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생태하천 만들기 10년...

Post on 08-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 1 -

보 도 자 료

아이들이 멱 감을 수 있는 생태하천 목표

143개 도시하천, 자연하천으로 복원

- 환경부, 생태하천 만들기 10년 계획(‘06-’15) -

□ 국 3,824개 지방하천 26,841km 가운데 143개소 2,673km가

2015년까지 자연 하천으로 복원된다.

○ 환경부는 청계천 복원과 같이 도심하천을 의 모습으로 되돌리는

하천 복원사업을 확 하기로 하고 년에 1,000억원, 2015년

까지 연차 으로 1조 4천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 반면, 오염하천 주로 실시하던 퇴 물 설사업과 하천 바

닥의 정화시설 설치사업은 그 규모를 연간 700억원에서 100억원

미만으로 폭 이기로 했다.

□ 하천 복원사업에 따라 정비되지 않은 자연하천과 복원된 하천을 합친

생태하천의 비율은 2006년 55%에서 2015년에는 66%로

높아질 망이다.

- 2 -

< 하천복원 계획 >

2006년 2015년

154개 하천346㎞

297개 하천3,019㎞

143개 하천(2,637km)

< 하천복원 전망 >

2006년 2015년

17,783㎞(66%)

14,764㎞(55%)

9,058㎞(34%)

12,077㎞(45%)

훼손하천

생태하천

□ 4 강유역의 특징을 살린 시범사업도 추진된다.

○ 한강 유역의 경안천에는 인공습지를 조성하고, 낙동강 유역의

창원천은 도심하천을 복원하고, 강 유역의 행정복합도시에는

신도시 이미지에 맞는 하천으로 개선하고, 산강 유역의 주천은

퇴 물 설과 복원을 동시에 추진한다.

<4 강 유역별 표사업>

유 역 하 천 명 주 요 사 업

한 강 경안천 인공습지 조성사업

낙동강 창원천 도심하천 복원사업

금 강 행정복합도시 신도시 하천 개선사업

영산강 광주천 퇴적물 준설과 복원사업

< 물고기와 야생동물이 뛰노는 하천 >

□ 이번 생태하천 10년계획에서는 하천에 사는 물고기와 물가를 찾는

야생동물을 한 책이 가장 으로 추진된다.

- 3 -

○ 매년 50-100개씩 쓸모없어지고 있는 콘크리트 보(堡)를 철거

하고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회귀성 어류를 한 어도(魚道)

설치를 확 하기 하여 련 산을 늘려 나가기로 했다.

○ 물고기에게 서식공간이나 산란장소를 제공하기 하여 하천 주변

지역의 사유지를 매입하여 인공습지를 만들고 하천의 물 흐름을

다양하게 설계하여 모래톱이나 여울이 형성되도록 할 계획이다.

○ 물고기 산란철인 4월부터 6월에는 해양수산부의 낚시 리제 도입에

맞추어 하천에서의 낚시제한을 확 하고 자연하천으로서 보 가치가

높은 하천구간에는 출입로를 폐쇄하고 하천의 출입제한을 법 으로

강제하는 하천휴식년제 도입도 장기과제로 검토하기로 했다.

□ 하천 뿐 만 아니라 하천 주변지역도 생태벨트로 복원된다.

○ 수도요 과 함께 부과하고 있는 물이용부담 을 통해 조성된 수계

기 에서 1조 9천억 원을 투입하여 하천주변의 토지 95㎢를

매수하고, 매수토지의 32%에 해당하는 30㎢에 생태벨트를 조성

하기 하여 수계기 6,000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 도심하천을 시민들의 여가공간으로 >

□ 하천 복원을 통해서 하천을 산과 함께 시민들이 찾고 싶은 표 인

장소로 만들기 한 사업도 개한다.

생태벨트조성 전

생태벨트조성 후

- 4 -

○ 일부 시민사회단체에서 청소년․학생을 상으로 시행하고 있는

하천의 생태체험 로그램에 정부도 함께 나서기로 했다. 고수

부지와 제방을 걷어내고 그 자리에는 가족이 함께 놀 수 있도록

생태공원이나 자연하천에 어울리는 쉼터도 조성한다.

