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할 권리 right to work

37
일할 권리 RIGHT TO WORK 노동 분야에서의 인권 일할 권리와 노동 관련 인권 >> ... 세계의 항구적 평화는 사회정의에 기초함으로써만 확립될 수 있으며 ... << 국제노동기구헌장 . 1919.

Upload: lamanh

Post on 31-Jan-2017

22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일할 권리 RIGHT TO WORK

일할 권리RIGHT TO

WORK

노동 분야에서의 인권일할 권리와 노동 관련 인권

>> [...] 세계의 항구적 평화는 사회정의에 기초함으로써만 확립될 수 있으며 [...] <<

국제노동기구헌장. 1919.

Page 2: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02 -

사례

자유무역지대에서의 끔찍한 노동조건

중국 중부 지역에 있는 Zhongyuan이라는 작은 시골 마을에 Xiao Shen이라는 어린 소녀가 살고 있었

다. 그녀의 삶은 매우 혹독했는데, 그곳에는 먹을 수 있는 식량이 거의 없었고, 미래에 대한 전망도

없었다. 날마다 그녀는 아버지가 벼를 수확하는 것을 도우며 깊은 물에 무릎을 담그고 있어야만 했다.그러던 어느 날 그녀는 떠나기로 결심했다. 그녀는 저 으스스한 산 뒤 어딘가 멀리 떨어져 있는 곳

에 더 나은 터전이 있다는 것을 들은 적이 있었다. 해가 뜨기 전 어느 날 아침, 마침내 그녀는 더

나은 삶을 꿈꾸는 그녀의 친구들과 함께 고향을 떠났다. 걱정과 긴장 속에 셀 수 없이 많은 눈물을

흘린 끝없는 나날을 뒤로 하고 그들은 고향으로부터 2천 킬로미터 떨어진 목적지에 도착했다. 그

목적지는 홍콩의 국경선 옆에 있는 중국 남쪽 지방의 자유무역지대인 선전(Shenzhen)이다. 그곳에

서 그들은 일을 찾아 돈을 벌며 그들의 꿈을 실현할 수 있기를 희망했다.Xiao Shen은 Huang Guoguang과 Lao Zhaoquan이라는 두 명의 사업가를 알게 되었다. 그들은 장

난감을 생산하는 자신들의 공장에서 일할 수 있는 노동자들을 고용하는 중이었다. 그녀는 그 공장

에서 472명의 동료들과 함께 일을 하기 시작했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고향에서의 삶보다 더 열악

한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녀는 해질 때부터 새벽까지 겨우 입에 풀칠할 수 있

을 정도의 낮은 임금을 받으며 기계적으로 일을 해야 했다. 두 명의 사업가는 자신들의 재산을 노

동자들이 훔쳐갈 것을 두려워했고, 이에 따라 공장을 하루 24시간 내내 묶여 있는 감옥처럼 만들었

다. 창문에는 빗장이 걸렸고, 모든 비상구는 막혔다. 뇌물을 받은 선전 주의 감독관은 이러한 상태

를 보고도 눈감아 주었다. 매일 샤오 선은 빗장 뒤에 살면서 공장을 떠날 수 없었고, 평범한 삶을

살아갈 수 없었으며, 그녀 자신만의 공간을 확보할 수 없었다. 1993년 11월 19일 오후, 갑자기 불

이 나서 걷잡을 수 없는 속도로 공장 전체에 퍼졌다. 건물 전체에 불에 잘 타는 화학물질들이 보관

되어 있었고, 이는 악몽이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의 큰 화재를 일으켰다. Xiao Shen과 동료들은 필

사적으로 탈출하려 했다. 하지만 어떻게? 창문에는 빗장이 걸려 있었고 문은 닫혀 있었다. 2백여

명의 사람들이 불길에 휩싸였고, 살려달라고 비명을 질렀다. 그들은 대부분 채 16살도 되지 않은

사람들이었다. 샤오 선은 2층에 빗장이 걸려있는 창문을 가까스로 부수고 열 수 있었고, 뛰어내릴

지 혹은 산 채로 타 죽을지 선택의 기로에 섰다. 그녀는 뛰어내리기로 결심했고 두 발목이 모두 부

러졌지만 살아남을 수 있었다.그날 오후, 87명의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고, 47명이 넘는 사람들이 심각하게 다쳤다. (출처 : Klaus

Page 3: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03 -

Werner, Hans Weiss. 2001. Schwarzbuch Markenfirmen.)토론할 거리1. Xiao Shen이 일하기를 강요받았던 상황 속에서 어떤 (노동 관련) 인권이 위반되었는가?2. Xiao Shen 같은 노동자들의 전망을 향상시키거나 최소한 노동조건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어떠한

조치들이 국제적인 차원에서 취해질 수 있을까?3. 왜 국가들은 수출 자유 지역(EPZ)을 설정하여 사회 및 노동 기준을 없애거나 축소하려고 할까?4. 자유무역지대에서 상품을 생산하는 다국적 기업의 책임에는 무엇이 있을까?5. 서술된 위와 같은 상황을 바꾸기 위해 소비자들이 취할 수 있는 행동에는 무엇이 있을까?

알아야 하는 내용 K!?

1. 21세기 노동의 현황

새로운 기술과 세계적인 데이터 통신망은 산업혁명보다 더욱 크게 노동의 세계를 변화시킬 가능성

을 갖고 있다. 우리는 계속 진행 중인 산업화로 인해 20세기에 농업 분야가 더 감소하는 것을 봐왔

고, 서비스 분야의 중요성이 증가되는 것을 봐왔다. 또한 세계 시장의 자유화와 함께 세계 경제에서

의 “사이버 혁명”의 기회는 더욱 커져갔다.이 새로운 세계 경제는 현재 시장의 요구에 자동으로 적응하려고 할 뿐만 아니라 잘 훈련되고 유연

하며 동기가 충만한 숙련된 노동자들을 원한다. 노동자들은 늘어나는 스트레스에 잘 대처해야 하며, 가속화된 기술적, 구조적 변화로 인해 시시각각 변해가는 노동조건에도 역시 잘 대처해야 한다. 시간제로 일을 하는 사람들, 자영업을 하거나 매우 불안정한 노동조건에 직면한 사람들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세계화는 통합된 세계 경제에서 활약할 수 있는 교육, 기술, 이동

성을 갖고 있는 자들과 그렇지 않은 자들 사이의 사회적 격차를 드러내고 있다. 또한 이러한 새로

운 불평등과 불안정은 사회 각계각층간의 갈등을 유발한다.무역의 자유화로 인해 고조된 경쟁과 금융 제도는 회사가 생산 비용을 낮추도록 높은 압력을 가한

다. 회사들은 노동을 불필요하게 만드는 자동화를 통해 생산비용요소를 줄이거나 생산시설을 사회

적 기준이 훨씬 낮은 저임금 국가로 이동시켜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국가 역시 해외 투자

Page 4: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04 -

노동과 인간안보

를 유인함으로써 경제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임금과 노동조건을 낮추기를 강요할 수도 있다. 왜냐하

면 수출지향형 성장 정책은 종종 경제를 성장시키는 유일한 방안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무역은 기회를 만들고 생계를 뒷받침할 힘을 갖고 있다. 그리고 무역은 그 모두를 파괴할 힘도 가지고 있다.

수출을 위한 생산은 수입, 고용, 그리고 가난한 국가가 개발을 위해 필요한 외화를 창출할 수 있다. 그러나 무역은 또한 환경을 파괴하기도 하며 생계를 무너뜨리기도 한다. 또 무역으로 인해 받아들일 수 없는 수준의 착취가 발생할 수 있다.

무역이 인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떻게 상품들이 생산되고, 누가 생산과 마케팅을 관리하는지, 어떻게 생산된 부가 분배되며, 국가들이 무역하는 조건이 어떤지에 의해 결정된다. 국제무역질서가 관리되는 방식은 이 모든 영역에서 결정적인 영향력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국제무역은 「...」 본질적으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다.“Kevin Watkins. 1995.

이로 인해 너무나도 자주 노동착취와 강제아동노동이 나타난다. 세계 여러 국가들은 자유무역지대

(FTZ)나 수출가공지역(EPZ)을 설립하는데, 그곳에서는 세금과 관세로 인한 무역장벽이 줄어들거나

없을 뿐만 아니라 국제노동기준과 국제사회기준 역시 악화되거나 무용지물이 된다. 세계은행이 추

정한 바에 따르면 135개국에 3,000여개의 자유무역지대와 수출가공지역이 존재하며, 이 지역에 있

는 회사들은 대략 6천8백만 명의 사람들을 고용한다.“세계화” 현상은 전 세계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세계화의 긍정적인 결과는 불공평하게 돌아간

다. 새로운 “세계의 주역”으로 떠오른 초국적 기업으로 인해 규제 완화와 자유 무역의 부정적인 영

향을 경감시키는 국가의 힘은 약해지고 있다. 세계 100대 경제 주체의 절반이 넘는 수가 초국적 기

업이며, 이 새로운 주역들의 경제적인 힘은 현재 많은 국가들의 경제적인 힘을 넘어섰다.세계화의 사회적 측면이 국제 정책의 맨 앞에 설 수 있도록 압박이 가해져야 한다. 세계 경제를 마

주봄과 동시에 사회 안정, 평화, 발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준과 국제적 차원에서의 인권

에 대한 옹호가 필수적이다. 2002년 국제노동기구(ILO)는 독립체로서 세계화의 사회적 측면에 대한

세계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위원회는 2004년 2월 ‘공정한 세계화: 모두에게 기회를 제공하는 것(A Fair Globalization: Creating Opportunities for All)’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간했다. (추가 정보

및 관련 활동: http://www.ilo.org/fairglobalization/lang—en/index.htm)

Page 5: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05 -

인권 기준으로써 노동할 권리는 단순히 생존을 옹호하는 것을 훨씬 넘어선다. 기본적 욕구에 대한 충족만으로는 인간안보를 향상시키기에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노동권은

생존과 건강 보장 뿐 아니라 개인의 사회 통합 및 참여와도 관련이 있다. 노동권은 또한 자기

결정, 자기 존중, 자아실현, 그리고 인간의 존엄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실업과 노동조합

에 대한 부인은 개인적인 불안 및 위험하고 건강에 해롭거나 부당한 노동조건으로 이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불안과 동요 및 위험을 만들어내기 쉽다. 이러한 이유로 착취 없는

괜찮은 일자리의 기준을 높이는 것은 인간안보 강화의 전제조건이자 촉진제라고 할 수 있다.

