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02 융합시대의 번호자원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 2 는 점에서 큰 의미를...

207
의 번호자원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2008. 12 나성현/김봉식/전수연/김지영 기본연구 08-02

Upload: others

Post on 13-Oct-2019

5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융합시대의 번호자원 관리방안에대한 연구

2008. 12

나성 /김 식/ 수연/김지

기본연구 08-02

서 언 1

서 언

번호는 음성통신서비스 제공에 필수 으로 요구되는 자원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

안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통신정책들과 비교해 번호자원 리의 요성이 부각되어

오지 않은 것이 사실입니다. 여기에는 많은 이유들이 있겠지만 무엇보다 번호가 필

요한 경우에 언제든지 국가가 이를 부여할 수 있다는 믿음, 즉 번호는 무한히 사용

할 수 있는 자원이라는 인식이 바탕에 깔려 있기 때문이었다고 생각됩니다. 그러

나, 번호는 주 수와 같은 물리 인 제약에서는 비교 자유로운 반면, 번호자원의

확충에 요구되는 사회 비용이라는 것이 존재한다는 측면에서 분명 유한한 자원으

로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번호확장에 따른 자리수의 증가가 기존번호의 변경에 따르

는 직간 비용과 이용자의 인지능력에 기인한 심리 비용 등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며, 이와 같은 번호자원의 유한성은 번호가 그 사용에 있어서의 효율성이 마

땅히 강조되어야 하는 요한 공공자원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본 연구는 융합 All-IP라는 통신시장의 환경변화가 번호정책에 미치는 효과와

이에 따라 요구되는 번호정책 개선방안에 한 연구를 담고 있습니다. 지난 수년간

통신시장을 통해 왔던 융합 All-IP라는 시 인 흐름은 번호자원의 리에도

요한 시사 을 던져 주고 있습니다. IP기반 서비스의 확산은 VoIP 등 신규서비스

에 어떤 번호를 부여할 것인가, 이들 신규서비스와 기존 서비스간의 번호이동성 제

도는 어떤 수 으로 용되어야 하는가, 신규서비스의 확산에 따른 유선번호체계

통합의 필요성 가능한 통합방안으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 번호자원의 부족에

응하기 해 번호이용료 등의 유인제도(incentive system)를 마련하는 것은 바람직한

가 등의 문제가 바로 그것입니다. 특히, 번호와 련된 기존의 연구가 번호이동성

제도, 그것도 이동 화 번호이동성 제도의 성과분석이라는 지나치게 한정된 주제에

머물 던 것에 비해 본 연구는 번호와 련된 제 이슈들을 정면에 부각시키고 있다

2

는 에서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나성 책임연구원, 김 식 책임연구원,

수연 연구원, 김지 연구원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한, 본 연구의 진행 과정에

서 자료수집 등 많은 도움을 주신 ‘번호 담반’ 참여자들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끝으

로,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All-IP 시 에 바람직한 번호정책의 모습을 그려가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본 연구의 내용에 한 발 인 충고와 비 , 그리고 아낌

없는 격려를 부탁드립니다.

2008년 12월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원 장 방 석 호

3

목 차

서 언 ····················································································································· 1

요약문 ··················································································································· 13

제 1 장 서 론 ····································································································· 19

제 1 연구의 배경 목 ··········································································· 19

제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연구방법론 ··················································· 21

제 3 본 연구의 구성 ···················································································· 22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 리 황 ································································ 23

제 1 번호자원의 특성 ·················································································· 23

제 2 국내 번호자원 리 황 ······································································ 25

1. 행 번호자원 리 법 규정 ·································································· 25

2. 국내 번호자원 리의 특성 ········································································ 27

3. 국내 번호자원 리 황 ············································································· 28

제 3 주요국 번호자원 리 황 ·································································· 49

1. 미 국 ········································································································· 49

2. 호 주 ········································································································· 56

3. 덴마크 ········································································································· 64

4. 국 ········································································································· 71

5. 일 본 ········································································································· 79

제 4 시사 ·································································································· 88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 89

제 1 All-IP와 음성통신서비스 제공 환경의 변화 ········································ 89

4

1. All-IP의 정의 특성 ················································································ 89

2. All-IP 추진 동향 ························································································· 91

3. All-IP와 번호 련 이슈 ·············································································· 93

제 2 인터넷 화 번호정책 ··········································································· 97

1. 주요국 인터넷 화 시장 동향 ···································································· 97

2. EU의 인터넷 화 규제 사례 ····································································· 102

3. 국내 인터넷 화 번호정책 ······································································· 114

제 3 유무선융합 등 신규서비스 번호정책 ················································· 128

1. FMC(Fixed-Mobile Convergence) 번호정책 ················································ 128

2. FMS(Fixed Mobile Substitution) 번호정책 ················································· 138

3. 와이 로 번호정책 ···················································································· 144

제 4 유선번호체계 통합방안 ······································································ 149

1. 유선번호체계 통합 필요성 ······································································· 149

2. 유선 화 번호통합방안 ············································································· 153

제 4 장 번호이용료 제도 사례 연구 ·································································· 161

제 1 번호이용료 제도의 의의 ···································································· 161

제 2 주요국 번호이용료 제도 황 ··························································· 162

1. 미 국 ······································································································· 162

2. 호 주 ······································································································· 164

3. 덴마크 ······································································································· 169

4. 홍 콩 ······································································································· 171

5. 싱가포르 ··································································································· 174

6. 기 타 ······································································································· 177

제 3 시사 ································································································ 182

제 5 장 결 론 ··································································································· 184

5

제 1 정책 시사 기 효과 ······························································· 184

1. 인터넷 화 번호이동성 제도 ···································································· 184

2. 신규서비스 번호정책 ················································································ 185

3. 유선번호체계 통합방안 ············································································· 185

4. 번호이용료 제도 ······················································································· 185

제 2 향후 연구과제 ···················································································· 186

참고문헌 ············································································································· 187

6

표 목 차

<표 2-1> 국내 유선 이동 화 번호체계 구조 ············································· 29

<표 2-2> 국내 화망 번호체계 ····································································· 30

<표 2-3> 국내 번호체계별 사용 용도 ······························································ 30

<표 2-4> 국내 번호체계별 번호부여 황 ························································· 30

<표 2-5> 0N0 번호계열의 용도 번호체계 ··················································· 31

<표 2-6> 030 통합메시징(UMS) 서비스 번호부여 황 ···································· 32

<표 2-7> 060 화정보서비스 번호부여 황 ··················································· 33

<표 2-8> 사업자별 인터넷 화번호 부여 황 ·················································· 33

<표 2-9> 080 수신자부담서비스 번호부여 황 ················································ 34

<표 2-10> 국내 특수번호 체계별 용도 리주체 ········································· 34

<표 2-11> 특수번호 10Y 사용 황 ···································································· 35

<표 2-12> 특수번호 11Y, 12Y 사용 황 ··························································· 35

<표 2-13> 특수번호 13YY 사용 황 ································································· 36

<표 2-14> 특수번호 14YY, 17Y~19Y 사용 황 ·············································· 37

<표 2-15> 특수번호 15YY 사용 황 ································································· 37

<표 2-16> 특수번호 16YY 사용 황 ································································· 38

<표 2-17> 기간통신사업자 국제 화 식별번호 부여 황 ·································· 39

<표 2-18> 기간통신사업자 국제 화 부가서비스 번호부여 황 ······················· 39

<표 2-19> 별정 국제 화사업자의 식별번호 부여 황 ····································· 40

<표 2-20> 기간통신사업자 시외 화 식별번호 부여 황 ·································· 41

<표 2-21> 기간통신사업자 시내외 화 부가역번호 부여 황 ··························· 42

<표 2-22> 별정 시외 화사업자의 식별번호 부여 황 ····································· 42

7

<표 2-23> 014XY 데이터망 식별번호 부여 황 ················································ 42

<표 2-24> 국번 총 황 ················································································· 43

<표 2-25> 지역 사업자별 국번호 부여 세부 황 ······································· 44

<표 2-26> 기간 별정 국번호 부여 세부 황 ················································ 45

<표 2-27> 이동 화 국번호 부여내역 ······························································· 47

<표 2-28> 2G 이동 화번호의 010 환용 국번호 세부내역 ···························· 48

<표 2-29> 번호체계 변화 연 ·········································································· 51

<표 2-30> 유무선 번호체계 ··············································································· 51

<표 2-31> NPA 코드 할당 황 ········································································ 52

<표 2-32> 환방안 1: 동시에 두 자리 모두를 추가 ········································ 54

<표 2-33> 환방안 2: 지역번호에 한자리만을 먼 추가 ······························· 55

<표 2-34> 환방안 3: Central Office 코드에 한자리만을 먼 추가하는

방안 ·································································································· 55

<표 2-35> 유무선 화 번호체계 ········································································ 57

<표 2-36> Prefix별 서비스 구분 ········································································ 58

<표 2-37> 보호지역(Protection areas) ································································· 60

<표 2-38> 경계지역(Number Watch Areas) ························································ 60

<표 2-39> 지역번호 권역통합 사례 ··································································· 61

<표 2-40> 지역번호 변경규칙 사례 ··································································· 62

<표 2-41> 지역번호 변경규칙 사례-기타지역 ················································· 62

<표 2-42> 특수지역 지역번호 변경 규칙 ·························································· 63

<표 2-43> 덴마크 번호체계 ··············································································· 65

<표 2-44> Type B series ···················································································· 66

<표 2-45> Type C series ···················································································· 67

<표 2-46> Type D series ···················································································· 67

<표 2-47> 덴마크의 번호사용 황 ····································································· 69

8

<표 2-48> 9자리 번호체계 ················································································· 70

<표 2-49> S자리 번호계열별 사용 황 ····························································· 72

<표 2-50> 국의 번호구조 ··············································································· 73

<표 2-51> 국의 특수번호 코드 ······································································ 75

<표 2-52> 국 이동 화 식별번호 통합사례 ··················································· 78

<표 2-53> 기통신번호 할 법령 ··································································· 79

<표 2-54> 일본의 기통신 번호 지정 황 ····················································· 80

<표 2-55> 시외, 시내국번의 구성 ······································································ 81

<표 2-56> 기통신번호별 부여 기 ······························································· 83

<표 2-57> 번호부족 응 사례 ·········································································· 86

<표 3-1> All-IP의 특성 ···················································································· 90

<표 3-2> BcN의 특징 ······················································································· 90

<표 3-3> All-IP의 동인 ···················································································· 91

<표 3-4> 주요국의 All-IP 추진 동향 ······························································· 92

<표 3-5> 우리나라의 BcN 추진 동향 ······························································ 93

<표 3-6> 우리나라 지역번호 황 ··································································· 96

<표 3-7> 지역별 가입자 추이 ·········································································· 97

<표 3-8> 미국의 VoIP 시장 황 망 ······················································· 98

<표 3-9> 유럽의 VoIP 가입자 추이 망 ··················································· 99

<표 3-10> EU의 인터넷 화 가입자 수(2007. 7 기 ) ···································· 100

<표 3-11> 랑스의 체 통화량 VoIP 비 추이 ····································· 100

<표 3-12> 랑스의 VoIP 회선 추이 ······························································· 100

<표 3-13> PATS 사업자들의 추가 인 의무사항과 권리 ································ 103

<표 3-14> 국가별 VoIP 사업자 분류 ······························································· 104

<표 3-15> 긴 통신서비스 속 제공의무 규제 황 ······································· 105

<표 3-16> EU 회원국의 치정보 송 의무 규제 황 ································· 106

9

<표 3-17> EU 회원국의 근거리라우 규제 황 ··········································· 108

<표 3-18> EU 회원국별 번호할당 규제 황 ·················································· 111

<표 3-19> 회원국별 번호이동 규제 황 ························································ 113

<표 3-20> 인터넷 화 착신번호체계 구분 ······················································· 116

<표 3-21> 번호이동성 기술방식 비교 ······························································ 122

<표 3-22> 비용분류 세부내역 ····································································· 123

<표 3-23> 긴 통신서비스 고시 반 내용 ····················································· 125

<표 3-24> BT 법인용 Fusion 서비스 옵션 요 (2008. 10) ······························ 131

<표 3-25> 주요 FMC 서비스 개요 ·································································· 135

<표 3-26> FMC 서비스의 번호할당 이동성 사례 ······································· 137

<표 3-27> FMC 서비스의 번호할당 검토 ························································ 137

<표 3-28> 듀얼 모드 FMC 기술과 펨토셀 기술 비교 ····································· 139

<표 3-29> 펨토셀 세계시장 망 ····································································· 140

<표 3-30> FMS 서비스 동향 ··········································································· 141

<표 3-31> 펨토셀 업체 동향 ············································································ 143

<표 3-32> WiBro와 타 서비스와의 속도 비교 ················································· 145

<표 3-33> WiBro와 HSDPA 요 비교 ···························································· 146

<표 3-34> KT WiBro 가입자 황 ································································· 147

<표 3-35> 행 통화료 기 PVoIP에 한 통화료 부과기

( : KT 이용약 ) ·········································································· 150

<표 3-36> 국번호 배정방안 ············································································· 156

<표 3-37> 교환기종별 기능 검토 ····································································· 157

<표 3-38> 9자리 통합번호체계의 첫 자리 배정 ·············································· 158

<표 3-39> 시내 화 9자리 통합번호체계의 첫 자리 배정( 시) ····················· 159

<표 4-1> 미국의 번호이용료 부과 근거 ························································· 163

<표 4-2> NANPA 기 운 황 ··································································· 163

10

<표 4-3> 호주의 번호이용료 Ⅰ(2007년, AUD) ············································· 165

<표 4-4> 호주의 번호이용료 Ⅱ-국제 화서비스번호 등(2007년, AUD) ··· · 166

<표 4-5> 2006~07, 호주 방송통신 자원사용 련 조세(Resource taxes) 규모 ·· 168

<표 4-6> 덴마크의 번호이용료 부과근거 ······················································· 169

<표 4-7> 덴마크의 ’07년 번호이용료 부과기 ············································· 170

<표 4-8> 홍콩의 통합허가제도(Unified Carrier Licence) ································ 172

<표 4-9> 싱가포르 번호체계 ·········································································· 175

<표 4-10> 싱가포르의 골드번호 ······································································ 176

<표 4-11> 핀란드의 번호이용료 부과근거 ······················································· 177

<표 4-12> 핀란드 번호별 이용료(2006년, 유로) ·············································· 178

<표 4-13> 노르웨이의 번호이용료 부과근거 ··················································· 180

<표 4-14> 노르웨이 번호이용료 ······································································ 180

<표 4-15> 스웨덴 번호이용료 부과근거 ·························································· 181

<표 4-16> 연구개발 출연 등의 부과 황 ··················································· 183

11

그 림 목 차

[그림 2-1] 유선 화 4개 권역별 지역번호 ····················································· 58

[그림 2-2] 9자리 번호체계 확장방법 ······························································ 70

[그림 2-3] 국의 번호정책 련 법령 ·························································· 71

[그림 2-4] 시내 화 번호구조 ········································································ 81

[그림 2-5] 지역별 시외 국번 할당 황 ·························································· 82

[그림 3-1] All-IP 개념도 ················································································· 89

[그림 3-2] 호주의 음성 화 수익 추이 ························································· 101

[그림 3-3] 일본의 IP 화 가입자 수 추이 ···················································· 102

[그림 3-4] 국의 (PSTN기반)긴 통신서비스 시스템 ································· 109

[그림 3-5] 독일의 (PSTN기반)긴 통신서비스 시스템 ································· 110

[그림 3-6] 인터넷 화 서비스 제공방식 ······················································· 115

[그림 3-7] 인터넷 화(070번호) → PSTN 번호이동에 따른 요 황 ········ 121

[그림 3-8] Unik 서비스 구 도 ··································································· 133

[그림 3-9] Unik 요 제 ················································································· 133

[그림 3-10] 펨토셀 네트워크 구조 ································································· 139

[그림 3-11] Erocsson의 펨토셀 솔루션 ··························································· 142

[그림 4-1] 핀란드 이용료 수입 총계(2007) ··················································· 179

요약문 13

요 약 문

1. 연구의 배경 필요성

번호는 통화를 처리하기 하여 통신단말기에 부여된 일종의 식별자(identifier) 혹

은 아이디(I.D.)로 정의될 수 있다. 번호는 음성통신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필수 인

것으로 개인과 개인 혹은 기업을 상호 연결하여 정보의 소통을 가능 하는 사회의

기 자원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한, 번호는 자리수 추가 등에 수반되는 사회경

제 비용에 따라 무한히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은 아니라는 , 경쟁정책 등 여타 통

신정책과 연계되어 있어 하나의 정책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등에 따라 부

분의 나라에서 국가 차원에서 리되고 있다.

국가 차원의 번호자원 리는 수년 부터 통신시장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융합

이라는 상에 따라 그 요성을 더하고 있다. 융합은 All-IP라는 기술 진화를 동

인으로 하고 있으며, All-IP 환경에 따라 음성서비스는 통 인 PSTN 서비스로부

터 인터넷 화 심의 IP기반 서비스로 속도로 진화할 망이다.

IP기반 서비스의 확산에 따라 통신의 매개에 있어 번호가 갖는 물리 인 목 의

변화, 새로운 번호자원에 한 요구, 융합서비스에 한 한 번호부여 등의 이슈

이에 수반한 PSTN에 기반의 통 인 유무선번호체계의 개편 필요성 등이 제기

되고 있다. 먼 , 인터넷 화 등 IP기반 서비스의 확산은 PSTN 기반으로 유지되어

오던 기존 번호체계에 격한 변화를 수반할 수 있는데, 이는 IP기반 서비스의 확산

에 따라 번호가 갖는 기능 자체가 변할 수 있다는 에 따른 것이다. 우리가 통

으로 사용해 오던 ITU의 E.164 번호체계는 핵심 으로 “지역번호(식별번호) + 가입

자번호”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는 효율 인 호소통 등의 장 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인정되어 왔다. 그러나, IP기반 서비스에 있어 물리 인 호소통

14

은 각종 단말에 내장되어 있는 IP address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이용자가

사용하는 통신번호는 단말의 IP address와 응되는 간자의 기능만을 수행하게 되

어 실질 인 호소통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두 번째, IP기반 서비스는 국내 통화

권의 구별 없이 사용될 수 있어 장기 으로 All-IP 환경하에서 지역번호의 사용을

무의미하게 만들 수 있어, 이에 한 응방안이 필요하다. 세 번째, IP기반 융합서

비스의 확산은 특정 지역에서 나타나고 있는 유선번호자원 고갈 상을 가속화시킬

수 있어 번호자원의 확보 기존 부여된 번호자원의 효율 사용을 강제할 수 있는

방안들을 요구하고 있다.

이 처럼 융합 All-IP화라는 통신서비스를 둘러싼 변화는, 우리가 그 동안 무

나 당연시 여겼던 번호자원의 리 사용 행태를 다시 되돌아볼 필요성을 제기

하고 있으며, 본 연구는 그 해답을 찾고자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제기되었다.

2. 연구목표

본 연구는 All-IP 환경의 확산에 따라 통신번호자원의 리에 있어 요구되는 문제

들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번호자원의 리측면에 있어 요구되는 정책 시사 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즉, 자들은 음성통신서비스 제공환경이 All-IP

라는 기술 진화에 따라 크게 변화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본 연구를 통해

첫째, 인터넷 화 등의 신규서비스에 한 번호정책, 둘째, 유선번호통합의 필요성

그 실행방안, 셋째, 번호자원의 효율 활용을 강제하기 한 번호이용료 제도에

한 고찰이라는 세 가지 이슈에 한 정책 시사 을 도출하기 해 노력하 다.

3. 주요 연구내용

첫째,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국 번호 리 정책에 한 사례 연구를 통

해, 번호 리에 있어 보편 으로 요구되는 정책목표 수단들을 재검토해 보았다.

요약문 15

사례 연구에는 미국, 국, 덴마크, 일본 등이 포함되었으며, 나라마다 정도의 차이

는 있지만, 번호를 공공자원으로 간주하고 그 사용에 해 엄격한 리를 요구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 지역번호 역화 등의 수단을 통한 번호자

원 확장 사례에 한 연구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의 번호체계 통합에 한 시사 을

도출하고자 노력하 다.

둘째, 본 연구는 All-IP 확산에 따른 음성서비스 제공환경의 변화가 번호에 미칠

수 있는 향을 검토하고, 인터넷 화 등의 신규서비스 번호정책, 그리고 번호정책

차원에서 장기 으로 요구되는 유선번호 통합방안에 해 논의하 다.

셋째, 본 연구는 번호가 갖는 경제 가치의 회수 번호자원의 효율 사용을

강제하기 한 수단으로써의 번호이용료 제도에 해 논의하고 있다. 다만, 번호이

용료 제도의 도입을 해서는 통신사업자를 포함한 사회 합의가 반드시 요구됨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 번호이용료 제도 도입 방안에 한 연구의 측면 보다는 번호

이용료의 부과 목 방식 등에 한 주요국 사례에 한 연구를 통해 향후 국내

번호이용료 제도 도입에 한 논의가 가시화 될 경우를 비한 기 연구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 리 황

□ 번호자원의 특성

◦ 번호자원의 특성 이에 따른 번호정책의 일반 인 목표 도출

-주 수 자원과 비교한 번호자원의 유한성, 이용자 번호의 존재에 따른 번호변경의 어

려움 등 번호자원의 특성과 번호정책 입안에 있어서 수되어야 할 일반 인 원칙들

에 해 고찰

□ 국내외 번호자원 리 황

◦ 행 번호자원의 법 규정 사용 황 등에 한 검토

◦ 미국, 호주, 덴마크, 국, 일본 등의 번호정책에 한 검토

-각국의 번호정책 기구, 번호체계, 번호부여 기 , 번호통합 번호부족 응 사례들

에 한 사례 조사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 All-IP와 음성통신서비스 제공 환경의 변화

◦ All-IP의 정의 특성, 그리고 이에 따른 번호정책에 한 효과 검토

16

□ 인터넷 화 번호정책

◦ 주요국 인터넷 화 시장 동향, EU의 인터넷 화 규제 사례, 국내 인터넷 화 번호정책

에 한 검토

-특히, ‘시내 화-인터넷 화간 번호이동성 제도’ 도입과 련되어, 제도 상용화를

한 세부이행방안들에 해 검토

□ 유무선융합 등 신규서비스 번호정책

◦ FMC(Fixed-Mobile Convergence), FMS(Fixed Mobile Substitution), WiBro 등 신규서비스

번호정책에 한 검토

-주요 사업자 서비스 략 상용화 황과 각 서비스에 한 번호부여 사례 방안

등에 해 검토

□ 유선번호체계 통합방안

◦ 유선번호체계의 통합 필요성 가능한 통합방안에 한 검토

제 4 장 번호이용료 제도 사례 연구

□ 번호이용료 제도의 의의

◦ 번호자원 리에 필요한 행정비용조달, 번호의 경제 가치 회수, 번호자원의 효율

사용 유도 등 번호이용료 부과의 목 등에 한 검토

□ 주요국 번호이용료 제도 황

◦ 미국, 호주, 덴마크, 홍콩, 싱가포르 등 주요국 번호이용료 제도 황에 한 사례 조사

4. 연구결과 정책 시사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인터넷 화 번호이동성과 련해서 긴 통화서비스의 제공, 통화

권 유지 이에 따른 요 체계의 정립, 번호이동과 련된 기술방식, 비용분담 방

안 등에 해 연구하 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인터넷 화 번호이동성 제도 도입 과

정에서 「번호이동성 고시」 등에 반 됨으로써 이미 일정한 성과를 거두었다고 볼

수 있다. 2007년 상반기 통신규제정책 로드맵에 따라 시행이 발표되었던 인터넷

화 번호이동성 제도는 1년이 넘는 제도 도입 비과정을 거쳐 지난 11월 상용서비

스를 개시하 으며, 자들은 그 과정에 깊게 개입함으로써 본 연구의 결과들을 정

부정책으로 입안하는데 기여하 다. 인터넷 화 번호이동성 제도의 시행은 그 동안

부진하 던 인터넷 화의 활성화 유선통신시장의 경쟁 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

요약문 17

을 것으로 기 된다.

둘째, 본 연구는 FMC, FMS, WiBro 등의 신규서비스 번호정책과 련된 연구를

통하여, 향후 서비스 도입단계에서 불거질 수 있는 번호부여와 련된 이슈들 미리

살펴보았다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 특히, WiBro 활성화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WiBro 음성서비스의 시행과 이에 따른 번호부여 논란이 가 되고 있는 시

에서, 본 연구는 WiBro 번호부여에 해 일정한 방향을 제시함으로서 그 가치를 더

하고 있다.

셋째, All-IP로의 진화에 따라 16개 지역번호의 사용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번호체

계는 보다 단순한 번호체계, 즉 1~2개 식별번호로 모든 유선번호를 충당할 수 있

는 통합된 구조로의 진화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장기 으로 요구될 수 있

는 유선번호통합에 해 미리 검토하고 일정한 번호통합방안을 제출함으로써, 향후

유선번호자원의 활용에 있어 일정한 기 을 제시하고 있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즉, 본 연구는 향후 시내 화 국번호의 추가 인 부여에 있어서, 본 연구가 제시하

고 있는 통합방안이 일정한 제약조건으로 작용해 향후 번호통합의 원활함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정책 시사 을 지니고 있다.

넷째, 본 연구는 주요국 번호이용료 제도 사례에 한 연구를 통해, 번호이용료

제도의 필요성, 번호이용료 부과 상 방식 등 제도 도입에 따라 고려되어야 할

시사 들을 도출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향후 번호이용료 도입 공론화 과정

에서 기 자료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된다. 물론, 번호이용료

제도는 통신사업자에게 일정한 부담을 추가로 지우는 제도라는 측면에서 제

도 도입을 해서는 해외사례에 한 단편 인 근 보다는, 제도 도입 과정에서 통

신사업자들을 포함한 사회 합의가 필수 으로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제 1 장 서 론 19

제1 장 서 론

제1 연구의 배경 목

번호( 화번호 는 기통신번호)는 통화를 처리하기 하여 통신단말기에 부여

된 일종의 식별자(identifier) 혹은 아이디(I.D.)로 정의될 수 있다. 일반 으로 단일

통신망 내에서의 호소통은 번호이외의 식별자로도 가능하지만, 타망과의 호소통을

해서는 국제 인 번호체계에 부합하는 번호의 사용이 필수 으로 요구된다. 이

처럼 번호는 개인과 개인 혹은 기업을 상호 연결하여 정보의 소통을 가능 하는 사

회의 기 자원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무한히 부여될 수 있는 자원은 아니라는

, 경쟁정책 등 여타 통신정책과 연계되어 있어 하나의 정책수단이 될 수 있는

등에 따라 그 리의 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주 수와 마찬가지로 음성통신서

비스 제공을 해 필수 으로 요구되는 통신자원으로 부분의 나라에서 국가 차원

에서 리되고 있다.

재 통신시장은 All-IP라는 기술 진화를 동인으로 하는 융합의 상에 직면하

고 있다. All-IP란 QoS를 보장할 수 있고, 서비스 제어계층이 송계층과 분리되

어, 송망과 무 하게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 제공할 수 있는 IP기반 네트워크 환

경을 지칭하며, All-IP 환경에 따라 음성서비스는 통 인 PSTN 서비스로부터 인

터넷 화 심의 IP기반 서비스로 속도로 진화할 망이다. 융합은 번호자원

리에 있어 인터넷 화의 확산 등에 따르는 서비스의 융합 이에 의한 번호자원 수

요의 증가, 번호체계 개편 필요성 등의 이슈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인터넷 화 등 IP기반 서비스의 확산은 PSTN 기반으로 유지되어 오던 기존 번호

체계에 격한 변화를 수반할 수 있는데, 이는 IP기반 서비스의 확산에 따라 번호가

갖는 기능 자체가 변할 수 있다는 에 따른 것이다. 우리가 통 으로 사용해 오

20

던 ITU의 E.164 번호체계는 핵심 으로 “지역번호(식별번호) + 가입자번호”의 구조

를 가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는 효율 인 호소통 등의 장 을 가지고 있는 것

으로 인정되어 왔다.1) 그러나, IP기반 서비스에 있어 물리 인 호소통은 각종 단말

에 내장되어 있는 IP address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이용자가 사용하는 통

신번호는 단말의 IP address와 응되는 간자의 기능만을 수행하게 되어 실질 인

호소통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한 인터넷 화 등의 IP기반 서비스는 국내 통화

권의 구별 없이 사용될 수 있어 장기 으로 All-IP 환경하에서 지역번호의 사용을

무의미하게 만들 수 있으며, IP기반 서비스의 확산은 특정 지역에서 나타나고 있는

유선번호자원 고갈 상을 가속화시킬 수 있어 번호자원의 확보 기존 부여된 번

호자원의 효율 사용을 강제할 수 있는 방안들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All-IP 환경의 확산에 따라 통신번호자원의 리에 있어 요구되는 문제

들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번호자원의 리측면에 있어 요구되는 정책 시사 을 도

출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이를 해 본 연구는 All-IP 확산에 따른 음성서비

스 제공환경의 변화 인터넷 화 등의 신규서비스 번호정책, 그리고 번호정책 차

원에서 장기 으로 요구되는 유선번호 통합방안에 해 논의하 다. 한, 본 연구

는 번호가 갖는 경제 가치의 회수 번호자원의 효율 사용을 강제하기 한 수

단으로서의 번호이용료 제도에 해 논의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번호이용료의

부과 목 규모 등에 한 주요국 사례에 한 연구를 통해 국내 번호이용료 제

도 도입을 해 고려되어야 할 들을 분석하고 있다.

즉, 자들은 음성통신서비스 제공환경이 All-IP라는 기술 진화에 따라 크게 변

화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본 연구를 통해 첫째, 인터넷 화 등의 신규서비

스에 한 번호정책, 둘째, 유선번호통합의 필요성 그 실행방안, 셋째, 번호자원

의 효율 활용을 강제하기 한 번호이용료 제도에 한 고찰이라는 세 가지 이슈

1) E.164 번호체계가 갖는 호소통에 있어서의 효율성은, “국가번호 + 지역번호 + 가입

자번호”의 번호구조에 따라, 해당 호의 최종 인 착신지를 “특정국가→ 특정지역

→ 가입자”의 순으로 빠르게 찾아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장 서 론 21

에 한 정책 시사 을 도출하기 해 노력하 다.

제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연구방법론

번호와 련되어 그 동안 학계에서 진행되어왔던 연구들은 주로 번호이동성 제도,

특히 이동 화 번호이동성 제도의 효과분석이라는 한정된 주제에 집 되어 왔다.

국내 이동 화 번호이동성 제도는 이동통신시장의 경쟁상황 개선 이용자 편익제

고를 목 으로 2004년부터 시차제로 도입되었으며, 이에 따라 시차제 번호이동성

제도의 도입의 효과에 한 측 평가가 학술 으로 주된 심을 끌어왔던 것이

다. 이에 한 연구로는 이홍재(2004), 김창완 외(2004), 박명호 외(2005) 등을 들 수

있으며, 최근 송정석 외(2008)는 최근까지 축 된 데이터를 추가하여 이동 화 번호

이동성 제도의 효과에 해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번호이동성 제도 이외에도 번호부여, 번호확장, 번호통합, 번호이용료

제도 등 “번호 리”와 련된 다양한 주제에 한 근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융

합환경이 번호체계에 미치는 향을 분석하고, 번호 리 정책의 개선방향 도출을

시도했다는 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되는 요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FCC, Ofcom, OECD 등 각종 규제기 의 번호정책에 한 자문서 등 각

종 문헌연구, All-IP로의 기술진화에 따른 통신사업자 서비스 제공 동향에 한 자

료조사, 국내 번호자원 활용 황에 한 실태조사, 해외 각국의 번호 리체계

번호이용료 제도 황에 한 실태조사를 한 방 한 양의 자료를 정리, 검토하

고, 이에 따라 국내 번호정책 입안에 있어서의 정책 시사 을 도출하는 것을 주

로 진행되었다. 한, 자료수집 등에 있어 각 통신사업자의 번호담당이 참여하는

“번호 담반”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연구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노력하 다.

22

제3 본 연구의 구성

본 연구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먼 , 제2장에서는 번호와 번호자원 리정책에 한 이해를 돕기 해서 번호자

원의 특성 이에 따른 번호자원 리의 정책 목표 그리고 이를 달성하기 해

우리나라 해외 주요국에서 채택하고 있는 번호자원 리정책에 해서 정리하

다. 해외사례는 각 나라별로 번호정책기구 련법령, 번호체계, 번호부여 방식

회수원칙, 번호통합 번호부족 응사례를 심으로 정리하 다.

제3장에서는 All-IP에 따른 음성서비스 제공환경의 변화 그리고 번호와 련된 이

슈들에 해서 정리하고, All-IP의 핵심서비스인 인터넷 화 번호정책을 다루고 있

다. 특히, 국내 인터넷 화 번호이동성 제도 도입과정에서 논의되었던 다양한 이슈

들에 해 정리함으로써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하 다. 한 제3장은 유무선융합

서비스 등 인터넷 화 이외의 신규서비스들에 한 번호정책 그리고 IP기반 서비스

의 확산에 따라 요구되는 유선번호통합의 필요성 통합방안에 해 논의하고 있다.

제4장은 번호자원의 효율 활용을 유도하기 한 수단의 하나로서 번호이용료

제도에 해서 논의하고 있다. 단, 본 연구의 목표 자체가 국내 번호이용료 제도 도

입방안의 도출이라는 차원까지 나아가지는 않는다는 측면에서 구체 인 제도 도입

방안에 한 논의보다는 해외 각국에서 채택하고 있는 번호이용료 제도의 근거

부과 방식에 한 사례 조사 그리고 국내 제도 도입시에 고려되어야 할 문제들에 한

정해서 논의를 개하고 있다.

제5장은 본 연구의 정책 시사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는 것으로 을 맺

고 있다.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23

제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제1 번호자원의 특성

번호( 화번호 는 기통신번호)는 통화를 처리하기 하여 통신단말기에 부여

된 일종의 식별자(identifier) 혹은 아이디(I.D.)로 정의될 수 있다. 일반 으로 단일

통신망 내에서의 호소통은 번호이외의 식별자로도 가능하지만, 타망과의 호소통을

해서는 국제 인 번호체계에 부합하는 번호의 사용이 필수 으로 요구된다. 이

처럼 번호는 개인과 개인 혹은 기업을 상호 연결하여 정보의 소통을 가능 하는 사

회의 기 자원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무한히 부여될 수 있는 자원은 아니라는

, 여타 통신정책과 연계되어 하나의 정책수단이 될 수 있는 등에서 정부차원의

리체계가 요하며 주 수와 마찬가지로 음성통신서비스 제공을 해 필수 으

로 요구되는 통신자원으로 부분의 나라에서 국가 차원에서 리되고 있다.

공공자원으로서의 번호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악되고 있다.

첫째, 번호는 주 수와 마찬가지로 “유한성”을 지니는 자원으로 볼 수 있다. 번호

는 번호확장 등에 따른 자리 수 증가를 통하여 이용 가능한 자원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주 수와 비교하여 물리 제약에 덜 구속되는 측면이 있다. 그러

나 번호확장은 가입자번호변경 등에 따른 막 한 사회 비용을 수반할 수 있으며,

자리 수 증가로 인해 이용자의 불편 등을 래하여 이용자 편익의 감소를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에서 번호는 “유한한” 자원으로서 분류되며 이에 따라 번호의 효

율 사용은 사회경제 으로 매우 요한 이슈가 된다.

둘째, 번호는 주 수와 달리 이용자의 통신서비스 이용환경에 직 으로 노출되

고 통신요 등에 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번호체계의 변경은 이용자 혼

란 등의 사회 비용을 래할 수 있다. 한 통신서비스 가입자가 번호를 자신의

24

소유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어 가입자번호의 강제 변경은 변호변경에 따른 물리

비용에 더해 이용자의 강한 항에 노출될 수 있다.

셋째, 국제 인 호소통을 해 일국의 번호체계는 국제 차원에서의 번호 리에

한 가이드라인인 국제 기통신연합(ITU)의 권고안의 범 내에서 운 되어야 한

다. ITU의 번호에 한 국제규격 권고안은 모든 나라에서 지켜야 하는 기본 인 사

항으로 주요한 내용은 단말기가 0에서 9까지의 숫자와 *․#의 특수기호로 구성되

어야 하며, 숫자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화번호는 ‘국가번호 + 국내번호’의 형태를

가지며 총 자릿수는 15자리 이내로 구성할 것 등을 포함 하고 있으며, 그 이외의 사

항들은 각국의 상황에 따라 독자 으로 결정하도록 권고하고 있다.2)

즉, 번호는 국제 인 표 을 따라 리되어야 하며, 번호체계 등의 변경에 따른

이용자 혼란을 피하기 하여 효율 으로 리되어야 하는 유한한 자원으로 간주되

며, 번호체계의 리는 일반 으로 ① 사업자 이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안정

인 번호자원의 확보, ② 번호체계의 변화에 따른 이용자 혼란을 최소화하기 한

번호체계의 보수 운용, ③ 반드시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이용자가 재 사용하

고 있는 가입자번호의 변경을 회피해야 한다는 것, ④ 유사한 서비스에 해 동일

한 식별번호를 부여함으로써 경쟁을 진하거나, 최소한 경쟁에 해 립 인 번

호체계를 유지해야 할 것 등의 정책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일반 으로 각 나라는 통신법 등을 통하여 국가가 번호자원을 리한다는 사실을

명문화함으로서 번호자원의 공공성을 분명히 하고 있다. 한 번호부여시 통신사업

자들에게 서비스 제공 능력에 한 일정한 검증 차, 서비스 미제공시 부여된 번호

자원의 회수 규정 등을 용하여 번호자원의 효율 리를 도모하고 있다. 번호자

원의 효율 리는 사업자에 한 번호부여 회수제도 뿐만 아니라 번호이용료

제도와 같은 유인장치(incentive system)를 통해서도 달성할 수 있다. 를 들어, 통신

2) 이러한 권고안은 국제통화 호를 처리하는 각 나라 교환기의 호환성, 인간의 심리

인 번호 기억능력 등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자세한 내용은 ITU-T의 E161, E164 등의 문서를 참조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25

사업자에게 번호사용과 련하여 일정 비용을 부담시키면, 필요이상의 번호자원을

신청하지 않고, 기존에 부여된 번호를 최 한 활용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제2 국내 번호자원 리 황

1. 행 번호자원 리 법 규정3)

행 번호 리는 방송통신 원회의 기통신번호 리세칙의 규정을 따르고 있다.

방송통신 원회는 기통신번호 리세칙에 따라 공통서비스번호, 식별번호, 가입자

가 없는 통신망의 부가역무번호, 특수번호, 데이터망의 통신망번호, 데이터국번호

등에 해 부여 리 등 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반면, 화망 번호, 특수번

호, 데이터망 번호, 텔 스망 번호 등의 가입자번호 는 가입자 단말번호에 있어

방송통신 원회가 리하는 번호를 제외한 번호에 해서는 사업자가 직 리하

도록 허용하고 있기도 하다. 방송통신 원회의 주요 리 규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번호신청 부여는 사업자의 신청을 통해 방송통신 원회가 결정하며 다

음과 같은 차를 거친다. 우선 방송통신 원회가 리하는 번호를 사용하고자 하

는 공공기 는 사업자 등은 규정에 따라 방송통신 원회에 신청해야 한다. 방송

통신 원회는 신청을 받은 날로부터 2개월 이내에 그 결과를 통보하는 데 번호신청

이 ① 기통신역무의 효율 제공, ② 이용자편익과 공공이익의 증진, ③ 공정경

쟁 환경에 부합하고 신청자가 번호자원을 효율 으로 사용할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

에 번호를 부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둘째, 방송통신 원회가 리하는 번호를 부여받은 사업자는 번호사용 황을 작

성하여 매년 9월 30일까지 방송통신 원회에 제출해야 한다. 부가통신역무 제공사

업자 식별번호(014XY)의 경우에는 지역별 가입자수, 총 이용건수 속회선수를

제출해야 하며, 국번호의 경우는 지역별․국번별 가입자수를, 부가역무번호 특

3) 정보통신부, 「 기통신번호 리세칙」, 2007. 12. 31.

26

수번호의 경우는 가입자수 는 이용건수를 제출해야 한다.

셋째, 방송통신 원회는 번호의 사용이 다음 사항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그 번호

의 변경 는 회수 등을 명할 수 있다. ① 이용자에게 히 불이익을 수 있는

경우, ② 기통신사업법 등 련법령과 부합하지 않는 경우, ③ 기통신사업의

부 는 일부가 폐지되거나 사업허가가 취소되는 경우, ④ 부여받은 목 과 다르

게 사용하는 경우, ⑤ 신청시 제시한 번호사용일부터 6개월 이내에 역무가 제공되

지 않은 경우, ⑥ 부여받은 사업자( 는 공공기 ) 이외의 자가 사용하는 경우, ⑦

규정에 의한 목 을 달성하기 하여 번호계획이 변경되거나 규정에 의한 번호통합

계획이 수립되는 경우, 그리고 ⑧ 번호자원이 효율 으로 리되지 않은 경우가 그

것이다.

넷째, 번호를 부여받은 사업자의 사업 폐지 는 허가․등록 취소 등의 규정과

련해서는 사업자가 부여받은 번호를 지체 없이 반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다만, 규

정에 의하여 번호사용에 한 권리와 의무를 승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르

도록 하고 있다.

다섯째, 사업의 양도․양수 는 법인의 합병과 련하여, 종 의 사업자 지 를

승계한 사업자가 기통신번호 리세칙에 의하여 종 의 사업자가 부여받은 번호

의 사용에 한 권리와 의무를 승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방송통신 원회의 승인을

얻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때, 방송통신 원회는 규정에 의하여 양수 는 합병하는

사업자가 양수 는 합병한 사업을 하기 하여 번호사용을 신청하는 경우에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종 의 번호를 우선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 방송

통신 원회는 별도의 식별번호를 가진 사업자가 양도․양수 는 합병하는 경우에

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양수인 는 합병인이 희망하는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4)

4) 양도․양수 는 합병시 번호신청 차와 련하여, 기간통신사업자는 사업의 양

수 는 합병에 한 인가신청시 련규정에 따라 그 번호의 사용계획을 방송통신

원회에 제출해야 한다. 한 별정통신사업자 는 부가통신사업자는 기통신사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27

2. 국내 번호자원 리의 특성

우리나라 번호자원 리, 즉 번호정책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다. 우선,

우리나라의 번호자원 리는 여타 해외 주요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특정번호 역

을 특정역무에 부여하는 ‘command and control’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번호자원을

효율 으로 부여하기 해 수요를 고려하여 정 부여수 을 결정한다. 일부 특수

번호를 제외하고는 서비스의 도입 지역 요소를 고려하여 통신서비스별 식별번

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번호의 부여 차는 통신사업자의 신청 허가를 통한 리

체제에 따르되, 부여된 번호는 해당 용도 이외의 사용을 하고 있다.

둘째, 번호자원 리의 측면에서 향후 번호자원의 효율 인 리를 해 번호통

합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동 화의 경우 010, 011, 016, 017, 018, 019의 여섯 개

식별번호가 사용되고 있으나 장기 인 번호통합의 에서 식별번호를 010으로

통합하는 번호통합정책이 추진되고 있으며, 유선번호의 경우 재 각 지역별로 나

어져 있는 지역번호 통합을 염두에 두고 번호자원을 리하고 있다.5)

셋째, 번호자원의 이용효율 제고를 해 회수 변경이 가능하도록 리한다. 이

는 이용자수가 거나 기타 공익 목 을 해 회수, 신규 번호부여 지, 변경 등

의 정책 필요시 시행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번호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있다. 한,

이용실 측정을 하여 정기 으로 이용 황을 조사함으로써 사용이 조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번호는 회수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한편, 가용 번호자원이 한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재 번호자원의 부족 상이 일

부 지역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유비쿼터스 사회에서는 개인이 사용하는 통신이용매

체의 증가에 따른 통신번호의 수요가 폭 증가할 것이라고 상되는 등 향후 번호

업법의 규정에 의한 사업의 양수 는 합병에 한 등록 는 신고시 그 번호의 사

용계획을 방송통신 원회에 제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5) 이 에서 말하는 유선번호는 ‘지역번호 + 가입자번호’로 구성된 유선통신서비스를

해 사용되는 번호를 의미한다. 교환기 기술발 에 따른 지역번호의 역화를 통

해 지역번호를 통합하여 번호자원의 효율화를 달성한 사례도 있다.

28

리체계에 경제 요소를 반 하는 방안에 한 고려가 요구되고 있다. 이 뿐만 아

니라 향후 융합서비스가 활성화되면 식별번호만으로 해당 서비스를 악하기가 곤

란해질 수 있는 문제가 제기될 수도 있다. 향후 이러한 추세가 시장에서 두드러지게

되면 번호사용 환경변화에 따른 리체계의 변화도 요구될 것이다.

3. 국내 번호자원 리 황

국내 번호사용 황 등의 자료는 방송통신 원회가 번호체계 련 서비스체계와

련하여 체계 으로 리하고 있다. 번호자원 리 황은 번호자원의 용도를 구분

하여 해당 번호자원에 한 신규부여 여부를 결정하는데 요한 자료로 사용된다.

가. 번호체계 일반 황

번호체계는 크게 3가지로 화망, 데이터망, 텔 스망으로 구분되며, 이동 화망,

무선호출망, 항만 화망, 주 수공용통신망, 무선 데이터 통신망, 성휴 통신망,

인터넷 화망 등은 화망 번호체계를 따른다. 먼 , 유선 화는 통신망 번호, 지역

번호 그리고 가입자번호로 구성되며, 통신망 번호는 2~4자리로 통신망을 식별하기

해 사업자에게 부여 되며 식별번호라고도 불린다. 지역번호는 2~3자리로 총 37

개이며, 이 16개가 사용되고 나머지 21개 지역번호는 비 역으로 분류되어 있

다. 가입자번호는 1~4자리의 국번호와 4자리의 가입자 개별번호로 구성되고 서울

지역은 7~8자리의 가입자번호가 혼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서울이외의 지역에서

는 7자리 가입자번호를 사용하고 있다. 이동 화는 유선 화와 동일하게 통신망 번

호, 국번호 그리고 가입자번호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비스별로 10~11자리 번호체

계 사용한다. 통신망 번호는 과거 2G(셀룰러, PCS)의 경우 역무별 사업자별로 부

여해 왔으나, 3G의 경우는 010이라는 동일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표 2-1>은

이와 같은 국내 유무선 번호체계 구조를 요약한 것이다.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29

<표 2-1> 국내 유선 이동 화 번호체계 구조

구 분 자릿수 번호구조 비 고

유선

지역번호 2~3 02, 03X, 04X, 05X, 06X 16개 번호권

가입자번호 7~8NYY(Y)-YYYY

(국번호-가입자 개별번호)서울지역 7~8자리

그 외 지역 7자리

공통서비스번호 11 070-NYYY-YYYY 국단일번호권

이동

2G

10

011-2YY-YYYY~010-8YY-YYYY016-2YY-YYYY~016-8YY-YYYY017-2YY-YYYY~017-8YY-YYYY018-2YY-YYYY~018-8YY-YYYY019-2YY-YYYY~019-8YY-YYYY

11011-9YYY-YYYY016-9YYY-YYYY019-9YYY-YYYY

3G 11010-20YY-YYYY010-21YY-YYYY010-29YY-YYYY

주: N: 2~9, X: 1~9, Y: 0~9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나. 번호체계별 이용 황6)

재 국내 기통신번호 련 사항은 기통신번호 리세칙(정보통신부 고시 제

2007-53호, ’07. 12. 31)에서 규정하고 있다. 기통신번호 리세칙은 다른 통신망

는 공통서비스에 속하기 하여 통신망번호 는 공통서비스번호 앞에 사용하는

prefix를 지정한다. 국제 화망으로의 속은 「00」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시외 화

망 는 이동 화망(셀룰러망, PCS망, 2GHz IMT-2000망 포함), 항만 화망, 인터넷

화 등 국내의 다른 화망으로의 속, 데이터망 는 텔 스망에서 다른 통신망

으로의 속, 그리고 공통서비스로의 속은 모두 「0」으로 지정하고 있다.

화망 번호체계에서 국제번호는 국가번호와 국내번호로 구성되며, 자릿수는 최

6) 2008년 1월말 재

30

15자리를 과하여 사용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국내번호의 구성요소 자

릿수는 체 구성요소별 자릿수를 합하여 최 13자리를 과하여 사용할 수 없다.

한 국가번호는 국제 기통신연합(ITU)에서 지정한 「82」를 사용하고 있다.

