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의 창조적...

18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Vol. 14, No. 2, 2015. 10, pp. 17~34 17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구경북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1) 최 일 용 * · 황 성 원 ** · 서 승 한 *** · 김 은 정 **** An Effect of Creative Capability on the SME's Performance : Based on SME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Choi, Il Yong · Whang, Sung Won · Seo, Seung Han · Kim, Eun Jung 국문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을 Florida(2002)의 3T를 적용하여 창조적 인재, 창조적 기법, 관용적 문화를 분석하여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과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중소기업이 경쟁 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기업부설연구소를 조절변수로 두어 기업의 창조적 역 량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기업부설연구소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 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창조경영 및 지식경영의 창조성 기법과 창조성 관련 측정지표를 도출하고 대구와 경북지역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창조적 인재와 관용적 문화는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혁신은 경영성 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재무적 성과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 막으로 기업부설연구소의 조절요과를 검증한 결과,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추가적인 분석 을 통해 기업부설연구소가 설치된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혁신성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혁신성 과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소 제조기업에서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는 인재의 확충과 기존인력의 전문성 강화 교육, 관용적인 조직문화가 요구됨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업부설연구소는 혁신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부설연구소의 적극적인 활용 을 통해 혁신성과와 경영성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창조적 역량, 기업부설연구소, 혁신성과, 경영성과 * 충남테크노파크 선임연구원(Senior Researcher, Chungnam Techno-Park), E-mail: [email protected], Tel. : 041-589-0705 ** 동아대학교 경영정보학과 조교수, 교신저자(Professor, Dong-A University MIS Department,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Tel. : 051-200-7497 *** 구미전자정보기술원 선임연구원 (Senior Researcher, Gumi Electronics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E-mail: [email protected], Tel. : 054-479-2165 **** 동의대학교 경영정보학과 조교수(Professor, Dong-Eui University MIS Department), E-mail: [email protected], Tel. : 051-890-2551

Upload: others

Post on 04-Nov-2019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19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Vol. 14, No. 2, 2015. 10, pp. 17~34

17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구경북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1)최 일 용* · 황 성 원** · 서 승 한*** · 김 은 정****

An Effect of Creative Capability on the SME's Performance

: Based on SME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Choi, Il Yong · Whang, Sung Won · Seo, Seung Han · Kim, Eun Jung

국문요약

본 연구의 목 은 소기업의 창조 역량을 Florida(2002)의 3T를 용하여 창조 인재, 창조 기법,

용 문화를 분석하여 소기업의 창조 역량과 경 성과와의 계를 규명함으로써 소기업이 경쟁

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 기업부설연구소를 조 변수로 두어 기업의 창조 역

량이 신성과에 미치는 향에 있어서 기업부설연구소의 역할에 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해 본 연

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창조경 지식경 의 창조성 기법과 창조성 련 측정지표를 도출하고

구와 경북지역의 소기업을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경 성과에 미치는 향을 분석하 다.

분석결과 창조 인재와 용 문화는 신성과에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은 경 성

과에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재무 성과에 더 많은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

막으로 기업부설연구소의 조 요과를 검증한 결과, 조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추가 인 분석

을 통해 기업부설연구소가 설치된 기업은 그 지 않은 기업에 비해 신성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신성

과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소 제조기업에서 창조 역량이 경 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이를 해

문성을 보유하고 있는 인재의 확충과 기존인력의 문성 강화 교육, 용 인 조직문화가 요구됨을

알 수 있다. 한 기업부설연구소는 신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부설연구소의 극 인 활용

을 통해 신성과와 경 성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창조 역량, 기업부설연구소, 신성과, 경 성과

* 충남테크노 크 선임연구원(Senior Researcher, Chungnam Techno-Park), E-mail: [email protected], Tel. : 041-589-0705

** 동아 학교 경 정보학과 조교수, 교신 자(Professor, Dong-A University MIS Department,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Tel. : 051-200-7497

*** 구미 자정보기술원 선임연구원 (Senior Researcher, Gumi Electronics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E-mail: [email protected], Tel. : 054-479-2165**** 동의 학교 경 정보학과 조교수(Professor, Dong-Eui University MIS Department), E-mail: [email protected], Tel. :

051-890-2551

Page 2: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19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18 최 일 용․황 성 원․서 승 한․김 은 정

대구경북연구 제14권 제2호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siness performance

and creative capability and to support the competitive advantage plan through applying analyzes

Florida(2011) 3T(talent, technique, tolerance)s to environment of SMEs.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discuss the role of corporate R&D center as moderating variable

while creative capability effect on innovation performance of SME.

To examine the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of SMEs, we used the creative factors of

pervious studies about knowledge management and creative management, so we survey the

question investigation in Daegu and Gyungbuk SMEs.

We find that creative capability as a creative talent, tolerant culture is effect to the innovation

performance and it is influencing the enterprise performance especially financial performance.

We also find that innovation performance of enterprise with corporate R&D center is better than

enterprise do not and R&D center has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for innovation performance.

The result shows that recruitment of creative talents, professional training of the existing

workforce and tolerant organizational culture have implications that can improve business

performance and increase creative capability. Also SMEs will boost innovation and enterprise

performance through the active use of R&D center.

KeyWords : Creative Capability, Corporate R&D Center, Innovation Performance, Enterprise

Performance

Ⅰ. 서 론

최근 로벌 경제침체와 성장기조의 장기화, 그리고 속한 정보기술의 발달로 소기업의 경 환경

은 더욱 치열해 지고 있다. 이에 많은 기업에서는 경쟁력 강화를 해 창조성을 통한 제품의 차별화와

신시장 창출을 추진하고 있다. Florida(2011)는 “경제성장의 근원이 창조성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창조시

에는 주로 새로운 제품과 다양성, 맞춤공 등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제품의 개선과 차별화에 많은

시간을 소요하며, 회사 체에 걸쳐 아이디어의 빠른 생성과 달이 요구된다.”고 하 다.

DTI(2005)는 기술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지리 으로 떨어진 그룹과 으로의 정보이동, 보다 효과 인

인스토 , 가상 의 운용, 상품개발에서 더 많은 계자의 참여, 가상 디자인, 시뮬 이션 그리고 빠

른 로토타이핑 등의 기능을 통해 창조를 진시키며 개인의 창조 활동을 지원한다고 하 다. 이와

같이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구성원들의 지식 축 과 력을 용이하게 하여 조직내 창조를 더욱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로벌 경제 패러다임을 신경제에서 창조경제로의 환시키고 있다. 창조

경제 패러다임은 창조성이 높은 인력과 산출물에 한 요성이 증가하여 상 으로 세한 소기업에

게 있어서는 우수인력의 확보와 IT에 한 투자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반면에 창조경제시 에 IP와 창조성 등 무형 자산의 요성은 더욱 요하게 두되면서 아이디어의

Page 3: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19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소기업의 창조 역량이 경 성과에 미치는 향 19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실화를 한 소기업의 조직 유연성은 상 으로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이에 해 Gong et

al.(2013)은 창조성과 경 성과에 한 연구에서 기업은 많은 계층과 업무, 리 주의에 한 심과

타성에 젖어 있는 경향이 있어 핵심지식 종업원들에 의해 발생된 창조 아이디어의 실행에 한 주의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 다. 이에 따라 국내 소기업에서도 창조경 에 한 필요성과 인식은 높아

지고 있으며, 2013년 경련의 조사에 따르면 소기업은 창조경 이 필요한 이유로 “신성장동력 창출”과

“경쟁력 강화”를 해서라는 응답이 체 응답의 약 73%를 차지하 다.

