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기업환경론 발표자료

Post on 07-Jul-2015

858 Views

Category:

Technology

4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과목 : 국제기업환경론

H 조 : 맹경선, 김윤아, 이동준, 김용성, 김종옥

2010. 6. 8.

^^;2

:-)

Ⅰ. 21세기 세계경제의 특징

3FDI 연평균증가추이

세계 FDI의 연평균 증가 추세

4한중일 역내수출 비중추이

21세기 동북아시아 시대 조류

5한중일 수출입 규모변화

21세기 동북아시아 시대 조류

6

5 배

3 배

왜 동북아인가?

Ⅱ. 왜 동북아인가?

7

NAFT

A

EU25개국

MERCOSU

R

AFTA (ASEAN-10)

FTAA(협상 중)ACP

SAPTA

?

한중일 3국은 동아시아 GDP의 85%를 점하고 있어 동아시아 경제공동체의 구심점이 되어야…

한중일 무역수지 규모변화

한∙중∙일 간 무역수지 규모 변화

8중국 무역수지 추이

중국의 무역수지 추이

9

-400

-350

-300

-250

-200

-150

-100

-50

0

50

100

150

對 일본 對 한국

단위 : 억 달러

중국 10대 교역 상대국

중국의 10대 교역상대국 현황

10일본 무역수지 추이

일본의 무역수지 추이

11

-150

-100

-5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對 중국 對 한국

단위 : 억 달러

한국 무역수지 추이

한국의 무역수지 추이

12

-400

-300

-200

-100

0

100

200

300

對 일본 對 중국

단위 : 억 달러

한국의 무역수지 추이

13

한∙중∙일 간 무역수지 규모 변화

14저중고 기술제품

저∙중∙고기술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

15주요국 입장 - 상황

Ⅲ. 동북아 경제공동체에 대한 주요국의 입장

16

• 만성적자에 시달리는 국유기업

• 서부지역 개발 계획

중국의 입장

• 노후설비의 해소문제

• 고령화 사회에의 대응

일본의 입장

한국의 입장

한중일 아세안 10

Ⅲ. 동북아 경제공동체에 대한 주요국의 입장

17주요국 입장

Ⅲ. 동북아 경제공동체에 대한 주요국의 입장

18

• ASEAN + 3(한∙중∙일) 지지. 2002년 한∙중∙일 FTA를 가장 먼저 제안

• 동북아 주도권을 잡기 위해 적극적으로 FTA 추진

중국의 입장

• ASEAN + 6(한∙중∙일∙인도∙호주∙뉴질랜드) 지지

• 중국의 영향력 확대 우려. 일본과 교류가 많은 호주∙뉴질랜드 끼워넣기

일본의 입장

• 자국이 배제된 채 발전 잠재력이 큰 동북아 경제통합이 진행되는 것에 대해 경계

• ‘중국 위협론’을 앞세워 중국 주도의 경제통합에 대한 견제심리 작용

미국의 입장

한중일 FTA 현황

19

2010년 5월 31일 조선일보 3면

Ⅲ. 동북아 경제공동체에 대한 주요국의 입장

일본

동북아경제공동체 장애요인

동북아 경제공동체의 장애요인

20

과거사의 미청산으로 외교안보적 긴장관계 상존

냉전시대의 유물

EU 내 소득격차 1 對 3 수준, NAFTA 1 對 10 정도 수준

동북아 지역에서의 소득격차는 1 對 30 ~ 50 이상

발전단계와 경제력의 차이

한국∙일본 – 자본주의, 북한 – 사회주의, 러시아∙몽고 – 계획경제에서 시장경제로 전환기

정치∙경제 제도상의 차이

역내 정치적 리더십 의지 부족

중∙일 간 패권 경쟁과 한국의 중재자 역할 부족으로 내적 구심점 부재

리더십 부재

동북아경제공동체 기본구도

동북아 경제공동체의 기본 구도

21

기능적 공간으로서의 동북아(열린 동북아)

중국

한국

일본

러시아 몽골

북한

ASEAN

미국

▶ 기본적으로 한∙중∙일이 핵. 사안에 따라 러시아,몽골 포함

▶ 기능적 공간으로는 ‘동북아 공통현안’ 해결에 이해관계를

갖는 모든 국가와 협력 가능 (ASEAN, 미국 포함)

동북아경제공동체 구상

Ⅳ. 동북아 경제공동체 구상

22

동아시아 경제공동체

동 북 아 경 제 공 동 체

동 북 아 경 제 협 력 체

▶ 경제협력체 :

FTA와 환율, 에너지 등 역내공통현안 해결을 위한

정책 협의 및 공조의 단계

▶ 경제공동체 :

통화통합으로 실질적 단일시장 형성.

거시경제, 대외무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동정책 수행

제3차 한중일 정상회의

23

제3차 한∙일∙중 정상회의

결론

Ⅴ. Win-Win 게임으로서의 동북아 경제공동체 조망

24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