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19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임 선 하 현대창의성연구소장 1. 토론에 앞서 우리나라는 교육으로 성장한 나라이다.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이다. 따 라서 사회의 중심 논의 주제는 주로 교육으로 귀결된다. 정치적 논의를 하다가도, 경제 적 논의를 하다가도 주제가 교육으로 전환되면 그 순간 분위기는 반전된다. 모든 사람 들이 전문가의 신념을 가지고 논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긍정적으로 보면 교육에 대 한 관심과 열정이 많다는 의미이기도 하지만, 달리 보면 교육적 논의의 수준이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고 답보 상태에 머물게 되는 주 원인이기도 하다. 논의의 바탕에 긴 호흡 을 가진 진지하고 깊은 고민이 자리하지 못할 때, 더 이상의 발전은 없다. 학교법인 청심학원에서 초등학교를 설립하려 한다는 소식을 접한 것은 수년 전이었 다. 학령 인구가 급속히 줄고 있는 상황에서 서울 수도권을 떠나 인구가 많지 않은 가 평에 설립한다고 하여 놀랐다. 하지만 이미 유치원과 중고등학교가 설립되어 성공적으 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에서 일종의 수직계열화를 이루려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산수풍광이 좋은 공간에서 아름다운 교육을 하려는 것이라고 믿었다. 교육은 이념적으 로 인간의 정신을 다루기에 내용적 시간적 연속성을 요구한다. 그러기에 유치원이 있으 면 초등학교가 있어야 하고, 초등학교가 있으면 중고등학교가 있어야 한다. 더 나아가 면 대학교도 있어야 한다. 아마도 이런 고민을 누구보다 더 깊이 그리고 더 많이 했을 전문가들이 내보이려고 하는 청심초등학교의 교육이 어떤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올 지 궁금하다. 그리고 수년 동안 농익은 교육의 목소리를 듣고 싶어진다. 최근들어 학교 설립의 꿈을 가진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이미 있는 학교도 폐교 위기 에 있는데 무슨 학교를 더 설립하려 하느냐고 반문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실제 상황이 다. 기존의 교육을 벗어나 새로운 교육을 꿈꾸는 사람들이 학교를 설립하려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우리 교육사에서도 이런 사례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구한말 서구식 교육이 들어올 때 우리의 전통 교육기관인 서당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학교 설립 운동이 확산되었다. 일제 시대에 민족 교육을 위해 학교 설립 운동을 주도했던 선각자 들도 새로운 학교를 설립하였다. 교육이 주어진 건물 속에서 주어진 교재를 가르치는 기능적인 행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이들이 학교를 새로 설립 하려 한 근본적인 이유는 자신들이 가진 교육 철학을 실현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하려 한데 있다. 요즘의 학교 설립자들은 산업 사회형 교육과 그 학교를 벗어나 창조 사회형

Upload: cseduforum

Post on 16-Apr-2017

1.115 views

Category:

Education


3 download

TRANSCRIPT

Page 1: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임 선 하

현대창의성연구소장

1. 토론에 앞서

우리나라는 교육으로 성장한 나라이다.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이다. 따

라서 사회의 중심 논의 주제는 주로 교육으로 귀결된다. 정치적 논의를 하다가도, 경제

적 논의를 하다가도 주제가 교육으로 전환되면 그 순간 분위기는 반전된다. 모든 사람

들이 전문가의 신념을 가지고 논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긍정적으로 보면 교육에 대

한 관심과 열정이 많다는 의미이기도 하지만, 달리 보면 교육적 논의의 수준이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고 답보 상태에 머물게 되는 주 원인이기도 하다. 논의의 바탕에 긴 호흡

을 가진 진지하고 깊은 고민이 자리하지 못할 때, 더 이상의 발전은 없다.

학교법인 청심학원에서 초등학교를 설립하려 한다는 소식을 접한 것은 수년 전이었

다. 학령 인구가 급속히 줄고 있는 상황에서 서울 수도권을 떠나 인구가 많지 않은 가

평에 설립한다고 하여 놀랐다. 하지만 이미 유치원과 중고등학교가 설립되어 성공적으

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에서 일종의 수직계열화를 이루려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산수풍광이 좋은 공간에서 아름다운 교육을 하려는 것이라고 믿었다. 교육은 이념적으

로 인간의 정신을 다루기에 내용적 시간적 연속성을 요구한다. 그러기에 유치원이 있으

면 초등학교가 있어야 하고, 초등학교가 있으면 중고등학교가 있어야 한다. 더 나아가

면 대학교도 있어야 한다. 아마도 이런 고민을 누구보다 더 깊이 그리고 더 많이 했을

전문가들이 내보이려고 하는 청심초등학교의 교육이 어떤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올 지

궁금하다. 그리고 수년 동안 농익은 교육의 목소리를 듣고 싶어진다.

최근들어 학교 설립의 꿈을 가진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이미 있는 학교도 폐교 위기

에 있는데 무슨 학교를 더 설립하려 하느냐고 반문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실제 상황이

다. 기존의 교육을 벗어나 새로운 교육을 꿈꾸는 사람들이 학교를 설립하려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우리 교육사에서도 이런 사례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구한말 서구식

교육이 들어올 때 우리의 전통 교육기관인 서당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학교 설립

운동이 확산되었다. 일제 시대에 민족 교육을 위해 학교 설립 운동을 주도했던 선각자

들도 새로운 학교를 설립하였다. 교육이 주어진 건물 속에서 주어진 교재를 가르치는

기능적인 행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이들이 학교를 새로 설립

하려 한 근본적인 이유는 자신들이 가진 교육 철학을 실현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하려

한데 있다. 요즘의 학교 설립자들은 산업 사회형 교육과 그 학교를 벗어나 창조 사회형

Page 2: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표-1] 산업 사회의 교육과 창조 사회의 교육

산업 사회의 교육 창조 사회의 교육

효율성, 생산성 재생산, 창출

▲ ▲

지식 활용 지식 확대

▲ ▲

지식 배급 지식 공유

▲ ▲

지식 수입 지식 창출

*임선하(2011)

학교를 설립하려는 의도를 가진 경우가 많다. 산업 사회형 교육과 창조 사회형 교육은

그 출발점이 서로 다르다.

