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한국정치 강의계획서

3
- 1 - 2014학년도 Ewha-KF Global e-School 강의계획서 울란바타르대학교-이화여자대학교 간 온라인 화상강의, 매주 수요일 9:4011:10 한 국 정 치 담당교수: 민병원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전공) (연구실) 이화여자대학교 포스코관 연구동 601(전화) 3277-2766 (이메일) [email protected] 교과목 개요 이 강좌는 한국정치에 관심을 가진 해외 학생들에게 기초적인 내용을 소개하고 현대의 한국정치에 대한 관심을 북돋우기 위해 개설되었다. 기초적인 한국어 를 구사하고 한국문화를 알고자 하는 학생들이라면 누구나가 쉽게 한국정치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 강좌의 목표이다. 한국정치는 1945년 일본 제국주의의 지배로부터 독 립한 이후 한국정치는 근대화와 민주화의 홍역을 치 르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이런 역사적 맥락을 올 바로 파악하기 위해 이 강좌에서는 조선이라는 전근 대적 상황에서부터 식민지시기와 해방, 한국전쟁, 사정부를 거쳐 민주주의 시기에 이르는 근대의 모습 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정치는 지난 100여년에 걸쳐 서구를 비롯한 다 양한 지역의 국가들이 경험한 여러 역경과 변환을 거듭해왔다. 이러한 역사의 흔적들은 오늘날 한국정 치와 사회 속에 그대로 남아 있으며, 한국과 동아시 아의 미래 모습을 이해하는데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기반을 이룬다. 이런 문제의식 하에 이 강좌에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한다. 한국정치의 기원, 특히 조선이라는 전근대적 상황 이 어떻게 식민지 시절을 거쳐 근대국가로 거듭 나게 되었는가? 수많은 제3세계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한국이 독 립과 정부 수립, 그리고 전쟁을 겪으면서 근대화 초기의 고통스러운 과정을 겪었는가? 또한 서구의 제도를 도입했음에도 여러 미비점으 로 인해 군사 쿠데타와 군부통치로 이어질 수밖 에 없었던 사회정치적 맥락은 무엇인가? 1960년대 이후 박정희 권위주의 정권이 현대 한 국사회에 미친 공과는 무엇이며, 그 유산은 오늘 날 어떤 형태로 지속되는가? 한국정치는 분단과 대외관계라는 외적 요인에 의 해 어떤 영향을 받고 있으며, 특히 한미관계는 냉 전 이후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민주주의가 전개되고 있는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불거지고 있는 많은 현안들은 무엇이며, 바람직한 해결책은 무엇인가? 강의 자료 이 강의는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기초과목이라는 점 을 고려하여 다음의 주교재를 지정하여 집중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다만 이 강좌의 일정과 교과서의 순 서가 반드시 일치하지 않으므로 유의할 필요가 있 . 아울러 교재에서 다루지 않고 있지만 수업시간 에 별도로 소개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필요한 자료들 을 따로 안내 및 배포할 예정이다. 이영훈. 2013. 『대한민국 역사: 나라만들기 발자취 19451987(서울: 도서출판 기파랑). 이외에 참고자료로서 여러 부교재를 추천한다. 이들 부교재들은 주교재의 범위와 일부 겹치기도 하지만 대체로 주교재에서 다루지 않는 부분들을 소개하고 있어서 한국정치의 전반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들이다. 개별 강의일정에서는 이러한 참고자료들 의 해당 부분들을 따로 소개할 예정이다. 강의 진행방식 및 평가 기준 세미나에 참가하는 학생들은 해당 주제에 관해 사전 에 주교재를 읽고 충분히 숙지할 것을 권장한다. 울러 온라인 화상강의 특성상 다소 어려움이 있기는 하지만 수업시간 중에 궁금한 점은 적극적으로 질문 하도록 권장하며, 필요할 경우 이메일이나 별도의 온라인 게시판을 이용하여 소통하도록 한다. 수업은 교수의 PPT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 주

Upload: amaraaubc

Post on 30-Jun-2015

409 views

Category:

