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wt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 gtp.or.kr · pdf file- 중국...

34
내용문의 : 유진석 수석연구원(378 0- 8 09 4) Issue Paper 중국의 W T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2001. 11 - 차- Ⅰ. 중국의 WTO 가입 경과 및 의미 ......... 1 Ⅱ. W TO 가입 이후 중국경제의 향방 ....... 4 Ⅲ.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 16 Ⅳ. 시사점 및 대응방향 .......................... 27 삼성경제연구소

Upload: donhu

Post on 10-Feb-2018

225 views

Category:

Documents


3 download

TRANSCRIPT

내용문의 : 유진석 수석연구원(3780-8094)

Issue Paper

중국의 WT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2001. 11

- 목 차 -

Ⅰ. 중국의 WTO 가입 경과 및 의미 ......... 1

Ⅱ. WTO 가입 이후 중국경제의 향방 ....... 4

Ⅲ.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 16

Ⅳ. 시사점 및 대응방향 .......................... 27

삼성경제연구소

Ⅰ. 중국의 WTO 가입 경과 및 의미

◇ 2001년 11월 10일, 신청 이후 15년만에 중국의 WTO 가입 확정

◇ 개혁·개방 가속화를 통해 중국의 경제적 위상이 강화될 전망

◇ 세계 경제·무역의 확대 발전과 국제무역질서의 안정에도 기여

신 청 이 후 15년 만에 가입 확정

□ 2001년 11월 10일, 카타르 도하(Doha)에서 개최된 WTO 제4차 각료회의에

서 중국의 WTO 가입이 승인되었음

-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국회)의 비준을 거쳐, 2002년 1월 정식 회원국으로

등록될 전망

□ 중국은 1986년 7월 GATT 로의 복귀를 신청한 이후 15년간 WTO 가입을 지

속적으로 추진

- 1950년 GATT 를 탈퇴하면서 회원국 자격 상실

- GATT 원가맹국으로의 복귀를 희망하였으나 무산되고 1995년 WTO 출범

□ 그동안 중국의 WTO 가입과정에는 미국과의 대립이 가장 중요한 걸림돌로

작용

- 미국은 중국내 인권문제, 대만문제 등 정치적 현안 및 지적재산권 보호, 미

국의 대중 무역적자 등 경제적 현안들을 빌미로 중국의 WTO 가입에 제동

□ 클린턴 행정부 시절 미중간 전략적 동반자관계의 분위기 속에서 한때 중국의

WTO 가입이 임박한 것으로 보이기도 했음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1

- 99년 4월, 중국은 미국과의 WTO 가입협상에서 관세인하 및 비관세장벽 제

거, 서비스시장 개방, 지적재산권 보호, 농산물교역 확대 등을 내용으로 하

는 협상제안서(offer) 제시

- 1999년 11월 15일, 양국간 협상 타결

- 그러나 부시행정부 출범 이후 양국관계의 악화로 다시 교착상태

《 중국의 WTO 가입관련 연표 》

1948.5 대만(중국), 원가맹국으로 GATT 가입

1950.5 대만(중국), GATT 탈퇴

1964.3 대만, 업저버로 GATT 참여

1983.10 중국, GATT 업저버 자격 획득

1986.7 중국, GATT 가입(복귀) 신청

1986.9 중국, 우루과이라운드 각료선언에 의해 UR 참가

1987.3 중국의 GATT 가입에 관한 작업반 설치

1990.1 대만, GATT 가입 신청

1994.12 중국작업반의 보고서 초안

1995.1 WTO 출범

1999.11 미중 양자간 협상 합의

2001.6 미중간 구체적 가입조건에 대해 최종 합의

2001.11 WTO 각료회의(카타르 도하)에서 중국의 WTO 가입 승인

□ 2001년 6월, 구체적 가입조건 등을 둘러싸고 미국과의 협상이 타결됨으로써

가입에의 큰 장애물이 제거

- 미중 양국은 중국의 WTO 가입이 양국 경제는 물론 세계경제 발전에 기여한

다는데 공감

- 2001년 9월, 제네바에서 이행조건 및 시기 등 마무리 협상이 타결됨으로써

중국의 WTO 가입이 사실상 확정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2

중 국의 W TO 가 입의 의미

□ 중국의 개혁·개방 가속화로 시장경제체제 정착

- 중국 내부적으로는 개혁·개방을 보다 확실히 하려는 의도에서 추진

·중국이 경제발전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전국민을 새로운 경제체제(시장경제)

에 적응시키는 것이 필요

·특히 관료집단과 여론 주도층 및 국유기업 종사자들의 인식과 관련 제도의

변화가 무엇보다도 중요

- 개혁 가속화로 중국의 경제적 실익 증대와 중국경제의 활성화

·중국의 고도성장을 지속하기 위한 자본, 기술의 도입 가속

·미국을 포함한 전회원국으로부터 최혜국(MFN) 대우

·장기적으로 중국의 산업구조 고도화

- 주용기(朱鏞基) 총리는 중국의 WTO 가입을 "밖의 것을 안으로 끌어들이고

(引進來) 안의 것을 밖으로 내보내는(走出去)혁명"으로 정의

□ 세계 경제·무역의 확대 발전과 국제무역 질서의 안정에 기여

- 세계 8대 무역국인 중국이 국제무역질서(체제) 속으로 정식 편입됨으로써 세

계경제 발전과 무역체제 안정에 기여

- 미중관계의 진전에도 기여

·경제현안의 다자간 틀안에서의 해결 등 양국간 경제관계의 진전

□ 테러사태 이후 국제정치·경제의 새질서 속에서 중국의 위상 제고

- 중국은 테러사태의 영향을 별로 받지않고 있으며 향후 미국 주도의 단극체제

에 대항할 수 있는 유일한 대응축으로서의 위상 강화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3

