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96

Upload: others

Post on 17-Jul-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한국형 권역 외상센터 설립

타당성 및 운영모델 연구

2010년 3월

보건복지가족부

서울대학교의과대학

Page 2: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Page 3: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보건복지가족부 중앙응급의료센터가 발주한 [한국형 권역 외상센터

설립 타당성 및 운영모델 연구] (연구책임자 서울의대 김 윤) 용역의

결과 보고서를 제출합니다.

2010년 3월

연구책임자 서울의대 김윤

참여 연구원

연구 책임자 김 윤 (서울대 의대)

공동 연구원 신상도 (서울대 의대)

박재현 (성균관대 의대)

이태진 (서울대 보건대학원)

박창배 (서울대 의대)

이윤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강대욱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박수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자문위원 이태식 (한국과학기술원)

조진성 (가천 의대)

염석란 (부산 의대)

안기옥 (서울소방학교)

차원철 (서귀포의료원)

Page 4: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Page 5: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5 -

과제명 한국형 권역 외상센터 설립 타당성 및 운영모델 연구

주관연구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주관연구책임자 김윤

연구기간 2009.12 - 2010.3

연구 배경 및 목적

외상으로 인한 사망은 암과 뇌혈관질환에 이어 국내 사망 원인 3위를 차지하고 있으나

이 중 30% 가량은 적절한 이송과 치료로 사망을 막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한 외상 전문 치료 체계의 개발을 위해 국내 중증 외상 환자의 규모를

파악하고 이송 체계 및 외상 치료 시설의 모형 개발, 이의 운용을 위한 기초 수지 분석

등을 수행하여 국내 적용 가능한 외상 진료체계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

다.

연구 방법

국내 외상 진료의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건강보험자료를 이용하여 지역별, 중증도별 외

상 환자 발생 현황을 조사하고 문헌 조사와 전문가 조사, 외국 사례 시찰 등을 통해 적

절한 수준의 국내 적용 가능한 외상 센터 규모와 운용 모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력,

시설, 장비 등의 세부적인 모델링을 통해 비용을 추산하여 비용 편익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2007년 건강보험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총 1,152,428명의 환자가 외상으로 응급실

을 이용하였다. 손상 중증도 계수(Injury Severity Scoring)를 기초로 8점 이상의 중등도

를 가진 환자군은 총 613,392명이며 총 외상 사망 환자는 28,359명이었다. 사망 환자 중

'예방가능사망' 환자는 9245(32.6%)명으로 추산되었다.

외국의 외상 센터 진료 실적을 근거로 국내 외상 전문 센터의 설립을 통해 중등도 이상

의 외상 환자를 1개소 당 21,500명의 진료를 담당하는 것으로 산정하였고 이는 진료 대

상 환자군의 22%에 해당하는 수치였다.

2007년 현재 우리나라 외상 예방 가능 사망률은 32.6%였고, 1997년 이후 점차 감소 추세

에 있으나 현재대로라면 2014년 29.2% 이후 더 이상 줄어들지 않는 것으로 추계되었다.

전국 6개 권역을 산정하여 외상 센터의 건립을 가정하였고 외상 진료 체계의 구축을 통

해 진료받은 환자들의 예방가능 사망률은 10%를 목표로 하였다. 2017년 이후 외상 센터

설립이 완료된 이후 2045년까지의 장기적 생존 이득을 산출한 결과 6개 외상 센터의 설

립으로 매년 1,198명의 생존 이득을 기대할 수 있으며 전국 예방 가능 사망률은 25%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45년까지 총 35949명의 누적 생존 이득이 발생하였다.

권역별 외상 센터의 위치 선정을 위해 헬기 이송을 통해 최대의 환자를 적절한 시간 내

에 외상 센터로 이송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각 외상센터는 헬기

이송센터를 보유해야 하며, 병원에서 환자 발생 장소까지 30Km 이상 거리가 떨어져 있

최종결과 보고서 요약문

Page 6: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6 -

는 중증 외상 환자를 헬기 이송 대상으로 산정하였다.

이의 분석을 위해 2007년 전국 16개 시도의 구급일지 자료와 110개 병원의 국가응급환

자 진료정보망(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NEDIS)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급일지 기반 1,218,688명의 환자 중 중증 손상 환자 82,364명과 NEDIS 기

반 2,196,285명의 환자 중 손상환자 568,498명 가운데 병원 간 이송이 된 중증 환자

17,02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 발생 자료를 바탕으로 전국 6개 또는 8개

외상 센터를 설립하는 것을 가정하여 최적의 위치 선정을 위해 시뮬레이션을 시행하였

고 각각 74%, 81.8%의 최종 성공 이송율을 보이는 병원 위치를 제시하였다.

권역외상센터 설립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을 위해 비용 편익 분석을 수행하였다. 외상센

터 모델로 가정된 모형을 통해 6개 센터 설립과 운용 등에 필요한 비용을 산출하였고

예방가능 사망률의 감소로 예상되는 생존 이득을 통해 발생하는 조기 사망 감소로 인한

직접적 편익과 기타 간접적 편익을 계산하였다.

6개 권역 센터 및 이송 센터의 설립과 운용에 2045년까지 총 1조 5,675억 원의 비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편익은 약 3조 1,383억 원으로 산출되었다. 경제성 분석

결과 B/C ratio 는 2.00로 나타나 충분한 경제적 타당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age 7: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7 -

차 례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가. 외상의 공중 보건학적 중요성 ·······································································································1

나.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 ···············································································································1

다. 외상 환자 사망의 지역 간 차이 ···································································································2

라. 외상진료체계 도입의 필요성 ·········································································································2

2. 연구 목적 ·············································································································································5

3. 연구 내용 및 방법 ·····························································································································5

가. 외상진료체계의 기본 모형 개발 ·····································································································5

나. 외상진료의 수요 추계 ·······················································································································6

1) 외상 환자 발생 규모 추계 ··········································································································7

2) 외상 진료 수요 추계 ····················································································································7

3) 외상 이송환자 추계 ······················································································································8

다. 외상 진료체계 운영 모형 개발 ·····································································································8

1) 외상 치료 시설의 역할, 기능, 구조 모형 개발 ······································································8

라. 권역 외상센터 구축의 사회적 비용-편익 분석 ········································································11

1) 비용분석 ········································································································································11

2) 편익분석 ······································································································································11

3) 경제성 분석 ··································································································································11

4. 연구 결과 ···········································································································································12

가. 외상진료체계 및 수요 ···················································································································12

1) 우리나라 외상진료 단계별 특성과 기준 ················································································12

2) 외상 진료의 지역별 수요 분석 ································································································15

가) 중증 및 중등도 외상 환자 수요 산출 ················································································15

나) 권역외상센터 예상 진료 능력 ······························································································17

다) 권역외상센터 예방 가능 사망률에 따른 예방 가능 사망 수 ········································19

나. 외상진료체계 운영 모델 ···············································································································21

1) 병원단계 - 권역 외상센터 ········································································································21

가) 시설 기준 ··································································································································21

Page 8: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8 -

나) 인력 기준 ··································································································································23

(1) 전문의 인력 ··························································································································23

(2) 간호인력 ································································································································25

다) 장비 기준 ··································································································································26

2) 병원 전 이송단계 (헬기, 권역외상 이송센터) ······································································28

가) 헬기 기반 이송 ························································································································28

(1) 권역별 외상센터 헬기 이송모형 ······················································································28

(2) 구급 헬기의 반응 시간 및 속도 ······················································································31

(가) 이송 환자 수요 산출을 위한 자료원의 구축 ··························································34

(나) 이송 환자 수요 산출을 위한 자료원의 가공 ··························································35

(다) 이송 대상 환자의 선택 ································································································38

(라) 권역외상 센터의 최적 위치 선정 ··············································································42

(마) 적절한 헬기의 배치 ······································································································47

(바) 시뮬레이션을 통한 검증 ······························································································48

다. 권역 외상센터 구축의 사회적 비용-편익 분석 ········································································51

1) 개요 ················································································································································51

2) 예비타당성 조사의 방법론 ········································································································51

가) 비용-편익분석의 개념 ············································································································52

나) 비용-편익분석과 비용-효과분석의 차이 ············································································53

3) 권역외상센터 설립의 비용분석 ································································································54

가) 전제 ············································································································································54

나) 권역외상센터 기능공간의 설정 ····························································································54

다) 건축 규모 추정 결과 ··············································································································55

라) 건축투자비 추정 결과 ············································································································55

(1) 산출항목 및 산출근거 ········································································································55

(2) 산출결과 ································································································································58

(3) 연도별 투자 내역 ··············································································································59

4) 권역외상센터 건립으로 인한 사회적 편익의 종류 ······························································60

가) 권역외상센터의 구축과 평가의 척도 ··················································································60

나) 직접적 편익(direct benefit) ···································································································61

(1) 조기사망(premature death) 예방을 통한 편익 ·····························································61

다) 간접적 편익(indirect benefit) ·······························································································61

(1) 장례비용 절감으로 인한 편익 ··························································································62

(2) 개인 사망보험비 절감으로 인한 편익 ············································································62

라) 무형적 편익(intangible benefit) ···························································································62

(1) 조기사망 예방을 통한 무형적 편익 ················································································63

(2) 이전지출(transfer payment) 절감에 따른 후생손실 방지로 인한 편익 ··················63

5) 추계방법론 ····································································································································64

가) 생명의 가치측정 ······················································································································64

나) 외상 전문진료체계 평가 지표의 이용 ················································································65

Page 9: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9 -

6) 권역외상센터 건립으로 인한 사회적 편익 ············································································66

7) 경제성 분석 ··································································································································69

가) 경제성 분석을 위한 추가적 비용의 고려 ··········································································69

나) 분석기법 ····································································································································73

다) 기본전제 ····································································································································73

라) 경제성 분석 결과 ····················································································································74

8) 분석의 한계점 및 향후과제 ······································································································75

참고문헌 ··················································································································································76

Page 10: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10 -

표 차 례

표 1. 외상 환자 사망률의 지역별 편차 (2007년 응급환자 자료) ··················································2

표 2. 미국질병통제센터의 외상센터 기준 ···························································································9

표 3. 외상센터 등급별 특성과 기준 ···································································································12

표 4. 외상치료단계별 특성과 기준 ·····································································································14

표 5. 권역별 대상 인구 및 중증 외상환자 발생 규모 ···································································16

표 6. 미국 외상센터 진료 능력 (National Trauma Data Bank, 2009) ·····································17

표 7. 플로리다 주 외상센터 진료 실적 ···························································································18

표 8. 외상 센터 중증도별 진료 능력 예측 ·······················································································18

표 9. 외상센터 예방가능 사망률 추계 ·······························································································19

표 10. 외상체계 도입에 따른 중장기 생존 이득 ·············································································20

표 11. 시설 기준 ·····································································································································21

표 12. 전문의 인력 ·································································································································23

표 13. 외상센터 전공의 또는 PA 근무인력 ···················································································24

표 14. 구역별 장비 상세 내역 ·············································································································26

표 15. 소방운영 헬기의 항공이송 탑재 장비 및 약품 ···································································28

표 16. 소방운영 헬기의 항공이송 탑재 장비 및 약품 ···································································29

표 17. 미국의 항공이송 탑재 장비 및 약품 ·····················································································29

표 18. 독일의 항공이송 탑재 장비 및 약품 ·····················································································30

표 19. 국내 민간운영 헬기의 항공이송 탑재 장비 및 약품 ·························································30

표 20. 소방 헬기 모형 ···························································································································31

표 21. 총센터 수별 최적 권역외상센터의 위치 및 예상 coverage rate ···································46

표 22. 6개 센터와 8개 센터의 헬기 수와 최대 환자 이송 성공률 ·············································48

표 23. 시뮬레이션 결과 ·························································································································49

표 24. 권역외상센터의 기능공간 ·········································································································55

표 25. 유사 시설의 건축비 ···················································································································56

표 26. 각 부서별 의료장비 구입비 세부내역 ···················································································56

표 27. 권역외상센터의 투자비용 ·········································································································59

표 28. 연도별 투자비용 (단위 : 개소, 백만원) ···············································································60

표 29. 응급의료체계 구축으로 인한 사회적 편익 ···········································································62

표 30. 예방가능사망률의 변화 (단위 : %) ·······················································································65

표 31. 조기사망예방을 통한 편익 (단위 : 백만원) ········································································66

표 32. 사회적 편익의 흐름 ···················································································································68

표 33. 이송센터 운영비용 (단위 : 백만원) ······················································································70

표 34. 권역외상센터 구축에 투입되는 비용 ·····················································································71

표 35. 편익-비용의 흐름 ······················································································································72

표 36. 경제성 분석 결과 (단위 : 백만원) ························································································74

Page 11: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11 -

그 림 차 례

그림 1. 외상 체계 구성요소 ···················································································································6

그림 2. 프랑스 유로콥터사의 AS665 ·······························································································32

그림 3. 일본 카와사키사의 BK117 ···································································································32

그림 4. 러시아 카모프사의 KA32 ····································································································33

그림 5. 대한민국 영공 ·························································································································34

그림 6. Geocoding Process ··················································································································36

그림 7. Geocoding의 결과 ··················································································································37

그림 8. 2007년도 전국 응급환자 발생 (119 구급차 출동) 위치 중에서 중증 외상 환자들의

위치 ············································································································································38

그림 9. 중앙응급의료센터 지정 전국 16개 권역응급의료센터의 위치 ·······································40

그림 10. 전원 환자들의 발생 위치 ·····································································································41

그림 11. 위의 [그림 10]에 표시된 병원 중에서 전원 대상이 되는 환자들에 가중치를 주어

그린 그림 ································································································································41

그림 12. 권역응급의료센터의 환자 흐름도 ·······················································································42

그림 13. Maximal Covering Location Problem: 최대 포함 위치 문제 ·····································44

그림 14. 성공 이송률에 대한 수식화한 정의 ···················································································45

그림 15. 6개 센터 선정시 적절한 권역외상센터 위치 ···································································46

Page 12: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Page 13: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1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가. 외상의 공중 보건학적 중요성

○ 외상이 전체 사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암 64,731명 (38.2%), 뇌혈관질환 34,901명

(20.1%), 다음으로 30,481명 (2004년)으로 약 18%를 차지함 (질병관리본부 2006).

특히 0세-44세 연령 구간에서 사망원인 1위이며 45세-60세 연령구간에서는 사망

원인 2위로, 경제활동 인구에서 가장 중요한 사망원인임. 외상으로 인한 질병 부

담을 생존손실연수(YPLL)로 계산하면 손상이 인구 1000명 당 364.1년으로 뇌혈

관 질환(173.4년), 간질환(96.0년), 허혈성 심질환(72.4년) 등에 비하여 훨씬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우리나라의 외상환자의 발생과 사망률에서 지역 간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음.

이는 외상 발생의 예방, 병원 전 단계 및 이송단계의 적절한 서비스 제공 등에서

도 원인이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외상환자 치료에 대한 병원접근성의 차이가 매

우 크기 때문으로 지적되고 있음. 2007년 응급실 자료에 근거하면, 전체 환자 중

지역별 외상 사망률(전국 평균 2.5%)은 서울이 1.8%인데 비하여 전북 지역은

4.3%로 2.5배 이상이며, 중증 외상 환자들만 비교했을 때(전국 평균 8.5%) 서울은

5.8%인데 비하여 전남은 13.0%로 역시 2배 이상 차이를 보임. 이는 외상 치료 성

적의 특성상 병원단계 최종진료에 대한 접근성이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임.

나.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

○ 외상으로 인한 사망 환자 중 적정 진료를 제공하였을 경우 생존할 수 있었던 비

율(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을 살펴볼 때, 1998년 50.4%, 2004년 39.6%, 2007년

32.6%로 미국 메릴랜드 주 (5%) 등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상태임. 국내 외상

치료는 권역센터 16개소, 전문센터 4개소, 지역센터 113개소, 지역응급의료기관

약 300여개 소 등 430여 응급의료 기관에 의해 제공되고 있음. 그러나 이들 기관

의 외상환자 진료 능력에 대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모든 응답 병원이 전문 인력

(외상 전문의) 부족으로 중증 외상환자를 수술하기 어렵다고 답하였으며(중앙응

급의료센터 2008), 중증 외상환자를 진료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갖추고 항시 수

술이 가능하다고 답변한 곳은 조사대상 200개 병원 중에서 단지 23개 병원

(13.5%)에 불과하였음. 따라서 현재의 응급의료체계만으로 외상 환자의 예방 가

능한 사망률을 낮추기 어려우며, 사회적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데도 한계가

있음.

Page 14: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2 -

다. 외상 환자 사망의 지역 간 차이

○ 우리나라의 외상환자의 발생과 사망률에서 지역 간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음.

이는 외상 발생의 예방, 병원 전 단계 및 이송단계의 적절한 서비스 제공 등에서

도 원인이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외상환자 치료에 대한 병원 접근성의 차이가 매

우 크기 때문으로 지적되고 있음.

○ 2007년 응급실 자료에 근거하면, 전체 환자 중 지역별 외상 사망률은 전국 평균

2.5%이고 서울이 1.8%인데 비하여 전북 지역은 4.3%로 2.5배 이상이며, 중증 외

상 환자들만 비교했을 때 전국 평균 8.5% 사망률을 보일 때, 서울은 5.8%인데 비

하여 전남은 13.0%로 역시 2배 이상 차이가 나고 있음. 이는 외상 치료 성적의

특성상 병원단계 최종진료에 대한 접근성이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임.

지역전체외상사망률

중증외상사망률

전국 2.5 8.5

서울 1.8 5.8

부산 3.0 9.9

대구 2.9 9.0

인천 2.1 6.8

광주 1.8 7.7

대전 2.2 6.2

울산 1.8 7.0

경기 1.8 6.6

강원 3.1 9.7

충북 3.4 11.4

충남 3.8 11.5

전북 4.3 11.8

전남 3.6 13.0

경북 3.4 11.1

경남 3.0 11.3

제주 2.0 6.0

표 1. 외상 환자 사망률의 지역별 편차 (2007년 응급환자 자료)

라. 외상진료체계 도입의 필요성

○ 응급의료체계의 도입과 발전에도 불구하고 외상진료체계는 일반응급의료서비스로

서는 감당하기 어려운데, 가장 큰 이유는

- 중증 외상환자의 치료에 전문적인 외상 처치팀 및 외상전문의가 필요하고,

Page 15: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3 -

- 매우 전문적인 임상 진료과의 즉각적인 협진을 필요로 하며 (* Golden hour가 1

시간),

- 수술실, 중환자실, 혈관 조영실 등 고도의 독립적인 시설을 다수 필요로 하고 있

으며,

- 외상환자의 이송 방법도 기존 이송체계와 크게 달라서 현장 및 일차 응급의료 기

관으로부터 외상센터로 헬기를 이용한 신속하고 전문적인 이송을 요하고,

- 외상 치료 후 전문적인 재활 치료를 통하여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재활을 도모

하여야 하기 때문임.

○ 따라서 기존 응급의료체계로는 외상치료를 전담하기 어려운데 그 이유는

- 외상전문의(Trauma surgeon/physician), 외상전문 간호사(Trauma nurse), 중환자

이송 구조사(Critical care paramedic) 등 인력 양성체계가 별도로 개발 지원되어

야 하며,

- 건립 초기에 소요되는 막대한 재정을 기존 응급의료시설이 부담하기 어렵고,

- 중환자실 운영, 헬기 이송 운영 등에 소요되는 운영 비용이 매우 크기 때문에,

기존 응급의료체계에서 자연 발생적으로 발전하기 어려우며, 국가가 주도하는 발전

전략을 채택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구조적인 안정을 확보하고, 적정 관리 운영을

지원할 필요가 있음.

