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 samili.com · 글로벌 경제위기에서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182
총 괄 - 1 - Ⅰ. 서론 1. 과제 기획 방법론 가.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글로벌 경제위기에서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전략적 육성 지원 이 필요함. - 세계 경제 패러다임의 급격한 변화와 미국과 유럽의 금융위기 등으로 인한 글로 벌 경기침체 가속화로 우리나라 기업의 경영환경이 악화되고 있음 - 세계경제가 회복되지 않은 상황에서 대기업보다 더 어려운 성장 기반을 가지고 있는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경제회복이나 고용창출은 기 대하기 어려움 - 또한, '저탄소 녹색성장' 국가비전 실현 및 정부의 2011년 최우선 정책과제인 동 반성장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중소기업의 전략적 육성지원은 필수적임 2010년 초부터 세계 각국은 실물경제의 회복을 위해서 다양한 중소기업 지원책을 수립하여 추진 유럽은 민간고용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 지원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실물경제의 회복을 위해 노력 - 스페인은 일자리프로그램으로 14천여개 중소기업에 80억유로를 지원하기로 했으며, 프랑스는 중소기업 투자 및 대출을 위해 20억유로를 지원할 계획임. 중국은 20101월에 중소기업 발전 촉진 정책을 마련시행하여 기술력을 가진 중소기업 1만개를 육성하는 야심찬 계획을 추진 - 국가지식재산권국(특허청)과 공업정보화부(지식경제부)가 공동으로 5년 내 독자 적인 기술을 가진 중소기업 1만개를 육성하고 중소기업을 위한 전용공단을 100 여 곳에 조성할 계획임. - 신재생에너지, 신소재, IT, 생명공학, 항공우주 등 7대 전략산업을 대상 업종으로 집중 육성할 것으로 예상됨. 일본은 2010년 총리 직속의 자문기관으로 중소기업 지원회의를 신설하고 중소기

Upload: others

Post on 13-Oct-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총 괄

    - 1 -

    Ⅰ. 서론

    1. 과제 기획 방법론

    가.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 글로벌 경제위기에서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전략적 육성 지원

    이 필요함.

    - 세계 경제 패러다임의 급격한 변화와 미국과 유럽의 금융위기 등으로 인한 글로

    벌 경기침체 가속화로 우리나라 기업의 경영환경이 악화되고 있음

    - 세계경제가 회복되지 않은 상황에서 대기업보다 더 어려운 성장 기반을 가지고

    있는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경제회복이나 고용창출은 기

    대하기 어려움

    - 또한, '저탄소 녹색성장' 국가비전 실현 및 정부의 2011년 최우선 정책과제인 동

    반성장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중소기업의 전략적 육성지원은 필수적임

    ○ 2010년 초부터 세계 각국은 실물경제의 회복을 위해서 다양한 중소기업 지원책을

    수립하여 추진

    ○ 유럽은 민간고용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 지원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실물경제의 회복을 위해 노력

    - 스페인은 일자리프로그램으로 1만 4천여개 중소기업에 80억유로를 지원하기로

    했으며, 프랑스는 중소기업 투자 및 대출을 위해 20억유로를 지원할 계획임.

    ○ 중국은 2010년 1월에 ‘중소기업 발전 촉진 정책’을 마련․시행하여 기술력을 가진

    중소기업 1만개를 육성하는 야심찬 계획을 추진

    - 국가지식재산권국(특허청)과 공업․정보화부(지식경제부)가 공동으로 5년 내 독자

    적인 기술을 가진 중소기업 1만개를 육성하고 중소기업을 위한 전용공단을 100

    여 곳에 조성할 계획임.

    - 신재생에너지, 신소재, IT, 생명공학, 항공우주 등 7대 전략산업을 대상 업종으로

    집중 육성할 것으로 예상됨.

    ○ 일본은 2010년 총리 직속의 자문기관으로 ‘중소기업 지원회의’를 신설하고 중소기

  • 중소기업 통합 기술로드맵

    - 2 -

    업 지원 대책을 강화

    - 지원회의는 총리가 주재하며, 국가전략담당상과 금융상, 경제산업상, 재무상 등의

    정부측과 대학교수, 경제연구소 등의 분야별 전문가를 포함하여 20여명으로 구성

    할 것으로 보도됨.

    ○ 한국정부는 경제 회복이 기업의 기술 및 신제품 혁신 역량에 달려있다고 판단하

    여 다양한 기술혁신을 위한 정책과 계획들을 발표․추진

    - 2008년부터 녹색성장, 신성장동력 등 기술혁신을 통한 산업육성 정책과 중장기

    마스터플랜을 수립‧이행하고 있음.

    ○ 또한, 내수시장을 활성화하여 경제기반을 견고하게 하고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

    책을 수립하고 시행함으로써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유연한 대응을 하고 있음.

    - 일자리 창출방안의 주요 대상은 고용의 약 88%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임. 이러한

    중소기업은 산업구조 상 중추적 역할을 하며, 국가 경제 회복과 성장의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 2010년 대졸인턴 채용계획 조사1)에 따르면 대기업은 채용을 전년대비 28.1%, 중

    견기업은 50.3%를 축소하는 반면, 중소기업은 무려 92.8%를 늘릴 예정으로 조사

    되어 일자리 창출에 기여를 하고 있음.

    ○ 글로벌 경제환경에서 중소기업의 성장잠재력을 제고하고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

    도록 기술혁신 지원이 필요함.

    - 중소기업이 글로벌 경제환경에서 중국 저가제품과의 경쟁이나 경기변동에 강한

    체질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첨단기술을 확보하고, 원천기술을 보유하는 방법이 최

    우선임.

    2) 연구의 필요성

    ○ 선도적인 기술혁신을 통해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경쟁력을 보유한 중소기업으로

    육성

    - 지식기반경제에서는 기술경쟁력이 경제발전의 원동력임.

    - 파급효과가 큰 산업분야의 글로벌 시장에서 중소기업이 기술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지원․육성해야 함.

    ○ 중소기업들이 사회․경제적 환경에 대응하고 지속적인 성장잠재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기술혁신의 방향성을 제시

    1) 취업․인사포털 인크루트사가 941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임.

  • 총 괄

    - 3 -

    - 중소기업들은 가용자원에 한계가 있어, 환경 및 경기 변화에 대응력이 취약함.

    -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술 개발 및 혁신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지속적으

    로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함.

    ○ 또한, 중소기업들의 기술 선진화와 지식기반 경제체제를 선도하고, 중추적인 역할

    을 할 수 있도록 중장기적 기술개발 지원 체제를 확립시켜야 함.

    - 기술 혁신과 선진화를 위해 중소기업의 육성․지원 시스템을 정립하여 전략적으

    로 지원함으로써, 기술개발의 효율성 제고 및 선도적인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도

    록 함.

    ○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를 통해 국가 산업구조를 견고하게 해야만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유지할 수 있음.

    -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조화롭게 성장할 수 있도록 전략적인 기술개발 계획을 제

    시함으로써, 중소기업은 기술혁신을 통한 세계 시장 조기 진입을 실현하고 대기

    업과의 상생 발전을 통한 지속성장을 이룰 수 있음.

    ○ 중소기업을 위한 기술개발 방향성 제시를 통해 기술경쟁력과 안정성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용의 질과 양을 동시에 높이는 기반을 마련

    - 선도적인 기술개발 방향성을 중소기업에 제시함으로써, 중소기업들이 기술경쟁력

    을 확보하고 성장하는 과정에서 질 높은 고용 창출 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음.

    ○ 신성장 동력 육성이라는 국가 R&D 기조에 따라 유망분야에 대한 지원 확대 움직

    임이 범부처적으로 확산

    - (지경부․교과부) R&D 시스템 개편을 통해 미래 유망 산업분야 지원 강화를 표명

    * (지경부) 신재생에너지 분야 10대 핵심 원천기술에 2015년까지 1.5조원 투자

    (교과부) ‘글로벌 프론티어’, ‘기반형 융합녹색연구’ 등 유망기술 연구 강화

    - (중기청) R&D 사업의 선도과제를 확대하는 등 유망분야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노력

    * 중기청 R&D 사업 선도과제 비율: (2010년, 55%) → (2011년, 59%)

    ○ 유망분야 지원확대와 병행하여 지원 효과 극대화를 위해 필요한 중소기업 지원과

    제를 사전 선별하는 체계 부재

    - (중기청의 과제 발굴 체계) 기술로드맵을 활용하여 과제를 선별하는 타 부처와

    달리 중기청은 중소기업 대상 수요조사에 전적으로 의존

    * 2009년 중기청 R&D 사업 RFP 제안 비율 : 수요조사 75.1%, 전문가 연구 9.8% 등

    - (중소기업에 타 부처 로드맵의 적용 가능 여부) 타 부처 기술로드맵은 산업수준에

    서 작성되었기 때문에 제안기술의 범위가 크고 포괄적으로 명시되어 있어 중소기업

  • 중소기업 통합 기술로드맵

    - 4 -

    에 부적합

    ○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수립 필요성에 대한 대내․외 수요 제기

    - “국가 전체 로드맵과 연계성을 확보한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작성을 통해 R&D

    지원을 강화할 필요” (2009년 지경위 국정감사, 정태근 의원)

    - “녹색․신성장 등 전략적 분야 기술로드맵과 정합성을 감안하면서 중소기업 현

    장수요를 반영한 통합기술로드맵 작성 필요” (2010년 예산 검토보고서, 지경위)

    3) 중소기업 로드맵의 당위성

    ○ 중소기업의 R&D 방향을 혁신주도형으로 전환시키고, 고부가가치 시장 기반 기술

    선도형 중소기업을 발굴육성 시키기 위해서는 1) 선택과 집중을 통한 중소기업

    R&D 투자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2) 시장 트랜드와 니즈를 기획단계에서 구체

    적으로 반영시킴으로써 기술의 상용화 및 시장 창출 성공 가능성이 높은 market

    pull형 기술혁신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

    ○ 국가 R&D 지원정책은 크게 원천, 공공, 복지기술과 산업기술에 대한 지원 정책으

    로 구분되며, 그 방향성은 다음과 같음.

    - 중소기업은 단중기 기반의 기술개발 및 개발연구, 응용연구 위주의 발전이 이루

    어지고 있었으며, 타부처에서 산업기반, 대기업기반의 트랜드를 파악하여 도출된

    거시적인 측면에서의 로드맵과는 차별화 될 수 있음.

    ※출처 : KISTI작성

    국가 R&D지원 정책의 방향성

  • 총 괄

    - 5 -

    - 국가 R&D 지원정책과의 부합성 측면에서 볼 때, 중소기업 R&D 지원정책은 국

    가 R&D 지원정책 중 단․중기적 기술개발 지원 영역과 방향을 같이 해야 하며,

    고부가가치 창출형 유망 선도업종 및 기술을 선정하여 집중지원하고,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방향을 추종 및 모방 전략에서 선도 기술 중심으로 전환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음.

