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electing the school zone using gis spatial ... · gis 공간분석을 활용한...

10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Vol. 11. No.3 2012. 12. pp 1~10 1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GIS 공간분석을 활용한 어린이 보호구역 설정에 관한 연구 1) 2) 주승민 * ·최진호 ** 3) A Study on Selecting the School Zone Using GIS Spatial Analysis Seung-Min Joo·Jin-Ho Choi 국문 요약 본 연구는 기존 어린이보호구역의 설정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보완하기 위해 GIS 공간분석을 활 용한 방법으로서 새로운 어린이보호구역을 제시하고, 현행의 어린이보호구역과 비교평가 하여 어린이보 호구역 설정에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GIS 공간분석을 이용한 경우 현행 어린이보호구역 설정의 경우와 많은 차이점이 발생하였고 실제로 어린이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에 까지 어린이보호구역 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개선방안으로 어린이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을 선정하여 학교까지의 최단거리 분석을 통한 새로운 어린이보호구역을 제시하였다. 차후 현지조사를 통하여 GIS 공간분석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주제어 : 어린이보호구역, GIS, 공간분석, 교통사고 Abstract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school zone to problems current school zone setting boundary and GIS spatial analysis of new school zone that is problems in the process of current school zon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ere many differences in the case of the current school zone is actually the children population density in the region of high school zone is set is not using GIS spatial analysis results showed. Therefore, This study is to propose of selecting the local high children population density is presen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school a new school zone. and GIS spatial analysis was validated through field work. Keywords : School Zone, GIS, Spatial Analysis, Traffic Accident 이 논문은 공간정보 전문인력 양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 주저자 : 경북대학교 공간정보학과 석사과정(Master’s course, Department of Spatial Information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E-mail : [email protected] ** 교신저자 : 경북대학교 공간정보학과 박사과정(Doctor’s course, Department of Spatial Information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E-mail : [email protected], Tel : 010-9414-0147

Upload: others

Post on 08-Oct-2019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Vol. 11. No.3 2012. 12. pp 1~10 1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GIS 공간분석을 활용한 어린이 보호구역 설정에 관한 연구1)

2)주승민*·최진호**3)

A Study on Selecting the School Zone Using GIS Spatial Analysis

Seung-Min Joo·Jin-Ho Choi

국문 요약

본 연구는 기존 어린이보호구역의 설정에 한 문제 을 제시하고 보완하기 해 GIS 공간분석을 활

용한 방법으로서 새로운 어린이보호구역을 제시하고, 행의 어린이보호구역과 비교평가 하여 어린이보

호구역 설정에 개선방안을 제시하 다. 본 연구결과 GIS 공간분석을 이용한 경우 행 어린이보호구역

설정의 경우와 많은 차이 이 발생하 고 실제로 어린이인구 도가 높은 지역에 까지 어린이보호구역

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개선방안으로 어린이인구 도가 높은 지역을 선정하여

학교까지의 최단거리 분석을 통한 새로운 어린이보호구역을 제시하 다. 차후 지조사를 통하여 GIS

공간분석의 타당성을 검증하 다.

주제어:어린이보호구역, GIS, 공간분석, 교통사고

Abstract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school zone to problems current school zone

setting boundary and GIS spatial analysis of new school zone that is problems in the process

of current school zon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ere many differences in the case of

the current school zone is actually the children population density in the region of high school

zone is set is not using GIS spatial analysis results showed. Therefore, This study is to propose

of selecting the local high children population density is presen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school a new school zone. and GIS spatial analysis was validated

through field work.

Keywords : School Zone, GIS, Spatial Analysis, Traffic Accident

†이 논문은 공간정보 문인력 양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 주 자:경북 학교 공간정보학과 석사과정(Master’s course, Department of Spatial Information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E-mail : [email protected]

** 교신 자:경북 학교 공간정보학과 박사과정(Doctor’s course, Department of Spatial Information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E-mail : [email protected], Tel : 010-9414-0147

2 주승민․최진호

대구경북연구 제11권 제3호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010년을 기 으로 국내에서 발생한 체 교통

사고(226,878건) 가운데 보행자 교통사고는 총

50,431건으로 이 어린이의 보행 교통사고 비율

이 46.6%로 매우 높은 실정이다(통계청, 2010).