“역사 되돌아보기”노동 분야에서의 인권이 어떻게 발전해왔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역사를 되돌아보는 것이 필수적

이다. 사회 정의와 공정한 노동조건은 평화와 발전을 촉진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요소들이다. 재정

적인 어려움 및 고용에 있어서의 궁핍뿐만 아니라 노동과 관련된 정의롭지 못함은 역사 속 여러 지

점에서 직접적으로 사회 불안을 야기하고 거대한 규모의 무산 노동자 계급을 출현시키는 것으로 고

려되었다. 양질의 일자리는 인간의 존엄성을 위한 전제조건이라는 인식은 대부분 교환할 수 없고

양도할 수 없는 것이라 여겼던 권리들을 국가로부터 인정받기 위해 노동자들이 투쟁함으로써 얻어

낸 결과였다. 국제적 수준에서 노동자의 권리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UN의 기준 설정뿐만 아니라

1919년 이래로 국제노동기구(ILO)의 노동관계 법령에도 구체화되어 왔다.18세기 : 노동은 사회 모든 구성원의 기본적인 자격이라는 생각은 프랑스 혁명 때 처음 제기되었던

주장이었다. 유토피아 사회 철학자인 샤를 푸리에(Charles Fourier)는 “노동할 권리”라는 용어를 처

음 사용한 사람이자 개인의 사회적, 심리적 건강을 포함하여 노동의 중요성을 강조한 사람이었다. 그는 국가가 동등한 기회를 제공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고, 이러한 권리의 실현은 사회의 완전한

재편성을 필요로 한다고 결론 내렸다.노동할 권리라는 개념은 사회주의 이론에서 다시 출현했다; 공산주의 정부 역시 후에 노동할 권리

를 옹호했다. 그러므로 노동할 권리는 사회주의적 배경으로부터 발전했다고 말할 수 있다.19세기 : 산업혁명은 생산수단의 부족으로 인해 임금노동에 의존하는 노동계급의 출현을 이끌었다. 노동자들은 착취당했고 공장, 섬유 공장, 광산에서 위험한 노동 환경을 견뎠다. 이러한 노동자들의

궁핍함과 착취로 인해 노동자들 사이에서는 연대감이 형성되었고, 그들은 스스로를 조직화하기 시

작했다. (칼 마르크스의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노동자들의 목소리는 점점 커졌고 그들의 상황은 점차 사람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다. 최초의 노동

조합의 압력으로 인해 노동 시간 및 조건의 개선과 관련된 법률들이 수많은 나라에서 통과되었다.

Page 6: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06 -

그러나 지속된 노동 불안정은 경영주와 정부가 추가적인 조치를 도입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압박했다.20세기 : 일부 경영주들은 노동 기준을 무시하는 나라들이 상대적인 이점을 취하기 못하게 하기 위

해 공통의 국제 기준을 설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1905년과 1906년에 처음으로 두 개의 국제 노

동협약이 채택되었지만 제1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추가협약을 작성하고 채택하려던 계획은 중단되었다.제 1차 세계대전 이후, 베르사유 조약은 국제적인 차원에서 노동 환경과 사회 정의, 보편적 평화가

상호 의존적임을 공식적으로 인정했고, 노동 분야에서의 국제 기준 설정의 기구로서 국제노동기구

를 만들었다.1919년과 1933년 사이에 국제노동기구는 노동과 관련된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는 40개의 협약을

작성했다.그러나 “검은 금요일”이라 알려져 있는 1929년의 주식 시장 붕괴는 심각한 후퇴를 낳았다. 거대한

규모의 실업과 함께 서구 경제의 금융 대학살이 동반되었고, 실업자들의 시위와 폭동이 뒤를 따랐

다. 독일에서는 세계 경제 위기에 이어 히틀러의 등장에 기여하고 종국적으로 제2차 세계대전을 초

래한 심각한 정치적 위기가 이어졌다.제 2차 세계대전 이후 : 유엔은 그러한 상황이 다시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새로운 세상을 향한

목표와 계획에 경제적, 사회적 의제들을 포함시켰다.노동과 인간의 존엄성 사이의 관계는 1994년 필라델피아에서 채택된 국제노동기구의 목표와 목적

과 관련된 선언에서 강조되었다. (“필라델피아 선언”으로 알려져 있는; 1946년 국제노동기구 헌장에

포함되어 있다.) 이 선언에서 우리는 “노동은 상품이 아니다”라는 내용과 “모든 인간은 물질적 행복

을 추구할 권리를 가지며, 자유롭고 존엄하며 경제적으로 안전하고 동등한 기회가 갖추어진 상황

속에서 정신적 발전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는 내용을 읽을 수 있다.이것은 교황의 회칙인 “노동하는 인간(Laborem Exercens)”에 더 강조되어 있다. 회칙은 철학적이고

종교적인 관점을 통해 노동자의 위상을 객체가 아닌 주체로 높였다.유엔뿐만 아니라 국제노동기구도 전 세계 노동자들의 비운을 개선시키기 위해 많은 것들을 행해 왔

다. 그러나 오늘날 경제의 세계화에 비추어 새로운 도전과 위험들은 혁신적이고 복잡한 해결책을

필요로 하고 있다.

2. 정의와 설명

노동 관련 인권 침해의 예들은 탄광에서의 아동 노동, 노조 활동가 감금에서부터 현대판 노예라고

Page 7: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07 -

불리는 부채속박노동 혹은 상업적인 아동 성 착취에까지 걸쳐 나타난다. 노동 관련 인권의 실질적

인 이행은 건강을 해치거나 위험한 노동환경 혹은 비정상적으로 긴 노동시간을 뒤바꿈과 동시에 여

성 혹은 이주민과 같이 특별히 취약한 노동자들을 보호하는 형태로 운영된다. 가장 중요한 것은, 노동 관련 인권은 인간 존엄성 및 인간 안보와 괜찮은 노동 조건 사이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이어지는 항에서는 노동할 권리와 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2개의 주요한 국제적 장치를 분

석할 예정이다. 하나는 국제노동기구(ILO) 시스템이고 다른 하나는 국제인권장전(International Bill of Human Rights (UDHR, ICCPR, ICESCR))이다.

국제노동기구국제노동기구는 1919년에 창설되었고, 본부는 스위스 제네바에 있다. 국제노동기구는 주로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사회개혁에 대한 증가하는 우려에 응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가난은 도처의 안전

과 번영을 위협한다는 강한 믿음에 기초하여 국제노동기구는 인종, 성별 혹은 사회적 출신에 대한

차별 없이 전 세계 노동자들의 조건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1947년에 국제노동기구는 유엔의 전문기관이 되었고, 1969년에는 노벨상을 수상하였다.국제노동기구는 노사정 구조로 이루어진 유엔 내의 유일한 기구이며, 내부 기관들에 의해 도출된

결정은 정부뿐만 아니라 고용주와 노동자의 견해를 대표한다.

국제노동기구• 기본적인 인권을 증진하고, 노동 및 생활 조건을 개선시키며, 고용 기회를 넓히기 위한 정책

과 프로그램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분야들의 국제적인 기준(협약과 권고)을 세우고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이행을 감시한다.• 각 나라가 정책을 효과적으로 시행하는 것을 돕기 위해 광범위한 기술협력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국제노동기구는 노동 조건, 산업 안전 및 건강, 사회 보장, 고용정책 및 직업훈련, 여성, 이주민 및

토착민들을 위한 보호 제공과 같은 분야에서 규범을 정하며, 190개의 협약을 작성해 왔다.

Page 8: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08 -

국제노동기구 핵심 협약원칙 협약 비준한 숫자

(2012년 1월 기준)결사의 자유와 단결권 및 단체교섭권의 보호에 관한 협약

협약 87 (1948)협약 98 (1949)

150160

노동최저연령과 가혹한 형태의 아동노동 금지에 관한 협약

협약 138 (1973)협약 182 (1999)

161174

강제노동 금지에 관한 협약 협약 29 (1930)협약 105 (1957)

175169

동일보수 및 고용 및 직업상 차별금지에 관한 협약

협약 100 (1951)협약 111 (1958)

168169

(출처: 국제노동기구, www.ilo.org)

그러나 소수의 협약만이 기본적인 인권 협약으로 고려되고 있다. 8개의 협약과 이 협약들의 비준

상태는 아래와 같다.

세계화로 인한 새로운 난제에 대한 대응으로서, 국제노동기구는 1998년 6월 18일, ‘노동에서의 기

본원칙과 권리에 관한 선언 및 이행과 점검’을 채택했다. 선언은 어떤 원칙과 노동자들의 권리가 기

본적인지에 대해 저 위에 열거된 8개의 국제노동기구 핵심 협약에 정확히 정의하고 있다. 선언은

노동 관련 인권에 대한 국제적인 대화를 이끌어내면서 동시에 국가적 차원에서의 국제노동기구 협

약에 관한 올바르고도 실질적인 이행 및 준수를 향한 첫 번째 발걸음이다. 또한 “사회적 최저수준”이라 여겨지는 저 규칙들에 표시된 공통의 가치 집합에 대한 국가의 의지를 나타낸다.

“괜찮은 일자리는 정치 및 기업 대표자가 직면한 전 세계적 요구사항이다. 우리 미래의 많은

것들은 어떻게 우리가 이 난제를 풀어내느냐에 달려있다.”국제노동사무국. 1999.

선언은 모든 국제노동기구 회원들이 협약의 비준 여부와 관계없이 협약에 명시된 기본적인 권리들

을 존중하고, 증진하고, 실현할 의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한다. 핵심 협약을 아직 비준하지 않은 국

Page 9: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09 -

가들은 선언 속에 고이 간직되어 있는 원칙들을 이행함으로써 진전이 있었다는 점을 매년 보고서를

작성해 제출해야 한다. 이 계획의 결과로써 선언은 기본적인 인권협약의 비준에 있어 상당한 증가

를 이끌어내는데 기여했다. 2012년 1월 3일자로 183개국의 국제노동기구 구성원들 중 135개국이

모든 8개의 협약을 비준했다; 오직 세 국가만이 (몰디브 공화국, 마샬 군도 공화국, 투발루) 어떠한

기본 협약도 비준하지 않은 상태다.국제노동기구는 또한 4년을 주기로 모든 구성원 국가들이 기본원칙을 이행함으로써 얻어낸 진전에

집중하여 매년 세계보고서를 발표한다. 이러한 것들은 앞선 기간에 행해졌던 활동의 효과를 평가하

는 기초로서 활용된다.

세계인권선언 (UDHR)세계인권선언은 노동 관련 인권을 광범위하게 포함하고 있다. 이 모든 권리들은 당사국들에게 구속

력이 있는 유엔 규약에 의해 더 발전되었다. 아래는 문제의 권리들을 나열하고 있는 세계인권선언

으로부터 발췌한 것들이다.

“어느 누구도 노예가 되거나 타인에게 예속된 상태에 놓여서는 안 된다 「...」. 모든 사람은 평

화적 집회 및 결사의 자유를 누릴 권리가 있다 「...」. 모든 사람은 노동할 권리, 자유롭게 직업

을 선택할 권리, 공정하고 유리한 조건으로 일할 권리, 실업 상태에 놓였을 때 보호받을 권리

가 있다. 모든 사람은 어떠한 차별도 없이 동일한 노동에 대해 동일한 임금을 받을 권리가 있

다. 일하는 모든 사람은 자신과 그 가족이 인간적으로서 존엄을 지키고 살아갈 수 있도록 보장

해주는 정당하고 유리한 보수를 받을 권리가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다른 사회적 보호 수단에

의해 보호받을 권리가 있다. 모든 사람은 자신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노동조합을 결성하고 그

것에 가입할 권리가 있다. 모든 사람은 노동시간을 적절한 수준으로 제한할 수 있는 권리를 포

함하여 휴식을 취하고 여가를 즐길 권리가 있다 「...」. 모든 사람은 자신과 가족의 건강과 안녕

에 적합한 생활수준을 누릴 권리가 있다 「...」. 실업 상태에 놓였거나, 질병에 걸렸거나, 장애를

당한 경우 보호를 받을 권리가 있다 「...」. 그 밖에 생계가 어려워진 사람도 보호를 받을 권리

가 있다 「...」. “세계인권선언 제4조, 제20조, 제23조, 제24조, 제25조.