본 토론문도 새로운 학교를 설립하여 새로운 이념의 교육을 하려는 사람들의 교육적

이상, 주로 창조 사회형 교육을 존중하는 입장을 가지고 쓴 것이다. 청심학원의 교육이

가진 지향점도 이와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2. 증거 기반의 학교 설립 준비

학교법인 청심학원은 ‘증거 기반의 학교 설립’을 준비해오고 있다. 현장에 적용하

여 이미 검증된 이론과 실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학교의 이념을 설정하고, 시설을 설

계하며, 교육과정과 교실 수업을 구안하는 것이다. 증거의 원천은 매우 다양한데 그 중

에서 가장 결정적인 것이 바로 청심국제중고등학교의 실천 사례이다. 이미 수년 동안

최고 수준의 학교를 운영해온 경험으로부터 많은 지혜를 얻은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

더해 국내외의 많은 학교로부터 시설과 운영 아이디어를 받아들였다.

UNESCO의 ASPnet(Associated Schools Project Network)에 대한 관심은 글

로벌 조직이 가진 최고의 이점이다. 1953년에 창립된 ASPnet는 180여 국가의 9000

여개의 교육기관이 참여하고 있는 세계적인 네트워크이다. 국제 이해, 평화 추구, 문화

간 대화, 지속 가능한 발전 그리고 질적인 교육의 실천을 위해 서로 도움을 주는 유아

교육기관, 초등학교, 중등학교, 직업 학교는 물론 교사 교육 기관이 포함되어 있다.

ASPnet가 추구하는 덕목들은 요즘 우리 사회가 겪고 있는 경제 성장의 역기능을 치유

해줄 수 있는 것들이다. 이 중에서도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교육(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기 위한 책임감이 중

요하다는 것을 전제로 관계자들에게 권한을 이양해주는 교육의 미래이다. 이를 위해 질

Page 3: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핵심 역량

영역하위 요소 정의

창의력

창의적

사고 기능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유추성 등과 같은 인지적 능력

창의적

사고 성향민감성, 개방성, 독립성, 과제집중력, 자발성 등과 같은 정의적 특성

문제해결

능력

문제인식 해결할 문제를 확인하고 명확하게 진술하기

해결방안의

탐색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산출해 내고, 최적의 해결 방안

을 선택하기

해결방안의

실행과

평가

최적의 해결 방안을 선택하여 실행하고 평가하기

논리적

사고력연역적/귀납적 과정을 통해 사고하기

비판적

사고력합리적 기준이나 근거를 갖고 현상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능력

의사소통

능력

말하기 자신의 의사를 분명하고 정확하게 말로 표현하는 능력

듣기 상대방의 말을 집중하여 잘 들어주고 공감하는 능력쓰기 상황과 맥락을 고려하여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글을 쓰는 능력

읽기 다양한 텍스트를 이해하고 해석하고 평가하는 능력

정보처리

능력

정보 수집 다양한 자료를 탐색하고 필요한 자료를 선별하는 능력

정보 분석 수집된 정보를 비교, 분류, 종합하여 그 가치를 평가하는 능력

정보 활용 다양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활용 및 생성하는 능력

정보 윤리 정보에 대한 접근 및 활용에 요구되는 윤리의식

매체

활용능력 다양한 매체를 선택, 활용하는 능력

대인관계

능력

타인 이해

및 존중타인의 입장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관용적인 태도

협동 공동의 목적을 위해 타인과 협력하는 태도

[표-2] 미래 사회 한국인의 핵심 역량

높은 기초 교육을 제공하고, 교육 과정을 재설정하며, 시민 의식을 훈련하고 개발시킴

과 동시에 사람들이 현재와 미래에 적절한 행동, 기능 그리고 지식을 개발하도록 돕 임

부를 가지고 있다. 2002년, Johannesburg에서 열린 “World Summit on

Sustainable Development”에서는 교육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시키는데 결정

적이라는 생각을 지지했다. 정상 회담 이후에 UN은 Decade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UNDESD,2005-2014)가 UNESCO를 중심으로 활동하

도록 결정했다. 교육에서 정작 중요한 것은 속도가 아니다. 산업 사회가 우리에게 심어

준 속도의 신화는 이제 바뀌어야 한다. 속도가 아니라 목표 즉 올바른 방향 설정이다.

무엇을 할 것인지가 중요한 것이다.

이런 점에서 국제적으로 논의가 활발한 핵심 역량(key competences)을 살펴볼 필

요가 있다. 이광우 외(2009)에 의하면 미래형 교육과정은 범교과 차원의 핵심 역량 위

주로 구성된다고 한다. 아래는 미래 사회 한국인의 핵심 역량 목록이다.