○ 외국의 경험을 살펴보면 1990년대 미국은 외상진료체계(Trauma care system)를

도입하여 획기적인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감소를 보고하였는데, 외상 진료체계 도

입 전 34%에서 도입 후 15%로 감소하였고(Cales et al), 부적절 치료율이 32%에

서 4.2%까지 감소하였음(Shackford et al). 캐나다 온타리오에서도 외상진료체계

도입 후 5.2%의 사망률이 감소하였으며, 몬트리올은 52%의 사망률이 18%로 줄

어들었음. 독일은 전국에 약 90여개의 LEVEL 1 외상진료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사망률을 40%에서 20%까지 감축하였음(Williams SH, et al. 1997). 외상 진료체

계의 도입은 의료 자원의 효율적 이용에도 영향을 주어 도입 후 중증 외상 환자

의 77%가 LEVEL 1 외상센터에 입원하고 중증도 이하 외상 환자의 72%는

LEVEL 2 외상센터에 입원함으로써 효율적인 의료자원의 이용을 보고하였음.

○ 그러나 국내에는 외상전문 진료체계를 운영한 경험이 없으며, 외상진료를 수행할

수 있는 인적 물적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지 못함. 특히 국가 수준의 외상진료 체

계 구축은 외상 치료 전문 시설의 설립, 외상 이송체계의 구축, 외상 진료체계 운

영을 위한 적정 수가 체계의 개발 및 지원, 외상 전문 진료를 위한 인력의 양성

및 제도화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의 변화와 막대한 비용을 필요로 함. 특히 미국

등 다른 국가의 경험을 일반화하기에는 의료제공체계의 특성이 현격히 다르기 때

문에, 국내 실정에 적절하게 맞는 외상진료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Page 16: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4 -

고 하겠음. 따라서 국내 실정에 맞는 한국형 외상 진료체계 모형을 개발하고, 이

를 중장기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제반 조건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

Page 17: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5 -

2.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외상진료의 수요 산출, 외상 치료시설 및 이송 체계의 역할, 구조 및

기능, 외상 치료 시설 운영을 위한 기초 수지 분석 등 국내 적용 가능한 외상진

료체계 모형을 개발하고 외상 진료체계가 올바르게 작동하기 위한 정책, 재정운

용, 자원관리, 평가 방안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음.

3. 연구 내용 및 방법

가. 외상진료체계의 기본 모형 개발

○ 외상진료체계(Trauma care system)란 외상환자의 발생 예방, 현장에서의 조기 처

치 및 적정 외상센터로의 이송, 병원에서의 신속한 외상처치, 재활 및 사회 복귀

로 이어지는 외상환자에 대한 포괄적인 서비스 제공체계를 의미함. 따라서 외상

진료체계는 예방 프로그램(Injury prevention), 병원 전 단계 치료 및 이송

(Prehospital care and transport), 병원 내 외상치료 (Hospital trauma care), 재활

(Rehabilitation) 및 사회복귀 등의 포괄적인 서비스가 지속 가능할 수 있는 체계

로 구성되어야 함.

○ 이들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12개의 기본적인 핵심 구성 요소(Core Contents)가

제대로 구축되어야만 함. 즉 1) 손상 예방, 2) 병원 전 외상치료와 이송, 3) 병원

단계 외상치료, 4) 재활 등과 더불어 5) 외상진료체계 운영 리더십과 법률 6) 전

문 인력 7) 교육과 홍보 8) 정보 관리 9) 재정 계획 10) 연구 및 기술 개발 11)

재난 대비 등의 요소가 필요함(그림 1).

○ 11개 외상 진료체계의 기본 구성 요소별로 주요 기능, 필요 자원과 구조, 국내외

현황과 사례, 요소간의 통합 및 연계의 필요성 등을 파악함.

Page 18: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6 -

그림 1. 외상 체계 구성요소

○ 외상진료체계의 모형 개발을 위해서 국내외 자료에 대한 문헌 고찰을 수행함, 이

를 통하여 핵심적인 구성 요소에 대한 역할, 기능, 구조를 정의함.

○ 핵심 구성 요소별 내용에 대하여 전문가들의 견해를 수집하기 위하여 델파이 조

사를 시행하고 이를 근거로 전문가 자문회의를 수행함.

○ 외국 (미국 및 일본)의 외상 진료체계를 견학하여, 기본적인 구성 요소들의 적절

성, 국내 기반의 장단점 등을 파악함으로써 외국의 경험을 벤치마킹하도록 함.

나. 외상진료의 수요 추계

○ 외상 진료체계의 수요 추계란 외상환자의 전체 발생 규모, 중증도별/지역별 외상

환자의 분포를 파악함으로써 외상 진료체계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추계하는 것을

Page 19: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7 -

의미함. 따라서 외상환자의 발생 규모에 근거하되, 일반 의료제공 체계, 응급환자

진료체계 등 통상적인 진료체계와 별도로 외상전문 진료서비스를 요구하는 수요

를 추계하는 것을 목표로 함.

1) 외상 환자 발생 규모 추계

○ 외상환자의 발생 규모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발생한 외상 환자 전체의 규

모를 의미함. 외상환자 발생 규모 특히 16개 시▪도 등 지역적 분포와 중증도별

분포를 고려하여 파악함. 중증도별 분포는 외상 진료체계가 감당하여야 하는 중

증 및 중등도 외상 환자 진료 추계를 위해서 필요하며, 지역적 분포는 외상 체계

의 직접 서비스 제공 요소인 이송 체계 및 진료 시설 필요 규모를 추정하기 위한

근거라고 할 수 있음.

2) 외상 진료 수요 추계

○ 외상 진료의 수요는 전체 외상 환자 발생 규모로부터, 중증 및 중등도 외상 환자

를 지역별로 파악함으로써 지역별 외상 진료 수요를 추계함. 외상 진료의 수요는

크게 지역별 외상 시설 이용 환자 추계, 권역별 외상 시설 이용환자 추계, 병원

전 이송 추계 및 병원 간 이송 추계 등으로 세분화 될 수 있음.

○ 외상 환자 발생 규모 추계를 위하여 건강보험자료(2007)와 국가 응급환자 진료정

보망(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NEDIS) 등을 기반으

로 병원단계 응급실 이용 외상환자 데이터베이스(National ED-based Trauma

Database)를 구축함.

○ 외상환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지역별 중증도별 외상환자 발생규모를 파악함.

병원 자료를 이용할 경우 중증도는 진단명 기반 중증도 분류방법 (Excess

Mortality Ratio-Based Injury Severity Score, EMR-ISS)을 이용함. 이를 기초로

경증(1<=EMR-ISS<=8), 중등도(9<=EMR-ISS<=24), 중증 (25<=EMR-ISS<=74),

치명 (EMR-ISS=75 혹은 사망) 등으로 중증도를 분류함.

○ 발생 환자의 지역별, 중증도별 분류에 기초하여 권역 및 지역 이송센터의 진료 수

요를 추정함.

Page 20: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8 -

3) 외상 이송환자 추계

○ 응급환자 진료정보망 자료 및 구급차 이송일지자료를 근거로 병원 전 및 병원 간

외상환자 이송 데이터베이스(National Trauma Transport Database)를 구축함. 이

송 데이터베이스를 근거로 권역 및 지역 외상센터의 환자 이송 수요를 추계함.

○ 이송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지역별, 중증도별 이송환자 수요를 산출하고, 이송

환자의 발생 지역 혹은 지역병원으로부터 외상센터로 이송될 환자의 이송 수단

(구급차 및 헬기)별 이송 수요를 산출함. 이 때 사용하는 방법은 지리정보 시스템

(GIS, Arc-G)을 이용한 이송망 구축 및 적정 이송 비율 (Coverage rate)을 산출

하기 위한 평가방법을 포함함.

○ 중증도 비율은 현장 이송환자의 경우 변형된 Revised Trauma Score를 사용하고,

병원 간 이송은 EMR-ISS를 사용함.

다. 외상 진료체계 운영 모형 개발

1) 외상 치료 시설의 역할, 기능, 구조 모형 개발

○ 병원단계 외상치료체계는 전체 외상진료체계의 최종진료를 담당하는 단위로, 응급

처치, 진단, 치료, 초기 재활 등 핵심적인 외상 진료를 제공하며, 전문 인력의 교

육 및 훈련 뿐 아니라 외상환자의 이송에 관련된 정보 제공, 외상환자 진료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외상 관련 연구 및 기술 개발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므

로 가장 중요한 기능적 단위라고 할 수 있음. 외국의 병원단계 외상치료 시설의

구분을 살펴보면, 경증 외상(minor), 중등도 외상(moderate), 중증 외상(major)으

로 구분함(미국 외상학회). 각각 중증도에 맞게 외상 치료가 제공되어야 하는 데,

중증 외상 치료는 LEVEL 1 외상센터, 중등도 외상 치료는 LEVEL 2, 경증 외상

치료로는 LEVEL 3 외상센터가 적절한 것으로 제안되고 있음. 이와 같은 분류

체계는 일본이나 독일 등 다른 국가의 경우도 대개 비슷하다고 할 수 있음 (표

2).

○ 따라서 외상 치료 시설의 역할 및 기능을 외상진료체계의 단계별로 정의하고, 각

시설의 구조를 한국 상황에 맞게 제시할 필요가 있음.

Page 21: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9 -

외상 센터 등급(level)의 정의

(National Definition of Levels of Trauma Centers)

레벨 1 (Level I)

1. 외상 치료 시스템의 중심이 되는 지역의 자원 병원

Regional resource hospital that is central to trauma care system.

2. 예방에서부터 재활 치료에 이르는 손상의 모든 면에 대한 포괄적 치료 제공

Provides total care for every aspect of injury, from prevention through rehabilitation.

3. 환자의 치료, 교육, 연구를 위한 인적, 물적 자원을 유지(대개 대학을 기반으로 한 교

육 병원)

Maintains resources and personnel for patient care, education and research (usually in

university-based teaching

hospital).

4. 지역의 손상 환자를 치료하는 모든 병원에 대해 교육과 연구, 조직 계획에 있어서의

지도적 역할 제공

Provides leadership in education, research and system planning to all hospitals caring

for injured patients in the region.

레벨 2 (Level II)

1. 손상의 중증도와 상관없이 포괄적인 외상 치료를 제공

Provides comprehensive trauma care, regardless of severity of the injury.

2. 지역 사회의 가장 유력한 기관일 수도 있고, 외상 환자의 대부분을 치료하거나 레벨 1

외상 센터 활동의 보조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일 수도 있음

Might be most prevalent facility in a community and manage the majority of trauma

patients or supplement the activity of a Level I trauma center.

3. 시골이나 교외, 도시에 위치하는 공공/사적 지역사회 기관이거나 학문적 기관이 될 수

도 있음

Can be an academic institution or a public or private community facility located in an

urban, suburban, or rural area.

4. 레벨 1 센터가 없을 경우 교육과 조직 리더십에 대한 책임이 있음

Where no Level I Center exists, is responsible for education and system leadership.

레벨 3 (Level III)

1. 즉각적인 평가와 소생술, 응급 수술 및 안정화를 제공하고 필요시 높은 레벨의 의료기

관으로 전원을 제공함

Provides prompt assessment, resuscitation, emergency surgery, and stabilization and

arrange transfer to a higher level facility when necessary.

2. 지속적인 일반적 수술 능력을 보유

Maintains continuous general surgery coverage.

3. 외상 환자의 치료 계획에 대한 표준화된 치료안과 전원 협약을 보유

Has transfer agreements and standardized treatment protocols to plan for care of

injured patients.

4. 적절한 레벨 1,2 센터가 있는 도심, 교외 지역에는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음

Might not be required in urban or suburban area with adequate Level I or II centers.

표 2. 미국질병통제센터의 외상센터 기준

Page 22: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10 -

레벨 4 (Level IV)

1. 보다 큰 외상 시스템 내의 보조적 치료를 담당하는 시골 지역 기관

Rural facility that supplements care within larger trauma system.

2. 손상 환자의 초기 평가와 사정을 제공

Provides initial evaluation and assessment of injured patients.

3. 의료진에 의한 24시간 응급 진료 제공이 가능해야 함

Must have 24-hour emergency coverage by a physician.

4. 인근의 레벨 1,2,3 센터와의 전원 협약과 좋은 업무 관계를 유지해야 함

Has transfer agreements and a good working relationship with the nearest Level I, II

or III Center.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s for Field Triage of Injured

Patients. Recommendations of the National

Expert Panel on Field Triage. MMWR 2009; 58 (No. RR-1) pg 5.

○ 병원 전 및 이송단계 외상체계는 일반적인 응급의료서비스 제공에서의 병원 전

및 이송단계와 크게 다르게 운영되어야 함. 응급의료체계에서 구급차를 이용한

병원 전 치료 및 이송은 일반적으로 응급구조사에 의해 수행되지만, 중증 외상

환자에 대한 이송은 중환 전문구조사 (Critical care paramedic) (북미형 모델)이

나 구급 의사 (유럽형 모델)가 수행하는 것이 보편적이라고 할 수 있음(소방방재

청 2008). 일반적인 응급의료서비스에서 병원 전 및 이송단계는 1) 환자 발생 시

구급차 출동 2) 현장 처치 3) 최단 거리 구급차 이송 등을 근간으로 운영되고 있

음. 반면에 외상환자에 대한 병원 전 및 이송 단계 외상체계는 그 중증도에 따라

다르게 반응해야만 환자 소생율을 높일 수 있음. 즉 1) 일반 경증 환자는 응급의

료서비스체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급차가 이송을 담당 2) 중등도 외상 환자는

구급차 이송을 기본으로 하되 Level 2 외상 센터가 적정 거리(30Km) 이상일 경

우 헬기 이송 등을 고려 3) 중증 외상 환자는 권역별 Level 1 외상센터로 이송을

기본으로 하되, 구급차 이송으로 30Km 이상의 거리일 경우 헬기 이송을 근간으

로 서비스를 제공함.

○ 외상환자 이송은 병원단계 치료가 최단시간 내에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

으므로 환자 이송은 적절하게 관리되고 통제되어야만 최적 시간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음. 특히 중증 외상환자는 발생한 현장에서 혹은 일차로 이송된 병원에서

Level 1 혹은 Level 2 외상센터로 신속하게 이송되어야 하기 때문에 헬기를 이용

한 효율적인 이송 체계를 구축하여야 함.

Page 23: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11 -

○ 이를 위한 외상 환자 이송 체계로서, 이송 수단 (구급차 및 헬기), 이송 인력 (구

조사, 간호사, 의사, 운전 인력), 이송 센터 (이송 무선 통신, 상황실 구조 및 인

력, 기능), 외상 환자 이송 지침 및 프로토콜 등을 제시함.

○ 외상 치료 시설 및 이송체계의 역할 기능 구조 개발을 위해서 국내외 자료에 대

한 문헌 고찰을 수행하고 이를 통하여 핵심적인 구성 요소에 대한 역할, 기능, 구

조를 정의함.

○ 외상 치료 시설 및 이송체계의 역할 기능 구조에 대하여 전문가들의 견해를 수집

하기 위하여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고 이를 근거로 전문가 자문회의를 수행함.

○ 외국 (미국 및 일본)의 외상 진료체계를 견학하여, 외상 치료 시설 및 이송체계의

역할 기능 구조의 특성, 국내 기반의 장단점 등을 파악함으로써 외국의 경험을

벤치마킹하도록 함.

라. 권역 외상센터 구축의 사회적 비용-편익 분석

1) 비용분석

○ 권역 외상센터 모델링에 따른 건축 규모를 추정하고 비용 산출에 관련한 항목을

분석하여 연도별 투자 내역에 따른 전체 비용을 추산함. 또한 이송 센터 구축과

유지에 필요한 비용을 계산함.

2) 편익분석

○ 권역외상센터 건립으로 인한 사회적 편익을 직접적 편익, 간접적 편익으로 나누어

추산하고 예방 가능한 사망을 줄임으로써 발생하는 조기사망 예방으로 인한 편익

을 추계함.

3) 경제성 분석

○ 추산된 총 편익과 비용을 바탕으로 비용-편익 분석(Cost-Benefit Ratio)을 시행하

여 권역외상센터 설립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함.

Page 24: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12 -

구분 Level 1 Level 2 Level 3

명칭 권역외상센터 외상특성화센터 일차외상센터

지역 6개 권역 41개 지역 400 개 응급센터

중증도 중증 중등도 경증

기능 중증외상환자 최종진료 중등도외상 최종진료 경증외상 최종진료

헬기이송체계 운영

전문인력 양성

전담 진료 외상 응급진료 외상 응급진료 외상응급진료

심장 외상 진료 뇌손상 진료 사지손상

대혈관 외상 진료 흉부 손상(혈관제외) 일반마취

뇌손상 진료 복부 손상

척추 손상 진료 골반 손상

흉부 손상(혈관제외) 사지 손상

복부 손상 일반 마취

골반 손상

사지 손상

성인 마취

소아 마취

호출 진료 구강 안면 손상

안구 및 귀 손상

비뇨기생식기 손상

초기 재활

정신 치료

시설 외상 응급 진료구역 일반 응급진료 구역 일반응급진료구역

수술실 5개 이상 수술실 1실

중환자실 50개 이상

병실 160개 이상

장비 혈관조영촬영장비 CT

MRI

CT

이송 외상전용 전문 헬기 2대 헬기착륙시설

이송관제시설

헬기착륙시설

헬기관리시설

교육 외상전문의 교육수련 외상간호사 교육수련

외상간호사 교육수련 외상전문구조사 교육수련

외상전문구조사 교육수련

표 3. 외상센터 등급별 특성과 기준

4. 연구 결과

가. 외상진료체계 및 수요

1) 우리나라 외상진료 단계별 특성과 기준

○ 우리나라 외상진료 단계별 특성과 기준은 다음과 같음.

Page 25: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13 -

○ 이중에서 외상 특성화 센터 및 일반응급의료센터는 기존 응급의료체계의 기능과 구

조를 외상진료체계 포함하고 있으므로 주된 구축대상은 권역별 외상센터임. 권역 외

상센터 (LEVEL 1)의 권역별 구분은 외상진료체계의 포괄 인구집단 규모, 지역적 접

근성, 행정적 통합성, 관리운영의 효율성 등을 기반으로 나누며 예상되는 권역 구분

은 다음과 같음.

- 북부수도권 (서울경기북부강원)

- 남부수도권 (인천경기남부)

- 충청권 (대전충남충북)

- 호남권 (광주전남전북제주)

- 북부영남권 (대구울산경북)

- 남부영남권 (부산경남권)

○ 권역외상센터 기능, 인력, 시설, 장비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 기준은 다음과 같음(표

4).