이로 인해 정부는 1995년부터 「도로교통법」

에 ‘어린이 보호구역의 지정 리에 한 규칙’

을 제정하고, 등학교 유치원 정문에서 반경

300m 이내의 주통학로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교통안 시설물 도로부속물 설치로 학생들의

안 한 통학공간을 확보하여 교통사고를 방하

기 한 ‘어린이 보호구역(School Zone)’제도를 도

입, 이에 따라 교통약자들에 보행안 을 확보하고

자 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재 어린이 보호구역의 지정 운 의

측면에서 보도시설, 과속방지시설, 노면표시 등

형식 측면에 해서는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고

있으나, 그 제도의 설치효과 검증에 한 미흡한

채로 진행되고 있다(이호원 등, 2012).

특히 최근까지 부분 등학교에 어린이보호

구역을 설정 했음에도 불구하고 어린이 교통사고

는 꾸 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2012년 실시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

간 어린이보호구역(School Zone) 설정 지역은

77% 증가한 반면 어린이 교통사고와 사상자 수는

각각 118%와 11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2012, 국정감사정보시스템).

이러한 문제 은 어린이 보호구역의 설정이 효

율 으로 운 되지 못하고 있다는 반증이며, 어린

이 보호구역 설정과정에서 다양한 요인과 정성

인 측면을 고려하지 못한 일편 인 용이 원인인

것으로 단된다. 특히 행 어린이보호구역 설정

기 은 단순히 물리 인 거리를 바탕으로 주 출입

구로부터 반경 300m 이내로 설정·지정하고 있어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주요 인자인 어린이 인구

도와 주변 교통망 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문

제 이 있다(박재 , 김도경, 2010). 따라서 보다

효과 으로 어린이 보호구역 설치 운 의 근본

목 을 달성하기 해서는 각각의 개별학교에

한 정확한 평가 련자료 등의 객 인 증거에 기

한 공간 문제를 분석하여 제시되어야 할 필요

성이 있다.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은 학교

정보 지역계획 등 공간을 상으로 하는 여러

가지 정보를 수집· 리하기 용이하고 이러한 정보

를 사용목 에 따라 다양하게 분석하여 필요한 결

과를 생산 리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GIS의 기

능은 많은 속성정보를 통합 분석을 통해 체계 이

면서 객 인 분석결과를 제시할 수 있는 장 이

있다(김 표, 1998).

이에 본 연구에서는 GIS의 공간분석의 이와 같

은 장 을 이용하여, 행 어린이보호구역의 문제

을 인지하고 어린이 인구 도와 주변의 교통망

등의 특징을 고려하여 연구 상지의 어린이들의

주통행로를 추 하여 최 의 어린이 보호구역을

제안하고자 한다.

2. 관련연구 동향

어린이보호구역 설정과 련된 사례는 국내·외

에서 다양한 방안을 시행하고 있으며, 련연구

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도로교통안 회

(1997)은 어린이보호구역 설치 운 에 하여

기 을 보완하고 장에서 쉽게 용 가능한 기

용 시모델을 개발을 제안하 다. 차후 국내

다양한 지역을 사례지역으로 하여 어린이보호구

역 실태분석에 따른 개선과 운 그리고 안 책

과 련된 연구가 수행되었으나(박시우, 2005 ; 문

GIS 공간분석을 활용한 어린이 보호구역 설정에 한 연구 3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식, 2005), 정책 제언에 그친 한계가 있으며,

어린이보호구역 설정에 근본이 될 수 있는 방법론

에 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호원 외(2012)

는 차량속도와 교통사고와의 상 계를 입증하

고 과속방지턱, 고원식 횡단보도 등의 시설물을

통한 어린이 보호구역내 교통안 시설의 구간통

행속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 다. 정 섭 외

(2009)은 어린이보호구역의 합리 도출을 해

선행연구 고찰 문가 설문, 네트워크 분석법

을 통해 평가지표를 선정하 다.

