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최미혜 최영은 - caucau.ac.kr/~caudevel/papers/20.pdf · 2016. 9. 4. · ¹»! bt ¸üf co...

20

Upload: others

Post on 23-Feb-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8 최미혜 최영은 - CAUcau.ac.kr/~caudevel/papers/20.pdf · 2016. 9. 4. · ¹»! Bt ¸üF CO F º:=nC»¼½ ¾z BWJBsO ¸üLLW? ºB :FÂm C9¿ e H¼BWJBt £¬ cä±P + % IѲ·ÀÓvyº²Y9

초기 음소 지각 능력 발달에서 입력 언어의 역할 탐색*1)

최미혜․최영은**

2)

(중앙대학교)

Mihye Choi and Youngon Choi (2014), Exploring the Role of Input

Language in the Development of Speech Perception during Early Infancy.

Journal of Language Sciences 21(2), 131-150. Early phonetic perception

abilities among newborns and infants have been considered to largely stem

from inborn auditory perceptual capacities. However, recent findings have

suggested that exposure to ambient language can play an early and critical

role in shaping early speech perception abilities.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role of input language in Korean-learning infants’ development

of speech perception in two experiments, by using Anticipatory Eye Movement

Paradigm that allows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infants’ sensitivity to

phonetic distinctions. In Experiment 1, native phonetic discrimination abilities

of 10-11-month-olds were compared between those who were exposed to a

foreign language during critical period(i.e., 9-10 months) and those who were

not.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e.g., maternal education)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phoneme discrimination

among 6-8-month-olds was explored. Although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foreign language exposure and native phonetic discrimination abilities was

observed, maternal education was fou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6-8-month-olds’

phoneme discrimination abilities. Differences in maternal education are linked

to the quality differences in input language to children.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input language can be the source

of speech development differences from very early on. (Chung-Ang University)

Key Words: speech perception, phoneme discrimination, input language, foreign

language exposure, infancy, language development

1. 서 론

인간이 태어나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에는 말소리와 어휘의 발견부터 이러

* 이 논문은 2012년도 중앙대학교 연구장학기금 지원에 의한 것임.

** 교신저자(최영은, [email protected])

Page 2: 8 최미혜 최영은 - CAUcau.ac.kr/~caudevel/papers/20.pdf · 2016. 9. 4. · ¹»! Bt ¸üF CO F º:=nC»¼½ ¾z BWJBsO ¸üLLW? ºB :FÂm C9¿ e H¼BWJBt £¬ cä±P + % IѲ·ÀÓvyº²Y9

132 언어과학 제21권 2호 (2014. 5)

한 요소들의 결합 규칙 습득까지 복합적 과제들이 관여한다. 특히, 습득 대상

언어에서 사용되는 말소리의 기본 단위인 음소(phoneme, 모음과 자음)들을

지각하고 구분할 수 능력은 큰 건물을 짓기 위해 벽돌이 하나하나 필요한 것

처럼 언어 습득에 있어서 가장 기초가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인간이 /아-우/나 /ㄱ-ㅋ/와 같은 소리들을 변별하는 데에는 범주적 지각

방식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예컨대, 영어에서 활용되는 /b-p/ 소리 구분은

음성구동시간(Voice Onset Time, 소리 발성을 위해 입이 열리고 나서 성대가

진동하기까지 걸리는 시간) (Ladefoged and Johnson, 2011)의 차이에 기인한

다. 그런데 영어사용자들은 음성구동시간이 40 milliseconds(msec) 이하로 발

성된 소리들을 실제 음성구동시간이 달라도 모두 /b/의 범주로 지각하고, 40

msec이상으로 발화되는 소리들을 음성구동시간이 달라도 모두 /p/의 범주로

지각한다(Ladefoged and Johnson, 2011). 이처럼 연속적으로 다른 속성을 지

닌 말소리들을 범주적으로 나누어 지각하는 것은 ‘beach/peach’와 같은 어휘

들의 변별을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말소리를 범주적으로 지각하는 경향은 태어난 직후부터 관찰되는 놀라운

능력 중의 하나이다(Eimas, Siqueland, Jusczyk and Vigorito, 1971). 뿐만 아

니라 만 10개월 이전의 영아들은 모국어에서 활용되지 않는 음소들의 범주에

도 민감함을 보인다(Kuhl et al., 2006; Streeter, 1976; Werker and Tees,

1983, 1984). 대표적인 예로 6-8개월의 일본 영아들은 일본어에는 없고 영어

에 있는 /l/-/r/의 소리 범주들을 구분할 수 있고(Kuhl et al., 2006), 영어를

습득하는 6-8개월 영아도 영어에 없는 힌두어의 치음 /d/ ‘dental’와 권설음

/ɖ/ ‘retroflex’나 샐리시어(캐나다 서부지역 원주민의 언어)에만 존재하는

/k’/-/q’/소리의 범주들을 잘 변별해낸다(Werker, 1995). 이처럼 생애 초기에

영아들이 보이는 범주적 말소리 지각 능력은 초기 음소 지각 능력이 주로 생

득적인 요소에 기인한 것이라는 주장을 지지해왔다. 즉, 태어나서 어느 나라

의 언어를 습득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인간 영아는 세계 언어에 존재하는

어떤 말소리도 범주적으로 지각할 수 있는 민감성을 타고 났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타고난 능력도 중요하지만 발달 초기 입력

언어에 대한 노출이 선행되어야 구분이 가능해지는 말소리의 범주들도 있음

을 보여주어 초기 음소 지각 발달에서 경험적 요소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Narayan, Werker and Beddor, 2010; Sato, Kato and Mazuka, 2012). 예

컨대 필리핀어에서 사용되는 /n/-/ŋ/소리 범주는 6-8개월의 영어 습득 영아

만이 아니라 필리핀어 습득 영아도 구분하지 못하였고, 10-12개월에 이른 필

Page 3: 8 최미혜 최영은 - CAUcau.ac.kr/~caudevel/papers/20.pdf · 2016. 9. 4. · ¹»! Bt ¸üF CO F º:=nC»¼½ ¾z BWJBsO ¸üLLW? ºB :FÂm C9¿ e H¼BWJBt £¬ cä±P + % IѲ·ÀÓvyº²Y9

초기 음소 지각 능력 발달에서 입력 언어의 역할 탐색 133

리핀 영아들만이 변별할 수 있었다(Narayan et al., 2010). 이와 유사하게 일

본어에 존재하는 단독 자음소리인 /t/(예, otto(남편)에서 사용되는 두 번째

자음으로 이 자음이 없는 ‘oto(소리)’는 전혀 다른 의미를 지칭하는 어휘임)에

대한 일본 영아들의 변별 능력도 9.5개월이 지나야 나타나기 시작하고, 4개월

무렵에는 발달되지 못한 것으로 보고되었다(Sato et al., 2012).