Documents


1 download

TRANSCRIPT

Page 1: 2014 한국정치 강의계획서

- 1 -

2014학년도 Ewha-KF Global e-School 강의계획서

울란바타르대학교-이화여자대학교 간 온라인 화상강의, 매주 수요일 9:40∼11:10

한 국 정 치담당교수: 민병원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전공)

(연구실) 이화여자대학교 포스코관 연구동 601호 (전화) 3277-2766 (이메일) [email protected]

교과목 개요

이 강좌는 한국정치에 관심을 가진 해외 학생들에게 기초적인 내용을 소개하고 현대의 한국정치에 대한 관심을 북돋우기 위해 개설되었다. 기초적인 한국어를 구사하고 한국문화를 알고자 하는 학생들이라면 누구나가 쉽게 한국정치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 강좌의 목표이다.

한국정치는 1945년 일본 제국주의의 지배로부터 독립한 이후 한국정치는 근대화와 민주화의 홍역을 치르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이런 역사적 맥락을 올바로 파악하기 위해 이 강좌에서는 조선이라는 전근대적 상황에서부터 식민지시기와 해방, 한국전쟁, 군사정부를 거쳐 민주주의 시기에 이르는 근대의 모습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정치는 지난 100여년에 걸쳐 서구를 비롯한 다양한 지역의 국가들이 경험한 여러 역경과 변환을 거듭해왔다. 이러한 역사의 흔적들은 오늘날 한국정치와 사회 속에 그대로 남아 있으며, 한국과 동아시아의 미래 모습을 이해하는데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기반을 이룬다. 이런 문제의식 하에 이 강좌에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한다.

한국정치의 기원, 특히 조선이라는 전근대적 상황이 어떻게 식민지 시절을 거쳐 근대국가로 거듭나게 되었는가?

수많은 제3세계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한국이 독립과 정부 수립, 그리고 전쟁을 겪으면서 근대화 초기의 고통스러운 과정을 겪었는가?

또한 서구의 제도를 도입했음에도 여러 미비점으로 인해 군사 쿠데타와 군부통치로 이어질 수밖에 없었던 사회정치적 맥락은 무엇인가?

1960년대 이후 박정희 권위주의 정권이 현대 한국사회에 미친 공과는 무엇이며, 그 유산은 오늘날 어떤 형태로 지속되는가?

한국정치는 분단과 대외관계라는 외적 요인에 의해 어떤 영향을 받고 있으며, 특히 한미관계는 냉전 이후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민주주의가 전개되고 있는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불거지고 있는 많은 현안들은 무엇이며, 바람직한 해결책은 무엇인가?

강의 자료

이 강의는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기초과목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다음의 주교재를 지정하여 집중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다만 이 강좌의 일정과 교과서의 순서가 반드시 일치하지 않으므로 유의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교재에서 다루지 않고 있지만 수업시간에 별도로 소개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필요한 자료들을 따로 안내 및 배포할 예정이다.

이영훈. 2013. 『대한민국 역사: 나라만들기 발자취 1945∼1987』 (서울: 도서출판 기파랑).

이외에 참고자료로서 여러 부교재를 추천한다. 이들 부교재들은 주교재의 범위와 일부 겹치기도 하지만 대체로 주교재에서 다루지 않는 부분들을 소개하고 있어서 한국정치의 전반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들이다. 개별 강의일정에서는 이러한 참고자료들의 해당 부분들을 따로 소개할 예정이다.

강의 진행방식 및 평가 기준

세미나에 참가하는 학생들은 해당 주제에 관해 사전에 주교재를 읽고 충분히 숙지할 것을 권장한다. 아울러 온라인 화상강의 특성상 다소 어려움이 있기는 하지만 수업시간 중에 궁금한 점은 적극적으로 질문하도록 권장하며, 필요할 경우 이메일이나 별도의 온라인 게시판을 이용하여 소통하도록 한다. 수업은 교수의 PPT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 주

Page 2: 2014 한국정치 강의계획서

- 2 -

교재 또는 부교재의 내용을 직접 다룰 수 있다. 강좌의 최종 평가는 아래의 기준에 따라 이루어질 예정이다.