시민적,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ICCPR) (이하 자유권규약)노예 상태에 놓이지 않을 권리

Page 10: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10 -

"어느 누구도 노예 상태에 놓여서는 안 된다 「...」 어느 누구도 강요되거나 강제적인 노동을 강요받아서는 안 된다 「...」."

자유권규약 제8조

비록 일반적으로 노예제에 대해 비난하거나 노예제를 금지하는 법을 제정하지만 노예와 강제 노동

의 관행은 여전히 다양한 형태로서 존재한다. 가끔 노예제도는 이데올로기적 사고나 전통 문화의

유산으로서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다. 국제노동기구에 따르면 노예제는 비민주적인 구조와 명백한

관련이 있다. 전 세계 도처의 수백만의 사람들이 노예로 살아가기를 강요받고 있다. 비록 이러한 착

취가 노예제로 불리지 않는다고 할지라도, 그들이 처한 상황은 노예 상태에 놓인 것과 같다. 노예

란:• 강제 노동 – 정신적이거나 신체적인 위협을 통해

• “고용주”에 의해 소유되거나 통제되는 것, 보통 정신적이거나 신체적인 학대 혹은 협박을 통해

• 비인간화되는 것, 상품처럼 취급되거나 사고 팔리는 “재산”처럼 취급되는 것

• 신체적으로 속박되어 있거나 이동함에 있어 구속되어 있는 것.(출처: Anti-Slavery International. What is Modern Slavery?)

오늘날 어떤 형태의 노예제가 존재할까?• 속박 노동은 전 세계 수백만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사람들은 아픈 아이를 위한 약값만큼

적은 양의 돈을 빌리거나 사기를 당해 돈을 빌림으로써 속박노동자가 된다. 빚을 갚기 위해 많은

사람들은 1년 365일, 하루도 쉬지 않고 장시간 동안 노동을 강요받는다. 그들은 노동에 대한 “대가”로서 기본적인 음식과 주거지를 제공받지만, 절대 빚을 못 갚을지도 모른다. 그것은 다음 세대에까

지 이어진다.• 강제조혼은 여성들과 소녀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그들은 선택의 여지없이 결혼을 하며, 종종

신체적이고 성적인 학대와 폭력이 수반되는 노예 상태의 삶을 강요받는다.• 강제 노동은 개인, 정부 혹은 정당에 의해 불법적으로 고용된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며

일하도록 강제된다. - 보통 폭력이나 다른 처벌의 위협 아래 놓여있다.• 상속에 의한 노예제는 “노예 계층”에서 태어난 사람들이나 사회가 노예 노동자로 사용되기에

Page 11: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11 -

적합하다고 간주하는 집단에서 나타난다.• 인신매매는 인간, 특히 여성과 아이들을 경제적 이익을 위해 폭력이나 사기를 통해 운송하고

(거나) 거래하는 것을 포함한다. 종종 이주 여성은 사기를 당해 가정부 일이나 성매매를

강요받는다.• 가혹한 형태의 아동노동은 착취하거나 위험한 조건에서 일하는 아동과 관련이 있다. 전 세계

수백만의 아이들은 전일제로 일을 함으로써 개인적, 사회적 발달에 중요한 교육과 취미 생활을

박탈당한다.(출처: Anti-Slavery International. What is Modern Slavery?)

국제노동기구의 2005년 세계보고서인 “강제노동반대연합”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최소한 1230만

명의 사람들이 강제노동의 희생자라고 한다. 인신매매를 통해 강제노동을 당하고 있는 24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을 비롯하여, 980만 명의 사람들이 민간 행위자에 의해 착취당하고 있다. 나머지 250만 명의 사람들은 국가나 반역 군사 조직에 의해 강제노동을 당하고 있다. 국제노동기구가 2009년

발간한 “강제노동비용‘이라는 보고서는 10년 동안 보고된 강제노동의 실제 사례로부터 추정한 것에

기초한 이러한 수치들을 갱신하지 않았다. 대신 체불 임금, 초과노동수당 미지급, 임금 공제 및 수

수료 면에서 노동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비용에 대해 조사하였고, 대략 20억 달러에 이르

는 것으로 추산했다. 국제노동기구는 현재 더 신뢰할만한 국가 추정 근거 자료를 모으는 것에 주의

를 기울이고 있다. 여러 차이와 문제에도 불구하고 2009년의 보고서는 몇 가지 긍정적인 동향을

나타낸다. 국가적 실천계획뿐만 아니라 특별히 노동 및 성 착취를 위한 인신매매를 금지하는 새로

운 법이 많은 나라들에 의해 채택되었다. 일부 나라들은 강제노동의 사례를 확인하고 피해자들을

구제하기 위해 특수부대를 만들고 이 부대를 훈련시키기까지 하고 있다.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ICESCR) (이하 사회권규약)

노동할 권리

Page 12: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12 -

“현 협약의 당사국들은 노동할 권리를 확인한다. 노동할 권리란 자유롭게 선택하거나 수락할

수 있는 일에 의해 자신의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기회를 포함한다 「...」. 취해야 할 조처는 「...」 기술 및 직업 지도와 훈련 프로그램들이 이러한 권리의 완전한 실현을 위해 포함되어야 할 것

이다 「...」.사회권규약 제6조

노동: 권리 혹은 의무?노동을 정신적 혹은 신체적인 긴장을 요구하는 책임으로서 보는 개념과 노동을 권리로서 보는 개념

의 상관관계는 종종 그러한 권리의 실용성에 대해 혼란을 야기한다. 그러나 노동은 인간의 존엄성

및 사회참여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반면에 실업은 큰 좌절과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다. 노동은

또한 자아실현의 수단이며, 개인의 발전에 긍정적인 도움을 준다.노동할 권리는 부당하게 해고된 사람들을 보호하는 것뿐만 아니라 주로 일에 대한 접근성을 해결함

으로써 어느 누구도 노동의 세계에서 제외되지 않도록 보장해주는 것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노동할

권리는 모든 개인이 고용될 것이라는 보장을 하지는 않는다. 사실; 실업은 모든 나라에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주로 국가 고용 정책의 채택 및 실행을 통해 이 권리의 완전한 실현을

달성하기 위한 모든 적절한 수단을 활용하여 조처를 취해야 한다 (사회권규약 제2조).

공정하고 유리한 조건에서 노동할 권리

“당사국들은 「...」 모두의 권리를 확인한다 「...」 공정하고 유리한 조건에서 노동할 권리 「...」 공정한 임금과 어떠한 종류의 차별도 없이 동일한 가치의 노동에 대해서는 동일한 보수를 지

급하는 「...」; 적절한 생활비 「...」 안전하고 건강한 노동 조건; 모두에게 동등한 기회가 증진되

어야 한다 「...」; 휴식, 여가, 그리고 노동 시간의 합리적 제한 「...」.”사회권규약 제7조

이 조항은 공정하고 유리한 노동조건뿐만 아니라 특히 존엄한 생활을 보장하는 최저임금을 규정한

다. 이 조항은 국제노동기구에 의해 채택된 수많은 협약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 조항으로부

터 생겨난 국가의 의무를 구체화하기 위해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 위원회에 의해 활용된다.

노동조합을 결성하고 가입할 권리

Page 13: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13 -

“당사국들은 「...」 자신의 선택으로 노동조합을 결성하고 가입할 수 있는 권리를 모두에게 보장

해야 하며 「...」, 경제적 및 사회적 이익을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해 「...」; 파업할 권리 「...」.” 사회권규약 제8조

무리를 이루어 단체를 구성하는 것은 작업장이나 지역 공동체 혹은 국가를 가릴 것 없이 항상 사람

들의 안전을 강화하는 방법이었다. 사회권규약 제8조는 결사의 자유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단체교

섭권은 노동 분야에서 결사의 자유를 효과적이게 한다. 이러한 권리들은 노동에서의 다른 기본적

권리들과 자격들을 실현할 열쇠를 쥐고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이 권리들은 항

상 아동 노동 반대를 향한 투쟁과 같은 양의 대중적 관심사나 합의를 갖는 것은 아니다.

평등하게 대우받을 권리 및 차별받지 않을 권리노동 관련 인권을 논의할 때 차별금지원칙과 평등대우 조항은 빠질 수 없다. 국제노동기구는 “직장

에서의 평등: 지속적인 과제”라는 제목의 2011년 국제 보고서에서 긍정적인 수많은 흐름에 대해서

논의했다. 직장에서의 차별을 극복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입법과 제도적 계획이 전 세계적으로 실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의 세계 경제 위기와 함

께 새로운 난제가 등장했다. 보고서는 경제 침체 기간 동안 반차별 정책과 노동자의 권리를 소외시

키는 추세에 대해 경고했다. 예를 들어 작업장에서의 차별을 금지하는 법과 제도들은 사업들이 빚

으로 인해 과중한 부담을 안게 되면 그 실효성이 덜 할지도 모른다. 이 기간 동안 일상화된 차별은

악화된다. 게다가 보고서는 작업장에서의 차별이 더욱 다양화되고 있으며, 여러 영역에서의 차별이

일상다반사가 되어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특히 경제적 기회의 접근에 대하여 여성의 동등한 권리를 인정하는 데에 있어 획기적인 사건은 유

엔여성차별철폐협약(CEDAW) 채택이다. 이 협약은 여성의 생식에 대한 권리를 다루는 국제법 문서

이기도 하다. 결혼이나 출산을 이유로 한 여성에 대한 차별을 방지하고 여성의 노동할 권리를 보장

하기 위해서, 당사국들은 임신이나 출산 휴가를 이유로 한 해고와 결혼을 근거로 한 차별을 금지하

는 행동을 취해야 한다. 더욱이, 당사국들은 유급출산휴가나 실직하지 않고도 비슷한 사회적 혜택을

받는 출산휴가를 도입할 것을 요구받는다.작업장에서의 성 평등은 수십 년 동안 상당한 진전이 있었지만, 성 평등과 동등한 대우는 결코 성

취되지 않았다. 여성은 여전히 직업에 대한 접근과 혜택, 노동조건과 고위의사결정지위에의 접근의

면에서 여전히 차별을 당하고 있다. 게다가, 여성의 임금은 대체로 남성임금의 70-90% 정도이며, 임신과 출산을 이유로 한 차별은 여전히 일상적으로 행해진다. (출처: ILO. 2011. Equality at work:

Page 14: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14 -

The continuing challenge. Global Report under the follow-up to the ILO Declaration on Fundamental Priciples and Rights at Work.) ☞ 여성인권

국제노동기구의 직장에서의 평등에 관한 국제 보고서(2011)에 언급된 것처럼 민족(그리고 성)을 이

유로 한 차별은 거의 모든 직장에서의 반(反)차별 법안에서 다루어진다. 그러나 직장에서 인종주의

는 노동시장으로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다양한 형태로 일어나고 있다. 직장에서의

집단 괴롭힘, 차별적인 취업 광고, 외국 졸업장을 인정하지 않는 등으로 말이다. 가장 취약한 집단

은 아프리카계와 아시아계, 토착민과 소수민족, 그리고 특히 이러한 그룹들에 속해 있는 모든 여성

들이다. 이러한 여성들은 교차차별(intersectional discrimination)을 경험한다.