Page 4: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갈등 관리 갈등을 의미 있고 건설적으로 해결하는 태도

관계형성 타인과의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유지하는 능력

리더십 타인을 선도하고 이끄는 능력

자기관리

능력

자아정체성

확립

자신의 적성과 특성을 발견하여 명확한 삶의 목표와 가치 그리고 역

할 의식을 발전시키는 태도

여가 선용 여가 시간을 생산적으로 활용하여 유익하게 즐기는 능력

건강 관리생활에 필요한 체력을 보존하고 건강한 정신과 신체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기

합리적

경제생활합리적인 소비 생활과 더불어 재정(돈)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능력

기본생활

습관일상생활에서 요구되는 기본적인 생활 습관 및 태도를 형성하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학습자 스스로 지속적으로 학습을 계획․관리․실행하는 능력

기초학습

능력

기초적

읽기글을 읽고 이해하는 기초적인 학습 능력

기초적

쓰기생각이나 의견을 글로 표현하는 기초학습능력

수리력 계산하기, 수와 도표를 읽고 이해하는 기초 수리력

시민의식

공동체

의식

공동체의 가치를 인식하고 존중하며,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사회적

역할과 책무를 수행하려는 태도

준법정신 법이나 사회 규범을 존중하고 준수하려는 의식

환경의식 환경 보존을 위해 자신의 소비습관, 생활방식을 변화시키는 태도

윤리 의식 옳고 그름을 분별하여, 옳음을 지향하려는 태도

봉사정신 사회 또는 남을 위해 헌신하는 태도

국제사회

문화 이해

우리 문화

이해우리의 전통 및 현대 문화를 이해하고 계승․발전시키는 태도

다문화

이해다양한 문화의 차이를 이해, 존중하는 태도

문화 향유

능력문화 및 예술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향유하는 태도

국제사회

이해국제 사회의 여러 현상 혹은 문제들을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하기

외국어

소양

국제화 사회의 상호 소통에 요구되는 외국어 문해 능력(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진로개발

능력

진로인식 진로 선택에 필요한 다양한 직업 세계를 이해하는 능력

진로탐색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적합한 진로를 탐색하는 능력

진로설계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적합한 진로를 설정하고 이에 필요한 능력을

함양하기

핵심 역량 중심의 교육이 전제하고 있는 창조 사회의 교육은 산업 사회의 교육과 교

과 내용을 보는 시각이 다르다. 교과서는 주로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논쟁적이고 복합

적이며 갈등적인 문제가 아닌 과거를 소재로 한 잘 다듬어진 지식을 다룬다. 따라서 학

생들의 학습 동기를 자극하는데 한계가 있다. 학생에게 진정으로 의미있는 교육은 과거

기반의 교과서, 삶 중심의 현실 문제, 그리고 미래의 문제를 함께 다루어야 할 것이다.

Page 5: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표-3] 시간 축으로 보는 교육의 핵심 사항

교과서 중심; 과거 기반 삶 중심: 현재 기반 예측 중심: 미래 기반

지식

진리

고정적인 것

확실한 것

오래된 것

교과서/책/문서/규칙

지능

지혜

사실 / 가설

유동적인 것

혼돈스러운 것

새로운 것

생활/신문/잡지 등

지혜

통찰력

예지

상상적인 것

구상하는 것

예측된 것

인간의 상상력

통찰력

*고지식인

(웰컴투동막골의 김선생)

*지능영재(IGT)

*academic smart

*신지식인

(실천 바탕의 전문인)

*창의영재(CGT)

*street smart

*전략가

(통찰적 지식인)

*슈퍼영재(SGT)

*idea smart

*임선하(2007)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011년부터 우리나라에서도 교과서의 지위가 과거

와 달리 하나의 학습 참고 자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극단적으로는 교과서 없이도 교

육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학습자들은 자기주도적으로 지식을 찾고,

스스로 찾은 지식 중에서 의미있는 것을 판단하고 습득하여, 통합적이고 창의적으로 사

고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될 것이다. 교과서의 지위가 약화됨으로써 학습자들은 디

지털 생태계에서 축적된 유동지식(fluid knowledge)을 기반으로 공부하게 된다. 유동

지식은 오류 때문이 아니라 더 나은 방향으로 통합되고 표현되는 속성으로 인해 항상

달라진다. 학습자들은 이런 유동 지식을 언제 접촉해도 늘 새로운 것이며, 늘 새롭기

때문에 언제 어디에서든지 주눅들지 않고 자신의 아이디어를 더할 수도 있다.

위에서 살펴본 교육의 변화 양상과 지향점을 바탕으로 청심학원이 받아들이는 글로

벌 인재가 갖추어야 할 인재상인 ACG를 살펴보자. ACG는 이타적 품성(Altruistic

Mind) 교육, 창의적 지식(creative knowledge) 교육, 그리고 글로벌 리더십(global

leadership) 교육을 일컫는다. 청심국제중고등학교에서는 현재 ACG 수업을 실시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말하는 통합 수업보다 더 적극적인 의미의 교육인 것으로 알려져 있

다.

Page 6: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이타적 품성 교육

(Altruistic Mind)

공감 역량이 있는 사람

-나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 생각하고 공감

-소통이 가능한 의사 소통 능력이 있는 사람

창의적 지식 교육

(creative

knowledge)

틀을 벗어나 사고하는 역량을 가진 사람

-교과의 안과 밖의 한계를 넘어선 통합 수업(교육과정 재구성)

-수업 시간 외 다양한 학교 활동과 연계 및 비교과 활동으로

확장

-교실 안에서 교실 밖 세상으로 이어지는 교육

글로벌 리더십 교육

(global

leadership)

국제 수준의 인재 양성

-국제 이해 교육을 통한 국제 전문가 양성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포용력과 태도

-세계를 바라보는 상대주의적 패러다임 습득

[표-4] 청심학원의 교육 이념-ACG

위에서 살펴본대로 청심학원의 ACG는 인성적 태도와 사고 능력을 가진 글로벌 인재

양성을 지향하는 교육이다. 이런 교육이 새삼스러운 것은 아니지만, 청심초등학교의 건

물 조감도를 보면 교육 철학과 교육 내용의 최적 조화를 이루려는 노력에서 차별성을

보인다. 초등학교 학생들이 학교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창의적인 사고가 샘솟게 설계했

다는 학교 조감도는 시설(곧 문화)이 마음을 형상한다는 문화론자들의 주장이 실현된

것으로 보인다. 도서관은 사고를 확장하고 탐구 능력을 기르기 위한 공간으로 꾸며졌으

며, 창의적인 의사 소통이 가능한 학급 교실, 그리고 교과 교육과 예술 활동이 자연스

럽게 융합될 수 있는 특별 교실이 마련되어 있다.