- 중국은 단순한 시장제공자의 역할에서 벗어나 국제경제·무역 질서와 규범

수립에 주도적 일원으로 참여

·중국의 참여로 개도국 입지 강화 → 미국의 일방적 규범 제정 시도를 견제

□ 중국의 WTO 가입에 따른 변화는 우리 나라 경제에도 기회와 도전으로 작용

하여 도약과 도태 중의 선택을 강요할 전망

- 장기적으로 중국경제의 경쟁력이 변화되는 가운데 심화되는 경쟁에 어떻게

대응하는가 여부에 따라 우리나라의 입지가 결정

Ⅱ. WTO 가입 이후 중국경제의 향방

□ 무역·투자 자유화로 중국의 대외무역과 외국인 투자진출 급증

- 중국의 무역규모와 외국인 직접투자 유입 규모는 2000년 수준보다 2배 정

도 확대되어 2005년에 각각 7,000억 달러, 1,000억 달러에 달할 전망

□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기업경쟁력의 제고

- 외국기업 진출 확대에 따른 경쟁 격화로 기업 도산, 재편과정 경과

□ 장기적으로 중국경제의 체질 및 경쟁력 강화에 기여

- 연평균 실질 경제성장률 0.5~0.6% 제고 효과

□ 중국은 WTO 가입을 계기로 개혁·개방이 가속화되면서 무역 및 투자자유화

를 통해 궁극적으로 성장잠재력이 제고

- 중국의 수출입이 증가되는 동시에 외국인투자가 증가하면서 산업·기업 경

쟁력 강화를 통해 산업구조 고도화 달성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4

중국의 WTO 가입에 따른 경제적 영향

중국의 WTO 가입

개혁·개방 가속화

중국의 수입 증가

대중국 무역장벽 완화

최혜국 대우

GSP 혜택

무역자유화

중국의 관세율 인하

비관세장벽 철폐

외국인투자 자유화

중국의 수출 증가 경쟁 격화

외국인투자 증가

경쟁력열위 중국기업 도산

실업 증가

산업구조 재편

산업구조 구도화

중국산업·기업 경쟁력 강화

경제성장률 상승

글로벌 스탠다드 진전

- 제도, 규범 정비

- 투명성 제고

성장잠재력 제고

중국의 경제적 위상 강화

1 . 개방 의 확 대

□ 중국은 90년대 들어와 지속적으로 관세율 인하조치를 단행

- 92년부터 2000년까지 6차례에 걸쳐 인하

·90년대 초반까지 중국의 관세율은 40%를 훨씬 넘는 고수준이었으나 2000

년 현재 평균 관세율은 15.3% 수준으로 대폭 인하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5

□ 제조업 분야의 평균관세율은 2005년까지 9.4% 로 인하할 계획

- 일부 품목 외 모든 공산품의 관세율 인하는 2005년 이전에 완료

·공산품에 대한 무역·유통 개방과 비관세 장벽의 철폐

- 특히 첨단기술 제품은 무관세화 계획

·2005 년까지 반도체, 컴퓨터, 컴퓨터설비, 전자통신설비 및 기타 첨단기술제

품에 대한 관세율 철폐(현재 평균관세율 13.3% → 0%)

□ 농산품 관세율은 2004년까지 17%로 인하

- 이중 밀, 육류, 감귤류 등 미국의 관심품목은 평균 14.5%로 인하

- 농산품에 대한 쿼터 규제 및 농산품 수출 보조금도 철폐

중국의 관세율 인하 조치

인하 시점 인하 내용 인하후 평균관세율

92년말

93년말

96년 4월 1일

97년 10월 1일

99년 1월 1일

2000년

2005년(계획)

2,898개 품목에 대해 평균 7.3% 인하

3,871개 품목에 대해 평균 8.8% 인하

전 수입품목의 3/4에 해당하는 4,900개 품목,

평균 36% 인하

전체 관세 대상종목의 73% 에 해당하는 4,874

개 품목, 평균 26% 인하

1,014개 품목

-

-

43.2%

35%

23%

17%

16.8%

15.3%

10%

□ 정보통신을 중심으로 한 첨단산업과 금융, 유통 등 서비스 산업의 시장개방

이 확대

- 정보통신산업의 외국인투자 허용방침에 따라 가입 즉시 49%까지, 부가가치

통신은 2년내 50%까지 외국인 합작투자 허용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6

- 금융분야는 외자계 은행의 위안화 취급업무(소매금융) 허용 및 보험의 합작

투자 확대 개방

- 유통분야는 3년내 운수, 도소매업 허용

중국의 산업별 시장개방 계획

구분 내 용

농업

- 2004년까지 전농산품 평균관세율 17% 로 인하

·미국의 특정 농산품은 14.5%로 인하

- 검역을 이유로 한 미국산 소맥, 감귤류, 육류의 수입금지조치 철폐

- 수출보조금 폐지, 위생상·유전학상 규제(SPS)의 과학적 기준 마련

- 옥수수, 쌀 등에 대한 수출보조금 2005년까지 단계적 폐지

관세율- 2000년 평균관세율 15.3%에서 2005년까지 9.4% 로 단계적 인하

- IT 관련 첨단제품 현행 평균관세율 13.3%에서 2005년까지 무관세화

정보

통신

- 이동 및 유선통신은 가입 즉시 49% 까지, 부가가치 통신은 2년내 50% 까

지 합작투자 허용

(※ 현행 통신설비업(제조)은 제한업종, 정보통신업(서비스)은 금지업종)

- 위성사업자에 대한 외국인투자도 개방

서비스

<금융>

- 보험: 외자지분 확대(51%)

·가입 즉시 생보는 50%, 손보와 재보험은 51% 까지 합작투자 허용

·2년내 전액출자 허용

- 은행: 외자계 은행의 위안화 취급업무(소매금융) 허용

·각각 가입후 2년, 5년 이내 중국기업과 개인 대상 영업 허용

·외자계 은행의 지역적 영업제한 완화

- 증권: 외국계 펀드운영회사에 대해 중국과의 합작 펀드회사 설립 허용

<유통>

- 3년내 운수, 도소매업 허용 등 투자개방

(※ 현행 유통업은 투자제한업종, 100% 지분 안됨)

- WTO 가입 이후 3년내 국내판매 비율 규제 철폐

<관광>

- 가입후 3년내 호텔에 대한 100% 외국인투자 허용

자동차 - 자동차세율 2005년까지 약 25% 로 인하(현행 80~100%)

□ 중국은 WTO 가입을 계기로 관세율이 인하되는 한편 비관세 장벽 등 무역장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7

벽과 규제가 철폐 또는 완화되면서 추가적인 수입확대 효과가 예상

- 가입이후 5년간 중국의 추가 수입액은 120~150억 달러 정도로 추정

·년간 24~30억 달러(1.7~2.0% 증가)

《 시장개방에 따른 중국의 수입확대 추정 》

□ 편의상 중국의 수입수요가 소득과 가격만의 함수라고 단순 가정하고 중국의

수입증대 효과를 추정

- 2000년 현재 평균관세율 15.3%에서 향후 개방 일정에 따라 2005년 평균

관세율이 약 10%로 5% 포인트 인하된다고 전제

·관세인하율이 수입가격 하락으로 모두 반영된다고 가정

- 년간 24~30억 달러(1.7~2.0% 증가)의 추가 수입확대 효과

□ 이와 같이 중국의 수입액이 추가로 확대되어 2005년 중국의 무역액 규모는

7,000억 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

- 중국 무역액은 2000년에 최초로 수출입 모두 2,000억 달러를 초과하여 총

무역규모는 4,743억 달러

중국의 무역 추이

(억달러)