□ 훼손되지 않은 자연하천에는 지표동물을 선정하고 지표동물이 되돌아

올 수 있는 하천환경을 조성해 나간다. 를 들어 지표동물이 백로라면

백로가 먹고 살 수 있는 어류와 어류가 살 수 있는 먹이사슬이 형성

되도록 하천환경을 개선해 나가는 것이다.

□ 하천의 자연경 도 하천복원의 요 고려요소이므로 경 을 배려하여

공간을 배치하고 하천 주변에 느티나무와 같은 토종식물을 심고 특히,

하천 200m 이내의 개발사업에 해서는 자연경 시뮬 이션을

강화하기로 했다.

□ 자연하천에 해 생태지도를 제작해서 시민들에게 제공하게 된다.

○ 환경부는 년 3월에 시범 으로 섬진강을 상으로 수달, 마을,

물고기, 역사 4가지 테마별로 생태지도를 제작했다. 생태지도 제

작에 앞서 5년 단 로 하천 생태계를 조사하고, 하천별 인터넷

포털사이트를 개설하여 네티즌에게 련 자료와 생태지도와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 하천 생태지도 - 섬진강 수달 >

- 5 -

< 시민과 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

□ 재 안양천을 살리기 해 25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는 안양천살

리기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다. 환경부는 하천네트워크기 활성화되

어 있는 하천에 해서는 하천복원사업 산을 우선 으로 배정하는

것도 고려 이다.

○ 기업이 강살리기 운동에 나섬으로서 기업 랜드를 제고하는

사업도 추진된다. 지난해 9월 웅진그룹, 환경재단, 공주시, 환경부는

유구천을 살리기 해 함께 노력하기로 자발 약을 맺은 바

있다. 과거 1사-1하천운동처럼 단순히 하천주변의 쓰 기 기

행사에서 벗어나 실질 으로 하천을 복원해 보자는 취지이다.

※ 유구천 살리기 역할분담

․ 웅진그룹과 환경재단 : 하천 정화식물 심기 및 지역 환경교육

․ 공주시 : 하천 복원사업

․ 환경부 : 예산 지원과 기술 자문

□ 환경부는 하천 복원에 한 홍보에도 극 나서기로 했다. 년 5

월까지 하천 복원에 한 시민들의 인식과 요구수 을 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장기 홍보 략을 마련하기로 했다.

< 하천 복원 기술개발 등 >

□ 환경부는 하천 복원에 한 기술개발도 극 나서기로 했다. 환경부

R&D 사업인 차세 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 일환으로 수생태복원기술

개발사업단을 발족하여 하천 복원기술에 한 로드맵을 마련해 나간다.

○ 하천공사에 콘크리트 신 자연재료나 친환경자재 사용을 높여

나가기 해 하천공사자재에 친환경상품구매 진법에 따라 환경마크를

부여하고 공사에 우선 사용해 나가기로 했다.

- 6 -

○ 하천 복원사업에서 홍수피해 방 책도 함께 고려된다. 홍수피해

우려지역을 수계기 으로 매입하여 홍수터로 조성하고 홍수를

유발하던 일직선의 하천을 원래 모습 로 되돌리기 해 하천복원

지침도 바꾸기로 했다.

□ 한 환경부는 하천유량이 어드는 것을 막기 해서 하수처리장

방류수를 한 번 더 처리하고 처리된 물을 하천 상류에 방류하는

사업을 확 하기로 하고 이 사업에 하수도 산을 확 지원한다.

□ 하천에서 콘크리트 제방을 걷어내고 자연하천으로 되돌리는 사업은

1970년 유럽에서 시작되어 세계 인 흐름이 되고 있다.

□ 환경부 계자는 "도심에서 인공이 아닌 자연 인 생태공간은 산과

하천 밖에 없는 실정으로서, 발원지에서 하구까지 연결된 하천을 산과

연결하는 것이 생태하천계획의 기본취지" 라고 설명했다.

