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42
제278회 시의회 임시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2018 주요업무 보고 2018. 2. 26() 시민소통기획관

Upload: others

Post on 07-Aug-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제278회 시의회 임시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2018 주요업무 보고

2018. 2. 26(월)

시민소통기획관

Page 2: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목 차

Ⅰ. 일 반 현 황 1

Ⅱ. 2018 비전 및 목표 5

Ⅲ. 주요업무 추진현황 7

1. 시민과 함께하는 참여와 공감시정 구현

2. 뉴미디어 활용 시민과의 소통 활성화

3. 서울브랜드를 통한 도시경쟁력 제고

4. 시민중심의 민원행정서비스 제공

5. 행정서비스 밀착지원을 통한 시민만족도 제고

Ⅳ. 참고자료 41

Page 3: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1 -

Ⅰ. 일반현황

� 조직 : 1관 5담당관 21팀

시민소통담당관 소통기획팀 ․소통전략 수립 및 확산, 시책 홍보기획

소통전략팀 ․시책 소통․홍보전략 기획, 홍보물 기획

소통지원팀 ․홍보매체 개발 및 운영, 홍보물 심의

영상방송팀 ․영상콘텐츠 제작·활용, 시청방송 운영

서울사랑팀 ․서울사랑, 내친구서울 편집·발간

시 민 청 팀 ․시민청 프로그램, 결혼식 등 운영관리

도시브랜드담당관 브랜드기획팀 ․서울브랜드위원회, 서울브랜드마케팅

브랜드마케팅팀 ․외국어매체를활용한 우수정책 해외홍보

브랜드관리팀 ․서울브랜드조형물관리,서울상징물변경등관리

시민소통기획관 시민봉사담당관 민원기획팀 ․민원행정서비스 품질관리 및 개선

응 답 소 팀 ․온라인 민원접수, 응답소 시스템 운영

120관리팀 ․120다산콜재단 운영시스템 등 관리

민원처리1팀 ․서식민원 등 접수, 제증명 발급

민원처리2팀 ․신문사업 등록 등 통합민원사무 처리

직소민원팀 ․‘시장과의주말데이트’, ‘시장에게바란다’ 운영

뉴미디어담당관 미디어기획팀 ․온라인 홍보기획, 소셜방송 제작‧기획

미디어전략팀 ․시대표SNS‧블로그운영,서울미디어메이트운영

미디어협력팀 ․인터넷언론사및민간포털활용시정홍보

미디어운영팀 ․‘내 손안에서울’ 운영,모바일활용시정홍보

신속행정담당관 신속행정1팀 ․‘서울을가지세요’ 운영, 행정서비스밀착지원

신속행정2팀 ․찾아가는서울시청, 건축신속행정서비스

Page 4: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2 -

� 인 력

� 총 괄 : 정원 138명 / 현원 131명

(시민소통 47/48, 도시브랜드 15/14, 시민봉사 41/38, 뉴미디어 23/20, 신속행정 12/11)

(2018. 1. 31.)

구 분 총계

행정․기술직군임기제

일반직 기 타

(관리운영,

전문경력)2급 4급 5급 6급7급

이하4급 5급

6급

이하

정원 138 1 3 21 38 34 2 3 30 6

현원 131 1 2 19 33 39 2 3 26 6

시민소통

담 당 관

정원 47 1 1 6 12 9 - 1 15 2

현원 48 1 1 5 12 12 - 1 14 2

도시브랜드

담 당 관

정원 15 - - 4 4 2 1 - 4 -

현원 14 - - 3 3 3 1 - 4 -

시민봉사

담 당 관

정원 41 - 1 6 13 16 - - 1 4

현원 38 - 1 6 11 15 - - 1 4

뉴미디어

담 당 관

정원 23 - - 3 3 4 1 2 10 -

현원 20 - - 2 3 5 1 2 7 -

신속행정

담 당 관

정원 12 - 1 2 6 3 - - - -

현원 11 - - 3 4 4 - - - -

Page 5: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3 -

(단위 : 백만원)

부 서 2018 예산 비율

계 47,810 100.0%

시민소통담당관 13,320 27.9%

도시브랜드담당관 3,793 7.9%

시민봉사담당관 25,967 54.3%

뉴미디어담당관 4,373 9.1%

신속행정담당관 357 0.7%

(단위 : 백만원)

구 분2017년

예 산비중

2018년

예 산비중

2017년

대 비

증감 증감률

계 43,334 100% 47,810 100% 4,476 10.3%

사업비 42,638 98.4% 47,092 98.5% 4,454 10.4%

기본경비 696 1.6% 719 1.5% 23 3.3%

� 2018년 예산현황

2018 예산편성액 : 478억 10백만원 (’17년 대비 10.3% 증가)

○ 부서별 예산은 시민봉사담당관이 259억 67백만원(54.3%)으로 가장 많으며,

구성별로는 사업비가 98.5%를 차지

○ 주요사업별로는『120 다산콜재단운영』50.6%,『언론매체를 통한 시정정보제공』

8.5%,『시민청 운영 및 확산』6.8%,『소통관리 및 시정정보제공』6.8%,

『외국어 매체 활용 시정 홍보』이 3.7%를 차지

Page 6: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4 -

2018년 예산편성 세부내역(단위 : 천원)