Page 7: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표-5] 다양성의 두 원천

외면적 다양성 내면적 다양성

겉으로 드러나 쉽게 확인 가능한 차이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성

내면적으로 형성된 차이를 기반으로 하

는 다양성

인종, 성별, 나이, 신체 특성, 신체 장애태도, 성격, 가치관, 신념, 종교, 지식,

사회성

3. 청심학원의 교육은 창의성을 지향한다. 그렇다면 .......

창의성이 존재할 수 있으려면 먼저 환경이 구축되어야 한다. 여러 유형의 환경이 있

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수용하는 심리적 환경이다.

창의성을 수용하는 심리적 환경은 아래와 같다.

가. 다양성의 인정 - 창의성은 사회의 다양성을 기반으로 한다. 다양함을 인정하지 않

는 창의성은 없다. 다양성은 정치적 이념, 종교, 문화, 국적 등 한 사람의 사고에 영향

을 주는 모든 요인들을 편견없이 수용하는 것이다.

나. 개별적 존재의 가치 인정 - 창의성은 어의적으로 독창성을 전제한다. 이미 존재하

는 생각은 더 이상 독창적인 생각이 아니다. 그러기에 독창성은 개별성을 바탕으로 한

다. 한 사람 한 사람의 가치를 인정하는데서 독창성은 나온다. 집단 중심의 사고와 전

체주의적 태도는 창의성의 적인 획일성을 낳는다. 진정한 개별적 존재의 가치를 인정하

는 태도를 바탕으로 타인의 존재의 가치를 인정하는 태도가 형성된다.

다. 열린 체제의 수용 - 이 세상이 닫힌 체제인지 아니면 열린 체제인지에 대한 태도

는 개인의 선택 사항이다. 하지만, 닫힌 체제라고 믿는 사람들은 사회가 정해진 규칙에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 받아들인다. 이와는 달리 열린 체제라고 믿는 사람들은 사회의

변화는 당연한 것이고, 그 변화의 흐름에 동참하고 변화를 주도하려는 태도를 갖게 된

다.

창의성을 지향하는 교육은 다양성의 인정, 개별적 존재의 가치 인정, 그리고 열린

체제의 수용을 전제한다. 이를 구체적인 교육 장면에서 실현시키려면 그에 걸맞는 내용

과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 본 토론자(임선하,2011)는 아래와 같은 네 영역을 제안한다.

이들 요인들은 첫째 풍부한 지식 기반이다. 지식 그 중에서도 양질의 지식은 좋은 사고

를 이끌어내는 자료가 된다. 둘째, 비판적 사고력이다. 엄청난 양의 정보와 지식을 자

신의 관점에서 수용하고 해석하는 기본 역량이다. 셋째, 창의적 사고력이다. 창조 사회

Page 8: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표-7] 창의성 교육 교사의 교수 행위

1 독립적 학습

창의성 교육의 본질은 학생들이 독립적인 학습자가 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다. 능동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학습자는 세상사를

적극적이고 창의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2 협동 학습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한 사람의 노력으로 얻어지기 보다는 다른

사람들과의 협력을 통해 얻어지는 경우가 많다. 다른 사람들과의

협력적인 삶의 자세를 기본으로 터득할 수 있게 가르친다.

3 동기 유발

진정한 학습은 스스로 추동된 동기를 바탕으로 가능하다. 창의성

을 가르치는 교사는 학습의 기본적인 태도인 동기를 자극하는 교

육을 한다.

4 판단 유보

교육 상황에서 즉각적인 판단과 평가는 해악이다. 창의성 교육을

하는 교사는 학생들이 가진 개별적인 역량이 자극되는 학습이 이

루어질 때까지 평가를 유보하는 사람이다.

창의성의 속성 내용 특성

Contents-ful 지식 기반(학력) 지식과 정보는 사고의 재료이므로 풍부해야 함.

지식의 고착을 벗어나도록 교육해야 함

Critical 성찰

주체적 태도

교육 내용으로서의 지식과 삶의 장면인 문화는

현실 적응적 분위기가 강함. 지식과 현실 속에서

비판적 성향을 갖도록 교육해야 함

Creative 독창적 아이디어

대안적 사고

비판적 성향을 가진 주체자는 자기 삶의 주인으

로서 새롭고 대안적인 사고를 하게 됨.

Cooperative 집단 지성

삶의 실천

자기 의식의 틀 속에 갇힌 ‘창백한 지성인’을

벗어나 ‘함께함의 실천’을 체화하게 교육해야

함. 집단 지성의 근간임

*임선하(2011)

에서 요구되는 아이디어와 지식의 창출 역량이다. 마지막으로 협동심이다. 협동심은 집

단 지성을 이끌어 준다. 각각의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제는 이들을 성공적으로 실현시킬 교사의 역량을 살펴야 한다. Cropley(1997)는

창의성 교육의 성패는 교사의 역량에 달려있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 그는 창의성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는 교사의 교수 행위를 아래와 같이 9가지로 범주화했다.

Page 9: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5 융통성 학습자들이 사고의 융통성을 갖도록 가르친다.

6 자기 평가창의성은 다른 사람들의 단편적인 평가로부터 벗어나 존재한다.

학습자들이 스스로 자기 자신을 수용하고 평가하도록 가르친다.

7 질문 존중이미 주어진 문제에 수동적으로 답을 하는 존재를 벗어나 학생들

이 스스로 문제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답하도록 가르친다.

8 기회 부여학습자들이 폭넓게 학습할 수 있도록 다양한 학습 환경을 제공한

다.

9 도전감창의성은 도전감을 바탕으로 한다. 창의성을 가르치는 교사는 도

전감을 심어준다.