    ※출처 : KISTI작성

    중소기업 R&D 지원정책의 포지셔닝

    ○ 국가 R&D 지원정책과의 차별화 측면에서 보면, 중소기업 R&D 지원정책은 중소

    기업의 기술개발지원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여력을 고

    려하여, 중소기업이 활동할 수 있는 중소기업형 부품, 소재, 틈새시장을 중심으로

    한 산업영역 및 중․단기 기술과제를 중심으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

    ○ 또한, 현재는 실용성 상품화와 관련된 기술과제를 주요 지원대상으로 하고 있으

    나 향후에는 중소기업형 제품 원천기술 개발의 지원도 필요할 것으로 보임.

    ○ 이상과 같은 중소기업 R&D 지원정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1) 중소기업

    R&D 지원예산을 확대하고, 2) 전략적 R&D 기획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 중소기업 R&D 지원 정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일련의 R&D과정(기획

    →수행→성과분석→기획반영)의 체계적인 기획과 운영이 필요하며, 그 시발점인

    R&D 기획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기술로드맵임.

  • 중소기업 통합 기술로드맵

    - 6 -

    ○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에 기반을 둔 체계적인 연구기획을 포함하여 핵심기술 기

    획 활동 간의 연계체계를 강화하여 통합적인 중소기업 R&D 기획체제를 구축함으

    로써, 선택과 집중을 통한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음.

    4) 연구의 목적

    ○ 중소기업의 기술개발환경 및 정책 변화를 분석하여 기술개발 지원정책 비전 제시

    와 중장기 목표 및 지원방향 설정

    - 중소기업 환경, 정책현황 및 기술개발현황 등을 분석하여 기술개발 지원정책 비

    전 제시

    - 지원정책의 비전 달성을 위한 중장기 목표 및 지원방향 설정

    ○ 기술개발 지원정책의 대상인 녹색성장, 첨단융합 및 이와 관련된 제조기반의 3개

    분야 유망기술에 대한 전략적인 지원을 위한 중장기 플랜을 수립

    - 유망기술은 국가적인 기술수요와 중소기업의 미래 성장동력 확보 관점에서 전략

    분야로 설정

    - 제조기반기술은 녹색성장 및 첨단융합 기술에 기반을 이루는 제조산업에 있어서

    중소기업형 기반기술을 고도화할 수 있는 대상으로 설정하여 중장기 플랜 작성

    ○ 국가 성장동력 분야에서 중소기업에게도 성장동력이 될 수 있는 유망한 기술분야

    에서 전략적 집중이 필요한 핵심 분야를 발굴하여 제시

    - 국가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녹색성장과 신성장동력 분야와 유망한 산업분야를

    분석하여 중소기업 참여가 전략적으로 필요한 분야를 구체화하고자 함.

    - 미래 유망한 기술분야에서 중소기업에게 집중 지원해야 할 ① 중소기업 전략분

    야, ② 전략제품 ③ 이에 대한 로드맵 기획, ④ 단기적인 기술개발과제를 발굴하

    여 제시하고자 함.

    - 이를 통해 관련 중소기업의 참여와 새로운 기술개발에 투자를 유도하고자 함.

    ○ 미래를 선도하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들의 기술개발에 대한 방향과 핵심 요소기

    술을 제시함으로써, 첨단 및 원천 기술 확보를 조기에 실현시키고 한국 중소기업

    의 세계화 기반 마련

    - 미래 유망기술에 대한 전략분야 및 산업현황 및 세부 전략제품에 대한 기술트렌

    드와 산업구조 등에 근거한 로드맵을 제시하고자 함.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들을 지원․육성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목적임.

    ○ 중소기업에게는 기술개발에 대한 불확실성을 최소화시켜 새로운 기술개발을 유도

  • 총 괄

    - 7 -

    하고, 국가차원에서는 기술경쟁력을 제고하는데 기여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지원에 대한 현황 파악과 지원정책의 근거자료

    로 활용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전략적 집중 분야와 제품 현황 파악 등 종합적인 분석을

    통하여 보다 실효성 있는 지원방안 모색에 근거로 활용함.

    - 아울러, 중소기업의 선도적인 기술경쟁력 확보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에 반영함.

    중소기업 통합기술로드맵 추진 목적

    나. 연구의 범위와 내용

    1) 연구의 범위

    ○ 국내외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

    고, 이를 위한 중소기업 기술개발 정책 비전을 제시

    ○ 비전 달성을 위한 유망기술 17대 분야 로드맵 기획

    2) 연구의 내용

    ○ 중소기업 기술개발 통합기획

    - 중소기업 기술개발 환경분석

    -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정책 및 비전

  • 중소기업 통합 기술로드맵

    - 8 -

    ○ 유망기술분야 로드맵 기획

    - 전략분야 선정 및 현황분석

    - 전략제품 선정 및 요소기술 수립

    - 전략제품별 핵심기술 선정 및 로드맵 기획

    - 중소기업 니즈조사를 통한 수요니즈 파악

    - 과정중 객관성 확보를 위한 방안 마련(특허분석, 특허 클러스터링을 통한 요소기

    술 도출, 중간 결과물 DB화)

    연구 범위 및 구성

    다. 추진 체계

    ○ 세부 분야별로 구성된 전문가위원회는 전략분야 선정, 분야별 현황 분석, 전략제

    품 선정, 전략제품 현황분석, 핵심기술 도출, 로드맵 기획 등의 각 과정에서 핵심

    정보 제공, 의사결정 지원의 역할을 담당

    ○ 각각의 현황분석은 해당 기술분야 전문가와 KISTI, The-BNI 연구원, BNI 특허 및

    시장 분석 전문가 활용

  • 총 괄

    - 9 -

    사업 수행체계

    2. 연구 방법론

    가. 연구 기획론

    1) 외부 환경 분석 방법론

    ○ PEST(정치적 요인, 경제적 요인, 사회적 요인, 기술적 요인) 분석: 거시적 외부 환

    경 분석의 대상2)

    - 기업 외부의 거시 환경은 정치적(P: Political), 경제적(E: Economical), 사회적(S:

    Social), 기술적(T: Technological) 요인들로 구분됨

    - 정치적 환경 요인 분석(P 분석): 기업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규제, 허가, 민영화

    등 기업의 장기적 활동과 경쟁 상황에 미치는 정치적, 정책적 요인을 분석함

    - 경제적 환경 요인 분석(E 분석): GDP 성장률, 물가상승률, 이자율, 환율, 원자재

    가격 등 거시적 경제지표들을 분석하여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과 경쟁 환경에 영

    2) PEST 분석은 본 연구가 사용하는 중요한 방법론의 일부가 됨(“IV. 중소기업 통합기술 로드맵 추진 방향” 참조)

  • 중소기업 통합 기술로드맵

    - 10 -

    향을 주는 인자들을 분석함

    - 사회적 환경 요인 분석(S 분석): 인구 증가율, 노령화, 핵가족화, 다문화 사회 형

    성, 라이프스타일 변화, 사회적 기업 요구 등 기업 활동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문화적 변화 요인의 분석에 초점을 맞춤

    - 기술적 환경 요인 분석(T 분석): 관련 분야에서의 기술 혁신 정도, 융합 기술의

    등장, 정보통신 기술의 활용, 친환경 기술 요구 등 기업의 생산과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 변화를 분석함

    ○ 산업구조 분석

    - 기업이 속해 있거나 향후 진입하고자 하는 산업의 매력도와 경쟁기업과의 관계

    를 분석함

    - Five Force 모형3)은 분석 기업을 중심으로 기존 기업간의 경쟁, 잠재적 진입자의

    진입 위협, 대체 상품 공급자의 대체 위협, 구매자의 협상력, 공급자의 협상력 등

    다섯 가지 요인(Five Forces)에 의해 산업의 경쟁 상황이 결정된다는 분석 모형

    - 기존 기업간의 경쟁

    * Five Forces 중 가장 강한 요인

    * 기존 기업간의 경쟁은 가격할인, 광고전략, 신제품 개발, R&D 투자 등에 영향

    을 미침. 산업 집중도, 경쟁기업의 다양성, 제품차별화, 과잉생산 능력, 원가구

    성, 퇴출장벽 등 기존 기업간의 경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 잠재적 진입자의 진입 위협

    * 정부 규제, 투자 자본의 규모, 규모의 경제, 기존 사업자의 비용 우위, 제품 차

    별화 가능성, 유통 채널 확보 등이 진입 장벽이 될 수 있음

    - 대체 상품 공급자의 대체 위협

    * 대체 상품은 타산업의 제품을 의미하며, 대체 상품의 위협은 소비자들의 성향

    과 유용성이 중요한 영향 요인

    - 공급자의 협상력

    * 가격 민감성과 상대적 협상력은 공급자와의 협상력에 영향을 미치고 분석 대

    상 기업의 경쟁력을 결정함

    ∙상대적 협상력: 공급자의 집중도4), 구매자의 구입 규모, 공급자의 제품/가격

    /비용 등에 대한 정보 확보 여부, 공급자에 대한 수직적 통합의 가능성 등

    이 공급자와의 상대적 협상력에 영향을 미침

    - 구매자의 협상력

    * 가격 민감성과 상대적 협상력이 구매자와의 협상력에 영향을 미치고 분석 대

    상 기업의 경쟁력을 결정함

    3) 마이클 포터(1980)

    4) 구매 품목을 공급하는 공급자가 투입물 시장에서 많으면 집중도가 높고, 반대이면 집중도가 낮음

  • 총 괄

    - 11 -

    ∙분석 대상 기업이 공급자와 구매자 중 어느 역할을 수행하느냐에 따라 다르

    므로, 공급자와 구매자의 협상력은 상대적임

    2) 내부 역량 분석 방법론

    ○ 내부 역량 분석

    - 기업이 보유한 내부 자원과 능력으로 경쟁 우위의 원천이 되는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여, 외부 기회와 위협에 대해 강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략과 새로운 자

    원이나 능력을 개발하여 약점을 보완 전략을 병행

    - 내부 역량 분석은 가치 사슬 분석, 산업 공급망 분석, 핵심 역량 분석, 사업 현황

    분석이 가장 많이 활용

    기업 가치 사슬

    ○ 가치 사슬 분석

    - 가치 사슬(value chain)이란 “가치5) 창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된 일련의

    활동, 기능, 프로세스의 연계”를 통해, 기업의 전략적 단위 활동을 구분하여 파악

    하고, 원가 발생의 원천 및 경쟁기업과의 현존 및 잠재적 차별화(가치창출) 원천

    을 분석하는 것임.

    - 각 단계 및 핵심 활동들의 강점이나 약점 및 차별화 요인을 파악하고, 각 활동단

    계별 원가동인을 분석하여 경쟁우위 구축을 위한 도구로 활용

    5) 가치(Value)는 수행성과(Performance) 대비 비용(cost)의 차를 의미하며, 같은 성과를 내더라도 비용이 덜 투입된 쪽이 보다 가치가

    있는 것을 말함.