그러나 지 까지의 창조경 과 련한 국내연구는 첫 번째, 지식의 공유와 확산 등에 한 리더십과

정보시스템 분야에 집 되어 지식경 의 에서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다른 분야로는 창조

환경이 기업의 창조성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로 부분이 디자인과 연구개발 성과에 이 맞춰

져 있어 소기업을 상으로 한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두 번째는 도시경제학 으로 창조 인재

는 개방 이고 다양성이 강한 지역으로 모이며, 창조 인재는 신을 통해 경제 성장을 주도한다고

하 다. Florida(2002)는 도시경제학 에서 창조 인 자원을 창조계 (Creative Class)으로 정의

하고 개방 인 환경을 선호한다고 하 다. 한 창조계 은 지역의 연구개발과 하이테크산업, 그리고 지

역 경제발 에 향을 미친다고 하여 인 자원의 확보측면을 강조하 다. 그러나 창조계 과 련한 연

구는 그 상이 도시라는 지역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부분의 연구가 기업 주의

지식경 과 도시와 문화산업 주의 창조산업을 상으로 하고 있어 자 력에 한계를 가지고 있는 소

기업에 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기업의 창조 환경을 Florida(2002)의 3T를 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창조경

제시 에 소기업이 필요한 인재와 조직의 창조기법, 조직 환경을 악하여 소기업의 창조성과 경

성과와의 계를 규명함으로써 소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 기업

부설연구소를 조 변수로 두어 기업의 창조성이 경 성과에 미치는 향에 있어서 기업부설연구소의 역

할에 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창조경 지식경 의 창조

성 기법과 창조성 련 측정지표를 도출하고 구와 경북(구미)지역의 소기업을 상으로 경 성과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창조와 창조적 인재

창조와 련한 정의는 다양한 분야에서 정의하고 있다. 일반 으로 창조는 새롭고 유용한 아이디어의

개발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것은 획기 이며 지속 인 창조성을 포함한다(Amabile, 1996; Tierney &

Farmer, 2011; Gong et al., 2013). 정철호․진고환(2005)은 창조는 새로운 아이디어의 착상으로서 신의

출발 이 되며, 신은 아이디어의 실화 실용화라고 정의하 다. 최근에는 기존의 제품과 아이디어

를 결합하여 새로운 제품과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는 융합을 포함한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다. 창조란 폭넓

Page 4: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19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20 최 일 용․황 성 원․서 승 한․김 은 정

대구경북연구 제14권 제2호

게는 이 에 없던 것을 새로이 독창 으로 만드는 것이라 정의할 수 있으며, 기업의 거의 모든 부분에

향을 미친다고 하 다(DTI, 2005). Swann and Birke(2005)은 창조를 조되는 두 생각의 엇갈림

(Biosociation)과 자발성(Autonomy), 지속 인 생각과 고민을 통해 창출되는 Incubation과정으로 특징짓

고 있다. Woodman et al.(1993)은 개인의 창조성은 과거 향을 미치는 사건 등과 같은 선행상황, 인지유

형, 확산 사고 등과 같은 능력, 자부심과 통제성 등과 같은 성격, 한 지식, 동기, 보상과 같은 사회

향, 업무와 시간 제약 물리 환경과 같은 상황 향의 작용이라고 하 다.

이상의 창조에 한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창조는 지속 인 경제 성장을 해 요한 요소로써 모든

기업에 있어서 새로운 아이디어는 신의 출발 이며 사업운 에 있어서 다양한 선택권을 가지게 한다.

창조성은 단순히 자 이나 시간의 투자만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창조성 발 의 핵심인 인재에 달

려 있다고 할 수 있다(오형술 외, 2008). Florida(2002)는 창조활동을 주로 하는 인 자원의 집합체를

창조계 (Creative Class)으로 정의하고, 그 특성에 해 자주 인 단을 바탕으로 복잡한 문제를 해결

하는 역할을 하며 주로 창조하는 일에 종사하고 다른 계 (노동계 서비스 계 )보다 훨씬 더 자율성

과 융통성을 지녔다고 하 다. Woodman et al.(1993)과 Luecke(2003)은 개인의 특징인 인지능력, 내재

동기, 지식이 창조 행동에 향을 미친다고 하 으며, 김 천(2012)은 문성, 창조 사고, 문제해결

능력을 가진 사람을 창의 인재로 보고 이에 한 측정지표를 제안하 다. Basadur et al.(1982)은 창조

인 인재에게 있어서 자신의 확산 사고는 집 사고와 하게 력하여야 한다고 하 다. 한

문제발견, 솔루션 생성 그리고 솔루션의 실행 단계를 통해 확산 사고와 집 사고의 지속 인 용을

강조하 다. 진 등(2012)은 창의 인재를 문지식과 창의 사고 스킬을 바탕으로 과업에 몰입함으로

써 집단의 과업이 창의 인 산출물을 내는 사람으로 정의하 다.

2. 창조적 기법과 관용적 문화

지식경 과 련한 연구에서는 지식의 축 과 공유, 조직의 리더십, 커뮤니테이션 기법 등 조직의 창조

역량과 기법이 요한 요인으로 강조되고 있다(이상묵, 2011; 하성호․주성 , 2011; 정철호․진고환,

2011; 홍순욱․조근태, 2009; Martin and Parboteeah, 2007 ; Taylor and Greve, 2006).