Page 26: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14 -

구분 권역 외상 센터 기준

명칭 권역외상센터

지역 6개 권역 6개 권역에 구축

기능 중증외상환자 최종진료센터당 중증외상 연간 1500명 이상-4500명

센터당 전체 외상환자 20000명 이상-50000명

헬기이송체계 운영 센터당 연평균 1500명 이상

전문인력 양성 연간 외상외과(의학과) 전문의 5명*6개 센터=30명

전담 진료 외상 응급진료 응급의학과 4명

심장 외상 진료심장혈관외과 2명

대혈관 외상 진료

뇌손상 진료 신경외과 4명

척추 손상 진료 정형외과 2명

흉부 손상(혈관제외)

외상외과 8명복부 손상

골반 손상

사지 손상 정형외과 2명

성인 마취 성인 마취과 2명

소아 마취 소아 마취과 2명

호출 진료 구강 안면 손상 성형외과 1명, 구강외과 1명

안구 및 귀 손상 안과 1명, 이비인후과 1명

비뇨기생식기 손상 비뇨기과 1명

초기 재활 재활의학과 2명

정신 치료 정신과 1명

시설 외상 응급 진료구역 최소 면적 1,150 (m2)

수술실 5개 이상 최소 면적 600 (m2)

중환자실 50병상 이상 최소 면적 760 (m2)

병실 160병상 이상 최소 면적 2,880 (m2)

공급실 등 지원 시설 최소 면적 880 (m2)

장비 혈관조영촬영장비 2대

MRI 1대

CT 2대

이송 외상전용 전문 헬기 2대

이송관제시설 1실

헬기착륙시설 1실 (40m*40m)

헬기관리시설 전문업체에 위탁

교육 외상전문의 교육수련 외상세부전문의 수련

외상간호사 교육수련

외상전문구조사 교육수련

표 4. 외상치료단계별 특성과 기준

Page 27: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15 -

2) 외상 진료의 지역별 수요 분석

가) 중증 및 중등도 외상 환자 수요 산출

○ 중증환자 추계: 2007년 응급실 환자 자료를 기초로 국내에서 발생 가능할 것으로 예

측되는 외상환자 중 중증 외상환자 규모는 다음과 같음.

- 응급센터에서 진료한 외상환자는 125,207명

○ 중등도 환자 추계: 2007년 응급실 환자 자료를 기초로 국내에서 발생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는 외상환자 중 중증 외상환자 규모는 다음과 같음.

- 응급센터에서 진료한 외상환자는 488,185명

○ 따라서 권역 외상센터 및 지역별 외상 특성화 센터를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는 중등

도 이상의 대상 환자 수는 약 6`13,392명(중증 125,207명+488,185명)으로 추정됨. 그러

나 이 수치는 2007년 발생 수가 그대로 미래에도 발생할 것이라는 가정아래 산출된

것이며, 실제는 매년 상당한 정도의 비율 (약 5%)로 외상환자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

에 전체 환자 수요 추정은 매우 보수적이라고 할 수 있음.

Page 28: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16 -

자료원 및 권역

전체외상환자경증

(1=<ISS<8)

중등도

(8=<ISS<25)

중증

(ISS>=25)

인구

(2005년)

전체 사망 전체 사망 전체 사망 전체 사망

N N % N N % N N % N N % N %

2007년 건강보험자료 중 응급실 이용자료

전체 1,152,428 28,359 2.5 539,036 4,454 0.8 488,185 13,234 2.7 125,207 10,671 8.5 48,138,077 100.0

서울,인천,경기,강원 600,756 11,533 1.9 279,960 1,913 0.7 259,620 5,586 2.2 61,176 4,034 6.6 24,690,500 51.3

-서울,경기북부,강원 410,940 7,948 1.9 190,872 1,317 0.7 177,608 3,841 2.2 42,460 2,790 6.6 16,805,917 34.9

-인천,경기남부 189,816 3,586 1.9 89,087 595 0.7 82,012 1,746 2.1 18,717 1,245 6.6 7,884,588 16.4

대전,충청 121,723 3,946 3.2 57,260 653 1.1 49,707 1,811 3.6 14,756 1,482 10.0 4,870,980 10.1

광주,전라,제주 163,589 4,973 3.0 78,192 757 1.0 67,578 2,286 3.4 17,819 1,930 10.8 5,654,244 11.7

대구,경상,부산,울산 266,360 7,907 3.0 123,624 1,131 0.9 111,280 3,551 3.2 31,456 3,225 10.3 12,922,344 26.8

-대구,울산,경북 140,812 4,163 3.0 64,244 611 1.0 60,178 1,927 3.2 16,390 1,625 9.9 6,228,065 12.9

-부산,경남 125,548 3,744 3.0 59,380 520 0.9 51,102 1,624 3.2 15,066 1,600 10.6 6,694,279 13.9

표 5. 권역별 대상 인구 및 중증 외상환자 발생 규모

Page 29: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17 -

나) 권역외상센터 예상 진료 능력

○ 실제 발생하는 환자수와 관계없이 권역별 외상센터가 얼마나 환자를 진료할 수 있는

지 진료 능력에 대해서는 국내 자료가 없음. 따라서 권역 외상센터가 진료할 수 있

는 환자 수를 외국에서 치료한 사례를 통하여 그 비율을 적용하였음. 이때 전제는

- 외상센터의 인력, 시설, 장비 등 규모가 비슷하고

- 해당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외상 발생율 (Incidence) 가 비슷하고

- 이중 비슷한 비율로 중증 외상환자가 LEVEL 1 외상센터를 방문하여 진료한다는 것

을 기본적인 가정으로 하고 있음.

○ 미국의 경우를 기준으로 살펴볼 때, 국가 외상 환자 등록 데이터 은행(National

Trauma Data Bank, NTDB)에 따르면 총 3억 3백 만 명 인구 중 등록된 외상 환자

진료 실적은 연간 627,664명 (2008년) 으로 전체 인구의 약 2.1%에 해당함. 이 중 중

증 외상 (ISS>=25)은 5.3%, 중등도 외상 (8=<ISS<25) 환자는 38.3%정도임. 즉 이는

미국 외상체계가 연간 치료하는 중등도 이상 환자 비율(43.6%)라고 할 수 있음.

    N %

외상센터 level 1 186  

level 2 192

  level 3 이하 146  

전체 인구, 미국 303,000,000  

외상환자 전체 627,664 100.0

중증도 지수 (ISS) 1~8 310,902 49.5

9~15 154,687 24.6

16~24 85,684 13.7

>24 33,417 5.3

  미상 42,974 6.8

치명율 25,747 4.1

표 6. 미국 외상센터 진료 능력 (National Trauma Data Bank, 2009)

○ 미국 플로리다 주의 통계에 의거한 자료에 따르면, 2006년 현재 총 1,810만 여명의

인구 대비 7개의 level 1 외상 센터가 존재함. 각 센터는 630~1,550 병상을 갖추고

있으며 각각 적게는 연간 2,360명, 많게는 4,600여명의 외상 환자 치료를 담당하고

있음. 2006년 총 41,144 명의 외상 환자가 발생하였으며 이중 LEVEL 1 외상 센터에

서 치료를 담당한 환자는 22,023명 (53.5%) 이었음. 병원별 평균 3,146명의 외상환자

를 진료하였으며, 이 중 중증 이상 비율을 적용하면 1,370명 정도에게 진료를 제공하

고 있음.

Page 30: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18 -

구분권역외상센터

중증외상 중등도 외상

전체 진료 예측 전체 진료 예측

N n n % n %

2007년 건강보험자료 중 응급실 이용자료

전체 6 125,207 9000 7.2 488185 120000 24.6

서울,인천,경기,강원 2 61,176 3000 4.9 259620 40000 15.4

-서울,경기북부,강원 1 42,460 1500 3.5 177608 20000 11.3

-인천,경기남부 1 18,717 1500 8.0 82012 20000 24.4

대전,충청 1 14,756 1500 10.2 49707 20000 40.2

광주,전라,제주 1 17,819 1500 8.4 67578 20000 29.6

대구,경상,부산,울산 2 31,456 3000 9.5 111280 40000 35.9

-대구,울산,경북 1 16,390 1500 9.2 60178 20000 33.2

-부산,경남 1 15,066 1500 10.0 51102 20000 39.1

표 8. 외상 센터 중증도별 진료 능력 예측

외상센터 이름 병상 수 ICU 환자 수

Broward General Medical Center 716 2,363

Jackson Memorial Hospital Ryder Trauma center 1,550 >4,000

Memorial Regional Hospital 684 >100

Orlando Regional Medical Center 1,025 4,589

Shands at the University of Florida 630 142 2,416

Shands Jacksonville Medical Center 695 3,914

Tampa General Hospital 877 2,600

표 7. 플로리다 주 외상센터 진료 실적

(Florida's Trauma System. 2006 Annual Report. Florida Dept. of Health)

○ 우리나라 권역 외상센터가 제공할 진료 가능 환자 수를 외국 자료에 기대어 추정하

였음. 2007년 보험 자료는 응급실을 이용한 모든 외상환자를 포함하였음. 이들 환자

가 그대로 발생한다는 가정아래

- 연간 한 개의 권역센터를 이용하는 중등도 이상 외상환자 신환 수는 평균 21,500명으

로 추정하였음. 이중 중증 외상 (ISS>=25)는 1,500명으로 추정하였음. 중등도 외상

(8<=ISS<25)는 20,000명으로 추정하였음.

- 중증 외상환자는 6개 센터가 전국 전체로는 약 9,000여명에게 진료를 제공하며, 이는

응급실 자료를 기준으로 할 경우 7.2%의 중증 외상환자에게 진료가 제공될 수 있음

을 의미함.

- 중등도 외상환자의 경우 연간 6개 센터에서 120,000명을 진료하며, 이는 응급실을 방

문한 외상환자를 대상으로 할 경우 24.6%를 담당하게 되는 수치임.

- 최종적으로 6개 권역에서 담당할 것으로 예측한 환자 수는 129,000명이고, 이는 전체

중등도 이상의 응급실 방문 외상 환자 613,392명을 기준으로 22.0%를 차지함.

Page 31: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19 -

다) 권역외상센터 예방 가능 사망률에 따른 예방 가능 사망 수

○ 6개 권역별 외상센터의 건립과 외상체계 구축을 통하여 외상환자 사망 중 예방 가능

한 환자 수를 산출하였음. 예방가능 사망률은 기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산출하였음

- 기존 연구에서 우리나라의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은 1997년에 50.4%, 2002년에

39.6%, 2007년에 32.6%였음.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도별 예방 가능 사망률을 예측하

였음. 그 결과 응급의료서비스 발전을 기반으로 예측되는 예방 가능 사망률은 2014년

을 기점으로 더 이상 줄어들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

- 외상진료체계 구축을 통하여 10%의 예방가능사망률을 정책목표로 제시하였음. 이는

level 1 외상센터에서 제시되는 예방가능 사망률의 평균값을 근거로 산출하였음. 또한

2014년부터 3년간 권역외상센터가 연간 2개씩 운영을 시작한다고 할 때, 실제적인 예

방 가능한 사망률 감소 효과는 1년이 지난 후 발생한다고 가정함. 따라서 2015년에

2개 외상센터의 예방가능 사망률이 10%로 감소하고, 2016년에 추가로 2개 외상센터

의 예방 가능한 사망률이 10% 감소하고 이어서 2017년에 마지막 2개 외상센터의 예

방 가능한 사망률이 10% 감소한다고 가정하여 2017년에 전체 예방가능 사망률이

10%로 감소하여 이후 계속 유지된다고 가정하였음.

년도 ‘97 ‘02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사망률(기존) 50.4 39.6 32.6

추세선 적용 50.4 39.6 32.6 31.7 30.9 30.2 29.7 29.4 29.2 29.2 29.3 29.6 30.0 30.6 31.3 32.2

추계(기존) 29 29 29 29 29 29 29

추계(외상센터) 29 22.7 16.3 10 10 10 10

표 9. 외상센터 예방가능 사망률 추계

○ 6개 권역에서 담당할 것으로 예측한 환자 수는 129,000명이고, 이는 전체 중등도 이

상 환자가 응급실 방문 환자 613,392명을 기준으로 22.0%를 차지함.

- 6개 외상센터가 연간 129,000명의 중등도 이상의 환자를 진료한다고 할 때, 예방가능

비율 목표치인 2020년 10%를 달성한다면 해당 기간 동안(2020년까지) 응급환자 기준

으로는 6,002명의 예방가능 환자를 생존시키는 중기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 만약 이

예방 가능 사망률을 유지한다면 2015-2045년까지 30년 동안 생존 이득은 35,953명으

로 산출됨.

Page 32: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20 -

연도

외상체계 도입 전 외상체계 도입 후총 예방가능

사망환자

(응급환자 기준)

(N=613,392

사망환자수=28,359)

예방가능

사망비율

예측 값

외상센터 (6개소)

예방가능사망환자

(22.0% 담당)

(N=129,000

사망환자수=6,239)

예방가능

사망비율

정책목표

예방가능

사망환자생존이득

28,359 6,239 6,239

2010 8,575 0.302 1,884 0.302 1,884

2011 8,433 0.297 1,853 0.297 1,853

2012 8,348 0.294 1,834 0.294 1,834

2013 8,291 0.292 1,822 0.292 1,822

2014 8,291 0.292 1,822 0.292 1,822

2015 8,291 0.292 1,822 0.227 1,416 406

2016 8,291 0.292 1,822 0.163 1,017 805

2017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18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19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20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중기 2015-2020년 6,002

2010 8,575 0.302 1,884 0.302 1,884

2011 8,433 0.297 1,853 0.297 1,853

2012 8,348 0.294 1,834 0.294 1,834

2013 8,291 0.292 1,822 0.292 1,822

2014 8,291 0.292 1,822 0.292 1,822

2015 8,291 0.292 1,822 0.227 1,416 406

2016 8,291 0.292 1,822 0.163 1,017 805

2017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18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19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20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21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22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23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24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25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26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27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28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29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30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31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32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33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34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35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36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37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표 10. 외상체계 도입에 따른 중장기 생존 이득

Page 33: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21 -

구 분 주요 기능 공간

외상 소생

진료 구역

소생/처치/관찰 구역

소생실

처치실

관찰 병상

격리실 등

간호/지원 구역

간호사실

의사 당직실

화장실

보호자대기실 등

영상의학검사 구역

일반촬영실

투시촬영실

판독실

전산화단층촬영실

혈관조영실

자기공명영상촬영실

의사실

갱의실 등

병리 및 기타 검사 구역

접수/사무실

응급검사실

혈액은행

의사실

수술구역 수술 및 시술 구역 준비실

표 11. 시설 기준

2038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39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40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41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42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43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44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2045 8,291 0.292 1,822 0.100 624 1,198

장기 2015-2045년 35,953

나. 외상진료체계 운영 모델

1) 병원단계 - 권역 외상센터

가) 시설 기준

Page 34: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22 -

수술실

간호사실

갱의실

회복실

의사실

보호자 대기실 등

병동구역

일반 병동 구역

병실(1인실, 4인실)

간호사실

의사 당직실

소독물실 등

중환자실 구역

중환자실

간호사실

갱의실

보호자 대기실 등

서비스 및 지원 구역

약국

물품창고

중앙공급실

기계실 등

행정사무 및 편의시설 구역

센터장실

행정사무실

간호과실

회의실

의무기록실

편의시설 등

Page 35: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23 -

나) 인력 기준

(1) 전문의 인력

진료과 전문의 진료영역 및 근무파트근무

형태비고

외상의학과GS,TS 6 응급실/응급외상수술실/중환

자실/외상병동/외상외래전담

EM 6

정형외과 2 정규외상수술/외상외래 전담

본원근무에 투입되지

않는 외상센터 전담

근무 필수

내과 2 중환자실/외상병동 전담

호흡기내과 또는 신

장내과 전문의로

consult 전담

신경외과 2응급외상수술/외상외래/진료

자문전담

본원근무에 투입되지

않는 외상센터 전담

근무 필수

마취통증의학

과3 외상수술실 전담

영상의학과 2방사선구역-혈관조영술/판독/

진료자문전담

24시간 중재술이 가

능해야 함.

재활의학과 1외상환자 초기재활

치료계획전담

응원 진료과

성형외과 1 안면손상 & 피부이식 호출

구강외과 1 구강안면손상 호출

안과 1 안구 및 안와 손상 호출

이비인후과 1 목, 귀, 인후 손상 호출

비뇨기과 1 비뇨생식계손상 호출

산부인과 1 산과,부인과 손상 호출

정신과 1외상입원환자 자문 및 외래

진료자문

소아과 1 호출

표 12. 전문의 인력

Page 36: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24 -

○ 응급수술이 필요치 않은 환자 (70~80%)

1) 외상의학과 전문의가 직접 3시간내 입,퇴원 결정

2) 외상중환자인 경우 소생처치 후 외상중환자실(TICU) 당직전문의에게 환자 인계

3) Further evaluation이 필요한 환자의 경우 외상입원병동으로 바로 입원하여 진행

○ 응급수술이 필요한 경우 (20%)

1) 외상의학과 내에서 가능한 수술인 경우 외상의학과에서 시행

2) 외상센터 내 전담 진료과 이외의 응급수술이 필요한 경우, 해당과 당직전문의 call

→ 외상의학과 외과 의료진이 환자 활력증후 유지 및 수술준비

→ 해당외과 의료진이 도착하면 협진 및 수술

○ 상기 인원은 최소 인력기준으로 외상센터 Elective OP를 할 경우

- 각과에서 필요한 인력은 본원에서 지원받아서 진행

○ 중재술 - 영상의학과에서 파견근무 + 당직호출을 통해서 24시간 가능하도록 함.

○ 수술마취 - 마취통증의학과 파견근무 + 당직호출 등을 통해 응급수술 100% 가능

해야함. (마취과와 협의필요)

- 외상환자에서 특히, 중증환자의 경우 여러 임상과의 분야에 해당하는 외상이 복합적

으로 동반되어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에 대하여 전체적인 판단과 처치, 입원 및 수술

등을 조율을 담당할 의료진이 필요하므로, 이의 전담을 위해서는 외상의학과의 독립

이 필요함.

진료과 인원 근무형태

흉부외과, 외과 각 2인 이상 상주

응급의학과 2인 이상 상주

정형외과 2인 이상 상주 & 호출

신경외과 2인 상주 & 호출

기타 응원진료과 1인 호출

표 13. 외상센터 전공의 또는 PA 근무인력

- 흉부외과, 외과, 응급의학과 전공의는 외상의학과 전문의와 함께 24시간 외상센터 응

급실 근무를 담당하며 필요한 외상관련 진료과 호출 및 협진의뢰를 맡음.

Page 37: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25 -

- 흉부외과 및 외과 전공의는 수술에 함께 참여하고, 응급의학과 전공의는 외상진료구

역과 외상 중환자실의 중증 환자 진료를 도움. 정형외과 전공의는 외상 센터를 내원

하는 모든 정형외과 환자를 관리함.

- 파견 전공의 확보가 불가능한 경우 전공의 수준의 일반의, 혹은 PA 확보 필요.

