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유통론...6) 수요와 공급의 비탄력성: 소득 변화에 따른 수요의...

Post on 03-Mar-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농산물 유통론

김 수 농식품신유통연구원 사무국장

화 017-473-0909 이 메 일 agrostar parancom

제1 장 농산물 유통론 개요

1 농산물 유통론의 개념

1 1 농산물 유통과 농산물 유통론

농산물유통이란 농산물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해주는 다리와 같은 기능

수행

- 생산활동과 소비활동이라는 간격사이의 가교 역할

1) 장소 간격 - 수집 분산 기능(수송 물류)

2) 시간 간격 - 생산과 소비의 불일치(보 )

3) 소유권 간격 - 매자와 수요자의 간격(거래 계약)

4) 품질 간격 - 선별 등 화

5) 수량 간격 - 소분

6) 인식 간격 - 상품 품질에 한 인식 차이

유통은 생산 인가

- 생산 효용의 창출

- 유통의 효용 창출 form uitility place utility time utility possession

utility(소유권 이 에 따른 효용 창출)

유통활동 체계 흐름(그림 1-1)

- 상 유통(상류) 소유권의 이 (Buying and selling) 가격결정 등

(생산자 rarr 도매상 rarr 소매상 rarr 소비자)

- 물 유통(물류) 재화의 물리 흐름(수송 보 가공 하역 등)

- 정보유통 유통 련 정보의 흐름(소비자 정보 상품정보)

농산물유통론은 농산물이 생산자를 떠난 이후 소비자에게 달되기까지

발생하는 제반 활동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

- 다양한 유통기 유통활동에 한 분석

- 유통시스템 내에서의 다양한 의사결정 구조 분석 이들이 품질 다양

성 유통비용 등에 미치는 향 등 분석

- 농산물 유통은 다양한 유통기 과 활동이 여되기 때문에 시스템

필요

농산물 유통론의 범

- 생산의 포함 여부 마 개념

- 자재산업의 포함 여부

lt그림 1-1gt 유통과정상의 흐름

소비자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소유권(title)

물류(physical flow)

판촉(promotion flow)

현금(cash)

정보(information)

상품정보

소비자정보

소비자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소유권(title)

물류(physical flow)

판촉(promotion flow)

현금(cash)

정보(information)

상품정보

소비자정보

1 2 농산물 유통론의 특수성

농산물 유통론은 주로 식품의 유통을 분석 상으로 하고 있음

- 일반 으로 식품은 사람에게 양을 공 하는 음식물을 총칭하는 것으

로 양소를 한 가지 이상 함유하고 유해한 물질을 함유하는 않은 천연

물이나 가공품을 말함

식품의 상품 특성

1) 부피와 량성 가치에 비해 부피가 크고 무거워 운반과 보 에 비용이

많이 발생

2) 계 성 생산은 계 이지만 소비는 연 발생하여 보 의 요성이

크며 수확기에는 홍수 출하가 발생하여 가격 하락

3) 부패성 식품은 수분이 많아 장성이 낮고 부패하거나 손상 용이하며

보 수송 에 부패 방지를 한 특수 시설이 필요

4) 질과 양의 불균일성 품질이나 크기가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표 화 등

화 곤란

5) 용도의 다양성 상황에 따라 쉽게 용도를 변경할 수 있고 체성이 큼

6) 수요와 공 의 비탄력성 소득 변화에 따른 수요의 변화가 작고 공 도

경지면 의 고정성으로 조 이 어려움

유통참여자의 특수성

- 농산물 유통론은 세하고 소득이 낮은 농업인이 여되기 때문에 일반

기업과는 다른 특수성 존재

- 소비 측면에서도 식품이 소비자의 건강에 지 한 향을 미침

- 이 때문에 농산물 유통에는 정부의 여가 높고 국가 표 이 필요하

게 됨

농업발 과 유통의 역할

- 소비자 요구사항의 신속한 달 소비자 지향 농업 발 에 필수

- 생산과 소비의 효율 연계

- 농산물의 경쟁력 생산 + 유통

2 농산물 유통의 기 능

1) 거래기능(상 기능) 상품소유권 이 에 련된 제반 활동

- 구매수집(buying assembling) 상품 매자를 찾는 활동(최종소비재

간재)

- 매(selling) 머천다이징(상품 개발 상품구색 진열 등) 홍보 상품

개발 등

2) 물 기능 상품의 이동 형태 변형과 련된 활동

- 보 (storage) 장시설을 이용하여 상품의 시간 가용성을 변화시키는

활동

- 수송(transportation) 운송기 을 활용하여 상품을 장소 으로 이동시키

는 활동

- 하역(loading and unloading) 각종 수송기 에 화물을 싣고 부리는 것

창고보 화물의 입출고 창고 내에서의 쌓기와 내리기 는 그것에 부

수하는 활동

- 포장(packaging) 상품을 수송 보 함에 있어서 가치 는 상태를 보

하기 해 한 재료 용기 등을 물품에 가하는 활동

- 가공(processing) 상품의 기본 인 형태를 변환시키는 제조 활동 유

통과정에서의 간단한 형태 변화

3) 유통조성 기능

- 표 화등 화(standardizationgrading) 거래의 단순화를 해 품질

수량을 일정한 기 에 의해 표 화시키는 활동 품질 리 활동도 포함

- 융(financing) 상품의 구입과 매간 시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자본

비용 부담

- 험부담(risk bearing) 상품의 유통과정 에 발생하는 물 상 험

을 부담하는 활동

- 유통정보(market information) 상품 유통의 제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한 정보의 수집 분산 활동

3 농산물 유통기

유통기 의 종류

1) 직 유통기

- 생산자

- 간상(도매상 소매상)

도매상(wholesaler) 소매상(retailer)은 상품 소유권을 가지고 거래에

참여하는 상인(merchant)과 소유권을 가지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개인 탁상(broker commision men 등)으로 구분

- 소비자

2) 유통조성기

- 정부기 (농림부 산업자원부 보건복지부 농산물품질 리원 수의과학

검역원 농수산물유통공사 농림수산정보센터 농 경제연구원 등)

- 수송업자(자동차운송업자 철도운송업자 선박운송업자 등)

- 보 업자( 장업자 등)

- 하역업자(항운노조 하역회사 등)

- 융회사(농 일반 융기 등)

- 보험회사

- 마 련회사( 고 디자인 랜드 시장조사 등)

도소매기 의 기능

- 거래효율성 제고 총거래수 최소화의 원칙(the principle of minimum

total transaction 그림 1-2)

