 영세성으로 해외시장개척 및 국제경쟁력이 취약하고 수출업체의 난립으로 과잉경쟁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2008년 농식품 수출기업 921개 중 1천만 달러 이상은 22개(전체의 24)에 불과하며 1백만 달러 미만 수출업체는 689개(748)에 달한다

셋째 고품질 수출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기반이 미흡하다 수출거래 관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출 시장에서 원하는 품목과 물량을 원하는 시기에 공급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급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 생산 및 출하규모가 영세하고 내수 중심의 경영구조이기 때문에 수출거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적시 적량

정품 공급 기반이 미흡하다 수출 품목의 안전성과 품질이 담보되는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규모가 큰 수출조직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동시에 가공용 농식품 제조를 위한 품질과 가격경쟁력이 있는 원료농산물 공급기반도 미흡하다

넷째 효과적인 수출 물류 시스템 구축이 되어 있지 않다 수출 농식품의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저온유통 시스템이 가능한 물류 구축이 요구된다 하지만 국내 수출 물류시설 및 시스템이 낙후되어 신선도 및 품질 관리가 어렵고 경쟁력 제고에 한계가 많다 수출용 농식품의 국내 출하에서부터 수출 소비시장까지의 수송 저장에 필요한 냉장탑차 예냉저온선별 및 저장시설 냉장컨테이너 등의 시설 여건이 열악하여 품질 저하 감모 및 폐기물량 증가로 수출경쟁력을 제고시키기에 어려움이 많다

127

다섯째 체계적인 수출시장 개척 및 확대 시스템이 미흡하다 수출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하고 수출물량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국 도매업체와 대형판매점의 유통채널 진입과 긴밀한 네트워크유지가 필요하지만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KOTRA

유통공사 한인회 한상 등의 네트워크화를 통한 홍보 판촉 마케팅활동이 저조하다 이외에도 수출국 소매업체나 소비자들의 한국산 농식품 인지도 선호도 파악을 통한 수출 유망품목 수출 잠재품목 개발육성이 저조한 실정이다 수출국 시장 소비자 트렌드 및 라이프 스타일 조사 분석(Consumer Trends amp Lifestyle Analysis)을 통한 효과적 수요 창출 전략이 미흡하다 특히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별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나 농식품 수출의 기회요인 향후 DDA 농업협상의 타결과 FTA 체결 확대로 세계 농식품 교역규모는 큰 폭으로 증

가하여 우리 농식품 수출 증대에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DDAFTA 등으로 인한 관세 비관세 장벽 완화는 한국 농식품시장의 개방 확대와 동시에 수출시장이 확대되는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중국 인도 등 신흥경제권의 경제성장과 소득 증대로 우리나라의 고품질 차별화된 농식품의 수출확대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는 앞서 분석한 수출요인 결정모형의 분석 결과와 연관지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주요 국가와의 FTA의 체결과 해외진출 및 투자의 증가 교역국의 소득 증가 그리고 가까운 거리에 대규모 농식품 수출시장의 존재 등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즉 이러한 농식품 수출여건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은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식품 수출시장이 일본 중심에서 중국 러시아 동남아지역 등으로 다변화되어 가고 있어 시장개척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세계 농식품 시장규모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우리나라 주요 수출대상국의 농식품 수입규모도 증가 추세에 있다 우리 농식품수출의 60 가량을 점유하는 일본middot미국middot중국middot러시아 4개국의 수입규모가 최근 5년간 1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008 Global trade atlas)

우리 농식품의 주요 수출 유망국가에서 식문화의 글로벌화 및 웰빙middot건강식품 선호추세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한식의 세계화가 진전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2008년부터 본격적인 한식세계화 사업추진으로 식문화 수출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슬로우 푸드 건강 middot 기능성식품 수요증가에 따라 저열량 middot 건강식으로서 한식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128

이에 2009년의 경우 세계적 경기침체로 해외에서 우리와 경쟁관계에 있는 주요 선진농업국의 농식품수출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우리 농식품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강 점 (S) 약 점 (W)

인근 거대 잠재시장 존재한국식품에 대한 관심 고조높은 잠재 가능성(다양한 발효 식품 우수한 식문화)

국가대표 수출상품 부족 영세한 수출 구조기술 및 안전관리 수준 등이 선진국과 격차

(O)

세계 교역규모 증가안전middot기능성 관심 증가식문화 글로벌 확산

S ndash O 전략

한식 세계화 전략 구사수출 상품화수출지향 식품클러스터 조성

W ndash O 전략

수출전문 생산단지 설치식재료 및 기능식 상품화식품기업 해외진출 지원

(T)

세계적 경제 침체가격경쟁력 취약구제역 AI 등 안전성관리 애로

S ndash T 전략

잠재력 높은 신시장 개척수출유망품목 발굴 강화수출상품 고부가가치화수출상품 브랜드화

W ndash T 전략

국가대표 수출상품 육성수출 조직화 및 규모화RampD를 통한 신품목개발수출상품 안전체계 구축

lt그림 8gt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 분석(SWOT)

더욱이 정부가 2012년까지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 목표를 설정하고 다각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모색 중에 있어 어느 때보다 농식품 수출에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우선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과거와 달리 정부가 농식품 수출 목표를 높게 잡고 열심히 해보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지금까지 진행된 경제발전과정과 WTO 출범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무역자유화 시대에서 가장 취약한 산업부문으로 여겨져 찬밥신세를 면치 못하던 우리 농수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상징적 지표다 국내 농어업이 2000년 이후 성장정체 경향을 보이고 있는 현실에서 농식품 수출 확대를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신성장 동력원으로써 물꼬를 트겠다는 적극적 자세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수출선도조직 육성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 고품질 수출농식품의 안정적인 생산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려

129

하고 있다6) 수출선도조직과 수출업체의 생산 공급 계열화 시스템은 2009년 10개 품목 13

개 조직에서 2010년 18개 품목 21개 조직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노력은 생산농가985103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균일화된 고품질 농식품의 안정적인 공급으로 해외거래처와의 신뢰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수출업체 간 저가수출과당경쟁 방지 및 공동판촉 등 협력사업 수행으로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자율협력기구인 수출협의회가 구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 품목별 수출업체의 자율협력기구(수출협의회)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농식품 수출활성화 도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Ⅳ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

1 품목별로 차별화된 수출 확대 전략 수립앞서 수출증대요인 분석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품목별 또는 품목군별로 수출결정 요인

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품목별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한 수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무역보완도가 중요한 수출결정요인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 무역보완성이 높은 국가의 시장에 대한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류 내 품목별로 무역보완성을 고려한 목표 시장을 설정하여 수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과실류와 축산물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규모나 시장개방의 정도 즉 WTO 가입이나 FTA 체결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품목의 경우 국내 기업이 많이 진출하고 있거나 시장개방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 국가가 주요 수출시장으로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출결정인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품목별로 주요 수출대상 국가별 수출저해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특히 2012년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라는 수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수출 기반 조성과 방법으로 수출을 추진해야 한다 농식품 수출의 장애요인 발굴과 제거하는 과정은 품목별 국가별 여건과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수출 목표를 빠르게 달6) 수출선도조직은 농식품 수출업체가 생산농가(lsquo생산자조직rsquo 포함)와 상호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고 수

출업체 주도로 품종선택부터 재배 수확 선별 포장 수출 안전성 및 품질관리 정산 농가교육 등의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함으로써 수출 농식품의 경쟁력을 높여 수출확대를 선도하는 조직을 말한다

130

성하기 위해서는 수출 비중과 증가율이 큰 품목과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확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수출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 장애요인 제거 방법도 보다 큰 틀에서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앞서 수출 유망 국가 및 시장 선택에 있어서는 수출결정요인 분석 결과와 함께 수출시장별 기회잠재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차별화된 시장 개척과 확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즉 국가별 수출시장 여건 및 특성에 맞추어 수출증대 노력을 기울여야 효과적인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해외시장에서 성공한 우리 농식품들은 고품질과 단일브랜드 현지형 마케팅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야 한다 특히 한반도를 중심으로 반경 19851032시간 권 안에 있는 중국 일본 대만 등 우리에게 새롭게 열린 시장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수출 확대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해외동포나 현지 교민의 직접적인 수요에 의존한 수출방식에서 이들 국가의 해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방식으로 전환하여 신규 수출수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공급 수출지원시스템 간의 밀접한 상호연계 체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2012년 100억 달러 농식품 수출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현재의 수출증가율을 큰 폭으로 상회해야 하므로 민간 차원에서 하기 힘든 수출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대규모 수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외 농식품 생산 유통업체간 전략적 글로벌 공동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반도를 동아시아 농식품 허브로 개발 육성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극적인 세계 유명 식품 박람회 참가 바이어초청 등을 통해 신규거래선 개척을 지원하여 수출업체985103바이어 간 만남의 장 마련으로 더 많은 수출기회를 제공해 나가야 한다 또한 해외 대형 바이어와의 MOU 체결 주요 식품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한국식품 직수출 유통채널 확보 및 장기대규모 소비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국내적으로도 농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수출유관기관의 역할분담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수출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외교통상부middot무역협회middotKOTRA 각종 협회 해외한인회 등 공공부문 및 민간조직과의 협력방안도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 대표급 주력 수출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2009년 현재 기준 5천만 달러 이상 수출되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은 인삼(1억 달러 rsquo09년) 김치(89백만 달러) 배(54백만 달러) 파프리카(53백만 달러) 정도이고 그 외에 이렇다할 만한 주력 수출상품이 없다는 것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품목별 수출결정요인과 함께 시장의 특성 선호도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전략수출상품을 집중 육성할 필요

131

가 있다 현재 수출규모가 큰 김치 인삼 돼지고기 배 면류 주류 과자류 참치 오징어

김 등은 현재보다 수출규모를 확대하고 세계적인 상품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또한 삼계탕

버섯류 유자차 화훼 전복 넙치 굴 등 농어민 소득증대가 크고 수출성장 가능성이 큰 품목의 발굴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농가985103 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안전성품질관리가 가능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경영체로 육성함으로써 균일화된 고품질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해외 거래선의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 기술과 자본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통해 해외 유통망 확보 노력과 함께 세계인들의 입맛을 붙잡는 그리너리(네델란드) 데니쉬 크라운(덴마크) 제스프리(뉴질랜드) 선키스트(미국) 네슬레(스위스) 등과 같은 세계적 대표 브랜드 육성이 필요하다

2 고부가가가치 농식품 수출 확대계절성이 높은 1차 농산물을 수출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2 middot 3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

치 상품을 수출하여 채산성을 높이고 수출상품을 연중 수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농식품 수출을 빠르게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품목 측면에서 최근 수출 증가율이 높은 가공농식품 중심으로 수출증대 전략을 마련하고 신선농식품 중에서는 수출 비중과 수출 증가율이 큰 과실류와 인삼류 화훼류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수출 증대 효과가 높을 것이다 김치류 등 수출 비중이 크지만 수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은 수출을 감소시킨 원인을 찾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 품목군에서도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간에 다르게 나타난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적 식문화의 세계화를 통해 국산 농식품 및 식자재의 수출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세계적인 건강식품 음식으로 이미 떠오른 김치와 비빔밥이외에도 더 많은 전략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연관된 식자재를 체계적으로 수출하는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식이 세계인의 입맛에 맞을 수 있도록 맛의 표준화를 정립하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메뉴를 개발하고 중점 지원하며 국산 식재료 유통구조의 대형화와 전문화를 통해 국산 식재료가 한식과 세계인의 식재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현재 전 세계 180여개국에 걸쳐 널리 퍼져있는 700만 재외동포와 한민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농식품 수출의 교두보로 삼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즉 해외동포기업들을 우리 농식품 및 식자재 수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전 세계

132

한국교민은 700만 명으로 화교(5500만 명) 유태인(860만 명)에 이어 세계 3번째 규모이다

약 7300개 한국 기업이 아시아 미주 유럽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지 종사자 규모가 약 150만 명에 이르며 해외 한식당은 약 1만 개로 추정된다 이들 해외 거주자는 우선적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될 수 있다

3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 우리 농식품기업의 해외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예컨대 국제적인 농식품 기업을 인수함

으로써 해외 생산기지와 유통망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보유 잉여자금을 이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해외투자활동이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농식품의 수출확대 과정에서 정부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과제 중의 하나는 국내 농어민의 소득 향상과 연계되는 수출방안의 모색이다 사실 현재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비중이 낮고 주로 가공식품위주를 이루고 국내 농업과 연관성이 높은 신선식품의 비중은 크지 않아 수출을 통한 농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농어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농식품 수출이 되도록 더 많은 정책적 고민과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2009년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가공식품은 53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선식품 수출비중이 높은 수산물을 제외하면 신선농축식품 수출비중은 15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농식품 수출이 실질적으로 국내 농어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농어민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어업과 연계된 수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수출유망 품목 발굴 노력과 함께 품목별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수출을 조직화규모화함으로써 과당경쟁 등 우리나라 수출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외에서의 거래교섭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중소규모 수출단지와 영세업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촉진하여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Dole과 선키스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 네덜란드의 그리너리와 같은 세계적인 수출조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식품 수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신선농식품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자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수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파프리카 화훼 버섯 등의 경우에도 종자부터 시설기자재까지 네덜란드 등 농업선진국에 의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4: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10

lt표 1gt 주요 산업별 세계 시장규모(2008년) 및 전망치(2013년) (단위billion $)분 야 2008년 2013년 연평균 증가율농 식 품 40205 50139 45자 동 차 24096 28614 35철 강 6856 16223 188반 도 체 2795 3056 18I T 서 비 스 501 6143 42

자료Datamonitor(20093)

더욱이 식품산업은 전후방 산업의 성장을 견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1차 생산인 농수산업보다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한국은행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분석에 따르면 식품산업에서 10억 원의 생산증대는 식품관련 전후방산업에 20억 원의 생산 증대 유발효과를 보인다 즉 식품산업이 활성화되면 해당 원료를 생산하는 농민뿐만 아니라 유통업자 가공업자 외식사업자 수출업자 등 관련된 사람들이 모두 이익을 본다 이것이 바로 우리 농업이 단순히 1차 농산물을 생산하는 데 그쳐서는 안 되고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농식품 가공산업이 활성화되도록 노력해야 할 또 다른 이유이다 대표적인 사례로 프랑스 와인을 꼽을 수 있다 프랑스 와인의 인기는 결국 포도 농민 가공업자 유통업자 수출업자 외식산업자 관광업자의 이익으로 연결되고 있다 우리 쌀의 경우에도 쌀 10

의 가격은 2만 원 수준이나 이 쌀로 떡을 만들어 팔 경우 12만 5000원이 되고 술을 빚으면 21만 3000원으로 더 커진다

(高)

부가가치

(低)

증류주213천 원

떡125천 원

햇반100천 원

쌀20천 원

(低) 가 공 도 (高)자료농림수산식품부 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2008년 11월)

lt그림 1gt 식품산업의 중요성쌀(10kg) 가공 사례

111

한편 식품산업은 국민 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이 크고 한식 세계화를 통해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이 높다 2008년 기준 국내 식품시장 규모는 약 110조 원(식품제조업 + 음식점업)으로 전체 GDP의 101 그리고 고용은 243만 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103를 차지하고 있다1)

자료통계청 제조업통계조사(종사자수 10인 이상 사업체 대상) 도소매업 통계조사lt그림 2gt GDP 및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율

또한 농식품 산업은 수출가능성이 높은 유망분야이다 우리나라는 일본과 중국은 물론

대만 동남아시아 인도 등 아시아 중동 CIS 국가를 포괄하여 세계 인구의 절반에 가까운 대규모 농식품 소비시장과 인접한 전략적 요충지다 구체적으로 서울을 기점으로 반경 2000km 이내의 지역에 동경 북경 상해 마닐라 등 11개의 주요 도시와 15억 인구 그리고 7300억 달러 규모의 거대한 농식품 수입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시장의 성장세 역시 두드러지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가 속해 있는 아시아지역 식품산업 시장규모는 약 15조 달러이며 이는 세계전체 식품산업의 369를 차지하는 규모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와 인접한 아시아 식품시장은 세계 평균보다 빠른 연평균 49의 고속성장이 예상된다

1) 만일 식품산업에 식품유통업을 포함하면 2008년 기준 214조 원에 달하고 이는 전체 GDP의 210에 해당한다(자료통계청 제조업통계조사(종사자수 10인 이상 사업체 대상) 도소매업 통계조사)

112

lt표 2gt 주요 지역별 식품산업 규모 (단위billion $ )

지 역 식품제조업 (A) 외식업 (B) 식품부문 총괄 (A+B)금 액 비 중 금 액 비 중 금 액 비 중

아시아 985103 태평양 1181 374 3028 351 14838 369

유 럽 9631 305 2528 293 12159 302

아메리카 8463 268 3072 356 11535 287

기 타 1673 53 985103 985103 1673 42

총 계 31577 1000 8628 1000 40205 1000자료Datamonitor(20093)

아울러 최근 아시아에 불고 있는 한류 열풍으로 한국의 문화와 음식에 대해 세계인들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어 우리 식문화를 전파하고 식재료를 수출할 여건이 성숙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한류를 바탕으로 한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한식의 우수성이 국내외 언론 등을 통해 확산 중에 있는 지금이 한식세계화 최적의 시기이다 예컨대 막걸리와 김치의 사례를 들 수 있다

자료국가브랜드위원회(2009)

lt그림 3gt 한국의 대표 이미지

막걸리는 유산균이 많아 건강에 좋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알코올성 음료보다는 건강 발효음료로 최근 선풍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우리뿐 아니라 일본 등 아시아에서 막걸리

113

를 찾는 사람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다 김치도 예전에는 외국인이 손사래치는 것이 보통이었지만 몸에 좋은 유산균이 많고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한 발효음식이라는 사실이 널리 알려지면서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2004년에 한식을 영양적으로 균형을 갖춘 모범식으로 선정한 바 있으며 미국의 대표적 건강잡지인 lsquoHealthrsquo지가 2006년도에 김치를 세계 5대 건강식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2009년도에 국가브랜드위원회가 외국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에서 한국을 대표할 만한 이미지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도 한식이었다

이처럼 농식품 산업의 성장가능성 및 수출가능성을 고려할 때 앞으로 우리가 국산 농식품 수출의 유리한 여건과 기회를 잘 활용하면서 주요국 농식품 시장을 효과적으로 공략할 수 있는 유용한 전략과 방법을 수립한다면 농식품 수출은 한국 농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우리 농식품 산업을 수출산업화 하기 위한 여러 장점과 기회요인이 있으나 동시에 단점과 위협요인도 다수 공존하고 있다 예컨대 200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농식품은 164억 달러 가량의 무역적자를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 우리의 인접국인 일본 중국도 농업의 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농식품 수출 드라이브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어 향후 농식품 수출시장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내부환경

Strength (강점) Weakness (약점)∙ 고품질 생산에 적합한 기후와 자연조건∙ 국민소득 증가에 따른 농업의 6차

산업화와 높은 생산기술 ∙ 농식품업 RampD 확대추세 및 고급인력 ∙ 친환경 농업의 확대 및 고품질화 ∙ 다양한 농식품 분야 정책 지원 사업

∙ 국내 농산물의 국제 경쟁력 취약∙ 협소한 경지면적과 영세농 구조∙ 높은 노동비와 투입재 비용∙ 농촌지역 고령화 및 대체 인력 부족∙ 농업인의 경영 마인드 미미와 농식품

기업의 보수적 경영전략

외부환경

Opportunity (기회) Threat (위협)∙ 안전성 기능성 친환경 고품질 중시

소비시장 변화∙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중요성

인식∙ 농식품 수출시장 확대∙ 한식세계화 amp 식문화 컨텐츠 수출

가능성∙ 미래성장의 기초산업으로 부상

∙ 농식품 수입시장 개방 확대로 인한 경쟁심화

∙ 일부 품목에 집중적인 생산∙ 주요 수출시장의 원산지 및 식품안전

기준 강화∙ 식단의 서구화 다양화로 국산 농산물

소비 감소∙ 지구 온난화로 인한 작부 체계변화

lt표 3gt 우리나라 농식품산업의 여건분석(SWOT)

114

2 농식품 수출의 중요성가 농어업 성장 견인 및 농가소득 제고에 기여농식품의 일반적 특성 중 하나가 다른 상품에 비해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낮다는 점이다

따라서 조금만 생산이 과잉되어도 농가수취가격은 폭락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수출은 과잉 생산된 농식품을 해외에서 소비하게 함으로써 국내가격을 지지하고 궁극적으로 농가소득 제고에 기여하는 효과가 크다

나 국제수준의 고품질 안전 농식품 생산 유도 및 수입 농식품에 효과적 대응농식품 수출은 생산과 유통에 있어서 국제적 수준의 HACCP ISO GAP 등 안전성과 품

질을 국제수준으로 관리해야 하므로 낙후된 국내 농식품 생산 및 유통시스템을 선진국수준으로 향상시키는 촉매제 역할을 한다 또한 고품질 안전 경쟁력을 갖춘 농식품 생산 및 유통체제 구축은 궁극적으로 수입 농식품으로부터 국내 산업을 효과적으로 방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예를 들어 파프리카는 rsquo90년대 중반부터 내수가 없는 상태에서 수출용으로 재배하기 시작하여 현재 총 생산량의 약 50 가량을 수출하고 있으며 2009년도에 파프리카 주요 수출시장인 일본 시장에서 한국산 파프리카가 네덜란드산과 치열한 가격품질경쟁을 통해 시장점유율 1위(60)를 확보하였다 이러한 수출경쟁력 제고노력이 없었다면 현재 우리나라에는 네덜란드산 파프리카가 수입되고 있을 것이다

다 국민경제 및 국격 향상에 기여한국은행이 발간하는 산업연관분석표를 활용하여 농식품 100억 달러 수출의 국민경제기

여도를 산출해 본 결과 생산유발액은 126억 달러 부가가치 유발액 45억 달러 및 5만 6천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동차(NF 소나타 기준) 수출효과와 비교해 볼 때 생산유발액은 39만대 부가가치 면에서는 47만대를 수출하는 효과와 동일한 수준이다 그 밖에도 식문화 전파를 통한 국가위상 및 품격 제고 농어업의 자신감 회복 식량안보 및 환경유지 등 다양한 부분에서 기여하는 바가 매우 크다

115

Ⅲ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과 여건위기와 기회의 공존

1 세계 농식품 교역현황WTO 체제 출범과 FTA 체결확대로 세계 농식품교역 규모는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이

다 2008년 세계 농식품 수출규모는 약 1조 5775억 달러로 2000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세계적인 FTA체결 확산과 WTO DDA 협상의 타결 등 농식품 무역장벽의 축소와 철폐 움직임으로 농식품 교역규모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2015년에 세계 인구가 약 73억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농식품 교역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

(단위억 달러)

자료Global trade atlas(2008)

lt그림 4gt 세계 농식품 교역(수출기준) 규모 현황

그러나 주요 국가의 농식품 수출액에 비하여 우리의 수출규모는 매우 작다 우리나라는 일본 중국을 비롯하여 대만 동남아 인도 등 세계 인구 절반에 가까운 농식품 소비시장과 인접한 지리적 이점을 갖추고도 2008년 농식품 수출액은 44억 달러로 세계 농식품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3에 불과하다

하지만 우리와 같이 농경지 규모가 아주 작은데도 불구하고 첨단원예 가공품을 생산하

116

여 대량 수출하는 네덜란드 이스라엘 같은 나라도 있다 특히 네덜란드는 2008년 농식품 수출액이 약 1013억 달러로 미국(약 1400억 달러)에 이어 전 세계 2위를 차지한다 네덜란드는 10400ha의 첨단 유리온실에서 고품질 화훼 관상식물 채소를 생산하고 국내외 가공원료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생산하는 한편 전세계로부터 화훼를 수입하여 중개무역을 함으로써 수출농업 대국이 되었다

즉 네덜란드는 1차 농산물 생산에 국한하지 않고 국내외 원료 농산물을 이용한 가공산업을 발전시켜 농식품 부문 전체의 부가가치를 확대하고 있다

lt표 4gt 주요국 농식품 수입시장에서 한국산 비중(단위백만 달러 )

국 가 수입규모 한국산(비중) 주요 수입국일 본 81269 1478(18) 미국(261) 중국 호주 등중 국 62648 341(05) 미국(224)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미 국 111425 387(04) 캐나다(246) 멕시코 중국 등러 시 아 34680 129(04) 브라질(117) 미국 독일 등

자료Global Trade atlas(2008)

2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현황 및 요인 분석 가 수출현황과 특징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상황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식품 수출은 완만하게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이다 연도별 농식품 수출액은 1995

년 342억 달러에서 2009년 481억 달러로 연평균 32씩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증가 속도는 1995sim2009년 같은 기간 동안 연평균 102씩 증가한 우리나라 전체 수출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완만한 수준이다

둘째 농식품 수출액 규모는 점차 증가해 왔으나 국가 전체 수출액 대비 농식품 수출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국가전체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농식품 비중은 1971년 27에서 1995년 27 2000년 이후 10대로 하락하였다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액은 2009년 약 481억 달러로 국가전체 수출액 3635억 달러 가운데 13를 차지하고 있다

117

lt표 5gt 국가 전체 수출액 대비 농식품 수출 비중 (단위백만 달러 )구 분 1971 1977 1995 1998 2007 2008 2009

국가전체(A) 1068 10046 125058 132313 371489 422007 363534농 식 품(B) 285 1592 3419 2999 3759 4402 4809비 중(BA) 267 158 27 23 10 10 13자료농림수산식품부

셋째 신선농산물 보다 가공품 형태의 농식품 수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주력 수출품목이었던 수산식품과 신선 농식품의 수출이 거의 정체된 반면 가공 농식품의 수출은 크게 증가하여 전체 농식품 수출에서 가공농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1995년 약 32

수준에서 2009년에 약 53로 늘어났다 예컨대 상위 10대 수출품의 경우 1999년도에 주력 품목이었던 돼지고기 굴 붕장어 밤 등 원료형 농식품이 탈락한 반면에 2009년도에는 권련 커피조제품 소주 등 가공형 식품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lt그림 5gt 연도별 농식품 수출액

넷째 대일 수출 의존도가 감소하고 있는 반면에 수출선 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으로의 수출이 크게 감소한 반면 중국 미국 러시아 등으로의 수출증가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시장다변화가 진척되고 있다 대일본 농식품 수출비중은 1999년 66에서 2009년 33로 줄어들었다 이렇게 농식품 수출의 대일 수출비중이 감소한 대신 같은

118

기간동안 중국은 47에서 118 미국은 63에서 97 러시아는 19에서 47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미국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대상국 2위였으나 2007년 이후 중국으로의 수출이 미국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중국이 우리나라 농식품의 주요 수출시장으로 부상하였다

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lt그림 6gt 국가별 농식품 수출액

나 산업간 무역 및 산업내 무역 패턴의 변화국제무역이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두 가지 무역 패턴인 산업간 무역(Inter985103Industry

Trade)과 산업내 무역(Intra985103Industry Trade) 개념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의 무역패턴 변화를 분석하였다2)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헥셔985103오린(Heckscer985103Olin) 이론에 근거한 산업간 무역은 국가간 특화구조에 의해 교역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며 산업내 무역은 품질이나 브랜드차이 등으로 인한 독점적경쟁의 산업구조에서 발생하는 교역형태를 의미한다 우선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품목간 무역 형태를 분석하기 위해 무역 보완도(Index of

Trade Conformity)를 식 (1)을 통해 계측하였다 식 (1)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품목별

2) 산업내 무역지수와 산업간 무역지수 계측을 위해 UN985103comtrade 무역통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대상 품목은 국제적으로 농수산물로 인정되는 HS 2단위 기준 1sim24호에 속하는 품목으로 설정하였다(단 실질적인 분석에는 HS 6단위를 기준으로 구성된 무역자료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분석대상 국가는 200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와 농식품 교역이 가장 활발한 10개국으로 선정하였으며(한국무역협회자료) 분석 기간은 1995년에서 2008년으로 하였다

119

비중과 수출대상국의 품목별 수입비중을 이용하여 무역보완도를 계측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해당상품 수출구조와 교역 대상국의 수입구조가 비슷할수록 1에 가까워진다 즉 무역보완도 지수가 1에 가까울수록 우리의 수출상품이 교역대상국의 주요 수입품임을 의미하며 양국간에 교역의 특화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는 상품 수출액이 국(우리나라)의 전체 농식품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 수입액이 국(교역대상국)의 전체 농식품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1)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 주요 수출대상국 중 중국을 제외하고

1995년 이후 전반적으로 무역보완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농식품 10대 교역대상국을 대상으로 측정한 평균 무역보완도는 1995년 015에서 2008년 021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1995년 WTO 출범 이후 농식품 시장개방확대 추세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무역 역시 주요 교역대상국과 분업화와 특화가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구 분 1995년(A) 2000년 2005년 2008년(B) 보완도 차이(B985103A)호 주 0251 0292 0432 0420 0169 브 라 질 0056 0045 0076 0063 0007 중 국 0048 0058 0042 0031 9851030016 일 본 0292 0329 0409 0360 0068 뉴질랜드 0218 0242 0408 0351 0133 필 리 핀 985103 0093 0116 0081 0081 러 시 아 0034 0089 0171 0175 0141 태 국 0170 0152 0228 0236 0066 미 국 0148 0143 0263 0256 0108 베 트 남 985103 0063 0093 0102 0102 평 균 0152 0151 0224 0207 0055

lt표 6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무역 보완도 지수

주평균은 2009년 농식품 무역액을 기준으로 선정된 주요 10개국의 무역보완도 지수 산술평균을 의미한다자료UN985103comtrade 무역자료를 이용한 추정치

120

다음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교역의 산업내 무역지수를 식 (2)를 통해 계측하였다 식 (2)

는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을 구성하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을 가지고 산업내 무역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즉 농식품 산업에 속해 있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이 유사할수록 산업내 무역비중이 1에 가까워진다 일반적으로 농식품분야의 산업내 무역은 교역대상국 사이의 생산 계절성차이 품질차이 및 소비자 선호도 차이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2)

식 (2)를 이용한 추정결과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내 무역지수는 1995년 009에서 2002

년 024까지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그 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면서 2008년에는 015로 나타났다

lt그림 7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산업내 무역 지수

121

연도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농식품 분야도 산업내무역이 상당수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가격 품질 부위별 소득계층 주요 소비처 등의 선호도 차이와 생산의 계절적 차이에 따라 수출과 수입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돼지고기 김치 인삼 키위 등이 대표적 품목이다 따라서 최근 감소 추세에 있는 산업내 무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향후 주요 무역상대국을 대상으로 산업내 무역이 가능한 농식품을 발굴하는 것도 농식품 수출확대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정책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다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 분석여기서는 계량경제학적 추정방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을 분석

하였다 특히 향후 농식품의 높은 수출가능성으로 일반적으로 언급되어지는 우리나라와 가까운 거리에 일본 중국 등 대규모 농식품 소비시장의 존재가 실제 농식품 수출에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분석의 목표로 삼아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본 분석에서 설정한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추정모형은 기본적으로 중력모형을 응용한 식 (3)과 같다

In =In ()+In (

)+In ( )+

+In (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3)

vt = 국가별 확률효과 v t~iid N(oσ2v) εjt = 교란항 ε jt~iid N(oσ2ε)

주지하다시피 추정식 (3)은 일반적인 중력모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중력모형이 양 국가간의 교역(수출입)을 총체적으로 다룬 반면 여기서는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중력모형 중 우리나라의 1인당 GDP를 제외한 수출방정식을 설정하였다(Mary 2004) 식 (3)에서 는 국가별 확률효과를 나타내며 변수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별 특성을 나타낸다3)

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는 lt표 7gt과 같다 본고에서는 중력 모형에 포함되어 있는 1인당 GDP나 거리 변수 이외에 다양한 변수를 포함시켰다 우선 수출의 경우 환율에 영향을

3) 통상적인 패널 분석에서는 와 다른 설명변수들 간의 독립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추정결과의 일치성(consistency)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고정효과모형이 더 선호된다 하지만 패널 토빗모형에서는 패널이 충분히 길지 않는 한 오히려 고정효과 추정치의 일치성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확률효과 추정법이 더 선호된다(Cameron and Trivedi 2005 pp 800985103801) 따라서 본고 역시 이를 따르기로 한다

122

많이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역대상국과 우리나라의 환율을 포함시켰으며 앞서 분석한 무역보완도지수를 설명변수로 채택하여 농식품 교역이 특화되어 있는 정도가 농식품 수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무역장벽이라고 할 수 있는 관세를 포함시켰으며 각 국가의 개방도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WTO 가입여부와 우리나라와의 FTA 체결여부를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와 교역국간의 경제협력 수준을 반영하기 위해 해외직접투자액을 대리변수(proxy variable)로 사용하였다4) 또한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분석 대상국가로 설정하였고 분석기간은 1995년부터 2008년까지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는 패널데이터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품목별 수출량이 0인 연도도 존재하는 점을 감안하여5) 계량적 추정방법으로 김한호(2009) 등에서 사용한 패널토빗 계량모형(panel tobit model)을 이용하였다

변 수 설명 및 자료X jt 주요 10개국에 대한 품목별 수출액UN comtrade자료

distance 한국과의 거리한국과 교역국의 수도 간 거리 (단위Km)httpdistancecalculatorglobefeedcom

교역 대상 국가의 1인당 국민 소득(UNSD 자료와 인구통계 활용)

exchange 한국통화가치수출국통화가치 해외직접투자(한국수출입 은행 해외투자통계 자료)

conformity 무역 보완도지수 관세WTO 자료 WTO가입 여부국가별 가입 연도 기준 FTA 체결 여부국가별 체결 연도 기준

lt표 7gt 통계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 및 내용

주관세의 경우 WTO가 제공하는 각국의 품목별 관세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제공하지 않는 연도에 대해서는 이전 연도의 관세율과 같다고 가정하였다

4) 단 본고에서는 수출액과 해외직접투자가 0인 경우 1로 치환하여 로그값으로 전환시켜 자료의 손실을 줄이고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이러한 점은 본 분석의 한계라고도 볼 수 있다 즉 전체 교역액을 기준으로 대상국가를 선정하였기 때문에 해당 대상국이 실제로 해당 품목의 주요 교역국이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품목별로 주요 대상국을 설정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5) 이는 수출의 경우 0이상의 값만을 가지며 0이하의 값은 관찰되지 않기 때문이며 본고에서는 이를 0이상을 기준으로 데이터가 censored 되었다고 가정하였다

123

품목군별 추정결과는 아래 lt표 8gt sim lt표 10gt과 같으며 여기서는 주요 품목별로 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추정된 설명변수를 중심으로 수출 결정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교역대상국이 WTO 가입국 일수록 우리나라의 과실류의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그리고 신선채소류의 경우 관세가 낮을수록 화훼류는 FTA 체결국 일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과실류 (t 값) 신선 채소류 (t 값) 화훼류 (t 값)ln (fdi) 0165 (246) 0040 (035) 9851030063 (985103066)

ln (distance) 9851030543 (985103312) 9851030193 (985103164) 9851030223 (985103093)

ln (Yit Pit) 9851031015 (985103188) 0207 (053) 0400 (058)

ln (exchange) 0479 (196) 9851030210 (985103112) 0350 (108)

conformity 0115 (317) 0012 (037) 0034 (076)

tariff 0040 (142) 9851030443 (985103199) 0025 (071)

WTO 1645 (191) 9851031410 (985103129) 9851031262 (985103109)

FTA 9851030625 (985103057) 1444 (098) 4400 (297)

상수항 11106 (273) 5200 (181) 9851030232 (985103005)

σ v1) 1279 (307) 0539 (098) 1787 (357)

σ ε 1818 (1476) 2260 (1330) 2421 (1268)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8) 134(22) 134(36)

모형적합성 검증(Wald) 2896(p=0000) 2649(p=0001) 1398(p=0082)

lt표 8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과실류 신선 채소류 화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축산물(신선+가공)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9gt 참조) 그리고 교역 대상국이 FTA체결국인 경우 축산물 수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 축산물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

124

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산가공품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대상국이 FTA

체결국인 경우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전체 (t 값) 신선 (t 값) 가공 (t 값)ln (fdi) 0195 (210) 0366 (445) 0144 (106)

ln (distance) 9851030429 (985103244) 985103311 (985103233) 9851030707 (985103217)

ln (Yit Pit) 0195 (035) 0372 (080) 0579 (063)

ln (exchange) 0002 (001) 0077 (042) 9851030202 (985103046)

conformity 9851030022 (985103053) 9851030010 (985103026) 9851030098 (985103158)

tariff 0044 (155) 0041 (160) 0037 (071)

WTO 0053 (005) 9851030973 (985103091) 0184 (011)

FTA 3285 (225) 1458 (089) 5013 (261)

상수항 4083 (097) 0991 (985103027) 3135 (044)

σ v1) 1069 (278) 134e98510317 (000) 2344 (278)

σ ε 2449 (1413) 2866 (1351) 3096 (1170)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8) 134(32) 132(48)

모형적합성 검증(Wald) 2558(p=0001) 4400(p=0001) 2027(p=0009)

lt표 9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축산물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낙농품은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높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10gt 참조) 또한 교역국과 FTA를 체결할 경우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낙농품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곡물류 수출의 경우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5

변 수 낙농품 (t 값) 곡물류 (t 값)ln (fdi) 0190 (227) 0049 (101)

ln (distance) 9851030515 (985103176) 9851030532 (985103330)

ln (Yit Pit) 9851030686 (985103095) 9851030331 (985103079)

ln (exchange) 0863 (226) 0243 (119)

conformity 0097 (243) 0003 (014)

tariff 9851030190 (985103072) 9851030301 (985103190)

WTO 9851030148 (985103013) 1083 (164)

FTA 3946 (306) 0280 (037)

상수항 9030 (169) 13758 (421)

σ v1) 2113 (341) 1166 (344)

σ ε 2114 (1411) 1266 (1549)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7) 134(0)

모형적합성 검증(Wald) 3450 (p=0000) 1695(p=0031)

lt표 10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낙농품 곡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분석된 대부분 품목군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의 거리가 국산 농식품 수출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농식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부피에 비해 가격이 낮아 수송비가 교역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외에도 교역대상국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생산 및 식생활소비 패턴이 유사할 가능성이 높아 수출 증대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인접하면서 큰 농식품 시장이 있는 중국 일본 대만 중앙아시아 아세안 등에 대한 수출증가 가능성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일류 축산 특히 신선 축산물 낙농 등의 경우 해외직접투자가 많을 수록 수출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교포나 주재원 등의 수요가 많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126

3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과 기회요인가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주요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농식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쟁력 있는 대표 상품이 부족하다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은 14개로 대부분 가공식품이고 신선농산물은 4개에 불과하다

구 분 1999 2009(P)신 선 돼지고기 인삼 밥 김치 인삼 김치 파프리카 배가 공 자당 라면 소주 합판 권련 커피제조품 라면 자당 소주 비스킷수 산 참치 굴 붕장어 오징어 참치 오징어 김 넙치

lt표 11gt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

둘째 수출업체의 영세성으로 해외시장개척 및 국제경쟁력이 취약하고 수출업체의 난립으로 과잉경쟁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2008년 농식품 수출기업 921개 중 1천만 달러 이상은 22개(전체의 24)에 불과하며 1백만 달러 미만 수출업체는 689개(748)에 달한다

셋째 고품질 수출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기반이 미흡하다 수출거래 관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출 시장에서 원하는 품목과 물량을 원하는 시기에 공급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급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 생산 및 출하규모가 영세하고 내수 중심의 경영구조이기 때문에 수출거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적시 적량

정품 공급 기반이 미흡하다 수출 품목의 안전성과 품질이 담보되는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규모가 큰 수출조직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동시에 가공용 농식품 제조를 위한 품질과 가격경쟁력이 있는 원료농산물 공급기반도 미흡하다

넷째 효과적인 수출 물류 시스템 구축이 되어 있지 않다 수출 농식품의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저온유통 시스템이 가능한 물류 구축이 요구된다 하지만 국내 수출 물류시설 및 시스템이 낙후되어 신선도 및 품질 관리가 어렵고 경쟁력 제고에 한계가 많다 수출용 농식품의 국내 출하에서부터 수출 소비시장까지의 수송 저장에 필요한 냉장탑차 예냉저온선별 및 저장시설 냉장컨테이너 등의 시설 여건이 열악하여 품질 저하 감모 및 폐기물량 증가로 수출경쟁력을 제고시키기에 어려움이 많다

127

다섯째 체계적인 수출시장 개척 및 확대 시스템이 미흡하다 수출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하고 수출물량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국 도매업체와 대형판매점의 유통채널 진입과 긴밀한 네트워크유지가 필요하지만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KOTRA

유통공사 한인회 한상 등의 네트워크화를 통한 홍보 판촉 마케팅활동이 저조하다 이외에도 수출국 소매업체나 소비자들의 한국산 농식품 인지도 선호도 파악을 통한 수출 유망품목 수출 잠재품목 개발육성이 저조한 실정이다 수출국 시장 소비자 트렌드 및 라이프 스타일 조사 분석(Consumer Trends amp Lifestyle Analysis)을 통한 효과적 수요 창출 전략이 미흡하다 특히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별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나 농식품 수출의 기회요인 향후 DDA 농업협상의 타결과 FTA 체결 확대로 세계 농식품 교역규모는 큰 폭으로 증

가하여 우리 농식품 수출 증대에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DDAFTA 등으로 인한 관세 비관세 장벽 완화는 한국 농식품시장의 개방 확대와 동시에 수출시장이 확대되는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중국 인도 등 신흥경제권의 경제성장과 소득 증대로 우리나라의 고품질 차별화된 농식품의 수출확대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는 앞서 분석한 수출요인 결정모형의 분석 결과와 연관지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주요 국가와의 FTA의 체결과 해외진출 및 투자의 증가 교역국의 소득 증가 그리고 가까운 거리에 대규모 농식품 수출시장의 존재 등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즉 이러한 농식품 수출여건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은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식품 수출시장이 일본 중심에서 중국 러시아 동남아지역 등으로 다변화되어 가고 있어 시장개척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세계 농식품 시장규모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우리나라 주요 수출대상국의 농식품 수입규모도 증가 추세에 있다 우리 농식품수출의 60 가량을 점유하는 일본middot미국middot중국middot러시아 4개국의 수입규모가 최근 5년간 1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008 Global trade atlas)

우리 농식품의 주요 수출 유망국가에서 식문화의 글로벌화 및 웰빙middot건강식품 선호추세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한식의 세계화가 진전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2008년부터 본격적인 한식세계화 사업추진으로 식문화 수출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슬로우 푸드 건강 middot 기능성식품 수요증가에 따라 저열량 middot 건강식으로서 한식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128

이에 2009년의 경우 세계적 경기침체로 해외에서 우리와 경쟁관계에 있는 주요 선진농업국의 농식품수출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우리 농식품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강 점 (S) 약 점 (W)

인근 거대 잠재시장 존재한국식품에 대한 관심 고조높은 잠재 가능성(다양한 발효 식품 우수한 식문화)

국가대표 수출상품 부족 영세한 수출 구조기술 및 안전관리 수준 등이 선진국과 격차

(O)

세계 교역규모 증가안전middot기능성 관심 증가식문화 글로벌 확산

S ndash O 전략

한식 세계화 전략 구사수출 상품화수출지향 식품클러스터 조성

W ndash O 전략

수출전문 생산단지 설치식재료 및 기능식 상품화식품기업 해외진출 지원

(T)

세계적 경제 침체가격경쟁력 취약구제역 AI 등 안전성관리 애로

S ndash T 전략

잠재력 높은 신시장 개척수출유망품목 발굴 강화수출상품 고부가가치화수출상품 브랜드화

W ndash T 전략

국가대표 수출상품 육성수출 조직화 및 규모화RampD를 통한 신품목개발수출상품 안전체계 구축

lt그림 8gt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 분석(SWOT)

더욱이 정부가 2012년까지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 목표를 설정하고 다각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모색 중에 있어 어느 때보다 농식품 수출에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우선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과거와 달리 정부가 농식품 수출 목표를 높게 잡고 열심히 해보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지금까지 진행된 경제발전과정과 WTO 출범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무역자유화 시대에서 가장 취약한 산업부문으로 여겨져 찬밥신세를 면치 못하던 우리 농수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상징적 지표다 국내 농어업이 2000년 이후 성장정체 경향을 보이고 있는 현실에서 농식품 수출 확대를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신성장 동력원으로써 물꼬를 트겠다는 적극적 자세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수출선도조직 육성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 고품질 수출농식품의 안정적인 생산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려

129

하고 있다6) 수출선도조직과 수출업체의 생산 공급 계열화 시스템은 2009년 10개 품목 13

개 조직에서 2010년 18개 품목 21개 조직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노력은 생산농가985103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균일화된 고품질 농식품의 안정적인 공급으로 해외거래처와의 신뢰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수출업체 간 저가수출과당경쟁 방지 및 공동판촉 등 협력사업 수행으로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자율협력기구인 수출협의회가 구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 품목별 수출업체의 자율협력기구(수출협의회)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농식품 수출활성화 도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Ⅳ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

1 품목별로 차별화된 수출 확대 전략 수립앞서 수출증대요인 분석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품목별 또는 품목군별로 수출결정 요인

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품목별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한 수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무역보완도가 중요한 수출결정요인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 무역보완성이 높은 국가의 시장에 대한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류 내 품목별로 무역보완성을 고려한 목표 시장을 설정하여 수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과실류와 축산물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규모나 시장개방의 정도 즉 WTO 가입이나 FTA 체결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품목의 경우 국내 기업이 많이 진출하고 있거나 시장개방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 국가가 주요 수출시장으로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출결정인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품목별로 주요 수출대상 국가별 수출저해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특히 2012년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라는 수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수출 기반 조성과 방법으로 수출을 추진해야 한다 농식품 수출의 장애요인 발굴과 제거하는 과정은 품목별 국가별 여건과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수출 목표를 빠르게 달6) 수출선도조직은 농식품 수출업체가 생산농가(lsquo생산자조직rsquo 포함)와 상호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고 수

출업체 주도로 품종선택부터 재배 수확 선별 포장 수출 안전성 및 품질관리 정산 농가교육 등의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함으로써 수출 농식품의 경쟁력을 높여 수출확대를 선도하는 조직을 말한다

130

성하기 위해서는 수출 비중과 증가율이 큰 품목과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확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수출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 장애요인 제거 방법도 보다 큰 틀에서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앞서 수출 유망 국가 및 시장 선택에 있어서는 수출결정요인 분석 결과와 함께 수출시장별 기회잠재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차별화된 시장 개척과 확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즉 국가별 수출시장 여건 및 특성에 맞추어 수출증대 노력을 기울여야 효과적인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해외시장에서 성공한 우리 농식품들은 고품질과 단일브랜드 현지형 마케팅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야 한다 특히 한반도를 중심으로 반경 19851032시간 권 안에 있는 중국 일본 대만 등 우리에게 새롭게 열린 시장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수출 확대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해외동포나 현지 교민의 직접적인 수요에 의존한 수출방식에서 이들 국가의 해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방식으로 전환하여 신규 수출수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공급 수출지원시스템 간의 밀접한 상호연계 체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2012년 100억 달러 농식품 수출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현재의 수출증가율을 큰 폭으로 상회해야 하므로 민간 차원에서 하기 힘든 수출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대규모 수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외 농식품 생산 유통업체간 전략적 글로벌 공동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반도를 동아시아 농식품 허브로 개발 육성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극적인 세계 유명 식품 박람회 참가 바이어초청 등을 통해 신규거래선 개척을 지원하여 수출업체985103바이어 간 만남의 장 마련으로 더 많은 수출기회를 제공해 나가야 한다 또한 해외 대형 바이어와의 MOU 체결 주요 식품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한국식품 직수출 유통채널 확보 및 장기대규모 소비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국내적으로도 농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수출유관기관의 역할분담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수출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외교통상부middot무역협회middotKOTRA 각종 협회 해외한인회 등 공공부문 및 민간조직과의 협력방안도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 대표급 주력 수출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2009년 현재 기준 5천만 달러 이상 수출되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은 인삼(1억 달러 rsquo09년) 김치(89백만 달러) 배(54백만 달러) 파프리카(53백만 달러) 정도이고 그 외에 이렇다할 만한 주력 수출상품이 없다는 것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품목별 수출결정요인과 함께 시장의 특성 선호도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전략수출상품을 집중 육성할 필요

131

가 있다 현재 수출규모가 큰 김치 인삼 돼지고기 배 면류 주류 과자류 참치 오징어

김 등은 현재보다 수출규모를 확대하고 세계적인 상품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또한 삼계탕

버섯류 유자차 화훼 전복 넙치 굴 등 농어민 소득증대가 크고 수출성장 가능성이 큰 품목의 발굴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농가985103 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안전성품질관리가 가능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경영체로 육성함으로써 균일화된 고품질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해외 거래선의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 기술과 자본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통해 해외 유통망 확보 노력과 함께 세계인들의 입맛을 붙잡는 그리너리(네델란드) 데니쉬 크라운(덴마크) 제스프리(뉴질랜드) 선키스트(미국) 네슬레(스위스) 등과 같은 세계적 대표 브랜드 육성이 필요하다

2 고부가가가치 농식품 수출 확대계절성이 높은 1차 농산물을 수출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2 middot 3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

치 상품을 수출하여 채산성을 높이고 수출상품을 연중 수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농식품 수출을 빠르게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품목 측면에서 최근 수출 증가율이 높은 가공농식품 중심으로 수출증대 전략을 마련하고 신선농식품 중에서는 수출 비중과 수출 증가율이 큰 과실류와 인삼류 화훼류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수출 증대 효과가 높을 것이다 김치류 등 수출 비중이 크지만 수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은 수출을 감소시킨 원인을 찾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 품목군에서도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간에 다르게 나타난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적 식문화의 세계화를 통해 국산 농식품 및 식자재의 수출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세계적인 건강식품 음식으로 이미 떠오른 김치와 비빔밥이외에도 더 많은 전략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연관된 식자재를 체계적으로 수출하는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식이 세계인의 입맛에 맞을 수 있도록 맛의 표준화를 정립하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메뉴를 개발하고 중점 지원하며 국산 식재료 유통구조의 대형화와 전문화를 통해 국산 식재료가 한식과 세계인의 식재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현재 전 세계 180여개국에 걸쳐 널리 퍼져있는 700만 재외동포와 한민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농식품 수출의 교두보로 삼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즉 해외동포기업들을 우리 농식품 및 식자재 수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전 세계

132

한국교민은 700만 명으로 화교(5500만 명) 유태인(860만 명)에 이어 세계 3번째 규모이다

약 7300개 한국 기업이 아시아 미주 유럽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지 종사자 규모가 약 150만 명에 이르며 해외 한식당은 약 1만 개로 추정된다 이들 해외 거주자는 우선적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될 수 있다

3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 우리 농식품기업의 해외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예컨대 국제적인 농식품 기업을 인수함

으로써 해외 생산기지와 유통망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보유 잉여자금을 이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해외투자활동이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농식품의 수출확대 과정에서 정부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과제 중의 하나는 국내 농어민의 소득 향상과 연계되는 수출방안의 모색이다 사실 현재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비중이 낮고 주로 가공식품위주를 이루고 국내 농업과 연관성이 높은 신선식품의 비중은 크지 않아 수출을 통한 농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농어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농식품 수출이 되도록 더 많은 정책적 고민과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2009년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가공식품은 53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선식품 수출비중이 높은 수산물을 제외하면 신선농축식품 수출비중은 15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농식품 수출이 실질적으로 국내 농어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농어민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어업과 연계된 수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수출유망 품목 발굴 노력과 함께 품목별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수출을 조직화규모화함으로써 과당경쟁 등 우리나라 수출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외에서의 거래교섭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중소규모 수출단지와 영세업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촉진하여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Dole과 선키스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 네덜란드의 그리너리와 같은 세계적인 수출조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식품 수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신선농식품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자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수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파프리카 화훼 버섯 등의 경우에도 종자부터 시설기자재까지 네덜란드 등 농업선진국에 의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5: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11

한편 식품산업은 국민 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이 크고 한식 세계화를 통해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이 높다 2008년 기준 국내 식품시장 규모는 약 110조 원(식품제조업 + 음식점업)으로 전체 GDP의 101 그리고 고용은 243만 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103를 차지하고 있다1)

자료통계청 제조업통계조사(종사자수 10인 이상 사업체 대상) 도소매업 통계조사lt그림 2gt GDP 및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율

또한 농식품 산업은 수출가능성이 높은 유망분야이다 우리나라는 일본과 중국은 물론

대만 동남아시아 인도 등 아시아 중동 CIS 국가를 포괄하여 세계 인구의 절반에 가까운 대규모 농식품 소비시장과 인접한 전략적 요충지다 구체적으로 서울을 기점으로 반경 2000km 이내의 지역에 동경 북경 상해 마닐라 등 11개의 주요 도시와 15억 인구 그리고 7300억 달러 규모의 거대한 농식품 수입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시장의 성장세 역시 두드러지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가 속해 있는 아시아지역 식품산업 시장규모는 약 15조 달러이며 이는 세계전체 식품산업의 369를 차지하는 규모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와 인접한 아시아 식품시장은 세계 평균보다 빠른 연평균 49의 고속성장이 예상된다

1) 만일 식품산업에 식품유통업을 포함하면 2008년 기준 214조 원에 달하고 이는 전체 GDP의 210에 해당한다(자료통계청 제조업통계조사(종사자수 10인 이상 사업체 대상) 도소매업 통계조사)

112

lt표 2gt 주요 지역별 식품산업 규모 (단위billion $ )

지 역 식품제조업 (A) 외식업 (B) 식품부문 총괄 (A+B)금 액 비 중 금 액 비 중 금 액 비 중

아시아 985103 태평양 1181 374 3028 351 14838 369

유 럽 9631 305 2528 293 12159 302

아메리카 8463 268 3072 356 11535 287

기 타 1673 53 985103 985103 1673 42

총 계 31577 1000 8628 1000 40205 1000자료Datamonitor(20093)

아울러 최근 아시아에 불고 있는 한류 열풍으로 한국의 문화와 음식에 대해 세계인들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어 우리 식문화를 전파하고 식재료를 수출할 여건이 성숙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한류를 바탕으로 한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한식의 우수성이 국내외 언론 등을 통해 확산 중에 있는 지금이 한식세계화 최적의 시기이다 예컨대 막걸리와 김치의 사례를 들 수 있다

자료국가브랜드위원회(2009)

lt그림 3gt 한국의 대표 이미지

막걸리는 유산균이 많아 건강에 좋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알코올성 음료보다는 건강 발효음료로 최근 선풍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우리뿐 아니라 일본 등 아시아에서 막걸리

113

를 찾는 사람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다 김치도 예전에는 외국인이 손사래치는 것이 보통이었지만 몸에 좋은 유산균이 많고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한 발효음식이라는 사실이 널리 알려지면서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2004년에 한식을 영양적으로 균형을 갖춘 모범식으로 선정한 바 있으며 미국의 대표적 건강잡지인 lsquoHealthrsquo지가 2006년도에 김치를 세계 5대 건강식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2009년도에 국가브랜드위원회가 외국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에서 한국을 대표할 만한 이미지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도 한식이었다

이처럼 농식품 산업의 성장가능성 및 수출가능성을 고려할 때 앞으로 우리가 국산 농식품 수출의 유리한 여건과 기회를 잘 활용하면서 주요국 농식품 시장을 효과적으로 공략할 수 있는 유용한 전략과 방법을 수립한다면 농식품 수출은 한국 농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우리 농식품 산업을 수출산업화 하기 위한 여러 장점과 기회요인이 있으나 동시에 단점과 위협요인도 다수 공존하고 있다 예컨대 200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농식품은 164억 달러 가량의 무역적자를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 우리의 인접국인 일본 중국도 농업의 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농식품 수출 드라이브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어 향후 농식품 수출시장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내부환경

Strength (강점) Weakness (약점)∙ 고품질 생산에 적합한 기후와 자연조건∙ 국민소득 증가에 따른 농업의 6차

산업화와 높은 생산기술 ∙ 농식품업 RampD 확대추세 및 고급인력 ∙ 친환경 농업의 확대 및 고품질화 ∙ 다양한 농식품 분야 정책 지원 사업

∙ 국내 농산물의 국제 경쟁력 취약∙ 협소한 경지면적과 영세농 구조∙ 높은 노동비와 투입재 비용∙ 농촌지역 고령화 및 대체 인력 부족∙ 농업인의 경영 마인드 미미와 농식품

기업의 보수적 경영전략

외부환경

Opportunity (기회) Threat (위협)∙ 안전성 기능성 친환경 고품질 중시

소비시장 변화∙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중요성

인식∙ 농식품 수출시장 확대∙ 한식세계화 amp 식문화 컨텐츠 수출

가능성∙ 미래성장의 기초산업으로 부상

∙ 농식품 수입시장 개방 확대로 인한 경쟁심화

∙ 일부 품목에 집중적인 생산∙ 주요 수출시장의 원산지 및 식품안전

기준 강화∙ 식단의 서구화 다양화로 국산 농산물

소비 감소∙ 지구 온난화로 인한 작부 체계변화

lt표 3gt 우리나라 농식품산업의 여건분석(SWOT)

114

2 농식품 수출의 중요성가 농어업 성장 견인 및 농가소득 제고에 기여농식품의 일반적 특성 중 하나가 다른 상품에 비해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낮다는 점이다

따라서 조금만 생산이 과잉되어도 농가수취가격은 폭락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수출은 과잉 생산된 농식품을 해외에서 소비하게 함으로써 국내가격을 지지하고 궁극적으로 농가소득 제고에 기여하는 효과가 크다

나 국제수준의 고품질 안전 농식품 생산 유도 및 수입 농식품에 효과적 대응농식품 수출은 생산과 유통에 있어서 국제적 수준의 HACCP ISO GAP 등 안전성과 품

질을 국제수준으로 관리해야 하므로 낙후된 국내 농식품 생산 및 유통시스템을 선진국수준으로 향상시키는 촉매제 역할을 한다 또한 고품질 안전 경쟁력을 갖춘 농식품 생산 및 유통체제 구축은 궁극적으로 수입 농식품으로부터 국내 산업을 효과적으로 방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예를 들어 파프리카는 rsquo90년대 중반부터 내수가 없는 상태에서 수출용으로 재배하기 시작하여 현재 총 생산량의 약 50 가량을 수출하고 있으며 2009년도에 파프리카 주요 수출시장인 일본 시장에서 한국산 파프리카가 네덜란드산과 치열한 가격품질경쟁을 통해 시장점유율 1위(60)를 확보하였다 이러한 수출경쟁력 제고노력이 없었다면 현재 우리나라에는 네덜란드산 파프리카가 수입되고 있을 것이다

다 국민경제 및 국격 향상에 기여한국은행이 발간하는 산업연관분석표를 활용하여 농식품 100억 달러 수출의 국민경제기

여도를 산출해 본 결과 생산유발액은 126억 달러 부가가치 유발액 45억 달러 및 5만 6천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동차(NF 소나타 기준) 수출효과와 비교해 볼 때 생산유발액은 39만대 부가가치 면에서는 47만대를 수출하는 효과와 동일한 수준이다 그 밖에도 식문화 전파를 통한 국가위상 및 품격 제고 농어업의 자신감 회복 식량안보 및 환경유지 등 다양한 부분에서 기여하는 바가 매우 크다

115

Ⅲ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과 여건위기와 기회의 공존

1 세계 농식품 교역현황WTO 체제 출범과 FTA 체결확대로 세계 농식품교역 규모는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이

다 2008년 세계 농식품 수출규모는 약 1조 5775억 달러로 2000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세계적인 FTA체결 확산과 WTO DDA 협상의 타결 등 농식품 무역장벽의 축소와 철폐 움직임으로 농식품 교역규모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2015년에 세계 인구가 약 73억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농식품 교역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

(단위억 달러)

자료Global trade atlas(2008)

lt그림 4gt 세계 농식품 교역(수출기준) 규모 현황

그러나 주요 국가의 농식품 수출액에 비하여 우리의 수출규모는 매우 작다 우리나라는 일본 중국을 비롯하여 대만 동남아 인도 등 세계 인구 절반에 가까운 농식품 소비시장과 인접한 지리적 이점을 갖추고도 2008년 농식품 수출액은 44억 달러로 세계 농식품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3에 불과하다

하지만 우리와 같이 농경지 규모가 아주 작은데도 불구하고 첨단원예 가공품을 생산하

116

여 대량 수출하는 네덜란드 이스라엘 같은 나라도 있다 특히 네덜란드는 2008년 농식품 수출액이 약 1013억 달러로 미국(약 1400억 달러)에 이어 전 세계 2위를 차지한다 네덜란드는 10400ha의 첨단 유리온실에서 고품질 화훼 관상식물 채소를 생산하고 국내외 가공원료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생산하는 한편 전세계로부터 화훼를 수입하여 중개무역을 함으로써 수출농업 대국이 되었다

즉 네덜란드는 1차 농산물 생산에 국한하지 않고 국내외 원료 농산물을 이용한 가공산업을 발전시켜 농식품 부문 전체의 부가가치를 확대하고 있다

lt표 4gt 주요국 농식품 수입시장에서 한국산 비중(단위백만 달러 )

국 가 수입규모 한국산(비중) 주요 수입국일 본 81269 1478(18) 미국(261) 중국 호주 등중 국 62648 341(05) 미국(224)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미 국 111425 387(04) 캐나다(246) 멕시코 중국 등러 시 아 34680 129(04) 브라질(117) 미국 독일 등

자료Global Trade atlas(2008)

2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현황 및 요인 분석 가 수출현황과 특징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상황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식품 수출은 완만하게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이다 연도별 농식품 수출액은 1995

년 342억 달러에서 2009년 481억 달러로 연평균 32씩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증가 속도는 1995sim2009년 같은 기간 동안 연평균 102씩 증가한 우리나라 전체 수출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완만한 수준이다

둘째 농식품 수출액 규모는 점차 증가해 왔으나 국가 전체 수출액 대비 농식품 수출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국가전체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농식품 비중은 1971년 27에서 1995년 27 2000년 이후 10대로 하락하였다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액은 2009년 약 481억 달러로 국가전체 수출액 3635억 달러 가운데 13를 차지하고 있다

117

lt표 5gt 국가 전체 수출액 대비 농식품 수출 비중 (단위백만 달러 )구 분 1971 1977 1995 1998 2007 2008 2009

국가전체(A) 1068 10046 125058 132313 371489 422007 363534농 식 품(B) 285 1592 3419 2999 3759 4402 4809비 중(BA) 267 158 27 23 10 10 13자료농림수산식품부