하성호․주성 (2011)은 개인의 지식, 기술, 능력들이 합쳐지는 집단의 창의성이 각각 분리된 개인의

창의성보다 잠재 인 창의성이 높으며, 조직창의성은 로세스의 특징과 집단이나 조직에 의해 학습 될

수 있다고 하 다. Amabile(1996)은 개인의 창조성을 설명하면서 특정부분의 지식과 활용을 진하는 조

직의 창조 로세스를 강조하 다. 이에 해 Kogut and Zander(1992)는 기존 지식의 체계 인 활용에

만 집 하는 조직일지라도 기존의 역량과 지식을 다른 방식으로 재조합함으로써 새로운 지식과 기량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하 다. 이와 같이 기업에서 지식의 축 과 조합은 창조성을 높이는데 요한 역할

을 하는 것으로 악되며, 이는 조직 내외의 다양한 네트워크와 개방형 신을 통해 획득되고 축 될 수

있다. 특히, 기업들은 창조성을 기업 내부로 받아들여 신과 경제 성과로 창출하기 해서는 조직의

흡수역량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정도범 외(2012)는 소기업의 산학연 연구개발 력과 경 성과 분석에

서 체 연구비 에서 력 연구비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기술 성과가 높아지지만, 일정한 수 을 넘어

Page 5: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19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소기업의 창조 역량이 경 성과에 미치는 향 21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서면 기술 성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로 소기업의 흡수역량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단하 다. Gong et al.(2013)는 하이테크산업을 상으로 실증분석 한 결과 조직의 흡수역량이 높을 때

직원창조성과 기업 성과와는 정 인 계가 있으며, 큰 기업보다 작은 기업이 더욱 강한 정 계가

있다고 실증분석 하 다. 안치수․이 덕(2011)은 국내 제조기업을 상으로 개방형 신활동 향요인

을 분석하 다. 그 결과 외부와의 교류 의사소통 등의 조직문화의 개방성은 기업이 기술 신과정에서

외부로부터 기술이나 아이디어를 얻는 “내향형 신활동(outside-in)”에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에 있어서 개인의 창조성과 아이디어를 이끌어 내기 한 리더들의 기법은 요한 요소이다. 기업

들은 기존 개인의 지식을 공유하고 창조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해 다양한 경 리더십과 토론기법을

활용하고 있다. Mumford et al.(2002)는 창조기업의 용은 직원들의 창조성을 진하기 한 강력한

략이라고 하 다. Herrmann and Felfe(2012)는 창조성과를 수량과 품질로 구분하여 리더십 방식(거래

리더십, 변 리더십)과 창조 기법(직 기법, 도발 기법), 개인주도성과의 계를 분석하 다.

Sung and Choi(2012)는 의 재무 성과와 창조성에 한 의 지식 리 효과를 한국의 보험회사 65개

매 을 상으로 실증분석 하 다. 그 결과 의 지식 축 과 활용은 창조성을 진하고 리더의

인지유형은 창조성과 지식 리 간의 계를 조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형술 외(2008)

는 성과 심의 평가체계 신 창조성의 핵심인 인 자원의 일에 한 활동성, 사회성, 창조성의 3가지

속성별 평가체계와 성과지표를 개인의 인정, 일을 통한 사회공헌, 업무의 자주성으로 제시하 다.

Florida(2002)는 경제학자들이 기업의 낮은 진입장벽의 요성을 강조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람들에

한 진입장벽이 낮은 지역이 창조성에서 우 를 얻는다고 하 다. 즉 사회 다양성을 인정하고 조직의

일원으로써 흡수하는 지역이 더 많은 창조계 을 유인할 수 있다고 하면서 용성(Tolerance)과 다양성

을 강조하 다. Andrews(1979)는 R&D 의 출 기록과 과학 인식, 효과성에 있어서 그룹 다양성이

10%를 설명한다는 증거를 제시하 으며, Desrochers(2001)은 신 창조를 해 기존 지식 기술의 독

창 인 조합과 새로움을 발생시키기 해 다양한 배경을 가진 창조 사람을 조합하는 경제 다양성이

지역과 도시 성장의 핵심 요소라고 주장하 다.

기업과 련하여 Damanpour(1991)은 조직 구성원의 창조 행동은 조직특성에 의존하며, 의사결정권

이 앙 집 화 되어 있고 엄격한 규정이 있는 회사는 그들의 창조 아이디어를 실행하기 어렵다고 하

다. Joo et al.(2012)은 창조성에 화합(cohesion)과 발달의견(developmental feedback), 인지된 학습

문화(perceived learning culture)의 향을 조사하 다. 그 결과 세가지 요인 모두 의 창조성에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해 조직의 리더는 력 인 조직문화를 창조하여야 하며, 명확한 비 을

제시하고 조직원들의 자발 인 업무를 이끌어내기 해 권한 임을 강조 하 다. 이상묵(2011)은 서비스

산업을 상으로 조직에서의 경쟁자보다 앞서 출시한 시장최 의 서비스를 창조 신으로 보고 계를

실증분석 하 다. 그 결과 조직규율과 차와 같은 비기술 신활동과 다양하고 조정역량을 가진 비

담 연구인력이 양(+)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6: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19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22 최 일 용․황 성 원․서 승 한․김 은 정

대구경북연구 제14권 제2호

3. 혁신 및 경영성과

신은 창조성을 통해 도출된 결과물의 실화와 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신을 측정하기

한 지표는 특허, 디자인, 실용신안 등 지재권이 표할만한 지표며, 많은 연구에서 창조가 상업 이익

을 취하는 방법으로 연구개발과 디자인을 통해 신에 이른다고 주장하 다(DTI, 2005; Swann&Birke,

2005). Swann and Birke(2005)는 신은 생산성 향상과 직 인 련이 있으며, 많은 연구에서 로세스

신은 제품 신보다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킨다고 하 다. 한 신은 제품 신을 통해 경 성과를

진할 수 있고 이러한 신은 비가격 인 경쟁우 도 진한다고 하 다. Hong et al.(2012)은 기업의 기술

신 성과를 특허로 보고 특허의 생산성에 R&D자원, 지식확산, 마 략, 회사특성이 향을 미친다

고 하 으며, Lee et al.(2002)는 창조성, 다양성과 인 자본은 지역의 1인당 특허 생산으로 측정되는 지역

신과 상당히 정 인 계가 있다고 하 다. Meliciani(2000)는 공 자 지배형 산업과 생산 집 형 산

업에서 투자가 가장 요한 요소인 반면에 하이테크산업에서는 R&D가 특허권을 발생시키는데 더욱 효

과 이라고 하 다.

Swann와 Birke(2005)는 생산성 신에 한 R&D와 특허권의 계에 한 선행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5가지 합리 인 제안을 확인하 다. 첫째, R&D는 신 로세스에 요한 투입요소이지만 부는

아니다. 둘째, R&D지출은 특허를 발생시키지만 특허출원이 신 로세스에서 반드시 지재권을 보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아니다. 셋째, 몇몇 신들은 특허가 선행하지만 많은 경우 그 지는 않다. 넷째, 로세

스 신은 일반 으로 생산성 획득을 래한다. 마지막으로 제품 신은 생산성 획득과 같은 경제 혜택

을 발생시키지만 완 히 생산 신으로만 나타는 것은 아니다. 이에 해 정철호․진고환(2012)은 시장지

향성과 창조성이 기술 신유형에 따라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향을 분석하 다. 그 결과 두요인 모두

신제품 성과에 정 인 향을 미치며 기술 신 유형에 따라 두 요인이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 다. Yusuf(2009)는 기 의 창조성과 경제 성과와의 계에서 창조성은 신에

향을 미치며, 신은 개발과 상업화를 통해 경제 성장을 하게 된다고 하 다. Kotabe et al.(2011)은

새로운 제품의 시장성과를 높이기 해서는 기존 지식과 새로운 지식이 결합하여야 하고, 운 에 그것을

포함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지식획득과 제품의 시장성과 간에 강한 정 계가 있다고 하 다.