  • 중소기업 통합 기술로드맵

    - 12 -

    - 기업의 생산 활동을 주활동(Primary activities)과 보조활동(Support activities)으로 나

    누어서 구매 및 재고 관리부터 시작하여 물류, 생산과정, 판매, 애프터서비스 단

    계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부문에 비용이 얼마나 들고 소비자들에게 얼마나 가치

    를 창출하는지를 보다 정교하게 분석

    - 가치 사슬의 성공요인

    * 경쟁 우위 강화 및 구축을 위해 가치 활동을 연계하는 가치 사슬을 제대로 이

    해하고, 핵심 활동 및 강/약점, 차별화 동인, 원가동인 등을 구조적으로 분석

    ○ 산업 공급망 분석

    - 기업분석의 경우 기업을 기준으로 공급주체들과 공급받는 주체들이 정렬되기 쉬워 가치

    사슬이 형성되지만, 여러 기업이 상호작용하는 산업 수준에서는 가치 “사슬”이 아닌 가치

    “네트워크”가 형성

    - 본 연구과제와 같이 기업이 아닌 산업을 분석할 때는 개별 기업을 중심으로 분

    석하는 개별 기업의 가치 사슬이 아니라 여러 기업들의 다양한 가치 활동들의

    흐름 속에 포함되는 네트워크 구조인 “산업 공급망”을 파악함

    * 산업공급망은 개별 기업내의 가치 활동들을 연결할 뿐만 아니라, 후방채널 가치

    사슬(Upstream VC)과 전방채널 가치 사슬(Downstream VC) 사이에 상호 의존

    적 관계를 창출케 함

    ∙후방채널 가치 사슬: 공급자 가치 사슬과 기업의 가치 사슬의 연계

    ∙전방채널 가치 사슬: 기업의 가치 사슬과 유통-구매자/사용자 가치 사슬의 연계

    * 산업공급망은 기업간뿐만 아니라 동종업체, 산업 및 국가간에 이르기까지 확장

    될 수 있으며, 각각의 경쟁우위 강화 및 구축을 위한 전략적 도구로서 활용

    * 산업공급망하에서 회사는 공급사슬관리(SCM, Supply Chain Management)를 적

    용하고, 고객관계관리(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에 활용하며,

    ERP(Enterprise Resources Planning)를 전영역으로 확대되어 적용

    - 산업 산업공급망에서 개별 기업의 경쟁 우위

    * 개별 기업의 경쟁 우위는 산업내 경쟁 우위를 기준으로 판단, 기업의 경쟁 우위

    평가는 산업공급망에서의 경쟁력 평가로 파악

    - 경쟁 우위 평가를 위한 산업공급망 분석

    * 산업공급망 분석은 최고의 경쟁 우위를 가져오는 가치사슬의 조합(VC configura-

    tions)에 대해 분석, 즉 가치사슬을 따라 투입과 산출을 효율화하고, 산업공급망

    에 대한 수평적/통합적 관점의 프로세스 관리 수행을 파악

    - 산업공급망 분석을 통한 경쟁 우위 평가 3가지 방법

    * 내부비용 분석: 프로세스를 창출하는 기업 내부가치에 대한 수익성 원천 및 상

    대적 코스트 지위를 결정

    * 내부차별화 분석: 프로세스를 창출하는 기업 내부가치내에서 차별화 원천을 분석

  • 총 괄

    - 13 -

    * 수직적연계 분석: 가치를 최대화하고 코스트를 최소화하기 위해 외부 공급업자

    와 고객들중에서 관련성 및 연관된 비용을 분석

    - 전체 산업공급망의 최적화를 위해 공급 측면이나 고객/소비자 측면과 관계가 있

    는 각 조직들의 역량 강화가 필수적임

    ○ 핵심 역량 분석

    - 핵심 역량은 기업이 보유한 내부 역량 중 경쟁사와 차별화되고 사업 성공의 핵심

    으로 작용하는 역량6)

    - 핵심 역량은 경쟁사에 비해 상대적 우월, 경쟁사가 쉽게 모방할 수 없는 전유성

    (全維性) 보유, 타사업으로의 적용 가능성, 가치를 창출하거나 전달 과정이 효율적

    이어야 함

    - 핵심 역량 발굴과 활용의 단계별 전개

    * 발굴을 위한 핵심 역량 위원회 등을 구성하고, 역량의 나열과 분류, 역량의 평

    가, 후보 역량 식별, 핵심 역량 평가, 핵심 역량 포지셔닝 평가를 통해 전략을

    수립

    ○ 사업 현황 분석

    - 사업 현황 분석은 핵심 역량 분석과 비즈니스 환경 분석을 동시에 수행하며, 비

    즈니스 환경은 거시적 요소보다는 단기적이고, 직접적인 환경을 의미

    - 사업 현황 분석은 대상이 기업 단위가 아닌 경우가 효과적으로 본 연구과제와

    같이 우리나라 중소기업 전반에 걸친 연구이므로 사업 현황 분석이 적절한 방법

    론임

    - 분석의 대상이 중소기업 전반인 경우 한 기업의 핵심 역량 대신 우리나라 중소

    기업 전반의 역량과 자원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야 함

    3) 기술 로드맵

    ○ 기술 로드맵

    - 기술 로드맵(Technology Road Map: TRM)은 기술기획의 초기 단계에 기술의 변

    화 추세를 보고(기술 예측), 각각의 세부기술의 상호 작용을 파악하여, 어떤 기술

    이 준비되어야 하는 지(기술 선택), 어떤 R&D 활동이 언제까지 완료되어야 하는

    지(프로젝트 및 개발과제 선정) 등을 기획하기 위해 사용

    - 기술 로드맵은 하나의 분석방법론보다는 “기술 예측, 기술 선택, 프로젝트 선정”

    등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기술기획 프레임워크로 시장, 제품, 요소기술, 개발과

    6) Prahalad와 Hamel(1990)

  • 중소기업 통합 기술로드맵

    - 14 -

    제 등 핵심적인 기술경영 요소를 시간축상에 도표로 연계

    - 기술 로드맵은 기술과 제품을 각각 요소기술과 요소부품으로 분해하고, 요소기

    술, 요소부품의 미래의 구성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기술분야 및 제품분야에 대

    해 중장기적인 계획을 제시

    ○ 기술 로드맵의 장점은 다음과 같음

    - 고객 요구에 적절히 대응

    - 좋은 상품 및 기술 개발 계획 수단

    - 연구개발과 혁신적 응용을 연결

    - 시장, 제품, 기술혁신의 동인(driver) 변화에 적절히 반응

    - 투자 우선순위를 결정

    - 서로 다른 용도나 응용에 활용된 기술을 식별하고 연계

    - 개발자, 마케터, 제조자, 공급자 등의 의사소통과 협업 촉진

    ○ 기술 로드맵을 작성하는 단계적 절차

    - 준비활동 단계: 작성 대상 분야 및 기간7)을 결정

    - 작성 단계: 시장을 우선하고, 제품과 필요한 기술을 인식

    ① 경영전략과 기술환경 분석을 기반으로 로드맵의 대상이 되는 시장, 제품, 기

    술의 동인(driver)을 식별

    ② 목표 시장의 주요 제품을 선별하고 제품 로드맵 작성

    ③ 제품 및 구성요소 구현을 위한 기술분야를 파악하여 기술 로드맵 작성

    ④ 기업의 자원을 파악하여 기술의 실현 시점에 완성되도록 연구개발 프로젝트

    를 도출하고 필요한 자원을 할당

    - 후속활동 단계: 기술 로드맵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수정. 주기적 수행으로 기술진

    보와 시장 수용 변화 정도 등을 반영하여 결정

    나. 기술 정책 방법론

    1) 기술 정책의 이해

    ○ 기술정책

    - 기술정책은 공공정책으로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으로 정의

    - 기술정책은 과학기술정책의 부분으로, 기초과학을 진흥하는 과학정책과 비교하여

    기술정책은 기술의 상업적 응용을 진작시키는 정책

    7) 작성 대상 기간은 보통 산업기술 로드맵은 10 ~ 15년의 장기이고, 기업수준에서는 3 ~ 5년의 중기가 일반적

  • 총 괄

    - 15 -

    - 선진국에서 기술정책의 변화

    * 1970년대 이전에는 기초과학 정책이 강조

    * 1980년대 초까지는 사회적 수요에 부응하는 과학기술 정책이 강조

    * 1980년대 이후에는 전략적 기술정책이 주류

    *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혁신체제 관점의 기술정책이 대두

    - 혁신체제 관점의 기술정책은 과학기술 혁신과 경제사회 체제의 상호 연관성과

    의존성을 강조

    ○ 기술정책의 구분

    - 기술정책은 재무지원, 인력지원, 기술지원 등의 공급정책, 신적인 제품, 공정, 서

    비스를 정부가 구매하고 생산을 위탁하는 수요정책, 기술혁신을 위한 법과 제도

    적인 환경정책으로 구분8)

    - 또는 국가 차원의 기술 능력을 제고시키는 공급정책, 시장 수요 창출을 통한 기

    술의 변화를 유도하는 수요정책, 기술혁신을 유도하고 기술혁신 활동이 기술적,

    상업적 성공을 위한 공급-수요연계 정책 등으로 구분함9)

    2) 기술 정책 방법론

    ○ 기술혁신 과정 모델

    - 기술혁신의 과정을 기업차원이 아닌 기술혁신에 참여하는 모든 행위자를 중심으

    로 분석하는 모형으로 기술정책 수립의 근간

    - 기술혁신 과정 모델은 선형모형, 정태적 시스템 모형, 동태적 시스템 모형 등으

    로 구분

    * 선형모형은 기술추동적 모형과 수요견인적 모형으로 구분

    ∙기술추동적 선형모형: 기술혁신이 기초․응용․개발 연구가 순차적으로 발생

    ∙수요견인적 선형모형: 수요, 가격, 비용, 이윤기회 등 시장여건 변화가 기업투

    자 동기를 제공하고, 이를 계기로 기술혁신이 발생

    * 정태적 시스템 모형은 아이디어 형성, 문제해결, 활용확산 과정의 3단계 이

    론10)과 초기 획기적 기술혁신과 후기 점진적 기술혁신의 2단계 모형11)이 있음

    * 동태적시스템 모형12)은 기술 수명주기와 이에 대한 기술 공급자와 수요자의

    상호작용과 시장의 결과를 활용

    8) Rothwell

    9) Kim & Dahlman

    10) 체인-링크 모델(Kleine & Rosenberg), Utterback 등

    11) Freeman

    12) Utterback & Aberrnathy 모형, Anderson & Tushman 모형 등이 있음

  • 중소기업 통합 기술로드맵

    - 16 -

    ○ 기술정책 수립의 방법론

    - 기술정책 수립에는 일반적 방법론은 없으며, 다음과 같은 단계를 수행

    ① 정책이 기술공급정책, 기술수요정책 등을 식별

    ② 기술혁신 과정 모델에 따라 공급자나 수요자에 대한 분석 수행

    ③ 선진국의 관련 정책을 벤치마킹

    ④ 국내 정책을 분석하여 상위정책과의 정합성과 관련정책과의 일관성 점검

    다. 본 연구과제의 방법론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론을 사용

    - 프로젝트 기획론의 외부 환경 분석 방법론, 내부 역량 분석 방법론, 기술 로드맵

    을 모두 사용

    - 외부환경분석 방법론 중 PEST 환경분석과 산업구조분석을 사용

    * PEST 환경분석 중 EST 환경분석만 사용13)