< 참고 자료 >

붙임 : 생태하천 만들기 10년계획(요약)

- 7 -

< 붙임 >

물고기가 뛰놀고 아이들이 멱 감는

생태하천 만들기 10년계획(‘06-’15)

2007. 4. 3(화)

환 경 부

- 8 -

< 목 차 >

1. 추진배경 ··········································1

2. 비 목표 ·································2

3. 주요 추진 책 ·······························4

■ 5 정책목표 / 20 이행과제

■ 생태복원사업 재정투자계획

4. 추진일정 부처 조사항 ···· 11

- 9 -

1. 추진배경

□ 수요자인 시민과 야생동식물 입장에서 이․치수 하천사업을

수생태계 건강성 보 으로 패러다임 환 필요

ㅇ 하천의 생태 건강성 확보 : 공원화 → 자연화

ㅇ 유역 통합 리체계 환 : 선(線) 개념 → 면(面) 개념

ㅇ 실질 인 결과 도출 : 공사 심 → 목표 심

ㅇ 참여형 추진체계 정립 : 주도 → 의체 주도

□ 환경부 ‘07년 통령 업무보고의 제1과제를 “생태 으로 건강

하고 쾌 한 도시환경을 조성”으로 설정

ㅇ 하천 복원을 추진하여 도심의 핵심생태축으로 활용

□ 물환경 리기본계획(‘0 6 .9 )의 핵심과제인 하천 생태복원을

뒷받침하는 실행계획(비법정계획) 필요

ㅇ 향후 10년간 추진할 생태복원사업의 이행과제 성과지표 제시

※ 물환경 리기본계획과 연동하여 생태하천 10년계획 수정․보완

□ 생태하천 문가 T/F (23명, 3개분과)을 구성하여 분기별 회의(5회)

장 검(독일, 경남 창원) 실시

ㅇ 그간 추진사업 평가 비 과 목표 설정

※ 환경부 생태하천사업 규모(’05년 780억원 → ‘06-’15년 연간 1,400억원)

- 10 -

2. 생태하천계획 비 목표

<비 > <5 정책목표> < 20 이행과제 >

물고기가

뛰 놀 고

⇐1.야생동 ․식물

서 식 공 간

제공

① 자연하천의 하천정비사업 제한

② 하천 휴식년제 도입

③ 콘크리트 보(堡) 철거 어도 설치

④ 수변습지 등 수생동물 산란공간 조성

⑤ 하천 인공구조물 철거 생태복원 추진

⑥ 하천 주변의 생태벨트 조성

아이들이

멱 감 는

⇐2.자연친화

시민휴식공

간 확보

⇐ ① 하천별 생태․문화․역사 테마 설정

② 하천 생태체험공간 마련

③ 자연경 을 배려한 하천복원기법 도입

생 태

하 천

만들기

3.하천의 생태

건강성

유지

① 홍수피해 방을 한 강 사행화 홍수터 복원

② 가뭄철 하천 유지용수 확보

③ 자연 수질오염 정화기능 확보

④ 하천 생태계 조사 생태지도 제작

⑤ 하천자연도 등 설정

⇐4.주민 참여기

반 구축⇐ ① 국민 장기 생태하천홍보 추진

② 물길 심의 하천 의체 구축

5.제도 행

정지원체계

구축

⇐ ① 수생태복원 법률체계 구축

② 수생태복원 부서 업무조정 통합지침 제정

③ 수생태복원기술개발사업단(Eco-STAR) 발족

④ 수생태복원의 문기업 육성

- 11 -

하 천 자 연 도 재1)

( ‘ 0 5 년 )

미 래( ‘ 1 5 년 )등 사 례

생 태

하 천

1 등

자연하천

(미정비하천)

5,341km(20%) ⇒

4,027km2)

(15%)

2 등

자연형 하천

(복원하천)

9,423km(35%)

⇒13,756km

3)

(51%)

훼 손

하 천

3 등

자연천이 하천

(자연 >인 )4,117㎞

(15%)⇒

3,958km(15%)

4 등

비자연형 하천

(자연 <인 )

5 등

인공 하천

(콘크리트 호안)

7,960㎞(30%)

⇒5,100km

(19%)