홍순욱․조근태(2009)는 조직역량과 조직성과에 한 연구에서 조직성과를 BSC 에서 구분하 으

며, 재무 은 시장 유율, 이익증 , 매출액으로 보았고, 고객 을 내부 외부 고객의 만족도로

보았다. Gong et al.(2013)은 창조 아이디어는 제품이나 서비스, 차를 개선하여 내부운 개선이나

외부수요를 충족시키는데 도움을 수 있으나, 실행을 통해서만 경 성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강한

련성은 가지지 않을 것으로 보았다. 한 이익, 매량 증가, 시장 유, 총자산 증가, 세후 ROA, 세후

ROS, 생산성을 경 성과로 꼽았다. 그러나 복득규․이원희(2008)의 연구에서는 개방형 신이 반드시 성

과를 높이는 것은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개방형 신의 결과물인 제품개발이 매출에 기여하는

데에는 다른 많은 변수가 존재하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으로 단하 다. Sung and Choi(2012)는

의 재무 성과와 창조성에 한 의 지식 리 효과를 한국의 보험회사 65개 매 을 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의 창조성이 재무 성과로 나타나는데 6개월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경제인연합

Page 7: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19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소기업의 창조 역량이 경 성과에 미치는 향 23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회(2013) 조사에 따르면 국내 소기업에서는 창조경 진을 한 내부과제로 신제품/신기술 개발하기

한 기술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는 응답(32.9%)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정책 과제로도 소기업의

R&D자 지원 세제혜택 확 (39.6%)가 가장 많이 조사되었다. 이와 같이 소기업이 창조성 발 을

한 과제로 연구개발에 한 역량강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기업부설연구소는 기업의 내/외부 인 창의

성과 지식을 신으로 연결하는 즉, 실화하는데 직 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단된다. 국내에서는

한국산업기술진흥 회(KOITA)를 통해 일정요건을 충족하는 기업에게 기업부설연구소와 담부서의 설

치를 인증하고 연구개발을 진하고 있으며 세제혜택 등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그러나 지 까지 기업

부설연구소가 기업의 경 성과와 신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창조경 을 해 내부 인 과제로 인식하고 있는 기술역량 강화를 한 담부서인

기업부설연구소의 역할에 해서도 논의하고자 한다. 이상의 선행연구를 요약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선행연구 요약

변수 측정지표 연구자

창조 인재

학사학 이상 인원 규모, 문인력 규모,

직원들의 문제해결 능력, 자기업무 몰입도,

직원의 숙련도, 지식융합

Florida(2011), Woodman et al.(1993), 원유호,

김성은(2011), 김 천(2012)

창조 기법

기업의 비 제시 일 성, 략의 명확성,

보유역량(노하우축 ), 노하우 정보공유,

조직내·외의 네트워크 능력

홍순욱․조근태(2009), 하성호․주성 (2011),

이상묵(2011), 정덕화․김형 (2006), Woodman

et al.(1993), Ekvall(1996), 오형술 외(2008),

안치수 외(2011), Joo et al.(2012), 김 천(2012)

용 문화

실패용인문화, 아이디어 포용문화, 유연한

일정과 시간 리, 업무의

자유도(자율업무비율), 다양한 인력의 구성,

복장의 자율성, 보상체계, 임 결

Ekvall G. (1996), 홍순욱․조근태(2009), 오형술

외(2008), Woodman et al.(1993),

Desrochers(2001), Damanpour(1991),

Ekvall(1996), Joo et al.(2012), 김 천(2012)

연구조직 기업부설연구소 담부서 유무 한국산업기술진흥 회

특허 출원 등록 건수, 논문 발표 건수,

기술보고서 건수, 시제품생산, 공정개선,

품질개선, 생산성 향상, 신제품개발, 내부

변화

홍순욱․조근태(2009), Bremser and

Barsky(2004), 남 호․김병태(2005),

한국 산원(2004), 이완걸(2008), Swann and

Birke(2005), 정덕화․김형 (2006), Woodman et

al.(1993), 정도범 외(2012)

재무

성과

매출액 증가, 비용 감, 이익증 , 시장 유율

Swann and Birke(2005), DTI(2005), Sung and

Choi(2012), 정철호․진고환(2011), Gong et

al.(2013), 정도범 외(2012), 구자 외(2008)

고객

성과거래처 다변화, 내·외부 고객만족, 제품다양화

구자 외(2008), 정덕화․김형 (2006),

DTI(2005), 김 천(2012)

Page 8: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19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24 최 일 용․황 성 원․서 승 한․김 은 정

대구경북연구 제14권 제2호

Ⅲ. 연구모형

1. 연구가설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창조 인재는 자주 인 단을 바탕으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수

행함으로써 조직의 신에 기여한다고 하 다. 한, 조직의 커뮤니 이션 스킬, 조직 내․외의 네트워크

능력 흡수역량 등은 외부의 지식과 내부의 지식의 조합 재활용을 통해 신을 창조한다고 하 다.

한 조직에서 창조 아이디어의 가치와 아이디어 도출할 수 있는 권한 임 등의 용 조직문화는

창조성을 높이는데 기여한다고 하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기업의 창조 역량이 신성과에

정 향을 것으로 단되어 아래와 같이 <가설 1>을 설정한다.

<가설 1> 소기업의 창조 역량은 신성과에 정(+)의 향을 미친다.

<가설 1-1> 소기업의 창조 인재는 신성과에 정(+)의 향을 미친다.

<가설 1-2> 소기업의 창조 기법은 신성과에 정(+)의 향을 미친다.

<가설 1-3> 소기업의 창조 용은 신성과에 정(+)의 향을 미친다.

신은 많은 선행연구에서 기업의 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특히, 특허 등의 지식재산권은

신의 표 인 성과물로 인정되고 있으며, 신을 통해 제품의 신과 로세스 신으로 연결되어 고

객의 다양화와 고객만족 그리고 이를 통한 재무 성과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가설

2>를 설정하고 계를 분석한다.

<가설 2> 소기업의 신 성장은 경 성과에 정(+)의 향을 미친다.

<가설 2-1> 소기업의 신성과는 재무 성과에 정(+)의 향을 미친다.

<가설 2-2> 소기업의 신성과는 고객 성과에 정(+)의 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소기업에게 기업부설연구소의 설치를 극 권장하고 있으며, 세제 혜택과 이를

한 연구개발 과제 등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기업부설연구소가 기업의 신에 미치는 향

에 한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 제조기업에 있어서 기업부설연

구소는 창조 역량이 신에 미치는 향에 조 효과가 있을 것으로 단하여 다음과 같이 <가설 3>을

설정하 다.

<가설 3> 기업부설연구소는 창조 역량이 신성과에 미치는 향에 조 효과가 있다.