셋째 신선농산물 보다 가공품 형태의 농식품 수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주력 수출품목이었던 수산식품과 신선 농식품의 수출이 거의 정체된 반면 가공 농식품의 수출은 크게 증가하여 전체 농식품 수출에서 가공농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1995년 약 32

수준에서 2009년에 약 53로 늘어났다 예컨대 상위 10대 수출품의 경우 1999년도에 주력 품목이었던 돼지고기 굴 붕장어 밤 등 원료형 농식품이 탈락한 반면에 2009년도에는 권련 커피조제품 소주 등 가공형 식품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lt그림 5gt 연도별 농식품 수출액

넷째 대일 수출 의존도가 감소하고 있는 반면에 수출선 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으로의 수출이 크게 감소한 반면 중국 미국 러시아 등으로의 수출증가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시장다변화가 진척되고 있다 대일본 농식품 수출비중은 1999년 66에서 2009년 33로 줄어들었다 이렇게 농식품 수출의 대일 수출비중이 감소한 대신 같은

118

기간동안 중국은 47에서 118 미국은 63에서 97 러시아는 19에서 47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미국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대상국 2위였으나 2007년 이후 중국으로의 수출이 미국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중국이 우리나라 농식품의 주요 수출시장으로 부상하였다

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lt그림 6gt 국가별 농식품 수출액

나 산업간 무역 및 산업내 무역 패턴의 변화국제무역이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두 가지 무역 패턴인 산업간 무역(Inter985103Industry

Trade)과 산업내 무역(Intra985103Industry Trade) 개념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의 무역패턴 변화를 분석하였다2)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헥셔985103오린(Heckscer985103Olin) 이론에 근거한 산업간 무역은 국가간 특화구조에 의해 교역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며 산업내 무역은 품질이나 브랜드차이 등으로 인한 독점적경쟁의 산업구조에서 발생하는 교역형태를 의미한다 우선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품목간 무역 형태를 분석하기 위해 무역 보완도(Index of

Trade Conformity)를 식 (1)을 통해 계측하였다 식 (1)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품목별

2) 산업내 무역지수와 산업간 무역지수 계측을 위해 UN985103comtrade 무역통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대상 품목은 국제적으로 농수산물로 인정되는 HS 2단위 기준 1sim24호에 속하는 품목으로 설정하였다(단 실질적인 분석에는 HS 6단위를 기준으로 구성된 무역자료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분석대상 국가는 200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와 농식품 교역이 가장 활발한 10개국으로 선정하였으며(한국무역협회자료) 분석 기간은 1995년에서 2008년으로 하였다

119

비중과 수출대상국의 품목별 수입비중을 이용하여 무역보완도를 계측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해당상품 수출구조와 교역 대상국의 수입구조가 비슷할수록 1에 가까워진다 즉 무역보완도 지수가 1에 가까울수록 우리의 수출상품이 교역대상국의 주요 수입품임을 의미하며 양국간에 교역의 특화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는 상품 수출액이 국(우리나라)의 전체 농식품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 수입액이 국(교역대상국)의 전체 농식품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1)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 주요 수출대상국 중 중국을 제외하고

1995년 이후 전반적으로 무역보완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농식품 10대 교역대상국을 대상으로 측정한 평균 무역보완도는 1995년 015에서 2008년 021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1995년 WTO 출범 이후 농식품 시장개방확대 추세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무역 역시 주요 교역대상국과 분업화와 특화가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구 분 1995년(A) 2000년 2005년 2008년(B) 보완도 차이(B985103A)호 주 0251 0292 0432 0420 0169 브 라 질 0056 0045 0076 0063 0007 중 국 0048 0058 0042 0031 9851030016 일 본 0292 0329 0409 0360 0068 뉴질랜드 0218 0242 0408 0351 0133 필 리 핀 985103 0093 0116 0081 0081 러 시 아 0034 0089 0171 0175 0141 태 국 0170 0152 0228 0236 0066 미 국 0148 0143 0263 0256 0108 베 트 남 985103 0063 0093 0102 0102 평 균 0152 0151 0224 0207 0055

lt표 6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무역 보완도 지수

주평균은 2009년 농식품 무역액을 기준으로 선정된 주요 10개국의 무역보완도 지수 산술평균을 의미한다자료UN985103comtrade 무역자료를 이용한 추정치

120

다음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교역의 산업내 무역지수를 식 (2)를 통해 계측하였다 식 (2)

는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을 구성하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을 가지고 산업내 무역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즉 농식품 산업에 속해 있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이 유사할수록 산업내 무역비중이 1에 가까워진다 일반적으로 농식품분야의 산업내 무역은 교역대상국 사이의 생산 계절성차이 품질차이 및 소비자 선호도 차이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2)

식 (2)를 이용한 추정결과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내 무역지수는 1995년 009에서 2002

년 024까지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그 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면서 2008년에는 015로 나타났다

lt그림 7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산업내 무역 지수

121

연도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농식품 분야도 산업내무역이 상당수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가격 품질 부위별 소득계층 주요 소비처 등의 선호도 차이와 생산의 계절적 차이에 따라 수출과 수입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돼지고기 김치 인삼 키위 등이 대표적 품목이다 따라서 최근 감소 추세에 있는 산업내 무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향후 주요 무역상대국을 대상으로 산업내 무역이 가능한 농식품을 발굴하는 것도 농식품 수출확대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정책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다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 분석여기서는 계량경제학적 추정방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을 분석

하였다 특히 향후 농식품의 높은 수출가능성으로 일반적으로 언급되어지는 우리나라와 가까운 거리에 일본 중국 등 대규모 농식품 소비시장의 존재가 실제 농식품 수출에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분석의 목표로 삼아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본 분석에서 설정한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추정모형은 기본적으로 중력모형을 응용한 식 (3)과 같다

In =In ()+In (

)+In ( )+

+In (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3)

vt = 국가별 확률효과 v t~iid N(oσ2v) εjt = 교란항 ε jt~iid N(oσ2ε)

주지하다시피 추정식 (3)은 일반적인 중력모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중력모형이 양 국가간의 교역(수출입)을 총체적으로 다룬 반면 여기서는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중력모형 중 우리나라의 1인당 GDP를 제외한 수출방정식을 설정하였다(Mary 2004) 식 (3)에서 는 국가별 확률효과를 나타내며 변수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별 특성을 나타낸다3)

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는 lt표 7gt과 같다 본고에서는 중력 모형에 포함되어 있는 1인당 GDP나 거리 변수 이외에 다양한 변수를 포함시켰다 우선 수출의 경우 환율에 영향을

3) 통상적인 패널 분석에서는 와 다른 설명변수들 간의 독립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추정결과의 일치성(consistency)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고정효과모형이 더 선호된다 하지만 패널 토빗모형에서는 패널이 충분히 길지 않는 한 오히려 고정효과 추정치의 일치성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확률효과 추정법이 더 선호된다(Cameron and Trivedi 2005 pp 800985103801) 따라서 본고 역시 이를 따르기로 한다

122

많이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역대상국과 우리나라의 환율을 포함시켰으며 앞서 분석한 무역보완도지수를 설명변수로 채택하여 농식품 교역이 특화되어 있는 정도가 농식품 수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무역장벽이라고 할 수 있는 관세를 포함시켰으며 각 국가의 개방도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WTO 가입여부와 우리나라와의 FTA 체결여부를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와 교역국간의 경제협력 수준을 반영하기 위해 해외직접투자액을 대리변수(proxy variable)로 사용하였다4) 또한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분석 대상국가로 설정하였고 분석기간은 1995년부터 2008년까지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는 패널데이터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품목별 수출량이 0인 연도도 존재하는 점을 감안하여5) 계량적 추정방법으로 김한호(2009) 등에서 사용한 패널토빗 계량모형(panel tobit model)을 이용하였다

변 수 설명 및 자료X jt 주요 10개국에 대한 품목별 수출액UN comtrade자료

distance 한국과의 거리한국과 교역국의 수도 간 거리 (단위Km)httpdistancecalculatorglobefeedcom

교역 대상 국가의 1인당 국민 소득(UNSD 자료와 인구통계 활용)

exchange 한국통화가치수출국통화가치 해외직접투자(한국수출입 은행 해외투자통계 자료)

conformity 무역 보완도지수 관세WTO 자료 WTO가입 여부국가별 가입 연도 기준 FTA 체결 여부국가별 체결 연도 기준

lt표 7gt 통계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 및 내용

주관세의 경우 WTO가 제공하는 각국의 품목별 관세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제공하지 않는 연도에 대해서는 이전 연도의 관세율과 같다고 가정하였다

4) 단 본고에서는 수출액과 해외직접투자가 0인 경우 1로 치환하여 로그값으로 전환시켜 자료의 손실을 줄이고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이러한 점은 본 분석의 한계라고도 볼 수 있다 즉 전체 교역액을 기준으로 대상국가를 선정하였기 때문에 해당 대상국이 실제로 해당 품목의 주요 교역국이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품목별로 주요 대상국을 설정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5) 이는 수출의 경우 0이상의 값만을 가지며 0이하의 값은 관찰되지 않기 때문이며 본고에서는 이를 0이상을 기준으로 데이터가 censored 되었다고 가정하였다

123

품목군별 추정결과는 아래 lt표 8gt sim lt표 10gt과 같으며 여기서는 주요 품목별로 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추정된 설명변수를 중심으로 수출 결정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교역대상국이 WTO 가입국 일수록 우리나라의 과실류의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그리고 신선채소류의 경우 관세가 낮을수록 화훼류는 FTA 체결국 일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과실류 (t 값) 신선 채소류 (t 값) 화훼류 (t 값)ln (fdi) 0165 (246) 0040 (035) 9851030063 (985103066)

ln (distance) 9851030543 (985103312) 9851030193 (985103164) 9851030223 (985103093)

ln (Yit Pit) 9851031015 (985103188) 0207 (053) 0400 (058)

ln (exchange) 0479 (196) 9851030210 (985103112) 0350 (108)

conformity 0115 (317) 0012 (037) 0034 (076)

tariff 0040 (142) 9851030443 (985103199) 0025 (071)

WTO 1645 (191) 9851031410 (985103129) 9851031262 (985103109)

FTA 9851030625 (985103057) 1444 (098) 4400 (297)

상수항 11106 (273) 5200 (181) 9851030232 (985103005)

σ v1) 1279 (307) 0539 (098) 1787 (357)

σ ε 1818 (1476) 2260 (1330) 2421 (1268)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8) 134(22) 134(36)

모형적합성 검증(Wald) 2896(p=0000) 2649(p=0001) 1398(p=0082)

lt표 8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과실류 신선 채소류 화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축산물(신선+가공)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9gt 참조) 그리고 교역 대상국이 FTA체결국인 경우 축산물 수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 축산물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

124

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산가공품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대상국이 FTA

체결국인 경우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전체 (t 값) 신선 (t 값) 가공 (t 값)ln (fdi) 0195 (210) 0366 (445) 0144 (106)

ln (distance) 9851030429 (985103244) 985103311 (985103233) 9851030707 (985103217)

ln (Yit Pit) 0195 (035) 0372 (080) 0579 (063)

ln (exchange) 0002 (001) 0077 (042) 9851030202 (985103046)

conformity 9851030022 (985103053) 9851030010 (985103026) 9851030098 (985103158)

tariff 0044 (155) 0041 (160) 0037 (071)

WTO 0053 (005) 9851030973 (985103091) 0184 (011)

FTA 3285 (225) 1458 (089) 5013 (261)

상수항 4083 (097) 0991 (985103027) 3135 (044)

σ v1) 1069 (278) 134e98510317 (000) 2344 (278)

σ ε 2449 (1413) 2866 (1351) 3096 (1170)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8) 134(32) 132(48)

모형적합성 검증(Wald) 2558(p=0001) 4400(p=0001) 2027(p=0009)

lt표 9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축산물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낙농품은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높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10gt 참조) 또한 교역국과 FTA를 체결할 경우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낙농품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곡물류 수출의 경우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5

변 수 낙농품 (t 값) 곡물류 (t 값)ln (fdi) 0190 (227) 0049 (101)

ln (distance) 9851030515 (985103176) 9851030532 (985103330)

ln (Yit Pit) 9851030686 (985103095) 9851030331 (985103079)

ln (exchange) 0863 (226) 0243 (119)

conformity 0097 (243) 0003 (014)

tariff 9851030190 (985103072) 9851030301 (985103190)

WTO 9851030148 (985103013) 1083 (164)

FTA 3946 (306) 0280 (037)

상수항 9030 (169) 13758 (421)

σ v1) 2113 (341) 1166 (344)

σ ε 2114 (1411) 1266 (1549)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7) 134(0)

모형적합성 검증(Wald) 3450 (p=0000) 1695(p=0031)

lt표 10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낙농품 곡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분석된 대부분 품목군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의 거리가 국산 농식품 수출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농식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부피에 비해 가격이 낮아 수송비가 교역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외에도 교역대상국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생산 및 식생활소비 패턴이 유사할 가능성이 높아 수출 증대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인접하면서 큰 농식품 시장이 있는 중국 일본 대만 중앙아시아 아세안 등에 대한 수출증가 가능성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일류 축산 특히 신선 축산물 낙농 등의 경우 해외직접투자가 많을 수록 수출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교포나 주재원 등의 수요가 많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126

3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과 기회요인가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주요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농식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쟁력 있는 대표 상품이 부족하다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은 14개로 대부분 가공식품이고 신선농산물은 4개에 불과하다

구 분 1999 2009(P)신 선 돼지고기 인삼 밥 김치 인삼 김치 파프리카 배가 공 자당 라면 소주 합판 권련 커피제조품 라면 자당 소주 비스킷수 산 참치 굴 붕장어 오징어 참치 오징어 김 넙치

lt표 11gt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

둘째 수출업체의 영세성으로 해외시장개척 및 국제경쟁력이 취약하고 수출업체의 난립으로 과잉경쟁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2008년 농식품 수출기업 921개 중 1천만 달러 이상은 22개(전체의 24)에 불과하며 1백만 달러 미만 수출업체는 689개(748)에 달한다

셋째 고품질 수출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기반이 미흡하다 수출거래 관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출 시장에서 원하는 품목과 물량을 원하는 시기에 공급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급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 생산 및 출하규모가 영세하고 내수 중심의 경영구조이기 때문에 수출거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적시 적량

정품 공급 기반이 미흡하다 수출 품목의 안전성과 품질이 담보되는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규모가 큰 수출조직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동시에 가공용 농식품 제조를 위한 품질과 가격경쟁력이 있는 원료농산물 공급기반도 미흡하다

넷째 효과적인 수출 물류 시스템 구축이 되어 있지 않다 수출 농식품의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저온유통 시스템이 가능한 물류 구축이 요구된다 하지만 국내 수출 물류시설 및 시스템이 낙후되어 신선도 및 품질 관리가 어렵고 경쟁력 제고에 한계가 많다 수출용 농식품의 국내 출하에서부터 수출 소비시장까지의 수송 저장에 필요한 냉장탑차 예냉저온선별 및 저장시설 냉장컨테이너 등의 시설 여건이 열악하여 품질 저하 감모 및 폐기물량 증가로 수출경쟁력을 제고시키기에 어려움이 많다

127

다섯째 체계적인 수출시장 개척 및 확대 시스템이 미흡하다 수출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하고 수출물량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국 도매업체와 대형판매점의 유통채널 진입과 긴밀한 네트워크유지가 필요하지만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KOTRA

유통공사 한인회 한상 등의 네트워크화를 통한 홍보 판촉 마케팅활동이 저조하다 이외에도 수출국 소매업체나 소비자들의 한국산 농식품 인지도 선호도 파악을 통한 수출 유망품목 수출 잠재품목 개발육성이 저조한 실정이다 수출국 시장 소비자 트렌드 및 라이프 스타일 조사 분석(Consumer Trends amp Lifestyle Analysis)을 통한 효과적 수요 창출 전략이 미흡하다 특히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별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나 농식품 수출의 기회요인 향후 DDA 농업협상의 타결과 FTA 체결 확대로 세계 농식품 교역규모는 큰 폭으로 증

가하여 우리 농식품 수출 증대에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DDAFTA 등으로 인한 관세 비관세 장벽 완화는 한국 농식품시장의 개방 확대와 동시에 수출시장이 확대되는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중국 인도 등 신흥경제권의 경제성장과 소득 증대로 우리나라의 고품질 차별화된 농식품의 수출확대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는 앞서 분석한 수출요인 결정모형의 분석 결과와 연관지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주요 국가와의 FTA의 체결과 해외진출 및 투자의 증가 교역국의 소득 증가 그리고 가까운 거리에 대규모 농식품 수출시장의 존재 등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즉 이러한 농식품 수출여건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은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식품 수출시장이 일본 중심에서 중국 러시아 동남아지역 등으로 다변화되어 가고 있어 시장개척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세계 농식품 시장규모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우리나라 주요 수출대상국의 농식품 수입규모도 증가 추세에 있다 우리 농식품수출의 60 가량을 점유하는 일본middot미국middot중국middot러시아 4개국의 수입규모가 최근 5년간 1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008 Global trade atlas)

우리 농식품의 주요 수출 유망국가에서 식문화의 글로벌화 및 웰빙middot건강식품 선호추세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한식의 세계화가 진전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2008년부터 본격적인 한식세계화 사업추진으로 식문화 수출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슬로우 푸드 건강 middot 기능성식품 수요증가에 따라 저열량 middot 건강식으로서 한식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128

이에 2009년의 경우 세계적 경기침체로 해외에서 우리와 경쟁관계에 있는 주요 선진농업국의 농식품수출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우리 농식품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강 점 (S) 약 점 (W)

인근 거대 잠재시장 존재한국식품에 대한 관심 고조높은 잠재 가능성(다양한 발효 식품 우수한 식문화)

국가대표 수출상품 부족 영세한 수출 구조기술 및 안전관리 수준 등이 선진국과 격차

(O)

세계 교역규모 증가안전middot기능성 관심 증가식문화 글로벌 확산

S ndash O 전략

한식 세계화 전략 구사수출 상품화수출지향 식품클러스터 조성

W ndash O 전략

수출전문 생산단지 설치식재료 및 기능식 상품화식품기업 해외진출 지원

(T)

세계적 경제 침체가격경쟁력 취약구제역 AI 등 안전성관리 애로

S ndash T 전략

잠재력 높은 신시장 개척수출유망품목 발굴 강화수출상품 고부가가치화수출상품 브랜드화

W ndash T 전략

국가대표 수출상품 육성수출 조직화 및 규모화RampD를 통한 신품목개발수출상품 안전체계 구축

lt그림 8gt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 분석(SWOT)

더욱이 정부가 2012년까지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 목표를 설정하고 다각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모색 중에 있어 어느 때보다 농식품 수출에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우선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과거와 달리 정부가 농식품 수출 목표를 높게 잡고 열심히 해보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지금까지 진행된 경제발전과정과 WTO 출범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무역자유화 시대에서 가장 취약한 산업부문으로 여겨져 찬밥신세를 면치 못하던 우리 농수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상징적 지표다 국내 농어업이 2000년 이후 성장정체 경향을 보이고 있는 현실에서 농식품 수출 확대를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신성장 동력원으로써 물꼬를 트겠다는 적극적 자세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수출선도조직 육성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 고품질 수출농식품의 안정적인 생산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려

129

하고 있다6) 수출선도조직과 수출업체의 생산 공급 계열화 시스템은 2009년 10개 품목 13

개 조직에서 2010년 18개 품목 21개 조직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노력은 생산농가985103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균일화된 고품질 농식품의 안정적인 공급으로 해외거래처와의 신뢰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수출업체 간 저가수출과당경쟁 방지 및 공동판촉 등 협력사업 수행으로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자율협력기구인 수출협의회가 구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 품목별 수출업체의 자율협력기구(수출협의회)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농식품 수출활성화 도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Ⅳ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

1 품목별로 차별화된 수출 확대 전략 수립앞서 수출증대요인 분석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품목별 또는 품목군별로 수출결정 요인

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품목별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한 수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무역보완도가 중요한 수출결정요인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 무역보완성이 높은 국가의 시장에 대한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류 내 품목별로 무역보완성을 고려한 목표 시장을 설정하여 수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과실류와 축산물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규모나 시장개방의 정도 즉 WTO 가입이나 FTA 체결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품목의 경우 국내 기업이 많이 진출하고 있거나 시장개방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 국가가 주요 수출시장으로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출결정인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품목별로 주요 수출대상 국가별 수출저해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특히 2012년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라는 수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수출 기반 조성과 방법으로 수출을 추진해야 한다 농식품 수출의 장애요인 발굴과 제거하는 과정은 품목별 국가별 여건과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수출 목표를 빠르게 달6) 수출선도조직은 농식품 수출업체가 생산농가(lsquo생산자조직rsquo 포함)와 상호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고 수

출업체 주도로 품종선택부터 재배 수확 선별 포장 수출 안전성 및 품질관리 정산 농가교육 등의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함으로써 수출 농식품의 경쟁력을 높여 수출확대를 선도하는 조직을 말한다

130

성하기 위해서는 수출 비중과 증가율이 큰 품목과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확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수출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 장애요인 제거 방법도 보다 큰 틀에서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앞서 수출 유망 국가 및 시장 선택에 있어서는 수출결정요인 분석 결과와 함께 수출시장별 기회잠재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차별화된 시장 개척과 확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즉 국가별 수출시장 여건 및 특성에 맞추어 수출증대 노력을 기울여야 효과적인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해외시장에서 성공한 우리 농식품들은 고품질과 단일브랜드 현지형 마케팅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야 한다 특히 한반도를 중심으로 반경 19851032시간 권 안에 있는 중국 일본 대만 등 우리에게 새롭게 열린 시장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수출 확대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해외동포나 현지 교민의 직접적인 수요에 의존한 수출방식에서 이들 국가의 해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방식으로 전환하여 신규 수출수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공급 수출지원시스템 간의 밀접한 상호연계 체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2012년 100억 달러 농식품 수출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현재의 수출증가율을 큰 폭으로 상회해야 하므로 민간 차원에서 하기 힘든 수출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대규모 수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외 농식품 생산 유통업체간 전략적 글로벌 공동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반도를 동아시아 농식품 허브로 개발 육성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극적인 세계 유명 식품 박람회 참가 바이어초청 등을 통해 신규거래선 개척을 지원하여 수출업체985103바이어 간 만남의 장 마련으로 더 많은 수출기회를 제공해 나가야 한다 또한 해외 대형 바이어와의 MOU 체결 주요 식품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한국식품 직수출 유통채널 확보 및 장기대규모 소비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국내적으로도 농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수출유관기관의 역할분담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수출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외교통상부middot무역협회middotKOTRA 각종 협회 해외한인회 등 공공부문 및 민간조직과의 협력방안도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 대표급 주력 수출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2009년 현재 기준 5천만 달러 이상 수출되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은 인삼(1억 달러 rsquo09년) 김치(89백만 달러) 배(54백만 달러) 파프리카(53백만 달러) 정도이고 그 외에 이렇다할 만한 주력 수출상품이 없다는 것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품목별 수출결정요인과 함께 시장의 특성 선호도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전략수출상품을 집중 육성할 필요

131

가 있다 현재 수출규모가 큰 김치 인삼 돼지고기 배 면류 주류 과자류 참치 오징어

김 등은 현재보다 수출규모를 확대하고 세계적인 상품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또한 삼계탕

버섯류 유자차 화훼 전복 넙치 굴 등 농어민 소득증대가 크고 수출성장 가능성이 큰 품목의 발굴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농가985103 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안전성품질관리가 가능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경영체로 육성함으로써 균일화된 고품질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해외 거래선의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 기술과 자본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통해 해외 유통망 확보 노력과 함께 세계인들의 입맛을 붙잡는 그리너리(네델란드) 데니쉬 크라운(덴마크) 제스프리(뉴질랜드) 선키스트(미국) 네슬레(스위스) 등과 같은 세계적 대표 브랜드 육성이 필요하다

2 고부가가가치 농식품 수출 확대계절성이 높은 1차 농산물을 수출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2 middot 3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

치 상품을 수출하여 채산성을 높이고 수출상품을 연중 수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농식품 수출을 빠르게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품목 측면에서 최근 수출 증가율이 높은 가공농식품 중심으로 수출증대 전략을 마련하고 신선농식품 중에서는 수출 비중과 수출 증가율이 큰 과실류와 인삼류 화훼류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수출 증대 효과가 높을 것이다 김치류 등 수출 비중이 크지만 수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은 수출을 감소시킨 원인을 찾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 품목군에서도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간에 다르게 나타난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적 식문화의 세계화를 통해 국산 농식품 및 식자재의 수출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세계적인 건강식품 음식으로 이미 떠오른 김치와 비빔밥이외에도 더 많은 전략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연관된 식자재를 체계적으로 수출하는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식이 세계인의 입맛에 맞을 수 있도록 맛의 표준화를 정립하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메뉴를 개발하고 중점 지원하며 국산 식재료 유통구조의 대형화와 전문화를 통해 국산 식재료가 한식과 세계인의 식재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현재 전 세계 180여개국에 걸쳐 널리 퍼져있는 700만 재외동포와 한민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농식품 수출의 교두보로 삼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즉 해외동포기업들을 우리 농식품 및 식자재 수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전 세계

132

한국교민은 700만 명으로 화교(5500만 명) 유태인(860만 명)에 이어 세계 3번째 규모이다

약 7300개 한국 기업이 아시아 미주 유럽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지 종사자 규모가 약 150만 명에 이르며 해외 한식당은 약 1만 개로 추정된다 이들 해외 거주자는 우선적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될 수 있다

3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 우리 농식품기업의 해외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예컨대 국제적인 농식품 기업을 인수함

으로써 해외 생산기지와 유통망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보유 잉여자금을 이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해외투자활동이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농식품의 수출확대 과정에서 정부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과제 중의 하나는 국내 농어민의 소득 향상과 연계되는 수출방안의 모색이다 사실 현재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비중이 낮고 주로 가공식품위주를 이루고 국내 농업과 연관성이 높은 신선식품의 비중은 크지 않아 수출을 통한 농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농어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농식품 수출이 되도록 더 많은 정책적 고민과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2009년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가공식품은 53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선식품 수출비중이 높은 수산물을 제외하면 신선농축식품 수출비중은 15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농식품 수출이 실질적으로 국내 농어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농어민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어업과 연계된 수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수출유망 품목 발굴 노력과 함께 품목별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수출을 조직화규모화함으로써 과당경쟁 등 우리나라 수출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외에서의 거래교섭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중소규모 수출단지와 영세업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촉진하여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Dole과 선키스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 네덜란드의 그리너리와 같은 세계적인 수출조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식품 수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신선농식품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자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수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파프리카 화훼 버섯 등의 경우에도 종자부터 시설기자재까지 네덜란드 등 농업선진국에 의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6: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12

lt표 2gt 주요 지역별 식품산업 규모 (단위billion $ )

지 역 식품제조업 (A) 외식업 (B) 식품부문 총괄 (A+B)금 액 비 중 금 액 비 중 금 액 비 중

아시아 985103 태평양 1181 374 3028 351 14838 369

유 럽 9631 305 2528 293 12159 302

아메리카 8463 268 3072 356 11535 287

기 타 1673 53 985103 985103 1673 42

총 계 31577 1000 8628 1000 40205 1000자료Datamonitor(20093)

아울러 최근 아시아에 불고 있는 한류 열풍으로 한국의 문화와 음식에 대해 세계인들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어 우리 식문화를 전파하고 식재료를 수출할 여건이 성숙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한류를 바탕으로 한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한식의 우수성이 국내외 언론 등을 통해 확산 중에 있는 지금이 한식세계화 최적의 시기이다 예컨대 막걸리와 김치의 사례를 들 수 있다

자료국가브랜드위원회(2009)

lt그림 3gt 한국의 대표 이미지

막걸리는 유산균이 많아 건강에 좋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알코올성 음료보다는 건강 발효음료로 최근 선풍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우리뿐 아니라 일본 등 아시아에서 막걸리

113

를 찾는 사람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다 김치도 예전에는 외국인이 손사래치는 것이 보통이었지만 몸에 좋은 유산균이 많고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한 발효음식이라는 사실이 널리 알려지면서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2004년에 한식을 영양적으로 균형을 갖춘 모범식으로 선정한 바 있으며 미국의 대표적 건강잡지인 lsquoHealthrsquo지가 2006년도에 김치를 세계 5대 건강식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2009년도에 국가브랜드위원회가 외국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에서 한국을 대표할 만한 이미지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도 한식이었다

이처럼 농식품 산업의 성장가능성 및 수출가능성을 고려할 때 앞으로 우리가 국산 농식품 수출의 유리한 여건과 기회를 잘 활용하면서 주요국 농식품 시장을 효과적으로 공략할 수 있는 유용한 전략과 방법을 수립한다면 농식품 수출은 한국 농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우리 농식품 산업을 수출산업화 하기 위한 여러 장점과 기회요인이 있으나 동시에 단점과 위협요인도 다수 공존하고 있다 예컨대 200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농식품은 164억 달러 가량의 무역적자를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 우리의 인접국인 일본 중국도 농업의 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농식품 수출 드라이브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어 향후 농식품 수출시장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내부환경

Strength (강점) Weakness (약점)∙ 고품질 생산에 적합한 기후와 자연조건∙ 국민소득 증가에 따른 농업의 6차

산업화와 높은 생산기술 ∙ 농식품업 RampD 확대추세 및 고급인력 ∙ 친환경 농업의 확대 및 고품질화 ∙ 다양한 농식품 분야 정책 지원 사업

∙ 국내 농산물의 국제 경쟁력 취약∙ 협소한 경지면적과 영세농 구조∙ 높은 노동비와 투입재 비용∙ 농촌지역 고령화 및 대체 인력 부족∙ 농업인의 경영 마인드 미미와 농식품

기업의 보수적 경영전략

외부환경

Opportunity (기회) Threat (위협)∙ 안전성 기능성 친환경 고품질 중시

소비시장 변화∙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중요성

인식∙ 농식품 수출시장 확대∙ 한식세계화 amp 식문화 컨텐츠 수출

가능성∙ 미래성장의 기초산업으로 부상

∙ 농식품 수입시장 개방 확대로 인한 경쟁심화

∙ 일부 품목에 집중적인 생산∙ 주요 수출시장의 원산지 및 식품안전

기준 강화∙ 식단의 서구화 다양화로 국산 농산물

소비 감소∙ 지구 온난화로 인한 작부 체계변화

lt표 3gt 우리나라 농식품산업의 여건분석(SWOT)

114

2 농식품 수출의 중요성가 농어업 성장 견인 및 농가소득 제고에 기여농식품의 일반적 특성 중 하나가 다른 상품에 비해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낮다는 점이다

따라서 조금만 생산이 과잉되어도 농가수취가격은 폭락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수출은 과잉 생산된 농식품을 해외에서 소비하게 함으로써 국내가격을 지지하고 궁극적으로 농가소득 제고에 기여하는 효과가 크다

나 국제수준의 고품질 안전 농식품 생산 유도 및 수입 농식품에 효과적 대응농식품 수출은 생산과 유통에 있어서 국제적 수준의 HACCP ISO GAP 등 안전성과 품

질을 국제수준으로 관리해야 하므로 낙후된 국내 농식품 생산 및 유통시스템을 선진국수준으로 향상시키는 촉매제 역할을 한다 또한 고품질 안전 경쟁력을 갖춘 농식품 생산 및 유통체제 구축은 궁극적으로 수입 농식품으로부터 국내 산업을 효과적으로 방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예를 들어 파프리카는 rsquo90년대 중반부터 내수가 없는 상태에서 수출용으로 재배하기 시작하여 현재 총 생산량의 약 50 가량을 수출하고 있으며 2009년도에 파프리카 주요 수출시장인 일본 시장에서 한국산 파프리카가 네덜란드산과 치열한 가격품질경쟁을 통해 시장점유율 1위(60)를 확보하였다 이러한 수출경쟁력 제고노력이 없었다면 현재 우리나라에는 네덜란드산 파프리카가 수입되고 있을 것이다

다 국민경제 및 국격 향상에 기여한국은행이 발간하는 산업연관분석표를 활용하여 농식품 100억 달러 수출의 국민경제기

여도를 산출해 본 결과 생산유발액은 126억 달러 부가가치 유발액 45억 달러 및 5만 6천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동차(NF 소나타 기준) 수출효과와 비교해 볼 때 생산유발액은 39만대 부가가치 면에서는 47만대를 수출하는 효과와 동일한 수준이다 그 밖에도 식문화 전파를 통한 국가위상 및 품격 제고 농어업의 자신감 회복 식량안보 및 환경유지 등 다양한 부분에서 기여하는 바가 매우 크다

115

Ⅲ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과 여건위기와 기회의 공존

1 세계 농식품 교역현황WTO 체제 출범과 FTA 체결확대로 세계 농식품교역 규모는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이

다 2008년 세계 농식품 수출규모는 약 1조 5775억 달러로 2000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세계적인 FTA체결 확산과 WTO DDA 협상의 타결 등 농식품 무역장벽의 축소와 철폐 움직임으로 농식품 교역규모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2015년에 세계 인구가 약 73억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농식품 교역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

(단위억 달러)

자료Global trade atlas(2008)

lt그림 4gt 세계 농식품 교역(수출기준) 규모 현황

그러나 주요 국가의 농식품 수출액에 비하여 우리의 수출규모는 매우 작다 우리나라는 일본 중국을 비롯하여 대만 동남아 인도 등 세계 인구 절반에 가까운 농식품 소비시장과 인접한 지리적 이점을 갖추고도 2008년 농식품 수출액은 44억 달러로 세계 농식품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3에 불과하다

하지만 우리와 같이 농경지 규모가 아주 작은데도 불구하고 첨단원예 가공품을 생산하

116

여 대량 수출하는 네덜란드 이스라엘 같은 나라도 있다 특히 네덜란드는 2008년 농식품 수출액이 약 1013억 달러로 미국(약 1400억 달러)에 이어 전 세계 2위를 차지한다 네덜란드는 10400ha의 첨단 유리온실에서 고품질 화훼 관상식물 채소를 생산하고 국내외 가공원료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생산하는 한편 전세계로부터 화훼를 수입하여 중개무역을 함으로써 수출농업 대국이 되었다

즉 네덜란드는 1차 농산물 생산에 국한하지 않고 국내외 원료 농산물을 이용한 가공산업을 발전시켜 농식품 부문 전체의 부가가치를 확대하고 있다

lt표 4gt 주요국 농식품 수입시장에서 한국산 비중(단위백만 달러 )

국 가 수입규모 한국산(비중) 주요 수입국일 본 81269 1478(18) 미국(261) 중국 호주 등중 국 62648 341(05) 미국(224)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미 국 111425 387(04) 캐나다(246) 멕시코 중국 등러 시 아 34680 129(04) 브라질(117) 미국 독일 등

자료Global Trade atlas(2008)

2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현황 및 요인 분석 가 수출현황과 특징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상황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식품 수출은 완만하게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이다 연도별 농식품 수출액은 1995

년 342억 달러에서 2009년 481억 달러로 연평균 32씩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증가 속도는 1995sim2009년 같은 기간 동안 연평균 102씩 증가한 우리나라 전체 수출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완만한 수준이다

둘째 농식품 수출액 규모는 점차 증가해 왔으나 국가 전체 수출액 대비 농식품 수출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국가전체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농식품 비중은 1971년 27에서 1995년 27 2000년 이후 10대로 하락하였다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액은 2009년 약 481억 달러로 국가전체 수출액 3635억 달러 가운데 13를 차지하고 있다

117

lt표 5gt 국가 전체 수출액 대비 농식품 수출 비중 (단위백만 달러 )구 분 1971 1977 1995 1998 2007 2008 2009

국가전체(A) 1068 10046 125058 132313 371489 422007 363534농 식 품(B) 285 1592 3419 2999 3759 4402 4809비 중(BA) 267 158 27 23 10 10 13자료농림수산식품부

셋째 신선농산물 보다 가공품 형태의 농식품 수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주력 수출품목이었던 수산식품과 신선 농식품의 수출이 거의 정체된 반면 가공 농식품의 수출은 크게 증가하여 전체 농식품 수출에서 가공농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1995년 약 32

수준에서 2009년에 약 53로 늘어났다 예컨대 상위 10대 수출품의 경우 1999년도에 주력 품목이었던 돼지고기 굴 붕장어 밤 등 원료형 농식품이 탈락한 반면에 2009년도에는 권련 커피조제품 소주 등 가공형 식품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lt그림 5gt 연도별 농식품 수출액

넷째 대일 수출 의존도가 감소하고 있는 반면에 수출선 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으로의 수출이 크게 감소한 반면 중국 미국 러시아 등으로의 수출증가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시장다변화가 진척되고 있다 대일본 농식품 수출비중은 1999년 66에서 2009년 33로 줄어들었다 이렇게 농식품 수출의 대일 수출비중이 감소한 대신 같은

118

기간동안 중국은 47에서 118 미국은 63에서 97 러시아는 19에서 47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미국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대상국 2위였으나 2007년 이후 중국으로의 수출이 미국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중국이 우리나라 농식품의 주요 수출시장으로 부상하였다

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lt그림 6gt 국가별 농식품 수출액

나 산업간 무역 및 산업내 무역 패턴의 변화국제무역이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두 가지 무역 패턴인 산업간 무역(Inter985103Industry

Trade)과 산업내 무역(Intra985103Industry Trade) 개념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의 무역패턴 변화를 분석하였다2)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헥셔985103오린(Heckscer985103Olin) 이론에 근거한 산업간 무역은 국가간 특화구조에 의해 교역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며 산업내 무역은 품질이나 브랜드차이 등으로 인한 독점적경쟁의 산업구조에서 발생하는 교역형태를 의미한다 우선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품목간 무역 형태를 분석하기 위해 무역 보완도(Index of

Trade Conformity)를 식 (1)을 통해 계측하였다 식 (1)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품목별

2) 산업내 무역지수와 산업간 무역지수 계측을 위해 UN985103comtrade 무역통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대상 품목은 국제적으로 농수산물로 인정되는 HS 2단위 기준 1sim24호에 속하는 품목으로 설정하였다(단 실질적인 분석에는 HS 6단위를 기준으로 구성된 무역자료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분석대상 국가는 200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와 농식품 교역이 가장 활발한 10개국으로 선정하였으며(한국무역협회자료) 분석 기간은 1995년에서 2008년으로 하였다

119

비중과 수출대상국의 품목별 수입비중을 이용하여 무역보완도를 계측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해당상품 수출구조와 교역 대상국의 수입구조가 비슷할수록 1에 가까워진다 즉 무역보완도 지수가 1에 가까울수록 우리의 수출상품이 교역대상국의 주요 수입품임을 의미하며 양국간에 교역의 특화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는 상품 수출액이 국(우리나라)의 전체 농식품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 수입액이 국(교역대상국)의 전체 농식품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1)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 주요 수출대상국 중 중국을 제외하고

1995년 이후 전반적으로 무역보완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농식품 10대 교역대상국을 대상으로 측정한 평균 무역보완도는 1995년 015에서 2008년 021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1995년 WTO 출범 이후 농식품 시장개방확대 추세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무역 역시 주요 교역대상국과 분업화와 특화가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구 분 1995년(A) 2000년 2005년 2008년(B) 보완도 차이(B985103A)호 주 0251 0292 0432 0420 0169 브 라 질 0056 0045 0076 0063 0007 중 국 0048 0058 0042 0031 9851030016 일 본 0292 0329 0409 0360 0068 뉴질랜드 0218 0242 0408 0351 0133 필 리 핀 985103 0093 0116 0081 0081 러 시 아 0034 0089 0171 0175 0141 태 국 0170 0152 0228 0236 0066 미 국 0148 0143 0263 0256 0108 베 트 남 985103 0063 0093 0102 0102 평 균 0152 0151 0224 0207 0055

lt표 6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무역 보완도 지수

주평균은 2009년 농식품 무역액을 기준으로 선정된 주요 10개국의 무역보완도 지수 산술평균을 의미한다자료UN985103comtrade 무역자료를 이용한 추정치

120

다음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교역의 산업내 무역지수를 식 (2)를 통해 계측하였다 식 (2)

는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을 구성하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을 가지고 산업내 무역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즉 농식품 산업에 속해 있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이 유사할수록 산업내 무역비중이 1에 가까워진다 일반적으로 농식품분야의 산업내 무역은 교역대상국 사이의 생산 계절성차이 품질차이 및 소비자 선호도 차이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2)

식 (2)를 이용한 추정결과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내 무역지수는 1995년 009에서 2002

년 024까지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그 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면서 2008년에는 015로 나타났다

lt그림 7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산업내 무역 지수

121

연도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농식품 분야도 산업내무역이 상당수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가격 품질 부위별 소득계층 주요 소비처 등의 선호도 차이와 생산의 계절적 차이에 따라 수출과 수입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돼지고기 김치 인삼 키위 등이 대표적 품목이다 따라서 최근 감소 추세에 있는 산업내 무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향후 주요 무역상대국을 대상으로 산업내 무역이 가능한 농식품을 발굴하는 것도 농식품 수출확대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정책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다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 분석여기서는 계량경제학적 추정방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을 분석

하였다 특히 향후 농식품의 높은 수출가능성으로 일반적으로 언급되어지는 우리나라와 가까운 거리에 일본 중국 등 대규모 농식품 소비시장의 존재가 실제 농식품 수출에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분석의 목표로 삼아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본 분석에서 설정한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추정모형은 기본적으로 중력모형을 응용한 식 (3)과 같다

In =In ()+In (

)+In ( )+

+In (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3)

vt = 국가별 확률효과 v t~iid N(oσ2v) εjt = 교란항 ε jt~iid N(oσ2ε)

주지하다시피 추정식 (3)은 일반적인 중력모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중력모형이 양 국가간의 교역(수출입)을 총체적으로 다룬 반면 여기서는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중력모형 중 우리나라의 1인당 GDP를 제외한 수출방정식을 설정하였다(Mary 2004) 식 (3)에서 는 국가별 확률효과를 나타내며 변수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별 특성을 나타낸다3)

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는 lt표 7gt과 같다 본고에서는 중력 모형에 포함되어 있는 1인당 GDP나 거리 변수 이외에 다양한 변수를 포함시켰다 우선 수출의 경우 환율에 영향을

3) 통상적인 패널 분석에서는 와 다른 설명변수들 간의 독립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추정결과의 일치성(consistency)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고정효과모형이 더 선호된다 하지만 패널 토빗모형에서는 패널이 충분히 길지 않는 한 오히려 고정효과 추정치의 일치성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확률효과 추정법이 더 선호된다(Cameron and Trivedi 2005 pp 800985103801) 따라서 본고 역시 이를 따르기로 한다

122

많이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역대상국과 우리나라의 환율을 포함시켰으며 앞서 분석한 무역보완도지수를 설명변수로 채택하여 농식품 교역이 특화되어 있는 정도가 농식품 수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무역장벽이라고 할 수 있는 관세를 포함시켰으며 각 국가의 개방도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WTO 가입여부와 우리나라와의 FTA 체결여부를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와 교역국간의 경제협력 수준을 반영하기 위해 해외직접투자액을 대리변수(proxy variable)로 사용하였다4) 또한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분석 대상국가로 설정하였고 분석기간은 1995년부터 2008년까지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는 패널데이터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품목별 수출량이 0인 연도도 존재하는 점을 감안하여5) 계량적 추정방법으로 김한호(2009) 등에서 사용한 패널토빗 계량모형(panel tobit model)을 이용하였다

변 수 설명 및 자료X jt 주요 10개국에 대한 품목별 수출액UN comtrade자료

distance 한국과의 거리한국과 교역국의 수도 간 거리 (단위Km)httpdistancecalculatorglobefeedcom

교역 대상 국가의 1인당 국민 소득(UNSD 자료와 인구통계 활용)

exchange 한국통화가치수출국통화가치 해외직접투자(한국수출입 은행 해외투자통계 자료)

conformity 무역 보완도지수 관세WTO 자료 WTO가입 여부국가별 가입 연도 기준 FTA 체결 여부국가별 체결 연도 기준

lt표 7gt 통계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 및 내용

주관세의 경우 WTO가 제공하는 각국의 품목별 관세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제공하지 않는 연도에 대해서는 이전 연도의 관세율과 같다고 가정하였다

4) 단 본고에서는 수출액과 해외직접투자가 0인 경우 1로 치환하여 로그값으로 전환시켜 자료의 손실을 줄이고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이러한 점은 본 분석의 한계라고도 볼 수 있다 즉 전체 교역액을 기준으로 대상국가를 선정하였기 때문에 해당 대상국이 실제로 해당 품목의 주요 교역국이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품목별로 주요 대상국을 설정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5) 이는 수출의 경우 0이상의 값만을 가지며 0이하의 값은 관찰되지 않기 때문이며 본고에서는 이를 0이상을 기준으로 데이터가 censored 되었다고 가정하였다

123

품목군별 추정결과는 아래 lt표 8gt sim lt표 10gt과 같으며 여기서는 주요 품목별로 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추정된 설명변수를 중심으로 수출 결정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교역대상국이 WTO 가입국 일수록 우리나라의 과실류의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그리고 신선채소류의 경우 관세가 낮을수록 화훼류는 FTA 체결국 일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과실류 (t 값) 신선 채소류 (t 값) 화훼류 (t 값)ln (fdi) 0165 (246) 0040 (035) 9851030063 (985103066)

ln (distance) 9851030543 (985103312) 9851030193 (985103164) 9851030223 (985103093)

ln (Yit Pit) 9851031015 (985103188) 0207 (053) 0400 (058)

ln (exchange) 0479 (196) 9851030210 (985103112) 0350 (108)

conformity 0115 (317) 0012 (037) 0034 (076)

tariff 0040 (142) 9851030443 (985103199) 0025 (071)

WTO 1645 (191) 9851031410 (985103129) 9851031262 (985103109)

FTA 9851030625 (985103057) 1444 (098) 4400 (297)

상수항 11106 (273) 5200 (181) 9851030232 (985103005)

σ v1) 1279 (307) 0539 (098) 1787 (357)

σ ε 1818 (1476) 2260 (1330) 2421 (1268)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8) 134(22) 134(36)

모형적합성 검증(Wald) 2896(p=0000) 2649(p=0001) 1398(p=0082)

lt표 8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과실류 신선 채소류 화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축산물(신선+가공)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9gt 참조) 그리고 교역 대상국이 FTA체결국인 경우 축산물 수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 축산물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

124

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산가공품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대상국이 FTA

체결국인 경우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전체 (t 값) 신선 (t 값) 가공 (t 값)ln (fdi) 0195 (210) 0366 (445) 0144 (106)

ln (distance) 9851030429 (985103244) 985103311 (985103233) 9851030707 (985103217)

ln (Yit Pit) 0195 (035) 0372 (080) 0579 (063)

ln (exchange) 0002 (001) 0077 (042) 9851030202 (985103046)

conformity 9851030022 (985103053) 9851030010 (985103026) 9851030098 (985103158)

tariff 0044 (155) 0041 (160) 0037 (071)

WTO 0053 (005) 9851030973 (985103091) 0184 (011)

FTA 3285 (225) 1458 (089) 5013 (261)

상수항 4083 (097) 0991 (985103027) 3135 (044)

σ v1) 1069 (278) 134e98510317 (000) 2344 (278)

σ ε 2449 (1413) 2866 (1351) 3096 (1170)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8) 134(32) 132(48)

모형적합성 검증(Wald) 2558(p=0001) 4400(p=0001) 2027(p=0009)

lt표 9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축산물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낙농품은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높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10gt 참조) 또한 교역국과 FTA를 체결할 경우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낙농품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곡물류 수출의 경우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5

변 수 낙농품 (t 값) 곡물류 (t 값)ln (fdi) 0190 (227) 0049 (101)

ln (distance) 9851030515 (985103176) 9851030532 (985103330)

ln (Yit Pit) 9851030686 (985103095) 9851030331 (985103079)

ln (exchange) 0863 (226) 0243 (119)

conformity 0097 (243) 0003 (014)

tariff 9851030190 (985103072) 9851030301 (985103190)

WTO 9851030148 (985103013) 1083 (164)

FTA 3946 (306) 0280 (037)

상수항 9030 (169) 13758 (421)

σ v1) 2113 (341) 1166 (344)

σ ε 2114 (1411) 1266 (1549)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7) 134(0)

모형적합성 검증(Wald) 3450 (p=0000) 1695(p=0031)

lt표 10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낙농품 곡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분석된 대부분 품목군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의 거리가 국산 농식품 수출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농식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부피에 비해 가격이 낮아 수송비가 교역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외에도 교역대상국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생산 및 식생활소비 패턴이 유사할 가능성이 높아 수출 증대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인접하면서 큰 농식품 시장이 있는 중국 일본 대만 중앙아시아 아세안 등에 대한 수출증가 가능성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일류 축산 특히 신선 축산물 낙농 등의 경우 해외직접투자가 많을 수록 수출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교포나 주재원 등의 수요가 많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126

3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과 기회요인가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주요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농식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쟁력 있는 대표 상품이 부족하다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은 14개로 대부분 가공식품이고 신선농산물은 4개에 불과하다

구 분 1999 2009(P)신 선 돼지고기 인삼 밥 김치 인삼 김치 파프리카 배가 공 자당 라면 소주 합판 권련 커피제조품 라면 자당 소주 비스킷수 산 참치 굴 붕장어 오징어 참치 오징어 김 넙치

lt표 11gt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

둘째 수출업체의 영세성으로 해외시장개척 및 국제경쟁력이 취약하고 수출업체의 난립으로 과잉경쟁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2008년 농식품 수출기업 921개 중 1천만 달러 이상은 22개(전체의 24)에 불과하며 1백만 달러 미만 수출업체는 689개(748)에 달한다

셋째 고품질 수출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기반이 미흡하다 수출거래 관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출 시장에서 원하는 품목과 물량을 원하는 시기에 공급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급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 생산 및 출하규모가 영세하고 내수 중심의 경영구조이기 때문에 수출거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적시 적량

정품 공급 기반이 미흡하다 수출 품목의 안전성과 품질이 담보되는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규모가 큰 수출조직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동시에 가공용 농식품 제조를 위한 품질과 가격경쟁력이 있는 원료농산물 공급기반도 미흡하다

넷째 효과적인 수출 물류 시스템 구축이 되어 있지 않다 수출 농식품의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저온유통 시스템이 가능한 물류 구축이 요구된다 하지만 국내 수출 물류시설 및 시스템이 낙후되어 신선도 및 품질 관리가 어렵고 경쟁력 제고에 한계가 많다 수출용 농식품의 국내 출하에서부터 수출 소비시장까지의 수송 저장에 필요한 냉장탑차 예냉저온선별 및 저장시설 냉장컨테이너 등의 시설 여건이 열악하여 품질 저하 감모 및 폐기물량 증가로 수출경쟁력을 제고시키기에 어려움이 많다

127

다섯째 체계적인 수출시장 개척 및 확대 시스템이 미흡하다 수출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하고 수출물량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국 도매업체와 대형판매점의 유통채널 진입과 긴밀한 네트워크유지가 필요하지만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KOTRA

유통공사 한인회 한상 등의 네트워크화를 통한 홍보 판촉 마케팅활동이 저조하다 이외에도 수출국 소매업체나 소비자들의 한국산 농식품 인지도 선호도 파악을 통한 수출 유망품목 수출 잠재품목 개발육성이 저조한 실정이다 수출국 시장 소비자 트렌드 및 라이프 스타일 조사 분석(Consumer Trends amp Lifestyle Analysis)을 통한 효과적 수요 창출 전략이 미흡하다 특히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별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나 농식품 수출의 기회요인 향후 DDA 농업협상의 타결과 FTA 체결 확대로 세계 농식품 교역규모는 큰 폭으로 증

가하여 우리 농식품 수출 증대에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DDAFTA 등으로 인한 관세 비관세 장벽 완화는 한국 농식품시장의 개방 확대와 동시에 수출시장이 확대되는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중국 인도 등 신흥경제권의 경제성장과 소득 증대로 우리나라의 고품질 차별화된 농식품의 수출확대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는 앞서 분석한 수출요인 결정모형의 분석 결과와 연관지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주요 국가와의 FTA의 체결과 해외진출 및 투자의 증가 교역국의 소득 증가 그리고 가까운 거리에 대규모 농식품 수출시장의 존재 등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즉 이러한 농식품 수출여건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은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식품 수출시장이 일본 중심에서 중국 러시아 동남아지역 등으로 다변화되어 가고 있어 시장개척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세계 농식품 시장규모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우리나라 주요 수출대상국의 농식품 수입규모도 증가 추세에 있다 우리 농식품수출의 60 가량을 점유하는 일본middot미국middot중국middot러시아 4개국의 수입규모가 최근 5년간 1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008 Global trade atlas)

우리 농식품의 주요 수출 유망국가에서 식문화의 글로벌화 및 웰빙middot건강식품 선호추세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한식의 세계화가 진전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2008년부터 본격적인 한식세계화 사업추진으로 식문화 수출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슬로우 푸드 건강 middot 기능성식품 수요증가에 따라 저열량 middot 건강식으로서 한식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128

이에 2009년의 경우 세계적 경기침체로 해외에서 우리와 경쟁관계에 있는 주요 선진농업국의 농식품수출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우리 농식품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강 점 (S) 약 점 (W)

인근 거대 잠재시장 존재한국식품에 대한 관심 고조높은 잠재 가능성(다양한 발효 식품 우수한 식문화)

국가대표 수출상품 부족 영세한 수출 구조기술 및 안전관리 수준 등이 선진국과 격차

(O)

세계 교역규모 증가안전middot기능성 관심 증가식문화 글로벌 확산

S ndash O 전략

한식 세계화 전략 구사수출 상품화수출지향 식품클러스터 조성

W ndash O 전략

수출전문 생산단지 설치식재료 및 기능식 상품화식품기업 해외진출 지원

(T)

세계적 경제 침체가격경쟁력 취약구제역 AI 등 안전성관리 애로

S ndash T 전략

잠재력 높은 신시장 개척수출유망품목 발굴 강화수출상품 고부가가치화수출상품 브랜드화

W ndash T 전략

국가대표 수출상품 육성수출 조직화 및 규모화RampD를 통한 신품목개발수출상품 안전체계 구축

lt그림 8gt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 분석(SWOT)

더욱이 정부가 2012년까지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 목표를 설정하고 다각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모색 중에 있어 어느 때보다 농식품 수출에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우선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과거와 달리 정부가 농식품 수출 목표를 높게 잡고 열심히 해보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지금까지 진행된 경제발전과정과 WTO 출범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무역자유화 시대에서 가장 취약한 산업부문으로 여겨져 찬밥신세를 면치 못하던 우리 농수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상징적 지표다 국내 농어업이 2000년 이후 성장정체 경향을 보이고 있는 현실에서 농식품 수출 확대를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신성장 동력원으로써 물꼬를 트겠다는 적극적 자세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수출선도조직 육성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 고품질 수출농식품의 안정적인 생산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려

129

하고 있다6) 수출선도조직과 수출업체의 생산 공급 계열화 시스템은 2009년 10개 품목 13

개 조직에서 2010년 18개 품목 21개 조직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노력은 생산농가985103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균일화된 고품질 농식품의 안정적인 공급으로 해외거래처와의 신뢰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수출업체 간 저가수출과당경쟁 방지 및 공동판촉 등 협력사업 수행으로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자율협력기구인 수출협의회가 구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 품목별 수출업체의 자율협력기구(수출협의회)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농식품 수출활성화 도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Ⅳ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

1 품목별로 차별화된 수출 확대 전략 수립앞서 수출증대요인 분석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품목별 또는 품목군별로 수출결정 요인

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품목별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한 수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무역보완도가 중요한 수출결정요인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 무역보완성이 높은 국가의 시장에 대한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류 내 품목별로 무역보완성을 고려한 목표 시장을 설정하여 수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과실류와 축산물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규모나 시장개방의 정도 즉 WTO 가입이나 FTA 체결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품목의 경우 국내 기업이 많이 진출하고 있거나 시장개방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 국가가 주요 수출시장으로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출결정인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품목별로 주요 수출대상 국가별 수출저해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특히 2012년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라는 수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수출 기반 조성과 방법으로 수출을 추진해야 한다 농식품 수출의 장애요인 발굴과 제거하는 과정은 품목별 국가별 여건과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수출 목표를 빠르게 달6) 수출선도조직은 농식품 수출업체가 생산농가(lsquo생산자조직rsquo 포함)와 상호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고 수

출업체 주도로 품종선택부터 재배 수확 선별 포장 수출 안전성 및 품질관리 정산 농가교육 등의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함으로써 수출 농식품의 경쟁력을 높여 수출확대를 선도하는 조직을 말한다

130

성하기 위해서는 수출 비중과 증가율이 큰 품목과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확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수출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 장애요인 제거 방법도 보다 큰 틀에서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앞서 수출 유망 국가 및 시장 선택에 있어서는 수출결정요인 분석 결과와 함께 수출시장별 기회잠재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차별화된 시장 개척과 확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즉 국가별 수출시장 여건 및 특성에 맞추어 수출증대 노력을 기울여야 효과적인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해외시장에서 성공한 우리 농식품들은 고품질과 단일브랜드 현지형 마케팅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야 한다 특히 한반도를 중심으로 반경 19851032시간 권 안에 있는 중국 일본 대만 등 우리에게 새롭게 열린 시장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수출 확대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해외동포나 현지 교민의 직접적인 수요에 의존한 수출방식에서 이들 국가의 해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방식으로 전환하여 신규 수출수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공급 수출지원시스템 간의 밀접한 상호연계 체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2012년 100억 달러 농식품 수출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현재의 수출증가율을 큰 폭으로 상회해야 하므로 민간 차원에서 하기 힘든 수출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대규모 수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외 농식품 생산 유통업체간 전략적 글로벌 공동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반도를 동아시아 농식품 허브로 개발 육성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극적인 세계 유명 식품 박람회 참가 바이어초청 등을 통해 신규거래선 개척을 지원하여 수출업체985103바이어 간 만남의 장 마련으로 더 많은 수출기회를 제공해 나가야 한다 또한 해외 대형 바이어와의 MOU 체결 주요 식품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한국식품 직수출 유통채널 확보 및 장기대규모 소비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국내적으로도 농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수출유관기관의 역할분담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수출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외교통상부middot무역협회middotKOTRA 각종 협회 해외한인회 등 공공부문 및 민간조직과의 협력방안도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 대표급 주력 수출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2009년 현재 기준 5천만 달러 이상 수출되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은 인삼(1억 달러 rsquo09년) 김치(89백만 달러) 배(54백만 달러) 파프리카(53백만 달러) 정도이고 그 외에 이렇다할 만한 주력 수출상품이 없다는 것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품목별 수출결정요인과 함께 시장의 특성 선호도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전략수출상품을 집중 육성할 필요

131

가 있다 현재 수출규모가 큰 김치 인삼 돼지고기 배 면류 주류 과자류 참치 오징어

김 등은 현재보다 수출규모를 확대하고 세계적인 상품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또한 삼계탕

버섯류 유자차 화훼 전복 넙치 굴 등 농어민 소득증대가 크고 수출성장 가능성이 큰 품목의 발굴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농가985103 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안전성품질관리가 가능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경영체로 육성함으로써 균일화된 고품질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해외 거래선의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 기술과 자본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통해 해외 유통망 확보 노력과 함께 세계인들의 입맛을 붙잡는 그리너리(네델란드) 데니쉬 크라운(덴마크) 제스프리(뉴질랜드) 선키스트(미국) 네슬레(스위스) 등과 같은 세계적 대표 브랜드 육성이 필요하다

2 고부가가가치 농식품 수출 확대계절성이 높은 1차 농산물을 수출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2 middot 3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

치 상품을 수출하여 채산성을 높이고 수출상품을 연중 수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농식품 수출을 빠르게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품목 측면에서 최근 수출 증가율이 높은 가공농식품 중심으로 수출증대 전략을 마련하고 신선농식품 중에서는 수출 비중과 수출 증가율이 큰 과실류와 인삼류 화훼류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수출 증대 효과가 높을 것이다 김치류 등 수출 비중이 크지만 수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은 수출을 감소시킨 원인을 찾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 품목군에서도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간에 다르게 나타난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적 식문화의 세계화를 통해 국산 농식품 및 식자재의 수출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세계적인 건강식품 음식으로 이미 떠오른 김치와 비빔밥이외에도 더 많은 전략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연관된 식자재를 체계적으로 수출하는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식이 세계인의 입맛에 맞을 수 있도록 맛의 표준화를 정립하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메뉴를 개발하고 중점 지원하며 국산 식재료 유통구조의 대형화와 전문화를 통해 국산 식재료가 한식과 세계인의 식재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현재 전 세계 180여개국에 걸쳐 널리 퍼져있는 700만 재외동포와 한민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농식품 수출의 교두보로 삼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즉 해외동포기업들을 우리 농식품 및 식자재 수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전 세계

132

한국교민은 700만 명으로 화교(5500만 명) 유태인(860만 명)에 이어 세계 3번째 규모이다

약 7300개 한국 기업이 아시아 미주 유럽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지 종사자 규모가 약 150만 명에 이르며 해외 한식당은 약 1만 개로 추정된다 이들 해외 거주자는 우선적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될 수 있다

3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 우리 농식품기업의 해외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예컨대 국제적인 농식품 기업을 인수함

으로써 해외 생산기지와 유통망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보유 잉여자금을 이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해외투자활동이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농식품의 수출확대 과정에서 정부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과제 중의 하나는 국내 농어민의 소득 향상과 연계되는 수출방안의 모색이다 사실 현재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비중이 낮고 주로 가공식품위주를 이루고 국내 농업과 연관성이 높은 신선식품의 비중은 크지 않아 수출을 통한 농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농어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농식품 수출이 되도록 더 많은 정책적 고민과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2009년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가공식품은 53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선식품 수출비중이 높은 수산물을 제외하면 신선농축식품 수출비중은 15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농식품 수출이 실질적으로 국내 농어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농어민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어업과 연계된 수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수출유망 품목 발굴 노력과 함께 품목별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수출을 조직화규모화함으로써 과당경쟁 등 우리나라 수출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외에서의 거래교섭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중소규모 수출단지와 영세업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촉진하여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Dole과 선키스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 네덜란드의 그리너리와 같은 세계적인 수출조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식품 수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신선농식품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자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수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파프리카 화훼 버섯 등의 경우에도 종자부터 시설기자재까지 네덜란드 등 농업선진국에 의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7: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13