(2) 간호인력

① 외상소생 진료구역

- 10 ÷ 0.62(간호2등급) = 17 (16.12)

- 관리 및 행정 : 1명

② 중환자실

- 50 ÷ 0.62(간호2등급)= 81 (80.6)

- 관리 및 운영 : 3명 (3 units)

③ 수술실(5실)

- 5x3 + 6명 + 1명 = 22명

- 응급수술실 1실 당 3명 : 15명

- 회복실 : 6명

- 관리 및 행정 : 1명

④ 일반 병동 (160병상) - 3등급(2.99)

- 160 ÷ 2.99 = 53.5명

- UM : 5명

⑤ 외상센터 간호조무사

- 3 + 3 + 3 + 6 = 12명

⑥ Orderly - 환자이동 및 물품운반

- 5 + 5 + 3 + 1 = 14명

○ 응급구조사 12명 - 의료보조

Page 38: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26 -

1. 외상진료구역 장비

품목 수량 비고

환자 감시 장치 10 병상수에 비례

이동형 외상환자침대 3

초음파검사기 1 심장초음파 가능

제세동기 2

인공호흡기 5

Trauma Stretcher 10 높낮이 조절가능

심부 저체온 유도장치 1

비침습적 심박출량 감시장치 1

체외순환기 1

급속 혈액 가온기 2

이동형 제세동기 3

기구소독기 1

약물주입기(infusion&syringe) 40 각 20대 이상

CRRT 1

Electrosurgical unit 1

무영등 2

중앙환자감시시스템 1

Overhead system

이동형 환자 감시 장치 4

기관삽관연성경 & 영상장치 1 경추 고정상태로 기관삽관 보조

2. 외상수술실 (5실)†

무영등 5

수술대 5

마취기 5

ECMO 2 2실이상 필요

급속혈액주입기 1

환자감시장치 5

CRRT 1

Electrosurgical unit 5

표 14. 구역별 장비 상세 내역

다) 장비 기준

Page 39: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27 -

C-arm 2 2실이상 필요

제세동기 1

체외순환기 2 2실이상 필요

Cell saver 2 2실이상 필요

3. 외상중환자실 장비 (50병상)‡

환자감시장치(patient monitor) 50

중환자용 전동침대(SCLE) 50

초음파검사기 1 심장초음파 가능

제세동기 6

인공호흡기 50

심부저체온유도장치 2

비침습적심박출량감시장치 3

체외순환기 2

급속혈액가온주입기 3

체온조절장치 6

이동용 인공호흡기 3

약물주입기(infusion&syringe) 200 1병상 당 4대 이상

CRRT 10

흉벽진동기 6

중앙환자감시시스템 3

이동형환자감시장치 6

레일시스템 1

4. 방사선 장비

품목 수량 비고

혈관조영장치 2

CT 촬영기* 2

일반 X-선 촬영기 1 CRDR겸용

Portable X-선 촬영기 1

C-arm 1

MRI 1

Page 40: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28 -

†외상수술실은 1실 기본 사양이며 5실인 경우 배수 적용함. 단 체외순환기, ECMO,

C-Arm, Cell Saver 등은 2실 정도에만 둘 수 있음.

‡외상중환자실 50병상은 감염전파방지를 위해 3개 unit로 구분

* MDCT의 경우 Whole body CT를 찍는 경우 약 10~ 15분가량 소요되므로 24시간에

96건 이상 촬영이 가능함. 중증 및 중등도 환자가 10000명 정도 내원하는 것으로 추

정하여 일당 검사 수는 27건 가량으로 예상되며 경증과 응급병동환자를 포함하여도

일평균 100건 이하로 예상됨. 중증 및 중등도 환자 수에 따라 대수를 증가시킬 필요

가 있음.

2) 병원 전 이송단계 (헬기, 권역외상 이송센터)

가) 헬기 기반 이송

(1) 권역별 외상센터 헬기 이송모형

○ 센터 당 헬기 대수

- 미국 메릴랜드 주의 경우 8개의 헬기 출동센터에 총 12대의 헬기를 운영하고 있음.

- 일본 오사카는 소방 소속 2대, 오사카 대학병원의 의사탑승 헬기 1대를 운영함.

- 권역 외상센터 1개소 당 2대의 헬기를 운영하는 것을 가정으로 모델링 수행함.

○ 이송센터 운영 인력

- 헬기 운영 인력은 의사, 간호사, 구조사, 조종사, 관제사, 정비사로 구성됨. 이중 의료

인력은 독일-오사카 모형(모형-1: 의사 1명, 전문 구조사(간호사) 1명, 부조종사 1명,

조종사 1명), 국내합의모형(모형 2: 의사 1명, 전문 구조사 1명, 조종사 1명), 미국 메

릴랜드 모형(모형 3: 전문 구조사 1명, 조종사 1명)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음.

- 국내 합의 모형은 ‘병원전 응급의료 기반 강화 연구(소방방재청, 2009)’ 중 응급환자를

위한 항공이송 인력에 관한 전문가 조사결과 도출된 모형임.

- 국내 합의 모형에 기초한 이송 센터에 필요한 인력은 근무 교대를 고려하여 의사 4

명, 간호사 8명, 전문 구조사 8명, 조종사 4명, 관제사 4명으로 고려함.

○ 헬기에 탑재할 구조 및 응급처치 장비

- 현재 소방헬기에 탑재되어 있는 구급장비는 아래와 같음.

Page 41: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29 -

구분 내용

장비

구인두기도기, 비인두기도기, 후두경세트, 기도삽관용튜브세트, 후두마스크, 호기말

Co₂측정기, 백밸브마스크세트, 포켓마스크, 자동식 산소소생기, 충전식흡인기,

자동제세동기, 심전도 감시기, 지혈대, 산소포화도측정기, 쇼크방지용하의, 혈압계, 체온계,

경추보호대, 머리고정대, 긴 척추고정판, 구출고정장치, 화상용시트 등을 각 지역

항공구조대별로 필요에 따라 탑재

약물

약물탑재에 관한 규정 없으며 포도당, 흡입용 기관지확장제, 생리식염수, 리도카인,

아트로핀, 비마약성 진통제, 항히스타민제, 정맥주사세트 등을 각 지역 항공구대대별로

필요에 따라 탑재하여 출동하며 약물을 전혀 탑재시키지 않는 항공구조대도 있음.

표 15. 소방운영 헬기의 항공이송 탑재 장비 및 약품

구분 내용

장비

심장모니터, 제세동기, 정맥내 투여장비, 수액, 호흡기 및 벤틸레이터, 경구 기도기, 미연방

항공국이 승인한 스트레쳐, 산소전달에 필요한 조절기와 게이지가 달린 산소투여세트, 수동

백밸브 마스크 소생기, 휴대용 흡인장치, 혈압측정기, 동맥혈 산소측정기, 혈당측정기, 약품상자

표 17. 미국의 항공이송 탑재 장비 및 약품

구분 내용

장비

구인두기도기, 비인두기도기, 후두경세트, 기도삽관용튜브세트, 후두마스크, 호기말 Co₂측정기,

백밸브마스크세트, 포켓마스크, 자동식 산소소생기, 충전식흡인기, 자동제세동기, 심전도 감시기,

지혈대, 산소포화도측정기, 쇼크방지용하의, 혈압계, 체온계, 경추보호대, 머리고정대, 긴

척추고정판, 구출고정장치, 화상용시트 등을 각 지역 항공구조대별로 필요에 따라 탑재

약물

약물탑재에 관한 규정 없으며 포도당, 흡입용 기관지확장제, 생리식염수, 리도카인, 아트로핀,

비마약성 진통제, 항히스타민제, 정맥주사세트 등을 각 지역 항공구대대별로 필요에 따라

탑재하여 출동하며 약물을 전혀 탑재시키지 않는 항공구조대도 있음.

표 16. 소방운영 헬기의 항공이송 탑재 장비 및 약품

○ 헬기에 탑재할 구조 및 응급처치 장비

- 현재 소방헬기에 탑재되어 있는 구급장비는 아래와 같음.

- 미국, 독일과 국내에서 운영 중인 구급헬리콥터에 탑재하는 장비와 약물을 아래 표와

같음.

Page 42: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30 -

약물

진통제, 항구토제, 항협심증제, 항정신병약, 항불안제, 항분비제, 항부정맥제, 벤조다이아제핀,

항벤조다이아제핀, 베타차단제, 항콜린제, 기관지확장제, 항응고제, 이뇨제, 항경련제, 거담제,

지사제, 진정제,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항고혈압제

구분 내용

장비

의료장비 : 흡인기, 환자용 산소공급장치, 승무원용 산소공급장치, 의료용 광원, 110V 및 220V

의료용 전원, 기내의 온도조절을 위한 에어컨디셔너, 통신을 위한 헤드세트 등

탈착가능 이동형 장비 : 산소포화도, 심전도, 혈압, 호기말 이산화탄소농도 등의 감시가 가능한

모니터, 인공호흡기, 체외심박조율이 가능한 제세동기, 정맥주입펌프 등

의료기구 : 기도확보를 위한 구인도 기도유지기, 산소투여를 위한 마스크, 기관내 삽관을 위한

후두경과 튜브, 백밸브마스크, 중심정맥삽관세트, 수액공급 및 투약에 필요한 기구 등

약물에피네프린, 아트로핀, 리도카인, 아데노신 등의 심폐소생술용 약제, 진통진경제, 도파민 등의

혈압상승제등의 약제와 의료기구는 지정된 가방에 넣어 출동시 휴대.

표 19. 국내 민간운영 헬기의 항공이송 탑재 장비 및 약품

구분 내용

장비

basic first aid kit, dressings and bandages, gurney and blankets, flexible stretcher (Reeves

stretcher), rigid or collapsible transport chair, mobile medical ventilator, basic diagnostic

equipment (like blood-pressure cuffs), portable defibrillator, ECC monitor, rescue equipment,

immobilization equipment (cervical collars or spine board), equipment for intravenous therapy

약물 emergency care drug and medication

표 18. 독일의 항공이송 탑재 장비 및 약품

- 중증 외상환자를 현장에서부터 구조 및 응급처치 할 것을 고려하면 이동형 초음파기,

갑상윤상골 절개 장비 및 흉관삽관장비 등의 추가를 고려해볼 수 있음.

○ 탑승인력의 수준에 따라 현재 소방헬기의 장비(A type), 선진국 및 국내 민간 헬기

(type B), 추가외상진단처치 장비(type C)형으로 구분해 볼 수 있음.

○ 탑승 인력과 수준에 따라 6가지 수준이 가능함.

Page 43: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31 -

Level I II III IV V VI

인력 모형 1 모형 1 모형 2 모형 2 모형 3 모형 3

장비 type C type B type C type B type B type A

표 20. 소방 헬기 모형

(2) 구급 헬기의 반응 시간 및 속도

○ 구급 헬기의 반응 시간은 헬기의 종류 및 주행 경로에 따라 밀접한 관계가 있음.

○ 구급 헬기의 종류는, 향후 도입하는 모델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현재 운용중인 헬기를 그 기준으로 함. 현재 국내에는 16개 항공대대에서 26대, 9

개 기종을 사용하고 있음. 그 중에서 프랑스 유로콥터사의 AS365 기종이 8대 [그

림 2], 일본 카와사키사의 BK117이 7대 [그림 3],러시아 카모프사의 KA32가 4대

9 [그림 4] 순서로 운용중에 있음. 기타 미국 벨 사의 Bell430 등 여러 종류의 헬

기가 있음.

○ 현재 보유중인 헬기의 평균 순항 속도는 약 200km/h~ 280km/h 정도이며, 최대

속도는 이의 약 1.5배에 달함. 본 연구에는 순항 속도를 3km/min 즉 180km/h로

하향해서 정하였고, 이는 날씨, 계절, 지형, 현장 상황 등에 의해 지체되는 시간을

감안하기 위함임.

Page 44: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32 -

그림 2. 프랑스 유로콥터사의 AS665 (엔진 1700마력, 최대 탑승 인원 14명)

그림 3. 일본 카와사키사의 BK117 (엔진 1100마력, 최대 탑승인원 10명)

Page 45: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33 -

그림 4. 러시아 카모프사의 KA32 (엔진 4400마력, 최대 탑승인원 15명)

○ 구급 헬기의 출동 시에 출동 요청으로부터 헬기가 출동하기까지는 6분, 현장에서

환자를 수습하여 출발하는 데는 8분, 그리고 대상 병원에 착륙하여 환자를 응급

실까지 인도하는데 6분을 적용함. 일본과 미국 등의 예를 보았을 때 실제 적용한

시간보다 적은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오지만, 구급 헬기의 운용 시스템이 아직

미숙한 국내 상황을 감안하여 보수적으로 수치를 결정함.

○ 구급 헬기의 경로는 권역외상센터를 기지로 하여 이송 요청이 발생한 곳으로 출

동한 이후 해당 외상센터로 돌아오는 것으로 하기로 함.

○ 구급 헬기의 경로는, 환자, 헬리포트, 병원을 직선거리로 운항한다고 가정함. 국내

에 비행하는 항공기는 모두 항공법에 따라 항로를 따라 운항하여야 하나, 2008년

도 개정된 항공법에 의해 구급 헬기는 긴급 항공기로서 적용 받아. 운항 절차, 이

착륙 장소, 운항 고도에 있어서 특례를 받지 않고, 특별 사용 공역의 출입이 가능

하기 때문임. [그림 5] 참조.

Page 46: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34 -

그림 5. 대한민국 영공 (P비행금지구역, R비행제한구역, CATA훈련구역,

MOA군작전구역, D위험구역, A경계구역. 실선은 고고도항공기의

항로를 의미)

(가) 이송 환자 수요 산출을 위한 자료원의 구축

○ 2007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 1년간의 강원, 경기, 경남, 경북, 광주,

대구, 대전, 부산, 서울, 울산, 인천, 전남, 전북, 제주, 충남, 충북 전국 16개 시도

지역의 구급활동일지 자료를 수집함.

○ 구급활동일지의 자료는 각 시도 소방재난본부에 구축되어 있는 '소방 긴급 구조

활동 정보 관리보고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환자의 인구사회학적 정보

및 주증상, 환자의 발생위치, 반응시간, 신고~귀소시간(turn around time) 등의 항

목을 이용하였음.

○ 2007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 1년간의 전국 응급의료센터 중에서

NEDIS (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에 자료를 전송하

는 전국 110개 병원의 자료를 수집하였음.

Page 47: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35 -

○ NEDIS 자료에 포함된 인구학적 자료, 주증상, 주진단명, 내원 당시 활력 징후와

내원 경로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환자 선정의 기준으로 삼았음.

○ 이송 대상 병원으로는, 중앙 응급의료센터에서 지정한 권역 응급의료센터 및 지역

응급의료센터 및, 2009년 5월 현재 중증외상 특성화 센터로 지정, 혹은 후보로 지

정된 41개 병원을 그 대상으로 하였고, 각각의 주소 정보를 파악하였음.

○ 소방의 구급 활동 기록지를 통하여 얻은 데이터는 2007년 1,218,688명이며, 이 중

심각한 중증 손상 환자로 분류된 환자는 82,364명임.

(나) 이송 환자 수요 산출을 위한 자료원의 가공

○ 환자의 발생위치와 병원의 위치를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x, y 좌표를 갖는 벡터

데이터로 가공하였음. 이와 같이 주소 혹은 전화번호, 우편번호 등과 같은 지리적

인 개체와 지도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요소를 좌표점을 근간으로 하여 서로 매칭

시키는 과정을 지오코딩(geocoding)이라 함. 지오코딩의 절차는 [그림 6]과 같음.

Page 48: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36 -

그림 6. Geocoding Process

○ 바꾸어 설명하면, 일반적인 문장 구조로 되어 있는 환자의 위치 정보를 적절하게

가공 한 이후, 기존의 알려진 지번 정보와 결합하여 궁극적으로는 환자 발생 위

치의 x,y 좌표 값을 얻고자 하는 과정이라 말할 수 있음. 간단하게 도식화하면

[그림 7]과 같음.

○ 환자발생 위치주소는 행정동과 법정동이 혼용되어 작성되어 있음. 행정동은 행정

Page 49: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37 -

위주로 정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관할 구역의 인구를 기준으로 하여 나누어짐.

법정동도 원래 인구에 따라 일정한 구역으로 나누어 정해진 것이긴 하나, 사회

변화에 따라 인구의 증감이 일어나 지금에 와서는 인구와 관계없이 그 이름을 지

니고 있게 된 것임. 따라서 행정동은 인구의 변화에 따라 자주 바뀌게 되는 특징

을 가짐. 예를 들면 2008년 2월 현재, 서울시에는 472개의 법정동과 532개의 행정

동이 있음. 이중에서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하는 경우는 44개에 불과함.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행정동을 법정동으로 변환하여 지오코딩을 수행하였고, 환자 발생

위치에서 번지 누락 등의 이유로 위치가 불명확할 경우 인근 혹은 대리지표를 설

정하였음. 사용된 인근 대리지표는 읍면동 대리지표 및 시군구 대리지표였음.

그림 7. Geocoding의 결과

○ 전국 환자 위치를 지도 위에 mapping하여 [그림 8]과 같은 지도를 얻음.

Page 50: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38 -

그림 8. 2007년도 전국 응급환자 발생 (119 구급차 출동) 위치 중에서

중증 외상 환자들의 위치

(다) 이송 대상 환자의 선택

○ 구급 헬기의 이송 대상은 집중 처치를 필요로 하는 모든 환자로 말할 수 있음. 그

러나 구급차가 접근할 수 없는 지형을 제외한 일반 지역에서의 구급 헬기에 의한

응급 환자 이송이 국내에서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기 때문에, 향후 헬

기 이송 환자의 범주를 결정하여야 하고, 발병 초기에 신속한 처치가 중요한 중

증 외상 환자들을 그 대상으로 한정하기로 함.

○ 이송 대상 환자는 구급 활동지에서 발병 기전이 ‘외상’으로 기재된 환자 중에서,

Page 51: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39 -

다음의 세 가지 병원 전 항목 중 하나 이상에서 해당 사항이 있는 환자로 하기로

함.

1. GCS 13점 이하 혹은 AVPU 에서 V 이하인 경우

2. 수축기 혈압이 89mmHg 이하인 경우

3. 호흡수가 분당 30회 이상이나 10회 미만인 경우

○ 또한 구급 헬기 이송 환자는 구급차에 비해서 헬기의 장점이 부각되는 환자, 즉

환자와 이송 대상 병원 간 이송 거리가 상당한 경우로 볼 수 있는데, 미국을 비

롯한 외국에서 정하고 있는 기준을 참고로 하여 결정함.

○ 환자에서 병원까지의 거리가 30km 이상 떨어져 있는 경우, 그리고 외상 환자에서

위의 조건을 만족하는 중증 외상환자의 경우, 구급 헬기의 이송 대상으로 삼기로

함. 단, 이송 대상 병원은, 현재 중앙응급의료센터에서 정하고 있는 권역 응급의

료센터 중에 하나로 결정함.

○ 소방의 구급 활동 기록지를 통하여 얻은 데이터는 2007년 1,218,688명이며, 이 중

심각한 중증 손상 환자로 분류된 환자는 82,364명임.

○ 해당 환자를 geocoding 시킨 결과 직접 매칭과 간접 매칭된 30,882 (37.5%)와

40,077 (48.6%)건을 분석의 대상으로 함

○ 병원 간 이송은 권역응급의료센터의 주요 기능이며, 현재에도 권역 및 지역 응급

의료센터들에 내원하는 중증 외상 환자들 중 상당한 비율은 타 병원을 경유하여

내원하고 있음. 이를 감안하기 위하여 NEDIS 자료를 이용하여 중증 외상 환자

중에서 병원 간 이송의 대상이 되는 환자들을 산출함.

○ 이송 대상 환자는 NEDIS의 발병 기전에서 외상으로 체크된 환자 중, 내원 경로

가 타 병원을 경유한 환자 중에서 다음의 세 가지 병원 전 항목 중 하나 이상에

서 해당 사항이 있는 환자, 혹은 계산된 외상중증도 (ISS: Injury Severity Score)

가 15점 이상인 경우로 하기로 함.