어린이보호구역에 한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

면 우리나라와 비슷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어린이

보호구역을 설치하고 운 하고 있다. 미국의 통학

로상 어린이 교통사고 방지의 표 인 노력은 학

교순찰 를 운 하고 있다. 학교 순찰 의 경우

일정기간의 훈련을 받은 고학년 어린이들이 도로

횡단지도를 하기 한 조직으로서 학년 어린이

들의 도로 횡단 사고 방에 일조하고 있다. 한

제도 측면을 살펴보면 MUTCD2000(미국교통

안 시설 편람)에서 어린이 보호구역 설치 운

기 을 정하여 공시하고 있다. 가까운 일본의

경우 1972년 어린이보호구역 제도가 처음으로 등

장하여 등학교, 유치원등을 심으로 반경

500m지역을 설정하여 도로시설물을 정비하고 자

동차 속도나 통행규제 등의 교통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학교 통학로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주로 시

행되고 있는 교통규제로는 차량의 속도제한과 통

행제한들을 들 수 있는데, 차량의 속도 규제는

20km/h이하로 제한하고, 어린이들의 통근시간

에 맞추어 통행제한도 제한 으로 실시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 우리나라와 유사한 300m 이내의 지

역을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설정하여 차량속도를

30km/h로 규제하고 있다. 다만 어린이보호구역내

의 녹색신호주기를 어린이 보폭에 맞추어 조정하

고 있다. 한 어린이보호구역내의 횡단보도 지

은 도로를 착시켜 차량의 속도를 인 으로 낮

추고 있다.

Ⅱ. 데이터 취득 및 연구방법

1. 연구 대상지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보호구역에 한 체계

이고 효과 인 구역 설정을 한 조건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최 의 어린이보호구역을 도출하고자

하 다. 이에 연구 상지로 구 역시 도심지역

에 치한 구 등학교의 통학구역1)을 사례로

연구를 진행하 다.

도로교통공간의 2010년 교통사고 통계분석에

따르면 국 232개 기 자치단체별로 인구 100명

당 교통사고 황을 분석한 결과 구 역시 구

가 5.4건으로 국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

으며, 서울시 구 5.0건, 부산 강서구 4.9건이

뒤를 이었다.

<그림 1> 인구 100명당 교통사고 발생건수 다발

시군구 – 상위 5위

자료:도로교통공단, 2010년교통사고통계분석,참조

재구성

1) 교육장이 통학거리 취학아동수 등을 감안하여 일정지역 거주자는 특정 공립 등학교에 취학하도록 설정한 구역을 말

한다. 학생 통학의 편의를 도모하고 학교간 수용능력에 기 하여 과 학 과 학교 해소를 통한 쾌 한 교육환경조

성으로 교육 효과를 극 화 하고자 설정하고 있다( · 등교육법 시행령, 2012).

4 주승민․최진호

대구경북연구 제11권 제3호

연구 상지로 선정한 구 등학교의 경우

국에서 100명단 교통사고 발생건수가 가장 높은

구 역시 구의 도심지역에 치하여 있으며,

학교의 통학로가 차량의 통행이 많은 큰 도로가

형성되어 있어 사고 험도가 상당히 높으므로,

연구 상지로서 합한 지역이라고 단된다.

구 등학교의 경우 1906년에 개교하여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등학교로서 구 역시 구

명륜로 23길 80에 치해 있다. 2012년 재 총학

생수는 405명이며 연구 상지의 치 통학구

역은 <그림 2>와 같다.

<그림 2> 대구초등학교와 통학구역반경의 Quick Bird

위성영상

- 구 등학교의 통학구역 황은 남산1동 1~6통, 남산2

동 1~5통, 12통 2동 1~10통, 삼덕동 1통, 성내1동

7~13통이다( 구 역시 교육청, 2012).

2. 연구방법

본 연구의 시·공간 범 는 구 역시 구

등학교 통학구역으로 선정하 고 2010년의 수치

지형도와 연속지 도, Quick Bird 성 상을 이

용하여 연구 상지 도로망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활용하 다(그림 2 참조). 차후 어린이 인구분포

를 가시 으로 표 한 데이터를 토 로 술된 도

로망 네트워크 데이터와 첩하고, 도로망상의 어

린이 인구분포를 학교와 최단거리를 네트워크분

석을 통하여 산출하여 새로운 어린이 보호구역의

제안하고자 한다. 데이터 분석과 구축에는 공간데

이터를 가공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지도제작

공간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리 쓰이고 있는

ESRI사의 ArcGIS를 활용하 다.