□ 생태하천(하천자연도

1-2등 ) : ‘05년 55% → ’15년 66%

1) ‘05년 하천자연도 : 국가수 자 원 리 종합정 보 시스템의 하도 상태, 호안 정비 등을 토 로 추정

2) ‘15년 1등 측 : 향후 1 0 년 간 하 천 정 비 길이를 1,014km(5%)로 추정

3) ‘15년 2등 측 : 환경부 하천 생태복원사업 3,019km(11%) + 자연천이 자 연 친화 하 천 정 비 사 업 1,014km(5%)

- 12 -

3. 주요 추진 책

목표 1 야생동․식물 서식공간 제공

< 정 책 방 향 >

◈ 물 흐름에 의한 강 사행화와 자연 인 식생 천이를 유도

◈ 하천의 인공 인 훼손을 제거하고 야생동․식물 서식을 고려한

수변습지, 어도 등을 설치

◈ 도심하천을 도시의 횡 네트워크(하천↔수변구역)와 종 네트워크

(실개천↔하구역)의 핵심축으로 조성

□ 자연하천의 하천정비사업 제한

ㅇ 자연하천(미정비하천)의 하천자연도 조사 연구용역('07-'08)

ㅇ 하천자연도 1등 구간 확정(‘08)

ㅇ 하천자연도 1등 구간에 한 사 환경성 의시 하천정비

제한 는 축소(‘09)

□ 하천 휴식년제 도입

ㅇ 생태 보 가치가 큰 하천의 사용 지 는 제한

ㅇ 자연휴식이 필요한 하천에 해 물고기 산란철(4-6월)의 낚시

제한(‘08년 낚시 리제 도입 정)

ㅇ 하천 일부구간의 출입로 폐쇄 출입 지 조 팻말 설치

- 13 -

□ 콘크리트 보(堡) 철거 어도(魚道) 설치

ㅇ 기능이 다한 보 철거 추진 보 신규 설치 제한(하천법 제33조)

ㅇ 회유성 어류를 한 자연친화 어도 설치 확

□ 수변습지 등 수생동물 산란공간 조성

ㅇ 수계기 으로 수변지역

사유지 우선매입

ㅇ 매수토지에 생태습지

조성(‘08)

ㅇ 하천공사시 모래톱․여울

형성 유도(’08)

□ 하천 인공구조물 철거 생태복원 추진

ㅇ 콘크리트 구조물 등 하천에 가해진 인공 훼손 요인 제거

ㅇ 하도와 충 층으로 이루어진 자연형 하천으로 원형 복원

□ 하천 주변의 생태벨트 조성

ㅇ “수변구역 리기본계획”

수립(‘07)

ㅇ 수생태 복원 순 에 따른

수변토지 략 매수

ㅇ 수변녹지 생태벨트

조성 확 (‘07-’15)