1. GCS 13점 이하 혹운 AVPU 에서 V 이하인 경우

2. 수축기 혈압이 89 이하인 경우

3. 호흡수가 30 이상이나 10 미만인 경우

○ 2007년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전국 110개 NEDIS 대상 병원에 내원한 총

환자의 수는 2,196,285명이었으며, 이 중에서 손상으로 분류된 환자는 568,498

(25.9%)임.

Page 52: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40 -

○ RTS와 ISS 기준 둘 중에 하나라도 중증에 대항하는 환자의 수는 전체 손상

568,498명 중에 80,980 (14.2%) 명이며, 이 중 내원 경로가 전원으로 표시된 환자

의 수는 17,029 (3.0%)임.

○ 권역 응급의료센터의 위치는 [그림 9]와 같다.

그림 9. 중앙응급의료센터 지정 전국 16개

권역응급의료센터의 위치

○ 전원할 환자가 발생한 위치, 즉 NEDIS 대상 110개 병원의 위치는 그 위치는 [그림

10]과 같고 이들 센터들의 중증외상 중 전원 환자들의 수(1년간)에 대한 가중치를 주

어 표시하면 [그림 11]과 같음.

Page 53: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41 -

그림 10. 전원 환자들의 발생 위치. 중증 외

상 환자들 중 전원 환자들의 위치

가 표시되어 있음

그림 11. 위의 [그림 10]에 표시된 병원

중에서 전원 대상이 되는 환자

들에 가중치를 주어 그린 그림

○ 아래 [그림 12]는 중증 외상 환자들이 권역센터로 이송되는 도식도임. 권역외상센터

의 반경 30 km 안에서 발생하는 환자는 구급차 이송 대상으로 육상 통로를 통해서

Page 54: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42 -

도 한 시간 내로 이송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30km 밖의 환자는 헬기를 이용하여

권역 외상 센터로 이송 예정이며, 병원 간 이송은 그 거리에 관계없이 구급 헬기를

이용해 가까운 권역응급의료센터로 이송하는 것이 원칙임.

그림 12. 권역응급의료센터의 환자 흐름도

○ 대상 병원에서 30km 이내의 환자는 이송에 30분 이하가 걸릴 것으로 생각되는

지역으로, 미국 및 일본 등에서 대체적으로 적용하는 기준임.

(라) 권역외상 센터의 최적 위치 선정

○ 위의 [그림 12]와 같은 환자의 이송 경로를 감안 하였을 때, 최대의 환자들이 최

단시간 내에 도달할 수 있는 위치를 기준으로 최적 위치를 산출함. 다시 말하여,

구급 헬리콥터 이송 대상 환자가 발생했을 때, 구급 헬기의 출동요청시간으로부

터 기준 시간 (60분) 내에 이송 대상 응급의료센터로 이송하는 것을 성공적 이송

으로 정의함 (successfully completed service).

○ 권역외상센터로부터 30km 이내의 거리는 육상 이송수단으로 언제나 60분 이내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함.

○ 병원 간 이송을 감안하였고, 이 경우에도 헬기 출동 요청 이후 60분 이내에 해당

병원에서 이송이 가능한 경우를 성공적 이송으로 정의하고, 현장 출동과 합하여

최대의 Coverage를 취할 수 있는 위치를 선정하도록 함.

Page 55: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43 -

○ 현재의 권역응급의료센터인 16개 병원을 후보로 하여, k개 외상 센터의 최적 위

치를 선정하여야 하며 헬기의 출동은 각 외상 센터를 거점으로 한다고 가정함.

각 센터로부터 30km반경 내의 환자는 지상 구급차로 이송함. 30km 반경 이내의

환자는 모두 60분 이내에 이송 가능하며, 즉 성공적인 이송이 가능하다고 가정.

○ 센터로부터 30km 반경 바깥에서 발생한 환자의 경우, 1시간 조건은 총 이송 거리

가 120km 이내에 해당함. 이는 위에서 제시한 구급 헬리콥터의 이송 준비시간,

이동속도, 현장 준비시간, 그리고 착륙 이후 환자를 응급실로 이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였을 때 나오는 시간임.

○ 즉, 1시간 이내 센터 도착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환자는 센터로부터 60km 반경

내에 존재하는 환자이며, 각 권역 이송센터의 60km 반경 내에서 발생한 환자만

이 잠재적으로 성공적 이송이 가능하다 할 수 있음.

○ 따라서, 이 문제에서 최적 위치라 함은 전국의 환자 발생 지역별 분포에 대하여,

60km 반경의 원 k개를 배치할 때, 최대수의 환자를 포함할 수 있는 센터 위치

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음

○ 16개 후보병원 중 반경 60km를 갖는 k 개의 센터를 선정할 때, 총 포함하게 되는

환자의 수가 최대가 되는 k개의 위치를 선정함.

○ 수학적으로 Maximal covering location problem [그림 13]이며 이 단계에서 센터

의 capacity limit은 고려하지 않음

Page 56: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44 -

그림 13. Maximal Covering Location Problem: 최대 포함 위치 문제

○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음

최종 성공 이송률, z = (Na,s + Ng) / N

지상 이송 성공률, z_g = 100%

(센터 반경 30km 이내 발생 환자는 지상구급차로 1시간이내 센터 후송이

가능한 것으로 가정)

항공 이송 성공률, z_a = Na,s / Na

(Na,s = 이송 요청시 적어도 1대의 헬기가 가용할 확률이 a 이상이 되는

환자의 수)

- a는 임의의 환자 이송 요청 시점에 근거리(60km)내에 최소한 1대의

헬기가 가용할 확률

- a = 90% 로 정함

- a에 대해, Na,s가 최대가 되도록 센터별 헬기 대수(& 총헬기대수)를 구함

종속변수, 독립(결정)변수, 파라미터

- Ng = f(센터수, 위치)

- Na,s = f(센터수, 위치, 헬기수, 센터별 헬기수, a)

Page 57: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45 -

문제는 외상센터 수, k (최적 위치)와 헬기 대수 M (최적 배치)에 대해 최종 성

공 이송률 z를 계산하는 것임. [그림 14] 참조.

그림 14. 성공 이송률에 대한 수식화한 정의

○ 외상센터 위치 선정을 위해([표 21]을 참고) 권역외상센터의 수를 하나에서 16개

로 증가시키면서 coverage를 계산함. 하나일 경우 A병원이 가장 적절한 위치이며

이 때의 coverage는 36.7%에 달함.

Page 58: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46 -

총센터수 선정위치(무순위) Covered(%) Not-covered

1 A 32282(36.7) 55707

2 A,B 44816(50.9) 43173

3 A,B,C 53012(60.3) 34977

4 A,B,C,D 61078(69.4) 26911

5 A,B,C,D,E 68646(78.0) 19343

6 F,B,G,H,C,E 71537(81.3) 16452

7 F,E,G,H,C,I,J 74292(84.4) 13697

8 F,E,G,H,C,I,K,J 76474(86.9) 11515

9 F,E,C,I,L,K,G,H,J 78228(88.9) 9761

10 F,E,C,I,L,K,G,H,M,J 79933(90.8) 8056

11 A,N,E,C,I,L,K,G,H,M,J 81022(92.1*) 6967

12 A,E,C,I,N,L,K,G,H,M,J,O 81552(92.7) 6437

13 A,E,C,I,N,L,K,G,H,M,J,O,D 81667(92.8) 6322

14 A,E,C,I,N,L,K,G,H,M,J,O,D,P 81726(92.9) 6263

15 A,E,C,I,N,L,K,G,H,M,J,O,D,B,P 81726(92.9) 6263

16 전체 81726(92.9) 6263

표 21. 총센터 수별 최적 권역외상센터의 위치 및 예상 coverage rate

○ 11개 이상 센터 설치는 coverage 향상 효과가 미미함 (0.8% point) 또한 전체 중

증 외상 환자 87989건 중 6263건 (7.1%)은 16개 병원 모두를 센터로 지정해도 1

시간 내 이송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발생함.

○ 6개의 권역 외상센터 지정 시 현재의 권역응급의료센터를 기본 위치로 하여 최대

의 환자를 효율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위치는 F, B, G, H, C, E 병원이며 이때의

coverage는 81.3%임. [그림 15]

○ 같은 방법으로 8개의 센터를 세운다고 가정할 때, 적절한 위치는 F, E, G, H, C,

I, K, J 병원이며 coverage rate는 86.9%임.

Page 59: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47 -

그림 15. 6개 센터 선정시 적절한 권역외상센터 위치

(마) 적절한 헬기의 배치

○ 6개 센터와 8개 센터의 경우 각각 총 헬리콥터가 12대, 16대, 20대 있다고 가정했

을 때 1시간 내 이송 성공률, 최종 이송 성공률, 그리고 최대 이송 성공률을 구함

[표 22]

Page 60: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48 -

  6개 센터    8개 센터 

총헬기수 12 16 20   12 16 20

F 4 4 4 F 4 4 4

B 3 3 3 E 0 0 3

E 1 3 3 G 4 4 4

G 4 4 4 H 0 3 3

C 0 0 3 C 0 2 3

H 0 2 3 I 0 0 0

  - - - K 0 0 0

  - - - J 4 3 3

               

항공이송성공률 0.76 0.91 0.99 항공이송성공률 0.75 0.87 0.94

최종이송성공률 0.74 0.78 0.81 최종이송성공률 0.78 0.82 0.84

가능최대성공률 0.81 가능최대성공률 0.87

표 22. 6개 센터와 8개 센터의 헬기 수와 최대 환자 이송 성공률

○ 예를 들어 전국에 6개 센터를 세운다고 가정하고, 전체 12대의 헬리콥터를 운용한

다고 했을 때 F, B, E, G, C, H 병원 각각에 배치할 헬리콥터의 수는 각각 4, 3,

1, 3, 0, 0 대이며, 이 때 항공이송 성공률은 76%, 최종 이송 성공률은 74%로 보

임.

○ 전국에 8개 센터를 세운다고 가정하고, 전체 16대의 헬리콥터를 운용한다고 했을

때 F, E, G, H, C, I, K, J 병원 각각에 배치할 헬리콥터의 수는 각각 4, 0, 4, 3,

2, 0, 0, 4 대이며, 이 때 항공이송 성공률은 87.1%, 최종 이송 성공률은 81.8%를

보임.

(바) 시뮬레이션을 통한 검증

○ 최적화를 통해 얻은 해의 강건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외상 환자 이송 과정을 모델

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함. 여기에는 이산 사건 시뮬레이션 (Discrete event

simulation) 방법이 사용됨.

○ 가정

- 임의의 환자 발생에 대하여, 그 시점에 가용한 헬기 중 최단거리에 존재하는

헬기가 출동한다.

Page 61: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49 -

  6개 센터   8개 센터

총 헬기 수 12 16 20 총 헬기 수  12 16 20

F 4 4 4 F 4 4 4

B 3 3 3 E 0 0 3

E 1 3 3 G 4 4 4

G 4 4 4 H 0 3 3

C 0 0 3 C 0 2 3

H 0 2 3 I 0 0 0

  - - - K 0 0 0

  - - - J 4 3 3

항공이송성공률 0.76 0.91 0.99 항공이송성공률 0.75 0.87 0.94

시뮬레이션 결과

(오차)

0.32

(0.58)

0.46

(0.49)

0.54

(0.46)

시뮬레이션 결과

(오차)

0.42

(0.45)

0.50

(0.42)

0.53

(0.43)

최종이송성공률 0.74 0.78 0.81 최종이송성공률 0.78 0.82 0.84

최대이송성공률 0.81 최대이송성공률 0.87

표 23. 시뮬레이션 결과

- 환자 발생 지역이 비coverage 지역 (60km 반경 원 6개/8개 외부 지역)이라도

시뮬레이션 상에서는 헬기 출동이 이루어진다.

- 환자 발생 지점으로부터 최단거리에 있는 외상센터로 이송한다.

○ 이산 사건 시뮬레이션은 모델의 대상이 되는 시스템을 시간 순서에 따라 일어나

는 일련의 사건(event)로 표현하여 시스템의 운영을 모사하는 방법임. 이산 사건

시뮬레이션을 구성하는 기본 개념은 개체(entity), 작업(process), 자원(resource)으

로, 개별 개체가 일련의 작업을 거치면서 각 작업 단계에서 필요한 자원을 획득

하고 release하는 과정으로 표현이 됨. 각 작업(process)은 일정 시간(process

time)의 속성을 부여 받아, 프로세스의 시작과 종료 사건(event)를 진행함.

○ 시뮬레이션 결과 수리 계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음. 6개 센터를 기준으로 헬기

를 12, 16, 20 대 배치하였을 때에 coverage는 각각 32%, 46%, 54% 로 수리 계

산과 각각 58%, 49%, 46%의 차이를 보였음. [표 23]

○ coverage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권역 외상센터가 늘어날수록, 그리고 운용 가능한

헬기의 수가 늘어날수록 coverage가 상승하는 경향을 시뮬레이션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음.

Page 62: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50 -

○ 본 연구는 지상 이송 성공률을 100%로 가정하므로, 지상 이송을 많이 할 수 있는

위치에 센터를 수립하는 것이 최종 이송 성공률을 높이는데 유리할 것으로 예상

할 수 있음.

○ 하지만, 위 방법은 지상/항공 이송을 구분하지 않고 60km 반경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최적 위치가 아닐 가능성이 있음.

○ 시뮬레이션 검증 결과를 보면, 항공이송성공률의 경우 수리계산에서 예측한 값과

시뮬레이션 값이 약 2배의 차이가 남. 이 이유는, 수리계산의 경우, 해당 센터 반

경 60km 외의 지역에서 발생한 환자는 이송의 대상이 아닌 것으로 놓고 계산하

는 반면, 시뮬레이션에서는 반경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출동을 하기 때

문임. 6개 센터의 경우, 이 수는 16452건, 8개 센터 11515건임. 이렇게 원거리 출

동을 하면, 헬기가 출동했다 돌아오는 시간이 길어지고, 그에 따라 다른 demand

를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가 연쇄적으로 발생하여, 60km 반경 내에서 생기는 수

요에 대해서도, 해당 센터가 아닌 다른 센터에서 헬기가 출동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비슷한 상황이 지속되는 악순환이 생겨남. 이런 이유로 항공이송 성공

률이 계산 시 예상치에 비해 상당히 낮게 나오는 것으로 생각됨. 이러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야 할 것으로 사료됨.

Page 63: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51 -

다. 권역 외상센터 구축의 사회적 비용-편익 분석

1) 개요

◦ 응급의료체계는 불의의 사고나 질병으로 인한 응급상황에서의 응급처치, 이송, 병원

에서의 치료 등 각 단계에서 필요한 구성요소를 유기적으로 통합시킨 체계를 말하

는 것으로 각 단계별 요소가 조화롭게 갖추어져야 함.

◦ 그러나 우리나라의 응급의료체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

- 선진국에 비해 높은 수준의 예방가능사망률(preventable death)

- 비응급환자의 응급실 이용과 일부 대학병원의 응급실 혼잡 등 비효율적 응급의료

전달체계

- 병원전 처치 및 이송 의료기관 선정 부적절 등 이송서비스의 낮은 질적 수준

- 응급의료기관의 불균형 분포에 따른 응급의료 취약지역 발생

◦ 그동안 정부 및 학계의 노력으로 우리나라의 응급의료체계는 많은 개선이 있어왔지

만 아직까지 선진국에 비해 높은 예방가능사망률을 보이고 있음은 물론, 응급의료인

력의 부족 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음.1)

◦ 중앙응급의료센터에서는 2003년부터 응급의료전산망을 구축하기 시작하여 응급의

료에서 중요한 3대 질환으로 외상, 심근경색, 뇌졸중을 선정하였음. 그만큼 외상은

높은 사망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상황임.

◦ 그러나 응급의료체계의 도입과 발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시스템으로는 외상전문진

료를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임. 따라서 현재 권역별로 권역외상센터를 설립하여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환자수를 줄이고, 중증 외상환자의 의료접근성을 높이기 위하여 외

상 전문진료체계의 구축이 필요한 시점임.

◦ 효과적인 외상 전문진료체계의 구축을 위해서는 우선 어느정도의 자원을 투입해야

하는지, 자원의 투입을 통해 어느정도의 사회적 편익을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한 정확

한 측정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정책실행에 대한 우선순위의 결정 등이 이루어질 수

있음.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권역외상센터의 경제성 분석을 통해 외상 전문진료체계의 중

요성과 당위성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함.

2) 예비타당성 조사의 방법론

◦ 많은 국가에서 국가의 공공사업이나 정책과 같이 국가의 재정이 투입되는 사업을

1) 우리나라의 예방가능사망률은 1998년 50.4%에서 2007년 32.6%로 10년동안 약 13%가 감소하였음

Page 64: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52 -

시행하기 전에 사업의 시행에 대한 예비타당성을 실시하여 사업 수행에 대한 사회

적 편익 및 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함.

- 정부지출이란 모두 예산 속에 편성되어 집행되는 것으로서 정부의 입장에서는 부

족한 자원을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 중요 관심사가

됨.

◦ 이처럼 공공투자사업 혹은 정책의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에는 대표적으로 비

용-편익분석(Cost-Benefit Analysis; CBA), 비용-효과분석(Cost-Effectiveness

Analysis; CEA), 비용-효용분석(Cost-Utility Analysis; CUA)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중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분석방법이 비용-편익분석과 비용-효과분석

임.

가) 비용-편익분석의 개념

◦ 비용-편익분석(CBA)이란 국가적인 차원에서 정해진 공공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상되는 여러 대안들(alternatives) 각각의 비용과 편익을 측정하고 비교평가하여

최선의 대안을 도출하는 기술적 방법임.

- 따라서 이 분석은 사업대안들의 비용과 편익을 측정하고 평가하는 일반적인 절차

를 모두 내포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여러 원칙과 기준하에서 분석을 실시하게

됨.

◦ 비용-편익분석의 중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음.

- 첫째, 비용-편익분석은 개별정부투자사업을 평가하는 경제적 분석의 한 분야임. 물

론 개별사업(project) 단위가 아닌 프로그램(program)이나 정책(policy)자체를 비

교평가하는 것도 넓은 의미의 비용-편익분석에 속함.

- 둘째, 비용-편익분석은 기업차원의 재무적 분석과는 달리 사회적 관점 또는 국민

경제 전체의 관점에서 비용과 편익을 파악함. 따라서 민간기업에서 새로운 사업을

추진할 때 사용하는 타당성 검토와 비교해 볼 때 접근방법은 비슷하다고 하더라도

개념적으로는 매우 다름. 가장 근본적인 차이는 비용과 편익의 성격과 내용에 있

음. 국민경제적 관점에서의 편익이란 특정사업의 국민생산에 대한 공헌을 뜻하며,

비용이란 국가자원의 낭비(즉, 자원의 기회비용)를 뜻하게 됨.

- 셋째, 비용-편익분석은 공공사업에서 추진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것으로

기대되는 모든 비용과 편익을 단기적 시각이 아니라 장기적 시각에서 종합적으로

Page 65: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53 -

평가하는 것임. 공공사업에서는 시간변수도 사회적 관점에서 고려되므로 그 기간

이 훨씬 더 길며 할인율의 선택이라든가 위험에 대한 대응도 장기적이어야 함.

◦ 이러한 비용-편익분석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오해되는 부분은 다음과 같음.