- 구색갖춤 소비자들의 욕구를 단 한번의 거래로 충족시킬 수 있도록 가능

한 한 다양한 상품을 비하여 복잡한 거래를 단순화시킴

- 상품의 소량단 화 량생산된 상품을 소비자의 욕구에 맞추어 소량단

- 거래의 단순화 복잡한 거래조건의 단순화

- 정보탐색의 용이성 유통기 을 통한 정보수집의 효율성

lt그림 1-2gt 총거래수 최소화의 원칙

생 산 자

소 비 자

lt중 간 상 이 없 는 경 우 거 래 수 gt

P P P P

C C C C

생 산 자

소 비 자

lt중 간 상 이 없 는 경 우 거 래 수 gt

P P P P

C C C C

생산자

소비자

lt중간상이 있는 경우 거래수gt

P P P P

C C C C

M중간상

생산자

소비자

lt중간상이 있는 경우 거래수gt

P P P P

C C C C

M중간상

4 유통과 마

4 1 거 시 마 과 미 시 마

거시 마

- 농산물이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달되는 과정의 시스템 에서

의 근

- 체 유통과정의 효율화 등 국가 에서 근하며 농산물유통론은

일반 으로 거시 마 의 에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책을 강구함

미시마

- 생산자 도소매기 가공업체 등 유통참여자 입장에서 매 극 화를 통

한 이윤창출 과정에 심을 두는 일명 기업마 (business marketing)이

라고도 함

- 유통참여자의 이윤창출 과정에서 제기되는 문제 과 해결 방안에 주안

- 미시마 에서 유통은 4P Place에 해당

4 2 미 시 마 의 요성

생산과잉의 시 도래

- 생산이 수요를 과하는 만성 공 과 상 가속화

- 주산지간 경쟁 수입개방 등으로 소비자 선택기회 확

유통주체의 형성

- 과거 세 생산자 심의 유통에서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에

의한 유통 확 로 기업 마 리 기법에 한 요구 확

상품(commodity)에서 제품(product)으로의 환

- 수확후 다양한 리기술의 용으로 과거 차별화되지 않은 상품에서 차

별화된 제품으로의 농산물 성격 환

- 차별화된 제품의 경우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해 다양한 마 활

동 필요

제2 장 농산물 소 비 구 조

1 농산물 소 비 의 요성

소비자는 유통시스템의 지배자 조정자(ruler and coordinator)이며 푸

드 시스템의 목표는 소비자를 만족시키는데 있음

소비자 주권(sovereignty) 주의

- 소비자는 진정으로 왕인가

- 기업은 소비자의 요구에만 맞추어 활동하는가

- 소비자는 항상 옳은가

- 소비자가 주권을 가지기 한 조건은

2 소 비 품 목 의 변 화

경제발 과 소득수 에 따라 국민들의 식 품 소 비 형 태 는 lsquo물량rsquo과 lsquo 양rsquo을

추구하는 양 인 소비에서 5감에 의해 lsquo맛rsquo lsquo멋rsquo lsquo 술rsquo의 질 인 단계로

물 량

lt그림 2-1gt 경제발 과 소득증 에 따른 식품소비단계

소비자들의 소비구조가 다양화 고 화 개성화 간편화 안 화 는 건

강지향 으로 변모되고 있음 이러한 소비구조의 변화는 농산물에 한

선호도에 반 되고 구매패턴의 변화를 래하여 농산물 유통구조에 향

을 미쳐 궁극 으로 농산물 생산구조의 재편을 가져오게 됨

- 농산물의 소비도 경제발 과 소득증가에 따라 생산 장이 용이한 곡

류 서류 등 보 ( 低位保全) 식 품 에서 채소 과일 육류 등 신선한

고 보 ( 高位保全) 식 품 가공식품 편의식품 건강식품으로 변화하고

있음

3 가공식품 외식 소비 확

자녀 없는 부부가구의 증가 가족의 해체 등 핵가족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

으며 가구당 인원수가 1980년 45명에서 2000년에 31명으로 계속 감소하고 있

다 이러한 가족 구조의 변화는 외식 가공 조리식품 소포장 단 의 식품 구

매를 증가시키게 됨 한 식단계획자이자 조리자인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1980년 이후 늘어나면서 식생활은 더욱 간소화를 지향하게 되었음

경제가 지속 으로 발 함에 따라 가공식품에 한 수요가 증가하고 식생활

의 외부화가 계속 진행될 망임 이는 과거 농산물이 가공되지 않은 상태

에서 가공 혹은 외식형태로 유통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식품가공 외식산업

등을 포 하는 푸드시스템의 요성이 커지고 있음

- 도시가계의 농식품 지출액 가공식품의 비 은 lsquo70년의 18에서 2000년

에는 23로 증가하 으며 외식비 비 은 동기간 2에서 39로 증하

최근에는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 등의 요인으로 가정식과 외식(food

away from home)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으며 조리시간을 이기

해 미리 조리된 식품을 소매 에서 사서 집에서 먹는 형태의 소비가 증

가하고 있음

- 21세기에는 이러한 추세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망되며 짧은 조리

시간에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가정식 체식품(HMR Home Meal

Replacement)의 요성이 커질 망임

- HMR은 가정식을 체하는 미리 조리된 식품을 소매 에서 사서 식탁

에 그 로 올려놓는 즉석 조리식품을 의미하며 수퍼마켓의 반찬 델리

베이커리 스낵 샐러드바 코 등이 표 이며 최근에는 밥까지도 개

발되었음

- 아울러 컷트 과일 컷트 채소 등 쉬 컷(fresh cut) 제품의 소비도

증가

- 최근에는 세척고구마 세척 무 세척 당근 등 세척 소포장 농산물의 소

비 증가

이러한 소비자들의 소비구조의 변화는 농산물과 식품의 구매패턴에도 향을

주어 구매 장소 구매단 구매 형태 등에서 편의성 추구경향이 나타남

- 식품 구입장소의 경우 과거 재래시장 등이 부분을 차지하 으나 쾌 한 쇼

핑환경과 다양한 상품을 일 구매할 수 있는 편리성 등으로 형 할인 의

비 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4 고 품 질 안 농산물 소 비 확

소득 증 에 따라 소비자의 건강에 한 심이 높아지고 최근 유 자 변형농

산물의 유해성 논란 O-157의 발생 우병 확산 등으로 소비자들의 식품안

성에 한 인식은 더욱 고조되고 있음

- 소비자들은 안 한 농산물에 해서 일반농산물에 비해 15~35배나 높은 가

격을 지불하고서라도 구입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음

- 이에 따라 품질인증된 친환경농산물 생산량은 소비자의 안 농산물 수요 증

가에 힘입어 1994년 이후 연평균 86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음

소비자의 안 성에 한 높은 심으로 생산이력제 등에 한 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으며 생산이력제란 농산물의 추 가능성(traceability)

을 높이는 것으로 그 내용은 생산자 생산방법 농약의 종류 살표 시

기와 회수 시비의 시기와 회수 잔류농약 검사 등 소비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임(농진청 농산물생산이력정보시스템

wwwatracenet)

5 소 비 의 다 양 화

외환 기 이후에는 가격 서비스를 추구하는 집단과 고가격 고서비

스를 추구하는 집단으로 소비가 양극화되고 있음

- 특히 외환 기 이후 산층 서민층을 심으로 합리 인 소비행

가 정착되고 가격에 한 민감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편

승하여 가격을 주무기로 하는 할인 이 속히 발 하고 있음

2000년 에 들어서는 과거의 획일 소비추세를 탈피하여 연령 별 계

층별 라이 스타일별로 소비가 다양화되고 인구통계 구조가 변함에 따

라 실버마켓 마켓의 요성이 부각될 망임

- 우리 나라도 90년 이후 노년층의 인구가 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

들 노년층은 과거와 달리 구매력을 상당히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유통

시장에서 이들의 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 10 20 연령층도 막강한 구매력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은 새로운

트 드에 매우 민감한 구매 패턴을 보이고 있음

랜드 측면에서는 소비자들의 합리 인 소비가 증가하면서 유통업자상

표(PB Private Brand)의 요성이 커질 망임

- 이미 미국과 유럽 국가에서는 PB의 비 이 20를 넘고 있으며 우리

나라 농식품 분야에서도 돼지고기 등에서 유통업자 상표가 개발되

고 있음

- 하나로 한우 포크(농 ) 강진맥우(한화유통) 이 러스 우유(이마트)

6 소 포 장 품 소 비 확

구매단 에 있어서도 소포장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포장 유통이 크게 증가하

고 있음

- 특히 소비자용 소포장(consuemer package)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음