부서/사업명 2018년 예산 비 고

시민소통기획관 예산 합계 47,810,398

  사업예산  47,091,714

  기본경비(행정운영경비) 718,684

시민소통담당관 13,319,756

  시민과 함께하는 참여와 소통 시정구현 12,806,084

언론매체를 통한 시정정보제공 4,082,365

소통관리 및 시정정보 제공 3,240,298

희망서울 재능나눔 15,000

시민청 운영 및 확산 3,259,011

현장소통 프로그램 운영 63,320

시정여론조사 운영 356,300

현장중심의 의견수렴 및 환류 21,900

서울시청 방송운영 49,100

시정 영상물 제작·관리 377,470

시정종합 월간지 「서울사랑」 발간 938,114

어린이신문 「내친구서울」 발간 342,975

서울특별시보 발행 60,231

기본경비(행정운영경비) 513,672

도시브랜드담당관 3,793,409

  시민 자긍심 고취 및 도시경쟁력 제고 3,764,500

시민주도형 서울브랜드 확산 335,300

서울시 도시브랜드 마케팅 1,650,000

외국어 매체 활용 시정 홍보 1,779,200

기본경비(행정운영경비) 28,909

시민봉사담당관 25,967,439

  시민중심의 민원행정서비스 제공 25,857,005

 

일반여권 발급업무 대행 1,012,590

민원서비스 품질관리 및 시상 64,358

통합민원 처리 및 열린민원실 운영 27,000

120다산콜재단 운영 24,214,620

민원제안통합관리시스템 운영 538,437

기본경비(행정운영경비) 110,434

뉴미디어담당관 4,372,809

  뉴미디어 활용 시민과의 소통 활성화 4,327,299

 

소셜미디어를 통한 시민과의 소통 활성화 494,400

시민참여 프로그램을 통한 시정 공감대 확산 117,000

공공소셜 활성화 109,600

뉴미디어 웹사이트 운영 1,502,199

민간포털 협력 마케팅 756,000

인터넷언론사 등 활용 시정안내 431,900

뉴미디어 전략 마케팅 916,200

기본경비(행정운영경비) 45,510

신속행정담당관 356,985

  시민에게 감동을 주는 통합행정서비스 기반 구축 336,826

신속행정 현안조정 및 홍보 63,500

신속행정 협력체계 강화 20,900

행정서비스 밀착지원 및 정보제공 252,426

기본경비(행정운영경비) 20,159

※ 사고이월비 813백만원 별도(시민청 운영 및 확산 624백만원, 뉴미디어 웹사이트 운영 189백만원)

Page 7: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5 -

Ⅱ. 2018 비전 및 목표

Page 8: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Page 9: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7 -

Ⅲ. 주요업무 추진현황

1. 시민과 함께하는 참여와 공감시정 구현 9

2. 뉴미디어 활용 시민과의 소통 활성화 19

3. 서울브랜드를 통한 도시경쟁력 제고 25

4. 시민중심의 민원행정서비스 제공 31

5. 행정서비스 밀착지원을 통한 시민만족도 제고 37

Page 10: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Page 11: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9 -

� 언론매체 등 활용 시정 핵심사업 집중 안내

� 「시민청」운영 내실화 및 확산

� 접근성 높은 홍보매체 활용 시정정보 제공

� 현장중심의 의견수렴 및 시민참여 제고

� 명예시장 등을 통한 시정과 시민간 가교역할 강화

� 서울사랑 및 내친구서울 발간

1. 시민과 함께하는

참여와 공감시정

구현

Page 12: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Page 13: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11 -

1 언론매체 등 활용 시정 핵심사업 집중 안내

신문․방송 등 영향력 있는 언론매체를 활용하여 시정정보를 효과적이고

시의성 있게 제공함으로써 시정에 대한 시민 이해도 증진

추진방향

○ 시민생활에 도움이 되는 시민밀착형 사업 집중, 정보제공

○ 파급효과가 큰 신문·잡지, 방송(TV·라디오) 협력을 통해시정정보 제공 확대

’18년 추진계획

신문․잡지 활용 정보제공

○ 매체영향력, 매체특성 등 주 독자층 고려한 정보제공

- 일간지, 시민밀착형 매체(주·월간지, 지역지, 전문지 등) 정보안내채널다양화

※ ’17년 142개 매체, 254회 제공

○ 시민생활에 도움이 되는 생활밀착형 정보 집중

- 청년일자리, 50플러스, 출산·보육정책등시민삶의질을바꾸는정보등

○ 개관시설 및 시정정책 등을 묶음 브랜드화하여 정보 제공

TV/라디오 활용 정보제공

○ 시정공감대 형성 및 시정정보 제공을 위한 TV‧라디오 등 광고 추진

- 주요시정 묶음브랜드(잘 생겼다!시즌2 등),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도시안전 등

○ 교양정보 프로그램을 통한 시민생활밀착형 시정정보 제공

- 청년, 여성, 중장년, 어르신 등 세대별 맞춤형 정보 제공

※ SBS모닝와이드, KBS무엇이든물어보세요‧생생정보, MBC오늘아침 등

사 업 비 : 4,000백만원

Page 14: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12 -

「시민청」운영 내실화

「시민청」확산

2 「시민청」운영 내실화 및 확산

시민이 주인이 되어 함께 만들어가는 서울시 대표 소통공간「시민청」의

운영 내실화 및 지속적인 발전방안 모색

추진방향

○ 시민청의 시민주도성 및 만족도 향상을 위한 시민지원 프로그램 확대

○ 다양한 지역주민과의 소통 강화를 위한 권역 시민청 확산 추진

’18년 추진계획

○ 운영개요

- 운영시간 : 하절기(3~10월) 09~21시, 동절기(11월~익년2월) 09~20시

- 수탁업체 : 서울문화재단

※ ’17년 운영실적 : 프로그램 1,065회, 대관 853건, 작고 뜻깊은결혼식 26쌍

○ 시민 주도적 운영·참여를 위한 시민청 거버넌스 강화

- 시민활동 리더인 ‘시민디렉터’를 운영(총 4명), 프로그램 수준 향상 및 소통강화

‣시민청운영(사업결정, 예산편성, 공간운영등)에 직접참여하는시민주체로서의역할부여

○ 시민청 운영 프로그램 개선

- 바스락콘서트, 소리갤러리 등 시민주도 프로그램을 확충하여 시민참여 확대

- ‘시민청결혼식’ 참여자 선정 확대(기존 : 연 2회(상․하반기) → 개선 : 연 4회(분기별) )

