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보안 사고의 특징들(security trends)과 대응 방안 2 smb 중심

5
2011보안 사고의 특징들(Security Trends)대응 방안 2, SMB 중심 지난 이야기 "2012/02/13 - [IT/Social 이야기] - 2011보안 사고의 특징들(Security Trends)대응 방안 1 "이은 번째 이야기 입니다. 지난 이야기에서는 아래의 5 가지가 주된 내용이었습니다. 1. 해커들의 주된 공격 목표는 고객 정보(Customer Record, Personal Identifiable Information) 이다. 2. 음식과 /음료 산업(Food and Beverage Industry)침해 사고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유 개인 정보의 집합체이기 때문이다. 3. 도입된 3소프트웨어(3rd Party SW)보안 결함(Security Deficiencies)발생한 침해 사고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4. 통신 구간에서 불법으로 정보를 내는 경우(Data harvesting in Data in-transit)많았다. 5. 여전히 "password1" 연상이 쉽고 도용이 용이한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 자체를 보안 시스템에서 강제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번에는 위에서 정보 침해의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상대적으로 소규모이면 보안 시스템에 대한 투자에 제한을 밖에 없는 음식과 /음료 산업 같은 SMBs(Small to Midsize Businesses)들은 위한 보안 시스템의 적용(Deploying The Security System(DAM) For Small to Midsize Businesses)대하여 말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외국의 보안 침해 사례 가지를 소개 하겠습니다.

Upload: eungjin-cho

Post on 23-Jun-2015

298 views

Category:

Technology


3 download

TRANSCRIPT

Page 1: 2011년 보안 사고의 특징들(security trends)과 대응 방안 2 smb 중심

2011년 보안 사고의 특징들(Security Trends)과 대응 방안 2, SMB 중심

지난 번 이야기 "2012/02/13 - [IT/Social 이야기] - 2011년 보안 사고의 특징들(Security Trends)과

대응 방안 1"에 이은 두 번째 이야기 입니다.

지난 번 이야기에서는 아래의 5 가지가 그 주된 내용이었습니다.

1. 해커들의 주된 공격 목표는 고객 정보(Customer Record, Personal Identifiable Information) 이다.

2. 음식과 식/음료 산업(Food and Beverage Industry)의 침해 사고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유

는 개인 정보의 집합체이기 때문이다.

3. 도입된 제3자 소프트웨어(3rd Party SW)의 보안 결함(Security Deficiencies)로 발생한 침해 사고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4. 통신 구간에서 불법으로 정보를 빼 내는 경우(Data harvesting in Data in-transit)가 많았다.

5. 여전히 "password1" 등 연상이 쉽고 도용이 용이한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 데 이

자체를 보안 시스템에서 강제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번에는 위에서 정보 침해의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상대적으로 소규모이면

서 보안 시스템에 대한 투자에 제한을 둘 수 밖에 없는 음식과 식/음료 산업 과 같은

SMBs(Small to Midsize Businesses)들은 위한 보안 시스템의 적용(Deploying The Security

System(DAM) For Small to Midsize Businesses)에 대하여 말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외국의 보안 침해 사례 몇 가지를 소개 하겠습니다.

Page 2: 2011년 보안 사고의 특징들(security trends)과 대응 방안 2 smb 중심

1. 오스트리아 국영 TV 시청료 징수 기관 'AustrAnon'이라는 해커 그룹에게 서버를 해킹으로

96,000 건의 은행계좌 정보 등의 민감정보(Sensitive Data)가 포함된 214,000 개의 파일을 도난 당

함 [기사보기]

2. Virus에 감염된 레스토랑의 POS System으로부터 고객의 카드(Debit, Credit) 정보가 유출 됨 [기

사보기]

3. 신용카드 단말기의 해킹(통신 구간 해킹)으로 지역 레스토랑을 이용한 고객의 신용 정보가 유

출 됨 [기사보기]

4. Lady Gaga의 웹사이트가 해킹 당해 펜들의 개인정보가 유출 됨 [기사보기]

위의 4가지의 사례를 보면 개인 정보를 수집(Data Harvesting; Hacking)은 On/Off 라인의 구별 없

이 정보가 존재하는 곳에는 어디서나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어떤 대책을 세워야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정보의 침해사고를 막을 수 있을까요? 우리나라

의 개인정보보호법을 기준으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보호해야 할 정보의 대상인 개인 정보(Personal Identifiable Information)에 대해서 알아야 합

니다.

2. 개인정보 보호란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Page 3: 2011년 보안 사고의 특징들(security trends)과 대응 방안 2 smb 중심

* 개인정보 자기결정권

- 정보주체(고객, 이용자)가 자신의 개인정보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어느 범위까지 수집, 이용,

제공되는지에 대해 스스로 판단, 결정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은 헌법재판

소에서 국민의 기본권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정보통신망법 등 관련 법률에 구체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3. 정보보호의 구체적 내용을 알아야 합니다.

4. 관련 법(개인정보보호법, Compliance)에서 제안하는 기술적 조치사항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합니다.

Page 4: 2011년 보안 사고의 특징들(security trends)과 대응 방안 2 smb 중심

5. 관리 체계 구성, 즉 보안을 위한 프로세스와 정책의 정리 및 시스템의 도입이 있어야 합니다.

아래 NHN의 사례와 같이 "정보보호의 방향성"과 "개인정보의 생명주기"에 맞게 이루어져야 하

는 것이 모범답안 입니다.

- 정보보호의 방향성

[출처: 발표자료 "개인정보의 기술적, 관리적 보호조치 구현 사례" p7 이미지 캡춰]

위와 같이 서비스 또는 시스템 이용자의 관점에서 보안의 방향성을 잡아야 보호 대상 데이터를

중심으로 하는 서비스 또는 시스템 이용자의 모든 행위를 점검, 감시, 제어 할 수 있게 됩니다.

Page 5: 2011년 보안 사고의 특징들(security trends)과 대응 방안 2 smb 중심

결국은 보호 대상 데이터의 무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사용에 대한 모든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

게 되는 것이지요.

또한 정보보호의 방향의 중간에 정보보호를 위한 실질적인 보안 시스템이 위치하게 되는데요. 위

그림의 표현과 같이 "서비스 가용성", "데이터 기밀성"을 확보,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