음소 지각 발달에 있어서 언어에 대한 노출 경험의 중요성은 모국어 음소

지각 능력의 강화(Kuhl et al., 2006)나 단기간 노출을 통한 외국어 음소 지각

능력 유지(Kuhl, Tsao and Liu, 2003), 그리고 이중 언어에 노출된 영아들의

음소 지각 능력 변화(Burns, Yoshida, Hill and Werker, 2007)에서도 부각되

고 있다. 구체적으로, Kuhl et al.(2006)의 연구는 10-12개월의 영아가 6-8개

월 영아들에 비해 영어의 /l/-/r/자음을 더 잘 변별한다고 보고하여 생애 초

기 모국어에 대한 노출이 음소 지각 능력을 강화해 주고 있음을 보여주었고,

9개월부터 약 한 달간(1회에 25분 정도, 총 12회)의 노출만으로도 영어 습득

아동들이 중국어의 변별하기 어려운 /ʨʰ/(파찰음)과 /ɕ/(마찰음)에 대한 민감

도를 중국어 습득 10-12개월 영아들과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음을 보

여주었다(Kuhl et al., 2003). 그리고 영어와 프랑스어에 동시에 노출된 영아

들의 경우 10개월 이후가 되면 각 언어에서 달리 사용되는 음성구동시간의

범주 경계를 언어에 따라 재배열 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나타나(Burns et

al., 2007) 생애 초기, 특히 10개월에 이르기 전의 입력 언어의 양과 질이 음

소 지각 능력을 조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특히, 생후 1년 중에서도 9개월에서 10개월 사이에 영아에게 제공되는 경

험은 특별한 가치를 갖는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에는 음소 지각 능력만이

아니라 얼굴 지각 능력에서도 지각적 협소화(perceptual narrowing) (Pascalis,

de Haan and Nelson, 2002)가 일어난다고 한다. 음소 지각 능력의 경우 모국

어에 존재하지 않는 음소의 범주에 대한 변별 능력이 사라져 영어의 /l/-/r/

을 구분할 수 있는 6-8개월 일본 영아들과 달리 10-12개월 일본 영아들은

/l/-/r/을 더 이상 구분하지 못하며(Kuhl et al., 2006), 5-7개월 한국 영아들이

영어의 /la/-/ra/의 차이에 대한 뇌파 반응을(P150-250) 보이는 것과 달리

12-15개월 한국 영아들에게서는 이러한 뇌파 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김은영,

김효림, 송현주, 전영미, 최영은, 2012). 뿐만 아니라 6개월 영아들은 원숭이들

의 얼굴을 잘 변별할 수 있지만, 9개월 무렵이 되면 성인과 마찬가지로 원숭

이 얼굴의 미세한 차이를 더 이상 잘 변별하지 못하게 된다고 한다(Pascalis

et al., 2002). 종합해보면, 이 시기에 경험하지 못한 언어나 얼굴자극 등에 대

Page 4: 8 최미혜 최영은 - CAUcau.ac.kr/~caudevel/papers/20.pdf · 2016. 9. 4. · ¹»! Bt ¸üF CO F º:=nC»¼½ ¾z BWJBsO ¸üLLW? ºB :FÂm C9¿ e H¼BWJBt £¬ cä±P + % IѲ·ÀÓvyº²Y9

134 언어과학 제21권 2호 (2014. 5)

한 지각적 민감도는 급격히 감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대로 이 시기의 경험은 초기 지각 능력의 계발에 특별히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도 보인다.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영어 습득 영아들의 모국어 음소

인 /l/-/r/범주에 대한 민감도는 10-12개월 영아들이 6-8개월 영아보다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8-10개월 사이의 추가적 모국어 노출(혹은 이 시기까지의

누적 노출)이 모국어 음소 지각 능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

었다(Kuhl et al., 2006). 게다가 9개월 무렵 영아에게 제공한 짧은(약 12회의

외국어 화자와의 상호작용) 외국어 경험은 외국어에만 존재하는 음소 범주의

변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Kuhl et al., 2003), 같은 시기 원숭이 얼

굴의 사진에 2주간(하루 1-2분 정도) 노출되도록 하면 9개월 이후에 사라지

는 원숭이 얼굴 변별력도 유지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Pascalis et al.,

2005). 이러한 결과들은 생후 1년 동안의 지각적 경험이 전반적으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8-10개월 무렵의 경험이 추가적으로 지각 능력을 계발 또는 유

지시키거나 그렇지 못한 데 유의한 기여를 할 가능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발달 초기 경험, 특히, 입력 언어의 중요성은 초기 어휘 습득 및 어휘 재인

속도의 개인차에서도 부각되고 있다(Fernald, Marchman and Weisleder,

2013; Hurtado, Marchman and Fernald, 2008; Weisleder and Fernald, 2013).

특히, 생후 1-2년 간 부모가 영유아에게 아동 지향어(child-directed speech)

를 어느 정도 발화했는지는 24개월 무렵 아동의 표현 언어량의 개인차에 중

요한 기여 요인으로 보고되었고(Weisleder and Fernald, 2013), 소득이 낮은

가정의 영유아가 보이는 어휘 재인 속도의 발달은 소득이 높은 가정의 영유

아에 비해 6개월 정도 지연된 양상을 보인다고 보고되었다(Fernald et al.,

2013, Hurtado et al., 2008). 무엇보다도 이러한 초기의 차이는 학령기의 읽기

능력 등 학습 능력의 차이로 지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Noble, Farah and McCandliss, 2006).

