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화학 사고시 응급구호활동

Post on 13-Jan-2016

82 Views

Category:

Documents

1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DESCRIPTION

생화학 사고시 응급구호활동. 서울소방방재본부 박 해 상. 화생방 (CBR). 화학전 (Chemical warfare) 독가스 등을 이용 생물전 (Biological warfare) 세균 등을 이용 방사능전 (Radiological warfare) 방사선물질을 이용. 화생방 (CBR). 히로시마 원자폭탄 20 세기 대표적인 화생방 무기 탄저균 ( 백색가루 ) 21 세기 최고의 공포무기 천연두 , 페스트 , 이질 , 황우독소 화학무기 신경작용제 , 질식작용제 , 수포작용제. 히로시마 원자폭탄.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생화학 사고시 응급구호활동

서울소방방재본부박 해 상

화생방 (CBR)

• 화학전 (Chemical warfare)– 독가스 등을 이용

• 생물전 (Biological warfare)– 세균 등을 이용

• 방사능전 (Radiological warfare)– 방사선물질을 이용

화생방 (CBR)

• 히로시마 원자폭탄– 20 세기 대표적인 화생방 무기

• 탄저균 ( 백색가루 )– 21 세기 최고의 공포무기

• 천연두 , 페스트 , 이질 , 황우독소• 화학무기

– 신경작용제 , 질식작용제 , 수포작용제

히로시마 원자폭탄

히로시마 원자폭탄

생물학적 무기

사용사례• 1346 년• 타타르족이 크림반도의 카파시를

공격하면서 페스트에 걸려 사망한 시체를 투석기로 성안에 던져 넣은 것이 첫 실전사용 기록 . 곧 바로 페스트가 번져 성이 함락되고 페스트가 유럽 전역으로 퍼져 4 년동안 2,500 여 만명이 사망

사용사례• 1942( 영국 )

– 양을 대상으로 그리나드 섬에서 최초로 시행 - 탄저균의 가치를 확인 / 무기로 사용하는 것을 연구

사용사례• 제 2 차 세계대전

– 일본 관동군 731 부대 ( 이시이 부대 )– 탄저균을 배양 30 명의 실험인체 나누어

감염실험– 34 세 남성에게 호흡기 감염 3 일후 해부– 세포가 괴사한 폐 , 점막이 벗겨진 목구멍 ,

강한 출혈을 한 기관지

사용사례• 제 2 차 세계대전

– 탄저폭탄• 규조토로 싼 세균폭탄 : 벼룩 수만마리

– 탄저폭탄을 하얼빈에서 10 인을 통나무에 묶어놓고 투하하여 탄저 노출

사용사례• 21 세기•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공격 ( 테러와의

전쟁 )• 몇몇 국가에서 발명• 탄저균 , 천연두 , 페스트 , 콜레라 ,

이질 , 장티프스 , 발진티푸스 , 유행성 출혈열 , 황우독소 , 세균 / 바이러스 30여종

탄저균

• 어원– 탄저 (anthrax): “ 석탄”을 뜻하는 그리스어

“안트라시스 (anthracis)”– 피부를 통해 탄저균이 침입하면 부스럼이

생기면서 피부가 석탄처럼 까맣게 된다는 데서 유래

– 한자 : 석탄 “탄 ( 炭 )” 자에 악창을 뜻하는 “저 ( 疽 )” 를 덧붙임

탄저균

• 원인균– Bacillus anthracis– 포자를 형성하여 10

0℃ 에서나 저온에도 견디는 아주 강한 내열성 , 내한성 세균

탄저균

• 감염경로– 토양속에 자연적으로 존재– 국내에도 전국 토양에 존재– 단단한 껍데기속에 싸여있으므로 땅속에서

수십년씩 생존– 풀을 뜯어먹는 소 , 염소 , 양 등

초식동물에서 주로 발생– 동물의 생가죽 , 털 , 뼈 등을 다루는 농부 ,

도살업자 및 수의사에서 발생

탄저균

• 감염경로– 인체에 감염시 경로에 따라

• 피부탄저• 소화기탄저• 호흡기탄저

– 탄저환자를 통한 인체간 전염을 없다–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호흡기감염은 거의 없다 .(예외 : 인위적 살포 )

탄저균

• 우리나라– 1950 년 한국전쟁 : 매우 많이 발생– 1994 년 경주 : 28명 발생 3 명 사망– 1995 년 2 명발생– 2000 년 5 명발생