    - 내부 역량 분석 방법론의 가치 사슬 분석, 산업공급망 분석, 핵심역량 분석, 사업

    현황 분석 중 산업공급망 분석과 현황 분석 수행14)

    * 산업공급망 분석은 개개의 유망 기술에 대해 수행

    * 중소기업 전반에 대한 사업 현황 분석을 통해 비즈니스 환경 분석과 중소기업 역량 분

    석을 수행

    - 기술 로드맵 분석은 하나의 방법론 차원이 아닌 기술 예측, 기술 선택, 프로젝트

    선정 등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기술 기획 프레임워크로 사용

    - 기술정책 방법론의 경우 선진국의 관련 정책 벤치마킹, 국내정책분석을 통한 상

    위정책과의 정합성과 관련 정책과의 일관성 분석을 수행

    방법론 구분 세부 방법론 사용 여부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재구성

    프로젝트

    기획론

    외부 환경 분석 방법론 PEST 중 EST 분석 사용BEST 분석15)

    내부 역량 분석 방법론중소기업 사업현황 분석

    산업공급망 분석 후보전략분야에서 유망전략분야 선정에 사용

    기술 로드맵기술 예측, 기술 선택, 프로젝트

    선정 등을 통합적으로 수행선정된 유망전략분야 각각에 대해 수행

    기술정책

    방법론

    선진국 정책 분석 선진국 관련 정책 벤치마킹

    BNP 분석16)국내 정책 분석

    상위정책 정합성 및 관련 정책

    일관성 분석

    본 연구의 연구 방법론

    13) P 환경 분석은 정책에 대한 분석이므로 뒤에 나오는 기술정책 방법론에 중복이 되어 포함시키지 않음

    14) 핵심역량 분석과 가치 사슬 분석은 하나의 기업을 대상으로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연구는 중소기업 전반에 걸친 산업군

    수준이므로 적절하지 않음

    15) BEST 분석은 EST 분석과 “B 분석(Business Situation Analysis: 중소기업 사업 현황 분석)"을 함께 수행하면서 본 연구에서 명명

    16) BNP 분석(Benchmark & National Policy)은 “벤치마킹 스터디"(Benchmarking Policy Study)와 “관련 정책 분석”(National Policy

    Study)을 같이 수행하면서 본 연구에서 명명

  • 총 괄

    - 17 -

    II. 중소기업 기술개발 환경 분석

    1. 중소기업 관련 국내외 경제 환경 분석

    가. 세계 경제 환경

    1) 글로벌 경제 체제로의 전환

    ○ 생산과 운영의 급속한 글로벌화

    - 전세계적으로 제조업의 생산, 서비스산업의 운영, 연구개발, 인력 공급, 금융 투

    자 등에서 개방과 통합을 통해 세계를 하나의 범위로 하는 경제체제의 글로벌화

    가 급격히 진행

    - 글로벌 기업들은 생산기지의 개도국 이전, 글로벌 아웃소싱이 상당히 진전

    - 글로벌 아웃소싱 결과, 국내 제조업 고용 비중은 1989년 27.8%(구 산업분류 기

    준)를 정점으로 2008년 17.3%(구 산업분류 기준), 16.8%(신 산업분류 기준), 2010

    년 16.9%(신 산업분류 기준)까지 하락하였으며17), 중소기업들도 비용절감을 위해

    향후 글로벌 아웃소싱을 더욱 확대할 전망18)

    - 정보기술과 수송수단의 발전과 시장경제의 확산으로 경제 글로벌화는 더욱 가속화

    - 글로벌기업은 지역 기반의 대기업, 중소기업, 벤처기업 등에 대한 인수합병을 통

    해 자본의 글로벌화 및 글로벌 시장의 재편이 지속 진행

    - 자본 글로벌화의 진행은 외환위기 이후, 경제의 고도성장이 둔화되고 기업의 구

    조조정이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더욱 촉진될 전망

    ○ 기술 혁신과 지식 공급의 글로벌화

    - 신흥지역이 시장으로의 역할만이 아니라 기술 혁신 및 인력의 주요 공급기지로

    부각되기 시작

    - 전체 기업 연구개발 활동 중 34%(유럽), 32%(미국)가 본사 위치외의 다른 신흥

    지역에서 수행19)

    - 선진국 이외의 지역 출신 이공계 박사학위 인력 수가 미국, 유럽의 고급 인력 공

    급을 앞질러 글로벌 인적 아웃소싱, 협력이 필수적이 되고 있음

    - 중국, 인도, 일본, 한국 출신 공학계 인력이 미국 및 유럽을 압도(중국 30만명, 인

    도 20만명, 일본 10만 4천명, 러시아 8만 2천명, 한국 5만 6천명, 미국 5만 9천명,

    17) KOSIS 국가통계포털 온라인 간행물 경제활동 인구 연보, 2010.

    18)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에서 2004년 7월 실시한 '중소제조업 아웃소싱 실태'조사(20인 이상 299인 이하의 중소제조업 346개 업체

    를 대상)에 따르면 글로벌 아웃소싱을 활용하는 기업은 8.1%(수출기업 14.7%, 내수기업 6.5%)에 불과하였지만 향후 활용 계획이

    있는 응답 기업은 37.3%(수출기업 48.5%, 내수기업 34.5%)로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

    19) Gerybadze, Global Benchmark Survey on the Strategic Management of Technology, 2001.

  • 중소기업 통합 기술로드맵

    - 18 -

    독일 2만 3천명 등)20)하며, 이들은 선진국의 기술 혁신의 중요한 인적 자원이 되

    고 있음

    ○ 글로벌화에 따른 우리나라 중소기업 환경의 위협21)

    - 첫째, 글로벌 수준의 정보와 전문인력의 부재로 글로벌 전략 수립 등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들은 다국적기업과의 경쟁에 있어 절대적인 열위에 처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시장퇴출의 위협이 있음

    - 둘째, 국가별로 환경규약, 안전규칙, 상품의 질(quality)등 규격과 기준이 달라 기

    술력, 자금력이 부족한 중소기업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

    - 셋째, 규모의 경제를 추진하지 못할 경우, 중소기업 제품의 품질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수요를 맞추지 못함으로써 대규모로 이루어지는 글로벌 도매상

    들의 대량 상품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는 위험성 존재

    - 넷째, 대기업 혹은 다국적기업이 글로벌 가치 사슬을 지배하고 기업 규모나 영향

    력 등을 감안했을 때 피지배자의 위치에 있는 중소기업들의 불이익 발생 빈도가

    증가할 수 있음

    - 다섯째, 글로벌 차원에서 요구되는 신바젤 협약이 도입됨에 따라 금융기관들이

    적절한 자산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위험가중치가 적은 대기업 및 우량기업에만

    대출을 집중하여 신용도가 낮은 중소기업의 경우 자금조달이 어려운 상황이 발

    생할 우려가 커지고 있음

    ○ 글로벌화에 따른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기회 요인21)

    - 첫째, 글로벌화의 진전으로 인한 다국적기업들의 출현은 지역 중소기업들이 다국

    적기업의 글로벌 가치 사슬에 다양한 형태로 편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 둘째, 대기업이나 다국적기업에 비해 현지 사정에 친밀한 지역 중소기업이 다국

    적 기업과 협력관계를 구축함으로써 지역시장의 소비자 및 시장정보 등을 제공

    - 셋째, 중소기업은 대기업(혹은 다국적기업)의 진출이 용이하지 않거나 노동집약

    적인 산업 등에서 틈새시장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영역

    을 구축할 수 있는 기회

    - 넷째, IT 등 특정 신기술 분야에서의 독창성을 통해 지역 중소기업들도 글로벌기

    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

    2) 다극화 및 신흥국가들의 등장

    ○ 다극화 진행과 신흥 강대국들의 등장

    - 미국, 일본, 유럽 중심이던 세계 경제가 중국, 인도를 비롯한 신흥국가들의 급격

    20) NRC Science and Engineering Indicators, 2004년

    21) 글로벌 경쟁시대의 중소기업 국제화, 이준호, 중소기업연구원, 2007. 12.

  • 총 괄

    - 19 -

    한 경제성장과 함께 새로운 강자 구도로 변화

    - 2008년 이후 미국의 금융 위기, 달러화 가치 하락,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미

    국 중심 경제체제(Pax America)의 변화가 시작

    - 골드먼삭스는 2010년 8월 BRICs 경제규모가 2032년에 약 48조 달러를 기록, G7

    의 약 50조 달러와 비슷한 수준으로 전망

    * 2032년 중국 경제규모가 29조 7,900억달러를 기록해 1위, 미국(24조 5,800억달

    러) 2위, 인도 3위, 브라질 5위, 러시아 6위 전망

    - BRICS 중에서도 인구 및 시장 규모가 크고 산업구조가 정비된 CHINDIA(중국과

    인도)가 급부상

    * 인도는 정부의 사회간접자본 투자 확대와 고용 증가에 힘입어 2011~2015년 연

    평균 9.5%까지 성장할 전망으로 중국의 성장률을 추월할 전망

    * CHINDIA가 급부상하여 중국은 “세계의 공장”, 인도는 “세계의 서비스 공급

    처”로 자리 잡고 있음

    * 중국과 인도는 경제적 성장, 인구, 군사력을 바탕으로 정치적으로도 국제질서

    변화를 야기

    - 2010년 국내총생산(GDP)에서 중국이 5조 8,786억달러으로 42년간 2위를 지켰던

    일본(5조 4,978억달러)을 2009년부터 추월하는 역사적 사건으로 미국과 중국 중심

    의 G2 경제 체제를 공고히 하고 있음

    - 중국은 국가 GDP 규모에서 2030년(골드만 삭스, 뉴욕타임즈) 또는 2020년(세계은

    행, PWC) 미국을 추월하여 세계 제일의 경제 대국으로 예측

    항목 미국 중국

    국내총생산(GDP) 14조 5,824억달러 5조 8,786억달러

    1인당 GDP 44,600달러 3,600달러

    최대산업 분야 서비스 76.9% 제조업 48.6%

    2009년 경제성장률 -2.4% 8.7%

    2010년 경제성장률(전망) 3.1% 9.3%

    2010년 기준 미국과 중국 경제 비교

    ※ 자료: OECD, 삼성경제연구소

    - 현재 중국은 한국 제1의 투자대상국

    * 2007년 기준 중국이 한국의 전체 해외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5.7%로, 미국

    (16.7%), ASEAN(15.0%), EU(13.7%)보다 높은 수준

    * 중소기업의 대중국 투자건수는 우리나라 전체 대중국 투자의 52.1%(중소기업

    과 개인 사업자의 투자건수는 전체의 95.1%), 투자금액은 전체 투자의 36.5%에

    달하는 높은 수준

  • 중소기업 통합 기술로드맵

    - 20 -

    * 중소기업의 대중국 상위 투자업종은 전자부품, 자동차/트레일러, 기타 기계와

    같은 제조업종이 대표적

    ○ 중국의 경제발전 정책 변화

    - G2로 등장하고 있는 중국은 수출 일변도가 아닌 내수-수출 병존식 발전계획으로

    변화

    - 중국의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2006년 을 발표22)