2009년, 벨기에에 위치한 동등한 기회와 인종주의 근절을 위한 센터(CEOOR)가 받은 고용에서

의 차별과 관련된 모든 불만의 45%는 인종주의와 관련된 것들이었다. 비슷하게, 호주 인권

위원회는 고용 분야에서 인종주의와 관련된 불만이 44%에 달한다고 보고했고, 뉴질랜드 인권

위원회 역시 40%에 달한다고 보고했다. 실업률은 고용 분야에서의 인종주의와 인종 차별을

더 잘 나타내는 지표로써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의 흑인 실업률은 여전히 백인

실업률의 2배에 달하며, 경제 위기가 시작된 이래로 그 격차가 커지고 있다. 유럽에서의 자료

도 비슷하다. 게다가 유럽집시권리센터(ERRC)가 지적한 바와 같이 “집시를 향한 인종 차별은 여전히 일상적

이며 모든 유럽에서 끊임없이 반복되는 문제점이다. 「...」 많은 집시들은 교육받지 못하고 실업

인 상태에 놓여 있으며, 「...」.☞ 차별금지, 소수자 권리

1980년대는 유엔 총회에 의해 유엔 “장애인 10년”으로 선포되었다. 장애인과 관련된 세계행동계획

은 정부와 관련 기관들이 전 세계 장애인들의 삶을 개선시키는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시

작되었다. 2006년에는 장애인권리협약이 채택되었는데, 제27조는 “다른 사람들과 동일한 기반 위에

서 장애인의 노동할 권리, 장애를 가진 사람에게 열려 있고, 배타적이지 않으며, 접근 가능한 노동

환경 및 노동시장에서 자유롭게 선택하거나 수락한 일에 의해 삶을 영위할 기회의 권리”를 다루고

있다. 당사국들에 의한 협약의 이행은 장애인권리위원회에 의해 감시·관리된다.그러나 장애인들의 낮은 취업률이 나타내는 것처럼 일과 관련하여 장애인을 향해 가해지는 차별은

여전히 6억 5천의 장애인(세계 인구의 약 10%) 중 많은 사람들에게 존재한다.

Page 15: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15 -

의무의 수준국제법 문서의 궁극적인 실효성은 국제법적 의무를 이행하는 정부가 취한 조치에 달려있다.앞서 언급한 권리와 관련된 당사국들의 책임은 다음과 같다:• 존중할 의무: 가장 기본적인 의무로서 국가는 노예와 강제노동으로부터의 자유를 존중해야 한다. 또 다른

중요한 의무는 결사의 자유, 노동조합을 만들고 가입할 자유를 존중하는 것이다. 이러한 권리들은

다른 중요한 노동자들의 권리를 이행하도록 국가에게 압력을 가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주 위반된다.• 보호할 의무: 당사국들은 최저기준을 규정할 의무가 있다. 어느 노동자도 최저기준 이하의 노동조건이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 게다가 노동할 권리는 부당한 해고에 대한 보호를 요구하고, 어떠한 경우

에도 국가는 일의 접근과 관련된 차별을 당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 증진할 의무: 노동에 관해서 이 의무는 취업 지도와 훈련 시설을 제공함으로써 일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할

의무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현할 의무

비록 노동할 권리가 국가에게 모두의 직업을 보장할 것을 요구하는 것은 아닐지라도 국가가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발전과 완전하고 생산적인 고용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을 꾸준히

추구할 것을 요구한다. (예시. 완전 고용 정책)

3. 문화적 관점 차이와 논쟁적 이슈

국제법적 틀 내에서, 문화 및 민족적 배경이 다양한 사람들이 노동 분야에 접근하고 경험하는 많은

경우의 수를 고려하여 실천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잘 알려진 가난한 어부의 우화는 노동이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 속에서 다른 가치를 지닌다는 점과 노동 형태의 그러한 가능성이 문화적 기대 및

친밀성과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점을 잘 설명하고 있는 좋은 예이다.

Page 16: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16 -

우화: 어부 이야기어느 늦은 아침, 어부는 그물을 모래 위에 펼쳐 놓은 채로 아름다운 해변에 누워있었다. 어부

는 이따금 반짝이는 푸른 파도를 바라보며, 햇살의 따뜻함을 만끽하고 있었다.한 여행객이 해변을 따라 걸어 내려왔다. 그는 해변에 앉아있는 어부를 발견했고, 어부가 자신

과 가족들의 생계를 꾸리기 위해 열심히 일을 하지 않은 채 쉬고 있는 이유를 알아내기로 결

심했다.“그런 식으로는 많은 고기를 잡을 수 없을 거예요.” 여행객은 말했다. “당신은 해변에 누워있는

대신 열심히 일을 해야 해요!”어부는 올려다보더니 웃으며 대답했다. “그렇다면 내가 얻는 게 뭐죠?”“글쎄요, 당신은 더 큰 그물을 얻을 수 있을 것이고, 더 많은 고기를 잡을 수 있겠죠!” 여행객

은 답했다.여전히 웃으며 어부는 물었다. “그렇다면 내가 얻는 게 뭐죠?”여행객은 답했다. “당신은 돈을 벌 것이고, 배를 살 수 있을 거예요. 그 배로 더 많은 양의 고

기를 잡을 수 있을 테고요!”“그렇다면 내가 얻는 게 뭐죠?” 어부는 다시 물었다.여행객은 어부의 질문에 짜증이 나기 시작했다. “당신은 큰 배를 살 수 있고 더 많은 사람들을

고용할 수 있겠죠!” 그는 말했다.“그렇다면 내가 얻는 게 뭐죠?”여행객은 화가 났다. “이해가 안 돼요? 당신은 수많은 어선을 장만할 수 있고, 전 세계를 항해

할 수 있으며, 직원이 당신을 위해 물고기를 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니까요!”다시 한 번 어부가 물었다. “그렇다면 내가 얻는 게 뭐죠?”여행객은 얼굴이 빨갛게 달아오른 채로 어부를 향해 소리쳤다. “부자가 돼서 다시는 생계를 위

해 일을 하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을 정녕 모르겠어요? 당신은 저녁노을을 바라보며 하루 온

종일을 해변에 앉아 보낼 수 있다고요. 세상의 온 걱정거리가 사라지는 거죠!”어부는 올려다보더니 여전히 웃으며 말했다. “그렇다면 지금 내가 하고 있는 것은 뭐라고 생각

하나요?”

4. 이행과 모니터링

Page 17: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17 -

국가에 의해 비준된 협약들은 구속력을 갖는다. 그러나 국제협약의 실효성은 감시기관의 조사결과

에 순응하고 국내법을 통해 협약을 집행하려는 국가의 의지에 달려있다. 만일 국가가 의무를 위반

했을 경우, 의무의 위반에 대한 제재가 제한적일 가능성이 있다. 종종 협약의 이행은 “수치심의 동

원”에만 의존한다. 이러한 약한 처분은 인권, 특히 노동권을 무역과 연결하도록 하는 요청으로 이어

져 왔다. 이것은 국제기준을 위반하는 국가에 대한 무역 제재의 가능성을 열어놓을 것이다. 그러나

이 문제에 대해서는 상당히 논란이 많다. 무역 제재는 국가로 하여금 특정 관행에 대해 법률(예를

들어 아동 노동의 금지)을 제정할 것을 강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문제는 더 복잡한 해결

책을 요구한다.

국제기준의 집행을 위해 국제노동기구와 유엔은 다양한 감독 및 청원 절차를 개발해 왔다.국제노동기구 협약의 당사국들은 협약 및 권고의 적용에 관해 전문위원회가 분석하고 논평한 정기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이 위원회의 보고서들은 매년 국제 노동 회의에 지속적으로 제출된다. 매해마다 회의는 다른 회원국에 의한 검토 작업을 거치고, 많은 회원국의 협약 적용에 관한 결론을

발행한다. 비록 이러한 절차가 다소 강제력이 없는 국제적 장치로 보일지 모르지만, 1967년 이래로

130개 이상의 국가에서 2천개가 넘는 노동 및 사회 입법의 변화가 관찰되어 왔다.이 감독 체계와 더불어 국제노동기구는 노동 기준의 이행을 위해 두 개의 분리된 청원 절차를 제공

한다. 하나는 고용주 단체나 노동자 조직이 회원국에 대하여 불만을 제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회원국과 국제노동회의의 대리인(정부, 노동자 대리인 또는 고용주 대리인)으로 하여금

다른 회원국에 대하여 불만을 제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 후에 조사위원회가 임명될 수 있다.이러한 체계와 별도로, 결사의 자유에 관한 특별위원회는 노동조합의 권리를 침해한 혐의에 대해

조사한다. 불만은 정부가 관련된 협약들을 비준했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어느 정부를 상대로도 제

기될 수 있다. 1950년에 설립된 이래로 위원회는 법률의 개정과 해고노동자의 복직에서 투옥된 조

합원의 석방에 이르기까지 많은 성공을 경험해왔다.사회권규약(ICESCR)의 적절한 이행을 감시하는 유엔의 기구는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

한 위원회다. 다른 인권조약 기구들과 달리 이 위원회는 해당하는 규약에 의해 설립된 것이 아니라, 1985년에 규약의 감시와 함께 유엔경제사회이사회(ECOSOC)에 의해 위탁되었다. 현재 해당 위원회

는 18명의 독립적인 전문가의 지도 아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2005년 11월, 위원회는 노동할 권

리의 내용과 이 권리를 실현시키기 위해 국가가 취해야 하는 조치들을 상술한 일반 논평을 발행하

였다. 노동할 권리는 차별하지 않을 권리와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일반 논평들도 노

동 관련 문제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모든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의 향유에 대한 남성과

여성의 동등한 권리에 대한 일반 논평은 동등한 임금을 실현할 의무를 포함하고 있다. 협약의 당사

Page 18: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18 -

국들은 5년마다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이행된 각종 입법, 정책 및 다른

조치들을 요약한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위원회의 보고서 평가와 관련된 국가 대표들의 토론을

거친 후 위원회는 “최종견해”를 통해 입장을 밝힌다. 대부분의 경우 위원회는 협약의 위반을 확인하

고 문제가 되는 권리 침해가 더 이상 일어나지 않도록 국가에게 촉구한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개인 혹은 집단이 위원회에 권리 침해에 대한 공식 제소를 하는 것은 불가능하

다. 사회권규약 선택의정서는 2008년 12월 10일 유엔총회에서 채택되었으나 2012년 1월 기준 오

직 5개국만이 선택의정서를 비준했으므로 아직 발효되지 않은 상태이다.