○『제2시민청』(가칭) 개관(’18.4월말 예정)

- 위치/규모 : 강북구우이동16-20호(우이신설경전철선 솔밭공원 역사내), 연면적540㎡

- ’18년 4월 시설개관을 목표로 조성공사 등 제반절차 이행

‣ 시설임대협약(’18.1), 조성공사(’18.2~), 민간위탁협약 체결(’18.3월 예정)

사 업 비 : 3,259백만원

Page 15: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13 -

「시정 영상매체」개선 및 확대

「시민게시판」운영 활성화

3 접근성 높은 홍보매체 활용 시정정보 제공

시민생활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시정 및 생활 정보를 적기에 제공하고,

신규매체 확대를 통한 시정정보 제공 강화

추진방향

○ 시민이 접근가능한 매체를 통해 주요정책, 재난재해 등 정보 제공

○ 신규 매체 발굴 및 시 보유매체 시민개방 확대

’18년 추진계획

○지하철 미디어보드, 시각 효과가 큰 LED전광판으로 교체

- 4개 분할 TV 대형 LED 전광판교체(2개소,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등)

○올림픽대로『시·구정 안내 전광판』개통(’18.3 / ’17년 주민참여예산)

- 마곡동 서남물재생센터내 설치(16m × 9m), 시정안내 50%

○ 시정뉴스, 문화행사, 타 기관·지자체 시정 안내 영상 등 제작 및 제공

※ ’17년 ‘서울로 7017’, ‘잘 생긴 서울 20’, 문화행사, 평창올림픽 등 안내

○ 카카오톡『서울시 친구맺기』를 통한 시민참여 메시지(사진, 영상 등) 안내

※ ’17년 19,150건(1일 약 53건) / 사회적 이슈에 대한 의견, 날씨, 맛집 등 제공

○ 시민게시판 맞은편『세종대로 역사문화공간』

완공 후 이벤트 장소로 활용(’18.7~)

- 가족, 친구, 연인들의 생일축하, 프로포즈 등

다양한 이벤트를 위한 포토존 설치

Page 16: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14 -

市 산하시설 활용 시정정보 안내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서울꿈새김판」운영

○긍정적 메시지가 담긴 글을 게시, 희망을 전하고 대시민 감성소통 확대

○분기별로 글귀를 선정, 서울도서관외벽에 게시

- 신청·접수 : 시 홈페이지 온라인 접수(30자 이하의 시민창작 문안)

- 선정방식 : 전문가 등 총 7명으로 구성된 문안선정위원회에서 선정

<17. 3 ~ 4월> <17. 7 ~ 8월> <17. 9 ~ 11월> <17. 12월 ~ 현재>

○ 비영리단체·영세상공인에 무료광고 지원하여 경제·공익활동 활성화

○ ’18년 상․하반기 각 20개 단체선정 및 광고지원

- 디자인, 영상제작, 인쇄·부착 등 홍보일체 지원

- 인쇄매체(7,029면), 영상매체(6개소) 활용 광고

※ ’17년 40개 기업(단체) 선정·지원

○『市지원시설(청소년수련관 등)』활용, 간행물·영상제공(’17.5~)

- 시정정보 간행물 비치(77개소) : 월 1회 10종 비치

‣ 서울사랑, 잘 생겼다!, 청년일자리, 시민노동권리수첩 등

- 시정정보 영상물 제공(37개소) : 월 16편

‣ ‘서울로 7017’, ‘찾동’, ‘잘 생겼다!’, ‘미세먼지’ 줄이기 참여안내

○ 市 산하시설에 영상모니터 단계별 설치·확대

- 종합사회복지관, 청소년수련관 등 산하시설 중

방문객 등을 고려 시정정보 안내효과가 큰 시설에우선설치(30대)

사 업 비 : 3,240백만원

Page 17: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15 -

「시정 여론조사」실시

「시민발언대」운영

「서울 시정학교」운영

4 현장중심의 의견수렴 및 시민참여 제고

‘시민발언대’ 등 다양한 현장소통프로그램 운영 및 여론조사 등을 통해

시민의 소리를 경청, 시정에 반영하여 시 정책에 대한 시민 만족도 제고

추진방향

○ 현장중심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정책반영 및 행정서비스 개선

○ 여론조사를 통해 시정운영방향과 정책 개선방안을 제시할 기초자료 마련

’18년 추진계획

○『찾아가는 시민발언대』운영 내실화(연 10회)

- 공원, 복지관, 홍대거리 등 유동인구 많은 지역 집중방문(’18.4~11)

- 일자리, 복지 등 주제별·테마별 운영을 병행, 시민참여율 제고

○ 시민청 내『시민발언대』상시운영으로 시민소통의 장 제공

- 의견청취 후 사회제언, 민원/건의사항 등은 시정에 적극 반영

○ 시 주요사업 및 의견수렴이 필요한 현안에 대한 여론조사(총 40건 내외)