<가설 3-1> 기업부설연구소는 창조 인재가 신성과에 미치는 향에 조 효과가 있다.

<가설 3-2> 기업부설연구소는 창조 기법이 신성과에 미치는 향에 조 효과가 있다.

<가설 3-3> 기업부설연구소는 창조 용이 신성과에 미치는 향에 조 효과가 있다.

Page 9: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19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소기업의 창조 역량이 경 성과에 미치는 향 25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2. 연구모형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창조 역량 지표와 신, 경 성과 지표를 도출하고 창조 역량

이 신에 미치는 향 신이 경 성과의 계를 분석한다. 이를 해 구와 경북지역의 소 제조기업

을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설문은 체 3페이지로 구성되며, 기업 일반 황, 창조 특성요인, 신

지표, 경 성과를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WIN 통계 로그램 21.0을 활용하 으며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사용된 척도의 타당도 신뢰도 검사를 해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크론바하 알

(Cronbach's α)를 사용하 다. 둘째, 연구 상자의 인구사회학 특성에 한 빈도와 연구변수에 한

평균과 표 편차 등 기술통계를 사용하 다. 셋째, 설명변수, 매개변수, 반응변수에 한 단순 상 계

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계 회귀분석으로 분석하

다. 이상의 가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모형을 <그림 1>과 같이 도식화하 다.

<그림 1> 연구모형

Ⅳ. 분석 및 가설검정

1. 표본구성 및 신뢰도 분석

가. 표본구성

본 연구의 실증조사를 하여 2015년 1월 15일부터 2015년 3월 6일까지 조사하 고 그 결과 103개의

기업이 응답하 으나, 성실하게 답변하지 않은 2개의 기업을 제외한 101개 설문을 상으로 분석하 다.

응답한 기업 기업부설연구소가 있는 기업은 57개(56.4%)로 기업부설연구소가 없는 기업은 44개(43.6%)

이고 상시근로자의 평균과 표 편차는 21.72±42.66, 특허 실용신안 평균 등록건수는 3.46건으로 조사되

었다.

Page 10: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19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26 최 일 용․황 성 원․서 승 한․김 은 정

대구경북연구 제14권 제2호

<표 2> 표본구성

특 성 빈도(개) 백분율(%)

기업부설연구소

보유

있다 57 56.4

없다 44 43.6

회사 소재지경북 84 83.2

구 17 16.8

상시근로자평균±표 편차

(10% 사평균)21.72±42.66(25.25명)

특허 실용신안 출원건평균±표 편차

(10% 사평균)4.17±5.00(3.6건)

특허 실용신안 등록건평균±표 편차

(10% 사평균)3.46±4.04(3.01건)

나. 타당도․신뢰도 분석

측정지표를 이용하여 유의한 찰결과를 얻으려면 기본 으로 타당성과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타

당성은 측정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나 속성을 어느 정도로 정확하게 측정하 는가를 의미하며,

신뢰성은 측정자가 상을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하고 있는가의 정도를 나타낸다. 즉, 타당성은 측정지표

에 한 정확성에 한 것이고, 신뢰성은 응답에 한 일 성에 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에서는 연구변

수의 타당성과 신뢰성에 한 분석을 실시하 고, 설명변수에 한 측정지표의 타당성 신뢰성 분석은

<표 3>과 같다.

요인의 추출방법은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이용하 고, 요인의 회 방식은 요인

간의 독립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해를 개선하는 배리맥스(Varimax with Kaiser Normalization)방법에 따

른 직각회 (Orthogonal Rotation)방식을 사용하 다. 고유치(eigenvalue) 1.0이상인 요인만 선정하 고,

요인 재치(factor loading)가 ±0.5 이상이면 유의한 변수로 단하고 ±0.5 미만인 항목은 제외하 다.

각 요인변수에 재된 측정지표들은 선행연구에서 이루어진 변수들과 일치하는 것으로 본래 연구자의

의도와 부합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신뢰도 분석은 같은 요인을 구성하는 항목간의 내 일 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Cronbach's α계수

를 이용하여 측정지표의 신뢰성을 평가하 다. 일반 으로 사회과학 연구에서는 Cronbach's α 계수가

0.6 이상이면 신뢰성이 높다고 간주하고 있다. 신뢰성 분석결과 0.630-0.827으로 조사되어 모든 연구변수

가 0.6이상으로 나타나 연구변수에 한 신뢰성을 확보하 다고 볼 수 있다.

Page 11: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19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소기업의 창조 역량이 경 성과에 미치는 향 27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표 3> 설명변수의 타당도·신뢰도 분석

측정지표 평균 요인1 요인2 요인3 Cronbach's α

창조기법

내부의 지식공유 업무 력 3.545 .766 .250 .153

0.827

외부의 지식공유 업무 력 3.416 .763 .301 -.024

정보서비스 제공 3.386 .755 .161 .167

노하우 체계 인 축척 3.327 .734 .091 .196

외부 아이디어 유입 활동 3.465 .728 .442 -.026

직원간 아이디어 유입 활동 3.436 .717 .411 .039

직원간의 노하우 공유 3.782 .673 .294 .280

비 과 략 3.673 .660 .073 .126

용 문화

창조 아이디어 제안을 권장 3.861 .318 .838 -.055

0.826

정조 아이디어 가치 평가 3.990 .413 .807 .013

실패에 한 기업문화 3.228 -.091 .645 .334

권한(업무진행, 처리 등) 임 3.733 .413 .604 .259

유연한 업무시간과 일정부여 3.218 .476 .526 .102

창조 인재

업무 련 문인력 보유 3.446 .371 .035 .692

0.630맡은 업무에 한 충실성 3.584 -.136 .032 .608

석사학 이상 인력 보유 2.500 .199 .124 .562

자기업무에 한 숙련도 4.000 .489 .153 .527

고유값 7.458 1.483 1.298

분산 43.873 8.725 7.638

<표 4> 매개변수와 반응변수의 타당도·신뢰도 분석

측정지표 평균 요인1 요인2 요인3 Cronbach's α

재무성과

시장 유율 증가 3.168 .811 .185 .320

0.878경쟁사 비 제품원가 감 3.366 .760 .309 .308

경쟁사 비 순이익 증가 3.376 .749 .223 .287

경쟁사 비 매출액 증가 3.347 .743 .362 .060

신성과

기술보고서 축척된 자료 증가 3.465 .251 .819 .170

0.827

공정개선이 자주 이루어짐 3.594 .278 .737 .376

품질개선이 자주 이루어짐 3.614 .268 .731 .141

특허출원 등록건수 증가 3.119 .197 .719 -.073

국내외 논문 발표건수 증가 3.238 .164 .636 .234

고객성과

직원들의 만족도가 높음 3.703 .241 .284 .803

0.828거래처는 경쟁사 비 다양함 3.376 .282 -.081 .803

제품과 서비스에 한 고객만족 3.871 .238 .314 .754

제품과 서비스가 경쟁사에 비해 다양함 3.446 .489 .239 .505

고유값 6.980 1.590 1.066

분산 49.858 11.354 7.612

Page 12: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19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28 최 일 용․황 성 원․서 승 한․김 은 정

대구경북연구 제14권 제2호

매개변수와 반응변수에 한 요인분석 결과는 <표 4>와 같고, 요인분석 방법은 설명변수와 마찬가지

로 이론 인 차원을 고려하여 요인 수(number of factors)를 3개로 지정하여 요인을 추출하 고, 요인

재치(factor loading)가 ±0.5 이상이면 유의한 변수로 단하 다. 요인분석 결과 선행연구에서 이루어진

변수들과 일치하는 것으로 본래 연구자의 의도와 부합되는 결과가 도출 되었다. Cronbach's α도

0.827-0.878으로 조사되어 모든 연구변수가 0.6이상으로 나타나 연구변수에 한 신뢰성을 확보하 다고

볼 수 있다.