1997 1998 1999 2000 2001. 1~6

무역액

수출

수입

무역수지

3,252

1,828

1,424

404

3,239

1,837

1,402

435

3,606

1,949

1,657

292

4,743

2,492

2,251

241

2,410

1,246

1,164

82

자료: 중국통계연감(2001) 및 해관통계

□ 중국의 교역패턴에도 다소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임

- 수입환경의 개선으로 중국에서 생산활동을 하고 있는 외자계기업의 설비 및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8

원재료 수입이 증가

- 수입자유화 및 비관세 장벽의 철폐로 고급 제품의 수입이 대폭 증가

2 . 산업 구조 고도 화와 기업 구조 조정

□ WTO 가입으로 인한 신규사업 분야의 개방과 사업환경의 개선으로 외국인

직접투자도 확대

- 구미 선진기업들의 진출 증가

·WTO 가입에 따라 신규 개방하는 분야들은 정보통신 등 첨단분야

- 법규·정책 등 관련 제도의 개선과 투명성 제고

·Local content 비율 의무, 수출이행 의무 등 제반 규제의 폐지 또는 완화

- 국별로는 향후 건당 프로젝트의 규모가 대형인 국가들(구미 선진국들)의 대

중 투자가 급증할 가능성이 높음

·신규 개방하는 분야들은 대규모의 자본력이 필요하고 선진기술을 보유한 첨

단분야들로서 구미 선진국들에 유리

- 사업환경이 개선되는 만큼 경쟁도 치열해질 것이며 소규모의 저임 노동력에

의존하는 중소형 투자의 사업여건은 크게 좋아지기 어려움

《 중국정부의 외자기업 차별대우 철폐 원칙 》

□ 중국정부는 WTO 가입 이후 외자기업 차별대우 정책을 철폐할 계획

- 현재 외자기업에게 적용하고 있는 '當址含量(외국기업이 중국에 투자할 때

중국측 자본이 더 많은 비율을 차지)', '外淮平衡(중국정부가 외상투자기업에

게 실시하는 외환제약)'과 '外銷比例(외자기업이 생산한 제품에 실시하는 수

출의무 비율)' 등 3가지 정책을 철폐할 계획

(후징안(胡景岩) 대외경제무역부 외자관리국 국장)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9

□ 중국사회과학원 및 Goldman Sachs사는 2005년 외국인직접투자 규모(실행

액)가 1,0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

- 2000년 408 억 달러에서 2배 이상 확대

- 2000년말 현재 중국에 유입된 외국인 직접투자 누계는 총 36만여 건, 계약

액 기준 6,761억 달러, 실행액 기준으로는 3,468억 달러

중국의 외국인 직접투자 유입 추이

(건, 억 달러, %)

1997 1998 1999 2000 누계(2000년말)

건수 21,001 19,799 17,100 22,532 363,776

계약액 510 521 412 627 6,761

실행액 453 455 404 408 3,468

자료: 중국통계년감 2001년판, 중국 대외무역경제합작부

□ 외국기업의 중국 투자진출 급증은 중국 산업구조의 고도화에 기여

-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산업구조 개편도 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

- 산업구조 재편 과정에서 국내 취약산업이 붕괴되고 중국 산업구조의 양극화

가 심화될 가능성

·외국 선진기업들(고부가가치 산업) vs 경쟁도태 기업(저부가가치형 산업)

□ 중국정부는 WTO 가입이후 방직, 의류 등 중국이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산업

이 생산과 고용 등에서 가장 큰 이익을 얻을 것으로 전망

- 방직, 의류산업이 WTO 가입의 최대수혜 산업으로 생산, 고용, 수출 증가

·향후 2005년까지 방직, 의류산업의 생산은 각각 26%, 74% 증가

·고용은 각각 282 만명, 261 만명 신규 창출

·수출도 각각 64%, 214% 증가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10

- 농업, 자동차 등은 타격 예상

·시장개방 확대로 2005년까지 농업, 자동차는 각각 10%, 15% 생산 감소

·고용은 각각 1,000만명, 50만명 감소

·특히 농업무역 자유화 및 농산물 수입 관련 약속 이행에 따라 농민수입 감

소와 고용 감소 우려

중국 WTO 가입의 산업별 생산·고용 영향

산업별생산액 증가

(%)

고용 증가

(만명)수입(%) 수출(%)

제조업

방직 25.5 282.0 85.7 63.8

의류 74.0 261.0 124.4 214.1

석유화학 3.8 58.9 26.8 14.4

자동차 -15.1 -49.8 105.1 -7.8

정유 -3.5 -3.1 35.1 -6.8

전자제품 -4.7 -10.9 5.2 -5.2

철강 -1.7 -4.2 1.6 -5.7

상업 및 유통업 1.8 261.5 4.0 -0.8

농업

소맥 -9.0 -540 205.5 73.3

면화 -12.6 -498 426.6 209.4

비곡물산품 1.8 151 10.9 1.1

자료: 국무원 발전연구센터(1999.11)

양평섭(2000.12), 중국의 WTO 가입 이후 산업별 개방계획과 그 영향, KIEP

주: 1998년과 2005년을 비교

□ 제조업 부문에서 시장개방 확대와 경쟁 격화로 구조 고도화가 진전

- 특히 정보통신, 석유화학, 자동차 등 중국의 기간산업에 큰 영향

·이들 산업은 생산규모와 기술수준 면에서 외국 선진업체에 크게 뒤지고 있

어 국제경쟁에 따라 도태와 구조재편이 불가피

- 정보통신산업은 중국의 WTO 가입과 관련하여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될 산업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11

중 하나

·중국 정보통신 시장의 개방은 세계유명 정보통신업체 및 설비 공급업체에게

대규모의 시장을 제공

·외국기업의 대거 진출로 구조 고도화 가속

- 석유화학산업은 국제적 경쟁에 노출됨으로써 체질개선의 기회

·산업 특성상 대규모 자본투자가 필요하여 세계적인 대형기업들의 직접투자

증가

·대형 기업들의 경쟁과 국내 업체의 재편 진전

- 자동차 업계의 재편과 구조조정이 가속화

·현재 중국의 자동차 업계는 매우 영세한 수준

·활발한 M&A 및 소형 자동차 회사의 대거 도산

·외자와의 합자 자동차 회사의 대폭 설립으로 자동차 업계의 전반적 기술수

준 향상 및 대폭적인 가격 인하 예상

□ 금융, 유통 등 서비스산업의 발전 자극

- 금융, 유통, 물류 등 소프트 인프라가 발전하고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는