연구 상지역 선정

- 구 역시 구 등학교 통학구역

데이터 취득

-수치지형도(1 ; 5000)

- 성 상(QuickBird 성 상)

-어린이 인구 데이터(통계청)

데이터 가공

-수치지형도와 연속지 도를 활용 통학구역경계 추출

-통학구역과 성 상 첩 도로네트워크 데이터 구축

- 행 어린이 보호구역 추출

-어린이 인구 데이터 시각화

-어린이 인구분포 지도를 도로네트워크로 Extract by

Mask

-결과 분석 평가

분석결과 검증 결론

-분석결과에 한 지조사 검증

-개선 방안

-결론

<표 1> 연구흐름도 및 진행과정

Ⅲ. GIS기반의 어린이보호구역 설정

1. 데이터 취득

본 연구의 GIS를 활용하여 상지를 구축하기

해 NGIS(1:5000) 수치지도와 연속지 도를 이

용하 다. 아울러 통학구역 내 어린이들이 이용하

는 통행로와 인근 주민들의 주 출·퇴근로를 추출

하기 해 성 상을 이용하여 주 통행로를 구축

하 다. 이때 활용한 성 상은 미국 Digtal

Globe사의 Quick Bird 성 상을 이용하 으며,

GIS 공간분석을 활용한 어린이 보호구역 설정에 한 연구 5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상의 상세제원은 <표 2>와 같다. Quick Bird

성 상은 고해상도 성 상으로 수치지도 제작

과 공간분석 등에 리 쓰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

는 구시 지역의 2011년 3월 8일 상을 활용하

다. 어린이 인구 도는 통계청의 통계지리 서비

스를 이용하여 학교주변 5~14세 어린이 인구

도를 활용하 다. <그림 3>은 연구 상지의 어린

이 인구 도를 나타낸 것이며, <그림 4>는 연구

상지 등학교 통학구역 내 주 통행로를 나타낸

것이다.

Panchromatic Multi-Spectral

공간 해상도

Basic : 0.61m(nadir)

~0.72m(25°off-nadir)

Standard & Orthorectified : resampled to

0.6m/0.7m

Basic : 2.44m(nadir)

~2.88m(25°off-nadir)

Standard & Orthorectified : resampled to

2.4m/2.8m

분 해상도 450~900 nano

Blue : 450~520 nano

Green : 520~600 nano

Red : 630~690 nano

NIR : 760~900 nano

주기 해상도 1~3.5 Day

방사 해상도 11 bits

<표 2> QuickBird 위성영상 제원

<그림 3> 어린이 인구밀도

<그림 4> 통근반경 내 도로망

2. 어린이보호구역 설정

행 어린이보호구역의 선정 기 은 학교의 주

출입구로부터 반경 300m 이내를 지정하고 있다.

구 등학교의 경우 주출입구는 학교의 북측에

치한 정문이 있었으며, 이를 시작 으로 행

어린이 보호구역은 <그림 5>와 같다. 본 연구의

방법론을 이용한 어린이보호구역을 설정하기

하여 어린이 인구 도 지도를 도로망에 첩시켜

6 주승민․최진호

대구경북연구 제11권 제3호

어린이 도가 높은 도로를 추출하 다(그림 6).

도로상의 붉은 색 부분은 상 으로 어린이 인구

도가 높은 지역이며, 노란색으로 표시는 부문은

상 으로 어린이 인구 도가 낮은 지역이다. 도

로망 상의 어린이 인구 도 분석결과 A지역과 B

지역과 같이 어린이 인구 도가 높음에도 불구하

고 주출입구로부터 300m 이상이라는 이유로 인하

여 어린이보호구역이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어린이보호구역 설정

에 한 기본 제는 어린이가 실제로 많이 분포

하는 지역, 즉 어린이 통행이 빈번한 도로를 추출

하여 어린이 보호구역을 설정하는데 에 있다. A지

역과 B지역과 같이 인구 도가 높게 나타난 구역

으로부터 구 등학교 정문까지의 최단거리를

추출하기 해 네트워크 분석의 최단거리 경로 분

석을 수행하 다. 먼 핫스팟(Hot Spot) 지역을

추출 하여 핫스팟 지 으로부터 구 등학교 정

문의 도착 까지의 최단거리 네트워크 분석을 실

시하 다. 분석 결과 행 어린이보호구역과 상이

한 치의 후보지를 제안하 다. <그림 7>은 GIS

공간분석을 활용한 새로 제안하는 어린이보호구

역의 그림이다.