국내 화망 번호체계의 구성요소 자릿수에는 prefix가 포함되지 않으며, 번호

의 각 구성요소의 첫 자리, 번호체계별 사용 용도, 번호체계별 번호부여 황에 한

상세한 내용은 <표 2-2>, <표 2-3>, <표 2-4>에 요약되어 있다.

<표 2-2> 국내 화망 번호체계

구성요소 통신망번호 지역번호가입자번호

비번호국번호 가입자 개별번호

자릿수 2~4 자리 1~2 자리 1~4 자리 4 자리

첫 자리번호 1, 8 2~6 2~9 0~9 7, 9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표 2-3> 국내 번호체계별 사용 용도

계열 00Y 01Y 02Y 03Y 04Y 05Y 06Y 07Y 08Y 09Y

용도국제

이동

지역

번호

(서울)

지역

번호

(경기, 강원)

지역

번호

(충청)

지역

번호

(경상)

지역

번호

( 라)비

시외

화비

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표 2-4> 국내 번호체계별 번호부여 황

계열 0 1 2 3 4 5 6 7 8 9

00Y국제

(KT)

국제

(데이콤)

설비

보유

재 매

사업자

국제

(SKB)

국제

(SK텔링크)

설비

보유

재 매

사업자

국제

(온세)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31

계열 0 1 2 3 4 5 6 7 8 9

01YIMT-2000

셀룰러

(SKT)

무선

호출

( 국

사업자)

항만

화, TRS,무선

데이터

통신

부가

통신

역무

무선

호출

(지역

사업자)

PCS(KTF)

셀룰러

(SKT)PCS

(KTF)PCS

(LGT)

02 서울

03Y UMS 경기 인천 강원

04Y 충남 충북

05Y개인

번호부산 울산 구 경북 경남

06Y화

정보남 주 북 제주

07Y인터넷

08Y수신자

부담

시외

(KT)

시외

(데이콤)

시외

(온세)

시외

(SKB)

설비

보유

재 매

사업자

시외

(SK텔링크)

09Y주: 0N0계열번호는 공통서비스용이며, 방송통신 원회가 부여함

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표 2-5> 0N0 번호계열의 용도 번호체계

계열 020 030 040 050 060 070 080 090

용도 비

통합

메시징

(UMS)비

개인평생

번호화정보

인터넷

수신자

부담비

자릿수 - 12 자리 - 11 자리 10 자리 - 10 자리 -

번호

체계-

030-ABYYY-YYYY

050-YYYY-YYYY

060-XYY-YYYY

070-NYYY-YYYY

080-YYY-YYYY

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32

0N0계열은 공통식별번호 서비스로서, 동일한 서비스 식별번호를 사용하고 국번

호로 사업자 구분하고 있다. <표 2-5>는 0N0계열의 용도와 번호체계를 요약한 내

용이다.

이 030계열은 음성메일, 팩스메일 E-메일 등 다양한 매체에 의한 메시지

를 하나의 매체를 통해 통합 으로 제공하는 통합메시징(UMS) 서비스로 사용하고

있다. <표 2-6>은 030 통합메세징(UMS)서비스의 번호부여 황을 요약한 것이다.

030계열의 번호체계는 030-ABYY-YYYYY로 12자리며 총 10억개의 번호자원 부여

가 가능하다. 한 AB 역 20~59는 기간통신사업자 역으로, 나머지 00~19

와 60~99는 비 역으로 부여하고 UMS 부가통신사업자는 기간통신사업자에게

재부여 받아 사용하고 있다.

<표 2-6> 030 통합메시징(UMS) 서비스 번호부여 황

사업자 KT SKB 데이콤 온세 SK텔링크 SK텔 콤 LG텔 콤

부여번호030-30,030-31

030-33,030-34

030-32,030-35

030-55,030-59

030-44,030-45

030-38,030-40

030-29,030-36

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050계열은 가입자가 집 화, 회사 화, 휴 폰 등 변동될 수 있는 여러가지 화

번호를 하나의 구 인 번호를 통해 항상 화를 수신할 수 있는 개인평생번호 서비

스로 사용되고 있다. 050계열의 번호체계는 050-YYYY-YYYY로 11자리며 총 1억개의

번호자원 부여가 가능하다.

060계열은 정보제공자가 기간통신사업자의 화망 데이터망을 이용하여 화

정보 등을 제공하고 이용자는 통화료 이외에 별도의 정보이용료를 지 하는 화정

보서비스로 사용한다. 060계열의 번호체계는 060-NYY-YYYY로 10자리며 총 8백만

개의 번호자원 부여가 가능하다. 060계열의 번호부여 황은 <표 2-7>에 요약되어

있다.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33

<표 2-7> 060 화정보서비스 번호부여 황

사업자 KT SKB 데이콤 온세 SK텔링크 KTF LG텔 콤

부여번호 060-70Y 060-80Y 060-60Y 060-90Y 060-300060-200060-201

060-500060-501

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070은 공통식별번호 역에 속하지만 2005년 8월부터 인터넷 화 식별번호 용도

로 사용하고 있다. 070계열의 번호체계는 070-NYYY-YYYY로 11자리이며 총 8,000

만개의 번호자원 부여가 가능하다. 국번호 첫 자리의 N은 오발신을 이기 하여

서울지역 시내 화 국번호로 사용되고 있는 2, 3, 6을 국번호 부여 상에서 제외시

키고 나머지 번호 사업자들이 선호하는 7, 8 역을 우선 사용하고 4, 5, 9는 비

번호 역으로 확정하고 있다. 한 7, 8 역 에서 기간사업자에게는 100만개, 별

정통신사업자에게는 10만개 단 로 번호를 부여하되, 기간통신사업자는 73YY~

79YY, 80YY~82YY, 86YY~89YY, 별정통신사업자는 70YY~72YY, 83YY~85YY

으로 사업자 지 별로 번호 권역을 분리하고 있다. <표 2-8>은 070계열의 사업자

별 번호부여 황을 정리한 것이다.

<표 2-8> 사업자별 인터넷 화번호 부여 황

기간

역 73YY 74YY 75YY 76YY 77YY 78YY 80YY

사업자

엔터

라이즈

네트웍스

SK텔링크

데이콤 SKB KTSK

네트웍스

드림

라인

별정

역 700Y 701Y 702Y 703Y 704Y 705Y 706Y 707Y

사업자애니

유 넷

삼성

네트웍스

큰사람

컴퓨터무한넷

한화

S&C이앤텔 원텔

새롬

리더스

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080은 수신자가 통화요 을 부담하는 수신자부담 화서비스로 사용 이며 번호

34

체계는 080-YYY-YYYY로 10자리이고 총 천만개의 번호자원 부여가 가능하다. 서

비스 기 형기업의 콜센터 번호로 이용되었으나 기업들의 비용 감 15YY계

열의 국 표번호 활성화로 시장규모는 어들고 있는 추세이며, 번호부여 황은

<표 2-9>와 같다.

<표 2-9> 080 수신자부담서비스 번호부여 황

사업자 KT SKB 데이콤 온세 SK텔링크 SK텔 콤 KTF LG텔 콤

부여번호

080-0YY080-2YY~

080-7YY080-9YY

080-80Y~080-84Y

080-85Y080-86Y

080-87Y080-88Y 080-89Y 080-11Y

080-17Y080-16Y080-18Y 080-19Y

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특수번호는 1YY 는 1YYY계열의 번호로서 공공질서의 유지와 공익증진 는 기

통신사업에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며, 각 특수번호 계열별 용도와 리주체가 방송통신

원회 사업자로 구분되어 있다. 용도는 크게 3가지로 나 어지는데 통신사업자의

민원 고장신고, 공공기 에서의 공익목 , 기간통신사업자의 화부가서비스로 분류

할 수 있다. <표 2-10>은 이와 같은 특수번호의 용도 리주체를 요약한 것이다.

<표 2-10> 국내 특수번호 체계별 용도 리주체

번호계열 자릿수 용 도 리주체

10Y 3 사업자의 민원안내 통신망 유지보수 등 통신업무 취

방송통신 원회

11Y, 12Y 3 범죄, 간첩, 화재 등 긴 한 민원사항의 신고 방송통신 원회

13YY 4 공공기 에서 제공하는 기상, 등 생활정보 안내, 상담 국민 홍보

방송통신 원회

14YY 4 기간통신사업자의 부가서비스( 비) 방송통신 원회

15YY 4 기간통신사업자의 자율부가서비스 사업자

16Y 는 16YY 3~4 기간통신사업자의 공통부가서비스(공통) 방송통신 원회

17Y~19Y 는 17YY~19YY 3~4 비 방송통신 원회

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35

특수번호 10Y 역은 통신사업자의 민원 고장신고 용도로 사용되는데, 10Y

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자는 동일한 용도로 사용해야한다. <표 2-11>은 10Y 역의

사용 황이다.

<표 2-11> 특수번호 10Y 사용 황

구분 0 1 2 3 4 5 6 7 8 9

10YKT민원안내

데이콤민원안내

- - - -SKB민원안내

데이콤고장신고

SKB고장신고

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11Y와 12Y 역은 범죄, 간첩, 국가안보, 화재 등과 같은 긴 한 민원사항의 신고

용도로 사용되며, 사용하는 기 에서는 국 규모의 통신망을 구성해야한다. <표 2

-12>는 11Y와 12Y 역의 사용 황을 요약한 것이며, 이 111, 112, 113, 118,

119, 125, 127은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표 2-12> 특수번호 11Y, 12Y 사용 황

구분 0 1 2 3 4 5 6 7 8 9

11Y정부민원안내

국가안보신고

범죄신고

간첩신고

번호안내

보신청

시보안내

성매매신고

사이버테러

화재신고

12Y 행자부민원

수도고장

-기

고장-

수신고

-마약신고

환경신고

보건복지민원

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13YY 역은 공공기 에서 기상, , 공공기 의 민원을 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데, 부분 4자리번호이나 기통신번호 리세칙 이 부터 사용해온 3자리 번

호(131, 132 등)는 계속 3자리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앞서 11Y와 12Y 역 경우와

동일하게 해당 번호를 사용하는 기 은 국 규모의 통신망을 구성해야하나, 국

36

규모의 통신망을 구성하는 것이 비효율 이거나 국 규모에 상응하는 통신망을 구

성할 경우 번호부여가 가능하다. 번호사용 황은 <표 2-13>과 같다.

<표 2-13> 특수번호 13YY 사용 황

구분 0 1 2 3 4 5 6 7 8 9

130Y우체국

민원

검찰청

범죄신고

131 기상 보

132 법률안내

133Y외국인

안내

인권침해

차별신고

융 련

민원신고

교통정보

ARS정통부

종합민원

개인정보

침해신고

의약분업

신고

통신 원

회민원

응 환자

신고

134 안내(1330 외국인 안내와 통합 정)

135Y노동부

민원신고

국민연

상담

136Y자원 사

안내

요보호

여성상담

융정보

ARS

137Y잉여식품

나 기

138Y주민번호

확인

감사원

기업불편

신고

청소년

유행사범

신고

노인학

신고

139Y아동학

신고

부패방지

신고

부정

불량식품

신고

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14YY, 17Y~19Y( 는 17YY~19YY)는 비번호 역으로, 기통신번호 리 세

칙 제정이 부터 사용해온 141, 183, 188은 그 로 유지하되 번호 리세칙제정 이후

에는 추가 인 번호부여를 하지 않고 있다. 재 해당 번호 역의 사용 황은 <표 2

-14>와 같다.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37

<표 2-14> 특수번호 14YY, 17Y~19Y 사용 황

구분 0 1 2 3 4 5 6 7 8 9

14YKT 화

연락방

17Y17YY18Y

18YY미아

가출신고

감사원

민원신고

19Y19YY

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15YY는 기간통신사업자의 자율부가서비스 역으로 사업자가 사업자망 내에서

자율 으로 사용 리하고 있다. 해당 번호 역은 타사업자간 상호 속의무가

없으므로 사업자망 내에서 자사 가입자 상으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망내 시

험용 번호로 사용 이다. 따라서 각사업자마다 동일한 번호의 용도가 상이하므로

원칙 으로 타망과의 상호 속이 불가하지만, <표 2-15>와 같이 사업자간 의를

통하여 일부의 경우 호소통되고 있다.

<표 2-15> 특수번호 15YY 사용 황

구분 0 1 2 3 4 5 6 7 8 9150

151YKT

멀티로

서비스

152 KT 고사서함

153 KT 화동아리

154YKT

콜 트콜

데이콤

국 표

번호

KT패스콜

38

구분 0 1 2 3 4 5 6 7 8 9155

156YSKB

평생번호

SKB기업

UMS

SKB국

표번호

157YKT

사서함

KT국 표

러스

158YKT화투표

KT평생번호

KT국 표

번호

159YSKB

콜 트콜

SK텔링크

표번호

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16Y 는 16YY은 기간통신사업자 부가서비스 용도로 사용되며, 기에는 16Y(3

자리) 형태로 사용했으나 기간통신사업자의 증가 신규서비스 개발로 16YY(4자

리)로 확장하여 사용하고 있다. <표 2-16>은 해당 역의 사용 황을 정리한 것

이다.

<표 2-16> 특수번호 16YY 사용 황

구분 0 1 2 3 4 5 6 7 8 9

160YSKB국 표

번호

161 KT 카드서비스

162 SKB 콜링카드

163Y 데이콤

콜링카드

데이콤

다자간콜

트콜

데이콤

고포털

표번호

164YKT

기업음성

표번호

데이콤

국 표

번호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39

구분 0 1 2 3 4 5 6 7 8 9

165YSKB가상

사설망

데이콤

VPN원격

데이콤

VPN

SKB리미엄

콜 트콜

166 KT 가상사설망(VPN)

167Y 온세

후불카드

온세

자동

콜 트콜

SK텔링크

국 표

번호

168Y SK텔링크

콜 트콜

온세 국

표번호

169 KT 발신번호 표시방지

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국제 화 식별번호의 경우, 기간통신사업자는 00X(3, 7, 9 제외) 역에서 부여하

고, 기간통신사업자의 국제 화부가역무 설비보유재 매사업자는 003YY 는

007YY 역에서 부여한다.

<표 2-17> 기간통신사업자 국제 화 식별번호 부여 황

식별번호 001 002 003 004 005 006 007 008 009

사업자 KT 데이콤 - 미사용 SKBSK

텔링크- 온세 -

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표 2-18> 기간통신사업자 국제 화 부가서비스 번호부여 황

번호 사업자 용도 번호 사업자 용도

00300 데이콤 이코노폰 자동통화 00724 KT 월드폰넘버원

00301 SKB 국제요 선택 00725 KT 슈퍼팩스

00302 데이콤 VPN 교환 속 00726 KT 비

00303 데이콤 비 00727 KT 인터넷폰

00304 데이콤 세계시각 안내 00728 KT 비

00305 데이콤 카드 00729 KT AT&T HCD(발신)00306 데이콤 이코노폰 0073 KT 제3자요 부담

40

번호 사업자 용도 번호 사업자 용도

00307 데이콤 화통역 00744 SK텔링크 국제 화선불카드

00308 데이콤 국제자동콜 트콜 00761 SKB 통화내역조회

00309 데이콤 고국교환원직통통화 00762 SKB 화통역

0031 데이콤 요 즉시통보 00763 SKB 제3자과

0033 데이콤 제3자 과 00764 SKB 국제회의 화

00360 온세 가상사설망 00765 SKB 카드

00361 온세 요 즉시통보 00766 SKB 이코노폰자동통화

00362 온세 국제팩스 00767 SKB 리미엄요 선택

00363 온세 제3자과 00768 SKB 가상사설망

00364 온세 비 00769 SKB HCD(발신)00365 온세 인터넷폰 00780 SK텔링크 제3자과

00366 온세 인터넷폰카드 00790 KT 가상사설

00367 온세 종합개인통화 00791 KT 콜링카드(발신)00368 온세 국제착신과 부담 00792 KT 비

00369 온세 고국교환원(HCD)호출 00793 KT 선불카드(발신)00700 SK텔링크 인터넷폰 00794 KT 국제안내

0071 KT 요 즉시통보 00795 KT 국제 보

00720 KT 신용카드 00796 KT 외국인 용월드폰카드

00721 KT 월드폰 러스 00797 KT 스마트폰카드

00722 KT HCD(발신) 00798 KT 클로버(KT-800)00723 KT 자동 화회의서비스 00799 KT 국제수동통역

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표 2-19> 별정 국제 화사업자의 식별번호 부여 황

사업자 음성재 매 인터넷 화

나래텔 콤 00321 -

KTF 00345 -

원텔 00370 -

KT 워텔 00377 -

이티솔루션스 00782 00382아이투라인 - 00386HK텔 콤 00701 -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41

사업자 음성재 매 인터넷 화

아이씨엔텔 콤 00707 -

베스트테크놀로지 00745엔터 라이즈네트웍스 00747 -

도화텔 콤 - 00753삼성네트웍스 - 00755

이텔 콤 - 00760새롬리더스 00770 -

데이콤사이버패스 00779 -

한화S&C 00787 -

애니유 넷 00788 -

통신 00789 -

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시외 화 식별번호는 <표 2-20>의 부여 황에서 나타나듯이 기간통신사업자는

08X 역에서 부여하고 설비보유재 매사업자는 085YY 역에서 부여한다.

<표 2-20> 기간통신사업자 시외 화 식별번호 부여 황

식별번호 081 082 083 084 085 086 087 088 089

사업자 KT 데이콤 온세 SKB -SK

텔링크미사용 미사용 미사용

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후발 시외 화사업자들은 시외 화 시장에 진입시 화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하여 각사의 시외 화식별번호 뒤에 추가 으로 2자리를 붙여서 시내외 화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최근에는 08XYY에서 사용 인 서비스를 1자리 짧은 16YY계

열로 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42

<표 2-21> 기간통신사업자 시내외 화 부가역번호 부여 황

구분 11 12 13 14 15 16 17 18 19KT

081YY데이콤082YY

VPN교환 속

3자과시외

다이 트콜링카드

선불카드

자동콜 트콜

고도선불카드

온세083YY

온세다이 트

가상사설망

3자과신용카드

후불카드

선불카드

VPN원격 속

가입팩스

SKB084YY

이코노시외폰

SK텔링크086YY

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설비보유재 매사업들의 시외 화서비스는 행 속료 체계상 원가보상율이 낮

아 기간통신사업자와 가격 경쟁력이 없어 시장규모가 미미한 상황이다.

<표 2-22> 별정 시외 화사업자의 식별번호 부여 황

사업자 음성재 매 인터넷 화

이텔 콤 08560 -

엔터 라이즈네트웍스 - 08565이티솔루션스 08582 -

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014XY는 데이터망(부가통신망)서비스 식별번호로 사용 이나, 2000년부터 속

히 보 된 고속인터넷서비스로 재 이용률이 매우 미미하다.

<표 2-23> 014XY 데이터망 식별번호 부여 황

사업자 KT SKB 온세 삼성SDS SK텔 콤 경기도

식별번호

01410(코넷)01411(코넷)01412(코넷)

01413(리빙넷)01414(리빙넷)

01441(하나넷)

01431(신비로)

01433(유니텔)

01443(넷츠고)

01446(경기넷)

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43

다. 국내 서비스별 번호사용 황7)

1) 시내 화

서울지역 경기지역은 국번호 3자리 는 4자리가 공존한다. 서울지역에서 일부

3YY, 4YY~5YY, 7YY~9YY 역의 577개는 3자리 국번이고 2YYY, 일부 3YYY,

6YYY 역의 1,630개 국번은 4자리이다. 경기지역은 80Y 역을 80YY로 4자리 확

장하 으며, 그 외 번호 역은 3자리이다. 그 외의 지역은 모두 3자리이다.

시내 화번호이동성(LNP)의 도입 지역 인구 증가로 인해 서울지역 경기지

역 국번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2008년 1월 기 으로 3자리와 4자리를 합

하여 체 국번호수가 14,297개이다. 이 44.6%인 6,373개 국번이 시내사업자에게

부여되었으며, 사업자별로는 <표 2-24>와 같이 사용되고 있다. 사업자별 국번 사

용 황을 보면, 체 국번호 14,297개 KT가 31.4%인 4,497개, SK 로드밴드가

10.35%인 1,482개, 데이콤이 2.75%인 394개의 국번을 부여 받아 사용 임을 알 수

있다.

<표 2-24> 국번 총 황

시내 화

총자원 부여 황 잔량

(비율)사업자 명 부여수 부여율 사용율

14,297KT 4,497 31.4% 64.85%

SKB 1,482 10.35% 20.2%데이콤 394 2.75% 41.6%

합 계 6,373 44.5% 53.01% 7,932(55.5%)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지역별 시내사업자 국번호 부여 황을 보면, <표 2-25>에서 알 수 있듯이 서울

지역과 경기지역이 80.1%와 91.5%로 가장 많이 부여되었으며 이하 부산, 인천, 구

의 순으로 시내 화국번호가 많이 부여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 시내 화번호는

7) 2008년 1월말 재

44

2YY(2YYY)~9YY 역에서 골고루 부여된 상황이다.

<표 2-25> 지역 사업자별 국번호 부여 세부 황

지역구분

번호별 부여 황사업자별 세부 부여 황

총자원부여 국번호 잔여국번호

기부여 부여율 잔여 잔여율 KT SKB 데이콤

서울(02) 2,207 1,768 80.1% 439 19.9% 1,140 530 98경기도(031) 890 814 91.5% 76 8.5% 658 94 62인천(032) 800 386 48.3% 414 51.8% 273 100 13강원(033) 800 216 27.0% 584 73.0% 165 39 12충남(041) 800 245 30.6% 555 69.4% 185 40 20

(042) 800 283 35.4% 517 64.6% 171 100 12충북(043) 800 196 24.5% 604 75.5% 152 29 15부산(051) 800 424 53.0% 376 47.0% 311 93 20울산(052) 800 206 25.8% 594 74.3% 89 100 17

구(053) 800 357 44.6% 443 55.4% 253 91 13경북(054) 800 311 38.9% 489 61.1% 240 46 25경남(055) 800 347 43.4% 453 56.6% 268 45 34

남(061) 800 254 31.8% 546 68.3% 197 39 18주(062) 800 254 31.8% 546 68.3% 143 100 11북(063) 800 222 27.8% 578 72.3% 178 26 18

제주(064) 800 81 10.1% 719 89.9% 65 10 6계 14,297 6,364 44.5% 7,933 55.5% 4,488 1,482 394

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지역별 사업자별 국번호 사용 황을 보면, 체 6,364개 번호에 한 평균 번호사

용률은 44.5%로, KT는 4,488개, SK 로드밴드는 1,482개, 데이콤은 394개 국번호

자원을 사용 이다.

2) 인터넷 화

인터넷 화의 번호자원의 경우, 기간통신사업자는 070-ABYY-YYYY로 100만개

단 로 부여하고 있으며, 별정1호사업자는 070-ABCY-YYYY로 10만개 단 로 부여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45

하고 있다. 국번호 세부 황은 <표 2-26>과 같다.

<표 2-26> 기간 별정 국번호 부여 세부 황

구 분 국번호 국번호 수 부여 국번호 수 부여율(%)

별 정

(6개사업자)

7000~7299 300 80 26.78300~8599 300 0 0.0

소 계 600 80 13.3

기 간

(8개사업자)

7300~7999 700 700 100.08000~8299 300 200 66.78600~8999 400 0 0.0

소 계 1,400 900 64.3

구분국번호자원

국번호 부여내역비고

사업자명 부여 역 개수

별정(6개) 600

(주)애니유 넷 7000~7009 10 SK네트웍스에 합병

삼성네트웍스(주)7010~70197090~70997110~7119

30 7014국번호 재부여(한가람정보통신)

(주)무한넷코리아 7020~7029 10(주)한화 S&C 7040~7049 10(주)새롬리더스 7070~7079 10씨씨엠 라자 7100~7109 10

소 계 80(13.3%)

기간

(8개)1,400

(주)EPN 7300~7399 100SK텔링크(주) 7400~7499 100

(주)데이콤 7500~7599 100SK 로드밴드(주) 7600~7699 100

(주)KT 7700~7799 100SK네트웍스(주) 7800~7899 100

(주)온세통신 7900~7999 100드림라인(주) 8000~8099 100

한국 이블텔 콤 8100~8199 100소 계 900(64.3%)

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46

3) 이동 화

이동 화 국번호 부여는 1984년 한국이동통신공사가 최 의 차량용 이동 화서비스

를 하기 한 식별번호로 011을 사용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신세기통신이 식별번호 017

을 부여받았으며, PCS 사업자들에게도 사업자식별번호를 부여하 다. 정부는 1996년

‘정보통신 번호체계 개선방안’에서 PCS사업자들에게 071, 072, 073을 부여할 계획이

었으나, 사업자간 번호로 인한 공정경쟁 문제 제기로 이를 포기하 으며, 이후 이동

화 식별번호로 018을 부여하려 하 으나, 사업자들의 반 로 결국 KT 리텔에게

016, 한솔M.COM에게 018, LG텔 콤에게 019의 식별번호를 부여하 다. 1997년에

는 번호부족 상이 상되어 미사용 이던 9YY 3자리국번을 9YYY 4자리 국번으로

확장 사용하게 되었다. 이에 SK텔 콤, KT 리텔, LG텔 콤은 9YY국번의 4자리 확장

승인을 받아 011-9YYY, 016-9YYY, 019-9YYY 9YYY과 같이 국번을 확장 사용했다.

2000년 사업자간 인수, 합병으로 식별번호 양도 혹은 양수가 발생하 는데, KT 리텔

이 한솔M.COM을 SK텔 콤이 신세기통신을 합병함으로써 KT 리텔이 018을, SK텔

콤이 017을 양수하 다. 2001년 1월에는 IMT-2000 번호부여방안이 발표되었으며(번

호체계: 010-NYYY-YYYY, 총 8,000만 가입자 수용), 2002년 2월에는 기존 2G 식별번

호를 회수하고, 장기 으로 010으로 통합하는 방안이 마련되었다. 이는 원칙 으로 3G

서비스 개시 이후 5년 이내에 기존 2G 식별번호(011, 016, 017, 018, 019)를 회수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2002년 3월, 3G 사업자에게 국번호가 부여되었는데, 사업자별 식별

번호가 아닌 서비스 식별번호체계로 변경하 으며, LG텔 콤에 010-2YYY, KT아이콤

에 010-3YYY, SKIMT에 010-7YYY 등 천만 단 의 국번호가 부여되었다. 이후 2003

년 1월, ‘이동 화번호제도 개선계획’에서 3G 식별번호 부여제도를 개선하 으며, 이

에 따라 3G 사업자에게 부여한 천만단 국번호 신 010-NYYY NY를 백만단 로

무작 로 배분하고 010 번호통합을 해 2004년 1월 1일부터 모든 2G 신규 번호변

경 시 010 번호만 의무 으로 부여하 다. 2003년 7월, SK텔 콤 국번호 부족으로

비번호 역인 011-17YY를 국번호로 환하여 부여하 다. 2003년 12월, 원활한 010통

합을 해 2G 환용 국번호를 부여하 는데, 번호변경 최소화 번호 랜드화 방지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47

를 한 010 역을 결정하고 기존 2G 번호에 국번호 첫 자리만 추가 는 변경되도록

환하 다. 한 국번호 첫 자리를 두 사업자에게 부여하고, 국번호 두 번째 자리로

사업자 구분하 다. 이동 화 국번호 부여 황은 <표 2-27>에 요약되어 있다.

<표 2-27> 이동 화 국번호 부여내역

둘째자리

첫째자리0 1 2 3 4 5 6 7 8 9

2 SKT(3G)LGT

(3G 반납)LGT

(2G 019)KTF(2G 016) KTF(3G)

3 KTF(2G) SKT(2G)KTF

(2G 016)SKT(2G 011) LGT(2G)

4 SKT(2G) SKT(2G)KTF

(2G 018)SKT(2G 017)

반납: 4671~4688SKT(2G)

5SKT

2G: 5070~5089KTF(3G)

SKT(2G 011)

LGT(2G 019) 비

6 비 비SKT

(2G 017)KTF(2G 018) 비

7비

(부여불가)SKT

(2G 011)KTF

(2G 016)LGT

(2G 019)비

(부여불가)LGT

(2G 019)8 LGT(2G 019) SKT(2G 011)9 SKT(2G 011) KTF(2G 016)

자료: 방송통신 원회, 재구성

기존 2G 이동 화번호의 010 환용 국번호 세부내역 변경방식을 보면 기존

2G 3자리국번은 국번호 앞에 한자리를 추가하여 4자리국번으로 변경하고, 기존 2G

4자리 국번은 국번호 첫 자리만 변경하여 4자리국번을 유지하고 있다.8) 이와 련하

여 세부내역은 <표 2-28>과 같다.

8) 단, 011-90YY~94YY, 016-95YY~99YY는 기존번호를 유지하고 있다.

48

<표 2-28> 2G 이동 화번호의 010 환용 국번호 세부내역

① SKT

2G 이동 화 기존 국번호 2G 010 환이후 국번호 비 고

011 3자리011-200~499 010-5200~5499

국번호 앞에 한자리 추가011-500~899 010-3500~3899

011 4자리

011-9000~9499 010-9000~9499 기존번호 유지

011-9500~9999 010-8500~8999 국번호 앞에 한자리 변경

011-1700~1799 010-7100~7199 국번호 앞에 두자리 변경

017 3자리017-200~499 010-6200~6499

국번호 앞에 한자리 추가017-500~899 010-4500~4899

② KTF

2G 이동 화 기존 국번호 2G 010 환이후 국번호 비 고

016 3자리016-200~499 010-3200~3499

국번호 앞에 한자리 추가016-500~899 010-2500~2899

016 4자리016-9000~9499 010-7000~7499

국번호 앞에 한자리 변경

(010-7000~7199 제외)016-9500~9999 010-9500~9999 기존번호 유지

018 3자리018-200~499 010-4200~4499

국번호 앞에 한자리 추가018-500~899 010-6500~6899

③ LGT

2G 이동 화 기존 국번호 2G 010 환이후 국번호 비 고

019 3자리019-200~499 010-2200~2499

국번호 앞에 한자리 추가019-500~899 010-5500~5899

019 4자리019-9000~9499 010-8000~8499 국번호 앞에 한자리 변경

(010-7800~7899 제외)019-9500~9999 010-7500~7999

자료: 방송통신 원회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49

제3 주요국 번호자원 리 황

1. 미 국

가. 번호정책기구

미국은 FCC와 INC(Industry Numbering Committee), 개별 주정부에 의하여 번호자

원 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1996년에 통신법 개정으로 번호 련 정책결정은 FCC

가 담당하고, 번호자원에 한 기술 인 정의 사용에 해서는 INC(Industry Num-

bering Committee)9)가 담당하게 되었다. 한 개별 주정부도 FCC의 결정에 되지

않는 범 내에서 번호 련 정책수립이 가능하다.

북미번호계획으로 불리는 NANP(North America Numbering Plan)은 1947년에 Bell

System( 재 AT&T)의 장거리 화의 과 호처리를 해 수립되었으며,10) 미국

을 포함한 북미 19개국의 번호체계를 규율하고 있다.11) 각국 규제기 이 별도로 자

국의 번호계획과 련한 인 권한을 행사하기는 하지만 번호자원의 활용에 있

어서는 각국 규제기 들이 암묵 는 명시 인 력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2006

년 12월 재, 총 322개 NPA codes(Numbering Plan Area 지역번호) 279개가 미국

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25개가 캐나다에서 사용되고, 나머지 18개의 지역번호는 기

타 17개국에서 사용되고 있다.12)

9) INC는 NANP(North American Numbering Plan, 북미번호계획)의 정책방향 설정을

한 규제기 통신사업자로 이루어진 의체이다.10) NANP 참여국가: U.S.A(미국령: Puerto Rico, U.S.Virgin Islands, Guam, the Com-

monwealth of the Nothern Mariana Islands, American Samoa), Canada, Anguilla, Antigua & Barbuda, Barbados, Bahamas, Bermuda, British Virgin Islands, Cayman Islands, Dominica, Dominican Republic, Grenada, Jamaica, Montserrat, St.Kitts & Nevis, St.Lucia, St.Vincent & Grenadines, Trinidad & Tobago, Turks & Caicos Islands

11) 미국과 미국령의 국가들을 비롯한 캐나다, 자메이카, 바하마, 도미니카, 트리니다

드 토바고, ( 국령)버진 아일랜드 등 19개 북 미 국가들이 이 번호계획을 따르

고 있다.

50

미국 번호자원에 한 리는 FCC로부터 련 권한을 임받은 NANPA(North

America Numbering Plan Administrator)와 PA(the Pooling Administration)에서 수행하

고 있다.13) 통신법 제251조는 번호 리시 공평성(on an equitable basis)의 원칙을

수해야 함을 명시하며, 번호 리 번호이동성 련 기 의 설립에 소요되는 비용

은 경쟁 립성 원칙으로 통신사업자가 담당해야함을 규정하고 있다. NANPA와 PA

는 의사결정기구가 아니며 다만 번호 련 세부정책은 규정에 근거하여 규제기

에서 발표되는 지침이나 가이드라인에 따라 번호자원을 리한다. NANPA(North

American Numbering Plan Administration)는 FCC에 의해서 결정된 규칙에 따라 번호

자원의 운 과 련된 일반 인 업무를 수행한다. NANPA의 주요 기능은 번호자원

의 운 , 번호자원 부족 해소 계획(area code relief planning)의 조정, 번호자원 활용

과 련된 통계수집 수요 측 등이다.

1984년 AT&T 분할 이후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Corporation (Bellcore)가

1997년까지 NANPA의 기능을 수행하며 북미번호자원을 리해왔으며, 이후 FCC와

의 계약에 따라 NANPA의 기능은 Lockheed Martin(1997~1999), NeuStar(1999~

재)가 수행하고 있다. NANPA 운 비용은 FCC와의 계약에 따라 일정하게 정해져

있으며, 일차 으로 각 나라의 인구 등에 비례하여 배분된다. 2006년 7월에서 2007

년 6월까지, 미국이 NANPA 운 비용 약 98% 정도에 해당하는 $4,876,926를 부

담했으며, 그 외 국가들이 $83,238를 분담해왔다. 나라마다 할당된 분담 은 최종

으로 해당 국가의 통신사업자 등에 의해서 납부되고 있다.14)

12) NPA 번호는 통 으로 지리 역을 구분하는데 사용되었으므로 흔히 지역번

호로 언 되고 있으나, 지역 기반이 아닌 국을 기 로 하는 서비스에도 할당할

수 있다. NPA 코드는 크게 4개의 범주(Specific Geographic NPA Relief Codes, NANP expansion NPA Codes, Easily Recognizable NPA CodesGeneral Purpose NPA Codes)로 구분된다.

13) 이외 NANC(North American Numbering Council)가 번호자원의 활용과 련된 각

종 자문을 FCC에 제공한다. 14) 이에 한 자세한 내용은 제4장에서 다루기로 한다.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51

나. 번호체계

미국의 번호체계는 10자리 번호체계(NXX-NXX-XXXX)로 유선과 무선 서비스의

번호를 같이 사용하고 있다. 즉, 유선 무선통신서비스별로 별도의 식별번호(NPA)

를 사용하고 있지는 않다.

<표 2-29> 번호체계 변화 연

시 기 구 성 비 고

1947년 기 번호체계 N(0 는1)X-NNX-XXXXN는 2~9, X는 0~9 1975년 번호체계 N(0 는1)X-NXX-XXXX

1995년~ 재 번호체계 NXX-NXX-XXXX자료: ATIS(2002), 박종훈 외(2003)에서 재인용

<표 2-30> 유무선 번호체계

구 분 자릿수 번호구조

유선지역번호 3 NXX시내 화 7 NXX-XXXX

무선 Cellular, PCS 10 시내 화와 동일하게 사용

자료: 박종훈 외(2003)에서 변형

미국 각 지역은 세 자리 지역 화번호(Numbering Plan Area, NPA)로 구분되어 있

다. NPA 번호는 통 으로 지리 역을 구분하는데 사용되었으므로 흔히 지역

번호로 언 되고 있으나, 지역 기반이 아닌 국을 기 로 하는 서비스에도 할당할

수 있다. NPA 코드는 크게 Specific Geographic NPA Relief Codes, NANP expansion

NPA Codes, Easily Recognizable NPA Codes, General Purpose NPA Codes의 4개의 범

주로 구분된다.

52

<표 2-31> NPA 코드 할당 황

NPA 서비스

456 수신용 국제 화(Inbound International)500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15)

600 캐나다인을 한 서비스(Canadian Services)700 Interexchange Carrier Services710 미국 정부

800 착신과

866 착신과

877 착신과

880 선불착신과

881 선불착신과

882 선불착신과

888 착신과

900 리미엄 서비스(Premium Services)N11 지역단체, 화번호안내, 화고장신고 등

자료: Neustar(2008), NANPA 2007 Annual Report, 2008

다. 번호부여 기

번호부여 원칙(NPA code 부여 원칙)에 따르면 번호는 공평한 방식(in a fair and im-

partial manner)으로 부여되어야 하며, 부여된 용도로 사용되어야 한다. 번호자원은

이용자나 사업자에 의해 리(administered)되지만 “소유”(owned)되지는 않고, 번호

부여시 PSTN망의 효율 사용을 진하도록 해야 한다. 한 번호자원의 부여는 이

용자들의 혼란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VoIP 번호와 련해 기 VoIP 사업자들은 LEC으로부터 부여 받았으나, 재는

NANPA로부터 직 번호를 부여받는 것도 가능하다. 기의 VoIP 사업자들은 서비

스 제공을 해서 LEC의 소매상품을 구입하여 그에 수반되는 번호를 LEC으로부터

15) PCS는 국내의 LGT, KTF 등이 제공하는 PCS서비스와 동일한 개념이 아닌 것으로

보이며, NANPA에서의 개념 규정을 고려해 볼 때 국내 서비스 평생번호 서비

스와 유사한 서비스로 단된다.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53

부여받고 이를 다시 소비자들에게 매하는 방식을 취하여 왔다. 따라서 PSTN과의

상호 속을 해서는 VoIP 사업자가 으로 LEC의 스 칭 기능에 으로 의존

해야 했다. 그러던 것이 2005년 2월, FCC가 NANPA로부터 직 번호를 할당받게

해달라는 VoIP 사업자의 요구를 받아들이면서16) NANPA로부터 직 번호를 할당

받게 되었다. 따라서 VoIP 사업자들은 자신의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ILEC의 텐덤 스

치(tandem switch)를 연결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보다 효율 인 상호 속 방식

을 용할 수 있게 되었다. FCC는 SBCIS 요구를 수용하는 동시에 다음과 같은 몇 가

지 조건들을 SBCIS에 요구하 는데 SBCIS는 번호자원의 효율 인 활용을 한 FCC

와 주정부의 방침들 그리고 번호이동을 포함한 번호자원 리에 한 통신 산업의

일반 인 기 들을 수해야 하며, 여기에는 NRUF(Numbering Resource Utilization

and Forecast Report)17) 제출에 한 의무도 포함된다. 이에 따라 최소한 30일 이내에

FCC나 주정부의 련부서에 번호할당을 신청해야 하며, 설비보유의 유무(facilities

readiness requirement)를 입증하기 하여 LEC와의 상호 속 계약서를 제출하거나

일반 인 계약 조건에 따른 상호 속 계약 체결을 요구했음을 입증하는 서류를 제

출해야 한다. 이는 VoIP 사업자에 한 번호자원의 직 할당에 한 다른 통신사업

자의 우려를 부분 으로 반 한 것이다. FCC는 2005년 11월에 VoIP 사업자에 긴

통신서비스(911) 제공의무를, 2006년 6월에는 USF 의무를 부과하 으며, 이에 VoIP

사업자들은 연방법원에 FCC의 결정에 불복하는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IP기반 서비스 번호정책과 련하여 FCC는 NANC(North American Numbering Council)

에 VoIP를 포함한 IP기반 서비스 번호정책에 한 검토를 요청했으며, 그 결과 NANC

소속 FoN(Future of Numbering Working Group)이 2005년 7월 VoIP 번호정책에 한

16) SBC의 자회사인 SBCIS(SBC Internet Services, Inc.)는 2004년 7월, 번호할당을 요

청하기 해서는 해당지역에서 서비스 제공을 허가받은 사업자이어야 한다는 연

방 리규약(47 C. F. R. §52.15(g)(2)(i))을 일정기간 유 할 것을 요구하는 청원서

를 FCC에 제출하 고, FCC는 일정한 기간의 검토를 거쳐 이를 승인했다.17) NRUF는 사업자가 자신의 번호자원 사용과 향후 추가 인 수요에 한 측을 보

고하는 것으로 번호자원 리를 한 기 인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54

연구 결과를 발표하 다.18) 연구결과는 기본 으로 SBCIS에 한 FCC의 결정을 지

지하며 그 후속조치들로 행정 인 차나 련 법령이 수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했

다. 한 번호자원을 사용하는 서비스가 PSTN망을 통한 통화가 가능하다는 제하

에서 VoIP 사업자들을 포함한 모든 사업자들에게 제공되어야 하며, 번호자원을 할

당받은 사업자들은 번호자원과 련된 동일한 수 의 의무를 수하는 것이 기본원

칙이라 주장했다. 그 밖에도 기본 으로 VoIP 사업자들도 FCC의 LNP(Local

Number Portability) 기 이나 사업자들에 의해 마련된 LNP 표 , LNP 비용분담 등

모든 LNP 의무사항을 수해야 하며, 세부 인 사항은 추후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

라고 분석하고 있다.

라. 번호통합 번호부족 응사례

미국은 재의 10자리 번호체계로 번호자원이 부족하게 됨에 따라 각 지역번호의

고갈 시 을 측하기 해 련보고서를 작성하는 동시에 기존의 10자리 번호체계

에서 12자리 번호체계로 환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기존 번호체

계에서는 64억(800×800×10,000)개의 번호를 사용할 수 있으나, 확장된 번호체계에

서는 6,400억(8,000×8,000×10,000)개의 번호사용이 가능하다. 확장방식은 동시에 두

자리 모두를 추가하거나, 지역번호에 한자리만을 먼 추가 혹은 Central Office 코

드에 한자리만을 먼 추가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표 2-32> 환방안 1: 동시에 두 자리 모두를 추가

재 환 후

NXX+NXX+XXXX NXX(X)+(X)NXX+XXXX자료: 박종훈 외(2003)에서 변형

18) FoN, “VoIP Service Providers’ Access Requirements for NANP Resource Assignments- NANC Report and Recommendation,” 2005. 7.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55

<표 2-33> 환방안 2: 지역번호에 한자리만을 먼 추가

재(10자리) 1단계 환(11자리) 2단계 환(12자리)NXX-NXX-XXXX NXX(X)-NXX-XXXX NXX(X)-(X)NXX-XXXX

자료: 박종훈 외(2003)에서 변형

<표 2-34> 환방안 3: Central Office 코드에 한자리만을 먼 추가하는 방안

재(10자리) 1단계 환(11자리) 2단계 환(12자리)NXX-XX-XXX NXX-Y)*NXX-XXX NXX(X)-X)NXX-XXX

주: Y는 0, 2~9자료: 박종훈 외(2003)에서 변형

이와 같은 번호 확장계획이 완료되기까지 10여 년의 시간이 필요하며, 번호 확장

을 실행하기에 앞서 사업자들이 시설 시스템 확충 그리고 이것을 운 하기 한

여유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상된다.

마. 시사

유무선이 동일한 번호체계를 가지고 있는 미국은 번호자원의 효율 활용을 하

여 NPA 번호에 한 수요 측 운 방안에 한 연구에 많은 힘을 기울이고 있

으며, 번호확장계획 수립에 있어서도 환방안에 하여 소요 비용 환 시기 등

의 측면에서 다양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 시행시기도 10년 이상의 시간을

두면서 진행하고 있다. 국내 번호정책이 궁극 으로 유무선간 동일한 번호체계로의

통합을 지향한다고 한다면, 유선의 지역번호와 통신망 식별번호, 공통식별번호 등

과 같은 번호간 통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한

번호체계 개편은 사 연구뿐만 아니라 실제 용에도 지 않은 비용과 시간이 소

요되는 작업이므로 체계 인 계획에 따라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앞

서 언 된 미국의 번호 리를 여겨 볼 필요가 있다.

56

2. 호 주

가. 번호정책기구 련정책

호주의 번호체계 리주체는 방송통신규제기구인 ACMA(Australian Communications

and Media Authority)로 신규번호의 부여는 ACMA가 번호자문 원회(Numbering Advi-

sory Committee)와 ACCC(Australian Competition and Consumer Commission)와의

의를 통해 이루어진다.19) ACMA는 호주의 통신서비스 번호정책에 한 임워크

를 구성, 련 서비스별 번호 역의 결정, 기존 번호자원의 리 신규 번호개발

계획 등을 담당하고 있다. ACMA는 기통신번호 리정책의 정책목표로 음성통신

서비스 시장 수요에 부응하는 번호의 충분한 공 , 해당 서비스별 번호할당 시스템

의 시행, 신 신규서비스 제공을 한 번호체계의 개선 등을 제시하고 있다.

호주는 1960년에 9자리 번호체계로 시작으로 재 Telecommunications ACT 1997

에 하여 번호체계를 리 이다. 1991년에 Telstra에서 AUSTEL로 번호업무를

이 하고, 1993년에 번호부족으로 인한 신규번호계획의 수립에 착수했다.20) 1998년

에는 일부지역에 시내 화번호이동성을 시범 도입하고, 2000년에 이를 시내 화

국지역으로 확 함에 이어 2001년에는 이동 화에도 번호이동성을 도입했다.

동법의 제455조는 다음과 같이 번호 달 체계에 한 3가지 개념으로 번호계획

을 정의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첫째, 번호계획은 송서비스(carriage service)를 공

에 제공하기 한 연결 목 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둘째, 송사업자(carriage ser-

vice provider)에게 번호를 부여하고 셋째, 송사업자가 이용자에게 번호 제공하는

것에 한 개념으로 정의된다.

19) ACMA는 기존 통신청(ACA), 방송청(ABA)의 통합에 따라 2005년 탄생되었다.20) 1997년에는 AUSTEL과 SMA(Spectrum Management Agency)가 ACA(Austalian Com-

munications Authority)로 통합되고, 기통신법(The Telecommunications ACT 1997)이 발표되었다.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57

나. 번호체계

호주는 유무선서비스 모두 국번호를 포함하여 10자리 번호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지역번호체계는 1997년 54개 지역번호를 총 4개 권역으로 역화하여 02( 동부),

03(남동부), 07(북동부), 08( 서부)의 번호 역으로 할당하 고,21) 이러한 번호체계

를 근간으로 하여 8자리 시내 화번호와 함께 일반 유무선가입자번호 모두를 10자

리의 구조로 통일하 다(이동 화의 경우 04 역을 사용).

<표 2-35> 유무선 화 번호체계

구 분 자릿수 번호체계 비 고

유 선지역번호 2 02, 03, 07, 08 4개 권역

시내 화 8 YYYY-YYYY

무 선 10040-YYY-YYYY041-YYY-YYYY

자료: ACMA

호주의 번호체계는 국제 ITU-T 권고의 E.164를 수하고 있으며, ‘0X’와 ‘1X’의

기능 분리를 통해 번호구조를 체계화시켰다. ‘0X’ 구조는 고정 이동계의 각종

화 서비스 식별에 사용하며, ‘1X’ 구조는 특수번호와 요 약 서비스를 심으

로 특수망과 사 선택제 코드 등 효율 시장 리에 필요한 번호를 배정하고 있다.

응 서비스에는 000, 100, 112번을 부여22)

하고, 국제서비스는 국제표 권고와 부합

(001, 009)하는 ‘00’계열을 사용하여 화, 성, 팩스, 가상 사설망 등의 국제 서비

스에 특화시켰다. 지역번호는 기존의 54개 지역번호를 역화된 방향으로 재편시켜

02, 03, 07, 08계열로 통합시켰으며, ‘0’ prefix를 포함해 화번호의 총 자릿수를 10

21) 호주의 경우 지역번호의 역화는 엄격한 State 간 경계를 기 으로 추진되었다기

보다는 지형 특성에 의해 오랜 기간에 걸쳐 자연 으로 형성된 동일 생활권이

최 한 반 되었다.22) ACT Subsection 466

58

자리로 통일시키고 있다. 성 화, 무선호출, 이동 화(아날로그), 패킷망 서비스 등

의 무선서비스는 향후 수요가 증할 것에 비하여 ‘01’계열에 특화 배정하여 서비

스를 탄력 으로 수용하고 있다. 한 교환원 속 서비스(Operator Service)의 경우

여러 번호계열에 산재해 있는 교환원 속 서비스를 ‘12’ 단일 계열에 배정함으로써

번호의 정보성을 통한 인지도 향상은 물론 번호 리상의 효율을 기하 다.