를 찾는 사람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다 김치도 예전에는 외국인이 손사래치는 것이 보통이었지만 몸에 좋은 유산균이 많고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한 발효음식이라는 사실이 널리 알려지면서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2004년에 한식을 영양적으로 균형을 갖춘 모범식으로 선정한 바 있으며 미국의 대표적 건강잡지인 lsquoHealthrsquo지가 2006년도에 김치를 세계 5대 건강식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2009년도에 국가브랜드위원회가 외국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에서 한국을 대표할 만한 이미지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도 한식이었다

이처럼 농식품 산업의 성장가능성 및 수출가능성을 고려할 때 앞으로 우리가 국산 농식품 수출의 유리한 여건과 기회를 잘 활용하면서 주요국 농식품 시장을 효과적으로 공략할 수 있는 유용한 전략과 방법을 수립한다면 농식품 수출은 한국 농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우리 농식품 산업을 수출산업화 하기 위한 여러 장점과 기회요인이 있으나 동시에 단점과 위협요인도 다수 공존하고 있다 예컨대 200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농식품은 164억 달러 가량의 무역적자를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 우리의 인접국인 일본 중국도 농업의 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농식품 수출 드라이브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어 향후 농식품 수출시장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내부환경

Strength (강점) Weakness (약점)∙ 고품질 생산에 적합한 기후와 자연조건∙ 국민소득 증가에 따른 농업의 6차

산업화와 높은 생산기술 ∙ 농식품업 RampD 확대추세 및 고급인력 ∙ 친환경 농업의 확대 및 고품질화 ∙ 다양한 농식품 분야 정책 지원 사업

∙ 국내 농산물의 국제 경쟁력 취약∙ 협소한 경지면적과 영세농 구조∙ 높은 노동비와 투입재 비용∙ 농촌지역 고령화 및 대체 인력 부족∙ 농업인의 경영 마인드 미미와 농식품

기업의 보수적 경영전략

외부환경

Opportunity (기회) Threat (위협)∙ 안전성 기능성 친환경 고품질 중시

소비시장 변화∙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중요성

인식∙ 농식품 수출시장 확대∙ 한식세계화 amp 식문화 컨텐츠 수출

가능성∙ 미래성장의 기초산업으로 부상

∙ 농식품 수입시장 개방 확대로 인한 경쟁심화

∙ 일부 품목에 집중적인 생산∙ 주요 수출시장의 원산지 및 식품안전

기준 강화∙ 식단의 서구화 다양화로 국산 농산물

소비 감소∙ 지구 온난화로 인한 작부 체계변화

lt표 3gt 우리나라 농식품산업의 여건분석(SWOT)

114

2 농식품 수출의 중요성가 농어업 성장 견인 및 농가소득 제고에 기여농식품의 일반적 특성 중 하나가 다른 상품에 비해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낮다는 점이다

따라서 조금만 생산이 과잉되어도 농가수취가격은 폭락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수출은 과잉 생산된 농식품을 해외에서 소비하게 함으로써 국내가격을 지지하고 궁극적으로 농가소득 제고에 기여하는 효과가 크다

나 국제수준의 고품질 안전 농식품 생산 유도 및 수입 농식품에 효과적 대응농식품 수출은 생산과 유통에 있어서 국제적 수준의 HACCP ISO GAP 등 안전성과 품

질을 국제수준으로 관리해야 하므로 낙후된 국내 농식품 생산 및 유통시스템을 선진국수준으로 향상시키는 촉매제 역할을 한다 또한 고품질 안전 경쟁력을 갖춘 농식품 생산 및 유통체제 구축은 궁극적으로 수입 농식품으로부터 국내 산업을 효과적으로 방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예를 들어 파프리카는 rsquo90년대 중반부터 내수가 없는 상태에서 수출용으로 재배하기 시작하여 현재 총 생산량의 약 50 가량을 수출하고 있으며 2009년도에 파프리카 주요 수출시장인 일본 시장에서 한국산 파프리카가 네덜란드산과 치열한 가격품질경쟁을 통해 시장점유율 1위(60)를 확보하였다 이러한 수출경쟁력 제고노력이 없었다면 현재 우리나라에는 네덜란드산 파프리카가 수입되고 있을 것이다

다 국민경제 및 국격 향상에 기여한국은행이 발간하는 산업연관분석표를 활용하여 농식품 100억 달러 수출의 국민경제기

여도를 산출해 본 결과 생산유발액은 126억 달러 부가가치 유발액 45억 달러 및 5만 6천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동차(NF 소나타 기준) 수출효과와 비교해 볼 때 생산유발액은 39만대 부가가치 면에서는 47만대를 수출하는 효과와 동일한 수준이다 그 밖에도 식문화 전파를 통한 국가위상 및 품격 제고 농어업의 자신감 회복 식량안보 및 환경유지 등 다양한 부분에서 기여하는 바가 매우 크다

115

Ⅲ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과 여건위기와 기회의 공존

1 세계 농식품 교역현황WTO 체제 출범과 FTA 체결확대로 세계 농식품교역 규모는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이

다 2008년 세계 농식품 수출규모는 약 1조 5775억 달러로 2000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세계적인 FTA체결 확산과 WTO DDA 협상의 타결 등 농식품 무역장벽의 축소와 철폐 움직임으로 농식품 교역규모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2015년에 세계 인구가 약 73억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농식품 교역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

(단위억 달러)

자료Global trade atlas(2008)

lt그림 4gt 세계 농식품 교역(수출기준) 규모 현황

그러나 주요 국가의 농식품 수출액에 비하여 우리의 수출규모는 매우 작다 우리나라는 일본 중국을 비롯하여 대만 동남아 인도 등 세계 인구 절반에 가까운 농식품 소비시장과 인접한 지리적 이점을 갖추고도 2008년 농식품 수출액은 44억 달러로 세계 농식품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3에 불과하다

하지만 우리와 같이 농경지 규모가 아주 작은데도 불구하고 첨단원예 가공품을 생산하

116

여 대량 수출하는 네덜란드 이스라엘 같은 나라도 있다 특히 네덜란드는 2008년 농식품 수출액이 약 1013억 달러로 미국(약 1400억 달러)에 이어 전 세계 2위를 차지한다 네덜란드는 10400ha의 첨단 유리온실에서 고품질 화훼 관상식물 채소를 생산하고 국내외 가공원료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생산하는 한편 전세계로부터 화훼를 수입하여 중개무역을 함으로써 수출농업 대국이 되었다

즉 네덜란드는 1차 농산물 생산에 국한하지 않고 국내외 원료 농산물을 이용한 가공산업을 발전시켜 농식품 부문 전체의 부가가치를 확대하고 있다

lt표 4gt 주요국 농식품 수입시장에서 한국산 비중(단위백만 달러 )

국 가 수입규모 한국산(비중) 주요 수입국일 본 81269 1478(18) 미국(261) 중국 호주 등중 국 62648 341(05) 미국(224)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미 국 111425 387(04) 캐나다(246) 멕시코 중국 등러 시 아 34680 129(04) 브라질(117) 미국 독일 등

자료Global Trade atlas(2008)

2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현황 및 요인 분석 가 수출현황과 특징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상황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식품 수출은 완만하게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이다 연도별 농식품 수출액은 1995

년 342억 달러에서 2009년 481억 달러로 연평균 32씩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증가 속도는 1995sim2009년 같은 기간 동안 연평균 102씩 증가한 우리나라 전체 수출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완만한 수준이다

둘째 농식품 수출액 규모는 점차 증가해 왔으나 국가 전체 수출액 대비 농식품 수출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국가전체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농식품 비중은 1971년 27에서 1995년 27 2000년 이후 10대로 하락하였다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액은 2009년 약 481억 달러로 국가전체 수출액 3635억 달러 가운데 13를 차지하고 있다

117

lt표 5gt 국가 전체 수출액 대비 농식품 수출 비중 (단위백만 달러 )구 분 1971 1977 1995 1998 2007 2008 2009

국가전체(A) 1068 10046 125058 132313 371489 422007 363534농 식 품(B) 285 1592 3419 2999 3759 4402 4809비 중(BA) 267 158 27 23 10 10 13자료농림수산식품부

셋째 신선농산물 보다 가공품 형태의 농식품 수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주력 수출품목이었던 수산식품과 신선 농식품의 수출이 거의 정체된 반면 가공 농식품의 수출은 크게 증가하여 전체 농식품 수출에서 가공농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1995년 약 32

수준에서 2009년에 약 53로 늘어났다 예컨대 상위 10대 수출품의 경우 1999년도에 주력 품목이었던 돼지고기 굴 붕장어 밤 등 원료형 농식품이 탈락한 반면에 2009년도에는 권련 커피조제품 소주 등 가공형 식품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lt그림 5gt 연도별 농식품 수출액

넷째 대일 수출 의존도가 감소하고 있는 반면에 수출선 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으로의 수출이 크게 감소한 반면 중국 미국 러시아 등으로의 수출증가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시장다변화가 진척되고 있다 대일본 농식품 수출비중은 1999년 66에서 2009년 33로 줄어들었다 이렇게 농식품 수출의 대일 수출비중이 감소한 대신 같은

118

기간동안 중국은 47에서 118 미국은 63에서 97 러시아는 19에서 47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미국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대상국 2위였으나 2007년 이후 중국으로의 수출이 미국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중국이 우리나라 농식품의 주요 수출시장으로 부상하였다

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lt그림 6gt 국가별 농식품 수출액

나 산업간 무역 및 산업내 무역 패턴의 변화국제무역이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두 가지 무역 패턴인 산업간 무역(Inter985103Industry

Trade)과 산업내 무역(Intra985103Industry Trade) 개념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의 무역패턴 변화를 분석하였다2)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헥셔985103오린(Heckscer985103Olin) 이론에 근거한 산업간 무역은 국가간 특화구조에 의해 교역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며 산업내 무역은 품질이나 브랜드차이 등으로 인한 독점적경쟁의 산업구조에서 발생하는 교역형태를 의미한다 우선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품목간 무역 형태를 분석하기 위해 무역 보완도(Index of

Trade Conformity)를 식 (1)을 통해 계측하였다 식 (1)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품목별

2) 산업내 무역지수와 산업간 무역지수 계측을 위해 UN985103comtrade 무역통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대상 품목은 국제적으로 농수산물로 인정되는 HS 2단위 기준 1sim24호에 속하는 품목으로 설정하였다(단 실질적인 분석에는 HS 6단위를 기준으로 구성된 무역자료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분석대상 국가는 200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와 농식품 교역이 가장 활발한 10개국으로 선정하였으며(한국무역협회자료) 분석 기간은 1995년에서 2008년으로 하였다

119

비중과 수출대상국의 품목별 수입비중을 이용하여 무역보완도를 계측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해당상품 수출구조와 교역 대상국의 수입구조가 비슷할수록 1에 가까워진다 즉 무역보완도 지수가 1에 가까울수록 우리의 수출상품이 교역대상국의 주요 수입품임을 의미하며 양국간에 교역의 특화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는 상품 수출액이 국(우리나라)의 전체 농식품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 수입액이 국(교역대상국)의 전체 농식품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1)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 주요 수출대상국 중 중국을 제외하고

1995년 이후 전반적으로 무역보완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농식품 10대 교역대상국을 대상으로 측정한 평균 무역보완도는 1995년 015에서 2008년 021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1995년 WTO 출범 이후 농식품 시장개방확대 추세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무역 역시 주요 교역대상국과 분업화와 특화가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구 분 1995년(A) 2000년 2005년 2008년(B) 보완도 차이(B985103A)호 주 0251 0292 0432 0420 0169 브 라 질 0056 0045 0076 0063 0007 중 국 0048 0058 0042 0031 9851030016 일 본 0292 0329 0409 0360 0068 뉴질랜드 0218 0242 0408 0351 0133 필 리 핀 985103 0093 0116 0081 0081 러 시 아 0034 0089 0171 0175 0141 태 국 0170 0152 0228 0236 0066 미 국 0148 0143 0263 0256 0108 베 트 남 985103 0063 0093 0102 0102 평 균 0152 0151 0224 0207 0055

lt표 6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무역 보완도 지수

주평균은 2009년 농식품 무역액을 기준으로 선정된 주요 10개국의 무역보완도 지수 산술평균을 의미한다자료UN985103comtrade 무역자료를 이용한 추정치

120

다음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교역의 산업내 무역지수를 식 (2)를 통해 계측하였다 식 (2)

는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을 구성하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을 가지고 산업내 무역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즉 농식품 산업에 속해 있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이 유사할수록 산업내 무역비중이 1에 가까워진다 일반적으로 농식품분야의 산업내 무역은 교역대상국 사이의 생산 계절성차이 품질차이 및 소비자 선호도 차이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2)

식 (2)를 이용한 추정결과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내 무역지수는 1995년 009에서 2002

년 024까지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그 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면서 2008년에는 015로 나타났다

lt그림 7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산업내 무역 지수

121

연도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농식품 분야도 산업내무역이 상당수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가격 품질 부위별 소득계층 주요 소비처 등의 선호도 차이와 생산의 계절적 차이에 따라 수출과 수입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돼지고기 김치 인삼 키위 등이 대표적 품목이다 따라서 최근 감소 추세에 있는 산업내 무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향후 주요 무역상대국을 대상으로 산업내 무역이 가능한 농식품을 발굴하는 것도 농식품 수출확대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정책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다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 분석여기서는 계량경제학적 추정방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을 분석

하였다 특히 향후 농식품의 높은 수출가능성으로 일반적으로 언급되어지는 우리나라와 가까운 거리에 일본 중국 등 대규모 농식품 소비시장의 존재가 실제 농식품 수출에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분석의 목표로 삼아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본 분석에서 설정한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추정모형은 기본적으로 중력모형을 응용한 식 (3)과 같다

In =In ()+In (

)+In ( )+

+In (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3)

vt = 국가별 확률효과 v t~iid N(oσ2v) εjt = 교란항 ε jt~iid N(oσ2ε)

주지하다시피 추정식 (3)은 일반적인 중력모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중력모형이 양 국가간의 교역(수출입)을 총체적으로 다룬 반면 여기서는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중력모형 중 우리나라의 1인당 GDP를 제외한 수출방정식을 설정하였다(Mary 2004) 식 (3)에서 는 국가별 확률효과를 나타내며 변수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별 특성을 나타낸다3)

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는 lt표 7gt과 같다 본고에서는 중력 모형에 포함되어 있는 1인당 GDP나 거리 변수 이외에 다양한 변수를 포함시켰다 우선 수출의 경우 환율에 영향을

3) 통상적인 패널 분석에서는 와 다른 설명변수들 간의 독립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추정결과의 일치성(consistency)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고정효과모형이 더 선호된다 하지만 패널 토빗모형에서는 패널이 충분히 길지 않는 한 오히려 고정효과 추정치의 일치성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확률효과 추정법이 더 선호된다(Cameron and Trivedi 2005 pp 800985103801) 따라서 본고 역시 이를 따르기로 한다

122

많이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역대상국과 우리나라의 환율을 포함시켰으며 앞서 분석한 무역보완도지수를 설명변수로 채택하여 농식품 교역이 특화되어 있는 정도가 농식품 수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무역장벽이라고 할 수 있는 관세를 포함시켰으며 각 국가의 개방도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WTO 가입여부와 우리나라와의 FTA 체결여부를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와 교역국간의 경제협력 수준을 반영하기 위해 해외직접투자액을 대리변수(proxy variable)로 사용하였다4) 또한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분석 대상국가로 설정하였고 분석기간은 1995년부터 2008년까지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는 패널데이터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품목별 수출량이 0인 연도도 존재하는 점을 감안하여5) 계량적 추정방법으로 김한호(2009) 등에서 사용한 패널토빗 계량모형(panel tobit model)을 이용하였다

변 수 설명 및 자료X jt 주요 10개국에 대한 품목별 수출액UN comtrade자료

distance 한국과의 거리한국과 교역국의 수도 간 거리 (단위Km)httpdistancecalculatorglobefeedcom

교역 대상 국가의 1인당 국민 소득(UNSD 자료와 인구통계 활용)

exchange 한국통화가치수출국통화가치 해외직접투자(한국수출입 은행 해외투자통계 자료)

conformity 무역 보완도지수 관세WTO 자료 WTO가입 여부국가별 가입 연도 기준 FTA 체결 여부국가별 체결 연도 기준

lt표 7gt 통계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 및 내용

주관세의 경우 WTO가 제공하는 각국의 품목별 관세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제공하지 않는 연도에 대해서는 이전 연도의 관세율과 같다고 가정하였다

4) 단 본고에서는 수출액과 해외직접투자가 0인 경우 1로 치환하여 로그값으로 전환시켜 자료의 손실을 줄이고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이러한 점은 본 분석의 한계라고도 볼 수 있다 즉 전체 교역액을 기준으로 대상국가를 선정하였기 때문에 해당 대상국이 실제로 해당 품목의 주요 교역국이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품목별로 주요 대상국을 설정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5) 이는 수출의 경우 0이상의 값만을 가지며 0이하의 값은 관찰되지 않기 때문이며 본고에서는 이를 0이상을 기준으로 데이터가 censored 되었다고 가정하였다

123

품목군별 추정결과는 아래 lt표 8gt sim lt표 10gt과 같으며 여기서는 주요 품목별로 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추정된 설명변수를 중심으로 수출 결정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교역대상국이 WTO 가입국 일수록 우리나라의 과실류의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그리고 신선채소류의 경우 관세가 낮을수록 화훼류는 FTA 체결국 일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과실류 (t 값) 신선 채소류 (t 값) 화훼류 (t 값)ln (fdi) 0165 (246) 0040 (035) 9851030063 (985103066)

ln (distance) 9851030543 (985103312) 9851030193 (985103164) 9851030223 (985103093)

ln (Yit Pit) 9851031015 (985103188) 0207 (053) 0400 (058)

ln (exchange) 0479 (196) 9851030210 (985103112) 0350 (108)

conformity 0115 (317) 0012 (037) 0034 (076)

tariff 0040 (142) 9851030443 (985103199) 0025 (071)

WTO 1645 (191) 9851031410 (985103129) 9851031262 (985103109)

FTA 9851030625 (985103057) 1444 (098) 4400 (297)

상수항 11106 (273) 5200 (181) 9851030232 (985103005)

σ v1) 1279 (307) 0539 (098) 1787 (357)

σ ε 1818 (1476) 2260 (1330) 2421 (1268)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8) 134(22) 134(36)

모형적합성 검증(Wald) 2896(p=0000) 2649(p=0001) 1398(p=0082)

lt표 8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과실류 신선 채소류 화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축산물(신선+가공)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9gt 참조) 그리고 교역 대상국이 FTA체결국인 경우 축산물 수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 축산물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

124

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산가공품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대상국이 FTA

체결국인 경우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전체 (t 값) 신선 (t 값) 가공 (t 값)ln (fdi) 0195 (210) 0366 (445) 0144 (106)

ln (distance) 9851030429 (985103244) 985103311 (985103233) 9851030707 (985103217)

ln (Yit Pit) 0195 (035) 0372 (080) 0579 (063)

ln (exchange) 0002 (001) 0077 (042) 9851030202 (985103046)

conformity 9851030022 (985103053) 9851030010 (985103026) 9851030098 (985103158)

tariff 0044 (155) 0041 (160) 0037 (071)

WTO 0053 (005) 9851030973 (985103091) 0184 (011)

FTA 3285 (225) 1458 (089) 5013 (261)

상수항 4083 (097) 0991 (985103027) 3135 (044)

σ v1) 1069 (278) 134e98510317 (000) 2344 (278)

σ ε 2449 (1413) 2866 (1351) 3096 (1170)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8) 134(32) 132(48)

모형적합성 검증(Wald) 2558(p=0001) 4400(p=0001) 2027(p=0009)

lt표 9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축산물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낙농품은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높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10gt 참조) 또한 교역국과 FTA를 체결할 경우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낙농품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곡물류 수출의 경우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5

변 수 낙농품 (t 값) 곡물류 (t 값)ln (fdi) 0190 (227) 0049 (101)

ln (distance) 9851030515 (985103176) 9851030532 (985103330)

ln (Yit Pit) 9851030686 (985103095) 9851030331 (985103079)

ln (exchange) 0863 (226) 0243 (119)

conformity 0097 (243) 0003 (014)

tariff 9851030190 (985103072) 9851030301 (985103190)

WTO 9851030148 (985103013) 1083 (164)

FTA 3946 (306) 0280 (037)

상수항 9030 (169) 13758 (421)

σ v1) 2113 (341) 1166 (344)

σ ε 2114 (1411) 1266 (1549)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7) 134(0)

모형적합성 검증(Wald) 3450 (p=0000) 1695(p=0031)

lt표 10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낙농품 곡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분석된 대부분 품목군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의 거리가 국산 농식품 수출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농식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부피에 비해 가격이 낮아 수송비가 교역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외에도 교역대상국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생산 및 식생활소비 패턴이 유사할 가능성이 높아 수출 증대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인접하면서 큰 농식품 시장이 있는 중국 일본 대만 중앙아시아 아세안 등에 대한 수출증가 가능성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일류 축산 특히 신선 축산물 낙농 등의 경우 해외직접투자가 많을 수록 수출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교포나 주재원 등의 수요가 많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126

3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과 기회요인가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주요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농식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쟁력 있는 대표 상품이 부족하다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은 14개로 대부분 가공식품이고 신선농산물은 4개에 불과하다

구 분 1999 2009(P)신 선 돼지고기 인삼 밥 김치 인삼 김치 파프리카 배가 공 자당 라면 소주 합판 권련 커피제조품 라면 자당 소주 비스킷수 산 참치 굴 붕장어 오징어 참치 오징어 김 넙치

lt표 11gt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

둘째 수출업체의 영세성으로 해외시장개척 및 국제경쟁력이 취약하고 수출업체의 난립으로 과잉경쟁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2008년 농식품 수출기업 921개 중 1천만 달러 이상은 22개(전체의 24)에 불과하며 1백만 달러 미만 수출업체는 689개(748)에 달한다

셋째 고품질 수출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기반이 미흡하다 수출거래 관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출 시장에서 원하는 품목과 물량을 원하는 시기에 공급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급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 생산 및 출하규모가 영세하고 내수 중심의 경영구조이기 때문에 수출거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적시 적량

정품 공급 기반이 미흡하다 수출 품목의 안전성과 품질이 담보되는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규모가 큰 수출조직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동시에 가공용 농식품 제조를 위한 품질과 가격경쟁력이 있는 원료농산물 공급기반도 미흡하다

넷째 효과적인 수출 물류 시스템 구축이 되어 있지 않다 수출 농식품의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저온유통 시스템이 가능한 물류 구축이 요구된다 하지만 국내 수출 물류시설 및 시스템이 낙후되어 신선도 및 품질 관리가 어렵고 경쟁력 제고에 한계가 많다 수출용 농식품의 국내 출하에서부터 수출 소비시장까지의 수송 저장에 필요한 냉장탑차 예냉저온선별 및 저장시설 냉장컨테이너 등의 시설 여건이 열악하여 품질 저하 감모 및 폐기물량 증가로 수출경쟁력을 제고시키기에 어려움이 많다

127

다섯째 체계적인 수출시장 개척 및 확대 시스템이 미흡하다 수출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하고 수출물량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국 도매업체와 대형판매점의 유통채널 진입과 긴밀한 네트워크유지가 필요하지만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KOTRA

유통공사 한인회 한상 등의 네트워크화를 통한 홍보 판촉 마케팅활동이 저조하다 이외에도 수출국 소매업체나 소비자들의 한국산 농식품 인지도 선호도 파악을 통한 수출 유망품목 수출 잠재품목 개발육성이 저조한 실정이다 수출국 시장 소비자 트렌드 및 라이프 스타일 조사 분석(Consumer Trends amp Lifestyle Analysis)을 통한 효과적 수요 창출 전략이 미흡하다 특히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별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나 농식품 수출의 기회요인 향후 DDA 농업협상의 타결과 FTA 체결 확대로 세계 농식품 교역규모는 큰 폭으로 증

가하여 우리 농식품 수출 증대에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DDAFTA 등으로 인한 관세 비관세 장벽 완화는 한국 농식품시장의 개방 확대와 동시에 수출시장이 확대되는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중국 인도 등 신흥경제권의 경제성장과 소득 증대로 우리나라의 고품질 차별화된 농식품의 수출확대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는 앞서 분석한 수출요인 결정모형의 분석 결과와 연관지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주요 국가와의 FTA의 체결과 해외진출 및 투자의 증가 교역국의 소득 증가 그리고 가까운 거리에 대규모 농식품 수출시장의 존재 등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즉 이러한 농식품 수출여건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은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식품 수출시장이 일본 중심에서 중국 러시아 동남아지역 등으로 다변화되어 가고 있어 시장개척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세계 농식품 시장규모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우리나라 주요 수출대상국의 농식품 수입규모도 증가 추세에 있다 우리 농식품수출의 60 가량을 점유하는 일본middot미국middot중국middot러시아 4개국의 수입규모가 최근 5년간 1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008 Global trade atlas)

우리 농식품의 주요 수출 유망국가에서 식문화의 글로벌화 및 웰빙middot건강식품 선호추세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한식의 세계화가 진전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2008년부터 본격적인 한식세계화 사업추진으로 식문화 수출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슬로우 푸드 건강 middot 기능성식품 수요증가에 따라 저열량 middot 건강식으로서 한식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128

이에 2009년의 경우 세계적 경기침체로 해외에서 우리와 경쟁관계에 있는 주요 선진농업국의 농식품수출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우리 농식품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강 점 (S) 약 점 (W)

인근 거대 잠재시장 존재한국식품에 대한 관심 고조높은 잠재 가능성(다양한 발효 식품 우수한 식문화)

국가대표 수출상품 부족 영세한 수출 구조기술 및 안전관리 수준 등이 선진국과 격차

(O)

세계 교역규모 증가안전middot기능성 관심 증가식문화 글로벌 확산

S ndash O 전략

한식 세계화 전략 구사수출 상품화수출지향 식품클러스터 조성

W ndash O 전략

수출전문 생산단지 설치식재료 및 기능식 상품화식품기업 해외진출 지원

(T)

세계적 경제 침체가격경쟁력 취약구제역 AI 등 안전성관리 애로

S ndash T 전략

잠재력 높은 신시장 개척수출유망품목 발굴 강화수출상품 고부가가치화수출상품 브랜드화

W ndash T 전략

국가대표 수출상품 육성수출 조직화 및 규모화RampD를 통한 신품목개발수출상품 안전체계 구축

lt그림 8gt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 분석(SWOT)

더욱이 정부가 2012년까지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 목표를 설정하고 다각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모색 중에 있어 어느 때보다 농식품 수출에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우선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과거와 달리 정부가 농식품 수출 목표를 높게 잡고 열심히 해보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지금까지 진행된 경제발전과정과 WTO 출범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무역자유화 시대에서 가장 취약한 산업부문으로 여겨져 찬밥신세를 면치 못하던 우리 농수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상징적 지표다 국내 농어업이 2000년 이후 성장정체 경향을 보이고 있는 현실에서 농식품 수출 확대를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신성장 동력원으로써 물꼬를 트겠다는 적극적 자세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수출선도조직 육성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 고품질 수출농식품의 안정적인 생산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려

129

하고 있다6) 수출선도조직과 수출업체의 생산 공급 계열화 시스템은 2009년 10개 품목 13

개 조직에서 2010년 18개 품목 21개 조직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노력은 생산농가985103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균일화된 고품질 농식품의 안정적인 공급으로 해외거래처와의 신뢰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수출업체 간 저가수출과당경쟁 방지 및 공동판촉 등 협력사업 수행으로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자율협력기구인 수출협의회가 구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 품목별 수출업체의 자율협력기구(수출협의회)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농식품 수출활성화 도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Ⅳ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

1 품목별로 차별화된 수출 확대 전략 수립앞서 수출증대요인 분석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품목별 또는 품목군별로 수출결정 요인

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품목별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한 수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무역보완도가 중요한 수출결정요인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 무역보완성이 높은 국가의 시장에 대한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류 내 품목별로 무역보완성을 고려한 목표 시장을 설정하여 수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과실류와 축산물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규모나 시장개방의 정도 즉 WTO 가입이나 FTA 체결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품목의 경우 국내 기업이 많이 진출하고 있거나 시장개방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 국가가 주요 수출시장으로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출결정인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품목별로 주요 수출대상 국가별 수출저해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특히 2012년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라는 수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수출 기반 조성과 방법으로 수출을 추진해야 한다 농식품 수출의 장애요인 발굴과 제거하는 과정은 품목별 국가별 여건과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수출 목표를 빠르게 달6) 수출선도조직은 농식품 수출업체가 생산농가(lsquo생산자조직rsquo 포함)와 상호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고 수

출업체 주도로 품종선택부터 재배 수확 선별 포장 수출 안전성 및 품질관리 정산 농가교육 등의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함으로써 수출 농식품의 경쟁력을 높여 수출확대를 선도하는 조직을 말한다

130

성하기 위해서는 수출 비중과 증가율이 큰 품목과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확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수출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 장애요인 제거 방법도 보다 큰 틀에서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앞서 수출 유망 국가 및 시장 선택에 있어서는 수출결정요인 분석 결과와 함께 수출시장별 기회잠재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차별화된 시장 개척과 확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즉 국가별 수출시장 여건 및 특성에 맞추어 수출증대 노력을 기울여야 효과적인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해외시장에서 성공한 우리 농식품들은 고품질과 단일브랜드 현지형 마케팅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야 한다 특히 한반도를 중심으로 반경 19851032시간 권 안에 있는 중국 일본 대만 등 우리에게 새롭게 열린 시장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수출 확대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해외동포나 현지 교민의 직접적인 수요에 의존한 수출방식에서 이들 국가의 해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방식으로 전환하여 신규 수출수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공급 수출지원시스템 간의 밀접한 상호연계 체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2012년 100억 달러 농식품 수출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현재의 수출증가율을 큰 폭으로 상회해야 하므로 민간 차원에서 하기 힘든 수출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대규모 수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외 농식품 생산 유통업체간 전략적 글로벌 공동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반도를 동아시아 농식품 허브로 개발 육성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극적인 세계 유명 식품 박람회 참가 바이어초청 등을 통해 신규거래선 개척을 지원하여 수출업체985103바이어 간 만남의 장 마련으로 더 많은 수출기회를 제공해 나가야 한다 또한 해외 대형 바이어와의 MOU 체결 주요 식품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한국식품 직수출 유통채널 확보 및 장기대규모 소비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국내적으로도 농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수출유관기관의 역할분담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수출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외교통상부middot무역협회middotKOTRA 각종 협회 해외한인회 등 공공부문 및 민간조직과의 협력방안도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 대표급 주력 수출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2009년 현재 기준 5천만 달러 이상 수출되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은 인삼(1억 달러 rsquo09년) 김치(89백만 달러) 배(54백만 달러) 파프리카(53백만 달러) 정도이고 그 외에 이렇다할 만한 주력 수출상품이 없다는 것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품목별 수출결정요인과 함께 시장의 특성 선호도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전략수출상품을 집중 육성할 필요

131

가 있다 현재 수출규모가 큰 김치 인삼 돼지고기 배 면류 주류 과자류 참치 오징어

김 등은 현재보다 수출규모를 확대하고 세계적인 상품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또한 삼계탕

버섯류 유자차 화훼 전복 넙치 굴 등 농어민 소득증대가 크고 수출성장 가능성이 큰 품목의 발굴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농가985103 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안전성품질관리가 가능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경영체로 육성함으로써 균일화된 고품질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해외 거래선의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 기술과 자본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통해 해외 유통망 확보 노력과 함께 세계인들의 입맛을 붙잡는 그리너리(네델란드) 데니쉬 크라운(덴마크) 제스프리(뉴질랜드) 선키스트(미국) 네슬레(스위스) 등과 같은 세계적 대표 브랜드 육성이 필요하다

2 고부가가가치 농식품 수출 확대계절성이 높은 1차 농산물을 수출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2 middot 3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

치 상품을 수출하여 채산성을 높이고 수출상품을 연중 수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농식품 수출을 빠르게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품목 측면에서 최근 수출 증가율이 높은 가공농식품 중심으로 수출증대 전략을 마련하고 신선농식품 중에서는 수출 비중과 수출 증가율이 큰 과실류와 인삼류 화훼류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수출 증대 효과가 높을 것이다 김치류 등 수출 비중이 크지만 수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은 수출을 감소시킨 원인을 찾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 품목군에서도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간에 다르게 나타난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적 식문화의 세계화를 통해 국산 농식품 및 식자재의 수출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세계적인 건강식품 음식으로 이미 떠오른 김치와 비빔밥이외에도 더 많은 전략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연관된 식자재를 체계적으로 수출하는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식이 세계인의 입맛에 맞을 수 있도록 맛의 표준화를 정립하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메뉴를 개발하고 중점 지원하며 국산 식재료 유통구조의 대형화와 전문화를 통해 국산 식재료가 한식과 세계인의 식재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현재 전 세계 180여개국에 걸쳐 널리 퍼져있는 700만 재외동포와 한민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농식품 수출의 교두보로 삼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즉 해외동포기업들을 우리 농식품 및 식자재 수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전 세계

132

한국교민은 700만 명으로 화교(5500만 명) 유태인(860만 명)에 이어 세계 3번째 규모이다

약 7300개 한국 기업이 아시아 미주 유럽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지 종사자 규모가 약 150만 명에 이르며 해외 한식당은 약 1만 개로 추정된다 이들 해외 거주자는 우선적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될 수 있다

3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 우리 농식품기업의 해외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예컨대 국제적인 농식품 기업을 인수함

으로써 해외 생산기지와 유통망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보유 잉여자금을 이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해외투자활동이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농식품의 수출확대 과정에서 정부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과제 중의 하나는 국내 농어민의 소득 향상과 연계되는 수출방안의 모색이다 사실 현재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비중이 낮고 주로 가공식품위주를 이루고 국내 농업과 연관성이 높은 신선식품의 비중은 크지 않아 수출을 통한 농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농어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농식품 수출이 되도록 더 많은 정책적 고민과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2009년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가공식품은 53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선식품 수출비중이 높은 수산물을 제외하면 신선농축식품 수출비중은 15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농식품 수출이 실질적으로 국내 농어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농어민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어업과 연계된 수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수출유망 품목 발굴 노력과 함께 품목별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수출을 조직화규모화함으로써 과당경쟁 등 우리나라 수출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외에서의 거래교섭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중소규모 수출단지와 영세업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촉진하여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Dole과 선키스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 네덜란드의 그리너리와 같은 세계적인 수출조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식품 수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신선농식품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자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수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파프리카 화훼 버섯 등의 경우에도 종자부터 시설기자재까지 네덜란드 등 농업선진국에 의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8: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14

2 농식품 수출의 중요성가 농어업 성장 견인 및 농가소득 제고에 기여농식품의 일반적 특성 중 하나가 다른 상품에 비해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낮다는 점이다

따라서 조금만 생산이 과잉되어도 농가수취가격은 폭락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수출은 과잉 생산된 농식품을 해외에서 소비하게 함으로써 국내가격을 지지하고 궁극적으로 농가소득 제고에 기여하는 효과가 크다

나 국제수준의 고품질 안전 농식품 생산 유도 및 수입 농식품에 효과적 대응농식품 수출은 생산과 유통에 있어서 국제적 수준의 HACCP ISO GAP 등 안전성과 품

질을 국제수준으로 관리해야 하므로 낙후된 국내 농식품 생산 및 유통시스템을 선진국수준으로 향상시키는 촉매제 역할을 한다 또한 고품질 안전 경쟁력을 갖춘 농식품 생산 및 유통체제 구축은 궁극적으로 수입 농식품으로부터 국내 산업을 효과적으로 방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예를 들어 파프리카는 rsquo90년대 중반부터 내수가 없는 상태에서 수출용으로 재배하기 시작하여 현재 총 생산량의 약 50 가량을 수출하고 있으며 2009년도에 파프리카 주요 수출시장인 일본 시장에서 한국산 파프리카가 네덜란드산과 치열한 가격품질경쟁을 통해 시장점유율 1위(60)를 확보하였다 이러한 수출경쟁력 제고노력이 없었다면 현재 우리나라에는 네덜란드산 파프리카가 수입되고 있을 것이다

다 국민경제 및 국격 향상에 기여한국은행이 발간하는 산업연관분석표를 활용하여 농식품 100억 달러 수출의 국민경제기

여도를 산출해 본 결과 생산유발액은 126억 달러 부가가치 유발액 45억 달러 및 5만 6천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동차(NF 소나타 기준) 수출효과와 비교해 볼 때 생산유발액은 39만대 부가가치 면에서는 47만대를 수출하는 효과와 동일한 수준이다 그 밖에도 식문화 전파를 통한 국가위상 및 품격 제고 농어업의 자신감 회복 식량안보 및 환경유지 등 다양한 부분에서 기여하는 바가 매우 크다

115

Ⅲ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과 여건위기와 기회의 공존

1 세계 농식품 교역현황WTO 체제 출범과 FTA 체결확대로 세계 농식품교역 규모는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이

다 2008년 세계 농식품 수출규모는 약 1조 5775억 달러로 2000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세계적인 FTA체결 확산과 WTO DDA 협상의 타결 등 농식품 무역장벽의 축소와 철폐 움직임으로 농식품 교역규모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2015년에 세계 인구가 약 73억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농식품 교역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

(단위억 달러)

자료Global trade atlas(2008)

lt그림 4gt 세계 농식품 교역(수출기준) 규모 현황

그러나 주요 국가의 농식품 수출액에 비하여 우리의 수출규모는 매우 작다 우리나라는 일본 중국을 비롯하여 대만 동남아 인도 등 세계 인구 절반에 가까운 농식품 소비시장과 인접한 지리적 이점을 갖추고도 2008년 농식품 수출액은 44억 달러로 세계 농식품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3에 불과하다

하지만 우리와 같이 농경지 규모가 아주 작은데도 불구하고 첨단원예 가공품을 생산하

116

여 대량 수출하는 네덜란드 이스라엘 같은 나라도 있다 특히 네덜란드는 2008년 농식품 수출액이 약 1013억 달러로 미국(약 1400억 달러)에 이어 전 세계 2위를 차지한다 네덜란드는 10400ha의 첨단 유리온실에서 고품질 화훼 관상식물 채소를 생산하고 국내외 가공원료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생산하는 한편 전세계로부터 화훼를 수입하여 중개무역을 함으로써 수출농업 대국이 되었다

즉 네덜란드는 1차 농산물 생산에 국한하지 않고 국내외 원료 농산물을 이용한 가공산업을 발전시켜 농식품 부문 전체의 부가가치를 확대하고 있다

lt표 4gt 주요국 농식품 수입시장에서 한국산 비중(단위백만 달러 )

국 가 수입규모 한국산(비중) 주요 수입국일 본 81269 1478(18) 미국(261) 중국 호주 등중 국 62648 341(05) 미국(224)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미 국 111425 387(04) 캐나다(246) 멕시코 중국 등러 시 아 34680 129(04) 브라질(117) 미국 독일 등

자료Global Trade atlas(2008)

2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현황 및 요인 분석 가 수출현황과 특징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상황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식품 수출은 완만하게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이다 연도별 농식품 수출액은 1995

년 342억 달러에서 2009년 481억 달러로 연평균 32씩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증가 속도는 1995sim2009년 같은 기간 동안 연평균 102씩 증가한 우리나라 전체 수출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완만한 수준이다

둘째 농식품 수출액 규모는 점차 증가해 왔으나 국가 전체 수출액 대비 농식품 수출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국가전체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농식품 비중은 1971년 27에서 1995년 27 2000년 이후 10대로 하락하였다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액은 2009년 약 481억 달러로 국가전체 수출액 3635억 달러 가운데 13를 차지하고 있다

117

lt표 5gt 국가 전체 수출액 대비 농식품 수출 비중 (단위백만 달러 )구 분 1971 1977 1995 1998 2007 2008 2009

국가전체(A) 1068 10046 125058 132313 371489 422007 363534농 식 품(B) 285 1592 3419 2999 3759 4402 4809비 중(BA) 267 158 27 23 10 10 13자료농림수산식품부

셋째 신선농산물 보다 가공품 형태의 농식품 수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주력 수출품목이었던 수산식품과 신선 농식품의 수출이 거의 정체된 반면 가공 농식품의 수출은 크게 증가하여 전체 농식품 수출에서 가공농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1995년 약 32

수준에서 2009년에 약 53로 늘어났다 예컨대 상위 10대 수출품의 경우 1999년도에 주력 품목이었던 돼지고기 굴 붕장어 밤 등 원료형 농식품이 탈락한 반면에 2009년도에는 권련 커피조제품 소주 등 가공형 식품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lt그림 5gt 연도별 농식품 수출액

넷째 대일 수출 의존도가 감소하고 있는 반면에 수출선 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으로의 수출이 크게 감소한 반면 중국 미국 러시아 등으로의 수출증가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시장다변화가 진척되고 있다 대일본 농식품 수출비중은 1999년 66에서 2009년 33로 줄어들었다 이렇게 농식품 수출의 대일 수출비중이 감소한 대신 같은

118

기간동안 중국은 47에서 118 미국은 63에서 97 러시아는 19에서 47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미국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대상국 2위였으나 2007년 이후 중국으로의 수출이 미국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중국이 우리나라 농식품의 주요 수출시장으로 부상하였다

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lt그림 6gt 국가별 농식품 수출액

나 산업간 무역 및 산업내 무역 패턴의 변화국제무역이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두 가지 무역 패턴인 산업간 무역(Inter985103Industry

Trade)과 산업내 무역(Intra985103Industry Trade) 개념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의 무역패턴 변화를 분석하였다2)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헥셔985103오린(Heckscer985103Olin) 이론에 근거한 산업간 무역은 국가간 특화구조에 의해 교역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며 산업내 무역은 품질이나 브랜드차이 등으로 인한 독점적경쟁의 산업구조에서 발생하는 교역형태를 의미한다 우선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품목간 무역 형태를 분석하기 위해 무역 보완도(Index of

Trade Conformity)를 식 (1)을 통해 계측하였다 식 (1)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품목별

2) 산업내 무역지수와 산업간 무역지수 계측을 위해 UN985103comtrade 무역통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대상 품목은 국제적으로 농수산물로 인정되는 HS 2단위 기준 1sim24호에 속하는 품목으로 설정하였다(단 실질적인 분석에는 HS 6단위를 기준으로 구성된 무역자료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분석대상 국가는 200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와 농식품 교역이 가장 활발한 10개국으로 선정하였으며(한국무역협회자료) 분석 기간은 1995년에서 2008년으로 하였다

119

비중과 수출대상국의 품목별 수입비중을 이용하여 무역보완도를 계측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해당상품 수출구조와 교역 대상국의 수입구조가 비슷할수록 1에 가까워진다 즉 무역보완도 지수가 1에 가까울수록 우리의 수출상품이 교역대상국의 주요 수입품임을 의미하며 양국간에 교역의 특화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는 상품 수출액이 국(우리나라)의 전체 농식품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 수입액이 국(교역대상국)의 전체 농식품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1)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 주요 수출대상국 중 중국을 제외하고

1995년 이후 전반적으로 무역보완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농식품 10대 교역대상국을 대상으로 측정한 평균 무역보완도는 1995년 015에서 2008년 021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1995년 WTO 출범 이후 농식품 시장개방확대 추세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무역 역시 주요 교역대상국과 분업화와 특화가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구 분 1995년(A) 2000년 2005년 2008년(B) 보완도 차이(B985103A)호 주 0251 0292 0432 0420 0169 브 라 질 0056 0045 0076 0063 0007 중 국 0048 0058 0042 0031 9851030016 일 본 0292 0329 0409 0360 0068 뉴질랜드 0218 0242 0408 0351 0133 필 리 핀 985103 0093 0116 0081 0081 러 시 아 0034 0089 0171 0175 0141 태 국 0170 0152 0228 0236 0066 미 국 0148 0143 0263 0256 0108 베 트 남 985103 0063 0093 0102 0102 평 균 0152 0151 0224 0207 0055

lt표 6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무역 보완도 지수

주평균은 2009년 농식품 무역액을 기준으로 선정된 주요 10개국의 무역보완도 지수 산술평균을 의미한다자료UN985103comtrade 무역자료를 이용한 추정치

120

다음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교역의 산업내 무역지수를 식 (2)를 통해 계측하였다 식 (2)

는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을 구성하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을 가지고 산업내 무역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즉 농식품 산업에 속해 있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이 유사할수록 산업내 무역비중이 1에 가까워진다 일반적으로 농식품분야의 산업내 무역은 교역대상국 사이의 생산 계절성차이 품질차이 및 소비자 선호도 차이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2)

식 (2)를 이용한 추정결과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내 무역지수는 1995년 009에서 2002

년 024까지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그 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면서 2008년에는 015로 나타났다

lt그림 7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산업내 무역 지수

121

연도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농식품 분야도 산업내무역이 상당수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가격 품질 부위별 소득계층 주요 소비처 등의 선호도 차이와 생산의 계절적 차이에 따라 수출과 수입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돼지고기 김치 인삼 키위 등이 대표적 품목이다 따라서 최근 감소 추세에 있는 산업내 무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향후 주요 무역상대국을 대상으로 산업내 무역이 가능한 농식품을 발굴하는 것도 농식품 수출확대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정책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다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 분석여기서는 계량경제학적 추정방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을 분석

하였다 특히 향후 농식품의 높은 수출가능성으로 일반적으로 언급되어지는 우리나라와 가까운 거리에 일본 중국 등 대규모 농식품 소비시장의 존재가 실제 농식품 수출에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분석의 목표로 삼아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본 분석에서 설정한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추정모형은 기본적으로 중력모형을 응용한 식 (3)과 같다

In =In ()+In (

)+In ( )+

+In (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3)

vt = 국가별 확률효과 v t~iid N(oσ2v) εjt = 교란항 ε jt~iid N(oσ2ε)

주지하다시피 추정식 (3)은 일반적인 중력모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중력모형이 양 국가간의 교역(수출입)을 총체적으로 다룬 반면 여기서는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중력모형 중 우리나라의 1인당 GDP를 제외한 수출방정식을 설정하였다(Mary 2004) 식 (3)에서 는 국가별 확률효과를 나타내며 변수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별 특성을 나타낸다3)

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는 lt표 7gt과 같다 본고에서는 중력 모형에 포함되어 있는 1인당 GDP나 거리 변수 이외에 다양한 변수를 포함시켰다 우선 수출의 경우 환율에 영향을

3) 통상적인 패널 분석에서는 와 다른 설명변수들 간의 독립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추정결과의 일치성(consistency)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고정효과모형이 더 선호된다 하지만 패널 토빗모형에서는 패널이 충분히 길지 않는 한 오히려 고정효과 추정치의 일치성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확률효과 추정법이 더 선호된다(Cameron and Trivedi 2005 pp 800985103801) 따라서 본고 역시 이를 따르기로 한다

122

많이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역대상국과 우리나라의 환율을 포함시켰으며 앞서 분석한 무역보완도지수를 설명변수로 채택하여 농식품 교역이 특화되어 있는 정도가 농식품 수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무역장벽이라고 할 수 있는 관세를 포함시켰으며 각 국가의 개방도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WTO 가입여부와 우리나라와의 FTA 체결여부를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와 교역국간의 경제협력 수준을 반영하기 위해 해외직접투자액을 대리변수(proxy variable)로 사용하였다4) 또한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분석 대상국가로 설정하였고 분석기간은 1995년부터 2008년까지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는 패널데이터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품목별 수출량이 0인 연도도 존재하는 점을 감안하여5) 계량적 추정방법으로 김한호(2009) 등에서 사용한 패널토빗 계량모형(panel tobit model)을 이용하였다

변 수 설명 및 자료X jt 주요 10개국에 대한 품목별 수출액UN comtrade자료

distance 한국과의 거리한국과 교역국의 수도 간 거리 (단위Km)httpdistancecalculatorglobefeedcom

교역 대상 국가의 1인당 국민 소득(UNSD 자료와 인구통계 활용)

exchange 한국통화가치수출국통화가치 해외직접투자(한국수출입 은행 해외투자통계 자료)

conformity 무역 보완도지수 관세WTO 자료 WTO가입 여부국가별 가입 연도 기준 FTA 체결 여부국가별 체결 연도 기준

lt표 7gt 통계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 및 내용

주관세의 경우 WTO가 제공하는 각국의 품목별 관세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제공하지 않는 연도에 대해서는 이전 연도의 관세율과 같다고 가정하였다

4) 단 본고에서는 수출액과 해외직접투자가 0인 경우 1로 치환하여 로그값으로 전환시켜 자료의 손실을 줄이고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이러한 점은 본 분석의 한계라고도 볼 수 있다 즉 전체 교역액을 기준으로 대상국가를 선정하였기 때문에 해당 대상국이 실제로 해당 품목의 주요 교역국이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품목별로 주요 대상국을 설정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5) 이는 수출의 경우 0이상의 값만을 가지며 0이하의 값은 관찰되지 않기 때문이며 본고에서는 이를 0이상을 기준으로 데이터가 censored 되었다고 가정하였다

123

품목군별 추정결과는 아래 lt표 8gt sim lt표 10gt과 같으며 여기서는 주요 품목별로 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추정된 설명변수를 중심으로 수출 결정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교역대상국이 WTO 가입국 일수록 우리나라의 과실류의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그리고 신선채소류의 경우 관세가 낮을수록 화훼류는 FTA 체결국 일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과실류 (t 값) 신선 채소류 (t 값) 화훼류 (t 값)ln (fdi) 0165 (246) 0040 (035) 9851030063 (985103066)

ln (distance) 9851030543 (985103312) 9851030193 (985103164) 9851030223 (985103093)

ln (Yit Pit) 9851031015 (985103188) 0207 (053) 0400 (058)

ln (exchange) 0479 (196) 9851030210 (985103112) 0350 (108)

conformity 0115 (317) 0012 (037) 0034 (076)

tariff 0040 (142) 9851030443 (985103199) 0025 (071)

WTO 1645 (191) 9851031410 (985103129) 9851031262 (985103109)

FTA 9851030625 (985103057) 1444 (098) 4400 (297)

상수항 11106 (273) 5200 (181) 9851030232 (985103005)

σ v1) 1279 (307) 0539 (098) 1787 (357)

σ ε 1818 (1476) 2260 (1330) 2421 (1268)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8) 134(22) 134(36)

모형적합성 검증(Wald) 2896(p=0000) 2649(p=0001) 1398(p=0082)

lt표 8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과실류 신선 채소류 화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축산물(신선+가공)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9gt 참조) 그리고 교역 대상국이 FTA체결국인 경우 축산물 수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 축산물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

124

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산가공품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대상국이 FTA

체결국인 경우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전체 (t 값) 신선 (t 값) 가공 (t 값)ln (fdi) 0195 (210) 0366 (445) 0144 (106)

ln (distance) 9851030429 (985103244) 985103311 (985103233) 9851030707 (985103217)

ln (Yit Pit) 0195 (035) 0372 (080) 0579 (063)

ln (exchange) 0002 (001) 0077 (042) 9851030202 (985103046)

conformity 9851030022 (985103053) 9851030010 (985103026) 9851030098 (985103158)

tariff 0044 (155) 0041 (160) 0037 (071)

WTO 0053 (005) 9851030973 (985103091) 0184 (011)

FTA 3285 (225) 1458 (089) 5013 (261)

상수항 4083 (097) 0991 (985103027) 3135 (044)

σ v1) 1069 (278) 134e98510317 (000) 2344 (278)

σ ε 2449 (1413) 2866 (1351) 3096 (1170)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8) 134(32) 132(48)

모형적합성 검증(Wald) 2558(p=0001) 4400(p=0001) 2027(p=0009)

lt표 9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축산물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낙농품은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높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10gt 참조) 또한 교역국과 FTA를 체결할 경우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낙농품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곡물류 수출의 경우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5

변 수 낙농품 (t 값) 곡물류 (t 값)ln (fdi) 0190 (227) 0049 (101)

ln (distance) 9851030515 (985103176) 9851030532 (985103330)

ln (Yit Pit) 9851030686 (985103095) 9851030331 (985103079)

ln (exchange) 0863 (226) 0243 (119)

conformity 0097 (243) 0003 (014)

tariff 9851030190 (985103072) 9851030301 (985103190)

WTO 9851030148 (985103013) 1083 (164)

FTA 3946 (306) 0280 (037)

상수항 9030 (169) 13758 (421)

σ v1) 2113 (341) 1166 (344)

σ ε 2114 (1411) 1266 (1549)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7) 134(0)

모형적합성 검증(Wald) 3450 (p=0000) 1695(p=0031)

lt표 10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낙농품 곡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분석된 대부분 품목군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의 거리가 국산 농식품 수출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농식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부피에 비해 가격이 낮아 수송비가 교역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외에도 교역대상국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생산 및 식생활소비 패턴이 유사할 가능성이 높아 수출 증대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인접하면서 큰 농식품 시장이 있는 중국 일본 대만 중앙아시아 아세안 등에 대한 수출증가 가능성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일류 축산 특히 신선 축산물 낙농 등의 경우 해외직접투자가 많을 수록 수출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교포나 주재원 등의 수요가 많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126

3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과 기회요인가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주요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농식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쟁력 있는 대표 상품이 부족하다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은 14개로 대부분 가공식품이고 신선농산물은 4개에 불과하다

구 분 1999 2009(P)신 선 돼지고기 인삼 밥 김치 인삼 김치 파프리카 배가 공 자당 라면 소주 합판 권련 커피제조품 라면 자당 소주 비스킷수 산 참치 굴 붕장어 오징어 참치 오징어 김 넙치

lt표 11gt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

둘째 수출업체의 영세성으로 해외시장개척 및 국제경쟁력이 취약하고 수출업체의 난립으로 과잉경쟁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2008년 농식품 수출기업 921개 중 1천만 달러 이상은 22개(전체의 24)에 불과하며 1백만 달러 미만 수출업체는 689개(748)에 달한다

셋째 고품질 수출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기반이 미흡하다 수출거래 관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출 시장에서 원하는 품목과 물량을 원하는 시기에 공급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급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 생산 및 출하규모가 영세하고 내수 중심의 경영구조이기 때문에 수출거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적시 적량

정품 공급 기반이 미흡하다 수출 품목의 안전성과 품질이 담보되는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규모가 큰 수출조직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동시에 가공용 농식품 제조를 위한 품질과 가격경쟁력이 있는 원료농산물 공급기반도 미흡하다

넷째 효과적인 수출 물류 시스템 구축이 되어 있지 않다 수출 농식품의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저온유통 시스템이 가능한 물류 구축이 요구된다 하지만 국내 수출 물류시설 및 시스템이 낙후되어 신선도 및 품질 관리가 어렵고 경쟁력 제고에 한계가 많다 수출용 농식품의 국내 출하에서부터 수출 소비시장까지의 수송 저장에 필요한 냉장탑차 예냉저온선별 및 저장시설 냉장컨테이너 등의 시설 여건이 열악하여 품질 저하 감모 및 폐기물량 증가로 수출경쟁력을 제고시키기에 어려움이 많다

127

다섯째 체계적인 수출시장 개척 및 확대 시스템이 미흡하다 수출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하고 수출물량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국 도매업체와 대형판매점의 유통채널 진입과 긴밀한 네트워크유지가 필요하지만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KOTRA

유통공사 한인회 한상 등의 네트워크화를 통한 홍보 판촉 마케팅활동이 저조하다 이외에도 수출국 소매업체나 소비자들의 한국산 농식품 인지도 선호도 파악을 통한 수출 유망품목 수출 잠재품목 개발육성이 저조한 실정이다 수출국 시장 소비자 트렌드 및 라이프 스타일 조사 분석(Consumer Trends amp Lifestyle Analysis)을 통한 효과적 수요 창출 전략이 미흡하다 특히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별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나 농식품 수출의 기회요인 향후 DDA 농업협상의 타결과 FTA 체결 확대로 세계 농식품 교역규모는 큰 폭으로 증

가하여 우리 농식품 수출 증대에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DDAFTA 등으로 인한 관세 비관세 장벽 완화는 한국 농식품시장의 개방 확대와 동시에 수출시장이 확대되는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중국 인도 등 신흥경제권의 경제성장과 소득 증대로 우리나라의 고품질 차별화된 농식품의 수출확대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는 앞서 분석한 수출요인 결정모형의 분석 결과와 연관지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주요 국가와의 FTA의 체결과 해외진출 및 투자의 증가 교역국의 소득 증가 그리고 가까운 거리에 대규모 농식품 수출시장의 존재 등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즉 이러한 농식품 수출여건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은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식품 수출시장이 일본 중심에서 중국 러시아 동남아지역 등으로 다변화되어 가고 있어 시장개척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세계 농식품 시장규모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우리나라 주요 수출대상국의 농식품 수입규모도 증가 추세에 있다 우리 농식품수출의 60 가량을 점유하는 일본middot미국middot중국middot러시아 4개국의 수입규모가 최근 5년간 1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008 Global trade atlas)

우리 농식품의 주요 수출 유망국가에서 식문화의 글로벌화 및 웰빙middot건강식품 선호추세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한식의 세계화가 진전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2008년부터 본격적인 한식세계화 사업추진으로 식문화 수출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슬로우 푸드 건강 middot 기능성식품 수요증가에 따라 저열량 middot 건강식으로서 한식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128

이에 2009년의 경우 세계적 경기침체로 해외에서 우리와 경쟁관계에 있는 주요 선진농업국의 농식품수출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우리 농식품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강 점 (S) 약 점 (W)

인근 거대 잠재시장 존재한국식품에 대한 관심 고조높은 잠재 가능성(다양한 발효 식품 우수한 식문화)

국가대표 수출상품 부족 영세한 수출 구조기술 및 안전관리 수준 등이 선진국과 격차

(O)

세계 교역규모 증가안전middot기능성 관심 증가식문화 글로벌 확산

S ndash O 전략

한식 세계화 전략 구사수출 상품화수출지향 식품클러스터 조성

W ndash O 전략

수출전문 생산단지 설치식재료 및 기능식 상품화식품기업 해외진출 지원

(T)

세계적 경제 침체가격경쟁력 취약구제역 AI 등 안전성관리 애로

S ndash T 전략

잠재력 높은 신시장 개척수출유망품목 발굴 강화수출상품 고부가가치화수출상품 브랜드화

W ndash T 전략

국가대표 수출상품 육성수출 조직화 및 규모화RampD를 통한 신품목개발수출상품 안전체계 구축

lt그림 8gt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 분석(SWOT)

더욱이 정부가 2012년까지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 목표를 설정하고 다각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모색 중에 있어 어느 때보다 농식품 수출에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우선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과거와 달리 정부가 농식품 수출 목표를 높게 잡고 열심히 해보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지금까지 진행된 경제발전과정과 WTO 출범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무역자유화 시대에서 가장 취약한 산업부문으로 여겨져 찬밥신세를 면치 못하던 우리 농수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상징적 지표다 국내 농어업이 2000년 이후 성장정체 경향을 보이고 있는 현실에서 농식품 수출 확대를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신성장 동력원으로써 물꼬를 트겠다는 적극적 자세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수출선도조직 육성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 고품질 수출농식품의 안정적인 생산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려

129

하고 있다6) 수출선도조직과 수출업체의 생산 공급 계열화 시스템은 2009년 10개 품목 13

개 조직에서 2010년 18개 품목 21개 조직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노력은 생산농가985103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균일화된 고품질 농식품의 안정적인 공급으로 해외거래처와의 신뢰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수출업체 간 저가수출과당경쟁 방지 및 공동판촉 등 협력사업 수행으로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자율협력기구인 수출협의회가 구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 품목별 수출업체의 자율협력기구(수출협의회)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농식품 수출활성화 도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Ⅳ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

1 품목별로 차별화된 수출 확대 전략 수립앞서 수출증대요인 분석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품목별 또는 품목군별로 수출결정 요인

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품목별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한 수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무역보완도가 중요한 수출결정요인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 무역보완성이 높은 국가의 시장에 대한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류 내 품목별로 무역보완성을 고려한 목표 시장을 설정하여 수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과실류와 축산물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규모나 시장개방의 정도 즉 WTO 가입이나 FTA 체결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품목의 경우 국내 기업이 많이 진출하고 있거나 시장개방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 국가가 주요 수출시장으로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출결정인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품목별로 주요 수출대상 국가별 수출저해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특히 2012년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라는 수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수출 기반 조성과 방법으로 수출을 추진해야 한다 농식품 수출의 장애요인 발굴과 제거하는 과정은 품목별 국가별 여건과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수출 목표를 빠르게 달6) 수출선도조직은 농식품 수출업체가 생산농가(lsquo생산자조직rsquo 포함)와 상호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고 수

출업체 주도로 품종선택부터 재배 수확 선별 포장 수출 안전성 및 품질관리 정산 농가교육 등의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함으로써 수출 농식품의 경쟁력을 높여 수출확대를 선도하는 조직을 말한다

130

성하기 위해서는 수출 비중과 증가율이 큰 품목과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확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수출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 장애요인 제거 방법도 보다 큰 틀에서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앞서 수출 유망 국가 및 시장 선택에 있어서는 수출결정요인 분석 결과와 함께 수출시장별 기회잠재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차별화된 시장 개척과 확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즉 국가별 수출시장 여건 및 특성에 맞추어 수출증대 노력을 기울여야 효과적인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해외시장에서 성공한 우리 농식품들은 고품질과 단일브랜드 현지형 마케팅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야 한다 특히 한반도를 중심으로 반경 19851032시간 권 안에 있는 중국 일본 대만 등 우리에게 새롭게 열린 시장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수출 확대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해외동포나 현지 교민의 직접적인 수요에 의존한 수출방식에서 이들 국가의 해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방식으로 전환하여 신규 수출수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공급 수출지원시스템 간의 밀접한 상호연계 체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2012년 100억 달러 농식품 수출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현재의 수출증가율을 큰 폭으로 상회해야 하므로 민간 차원에서 하기 힘든 수출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대규모 수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외 농식품 생산 유통업체간 전략적 글로벌 공동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반도를 동아시아 농식품 허브로 개발 육성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극적인 세계 유명 식품 박람회 참가 바이어초청 등을 통해 신규거래선 개척을 지원하여 수출업체985103바이어 간 만남의 장 마련으로 더 많은 수출기회를 제공해 나가야 한다 또한 해외 대형 바이어와의 MOU 체결 주요 식품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한국식품 직수출 유통채널 확보 및 장기대규모 소비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국내적으로도 농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수출유관기관의 역할분담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수출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외교통상부middot무역협회middotKOTRA 각종 협회 해외한인회 등 공공부문 및 민간조직과의 협력방안도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 대표급 주력 수출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2009년 현재 기준 5천만 달러 이상 수출되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은 인삼(1억 달러 rsquo09년) 김치(89백만 달러) 배(54백만 달러) 파프리카(53백만 달러) 정도이고 그 외에 이렇다할 만한 주력 수출상품이 없다는 것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품목별 수출결정요인과 함께 시장의 특성 선호도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전략수출상품을 집중 육성할 필요