    * 수출주도형 성장방식이 아닌 수출과 내수 병존형 성장방식으로 전환

    * 중국 정부가 구체적인 경제성장 목표치보다는 포괄적인 목표와 전반적인 방향

    을 제시하여 경제와 기업에 대한 정부의 직접적인 간섭을 최소화하겠다는 입

    장을 표명

    - 중국의 제11차 5개년 규획이 우리 중소기업에게 미치는 영향을 전망

    * 첫째, 무역과 관련된 주요 정책으로 수출증치세23) 환급률 인하와 지적재산권

    보호 강화로 새로운 대중국 무역환경을 조성

    * 둘째, 기업소득세법, 물권법, 반독점법 및 M&A 규제 강화 등을 포함한 법률상

    변화가 발생하여 투자 중소기업들은 원가절감 및 생산성 제고를 위한 노력 강화

    * 셋째, 시행은 기업들의 각종 인건비 인상 및 노사 갈등이 심화

    되어 노무관리에 어려움 예상

    * 넷째, 삼동시(三同時) 제도, 환경경영평가제도, 전자제품오염규제, 환경마크정부

    조달, 순환경제법 등의 친환경적 성향과 자원보호를 강조하는 제도를 시행하여

    중국내 투자기업 비용의 증가 예상

    3) 경제 단위의 블록화

    ○ 경제 단위 블록화의 진전

    - 1990년대 이후 유럽, 미국 등 세계경제 중심의 개방화와 함께 개도국을 포함한

    전세계적으로 지역 내 경제 통합이 경쟁적으로 확대

    - 1993년 EU 출범, 1993년 이후 APEC 정상회의 개최, 1994년 NAFTA 협정 발효

    등을 통해 1990년대 이전부터 있던 ASEAN 등과 더불어 지역 내 국가들의 경제

    협력과 더불어 역외지역에 대한 장벽이 되고 있음

    * 아세안(ASEAN): 1967년 출범, 인구(60,000만명), GDP(10,800억달러)

    * 걸프협력회의(GCC): 1981년 출범, 인구(3,860만명), GDP(10,000억달러)

    * 유럽연합(EU): 1993년 출범, 인구(50,000만명), GDP(161,000억달러)

    *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1994년 출범, 인구(45,700만명), GDP(171,900억달러)

    22) 중국의 경영환경 변화와 대중국 투자 중소기업의 대응방안, 홍유수, 김상욱, 중소기업연구원, 2008. 12.

    23) 세수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기존의 공상통일세(工商統一稅)를 개혁하여 도입된 유통세로, 우리나라의 부가가치세에 해당하는 간접세

  • 총 괄

    - 21 -

    * 유라시아경제공동체(EUrAsEC): 1996년 출범, 인구(20,700만명), GDP(20,000억달러)

    * 남미국가연합(UNASUR): 2008년 출범, 인구(38,800만명), GDP(35,300억달러)

    *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2012년 출범예정, 인구(63,500만명), GDP(210,670

    억달러)

    - NAFTA에 중남미 국가들의 경제 블록인 DR-CAFTA, CARICOM 등을 통합하는

    FTAA(범아메리카 자유 무역지대)가 형성되면, 총인구 8억 5,000만명 GDP 14조

    달러, 34개 국가가 참여하는 가장 큰 블록 시장이 형성될 전망

    - 러시아 역시 2012년 1월 출범을 목표로 유라시아 연합(EUA) 구상안을 공개, 러

    시아, 벨로루시, 카자흐스탄 등 3국이 맺은 CES에 옛 소련 국가들을 끌어들일 계

    획이며 2013년까지 유로와 같은 단일 통화를 도입할 전망

    - 미국과 일본 중심의 TPP의 출범을 앞두고, 지역중심을 벗어난 경제블록의 다극

    화 시대에 대한 전망이 나오고 있으며, 동아시아 지역에 블록화 움직임과 향후

    중국의 거취가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 지역 내 경제 통합으로 국가별로 경쟁력 있는 분야는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인

    반면, 경쟁력 열위 분야는 역내 다른 국가 기업에 의해 피해를 보게 되어 글로벌

    경제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

    - 경제 단위 블록화의 진전은 역내/역외 국가에 대한 시장 진출과 역내/역외 국가

    상품과의 경쟁에서 국내 중소기업에게는 다양한 기회와 도전을 창출

    ○ FTA의 진행24)

    - 교역확대와 시장통합을 목적으로 체결되는 FTA는 다자주의와는 달리 회원국에

    국한하여 무관세 혹은 저관세를 적용, 두 국가 또는 그 이상의 국가 간에 이루어

    지는 특혜 무역 협정

    - 지역무역협정의 가장 기초적인 형태인 FTA는 다자주의에 의한 무역자유화의 진

    전이 지연되고, FTA를 체결하지 않은 나라의 무역환경이 상대적으로 악화되면서

    전세계적으로 확산

    - 세계 148개국이 참여한 WTO 출범 이후에도 지역주의는 꾸준히 확산되어, 거의

    모든 WTO 회원국이 FTA를 비롯한 지역무역협정을 체결25)

    * 2011년 10월 기준, 310개의 지역무역협정(RTA)이 발효 중이며, 2007년 전 세계

    교역량의 50% 이상이 지역무역협정(RTA)내 교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추정

    * 2011년 10월까지 발표된 지역무역협정(RTA) 310건 중, 1947년에서 1994년까지

    43건이 체결 되었으나, 1995년 이후 267건이 체결되며 최근 FTA가 활발히 일

    어남을 입증

    - 우리나라는 WTO 차원의 다자협상(DDA)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동시다발적

    24) FTA 확산과 중소기업 부문의 대응전략, 서정대·박순찬, 중소기업연구원, 2005.

    25) 전세계 지역무역협정(RTA) 현황, 국제무역연구원, 한국무역협회, 2011. 10.

  • 중소기업 통합 기술로드맵

    - 22 -

    FTA의 추진으로 선진 개방형 통상 국가를 지향

    * 1995년을 기점으로 우리나라의 FTA 추진 전략이 순차적/전략적 통상 국가 우

    선 추진에서 동시다발적 추진으로 전환

    * FTA발효(7건, 44개국): 칠레, 싱가포르, EFTA(4개국), ASEAN(10개국), 인도,

    EU, 페루

    * FTA타결(1건, 1개국): 미국

    * FTA협상진행(7건, 12개국): 캐나다, GCC(6개국), 멕시코, 호주 뉴질랜드, 콜롬

    비아, 터키

    * FTA협상준비 또는 공동연구(10건, 17개국): 일본, 중국, 한중일, MERCOSUR(4

    개국), 이스라엘, 베트남, 몽골, 중미(6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 FTA가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

    - FTA는 양자간 교역에 대해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이 철폐되므로 FTA 체결 상대국

    가 기업의 국내시장 접근이 용이

    - 이에 따라 우리나라 시장에 대한 FTA 체결 상대국 기업의 침투가 심화

    - FTA로 인한 시장 확대 및 수출 증가에 따라 생산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평균비

    용이 더욱 낮아져 우리나라 전체 기업의 경쟁력이 향상될 전망임

    - 그러나 생산규모가 작고 내수시장을 주요 판매시장으로 하는 중소기업의 경우,

    규모의 경제를 활용할 여지가 크지 않고, FTA 체결 상대국 기업의 내수 시장 침

    투에 대한 방어에 어려움이 예상됨.

    - 중소기업들이 FTA로 확대된 시장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높은 성장을 달성

    하는 중소기업과 국제경쟁력을 갖추지 못하여 위험에 빠질 중소기업으로 양극화

    현상 발생 위험 존재

    4) 지식경제 시대의 제조업과 서비스산업

    ○ 지식기반 경제체계로의 전환

    - OECD(경제협력개발기구)는 지식기반 경제를 '직접적으로 지식과 정보를 생산·배

    포하는 산업에 기반을 둔 경제'로 정의

    -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에서는 '산업 전반에 걸쳐 지식을 생산·분배·이용

    함으로써 경제를 발전시키고, 부를 창출하며, 고용을 확대하는 원동력이 되는 경

    제'로 정의

    - 지식경제라는 개념이 등장하게 된 것은 산업경제 시대에 자본과 노동이 생산요

    소의 핵심을 이루었다면, 지식경제 시대에는 지식이 가장 큰 생산요소로서 세계

    경제를 이끌어갈 것이라는 전망에서 비롯됨

    * 인류가 향유한 원천 지식이 보유하는 방대한 경제적 가치의 창출에 대한 높은

  • 총 괄

    - 23 -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음

    * 특히 과학기술에 기반을 새로운 상품의 개발과 신산업 창출의 기회는 크게 평

    가받고 있음

    ○ 산업구조 고도화와 제조업 비중의 감소

    - 선진국에서는 산업구조 고도화와 지식기반 경제체계로의 전환에 따라 제조업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있음

    - 개발도상국들도 경제 발전과 더불어 탈공업화 현상 또는 제조업 비중 저하 추

    세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

    ○ 서비스산업의 비중 확대

    - 선진국이 될수록 서비스산업의 비중이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

    - 선진국은 한국과 비교하여 경제구조에서 서비스산업 비중이 더 큰 실정

    년도 국가 1995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한 국 54.3 56.7 57.1 57.0 58.7 59.4 59.3 57.8 58.7 59.3 59.7 -

    일 본 64.9 66.2 66.8 67.2 68.6 69.3 69.4 69.1 69.4 69.7 70.1 -

    미 국 72.0 74.1 74.5 74.6 75.8 76.6 76.8 76.5 76.4 76.3 76.9 -

    캐나다 66.4 67.4 66.3 64.5 65.9 66.9 66.7 66.1 - - - -

    영 국 67.2 70.3 71.4 71.7 72.8 74.1 75.2 75.6 75.9 75.7 76.1 75.2

    프랑스 72.1 73.4 73.9 47.3 74.7 75.5 76.3 76.6 77.0 77.5 77.4 77.6

    독 일 66.6 67.8 68.5 68.5 69.0 69.7 70.2 69.6 70.0 69.2 68.9 69.3

    이탈리아 66.4 67.5 68.3 68.8 69.2 69.7 70.4 70.5 70.9 70.7 70.4 71.0

    주요국별 서비스산업 비중

    ※ 자료: OECD Fact Book

    - 우리나라에서도 서비스산업 비중의 확대가 진행

    * 서비스산업 GDP 비중은 증가(1995년: 51.8% → 2007년: 57.6%)하고 있는 반면,

    제조업은 20% 후반에서 정체(1995년: 27.6% → 2007년: 27.9%)

    ○ 선진국들의 제조업 혁신

    - 제조업은 특성상 산업의 전후방 연관 효과가 크고 중소기업 비중이 매우 크기

    때문에, 서민 경제의 육성을 위해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전략산업

    -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들은 제조업 비중이 지속적으로 감소되지만, 기존 제

