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48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49, No. 4, pp. 25~71, 2010. < 요 약 > 본 연구에서는 1989년부터 2010년 까지 22년 동안 국내에서 이루어진 ADHD의 지원에 관한 연구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선정된 논문 총 366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ADHD에 관한 연도별 연구 분포는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학술지별 연구 분포에서 「정서ᆞ행동장애연구」 , 연구 분야에서는 사회분야, 지원유형에서는 교육지원, 연구유형에서는 조사연구, 연구 주제에서는 진단 및 평가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 유형에서는 ADHD, 연구 대상 연령은 초등, 연구 대상자 수는 1~10명, 연구 대상자 성별비는 남자대 여자가 5.8:1, 진단 및 측정 도구는 전문의사, 자료 처리는 통계, 단일대상설계는 AB설계, 중재전략은 미술치료, 중재기간은 11~20회기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핵심어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동향, 분석지표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Supporting Trend of ADHD 김 민 동 * Kim, Min Dong . 서 현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이하 ADHD)는 미국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편람(DSM-IV-TR; APA, 2000) 유아기, 소아기, 청소년기에 흔히 진단되는 장애의 범주에 속해 진단 되고 있으며, 아형으로 ADHD 복합형, ADHD 주의력결핍 우세형, ADHD 과잉 행동-충동성 우세형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을 보이는 ADHD의 우리 * 광주여자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교수 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Kwangju Women's University

Upload: others

Post on 25-Feb-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Vol. 49, No. 4, pp. 25~71, 2010.

< 요 약 >

본 연구에서는 1989년부터 2010년 까지 22년 동안 국내에서 이루어진 ADHD의 지원에 관한 연구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선정된 논문 총 366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ADHD에 관한 연도별 연구 분포는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학술지별 연구 분포에서 「정서ᆞ행동장애연구」, 연구 분야에서는 사회분야, 지원유형에서는 교육지원, 연구유형에서는 조사연구, 연구 주제에서는 진단 및 평가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 유형에서는 ADHD, 연구 대상 연령은 초등, 연구 대상자 수는 1~10명, 연구 대상자 성별비는 남자대 여자가 5.8:1, 진단 및 측정 도구는 전문의사, 자료 처리는 통계, 단일대상설계는 AB설계, 중재전략은 미술치료, 중재기간은 11~20회기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핵심어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동향, 분석지표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Supporting Trend of ADHD

김 민 동*

Kim, Min Dong

Ⅰ. 서 론

현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이하 ADHD)는 미국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편람(DSM-IV-TR;

APA, 2000) 유아기, 소아기, 청소년기에 흔히 진단되는 장애의 범주에 속해 진단

되고 있으며, 아형으로 ADHD 복합형, ADHD 주의력결핍 우세형, ADHD 과잉

행동-충동성 우세형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을 보이는 ADHD의 우리

* 광주여자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교수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Kwangju Women's University

Page 2: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9倦 第4號)

- 26 -

나라 연구의 시작은 의료분야에서 “주의력 결핍-과잉운동장애의 deanol치료

사례보고(이혜련, 오경자, 1988)”, 교육분야에서 “주의산만 및 충동적 아동에

대한 인지적 자기통제훈련의 효과(양명희, 1989)” 연구 이후, ADHD에 관한 수

많은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렇게 발표된 연구들을 종합하여 보고하고 있는 연구들로써 국내에서 발표된

ADHD에 관한 연구동향의 논문들은 총 5편이었다(박현숙, 2000; 편도원, 곽승

철, 2008; 권명옥, 2008; 김민동, 2008; 김동일 등, 2009). 박현숙(2000)은

ADHD 아동을 위한 교육중재 효과 연구의 동향과 과제에 대한 연구로서 교육적

중재에 초점을 맞추어 24편의 논문을 분석하였으며, 편도원, 곽승철(2008)은

ADHD 아동의 교육ᆞ행동중재 관련연구 분석으로 1989~2007년에 해당하는

논문 68편을 분석하였으며, 권명옥(2008)은 ADHD의 연구동향을 국내 정서행

동장애 전문지에 초점을 맞추어 17편을 분석하였으며, 김민동(2008)은 한국학

술진흥재단 등재(후)지로 지정된 특수교육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43편에 대해

서 분석하였으며, 김동일 등(2009)은 1999~2008년에 발표한 ADHD관련 박사

학위 논문 및 학술논문 294편을 분석하였다.

위에 제시한 문헌연구들은 분석논문의 시간적, 범주적 제약성과 다양한 메타

분석의 기준들이 교육적 지원에 제한되어 있었다. 따라서 ADHD 학생의 실질적

지원을 위해 보다 광범위한 영역의 분석과 다양한 분석의 기준들에 의한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들은 ADHD 학생 개개인의 삶의 질을 위

하여 의료적 지원, 가족지원, 교육지원 등 다양한 연구영역에서 재조명될 것이

며, 미래연구에지표가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체적으로 ADHD 관련 지원에 대한 연구 동향을 알아보

고, 향후 연구의 지표를 제시한다.

Ⅱ.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논문

ADHD의 지원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의 포함준거와 제외준거의 기준에

따라 분석논문을 선정하였다.

분석논문 선정의 포함준거로써 첫째, 국내 주요 논문 검색사이트인 국회도서관

(www.dbpia.co.kr), 한국교육학술정보원(www.riss.kr), (주)누리미디어(www.dbpia.

co.kr), 과학기술정보통합서비스(scholar.ndsl.kr)에서 핵심단어로 검색하였다.

Page 3: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27 -

둘째, 핵심단어인 “ADHD”,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주의력결핍ᆞ과잉행동”, “주의력결핍”, “주의산만”, “과잉행동”, “충동성”을

조합하여 검색하였다. 셋째, 학술지만을 대상으로 총 963편을 검색하였다.

분석논문 선정의 제외준거로써 첫째, 학술지 이외의 학술발표 논문은 제외하

였다. 둘째,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후보)지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제외하였다. 셋

째, ADHD 경향성에 관한 논문은 제외하였다. 넷째, 2010년 8월 31일까지 발

표된 논문으로 제한하였다.

위의 기준에 따라 선정된 최종 분석 논문은 366편이며, 연도별 발표 논문 수

는 <표 2-1>, <그림 2-1>과 같다.

<표 2-1> ADHD 관련 논문 연도별 발표 수

구 분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논문 수 1 2 7 2 5 2 5 7 7 13 9 10

구 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계

논문 수 21 13 28 25 27 18 37 31 42 40 14 366

* 2010년 1월 1일부터 8월 31일 까지 적용

<그림 2-1> 연도별 발표 논문 수

Page 4: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9倦 第4號)

- 28 -

2. 분석 기준

ADHD 지원 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박현숙, 2000; 편도원, 곽승

철, 2008; 권명옥, 2008; 김민동, 2008; 김동일 등, 2009)를 근거하여 확장하

였으며 구체적인 분석기준은 <표 2-2>와 같다.

<표 2-2> 분석기준

구분 분석 기준

학술지별 분포

가족과 문화, 교육과학연구, 교육학연구, 기독교교육정보, 놀이치료연구, 대한가정학회지, 대한소아신경학회지, 대한작업치료학회지, 대한정신약물학회지, 대한핵의학회지,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문학치료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미술치료연구, 방사선기술과학, 보건교육ᆞ건강증진학회지, 사고개발, 사회과학연구, 상담학연구, 생물치료정신의학,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신경정신의학, 아동간호학회지, 아동교육, 아동학회지, 아시아교육연구, 언어청각연구, 언어치료연구, 열린교육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유아교육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정서ᆞ행동장애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중복ᆞ지체부자유연구, 지적장애연구, 초등교육연구, 최신의학, 통합교육연구, 특수교육, 특수교육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특수교육학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학습장애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한국가족복지학,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한국놀이치료학회지, 한국사회체육학회지, 한국생활과학회지,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한국영양학회지, 한국영유아보육학, 한국음악치료학회지, 한국임상약학회지, 한국체육과학회지, 한국체육교육학회지, 한국특수체육학회지,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연구 분야 사회, 복합학, 예술체육, 의약학, 인문, 자연지원 유형 가족지원, 교육지원, 의료지원, 가족+교육+의료지원연구 유형 도구개발연구, 문헌연구, 문화기술적연구, 발달연구, 사례연구, 실험연구, 조사연구

연구 주제문제행동개선, 사회문화적접근, 사회적 상호작용, 약물효과, 양육환경, 원인 및 출현율, 인지, 언어, 행동특성, 인지기능수행, 전반적 특성, 정서지수향상, 중재방법, 진단 및 평가, 프로그램개발, 학업

연구 대상

유형

ADHD / ADHD+타 장애 / ADHD, 타 장애 / ADHD, 비장애 / ADHD, 부모 / ADHD, ADHD+타 장애 / ADHD, 타 장애, 비장애 / ADHD, ADHD+타 장애, 비장애 / ADHD, ADHD+타 장애, 타 장애 / ADHD, ADHD+타 장애, 타 장애, 비장애 / ADHD, 부모, 비장애 / 일반교사 / 비장애 / 부모 / 부모, 일반교사 / 기타

연령 유, 초, 중, 고, 대학생, 성인, 유+초, 유+초+중, 초+중, 미제시수 ADHD 대상자 수, 미제시

성별 ADHD 성별 수, 미제시

진단 및 측정 도구

SSQ계열(SSQ, SSQ-R), SANP계열(SNAP, SANP-IV), K-SADS-PL, HSQ계열(HSQ, HSQ-R), CRS계열(ACRS, ACPRS, ACTRS, ACPRS-R, ACTRS-R, CTRS, CPRS, CTRS-R, CPRS-R, K-CAARS, CASS(S), lowa 코너스척도), ARS계열(ARS, K-ARS), ACTeRS계열(ACTeRS, ACTeRS-R), 전문의사, DSM계열(DSM-III-R, DSM-IV, DSM-IV-TR), CPT, ADS, ADDES-HV, WCST, T.O.V.A., MFFT, CAP, Kims 아동용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SST, ADHD-SC4, WWPARS, YCI, GDS, KADHDDS, TMT, ADD-H, ASQ, BIS, Stroop Test, 기타(ADHD 아동용 척도, AMT, CNT, DBDRS, FAIR 주의집중력검사, Go no Go, K-ADHDT, K-YAQ-I, LPS-C, VMT, 뉴로하모니 M 측정기, 부모면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평정척도(학생용), 주의력결핍-과잉행동문제검사지, 주의집중력검사, 주의평정 척도, 청소년자기행동평가척도의 하위척도인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척도, ADHD 아동에 대한 임상면접지)

자료 처리질적분석, 통계, 사전, 사후, 단일대상실험설계(AB설계, ABAB설계, 교대중재설계, 중다기초선설계, 조건변동설계)

중재전략감각통합치료, 놀이치료, 동작치료, 문학치료, 미술치료, 병합지원, 부모훈련, 사회성기술훈련, 약물치료, 언어치료, 원예치료, 음악치료, 인지-행동수정, 작업치료, 집단상담, 청각통합훈련, 학업기술, 행동수정, 활동중심

중재기간 10회기 이하, 11~20회기, 20~30회기, 30회기 이상

Page 5: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29 -

Ⅲ. 연구 결과

ADHD의 지원동향에 관한 연구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학술지별 연구 분포, 연구

분야, 지원유형, 연구 주제, 연구 대상, 진단 도구, 자료 처리, 중재전략, 중재기

간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학술지별 연구 분포 분석

학술지별 ADHD에 관한 연구 분포는 <표 3-1>과 같다.

<표 3-1> 학술지별 연구 분포

학술지 명칭 분야 논문수 학술지 명칭 분야 논문수

가족과문화 사회 1 정서ᆞ행동장애연구 사회 57

교육과학연구 사회 2 정신간호학회지 의약학 3

교육학연구 사회 2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사회 1

기독교교육정보 인문 1 중복ᆞ지체부자유연구 사회 1

놀이치료연구 의약학 6 지적장애연구 사회 2

대한가정학회지 자연 2 초등교육연구 사회 3

대한소아신경학회지 의약학 2 최신의학 의약학 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의약학 2 통합교육연구 사회 1

대한정신약물학회지 의약학 11 특수교육 사회 1

대한핵의학회지 의약학 1 특수교육연구 사회 2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자연 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사회 3

문학치료연구 인문 1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사회 1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사회 2 특수교육학연구 사회 3

미술치료연구 예술체육 8 특수아동교육연구 사회 13

방사선기술과학 의약학 2 학습장애연구 사회 5

보건교육ᆞ건강증진학회지 의약학 1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자연 1

사고개발 사회 2 한국가족복지학 복합학 1

사회과학연구 사회 1 한국가족복지학 사회 1

상담학연구 사회 7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인문 4

생물치료정신의학 의약학 14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의약학 3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의약학 42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예술체육 1

신경정신의학 의약학 48 한국생활과학회지 자연 1

아동간호학회지 의약학 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예술체육 1

Page 6: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9倦 第4號)

- 30 -

아동교육 사회 4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자연 1

아동학회지 자연 3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복합학 45

아시아교육연구 사회 2 한국영양학회지 자연 2

언어청각연구 사회 4 한국영유아보육학 사회 1

언어치료연구 사회 1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예술체육 1

열린교육연구 사회 3 한국임상약학회지 의약학 1

열린유아교육연구 사회 2 한국체육과학회지 예술체육 1

예술심리치료연구 사회 3 한국체육교육학회지 사회 1

유아교육연구 사회 2 한국특수체육학회지 사회 1

유아특수교육연구 사회 1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의약학 2

계 366

학술지별 연구 분포 분석 결과, 「정서ᆞ행동장애연구」 57(15.6%)편, 「신경

정신의학」 48(13.1%)편,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45(12.3%)편, 「소아ᆞ청소년

정신의학」 42(11.5%)편, 「생물치료정신의학」 14(3.8%)편,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4(3.8%)편, 「특수아동교육연구」 13(3.6%)편, 「대한정신약물

학회지」 11(3.0%)편, 「미술치료연구」 8(2.2%)편 순으로 나타났다.