131

가 있다 현재 수출규모가 큰 김치 인삼 돼지고기 배 면류 주류 과자류 참치 오징어

김 등은 현재보다 수출규모를 확대하고 세계적인 상품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또한 삼계탕

버섯류 유자차 화훼 전복 넙치 굴 등 농어민 소득증대가 크고 수출성장 가능성이 큰 품목의 발굴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농가985103 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안전성품질관리가 가능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경영체로 육성함으로써 균일화된 고품질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해외 거래선의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 기술과 자본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통해 해외 유통망 확보 노력과 함께 세계인들의 입맛을 붙잡는 그리너리(네델란드) 데니쉬 크라운(덴마크) 제스프리(뉴질랜드) 선키스트(미국) 네슬레(스위스) 등과 같은 세계적 대표 브랜드 육성이 필요하다

2 고부가가가치 농식품 수출 확대계절성이 높은 1차 농산물을 수출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2 middot 3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

치 상품을 수출하여 채산성을 높이고 수출상품을 연중 수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농식품 수출을 빠르게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품목 측면에서 최근 수출 증가율이 높은 가공농식품 중심으로 수출증대 전략을 마련하고 신선농식품 중에서는 수출 비중과 수출 증가율이 큰 과실류와 인삼류 화훼류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수출 증대 효과가 높을 것이다 김치류 등 수출 비중이 크지만 수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은 수출을 감소시킨 원인을 찾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 품목군에서도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간에 다르게 나타난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적 식문화의 세계화를 통해 국산 농식품 및 식자재의 수출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세계적인 건강식품 음식으로 이미 떠오른 김치와 비빔밥이외에도 더 많은 전략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연관된 식자재를 체계적으로 수출하는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식이 세계인의 입맛에 맞을 수 있도록 맛의 표준화를 정립하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메뉴를 개발하고 중점 지원하며 국산 식재료 유통구조의 대형화와 전문화를 통해 국산 식재료가 한식과 세계인의 식재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현재 전 세계 180여개국에 걸쳐 널리 퍼져있는 700만 재외동포와 한민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농식품 수출의 교두보로 삼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즉 해외동포기업들을 우리 농식품 및 식자재 수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전 세계

132

한국교민은 700만 명으로 화교(5500만 명) 유태인(860만 명)에 이어 세계 3번째 규모이다

약 7300개 한국 기업이 아시아 미주 유럽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지 종사자 규모가 약 150만 명에 이르며 해외 한식당은 약 1만 개로 추정된다 이들 해외 거주자는 우선적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될 수 있다

3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 우리 농식품기업의 해외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예컨대 국제적인 농식품 기업을 인수함

으로써 해외 생산기지와 유통망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보유 잉여자금을 이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해외투자활동이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농식품의 수출확대 과정에서 정부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과제 중의 하나는 국내 농어민의 소득 향상과 연계되는 수출방안의 모색이다 사실 현재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비중이 낮고 주로 가공식품위주를 이루고 국내 농업과 연관성이 높은 신선식품의 비중은 크지 않아 수출을 통한 농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농어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농식품 수출이 되도록 더 많은 정책적 고민과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2009년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가공식품은 53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선식품 수출비중이 높은 수산물을 제외하면 신선농축식품 수출비중은 15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농식품 수출이 실질적으로 국내 농어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농어민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어업과 연계된 수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수출유망 품목 발굴 노력과 함께 품목별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수출을 조직화규모화함으로써 과당경쟁 등 우리나라 수출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외에서의 거래교섭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중소규모 수출단지와 영세업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촉진하여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Dole과 선키스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 네덜란드의 그리너리와 같은 세계적인 수출조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식품 수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신선농식품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자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수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파프리카 화훼 버섯 등의 경우에도 종자부터 시설기자재까지 네덜란드 등 농업선진국에 의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9: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15

Ⅲ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과 여건위기와 기회의 공존

1 세계 농식품 교역현황WTO 체제 출범과 FTA 체결확대로 세계 농식품교역 규모는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이

다 2008년 세계 농식품 수출규모는 약 1조 5775억 달러로 2000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세계적인 FTA체결 확산과 WTO DDA 협상의 타결 등 농식품 무역장벽의 축소와 철폐 움직임으로 농식품 교역규모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2015년에 세계 인구가 약 73억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농식품 교역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

(단위억 달러)

자료Global trade atlas(2008)

lt그림 4gt 세계 농식품 교역(수출기준) 규모 현황

그러나 주요 국가의 농식품 수출액에 비하여 우리의 수출규모는 매우 작다 우리나라는 일본 중국을 비롯하여 대만 동남아 인도 등 세계 인구 절반에 가까운 농식품 소비시장과 인접한 지리적 이점을 갖추고도 2008년 농식품 수출액은 44억 달러로 세계 농식품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3에 불과하다

하지만 우리와 같이 농경지 규모가 아주 작은데도 불구하고 첨단원예 가공품을 생산하

116

여 대량 수출하는 네덜란드 이스라엘 같은 나라도 있다 특히 네덜란드는 2008년 농식품 수출액이 약 1013억 달러로 미국(약 1400억 달러)에 이어 전 세계 2위를 차지한다 네덜란드는 10400ha의 첨단 유리온실에서 고품질 화훼 관상식물 채소를 생산하고 국내외 가공원료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생산하는 한편 전세계로부터 화훼를 수입하여 중개무역을 함으로써 수출농업 대국이 되었다

즉 네덜란드는 1차 농산물 생산에 국한하지 않고 국내외 원료 농산물을 이용한 가공산업을 발전시켜 농식품 부문 전체의 부가가치를 확대하고 있다

lt표 4gt 주요국 농식품 수입시장에서 한국산 비중(단위백만 달러 )

국 가 수입규모 한국산(비중) 주요 수입국일 본 81269 1478(18) 미국(261) 중국 호주 등중 국 62648 341(05) 미국(224)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미 국 111425 387(04) 캐나다(246) 멕시코 중국 등러 시 아 34680 129(04) 브라질(117) 미국 독일 등

자료Global Trade atlas(2008)

2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현황 및 요인 분석 가 수출현황과 특징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상황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식품 수출은 완만하게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이다 연도별 농식품 수출액은 1995

년 342억 달러에서 2009년 481억 달러로 연평균 32씩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증가 속도는 1995sim2009년 같은 기간 동안 연평균 102씩 증가한 우리나라 전체 수출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완만한 수준이다

둘째 농식품 수출액 규모는 점차 증가해 왔으나 국가 전체 수출액 대비 농식품 수출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국가전체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농식품 비중은 1971년 27에서 1995년 27 2000년 이후 10대로 하락하였다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액은 2009년 약 481억 달러로 국가전체 수출액 3635억 달러 가운데 13를 차지하고 있다

117

lt표 5gt 국가 전체 수출액 대비 농식품 수출 비중 (단위백만 달러 )구 분 1971 1977 1995 1998 2007 2008 2009

국가전체(A) 1068 10046 125058 132313 371489 422007 363534농 식 품(B) 285 1592 3419 2999 3759 4402 4809비 중(BA) 267 158 27 23 10 10 13자료농림수산식품부

셋째 신선농산물 보다 가공품 형태의 농식품 수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주력 수출품목이었던 수산식품과 신선 농식품의 수출이 거의 정체된 반면 가공 농식품의 수출은 크게 증가하여 전체 농식품 수출에서 가공농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1995년 약 32

수준에서 2009년에 약 53로 늘어났다 예컨대 상위 10대 수출품의 경우 1999년도에 주력 품목이었던 돼지고기 굴 붕장어 밤 등 원료형 농식품이 탈락한 반면에 2009년도에는 권련 커피조제품 소주 등 가공형 식품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lt그림 5gt 연도별 농식품 수출액

넷째 대일 수출 의존도가 감소하고 있는 반면에 수출선 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으로의 수출이 크게 감소한 반면 중국 미국 러시아 등으로의 수출증가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시장다변화가 진척되고 있다 대일본 농식품 수출비중은 1999년 66에서 2009년 33로 줄어들었다 이렇게 농식품 수출의 대일 수출비중이 감소한 대신 같은

118

기간동안 중국은 47에서 118 미국은 63에서 97 러시아는 19에서 47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미국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대상국 2위였으나 2007년 이후 중국으로의 수출이 미국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중국이 우리나라 농식품의 주요 수출시장으로 부상하였다

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lt그림 6gt 국가별 농식품 수출액

나 산업간 무역 및 산업내 무역 패턴의 변화국제무역이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두 가지 무역 패턴인 산업간 무역(Inter985103Industry

Trade)과 산업내 무역(Intra985103Industry Trade) 개념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의 무역패턴 변화를 분석하였다2)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헥셔985103오린(Heckscer985103Olin) 이론에 근거한 산업간 무역은 국가간 특화구조에 의해 교역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며 산업내 무역은 품질이나 브랜드차이 등으로 인한 독점적경쟁의 산업구조에서 발생하는 교역형태를 의미한다 우선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품목간 무역 형태를 분석하기 위해 무역 보완도(Index of

Trade Conformity)를 식 (1)을 통해 계측하였다 식 (1)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품목별

2) 산업내 무역지수와 산업간 무역지수 계측을 위해 UN985103comtrade 무역통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대상 품목은 국제적으로 농수산물로 인정되는 HS 2단위 기준 1sim24호에 속하는 품목으로 설정하였다(단 실질적인 분석에는 HS 6단위를 기준으로 구성된 무역자료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분석대상 국가는 200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와 농식품 교역이 가장 활발한 10개국으로 선정하였으며(한국무역협회자료) 분석 기간은 1995년에서 2008년으로 하였다

119

비중과 수출대상국의 품목별 수입비중을 이용하여 무역보완도를 계측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해당상품 수출구조와 교역 대상국의 수입구조가 비슷할수록 1에 가까워진다 즉 무역보완도 지수가 1에 가까울수록 우리의 수출상품이 교역대상국의 주요 수입품임을 의미하며 양국간에 교역의 특화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는 상품 수출액이 국(우리나라)의 전체 농식품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 수입액이 국(교역대상국)의 전체 농식품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1)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 주요 수출대상국 중 중국을 제외하고

1995년 이후 전반적으로 무역보완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농식품 10대 교역대상국을 대상으로 측정한 평균 무역보완도는 1995년 015에서 2008년 021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1995년 WTO 출범 이후 농식품 시장개방확대 추세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무역 역시 주요 교역대상국과 분업화와 특화가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구 분 1995년(A) 2000년 2005년 2008년(B) 보완도 차이(B985103A)호 주 0251 0292 0432 0420 0169 브 라 질 0056 0045 0076 0063 0007 중 국 0048 0058 0042 0031 9851030016 일 본 0292 0329 0409 0360 0068 뉴질랜드 0218 0242 0408 0351 0133 필 리 핀 985103 0093 0116 0081 0081 러 시 아 0034 0089 0171 0175 0141 태 국 0170 0152 0228 0236 0066 미 국 0148 0143 0263 0256 0108 베 트 남 985103 0063 0093 0102 0102 평 균 0152 0151 0224 0207 0055

lt표 6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무역 보완도 지수

주평균은 2009년 농식품 무역액을 기준으로 선정된 주요 10개국의 무역보완도 지수 산술평균을 의미한다자료UN985103comtrade 무역자료를 이용한 추정치

120

다음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교역의 산업내 무역지수를 식 (2)를 통해 계측하였다 식 (2)

는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을 구성하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을 가지고 산업내 무역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즉 농식품 산업에 속해 있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이 유사할수록 산업내 무역비중이 1에 가까워진다 일반적으로 농식품분야의 산업내 무역은 교역대상국 사이의 생산 계절성차이 품질차이 및 소비자 선호도 차이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2)

식 (2)를 이용한 추정결과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내 무역지수는 1995년 009에서 2002

년 024까지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그 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면서 2008년에는 015로 나타났다

lt그림 7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산업내 무역 지수

121

연도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농식품 분야도 산업내무역이 상당수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가격 품질 부위별 소득계층 주요 소비처 등의 선호도 차이와 생산의 계절적 차이에 따라 수출과 수입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돼지고기 김치 인삼 키위 등이 대표적 품목이다 따라서 최근 감소 추세에 있는 산업내 무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향후 주요 무역상대국을 대상으로 산업내 무역이 가능한 농식품을 발굴하는 것도 농식품 수출확대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정책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다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 분석여기서는 계량경제학적 추정방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을 분석

하였다 특히 향후 농식품의 높은 수출가능성으로 일반적으로 언급되어지는 우리나라와 가까운 거리에 일본 중국 등 대규모 농식품 소비시장의 존재가 실제 농식품 수출에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분석의 목표로 삼아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본 분석에서 설정한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추정모형은 기본적으로 중력모형을 응용한 식 (3)과 같다

In =In ()+In (

)+In ( )+

+In (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3)

vt = 국가별 확률효과 v t~iid N(oσ2v) εjt = 교란항 ε jt~iid N(oσ2ε)

주지하다시피 추정식 (3)은 일반적인 중력모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중력모형이 양 국가간의 교역(수출입)을 총체적으로 다룬 반면 여기서는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중력모형 중 우리나라의 1인당 GDP를 제외한 수출방정식을 설정하였다(Mary 2004) 식 (3)에서 는 국가별 확률효과를 나타내며 변수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별 특성을 나타낸다3)

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는 lt표 7gt과 같다 본고에서는 중력 모형에 포함되어 있는 1인당 GDP나 거리 변수 이외에 다양한 변수를 포함시켰다 우선 수출의 경우 환율에 영향을

3) 통상적인 패널 분석에서는 와 다른 설명변수들 간의 독립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추정결과의 일치성(consistency)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고정효과모형이 더 선호된다 하지만 패널 토빗모형에서는 패널이 충분히 길지 않는 한 오히려 고정효과 추정치의 일치성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확률효과 추정법이 더 선호된다(Cameron and Trivedi 2005 pp 800985103801) 따라서 본고 역시 이를 따르기로 한다

122

많이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역대상국과 우리나라의 환율을 포함시켰으며 앞서 분석한 무역보완도지수를 설명변수로 채택하여 농식품 교역이 특화되어 있는 정도가 농식품 수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무역장벽이라고 할 수 있는 관세를 포함시켰으며 각 국가의 개방도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WTO 가입여부와 우리나라와의 FTA 체결여부를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와 교역국간의 경제협력 수준을 반영하기 위해 해외직접투자액을 대리변수(proxy variable)로 사용하였다4) 또한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분석 대상국가로 설정하였고 분석기간은 1995년부터 2008년까지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는 패널데이터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품목별 수출량이 0인 연도도 존재하는 점을 감안하여5) 계량적 추정방법으로 김한호(2009) 등에서 사용한 패널토빗 계량모형(panel tobit model)을 이용하였다

변 수 설명 및 자료X jt 주요 10개국에 대한 품목별 수출액UN comtrade자료

distance 한국과의 거리한국과 교역국의 수도 간 거리 (단위Km)httpdistancecalculatorglobefeedcom

교역 대상 국가의 1인당 국민 소득(UNSD 자료와 인구통계 활용)

exchange 한국통화가치수출국통화가치 해외직접투자(한국수출입 은행 해외투자통계 자료)

conformity 무역 보완도지수 관세WTO 자료 WTO가입 여부국가별 가입 연도 기준 FTA 체결 여부국가별 체결 연도 기준

lt표 7gt 통계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 및 내용

주관세의 경우 WTO가 제공하는 각국의 품목별 관세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제공하지 않는 연도에 대해서는 이전 연도의 관세율과 같다고 가정하였다

4) 단 본고에서는 수출액과 해외직접투자가 0인 경우 1로 치환하여 로그값으로 전환시켜 자료의 손실을 줄이고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이러한 점은 본 분석의 한계라고도 볼 수 있다 즉 전체 교역액을 기준으로 대상국가를 선정하였기 때문에 해당 대상국이 실제로 해당 품목의 주요 교역국이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품목별로 주요 대상국을 설정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5) 이는 수출의 경우 0이상의 값만을 가지며 0이하의 값은 관찰되지 않기 때문이며 본고에서는 이를 0이상을 기준으로 데이터가 censored 되었다고 가정하였다

123

품목군별 추정결과는 아래 lt표 8gt sim lt표 10gt과 같으며 여기서는 주요 품목별로 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추정된 설명변수를 중심으로 수출 결정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교역대상국이 WTO 가입국 일수록 우리나라의 과실류의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그리고 신선채소류의 경우 관세가 낮을수록 화훼류는 FTA 체결국 일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과실류 (t 값) 신선 채소류 (t 값) 화훼류 (t 값)ln (fdi) 0165 (246) 0040 (035) 9851030063 (985103066)

ln (distance) 9851030543 (985103312) 9851030193 (985103164) 9851030223 (985103093)

ln (Yit Pit) 9851031015 (985103188) 0207 (053) 0400 (058)

ln (exchange) 0479 (196) 9851030210 (985103112) 0350 (108)

conformity 0115 (317) 0012 (037) 0034 (076)

tariff 0040 (142) 9851030443 (985103199) 0025 (071)

WTO 1645 (191) 9851031410 (985103129) 9851031262 (985103109)

FTA 9851030625 (985103057) 1444 (098) 4400 (297)

상수항 11106 (273) 5200 (181) 9851030232 (985103005)

σ v1) 1279 (307) 0539 (098) 1787 (357)

σ ε 1818 (1476) 2260 (1330) 2421 (1268)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8) 134(22) 134(36)

모형적합성 검증(Wald) 2896(p=0000) 2649(p=0001) 1398(p=0082)

lt표 8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과실류 신선 채소류 화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축산물(신선+가공)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9gt 참조) 그리고 교역 대상국이 FTA체결국인 경우 축산물 수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 축산물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

124

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산가공품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대상국이 FTA

체결국인 경우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전체 (t 값) 신선 (t 값) 가공 (t 값)ln (fdi) 0195 (210) 0366 (445) 0144 (106)

ln (distance) 9851030429 (985103244) 985103311 (985103233) 9851030707 (985103217)

ln (Yit Pit) 0195 (035) 0372 (080) 0579 (063)

ln (exchange) 0002 (001) 0077 (042) 9851030202 (985103046)

conformity 9851030022 (985103053) 9851030010 (985103026) 9851030098 (985103158)

tariff 0044 (155) 0041 (160) 0037 (071)

WTO 0053 (005) 9851030973 (985103091) 0184 (011)

FTA 3285 (225) 1458 (089) 5013 (261)

상수항 4083 (097) 0991 (985103027) 3135 (044)

σ v1) 1069 (278) 134e98510317 (000) 2344 (278)

σ ε 2449 (1413) 2866 (1351) 3096 (1170)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8) 134(32) 132(48)

모형적합성 검증(Wald) 2558(p=0001) 4400(p=0001) 2027(p=0009)

lt표 9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축산물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낙농품은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높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10gt 참조) 또한 교역국과 FTA를 체결할 경우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낙농품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곡물류 수출의 경우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5

변 수 낙농품 (t 값) 곡물류 (t 값)ln (fdi) 0190 (227) 0049 (101)

ln (distance) 9851030515 (985103176) 9851030532 (985103330)

ln (Yit Pit) 9851030686 (985103095) 9851030331 (985103079)

ln (exchange) 0863 (226) 0243 (119)

conformity 0097 (243) 0003 (014)

tariff 9851030190 (985103072) 9851030301 (985103190)

WTO 9851030148 (985103013) 1083 (164)

FTA 3946 (306) 0280 (037)

상수항 9030 (169) 13758 (421)

σ v1) 2113 (341) 1166 (344)

σ ε 2114 (1411) 1266 (1549)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7) 134(0)

모형적합성 검증(Wald) 3450 (p=0000) 1695(p=0031)

lt표 10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낙농품 곡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분석된 대부분 품목군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의 거리가 국산 농식품 수출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농식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부피에 비해 가격이 낮아 수송비가 교역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외에도 교역대상국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생산 및 식생활소비 패턴이 유사할 가능성이 높아 수출 증대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인접하면서 큰 농식품 시장이 있는 중국 일본 대만 중앙아시아 아세안 등에 대한 수출증가 가능성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일류 축산 특히 신선 축산물 낙농 등의 경우 해외직접투자가 많을 수록 수출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교포나 주재원 등의 수요가 많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126

3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과 기회요인가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주요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농식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쟁력 있는 대표 상품이 부족하다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은 14개로 대부분 가공식품이고 신선농산물은 4개에 불과하다

구 분 1999 2009(P)신 선 돼지고기 인삼 밥 김치 인삼 김치 파프리카 배가 공 자당 라면 소주 합판 권련 커피제조품 라면 자당 소주 비스킷수 산 참치 굴 붕장어 오징어 참치 오징어 김 넙치

lt표 11gt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

둘째 수출업체의 영세성으로 해외시장개척 및 국제경쟁력이 취약하고 수출업체의 난립으로 과잉경쟁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2008년 농식품 수출기업 921개 중 1천만 달러 이상은 22개(전체의 24)에 불과하며 1백만 달러 미만 수출업체는 689개(748)에 달한다

셋째 고품질 수출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기반이 미흡하다 수출거래 관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출 시장에서 원하는 품목과 물량을 원하는 시기에 공급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급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 생산 및 출하규모가 영세하고 내수 중심의 경영구조이기 때문에 수출거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적시 적량

정품 공급 기반이 미흡하다 수출 품목의 안전성과 품질이 담보되는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규모가 큰 수출조직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동시에 가공용 농식품 제조를 위한 품질과 가격경쟁력이 있는 원료농산물 공급기반도 미흡하다

넷째 효과적인 수출 물류 시스템 구축이 되어 있지 않다 수출 농식품의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저온유통 시스템이 가능한 물류 구축이 요구된다 하지만 국내 수출 물류시설 및 시스템이 낙후되어 신선도 및 품질 관리가 어렵고 경쟁력 제고에 한계가 많다 수출용 농식품의 국내 출하에서부터 수출 소비시장까지의 수송 저장에 필요한 냉장탑차 예냉저온선별 및 저장시설 냉장컨테이너 등의 시설 여건이 열악하여 품질 저하 감모 및 폐기물량 증가로 수출경쟁력을 제고시키기에 어려움이 많다

127

다섯째 체계적인 수출시장 개척 및 확대 시스템이 미흡하다 수출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하고 수출물량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국 도매업체와 대형판매점의 유통채널 진입과 긴밀한 네트워크유지가 필요하지만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KOTRA

유통공사 한인회 한상 등의 네트워크화를 통한 홍보 판촉 마케팅활동이 저조하다 이외에도 수출국 소매업체나 소비자들의 한국산 농식품 인지도 선호도 파악을 통한 수출 유망품목 수출 잠재품목 개발육성이 저조한 실정이다 수출국 시장 소비자 트렌드 및 라이프 스타일 조사 분석(Consumer Trends amp Lifestyle Analysis)을 통한 효과적 수요 창출 전략이 미흡하다 특히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별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나 농식품 수출의 기회요인 향후 DDA 농업협상의 타결과 FTA 체결 확대로 세계 농식품 교역규모는 큰 폭으로 증

가하여 우리 농식품 수출 증대에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DDAFTA 등으로 인한 관세 비관세 장벽 완화는 한국 농식품시장의 개방 확대와 동시에 수출시장이 확대되는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중국 인도 등 신흥경제권의 경제성장과 소득 증대로 우리나라의 고품질 차별화된 농식품의 수출확대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는 앞서 분석한 수출요인 결정모형의 분석 결과와 연관지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주요 국가와의 FTA의 체결과 해외진출 및 투자의 증가 교역국의 소득 증가 그리고 가까운 거리에 대규모 농식품 수출시장의 존재 등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즉 이러한 농식품 수출여건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은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식품 수출시장이 일본 중심에서 중국 러시아 동남아지역 등으로 다변화되어 가고 있어 시장개척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세계 농식품 시장규모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우리나라 주요 수출대상국의 농식품 수입규모도 증가 추세에 있다 우리 농식품수출의 60 가량을 점유하는 일본middot미국middot중국middot러시아 4개국의 수입규모가 최근 5년간 1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008 Global trade atlas)

우리 농식품의 주요 수출 유망국가에서 식문화의 글로벌화 및 웰빙middot건강식품 선호추세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한식의 세계화가 진전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2008년부터 본격적인 한식세계화 사업추진으로 식문화 수출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슬로우 푸드 건강 middot 기능성식품 수요증가에 따라 저열량 middot 건강식으로서 한식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128

이에 2009년의 경우 세계적 경기침체로 해외에서 우리와 경쟁관계에 있는 주요 선진농업국의 농식품수출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우리 농식품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강 점 (S) 약 점 (W)

인근 거대 잠재시장 존재한국식품에 대한 관심 고조높은 잠재 가능성(다양한 발효 식품 우수한 식문화)

국가대표 수출상품 부족 영세한 수출 구조기술 및 안전관리 수준 등이 선진국과 격차

(O)

세계 교역규모 증가안전middot기능성 관심 증가식문화 글로벌 확산

S ndash O 전략

한식 세계화 전략 구사수출 상품화수출지향 식품클러스터 조성

W ndash O 전략

수출전문 생산단지 설치식재료 및 기능식 상품화식품기업 해외진출 지원

(T)

세계적 경제 침체가격경쟁력 취약구제역 AI 등 안전성관리 애로

S ndash T 전략

잠재력 높은 신시장 개척수출유망품목 발굴 강화수출상품 고부가가치화수출상품 브랜드화

W ndash T 전략

국가대표 수출상품 육성수출 조직화 및 규모화RampD를 통한 신품목개발수출상품 안전체계 구축

lt그림 8gt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 분석(SWOT)

더욱이 정부가 2012년까지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 목표를 설정하고 다각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모색 중에 있어 어느 때보다 농식품 수출에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우선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과거와 달리 정부가 농식품 수출 목표를 높게 잡고 열심히 해보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지금까지 진행된 경제발전과정과 WTO 출범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무역자유화 시대에서 가장 취약한 산업부문으로 여겨져 찬밥신세를 면치 못하던 우리 농수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상징적 지표다 국내 농어업이 2000년 이후 성장정체 경향을 보이고 있는 현실에서 농식품 수출 확대를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신성장 동력원으로써 물꼬를 트겠다는 적극적 자세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수출선도조직 육성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 고품질 수출농식품의 안정적인 생산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려

129

하고 있다6) 수출선도조직과 수출업체의 생산 공급 계열화 시스템은 2009년 10개 품목 13

개 조직에서 2010년 18개 품목 21개 조직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노력은 생산농가985103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균일화된 고품질 농식품의 안정적인 공급으로 해외거래처와의 신뢰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수출업체 간 저가수출과당경쟁 방지 및 공동판촉 등 협력사업 수행으로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자율협력기구인 수출협의회가 구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 품목별 수출업체의 자율협력기구(수출협의회)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농식품 수출활성화 도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Ⅳ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

1 품목별로 차별화된 수출 확대 전략 수립앞서 수출증대요인 분석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품목별 또는 품목군별로 수출결정 요인

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품목별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한 수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무역보완도가 중요한 수출결정요인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 무역보완성이 높은 국가의 시장에 대한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류 내 품목별로 무역보완성을 고려한 목표 시장을 설정하여 수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과실류와 축산물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규모나 시장개방의 정도 즉 WTO 가입이나 FTA 체결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품목의 경우 국내 기업이 많이 진출하고 있거나 시장개방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 국가가 주요 수출시장으로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출결정인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품목별로 주요 수출대상 국가별 수출저해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특히 2012년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라는 수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수출 기반 조성과 방법으로 수출을 추진해야 한다 농식품 수출의 장애요인 발굴과 제거하는 과정은 품목별 국가별 여건과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수출 목표를 빠르게 달6) 수출선도조직은 농식품 수출업체가 생산농가(lsquo생산자조직rsquo 포함)와 상호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고 수

출업체 주도로 품종선택부터 재배 수확 선별 포장 수출 안전성 및 품질관리 정산 농가교육 등의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함으로써 수출 농식품의 경쟁력을 높여 수출확대를 선도하는 조직을 말한다

130

성하기 위해서는 수출 비중과 증가율이 큰 품목과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확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수출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 장애요인 제거 방법도 보다 큰 틀에서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앞서 수출 유망 국가 및 시장 선택에 있어서는 수출결정요인 분석 결과와 함께 수출시장별 기회잠재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차별화된 시장 개척과 확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즉 국가별 수출시장 여건 및 특성에 맞추어 수출증대 노력을 기울여야 효과적인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해외시장에서 성공한 우리 농식품들은 고품질과 단일브랜드 현지형 마케팅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야 한다 특히 한반도를 중심으로 반경 19851032시간 권 안에 있는 중국 일본 대만 등 우리에게 새롭게 열린 시장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수출 확대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해외동포나 현지 교민의 직접적인 수요에 의존한 수출방식에서 이들 국가의 해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방식으로 전환하여 신규 수출수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공급 수출지원시스템 간의 밀접한 상호연계 체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2012년 100억 달러 농식품 수출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현재의 수출증가율을 큰 폭으로 상회해야 하므로 민간 차원에서 하기 힘든 수출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대규모 수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외 농식품 생산 유통업체간 전략적 글로벌 공동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반도를 동아시아 농식품 허브로 개발 육성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극적인 세계 유명 식품 박람회 참가 바이어초청 등을 통해 신규거래선 개척을 지원하여 수출업체985103바이어 간 만남의 장 마련으로 더 많은 수출기회를 제공해 나가야 한다 또한 해외 대형 바이어와의 MOU 체결 주요 식품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한국식품 직수출 유통채널 확보 및 장기대규모 소비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국내적으로도 농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수출유관기관의 역할분담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수출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외교통상부middot무역협회middotKOTRA 각종 협회 해외한인회 등 공공부문 및 민간조직과의 협력방안도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 대표급 주력 수출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2009년 현재 기준 5천만 달러 이상 수출되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은 인삼(1억 달러 rsquo09년) 김치(89백만 달러) 배(54백만 달러) 파프리카(53백만 달러) 정도이고 그 외에 이렇다할 만한 주력 수출상품이 없다는 것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품목별 수출결정요인과 함께 시장의 특성 선호도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전략수출상품을 집중 육성할 필요

131

가 있다 현재 수출규모가 큰 김치 인삼 돼지고기 배 면류 주류 과자류 참치 오징어

김 등은 현재보다 수출규모를 확대하고 세계적인 상품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또한 삼계탕

버섯류 유자차 화훼 전복 넙치 굴 등 농어민 소득증대가 크고 수출성장 가능성이 큰 품목의 발굴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농가985103 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안전성품질관리가 가능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경영체로 육성함으로써 균일화된 고품질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해외 거래선의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 기술과 자본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통해 해외 유통망 확보 노력과 함께 세계인들의 입맛을 붙잡는 그리너리(네델란드) 데니쉬 크라운(덴마크) 제스프리(뉴질랜드) 선키스트(미국) 네슬레(스위스) 등과 같은 세계적 대표 브랜드 육성이 필요하다

2 고부가가가치 농식품 수출 확대계절성이 높은 1차 농산물을 수출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2 middot 3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

치 상품을 수출하여 채산성을 높이고 수출상품을 연중 수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농식품 수출을 빠르게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품목 측면에서 최근 수출 증가율이 높은 가공농식품 중심으로 수출증대 전략을 마련하고 신선농식품 중에서는 수출 비중과 수출 증가율이 큰 과실류와 인삼류 화훼류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수출 증대 효과가 높을 것이다 김치류 등 수출 비중이 크지만 수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은 수출을 감소시킨 원인을 찾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 품목군에서도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간에 다르게 나타난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적 식문화의 세계화를 통해 국산 농식품 및 식자재의 수출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세계적인 건강식품 음식으로 이미 떠오른 김치와 비빔밥이외에도 더 많은 전략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연관된 식자재를 체계적으로 수출하는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식이 세계인의 입맛에 맞을 수 있도록 맛의 표준화를 정립하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메뉴를 개발하고 중점 지원하며 국산 식재료 유통구조의 대형화와 전문화를 통해 국산 식재료가 한식과 세계인의 식재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현재 전 세계 180여개국에 걸쳐 널리 퍼져있는 700만 재외동포와 한민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농식품 수출의 교두보로 삼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즉 해외동포기업들을 우리 농식품 및 식자재 수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전 세계

132

한국교민은 700만 명으로 화교(5500만 명) 유태인(860만 명)에 이어 세계 3번째 규모이다

약 7300개 한국 기업이 아시아 미주 유럽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지 종사자 규모가 약 150만 명에 이르며 해외 한식당은 약 1만 개로 추정된다 이들 해외 거주자는 우선적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될 수 있다

3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 우리 농식품기업의 해외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예컨대 국제적인 농식품 기업을 인수함

으로써 해외 생산기지와 유통망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보유 잉여자금을 이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해외투자활동이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농식품의 수출확대 과정에서 정부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과제 중의 하나는 국내 농어민의 소득 향상과 연계되는 수출방안의 모색이다 사실 현재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비중이 낮고 주로 가공식품위주를 이루고 국내 농업과 연관성이 높은 신선식품의 비중은 크지 않아 수출을 통한 농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농어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농식품 수출이 되도록 더 많은 정책적 고민과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2009년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가공식품은 53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선식품 수출비중이 높은 수산물을 제외하면 신선농축식품 수출비중은 15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농식품 수출이 실질적으로 국내 농어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농어민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어업과 연계된 수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수출유망 품목 발굴 노력과 함께 품목별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수출을 조직화규모화함으로써 과당경쟁 등 우리나라 수출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외에서의 거래교섭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중소규모 수출단지와 영세업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촉진하여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Dole과 선키스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 네덜란드의 그리너리와 같은 세계적인 수출조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식품 수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신선농식품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자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수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파프리카 화훼 버섯 등의 경우에도 종자부터 시설기자재까지 네덜란드 등 농업선진국에 의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10: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16

여 대량 수출하는 네덜란드 이스라엘 같은 나라도 있다 특히 네덜란드는 2008년 농식품 수출액이 약 1013억 달러로 미국(약 1400억 달러)에 이어 전 세계 2위를 차지한다 네덜란드는 10400ha의 첨단 유리온실에서 고품질 화훼 관상식물 채소를 생산하고 국내외 가공원료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생산하는 한편 전세계로부터 화훼를 수입하여 중개무역을 함으로써 수출농업 대국이 되었다

즉 네덜란드는 1차 농산물 생산에 국한하지 않고 국내외 원료 농산물을 이용한 가공산업을 발전시켜 농식품 부문 전체의 부가가치를 확대하고 있다

lt표 4gt 주요국 농식품 수입시장에서 한국산 비중(단위백만 달러 )

국 가 수입규모 한국산(비중) 주요 수입국일 본 81269 1478(18) 미국(261) 중국 호주 등중 국 62648 341(05) 미국(224)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미 국 111425 387(04) 캐나다(246) 멕시코 중국 등러 시 아 34680 129(04) 브라질(117) 미국 독일 등

자료Global Trade atlas(2008)

2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현황 및 요인 분석 가 수출현황과 특징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상황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식품 수출은 완만하게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이다 연도별 농식품 수출액은 1995

년 342억 달러에서 2009년 481억 달러로 연평균 32씩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증가 속도는 1995sim2009년 같은 기간 동안 연평균 102씩 증가한 우리나라 전체 수출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완만한 수준이다

둘째 농식품 수출액 규모는 점차 증가해 왔으나 국가 전체 수출액 대비 농식품 수출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국가전체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농식품 비중은 1971년 27에서 1995년 27 2000년 이후 10대로 하락하였다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액은 2009년 약 481억 달러로 국가전체 수출액 3635억 달러 가운데 13를 차지하고 있다

117

lt표 5gt 국가 전체 수출액 대비 농식품 수출 비중 (단위백만 달러 )구 분 1971 1977 1995 1998 2007 2008 2009

국가전체(A) 1068 10046 125058 132313 371489 422007 363534농 식 품(B) 285 1592 3419 2999 3759 4402 4809비 중(BA) 267 158 27 23 10 10 13자료농림수산식품부

셋째 신선농산물 보다 가공품 형태의 농식품 수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주력 수출품목이었던 수산식품과 신선 농식품의 수출이 거의 정체된 반면 가공 농식품의 수출은 크게 증가하여 전체 농식품 수출에서 가공농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1995년 약 32

수준에서 2009년에 약 53로 늘어났다 예컨대 상위 10대 수출품의 경우 1999년도에 주력 품목이었던 돼지고기 굴 붕장어 밤 등 원료형 농식품이 탈락한 반면에 2009년도에는 권련 커피조제품 소주 등 가공형 식품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lt그림 5gt 연도별 농식품 수출액

넷째 대일 수출 의존도가 감소하고 있는 반면에 수출선 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으로의 수출이 크게 감소한 반면 중국 미국 러시아 등으로의 수출증가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시장다변화가 진척되고 있다 대일본 농식품 수출비중은 1999년 66에서 2009년 33로 줄어들었다 이렇게 농식품 수출의 대일 수출비중이 감소한 대신 같은

118

기간동안 중국은 47에서 118 미국은 63에서 97 러시아는 19에서 47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미국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대상국 2위였으나 2007년 이후 중국으로의 수출이 미국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중국이 우리나라 농식품의 주요 수출시장으로 부상하였다

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lt그림 6gt 국가별 농식품 수출액

나 산업간 무역 및 산업내 무역 패턴의 변화국제무역이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두 가지 무역 패턴인 산업간 무역(Inter985103Industry

Trade)과 산업내 무역(Intra985103Industry Trade) 개념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의 무역패턴 변화를 분석하였다2)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헥셔985103오린(Heckscer985103Olin) 이론에 근거한 산업간 무역은 국가간 특화구조에 의해 교역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며 산업내 무역은 품질이나 브랜드차이 등으로 인한 독점적경쟁의 산업구조에서 발생하는 교역형태를 의미한다 우선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품목간 무역 형태를 분석하기 위해 무역 보완도(Index of

Trade Conformity)를 식 (1)을 통해 계측하였다 식 (1)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품목별

2) 산업내 무역지수와 산업간 무역지수 계측을 위해 UN985103comtrade 무역통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대상 품목은 국제적으로 농수산물로 인정되는 HS 2단위 기준 1sim24호에 속하는 품목으로 설정하였다(단 실질적인 분석에는 HS 6단위를 기준으로 구성된 무역자료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분석대상 국가는 200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와 농식품 교역이 가장 활발한 10개국으로 선정하였으며(한국무역협회자료) 분석 기간은 1995년에서 2008년으로 하였다

119

비중과 수출대상국의 품목별 수입비중을 이용하여 무역보완도를 계측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해당상품 수출구조와 교역 대상국의 수입구조가 비슷할수록 1에 가까워진다 즉 무역보완도 지수가 1에 가까울수록 우리의 수출상품이 교역대상국의 주요 수입품임을 의미하며 양국간에 교역의 특화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는 상품 수출액이 국(우리나라)의 전체 농식품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 수입액이 국(교역대상국)의 전체 농식품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1)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 주요 수출대상국 중 중국을 제외하고

1995년 이후 전반적으로 무역보완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농식품 10대 교역대상국을 대상으로 측정한 평균 무역보완도는 1995년 015에서 2008년 021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1995년 WTO 출범 이후 농식품 시장개방확대 추세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무역 역시 주요 교역대상국과 분업화와 특화가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구 분 1995년(A) 2000년 2005년 2008년(B) 보완도 차이(B985103A)호 주 0251 0292 0432 0420 0169 브 라 질 0056 0045 0076 0063 0007 중 국 0048 0058 0042 0031 9851030016 일 본 0292 0329 0409 0360 0068 뉴질랜드 0218 0242 0408 0351 0133 필 리 핀 985103 0093 0116 0081 0081 러 시 아 0034 0089 0171 0175 0141 태 국 0170 0152 0228 0236 0066 미 국 0148 0143 0263 0256 0108 베 트 남 985103 0063 0093 0102 0102 평 균 0152 0151 0224 0207 0055

lt표 6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무역 보완도 지수

주평균은 2009년 농식품 무역액을 기준으로 선정된 주요 10개국의 무역보완도 지수 산술평균을 의미한다자료UN985103comtrade 무역자료를 이용한 추정치

120

다음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교역의 산업내 무역지수를 식 (2)를 통해 계측하였다 식 (2)

는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을 구성하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을 가지고 산업내 무역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즉 농식품 산업에 속해 있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이 유사할수록 산업내 무역비중이 1에 가까워진다 일반적으로 농식품분야의 산업내 무역은 교역대상국 사이의 생산 계절성차이 품질차이 및 소비자 선호도 차이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2)

식 (2)를 이용한 추정결과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내 무역지수는 1995년 009에서 2002

년 024까지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그 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면서 2008년에는 015로 나타났다

lt그림 7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산업내 무역 지수

121

연도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농식품 분야도 산업내무역이 상당수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가격 품질 부위별 소득계층 주요 소비처 등의 선호도 차이와 생산의 계절적 차이에 따라 수출과 수입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돼지고기 김치 인삼 키위 등이 대표적 품목이다 따라서 최근 감소 추세에 있는 산업내 무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향후 주요 무역상대국을 대상으로 산업내 무역이 가능한 농식품을 발굴하는 것도 농식품 수출확대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정책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다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 분석여기서는 계량경제학적 추정방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을 분석

하였다 특히 향후 농식품의 높은 수출가능성으로 일반적으로 언급되어지는 우리나라와 가까운 거리에 일본 중국 등 대규모 농식품 소비시장의 존재가 실제 농식품 수출에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분석의 목표로 삼아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본 분석에서 설정한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추정모형은 기본적으로 중력모형을 응용한 식 (3)과 같다

In =In ()+In (

)+In ( )+

+In (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3)

vt = 국가별 확률효과 v t~iid N(oσ2v) εjt = 교란항 ε jt~iid N(oσ2ε)

주지하다시피 추정식 (3)은 일반적인 중력모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중력모형이 양 국가간의 교역(수출입)을 총체적으로 다룬 반면 여기서는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중력모형 중 우리나라의 1인당 GDP를 제외한 수출방정식을 설정하였다(Mary 2004) 식 (3)에서 는 국가별 확률효과를 나타내며 변수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별 특성을 나타낸다3)

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는 lt표 7gt과 같다 본고에서는 중력 모형에 포함되어 있는 1인당 GDP나 거리 변수 이외에 다양한 변수를 포함시켰다 우선 수출의 경우 환율에 영향을

3) 통상적인 패널 분석에서는 와 다른 설명변수들 간의 독립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추정결과의 일치성(consistency)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고정효과모형이 더 선호된다 하지만 패널 토빗모형에서는 패널이 충분히 길지 않는 한 오히려 고정효과 추정치의 일치성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확률효과 추정법이 더 선호된다(Cameron and Trivedi 2005 pp 800985103801) 따라서 본고 역시 이를 따르기로 한다

122

많이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역대상국과 우리나라의 환율을 포함시켰으며 앞서 분석한 무역보완도지수를 설명변수로 채택하여 농식품 교역이 특화되어 있는 정도가 농식품 수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무역장벽이라고 할 수 있는 관세를 포함시켰으며 각 국가의 개방도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WTO 가입여부와 우리나라와의 FTA 체결여부를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와 교역국간의 경제협력 수준을 반영하기 위해 해외직접투자액을 대리변수(proxy variable)로 사용하였다4) 또한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분석 대상국가로 설정하였고 분석기간은 1995년부터 2008년까지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는 패널데이터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품목별 수출량이 0인 연도도 존재하는 점을 감안하여5) 계량적 추정방법으로 김한호(2009) 등에서 사용한 패널토빗 계량모형(panel tobit model)을 이용하였다

변 수 설명 및 자료X jt 주요 10개국에 대한 품목별 수출액UN comtrade자료

distance 한국과의 거리한국과 교역국의 수도 간 거리 (단위Km)httpdistancecalculatorglobefeedcom

교역 대상 국가의 1인당 국민 소득(UNSD 자료와 인구통계 활용)

exchange 한국통화가치수출국통화가치 해외직접투자(한국수출입 은행 해외투자통계 자료)

conformity 무역 보완도지수 관세WTO 자료 WTO가입 여부국가별 가입 연도 기준 FTA 체결 여부국가별 체결 연도 기준

lt표 7gt 통계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 및 내용

주관세의 경우 WTO가 제공하는 각국의 품목별 관세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제공하지 않는 연도에 대해서는 이전 연도의 관세율과 같다고 가정하였다

4) 단 본고에서는 수출액과 해외직접투자가 0인 경우 1로 치환하여 로그값으로 전환시켜 자료의 손실을 줄이고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이러한 점은 본 분석의 한계라고도 볼 수 있다 즉 전체 교역액을 기준으로 대상국가를 선정하였기 때문에 해당 대상국이 실제로 해당 품목의 주요 교역국이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품목별로 주요 대상국을 설정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5) 이는 수출의 경우 0이상의 값만을 가지며 0이하의 값은 관찰되지 않기 때문이며 본고에서는 이를 0이상을 기준으로 데이터가 censored 되었다고 가정하였다

123

품목군별 추정결과는 아래 lt표 8gt sim lt표 10gt과 같으며 여기서는 주요 품목별로 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추정된 설명변수를 중심으로 수출 결정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교역대상국이 WTO 가입국 일수록 우리나라의 과실류의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그리고 신선채소류의 경우 관세가 낮을수록 화훼류는 FTA 체결국 일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과실류 (t 값) 신선 채소류 (t 값) 화훼류 (t 값)ln (fdi) 0165 (246) 0040 (035) 9851030063 (985103066)

ln (distance) 9851030543 (985103312) 9851030193 (985103164) 9851030223 (985103093)

ln (Yit Pit) 9851031015 (985103188) 0207 (053) 0400 (058)

ln (exchange) 0479 (196) 9851030210 (985103112) 0350 (108)

conformity 0115 (317) 0012 (037) 0034 (076)

tariff 0040 (142) 9851030443 (985103199) 0025 (071)

WTO 1645 (191) 9851031410 (985103129) 9851031262 (985103109)

FTA 9851030625 (985103057) 1444 (098) 4400 (297)

상수항 11106 (273) 5200 (181) 9851030232 (985103005)

σ v1) 1279 (307) 0539 (098) 1787 (357)

σ ε 1818 (1476) 2260 (1330) 2421 (1268)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8) 134(22) 134(36)

모형적합성 검증(Wald) 2896(p=0000) 2649(p=0001) 1398(p=0082)

lt표 8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과실류 신선 채소류 화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축산물(신선+가공)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9gt 참조) 그리고 교역 대상국이 FTA체결국인 경우 축산물 수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 축산물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

124

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산가공품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대상국이 FTA

체결국인 경우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전체 (t 값) 신선 (t 값) 가공 (t 값)ln (fdi) 0195 (210) 0366 (445) 0144 (106)

ln (distance) 9851030429 (985103244) 985103311 (985103233) 9851030707 (985103217)

ln (Yit Pit) 0195 (035) 0372 (080) 0579 (063)

ln (exchange) 0002 (001) 0077 (042) 9851030202 (985103046)

conformity 9851030022 (985103053) 9851030010 (985103026) 9851030098 (985103158)

tariff 0044 (155) 0041 (160) 0037 (071)

WTO 0053 (005) 9851030973 (985103091) 0184 (011)

FTA 3285 (225) 1458 (089) 5013 (261)

상수항 4083 (097) 0991 (985103027) 3135 (044)

σ v1) 1069 (278) 134e98510317 (000) 2344 (278)

σ ε 2449 (1413) 2866 (1351) 3096 (1170)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8) 134(32) 132(48)

모형적합성 검증(Wald) 2558(p=0001) 4400(p=0001) 2027(p=0009)

lt표 9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축산물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낙농품은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높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10gt 참조) 또한 교역국과 FTA를 체결할 경우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낙농품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곡물류 수출의 경우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5

변 수 낙농품 (t 값) 곡물류 (t 값)ln (fdi) 0190 (227) 0049 (101)

ln (distance) 9851030515 (985103176) 9851030532 (985103330)

ln (Yit Pit) 9851030686 (985103095) 9851030331 (985103079)

ln (exchange) 0863 (226) 0243 (119)

conformity 0097 (243) 0003 (014)

tariff 9851030190 (985103072) 9851030301 (985103190)

WTO 9851030148 (985103013) 1083 (164)

FTA 3946 (306) 0280 (037)

상수항 9030 (169) 13758 (421)

σ v1) 2113 (341) 1166 (344)

σ ε 2114 (1411) 1266 (1549)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7) 134(0)

모형적합성 검증(Wald) 3450 (p=0000) 1695(p=0031)

lt표 10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낙농품 곡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분석된 대부분 품목군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의 거리가 국산 농식품 수출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농식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부피에 비해 가격이 낮아 수송비가 교역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외에도 교역대상국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생산 및 식생활소비 패턴이 유사할 가능성이 높아 수출 증대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인접하면서 큰 농식품 시장이 있는 중국 일본 대만 중앙아시아 아세안 등에 대한 수출증가 가능성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일류 축산 특히 신선 축산물 낙농 등의 경우 해외직접투자가 많을 수록 수출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교포나 주재원 등의 수요가 많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126

3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과 기회요인가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주요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농식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쟁력 있는 대표 상품이 부족하다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은 14개로 대부분 가공식품이고 신선농산물은 4개에 불과하다

구 분 1999 2009(P)신 선 돼지고기 인삼 밥 김치 인삼 김치 파프리카 배가 공 자당 라면 소주 합판 권련 커피제조품 라면 자당 소주 비스킷수 산 참치 굴 붕장어 오징어 참치 오징어 김 넙치

lt표 11gt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

둘째 수출업체의 영세성으로 해외시장개척 및 국제경쟁력이 취약하고 수출업체의 난립으로 과잉경쟁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2008년 농식품 수출기업 921개 중 1천만 달러 이상은 22개(전체의 24)에 불과하며 1백만 달러 미만 수출업체는 689개(748)에 달한다

셋째 고품질 수출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기반이 미흡하다 수출거래 관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출 시장에서 원하는 품목과 물량을 원하는 시기에 공급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급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 생산 및 출하규모가 영세하고 내수 중심의 경영구조이기 때문에 수출거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적시 적량

정품 공급 기반이 미흡하다 수출 품목의 안전성과 품질이 담보되는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규모가 큰 수출조직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동시에 가공용 농식품 제조를 위한 품질과 가격경쟁력이 있는 원료농산물 공급기반도 미흡하다

넷째 효과적인 수출 물류 시스템 구축이 되어 있지 않다 수출 농식품의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저온유통 시스템이 가능한 물류 구축이 요구된다 하지만 국내 수출 물류시설 및 시스템이 낙후되어 신선도 및 품질 관리가 어렵고 경쟁력 제고에 한계가 많다 수출용 농식품의 국내 출하에서부터 수출 소비시장까지의 수송 저장에 필요한 냉장탑차 예냉저온선별 및 저장시설 냉장컨테이너 등의 시설 여건이 열악하여 품질 저하 감모 및 폐기물량 증가로 수출경쟁력을 제고시키기에 어려움이 많다

127

다섯째 체계적인 수출시장 개척 및 확대 시스템이 미흡하다 수출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하고 수출물량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국 도매업체와 대형판매점의 유통채널 진입과 긴밀한 네트워크유지가 필요하지만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KOTRA

유통공사 한인회 한상 등의 네트워크화를 통한 홍보 판촉 마케팅활동이 저조하다 이외에도 수출국 소매업체나 소비자들의 한국산 농식품 인지도 선호도 파악을 통한 수출 유망품목 수출 잠재품목 개발육성이 저조한 실정이다 수출국 시장 소비자 트렌드 및 라이프 스타일 조사 분석(Consumer Trends amp Lifestyle Analysis)을 통한 효과적 수요 창출 전략이 미흡하다 특히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별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나 농식품 수출의 기회요인 향후 DDA 농업협상의 타결과 FTA 체결 확대로 세계 농식품 교역규모는 큰 폭으로 증

가하여 우리 농식품 수출 증대에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DDAFTA 등으로 인한 관세 비관세 장벽 완화는 한국 농식품시장의 개방 확대와 동시에 수출시장이 확대되는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중국 인도 등 신흥경제권의 경제성장과 소득 증대로 우리나라의 고품질 차별화된 농식품의 수출확대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는 앞서 분석한 수출요인 결정모형의 분석 결과와 연관지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주요 국가와의 FTA의 체결과 해외진출 및 투자의 증가 교역국의 소득 증가 그리고 가까운 거리에 대규모 농식품 수출시장의 존재 등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즉 이러한 농식품 수출여건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은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식품 수출시장이 일본 중심에서 중국 러시아 동남아지역 등으로 다변화되어 가고 있어 시장개척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세계 농식품 시장규모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우리나라 주요 수출대상국의 농식품 수입규모도 증가 추세에 있다 우리 농식품수출의 60 가량을 점유하는 일본middot미국middot중국middot러시아 4개국의 수입규모가 최근 5년간 1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008 Global trade atlas)

우리 농식품의 주요 수출 유망국가에서 식문화의 글로벌화 및 웰빙middot건강식품 선호추세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한식의 세계화가 진전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2008년부터 본격적인 한식세계화 사업추진으로 식문화 수출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슬로우 푸드 건강 middot 기능성식품 수요증가에 따라 저열량 middot 건강식으로서 한식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128

이에 2009년의 경우 세계적 경기침체로 해외에서 우리와 경쟁관계에 있는 주요 선진농업국의 농식품수출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우리 농식품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강 점 (S) 약 점 (W)

인근 거대 잠재시장 존재한국식품에 대한 관심 고조높은 잠재 가능성(다양한 발효 식품 우수한 식문화)

국가대표 수출상품 부족 영세한 수출 구조기술 및 안전관리 수준 등이 선진국과 격차

(O)

세계 교역규모 증가안전middot기능성 관심 증가식문화 글로벌 확산

S ndash O 전략

한식 세계화 전략 구사수출 상품화수출지향 식품클러스터 조성

W ndash O 전략

수출전문 생산단지 설치식재료 및 기능식 상품화식품기업 해외진출 지원

(T)

세계적 경제 침체가격경쟁력 취약구제역 AI 등 안전성관리 애로

S ndash T 전략

잠재력 높은 신시장 개척수출유망품목 발굴 강화수출상품 고부가가치화수출상품 브랜드화

W ndash T 전략

국가대표 수출상품 육성수출 조직화 및 규모화RampD를 통한 신품목개발수출상품 안전체계 구축

lt그림 8gt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 분석(SWOT)

더욱이 정부가 2012년까지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 목표를 설정하고 다각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모색 중에 있어 어느 때보다 농식품 수출에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우선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과거와 달리 정부가 농식품 수출 목표를 높게 잡고 열심히 해보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지금까지 진행된 경제발전과정과 WTO 출범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무역자유화 시대에서 가장 취약한 산업부문으로 여겨져 찬밥신세를 면치 못하던 우리 농수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상징적 지표다 국내 농어업이 2000년 이후 성장정체 경향을 보이고 있는 현실에서 농식품 수출 확대를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신성장 동력원으로써 물꼬를 트겠다는 적극적 자세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수출선도조직 육성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 고품질 수출농식품의 안정적인 생산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려

129

하고 있다6) 수출선도조직과 수출업체의 생산 공급 계열화 시스템은 2009년 10개 품목 13

개 조직에서 2010년 18개 품목 21개 조직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노력은 생산농가985103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균일화된 고품질 농식품의 안정적인 공급으로 해외거래처와의 신뢰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수출업체 간 저가수출과당경쟁 방지 및 공동판촉 등 협력사업 수행으로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자율협력기구인 수출협의회가 구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 품목별 수출업체의 자율협력기구(수출협의회)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농식품 수출활성화 도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Ⅳ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

1 품목별로 차별화된 수출 확대 전략 수립앞서 수출증대요인 분석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품목별 또는 품목군별로 수출결정 요인

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품목별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한 수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무역보완도가 중요한 수출결정요인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 무역보완성이 높은 국가의 시장에 대한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류 내 품목별로 무역보완성을 고려한 목표 시장을 설정하여 수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과실류와 축산물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규모나 시장개방의 정도 즉 WTO 가입이나 FTA 체결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품목의 경우 국내 기업이 많이 진출하고 있거나 시장개방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 국가가 주요 수출시장으로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출결정인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품목별로 주요 수출대상 국가별 수출저해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특히 2012년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라는 수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수출 기반 조성과 방법으로 수출을 추진해야 한다 농식품 수출의 장애요인 발굴과 제거하는 과정은 품목별 국가별 여건과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수출 목표를 빠르게 달6) 수출선도조직은 농식품 수출업체가 생산농가(lsquo생산자조직rsquo 포함)와 상호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고 수

출업체 주도로 품종선택부터 재배 수확 선별 포장 수출 안전성 및 품질관리 정산 농가교육 등의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함으로써 수출 농식품의 경쟁력을 높여 수출확대를 선도하는 조직을 말한다

130

성하기 위해서는 수출 비중과 증가율이 큰 품목과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확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수출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 장애요인 제거 방법도 보다 큰 틀에서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앞서 수출 유망 국가 및 시장 선택에 있어서는 수출결정요인 분석 결과와 함께 수출시장별 기회잠재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차별화된 시장 개척과 확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즉 국가별 수출시장 여건 및 특성에 맞추어 수출증대 노력을 기울여야 효과적인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해외시장에서 성공한 우리 농식품들은 고품질과 단일브랜드 현지형 마케팅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야 한다 특히 한반도를 중심으로 반경 19851032시간 권 안에 있는 중국 일본 대만 등 우리에게 새롭게 열린 시장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수출 확대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해외동포나 현지 교민의 직접적인 수요에 의존한 수출방식에서 이들 국가의 해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방식으로 전환하여 신규 수출수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공급 수출지원시스템 간의 밀접한 상호연계 체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2012년 100억 달러 농식품 수출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현재의 수출증가율을 큰 폭으로 상회해야 하므로 민간 차원에서 하기 힘든 수출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대규모 수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외 농식품 생산 유통업체간 전략적 글로벌 공동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반도를 동아시아 농식품 허브로 개발 육성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극적인 세계 유명 식품 박람회 참가 바이어초청 등을 통해 신규거래선 개척을 지원하여 수출업체985103바이어 간 만남의 장 마련으로 더 많은 수출기회를 제공해 나가야 한다 또한 해외 대형 바이어와의 MOU 체결 주요 식품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한국식품 직수출 유통채널 확보 및 장기대규모 소비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국내적으로도 농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수출유관기관의 역할분담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수출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외교통상부middot무역협회middotKOTRA 각종 협회 해외한인회 등 공공부문 및 민간조직과의 협력방안도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 대표급 주력 수출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2009년 현재 기준 5천만 달러 이상 수출되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은 인삼(1억 달러 rsquo09년) 김치(89백만 달러) 배(54백만 달러) 파프리카(53백만 달러) 정도이고 그 외에 이렇다할 만한 주력 수출상품이 없다는 것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품목별 수출결정요인과 함께 시장의 특성 선호도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전략수출상품을 집중 육성할 필요

131

가 있다 현재 수출규모가 큰 김치 인삼 돼지고기 배 면류 주류 과자류 참치 오징어

김 등은 현재보다 수출규모를 확대하고 세계적인 상품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또한 삼계탕

버섯류 유자차 화훼 전복 넙치 굴 등 농어민 소득증대가 크고 수출성장 가능성이 큰 품목의 발굴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농가985103 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안전성품질관리가 가능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경영체로 육성함으로써 균일화된 고품질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해외 거래선의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 기술과 자본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통해 해외 유통망 확보 노력과 함께 세계인들의 입맛을 붙잡는 그리너리(네델란드) 데니쉬 크라운(덴마크) 제스프리(뉴질랜드) 선키스트(미국) 네슬레(스위스) 등과 같은 세계적 대표 브랜드 육성이 필요하다

2 고부가가가치 농식품 수출 확대계절성이 높은 1차 농산물을 수출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2 middot 3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

치 상품을 수출하여 채산성을 높이고 수출상품을 연중 수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농식품 수출을 빠르게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품목 측면에서 최근 수출 증가율이 높은 가공농식품 중심으로 수출증대 전략을 마련하고 신선농식품 중에서는 수출 비중과 수출 증가율이 큰 과실류와 인삼류 화훼류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수출 증대 효과가 높을 것이다 김치류 등 수출 비중이 크지만 수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은 수출을 감소시킨 원인을 찾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 품목군에서도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간에 다르게 나타난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적 식문화의 세계화를 통해 국산 농식품 및 식자재의 수출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세계적인 건강식품 음식으로 이미 떠오른 김치와 비빔밥이외에도 더 많은 전략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연관된 식자재를 체계적으로 수출하는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식이 세계인의 입맛에 맞을 수 있도록 맛의 표준화를 정립하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메뉴를 개발하고 중점 지원하며 국산 식재료 유통구조의 대형화와 전문화를 통해 국산 식재료가 한식과 세계인의 식재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현재 전 세계 180여개국에 걸쳐 널리 퍼져있는 700만 재외동포와 한민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농식품 수출의 교두보로 삼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즉 해외동포기업들을 우리 농식품 및 식자재 수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전 세계

132

한국교민은 700만 명으로 화교(5500만 명) 유태인(860만 명)에 이어 세계 3번째 규모이다

약 7300개 한국 기업이 아시아 미주 유럽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지 종사자 규모가 약 150만 명에 이르며 해외 한식당은 약 1만 개로 추정된다 이들 해외 거주자는 우선적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될 수 있다

3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 우리 농식품기업의 해외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예컨대 국제적인 농식품 기업을 인수함