- 대외적 객관성 확보 외주여론조사(20건), 내부 참고자료 활용 자체조사(20건)

- 여론조사수요파악(’18.2월/6월) 및자문단회의(’18.3월/7월)를거쳐여론조사주제선정

○ 주거재생, 찾동, 일자리 등 주요 시책을 시민과 공유(연 2회)

○ 수료후 여론조사, 시정모니터단 등 시정활동 참여 유도

※ ’17년 2회, 117명 수료(수료기준 : 80%이상 출석)

사 업 비 : 382백만원

Page 18: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16 -

「명예시장」운영 활성화

「서울시 홍보대사」운영

5 명예시장 등을 통한 시정과 시민간 가교역할 강화

분야별 현장 의견수렴을 위한「명예시장」운영, 인지도 높은 저명인사의

재능나눔 강화로 시민의 시정 이해도 제고

추진방향

○ 명예시장 운영 활성화로 시민이 시정의 중심이 되는 열린시정 구현

○ 홍보대사의 자발적인 재능나눔을 지원, 시민과 함께하는 서울 지향

’18년 추진계획

○ 위촉현황 : 총 17명

- 장애인, 어르신, 여성, 외국인, 도시재생인 등 17개 분야

- 명예시장 임기만료(14개 분야)에 따른 신규선발 및 위촉(’18.10)

○ 시정참여 기회 확대 및 시민의견 수렴 소통창구 활성화

- 회의·토론, 행사, 강연, 현장점검 등을 통한 시정참여 및 정책제안기능 강화

※ ’17년 743회 활동(회의·토론 430, 행사 172, 현장점검·강연 등 141)

○ 위촉현황 : 총 33명

- 배우(10), 가수․음악인(4), 방송인(10), 아나운서(2), 전문가(7)

○ 시민생활 밀착형 정보 제공 참여 등 적극 활용

※ ’17년 총 48회 활동(홍보물 제작 16, 행사 사회및 참여 11, 컬럼 및인터뷰등 21)

<박수홍 – 풍수해대비 홍보> <이일화 – 서울로 7017 CF> <장윤주 – 내일연구소 서울 >

○ 시정공연·기념일 등 행사시 홍보대사 참여를 통한 상호 유대관계 강화

사 업 비 : 46백만원

Page 19: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17 -

시정 종합월간지「서울사랑」발간 (월 5만부)

어린이신문「내친구서울」발간 (연 9회, 회 33만부)

6 서울사랑 및 내친구서울 발간

서울시 소식지를 통해 서울시정을 효과적으로 알리고, 시민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시민과 공유

추진방향

○ 시민 생활에 유용한 시정 정보 제공을 통한 시민소통 강화

○ 어린이 눈높이에 맞는 서울소식 제공 및 어린이 참여 확대

’18년 추진계획

○ 복지․환경, 일자리․경제 등 주요 시정 연중 특별기획

- 저출산·보육, 태양의 도시, 청년일자리, 혁신성장 등

○ 문화관광·역사, 계절·특정일 등 생활밀착 기사 제공

- 서울여행 신설, 인문학 칼럼, 서울생활 잡학사전 등

○ 온라인 연계 콘텐츠 기획 및 시민참여 확대

- 서울사람 동영상 인터뷰, 모바일 사진 더보기, 추억의 사진첩 이벤트 등

○ 어린이 눈높이에 맞는 서울소식 및 학습정보 제공

- 신재생에너지, 동물보호, 과학·역사 등 융합지식

○ 2018년 어린이기자단 모집·운영(’18.3~)

- 시정현장 탐방취재(월 1~2회): 신규 개관 명소 탐방, 주요 행사 취재 등

사 업 비 : 1,281백만원

Page 20: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Page 21: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19 -

� 소셜미디어를 통한 시민과의 소통 활성화

� 뉴미디어 웹사이트 운영 강화

� 민간포털 협력마케팅 및 모바일 활용 시정정보 제공

� 뉴미디어 기반 민관 네트워크 강화

2. 뉴미디어 활용

시민과의 소통

활성화

Page 22: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Page 23: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21 -

1 소셜미디어를 통한 시민과의 소통 활성화

SNS·블로그 등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시민과의 소통체계를 확대,

시민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각종 시정정보를 신속하게 제공

추진방향

○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시민에게 유익한 시정 정보 적기 제공

○ 시민의 온‧오프라인 참여기회 확대로 소셜미디어 네트워크 확대

’18년 추진계획

○ 소셜미디어의 시민 네트워크 지속 확대

- 시민 참여기회제공으로시대표SNS 친구수확대(’17년 78만)