2. 연구 분야별 분석

ADHD를 위한 연구 분야는 자연, 인문, 의약학, 예술, 체육, 사회, 복합학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표 3-2>, <그림 3-1>과 같다.

11

6

142

12

149

46

0

50

100

150

자연

인문

의약학

예술체육

사회

복합학

<표 3-2> 연구 분야

(단위 : 편, %)

구 분 논문 수

자연 11(3.0)

인문 6(1.6)

의약학 142(38.8)

예술체육 12(3.3)

사회 149(40.7)

복합학 46(12.6)

계 366(100) <그림 3-2> 연구 분야

Page 7: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31 -

연구 분야에 대한 분석 결과 사회분야 149(40.7)편, 의약학 142(38.8)편,

복합학 46(12.6), 예술체육 12(3.3)편, 자연 11(3.0)편, 인문 6(1.6)편 순으로

나타났다.

3. 지원 유형별 분석

ADHD를 위한 지원 유형은 가족지원, 교육지원, 의료지원, 가족+교육+의료지

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표 3-3>, <그림 3-2>와 같다.

32

184150

0

50

100

150

200

가족지원

교육지원의료지원

<표 3-3> 지원 유형

(단위 : 편, %)

구 분 논문 수

가족지원 32(8.7)

교육지원 184(50.3)

의료지원 150(41.0)

계 366(100) <그림 3-2> 지원 유형

지원유형에 따른 분석 결과, 교육지원 184(50.3)편, 의료지원 150(41.0), 가

족지원 32(8.7)편 순으로 나타났다.

4. 연구 유형별 분석

ADHD를 위한 연구유형들은 도구개발연구, 문헌연구, 문화기술적연구, 발달연

구, 사례연구, 실험연구, 조사연구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표 3-4>, <그림

3-3>과 같다.

Page 8: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9倦 第4號)

- 32 -

<표 3-4> 연구 유형

(단위 : 편, %)

구 분 논문 수

도구개발연구 12(3.3)

문헌연구 45(12.3)

문화기술적연구 5(1.4)

발달연구 1(0.3)

사례연구 22(6.0)

실험연구 103(28.1)

조사연구 178(48.6)

계 366(100) <그림 3-3> 연구 유형

연구유형에 대한 분석 결과, 조사연구 178(48.6)편, 실험연구 103(28.1)편,

문헌연구 45(12.3)편, 사례연구 22(6.0)편, 도구개발연구 12(3.3)편, 문화기술

적연구 5(1.4)편, 발달연구 1(0.3)편 순으로 나타났다.

5. 연구 주제별 분석

연구 주제들은 문제행동개선, 사회문화적접근, 사회적 상호작용, 약물효과, 양

육환경, 원인 및 출현율, 인지, 언어, 행동특성, 인지기능수행, 전반적 특성, 정서

지수향상, 중재방법, 진단 및 평가, 프로그램개발, 학업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

과 <표 3-5>, <그림 3-4>와 같다.

Page 9: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33 -

<표 3-5> 연구 주제

(단위 : 편, %)

구 분 논문 수

문제행동개선 64(17.5)

사회 문화적 접근 25(6.8)

사회적 상호작용 14(3.8)

약물효과 34(9.3)

양육환경 11(3.0)

원인 및 출현율 34(9.3)

인지,언어,행동특성 47(12.8)

인지기능수행 17(4.6)

전반적 특성 6(1.6)

정서지수향상 3(0.8)

중재방법 16(4.4)

진단 및 평가 69(18.9)

프로그램개발 4(1.1)

학업 22(6.0)

계 366(100) <그림 3-4> 연구 주제

연구 주제에 대한 분석 결과, 진단 및 평가 69(18.9)편, 문제행동개선 64

(17.5)편, 인지. 언어. 행동특성 47(12.8)편, 약물효과 34(9.3)편, 원인 및 출현

율 34(9.3)편, 사회문화적 접근 25(6.8)편, 학업 22(6.0)편, 인지기능수행 17

(4.6)편, 중재방법 16(4.4)편, 사회적 상호작용 14(3.8)편, 양육환경 11(3.0)

편, 전반적 특성 6(1.6)편, 프로그램개발 4(1.1)편, 정서지수향상 3(0.8)편 순

으로 나타났다.

6. 연구 대상 분석 결과

연구 대상별 분석은 문헌연구와 발달연구를 제외하고 도구개발연구, 문화기술

적연구, 사례연구, 실험연구, 조사연구 총 320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

며, 대상 유형, 대상 연령, 대상자 수, 대상성별에 대해 분석하였다.

Page 10: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9倦 第4號)

- 34 -

1) 대상 유형별 분석

연구 유형별 분석은 ADHD / ADHD+타 장애 / ADHD, 타 장애 / ADHD,

비장애 / ADHD, 부모 / ADHD, ADHD+타 장애 / ADHD, 타 장애, 비장애 /

ADHD, ADHD+타 장애, 비장애 / ADHD, ADHD+타 장애, 타 장애 / ADHD,

ADHD+타 장애, 타 장애, 비장애 / ADHD, 부모, 비장애 / 일반교사 / 비장애

/ 부모 / 부모, 일반교사 / 기타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표 3-6>과 같다.

<표 3-6> 대상 유형 (단위 : 편, %)

구 분 논문 수

ADHD 126(39.4)

ADHD+타 장애 4(1.3)

ADHD, 타 장애 10(3.1)

ADHD, 비장애 78(24.4)

ADHD, 부모 17(5.3)

ADHD, ADHD+타 장애 4(1.3)

ADHD, 타 장애, 비장애 10(3.1)

ADHD, ADHD+타 장애, 비장애 6(1.9)

ADHD, ADHD+타 장애, 타 장애 4(1.3)

ADHD, ADHD+타 장애, 타 장애, 비장애 3(0.9)

ADHD, 부모, 비장애 2(0.6)

일반교사 8(2.5)

비장애 27(8.4)

부모 7(2.2)

부모, 일반교사 2(0.6)

기타 12(3.8)

계 320(100)

대상 유형별 분석 결과, ADHD 126(39.4)편, ADHD, 비장애 78(24.4)편,

비장애 27(8.4)편, ADHD, 부모 17(5.3)편, 기타 12(3.8)편, ADHD, 타 장애

10(3.1)편, ADHD, 타 장애, 비장애 10(3.1)편 순으로 나타났다.

Page 11: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35 -

2) 연구 대상 연령별 분석

연구 대상 연령별 분석은 유, 초, 중, 성인, 유+초, 유+초+중, 유+초+중+고,

초+중, 초+중+고, 초+중+고+성, 기타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표 3-7>,

<그림 3-5>와 같다.

183

32

31

22

20

1376

3

2

1

0

50

100

150

200

기타

유+초

초+중

유+초+중중

초+중+고

유+초+중+고

초+중+고+성

<표 3-7> 대상 연령

(단위 : 편, %)

구 분 논문 수유 31(9.7)초 183(57.2)중 7(2.2)

성인 6(1.9)유+초 22(6.9)

유+초+중 13(4.1)유+초+중+고 2(0.6)

초+중 20(6.3)초+중+고 3(0.9)

초+중+고+성 1(0.3)기타 32(10.0)계 320(100) <그림 3-5> 대상 연령

연구 대상 연령별 분석 결과, 초 183(57.2)편, 기타 32(10.0)편, 유 31(9.7)편,

유+초 22(6.9)편, 초+중 20(6.3)편, 유+초+중 13(4.1)편, 중 7(2.2)편, 성인

6(1.9)편 순으로 나타났다.

3) 연구 대상자 수 분석

연구 대상자 수 분석은 총 분석논문 366편 중 문헌연구와 발달연구를 제외하

고 도구개발연구, 문화기술적 연구, 사례연구, 실험연구, 조사연구 총 320편에서

ADHD를 대상으로 하지 않은 논문 44편을 제외한 276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표 3-8>과 같다.

연구 대상자 수 분석 결과, 1~10명 80(29.0)편, 11~20명 54(19.6)편, 51~

100명 37(13.4)편, 21~30명 36(13.0)편, 31~40명 27(9.8)편, 41~50명

17(6.2)편, 200명 이상 13(4.7)편, 101~200명 12(4.3)편 순으로 나타났다.

Page 12: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9倦 第4號)

- 36 -

<표 3-8> 연구 대상자 수 (단위 : 편, %)

구 분 논문 수 구 분 논문 수

1명 25(9.1) 21~30명 36(13.0)

2명 11(4.0) 31~40명 27(9.8)

3명 17(6.2) 41~50명 17(6.2)

4명 3(1.1) 51~100명 37(13.4)

5~10명 24(8.7) 101~200명 12(4.3)

11~20명 54(19.6) 200명 이상 13(4.7)

계 276(100)

4) 연구 대상자 성별 분석

연구 대상자 수 분석은 총 분석논문 366편 중 문헌연구와 발달연구를 제외하

고 도구개발연구, 문화기술적 연구, 사례연구, 실험연구, 조사연구 총 320편에서

ADHD를 대상으로 하지 않은 논문 44편을 제외한 276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표 3-9>와 같다.

<표 3-9> 연구 대상자 성별 (단위 : 편, 명, %)

구 분 논문 수 구 분 인원 수

남 67(24.3) 남 6,983(85.2)명

여 4(1.4) 여 1,211(14.8)명

남ᆞ여 118(42.8) 소계 8,194(100.0)명

미구분 87(31.5) 미구분 4,450명

계 276(100.0) 총원 12,644명

연구 대상자 성별 분석 결과, 남ᆞ여 118(42.8)편, 미구분 87(31.5)편, 남

67(24.3)편, 여 4(1.4)편 순으로 나타났고, 성별 연구 대상자 인원을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자 총 인원은 12,644명이었으며, 성별 비를 알아보기 위해 남ᆞ

여 구분을 하지 않은 논문 87편에 해당하는 4,450명을 제외한 189편의 8,194

명에 대해 남 6,983(85.2)명, 여 1,211(14.8)명으로 남: 여의 비는 5.8:1로 나

타났다.

Page 13: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37 -

7. 진단 및 측정 도구 분석 결과

진단 및 측정 도구 분석은 문헌연구 45편을 제외하고 도구개발연구, 문화기술적

연구, 발달연구, 사례연구, 실험연구, 조사연구 321편 중 미제시한 23편의 논문

을 추가적으로 제외한 논문 298편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사용된 진단 및 평가

도구는 SSQ계열(SSQ, SSQ-R), SANP계열(SNAP, SANP-IV), K-SADS-PL,

HSQ계열(HSQ, HSQ-R), CRS계열(ACRS, ACPRS, ACTRS, ACPRS-R,

ACTRS-R, CTRS, CPRS, CTRS-R, CPRS-R, K-CAARS, CASS(S), lowa

코너스척도), ARS계열(ARS, K-ARS), ACTeRS계열(ACTeRS, ACTeRS-R),

전문의사, DSM계열(DSM-III-R, DSM-IV, DSM-IV-TR), CPT, ADS, ADDES

-HV, WCST, T.O.V.A., MFFT, CAP, Kims 아동용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

리검사, SST, ADHD-SC4, WWPARS, YCI, GDS, KADHDDS, TMT, ADD-

H, ASQ, BIS, Stroop Test, 기타(ADHD 아동용 척도, AMT, CNT, DBDRS,

FAIR 주의집중력검사, Go no Go, K-ADHDT, K-YAQ-I, LPS-C, VMT,

뉴로하모니 M 측정기, 부모면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평정척도(학생용), 주의

력결핍-과잉행동 문제검사지, 주의집중력검사, 주의평정 척도, 청소년자기행동

평가척도의 하위척도인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척도, ADHD 아동에 대한 임상면접

지)로 구분하여 사용한 빈도를 분석한 결과 <표 3-10>과 같다.

<표 3-10> 진단 및 측정 도구 (단위 : 회, %)

구 분 사용 빈도 구 분 사용 빈도

SSQ계열 3(0.4) CAP 5(0.7)

SANP계열 12(1.7)Kims 아동용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5(0.7)

K-SADS-PL계열 10(1.4) SST 5(0.7)

HSQ계열 10(1.4) ADHD-SC4 4(0.6)

CRS계열 105(15.1) WWPARS 4(0.6)

ARS계열 40(5.8) YCI 4(0.6)

ACTeRS계열 14(2.0) GDS 3(0.4)

전문의사 172(24.8) KADHDDS 3(0.4)

DSM계열 167(24.1) TMT 3(0.4)

CPT 27(3.9) ADD-H 2(0.3)

ADS 22(3.2) ASQ 2(0.3)

ADDES-HV 17(2.4) BIS 2(0.3)

WCST 14(2.0) Stroop Test 2(0.3)

T.O.V.A. 12(1.7) 기타 18(2.6)

MFFT 7(1.0) 계 694(100)

Page 14: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9倦 第4號)

- 38 -

진단 및 측정 도구 분석 결과, 전문의사 172(24.8)회, DSM계열 167(24.1)

회, CRS계열 105(15.1)회, ARS계열 40(5.8)회, CPT 27(3.9)회, ADS

22(3.2)회, 기타 18(2.6)회, ADDES-HV 17(2.4)회, ACTeRS계열 14(2.0)

회, WCST 14(2.0)회, SANP계열 12(1.7)회, T.O.V.A. 12(1.7)회,

K-SADS-PL계열 10(1.4)회, HSQ계열 10(1.4)회, MFFT 7(1.0)회 순으로

나타났다.