금융서비스 분야의 경쟁력이 강화되는 계기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선진 금융기관들의 진출 확대로 중국 금융산업의 낙후

성 탈피에 도움

- 은행, 보험, 도소매 유통의 영업 범위와 지역제한을 완화함에 따라 선진기업

들이 진출을 확대

·관련된 각종 제도·법규의 정비 진전으로 향후 산업 발전기반의 구축 계기

- 진행되고 있는 금융개혁을 가속화

·은행업의 대외개방 가속으로 경영관리체제가 낙후되어 있는 부실 국영 상업

은행 경영에 대한 도전과 위기의식을 제고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12

- 호텔 등 서비스 관련 산업에서의 M&A 증가 및 서비스산업에서의 가격인하

와 질적 수준의 제고도 기대

WTO 가입 이후 중국의 주요 산업별 영향

산 업 영 향

농업 - 농민소득 감소 및 농업 고용인구 감소

제조업

정보통신

- 세계유명 정보통신업체 및 설비 공급업체에 대규모

시장 제공

- 특히 미국기업의 대거 진출 예상

- 산업구조 고도화 기여

가전산업- 이미 국내외 업체의 경쟁이 치열한 산업

- 세계 유명브랜드의 경쟁 격화

석유화학- 장치산업 특성상 대규모 자본투자 필요

- 세계적 대형기업들의 진출 증가, 국내업계 재편

자동차 - 활발한 M&A, 도산 등 업계 재편 가속

금융·서비스- 진행되고 있는 금융개혁 가속

- 서비스산업 발전 자극

□ 산업구조 재편(고도화) 과정에서 중국기업의 탈락과 경쟁력 제고가 동시에

진행

- WTO 가입을 계기로 중국의 경제환경은 시장원리와 경쟁이 보다 확산될 것

이므로 이에 따라 중국 기업들도 영향을 받게 될 전망

- 관세장벽을 포함한 보호막의 제거 또는 완화는 기술·자본·인력·경영기법

등에서 상대적으로 열위에 있는 영세한 중국기업들에 상당한 충격으로 작용

□ 외국 선진업체들의 진출에 따른 경쟁에 따라 경쟁력 없는 중국기업의 대거

퇴출이 불가피

- 부실기업 파산과 금융기관 도산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13

·진행중인 국유기업 및 금융 개혁과 맞물려 단기적으로 상당수 기업들의 도

태 예상

□ 단기적으로는 사회적 불안 제고와 함께 정치적 불안정도 야기 가능

- 영세한 중국업체들의 도산 증가로 실업이 증폭

- 국내시장 잠식과 국내 산업기반 붕괴로 경제의 이중구조화 심화 우려

□ 그러나 경쟁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국내기업의 경쟁력이 제고될 전망

- 비효율적 적자기업들이 정리되고 기업들의 체질개선과 전반적 구조 고도화

달성

3 . 중국 경제의 경 쟁력 강화

□ 중국의 WTO 가입은 장기적으로 중국경제의 경쟁력 강화 및 산업고도화에

결정적 전환점으로 작용하여 성장률 제고에 기여

- 경제체제에서의 시장메카니즘 확대로 자원배분의 효율성 향상

- 국제자본과 선진기술의 도입 증가로 장기성장 전략에 필요한 기반을 구축함

으로써 중국경제의 성장잠재력을 제고

- 또한 국제자본을 유치하여 낙후된 서부지역을 집중 개발함으로써 잠재성장

력 향상 및 국토의 균형발전도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

□ WTO 가입에 따른 시장 확대, 관세율 인하 및 각종 규제 철폐 등으로 인해

중국의 GDP 성장률은 0.5~0.6%p 높아질 것으로 전망(중국 사회과학원)

- GSP(일반특혜관세) 혜택, 대중국 무역규제 철폐 등으로 중국의 수출도 증가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14

- WTO 가입을 계기로 무역 확대, 외국인 투자 증가에 따라 향후 20년간 중국

경제는 연평균 7~8% 대의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중국 국무원 발전연

구소)

□ WTO 가입에 따른 중국경제에의 영향은 '양날의 칼'과 같이 상반된 측면이

있으나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

- "투명해진 투자환경으로 외자유치가 증가하고 중국제품의 경쟁력이 향상될

것"(국무원 발전연구중심 쟝샤오지(張小濟) 박사)

□ 눈에 보이지 않는 제도나 관행 등의 개선도 중국경제의 체질강화와 경쟁력

제고에 기여

- 제도, 관행, 법규 등의 개선과 투명성 제고

·정책운영의 자의성이 줄어들고 법치에 따른 명확성 증가

- 글로벌 스탠더드의 정착

·무역 및 대외경제 관련정책이 국제적 수준에 부합되게 정비됨으로써 교역

및 중국내 사업환경이 전반적으로 개선

- 부정부패 등 기업운영과 관련한 비효율적 비용 감소

WTO 가입에 따른 중국경제에의 종합적 영향

긍정적 부정적

경제 전반

- 개방확대, 규제철폐로 성장제고 효과

- 경제 구조조정(개혁) 가속화

- 중국경제의 경쟁력 제고

※ 성장률 0.5~0.6% 제고 효과

- 개방에 따른 실업 증가

- 정치·사회적 불안 우려

무역

- 무역환경 개선, 무역확대

- 가격하락으로 소비자 후생 증대

※ 무역규모 2005년 7,000억 달러

- 외국 선진제품에 의한 국내

시장 잠식

- 고급제품 수입 증가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15

투자

- 정책투명성 제고 등 사업환경 개선

- 외국인투자 증가

※ 외국인투자 2005년 1,000억 달러

- 국내 취약산업 붕괴

산업·기업

- 정보통신, 전자 등 첨단산업 발전

- M&A, 구조조정 가속화

- 산업구조 고도화

- 기업 경쟁력 강화와 체질 개선

- 부실 기업·금융기관 파산

가속화, 그로 인한 불안정

- 산업구조의 이중성 심화 우려

Ⅲ.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 대중국 수출, 투자 기회의 확대

- 2005년 한국의 대중국 수출액은 2000년의 2배 이상 확대된 450~500억

달러에 달할 전망

□ 국내외 시장에서의 경합관계 심화

- 중국산 저가 제품의 한국수입 급증

- 투자진출 기업의 중국시장에서의 경쟁 격화

- 제3국 수출시장에서의 한국상품 점유율 잠식

□ 중국의 WTO 가입은 한국경제에 '혼합된 축복'으로서 기회와 경쟁의 양면성

□ 중국의 WTO 가입에 따라 한국 경제는 대중국 수출, 투자 기회가 확대되는

한편 경쟁에 직면

- 중국시장에서의 경쟁 격화 및 제3국 수출시장에서 중국제품과의 경쟁

- 장기적으로 중국산업의 경쟁력 강화로 한계산업의 퇴출 가속화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16

