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41

Upload: lavey

Post on 29-Jan-2016

15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DESCRIPTION

Ⅰ.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2012.7. 교과부. 2012.3. 교과부. 한국어 (KSL) 교육과정 고시. 다문화 학생을 위한 교육 선진화 방안 발표. 2013.3. 부터 초 · 중 · 고등학교 - 한국어 과목의 선택 교과 - 주당 10 시간 이내의 탄력적인 운영. 다문화 친화적 교육 환경 조성 한국어 교육 등을 통한 다문화 학생 지원의 제도적 기반 마련. 수준별 한국어 표준 교재 개발 국립 국어원. 한국어 능력 수준 진단평가 도구 개발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Page 1: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Page 2: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Page 3: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다문화 친화적 교육 환경 조성 한국어 교육 등을 통한 다문화

학생 지원의 제도적 기반 마련

2013.3. 부터 초 · 중 · 고등학교 - 한국어 과목의 선택 교과 - 주당 10 시간 이내의 탄력적인 운영

다문화 학생을 위한 교육 선진화 방안 발표

2012.3. 교과부한국어 (KSL)

교육과정 고시

2012.7. 교과부

Page 4: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수준별 한국어 표준 교재 개발

국립 국어원

한국어 능력 수준 진단평가 도구개발

국립국제교육원

교육 현장에 제대로 적용되기 위해서는학습자의 상황에 맞게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역량있는 교사 필요

Page 5: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2013 년부터 도입 예정으로 있는 다문화 학생을 위한 한국어 (KSL) 과목을 담당해서 가르치게 될

일선 학교 현직 교사들의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역량을(multicultural KSL teacher compe-

tence)강화할 수 있는 표준화된 연수 프로그램 모형 개발 및 그

구체적인 연수 자료로서의 교재를 개발하고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음 .

연구 목적연구 목적

현직 교사들의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역량 강화

현직 교사들의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역량 강화

Page 6: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역량 개념 및 구성 요인 설정

Page 7: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한국어 교원 연수 프로그램의 궁극적 목표한국어 교원 연수 프로그램의 궁극적 목표

언어적 , 문화적 , 인종적 다양성을 전제로 하는 한국어 교수 학습 상황에서 맞닥뜨리게 되는 여러 가지 문제들에 직면하여 적절하게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실천적 교수 능력으로서의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역량 (multicultural KSL teacher competence) 강화

한국어 교수 역량의 구체적인 특성과 구성 요인 추출

한국어 교원 연수프로그램의

주요구성 원리로 활용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역량의 개념 재정의

Page 8: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역량(multicultrual KSL teacher competence)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지닌 다양한 언어적 , 문화적 특성들을 가치로운 교육적 자산으로 인식하고풍부한 교수지식과 교수 기능을 바탕으로 서로 다른 문화에 효율적으로 반응하면서다문화 학생들에게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및 일반 교과 학습 능력을 함께 신장시켜 줄 수 있는 교사의 실천적 능력

Page 9: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다문화적 인식과 신념

한국어 교육에 대한전문적 지식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기능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역량의 구성 요소

Page 10: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교수기능

인식신념

전문지식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역량의 구성요소

< 다문화적 인식과 신념 >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역량의 정의적 범주에 해당 다양성을 긍정적이고 가치로운 교육의 자산으로 인식하는 태도

학생의 다양한 언어적 , 문화적 배경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태도편견없이 교육적 평등을 실천하겠다는 다문화적 인식과 신념 일선 교사들로 하여금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역량을 키워갈 수 있게 해 주는 교수 지식과 교수 기술을 매개해 주는 기반다문화 학습자들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다문화 학생과 학부모 , 학생이 속한 문화적 공동체에 대한 관심 문화적 편견 없이 교육적 평등을 보장 , 실천하겠다는 신념과 열정 , 헌신의 요소

Page 11: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교수기능

인식신념

전문지식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역량의 구성요소

< 한국어 교육 전문적 지식 >

제 2 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학문적 지식을 포함하여 이 지식이 교육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고 그것이 지닌 교육적 가치를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지식학습자의 다양한 문화적 배경에 적합한 교육 내용 , 교수법 , 평가 방법 등 문화적 다양성을 수용하는 수업 실천에 필요한 지식 , 학습자의 발달 단계와 언어 습득 과정에 대한 지식 , 응용언어학 및 대조언어학적 지식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에 대한 음운 , 어휘 , 문법 , 의미 , 표기법과 표준 발음 등에 대한 제반 지식 , 듣기⋅말하기 중심의 음성 언어 지도법 , 읽기 쓰기 중심의 문자 언어 지도법⋅ , 매체 활용법 등의 한국어 교수법에 관한 지식

Page 12: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교수기능

인식신념

전문지식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역량의 구성요소

< 한국어 교수 기능 >

수업의 목표를 수립하고 , 내용을 선정하고 , 교재를 분석하고 , 구체적인 교수 학습 활동을 구안하여 수업을 전개하고학생들이 목표를 달성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평가를 설계하여 실행하고 , 평가를 통해 얻은 평가 결과를 유용하게 교수 학습 활동에 환류하여 활용할 줄 아는 일련의 실천적 기술들이 포함됨 .