알면 좋은 내용

1. 모범 사례

아동노동 철폐를 위한 국제 프로그램 (IPEC)1992년 국제노동위원회(ILO)는 아동노동 철폐를 위한 국제 프로그램 (IPEC)에 대한 논의를 발전시

켰다. 시민 단체(NGO)뿐만 아니라 각 국의 정부, 사회적 파트너와 협력하면서 IPEC는 문제의 복잡

성과 사려 깊고도 지속적인 문제해결방법을 고려한 특별 프로그램을 개발하도록 운영되었다. 예를

들어 아동 노동의 대안으로 IPEC는 아동들이 일하는 것을 중단시키고 그들에게 교육적 대안을 제공

하며 해당 아동의 가족들에게 수입과 안전에 대한 대안책을 마련하는 프로그램을 착수했다. IPEC는

처음 IPEC에 가입했던 6개 국가에서 88개국으로 영향력을 확장시킬 수 있었는데, 그것의 가장 큰

요인은 2008년 6100만 달러를 넘어서는 기술 협력 사업에 대한 연간 지출이었다. 이는 IPEC를 세

계에서 가장 큰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게 했다.2006년 “아동 노동의 끝은 멀지 않았다 (The End of Child Labour: Within Reach)”라는 제목의 연

구에서 나타났던 긍정적인 추세와는 정반대로 2010년 ILO의 보고서인 “아동 노동 방지 가속화를

위한 행동”은 (가혹한 형태의) 아동 노동 철폐 노력에 염려를 표한 바 있다. 이 ILO의 보고서는

2004년과 2008년 사이에 전 세계 아동 노동자의 수가 2억2천2백만에서 2억1천5백만으로 줄어들

면서 지속해서 하향세를 보였으나, 이러한 하향세는 걱정스러운 정도로 그 속도가 느려졌다고 밝혔

다. 이 보고서는 또한 국제 경제 위기의 영향으로 2006년 보고서(아동노동에 대한 보고서: 2016년까지 가혹한 형태의 아동 노동 철폐를 목표로)에 제시됐던 목표 달성 속도를 저하할 수도 있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따라서 2010년 6월에 열렸던 국제 노동 회의에서 ILO와 IPEC가 2006년 합

Page 19: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19 -

알고 있었나요?• 전 세계적으로 5세에서 17세 사이의 3억6백만의 아동이 노동을 하고 있다.• (노동최저연령 미만 혹은 건강, 안전, 도덕에 위협이 되는 노동을 하거나 강제 노동에 동원되

는) 아동 노동의 숫자는 감소하는 추세이기는 하지만 감소폭이 줄어들고 있다. 노동을 하는

아동 중 약 70% (위 참조), 즉 2억1천5백만 명이 아동 노동자에 속한다.• 모든 아동 노동자 중 절반 이상, 즉 1억1천5백만 명이 위험한 노동 환경에서 일하고 있다. 이러한 위험한 노동을 하는 아동의 수도 줄어들고 있으며 특히 15세 미만의 아동 노동자의

수 감소가 도드라져 보인다.• 약 8백4십만 명의 아동이 강요 및 속박 노동 (5백7십만 명), 매춘과 음란물 (1백8십만 명), 무장 분쟁 (3십만 명) 그리고 범죄행위 (6십만 명) 등의 가혹한 형태의 아동 노동에 시달리고

있다.• 5세에서 17세 사이의 아동 노동자 대부분은 60%가 농업, 26%가 서비스 그리고 7%가 산

업 분야에서 일하고 있다.• 5명 중 1명의 아동만이 임금을 받으며 대다수의 아동들은 무급으로 가족을 도와 일을 하고

의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전략적 의제와 실천 계획을 제공하는 국제 행동 계획을 도입했다. 이 행동 계획에는 2010년 5월 헤이그에서 열렸던 국제 아동 노동 회의에서 80개국 450명 이상의

대표들에 의해 채택되었던 “2016년까지 가혹한 형태의 아동 노동 폐지 달성을 위한 로드맵” 역시

포함되었다. 뿐만 아니라 2011년 세계아동노동반대의 날은 위험한 아동 노동에 대한 국제적 관심을 집중시켰으

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긴급조치를 촉구했다.아프리카축구연맹 그리고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주최자와의 협력을 통해 IPEC는 말리에서의 2002 챔피언십 행사에서 아동 노동의 문제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한 큰 규모의 캠페인을 실시했다. 축구

경기에서 사용되는 빨간 퇴장 카드에서 착안한 “아동 노동 퇴장 (Red Card to Child Labour)"이라

는 간단하고도 직접적인 메시지와 함께 캠페인은 비디오, 대중 음악, 라디오, 두 곳의 국제 항공사

및 축구 경기 등과 같은 다양한 미디어 매체를 이용하여 전개되었고, 아프리카 대륙뿐 아니라 아프

리카 대륙 너머의 수많은 사람들에게 메시지가 전달되었다. 캠페인 활동은 아프리카의 21개국에서

진행되었고 외국의 미디어들도 캠페인을 널리 보도했다. 케냐에서 1천 2백만, 잠비아에서 5백만에

다다르는 사람들이 캠페인을 접했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이집트와 가나 같은 몇몇 아프리카 국

가들에서의 관심은 매우 높아 이후 국내 혹은 지역의 축구 경기나 공적인 행사 등에서 계속 캠페인

을 진행할 수 있었다.

Page 20: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20 -

있다.• 여아의 노동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 남아의 노동은 약간 증가했다.• 아동 노동이 가장 많이 이뤄지고 있는 지역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1억1천3백 6십만 명)이고,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지역 (6천5백십만 명),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1천4백십만

명), 기타 지역 (2천2백4십만 명)이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아동 노동은 개발도상국에서 역

시 일상화되어있다. (출처: ILO. 2010. 아동 노동 방지 가속화를 위한 행동) ☞ 아동인권

노동과 인권에 관한 기업 행동 강령다국적 기업은 더 이상 자신들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그들의 경제력은 국가

에 걸맞거나 혹은 그 이상의 수준이 되었고, 따라서 더 이상 국가는 유일한 인권의 잠재적 침해자

가 아니게 되었다. 인권을 존중할 사기업의 책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소비자 뿐 아니라

NGO와 같은 국제단체들은 국제적 규모의 정치적인 압력을 가하거나 특정한 상품을 보이콧함으로

써 그동안 묵인되어왔던 기업들의 행태를 변화시킬 힘을 갖게 되었다. 점점 이러한 압력은 환경문

제뿐만 아니라 인권, 노동 기준을 포함한 기업 행위 규범을 채택하도록 하고 있다.가장 눈에 띄는 예로는 “갭(Gap)사의 공급업체 행위 규범 (Code of Vendor Conduct)" 혹은 ”리바

이스(Levi Strauss & Co)사의 “글로벌 소싱 및 운영 가이드라인(Global Sourcing and Operating Guidelines)”이 있다. 이렇게 자체적으로 도입한 기업 규범은 사원들이나 기업의 하청업체 및 공급

업체에 지시되는데, 이 규범은 산업 안전, 건강, 결사의 자유, 임금과 각종 혜택, 노동 시간, 아동

노동, 비(非)차별 고용 등의 기준 역시 포함하고 있다. 더 많은 예는 http://www1.umn.edu/ humanrts/links/sicc.html 에서 참조할 수 있다.회사 자체의 행위 규범이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증거는 분명히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

한 행위 규범에서 드러나는 기준들은 국제인권협약들에서 권고하는 높은 수준보다는 최소한의 국내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게다가 이러한 규범을 감독하는 효과적인 감시 체계가

부족한 상황이며, 특히 기업 행위 규범을 위한 외부 감시 체계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는 말할 것

도 없다. 따라서 기업에서 내놓은 기준은 단순히 겉치레인 경우에 불과하다고 주장할 수 있다. 또는

국제 인권위원회가 “자발성을 넘어서: 인권과 기업의 늘어나는 국제법적 의무(Beyond Voluntarism: Human Rights and the Developing International Legal Obligations of Companies)”에서 다룬 것

처럼 "단어의 정의에 따라 자발적 계획은 수용하는 이들에게만 적용“ 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기업들

의 자체적인 행위 규범은 증가된 사회적 책임이라는 올바른 방향으로 가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Page 21: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21 -

지역아동인구 고용된 아동 취업률(%)

2004 2008 2004 2008 2004 2008

아태지역 650,000 651,815 122,300 96,397 18.8 14.8

중남미 111,000 110,566 11,047 10,002 10.0 9.0

사하라남부아프리카 186,800 205,319 49,300 58,212 26.4 28.4

다른 지역 258,800 249,154 13,400 10,700 5.2 4.3

세계 1,206,500 1,216,854 196,047 176,452 16.2 14.5

아동들의 경제활동의 전세계적 지역별 추이, 2004, 2008 (5~14세)(참고: ILO 2010, Accelerating Action against Child Labour.)

다중 이해관계자 운동 (Multi-stakeholder initiatives)다중 이해관계자 운동은 국제개발의 사회적, 생태학적 문제점 극복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

은 정부 대표, 노동조합, 기업과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참여시키고 복합적인 문제에

대한 공동의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다중 이해관계자 운동의 대표적인 예로는 깨끗한 옷 캠페인 (Clean Clothes Campaign; CCC)이 있

다. 유럽 국가 15개의 단체들이 연합한 이 캠페인은 세계적 의류와 스포츠웨어 사업의 근무 환경

개선을 목표로 한다. CCC는 의류생산국가의 노조와 NGO를 포함하여 200개 이상의 협력 기관들과

함께 캠페인을 전개하며 현지 협력 기관들은 지역 내의 문제점을 파악한다. 만약 각각의 기업 및

공공기관에 대한 긍정적 개입이나 문제 해결이 실패할 경우, 보도자료 배포, 항의서 발송, 시위, 전

세계적 소비자와 활동가들을 움직이기 위한 공공 캠페인 등으로 노동자들이 자신들의 권리 쟁취를

위해 투쟁할 수 있는 전략 추진을 돕는다. 평가 및 감독, 인권 침해에 대항하는 공공 캠페인을 통해

CCC는 기업 행위 규범이 실질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도록 압력을 가한다. CCC는 노조원에 대한

차별, 위험한 노동 환경, 노동자에 대한 폭력, 임금 체불 등을 포함한 250건 이상의 노동자의 권리

침해 사건들을 다루었다.잘 알려진 다중 이해관계자 운동의 다른 예로는 도덕적 무역 운동(Ethical Trading Initiative: ETI)을

들 수 있다. ETI는 CCC와 달리 노동조합과 노동권 단체뿐 아니라 몇몇 사기업 (2010년에 70개 기

업을 돌파함)을 연대체로 두고 있다. 회원 기업들은 국제노동기구 협약에 기초한 노동행위 모범규범

인 ETI 규범을 채택하고 ETI의 이행 원칙에 서명하는 것 이외에도 노동조합과 NGO들과 함께 각종

ETI 프로젝트들에 능동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연례 보고서가 ETI 이사회로 제출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보고서의 20%는 무작위 현지검증방문을 기반으로 작성된다. 독립적인 기구가 각 기

업을 감시하고 만일 기업의 행태가 기준 미달이라면 ETI 회원 자격을 상실하게 된다. 2004년에서

2006년에 행해진 종합적인 평가는 ETI 회원들의 활동이 보다 안전한 근무지를 만들고, 아동 노동을

Page 22: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22 -

근절하며, 노동자들이 적합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을 확인시켜주기도 했다. 그러나 아

직 많은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

“시장의 힘과 보편적인 원칙의 권위를 결합하도록 합시다.”코피 아난.

항목표시제도 (Labelling of Items)좋은 사회적 실천에 따라 생산된 물품들을 표시하는 것은 인권 보호와 보다 나은 사회적 관행을 위

해 최근에 도입된 제도이다. 표시제도는 소비자가 자신들의 구매력을 이용하여 좋은 관행을 지지함

으로써 생산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한다. 오늘날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많은 국가에서 이

러한 표시제도가 실행되고 있으며 표시제도가 적용되는 항목으로는 커피, 코코아, 초콜릿, 오렌지

주스, 차, 꿀, 설탕과 바나나 등이 있다. 러그 마크(RugMark)에서 굿 위브(Good Weave)라는 새 이

름으로 활동하고 있는 단체는 대표적인 세계적인 비영리 단체로 남아시아 카펫 산업에서의 아동 노

동을 철폐하는 데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굿 위브는 카펫 판매와 기부모금을 통해 착취당했던 아동들의 교육과 지원을 돕고 있다. 1995년

러그마크 인터네셔널(RugMark International: RMI)의 창립 이래로 지금까지 카펫 산업에서의 아동

노동자의 수는 1백만 명에서 2십5만 명으로 줄어들었다.