중국의 WTO 가입에 따른 한국경제에의 영향

중국의 WTO 가입

대중국 수입 증가대중국 수출 증가

무역자유화 확대

대중국 투자 증가

외국인투자 자유화

투자환경 개선

중국시장에서의

경쟁 심화

대중국 수출 둔화

對3국 수출 둔화

산업구조 구도화

-중국산업·기업의

경쟁력 강화

경제성장률 상승

외국인직접투자

위축

산업별

-한계산업 퇴출

-구조고도화 기회

중국경제의

위상 강화

중국

한국

1 . 대중 국 수 출 및 중 국시 장 진 출의 확대

□ 중국의 WTO 가입 이후 중국시장의 개방 확대에 따라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

출 증가가 예상

- 직접적인 효과로는 관세율 인하 등 중국 수입시장의 개방 확대에 따른 대중

수출의 증가

·중국의 관세율 인하로 인한 대중국 수출의 직접적 증가분은 약 12~15억

달러로 추정

·이같은 수출 증가분은 한국 총수출액의 1% 미만이나 대중국 수출액의 7~

10% 규모

- 동태적인 측면까지 고려한다면 WTO 가입에 따른 중국의 성장 제고로 인한

수입증가와 투자 활성화에 따른 수입증가 등 간접적 효과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17

《 중국의 시장개방(수입증가)에 따른 한국의 대중 수출확대 추정 》

□ 양국의 수출입함수를 소득과 가격 만의 함수로 단순 가정하고 양국의 수출

입 함수를 연결(극단적인 부분균형 분석)

- 중국의 수입함수를 한국 수출함수의 직접변수로 추정

- 중국의 수입변화가 한국의 수출변화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

- 중국 수입함수 내에서의 변수 변화는 무시

- 한국의 가격은 불변

기관별 한국의 대중국 수출 확대 추정

기관 추정 결과

한국은행

- WTO 가입 및 올림픽 유치 등에 따른 중국의 경제성장률

상승과 관세인하 등으로 대중국 수출 연평균 19.8억 달러

(2002-2008년 총 139 억 달러) 증가

- 상품수지 2002~2008년 평균 11.2억 달러 개선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관세인하 영향으로 대중국 수출 13억 달러, 수입 3억 달러

증가, 무역수지 9.6억 달러 개선

삼성경제연구소- 중국의 관세율 인하로 인한 우리나라 대중국 수출의 직접적

증가분은 약 12~15억 달러

자료: 한국은행(2001.9), 중국의 WTO 가입 및 올림픽 개최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

방향

대외경제정책연구원(2001.11.8), 중국 WTO 가입의 경제적 효과와 정책 시사점

- 특히 고급 A/V, 컴퓨터 등 정보가전, 반도체, 통신기기, 석유화학제품 등의

수출 증가 기대

한국의 대중 주요 수출품목의 관세율 인하 계획

품목 현행 관세율 관세인하 계획

제조업 평균 15.3% 평균 5~6%p 인하

가전제품 30~35% 가전제품은 평균 절반 정도 인하 전망

정보가전, 통신기기 13.3%반도체, 컴퓨터, 통신기기 등 첨단제품

은 2005년까지 무관세화(0%) 계획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18

전기·전자 부품 8~12% 이미 낮은 세율로 인하폭은 소폭 예상

자동차(완성차)

부품

80~100%

35~50%

25%

10%

석유화학, 화학 8~18% 6~8%

철강 8~9% 5~6%

섬유, 의류, 직물 20~32% 10~16%

□ 이에 따라 한국의 대중국 수출은 2005년에 2000년 184억 달러보다 2배 이

상 확대되어 450~500억 달러에 달할 전망

- 93년 이후 계속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대중국 무역흑자(현재 연간 50~60억

달러 규모) 기조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

- 현재 중국은 미국, 일본에 이어 한국의 3대 교역국으로 한국의 대중 무역액

규모는 2000년 312 억 달러로 한국 전체 무역액의 9.4% 비중

·한국의 전체 수출에서 대중 수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10% 수준

한국의 대중국 교역추이

(억 달러, %)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 1~6

대중무역액(A)

대중수출(B)

대중수입

무역수지

237(18.9)

136(19.3)

101(18.5)

35

184(-22.2)

119(-12.0)

65(-35.9)

55

226(22.8)

137(15.1)

89(36.9)

48

312(38.1)

184(34.9)

128(44.3)

56

224

131(2.1)

93(3.3)

38

총무역액(A※)

수 출(B※)

수 입

무역수지

2,808

1,362 (5.0)

1,446(-3.8)

-85

2,256

1,323 (-2.8)

933(-35.5)

390

2,639

1,442(9.0)

1,197(28.3)

245

3,328(26.1)

1,723(19.9)

1,605(34.0)

118

2,117

1,089(-9.2)

1,028(-10.0)

61

비중(A/A※) 8.4 8.2 8.6 9.4 10.6

비중(B/B※) 10.0 9.0 9.5 10.7 12.0

주: ( )안은 전년대비 증가율

자료: 한국무역협회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19

□ WTO 가입을 계기로 신규 사업의 개방이 확대되고 중국의 투자환경도 현저

히 개선될 것이므로 대중국 투자도 확대될 전망

- 대중국 사업기회의 확대

·정보통신 등 고부가가치 산업 및 금융, 서비스시장 등의 개방

- 제반 투자관련 법규의 정비 및 내국민대우 원칙의 확고한 정착

□ 최근에는 중소기업보다 대기업 및 중견기업들을 중심으로 대중국 투자가 증

대되고 있는 추세

- 지역적으로도 과거의 산동성, 동북 3성(길림성, 요녕성, 흑룡강성) 위주에서

벗어나 상해, 강소성 등 발전이 빠른 지역으로 확대

- 중국은 현재 우리의 최대 투자대상국으로 부상하여 누계로 미국에 이어 2번

째 투자국

·2000 년말 현재 누계(실행액 기준)로 4,800여건, 44억 달러 규모로 한국 전

체 해외투자의 17%

한국의 대중국 투자추이(실행 기준)

(건, 백만 달러,%)