[그림 2-1] 유선 화 4개 권역별 지역번호

중동부지역(02)

남동부지역(03)

중서부지역(08)

북동부지역(07)

자료: ACMA

<표 2-36> Prefix별 서비스 구분

Number prefix

Description of service Type of charge to caller

000 Emergency call service-응 구조용 Free call 106 Text based emergency call service-청각장애자용 Free call 112 International GSM emergency call number Free call 1221 International faults and difficulties Usually free 1222 Call costs and enquiries Usually free 1223 Local national directory assistance Usually free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59

Number prefix

Description of service Type of charge to caller

1225 International directory assistance Usually free 1234 Operator connect Charges for calls may vary

124 Prefixes of certain operator assisted services(eg call connect)

Charges for calls may vary

125 Prefixes of certain operator assisted services(eg fault reporting)

Usually free

0011, 0012, 009x

(+various 001x)

Code used in direct dialling of international calls (including facsimile services)

Calls are charged at a timed call rate

015, 018 Prefixes which were used for numbering of analogue mobile phone services.

04 Prefix of digital mobile phone service Calls are charged at a timed

call rate

0500 a single number to link all of that customer’s other telephone services

Calls are charged at a timed call rate

13, 1300 Prefixes used by a service that allows calls to be made at a low charge to the caller

Calls from a standard telephone can be charged up to the cost of a local call

180x Prefix used by a service which allows calls to be at no charge to the caller

Calls made from a standard telephone are free

to the caller

190x Prefixes used by services that provide information or other ‘premium’ rate services

Charges are set by the information provider. Premium rates apply

자료: ACMA

다. 번호부여 기 회수원칙

호주의 번호부여 기 을 살펴보면, 신청에 따른 신규번호 부여는 ① 해당 지역의

남은 번호가 신청한 번호보다 부족한 경우, ② 번호부여시 사업자에게 불이익이나

불편함을 주지 않는 경우, ③ 해당 지역에 충분한 네트워크 시설이 존재하는 경우

를 공통조건으로 한다. 신청자는 번호사용계획을 제출하며, 번호사용에 따른 연간

60

사용료를 지불한다. 시내 화번호는 수도권과 도시의 경우 10,000개 단 로, 소

도시는 1,000개 단 블록으로 할당하며, 이동 화번호는 100,000개 단 블록으로

번호를 할당한다. ‘Smart numbers’로 지칭되는 특수번호는 ACMA에서 경매방식으

로 사업자들에게 선착순 부여하며, 10자리의 특수번호는 10,000개 단 로 부여되며,

10자리 미만은 개별 으로 부여된다. local rate numbers는 13(+4자리), 1300(+6자리),

freephone numbers는 1800(+6자리), premium rate numbers는 1900(+6자리), operator

services number는 10, 11, 12(총 4~13자리)로 부여한다.

<표 2-37> 보호지역(Protection Areas)

Prefix Region Volume of Numbers

Amount Allocated

% Allocated Amount

Available (03) 62 Geeveston, Hobart, Oatlands, Ouse 1,000,000 933,000 93% 67,000 자료: ACMA

<표 2-38> 경계지역(Number Watch Areas)

Prefix Region Volume of Numbers

Amount Allocated % Allocated Amount

Available

(02) 66 Casino, Coffs Harbour, Grafton, Kyogle, Lismore, Murwillumbah 1,000,000 848,000 85% 152,000

(02) 88, 98 West Sector of Sydney Standard

Zone Unit, Parramatta and Blacktown Standard Zone Units

2,000,000 1,772,000 89% 228,000

(03) 51 Bairnsdale, Morwell, Sale 1,000,000 876,000 88% 124,000 (07) 47 Cloncurry, Hughenden, Townsville 1,000,000 857,000 86% 143,000

(08) 96 York, Wongan Hills, Moora, Northam, Wyalkatchem 1,000,000 781,000 78% 219,000

자료: ACMA

ACMA는 신청자가 계획 로 번호를 사용하지 않거나 번호를 부여한지 1년이내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번호를 회수할 수 있다. ACMA는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특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61

정 지역번호에 해 2년 동안 소진 가능성이 있는지에 해 주시하고, 18개월 안에

번호 소진이 될 경우 이를 보호지역(Protection Areas)으로 지정한다. 18개월에서 5년

이내 번호 소진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경계지역(Number Watch Areas)으로 지정하

며, 번호 경계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은 보호지역으로 발 될 수 있다. 이때, 경계지역

과 보호지역을 결정하기 해 사업자들이 번호이용률에 한 정보를 제공한다.

라. 번호통합 번호부족 응사례

ACA(과거 ACMA)는 ’97년에 기통신법을 발표하고 지역번호의 축소 역화,

여유 번호 확보와 새로운 통신망 서비스 식별과 향후의 통신발 에 비한 비

번호 활용을 목표로 기존 번호체계를 체계 으로 변경하 다. 한 지역번호의

역화를 통한 화번호체계 변경 후에도 요 권(Charge Zone)은 그 로 유지함으로

써 과 체계 변동에 따른 요 의 인상을 억제했다.

번호체계 변경을 통해 지역번호를 “Telecommunications Numbering Plan 1997” 이

의 54개 번호지역에서 총 4개 권역으로 역화하여 02, 03, 07, 08 번호 역을 할

당하 으며, 이러한 번호체계를 기반으로 8자리 시내 화번호와 함께 국내 화 번

호를 모두 10자리의 일정한 구조로 통일하 다. 이와 같은 새로운 지역번호의 역

화는 엄격한 주(state)간 경계 기 으로 추진되었다기보다는 지형 특성에 의해 오

랜 기간에 걸쳐 자연 으로 형성된 동일 생활권이 최 한 반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동부, 남동부 지역번호는 local number로 6개의 자리를 가짐으로써 총 화번호

<표 2-39> 지역번호 권역통합 사례

지역 구분 지역 번호 비 역

동부 지역 (02)4, (02)6, (02)8, (02)9 (02)1, (02)2, (02)3, (02)5, (02)7남동부 지역 (03)5, (03)6, (03)8, (03)9 (03)1, (03)2, (03)3, (03)4, (04)7북동부 지역 (070), (071), (076), (077), (079)

서부 지역 (08)6, (08)8, (08)9 자료: ACMA

62

자리는 9개이므로 이는 호주 체 화번호 코드의 외 역을 가진다. 북동부,

서부 지역번호는 local number로써 8개의 번호를 가짐으로써 총 화번호 자리는 10

개의 자릿수이다. 지역번호 권역 통합 사례는 앞의 <표 2-39>와 같다.

지역번호의 변경 규칙은 모든 지역번호를 두 자리로 변경하고 가입자번호는 각

지역마다 일정한 규칙에 따라 8자리로 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도시 지역

의 경우 행 지역번호는 그 로 유지하고, 시내번호는 그 앞에 1자리를 추가한다.

이러한 지역번호 변경 규칙 사례는 <표 2-40>에 정리되어 있다.

<표 2-40> 지역번호 변경규칙 사례

지역 규칙 용

Sydney “8” 는 “9” 추가 (02) 815-1234 → (02) 9815-1234Melbourne “8” 는 “9” 추가 (03) 812-1234 → (03) 9812-1234Brisbane “3” 추가 (07) 814-1234 → (07) 3814-1234Adelaide “8” 추가 (08) 816-1234 → (08) 8816-1234

Perth “6” 는 “9” 추가 (08) 567-1234 → (08) 6567-1234자료: ACMA

기타 부분의 지역에서는 기존의 지역번호를 변경하고 기존 지역번호 2자리를

시내번호의 처음 2자리에 할당하는데 그 사례는 <표 2-41>과 같다.

<표 2-41> 지역번호 변경규칙 사례 - 기타지역

지역 규칙 용

04X 번호 ‘2’ 추가 (047) 92 5111 → (02) 4792 511106X 번호 ‘2’ 추가 (068) 42 5678 → (02) 6842 567805X 번호 ‘3’ 추가 (059) 98 7654 → (03) 5998 765408X 번호 ‘8’ 추가 (085) 47 1111 → (08) 8547 111109X 번호 ‘8’ 추가 (090) 32 1344 → (08) 9032 1344

자료: ACMA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63

특수지역 지역번호 변경 규칙과 련하여, Qeensland 지역은 070, 071, 076, 077,

079로 시작되는 번호의 prefix 뒤에 6 자릿수가 붙어 9자리 형태를 띠는 특수한 형태

를 가진다. Qeensland 지역의 기타 지역의 경우에는 07 지역번호 뒤에 ‘4’ 는 ‘5’의

번호가 붙으며 총번호 자리 수는 10자리이다. 00X 번호계열은 기존의 지역번호를

변경하고 기존 지역번호 앞자리를 ‘6’으로 바꾸며, 07X계열의 경우 지역번호를 그

로 두고 기존 지역번호 두 번째 자리에 ‘4’를 붙인다. 이와 같은 특수지역 지역번

호 변경 규칙은 <표 2-42>와 같다.

<표 2-42> 특수지역 지역번호 변경 규칙

지역 규칙 용

070, 071, 076, 077, 079 + 6자리 (07) 012 3567074, 075 + 7자리 (07) 4567 8945

00X지역번호 03,

시내번호는 6X로 시작(002) 92 5456 → (03) 6292 5432

07X 지역번호 07, ‘4’ 추가 (073) 47 1234 → (07) 4347 1234자료: 박종훈 외(2003)

살펴본 바와 같이 호주는 이미 번호체계 변경을 통해 충분한 여유국번 확보 번

호계획을 수립하 기 때문에 앞으로도 번호가 부족하지 않을 것으로 상되고 있다.

마. 시사

호주 번호체계의 가장 큰 특징은 체 번호체계를 역화하면서 단순화시켰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한 국내 16개 역번호를 축소 단순화시키기 해

서는 다수의 비번호 확보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한 인터넷 화의 경우, 지리 번호 서비스와 동등 속 자격인 경우에 한하여

지리 번호(시내번호)를 부여하여 이용자들의 지리 인지, 통화요 부과 등 지리

서비스로서의 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의 070 인터넷 화 한 그 나름 로

의 서비스를 특화시키고 차별화하는 반면, 시내 화와 동등 속기 을 만족하는 경

64

우(통화지역 경계 수, 품질 보장 등)에 한하여 시내번호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인다.

3. 덴마크

가. 번호정책기구

덴마크의 번호정책기구는 “Ministry for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의 산

하기 인 NITA(National IT and Telecom Agency)로 덴마크의 IT, 기통신 정보

기술 련정책을 수립하고 련 법령을 제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덴마크의 번호

정책 련 법령으로는 ‘통신시장내 경쟁조건과 소비자 이익에 한 법률’,23) 덴마크

번호계획,24) 덴마크 번호계획 가이드25) 등이 있다.

나. 번호체계

덴마크의 번호체계는 유무선 서비스의 구분없이 8자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1

억 개의 번호자원을 확보하여 운 하고 있다. 유선 화는 덴마크 체를 단일 통화

권으로 묶어 지역 구분 없이 번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Freephone service와 화정보

(Premium rate service)는 지정된 역에서 8자리로 구성되어 있다. 단, 특수한 목

에 따라 3, 4, 5자리의 번호체계를 가지며, 3자리 short codes, 4자리 short codes, 4자

리 사업자식별번호, 5자리 망식별번호 등이 사용되고 있다. 덴마크 번호체계는 3가

지 번호체계(Type A, B, C series)와 비번호체계(D Reserves)로 구성되어 있다.

Type A계열은 특수목 으로 이용되는 번호 역으로 국제 화 Prefix와 화정보

서비스에 할당된다. 국제 화 Prefix는 ‘00’으로, ITU-T E164에 의하여 부여된 덴마

크의 국가번호는 「45」이다. 화정보서비스는 8자리, 901defgh~905defgh(10만개)

23) “On Competitive Conditions And Consumer Interests In The Telecommunications Mar- ket” Act No.784(2005. 7. 28)

24) “On The Overall Danish Numbering Plan(The Numbering Order)” Executive Order No.653(2003. 7. 3)

25) “Guide To The Danish Numbering Plan”(2003. 7)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65

로 구성되며, 기통신망을 이용하여 정보나 콘텐츠를 제공하고 통화료 이외의 별도의

정보이용료를 부과하는 서비스이다. Type B계열은 특수목 으로 사용되는 번호 역으

로 긴 신고, 사 선택, 보편 역무(USO), Free phone, VPN, 데이타통신 등에 할당된다.

<표 2-43> 덴마크 번호체계26)

Overall deployment of the national numbering plan for telephony, ISDN and mobile communications, specified for a- and b자리s(updated 25 July 2003) 0 1 2 3 4 5 6 7 8 9

0Inter-

national prefix

Reserve (b)

1

4자리

carrier select codes

3자리

short codes

Reserve (b)

5자리

network access codes

Reserve(b)

4자리

shortcodes

Reserve(b)

2 Mainly mobile communications1

3 Mainly mobile communications Mainly telephony/ISDN

4 Mainly mobile communications

Reserve(b) Mainly telephony/ISDN

5 Mainly mobile communications

Reserve(b) Mainly telephony/ISDN

6 Mainly mobile communications Mainly telephony/ISDN1

7 Reserve (b) Mainly telephony/ISDN

26) -00: 국제 화 리픽스, 901-905defgh: 부가서비스(information and contents)-10cd: 사업자 식별번호(carrier selection code), 11c: 보편 서비스(USO) 등의 특

수번호, 112: 긴 통신

-15cde: 타통신망에 한 속코드, 18cd: 번호안내 등의 특수번호

-80cdefgh: 무료(수신자부담) 서비스, 909defgh: 특수요 (premium rate) 서비스

-32-39, 43-49, 53-59, 62-69, 72-79, 8001, 82, 86-89, 96-99: 8자리 유선서비스

-2, 30-31, 40-41, 50-51, 60-61: 8자리 이동서비스, 70: 수신인이 요 의 일부를

부담하는 유선서비스

66

8 Freephone

Reserve (b)

Mainly telephony/

ISDNReserve (b) Mainly telephony/ISDN

9Premium

rate services

Reserve (b) Mainly telephony/ISDN

That a number series is allocated as reserve means that no numbers are assigned from it at the present time. In the numbering plan, the following two forms of reserve have been allocated:a) Reserves for future expansion of the numbering plan(number series with first 자리 2-9 and third 자리 0).b) Extra capacity(number series 01-09, 108-109, 164-169, 12-15, 17, 19, 42, 52, 71, 81, 83-85, 906-908, 91-95).

Not all reserved number series appear directly from the table as this is only specified for the first two 자리s.c) Number series 2599 and 6988 will only be assigned to providers with a minimal number requirement.

Only number series of 1,000 numbers will be assigned. Number series 2598 and 6989 are designated as reserve for providers with a minimal number requirement, but these series will only be put into use when deemed necessary.

자료: NITA

<표 2-44> Type B series

3자리 short codes

∙ 번호 역: 11c∙ 번호자릿수 용량: 3자리, 10개

∙ USO 는 긴 신고 서비스 등 특수용도로 사용하고 있으며 번호

자원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매우 신 하게 부여

4자리 short codes: 18cd(100개)

민원안내, 번호안내

∙ 번호 역: 18c∙ 번호자릿수 용량: 4자리, 100개

∙ 서비스 제공사업자의 민원안내, 화번호 안내 공익증진, 소비

자 이익과 련된 서비스에 제공

4자리 Carrier select codes: 10cd(100개) 서비스 사업자 선택

∙ 번호 역 10cd(단, 108d와 109d는 비 역으로 리)∙ 번호자릿수 용량: 4자리, 100개

∙ 이용자가 기통신서비스 이용 시 서비스 제공사업자를 선택하기

한 용도로 사용

5자리 network access codes

∙ 번호 역: 16cde∙ 번호자릿수 용량: 5자리, 1,000개

∙ VPN 서비스와 같이 타사업자의 데이터 통신망에 속하기 한

용도로 사용

Free phone: 무료 화

∙ 번호 역: 80cdefgh∙ 번호자릿수 용량: 8자리, 100만개

∙ 발신자가 통화요 을 부담하지 않는 서비스의 번호 역으로 서비

스 제공사업자 규모에 따라 백개, 천개, 만개, 10만개 단 로 부여

자료: NITA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67

Type C계열은 유선 화(PSTN, ISDN, IP Telephony) 이동 화 서비스의 가입자

번호용으로 할당된 역으로 유선과 이동 화 번호 역을 엄격히 구분하지 않지만,

가능한 경우 역을 구분하여 사업자에게 부여하고 있다.

<표 2-45> Type C series

Telephony/ISDN Service

∙ 번호자릿수 용량: 8자리, 4,701만개

∙ 번호 역: 32cdefgh~39cdefgh, 43cdefgh~49cdefgh, 53cdefgh~58cdefgh, 62cdefgh~69cdefgh, 72cdefgh~79cdefgh, 8001efgh, 82cdefgh, 86cdefgh ~89cdefgh, 96cdefgh~99cdefgh

∙ 주로 PSTN, ISDN, 인터넷 화 같은 유선 화 서비스용으로 부여된 번

호 역, 인터넷 화(IP Telephony)서비스도 기술 립성을 인정하여 PSTN과 동일한 유선 화 번호 역에서 번호부여

∙ 기본 으로 사업자에게 만개 단 로 부여하나 소규모 사업자에게는

6988efgh 역에서 천개 단 로 부여

Mobile Service

∙ 번호자릿수 용량: 8자리, 1,800만개

∙ 번호 역: 2bcdefgh, 30cdefgh~31cdefgh, 40cdefgh~41cdefgh, 50cdefgh ~51cdefgh, 60cdefgh~61cdefgh

∙ 주로 이동 화 서비스용으로 부여된 번호 역

∙ 기본 으로 사업자에게 만개 단 로 부여하나 소규모 사업자에게는

2599efgh 역에서 천개 단 로 부여

자료: NITA

마지막으로 Type D 비(reserve)번호는 향후 번호자원 고갈에 따른 번호자원 확

보를 한 비번호 역과 특정 번호용도가 정해지지 않은 일반 비번호 역으

로 구분된다.

<표 2-46> Type D series

번호확장을

비번호 역

∙ 재 8자리에서 번호자원 소진 시 9자리 확장하기 해 비로 남겨둔 번

호 역

∙ 번호 역은 첫 번째 자리가 2~9이고 3번째 자리가 0인 역: 2b0cdefgh, 3b0cdefgh, 4b0cdefgh, 5b0cdefgh, 6b0cdefgh, 7b0cdefgh, 8b0cdefgh, 9b0cdefgh

68

일반 인

비번호 역

∙ 번호 역: 01cdefgh~09cdefgh, 12cdefgh~15cdefgh, 18cdefgh, 19cdefgh, 42cdefgh, 52cdefgh, 71cdefgh, 81cdefgh, 83cdefgh~85cdefgh, 906defgh~908defgh, 91cdefgh~95cdefgh

∙ 일반 인 비번호 역은 수요가 발생하면 재 법령의 개정 없이도 비

번호 역을 해제하고 번호사용 가능

∙ 일반 인 비번호 역 종류: 향후 국제서비스와 연동하기 한 비번호

(01~09, 12~15 역), Short-codes 서비스를 한 비번호(17 역), 특정

한 용도가 정해지지 않은 비번호(19 역), 일반 인 화 가입자번호(42, 42, 71, 81, 83~85, 91~95 역)

자료: NITA

다. 번호부여 기 회수원칙

NITA는 덴마크 번호계획에서 할당된 번호자원을 기통신 네트워크 는 기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에게 부여하고 있다. 사업자는 홈페이지를 통해 번호신청 양

식을 작성하여 편지, Fax, 이메일로 신청할 수 있다. 사업자는 번호신청시 번호신청 사업

자명, 주소, 연락처, 서비스 제공 정일, 번호사용 목 , 신청번호 종류(Number series),

신청번호 역,27) 향후 5년간 번호 상 수요 트래픽을 기재해야 한다.

특히, 3자리 Short codes 인 “11c”계열과 4자리 Short codes인 “18cd”계열의 신청시

에는 반드시 번호사용 목 , 상 트래픽, 사용 빈도 등을 제출해야 한다.

NITA는 번호신청 후 3주 이내에 번호부여 여부를 통보한다. 단, 일상 인 번호부

여의 경우 2주 이내에 처리한다.

8자리(유선 이동 화)번호는 기본 으로 1만개 단 로 부여하는데, 소규모 사업

자에게는 천개 단 로도 부여 가능하며 유선 화는 “6988efgh” 역에서, 이동 화는

“2599efgh” 역에서 부여하고 있다. 이때, NITA는 신청자가 불충분한 번호사용계획

서를 제출하거나 서비스에 부 합한 번호 역을 신청하는 경우 해당 번호부여를 거부

할 수 있으며, 거부당한 사업자는 4주 이내에 서면으로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NITA는 번호를 부여받은 사업자가 계법령을 수하지 않을 경우 번호를 회수

27) 미사용 인 번호를 지정하여 신청할 수 있으며, 불가피한 경우에는 순차 으로

부여한다.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69

할 권리가 있다.28) 한 번호부여시 효율 인 번호 리를 하여 사업자에게 부여된

번호가 기본 으로 번호부여 후 12개월 이내에 사용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이외에도 NITA는 사업자에게 이미 부여된 번호라도 번호의 회수가 필요한 경우

3년 에 통보하고 이를 회수할 수 있다. 한 번호사용료를 납부하지 않는 경우에

도 번호를 회수할 수 있다.

번호를 부여 받은 사업자는 NITA가 필요로 할 경우 번호사용 황 제공해야 하며,

부여 받은 번호를 법한 차에 의하여 타사업자에게 번호를 재부여한 경우에도

번호에 한 책임은 지속된다.

라. 번호사용 황 향후 번호사용계획

덴마크는 8자리 1억 개의 번호자원을 운 하고 있으며 재 약 3,844만개의 번호

자원이 이용 으로 향후 번호자원이 충분하지만 번호부족을 비하여 재 8자리

번호체계에서 1자리를 확장한 9자리 번호계획을 수립하 다.

<표 2-47> 덴마크의 번호사용 황

’03년 12월 ’04년 12월 ’05년 12월

사용개수 사용 용량 사용개수 사용 용량 사용개수 사용 용량

8자리

가입자번호35,412,300 35,412,300 37,107,300 37,107,300 37,646,300 37,646,300

3자리 Short 3 300,000 3 300,000 3 300,0004자리 Short 14 140,000 14 140,000 12 120,000

4자리

Carrier Select34 340,000 36 360,000 36 360,000

5자리

Network access48 48,000 46 46,000 45 45,000

합계 - 36,240,300 - 37,953,300 - 38,444,300자료: NITA

28) ‘Act on Competitive Conditions and Consumer Interests in the Telecommunications Markets’의 Part6 ‘Numbering Order’

70

이에 덴마크는 9자리 번호체계 확장을 하여 첫 번째 자리가 2~9이고, 세 번째

자리가 0인 역 800만개의 번호(2b0defgh, 3b0defgh, 4b0defgh, 5b0defgh, 6b0defgh,

7b0defgh, 8b0defgh, 9b0defgh)를 비번호로 지정하여 리하고, 3번째와 4번째 사

이에 1자리를 삽입하여 9자리 번호체계로 확장하는 방법을 고안하 다.

[그림 2-2] 9자리 번호체계 확장방법

자료: NITA

이때 3번째 자리가 0인 역을 비 역으로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8자리와 9

자리 번호체계가 충돌 없이 혼용가능하다.

<표 2-48> 9자리 번호체계

구 분 재 확장 후

번호체계 a b c d e f g h a b c d e f g h i자릿수 8자리 9자리

번호용량 800만개 8,000만개

자료: NITA

마. 시사

덴마크는 8자리 1억 개 번호자원을 바탕으로 통신시장 규모(유선 350만, 이동 550

만 가입자)에 맞게 운 하고 있으며 추후 번호부족을 비하여 9자리 번호체계 확장

계획도 마련되어 있다. 한 NITA 홈페이지를 통해 체 번호사용 목록을 공개하고

번호신청에서 부여시까지 3주 이내에 차를 완료하여 사업자들의 원활한 사업 환경

을 지원하는 등 반 으로 효율 인 번호정책을 집행하는 나라로 평가되고 있다.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71

4. 국

가. 번호정책기구

국에서는 2003년에 통신법(Communications Act 2003) 제개정을 통해 통신․방

송법이 통합되었으며, 기술발 추세에 응하기 해 통신․방송의 5개의 규제 기

이 통합된 Ofcom(Office of communications)이 출범하 다. 국의 번호정책은

Ofcom이 총 하고 있으며, Communications Acts 2003의 제56조~제63조에서 번호

정책의 일반 인 사항들을 규정하고 있으며, 세부 내용은 번호계획(The National

Numbering Plan)에서 규정하고 있다.29)

[그림 2-3] 국의 번호정책 련 법령

자료: Ofcom

29) Communications Acts 2003은 번호자원의 리와 련된 계획의 수립, 번호의 이용과

련된 일반 조건, 번호부여와 련한 일반 조건, 비통신사업자에 한 번호부여

련 조건, 번호부여 정책의 수정, 번호회수(Withdrawal), 번호재편성(Numbering reo- rganisations), 번호 리에 한 Ofcom의 일반 의무 등에 한 일반조건을 부여하

고 있으며, 화번호계획(The National Telephone Numbering Plan)은 Public Telephone Network Numbers, Telex Service Numbers, Network Codes, Administrative codes에

한 번호부여 체계 번호이용에 한 제한 등에 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72

나. 번호체계

국의 번호체계는 “The National Significant Number(NSN)” 체계에 따라 10자리를

기본구조로 한다. 이 구조는 1998년 국의 통신사업자와 고객의 표로 구성되는

TNAB(Telecommunication Numbering and Addressing Board)가 Oftel(Ofcom이 통신

규제기구)의 요청에 따라 번호체계 변경에 한 10자리 번호계획(NCC: National

Code Change)을 세우면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번호체계 변경에 한 계획은 1995년

에 S자리(Structured 자리)개념을 도입함으로써 번호체계의 재수립과 함께 확정되었

는데, S자리는 기존의 코드를 서비스별로 고객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특성화하

여 prefix ‘0’ 다음 첫 자리에 0~9까지의 번호를 추가하여 모든 화망의 번호자리

수를 10자리로 확장한다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표 2-49> S자리 번호계열별 사용 황

00 국제 화

01 시외 화

02 시외 화

03 UK-wide number04 비

05 기업용 번호(Corporate Numbering), VoIP06 비

07 Find-me-anywhere, 개인번호, 이동 화, 무선호출

08 특별 서비스 번호(Special Service)09 리미엄 요

자료: Ofcom

<표 2-49>에서 보면, 총 10개의 S자리 7개의 S자리가 사용되고 있으며, 3, 4,

6자리는 통신기술발 과 사회 인 변 에 따른 불확실성에 처하고자 사용을 유보하

고 있다. 국의 번호체계는 기본 으로 10자리 구조이지만 경우에 따라 아직까지 7자

리나 9자리가 쓰이기도 한다. 즉, 기본 으로 번호 자릿수는 prefix ‘0’을 제외하고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73

10자리로 구성되지만, 유선의 경우 지역번호와 시내번호를 합쳐 ‘0SABCDEFGHI’의

형태로 11자리가 되도록 조합되어있다.30) S자리 ‘1’계열인 지역번호의 경우에는 기

존의 지역번호가 지역에 따라 번호길이가 가변 이었으나, 지역번호 앞에 ‘1’을 추

가함으로써 국내번호 길이를 8자리에서 10자리까지로 유연하게 운 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BT와 Mercury 양측 모두 10자리로 번호를 통일되게 운 하는 것에 찬

성하는 입장이므로 진 으로 10자리 국내번호로 통일될 망이다. 그리고 사업자,

망, 서비스를 식별하는 여타 S자리 계열들도 일정 환기간을 거친 후 통일된 10자

리 번호길이로 운 될 정이다.

<표 2-50> 국의 번호구조

구 분 자릿수 번호구조

유선

지역번호 3~6

01AB01ABC01ABCD02A

시내 화 5~8

CDEFGHIDEFGHIEFGHIBCDEFGHI

이동 11077ABCDEFG078ABCDEFG079ABCDEFG

자료: Ofcom

새로운 NSN 계획안에 따라 시외지역번호의 번호코드는 01, 02, 03 역이 할당되었

다(Geographic Numbering Ranges, GNR). 01 역의 경우 ‘01AB’, ‘01ABC’, ‘02ABCD’

형식을 따르며 5~7자리 코드 설정에 할당됨을 원칙으로 했다. 02 역의 경우 ‘02A’

형식으로 8자리 코드 설정에 쓰이며, 01 역이 모두 사용되었을 경우에 사용가능하

30) 유선의 경우는 01(2)ABCDEFGHI, 무선은 077(8, 9)ABCDEFGH로 구성되어 있다.

74

다. 03 역의 경우는 비 역으로써 향후 시외번호 역의 증가 상에 따른 비

역으로 남겨두었으나 ’07년 3월부터 UK wide number 형태로 할당하고 있다. 어떤

GNR들은 그 지역에 국 다이얼링 체가 요구되는 ‘Free for National Dialing only’

로 표시되며, 이 번호들은 지역 으로 다이얼이 가능한 가입자번호로 사용될 수는

없다.

05 역은 기업번호(Corporate Numbering) 역과 0500과 같은 Freephone 역으로

할당되었으며, 기업번호서비스는 향후 NSN 계획에 따라 시행될 정이다. 한 07

코드 역은 개인번호서비스(070), 이동 화번호 서비스(077, 078, 079), 무선호출 서

비스(076)를 포함하는 Find-me anywhere 서비스에 할당되었다. 개인번호서비스란 최

종사용자가 어디에 있든 하나의 번호로 송수신이 가능한 번호로써 이동이 잦은 사

용자에게 편리한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동 화서비스인 경우 077, 078, 079 범 로 할당했고, 017~075까지는 이동 화

비용으로 보류하 다. Ofcom은 무선호출과 이동통신서비스 번호에 10만 번호블

록을 할당하고 있다.

08계열 서비스는 요 지불 유형에 따라 수신자측 부담( 를 들어 080무료 화

번호), 발신자와 수신자측간 공동 부담( 를 들어 0845 시내요 번호), 발신자가

액 부담( 를 들어 0870 국내요 번호)으로 분류된다. 08계열 화의 요율은 01,

02, 03계열 표 지역 국내 화 요율보다 높지 않아야 하며, ‘08’ 범 서비스는 prefix

‘0’을 제외한 10자리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31) 서비스별로 별도의 사용요 이 규

정되어 있다.32)

09 역은 Premium rate service나 로드밴드서비스의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31) 단, 0800이나 0500 서비스를 제외하며 이 번호들은 9자리 번호를 사용하고 있다.32) 080: No charge to caller(수신자 과 ), 082: Internet for schools, 0844: Up to 5ppm,

set by terminating Operator, 0845: Originating Operator’s ‘local Rate’(수신자 발신자

공동 과 ), 0870: Originating Operator’s ‘National Rate’(발신자 과 ), 0871: Up to 10ppm, set by terminating Operator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75

리미엄서비스는 A번째 번호자리에 따라 090 Premiun Rate Content Services, 091

Premiun Rate Non-Content Services, 092~099 Broadband Services로 구분된다.

090과 091의 번호 역의 할당은 약 10,000개 정도의 블록으로 통상 으로 가입자

화요 청구서를 통해 지불되며, 08계열의 특수서비스 이상의 요율이 부과되는

특성을 지닌다. 한, 화요 과 콘텐츠, 상품 는 서비스로 구성되는 화매출액

은 직간 으로 사업자와 서비스 제공사업자 간 공유되며, Find-me-anywhere 서비

스는 이에 포함되지 않는다.

요 구별은 10만 단 블록 수 에서 이루어지지만, 090과 091계열의 번호할당

은 일반 으로 1만개 단 블록으로 구성된다. 콘텐츠 제공 리미엄 서비스의 경

우 B번째 번호자리에 따라 0900/0901(Time charged calls up to and including 60ppm),

0902/0903/0904(Protected PRS Expannsion), 0905/0906(Open ended time dependent charge

of fixed fee), 0907(Pay for product), 0908(Protected for PRS Expansion)서비스로 구분

된다.

09 역에서 092에서 099 역은 TV 상과 같은 상당량의 정보 송을 가능하게

하는 역 무선 서비스(Broadband Service) 구간으로 남아있다. 특수번호(Access

codes and short codes)란 고객이 서비스를 손쉽고 신속하게 화를 걸 수 있도록 “1”

로 시작하는 번호로부터 일반 으로 3자리에서 6자리 이하의 특수번호를 지칭한다.

특수번호 코드에는 A형, B형, C형의 3가지 유형이 있으며, A access 코드는 일반

으로 사용되는 서비스에 할당되는 코드 번호로써 모든 통신서비스 운 업체에서

운 하고 있다.

<표 2-51> 국의 특수번호 코드

코드 서비스

100 Assistance Operator(고객센터)101 Home Office Non-Emergency155 International Assistance Operator(국제 화 지원서비스)

76

코드 서비스

999 Emergency Services112 Emergency Services(mobile and European standard)

118XXX Directory Enquiry Services( 화번호 안내 서비스)

195Directory Enquiries for Blind or otherwise disabled customers(장애인용 화번호

안내서비스)123 Speaking Clock(시간안내 서비스)141 Withhold Calling Line identity( 화회선 인증억제)1470 Number Release(Do not withhold CLI)1471 Call Return1475 Erase 1471 memory1477 Automatic Call Trace1478 Activate Call Screener1479 De-activate Call screener

18000~2Voice Text Network(“VTN”) Services for the Hearing Impaired(청각장애자를

한 음성 텍스트 서비스)자료: Ofcom

다. 번호부여기 회수원칙

사업자가 희망 국번 사용계획 등을 작성하여 제출하면, Ofcom은 번호계획(National

Telephone Numbering Plan)과의 일치를 고려하여 번호부여를 결정하며, 번호 미사용

시 는 부과된 조건 배시 번호를 회수한다.

Ofcom은 국번호별로 용도 부여여부(Free, Allocated), 사업자, 부여받은 시기 등

번호별 사용 황을 공지(Web)하고, 매주 업데이트하여 최신 정보를 제공한다.

번호를 신청하고자 하는 사업자는 이러한 국번호 사용 황 자료를 참고하여 번호

미부여 국번에 해 Ofcom이 제공하는 신청서 양식으로 번호를 신청해야 하며, 번

호사용 계획서 등 신청서에 언 된 자료와 함께 Ofcom의 요구 시 추가 자료를 제공

하여야 한다.

이후 Ofcom은 번호계획을 참고하여 번호부여 여부를 신청일로부터 3주일 이내에

결정해야 한다. 단, 사업자에게 추가 자료를 요구할 경우에는 추가자료 제출 후 3주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77

이내에 번호부여를 결정한다. 이때 무선은 10만 단 로, 유선은 만 는 천단 로

부여한다.

통신사업자는 번호계획 번호용도에 맞추어 통신장비를 구축하고 유지하여야

하며, 부여받은 번호가 효과 이고 효율 으로 사용되도록 보장해야 한다. 한, 타

사업자와 망연동시에는 타사업자 타사 가입자에 해 과도한 차별을 지하며,

사업자는 가입자가 번호계획의 규정에 따라 번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합리 이고

실질 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

만약 의 행 에 반하는 경우, 즉 번호의 효율 사용을 해 재배치가 필요한

경우, 번호를 부여받은 사업자의 동의가 있는 경우, 번호부여시 부과된 조건이 반복

하여 배된 경우, 번호를 부여 받은 날로부터 6개월 는 Ofcom이 지정한 특정일

까지 번호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Ofcom이 해당 사업자에게 번호회수에 해

사 통지 할 수 있고, 사업자는 1달 이내에 이의제기가 가능하다.

라. 번호통합 번호부족 응사례

1990년 국은 런던의 01 코드를 시내는 071, 런던 외곽지역은 081로 변경함으로

써 800만개에서 1,600만개로 사용가능한 번호용량을 증가시켰다. 1995년에는 S자리

개념을 도입하여 기존 10자리 번호체계를 11자리 번호체계로 환하여 체 90억

개의 번호를 사용할 수 있는 체계로 변경하 다. 한 지역번호에 01과 02를 부여하

고, 이동통신서비스에 07을, 개인번호 서비스에 070, Freephone이나 Premiun rate service

와 같은 특수 서비스에 08을 부여하고, 기존의 02에서 09까지의 번호를 01계열로 모

두 통합함으로써 02부터 09까지의 계열을 다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 다.

이러한 번호변경은 미래의 번호수요에 비한 것으로 번호변경 상은 유선 화,

이동 화, 무선호출 등 부문의 통신서비스를 포함한다. 이동 화는 기존 04 식별

번호와 변경된 07계열의 번호체계를 병행하여 사용하다가 2001년 4월 말부터 변경

된 07 식별번호만을 사용하기 시작하 으며, 기존번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변경된

번호를 알려주는 안내방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에는 07 식별번호가 아닌 기존번호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었으며, 기존에

78

이동 화가 아닌 서비스에 07 식별번호가 부여된 번호에 해서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표 2-52> 국 이동 화 식별번호 통합사례

사업자 기존식별번호 신규식별번호

Vodafone

0370 077700374 077740421 077210467 07767

O20401 077010402 077020860 07860

T-mobile0930 079300956 079560961 07961

Orange0966 079660973 079730976 07976

자료: Ofcom

한 국은 번호부족에 비하여 향후 5년 내 번호자원이 부족한 것으로 상되는

지역을 보호지역으로 지정(Conservation Area)하고, 지정된 지역에서는 한번에 1,000

개의 번호씩만 부여하되, 그 외 지역에서는 10,000개씩의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마. 시사

국은 번호 자원수요를 장기 으로 검토하여 번호부족 상지역에 한정된 수

량의 번호를 부여하는 등 번호자원의 이용에 효율성을 기하고 있다. Ofcom은 번호

할당 내역을 매주 업데이트하여 공지하는 한편, 사업자의 번호신청에 해 신청일

로부터 3주 내에 완료하도록 하여 사업자의 측 가능한 번호정책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한 서비스별 번호체계를 유지하며, 번호체계 변경을 최소화하여 사용자 편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79

의에 을 둔 번호정책을 펼치고 있다.

5. 일 본

가. 번호정책기구

일본의 번호정책 총 기구는 총무성 종합통신기반국 기통신사업부이다. 동 사

업부는 1961년에 0ABC~J 번호를 제정하고 고정 화 서비스에 부여하 으며, 당시

일본 신 화공사의 요 구획을 기 으로 번호구획이 제정되어 재까지 기본틀

이 유지되고 있다.

1995년부터는 시읍면 합병으로 번호구획 시외국번 통일 작업이 시행 이며,

1997년 11월에 기통신사업법 제 48조의 2, 제1항에 의거한 기통신번호규칙이

제정되었다. 2001년 3월에는 시내 화번호이동성이 시행되었으며, 2002년 9월에 IP

화용 기통신번호(050)가 규정되었다. 2006년 10월에는 이동 화번호이동성이 시

행된 바 있다.

기통신사업부는 기통신사업법, 사업용 기통신설비 규칙 기통신번호 규

칙 등의 법령을 통해 번호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표 2-53> 기통신번호 할 법령

∙ 사업용 기통신설비 규칙의 35조 속품질(2006년 1월 개정)∙ TTC 표 등 별도고시의 4조 통신품질

∙ 기통신사업법(2006년 6월 개정)- 2조 4: 기통신사업자 등록 신청 차

- 9조: 기통신사업자 등록 신청

- 41조 1항: 사업용 기통신설비 규칙

- 50조: 기통신번호 기

(1) 기통신사업자는 기통신번호( 기통신번호는 기통신사업자가 기통신 서비스

를 제공함에 있어서 발신지역과 착신지역간을 연결하기 해 기통신 설비를 식별

하거나, 통신설비가 달하는 송내역의 유형을 식별하기 하여 사용하는 번호, 부호 기타 표시를 말함)가 우정성의 련 법령에 부합되도록 할 것

(2) 앞 에서 제시되는 조건은 다음의 항목들이 보장되도록 하는 규정을 포함한다. ①

80

기통신번호에 의해 기통신사업자 이용자가 기통신설비나 기통신서비스

의 종류와 내용을 분명하고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것, ② 기통신서비스의 제

공에 필요한 기통신 번호가 충분히 확보되도록 할 것, ③ 가능한 한 기통신번호

의 변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④ 기통신번호가 공평하고 효율 으로 사용되

도록 할 것

∙ 기통신번호 규칙(1997년 11월 우정성령 제82호), 2006년 2월 개정

- 1장: 총칙( 기통신번호의 기 등)제4조: ① 기통신번호의 사용은 기통신역무의 제공을 해서 필요한 것에 한정 할

것, ② 기통신번호에 의해 기통신설비 는 기통신역무의 종류 혹은 내용을 식별

할 수 있도록 할 것, ③ 기통신번호의 효율 인 사용을 도모할 것, ④ 이용자가 공평

하게 기통신번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것

- 2장: 기통신번호계획

- 3장: 기통신번호 지정 련수속

-별표 1, 2: 번호 종별 부여 조건

자료: 총무성

나. 번호체계

우선 일본의 번호 지정 황은 <표 2-54>와 같다.

<표 2-54> 일본의 기통신 번호 지정 황

구분 내역 번호 비고

00X1X2,002Y1Y2

0091N1N2

사업자 식별번호

( 화회사 선택서비스)

시내의 경우

(KDDI-0077, 도쿄 화-0081,

일본텔 콤-0088, NTT동일본-0036) 등

X1(0, 2, 9 제외)

0ABCDEFGHJ 고정 화 시내, 시외국번 10 자리

0A0

IP 화 050

11 자리

이동 화 080/090PHS 화

(personal Handy System)070

발신자 과 호출기 020UPT 화(개인통신서비스) 060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81

구분 내역 번호 비고

0AB0

착신 과 용 화 0120/0800(11자리)공통번호

(10 자리)단, 시외국번

고텐바시 ‘0550’ 제외

통일 번호용 화

(복수의 화번호를 1개

번호로 통일)0570

정보료 회수 행 0990

1XY

긴 통보110(경찰), 118(해상),

119(소방)특수번호

(3 자리)일기 보 177

시보 117발신번호통지/비통지 184/186

자료: 총무성

일본의 고정 화번호의 구조는 다음 [그림 2-4]와 같이 ‘0ABCDEFGHJ’의 총

10자리로 구성된다.

[그림 2-4] 시내 화 번호구조

자료: 총무성

시외국번과 시내국번의 자릿수는 배합해 5자릿수로 구성되며, AB 코드의 지정시 시외

국번 첫 자릿수(A)는 일본열도 북쪽에서 남쪽으로 갈수록 커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표 2-55> 시외, 시내국번의 구성

시외 리픽스 시외 국번 시내 국번 시외국번

0

△ XXXX 도쿄-3, 오사카-6△△ XXX 요코하마-45, 쿄토-75, 코베-78

△△△ XX 아사히카와-166, 마츠모토-263,토치기-282, 톳토리-857, 미야자키-985

△△△△ X 이즈오오시마-4992, 이오지마-9913자료: 총무성

82

[그림 2-5] 지역별 시외 국번 할당 황

자료: 총무성

다. 번호부여 기 회수원칙

번호부여는 기통신번호 지정을 한 신청과 신청서에 기재된 사항을 조사하는

단계로 진행된다. 기통신번호규칙 15조의 기통신번호 지정을 한 차에 따라

기통신번호의 지정을 받으려는 기통신사업자는 별도 양식의 신청서를 총무

신에게 제출해야 한다. 신규 지정을 한 신청서를 총무성에 제출해야 하며, 추가

지정을 한 신청은 지역통신국(Regional Bureau of Telecommunications)에 제출해야

한다. 신규, 추가 구분 없이 신청서의 기재해야 하는 내용은 기통신번호를 필요로

하는 이유 수요의 망, 필요로 하는 기통신번호의 수와 이와 련되는 기

통신역무의 제공 계획, 기통신번호를 리하는 방법, 네트워크 구성도(다른 기

통신사업자와의 분계 을 포함하여 기통신번호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기통신설

비를 명시한 것), 기통신번호규칙 ‘번호별 부여 요건’에 규정하는 요건을 확인할

수 있는 사항(긴 통보 제외) 등을 담고 있다.

신청서에 기재된 사항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사 에 총무 신에게 신고해야 하는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83

데, 기통신번호규칙 별표3에 규정하는 경미한 변경에 해서는 신고의무가 제외

된다( 기통신번호규칙 15조).

총무 신은 신청한 역무에 필요한 번호가 기통신번호계획에 근거해 사용 가능

하다고 인정될 경우, 필요한 수의 번호를 지정해 기통신번호 지정증을 교부한다

( 기통신규칙 제16조). 한 총무 신은 기통신번호계획을 변경할 때, 변경 의

기통신번호계획에 근거해 지정한 기통신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 기통신규칙

제17조). 기통신번호 사용을 폐지 혹은 반납할 시에는 신청한 기통신역무의 제

공 계획에 따라서 총무 신에 신고하여야 하며, 해당 기통신번호를 사용하지 않

을 때 는 해당 기통신번호의 사용을 폐지했을 때는 별도 양식에 의거 즉시 총무

신에 신고하여야 한다( 기통신규칙 제18조). 기통신번호규칙을 반했거나,

기통신번호규칙 ‘번호별 부여기 ’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지정을 취소

혹은 회수할 수 있으며, 번호의 지정이 삭제된 사업자는 즉시 총무 신에게 번호 지

정증을 반납해야 한다.

<표 2-56> 기통신번호별 부여 기

기통신번호 번호별 부여 기

기통신사업자의

기통신설비 등을

식별하기 한

기통신번호

(사업자식별번호)00X1X2, 002Y1Y2

1. 법 제33조 제2항에 규정하는 제1종 지정 기 통신설33)

비와 망간

신호 속( 계계 송로 설비를 이용해 속하는 것)을 실시하는

것(다만, 총무 신이 특별히 인정하는 경우를 제외한다.)2. 규칙 제5조 제 1항에 규정하는 기통신번호에 의해 식별되는 교

환 설비를 설치하는 것

3. 규칙 제5조 제1항에 규정하는 기통신번호의 지정을 받지 않은 것

항에 규정하는

기통신사업자이외

(사업자식별번호)009N1N2

1. 법 제33조 제2항에 규정하는 제1종 지정 기통신설비와 방간 신

호 속을 실시하는 것(다만, 총무 신이 특별히 인정하는 경우

를 제외한다.)2. 규칙 제5조 제2항에 규정하는 기통신번호에 의해 식별되는 교

환 설비를 설치하는 것

3. 규칙 제5조 제2항에 규정하는 기통신번호의 지정을 받지 않은 것

33) 제1종 지정 기 통신설비 가운데 아날로그 신호 송용의 기통신회선에 한정한다.

84

기통신번호 번호별 부여 기

신호용 송장치를

식별하기 한

기통신번호

1. 국제 신호망에 있어서의 신호국의 기능을 가지는 설비를 설치하는 것34)

2. 상기 1의 설비가 해외의 기 통신사업자의 기 통신설비와 국

제 신호망으로 속되어 운용되는 것

휴 화와 련되는

단말설비를 식별하기

한 기통신번호

44M1M2M3

1. 법 시행 규칙 제4조 제1항 제6호에 규정하는 기지국의 무선

국면허를 가지는 기 통신사업자인 것

고정 단말계 송로

설비를 식별하기 한

기통신번호35)

총무 신이 시읍면

등의 구역을 감안해

따로 고시로

번호 지정

(0AB~J)

1. 고정 단말계 송로 설비에 직 속하는 교환 설비 해당

송로 설비를 식별하는 교환 설비를 설치하는 것

2. 제9조 제1호에 규정하는 기통신번호를 이용해 기 통신역무를

제공하기 한 기 통신설비가 기술 기 합 유지 의무 상이며, 법 제42조에 규정하는 기술기 합 확인을 실시하고 있는 것

36)

3. 제9조 제1호에 규정하는 기통신번호가 나타내 보이는 지리

식별 지역과 다른 기통신번호가 이용되지 않기 한 기술

조치를 강구 하는 것

4. 지정을 받으려고 하는 번호 구획에 해 상당 정도의 수요가 망

되어 그것을 한 기 통신 역무의 제공 계획에 확실성이 있는 것

5. 긴 통보가 이용 가능한 것(다만, 총무 신이 특별히 인정하는

경우를 제외한다.)6. 법 제33조 제2항에 규정하는 제1종 지정 기 통신설비의 망간

신호 속을 실시하는 것(다만, 총무 신이 특별히 인정하는 경

우를 제외한다.)7. 상기 1에서 6까지를 만족시키기 한 기능을 단말 설비에 맡기고

있는 경우에는 최종 이용자(최종 으로 기 통신 역무의 제공을

받는 사람이며 기 통신사업자 이외의 사람을 말한다.)가 스스

로 단말 설비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무효로 하는 기술 조치

등을 강구하는 것

8. 다른 기 통신사업자가 설치한 단말계 송로 설비를 이용(다른

기 통신사업자의 단말계 송로 설비와 속되는 경우를 포함

한다.)해 기 통신 역무를 제공하는 경우에 하고, 상기 1에서

7까지 계해 기 통신사업자 사이에 있어서의 상호결정을 실

시하는 것

91CDE1. 법 제33조 제2항에 규정하는 제1종 지정 기 통신설비와 망간

신호 속을 실시하는 것(다만, 총무 신이 특별히 인정하는 경

우를 제외한다.)