Page 13: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KSL 교원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현장 교사의 요구 분석

Page 14: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다문화 예비학교

다문화대안학교

글로벌 다문화 선도학교

다문화 교육거점학교

초등 현장 다문화 학생 담당 교사의 요구총 224 명 대상 (195 개 학교 ) 설문 조사 실시

Page 15: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분석 결과분석 결과

학교현장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경험이 교과 지도 경험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 한국어 교육에 관련한 교사용 지침서 , 한국어 교재 개발 , 학습 자료 개발이 필요함 .

다문화 배경 학습자와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나 학습자의 문화적 차이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교사 연수 프로그램 구축이 필요함 .

교사가 학습자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연수 프로그램 내에 ‘다문화 학습자에 대한 이해’ 과목 개설이 필요함 .

수준별 한국어 표준 교재 개발과 교과학습 보충 교재의 개발이 필요함 .

다문화 및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연수에 대한 요구가 절실함 .

Page 16: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분석 결과분석 결과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이해 및 다문화 학생 지도법 등 다문화 학생들의 학교 생활지도 연수가 필요함 .

일선 교사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 참관 , 실습과 같이 현장성이 있는 실제적인 강의가 개설되어야 함 .

교육 실습 및 참관과 같이 현장성을 겸비한 교수법 등으로 구성된 60 시간 정도의 기본 연수와 심화 연수를 선호함 .

Page 17: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외국의 제 2 언어 교사 양성 제도의 현황 및 운영 실태 조사

Page 18: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미국과 호주의 ESL 교사 양성 과정 일본의 JSL 교사 양성 프로그램 고찰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한국어 교원 양성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적용할 만한 시사점 도출

주목할 만한 공통점

Page 19: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언어지식 강조의 필요성

KSL 교사가 갖추어야 할 기본 자질 중 하나로 언어 지식을 강조

음운론 , 형태론 , 통사론 , 화용론 , 의미론 등과 관련한 목표 언어의

체계는 물론 언어의 구조에 대한 제반 이론과 연구 성과들에 대한 이해에

정통해 있어야 함 .

Page 20: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언어교수이론공부의 필요성

언어교수이론을 체계적으로 공부해야 할 필요성

제 2 언어 교사는 언어에 대한 심도 깊은 지식을 바탕으로

언어 습득론 , 제 2 언어 교수 - 학습 이론 , 이중언어교육 등과 관련한

이론과 실제에 정통해야 함 .

Page 21: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언어교수이론공부의 필요성

언어교수이론을 체계적으로 공부해야 할 필요성

다언어 , 다문화 배경 학습자에게 도움을 주는 교실 수업 계획 개념과

이론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어야 함 .

말하기 , 듣기 , 읽기 , 쓰기 등 언어의 4 가지 기능을 발전시키고 통합시키는

교수 전략과 기술을 알고 이를 교실 상황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함 .

Page 22: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문화에 대한 강조의 필요성

문화에 대한 강조의 필요성

목표 언어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이해 뿐만 아니라 , 다문화 배경 학습자가 속한 문화 공동체와 학습자 개인의 문화적 정체성이 언어 학습 및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

Page 23: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상호문화 관점반영의 필요성

상호문화이해의 관점을 반영할 필요성

타문화 이해 , 타문화 수용 및 적응 , 다문화의 이해 , 언어 문화상대주의 ⋅등을 중심 내용으로 하여 서로 다른

문화 간의 이해와 소통 , 관용을 강조하는 내용을 비중있게 편입시켜

다문화 학생에 대한 이해 및 지도 능력을 강화할 필요성

Page 24: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실습 프로그램경험의 필요성

교육현장 참관 및 실습 관련 프로그램 강조 필요성

짧게는 3-4 주에서 길게는 한 학기에 이르기까지 경험 있는 교사의

수업을 참관한다든가 , 팀티칭 , 동료 교사의 수업 관찰 등 다양한 유형의 실습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자기점검과 성찰의 기회를 갖게 함으로써 반성적인 교사로서의 자질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함 .

Page 25: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한국어 교원 양성 제도의 현황 분석

Page 26: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교원 연수에 필요한 핵심교육 내용과

교육 방향 탐색

한국어 교사 교육에 있어

필수적인 교육내용 추출

한국어 교원 양성제도

학위 과정과 비학위 과정의 교육과정 분석

현황 분석

Page 27: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분석 결과분석 결과

학위과정 : 30 개 대학 41 개 교육과정 ( 학부 14 개 , 대학원 27 개 과정 ) 비학위과정 : 한국어 교사 양성과정 27 개 교육과정을 분석 최종적으로 한국어 교원 양성에서 필수적인 29 개의 과목을 선정한국어 교원 양성을 위해 개설된 과목 중 가장 많이 개설된 과목은 ‘한국문학의 이해’와 ‘수업실습’에 대한 과목이 외에 많이 개설된 과목의 대부분은‘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론’과 관련된 과목들이었는데 , 이것 역시 현장에서 한국어 교사로서 활동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목들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음 .