국제 공정무역 표시 단체 (Fairtrade Labelling Organization International: FLO)는 개발도상국의 소

외되고 빈곤한 생산자들이 보다 나은 거래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활동하고 있다. FLO는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공정 무역 조건을 엄수한 상품들에게 공정무역 마크 (FAIRTRADE Mark) 라벨표시를 제공

한다. 이 표시는 유럽의 대형 슈퍼마켓 체인점에서 찾아 볼 수 있으며 국가별로 따로 존재했던 표

시제를 대체했다. 미국의 한 FLO회원만이 기존의 표시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공정무역

인증 표시(Fair Trade Certified label)가 공정 무역 기준을 준수했다는 의미로 통한다. 공정무역은

소비자들의 높은 지지에 힘입어 상당한 성장을 이룩했다. 공정무역 상품은 70개 국가에서 판매되며

몇몇 영역에서는 공정무역상품의 시장 비율이 전체의 20~50%를 차지하기도 한다.

유엔 글로벌 콤팩트 (UN Global Compact)유엔 글로벌 콤팩트는 코피 아난 (Kofi Annan) 전 UN 사무총장이 1999년 1월 31일 세계경제포럼

Page 23: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23 -

에서 했던 연설에서 착안되어 시행되었다. 1999년 1월에 열렸던 포럼에서 전 아난 사무총장은 기

업들이 보편적으로 지지되는 가치들을 지키고 유엔 기구들뿐 아니라 노동 단체들 및 시민 사회와

조화로운 관계를 형성할 것을 요청하였다. 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대한 새로운 추세는 가

치에 기반한 경영을 개발하고 촉진하는 것에 대해 기업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국제적 체계가 부

족다고 주장했다. 글로벌 콤팩트는 이러한 간극을 극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기업들로부터 환영을

받기도 했다.글로벌 콤팩트는 다음과 같은 10개의 명시된 원칙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분야는 인권, 노동, 환경과 반부패로 이루어져 있다. 노동 분야에 있어서는 국제노동기구의 가장 기본적인 노동 기준을

준수할 것을 약속하는 내용과 함께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 있다:l 결사의 자유와 단체 교섭권의 실질적 인정

l 모든 형태의 강요된 노동 또는 강제 노동의 철폐

l 아동 노동의 실질적 폐지

l 고용과 업무에서의 차별 철폐

국제노동기구는 이러한 기준들이 효과적으로 적용되고 증진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대책을 수립하는

것에 도움을 주고 있다.http://www.unglobalcompact.org 웹사이트는 유엔 글로벌 콤팩트의 원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참여하는 기관 역시 이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글로벌 콤팩트는 그 도입부터 많은 기업들과

UN 기관들, 기업 협회, 노동 기관, 시민 사회 단체 뿐 아니라 학계와 도시(市) 들이 참여해 오고 있다.글로벌 콤팩트는 자발적인 원칙이기에 기업들이 책임 있는 행동을 하도록 했다는 긍정적인 평을 받

고 있으면서도 그 이행이 얼마나 효과적일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확실한 답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글로벌 콤팩트가 법적으로 강제력이 없는 기준들이며 독립적인 감시와 강제 체계 역시

부재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뿐만 아니라 기준 자체에 대한 모호성 역시 글로벌 콤팩트의 효과적인

이행을 방해하고 있다는 비판 역시 나오고 있다.

2. 동향

수출가공지역 (Export Processing Zones: EPZs)해외 투자를 끌어들이기 위해서 점점 더 많은 국가들이 자유 무역 지대를 설립하여 단순 면세뿐 아

니라 국제 노동, 환경 기준의 면제를 제공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다국적 기업들이 저임금 노동으

로부터 이득을 보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유 무역 지대 외부에서보다 임금 수준이 높기 때문에

Page 24: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24 -

많은 노동자들이 이 지역으로 편입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안전과 건강 문제를 비롯한 노동 조건이

충분하지 않을 지도 모른다. 화재예방 수칙 무시, 응급처치 장치 설치 미비와 안전하지 않은 기계는

EPZ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많은 문제들 중 일부에 불과하다. 노동 환경은 다양한 대외적 관심으로 인

해 확실히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여러 문제들이 존재한다. 세계은행이 추산한 바에 따르면 135개국

에 3천개의 수출가공지역이 존재하며 6천8백만 노동자가 이러한 지역에서 일을 하고 있다.

노동조합의 쇠퇴몇몇 선진국에서 노동조합 가입률이 사상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11.4%(2010년 기

준)의 노동자만이 노동조합에 가입되어 있다. 게다가 다국적 기업들의 강력해진 정치권력으로 인해

선진국의 노동조합들은 가지고 있던 힘의 대부분을 잃어가고 있다. 한편 대부분의 개발도상국들에

서, 노동조합을 결성할 자유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노동조합을 결성하는 데에 다양한 방해물이

존재하며 몇몇 국가에서는 노동자들이 자신들의 권리를 주장하기 위해 단결하는 것을 막기 위해 폭

력, 고문, 무분별한 살인이나 체포가 나타나기도 한다.국제 노동조합 연맹(ITUC)의 2011년 연간 조사(Annual Survey)에 따르면 2010년에만 90명의 노동

자가 노동조합 관련 활동으로 살해당했으며, 75명의 노조원이 생명의 위협을 당했고, 2천5백 명이

체포됐으며, 5천명이 해고되었다. 보고되지 않은 경우의 수까지 고려한다면 그 수는 훨씬 더 많을

것이다.

국제유동성의 증가 : 노동자들의 이주오늘날 빈곤과 폭력은 많은 사람들이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해 자신들의 집을 떠나게 하는 비극적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경제 및 산업 발전의 격차는 이러한 이민을 더욱 더 증가시키고 있다. 2010년에는 총 2억1천4백만 명의 국제 이주민이 있었고, 이는 전 세계 인구의 3%를 차지하는 수

치였다. 그리고 이들 중 절반 가까이가 여성이었다. 본국을 떠나는 대다수의 사람들은 일자리를 위

해 이민을 선택하며 이주 노동자와 그 가족들은 총 국제 이민의 90%를 차지한다. 2010년 국제노

동기구에 의해 이루어진 조사에 따르면 약 1억5백만 명의 이주민들이 경제활동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이주 노동자들의 경제활동이 세계 경제에 기여하는 바는 엄청나지만 많은 이주민들은 매우 끔

찍한 조건에서 노동을 해야 한다. 이주 노동자들은 대부분 각종 차별과 착취에 노출되어 있고, 사회

적 보호를 받을 수 없으며, 노동권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주 노동자들은 다른 취

약한 집단 중에서도 경기 침체에 의해 가장 영향을 받는 집단이다. 그들은 종종 건설업이나 관광업

분야에서 일을 하는데, 이러한 분야는 업종의 특성상 경제적 위기가 찾아왔을 때 가장 빨리 불안정

Page 25: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25 -

해지는 곳이기 때문이다.이에 관련된 국제노동기구 이주 노동자 협약(협약 제97조와 제143조)은 안타깝게도 널리 비준되지

못하였다. 이는 각 국가들이 자국의 이민정책에 대한 국제 조사를 두려워하고 있기 때문이다.하지만 2003년 7월 1일에 발효된 유엔의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보호에 관한 국제협약

은 긍정적인 발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주노동자위원회(CMW)가 이 협약의 이행을 감시하며 위 협

약에서 보다 발전된 형태로 이주 노동에 대한 다자간 체계(Multilateral Framework on Labour Migration)가 이주 노동자들을 위한 행동 계획의 일부로서 2004년 국제노동회의에서 채택되기도

했다.청년 실업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불문하고 모든 국가들이 마주하게 된 가장 어려운 문제는 늘어만 가는 청년

실업이다. 현재 괜찮은 일자리를 찾지 못 할 수도 있다는 젊은이들의 불안은 높은 상태다. 2010년

국제노동기구 보고서인 “국제 청년 취업 현황: 세계 경제 위기가 청년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특

별호”에서 드러난 바와 같이 경제 위기는 노동 시장에서 청년들이 갖는 취약함을 드러내왔기 때문

이다. 2011년 발행된 위 보고서의 최신호는 현재와 같은 경제적 불안정 속에서 청년 실업 문제는

해소되기 어려울 것이며 다가올 미래에 대한 전망도 밝지 않다는 암울한 결론을 내기도 했다. 보고

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l 전 세계적으로 7천5백십만 명의 젊은이들이 실업자인 상태이며, 이는 2007년 4백6십만 보다

많은 수치이다.l 2008년에서 2009년 사이에 전 세계적으로 청년 실업은 4백5십만 명 늘어났다. (경제 위기 이

전인 1997년~2007년 사이에 평균 실업자 수는 매해 10만 명 미만이었다)l 청년 실업률은 경제 위기로 인해 11.6%에서 12.7%로 대폭 증가했다.l 그 예로 2011년 말 EU의 청년 실업률은 21%에 다다랐고, 스페인에서는 심지어 50%에 다다

랐다.l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12개월 이상 구직을 하는 실업자의 비중은 성인보다는 청년이 훨씬 높다.

그리스, 이탈리아, 슬로바키아 및 영국에서 청년은 성인에 비해 장기실업자로 될 가능성이 2~3배 사이 정도 된다.

l 2007년에서 2010년 사이에 청년들의 시간제 노동은 독일을 제외한 모든 선진국에서 증가했다.전 인구 중 특정 계층에서의 장기 실업은 경제적, 사회적 간극을 심화시키는 등 사회적 통합 및 안

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청년 실업은 종종 폭력, 범죄, 자살, 약물 및 술의 남용과

같은 심각한 사회 문제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실업의 악순환을 끊지 못하게 한다.

Page 26: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26 -

“청년 실업은 전 세계 실업의 40%를 차지합니다. 오늘날 약 6천6백만 명의 청년들이

실업상태에 놓여있고, 이는 1965년의 실업률보다 천만 명 가까이 늘어난 수치입니다. 불완전한 취업 역시 심히 염려되는 부분입니다. 대다수의 새로운 직종들은 임금이 낮고

불안정합니다. 점점 더 많은 젊은이들이 고용 보장이나 혜택 혹은 미래에 대한 전망이 암울한

상황 속에서 생계를 위해 비공식 부문에 의존하고 있습니다.”코피 아난. 2001.