    조업의 부가가치화와 지식기반제조업 육성을 통해 제조업을 혁신

  • 중소기업 통합 기술로드맵

    - 24 -

    - 미국: 미국의 제조업(상무부, 2004년), 전략적 계획(상무부, 2004년), 미국경쟁력강

    화법(America COMPETES Act, 2007년) 등

    * 표준기술연구소(NIST)의 생산기술향상협력(MEP: Manufacturing Extension

    Partnership) 자금을 10년간 2배로 증액하여 제조업의 경쟁력을 유지

    * NIST 첨단기술프로그램(ATP)을 기술혁신프로그램(TIP : Technology Innovation

    Program)으로 대체하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고위험·고수익 제조업 기술 개발

    을 지원할 계획

    - EU: “Manufuture: 2020년을 향한 비전”의 제조업 발전전략 수립하여 추진(유럽

    위원회, 2004년)

    - 영국: 정부 제조업 전략(통산부, 2002년), 정부 제조업 전략에 대한 검토(통산부,

    2004년) 등 추진

    - 일본: 신산업 창조전략(경제산업성, 2004년), 모노츠쿠리(제조) 국가전략비전(경제

    산업성, 2005년), 신경제성장 전략(경제산업성, 2006년) 등을 수립

    * 2008년 과학기술기본계획에서 제시한 8대 전략분야 중 제조기술 분야는 2004

    년 이후 예산 증가 추세(2004년 201억엔, 2005년 178억엔, 2006년 305억엔,

    2007년 331억엔, 2008년 356억엔)

    ○ 제조업과 서비스산업의 융합 현상26)

    - 지식 기반 서비스산업의 중요성

    * 지식기반 경제의 심화에 따라 지식의 집약적 활용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

    하는 지식서비스산업․기업의 육성에 관심 고조

    * 지식서비스산업은 제조업과 매우 밀접한 연관 관계가 있어, 지식서비스산업의

    발전은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에도 크게 기여

    - 미․일 등 주요국들은 지식을 집약적으로 활용하는 지식서비스산업을 전략적으

    로 육성하여 제조업에 융합시키는 산업구조 고도화를 추진

    * 신기술 개발/활용 및 혁신역량 강화 등을 통해 제조업과 서비스산업간의 융합

    을 촉진함으로써 두 업종의 동반 발전 추진이 모색

    * 선진 제조기업은 제품과 서비스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융합 상품 개발 및 융

    합 신시장 진출을 통해 지속적 성장을 실현

    - 미국「Innovate America」, 일본 「신산업 창조 전략」 등 제조업과 서비스산업의 융합을 통한 산업고도화 전략 추진

    - 제조업과 서비스산업 융합의 의의

    * 제조기업의 서비스화 추진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 강화

    ① 서비스는 무형성, 소멸성으로 제품에 비해 모방이 어려워 지속 가능한 경

    26) 제조업과 서비스산업 확산 지원계획, 지식서비스과, 지식경제부, 2009.09.11

  • 총 괄

    - 25 -

    쟁 우위를 제공

    ② 제품에 비해 서비스 부문의 수익성이 높아 기업의 재무적 성과 향상에 기여

    * 고용 증대 효과가 큰 서비스 부문 융합을 통한 신규 일자리 창출

    나. 국내 경제 환경

    1) 일반 경제 동향27)28)

    ○ 우리나라 경제의 추세

    - IMF 이후 소득불평등은 심화되어 전체 가구 대비 중위소득의 50% 이하인 가구

    의 비율인 상대 빈곤율이 16.4%로 확대 등 경제적 양극화가 심화

    - 2008년 이후에는 글로벌 경제 위기로 GDP 성장률이 더욱 감소하고 1인당 GNI

    가 감소, 2010년부터 회복세

    - 우리 경제 성장에 대한 제조업 기여도는 2006년을 기점으로 상승에서 감소로,

    2010년 크게 증가, 서비스산업 기여도는 2004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

    2009년 잠시 상승하였지만 2010년 다시 감소

    구분 년도단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GDP

    국내총생산 천억원 7,671 8,652 9,100 9,595 9,785 9,816 10,421

    (성장률) (%) (7.8) (4.0) (5.2) (5.1) (2.3) (0.3) (6.26)

    총부가가치 천억원 7,418 7,759 8,157 8,595 8,814 8,862 9,409

    (성장률) (%) (8.7) (4.0) (5.1) (5.4) (2.6) (0.5) (6.2)

    제조업 천억원 2,012 2,136 2,309 2,474 2,545 2,506 2,876

    (성장률) (%) (10.0) (6.2) (8.1) (7.2) (2.9) (∆1.5) (14.8)

    (기여율) (%) (24.3) (24.7) (25.4) (25.9) (26.0) (25.5) (27.6)

    서비스산업 천억원 4,419 4,575 4,777 5,021 5,160 5,219 5,403

    (성장률) (%) (2.3) (3.5) (4.4) (5.1) (2.8) (1.1) (3.5)

    (기여율) (%) (53.4) (52.9) (52.5) (52.5) (52.7) (53.2) (51.8)

    1인당 GNI $ 15,082 17,531 19,722 21,695 19,296 17,193 20,759

    우리나라 경제의 성장 추세와 제조업-서비스산업 기여도

    ※ 자료: 한국은행 국민계정

    27) SERI Economic Outlook; 2010년 하반기 세계경제 및 한국경제 전망, 2010년 5월 13일

    28) LGERI 리포트; 2010년 국내경제 전망, 2010년 4월 28일

  • 중소기업 통합 기술로드맵

    - 26 -

    우리나라 경제의 성장 추세와 제조업-서비스산업 기여도

    - 경상수지와 무역수지는 2008년에만 급감하였으나, 2009년부터 다시 반등세

    구분 년도 단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경 상 수 지 억달러 323.1 186.1 140.8 217.7 32.0 327.9 282.1

    무 역 수 지 억달러 396.6 231.8 314.3 371.3 51.7 378.7 419.0

    환율(기말기준) 원/달러 1,035.1 1,011.6 929.8 936.1 1,259.5 1,164.5 1,134.8

    우리나라 경제의 국제 수지 추세

    ※ 자료: 한국은행 국제수지 동향, 지식경제부 수출입 동향

    ○ 2011년 우리나라 경제의 긍정적 상황

    - 실물 경기의 회복

    * 세계경제의 회복, IT 경기 호조 등으로 수출과 투자가 크게 확대

    * 실직 소득의 개선 및 원화 강세 등의 영향으로 소비도 안정적 증가세가 지속

    되고 있으나, 부동산시장 등 부진한 실정

    - 수출과 투자의 동반 성장

    * 중국 등 신흥국의 고성장, 미국 등 선진국의 경기 회복으로 수출 증가세 지속

    * 세계적인 경기반등, IT 산업 호조, 기업심리 개선 등으로 설비투자는 작은 규

    모이지만 증가 추세 지속

    - 고용 상황 개선 및 고용불안감 완화

    * 공공부문과 민간 부분의 일자리 창출이 양호한 회복세로 고용사정이 소폭으로

    개선되었으며 실업률도 2010년 급상승 이후로 하향 안정세

  • 총 괄

    - 27 -

    ○ 2011년 우리나라 경제의 부정적 상황

    - 경제 성장에 대한 불확실성 상존

    * 대내외 금융 시장은 유럽 일부 국가들의 재정위기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

    면서 변동성이 재차 확대

    * 해외 시장에서의 경쟁 격화 및 글로벌 불균형을 둘러싼 환율갈등 등 통상 마

    찰이 확대될 소지

    * 각국 정부가 경제회복 지연에 대응하여 통화정책기조를 크게 완화하거나 외환

    시장에 개입할 경우 국제금융시장이 크게 불안정해질 가능성

    * 대내적으로 정부의 경기 부양력 약화, 금리 인상 등에 따른 기업과 가계의 채

    무부담 확대 등 위험요인이 상존

    * 신흥시장국의 경우 물가상승세에 대한 대응이 미흡하여 물가상승세가 확대되

    면서 이에 따른 경기변동이 크게 확대될 가능성

    ○ 2011년 국내 경제 전망

    - 2011년은 연간 경제성장률 3.8% 달성 전망

    - 자동차 및 반도체 등 우리나라 주력 수출품목의 대외 경쟁력이 어느 정도 유지

    됨에 따라 수출은 견실한 증가세 전망하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불안정한 국내외

    경제 현황 때문에 점점 감소될 것으로 예상

    - 2011년 3고 현상(고유가를 포함한 높은 원자재가, 원화가치 상승, 고금리)으로 가계

    의 소비증가세 둔화, 기업의 투자여력 약화 등 수출과 내수의 성장세 약화될 위험

    2) 중소기업 관련 경제 동향

    ○ 글로벌 금융 위기의 불안정한 상태는 여전, 하지만 전반적인 경기 회복 기조

    - 2008년 이후 미국에서 시작된 금융위기로 전세계적인 실물경제 침체와 산업 생

    산과 소비가 전반적으로 위축

    - 산업 성장의 위축은 대외적인 요인도 영향이 있으나 1990년대 중반 이후 요소투

    입 위주의 양적 성장이라는 한국형 발전 모델의 한계 측면도 있음

    * 1970~1980년대 7~8%, 1990년대 6% 내외의 성장세를 유지한 한국경제가 2000

    년대에는 고도 성장률을 유지하기 어려움

    - 2010년을 기점으로 신흥시장 중심의 세계경제 회복세, 내수의 회복세 지속 등,

    경제의 정상추세 복귀 신호가 보임

    - 유럽 부채 및 보호무역 확산 등 대외 리스크와 부동산 침체와 소득양극화 문제

    등의 대내 리스크에 대한 관리가 주요 변수

    ○ 세계경제의 회복으로 중소기업에도 긍정적 영향29)

  • 중소기업 통합 기술로드맵

    - 28 -

    - 전반적인 경기 회복 기조는 유지하나 상승세는 둔화

    - 설비투자 실적은 2010년 25.9%에서 2011년 5.8%로 둔화 될 것으로 보임

    - 정체상태 상태였던 제조업 및 중소제조업 가동률이 2010년을 기점으로 높은 수

    준을 유지

    구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제조업 전체(%) 77.9 80.1 79.7 80.0 80.1 77.5 74.4 81.2

    중소제조업(%) 68.8 68.2 69.9 70.4 71.0 69.3 68.3 72.2

    제조업 및 중소제조업 가동률

    - 중소 제조업 생산은 둔화 지속세에서 2007년부터 반등

    * 중소 제조업 영업이익률은 (2000년) 5.44% → (2002년) 5.01% → (2004년)

    4.47%→ (2006년) 4.31%로 지속적 감소에서 (2007년) 4.43% → (2008년) 5.10%

    → (2009년) 5.61%로 약간 상승세

    ○ 중소기업 경영 환경 현황과 전망

    - 신흥시장 위주의 성장으로 인한 세계 경제회복세와 내수경기의 개선의 지속 등

    으로 내수 및 수출 여건은 대체로 양호할 것으로 전망

    - 원화 강세 및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수출경쟁력은 다소 약화 가능성 보임