95년 96년 97년 98년 99년 2000년 누계

건수

금액

737

822

718

824

611

629

232

620

398

183

692

307

4,865

4,422

資料: 한국은행, 해외직접투자 통계연보

재정경제부, 재정금융통계

2 . 국내 외 시 장에 서의 경합 관계 심 화

□ 국내시장에서는 가격경쟁력에서 우위에 있는 중국의 저부가가치 제품들의 수

입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20

- 섬유, 의류, 신발, 완구 등 저가 소비재

□ 특히 저가 중국산 농산물의 한국수입 급증으로 농업분야 타격 예상

- 중국은 20여년 전부터 우리 입맛에 맞는 자포니아 계통의 품종을 들여와 재

배중

·향후 한국으로의 쌀 수출을 본격화할 태세여서 한중간 갈등 예상

- 현재 동북 3성의 쌀 생산량이 늘어나고 있어 우리에게 잠재적 위협

·동북 3성은 강수량은 적지만 일조량이 많아 양질미 생산에 유리

·벼 재배면적만 우리의 2.5배이며 2000 년말 현재 누적재고가 9,400만톤, 동

북쌀의 가격은 우리 쌀의 5~6 분의 1에 불과

- 쌀 이외에도 대두, 참깨, 고추, 마늘 등 중국의 저가 농산물 수입급증 예상

·2000 년 대중 수입액 128 억 달러 중 농림수산물이 14억 달러(10.9%) 를 차

- 중국의 WTO 가입 이후 한국의 농산물 수입억제정책에 한계

□ 중국시장에서의 사업은 세계적 선진기업들의 중국 진출이 더욱 증가할 것이

기에 기회의 확대 만큼 더욱 치열한 경쟁에 직면

- 중국시장이 곧 세계시장으로 세계적 기업, 초일류 브랜드들과 경쟁

- 새로이 개방이 확대되는 첨단산업 분야나 서비스업종에서 우리 나라의 경쟁

력은 다국적기업에 비해 열위

□ 제3국 수출시장(주로 미국시장)에서는 중국제품과의 경쟁격화로 인한 수출감

소가 예상

- 경쟁력이 제고되는 중국산 제품과의 경쟁 심화로 인한 수출감소 효과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21

- 미국시장에서 중국상품에 의한 한국제품 구축현상이 이미 나타나고 있음

·중국의 점유율 95년 6.1% → 2000년 8.2% 로 증가 추세

·한국의 점유율 95년 3.3% → 2000년 2.3% 로 감소 추세

미국 수입시장에서 한국·중국 제품의 시장점유율 추이

8.287.87.2

6.56.1

2.32.42.62.72.93.3

0

1

2

3

4

5

6

7

8

9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점유

율(%

)

중국

한국

자료: US Census Bureau 및 KOTIS 통계에 기초하여 계산

3 . 산업 별로는 차 별적 영향

□ 우리의 경쟁력 정도에 따라 우리 나라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차별적으로 나

타날 전망

- 중국에 비해 경쟁력이 있고 중국내 수요확대가 지속되며 신규개방되는 고부

가가치 분야는 수혜 예상

·자동차, 철강, 정보통신, 석유화학, 고급가전 등이 수혜 예상

- 이미 중국에 비해 경쟁력을 상실했거나 중국제품과의 경쟁으로 도태될 가능

성이 있는 저부가가치 분야는 타격 예상

·중저가 섬유·의류, 백색가전, 농업, 신발, 완구 등

□ 이미 중국이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한 가전이 가장 치열한 경쟁을 벌일

것으로 예상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22

- 성숙기에 돌입한 중국 가전업계는 외국기업에 의한 중국 내수시장 잠식보다

는 중국 제품의 수출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

·중국은 2000년 가전 부문 생산액이 177 억 달러에 달해 일본을 제치고 세

계 1위로 도약

·일반 가전제품은 품질 면에서도 선진국 수준에 근접해 있으며, 가격도 경쟁

국에 비해 10∼15% 가량 저렴

- 한국은 완전평면TV, PDP(벽걸이형) TV, 양문 여닫이형 냉장고 등 고부가

가치 시장으로 전환하였으나 중국으로부터 위협이 지속

·중국 가전업체들이 내수시장에서의 가격경쟁으로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어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을 촉진 중

·기술력의 부족 보다는 양산체제 미비가 이유이기 때문에 조만간 첨단 가전

시장에서도 중국과 무한경쟁이 예상

□ 반도체는 중국의 WTO 가입에 따른 영향이 거의 없고, 아직까지는 중국이 경

쟁상대로 등장할 수 없는 상황

- 중국은 전세계 반도체 수요의 5%에 불과하기 때문에 중국의 시장개방에 따

른 효과는 미미

- 현재 기술수준도 우리나라가 절대적 우위

□ 자동차는 경쟁력 우위를 바탕으로 중국시장 확대의 기회

- 중국이 연간 200만대의 승용차 생산으로 세계 8위의 자동차 생산국이 됐지

만 기술은 아직 유아기 수준

·향후 10년여 동안은 중국에 비해 기술우위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

- 중국의 자동차 수요는 무한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어 수출확대가 기대

·현재 자동차 소유비율은 1,000명당 4명으로 수요가 미미

·경제발전과 더불어 마이카시대가 열릴 경우 한국에게 큰 기회를 제공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23

- 대형차보다는 소형차의 수요가 훨씬 많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국내 자동차

업계에게 기회의 장

·한국은 소형차의 경우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

·GM의 대우차 인수 전략도 소형차 생산의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는 대우를

이용하여 중국시장을 점령하려는 장기 포석

□ 조선은 현재 한국의 주력산업 중 가장 위협을 많이 받고 있는 산업으로 장기

적으로 어려움이 예상

- 중국의 WTO 가입에 따른 단기적 영향은 미미

·수주 선종의 차이로 중국과 경쟁이 거의 없음

·중국의 덤핑수주의 제약 등 일부 호재의 요인이 있음

- 장기적으로 조선은 전형적인 노동집약형 산업이기 때문에 중국의 저임 노동

력의 위협이 가장 큰 산업

·2005 년 한국 조선산업의 근로자 평균 연령이 42세로 한국이 일본을 추월

한 시기의 일본 평균 연령과 동일

- 중국도 국내여건을 바탕으로 조선산업에 대한 투자를 강화

·중국 산업의 발달로 물동량 증가에 따른 수요가 확대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고용확대 기회를 제공

- 이미 중국은 선박수리 부문에서는 한국을 앞질렀고, 소형 선박 건조 부문에

서도 한국의 강력한 경쟁자로 부상

·중국은 현재 세계 조선 수주량의 10%로 한국, 일본에 이어 3위의 조선대국

으로 부상

□ 철강은 중국의 WTO 가입으로 이익을 볼 산업

- 중국내 철강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데 비해 한국은 공급과잉 상태

·중국은 그동안 자국 철강산업 보호를 위해 사용한 관세 또는 비관세 장벽이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24