- 14 -

목표 2 자연친화 시민휴식공간 확보

< 정 책 방 향 >

◈ 하천별 고유 목표나 테마를 설정

◈ 도심하천에서 자연을 체험하고 생태 찰을 할 수 있도록 배려

◈ 시민들이 정서 ․심리 안정을 갖는 하천경 조성

□ 하천별 생태․문화․역사 테마 설정

ㅇ 자연하천(하천자연도 1-2등 )의 지표어종 선정

ㅇ 지표어종이 없는 경우는 하천의 상징동물( :수달) 선정

ㅇ 과거 하천의 모습을 토 로 하천의 문화․역사 상징화

< 동강 쉬리 > < 섬진강 수달 > < 포천 다슬기 >

□ 하천 생태체험공간 마련

ㅇ 지역별 생태체험장 조성 시범사업 추진

ㅇ 청소년․학생을 상으로 생태체험 로그램 개발 활용

□ 자연경 을 배려한 하천복원기법 도입

ㅇ 경 을 배려한 공간배치 수변지역 토종식물 식재

ㅇ 하천 주변의 개발사업의 자연경 심의 강화

- 15 -

목표 3 하천의 생태 건강성 유지

< 정 책 방 향 >

◈ 홍수철 치수 안정성 확보 가뭄철 유지용수 확보

◈ 자연 인 물 흐름에 의한 수질오염 정화기능 확보

◈ 주기 하천생태계 조사 생태복원 성과지표 개발

□ 홍수피해 방을 한 강 사행화 홍수터 복원

ㅇ 수계기 으로 재해발생 우려지역의 수변토지 우선 매입

ㅇ 홍수피해 우려지역에 홍수터 조성

ㅇ 하천 물길에 의한 하천 사행화 자연 인 식생천이 유도

< 비자연 복원 (직강화) > < 생태복원 (사행화) >

□ 가뭄철 하천 유지용수 확보

ㅇ 유지용수 리방안을 유역 리계획 하천정비계획에 포함

ㅇ 하수처리장 방류수를 활용하여 갈수량 이상의 유지용수 확보

□ 자연 수질오염 정화기능 확보

ㅇ 기존 개발된 하상여과시설 등 자연 정화시설 확 설치

ㅇ 하천퇴 물의 오염농도가 심각한 경우 설사업 병행 추진

- 16 -

□ 하천 생태계 조사 생태지도 제작

ㅇ 국 단 의 하천 < 섬진강 생태지도 (‘07.2, 환경부) >

생태계 조사

(매 5년단 )

ㅇ 생태조사 결과에 의해

하천생태지도 제작

□ 하천자연도 등 설정

ㅇ 하도 특성과 호안 식생을 기 으로 하천자연도 확정(‘08)

ㅇ 5년 단 로 하천자연도 등 재조정

목표 4 지역주민 참여기반 구축

< 정 책 방 향 >

◈ 하천 생태복원에 한 장기 국민 홍보 개

◈ 강살리기운동에 지역주민 민간기업의 참여 확

□ 국민 ․장기 생태하천홍보 추진

ㅇ 하천 생태복원의 장기 홍보 략 수립(‘07)

ㅇ 생태하천 인터넷 포털사이트 구축(‘07)

□ 물길 심의 하천활동 강화

ㅇ 지역주민이 스스로 참여하는 하천 의체 구성 지원

ㅇ 민간기업의 강살리기운동 확산으로 하천정화 기업 랜드 제고

- 17 -

목표 5 제도 행정지원체계 구축

< 정 책 방 향 >

◈ 하천복원 련 법률, 제도 행정조직 정비

◈ 수생태복원 기술 개발 문업체 육성

□ 수생태복원 법률체계 구축

ㅇ 하천 생태복원사업의 기본법률로서 수생태복원법 제정 검토

※ 자연환경복원포럼(‘07.1-12) 논의결과에 따라 입법계획 조정

□ 수생태복원 부서 업무조정 통합지침 제정

ㅇ 환경부는 기본계획 수립 집행업무는 유역환경청 이 (‘09)

ㅇ 지자체는 수생태복원 담기구로서 하천복원 신설

ㅇ 각 부처별 생태복원지침을 수생태계 보호에 맞게 통합(‘08)

□ 수생태복원기술개발사업단(Eco-STAR 로젝트) 발족

ㅇ 수생태복원기술 수변 생태벨트 조성기법 연구

ㅇ 수생태 복원기술 ․장기 로드맵 마련

□ 수생태복원의 문기업 육성

ㅇ “수생태복원기술개발사업단”의 연구과제를 문기업 육성과 연계

ㅇ 외국 수생태복원 문기업과 공동세미나 개최(‘08)

ㅇ 하천공사에 사용하는 친환경자재에 환경마크 부여 공사에

우선 구매(친환경상품구매 진법 제6조)

- 18 -

생태복원사업 재정투자계획

□ 우선순

ㅇ 자연․사회․문화 환경을 종합 고려

- 하천의 자연성이 크게 훼손된 하천(하천자연도 3-5등 )

- 수질환경기 에 미달되거나 상수원보호 책이 시 한 하천

□ 유역별 역 사업

ㅇ 한강유역 경안천 : 습지 조성사업 추진

ㅇ 낙동강유역 창원천 : 도심하천복원 모델사업 개

ㅇ 강유역 유구천 : 민간기업(웅진그룹)의 강살리기 동참사업 개

ㅇ 산강유역 주천 : 복원사업과 설사업 병행

□ 연차별 투자계획

ㅇ 사업물량 : 143개 하천(3,019km)

ㅇ 사업기간 : ‘06-’15(10개년)

ㅇ 사업비 : 1조 3,832억원(국고 8,991억원, 지방비 4,841억원)