이러한 어휘 습득의 개인차는 발달 초기 음소 지각 능력의 발달 정도와도

관련이 있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Tsao, Liu and Kuhl(2004)은 생후 6개월

무렵의 음소 지각 변별 능력이 좋을수록 영아가 13개월, 16개월이 되었을 때

표현할 수 있는 어휘가 더 많다는 상관관계를 관찰하였다. 이는 초기 음소

지각 능력의 발달 정도가 이후 학습과 지능의 중요한 지표가 되는 어휘 습득

의 발달 차이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선행 연구들을 종합해보면, 초기 음소 지각 능력은 과거 생득적으로만 여

겨졌던 것과는 달리 입력 언어의 양과 질이라는 경험적 영향을 받을 가능성

Page 5: 8 최미혜 최영은 - CAUcau.ac.kr/~caudevel/papers/20.pdf · 2016. 9. 4. · ¹»! Bt ¸üF CO F º:=nC»¼½ ¾z BWJBsO ¸üLLW? ºB :FÂm C9¿ e H¼BWJBt £¬ cä±P + % IѲ·ÀÓvyº²Y9

초기 음소 지각 능력 발달에서 입력 언어의 역할 탐색 135

이 높으며, 아이에게 주어지는 입력 언어의 차이는 여러 요인 중에서도 부모

의 교육이나 소득과 같은 사회경제적 지표에 기인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 초기의 사회경제적 요소에 따른 입력 언어의 차이는 음소 지각 능

력에서 비롯하여 어휘 재인의 속도와 어휘 습득량으로 이어지고 이후 학습

능력과 지능의 차이로 이어져 발달 후기의 개인차가 아주 이른 시기인 생후

1년의 경험의 차이에서 다각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 음소 지각 능력 발달에 입력 언어가 미치는 영향을 두

가지 차원에서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첫째로 외국어, 특히, 조기 영어 학습에

많은 관심과 비용을 들이고 있는 한국의 상황과 관련하여 발달 초기 모국어

에 할애할 시간을 외국어에 할애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입력 언어 노출 손실

이 모국어 음소 지각 능력의 발달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

였다. 특히, 선행 연구들이 제안하는 바와 같이 9개월에서 10개월 사이에 일

어나는 모국어 노출의 손실이 비록 적은 것일지라도 모국어 음소 지각 능력

의 발달과 강화에 부정적 영향을 행사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앞서 요

약한 바와 같이 생후 9개월 무렵의 언어 및 지각적 경험의 여부는 감퇴되거

나 사라질 수 있는 지각적 민감성을 유지하거나 발달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

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이며(Pascalis et al., 2002; Werker, 1995), 이 시기는

모국어에 존재하는 음소 지각 능력이 더 발달하는 시기임을 알 수 있었다

(Kuhl et al., 2006). 그렇다면 아주 적은 손실일지라도 모국어에 대한 노출의

정도가 외국어 노출로 인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는 것은 이 시기 발달하

고 있는 모국어 음소 지각 능력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그러나 반대로 이 시기의 모국어 노출 손실은 발달의 가소성이 높은 영아

시기에는 오히려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단일 언어를

습득하는 영아들과 달리 태어난 이후 줄곧 이중 언어에 노출된 영아들은 입

모양만으로도 두 언어를 변별할 수 있는 능력을 8개월 이후에도 계속 유지할

수 있고(Weikum et al., 2007), 두 언어에서 다르게 사용되는 음소의 범주 경

계를 언어에 맞게 배열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Albareda-castellot, Pons

and Sebastian-Galles, 2011; Burns et al., 2007). 즉, 두 개의 언어에 노출되

어 있다고 해서 둘 중 노출의 정도가 더 적은 언어에 대한 민감도가 더 쉽게

감퇴한다거나 발달이 지연된다거나 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아직 대뇌

가소성이 매우 높은 이 시기의 영아들에게는 두 언어에 동시에 노출되는 것

이 각 언어의 음소 지각 능력 발달에 크게 손해를 끼치지 않을 가능성을 보

Page 6: 8 최미혜 최영은 - CAUcau.ac.kr/~caudevel/papers/20.pdf · 2016. 9. 4. · ¹»! Bt ¸üF CO F º:=nC»¼½ ¾z BWJBsO ¸üLLW? ºB :FÂm C9¿ e H¼BWJBt £¬ cä±P + % IѲ·ÀÓvyº²Y9

136 언어과학 제21권 2호 (2014. 5)

여준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중국어에 대한 짧은 노출이

영어 습득 영아들의 중국어 음소 변별력을 유지하게 한 결과도 이러한 가소

성의 일환으로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시기 외국어 노출은 가소성이 높은

영아들에게 추가적인 지각 능력을 계발하는데 긍정적일 수 있고, 모국어 노

출 손실은 아주 크고 지속적이지 않는 한 그다지 중대한 영향을 끼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다. 두 가지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본 연구의 실험 1에서는 한

국어 습득 영아를 대상으로 9-10개월의 단기간 외국어(영어) 노출 프로그램

을 진행하고,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한국어의 /가/-/카/음소 쌍의 변별 정도

를 측정하여 통제 집단과 비교하여 보았다.

둘째로, 사회경제적 요인과 초기 음소 지각 능력 발달 사이의 관계도 살펴

보고자 하였다.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초기 음소 지각 능력의 개인차가 이

후 어휘 습득의 정도에 영향을 끼칠 수 있고,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른 입력

언어의 양과 질의 차이는 어휘 재인 속도나 습득의 차이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계는 나아가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른 입력 언어

의 양과 질의 차이가 초기 음소 지각 능력 발달의 차이에도 직접적 영향을

행사할 가능성도 제기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를 직접적으로 검토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 요인간의 관련성을 일차적으로 탐색해 보

고자 6-8개월의 한국어 습득 영아를 대상으로 한국어 /가/-/카/음소 쌍의 변

별 정도와 이들 가정의 사회경제적 요인(부모의 교육수준과 직업, 가정의 소

득)을 측정하고 두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6-8개월 영아들을 대상

으로 선정한 것은 선행 연구에서 6개월 무렵의 음소 지각 능력의 개인차가

13, 16개월이 되었을 때 어휘 습득 정도의 차이로 이어진다는 보고에 근거하

여 이 시기 음소 지각 능력 발달이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른 입력 언어의 차

이에도 기인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러한 가능성이 존재할 경우 이후 발

달 과정에서의 어휘력, 학습 능력 차이에 관한 관계를 연결 지어 볼 수 있기

때문이었다.

2. 실 험 1

본 연구의 실험 1에서는 먼저 외국어 노출로 인한 입력 언어의 차이가 초

기 음소 지각 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앞서 언급한

바처럼, 만약 생애 초기 외국어 노출이 단기간일지라도 지각 경험이 중요한

Page 7: 8 최미혜 최영은 - CAUcau.ac.kr/~caudevel/papers/20.pdf · 2016. 9. 4. · ¹»! Bt ¸üF CO F º:=nC»¼½ ¾z BWJBsO ¸üLLW? ºB :FÂm C9¿ e H¼BWJBt £¬ cä±P + % IѲ·ÀÓvyº²Y9

초기 음소 지각 능력 발달에서 입력 언어의 역할 탐색 137

9-10개월 시기에 발생한다면, 음소 지각 발달 능력에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

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이 시기는 대뇌 발달의 가소성 또한 큰 것으

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음소 지각 발달 능력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가능

성도 존재한다. 이 두 가지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9-10개월의 한국어 습득 영

아들을 대상으로 단기간의 외국어 노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선행 연구와

동일)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에 /가-카/ 음소 쌍을 사용하여 음소의 변별 정도

를 측정하였다. 이를 통제 집단과 비교해 보았다.