*Cropley(1997), Fostering creativity in the classroom: general

principles, in M. Runco(ed.) The Creativity Research Handbook,

NJ:Hampton Press, pp.81-112

4. 성공적인 학교를 위한 제언

아무리 작은 단위의 혁신도 금방 완성되지 않는다. 한 학교의 새로운 시도가 성공적

으로 정착되려면 적어도 10년 정도의 집중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

된다(김영희,2011). 포스코지곡초등학교는 창의성 교육을 정착시키기 위해 10년 정도의

일관되고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지식 중심의 교육에 비해 창의성 교육은 교사 의

존성이 더 높다. 그만큼 교사의 전문성 훈련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가. 혁신은 츨발선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유능하고 성공적인 사람들이 대부분 갖게 되는 오류가 있다. 성공에 취하는 것이다.

성공한 교사는 마음 속의 관료화를 형성한다. 모든 교육관계자들의 마음 속의 관료화를

방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교사들의 마음 속의 관료화를 깨뜨리는 방법은 기존의 틀

안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논의의 한계를 벗어나 틀을 건너뛰면서 자유롭게 교육을 논의

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는 것이다. 교육에서도 크리스텐슨(Christensen,1997)이 말

하는 ‘파괴적 기술에 기반한 혁신(disruptive technology based innovation)’

논의가 필요한 이유이다. 크리스텐슨은 기존 기술을 바탕으로 현실적으로 드러나는 문

제점을 확인하고 개선하는 존속성 기술 기반의 혁신과 기존 기술의 패러다임을 벗어나

새로운 패러다임에서 문제점을 찾고 해결하는 파괴적 기술 기반의 혁신을 대비시켜 설

Page 10: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표-8] 존속성 기술과 파괴적 기술

존속성 기술 기반 혁신

sustaining technology

파괴적 기술 기반 혁신

disruptive technology

기존 기술을 바탕으로 현실적으로 드러나

는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함

(기존의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교육을 접

근함)

기존 기술의 패러다임을 벗어나 새로운

패러다임에서 문제점을 찾고 해결함

(혁신적이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새로운 교육을 모색함)

현실 위주

수요자 위주

현금 우선

(현실 문제에 대한 대증적 접근)

미래 위주

공급자 위주

미래 우선

(미래 문제에 대한 선제적 접근)

* Christensen(1997)

* ( ) 안의 내용은 필자가 추가한 것임

명한다. 그에 의하면 존속성 기술을 따르는 집단은 파괴적 기술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집단에게 패배한다. 그의 말로 하면 일등 조직이 새로운 조직에 패배하는 ‘혁신자의

딜렘마(innovator's dilemma)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패배 이유는 이미 가지고 있는

기술이나 아이디어가 아까워 버리지 못하고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새로운

기술이 있더라도 기존의 중심을 침해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받아들인다. 이와는 달리

기존의 기술 수준이 낮거나 현상돌파적 사고를 하는 집단은 완전히 새로운 기술이나 아

이디어를 받아들여 사업의 새판을 짠다. 이들이 최종적으로 승자가 되는 이유이다.

나. 성공의 새로운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교육은 개념적으로 다의적이다. 교육을 접근할 때 각각의 학자들이 가지고 있는 교

육에 대한 개념은 너무 다르다. 방법 원리의 교육관이 있다. 목적과 수단의 관계에서

효율성과 효과성을 먼저 따지는 교육관이다. 제도 원리의 교육관도 있다. 사회 제도 속

에서 영위되고 있는 삶의 맥락을 다루는 교육관이다. 발달 원리의 교육관도 있다. 인간

의 발달에 작용하는 원리를 교육의 원리로 수용하는 입장이다. 교과 원리의 교육관도

있다. 교과의 가치에 비중을 두기 때문에 교과 내용의 습득이 중요한 교육의 목적이라

는 입장이다. 내재원리의 교육관도 있다. 교육이라는 고유한 행위 속에 그 자체의 의미

가 있다는 입장이다.

이런 다양한 입장이 있다고 해도 현실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몇 가지 구분을 갖는다.

Page 11: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표-9] 교육 성과에 대한 학문 분야별 관심사

구분 개인적 성과 사회적 성과

교육(학)적 관점

개인의 인지 발달

인성 및 도덕성 발달

신체 성장 및 발달

자아 실현

공동체 의식 형성

사회(학)적 관점 -시민 의식 향상

균등한 교육 기회 제공

경제(학)적 관점

취업

소득 향상

취업 능력 보유

인력 제공

생산성 향상

소득 재분배 효과

*정택희(2008), p.67

다. 정보 공학 기술을 도입해야 한다

미국의 마이크로소프트가 주도하여 설립한 미래학교의 도서관에는 책이 없다. 첨단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도서를 제공한다. 최근 들어 관심을 끌고 있는 교육 3.0 모델

은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표-10] 교육 3.0의 모델

구분 교육 1.0 교육 2.0 교육 3.0

의미 받아적기 사회적으로 구성사회적으로 구성되고, 맥락적으로 재탄생

기술 교실문 앞에서 압수(디지털 난민)

신중하게 채택(디지털 이민자)

어디에나(디지털 우주)

수업 교사가 학생에게교사가 학생에게학생이 학생에게(진보주의)

교사가 학생에게학생이 학생에게학생이 교사사람-기술-사람(협력 구성주의)

학교 소재지 빌딩(벽돌) 빌딩 또는 온라인(벽돌 또는 클릭)

어디나(사회에 깊이 침투;카페, 볼링장, 술집, 직장 등)

학부모의 학교관 돌봄 돌봄 학부모 자신도 학습

교사 자격증가진 전문가 자격증가진 전문가 누구나, 어디서나

학교의 H/W와 S/W

비싸게 사거나 무시당하거나

오픈 소스 또는 저렴하게 구입

저렴하게 구입하고 목적에 맞게 활용

졸업생에 대한 기업의 인식

조립라인의 노동자지식 경제에서 잘못 준비된 조립 라인의 노동자

공동 사업자 또는 창업자

*David(2009), Education 3.0, http://www.davidbill.org/archives/443(2009.5.11)