- 첫째, 비용-편익분석을 행하는데 있어 비용이나 편익으로 측정하기 어려운 요소들

이 많음. 즉 계량화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이 존재하게 됨. 이러한 이유로 비용-편

익분석은 무리한 계량화로 인하여 믿을 수 없는 억측에 의한 분석에 불과하다는

견해가 있을 수 있음. 그러나 비용-편익분석은 분석대상에 대하여 장단점을 나열

하고 이에 근거한 판단을 정리하고 조직화한 사고의 틀이라 할 수 있음. 측정할 수

있는 것은 측정하고, 측정할 수 없는 것은 그대로 지적하여 최선의 선택에 이르도

록 도와주는 기법임.

- 둘째, 비용-편익분석은 실증적인 접근방법(positive approach)이라기보다는 규범적

인 접근방법(normative approach)임. 규범적인 접근방법에는 무엇을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가를 규명하는 가치판단이 내포되며, 가치판단에는 정치적, 사

회적, 문화적인 여러제약들이 영향을 끼치게 됨. 따라서 이러한 제약들을 적절히

고려하면서 현실적으로 가능한 최선의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게 됨.

나) 비용-편익분석과 비용-효과분석의 차이

◦ 교육, 인력관리, 보건, 빈곤퇴치사업 등과 같은 사회정책사업(social project)들의 편

익은 양적 개념이라기보다는 질적 개념임. 이러한 경우 사회정책사업으로 인한 편익

을 화폐단위로 직접 측정하기가 매우 어려움.

◦ 비용-효과분석은 사회적인 편익을 계량화하기 어려운 경우 이를 대체하기 위해 사

용되는 방법으로서 특히 사회정책사업에서 종종 사용하게 되며, 다음의 두 가지 방

법을 통하여 이루어짐.

- 첫째, 목표(효과)가 알려지고 주어져 있다고 할 때 이 목표를 달성하는데 가장 적은

비용이 들어가는 대안을 선택하는 방법

- 둘째, 예산(비용)이 주어져 있다고 할 때 이 예산하에서 목표를 최대로 달성하게

하는 대안을 선택하는 방법

◦ 비용-효과분석에서는 비교평가되는 각 대안들의 목표(효과)가 무엇인지 확실하게

규명되고 비록 화폐단위가 아닌 확률개념(성공률)에 의한 것이더라도 그 목표(효과)

가 명확하게 측정될 수 있어야 함.

- 그러나 동일한 목표를 가지고 있는 대안들의 효과/비용 비율을 계산하여 최종대안

Page 66: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54 -

을 선택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목표(효과)를 가지고 있는 대안들에 관해서는 비교

평가 할 방법이 없음.

3) 권역외상센터 설립의 비용분석

가) 전제

◦앞서 제시한 권역외상센터 기능 및 역할에 근거하여 기능공간을 구성하고 이를 기준

으로 건축 규모 및 건축투자비를 추정.

◦병상규모는 입원병상 160병상, 중환자실 50병상 등이고 주요시설은 외상소생 진료시

설, 수술실 5실, CT2, MRI 1실 등을 기준으로 건축투자비를 추정.

◦권역외상센터는 원칙적으로 모병원과 독립된 건물(free standing center)로 건립 하

되, 인력 및 장비의 효율적 활용을 고려하여 모병원과의 연계를 충분히 가지도록 함.

예를 들면 진단검사의학과의 경우 권역외상센터 내 응급검사실 형태로 운영하되, 일

반적인 검사는 모병원의 본 시설을 함께 활용할 수 있도록 규모를 조정하여 계획.

나) 권역외상센터 기능공간의 설정

◦권역외상센터는 기능의 종류 및 운영 조직 등을 감안하여 다음 표와 같이 5개 구역으

로 구분하여 기능공간을 설정.

Page 67: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55 -

구 분 주요 기능공간

외상소생진료구역

소생/처치/관찰 소생실, 처치실, 관찰병상, 격리실 등

간호/지원 간호스테이션, 당직의사실, 화장실, 보호자대기 등

촬영일반촬영실, 투시촬영실, 판독실, CT실, Angio실, MRI실, 의사실,

갱의실 등

검사 접수/사무, 응급검사실, 혈액은행, 의사실

수술구역 수술수술준비, 마취준비, 대수술실, 수술실, 소소독실, 소독물실, 회복실,

의사실 등

병동구역

표준병동 1인실, 4인실, 간호스테이션, 당직의사실, 배선실 등

중환자실중증 중환자실, 일반 중환자실, 간호스테이션, 갱의실, 보호자대기,

보호자숙소, 중환자관리실 등

서비스 및 지원 구역 약국, 물품창고, 중앙공급실, 기계전기실 등

행정사무 및 편의시설 구역 센터장실, 행정사무실, 간호과, 회의실, 의무기록실, 편의시설 등

표 24. 권역외상센터의 기능공간

◦ 지하주차장의 경우 총 주차대수의 40% 설치를 전제. 총 주차대수는 병상당 1대 기

준으로 160대로 설정하고 지하주차대수는 64대로 설정. 지하주차장 면적은 건축연

면적에 반영.

다) 건축 규모 추정 결과

◦ 위에서 설정된 기능공간에 대하여 각 실별 소요면적을 추정한 결과 순면적(Net

Area)은 10,713㎡, 공유면적비(G/N 비) 1.52, 총 면적은 16,284㎡, 지하주차장 면적

은 2,116㎡ 등으로 합계 18,399㎡(5,566평)

◦ 각 구역별 구체적인 실 명, 실 수, 실 규모 등은 부록에 첨부.

라) 건축투자비 추정 결과

(1) 산출항목 및 산출근거

◦ 건축투자비 산출항목 : 건축비는 시공비, 건축설계비, 건축감리비, 건축부대비 항목

으로 구성하며 그 외 의료장비 구입비, 정보시스템 구축비 항목을 추가함.

◦ 건축시공비 : 시공비는 최근 건립된 병원들의 평당 공사비를 참조(아래 표 참조)하

Page 68: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56 -

 외상진료구역 장비

품목 수량단가

(백만원)

예산

(백만원)비고

환자감시장치 10 30 300 병상수에 비례

이동형 외상환자침대 3 55 165

초음파검사기 1 160 160 심장초음파 가능

표 26. 각 부서별 의료장비 구입비 세부내역

되 권역 외상센터로써의 적정 시설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평당 공사비를 조정. 센

타의 경우는 평당 6.5백만원, 지하주차장은 평당 3.5백만원을 적용. 단, 낙찰률을 고려

하여 산출액의 90% 적용.

구분총사업비(억원)

총공사비(억원)

적용율(%)

㎡당/평당공사비(만원)

규모(㎡/평)병상(수)

병상당면적(평)

비고

양산 부산대 병원 - 2,139.02 -171/566

124,820/37,758

792 35.03

연세대 새병원 - 2,432.98 -200/661

121,511/36,757

1,006 22.15

전북대

노인보건의료센터176.94 136.94 77.39

190/629

7,199/2,178

52 41.882010. 6.준공예정

표 25. 유사 시설의 건축비

◦ 건축설계비 : 건설교통부 공고 제2002-270(2002.10.15) 건축설계대가 요율표 등을 적

용. 적용 공사비는 위에서 산출된 건축시공비.

◦ 건축감리비

: 건설사업관리(CM)용역 전제. 최근 건설사업관리(CM)형태의 건축감리가 책임감리

대신 활용 가능. CM이란 시공단계의 감리업무 뿐만 아니라 설계이전, 설계단계, 시공

이후 단계까지 개입하여 설계의 질에 대한 추가 자문, 관련 업무 등을 수행하는 새로

운 형태의 감리를 말함.

: 요율은 건설사업관리 대가기준(개정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9 - 778호(2009. 8. 24))

상 설계전단계, 설계 및 시공단계, 시공후 단계 등 전분야 적용. 요율 적용 공사비는

위에서 산출된 건축시공비.

◦ 건축부대비 : 교통영향평가, 지질조사비 등 건축시공, 설계, 감리와 관련한 부대비용

은 건축시공비/설계비/감리비 소계의 1% 적용.

◦ 의료장비 구입비 : 1개 센터당 22,979백만원 적용(구체적인 내역은 아래 표 참조).

Page 69: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57 -

제세동기 2 44 88

인공호흡기 5 40 200

Trauma Stretcher 10 4 40 높낮이 조절가능

심부저체온유도장치 1 50 50

비침습적심박출량감시장치 1 60 60

체외순환기 1 60 60

급속혈액가온기 2 26 2

이동형제세동기 3 17 51

기구소독기 1 50 50

약물주입기(infusion&syringe) 40 4 160 각 20대 이상

CRRT 1 40 40

Electrosurgical unit 1 16 16

무영등 2 20 40

중앙환자감시시스템 1 33 33

Overhead system 1 300 300

이동형환자감시장치 4 18 72

기관삽관연성경 & 영상장치 1 30 30경추 고정상태로기관삽관 보조

소계 1,967

2. 외상수술실 (1실)

무영등 5 20 100

수술대 5 15 75

마취기 5 95 475

ECMO 2 88 176 2실이상 필요

급속혈액주입기 1 26 26

환자감시장치 5 65 325

CRRT 1 40 40

Electrosurgical unit 5 16 80

C-arm 2 170 340 2실이상 필요

제세동기 1 44 44

체외순환기 2 60 120 2실이상 필요

Cell saver 2 60 120 2실이상 필요

소계 1,921 수술실 1실 기준

3. 외상중환자실 장비 (50병상, 3 unit 기준)

환자감시장치(patient monitor) 50 30 1,500

중환자용 전동침대(SCLE) 50 18 900

초음파검사기 1 160 160 심장초음파 가능

제세동기 6 44 264

인공호흡기 50 40 2,000

심부저체온유도장치 2 50 100

비침습적심박출량감시장치 3 60 180

체외순환기 2 60 120

Page 70: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58 -

급속혈액가온주입기 3 26 78

체온조절장치 6 14 84

이동용 인공호흡기 3 10 30

약물주입기(infusion&syringe) 200 4 800 1병상당 4대이상

CRRT 10 40 400

흉벽진동기 6 33 198

중앙환자감시시스템 3 33 99

이동형환자감시장치 6 18 108

electrosurgical unit - 16 -

레일시스템 1 2,500 2,500

소계 9,521

4. 방사선 장비

품목 수량단가

(백만원)

소요예산

(백만원)비고

혈관조영장치 2 2,000 4,000

CT 촬영기 2 1,500 3,000

일반 X-선 촬영기 1 600 600 CRDR겸용

Portable X-선 촬영기 1 200 200

C-arm 1 170 170

MRI 1 1,600 1,600

소계 9,570

총계 22,979

◦ 정보시스템 구축비 : 최근 건립된 병원의 사례를 참조하여 병상당 20백 만원 기준으

로 1개 센터 당 3,200백만원 적용.

◦ 예비비 : 예비비는 본 사업 추진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관리를 위한 비용 등임.

본 사업의 경우 국가적으로 유사사업 사례가 없는 실정임을 감안하고 실제 사업추

진시 예상되는 사업 리스크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따라서 위 투자비 합계의 10%

를 적용하였음.

(2) 산출결과

◦ 산출결과를 정리하면, 1개 센터당 건축투자비(의료장비 구입비 및 정보시스템 구축

비 포함)는 70,944백만원이고 6개 센터 총 투자비는 425,664백만원으로 추산(아래 표

참조).

Page 71: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59 -

구 분1개 센터당 추정액(단위 : 백만원)

6개 센터 총액(단위 : 백만원)

비 고

건축비

시공비 34,258 205,548

설계비 1,630 9,780

감리비 2,048 12,288

소계 37,936 227,616

건축부대비(1%) 379 2,274

소계(a) 38,315 229,890

의료장비비 구입비(b) 22,979 137,874

정보시스템 구축비(c) 3,200 19,200

합계(A=a+b+c) 64,494 386,964

예비비(B) 6,450 38,700 합계 A의 10% 적용

총계(C=A+B) 70,944 425,664

표 27. 권역외상센터의 투자비용

(3) 연도별 투자 내역

◦ 주요 전제 : 연도별 2개소 사업을 개시하되 1개소당 건축설계 1년, 건축시공/의료장

비구입/정보시스템구축 2년 등으로 사업기간 설정. 단, 예비비는 1개 사업 당 3년 기

준으로 균등 배분하였고 운영비는 제외한 내역임.

Page 72: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60 -

투자비 항목 개소수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4차년도 5차년도 소계

건축비

건축설계 6 3,260 3,260 3,260 9,780

건축감리

2 2,048 2,048 4,096

2 2,048 2,048 4,096

2 2,048 2,048 4,096

건축시공

2 34,258 34,258 68,516

2 34,258 34,258 68,516

2 34,258 34,258 68,516

건축부대 6 758 758 758 2,274

의료장비 구입 6 45,958 45,958 45,958 137,874

정보시스템 구축 6 6,400 6,400 6,400 19,200

예비비

2 4,300 4,300 4,300 12,900

2 4,300 4,300 4,300 12,900

2 4,300 4,300 4,300 12,900

소계 8,318 48,924 141,888 133,570 92,964 425,664

표 28. 연도별 투자비용 (단위 : 개소, 백만원)

4) 권역외상센터 건립으로 인한 사회적 편익의 종류

가) 권역외상센터의 구축과 평가의 척도

◦ 권역외상센터의 편익을 추계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권역외상센터를 구축함으로

인해서 발생하게 되는 편익에 어떠한 종류가 있는지를 먼저 분류하고 정의하여야

함. 그런데 편익의 종류와 분류는 권역외상센터로 인한 편익을 어떠한 관점에서 바

라보는지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음.

◦ 첫째, 외상 전문진료체계는 응급의료체계의 일부로서 응급의료체계와 마찬가지로

병원전단계와 병원단계로 구성되어 있음. 이를 좀 더 세분화해 보면 현장까지 구급

차가 출동하는 이송전단계, 현장에서 현장처치 후 가까운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단계인 이송단계, 그리고 도착한 병원에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는 병원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음.

Page 73: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61 -

- 따라서 각 단계별로 편익의 종류를 분류하고 정의하는 형태로 접근할 수 있음

◦ 둘째, 외상 전문진료체계는 각 단계별로 구성되어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이 모든 단

계에서의 응급처치 및 이송이 종합적으로 작용하여야 응급한 환자의 생명을 살리고,

중증도를 낮출 수 있게 됨. 즉 외상 전문진료체계의 구축으로 인한 산출물로 볼 수

있는 응급환자의 예방가능사망(preventable death)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

따라서 예방가능사망률의 변화를 통해 산출물을 평가하는 접근방식을 선택할 수 있

음.

- 이 경우 만약 이송전단계가 적절하게 개선되었다 하더라도 이송단계나 병원단계

가 적절히 개선되지 못한다면 예방가능사망률이나 중증도를 낮추기 어려우므로,

외상 전문진료체계의 궁극적인 목적인 외상 응급환자의 생명을 살리지 못할 수 있

음.

◦ 본 연구에서는 외상 전문진료체계의 평가척도로 볼 수 있는 외상의 예방가능사망률

을 이용하여, 조기사망예방에 따른 편익의 항목을 구성하였음.

- 이러한 접근방법이 권역외상센터 설립의 목적을 가장 잘 달성하였는가를 판단 할

수 있으며, 또한 얼마나 개선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척도인 예방가능사망률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임.

◦ 따라서 예방가능사망률의 저하에 따른 사회적 편익을 추계하기 위해 직접적 편익과

간접적 편익으로 나누어 조기사망예방으로 인한 편익을 추계함.

나) 직접적 편익(direct benefit)

◦ 직접편익이란 권역외상센터의 설립으로 인해 응급의료 서비스를 받게 되는 대상자

들에게 직접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편익을 의미하며, 이는 곧 조기사망 감소로 인한

편익을 의미함.

(1) 조기사망(premature death) 예방을 통한 편익

◦ 조기사망 예방을 통한 편익이란 권역외상센터의 설립을 통해 예방가능사망률을 낮

출 수 있게 되면 기존에 응급한 상황에서 조기사망하는 외상환자들을 살리게 되며,

이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경제적 편익을 의미함.

다) 간접적 편익(indirect benefit)

◦ 간접편익이란 직접편익의 발생 이후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2차적 편익을 의미

함. 간접적 편익에는 조기사망의 감소에 의한 보험 및 장례비용의 절감 등이 포함

Page 74: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62 -

됨.2)

(1) 장례비용 절감으로 인한 편익

◦ 권역외상센터의 구축으로 조기사망을 줄일 수 있을 경우, 조기사망시 부수적으로 발

생하게 되는 사망자들의 장례비용을 절감함으로서 발생하게 되는 편익

(2) 개인 사망보험비 절감으로 인한 편익

◦권역외상센터의 구축으로 조기사망을 방지할 경우, 조기사망시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개인사망보험비의 절감을 통해 얻게 되는 편익

종류 개념적 정의

직접적 편익예방가능사망률

감소에 따른 편익

조기사망 예방을 통한

편익

응급상황에서 적절한 응급치료를 통해 조기

사망자수를 줄임으로서 발생하는 편익

간접적 편익예방가능사망률

감소에 따른 편익

장례비용 절감을 통한

편익

조기사망자를 감소시킴으로서 지출될 장례비

용의 절감을 통한 편익

개인 사망보험비

절감을 통한 편익

조기사망을 예방함으로서 발생하게 되는 사

망보험비 절감으로 인한 편익

표 29. 응급의료체계 구축으로 인한 사회적 편익

라) 무형적 편익(intangible benefit)

◦ 직접편익과 간접편익 외에도 권역외상센터를 적절히 구축하였을 경우 발생하게 되

는 사회적 편익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 화폐적 가치로 환산하기 어려운 무형

적 편익(intangible benefit)도 발생하게 됨.

- 무형적 편익은 형태가 없는 편익으로서 유형비용이 통상 시장에서 평가될 수 있는

비용이라면, 무형적 비용은 시장에서 거래되거나 평가될 수 없는 형태이기 때문에

화폐단위로 측정되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음.

- 이러한 무형적 편익은 실제로 각 개인, 더 나아가 사회전체에 가져다 주는 편익이

무시할 없을 만큼 상당하다고 할 수 있음. 그러나 무형적 편익은 쉽게 계량화 되기

2) 장례비용과 사망보험비용 절감 편익의 경우 이전 유사한 연구에서 사회적 편익으로 추계된 바

있음(노인철 외, 1997; 이신호 외, 2008).

- 노인철 외, 『음주의 경제사회적 비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1997.

- 이신호 외, 『응급의료체계 구축에 의한 사회적 비용편익분석』,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연구보고

서, 2008.

Page 75: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63 -

어렵고 경제적 모형으로도 설명하기 어려운 제한점이 있음.

-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무형적 편익은 실제 편익항목의 추계에서 제외하였

음.

(1) 조기사망 예방을 통한 무형적 편익

◦ 교통사고 혹은 심장마비 등으로 부모들이 사망하였을 경우, 자녀들이 받게 되는 피

해는 사회적인 문제로 거론되고 있음. 즉 부모의 조기사망으로 인하여 사망자 자녀

의 양육손실이 발생하게 됨.

- 따라서 응급상황시 부모의 사망을 낮출 수 있다면 그만큼 자녀의 양육손실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됨. 이러한 효과는 자녀들이 잘못된 성장으로 인해 사회에 무질서를

야기할 수 있는 이차적인 피해를 방지하는 효과도 가져오므로, 그 사회적 효과는

크다고 할 수 있음.

◦ 그러나 이러한 사회적 편익은 화폐가치로 계량화하기도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료획득의 불가능 등으로 인하여 본 연구의 추계에서는 제외하였음.