2.1. 연구 방법

2.1.1. 참가자

실험실 방문을 통하여 노출 집단 14명, 통제 집단 26명, 총 40명의 영아들

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이 중 안구 운동이 저조하거나 지루함으로 실험에 집

중하지 못한 영아 15명, 실험 도중 울거나 졸려 실험을 중단한 영아 3명을

제외한 22명의 자료를 분석에 포함하였다. 이 중 외국어 노출 프로그램에 참

여한 노출 집단은 총 9명(평균 334일, 범위 312일-61일, 남아 2명), 음소 구별

검사에만 참여한 통제 집단은 총 13명(평균 324일, 범위 303일-345일, 남아 8

명)이었다.

2.1.2. 외국어(영어) 노출 프로그램

선행 연구(Kuhl et al., 2003)를 참조하여 9-10개월 영아들을 대상으로 단

기간의 외국어 노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참여 시작 나이는 평

균 292일(범위 273일-321일), 종료 당시 평균 나이는 319일(295일-352일)이었

다.

노출 프로그램은 별도의 영어 인터뷰 테스트를 통과한 선생님 5명이 영아

의 가정을 직접 방문하여 이루어졌다. 선생님들은 10분 동안 영어 동화책 2

권을 읽어주었고, 그 후 15분 동안 장난감으로 아이와 함께 상호 작용 놀이

를 진행하였다. 상호 작용 놀이에서는 아이의 이름을 불러주고 눈을 마주치

는 등의 활동을 포함하여 아이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이러한 방문

은 1회 약 25분으로 하여 일주일에 3회, 4주 동안 총 12번 실시하였다.

Page 8: 8 최미혜 최영은 - CAUcau.ac.kr/~caudevel/papers/20.pdf · 2016. 9. 4. · ¹»! Bt ¸üF CO F º:=nC»¼½ ¾z BWJBsO ¸üLLW? ºB :FÂm C9¿ e H¼BWJBt £¬ cä±P + % IѲ·ÀÓvyº²Y9

138 언어과학 제21권 2호 (2014. 5)

2.1.3. 음소 구별 검사: 기대 응시 패러다임(Anticipatory Eye Movement

Procedure)

2.1.3.1. 음소 자극 선정

모국어 음소 지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다른 언어에는 나타나지 않는 독

특한 특징을 가진 폐쇄음(stop sound)을 음소 자극으로 선정하였다. 보통 다

른 언어의 폐쇄음은 이중 대립으로 이루어져 있으나(예, 영어의 경우, /g-k/,

/d-t/, /b-p/) 한국어에서는 삼중 대립, 즉 세 가지 종류의 소리(예, /ㄱ-ㅋ-ㄲ

/, /ㄷ-ㅌ-ㄸ/, /ㅂ-ㅍ-ㅃ/)로 나타난다(배재연, 신지영, 고도홍, 1999; Kang,

2009; Kang and Lee, 2002). 또한 음성구동시간의 범주 경계도 영어의 폐쇄

음보다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에서 폐쇄음이 모국어 음소 지각

능력을 측정하기에 적정한 음소라 판단하였고, 실험에서는 이 중 /가-카/쌍을

사용하였다. 소리는 한 여성 화자가 반복적으로 발성한 소리를 녹음하여 제

시하였다.

<표 1> 측정한 /가-카/ 소리의 평균 길이(ms), 음의 높낮이(pitch, Hz),

강도(intensity, dB)

길이

(ms)

음의 높낮이

(pitch, Hz)

강도

(intensity,

dB)

VOT

(ms)최소 최대

가 643 175 319 68 67

카 626 203 431 67 171

2.1.3.2. 검사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 방법은 기대 응시 반응 패러다임으로, 이는 특정

소리와 연합된 시각 자극의 움직임 경로를 영아에게 제시하고 이에 따른 응

시 반응을 분석하는 연구 방법이다(Albareda-castellot et al., 2011). 선행 연

구를 보면, 두 개의 소리 중 하나는 왼쪽과 다른 하나는 오른쪽과 연합한 것

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참조하여 /가/ 소리의 경우 왼쪽 위치와,

/카/ 소리의 경우 오른쪽 위치와 연합하여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가/ 소리

가 처음 한 번 재생될 때는 T모양의 가리개 아랫부분에 위치해 있는 캐릭터

가 움직이기 시작하여 가리개 뒤로 사라진다. 그 상태에서 같은 소리가 두

번 더 재생되고, 마지막 소리가 재생되면서 캐릭터는 왼쪽에서 다시 등장하

Page 9: 8 최미혜 최영은 - CAUcau.ac.kr/~caudevel/papers/20.pdf · 2016. 9. 4. · ¹»! Bt ¸üF CO F º:=nC»¼½ ¾z BWJBsO ¸üLLW? ºB :FÂm C9¿ e H¼BWJBt £¬ cä±P + % IѲ·ÀÓvyº²Y9

초기 음소 지각 능력 발달에서 입력 언어의 역할 탐색 139

도록 하였다(한 시행에 총 4번의 소리가 재생됨). /카/ 소리가 제시될 때도

마찬가지로 하였으나 마지막 소리가 재생될 때는 캐릭터가 오른쪽에서 다시

등장하도록 하였다(<그림 1> 참조). 만약 영아가 /가-카/ 소리를 구별할 수

있다면, 이러한 움직임의 경로를 학습하여 캐릭터가 다시 등장하기 전에 들

리는 소리를 단서로 미리 예측되는 방향(/가/ 시행의 경우에 왼쪽 응시, /카/

시행의 경우에 오른쪽 응시)을 응시할 수 있을 것이다. /가/, /카/ 시행은 각

23번씩, 총 46 시행을 준무선화(pseudo-random)하여 제시하여 동일 음소 시

행이 연속적으로 3번 이상 제시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영아의 주의를 지

속적으로 끌기 위해 환기 시행(refresh trial, 동물 캐릭터가 공을 차는 그림이

소리와 함께 제시되는 시행)을 4시행마다 한 번씩 등장하게 하였다. 동영상의

총 길이는 5분 41초였으며, 동영상 제작을 위하여 Adobe Premiere Pro CS 6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실험은 부모가 아이를 안은 상태에서 자극 영상이 제시되는 화면을 바라보

고 앉으면 시작하였다. 실험 중에는 부모에게 음악이 나오는 헤드폰을 착용

하도록 하여 부모가 실험의 의도를 파악하고 아이에게 줄 수 있는 간섭을 최

소화하도록 하였다.