7 향 후 농식 품 소 비 망

∙곡류 소비감소와 육류소비 증가

∙김치장류 등 전통가공식품 수요 증가

∙세척커팅 등 전처리농산물 구매 증가

∙선별 포장 및 소분포장 수요 증가

∙친환경 안전 농산물 수요 증대

건강지향

시장개방 확대

고급화

편의성

다양화

대형할인점 증

전자상거래활성화

외식산업발전

서구화

lt그림 2-1gt 소비자 선호 시장 여건 변화와 농산물 소비 행태 망

향후 식품 소비는 고 화 다양화 편의성 건강추구 경향이 지속강화될 것이

며 식품 유통도 시장개방의 확 외식산업의 발 자상거래 활성화 등으로

여건 변화가 상됨 이에 따라 농산물 소비는 고품질농산물 친환경농산물 선

별세척소분포장 농산물 김치 등 통식품에 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망됨

제3 장 농산물 유통경 로

1 유통경 로 의 개념과 결 정 요인

유통경로 (distribution channel)란 ldquo매매의 과정과 련되는 유통기 사

이에 존재하는 계 시스템rdquo

- 사회경제 입장에서 생산물이 이 유통되어 가는 경로

) 의 유통경로 의약품의 유통경로

유통단계 (channel level) 제품 그 소유권이 이 될 때 계하는 간

업자의 수

유통경로의 길이(length) 유통단계가 많을수록 길이가 길어짐

lt그림 3-1gt 유통경로의 유형

0단계 경로

(P - C)

1단계 경로

(P ndash R ndash C)

2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R ndash C)

3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J ndash R ndash C)

생산자 소비자

생산자 소매상 소비자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소비자

0단계 경로

(P - C)

1단계 경로

(P ndash R ndash C)

2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R ndash C)

3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J ndash R ndash C)

생산자 소비자

생산자 소매상 소비자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소비자

lt표 3-1gt 유통경로 길이의 결정요인

구분 긴 유통경로 짧은 유통경로

제품

특성

동질 단

경량품

작은 크기

비부패성

기술 으로 단순

이질 단

량품

큰 크기

부패성

기술 으로 복잡

수요

특성

단 구매 작음

구매빈도 높고 규칙

고객수 많음

고객의 지역 분산

소비자 지식의 범 한 분산

단 구매량 큼

구매빈도 낮고 비규칙

고객수 음

고객의 지역 집

소비자 지식의 제한성 집 성

특성

생산자수 많음

지역 분산생산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

생산자수 음

지역 집 생산

제한 인 진입과 퇴출

통 유통경로 독립 인 유통기 이용

- 개개의 경로구성원이 타 구성원의 기능이나 역할에 여하지 않음

- 문 인 유통업자의 효율 이용

- 경로구성원간의 상이한 목표와 기 로 인해 갈등과 조정문제 야기

- 가격 상과 같은 시장 메카니즘에 의해 경로구성원간 계가 조정

수직 유통경로 경로간 수직 통합

-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 유통과정을 체계 으로 통합하고 조정하여

하나의 통합된 체제를 유지하는 것

- 경로 체를 하나의 계획과 모니터로 통제 가능

- 경로구성원간의 조정 가능

- 경로 내 조정 수 이 높아짐

- 복되는 노력이 통합되어 높은 경로성과 제고

- 비용이 많이 드는 단

2 농산물 유통경 로 황

농산물은 도매시장을 주로 하는 통 인 유통경로로 유통되어 왔으나

최근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의 산지직거래 자상거래 등의 확

로 새로운 유통경로가 두되고 있음

-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 산지유통센터 등을 통한 유통

은 통 인 도매시장 유통과는 질 으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

문에 편의상 신유통시스템으로 개념화

신유통시스템의 확산 결과로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는 lt그림 3-2gt와

같이 다원화되고 있음

- 도매시장의 경우도 통 인 도매시장법인 rarr 도매인의 경로뿐 아니

라 도매상 경로도 새롭게 부각되고 있으며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B2B B2C) 등에 의한 시장외 거래도 요한 유통경로로 부

신유통시스템은 수직 유통경로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단순한 유통경

로 변화 이상의 다양한 특징을 가짐(표 3-3)

신유통시스템은 유통마진 감 가격 안정성 제고 등 정 인 효과를 보

이고 있음

- 종합유통센터 형유통업체 경유시 유통단계 단축 물류합리화

등의 요인으로 유통마진이 감됨

- 형유통업체의 경우 산지직구입시 가격을 일주일에 2회 정도 조정하

고 구입물량을 사 에 시함으로써 도매시장에 비해 생산자 수취가격

의 안정성이 높음

- 아울러 신유통시스템에서는 장기 속 거래 계를 유지하기 때문

에 도매시장의 통 유통시스템보다 거래비용(transaction cost)을

감함

lt그림 3-2gt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

소 비 자

외 식 업 체소 매 상

식 재 가 공 업 체 대 형 유 통 업 체

중 도 매 인

도 매 상종 합

유 통 센 터

B 2 B

전 자 상 거 래

수 집 상생 산 자 조 직

(농 협 작 목 반 영 농 법 인 )

생 산 자

도 매 법 인

(

민시

장 B

2C)

lt표 3-2gt 통 유통시스템과 신유통시스템의 비교

구 분 통 유통시스템 신유통시스템

경로

경로구성원 수집상 도매시

장 재래시장

상호 독립 이며 일회성 거

경로구성원 산지유통센터 종합

유통센터 형유통업체

수직 유통시스템 장기 이고

속 인 거래

주체 세규모의 근 인 상인 형유통업체 산지유통조직

상품 비규격품 주

표 규격품 주

차별화되고 가공 처리된 농식품

(수확후 리기술의 용)

거래방식 장에서의 경매 혹은 상

거래 약상 거래 통명거래

물류 수작업에 의한 하역

단 화물화(Unit Load System)

에 의한 하역 기계화

포장 렛트 물류기기 표 화에

의한 물류합리화

정보 사후 정산 정보 POS EDI 등 유통정보화

인터넷쇼핑 등 자상거래 활용

주) 통 유통시스템은 공 도매시장과 유사도매시장을 포 한 것으로 공

도매시장의 경우 출하약정 등을 통한 속 거래 추진 도매시장법인

의 규모화 등 일부 신유통시스템 인 요소가 있기도 하나 반 인 특

성은 상기표와 같음

3 시 장 발 단 계 에 따 른 유통경 로 의 변 화 망

Blattberg교수는 시장 발 단계를 시장단계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

산된 시장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

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장의 5단계로 구분(표 3-3)

- 시장발 단계에 따라 주된 유통경로 유형이 결정됨

lt표 3-3gt 시장발 단계별 마 의 역할

시장단계 마 의 주안

시장단계 자 자족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구매자와 매자의 확인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효율 유통 시장에 의한 가격결정

차별화된 제품

집 된 시장

특화된 시장에서의 효율 유통 고객요구에 기 한 표

마 랜드 고차별화된 제품

분산된 시장

일방 에서 방 커뮤니 이션으로의 변환 마 은

기업과 고객간의 정보흐름 리

자료 Blattberg Robert C 외(주우진외 역) 21세기 마 정보 명 1996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 단계에서는 물물교환 혹은 지역단 의

소규모 시장에서의 거래가 주된 유통경로 음

우리 나라의 농산물유통은 5단계 제3단계 ldquo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rdquo에 있으나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차 으로 제4단계인 ldquo차별