Page 12: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표-11] 창의성의 역설적 구조

차원 역설의 양극 사례

사고 과정

수렴적 사고

확산적 사고

이미 알고 있는 것을 다시 적용하기, 빠르고 정확하

게, 매우 논리적

착수하기, 예기치 않은 연결 고리 만들기, 놀라운

관련성 파악

동기

반응적

주도적

문제 수용하기; 현존하는 문제에 초점 맞추기,

외부 압력에 의해 움직임

문제 발견하기: 자신이 확인한(예기치 않은) 문제에

초점 맞추기, 내부 압력에 의해 움직임

라. 잘 가르치는 교사를 양성해야 한다

잘 가르치는 교사의 특성 중에 어떤 것은 다른 사람들이 흉내내기 어려운 것이 있

다. 이 흉내내기 어려운 개별 교사의 교육적 특성을 시스템화하여 교육하는 것이 가능

할까? 많은 학자들은 최근들어 교사들의 ‘실천적 지식’에 주목한다. 이 분야의 선구

자인 Elbaz(1981)에 의하면 교사들의 실천적 지식은 몇 가지로 구분된다. 교사가 가르

치는 내용에 관한 지식이 있다. 전문 영역의 지식이다. 교육 프로그램의 계획과 구성에

관련된 지식이 있다. 동일한 전문 지식을 가지고도 교사에 따라 서로 달리 구성하는 것

이 좋은 예이다. 교수/학습법과 학습자에 관한 지식이 있다. 자기 만의 가르치는 방식

은 물론 학습자를 이해하는 방식도 다르다. 학교 사회 및 인간관계, 교사의 역할 및 전

문직으로서의 자질에 관한 지식이 있다. 학교사회나 인간관계와 같은 교직 수행에 필요

한 지식도 있다. 이들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실천적 지식 중에서 전문 영역의 지식에

너무 강조하는 것은 아닌지 반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창의성을 잘 가르치는 교사의 실

천적 지식 특성에 주목한다. 교실 속에서 일어나는 일의 주인은 학습자이지만, 그를 위

해 상황을 조성하고 방향을 이끄는 전문가는 교사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우리는 그 교

사들의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성장을 향한 지원 노력을 믿는다.

마. 창의적 사고의 성격과 구조를 반영해야 한다

창의성을 강조하는 교육을 하려는 상황에서는 창의성의 성격을 이해해야 한다. 창의

성은 교육적 상황에서 역설적인 면을 나타낸다. 교육자들이 혼란에 빠지기 쉬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Page 13: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개인적 성격

적응적

혁신적

수용적, 잘 고려된 것을 좋아함, 시도되고 신뢰로운

것에 의존함

자율적, 개방적, 높은 자신감, 비수용적, 자발적

태도

보존적

생성적

예기치 못한 것에 노출되면 부정적 효과 가져옴

일상적인 것에서 벗어나면 불만족

예기치 못한 것에 노출되면 긍정적 효과 가져옴

일상적인 것에서 벗어나면 즐거움

산출물

틀에 박힌

창의적

효과적, 정확성, 통상적

놀라움, 중대함, 초기의

압력

높은 요구

낮은 요구

문제와 요청되는 해결책의 성격은 관리 차원과

접한 관계, 재빠른 결과에 대한 높은 압력, 정확성

에 대한 높은 요구, 오류나 실패에 대해 참지 못함,

옳은 것에 대한 보상, 잘 적응하는 사람에게 높은

지위 부여

문제와 요청되는 해결책의 성격은 느슨하게 정의됨,

재빠른 결과에 대한 낮은 압력, ‘착한’ 오류에 대

해 용인함, 관점을 확장하는 것에 대한 보상, 차별

적인 사고를 가진 사람에게 높은 지위 부여

*Cropley, A. and Cropley,D.(2008)

인간이 살아가는 과정에서 동원하는 다양한 사고를 통합하여 문제를 접한다. 그래서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한다는 것은 일찍이 다른 사람이 해결하지 못한 방식으로 해결

한다는 의미도 있고, 기발하게 해결한다는 의미도 있으며, 효과적으로 해결한다는 의미

도 있겠지만, 다른 사람보다 더 멋지게 해결한다는 의미도 있다. 더 나아가 창의적인

사고는 멋을 부리는 사고이기도 하다. 그리고 인간 세상에서 이루어지는 일이기 때문에

모든 생각과 행동은 실현 가능해야 하고 도덕적 판단의 기준도 충족시켜야 한다. 창의

적인 사고를 이렇게 다양하고 복합적인 기준을 충족시키는 사고 행위로 받아들이는 입

장에서 다음과 같은 이해의 틀을 정리해 보았다.

Page 14: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표-12] 멋진 문제 해결(창의적인 문제 해결)의 구조

핵심 기준 사고 유형 활동 중점 활동 영역

현실 고려 윤리적이어야 도덕적 사고 수양도덕, 윤리, 철

Ý

감성 고려 멋있어야 예술적 사고 감각 예술

Ý

관계 재구성 독창적이어야 창의적 사고 높은 내적 기준 창의문제해결

Ý

관계 재검토다양한 아이디

어창의적 사고 고정 관념 타파 창의

Ý

사물과의 관계

맺음

체계성이 있어

야논리적 사고 토론과 토의

독서, 논리, 과

Ý

사실 확보 사실성이 바탕 비판적 사고 비판 의식 독서, 경험

이들 각각의 사고가 가능해지기 위해서는 단계마다 그에 걸맞는 준거가 제시되어야

한다. 본 토론자는 준거 교과로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특정한 준거(기준)에 의해 재분