다. 상 분석

본 연구의 연구변수에 한 평균과 표 편차를 살펴보면 <표 5>와 같고, 연구변수 에서 평균이 가장

높은 것은 용 문화로 평균이 3.61, 표 편차 0.65이고, 재무성과(3.31)가 가장 낮았다. 설명변수, 매개

변수, 반응변수에 한 반 인 련성을 보기 하여 피어슨 상 분석을 하 다.

<표 5>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구 분평균

(표준편차)

창조적

인재창조기법

관용적

문화혁신성과

재무

성과

고객

성과

창조

인재

상 계수 3.38 1        

유의확률 (0.57)          

창조기법상 계수 3.50 .459

**1      

유의확률 (0.62) .000        

문화

상 계수 3.61 .372**

.664**

1    

유의확률 (0.65) .000 .000      

신성과상 계수 3.39 .363** .382** .492** 1  

유의확률 (0.68) .000 .000 .000    

재무성과상 계수 3.31 .281

**.523

**.518

**.605

**1

유의확률 (0.69) .004 .000 .000 .000  

고객성과상 계수 3.60 .294

**.585

**.537

**.495

**.659

**1

유의확률 (0.61) .003 .000 .000 .000 .000  

2. 가설검정

<그림 1> 연구 모형을 증명하기 하여 “창조 인재, 창조기법, 용 문화는 신성과에 정(+)의

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1>을 검정하기 하여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

시하 고, 그 결과는 <표 6>과 같다.

<표 6> 창조적 역량과 혁신성과에 대한 회귀분석

변수 회귀계수표준

오차

표준회귀

계수t값 VIF

설명변수

창조 인재 .242 .115 .204 2.098*

1.282

창조기법 .023 .133 .021 0.175 1.974

용 문화 .419 .120 .402 3.485**

1.807

주 : 1) 반응변수 : 신성과, * : p<0.05 **: p<0.01

2) (수정된 )=0.280(0.257), F값(유의확률)=12.674**(<0.001)

Page 13: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19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소기업의 창조 역량이 경 성과에 미치는 향 29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값은 0.280, F값이 12.674**(p<0.001)로서 유의수 1%에서 회귀식이 유

의미하다. 각 추정된 회귀계수에 한 t값의 유의도를 보면 용 문화에 한 추정된 회귀계수는 0.419(t

값=3.485**)으로 유의수 1%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창조 인재에 한 추정된 회귀계수는

0.242(t값=2.098)*으로 유의수 5%에서 통계 으로 유의하지만, 창조기법은 유의수 5%에서 유의미하

지 않았다. 따라서 창조 인재와 용 문화가 좋을수록 신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설

1인 창조특성은 신성과에 정(+)의 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 부분 으로 채택되어,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매개변수인 신성과가 경 성과에 미치는 인과 계를 알아보기 한 “ 신성과가 경 성과에 정(+)

의 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2>를 검정한 결과는 <표 7> 신성과와 경 성과에 한 회귀분석과

같다.

<표 7> 혁신성과와 경영성과에 대한 회귀분석

변수 회귀계수 표준오차 표준 회귀계수 t값 (F값)

재무성과

(반응변수)

신성과

(설명변수)0.608 0.080 0.605 7.598

** 0.366

(57.73**)

고객성과

(반응변수)

신성과

(설명변수)0.444 0.078 0.495 5.697**

0.245

(32.45**)

주 : * : p<0.05, **: p<0.01

신성과와 재무성과에 한 인과 계를 살펴보면 값은 0.366, F값이 57.73**(p<0.001)로서 유의수

1%에서 회귀식이 유의미하다. 신성과에 한 회귀계수 t값의 유의확률을 보면 추정된 회귀계수

는 0.608(t값=7.598**)로 유의수 1%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성과가 고객성과에 한 회귀분석

결과 추정된 값은 0.245, F값이 32.45**(p<0.001)로서 유의수 1%에서 회귀식이 유의미하고, 신성과

에 한 추정된 회귀계수는 0.444(t값=5.697**)로 유의수 1%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성과

가 높을수록 경 성과(재무성과와 고객성과)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설 2>인 신성과는 경

성과에 정(+)의 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 채택되었다.

기업부설연구소 유무에 따른 조 효과에 한 가설 “기업부설연구소는 창조 인재가 신성과에 미

치는 향에 조 효과가 있다”라는 검증하기 하여 계 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 다. 우선 반응변수인 신성과를 측하는데 있어 창조 인재와 용 문화를 투입하여 회귀

분석을 실시하 고(모델 1), 다음 단계는 조 변수인 기업부설연구소 여부를 투입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

다(모델 2). 그 다음 단계로서 설명변수와 조 변수를 곱하여 변수를 투입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 고

(모델 3), 그 결과는 <표 8>과 같다.

이때 설명변수는 <가설 1>에서 신성과와 유의한 인과 계를 가지는 창조 인재와 용 문화만을

사용하 다. 그리고 설명변수와 조 변수들의 간의 다 공선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하여 평균집 화

(mean centering)를 실시하 다. 모델 1을 살펴보면 창조 인재와 용 문화는 신성과에 한 유의

한 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조 변수인 “기업부설연구소 여부” 한 신성과 유의한

Page 14: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19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30 최 일 용․황 성 원․서 승 한․김 은 정

대구경북연구 제14권 제2호

향을 미치는 설명변수임을 확인하 다.