    - 내수경기의 회복세 유지에 따라 서비스 비중이 높은 중소기업에 유리하게 작용

    하겠지만 기준금리 인상 폭 및 속도에 따라 다소 조정 받을 것으로 보임

    - 경기 회복세에 따라 긴급자금 지원조치가 정상화되고 구조조정이 본격화 되어

    한계기업을 중심으로 자금사정 약화 가능성 높음

    기업대출 잔액추이

    29) KOSBI 경제전망(2011), KOSBI동향분석팀(홍성철 외 4명), 중소기업연구원, 2010.12

  • 총 괄

    - 29 -

    기업 연체율 및 부도업체수

    - 중소기업 설비 투자 현황은 통계청 자료와 같이 세계경제 회복, 정부 R&D 투자

    확대로 대체로 양호하나 증가율은 큰 폭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

    - 세계경제의 회복 및 환율 안정에 따른 투자수요 증가, 대기업 투자 회복 및 정부

    R&D 투자 확대 정책으로 개선될 전망

    설비투자/평균가동률 추이

    설비투자 지수추이

  • 중소기업 통합 기술로드맵

    - 30 -

    ○ 다양한 산업 부문에서 우리나라 기업의 생산 및 기술 경쟁력이 위협 받고 있는

    - 핸드폰, 디스플레이 등 기존 주력산업의 경우도 선진국과의 경쟁에서 흔들리는

    양상

    * 자동차의 경우 하이브리드 자동차 중심의 구조 고도화에서 일본에 뒤처지는

    등 미래 성장 동력의 위기가 가시화

    * 중국과의 기술격차가 2~3년에 불과하여 국제 분업 구조상 비교우위를 놓칠

    위기에 직면(주요제품의 한중기술 격차: 디지털 가전(1~2년), 자동차 부품(2~3

    년), 철강(1~4년), 금형(3~5년), 건설기계(5년) 등)

    3) 제조업과 서비스산업 관련 산업 동향

    ○ 우리나라에서의 제조업과 서비스산업

    - 우리 경제 구조에서 제조업 비중이 선진국에 비해 높은 수준이며, 제조업 수출이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등 제조업의 역할이 큼

    * 국가별 “제조업 : 서비스산업” 명목 부가가치 비중을 비교하면 우리나라는 현

    재까지 선진국에 비해 제조업의 부가가치가 큰 실정

    구 분 한국 미국 일본 독일 영국

    2005년 28.4 : 56.3 12.1 : 78.0 18.2 : 71.2 22.5 : 70.2 12.1 : 78.0

    국가별 “제조업 : 서비스산업” 명목 부가가치 비중

    - 제조업은 중소기업 비중이 큰 산업부문이며, 산업의 전후방 연관효과와 고용 유

    발효과가 크기 때문에 산업구조상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전략산업임

    구분업체(개)

    생산액

    (조원)

    고용(천명) 세계순위

    (생산액)분야 연관산업 내국인 외국인 소 계

    주조 공작기계, 가전 900 5.10 46 30 76 10위

    금형 자동차, 연료전지, 로봇 3,675 5.50 47 30 77 5위

    용접 중공업, 자전거프레임 700 4.93 14 9 23 5위

    표면처리 정보통신, 전기․전자 3,100 4.69 42 27 69 10위

    소성가공 조선, 토목, 건축기기 2,000 6.30 36 23 59 8위

    열처리 공작기계, 가전, 건설기계 540 2.14 15 10 25 5위

    계 10,915 28.66 200 129 329 -

    6대 뿌리산업 현황(2008년, 생산기술연구원, 추정치)

  • 총 괄

    - 31 -

    ○ 제조업중 뿌리산업의 비중

    - 뿌리산업이란 제조업 중 주조, 금형, 소성가공, 표면처리 등을 통해 소재를 부품

    으로, 부품을 완제품으로 생산하는 가장 기초적인 제조업

    - 주조, 금형, 용접, 소성가공 등 제품형상을 제조하는 산업과 열처리, 표면처리 등

    소재에 특수 기능을 부여하는 산업으로 구분

    - 6대 뿌리산업은 2008년 기준, 연간 28.6조원을 생산하는 국가기반 산업으로, GDP

    의 8%의 대표적인 무역흑자(2008년: 수출 93억달러, 수입 54.6억달러) 산업

    - 자동차, 조선 등 국가 주력산업에서 부품․소재의 최종 품질 및 생산성을 결정하

    는 핵심적 기술분야로, 전․후방산업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는 10배가 넘는 고

    부가가치 창출 산업

    * 조선→용접, 전기․전자(반도체, 휴대폰)→정밀금형․표면처리․접합기술, 산업

    기계→열처리․용접․소성가공 등의 밀접한 관련성 존재, 특히 자동차부품

    (25,000개 기준)의 경우 90% 이상 의존

    ○ 뿌리산업의 특징30)

    - 전체뿌리기업 약 1만개중 95.8%가 중소기업으로 전형적인 중소기업형 산업

    - 전체기업중 54.1%가 수도권에 있으며, 부산․경남권 22.8%, 대구․경북권 13.4%

    순서로 수도권과 경상지역에 90% 이상 집중

    - 대기업의 2~4차 협력사가 90%(2차 협력사 29%, 3~4차 협력사 61%)

    - 뿌리산업은 중간공정에 내재되어 제조업 최종상품의 경쟁력 근간을 형성

    - 제조업의 지속적인 성장에도 불구, 국내 뿌리산업 성장률은 매년 하락

    * 제조업 성장률: (2005년) 8.4%→(2006년) 6.7%→(2007년) 9.3%→(2008년) 19.3%

    * 뿌리산업 성장률: (2005년) 17.0%→(2006년) 6.3%→(2007년) 5.7%→(2008년) 3.7%

    - 국내 뿌리산업 총고용은 33만명으로 전체 제조업 고용 279만명의 약 11.8%를 차

    지(2008년)

    * 뿌리산업의 단순 노무직 비중은 증가(2001년 30.0%→2008년 37.7%)에 반해, 기

    능․기술직 인력은 지속적으로 감소(기능직: 2001년 32.4%→2008년 26.7%, 기

    술직: 2001년 8.8%→2008년 7.2%)하여 기술 혁신인재 부족이 발생 중

    - 뿌리산업 육성은 우리나라 중소기업을 위해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이며,

    동시에 우리 중소기업이 뿌리산업의 육성에 적극 참여해야 함

    ○ 우리나라 제조업과 서비스산업의 경쟁력 약세31)

    - 국내 제조업의 경쟁력

    * 우리나라 제조업의 노동생산성은 미국의 68% 수준

    30) 제57차 비상경제대책회의 지식경제부 자료, 2010. 5. 6.

    31) 서비스산업의 현황과 시사점, 해외경제연구소, 김윤지, 한국수출입은행

  • 중소기업 통합 기술로드맵

    - 32 -

    - 국내 서비스산업의 경쟁력

    * 주요국과 비교할 때 서비스 업종 대부분의 경쟁력이 낮음

    * 국내 서비스산업의 노동생산성은 제조업에 비해 저조하고 주요 선진국에 비교

    해도 취약

    *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 생산성은 미국의 45%, 일본의 60% 수준

    구분 한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룩셈부르크 영국 미국

    전산업 0.61 0.89 0.78 0.77 0.73 1.20 0.81 1.00

    제조업 0.68 0.75 0.68 0.60 0.70 0.78 0.65 1.00

    서비스산업 0.45 0.78 0.67 0.79 0.75 1.16 0.59 1.00

    OECD 주요국 노동생산성 비교

    0.00

    0.20

    0.40

    0.60

    0.80

    1.00

    1.20

    한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룩셈부르크 영국 미국

    전산업 제조업 서비스업

    ※ 자료: National Accounts of OECD Countries(2009).

    주) 전산업 노동생산성은 2008년 기준, 제조업과 서비스산업은 2000~2007년 평균

    OECD 주요국 노동생산성 비교

    경상수지상품 서비스

    수지 수출(FOB) 수입(FOB) 수지 수출 수입

    2000년 14,801.6 18,385.0 196,719.5 178,334.5 - 1,150.3 35,913.6 37,063.9

    2001년 12,724.1 18,250.8 195,718.4 177,467.6 - 3,514.1 37,101.5 40,615.6

    2002년 9,110.8 18,569.8 203,910.3 185,340.5 - 7,939.8 34,774.0 42,713.8

    2003년 14,615.1 26,183.1 235,647.9 209,464.8 - 8,782.2 35,672.6 44,454.8

    2004년 34,031.9 41,228.6 291,363.1 250,134.5 - 6,848.0 46,695.9 53,543.9

    2005년 20,024.8 34,494.9 295,496.9 261,002.0 - 11,115.7 44,259.9 55,375.6

    2006년 10,137.2 28,130.8 317,424.3 289,293.5 - 15,528.4 43,201.0 58,729.4

    2007년 13,235.3 28,752.7 353,949.6 325,196.9 - 14,024.7 54,804.6 68,829.3

    2008년 - 4,591.7 - 899.9 463,779.7 464,679.6 - 11,187.3 80,331.0 91,518.3

    2009년 43,576.8 57,039.6 460,398.2 403,358.6 - 17,582.7 69,246.9 86,829.6

    2010년 29,304.1 51,550.0 538,283.4 486,733.4 - 18,834.8 76,167.6 95,002.4

    연 증가율 11.0% 11.4% 9.3% 10.3%

    상품 및 서비스 수출입 추이

    ※ 자료 : 한국은행

  • 총 괄

    - 33 -

    ○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 현황

    - 서비스산업의 고용 창출 능력

    * 서비스산업은 우리나라 전체 고용의 63.4%를 차지, 고용유발 계수 9.1명은 제

    조업 2.7명보다 월등함

    - 서비스 무역의 현황과 특징

    * 서비스산업의 무역규모는 전체 무역의 13~20% 수준, 무역수지는 지난 10년간

    100~200억달러 적자 기록, 상품 및 서비스 수지의 흑자폭을 줄여옴

    * 2009년 서비스 부문의 무역수지는 172억달러 적자로 상품부문의 무역수지 561

    억달러 흑자를 잠식. 서비스 부문의 적자가 전체 서비스수지 적자의 90% 이상

    을 차지

    ○ 지식서비스산업과 제조업/서비스산업 융합

    - 우리나라의 지식서비스산업 수준

    * 디자인, 컨설팅, 연구개발전문업, 패키징, 패션, 프랜차이즈, 전시산업, 유통, 시

    험·분석, 이러닝(E-Learning), 에너지절약 전문업 등 11개 유망 업종을 지식서

    비스산업으로 선정

    * 국내 지식서비스산업의 경쟁력은 미국의 1/3, 국내 제조업의 1/2 수준

    - 제조업은 지식서비스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적극적인 경쟁력 배양이 필요

    - 우리나라의 제조업과 서비스산업의 융합 수준

    * 산업연구원의 2007년, 400여 제조기업 대상 조사결과, 13%의 기업만이 서비스

    화를 추진중이었으며, 3.3%의 기업만이 서비스화가 진전될 것으로 예상

    * SERI의 2006년, 서비스 경쟁력에 대한 인식조사에서 약 97%의 기업이 서비스

    경쟁력의 중요성과 제품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높다고 인식, 33%의 기업이

    서비스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법론 부재가 장애요인으로 지적

    - 제조업과 지식서비스산업의 융합은 중소기업을 위해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

    2. 중소기업 관련 국내외 사회 환경 분석

    가. 세계 사회 환경 분석

    1) 글로벌 기후변화 및 지속가능 성장의 모색

    ○ 기후 변화 현상 가속화와 전세계적 대응

    - 대기·수질·토양 등 환경오염과 오존층 파괴 등 장기적으로 생태계 변화와 기상재

    해 등을 발생시켜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크게 위협

  • 중소기업 통합 기술로드맵

    - 34 -

    - 지구 평균기온 상승, 빙산 감소, 해수면 상승, 기후변화 현상 등이 발생

    * 지난 100년간 지구 평균기온이 0.74℃ 상승

    * 온도 상승의 주요인은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증가.