WTO 가입으로 활용 불가능

- 2000년 현재 중국의 철강 소비량은 1억 4,000만톤, 연간 300 만톤씩 증가

·생산량 1억 2,500만톤으로 공급부족이 심화

·고급강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한국은 세계최고 수준의 철강생산

국이고 지리적으로도 중국과 가장 가까운 이점

중국의 WTO가입에 따른 한국의 산업별 영향

한국경쟁력 산업 내용

경쟁력 상실

농 업 -쌀 등 저가 농산물 수입 급증 예상

섬 유

의 류-천연섬유 국내수입 급증, 중국산의 미국시장 잠식

신 발

완 구

-가격경쟁력 상실

-해외 시장잠식 지속

경쟁력 대등 가 전-저가의 백색가전 경쟁력 상실

-고급(디지털, 정보)가전의 대중 수출 증가

경쟁력 우위

조 선-현재로는 건조선종 차이로 직접적 영향은 미미

-장기적으로는 중국의 투자 확대로 우려

자동차-관세 인하 등으로 자동차·부품 수출 증가

-소형차 수요증가 예상으로 국내업체 기회증진

석유화학 -관세인하, 수요증가로 대중수출 증가

철 강

-중국내 철강수요 급증

-중국이 그동안 사용한 관세 및 비관세 장벽 폐지로

한국의 공급과잉 해소의 기회

-특수강은 대중수출 증가, 일반강은 중국산과 경쟁

정보통신-통신서비스시장 개방으로 통신기기 수출 증가

-한국의 우월한 경쟁력

반도체

-직접적인 영향은 미미

-해외기업의 중국진출에 따른 전자기기 수요 증가시

반도체 수출 증가

금융/유통 -진출기회 확대되나 국내업체 경쟁력 열위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25

□ 한편 국제자본의 한국 투자 기피로 장기적으로 한국 제조업의 공동화도 우려

- 중국내 사업환경이 좋아짐에 따라 한국을 투자처로 삼던 외국인 직접투자가

중국으로 선회

·최근 외국인 투자자들의 한국 투자환경에 대한 신뢰도는 저조

- 한국내 생산기지의 중국 이전

·한국에 진출한 다국적기업들이 생산기지를 중국으로 이전하고 한국 제조업

체들의 중국 진출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한국 제조업의 공동화가 우려되며,「중국생산 →해외수출」이 확대되면서

한국기업의 해외수출 시장도 잠식

□ 중국의 WTO 가입은 한국에게 '혼합된 축복'(mixed blessing)으로서 한국경

제에 미치는 영향은 기회와 경쟁의 양면성을 지니고 있음

- 단기적으로는 수출 및 사업기회 증진으로 호재

·중국에 대한 수출 및 직접투자 증가

- 장기적으로는 더욱 치열해지는 경쟁에 직면하게 되어 저부가가치 분야의 산

업은 중국제품 추격으로 도태될 가능성

·중국경제의 산업구조 고도화와 중국기업의 경쟁력 강화로 중국은 장기적으

로 우리와 보완관계 보다 경쟁관계의 측면이 점차 부각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측면

무역

- 직접효과

·중국의 시장개방 확대로 대중국 수출 증가

- 간접효과

·중국의 성장 제고, 대중 직접투자의 확대 등으로 인한 유발효과

투자

- 대중 투자환경 개선

·정책 정비, 신규산업 개방

- 대중국 사업기회 확대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26

부정적

측면

무역

- 중국시장에서의 경쟁 격화

- 수출감소 효과

·미국 등 주요 수출시장에서의 시장점유율 잠식으로 인한 퇴출

투자

- 경쟁 가속화

- 경쟁력을 갖추지 않으면 대중국 사업의 상당수 도태

- 다국적기업들 투자의 한국 → 중국으로 선회

Ⅳ. 시사점 및 대응방향

1 . 시사 점

중국의 W TO 가입은 세계경제 회복에도 기여

□ 중국의 WTO 가입은 중국 뿐만 아니라 세계경제 전반적으로 경제적 후생을

증대시킬 수 있는 Win-Win 게임

- 세계은행 추산에 따르면 중국이 WTO에 가입함으로써 얻게 되는 복리후생의

증대액은 중국이 2005년에 830억 달러이고 기타 세계는 중국보다 더 큰

이익을 향유

·중국을 제외한 세계의 후생 증대액은 3,400억 달러로 중국의 약 4배

□ 중국의 시장확대는 세계경제의 회복에 기여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

을 것임

- 중국시장의 수요 확대 및 새로운 수요의 창출은 전반적 침체국면에 빠져있는

세계경제에 활로를 제공

- 세계자원의 중국이동 가속화

·특히 최근 미국 테러사태 이후 전세계가 불안한 상태에 빠져 있는 가운데

중국은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은 안정적 시장으로서 국제자본이 집중될 가능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27

□ 아시아지역에서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지역화가 진전되면서 아시아경제의 회

복에도 호재로 작용

- 대만, 홍콩, 싱가폴 등 중화경제권의 경제통합 진전

·중국의 동남아경제에 대한 영향력도 강화

- 한국, 일본, 중국 등 동북아 3국의 경제교류 확대로 이들 지역의 경제회복에

기여

중국 사업환경의 장기적 개선 기대

□ 기업으로서는 WTO 가입을 계기로 향후 중국의 전반적 시장환경이 개선됨에

따라 장기적인 대중 무역·투자여건이 좋아진다는 사실이 중요

- 중국시장은 장기에 걸쳐 사업대상이 되는 거대시장

·제도 및 정책의 투명성과 일관성 제고, 사업환경의 장기적 예측 가능성 등

으로 대중국 사업의 안정성 제고

□ 한국의 입장에서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중사업을 보다 안정적으로 일관되게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

- 그동안 중국은 시장의 규모와 잠재력 등에도 불구하고 대외경제 관련 정책의

자의성과 불투명성, 정치·경제적 불안정성 등이 해외투자자들에게 가장 큰

문제로 인식되어 왔음

- 물론 WTO 가입에 따라 하루아침에 중국의 사업환경이 변하는 것은 아니며

장기적으로 개선되어갈 것임에 유의

장기적으로 한국산업의 상대적 경쟁력 약화 우려

□ 중국의 급부상에 따라 한국산업(경제)의 위상이 약화될 가능성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28