효과적으로 청년 실업을 타개하려는 각종 정책이나 프로그램은 문제의 사회적, 문화적 및 경제적

원인을 다뤄야 하며 청년 실업자들의 욕구와 능력의 차이에 집중해야 한다. 유엔, 국제노동기구와

세계은행은 청년 고용 네트워크를 만들어 국제적인 수준에서 청년 실업문제를 논의하고자 했다. (출처: 국제노동기구(ILO). 청년 고용 네트워크(The Youth Employment Network), http://www.ilo.org/public/english/employment/yen/)

HIV/AIDS와 노동계HIV/AIDS 문제는 사회의 거의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이지만, 특별히 노동 분야에 큰 영향

을 미쳤다.유엔 산하 에이즈 전담기구(UNAIDS)에 따르면 1990년대 말부터 새로운 HIV 감염의 수가 꾸준히

줄어들었기 때문에 전반적인 세계 에이즈 확산의 성장세가 안정되고 있다. 사망률 역시 상당히 줄

었으며 오늘날 더 많은 사람들이 HIV를 보유하고도 살아가고 있는데, 이는 대부분 의학적 치료의

접근 가능성이 더욱 커졌기 때문이다. 2010년 말까지 전 세계적으로 3천4백만 명의 사람들이 HIV를 보유한 채 살아가고 있었고, 이들 대다수인 90%는 직장생활을 하고 있었다.이 통계를 살펴보면 직장에서의 HIV/AIDS 문제는 단순히 질병으로 인한 직업 수행 능력, 출결 혹은

생산성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 분명해 진다. 오히려 직장생활은 질병의 확산과 질병이 경제적,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하는 전반적인 노력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HIV/AIDS는

많은 노동자와 그들에 의존하는 가족, 공동체, 기업의 생계를 위협한다. HIV 감염자에 대한 차별과

낙인은 기본적인 원칙과 노동 관련 권리를 위협하고, 결과적으로는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노

력을 좌절시키기도 한다.2001년 국제노동기구는 HIV/AIDS와 노동 분야에 관한 행동규범을 채택했다. 이 규범은 직장에서

HIV/AIDS가 미치는 영향을 지역 및 국가 수준에서 완화하고 질병 확산의 예방을 돕는 체계를 제공

Page 27: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27 -

한다. 국제노동기구 행동규범의 주요한 원칙은 고용에서의 차별 금지, 성 평등, 건강한 노동 환경, 고용을 이유로 한 HIV 검사 금지, 기밀성 그리고 고용관계의 유지이다.2010년에 국제노동회의는 HIV와 AIDS 및 노동 분야에 관한 권고사항(No.200)이라는 제목의

HIV/AIDS 관련 첫 국제 노동 기준을 채택했다. 이 권고사항은 특히 채용과 고용조건에서의 차별에

대한 보호를 포함하고 있으며, HIV 감염 혹은 해당자가 HIV에 감염되었다는 인식을 이유로 한 해고

를 금지하는 내용 역시 포함하고 있다.(출처: 국제노동기구(ILO). HIV/AIDS와 노동 분야에 관한 국제노동기구 프로그램(ILO Programme on HIV/AIDS and the world of work), http://www.ilo.org/public/english/protection/trav/aids) 3. 연혁

1919 1차 세계대전을 마무리한 베르사유 조약의 일부로 국제노동기구(ILO) 창설

1930 ILO 강제 노동 협약

1948 ILO 결사의 자유와 단결권의 보호에 관한 협약

1949 ILO 단결권과 단체 교섭권 협약

1951 ILO 동일보수협약

1957 ILO 강제노동 폐지 협약

1958 ILO 차별 (고용과 직업) 협약

1966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ICESCR), 제6,7,8조1966 시민적,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ICCPR), 제 8조1969 ILO 노벨 평화상 수상

1973 ILO 최저 연령 협약

1979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 철폐 협약 (CEDAW)1989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

1990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 보호에 관한 국제협약 (2003년 발효)1992 아동노동 철폐를 위한 국제 프로그램 (IPEC) 신설

1998 직장에서의 기본 원칙과 권리에 관한 ILO 선언

1999 ILO 가혹한 형태의 아동 노동 협약

2001 ILO 이사회 강제 노동에 대처하기 위한 특별 행동 프로그램(SAP-FL) 신설

2008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ICESCR) 선택의정서 (발효 예정)2010 헤이그국제아동노동회담에서 “2016년까지 가혹한 형태의 아동 노동 폐지 달성을 위한

로드맵” 채택

Page 28: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28 -

추천 활동

활동 I아이인지 일인지 !PART I : 소개

본 활동은 직장에서의 여성 생식권에 대한 문제를 다루는 역할극을 포함한다. 생식권은 아이를 가

질지 말지를 선택할 권리도 포함한다.

PART II : 일반적인 정보

활동 유형 : 역할극

목표와 목적 : 여성의 생식권에 대한 지식을 쌓고, 차별받았을 때 어떤 느낌이 드는지를 알게 하며, 평등과 정의 및 책임을 키울 수 있도록 한다.대상그룹 : 청, 장년

그룹크기 : ·15~25명소요시간 : 90분관련기술 : 비판적 사고, 의사 형성, 언어 및 공감 능력

PART III : 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지시사항 :“M씨는 거의 1년간 실업 상태에 있는 중이며, 열심히 새로운 직장을 찾고 있다. 10일 전, 그녀는

그녀가 원하던 직장에 면접을 보러 갔다. 면접은 잘 이루어졌고 M씨는 취업 제안을 받았다. 사측에

서는 M씨에게 계약서 서명을 위해 인사담당자인 W씨와 만나 볼 것을 요청하였다. 그녀는 이미 면

접에서 자신이 맡을 일과 업무와 관련된 논의를 끝낸 상태였지만 그저 계약서에 사인을 해야 했고, 인사담당자인 W씨는 2년 안에 아이를 갖기 않겠다는 선언에 서명하는 것이 일의 전제 조건이라고

말했다.

Page 29: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29 -

역할극 수행 :l 전체 인원을 작은 그룹으로 나눈다. (각 4~6명)l 시나리오를 읽어주고, 각 소그룹이 이야기의 결말을 결정하고 역할극화 할 수 있도록 20분을

준다. 역할극은 M씨가 W씨를 만나는 순간부터 시작하며 5분을 넘기면 안 된다.l 각 그룹이 역할극을 발표할 수 있도록 한다. 역할극을 수행할 때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l 역할 전환 : 사전 안내 없이 극을 중단시키고 배우들에게 역할을 서로 바꿀 것을 요청한다. 그

리고 중단된 시점부터 이야기를 진행한다. 면밀히 검토하고 분석한다.l 다시 보기 : 역할극이 끝나면 상황을 변경하고 (예. M씨는 불임이다, M씨는 이미 임신한 상태

이다 등) 이러한 변화를 적용하여 같은 장면을 다시 연기할 것을 요청한다.l 최종 평가에서 참가자들에게 해줄만한 이야기를 메모해 놓는다.피드백 :l 각 소그룹에서 피드백을 진행한 다음 (예. 어떻게 역할극을 만들었는지; 어렵지는 않았는지?) 사

건의 의미, 이러한 종류의 차별에 대해 어떠한 조치가 취해져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논의를 시작할 수 있는 질문은 다음과 같다.l 이 상황에 대해서 놀란 사람이 있었는가?l 어떠한 결말을 내리기로 결정했는가? (현실적인 결말? 장점과 약점?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혹은

순응적 태도 중 어떤 것이 더 나은가?)l 당신의 나라에서 여성은 어떤 권리를 가지는가? (특히 임신한 경우)l 회사는 왜 저런 식의 반응을 하였는가? 공정한 처사인가?l 침해된 인권이 있나? 만약 그렇다면, 어떤 인권인가?l M씨가 남자였다면 같은 일이 일어났을까?l 남성은 이러한 문제를 어떠한 방식으로 바라보는가? 여성이 바라보는 방식과 다른가?l 여성의 생식권을 고취시키고 보호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가?방법론적 힌트 : 역할극을 시작하기 전에 각 그룹이 생식권에 대해 충분히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하나의 성별로 이루어진 그룹을 만들어볼 수도 있으며, 이러한 그룹이 결성될 경우 보다 도발적인 결

말을 얻을 수도 있다.응용을 위한 팁 :

Page 30: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30 -

l 두 명의 지원자로 역할극을 시작하고 나머지 사람들은 관찰자로 참여하게 한다.l 중간 중간 발표를 중단하고 의견을 묻는다.l 관찰자들과 배우의 역할을 교대한다.l 저 상황에 다른 인물들을 추가한다. (예. 남편, 노조 대표 등)

PART IV: 후속활동

그룹에게 각자의 나라에서의 생식권에 대한 조사를 하도록 요청한다. (인터뷰, 관찰자들이 참여하는

인권 역할극을 공공장소에서 진행한다.)관련 권리 및 더욱 탐색할 영역:사회권, 성 평등, 차별 (출처: 유럽평의회, 2002. 컴퍼스: 젊은 사람들을 위한 인권교육 매뉴얼)

활동 II 공정하게 차려입었는가?

파트 I: 소개

한 사회 안에서 부와 권력의 분배는 보통 한 개인이 자신의 완전한 인권을 획득하고 존엄한 삶을 누

릴 수 있는 기회에 영향을 미친다. 이 사례 연구에서 참가자들은 “공정함”의 개념에 대해서 생각해보

고 각자의 상황에 반영해 본다. 참가자들은 자신의 옷과 그 옷을 만드는 사람들 사이를 연결해 본다.

파트 II: 일반적인 정보

활동유형: 사례 연구

목표와 목적: 이 활동은 참가자들이 자신들의 옷과 그 옷을 만드는 사람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돕는

다. 이와 더불어 세계화 경제 하에서 우리의 책임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대상그룹: 청, 장년

그룹크기: ·약 25명소요시간: 90분준비물: 플립차트 용지 혹은 칠판, 마커 펜 혹은 분필, 토론 질문들

핸드아웃: Math 티셔츠

Page 31: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31 -

관련기술: 분석, 반영, 언어 및 비판적 사고 능력

PART III: 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핸드아웃 : Math 티셔츠

미국에서 한 벌에 $20 하는 티셔츠는 한 국제기업의 엘 살바도르에 있는 공장 중 한 곳에서 만들

어진다. 이 공장은 마킬라도라(maquiladora)의 한 예이다. 마킬라도라는 외국인이 소유하는 공장으

로 수출을 위해 상품을 생산하는 곳이다. 셔츠를 만들어내는 살바도르인 노동자는 한 시간에 $0.56을 받는다. 평균적으로 노동자는 한 시간에 약 4.7장의 셔츠를 만들어낸다.1994년, 살바도르 정부는 겨우 연명할 수 있는 수준으로 가족들을 부양하기 위해서는 현재 마킬라

도라 노동자들에게 지급되는 임금의 4배가 필요한 것으로 계산하였다.Math 티셔츠를 나누어 주고 참가자들에게 다음을 계산하라고 요청한다 (혼자 혹은 짝을 지어):l 티셔츠 한 장당 노동자는 얼마를 받는가?l 만일 노동자의 임금이 4배가 된다면 한 시간당 얼마나 버는가?l 임금이 4배가 된다면 티셔츠 한 장당 얼마를 버는 것인가?l 만일 회사가 늘어난 금액을 소비자에게 전가한다면, 티셔츠는 한 장당 얼마에 판매될 것인가? 이제 노동자의 임금이 10배가 되었다고 생각해보라:l 노동자들은 한 시간당 얼마를 받는가?l 티셔츠 한 장에 얼마를 버는가?l 만일 회사가 늘어난 금액을 소비자에게 전가한다면, 당신은 티셔츠에 얼마를 지불할 것인가?