<그림 5> 현행 어린이보호구역

<그림 6> 어린이 인구밀도 중첩

<그림 7> 어린이보호구역 제안

GIS 공간분석을 활용한 어린이 보호구역 설정에 한 연구 7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Ⅳ. 연구결과의 검증

본 연구의 방법론을 용하여 설정된 어린이보

호구역의 경우 행 어린이보호구역과 상이한 결

과가 나타났다. 행어린이 보호구역의 경우 학교

의 주출입구를 기 으로 하여 주변 300m 지역 도

로를 모두 포함하는 지역을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지정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의 방법론을 용

하여 설정된 어린이보호구역의 경우 학교의 주출

입구를 기 으로 어린이인구 도가 높은 지역을

연결한 최단거리를 추 하여 용하 기 때문에

300m이상의 통행로에서도 어린이보호구역이 지

정되었으며, 300m 안에 치하고 있더라도 어린

이인구 도가 높지 않은 지역 그 지역을 연결

하는 도로가 아닌 통행로의 경우 어린이보호구역

에서 제외되었다(그림 8 참조).

본 연구의 결과 검증을 해 구 등학교의 통

행로상의 도로가 교차하는 지 <그림 9>을 선정

하여 등학교 등·하교 시간 의 어린이 유동 통

행을 알아보았다. 조사기간은 2012년 10월 8일~

13일 까지 총 6일간 진행되었으며, 해당 등학교

의 통학시간을 고려하여 07~09시의 어린이 유동

인구를 조사하 다. 등학교의 경우 등교시간은

모든 학년이 동일하지만 하교시간의 경우 학년

과 고학년과의 차이가 나기 때문에 등교시간만을

상으로 조사하 다. 조사지 은 총 22개 지 으

로 <그림 9>에서 노란색으로 표시된 A지 의 경

우 행 어린이보호구역에 치한 도로교차 이

며, 녹색으로 표시된 B지 의 경우 본 연구의 결

과로 설정된 새로운 어린이보호구역, 보라색으로

표시된 C지 은 행 어린이보호구역과 새로운

어린이보호구역이 겹치는 지 , 마지막으로 붉은

색으로 표시된 D지 은 행 어린이보호구역과

새로운 어린이 보호구역 모두에도 속하지 않는 지

이다.

a. 행 어린이보호구역 b. 새로운 어린이보호구역 제안

<그림 8> 현행 어린이보호구역과 새로운 어린이보호구역 비교

8 주승민․최진호

대구경북연구 제11권 제3호

<그림 9> 연구결과 검증조사지점

<표 3>은 각각의 조사 지 별 어린이 유동인구

를 기술통계 분석한 결과이다. 우선 통근시간 의

각 지 별 유동인구를 살펴보면 체 조사지 의

평균은 105.6명으로 나타났다. 평균이상이 나타난

지 은 C지 으로 부분이 학교 출입입구에 인

한 지 으로서 행 어린이보호구역과 새로운

어린이보호구역이 겹치는 지 으로 나타났다. A

지 의 경우 행 어린이보호구역에 해당하는 지

으로 평균 40.6명의 어린이 유동인구를 가지는

지역으로 나타났다. B지 의 경우 새로운 어린이

보호구역에 해당하는 조사지 으로 평균 61.8명의

유동인구가 나타났으며, 행 어린이보호구역과

새로운 어린이보호구역 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D

조사지 의 경우 43.5명의 어린이 유동인구가 발

생하 다. D-4 조사 의 경우에는 높은 유동인구

가 발생하 는데 이는 인 한 다른 등학교의

향으로 단된다. 어린이 유동인구 조사를 종합하

면 행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일부 지역의

경우 본 연구에서 제안한 어린이 보호구역에 비하

여 어린이 유동인구가 음에도 불구하고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한 어린이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에 어린이 보호구역이 설정되어

있지 않아 불의의 사고로부터 어린이들을 보호하

지 못한다는 을 시사한다. 종합하여 이는 행

어린이 보호구역의 설정 방법으로 용 인 출입

반경 300m라는 단순설정방식에 문제 이 있다

는 것을 극명하게 나타내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을 통하여 더욱 합리 인 어린이 보

호구역의 지정이 가능함을 나타내었다.