다문화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KSL 교사들을 위한 교원 연수 프로그램에서는 다문화적 인식과 태도를 키울 수 있는 과목들은 물론 학습 한국어에 대한 측면을 교육 대상에 포함해야 함 .

Page 28: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KSL 담당 교원 연수 프로그램 모형 개발

Page 29: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한국어 교원 양성 제도의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

한국어 (KSL) 교원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현장 교사의 요구 조사

외국의 제 2 언어 교사 양성 제도의 운영 실태

한국어 교수 역량 강화 프로그램

Page 30: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기본 사항

KSL 교원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현장 교사의 요구 분석 결과

60 시간의 연수 프로그램이 적절하다고 응답한 비율 (39.5%) 고려연수자의 부담을 반영하여 제안한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총 시수를 60 시간의 기본형과 총 시수 30 시간의 심화형으로 구분하여 개발함 .

Page 31: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고려 사항 1

학습자 대상이 공교육 시스템 안에서의 초 중 고등학생이라는 점⋅ ⋅

성인 한국어 학습자와 달리 초등 , 중등 , 고등학생은 인지적 정의적으로 발달 과정에 있다는 차별성을 지니고 있음 .

이들의 인지적 정의적 발달 단계에 따른 특성을 잘 이해하고 학습자의 수준과 흥미에 맞는 교육 내용 , 방법 , 교수 자료 등을 적절하게 잘 활용하여 교수할 수 있어야 함 .

Page 32: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고려 사항 2

학습자 대상이 다문화 배경을 가지고 한국 사회에서 살아야 한다는 점

다문화 배경 학습자는 자신의 거주 환경을 선택할 수 있는 성인 한국어 학습자와 달리 자신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가족이 처한 환경에 의해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가야 함 .

자아정체성 , 문화적 정체성 등이 미처 확립되어 있지 못한 상태에서 외적으로 주어진 언어 , 문화 , 환경 등의 변화로 매우 혼란스러운 상태에 있으므로 이들이 장차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건강한 자아개념과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을 중시해야 함 .

Page 33: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고려 사항 3

학습자는 학령에 맞는 교육을 받아야 할 권리가 있다는 점

다문화 배경 학습자 역시 그의 언어적 , 문화적 , 민족적 , 인종적 배경이 무엇인가에 관계없이 학교에서 다른 일반 학생들과 똑같이 교육받을 수 있어야 함 .

이러한 교육에 대한 권리는 곧 그들의 생존권과 행복 추구권과 직결되어 있으므로 학교는 이들에게 필요한 교육을 제공할 의무를 지님 .

Page 34: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고려 사항 4

학령 수준에 맞는 필요한 학습 한국어 능력을 신장해 줄 수 있어야 함

학생에게 학습권이 있다면 이러한 학생을 담당한 교사는 학습자에게 필요한 학습 어휘 , 기능 , 전략 등을 지도하고 학습자가 이를 적용하여 학습의 폭과 깊이를 넓혀갈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어야 함 .

Page 35: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프로그램 목표 ◦

KSL 교육을 담당할 현직 교원을 대상으로 그들의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역량을 강화하는 데 목표가 있음

다문화 배경 학습자에게 한국어를 교수 - 학습하는 데 필요한 전문적 지식을 이해한다 .

다문화 배경 학습자가 한국어를 매개로 한국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기능을 기른다 .

다문화 배경 학습자에게 한국어를 교수 - 학습하는 교사로서 바람직한 다문화적 인식과 신념을 함양한다 .

Page 36: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역량 강화의 과정 ]

역량 수행에 필요한 핵 심 적 인 지 식 을 이 해 하 고 기 능 을 익히는 단계

역량 발달 단계

교원이 가진 기초적 자질 위에 역량의 기반이 되는 다문화적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신념을 더하는 단계

역량 형성 단계

여러 분야에 걸쳐 익힌 지식과 기능 , 태도를 역량이 발현될 분야에 맞게 융합하고 , 통합될 수 있게 하는 단계

역량 통합 단계

Page 37: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KSL 담당 교원 연수 프로그램의 과정 모형

Page 38: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기본형

Page 39: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심화형

Page 40: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KSL 교원 연수 프로그램의 활용 방안

VII

Page 41: 한국어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KSL  교원 연수의 필요성 대두

한국어 (KSL) 교원 연수 프로그램의 기본형의 60 시간과 심화형의 30 시간 , 총 90 시간을 받으면 한국어 교원 자격증을 부여하도록 하는 방안

한국어교사 양성 기관의 커리큘럼 개발에 활용하는 방안한국어 교원 양성을 고려한 학부 교육과정 설계에 반영기본과정 (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신념 형성 ) 이해과정 (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지식 이해 )신장과정 (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기능 신장 단계 )통합과정 (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역량 통합 )

본 연구의 결과를 KSL 학습자를 위한 교재 개발에 활용하는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