(2) 이전지출(transfer payment) 절감에 따른 후생손실 방지로 인한 편익

◦ 이전지출을 한마디로 정의하면 한 주체에서 다른 주체로 이전되는 지출을 의미함.

- 이전지출의 대표적인 예를 든다면 세금(tax), 정부보조금(subsidy), 은행이자지불

(interest payment) 등이 있음. 세금의 경우, 세금을 정부에 납부하는 소비자의 입

장에서는 비용의 발생이지만 세금을 거두는 정부에게는 세금수입형태로 편익이

됨. 그러나 국민경제 전체로 보아서는 재원이 소비자인 납세자로부터 정부로 이전

된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조세로 인한 재원의 이전자체는 진정한 경제적 비용을

발생시켰다고 볼 수 없음(김한중 외, 2000).

- 그러나 이전지출과 관련해 사회가 치르는 추가적인 비용은 조세부과로 인해 자원

배분의 왜곡현상이 나타나고 이로 인한 후생의 손실은 사회적 비용으로 구분될 수

있음(김한중 외, 2000).3)

◦ 외상 전문진료체계가 적절히 구축되거나 개선될 경우, 응급한 상황에서 환자들이 적

절한 치료를 통해 중증도를 낮추거나 조기사망을 예방하게 되어 의료보험, 사회보

장, 연금 등의 이전지출을 줄일 수 있게 됨.

- 이렇게 외상 전문진료체계의 구축과 관련하여 발생하게 되는 이전지출 자체는 사

3) 김한중․박태규 외, 『흡연의 사회경제적 비용분석 및 흡연율 감소전략 개발』, 연세대학교 보

건대학원 연구보고서, 2000.

Page 76: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64 -

회 전체적으로는 모든 비용이 상쇄되어 사회적인 비용에 포함되지 않지만, 이전지

출이 이뤄지는 과정에서 자원배분이 변화되고 후생의 변화를 가져오게 됨.

-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전지출의 감소를 통해 발생하게 되는 사회후생의 변화를

측정하기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우므로 본 측정에서 제외하기로 하였음.

5) 추계방법론

가) 생명의 가치측정

◦ 외상 전문진료체계는 가장 기본적으로 인간의 생명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분야임.

따라서 권역외상센터를 적절하게 구축한다는 것은 응급 외상환자들의 조기사망

(premature death) 및 중증도(severity)를 감소시킴으로서 가장 큰 경제적 편익을

얻게 되는 것임.

- 따라서 편익추계 방법론의 중심이 되는 것은 인간의 생명을 화폐가치로 환산하는

것에 있음.

◦ 생명의 가치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인적자본접근법(human capital

approach)과 지불의사접근법(willingness to pay approach)이 널리 이용되고 있음.

- 인적자본접근법(human capital approach)은 개인이 획득할 수 있는 미래의 수입을

현재가치로 추정하는 방법으로, 예를 들어 생산능력을 상실한 사람이 만약 능력을

상실하지 않았을 경우 벌어들일 수입의 합계를 생명의 가치로 파악하는 접근법임.

- 인적자본접근법은 추정이 용이하고 비교적 객관적인 자료인 임금자료를 이용함으

로서 추계치의 변화가 크지 않다는 장점이 있음. 그러나 사람의 생산성을 기준으로

가치를 판단하기에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의 생명가치를 과소추계한다는 단점

이 있음.

- 지불의사접근법(willingness to pay approach)은 예컨대 사망과 같은 위험을 회피

하기 위하여 사람들이 일생동안 지불할 의사가 있는 최대지불액이라든가 혹은 반

대로 위험부담을 무릅쓰고라도 어떤 위험한 일을 택할 때 그 대가로 수령할 의사가

있는 최소 수령액을 계산하는 방법임.

- 지불의사접근법의 가장 중요한 점은 사람들의 지불의사(willingness to pay)를 얼

마나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가에 달려있음. 그러나 사람들간에 연령, 교육수준,

환경 등 개인의 많은 요인의 차이로 인하여 정확한 지불의사를 측정하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으며, 조사때마다 다른 결과가 도출될 가능성이 있음.

◦ 본 연구에서는 예방가능사망률의 저하로 인하여 조기사망을 낮추게 될 경우 발생하

게 되는 사회적 편익을 인적자본접근법에 의해 측정을 시도하였음.

Page 77: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65 -

나) 외상 전문진료체계 평가 지표의 이용

◦ 권역외상센터의 설립으로 외상 전문진료체계가 개선되었다면 이를 통한 편익을 측

정하기 위해서는 개선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가 필요함.

◦ 외상응급환자의 조기사망 방지에 의한 편익을 추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예방가

능사망률을 활용하였음. 현재 우리나라에서 예방가능사망률이 발표되고 있는 질환

은 외상이 유일함.

- 외상에서 예방가능한 사망이란 외상으로 인한 사망환자가 최단시간 내에 최적의

병원으로 이송되어 최선의 치료를 받았다면 살았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를 말함.

따라서 예방가능한 사망은 이송체계와 병원에서의 외상치료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음.

◦ 예방가능한 외상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상환자 등록체계를 바탕으로 한 사

망환자의 분석과 같은 질평가/질향상 활동이 매우 중요함.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이를 위한 자료수집체계가 없는 실정임(김윤, 2005).4)

◦ 현재 외상 예방가능사망률은 세차례에 걸쳐 발표되었음,

년도 1998 2004 2007

예방가능사망률 50.4 39.6 32.6

표 30. 예방가능사망률의 변화 (단위 : %)

◦ 본 연구에서는 세 차례 측정된 외상 예방가능사망률을 기준으로 하여 향후 권역외

상센터의 설립으로 인한 효과를 측정하였음.

4) 김윤 외, 『응급의료 기본계획 수립 및 응급의료운영체계 평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연구보

고서, 2005.

Page 78: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66 -

6) 권역외상센터 건립으로 인한 사회적 편익

◦ 권역외상센터의 구축을 통해서 발생하는 사회적인 편익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적으로 외상으로 인해 조기사망하는 환자들을 예방함으로서 발생하게 되는 1인당

편익을 산출해야 함.

조기사망 예방편익 장례비용 절감편익 사망보험 절감편익 총편익 1인당 편익

748,704.7 38,074.2 67,583.6 854,362.5 180.3

표 31. 조기사망예방을 통한 편익 (단위 : 백만원)

주 : 2004년도 가격임

자료 : 이신호 외(2008)

◦ 1인당 편익은 이신호 외(2008)의 연구결과를 이용하였으며, 연구에서 추계된 조기사

망 예방에 따른 직접적․간접적 편익을 동연구에서 사용한 조기사망 예방자수로 나

누어 1인당 편익을 산출하였음.5)

- 이신호 외(2008)의 연구에 의하면 외상응급환자의 조기사망 예방으로 인한 편익은

약 7,487억, 장례비용 절감편익은 약 380억, 사망보험 절감편익은 약 676억으로 총

편익은 약 8,54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었음.

- 총 편익을 이용하여 산출한 1인당 편익은 약 1억 8천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

었음.6)

<식 1> 인당 편익 총응급환자수×사망자 비율×예방가능사망개선조기사망편익장례비편익사망보험편익

5) 이신호 외(2008)의 연구에서는 응급환자진료정보망(NEDIS)의 자료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생명의 가치를 측정하였음

① 우선 연도별 외상 사망환자수에 연도별 기대소득을 곱함으로서 조기사망으로 인한 총 손실비

용을 추계함. 이때 기대소득은 조기사망하지 않고 손실연수동안 정상적으로 노동에 참여하여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생산성으로 손실연수동안의 기대임금을 합산하여 산출하였음

② 여기에 외상 예방가능사망률의 개선치를 곱함으로서 손실되지 않을 비용, 즉 연도별 편익을

산출하게 됨.

③ 이러한 과정을 연령별․성별로 추계함으로서 최종적으로 해당년도의 조기사망 예방에 따른

총편익이 산출됨.

6) 교통개발연구원(2004)에서는 사망시 PGS(Pain, Grief and Suffering)비용을 포함한 손실비용으

로 1인당 36,374만원(2003년 가치기준)을 제시하였는데(KDI, 2007), 이 금액은 현재 본 연구에

서 제시하고 있는 가치에 약 2배에 해당함

Page 79: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67 -

<식 2> 총편익

인당 편익 ×조기사망 예방자수

◦ 다만 이때의 1인당 편익은 2004년도 가격이므로, 이를 현재 2009년의 가격으로 환산

하기 위하여 소비자물가지수(CPI)를 이용하여 보정하였으며, 편익이 무한히 증가하

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편익이 발생하는 2015년부터는 동일한 가치를 적용하였음.

- 편익 산정기간은 편익 발생 이후 30년을 기준으로 하여 2045년까지 추계하였음.

◦ 1인당 편익을 산출한 후 권역외상센터의 구축에 따른 편익을 산출하기 위하여 <식

2>와 같은 과정으로 총 편익을 산출하였음.

- 이때의 조기사망 예방자수는 앞에서 추계된 예방가능사망률 변화에 따른 생존이득

인원수를 활용하였음.

Page 80: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68 -

년도 1인당편익조기사망예방자수

편익

2015 248,047,069.64 406 100,707,110,271.84

2016 248,047,069.64 805 199,677,891,056.23

2017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18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19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20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21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22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23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24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25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26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27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28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29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30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31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32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33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34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35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36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37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38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39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40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41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42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43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44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2045 248,047,069.64 1198 297,160,389,422.81

합계 35953 8,918,036,294,589.51

표 32. 사회적 편익의 흐름

Page 81: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69 -

7) 경제성 분석

가) 경제성 분석을 위한 추가적 비용의 고려

◦ 사회적 비용은 앞에서 제시된 권역외상센터의 건립비용을 기준으로 추계하였으며,

기회비용의 개념을 반영하기 위하여 부지매입비를 추가로 고려하여 추계하였음.

- 부지매입의 시기는 설계에 들어가기 전년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고 2010년,

2011년, 2012년에 각각 두 곳의 부지가 매입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추계하였음.

◦ 그런데 부지매입비의 경우 현재 권역외상센터가 건립될 부지가 정해지지 않았기 때

문에, 해당 지역의 공시지가를 확인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음. 따라서 본 추계에

서의 부지매입비는 서울대학교 병원을 기준으로 31,735백만원을 적용하였음.

- 지방의 경우 서울보다 토지가격이 낮기 때문에 실제로 매입될 부지가격은 본 추계

에서 적용한 부지매입비보다 낮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경제성은 높

아질 것으로 판단됨.

◦ 건축비의 경우 시공비, 설계비, 감리비, 부대비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에

의료장비 구입비, 정보시스템 구축비 항목이 추가되었음.

◦ 권역별 외상센터의 운영비용은 센터의 운영시 중환자실 체류로 인한 경영적자가 예

상되므로 이를 보존하기 위해서 정부로부터 지원받아야 하는 운영비의 개념임. 따라

서 외상센터의 운영비에는 인건비를 포함한 운영비용은 제외되어 있음을 유의할 필

요가 있음.

- 연간 외과계 중환자실의 병상 당 적자규모는 약 150백만원으로 추정되며, 이를 50

병상으로 환산하면 1개 외상센터 당 운영 지원비용은 약 7,500백만원에 이를 것으

로 추정.

- 따라서 전체 6개 센터의 연간 운영비용 지원은 약 45,000백만원에 이를 것으로 가

정.

◦ 그러나 이송센터의 운영비용은 이송센터에서 자체적으로 수익을 내기 어렵기 때문

에 운용비용 전액을 지원받아야 하며, 따라서 이송센터의 운영비에는 인건비를 비롯

한 모든 운영비가 모두 포함되어 있음.

- 이송센터에서 사용될 헬기는 1개 센터당 2대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헬기의 가격이

대당 약 8,000백만원으로 추산됨. 따라서 1개 센터의 헬기 구입비용은 16,000백만

원, 6개 센터의 총 헬기 구입비용은 96,000백만원으로 추산됨.

Page 82: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70 -

분야 구분 명/횟수 단가 계

인력 1,600

의사 4명 120 480

간호사 8명 40 320

구조사 8명 40 320

조종사 4명 100 400

관제사 4명 40 160

유류 1,825회 3 5,400

정비용역 120

계 7,120백만원

표 33. 이송센터 운영비용 (단위 : 백만원)

◦ 이상의 비용을 고려하여 추계한 사회적 비용은 아래의 표에 제시된 바와 같으며,

2045년까지 투입될 전체 총비용은 3,431,394백만원으로 추정됨.

Page 83: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71 -

단위 : 백만원 단가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계 2016-2045 전체비용

외상센터 부지매입비 31,735 63,470 63,470 63,470 190,410

건축비 설계 1,630 3,260 3,260 3,260 9,780

감리 2,048 2,048 4,096 4,096 2,048 12,288

시공 34,258 34,258 68,516 68,516 34,258 205,548

부대비

용379 758 758 758 2,274

의료장비 22,979 45,958 45,958 45,958 137,874

정보시스템 3,200 6,400 6,400 6,400 19,200

예비비* 6,450 4,300 8,600 12,900 8,600 4,300 38,700

운영지원 7,500 15,000 30,000 45,000 1,350,000

이송센터 헬기 16,000 32,000 32,000 32,000 96,000

운영지원 7,120 14,240 28,480 42,720 1,281,600

계 63,470 71,788 112,394 173,888 194,810 183,444 799,794 2,631,600 3,431,394

표 34. 권역외상센터 구축에 투입되는 비용

Page 84: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72 -

◦ 추정된 편익과 비용을 현재가치로 환산하여 그 흐름을 비교한 결과는 아래의 <표

35>와 같음.

연도 비용 비용현가 편익 편익현가

2010 63,470,000,000 60,161,137,441

2011 71,788,000,000 64,498,102,019

2012 112,394,000,000 95,716,266,172

2013 173,888,000,000 140,365,305,059

2014 194,810,000,000 149,055,823,472

2015 183,444,000,000 133,041,996,593 100,707,110,271.84 73,037,412,080.60

2016 87,720,000,000 60,301,956,846 199,677,891,056.23 137,265,932,166.51

2017 87,720,000,000 57,158,252,935 297,160,389,422.81 193,629,374,154.99

2018 87,720,000,000 54,178,438,801 297,160,389,422.81 183,534,951,805.68

2019 87,720,000,000 51,353,970,427 297,160,389,422.81 173,966,778,962.73

2020 87,720,000,000 48,676,749,220 297,160,389,422.81 164,897,420,817.75

2021 87,720,000,000 46,139,098,787 297,160,389,422.81 156,300,872,813.04

2022 87,720,000,000 43,733,742,926 297,160,389,422.81 148,152,486,078.71

2023 87,720,000,000 41,453,784,764 297,160,389,422.81 140,428,896,757.07

2024 87,720,000,000 39,292,686,980 297,160,389,422.81 133,107,959,011.44

2025 87,720,000,000 37,244,253,062 297,160,389,422.81 126,168,681,527.43

2026 87,720,000,000 35,302,609,537 297,160,389,422.81 119,591,167,324.58

2027 87,720,000,000 33,462,189,135 297,160,389,422.81 113,356,556,705.76

2028 87,720,000,000 31,717,714,820 297,160,389,422.81 107,446,973,180.82

2029 87,720,000,000 30,064,184,663 297,160,389,422.81 101,845,472,209.30

2030 87,720,000,000 28,496,857,501 297,160,389,422.81 96,535,992,615.45

2031 87,720,000,000 27,011,239,337 297,160,389,422.81 91,503,310,535.98

2032 87,720,000,000 25,603,070,462 297,160,389,422.81 86,732,995,768.70

2033 87,720,000,000 24,268,313,234 297,160,389,422.81 82,211,370,396.87

2034 87,720,000,000 23,003,140,506 297,160,389,422.81 77,925,469,570.49

2035 87,720,000,000 21,803,924,650 297,160,389,422.81 73,863,004,332.22

2036 87,720,000,000 20,667,227,157 297,160,389,422.81 70,012,326,381.25

2037 87,720,000,000 19,589,788,774 297,160,389,422.81 66,362,394,674.17

2038 87,720,000,000 18,568,520,165 297,160,389,422.81 62,902,743,766.99

2039 87,720,000,000 17,600,493,047 297,160,389,422.81 59,623,453,807.57

2040 87,720,000,000 16,682,931,798 297,160,389,422.81 56,515,122,092.48

2041 87,720,000,000 15,813,205,496 297,160,389,422.81 53,568,836,106.62

2042 87,720,000,000 14,988,820,376 297,160,389,422.81 50,776,147,968.36

2043 87,720,000,000 14,207,412,678 297,160,389,422.81 48,129,050,206.98

2044 87,720,000,000 13,466,741,875 297,160,389,422.81 45,619,952,802.82

2045 87,720,000,000 12,764,684,242 297,160,389,422.81 43,241,661,424.48

합계 3,431,394,000,000 1,567,454,634,959 8,918,036,294,589.51 3,138,254,768,047.83

표 35. 편익-비용의 흐름

Page 85: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73 -

나) 분석기법

◦ 특정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 사업의 수행으로 인한 사회적인 편익과 비용이 산출된

이후에는 이를 이용하여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게 됨. 경제성 평가는 편익/비용 비율

(BC Ratio), 순현재가치(NPV) 등의 계산을 통하여 사업의 경제성을 파악하는 과정

임.

◦ 편익-비용 비율(BC ratio)은 개별 대안사업별로 편익의 현재가치를 비용의 현재가

치로 나눈 값이 가장 큰 대안을 선택하는 방법임. 사업의 비용, 편익은 장시간에 걸

쳐 투입되거나 발생하기 때문에 할인율을 적용하여 이를 특정시점에 발생하는 것으

로 환산하여 비교하게 되는데 이를 ‘현재가치화’라고 함.

- 각 사업의 비용-편익비는 현재가치로 환산된 비용과 편익으로 나타내는 것이 일반

적이며 일반적으로 편익/비용 비율이 1보다 크거나 같으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함.

BC ratio =비용의 현재가치편익의 현재가치

◦ 편익-비용 비율과 함께 가장 많이 사용되는 순현재가치법(NPV : Net Present

Value)은 현재가치로 환산된 장래의 연차별 편익의 합계에서 초기 투자비용 및 현

재가치로 환산된 장래의 연차별 비용의 합계를 뺀 값을 의미하며, NPV > 0이면 경

제성이 있다고 판단함.

다) 기본전제

◦ 경제성 분석에 있어 비용과 편익은 모두 사회적 비용 및 편익으로 간주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공공투자시설의 경우 비용은 실질적으로 투자되어 쓰여진 비용을 계상

하는 반면 편익은 회수방법을 통한 실제수익이 아닌 사회적 편익을 기준으로 함

(KDI, 2007).

◦ 본 경제성 분석에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가정하여 분석을 시행하였음.

Page 86: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74 -

- 첫째, 경제성분석의 모든 비용과 편익은 2009년도 현재가치로 환산하여 비교함.

- 둘째, 편익의 발생기간은 투자완료 후 30년으로 전제함.

- 셋째, 현재가치는 2009년을 기준으로 사업의 비용 및 편익에 적용하고 건설부문의

경우 그 성격상 비용이 초기에 집중 발생하는 반면, 편익은 건설 후 장기간 동안

발생하기 때문에 분석기간 동안 예상되는 비용과 편익에 사회적 할인율을 적용하

여 현재가치로 환산하여 평가함.