34) 국제 신호망은, 국제 기통신 연합 조약에 근거하는 권고에 거한 신호용 계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85

기통신번호 번호별 부여 기

휴 화와 련되는

단말계 송로 설비를

식별하기 한

기통신번호(080, 090)

1. 법 규칙 제4조 제1항 제6호에 규정하는 기지국의 무선국 면

허를 가지는 기 통신사업자인 것

2. 법 제33조 제2항에 규정하는 제1종 지정 기 통신설비와 망간

신호 속을 실시하는 것(다만, 총무 신이 특별히 인정하는 경

우를 제외한다.)

PHS와 련되는

단말계 송로 설비를

식별하기 한

기통신번호(070)

1. 법 규칙 제4조 제1항 제6호에 규정하는 기지국의 무선국 면

허를 가지는 기 통신사업자인 것

2. 법 제33조 제2항에 규정하는 제1종 지정 기 통신설비와 망간

신호 속을 실시하는 것(다만, 총무 신이 특별히 인정하는 경

우를 제외한다.)

무선소환의 역무

(요 을 발신측이

부담하는 것에 한정) (020)

1. 법 규칙 제4조 제1항 제7호의 2에 규정하는 무선호출국의 무

선국 면허를 가지는 기 통신사업자인 것

2. 법 제33조 제2항에 규정하는 제1종 지정 기 통신설비와 망간

신호 속을 실시하는 것(다만, 총무 신이 특별히 인정하는 경

우를 제외한다.)인공 성

이동 기통신역무(881)1. 법 시행 규칙 제4조 제1항 제20호의 10에 규정하는 인공 성

국의 무선국 면허를 가지는 기 통신사업자인 것

UPT(060)

1. 서비스 제어 기능을 가지는 설비를 설치하는 것

2. 법 제33조 제2항에 규정하는 제1종 지정 기통신설비와 망간 신

호 속을 실시하는 것(다만, 총무 신이 특별히 인정하는 경우

를 제외한다.)3. 국제 기통신 연합 조약에 근거하는 권고(F.850, F851)에 규정하

는 내용에 거하는 것

IP Phone(050)

1. 호제어 기능을 가지는 설비를 설치하는 것

2. 직 는 다른 기 통신사업자의 망을 개입시켜 제1종 지정

기 통신설비와 망간 신호 속을 실시하는것

3. 총무 신이 따로 고시하는 종합 품질(사업용 기 통신설비규칙

1985년 우정성령 제30호) 제36조의 5에 규정하는 것을 말한다.37)

4. 종합 품질을 만족하지 않는 형태로의 단말 설비의 속이 이루어

지지 않는 듯한 조치를 강구하는 것

교환기를 이용하는 공통선 신호 방식의 신호 정보를 송하기 한 신호망이며

메시지 송부에 있어 국제 신호국 코드를 이용하는 경우에 한정한다.35) 무선 소환과 련되는 지정에 해서는 ‘요건’의 란의 5 6을 제외한다.36) 종합 품질의 측정에 해서는 TTC 표 JJ201.01이상의 측정 방법에 근거해 측정

37) 종합 품질의 측정에 해서는 TTC 표 JJ201.01이상의 측정 방법에 근거해 측정

86

기통신번호 번호별 부여 기

부가 인 기능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역무 식별번호

1. 서비스 제어 기능을 가지는 설비를 설치하는 것(총무 신이 따

로 고시하는 기 통신 번호에 한정한다.)2. 기 통신 역무의 제공을 한 기능을 가지는 설비를 설치하는

것(총무 신이 따로 고시하는 기 통신 번호에 한정한다.)3. 법 제33호 제2항에 규정하는 제1종 지정 기 통신설비와 망간

신호 속을 실시하는 것(다만, 총무 신이 특별히 인정하는 경

우를 제외한다.)데이터통신 설비 련

단말계 송로

설비 식별번호

1. 패킷데이터 교환에 의한 데이터통신을 행하기 한 설비를 설치

하는 것

자메일통신망

식별번호1. 메시지 교환을 실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설비를 설치하는 것

자료: 총무성

라. 번호부족 번호통합 응사례

<표 2-57> 번호부족 응 사례

구분 사례분석 효과

1자릿수 이동Yokosuka (01/11/2003)0468-ΔΔ-XXXX → 046-8ΔΔ-XXXX 국번호 20개 증가

(for 0 and 1 of the first numberin old local office number)2자릿수 이동

Kashiwa(Chiba) (02/11/2002)0472-ΔΔ-XXXX → 04-71ΔΔ-XXXX

1자릿수 추가Osaka (11/01/1999)06-ΔΔΔ-XXXX → 06-6ΔΔΔ-XXXX

국번호 10배 증가

새로운 역 할당

Shizuoka (08/01/1998)054-200-XXXX-054-299-XXXX054-600-XXXX-054-699-XXXX→ 054-200-XXXX-054-299-XXXX054-600-XXXX-054-699-XXXX054-900-XXXX-054-999-XXXX

비 역에 따라

번호구획 통합

Kakei City in Hiroshima(02/01/2003) 08262-Δ-XXXX, 08263-Δ-XXXX→ 0826-ΔΔ-XXXX

국번호 마다 2개 증가

(for 0 and 1 of the first numberin old local office number)

자료: 총무성

제 2 장 번호자원의 특성과 리 황 87

일본은 번호부족에 비하여 번호 자릿수 변경 자릿수 추가의 방법을 용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1991년 1월 도쿄, ’09년 1월 오사카 지역의 시내국번호 앞에 각각 3,

6을 추가한 바 있다. 를 들어 03-XX-XXXX를 03-3XXX-XXXX으로, 06-XXX-XXXX

를 06-6XXX-XXXX로 변경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한자릿수를 추가하는 방법은 쉽게

번호자원을 확 할 수 있으나 번호변경 등 사회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 이 있다.

따라서 시내국번호 앞에 시외국번호의 마지막 자리를 이동시키는 방법도 공통 으

로 쓰이고 있다. 자릿수 이동의 경우, 실제 번호자원이 증가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

지만 특수번호 때문에 사용 못하는 “0”, “1”로 시작하는 시내국번호를 사용 가능하

게 하므로 기존번호 변경 없이 더 많은 번호가 사용가능해 진다. 앞의 <표 2-57>은

일본의 번호부족 응 사례를 정리한 것이다.

이동 화의 경우 수요증가에 응하기 해 1999년 1월 1일 이후 이동 화에 090,

PHS에 070을 추가하여, 10자리에서 11자리로 변경하 다. 즉, 이동 화번호의 경우

기존 0A0-BCDEFGH를 090-ABCDEFGH로 변경하 으며, PHS 번호의 경우 기존

0A0-BCDEFGH를 070-ABCDEFGH로 변경하 다. 2000년 7월에는 2001년 말쯤 090

번호계열이 거의 소진할 것으로 상하여 090과 근 한 080을 새롭게 추가하여 이

동 화번호의 용량 확 를 추진하고 있다.

마. 시사

일본의 기통신번호 지정을 한 차는 신청서 기재사항, 수사항 등 부여

조건이 상당히 까다롭다. 그 일례로 시내 화-VoIP 번호이동성의 경우 시내 화

상당의 조건이 만족될 때 시내 화번호를 부여하여 이동성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

를 통해 이용자가 동일 서비스, 동일 품질, 동일체계 번호로서 이용 편의를 릴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88

제 4 시사

우리나라를 포함한 각국은 번호자원의 효율 활용을 해 번호부여 등에 있어

엄격한 번호자원 리체계를 확립하고 있다는 공통 을 지니고 있다. 이는 우선

으로 번호부여시 사업자의 번호자원 활용능력에 한 엄격한 검증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일단 번호를 부여받은 경우, 그 활용이 미진할 경우 이를 회수할 수 있는

차를 법 으로 마련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유무선번호체계의 구성에 있어서는 미국, 덴마크 등과 같이 유무선의 구별 없이

동일한 번호체계를 가지는 경우도 있지만,38) 유선과 무선서비스에 해서는 서로 다

른 식별번호를 부여하는 것이 일반 이다. 한, 국, 호주 등 번호확장을 통해서

시내번호의 부족이라는 상에 응하고자 하는 경우 일반 으로 지역번호의 역

화라는 수단을 사용하며, 이는 기존 가입자번호에 앞자리를 추가하는 자릿수의 증

가를 통한 번호확장으로 나타나며, 이 경우 기존 가입자번호의 변경을 최소화하려

는 노력이 엿보이고 있다는 은 주목할 만하다.

All-IP와 련된 이슈에 있어, 각국이 인터넷 화 번호부여 번호이동에 해서

는 극 으로 응하고 있지만, IP기반 서비스의 확 등을 이유로 유선번호체계

통합 필요성을 거론하는 문서는 찾아볼 수 없었다. 즉, 번호통합 자체에 수반되는

사회경제 비용을 고려할 경우 All-IP로의 이행기라고 볼 수 있는 시 에서 번

호통합 자체가 시 한 과제이거나, 큰 이슈로 부각되고 있지는 않다. 물론, 일부 국

가의 경우 기존 번호체계 자체가 번호통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어 있다는 에서,

All-IP와 련한 번호통합 문제의 시 성은 나라마다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는 도

고려할 필요는 있을 것이다.

38) 이는 요 제, 인구 등에 비한 번호자원 수요량 등 그 나라의 특수한 상황에 크

게 의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89

제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제1 All-IP와 음성통신서비스 제공 환경의 변화

1. All-IP의 정의 특성

All-IP란 QoS를 보장할 수 있고, 서비스 제어계층이 송계층과 분리되어,

송망과 무 하게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 제공할 수 있는 IP기반 네트워크 환경을 지

칭한다.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NGN(Next Generation Network, 21stCN

(21st Century Network)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러지고 있으나, 개념 으로 IP 통합망

을 제로 한다는 에서는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림 3-1] All-IP 개념도

자료: 김희수 외(2007)

90

All-IP 는 NGN의 특성과 련해서 다양한 정의 등이 존재하나, 보편 으로

All-IP 는 패킷기반 네트워크, 송망에 한 서비스의 분리, 통합/융합형 역

네트워크, 이용자에게 범 한 이동성을 보장하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라는 특성

을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표 3-1>은 일반 으로 지 되고 있는 All-IP의 특성을

요약한 것이다.

<표 3-1> All-IP의 특성

구 분 내 용

All-IP 혹은 패킷기반

네트워크

유무선 통신의 IP 통합 네트워크로서 궁극 으로 모든 종류의 트래

픽이나 애 리 이션을 처리할 수 있음

송망에 한

서비스의 분리

네트워크와 애 리 이션이 분리되어 별도로 제공될 수 있도록 개

방형 구조를 지니며, 애 리 이션이 사용되는 네트워크 랫폼과

무 하게 독립 으로 발 될 수 있음

개방형 네트워크legacy network와는 달리 서비스제공 사업자에 해 방 한 개방성

제공

통합/융합형 역

네트워크

패킷화를 통해 별도의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던 서비스들을 단일망

에서 송할 수 있음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이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든지 모든 서비스를 동일한 품질수 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범 한 이동성을 제공

지능형 네트워크 legacy network에서 제공되지 못했던 다양한 서비스 제공

자료: 김희수 외(2007), 재구성

<표 3-2> BcN의 특징

구 분 내 용

통합

융합화

음성/데이터의 통합, 유무선의 통합, 방송/통신의 융합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패킷 기반의 통합망

역화 고화질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50~100Mbps 이상의 역폭을 제공

품질보장(QoS) 이용자/서비스에 따라 차별화된 품질보장을 한 달망/가입자망의 QoS 보장

고기능성다양한 서비스를 용이하게 개발/제공할 수 있도록 개방형 랫폼(Open API)을 기반으로 하여, 보안(Security), 품질보장(QoS), IPv6가 지원되는 것을 의미

자료: 김희수 외(2007), 재구성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91

우리나라에서 일반 으로 사용되고 있는 BcN은 유무선 방송ㆍ통신이 융합되

는 정보통신 환경에서 품질이 보장되는 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끊김 없이(seamless) 이용할 수 있는 차세 정보통신망을 의미한다. BcN의 특징은

<표 3-2>와 같다.

2. All-IP 추진 동향

통합․융합서비스 등 새로운 통신수요의 창출, 비용 감 등은 국내외 통신사업자

들의 All-IP망 투자 유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All-IP망 구축은 장기 에서

패킷망 고유의 효율성과 단일 네트워크로의 통합에 따른 투자비용 운용비용의

감 가능성 등 비용 측면에서 이 을 가지고 있다. <표 3-3>은 이러한 All-IP망에

한 투자 요인을 기술 측면과 시장 환경 측면으로 나 어 정리한 것이다.

<표 3-3> All-IP의 동인

기술 요인 시장환경

∙ IP 기술의 성숙과 확산

∙ 신규 아키텍처와 개방형 표

∙ 서비스 제공의 용이성/신속성, 신규서비스

의 통합, 다양한 엑세스의 통합

∙ 비용구조의 효율성과 최 화

∙ IP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확

∙ 고용량 데이터 트래픽의 증가

∙ 음성시장의 성장 둔화

∙ 유/무선 서비스 가격의 하락

∙ 유무선 융합

∙ 결합상품에 한 수요 증가

∙ 신규 사업모델

∙ 신규 사업자 출 시장경계의 모호성

∙ 끊김 없는 서비스에 한 수요

자료: DETECON(2007), 김희수 외(2007)에서 재인용

이러한 맥락에서 주요국 통신사업자들은 <표 3-4>와 같이 All-IP 네트워크로의

진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Ovum은 2015년까지 70%의 음성이 IP화 될 것으로 망하

고 있다.

92

<표 3-4> 주요국의 All-IP 추진 동향

국가

(사업자)추진 내용

(BT)

∙ 2004년 6월 21CN(21st Century Network)이라는 NGN 이행계획을 발표

-유무선/데이터 등 각각의 분리망을 Multi-service가 가능한 단일 역 IP망

으로 통합

- 2004년 1,500 가구를 상으로 내 통신망을 구성하는 것으로 시험망 구축

- 21CN은 유연하고 신뢰성 있는 개인화된 서비스를 기에 제공함으로써 신규

고객을 확보하기 한 목

일본

(NTT)

∙ 2010까지 3천만명의 가입자가 NGN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보 확

∙ NGN 구축의 주요 목표

-유비쿼터스 역 시장 구축과 e-Japan 략 u-Japan 추진을 해 NTT의

역량을 집

-유선 화의 VoIP로의 단 없는 환과 동선기반을 이블 기반으로의

환을 통해 안 하고 편리한 통신환경 액세스 인 라 구축

-회사 가치 증 와 지속 성장

미국

(AT&T)

∙ 고품질의 실시간 서비스를 단기간에 제공하고 운용유지비용을 최소로 하는 단

일 IP망을 구축이 목

- 업비용 감을 하여 장거리 화에 먼 도입(장거리 화 트래픽의

50%를 IP망으로 송, 2005) - 2004년부터 업무용/일반가입자 상 VoIP 서비스 제공을 본격 추진

- RBOC에의 의존도를 최소화

-MS사와 차세 IP기반 서비스 제공계획 발표(2005년 6월)

네덜

란드

(KPN)

∙ 2005년 말 All-IP로의 환계획을 발표

- 2010년까지 총 9억 유로를 투자하여 모든 망을 All-IP로 환

- street cabinet단까지(28,000여개) 으로 연결

-가입자단은 신규주택의 경우 FTTH/기존 주택은 VDSL2 제공

-첫 All-IP 상품 출시는 2007년, 2010년 완료

자료: 김희수 외(2007), 재구성

우리나라의 경우 1995년부터 추진해온 ‘ 고속정보통신망 구축계획’을 2003년 말

‘BcN 구축 기본계획’으로 환하여 시행하고 있다. BcN 구축 기본계획은 3단계(2003

년~2010년)로 구분하여 추진 이며, BcN 서비스 모델 발굴 상용화 지원 분야

에서 4개 콘소시엄 220여개사가 참여하고 있다.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93

<표 3-5> 우리나라의 BcN 추진 동향

사업자 내 용

KT

∙ 2003년 이후 AGW를 지속 으로 공

∙ BcN 백본은 IP 기술방식으로 구축하되 WiBro 등 신규서비스를 고려 충분한

역폭 백본 속 을 확보

- 2002년에서 2005년까지 기존의 TD, TDX-1A, S1240, AXE-10 등 노후 교환기

를 철거하고 AGW로 체공 (’02~’03년: 350만회선, 2,070억 투자, ’04: 100만 회선, 800억 투자)

-액세스망은 Ntopia를 거처 FTTH로 발 계획을 가지고 있음

SKT

∙ 1단계(2004~2005): WCDMA 지역 확 , 성 DMB 상용화 등과 디지털홈, Tele-matics, RFID 등 시범서비스를 추진하고 IMS Infra 개발 상용서비스에 활용

∙ 2단계(2006~2007): WCDMA 역화(HSDPA 도입) WiBro 상용화로 디지

털홈, Telematics, RFID 등의 상용 서비스를 추진하고 IMS를 통한 WCDMA/CDMA 멀티미디어 서비스망을 통합

∙ 3단계(2008~2010): WCDMA/WiBro/WLAN 등 지속 인 가입자망 역화 추

진을 통하여 U-Sensor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IMS를 활용한 단일 달망을 완성

하여 All IP 단일 코어망을 구

CATV

∙ 1단계(2004~2005): TPS 시범 서비스 제공, 데이터방송서비스 시범서비스 제공

등 BcN 시범사업 수행 기반 기술 확보

∙ 2단계(2006~2007): PVR, 이블 모뎀, 무선 액세스 포트가 결합된 지능형 홈

게이트웨이를 도입, DOCSIS 3.0 이블 모델의 개발 보 등 HFC망 심

으로 방송통시서비스 융합단계

∙ 3단계(2008~2010): 신 인 역 서비스의 제공, 유비쿼터스 속 서비스의

구 등 HFC망 심의 방송통신융합서비스 고도화단계

자료: 김희수 외(2007)

3. All-IP와 번호 련 이슈

가. NNA(Numbering, Naming, and Addressing) 이슈

통신서비스의 이용자 식별을 해 사용되는 식별자(identifier)로는 통신번호, IP address,

email address 등이 있다. 이 PSTN 등의 통 인 통신서비스는 사용자의 식별을

해 ITU 국제표 인 E.164 번호체계를 사용하고 있으며, 인터넷은 IP address 체계

를 사용한다. ITU의 E.164 번호체계는 “국가번호(country code) + 지역번호(area code) +

사업자번호(exchange/carrier) + 가입자번호(subscriber number)”라는 계층 구조(hierar-

94

chical structure)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속한 라우 이 가능하고 이용자의 지리 정

보를 포함하고 있다는 장 을 지니나, 거주지 이동시 번호이동성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 이 있다. IP address는 수평 구조(flat structure)를 따르고 있는데, 상

으로 복잡한 라우 구조를 지니고 있어 PC 등의 단말기와 응, 이용자에 한

정보를 제공하지는 않는다는 한계 을 가진다.

All-IP화에 의해 향후 모든 음성서비스가 IP기반으로 제공됨에 따라, 그 진화과정

에서 IP address와 E.164 번호체계와의 상호호환에 한 이슈가 제기되고 있으며, 그

표 인 로 ENUM에 한 논의를 들 수 있다. ENUM(tElephone NUmber Mapping)

은 PSTN, IP Network환경에서 인터넷 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식별

번호를 하나의 화번호로 통합, ENUM DNS에 NAPTR(Naming Authority Pointer)

방식을 사용하여 숫자 이외의 정보( 화번호, 팩스번호, E-mail 주소 등)를 추출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ENUM의 기본 목 은 재 ITU-T의 E.164 번호

를 e-mail, 홈페이지 주소 등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재의 번호체계를 이용하여도

ENUM을 용할 수 있다. 즉, ENUM은 여러 번호와 련된 통신 응용에 응하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와 번호를 매핑하는 기능을 일컫는 것으로, 계층

으로 분리 구성된 DNS 기반의 다양한 응용 서비스 주소를 화번호 하나로 통합하

는 통합 번호식별체계이다. 여기서 URI란, 정보자원(Resource)에 동일한(Uniform)

식별체계(Identifier)를 사용하기 한 인터넷식별체계를 의미하며, 도메인이름으로

표되는 URL과 디지털콘텐츠식별체계인 URN으로 구성된다. ENUM은 URI의 하

부개념에 속한다. 한 ENUM은 RFC 2916에 기술되어 있는 IETF에서 개발된 로

토콜을 이용하는데 RFC 2916에는 E.164의 기존 기통신 화번호를 ENUM 도메

인 네임으로 변환하는 것과 URI가 장된 코드에 속하기 해 DNS(Domain Name

System) 기반 구조를 사용하는 방법을 논의하고 있다.

나. All-IP와 번호

All-IP화 인터넷 화의 등장은 통신번호의 사용이 더 이상 라우 을 목 으로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95

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향후 번호정책은 통신망 구성요소로서의 번호가

아니라, 이용자가 인지하고 사용하는 번호에 을 맞추어야 한다. 한, 유무선융

합에 따라 유선/무선번호간의 차이가 차 소멸되고, 기존의 통신번호 이외의 새로

운 식별자 서로 다른 식별자들을 상호연동하는 리시스템이 요한 이슈로 제

기될 수 있다.

All-IP 이에 따른 PSTN으로부터 VoIP로의 진화는 이용자가 자신이 사용하던

번호를 지속 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사실과는 별개로, 번호가 더 이상 라우 이라

는 물리 인 목 으로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번호가 제공해주

던 지리 인 정보는 All-IP 환경에서는 기 할 수 없으며, 유무선융합서비스의 등장

에 따라 이와 같은 상은 가속화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사실에도 불구하고, All-IP

화가 진행되더라도 재 사용되고 있는 E.164 번호체계는 지속 으로 사용될 것으

로 상된다. 즉, 물리 인 차원에서 IP address 등 다양한 식별자가 사용되더라도,

이용자가 인식하고 이용하는 통신번호는 변화하지 않을 것으로 망된다. 이는 번

호체계 변화가 이용자 혼란을 가져올 수 있어, 반드시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재

사용되고 있는 번호체계 특정 번호가 지니는 의미가 변해서는 안된다는 번호

리의 일반 인 원칙에 따른 것이다.39) 이처럼 E.164 번호체계 유지를 제로 할 경

우, All-IP에 따른 번호 련 이슈는 인터넷 화 등 신규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번

호자원을 확보하는 것, 그리고 신규서비스 번호를 기존의 번호체계에서 어떻게 수

용할 것인가의 문제로 귀결된다.

다. 유선번호체계의 변화 가능성

술한 바와 같이, All-IP화에 따라 라우 치정보의 제공에 있어 지역번호가

39) Ofcom은 번호자원의 일반 인 원칙으로 ① 충분한 번호자원의 확보, ② 불가피

한 경우가 아닌 한 재 이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번호의 지속 이용이 가능할

것, ③ 이용자 측면에서 번호가 내포하고 있는 의미가 유지될 것 ④ 통신서비스

의 경쟁과 신을 진할 수 있을 것 ⑤ 번호오용에 따른 이용자 피해가 발생하

지 않을 것 등을 제시하고 있다.

96

갖는 장 은 소멸될 것으로 상된다. 재 우리나라는 유선통신서비스를 하여

<표 3-6>과 같이 국을 16개 번호권으로 구분하여 지역번호를 부여하고 있으나,

장기 으로 16개 지역번호를 지속 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용자 혼란을 가 시킬 수

있다는 견해가 제기되고 있다. All-IP가 부여하는 범 한 이동성은 인터넷 화를

비롯한 유선서비스가 번호권을 넘나들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따

라 서로 다른 지역번호가 동일 지역에서 사용되는 등 이용자 혼란 불편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문제가 All-IP로의 진화과정에서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상되기

때문이다.

<표 3-6> 우리나라 지역번호 황

번호권 서 울 경 기 인 천 강 원 충 남 충 북 부 산

지역번호 2 31 32 33 41 42 43 51번호권 울 산 구 경 북 경남 남 주 북 제 주

지역번호 52 53 54 55 61 62 63 64자료: 방송통신 원회

이 경우 번호권에 따른 지역번호의 사용을 강제할 수도 있겠지만, 이는 그 실효성

이 없을 뿐만 아니라, 범 한 이동성의 제공이라는 All-IP 기술의 장 을 100% 활

용하지 못한다는 비 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1~2개 식별번호 역으로 모든 시내

화번호를 수용할 수 있다고 할 때, 장기 으로 행 지역번호체계의 통합이 거론

될 수 있으나, 유선번호체계 통합을 해서는 막 한 사회 비용이 수반될 수밖에

없어 지역번호의 통합은 그 필요성에 한 사회 동의가 필수 으로 요구된다. 즉,

All-IP 환경에서도 지 과 같은 유선번호체계를 그 로 사용하는 것에 한 타당성

검증이 선행된 뒤, 장기 번호통합이 필연 으로 요구된다면, 번호통합에 수반되는

비용을 이기 한 노력이 진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단된다.

All-IP하에서 구 될 서비스는 음성을 포함하여 재의 통신, 방송서비스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상된다. 다만, 고품질, 고기능의 서비스를 상 으로 렴한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97

가격에 제공하고, 고도화된 역 IP 단일망을 통해 보다 통합․융합된 형태의 서

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추어 짐에 따라, 음성서비스의 에서는 유무선

융합서비스 제공에 유리한 환경이 갖추어질 것으로 상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먼 All-IP하에서의 핵심서비스인 인터넷 화 번호정책을 살펴보고,

유무선융합 등 기타 신규서비스에 한 번호부여 이슈를 다룬 뒤, 마지막으로 유선

번호체계통합방안에 해 논의하기로 한다.

제2 인터넷 화 번호정책

1. 주요국 인터넷 화 시장 동향

가. 세계 시장 개

세계 으로 VoIP 시장은 기존 망만큼 속하게 성장하고 있지는 않다. 그러

나, VoIP는 서비스 상용화 반의 품질문제가 개선되고, 로드밴드망의 TPS에 있

어 필수 요소로 자리매김하면서 지속 으로 기반을 다지고 있다. 시장 망을 살펴

보면, 2007년 ABI Reserch는 2012년 세계 주거용 VoIP 가입자 수가 2006년 3,900

만명에서 7배가량 증가한 27,0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상했다. ABI Reserch에 따르

면 세계 주거용 VoIP 가입자 수는 2005년 2,000만명, 2006년에는 년 비 95%

가량 증가한 3,9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 Infonetic은 지역별 가입자

<표 3-7> 지역별 가입자 추이(단 : 만명)

지 역 2006 2009Asia-Pacific 2,130 4,990

EMEA 1,360 4,250North America 1,230 3,900

Worldwide 4,730 13,500+(e)자료: Paul budde 2007. 8

98

수 망에서 2009년에 주거용과 SOHO(Small Office/Home Office)용 가입자 수가 아

태지역은 4,990만명, 동 아 리카지역(EMEA)은 4,250만명, 북미지역은 3,900

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나. 미 국

CIBC에 따르면 미국의 VoIP 시장의 가입자는 2006년말기 으로 약 22.4백만명에

이르며, 2012년까지 연평균 4%가량 성장하여 약 74백만명에 도달할 것으로 상된

다. 이 Telco VoIP 사업자40)

의 가입자 수는 꾸 히 증가하여 2006년말 기 으로

13백만명에서 2012년에 35백만에 이를 것으로 상된다. 非Telco VoIP 사업자( 이

블 사업자 VoIP 업사업자)의 VoIP 가입자는 2006년말기 으로 약 9.4백만명

규모로 체 시장에서 32.3%의 유율을 차지했다. 향후 5년간 非Telco진 의 이러

한 시장 유율은 차 감소하다가 새로운 서비스 출시에 따른 요 인하에 힘입어

다시 증가할 것으로 상된다.

<표 3-8> 미국의 VoIP 시장 황 망(단 : 천명, %)

구 분 2005 2006 2007(e) 2008(e) 2009(e) 2010(e) 2011(e) 2012(e)

Cable사업자

Cablevision 731 1,221 1,446 1,571 1,665 1,749 1,818 1,873Comcast 202 1,855 4,455 6,955 8,955 10,477 11,735 12,673

Cox 277 592 968 1,308 1,569 1,805 1,985 2,045Time Warner Cable 1,100 1,860 2,878 3,499 3,919 4,232 4,486 4,711

Others 400 800 1,300 2,100 2,940 3,528 3,881 4,191소계 2,710 6,328 11,047 15,433 19,049 21,791 23,906 25,493

VoIP사업자

Vonage 1,269 2,224 2,900 3,200 3,400 3,600 3,800 4,000Others 300 800 1,200 2,300 4,000 6,000 8,000 9,500

非Telco VoIP 가입자 총합 4,279 9,352 15,147 20,933 26,449 31,391 35,706 38,993

40) Telco VoIP는 인터넷 화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존의 통신사업자와 신규 통신사업자

(competitive local exchange carrier, CLEC)를 지칭한다. 반면 非Telco VoIP는 VoIP 업사업자와 VoIP를 제공하는 이블 사업자를 의미한다.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99

구 분 2005 2006 2007(e) 2008(e) 2009(e) 2010(e) 2011(e) 2012(e)시장 유율(%) 36.7% 32.3% 27.1% 26.3% 28% 30.6% 33% 34.6%

BusinessVoIP

가입자

기존통신사업자 8,300 10,300 13,200 14,800 16,100 18,100 20,100 23,000CLECs 1,700 2,700 3,800 5,200 6,900 8,900 10,900 12,000

가입자 총합 10,000 13,000 17,000 20,000 23,000 27,000 31,000 35,000체 VoIP 가입자 총합 14,279 22,352 32,147 40,933 49,449 58,391 66,706 73,993

체 VoIP 시장 유율(%) 8.3% 13.4% 19.6% 24.9% 29.9% 35.2% 40.0% 44.1%자료: CIBC World Markets Corp., 2007. 7

다. 유 럽

유럽은 VoIP 서비스의 선두주자로써, <표 3-9>를 통해 알 수 있듯이 2007년 6월

기 으로 가입자 수가 2,200만명 가량으로 나타나고 있다. VoIP 서비스는 결합상품

의 필수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장기 으로 상업 성공을 이루기 해서는

계속 DPS, TPS, QPS로 결합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표 3-9> 유럽의 VoIP 가입자 추이 망 (단 : 백만명)

가입자 수

2004 1.82005 6.02006 15.6

2007(June) 22.02007(e) 30.02011(e) 61.0

자료: TeleGeography data, Paul budde(2007. 12)에서 재인용

<표 3-10>의 일부 유럽국가들의 VoIP 가입자 수를 살펴보면, VoIP 보 률은 국

가마다 격차가 큰 편이며, 랑스가 압도 으로 높은 보 률을 나타내고 있다.

100

<표 3-10> EU의 인터넷 화 가입자 수(2007. 7 기 )(단 : 만명)

가입자 수

France 970Germany 710

Netherlands 200UK 310

Sweden 60Belgium 60

Italy 280자료: Paul budde 2007. 12

랑스에서 VoIP는 IPTV 인터넷과의 결합상품형태로 제공되어, 기 기존의

유선 화이외의 2nd line으로 확산되다가, 최근 들어서는 기존 PSTN 유선 화의

체재로 부각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표 3-11>과 <표 3-12>는 체 통화

VoIP 비 과 회선 증가를 보여주고 있다.

<표 3-11> 랑스의 체 통화량 VoIP 비 추이

2005 2006

1Q 2Q 3Q 4Q 1Q 2Q 3Q 4Q비 (%) 5.7 7.0 8.3 11.0 14.1 17.0 18.6 23.0

자료: Paul budde 2007. 12

<표 3-12> 랑스의 VoIP 회선 추이(단 : 백만)

2005 4Q 2006 4Q 년 비증가율

VoIP회선 3,275 6,608 101.8%자료: Paul budde 2007. 12

라. 호 주

호주에는 2007년 9월 기 으로 269개의 VoIP 사업자가 있으며, Ovum에 따르면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01

2011년 말에는 호주유선음성통화매출의 21%를 차지할 것으로 상하고 있다. 호주

유선음성시장에서의 매출비 추이를 살펴보면, 2011년말까지 사업용 VoIP는 18%

까지, 주거용 VoIP는 21%까지 증가할 것으로 상되어 주거용 VoIP의 매출비 증

가율이 더 클 것으로 상된다([그림 3-2] 참조).

[그림 3-2] 호주의 음성 화 수익 추이

자료: ACMA(2008)

VoIP 이용에 한 2007년 Gartner의 소비자설문조사분석에서 439명 19%가 VoIP

를 사용했다고 응답하 으며, 사용자의 12%가 80%이상의 비용 감 효과가 나타났

다고 답했다. 한 유럽 사례와 비슷하게 개인용도의 비 이 업무용보다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마. 일 본

일본의 경우 2008년 6월 기 으로 인터넷 가입자 수가 년 동기 비 18.7% 증

가한 1,827만명 수 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OAB-J 가입자가 년 동기 비 68.8%

증가한 865.4만명으로 050 가입자와 동일한 수 으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41)

41) 이때, OAB-J번호는 시내(geographic)번호이며, 050는 특수(non-geographic)번호이다.

102

[그림 3-3] 일본의 IP 화 가입자 수 추이(단 : 만명)

자료: 총무성 2008. 8, 재구성

이처럼 값싼 요 으로 VoIP 사용 건수가 증가하면서, 음성통화시장 구조의 격

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경쟁력 확보를 해 기존의 음성통화서비스 요 인하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한 총무성은 2010년까지 기존의 유선 화망을 IP시스템으

로 면 교체하는 계획을 발표, 이와 같은 정부방침에 따라 사업자들이 IP시스템으

로의 환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그 로 NTT는 2010년까지 유선서비스 일부를 IP

시스템으로 교체할 정이다.

2. EU의 인터넷 화 규제 사례42)

가. EU의 VoIP 사업자 분류

먼 , EU 회원국의 개 인 사업자분류를 살펴보기로 한다. EU의 Framework

Directive와 보편 서비스지침에 따르면 통신사업자는 ① publicly available Electronic

Communications Service43)(이하 ECS), ② Publicly Available Telephone Service(이하

42) WIK-Consult(2008). The Regulation of Voice over IP(VoIP) in Europe, pp.19~63.43) ECS는 Framework Directive에 의해 ① 정상 으로 수익을 해 제공되며, ② 완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03

PATS),44) ③ 보편 서비스의무에 따르는 PATS, ④ 사 규제 여지가 있는 련 시

장에 한 원회의 권고조항에 나열된 도․소매서비스에서 시장지배력을 가지고

있는 사업자로 분류될 수 있다.

이 publicly available ECS로 규정된 서비스 일부가 PATS로 규정되며, 에

서 열거한 사업자 분류에 따라 의무사항과 권리가 되어 부과된다. 즉, PATS에

해당하는 서비스는 PATS의 의무사항과 권리는 물론 ECS와 련된 사항도 동시에

용받게 된다. 이 때, ECS와 PATS의 가장 큰 차이는 긴 통신서비스 제공의무여

부와 번호이동을 신청할 권리여부(동시에 번호이동을 제공할 의무이기도 함)이다.

추가 인 PATS의 사업자 소비자 의무사항과 권리는 <표 3-13>과 같다.

<표 3-13> PATS 사업자들의 추가 인 의무사항과 권리

사업자 의무사항 사업자와 이용자 권리

∙ 긴 통신서비스를 지속 으로 제공(USD, Art.23, Art. 26(1))

∙ 번호이동서비스 시행(USD, Art. 30(1), 30(2))∙ 정보의 투명성 공표 의무(USD, Art. 21)∙ Directory(USD, Art. 25(1), E-Privacy Directive,

Art. 12)

∙ 지배 사업자의 네트워크에 한 사업

자 선택과 사 선택(USD, Art. 19)∙ 이용자의 번호이동(USD Art. 30(1))∙ Directory(USD, Art. 25(1))

주: 1) USD: 보편 서비스지침/E-Privacy Directive: Directive on privacy and electronic communications2) PATS 사업자는 ECS사업자의 권리와 의무사항에 추가 으로 <표 3-25>의 의무와 권

리를 용받음

자료: WIK/Cullen international(2008)

WIK Consult가 EU 회원국 10개국을 선별하여 조사한 결과, 개별 회원국들은

와 같은 EU차원의 사업자분류를 기반으로 <표 3-14>의 사업자 분류체계를 가진

히 혹은 주로 자 통신망에 신호들을 달해주는 서비스로 정의되고 있다.44) PATS는 보편 서비스지침에 의해 ① 공 에 한 서비스 제공, ② 국내․국제

화에 한 착발신 가능, ③ 긴 통신서비스를 제공, ④ 국내․국제 표 에 따른

번호를 사용하는 음성통신서비스로 정의된다.

104

것으로 나타났다.

<표 3-14> 국가별 VoIP 사업자 분류

국가 분 류

오스트리아

∙ 사업자를 Class A와 Class B로 분류함(Guidelines for VoIP service provider, 2005)∙ Class A(규제 상): PSTN과 속을 제공, ECS는 물론 PATS에 해당하는 서비스

∙ Class B(비규제 상): PSTN 속을 제공하지 않고 인터넷 가입자 간 음성통

화를 제공, PATS나 ECS로 규정되지 않음

에스토니아 ∙ VoIP에 기반을 둔 ‘유선 화서비스’를 PATS로 분류함

랑스

∙ Vol(비규제)과 VoB(Market 3-6에 귀속, 규제 상)로 분류함

∙ VoB 사업자들에게 PATS 사업자 등록을 강력하게 권장함

∙ ECS와 PATS 가능

독일

∙ VoIP의 PATS 해당여부에 한 규제기 의 언 없음

∙ 긴 통신서비스제공의무 2009년까지로 연기함

∙ 보편 서비스지침과 달리 독일 통신법은 번호이동시행의 권리와 의무를 PATS 규정과 결부시키지 않음

이탈리아

∙ PATS와 치이동형 음성통화서비스로 분류함

∙ 이탈리아 법으로 변환된 보편 서비스지침의 조건을 충족하면 PATS로 규정함

∙ 치이동형 음성통화서비스는 별개의 일반 인가 환경을 가짐

네덜란드

∙ E164번을 통해 PSTN에 착발신서비스를 제공하는 VoIP만을 규제함

∙ 규제 상이 PATS인가 ECS인가에 따라 규제강도가 달라짐. 를 들어 긴

통신서비스 속은 PATS에만 해당하는 강제 사항임

폴란드

∙ VoIP에 한 지침(2006)에 따르면 VoIP 서비스는 PATS로 분류될 수 없음

(폴란드 통신법에는 ECS정의 없음)∙ 신 VoIP 서비스를 통신서비스로 분류함

스페인

∙ VoIP 서비스는 PATS로써가 아니라 publicly available ECS로써 규제되어야

한다고 결론 내림(2005)∙ 단, VoIP 서비스가 ① 긴 통신서비스 속을 제공하고, ② 상호 속과 상호

운 을 제공하며, ③ 번호이동성을 보장하고, ④ 고정형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에 한하여 PATS로 고려할 수 있다고 규정함

국∙ 4가지의 VoIP 유형 정의: ① p2p(ECS 아님), ② VoIP 발신 용(PECS), ③

VoIP 착신 용(PECS), ④ VoIP 착발신(PECS or PATS)주: Vol은 Voice over Internet을, VoB는 Voice over Broadband를 의미함

자료: WIK/Cullen international(2008), 재구성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05

나. 긴 통신서비스

1) 긴 통신서비스 속

보편 서비스지침에 따르면, PATS 사업자는 무료로 긴 통신서비스 속을 제공

해야 한다. 특히 고정형서비스(fixed location)일 경우, PATS 사업자는 불가항력의 자

연재해나 심각한 정 상황에도 무료로 긴 통신서비스 속을 안정 으로 제공해야

한다(USD, Art. 23). WIK Consult의 보고서에 따르면, 선별된 EU 회원국 10개국

폴란드를 제외한 모든 국가들이 특정 VoIP 사업자에게 긴 호 속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심지어 명시 으로 VoIP를 PATS로 분류하지 않은 국가들도 긴 통신서비스

제공을 강제하고 있으며, 이는 보편 서비스지침의 의무 사항을 넘어선 조치로 보

여진다.

<표 3-15> 긴 통신서비스 속 제공의무 규제 황

국 가 규제 여부 규제 상

오스트리아 규제 PATS덴마크 규제 국가번호표 번호에 발신이 가능한 서비스의 사업자

에스토니아 규제 PATS랑스 규제 PATS와 ECS

독일 규제 PATS(2009년 1월 1일까지 시행 연기)이탈리아 규제 PATS와 치이동형(nomadic)음성통화서비스

네덜란드 규제 PATS폴란드 규제 없음

스페인 규제 ECS와 PATS

국 규제재 PATS에만 용, 2008년 9월 8일부터 모든 publicly available

ECS에 용

자료: WIK/Cullen international(2008), 재구성

한편, VoIP 서비스는 유무선망과 달리 긴 통신서비스 제공에 있어 어느 정도의

리스크를 가지고 있다. 를 들어 인터넷 속 장애 는 원이 차단되었을 경우 긴

통신서비스 속에 실패할 수 있다. 재 EU 회원국들은 VoIP 사업자가 가입자

106

에게 이러한 리스크를 공지하는 것에 해 국가마다 상이한 규제를 부과하고 있다.

WIK Consult의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상 정확한 공지 의무를 부과하는 국가는

덴마크, 랑스, 이탈리아, 폴란드, 스페인, 국으로 나타났다. 한 정 상황 등에

서의 긴 통신서비스 속을 한 비 력공 의무와 련해서는 조사 상국가

어떤 곳도 비 력공 의무를 부과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입자 치정보의 송

긴 통신서비스 제공의무를 가진 VoIP 사업자는 긴 구호기 이 발신자의 치

정보를 다룰 수 있도록 기술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따라서 해당 사업자는 긴 호

를 한 PSAP(Public Safety Answering Point)에 연결하고, 이용자의 정확한 치

정보를 제공할 의무를 가진다. 긴 통신서비스에 있어 요한 이슈는 기술 으로

가능한 의무의 범 를 규정하는 것이다. 를 들어 치이동형 VoIP 서비스의 경우

에는 재 기술력으로는 긴 통신서비스에 요구되는 모든 의무사항을 이행할 수 없

으며, 이에 따라 EU 회원국들 이와 같은 기술 요건을 고려하여 <표 3-16>과 같은

치정보 송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표 3-16> EU 회원국의 치정보 송 의무 규제 황

국가 치정보

오스트리아 ∙ PSAP가 개별 호에 해 치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음(PATS에 한함)덴마크,

에스토니아,이탈리아

∙ 치이동형/고정형 VoIP 사업자들이 기술 으로 가능한 범 내에서 발신

자 치정보를 송하도록 규제함

랑스 ∙ 기술 으로 가능한 경우에 송 의무 용됨

독일 ∙ PATS에만 송 의무 용(2009년 1월 1일까지 시행 연기)네덜란드 ∙ 의무 용

폴란드 ∙ 의무 용 안함

스페인 ∙ PATS에만 송 의무 용됨

국∙ 재 PATS에만 용, 2008년 9월 8일부터 모든 publicly available ECS에

용 정임

자료: WIK/Cullen international(2008), 재구성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07

통신규제기 들(NRAs)은 치이동형 VoIP 서비스의 치정보 송에 해 기술

인 한계를 공감하고 정확한 치정보 송을 할 수 있도록 안을 제시하고 있다.

를 들어, Ofcom은 여러 가지 안을 제시하 는데, 첫 번째로 발신 측 사업자가

긴 호가 착신될 때 사용자의 치정보를 요구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는 가장 단

순한 방법으로 999/112 화에 VoIP 발신을 강조하는 특정한 표시를 붙이는 방식으

로 손쉽게 시행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사용자에게 이용 에 자세한 치정보 입력

을 요구하는 방안을 제시하 는데, 이 경우 사용자는 새로운 장소에서 서비스를 이용

할 때마다 새로 주소를 입력해야 한다.45) 한 WIK Consult는 IETE(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혹은 다른 연구개발 그룹에서 개발 인 ECRI(Emergency Context Resolution

with Internet Technologies)표 이 잠재 으로 치이동형 VoIP의 치정보의 송

문제 일부를 해결해 것으로 기 하고 있다.

3) 근거리 라우

VoIP의 긴 통신서비스에 있어서, 통신규제기 이 VoIP 사업자에게 “ 한” 지

역의 긴 화센터 연결을 요구하는지가 요한 이슈가 될 수 있으며, 이와 련한

EU 회원국들의 규제 동향은 <표 3-17>과 같다.

EU 회원국의 근거리라우 방식은 PSTN기반에 맞춰 회원국마다 다른 형태로 고

안되어 있다.46) 근거리라우 시스템 구 을 해서는 긴 호를 한 PSAP에 연

결하는 것을 책임질 사업자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발신망(originating network)과 착

신망(terminating network)이 서로 다를 경우에는 둘 가 이러한 책임을 부담할

지를 결정하는 것이 요한 이슈로 등장하며, 여기에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안이

45) Ofcom은 두 번째 방안을 효과 으로 운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VoIP 사업자가 주

기 으로 사용자의 치정보 업데이트를 요청하거나, 고객의 재 IP주소를 모니

터하여 IP주소가 변경될 때마다 고객에게 치정보수정을 요구하는 방법을 제시

했다. Ofcom은 그 외에 IP address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제안하 다. 46) 이 때, VoIP 서비스 ERG의 분류(2006)상 유형 3, 5(국내 E164로 착발신이 가능

한 VoIP 서비스)만 긴 통신서비스 속이 용가능하다고 간주하고, 해당 서비스

만을 분석 상으로 취 했다.

108

<표 3-17> EU 회원국의 근거리라우 규제 황

국 가 규제 황

덴마크, 네덜란드 등 ∙ 보편 서비스 의무사항의 일환으로 규제함

랑스, 독일 등

∙ VoIP 사업자 스스로 긴 호가 한 PSAP에 연결되도록 보장해

야 함

∙ 어떤 지역의 어떤 긴 통신센터를 사용할 것인지는 당국에 의해

결정되어 달됨

폴란드 등 ∙ 법 규제 없음

∙ 보편 서비스 의무사항의 일환으로 규제함

∙ BT, 이블, 무선, Kingston의 3rd party를 통한 간 혹은 직 상

호 속으로 근거리라우 서비스를 제공해야 함

자료: WIK/Cullen international(2008)

존재한다. 첫 번째 방안은 착신망이 부담하는 경우, 즉 착신망이 발신자 치와

합한 PSAP와의 호소통을 담당하는 경우이다. 이때, 발신망은 착신망에게 긴 호를

송할 의무만 가진다. 단, 고객이 사업자를 바꾼다던지 번호이동을 하는 특별한 경

우에는 추가 정보 제공의무가 강제되기도 한다. 재, EU 회원국 덴마크, 국,

네덜란드 등에서 이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두 번째 방안은 발신망이 근거리

라우 책임을 부담하는 것이다. 이 경우, 발신망은 긴 호가 착신망으로 환되기

에 미리 합한 PSAP를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이 안이 효과 으로 운용되기

해선 발신망이 국가 체의 PSAP 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어야 하며, PSAP의 변경

사항(번호, 치 등 이동)이 있을 때마다 이를 용하여 근거리라우 서비스를 제공

해야 한다. 재 EU 회원국 독일, 체코, 헝가리 등에서 이 안을 용하고 있다.

참고로 오스트리아는 사업자가 의 두 방식 한 가지를 선택하도록 하고 있어,

사업자의 뜻에 따라 두 가지 방식이 동시에 용될 수 있다.

□ 국가 사례 1: 착신망이 근거리라우 을 책임지는 경우- 국

국에서는 BT가 긴 통신서비스의 추 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긴 통신호

의 근거리 라우 시스템 흐름은 개 으로 다음과 같다. 먼 , 긴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자하는 사업자는 서비스 개시 이 에 BT에게 특정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09

일단 서비스를 개시하고 나면, 긴 통신서비스 제공은 다음과 같은 차를 따른다.