- 시민생활과 밀접한 콘텐츠 제작 및 배포

‣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등 : 매주 평균 20~30건

‣ 블로그, 포스트, 브런치, 1boon : 매주 평균 15~25건

○ SNS 트렌드 및 특성을 반영한 콘텐츠 제공으로 시정 체감도 제고

- 시의성‧현장성 중심의 동영상 콘텐츠(라이브방송 등) 비중 강화

- 최신 매체 경향 및 채널 특성을 반영한 SNS 최적화 콘텐츠 제작

-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 타 기관과 협업 및 시민참여 프로그램 확대

○ 시 대표 블로그, 포스트 등을 통한 생활밀착정보 상시 안내

- 시정 정보를 알기 쉽게 스토리텔링한 시민 공감형 콘텐츠를 제작, 다양한

채널을 통해 확산시켜 시정에 대한 시민 이해도 제고

- 기획 콘텐츠를 통한 ‘여행맛집’, ‘공연전시’ 등 주제별 판 노출 확대

※ 포스트, 브런치, 1boon : 포털 모바일에 최적화된 플랫폼으로 블로그와 유사한 서비스

사 업 비 : 494백만원

Page 24: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22 -

2 뉴미디어 웹사이트 운영 강화

소셜 생방송 ‘라이브서울’과 모바일을 통한 시민소통 채널 ‘내 손안에

서울’ 운영 강화로 온라인 소통 및 시민참여 확대

추진방향

○ 시민들이 시정에 적극 참여하고 소통할 수 있는 참여 공간 기능 강화

○ 시민이 쉽게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는 공유‧확산용 콘텐츠 중점 생산

’18년 추진계획

「라이브 서울」운영

○ 소셜미디어에 적합한 다양한 유형의 영상콘텐츠로 시민공감 확대

- 연재형 프로그램, 시민공감 영상콘텐츠, 짧은 영상클립 등 다양한 콘텐츠 제작

※ ’17년 ‘영상콘텐츠 제작‧확산’ : 163편 제작, 843만회 조회

○ 주요 시정현장 온라인 생방송을 통한 투명행정 제고

- 이슈 토론회, 기자설명회, 개관현장 등 시민관심 높은 현장중심의 실시간 공개

- 소셜미디어 채널을 활용한 송출채널 확대로 실시간 채팅 및 시민참여요소 강화

※ ’17년 ‘시정현장 온라인방송’ 실적 : 274회 방송, 326만명 시청

「내 손안에 서울」운영

○ 주요 시정주제에 대한 특별기획 편성 및 정보탐색 기능(태그뉴스 등) 강화

- ‘서울형 미세먼지 대책’ 등 특별기획 및 특집페이지 운영을 통한 집중안내

※ ’17년 태그뉴스 ‘#서울로7017’(59건), ‘#찾동’(25건), ‘#내일연구소’(36건) 등 시정안내

○ 시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정 콘텐츠 기획 및 비주얼뉴스 제작 확대

- 시정 핫이슈, 카드뉴스, 전문가칼럼 등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 제작

※ 영상, 카드뉴스, 인포그래픽 등 제작(’16년 23건 → ’17년 294건)

사 업 비 : 1,502백만원

Page 25: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23 -

3 민간포털 협력마케팅 및 모바일 활용 시정정보 제공

민간포털, 모바일 전문 매체 등과의 협력을 통해 시정 정보에 대한 시민

접근성 제고 및 대시민 소통 강화

추진방향

○ 민간포털과 제휴‧협력으로 시정 정보에 대한 시민 접근성 및 참여 확대

○ 모바일 앱(App)을 활용한 타겟별 맞춤형 시정 안내

’18년 추진계획

민간포털 협력 마케팅

○ 네이버‧다음『브랜드 검색』을 활용한 시정정보 제공

○ 주요정책의 공감대확산‧시민참여를위한공동캠페인추진

○ 포털 내 서울시 채널을 활용한 시정 정보 상시 제공

- 네이버 모바일 우리동네 ‘서울’, 카카오톡 ‘서울시 플러스친구’ 등

※ ’17년 민간포털 활용 안내 총 342회(시정정보제공 319, 캠페인‧광고 23)

모바일 활용 시정정보 안내

○ 시정정보에적합한영향력있는모바일앱활용, 타겟별맞춤형시정정보제공추진

- 복지‧건강 등 생활밀착형 정책, 재난·안전 관련 시민대응요령 안내 등

※ ’17년 388회 시정정보 제공(보육정보, 교통정책 등 시민체감 생활정보 안내)

○ 시민 실생활에 밀접한 시정정책을 주제로 ‘시민 참여 캠페인’ 확대

- 시민 누구나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신선하고 재미있는 캠페인 실시

※ ’17년 모바일 캠페인 3회(잘생겼다!서울20 등), 광고 5회(정책박람회 등)

사 업 비 : 1,182백만원

Page 26: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24 -

4 뉴미디어 기반 민관 네트워크 강화

서울미디어메이트, 영상창작가 등 영향력 있는 시민들과 시정에 대한

콘텐츠를 공유함으로써 시정 인지도 제고 및 시민과의 네트워크 강화

추진방향

○ 영향력 있는 시민과 협업을 통한 시민공감형 콘텐츠 강화

○ 시민의 시정 참여기회 확대로 실시간 소통체계 구축

’18년 추진계획

○『서울미디어메이트』운영을 통한 시정공감형 콘텐츠 확산

- 1인 미디어운영자를 대상으로 시민블로거취재단 ‘서울미디어메이트’ 모집 및 운영

- 시민입장에서 주요 시정현장을 알리는 다양한 콘텐츠 제작(월 평균 50건)

○ 전문 분야별『시민기자단』운영 및 그룹별 활동 강화

- ‘내 손안에 서울 시민기자단’ 정책별·대상별 소모임 운영 및 공동취재단 구성

- 전문 분야별·그룹별 시민기자단 아카데미 및 우수 시민기자단 시상식 실시

※ ’17년 시민기자단 콘텐츠 총 999건 발행(취재기사 503건, 포토‧영상 496건)

○ 온라인커뮤니티와의 협업, 타겟별 시의성 있는 시정정보 안내

- 지역‧관심사별 특화된 영향력이있는 온라인커뮤니티를활용하여 시정정보제공

※ ’17년 총 48개 커뮤니티, 5,233만 건 노출

○『서울 영상 창작가』운영을 통한 시리즈 콘텐츠 제작

- 영상 제작이 가능한 창작가 팀 단위 모집 및 운영(10팀)