8. 자료 처리 분석 결과

자료 처리 분석은 문헌연구 45편을 제외한 도구개발연구, 문화기술적 연구,

발달연구, 사례연구, 실험연구, 조사연구 321편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질적분석,

통계, 사전/사후, 단일대상실험설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표 3-11>, <그림

3-6>과 같다. 그 중 단일대상실험설계의 하위 설계는 <표 3-12>, <그림

3-7>과 같다.

29

243

26

23

0

50

100

150

200

250

질적분석

통계

사전, 사후

단일대상실험설계

<표 3-11> 자료 처리

(단위 : 편, %)

구 분 논문 수

질적분석 29(9.0)

통계 243(75.7)

사전, 사후 26(8.1)

단일대상실험설계 23(7.2)

계 321(100) <그림 3-6> 자료 처리

자료 처리 분석 결과, 통계 243(75.7)편, 질적분석 29(9.0)편, 사전, 사후

26(8.1)편, 단일대상실험설계 23(7.2)편 순으로 나타났다. 단일대상실험 설계

의 하위 설계는 AB설계 9(39.1)편, ABAB설계 7(30.4)편, 중다기초선설계

5(21.7)편, 교대중재설계 1(4.3)편, 조건변동설계 1(4.3)편 순으로 나타났다.

Page 15: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39 -

9

7

15

10

2

4

6

8

10

AB설계

ABAB설계

교대중재설계중다기초선설계

조건변동설계

<표 3-12> 단일대상실험설계

(단위 : 편, %)

구 분 논문 수

AB설계 9(39.1)

ABAB설계 7(30.4)

교대중재설계 1(4.3)

중다기초선설계 5(21.7)

조건변동설계 1(4.3)

계 23(100) <그림 3-7> 단일대상실험설계

9. 중재전략 분석 결과

중재전략 분석은 문헌연구, 도구개발연구, 문화기술적 연구, 발달연구, 조사연

구 263편을 제외하고 사례연구, 실험연구 중 특성을 연구한 10편을 제외 한

93편의 논문에 대해 감각통합치료, 놀이치료, 동작치료, 문학치료, 미술치료, 병합

지원, 부모훈련, 사회성기술훈련, 약물치료, 언어치료, 원예치료, 음악치료, 인지

-행동수정, 작업치료, 집단상담, 청각통합훈련, 학업기술, 행동수정, 활동중심으

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표 3-13>, <그림 3-8>과 같다.

<표 3-13> 중재전략 (단위 : 편, %)

구 분 논문 수 구 분 논문 수

감각통합치료 1(1.1) 원예치료 1(1.1)

놀이치료 8(8.6) 음악치료 5(5.4)

동작치료 1(1.1) 인지-행동수정 8(8.6)

문학치료 1(1.1) 작업치료 2(2.2)

미술치료 19(20.4) 집단상담 3(3.2)

병합지원 6(6.5) 청각통합훈련 1(1.1)

부모훈련 1(1.1) 학업기술 2(2.2)

사회성기술훈련 6(6.5) 행동수정 9(9.7)

약물치료 7(7.5) 활동중심 10(10.8)

언어치료 2(2.2) 계 93(100)

Page 16: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9倦 第4號)

- 40 -

18

1

1

19

6

1

6

721

5

8

2

3

1

2

910

0

5

10

15

20감각통합치료

놀이치료동작치료

문학치료

미술치료

병합지원

부모훈련

사회성기술훈련

약물치료언어치료원예치료

음악치료

인지‐행동수정

작업치료

집단상담

청각통합훈련

학업기술

행동수정활동중심

<그림 3-8> 중재전략

중재전략 분석 결과, 미술치료 19(20.4)편, 활동중심 10(10.8)편, 행동수정

9(9.7)편, 인지-행동수정 8(8.6)편, 놀이치료 8(8.6)편, 약물치료 7(7.5)편,

사회성기술훈련 6(6.5)편, 병합지원 6(6.5)편, 음악치료 5(5.4)편, 집단상담

3(3.2)편, 학업기술 2(2.2)편, 작업치료 2(2.2)편, 언어치료 2(2.2)편 순으로

나타났다.

10. 중재기간 분석 결과

중재기간 분석은 문헌연구, 도구개발연구, 문화기술적 연구, 발달연구, 조사연

구 263편을 제외하고 사례연구, 실험연구 중 특성을 연구한 10편을 제외 한

93편의 논문에 대해 10회기 이하, 11~20회기, 20~30회기, 30회기 이상, 미제

시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표 3-14>, <그림 3-9>와 같다.

Page 17: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15

40

179

12

0

10

20

30

40

10회기이하

11~20회기

20~30회기30회기이상

미제시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41 -

15

40

179

12

0

10

20

30

40

10회기이하

11~20회기

20~30회기30회기이상

미제시

<표 3-14> 중재기간

(단위 : 편, %)

구 분 논문 수

10회기 이하 15(16.1)

11~20회기 40(43.0)

20~30회기 17(18.3)

30회기 이상 9(9.7)

미제시 12(12.9)

계 93(100) <그림 3-9> 중재기간

Ⅳ. 결과해석 및 논의

본 연구에서는 1989년부터 2010년 까지 22년 동안 국내에서 이루어진

ADHD의 지원에 관한 연구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학술지별 연구 분포(분석 논문

366편), 연구 분야(분석 논문 366편), 지원유형(분석 논문 366편), 연구유형

(분석 논문 366편), 연구 주제(분석 논문 366편), 연구 대상 유형(분석 논문

320편), 연구 대상 연령(분석 논문 320편), 연구 대상자 수(분석 논문 276편),

연구 대상 성별(분석 논문 276편), 진단 및 측정 도구(분석 논문 298편), 자료

처리(분석 논문 321편), 중재전략(분석 논문 93편), 중재기간(분석 논문 93편)

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도별 ADHD에 관한 연구 분포는 이혜련, 오경자

(1988)를 시작으로 1980년대 평균 1.5편, 1990년대 평균 6.7편, 2000년대

평균 26.9편으로 증가해 왔으며, 2008년에는 42편의 연구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첫째, 학술지별 연구 분포를 살펴볼 때, 「정서ᆞ행동장애연구」 57(15.6%)편,

「신경정신의학」 48(13.1%)편,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45(12.3%)편 순으로

나타났다. 「정서ᆞ행동장애연구」가 정서ᆞ행동장애의 전문 학술지로써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것은 김민동(2008)이 사회분야인 특수교육관련 학술지

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와 일치하고, 향후 「정서ᆞ행동장애연구」는 국내 정서

ᆞ행동장애를 위한 전문학술지로써의 책무성이 강조된다.

Page 18: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9倦 第4號)

- 42 -

둘째, 연구 분야를 살펴보면, 사회분야 149(40.7)편, 의약학 142(38.8)편,

복합학 46(12.6), 예술체육 12(3.3)편, 자연 11(3.0)편, 인문 6(1.6)편 순으로

나타났다. ADHD의 교육을 다루는 사회분야와 원인, 진단, 약물치료효과를 다루

는 의약학 분야에서 전체논문의 79.5%로 대부분의 연구를 차지하고 있다.

셋째, 지원유형을 살펴보면, 교육지원 184(50.3)편, 의료지원 150(41.0), 가

족지원 32(8.7)편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지원과 의료지원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 향후 지원유형은 가족구성원에 대한 삶의 질과 ADHD를

갖은 개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족지원에 관한 연구가 좀 더 활발히 이

루어져야 한다.

넷째, 연구유형을 살펴보면, 조사연구 178(48.6)편, 실험연구 103(28.1)편,

문헌연구 45(12.3)편 순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조사연구와 실험연구가 76.7%

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조사연구가 전체연구의 54.6% 차지하게 된

배경은 원인 및 출현율, 인지ᆞ언어ᆞ행동 특성, 진단 및 평가가 크게 기여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 활발한 조사연구로 인해 ADHD의 개념적 요소와 특성이

어느 정도 밝혀졌다고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를 기초로 발달연구, 문화기술적

연구, 실험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겠다. 편도원 등(2008)은 교육ᆞ행동

중재 관련 연구유형 분석 결과 실험연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교육ᆞ행동 특성에 한정한 연구결과물과 연구 분야 전체를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의 차이라 할 수 있다.

다섯째, 연구 주제를 살펴보면, 진단 및 평가 69(18.9)편, 문제행동개선 64

(17.5)편, 인지. 언어. 행동특성 47(12.8)편, 약물효과 34(9.3)편, 원인 및 출

현율 34(9.3)편, 사회문화적 접근 25(6.8)편, 학업 22(6.0)편, 인지기능수행

17(4.6)편, 중재방법 16(4.4)편, 사회적 상호작용 14(3.8)편, 양육환경 11

(3.0)편, 전반적 특성 6(1.6)편, 프로그램개발 4(1.1)편, 정서지수향상 3(0.8)

편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주제에 대해서는 대체로 균형 있게 연구가 이루어졌

다. 선행연구와 비교한 결과, 권명옥(2008)은 정서행동장애 전문지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행동문제를 다룬 논문이 60%를 차지한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김민동(2008)은 특수교육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ADHD의 핵심적

인 특성을 다룬 논문이 25.6%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편도원 등(2008)은 교육ᆞ행동중재 관련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문제행

동 개선이 20.6%로 가장 높은 빈도라고 보고하고 있으며, 김동일 등(2009)은

ADHD 연구동향 분석결과 특성을 주제로 한 논문이 24.2%라고 보고하고 있다.

이렇게 연구자들 마다 유의한 차이는 연구동향 분석에 있어서 분석대상 논문의

범주에 의한 것으로 확인된다.

Page 19: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43 -

여섯째, 연구 대상을 연구 대상 유형, 연구 대상 연령, 연구 대상자 수, 연구

대상자 성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연구 대상 유형을 살펴보면, ADHD

126(39.4)편, ADHD, 비장애 78(24.4)편, 비장애 27(8.4)편, ADHD, 부모

17(5.3)편, 기타 12(3.8)편, ADHD, 타 장애 10(3.1)편, ADHD, 타장애, 비장

애 10(3.1)편 순으로 나타났다. ADHD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이므로 ADHD

단독 연구 대상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 다음으로 연구

대상유형의 빈도가 높은 ADHD와 비장애는 연구 유형에 의한(조사연구,

54.6%) 것이다. 또한, ADHD와 타 장애를 대상으로 공존장애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 결과는 김민동(2008), 편도원 등(2008), 김동일 등

(2009)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연구 대상 연령을 살펴보면, 초 183(57.2)편, 기

타 32(10.0)편, 유 31(9.7)편, 유+초 22(6.9)편, 초+중 20(6.3)편, 유+초+

중 13(4.1)편, 중 7(2.2)편, 성인 6(1.9)편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

등학교에 입학을 하면서 ADHD 주요 특성이 부각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선행연구 결과를 비교해 보면, 김민동(2008), 편도원 등(2008)과 일치하며, 권

명옥(2008)은 가장 높은 대상연령은 6세 이하라고 유의한 차이를 보고하고 있

다. 연구 대상자 수를 살펴보면, 1~10명 80(29.0)편, 11~20명 54(19.6)편,

51~100명 37(13.4)편, 21~30명 6(13.0)편, 31~40명 27(9.8)편, 41~50명

17(6.2)편, 200명이상 13(4.7)편, 101~200명 12(4.3)편 순으로 나타났다. 1

명에서 20명 사이가 연구의 48.6%로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사례연구와 실험연구에 의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선행연구 결과를 비교해 보

면, 권명옥(2008), 편도원 등(2008)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연구 대상자 성별

을 살펴보면, 남ᆞ여 118(42.8)편, 미구분 87(31.5)편, 남 67(24.3)편, 여

4(1.4)편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성별 연구 대상자 인원을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자 총 인원은 12,644명이었으며, 성별 비를 알아보기 위해 남ᆞ여 구분을

하지 않은 논문 87편에 해당하는 4,450명을 제외한 189편의 8,194명에 대해 남

6,983(85.2)명, 여 1,211(14.8)명으로 남: 여의 비는 5.8:1로 나타났다. 우리

나라 ADHD 출현 남녀 성별 비에 대해 박명화(2001)는 4.2:1, 임경희, 조붕환

(2004)은 4.5:1, 양수진, 정성심, 홍성도(2006)는 2:1, 권명옥(2008)은 7.6:1,

김민동(2008)은 6.4:1로 제시하고 있으며, 본 연구과 선행연구 평균 남녀 비는

5.1:1로 나타났으며, APA(2000)에서 제시한 4:1~9:1 범위 안에 있다.