화된 제품집 된시장rdquo으로 진화

- 산지에서 수확후 리기술의 용 랜드화 등이 진척됨에 따라 농산물

도 차별화되고 하나의 제품으로서 성격을 갖기 시작

- 이들 차별화 제품은 특정의 표 소비자를 상으로 한 표 마 활

동을 수행하고 소매업체에 한 직 납품 등 유통경로의 차별화 모색

제3단계에서는 비차별품을 량으로 신속하게 유통시키는데 있어 도매시

장의 역할과 기능이 지 하 으나 제4단계에서는 표 시장을 한 마

활동이 수행되므로 불특정다수를 한 도매시장의 역할과 기능이

하되며 유통업체와의 직거래가 확

최근 자상거래의 발 으로 농산물에 있어서도 제5단계인 ldquo차별화된 제

품분산된 시장rdquo으로의 진화가 미약하나마 진행 임

- IT의 발 으로 소비자들은 개별 으로 그들의 욕구와 선호를 표시할

수 있고 생산자는 그들에게 합한 제품을 개발하여 제공 가능

- 이러한 환경 하에서 마 의 역할은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계를

리하는 것이 요

- 농산물 자상거래(B2C)에 있어서도 효율성보다는 소비자와 생산자간

의 커뮤니 이션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이 되며 실제로도 렴한 가

격보다 소비자와의 계 혹은 유 감 형성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으

로 두

시장의 발 단계로 볼 때 농산물 유통도 집 화된 시장으로부터 차 차

별화되고 분산화되는 방향으로 환되고 있음

유통단계간 수직 조정(Vertical Coordination) 에서 보면 통 인

물시장(spot market) 주의 거래가 차 계약거래(contracts) 수직

통합(vertical integration) 등으로 환

- 를 들어 형유통업체들은 도매시장에서의 거래 주에서 도매단계

의 통합을 통한 산지 직구입 증가

- 축산물 유기농산물 등 산지 확인이 필요한 품목은 시장구입보다 계약

생산 등 선호

- 계약거래 수직 통합 등은 일회성의 물시장 거래보다 인근 유통단

계간의 조정과 통제가 용이하게 되어 효율 으로 됨

- 미국의 경우 육계 우유 계란 가공용 채소 일반 채소류 오 지류 등

은 계약거래 수직 통합의 비율이 체 유통량의 50를 상회함

(Henderson 1994)

제4 장 유통비 용

우리 나라에서는 미국과 같이 체 인 식품유통비용이 추계되지 않고

품목별 유통비용이 농수산물유통공사에 의해 매년 조사되고 있음

- 2001년 조사품목수 28품목 41종류

- 식량작물(6종) 두 감자( 고랭지 가을) 고구마

- 엽근채류(8종) 배추( 고랭지 가을) 무( 고랭지 가을) 상추 당근

- 과채류(6종) 수박 참외 오이 딸기 토마토(일반 방울)

- 조미채소류(9종) 풋고추 건고추 마을(난지형 한지형 장) 양 (일반

장) 생강

- 과일류(8종) 사과(일반 장) 배(일반 장) 단감 포도 감귤 복숭아

- 축산부류(4종)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1 유통마 진 과 마 크 업 ( m a r k u p )

가 유통마 진 ( 비 용 )

유통비용은 유통과정 감모분을 공제한 실제 매액 비 유통비용

- 유통마진률 = ( 매액-구입액) 매액

유통마진률에 향을 주는 요인

- 가공도 장여부 상품의 부패성 정도 계 요인 수송 비용

상품 가치 비 부피

나 마 크 업

마크업이란 매가격에서 구입가격을 뺀 차이를 말함

원 매가(original retail price) vs 실제 매가(sales retail price)

- 실제 매가 = 원 매가 - reduction(할인 로스 등)

최 마크업율 = ( 비+이익+reduction)( 매가+reduction)

실제마크업율 = ( 비+이익)( 매가)

계산

원 매가 102000

reduction 2000

실제 매가 100000

매입가 80000

------------------

실제마크업 20000 최 마크업 22000

최 마크업율 = 22000102000 = 216

실제마크업율 = 20000100000 = 200

최 계획된 마크업은 포의 성과 측정 면에서 요함

2 농산물 유통비용율

가 유통 단계별 내용별 유통비용률

유통마진률은 풍흉에 의한 매가에 의해 큰 향을 받기 때문에 연도별

일정한 추세를 발견하기 곤란

-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조사에 의하면 농산물 체의 유통마진률은 2001년

44로 2000년에 비해 약간 증가하 으나 추세라고 보기는 어려움

유통단계별 유통마진률은 출하 도매단계보다 소매단계가 높으며 비목별

로는 직 비용의 비 이 큼(표 4-2)

lt표 4-2gt 유통단계별 비목별 유통비용률

(단 )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유통비용율 410 398 387 404 437

출 하 137 93 97 88 117

도 매 76 97 88 93 94

소 매 197 208 202 223 226

직 비용 131 146 138 153 173

간 비용279

109 100 121 131

이 윤 143 146 130 133

주) 직 비 포장비 하역비 수송비 상장수수료 감모비 등 간 비 임 료 인건비 제세공과 감가상각비 등 이윤 유통비용에서 직 비와 간 비를 공제한 상인 이윤

나 부류별 유통비용율

품목별로는 엽근채류 서류 조미채소류의 유통마진률이 높고 축산물 곡

류의 마진률이 낮은 편임(표 4-1)

lt표 4-1gt 부류별 유통마진률

(단 )

구 분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체 평 균 410 398 387 404 437

엽 근 채 류

서 류

조 미 채 소 류

과 일 류

과 채 류

축 산 부 류

곡 물 류

761

647

427

499

562

-

193

722

535

500

476

471

364

167

731

566

482

521

449

305

165

722

608

559

503

447

333

177

778

625

588

548

430

345

199

다 주요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율

주요 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률은 일반 으로 도매시장 경유시 보다 낮

은 것으로 조사(표 4-2)

그러나 유통비용률이 낮다고 해서 유통이 반드시 효율 이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치 해석에 주의를 요함

lt표 4-2gt 주요 품목의 경로별 유통비용률 비교

(단 )

구 분 감자 고랭감자 고구마 고랭배추 무 수박방울토마

도매시장경유(A) 699 627 534 766 686 500 355

직 거 래(B) 456 346 195 499 478 254 164

A - B 243 281 339 267 208 246 191

라 외국과의 농산물 유통마진률 비교

유통마진률은 가공도 유통서비스 수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통

마진률의 단순한 비교로 유통의 효율성을 비교하기는 곤란

- 일반 으로 유통마진률은 선진국일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임

한국과 일본한국 546 일본 602

- 상품목당근 오이 토마토 양 복숭아 포도 수박 풋고추

한국과 미국한국 539 미국 749

- 상품목상추 감자 토마토 당근 사과 포도 복숭아 딸기

3 유통비 용 의 망

유통비용은 고정비용의 성격

- sticky marketing margin 유통비용은 생산물의 가액에 비례하여 발생

하는 것이 아니라 취 량에 의해 결정

-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면 유통마진율은 낮아지나 가격이 하락하면 유통

마진율이 높아짐

유통마진율의 증가 경향 원인

- 유통기능의 고도화 가공 편의성 콜드체인 고 등 마 활동 강화

- 투입요소(노동 수송 포장 에 지) 비용의 지속 증가(특히 노임)

- 정부 정책 유통과정상 안 성 확보(HACCP) 환경규제 강화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 해요소 리시스템

유통비용 감 방안

- 요소비용 감을 한 생산성 향상(특히 노동생산성)

- 불필요한 유통기능의 삭감 - 부작용 발생 주의 필요

- 유통참여자의 규모화

제5 장 농산물 소 매 기

1 소 매 업 의 분 류

소매업은 최종 고객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매하는 유

통기

1 1 소 유 형 태 별 구 분

- 독립 포

- 체인 선진국일수록 체인의 비 이 높음

미국 일반상품 93 식품 60

- 생산자 소유(농 매 )

- 소비자 소유(생 소비자 동조합)

체인 스토어 복수의 포망을 앙본부의 통제하에 운 하는 조직체로

앙집 리방법과 표 화 통일된 system을 가짐

- Regular chain 단일 소유권

- Voluntary chain 독립

- Franchise chain 계약에 의한 독립자본

- Cooperative chain 소비자 공동출자

1 2 치 별 구 분

- 심 상업지역 (Central Business District)

- 일반 지역

- 교외

1 3 략 인 분 류

가 회 률-마진률

회 율 매출액재고액

마진율 마진액 매액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나 서비스-마진률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1 4 상 품 구 색 에 의한 분 류

Variety(품종) 구색의 넓이

Assortment(품목) 구색의 깊이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2 농산물 소 매 업 태