- 시민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팀별 강점과 특징을 살린 시리즈 콘텐츠로 제작

※ ’17년 총 88편 영상제작, 348만회 조회

○『MCN』과의 협업, 주요시정을 시민눈높이에 맞는 콘텐츠로 제작

- 1인크리에이터중심콘텐츠와함께기획력높은오리지널콘텐츠제작으로범위확대

사 업 비 : 355백만원

Page 27: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25 -

� 시민주도 서울브랜드 확산을 위한 민관거버넌스 운영

� 서울브랜드 마케팅을 통한 도시 이미지 제고

� 도시경쟁력 제고를 위한 글로벌 온라인 마케팅

3. 서울브랜드를 통한

도시경쟁력 제고

Page 28: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Page 29: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27 -

1 시민주도 서울브랜드 확산을 위한 민관거버넌스 운영

시민브랜드(Citizen Brand)인 가 다양하게 활용되어 국내외에

안정적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민관협력 체계를 구축·운영

추진방향

○ 거시적인 도시브랜드 사업을 위한 시민, 전문가 자문 및 참여 체계 마련

○ 자발적 서울브랜드 확산을 위한 시민거버넌스(프렌즈, 파트너스 등) 강화

’18년 추진계획

○『서울브랜드위원회』운영 고도화로 민·관 협력체계 강화(’18.3∼)

- 도시브랜드 정책을 총괄하는 市 차원의 통합 자문기구로 역할 강화

- 구성 인원·임기·역할 등을 고려 운영, ‘서울브랜드위원회’ 3기 구성(’18.5∼)

○『 프렌즈 3기』구성 및 운영(’18.2∼)

- ‘광고․홍보기획단’, ‘시민참여캠페인기획단’, ‘공감확산단’, ‘콘텐츠제작단’ 등 분야별 활동

○『 파트너스』구성 및 운영(’18.2∼)

- 청년기업, 스타트업, 중소기업 등 발굴, 비즈니스 경제협력체 구축

- 서울브랜드를 활용한 제품 디자인, 홍보마케팅 컨설팅, 판로지원 등을 통해

시민경제 활성화 및 서울브랜드 확산 기여

- 아이서울유 DDP 스토어, 카페 신설 등 상품 전시 및 판매 공간 확대

○ 제3회『서울 도시브랜드 포럼』개최(’18.10)

- 국내외 서울브랜드 포럼 발표자 등 섭외 및 기관 협력추진(’18.3~)

○ 서울브랜드 확산 아이디어 공모전 운영(’18.5∼)

- 아이서울유 상품 다양화를 위한 아트콜라보 공모 및 전시 등

사 업 비 : 335백만원

Page 30: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28 -

서울의 도시브랜드 가치 및 품격 제고를 위해 서울브랜드 를

기반으로 한 국내·외 도시마케팅 추진

2 서울브랜드 마케팅을 통한 도시 이미지 제고

추진방향

○ 국내·외 시민이 직접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적극적인 마케팅 실시

○ 유관기관 협업을 통한 국내·외 마케팅으로 시너지 효과 창출

’18년 추진계획

○ ‘국내·외 맞춤형 서울브랜드 프로모션’ 추진(’18.2∼)

-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등 스포츠, 장소, 문화 브랜드 마케팅 추진

- 선정 3주년 기념행사 추진(10.28일 서울시민의 날)

- 해외도시 대표 축제, 시 국제교류 행사 등과 연계, 특색에 맞는 시정 콘텐츠 개발

※서울새해맞이카운트다운불꽃축제(롯데월드타워) 브랜드표출(’18.1.1)

○ 서울브랜드 콘텐츠(광고, 영상, 디지털 등) 제작 및 글로벌매체 확산(’18.3∼)

- 서울의 핵심가치 및 정책을 담은 서울브랜드 콘텐츠(영·중·일) 제작

- 전달력과 파급력이 큰 매체를 통해 서울브랜드 콘텐츠 집중 확산

○ 다양한 의 디자인을 활용한 문화 상품 개발(’18.3∼)

- 민간과공동으로 디자인상품개발및전시회추진(코트라, 서울디자인재단 등 협력)

- 문화상품에 대한 판로․마케팅 지원(서울산업진흥원 협력)

○ 서울 주요명소 상징물 설치 및 시민참여 캠페인 추진(’18.3∼)

- 서울혁신파크, 서울함공원, 서울식물원등새로운서울명소에 상징물 설치

- 역사, 문화, 경제 등 주제와 연계한 시민참여 캠페인을 통해 브랜드 확산

사 업 비 : 1,650백만원

Page 31: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29 -

3 도시경쟁력 제고를 위한 글로벌 온라인 마케팅

서울시 대표 외국어 홈페이지 및 SNS 채널 활성화를 통해 정책안내, 도시

정보 제공 등 외국인과의 소통강화로 도시 전반에 대한 글로벌 이미지 제고

추진방향

○ 외국어 홈페이지 및 SNS를 통한 체계적 도시 홍보마케팅 추진

○ 민간기업, 언론매체 등과 연계한 효과적인 글로벌 정책 프로모션 추진

’18년 추진계획

○ 어권별·채널별 외국어매체 운영 내실화(’18.2∼)

- 홈페이지 시스템 고도화 및 검색최적화, SNS 이벤트 등을 통한 방문수 확대

‣ 외국어6개홈페이지(영문, 중간, 일문등) 및 SNS 9개채널(영어권4, 중어권3, 일어권2) 운영

○ 우수 시정 해외확산 프로모션(’18.3∼)