고객이 긴 호를 발신하면, 어떠한 경우에도 긴 호를 특정 형식(999Ⅲ)으로 지정

된 BT의 switch connection에 송해야 한다.47) 이 때, 사업자는 반드시 BT에게 발신

자번호(CLI)를 같이 송해 주어야 한다. 이 게 BT의 switch connection에 송된

긴 호는 BT 직원들이 리하는 특정 BT Emergency Centre로 착신된다. 여기서 Emer-

gency Service Database(ESDB)를 이용하여 발신자 요청과 부합하는 한 PSAP로

최종 송된다. 참고로 BT Emergency Centre와 PSAP간의 통화는 방향음성통신서

비스이다.

[그림 3-4] 국의 (PSTN기반)긴 통신서비스 시스템

주: ESCB는 Emergency Service Database 임자료: WIK/Cullen international(2008)

□ 국가 사례 2: 발신망이 근거리라우 을 책임지는 경우-독일

독일은 110(경찰)과 112(화재, 의료, 구조)의 두 개의 긴 통신서비스 번호를 운

하고 있으며, 도이치텔 콤(DTAG)이 주로 PSAP에 통화를 착신하는 망을 운 하고

있다. 긴 호의 근거리라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차로 진행된다. 우선, 고객이

긴 호를 발신하면, 근거리라우 을 할 수 있도록 발신망이 긴 호번호(110 혹은

112)를 특정 라우 번호로 환시켜 다. 즉, 110 혹은 112에 합한 PSAP의 지역

번호(local area code)를 붙여 착신망으로 송하는 것이다. 이를 해 DTAG는 상호

속을 하는 발신망사업자들에게 속지역에 합한 PSAP 리스트를 배부하고 동시

47) 999는 긴 호를, Ⅲ는 유선발신 긴 호를 의미하는 코드이다.

110

에 리하고 있다.

[그림 3-5] 독일의 (PSTN기반)긴 통신서비스 시스템

자료: WIK/Cullen international(2008), 재구성

IP기반의 경우, 치이동형 VoIP의 근거리라우 방식은 치정보문제 등으로 서

비스 제공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고정형 VoIP의 근거리라우 방식에서는 앞서

언 한 PSTN의 라우 안들이 충분히 활용되고 있다. 를 들어 국의 경우, 발

신자 치가 충분히 확인될 수 있을 상황에서는 고정형 VoIP의 긴 통신서비스

로세스가 PSTN기반 로세스와 동일하다. 즉, VoIP 가입자가 긴 호를 발신하면

BT가 Emergency Service Database(ESDB)를 통해 합한 PSAP에 연결해 다. 다만,

이를 해 VoIP 사업자는 BT에게 련 고객 정보는 물론, 긴 호가 VoIP 발신이란

을 명시하는 표시를 제때 제공해야한다. 이때, 고정형 VoIP가 BT에게 제공해야

하는 고객정보는 발신번호, 고객명, 그리고 각각 통화종료지 (network termination

point)의 치정보를 의미한다.48)

다. 번호부여 번호이동성 제도

1) 지리 번호(시내번호) 특수번호의 부여

우선 번호부여와 련된 규제를 살펴보면, 재까지 유럽차원의 지리 번호와

48) 고정형 VoIP 서비스와 달리 치이동형은 기술 으로 정확한 치정보 송은 물

론, 한 PSAP로의 라우 에 어려움이 있고 이를 규제기 들 한 충분히 이해

하고 있어 여러 가지 기술 책 강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기 해 노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11

특수번호 부여 기 에 해 특정 지시 사항을 포함하는 지침은 없으며, EU 회원국

들은 서로 다른 번호부여 기 을 가지고 있다. 일부 국가는 VoIP 사업자에게 지리

번호(시내번호) 특수번호를 모두 허용하는 반면 일부는 제약을 두고 있다.

WIK Consult의 보고서에 따르면 부분의 EU 회원국은 ① 특수번호 역을 치이

동형 VoIP 사업자에게 부여하고, ② 고정형 VoIP 사업자에게 지리 번호사용을 허

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의 규제 당국은 특정 조건을 충족시킬 경우에 한

하여, 치이동형 VoIP 사업자에게도 시내 화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EU 회원국의

번호부여와 련한 규제 황은 <표 3-18>과 같다.49)

<표 3-18> EU 회원국별 번호할당 규제 황

국가VoIP의 번호이용권리

지리 번호 특수번호

오스트리아 ∙ 고정형 VoIP에 한해 번호를 부여함 ∙ 번호부여

랑스

∙ 번호부여

∙ 단, 치이동형의 경우 동일한 시내지역 사용 시에

만 가능함

∙ 번호부여

독일

∙ 번호부여

∙ 단, 사업자는 사용자의 주소나 치가 같은 지역에

있다는 것을 확실히 입증해야 함

∙ 번호부여

이탈리아

∙ 번호부여

∙ 단, 치이동형의 경우 지역이동이 시내지역에 국

한되는 경우에만 가능함

∙ 번호부여

네덜란드

∙ 번호부여

∙ 단, 치 이동형의 경우 사업자가 서비스 사용자의

주소가 동일 지역이라는 것을 확실히 입증해야 함

∙ VoIP 용 역은 없음

폴란드 ∙ 번호부여 ∙ 번호부여

스페인

∙ 번호부여

∙ 단, 고정형의 경우 PATS만 가능하며, 치이동형의

경우 동일한 시내지역에서 사용할 때만 가능함

∙ 치이동형 VoIP에게

만 번호를 할당함

국 ∙ 번호부여 ∙ 번호부여

자료: WIK/Cullen international(2008)

49) 덴마크와 에스토니아는 유무선번호식별번호의 구별이 없는 번호체계를 사용하고 있음

112

와 같은 번호부여 방식의 향에 해, 부분의 VoIP 사업자들은 고객들의 지

리 번호에 한 선호를 지 했다. 사업자들은 이러한 상의 주된 원인으

로 특수번호가 가지고 있는 요 /비용 문제와 근성 문제를 제기하 다. 우선 사업

자들은 특수번호로 화를 걸때, 지리 번호에 비하여 (도매) 속료와 (소매)통화

료가 높은 경우가 많고 정액제 요 체계에서 배제되는 경우가 많음을 지 했다. 즉,

이러한 높은 가격과 불확실한 비용들이 소비자가 특수번호 사용을 꺼리는 요인이라

고 주장하 다. 두 번째로 제시한 문제는 특수번호의 근성문제로, 과거 일부 국가

에서 비지리 VoIP 번호(특수번호)는 모든 사업자가 근할 수 있는 상이 아니

었다. 를 들어, 독일에 경우에는 일부 도시 사업자의 고객들이 032 번호 역을 사

용할 수 없었으며, 국에 경우에도 NTL고객들은 056 번호 역을 사용할 수 없었

다. 과거에는 특수번호의 근이 불가능한 사례가 있었지만 WIK Consult의 최근 조

사에서는 그런 사례를 찾아 볼 수가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업자들은 과거에

발생했던 근성문제가 앞으로도 발생할 수 있음을 염려하고 있는데, 특히 국경 간

서비스와 련된 특수번호의 근성문제 등을 우려하고 있었다.

한 마 측면에서 일부 사업자들은 다국 VoIP 사업계획에 국가와 상 없이

지리 번호를 동일하게 사용하는 것이 요하다고 강조했다. EU 회원국 간의 지리

번호체계 비일 성은 시장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그들은 지 과 같이 국가별 상이한 번호체계를 운 하는 것이 범유

럽 인 랜드 구축의 장애물라고 지 했다. 한 고정형 VoIP에 주력하고 있는 일

부 사업자들은 서비스 마 에 있어 번호 역의 차별화가 VoIP 서비스의 시그

로 작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를 들어, 품질이 좋은 서비스와 best effort 서비스

를 구분하는 데 번호 역 차별화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품질의 격차가 소비자

에게 문제가 될 만한 수 인지, 설령 격차가 크다고 해도 사용자에게 번호체계를 통

한 시그 이 요한지에 한 단이 모호하다는 에서 설득력이 약한 주장이라고

생각된다.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13

2) 번호이동성 제도

번호이동성은 가입자의 환비용에 요한 향을 끼치기 때문에 VoIP와 기존의

음성통화서비스와의 경쟁활성화에 요한 요소이다. 를 들어, 고객이 VoIP 서비

스로 가입 환 시 기존의 번호를 유지할 수 없다면, 새로운 번호를 알리는 등의 비

용이 소요되므로 다른 사업자로 가입 환에 곤란함을 느끼게 될 것이다.

행 규정에 따라 모든 PATS 가입자들은 명시 으로 번호이동 권리를 가지고 있

다. 하지만 보편 서비스지침에 PATS에 해당하지 않는 ECS 사업자로 번호를 이동

할 권리가 있는지에 한 명확한 언 은 없는 상태이다. 재 스페인을 제외한 EU

회원국의 통신규제기 들은 치이동형/고정형 VoIP의 번호 역 내의 번호이동에

해 제한을 부과하지 않고 있다. 다만 구에게 번호이동성 제공을 강제할지, 가

번호이동의 수혜자가 될지는 국가별로 어느 정도 차이가 있다. 이러한 EU 회원국별

차이를 정리하면 <표 3-19>와 같다.

<표 3-19> 회원국별 번호이동 규제 황

해당 국가 VoIP의 번호이동성

오스트리아, 에스토니아,이탈리아, 스페인

∙ PATS로 분류된 사업자에게만 번호이동성을 제공함

덴마크, 네덜란드, 독일 ∙ ECS로 분류된 사업자는 번호이동이 가능함

랑스

∙ PATS 사업자는 모든 번호 역 내의 번호이동을 제공할 의무

가 있음

∙ 단, ECS 사업자는 특수번호에 한해서 번호이동을 제공할 수

있음

국∙ VoIP 사업자 유형 3, 4는 번호이동을 요구할 권리를 부여받음

∙ 단, 모든 ECS 사업자는 번호이동을 제공할 의무가 있음

자료: WIK/Cullen international(2008)

번호이동성 규제가 실제 시장에 미치는 향에 해, 일부 사업자들은 제약 없이

모든 경우에 번호이동성을 보장할 것을 주장한 반면, 다른 사업자들은 번호이동성

이 실 될수록 요 과 서비스품질의 투명성(transparency)이 낮아질 것을 우려하고

114

있었다.

번호이동을 시행하는 방법과 련하여, 일부 사업자들은 앙 번호이동 데이터베

이스(central portability database)를 이용하며, 이 시스템이 투명성을 제공해 주지만,

비용이 많이 들어감을 지 하 다(eg. 벨기에). 반면 일부 사업자들은 값싼 기 비

용 때문에 RCF 방식 등의 forwarding solution을 선호하고 있었다.50)

한 일부 사업자들은 신규사업자간의 번호이동 로세스와 번호이동성규제에

한 문제 을 제기하 다. 일부 EU 회원국의 경우, 로세스를 팩스로 처리하기

때문에 처리기간이 오래 걸리는 불편함이 있음을 호소하 으며, 기존의 번호이동성

규제가 기존 사업자와 신규사업자간의 번호이동에 한 것으로 신규사업자간의 번

호이동에 한 규제 정책이 미비함을 지 하 다.

3. 국내 인터넷 화 번호정책

가. 인터넷 화 번호부여 연

1) 환경변화에 따른 인터넷 화 등장 번호부여 필요성 두

1990년 말 IP를 기반으로 음성, 데이터, 상을 통합하여 제공하는 VoIP, MMoIP

(Multimedia over IP) 등 유․무선 연동 상 화 다자간 상 화, 통화 멀티

미디어 자료 공유, 멀티미디어 통합메시징 서비스 등 많은 신규서비스가 제공가능

해지면서 다양한 번호수요가 요구되었다. 이는 향후 유선 화와 무선 화간 자유로

운 상통화가 가능하고 IP기반의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이용자 편익

증 가 가능할 것으로 상되어 시장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인터넷 화는 일반 으로 음성을 데이터 신호로 변조하여 인터넷회선(데이터망)

을 통하여 화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림 3-6]에서 알 수 있듯

50) Forwarding solution은 기비용이 렴한 장 이 있는 반면, 분당요 과 같은 진행

요 (ongoing paymnet)을 지속 으로 추가되기 때문에 장기 으로 경쟁력 하를

래하는 단 이 있다.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15

이 음성뿐 아니라 데이터망을 통해 달 가능한 다양한 정보를 동시에 송 가능하

게 하는 것으로 기존의 회선방식 화서비스에 비해 비용 측면에서 이 이 있으며,

향후에는 기존 회선방식 화로는 구 되지 않는 다양한 종류의 부가서비스를 동시

에 서비스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되었다. 따라서 표 인 음성․데이터 통합서비

스로 인터넷 화가 두되었고 이에 한 합한 번호 역이 요구되게 되었다.

[그림 3-6] 인터넷 화 서비스 제공방식

자료: 구정보통신부 내부자료(2003)

2000년 1월 국내 최 로 새롬C&T(구 (주)새롬기술)가 PC to PC방식의 인터넷

화(다이얼패드)를 무료로 제공한 이후, 2003년 말 가입자가 20여만명에 이르는 등

가격, 서비스를 차별화한 틈새시장으로 성장하 으나, QoS가 보장되지 않는 인터

넷망에서 발생하는 낮은 통화품질 통화단 상 등으로 서비스 확산이 지연되

고, 사업자가 임의로 착신번호를 부여하는 등 인터넷 화의 안정 성장이 어려운

상태 다.

단방향인 발신만 가능했던 이 의 인터넷 화 서비스를 탈피하여 안정 이고 원

활한 인터넷 화 서비스를 해서는 착신번호 부여가 필수 이므로 이에 한 요구

가 지속 으로 제기되었고 련 법제화 정비를 통한 인터넷 화 역무신설, 착신번

116

호 부여 등 제도화를 통한 인터넷 화 서비스 활성화의 필요성도 지속 으로 제기

되었다. 더불어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제도 장치 등도 구비 가능하도록 번호부여

조건을 제하자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2) 인터넷 화 번호부여 추진 연

상기의 인터넷 화 제도화 활성화를 해 2003년 10월 인터넷 화 번호부여

방향(안)을 마련하 다. 구체 으로 인터넷 화용 착신번호체계로는 별도식별번호,

시내 화가입자번호, 국제공통서비스번호 등을 논의하여 이용자에게 기존 일반

화와 차별 인 서비스임을 알리고, 인터넷 화의 이동성이라는 특징을 고려하여 별

도식별번호체계(0N0-XXXX-XXXX)를 부여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잠정 인 결론을

도출하 다. 그 결과 착신번호체계를 <표 3-20>과 같이 구분하고 있다.

<표 3-20> 인터넷 화 착신번호체계 구분

별도식별번호부여 역무신설 혹은 국내역무

시내 화가입자번호 부여시내역무

국단일 역무

국제공통서비스번호 부여 국제단일

자료: 인터넷 화 번호 담반 내부자료(2004)

2003년 12월에는 인터넷 화 제도정립방안 공청회를 개최하여 기간통신사업자와

별정통신사업자에게 차별 없이 공통서비스 식별번호 0N0을 부여하기로 결정했다.

기존 화와 품질, 요 에 있어서의 차별성, 이동성(Mobility), 통화권 구분이 없는

국 단일역무임을 고려하여 별도 식별번호를 부여하기로 결정하 으며, 인터넷

화를 이용자가 구별하기 쉽도록 기존에 사용한 이 없는 0N0(040, 070 등에서 선

택)번호를 부여키로 하 다.

기존 시내 화번호를 부여할 경우 이동시 지역별 번호 복, 이용자가 기존 화

와 구별곤란, 번호부족의 문제 등이 발생하므로 이도 고려되었으며, 시외 지역번호

는 국 단일역무이며 이동성이 가능한 인터넷 화의 특성상 불필요하다는 결론도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17

도출되었다.

공통서비스 식별번호 0N0-ABXX-XXXX의 경우 서비스 식별이 사업자 식별 앞에

치함으로써 호의 망간 이동시 효율 이고 사업자 식별이 두 자리 수이므로 다수

의 사업자가 수용가능하다는 도 고려되었다. 한편, 별정통신사업자는 기간통신사

업자로부터 재부여받거나 정부에게 직 신청하는 것 모두 가능하도록 하여 공정경

쟁 문제도 해소하는 계기를 마련하 다.

2004년 5월에는 정부가 인터넷 화 서비스 정책방향을 제시하여 인터넷 화 번호

부여방안을 발표하 다. 구체 인 내용으로는 시내 화사업자가 VoIP기술을 이용

하여 시내 화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시내 화역무 이행을 제로 시내 화번호

를 부여하도록 허용하 다. 이때 시외 화 사 선택제 수, 통화권구분, 번호이동

성 용, 119, 112 등 긴 통신용 화 무료제공, 보편 서비스 의무 수, 정 시

통화가능, 품질보장조치 등을 조건으로 부과하 다. 한, 인터넷 화를 제공하는

기간 별정 통신사업자에게 이용자가 인터넷 화를 인지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공통서비스 식별번호 0N0을 부여하기로 하고 2004년 8월까지 통화품질조건(시내

화번호: MOS > 4.0, 0N0번호: MOS > 3.6)을 만족시킨 경우에 인터넷 화번호를 부

여하도록 번호 리세칙을 개정키로 하 다.

2004년 8월에는 인터넷 화 정책방향 공청회를 열어 인터넷 화 진입제도 정비방

향에 맞추어 인터넷 화번호체계를 정립하되, 그동안 정착해온 화번호 리체계

에 합하도록 기통신번호 리세칙 개정하고 인터넷 화 식별번호로 070을 부여

하기로 결정하 다. 이는 인터넷 화 단말기로 착신할 수 있는 통일된 번호체계가

없어 인터넷 화사업자들이 임의의 번호를 사용함에 따라 불법 상이 발생하는 사

례를 막기 함이었다. 당시 화번호는 기통신번호 리세칙에 따라 부여토록 되

어 있으며 이를 반한 경우 사업법 제36조 제78조에 의거 1천만원 이하의 과태

료에 처하도록 되어 있었으며, 당시 인터넷 화 서비스를 제공 인 업체의 착신번

호는 030-ABXX-XXXX(UMS(통합메시징 서비스)번호)계열은 SK텔링크 등이 사용

하고 있었고 시내 화번호번호는 SK 로드밴드, 050-ABXX-XXXX(개인번호)계열

118

은 KT 등이 사용하고 있었다. 당시 표 화된 착신번호체계 부재로 인해 타망과의

연동을 어렵게 하고 인터넷 화를 발신 주의 일부 서비스에 국한되도록 하는 등

표 화된 착신번호체계 부재가 인터넷 화 활성화의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평가되

었다.

이미 화역무를 허가받은 기존 기간통신사업자가 인터넷 화 역무를 제공하는

경우는 인터넷 화가 기존 화역무로 분류되므로 인터넷 화 제도화의 일 성을

유지하고 기존 화번호체계와의 정합성 유지를 해 기존역무의 번호체계에 따라

번호를 부여하도록 하 고, 신규로 허가받는 인터넷 화 기간통신사업자에 해서

는 품질 요 의 차별성, 이동성(Mobility), 통화권 구분이 없는 국 단일역무 등

인터넷 화의 특성을 감안하여 공통서비스 식별번호 070을 할당(070-ABXX-XXXX)

하되, 일정수 의 통화품질을 보장하는 경우에 한하여 번호를 부여하도록 하 다.

공통서비스 식별번호 070-ABXX-XXXX는 서비스 식별번호가 사업자 식별번호 앞

에 치하여 호의 망간 이동시 효율 이며 사업자 식별이 두 자리 는 세 자리 수

이므로 다수 사업자가 수용 가능한 번호계열로 단되었다. 한편, 인터넷 화 별정

통신사업자는 일정수 의 통화품질을 제로 인터넷 화의 특성을 고려한 공통서

비스 식별번호 070을 부여하기로 하고 사업자 단에 따라 정부(구 통신 원회)

는 기간통신사업자로부터 번호를 (재)부여받아 사용하도록 하 다.

이상과 같은 논의에 따라 2004년 10월 이후 인터넷 화번호를 사업자에게 부여하

여 사용하게 되었다. 번호 리세칙에 반 된 최종 정책내용은 통화권 구분이 없는

국 단일통화 등 인터넷 화의 특성을 감안하여 일정수 의 통화품질을 제로 공

통서비스 식별번호 070을 부여한다는 것으로 별정사업자의 경우 통신 에서 직

부여 는 기간사업자로부터 재부여가 가능하므로 기간과 별정사업자간 자릿수를

다르게 부여하기로 하고 기간통신사업자는 070-ABYY-YYYY 역에서 100만 단

로 부여하기로 하고 별정통신사업자는 070-ABCY-YYYY 역에서 10만 단 로 부

여하기로 하 다. 별정 1호사업자는 사업자 단에 따라 통신 원회 는 기간통신

사업자로부터 번호를 (재)부여받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재량을 부여했다.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19

한편, 번호 리세칙에 번호부여에 필요한 품질요건을 반 키로 했는데 일반 인

사항은 번호 리세칙에서 규정하고, 인터넷 화 업무처리지침에서 품질기 인

증 차 등 세부사항을 명시하 다.

나. 인터넷 화 번호이동성 도입의 필요성

2004년 하반기 인터넷 화에 070 식별번호가 부여되면서 인터넷 화의 활성화를

해 번호이동성 제도가 도입되어야 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당시에는

통신망의 All-IP화에 비하고 인터넷 화의 안정 인 성장기반 조성을 해 070 식

별번호가 부여되면 인터넷 화 시장이 활성화될 것이라는 기 감으로 번호이동성

에 한 주장이 크게 부각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2006년 상반기 제도화된 지 약 2년이 경과한 시 에서 주요 사업자의 070

번호 가입자 수는 약 10만명 정도로 활성화 정도가 미흡하고 번호에 한 부정 인

시각 등도 두되면서 번호이동성 도입을 통한 시장활성화 논의가 시행하는 방향으

로 확정되게 되었다. 따라서 인터넷 화 활성화 역무통합 등 환경변화를 수용하

기 한 유선 부문에서의 번호이동성 확 도입 검토와 련 연구도 활발하게 시행

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와 KISDI, ETRI 등 정부연구기 과 사업자들로 구성된 담반을

통해 번호이동성 도입을 한 제도 , 기술 인 제반 검토를 시작했으며 공청회 등

을 통해 구체 인 시행방향에 해서도 논의하고 결정하게 되었다.

다. 인터넷 화 번호이동성 도입 방안

인터넷 화 번호이동성 제도 도입과 련해서는 기본방향에 한 정립과 제도화

방안으로 번호이동성 제도 도입 범 , 상사업자, 기술방식, 통화권, 비용분담 등의

내용에 해 신 한 검토와 의견수렵 등을 통해 련 정책들을 수립하 고, 시범서

비스 시행 등도 비하여 추진하 다. 이러한 정책추진의 구체 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20

1) 인터넷 화 번호이동성 제도 도입 기본방향

정부는 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유효성을 검토하여 기본방향을 정립하 다. 우선

이용자 선택권 제고 경쟁활성화를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번호이동성 도입 범

상 사업자의 범 를 마련하 다. 이를 통해 모든 기간 별정통신사업자가 번

호이동제의 권리와 의무를 공평하게 부담하도록 하 다.

두 번째로 이용자 혼란 방지 편익 증진을 들 수 있다. 시내 화와 인터넷 화

제도의 특성차이로 발생하는 요 부과 통화권 문제는 이용자가 익숙한 시내 화

제도의 특성을 반 하여 혼란을 최소화 하 다.

마지막으로는 비용 최소화 단계 제도 시행을 통해 효율 인 번호이동성 제

도를 도입할 수 있도록 최소 비용으로 조기 시행이 가능한 범 부터 시행하고 진

으로 개선하도록 계획을 수립하 다.

2) 번호이동성 제도 도입 범

정부는 인터넷 화 번호이동성 도입의 범 를 시내 화→ 인터넷 화로의 번호

이동과 인터넷 화간 번호이동을 도입하도록 하 다. 이는 시내 화→ 인터넷 화

로 번호이동 후, 시내 화 인터넷 화로 재이동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로 KT

의 시내 화 가입자가 SK텔링크의 인터넷 화로 번호이동 후, 시내 화(KT, 하나

로, LG데이콤) 는 다른 인터넷 화사업자로 다시 번호이동이 가능하다. 한,

동일 사업자내에서 이루어지는 시내 화→ 인터넷 화로의 번호이동도 가능하게

하 다. 즉, LG데이콤의 시내 화 가입자가 LG데이콤의 인터넷 화로 번호이동이

가능하다. 리고 번호이동 상서비스는 시내 화번호이동제에서 용하고 있는 일

반 음성 화와 080착신과 서비스에 용하기로 결정하 다. 다만, 인터넷 화(070)

→ 시내 화로의 번호이동은 장기 으로 도입 시기를 검토하기로 하고 당장 시행

은 유보하 다. 이는 행, 번호기 과 방식으로 인하여, 다른 시내 화 가입자의

시내 화 통화료 인상효과(KT 기 , 39원/3분→ 49원/3분)가 발생하는 문제를 고려

한 것이다.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21

[그림 3-7] 인터넷 화(070번호) → PSTN 번호이동에 따른 요 황

행 V(070) → PSTN 번호이동 도입시51)

PSTN

PSTN

02-360-5678

02-360-2000

39원/3분

서울통화권

PSTN

02-750-1334

PSTN

39원/3분

02-500-5678

39원/3분

VPSTN

070-7200-2300

서울통화권

PSTN

02-360-5678

02-750-1334

PSTN

02-360-2000

49원/3분 49원/3분

49원/3분

PSTN

자료: 방송통신 원회 내부자료(2008)

3) 번호이동 상사업자 처리방법

번호이동 상사업자는 (구)통신 원회가 번호를 직 부여한 사업자를 ‘번호

리사업자’로, 번호 리사업자의 번호를 이용하는 사업자를 ‘재부여사업자’로 구분

하 다. 이는 번호 리사업자와 재부여사업자(호 모집, 재과 )에게 번호이동의 권

리와 의무를 부여하여, 이용자의 번호이동성 권리를 보장하도록 한 조치이다.

번호이동 처리방법은 ‘번호 리사업자’는 부여받은 번호의 번호이동처리시스템을

의무 으로 구축하고 번호이동센터에 직 연동하여 번호이동을 처리하도록 하

으며, ‘재부여사업자’는 번호 리사업자의 시스템을 통하여 번호이동성을 처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시스템 직 구축도 가능하도록 하여 사업자의 효율성도 제고

하 다. 이는 번호 리사업자에게 ‘재부여사업자’의 번호이동처리 지원의무를 부여

한 것으로 번호이동의 외를 근본 으로 제거하려는 의도에서 용하 다.

4) 번호이동 기술방식

번호이동성 구 기술방식에는 표 으로 3가지 유형이 존재한다. 이는 ITU-T

51) VPSTN의 정의: 인터넷 화(070번호) → PSTN 번호이동 후, 070번호를 사용하는

PSTN

122

표 의 구분법으로 구체 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RCF(Remote Call Forwarding)

방식은 번호이동 의 원착신망 교환기에서 착신 환 방법으로 번호이동 후의 착신

망으로 호를 보내는 방식으로 비지능망 방식이다. 둘째, QoR(Query on Release) 방

식은 원착신망 교환기로 번호이동 여부를 질의 후, 번호이동 호이면 발신망에서 자

동으로 착신망을 검색하여 호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지능망 방식이다. 셋째, ACQ

(All Call Query) 방식은 원착신망과 무 하게 발신망에서 자동으로 최종착신망을

검색하여 호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지능망 방식이다.

기술 인 측면에서 지능망 방식(QoR, ACQ)이 효율 이나, 도입 비용과 조기 도

입 가능성을 고려할 때 시내 화에서 이미 도입하고 있는 RCF 방식을 용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다만, RCF 방식은 번호이동 활성화시 비용증가 등

의 비효율성이 있으므로 장기 으로는 지능망 방식으로 환하는 것이 합리 일

것이다. 이를 해 향후 번호이동 가입자 증가 추이, 통신망 진화 등의 환경변화에

따라, 번호이동제 련 사업자간 정례 의체에서 기술방식 환 필요성 환방

안에 해 논의하는 방안을 강구 이다.

<표 3-21> 번호이동성 기술방식 비교

RCF 방식 QoR 방식 ACQ 방식

∙ 도입경험이 있음

(시내 화)∙ 도입비용이 최소

∙ 구 기간이 최소

∙ 도입경험이 있음

(이동 화)∙ 번호이동 가입자가 은

경우 효율

∙ 서비스 제약이 없음

∙ 번호이동 가입자가 많은

경우 효율

∙ 서비스 제약이 없음

∙ 통화 기시간 증가

∙ 음성서비스만 용가능

∙ 활성화시 비효율

∙ 도입비용 약 2,700억원

(’06. 7. 추정)∙ 도입비용이 가장 많음

∙ 도입경험이 없음

자료: 서보 외(2001) 재구성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23

5) 비용분담 방안

번호이동성 제도 련 비용은 시스템구축비용, 회선당 처리비용, 추가 송비용,

번호이동센터 련 비용으로 구분하여 <표 3-22>와 같이 정의하고 분류하 다.

<표 3-22> 비용분류 세부내역

비용분류 세부내역

시스템구축비용

∙ 착신 환용량 등 번호이동 호 처리와 련된 교환비용

∙ 송망 신설/증설 비용 망연동 등 번호이동 테스트 비용

∙ 산심사, 과 처리 등을 한 망지원시스템 변경 비용

회선당처리비용∙ 신청에서 개통까지 번호이동 사업자 번호이동센터에서 발생

하는 번호이동 수속 련 제반비용

추가 송비용 ∙ 호 처리에 필요한 번호이동 사업자의 추가 송구간 비용

번호이동센터비용 ∙사업자가 공동사용하는 번호이동센터의 구축 운 비용

자료: 서보 외(2001) 재구성

한편, 이러한 비용분류에 한 비용항목별 분담 회수원칙을 정하 다. 우선 시

스템구축비용은 사업자의 자사망 내에서 발생하는 투자비용으로 사업자가 각자 부

담하고, 투자비용은 속원가에 반 하여 속료를 통해 회수하기로 하 고, 회선

당처리비용은 이용자가 일회성으로 지불하는 번호이동 처리비용으로 원가를 기

로 합리 으로 산정하고, 운 지침에 규정하여 투명하게 운 하도록 하 다. 정확

한 처리원가 산정이 어려운 시행 기에는 기존 시내 화번호이동제의 회선당 처리

비용(회선당 4,000원)을 용하여 결정하기로 하 다.

추가 송비용은 상호 속기 에서 별도로 정하기로 하 으며, 번호이동 리센터

비용은 시내 화사업자가 先투자하여 구축해 놓은 번호이동센터 시스템을 인터넷

화사업자가 공동 사용하며, 구축비용은 균등분담(1/N)하기로 하 다. 분담 사업자

수(N)는 번호이동센터와의 연동회선의 수로 산정하되, 인터넷 화, 시내 화를 모

두 처리하는 경우에는 복하여 용키로 하고 분담 액은 산시스템의 감가상각

비(5년, 정액제)를 제외하고 산정하며, 인터넷 화사업자의 기 부담완화를 해 3

124

년간 분납도 가능토록 하여 제도 효율성을 기했다.

6) 긴 통신서비스 제공(119 특수번호 서비스)

차세 유무선 통신망이 속하게 All-IP기반으로 환되어 감에 따라 세계

으로 인터넷 화 서비스가 기존 유선 화를 빠르게 체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기

존 인터넷 서비스 정책에서 한 규제없이 서비스가 계속됨에 따라 국민들의 생

명과 재산을 하는 사례가 발생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2005년 3월 텍사스에서는 집안에 강도가 침입하자 VoIP 서비스 사

용자가 긴 도움을 받기 해 911로 화를 걸었으나 911 통화가 연결되지 않아

피해를 보는 사건이 발생하 고, 2005년 5월 코네티컷과 로리다에서는 자신의 갓

난아이에게 응 치료가 필요하여 VoIP 서비스를 사용하여 911에 화를 걸었으나

긴 서비스 담당자와 연결되지 않아 피해를 당한 사건이 발생하 다. 그리하여, 미

국에서는 VoIP 사업자들에게 긴 통신서비스 제공에 한 의무를 규정한 고시 제

정을 추진하 고 최근 사업자들에게 긴 통신서비스 의무를 부여하 다. 한, 캐

나다 등 기타 국가에서도 인터넷 화 긴 통신서비스 제공에 련된 제도 도입을

추진 에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인터넷 화 번호이동성 도입을 계기로 인터넷 화 서비스

이용자 보호 측면에서 긴 통신서비스 제공에 한 정책 제도 마련을 시 히 요

구하 고 번호이동성 제공의 필수 수단으로 긴 통신 제공을 의무화하 다.

이를 해 정부는 2007년 상반기부터 본격 인 논의를 시작하 고 2008년 10월말

재 인터넷 화 긴 통신 제공을 한 치정보시스템 구축, 운 에 한 정서

를 체결하고 서비스제공을 완료하 다. 번호이동성 시행에 맞추어 차질없이 긴 통

신서비스가 제공될 정이다.

한편, 정부는 긴 통신서비스 제공의무화를 해 번호이동성 고시, 운 지침

이용약 등에도 동 내용을 반 하여 이용자 편익을 제고하 고 번호이동 서비스

신청시에도 이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련 제도들을 정비하 다. 세부

내역은 <표 3-23>과 같다.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25

<표 3-23> 긴 통신서비스 고시 반 내용

행 개정(안)제4조( 용역무) 이 고시가 용되는 화역

무는 2개 이상의 시내 화사업자가 서비스

를 제공하는 통화권내의 시내 화서비스와

시내 화사업자ㆍ시내 화부가서비스사업

자 이동 화사업자의 착신과 서비스로

한다. 다만, 착신과 서비스의 실착신번호

에 해서는 용하지 아니한다. 1.~6. <신설>

제4조( 용서비스) ---------- 번호이동 상 서비스는 다음 각 호와 같

다. 다만, 제1호부터 제5호까지의 서비스는

긴 통신서비스 제공이 가능하여야 한다.

1. 동일 통화권내 시내 화서비스간 번호이동

2. 동일 통화권내 시내 화서비스에서 인터

넷 화서비스로의 번호이동

3. 동일 통화권내 시내 화번호를 이용한 인

터넷 화서비스에서 시내 화서비스로

는 동일 통화권내 시내 화번호를 이용한

인터넷 화서비스에서 인터넷 화서비스로

의 번호이동

4. 통화권 구분 없는 인터넷 화서비스간 번

호이동

5. 인터넷 화에서 시내 화서비스로의 번호

이동. 다만, 도입시기는 방송통신 원회가

별도로 정하여 시행한다.6. 착신과 서비스간 번호이동, 다만, 착신과

서비스의 실 착신번호는 번호이동이 자

동 으로 용되지는 아니한다.자료: 방송통신 원회 내부자료(2008)

7) 통화권 수

통화권 수의 문제는 인터넷 화 번호이동성 도입을 한 가장 기본 인 제조

건이다. 우리나라는 세계 최 로 시내 화와 인터넷 화간 번호이동성 제도를 도입

하게 됨에 따라 통화권이 존재하는 시내 화번호와 통화권 구분 없이 사용하는 인

터넷 화번호간 번호이동성 도입은 시행 부터 이미 요 등 련한 다양한 문제

에 한 논란을 야기했다. 한, 시내 화와 인터넷 화라는 두가지 상이한 번호체

계를 통해 번호이동성을 시행하게 됨으로써 이용자 혼란 등의 문제도 다수 제기되

126

기도 하 다.

정부 KISDI, 사업자들로 구성된 담반에서는 이를 한 해결방안으로 번호이

동성 서비스는 제공하되 상기에 제기된 문제 들에 한 가장 합리 인 해결방안으

로 통화권의 엄격한 수를 제 고 이를 토 로 번호이동성 제도가 시행되도록

정책을 제시하 다. 동 방안은 재의 규제 서비스 환경 하에서는 가장 합리 인

방안이라 단되며, 향후 서비스가 단일화되어 요 등이 통일될 경우에는 련 번

호체계의 정비 방안 등에 해서도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

황에 한 고려로 련문제들에 한 검토도 진행 이다.

행 시내 화번호는 국의 144개 통화권 정해진 특정 통화권에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나, 번호이동을 하게 되면 번호는 시내 화번호인데 서비스는 인터넷 화

이므로 통화권을 이탈하여도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통화권 수는 번호이

동성 제도 유지를 해 매우 요한 정책이다. 통화권이탈사례를 방지하고자 이용

자가 원할 경우, 새로운 통화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시내 화번호를 부여할 수 있도

록 제도도 정비하여 제시하 다.

PVoIP52)를 수용한 이용자가 다른 통화권으로 이사하는 경우, 기존 시내 화번호

를 반납하고, 이사한 지역 통화권의 새로운 화번호를 부여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가 시내 화번호를 계속 사용하고자 하는 욕구와 권리를 보장하 다.53)

만약, 이러한 조치 없이 PVoIP 가입자가 다른 통화권으로 이동하게 되면 통화권내

통화에 시외요 부과 문제 발생하게 된다.54)

에서 보듯이 통화권에 해 PVoIP는 번호이동 의 시내 화 통화권내 사용을

52) PSTN(시내 화)번호를 사용하는 인터넷 화로 정의한다.53) 통화권은 시내(통화권내)/시외통화(통화권간)를 구분하는 기 으로 시내 화번호

는 통신망에서 통화권 식별 과 처리 기 으로 작용한다.54) 가령, 서울 02-750-1234가 VoIP로 번호이동 후 부산으로 이사한 경우, 집에 있는

부산 PSTN 가입자가 02-750-1234로 화한 통화료는 시내요 이 아닌 시외요

(261원/3분)이 부과된다.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27

원칙으로 하며, 번호이동 가입자 인터넷 화사업자가 통화권을 수하도록 노력

하여야 한다. 련 제도는 정비되어 있으므로 이의 유지는 사업자와 이용자의 몫이

다. 정부는 이러한 원칙들이 잘 지켜지도록 련 제도를 정비했다. 통화권 수와

련해서 이용약 에 번호이동 가입자의 통화권 수를 이용자 의무로 규정하 고,

사업자는 번호이동성 고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통화권을 수하도록 하여 문제를

최소화하도록 하 다.

향후, 요 체계 단일화, 번호체계 개편, 지능망 기술방식 도입 등의 제도 여건이

변화되는 경우, 통화권 제한 없는 사용을 검토하기로 한다.

8) 번호이동성 제도 시범서비스 시행

2008년 상용서비스를 개시하되, 번호이동시스템 구축 등이 비된 사업자부터

용하여 2008년 12월말까지 도입을 완료키로 하고 시범서비스를 시행하 다.

시범서비스는 인터넷 화와 시내 화간 경쟁 진과 이용자 편익증진을 하여

2007년 12월 27일부터 2008년 3월말까지 시행되었으며, 상지역은 부산, ,

주, 구, 청주, 안산 등 6개 지역이며, 참가사업자는 시내 화 인터넷 화 서비

스 제공사업자이다. 이러한 사업자들의 범주에는 번호이동 리센터(KTOA)와 산

시스템 직 연동된 사업자들에 한했으며, RCF 호처리테스트가 완료되지 않은 ‘정

부로부터 직 번호를 부여받은 사업자(이하 “번호 리사업자”)’는 테스트 완료 보

고 후 시범서비스를 개시하도록 하여 제도를 보완하 다.

시범서비스에서는 시스템이나 산상의 실패나 오류 없이 성공 으로 완료되어

정부의 정책 로 시스템 구축 제도시행 비가 차질 없이 잘 진행되었음이 입증

되었고 상용화에 차질 없이 응할 수 있는 제도를 수립하게 되었고, 지난 11월 번

호이동이 상용화되었다.

128

제3 유무선융합 등 신규서비스 번호정책

1. FMC(Fixed Mobile Convergence) 번호정책

가. FMC의 개념

FMC(유무선융합)은 유선서비스의 품질과 안정성 그리고 무선서비스의 이동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제공받고자 하는 이용자의 욕구와,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유무선

융합 기술의 발 으로 가시화되고 있는 신규 통신서비스를 말한다. 궁극 으로 유

무선융합서비스는 속망(any Network)이나 단말장치(any de-vice)에 계없이 언제

(anytime) 어디서나(anywhere) 음성과 데이터서비스(any service)를 단 없이(seamlessly)

제공받는 방향으로 발 할 것으로 상된다. 이런 측면에서 유무선융합은 각 계층

의 통합화가 균형 있게 발 하여, 유무선간의 끊김 없는(seamless) Ubiquitous 환경이

조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단순결합의 차원을 넘어, 유선과 무선의 경계를 월

하는 신규서비스의 발굴 보 , 차세 통합네트워크의 포설을 통한 원활한 정보,

그리고 통합 단말기를 포함하는 다양한 단말기로 언제나 어디서나 속이 가능한

통신환경의 구축 등을 의미한다.

OVUM은 유무선융합의 특징을 ① 동일 인 라를 이용하는 망 통합(독일 Vaig In-

terkom), ② 자원을 공동 활용하는 상업 통합(마 등), ③ 끊김 없는 연동을 지

원하는 서비스통합(부가서비스)으로 정의하고 있다. 한 Nortel은 유무선융합서비

스를 네트워크, 서비스, 구매, 조직구조의 4가지 단계로 정의하는데, 네트워크 단계

는 동일한 송설비와 교환설비를 통해 호를 소통시키고 가입자 양 끝단에서만 유

일하게 기술상의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서비스 단계는 개인번호, 팩스, 인터넷

속, 이메일 등의 데이터 서비스가 유선이나 무선 가입자 모두에게 가능한 것을 의미

한다. 구매 단계는 통합 과 , 가입자 통합 리 시스템들이 지원되는 서비스로 일반

으로 서비스 기에는 통합 과 서비스에서 시작된다. 조직구조 단계는 유무선

각각으로 나 어진 서비스나 상품을 하나의 사업자나 동일한 업 에서 리,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29

매할 수 있게 되는 단계를 의미한다.

과거 는 재까지의 유무선융합에 한 시각이 물리 인 네트워크 자체의 통합

을 의미하지는 않았음에 비해, All-IP 환경은 각 사업자별 서비스, 마 , 속, 인

터페이스, 콘텐츠 등의 통합을 뛰어넘는 물리 차원의 네트워크 통합을 의미하기

때문에 유무선융합서비스의 제공에 있어 질 인 차이를 내포하고 있다. 재까지는

이러한 과정의 기 단계로, 서비스의 단순한 결합 매 혹은 서비스의 통합화가 불

완 한 경우에도 이를 포 으로 유무선융합서비스의 범주로 해석하고 있다. 따라

서 재까지 통용되고 있는 유무선융합의 개념은 상기 명시된 계층들의 반 인

융합화보다는 부분 인 융합화를 포 하고 있으며 과도기 개념으로 보아야 할 것

이다.

나. FMC의 발 배경

무선랜을 비롯한 고속인터넷서비스가 성장함에 따라 세계 으로 무선서

비스가 유선서비스를 추월하고 있으며, 유무선융합서비스가 큰 이슈로 부각되고 있

다. ITU 통계에 따르면, 1998년 핀란드를 필두로 우리나라(1999년), 일본(2000년)을

비롯하여 재 세계 35개국 이상의 국가에서 무선가입자가 유선가입자 수를 넘

어서고 있으며, 2001년을 기 으로 세계 무선가입자 수가 유선가입자 수를 추월

했다. OECD 통계에 따르면 매출액 측면에서도 2002년을 기 으로 무선서비스가 유

선서비스를 앞지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무선 체 상과 련해서, Yankee Group

은 유선과 무선의 요 비율이 약 1 : 3 정도되는 시기에 유무선 체가 일어나는 것

으로 보고 있으며, 상 으로 무선서비스가 취약한 통신사업자의 경우에도 부분

으로 유무선 체 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와 같이 유선과 무선서비스가 상호 경쟁 계로 변화하여 유무선 체 상이 심

화됨에 따라, 통신사업자들은 분리된 역에서의 시장 확 뿐 아니라 유선과 무선

시장의 경계를 월한 통화량의 체와 상 시장의 잠식을 도모할 유인이 있으며,

기존 서비스 시장의 포화로 인한 매출의 정체를 극복하기 한 새로운 사업 략으

130

로서의 유무선융합서비스를 추진하고 있다. 기술 으로 통합․융합화 상은 유선

과 무선 부문에서 모두 All-IP화 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통신사업자는 종합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래형 사업모델을 조기에 구축하려는 유인이 있다. 사업자들은

이를 통해 새로운 수입원 발굴, 다양한 서비스 상품 개발력 제고, 가입자 유치 비용

반 인 운 비용 감, 가입자와의 장기간 계 유지를 통한 해지율(Churn Rate)

감소 등의 다양한 효과를 기 하고 있다. 소비자 측면에서 이러한 유무선융합서비

스는 one-stop 서비스를 통한 효용증 와 유무선 연동에 따른 단일번호 사용, 통합

과 에 따른 편의성 향상 요 할인 효과 등의 이 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세

계 통신시장을 주도하는 거 사업자들이 유선과 무선으로 양분된 통신서비스를 통

합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다. FMC 사업자 동향

1) 서비스 황55)

유선사업자와 유무선 모두 보유한 사업자들은 1990년 반에 도입된 이동 화

의 격한 성장, 유무선 체 상 진행, 통신시장 경쟁 심화에 따른 략 수단으

로 주로 FMC를 채택하고 있다. 가장 표 인 FMC 단말기 형태는 이동 화단말기

에 WiFi, 블루투스 기능을 추가한 듀얼모드 단말기이며, 유럽지역은 이미 이러한 형

태의 단말기가 상용화되어 있다. 듀얼단말 모드 FMC의 서비스 구 은 다음과 같다.

우선, 가정 혹은 사무실에 고속 인터넷 설치하고 무선랜을 구 할 수 있는 AP

(Access Point)를 연결해야 한다. 한 WiFi, 블루투스 기능을 추가한 듀얼모드 단말

기를 구매해야 한다. 이러한 기기들을 갖춘 후 옥내에서 소비자가 단말기로 화를

걸게 되면, 해당 트래픽이 무선랜을 경유하여 AP에 연결, 고속 인터넷으로 속

되어 인터넷 화서비스를 제공한다. 반면, 옥외로 나가게 되면 이동 화 네트워크

를 통해 서비스가 제공된다.

유럽은 FMC가 가장 먼 시행된 지역으로, 최 의 FMC 서비스는 2005년 9월에

55) 결합상품서비스는 논의 상에서 제외함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31

출시한 BT의 Fusion이다. Fusion은 옥내에서는 로드밴드, 실외에서는 셀룰러 망에

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옥내에서 로드밴드를 이용하는 만큼 요

감효과를 릴 수 있었다. 서비스 기에는 블루투스-셀룰러 듀얼모드 형태 으

나 차 WiFi 기능을 활용한 듀얼모드로 업그 이드되었다. 그러나 낙 기 와

달리 가입자 기반이 확 되지 않았으며, 결국 실 부진에 따라 2008년 일반 소비자

상 Fusion 서비스를 철수하고 2006년 11월부터 시작한 법인용 Fusion 서비스 제공

에 주력하고 있다. 실 부진의 요인으로는 단말기 라인업과 마 채 부재가 지

목되고 있으며, 홈게이트웨이 구입 등으로 인해 사용자들이 비용 감을 체감하지

못한 도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 이통사 O2 분사로 Vodafone의 이통

상품을 MVNO로 재 매함에 따라 요 할인에 제한이 있었다는 것도 지 한 향

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법인용 Fusion 서비스는 <표 3-24>와 같은 옵션 요 을 제

공하며, BT 허 사용이 가능한 지역이나 Openzone Hotspot에서 유무선 통화가 무

제한 공 된다.

<표 3-24> BT 법인용 Fusion 서비스 옵션 요 (2008. 10)

무료통화*요 /월

(24개월 계약만 가능함)No. of phones available per account

120 £30.25 1250 £35.65 1 to 2500 £47.35 1 to 5700 £56.35 1 to 51000 £77.50 1 to 7

자료: BT홈페이지

* 단, 01, 02, 03, 07 번호와 미국 등에 발신하는 화만 해당됨

독일의 경우, 최 통신사업자인 DT가 2006년 8월 T-One를 출시하 다. T-One은

SIP기반 WiFi/GSM 듀얼모드 서비스로 옥내나 핫스팟에서는 무선 VoIP를, 그 외의

지역에서는 GMS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FMC 서비스 다. DSL 속, 무선랜 라우터,

132

듀얼모드와 WiFi 폰을 모두 포함하 으며 DSL, WiFi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해

별도의 정액제 가입이 필요했다. T-One은 요 경쟁력, 차별화 략, 단말기 라인업

등의 부족으로 좋은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결국 DT는 경쟁사의 홈존 서비스에

응하고 자사의 FMS 서비스(T-Mobile@Home)와의 Cannibalization을 피하기 해 홈

존 서비스인 T-Mobile@Home으로 투자를 향하고, 2007년 3월 T-One 서비스를

단하 다.