사례 연구에 대한 지시사항 : 참가자들이 각자의 옷에 있는 라벨을 확인하도록 요청한다. 그리고

(차트 용지와 칠판에) 목록을 만들고 라벨에 있는 모든 정보와 옷이 생산된 나라를 기록한다. 목록

작성이 마무리 되면 참가자들에게 결과를 분석하도록 요청한다. 대부분의 옷이 가난한 나라에서 만

들어졌다는 점이 나타날 것이다. 모든 참가자들과 함께 다음 질문에 대해 토론한다.l 누가 당신의 옷, 선글라스, 신발, 버튼, 지퍼 등을 만들었다고 생각하는가?l 당신의 옷을 만든 사람이 남성, 여성, 아동 중 누구일 것 같다고 생각하는가?l 이 노동자들이 어느 정도의 임금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하는가?l 그들이 어떠한 노동 조건에 놓였을 것으로 생각하는가?

Page 32: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32 -

사례 평가 : 우리의 옷을 만드는 노동자들이 보다 나은 임금을 요구할 때 의류 판매업자들은 종종

소비자가 값 싼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임금을 낮게 책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그룹 내의 사람들과 다음 질문에 대해 토론하라.l 티셔츠를 구매하기 위해 기꺼이 더 지불할 의향이 있는가? 만일 그렇다면 얼마까지 지불할 수

있는가?l 세계인권선언에 규정된 인권이 침해되지는 않았는가? 구체적인 조항을 인용하라.l 왜 판매자들은 서구 국가에 상품을 팔면서 엘 살바도르나 방글라데시, 중국과 같은 나라에서 생

산하는가?l 노동자들이 자신과 가족을 부양하기에 충분한 임금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야 할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피드백 : 마무리 질문을 하고 참가자들이 돌아가며 답할 수 있도록 요청한다.l 오늘 나눴던 이야기 중 특별히 기억에 남을 내용은 무엇입니까?l 당신의 감정을 잘 표현하는 단어나 문장을 생각해보십시오.방법론적 힌트 : 사례 연구는 효율적인 토론을 이끌어 내는 데에 좋은 방법이다. 특히 이러한 사례

의 경우 참가자들이 토론에 참여할 수 있도록 신뢰와 존중의 분위기를 만들어 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모두가 따라야 한다고 생각하는 토론의 몇 가지 원칙을 그룹 전체가 함께 생각해보아야 한

다. 모든 제안을 기록해두고 모두가 볼 수 있는 장소에 전시하도록 한다.응용을 위한 팁 : 노동자의 성별, 나이, 임금 등이 기록된 라벨을 나눠주는 활동으로 어색함을 없앤

다. (예. 5분에 사탕 10개, 10분에 사탕2개 등) 모든 그룹이 종이 한 장에 삼각형을 그리도록 하는

등의 (의미 없는) 활동을 하도록 한다. 활동이 끝나면 각 사람들에게 라벨에 기록된 나이, 성별대로

임금을 지급한다. “돈” (사탕)을 큰 소리로 세어 그들이 모두 했던 같은 일에 각자 얼마의 임금을

지급받는지 알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느낀 점을 나눈다.

PART IV: 후속활동

관련 권리 및 더욱 탐색할 영역 :사회, 정치, 경제권

(출처: David A. Chiman의 경제와 사회 정의. 인권의 시각. 1999)

Page 33: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33 -

참고자료

Anti-Slavery International. What is Modern Slavery? Available at:www.antislavery.org/english/slavery_today/what_is_modern_slavery.aspxAuer, Peter, Geneviève Besse and Dominique Méda (eds.). 2006. Offshoring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Employment. A Challenge for a Fair Globalization? Proceedings of the France/ILO symposium. Geneva: International Institute for Labour Studies/International Labour Office.Bartram, David. 2005. International Labour Migration. Foreign Workers and Public Policy. Houndmills: Palgrave Macmillan.Bhargava, Pramila H. 2003. The Elimination of Child Labour: Whose Responsibility? A Practical Workbook. New Delhi: Sage Publications Ltd.Cingo, Alessandro and Fruio Camillo Rosati. 2005. The Economics of Child Labour.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Council of Europe. 2002. Compass: A Manual on Human Rights Education with Young People. Strasbourg: Council of Europe.Craven, Matthew. 2002.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 Perspective on its Development. Oxford: Clarendon Press.Deutsche Gesellschaft für die Vereinten Nationen. 2001. Menschenrechte und menschliche Entwicklung. Anregungen zur Arbeit mit dem UNDP-Bericht über die menschliche Entwicklung 2000 in Schulen. Bonn: DGVN.Dore, Ronald. 2004. New Forms and Meanings of Work in an Increasingly Globalized World. Geneva: ILO Publications.Drzewicki, Krzystof. 2001. The Right to Work and Rights at Work. In: Eide, Asbjorn, Catarina Krause and Allan Rosas.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 Textbook. Dordrecht: Martinus Nijhoff Publishers.FIAS – The Multi-Donor Investment Climate Advisory Service of the World Bank Group. 2008. Special Economic Zones: Performance, lessons learned, and implications for zone development. New York: The World Bank Group.Goldewijk, Berma Klein, Adalid Contreras Baspineiro and Paulo César Carbonari. 2002. Dignity and Human Rights. The Implementation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ntwerp: Intersentia.

Page 34: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34 -

International Council on Human Rights (ICHRP). 2002. Beyond Voluntarism: Human Rights and the Developing International Legal Obligations of Companies. Versoix: International Council on Human Rights Policy.International Labour Office. 2011. Export Processing Zones: Comparative data from China, Honduras, Nicaragua and South Africa. Working Paper No. 21. Geneva: ILO Publications.International Labour Office. 2011. Equality at work: The continuing challenge. Global Report under the follow-up to the ILO Declaration on Fundamental Principles and Rights at Work. International Labour Conference. 100th Session 2011. Geneva: ILO Publications.International Labour Office. 2011. Global Employment Trends for Youth: 2011 update. Geneva: ILO Publications.International Labour Office. 2010. Accelerating action against child labour. Global Report under the follow-up to the ILO Declaration on Fundamental Principles and Rights at Work 2010. International Labour Conference, 99th Session. Geneva: ILO Publications.International Labour Office. 2010. Global Employment Trends for Youth. Geneva: ILO Publications.International Labour Office. 2009. The cost of coercion. Global Report under the follow-up to the ILO Declaration on Fundamental Principles and Rights at Work. International Labour Conference, 98th Session. Geneva: ILO Publications.International Labour Office. 2005. An Alliance against Forced Labour. Global Report under the Follow-up to the ILO Declaration on Fundamental Principles and Rights at Work. Geneva: ILO Publications.International Labour Office. 2005. The Rules of the Game – A brief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Labour Standards. Geneva: ILO Publications. Available at: www.ilo.org/public/english/standards/norm/download/resources/rulesofthegame.pdfInternational Labour Office. 2004. A Fair Globalization: Creating Opportunities for All. Available at: www.ilo.org/public/english/wcsdg/docs/report.pdfInternational Labour Office. 2004. Towards a fair deal for migrant workers in the global economy. Geneva: ILO Publications. Available at: www.ilo.org/public/english/standards/relm/ilc/ilc92/reports.htm

Page 35: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35 -

International Labour Office. 2002. HIV/AIDS and the World of Work: An ILO Code of Practice. Geneva: ILO Publications.International Labour Organisation. 2010. International Labour Migration: A rights-based approach. Geneva: ILO Publications.International Organisation of Employers (IOE). 2009. Trends in the Workplace. Survey 2009. Geneva: IOE Publications.International Trade Union Confederation (ITUC). 2011. Annual Survey of Violation of Trade Union Rights 2011. Brussels: ITUC Publication.Jenkins, Rhys, Gill Seyfang and Ruth Pearson (eds.). 2002. Responsibility and Labour Rights. Codes of Conduct in the Global Economy. London: Earthscan Publications.Joint United Nations Programme on HIV/AIDS (UNAIDS). 2011. World AIDS Day Report 2011. How to geht to Zero: Faster. Smarter. Better. Geneva: UNAIDS Publications.Joint United Nations Programme on HIV/AIDS (UNAIDS). 2010. Report on the Global AIDS Epidemic 2010. Geneva: UNAIDS Publications.Leary, Virginia and Daniel Warner. 2006. Social Issues, Globalisation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Labour Rights and the EU, ILO, OECD and WTO (International Studies in Human Rights). The Hague: Martinus Nijhoff Publishers.Leary, Virginia A. 1998. A Violations Approach to the Right to Work. In: SIM Netherlands Institute of Human Rights. The Maastricht Guidelines on Violations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Utrecht: The Netherlands Institute for Human Rights.Leary, Virginia A. 1998. Globalisation and Human Rights. In: Symonides, Janusz. (ed.). Human Rights: New Dimensions and Challenges. Aldershot: Dartmouth Publishing Company.Levin, Leah. 2005. Human Rights. Questions and Answers. Paris: UNESCO Publishing.Richter, Judith. 2002. Holding Corporations Accountable: Corporate Conduct, International Codes, and Citizen Action. London: Zed Books.Shiman, David A. 1999. Economic and Social Justice. A Human Rights Perspective. Minneapolis: The Human Rights Resource Center.United Nations. 2005.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Page 36: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36 -

General Comment on Article 3 (The equal right of men and women to the enjoyment of al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Geneva: United Nations. Available at: www2.ohchr.org/english/bodies/cescr/comments.htmUnited Nations. 2005.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General Comment on Article 6 (right to work)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Geneva: United Nations. Available at: www2.ohchr.org/english/bodies/cescr/comments.htmUnited Nations. 2005. The Inequality Predicament. Report on the World Social Situation 2005. New York: United Nations.United Nations. 2001. We the peoples: The Role of the United Nations in the 21st Century, Briefing Papers for Students. New York: United Nations.United Nations. 1996. The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Fact Sheet No. 16. Geneva: United Nations.Werner, Klaus and Hans Weiss. 2001. Schwarzbuch Markenfirmen. Vienna: Deuticke.

추가정보원

Anti-Slavery International: www.antislavery.orgChina Labor Watch: www.chinalaborwatch.orgClean Clothes Campaign (CCC): www.cleanclothes.org/CSRworldwide, Multistakeholder Initiatives: www.csr-weltweit.de/en/initiativen -prinzipien/multi-stakeholder-initiativen/index.nc.htmlEthical Trading Initiative (ETI): www.ethicaltrade.org/European Roma Rights Centre: www.errc.org/Fairtrade Labelling Organization International: www.fairtrade.netGlobal Compact: www.unglobalcompact.orgGlobal March Against Child Labour: www.globalmarch.orgGood Weave International: www.goodweave.net/Human Rights Watch: www.hrw.org/International Confederation of Free Trade Unions: www.icftu.org

Page 37: 일할 권리 RIGHT TO WORK

- 437 -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www.ilo.org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www.iom.intInternational Programme on the Elimination of Child Labour (IPEC): www.ilo.org/ipec/programme/lang--en/index.htmLabour Rights Now: www.laborrightsnow.org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www.oecd.orgThe Concerned for Working Children (CWC): www.workingchild.org/htm/cwc.htmThe Fairtrade Foundation: www.fairtrade.org.uk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UNICEF): www.unicef.org/crc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Development Reports: http://hdr.undp.org/en/reports/United Nations Global Compact: www.unglobalcompact.orgUnited Nations Organization (UNO): www.un.org/University of Minnesota, Self-Imposed Company Codes: www1.umn.edu/ humanrts/links/sicc.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