으로써 해외 생산기지와 유통망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보유 잉여자금을 이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해외투자활동이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농식품의 수출확대 과정에서 정부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과제 중의 하나는 국내 농어민의 소득 향상과 연계되는 수출방안의 모색이다 사실 현재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비중이 낮고 주로 가공식품위주를 이루고 국내 농업과 연관성이 높은 신선식품의 비중은 크지 않아 수출을 통한 농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농어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농식품 수출이 되도록 더 많은 정책적 고민과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2009년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가공식품은 53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선식품 수출비중이 높은 수산물을 제외하면 신선농축식품 수출비중은 15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농식품 수출이 실질적으로 국내 농어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농어민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어업과 연계된 수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수출유망 품목 발굴 노력과 함께 품목별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수출을 조직화규모화함으로써 과당경쟁 등 우리나라 수출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외에서의 거래교섭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중소규모 수출단지와 영세업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촉진하여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Dole과 선키스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 네덜란드의 그리너리와 같은 세계적인 수출조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식품 수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신선농식품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자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수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파프리카 화훼 버섯 등의 경우에도 종자부터 시설기자재까지 네덜란드 등 농업선진국에 의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11: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17

lt표 5gt 국가 전체 수출액 대비 농식품 수출 비중 (단위백만 달러 )구 분 1971 1977 1995 1998 2007 2008 2009

국가전체(A) 1068 10046 125058 132313 371489 422007 363534농 식 품(B) 285 1592 3419 2999 3759 4402 4809비 중(BA) 267 158 27 23 10 10 13자료농림수산식품부

셋째 신선농산물 보다 가공품 형태의 농식품 수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주력 수출품목이었던 수산식품과 신선 농식품의 수출이 거의 정체된 반면 가공 농식품의 수출은 크게 증가하여 전체 농식품 수출에서 가공농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1995년 약 32

수준에서 2009년에 약 53로 늘어났다 예컨대 상위 10대 수출품의 경우 1999년도에 주력 품목이었던 돼지고기 굴 붕장어 밤 등 원료형 농식품이 탈락한 반면에 2009년도에는 권련 커피조제품 소주 등 가공형 식품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lt그림 5gt 연도별 농식품 수출액

넷째 대일 수출 의존도가 감소하고 있는 반면에 수출선 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으로의 수출이 크게 감소한 반면 중국 미국 러시아 등으로의 수출증가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시장다변화가 진척되고 있다 대일본 농식품 수출비중은 1999년 66에서 2009년 33로 줄어들었다 이렇게 농식품 수출의 대일 수출비중이 감소한 대신 같은

118

기간동안 중국은 47에서 118 미국은 63에서 97 러시아는 19에서 47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미국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대상국 2위였으나 2007년 이후 중국으로의 수출이 미국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중국이 우리나라 농식품의 주요 수출시장으로 부상하였다

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lt그림 6gt 국가별 농식품 수출액

나 산업간 무역 및 산업내 무역 패턴의 변화국제무역이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두 가지 무역 패턴인 산업간 무역(Inter985103Industry

Trade)과 산업내 무역(Intra985103Industry Trade) 개념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의 무역패턴 변화를 분석하였다2)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헥셔985103오린(Heckscer985103Olin) 이론에 근거한 산업간 무역은 국가간 특화구조에 의해 교역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며 산업내 무역은 품질이나 브랜드차이 등으로 인한 독점적경쟁의 산업구조에서 발생하는 교역형태를 의미한다 우선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품목간 무역 형태를 분석하기 위해 무역 보완도(Index of

Trade Conformity)를 식 (1)을 통해 계측하였다 식 (1)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품목별

2) 산업내 무역지수와 산업간 무역지수 계측을 위해 UN985103comtrade 무역통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대상 품목은 국제적으로 농수산물로 인정되는 HS 2단위 기준 1sim24호에 속하는 품목으로 설정하였다(단 실질적인 분석에는 HS 6단위를 기준으로 구성된 무역자료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분석대상 국가는 200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와 농식품 교역이 가장 활발한 10개국으로 선정하였으며(한국무역협회자료) 분석 기간은 1995년에서 2008년으로 하였다

119

비중과 수출대상국의 품목별 수입비중을 이용하여 무역보완도를 계측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해당상품 수출구조와 교역 대상국의 수입구조가 비슷할수록 1에 가까워진다 즉 무역보완도 지수가 1에 가까울수록 우리의 수출상품이 교역대상국의 주요 수입품임을 의미하며 양국간에 교역의 특화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는 상품 수출액이 국(우리나라)의 전체 농식품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 수입액이 국(교역대상국)의 전체 농식품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1)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 주요 수출대상국 중 중국을 제외하고

1995년 이후 전반적으로 무역보완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농식품 10대 교역대상국을 대상으로 측정한 평균 무역보완도는 1995년 015에서 2008년 021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1995년 WTO 출범 이후 농식품 시장개방확대 추세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무역 역시 주요 교역대상국과 분업화와 특화가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구 분 1995년(A) 2000년 2005년 2008년(B) 보완도 차이(B985103A)호 주 0251 0292 0432 0420 0169 브 라 질 0056 0045 0076 0063 0007 중 국 0048 0058 0042 0031 9851030016 일 본 0292 0329 0409 0360 0068 뉴질랜드 0218 0242 0408 0351 0133 필 리 핀 985103 0093 0116 0081 0081 러 시 아 0034 0089 0171 0175 0141 태 국 0170 0152 0228 0236 0066 미 국 0148 0143 0263 0256 0108 베 트 남 985103 0063 0093 0102 0102 평 균 0152 0151 0224 0207 0055

lt표 6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무역 보완도 지수

주평균은 2009년 농식품 무역액을 기준으로 선정된 주요 10개국의 무역보완도 지수 산술평균을 의미한다자료UN985103comtrade 무역자료를 이용한 추정치

120

다음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교역의 산업내 무역지수를 식 (2)를 통해 계측하였다 식 (2)

는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을 구성하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을 가지고 산업내 무역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즉 농식품 산업에 속해 있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이 유사할수록 산업내 무역비중이 1에 가까워진다 일반적으로 농식품분야의 산업내 무역은 교역대상국 사이의 생산 계절성차이 품질차이 및 소비자 선호도 차이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2)

식 (2)를 이용한 추정결과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내 무역지수는 1995년 009에서 2002

년 024까지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그 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면서 2008년에는 015로 나타났다

lt그림 7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산업내 무역 지수

121

연도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농식품 분야도 산업내무역이 상당수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가격 품질 부위별 소득계층 주요 소비처 등의 선호도 차이와 생산의 계절적 차이에 따라 수출과 수입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돼지고기 김치 인삼 키위 등이 대표적 품목이다 따라서 최근 감소 추세에 있는 산업내 무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향후 주요 무역상대국을 대상으로 산업내 무역이 가능한 농식품을 발굴하는 것도 농식품 수출확대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정책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다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 분석여기서는 계량경제학적 추정방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을 분석

하였다 특히 향후 농식품의 높은 수출가능성으로 일반적으로 언급되어지는 우리나라와 가까운 거리에 일본 중국 등 대규모 농식품 소비시장의 존재가 실제 농식품 수출에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분석의 목표로 삼아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본 분석에서 설정한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추정모형은 기본적으로 중력모형을 응용한 식 (3)과 같다

In =In ()+In (

)+In ( )+

+In (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3)

vt = 국가별 확률효과 v t~iid N(oσ2v) εjt = 교란항 ε jt~iid N(oσ2ε)

주지하다시피 추정식 (3)은 일반적인 중력모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중력모형이 양 국가간의 교역(수출입)을 총체적으로 다룬 반면 여기서는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중력모형 중 우리나라의 1인당 GDP를 제외한 수출방정식을 설정하였다(Mary 2004) 식 (3)에서 는 국가별 확률효과를 나타내며 변수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별 특성을 나타낸다3)

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는 lt표 7gt과 같다 본고에서는 중력 모형에 포함되어 있는 1인당 GDP나 거리 변수 이외에 다양한 변수를 포함시켰다 우선 수출의 경우 환율에 영향을

3) 통상적인 패널 분석에서는 와 다른 설명변수들 간의 독립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추정결과의 일치성(consistency)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고정효과모형이 더 선호된다 하지만 패널 토빗모형에서는 패널이 충분히 길지 않는 한 오히려 고정효과 추정치의 일치성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확률효과 추정법이 더 선호된다(Cameron and Trivedi 2005 pp 800985103801) 따라서 본고 역시 이를 따르기로 한다

122

많이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역대상국과 우리나라의 환율을 포함시켰으며 앞서 분석한 무역보완도지수를 설명변수로 채택하여 농식품 교역이 특화되어 있는 정도가 농식품 수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무역장벽이라고 할 수 있는 관세를 포함시켰으며 각 국가의 개방도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WTO 가입여부와 우리나라와의 FTA 체결여부를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와 교역국간의 경제협력 수준을 반영하기 위해 해외직접투자액을 대리변수(proxy variable)로 사용하였다4) 또한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분석 대상국가로 설정하였고 분석기간은 1995년부터 2008년까지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는 패널데이터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품목별 수출량이 0인 연도도 존재하는 점을 감안하여5) 계량적 추정방법으로 김한호(2009) 등에서 사용한 패널토빗 계량모형(panel tobit model)을 이용하였다

변 수 설명 및 자료X jt 주요 10개국에 대한 품목별 수출액UN comtrade자료

distance 한국과의 거리한국과 교역국의 수도 간 거리 (단위Km)httpdistancecalculatorglobefeedcom

교역 대상 국가의 1인당 국민 소득(UNSD 자료와 인구통계 활용)

exchange 한국통화가치수출국통화가치 해외직접투자(한국수출입 은행 해외투자통계 자료)

conformity 무역 보완도지수 관세WTO 자료 WTO가입 여부국가별 가입 연도 기준 FTA 체결 여부국가별 체결 연도 기준

lt표 7gt 통계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 및 내용

주관세의 경우 WTO가 제공하는 각국의 품목별 관세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제공하지 않는 연도에 대해서는 이전 연도의 관세율과 같다고 가정하였다

4) 단 본고에서는 수출액과 해외직접투자가 0인 경우 1로 치환하여 로그값으로 전환시켜 자료의 손실을 줄이고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이러한 점은 본 분석의 한계라고도 볼 수 있다 즉 전체 교역액을 기준으로 대상국가를 선정하였기 때문에 해당 대상국이 실제로 해당 품목의 주요 교역국이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품목별로 주요 대상국을 설정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5) 이는 수출의 경우 0이상의 값만을 가지며 0이하의 값은 관찰되지 않기 때문이며 본고에서는 이를 0이상을 기준으로 데이터가 censored 되었다고 가정하였다

123

품목군별 추정결과는 아래 lt표 8gt sim lt표 10gt과 같으며 여기서는 주요 품목별로 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추정된 설명변수를 중심으로 수출 결정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교역대상국이 WTO 가입국 일수록 우리나라의 과실류의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그리고 신선채소류의 경우 관세가 낮을수록 화훼류는 FTA 체결국 일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과실류 (t 값) 신선 채소류 (t 값) 화훼류 (t 값)ln (fdi) 0165 (246) 0040 (035) 9851030063 (985103066)

ln (distance) 9851030543 (985103312) 9851030193 (985103164) 9851030223 (985103093)

ln (Yit Pit) 9851031015 (985103188) 0207 (053) 0400 (058)

ln (exchange) 0479 (196) 9851030210 (985103112) 0350 (108)

conformity 0115 (317) 0012 (037) 0034 (076)

tariff 0040 (142) 9851030443 (985103199) 0025 (071)

WTO 1645 (191) 9851031410 (985103129) 9851031262 (985103109)

FTA 9851030625 (985103057) 1444 (098) 4400 (297)

상수항 11106 (273) 5200 (181) 9851030232 (985103005)

σ v1) 1279 (307) 0539 (098) 1787 (357)

σ ε 1818 (1476) 2260 (1330) 2421 (1268)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8) 134(22) 134(36)

모형적합성 검증(Wald) 2896(p=0000) 2649(p=0001) 1398(p=0082)

lt표 8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과실류 신선 채소류 화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축산물(신선+가공)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9gt 참조) 그리고 교역 대상국이 FTA체결국인 경우 축산물 수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 축산물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

124

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산가공품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대상국이 FTA

체결국인 경우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전체 (t 값) 신선 (t 값) 가공 (t 값)ln (fdi) 0195 (210) 0366 (445) 0144 (106)

ln (distance) 9851030429 (985103244) 985103311 (985103233) 9851030707 (985103217)

ln (Yit Pit) 0195 (035) 0372 (080) 0579 (063)

ln (exchange) 0002 (001) 0077 (042) 9851030202 (985103046)

conformity 9851030022 (985103053) 9851030010 (985103026) 9851030098 (985103158)

tariff 0044 (155) 0041 (160) 0037 (071)

WTO 0053 (005) 9851030973 (985103091) 0184 (011)

FTA 3285 (225) 1458 (089) 5013 (261)

상수항 4083 (097) 0991 (985103027) 3135 (044)

σ v1) 1069 (278) 134e98510317 (000) 2344 (278)

σ ε 2449 (1413) 2866 (1351) 3096 (1170)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8) 134(32) 132(48)

모형적합성 검증(Wald) 2558(p=0001) 4400(p=0001) 2027(p=0009)

lt표 9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축산물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낙농품은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높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10gt 참조) 또한 교역국과 FTA를 체결할 경우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낙농품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곡물류 수출의 경우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5

변 수 낙농품 (t 값) 곡물류 (t 값)ln (fdi) 0190 (227) 0049 (101)

ln (distance) 9851030515 (985103176) 9851030532 (985103330)

ln (Yit Pit) 9851030686 (985103095) 9851030331 (985103079)

ln (exchange) 0863 (226) 0243 (119)

conformity 0097 (243) 0003 (014)

tariff 9851030190 (985103072) 9851030301 (985103190)

WTO 9851030148 (985103013) 1083 (164)

FTA 3946 (306) 0280 (037)

상수항 9030 (169) 13758 (421)

σ v1) 2113 (341) 1166 (344)

σ ε 2114 (1411) 1266 (1549)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7) 134(0)

모형적합성 검증(Wald) 3450 (p=0000) 1695(p=0031)

lt표 10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낙농품 곡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분석된 대부분 품목군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의 거리가 국산 농식품 수출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농식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부피에 비해 가격이 낮아 수송비가 교역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외에도 교역대상국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생산 및 식생활소비 패턴이 유사할 가능성이 높아 수출 증대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인접하면서 큰 농식품 시장이 있는 중국 일본 대만 중앙아시아 아세안 등에 대한 수출증가 가능성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일류 축산 특히 신선 축산물 낙농 등의 경우 해외직접투자가 많을 수록 수출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교포나 주재원 등의 수요가 많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126

3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과 기회요인가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주요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농식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쟁력 있는 대표 상품이 부족하다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은 14개로 대부분 가공식품이고 신선농산물은 4개에 불과하다

구 분 1999 2009(P)신 선 돼지고기 인삼 밥 김치 인삼 김치 파프리카 배가 공 자당 라면 소주 합판 권련 커피제조품 라면 자당 소주 비스킷수 산 참치 굴 붕장어 오징어 참치 오징어 김 넙치

lt표 11gt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

둘째 수출업체의 영세성으로 해외시장개척 및 국제경쟁력이 취약하고 수출업체의 난립으로 과잉경쟁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2008년 농식품 수출기업 921개 중 1천만 달러 이상은 22개(전체의 24)에 불과하며 1백만 달러 미만 수출업체는 689개(748)에 달한다

셋째 고품질 수출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기반이 미흡하다 수출거래 관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출 시장에서 원하는 품목과 물량을 원하는 시기에 공급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급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 생산 및 출하규모가 영세하고 내수 중심의 경영구조이기 때문에 수출거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적시 적량

정품 공급 기반이 미흡하다 수출 품목의 안전성과 품질이 담보되는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규모가 큰 수출조직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동시에 가공용 농식품 제조를 위한 품질과 가격경쟁력이 있는 원료농산물 공급기반도 미흡하다

넷째 효과적인 수출 물류 시스템 구축이 되어 있지 않다 수출 농식품의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저온유통 시스템이 가능한 물류 구축이 요구된다 하지만 국내 수출 물류시설 및 시스템이 낙후되어 신선도 및 품질 관리가 어렵고 경쟁력 제고에 한계가 많다 수출용 농식품의 국내 출하에서부터 수출 소비시장까지의 수송 저장에 필요한 냉장탑차 예냉저온선별 및 저장시설 냉장컨테이너 등의 시설 여건이 열악하여 품질 저하 감모 및 폐기물량 증가로 수출경쟁력을 제고시키기에 어려움이 많다

127

다섯째 체계적인 수출시장 개척 및 확대 시스템이 미흡하다 수출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하고 수출물량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국 도매업체와 대형판매점의 유통채널 진입과 긴밀한 네트워크유지가 필요하지만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KOTRA

유통공사 한인회 한상 등의 네트워크화를 통한 홍보 판촉 마케팅활동이 저조하다 이외에도 수출국 소매업체나 소비자들의 한국산 농식품 인지도 선호도 파악을 통한 수출 유망품목 수출 잠재품목 개발육성이 저조한 실정이다 수출국 시장 소비자 트렌드 및 라이프 스타일 조사 분석(Consumer Trends amp Lifestyle Analysis)을 통한 효과적 수요 창출 전략이 미흡하다 특히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별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나 농식품 수출의 기회요인 향후 DDA 농업협상의 타결과 FTA 체결 확대로 세계 농식품 교역규모는 큰 폭으로 증

가하여 우리 농식품 수출 증대에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DDAFTA 등으로 인한 관세 비관세 장벽 완화는 한국 농식품시장의 개방 확대와 동시에 수출시장이 확대되는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중국 인도 등 신흥경제권의 경제성장과 소득 증대로 우리나라의 고품질 차별화된 농식품의 수출확대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는 앞서 분석한 수출요인 결정모형의 분석 결과와 연관지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주요 국가와의 FTA의 체결과 해외진출 및 투자의 증가 교역국의 소득 증가 그리고 가까운 거리에 대규모 농식품 수출시장의 존재 등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즉 이러한 농식품 수출여건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은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식품 수출시장이 일본 중심에서 중국 러시아 동남아지역 등으로 다변화되어 가고 있어 시장개척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세계 농식품 시장규모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우리나라 주요 수출대상국의 농식품 수입규모도 증가 추세에 있다 우리 농식품수출의 60 가량을 점유하는 일본middot미국middot중국middot러시아 4개국의 수입규모가 최근 5년간 1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008 Global trade atlas)

우리 농식품의 주요 수출 유망국가에서 식문화의 글로벌화 및 웰빙middot건강식품 선호추세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한식의 세계화가 진전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2008년부터 본격적인 한식세계화 사업추진으로 식문화 수출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슬로우 푸드 건강 middot 기능성식품 수요증가에 따라 저열량 middot 건강식으로서 한식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128

이에 2009년의 경우 세계적 경기침체로 해외에서 우리와 경쟁관계에 있는 주요 선진농업국의 농식품수출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우리 농식품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강 점 (S) 약 점 (W)

인근 거대 잠재시장 존재한국식품에 대한 관심 고조높은 잠재 가능성(다양한 발효 식품 우수한 식문화)

국가대표 수출상품 부족 영세한 수출 구조기술 및 안전관리 수준 등이 선진국과 격차

(O)

세계 교역규모 증가안전middot기능성 관심 증가식문화 글로벌 확산

S ndash O 전략

한식 세계화 전략 구사수출 상품화수출지향 식품클러스터 조성

W ndash O 전략

수출전문 생산단지 설치식재료 및 기능식 상품화식품기업 해외진출 지원

(T)

세계적 경제 침체가격경쟁력 취약구제역 AI 등 안전성관리 애로

S ndash T 전략

잠재력 높은 신시장 개척수출유망품목 발굴 강화수출상품 고부가가치화수출상품 브랜드화

W ndash T 전략

국가대표 수출상품 육성수출 조직화 및 규모화RampD를 통한 신품목개발수출상품 안전체계 구축

lt그림 8gt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 분석(SWOT)

더욱이 정부가 2012년까지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 목표를 설정하고 다각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모색 중에 있어 어느 때보다 농식품 수출에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우선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과거와 달리 정부가 농식품 수출 목표를 높게 잡고 열심히 해보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지금까지 진행된 경제발전과정과 WTO 출범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무역자유화 시대에서 가장 취약한 산업부문으로 여겨져 찬밥신세를 면치 못하던 우리 농수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상징적 지표다 국내 농어업이 2000년 이후 성장정체 경향을 보이고 있는 현실에서 농식품 수출 확대를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신성장 동력원으로써 물꼬를 트겠다는 적극적 자세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수출선도조직 육성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 고품질 수출농식품의 안정적인 생산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려

129

하고 있다6) 수출선도조직과 수출업체의 생산 공급 계열화 시스템은 2009년 10개 품목 13

개 조직에서 2010년 18개 품목 21개 조직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노력은 생산농가985103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균일화된 고품질 농식품의 안정적인 공급으로 해외거래처와의 신뢰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수출업체 간 저가수출과당경쟁 방지 및 공동판촉 등 협력사업 수행으로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자율협력기구인 수출협의회가 구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 품목별 수출업체의 자율협력기구(수출협의회)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농식품 수출활성화 도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Ⅳ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

1 품목별로 차별화된 수출 확대 전략 수립앞서 수출증대요인 분석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품목별 또는 품목군별로 수출결정 요인

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품목별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한 수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무역보완도가 중요한 수출결정요인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 무역보완성이 높은 국가의 시장에 대한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류 내 품목별로 무역보완성을 고려한 목표 시장을 설정하여 수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과실류와 축산물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규모나 시장개방의 정도 즉 WTO 가입이나 FTA 체결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품목의 경우 국내 기업이 많이 진출하고 있거나 시장개방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 국가가 주요 수출시장으로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출결정인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품목별로 주요 수출대상 국가별 수출저해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특히 2012년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라는 수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수출 기반 조성과 방법으로 수출을 추진해야 한다 농식품 수출의 장애요인 발굴과 제거하는 과정은 품목별 국가별 여건과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수출 목표를 빠르게 달6) 수출선도조직은 농식품 수출업체가 생산농가(lsquo생산자조직rsquo 포함)와 상호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고 수

출업체 주도로 품종선택부터 재배 수확 선별 포장 수출 안전성 및 품질관리 정산 농가교육 등의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함으로써 수출 농식품의 경쟁력을 높여 수출확대를 선도하는 조직을 말한다

130

성하기 위해서는 수출 비중과 증가율이 큰 품목과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확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수출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 장애요인 제거 방법도 보다 큰 틀에서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앞서 수출 유망 국가 및 시장 선택에 있어서는 수출결정요인 분석 결과와 함께 수출시장별 기회잠재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차별화된 시장 개척과 확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즉 국가별 수출시장 여건 및 특성에 맞추어 수출증대 노력을 기울여야 효과적인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해외시장에서 성공한 우리 농식품들은 고품질과 단일브랜드 현지형 마케팅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야 한다 특히 한반도를 중심으로 반경 19851032시간 권 안에 있는 중국 일본 대만 등 우리에게 새롭게 열린 시장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수출 확대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해외동포나 현지 교민의 직접적인 수요에 의존한 수출방식에서 이들 국가의 해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방식으로 전환하여 신규 수출수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공급 수출지원시스템 간의 밀접한 상호연계 체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2012년 100억 달러 농식품 수출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현재의 수출증가율을 큰 폭으로 상회해야 하므로 민간 차원에서 하기 힘든 수출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대규모 수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외 농식품 생산 유통업체간 전략적 글로벌 공동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반도를 동아시아 농식품 허브로 개발 육성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극적인 세계 유명 식품 박람회 참가 바이어초청 등을 통해 신규거래선 개척을 지원하여 수출업체985103바이어 간 만남의 장 마련으로 더 많은 수출기회를 제공해 나가야 한다 또한 해외 대형 바이어와의 MOU 체결 주요 식품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한국식품 직수출 유통채널 확보 및 장기대규모 소비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국내적으로도 농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수출유관기관의 역할분담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수출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외교통상부middot무역협회middotKOTRA 각종 협회 해외한인회 등 공공부문 및 민간조직과의 협력방안도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 대표급 주력 수출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2009년 현재 기준 5천만 달러 이상 수출되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은 인삼(1억 달러 rsquo09년) 김치(89백만 달러) 배(54백만 달러) 파프리카(53백만 달러) 정도이고 그 외에 이렇다할 만한 주력 수출상품이 없다는 것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품목별 수출결정요인과 함께 시장의 특성 선호도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전략수출상품을 집중 육성할 필요

131

가 있다 현재 수출규모가 큰 김치 인삼 돼지고기 배 면류 주류 과자류 참치 오징어

김 등은 현재보다 수출규모를 확대하고 세계적인 상품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또한 삼계탕

버섯류 유자차 화훼 전복 넙치 굴 등 농어민 소득증대가 크고 수출성장 가능성이 큰 품목의 발굴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농가985103 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안전성품질관리가 가능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경영체로 육성함으로써 균일화된 고품질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해외 거래선의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 기술과 자본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통해 해외 유통망 확보 노력과 함께 세계인들의 입맛을 붙잡는 그리너리(네델란드) 데니쉬 크라운(덴마크) 제스프리(뉴질랜드) 선키스트(미국) 네슬레(스위스) 등과 같은 세계적 대표 브랜드 육성이 필요하다

2 고부가가가치 농식품 수출 확대계절성이 높은 1차 농산물을 수출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2 middot 3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

치 상품을 수출하여 채산성을 높이고 수출상품을 연중 수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농식품 수출을 빠르게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품목 측면에서 최근 수출 증가율이 높은 가공농식품 중심으로 수출증대 전략을 마련하고 신선농식품 중에서는 수출 비중과 수출 증가율이 큰 과실류와 인삼류 화훼류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수출 증대 효과가 높을 것이다 김치류 등 수출 비중이 크지만 수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은 수출을 감소시킨 원인을 찾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 품목군에서도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간에 다르게 나타난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적 식문화의 세계화를 통해 국산 농식품 및 식자재의 수출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세계적인 건강식품 음식으로 이미 떠오른 김치와 비빔밥이외에도 더 많은 전략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연관된 식자재를 체계적으로 수출하는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식이 세계인의 입맛에 맞을 수 있도록 맛의 표준화를 정립하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메뉴를 개발하고 중점 지원하며 국산 식재료 유통구조의 대형화와 전문화를 통해 국산 식재료가 한식과 세계인의 식재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현재 전 세계 180여개국에 걸쳐 널리 퍼져있는 700만 재외동포와 한민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농식품 수출의 교두보로 삼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즉 해외동포기업들을 우리 농식품 및 식자재 수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전 세계

132

한국교민은 700만 명으로 화교(5500만 명) 유태인(860만 명)에 이어 세계 3번째 규모이다

약 7300개 한국 기업이 아시아 미주 유럽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지 종사자 규모가 약 150만 명에 이르며 해외 한식당은 약 1만 개로 추정된다 이들 해외 거주자는 우선적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될 수 있다

3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 우리 농식품기업의 해외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예컨대 국제적인 농식품 기업을 인수함

으로써 해외 생산기지와 유통망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보유 잉여자금을 이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해외투자활동이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농식품의 수출확대 과정에서 정부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과제 중의 하나는 국내 농어민의 소득 향상과 연계되는 수출방안의 모색이다 사실 현재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비중이 낮고 주로 가공식품위주를 이루고 국내 농업과 연관성이 높은 신선식품의 비중은 크지 않아 수출을 통한 농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농어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농식품 수출이 되도록 더 많은 정책적 고민과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2009년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가공식품은 53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선식품 수출비중이 높은 수산물을 제외하면 신선농축식품 수출비중은 15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농식품 수출이 실질적으로 국내 농어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농어민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어업과 연계된 수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수출유망 품목 발굴 노력과 함께 품목별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수출을 조직화규모화함으로써 과당경쟁 등 우리나라 수출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외에서의 거래교섭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중소규모 수출단지와 영세업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촉진하여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Dole과 선키스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 네덜란드의 그리너리와 같은 세계적인 수출조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식품 수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신선농식품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자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수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파프리카 화훼 버섯 등의 경우에도 종자부터 시설기자재까지 네덜란드 등 농업선진국에 의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12: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18

기간동안 중국은 47에서 118 미국은 63에서 97 러시아는 19에서 47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미국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대상국 2위였으나 2007년 이후 중국으로의 수출이 미국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중국이 우리나라 농식품의 주요 수출시장으로 부상하였다

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lt그림 6gt 국가별 농식품 수출액

나 산업간 무역 및 산업내 무역 패턴의 변화국제무역이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두 가지 무역 패턴인 산업간 무역(Inter985103Industry

Trade)과 산업내 무역(Intra985103Industry Trade) 개념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의 무역패턴 변화를 분석하였다2)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헥셔985103오린(Heckscer985103Olin) 이론에 근거한 산업간 무역은 국가간 특화구조에 의해 교역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며 산업내 무역은 품질이나 브랜드차이 등으로 인한 독점적경쟁의 산업구조에서 발생하는 교역형태를 의미한다 우선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품목간 무역 형태를 분석하기 위해 무역 보완도(Index of

Trade Conformity)를 식 (1)을 통해 계측하였다 식 (1)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품목별

2) 산업내 무역지수와 산업간 무역지수 계측을 위해 UN985103comtrade 무역통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대상 품목은 국제적으로 농수산물로 인정되는 HS 2단위 기준 1sim24호에 속하는 품목으로 설정하였다(단 실질적인 분석에는 HS 6단위를 기준으로 구성된 무역자료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분석대상 국가는 200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와 농식품 교역이 가장 활발한 10개국으로 선정하였으며(한국무역협회자료) 분석 기간은 1995년에서 2008년으로 하였다

119

비중과 수출대상국의 품목별 수입비중을 이용하여 무역보완도를 계측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해당상품 수출구조와 교역 대상국의 수입구조가 비슷할수록 1에 가까워진다 즉 무역보완도 지수가 1에 가까울수록 우리의 수출상품이 교역대상국의 주요 수입품임을 의미하며 양국간에 교역의 특화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는 상품 수출액이 국(우리나라)의 전체 농식품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 수입액이 국(교역대상국)의 전체 농식품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1)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 주요 수출대상국 중 중국을 제외하고

1995년 이후 전반적으로 무역보완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농식품 10대 교역대상국을 대상으로 측정한 평균 무역보완도는 1995년 015에서 2008년 021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1995년 WTO 출범 이후 농식품 시장개방확대 추세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무역 역시 주요 교역대상국과 분업화와 특화가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구 분 1995년(A) 2000년 2005년 2008년(B) 보완도 차이(B985103A)호 주 0251 0292 0432 0420 0169 브 라 질 0056 0045 0076 0063 0007 중 국 0048 0058 0042 0031 9851030016 일 본 0292 0329 0409 0360 0068 뉴질랜드 0218 0242 0408 0351 0133 필 리 핀 985103 0093 0116 0081 0081 러 시 아 0034 0089 0171 0175 0141 태 국 0170 0152 0228 0236 0066 미 국 0148 0143 0263 0256 0108 베 트 남 985103 0063 0093 0102 0102 평 균 0152 0151 0224 0207 0055

lt표 6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무역 보완도 지수

주평균은 2009년 농식품 무역액을 기준으로 선정된 주요 10개국의 무역보완도 지수 산술평균을 의미한다자료UN985103comtrade 무역자료를 이용한 추정치

120

다음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교역의 산업내 무역지수를 식 (2)를 통해 계측하였다 식 (2)

는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을 구성하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을 가지고 산업내 무역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즉 농식품 산업에 속해 있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이 유사할수록 산업내 무역비중이 1에 가까워진다 일반적으로 농식품분야의 산업내 무역은 교역대상국 사이의 생산 계절성차이 품질차이 및 소비자 선호도 차이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2)

식 (2)를 이용한 추정결과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내 무역지수는 1995년 009에서 2002

년 024까지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그 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면서 2008년에는 015로 나타났다

lt그림 7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산업내 무역 지수

121

연도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농식품 분야도 산업내무역이 상당수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가격 품질 부위별 소득계층 주요 소비처 등의 선호도 차이와 생산의 계절적 차이에 따라 수출과 수입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돼지고기 김치 인삼 키위 등이 대표적 품목이다 따라서 최근 감소 추세에 있는 산업내 무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향후 주요 무역상대국을 대상으로 산업내 무역이 가능한 농식품을 발굴하는 것도 농식품 수출확대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정책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다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 분석여기서는 계량경제학적 추정방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을 분석

하였다 특히 향후 농식품의 높은 수출가능성으로 일반적으로 언급되어지는 우리나라와 가까운 거리에 일본 중국 등 대규모 농식품 소비시장의 존재가 실제 농식품 수출에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분석의 목표로 삼아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본 분석에서 설정한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추정모형은 기본적으로 중력모형을 응용한 식 (3)과 같다

In =In ()+In (

)+In ( )+

+In (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3)

vt = 국가별 확률효과 v t~iid N(oσ2v) εjt = 교란항 ε jt~iid N(oσ2ε)

주지하다시피 추정식 (3)은 일반적인 중력모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중력모형이 양 국가간의 교역(수출입)을 총체적으로 다룬 반면 여기서는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중력모형 중 우리나라의 1인당 GDP를 제외한 수출방정식을 설정하였다(Mary 2004) 식 (3)에서 는 국가별 확률효과를 나타내며 변수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별 특성을 나타낸다3)

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는 lt표 7gt과 같다 본고에서는 중력 모형에 포함되어 있는 1인당 GDP나 거리 변수 이외에 다양한 변수를 포함시켰다 우선 수출의 경우 환율에 영향을

3) 통상적인 패널 분석에서는 와 다른 설명변수들 간의 독립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추정결과의 일치성(consistency)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고정효과모형이 더 선호된다 하지만 패널 토빗모형에서는 패널이 충분히 길지 않는 한 오히려 고정효과 추정치의 일치성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확률효과 추정법이 더 선호된다(Cameron and Trivedi 2005 pp 800985103801) 따라서 본고 역시 이를 따르기로 한다

122

많이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역대상국과 우리나라의 환율을 포함시켰으며 앞서 분석한 무역보완도지수를 설명변수로 채택하여 농식품 교역이 특화되어 있는 정도가 농식품 수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무역장벽이라고 할 수 있는 관세를 포함시켰으며 각 국가의 개방도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WTO 가입여부와 우리나라와의 FTA 체결여부를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와 교역국간의 경제협력 수준을 반영하기 위해 해외직접투자액을 대리변수(proxy variable)로 사용하였다4) 또한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분석 대상국가로 설정하였고 분석기간은 1995년부터 2008년까지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는 패널데이터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품목별 수출량이 0인 연도도 존재하는 점을 감안하여5) 계량적 추정방법으로 김한호(2009) 등에서 사용한 패널토빗 계량모형(panel tobit model)을 이용하였다

변 수 설명 및 자료X jt 주요 10개국에 대한 품목별 수출액UN comtrade자료

distance 한국과의 거리한국과 교역국의 수도 간 거리 (단위Km)httpdistancecalculatorglobefeedcom

교역 대상 국가의 1인당 국민 소득(UNSD 자료와 인구통계 활용)

exchange 한국통화가치수출국통화가치 해외직접투자(한국수출입 은행 해외투자통계 자료)

conformity 무역 보완도지수 관세WTO 자료 WTO가입 여부국가별 가입 연도 기준 FTA 체결 여부국가별 체결 연도 기준

lt표 7gt 통계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 및 내용

주관세의 경우 WTO가 제공하는 각국의 품목별 관세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제공하지 않는 연도에 대해서는 이전 연도의 관세율과 같다고 가정하였다

4) 단 본고에서는 수출액과 해외직접투자가 0인 경우 1로 치환하여 로그값으로 전환시켜 자료의 손실을 줄이고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이러한 점은 본 분석의 한계라고도 볼 수 있다 즉 전체 교역액을 기준으로 대상국가를 선정하였기 때문에 해당 대상국이 실제로 해당 품목의 주요 교역국이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품목별로 주요 대상국을 설정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5) 이는 수출의 경우 0이상의 값만을 가지며 0이하의 값은 관찰되지 않기 때문이며 본고에서는 이를 0이상을 기준으로 데이터가 censored 되었다고 가정하였다

123

품목군별 추정결과는 아래 lt표 8gt sim lt표 10gt과 같으며 여기서는 주요 품목별로 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추정된 설명변수를 중심으로 수출 결정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교역대상국이 WTO 가입국 일수록 우리나라의 과실류의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그리고 신선채소류의 경우 관세가 낮을수록 화훼류는 FTA 체결국 일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과실류 (t 값) 신선 채소류 (t 값) 화훼류 (t 값)ln (fdi) 0165 (246) 0040 (035) 9851030063 (985103066)

ln (distance) 9851030543 (985103312) 9851030193 (985103164) 9851030223 (985103093)

ln (Yit Pit) 9851031015 (985103188) 0207 (053) 0400 (058)

ln (exchange) 0479 (196) 9851030210 (985103112) 0350 (108)

conformity 0115 (317) 0012 (037) 0034 (076)

tariff 0040 (142) 9851030443 (985103199) 0025 (071)

WTO 1645 (191) 9851031410 (985103129) 9851031262 (985103109)

FTA 9851030625 (985103057) 1444 (098) 4400 (297)

상수항 11106 (273) 5200 (181) 9851030232 (985103005)

σ v1) 1279 (307) 0539 (098) 1787 (357)

σ ε 1818 (1476) 2260 (1330) 2421 (1268)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8) 134(22) 134(36)

모형적합성 검증(Wald) 2896(p=0000) 2649(p=0001) 1398(p=0082)

lt표 8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과실류 신선 채소류 화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축산물(신선+가공)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9gt 참조) 그리고 교역 대상국이 FTA체결국인 경우 축산물 수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 축산물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

124

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산가공품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대상국이 FTA

체결국인 경우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전체 (t 값) 신선 (t 값) 가공 (t 값)ln (fdi) 0195 (210) 0366 (445) 0144 (106)

ln (distance) 9851030429 (985103244) 985103311 (985103233) 9851030707 (985103217)

ln (Yit Pit) 0195 (035) 0372 (080) 0579 (063)

ln (exchange) 0002 (001) 0077 (042) 9851030202 (985103046)

conformity 9851030022 (985103053) 9851030010 (985103026) 9851030098 (985103158)

tariff 0044 (155) 0041 (160) 0037 (071)

WTO 0053 (005) 9851030973 (985103091) 0184 (011)

FTA 3285 (225) 1458 (089) 5013 (261)

상수항 4083 (097) 0991 (985103027) 3135 (044)

σ v1) 1069 (278) 134e98510317 (000) 2344 (278)

σ ε 2449 (1413) 2866 (1351) 3096 (1170)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8) 134(32) 132(48)

모형적합성 검증(Wald) 2558(p=0001) 4400(p=0001) 2027(p=0009)

lt표 9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축산물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낙농품은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높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10gt 참조) 또한 교역국과 FTA를 체결할 경우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낙농품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곡물류 수출의 경우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5

변 수 낙농품 (t 값) 곡물류 (t 값)ln (fdi) 0190 (227) 0049 (101)

ln (distance) 9851030515 (985103176) 9851030532 (985103330)

ln (Yit Pit) 9851030686 (985103095) 9851030331 (985103079)

ln (exchange) 0863 (226) 0243 (119)

conformity 0097 (243) 0003 (014)

tariff 9851030190 (985103072) 9851030301 (985103190)

WTO 9851030148 (985103013) 1083 (164)

FTA 3946 (306) 0280 (037)

상수항 9030 (169) 13758 (421)

σ v1) 2113 (341) 1166 (344)

σ ε 2114 (1411) 1266 (1549)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7) 134(0)

모형적합성 검증(Wald) 3450 (p=0000) 1695(p=0031)

lt표 10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낙농품 곡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분석된 대부분 품목군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의 거리가 국산 농식품 수출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농식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부피에 비해 가격이 낮아 수송비가 교역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외에도 교역대상국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생산 및 식생활소비 패턴이 유사할 가능성이 높아 수출 증대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인접하면서 큰 농식품 시장이 있는 중국 일본 대만 중앙아시아 아세안 등에 대한 수출증가 가능성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일류 축산 특히 신선 축산물 낙농 등의 경우 해외직접투자가 많을 수록 수출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교포나 주재원 등의 수요가 많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126

3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과 기회요인가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주요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농식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쟁력 있는 대표 상품이 부족하다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은 14개로 대부분 가공식품이고 신선농산물은 4개에 불과하다

구 분 1999 2009(P)신 선 돼지고기 인삼 밥 김치 인삼 김치 파프리카 배가 공 자당 라면 소주 합판 권련 커피제조품 라면 자당 소주 비스킷수 산 참치 굴 붕장어 오징어 참치 오징어 김 넙치

lt표 11gt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

둘째 수출업체의 영세성으로 해외시장개척 및 국제경쟁력이 취약하고 수출업체의 난립으로 과잉경쟁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2008년 농식품 수출기업 921개 중 1천만 달러 이상은 22개(전체의 24)에 불과하며 1백만 달러 미만 수출업체는 689개(748)에 달한다

셋째 고품질 수출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기반이 미흡하다 수출거래 관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출 시장에서 원하는 품목과 물량을 원하는 시기에 공급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급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 생산 및 출하규모가 영세하고 내수 중심의 경영구조이기 때문에 수출거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적시 적량

정품 공급 기반이 미흡하다 수출 품목의 안전성과 품질이 담보되는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규모가 큰 수출조직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동시에 가공용 농식품 제조를 위한 품질과 가격경쟁력이 있는 원료농산물 공급기반도 미흡하다

넷째 효과적인 수출 물류 시스템 구축이 되어 있지 않다 수출 농식품의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저온유통 시스템이 가능한 물류 구축이 요구된다 하지만 국내 수출 물류시설 및 시스템이 낙후되어 신선도 및 품질 관리가 어렵고 경쟁력 제고에 한계가 많다 수출용 농식품의 국내 출하에서부터 수출 소비시장까지의 수송 저장에 필요한 냉장탑차 예냉저온선별 및 저장시설 냉장컨테이너 등의 시설 여건이 열악하여 품질 저하 감모 및 폐기물량 증가로 수출경쟁력을 제고시키기에 어려움이 많다

127

다섯째 체계적인 수출시장 개척 및 확대 시스템이 미흡하다 수출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하고 수출물량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국 도매업체와 대형판매점의 유통채널 진입과 긴밀한 네트워크유지가 필요하지만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KOTRA

유통공사 한인회 한상 등의 네트워크화를 통한 홍보 판촉 마케팅활동이 저조하다 이외에도 수출국 소매업체나 소비자들의 한국산 농식품 인지도 선호도 파악을 통한 수출 유망품목 수출 잠재품목 개발육성이 저조한 실정이다 수출국 시장 소비자 트렌드 및 라이프 스타일 조사 분석(Consumer Trends amp Lifestyle Analysis)을 통한 효과적 수요 창출 전략이 미흡하다 특히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별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나 농식품 수출의 기회요인 향후 DDA 농업협상의 타결과 FTA 체결 확대로 세계 농식품 교역규모는 큰 폭으로 증

가하여 우리 농식품 수출 증대에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DDAFTA 등으로 인한 관세 비관세 장벽 완화는 한국 농식품시장의 개방 확대와 동시에 수출시장이 확대되는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중국 인도 등 신흥경제권의 경제성장과 소득 증대로 우리나라의 고품질 차별화된 농식품의 수출확대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는 앞서 분석한 수출요인 결정모형의 분석 결과와 연관지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주요 국가와의 FTA의 체결과 해외진출 및 투자의 증가 교역국의 소득 증가 그리고 가까운 거리에 대규모 농식품 수출시장의 존재 등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즉 이러한 농식품 수출여건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은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식품 수출시장이 일본 중심에서 중국 러시아 동남아지역 등으로 다변화되어 가고 있어 시장개척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세계 농식품 시장규모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우리나라 주요 수출대상국의 농식품 수입규모도 증가 추세에 있다 우리 농식품수출의 60 가량을 점유하는 일본middot미국middot중국middot러시아 4개국의 수입규모가 최근 5년간 1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008 Global trade atlas)

우리 농식품의 주요 수출 유망국가에서 식문화의 글로벌화 및 웰빙middot건강식품 선호추세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한식의 세계화가 진전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2008년부터 본격적인 한식세계화 사업추진으로 식문화 수출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슬로우 푸드 건강 middot 기능성식품 수요증가에 따라 저열량 middot 건강식으로서 한식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128

이에 2009년의 경우 세계적 경기침체로 해외에서 우리와 경쟁관계에 있는 주요 선진농업국의 농식품수출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우리 농식품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강 점 (S) 약 점 (W)

인근 거대 잠재시장 존재한국식품에 대한 관심 고조높은 잠재 가능성(다양한 발효 식품 우수한 식문화)

국가대표 수출상품 부족 영세한 수출 구조기술 및 안전관리 수준 등이 선진국과 격차

(O)

세계 교역규모 증가안전middot기능성 관심 증가식문화 글로벌 확산

S ndash O 전략

한식 세계화 전략 구사수출 상품화수출지향 식품클러스터 조성

W ndash O 전략

수출전문 생산단지 설치식재료 및 기능식 상품화식품기업 해외진출 지원

(T)

세계적 경제 침체가격경쟁력 취약구제역 AI 등 안전성관리 애로

S ndash T 전략

잠재력 높은 신시장 개척수출유망품목 발굴 강화수출상품 고부가가치화수출상품 브랜드화

W ndash T 전략

국가대표 수출상품 육성수출 조직화 및 규모화RampD를 통한 신품목개발수출상품 안전체계 구축

lt그림 8gt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 분석(SWOT)

더욱이 정부가 2012년까지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 목표를 설정하고 다각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모색 중에 있어 어느 때보다 농식품 수출에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우선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과거와 달리 정부가 농식품 수출 목표를 높게 잡고 열심히 해보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지금까지 진행된 경제발전과정과 WTO 출범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무역자유화 시대에서 가장 취약한 산업부문으로 여겨져 찬밥신세를 면치 못하던 우리 농수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상징적 지표다 국내 농어업이 2000년 이후 성장정체 경향을 보이고 있는 현실에서 농식품 수출 확대를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신성장 동력원으로써 물꼬를 트겠다는 적극적 자세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수출선도조직 육성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 고품질 수출농식품의 안정적인 생산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려

129

하고 있다6) 수출선도조직과 수출업체의 생산 공급 계열화 시스템은 2009년 10개 품목 13

개 조직에서 2010년 18개 품목 21개 조직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노력은 생산농가985103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균일화된 고품질 농식품의 안정적인 공급으로 해외거래처와의 신뢰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수출업체 간 저가수출과당경쟁 방지 및 공동판촉 등 협력사업 수행으로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자율협력기구인 수출협의회가 구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 품목별 수출업체의 자율협력기구(수출협의회)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농식품 수출활성화 도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Ⅳ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

1 품목별로 차별화된 수출 확대 전략 수립앞서 수출증대요인 분석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품목별 또는 품목군별로 수출결정 요인

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품목별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한 수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무역보완도가 중요한 수출결정요인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 무역보완성이 높은 국가의 시장에 대한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류 내 품목별로 무역보완성을 고려한 목표 시장을 설정하여 수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과실류와 축산물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규모나 시장개방의 정도 즉 WTO 가입이나 FTA 체결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품목의 경우 국내 기업이 많이 진출하고 있거나 시장개방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 국가가 주요 수출시장으로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출결정인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품목별로 주요 수출대상 국가별 수출저해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특히 2012년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라는 수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수출 기반 조성과 방법으로 수출을 추진해야 한다 농식품 수출의 장애요인 발굴과 제거하는 과정은 품목별 국가별 여건과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수출 목표를 빠르게 달6) 수출선도조직은 농식품 수출업체가 생산농가(lsquo생산자조직rsquo 포함)와 상호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고 수

출업체 주도로 품종선택부터 재배 수확 선별 포장 수출 안전성 및 품질관리 정산 농가교육 등의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함으로써 수출 농식품의 경쟁력을 높여 수출확대를 선도하는 조직을 말한다

130

성하기 위해서는 수출 비중과 증가율이 큰 품목과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확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수출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 장애요인 제거 방법도 보다 큰 틀에서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앞서 수출 유망 국가 및 시장 선택에 있어서는 수출결정요인 분석 결과와 함께 수출시장별 기회잠재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차별화된 시장 개척과 확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즉 국가별 수출시장 여건 및 특성에 맞추어 수출증대 노력을 기울여야 효과적인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해외시장에서 성공한 우리 농식품들은 고품질과 단일브랜드 현지형 마케팅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야 한다 특히 한반도를 중심으로 반경 19851032시간 권 안에 있는 중국 일본 대만 등 우리에게 새롭게 열린 시장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수출 확대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해외동포나 현지 교민의 직접적인 수요에 의존한 수출방식에서 이들 국가의 해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방식으로 전환하여 신규 수출수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공급 수출지원시스템 간의 밀접한 상호연계 체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2012년 100억 달러 농식품 수출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현재의 수출증가율을 큰 폭으로 상회해야 하므로 민간 차원에서 하기 힘든 수출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대규모 수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외 농식품 생산 유통업체간 전략적 글로벌 공동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반도를 동아시아 농식품 허브로 개발 육성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극적인 세계 유명 식품 박람회 참가 바이어초청 등을 통해 신규거래선 개척을 지원하여 수출업체985103바이어 간 만남의 장 마련으로 더 많은 수출기회를 제공해 나가야 한다 또한 해외 대형 바이어와의 MOU 체결 주요 식품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한국식품 직수출 유통채널 확보 및 장기대규모 소비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국내적으로도 농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수출유관기관의 역할분담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수출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외교통상부middot무역협회middotKOTRA 각종 협회 해외한인회 등 공공부문 및 민간조직과의 협력방안도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 대표급 주력 수출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2009년 현재 기준 5천만 달러 이상 수출되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은 인삼(1억 달러 rsquo09년) 김치(89백만 달러) 배(54백만 달러) 파프리카(53백만 달러) 정도이고 그 외에 이렇다할 만한 주력 수출상품이 없다는 것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품목별 수출결정요인과 함께 시장의 특성 선호도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전략수출상품을 집중 육성할 필요

131

가 있다 현재 수출규모가 큰 김치 인삼 돼지고기 배 면류 주류 과자류 참치 오징어

김 등은 현재보다 수출규모를 확대하고 세계적인 상품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또한 삼계탕

버섯류 유자차 화훼 전복 넙치 굴 등 농어민 소득증대가 크고 수출성장 가능성이 큰 품목의 발굴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농가985103 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안전성품질관리가 가능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경영체로 육성함으로써 균일화된 고품질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해외 거래선의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 기술과 자본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통해 해외 유통망 확보 노력과 함께 세계인들의 입맛을 붙잡는 그리너리(네델란드) 데니쉬 크라운(덴마크) 제스프리(뉴질랜드) 선키스트(미국) 네슬레(스위스) 등과 같은 세계적 대표 브랜드 육성이 필요하다

2 고부가가가치 농식품 수출 확대계절성이 높은 1차 농산물을 수출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2 middot 3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

치 상품을 수출하여 채산성을 높이고 수출상품을 연중 수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농식품 수출을 빠르게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품목 측면에서 최근 수출 증가율이 높은 가공농식품 중심으로 수출증대 전략을 마련하고 신선농식품 중에서는 수출 비중과 수출 증가율이 큰 과실류와 인삼류 화훼류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수출 증대 효과가 높을 것이다 김치류 등 수출 비중이 크지만 수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은 수출을 감소시킨 원인을 찾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 품목군에서도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간에 다르게 나타난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적 식문화의 세계화를 통해 국산 농식품 및 식자재의 수출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세계적인 건강식품 음식으로 이미 떠오른 김치와 비빔밥이외에도 더 많은 전략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연관된 식자재를 체계적으로 수출하는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식이 세계인의 입맛에 맞을 수 있도록 맛의 표준화를 정립하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메뉴를 개발하고 중점 지원하며 국산 식재료 유통구조의 대형화와 전문화를 통해 국산 식재료가 한식과 세계인의 식재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현재 전 세계 180여개국에 걸쳐 널리 퍼져있는 700만 재외동포와 한민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농식품 수출의 교두보로 삼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즉 해외동포기업들을 우리 농식품 및 식자재 수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전 세계

132

한국교민은 700만 명으로 화교(5500만 명) 유태인(860만 명)에 이어 세계 3번째 규모이다

약 7300개 한국 기업이 아시아 미주 유럽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지 종사자 규모가 약 150만 명에 이르며 해외 한식당은 약 1만 개로 추정된다 이들 해외 거주자는 우선적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될 수 있다

3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 우리 농식품기업의 해외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예컨대 국제적인 농식품 기업을 인수함

으로써 해외 생산기지와 유통망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보유 잉여자금을 이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해외투자활동이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농식품의 수출확대 과정에서 정부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과제 중의 하나는 국내 농어민의 소득 향상과 연계되는 수출방안의 모색이다 사실 현재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비중이 낮고 주로 가공식품위주를 이루고 국내 농업과 연관성이 높은 신선식품의 비중은 크지 않아 수출을 통한 농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농어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농식품 수출이 되도록 더 많은 정책적 고민과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2009년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가공식품은 53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선식품 수출비중이 높은 수산물을 제외하면 신선농축식품 수출비중은 15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농식품 수출이 실질적으로 국내 농어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농어민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어업과 연계된 수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수출유망 품목 발굴 노력과 함께 품목별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수출을 조직화규모화함으로써 과당경쟁 등 우리나라 수출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외에서의 거래교섭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중소규모 수출단지와 영세업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촉진하여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Dole과 선키스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 네덜란드의 그리너리와 같은 세계적인 수출조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식품 수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신선농식품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자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수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파프리카 화훼 버섯 등의 경우에도 종자부터 시설기자재까지 네덜란드 등 농업선진국에 의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13: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19

비중과 수출대상국의 품목별 수입비중을 이용하여 무역보완도를 계측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해당상품 수출구조와 교역 대상국의 수입구조가 비슷할수록 1에 가까워진다 즉 무역보완도 지수가 1에 가까울수록 우리의 수출상품이 교역대상국의 주요 수입품임을 의미하며 양국간에 교역의 특화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는 상품 수출액이 국(우리나라)의 전체 농식품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 수입액이 국(교역대상국)의 전체 농식품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1)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 주요 수출대상국 중 중국을 제외하고

1995년 이후 전반적으로 무역보완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농식품 10대 교역대상국을 대상으로 측정한 평균 무역보완도는 1995년 015에서 2008년 021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1995년 WTO 출범 이후 농식품 시장개방확대 추세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무역 역시 주요 교역대상국과 분업화와 특화가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구 분 1995년(A) 2000년 2005년 2008년(B) 보완도 차이(B985103A)호 주 0251 0292 0432 0420 0169 브 라 질 0056 0045 0076 0063 0007 중 국 0048 0058 0042 0031 9851030016 일 본 0292 0329 0409 0360 0068 뉴질랜드 0218 0242 0408 0351 0133 필 리 핀 985103 0093 0116 0081 0081 러 시 아 0034 0089 0171 0175 0141 태 국 0170 0152 0228 0236 0066 미 국 0148 0143 0263 0256 0108 베 트 남 985103 0063 0093 0102 0102 평 균 0152 0151 0224 0207 0055

lt표 6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무역 보완도 지수

주평균은 2009년 농식품 무역액을 기준으로 선정된 주요 10개국의 무역보완도 지수 산술평균을 의미한다자료UN985103comtrade 무역자료를 이용한 추정치

120

다음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교역의 산업내 무역지수를 식 (2)를 통해 계측하였다 식 (2)

는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을 구성하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을 가지고 산업내 무역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즉 농식품 산업에 속해 있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이 유사할수록 산업내 무역비중이 1에 가까워진다 일반적으로 농식품분야의 산업내 무역은 교역대상국 사이의 생산 계절성차이 품질차이 및 소비자 선호도 차이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2)

식 (2)를 이용한 추정결과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내 무역지수는 1995년 009에서 2002

년 024까지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그 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면서 2008년에는 015로 나타났다

lt그림 7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산업내 무역 지수

121

연도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농식품 분야도 산업내무역이 상당수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가격 품질 부위별 소득계층 주요 소비처 등의 선호도 차이와 생산의 계절적 차이에 따라 수출과 수입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돼지고기 김치 인삼 키위 등이 대표적 품목이다 따라서 최근 감소 추세에 있는 산업내 무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향후 주요 무역상대국을 대상으로 산업내 무역이 가능한 농식품을 발굴하는 것도 농식품 수출확대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정책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다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 분석여기서는 계량경제학적 추정방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을 분석

하였다 특히 향후 농식품의 높은 수출가능성으로 일반적으로 언급되어지는 우리나라와 가까운 거리에 일본 중국 등 대규모 농식품 소비시장의 존재가 실제 농식품 수출에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분석의 목표로 삼아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본 분석에서 설정한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추정모형은 기본적으로 중력모형을 응용한 식 (3)과 같다

In =In ()+In (

)+In ( )+

+In (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3)

vt = 국가별 확률효과 v t~iid N(oσ2v) εjt = 교란항 ε jt~iid N(oσ2ε)

주지하다시피 추정식 (3)은 일반적인 중력모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중력모형이 양 국가간의 교역(수출입)을 총체적으로 다룬 반면 여기서는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중력모형 중 우리나라의 1인당 GDP를 제외한 수출방정식을 설정하였다(Mary 2004) 식 (3)에서 는 국가별 확률효과를 나타내며 변수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별 특성을 나타낸다3)

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는 lt표 7gt과 같다 본고에서는 중력 모형에 포함되어 있는 1인당 GDP나 거리 변수 이외에 다양한 변수를 포함시켰다 우선 수출의 경우 환율에 영향을

3) 통상적인 패널 분석에서는 와 다른 설명변수들 간의 독립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추정결과의 일치성(consistency)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고정효과모형이 더 선호된다 하지만 패널 토빗모형에서는 패널이 충분히 길지 않는 한 오히려 고정효과 추정치의 일치성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확률효과 추정법이 더 선호된다(Cameron and Trivedi 2005 pp 800985103801) 따라서 본고 역시 이를 따르기로 한다

122

많이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역대상국과 우리나라의 환율을 포함시켰으며 앞서 분석한 무역보완도지수를 설명변수로 채택하여 농식품 교역이 특화되어 있는 정도가 농식품 수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무역장벽이라고 할 수 있는 관세를 포함시켰으며 각 국가의 개방도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WTO 가입여부와 우리나라와의 FTA 체결여부를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와 교역국간의 경제협력 수준을 반영하기 위해 해외직접투자액을 대리변수(proxy variable)로 사용하였다4) 또한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분석 대상국가로 설정하였고 분석기간은 1995년부터 2008년까지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는 패널데이터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품목별 수출량이 0인 연도도 존재하는 점을 감안하여5) 계량적 추정방법으로 김한호(2009) 등에서 사용한 패널토빗 계량모형(panel tobit model)을 이용하였다

변 수 설명 및 자료X jt 주요 10개국에 대한 품목별 수출액UN comtrade자료

distance 한국과의 거리한국과 교역국의 수도 간 거리 (단위Km)httpdistancecalculatorglobefeedcom

교역 대상 국가의 1인당 국민 소득(UNSD 자료와 인구통계 활용)

exchange 한국통화가치수출국통화가치 해외직접투자(한국수출입 은행 해외투자통계 자료)

conformity 무역 보완도지수 관세WTO 자료 WTO가입 여부국가별 가입 연도 기준 FTA 체결 여부국가별 체결 연도 기준

lt표 7gt 통계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 및 내용

주관세의 경우 WTO가 제공하는 각국의 품목별 관세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제공하지 않는 연도에 대해서는 이전 연도의 관세율과 같다고 가정하였다

4) 단 본고에서는 수출액과 해외직접투자가 0인 경우 1로 치환하여 로그값으로 전환시켜 자료의 손실을 줄이고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이러한 점은 본 분석의 한계라고도 볼 수 있다 즉 전체 교역액을 기준으로 대상국가를 선정하였기 때문에 해당 대상국이 실제로 해당 품목의 주요 교역국이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품목별로 주요 대상국을 설정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5) 이는 수출의 경우 0이상의 값만을 가지며 0이하의 값은 관찰되지 않기 때문이며 본고에서는 이를 0이상을 기준으로 데이터가 censored 되었다고 가정하였다

123

품목군별 추정결과는 아래 lt표 8gt sim lt표 10gt과 같으며 여기서는 주요 품목별로 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추정된 설명변수를 중심으로 수출 결정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교역대상국이 WTO 가입국 일수록 우리나라의 과실류의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그리고 신선채소류의 경우 관세가 낮을수록 화훼류는 FTA 체결국 일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과실류 (t 값) 신선 채소류 (t 값) 화훼류 (t 값)ln (fdi) 0165 (246) 0040 (035) 9851030063 (985103066)

ln (distance) 9851030543 (985103312) 9851030193 (985103164) 9851030223 (985103093)

ln (Yit Pit) 9851031015 (985103188) 0207 (053) 0400 (058)

ln (exchange) 0479 (196) 9851030210 (985103112) 0350 (108)

conformity 0115 (317) 0012 (037) 0034 (076)

tariff 0040 (142) 9851030443 (985103199) 0025 (071)

WTO 1645 (191) 9851031410 (985103129) 9851031262 (985103109)

FTA 9851030625 (985103057) 1444 (098) 4400 (297)

상수항 11106 (273) 5200 (181) 9851030232 (985103005)

σ v1) 1279 (307) 0539 (098) 1787 (357)

σ ε 1818 (1476) 2260 (1330) 2421 (1268)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8) 134(22) 134(36)

모형적합성 검증(Wald) 2896(p=0000) 2649(p=0001) 1398(p=0082)

lt표 8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과실류 신선 채소류 화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축산물(신선+가공)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9gt 참조) 그리고 교역 대상국이 FTA체결국인 경우 축산물 수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 축산물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

124

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산가공품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대상국이 FTA

체결국인 경우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전체 (t 값) 신선 (t 값) 가공 (t 값)ln (fdi) 0195 (210) 0366 (445) 0144 (106)

ln (distance) 9851030429 (985103244) 985103311 (985103233) 9851030707 (985103217)

ln (Yit Pit) 0195 (035) 0372 (080) 0579 (063)

ln (exchange) 0002 (001) 0077 (042) 9851030202 (985103046)

conformity 9851030022 (985103053) 9851030010 (985103026) 9851030098 (985103158)

tariff 0044 (155) 0041 (160) 0037 (071)

WTO 0053 (005) 9851030973 (985103091) 0184 (011)

FTA 3285 (225) 1458 (089) 5013 (261)

상수항 4083 (097) 0991 (985103027) 3135 (044)

σ v1) 1069 (278) 134e98510317 (000) 2344 (278)

σ ε 2449 (1413) 2866 (1351) 3096 (1170)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8) 134(32) 132(48)