탄저의 종류

• 피부탄저– 피부 탄저가 가장 일반적이지만 국내에서는 거의 없다

– 피부의 상처를 통해 감염되며 감염된 피부는 소양감이 있고 부풀어 오르면서 물집이 생기고 검게 변한다

– 소포상태는 통증없이 궤양으로 발전한다– 피부병변은 주로 손 , 팔 , 머리 , 목과 같이

노출된 부위에 단일 병변으로 나타난다

탄저의 종류

탄저의 종류

• 소화기 탄저– 탄저균에 오염된 고기를 먹었을 때

발생하며 6/25 이후 국내에서 발생한 탄저는 대부분

– 보통 1~7 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복통 , 메스꺼움 , 구토 , 고열 , 혈변 등의 증상

– 균이 혈액에 침투해 패혈증이 나타나면 치명적

탄저의 종류

• 호흡기탄저– 호흡기를 통해 폐탄저병에 걸릴려면 1~5㎛

크기의 탄저균 포자 8,000~10,000개를 들여마셔야 한다 .

– 사망률이 95%( 치명적 )– 호흡기를 통해 균이 침투하면 즉각 독감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때 바로 치료해야 한다 .

– 보통 2~7 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급격한 호흡곤란과 폐에 물이 찬다 .

탄저의 치료

• 페니실린 -G– 4 백만 단위를 4-6 시간 간격으로 정맥주사하고 7-10

일간 투여한다 . • 페니실린에 과민 반응이 있는 경우

– 에리스로마이신 , 클로르암페니콜 , 테트라사이클린을 사용한다 .

• 치료제– 시프로플락신 (ciproflaxin)

• 스테로이드– 경부탄저가 심하거나 뇌막염등

• 피부수포는 절개하지 않는다 .

기타• 천연두 (smallpox)

– 19 세기 이전 동남아 , 아프리카 등지에서 만연하였으며 소말리아를 마지막으로 지구상에서 소멸 (1980 세계보건기구 선언 )

– 아직도 실험실에서 배양중– 탄저균과는 재앙이 비교가 않된다– 초기에는 감기증상과 두통 , 오한 고열 , 발진 , 요통 , 수포형성

– 주 감염경로는 호흡기– 잠복기 : 2~5 일 감염후 1 주일쯤 발병

기타• 페스트

– 경직 , 두통 , 고열 , 피부출혈 , 호흡곤란 등을 일으킴

– 주 감염경로는 호흡기 , 쥐 , 벼룩– 잠복기 : 2~6 일

기타• 콜레라

– 설사 , 구토 , 탈수 , 복통 , 쇽을 일으킴– 주 감염경로는 소화기– 잠복기 : 6 시간 ~ 3 일

기타• 장티푸스

– 고열 , 오한 , 설사 , 위장장애 , 장출혈– 주 감염경로 : 소화기– 잠복기 : 1~2 주

기타• 발진티푸스

– 오한 , 고열 , 발진– 주 감염경로 : 이 , 쥐 , 벼룩– 잠복기 : 10~14 주

기타• 이질

– 복부경련 , 구토 , 설사 , 오한 , 고열– 주 감염경로 : 소화기– 잠복기 : 1~7 일

기타• 유행성 출혈열

– 일반적인 출혈 , 쇽– 감염경로는 등줄쥐– 잠복기 : 3~4 일

기타•항우독소

– 구토 , 가려움 , 혈변 , 수포– 주 감염경로 : 호흡기와 피부– 잠복기 : 매우 짧다 .

화학적 무기

사용사례• 고대 그리스

– 유황을 사용

• 제 1 차 세계대전– 1915 년 독일군이 벨기에의 이프리스 전투에서

염소가스 200t 을 살포하여 영국군 5,000 명을 살상했다는 기록

• 제 2 차 세계대전• 베트남전 , 이란 / 이라크전 , 구 소련의

아프간 침공

종류• 신경작용제

– 자율신경과 중추신경을 손상시켜 단시간 내에 사망하게 함

• 질식작용제– 폐에 손상을 주어 사망하게 함

• 수포작용제– 피부에 수포를 형성하고 소화기 , 눈 , 호흡기계에 손상

• 혈액작용제– 혈액내의 적혈구 기능을 마비 -산소결핍

신경작용제• 사린 (GB)

– 눈과 피부에 강한 독성– 구토 , 경련 , 호흡곤란 : 치명적– 무색 , 무취의 액체– 살충제 제조와 인명 살상용 신경가스로 사용– 휘발성이 강하고 공기보다 5 배정도 무겁기

때문에 바닥으로 빠르게 확산

신경작용제• 사린

– 액체의 경우 체중 70kg 인 성인이 0.7㎎ /㎥ 이상을 마시면 1분 이내에 사망하고 , 기체의 경우 공기중 농도가 70 ㎎ /㎥이상이면 즉사