▶ 출석 및 참여도: 15%▶ 중간고사 (예정일 3월 19일): 35%▶ 기말고사 (예정일 5월 14일): 50%

중간고사 및 기말고사의 범위와 형식에 대해서는 별도의 안내가 있을 예정이다. 이외에 강의와 관련한 안내사항은 수업시간 중 또는 별도의 온라인공간을 통해 전달되며, 학생들 역시 궁금한 점이나 의견 교환을 위해 이 공간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다. 기타 교수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 이메일 등을 이용하도록 한다.

강의 일정

강의는 다음과 같은 일정으로 진행된다. 학생들은 해당 일정 내에 지정된 자료들을 읽고 소화할 수 있도록 사전에 준비하기를 권장한다. 별표(*)가 표기된 자료는 인터넷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제1주 (1/8) 강좌 안내

첫 주에는 한국정치 강좌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가 이루어질 예정이며, 교과 진행방법 및 교재, 학습방법과 문제의식 등에 대한 안내가 있을 것이다.

제2주 (2/5) 한국정치의 기원: 전근대와 구한말

제2주차 수업은 교수의 사정으로 인하여 일정 변경이 가능함. 변경이 이루어질 경우 사전 협의 및 공지를 할 예정임.

강상규. 2013. 『조선정치사의 발견』 (서울: 창비).장학근. 2008. 『조선, 평화를 짝사랑하다: 붓으로 칼과

맞선 500년 조선전쟁사』 (서울: 플래닛 미디어).그레고리 헨더슨. 2013. Korea: The Politics of the

Vortex. 이종삼ㆍ박행웅 옮김. 『소용돌이의 한국정치』 (서울: 한울), 제1장∼제3장.

앙드레 슈미드. 2007. Korea Between Empires, 1895∼1919. 정여울 옮김. 『제국 사이의 한국』 (서울: 휴머니스트).

*정용화. 2006. “조선의 조공체제 인식과 활용.”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7(2), 5∼29.

제3주 (2/12) 식민지 이후: 해방, 건국과 전쟁

이영훈. 2013. 『대한민국 역사』, 제2장∼제3장.그레고리 헨더슨. 2013. Korea: The Politics of the

Vortex. 이종삼ㆍ박행웅 옮김. 『소용돌이의 한국정치』 (서울: 한울), 제4장∼제5장.

브루스 커밍스. 1986.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김자동 옮김. 『한국전쟁의 기원』 (서울: 일월서각).

*서주석. 1997. “한국전쟁의 기원과 원인: 냉전체제 후의 재조명.” 『한국정치외교사논총』 16(1), 13∼40.

*유병용. 1997. “미군정과 한국정치.” 『한국정치외교사논총』 15, 9∼50.

*홍순호. 1997. “제1공화국의 명암.” 『한국정치외교사논총』 15, 51∼91.

제4주 (2/19) 박정희 시대와 권위주의 정치

이영훈. 2013. 『대한민국 역사』, 제4장.그레고리 헨더슨. 2013. Korea: The Politics of the

Vortex. 이종삼ㆍ박행웅 옮김. 『소용돌이의 한국정치』 (서울: 한울), 제6장∼제9장.

*이택휘. 1997. “4월혁명과 장면정권.” 『한국정치외교사논총』 15, 93∼142.

*김용욱. 1997. “5ㆍ16 군사정변과 제3공화국.” 『한국정치외교사논총』 15, 143∼201.

*김영명. 1997. “유신체제의 수립과 전개.” 『한국정치외교사논총』 15, 203∼227.

제5주 (2/26) 경제발전과 근대화

이영훈. 2013. 『대한민국 역사』, 제5장.남덕우. 2009. 『경제개발의 길목에서』 (서울: 삼성경

제연구소).김정렴. 2006. 『최빈국에서 선진국 문턱까지: 한국

경제정책 30년사』 (서울: 랜덤하우스코리아).*김일영. 2001. “한국에서 발전국가의 기원, 형성과

발전 그리고 전망.”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3(1), 87∼126.

제6주 (3/5) 신군부 시대와 민주화운동

이영훈. 2013. 『대한민국 역사』, 제6장.최정운. 2012. 『오월의 사회과학』 (서울: 오월의 봄).서중석. 2011. 『6월 항쟁』 (서울: 돌베개).*이달순. 1997. “10ㆍ26과 전두환 군사정권.” 『한국

정치외교사논총』 15, 229∼284.*김영식. 1997. “제6공화국에서의 민주화.” 『한국정

치외교사논총』 15, 285∼313.