모형적합성 검증(Wald) 2558(p=0001) 4400(p=0001) 2027(p=0009)

lt표 9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축산물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낙농품은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높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10gt 참조) 또한 교역국과 FTA를 체결할 경우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낙농품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곡물류 수출의 경우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5

변 수 낙농품 (t 값) 곡물류 (t 값)ln (fdi) 0190 (227) 0049 (101)

ln (distance) 9851030515 (985103176) 9851030532 (985103330)

ln (Yit Pit) 9851030686 (985103095) 9851030331 (985103079)

ln (exchange) 0863 (226) 0243 (119)

conformity 0097 (243) 0003 (014)

tariff 9851030190 (985103072) 9851030301 (985103190)

WTO 9851030148 (985103013) 1083 (164)

FTA 3946 (306) 0280 (037)

상수항 9030 (169) 13758 (421)

σ v1) 2113 (341) 1166 (344)

σ ε 2114 (1411) 1266 (1549)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7) 134(0)

모형적합성 검증(Wald) 3450 (p=0000) 1695(p=0031)

lt표 10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낙농품 곡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분석된 대부분 품목군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의 거리가 국산 농식품 수출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농식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부피에 비해 가격이 낮아 수송비가 교역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외에도 교역대상국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생산 및 식생활소비 패턴이 유사할 가능성이 높아 수출 증대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인접하면서 큰 농식품 시장이 있는 중국 일본 대만 중앙아시아 아세안 등에 대한 수출증가 가능성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일류 축산 특히 신선 축산물 낙농 등의 경우 해외직접투자가 많을 수록 수출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교포나 주재원 등의 수요가 많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126

3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과 기회요인가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주요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농식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쟁력 있는 대표 상품이 부족하다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은 14개로 대부분 가공식품이고 신선농산물은 4개에 불과하다

구 분 1999 2009(P)신 선 돼지고기 인삼 밥 김치 인삼 김치 파프리카 배가 공 자당 라면 소주 합판 권련 커피제조품 라면 자당 소주 비스킷수 산 참치 굴 붕장어 오징어 참치 오징어 김 넙치

lt표 11gt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

둘째 수출업체의 영세성으로 해외시장개척 및 국제경쟁력이 취약하고 수출업체의 난립으로 과잉경쟁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2008년 농식품 수출기업 921개 중 1천만 달러 이상은 22개(전체의 24)에 불과하며 1백만 달러 미만 수출업체는 689개(748)에 달한다

셋째 고품질 수출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기반이 미흡하다 수출거래 관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출 시장에서 원하는 품목과 물량을 원하는 시기에 공급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급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 생산 및 출하규모가 영세하고 내수 중심의 경영구조이기 때문에 수출거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적시 적량

정품 공급 기반이 미흡하다 수출 품목의 안전성과 품질이 담보되는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규모가 큰 수출조직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동시에 가공용 농식품 제조를 위한 품질과 가격경쟁력이 있는 원료농산물 공급기반도 미흡하다

넷째 효과적인 수출 물류 시스템 구축이 되어 있지 않다 수출 농식품의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저온유통 시스템이 가능한 물류 구축이 요구된다 하지만 국내 수출 물류시설 및 시스템이 낙후되어 신선도 및 품질 관리가 어렵고 경쟁력 제고에 한계가 많다 수출용 농식품의 국내 출하에서부터 수출 소비시장까지의 수송 저장에 필요한 냉장탑차 예냉저온선별 및 저장시설 냉장컨테이너 등의 시설 여건이 열악하여 품질 저하 감모 및 폐기물량 증가로 수출경쟁력을 제고시키기에 어려움이 많다

127

다섯째 체계적인 수출시장 개척 및 확대 시스템이 미흡하다 수출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하고 수출물량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국 도매업체와 대형판매점의 유통채널 진입과 긴밀한 네트워크유지가 필요하지만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KOTRA

유통공사 한인회 한상 등의 네트워크화를 통한 홍보 판촉 마케팅활동이 저조하다 이외에도 수출국 소매업체나 소비자들의 한국산 농식품 인지도 선호도 파악을 통한 수출 유망품목 수출 잠재품목 개발육성이 저조한 실정이다 수출국 시장 소비자 트렌드 및 라이프 스타일 조사 분석(Consumer Trends amp Lifestyle Analysis)을 통한 효과적 수요 창출 전략이 미흡하다 특히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별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나 농식품 수출의 기회요인 향후 DDA 농업협상의 타결과 FTA 체결 확대로 세계 농식품 교역규모는 큰 폭으로 증

가하여 우리 농식품 수출 증대에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DDAFTA 등으로 인한 관세 비관세 장벽 완화는 한국 농식품시장의 개방 확대와 동시에 수출시장이 확대되는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중국 인도 등 신흥경제권의 경제성장과 소득 증대로 우리나라의 고품질 차별화된 농식품의 수출확대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는 앞서 분석한 수출요인 결정모형의 분석 결과와 연관지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주요 국가와의 FTA의 체결과 해외진출 및 투자의 증가 교역국의 소득 증가 그리고 가까운 거리에 대규모 농식품 수출시장의 존재 등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즉 이러한 농식품 수출여건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은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식품 수출시장이 일본 중심에서 중국 러시아 동남아지역 등으로 다변화되어 가고 있어 시장개척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세계 농식품 시장규모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우리나라 주요 수출대상국의 농식품 수입규모도 증가 추세에 있다 우리 농식품수출의 60 가량을 점유하는 일본middot미국middot중국middot러시아 4개국의 수입규모가 최근 5년간 1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008 Global trade atlas)

우리 농식품의 주요 수출 유망국가에서 식문화의 글로벌화 및 웰빙middot건강식품 선호추세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한식의 세계화가 진전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2008년부터 본격적인 한식세계화 사업추진으로 식문화 수출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슬로우 푸드 건강 middot 기능성식품 수요증가에 따라 저열량 middot 건강식으로서 한식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128

이에 2009년의 경우 세계적 경기침체로 해외에서 우리와 경쟁관계에 있는 주요 선진농업국의 농식품수출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우리 농식품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강 점 (S) 약 점 (W)

인근 거대 잠재시장 존재한국식품에 대한 관심 고조높은 잠재 가능성(다양한 발효 식품 우수한 식문화)

국가대표 수출상품 부족 영세한 수출 구조기술 및 안전관리 수준 등이 선진국과 격차

(O)

세계 교역규모 증가안전middot기능성 관심 증가식문화 글로벌 확산

S ndash O 전략

한식 세계화 전략 구사수출 상품화수출지향 식품클러스터 조성

W ndash O 전략

수출전문 생산단지 설치식재료 및 기능식 상품화식품기업 해외진출 지원

(T)

세계적 경제 침체가격경쟁력 취약구제역 AI 등 안전성관리 애로

S ndash T 전략

잠재력 높은 신시장 개척수출유망품목 발굴 강화수출상품 고부가가치화수출상품 브랜드화

W ndash T 전략

국가대표 수출상품 육성수출 조직화 및 규모화RampD를 통한 신품목개발수출상품 안전체계 구축

lt그림 8gt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 분석(SWOT)

더욱이 정부가 2012년까지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 목표를 설정하고 다각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모색 중에 있어 어느 때보다 농식품 수출에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우선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과거와 달리 정부가 농식품 수출 목표를 높게 잡고 열심히 해보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지금까지 진행된 경제발전과정과 WTO 출범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무역자유화 시대에서 가장 취약한 산업부문으로 여겨져 찬밥신세를 면치 못하던 우리 농수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상징적 지표다 국내 농어업이 2000년 이후 성장정체 경향을 보이고 있는 현실에서 농식품 수출 확대를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신성장 동력원으로써 물꼬를 트겠다는 적극적 자세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수출선도조직 육성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 고품질 수출농식품의 안정적인 생산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려

129

하고 있다6) 수출선도조직과 수출업체의 생산 공급 계열화 시스템은 2009년 10개 품목 13

개 조직에서 2010년 18개 품목 21개 조직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노력은 생산농가985103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균일화된 고품질 농식품의 안정적인 공급으로 해외거래처와의 신뢰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수출업체 간 저가수출과당경쟁 방지 및 공동판촉 등 협력사업 수행으로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자율협력기구인 수출협의회가 구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 품목별 수출업체의 자율협력기구(수출협의회)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농식품 수출활성화 도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Ⅳ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

1 품목별로 차별화된 수출 확대 전략 수립앞서 수출증대요인 분석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품목별 또는 품목군별로 수출결정 요인

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품목별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한 수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무역보완도가 중요한 수출결정요인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 무역보완성이 높은 국가의 시장에 대한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류 내 품목별로 무역보완성을 고려한 목표 시장을 설정하여 수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과실류와 축산물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규모나 시장개방의 정도 즉 WTO 가입이나 FTA 체결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품목의 경우 국내 기업이 많이 진출하고 있거나 시장개방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 국가가 주요 수출시장으로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출결정인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품목별로 주요 수출대상 국가별 수출저해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특히 2012년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라는 수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수출 기반 조성과 방법으로 수출을 추진해야 한다 농식품 수출의 장애요인 발굴과 제거하는 과정은 품목별 국가별 여건과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수출 목표를 빠르게 달6) 수출선도조직은 농식품 수출업체가 생산농가(lsquo생산자조직rsquo 포함)와 상호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고 수

출업체 주도로 품종선택부터 재배 수확 선별 포장 수출 안전성 및 품질관리 정산 농가교육 등의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함으로써 수출 농식품의 경쟁력을 높여 수출확대를 선도하는 조직을 말한다

130

성하기 위해서는 수출 비중과 증가율이 큰 품목과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확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수출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 장애요인 제거 방법도 보다 큰 틀에서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앞서 수출 유망 국가 및 시장 선택에 있어서는 수출결정요인 분석 결과와 함께 수출시장별 기회잠재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차별화된 시장 개척과 확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즉 국가별 수출시장 여건 및 특성에 맞추어 수출증대 노력을 기울여야 효과적인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해외시장에서 성공한 우리 농식품들은 고품질과 단일브랜드 현지형 마케팅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야 한다 특히 한반도를 중심으로 반경 19851032시간 권 안에 있는 중국 일본 대만 등 우리에게 새롭게 열린 시장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수출 확대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해외동포나 현지 교민의 직접적인 수요에 의존한 수출방식에서 이들 국가의 해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방식으로 전환하여 신규 수출수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공급 수출지원시스템 간의 밀접한 상호연계 체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2012년 100억 달러 농식품 수출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현재의 수출증가율을 큰 폭으로 상회해야 하므로 민간 차원에서 하기 힘든 수출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대규모 수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외 농식품 생산 유통업체간 전략적 글로벌 공동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반도를 동아시아 농식품 허브로 개발 육성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극적인 세계 유명 식품 박람회 참가 바이어초청 등을 통해 신규거래선 개척을 지원하여 수출업체985103바이어 간 만남의 장 마련으로 더 많은 수출기회를 제공해 나가야 한다 또한 해외 대형 바이어와의 MOU 체결 주요 식품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한국식품 직수출 유통채널 확보 및 장기대규모 소비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국내적으로도 농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수출유관기관의 역할분담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수출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외교통상부middot무역협회middotKOTRA 각종 협회 해외한인회 등 공공부문 및 민간조직과의 협력방안도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 대표급 주력 수출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2009년 현재 기준 5천만 달러 이상 수출되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은 인삼(1억 달러 rsquo09년) 김치(89백만 달러) 배(54백만 달러) 파프리카(53백만 달러) 정도이고 그 외에 이렇다할 만한 주력 수출상품이 없다는 것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품목별 수출결정요인과 함께 시장의 특성 선호도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전략수출상품을 집중 육성할 필요

131

가 있다 현재 수출규모가 큰 김치 인삼 돼지고기 배 면류 주류 과자류 참치 오징어

김 등은 현재보다 수출규모를 확대하고 세계적인 상품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또한 삼계탕

버섯류 유자차 화훼 전복 넙치 굴 등 농어민 소득증대가 크고 수출성장 가능성이 큰 품목의 발굴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농가985103 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안전성품질관리가 가능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경영체로 육성함으로써 균일화된 고품질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해외 거래선의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 기술과 자본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통해 해외 유통망 확보 노력과 함께 세계인들의 입맛을 붙잡는 그리너리(네델란드) 데니쉬 크라운(덴마크) 제스프리(뉴질랜드) 선키스트(미국) 네슬레(스위스) 등과 같은 세계적 대표 브랜드 육성이 필요하다

2 고부가가가치 농식품 수출 확대계절성이 높은 1차 농산물을 수출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2 middot 3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

치 상품을 수출하여 채산성을 높이고 수출상품을 연중 수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농식품 수출을 빠르게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품목 측면에서 최근 수출 증가율이 높은 가공농식품 중심으로 수출증대 전략을 마련하고 신선농식품 중에서는 수출 비중과 수출 증가율이 큰 과실류와 인삼류 화훼류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수출 증대 효과가 높을 것이다 김치류 등 수출 비중이 크지만 수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은 수출을 감소시킨 원인을 찾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 품목군에서도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간에 다르게 나타난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적 식문화의 세계화를 통해 국산 농식품 및 식자재의 수출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세계적인 건강식품 음식으로 이미 떠오른 김치와 비빔밥이외에도 더 많은 전략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연관된 식자재를 체계적으로 수출하는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식이 세계인의 입맛에 맞을 수 있도록 맛의 표준화를 정립하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메뉴를 개발하고 중점 지원하며 국산 식재료 유통구조의 대형화와 전문화를 통해 국산 식재료가 한식과 세계인의 식재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현재 전 세계 180여개국에 걸쳐 널리 퍼져있는 700만 재외동포와 한민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농식품 수출의 교두보로 삼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즉 해외동포기업들을 우리 농식품 및 식자재 수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전 세계

132

한국교민은 700만 명으로 화교(5500만 명) 유태인(860만 명)에 이어 세계 3번째 규모이다

약 7300개 한국 기업이 아시아 미주 유럽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지 종사자 규모가 약 150만 명에 이르며 해외 한식당은 약 1만 개로 추정된다 이들 해외 거주자는 우선적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될 수 있다

3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 우리 농식품기업의 해외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예컨대 국제적인 농식품 기업을 인수함

으로써 해외 생산기지와 유통망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보유 잉여자금을 이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해외투자활동이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농식품의 수출확대 과정에서 정부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과제 중의 하나는 국내 농어민의 소득 향상과 연계되는 수출방안의 모색이다 사실 현재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비중이 낮고 주로 가공식품위주를 이루고 국내 농업과 연관성이 높은 신선식품의 비중은 크지 않아 수출을 통한 농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농어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농식품 수출이 되도록 더 많은 정책적 고민과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2009년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가공식품은 53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선식품 수출비중이 높은 수산물을 제외하면 신선농축식품 수출비중은 15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농식품 수출이 실질적으로 국내 농어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농어민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어업과 연계된 수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수출유망 품목 발굴 노력과 함께 품목별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수출을 조직화규모화함으로써 과당경쟁 등 우리나라 수출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외에서의 거래교섭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중소규모 수출단지와 영세업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촉진하여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Dole과 선키스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 네덜란드의 그리너리와 같은 세계적인 수출조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식품 수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신선농식품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자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수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파프리카 화훼 버섯 등의 경우에도 종자부터 시설기자재까지 네덜란드 등 농업선진국에 의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14: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20

다음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교역의 산업내 무역지수를 식 (2)를 통해 계측하였다 식 (2)

는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을 구성하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을 가지고 산업내 무역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즉 농식품 산업에 속해 있는 품목별 수출비중과 수입비중이 유사할수록 산업내 무역비중이 1에 가까워진다 일반적으로 농식품분야의 산업내 무역은 교역대상국 사이의 생산 계절성차이 품질차이 및 소비자 선호도 차이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상품이 총 농식품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times

times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2)

식 (2)를 이용한 추정결과 우리나라의 농식품 산업내 무역지수는 1995년 009에서 2002

년 024까지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그 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면서 2008년에는 015로 나타났다

lt그림 7gt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산업내 무역 지수

121

연도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농식품 분야도 산업내무역이 상당수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가격 품질 부위별 소득계층 주요 소비처 등의 선호도 차이와 생산의 계절적 차이에 따라 수출과 수입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돼지고기 김치 인삼 키위 등이 대표적 품목이다 따라서 최근 감소 추세에 있는 산업내 무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향후 주요 무역상대국을 대상으로 산업내 무역이 가능한 농식품을 발굴하는 것도 농식품 수출확대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정책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다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 분석여기서는 계량경제학적 추정방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을 분석

하였다 특히 향후 농식품의 높은 수출가능성으로 일반적으로 언급되어지는 우리나라와 가까운 거리에 일본 중국 등 대규모 농식품 소비시장의 존재가 실제 농식품 수출에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분석의 목표로 삼아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본 분석에서 설정한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추정모형은 기본적으로 중력모형을 응용한 식 (3)과 같다

In =In ()+In (

)+In ( )+

+In (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3)

vt = 국가별 확률효과 v t~iid N(oσ2v) εjt = 교란항 ε jt~iid N(oσ2ε)

주지하다시피 추정식 (3)은 일반적인 중력모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중력모형이 양 국가간의 교역(수출입)을 총체적으로 다룬 반면 여기서는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중력모형 중 우리나라의 1인당 GDP를 제외한 수출방정식을 설정하였다(Mary 2004) 식 (3)에서 는 국가별 확률효과를 나타내며 변수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별 특성을 나타낸다3)

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는 lt표 7gt과 같다 본고에서는 중력 모형에 포함되어 있는 1인당 GDP나 거리 변수 이외에 다양한 변수를 포함시켰다 우선 수출의 경우 환율에 영향을

3) 통상적인 패널 분석에서는 와 다른 설명변수들 간의 독립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추정결과의 일치성(consistency)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고정효과모형이 더 선호된다 하지만 패널 토빗모형에서는 패널이 충분히 길지 않는 한 오히려 고정효과 추정치의 일치성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확률효과 추정법이 더 선호된다(Cameron and Trivedi 2005 pp 800985103801) 따라서 본고 역시 이를 따르기로 한다

122

많이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역대상국과 우리나라의 환율을 포함시켰으며 앞서 분석한 무역보완도지수를 설명변수로 채택하여 농식품 교역이 특화되어 있는 정도가 농식품 수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무역장벽이라고 할 수 있는 관세를 포함시켰으며 각 국가의 개방도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WTO 가입여부와 우리나라와의 FTA 체결여부를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와 교역국간의 경제협력 수준을 반영하기 위해 해외직접투자액을 대리변수(proxy variable)로 사용하였다4) 또한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분석 대상국가로 설정하였고 분석기간은 1995년부터 2008년까지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는 패널데이터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품목별 수출량이 0인 연도도 존재하는 점을 감안하여5) 계량적 추정방법으로 김한호(2009) 등에서 사용한 패널토빗 계량모형(panel tobit model)을 이용하였다

변 수 설명 및 자료X jt 주요 10개국에 대한 품목별 수출액UN comtrade자료

distance 한국과의 거리한국과 교역국의 수도 간 거리 (단위Km)httpdistancecalculatorglobefeedcom

교역 대상 국가의 1인당 국민 소득(UNSD 자료와 인구통계 활용)

exchange 한국통화가치수출국통화가치 해외직접투자(한국수출입 은행 해외투자통계 자료)

conformity 무역 보완도지수 관세WTO 자료 WTO가입 여부국가별 가입 연도 기준 FTA 체결 여부국가별 체결 연도 기준

lt표 7gt 통계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 및 내용

주관세의 경우 WTO가 제공하는 각국의 품목별 관세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제공하지 않는 연도에 대해서는 이전 연도의 관세율과 같다고 가정하였다

4) 단 본고에서는 수출액과 해외직접투자가 0인 경우 1로 치환하여 로그값으로 전환시켜 자료의 손실을 줄이고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이러한 점은 본 분석의 한계라고도 볼 수 있다 즉 전체 교역액을 기준으로 대상국가를 선정하였기 때문에 해당 대상국이 실제로 해당 품목의 주요 교역국이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품목별로 주요 대상국을 설정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5) 이는 수출의 경우 0이상의 값만을 가지며 0이하의 값은 관찰되지 않기 때문이며 본고에서는 이를 0이상을 기준으로 데이터가 censored 되었다고 가정하였다

123

품목군별 추정결과는 아래 lt표 8gt sim lt표 10gt과 같으며 여기서는 주요 품목별로 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추정된 설명변수를 중심으로 수출 결정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교역대상국이 WTO 가입국 일수록 우리나라의 과실류의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그리고 신선채소류의 경우 관세가 낮을수록 화훼류는 FTA 체결국 일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과실류 (t 값) 신선 채소류 (t 값) 화훼류 (t 값)ln (fdi) 0165 (246) 0040 (035) 9851030063 (985103066)

ln (distance) 9851030543 (985103312) 9851030193 (985103164) 9851030223 (985103093)

ln (Yit Pit) 9851031015 (985103188) 0207 (053) 0400 (058)

ln (exchange) 0479 (196) 9851030210 (985103112) 0350 (108)

conformity 0115 (317) 0012 (037) 0034 (076)

tariff 0040 (142) 9851030443 (985103199) 0025 (071)

WTO 1645 (191) 9851031410 (985103129) 9851031262 (985103109)

FTA 9851030625 (985103057) 1444 (098) 4400 (297)

상수항 11106 (273) 5200 (181) 9851030232 (985103005)

σ v1) 1279 (307) 0539 (098) 1787 (357)

σ ε 1818 (1476) 2260 (1330) 2421 (1268)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8) 134(22) 134(36)

모형적합성 검증(Wald) 2896(p=0000) 2649(p=0001) 1398(p=0082)

lt표 8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과실류 신선 채소류 화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축산물(신선+가공)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9gt 참조) 그리고 교역 대상국이 FTA체결국인 경우 축산물 수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 축산물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

124

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산가공품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대상국이 FTA

체결국인 경우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전체 (t 값) 신선 (t 값) 가공 (t 값)ln (fdi) 0195 (210) 0366 (445) 0144 (106)

ln (distance) 9851030429 (985103244) 985103311 (985103233) 9851030707 (985103217)

ln (Yit Pit) 0195 (035) 0372 (080) 0579 (063)

ln (exchange) 0002 (001) 0077 (042) 9851030202 (985103046)

conformity 9851030022 (985103053) 9851030010 (985103026) 9851030098 (985103158)

tariff 0044 (155) 0041 (160) 0037 (071)

WTO 0053 (005) 9851030973 (985103091) 0184 (011)

FTA 3285 (225) 1458 (089) 5013 (261)

상수항 4083 (097) 0991 (985103027) 3135 (044)

σ v1) 1069 (278) 134e98510317 (000) 2344 (278)

σ ε 2449 (1413) 2866 (1351) 3096 (1170)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8) 134(32) 132(48)

모형적합성 검증(Wald) 2558(p=0001) 4400(p=0001) 2027(p=0009)

lt표 9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축산물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낙농품은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높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10gt 참조) 또한 교역국과 FTA를 체결할 경우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낙농품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곡물류 수출의 경우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5

변 수 낙농품 (t 값) 곡물류 (t 값)ln (fdi) 0190 (227) 0049 (101)

ln (distance) 9851030515 (985103176) 9851030532 (985103330)

ln (Yit Pit) 9851030686 (985103095) 9851030331 (985103079)

ln (exchange) 0863 (226) 0243 (119)

conformity 0097 (243) 0003 (014)

tariff 9851030190 (985103072) 9851030301 (985103190)

WTO 9851030148 (985103013) 1083 (164)

FTA 3946 (306) 0280 (037)

상수항 9030 (169) 13758 (421)

σ v1) 2113 (341) 1166 (344)

σ ε 2114 (1411) 1266 (1549)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7) 134(0)

모형적합성 검증(Wald) 3450 (p=0000) 1695(p=0031)

lt표 10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낙농품 곡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분석된 대부분 품목군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의 거리가 국산 농식품 수출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농식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부피에 비해 가격이 낮아 수송비가 교역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외에도 교역대상국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생산 및 식생활소비 패턴이 유사할 가능성이 높아 수출 증대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인접하면서 큰 농식품 시장이 있는 중국 일본 대만 중앙아시아 아세안 등에 대한 수출증가 가능성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일류 축산 특히 신선 축산물 낙농 등의 경우 해외직접투자가 많을 수록 수출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교포나 주재원 등의 수요가 많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126

3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과 기회요인가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주요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농식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쟁력 있는 대표 상품이 부족하다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은 14개로 대부분 가공식품이고 신선농산물은 4개에 불과하다

구 분 1999 2009(P)신 선 돼지고기 인삼 밥 김치 인삼 김치 파프리카 배가 공 자당 라면 소주 합판 권련 커피제조품 라면 자당 소주 비스킷수 산 참치 굴 붕장어 오징어 참치 오징어 김 넙치

lt표 11gt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

둘째 수출업체의 영세성으로 해외시장개척 및 국제경쟁력이 취약하고 수출업체의 난립으로 과잉경쟁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2008년 농식품 수출기업 921개 중 1천만 달러 이상은 22개(전체의 24)에 불과하며 1백만 달러 미만 수출업체는 689개(748)에 달한다

셋째 고품질 수출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기반이 미흡하다 수출거래 관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출 시장에서 원하는 품목과 물량을 원하는 시기에 공급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급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 생산 및 출하규모가 영세하고 내수 중심의 경영구조이기 때문에 수출거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적시 적량

정품 공급 기반이 미흡하다 수출 품목의 안전성과 품질이 담보되는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규모가 큰 수출조직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동시에 가공용 농식품 제조를 위한 품질과 가격경쟁력이 있는 원료농산물 공급기반도 미흡하다

넷째 효과적인 수출 물류 시스템 구축이 되어 있지 않다 수출 농식품의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저온유통 시스템이 가능한 물류 구축이 요구된다 하지만 국내 수출 물류시설 및 시스템이 낙후되어 신선도 및 품질 관리가 어렵고 경쟁력 제고에 한계가 많다 수출용 농식품의 국내 출하에서부터 수출 소비시장까지의 수송 저장에 필요한 냉장탑차 예냉저온선별 및 저장시설 냉장컨테이너 등의 시설 여건이 열악하여 품질 저하 감모 및 폐기물량 증가로 수출경쟁력을 제고시키기에 어려움이 많다

127

다섯째 체계적인 수출시장 개척 및 확대 시스템이 미흡하다 수출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하고 수출물량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국 도매업체와 대형판매점의 유통채널 진입과 긴밀한 네트워크유지가 필요하지만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KOTRA

유통공사 한인회 한상 등의 네트워크화를 통한 홍보 판촉 마케팅활동이 저조하다 이외에도 수출국 소매업체나 소비자들의 한국산 농식품 인지도 선호도 파악을 통한 수출 유망품목 수출 잠재품목 개발육성이 저조한 실정이다 수출국 시장 소비자 트렌드 및 라이프 스타일 조사 분석(Consumer Trends amp Lifestyle Analysis)을 통한 효과적 수요 창출 전략이 미흡하다 특히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별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나 농식품 수출의 기회요인 향후 DDA 농업협상의 타결과 FTA 체결 확대로 세계 농식품 교역규모는 큰 폭으로 증

가하여 우리 농식품 수출 증대에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DDAFTA 등으로 인한 관세 비관세 장벽 완화는 한국 농식품시장의 개방 확대와 동시에 수출시장이 확대되는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중국 인도 등 신흥경제권의 경제성장과 소득 증대로 우리나라의 고품질 차별화된 농식품의 수출확대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는 앞서 분석한 수출요인 결정모형의 분석 결과와 연관지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주요 국가와의 FTA의 체결과 해외진출 및 투자의 증가 교역국의 소득 증가 그리고 가까운 거리에 대규모 농식품 수출시장의 존재 등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즉 이러한 농식품 수출여건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은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식품 수출시장이 일본 중심에서 중국 러시아 동남아지역 등으로 다변화되어 가고 있어 시장개척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세계 농식품 시장규모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우리나라 주요 수출대상국의 농식품 수입규모도 증가 추세에 있다 우리 농식품수출의 60 가량을 점유하는 일본middot미국middot중국middot러시아 4개국의 수입규모가 최근 5년간 1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008 Global trade atlas)

우리 농식품의 주요 수출 유망국가에서 식문화의 글로벌화 및 웰빙middot건강식품 선호추세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한식의 세계화가 진전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2008년부터 본격적인 한식세계화 사업추진으로 식문화 수출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슬로우 푸드 건강 middot 기능성식품 수요증가에 따라 저열량 middot 건강식으로서 한식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128

이에 2009년의 경우 세계적 경기침체로 해외에서 우리와 경쟁관계에 있는 주요 선진농업국의 농식품수출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우리 농식품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강 점 (S) 약 점 (W)

인근 거대 잠재시장 존재한국식품에 대한 관심 고조높은 잠재 가능성(다양한 발효 식품 우수한 식문화)

국가대표 수출상품 부족 영세한 수출 구조기술 및 안전관리 수준 등이 선진국과 격차

(O)

세계 교역규모 증가안전middot기능성 관심 증가식문화 글로벌 확산

S ndash O 전략

한식 세계화 전략 구사수출 상품화수출지향 식품클러스터 조성

W ndash O 전략

수출전문 생산단지 설치식재료 및 기능식 상품화식품기업 해외진출 지원

(T)

세계적 경제 침체가격경쟁력 취약구제역 AI 등 안전성관리 애로

S ndash T 전략

잠재력 높은 신시장 개척수출유망품목 발굴 강화수출상품 고부가가치화수출상품 브랜드화

W ndash T 전략

국가대표 수출상품 육성수출 조직화 및 규모화RampD를 통한 신품목개발수출상품 안전체계 구축

lt그림 8gt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 분석(SWOT)

더욱이 정부가 2012년까지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 목표를 설정하고 다각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모색 중에 있어 어느 때보다 농식품 수출에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우선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과거와 달리 정부가 농식품 수출 목표를 높게 잡고 열심히 해보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지금까지 진행된 경제발전과정과 WTO 출범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무역자유화 시대에서 가장 취약한 산업부문으로 여겨져 찬밥신세를 면치 못하던 우리 농수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상징적 지표다 국내 농어업이 2000년 이후 성장정체 경향을 보이고 있는 현실에서 농식품 수출 확대를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신성장 동력원으로써 물꼬를 트겠다는 적극적 자세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수출선도조직 육성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 고품질 수출농식품의 안정적인 생산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려

129

하고 있다6) 수출선도조직과 수출업체의 생산 공급 계열화 시스템은 2009년 10개 품목 13

개 조직에서 2010년 18개 품목 21개 조직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노력은 생산농가985103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균일화된 고품질 농식품의 안정적인 공급으로 해외거래처와의 신뢰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수출업체 간 저가수출과당경쟁 방지 및 공동판촉 등 협력사업 수행으로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자율협력기구인 수출협의회가 구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 품목별 수출업체의 자율협력기구(수출협의회)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농식품 수출활성화 도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Ⅳ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

1 품목별로 차별화된 수출 확대 전략 수립앞서 수출증대요인 분석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품목별 또는 품목군별로 수출결정 요인

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품목별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한 수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무역보완도가 중요한 수출결정요인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 무역보완성이 높은 국가의 시장에 대한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류 내 품목별로 무역보완성을 고려한 목표 시장을 설정하여 수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과실류와 축산물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규모나 시장개방의 정도 즉 WTO 가입이나 FTA 체결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품목의 경우 국내 기업이 많이 진출하고 있거나 시장개방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 국가가 주요 수출시장으로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출결정인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품목별로 주요 수출대상 국가별 수출저해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특히 2012년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라는 수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수출 기반 조성과 방법으로 수출을 추진해야 한다 농식품 수출의 장애요인 발굴과 제거하는 과정은 품목별 국가별 여건과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수출 목표를 빠르게 달6) 수출선도조직은 농식품 수출업체가 생산농가(lsquo생산자조직rsquo 포함)와 상호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고 수

출업체 주도로 품종선택부터 재배 수확 선별 포장 수출 안전성 및 품질관리 정산 농가교육 등의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함으로써 수출 농식품의 경쟁력을 높여 수출확대를 선도하는 조직을 말한다

130

성하기 위해서는 수출 비중과 증가율이 큰 품목과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확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수출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 장애요인 제거 방법도 보다 큰 틀에서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앞서 수출 유망 국가 및 시장 선택에 있어서는 수출결정요인 분석 결과와 함께 수출시장별 기회잠재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차별화된 시장 개척과 확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즉 국가별 수출시장 여건 및 특성에 맞추어 수출증대 노력을 기울여야 효과적인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해외시장에서 성공한 우리 농식품들은 고품질과 단일브랜드 현지형 마케팅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야 한다 특히 한반도를 중심으로 반경 19851032시간 권 안에 있는 중국 일본 대만 등 우리에게 새롭게 열린 시장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수출 확대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해외동포나 현지 교민의 직접적인 수요에 의존한 수출방식에서 이들 국가의 해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방식으로 전환하여 신규 수출수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공급 수출지원시스템 간의 밀접한 상호연계 체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2012년 100억 달러 농식품 수출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현재의 수출증가율을 큰 폭으로 상회해야 하므로 민간 차원에서 하기 힘든 수출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대규모 수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외 농식품 생산 유통업체간 전략적 글로벌 공동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반도를 동아시아 농식품 허브로 개발 육성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극적인 세계 유명 식품 박람회 참가 바이어초청 등을 통해 신규거래선 개척을 지원하여 수출업체985103바이어 간 만남의 장 마련으로 더 많은 수출기회를 제공해 나가야 한다 또한 해외 대형 바이어와의 MOU 체결 주요 식품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한국식품 직수출 유통채널 확보 및 장기대규모 소비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국내적으로도 농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수출유관기관의 역할분담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수출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외교통상부middot무역협회middotKOTRA 각종 협회 해외한인회 등 공공부문 및 민간조직과의 협력방안도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 대표급 주력 수출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2009년 현재 기준 5천만 달러 이상 수출되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은 인삼(1억 달러 rsquo09년) 김치(89백만 달러) 배(54백만 달러) 파프리카(53백만 달러) 정도이고 그 외에 이렇다할 만한 주력 수출상품이 없다는 것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품목별 수출결정요인과 함께 시장의 특성 선호도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전략수출상품을 집중 육성할 필요

131

가 있다 현재 수출규모가 큰 김치 인삼 돼지고기 배 면류 주류 과자류 참치 오징어

김 등은 현재보다 수출규모를 확대하고 세계적인 상품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또한 삼계탕

버섯류 유자차 화훼 전복 넙치 굴 등 농어민 소득증대가 크고 수출성장 가능성이 큰 품목의 발굴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농가985103 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안전성품질관리가 가능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경영체로 육성함으로써 균일화된 고품질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해외 거래선의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 기술과 자본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통해 해외 유통망 확보 노력과 함께 세계인들의 입맛을 붙잡는 그리너리(네델란드) 데니쉬 크라운(덴마크) 제스프리(뉴질랜드) 선키스트(미국) 네슬레(스위스) 등과 같은 세계적 대표 브랜드 육성이 필요하다

2 고부가가가치 농식품 수출 확대계절성이 높은 1차 농산물을 수출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2 middot 3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

치 상품을 수출하여 채산성을 높이고 수출상품을 연중 수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농식품 수출을 빠르게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품목 측면에서 최근 수출 증가율이 높은 가공농식품 중심으로 수출증대 전략을 마련하고 신선농식품 중에서는 수출 비중과 수출 증가율이 큰 과실류와 인삼류 화훼류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수출 증대 효과가 높을 것이다 김치류 등 수출 비중이 크지만 수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은 수출을 감소시킨 원인을 찾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 품목군에서도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간에 다르게 나타난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적 식문화의 세계화를 통해 국산 농식품 및 식자재의 수출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세계적인 건강식품 음식으로 이미 떠오른 김치와 비빔밥이외에도 더 많은 전략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연관된 식자재를 체계적으로 수출하는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식이 세계인의 입맛에 맞을 수 있도록 맛의 표준화를 정립하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메뉴를 개발하고 중점 지원하며 국산 식재료 유통구조의 대형화와 전문화를 통해 국산 식재료가 한식과 세계인의 식재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현재 전 세계 180여개국에 걸쳐 널리 퍼져있는 700만 재외동포와 한민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농식품 수출의 교두보로 삼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즉 해외동포기업들을 우리 농식품 및 식자재 수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전 세계

132

한국교민은 700만 명으로 화교(5500만 명) 유태인(860만 명)에 이어 세계 3번째 규모이다

약 7300개 한국 기업이 아시아 미주 유럽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지 종사자 규모가 약 150만 명에 이르며 해외 한식당은 약 1만 개로 추정된다 이들 해외 거주자는 우선적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될 수 있다

3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 우리 농식품기업의 해외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예컨대 국제적인 농식품 기업을 인수함

으로써 해외 생산기지와 유통망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보유 잉여자금을 이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해외투자활동이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농식품의 수출확대 과정에서 정부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과제 중의 하나는 국내 농어민의 소득 향상과 연계되는 수출방안의 모색이다 사실 현재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비중이 낮고 주로 가공식품위주를 이루고 국내 농업과 연관성이 높은 신선식품의 비중은 크지 않아 수출을 통한 농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농어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농식품 수출이 되도록 더 많은 정책적 고민과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2009년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가공식품은 53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선식품 수출비중이 높은 수산물을 제외하면 신선농축식품 수출비중은 15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농식품 수출이 실질적으로 국내 농어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농어민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어업과 연계된 수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수출유망 품목 발굴 노력과 함께 품목별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수출을 조직화규모화함으로써 과당경쟁 등 우리나라 수출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외에서의 거래교섭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중소규모 수출단지와 영세업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촉진하여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Dole과 선키스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 네덜란드의 그리너리와 같은 세계적인 수출조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식품 수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신선농식품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자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수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파프리카 화훼 버섯 등의 경우에도 종자부터 시설기자재까지 네덜란드 등 농업선진국에 의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15: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21

연도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농식품 분야도 산업내무역이 상당수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가격 품질 부위별 소득계층 주요 소비처 등의 선호도 차이와 생산의 계절적 차이에 따라 수출과 수입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돼지고기 김치 인삼 키위 등이 대표적 품목이다 따라서 최근 감소 추세에 있는 산업내 무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향후 주요 무역상대국을 대상으로 산업내 무역이 가능한 농식품을 발굴하는 것도 농식품 수출확대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정책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다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 분석여기서는 계량경제학적 추정방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결정요인을 분석

하였다 특히 향후 농식품의 높은 수출가능성으로 일반적으로 언급되어지는 우리나라와 가까운 거리에 일본 중국 등 대규모 농식품 소비시장의 존재가 실제 농식품 수출에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분석의 목표로 삼아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본 분석에서 설정한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추정모형은 기본적으로 중력모형을 응용한 식 (3)과 같다

In =In ()+In (

)+In ( )+

+In (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식 (3)

vt = 국가별 확률효과 v t~iid N(oσ2v) εjt = 교란항 ε jt~iid N(oσ2ε)

주지하다시피 추정식 (3)은 일반적인 중력모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중력모형이 양 국가간의 교역(수출입)을 총체적으로 다룬 반면 여기서는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중력모형 중 우리나라의 1인당 GDP를 제외한 수출방정식을 설정하였다(Mary 2004) 식 (3)에서 는 국가별 확률효과를 나타내며 변수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별 특성을 나타낸다3)

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는 lt표 7gt과 같다 본고에서는 중력 모형에 포함되어 있는 1인당 GDP나 거리 변수 이외에 다양한 변수를 포함시켰다 우선 수출의 경우 환율에 영향을

3) 통상적인 패널 분석에서는 와 다른 설명변수들 간의 독립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추정결과의 일치성(consistency)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고정효과모형이 더 선호된다 하지만 패널 토빗모형에서는 패널이 충분히 길지 않는 한 오히려 고정효과 추정치의 일치성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확률효과 추정법이 더 선호된다(Cameron and Trivedi 2005 pp 800985103801) 따라서 본고 역시 이를 따르기로 한다

122

많이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역대상국과 우리나라의 환율을 포함시켰으며 앞서 분석한 무역보완도지수를 설명변수로 채택하여 농식품 교역이 특화되어 있는 정도가 농식품 수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무역장벽이라고 할 수 있는 관세를 포함시켰으며 각 국가의 개방도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WTO 가입여부와 우리나라와의 FTA 체결여부를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와 교역국간의 경제협력 수준을 반영하기 위해 해외직접투자액을 대리변수(proxy variable)로 사용하였다4) 또한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분석 대상국가로 설정하였고 분석기간은 1995년부터 2008년까지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는 패널데이터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품목별 수출량이 0인 연도도 존재하는 점을 감안하여5) 계량적 추정방법으로 김한호(2009) 등에서 사용한 패널토빗 계량모형(panel tobit model)을 이용하였다

변 수 설명 및 자료X jt 주요 10개국에 대한 품목별 수출액UN comtrade자료

distance 한국과의 거리한국과 교역국의 수도 간 거리 (단위Km)httpdistancecalculatorglobefeedcom

교역 대상 국가의 1인당 국민 소득(UNSD 자료와 인구통계 활용)

exchange 한국통화가치수출국통화가치 해외직접투자(한국수출입 은행 해외투자통계 자료)

conformity 무역 보완도지수 관세WTO 자료 WTO가입 여부국가별 가입 연도 기준 FTA 체결 여부국가별 체결 연도 기준

lt표 7gt 통계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 및 내용

주관세의 경우 WTO가 제공하는 각국의 품목별 관세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제공하지 않는 연도에 대해서는 이전 연도의 관세율과 같다고 가정하였다

4) 단 본고에서는 수출액과 해외직접투자가 0인 경우 1로 치환하여 로그값으로 전환시켜 자료의 손실을 줄이고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이러한 점은 본 분석의 한계라고도 볼 수 있다 즉 전체 교역액을 기준으로 대상국가를 선정하였기 때문에 해당 대상국이 실제로 해당 품목의 주요 교역국이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품목별로 주요 대상국을 설정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5) 이는 수출의 경우 0이상의 값만을 가지며 0이하의 값은 관찰되지 않기 때문이며 본고에서는 이를 0이상을 기준으로 데이터가 censored 되었다고 가정하였다

123

품목군별 추정결과는 아래 lt표 8gt sim lt표 10gt과 같으며 여기서는 주요 품목별로 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추정된 설명변수를 중심으로 수출 결정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교역대상국이 WTO 가입국 일수록 우리나라의 과실류의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그리고 신선채소류의 경우 관세가 낮을수록 화훼류는 FTA 체결국 일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과실류 (t 값) 신선 채소류 (t 값) 화훼류 (t 값)ln (fdi) 0165 (246) 0040 (035) 9851030063 (985103066)

ln (distance) 9851030543 (985103312) 9851030193 (985103164) 9851030223 (985103093)

ln (Yit Pit) 9851031015 (985103188) 0207 (053) 0400 (058)

ln (exchange) 0479 (196) 9851030210 (985103112) 0350 (108)

conformity 0115 (317) 0012 (037) 0034 (076)

tariff 0040 (142) 9851030443 (985103199) 0025 (071)

WTO 1645 (191) 9851031410 (985103129) 9851031262 (985103109)

FTA 9851030625 (985103057) 1444 (098) 4400 (297)

상수항 11106 (273) 5200 (181) 9851030232 (985103005)

σ v1) 1279 (307) 0539 (098) 1787 (357)

σ ε 1818 (1476) 2260 (1330) 2421 (1268)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8) 134(22) 134(36)

모형적합성 검증(Wald) 2896(p=0000) 2649(p=0001) 1398(p=0082)

lt표 8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과실류 신선 채소류 화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축산물(신선+가공)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9gt 참조) 그리고 교역 대상국이 FTA체결국인 경우 축산물 수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 축산물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

124

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산가공품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대상국이 FTA

체결국인 경우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전체 (t 값) 신선 (t 값) 가공 (t 값)ln (fdi) 0195 (210) 0366 (445) 0144 (106)

ln (distance) 9851030429 (985103244) 985103311 (985103233) 9851030707 (985103217)

ln (Yit Pit) 0195 (035) 0372 (080) 0579 (063)

ln (exchange) 0002 (001) 0077 (042) 9851030202 (985103046)

conformity 9851030022 (985103053) 9851030010 (985103026) 9851030098 (985103158)

tariff 0044 (155) 0041 (160) 0037 (071)

WTO 0053 (005) 9851030973 (985103091) 0184 (011)

FTA 3285 (225) 1458 (089) 5013 (261)

상수항 4083 (097) 0991 (985103027) 3135 (044)

σ v1) 1069 (278) 134e98510317 (000) 2344 (278)

σ ε 2449 (1413) 2866 (1351) 3096 (1170)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8) 134(32) 132(48)

모형적합성 검증(Wald) 2558(p=0001) 4400(p=0001) 2027(p=0009)

lt표 9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축산물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낙농품은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높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10gt 참조) 또한 교역국과 FTA를 체결할 경우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낙농품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곡물류 수출의 경우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5

변 수 낙농품 (t 값) 곡물류 (t 값)ln (fdi) 0190 (227) 0049 (101)

ln (distance) 9851030515 (985103176) 9851030532 (985103330)

ln (Yit Pit) 9851030686 (985103095) 9851030331 (985103079)

ln (exchange) 0863 (226) 0243 (119)

conformity 0097 (243) 0003 (014)

tariff 9851030190 (985103072) 9851030301 (985103190)

WTO 9851030148 (985103013) 1083 (164)

FTA 3946 (306) 0280 (037)

상수항 9030 (169) 13758 (421)

σ v1) 2113 (341) 1166 (344)

σ ε 2114 (1411) 1266 (1549)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7) 134(0)

모형적합성 검증(Wald) 3450 (p=0000) 1695(p=0031)

lt표 10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낙농품 곡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분석된 대부분 품목군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의 거리가 국산 농식품 수출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농식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부피에 비해 가격이 낮아 수송비가 교역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외에도 교역대상국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생산 및 식생활소비 패턴이 유사할 가능성이 높아 수출 증대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인접하면서 큰 농식품 시장이 있는 중국 일본 대만 중앙아시아 아세안 등에 대한 수출증가 가능성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일류 축산 특히 신선 축산물 낙농 등의 경우 해외직접투자가 많을 수록 수출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교포나 주재원 등의 수요가 많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126

3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과 기회요인가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주요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농식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쟁력 있는 대표 상품이 부족하다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은 14개로 대부분 가공식품이고 신선농산물은 4개에 불과하다

구 분 1999 2009(P)신 선 돼지고기 인삼 밥 김치 인삼 김치 파프리카 배가 공 자당 라면 소주 합판 권련 커피제조품 라면 자당 소주 비스킷수 산 참치 굴 붕장어 오징어 참치 오징어 김 넙치

lt표 11gt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

둘째 수출업체의 영세성으로 해외시장개척 및 국제경쟁력이 취약하고 수출업체의 난립으로 과잉경쟁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2008년 농식품 수출기업 921개 중 1천만 달러 이상은 22개(전체의 24)에 불과하며 1백만 달러 미만 수출업체는 689개(748)에 달한다

셋째 고품질 수출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기반이 미흡하다 수출거래 관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출 시장에서 원하는 품목과 물량을 원하는 시기에 공급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급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 생산 및 출하규모가 영세하고 내수 중심의 경영구조이기 때문에 수출거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적시 적량

정품 공급 기반이 미흡하다 수출 품목의 안전성과 품질이 담보되는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규모가 큰 수출조직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동시에 가공용 농식품 제조를 위한 품질과 가격경쟁력이 있는 원료농산물 공급기반도 미흡하다

넷째 효과적인 수출 물류 시스템 구축이 되어 있지 않다 수출 농식품의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저온유통 시스템이 가능한 물류 구축이 요구된다 하지만 국내 수출 물류시설 및 시스템이 낙후되어 신선도 및 품질 관리가 어렵고 경쟁력 제고에 한계가 많다 수출용 농식품의 국내 출하에서부터 수출 소비시장까지의 수송 저장에 필요한 냉장탑차 예냉저온선별 및 저장시설 냉장컨테이너 등의 시설 여건이 열악하여 품질 저하 감모 및 폐기물량 증가로 수출경쟁력을 제고시키기에 어려움이 많다

127

다섯째 체계적인 수출시장 개척 및 확대 시스템이 미흡하다 수출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하고 수출물량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국 도매업체와 대형판매점의 유통채널 진입과 긴밀한 네트워크유지가 필요하지만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KOTRA

유통공사 한인회 한상 등의 네트워크화를 통한 홍보 판촉 마케팅활동이 저조하다 이외에도 수출국 소매업체나 소비자들의 한국산 농식품 인지도 선호도 파악을 통한 수출 유망품목 수출 잠재품목 개발육성이 저조한 실정이다 수출국 시장 소비자 트렌드 및 라이프 스타일 조사 분석(Consumer Trends amp Lifestyle Analysis)을 통한 효과적 수요 창출 전략이 미흡하다 특히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별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나 농식품 수출의 기회요인 향후 DDA 농업협상의 타결과 FTA 체결 확대로 세계 농식품 교역규모는 큰 폭으로 증

가하여 우리 농식품 수출 증대에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DDAFTA 등으로 인한 관세 비관세 장벽 완화는 한국 농식품시장의 개방 확대와 동시에 수출시장이 확대되는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중국 인도 등 신흥경제권의 경제성장과 소득 증대로 우리나라의 고품질 차별화된 농식품의 수출확대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는 앞서 분석한 수출요인 결정모형의 분석 결과와 연관지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주요 국가와의 FTA의 체결과 해외진출 및 투자의 증가 교역국의 소득 증가 그리고 가까운 거리에 대규모 농식품 수출시장의 존재 등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즉 이러한 농식품 수출여건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은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식품 수출시장이 일본 중심에서 중국 러시아 동남아지역 등으로 다변화되어 가고 있어 시장개척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세계 농식품 시장규모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우리나라 주요 수출대상국의 농식품 수입규모도 증가 추세에 있다 우리 농식품수출의 60 가량을 점유하는 일본middot미국middot중국middot러시아 4개국의 수입규모가 최근 5년간 1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008 Global trade atlas)

우리 농식품의 주요 수출 유망국가에서 식문화의 글로벌화 및 웰빙middot건강식품 선호추세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한식의 세계화가 진전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2008년부터 본격적인 한식세계화 사업추진으로 식문화 수출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슬로우 푸드 건강 middot 기능성식품 수요증가에 따라 저열량 middot 건강식으로서 한식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128

이에 2009년의 경우 세계적 경기침체로 해외에서 우리와 경쟁관계에 있는 주요 선진농업국의 농식품수출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우리 농식품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강 점 (S) 약 점 (W)

인근 거대 잠재시장 존재한국식품에 대한 관심 고조높은 잠재 가능성(다양한 발효 식품 우수한 식문화)

국가대표 수출상품 부족 영세한 수출 구조기술 및 안전관리 수준 등이 선진국과 격차

(O)

세계 교역규모 증가안전middot기능성 관심 증가식문화 글로벌 확산

S ndash O 전략

한식 세계화 전략 구사수출 상품화수출지향 식품클러스터 조성

W ndash O 전략

수출전문 생산단지 설치식재료 및 기능식 상품화식품기업 해외진출 지원

(T)

세계적 경제 침체가격경쟁력 취약구제역 AI 등 안전성관리 애로

S ndash T 전략

잠재력 높은 신시장 개척수출유망품목 발굴 강화수출상품 고부가가치화수출상품 브랜드화

W ndash T 전략

국가대표 수출상품 육성수출 조직화 및 규모화RampD를 통한 신품목개발수출상품 안전체계 구축

lt그림 8gt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 분석(SWOT)

더욱이 정부가 2012년까지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 목표를 설정하고 다각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모색 중에 있어 어느 때보다 농식품 수출에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우선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과거와 달리 정부가 농식품 수출 목표를 높게 잡고 열심히 해보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지금까지 진행된 경제발전과정과 WTO 출범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무역자유화 시대에서 가장 취약한 산업부문으로 여겨져 찬밥신세를 면치 못하던 우리 농수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상징적 지표다 국내 농어업이 2000년 이후 성장정체 경향을 보이고 있는 현실에서 농식품 수출 확대를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신성장 동력원으로써 물꼬를 트겠다는 적극적 자세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수출선도조직 육성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 고품질 수출농식품의 안정적인 생산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려

129

하고 있다6) 수출선도조직과 수출업체의 생산 공급 계열화 시스템은 2009년 10개 품목 13

개 조직에서 2010년 18개 품목 21개 조직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노력은 생산농가985103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균일화된 고품질 농식품의 안정적인 공급으로 해외거래처와의 신뢰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수출업체 간 저가수출과당경쟁 방지 및 공동판촉 등 협력사업 수행으로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자율협력기구인 수출협의회가 구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 품목별 수출업체의 자율협력기구(수출협의회)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농식품 수출활성화 도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Ⅳ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

1 품목별로 차별화된 수출 확대 전략 수립앞서 수출증대요인 분석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품목별 또는 품목군별로 수출결정 요인

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품목별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한 수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무역보완도가 중요한 수출결정요인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 무역보완성이 높은 국가의 시장에 대한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류 내 품목별로 무역보완성을 고려한 목표 시장을 설정하여 수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과실류와 축산물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규모나 시장개방의 정도 즉 WTO 가입이나 FTA 체결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품목의 경우 국내 기업이 많이 진출하고 있거나 시장개방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 국가가 주요 수출시장으로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출결정인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품목별로 주요 수출대상 국가별 수출저해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특히 2012년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라는 수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수출 기반 조성과 방법으로 수출을 추진해야 한다 농식품 수출의 장애요인 발굴과 제거하는 과정은 품목별 국가별 여건과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수출 목표를 빠르게 달6) 수출선도조직은 농식품 수출업체가 생산농가(lsquo생산자조직rsquo 포함)와 상호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고 수

출업체 주도로 품종선택부터 재배 수확 선별 포장 수출 안전성 및 품질관리 정산 농가교육 등의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함으로써 수출 농식품의 경쟁력을 높여 수출확대를 선도하는 조직을 말한다

130

성하기 위해서는 수출 비중과 증가율이 큰 품목과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확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수출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 장애요인 제거 방법도 보다 큰 틀에서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앞서 수출 유망 국가 및 시장 선택에 있어서는 수출결정요인 분석 결과와 함께 수출시장별 기회잠재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차별화된 시장 개척과 확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즉 국가별 수출시장 여건 및 특성에 맞추어 수출증대 노력을 기울여야 효과적인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해외시장에서 성공한 우리 농식품들은 고품질과 단일브랜드 현지형 마케팅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야 한다 특히 한반도를 중심으로 반경 19851032시간 권 안에 있는 중국 일본 대만 등 우리에게 새롭게 열린 시장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수출 확대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해외동포나 현지 교민의 직접적인 수요에 의존한 수출방식에서 이들 국가의 해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방식으로 전환하여 신규 수출수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공급 수출지원시스템 간의 밀접한 상호연계 체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2012년 100억 달러 농식품 수출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현재의 수출증가율을 큰 폭으로 상회해야 하므로 민간 차원에서 하기 힘든 수출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대규모 수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외 농식품 생산 유통업체간 전략적 글로벌 공동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반도를 동아시아 농식품 허브로 개발 육성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극적인 세계 유명 식품 박람회 참가 바이어초청 등을 통해 신규거래선 개척을 지원하여 수출업체985103바이어 간 만남의 장 마련으로 더 많은 수출기회를 제공해 나가야 한다 또한 해외 대형 바이어와의 MOU 체결 주요 식품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한국식품 직수출 유통채널 확보 및 장기대규모 소비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국내적으로도 농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수출유관기관의 역할분담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수출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외교통상부middot무역협회middotKOTRA 각종 협회 해외한인회 등 공공부문 및 민간조직과의 협력방안도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 대표급 주력 수출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2009년 현재 기준 5천만 달러 이상 수출되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은 인삼(1억 달러 rsquo09년) 김치(89백만 달러) 배(54백만 달러) 파프리카(53백만 달러) 정도이고 그 외에 이렇다할 만한 주력 수출상품이 없다는 것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품목별 수출결정요인과 함께 시장의 특성 선호도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전략수출상품을 집중 육성할 필요

131

가 있다 현재 수출규모가 큰 김치 인삼 돼지고기 배 면류 주류 과자류 참치 오징어

김 등은 현재보다 수출규모를 확대하고 세계적인 상품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또한 삼계탕

버섯류 유자차 화훼 전복 넙치 굴 등 농어민 소득증대가 크고 수출성장 가능성이 큰 품목의 발굴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농가985103 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안전성품질관리가 가능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경영체로 육성함으로써 균일화된 고품질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해외 거래선의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 기술과 자본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통해 해외 유통망 확보 노력과 함께 세계인들의 입맛을 붙잡는 그리너리(네델란드) 데니쉬 크라운(덴마크) 제스프리(뉴질랜드) 선키스트(미국) 네슬레(스위스) 등과 같은 세계적 대표 브랜드 육성이 필요하다

2 고부가가가치 농식품 수출 확대계절성이 높은 1차 농산물을 수출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2 middot 3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

치 상품을 수출하여 채산성을 높이고 수출상품을 연중 수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농식품 수출을 빠르게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품목 측면에서 최근 수출 증가율이 높은 가공농식품 중심으로 수출증대 전략을 마련하고 신선농식품 중에서는 수출 비중과 수출 증가율이 큰 과실류와 인삼류 화훼류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수출 증대 효과가 높을 것이다 김치류 등 수출 비중이 크지만 수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은 수출을 감소시킨 원인을 찾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 품목군에서도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간에 다르게 나타난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적 식문화의 세계화를 통해 국산 농식품 및 식자재의 수출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세계적인 건강식품 음식으로 이미 떠오른 김치와 비빔밥이외에도 더 많은 전략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연관된 식자재를 체계적으로 수출하는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식이 세계인의 입맛에 맞을 수 있도록 맛의 표준화를 정립하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메뉴를 개발하고 중점 지원하며 국산 식재료 유통구조의 대형화와 전문화를 통해 국산 식재료가 한식과 세계인의 식재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현재 전 세계 180여개국에 걸쳐 널리 퍼져있는 700만 재외동포와 한민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농식품 수출의 교두보로 삼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즉 해외동포기업들을 우리 농식품 및 식자재 수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전 세계

132

한국교민은 700만 명으로 화교(5500만 명) 유태인(860만 명)에 이어 세계 3번째 규모이다

약 7300개 한국 기업이 아시아 미주 유럽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지 종사자 규모가 약 150만 명에 이르며 해외 한식당은 약 1만 개로 추정된다 이들 해외 거주자는 우선적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될 수 있다

3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 우리 농식품기업의 해외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예컨대 국제적인 농식품 기업을 인수함

으로써 해외 생산기지와 유통망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보유 잉여자금을 이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해외투자활동이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농식품의 수출확대 과정에서 정부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과제 중의 하나는 국내 농어민의 소득 향상과 연계되는 수출방안의 모색이다 사실 현재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비중이 낮고 주로 가공식품위주를 이루고 국내 농업과 연관성이 높은 신선식품의 비중은 크지 않아 수출을 통한 농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농어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농식품 수출이 되도록 더 많은 정책적 고민과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2009년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가공식품은 53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선식품 수출비중이 높은 수산물을 제외하면 신선농축식품 수출비중은 15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농식품 수출이 실질적으로 국내 농어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농어민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어업과 연계된 수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수출유망 품목 발굴 노력과 함께 품목별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수출을 조직화규모화함으로써 과당경쟁 등 우리나라 수출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외에서의 거래교섭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중소규모 수출단지와 영세업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촉진하여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Dole과 선키스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 네덜란드의 그리너리와 같은 세계적인 수출조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식품 수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신선농식품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자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수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파프리카 화훼 버섯 등의 경우에도 종자부터 시설기자재까지 네덜란드 등 농업선진국에 의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16: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22

많이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역대상국과 우리나라의 환율을 포함시켰으며 앞서 분석한 무역보완도지수를 설명변수로 채택하여 농식품 교역이 특화되어 있는 정도가 농식품 수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무역장벽이라고 할 수 있는 관세를 포함시켰으며 각 국가의 개방도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WTO 가입여부와 우리나라와의 FTA 체결여부를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와 교역국간의 경제협력 수준을 반영하기 위해 해외직접투자액을 대리변수(proxy variable)로 사용하였다4) 또한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교역 대상국인 10개국(호주 브라질 중국 러시아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필리핀)을 분석 대상국가로 설정하였고 분석기간은 1995년부터 2008년까지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는 패널데이터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품목별 수출량이 0인 연도도 존재하는 점을 감안하여5) 계량적 추정방법으로 김한호(2009) 등에서 사용한 패널토빗 계량모형(panel tobit model)을 이용하였다

변 수 설명 및 자료X jt 주요 10개국에 대한 품목별 수출액UN comtrade자료

distance 한국과의 거리한국과 교역국의 수도 간 거리 (단위Km)httpdistancecalculatorglobefeedcom

교역 대상 국가의 1인당 국민 소득(UNSD 자료와 인구통계 활용)

exchange 한국통화가치수출국통화가치 해외직접투자(한국수출입 은행 해외투자통계 자료)

conformity 무역 보완도지수 관세WTO 자료 WTO가입 여부국가별 가입 연도 기준 FTA 체결 여부국가별 체결 연도 기준

lt표 7gt 통계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 및 내용

주관세의 경우 WTO가 제공하는 각국의 품목별 관세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제공하지 않는 연도에 대해서는 이전 연도의 관세율과 같다고 가정하였다

4) 단 본고에서는 수출액과 해외직접투자가 0인 경우 1로 치환하여 로그값으로 전환시켜 자료의 손실을 줄이고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이러한 점은 본 분석의 한계라고도 볼 수 있다 즉 전체 교역액을 기준으로 대상국가를 선정하였기 때문에 해당 대상국이 실제로 해당 품목의 주요 교역국이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품목별로 주요 대상국을 설정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5) 이는 수출의 경우 0이상의 값만을 가지며 0이하의 값은 관찰되지 않기 때문이며 본고에서는 이를 0이상을 기준으로 데이터가 censored 되었다고 가정하였다

123

품목군별 추정결과는 아래 lt표 8gt sim lt표 10gt과 같으며 여기서는 주요 품목별로 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추정된 설명변수를 중심으로 수출 결정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교역대상국이 WTO 가입국 일수록 우리나라의 과실류의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그리고 신선채소류의 경우 관세가 낮을수록 화훼류는 FTA 체결국 일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과실류 (t 값) 신선 채소류 (t 값) 화훼류 (t 값)ln (fdi) 0165 (246) 0040 (035) 9851030063 (985103066)

ln (distance) 9851030543 (985103312) 9851030193 (985103164) 9851030223 (985103093)

ln (Yit Pit) 9851031015 (985103188) 0207 (053) 0400 (058)

ln (exchange) 0479 (196) 9851030210 (985103112) 0350 (108)

conformity 0115 (317) 0012 (037) 0034 (076)

tariff 0040 (142) 9851030443 (985103199) 0025 (071)