마지막으로 모델 3을 분석결과 설명변수와 조 변수의 곱으로 생성된 새로운 변수는 유의한 변수로 나

타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계 회귀분석을 통해 도출된 의 증분을 검토해 보면 0.012로 유의성이

없기 때문에 창조특성×기업부설연구소 여부는 회귀식에 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표 8> 기업부설연구소에 대한 조절효과 분석

변수모델 1

회귀계수(t값)

모델 2

회귀계수(t값)

모델 3

회귀계수(t값)

창조 인재 0.232(2.174*) 0.219(2.158

*) 0.347(2.454

*)

용 문화 0.457(4.857**) 0.464(5.178

**) 0.468(3.304

**)

기업부설연구소(조 ) 0.363(3.329**) 0.363(3.320

**)

창조 인재×연구소여부 -0.262(-1.285)

용 문화×연구소여부 0.020(0.109)

F값 21.138** 19.237** 11.876**

0.301 0.373 0.385

△ - 0.072 0.012

△F 유의성 - 11.085**

0.897

주 : 1) 반응변수 : 신성과

2) * : p<0.05, ** : p<0.01

즉 “기업부설연구소 여부”는 조 변수로 작용하기 보다는 하나의 설명변수로 기능한다고 볼 수 있

다. 따라서 기업부설연구소 여부를 더미변수로 두어 회귀분석을 실시하 고 <표 9>는 창조 역량

기업부설연구소와 신성과에 한 회귀분석 결과이다.

<표 9> 창조적 역량 및 기업부설연구소와 혁신성과에 대한 회귀분석

변수 회귀계수 표준오차 t값 (F값)

창조 인재 0.219 0.102 2.16*

0.373

(19.24**)

용 문화 0.464 0.090 5.18**

기업부설연구소(유)0.363

(3.564♀)0.110 -3.33**

기업부설연구소(무)0.000

(3.200♀). .

주 : 1) 반응변수 : 신성과

2) * : p<0.05, ** : p<0.01

3) ♀ : 최소제곱평균(LSMEAN: Least Squares Means)

분석결과 창조 인재, 용 문화 그리고 기업부설연구소 여부는 신성과에 유의한 향을 미치고

있고, 특히 기업부설연구소 여부는 신성과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LSMEAN(Least Squares

Means)는 공변량 효과를 보정한 상태의 신성과의 평균으로 기업부설연구소가 있는 경우 최소제곱평균

(LSMEAN)이 3.564이고, 기업부설연구소가 없는 경우는 최소제곱평균이 3.200로 기업부설연구소가 있는

경우 신성과가 훨씬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Page 15: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19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소기업의 창조 역량이 경 성과에 미치는 향 31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Ⅴ. 연구결과 및 시사점

본 연구의 목 은 경북(구미)와 구 지역의 소 제조업을 상으로 창조역량인 창조 인재, 조직의

창조기법, 조직의 용 문화를 악하여 경 성과와의 계를 규명하여 소기업의 창조 활성화를 통

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기업부설연구소를 조 변수로 두어 기업의 창조성이 경

성과에 미치는 향에 있어서 기업부설연구소의 역할에 해 논의하고자 하 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신성과에는 창조역량 창조 인재, 창조 용 즉 조직의 문화

가 유의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신성과는 경 성과 즉 재무성과와 고객성과에 유의

미한 향을 미쳤고, 특히 고객성과보다는 재무성과에 더 많은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기업부설연구소는 창조계 특성이 신성과에 있어 조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해 계 회귀분

석을 실시하 고, 그 결과 “기업부설연구소 여부”는 조 효과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한인수

(2002)는 조 효과가 있음에도 잘 포착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그 표 인 경우가 표본의 크기라고

지 하고 있다. 표본의 크기가 120이하에서는 간크기나 큰 조 효과가 있어도 포착되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경북(구미)와 구 지역 기업을 상으로 연구하여 표본의 크기가 101개로 조

효과가 있지만 표본의 크기로 인해 포착이 되지 않았다고 단하여 향후 구미 뿐 아니라 지역을 넓

조사할 필요가 있다. 네 번째, 본 조사에서는 조 효과를 분석하기 어려움이 있어 기업부설연구소 여부를

더미변수로 두어 회귀부석을 실시하 다. 그 결과 신성과에 기업부설연구소 여부가 유의미한 설명을

하고, 특히 기업부설연구소가 있는 경우 신성과가 훨씬 높음을 확인하 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에서 시사 을 가진다. 첫째, 창조 인재와 용 문화는 신에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창조경제를 표하는 SW, 콘텐츠 등의 창조산업뿐만 아니라

소제조기업에 있어서도 창조 역량이 경 성과를 높이는 요인으로 리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해서

는 조직 내에 업무 련 문성을 보유하고 있는 인재의 확충과 기존인력의 문성 강화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단된다. 한 이들에 한 권한과 책임을 부여함으로써 업무에 한 충실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용 문화는 창조성을 더욱 활발히 산출하고 공유할 수 있는 동인을 제공할 것으로

기 된다. 따라서 기업에서는 아이디어의 제안과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도 인 조직문화를 형성함으로

써 신성과를 높일 수 있다. 다만 창조기법은 신성과에 유의한 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부설연구소의 유무는 창조 역량이 신에 미치는 향에 조 효과는 무의미하게 나타났으

나, 추가 인 분석을 통해 신성과에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 많은 소기업들이

정부의 연구개발 참여 세제 등의 혜택을 해 설치하고 있으나, 본 연구결과에 따라 소기업에서는

신과 경 성과를 높이기 해 기업부설연구소의 극 활용이 기 되며, 연구개발 인력의 확보를 통

한 이공계 인력 고용측면에서도 사회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 된다.

셋째, 신성과는 경 성과에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성과는 고객성과 보다는 재무성과

에 더 많은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부분의 소기업이 제품의 다양화와 서비스 개선보

다는 생산성향상 원가 감을 한 신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기 때문으로 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소기업에서는 문성 특히 신을 한 R&D 문인력의 확보와 문성 향상을 한 내외

Page 16: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19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32 최 일 용․황 성 원․서 승 한․김 은 정

대구경북연구 제14권 제2호

부의 다양한 교육 로그램을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기업부설연구소를 설치하여 기업부설

연구소에서 도출되는 다양한 아이디어에 한 공유와 확산 그리고 권한과 책임의 임을 통해 도 인

장 용을 한다면 신성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경 성과로 나타날 것이다. 특히 본 연구

를 통해 소기업이 기업부설연구소가 신성과에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 까지 정부의 지원정

책에 한 필요성이 증명되었으며, 소기업에서 기업부설연구소를 설치해야 하는 이유를 더욱 명확히

하 다.

본 연구는 이상의 시사 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에서 한계를 가진다. 첫째, 기업의 창조 역량

창조 기법은 신성과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한 소기업의

특성상 정보기술의 용과 조직의 외부네트워크의 내재화 재활용에 어려움이 크기 때문으로 단된다.

둘째, 기업부설연구소의 설치 유무는 창조 역량이 신성과에 미치는 향에 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상되었으나, 조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앞서 언 한 바와 같이 풍부한 표본의 수를 확보하지

못한 결과로 단된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풍부한 표본을 확보하여 기업 등 기업규모와 지역에

따라 창조 역량이 신 경 성과에 미치는 향과 기업부설연구소의 유무가 창조 역량이 신성

과에 조 효과가 있는지를 악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응답업체의 업력 등에 따라 결과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통제변수로 설정하고 분석되어야 하나 설문문항이 락되어 있어 추가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한계 을 가지고 있다.