2 1 업 태 의 개념

업태란 상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팔 것인가에 련된 업 내지 경 방

- 상품구성 가격 매방식 매장환경 업방식 입지 규모

매의 포인트 제조업자 rarr 소비자 (업종 - 업태로 개념 변화)

기존의 업종별 구분에서 소매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

소매업이 주체를 가지고 상품 편성(소비자 주의 머천다이징)

업태별로 머천다이징의 포인트가 다름

기존에는 업종별 ( 매하는 품목의 산업분류) 분류로 통계 집계 공표

해 왔으며 업태에 한 이해가 부족하 음

업태는 역사 으로 볼 때 항상 가변 임

2 2 업 태 별 분 류

가 구 멍가게( mo m a n d p o p s t o r e )

나 재래시장( t r a d i t i o n a l ma r k e t p l a c e )

다 백화 ( d e p a r t me n t s t o r e )

라 슈퍼마켓( s u p e r ma r k e t )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제1 장 농산물 유통론 개요

1 농산물 유통론의 개념

1 1 농산물 유통과 농산물 유통론

농산물유통이란 농산물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해주는 다리와 같은 기능

수행

- 생산활동과 소비활동이라는 간격사이의 가교 역할

1) 장소 간격 - 수집 분산 기능(수송 물류)

2) 시간 간격 - 생산과 소비의 불일치(보 )

3) 소유권 간격 - 매자와 수요자의 간격(거래 계약)

4) 품질 간격 - 선별 등 화

5) 수량 간격 - 소분

6) 인식 간격 - 상품 품질에 한 인식 차이

유통은 생산 인가

- 생산 효용의 창출

- 유통의 효용 창출 form uitility place utility time utility possession

utility(소유권 이 에 따른 효용 창출)

유통활동 체계 흐름(그림 1-1)

- 상 유통(상류) 소유권의 이 (Buying and selling) 가격결정 등

(생산자 rarr 도매상 rarr 소매상 rarr 소비자)

- 물 유통(물류) 재화의 물리 흐름(수송 보 가공 하역 등)

- 정보유통 유통 련 정보의 흐름(소비자 정보 상품정보)

농산물유통론은 농산물이 생산자를 떠난 이후 소비자에게 달되기까지

발생하는 제반 활동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

- 다양한 유통기 유통활동에 한 분석

- 유통시스템 내에서의 다양한 의사결정 구조 분석 이들이 품질 다양

성 유통비용 등에 미치는 향 등 분석

- 농산물 유통은 다양한 유통기 과 활동이 여되기 때문에 시스템

필요

농산물 유통론의 범

- 생산의 포함 여부 마 개념

- 자재산업의 포함 여부

lt그림 1-1gt 유통과정상의 흐름

소비자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소유권(title)

물류(physical flow)

판촉(promotion flow)

현금(cash)

정보(information)

상품정보

소비자정보

소비자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소유권(title)

물류(physical flow)

판촉(promotion flow)

현금(cash)

정보(information)

상품정보

소비자정보

1 2 농산물 유통론의 특수성

농산물 유통론은 주로 식품의 유통을 분석 상으로 하고 있음

- 일반 으로 식품은 사람에게 양을 공 하는 음식물을 총칭하는 것으

로 양소를 한 가지 이상 함유하고 유해한 물질을 함유하는 않은 천연

물이나 가공품을 말함

식품의 상품 특성

1) 부피와 량성 가치에 비해 부피가 크고 무거워 운반과 보 에 비용이

많이 발생

2) 계 성 생산은 계 이지만 소비는 연 발생하여 보 의 요성이

크며 수확기에는 홍수 출하가 발생하여 가격 하락

3) 부패성 식품은 수분이 많아 장성이 낮고 부패하거나 손상 용이하며

보 수송 에 부패 방지를 한 특수 시설이 필요

4) 질과 양의 불균일성 품질이나 크기가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표 화 등

화 곤란

5) 용도의 다양성 상황에 따라 쉽게 용도를 변경할 수 있고 체성이 큼

6) 수요와 공 의 비탄력성 소득 변화에 따른 수요의 변화가 작고 공 도

경지면 의 고정성으로 조 이 어려움

유통참여자의 특수성

- 농산물 유통론은 세하고 소득이 낮은 농업인이 여되기 때문에 일반

기업과는 다른 특수성 존재

- 소비 측면에서도 식품이 소비자의 건강에 지 한 향을 미침

- 이 때문에 농산물 유통에는 정부의 여가 높고 국가 표 이 필요하

게 됨

농업발 과 유통의 역할

- 소비자 요구사항의 신속한 달 소비자 지향 농업 발 에 필수

- 생산과 소비의 효율 연계

- 농산물의 경쟁력 생산 + 유통

2 농산물 유통의 기 능

1) 거래기능(상 기능) 상품소유권 이 에 련된 제반 활동

- 구매수집(buying assembling) 상품 매자를 찾는 활동(최종소비재

간재)

- 매(selling) 머천다이징(상품 개발 상품구색 진열 등) 홍보 상품

개발 등

2) 물 기능 상품의 이동 형태 변형과 련된 활동

- 보 (storage) 장시설을 이용하여 상품의 시간 가용성을 변화시키는

활동

- 수송(transportation) 운송기 을 활용하여 상품을 장소 으로 이동시키

는 활동

- 하역(loading and unloading) 각종 수송기 에 화물을 싣고 부리는 것

창고보 화물의 입출고 창고 내에서의 쌓기와 내리기 는 그것에 부

수하는 활동

- 포장(packaging) 상품을 수송 보 함에 있어서 가치 는 상태를 보

하기 해 한 재료 용기 등을 물품에 가하는 활동

- 가공(processing) 상품의 기본 인 형태를 변환시키는 제조 활동 유

통과정에서의 간단한 형태 변화

3) 유통조성 기능

- 표 화등 화(standardizationgrading) 거래의 단순화를 해 품질

수량을 일정한 기 에 의해 표 화시키는 활동 품질 리 활동도 포함

- 융(financing) 상품의 구입과 매간 시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자본

비용 부담

- 험부담(risk bearing) 상품의 유통과정 에 발생하는 물 상 험

을 부담하는 활동

- 유통정보(market information) 상품 유통의 제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한 정보의 수집 분산 활동

3 농산물 유통기

유통기 의 종류

1) 직 유통기

- 생산자

- 간상(도매상 소매상)

도매상(wholesaler) 소매상(retailer)은 상품 소유권을 가지고 거래에

참여하는 상인(merchant)과 소유권을 가지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개인 탁상(broker commision men 등)으로 구분

- 소비자

2) 유통조성기

- 정부기 (농림부 산업자원부 보건복지부 농산물품질 리원 수의과학

검역원 농수산물유통공사 농림수산정보센터 농 경제연구원 등)

- 수송업자(자동차운송업자 철도운송업자 선박운송업자 등)

- 보 업자( 장업자 등)

- 하역업자(항운노조 하역회사 등)

- 융회사(농 일반 융기 등)

- 보험회사

- 마 련회사( 고 디자인 랜드 시장조사 등)

도소매기 의 기능

- 거래효율성 제고 총거래수 최소화의 원칙(the principle of minimum

total transaction 그림 1-2)