- 중국은 시장으로서의 역할과 함께 우리의 경쟁자로서의 지위 강화

- 외국 선진기업들이 아시아의 전략적 생산기지로서 한국보다 중국을 택할 가

능성이 큼

□ 장기적으로 중국 산업의 경쟁력 강화로 우리나라의 경쟁력을 추격

- 우리나라의 섬유·의류, 백색가전 등 기존 한계산업들의 도태 가속화

- 아직까지 비교우위가 있는 산업들도 우리가 경쟁력 제고와 구조정 노력을 게

을리하면 추격의 기간이 빨라질 우려

- 중국의 WTO 가입은 우리 나라에 기회와 위험의 양면성을 지니며 기회를 활

용하지 못하면 중장기적으로 경쟁에서 도태되는 사태가 발생

2 . 대응 방향

전략적이면서 구체적인 대응이 절실한 시점

□ 중국의 WTO 가입은 70년대 이후 계속된 발전과 개방정책이 결실을 맺은 것

으로서, 앞으로 거대 중국의 용틀임이 한층 가속

- 1970년대말 경제특구 지정이 제1차 개방이라면 WTO 가입은 중국의 제2차

개방

- 중국이 세계경제에 본격 편임됨으로써 경제대국으로의 부상이 가속되고 국

제질서에 대한 영향력도 확대

□ 중국의 개방과 부상이 결코 새로운 사실은 아니지만,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대응의 고삐를 늦추지 말아야 함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29

- 90년대 중반 국가적 화두로 세계화를 내세웠지만 슬로건에 그친 결과 IMF

사태라고 하는 큰 실패를 경험

·중국경제 부상도 80년말부터 국내에서 대응책이 논의되어 왔음

- 중국의 WTO 가입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다시 실패를 반복한다면 우리 경제

의 미래는 극히 암울

·테러전쟁 이후의 질서변화, 미국ㆍ유럽ㆍ중국의 3극체제 태동, 유로화 통용,

이슬람권의 단합(이 경우 유가상승 우려) 등을 동시에 직시

- 국가차원의 Grand Design, CEO의 기업전략, 산업현장의 구체적 행동, 국민

의식 개조 등이 모두 필요한 시점

·외부의 큰 변화나 충격이 있을 때 내부 리더십이 약하고 갈등과 혼란이 만

연하면 순식간에 쇠락하게 됨

□ 중국이 부상하면 국내에서 이해관계가 상충되는 부분이 등장할 것이므로 여

기에 대응해야 함

- 전통제조업의 실업 증가, 농산물 수입 확대 등에 대한 대책을 마련

- 국내에서 공감대를 형성하고 사회통합을 이루어야 효과적 대외협상이 가능

세계화와 역내협력을 동시에 추구

□ 중국의 영향력이 커지는데 대응하여 우리는 세계화와 역내협력을 동시에 추

구해야 함

- 우리 경제는 앞으로도 세계화 흐름에 편승하여 성장해야 하며, 미국, EU 등

업체들과의 협력을 계속 강화해야 함

·주요 교역대상국과 경제협력을 확대하고, FTA( 자유무역협정) 체결을 전향

적으로 검토

·미국과 유럽의 앞선 기업들에게 한국을 동북아 거점으로 제공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30

(지역본사, 조립공장, 고객서비스 센터, 첨단연구소 등을 유치)

- 중국, 일본, 아세안 등의 역내협력 확대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유의

·성숙기술을 후발국에 이전하는 등 상대국에 대해 Win-Win 자세로 임해야

·실리가 없는 정치현안은 경제문제로부터 분리하여 대처

- 중국이 '세계로 뻗어나가는 창(window)'으로 한국을 활용할 수 있도록 출입

국, 상거래, 토지사용 등에서 메리트를 제공

□ 특히 중국, 대만, 홍콩, 동남아 화교자본을 포함하는 중화경제권에 대해 포괄

적으로 접근

- 중화경제권을 대상으로 하는 국가ㆍ기업 전략을 설계하고 상징적 사업을 전

·해외 화교기업들과 공동으로 중국 서부개발사업 등에 참여

- 핵심인사들과 인맥을 형성하는 한편 전문인력을 양성

- 국내에 화교자본을 유치하고 제3국에 공동진출하는 등 협력을 강화

·금융, 부동산, SOC 투자 등이 단기적으로 유치가 용이한 분야

국내 산업구조조정으로 중국과의 차별성 유지

□ 중국의 부상에 대응하여 산업구조 고도화를 한층 가속화하고, 업종별 특성에

맞게 전략을 차별화

- 경쟁력을 상실하였고 회생 가능성이 없는 업종은 과감하게 중국으로 이전하

거나 설비ㆍ기술을 매각

- 전통산업은 경쟁력을 높이고 고부가가치 부문에 특화하여 중국의 추격에 대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31

- 부품, 중간재, 산업설비 등에서 기술을 혁신하고 엔지니어링 능력을 키워서

중국의 거대시장을 공략

- IT 등 신산업은 세계 톱 수준을 견지하고 중국 시장의 기회를 선점

·반도체, LCD, CDMA기기와 서비스 등

- 그밖에 단순한 제조상품이 아닌 소프트의 수출을 위해 노력

·문화산업 진출을 강화하고 문화마케팅을 경쟁우위 포인트로 활용

□ 중국기업과의 제휴를 확대하고 수평적ㆍ수직적 분업을 강화

- 국내기업들은 서구 및 일본의 기술을 받아들여 이를 양산ㆍ수출한 경험이 있

으며, 이는 현 단계 중국기업에게 크게 도움이 됨

- 한중 산업협력을 국내산업 구조고도화의 계기로 활용하고 수평적, 수직적 분

업을 강화

·중국은 시장규모가 크고 고객층이 다양하여 국내기업과 중국기업간의 분업

가능성이 높음

(예를 들어 고급은 국내기업 생산-중국기업 현지 판매, 저가는 중국기업 생

산-국내기업 수출 등)

기업들은 중국 부상이 주는 기회와 위협을 정면돌파

□ 중국의 WTO 가입은 우리 기업들에게 위협이면서 좋은 기회이기도 함

- 국내기업에게 중국이라는 강력한 경쟁자가 부상했고, 동시에 거대시장 출현

은 현 난국을 탈출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임

·미국 등 세계경제 침체, 부실 누적, 기업가정신 쇠퇴 등으로 인해 중국시

장 외에는 다른 기회를 찾기 어려움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32

- 국내기업들이 수년전부터 중국시장에서 성공과 실패의 경험을 축적해 온 관

계로 진출 의지만 확고하다면 가능성은 충분

□ 기업도 대중 진출 전략을 치밀하게 설계하여 성과를 극대화

- 경영의 중심을 중국을 포함한 동북아 내지 아시아권으로 점차 이동

·테러전쟁 이후 중국 등 아시아권의 부상이 더욱 가속

- 중국시장에 대한 조사를 강화하고, 고부가가치 제품 수출과 현지 영업력 강

화에 주력

- 중국시장 전문가를 육성하고 중국내 전문가들과 네트워크를 구축

- 중국 정부, 국영기업, 유망 민간기업들과 협력을 강화하면서, 당분간 큰 이익

이 되지 않더라도 상대방이 원하는 사업을 지원

중국의 W T O 가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