일곱째, 진단 및 측정 도구를 살펴보면, 전문의사 172(24.8)회, DSM계열

167(24.1)회, CRS계열 105(15.1)회, ARS계열 40(5.8)회, CPT 27(3.9)회,

ADS 22(3.2)회, 기타 18(2.6)회, ADDES-HV 17(2.4)회, ACTeRS계열

14(2.0)회, WCST 14(2.0)회, SANP계열 12(1.7)회, T.O.V.A. 12(1.7)회,

Page 20: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9倦 第4號)

- 44 -

K-SADS-PL계열 10(1.4)회, HSQ계열 10(1.4)회, MFFT 7(1.0)회 순으로

나타났다. 23편의 연구에서는 측정 도구를 제시하지 않았으며, 298편에 대한

결과 전문의사와 DSM-III-R, DSM-IV, DSM-IV-TR, 코너스 평정척도가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되었다. 선행연구에서도 권명옥(2008), 김민동(2008),

편도원 등(2008)에서도 일관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여덟째, 자료처리를 살펴보면, 통계 243(75.7)편, 질적분석 29(9.0)편, 사전,

사후 26(8.1)편, 단일대상실험설계 23(7.2)편 순으로 나타났다. 단일대상 실험

설계의 하위 연구 설계는 AB설계 9(39.1)편, ABAB설계 7(30.4)편, 중다기초

선설계 5(21.7)편, 교대중재설계 1(4.3)편, 조건변동설계 1(4.3)편 순으로 나

타났다. 통계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이유는 조사연구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단일대상실험설계에서는 AB설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AB설

계 자체가 갖고 있는 편리함에 의한 것으로 보이지만, 이 설계는 외적변인에 영

향을 받는 것을 통제하기 어려운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연구 설계에서 지양되어

야 한다. 더불어서 연구 설계 중 준거변경설계에 대해서는 적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연구 설계가 향후연구에서는 적용되어야 한다.

아홉째, 중재전략을 살펴보면, 미술치료 19(20.4)편, 활동중심 10(10.8)편,

행동수정 9(9.7)편, 인지-행동수정 8(8.6)편, 놀이치료 8(8.6)편, 약물치료

7(7.5)편, 사회성기술훈련 6(6.5)편, 병합지원 6(6.5)편, 음악치료 5(5.4)편,

집단상담 3(3.2)편, 학업기술 2(2.2)편, 작업치료 2(2.2)편, 언어치료 2(2.2)편

순으로 나타났다. 실험연구와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다양한 미술치

료, 활동중심, 행동수정, 인지-행동수정이 적용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권명옥

(2008)은 인지-행동수정 전략이 높은 빈도로 사용됨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편

도원 등(2008)은 활동중심 중재전략이 높은 빈도로 사용됨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김동일 등(2009)은 예술치료 전략이 높은 빈도로 사용됨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 결과는 김동일의 분석과 일치한다.

열째, 중재기간을 살펴보면, 11~20회기 40(43.0)편, 20~30회기 17(18.3)편,

10회기 이하 15(16.1)편, 미제시 12(12.9)편, 30회기 이상 9(9.7)편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실험연구와 사례연구 기간은 11회기에서 20회기 사이인 것

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오랜 회기 동안 연구된 것은 사례연구로서 송영혜, 정은희

(1998)가 50회기 동안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22년간의 ADHD 지원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자 하

였으나 다음의 제한점을 갖는다. 첫째, 본 연구에서 여러 연구자들(박현숙, 2000;

권명옥, 2008; 김민동, 2008; 편도원 등, 2008, 김동일 등, 2009)의 분석 틀을

Page 21: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45 -

종합하여 수정ᆞ보완하여 사용하고자 하였으나, 이러한 분류는 연구자의 의사결

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비등재 학술지

에 게재 된 논문은 제외되었으므로 본 연구 결과는 한국연구재단에 등재 또는

등재 후보지에 게재 된 ADHD 지원에 관한 연구 동향으로 제한한다.

참 고 문 헌

권명옥 (2008). ADHD 연구동향 분석: 국내 정서행동장애 전문지를 중심으로. 정서

ᆞ행동장애연구, 24(2), 303-327.

김동일, 김이내, 정소라, 김은향, 김희주, 이유리, 이기정, 박중규, 고은영 (2009).

한국 ADHD 연구 경향의 분석: 1999년부터 2008년까지. 학습장애연구, 6(2),

101-127.

김민동 (2008). ADHD 연구 동향: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후)지로 지정된 국내

특수교육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4(3), 279-299.

박명화 (2001). 유아교육기관에 통합되어 있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유아의 행동

문제와 사회적 기술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1(4), 437-454.

박현숙 (2000).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중재 효과 연구의

동향과 과제. 특수교육학연구, 35(1), 167-200.

송영혜, 정은희 (1998). 형제 놀이를 이용한 ADHD 아동의 놀이치료사례. 놀이

치료연구, 2(1), 97-117.

양명희 (1989). 주의산만 및 충동적 아동에 대한 인지적 자기통제훈련의 효과.

정서ᆞ행동장애연구, 5(1), 18-16.

양수진, 정성심, 홍성도 (2006).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의 유병률과 관련

인자: 서울시 학교 정신보건 사업. 신경정신의학, 45(1), 69-76.

이혜련, 오경자 (1988). 주의력 결핍 - 과잉운동장애의 deanol치료 사례보고.

최신의학, 31(7), 131-134.

임경희, 조붕환 (2004). 성, 학년, 지역에 따른 초등학생의 ADHD 출현을 조사

연구. 초등교육연구, 17(1), 235-260.

편도원, 곽승철 (2008). ADHD아동의 교육, 행동중재 관련 연구 분석: 1989년

-2007년까지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4(2), 49-8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edition (Text Revis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Page 22: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9倦 第4號)

- 46 -

분 석 논 문

강명화, 김은영, 최미경 (2009). 아토피 피부염 미취학 아동의 식행동, 영양 섭취

상태 및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점수 평가.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9(4),

493-502.

강삼희, 홍정미, 백양희 (2006). 집단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충동성 및 자기

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3(1), 23-48.

강옥려 (2007). 주의력 결핍ᆞ과잉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부모훈련 프로그램 중재

효과에 관한 고찰.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8(1), 29-49.

강은주, 이효신 (2002). 미술활동을 통한 ADHD 특성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4(2), 1-16.

고려원, 오경자 (1994). 부모 훈련을 통한 주의결핍 과잉활동아의 치료 효과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3(1), 217-233.

고려원, 오경자, 박중규 (1997). 주의 산만을 주소로 하는 아동의 발달 및 행동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6(2), 133-149.

고승희, 신민섭, 홍강의 (1996). KEDI-WISC와 TOVA를 이용한 소아 정신과

장애별 주의력 문제와 인지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5(1), 165-178.

고영건, 이임순, 김지혜 (2004).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와 품행 장애의 충

동성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2), 417-433.

고윤주, 김영신 (2003).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 문제가 있는 아동의 또래수용

도와 상호적 친구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6(4), 1-21.

공마리아 (1997). 난화 상호 이야기법을 통한 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행동에

미치는 효과. 정서ᆞ행동장애연구, 13(2), 69-95.

공석원, 이정섭, 류인균, 홍강의 (1997).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에서 전두엽과

미상핵의 뇌자기공명영상상 연구. 신경정신의학, 36(6), 1162-1169.

공희자, 문재우 (2004).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 비교연구. 보건교육ᆞ건강증진학회지, 21(1), 297-317.

구본훈, 박형배, 이희정, 송창진, 김진성, 이광헌 (1999).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에 있어서 연속수행검사의 진단적 유용성. 신경정신의학, 38(6),

1432-1446.

구분훈, 배대석 (2006). ADHD 진단을 위한 전산화 신경인지 기능검사의 유용성.

생물치료정신의학, 12(1), 39-49.

Page 23: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47 -

구효진, 강남식 (2007). ADHD아동과 일반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관한 연구.

지적장애연구, 9(2), 173-189.

권명옥 (2008). ADHD 연구동향 분석: 국내 정서행동장애 전문지를 중심으로. 정서

ᆞ행동장애연구, 24(2), 303-327.

권명옥, 김정일, 정옥남 (2001). 청각통합훈련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

미치는 효과. 정서ᆞ행동장애연구, 17(1), 231-255.

권명옥, 양경애 (2008). 컴퓨터를 활용한 그림그리기 활동이 ADHD아동의 과잉

행동에 미치는 효과.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4(3), 219-240.

권명옥, 전선희 (2005). 차별강화와 반응대가 기법이 ADHD아동의 비 학습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1(3), 273-295.

권순황, 천장현 (2009). 뉴스포츠 프로그램이 ADHD 초등학생의 부적응 행동

개선에 미치는 영향. 학습장애연구, 6(1), 153-171.

권용실 (2002). 주의 산만과 과잉운동을 주소로 하는 정신과 내원 아동들의 임상

평가.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13(1), 93-103.

김 경, 강영심 (2008). ADHD아동의 정서ᆞ행동문제 개선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

연구. 미술치료연구, 15(2), 251-274.

김경미, 김진미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개별 실험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6(4),

103-130.

김경민, 배내윤 (2007). 유산소 운동이 ADHD 학생의 주의집중과 과잉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3(1), 127-142.

김계남, 민천식 (2008). 자기조절학습전략이 ADHD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통합교육연구, 3(1), 1-25.

김귀복 (2008). 음악치료가 ADHD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수용에 미치는 효과.

지적장애연구, 10(4), 145-162.

김나영 (2004). ADHD아동의 주의집중과 모방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요인.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2(2), 55-65.

김나영, 김경은, 장경호 (2006). 체이스 리듬적 요소를 강조한 무용/동작치료가

ADHD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6, 379-391.

김남희, 정혜영 (2010). 유아의 기질 및 성격과 ADHD 성향과의 관계. 유아교육

연구, 30(2), 109-124.

김동연 (1998). 난화 상호 이야기 만들기법에 의한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아동의

치료 사례 연구. 미술치료연구, 5(1), 1-25.

김동연, 이근매, 정금자 (1994). 풍경구성법에 의한 미술치료가 주의 집중 결함

Page 24: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9倦 第4號)

- 48 -

과잉행동아동의 수업일탈 및 대인회피행동 개선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

연구, 1(1), 101-114.

김동연, 이영순, 최은영 (2000). 또래협동 미술활동이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아동

의 문제행동과 사회능력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7(1), 139-164.

김동일, 김이내, 이기정, 정소라, 김붕년, 고은영 (2008).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와 학습장애의 공존장애(comorbidity): 현황과 연구전망. 아시아교육연구,

9(4), 111-147.

김동일, 김이내, 정소라, 김은향, 김희주, 이유리, 이기정, 박중규, 고은영 (2009).

한국 ADHD 연구 경향의 분석: 1999년부터 2008년까지. 학습장애연구,

6(2), 101-127.

김동일, 이명경 (2006).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ADHD) 원인론의 경향과

전망: 애착이론에 의한 대안적 접근. 상담학연구, 7(2), 523-540.

김미연, 김은정 (2004). 주의력 진단 검사의 제시순서와 난이도에 따른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의 주의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4), 1085-1108.

김민동 (2008). ADHD의 연구 동향: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후)지로 지정된 국내

특수교육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4(3), 279-299.

김민동, 이상복 (2006). ADHD 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 고찰. 정서ᆞ행동

장애연구, 22(3), 169-188.

김민동, 정철호, 이상복 (2007). ADHD 진단용 연속수행검사 개발 연구: 과잉

행동 및 충동성 평가.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3(2), 71-92.

김민동, 정철호, 이상복 (2007). ADHD 진단용 연속수행검사 개발 연구: 부주의

평가.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3(1), 105-126.

김민동, 홍기영 (2009).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질문지형 평가도구의 진단변별

력에 관한 연구 Ⅰ.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5(4), 165-182.

김민지, 정영철, 김진성, 구본훈, 사완석 (2008). ADHD 아동의 정신병리에 따른

신경인지기능의 특성. 생물치료정신의학, 14(2), 171-178.

김박은자 (2002). Intervention Strategies working with ADHD Students in

the Classroom. 정서ᆞ행동장애연구, 18(2), 15-32.

김붕년 (2002).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증상과 연관된 임신, 분만 및 주산기 위험

요인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 연구 -. 신경정신의학, 41(2), 263-273.

김붕년, 권준수, 신민섭, 조수철, 홍강의 (2000). 주의력 결핍/과잉 운동 장애에

서의 정량화 뇌파 소견. 신경정신의학, 39(1), 208-218.

김붕년, 손기현, 전지현, 곽욱환, 유희정, 조수철, 박철수 (2003).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를 동반한 알코올 의존환자들의 특성 - 임상적/유전학적 자료

Page 25: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49 -

분석 -. 신경정신의학, 42(3), 322-334.

김붕년, 이동수, 조수철 (2000). 주의력결핍 / 과잉운동장애에서의 뇌혈류 이상.

신경정신의학, 39(2), 413-423.

김붕년, 이재성, 이동수, 조수철 (1999). 주의력 결핍/과잉운동장애 아동군에서

약물 치료 전후의 뇌 기능 변화와 임상 반응 - SPECT 감산 영상을 이용

한 연구 -. 신경정신의학, 38(3), 593-603.

김붕년, 이재성, 조수철, 이동수 (2000). 주의력결핍/과잉운동 장애 아동의 상대적

뇌 혈류에 미치는 Methylphenidate의 효과 -SPECT 곤심 영역법 연구 -.

신경정신의학, 39(5), 898-907.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이 ADHD 경향이 높은 아동의 실행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7(3), 429-445.

김성은, 이윤경 (2007).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말차례 주고

받기 특성. 언어청각연구, 12(4), 662-675.