- 구색갖춤 소비자들의 욕구를 단 한번의 거래로 충족시킬 수 있도록 가능

한 한 다양한 상품을 비하여 복잡한 거래를 단순화시킴

- 상품의 소량단 화 량생산된 상품을 소비자의 욕구에 맞추어 소량단

- 거래의 단순화 복잡한 거래조건의 단순화

- 정보탐색의 용이성 유통기 을 통한 정보수집의 효율성

lt그림 1-2gt 총거래수 최소화의 원칙

생 산 자

소 비 자

lt중 간 상 이 없 는 경 우 거 래 수 gt

P P P P

C C C C

생 산 자

소 비 자

lt중 간 상 이 없 는 경 우 거 래 수 gt

P P P P

C C C C

생산자

소비자

lt중간상이 있는 경우 거래수gt

P P P P

C C C C

M중간상

생산자

소비자

lt중간상이 있는 경우 거래수gt

P P P P

C C C C

M중간상

4 유통과 마

4 1 거 시 마 과 미 시 마

거시 마

- 농산물이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달되는 과정의 시스템 에서

의 근

- 체 유통과정의 효율화 등 국가 에서 근하며 농산물유통론은

일반 으로 거시 마 의 에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책을 강구함

미시마

- 생산자 도소매기 가공업체 등 유통참여자 입장에서 매 극 화를 통

한 이윤창출 과정에 심을 두는 일명 기업마 (business marketing)이

라고도 함

- 유통참여자의 이윤창출 과정에서 제기되는 문제 과 해결 방안에 주안

- 미시마 에서 유통은 4P Place에 해당

4 2 미 시 마 의 요성

생산과잉의 시 도래

- 생산이 수요를 과하는 만성 공 과 상 가속화

- 주산지간 경쟁 수입개방 등으로 소비자 선택기회 확

유통주체의 형성

- 과거 세 생산자 심의 유통에서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에

의한 유통 확 로 기업 마 리 기법에 한 요구 확

상품(commodity)에서 제품(product)으로의 환

- 수확후 다양한 리기술의 용으로 과거 차별화되지 않은 상품에서 차

별화된 제품으로의 농산물 성격 환

- 차별화된 제품의 경우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해 다양한 마 활

동 필요

제2 장 농산물 소 비 구 조

1 농산물 소 비 의 요성

소비자는 유통시스템의 지배자 조정자(ruler and coordinator)이며 푸

드 시스템의 목표는 소비자를 만족시키는데 있음

소비자 주권(sovereignty) 주의

- 소비자는 진정으로 왕인가

- 기업은 소비자의 요구에만 맞추어 활동하는가

- 소비자는 항상 옳은가

- 소비자가 주권을 가지기 한 조건은

2 소 비 품 목 의 변 화

경제발 과 소득수 에 따라 국민들의 식 품 소 비 형 태 는 lsquo물량rsquo과 lsquo 양rsquo을

추구하는 양 인 소비에서 5감에 의해 lsquo맛rsquo lsquo멋rsquo lsquo 술rsquo의 질 인 단계로

물 량

lt그림 2-1gt 경제발 과 소득증 에 따른 식품소비단계

소비자들의 소비구조가 다양화 고 화 개성화 간편화 안 화 는 건

강지향 으로 변모되고 있음 이러한 소비구조의 변화는 농산물에 한

선호도에 반 되고 구매패턴의 변화를 래하여 농산물 유통구조에 향

을 미쳐 궁극 으로 농산물 생산구조의 재편을 가져오게 됨

- 농산물의 소비도 경제발 과 소득증가에 따라 생산 장이 용이한 곡

류 서류 등 보 ( 低位保全) 식 품 에서 채소 과일 육류 등 신선한

고 보 ( 高位保全) 식 품 가공식품 편의식품 건강식품으로 변화하고

있음

3 가공식품 외식 소비 확

자녀 없는 부부가구의 증가 가족의 해체 등 핵가족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

으며 가구당 인원수가 1980년 45명에서 2000년에 31명으로 계속 감소하고 있

다 이러한 가족 구조의 변화는 외식 가공 조리식품 소포장 단 의 식품 구

매를 증가시키게 됨 한 식단계획자이자 조리자인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1980년 이후 늘어나면서 식생활은 더욱 간소화를 지향하게 되었음

경제가 지속 으로 발 함에 따라 가공식품에 한 수요가 증가하고 식생활

의 외부화가 계속 진행될 망임 이는 과거 농산물이 가공되지 않은 상태

에서 가공 혹은 외식형태로 유통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식품가공 외식산업

등을 포 하는 푸드시스템의 요성이 커지고 있음

- 도시가계의 농식품 지출액 가공식품의 비 은 lsquo70년의 18에서 2000년

에는 23로 증가하 으며 외식비 비 은 동기간 2에서 39로 증하

최근에는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 등의 요인으로 가정식과 외식(food

away from home)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으며 조리시간을 이기

해 미리 조리된 식품을 소매 에서 사서 집에서 먹는 형태의 소비가 증

가하고 있음

- 21세기에는 이러한 추세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망되며 짧은 조리

시간에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가정식 체식품(HMR Home Meal

Replacement)의 요성이 커질 망임

- HMR은 가정식을 체하는 미리 조리된 식품을 소매 에서 사서 식탁

에 그 로 올려놓는 즉석 조리식품을 의미하며 수퍼마켓의 반찬 델리

베이커리 스낵 샐러드바 코 등이 표 이며 최근에는 밥까지도 개

발되었음

- 아울러 컷트 과일 컷트 채소 등 쉬 컷(fresh cut) 제품의 소비도

증가

- 최근에는 세척고구마 세척 무 세척 당근 등 세척 소포장 농산물의 소

비 증가

이러한 소비자들의 소비구조의 변화는 농산물과 식품의 구매패턴에도 향을

주어 구매 장소 구매단 구매 형태 등에서 편의성 추구경향이 나타남

- 식품 구입장소의 경우 과거 재래시장 등이 부분을 차지하 으나 쾌 한 쇼

핑환경과 다양한 상품을 일 구매할 수 있는 편리성 등으로 형 할인 의

비 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4 고 품 질 안 농산물 소 비 확

소득 증 에 따라 소비자의 건강에 한 심이 높아지고 최근 유 자 변형농

산물의 유해성 논란 O-157의 발생 우병 확산 등으로 소비자들의 식품안

성에 한 인식은 더욱 고조되고 있음

- 소비자들은 안 한 농산물에 해서 일반농산물에 비해 15~35배나 높은 가

격을 지불하고서라도 구입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음

- 이에 따라 품질인증된 친환경농산물 생산량은 소비자의 안 농산물 수요 증

가에 힘입어 1994년 이후 연평균 86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음

소비자의 안 성에 한 높은 심으로 생산이력제 등에 한 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으며 생산이력제란 농산물의 추 가능성(traceability)

을 높이는 것으로 그 내용은 생산자 생산방법 농약의 종류 살표 시

기와 회수 시비의 시기와 회수 잔류농약 검사 등 소비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임(농진청 농산물생산이력정보시스템

wwwatracenet)

5 소 비 의 다 양 화

외환 기 이후에는 가격 서비스를 추구하는 집단과 고가격 고서비

스를 추구하는 집단으로 소비가 양극화되고 있음

- 특히 외환 기 이후 산층 서민층을 심으로 합리 인 소비행

가 정착되고 가격에 한 민감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편

승하여 가격을 주무기로 하는 할인 이 속히 발 하고 있음

2000년 에 들어서는 과거의 획일 소비추세를 탈피하여 연령 별 계

층별 라이 스타일별로 소비가 다양화되고 인구통계 구조가 변함에 따

라 실버마켓 마켓의 요성이 부각될 망임

- 우리 나라도 90년 이후 노년층의 인구가 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

들 노년층은 과거와 달리 구매력을 상당히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유통

시장에서 이들의 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 10 20 연령층도 막강한 구매력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은 새로운

트 드에 매우 민감한 구매 패턴을 보이고 있음

랜드 측면에서는 소비자들의 합리 인 소비가 증가하면서 유통업자상

표(PB Private Brand)의 요성이 커질 망임

- 이미 미국과 유럽 국가에서는 PB의 비 이 20를 넘고 있으며 우리

나라 농식품 분야에서도 돼지고기 등에서 유통업자 상표가 개발되

고 있음

- 하나로 한우 포크(농 ) 강진맥우(한화유통) 이 러스 우유(이마트)