- 시 대표 홍보간행물(홍보책자, 브로슈어, 리플렛) 등 제작 및 배포

- 외국인대상 우수정책 설문조사 및 외국인 참여형 정책 확산 프로모션 추진

○ 글로벌 오피니언 활용 도시홍보(’18.3∼)

- 세계 유력언론및소셜미디어에영향력있는인사를초청, 주요시정등을전세계에전파

- 연 2~3회 개최(구미주, 중국, 일본, 동남아 등 권역별 추진)

- TV, 지면매체(신문, 잡지), 소셜미디어(인플루언서, 왕홍 등) 등 초청

‣ TheGuardian(영), NY Times(미), Shanghai TV(중), 산케이신문(일) 등섭외·초청 추진

○ 외국인 참여형 글로벌 도시 프로모션 추진(’18.3∼)

- 외국인 서포터즈 구성 및 운영을 통한 인적 네트워크 육성

‣ 서울 서포터즈 : 국내거주 외국인 50명(주요국별 10명씩)을 대상으로 시범운영 후 확산

- 파워블로거, 인플루언서 등 외국인 1인 미디어 활용 소셜미디어 마케팅 강화

사 업 비 : 1,779백만원

Page 32: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Page 33: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31 -

4. 시민중심의 민원

행정서비스 제공

� 민원응대 품질관리를 통한 민원서비스 수준 향상

� 응답소의 안정적 운영 및 기능 개선

� 「120다산콜재단」설립에 따른 조기안정화 추진

Page 34: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Page 35: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33 -

1 민원응대 품질관리를 통한 민원서비스 수준 향상

민원업무 종사직원에 대한 감정노동보호와 민원응대 품질제고를 위한

다양한 교육을 통한 시정전반 민원서비스 수준 향상

추진방향

○ 민원업무 종사직원 감정노동 보호 및 악성․특이민원 대응역량 강화

○ 민원응대 모니터링 및 종합평가, 친절교육 등 시정 전반 민원서비스 수준 향상

’18년 추진계획

○ 방문 및 전화민원 서비스 수준향상 대책 추진

- 찾아가는 맞춤형 서비스교육 실시 (30회 총 1,000명)

- 온라인 및 웹툰 등 다양한 교육컨텐츠 개발 및 보급(상반기)

‣ E-learning 서비스교육 컨텐츠 개발(1과정 8강)

‣ 악성민원 대응 및 인식개선 웹툰 및 영상 제작 보급

○ 악성․특이민원 대응역량 강화 및 감정노동 보호

- 소통공감능력 및 악성․특이민원 대응역량 향상 교육 실시

‣ 악성민원 대응 교육(100명, 2회), 악성민원 대응매뉴얼 및 지침 개정․보급(상반기)

‣ 소통 공감 능력 향상 명사특강(800명,6회) / 신규 및 재직자 교육 강화(2,300명,11회)

- 민원업무 종사직원 감정코칭 및 힐링프로그램 운영(150명, 4회)

○ 민원서비스 우수기관 평가 및 시상

- 민원(전화/방문)응대서비스 품질점검 실시(연 2회, 상․하반기)

- 민원행정 서비스 종합 평가 및 시상(연 1회, 연말)

‣ 시 본청 및 산하기관 민원응대 친절도, 처리신속성, 제도개선노력 등 종합평가

- 민원서비스 우수사례 경진대회 개최(’18.12), 우수기관 및 직원 시상

사 업 비 : 220백만원

Page 36: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34 -

2 응답소의 안정적 운영 및 기능 개선

응답소 시스템의 지속적 기능 개선 및 시민소통 강화로 민원처리의

효율적인 서비스 환경을 마련하여 시민 만족도 제고

추진방향

○시민 만족도 조사를 통한 시민의 목소리를 반영 시스템 개선

○ 민원분석 통계 공개, 보안 강화 등 신뢰성 있는 행정서비스 구현

’18년 추진계획

○ 시민의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기능 강화(’18.2~3)

- 개인정보 파기시 기록관리 및 다량의 개인정보 출력·저장시 처리자 로그관리

- 인권침해 구제신고 처리프로세스 개발, 외부기관 접속자에 대한 보안 강화 등

○ 민원처리 속도 향상을 위한 시스템 개선(’18.3~8)

- 부서별 지연민원 현황 관리 및 독촉장 발부기능 구축

- 담당자 부재현황 실시간관리, 맞춤법 검사기능 도입 등 사용편리성 향상

○ 통계정보 공개 등 시민과의 소통강화

- 응답소 홈페이지에 분야별/지역별/창구별 통계

및 주요민원 분석결과 공개(’18.11)

- 시민의 이용불편, 만족도 등 설문조사(’18.5) 후 그 분석결과를 시스템 개선에 반영

○ 기타 시스템 기능 보완 및 성능 향상(’18.3~12)

- 타 민원시스템과의 연계표준화 모델을 개발, 연계민원 관리·처리의 용이성 확보

- 시스템 속도개선을 위한 과거 민원DB 분리·조회기능 개발, 통계기능 보완 등

사 업 비 : 538백만원

Page 37: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35 -

3 「120다산콜재단」설립에 따른 조기 안정화 추진

「120다산콜재단」의 조직 안정화를 조기에 정착시켜 시정 전문 상담기관으로

거듭나 대시민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시민 중심의 소통행정 실현

추진방향

○ 재단의 조기 안정화로 경쟁력 있는 시정 전문상담 기관 입지 구축

○ 공공행정 종합민원서비스 제공으로 상담의 공공성‧전문성‧책임성 강화

2018년 추진계획

○ 노동조합과의 지속적인 소통으로 재단 조기 안정화 추진

- 市, 재단, 노조 등 3자 협의체(T/F) 구성 재단 조기 안정화 방안 논의(월 2회)