김세실, 안동현, 이양희 (1998).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ADHD) 아동에 대한

약물-부모훈련 병합치료의 효과. 신경정신의학, 37(4), 683-699.

김소라, 오경자 (1997). 주의력 결핍 과잉활동(ADHD)아동의 과제수행에 대한

기대와 귀인양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6(2), 151-160.

김소연, 장문선, 서완석, 배대석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 여부에 따른

실행기능의 차이. 생물치료정신의학, 15(1), 21-28.

김소영, 김미진 (2006). 모자 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예술심리치료연구, 2(1), 108-129.

김수경, 윤현숙 (2009). 읽기 과제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뇌파 변화. 유아특수교육연구, 9(3), 83-101.

김신옥 (2006). 모래상자 놀이를 통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유아의 치료 사례연구.

놀이치료연구, 10(2), 37-56.

김영신, 소유경, 노주선, 최낙경, 김세주, 고윤주 (2003). 한국어판 부모 및 교사용

ADHD 평가 척도(K-ARS)의 규준연구. 신경정신의학, 42(3), 352-359.

김영신, Lawrence Scahill, & James Leckman (2000). Preliminary Findings

of Guanfacine in Comorbid ADHD and Habit Disorder-Open Trial.

신경정신의학, 39(5), 908-919.

김영화, 김기학, 박대권 (2008). 스포츠활동을 통한 ADHD 아동의 행동변화 가능성

탐색. 한국체육과학회지, 17(4), 909-920.

김용희 (2005). KPI-C 프로파일로 본 ADHD 아동의 행동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83-93.

Page 26: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9倦 第4號)

- 50 -

김용희 (2006). ADHD 아동의 하위 유형에 따른 전두엽집행기능 연구 - WCST

수행을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1(2), 301-314.

김용희, 신민섭, 조수철 (2002). 주의력 결핍/과잉운동 장애와 학습 장애 아동의

기억 기능 비교.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13(1), 85-92.

김윤옥 (1992). IQ 와 ADHD 에 관련된 학습장애의 정의문제. 교육학연구, 30(4),

233-241.

김은경, 서신영, 김근향 (2006). 한국판 성인용 자기 보고형 및 관찰자 보고형

Young ADH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46(6),

578-587.

김은이, 정찬섭 (1997). 지각판단과제의 난이도를 통한 주의력 결핍 과잉활동

장애의 계층적 진단 기법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6(2), 265-276.

김은정 (2003). 한국형 성인 ADHD 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 표본을 중심

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897-911.

김응갑, 이근매 (2007). 소조활동중심 미술치료가 ADHD아동의 공격성 및 주의

집중에 미치는 효과. 예술심리치료연구, 3(2), 43-62.

김인홍 (2006).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15(2), 152-160.

김인홍 (2007).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사회기술훈련의 효과. 정신

간호학회지, 16(4), 420-428.

김일명 (2004). 팔 들기 동작 컨트롤 훈련이 자폐성 장애아동 및 과잉행동아동의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6(1), 59-79.

김자윤, 안동현, 신영전 (1999). 농촌지역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와 학습

장애의 역학적 연구. 신경정신의학, 38(4), 784-793.

김재원, 박기홍, 최민정 (2004). 지역사회에서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선별

기준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434(2), 200-208.

김정일 (2006). 미술소그룹활동내 자기행동관리가 ADHD 아동의 과제이행 증진

과 방해성 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2(1),

103-122.

김종운, 천성문, 황혜자 (2005). ADHD 아동의 행동변화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인지적 NLP 집단상담과 행동적 NLP 집단상담의 효과비교. 상담학연구,

6(3), 777-788.

김지연, 백용매 (2007). 정상아동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기억결함과

실행기능의 차이. 상담학연구, 8(1), 333-349.

김지혜, 소유경, 정유숙, 이임순, 홍성도 (2000).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ADHD)

Page 27: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51 -

아동의 진단도구로서 부모용 행동 평가지의 타당도 연구. 소아ᆞ청소년정신

의학, 11(2), 282-289.

김지혜, 홍성도 (1999).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 능력. 소아ᆞ청소

년정신의학, 10(1), 15-20.

김진구, 김홍근 (2008). ADHA 아동의 전두엽-관리기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1), 139-152.

김진희, 유희정 (1999). 가족 내의 위험 요인이 ADHD 아동의 행동 문제에 미치

는 영향.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10(2), 195-200.

김춘경, 유지영 (2010). 심리운동놀이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과 사회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놀이치료연구, 14(1), 51-65.

김행숙 (1990).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아동의 중추신경흥분제 치료에 대한

임상적 연구.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1(1), 89-93.

김형숙 (2007a). 근거이론을 이용한 ADHD 아동양육경험. 가족과문화, 19(4),

193-222.

______ (2007b). ADHD 가족-사회 성장모형.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11, 63-93.

김형숙 (2009). ADHD 청소년의 학교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부모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11, 61-97.

김혜련 (200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유아의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Circumplex

model을 중심으로. 정서ᆞ행동장애연구, 18(2), 183-206.

김혜영, 최중옥, 유은정 (2004). ADHD 유아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정서ᆞ행동

장애연구, 20(3), 97-125.

김호영, 이주영, 조상수, 이임순, 김지혜 (2005). 한국판 Conners 성인 ADHD

평정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대학생 표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

회지 임상, 24(1), 171-185.

김화수, 유은희, 정은정 (2006). ADHD 아동의 연령 및 품사에 따른 낱말 정의

하기 연구. 언어치료연구, 15(4), 165-185.

김희수 (2007). 학습능력계발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과 학습태도

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16(4), 83-94.

남 민, 성양숙, 홍강의, 조수철 (1999).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와 소아, 청소년기

조증의 비교 연구.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10(1), 91-99.

남 민, 조수철, 정인과, 윤혜진 (1996).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와 우울, 불안

증상과의 상호관계.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7(2), 213-223.

남현우, 문서연, 방인경 (2000). 주의력 결핍ᆞ과잉행동장애(ADHD)아동의 문제

행동 감소를 위한 놀이치료 사례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지, 3(2), 53-62.

Page 28: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9倦 第4號)

- 52 -

노주선, 김지혜, 정유숙, 홍성도 (1997).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와 관련된 T.O.

V.A.와 GDS의 진단변별력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6(2),

355-365.

노충래 (2004). 중학생의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과 자아개념이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8, 101-132.

노태용, 박형배 (1995). 주의력결핍과잉운동 경향과 심리생물사회학적 요인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34(4), 988-997.

류문화 (1995). 과잉행동아에 대한 인지 - 행동적 접근방법의 고찰. 정서ᆞ행동

장애연구, 11, 51-62.

류원기, 김태훈, 유영훈, 윤미진, 천근아, 지대윤, 김종호, 최태현, 이종두 (2003).

I-123 IPT SPECT를 이용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의 methyl

phenidate 투여 전후의 기저 신경절 도파민 운반체 밀도 변화 측정. 대한

핵의학회지, 37(3), 235-244.

맹현숙, 정혜영 (2005). ADHD 증후를 지닌 2학년 영재아동의 학교생활 변화

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초등교육연구, 18(2), 243-277.

문장원 (1997). 과잉행동아동의 부모에 대한 상담 및 훈련. 정서ᆞ행동장애연구,

13(1), 51-70.

문장원 (2006).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에 대한 행동치료의 논점. 특수교육연구,

13(1), 117-130.

문태형 (2005).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영재아동의 이해와 중재. 중복ᆞ

지체부자유연구, 45, 65-79.

박건호, 신민섭, 조수철, 홍강의 (2001). 청소년 ADHD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 CASS(S)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12(2), 218-224.

박기용, 문철희, 김성진 (2010).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문제행동

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12(2), 77-100.

박난숙, 오경자 (1992). Methylphenidate 치료가 주의력결핍 과잉활동아의 인지

행동 및 사회, 학습,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1(1),

235-248.

박명화 (2001a). 유아교육기관에 통합되어 있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유아의

행동문제와 사회적 기술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1(4), 437-454.

______ (2001b). ADHD 유아의 행동문제와 교사의 대처형태에 관한 연구. 정서

ᆞ행동장애연구, 17(2), 117-134.

박명화, 김경숙, 정계숙 (2000). 사회 정서 발달 프로그램이 주의력결함 과잉행동

Page 29: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53 -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정서ᆞ행동장애연구, 16(2), 165-191.

박새한, 안정숙, 박광수, 조미란, 신정호, 변진수 (2003). 외상성 주의력장애와

발달성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 남아의 주의력 특성 비교. 신경정신의학,

42(6), 736-741.

박성옥, 권수일 (2004). 통계적 파라미터지도 작성법(SPM)을 이용한 남여별 ADHD

환자의 뇌 SPECT 영상비교분석. 방사선기술과학, 27(3), 31-41.

박수빈, 김진용, 최순호, 유한익, 홍진표, 김성윤, 김창윤 (2006). 주의력결핍과잉

행동장애 아동에서 2차 선택제로서의 Bupropion의 효능 및 부작용에 대한

예비적 연구. 대한정신약물학회지, 17(5), 461-467.

박순영 (1998). 주의력 결핍 과잉운동장애 아동에서 사회기술훈련의 효과. 소아ᆞ

청소년정신의학, 9(2), 154-164.

박은희, 소유경, 김영신, 최낙경, 김세주, 노주선, 고윤주 (2009). 한국판 Conners

부모 및 교사용 평가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예비적 연구. 소아

ᆞ청소년정신의학, 14(2), 183-196.

박춘성 (2008). ADHD 영재의 특성, 진단과 교육적 중재에 대한 문헌 연구. 아시아

교육연구, 9(2), 181-202.

박춘성, 이정규 (2008). 초등학교 ADHD 학생의 학습 흥미 분석 및 교육과의

관련성 탐색. 학습장애연구, 5(1), 61-75.

박태원, 김붕년, 임명호, 유희정, 강대희, 조수철, 유일한, 조은정, 백소영, 배치운,

서영주 (2005). 한국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 도파민 D5 수용체

유전자 다형성의 관련성: 가족기반 연구 및 환자-대조군 연구. 신경신의학,

44(1), 32-40.

박현숙 (1999).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의 교육적 접근. 교육과학연구, 29(1),

113-138.

박현숙 (2000).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중재 효과 연구의

동향과 과제. 특수교육학연구, 35(1), 167-200.

박현숙, 송재민 (2004). 색자극 단서 조건에 따른 철자문제 수반한 ADHD 아동과

일반아동의 철자기억과제 수행 비교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39(2), 61-83.

박형배, 박성찬, 강지현 (1996). 한국판 주의력결핍 장애 평가 척도-가정판: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35(6), 1319-1329.

배금예 (2005). 로샤검사에서 나타난 ADHD 아동의 심리적 특성. 정서ᆞ행동장애

연구, 21(4), 45-69.

배대석 (2007). ADHD 아동의 한국판 K-ABC 수행 특성: 3. 프로파일 분석.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3(2), 165-191.

Page 30: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9倦 第4號)

- 54 -

배대석, 구본훈 (2006). ADHD 아동의 한국판 K-ABC 수행 특성: 1. 기술적

분석.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2(4), 153-183.

배대석, 서완석, 구본훈, 박권생, 장자은 (2006). ADHD 하위유형에 따른 관리

기능 결함양상.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1(2), 275-299.

배도희, 조아라, 이지연 (2004). ADHD 아동과 우울한 아동의 얼굴표정 및 음성

을 통한 비언어적 정서인식능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3), 741-754.

사완석, 이종훈 (2007). 한국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 Oros-Methylphe

nidate의 임상적 효능과 부작용에 대한 단기간의 다기관 개방연구. 생물

치료정신의학, 13(2), 293-299.

서경희 (2010). 또래관계 중심 중재가 ADHD 아동의 우정 발달과 사회적 기술

에 미치는 영향: 질적,양적 연구.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6(1), 43-64.

서민정, 장은진, 정철호, 최상용 (2003).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어머

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감, 부모효능감에 관한 연구 - 정서장애 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8(1), 69-81.

서완석, 송창진, 정철호, 최상용, 정성훈, 이종훈, 정운선, 배대석 (2006). ADHD

아동에서 나이, 지능, 용량 및 불안 증상에 따른 Oros-Methylphenidate

임상효과의 차이. 생물치료정신의학, 12(2), 172-181.

서완석, 장혜경, 김진성, 이종범 (2008). 한국형 단축형 부모용 Swanson, Nolan

and Pelham 제4판 (SNAP-Ⅳ)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

의학, 47(1), 64-72.

서완석, 정성덕, 이종범, 김진성, 염형욱, 배대석, 박형배 (2002). 주의력결핍 과잉

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의 특성과 Methyphenidate 치료 후의 변화. 대한

정신약물학회지, 13(3), 194-204.

서완석, 정은정 (2003).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조증, 정신지체가 동반된

환자 1예. 대한정신약물학회지, 14(4), 397-404.

서주영, 김자경, 김지훈 (2009). 학습장애아동, ADHD아동 및 일반아동의 학습

양식 특성 연구.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5(3), 311-329.

서지영, 박완주 (2010). 학령기 ADHD 아동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 프로그램의

경향과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정신간호학회지, 19(2), 117-132.

서해숙, 정성덕, 이종범, 김진성, 서완석, 배대석, 천은진 (2002). 주의력결핍 과잉

행동장애의 아형별 신경심리학적 특성 비교.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13(1),

139-152.