랑스에서는 2006년 6월 Neuf Cegetel이 GSM/WiFi 듀얼모드 단말 TWIN을 출시

하면서 FMC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TWIN은 옥내에서는 WiFi 지원 로드밴드 라

우터(Neuf Box 등)에서 WiFi를 경유하여 로드밴드에 속, IP 화를 사용하는 서

비스 다. 이때 요 은 유선 화요 이 용되며 ‘full-unbundle’ 가입자에 한하여 IP

화요 이 용되었다. TWIN 요 제는 무료통화분수에 따라 21.90€에서 91.9

€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2006년 10월 FT 한 ‘Unik’를 출시했다. Unik는

TWIN과 동일 원리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옥내에서는 WiFi를 경유하여 자동으

로 홈게이트웨이인 Livebox에 속되어 IP 화를, 옥외에서는 Orange의 GMS 네트

워크에 속해 휴 폰을 사용할 수 있다. 재 Unik는 Orange 이동 화서비스의 옵

션으로, Orange 로드밴드서비스에 가입 후 Livebox를 설치하고 Orange 휴 폰

Unik 옵션에 가입해야만 이용이 가능하다. 한 Livebox에 6 까지 Unik 단말기를

등록할 수 있고, 3 까지 동시 통화가 가능하다. 옵션요 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

데, 월5€를 내면 시간 와 상 없이 유선 화로 거는 통화가 무제한으로 제공되며,

월12€를 내면 유선 화와 휴 폰으로 거는 통화가 시간 와 무 하게 무제한으로

제공된다.56) FT는 FMC 사업 지역을 다른 유럽 국가로 확장하여, 네델란드(Ulink,

2006. 10출시), 국(Ulink, 2006. 11출시), 스페인(Unico, 2006. 12출시), 폴란드(Ulink,

2007년 출시)에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06년 11월부터 소기업용 옵션서

비스로 비즈니스용 FMC인 ‘Unik for Business’를 출시하 다. 이처럼 BT의 Fusion

56) 단, Livebox를 경유하는 Unik 단말 발신 통화만 해당된다.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33

서비스의 실패와 달리 Unik가 성공 으로 실 을 낼 수 있었던 것은 홈게이트웨이

보 수 이 앞서 있고, 자체 인 이동통신사업부문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즉,

MVNO로 셀룰러부문을 운 했던 BT에 비해 원가경쟁력이 앞서 있었던 것이 정

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림 3-8] Unik 서비스 구 도

가정/사무실

인터넷

WiFi/이동통신듀얼모드 단말

기지국

외부

UMA

MobileCore-N/W

LiveBox/WiFi AP

자료: FT 홈페이지, ATLAS(2008)에서 재인용

[그림 3-9] Unik 요 제

자료: Orange 홈페이지

134

미국에서는 DT의 산하 T-Mobile USA와 Verizon 등이 FMC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

다. Cannibalization을 우려하여 FMC 서비스를 주 한 다른 이통사들과 달리 T-Mobile

USA는 네트워크 용량개선과 차별화 략으로 2007년 6월 WiFi UMA57)기반의 FMC

서비스 ‘HotSpot@Home’를 출시하 다. 국 8,500여개의 T-Mobile 핫스팟과 GSN/

GPRS/EDGE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며, 유럽에서와 달리 로드밴드 서

비스를 자체 으로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타사 로드밴드 서비스에도 개방 이다.

한 단말기와 라우터만 구입하면 듀얼 단말을 이용하여 WiFi 속지역에서 무선인

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 HotSpot@Home은 큰 호응을 얻어 가입자 유지는 물론 경쟁

이통사 고객의 가입 환을 통해 실질 인 가입자 증 에 일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2008년 2월에는 월$10로 요 을 인하한 HotSpot@Home Talk Forever

를 출시하 으며, 시애틀과 러스를 시작으로 미국 역으로 확 할 정이다. 이

서비스는 월$10로 옥내 핫스팟에서는 시간 와 무 하게 무제한 무료 통화가 제공

된다. 단 이동 화로 거는 경우는 해당하지 않으며, 서비스 이용을 해서는 고속 인터

넷서비스(1.5Mbps/sec), 월$39.99(single 요 ) 혹은 49.99(family 요 )이상의 T-Mobile

서비스 가입(2년 약정 필수), 무선 라우터 구매 등이 필요하다.

일본에서는 아직 FMC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며, NTT DoCoMo와 KDDI

가 듀얼모드 단말로 법인용 FMC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NTT DoCoMo는 옥내 커버

리지 확 와 비용 감을 FMC 서비스의 주목 으로 삼고 있으며, 재 WCDMA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KDDI는 소기업을 상으로 ‘Office Freedom’(2006년 7월

출시)을 제공하고 있으며, 2004년 유무선 망을 통합한 차세 네트워크 구상 ‘Ultra

3G’를 발표한 이 있다. <표 3-25>는 와 같은 FMC 서비스 개요를 요약한 것이다.

57) UMA(unlicensed Mobile Access)는 공장, 일반 회사, 가정 등 좁은 범 내를 서비

스 역으로 하는 무선 통신 수요에 처하기 하여, 비교 은 안테나 력으

로 지정된 주 수 역을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서비스 속 기술을 의

미한다. UMA 기술은 3GPP의 FMC 로벌 표 으로서 GAN(Generic Access Net- work)으로도 알려져 있다.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35

<표 3-25> 주요 FMC 서비스 개요

사업자서비스명

지역

출시일

( 단일)서비스 개요

DTT-One(독일)

2006. 08(2007. 03)

∙ SIP기반 WiFi/GSM 듀얼모드

∙ 요 경쟁력, 단말기 라인업 문제 등으로 서비스 실패

∙ 재 서비스 단

T-Mobile USA

HotSpot@Home(미국)

2007. 06

∙ WiFi UMA 기반

∙ 2008년 2월 월 $10로 요 을 인하한 HotSpot@Home Talk Forever를 시애틀과 러스에 제공, 향후 미국 역으로

확 할 정

∙ 월 $10로 옥내, Hotspot에서 시간 제한없이 무제한 통

화가능

-이동 화로 거는 통화는 해당 안됨

-필수 요건: 고속 인터넷서비스(1.5Mbps/sec), 월 $39.99 (single 요 )혹은 49.99(family 요 ) 이상의 T-Mobile 서비스 가입(2년 약정 필수), 무선 라우터 구매 등

BTFusion( 국)

2005. 09*

∙ WiFi을 활용한 듀얼모드(UMA기반)∙ 실 악화에 따라 일반소비자 상 서비스 사업 철수, 법

인용 서비스에 주력하고 있음

∙ 무료통화분수에 따라 다양한 옵션 요 제 있음

-무료통화분수: 120~1000/요 : ₤30.25~₤77.5(월) - 24개월 계약 의무

-무료 통화 상으로는 01, 02, 03, 03 번호, 음성 메시지, 미국 등에 한 발신만 해당함

- BT 허 사용이 가능한 지역이나 Openzone Hotspot에서

유무선 통화 무제한 공 등의 혜택 제공

FTUnik

( 랑스)2006. 10

∙ WiFi/GSM 듀얼모드

∙ Livebox에 6 까지 Unik 단말 등록 가능(3 동시 통화

가능)∙ Orange 휴 폰 서비스 옵션으로 제공

- Orange 로드밴드 서비스 가입, Livebox 설치, Orange 휴 폰 Unik 옵션에 가입해야 함

∙ Unik 옵션 요

-월5€: 유선 화로 거는 통화 무제한

-월12€: 유선/휴 폰으로 거는 통화무제한

- Livebox를 경유하는 Unik 단말 발신의 경우

자료: 애틀라스(2007, 2008) 각사 홈페이지

* 법인용 서비스 2006. 11에 출시(PBX 솔루션 기반 법인 서비스는 2007년 4월 출시)

136

2) 서비스 망

유럽지역 FMC의 선두업체 던 BT가 2008년 9월 Fusion 서비스를 단하면서 유

선사업자 심의 FMC 서비스 시장 망에 부정 인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시행

기 FMC는 이동통신시장 진출을 한 유선 사업자들의 략 수단으로, 가입자 확

보, 수익 증 효과를 창출할 것이라 상되었으나 FT의 ‘Unik’를 제외하고는 실제

로 별 성과가 없었다. 게다가 무선사업자 심의 펨토셀에 한 심이 커지고 있어

유선사업자들이 더욱 기의식을 느끼고 있다. 이에 일부 유선사업자들은 기존의 FMC

서비스와 펨토셀을 통합하는 략을 추진하고 있다. 를 들어 스웨덴의 TeliaSonera는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시장에서 시행하고 있는 UMA 기반의 WiFi/GSM 듀얼모드

인 Home Free 서비스를 펨토셀과 통합하여 진화시켜나갈 계획이다. 최근 DT 산하

T-Mobile Venture Fund가 3G 펨토셀 벤더 Ubiquisys에 약 2,500만 달러를 투자하고

기존의 FMC 서비스와 연계 선상에서 UMA기반의 펨토셀로 사업을 확장하려는 것

한 이러한 맥락으로 분석될 수 있으며, 향후 어떤 결과를 가져 올 지 업계의 주목

을 받고 있다.

재까지의 반 인 서비스 동향을 보면, FMC에 한 사업자 인식이 듀얼모드

단말기와 같은 단말기 통합에 을 맞추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업

자들은 재의 단순한 통합 차원을 넘어서서 네트워크 서비스 랜드 융합 차원

으로 인식을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

라. FMC 번호정책사례

앞서 살펴본 주요 기업의 FMC 번호사용 번호이동성 제공 황은 <표 3-26>

에 요약되어 있다.

일본의 총무성은 FMC 서비스의 번호할당과 련하여, 2006년 9월 FMC(Fixed-Mobile

Convergence) 서비스 도입을 한 ‘ 기통신번호와 련되는 제도의 본연의 자세’에

해 정보통신 심의회에 자문을 요청하 으며, 결과에 따라 총무성은 2007년 내

기통신번호규칙 개정 정이다. <표 3-27>은 번호할당 검토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37

<표 3-26> FMC 서비스의 번호할당 이동성 사례

사업자서비스명

지역

출시일

( 단일)번호할당 이동성 황

T-Mobile USA

HotSpot@Home(미국)

2007. 06

∙ 2008년 2월 월 $10로 요 을 인하한 HotSpot@Home Talk Forever 출시

∙ 번호 이동 제공

- AT&T, Verizon, Sprint 등이 제공하는 월$59.99의 가

정용 무선 화(cordless phone) 가입자들은 기존의 집

화번호 유지 가능함

BTFusion( 국)

2005. 09*

∙ 신규 가입 시 개별 단말기마다 이동 화번호가 할당

∙ 단, 다른 이통사에서 가입 환 시 번호 이동 제공

-고객이 원할 경우 다른 이통사의 번호를 그 로 사용

가능

FTUnik

( 랑스)2006. 10

∙ ‘06’으로 시작하는 휴 폰 번호사용

-단, 이미 Unik 이용의 필수 요건**에 해당되는 사용

자는 SIM세 만으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며, 기존

의 휴 폰 번호 유지가능

자료: 애틀라스(2007, 2008) 각사 홈페이지

* 법인용 서비스 2006. 11에 출시(PBX 솔루션 기반 법인 서비스는 2007년 4월 출시)** 필수 요건: Orange 로드밴드서비스에 가입 후 Livebox를 설치하고 Orange 휴 폰

Unik 옵션에 가입

<표 3-27> FMC 서비스의 번호할당 검토

구 분 번 호 비 고

신규번호 UPT 060UPT 서비스와 비슷하고 신규사업자에게 FMC 서비스

를 부여하기에 당

기존번호

휴 화 080, 090 고정 화망과 IP망에서 사용될 수 있는 휴 폰의 추가

서비스로서 사용PHS 070

IP 화 050휴 화망에서 사용될 수 있는 IP 화의 추가 서비스

로서 사용

고정 화 0AB~J 지역 구분 번호라는 에서(No Mobility) 부 당

자료: 총무성

138

2. FMS(Fixed Mobile Substitution) 번호정책

가. 개념 망

FMS는 유선 화 사용을 이동 화 사용으로 체하는 것으로, 이를 유도하기

해 사업자들은 지정된 셀에 한 통화 혹은 집안에서의 이동 화 트래픽에 해 요

차별화를 용하는 략을 구사한다. 유선사업자들의 FMC 략에 응하기

해 이통사업자들이 FMS를 채택하고 있으며, 유무선망을 모두 이용하는 FMC와 달

리 이동 화 망만을 사용하는 차이 을 가진다. 재 이통사들은 FMS 서비스로 주

로 매크로셀 기반의 홈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매크로셀을 이용한 홈존

서비스는 사업자의 수익률이 낮고58) 옥내에서의 품질 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매

크로셀 기반의 홈존서비스 한계 을 개선하고 늘어나는 옥내 무선데이터 수요를 충

족시키기 해 각국의 이통사들은 펨토셀(Femtocell) 기술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펨토셀은 1,000조분의 1(10의 -15제곱)을 뜻하는 펨토(Femto)와 이동 통신에서 1

개 기지국이 담당하는 서비스 구역 단 를 뜻하는 셀(Cell)을 합친 이름으로 기존 이

동 통신 서비스 반경보다 훨씬 작은 지역을 커버하는 시스템이다. DSL 모뎀처럼 생

긴 소형 기지국을 가정 내 유선 IP망에 연결해 휴 폰으로 유무선 통신을 자유롭

게 사용할 수 있게 해 다([그림 3-10] 참조). 옥내 계기를 통하지 않고 곧바로

기지국에서 교환기로 이동 통신 데이터를 송하기 때문에 통신 사업자는 네트워크

구축 비용을 감하면서 주 수 부하를 이고 통화 품질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음

성 통화뿐 아니라 와이 이(Wi-Fi)처럼 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

2.4GHz 역을 사용하는 Wi-Fi는 자 인지 등 가 과 주 수 간섭 우려가 있는

것과 달리 펨토셀은 사용 역에 제한이 없어 남는 주 수를 활용할 수 있다.59) <표

3-28>은 앞서 논의한 듀얼모드 FMC와 펨토셀을 비교한 것이다.

58) FMS 서비스는 CAPEX나 OPEX 비용 감과 같은 비용 감은 고려하지 않고, 요할인에만 을 맞추기 때문에 사업자의 수익률이 낮아진다.

59) TTA 용어사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39

[그림 3-10] 펨토셀 네트워크 구조

자료: ATLAS 2007

<표 3-28> 듀얼 모드 FMC 기술과 펨토셀 기술 비교

Dual mode FMC Femtocell

용 기술∙ UMA기술

∙ IMS 기반 VCC∙ 셀룰러 기술 모두 지원가능

(CDMA/WCDMA/HSDPA)

표∙ UMA: 3GPP 표∙ IMS: 3GPP 표

∙ 3GPP에서 표 화연구

(Home eNodeB)∙ Femto Forum

단말기 ∙ 듀얼 모드 단말기 ∙ 일반 단말기

특징 ∙ 유선 사업자들이 주로 채택

∙ 기 유무선융합시장 주도

∙ 이통사의 FMC 응 략으로 채택

∙ 홈 네트워크 시장 공략 수단

∙ 기 유선 음성서비스 체

자료: ETRI(2008)

사업자들은 펨토셀 기술을 통해 옥내 서비스 커버리지와 용량 확장, 가입자 유지,

홈네트워크와 결합된 새로운 서비스 개발을 기 하고 있다. 한 CAPEX와 OPEX

감소는 물론 홈존이외의 지역에서 발생하는 통화 할인 가능성을 차단하여 사업자의

수익률을 높이는 이 이 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기존의 단말기를 교체할 필요 없

이 옥내에서 좋은 품질의 고속서비스를 이용하며, 동시에 통신요 도 감시킬 수

140

있는 정 효과를 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펨토셀 시장은 이통사

의 극 인 도입을 통해 빠른 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상된다. ABI Research에 따

르면 <표 3-29>에서 나타나듯 독립 인 펨토셀 경우 연평균 53%로 증가하여 2008

년 70만 에서 2011년 260만 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한 Femto/ADSL Gateway/

Wi-Fi AP이 169%라는 가장 높은 연평균성장률로 증가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표 3-29> 펨토셀 세계시장 망 (단 : 백만 )

’07 ’08 ’09 ’10 ’11CAGR

(’08~’11)독립 인 펨토셀 0.4 0.7 1.1 1.9 2.6 53%

Femto/ADSL Gateway 0.0 0.5 1.7 3.9 4.7 111%Femto/ADSL Gateway/Wi-Fi AP 0.0 0.4 1.1 2.5 7.1 169%

Femto/ADSL Gateway/Wi-Fi AP/IPTV STB 0.0 0.2 0.6 1.6 4.5 167%자료: ABI Reserch 2006, ERTI(2008)에서 재인용

나. 사업자 동향

재 FMS 서비스인 홈존서비스는 Vodafone이 독일, 랑스, 이탈리아, 헝가리, 포

르투칼, 뉴질랜드 등에서 ‘Vodafone At Home’을 제공하고 있으며,60) DT가 T-Mobile

@Home, O2 Germany가 Genion, SFR이 Happy Zone을 제공하고 있다. 주요 사업자

의 서비스 제공 황은 <표 3-30>과 같다.

60) 독일의 서비스 명은 Vodafone Zuhause로 2005년 6월에 런칭하 으며 가장 많은

수의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다. 최근에 뉴질랜드에 서비스를 개시하 으며, 손바닥

정도 크기의 ‘at home’ 박스에 기존의 핸드셋을 연결하여 유무선 발신 모두 Voda- fone의 이동통신 망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한 국내 유선 화번

호로의 무제한 무료 통화, 번호이동 등이 제공되고 있다.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41

<표 3-30> FMS 서비스 동향

사업자서비스명

지역출시일 특 징

VodafoneVodafone Zuhause(독일)

2005. 6

∙ 미리 등록한 주소지에서 반경 2Km 이내 홈존내에서 유

선 화요 으로 휴 폰 이용

∙ 유선번호로 걸려 온 화를 휴 화로 당겨 받을 수 있음

∙ 단말기에 제한은 없지만, 별도의 SIM카드 필요

∙ 기본요 월20€(2006. 11월 기 ) - Zuhause option: 월5€, 독일 내 유선 화 발신 시 분당

0.04€, 휴 폰으로 걸 때는 개별 요 제에 따라 다름

- Zuhause Flatrate: 월15€, 독일 내 유선 화와 vodafone 휴 폰 가입자간 통화 무료 제공, 타사 휴 폰으로 걸

때는 개별 요 제에 용(Zuhause option에 추가)

T-MobileT-Mobile@

Home(독일)

2006. 1

∙ 미리 등록한 주소지에서 반경 2Km 이내 홈존내에서 유

선 화요 으로 휴 폰 이용

∙ 홈존 밖에서 유선 화번호로 걸려온 화를 착신하는 방

법은 2가지 옵션 선택

-옵션1: 부재 화서비스로 송(발신 착신 측 모두

수수료 없음) -옵션2: 휴 폰으로 송(착신측에 분당0.19/€요 부과)∙ single 요 : 월 4.95€로 국내 유선 화로 걸 때 분당 0.04€

부과

O2 Germany

Genion(독일)

1999. 7

∙ 독일 시장에 홈존서비스를 가장 먼 출시

∙ 홈존: 등록한 주소지 반경 2Km 이내

∙ 요

-기본 요 : 월 9.99€ -동일 지역의 유선 화로 걸때( . 089→089): 분당 0.03€

(일부 화번호 제외) -국내 다른 지역 유선 화로 걸때: 분당0.07€(일부 화

번호 제외)자료: 애틀라스(2007, 2008) 각사 홈페이지

2007년 상반기부터 이통사들은 펨토셀 기술 도입 계획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재 NEC, Motorola, Ubiquisys, Netgear 등이 UMA 기반 펨토셀 장비생산 계획을 밝혔

으며, 이통사 O2와 TeliaSonera가 UMA 펨토셀 시험 에 있다. 국내에서는 SKT

가 기술확보 차원에서 국 Huawei와 펨토셀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142

Ericsson은 3GSM 2007에서 옥내 소형 GSM 기지국을 통해 GSM/UMTS, WiFi를

모두 지원하는 펨토셀 솔루션을 제시했다. Ericsson의 펨토셀 솔루션은 소형 기지국

을 옥내 ADSL이나 FTTH 회선에 연결하여 옥내 휴 폰 트래픽을 유선으로 분산해

서 처리하는 방식으로, 옥외에서는 셀룰러기반의 이동통신을 사용하고 옥내에서는

WiFi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한다.61) Ericsson의 펨토셀 솔루션은 FMS 서비스를 안정

으로 제공하고 유선사업자들의 FMC 서비스에 히 응할 수 있는 솔루션으

로 평가되고 있으며 그 구 방식은 [그림 3-11]로 표 될 수 있다.

[그림 3-11] Erocsson의 펨토셀 솔루션

자료: Strabase

주요 이통사들의 펨토셀 기술 도입 황은 <표 3-31>과 같다.

이통사업자들에게 펨토셀 기술 기반의 FMS는 유선사업자의 FMC 응, 홈네트워

크 시장 진출, 새로운 비즈니스모델 기회 제공 등의 이 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간섭, 핸드오버 등과 같은 기술 문제와 표 화 등의 제도 문제, 그리고 가격

61) 옥내외의 경유루트 환은 자동으로 실행된다.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43

경쟁력 확보 략 구상 등의 문제 을 가지고 있어 이를 어떻게 처하는 지가 펨토

셀 기술의 성패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표 3-31> 펨토셀 업체 동향

업체 추진내용

Vodafone

∙ 펨토셀 도입을 한 RFP 발송

∙ 홈게이트웨이 통합형 펨토셀 추구

∙ 재 독일과 국 시장을 목표로 그룹차원에서 추진

∙ 3G 매크로셀 구축 비용을 감하기 해 2008년 말까지 서비스 사용화 계

획 발표(’08. 3Technology Update 컨퍼런스)∙ 장비업체: Alcatel과 ip.access∙ 2008년 3월 스페인에서 Alcatel-Lucent와 Huawei가 제공한 펨토셀 장비를

테스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FT

∙ 펨토셀 도입 리 비용 분석을 해 ‘image network’에 한 세부내용을

벤더들에게 제공할 계획

∙ 지역을 / /소로 구분해 펨토셀 수량에 다른 도입비용을 악할 정

∙ 특정 벤더들과의 력을 통해 낮은 제품에 구입하여 소비자에게 여하는

방식으로 펨토셀을 제공할 정

Sprint Nextel

∙ 2007년 9월 17일 CDMA 펨토셀 서비스 ‘Arive’ 출시

∙ 2008년부터 미국 역으로 서비스 확장 계획

∙ 캠퍼스, 사무실, 쇼핑몰, 회의장 등에 WiMAX 피코셀 기지국 mini-WiMAX를 설치하기 해 RFP발송 완료

∙ 2008년까지 미국 주요 도시에 출시될 WiMAX서비스를 해 수십만 의

펨토셀과 소규모의 피코셀 장비를 설치할 계획

DoCoMo

∙ 2007년 7월 순 음 지역 해소를 한 솔루션으로 펨토셀 개발 발표

∙ DoCoMo가 보유한 설비를 옥내설치하고 기존 기지국과 동일하게 운용

∙ 소 트뱅크가 팸토셀을 새로운 서비스 도입을 한 략으로 활용하려는

반면, 도코모는 커버리지 확 에 을 맞추고 있음

Softbank

∙ 2GHz 의 주 수 역을 이용하여 로드밴드 회선에 속한 펨토셀 AP 경유로 음성통신과 화상 화, HSDPA 기반 데이터 통신 등을 실험

∙ 2008년 까지 상용화할 방침이며, 유 의 커버율을 높이는 한편 홈게이트

웨이로의 진화를 꾀하고 있다고 밝힘

∙ 삼성 자, 국 ip.access, 국 Ubiquisys, Motorola, 일본 Alcatel-Lucent, 일본

Ericsson, Sonus Network, NEC 등 총 8개 업체가 실험에 참가함

자료: ATLAS(2007). ETRI(2008)

144

다. FMS 번호정책사례

앞서 살펴본 주요 기업의 FMS 서비스의 번호할당 번호이동성 제공 황을 살

펴보자. T-Mobile의 T-Mobile@Home의 경우, 가입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등록한

홈존 내의 시내번호국번에 해당하는 DT의 유선 화번호를 새로 받아야 한다. 이는

신규가입자뿐만아니라 기존의 DT 유선 화 가입자에게도 해당하는 사항으로, 이미

DT의 유선번호를 사용하고 있다면 사용하고 있던 DT의 유선번호를 새로운 번호로

변경해야한다. O2 Genion 한 가입시 이동 화번호 외에 유선 화번호도 부여한

다. 해당 유선번호는 T-Mobile@Home와 동일하게 가입자가 홈존으로 지정한 장소

의 시내번호국번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 번호는 실제로는 휴 폰으로 이용되는 일

종의 가상유선 화번호가 된다. Vodafone의 Vodafone Zuhause도 이와 동일한 방식

으로 번호를 부여한다.

3. 와이 로 번호정책

가. 서비스 개념

와이 로는 무선을 뜻하는 Wireless와 용량 고속 인터넷을 의미하는 Broadband

의 합성어로 언제, 어디서나 빠른 송속도로 무선인터넷 속이 가능한 서비스를

의미한다. 와이 로는 송속도, 이동성, 셀 반경 등에서 재의 이동 화 무선랜

의 간 역에 치하며, 도심지역에서 교통 주행속도 이상(120km/h 이상)의

이동성을 보장하고, 높은 수 의 송속도(상향링크 1Mbps 이상, 하향링크 3Mbps

이상)로 무선 고속인터넷과 멀티미디어를 이용할 수 있다. 제공되는 단말기는 사

용자의 용도에 따라 휴 폰, 스마트폰, PDA, 노트북 등의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이

를 기반으로 유무선 결합이나 융합형 콘텐츠와 비즈니스 모델 활용이 가능하다.

나. 국내 황

1) 커버리지

먼 커버리지를 살펴보면, 재 와이 로는 서울도심지역과 학가를 심으로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45

제공되고 있다. KT는 서울 역, 수도권 18개 학, 김포공항, 인천공항, 기타 부산,

구 등 5개 역권의 핫스팟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며, SK텔 콤은 핫스팟

주의 제한 인 커버리지 략을 구사하여 서울시내 심가 학가에 24곳, 수도

권 23곳, 5 역시 학가 심 9곳의 총 56개의 핫스팟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

한다.62) 이와 같은 제한된 커버리지 일부를 보완하기 해 KT와 SK텔 콤은 멀티모

드 단말기 결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KT는 와이 로나 2G․3G에 속 가능

한 멀티모드 단말기를 도입하 으나, 아직 핸드오버 제공은 되지 않으며 2009년 정

도에 기능 으로 핸드오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상된다. SK텔 콤의 와이

로 서비스 경우에는 HSDPA를 결합한 형태로 가입이 가능하며, 듀얼모드 USB모뎀

속하고 있다.

2) 어 리 이션 콘텐츠

어 리 이션과 콘텐츠 황을 보면, UCC와 같은 업로드 심 어 리 이션의

이용층은 넓지 않은 반면, 업로드 속도에 크게 향 받지 않는 서비스가 주로 이용

되고 있어 속도에 기반한 와이 로 핵심 어 리 이션은 이용도가 낮은 편이다.

<표 3-32> WiBro와 타 서비스와의 속도 비교

구 분 WiBro HSDPA ADSL

신문 36면

(880KB)다운로드 1.5 5 2.1업로드 5 18 13

MP3 10곡

30MB다운로드 57 2분 40 1분 12업로드 2분 51 10분 25 7분 25

CD1장

690MB다운로드 21분 54 61분 20 27분 52업로드 65분 42 239분 35 170분 41

자료: 자부품연구원(실측치 기 )

62) SK텔 콤은 사업계획서의 의무 커버리지는 확보하고 있으나 마 측면에서 소

극 이며, 이는 무선인터넷 속분야 사업성의 부재, HSDPA와의 경쟁 계 등이

주원인으로 단된다.

146

한 HSUPA가 개시됨에 따라 속도차도 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일례로, KT WiBro

는 HSDPA 비 업로드 속도는 4배, 다운로드 속도는 3배가 빠르나, 최근 HSUPA의

개발로 인해 업로드 속도의 차이는 차 없어지고 있다.63) <표 3-32>는 와이 로와

타서비스(HSDPA, ADSL)의 속도를 비교한 표이다.

3) 요 제

WiBro의 경쟁력있는 요소 하나는 렴한 요 이다. 2007년 4월 재론칭 이후

가입자 폭이 크게 증가한 것은 정액요 제와 USB형 단말기 무상제공이 주요인이었

으며, KT는 WiBro 가입자 유치를 해 로모션 요 제 마감을 한차례 유 하기도

했다.64) <표 3-33>의 요 비교에서 드러나듯 KT WiBro는 HSDPA 비 요 이

렴하고, 요 제 선택의 폭이 넓다. KT WiBro는 정액요 외 학생을 한 W캠퍼스

요 (월 3,000원), 선택형 요 (증권서비스, 월 3,000원)에 추가 가입할 수 있으며, 문

자메시지, 멀티메세지, 교통 정보 서비스를 부가서비스 요 으로 제공한다. 더블어

고속인터넷, WiFi, 2G․3G(듀얼모드 USB) 각각의 결합서비스를 제공하며, 결합

서비스 이용 시 할인혜택 제공하여 가입자 유도하고 있다. 를 들어 ‘WiBro + 메가패

스’는 10~20%, 5~10% 각각 할인, ‘WiBro + 네스팟’은 15%, 50% 각각 할인, ‘WiBro

+ HSDPA or EV-DO(듀얼모드 USB)’는 각각 20%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표 3-33> WiBro와 HSDPA 요 비교(VAT별도)

구 분WiBro HSDPA

KT WiBro KTF iPlug SKT T-Login요 상품 실속선언 자유선언 베이직 스페셜 귤러 리미엄

기본이용료 10,000원 19,800원 29,500원 44,500원 29,900원 45,000원

기본제공데이터량 1GB 무제한 1GB 2GB 2GB 4GB자료: 각사 홈페이지

63) 업로드 속도비교: HSUPA 1.45Mbps vs. 와이 로 1.2Mbps64) KT는 재 로모션 요 제를 운 하고 있다. 이 요 제는 2007년 시행되어, 지난

2008년 3월 한차례 마감이 연기되어 2008년 11월 30일까지 제공될 정이다.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47

SK텔 콤은 ‘와이 로 + HSDPA’의 결합 서비스 형태만 제공, 와이 로 요 제와

HSDPA 요 제에 각각 가입해야 하므로 요 부담이 큰 편이다. 2008년까지는 와이

로 요 은 감면해주고 있으나, 2009년부터 ‘가입비 8만원 + 기본료 최소 5만 5천

원 + 추가 종량요 ’이 부과되므로 요 부담이 클 것으로 단된다.

4) 단말기

와이 로 단말기 형태를 살펴보면, KT는 재 모뎀, 휴 폰, 모바일 PC, PMP의

네 가지 형태를 제공하고 있으며, 약 80%가 USB 모뎀방식 선호하고 있다. USB 모

뎀방식을 선호하는 성향에는 단말기 공 지연, 보조 지원폭이 큰 요인이 부분

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된다.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증가하고는 있고, 향후 와이

로 단말기 가격이 내려가고 3G 단말기들과 차별화를 이루게 되면 이러한 추세는 변

화할 가능성이 높으나, 재로써는 당분간 USB 모뎀방식 선호 트 드가 유지될 것

으로 상된다.

5) 가입자 황

와이 로는 2006년 6월 상용 서비스를 개시하 다. 서비스 기에는 가입자 유치

가 부진하 으나 2007년 3분기부터 증가 추세로 환되어 2008년 2분기까지 증가추

세 다가 최근에는 다시 감소추세이다. KT의 경우 2006년 6월 상용 서비스 개시 이

래 2년 만에 20만 가입자를 돌 하 으나 최근 가입자가 감소하는 등 서비스 활성

화에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추세는 <표 3-34>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표 3-34> KT WiBro 가입자 황 (단 : 천명)

’07.10 ’07.11 ’07.12 ’08.1 ’08.2 ’08.3 ’08.4 ’08.5 ’08.6 ’08.7 ’08.8 ’08.9 ’08.10가입자수 80 102 106 116 120 145 158 197 202 188 178 172 175자료: KT

6) 투자 동향

2008년부터 KT, SK텔 콤 양사 모두 WiBro 서비스 범 투자를 확 할 계획

148

이다. 2008년 사업계획서에 의하면 KT는 1,955억원, SK텔 콤은 2,615억 투자할

정이며, 이 2008년 상반기 KT는 711억원, SKT는 1,157억원의 투자를 집행하 다.65)

KT는 수도권 심으로 순차 지역 확장을 계획하고 있으며, 수도권 총 19개 도

시에서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망 확 를 추진하고 있다. 반면 SK텔 콤은 국 핫

스팟 주의 확장 략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SK텔 콤의 WiBro 서비스 확

장은 핫스팟지역을 50여개 더 늘리는 방향으로 진행하며, 모뎀형 HSDPA 서비스의

보완재 성격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다. WiBro 음성서비스 제공과 번호정책

WiBro의 활성화 해요인으로는 이동데이터 수요, 콘텐츠, 규모의 경제 부족이 주

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특히 이동 데이터에 한 수요 부족으로 WiBro 사업자

들은 음성서비스 제공을 우선시하려는 상태이며, 이러한 상황에서 음성서비스가 제

공되지 않는 경우 WiBro 활성화에 커다란 제약으로 작용할 것으로 단된다. 이런

측면에서 번호자원의 효율 리, 번호가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의 정성 등

의 번호정책 기본 원칙에 배되지 않는 수 에서 번호를 부여하는 것은 WiBro 활

성화에 보탬이 될 것으로 단된다.

WiBro에서 제공되는 음성서비스(M-VoIP)에 한 번호부여는 유선 화번호, 이동

화번호를 고려할 수 있다.66) 이때, 기존 유선 이동 화번호를 사용하는 경우 기

존번호에 한 이용자 인식이 존재하므로 번호할당은 이용자들이 인식하는 서비스

포지션과 한 계를 갖게 된다.

유선 화번호를 이용할 경우, 이미 유선인터넷 화로 할당된 070 식별번호를 이

용하거나, 인터넷 화로 번호이동된 시내 화번호를 별도의 할당 차 없이 사용하

65) KT는 2008년 1분기까지 CAPEX로 총 5,350억 지출하 다(면허비 1,260억을

포함).66) 단, 별도의 식별번호 부여는 사업자의 요청이 없고, 번호 리 측면에서도 효율성

이 떨어지므로 논의에서 제외한다.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49

는 것이 가능하다. KT는 이미 시내 화번호 070 식별번호를 이미 부여 받은 상

태이다. 이와 같이 유선 화번호가 사용되면, 이용자들은 상 으로 높은 품질을

기 할 수 있는 반면, 커버리지에 한 기 수 은 낮을 것으로 상된다. 이는 서

비스 포지션을 차별화로 추진하는 방향과 일치하는 것이다.

반면 이동 화번호인 010을 사용하는 방안을 살펴보면, KT가 WiBro에서 010 번

호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WiBro 용도로 010을 할당 받아야 하며 련 번호세

칙의 개정이 필요하다. KT-PCS가 사용하는 010 번호는 KTF가 이동 화 용도로 할

당받은 번호를 KT가 재할당 받은 것이다. 이동 화번호가 사용될 경우 이용자들은

WiBro-M-VoIP로부터 이동 화에 하는 통화품질 특히 커버리지를 기 할 가

능성이 높으므로 서비스 포지션을 이동 화에 근 한 서비스로 추진하는 방향과 일

치하게 된다. 이 경우, 4천2백만을 과하는 이동 화 가입자 기반을 상으로 사업

을 추진하게 되므로 서비스 조기 활성화에 정 일 수 있는 반면, 이동 화의 품질

커버리지를 기 하는 이용자들로부터 거센 불만이 제기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은 이용자 불만을 최소화하기 해서는 유선과 유사하게 통화품질 커버리지

확보 의무 등을 부과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번호가 부여된다고 하더라

도 WiBro 음성서비스는 이동 화 음성 서비스에 비하여 경쟁 열 에 있으며, 특히

커버리지 확보에는 상당한 비용이 수반되므로 통화품질 커버리지 의무 부과는

서비스 활성화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제4 유선번호체계 통합방안

1. 유선번호체계 통합 필요성

가. 인터넷 화 확산에 따른 통화권의 소멸

재까지 인터넷 화 번호이동성 제도 도입에 있어, 통화권 규제를 고시 이용

약 에 명기하 고 다양한 이용자 홍보를 통해 이를 보완하고 있다. 행, 시내 화

150

번호는 국의 144개 통화권 정해진 특정 통화권에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67)

다른 통화권으로 이사하는 경우, 기존 시내 화번호를 반납하고, 이사한 지역 통화

권의 새로운 화번호를 부여받아 사용해야 한다. 번호이동 후, PVoIP68)는 통화권

제한 없이 사용하는 인터넷 화 특성으로 번호와 통화권이 불일치하는 상이 발생

한다. 따라서 PVoIP가 다른 통화권으로 이동 시, 통화권내 통화에 시외요 부과 문

제가 발생하게 된다. 가령, 서울 02-750-1234가 VoIP로 번호이동 후 부산으로 이사

한 경우, 집에 있는 부산 PSTN 가입자가 02-750-1234로 화한 통화료는 시내요

이 아닌 시외요 (261원/3분)이 부과된다.

<표 3-35> 행 통화료 기 PVoIP에 한 통화료 부과기 ( : KT 이용약 )

시내 화 VoIP통화유형 통화요 통화유형 통화요

행 통화료

(서비스

기 )

PSTN ⇒

PSTN시내요 (통화권내): 39원/3분

시외요 (통화권간): 14.9원/10VoIP ⇒

PSTN유선 화와의 통화요

: 49원/3분PSTN ⇒

VoIPVoIP로의 통화요 : 49원/3분

VoIP ⇒

VoIPVoIP와의 통화요 : 45원/3분

PVoIP와의

통화료

(번호 기 )

PSTN ⇒

PVoIP시내요 (통화권내): 39원/3분

시외요 (통화권간): 14.9원/10VoIP ⇒

PVoIP유선 화와의 통화요

: 49원/3분

자료: 방송통신 원회 내부자료(2007)

이에 따라, PVoIP는 번호이동 의 시내 화 통화권내 사용을 원칙으로 하며, 번

호이동 가입자 인터넷 화사업자가 통화권을 수하도록 제도를 정비하고 이용

약 에 번호이동 가입자의 통화권 수를 이용자 의무로 규정하 고 사업자는 번호

이동성 고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통화권을 수하도록 의무화하 다.

67) 통화권은 시내(통화권내)/시외통화(통화권간)를 구분하는 기 으로 시내 화 번호

는 통신망에서 통화권 식별 과 처리 기 으로 작용

68) 시내 화번호를 사용하는 인터넷 화를 지칭함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51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역번호체계에 기 한 PSTN 시내 화 번호체계는 All-IP

인터넷 화의 확산에 따라 그 존재가치를 잃게 된다. All-IP로의 진화에 따라

화번호는 호소통을 한 물리 인 수단이 아니라, 단지 실질 인 호소통의 기 이

되는 IP address와 응되는 간자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한, 통화권의 구별

없이 사용될 수 있는 인터넷 화의 특성에 따라, 16개 지역번호가 번호권을 넘나들

며 사용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통화권의 이동에 한 지속 인 규제가 없다면 기존

지역번호체계를 유지할 경우 16개 지역번호가 국의 모든 지역에서 사용될 수 있

어, 이에 따른 이용자 혼란이 불가피하다. 실제로, 인터넷 화의 확산에 따라 KT 등

의 사업자가 국단일요 제를 출시하는 등 향후 유선서비스에 있어 통화권의 소멸

은 차 가시화되고 있는 시 이다.

향후, 요 체계 단일화 등을 통해 유선부문의 음성 화서비스가 통합되면 련해

서 번호체계 개편 등의 제도 후속조치가 따라야 할 것이며, 이보다 앞서 미리 서

비스통합을 고려한 유선부문 번호체계 통합방안 등에 검토가 선행되어져야 할 필요

가 있다.

나. 번호자원 부족

기통신번호는 희소한 자원으로 정부 련 사업자 등의 효율 인 부여 사

용이 요한 정책변수이다. 그러므로 체계 인 장기 번호 리제도의 정립과 이의

실행이 리의 측면에서 요하다. 정부는 이미 2003년 번호체계에 한 통합방안

을 연구해서 정책을 수립한 바 있으며, 향후의 정책들은 이에 하여 행하여져 왔

다. 그러나 최근 통신시장의 환경이 격히 변화하고 다양한 제도들이 시행되게 됨

에 따라 신규서비스 유사서비스의 등장으로 특정 역의 번호자원이 고갈되는 사

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번호자원 부족 발생지역은 서울 경기도 등 도시 심의 인구 집지

역이다. 이러한 지역들은 신규서비스 제도가 시행될 경우 다량 수요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번호자원의 수요 증가속도가 증하게 된다. 서울 수도권 지역의 번호

자원 고갈의 구체 인 요인으로는 시내 화 인터넷 화 번호이동성 시행에 따라

152

발생되고 있는 매개번호자원의 필요에 의한 추가번호자원 수요와 만성 인 경기도

지역 국번호 자원의 부족 등을 들 수 있다.

재 우리나라가 도입하여 시행 인 시내 화 번호이동성 제도 시내 화-인

터넷 화간 번호이동성 제도는 번호이동 기술방식으로 비지능망 방식(Remote Call

Forwarding)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비지능망 방식은 번호이동 기술상 한가입자에

해 2개의 번호자원을 부여해서 사용해야하는 약 이 존재하게 된다. 이는 변경후

사업자 망으로 착신하기 한 매개번호의 필요에 의해서이다. 따라서 재 번호자

원이 부족한 서울 경기도지역은 번호이동이 발생하면 할수록 이러한 번호부족

문제가 가 되고 있다. 번호자원을 확보하기 한 단기 안들은 검토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미 책에 불과하므로 장기 인 방안의 확보가 시 하다.

한편, 경기지역의 국번호 자원 부족 문제는 2003년부터 지속 으로 거론되어 왔

으나 근본 인 책수립이 부재한 상황에서 일시 인 자원확보방안은 제시하 다.

그러나 보다 근본 인 장기 책이 새롭게 마련되어야 할 상황이다. 재 검토되

고 있는 방안들로는 1안으로 경기지역의 모든 3자리 국번호를 4자리로 확장하는 방

안이 있다. 이를 통해 국번호수가 크게 증가하여 번호부족문제가 해결될 수 있으나

경기지역 모든 이용자가 기존 화번호를 모두 교체해야 하는 문제 이 발생하여

사회 비용(Social Cost)이 매우 크다. 2안으로는 부여되지 않은 비 국번호자원을

4자리로 확장하는 방안이 있다. 2007년 9월말 재 부여되지 않은 76개의 비자원

국번호 3자리를 4자리로 확장함으로써 최 256개의 번호자원을 확보하는 방안이

다. 이는 이용자가 화번호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 추가 인 사회 비용 없이 번호

부족문제 해결이 가능하지만 근본 인 책은 아니다. 3안으로는 특정도시에 별도

지역번호를 부여하는 것인데 특정도시( : 수원)에 별도의 지역번호를 부여하고 기

존 국번호는 특정도시이외의 지역에 재부여하는 것이다. 이는 많은 수의 국번호자

원 확보가 어렵고 특정도시 거주자들은 기존 지역번호를 교체하는 문제 이 있으며

역시․도에만 지역번호를 부여하는 원칙이 훼손될 수 있다. 4안으로는 신규 번호

자원을 번호단 로 부여하는 방안이 있다. 국과 같이, 번호부족지역을 보존지역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53

으로 지정하여 1,000개 단 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번호자원을 효율 으로 리하

자는 것이다. 동 방안 추진을 해서는 기통신번호 리세칙을 개정하여 부여근거

보존지역 지정기 등 마련이 필요하다. 5안은 경기도를 2지역으로 구분하여 상

이한 지역번호를 부여하는 방안이다. 캐나다와 같이, 경기도를 2지역으로 구분( :

경기 남․북도)하고 지역별로 상이한 지역번호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는 지역별로

상이한 지역번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용에 혼란이 발생할 수 있으며 련부처와의

의가 필요한 방안이다.

정부는 2008년 반 연구계와 학계 사업자들로 담반을 구성하고 의견수렴을

통해 기안으로 2안을 채택하 지만 구체 인 실행방안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80X 역을 네자리로 확장하여 당장 부족한 자원은 충당하고 있으나, 장기

으로는 2003년도에 수립된 번호체계통합방안과는 배치됨으로써 이의 재조정 내지

는 근본 안 수립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상기의 안들은 나름 합리 인 안들

이지만 근본 인 책은 아니며, 서비스통합이나 련 제도 시행 시 다양한 문제들

이 발생할 수 있어 장기 인 번호체계 통합 등과 같은 정책 수립과 논의를 함께

진행해서 합리 인 안을 도출해야 한다.

의 두 가지 사례에서도 보았듯이 유선 화시장에 인터넷 화 번호이동성 제도

가 새로이 도입되고 신규서비스에 따른 번호자원 수요가 증하는 등 련된 번호

자원 부족 상은 앞으로도 심화되어 개선방안의 도출을 시 하게 요구하게 될 것

이다. 그러나 번호는 한번 부여되면 회수가 어렵고 변경하는 경우 사회 비용이 많

이 소요되므로 차제에 단기 책이 아닌 근본 인 유선 화부문의 번호체계 통합방

안 등 장기 방안에 한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2. 유선 화 번호통합방안

가. 번호통합에 따른 고려사항

번호의 통합은 기본 으로 번호변경으로 인한 막 한 사회 비용이 수반된다.

154

따라서 다수의 국가들은 장기 계획을 수립하여 단계 으로 이행해 왔다. 최근

인터넷 화를 심으로 유선 화부문의 서비스통합이 자주 거론되고 있다. 거의 동

일한 보완재 계인 유선음성 화의 성격상 두 가지 상이한 체계의 번호를 사용하

는 것은 이용자 혼란 등 다양한 문제 을 내포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유선통신부

문에서 시내 화와 인터넷 화의 번호통합은 요한 이슈이다. 최근 양서비스간 번

호이동성이 도입되면서 이러한 논의는 빠르게 진 되고 있다.

일반 으로 번호체계 통합에는 다양한 정 인 효과가 있다. 우선 공정경쟁 여

건조성을 들 수 있다. 통신 상품의 경우 규모 자본과 네트워크가 필요할 뿐만 아

니라 서비스의 차별화가 쉽지 않아 후발사업자의 신규진입과 경쟁이 여의치 않고,

통신가입자의 환에는 번호 변경이라는 지 않은 장애요인이 있어 공정경쟁의 여

건이 조성되기 어려운 이 있다. 그러나 통합번호체계가 도입이 되어 통신 서비스

별, 사업자별 식별번호와 지역번호가 없어지게 되면 번호측면의 제도 불균형이

해소됨으로써 보다 공정한 토 에서 통신서비스 사업자간에 랜드별 워에 구

애받지 않고 서비스 질(service quality)에 한 경쟁을 진할 수 있다. 그리고 정상

인 가격 서비스 경쟁에 치 하게 되어 통신서비스 사업자에게 원가 감 동기

를 부여하고 품질개선 신규서비스 개발을 진함으로써 사업자의 경쟁력을 강화

시킬 수 있다. 한, 통신서비스 사업자간 번호체계 차등에 따른 요 격차, 속료

할인 등과 련한 사업자간 분쟁소지도 축소시킬 수 있게 된다. 두 번째로는 소비자

의 편익 증진을 들 수 있다. 통합번호체계는 번호이동성을 내포함으로써 소비자가

요 , 품질, 고객서비스 등에 따라 통신서비스 사업자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서비스 선택권이 제고되고, 향후 서비스 환 시 소요되는 변경번호의 고지비

용이나 시간, 노력을 최 한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서비스 사업자들의 경쟁이

가속화되어 소비자는 보다 많은 경쟁혜택을 지속 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세 번

째로는 번호자원 리의 효율성을 제고 할 수 있다는 이다. 재 이동 화나 시외

화 모두 번호체계가 복잡성과 비효율 사용과 련하여 이미 몇 번의 수정을 거

쳤지만 향후 상되는 통신량과 통신인구의 증가를 감당하기에는 부족한 이 지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55

않다. 이에 따라 해외 주요국들처럼 보다 단일하고 통일된 번호체계를 도입하여 향

후 장기 인 통신수요의 증가에 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장기

차세 통합네트워크로의 진화에 따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통신기술의

진화에 따라 향후 상되는 차세 통합네트워크로의 진화에 합한 번호체계를 마

련함으로써, 통신서비스 사업자와 사용자들에게 향후 번호체계 변화와 이에 따른

사회경제 충격과 비용손실에 비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통합번호체계의 정 인 기 효과가 매우 클 것이지만 부정 효과

한 클 것으로 상되므로 번호체계 변경을 한 철 한 비가 필요하다. 우선 사회

비용의 과다를 들 수 있다. 사실상 많은 이용자가 번호를 변경해야 함으로 이에

따르는 환비용, 번호 변경에 따른 혼란 등 심리, 경제, 사회 비용이 많을 것이므

로 통신서비스 사업자와 이용자들의 항도 다소 있을 것이다. 유선의 모든 번호가

변경되는 통합번호체계로의 환은 정부, 통신서비스 사업자와 소비자, 그리고 통

신 련 산업 모두에게 많은 환비용을 요구하게 될 것이고 이러한 변화는 무선번

호체계와 나아가 유무선 번호체계 통합에 한 논의도 발시킬 것이다. 통신서비

스 사업자에게는 통합번호체계를 해 교환기를 교체하거나 기능을 보완해야 할 것

이고 망 리 시스템, 고객 과 리시스템, 지능망/부가서비스 리시스템, 기타

통신망 요소로 발생하는 시스템 구축비용이 요구되며, 번호변경에 따른 고, 홍보,

고지비용 등도 사업자에게 부담이 될 것이다. 이용자들도 변경번호를 알리는 통신

비용과 소요시간, 자신 타인 번호기록에 한 수정, 오통화나 통화불능으로 인해

발생되는 잠재손해 비용 등이 상된다. 두 번째로는 이용자 혼란 불편을 들 수

있다. 이용자들은 어떤 식으로든 번호를 변경해야 하는 이용자들이 많아 질것이므

로 노력과 응기간이 요구된다. 이러한 어려움을 이기 해서는 보편 인 역

과 번호자릿수의 최소화가 필요할 것이다.