6 소 포 장 품 소 비 확

구매단 에 있어서도 소포장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포장 유통이 크게 증가하

고 있음

- 특히 소비자용 소포장(consuemer package)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음

7 향 후 농식 품 소 비 망

∙곡류 소비감소와 육류소비 증가

∙김치장류 등 전통가공식품 수요 증가

∙세척커팅 등 전처리농산물 구매 증가

∙선별 포장 및 소분포장 수요 증가

∙친환경 안전 농산물 수요 증대

건강지향

시장개방 확대

고급화

편의성

다양화

대형할인점 증

전자상거래활성화

외식산업발전

서구화

lt그림 2-1gt 소비자 선호 시장 여건 변화와 농산물 소비 행태 망

향후 식품 소비는 고 화 다양화 편의성 건강추구 경향이 지속강화될 것이

며 식품 유통도 시장개방의 확 외식산업의 발 자상거래 활성화 등으로

여건 변화가 상됨 이에 따라 농산물 소비는 고품질농산물 친환경농산물 선

별세척소분포장 농산물 김치 등 통식품에 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망됨

제3 장 농산물 유통경 로

1 유통경 로 의 개념과 결 정 요인

유통경로 (distribution channel)란 ldquo매매의 과정과 련되는 유통기 사

이에 존재하는 계 시스템rdquo

- 사회경제 입장에서 생산물이 이 유통되어 가는 경로

) 의 유통경로 의약품의 유통경로

유통단계 (channel level) 제품 그 소유권이 이 될 때 계하는 간

업자의 수

유통경로의 길이(length) 유통단계가 많을수록 길이가 길어짐

lt그림 3-1gt 유통경로의 유형

0단계 경로

(P - C)

1단계 경로

(P ndash R ndash C)

2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R ndash C)

3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J ndash R ndash C)

생산자 소비자

생산자 소매상 소비자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소비자

0단계 경로

(P - C)

1단계 경로

(P ndash R ndash C)

2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R ndash C)

3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J ndash R ndash C)

생산자 소비자

생산자 소매상 소비자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소비자

lt표 3-1gt 유통경로 길이의 결정요인

구분 긴 유통경로 짧은 유통경로

제품

특성

동질 단

경량품

작은 크기

비부패성

기술 으로 단순

이질 단

량품

큰 크기

부패성

기술 으로 복잡

수요

특성

단 구매 작음

구매빈도 높고 규칙

고객수 많음

고객의 지역 분산

소비자 지식의 범 한 분산

단 구매량 큼

구매빈도 낮고 비규칙

고객수 음

고객의 지역 집

소비자 지식의 제한성 집 성

특성

생산자수 많음

지역 분산생산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

생산자수 음

지역 집 생산

제한 인 진입과 퇴출

통 유통경로 독립 인 유통기 이용

- 개개의 경로구성원이 타 구성원의 기능이나 역할에 여하지 않음

- 문 인 유통업자의 효율 이용

- 경로구성원간의 상이한 목표와 기 로 인해 갈등과 조정문제 야기

- 가격 상과 같은 시장 메카니즘에 의해 경로구성원간 계가 조정

수직 유통경로 경로간 수직 통합

-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 유통과정을 체계 으로 통합하고 조정하여

하나의 통합된 체제를 유지하는 것

- 경로 체를 하나의 계획과 모니터로 통제 가능

- 경로구성원간의 조정 가능

- 경로 내 조정 수 이 높아짐

- 복되는 노력이 통합되어 높은 경로성과 제고

- 비용이 많이 드는 단

2 농산물 유통경 로 황

농산물은 도매시장을 주로 하는 통 인 유통경로로 유통되어 왔으나

최근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의 산지직거래 자상거래 등의 확

로 새로운 유통경로가 두되고 있음

-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 산지유통센터 등을 통한 유통

은 통 인 도매시장 유통과는 질 으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

문에 편의상 신유통시스템으로 개념화

신유통시스템의 확산 결과로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는 lt그림 3-2gt와

같이 다원화되고 있음

- 도매시장의 경우도 통 인 도매시장법인 rarr 도매인의 경로뿐 아니

라 도매상 경로도 새롭게 부각되고 있으며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B2B B2C) 등에 의한 시장외 거래도 요한 유통경로로 부

신유통시스템은 수직 유통경로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단순한 유통경

로 변화 이상의 다양한 특징을 가짐(표 3-3)

신유통시스템은 유통마진 감 가격 안정성 제고 등 정 인 효과를 보

이고 있음

- 종합유통센터 형유통업체 경유시 유통단계 단축 물류합리화

등의 요인으로 유통마진이 감됨

- 형유통업체의 경우 산지직구입시 가격을 일주일에 2회 정도 조정하

고 구입물량을 사 에 시함으로써 도매시장에 비해 생산자 수취가격

의 안정성이 높음

- 아울러 신유통시스템에서는 장기 속 거래 계를 유지하기 때문

에 도매시장의 통 유통시스템보다 거래비용(transaction cost)을

감함

lt그림 3-2gt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

소 비 자

외 식 업 체소 매 상

식 재 가 공 업 체 대 형 유 통 업 체

중 도 매 인

도 매 상종 합

유 통 센 터

B 2 B

전 자 상 거 래

수 집 상생 산 자 조 직

(농 협 작 목 반 영 농 법 인 )

생 산 자

도 매 법 인

(

민시

장 B

2C)

lt표 3-2gt 통 유통시스템과 신유통시스템의 비교

구 분 통 유통시스템 신유통시스템

경로

경로구성원 수집상 도매시

장 재래시장

상호 독립 이며 일회성 거

경로구성원 산지유통센터 종합

유통센터 형유통업체

수직 유통시스템 장기 이고

속 인 거래

주체 세규모의 근 인 상인 형유통업체 산지유통조직

상품 비규격품 주

표 규격품 주

차별화되고 가공 처리된 농식품

(수확후 리기술의 용)

거래방식 장에서의 경매 혹은 상

거래 약상 거래 통명거래

물류 수작업에 의한 하역

단 화물화(Unit Load System)

에 의한 하역 기계화

포장 렛트 물류기기 표 화에

의한 물류합리화

정보 사후 정산 정보 POS EDI 등 유통정보화

인터넷쇼핑 등 자상거래 활용

주) 통 유통시스템은 공 도매시장과 유사도매시장을 포 한 것으로 공

도매시장의 경우 출하약정 등을 통한 속 거래 추진 도매시장법인

의 규모화 등 일부 신유통시스템 인 요소가 있기도 하나 반 인 특

성은 상기표와 같음

3 시 장 발 단 계 에 따 른 유통경 로 의 변 화 망

Blattberg교수는 시장 발 단계를 시장단계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

산된 시장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

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장의 5단계로 구분(표 3-3)

- 시장발 단계에 따라 주된 유통경로 유형이 결정됨

lt표 3-3gt 시장발 단계별 마 의 역할

시장단계 마 의 주안

시장단계 자 자족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구매자와 매자의 확인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효율 유통 시장에 의한 가격결정

차별화된 제품

집 된 시장

특화된 시장에서의 효율 유통 고객요구에 기 한 표

마 랜드 고차별화된 제품

분산된 시장

일방 에서 방 커뮤니 이션으로의 변환 마 은

기업과 고객간의 정보흐름 리

자료 Blattberg Robert C 외(주우진외 역) 21세기 마 정보 명 1996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 단계에서는 물물교환 혹은 지역단 의

소규모 시장에서의 거래가 주된 유통경로 음

우리 나라의 농산물유통은 5단계 제3단계 ldquo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rdquo에 있으나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차 으로 제4단계인 ldquo차별