2.1.3.3. 분석 방법

먼저 캐릭터가 T모양 가리개 뒤로 완전히 사라진 구간(59 frame)에서의

응시 방향(오른쪽, 왼쪽, 중간, 기타)과 시간(frame 단위)을 기록하였다. 이때

영아가 캐릭터가 등장하는 방향을 그렇지 않은 방향보다 오랜 시간 응시하는

경우 이를 정답시행으로 하였다. 기대 응시 반응 패러다임은 소리 자극과 시

각 자극의 위치를 연합이라는 학습을 통하여 소리 변별 능력을 알아보는 것

이기 때문에 만약 성공적 학습이 이루어졌다면, 시행이 진행되면서 점차 정

답시행 비율이 상승할 것으로 예측한다. 따라서 분석에서도 학습을 통한 소

리 변별이 가능하였는지 살펴보기 위해 전체 46 시행을 Block 1(앞의 23시

행)과 Block 2(뒤의 23시행)로 나누어 정답시행 비율을 비교하였다. 특히,

Block 2의 정답시행 비율이 Block 1에 비하여 유의하게 상승하였는지, 또한

우연 수준(chance level)을 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만약 분석구간에서 50%(30 frame) 이상을 화면에 응시하지 않았거나 캐릭

터가 재등장하는 왼쪽 혹은 오른쪽 위치를 응시하지 않았다면, 해당 시행을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전체 1010 시행(참여자 중 한 명은 44시

행을 수행함) 중 370의 시행이 분석에서 제외되었고, 총 640 시행이 분석에

Page 10: 8 최미혜 최영은 - CAUcau.ac.kr/~caudevel/papers/20.pdf · 2016. 9. 4. · ¹»! Bt ¸üF CO F º:=nC»¼½ ¾z BWJBsO ¸üLLW? ºB :FÂm C9¿ e H¼BWJBt £¬ cä±P + % IѲ·ÀÓvyº²Y9

140 언어과학 제21권 2호 (2014. 5)

포함되었다. 분석은 Premiere Pro CS 6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2명의 분석자가

전체 자료의 10%를 중복 코딩하여 일치도를 확인하였고, 두 분석자의 코딩은

91%수준에서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 /가/ 소리 재생 시의 캐릭터 움직임 경로(위 그림)와 /카/ 소리

재생 시의 캐릭터 움직임 경로(아래 그림)

Page 11: 8 최미혜 최영은 - CAUcau.ac.kr/~caudevel/papers/20.pdf · 2016. 9. 4. · ¹»! Bt ¸üF CO F º:=nC»¼½ ¾z BWJBsO ¸üLLW? ºB :FÂm C9¿ e H¼BWJBt £¬ cä±P + % IѲ·ÀÓvyº²Y9

초기 음소 지각 능력 발달에서 입력 언어의 역할 탐색 141

2.2. 연구 결과 및 논의

외국어 노출에 따른 입력 언어의 차이가 모국어 음소 지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노출 집단과 통제 집단의 평균 정답 시행 비

율을 비교해 보았다. <그림 2>에 제시되어 있듯이, 노출 집단의 경우 Block

1의 평균 정답 시행 비율은 .45, Block 2는 .42였으며 통제 집단의 경우

Block 1의 평균은 .45, Block 2는 .44로 나타나 두 집단 간 응시 반응의 차이

는 거의 없었다. 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참여자간 변인을 노출 집단

과 통제 집단으로 하고, 참여자내 변인을 Block 1, 2의 평균 정답 시행 비율

로 한 2(집단(참여자간 변인): 외국어 노출 집단, 통제 집단) x 2(참여자내 변

인: Block 1, Block 2) 혼합 설계에 의한 변량 분석 결과, 집단에 따른 주효과

는 유의하지 않았고(F(1, 20) = .384, p = .543), Block에 따른 주효과도 유의

하지 않아(F(1, 20) = .045, p = .834) 두 집단에서 모두 Block 1에 비하여

Block2가 상승한 반응 패턴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Block 2에서도 두

집단의 정답 시행 비율은 모두 우연 수준(.05)을 넘지 못하였다.

<그림 2> 외국어 노출에 따른 집단별 정답 시행 비율 및

표준오차에 대한 분석 결과

※ 가로축은 전체 시행을 반으로 나눈 Block 정보, 세로축은

평균 정답 시행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Page 12: 8 최미혜 최영은 - CAUcau.ac.kr/~caudevel/papers/20.pdf · 2016. 9. 4. · ¹»! Bt ¸üF CO F º:=nC»¼½ ¾z BWJBsO ¸üLLW? ºB :FÂm C9¿ e H¼BWJBt £¬ cä±P + % IѲ·ÀÓvyº²Y9

142 언어과학 제21권 2호 (2014. 5)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대 응시 반응 패러다임은 각각의 소리 자극과

시각 자극의 움직임 경로를 연합, 학습하여야 음소 구별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는 정답시행 비율이 Block 1에 비해 Block 2에서 유의하게

상승한 반응으로 알 수 있는데, 본 실험의 결과에서는 이와 같은 반응 패턴

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여러 요인에 기인하였을 가능성이 있었

다. 그 하나로는 실험 1에 참가한 10-11개월 영아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특정

소리와 연합된 캐릭터의 등장 위치에 대한 기대를 형성하지 못하였기 때문일

수 있다. 영아들은 위치를 기대하여 응시하기 보다는 캐릭터가 등장했을 때

에야 비로소 응시를 하게 되는 반응 경향이 있었다. 즉, 캐릭터의 등장을 기

대하며 빈 공간을 바라보기 보다는 캐릭터가 등장한 후에 보는 경향성이 더

컸을 수 있고, 이로 인해 본 실험의 핵심 측정치인 기대 응시에 따른 정답

시행의 비율은 실제 영아들의 음소 변별력을 반영하기에는 민감하지 못한 측

정치였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실제로 기대 응시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본

다른 연구실에서도 영아들의 기대 반응이 잘 관찰되지 않아 이 측정 방법 사

용을 포기한 경우가 있다고 한다(Mazuka, R과의 토론 중에서 발췌).

기대 응시의 실패 이외에도 다른 요인도 개입하였을 가능성이 있었다. 특

히, 실험 2에 참가하였던 6-8개월 영아들에 비해 운동능력이 더 발달한

10-11개월 영아들은 실험 참여 동안에 움직임이 크고, 지루해 하는 경향을

더 많이 보였다. 초반에 잘 집중하는 듯 보였던 영아들도 46시행이라는 유사

시행이 반복되면서 후반으로 갈수록 집중을 잘 하지 않았고, 화면 앞에 앉아

있기 보다는 돌아다니고 싶어 하는 경향도 컸다. 이로 인해 후반에서 초반보

다 더 향상된 수행을 보이는 것이 핵심인 기대 응시 패러다임의 사용이 적절

하지 못하였을 가능성도 있었다.