유선번호의 통합이라고 해서 단순히 두개의 서비스 번호만을 통합하는 것으로 생

각해서는 곤란하다. 향후 무선번호와의 통합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에서는 시내 화와 인터넷 화간 번호 역의 통합을 검토하기 보다는 이 에

156

검토된 이 있는 번호자릿수에 따른 통합방안 가장 실 인 8자리와 9자리 유

무선통합방안 유선번호 통합 내용을 별도로 정리해서 제시하고자 한다.

나. 8자리 유선번호 통합방안

먼 8자리 번호체계의 유선번호 통합방안에 해 살펴보자. 동 방안에서 유선부

문의 통합원칙은 가입자번호변경 최소화 이용자 혼란 최소화이다. 통합을 한

선결 조치로써 2008년 9월말 재 2,290만의 시내 화 가입자의 일시 환은 실

으로 불가하므로 단계 환 계획이 필요하다. 이를 해서는 유선번호간과 각 서

비스의 번호 역 내에서의 번호 복, 오 속 가능성, 이 속 등에 해서도 검토

해야 한다. 한, 교환기 호처리 방식 용 시 기 자교환기(TDX-1B, TDX-1A,

S-1240) 체가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교환기들은 정부의 BcN계획에 따라

이미 부분 개체가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리고 교환기, PABX, 안내

방송시스템, 망 리시스템, 고객 리, 과 산시스템 등 통신망에 연계된 체 시

스템의 기능이 사 보완될 수 있도록 비해야 한다.

<표 3-36> 국번호 배정방안

총 사용 국번호 수

(6,378개)69)2XXX, 3XXX 배정

(2,000개 할당)6XXX 배정

(1,000개 할당) 계

지역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충청 부산, 경상, 라, 제주

자료: 번호 담반 내부자료(2003), 재구성

따라서 일시 환시의 문제 을 감소시키기 해서는 우선 별도식별번호(07, 09)

역으로의 환 후 2차로 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해 16개 번호권에 단계

으로 유선 화 4자리 국번호 3천만개(2XXX, 3XXX, 6XXX)를 부여한다. 국번호

배정방안으로는 1안으로 재의 서울 4자리 국번 가입자를 유지하게 하여 번호를

69) 2008년 6월말 재 부여된 국번호 수이며 총 자원은 14,297개이고 잔여 국번호 수

는 7,919개임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57

부여하는 방안이 있고 2안으로는 국번호(가입자수) 변경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있다.

이를 한 기술 인 검토 사항으로는 첫째, 교환기와 련해 TDX-1B, TDX-1A,

S-1240, M10CN, No.1A 등의 교환기의 교체 S/W 업그 이드가 필요하다.70) 이를

통해 교환기별 이 속 기능을 보완하고 prefix 라우 테이블 수정작업 등을

할 수 있다. 도입기종인 5ESS, AXE-10의 경우에는 H/W도 업그 이드가 필요하다.

<표 3-37> 교환기종별 기능 검토

구 분 TDX-1B TDX-10A TDX-100 AXE-10 5ESS수용가능 국번수 4 32 32 120 250

입력 가능한

국번호 자릿수4 5 5 무제한 무제한

루 테이블

수용용량2,048 5,000 5,000 무제한 무제한

자료: 번호 담반 내부자료(2003), 재구성

기타시스템으로 구내교환기(PABX)의 prefix 용량 루 테이블 용량은 일반교환

기와 동일하도록 조정해야 한다. PABX도 신, 구 이 속 기능은 부여해야 하고

prefix 라우 테이블 등의 S/W 수정작업도 필요할 것이다. 한 안내방송 시스템

은 이 속 prefix 해제 시까지 운용해야 한다. 이를 통해 구번호 다이얼시 신번

호 안내 방송 송출이 일정기간 동안 제공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 속 시 계선

(시스템/회선) 증설도 필요하다. 이는 이 속 오다이얼링에 의한 트래픽 증가

에 따른 것으로 이 속 안내방송청취 등 호(Call) Set-up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계선 등의 설비가 추가로 필요하다.

한편, 지능망 구 방안도 검토되어야 하는데 지능망 방식(ACQ) 용 시 체교

환기 기능구 일부기종 체가 선결되어야 한다. 지능망으로 체되더라도 번

70) 이들 기종은 메모리 등의 부족으로 이 속 기능 수행이 불가능하므로 개체

교환기 S/W업그 이드를 시행해야 한다.

158

호용량(국번수) 부족의 문제는 존재할 수 있다. 어 든 반 자 TDX-1B교환기는

모두 교체되어야 하고 AXE-10, 5ESS 교환기(도입기종)의 S/W H/W 변경이 필요

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별도의 DataBase 구축은 필요하며(유선 약 2,300만, 무선

약 4,500만 가입자), 이 속 시 번호충돌 상도 존재하게 된다.

번호통합을 한 국번호 환에 따른 환일정은 안내방송, 이 속 등의 기능

을 수행하기 해서는 기 TD교환기를 모두 교체한 후 통합번호체계 용이 가능

하므로 재 추진 인 BcN 구 완료 후 시행할 수 있다. 구 기간은 극 으로

추진할 경우 체 으로 5년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다. 9자리 유선번호 통합방안

9자리 번호체계 통합방안의 기본방향은 번호의 불공정 요소 해소를 통한 공정경

쟁 여건 조성과 최소한의 번호 자릿수로 이용자의 편의 증진 사회 인 혼란과 변

경비용의 최소화 등이다. 이러한 9자리 통합방안은 유무선을 따로 논의하는 것이

무의미하므로 체통합방안 내에서 유선번호 통합방안을 구분해서 보면 될 것이다.

이 방안은 번호 자릿수를 9자리로 통일(국번호 5자리, 가입자 개별번호 4자리, 번

호자원 8억개)하여 체계 인 번호변경으로 이용자 불편을 최소화하고, 향후 번호수

요에 비하는 것이 목표이다. 8자리로의 개편은 번호길이가 짧아 이용상 편리한

이 있으나 번호자원이 8천만개로 재 유무선 체가입자만으로도 이미 과반수

를 훨씬 상회하므로 향후 남북통일, 물번호( : 원격검침, 가로등, 자 기) 등 신규

<표 3-38> 9자리 통합번호체계의 첫 자리 배정

첫 자리 사용번호 상 서비스

0 국제 화, 공통서비스 등에 속하는 번호로 사용

1 119, 114 등 특수번호 1588 등 부가서비스

2, 3 유선 화서비스(시내 화, 인터넷 화) 5, 6 이동 화서비스

4, 7, 8, 9 비(향후 번호 수요에 비)자료: 박종훈 외(2003), 재구성

제 3 장 융합환경과 번호자원 리 159

번호수요에 한계를 노정하고 있으므로 실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9

자리 통합번호체계의 첫 자리 배정은 <표 3-38>과 같다.

구체 인 번호 환 방법으로 유선 화 시내 화의 번호 환에 해 간략히 살

펴보면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단계별 기간이나 시기는 향후 검토를 통해서 정하

면 될 것이다. 우선 1단계로 서울지역 국번을 4자리[2(3, 6)YYY]로 통일하게 된다.

즉, 서울의 경우 02-3(4, 5, 7, 8, 9)YY ⇒ 02-23(4, 5, 7, 8, 9)YY의 방식으로 국번을

변경하면 된다. 2단계로는 지역번호를 제거하고 국번호 앞에 서울 1자리, 지역은 2

자리를 추가하여 시내 화에서 통합번호체계를 완료할 수 있다. 인터넷 화는 시내

화와의 국번호 충돌 등을 피해서 동일하게 비어있는 역에 용하면 될 것이다.

<표 3-39> 시내 화 9자리 통합번호체계의 첫 자리 배정( 시)

서울 02-2(3,6)YYY- ⇒ 22(3,6)YYY- 울산 052-NYY- ⇒ 30YYY-경기 031-NYY- ⇒ 20YYY- 구 053-NYY- ⇒ 31YYY-인천 032-NYY- ⇒ 21YYY- 경북 054-NYY- ⇒ 32YYY-강원 033-NYY- ⇒ 24YYY- 경남 055-NYY- ⇒ 33YYY-충남 041-NYY- ⇒ 25YYY- 남 061-NYY- ⇒ 34YYY-

042-NYY- ⇒ 27YYY- 주 062-NYY- ⇒ 35YYY-충북 043-NYY- ⇒ 28YYY- 북 063-NYY- ⇒ 36YYY- 부산 051-NYY- ⇒ 29YYY- 제주 064-NYY- ⇒ 37YYY-

자료: 박종훈 외(2003), 재구성

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유선번호 통합을 한 8자리 9자리 통합방안에 해 간

략히 살펴보았다. 9자리 통합방안에서는 복되는 내용이 많아 재차 정리하지는 않

았으나 8자리 통합방안과 마찬가지로 교환기 련 기능 개선이 필요하다. 이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는 의미로서 신 한 근의 필요를 요하는 목이다.

장기 으로 통신망이 역통합네트워크(BcN)로 진화해갈 것으로 상됨에 따

라 이러한 통합망에 합한 번호체계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나 합한 번

호체계가 무엇인지에 해서는 재로서는 단하기 쉽지 않다. 다만, 인터넷 화

를 심으로 유선 화부문의 서비스들이 통합화될 가능성이 엿보이므로 이를 바탕

160

으로 서비스통합에 따른 번호체계 통합의 필요성과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은

간과할 수 없다. 술의 번호통합방안에서 실 으로 8자리는 불합리하며, 9자리

통합방안도 8자리 번호체계 통합방안보다는 실 인 계획으로 보이나, 통합의 필

요성 등 정책의 타당성 부분에 해서는 실과의 괴리가 있다.

재 인터넷 화에 의해 기존 서비스들이 통합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고 번호

이동성 제도 등도 도입됨으로써 서비스통합 논의는 한층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번호체계 통합에 한 논의를 개해 감에 앞서 우선 으로 개별 통신서비

스 간에 통합이 가능한지를 검토하고 해당 서비스의 번호통합에 해 논의가 진행

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유선부문에서 는 유․무선 번호체계의 통합이 언 되

고 이루어지는 방안이 합리 일 것이라 단된다. 이에 한 추가 인 심도 있는 연

구가 필요해 보인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번호통합방안만이 차세 통합망에 합한

유일한 번호체계라고는 보기 어려우므로 추후 기타 안들을 모색하고 이에 한

다양한 정책 인 고려가 있어야 할 것이라 단된다.

제 4 장 번호이용료 제도 사례 연구 161

제 4 장 번호이용료 제도 사례 연구

제1 번호이용료 제도의 의의

ITU에 따르면, 총 99개 국가의 설문결과 2004년 미국, 호주, 싱가포르, 덴마크, 핀

란드 등을 포함한 41개국에서 번호이용료를 부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71)

번호이용료 부과의 근거는 일반 으로 ① 번호자원 리에 필요한 행정비용(admi-

nistration cost)의 조달, ② 번호의 경제 가치에 근거한 이용료의 부과, ③ 번호자

원의 효율 사용 강제 등으로 나 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상당수 국가에서 번호자원 리에 수반되는 행정비용 조달을 근거로 번호

이용료를 부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경우 체 인 번호이용료의 규모는 번호

자원 리에 수반되는 상 비용과 일치하며, 미국, 호주 등의 경우 당해 회계연도

에 상되는 비용에 기 해 개별 번호에 부과되는 번호이용료를 산정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둘째, 특정번호의 경제 가치에 근거해 번호이용료를 부과하는 경우도 존재하는

데, 싱가포르는 번호이용료 부과의 근거를 이용자가 인식하기 쉬운 “골드번호”의

존재에서 찾고 있으며, 핀란드와 같이 국제․시외 화서비스번호 등에 상당히 높은

수 의 번호이용료를 부과하는 경우도 있다. 번호의 경제 가치에 근거해 번호이

용료를 부과하는 경우, 호주, 싱가포르와 같이 특정번호 역의 부여에 있어 경매제

도를 채택하는 경우도 존재하고 있다. 이는 국 표번호와 같이 희소한 번호자원,

사업자가 선호하는 국번호 등을 배분하는 과정에서 번호자원이 가지고 있는 경제

가치에 근거, 재정수입을 극 화하려는 의도로 악할 수 있다.

71) ITU, Numbering Survey, 2004.

162

셋째, 번호자원 부족에 비하여 번호자원의 효율 리를 도모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번호이용료 제도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최근 홍콩의 번호이용

료 제도 도입의 취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번호이용료는 사업자의 번호신청시에 부과되는 일회성 비용과 이후 매년 사업자

에게 부과하는 비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행정비용 조달의 목 으로 번호이용료를

부과하는 경우 사업자가 매년 번호이용료를 납부하는 경우가 일반 이며, 독일의

에서와 같이 두 가지 형태의 이용료를 모두 징수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번호

부여시 부과되는 일회성 비용의 경우 부분 행정수수료의 성격을 지닌다.

개별사업자에게 부과되는 부담 은 실제 이용되고 있는 번호자원의 숫자가 아니

라 사업자에게 할당된 번호자원의 숫자를 기 으로 책정되는 것이 일반 이다. 이

는 사업자에게 번호자원의 효율 사용을 강제하기 한 조치 는 사업자가 확보

하고 있는 번호자원의 기회비용에 입각한 부과방식으로 단할 수 있다. 다만, 미국

의 경우 외 으로 통신사업자의 매출액에 비례하여 번호이용료를 부과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먼 , 주요국 번호이용료 제도의 황에 해서 살펴보고, 우리나라

번호이용료 제도 도입시 논의되어야 할 문제들에 해 검토해 보기로 한다.

제2 주요국 번호이용료 제도 황

1. 미 국

미국의 경우 FCC가 통신사업자의 매출액에 따라 NANPA 운 비용을 납부하도록

하고 있으며, 각 사업자가 부담하는 액은 년도 통신부문에서 발생한 가입자 매

출액(end-user telecommunications revenue)에 FCC가 결정한 분담률(contribution factor)

을 곱한 값으로 결정된다. 분담률은 모든 사업자에게 동일하게 용되고(경쟁 립

), NANPA의 상 운 비용과 사업자의 매출액에 따라 결정된다.

제 4 장 번호이용료 제도 사례 연구 163

<표 4-1> 미국의 번호이용료 부과 근거

47 C.F.R section 52.17미국내 모든 기통신사업자(telecommunications carriers)는 번호자원 리에 수반되는 비용

을 경쟁 립 인 방식에 따라 납부할 의무를 진다.(a) 당해 연도 분담 은 사업자의 년도 “통신부문 가입자 매출액(end-user telecommunications

revenue)”과 FCC가 정하는 분담률(contribution factor)을 곱한 액으로 결정된다(분담

은 25$ 이상이어야 하며, 해당 매출이 발생하지 않은 사업자는 25$의 액을 납부하여야

함). 분담률은 상 비용과 해당 매출액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총 분담 액이 NANPA 운비용을 과하는 경우, 즉 NANPA에 흑자가 발생하는 경우, 이는 후년도 분담율 산정

에 히 반 되어야 한다.(b) 모든 기통신사업자는 분담 산정에 필요한 자료를 작성, 보고할 의무를 진다. 동 자

료는 사업자의 담당자 인증과 FCC 는 FCC가 지정한 B&C 기 (Billing & Collection agent)의 증명을 필요로 한다. FCC는 번호자원 운 에 수반되는 비용의 투명하고 효율

인 회수를 해, 필요에 따라 사업자의 자료제출 의무를 면제하거나, 수정 는 추가

인 자료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NANPA 운 기 은 법률 으로 통신사업자가 부담하도록 하고 있지만 각 사업자

의 분담 이 사업자가 부여 받은 번호자원의 크기와는 상 없이 가입자 매출액에

따라 결정된다는 측면에서 일반 의미의 “번호이용료”와는 차이가 있다. 한, 번

호이용료 부과는 NANPA 운 비용 충당에 국한되므로 그 인 규모 역시 그리

크지 않은 수 이다.

<표 4-2> NANPA 기 운 황(단 : 달러)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분담률 0.000043 0.000043 0.000021 0.000021 0.0000052 0.000021

미국의 분담 9,780,878 10,313,646 4,902,967 4,920,418 1,127,108 4,876,926기타국가 분담 166,620 173,694 114,205 80,468 84,050 83,238

NANPA 운 비용 14,783,140 13,737,340 9,821,530 7,026,013 6,903,158 6,922,608사용된 이월 4,835,643 3,250,000 4,804,358 2,025,127 5,692,000 1,966,444

이월 NA 4,434,187 4,000,000 4,248,064 0 0자료: Neustar, 회계년도는 직 연도 7월부터, 당해연도 6월까지임

164

FCC는 분담률의 산정과 징수에 련된 업무를 B&C 기 (Billing & Collection agent)

에 탁하고 있으며, 재 그 업무는 Welch LLP가 수행하고 있다.

2. 호 주

가. 번호이용료

호주의 번호이용료(Annual numbering charges)는 당해 연도 총수입액을 미리 결정한

뒤 각 사업자가 보유하고 있는 번호자원의 수에 따라 배분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72)

번호이용료 산정기 은 10자리 번호에 부과되는 번호이용료를 산정하는 것을 핵

심으로 한다. 먼 10자리 번호에 부과되는 번호이용료를 라고 할 때, 기회비용

인 근에 의거하여 9자리 번호의 이용료는 × , 8자리 번호이용료는 × 등

자리 번호의 번호이용료는 × 으로 결정되는 구조이다.

이 같은 번호이용료 부과형태는 “기회비용”의 개념에 의거한 것으로, 를 들어 9

자리 번호 하나의 사용에 따라 10자리 번호 10개를 사용할 수 있는 기회가 소멸됨

에 따라, 9자리 번호이용료는 10자리 번호이용료의 10배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

미한다. 이에 따라 세 자리 번호에는 막 한 번호이용료가 부과될 수 있는데 호주는

2007년 재 개별 번호이용료의 상한을 100,000 AUD(1 AUD = 0.9482$)로 정해두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리 번호의 번호이용료는 × 로 결

정된다.73)

번호이용료 부과의 모수가 되는 10자리 번호이용료, 는 각 사업자가 보유 번호

자원에 따라 부과해야 하는 번호이용료의 총합과 목표수입을 일치시키는 숫자로 결

정된다. 즉, 사업자 가 가지고 있는 자리 번호자원의 개수를 라고 할 때, 는

다음 방정식을 만족하는 숫자로 정의된다.

72) 일반 화서비스에 사용되는 시내번호(geographic numbers), community service number, telex number, international signalling point code 등의 번호는 번호이용료가 면제된다.

73) × 은 × 과 작은 숫자를 의미한다.

제 4 장 번호이용료 제도 사례 연구 165

∑∑ ××

를 들어 당해 연도 목표수입이 100이고 A라는 사업자가 10자리 번호를 20개, 9

자리 번호를 2개 가지고 있으며, B라는 사업자가 10자리 번호를 5개 가지고 있는 상황

이라면, 는 × ×× ×를 만족시키는 숫자,

로 결정되며, 사업자 A는 을 사업자 B는 만큼의 번호이용료를 부담

하게 된다.74)

연간 번호사용료 목표수입은 연방 산 과정(Federal Budget process)을 통해 정부

에 의해 결정되며, 1998년 이래 매년 목표수입은 6,000만 AUD 수 이었다. 2007년

에도 연간 번호이용료 부과 차는 6,000만 AUD를 목표로 진행되었으며, 2007년 6

월 30일에 ACMA는 총 59,758,622.49 AUD를 사업자로부터 번호이용료의 명목으로

징수하 다.

<표 4-3> 호주의 번호이용료 Ⅰ(2007년, AUD)

자릿수 번호이용료

3 100,000.00 4 100,000.00 5 86,153.264 6 8,615.3264 7 861.53264 8 86.153264 9 8.6153264 10 0.86153264 11 0.086153264 12 0.0086153264

자료: ACMA(2007), Telecommunications(Annual Charge) Determination 2007(No. 2).

74) 첫 번째 호는 사업자 A의 부담액을, 두 번째 호는 사업자 B의 부담액을 의미, 한 목표수입이 보다 작으므로 ×는 보다 작을 수밖에

없어 ×는 생략하 다.

166

<표 4-4> 호주의 번호이용료 Ⅱ-국제 화서비스번호 등75)(2007년, AUD)

자릿수 번호이용료

3 86,153.264 4 8,615.3264 5 861.53264 6 86.153264 7 8.6153264 8 0.86153264 9 0.086153264 10 0.0086153264 11 0.00086153264 12 0.000086153264 13 0.0000086153264 14 0.00000086153264 15 0.000000086153264

자료: ACMA(2007), Telecommunications(Annual Charge) Determination 2007(No. 2).

ACMA는 2007년 4월 1일을 번호이용료 조사일로 결정하고, 통신사업자들의 번호

보유 황을 조사, 2007년 10자리 번호이용료를 0.86153264 센트로 결정하 다. 이

에 따라 9자리 번호는 8.6153264 AUD가 부과되었고, 8자리 번호는 86.153264 AUD

가 부과되었다. 3자리와 4자리 번호에 해서는 번호이용료의 상한선인 100,000

AUD가 부과되었으며, 국제 화서비스번호, internal network services, testing services

등 일부서비스에 해서는 번호이용료를 감면해주고 있다.

번호이용료의 근거가 되는 법은 통신법76)

과 번호이용료법77)

이며, 두 법에 의거하

여 ACMA가 만든 4개의 결정사항(determination)78)에 따라 연간 번호사용료 차를

75) Internal network numbers, testing numbers가 여기에 해당한다.76) Telecommunications Act 199777) Telecommunications(Numbering Charges) Act 199778) 1) 연간이용료 조사일 결정: Imposition of Annual Charge-Date Determination, which

sets the date on which charges are imposed(i.e. the census date);

제 4 장 번호이용료 제도 사례 연구 167

주 하고 있다. 4개의 결정사항은 연간이용료 조사일, 연간이용료 부과납기일, 연간

이용료 지불연체 벌 , 연간이용료 산정기 공식의 내용을 담고 있다.79)

나. 번호경매제도(Number Auctions)

ACMA는 2004년부터 freephone local rate numbers를 경매를 통하여 할당하 는

데 이 번호 역은 13, 1300, 1800으로 시작되며, 흔히 FLRN 는 ‘smart-numbers’로

불리고 있다.80) ACMA는 경매를 통한 번호자원의 배분이 경제 인 가치를 지닌 번

호자원에 한 효율 인 배분수단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Smartnumber에 한 경매는 번호 수요자에 따라 다시 일반경매(public auction)와

자선경매(charity auction)로 구분된다. 일반경매 과정에서 번호에 한 최소입찰가는

다른 번호들과의 차별성에 따라 설정되는데, 일반 으로 최소입찰가는 500 AUD 부

터 시작된다. 를 들어, 특정한 패턴이나 의미 있는 단어로 해석 가능한 smartnumber

의 경우 최소입찰가는 500 AUD 보다 클 수 있다.

자선경매의 참가자는 Income Tax Assessment Act 1997에 따라 소득세가 면제되는

단체로 한정되며 해당 번호의 수요자가 자신과 그 번호와의 연 성을 입증해야 한

2) 연간이용료 부과납기일 결정: Telecommunications(Due Date for Annual Charge) Determination 1999, which sets the due date for payment of charges;

3) 연간이용료 지불연체 벌 결정: Telecommunications(Annual Numbering Charge- Late Payment Penalty) Determination 2000, which sets out rules for the imposition and remission of late payment penalties;

4) 연간이용료 산정기 공식 결정: Telecommunications(Annual Charge) Determina- tion 2007(No. 2) which sets the formula used to ascertain the amounts of annual charge (this determination does not set out the actual amounts to be charged).

79) 통신법 468조는 번호부여시에 일회성 비용으로 부여되는 할당수수료(allocation charge)와 연간수수료(annual charge)에 한 개념, 각 이용료의 부과납기일과 연체

료, 연간이용료 연체시 번호회수 등의 기본사항을 정의하고 있다.80) 일반 으로 FLRN 1800-111222와 같은 독특하고 기억하기 쉬운 패턴을 지니거

나, alpha-numeric 키패드를 사용한 문자조합(phoneword, 를 들어 pizza의 경우

74112)을 만들 수 있는 번호를 smart-number라고 세분하여 부르기도 한다. 여기서

는 일반 FLRN을 포 하는 의미로 smart-number를 사용하기로 한다.

168

다는 ( 를 들어, 단어로 해석된 번호가 수요자의 명칭의 일부인 경우), 최소입찰

가(reserve price)가 낮다는 을 제외하면 일반경매와 그 차가 크게 다르지 않다.

FLRN에 한 일반경매는 온라인상에서 처리되며, 최소입찰가의 용, 입찰취소

지 등의 규칙이 용되는 일반 인 오름차순 입찰 경매(ascending bid auction)의

규칙을 따르고 있다.81)

FLRN에 한 자선경매는 2004년 8월 16일부터, 일반경매는 2004년 9월 6일부터

시작되었으며, 통상 으로 ACMA는 2주 간격으로 일반경매를 실시하고 있다. FLRN

의 경매제도가 도입된 이래, 23,194개의 smartnumber가 일반경매를 통해서 할당되었

으며, 총 수입은 27,275,437 AUD에 이른다.82)

<표 4-5> 2006~07, 호주 방송통신 자원사용 련 조세(Resource taxes) 규모

구 분 목 정부수입(AUD)

주 수경매(Spectrum auctions) 주 수 자원의 효율 분배

auctions of spectrum licences, 975,000

auctions of apparatus licences, 260,000

번호경매(Number auctions)

FLRN(freephone and local rate numbers)의 효율 분배

4,474,000

번호이용료(Annual numbering charge) 번호자원의 효율 사용 유도 60,000,000

기기면허사용료(Apparatus licence tax)

주 수자원의 효율 사용 유도 주 수자원 리비용의 회수

129,900,000

방송면허사용료(Broadcast licence fees)

주 수자원 법 진입장벽(방송허가)에 한 가

275,700,000

합 계 471,500,000자료: ACMA(2007), Australian Communications and Media Authority Annual Report 2006~

2007

81) 일반경매와 자선경매의 차는 “Telecommunications(Freephone and Local Rate Numbers) Allocation Determination 2007(No.1)”과 “Telecommunications(Freephone and Local Rate Numbers-Charities) Allocation Determination 2007(No.1)”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82) 자선경매를 통해서는 총 251개의 smartnumber가 할당되었으며, 총 85,469 AUD의

수입을 올려, 상 으로 그 규모가 크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제 4 장 번호이용료 제도 사례 연구 169

<표 4-5>는 2006~07 회계연도의 주 수, 번호, 허가 등 방송통신 련 자원사용

에 부과된 조세(resource taxes)를 나타낸다. 연간번호이용료 수입은 총 6,000만 AUD,

번호경매 은 447만 AUD 수 으로, 방송면허사용료의 수입 27,500만 AUD와 비

교해 그리 작지 않은 수 임을 알 수 있다.

3. 덴마크

덴마크 통신시장법83) 32조는 부여받은 번호자원의 수량에 근거한 번호이용료 납

부를 의무화하고 있다. “부여받은 번호자원”이라 함은 번호이용료 납부가 그 번호

가 가입자에 의해 실제로 사용되는 것과는 무 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덴마크 번호

계획가이드도 번호자원을 할당받은 자가 통신규제기구에 의해 회수되는 번호이용

료를 납부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84)

<표 4-6> 덴마크의 번호이용료 부과근거

통신시장내 경쟁조건과 소비자 이익에 한 법률(Act on Competitive Conditions and Con- sumer Interest in the Telecommunications Market)Section 32(번호이용료)(1) 국가 통신규제기구는 할당받은 통신규제기구에 의해 할당된 번호 혹은 번호시리즈, 주소

를 가진 통신서비스 혹은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번호이용료를 징수한다.(2) 번호이용료는 규제기구에 의해 개별 제공자에게 할당된 번호, 번호시리즈 혹은 주소의

양을 기반으로 계산된다.(3) 번호이용료의 양과 징수는 매년 재정법에 고시되고, 규제기 에 의해 발표된다.(4) 덴마크 번호계획하에서 규제기구에 의해 번호, 번호시리즈, 주소를 할당받은 통신네트워

크 는 통신서비스 사업자들은 그러한 번호, 번호시리즈, 주소가 개별 으로 혹은 블록

으로 최종사용자에게 혹은 통신네트워크 혹은 통신서비스의 타제공자에게 부과한 것과

계없이 (1)항에서 언 된 바와 같이 번호이용료 지불의 책임이 있다.

83) Act on Competitive Conditions and Consumer Interest in the Telecommunications Market(§114)

84) 통신시장법 32조는 번호이용료 납부의무를 명시함과 동시에 연간 이용료 수 은

170

덴마크의 번호이용료는 호주와 유사하게 8자리 번호를 기 로 일정 액이 부과되

며, 이후 자릿수가 하나 축소될 때마다 번호이용료는 10배씩 증가하는 형태를 띠고

있다. 2007년 재 덴마크의 8자리 번호이용료는 DKK 1.77로 이후 음성․데이터

서비스의 구분 없이 자릿수에 따라 × 의 번호이용료를 부과하고 있다.85)

<표 4-7> 덴마크의 ’07년 번호이용료 부과기86)

번 호 번호이용료

8자리 DKK 1.77 5자리 DKK 17704자리 DKK 17,7003자리 DKK 177,000DNIC DKK 17,700

1/10 DNIC DKK 1,770MNC, INN DKK 17,700

ADMD DKK 1,770OPID DKK 17.700ISPC DKK 177,000NSPC DKK 177

자료: NITA

번호이용료의 규모는 통신시장법 32조에 따라 재정법안(finance bill)에 매년 기재

되고, 연도별 산에 따라 당해의 번호이용료 규모가 결정된다. 3자리 번호의 번호

재정법(Finance Act)에 따라 결정됨을 공지하고 있다. 이와 함께 번호계획가이드에

서는 좀 더 세부 으로 번호 역별 이용료 수 과 징수 시기, 번호회수 반납

등에 한 사항을 담고 있다.85) DKK 1=$0.212286) Data Network Identification Code(DNIC), Administration Management Domain(ADMD),

International Signalling Point Code(ISPC), National Signalling Point Code(NSPC), Mobile Network Code(MNC), OPerator IDentity(OPID), Issuer Identification Number (IIN) and other names and addresses for internal identification.

제 4 장 번호이용료 제도 사례 연구 171

이용료는 DDK 177,000로 결정된다.

4. 홍 콩

가. 번호이용료 제도 도입배경

홍콩 OFTA(Office of the Telecommunications Authority)는 통합허가제도(Unified

Carrier Licence, 이하 UCL) 도입의 일환으로 번호자원을 유료화하는 계획을 추진하

고 있다.87) 동 계획에 따르면 재 홍콩의 통신사업자가 부담하고 있는 7 HK$(유선),

18 HK$(무선)의 가입자당 면허사용료는 UCL로의 환에 따라 모두 8 HK$로 일원

화될 정이다.88) 한, 가입자번호당 3 HK$의 번호이용료 부과 방침에 따라 유선사

업자의 경우 그 면허사용료 부담이 4 HK$ 만큼 증가하며, 무선사업자의 경우 7 HK$만

큼 감소하게 된다.

OFTA는 사업자들의 효율 인 번호자원 사용을 강제하기 한 수단이라는 측면

에서 번호이용료 제도의 타당성을 찾고 있다.

홍콩의 경우 8자리 번호체계를 사용하고 있어 이론 으로는 총 1억 개의 번호자

원을 보유하고 있으나, 비 특수코드번호자원 등의 번호를 제외하면 재 약 5

천 6백만개의 자원을 통신서비스에 사용할 수 있다.89)

OFTA는 국 본국과의 교류 확 와 VoIP 서비스 도입으로 지역 번호(local numbers)

에 한 수요가 증함에 따라 한 응방안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2015년경에는

재의 8자리 번호자원이 모두 고갈될 것으로 측하고 있다. 8자리 번호자원의 고

갈은 필연 으로 자릿수의 증가를 요구하며, 이는 향후 번호변경 등에 수반되는 물

87) OFTA(2008)88) 1 HK$=0.13 US$89) ‘0’, ‘1’, ‘4’로 시작하는 번호, ‘200’, ‘3000’, ‘50’, ‘600’, ‘70’, ‘80’, ‘900’, ‘99’와 같

은 몇몇 특별 코드와 번호들, 미래의 9자리 혹은 10자리 번호계획을 해 지정해

둔 특정 2자리 prefix 번호들을 제외하면 이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번호자원은

약 5천 6백만 개에 한정된다.

172

리 인 비용과 자릿수 증가에 따른 이용자들의 불편을 가져올 것으로 상된다.

OFTA는 번호이용료가 불필요한 번호자원의 신청을 이고, 사용되지 않는 번호

를 반납하게 하는 동기를 부여하며 8자리 번호체계의 수명을 연장시킬 것으로 기

하고 있다. 유무선사업자에게 부여된 번호의 약 40%가 사용되지 않고 있음에 따라,

번호이용료 부과를 통해 미사용 번호 1,300만 개 가운데 반 정도만 회수하더라도

연간 약 2,000만 달러의 비용이 감될 수 있을 것으로 OFTA는 측하고 있다.90)

나. 번호이용료 제도 추진과정 쟁

OFTA는 2005년 9월, UCL 도입에 한 정책심의에서 처음으로 면허사용료(licence

fee)에 번호이용료를 추가할 것을 제안하 다.91) UCL은 통신사업자가 하나의 허가

권으로 유무선을 포 하는 모든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제도를 의미하며,

UCL 도입에 한 일반 인 동의는 2006년 7월에 유무선융합(FMC)에 한 정책심

의를 통해서도 확인되었다.92) OFTA는 정책심의의 결과를 참작하여 UCL 도입 번

호이용료가 UCL 면허사용료내에 포함시킬 것을 결정하 다.93)

<표 4-8> 홍콩의 통합허가제도(Unified Carrier Licence)

UCL 도입에 한 정책심의

- SCED(Secretary for Commerce and Economic Development)94): 통신법 section7(3)에 따라

일반 조건, 면허기간의 타당성, 면허 사용료를 제정

- TA(Telecommunications Authority)95): 통신법 section7(4)에 따라 UCL의 특별조건들과

환 비에 한 자문

90) 홍콩의 통신사업자에게 부여된 번호자원은 총 3,300만 개에 이르고 있다.91) OFTA(2005)92) OFTA(2006)93) 재 최종 인 UCL 정책심의는 SCED(면허사용료, 일반면허조건)와 TA(세부조건

과 환 비 세부사항)에서 각각 진행 이며, 이와는 별도로 번호이용료에 한

제안은 2007년 11월 Telecommunications Numbering Advisary Committee의 회의에

도 상정된 바 있다.

제 4 장 번호이용료 제도 사례 연구 173

SCED의 정책심의 결과

- UCL의 일반조건(General Conditions): UCL 도입에 따라 공 통신 서비스 제공을 해

허가를 받은 모든 신규 기존 사업자들은 동일한 일반조건 부과

- UCL의 면허기간(Licence Period): 신규-15년, 기존사업자의 면허만료 후 환-15년, 기존사업자의 환-기존 면허의 잔여기간

- UCL의 면허사용료(Licence Fee): 기존 면허사용료 구성 요소에 추가로 번호이용료 도

입, 번호사용 효율성 증진, 8자리 번호계획 수명 연장 목

Fixed fee componentSubscriber-basedfee components

Non-subscriber-basedfee components

UCL면허

사용료

구성

(1) Fixed fee: HK$1,000,000 (HK$100,000 for provisionof external fixed service only and/or mobile serviceother than land mobile serviceonly)

(2) Customer connection fee: HK$8 per connection(bothmobile & fixed)(Note: exis-ting fee is HK$7 under FCLand HK$18 under MCL)

(3) Number fee: HK$3 per sub- scriber number(New compo- nent)

(4) Spectrum management fee(*)(5) Base station/land station fee(*)

* 재 유무선사업자들에게 용되고 있는 기 을 용

TA의 정책심의 결과

- 1995년에 발 되어 2010년에 만기 정인 4개의 유선면허의 UCL로의 환 시 공통 특

별 조건(Tariffs, Billing, Telephone Directory, Directory Information Service, Number portability, Emergency Call Services 등)을 규정

-정보제공, 서비스 계약 분쟁 조정 등 고객 보호 차원의 몇 가지 신규 조항 추가

-그 외 spectrum utilization fee, coverage of television program service, 보편서비스 의무에

한 사항을 조정

- 4개의 기존 유선면허는 2010년 기간 만료 이후 UCL로 체됨. PCCW에 한해 기존 의

무사항(보편 서비스, 요 할인고지, 상호 속료 사 승인)은 유지

- 2000년에 발 된 4개 3G 면허, 2005/06년에 발 된 9개 2G 면허, CDMA면허의 경우

환은 자발 으로 이루어지며, 주 수에 한 권리와 의무(performance bond, payment of spectrum utilization fee, open network access)는 남은 면허 기간 동안 동일하게 유지

번호이용료 징수에 따른 정부수입 확 라는 부정 시각에 해 OFTA는 UCL

환에 따른 가입자 당 면허사용료의 인하를 고려할 경우 정부차원의 추가 인 수입

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술한 바와 같이 재 유선/무선사업자에게

94) SCED(2007)95) TA(2007)

174

차별 으로 부과되고 있는 HK$7, HK$18의 면허사용료는 UCL 환에 따라 HK$8

로 일원화 될 정이며, 이에 따라 UCL로 환한 무선사업자는 가입자당 연간 HK$11

의 사용료를 지불해야 하며, 이동 화 단말기당 한 개의 번호부여를 가정하면 총 면

허사용료는 HK$7 만큼 감소하게 된다.

유선사업자의 경우 그 비용은 HK$4 만큼 증가하게 되지만, OFTA는 번호이용료

와 련된 규정이 사업자의 자발 인 환 는 기존 면허가 만기되어 UCL로 환

되는 시 부터 용되기 때문에, 사업자들이 번호이용료 부과에 한 한 조치

를 강구할 충분한 시간이 있다고 단하고 있다. 즉, OFTA는 UCL 환 번호이

용료 도입에 따라 정부차원의 추가 면허 수입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며, 오히려 번

호자원을 효율 으로 사용하는 사업자들은 면허사용료 지 수 을 낮출 수 있을 것

이라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한편, 번호이용료 부과가 궁극 으로 통신요 인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에

해 OFTA는 번호이용료가 소비자에게 직 으로 부과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통

신사업자의 경우 번호이용료 제도가 도입되더라도 체 인 면허사용료는 하락하

기 때문에 오히려 요 하락의 여지가 생긴다고 단하 다. 이는 유선사업자의 경

우 UCL로의 환 까지 사업계획을 조정하고, 미사용 번호를 회수하여 비용을

감하기에 충분한 기간이 있기 때문에 번호이용료 부과가 통신요 에 즉각 인 향

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며, 경쟁이 심화되는 통신시장에서 사업자들이 추가 비용

을 통신요 으로 가하는 행 가 나타나기는 힘든 상황이라는데 기인한다.

5. 싱가포르

가. 번호자원 리체계

싱가포르는 첫 번째 자리로 서비스를 구분하는 총 8자리 번호체계를 사용하고 있

다. 번호이용료는 00X~03X, 1XXX의 특수번호 역 유무선 8자리 번호 역

체를 상으로 번호수수료 는 경매의 방식을 통해 부과하고 있다.

제 4 장 번호이용료 제도 사례 연구 175

<표 4-9> 싱가포르 번호체계

첫째 자리 서비스

0 - 3자리로 구성되며, 국제 화 등에 사용

1 - 4~5자로 구성되며, 음성정보 등의 부가서비스 번호로 사용

2 - 비

3 - 8자리, IPT(IP Telephony, VoIP) 번호로 사용

4 - 비

5 - 비

6 - 8자리, PSTN IPT 번호로 사용

7 - 비

8 - 8자리, 무선통신 번호로 사용(셀룰러, 무선호출, TRS 등)9 - 8자리, 무선통신 번호로 사용, 99X 역은 긴 통화용으로 지정

자료: IDA(2006)

나. 특수번호(00X~03X, 1XXX) 할당 경매

번호 역은 각각 A와 B 두 개의 세부 역으로 나 어지는데, 할 규제기 (IDA)

은 A 역의 번호는 추첨(balloting)을 통해, B 역의 번호는 경매(bidding)를 통해 할

당하고 있다. A 역 번호의 추첨을 통한 할당 가는 S$20,000이며, B 역 경매의

최소입찰가는 S$50,000이다(S$1=$0.74).

IDA는 이들 번호를 할당받은 사업자가 6개월 이내에 해당 번호를 사용할 것을 요

구하고 있으며, 동 기간 동안 사용되지 않은 번호에 해서는 할당 가와 계없이

이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최 6개월까지 연장 가능).

다. 8자리 화번호의 할당 경매

8자리 화번호(일반 유무선 가입자번호)의 할당은 10,000개 단 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사업자는 국번호를 부여받는 형식으로 번호자원을 획득하게 된다. 싱가

포르의 국번호 할당은 사업자가 기존에 할당받은 번호자원의 일정 비율 이상을 사

용한 경우 IDA에 추가할당을 신청하거나, 경매를 통해 특정 국번호를 할당받는 경

우로 나 어진다. 경매를 통한 할당은 IDA가 국번호를 지정하는 것과, 사업자가 특

176

정 국번호에 한 경매를 신청하는 것으로 구분된다.

첫째, 사업자는 번호사용률이 일정비율 이상인 경우(“3”, “8”, “9”의 경우 70% 이

상인 경우, “6”의 경우 85% 이상) IDA에 추가할당을 신청할 수 있으며, 이 때 IDA

는 일정한 차를 거쳐 “순차 ”으로 국번호를 부여한다.

IDA는 일반 유무선번호를 10,000 단 로 나 어 사업자에게 부여하는데, 이 마

지막 네 자리가 반복되거나, “8”을 포함하는 번호 등을 골드번호(golden number)라

고 하여 각 번호 당 S$50의 할당 가를 사업자에게 부과하고 있다(무선호출의 경우

S$30). 10,000 단 번호 당 골드번호의 총수는 모두 486개로 유무선 사업가가 한 블

록의 번호를 부여받기 해서는 모두 S$24,300의 할당 가를 지불해야 한다(무선호

출의 경우 S$ 14,580).

둘째, IDA는 경매를 통하여 “순차 인” 번호를 할당할 수 있는데 통상 으로 1회

경매에서 100개 블록 정도의 국번호 거래가 이루어진다. 번호사용률이 50% 이상인

사업자는 국번호 개수에 제한 없이 경매에 참여할 수 있으며, 번호사용률이 50% 미

만인 사업자는 한 개 국번호 경매에만 참여할 수 있다. 이때 최소입찰 액은 통상

인 번호할당 가를 약간 상회하는 S$25,000이다.

<표 4-10> 싱가포르의 골드번호

ABCD XXXXABCD XXYYABCD XYXYABCD XYYYABCD XYYXABCD XXXY

ABCD 88X8ABCD 8X88ABCD 1288ABCD 1388ABCD 1688ABCD 1788ABCD 1988ABCD 1234ABCD 1168ABCD 1628ABCD 3288ABCD 1668

자료: IDA(2006)

제 4 장 번호이용료 제도 사례 연구 177

셋째, 사업자는 특정 국번호를 경매에 붙일 것을 IDA에 신청할 수 있으며, 이 경

우 최소입찰 액은 AAAA 형식의 국번호의 경우 S$500,000이며, 기타 국번호의 경

우 S$150,000이다. 사용되지 않는 번호에 한 회수 규정은 경매를 통해서 할당된

국번호에도 동일하게 용된다.

6. 기 타

가. 핀란드

핀란드는 통신시장법(Communications Market Act) 제49조에 따라 번호자원 리

에 소요되는 비용을 충당하기 해 번호이용료를 부과하고 있다. 통신시장법 49조

에서는 규제기 은 번호 리 감독에 의한 비용을 부과할 수 있음을 명시하고 있

으며, 이때 번호이용료의 총규모는 별도의 명령에 의해 지정된다.

<표 4-11> 핀란드의 번호이용료 부과근거

통신시장법(Communications Market Act)Section 49 번호이용료(Numbering fee)통신사업자와 번호 혹은 식별자를 획득하고자 하는 자는 핀란드 통신 규제기구에 번호 혹은

식별자의 사용, 번호 리와 감독에 의해 유발되는 비용 회수를 한 고정료(fixed fee)를 지

불해야 한다. 고정료의 수 은 번호부여가 가능한 가용범 의 비율에 따라 결정되며, 고정

료의 수 에 한 규정은 교통․통신부 장 의 령에 의해 공표된다.

핀란드는 재 일반 유무선서비스 가입자번호를 포함 국제 화번호, 국번호,

International Signaling Point Code 등 기술 식별번호에 이르는 거의 모든 번호자원

에 해 번호이용료를 부과하고 있다.

178

<표 4-12> 핀란드 번호별 이용료(2006년, 유로)

가입자번호

이동 화 식별번호(mobile area code) 3자리 10,000 4자리 2,000 5자리 400

국번호(nationwide area code) 3자리 국번호 25,000 4자리 국번호 5,000 5자리 국번호 1,000

SMS 번호

5자리 120 6자리 80

기술 식별번호(Technical Identification Code) International Signaling Point Code 1,600 National Signaling Point Code 0.8 Closed User Group Code 0.8 Centrex Telecommunications Operator Code 35 Mobile Network Code 340 Operator Code 170

기 타

Data Network Identification Code 8,000 Telex 가입자번호 40 유선 0.20 무선 0.20

사업자 식별번호(Carrier Access Code) 3자리 시외(trunk traffic) 15,000 4자리 시외 3,000 5자리 시외 600 3자리 국제(international) 35,000 4자리 국제 7,000 5자리 국제 1,400 5자리 일반(general) 2,000

자료: FICORA

제 4 장 번호이용료 제도 사례 연구 179

2007년 번호이용료 수입은 EUR 25,551,000로 체 이용료 수입의 9.84%를 차지

하며, 주 수이용료의 경우는 EUR 9,209,000로 35.53% 수 이다.

[그림 4-1] 핀란드 이용료 수입 총계(2007)

자료: FICORA

나. 노르웨이

노르웨이도 번호사용에 한 행정비용 이용료 부과를 기통신법(The Electronic

Communications Act)상에 명시하고 있다. 동 법 12조 1에 따르면, 우편통신청은 통

신법에 의거한 행정 임무와 연계된 비용 충당을 해 행정비용을 부과할 수 있으

며, 행정수수료(administrative charges)는 기통신 네트워크와 서비스 사업자와 기

통신 장비 시장과 련한 자들에게 용되고, 이것은 주 수 면허, 번호, 명칭과 주

소자원을 받은 자들에게도 동일하게 용된다.