Page 3: 2014 한국정치 강의계획서

- 3 -

제7주 (3/12) 민주주의 이행과 탈냉전기 한국사회

한홍구. 2010. 『지금 이 순간의 역사』 (서울: 한겨레 출판사).

최장집. 2010.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개정2판 (서울: 후마니타스).

박인휘 외. 2012. 『탈냉전사의 인식』 (서울: 한길사).*김성주. 1997. “김영삼정권의 성격과 개혁정치.”

『한국정치외교사논총』 15, 315∼345.*박동천. 2006. “한국 민주주의의 개념과 현실.” 『정

치사상연구』 12(2), 59∼79.

제8주 (3/19) 중간고사

제9주 (3/26) 헌법과 정부조직

정종섭. 2013. 『대한민국 헌법 이야기』. (서울: 나남).백문식. 2013. 『알기 쉬운 대한민국 헌법』 (서울: 정

인출판사).

제10주 (4/2) 정당정치와 여론

그레고리 헨더슨. 2013. Korea: The Politics of the Vortex. 이종삼ㆍ박행웅 옮김. 『소용돌이의 한국정치』 (서울: 한울), 제10장.

김수진. 2008. 『한국 민주주의와 정당정치』 (서울: 백산서당).

*곽진영. 2009. “한국 정당의 이합집산과 정당체계의 불안정성.” 『한국정당학회보』 8(1), 115∼145.

제11주 (4/9) 사회변화와 탈근대 정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연구소. 2008. 『한국민주화운동사』 1ㆍ2ㆍ3 (서울: 돌베개).

백욱인. 2009. 『한국사회운동론』 (서울: 한울).*강원택. 2004. “인터넷 정치집단의 형성과 참여.”

『한국과 국제정치』 20(3), 161∼184.*강인철. 2006. “한국사회와 종교권력: 비교역사적

접근.” 『역사비평』 77, 118∼149.*국민호. 2008. “한국의 경제위기와 발전국가 모델.”

『사회와 이론』 13, 213∼247.

제12주 (4/16) 북한정치

이영훈. 2013. 『대한민국 역사』, 제7장.

브루스 커밍스. 2005. North Korea. 남성욱 옮김. 『김정일 코드』 (서울: 따뜻한 손).

이종석. 2011. 『북한의 역사 1: 건국과 인민민주주의 의 경험, 1945∼1960』 (서울: 역사비평사).

이종석. 2011. 『북한의 역사 2: 주체사상과 유일체계, 1960∼1994』. (서울: 역사비평사).

와다 하루키. 2002. 서동만ㆍ남기정 옮김. 『북조선: 유격대국가에서 정규군국가로』 (서울: 돌베개).

안드레이 란코프. 2013. The Real North Korea. 김수빈 옮김. 『리얼 노스코리아』 (서울: 개마고원).

*양성철. 1997. “북한정치의 전개.” 『한국정치외교사논총』 15, 347∼386.

제13주 (4/23) 남북관계

셀리그 해리슨. 2003. Korean Endgame. 이홍동 외 옮김. 『코리안 엔드게임』 (서울: 삼인).

돈 오버도퍼. 1998. The Two Koreas. 뉴스위크 한국판 옮김. 『두개의 코리아』 (서울: 중앙일보).

빅터 차ㆍ데이비드 강. 2007. Nuclear North Korea: A Debate on Engagement Strategies. 김일영 옮김. 『북핵 퍼즐』 (서울: 따뜻한 손).

제14주 (4/30) 한국 외교정책과 안보

김일영ㆍ조성렬. 2003. 『주한미군』 (서울: 한울).박태균. 2006. 『우방과 제국, 한미관계의 두 신화』

(서울: 창비)김창훈. 2002. 『한국 외교: 어제와 오늘』 (서울: 다

락원).

제15주 (5/7) 한국정치의 현안

마지막 주에는 현대 한국정치의 주요 이슈를 직접 소개하고, 이러한 이슈를 둘러싼 사회적 갈등과 해결의 전망에 대하여 살펴보고 토론한다.

제16주 (5/14) 기말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