류하고 정리하는 활동을 요구하는 교과를 제안한다. 일테면 평화의 문제가 중요하다면

준거는 평화가 될 것이며, 그 교과의 명칭은 평화 교육이 될 것이다. 이 시간에는 학습

자들이 배운 모든 교과 내용을 평화의 관점에서 다뤄보는 것이다. 국어 시간에 배운

시 속에서 평화와 관련된 것을 활용하고, 수학에서도 영토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측량

을 한다는 것을 활용하고, 과학에서도 노벨이 개발한 화약과 평화와의 관계를 살펴보

며, 사회 시간에 배운 내용을 평화의 관점에서 따져 보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기존의

내용 교과와 도구 교과에서 배워 습득한 모든 경험과 지식이 평화의 기준으로 재구성

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지식의 의미가 형성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창의성이라

는 준거를 토대로 창의성 교육이라는 준거 교과를 개설할 수 있다. 창의성을 중시하는

시대이기 때문에 창의성을 준거로 삼아 기존의 경험을 재구성하게 하는 활동은 충분히

의미있을 것이다.

사고의 준거로서의 창의성을 개념화하고, 그 내용 구조를 밝히기 위해 임선하

(1993)는 ‘창의성의 DESK 모형’이라는 모형을 통해 창의성의 내용 요소를 추출

하였다. 추상적인 개념인 창의성의 내용을 추출하여, 그 내용을 구조화시키고, 그 창

의성의 내용구조를 창의적 준거로 하여(준거 적용 활동) 우리의 일상적인 삶과 지식

을 재구조화하고 재의미화하면 자연스럽게 창의적 사고가 가능해진다는 입장이다. 물

론 이 과정에서 임계치(역치)에 도달할 때까지 준거 적용 활동을 계속해야 한다는 전

제는 있다. 창의성 교육 또는 창의적 사고를 자극하는 활동으로서의 창의적 준거 적

Page 15: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용 활동 접근은 지금까지 주류를 이루고 있는 서구 중심의 기법을 강조하는 창의성

접근과는 달리 창의성의 내용을 확보하는데 중점을 둔다.

바. 교육의 성과는 글쓰기로 나타나야 한다

프랑스의 프레네 교육 전문가인 Go(2011) 교수는 프레네가 제안한 자유글쓰기(free

text)가 학생들을 ‘작가(author)’로 길러준다고 주장한다. 작가는 자신의 것을 창안

하는 사람이다. 자유글쓰기와 대조적으로 다른 사람의 글을 읽거나 다른 사람이 정한

주제나 규칙에 의한 글쓰기는 학생들을 ‘선수(player)’로 만든다. 선수는 다른 사람

이 만든 역할을 수행하는 존재이다. 작가는 창조하지만, 선수는 생산한다. 자유글쓰기

는 학생들이 ‘활동에 대한 힘(power to act)’을 갖도록 해준다. 자신의 활동에 대

한 힘을 갖고 있기에 그는 그 어디에도 억압되지 않으며, 다른 사람과 비교되지 않으

며, 그렇기에 서로 협동할 수 있다. 자신의 공부로부터 소외되는 학생들이 없게 되는

것이다. 이것이 곧 참된 공부이다. 프레네가 갈구했던 진정한 교육은 학생 스스로 창안

자가 되면서 협동하는 사람이 되는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Kenneth(2000)

가 정리한 일에 대한 열정과 몰입을 하게 만드는 네 가지의 보상책을 느끼게 된다. 의

미발견, 선택의 인식, 역량 자각, 그리고 진전 인식이 그것들이다. 의미 발견은 자신이

가치있는 일을 하고 있다는 인식을 하는 것이다. 선택의 인식은 어떤 일에 대해 자신이

선택권을 가지고 있다는 느낌을 갖는 것이다. 역량 자각은 자신이 그것을 할 수 있는

기술과 지식을 갖고 있다는 것을 느끼는 것이다. 그리고 진전 인식은 실제로 자신이 설

정한 목표를 향해 진전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느끼는 것이다.

아래는 자신의 주위에 존재하는 것들을 기반으로 수준을 높여가는 글쓰기의 과정을

통해 창의성이 증진될 수 있게 해주는 모형이다(임선하,2007).

Page 16: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표-13] 창의성 기반 글쓰기의 체계적 접근

經 수준장기간에 걸쳐 수정되고 정리되는

것 예) 성경, 불경

통찰의 단계로 우리가 사는 이유 또는 행

복의 조건에 대해 고민 할 수 있는 내용

세계적 기준 대가들과의 만남/세미나

論 수준누구에게나 적용되는 일반적인 틀

을 고려하는 것 예) 이론

찬반양론으로 팽팽하게 맞서는 논쟁의 내

첨삭/지도/사사/웍샵 공동연구/共著하기/논술

疏 수준

다양한 의견과 생각을 집단의 문

화 체계에 따라 정리하는 것

예) 상소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실, 때론 고정관

념으로 자리잡고 있는 관습이나 습관 (객

관적사실 -카타르시스단계)

토의/토론 경험,개념,지식의 形式知化/고정관념 타파

說 수준다양한 의견과 생각을 추가하는

것 예) 사설, 설명

누구나 개인적으로 고민해보고 개인적인

경험이나 해결책을 갖고 있는 내용(사실중

심)

아이디어 해킹/창의적 사고 상위인지적 사고/주체의 객체화

想 수준경험의 세계를 벗어나 상상하는

것 예) 상상

상상력을 바탕으로 하거나, 활동지 발문중

독자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내용

상상 비존재의 구체화

述 수준

사물이 가진 진면목을 그대로 나

타내는 것(다양한 표상 활용)

예) 진술, 기술

체험활동이 들어가 있으며 일상생활 중에

호기심과 민감성을 기르는 내용

체험/관찰/민감성 호기심/과제집착력/몰입

학습/교육/생활

5. 맺는 말

본 토론에 임하면서 가진 청심학원의 교육에 거는 기대가 있다. 최근 들어 차별적인

교육철학을 실현하기 위해 설립된 초등학교는 없기에 더 의미있는 시도이고, 모험이다.

