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회 적정기술포럼 시장중심 적정기술 개발을 위한 방법론 (김정태)

Post on 03-Jul-2015

4.410 Views

Category:

Documents

3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DESCRIPTION

2012년 9월 8일 제4회 적정기술포럼 (적정기술미래포럼 및 특허청 공동주최)에서 발표한 "현지에서의 지속가능한" 발표자료입니다. PPT와 별도로 10페이지 분량이 자세한 paper가 있는데, 필요하신 분은 요청하시면 보내드리겠습니다. story.wins@gmail.com

TRANSCRIPT

시장중심 적정기술

개발을 위한 방법론과 사례

김정태

제4회 적정기술포럼 / 적정기술미래포럼, 특허청 주최

적정기술8인의 원탁

8

7

6 4

2

5

3

1

원탁 아젠다

“아젠다는

누가 정하

나?”

각광받던 적정기술의 대표주자:

PlayPump 그 후 이야기

만약플레이펌프가 일종의 시장조사와

아이들의 행동을 관찰하는 것을 먼저

했더라면 결과는 달라졌을까?

YES NO

적정기술은 본래

현지중심 그리고

지속가능한 기술

그러나..

원조중심, 공급중심, 기술중심의 이유

1. 학계를 중심으로 발전

2. 관련분야의 협력과 융합이 어려움

3. 추진기관의 필요와 조직의 특성

4. 비즈니스 이해의 부족

„적정기술 거버넌스‟ 플랫폼 구축:

현지의 지속가능한

적정기술 기획과 발굴을 돕는

엔지니어, 디자이너, 비즈니스전문가,

개발협력전문가, 현지 사용자 등

시장중심 적정기술의 개발:

인간중심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

지속가능 비즈니스접근(sustainable business

approach)의 통합활용

인간중심 디자인씽킹 접근

IDEO “사용자 관찰과 프로토타입”

지속가능 비즈니스 접근

KickStart “고객이 만족할 때까지”

시장중심 적정기술 개발 방법론이란:

“디자인씽킹을 통한 1) 현지인의 니즈를 파악한 후

2) 니즈를 해결하는 기술과 제품을 설계함과

동시에 3) 적합한 비즈니스모델을 개발해

해당 시장에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속가능성을 최

대화하는 접근”

사례: 1) 현지인의 니즈를 파악

Project Gazelle “현지인의 역량강화”

USA, 2012

사례: 2) 적정기술과 제품의 설계

Martin “Solarpower Mobile Theatre”

USA, 2012

사례: 3) 비즈니스 모델의 구축

Vision Spring “100만개의 안경 판매”

USA, 2012

이러한 통합모델은

현지의 지속가능한

제품이 되기 위한

다음이 전제조건을

충족

Desirability

Feasibility

Viability

출처: 인간중심 디자인툴킷(Human-centered Design Toolkit)

HMW

1

HMW

2

HMW

3

desirability feasibility viability

HMW

4

WCW

1

WCW

2

WSWObservation

시장중심 적정기술 개발 방법론 프로세스

Design thinking

- Observing patterns

- Identifying needs

- Empowering people

Engineering thinking

- Studying past cases

- Expert interview

- Technological review

Entrepreneurial thinking

- Adopting business models

- Setting Inclusive business

- Pilot-testing prototypes

Prototyping

interactiveempathized

HMW: how might weWCW: what could weWSW: what should we

iterativehuman-centered

HMW “현지인들의 지속가능한 소득창출을 위해 어떻

게 도울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현지인들이 취사연료를 사용하는

데 있어 비용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을까?”

WCW

“현지인들이 소득창출 또는 비용감소를 돕

는 이동(mobility) 관련된 어떤 제품이나 서

비스 제공할 수 있을까?”

WSW

“현지의 소득수준을 감안해

자전거를 보다 저렴하고 편하

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만 할까? ”

From Divergent to Convergent

„적정기술 2.0‟ 운동에 대한 제언:

1. „융복합‟ 적정기술 거버넌스 구축

2. „인간중심‟ 디자인씽킹 활용

3. „지속가능한‟ 시장중심 접근

적정기술/디자인총서

소외된 90%와 함께 하는 디자인: 도시편

감사합니다Story.wins@gmail.com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