– 2 차 세계대전중 나치 독일이 개발하여 이라크가 이란 및 쿠르드족과의 전쟁때 , 1995 년 3월 일본 옴진리교가 지하철역에 살포하여 6,000 여명의 사상자가 발생

신경작용제• VX

– 사린보다 독성이 강하며 눈과 피부에 강한 독작용

– 피부 , 폐를 통해 흡수되는 치명적인 신경가스

– 갈색 , 무취– 극소량만 흡입해도 즉사– 미국이 1961 년 4월 생산 , 성분은 비밀

신경작용제

• 타분– 눈과 피부에 강한 독작용– 1930 년대 독일 화학자 [ 슈뢰더 ]가 발명– 무색 , 무취– 다른 살충제처럼 신경가스로 전화이 용이

질식작용제

• 포스겐– 폐와 모세혈관 손상을 초래– 1 차대전 때 화학무기 희생자의 80%를

차지• PFIB

– 폐에만 작용하여 극소량으로 무능화를 초래

혈액작용제

• 시안화수소 (AC)– 호흡에 의해 신체 내에 흡수– 흡입후 경련 , 혼수상태를 초래– 15 내에 사망

• 염화시안 (CK)– 눈과 점막에 매우 자극적– 방독면을 무력화

수포작용제

• 유황계 , 질소계 , 포스겐옥심 등• 피부에 수포를 형성• 화상 , 흡입시 코와 인후부 점막을 손상

방사능 무기

사용사례• 원자폭탄

– 플루토늄이나 우라늄처럼 원자번호가 큰 중원소의 원자핵이 분열할 때 갑자기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을 이용

– 핵분열 과정에서 엄청난 열 에너지를 방출하기때문에 장해자와 화상환자가 발생

사용사례• 1945 년 8 월 ( 일본 히로시마 )

– TNT 20,000톤의 위력– 히로시마 주민 66,000 명 즉사 , 69,000 명

상처– 아직도 수십만명이 시달림

• 3 일후 ( 일본 나가사키 )– 플루토늄을 이용한 두번째 원자폭탄– 39,000 명 즉사 25,000 명 부상

피폭영향• 백혈병

– 피폭후 2~3 년– 히로시마의 예

• 2~3 년의 잠복기• 7~8년에 발생빈도가 정점• 20~25 년에 이르러 사망할때까지 평균 13.7 년

– 자궁내에서 피폭된 경우• 백혈병이외의 악성질환• 유년기 발생율 증가 /청소년기 감소

피폭영향• 유방암

– 방사선의 발암효과에 대해서 가장 감수성이 큰 조직중의 하나

– 잠복기 10~30 년 ( 평균 25 년 )– 피폭시의 연령에 의존성 / 선량에는 비의존성– 10~19 세 높은 위험률

피폭영향•갑상선암

– 잠복기 : 10~20 년– 성별과 연령에 의존– 여성 > 남성 (3 배 )– 10 세이하 > 20 세이상 (4 배 )– 호르몬이 종양 발생에 영향을 미치기때문

피폭영향• 폐암

– 감수성이 높은 부위• 기관지의 상부부위

– 폐암의 잠복기는 연령 의존성

탄저의 예방

•혼합백신 ( 탄 ·기혼백 ) 이 관납으로 공급– 탄저균 실험실 근무자

감염위험이 높은 동물을 만지는 사람탄저 위험이 높은 지역에 근무하는 군인

– 93%의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하지만 이는 ‘정상적인 상태’를 전제로 하는 것이며 , ‘생물테러’ 등의 경우엔 상황이 다르다

• 탄저의 예방 및 치료 : 생전진단의 가능성이 낮고 치료효과도 낮다 .

우리나라의 대책• 현재로서는 “뾰족한 방법이 없다” • 국립보건원이 최근 탄저 대책을 내놓기는 했으나 , 실효성은 작아 보인다 . 전염병 감시망을 통해 신고를 하도록 돼 있기는 하지만 , 막상 실제로 신고돼도 이를 처리할 전문 인력과 장비가 태부족이다 .

• 심지어 역학조사반 요원들이 입는 우주복처럼 생긴 ‘방호복’조차 국내에는 한 벌도 없다 .