이와 같은 방법론적 제약으로 인하여 실험 1의 결과로는 외국어 노출에 따

른 모국어 손실이 가져오는 영향을 적절하게 평가하기 어려웠다. 특히, 한국

어 습득 영아들이 한국어 모음 음소의 변별을 어느 수준에서 하는지의 자료

를 구축하기 어려웠고, 또 이러한 자료는 아직 없어서 다양한 한국어 음소

자극들을 월령에 따라 변별하는 능력 등에 대한 기준 자료의 마련이 더 중요

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우선적으로

외국어 노출의 영향을 검토하기 이전에 한국어에 있는 다양한 난이도의 음소

쌍들의 변별이 월령에 상관없이 생애 초기 잘 구분되는 지를 먼저 검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검토에서는 기대 응시 패러다임보다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영아들의 반응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확립된

Page 13: 8 최미혜 최영은 - CAUcau.ac.kr/~caudevel/papers/20.pdf · 2016. 9. 4. · ¹»! Bt ¸üF CO F º:=nC»¼½ ¾z BWJBsO ¸üLLW? ºB :FÂm C9¿ e H¼BWJBt £¬ cä±P + % IѲ·ÀÓvyº²Y9

초기 음소 지각 능력 발달에서 입력 언어의 역할 탐색 143

시각 습관화(visual habituation) 패러다임 등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 실 험 2

실험 2에서는 사회경제적 배경으로 인한 입력 언어의 양과 질의 차이가 어

휘 습득, 어휘 재인 속도 차이뿐만 아니라 생애 초기 음소 지각 발달 능력에

도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보았다. 6개월 무렵의 음소 구별 능력은 이후의 언

어 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Tsao et al., 2004), 이 시

기 사회 경제적 요인이 음소 지각 능력에 영향을 끼친다면 이것이 발달 후기

의 능력까지도 연결되는지 고려해 볼 수 있어 본 실험에서 6-8개월의 한국어

습득 영아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실험 1과 동일한 기대 응

시 패러다임으로 음소 구별 능력을 측정하였고, 이들의 부모에게 가정의 사

회경제적 배경을 조사하여 두 요인 간 상관을 알아보았다.

3.1. 연구 방법

3.1.1. 참가자

실험실 방문을 통하여 총 33명의 영아가 실험에 참여하였다. 이중 안구 운

동이 저조하거나 지루함으로 인하여 실험에 집중하지 못한 영아 14명, 실험

도중 울거나 졸려 실험을 중단한 영아 1명, 그리고 비디오 판독이 어려운 영

아 1명, 설문지 작성을 완료하지 못한 영아 1명을 제외한 총 16명의 자료를

분석에 포함하였다. 참여 당시, 이들의 평균 나이는 241일(범위 184일-269일)

이었다.

3.1.2. 실험 과제

3.1.2.1. 음소 지각 검사

실험 1와 동일하게 기대 응시 반응 패러다임으로 모국어 음소 지각 능력을

측정하였다. 소리 자극도 실험 1과 같은 /가-카/소리 쌍을 사용하였다.

Page 14: 8 최미혜 최영은 - CAUcau.ac.kr/~caudevel/papers/20.pdf · 2016. 9. 4. · ¹»! Bt ¸üF CO F º:=nC»¼½ ¾z BWJBsO ¸üLLW? ºB :FÂm C9¿ e H¼BWJBt £¬ cä±P + % IѲ·ÀÓvyº²Y9

144 언어과학 제21권 2호 (2014. 5)

3.1.2.2 사회경제적 배경 조사

부모의 총 교육 년수, 직업, 가족의 연 수입의 사회경제적 요인은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상세한 내용은 최미혜, 2014 부록 참조). 부모의 총 교육

년수는 직접 부모가 작성하도록 하였다. 부모의 직업은 Hollingshead(1975)가

분류한 척도에 따라 점수로 코딩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전문직 직종으로

포함되었다. 수입은 설문지에 (1) 1000만원 이하, (2) 1000-3000만원, (3)

3000-5000만원, (4) 5000-7000만원, (5) 7000-9000만원, (6) 9000만원 이상 등

의 보기로 제시하여 선택하도록 하였다.

3.2. 연구 결과 및 논의

발달 초기 사회 경제적 배경으로 인한 입력 언어의 차이가 음소 구별 능력

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음소 구별 검사를 통해서 얻은 Block 2과

Block 1의 차이점수(Block 2의 평균 정답 시행 비율 - Block 1의 평균 정답

시행 비율)와 가정의 사회경제적 요인 간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

과, B1, B2의 차이점수와 부모의 직업, 가정의 연 수입, 아버지의 총 교육 년

수 간 유의한 상관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모의 총 교육 년수와는 유의한 정

적 상관이 관찰되었다(r(16) = .498, p =.05, <표 2>참조).

이는 참여자의 수가 매우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상관이 나타났다는 점

에서 매우 흥미로운 결과라 할 수 있다(<그림 3> 참조). 실제로 주양육자인

어머니가 자녀에게 이야기할 때 사용하는 문장 구조가 복잡할수록 이후 자녀

의 언어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urtardo et al,.

2008). 이러한 어머니의 대화 방식 및 습관은 어머니의 사회 경제적 지위와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Hoff, 2003; Hoff, Laursen and Tardif,

2002), 따라서 실험 2의 결과는 사회경제적 배경 중 특히 모의 교육 정도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입력 언어의 차이가 생애 초기 음소 지각 발달 능력까

지도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Page 15: 8 최미혜 최영은 - CAUcau.ac.kr/~caudevel/papers/20.pdf · 2016. 9. 4. · ¹»! Bt ¸üF CO F º:=nC»¼½ ¾z BWJBsO ¸üLLW? ºB :FÂm C9¿ e H¼BWJBt £¬ cä±P + % IѲ·ÀÓvyº²Y9

초기 음소 지각 능력 발달에서 입력 언어의 역할 탐색 145

<표 2> 음소 지각 검사의 블록 간 차이 점수와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간 상관, 각 요인의 평균 및 최소값, 최대값 (N = 16)

모국어 음소 구별 능력

1.(B2-B1)의 차이점수 -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2. 모의 총 교육년수 .498*