※ 환경분야 ‘06-’10 국가재정운용계획과 연계 반

ㅇ 추진 략 : 우선순 에 따라 1-2단계사업으로 구분

※ 1단계(‘06-’10) 사업평가를 토 로 2단계(‘11-’15) 사업계획 조정

ㅇ 성과지표 : 하천자연도 1-2등 ‘05년 55% → ’15년 66%

※ 3-5 등 구간 3,019km 복원(지방하천 26,841km의 11%)

- 19 -

4. 추진일정 부처별 조사항

정책목표 이행과제 주요사업 ‘07 ‘08‘09-‘10

‘11-’15

조부 처

1.야 생 동

식 물

서 식

공 간

제 공

①자연하천의 하천정

비사업 제한

ㅇ자연하천(하천자연도 1등 ) 확정

ㅇ자연하천의 하천정비 제한

②하천 휴식년제 도입

ㅇ하천법의 하천 사용지조항 용

건교부

ㅇ낚시 리제 하천출입로 폐쇄

해수부

③콘크리트 보(堡) 철

거 어도 설치

ㅇ보 철거 어도설치 사업 추진

농림부

ㅇ생태복원추진지침 어도 리규정 개정

해수부

④수변습지 등 수생동

물 산란공간 조성

ㅇ수변습지 조성 시범사업

ㅇ수변습지 조성 법 근거 마련

ㅇ수변습지내 사유지 매입

⑤하천 인공구조물 철거

생태복원 추진

ㅇ인공구조물 철거 생태복원

ㅇ생태복원추진지침 개정

⑥하천 주변의 생태

벨트 조성

ㅇ수변구역 리 기본계획 수립

ㅇ수변토지 략 매수

ㅇ생태벨트 조성기법 개발 생태벨트 조성 확

2.자 연친

시 민

휴 식

공 간

확 보

①하천 생태체험공간

마련

ㅇ생태체험장 조성 시범사업

ㅇ생태체험 로그램 개발․활용

②하천별 문화․역사․생태 테마 설정

ㅇ자연하천의 지표어종 는 상징동물 선정

ㅇ하천의 문화․역사 테마 설정

③자연경 을 배려한

하천복원기법 도입

ㅇ경 시설 설치 수변지역 토종식물 식재

ㅇ자연경 심의 강화

- 20 -

정책목표 이행과제 주요사업 ‘07 ‘08‘09-‘10

‘11-’15

조부 처

3 . 하천의

생 태

건 강 성

유지

①홍수피해 방을 한

강 사행화 홍수터 복원

ㅇ매수토지를 활용하여 사행하천 복원

ㅇ홍수터 조성사업 추진건교부

②가뭄철 하천 유지

용수 확보

ㅇ유지용수 리방안 마련

건교부

ㅇ하수처리장 방류수를 유지용수로 재이용

③자연 수질오염

정화기능 확보

ㅇ수질오염 정화시설 확 설치

ㅇ오염하천 설사업 추진

④하천 생태계 조사

생태지도 제작

ㅇ 국 단 하천 생태조사 실시

ㅇ하천 생태지도 제작

⑤하천자연도 등

설정․ 리

ㅇ하천자연도 등 설정

ㅇ5년단 하천자연도 등 재조정

4.주민 참

여 기 반

구축

① 국민 장기 생

태하천홍보 추진

ㅇ 장기 생태하천 홍보략 수립

ㅇ인터넷포털사이트 구축

②물길 심의 하천

의체 구축

ㅇ자율 인 하천 의체 구성 지원

ㅇ물길 심의 하천활동 강화

5.제도

행 정 지

원 체 계

구축

①수생태복원 법률체

계 구축

ㅇ법률(안) 마련 입법 의

건교부

②수생태복원 부서 업무

조정 통합지침 제정

ㅇ하천 생태복원 부서 업무조정

ㅇ생태복원 통합지침 제정

건교부,소방방재청

③수생태복원기술개

발사업단 발족

ㅇEco-STAR “수생태복원기술개발사업단” 발족

④수생태복원 주의

문기업 육성

ㅇ생태복원 문설계․시공업체 육성

ㅇ친환경자재 생산업체 육성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