GIS 공간분석을 활용한 어린이 보호구역 설정에 한 연구 9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조사유동인구(명)

8일 9일 10일 11일 12일 13일 평균

A

A-1 37 19 34 24 32 34 30.0

A-2 14 16 12 17 24 22 17.5

A-3 61 68 72 58 59 63 63.5

A-4 23 42 28 34 21 33 30.2

A-5 64 58 51 68 64 55 60.0

A-6 31 28 32 35 33 44 33.8

평균 38.3 38.5 38.2 39.3 38.8 41.8 39.2

B

B-1 62 55 68 57 59 60 60.2

B-2 59 79 55 61 59 71 64.0

B-3 42 33 38 44 42 39 39.7

B-4 98 103 105 87 81 93 94.5

B-5 72 81 74 77 72 80 76.0

B-6 29 44 38 34 41 32 36.3

평균 60.3 65.8 63.0 60.0 59.0 62.5 61.8

C

C-1 496 531 479 481 493 512 498.7

C-2 351 333 349 391 341 363 354.7

C-3 184 141 131 148 161 129 149.0

C-4 248 293 257 289 290 243 270.0

C-5 189 213 195 197 203 209 201.0

평균 293.6 302.2 282.2 301.2 297.6 291.2 294.7

D

D-1 29 37 31 28 22 24 28.5

D-2 34 38 47 41 32 38 38.3

D-3 37 37 29 31 34 35 33.8

D-4 91 105 89 98 120 115 103.0

D-5 13 9 12 14 19 16 13.8

평균 40.8 45.2 41.6 42.4 45.4 45.6 43.5

<표 3> 조사지점별 어린이 유동 통행량 기술통계 분석결과

Ⅴ. 결 론

본 연구는 어린이 교통사고의 방을 해 실시

되고 있는 어린이보호구역의 설정에 하여 문제

을 제기하고, 이를 해결하기 해 새로운 어린

이보호구역을 제시하고자 하 다. 이를 통하여 출

입 반경 300m의 단순 설정방법의 행 어린이

보호구역의 문제 을 지 하고 이를 보완한 새로

운 어린이보호구역 설정에 한 방법을 제시하

음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합리 인 어린이보호구역을 설

정하기 해 GIS 공간분석을 이용하여 해당 연구

지의 통행로, 어린이 인구 도 등을 고려하여 어

린이 인구 도가 가장 높은 지 을 심으로 학교

주출입구까지의 최단거리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새로운 어린이 보호구역을 제시하 다. 연구 결과

행 어린이보호구역과 상이한 결과가 가시 으

로 나타났다. 차후 분석에서 제시한 어린이보호구

역을 검증하기 해 22개의 조사지 을 선정하여

어린이 유동인구를 조사하 으며, 검증 결과 행

어린이보호구역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어린이

보호구역의 어린이 유동인구가 더욱 많이 발생하

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어린이보호구역

10 주승민․최진호

대구경북연구 제11권 제3호

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계속 으로 늘어나고 있는

어린이 교통사고에 한 시사 을 제시하고 향후

어린이보호구역 설치에 참고 되어 어린이보호구

역 설정을 보완할 수 있는 책이 요구된다고

단할 수 있다. 차후 연구에서는 어린이 보행의 행

태, 사회, 경제 요소 등 다양한 변수들을 추가하

고, 다양한 사례조사를 통해 정형화된 모델 구축

이 필요할 것으로 단된다.

참고문헌

김 표, 1998, 입지선정을 한 GIS 활용방안연구, 국

토개발연구원, p.38-39.

교육과학기술부, 학교제도기획과, 2012, · 등교육법

시행령, 한민국 국회.

구시 동부교육지원청, 2012, 2012학년도 등학교

통학구역 황, 구 역시 교육청.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종합분석센터, 2010, 교통사고

통계분석, 도로교통공단.

도로교통안 회, 1997, 어린이보호구역 설치 운

에 한 연구: 안 시설물을 심으로, 교통과

학연구원.

문 식, 김명수, 김 , 2006, 어린이보호구역 실태분

석에 따른 개선방안: 천안시를 심으로, 한교

통학회, 한교통학회, 제53회 학술발표논문집,

pp.708-717.

박시우, 정헌 , 2005, 어린이보호구역의 운 개선방

안에 한 연구, 부산 학교 석사학 논문.

박재 , 김도경, 2010, 어린이 보호구역에서의 차량

속도 반 특성 분석, 한국도로학회, Vol.12 No.2,

pp.63-69.

이호원, 주두환, 철승, 김동효, 박부희, 이철기, 2012,

어린이 보호구역내 교통안 시설이 구간통행속

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ITS학회, Vol.11

No.3, pp.124-132.

정 섭, 김태호, 박제진, 원제무, 2009, 네트워크분석

법(ANP)을 이용한 어린이보호구역 평가항목 개

발, 한토목학회, Vol.29 No.2, pp.191-197.

통계청, 2005, 사망원인통계연보.

논문 수일: 2012. 11. 14, 심사완료일: 2012. 12. 2

최종원고: 2012. 1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