우리나라의 대책• 국방과학연구소에서는 탄저 백신을 개발 중이지만 , 일러야 2005 년에 가능하며 , 양산에는 시일이 더 걸린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

• 국립보건원은 또 탄저 ·천연두 백신 등을 긴급 구입해 비축하겠다고 했으나 , 생산을 중단하고 있는 미국의 바이오포트사가 다시 생산하려면 4~6개월이 걸릴 전망이어서 이마저도 쉽지 않다 . 천연두 백신 역시 최소한 2 년 이후에는 생산될 것으로 보여 , ‘대책을 위한 대책’에 그칠 전망이다 .

행동요령 ( 탄저 테러 )

• 분말을 청소하려 하지말고 쏟아진 내용물을 무엇으로든 ( 옷 , 종이 , 쓰레기통 등 ) 덮는다 .

• 즉시 방을 나가 문을 닫고 다른 사람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

• 분말이 얼굴에 묻지 않도록 손을 비누로 씻는다 .

• 관계당국에 신고한다 .

행동요령 ( 탄저 테러 )

• 오염된 옷은 벗어서 비닐봉지 등 밀봉된 용기에 넣고 , 옷 봉지는 추후 긴급대처오원에게 준다 .

• 최대한 빨리 비누와 물로 샤워를 하고 표백제나 소독제를 절대 바르지 않는다 .

• 가능하면 그 방이나 해당 장소에 있었던 사람 , 특히 실제로 분말에 접촉했던 사람들의 명단을 작성해서 관계당국에 제공한다 .

행동요령 ( 생물학테러 )

• 몸을 청결히 하고 , 개인 위생에 힘쓴다 .• 음식물은 충분히 익히고 물은 항상 끓여 먹는다 .

• 침구류를 자주 일광 소독한다 .• 연못이나 하천에서 목욕하지 않는다 .• 평상시에 병원체를 운반할 수 있는 쥐 , 벼룩 ,

이 , 진드기 , 모기 등을 박멸한다 .• 방송 등을 통하여 정부 대처방안에 주의를

기울인다 .

행동요령 ( 화학테러 )

• 화학테러 발생시 일차적인 목표는 테러발생 지역으로부터 대피하여 독성물질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

• 실화에 있다면 대피의 기본원칙은 상류쪽으로 , 높은 곳으로 , 바람을 안고 ( 바람을 거슬러 ) 이동한다 . 독성가스는 대부분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낮은 곳에 고이는 특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높은 곳으로 이동해야 한다 .

행동요령 ( 화학테러 )

• 화학테러가 의심되는 곳이 지하철 , 백화점 등의 실내공간이라면 빨리 실외로 대피하여야 한다 .

• 차를 타고 사고현장을 지나게 된다면 창문을 닫고 , 에어컨 등을 반드시 꺼야 한다 .

• 일단 대피하였으면 즉시 관계당국에 신고하고 , 이때 상황을 잘 설명하고 화학물질테러( 사고 ) 의 가능성이 있음을 이야기 한다 .

행동요령 ( 화학테러 )

• 화학테러시 사고현장을 구경하는 것은 자신의 목숨을 건 행동이므로 기상상황 등에 따라서는 아주 멀리 피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가능한 한 멀리 대피하되 , 현장 관계자의 지도에 따라야 한다 .

• 안전한 곳으로 대피한 후 옷 , 피부 등에 독성물질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다른 사람이나 물건에 접촉하는 경우 다른 사람이나 물건도 오염될 수 있다 . 일례로 호학테러 현장에서 대피한 후 차안으로 들어갔다면 차량 안이 오염될 수 있다 .

행동요령 ( 화학테러 )

• 비록 어떠한 증상도 나타나지 않는다 하더라고 오염물질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면 옷을 위에서부터 아래로 모두 벗고 햐워를 철저히 한 후 , 따뜻하고 느슨한 옷으로 갈아입는다 . 또한 집안을 오염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벗을 옷가지들은 새지 않는 비닐봉지등에 넣어서 폐기하여야 한다 .

• 피부 , 눈 등에 어떠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조속히 전문의에게 진단을 받는것이 좋다 .

기본 인명 구조술(Adult Basic Life Supp

ort)

Phone first vs phone fast concept

• 8세이상 성인은 전화먼저 (phone first)

• 8세미만은 1분후 전화 (phone fast)• 제외 :

– 익수 /익사 (phone fast)– 외상과 관련된 심정지 (phone fast)– 약물과용 (phone fast)– 부정맥의 위험이 높은 아동의 심정지 (ph

one first)

치료절차표의식확인

기도평가

폐쇄징후는?

호흡평가 부적절한 호흡징후는 ?

맥박평가

맥박이 있는가 ?