이 모험이 성공하여 우리 모두의 마음에 또 다른 교육의 가능성을 심어주기 바란다. 그

리고 이보다 더 중요한 모두들 교육 때문에 떠난 농촌 지역의 좋은 학교로 크게 성공하

기를 바란다.

Page 17: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주체적 지성인의 삶

▲ (사회구조론적 세상 이해)

심부름 같은 길

참고문헌

-생략함-

- 교과 내용의 통합 필요

(1단계- 유사 교과 간의 事前 통합, 즉 교과 종속 창의성 교육)

(2단계- 교과 학습 후의 事後 통합, 즉 준거 교과 개념 도입)

*준거교과-학습자의 사전 학습 내용을 전체적으로 동원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제시하여 지식과 경험의 통합을 유도하는 학습 활동 영역)

(3단계-창의성을 다루는 별도의 교과 또는 과목 도입, 즉 교과 독립 창의성 교육)

3. 창의지성 교육의 방법 - 지성적 방법

-생략-

우리 시대의 창의지성인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신영복의 글을 통해 한 사람이 창의지성

인으로 성장하는 길을 알 수 있다. 그의 삶은 자신이 말한대로 사회 구조론으로 세상을

이해하기 전까지는 심부름같은 삶이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강홍렬(2011), 미래 사회 변화와 교육, 21세기 창조형 인재양성 전략 전문가 포럼, 2011년 5

월 17일

김영희(2011), 다면적 접근 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을 통한 창의력 신장방안, 2011년 제55회 전국현

장 교육연구대회

김정래, 공교육 맹신이 교육 망친다, 한국경제신문 2010년 3월 4일

김진호(2010), 교과서의 식민주의, 아하! 한겨레, 190호, 2011.7.17

사카이야다이치(2001), 이윤정 역(2004), 가치 혁명과 사회 시스템 개조론, 서울:아이필드

손민호(2011), 교육과정;상상력과 실천, 계간 우리교육 2011년 여름호, pp.76-85

송주명(2011), 혁신학교와 창의지성, 경기도교육청 창의지성교육추진단 워크샵 발표문,

(2011.5)

오성철(2000), 식민지 초등교육의 형성, 서울:교육과학사

Page 18: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윤석철(1997), 프린시피아 메네지멘타, 서울:경문사

이광우 외(2009),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비전 연구(3),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면우(1992), W이론을 만들자, 서울:지식산업사

임선하(2011), 「창의지성교육을 위한 몇 가지 생각」, 경기도교육청 창의지성교육 추진단

워크샵 토론문( 2011.5)

임선하(2008), 창의성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교육정책포럼, 2008.12.

임선하(2007), 창의성 기반의 논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수원:경기도교육청

임선하(2001), 창의성 교육 왜 어떻게 할 것인가?, 초등교육 2001년 1월호, 한국초등교육

협의회

임선하(1998), 창의성의 틀-DESK 모형 접근-, 서울:현대창의성연구소

임선하(1993), 창의성에의 초대, 서울:교보문고

임선하(1989), "교육 내용으로서의 창의적 사고", 교육개발,11-6. 1989.12. PP.4-9

임연기,신상명(1999), 21세기 학교 경영 혁신 모형 개발 연구, 서울:한국교육개발원

정택희(2008), 한국의 교육 지수 개발연구-학교교육성과지수를 중심으로-,서울:한국교육개

발원

조동일(1993), 우리 학문의 길, 서울:지식산업사

한준상(1999), 호모 에루디티오, 서울:학지사

허경철,양종모,임선하(2004), 창의성 평가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한국교육과정

평가원

Bill Gates 저, 안진환 역(2006), 생각의 속도, 서울:청림출판

Acker, Victor(2007), The French educatior Celestin Freinet-An inquiry into

how his ideas shaped education-, Plymouth,UK:Lexington Books

Christensen, Clayton(1997), The Innovator's Dilemma-When new

technologies cause great firms to fail-, Boston:HBS Press

Go, N.(2011), Innovative educational philosophy and successful practices,

경기도교육청, 학교 혁신과 창의지성 교육의 세계적인 흐름 국제심포지엄, Kintex

2011.6.2-3, pp.275-289

Kenneth Thomas(2000), Intrinsic motivation at work, Sanfrancisco:Berret and

Koehler

Cropley, A. and Cropley,D.(2008), Resolving the paradoxes of creativity:

an extended phase model, Cambridge Journal of Education 38, pp.355-373

Cropley,A.J,(1976), Some psychological reflections on lifelong education,

in R.H.Dave(Eds), Foundations of lifelong education, Oxford:Pergamon

Press, 1976

Elbaz, F.(1981),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Report of a case study,

Page 19: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Curriculum Inquiry, 11-1, pp. 43-70.

John M. Rich 편, 강윤중 역(1995), 교육개혁안과 그 비판, 서울:양서원

Thurow,L.(1999), Building Wealth, 한기찬 역(1999), 지식의 지배, 서울:생각의 나무

Niemi, H., The Finnish strategy in teacher education at the 2nd cycle level,

www.helsinki.fi/tutkinnonuudistus/english/, 2007.5.

Schumpeter, Joshep A.(2003), 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 NY:Taylor &

Francis e-Library(ori. 1942)

Thomas,A.M.(1991), Beyond education, San Francisco:Jossey-Bass

Torrance,P.(1979), The search for satori and creativity, NY:CEF

wikipedia(,2011), www.wikipedia.org(2011년 1월 17일 검색)

Willis,P.(1977), Learning to labour:How working class kids get working class

jobs, Fanborough:Saxon ho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