한, 기통신법 12조 2에 따르면 자원의 효과 인 이용을 해 이용료(fee)가 주

수면허권과 번호에 부과될 수 있으며, 이 이용료는 경매나 다른 경쟁 선택 차

로부터 지불되거나 혹은 결정에 의해 규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180

<표 4-13> 노르웨이의 번호이용료 부과근거

기통신법(The Electronic Communications Act )Section 12-1. 행정수수료

우편 통신 규제국은 동법에 따라 행정 업무와 련된 비용을 회수하기 해 행정수수료를

부과할 수 있다. 행정수수료는 기통신네트워크와 서비스의 제공자와, 기통신 장비 시장

종사자들에게 부과되며, 주 수 면허, 번호, 이름과 주소자원을 받은 자들에게도 용된다. 행정수수료의 부과는 우편통신국의 련 비용을 충당할 것임. 우편통신국 산의 비용과 수

익은 매년 공시된다.

Section 12-2. 이용료

자원의 효과 인 사용의 증진을 해 주 수 사용권과 번호, 이름과 주소자원들에 이용료가

부과될 수 있다. 사용료는 결정에 의해 부과되거나 경매 혹은 다른 경쟁입찰 차의 지불로

서 부과될 수 있다. 해당규제기 은 지불요구방식과 수 을 포함한 사용료에 한 규정을

발간해야 한다.

우편통신청이 연간 번호이용료로서 징수할 수 있는 총 합계액은 연간 주 산내에

지시되어 있다. 총액 가운데 45.5%는 기통신네트워크, 기통신 서비스와 연 설

비 제공자, 번호, 이름(name) 주소자원의 이용에 한 면허보유자로부터 징수되

며, 45.5%는 주 수 면허권자로부터 6%는 등록된 수입사, 제조사, 항공장비 긴

<표 4-14> 노르웨이 번호이용료96)

번 호 번호이용료

8자리번호 NOK 10,0008xx 시리즈내의 8자리 번호 번호당 NOK 0.20

2, 3, 5, 6, 7 시리즈내의 8자리 번호 번호당 NOK 0.054, 9 시리즈내의 8자리 번호 번호당 NOK 0.1518xx 시리즈내의 4자리 번호 번호당 NOK 4000

5자리 번호 NOK 6000자료: NPT

96) E.164에 한 번호계획내 번호자원 이용 면허에 한 연간 행정비용의 최소비용

은 NOK 10,000이다.

제 4 장 번호이용료 제도 사례 연구 181

무선표지 기타 무선장비로부터 징수되고, 무선 혹은 단말 장비 승인비용 3%는

우편사업자로부터 충당되고 있다.

다. 스웨덴

스웨덴의 경우 할 규제기 (PTS)이 기통신법 17조에 의거, 번호이용면허에

한 요 을 부과할 권한을 가진다. 기통신법 17조에서는 기통신과 련한 이

용료의 부과 상을 정의하고 있으며, 동 법 1조와 19조에 따른 면허 즉, 번호 면허

의 보유자에게도 연간이용료를 용함을 명시하고 있다.

번호이용료 수 은 번호의 용도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는데, 스웨덴은 재 지리

혹은 비지리 번호의 경우 지역번호 08(Stockholm), 031(Gothenburg) and 040(Malmo)

에 해서는 번호당 0,35 Kronor, 호출서비스는 번호당 0,05 Kronor의 번호이용료를

부과하고 있으며, 기타 번호에 해서는 번호당 0,15 Kronor의 번호이용료를 부과하

고 있으며, Short numbers에 해서는 사업자 식별번호의 경우 35,000 Kronor, 3자리

라우 번호(NDC)는 50,000 Kronor, 기타 번호에 해서는 번호당 10,000 Kronor의

번호이용료를 부과하고 있다.97)

<표 4-15> 스웨덴 번호이용료 부과근거

기통신법(The Electronic Communications Act)Section 17(이용료)행정수수료는 다음의 해당하는 자에 부과된다.1. Chapter 2, Section 1에 따른 운 을 고지하는 자, 혹은

2. Chapter 3, Section 1, 19(번호할당) 혹은 23에 따른 면허 혹은 동의에 한 신청을 하는 자

연간이용료(annual charges)는 다음의 해당하는 자에 부과된다.1. Chapter 2, Section 1에 따라 고지된 운 을 수행하는 자, 혹은

2. Chapter 3, Section 1, 19(번호할당)에 따른 면허를 보유한 자

행정수수료는 규제당국의 진행과 련한 비용에 부합해야 한다.연간이용료 총계 으로 비용에 부합해야 하며, 면허를 보유하거나 고지된 운 을 행하는 자

들에게 합리 인 비율로 할당되어야 한다.

97) 1 Kronor = 0.12 USD.

182

제3 시사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당수 국가는 번호자원 리에 소요되는 행정비용을

충당하고 번호의 경제 가치 효율 자원 리를 한 목 으로 번호이용료를

부과하고 있다. 번호이용료를 부과하는 경우 그 구체 형태는 각국마다 다르게 나

타나고 있으며, 이는 역사 으로 번호이용료 도입 시기와 필요성들이 달랐기 때문

이라고 해석할 수 있음.

우리나라의 경우 일부지역 시내번호 등에서 번호자원 부족 상이 나타나고 있으

며, 향후 이러한 상은 통신서비스 반에서 가속화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비한

유인제도(incentive system) 차원의 번호이용료 제도 도입 등에 한 논의가 진행

에 있다. 그러나 번호이용료 제도 도입을 해서는 번호자원의 효율 활용을 강

제하기 한 다른 체 수단에 한 충분한 사 검토가 필요하며, 종국에 번호이용

료가 가장 효율 인 수단이라고 단되는 경우 통신시장에 미치는 효과 등에

한 분석도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 제도 도입을 해서는 주 수 이용료

련기 등 통신사업자가 부담하고 있는 조세 성격의 비용에 한 종합 인 포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표 4-16>은 우리나라 통신사업자가 납부하고 있는 연 개발 출연 , 주 수할

당 가, 사용료의 추이를 보여주고 있다. 먼 , 연구개발출연 은 기통신기본

법 제12조 등에 따라 직 년도 매출액 300억원 이상인 통신사업자가 부담하는 그

매출액의 0.5%(시장지배 사업자의 경우 0.75%)를 납부하도록 되어 있다.98) 한,

주 수의 사용과 련해서 주 수 할당당시 상매출액의 일정비율을 산정 이를 매

년 분납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와 별도로 가입자 수 등에 기 해 매년 사용료를

98) 출연 의 납부 상자 에서 년도 매출액이 300억원 미만이거나 당기 순손실이

발생한 기통신사업자에 하여는 출연 의 납부를 면제하고, 산정된 출연 이

당기순이익의 100분의 70을 과하는 기통신사업자에 하여는 그 과 액을

감면한다.

제 4 장 번호이용료 제도 사례 연구 183

부과하고 있다. 2007년도 기간통신사업자의 매출합계가 약 34조원 규모인 것을 고

려하면, 이들 비용의 합계는 체 기간통신사업 매출의 0.2%를 상회하는 수 이나,

이들 비용의 납부의무가 소수 규모 기간통신사업자에게 집 되고 있다는 측면에

서, 그 존재를 무시하고 번호이용료 도입을 논의하기는 힘든 것으로 보인다.99) 한,

일반 으로 이동통신사업자의 경우 사용료에 따른 추가 인 부담이 크다는 사

실은 번호이용료 부과에 있어 이동 화사업자가 지고 있는 기존의 부담에 비추어볼

때, 유무선사업자간 번호이용료의 차등을 고려할 수도 있을 것이다.

<표 4-16> 연구개발 출연 등의 부과 황 (단 : 억원)

2003 2004 2005 2006 2007연구개발 출연 1,650 1,660 1,561 1,716 1,809주 수 할당 가 627 572 2,901 983 2,835

사용료 2,295 2,394 2,476 2,539 2,659합계 4,572 4,626 6,938 5,238 7,303

자료: 방송통신 원회, 자신문(2008. 12. 17)에서 재인용

번호이용료는 사업자에게 일정수 이상의 인 부담을 지우는 제도이므로

일차 으로, 그 목 달성에 있어서 인 비용이 수반되지 않는 다른 효과 인

수단이 있는지의 여부, 번호이용료라는 통신사업자의 부담이 이용자에게 가될 가

능성은 없는지의 여부 등에 한 포 인 검토가 필요하다. 한 번호이용료 수입

의 합리 사용을 통해 통신시장의 발 비 을 제시하는 것도 제도 시행을 해 검

토되어야 할 것으로 단된다.

99) KT, SKT 등 주요 기간통신사업자의 경우 매출액 비 출연 등 조세의 비율은

3~9%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184

제5 장 결 론

본 연구는 그 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번호자원의 요성을 부각시키면서, 우리나

라 번호자원 리정책에 있어서의 개선방향을 도출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인

터넷 화 번호이동성과 련한 연구는 2008년 11월 시내 화-인터넷 화 번호이

동성 제도의 상용화에 따라 이미 정부정책에 반 되었으며, 본 연구의 주요 주제

던 신규서비스 번호정책, 유선번호 통합방안 등도 향후 번호 리 정책의 결정 시

행에 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정책 시사 기 효과

1. 인터넷 화 번호이동성 제도

본 연구는 인터넷 화 번호이동성과 련해서 긴 통화서비스의 제공, 통화권 유

지 이에 따른 요 체계의 정립, 번호이동과 련된 기술방식, 비용분담 방안 등

에 해 연구하 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인터넷 화 번호이동성 제도 도입 과정에

서 「번호이동성 고시」 등에 반 됨으로써 이미 일정한 성과를 거두었다고 볼 수 있

다. 2007년 상반기 통신규제정책 로드맵에 따라 시행이 발표되었던 인터넷 화 번

호이동성 제도는 1년이 넘는 제도 도입 비과정을 거치 지난 11월 상용서비스를

개시하 으며, 자들은 그 과정에서 본 연구의 결과들을 정부정책으로 입안하는데

기여하 다. 인터넷 화 번호이동성 제도의 시행은 그 동안 부진하 던 인터넷 화

의 활성화 유선통신시장의 경쟁 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된다.

제 5 장 결 론 185

2. 신규서비스 번호정책

본 연구는 FMC, FMS, WiBro 등의 신규서비스 번호정책과 련된 연구를 통하여

향후 서비스 도입단계에서 불거질 수 있는 번호부여와 련된 이슈들을 미리 살펴

보았다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 특히, WiBro 활성화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WiBro 음성서비스의 시행과 이에 따른 번호부여 논란이 가 되고 있는 시 에서

본 연구는 WiBro 번호부여에 해 일정한 방향을 제시함으로서 그 가치를 더하고

있다.

3. 유선번호체계 통합방안

술한 바와 같이 All-IP로의 진화에 따라 16개 지역번호의 사용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번호체계는 보다 단순한 번호체계, 즉 1~2개 식별번호로 모든 유선번호를 충

당할 수 있는 통합된 구조로의 진화를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장기 으로 요

구될 수 있는 유선번호통합에 해 미리 검토하고 일정한 번호통합방안을 제시함으

로써 향후 유선번호자원의 활용에 있어 일정한 기 의 틀을 제시하고 있다는 에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연구는 향후 시내 화 국번호의 추가 인

부여에 있어서 본 연구가 제시하고 있는 통합방안이 일정한 제약조건으로 작용해

향후 번호통합의 원활함을 도모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한다는 차원에서 정책

시사 을 지니고 있다. 한, 시내-인터넷 화간 번호이동성제도 도입에 따라 2가

지 상이한 체계의 번호가 동일서비스에 사용되어 지게 된 도 이러한 환경을 부추

기는 유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므로 번호체계 통합방안을 제시한 본 연구는 더욱

심화된 논의를 한 출발 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된다.

4. 번호이용료 제도

본 연구는 주요국 번호이용료 제도 사례에 한 연구를 통해서 번호이용료 제도

의 필요성, 번호이용료 부과 상 방식 등 제도 도입에 따라 고려되어야 할 시사

186

들을 도출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향후 번호이용료 도입 공론화 과정에서

기 자료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된다. 물론, 번호이용료 제도

는 통신사업자에게 일정한 부담을 추가로 지우는 제도라는 측면에서 제도

도입을 해서는 해외사례에 한 단편 인 근 보다는, 제도 도입 과정에서 통신

사업자들을 포함한 사회 합의가 필수 으로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제2 향후 연구과제

본 연구는 번호정책 일반에 한 이론 인 근을 시도하지는 않았다. 특히, 유선

번호통합에 있어, 번호통합에 따른 편익과 동시에 번호통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비용을 계량화하고 비교하는 작업이 수행되지 않았다는 은 본 연구의 완

결성을 떨어뜨리는 한계 이라고 단된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번호통합은 번호변경에 따른 물리 비용 뿐만아니라 필

연 으로 화번호 자릿수의 증가를 가져오게 된다. 이에 따라, 실제 번호통합의 가

부를 결정함에 있어서는 번호변경 등에 따르는 여타의 물리 비용의 계량화 뿐만

아니라 자릿수의 증가가 이용자의 기억능력 측면에 미치는 효과 등에 한 계량화

작업이 필수 으로 요구된다. 번호통합이 심리 측면에서 이용자에게 미치는 효과

는 실험경제학 인 근을 통해서 계량화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포함해서 번호통

합에 따른 편익과 비용 항목의 구체화 이에 한 계량 인 근은 향후 연구과제

로 돌리기로 한다.

참고문헌 187

참 고 문 헌

국내 문헌

김남심(2005). VoIP 규제 동향 시사 , 정보통신정책, 제17권 3호 통권 364호,

2005. 2

김남심(2007). Ofcom의 VoIP 규제 동향 시사 , 정보통신정책 제19권 6호 통권

413호, 2007. 4

김진기 외(2002), 번호 리제도 개선방안, KISDI 연구보고 02-34, 2002. 12

김창완 외(2004), 2G 번호이동성 성과분석, KISDI 수탁연구 04-46, 2004. 12

김희수 외(2007), All-IP기반 하에서의 속제도 연구, KISDI 수탁연구 07-19, 2007. 5

나성 외(2007), 010 번호통합에 한 수요 망 번호이동성 제도 연구, KISDI

수탁연구 07-20, 2007. 6

나성 외(2007), All-IP하의 음성서비스 정책방안 연구, KISDI 수탁연구 07-53,

2007. 12

노미진 외(2008), 유무선 통합시 의 펨토셀 동향 비즈니스 모델, 자통신동향

분석, 제23권 제2호, 2008. 4

류 원(2008), <Business Strategies for FMC and Femtocell Network> 발표자료, 2008.

1. 31

박명호 외(2004), 번호이동성 시차 도입이 이동통신시장 경제 후생에 미치는

향, 경제학연구 52권 1호, 2004

박종훈 외(2003), 유무선 번호체계 통합방안, KISDI 수탁연구 03-30, 2003. 12

박팔 (2008), 유무선통신 융합의 개양상과 향, LGERI리포트, 2008. 6

방송통신 원회 내부자료 2008

번호(이동성) 담반 내부자료 2003~2008

188

서보 외(2001), 시내 화/착신과 서비스의 번호이동성 도입에 따른 비용분담, 상

호 속 운 체계에 한 연구, KISDI 연구보고 01-43, 2001. 12

송정석 외(2008), 번호이동성 제도가 이동통신 시장의 경쟁구조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 사이버커뮤니 이션 학보 제25권 1호, 2008. 3

이홍재(2004), 번호이동성 제도 도입의 황 성과 검토, KISDI 이슈리포트 04-19,

2004. 7

장범진 외(2005), 유무선 통합에 따른 통신서비스 시장의 구조 변화, KISDI 연구보

고 05-09, 2005. 12

정보통신부 내부자료 2003~2007

정윤원(2003), 유무선 융합 략, KAIST/데이콤 종합연구소

주종옥(2007), Wibro의 IMT2000 표 채택 의의와 시사 , 정보통신정책 제19권 제

21호 통권428호, 2007. 11

함창용 외(2007), 인터넷 화(VoIP)시장의 국내외 황 시사 , KISDI 이슈리포

트 07-13, 2007. 11

Atlas Research group(2007), 미국 유무선 통신시장 총람 2007~2008, 2007. 11

ATLAS(2007), 일본 유무선 통신시장 총람 2007~2008, 2007. 11

ATLAS(2008), 독일 유무선 통신시장 총람 2008, 2008. 3

ATLAS(2008), 랑스 유무선 통신시장 총람 2008, 2008. 3

ATLAS(2008), 국 유무선 통신시장 총람 2008, 2008. 3

Strabase(2008), T-Mobile의 유무선 통합서비스 시나리오가 주목 받고 있는 이유,

2007. 3

_______(2007), Ericsson의 유무선 컨버 스 솔루션 Femto Cell, 2007. 3

_______(2007), KDDI, 휴 화와 PC 융합 포털사이트로 유무선 연계 서비스 본격

시동, 2007. 12

참고문헌 189

국외 문헌

ACMA(2002), Telecommunications(Emergency Call Service) Determination 2002

ACMA(2007a), Australian Communications and Media Authority Annual Report 2006

~2007, 2007. 9

ACMA(2007b), Telecommunications Numbering Plan 1997

ACMA(2007c), Telecommunications(Annual Charge) Determination 2007(No. 2)

ACMA(2007d), Telecommunications(Freephone and Local Rate Numbers) Allocation

Determination 2007(No.1)

ACMA(2007e), Telecommunications(Freephone and Local Rate Numbers-Charities)

Allocation Determination 2007(No.1)

ACMA(2008), The Australia VoIP Market, 2008. 4

ATIS(2002), North American Numbering Plan(NANP) Expansion Reference Document,

2002. 8

FICORA, Communications Market Act 393/2003

IDA(2006), National Numbering Plan, 2006. 8

NANC(2006), NANC Operating Manual, 2006. 9

Neustar(2008), NANPA 2007 Annual Report, 2008

NITA(2003), Guide To The Danish Numbering Plan. 2003. 7

NITA(2003), On The Overall Danish Numbering Plan(The Numbering Order), Executive

Order No.653, 2003. 7. 3

NITA(2005), On Competitive Conditions And Consumer Interests In The Telecommuni-

cations Market, Act No.784, 2005. 7. 28

NPT, The Electronic Communications Act

OFTA(2005), Revision of Regulatory Regimes for Fixed-Mobile Convergence Consul-

tation Paper, 2005. 9. 21

OFTA(2006), Deregulation for Fixed-Mobile Convergence Second Consultation Paper,

190

2006. 7. 14

OFTA(2008), Why We Propose to Charge a Fee on Telephone Numbers?, 2008. 3

Oftel(2001), National code & Number Change Framework Document: code and Number

Changes for Geographic, Mobile, Paging, Special Rate and Premium Rate Ser-

vices, 2001. 3. 20

Oftel(2002), Numbering Conventions for the United Kingdom, 2002. 3

Paul Budde(2007), Global-VoIP-Statistics & Forecasts, 2007. 8

Paul Budde(2008), USA-VoIP Market-Analysis, Statistics & Forecasts, 2008. 2

Paul Budde(2008), Japan-VoIP-Overview & Statistics, 2008. 2

Paul Budde(2008), Europe-VoIP Market-Overview & Statistics, 2008. 12

Paul Budde(2008), Australia-VoIP-Statistics, Overview, Analyses, 2007. 5

PTS, The Electronic Communications Act

SCED(2007), Consultation Paper on the Creation of A Unified Carrier Licence under

the Telecommunications Ordinance, 2007. 12. 21

TA(2007), Licensing Framework for Unified Carrier Licence, 2007. 12. 21

WIK-Consult(2008). The Regulation of Voice over IP(VoIP) in Europe, 2008. 3. 19

웹사이트

http://www.itst.dk

http://www.itu.int/ITU-T/inr/misc/files/bdt_numbsurvey-en.doc

http://www.bundesnetzagentur.de

http://www.ficora.fi

http://www.orange.fr

http://www.t-mobile.com

http://www.vodafone.com/

http://reviews.cnet.com/

참고문헌 191

http://www.debitel.de

http://www.npt.no

http://www.pts.se

http://www.etnews.co.kr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안내

■ 2002 연구보고

연구보고 02-01 정보통신산업 장기 시장 망(2002~2006) (최계 , 홍동표, 권남훈,

문석웅, 정시연, 박진 , 이상오, 한은 , 권오상, 임동민, 이종 ,

심동철, 박용우, 배찬권, 유선실, 오정숙)

연구보고 02-02 자원의 효율 리 체계 연구 (염용섭, 박동욱, 이홍재, 장범진,

김원식, 서보 , 이상규, 김진기, 박진 , 김 식, 임동민, 이승훈, 노승 ,

박종 , 정상호, 이 구, 오구 )

연구보고 02-03 자원 이용․ 리 발 방안 연구 (이홍재, 서보 , 박동욱, 장범진,

이상규, 박진 , 임동민, 윤두 , 정연 )

연구보고 02-04 신규 디지털방송 서비스의 조기정착을 한 정책연구 (김국진, 김도연,

성운, 한은 , 곽동균, 천혜선, 박종 )

연구보고 02-05 우체국 융의 리스크 리 정보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박재석, 이석범,

김효정, 이범진)

연구보고 02-06 국제기구의 주요정보통신 정책이슈에 한 효과 응방안 연구

(서보 , 정인억, 김태은, 백지원, 나항렬, 공 일)

연구보고 02-07 2001 인터넷산업 통계조사 (조동기, 유지연, 조희경, 정부연)

연구보고 02-08 주 수 회수 는 재배치 정책방안 연구 (이홍재, 염용섭, 이상직,

이승훈, 정연 )

연구보고 02-09 가격상한공식 법제도 연구 (김형찬, 함창용, 김희수, 이종화, 이상규,

변정욱, 이태희, 이원우, 정인석, 구자춘, 곽정호, 오기환, 김남심,

고창열, 오기석)

연구보고 02-10 정보통신부 산하 출연기 경 평가 (강인수, 김창완, 강홍렬, 이경원,

이용수, 강성욱, 오 석)

연구보고 02-11 온라인시장의 효율성과 사회 후생에 한 실증분석 (윤충한, 이 훈,

권지인, 조혜 )

연구보고 02-12 콘텐츠의 산업화에 따른 시장변화 발 략 연구

-음악 화 콘텐츠를 심으로- (권남훈, 이경원, 유선실, 오정숙)

연구보고 02-13 네트워크 효과가 시장구조에 미치는 향과 경쟁정책 (홍동표, 성훈,

이상승, 김상택)

연구보고 02-14 한국 벤처캐피탈 투자행태에 한 실증분석 (이경원, 이인찬, 김성 ,

이경형)

연구보고 02-15 패 데이터를 이용한 e-Business 소비자행태 분석 (신일순, 정부연,

김보은)

연구보고 02-16 세계화시 의 언어민족주의와 정보화 략 (김상배, 김진 , 유지연)

연구보고 02-17 지식정보화에 따른 직업구조의 변화와 특성 (조동기, 조희경)

연구보고 02-18 정보격차에 한 사회경제 함의 (강홍렬, 차남경, 강상 , 김은미)

연구보고 02-19 주 수경매의 이론 사례분석 (박동욱, 왕규호, 김원식, 이승훈)

연구보고 02-20 통신서비스산업의 경제 효과 (이홍재, 문석웅, 김용규, 박진 ,

윤두 )

연구보고 02-21 통일에 비한 남․북한 정보통신 교류 력 통합 방안(Ⅰ) (강인수,

김원식, 공 일, 김주진, 유민 )

연구보고 02-22 양방향방송서비스 도입에 따른 방송산업 향 분석 ( 성운, 이상우,

김도연, 도 호, 원, 곽동균, 강남 )

연구보고 02-23 미국의 1996년 통신법 개정의 향 분석 (김희수, 김형찬, 이종화,

이상규, 변정욱, 곽정호, 오기환, 오기석, 김종진)

연구보고 02-24 재 매 활성화와 통신시장의 경쟁 (이내찬, 이상규, 변정욱, 유기주,

김남심, 오기석, 양지선)

연구보고 02-25 기통신사업의 규제회계제도 (함창용, 고창열, 이경석, 유여종, 신동호,

신정환)

연구보고 02-26 통신 련법 이외의 기통신사업 규제 황 개선방안 (이종화,

변정욱, 김희수, 곽정호, 오기환, 주민희)

연구보고 02-27 수요특성 변화에 따른 우편사업 략 (최 범, 이용수, 김정민, 안명옥)

연구보고 02-28 우체국 융사업의 험 리 략 (박재석, 박 권, 김효정, 김수진)

연구보고 02-29 이동통신을 이용한 기업의 마 황 략 (김철완, 노 표,

김민희)

연구보고 02-30 정보통신산업 장기 시장 망(2003~2007) (최계 , 홍동표, 고상원,

이홍재, 정시연, 한은 , 공 일, 박진 , 김민식, 배찬권, 임동민, 권오상,

박용우, 유선실, 오정숙)

연구보고 02-31 보편 서비스제도 개선방안 연구 (이상규, 김형찬, 김희수, 곽정호,

오기환)

연구보고 02-32 IT신산업 활성화 정책 연구 (최계 , 이경원, 김민식, 배찬권, 박용우,

오정숙)

연구보고 02-33 통신서비스 환경변화에 따른 법령 정비 (염용섭, 박종훈, 장범진,

김원식, 김지훈)

연구보고 02-34 번호 리제도 개선방안 연구 (김진기, 이승훈, 서승범, 한용규, 박동욱)

연구보고 02-35 한․미, 한․EU 통신장비 조달 정 개정 방안에 한 연구 (박종훈,

권오상, 안재홍, 김지훈, 고윤자)

연구보고 02-36 WTO 뉴라운드 통신 상 략 연구 (이한 , 박종훈, 장범진, 안재홍)

연구보고 02-37 산업의 발 기반 조성을 한 정책방안 연구 (이홍재, 김용규,

정연 , 박진 , 윤두 )

연구보고 02-38 통신․방송 융합에 따른 법․제도 개선 산업정책 연구 (이상우,

성운, 권남훈, 곽동균, 김국진, 한은 , 유선실)

연구보고 02-39 디지털시 의 방송산업 경쟁구도 분석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 성운, 한은 , 이상우, 김국진, 곽동균, 강남 )

연구보고 02-40 통신 방송규제의 문성 제고를 한 규제제도 개선방안 연구

(김국진, 이상우, 천혜선)

연구보고 02-41 이동통신서비스 발 에 따른 공정경쟁 정책방향 연구 (김형찬, 이내찬,

김희수, 이상규, 변정욱, 박동욱, 유기주, 김남심, 오기석, 김종진, 양지선)

연구보고 02-42 정보통신산업 종합발 계획(2002~2007) (이인찬, 최계 , 권남훈,

신일순, 윤충한, 홍동표, 고상원, 이 훈, 김성 , 이경원, 유선실,

신성문, 배찬권, 정시연, 이경형, 오정숙, 박용우, 김민식, 정부연)

연구보고 02-43 국가 정보통신 기술 신시스템 개선방안 연구 (윤충한, 고상원, 이 훈,

한진수, 이경남, 권지인, 조혜 )

연구보고 02-44 자상거래 확산을 한 디지털 경제 기반 조성 (신일순, 강홍렬,

윤 석, 손상 , 김사 , 정부연, 김재경, 정창미, 최선희)

연구보고 02-45 사이버문화 사이버공동체 활성화 정책방안 연구 (황주성, 조동기,

김상배, 강홍렬, 유지연, 최선희, 김성우, 조희경)

연구보고 02-46 이동 화 번호이동성 세부방안 연구 (염용섭, 이상규, 김진기, 이승훈,

서승범, 한용규)

■ 2003 연구보고

연구보고 03-01 통신서비스 회계기 개선방안 연구 (함창용, 오성백, 고창열, 이경석,

유여종)

연구보고 03-02 정보통신부 정보화시설의 아웃소싱 확 산 리 운 체제 개선

방안 (박재석, 이용수, 주기인, 서 호, 김효정, 백경민, 이윤 )

연구보고 03-03 정보사회 세계 정상회의(WSIS) 응방안 연구 (서보 , 김상배,

황주성, 최선희, 김 주, 백지원)

연구보고 03-04 디지털경제에서 경제 각 분야의 구조변화 응방안(Ⅰ) (홍동표,

문성배, 강석훈, 신일순, 왕규호, 정부연, 이은민, 김재경)

연구보고 03-05 정보통신 민간연구개발투자에 한 정부지원의 효과 (고상원, 권남훈,

이경남)

연구보고 03-06 한국 벤처부문의 보상체계에 한 연구 (이경원, 이인찬, 권지인)

연구보고 03-07 IT기업 략의 경쟁효과 분석을 한 정량 방법론 연구 (이내찬,

홍동표, 박종섭)

연구보고 03-08 외국인 직 투자의 기술 효과 연구: IT산업 심으로 (이 훈,

조혜 )

연구보고 03-09 고속인터넷서비스 가입자 환요인 연구 (이 훈, 신성문, 박용우)

연구보고 03-10 시장과 정부의 기업인증 효과 (이경원, 이인찬, 김성 , 권지인, 한정선)

연구보고 03-11 사이버공동체에서의 규범형성과 유지행태 (정찬모, 유지연, 김경희,

김정오, 유의선)

연구보고 03-12 정보거래법 제정에 한 연구 (주지홍, 박훤일, 권재열, 육소 , 김 록,

이철남, 양인애)

연구보고 03-13 WTO 체제하의 방송산업 변화에 한 연구(1) (이상우, 성운, 이한 ,

박천일, 한은 , 신호철, 채정화)

연구보고 03-14 통신시장의 수직 산업구조와 기업행태: 이론 사례 (장범진,

박동욱, 박진우, 김원식, 권 주, 종민, 진재 )

연구보고 03-15 유․무선 화의 체성에 한 계량 분석 (변정욱, 이종화, 이상규,

안형택, 김종진, 김남심)

연구보고 03-16 M-commerce의 확산에 따른 공정경쟁 이슈 분석-모바일 지 결제를

심으로 (김희수, 오기환, 유기주, 강임호)

연구보고 03-17 통일에 비한 남․북한 정보통신 교류 력 통합방안(Ⅱ) (강인수,

공 일, 신용도, 홍 기, 배성렬)

연구보고 03-18 남북교류 증 에 따른 우체국 융의 활용 방안 (박재석, 윤석훤,

김효정)

연구보고 03-19 환경변화에 비한 우편사업의 핵심 역량 분석 (이용수, 최 범,

김윤화, 김택승)

■ 2004 연구보고

연구보고 04-01 디지털경제에서 경제 각 분야의 구조변화 응방안(Ⅱ)

-IT투자와 기업 구조변화의 상 계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홍동표, 문성배, 이경아, 강석훈, 황규찬, 이은민, 김재경, 김민창)

연구보고 04-02 IT 기업의 R&D가 시장가치에 미치는 향 (고상원, 조명 , 이경남,

권지인)

연구보고 04-03 고속인터넷 환경에서의 미디어간 소비 체에 한 실증연구 (이재 ,

이 훈, 이경원, 유선실, 권지인)

연구보고 04-04 IT 산업에서의 수출입의 생산성 효과분석 (문성배, 이 훈, 정시연,

김재경, 이은민)

연구보고 04-05 유비쿼터스 통신환경의 사회문화 향연구 (이호 , 유지연)

연구보고 04-06 인터넷 속서비스 제공계약 이용약 에 한 사법 검토 (강홍렬,

주지홍, 오병철, 권재열, 양인애, 이범룡)

연구보고 04-07 IT가 인 연결망과 공공선(public interest)에 미치는 향연구 (최항섭,

김 식, 김지수)

연구보고 04-08 IT산업의 국제분업 경쟁 계 분석 (최계 , 정시연, 오정숙)

연구보고 04-09 효율 인 주 수 이용 리를 한 이용 가 산정모형 연구 (김원식,

장범진, 임동민)

연구보고 04-10 WTO 체제하의 방송산업 변화에 한 연구(Ⅱ) (이상우, 강재원,

성운, 김 호, 황상재, 한은 , 신호철)

연구보고 04-11 통신서비스 수요행태 수요의사 결정요인에 한 연구 (김민철,

변정욱, 한경동, 박상인, 김종진, 권민경)

연구보고 04-12 통신산업에서의 진입장벽 결정요인 연구 (김정 , 이상규, 김형찬,

오기석, 박정환)

연구보고 04-13 주요 통신서비스 시장구조의 국제비교 (김희수, 이종화, 강인규, 김남심)

연구보고 04-14 인터넷시 의 국가와 국제 계-국제법 도 과 응- (정찬모,

장 신, 최원목, Thomas Ryou)

연구보고 04-15 융환경 변화에 응한 우체국 융의 차별화 략 연구 (박재석,

이 종, 권기환, 이석범)

연구보고 04-16 우편사업 생산성 분석 (최 범, 옥주 , 이용수, 안명옥)

■ 2005 연구보고

연구보고 05-01 디지털경제에서 경제 각 분야의 구조변화 응방안(Ⅲ) (고상원,

홍동표, 강석훈, 도 호, 이 훈, 유선실)

연구보고 05-02 민간 IT 연구개발투자에 한 정부보조 의 효과 (고상원, 권남훈,

이경남)

연구보고 05-03 국내 ICT기업의 신활동 결정요인 분석 (문성배, 배, 이은민)

연구보고 05-04 IT 소기업의 라이 사이클에 한 연구 (문성배, 민희철, 조성욱,

정시연, 김민식)

연구보고 05-05 디지털 컨버 스 하에서의 콘텐츠산업 발 과 공정경쟁이슈-시장 쇄

이론 사례 (이재 , 임 , 유선실, 권지인, 정 )

연구보고 05-06 인터넷의 일상화 지표개발 실태분석 (황주성, 유지연)

연구보고 05-07 이동 화 소비양식에 한 사회문화 이해 (최항섭, 김희연)

연구보고 05-08 디지털 시 의 문화수용 방식에 한 연구 (이호 , 박 주, 음수연)

연구보고 05-09 유무선통합에 따른 통신서비스 시장의 구조변화 (장범진, 이삼호,

한지연)

연구보고 05-10 다채 유료방송시장의 경쟁에 한 연구 (이상우, 이인찬)

연구보고 05-11 외국인 소유지분 증가에 따른 통신사업자의 경 성과 변화-시장의

반응을 심으로 (김창완, 권 주)

연구보고 05-12 다매체 환경에서 IPTV의 융합-수용 모델-기능 유사성과 미디어

체를 심으로- (이상우, 강재원, 신호철, 김윤정)

연구보고 05-13 통신서비스에서의 가격차별 연구 (이상규, 김정 , 김성환, 김형찬,

오기석, 김종진)

연구보고 05-14 통신시장의 매 업 련 이론 규제 이슈 (이종화, 변정욱, 김민철,

김남심, 강인규, 안성희)

연구보고 05-15 정보화(IT)투자가 우체국 의 경 성과에 미치는 향 분석

-고객만족도 제고를 한 투자 략 방향을 심으로-

(백재석, 백경민)

연구보고 05-16 경쟁 환경하의 우편요 제도 발 방안 연구 (최 범, 김효정)

■ 2006 연구보고

연구보고 06-01 인터넷상 네티즌 공유정보에 한 신뢰행 연구 (최항섭, 김희연,

장종인)

연구보고 06-02 문화자본이 정보불평등에 미치는 향 (이호 , 장미혜, 박 주)

연구보고 06-03 정보재에 한 후생경제학 분석 (손상 , 김사 , 신일순, 안일태,

주병기)

연구보고 06-04 인터넷 화 시장에서의 상품차별화 략 연구 (장범진, 나성 , 이은곤)

연구보고 06-05 다채 방송시장에서의 로그램 근에 한 연구 (이상우, 나성 ,

정은옥, 김원식)

연구보고 06-06 방송서비스의 다매체화 통신방송 융합에 따른 공정경쟁 이슈 연구(Ⅰ)

(김희수, 김형찬, 김민철, 오기환, 김남심, 이민석)

연구보고 06-07 주요국 통신시장 서비스기반 경쟁정책의 효과분석 (김성환, 김형찬,

강인규, 김종진, 김태 )

연구보고 06-08 통신서비스 결합 매에 한 이론 연구 (변정욱, 김정 , 김상택,

오기석, 강인규)

연구보고 06-09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한 무선인터넷 가격정책에 한 연구 (고상원,

박선주, 김민식, 정 )

연구보고 06-10 ICT기업의 신활동과 고용 (문성배, 배, 이은민)

연구보고 06-11 지 재산권 강화가 기술 신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분석

-IT 산업을 심으로- (김정언, 강성진, 권지인)

연구보고 06-12 미디어산업의 수직결합과 기업 략-다채 방송을 심으로-

(이재 , 유선실)

연구보고 06-13 IT서비스 산업의 공정 경쟁과 수익성 제고 (임 , 이경원, 정부연,

김민식, 정 )

연구보고 06-14 IT산업의 양극화 황과 정책 응방안 (김정언, 이 수, 이은민,

정 , 이승 )

연구보고 06-15 통상 안 결정과정에서 IT산업의 이해반 메커니즘 비교연구-IT기술

표 화 과정을 심으로- (강하연, 유 석, 송경재, 정인억, 최향미)

연구보고 06-16 우편시장의 합리 규제 체계 정립방안 연구 (최 범, 김효정)

연구보고 06-17 컨버 스 시장에서 고객기반의 향력에 한 연구 (김용철, 이 종)

연구보고 06-18 지식정보화의 면화를 한 공공정보화 신방안 연구(Ⅱ)

총 보고서 (정국환, 강홍렬, 정찬모, 문정욱, 권성미, 조성경, 정은증,

최흥석, 황병천, 황성돈, 정문섭)

연구보고 06-19 정보화로 인한 가족 게와 가족역할의 미래변화 총 보고서

-가족기능 변화와 미래가족 망- (강홍렬, 장혜경, 김혜 , 김 란,

최민 , 미경, 정은증, 원 희, 이 희, 한정란, 장은정, 김미숙,

장화경, 홍 미, 최은 , 성은수, 유호선, 이선형, 임인숙, 김수 ,

최은정, 이동주, 윤홍식, 조막래, 윤성호)

연구보고 06-20 디지털사회의 미래 측 방법론 연구 (최항섭, 음수연, 미경)

■ 2007 연구보고

연구보고 07-01 디지털 작권 리(DRM) 정책과 사회후생 (손상 , 김사 , 황지연,

안일태, 이철남)

연구보고 07-02 온라인 도박의 규제 (정찬모, 이원태, 유지연, 황지연, 권헌 , 이 수)

연구보고 07-03 웹2.0시 디지털 콘텐츠의 사회 확산 경로 연구 (이호 , 정은희,

이장 )

연구보고 07-04 디지털사회에서의 노마디즘 상과 정책 응 (최항섭, 최 주, 배명훈)

연구보고 07-05 유무선 통화서비스 체성에 한 실증분석과 정책 시사 (박민수,

이종 , 안형택, 임동민)

연구보고 07-06 통신방송 융합환경하의 수평 규제체계 정립방안에 한 연구 (이상우,

황 호, 김성환, 정은옥, 신호철, 오수민, 송정석, 김원식)

연구보고 07-07 주요국 사례분석을 통한 통신시장에서의 지배력 평가 방법 연구

(변정욱, 김정 , 염수 , 주기인, 강인규, 김종진, 송 호)

연구보고 07-08 방송서비스 다매체화 통신방송 융합에 따른 공정경쟁 이슈 연구(Ⅱ)

(김희수, 김형찬, 김민철, 김정 , 오기환, 김남심, 황주연, 이민석, 강유리)

연구보고 07-09 IT 련학과 학졸업자의 노동시장 진입 이동 분석 (고상원,

이상돈, 이경남, 임순옥)

연구보고 07-10 고령화와 정보격차: 정보격차의 결정요인 분석 (김정언, 노용환, 최두진,

정부연, 김재경)

연구보고 07-11 ICT기업의 공동R&D 결정요인 분석 (문성배, 배, 이은민)

연구보고 07-12 IT 소벤처의 경쟁력 강화를 한 M&A활성화 방안 연구 (정진한,

김창완, 김성민, 김민식)

연구보고 07-13 지식집약활동의 국제화: SoC와 SW 련 소기업을 심으로 (임 ,

박승찬, 이경원, 정 )

연구보고 07-14 개방시 의 IT통상정책 (강하연, 고선규, 박 덕, 여 종)

연구보고 07-15 우편 체수단의 발 에 따른 통상우편 망 (최 범, 이형권, 김수임,

옥주 )

연구보고 07-16 지식정보화의 면화를 한 공공정보화 신방안 연구(Ⅲ) 총 보고서

(정국환, 황주성, 이원태, 최선희, 문정욱, 권성미, 황지연, 김혜정)

연구보고 07-17 네트워크 효과의 사회문화 함의: 온라인에서의 문화 장의 구조변동

연구 (이호 , 박 주, 양종회, 김우식)

■ 2008 기본연구

기본연구 08-01 융합환경에서의 경쟁과 다양성에 한 연구 (황 호, 신호철, 정은옥,

서상호)

기본연구 08-02 융합시 의 번호자원 리방안에 한 연구 (나성 , 김 식, 수연,

김지 )

기본연구 08-03 디지털 작권 리(DRM)와 경쟁정책 (손상 , 황지연, 이철남)

기본연구 08-04 IT를 통한 사회 자본 축 방안 연구 (최항섭, 김희연, 강 아, 박찬웅,

배 , 배 자, 윤민재, 조 석)

기본연구 08-05 인터넷 포털사이트의 사회 향력 확 에 따른 응 방안 연구

(이호 , 정은희, 서문기, 이창호)

기본연구 08-06 웹2.0시 의사결정방식의 변화와 정책 응방안 (이원태, 차재권,

홍순식)

기본연구 08-07 IT산업에서 기업주도형 벤처투자의 유인 실효성에 한 연구

(정진한, 김정언, 강성진, 정 )

기본연구 08-08 거시경제 변화에 따른 IT산업 효과 추정을 한 계량모형 개발

(문성배, 김원 , 고 형, 임순옥)

기본연구 08-09 융합환경에서의 방송통신콘텐츠 이용행태에 한 실증 분석 (박유리,

이은민, 정부연, 이종수)

기본연구 08-10 통방융합 All-IP환경하에서의 필수 요소 분석 제도 근방안

연구 (김희수, 이종화, 염수 , 김득원, 김형찬, 오기환, 오기석)

기본연구 08-11 양면시장(two-sided market)이론에 따른 방송통신서비스 정책 이슈 연구

(김성환, 김민철, 이재 , 김남심, 강유리, 김태 )

기본연구 08-12 한․ASEAN IT 트 쉽 강화방안 연구 (강인수, 김태은, 홍승연, 박지훈,

김동엽)

기본연구 08-13 한- IT교역 계의 황과 FTA추진에의 시사 (남상열, 강하연,

박순찬, 박 덕, 여 종, 박민정, 김성웅)

기본연구 08-14 종합유선방송사업자의 소유구조 연구: 합병의 경제 성과를 심으로

(김창완, 정부연, 이경원)

기본연구 08-15 종합물류사업자 환에 따른 성공요인 분석: 우정사업 종합물류업

기반조성을 심으로 (이용수, 이 종, 안명옥, 곽 식)

기본연구 08-16 지식정보화의 면화를 한 공공정보화 신방안 연구(Ⅳ) 총 보고서

(정국환, 황주성, 이원태, 문정욱, 최선희, 권성미, 홍순식, 황지연, 안재민)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안내

■ 2002 정책연구

정책연구 02-01 정보통신정책개발지원사업 종합보고서 (오정택 외)

정책연구 02-02 신지 재산권 보호동향 장단기 정책 연구 (권남훈, 이인찬, 유선실,

김 우)

정책연구 02-03 지식정보사회 기반조성을 한 일반법 연구(Ⅳ) (정찬모, 주지홍,

한상희, 이인호, 배 헌, 권 우, 오태원, 양인애)

정책연구 02-04 국 IT 련 법․제도 조사연구 (손상 , 김도승, 이 윤, 문 조,

정 , 김종길)

정책연구 02-05 정보통신 행정규제개 방안 연구 (김원식)

정책연구 02-06 련법령과 규제체계 개선 연구 (이홍재, 박동욱, 박진 , 정연 ,

임동민, 이승훈)

정책연구 02-07 통신서비스산업 공정경쟁연구반 활동(2002) (김형찬, 오성백, 함창용,

김희수, 이내찬, 이종화, 이상규, 변정욱, 곽정호, 유기주, 오기환,

김남심, 고창열, 오기석)

정책연구 02-08 방송 국제 력활동 지원반 결과보고서 (서보 , 박진 , 홍승연)

정책연구 02-09 벤처 재도약을 한 시장과 정부의 역할 (이경원, 이인찬, 김성 ,

이경형, 홍동표, 권남훈, 정시연, 신성문, 김민식)

정책연구 02-10 지식정보사회에서의 정보화법제 재정립을 한 법제도 연구 (주지홍,

오태원)

정책연구 02-11 정보보호 련 인증제도에 한 법제도 개선방안 (조동기, 김정덕,

이철남)

정책연구 02-12 농어 정보화 진을 한 법제도 정비방안 (손상 , 오태원)

정책연구 02-13 지식정보화에 따른 교육․훈련환경 개선 법제도 정비방안 (주지홍,

유지연, 최경진, 허종렬)

정책연구 02-14 자상거래의 국제사법 법률문제 (정찬모, 최성 , 이성호, 노태악,

양인애)

정책연구 02-15 건 한 정보이용환경조성을 한 법제도 조사연구 (황주성, 김병 ,

강 모)

정책연구 02-16 지식정보사회에 비한 정책문제 연구 (정찬모, 이철남)

정책연구 02-17 지식정보사회에 비한 2002년도 법제도 조사연구-종합보고서

(정찬모, 오태원, 이범룡)

정책연구 02-18 2002 트랜스유라시아 네트워크(TEIN) 구축사업 결과보고서 (서보 ,

박진 , 나항렬, 김의순)

정책연구 02-19 2002 고속정보통신 국제 력 결과보고서 (서보 , 김태은, 나항렬,

백지원, 최정아, 이 미)

정책연구 02-20 동아시아 정보격차해소 특별 력사업 결과보고서 (서보 , 홍승연,

백지원, 박진 )

■ 2003 정책연구

정책연구 03-01 기통신기본법 개정방안 연구(주지홍, 길 규, 김남철, 이종 , 최경진,

이철남, 양인애, 이범룡, 이민 )

정책연구 03-02 의료정보화 산업의 활성화를 한 법제도 정비방안 연구 (주지홍,

왕상한, 조형원, 박 민, 이범룡)

정책연구 03-03 디지털 작물과 이용자의 권리 (정찬모, 안효질, 남희섭, 이규헌, 이철남)

정책연구 03-04 소 트웨어 거래에 한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주지홍, 김선정, 이철남,

양인애)

정책연구 03-05 도메인이름 분쟁해결의 실체법 (정찬모, 김원오, 손승우, 최은창, 고 국,

양인애)

정책연구 03-06 SPACE-IT 련 법제도 정비 (황주성, 양인애, 조용 , 박종흥, 남 우)

정책연구 03-07 직장내 근로자의 라이버시 보호를 한 법제도 연구 (정찬모, 장재욱,

최경진, 이범룡, 이민 )

정책연구 03-08 지식정보화사회에 비한 2003년도 법․제도 조사연구: 종합보고서

(정찬모, 이철남)

정책연구 03-09 2003 고속국제 력사업 결과보고서 (서보 , 정인억, 황주성, 정찬모,

김태은, 오무석, 박진 , 나항렬, 백지원, 홍승연, 최선희, 이 미,

권 민, 노윤철, 김 주)

■ 2007 정책연구

정책연구 07-01 국내외 유동성 증 의 IT산업에 한 향 (이재 )

정책연구 07-02 콜롬비아 정보통신시장 진출방안 연구 (강인수, 김정언, 김태은, 오정숙,

이은민, 강정은)

정책연구 07-03 유무선 통신서비스 이용행태 연구 (박민수, 허 )

정책연구 07-04 일본우정 민 화의 추진동향 시사 (이용수)

자 소 개

나 성

․성균 학교 경제학 학사․성균 학교 경제학 석사․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경제학 박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

김 식

․ 남 학교 경제학사․서강 학교 경제학 석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

수 연

․경희 학교 지리학과 학사․연세 학교 IT정책산업 석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원

김 지

․이화여자 학교 경제학 학사․이화여자 학교 경제학 석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원

기본연구 08-02

융합시 의 번호자원 리방안에 한 연구

2008년 12월 일 인쇄

2008년 12월 일 발행

발행인 방 석 호

발행처 정 보 통 신 정 책 연 구 원

경기도 과천시 주암동 1-1TEL: 570-4114 FAX: 579-4695~6

인 쇄 인 성 문 화

ISBN 978-89-8242-402-1 94320

보 가 10,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