신체검진

초기평가

혈압체크 / 체위

병력 / 신체검진

이송 / 도착전 보고

기도개방

양압환기 /산소공급

CPR/ 자동제세동 있음

있음

있음

없음

없음

없음

있음

BLS 적용

• 호흡정지•심정지

BLS 단계• 평가

– 의식상태 확인– EMS 체계 활성화

• The ABCs of CPR• The “D” of

defibrillation

의식상태 확인과 도움요청

EMS 활성화와 조기평가

의식상태 확인

환자의 증인

도움요청

기도개방 무호흡 확인 무맥박확인

전화상담원

위치전화번호상황필요한 구조자 수필요한 구조방법

구경꾼

기도• 환자 체위• 회복체위• 기도개방

• 혀와 인두 근육• 후두개와 연구개• 구강이나 비강안에 있는 분비물이나 혈액

• 이물질

무의식 환자의 기도폐쇄 원인

기도개방유지

• 두부후굴 -하악거상(Head-tilt chin-lift maneuver)• 하악견인(Jaw-thrust maneuver)• 삼중기도조작법(Triple airway maneuver)

두부후굴 - 하악거상 방법

삼중기도조작방법

호흡

• 평가 : 호흡조사• 회복체위• 인공호흡실시

호흡확인보고 , 듣고 ,느낀다

인공호흡• 기도개방 유지• 초기 평가후 2회 시도 • 적절한 환기 양

– 10 ml/kg(700-1000 ml)• 적절한 압력 (1.5 - 2.0 sec inspiration time)• 인공환기율 : 10 - 12/ min.

인공호흡 방법• 구강 대 구강법• 구강 대 비강법• 구강 대 기공법• 구강 대 face shield• 구강 대 마스크• with O2: 7 ml/kg(400-600 ml) for 1

-2 sec.• without O2: 10 ml/kg(700-1000 ml)

over 2 sec

Mouth-to-Mouth Mouth-to-Nose

Mouth-to-Mouth Ventilation

Mouth-to-Mask Ventilation

Cricoid Pressure (Sellick maneuver)

순환

•평가 : 일반인들은 맥박 조사 안함– 순환징후 조사 : 호흡 , 기침 , 움직임

•흉부압박 실시

Determine Pulselessness

흉부압박• 적절한 압박점과 압박방법으로

실시• 적절한 압박 깊이 : 4 - 5 cm• 압박 횟수 : 100/min.• 압박 대 이완 율 : 50/50• 압박 대 인공호흡은 15:2

Determine Compression Point

Determine Compression

Point

Compression Technique

CPR 시 흉부만 압박• 구강 대 구강 호흡법 없이 흉부만 압박• 구강 대 구강법을 원하지 않거나 모를

경우• 전화상담원이 전화로 지시가 용이

재평가

• 압박과 환기 4 cycles 후 재평가 (15:2 ratio)– 맥박확인– 호흡확인– 의식확인

CPR 의 합병증

불가피 합병증

부적절한 흉부압박

부적절한 환기

늑골 골절흉골골절심근좌상폐좌상

상부나 하부 늑골 골절기흉간이나 비장손상심장파열대동맥손상식도나 위손상

위내용물 역류구토흡인

이물질에 의한 기도폐쇄 (Foreign Body Airway Obstruction)

(FAOB)

Universal Sign of Choking

기도폐쇄 평가

•완전폐쇄•부분폐쇄

• 의식• 발성• 기침• 청색증 유무

기도폐쇄 처치부분 기도폐쇄 :• 기침 격려완전 기도폐쇄 :• 손가락으로 쓸고 하악들기 (Tong

ue-jaw lift)• 복부밀기 (Heimlich maneuver)• 흉부밀기• 등치기

Heimlichmaneuver

BLS 단계

도움요청

기도개방

호흡 확인

2 회 인공호흡 시도

맥박확인

CPR 시작

회복체위

이물질에 의한 방법

호흡보조

EMS 체계 활성화

의식상태 확인

재평가

있음

없음 불가능

가능

없음있음

이물질에 의한 기도폐쇄시 처치표 기도폐쇄

부분기도폐쇄 완전기도폐쇄

환기 평가

양호불량

의식 무의식

2 회 환기 시도

기침격려

Heimlich

손가락으로 쓸기

손가락으로 쓸기

2 회 환기 시도

실패

실패

“ 소생의 사슬”개념

초기

활성화 CPR Defibrillation ACLS

“ 소생의 사슬 ” 요소

Early Access 번호전화상담원의 반응응급의료체계 활성화와 전화상담

Early CPR 구경꾼에 의한 CPR전화상담원이 도와주는 CPR

Early Defibrillation 대중에 의한 제세동자동체외형제세동EMT교육

Early ACLS 교육ACLS 팀 접근

감사합니다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