    (130억톤(1970년) → 380억톤(2030년))가 주범으로 지적32)

    - 기후변화 문제해결의 핵심인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 지구 온난화

    를 방지하는 노력이 전세계적으로 진행

    - 기후변화 협약은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국제협약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

    이지 않는 국가에 대한 비관세 장벽 등 무역 규제를 포함

    * 교토의정서에서 선진국들은 2008~2012년에 온실가스를 1990년 대비 평균 5.2%

    감축 합의

    - 기후변화 문제, 글로벌 핵심 이슈로 대두

    * 지구온난화가 초국가적 과제로 대두됨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노력이

    본격화. Post 교토체제 진전에 따라 저탄소형 산업 구조 전환이 전세계적으로

    시급한 과제로 부각

    * 2009년 15차 UN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코펜하겐 협정을 체결

    ○ 자원 및 에너지 부족 문제

    - 자원 및 에너지 고갈 위기가 고조되면서 자원 및 에너지의 대량 투입에 의존하

    는 경제 구조의 변화 요구가 증가

    * 세계 에너지 수요는 2030년까지 6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에너지 공급차

    질 위험과 추가재원이 소요될 전망33)

    * 기후변화와 자원위기가 현실적 위협으로 등장하면서 에너지와 환경문제가 국

    가경제의 미래를 결정하는 주요변수로 부각

    * 신흥 개도국의 경제 개발과 세계 인구의 지속적 증가로 인한 에너지ㆍ자원의

    부족 및 가격상승이 우려

    - 기후 상승에 따른 물 수요 증가와 공급 부족으로 인해 수자원 위기 전망

    * 2050년대 기후 2~3℃ 상승시 10~20억명 물 부족, 2080년대 3℃ 상승시 11

    억~32억명 물 부족 상태 직면34)

    - 바이오매스로부터의 전기 생산은 2000년과 2005년 사이 약 5배로 증가

    ○ 기후 변화 대응과 자원 부족 대처에 대한 새로운 규제

    - 선진국은 국제 환경 협약과는 별도로 새로운 환경 규제 조항을 신설, 특히 EU는

    제품의 설계, 생산, 사용, 폐기 및 재활용 등 제품의 전과정에 걸친 강력한 환경

    32) IPCC 4차 평가보고서, 2007, IEA 세계 에너지 전망 2007 보고서, 2007.

    33) UN 미래 보고서, 2006, 세계 에너지 전망 2007 보고서, IEA, 2007.

    34) IPCC 4차 평가보고서, 2007.

  • 총 괄

    - 35 -

    규제를 강화

    * 국제적인 자원순환형 산업구조 즉, 에너지 및 자원의 효율적 순환 이용에 의한

    산업구조 개편을 지속가능한 발전의 핵심 개념으로 도입

    * EU는 제품 포장 폐기물을 최대 60%까지 재활용하도록 하는 재활용법을 도입,

    2012년까지 자동차의 CO2 배출량을 현재보다 30% 낮추어 120g/km 이하로 줄

    이도록 규제 강화

    * 일본은 교토의정서를 통해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한편, 녹색기술 개발과 환경규

    제를 통해 자원순환형 사회를 형성하고 신성장 동력 창출 및 세계시장 선점에

    노력, 중국은 순환형 경제를 경제활동의 기본 방향으로 설정

    ○ 세계 인구 변화

    - 2010년 세계인구는 68.5억명이며, UN은 2050년 91억명으로 예상. 이러한 인구

    성장의 98%가 저개발 국가에서 일어날 것으로 전망

    - 2009년 기준 전세계 인구의 37.2%가 중국(19.7%), 인도(17.5%)에 밀집

    ○ 개도국의 청년화 현상과 선진국의 노년화 현상

    - 노년층 인구의 증가는 개도국, 선진국 공히 증가할 전망, 세계인구는 2030년에

    약 81억명, 그중 65세 이상 노령인구는 약 18억명(20%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

    * 현재는 세계인구의 1.5%만이 80세 이상이지만, 2050년에는 개발도상국에서는

    약 5%, 선진국은 약 10%가 80세 이상으로 예측

    - 개도국에서는 생산 가능한 청년 인구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음. 이는 보건위생

    구조 개선, 출산율 증가 등에 기인

    - 선진국에서는 평균 기대수명 증가와 출생률 감소로 고령화 현상이 심화

    2) 선진 각국의 녹색사회로의 전환 노력

    ○ 미국

    - 오바마 대통령은 향후 10년간 신재생 에너지에 1,500억달러를 투자, 500만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 계획 추진

    - 정부가 신재생 에너지 기술개발을 주도하고 상용화는 민간이 추진하는 투트랙

    (two track) 전략 수행

    - 2010년까지 540억달러를 ‘녹색산업’에 투입해 경기 회복을 추진

    - 2005년 미국주도의 기후변화 협약을 통해 교통의정서와 차별화 시도 및 차세대

    기술분야에 집중해 향후 시장주도권 장악을 모색

    - IMPACT(Investments for Manufacturing Progress and Clean Technology) 법안

    제안

  • 중소기업 통합 기술로드맵

    - 36 -

    * 500인 이하의 중소기업이 클린 에너지 산업으로 업종을 전환할 경우, 혹은 절

    전형 장비로 교체할 경우 2년간 300억달러 규모의 융자 신청 가능

    ○ 영국

    - 2020년까지 207조원을 투자해 신재생 에너지 확충에 총력전

    * 2008년 6월 브라운 총리 주도로 ‘그린 혁명 계획’을 수립

    * 2020년까지 1000억파운드(약 200조원)를 투입, 전체 전력생산의 15%를 신재생

    에너지로 충당하는 등 국가 에너지 조달 체계를 혁신할 계획

    * ‘탄소 제로형 국가’를 선언하고 2050년까지 전력생산에서 화석연료를 추방

    - 영국은 세계 탄소배출권 시장의 40%를 차지하고 있는 유럽기후거래소(ECX)를

    집중 지원하고 있으며, 청정개발체제(CDM) 등 기후변화 관련 사업에 대한 투자

    에도 적극적으로 대처

    - 경기침체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들이 에너지 절약 프로젝트

    를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

    ○ 독일

    - 클린 에너지 분야의 최대 강국

    - 신재생 에너지법(EEG)에 따라 풍력, 태양광, 바이오매스 등으로 생산된 전기를

    해당 지역 전력회사가 2024년까지 의무적으로 매입

    - 자국의 1차 에너지 생산량중 바이오매스 비중을 2배로 확대시켜 2020년까지 에

    너지 소비의 10%를 바이오매스로 달성한다는 계획 추진

    * 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에서만 50만명 신규 고용 창출할 계획

    -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시설을 설치하는 국민은 2~4%의 저금리로 융자

    - 신재생 에너지 고정가격매입제 도입 및 바이오매스 시설 세제지원 등을 통해 EU

    신재생에너지법 목표를 달성할 계획

    ○ 일본

    - 전통적인 에너지절약 강국인 일본은 2007년 이후 ‘저탄소사회’를 비전으로 제시

    하고 온실가스 획기적 감소를 목표로 혁신적 기술 개발을 추진

    - Cool Earth(2007년 5월), Clean Asia Initiative(2008년 6월), 후쿠다 비전(2008년 6월)

    등을 제시, CO2를 2020년까지 현재대비 14% 감축, 2050년까지 60~80% 감축 목표

    - 일본은 이미 태양광과 하이브리드카, 각종 배터리, 에너지 저장 등의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 보유

    - 국가장기전략지침인 ‘이노베이션 25(2007년 5월)’를 통해 환경을 경제 성장과 국

    가공헌의 엔진으로 활용 계획 추진

    - 에너지 절약형 가전제품의 보급을 촉진하기 위해 해당 가전 제품을 구입할 경우

  • 총 괄

    - 37 -

    일정 금액을 적립해 주는 '에코포인트' 제도 시행

    ○ 기후 변화 대응과 환경 문제 대처에 대한 위협 요인

    - 환경무역장벽의 확산: EU, 미국, 중국 등 주요국들은 환경규제 강화로 자국 산업

    이익 보호에 노력

    - 환경규제 적용범위 확대: 환경규제가 적용되고 있는 품목은 사실상 전품목을 포

    괄하고 있으며, 온실가스 규제 등과 함께 기업 활동 전반에 영향

    - 친환경 에너지 정책 의무화: 강화된 환경 기준에 따라 에너지 산업이 재편되고,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기술이 미래의 핵심기술로 부상할 전망

    - 환경문제, 기후변화 대처로 인해 중소기업에게 발생되는 위협

    * 관련 제품/서비스가 환경 문제를 야기하는 경우, 친환경 요구는 중소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감소

    * 중소기업이 환경 피해를 유발하는 생산요소를 사용하는 경우, 생산요소에 대한

    환경규제는 해당요소의 가격을 상승시켜 생산/운영 비용을 증가

    * 측정, 감독 및 보고 등 관련 활동 과정에서 중소기업에게는 부담스러운 거래

    비용이 발생 가능

    * 부과금, 부담금 혹은 조세 형태인 경우에 중소기업의 사업 운영비용을 직접 상

    승시키는 요인

    * 새로운 제품 개발을 늦추고 자율적인 기술 교체를 제약하여 중소기업의 생산

    성을 약화시키는 요인

    ○ 기후 변화 대응과 환경 문제 대처에 대한 기회 요인

    - 기후변화와 환경 문제가 경제 성장의 제약 요인이 아닌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기회요인으로 전환되어 새로운 사업기회 발견의 가능성 내재

    - 신재생 에너지ㆍ환경 산업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부상: 기후변화에 따라 이산화

    탄소 배출권 시장이 형성되고 관련 신흥 산업이 탄생

    - 선진국들은 녹색산업을 새로운 성장 엔진으로 활용하는 전략을 채택하여 신속히

    대응

    * EU는 세계에서 가장 강한 수준의 환경규제를 통해 친환경 조건을 만족 못하

    는 비EU 지역 상품을 견제하는 한편,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여 EU의 성장 및

    실업문제 해결의 수단으로 활용

    * 일본의 경우, 국가 장기전략지침인 “이노베이션25(2007년 5월)”을 통해 환경을

    경제성장과 국가공헌의 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