◦ 비용과 편익의 미래 흐름을 비교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할인율은 자원의 기회비용,

즉 투자사업에 사용된 자본이 다른 투자사업에 사용되었을 경우 얻을 수 있는 수익

을 추정하게 할 뿐 아니라 사람에 따라 혹은 사회에 따라 그리고 시대에 따라 다를

수 있는 시간의 개관적인 가치를 나타냄.7)

◦ 사회적 할인율은 통상 시장이자율보다 낮은 수준으로 책정되는데 그 이유는 사회적

할인율을 사용하여 사업타당성을 평가하는 주체가 주로 정부이며 정부로서는 미래

사업의 중요성이 더 높게 평가되어야 하기 때문임.

◦ 본 분석에서 사용한 사회적 할인율은 5.5%8)를 사용하였으며, 2009년 현재가치로 환

산하였음.

라) 경제성 분석 결과

◦ 추계결과 권역외상센터의 구축에 따라 발생하는 사회적 편익은 약 3조 1,383억원,

사회적 비용은 약 1조 5,675억원으로 추계되어 BC Ratio는 2.00, NPV는 약 1.57조원

으로 산출되었음.

구분 결과

총 비용 1,567,455

총 편익 3,138,255

B/C Ratio 2.00

NPV 1,570,800

표 36. 경제성 분석 결과 (단위 : 백만원)

7) 할인율 개념의 적용에 있어서는 많은 이견이 있으나 특정 건설사업이 정부에 의해 주도되는

경우에는 사회적 할인율의 개념을 적용하고 민간자본에 의해 추진되는 경우에는 시장이자율

에 근거한 할인율을 적용하는 경우가 있음

8) 사회적 할인율은 KDI의 예비타당성조사 일반지침에서 사용하고 있는 5.5%를 적용하였음

Page 87: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75 -

8) 분석의 한계점 및 향후과제

◦ 본 장에서는 권역외상센터 설립의 타당성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B/C비율이

2.00, NPV가 약 1.57조원으로 나타나 경제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음.

◦ 권역외상센터는 응급의료체계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위급한 환자의 생명을 살리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높은 경제적 타당성을 제외하더라도 그 정책적인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음. 특히 현재의 응급의료체계로는 외상전문치료가 불가능하

므로 권역외상센터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실정임.

◦ 그러나 본 경제성 분석의 경우 6곳의 권역외상센터를 가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

나 정확한 부지가 결정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음. 통상적인 경제성

분석은 사전에 결정된 입지에 수반되는 각종 비용 및 편익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는

데 반해, 본 조사는 입지 미확정으로 인해 부지 매입비, 편익의 추정에 있어 상당부

분을 가정에 의하여 수행 할 수밖에 없었음.

◦ 특히 부지매입비의 경우 지방과 서울의 부지가격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지

가 확정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서울대학교 병원 부지가격을 일괄적으로 적용한 한계

가 있음. 따라서 향후 실제 부지매입 가격은 본 분석에서 적용한 가격보다 낮을 가능

성이 높으며, 이럴 경우 전체적인 경제성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판단됨.

◦ 편익추계에 있어서는 인적자본 접근법을 통해 1인당 생명의 가치(value of life

saving)를 1억 8천만원으로 추계하였으며, 여기에 권역외상센터의 설립을 통해 예

방가능한 사망환자수를 적용하여 총 편익을 산정하였음.

◦ 사망시 생명의 가치는 다른 경제성 분석에서 교통개발연구원에서 추계한 사망시

PGS(pain, grief and suffering)비용을 포함한 손실비용으로 1인당 약 3억 6천만원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PGS비용을 포함할 경우 편익이 과다추정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보수적으로 추계하기 위하여 PGS비용을 포함하지 않고 이신호 외

(2008)의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추계하였음. 따라서 PGS비용을 포함할 경우에는 경

제적 편익이 더욱 크게 집계될 수 있음.

◦ 경제성 분석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권역외상센터 설립의 경제적 타당성은 부지의

선정, 생명의 가치측정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지만, 경제적 타당성은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며 현재 부족한 외상전문진료체계를 개선하여 예방가능사망률을 낮

춘다는 목적에도 충분히 부합하고 있는 사업으로 볼 수 있음.

Page 88: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76 -

참 고 문 헌

김윤, 정구영, 김창엽, 김용익, 신영수. ICD-10을 이용한 ICISS의 타당도 평가.

대한예방의학회지 1999; 32(4): 538-45.

김윤. 외상환자진료 질평가 도구의 타당도 평가. 서울대학교대학원 의학박사 학위논문.

1998.대한응급의학회. 응급구조학. 2000

법제처.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http://www.moleg.go.kr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응급구조와 응급처치 네째판. 군자출판사.2005

한국보건의료관리연구원. 응급의료체계 운영평가. 1996

한국보건의료관리연구원. 응급의료체계 운영평가. 1997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응급의료평가 및 모니터링 체계 구축. 1999

ACC/AHA Practice Guidelines. National Heart Attack Alert Program Coordinating

Committee Working Group. 1999

American College of Emergency Physicians. Trauma care systems quality improvement

guidelines. Ann Emerg Med 1992, 21: 736-739.

Audit Commission. Acute hospital portfolio: Guide to Topic - Accident & Emergency.

2004

Blaylock P. Cobria (EMTALA) Revisited. American Health Consultants 1995;6(9):71-8

Hubler JR. EMTALA - New developments in the regulatory guidelines and an update

of recent court opinions. American College of Emergency Physicians Foresight

2000;48:1-8

Kuehl A. Prehospital Systems and Medical Oversight, 2nd Ed. National Associationof

EMS Physicians. 1994.

MacKenzie EJ. Review of evidence regarding trauma system effectiveness resulting

from panel studies.J Trauma 1999 Sep;47(3 Suppl):S34-41.

MacKenzie EJ, Steinwachs DM, Bone LR, et al. Inter-rater reliability of preventable

death judgment. J Trauma. 1992;33:292-303

Martin GD, Cogbill TH, Landercasper J, Strutt PJ. Prospective analysis of rural

interhospital transfer of injured patients to a referral trauma center. J Traum

30:1014-1020

Maryland institute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s systems. The maryland medical

protocols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s providers. 2002

Page 89: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77 -

McDermott FT, Cordner SM, Tremayne AB. The Consultative committee on Road

Traffic Facilities in Victoria: Evaluation of the Emergency and Clinical Management of

Road Traffic Fatalitties in Victoria(1992-1993). 1994.

McDermott FT. Trauma audit and quality improvement. Aust N Z J Surg 1994; 64(3):

147-154.

National safety council, 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 Heartsavers FACTS

(Firstaid AED CPR Training System). 2002

Sobo EJ, Andriese S, Stroup C, Morgan D, Kurtin P. Developing indicators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s (EMS) system evaluation and quality improvement: A

statewide demonstration and planning project. Jt comm J qual Improv 2001; 27:138-154

Swor RA. Quality Management in Prehospital Care. National Association of EMS

Physicians. 1993

Tintinalli JE, Kelen GD, Stapczynski JS. Emergency medicine: A comprehensive study

guide, 6th ed. New York: McGraw-Hill; 2004. p.1-11

West JG. Validation of autopsy method for evaluating trauma care. Arch Surg.

1982;117:1033-1035

Mullins RJ, Veum-Stone J, Helfand M, et al: Outcome of hospitalized injured patients

after institution of a trauma system in an urban area. JAMA 71:1919–-1924, 1994.

Nathens AB, Jurkovich GJ, Rivara FP, et al: Effectiveness of state trauma systems in

reducing injury-related mortality: A national evaluation. J Trauma 48:25–-32, 2000.

Perry JF, McClellan RJ: Autopsy findings in 127 patients following fatal traffic

accidents. Surg Gynecol Obstet 119:586–-590, 1964.

Root GT, Christensen BH: Early surgical treatment of abdominal injuries in the traffic

victim. Surg Gynecol Obstet 105:264–-267, 1957.

Sampalis JS, Denis R, Lavoie A, et al: Trauma care regionalization: A

process-outcome evaluation. J Trauma 46:565–-580, 1999.

Sampalis JS, Lavoie A, Boukas S, et al: Trauma center designation: Initial impact on

trauma-related mortality. J Trauma 39:232–-239, 1995.

Shackford SR: The evolution of modern trauma care. Surg Clin North Am

75:147–-156, 1995.

Shackford SR, Hollingsworth-Fridlund P, Cooper GF, Eastman AB: The effect of

regionalization upon the quality of trauma care as assessed by concurrent audit before

and after institution of a trauma system: A preliminary report. J Trauma 26:812–-820,

1986.

Page 90: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78 -

Stewart TC, Lane PL, Stefanits T: An evaluation of patient outcomes before and after

trauma center designation using Trauma and Injury Severity Score analysis. J Trauma

39:1036–-1040, 1995.

Trunkey DD: History and development of trauma care in the United States. Clin

Orthop 374:36–-46, 2000.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ublic Health Service,

Health Resources and Services Administration: Model Trauma Care System Plan.

Washington, DC,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92.

Van Wagoner FH: Died in hospital: A three-year study of deaths following trauma. J

Trauma 1:401–-408, 1961.

Wanek SM, Trunkey DD: Organization of trauma care. Scand J Surg 91:7–-10, 2002.

West JG, Trunkey DD, Lim RC: Systems of trauma care: A study of two counties.

Arch Surg 114:455–-460, 1979.

West JG, Williams MJ, Trunkey DD, et al: Trauma systems: Current status—-future

challenges. JAMA 259:3597–-3600, 1988.

Zollinger RW: Traffic injuries: A surgical problem. Arch Surg 70:694–-700, 1955.

김윤 외, 『응급의료 기본계획 수립 및 응급의료 운영체계 평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연구보고서,

2005.

김한중․박태규 외, 『흡연의 사회경제적 비용분석 및 흡연율 감소전략 개발』, 연세대학교 보건대학

원 연구보고서, 2000.

노인철 외, 『음주의 경제사회적 비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1997.

이신호 외, 『응급의료체계 구축에 의한 사회적 비용편익분석』,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연구보고서,

2008.

한국개발연구원, 『2007년도 예비타당성 조사 보고서 국방의료원 신축사업』, 2007.

Brent, R. J., Cost-Benefit Analysis and Health Care Evaluations, Edward Elgar, 2003.

Drummond, M. F. et al., Methods for the Economic Evaluation of Health Care Programmes,

Oxford university press, 3rd Ed., 2005.

Page 91: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79 -

<부록> 외상센타 구역별 세부 면적표

분 류 실 명 면적(m2) 실 수 계(m2) 비 고

101 병동부

표준병동 1 40병상

1 1인실 22 18 396 화장실,개인 locker설치

2 4인실 44 6 264 화장실,개인 locker설치

3 데이룸 44 1 44

4 욕실 13 1 13 적정규모:3.6m*3.6m,목욕보조가능

5 장애인화장실 5 1 5 변기,세면기,거울,자동문 설치

6 공용화장실 9 2 18 남녀분리

7 처치실 13 1 13 적정규모:3.6m*3.6m

8 간호스테이션 36 1 36 charting,의료진회의공간 포함

9 청결물 보관실 9 1 9 위생재료 보관, 처치준비

10 린넨실 6 1 6

11 당직의사실 22 1 22

12 직원갱의실(여) 22 1 22 수간호사실 포함

13 배선실 12 0.5 6

14 조리실 12 0.5 6 냉/온장고 설치

15 탕비실 12 0.5 6

16 일반창고 10 1 10 수액보관,각종 미사용품/장비 보관

17 오물처리실 9 1 9 사용물품 수거전 보관,bed-pan washer

18 휠체어보관실 4 1 4 상부는 수납공간

19 청소도구실 10 0.5 5 청소원 갱의실 포함

20 다용도실 10 0.5 5

계 324 899

표준병동 2 899 40병상

표준병동 3 899 40병상

표준병동 4 899 40병상

표준병동 계 3,596 총 160병상

중환자실 50병상

<중증 중환자실>

1 병실 300 1 300 개방형 10병상, 개실형 10병상 기준

2 처치실 22 1 22

3 간호스테이션 32 1 32

4 청결물보관실 13 1 13

5 린넨실 6 1 6

6 오물처리실 12 1 12

Page 92: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80 -

<일반 중환자실>

1 병실 450 1 450 개방형 20병상, 개실형 10병상 기준

2 처치실 22 1 22

3 간호스테이션 32 1 32

4 청결물보관실 13 1 13

5 린넨실 6 1 6

6 오물처리실 9 1 9

<공용>

1 출입전실 22 2 44

2 보호자대기 50 1 50

3 보호자숙소 44 2 88 남녀구분

4 보호자갱의 9 2 18 남녀구분

5 공용화장실 15 2 30

6 당직의사실 13 2 26

7 중환자관리실 44 1 44

8 회의실 22 2 44

9 직원갱의(남) 12 1 12

10 직원갱의(여) 36 1 36 수간호사실 포함

11 직원휴게실 22 1 22

12 직원화장실 6 3 18

13 배선실 12 2 24

14 휠체어보관 5 3 15

15 기기창고 15 3 45

16 운반차보관 12 1 12

17 청소도구실 10 1 10

18 보호자면담실 10 1 10

19 집중치료실장실 15 1 15

20 세척실 10 1 10

계 1,490

101 병동부 합계 5,086 1,538.52

47.48 전체순면적에 대한 비율

102 외상소생 진료구역

소생/처치/관찰

1 환자대기 66 1 662 소생실 27 3 81 1실당 6.3*4.2

3 처치실 22 2 44

4 관찰병상 240 1 240 20병상 배치

5 격리실 15 2 30 격리관찰실

6 소아관찰 44 2 88 소아관찰병실 10병상

7 소수술실 44 1 44

Page 93: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81 -

간호및지원시설

1 간호스테이션 36 1 36

2 청결물보관실 9 1 9

3 오물처리실 9 1 9

4 물품창고 9 2 18

5 휠췌어보관 5 1 5

6 보호자대기공간 66 1 66

7 환자화장실 9 2 18

8 환자세척실 12 1 12

9 접수/수납 22 1 22

10 당직의사실 15 3 45

11 직원휴게실 18 1 18

12 직원갱의실(여) 24 1 24 간호사 등

13 직원갱의실(남) 15 1 15 응급구조사 등

14 공중전화대 5 1 5

15 장애인화장실 5 1 5 환자화장실 인접 배치

16 회의실 30 1 30

17 청소도구실 5 1 5영상의학실

일반촬영/투시촬영

1 일반촬영실 30 2 60 갱의실포함

2 투시촬영실 44 1 44 갱의실,화장실 포함

3 판독실 44 1 44

CT/초음파/Angio실

4 CT촬영실 44 2 88

5 CT기계실 44 1 44 항온항습기, CPU포함

6 CT조작실 44 1 44 판독, 조정

7 CT환자회복실 15 1 15 CT 환자대기

8 초음파실 18 1 18

9 Angio촬영실 54 2 108 조영촬영

10 Angio전실 22 1 22 대기 및 갱의실 포함

11 Angio준비실 15 1 15 세척실 포함

12 Angio회복실 22 1 22 환자회복

13 Angio조정 44 1 44 판독, 조정

14 Angio 기계 22 2 44

MRI실

16 MRI접수 15 1 15

17 MRI환자준비 44 1 44 대기, 갱의실

18 MRI촬영실 54 1 54

19 MRI조정 44 1 44 판독, 조정

20 MRI기계실 30 1 30

Page 94: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82 -

21 의국 88 1 88

22 의사실 18 3 54

23 기사실 22 1 22

24 직원갱의실 22 1 22 탈의, 남녀구분

25 직원화장실 9 2 18

26 영상관리실 66 1 66 행정실, 영상 및 정보 관리실 등

27 청소도구실 6 1 6

28 린넨실 6 1 6

29 창고 22 1 22 소모품 및 기기보관 등

진단검사의학실

1 접수/사무 22 1 22

2 응급검사실 176 1 176

3 혈액은행 88 1 88 헌혈실 포함

4 창고 15 1 15

5 의사실 18 2 36

102 외상소생 진료구역 2,375 22.17 전체순면적에 대한 비율

103 수술 구역

수술실

1 보호자대기 22 1 22

2 수술준비실 66 1 66

3 마취준비실 22 1 22

4 스크럽공간 4 3 12 수술실 2개당 1개 설치

5 대수술실 68 1 68 유효면적 확보 필수

6 수술실 46 4 184 유효면적 확보 필수

7 심폐기실 12 1 12

8 기브스실 12 1 12

9 소소독실 9 1 9 기구세척실 포함. 오토크레이브 설치

10 오물처리 9 1 9

11 기기창고 15 1 15

12 소독물실 44 1 44

13 소검사실 15 1 15

14 기기보관 22 1 22 수술실 공용

15 소휴게실 12 1 12

16 일반창고 22 1 22

17 회복실 44 1 44

18 회복실간호대기 9 1 9 청결물실 포함

19 회복실소독물실 6 1 6

20 회복실 오물처리 6 1 6

21 청소도구실 9 1 9 청소원 갱의실 포함

22 마취과의국 44 1 44

Page 95: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83 -

23 의사실 18 2 36

24 회의실 22 1 22

25 당직실 15 1 15

26 남자 갱의실 44 1 44 화장실, 샤워실 포함

27 여자 갱의실 10 1 10 화장실, 샤워실 포함

28 휴게실 22 1 22 식사제공, 수술실 외부설치. 배선실 포함

103 수술구역 계 813 7.59 전체순면적에 대한 비율

104 서비스 및 지원시설

서비스

약국

1 조제실 66 1 66

2 약품창고 22 1 22

물품창고

1 일반물품창고 66 1 66

2 기기보관창고 22 2 44

3 특수물품창고 15 2 30

중앙공급실

1 소독실 88 1 88 소독기 배치

2 소독품보관고 66 1 66

3 수술용품보관 44 1 44 덤웨이터 설치

4 분배공간 22 1 22 불출공간

5 린넨포장실 30 1 30

6 직원갱의실(여) 12 1 12 화장실 포함

7 직원갱의실(남) 9 1 9 화장실 포함

소계 499

기계전기실 기계전기실 제외한 순면적의 10% 내외

1 기계전기실 950 1 950 공조실 포함

2 통신실 44

3 UPS실 88 1 88 축전지실 포함

4 의료가스실 44 1 44 정압실 포함

5 중앙통제센터 88 1 88 방재센터, 사무실

소계 1,170

104 서비스 및 지원시설 계 1,669 15.58 전체순면적에 대한 비율

Page 96: 2003년도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안)snu-dhpm.ac.kr/pds/files/... · 2012-06-07 · )*+ !"#$%,- .-+,-QinD,- /01./ .2

- 84 -

105 행정사무 및 편의시설

행정사무

센타장실 44 1 44

센타행정사무실 88 1 88

예비실 66 1 66

직원휴게실 22 2 44

간호과 44 1 44

센타원무실 88 1 88

대회의실 66 1 66

소회의실 22 1 22

공용창고 44 1 44

의무기록실 88 1 88

직원갱의실 22 2 44

편의시설

ATM 12 1 12

매점 36 1 36

꽃집 18 1 18

외래식당 66 1 66

105 행정사무 및 편의시설 770 7.19 전체순면적에 대한 비율

구분 계획면적 평

외상센타

1 순면적 계 10,713 3,241

2 공유면적비 1.52

3 총면적 16,284 4,926

지하주차장(64대 기준) 2,116 640

센터 전체 연면적 18,399 5,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