-

3. 모의 직업 .286 .500 -

4. 부의 총 교육년수 -.243 .371 .500 -

5. 부의 직업 -.234 -.160 -.500 .283 -

6. 연 수입 .045 .264 -.707 .158 .429 -

평균 .00 15.19 7.00 16.13 7.20 3.06

최소값 -.38 12 6 13 6 2

최대값 .33 18 8 21 9 5

*. p< .05

<그림 3> 차이점수(Block 2-Block 1)에 따른 모의 총 교육 연구

Page 16: 8 최미혜 최영은 - CAUcau.ac.kr/~caudevel/papers/20.pdf · 2016. 9. 4. · ¹»! Bt ¸üF CO F º:=nC»¼½ ¾z BWJBsO ¸üLLW? ºB :FÂm C9¿ e H¼BWJBt £¬ cä±P + % IѲ·ÀÓvyº²Y9

146 언어과학 제21권 2호 (2014. 5)

4. 종합 논의

본 연구는 생애 초기 노출되는 입력 언어의 차이가 음소 지각 발달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두 가지 차원에서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실

험 1을 통해 외국어 노출로 인한 입력 언어의 차이가 10-11개월 영아들의 모

국어 음소 지각 발달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살펴보았고, 실험 2에서는

사회경제적 요인과 음소 지각 능력 간의 관계를 검증하여 사회경제적 요인으

로 인한 입력 언어의 차이가 또한 생애 초기 언어 습득 과정에 개입할 수 있

는지 알아보았다.

실험 1의 결과, 노출 집단과 통제 집단 간 평균 정답 시행 비율의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그러나 두 집단에서 모두 정답 시행의 비율이 상승하는

반응을 보이지 않아 학습을 통한 음소 변별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첫째, 영아들이 캐릭터의 등장 위치를 기대하며 빈 공간을 응

시하기 보다는 캐릭터가 등장하자 비로소 응시하는 경향으로 인한 것일 수

있고, 둘째, 연구 대상이었던 10-11개월의 영아들이 기고 설 수 있는 운동능

력을 가지게 되면서 같은 내용이 반복되는 영상에 5분 동안 집중하기 어려움

으로 인해 나타난 현상일 수 있다. 실제로 실험 1에 참여한 영아들의 데이터

패턴을 확인한 결과, 시행이 진행되면서 화면을 응시하지 않아 제외되는 시

행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방법론적 제약으로 인하여

실험 1의 연구 문제를 적절하게 평가하기 어려웠다.

또한 한국어 습득 영아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음소 구별 능력을 실험한 연

구가 국내에는 아직 없는 것으로 알고 있어 이들의 한국어 음소 변별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이해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론적 재고와 더불어,

한국 영아들의 음소 변별 능력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후속 연구에서 이루

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실험 2의 결과는 입력 언어의 차이가 생애 초기 음소 지각 발달 능

력에 관여하고 있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실험 2에서는 사회경제적 요인

중 유일하게 모의 총 교육 년수에서 음소 지각 능력과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

는데, 이는 주양육자인 어머니를 통한 입력 언어가 언어 습득 과정에 크게

개입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선행 연구 결과들과 일관된 부분이다

(Fernald et al., 2013; Hurtado et al., 2008). 아직 확정적 결론을 내리기 힘든

것으로 보이나, 이러한 결과는 사회 경제적 요인의 차이가 생후 1년 이후의

어휘 습득, 그리고 단어 재인 속도의 개인차의 원인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

Page 17: 8 최미혜 최영은 - CAUcau.ac.kr/~caudevel/papers/20.pdf · 2016. 9. 4. · ¹»! Bt ¸üF CO F º:=nC»¼½ ¾z BWJBsO ¸üLLW? ºB :FÂm C9¿ e H¼BWJBt £¬ cä±P + % IѲ·ÀÓvyº²Y9

초기 음소 지각 능력 발달에서 입력 언어의 역할 탐색 147

라 이것이 생애 초기의 음소 지각 발달 능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시사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실험 2에서 대상으로 한 6-8개

월 시기는 이후의 언어 발달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중요한 시기로 보이는데,

앞서 언급하였던 것처럼 이 시기 모국어 음소 구별 능력이 13, 16개월 시기

의 어휘 습득 정도와 24개월의 표현 어휘, 문장 복합도(sentence complexity),

평균 발화 길이(MLU)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Kuhl, et al,

2005; Tsao et al., 2004). 따라서 이와 함께 본 연구의 결과는 생애 초기 입

력 언어의 차이가 모국어 음소 구별 발달 능력의 개인차를 유발할 수 있고,

이것이 또한 이후의 언어 능력까지도 영향을 주는 관계를 그려볼 수 있다.

실험 2의 결과와 함께, 생애 초기 입력 언어의 차이가 모국어 음소 변별

능력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실험 1의 재검토는 더욱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외국어 노출로 인한 초기 모국어 입력 언어의 차이가 음소 변별 능

력에 영향을 줄 가능성 알아보기 위함은 음소 지각 능력 발달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한국 사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비정상적인 조기 교육 열풍과도 관련

있는 연구 문제이다. 우리 사회는 이미 오래전부터 영어 조기 교육으로 끊임

없는 몸살을 앓고 있으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어 왔다. 심지어 최근에는 생

후 1년 이전의 영아들에게도 이들의 발달 과정에 대한 이해가 부재한 상태에

서 무분별한 영어 교육을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맹목적인 사교

육 행태가 과연 아이들에게 어떤 역할로 작용하는지 알아보려는 과학적 시도

는 분명 필요하고 중요한 과제로 보인다. 앞에서 언급하였듯, 특히 생후 9-10

개월 무렵에는 지각적 협소화 과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시기 노출 경험

은 다른 시기에 경험하는 것과는 비교할 수 없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입력 언어의 차이가 분명 음소 지각 능력과도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외국

어 노출의 효과가 어떠한 방식으로 모국어 음소 지각 능력에 작용하는지는

탐색해봐야 할 문제이다.

주제어: 음소 지각 능력, 음소 구별, 입력 언어, 외국어 노출, 영아, 언어 발달

Page 18: 8 최미혜 최영은 - CAUcau.ac.kr/~caudevel/papers/20.pdf · 2016. 9. 4. · ¹»! Bt ¸üF CO F º:=nC»¼½ ¾z BWJBsO ¸üLLW? ºB :FÂm C9¿ e H¼BWJBt £¬ cä±P + % IѲ·ÀÓvyº²Y9

148 언어과학 제21권 2호 (2014. 5)

참고문헌

김은영, 김효림, 송현주, 전영미, 최영은. 2012. 한국 영아의 영어 음소 /l/-/r/ 변

별에 대한 ERP 연구. 언어과학 19.1, 47-66.