서화자, 조형자, 강민채 (2009). 미술활동이 ADHD 아동의 주의집중 및 자아존중

감에 미치는 효과.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5(4), 233-251.

Page 31: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55 -

석인수 (2009). Interactive Metronome 훈련이 ADHD 아동의 충동성과 주의

력에 미치는 효과.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5(1), 109-122.

성양숙, 이 철, 임태식, 한상익, 이수정, 김정진 (2002). 한국인 주의력 결핍

과잉운동장애 아동의 Catechol-O-Methyltransferase 유전자 다형서.

신경정신의학, 41(2), 215-222.

성영혜 (1997). 내성심리 인본주의 접근법에 의한 과잉행동아동 치료. 한국가족

복지학, 2(2), 61-74.

성형모, 박형배 (2000). 뚜렛 장애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비교. 신경정신의학, 39(3), 610-619.

소유경, 노주선, 김영신, 고선규, 고윤주 (2002). 한국어판 부모, 교사 ADHD

평가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42(1), 283-289.

소준현, 신윤오, 조수철 (1996). 주의력결핍ᆞ과잉운동장애의 가정환경에 대한

연구.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7(1), 44-51.

손동호, 신동원, 육기환, 전덕인, 김경희, 민성길 (1998). 주의력결핍 과잉운동

장애 남아에서 중추신경자극제가 주의력과제 수행 중의 대뇌 기능적 국소

화에 미치는 영향.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9(2), 218-226.

송동호 (1993). 주의력 결핍 과잉활동장애의 행동 특성.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4(1), 106-113.

송수미, 김재환 (2002). ADHD 및 우울/불안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

-교사간 평정 일치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4), 859-869.

송영혜, 정은희 (1998). 형제 놀이를 이용한 ADHD 아동의 놀이치료사례. 놀이

치료연구, 2(1), 97-117.

송종용, 신민섭 (1998). 학습장애평가척도에서 나타난 읽기장애 아동과 주의결

핍과잉활동장애 아동의 차이: 학습장애평가척도의 타당도 검증 연구.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17(1), 185-196.

송찬원, 김경민, 변찬석 (2006). 만다라 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과제수행 태도

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충동성 변화에 미치는 효과.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2(1), 123-144.

송찬원, 김하경 (2009). ADHD아동의 신경심리적 인지 특성. 특수아동교육연구,

11(3), 391-411.

송찬원 (2009). 학습장애아와 ADHD아동 및 일반아의 실행기능 특성.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10(4), 565-590.

송창진, 구본훈, 배대석 (2006). 한국판 ADHD 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문항선별과

분석.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2(1), 1-26.

Page 32: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9倦 第4號)

- 56 -

송현주, 권미경, 오경자, 김민식, 하은혜, 송동호, 신민섭 (2004). ADHD 아동의

회귀억제 결함.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1), 243-251.

송화진 (2009).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학습동기증진프로그램효과검증.

놀이치료연구, 4(1), 51-77.

시현석, 이종범, 박형배, 사공정규, 송창진, 배진우 (2000).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평가를 위한 정지신호 과제의 적용. 신경정신의학, 39(1),

156-160.

신동원, 노경선, 오강섭, 이민수 (2002). 한국인에서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자와 도파민 수송체 유전자(DAT1) 다형성의 연관성 연구. 신경정신의학,

41(4), 612-618.

신동원, 송동호, 전덕인, 남궁기, 이만홍, 이홍식, 민성길 (1999). 주의력결핍 과잉

운동장애 환아에서 주의력 과제와 관련된 대뇌의 기능적 국소화. 신경정신

의학, 38(5), 1089-1101.

신동호, 박성욱, 권수일, 조철우, 윤석남 (2003). 과잉행동장애 어린이의 SPM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분석에서 서로 다른 Template image로

규격화된 SPEC 영상의 결과 비교. 방사선기술과학, 26(2), 71-78.

신민섭, 박수현 (1997).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 아동의 신경심리학적 평가.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8(2), 217-231.

신민섭, 오경자, 홍강의 (1995). 주의력결핍 과잉활동 장애 아동에서 약물 단독

치료와 부모 훈련 병합 치료의 효과 비교.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6(1),

65-73.

신민섭, 오경자, 홍강의 (1990). 주의력결핍과잉활동장애 아동의 인지적 특성.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1(1), 55-64.

신민섭, 조성준, 전선영, 홍강의 (2000). 전산화된 주의력장애 진단시스템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11(1), 91-99.

신민영, 김호영, 김지혜 (2005).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 증상을 호소하는

청소년의 우울: 자기 개념의 매개변인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4),

903-916.

신성웅, 박진형, 김희찬, 조수철 (2001). 푸리에 변환과 웨이브렛 분석을 통한

주의력결핍ᆞ과잉운동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사건관련전위 비교 연구. 소아

ᆞ청소년정신의학, 12(1), 25-50.

신성웅, 조수철 (1996). 주의력결핍ᆞ과잉운동장애 아동과 정상아동간의 사건관련

전위 소견의 비교 연구.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7(2), 179-189.

신소연, 박재국, 김영미, 이희은 (2007). 조작교구활동이 ADHD아동의 주의산만

Page 33: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57 -

행동에 미치는 효과.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3(2), 141-164.

신윤희, 이상복, 윤주연, 이승현, 강원석, 안진웅 (2010). ADHD 및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인지적 특성 및 실행기능과 뇌파 비교연구: 대구 및 경상도 소재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6(1), 65-84.

신윤희, 이효신, 권명옥, 윤주연, 김경서 (2009). ADHD 및 자폐 아동의 실행기능

연구 및 측정 도구 동향 분석.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5(4), 21-45.

신의진, 이수진, 이혜란, 고려원 (2000). 주의산만을 주소로 소아정신과를 내원한

아동의 인지적 특성 - T.O.V.A. 양상을 중심으로 -.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11(2), 290-296.

신지영, 양재원, 장원석, 홍성도 (2007).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 OROS

-Methylphenidate의 처방현황과 효능 및 부모 인식: 4주 동안의 다기관

관찰 연구. 대한정신약물학회지, 18(1), 50-59.

신지혜, 김귀복 (2009). 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문제행동과 또래관계에 미치

는 효과. 한국생활과학회지, 18(2), 341-351.

심미경, 장덕돌 (2000). ADHD 아동의 사회성 증진에 전통놀이가 미치는 영향.

정서ᆞ행동장애연구, 16(2), 193-211.

안동현 (1990). 주의력 결핍ᆞ과잉운동장애. 한국학교보건학회지, 3(2), 54-58.

안동현 (1994). 갑상선호르몬 내성 증후군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소아ᆞ

청소년정신의학, 5(1), 102-107.

안동현, 홍강의 (1990). 주의력 결핍장애아동의 치료.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1(1),

77-88.

안동현, 홍강의, 오경자, 신민섭, 유보춘, 정경미 (1992). Methylphenidate

Imipramine투여에 따른 주의력 결핍ᆞ과잉운동장애 환아의 행동 및 인지

기능 변화에 대한 연구.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3(1), 26-45.

안미경, 김미경 (2004). ADHD SC-4에 의한 ADHD 아동의 출현률 조사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6(1), 99-116.

안은숙, 김연하 (2009). 예비유아교사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에

대한 지식 정확도와 예측변인.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231-248.

양경혜, 서경희, 채은희, 이정효, 이준필 (2010). ADHD 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적응과정 사례연구.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6(1), 85-119.

양명희 (1989). 주의산만 및 충동적 아동에 대한 인지적 자기통제훈련의 효과.

정서ᆞ행동장애연구, 5(1), 18-16.

양수진 (2008). 학령기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임상적 평가와 공존 질환들.

신경정신의학, 47(5), 409-414.

Page 34: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9倦 第4號)

- 58 -

양수진, 정성심, 홍성도 (2006).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의 유병률과 관련

인자 : 서울시 학교 정신보건 사업. 신경정신의학, 45(1), 69-76.

양영희, 김재원, 김예니, 조수철, 김붕년 (2008). 서울시 아동을 대상으로 한 주의

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선별기준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47(3), 292

-298.

엄정애 (2003). 유아의 식행동과 사회적 능력 및 주의력결핍 과잉행동간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34(2), 57-71.

여광응 (2007). 무상토큰 반응대가 적용이 ADHD아동의 충동성 및 과잉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8(1), 215-234.

여광응, 이점조, 이명화 (2006). 자기표현 미술활동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ADHD)

아동의 주의산만ᆞ공격성 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7(1), 331-349.

오경자 (1990). 주의력결핍과잉활동 장애의 평가.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1(1),

65-76.

오경자, 이혜련 (1989). 주의력 결핍 과잉 활동증 평가 도구로서의 단축형 Conners

평가척도의 활용.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8(1), 135-142.

오경자, 홍강의, 고려원, 박난숙 (1995). 주의력 결핍-과잉 활동 장애에 대한

약물 치료와 부모 훈련을 통한 행동 치료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4(1), 1-14.

오미경 (2004).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모-자녀 상호작용 놀이평가

와 비행성향행동과의 관계: 관찰연구. 아동학회지, 25(3), 59-74.

오선화, 김희경, 고은진 (2008). ADHD 아동의 음악치료방법 및 음악치료사의

자기효능감과 ADHD 인식도와의 관계. 한국음악치료학회지, 10(2), 57-82.

오원옥 (2008).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가족의 삶의 질 영향 요인. 아동

간호학회지, 14(4), 396-404.

오은영, 문재석, 황이삭, 조선미, 윤석남, 이동수, 이재성 (2002). 주의력결핍/과잉

운동 장애 아동들에서 뇌 단일 광전자 방출 전산화 단층촬영(spect)으로

측정된 뇌혈류 이상과 인지적 특성들과의 연관관계: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SPM)과 산화된 한국판 주의력 장애 진단 시스템(ADHD Diagnostic

System; ADS)을 이용한 정량적 분석. 생물치료정신의학, 8(2), 282-291.

오은영, 황이삭, 문재석, 조선미, 윤석남, 이명훈 (2003). 주의력결핍/과잉운동

장애(ADHD) 남자 아동들에서 Methylphenidate 치료 전후에 Tc-99m

ECD SPECT로 측정된 국소 뇌혈류 이상과 인지적 특성변화와의 연관관계:

Statistical arametric Mapping(SPM)과 전산화된 한국판 주의력 장애

Page 35: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59 -

진단 시스템(ADHD Diagnostic System: ADS)을 이용한 정량적 분석.

생물치료정신의학, 9(2), 169-180.

오현경, 조선미, 현명호 (2006). Think Aloud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단일대상연구방법을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1(1), 1-24.

온싱글, 김은정 (2003).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사회적 이해와 행동.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793-813.

우주영 (2007).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부모-자녀관계와 학교생활 적응

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8(2), 227-247.

원주영, 김은정 (2008). 멈춤 신호 과제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1), 217-234.

위지희, 채규만 (2004).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성향과 심리,

사회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2), 397-416.

유연주, 조윤경 (2008). 수도권 지역 초등학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실태 조사: 교사 행동 평정을 중심으로. 특수아동교육연구, 10(1), 169-190.

유은영, 이지연 (2005). 무게감 있는 조끼(weighted vest)의 착용이 주의력 결핍

아동의 과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3(1), 37-44.

유은정 (2002). ADHD 아동의 언어적 특성에 따른 상호 작용 활동의 화용론적

언어중재 전략 구안. 특수아동교육연구, 4(2), 121-137.

유은정 (2006). 화용론적 언어중재를 통한 ADHD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 증진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8(2), 283-310.

유일영, 라진숙, 오의금, 김민정 (2009). 보육교사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에

대한 지식수준 및 태도. 아동간호학회지, 15(4), 383-391.

유재연, 이태수 (2005). ADHD 아동의 연산 수행능력 발달패턴 분석.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6(4), 277-296.

유지영, 김춘경 (2008). 음악치료 기법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문제

행동 개선과 사회기술향상에 미치는 효과.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4(2),

255-274.

유지영, 전은주, 김춘경 (2009). ADHD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 및 사회성 기술

향상을 위한 음악과 미술치료프로그램의 효과성 비교연구. 정서ᆞ행동장애

연구, 25(3), 73-92.

유한익, 김진용, 박수빈, 전정원, 왕희령, 김붕년, 홍진표, 김성윤, 김창윤

(2006). 중추신경자극제를 사용할 수 없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에서의 Modafinil 효과 - 예비연구. 신경정신의학, 45(6), 598-603.

Page 36: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9倦 第4號)

- 60 -

윤미연 (2008). ADHD 아동을 위한 문학치료 사례 연구. 문학치료연구, 9,

179-226.

윤병수 (2010). ADHD에 대한 명상의 치료적 개입 가능성.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6(1), 121-143.

윤선아 (2007).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을 위한 부모 훈현 방안에

관한 문헌 고찰.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3(4), 1-27.

윤선영, 구영진, 전진아, 현명호, 김효창 (2007). ADHD 아동에 대한 사회기술

훈련과 부모 교육 병합 치료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2(3), 529

-545.

윤정민, 박준우, 이건희, 김성구 (2009).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진단 및

치료 평가에서 평가척도 및 연속수행검사의 관련성 및 유용성. 대한소아

신경학회지, 17(1), 70-77.

윤정자, 김영희 (1998). 주의력결핍 - 과잉행동 아동의 범주화와 가족환경 특성.

대한가정학회지, 36(8), 123-140.