WTO 1645 (191) 9851031410 (985103129) 9851031262 (985103109)

FTA 9851030625 (985103057) 1444 (098) 4400 (297)

상수항 11106 (273) 5200 (181) 9851030232 (985103005)

σ v1) 1279 (307) 0539 (098) 1787 (357)

σ ε 1818 (1476) 2260 (1330) 2421 (1268)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8) 134(22) 134(36)

모형적합성 검증(Wald) 2896(p=0000) 2649(p=0001) 1398(p=0082)

lt표 8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과실류 신선 채소류 화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축산물(신선+가공)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9gt 참조) 그리고 교역 대상국이 FTA체결국인 경우 축산물 수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 축산물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

124

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산가공품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대상국이 FTA

체결국인 경우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전체 (t 값) 신선 (t 값) 가공 (t 값)ln (fdi) 0195 (210) 0366 (445) 0144 (106)

ln (distance) 9851030429 (985103244) 985103311 (985103233) 9851030707 (985103217)

ln (Yit Pit) 0195 (035) 0372 (080) 0579 (063)

ln (exchange) 0002 (001) 0077 (042) 9851030202 (985103046)

conformity 9851030022 (985103053) 9851030010 (985103026) 9851030098 (985103158)

tariff 0044 (155) 0041 (160) 0037 (071)

WTO 0053 (005) 9851030973 (985103091) 0184 (011)

FTA 3285 (225) 1458 (089) 5013 (261)

상수항 4083 (097) 0991 (985103027) 3135 (044)

σ v1) 1069 (278) 134e98510317 (000) 2344 (278)

σ ε 2449 (1413) 2866 (1351) 3096 (1170)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8) 134(32) 132(48)

모형적합성 검증(Wald) 2558(p=0001) 4400(p=0001) 2027(p=0009)

lt표 9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축산물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낙농품은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높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10gt 참조) 또한 교역국과 FTA를 체결할 경우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낙농품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곡물류 수출의 경우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5

변 수 낙농품 (t 값) 곡물류 (t 값)ln (fdi) 0190 (227) 0049 (101)

ln (distance) 9851030515 (985103176) 9851030532 (985103330)

ln (Yit Pit) 9851030686 (985103095) 9851030331 (985103079)

ln (exchange) 0863 (226) 0243 (119)

conformity 0097 (243) 0003 (014)

tariff 9851030190 (985103072) 9851030301 (985103190)

WTO 9851030148 (985103013) 1083 (164)

FTA 3946 (306) 0280 (037)

상수항 9030 (169) 13758 (421)

σ v1) 2113 (341) 1166 (344)

σ ε 2114 (1411) 1266 (1549)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7) 134(0)

모형적합성 검증(Wald) 3450 (p=0000) 1695(p=0031)

lt표 10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낙농품 곡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분석된 대부분 품목군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의 거리가 국산 농식품 수출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농식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부피에 비해 가격이 낮아 수송비가 교역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외에도 교역대상국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생산 및 식생활소비 패턴이 유사할 가능성이 높아 수출 증대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인접하면서 큰 농식품 시장이 있는 중국 일본 대만 중앙아시아 아세안 등에 대한 수출증가 가능성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일류 축산 특히 신선 축산물 낙농 등의 경우 해외직접투자가 많을 수록 수출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교포나 주재원 등의 수요가 많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126

3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과 기회요인가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주요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농식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쟁력 있는 대표 상품이 부족하다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은 14개로 대부분 가공식품이고 신선농산물은 4개에 불과하다

구 분 1999 2009(P)신 선 돼지고기 인삼 밥 김치 인삼 김치 파프리카 배가 공 자당 라면 소주 합판 권련 커피제조품 라면 자당 소주 비스킷수 산 참치 굴 붕장어 오징어 참치 오징어 김 넙치

lt표 11gt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

둘째 수출업체의 영세성으로 해외시장개척 및 국제경쟁력이 취약하고 수출업체의 난립으로 과잉경쟁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2008년 농식품 수출기업 921개 중 1천만 달러 이상은 22개(전체의 24)에 불과하며 1백만 달러 미만 수출업체는 689개(748)에 달한다

셋째 고품질 수출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기반이 미흡하다 수출거래 관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출 시장에서 원하는 품목과 물량을 원하는 시기에 공급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급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 생산 및 출하규모가 영세하고 내수 중심의 경영구조이기 때문에 수출거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적시 적량

정품 공급 기반이 미흡하다 수출 품목의 안전성과 품질이 담보되는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규모가 큰 수출조직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동시에 가공용 농식품 제조를 위한 품질과 가격경쟁력이 있는 원료농산물 공급기반도 미흡하다

넷째 효과적인 수출 물류 시스템 구축이 되어 있지 않다 수출 농식품의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저온유통 시스템이 가능한 물류 구축이 요구된다 하지만 국내 수출 물류시설 및 시스템이 낙후되어 신선도 및 품질 관리가 어렵고 경쟁력 제고에 한계가 많다 수출용 농식품의 국내 출하에서부터 수출 소비시장까지의 수송 저장에 필요한 냉장탑차 예냉저온선별 및 저장시설 냉장컨테이너 등의 시설 여건이 열악하여 품질 저하 감모 및 폐기물량 증가로 수출경쟁력을 제고시키기에 어려움이 많다

127

다섯째 체계적인 수출시장 개척 및 확대 시스템이 미흡하다 수출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하고 수출물량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국 도매업체와 대형판매점의 유통채널 진입과 긴밀한 네트워크유지가 필요하지만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KOTRA

유통공사 한인회 한상 등의 네트워크화를 통한 홍보 판촉 마케팅활동이 저조하다 이외에도 수출국 소매업체나 소비자들의 한국산 농식품 인지도 선호도 파악을 통한 수출 유망품목 수출 잠재품목 개발육성이 저조한 실정이다 수출국 시장 소비자 트렌드 및 라이프 스타일 조사 분석(Consumer Trends amp Lifestyle Analysis)을 통한 효과적 수요 창출 전략이 미흡하다 특히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별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나 농식품 수출의 기회요인 향후 DDA 농업협상의 타결과 FTA 체결 확대로 세계 농식품 교역규모는 큰 폭으로 증

가하여 우리 농식품 수출 증대에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DDAFTA 등으로 인한 관세 비관세 장벽 완화는 한국 농식품시장의 개방 확대와 동시에 수출시장이 확대되는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중국 인도 등 신흥경제권의 경제성장과 소득 증대로 우리나라의 고품질 차별화된 농식품의 수출확대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는 앞서 분석한 수출요인 결정모형의 분석 결과와 연관지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주요 국가와의 FTA의 체결과 해외진출 및 투자의 증가 교역국의 소득 증가 그리고 가까운 거리에 대규모 농식품 수출시장의 존재 등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즉 이러한 농식품 수출여건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은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식품 수출시장이 일본 중심에서 중국 러시아 동남아지역 등으로 다변화되어 가고 있어 시장개척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세계 농식품 시장규모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우리나라 주요 수출대상국의 농식품 수입규모도 증가 추세에 있다 우리 농식품수출의 60 가량을 점유하는 일본middot미국middot중국middot러시아 4개국의 수입규모가 최근 5년간 1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008 Global trade atlas)

우리 농식품의 주요 수출 유망국가에서 식문화의 글로벌화 및 웰빙middot건강식품 선호추세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한식의 세계화가 진전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2008년부터 본격적인 한식세계화 사업추진으로 식문화 수출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슬로우 푸드 건강 middot 기능성식품 수요증가에 따라 저열량 middot 건강식으로서 한식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128

이에 2009년의 경우 세계적 경기침체로 해외에서 우리와 경쟁관계에 있는 주요 선진농업국의 농식품수출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우리 농식품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강 점 (S) 약 점 (W)

인근 거대 잠재시장 존재한국식품에 대한 관심 고조높은 잠재 가능성(다양한 발효 식품 우수한 식문화)

국가대표 수출상품 부족 영세한 수출 구조기술 및 안전관리 수준 등이 선진국과 격차

(O)

세계 교역규모 증가안전middot기능성 관심 증가식문화 글로벌 확산

S ndash O 전략

한식 세계화 전략 구사수출 상품화수출지향 식품클러스터 조성

W ndash O 전략

수출전문 생산단지 설치식재료 및 기능식 상품화식품기업 해외진출 지원

(T)

세계적 경제 침체가격경쟁력 취약구제역 AI 등 안전성관리 애로

S ndash T 전략

잠재력 높은 신시장 개척수출유망품목 발굴 강화수출상품 고부가가치화수출상품 브랜드화

W ndash T 전략

국가대표 수출상품 육성수출 조직화 및 규모화RampD를 통한 신품목개발수출상품 안전체계 구축

lt그림 8gt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 분석(SWOT)

더욱이 정부가 2012년까지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 목표를 설정하고 다각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모색 중에 있어 어느 때보다 농식품 수출에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우선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과거와 달리 정부가 농식품 수출 목표를 높게 잡고 열심히 해보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지금까지 진행된 경제발전과정과 WTO 출범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무역자유화 시대에서 가장 취약한 산업부문으로 여겨져 찬밥신세를 면치 못하던 우리 농수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상징적 지표다 국내 농어업이 2000년 이후 성장정체 경향을 보이고 있는 현실에서 농식품 수출 확대를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신성장 동력원으로써 물꼬를 트겠다는 적극적 자세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수출선도조직 육성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 고품질 수출농식품의 안정적인 생산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려

129

하고 있다6) 수출선도조직과 수출업체의 생산 공급 계열화 시스템은 2009년 10개 품목 13

개 조직에서 2010년 18개 품목 21개 조직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노력은 생산농가985103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균일화된 고품질 농식품의 안정적인 공급으로 해외거래처와의 신뢰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수출업체 간 저가수출과당경쟁 방지 및 공동판촉 등 협력사업 수행으로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자율협력기구인 수출협의회가 구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 품목별 수출업체의 자율협력기구(수출협의회)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농식품 수출활성화 도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Ⅳ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

1 품목별로 차별화된 수출 확대 전략 수립앞서 수출증대요인 분석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품목별 또는 품목군별로 수출결정 요인

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품목별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한 수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무역보완도가 중요한 수출결정요인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 무역보완성이 높은 국가의 시장에 대한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류 내 품목별로 무역보완성을 고려한 목표 시장을 설정하여 수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과실류와 축산물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규모나 시장개방의 정도 즉 WTO 가입이나 FTA 체결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품목의 경우 국내 기업이 많이 진출하고 있거나 시장개방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 국가가 주요 수출시장으로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출결정인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품목별로 주요 수출대상 국가별 수출저해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특히 2012년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라는 수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수출 기반 조성과 방법으로 수출을 추진해야 한다 농식품 수출의 장애요인 발굴과 제거하는 과정은 품목별 국가별 여건과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수출 목표를 빠르게 달6) 수출선도조직은 농식품 수출업체가 생산농가(lsquo생산자조직rsquo 포함)와 상호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고 수

출업체 주도로 품종선택부터 재배 수확 선별 포장 수출 안전성 및 품질관리 정산 농가교육 등의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함으로써 수출 농식품의 경쟁력을 높여 수출확대를 선도하는 조직을 말한다

130

성하기 위해서는 수출 비중과 증가율이 큰 품목과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확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수출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 장애요인 제거 방법도 보다 큰 틀에서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앞서 수출 유망 국가 및 시장 선택에 있어서는 수출결정요인 분석 결과와 함께 수출시장별 기회잠재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차별화된 시장 개척과 확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즉 국가별 수출시장 여건 및 특성에 맞추어 수출증대 노력을 기울여야 효과적인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해외시장에서 성공한 우리 농식품들은 고품질과 단일브랜드 현지형 마케팅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야 한다 특히 한반도를 중심으로 반경 19851032시간 권 안에 있는 중국 일본 대만 등 우리에게 새롭게 열린 시장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수출 확대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해외동포나 현지 교민의 직접적인 수요에 의존한 수출방식에서 이들 국가의 해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방식으로 전환하여 신규 수출수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공급 수출지원시스템 간의 밀접한 상호연계 체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2012년 100억 달러 농식품 수출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현재의 수출증가율을 큰 폭으로 상회해야 하므로 민간 차원에서 하기 힘든 수출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대규모 수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외 농식품 생산 유통업체간 전략적 글로벌 공동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반도를 동아시아 농식품 허브로 개발 육성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극적인 세계 유명 식품 박람회 참가 바이어초청 등을 통해 신규거래선 개척을 지원하여 수출업체985103바이어 간 만남의 장 마련으로 더 많은 수출기회를 제공해 나가야 한다 또한 해외 대형 바이어와의 MOU 체결 주요 식품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한국식품 직수출 유통채널 확보 및 장기대규모 소비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국내적으로도 농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수출유관기관의 역할분담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수출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외교통상부middot무역협회middotKOTRA 각종 협회 해외한인회 등 공공부문 및 민간조직과의 협력방안도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 대표급 주력 수출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2009년 현재 기준 5천만 달러 이상 수출되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은 인삼(1억 달러 rsquo09년) 김치(89백만 달러) 배(54백만 달러) 파프리카(53백만 달러) 정도이고 그 외에 이렇다할 만한 주력 수출상품이 없다는 것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품목별 수출결정요인과 함께 시장의 특성 선호도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전략수출상품을 집중 육성할 필요

131

가 있다 현재 수출규모가 큰 김치 인삼 돼지고기 배 면류 주류 과자류 참치 오징어

김 등은 현재보다 수출규모를 확대하고 세계적인 상품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또한 삼계탕

버섯류 유자차 화훼 전복 넙치 굴 등 농어민 소득증대가 크고 수출성장 가능성이 큰 품목의 발굴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농가985103 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안전성품질관리가 가능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경영체로 육성함으로써 균일화된 고품질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해외 거래선의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 기술과 자본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통해 해외 유통망 확보 노력과 함께 세계인들의 입맛을 붙잡는 그리너리(네델란드) 데니쉬 크라운(덴마크) 제스프리(뉴질랜드) 선키스트(미국) 네슬레(스위스) 등과 같은 세계적 대표 브랜드 육성이 필요하다

2 고부가가가치 농식품 수출 확대계절성이 높은 1차 농산물을 수출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2 middot 3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

치 상품을 수출하여 채산성을 높이고 수출상품을 연중 수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농식품 수출을 빠르게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품목 측면에서 최근 수출 증가율이 높은 가공농식품 중심으로 수출증대 전략을 마련하고 신선농식품 중에서는 수출 비중과 수출 증가율이 큰 과실류와 인삼류 화훼류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수출 증대 효과가 높을 것이다 김치류 등 수출 비중이 크지만 수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은 수출을 감소시킨 원인을 찾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 품목군에서도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간에 다르게 나타난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적 식문화의 세계화를 통해 국산 농식품 및 식자재의 수출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세계적인 건강식품 음식으로 이미 떠오른 김치와 비빔밥이외에도 더 많은 전략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연관된 식자재를 체계적으로 수출하는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식이 세계인의 입맛에 맞을 수 있도록 맛의 표준화를 정립하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메뉴를 개발하고 중점 지원하며 국산 식재료 유통구조의 대형화와 전문화를 통해 국산 식재료가 한식과 세계인의 식재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현재 전 세계 180여개국에 걸쳐 널리 퍼져있는 700만 재외동포와 한민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농식품 수출의 교두보로 삼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즉 해외동포기업들을 우리 농식품 및 식자재 수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전 세계

132

한국교민은 700만 명으로 화교(5500만 명) 유태인(860만 명)에 이어 세계 3번째 규모이다

약 7300개 한국 기업이 아시아 미주 유럽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지 종사자 규모가 약 150만 명에 이르며 해외 한식당은 약 1만 개로 추정된다 이들 해외 거주자는 우선적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될 수 있다

3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 우리 농식품기업의 해외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예컨대 국제적인 농식품 기업을 인수함

으로써 해외 생산기지와 유통망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보유 잉여자금을 이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해외투자활동이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농식품의 수출확대 과정에서 정부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과제 중의 하나는 국내 농어민의 소득 향상과 연계되는 수출방안의 모색이다 사실 현재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비중이 낮고 주로 가공식품위주를 이루고 국내 농업과 연관성이 높은 신선식품의 비중은 크지 않아 수출을 통한 농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농어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농식품 수출이 되도록 더 많은 정책적 고민과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2009년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가공식품은 53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선식품 수출비중이 높은 수산물을 제외하면 신선농축식품 수출비중은 15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농식품 수출이 실질적으로 국내 농어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농어민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어업과 연계된 수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수출유망 품목 발굴 노력과 함께 품목별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수출을 조직화규모화함으로써 과당경쟁 등 우리나라 수출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외에서의 거래교섭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중소규모 수출단지와 영세업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촉진하여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Dole과 선키스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 네덜란드의 그리너리와 같은 세계적인 수출조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식품 수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신선농식품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자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수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파프리카 화훼 버섯 등의 경우에도 종자부터 시설기자재까지 네덜란드 등 농업선진국에 의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17: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23

품목군별 추정결과는 아래 lt표 8gt sim lt표 10gt과 같으며 여기서는 주요 품목별로 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추정된 설명변수를 중심으로 수출 결정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교역대상국이 WTO 가입국 일수록 우리나라의 과실류의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8gt 참조) 그리고 신선채소류의 경우 관세가 낮을수록 화훼류는 FTA 체결국 일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과실류 (t 값) 신선 채소류 (t 값) 화훼류 (t 값)ln (fdi) 0165 (246) 0040 (035) 9851030063 (985103066)

ln (distance) 9851030543 (985103312) 9851030193 (985103164) 9851030223 (985103093)

ln (Yit Pit) 9851031015 (985103188) 0207 (053) 0400 (058)

ln (exchange) 0479 (196) 9851030210 (985103112) 0350 (108)

conformity 0115 (317) 0012 (037) 0034 (076)

tariff 0040 (142) 9851030443 (985103199) 0025 (071)

WTO 1645 (191) 9851031410 (985103129) 9851031262 (985103109)

FTA 9851030625 (985103057) 1444 (098) 4400 (297)

상수항 11106 (273) 5200 (181) 9851030232 (985103005)

σ v1) 1279 (307) 0539 (098) 1787 (357)

σ ε 1818 (1476) 2260 (1330) 2421 (1268)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8) 134(22) 134(36)

모형적합성 검증(Wald) 2896(p=0000) 2649(p=0001) 1398(p=0082)

lt표 8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과실류 신선 채소류 화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축산물(신선+가공)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9gt 참조) 그리고 교역 대상국이 FTA체결국인 경우 축산물 수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 축산물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수

124

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산가공품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대상국이 FTA

체결국인 경우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전체 (t 값) 신선 (t 값) 가공 (t 값)ln (fdi) 0195 (210) 0366 (445) 0144 (106)

ln (distance) 9851030429 (985103244) 985103311 (985103233) 9851030707 (985103217)

ln (Yit Pit) 0195 (035) 0372 (080) 0579 (063)

ln (exchange) 0002 (001) 0077 (042) 9851030202 (985103046)

conformity 9851030022 (985103053) 9851030010 (985103026) 9851030098 (985103158)

tariff 0044 (155) 0041 (160) 0037 (071)

WTO 0053 (005) 9851030973 (985103091) 0184 (011)

FTA 3285 (225) 1458 (089) 5013 (261)

상수항 4083 (097) 0991 (985103027) 3135 (044)

σ v1) 1069 (278) 134e98510317 (000) 2344 (278)

σ ε 2449 (1413) 2866 (1351) 3096 (1170)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8) 134(32) 132(48)

모형적합성 검증(Wald) 2558(p=0001) 4400(p=0001) 2027(p=0009)

lt표 9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축산물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낙농품은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높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10gt 참조) 또한 교역국과 FTA를 체결할 경우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낙농품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곡물류 수출의 경우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5

변 수 낙농품 (t 값) 곡물류 (t 값)ln (fdi) 0190 (227) 0049 (101)

ln (distance) 9851030515 (985103176) 9851030532 (985103330)

ln (Yit Pit) 9851030686 (985103095) 9851030331 (985103079)

ln (exchange) 0863 (226) 0243 (119)

conformity 0097 (243) 0003 (014)

tariff 9851030190 (985103072) 9851030301 (985103190)

WTO 9851030148 (985103013) 1083 (164)

FTA 3946 (306) 0280 (037)

상수항 9030 (169) 13758 (421)

σ v1) 2113 (341) 1166 (344)

σ ε 2114 (1411) 1266 (1549)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7) 134(0)

모형적합성 검증(Wald) 3450 (p=0000) 1695(p=0031)

lt표 10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낙농품 곡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분석된 대부분 품목군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의 거리가 국산 농식품 수출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농식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부피에 비해 가격이 낮아 수송비가 교역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외에도 교역대상국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생산 및 식생활소비 패턴이 유사할 가능성이 높아 수출 증대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인접하면서 큰 농식품 시장이 있는 중국 일본 대만 중앙아시아 아세안 등에 대한 수출증가 가능성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일류 축산 특히 신선 축산물 낙농 등의 경우 해외직접투자가 많을 수록 수출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교포나 주재원 등의 수요가 많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126

3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과 기회요인가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주요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농식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쟁력 있는 대표 상품이 부족하다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은 14개로 대부분 가공식품이고 신선농산물은 4개에 불과하다

구 분 1999 2009(P)신 선 돼지고기 인삼 밥 김치 인삼 김치 파프리카 배가 공 자당 라면 소주 합판 권련 커피제조품 라면 자당 소주 비스킷수 산 참치 굴 붕장어 오징어 참치 오징어 김 넙치

lt표 11gt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

둘째 수출업체의 영세성으로 해외시장개척 및 국제경쟁력이 취약하고 수출업체의 난립으로 과잉경쟁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2008년 농식품 수출기업 921개 중 1천만 달러 이상은 22개(전체의 24)에 불과하며 1백만 달러 미만 수출업체는 689개(748)에 달한다

셋째 고품질 수출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기반이 미흡하다 수출거래 관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출 시장에서 원하는 품목과 물량을 원하는 시기에 공급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급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 생산 및 출하규모가 영세하고 내수 중심의 경영구조이기 때문에 수출거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적시 적량

정품 공급 기반이 미흡하다 수출 품목의 안전성과 품질이 담보되는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규모가 큰 수출조직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동시에 가공용 농식품 제조를 위한 품질과 가격경쟁력이 있는 원료농산물 공급기반도 미흡하다

넷째 효과적인 수출 물류 시스템 구축이 되어 있지 않다 수출 농식품의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저온유통 시스템이 가능한 물류 구축이 요구된다 하지만 국내 수출 물류시설 및 시스템이 낙후되어 신선도 및 품질 관리가 어렵고 경쟁력 제고에 한계가 많다 수출용 농식품의 국내 출하에서부터 수출 소비시장까지의 수송 저장에 필요한 냉장탑차 예냉저온선별 및 저장시설 냉장컨테이너 등의 시설 여건이 열악하여 품질 저하 감모 및 폐기물량 증가로 수출경쟁력을 제고시키기에 어려움이 많다

127

다섯째 체계적인 수출시장 개척 및 확대 시스템이 미흡하다 수출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하고 수출물량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국 도매업체와 대형판매점의 유통채널 진입과 긴밀한 네트워크유지가 필요하지만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KOTRA

유통공사 한인회 한상 등의 네트워크화를 통한 홍보 판촉 마케팅활동이 저조하다 이외에도 수출국 소매업체나 소비자들의 한국산 농식품 인지도 선호도 파악을 통한 수출 유망품목 수출 잠재품목 개발육성이 저조한 실정이다 수출국 시장 소비자 트렌드 및 라이프 스타일 조사 분석(Consumer Trends amp Lifestyle Analysis)을 통한 효과적 수요 창출 전략이 미흡하다 특히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별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나 농식품 수출의 기회요인 향후 DDA 농업협상의 타결과 FTA 체결 확대로 세계 농식품 교역규모는 큰 폭으로 증

가하여 우리 농식품 수출 증대에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DDAFTA 등으로 인한 관세 비관세 장벽 완화는 한국 농식품시장의 개방 확대와 동시에 수출시장이 확대되는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중국 인도 등 신흥경제권의 경제성장과 소득 증대로 우리나라의 고품질 차별화된 농식품의 수출확대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는 앞서 분석한 수출요인 결정모형의 분석 결과와 연관지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주요 국가와의 FTA의 체결과 해외진출 및 투자의 증가 교역국의 소득 증가 그리고 가까운 거리에 대규모 농식품 수출시장의 존재 등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즉 이러한 농식품 수출여건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은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식품 수출시장이 일본 중심에서 중국 러시아 동남아지역 등으로 다변화되어 가고 있어 시장개척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세계 농식품 시장규모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우리나라 주요 수출대상국의 농식품 수입규모도 증가 추세에 있다 우리 농식품수출의 60 가량을 점유하는 일본middot미국middot중국middot러시아 4개국의 수입규모가 최근 5년간 1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008 Global trade atlas)

우리 농식품의 주요 수출 유망국가에서 식문화의 글로벌화 및 웰빙middot건강식품 선호추세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한식의 세계화가 진전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2008년부터 본격적인 한식세계화 사업추진으로 식문화 수출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슬로우 푸드 건강 middot 기능성식품 수요증가에 따라 저열량 middot 건강식으로서 한식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128

이에 2009년의 경우 세계적 경기침체로 해외에서 우리와 경쟁관계에 있는 주요 선진농업국의 농식품수출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우리 농식품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강 점 (S) 약 점 (W)

인근 거대 잠재시장 존재한국식품에 대한 관심 고조높은 잠재 가능성(다양한 발효 식품 우수한 식문화)

국가대표 수출상품 부족 영세한 수출 구조기술 및 안전관리 수준 등이 선진국과 격차

(O)

세계 교역규모 증가안전middot기능성 관심 증가식문화 글로벌 확산

S ndash O 전략

한식 세계화 전략 구사수출 상품화수출지향 식품클러스터 조성

W ndash O 전략

수출전문 생산단지 설치식재료 및 기능식 상품화식품기업 해외진출 지원

(T)

세계적 경제 침체가격경쟁력 취약구제역 AI 등 안전성관리 애로

S ndash T 전략

잠재력 높은 신시장 개척수출유망품목 발굴 강화수출상품 고부가가치화수출상품 브랜드화

W ndash T 전략

국가대표 수출상품 육성수출 조직화 및 규모화RampD를 통한 신품목개발수출상품 안전체계 구축

lt그림 8gt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 분석(SWOT)

더욱이 정부가 2012년까지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 목표를 설정하고 다각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모색 중에 있어 어느 때보다 농식품 수출에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우선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과거와 달리 정부가 농식품 수출 목표를 높게 잡고 열심히 해보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지금까지 진행된 경제발전과정과 WTO 출범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무역자유화 시대에서 가장 취약한 산업부문으로 여겨져 찬밥신세를 면치 못하던 우리 농수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상징적 지표다 국내 농어업이 2000년 이후 성장정체 경향을 보이고 있는 현실에서 농식품 수출 확대를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신성장 동력원으로써 물꼬를 트겠다는 적극적 자세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수출선도조직 육성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 고품질 수출농식품의 안정적인 생산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려

129

하고 있다6) 수출선도조직과 수출업체의 생산 공급 계열화 시스템은 2009년 10개 품목 13

개 조직에서 2010년 18개 품목 21개 조직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노력은 생산농가985103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균일화된 고품질 농식품의 안정적인 공급으로 해외거래처와의 신뢰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수출업체 간 저가수출과당경쟁 방지 및 공동판촉 등 협력사업 수행으로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자율협력기구인 수출협의회가 구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 품목별 수출업체의 자율협력기구(수출협의회)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농식품 수출활성화 도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Ⅳ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

1 품목별로 차별화된 수출 확대 전략 수립앞서 수출증대요인 분석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품목별 또는 품목군별로 수출결정 요인

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품목별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한 수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무역보완도가 중요한 수출결정요인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 무역보완성이 높은 국가의 시장에 대한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류 내 품목별로 무역보완성을 고려한 목표 시장을 설정하여 수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과실류와 축산물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규모나 시장개방의 정도 즉 WTO 가입이나 FTA 체결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품목의 경우 국내 기업이 많이 진출하고 있거나 시장개방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 국가가 주요 수출시장으로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출결정인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품목별로 주요 수출대상 국가별 수출저해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특히 2012년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라는 수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수출 기반 조성과 방법으로 수출을 추진해야 한다 농식품 수출의 장애요인 발굴과 제거하는 과정은 품목별 국가별 여건과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수출 목표를 빠르게 달6) 수출선도조직은 농식품 수출업체가 생산농가(lsquo생산자조직rsquo 포함)와 상호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고 수

출업체 주도로 품종선택부터 재배 수확 선별 포장 수출 안전성 및 품질관리 정산 농가교육 등의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함으로써 수출 농식품의 경쟁력을 높여 수출확대를 선도하는 조직을 말한다

130

성하기 위해서는 수출 비중과 증가율이 큰 품목과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확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수출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 장애요인 제거 방법도 보다 큰 틀에서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앞서 수출 유망 국가 및 시장 선택에 있어서는 수출결정요인 분석 결과와 함께 수출시장별 기회잠재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차별화된 시장 개척과 확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즉 국가별 수출시장 여건 및 특성에 맞추어 수출증대 노력을 기울여야 효과적인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해외시장에서 성공한 우리 농식품들은 고품질과 단일브랜드 현지형 마케팅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야 한다 특히 한반도를 중심으로 반경 19851032시간 권 안에 있는 중국 일본 대만 등 우리에게 새롭게 열린 시장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수출 확대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해외동포나 현지 교민의 직접적인 수요에 의존한 수출방식에서 이들 국가의 해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방식으로 전환하여 신규 수출수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공급 수출지원시스템 간의 밀접한 상호연계 체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2012년 100억 달러 농식품 수출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현재의 수출증가율을 큰 폭으로 상회해야 하므로 민간 차원에서 하기 힘든 수출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대규모 수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외 농식품 생산 유통업체간 전략적 글로벌 공동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반도를 동아시아 농식품 허브로 개발 육성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극적인 세계 유명 식품 박람회 참가 바이어초청 등을 통해 신규거래선 개척을 지원하여 수출업체985103바이어 간 만남의 장 마련으로 더 많은 수출기회를 제공해 나가야 한다 또한 해외 대형 바이어와의 MOU 체결 주요 식품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한국식품 직수출 유통채널 확보 및 장기대규모 소비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국내적으로도 농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수출유관기관의 역할분담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수출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외교통상부middot무역협회middotKOTRA 각종 협회 해외한인회 등 공공부문 및 민간조직과의 협력방안도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 대표급 주력 수출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2009년 현재 기준 5천만 달러 이상 수출되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은 인삼(1억 달러 rsquo09년) 김치(89백만 달러) 배(54백만 달러) 파프리카(53백만 달러) 정도이고 그 외에 이렇다할 만한 주력 수출상품이 없다는 것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품목별 수출결정요인과 함께 시장의 특성 선호도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전략수출상품을 집중 육성할 필요

131

가 있다 현재 수출규모가 큰 김치 인삼 돼지고기 배 면류 주류 과자류 참치 오징어

김 등은 현재보다 수출규모를 확대하고 세계적인 상품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또한 삼계탕

버섯류 유자차 화훼 전복 넙치 굴 등 농어민 소득증대가 크고 수출성장 가능성이 큰 품목의 발굴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농가985103 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안전성품질관리가 가능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경영체로 육성함으로써 균일화된 고품질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해외 거래선의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 기술과 자본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통해 해외 유통망 확보 노력과 함께 세계인들의 입맛을 붙잡는 그리너리(네델란드) 데니쉬 크라운(덴마크) 제스프리(뉴질랜드) 선키스트(미국) 네슬레(스위스) 등과 같은 세계적 대표 브랜드 육성이 필요하다

2 고부가가가치 농식품 수출 확대계절성이 높은 1차 농산물을 수출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2 middot 3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

치 상품을 수출하여 채산성을 높이고 수출상품을 연중 수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농식품 수출을 빠르게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품목 측면에서 최근 수출 증가율이 높은 가공농식품 중심으로 수출증대 전략을 마련하고 신선농식품 중에서는 수출 비중과 수출 증가율이 큰 과실류와 인삼류 화훼류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수출 증대 효과가 높을 것이다 김치류 등 수출 비중이 크지만 수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은 수출을 감소시킨 원인을 찾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 품목군에서도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간에 다르게 나타난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적 식문화의 세계화를 통해 국산 농식품 및 식자재의 수출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세계적인 건강식품 음식으로 이미 떠오른 김치와 비빔밥이외에도 더 많은 전략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연관된 식자재를 체계적으로 수출하는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식이 세계인의 입맛에 맞을 수 있도록 맛의 표준화를 정립하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메뉴를 개발하고 중점 지원하며 국산 식재료 유통구조의 대형화와 전문화를 통해 국산 식재료가 한식과 세계인의 식재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현재 전 세계 180여개국에 걸쳐 널리 퍼져있는 700만 재외동포와 한민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농식품 수출의 교두보로 삼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즉 해외동포기업들을 우리 농식품 및 식자재 수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전 세계

132

한국교민은 700만 명으로 화교(5500만 명) 유태인(860만 명)에 이어 세계 3번째 규모이다

약 7300개 한국 기업이 아시아 미주 유럽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지 종사자 규모가 약 150만 명에 이르며 해외 한식당은 약 1만 개로 추정된다 이들 해외 거주자는 우선적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될 수 있다

3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 우리 농식품기업의 해외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예컨대 국제적인 농식품 기업을 인수함

으로써 해외 생산기지와 유통망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보유 잉여자금을 이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해외투자활동이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농식품의 수출확대 과정에서 정부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과제 중의 하나는 국내 농어민의 소득 향상과 연계되는 수출방안의 모색이다 사실 현재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비중이 낮고 주로 가공식품위주를 이루고 국내 농업과 연관성이 높은 신선식품의 비중은 크지 않아 수출을 통한 농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농어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농식품 수출이 되도록 더 많은 정책적 고민과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2009년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가공식품은 53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선식품 수출비중이 높은 수산물을 제외하면 신선농축식품 수출비중은 15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농식품 수출이 실질적으로 국내 농어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농어민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어업과 연계된 수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수출유망 품목 발굴 노력과 함께 품목별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수출을 조직화규모화함으로써 과당경쟁 등 우리나라 수출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외에서의 거래교섭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중소규모 수출단지와 영세업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촉진하여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Dole과 선키스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 네덜란드의 그리너리와 같은 세계적인 수출조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식품 수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신선농식품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자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수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파프리카 화훼 버섯 등의 경우에도 종자부터 시설기자재까지 네덜란드 등 농업선진국에 의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18: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24

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산가공품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대상국이 FTA

체결국인 경우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수 전체 (t 값) 신선 (t 값) 가공 (t 값)ln (fdi) 0195 (210) 0366 (445) 0144 (106)

ln (distance) 9851030429 (985103244) 985103311 (985103233) 9851030707 (985103217)

ln (Yit Pit) 0195 (035) 0372 (080) 0579 (063)

ln (exchange) 0002 (001) 0077 (042) 9851030202 (985103046)

conformity 9851030022 (985103053) 9851030010 (985103026) 9851030098 (985103158)

tariff 0044 (155) 0041 (160) 0037 (071)

WTO 0053 (005) 9851030973 (985103091) 0184 (011)

FTA 3285 (225) 1458 (089) 5013 (261)

상수항 4083 (097) 0991 (985103027) 3135 (044)

σ v1) 1069 (278) 134e98510317 (000) 2344 (278)

σ ε 2449 (1413) 2866 (1351) 3096 (1170)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8) 134(32) 132(48)

모형적합성 검증(Wald) 2558(p=0001) 4400(p=0001) 2027(p=0009)

lt표 9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축산물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낙농품은 해외직접투자 환율 무역보완도가 높을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t표 10gt 참조) 또한 교역국과 FTA를 체결할 경우 그리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낙농품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곡물류 수출의 경우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5

변 수 낙농품 (t 값) 곡물류 (t 값)ln (fdi) 0190 (227) 0049 (101)

ln (distance) 9851030515 (985103176) 9851030532 (985103330)

ln (Yit Pit) 9851030686 (985103095) 9851030331 (985103079)

ln (exchange) 0863 (226) 0243 (119)

conformity 0097 (243) 0003 (014)

tariff 9851030190 (985103072) 9851030301 (985103190)

WTO 9851030148 (985103013) 1083 (164)

FTA 3946 (306) 0280 (037)

상수항 9030 (169) 13758 (421)

σ v1) 2113 (341) 1166 (344)

σ ε 2114 (1411) 1266 (1549)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7) 134(0)

모형적합성 검증(Wald) 3450 (p=0000) 1695(p=0031)

lt표 10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낙농품 곡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분석된 대부분 품목군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의 거리가 국산 농식품 수출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농식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부피에 비해 가격이 낮아 수송비가 교역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외에도 교역대상국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생산 및 식생활소비 패턴이 유사할 가능성이 높아 수출 증대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인접하면서 큰 농식품 시장이 있는 중국 일본 대만 중앙아시아 아세안 등에 대한 수출증가 가능성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일류 축산 특히 신선 축산물 낙농 등의 경우 해외직접투자가 많을 수록 수출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교포나 주재원 등의 수요가 많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126

3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과 기회요인가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주요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농식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쟁력 있는 대표 상품이 부족하다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은 14개로 대부분 가공식품이고 신선농산물은 4개에 불과하다

구 분 1999 2009(P)신 선 돼지고기 인삼 밥 김치 인삼 김치 파프리카 배가 공 자당 라면 소주 합판 권련 커피제조품 라면 자당 소주 비스킷수 산 참치 굴 붕장어 오징어 참치 오징어 김 넙치

lt표 11gt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

둘째 수출업체의 영세성으로 해외시장개척 및 국제경쟁력이 취약하고 수출업체의 난립으로 과잉경쟁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2008년 농식품 수출기업 921개 중 1천만 달러 이상은 22개(전체의 24)에 불과하며 1백만 달러 미만 수출업체는 689개(748)에 달한다

셋째 고품질 수출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기반이 미흡하다 수출거래 관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출 시장에서 원하는 품목과 물량을 원하는 시기에 공급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급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 생산 및 출하규모가 영세하고 내수 중심의 경영구조이기 때문에 수출거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적시 적량

정품 공급 기반이 미흡하다 수출 품목의 안전성과 품질이 담보되는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규모가 큰 수출조직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동시에 가공용 농식품 제조를 위한 품질과 가격경쟁력이 있는 원료농산물 공급기반도 미흡하다

넷째 효과적인 수출 물류 시스템 구축이 되어 있지 않다 수출 농식품의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저온유통 시스템이 가능한 물류 구축이 요구된다 하지만 국내 수출 물류시설 및 시스템이 낙후되어 신선도 및 품질 관리가 어렵고 경쟁력 제고에 한계가 많다 수출용 농식품의 국내 출하에서부터 수출 소비시장까지의 수송 저장에 필요한 냉장탑차 예냉저온선별 및 저장시설 냉장컨테이너 등의 시설 여건이 열악하여 품질 저하 감모 및 폐기물량 증가로 수출경쟁력을 제고시키기에 어려움이 많다

127

다섯째 체계적인 수출시장 개척 및 확대 시스템이 미흡하다 수출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하고 수출물량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국 도매업체와 대형판매점의 유통채널 진입과 긴밀한 네트워크유지가 필요하지만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KOTRA

유통공사 한인회 한상 등의 네트워크화를 통한 홍보 판촉 마케팅활동이 저조하다 이외에도 수출국 소매업체나 소비자들의 한국산 농식품 인지도 선호도 파악을 통한 수출 유망품목 수출 잠재품목 개발육성이 저조한 실정이다 수출국 시장 소비자 트렌드 및 라이프 스타일 조사 분석(Consumer Trends amp Lifestyle Analysis)을 통한 효과적 수요 창출 전략이 미흡하다 특히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별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나 농식품 수출의 기회요인 향후 DDA 농업협상의 타결과 FTA 체결 확대로 세계 농식품 교역규모는 큰 폭으로 증

가하여 우리 농식품 수출 증대에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DDAFTA 등으로 인한 관세 비관세 장벽 완화는 한국 농식품시장의 개방 확대와 동시에 수출시장이 확대되는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중국 인도 등 신흥경제권의 경제성장과 소득 증대로 우리나라의 고품질 차별화된 농식품의 수출확대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는 앞서 분석한 수출요인 결정모형의 분석 결과와 연관지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주요 국가와의 FTA의 체결과 해외진출 및 투자의 증가 교역국의 소득 증가 그리고 가까운 거리에 대규모 농식품 수출시장의 존재 등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즉 이러한 농식품 수출여건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은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식품 수출시장이 일본 중심에서 중국 러시아 동남아지역 등으로 다변화되어 가고 있어 시장개척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세계 농식품 시장규모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우리나라 주요 수출대상국의 농식품 수입규모도 증가 추세에 있다 우리 농식품수출의 60 가량을 점유하는 일본middot미국middot중국middot러시아 4개국의 수입규모가 최근 5년간 1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008 Global trade atlas)

우리 농식품의 주요 수출 유망국가에서 식문화의 글로벌화 및 웰빙middot건강식품 선호추세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한식의 세계화가 진전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2008년부터 본격적인 한식세계화 사업추진으로 식문화 수출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슬로우 푸드 건강 middot 기능성식품 수요증가에 따라 저열량 middot 건강식으로서 한식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128

이에 2009년의 경우 세계적 경기침체로 해외에서 우리와 경쟁관계에 있는 주요 선진농업국의 농식품수출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우리 농식품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강 점 (S) 약 점 (W)

인근 거대 잠재시장 존재한국식품에 대한 관심 고조높은 잠재 가능성(다양한 발효 식품 우수한 식문화)

국가대표 수출상품 부족 영세한 수출 구조기술 및 안전관리 수준 등이 선진국과 격차

(O)

세계 교역규모 증가안전middot기능성 관심 증가식문화 글로벌 확산

S ndash O 전략

한식 세계화 전략 구사수출 상품화수출지향 식품클러스터 조성

W ndash O 전략

수출전문 생산단지 설치식재료 및 기능식 상품화식품기업 해외진출 지원

(T)

세계적 경제 침체가격경쟁력 취약구제역 AI 등 안전성관리 애로

S ndash T 전략

잠재력 높은 신시장 개척수출유망품목 발굴 강화수출상품 고부가가치화수출상품 브랜드화

W ndash T 전략

국가대표 수출상품 육성수출 조직화 및 규모화RampD를 통한 신품목개발수출상품 안전체계 구축

lt그림 8gt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 분석(SWOT)

더욱이 정부가 2012년까지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 목표를 설정하고 다각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모색 중에 있어 어느 때보다 농식품 수출에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우선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과거와 달리 정부가 농식품 수출 목표를 높게 잡고 열심히 해보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지금까지 진행된 경제발전과정과 WTO 출범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무역자유화 시대에서 가장 취약한 산업부문으로 여겨져 찬밥신세를 면치 못하던 우리 농수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상징적 지표다 국내 농어업이 2000년 이후 성장정체 경향을 보이고 있는 현실에서 농식품 수출 확대를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신성장 동력원으로써 물꼬를 트겠다는 적극적 자세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수출선도조직 육성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 고품질 수출농식품의 안정적인 생산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려

129

하고 있다6) 수출선도조직과 수출업체의 생산 공급 계열화 시스템은 2009년 10개 품목 13

개 조직에서 2010년 18개 품목 21개 조직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노력은 생산농가985103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균일화된 고품질 농식품의 안정적인 공급으로 해외거래처와의 신뢰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수출업체 간 저가수출과당경쟁 방지 및 공동판촉 등 협력사업 수행으로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자율협력기구인 수출협의회가 구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 품목별 수출업체의 자율협력기구(수출협의회)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농식품 수출활성화 도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Ⅳ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

1 품목별로 차별화된 수출 확대 전략 수립앞서 수출증대요인 분석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품목별 또는 품목군별로 수출결정 요인

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품목별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한 수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무역보완도가 중요한 수출결정요인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 무역보완성이 높은 국가의 시장에 대한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류 내 품목별로 무역보완성을 고려한 목표 시장을 설정하여 수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과실류와 축산물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규모나 시장개방의 정도 즉 WTO 가입이나 FTA 체결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품목의 경우 국내 기업이 많이 진출하고 있거나 시장개방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 국가가 주요 수출시장으로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출결정인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품목별로 주요 수출대상 국가별 수출저해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특히 2012년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라는 수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수출 기반 조성과 방법으로 수출을 추진해야 한다 농식품 수출의 장애요인 발굴과 제거하는 과정은 품목별 국가별 여건과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수출 목표를 빠르게 달6) 수출선도조직은 농식품 수출업체가 생산농가(lsquo생산자조직rsquo 포함)와 상호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고 수

출업체 주도로 품종선택부터 재배 수확 선별 포장 수출 안전성 및 품질관리 정산 농가교육 등의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함으로써 수출 농식품의 경쟁력을 높여 수출확대를 선도하는 조직을 말한다

130

성하기 위해서는 수출 비중과 증가율이 큰 품목과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확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수출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 장애요인 제거 방법도 보다 큰 틀에서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앞서 수출 유망 국가 및 시장 선택에 있어서는 수출결정요인 분석 결과와 함께 수출시장별 기회잠재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차별화된 시장 개척과 확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즉 국가별 수출시장 여건 및 특성에 맞추어 수출증대 노력을 기울여야 효과적인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해외시장에서 성공한 우리 농식품들은 고품질과 단일브랜드 현지형 마케팅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야 한다 특히 한반도를 중심으로 반경 19851032시간 권 안에 있는 중국 일본 대만 등 우리에게 새롭게 열린 시장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수출 확대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해외동포나 현지 교민의 직접적인 수요에 의존한 수출방식에서 이들 국가의 해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방식으로 전환하여 신규 수출수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공급 수출지원시스템 간의 밀접한 상호연계 체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2012년 100억 달러 농식품 수출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현재의 수출증가율을 큰 폭으로 상회해야 하므로 민간 차원에서 하기 힘든 수출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대규모 수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외 농식품 생산 유통업체간 전략적 글로벌 공동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반도를 동아시아 농식품 허브로 개발 육성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극적인 세계 유명 식품 박람회 참가 바이어초청 등을 통해 신규거래선 개척을 지원하여 수출업체985103바이어 간 만남의 장 마련으로 더 많은 수출기회를 제공해 나가야 한다 또한 해외 대형 바이어와의 MOU 체결 주요 식품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한국식품 직수출 유통채널 확보 및 장기대규모 소비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국내적으로도 농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수출유관기관의 역할분담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수출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외교통상부middot무역협회middotKOTRA 각종 협회 해외한인회 등 공공부문 및 민간조직과의 협력방안도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 대표급 주력 수출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2009년 현재 기준 5천만 달러 이상 수출되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은 인삼(1억 달러 rsquo09년) 김치(89백만 달러) 배(54백만 달러) 파프리카(53백만 달러) 정도이고 그 외에 이렇다할 만한 주력 수출상품이 없다는 것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품목별 수출결정요인과 함께 시장의 특성 선호도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전략수출상품을 집중 육성할 필요

131

가 있다 현재 수출규모가 큰 김치 인삼 돼지고기 배 면류 주류 과자류 참치 오징어

김 등은 현재보다 수출규모를 확대하고 세계적인 상품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또한 삼계탕

버섯류 유자차 화훼 전복 넙치 굴 등 농어민 소득증대가 크고 수출성장 가능성이 큰 품목의 발굴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농가985103 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안전성품질관리가 가능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경영체로 육성함으로써 균일화된 고품질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해외 거래선의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 기술과 자본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통해 해외 유통망 확보 노력과 함께 세계인들의 입맛을 붙잡는 그리너리(네델란드) 데니쉬 크라운(덴마크) 제스프리(뉴질랜드) 선키스트(미국) 네슬레(스위스) 등과 같은 세계적 대표 브랜드 육성이 필요하다

2 고부가가가치 농식품 수출 확대계절성이 높은 1차 농산물을 수출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2 middot 3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

치 상품을 수출하여 채산성을 높이고 수출상품을 연중 수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농식품 수출을 빠르게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품목 측면에서 최근 수출 증가율이 높은 가공농식품 중심으로 수출증대 전략을 마련하고 신선농식품 중에서는 수출 비중과 수출 증가율이 큰 과실류와 인삼류 화훼류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수출 증대 효과가 높을 것이다 김치류 등 수출 비중이 크지만 수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은 수출을 감소시킨 원인을 찾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 품목군에서도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간에 다르게 나타난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적 식문화의 세계화를 통해 국산 농식품 및 식자재의 수출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세계적인 건강식품 음식으로 이미 떠오른 김치와 비빔밥이외에도 더 많은 전략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연관된 식자재를 체계적으로 수출하는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식이 세계인의 입맛에 맞을 수 있도록 맛의 표준화를 정립하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메뉴를 개발하고 중점 지원하며 국산 식재료 유통구조의 대형화와 전문화를 통해 국산 식재료가 한식과 세계인의 식재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현재 전 세계 180여개국에 걸쳐 널리 퍼져있는 700만 재외동포와 한민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농식품 수출의 교두보로 삼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즉 해외동포기업들을 우리 농식품 및 식자재 수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전 세계

132

한국교민은 700만 명으로 화교(5500만 명) 유태인(860만 명)에 이어 세계 3번째 규모이다

약 7300개 한국 기업이 아시아 미주 유럽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지 종사자 규모가 약 150만 명에 이르며 해외 한식당은 약 1만 개로 추정된다 이들 해외 거주자는 우선적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될 수 있다

3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 우리 농식품기업의 해외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예컨대 국제적인 농식품 기업을 인수함

으로써 해외 생산기지와 유통망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보유 잉여자금을 이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해외투자활동이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농식품의 수출확대 과정에서 정부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과제 중의 하나는 국내 농어민의 소득 향상과 연계되는 수출방안의 모색이다 사실 현재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비중이 낮고 주로 가공식품위주를 이루고 국내 농업과 연관성이 높은 신선식품의 비중은 크지 않아 수출을 통한 농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농어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농식품 수출이 되도록 더 많은 정책적 고민과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2009년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가공식품은 53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선식품 수출비중이 높은 수산물을 제외하면 신선농축식품 수출비중은 15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농식품 수출이 실질적으로 국내 농어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농어민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어업과 연계된 수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수출유망 품목 발굴 노력과 함께 품목별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수출을 조직화규모화함으로써 과당경쟁 등 우리나라 수출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외에서의 거래교섭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중소규모 수출단지와 영세업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촉진하여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Dole과 선키스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 네덜란드의 그리너리와 같은 세계적인 수출조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식품 수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신선농식품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자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수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파프리카 화훼 버섯 등의 경우에도 종자부터 시설기자재까지 네덜란드 등 농업선진국에 의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19: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25

변 수 낙농품 (t 값) 곡물류 (t 값)ln (fdi) 0190 (227) 0049 (101)

ln (distance) 9851030515 (985103176) 9851030532 (985103330)

ln (Yit Pit) 9851030686 (985103095) 9851030331 (985103079)

ln (exchange) 0863 (226) 0243 (119)

conformity 0097 (243) 0003 (014)

tariff 9851030190 (985103072) 9851030301 (985103190)

WTO 9851030148 (985103013) 1083 (164)

FTA 3946 (306) 0280 (037)

상수항 9030 (169) 13758 (421)

σ v1) 2113 (341) 1166 (344)

σ ε 2114 (1411) 1266 (1549)

관측치수(0인 관측치수) 134(17) 134(0)

모형적합성 검증(Wald) 3450 (p=0000) 1695(p=0031)

lt표 10gt 수출방정식 추정 결과낙농품 곡물류

주1) (1에서 유의) (5에서 유의) (10에서 유의)

2) σv(국가별 확률효과의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경우 모형이 패널자료의 특성은 매우 약하게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측치 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고 자료를 혼합(pooling)하여 추정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분석된 대부분 품목군의 경우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의 거리가 국산 농식품 수출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농식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부피에 비해 가격이 낮아 수송비가 교역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외에도 교역대상국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생산 및 식생활소비 패턴이 유사할 가능성이 높아 수출 증대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인접하면서 큰 농식품 시장이 있는 중국 일본 대만 중앙아시아 아세안 등에 대한 수출증가 가능성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일류 축산 특히 신선 축산물 낙농 등의 경우 해외직접투자가 많을 수록 수출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가 많을수록 교포나 주재원 등의 수요가 많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126

3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과 기회요인가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주요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농식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쟁력 있는 대표 상품이 부족하다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은 14개로 대부분 가공식품이고 신선농산물은 4개에 불과하다

구 분 1999 2009(P)신 선 돼지고기 인삼 밥 김치 인삼 김치 파프리카 배가 공 자당 라면 소주 합판 권련 커피제조품 라면 자당 소주 비스킷수 산 참치 굴 붕장어 오징어 참치 오징어 김 넙치

lt표 11gt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

둘째 수출업체의 영세성으로 해외시장개척 및 국제경쟁력이 취약하고 수출업체의 난립으로 과잉경쟁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2008년 농식품 수출기업 921개 중 1천만 달러 이상은 22개(전체의 24)에 불과하며 1백만 달러 미만 수출업체는 689개(748)에 달한다

셋째 고품질 수출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기반이 미흡하다 수출거래 관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출 시장에서 원하는 품목과 물량을 원하는 시기에 공급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급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 생산 및 출하규모가 영세하고 내수 중심의 경영구조이기 때문에 수출거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적시 적량

정품 공급 기반이 미흡하다 수출 품목의 안전성과 품질이 담보되는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규모가 큰 수출조직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동시에 가공용 농식품 제조를 위한 품질과 가격경쟁력이 있는 원료농산물 공급기반도 미흡하다

넷째 효과적인 수출 물류 시스템 구축이 되어 있지 않다 수출 농식품의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저온유통 시스템이 가능한 물류 구축이 요구된다 하지만 국내 수출 물류시설 및 시스템이 낙후되어 신선도 및 품질 관리가 어렵고 경쟁력 제고에 한계가 많다 수출용 농식품의 국내 출하에서부터 수출 소비시장까지의 수송 저장에 필요한 냉장탑차 예냉저온선별 및 저장시설 냉장컨테이너 등의 시설 여건이 열악하여 품질 저하 감모 및 폐기물량 증가로 수출경쟁력을 제고시키기에 어려움이 많다

127

다섯째 체계적인 수출시장 개척 및 확대 시스템이 미흡하다 수출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하고 수출물량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국 도매업체와 대형판매점의 유통채널 진입과 긴밀한 네트워크유지가 필요하지만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KOTRA

유통공사 한인회 한상 등의 네트워크화를 통한 홍보 판촉 마케팅활동이 저조하다 이외에도 수출국 소매업체나 소비자들의 한국산 농식품 인지도 선호도 파악을 통한 수출 유망품목 수출 잠재품목 개발육성이 저조한 실정이다 수출국 시장 소비자 트렌드 및 라이프 스타일 조사 분석(Consumer Trends amp Lifestyle Analysis)을 통한 효과적 수요 창출 전략이 미흡하다 특히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별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나 농식품 수출의 기회요인 향후 DDA 농업협상의 타결과 FTA 체결 확대로 세계 농식품 교역규모는 큰 폭으로 증

가하여 우리 농식품 수출 증대에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DDAFTA 등으로 인한 관세 비관세 장벽 완화는 한국 농식품시장의 개방 확대와 동시에 수출시장이 확대되는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중국 인도 등 신흥경제권의 경제성장과 소득 증대로 우리나라의 고품질 차별화된 농식품의 수출확대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는 앞서 분석한 수출요인 결정모형의 분석 결과와 연관지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주요 국가와의 FTA의 체결과 해외진출 및 투자의 증가 교역국의 소득 증가 그리고 가까운 거리에 대규모 농식품 수출시장의 존재 등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즉 이러한 농식품 수출여건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은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식품 수출시장이 일본 중심에서 중국 러시아 동남아지역 등으로 다변화되어 가고 있어 시장개척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세계 농식품 시장규모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우리나라 주요 수출대상국의 농식품 수입규모도 증가 추세에 있다 우리 농식품수출의 60 가량을 점유하는 일본middot미국middot중국middot러시아 4개국의 수입규모가 최근 5년간 1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008 Global trade atlas)

우리 농식품의 주요 수출 유망국가에서 식문화의 글로벌화 및 웰빙middot건강식품 선호추세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한식의 세계화가 진전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2008년부터 본격적인 한식세계화 사업추진으로 식문화 수출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슬로우 푸드 건강 middot 기능성식품 수요증가에 따라 저열량 middot 건강식으로서 한식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128

이에 2009년의 경우 세계적 경기침체로 해외에서 우리와 경쟁관계에 있는 주요 선진농업국의 농식품수출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우리 농식품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강 점 (S) 약 점 (W)

인근 거대 잠재시장 존재한국식품에 대한 관심 고조높은 잠재 가능성(다양한 발효 식품 우수한 식문화)

국가대표 수출상품 부족 영세한 수출 구조기술 및 안전관리 수준 등이 선진국과 격차

(O)

세계 교역규모 증가안전middot기능성 관심 증가식문화 글로벌 확산

S ndash O 전략

한식 세계화 전략 구사수출 상품화수출지향 식품클러스터 조성

W ndash O 전략

수출전문 생산단지 설치식재료 및 기능식 상품화식품기업 해외진출 지원

(T)

세계적 경제 침체가격경쟁력 취약구제역 AI 등 안전성관리 애로

S ndash T 전략

잠재력 높은 신시장 개척수출유망품목 발굴 강화수출상품 고부가가치화수출상품 브랜드화

W ndash T 전략

국가대표 수출상품 육성수출 조직화 및 규모화RampD를 통한 신품목개발수출상품 안전체계 구축

lt그림 8gt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 분석(SWOT)

더욱이 정부가 2012년까지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 목표를 설정하고 다각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모색 중에 있어 어느 때보다 농식품 수출에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우선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과거와 달리 정부가 농식품 수출 목표를 높게 잡고 열심히 해보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지금까지 진행된 경제발전과정과 WTO 출범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무역자유화 시대에서 가장 취약한 산업부문으로 여겨져 찬밥신세를 면치 못하던 우리 농수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상징적 지표다 국내 농어업이 2000년 이후 성장정체 경향을 보이고 있는 현실에서 농식품 수출 확대를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신성장 동력원으로써 물꼬를 트겠다는 적극적 자세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수출선도조직 육성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 고품질 수출농식품의 안정적인 생산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려

129

하고 있다6) 수출선도조직과 수출업체의 생산 공급 계열화 시스템은 2009년 10개 품목 13

개 조직에서 2010년 18개 품목 21개 조직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노력은 생산농가985103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균일화된 고품질 농식품의 안정적인 공급으로 해외거래처와의 신뢰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수출업체 간 저가수출과당경쟁 방지 및 공동판촉 등 협력사업 수행으로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자율협력기구인 수출협의회가 구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 품목별 수출업체의 자율협력기구(수출협의회)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농식품 수출활성화 도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Ⅳ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

1 품목별로 차별화된 수출 확대 전략 수립앞서 수출증대요인 분석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품목별 또는 품목군별로 수출결정 요인

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품목별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한 수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무역보완도가 중요한 수출결정요인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 무역보완성이 높은 국가의 시장에 대한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류 내 품목별로 무역보완성을 고려한 목표 시장을 설정하여 수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과실류와 축산물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규모나 시장개방의 정도 즉 WTO 가입이나 FTA 체결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품목의 경우 국내 기업이 많이 진출하고 있거나 시장개방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 국가가 주요 수출시장으로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출결정인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품목별로 주요 수출대상 국가별 수출저해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특히 2012년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라는 수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수출 기반 조성과 방법으로 수출을 추진해야 한다 농식품 수출의 장애요인 발굴과 제거하는 과정은 품목별 국가별 여건과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수출 목표를 빠르게 달6) 수출선도조직은 농식품 수출업체가 생산농가(lsquo생산자조직rsquo 포함)와 상호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고 수

출업체 주도로 품종선택부터 재배 수확 선별 포장 수출 안전성 및 품질관리 정산 농가교육 등의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함으로써 수출 농식품의 경쟁력을 높여 수출확대를 선도하는 조직을 말한다

130

성하기 위해서는 수출 비중과 증가율이 큰 품목과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확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수출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 장애요인 제거 방법도 보다 큰 틀에서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앞서 수출 유망 국가 및 시장 선택에 있어서는 수출결정요인 분석 결과와 함께 수출시장별 기회잠재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차별화된 시장 개척과 확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즉 국가별 수출시장 여건 및 특성에 맞추어 수출증대 노력을 기울여야 효과적인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해외시장에서 성공한 우리 농식품들은 고품질과 단일브랜드 현지형 마케팅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야 한다 특히 한반도를 중심으로 반경 19851032시간 권 안에 있는 중국 일본 대만 등 우리에게 새롭게 열린 시장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수출 확대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해외동포나 현지 교민의 직접적인 수요에 의존한 수출방식에서 이들 국가의 해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방식으로 전환하여 신규 수출수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공급 수출지원시스템 간의 밀접한 상호연계 체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2012년 100억 달러 농식품 수출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현재의 수출증가율을 큰 폭으로 상회해야 하므로 민간 차원에서 하기 힘든 수출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대규모 수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외 농식품 생산 유통업체간 전략적 글로벌 공동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반도를 동아시아 농식품 허브로 개발 육성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극적인 세계 유명 식품 박람회 참가 바이어초청 등을 통해 신규거래선 개척을 지원하여 수출업체985103바이어 간 만남의 장 마련으로 더 많은 수출기회를 제공해 나가야 한다 또한 해외 대형 바이어와의 MOU 체결 주요 식품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한국식품 직수출 유통채널 확보 및 장기대규모 소비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국내적으로도 농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수출유관기관의 역할분담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수출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외교통상부middot무역협회middotKOTRA 각종 협회 해외한인회 등 공공부문 및 민간조직과의 협력방안도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 대표급 주력 수출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2009년 현재 기준 5천만 달러 이상 수출되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은 인삼(1억 달러 rsquo09년) 김치(89백만 달러) 배(54백만 달러) 파프리카(53백만 달러) 정도이고 그 외에 이렇다할 만한 주력 수출상품이 없다는 것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품목별 수출결정요인과 함께 시장의 특성 선호도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전략수출상품을 집중 육성할 필요

131

가 있다 현재 수출규모가 큰 김치 인삼 돼지고기 배 면류 주류 과자류 참치 오징어

김 등은 현재보다 수출규모를 확대하고 세계적인 상품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또한 삼계탕