‣ 악성민원 대처방안, 감정노동 힐링프로그램 마련, 업무교육 확대, 공정인사제도마련등

- 각종 규정 제·개정 필요시 전문기관에 자문의뢰 등 협업 소통체계 구축 운영

○ 120다산콜재단 홈페이지 구축으로 대시민 소통 강화(’18.3)

- 최신기술 적용 대시민 접근성 증진 및 보안취약구조사전예방, 안전한홈페이지구축

○ 대시민 양방향·맞춤형 상담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문상담사 양성

- 다양한 맞춤형교육프로그램 운영, 전문 경력설계 역량강화 교육(자체·위탁 병행)

‣ (자체) : 상담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상담 부진사례 피드백·개선 위주 교육(수시)

‣ (위탁) : 행정상담 품질향상을 위한 시(구)정책사업등 교육, CS교육 등(분기별)

○ 상담데이터 분석으로 대시민 정보제공을위한상담DB시스템 구축(’18.10~12)

- 최적의 근무여건 조성을 위한 노후 상담시스템 교체, 상담정보시스템 신규 구축

‣ 전화 외에 다양한 인입채널(문자, SNS, GIS등) 대응 가능한 상담정보관리시스템 개발

- 일반행정분야(복무, 인사, 회계 등) 생산성향상을위한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ERP) 도입

사 업 비 : 24,215백만원(출연금 23,104백만원)

Page 38: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Page 39: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37 -

5. 행정서비스 밀착

지원을 통한 시민

만족도 제고

� 현장 중심의 신속행정 지원체계 강화

� 맞춤형 행정서비스 밀착 지원 강화

Page 40: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Page 41: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39 -

1 현장 중심의 신속행정 지원체계 강화

민생 현장을 직접 찾아가는 행정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시민의 불편 및 애로

사항을 적기 해결함으로써 시정의 신뢰도 제고

추진방향

○ 저소득층 밀집지역 및 다중 이용시설에 찾아가는 행정서비스 제공

○ 건축관련 현장 의견수렴 등을 통한 제도개선과제 발굴

’18년 추진계획

「찾아가는 서울시청」운영

○ 상담분야 확대 등을 통한 운영 활성화(’18.3~)

- 현장방문 횟수 증대(주 3회 → 주 4회) 및 상담분야 확대(현행 8개 + 일자리, 건강 등)

※ 현행 8개 상담분야 : 법률, 복지, 세무, 행정, 건축, 부동산, 노무, 인권

- 월별 순회장소 사전 고지(서울시 홈페이지 등), 상담직원 전문교육 강화

○ 시 주관 각종 행사 및 축제, 정책박람회 등 상담실 운영(’18.4∼)

- 시민 참여 대규모행사에 ‘찾아가는 상담실’을 운영, 시민불편 적극 해소

「건축 신속 행정서비스」제공

○ 도시계획 및 건축분야 복합민원 프로젝트매니저(PM)제 운영

- 건축직 공무원을 PM으로 지정, 행정단계별 쟁점조정 및 협의 지원

※ ’18년 23건 관리(공동주택 9, 관광숙박시설 5, 업무․상업용 시설 5, 기타 4)

○ 건축관련 불합리한 임의규제 발굴 및 제도개선 추진

- 현장 의견 수렴을 위한 자치구 직원 및 건축사 간담회 개최

- 자치구별 건축 임의규제 개선사항 이행실태 모니터링 등 실시

사 업 비 : 36백만원

Page 42: 2018 주요업무 보고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news.seoul.go.kr/gov/files/2018/08/policycommunication.pdf · 2019-06-11 · 희망광고(시 홍보매체 시민개방) 추진

- 40 -

2 맞춤형 행정서비스 밀착 지원 강화

생활 체감서비스 적기 제공 및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있는 시민에게

밀착 지원함으로써 체감 만족도 향상

추진방향

○ 시민 생활에 꼭 필요한 행정서비스 발굴 및 시기별 맞춤정보 제공

○ 민원 및 행정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절차 등 일대일 밀착 지원 강화

’18년 추진계획

「서울을 가지세요」운영 내실화

○ 시기/계기별로 서비스를 묶음화하여 뉴스레터 제작

- 생애주기, 목적별, 상황별, 대상별 행정서비스 현행화 및 추가 발굴

- 발행주기 : 주간호(매주 화), 주제호(시정 주요 핵심사업 중심으로 특집호 제작)

※ ’17년 뉴스레터 제작․발송 51회(대상 39만명)

○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관심분야 행정서비스 지속 발굴․제공

- 이미지, 동영상, 카드뉴스병행제작및관심분야 정보 배달서비스 운영(SNS, 이메일 등)

※ ’17년 콘텐츠 377건 발굴․개선

「서울생활도우미」운영

○ 도움 요청 민원 및 행정서비스 밀착 지원

- 민원(응답소), 행정서비스(서울을 가지세요)를 통해 민원 신청 접수

- 민원 상담 및 절차안내, 시민․부서간 소통 지원, 민원진행상황 및 처리결과 안내

※ ’17년 4,501건 처리(민원 3,571건, 행정서비스 930건)

○ 정기적 모니터링을 통한 민원서비스 개선

- 민원 종결 처리 후 만족도 평가 및 운영실태 모니터링

사 업 비 : 217백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