윤정주, 김대광, 정철호 (2007).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와 도파민 D4 수용체

촉진자 부위 -521C/T 다형성과의 연관성. 생물치료정신의학, 13(2),

239-244.

윤치연 (2001). 한국판 - 주의력결핍 , 과잉행동장애검사(K-ADHDT)의 표준화

예비 연구. 정서ᆞ행동장애연구, 17(1), 107-120.

윤치연, 이영순 (2004). 한국 주의력결핍ᆞ과잉행동장애 진단검사 표준화 개발

및 웹기반 평가시스템 개발. 상담학연구, 5(4), 927-939.

윤치연, 천성문, 이영순 (2002). 가정환경이 주의력결핍ᆞ과잉행동장애아동의

자기 지각 및 적응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3(2), 469-480.

이경숙, 유윤정, 안동현, 신의진 (1996). ADHD 아동과 외면화 증후를 공존질

환으로 갖는 ADHD 아동간의 심리사회적 변인에 관한 비교연구. 소아ᆞ

청소년정신의학, 7(2), 203-212.

이경아, 이윤미, 이정림, 이숙정 (2008). ADHD 초등학생의 학교적응과 학교기반

개입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요구.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4(4), 121-147.

이경희, 신민섭, 김붕년, 조수철 (2003). 읽기 장애와 주의력 결핍/과잉 운동 장애

아동의 주의력 과제와 음소 변별 과제 수행 비교 -청각과제를 중심으로-.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14(2), 197-208.

이광섭, 오수성, 김정호 (2007).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지능특성:

K-WISC-III에서 지능다중분석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4),

977-995.

Page 37: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61 -

이근매, 문장원, 이은림, 최은영 (2000). 언어지도와 병행한 미술치료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아동의 공격행동 및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ᆞ행동

장애연구, 16(2), 213-233

이기현 (2003). 통합 학급에서 주의력 결핍 및 과잉 행동 장애(ADHD) 특성을

지닌 유아의 친 사회적 행동 발달 과정(Ⅲ).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8(1), 1-27.

이기현 (2004). 통합 학급에서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DHD) 특성을

지닌 유아의 친 사회적 행동발달 과정.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5(4),

121-147.

이기현 (2005). 통합 학급에서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DHD) 특성을

지닌 유아의 친 사회적 행동발달 과정(II).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6(4), 315-342.

이동형 (2009). Inhibition of Working Memory: Testing Two Models of

ADHD. 사회과학연구, 20(3), 151-174.

이동형, C. A, Riccio (2009). 성인 ADHD, 난독성향 및 약물남용 증후에 대한

집행기능 모형의 타당성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3), 783-809.

이동훈 (2009). 초등학생의 ADHD 증상 유병율 및 우울, 불안, 스트레스, 학교

부적응과의 관계. 상담학연구, 10(4), 2397-2419.

이명자, 홍경자, 조성은 (2004).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과 정상아동

간의 귀인성향과 사회적 기술의 차이. 상담학연구, 5(3), 681-692.

이명주 (2007).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증상과 부적응: 자기개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2), 429-448.

이명주 (2006).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의 하위 유형에 따른 남녀 차이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1(4), 459-476.

이명주, 홍창희 (2006a).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의 하위 유형별 인지적 템포와

부주의 특성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89-103.

이명주, 홍창희 (2006b).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의 하위 유형에 따른 주의기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4), 969-986.

이명희, 강문희 (2008).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의 부주의와 충동성 감소를

위한 인지중재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아동학회지, 29(6), 87-103.

이미숙, 최 영, 이무석 (1997). 주의력 결핍ᆞ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 Methyl

phenidate에 의한 사건관련전위와 연속과제수행 변화사이의 상관성. 소아

ᆞ청소년정신의학, 8(2), 273-286.

이미아 (2008). ADHD아동의 사회적 유능성과 영향요인간의 관계. 특수교육학

Page 38: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9倦 第4號)

- 62 -

연구, 43(1), 17-35.

이미아 (2009a). 어머니가 인식한 아버지 양육참여도와 ADHD아동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특수교육연구, 16(1), 137-152.

이미아 (2009b). ADHD를 가진 아동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어머니 특성 및 자녀

특성과의 관계. 특수아동교육연구, 11(2), 95-111.

이병대, 정성훈, 이만기, 장수민, 백지령, 임효덕 (2002). Methylphenidate 투약

에 따른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아동의 정량화 뇌파의 변화. 생물치료

정신의학, 8(1), 118-127.

이상복, 김영미 (2007). 주의집중 활동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의 과제불이행

및 과다언어행동에 미치는 효과.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3(2), 29-48.

이수진, 하은혜, 오경자 (2008). ROC 분석을 통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

의 변별: K-CBCL 소척도를 기준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1),

191-207.

이슬기, 손승현 (2009). SRSD(자기조절전략)를 활용한 쓰기교수가 ADHD 아동

의 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장애연구, 6(2), 43-67.

이승희, 윤호열 (2007). 가족놀이치료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경향을 지닌 아동

가족의 가족기능과 아동의 주의산만 행동에 미치는 효과. 정서ᆞ행동장애

연구, 23(3), 25-50.

이영나, 김광응 (2006). ADHD 아동의 부적응에 대한 개입 효과 연구 개관. 한국

놀이치료학회지, 9(3), 1-21.

이영미 (2004). ADHD 아동의 통합놀이치료 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7(1),

41-57.

이영분, 신준섭 (2000).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아동 가족을 위한

체계론적 치료접근방법에 대한 탐색적 고찰: PMT활용을 중심으로. 한국

가족복지학, 6, 129-157.

이영식, 방양원 (1998). 청소년, 성인의 주의력결핍 과다활동장애. 신경정신의학,

37(5), 932-941.

이영주 (2009). ADHD, 수학영재, 과학영재, 일반아동의 창의성 비교. 사고개발,

12, 49-63.

이영철, 안창식 (1999). 자기통제훈련이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효과. 정서ᆞ행동장애연구, 15(2), 67-82.

이유니 (2010). ADHD 아동을 위한 기독교 부모교육. 기독교교육정보, 25, 207

-226.

이유정 (2010). Modafinil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효과에 대한 체계적

Page 39: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63 -

문헌 고찰. 한국임상약학회지, 20(1), 66-71.

이윤경 (2010). ADHD 아동들의 이야기 회상 산출과 집행기능과의 관계. 언어

청각연구, 15(1), 20-33.

이윤경, 최윤지 (2009). 언어문제 동반 여부가 ADHD 아동들의 이야기 회상 및

이야기 구조 산출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 8(2), 185-201.

이정림 (2008). Prevalence of ADHD among Children in Kyungnam Province:

Gender Issues.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4(2), 217-230.

이정림, 강경숙 (2010). Review of the Studies of ADHD Factor Structure

reflected in DSM.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1(2), 361-385.

이정림, Miriam Mulsow (2006). The Impact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History of Family Abuse, and Substance Abuse on

Current Family Violence.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2(4), 207-222.

이정림, 재경숙, 윤치연 (2003). Long-term Consequence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정서ᆞ행동장애연구, 19(4), 227-241.

이정섭, 김주한, 홍강의 (1997). 주의력 결핍ᆞ과잉행동장애 소년의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한 뇌량 및 측뇌실의 계량적 특성분석. 신경정신의학, 36(2),

274-280.

이정옥, 서지민, 김정순, 전성숙 (2004). 중등교사의 주의력 결핍ᆞ과잉 행동장

애에 대한 지식, 대처 및 교육적 중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7(2),

35-46.

이정은, 김춘경 (2000). ADHD 아동을 위한 사회기술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적용연구. 놀이치료연구, 4(2), 59-77.

이정은, 김춘경 (2010). ADHD 아동의 주증상 완화와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부모

교육과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1(1),

253-276.

이정은, 김춘경 (2009). ADHD 아동의 학교기반 중재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구성의 예비연구. 열린교육연구, 17(4), 343-364.

이정은, 김춘경 (2002). 사회기술향상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사회기술과 ADHD

주요증상 변화에 미치는 효과. 정서ᆞ행동장애연구, 18(2), 207-223.

이종범, 박성찬, 정성덕, 김진성, 서완석, 배대석, 주열 (2002). Swanson의 주의

력결핍 장애척도의 한국판 표준화. 생물치료정신의학, 8(2), 261-270.

이종범, 박순재, 정성적, 김진성, 서완석, 배대석 (2002). 학습장애를 동반한 주의

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임상적 특성. 생물치료정신의학, 8(2), 271-281.

이종범, 배진우, 정성덕, 김진성, 서완석, 배대석, 송신호 (2003). 주의력결핍과

Page 40: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9倦 第4號)

- 64 -

과잉행동을 주 증상으로 한 소아ᆞ청소년 환자의 임상특성. 신경정신의학,

42(2), 231-245.

이종범, 성형모, 정성덕, 김진성, 서완석, 배대석, 정은정, 박형배 (2002).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치료효과 예측인자. 대한정신약물학회지, 13(3), 170

-193.

이준필 (2009).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유아에게 미술치료가 미치는 교육적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2), 293-317.

이준화, 권순학 (1999). 주의력 부족/행동과다장애의 동반이환율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소아신경학회지, 7(2), 237-243.

이지연 (2008). 무게감 있는 조끼를 적용한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아동의 뇌파

변화.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6(4), 55-64.

이현아, 박형배, 배대석, 백용매 (2001).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아동의 주의력

수준이 CPT와 WCST수행에 미치는 효과. 신경정신의학, 40(4), 656-666.

이형구, 신미라 (2003). 관찰표현활동을 통한 주의력결핍 아동의 집중력 향상에

관한 연구. 미술치료연구, 17(1), 92-115.

이혜련, 오경자 (1988). 주의력 결핍 - 과잉운동장애의 deanol치료 사례보고.

최신의학, 31(7), 131-134.

이효신 (2000). ADHD 아동의 특성과 중재에 관한 고찰. 정서ᆞ행동장애연구,

16(1), 159-180.

이효신 (2007).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에 관한 소고.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6(1), 169-190.

이효신, 손양희 (2003).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분석. 정서

ᆞ행동장애연구, 19(4), 243-263.

이효신, 함명실 (2009). 또래모델링역할놀이가 ADHD 성향 유아의 놀이참여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8(1), 111-132.

이희정, 박형배, 김진성, 시현석, 성형모, 사공정규 (200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에서 Methylphenidate 투여에 의한 연속수행검사의 변화양상.

대한정신약물학회지, 11(4), 327-334.

임경희, 조붕환 (2004). 성, 학년, 지역에 따른 초등학생의 ADHD 출현을 조사

연구. 초등교육연구, 17(1), 235-260.

임명호, 유성훈, 백기청, 조수철, 김현우, 윤도영 (2003).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에서 환자군과 가족군간의 Dopamine Transporter G?에 관한 유전자

다형성 반복 대립유전자의 빈도. 대한정신약물학회지, 14(4), 347-353.

임명호, 이우철, 이상구, 이창민, 김현우, 왕성근 (2006). Methylphenidate에

Page 41: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65 -

의해서 유발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환자의 수면장애에 대한 Mirtazapine

의 치료효과. 생물치료정신의학, 12(2), 268-273.

임명호, 최성규, 백기청, 조수철, 김현우, 심정현, 윤도영, 서영주, 김종완, 박태원

(2005). 한국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와 COMT(Catechol-O-Methyltrans

ferase) 유전자 다형성의 관련성. 대한정신약물학회지, 16(4), 317-323.

임명화, 홍종관, 임신화 (2002). 꼴라쥬 기법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정서ᆞ행동장애연구, 18(1), 127-154.

임정섭, 조광순 (2002). 흥미 및 강화 변인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유아의

회상기억과 재인기억에 미치는 영향. 정서ᆞ행동장애연구, 18(3), 307-325.

임종아, 황민아 (2009). 이야기 다시 말하기에서 나타난 ADHD아동의 mazes

특성. 언어청각연구, 14(1), 95-107.

임혜정, 김혜리, 손정우, 김영랑 (2008). 학령기 ADHD아동에 대한 사회기술훈련과

부모훈련의 병합치료 효과. 아동교육, 17(1), 225-239.

장문선 (2008). 한국판 Conners 성인 ADHD 평정척도-단축형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 표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2), 499-513.

장미경, 양숙미 (2005). 어머니의 장애인식, 양육태도 및 자아존중감이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1(4), 163-188.

장원석, 홍성도, 정유숙 (2006).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환아들의 기질 및

성격 특성. 신경정신의학, 45(1), 77-82.

장은경, 안동현, 김재환 (2003). ADHD 아동의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검사 수행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1), 173-185.

장은경, 하은혜 (2009). 지역사회 유아 ADHD 선별에서 CBCL 1.5-5 유아용

행동평가척도의 유용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1), 205-221.

장은진 (2005).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을 위한 학교기반 개입의 예비연구.

열린교육연구, 13(1), 63-84.

장은진 (2006).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를 지닌 교회학교 아동들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11, 145-168.

장은진 (2008). 학령 전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게임놀이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5, 137-167.

장정주, 천성문, 김보경 (1998). 과잉행동아의 비학습행동 감소를 위한 무상토

큰 반응대가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121-141.

장혜경 (2007). 사회기술훈련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사회기

술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4(4), 669-690.

Page 42: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9倦 第4號)

- 66 -

장혜경, 최외선 (2008).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충동

성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5(3), 391-410.

전영준, 임명호, 이미정, 김현우, 권호장 (2009).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에서

철분투여의 임상 효과: 증례보고 및 고찰. 대한정신약물학회지, 20(3),

147-151.