배재연, 신지영, 고도홍. 1999. 음성환경에 따른 한국어 폐쇄음의 음향적 특성.

음성과학 5.2, 139-159.

최미혜. 2014. 발달 초기 외국어 노출과 모국어 음소 구별 능력간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Albareda-Castellot, B., F. Pons and N. Sebastián-Gallés. 2011. The Acquisition

of Phonetic Categories in Bilingual Infants: New Data from an

Anticipatory Eye Movement Paradigm. Development Science 14(2),

395-401.

Burns, T. C., K. A. Yoshida, K. Hill and J. F. Werker. 2007. The Development

of Phonetic Representation in Bilingual and Monolingual Infants. Applied

Psycholinguistics 28(3), 455-474.

Eimas, P. D., E. R. Siqueland, P. Jusczyk and J. Vigorito. 1971. Speech

Perception in Infants. Science 171(3968), 303-306.

Fernald, A., V. A. Marchman and A. Weisleder. 2013. SES Differences in

Language Processing Skill and Vocabulary are Evident at 18 Months.

Developmental Science 16(2), 234-248.

Hoff, E. 2003. Causes and Consequences of SES-related Differences in

Parent-to-child Speech. In Bornstein, M. H. and R. H. Bradley (eds.),

Socioeconomic Status, Parenting, and Child Development. London:

Routledge. 147-160.

Hoff, E., B. Laursen and T. Tardif. 2002. Socioeconomic Status and Parenting.

In Bornstein, M. H. (Ed), Handbook of Parenting Volume 2: Biology

and Ecology of Parenting, 231-52.

Hollingshead, A. B. 1975. Four Factor Index of Social Status. Unpublished

Working Paper. Yale University.

Hurtado, N., V. A. Marchman and A. Fernald. 2008. Does Input Influence

Uptake? Links Between Maternal Talk, Processing Speed and

Vocabulary Size in Spanish‐Learning Children. Developmental Science

11(6), 31-39.

Kang, K. S. 2009. A Phonetic Account of Korean Affricates: Neutralization

with a Palatal Glide. Journal of Language Sciences 16(1), 169-186.

Page 19: 8 최미혜 최영은 - CAUcau.ac.kr/~caudevel/papers/20.pdf · 2016. 9. 4. · ¹»! Bt ¸üF CO F º:=nC»¼½ ¾z BWJBsO ¸üLLW? ºB :FÂm C9¿ e H¼BWJBt £¬ cä±P + % IѲ·ÀÓvyº²Y9

초기 음소 지각 능력 발달에서 입력 언어의 역할 탐색 149

Kang, S. J. and S. D. Lee. 2002. Acoustic Properties of Word-initial Korean

Stops in Speech Perception. Journal of Language Sciences 9(2), 1-20.

Kuhl, P. K., B. T. Conboy, D. Padden, T. Nelson and J. Pruitt. 2005. Early

Speech Perception and Later Language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the

‘Critical Period’. Language Learning and Development 1, 237–264.

Kuhl, P. K., E. Stevens, A. Hayashi, T. Deguchi, S. Kiritani and P. Iverson.

2006. Infants Show Facilitation for Native Language Phonetic Perception

Between 6 and 12 Months. Developmental Science 9, 13–21.

Kuhl, P. K., F. M. Tsao and H. M. Liu. 2003. Foreign-language Experience in

Infancy: Effects of Short-term Exposure and Social Interaction on

Phonetic Learning.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0(15), 9096-9101.

Ladefoged, P. and K. Johnson. 2011. A Course in Phonetics Wadsworth.

Scarborough: Cengage Learning.

Narayan, C. R., J. F. Werker and P. S. Beddor. 2010. The Interaction Between

Acoustic Salience and Language Experience in Developmental Speech

Perception: Evidence from Nasal Place Discrimination. Developmental

Science 13(3), 407-420.

Noble, K. G., M. J. Farah and B. D. McCandliss. 2006. Socioeconomic

Background Modulates Cognition–Achievement Relationships in Reading.

Cognitive Development 21(3), 349-368.

Pascalis, O., M. de Haan and C. A. Nelson. 2002. Is Face Processing

Species-specific During the First Year of Life?. Science 296(5571),

1321-1323.

Pascalis, O., L. S. Scott, D. J. Kelly, R. W. Shannon, E. Nicholson, M.

Coleman and C. A. Nelson. 2005. Plasticity of Face Processing in

Infancy.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2(14), 5297-5300.

Sato, Y., M. Kato and R. Mazuka. 2012. Development of Single/geminate

Obstruent Discrimination by Japanese Infants: Early Integration of

Durational and Nondurational Cues. Developmental Psychology 48(1), 18.

Streeter, L. A. 1976. Language Perception of 2-month-old Infants show both

Innate Mechanisms and Experience. Nature 259, 39-41.

Tsao, F. M., H. M. Liu and P. K. Kuhl. 2004. Speech Perception in Infancy

Predicts Language Development in the Second Year of Life: A

Page 20: 8 최미혜 최영은 - CAUcau.ac.kr/~caudevel/papers/20.pdf · 2016. 9. 4. · ¹»! Bt ¸üF CO F º:=nC»¼½ ¾z BWJBsO ¸üLLW? ºB :FÂm C9¿ e H¼BWJBt £¬ cä±P + % IѲ·ÀÓvyº²Y9

150 언어과학 제21권 2호 (2014. 5)

Longitudinal Study. Child Development 75, 1067-1084.

Weikum, W. M., A. Vouloumanos, J. Navarra, S. Soto-Faraco, N.

Sebastián-Gallés and J. K. Werker. 2007. Visual Language Discrimination

in Infancy. Science 316(5828), 1159-1159.

Weisleder, A. and A. Fernald. 2013. Talking to Children Matters Early

Language Experience Strengthens Processing and Builds Vocabulary.

Psychological Science 24(11), 2143-2152.

Werker, J. F. 1995. Exploring Developmental Changes in Cross-language

Speech Perception. Language: An Invitation to Cognitive Science 1,

87-106.

Werker, J. F. and R. C. Tees. 1983. Developmental Changes Across Childhood

in the Perception of Non-Native Speech Sounds. Canadian Jounal of

Psychology 37(2), 278-286.

Werker, J. F. and R. C. Tees. 1984. Cross-language Speech Perception:

Evidence for Perceptual Reorganization during the First Year of Life,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7, 49-63.

최미혜

156-756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84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전화번호: 02-820-6375

전자우편: [email protected]

최영은

156-756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84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전화번호: 02-820-5898

전자우편: [email protected]

투고일자: 2014. 03. 31

수정일자: 2014. 05. 09

확정일자: 2014. 05.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