버섯류 유자차 화훼 전복 넙치 굴 등 농어민 소득증대가 크고 수출성장 가능성이 큰 품목의 발굴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농가985103 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안전성품질관리가 가능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경영체로 육성함으로써 균일화된 고품질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해외 거래선의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 기술과 자본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통해 해외 유통망 확보 노력과 함께 세계인들의 입맛을 붙잡는 그리너리(네델란드) 데니쉬 크라운(덴마크) 제스프리(뉴질랜드) 선키스트(미국) 네슬레(스위스) 등과 같은 세계적 대표 브랜드 육성이 필요하다

2 고부가가가치 농식품 수출 확대계절성이 높은 1차 농산물을 수출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2 middot 3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

치 상품을 수출하여 채산성을 높이고 수출상품을 연중 수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농식품 수출을 빠르게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품목 측면에서 최근 수출 증가율이 높은 가공농식품 중심으로 수출증대 전략을 마련하고 신선농식품 중에서는 수출 비중과 수출 증가율이 큰 과실류와 인삼류 화훼류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수출 증대 효과가 높을 것이다 김치류 등 수출 비중이 크지만 수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은 수출을 감소시킨 원인을 찾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 품목군에서도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간에 다르게 나타난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적 식문화의 세계화를 통해 국산 농식품 및 식자재의 수출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세계적인 건강식품 음식으로 이미 떠오른 김치와 비빔밥이외에도 더 많은 전략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연관된 식자재를 체계적으로 수출하는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식이 세계인의 입맛에 맞을 수 있도록 맛의 표준화를 정립하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메뉴를 개발하고 중점 지원하며 국산 식재료 유통구조의 대형화와 전문화를 통해 국산 식재료가 한식과 세계인의 식재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현재 전 세계 180여개국에 걸쳐 널리 퍼져있는 700만 재외동포와 한민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농식품 수출의 교두보로 삼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즉 해외동포기업들을 우리 농식품 및 식자재 수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전 세계

132

한국교민은 700만 명으로 화교(5500만 명) 유태인(860만 명)에 이어 세계 3번째 규모이다

약 7300개 한국 기업이 아시아 미주 유럽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지 종사자 규모가 약 150만 명에 이르며 해외 한식당은 약 1만 개로 추정된다 이들 해외 거주자는 우선적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될 수 있다

3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 우리 농식품기업의 해외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예컨대 국제적인 농식품 기업을 인수함

으로써 해외 생산기지와 유통망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보유 잉여자금을 이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해외투자활동이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농식품의 수출확대 과정에서 정부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과제 중의 하나는 국내 농어민의 소득 향상과 연계되는 수출방안의 모색이다 사실 현재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비중이 낮고 주로 가공식품위주를 이루고 국내 농업과 연관성이 높은 신선식품의 비중은 크지 않아 수출을 통한 농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농어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농식품 수출이 되도록 더 많은 정책적 고민과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2009년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가공식품은 53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선식품 수출비중이 높은 수산물을 제외하면 신선농축식품 수출비중은 15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농식품 수출이 실질적으로 국내 농어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농어민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어업과 연계된 수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수출유망 품목 발굴 노력과 함께 품목별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수출을 조직화규모화함으로써 과당경쟁 등 우리나라 수출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외에서의 거래교섭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중소규모 수출단지와 영세업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촉진하여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Dole과 선키스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 네덜란드의 그리너리와 같은 세계적인 수출조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식품 수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신선농식품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자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수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파프리카 화훼 버섯 등의 경우에도 종자부터 시설기자재까지 네덜란드 등 농업선진국에 의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20: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26

3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과 기회요인가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주요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농식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쟁력 있는 대표 상품이 부족하다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은 14개로 대부분 가공식품이고 신선농산물은 4개에 불과하다

구 분 1999 2009(P)신 선 돼지고기 인삼 밥 김치 인삼 김치 파프리카 배가 공 자당 라면 소주 합판 권련 커피제조품 라면 자당 소주 비스킷수 산 참치 굴 붕장어 오징어 참치 오징어 김 넙치

lt표 11gt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

둘째 수출업체의 영세성으로 해외시장개척 및 국제경쟁력이 취약하고 수출업체의 난립으로 과잉경쟁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2008년 농식품 수출기업 921개 중 1천만 달러 이상은 22개(전체의 24)에 불과하며 1백만 달러 미만 수출업체는 689개(748)에 달한다

셋째 고품질 수출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기반이 미흡하다 수출거래 관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출 시장에서 원하는 품목과 물량을 원하는 시기에 공급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급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 생산 및 출하규모가 영세하고 내수 중심의 경영구조이기 때문에 수출거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적시 적량

정품 공급 기반이 미흡하다 수출 품목의 안전성과 품질이 담보되는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규모가 큰 수출조직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동시에 가공용 농식품 제조를 위한 품질과 가격경쟁력이 있는 원료농산물 공급기반도 미흡하다

넷째 효과적인 수출 물류 시스템 구축이 되어 있지 않다 수출 농식품의 품질과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저온유통 시스템이 가능한 물류 구축이 요구된다 하지만 국내 수출 물류시설 및 시스템이 낙후되어 신선도 및 품질 관리가 어렵고 경쟁력 제고에 한계가 많다 수출용 농식품의 국내 출하에서부터 수출 소비시장까지의 수송 저장에 필요한 냉장탑차 예냉저온선별 및 저장시설 냉장컨테이너 등의 시설 여건이 열악하여 품질 저하 감모 및 폐기물량 증가로 수출경쟁력을 제고시키기에 어려움이 많다

127

다섯째 체계적인 수출시장 개척 및 확대 시스템이 미흡하다 수출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하고 수출물량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국 도매업체와 대형판매점의 유통채널 진입과 긴밀한 네트워크유지가 필요하지만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KOTRA

유통공사 한인회 한상 등의 네트워크화를 통한 홍보 판촉 마케팅활동이 저조하다 이외에도 수출국 소매업체나 소비자들의 한국산 농식품 인지도 선호도 파악을 통한 수출 유망품목 수출 잠재품목 개발육성이 저조한 실정이다 수출국 시장 소비자 트렌드 및 라이프 스타일 조사 분석(Consumer Trends amp Lifestyle Analysis)을 통한 효과적 수요 창출 전략이 미흡하다 특히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별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나 농식품 수출의 기회요인 향후 DDA 농업협상의 타결과 FTA 체결 확대로 세계 농식품 교역규모는 큰 폭으로 증

가하여 우리 농식품 수출 증대에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DDAFTA 등으로 인한 관세 비관세 장벽 완화는 한국 농식품시장의 개방 확대와 동시에 수출시장이 확대되는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중국 인도 등 신흥경제권의 경제성장과 소득 증대로 우리나라의 고품질 차별화된 농식품의 수출확대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는 앞서 분석한 수출요인 결정모형의 분석 결과와 연관지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주요 국가와의 FTA의 체결과 해외진출 및 투자의 증가 교역국의 소득 증가 그리고 가까운 거리에 대규모 농식품 수출시장의 존재 등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즉 이러한 농식품 수출여건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은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식품 수출시장이 일본 중심에서 중국 러시아 동남아지역 등으로 다변화되어 가고 있어 시장개척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세계 농식품 시장규모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우리나라 주요 수출대상국의 농식품 수입규모도 증가 추세에 있다 우리 농식품수출의 60 가량을 점유하는 일본middot미국middot중국middot러시아 4개국의 수입규모가 최근 5년간 1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008 Global trade atlas)

우리 농식품의 주요 수출 유망국가에서 식문화의 글로벌화 및 웰빙middot건강식품 선호추세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한식의 세계화가 진전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2008년부터 본격적인 한식세계화 사업추진으로 식문화 수출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슬로우 푸드 건강 middot 기능성식품 수요증가에 따라 저열량 middot 건강식으로서 한식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128

이에 2009년의 경우 세계적 경기침체로 해외에서 우리와 경쟁관계에 있는 주요 선진농업국의 농식품수출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우리 농식품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강 점 (S) 약 점 (W)

인근 거대 잠재시장 존재한국식품에 대한 관심 고조높은 잠재 가능성(다양한 발효 식품 우수한 식문화)

국가대표 수출상품 부족 영세한 수출 구조기술 및 안전관리 수준 등이 선진국과 격차

(O)

세계 교역규모 증가안전middot기능성 관심 증가식문화 글로벌 확산

S ndash O 전략

한식 세계화 전략 구사수출 상품화수출지향 식품클러스터 조성

W ndash O 전략

수출전문 생산단지 설치식재료 및 기능식 상품화식품기업 해외진출 지원

(T)

세계적 경제 침체가격경쟁력 취약구제역 AI 등 안전성관리 애로

S ndash T 전략

잠재력 높은 신시장 개척수출유망품목 발굴 강화수출상품 고부가가치화수출상품 브랜드화

W ndash T 전략

국가대표 수출상품 육성수출 조직화 및 규모화RampD를 통한 신품목개발수출상품 안전체계 구축

lt그림 8gt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 분석(SWOT)

더욱이 정부가 2012년까지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 목표를 설정하고 다각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모색 중에 있어 어느 때보다 농식품 수출에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우선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과거와 달리 정부가 농식품 수출 목표를 높게 잡고 열심히 해보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지금까지 진행된 경제발전과정과 WTO 출범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무역자유화 시대에서 가장 취약한 산업부문으로 여겨져 찬밥신세를 면치 못하던 우리 농수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상징적 지표다 국내 농어업이 2000년 이후 성장정체 경향을 보이고 있는 현실에서 농식품 수출 확대를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신성장 동력원으로써 물꼬를 트겠다는 적극적 자세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수출선도조직 육성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 고품질 수출농식품의 안정적인 생산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려

129

하고 있다6) 수출선도조직과 수출업체의 생산 공급 계열화 시스템은 2009년 10개 품목 13

개 조직에서 2010년 18개 품목 21개 조직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노력은 생산농가985103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균일화된 고품질 농식품의 안정적인 공급으로 해외거래처와의 신뢰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수출업체 간 저가수출과당경쟁 방지 및 공동판촉 등 협력사업 수행으로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자율협력기구인 수출협의회가 구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 품목별 수출업체의 자율협력기구(수출협의회)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농식품 수출활성화 도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Ⅳ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

1 품목별로 차별화된 수출 확대 전략 수립앞서 수출증대요인 분석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품목별 또는 품목군별로 수출결정 요인

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품목별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한 수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무역보완도가 중요한 수출결정요인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 무역보완성이 높은 국가의 시장에 대한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류 내 품목별로 무역보완성을 고려한 목표 시장을 설정하여 수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과실류와 축산물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규모나 시장개방의 정도 즉 WTO 가입이나 FTA 체결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품목의 경우 국내 기업이 많이 진출하고 있거나 시장개방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 국가가 주요 수출시장으로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출결정인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품목별로 주요 수출대상 국가별 수출저해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특히 2012년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라는 수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수출 기반 조성과 방법으로 수출을 추진해야 한다 농식품 수출의 장애요인 발굴과 제거하는 과정은 품목별 국가별 여건과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수출 목표를 빠르게 달6) 수출선도조직은 농식품 수출업체가 생산농가(lsquo생산자조직rsquo 포함)와 상호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고 수

출업체 주도로 품종선택부터 재배 수확 선별 포장 수출 안전성 및 품질관리 정산 농가교육 등의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함으로써 수출 농식품의 경쟁력을 높여 수출확대를 선도하는 조직을 말한다

130

성하기 위해서는 수출 비중과 증가율이 큰 품목과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확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수출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 장애요인 제거 방법도 보다 큰 틀에서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앞서 수출 유망 국가 및 시장 선택에 있어서는 수출결정요인 분석 결과와 함께 수출시장별 기회잠재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차별화된 시장 개척과 확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즉 국가별 수출시장 여건 및 특성에 맞추어 수출증대 노력을 기울여야 효과적인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해외시장에서 성공한 우리 농식품들은 고품질과 단일브랜드 현지형 마케팅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야 한다 특히 한반도를 중심으로 반경 19851032시간 권 안에 있는 중국 일본 대만 등 우리에게 새롭게 열린 시장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수출 확대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해외동포나 현지 교민의 직접적인 수요에 의존한 수출방식에서 이들 국가의 해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방식으로 전환하여 신규 수출수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공급 수출지원시스템 간의 밀접한 상호연계 체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2012년 100억 달러 농식품 수출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현재의 수출증가율을 큰 폭으로 상회해야 하므로 민간 차원에서 하기 힘든 수출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대규모 수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외 농식품 생산 유통업체간 전략적 글로벌 공동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반도를 동아시아 농식품 허브로 개발 육성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극적인 세계 유명 식품 박람회 참가 바이어초청 등을 통해 신규거래선 개척을 지원하여 수출업체985103바이어 간 만남의 장 마련으로 더 많은 수출기회를 제공해 나가야 한다 또한 해외 대형 바이어와의 MOU 체결 주요 식품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한국식품 직수출 유통채널 확보 및 장기대규모 소비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국내적으로도 농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수출유관기관의 역할분담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수출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외교통상부middot무역협회middotKOTRA 각종 협회 해외한인회 등 공공부문 및 민간조직과의 협력방안도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 대표급 주력 수출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2009년 현재 기준 5천만 달러 이상 수출되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은 인삼(1억 달러 rsquo09년) 김치(89백만 달러) 배(54백만 달러) 파프리카(53백만 달러) 정도이고 그 외에 이렇다할 만한 주력 수출상품이 없다는 것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품목별 수출결정요인과 함께 시장의 특성 선호도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전략수출상품을 집중 육성할 필요

131

가 있다 현재 수출규모가 큰 김치 인삼 돼지고기 배 면류 주류 과자류 참치 오징어

김 등은 현재보다 수출규모를 확대하고 세계적인 상품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또한 삼계탕

버섯류 유자차 화훼 전복 넙치 굴 등 농어민 소득증대가 크고 수출성장 가능성이 큰 품목의 발굴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농가985103 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안전성품질관리가 가능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경영체로 육성함으로써 균일화된 고품질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해외 거래선의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 기술과 자본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통해 해외 유통망 확보 노력과 함께 세계인들의 입맛을 붙잡는 그리너리(네델란드) 데니쉬 크라운(덴마크) 제스프리(뉴질랜드) 선키스트(미국) 네슬레(스위스) 등과 같은 세계적 대표 브랜드 육성이 필요하다

2 고부가가가치 농식품 수출 확대계절성이 높은 1차 농산물을 수출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2 middot 3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

치 상품을 수출하여 채산성을 높이고 수출상품을 연중 수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농식품 수출을 빠르게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품목 측면에서 최근 수출 증가율이 높은 가공농식품 중심으로 수출증대 전략을 마련하고 신선농식품 중에서는 수출 비중과 수출 증가율이 큰 과실류와 인삼류 화훼류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수출 증대 효과가 높을 것이다 김치류 등 수출 비중이 크지만 수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은 수출을 감소시킨 원인을 찾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 품목군에서도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간에 다르게 나타난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적 식문화의 세계화를 통해 국산 농식품 및 식자재의 수출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세계적인 건강식품 음식으로 이미 떠오른 김치와 비빔밥이외에도 더 많은 전략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연관된 식자재를 체계적으로 수출하는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식이 세계인의 입맛에 맞을 수 있도록 맛의 표준화를 정립하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메뉴를 개발하고 중점 지원하며 국산 식재료 유통구조의 대형화와 전문화를 통해 국산 식재료가 한식과 세계인의 식재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현재 전 세계 180여개국에 걸쳐 널리 퍼져있는 700만 재외동포와 한민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농식품 수출의 교두보로 삼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즉 해외동포기업들을 우리 농식품 및 식자재 수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전 세계

132

한국교민은 700만 명으로 화교(5500만 명) 유태인(860만 명)에 이어 세계 3번째 규모이다

약 7300개 한국 기업이 아시아 미주 유럽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지 종사자 규모가 약 150만 명에 이르며 해외 한식당은 약 1만 개로 추정된다 이들 해외 거주자는 우선적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될 수 있다

3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 우리 농식품기업의 해외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예컨대 국제적인 농식품 기업을 인수함

으로써 해외 생산기지와 유통망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보유 잉여자금을 이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해외투자활동이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농식품의 수출확대 과정에서 정부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과제 중의 하나는 국내 농어민의 소득 향상과 연계되는 수출방안의 모색이다 사실 현재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비중이 낮고 주로 가공식품위주를 이루고 국내 농업과 연관성이 높은 신선식품의 비중은 크지 않아 수출을 통한 농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농어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농식품 수출이 되도록 더 많은 정책적 고민과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2009년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가공식품은 53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선식품 수출비중이 높은 수산물을 제외하면 신선농축식품 수출비중은 15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농식품 수출이 실질적으로 국내 농어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농어민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어업과 연계된 수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수출유망 품목 발굴 노력과 함께 품목별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수출을 조직화규모화함으로써 과당경쟁 등 우리나라 수출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외에서의 거래교섭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중소규모 수출단지와 영세업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촉진하여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Dole과 선키스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 네덜란드의 그리너리와 같은 세계적인 수출조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식품 수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신선농식품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자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수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파프리카 화훼 버섯 등의 경우에도 종자부터 시설기자재까지 네덜란드 등 농업선진국에 의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21: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27

다섯째 체계적인 수출시장 개척 및 확대 시스템이 미흡하다 수출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하고 수출물량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국 도매업체와 대형판매점의 유통채널 진입과 긴밀한 네트워크유지가 필요하지만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KOTRA

유통공사 한인회 한상 등의 네트워크화를 통한 홍보 판촉 마케팅활동이 저조하다 이외에도 수출국 소매업체나 소비자들의 한국산 농식품 인지도 선호도 파악을 통한 수출 유망품목 수출 잠재품목 개발육성이 저조한 실정이다 수출국 시장 소비자 트렌드 및 라이프 스타일 조사 분석(Consumer Trends amp Lifestyle Analysis)을 통한 효과적 수요 창출 전략이 미흡하다 특히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별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나 농식품 수출의 기회요인 향후 DDA 농업협상의 타결과 FTA 체결 확대로 세계 농식품 교역규모는 큰 폭으로 증

가하여 우리 농식품 수출 증대에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DDAFTA 등으로 인한 관세 비관세 장벽 완화는 한국 농식품시장의 개방 확대와 동시에 수출시장이 확대되는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중국 인도 등 신흥경제권의 경제성장과 소득 증대로 우리나라의 고품질 차별화된 농식품의 수출확대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는 앞서 분석한 수출요인 결정모형의 분석 결과와 연관지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주요 국가와의 FTA의 체결과 해외진출 및 투자의 증가 교역국의 소득 증가 그리고 가까운 거리에 대규모 농식품 수출시장의 존재 등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즉 이러한 농식품 수출여건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은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식품 수출시장이 일본 중심에서 중국 러시아 동남아지역 등으로 다변화되어 가고 있어 시장개척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세계 농식품 시장규모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우리나라 주요 수출대상국의 농식품 수입규모도 증가 추세에 있다 우리 농식품수출의 60 가량을 점유하는 일본middot미국middot중국middot러시아 4개국의 수입규모가 최근 5년간 1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008 Global trade atlas)

우리 농식품의 주요 수출 유망국가에서 식문화의 글로벌화 및 웰빙middot건강식품 선호추세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한식의 세계화가 진전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2008년부터 본격적인 한식세계화 사업추진으로 식문화 수출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슬로우 푸드 건강 middot 기능성식품 수요증가에 따라 저열량 middot 건강식으로서 한식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128

이에 2009년의 경우 세계적 경기침체로 해외에서 우리와 경쟁관계에 있는 주요 선진농업국의 농식품수출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우리 농식품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강 점 (S) 약 점 (W)

인근 거대 잠재시장 존재한국식품에 대한 관심 고조높은 잠재 가능성(다양한 발효 식품 우수한 식문화)

국가대표 수출상품 부족 영세한 수출 구조기술 및 안전관리 수준 등이 선진국과 격차

(O)

세계 교역규모 증가안전middot기능성 관심 증가식문화 글로벌 확산

S ndash O 전략

한식 세계화 전략 구사수출 상품화수출지향 식품클러스터 조성

W ndash O 전략

수출전문 생산단지 설치식재료 및 기능식 상품화식품기업 해외진출 지원

(T)

세계적 경제 침체가격경쟁력 취약구제역 AI 등 안전성관리 애로

S ndash T 전략

잠재력 높은 신시장 개척수출유망품목 발굴 강화수출상품 고부가가치화수출상품 브랜드화

W ndash T 전략

국가대표 수출상품 육성수출 조직화 및 규모화RampD를 통한 신품목개발수출상품 안전체계 구축

lt그림 8gt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 분석(SWOT)

더욱이 정부가 2012년까지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 목표를 설정하고 다각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모색 중에 있어 어느 때보다 농식품 수출에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우선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과거와 달리 정부가 농식품 수출 목표를 높게 잡고 열심히 해보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지금까지 진행된 경제발전과정과 WTO 출범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무역자유화 시대에서 가장 취약한 산업부문으로 여겨져 찬밥신세를 면치 못하던 우리 농수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상징적 지표다 국내 농어업이 2000년 이후 성장정체 경향을 보이고 있는 현실에서 농식품 수출 확대를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신성장 동력원으로써 물꼬를 트겠다는 적극적 자세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수출선도조직 육성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 고품질 수출농식품의 안정적인 생산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려

129

하고 있다6) 수출선도조직과 수출업체의 생산 공급 계열화 시스템은 2009년 10개 품목 13

개 조직에서 2010년 18개 품목 21개 조직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노력은 생산농가985103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균일화된 고품질 농식품의 안정적인 공급으로 해외거래처와의 신뢰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수출업체 간 저가수출과당경쟁 방지 및 공동판촉 등 협력사업 수행으로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자율협력기구인 수출협의회가 구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 품목별 수출업체의 자율협력기구(수출협의회)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농식품 수출활성화 도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Ⅳ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

1 품목별로 차별화된 수출 확대 전략 수립앞서 수출증대요인 분석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품목별 또는 품목군별로 수출결정 요인

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품목별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한 수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무역보완도가 중요한 수출결정요인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 무역보완성이 높은 국가의 시장에 대한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류 내 품목별로 무역보완성을 고려한 목표 시장을 설정하여 수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과실류와 축산물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규모나 시장개방의 정도 즉 WTO 가입이나 FTA 체결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품목의 경우 국내 기업이 많이 진출하고 있거나 시장개방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 국가가 주요 수출시장으로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출결정인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품목별로 주요 수출대상 국가별 수출저해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특히 2012년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라는 수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수출 기반 조성과 방법으로 수출을 추진해야 한다 농식품 수출의 장애요인 발굴과 제거하는 과정은 품목별 국가별 여건과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수출 목표를 빠르게 달6) 수출선도조직은 농식품 수출업체가 생산농가(lsquo생산자조직rsquo 포함)와 상호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고 수

출업체 주도로 품종선택부터 재배 수확 선별 포장 수출 안전성 및 품질관리 정산 농가교육 등의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함으로써 수출 농식품의 경쟁력을 높여 수출확대를 선도하는 조직을 말한다

130

성하기 위해서는 수출 비중과 증가율이 큰 품목과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확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수출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 장애요인 제거 방법도 보다 큰 틀에서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앞서 수출 유망 국가 및 시장 선택에 있어서는 수출결정요인 분석 결과와 함께 수출시장별 기회잠재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차별화된 시장 개척과 확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즉 국가별 수출시장 여건 및 특성에 맞추어 수출증대 노력을 기울여야 효과적인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해외시장에서 성공한 우리 농식품들은 고품질과 단일브랜드 현지형 마케팅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야 한다 특히 한반도를 중심으로 반경 19851032시간 권 안에 있는 중국 일본 대만 등 우리에게 새롭게 열린 시장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수출 확대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해외동포나 현지 교민의 직접적인 수요에 의존한 수출방식에서 이들 국가의 해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방식으로 전환하여 신규 수출수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공급 수출지원시스템 간의 밀접한 상호연계 체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2012년 100억 달러 농식품 수출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현재의 수출증가율을 큰 폭으로 상회해야 하므로 민간 차원에서 하기 힘든 수출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대규모 수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외 농식품 생산 유통업체간 전략적 글로벌 공동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반도를 동아시아 농식품 허브로 개발 육성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극적인 세계 유명 식품 박람회 참가 바이어초청 등을 통해 신규거래선 개척을 지원하여 수출업체985103바이어 간 만남의 장 마련으로 더 많은 수출기회를 제공해 나가야 한다 또한 해외 대형 바이어와의 MOU 체결 주요 식품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한국식품 직수출 유통채널 확보 및 장기대규모 소비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국내적으로도 농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수출유관기관의 역할분담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수출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외교통상부middot무역협회middotKOTRA 각종 협회 해외한인회 등 공공부문 및 민간조직과의 협력방안도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 대표급 주력 수출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2009년 현재 기준 5천만 달러 이상 수출되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은 인삼(1억 달러 rsquo09년) 김치(89백만 달러) 배(54백만 달러) 파프리카(53백만 달러) 정도이고 그 외에 이렇다할 만한 주력 수출상품이 없다는 것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품목별 수출결정요인과 함께 시장의 특성 선호도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전략수출상품을 집중 육성할 필요

131

가 있다 현재 수출규모가 큰 김치 인삼 돼지고기 배 면류 주류 과자류 참치 오징어

김 등은 현재보다 수출규모를 확대하고 세계적인 상품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또한 삼계탕

버섯류 유자차 화훼 전복 넙치 굴 등 농어민 소득증대가 크고 수출성장 가능성이 큰 품목의 발굴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농가985103 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안전성품질관리가 가능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경영체로 육성함으로써 균일화된 고품질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해외 거래선의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 기술과 자본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통해 해외 유통망 확보 노력과 함께 세계인들의 입맛을 붙잡는 그리너리(네델란드) 데니쉬 크라운(덴마크) 제스프리(뉴질랜드) 선키스트(미국) 네슬레(스위스) 등과 같은 세계적 대표 브랜드 육성이 필요하다

2 고부가가가치 농식품 수출 확대계절성이 높은 1차 농산물을 수출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2 middot 3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

치 상품을 수출하여 채산성을 높이고 수출상품을 연중 수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농식품 수출을 빠르게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품목 측면에서 최근 수출 증가율이 높은 가공농식품 중심으로 수출증대 전략을 마련하고 신선농식품 중에서는 수출 비중과 수출 증가율이 큰 과실류와 인삼류 화훼류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수출 증대 효과가 높을 것이다 김치류 등 수출 비중이 크지만 수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은 수출을 감소시킨 원인을 찾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 품목군에서도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간에 다르게 나타난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적 식문화의 세계화를 통해 국산 농식품 및 식자재의 수출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세계적인 건강식품 음식으로 이미 떠오른 김치와 비빔밥이외에도 더 많은 전략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연관된 식자재를 체계적으로 수출하는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식이 세계인의 입맛에 맞을 수 있도록 맛의 표준화를 정립하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메뉴를 개발하고 중점 지원하며 국산 식재료 유통구조의 대형화와 전문화를 통해 국산 식재료가 한식과 세계인의 식재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현재 전 세계 180여개국에 걸쳐 널리 퍼져있는 700만 재외동포와 한민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농식품 수출의 교두보로 삼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즉 해외동포기업들을 우리 농식품 및 식자재 수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전 세계

132

한국교민은 700만 명으로 화교(5500만 명) 유태인(860만 명)에 이어 세계 3번째 규모이다

약 7300개 한국 기업이 아시아 미주 유럽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지 종사자 규모가 약 150만 명에 이르며 해외 한식당은 약 1만 개로 추정된다 이들 해외 거주자는 우선적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될 수 있다

3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 우리 농식품기업의 해외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예컨대 국제적인 농식품 기업을 인수함

으로써 해외 생산기지와 유통망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보유 잉여자금을 이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해외투자활동이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농식품의 수출확대 과정에서 정부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과제 중의 하나는 국내 농어민의 소득 향상과 연계되는 수출방안의 모색이다 사실 현재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비중이 낮고 주로 가공식품위주를 이루고 국내 농업과 연관성이 높은 신선식품의 비중은 크지 않아 수출을 통한 농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농어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농식품 수출이 되도록 더 많은 정책적 고민과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2009년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가공식품은 53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선식품 수출비중이 높은 수산물을 제외하면 신선농축식품 수출비중은 15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농식품 수출이 실질적으로 국내 농어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농어민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어업과 연계된 수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수출유망 품목 발굴 노력과 함께 품목별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수출을 조직화규모화함으로써 과당경쟁 등 우리나라 수출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외에서의 거래교섭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중소규모 수출단지와 영세업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촉진하여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Dole과 선키스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 네덜란드의 그리너리와 같은 세계적인 수출조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식품 수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신선농식품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자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수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파프리카 화훼 버섯 등의 경우에도 종자부터 시설기자재까지 네덜란드 등 농업선진국에 의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22: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28

이에 2009년의 경우 세계적 경기침체로 해외에서 우리와 경쟁관계에 있는 주요 선진농업국의 농식품수출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우리 농식품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강 점 (S) 약 점 (W)

인근 거대 잠재시장 존재한국식품에 대한 관심 고조높은 잠재 가능성(다양한 발효 식품 우수한 식문화)

국가대표 수출상품 부족 영세한 수출 구조기술 및 안전관리 수준 등이 선진국과 격차

(O)

세계 교역규모 증가안전middot기능성 관심 증가식문화 글로벌 확산

S ndash O 전략

한식 세계화 전략 구사수출 상품화수출지향 식품클러스터 조성

W ndash O 전략

수출전문 생산단지 설치식재료 및 기능식 상품화식품기업 해외진출 지원

(T)

세계적 경제 침체가격경쟁력 취약구제역 AI 등 안전성관리 애로

S ndash T 전략

잠재력 높은 신시장 개척수출유망품목 발굴 강화수출상품 고부가가치화수출상품 브랜드화

W ndash T 전략

국가대표 수출상품 육성수출 조직화 및 규모화RampD를 통한 신품목개발수출상품 안전체계 구축

lt그림 8gt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환경 분석(SWOT)

더욱이 정부가 2012년까지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 목표를 설정하고 다각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모색 중에 있어 어느 때보다 농식품 수출에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우선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과거와 달리 정부가 농식품 수출 목표를 높게 잡고 열심히 해보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농식품 수출목표 100억 달러는 지금까지 진행된 경제발전과정과 WTO 출범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무역자유화 시대에서 가장 취약한 산업부문으로 여겨져 찬밥신세를 면치 못하던 우리 농수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상징적 지표다 국내 농어업이 2000년 이후 성장정체 경향을 보이고 있는 현실에서 농식품 수출 확대를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신성장 동력원으로써 물꼬를 트겠다는 적극적 자세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수출선도조직 육성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 고품질 수출농식품의 안정적인 생산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려

129

하고 있다6) 수출선도조직과 수출업체의 생산 공급 계열화 시스템은 2009년 10개 품목 13

개 조직에서 2010년 18개 품목 21개 조직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노력은 생산농가985103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균일화된 고품질 농식품의 안정적인 공급으로 해외거래처와의 신뢰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수출업체 간 저가수출과당경쟁 방지 및 공동판촉 등 협력사업 수행으로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자율협력기구인 수출협의회가 구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 품목별 수출업체의 자율협력기구(수출협의회)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농식품 수출활성화 도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Ⅳ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

1 품목별로 차별화된 수출 확대 전략 수립앞서 수출증대요인 분석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품목별 또는 품목군별로 수출결정 요인

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품목별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한 수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무역보완도가 중요한 수출결정요인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 무역보완성이 높은 국가의 시장에 대한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류 내 품목별로 무역보완성을 고려한 목표 시장을 설정하여 수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과실류와 축산물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규모나 시장개방의 정도 즉 WTO 가입이나 FTA 체결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품목의 경우 국내 기업이 많이 진출하고 있거나 시장개방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 국가가 주요 수출시장으로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출결정인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품목별로 주요 수출대상 국가별 수출저해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특히 2012년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라는 수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수출 기반 조성과 방법으로 수출을 추진해야 한다 농식품 수출의 장애요인 발굴과 제거하는 과정은 품목별 국가별 여건과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수출 목표를 빠르게 달6) 수출선도조직은 농식품 수출업체가 생산농가(lsquo생산자조직rsquo 포함)와 상호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고 수

출업체 주도로 품종선택부터 재배 수확 선별 포장 수출 안전성 및 품질관리 정산 농가교육 등의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함으로써 수출 농식품의 경쟁력을 높여 수출확대를 선도하는 조직을 말한다

130

성하기 위해서는 수출 비중과 증가율이 큰 품목과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확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수출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 장애요인 제거 방법도 보다 큰 틀에서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앞서 수출 유망 국가 및 시장 선택에 있어서는 수출결정요인 분석 결과와 함께 수출시장별 기회잠재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차별화된 시장 개척과 확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즉 국가별 수출시장 여건 및 특성에 맞추어 수출증대 노력을 기울여야 효과적인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해외시장에서 성공한 우리 농식품들은 고품질과 단일브랜드 현지형 마케팅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야 한다 특히 한반도를 중심으로 반경 19851032시간 권 안에 있는 중국 일본 대만 등 우리에게 새롭게 열린 시장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수출 확대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해외동포나 현지 교민의 직접적인 수요에 의존한 수출방식에서 이들 국가의 해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방식으로 전환하여 신규 수출수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공급 수출지원시스템 간의 밀접한 상호연계 체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2012년 100억 달러 농식품 수출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현재의 수출증가율을 큰 폭으로 상회해야 하므로 민간 차원에서 하기 힘든 수출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대규모 수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외 농식품 생산 유통업체간 전략적 글로벌 공동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반도를 동아시아 농식품 허브로 개발 육성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극적인 세계 유명 식품 박람회 참가 바이어초청 등을 통해 신규거래선 개척을 지원하여 수출업체985103바이어 간 만남의 장 마련으로 더 많은 수출기회를 제공해 나가야 한다 또한 해외 대형 바이어와의 MOU 체결 주요 식품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한국식품 직수출 유통채널 확보 및 장기대규모 소비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국내적으로도 농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수출유관기관의 역할분담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수출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외교통상부middot무역협회middotKOTRA 각종 협회 해외한인회 등 공공부문 및 민간조직과의 협력방안도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 대표급 주력 수출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2009년 현재 기준 5천만 달러 이상 수출되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은 인삼(1억 달러 rsquo09년) 김치(89백만 달러) 배(54백만 달러) 파프리카(53백만 달러) 정도이고 그 외에 이렇다할 만한 주력 수출상품이 없다는 것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품목별 수출결정요인과 함께 시장의 특성 선호도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전략수출상품을 집중 육성할 필요

131

가 있다 현재 수출규모가 큰 김치 인삼 돼지고기 배 면류 주류 과자류 참치 오징어

김 등은 현재보다 수출규모를 확대하고 세계적인 상품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또한 삼계탕

버섯류 유자차 화훼 전복 넙치 굴 등 농어민 소득증대가 크고 수출성장 가능성이 큰 품목의 발굴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농가985103 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안전성품질관리가 가능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경영체로 육성함으로써 균일화된 고품질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해외 거래선의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 기술과 자본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통해 해외 유통망 확보 노력과 함께 세계인들의 입맛을 붙잡는 그리너리(네델란드) 데니쉬 크라운(덴마크) 제스프리(뉴질랜드) 선키스트(미국) 네슬레(스위스) 등과 같은 세계적 대표 브랜드 육성이 필요하다

2 고부가가가치 농식품 수출 확대계절성이 높은 1차 농산물을 수출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2 middot 3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

치 상품을 수출하여 채산성을 높이고 수출상품을 연중 수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농식품 수출을 빠르게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품목 측면에서 최근 수출 증가율이 높은 가공농식품 중심으로 수출증대 전략을 마련하고 신선농식품 중에서는 수출 비중과 수출 증가율이 큰 과실류와 인삼류 화훼류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수출 증대 효과가 높을 것이다 김치류 등 수출 비중이 크지만 수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은 수출을 감소시킨 원인을 찾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 품목군에서도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간에 다르게 나타난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적 식문화의 세계화를 통해 국산 농식품 및 식자재의 수출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세계적인 건강식품 음식으로 이미 떠오른 김치와 비빔밥이외에도 더 많은 전략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연관된 식자재를 체계적으로 수출하는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식이 세계인의 입맛에 맞을 수 있도록 맛의 표준화를 정립하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메뉴를 개발하고 중점 지원하며 국산 식재료 유통구조의 대형화와 전문화를 통해 국산 식재료가 한식과 세계인의 식재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현재 전 세계 180여개국에 걸쳐 널리 퍼져있는 700만 재외동포와 한민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농식품 수출의 교두보로 삼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즉 해외동포기업들을 우리 농식품 및 식자재 수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전 세계

132

한국교민은 700만 명으로 화교(5500만 명) 유태인(860만 명)에 이어 세계 3번째 규모이다

약 7300개 한국 기업이 아시아 미주 유럽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지 종사자 규모가 약 150만 명에 이르며 해외 한식당은 약 1만 개로 추정된다 이들 해외 거주자는 우선적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될 수 있다

3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 우리 농식품기업의 해외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예컨대 국제적인 농식품 기업을 인수함

으로써 해외 생산기지와 유통망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보유 잉여자금을 이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해외투자활동이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농식품의 수출확대 과정에서 정부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과제 중의 하나는 국내 농어민의 소득 향상과 연계되는 수출방안의 모색이다 사실 현재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비중이 낮고 주로 가공식품위주를 이루고 국내 농업과 연관성이 높은 신선식품의 비중은 크지 않아 수출을 통한 농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농어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농식품 수출이 되도록 더 많은 정책적 고민과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2009년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가공식품은 53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선식품 수출비중이 높은 수산물을 제외하면 신선농축식품 수출비중은 15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농식품 수출이 실질적으로 국내 농어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농어민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어업과 연계된 수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수출유망 품목 발굴 노력과 함께 품목별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수출을 조직화규모화함으로써 과당경쟁 등 우리나라 수출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외에서의 거래교섭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중소규모 수출단지와 영세업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촉진하여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Dole과 선키스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 네덜란드의 그리너리와 같은 세계적인 수출조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식품 수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신선농식품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자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수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파프리카 화훼 버섯 등의 경우에도 종자부터 시설기자재까지 네덜란드 등 농업선진국에 의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23: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29

하고 있다6) 수출선도조직과 수출업체의 생산 공급 계열화 시스템은 2009년 10개 품목 13

개 조직에서 2010년 18개 품목 21개 조직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노력은 생산농가985103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균일화된 고품질 농식품의 안정적인 공급으로 해외거래처와의 신뢰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수출업체 간 저가수출과당경쟁 방지 및 공동판촉 등 협력사업 수행으로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자율협력기구인 수출협의회가 구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 품목별 수출업체의 자율협력기구(수출협의회)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농식품 수출활성화 도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Ⅳ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

1 품목별로 차별화된 수출 확대 전략 수립앞서 수출증대요인 분석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품목별 또는 품목군별로 수출결정 요인

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품목별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한 수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먼저 과실류의 경우 무역보완도가 중요한 수출결정요인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와 무역보완성이 높은 국가의 시장에 대한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류 내 품목별로 무역보완성을 고려한 목표 시장을 설정하여 수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과실류와 축산물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규모나 시장개방의 정도 즉 WTO 가입이나 FTA 체결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품목의 경우 국내 기업이 많이 진출하고 있거나 시장개방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 국가가 주요 수출시장으로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출결정인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품목별로 주요 수출대상 국가별 수출저해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특히 2012년 농식품 수출 100억 달러라는 수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수출 기반 조성과 방법으로 수출을 추진해야 한다 농식품 수출의 장애요인 발굴과 제거하는 과정은 품목별 국가별 여건과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수출 목표를 빠르게 달6) 수출선도조직은 농식품 수출업체가 생산농가(lsquo생산자조직rsquo 포함)와 상호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고 수

출업체 주도로 품종선택부터 재배 수확 선별 포장 수출 안전성 및 품질관리 정산 농가교육 등의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함으로써 수출 농식품의 경쟁력을 높여 수출확대를 선도하는 조직을 말한다

130

성하기 위해서는 수출 비중과 증가율이 큰 품목과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확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수출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 장애요인 제거 방법도 보다 큰 틀에서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앞서 수출 유망 국가 및 시장 선택에 있어서는 수출결정요인 분석 결과와 함께 수출시장별 기회잠재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차별화된 시장 개척과 확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즉 국가별 수출시장 여건 및 특성에 맞추어 수출증대 노력을 기울여야 효과적인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해외시장에서 성공한 우리 농식품들은 고품질과 단일브랜드 현지형 마케팅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야 한다 특히 한반도를 중심으로 반경 19851032시간 권 안에 있는 중국 일본 대만 등 우리에게 새롭게 열린 시장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수출 확대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해외동포나 현지 교민의 직접적인 수요에 의존한 수출방식에서 이들 국가의 해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방식으로 전환하여 신규 수출수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공급 수출지원시스템 간의 밀접한 상호연계 체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2012년 100억 달러 농식품 수출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현재의 수출증가율을 큰 폭으로 상회해야 하므로 민간 차원에서 하기 힘든 수출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대규모 수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외 농식품 생산 유통업체간 전략적 글로벌 공동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반도를 동아시아 농식품 허브로 개발 육성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극적인 세계 유명 식품 박람회 참가 바이어초청 등을 통해 신규거래선 개척을 지원하여 수출업체985103바이어 간 만남의 장 마련으로 더 많은 수출기회를 제공해 나가야 한다 또한 해외 대형 바이어와의 MOU 체결 주요 식품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한국식품 직수출 유통채널 확보 및 장기대규모 소비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국내적으로도 농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수출유관기관의 역할분담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수출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외교통상부middot무역협회middotKOTRA 각종 협회 해외한인회 등 공공부문 및 민간조직과의 협력방안도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 대표급 주력 수출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2009년 현재 기준 5천만 달러 이상 수출되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은 인삼(1억 달러 rsquo09년) 김치(89백만 달러) 배(54백만 달러) 파프리카(53백만 달러) 정도이고 그 외에 이렇다할 만한 주력 수출상품이 없다는 것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품목별 수출결정요인과 함께 시장의 특성 선호도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전략수출상품을 집중 육성할 필요

131

가 있다 현재 수출규모가 큰 김치 인삼 돼지고기 배 면류 주류 과자류 참치 오징어

김 등은 현재보다 수출규모를 확대하고 세계적인 상품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또한 삼계탕

버섯류 유자차 화훼 전복 넙치 굴 등 농어민 소득증대가 크고 수출성장 가능성이 큰 품목의 발굴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농가985103 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안전성품질관리가 가능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경영체로 육성함으로써 균일화된 고품질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해외 거래선의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 기술과 자본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통해 해외 유통망 확보 노력과 함께 세계인들의 입맛을 붙잡는 그리너리(네델란드) 데니쉬 크라운(덴마크) 제스프리(뉴질랜드) 선키스트(미국) 네슬레(스위스) 등과 같은 세계적 대표 브랜드 육성이 필요하다

2 고부가가가치 농식품 수출 확대계절성이 높은 1차 농산물을 수출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2 middot 3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

치 상품을 수출하여 채산성을 높이고 수출상품을 연중 수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농식품 수출을 빠르게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품목 측면에서 최근 수출 증가율이 높은 가공농식품 중심으로 수출증대 전략을 마련하고 신선농식품 중에서는 수출 비중과 수출 증가율이 큰 과실류와 인삼류 화훼류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수출 증대 효과가 높을 것이다 김치류 등 수출 비중이 크지만 수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은 수출을 감소시킨 원인을 찾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 품목군에서도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간에 다르게 나타난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적 식문화의 세계화를 통해 국산 농식품 및 식자재의 수출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세계적인 건강식품 음식으로 이미 떠오른 김치와 비빔밥이외에도 더 많은 전략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연관된 식자재를 체계적으로 수출하는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식이 세계인의 입맛에 맞을 수 있도록 맛의 표준화를 정립하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메뉴를 개발하고 중점 지원하며 국산 식재료 유통구조의 대형화와 전문화를 통해 국산 식재료가 한식과 세계인의 식재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현재 전 세계 180여개국에 걸쳐 널리 퍼져있는 700만 재외동포와 한민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농식품 수출의 교두보로 삼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즉 해외동포기업들을 우리 농식품 및 식자재 수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전 세계

132

한국교민은 700만 명으로 화교(5500만 명) 유태인(860만 명)에 이어 세계 3번째 규모이다

약 7300개 한국 기업이 아시아 미주 유럽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지 종사자 규모가 약 150만 명에 이르며 해외 한식당은 약 1만 개로 추정된다 이들 해외 거주자는 우선적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될 수 있다

3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 우리 농식품기업의 해외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예컨대 국제적인 농식품 기업을 인수함

으로써 해외 생산기지와 유통망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보유 잉여자금을 이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해외투자활동이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농식품의 수출확대 과정에서 정부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과제 중의 하나는 국내 농어민의 소득 향상과 연계되는 수출방안의 모색이다 사실 현재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비중이 낮고 주로 가공식품위주를 이루고 국내 농업과 연관성이 높은 신선식품의 비중은 크지 않아 수출을 통한 농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농어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농식품 수출이 되도록 더 많은 정책적 고민과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2009년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가공식품은 53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선식품 수출비중이 높은 수산물을 제외하면 신선농축식품 수출비중은 15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농식품 수출이 실질적으로 국내 농어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농어민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어업과 연계된 수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수출유망 품목 발굴 노력과 함께 품목별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수출을 조직화규모화함으로써 과당경쟁 등 우리나라 수출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외에서의 거래교섭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중소규모 수출단지와 영세업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촉진하여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Dole과 선키스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 네덜란드의 그리너리와 같은 세계적인 수출조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식품 수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신선농식품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자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수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파프리카 화훼 버섯 등의 경우에도 종자부터 시설기자재까지 네덜란드 등 농업선진국에 의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24: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30

성하기 위해서는 수출 비중과 증가율이 큰 품목과 국가를 중심으로 수출확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수출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 장애요인 제거 방법도 보다 큰 틀에서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앞서 수출 유망 국가 및 시장 선택에 있어서는 수출결정요인 분석 결과와 함께 수출시장별 기회잠재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차별화된 시장 개척과 확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즉 국가별 수출시장 여건 및 특성에 맞추어 수출증대 노력을 기울여야 효과적인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해외시장에서 성공한 우리 농식품들은 고품질과 단일브랜드 현지형 마케팅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농식품 주요 수출유망 시장의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수출마케팅 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야 한다 특히 한반도를 중심으로 반경 19851032시간 권 안에 있는 중국 일본 대만 등 우리에게 새롭게 열린 시장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수출 확대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해외동포나 현지 교민의 직접적인 수요에 의존한 수출방식에서 이들 국가의 해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방식으로 전환하여 신규 수출수요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시장 개척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공급 수출지원시스템 간의 밀접한 상호연계 체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2012년 100억 달러 농식품 수출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현재의 수출증가율을 큰 폭으로 상회해야 하므로 민간 차원에서 하기 힘든 수출네트워킹 강화를 통해 대규모 수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외 농식품 생산 유통업체간 전략적 글로벌 공동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반도를 동아시아 농식품 허브로 개발 육성해야 한다 이외에도 적극적인 세계 유명 식품 박람회 참가 바이어초청 등을 통해 신규거래선 개척을 지원하여 수출업체985103바이어 간 만남의 장 마련으로 더 많은 수출기회를 제공해 나가야 한다 또한 해외 대형 바이어와의 MOU 체결 주요 식품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한국식품 직수출 유통채널 확보 및 장기대규모 소비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국내적으로도 농식품부가 중심이 되어 수출유관기관의 역할분담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수출지원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외교통상부middot무역협회middotKOTRA 각종 협회 해외한인회 등 공공부문 및 민간조직과의 협력방안도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 대표급 주력 수출상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 2009년 현재 기준 5천만 달러 이상 수출되는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은 인삼(1억 달러 rsquo09년) 김치(89백만 달러) 배(54백만 달러) 파프리카(53백만 달러) 정도이고 그 외에 이렇다할 만한 주력 수출상품이 없다는 것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품목별 수출결정요인과 함께 시장의 특성 선호도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전략수출상품을 집중 육성할 필요

131

가 있다 현재 수출규모가 큰 김치 인삼 돼지고기 배 면류 주류 과자류 참치 오징어

김 등은 현재보다 수출규모를 확대하고 세계적인 상품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또한 삼계탕

버섯류 유자차 화훼 전복 넙치 굴 등 농어민 소득증대가 크고 수출성장 가능성이 큰 품목의 발굴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농가985103 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안전성품질관리가 가능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경영체로 육성함으로써 균일화된 고품질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해외 거래선의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 기술과 자본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통해 해외 유통망 확보 노력과 함께 세계인들의 입맛을 붙잡는 그리너리(네델란드) 데니쉬 크라운(덴마크) 제스프리(뉴질랜드) 선키스트(미국) 네슬레(스위스) 등과 같은 세계적 대표 브랜드 육성이 필요하다

2 고부가가가치 농식품 수출 확대계절성이 높은 1차 농산물을 수출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2 middot 3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

치 상품을 수출하여 채산성을 높이고 수출상품을 연중 수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농식품 수출을 빠르게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품목 측면에서 최근 수출 증가율이 높은 가공농식품 중심으로 수출증대 전략을 마련하고 신선농식품 중에서는 수출 비중과 수출 증가율이 큰 과실류와 인삼류 화훼류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수출 증대 효과가 높을 것이다 김치류 등 수출 비중이 크지만 수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은 수출을 감소시킨 원인을 찾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 품목군에서도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간에 다르게 나타난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적 식문화의 세계화를 통해 국산 농식품 및 식자재의 수출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세계적인 건강식품 음식으로 이미 떠오른 김치와 비빔밥이외에도 더 많은 전략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연관된 식자재를 체계적으로 수출하는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식이 세계인의 입맛에 맞을 수 있도록 맛의 표준화를 정립하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메뉴를 개발하고 중점 지원하며 국산 식재료 유통구조의 대형화와 전문화를 통해 국산 식재료가 한식과 세계인의 식재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현재 전 세계 180여개국에 걸쳐 널리 퍼져있는 700만 재외동포와 한민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농식품 수출의 교두보로 삼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즉 해외동포기업들을 우리 농식품 및 식자재 수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전 세계

132

한국교민은 700만 명으로 화교(5500만 명) 유태인(860만 명)에 이어 세계 3번째 규모이다

약 7300개 한국 기업이 아시아 미주 유럽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지 종사자 규모가 약 150만 명에 이르며 해외 한식당은 약 1만 개로 추정된다 이들 해외 거주자는 우선적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될 수 있다

3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 우리 농식품기업의 해외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예컨대 국제적인 농식품 기업을 인수함

으로써 해외 생산기지와 유통망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보유 잉여자금을 이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해외투자활동이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농식품의 수출확대 과정에서 정부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과제 중의 하나는 국내 농어민의 소득 향상과 연계되는 수출방안의 모색이다 사실 현재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비중이 낮고 주로 가공식품위주를 이루고 국내 농업과 연관성이 높은 신선식품의 비중은 크지 않아 수출을 통한 농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농어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농식품 수출이 되도록 더 많은 정책적 고민과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2009년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가공식품은 53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선식품 수출비중이 높은 수산물을 제외하면 신선농축식품 수출비중은 15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농식품 수출이 실질적으로 국내 농어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농어민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어업과 연계된 수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수출유망 품목 발굴 노력과 함께 품목별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수출을 조직화규모화함으로써 과당경쟁 등 우리나라 수출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외에서의 거래교섭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중소규모 수출단지와 영세업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촉진하여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Dole과 선키스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 네덜란드의 그리너리와 같은 세계적인 수출조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식품 수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신선농식품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자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수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파프리카 화훼 버섯 등의 경우에도 종자부터 시설기자재까지 네덜란드 등 농업선진국에 의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25: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31

가 있다 현재 수출규모가 큰 김치 인삼 돼지고기 배 면류 주류 과자류 참치 오징어

김 등은 현재보다 수출규모를 확대하고 세계적인 상품으로 육성하여야 한다 또한 삼계탕

버섯류 유자차 화훼 전복 넙치 굴 등 농어민 소득증대가 크고 수출성장 가능성이 큰 품목의 발굴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생산농가985103 수출업체 간 계열화를 통해 안전성품질관리가 가능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경영체로 육성함으로써 균일화된 고품질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여 해외 거래선의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농식품 기술과 자본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통해 해외 유통망 확보 노력과 함께 세계인들의 입맛을 붙잡는 그리너리(네델란드) 데니쉬 크라운(덴마크) 제스프리(뉴질랜드) 선키스트(미국) 네슬레(스위스) 등과 같은 세계적 대표 브랜드 육성이 필요하다

2 고부가가가치 농식품 수출 확대계절성이 높은 1차 농산물을 수출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2 middot 3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

치 상품을 수출하여 채산성을 높이고 수출상품을 연중 수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농식품 수출을 빠르게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품목 측면에서 최근 수출 증가율이 높은 가공농식품 중심으로 수출증대 전략을 마련하고 신선농식품 중에서는 수출 비중과 수출 증가율이 큰 과실류와 인삼류 화훼류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수출 증대 효과가 높을 것이다 김치류 등 수출 비중이 크지만 수출액이 감소하는 품목은 수출을 감소시킨 원인을 찾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 품목군에서도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간에 다르게 나타난 수출결정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적 식문화의 세계화를 통해 국산 농식품 및 식자재의 수출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세계적인 건강식품 음식으로 이미 떠오른 김치와 비빔밥이외에도 더 많은 전략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연관된 식자재를 체계적으로 수출하는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식이 세계인의 입맛에 맞을 수 있도록 맛의 표준화를 정립하고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메뉴를 개발하고 중점 지원하며 국산 식재료 유통구조의 대형화와 전문화를 통해 국산 식재료가 한식과 세계인의 식재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현재 전 세계 180여개국에 걸쳐 널리 퍼져있는 700만 재외동포와 한민족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농식품 수출의 교두보로 삼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즉 해외동포기업들을 우리 농식품 및 식자재 수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전 세계

132

한국교민은 700만 명으로 화교(5500만 명) 유태인(860만 명)에 이어 세계 3번째 규모이다

약 7300개 한국 기업이 아시아 미주 유럽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지 종사자 규모가 약 150만 명에 이르며 해외 한식당은 약 1만 개로 추정된다 이들 해외 거주자는 우선적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될 수 있다

3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 우리 농식품기업의 해외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예컨대 국제적인 농식품 기업을 인수함

으로써 해외 생산기지와 유통망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보유 잉여자금을 이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해외투자활동이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농식품의 수출확대 과정에서 정부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과제 중의 하나는 국내 농어민의 소득 향상과 연계되는 수출방안의 모색이다 사실 현재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비중이 낮고 주로 가공식품위주를 이루고 국내 농업과 연관성이 높은 신선식품의 비중은 크지 않아 수출을 통한 농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농어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농식품 수출이 되도록 더 많은 정책적 고민과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2009년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가공식품은 53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선식품 수출비중이 높은 수산물을 제외하면 신선농축식품 수출비중은 15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농식품 수출이 실질적으로 국내 농어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농어민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어업과 연계된 수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수출유망 품목 발굴 노력과 함께 품목별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수출을 조직화규모화함으로써 과당경쟁 등 우리나라 수출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외에서의 거래교섭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중소규모 수출단지와 영세업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촉진하여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Dole과 선키스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 네덜란드의 그리너리와 같은 세계적인 수출조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식품 수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신선농식품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자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수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파프리카 화훼 버섯 등의 경우에도 종자부터 시설기자재까지 네덜란드 등 농업선진국에 의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26: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32

한국교민은 700만 명으로 화교(5500만 명) 유태인(860만 명)에 이어 세계 3번째 규모이다

약 7300개 한국 기업이 아시아 미주 유럽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현지 종사자 규모가 약 150만 명에 이르며 해외 한식당은 약 1만 개로 추정된다 이들 해외 거주자는 우선적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될 수 있다

3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 우리 농식품기업의 해외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 예컨대 국제적인 농식품 기업을 인수함

으로써 해외 생산기지와 유통망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보유 잉여자금을 이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해외투자활동이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농식품의 수출확대 과정에서 정부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과제 중의 하나는 국내 농어민의 소득 향상과 연계되는 수출방안의 모색이다 사실 현재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비중이 낮고 주로 가공식품위주를 이루고 국내 농업과 연관성이 높은 신선식품의 비중은 크지 않아 수출을 통한 농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농어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농식품 수출이 되도록 더 많은 정책적 고민과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2009년 농식품 수출 중 신선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8 가공식품은 53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신선식품 수출비중이 높은 수산물을 제외하면 신선농축식품 수출비중은 15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농식품 수출이 실질적으로 국내 농어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농어민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어업과 연계된 수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농가소득과 직결되는 수출유망 품목 발굴 노력과 함께 품목별 수출협의회를 구성하여 수출을 조직화규모화함으로써 과당경쟁 등 우리나라 수출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외에서의 거래교섭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중소규모 수출단지와 영세업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촉진하여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Dole과 선키스트 뉴질랜드의 제스프리 이스라엘의 아그렉스코 네덜란드의 그리너리와 같은 세계적인 수출조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한 농식품 수출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신선농식품이 안정적인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자에서부터 생산가공유통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RampD 확대가 필요하다 사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수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파프리카 화훼 버섯 등의 경우에도 종자부터 시설기자재까지 네덜란드 등 농업선진국에 의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27: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33

존함으로써 경쟁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가공식품은 가공기술 핵심원료 및 소재 개발 포장용기 및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의 매출액 대비 RampD 투자비율은 034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산업 평균 212 글로벌식품기업인 Unilever 24

Ajinomoto 265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농식품 기업의 RampD 투자 확대를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

다음으로 농식품 수출품 생산자와 수출업체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수출업체는 보조금 지원 중심의 정부지원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수출 대기업은 내수 시장에 안주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 있다 농식품 수출주체인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정부의 지원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조직화middot규모화 연구개발 등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식품 대기업의 해외시장개척 및 해외투자촉진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 수출업체는 수출협의회 등을 통해 보다 더 수출을 조직화middot규모화하여 독자적인 해외시장개척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농식품 기술의 수출 활성화마지막으로 농식품 수출의 개념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의미에서 탈피하여 농자재 및 플

랜트 수출 기술 및 브랜드 수출까지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아울러 국내라는 원산지 중심의 지역적 개념에서 벗어나 세계적 농식품기업 육성을 통한 해외진출까지 포함하는 글로벌 개념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 수출을 상품 중심의 소극적 수출개념에서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종자 등 고부가 농자재 및 농식품 관련 플랜트나 시스템도 수출한다는 적극적 개념으로 전환하여 농산업 전반으로 확대된 수출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농자재(농기계middot종자middot비료middot농약 등) 시장규모는 약 3000억 달러 수준으로 향후 아시아와 남미 지역 국가 등으로 우리 농자재 및 플랜트 수출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수출이라는 원산지 기준의 지역적 개념에서 글로벌 차원의 생산과 수출이라는 광역적 개념으로 시각을 넓혀야 한다 사실 세계 2000대 기업(2007년

Forbes誌 선정) 중 식품관련 기업이 104개로 의약바이오(35개) 화학(61개) 반도체(32개)

보다 많다 그러나 세계 2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식품기업은 오직 KTampG(1238위)

CJ(1700위) 2개 기업 만이 포함되어 있다 글로벌 식품기업의 경우 과감한 RampD 투자와 유통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파워 향상 등을 통해 식품시장을 잠식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28: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34

다 예를 들어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의 경우 해외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8를 차지하며 무려 6000여 종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전 세계 시장에서 매일 10억 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7) 따라서 네슬레 하인즈 아지노모토 등과 같은 한국형 글로벌 농식품 수출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선진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농식품 수출은 상품 수출(1단계) 기술 수출(2단계) 브랜드 수출(3단계)로 고도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은 1단계인 상품 수출단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농식품수출이 농산물과 식품이라는 상품을 수출하는 1단계를 넘어 2단계인 기술수출 3단계의 브랜드 수출로 나아가야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가전산업의 삼성이나 LG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현대와 같이 농식품 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나 기업이 육성할 수 있게 상품개발 기술혁신 마케팅 활동 등 모든 분야에서의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필 외 985172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 방안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김동환 ldquo농산업과 식품정책의 평가와 제언rdquo 985172한국농업정책학회 2009년 1차 정책토론회 자료집985173 2009

김병률 외 985172신농업 비전과 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병률 외 ldquo농식품 수출기업의 성공요인rdquo 985172농업전망 2008985173 제1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

김준록 외 ldquo농식품 품목별 수출증대 전략rdquo 985172농업전망 2010985173 제11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1

김진혁 외 985172식품산업새로운 도전과 가치985173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9 10

김한호 외 ldquo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 과실류의 교역형태 분석rdquo 985172농촌경제연구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0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식품산업발전 종합대책985173 2008 11

7) 네슬레 홈페이지 httpwwwnestle4ucokr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

Page 29: 농식품 수출 활성화 방향과 정책과제* · PDF file위와 같은 fta와 wto를 통한 ... 특성상 문화․의학․유통 산업 등과 연계되어 경제적 파급

135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12년 농식품 100억불 수출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8 1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한식세계화 추진전략(안)985173 2009 4

농림수산식품부 9851722009년 농식품 53억불 실현을 위한 세부추진계획(안)985173 2009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새정부 출범 2년 성과 및 농식품 산업 비전 2020985173 2010 2

농림수산식품부 985172농림수산업 주요통계985173 각년도

이원기 외 ldquo100억불 농식품 수출을 위한 과제rdquo 985172농업전망 2009985173 제3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

이재우 ldquo우리나라 수출의 패턴 및 결정요소의 변화 분석1990년과 2000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rdquo 985172수은해외경제985173 한국수출입은행 2005 5

이준엽 985172한중일 산업내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동북아 국제분업체계 연구985173 한국경제연구 2003

최세균 외 985172농산물 수출증대전략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6

허 장 외 985172농어업농어촌 미래전략과제 정책화 방안연구농어업 글로벌 역량 분석98517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9

농수산물유통공사 홈페이지(wwwkatinet)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Cameron C A and P K Trivedi ldquoMicroecometricsMethods and Applicationsrdquo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Datamonitor 985172Global Food ProductsIndustry Profile985173 2009 3

Mary A Marchant and Sanjeev Kumar ldquoDemand Determinants for US Processed Exports

to EmergingLow and Middle985103Income Countriesrdquo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2004 8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0년 10월 5일2010년 11월 23일2010년 12월 20일2010년 12월 2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