참 고 문 헌

김 천, 2012, “창조경 수 진단 시스템 개발에 한 연구”, 한양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정철호․진고환, 2011, “기술 신 유형에 따른 시장지향성과 창조성이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향: 지역

기업을 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9): 3869-3877.

정덕화․김형 , 2006, “신제품개발 조직특성이 신제품 창조성과 개발성과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 「마

과학연구」, 16(2): 109-132.

정도범․고윤미․김경남, 2012, “ 소기업의 산학연 연구개발(R&D) 력과 기업 성과 분석”, 「기술 신연구」,

20(1): 115-140.

하성호․주성 , 2011, “지식경 의 일환인 창조성 경 : 기업의 디지털창의성을 고양하는 요인 탐색”, 「인터넷

자상거래연구」, 11(1): 101-125.

이상묵, 2011, “조합역량을 통한 창조 신의 달성”, 「 한경 학회지」, 24(1): 487-505.

오형술․성백서․김선민, 2008, “창조성 발 경 을 한 성과지표에 한 탐색 연구”, 「 한안 경 과학회

지」, 10(2): 61-70.

원유호․김성은, 2011, “도시의 창조 인력ㆍ기반ㆍ 용이 수도권 창조산업의 성장에 미치는 향”, 「서울도시

연구」, 12(4): 175-190.

Page 17: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19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소기업의 창조 역량이 경 성과에 미치는 향 33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안치수․이 덕, 2011, “우리나라 개방형 신활동의 향요인에 한 실증분석 연구”, 「기술 신학회지」,

14(3): 431-465.

복득규․이원희, 2008, “한국 제조업의 개방형 기술 신 황과 효과 분석”,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진 ․강우란․조 국, 2012, “기업 내의 조직창의성 모델”, 「SERI 연구보고서」.

한인수, 2002, “조 회귀분석의 통계 검정력에 한 연구”, 「노사 계연구」, 13: 143-161.

국경제인연합회, 2013, “창조경 에 한 소기업의 수요 인식조사 결과”, www.fki.or.kr.

Amabile, T. M., 1996, Creativity in Context, Westview Press.

Amabile, T. M., Conti, R., Coon, H., Lazenby, J. and Herron, M., 1996, “Assessing the Work Environment

for Creativity”, Acadmy of Management Journal, 39(5): 1154-1184.

Andrews, F. M., 1979, Scientific Productivity,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Damanpour, F., 1991, “Organizational Innovation: A Meta-analysis of Effect of Determinants and

Moderator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4(3): 555-590.

DTI, 2005, “Creativity, Design and Business Performance”, DTI Economics Paper 15, November, UK.

Desrochers, P., 2001, “Local Diversity, Human Creativit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Growth and

Change, 32: 369-394.

Ekvall G., 1987, “The Climate Metaphor in Organizational Theory”, in B. M. Bass and P. J. D. Drenth (eds),

Advances in Organizational Psychology, Beverly Hills: Sage, 177-190.

Ekvall G., 1991,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Idea Management: A Creative Climate for the Management

of Ideas”, in J. Henry & D. Walker (eds.) Managing Innovation, London: Sage, 73-79.

Ekvall G., 1996, “Organisational Climate for Creativity and Innovation”,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sational Psychology, 5(1): 105-123.

Ekvall G., 1999, “Creative Climate”, in M. A. Runco and S. R. Pritzker (eds.) Encyclopedia of Creativity,

Volume 1, San Diego: Academic Press, 403-412.

Florida. R., 2002,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New York: Basic Books.

Gong, Y., Zhou, J. and Chang, S., 2013, “Core Knowledge Employee Creativity And Firm Performance: The

Moderating Role Of Riskiness Orientation, Firm Size, And Realized Absorptive Capacity”, Personnel

Psychology, 66: 443-482.

Hong, C. S. and Jung, J. H., 2012, “Technology Innovation in Korea Manufacturing Firms: Intra-Firm

Knowledge Dffusion and Marketing Strategy in Patent Production”,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1: 50-70.

Harvard Business Essentials, 2003, Managing Creativity And Innovati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Herrmann, D. and Felfe, J., 2012, “Effects of Leadership Style, Creativity Technique and Personal Initiative

on Employee Creativity”, British Journal of Management, 1-19.

Joo, B. K., Song, J. H., Lim, D. H. and Yoon, S. W., 2012, “Team Creativity: the Effects of Perceived

Page 18: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의 창조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19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34 최 일 용․황 성 원․서 승 한․김 은 정

대구경북연구 제14권 제2호

Learning Culture, Developmental Feedback and Team Cohe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16(2): 77-91.

Kogut, B. and Zander, U., 1992, “Knowledge of the Firm, Combinative Capabilities, and the Replication of

Technology”, Organization Science, 3(3): 383-397.

Kotabe, M., Jiang, CX. and Murray J. Y., 2011, “Managerial Ties, Knowledge Acquisition, Realized

Absorptive Capacity and New Product Market Performance of Emerging Multinational Companies: A

case of China”, Journal of World Business, 46: 166-176.

Lee, S., Florida, R. and Acs, Z., 2004, “Creative and Entrepreneurship: A Regional Analysis of New Firm

Formation”, Regional Studies, 38(8): 879-891.

Lee, S., Florida, R. and Gates, G., 2002, “Innovation, Human, Capital, and Creativity: Software Industry

Center Working Paper”, Carnegie Mellon University, Pittsburgh.

Martin, H. and Parboteeah, K. P., 2007, “Creative in Innovative Projects: How Teamwork Matters”, Journal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Management, 24:148-166.

Meliciani, V.,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Patents: a Panel Data Analysis”,

Applied Economics, 32(11): 1429-1437.

Mumford, M. D., Scottt, G. M., Gaddis, B. and Strange, J. M., 2002, “Leading Creative People: Orchestrating

Expertise and Relationships”, Leadership Quarterly, 13: 705-750.

Nonaka, I. and Takeuchi, H., 1995, The Knowledge Creating Compan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Sung, S. and Choi, J., 2012, “Effects of Team Knowledge Management on the Creativ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Team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118:

4-13.

Swann, P. and Birke, D., 2005, How do Creativity and Design Enhance Business Performance? A

framework for interpreting the Evidence: DTI Think Piece, University of Nottingham Business

School.

Taylor, A. and Greve, H. R., 2006, “Superman or the Fantastic Four? Knowledge Combination and

Experience in Innovative Team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9: 723-740.

Woodman, R. W., Sawyer, J. E. and Griffin, R. W., 1993, “Toward a theory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2): 293-321.

Luecke, R., 2003, “Managing Creativity and Innovation: Harvard Business Essentials”,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Boston, Massachusetts.

논문 수일:2015. 08. 28, 심사완료일:2015. 10. 13, 최종원고:2015. 10.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