전혜윤, 황민아 (2005). 배경음악을 통한 청각자극이 ADHD아동의 철자인지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언어청각연구, 10(2), 43-60.

정경미, 오경자 (1991). 과제유형과 피이드백(feedback)이 주의력결핍 과잉활동

아의 주의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217-230.

정계숙, 고은경, 최은아, 이은하, 이정림 (2008). 치료적 제한 설정을 활용한 집단

중재 프로그램을 통한 ADHD 특성을 지닌 아동의 분노 표출과 공격적 행동

감소.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4(4), 149-181.

정계숙, 구강민 (2009). 유아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 특성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 간

평정 일치도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2), 317-338.

정동선, 하규섭, 정희연, 구훈정, 황준원, 김붕년, 신민섭, 조수철, 홍강의 (2006).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와 양극성장애 공존 환아군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환아군의 비교연구. 신경정신의학, 45(6), 588-597.

정미라 (2006). 음악치료가 ADHD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15(2), 241-255.

정미라, 최영경 (2005).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4), 335-358.

정선녀, 정승아 (2009). ADHD로 진단된 아동의 ADS 및 KEDI-WISC의 반응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1), 137-151.

정선주, 신민섭, 하규섭, 홍강의 (1997).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를 이용한 주의

력결핍/과잉운동 장애의 주의력결핍특성에 관한 연구. 소아ᆞ청소년정신

의학, 8(2), 242-255.

정영철, 이종범, 박형배, 정성덕, 성형모, 사공정규 (200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연령에 따른 특성비교. 생물치료정신의학, 7(1), 137-1460.

정유숙, 송동호, 이만홍 (1995).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아동에서 공격성과

우울 증상 간의 상관관계. 신경정신의학, 34(1), 148-155.

정 은, 강아롬 (2008).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DHD)에 대한 교육적 이해.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9(3), 109-127.

정종진, 김영화 (2002).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충동성

및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 15(2), 403-424.

Page 43: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67 -

정철호, 류설영, 김희철 (2007).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 정상 아동의

지능, 기억 및 전두엽 관리 기능에 대한 비교 연구. 생물치료정신의학, 13(2),

307-314.

정현주 (2008).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의 주의집중력 증진을

위한 음악인지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열린교육연구, 16(3), 55-71.

정현희, 홍강의 (1991). K-WISC Profile에 나타난 자폐아동과 주의력결핍장애

아동의 인지 특성비교.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2(1), 97-101.

정혜경, 박성숙 (1995). 국민학교 아동의 설탕섭취량이 주의결핍 과잉활동장애에

미친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28(7), 644-652.

조경희, 최성규 (2006). 플래시 애니메이션 동화학습이 ADHD 아동의 학습흥미도

및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7(4), 343-361.

조붕환, 임경희 (2002). 게임을 이용한 행동적 집단상담이 ADHD 아동의 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23(5), 167-182.

조수철 (1990). 주의력결핍ᆞ과잉운동장애의 개념과 생물학적 연구. 소아ᆞ청소년

정신의학, 1(1), 5-26.

조수철, 김동현, 김자성 (1993). 주의력결핍ᆞ과잉운동장애아의 기질적 특성.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4(1), 114-123.

조수철, 김재원, 김붕년, 황준원, 박미라, 김순애, 조대연, 유희정, 정운선, 손정우,

박태원 (2008).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와 Alpha-1C-Adrenergic 수용체

유전자와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47(1), 73-80.

조수철, 이명철, 문대혁 (1990). 주의력결핍ᆞ과잉운동장애의 단일광자방출 전

산화단층촬영 소견에 관한 연구.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1(1), 27-39.

조수철, 정 영, 신성웅, 황준원, 신민섭 (2001). 주의력결핍ᆞ과잉운동장애의

Serotonin계의 개체발생적인 과정과 정신병리와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12(2), 165-178.

조영경, 하은혜 (2009). ADHD 학업수행평가를 위한 학업수행 평가척도(K-APRS)

부모용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4), 1173-1189.

조윤경 (2007). 보육교사의 관찰과 평정을 통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증후

아동의 선별 및 하위 유형조사. 한국영유아보육학, 9(1), 275-295.

조은정 (2003). 우울 동반 여부에 따른 ADHD의 Rorschach 반응 특성 비교.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14(2), 174-182.

조인희 (2003).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 공존질환의 약물치료. 소아ᆞ청소년

정신의학, 14(1), 36-52.

조주연, 최강혜 (2008).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성(ADH)의 뇌과학적 이해와 교육적

Page 44: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9倦 第4號)

- 68 -

대처방안. 교육학연구, 46(2), 157-178.

조현승 (2004).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아동에 대한 인지-행동 수정 프로그램의

효과 - 또래관계를 중심으로 -. 놀이치료연구, 8(1), 95-116.

주나미, 김성희, 박희나, 이소영, 김민정, 정경숙 (2006). 아동의 간식섭취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1(2), 193-201.

진흥신, 윤점룡 (2001). ADHD 아동의 놀이다움(Playfulness)특성 연구. 정서

ᆞ행동장애연구, 17(1), 207-229.

채희태(Che Hee-Tae) (2004). 개인심리학과 현대 신경과학의 만남 :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에 관한 시사점.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5(4),

1-24.

천근아, 김붕년, 조수철, 김재원, 황준원, 신민섭, 홍강의 (2005). 한국인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 도파민 D4 수용체 유전자의 Variable Number

of Tandem Repeats (VNTR) 다형성과 Methyphenidate 치료 반응간

의 연관성. 신경정신의, 44(6), 655-662.

천근아, 유영훈, 김영기, 남궁기, 김찬형 (200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이동

에서 Ⅰ-123 IPT SPECT로 측정한 기저 신경절 도파민 운반체 밀도.

대한정신약물학회지, 13(2), 95-103.

천근아, 유영훈, 김재원 (2004).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에서 도파민 운반체 유

전자의 10-Repeat Allele Homozygosity와 [123I]lPT SPECT로 측정한

도파민 운반체 밀도가 Methylphenidate 치료 반응에 미치는 영향. 신경

정신의학, 43(2), 151-158.

천근아, 유영훈, 남궁기, 김찬형, 이종두 (2003).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

에서 Methylphenidate 투여 전후[123I]lPT SPECT로 측정한 기저 신경절

Dopamine Transporter Density. 신경정신의학, 42(1), 61-68.

천은진, 서완석, 이종범, 김진성, 구본훈, 송창진, 성형모, 배준용, 배대석

(2005).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지적수준에 따른 정신병리와

실행기능의 차이. 신경정신의학, 44(4), 511-517.

최민경, 김수연 (2004). 기능분석에 의한 교사의 관심과 선호 활동 제공이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0(4), 91-116.

최보문, 김우선, 박난숙 (1994).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 아동의 주의력평가를

위한 T.O.V.A.의 유용성 : 예비연구. 신경정신의학, 33(6), 1306-1312.

최보문, 성양숙, 한상익, 이성필 (1997). Methylphenidate 투약에 따른 주의력

결핍 과잉운동장애 아동의 청각 사건관련전위의 변화. 신경정신의학, 36(2),

281-291.

Page 45: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69 -

최보문, 이방락 (200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주의집중력의 특성:

시각 및 청각 TOVA와 지능검사 결과를 중심으로. 신경정신의학, 39(5),

870-878.

최보문, 전덕임 (2003).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의 공존질병 유무에 따른 KEDI-

WISC와 TOVA의 수행양상 비교. 신경정신의학, 42(2), 246-253.

최승희, 조용태 (2006). ADHD아동의 미술치료에 관한 학위논문 분석. 예술심리

치료연구, 2(2), 85-109.

최윤영, 김지혜, 조선미, 홍성도, 오은영 (2002).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어머니의 우울감,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 관련 태도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13(1), 153-162.

최은주, 김영미 (2001). ADHD 아동의 우울, 불안, 공격성과 연령에 따른 부적

응적 인지 특성(인지 오류와 귀인 편파를 중심으로).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12(2), 275-281.

최재원, 한덕현, 강성구, 강경두, 정혜연 (2010). ADHD 아동의 운동 참여가 기분

상태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1(3), 203-216.

최중옥, 김주창 (2002). 주의력 결핍 아동의 행동변화를 위한 원예ᆞ압화 프로

그램 구성과 실험설계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4(2), 179-200.

최지욱, 임명호, 이창화, 박진규, 손정우, 심세훈, 유인규, 강현수, 정범석 (2008).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 틱 장애 동반 여부에 따른 확산 텐서

영상 비교 연구. 신경정신의학, 47(5), 493-502.

최진숙, 주은정 (1994).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 아동의 뇌청각 사건유발전위.

신경정신의학, 32(2), 484-495.

최진영, 이상선 (2009). 서울시내 일부 중학생의 식습관, 영양지식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의 관계. 한국영양학회지, 42(8), 682-690.

최진오 (2008). 주의결핍/과잉행동성장애(ADHD)의 뇌과학적 기재와 교육중재방안.

학습장애연구, 5(2), 23-42.

추영란, 최보가 (1995). 취학전 아동의 주의력결핍 , 과잉활동장애 및 가족변인이

부모역할, 가족기능지각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3(5), 241-253.

편도원, 곽승철 (2008). ADHD아동의 교육,행동중재 관련 연구 분석: 1989년

-2007년까지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정서ᆞ행동장애연구, 24(2), 49-80.

하은혜, 오경자 (1992). 주의력결핍 과잉활동아의 약물치료에 따른 모-자 상호

행동과 인지적 행동적 증상의 변화.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1(1), 145-160.

하은혜, 오경자, 홍강의 (1992). 주의력결핍 과잉활동아의 모-자 상호행동. 소아

ᆞ청소년정신의학, 3(1), 84-96.

Page 46: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9倦 第4號)

- 70 -

한미경, 김혜리, 손정우, 김영랑, 최현옥 (2009).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아동의 마음

이론과 사회적 능력. 아동교육, 18(4), 277-292.

한선화, 현은강 (2008). ADHD아동의 부모를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의 양육스트

레스, 양육효능감, ADHD아동의 ADHD증상에 대한 효과. 한국가정관리학

회지, 26(2), 43-55.

한은선, 안동현, 이양희 (2001).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ADHD)아동에서 사회

기술훈련.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12(1), 79-93.

허정식 (2004). 프로그램화된 신체운동이 주의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아동의

자기개념, 주의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9(2),

187-198.

홍강의, 김종흔, 신민섭, 안동현 (1996). 주의산만ᆞ과잉운동을 주소로 소아정신

과를 방문한 아동의 진단적 분류와 평가. 소아ᆞ청소년정신의학, 7(2), 190

-202.

홍영민, 오은영 (2000). 주의력 결핍-과잉운동 장애와 임신, 출산, 태생직후 위험

인자의 관련성. 신경정신의학, 39(6), 1083-1092.

홍현주, 유영훈, 남궁기, 김찬형, 천근아, 이홍식 (2003).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에서 Methylphenidate 치료반응 예측인자로서의 기저신경절

Dopamine Transporter Density-[(123I]IPT SPECT 연구. 대한정신

약물학회지, 14(4), 377-386.

황순영 (2007). 유치원 교사의 ADHD에 대한 지식과 중재에 대한 수용도. 특수

아동교육연구, 9(2), 165-179.

황순영 (2008). ADHD유아에 대한 조기 판별 가능성 탐색: 유아교사의 ADHD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중심으로. 특수아동교육연구, 10(3), 1-17.

황순영 (2009).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의 ADHD학생 교육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1(4), 77-100.

Oh, Hee Young. Kim, Sook. Kim, Jin Sun (2008). Knowledge and

Attitudes of School Nurses to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아동간호학회지, 14(3), 243-251.

T. C, Papadopoulos., R. K, Parrila., & J. P, Das (2001). Methylphenidate

and Problem Solving in Children with ADHD: Dose Equal Outcome

Mean Equal Process?. 사고개발, 11(1), 51-72.

Page 47: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71 -

논문접수 : 2010. 10. 30 / 수정본 접수 : 2010. 12. 14 / 게재 승인 : 2010. 12. 23

<Abstract>

Research on Supporting Trend of ADHD

Kim, Min Dong

This research analyzed a total of the selected 366 treatises to take a

look at the research trends on the support for ADHD which has been

achieved for 22 years from 1989 until 2010 at home.

As a research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distribution of research

works on ADHD by year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and the breakdown

of the research distribution and their frequently handled realm are as

follows: First, “Journal of Emotion & Behavioral Disorders” appeared in

highest frequency in research distribution by academic journal; social

field did in research field; educational support did in the pattern of

support; “research and study” did in the pattern of research; “diagnosis

and assessment” showed in highest frequency in research subject.

On the other hand, ADHD appeared in highest frequency in the pattern

of research subject; age of research subject frequently stayed at elementary

school age; number of research subjects was frequently from 1 to 10;

the ratio of men to women was frequently 5.8:1; tools for diagnosis &

measurement are frequently medical specialists; data processing was

done frequently using statistics; plan for a single subject was frequently

using AB design; mediatory strategy was frequently using art therapy,

and mediatory periods frequently ranged from 11 sessions to 20 sessions.

Key Words : ADHD, Trend, Analysis Indicator

Page 48: ADHD의 지원 동향에 관한 연구 - risers.daegu.ac.kr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2-%B1%E8%B9%CE%B5%BF.pdf ·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