화된 제품집 된시장rdquo으로 진화

- 산지에서 수확후 리기술의 용 랜드화 등이 진척됨에 따라 농산물

도 차별화되고 하나의 제품으로서 성격을 갖기 시작

- 이들 차별화 제품은 특정의 표 소비자를 상으로 한 표 마 활

동을 수행하고 소매업체에 한 직 납품 등 유통경로의 차별화 모색

제3단계에서는 비차별품을 량으로 신속하게 유통시키는데 있어 도매시

장의 역할과 기능이 지 하 으나 제4단계에서는 표 시장을 한 마

활동이 수행되므로 불특정다수를 한 도매시장의 역할과 기능이

하되며 유통업체와의 직거래가 확

최근 자상거래의 발 으로 농산물에 있어서도 제5단계인 ldquo차별화된 제

품분산된 시장rdquo으로의 진화가 미약하나마 진행 임

- IT의 발 으로 소비자들은 개별 으로 그들의 욕구와 선호를 표시할

수 있고 생산자는 그들에게 합한 제품을 개발하여 제공 가능

- 이러한 환경 하에서 마 의 역할은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계를

리하는 것이 요

- 농산물 자상거래(B2C)에 있어서도 효율성보다는 소비자와 생산자간

의 커뮤니 이션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이 되며 실제로도 렴한 가

격보다 소비자와의 계 혹은 유 감 형성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으

로 두

시장의 발 단계로 볼 때 농산물 유통도 집 화된 시장으로부터 차 차

별화되고 분산화되는 방향으로 환되고 있음

유통단계간 수직 조정(Vertical Coordination) 에서 보면 통 인

물시장(spot market) 주의 거래가 차 계약거래(contracts) 수직

통합(vertical integration) 등으로 환

- 를 들어 형유통업체들은 도매시장에서의 거래 주에서 도매단계

의 통합을 통한 산지 직구입 증가

- 축산물 유기농산물 등 산지 확인이 필요한 품목은 시장구입보다 계약

생산 등 선호

- 계약거래 수직 통합 등은 일회성의 물시장 거래보다 인근 유통단

계간의 조정과 통제가 용이하게 되어 효율 으로 됨

- 미국의 경우 육계 우유 계란 가공용 채소 일반 채소류 오 지류 등

은 계약거래 수직 통합의 비율이 체 유통량의 50를 상회함

(Henderson 1994)

제4 장 유통비 용

우리 나라에서는 미국과 같이 체 인 식품유통비용이 추계되지 않고

품목별 유통비용이 농수산물유통공사에 의해 매년 조사되고 있음

- 2001년 조사품목수 28품목 41종류

- 식량작물(6종) 두 감자( 고랭지 가을) 고구마

- 엽근채류(8종) 배추( 고랭지 가을) 무( 고랭지 가을) 상추 당근

- 과채류(6종) 수박 참외 오이 딸기 토마토(일반 방울)

- 조미채소류(9종) 풋고추 건고추 마을(난지형 한지형 장) 양 (일반

장) 생강

- 과일류(8종) 사과(일반 장) 배(일반 장) 단감 포도 감귤 복숭아

- 축산부류(4종)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1 유통마 진 과 마 크 업 ( m a r k u p )

가 유통마 진 ( 비 용 )

유통비용은 유통과정 감모분을 공제한 실제 매액 비 유통비용

- 유통마진률 = ( 매액-구입액) 매액

유통마진률에 향을 주는 요인

- 가공도 장여부 상품의 부패성 정도 계 요인 수송 비용

상품 가치 비 부피

나 마 크 업

마크업이란 매가격에서 구입가격을 뺀 차이를 말함

원 매가(original retail price) vs 실제 매가(sales retail price)

- 실제 매가 = 원 매가 - reduction(할인 로스 등)

최 마크업율 = ( 비+이익+reduction)( 매가+reduction)

실제마크업율 = ( 비+이익)( 매가)

계산

원 매가 102000

reduction 2000

실제 매가 100000

매입가 80000

------------------

실제마크업 20000 최 마크업 22000

최 마크업율 = 22000102000 = 216

실제마크업율 = 20000100000 = 200

최 계획된 마크업은 포의 성과 측정 면에서 요함

2 농산물 유통비용율

가 유통 단계별 내용별 유통비용률

유통마진률은 풍흉에 의한 매가에 의해 큰 향을 받기 때문에 연도별

일정한 추세를 발견하기 곤란

-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조사에 의하면 농산물 체의 유통마진률은 2001년

44로 2000년에 비해 약간 증가하 으나 추세라고 보기는 어려움

유통단계별 유통마진률은 출하 도매단계보다 소매단계가 높으며 비목별

로는 직 비용의 비 이 큼(표 4-2)

lt표 4-2gt 유통단계별 비목별 유통비용률

(단 )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유통비용율 410 398 387 404 437

출 하 137 93 97 88 117

도 매 76 97 88 93 94

소 매 197 208 202 223 226

직 비용 131 146 138 153 173

간 비용279

109 100 121 131

이 윤 143 146 130 133

주) 직 비 포장비 하역비 수송비 상장수수료 감모비 등 간 비 임 료 인건비 제세공과 감가상각비 등 이윤 유통비용에서 직 비와 간 비를 공제한 상인 이윤

나 부류별 유통비용율

품목별로는 엽근채류 서류 조미채소류의 유통마진률이 높고 축산물 곡

류의 마진률이 낮은 편임(표 4-1)

lt표 4-1gt 부류별 유통마진률

(단 )

구 분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체 평 균 410 398 387 404 437

엽 근 채 류

서 류

조 미 채 소 류

과 일 류

과 채 류

축 산 부 류

곡 물 류

761

647

427

499

562

-

193

722

535

500

476

471

364

167

731

566

482

521

449

305

165

722

608

559

503

447

333

177

778

625

588

548

430

345

199

다 주요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율

주요 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률은 일반 으로 도매시장 경유시 보다 낮

은 것으로 조사(표 4-2)

그러나 유통비용률이 낮다고 해서 유통이 반드시 효율 이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치 해석에 주의를 요함

lt표 4-2gt 주요 품목의 경로별 유통비용률 비교

(단 )

구 분 감자 고랭감자 고구마 고랭배추 무 수박방울토마

도매시장경유(A) 699 627 534 766 686 500 355

직 거 래(B) 456 346 195 499 478 254 164

A - B 243 281 339 267 208 246 191

라 외국과의 농산물 유통마진률 비교

유통마진률은 가공도 유통서비스 수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통

마진률의 단순한 비교로 유통의 효율성을 비교하기는 곤란

- 일반 으로 유통마진률은 선진국일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임

한국과 일본한국 546 일본 602

- 상품목당근 오이 토마토 양 복숭아 포도 수박 풋고추

한국과 미국한국 539 미국 749

- 상품목상추 감자 토마토 당근 사과 포도 복숭아 딸기

3 유통비 용 의 망

유통비용은 고정비용의 성격

- sticky marketing margin 유통비용은 생산물의 가액에 비례하여 발생

하는 것이 아니라 취 량에 의해 결정

-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면 유통마진율은 낮아지나 가격이 하락하면 유통

마진율이 높아짐

유통마진율의 증가 경향 원인

- 유통기능의 고도화 가공 편의성 콜드체인 고 등 마 활동 강화

- 투입요소(노동 수송 포장 에 지) 비용의 지속 증가(특히 노임)

- 정부 정책 유통과정상 안 성 확보(HACCP) 환경규제 강화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 해요소 리시스템

유통비용 감 방안

- 요소비용 감을 한 생산성 향상(특히 노동생산성)

- 불필요한 유통기능의 삭감 - 부작용 발생 주의 필요

- 유통참여자의 규모화

제5 장 농산물 소 매 기

1 소 매 업 의 분 류

소매업은 최종 고객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매하는 유

통기

1 1 소 유 형 태 별 구 분

- 독립 포

- 체인 선진국일수록 체인의 비 이 높음

미국 일반상품 93 식품 60

- 생산자 소유(농 매 )

- 소비자 소유(생 소비자 동조합)

체인 스토어 복수의 포망을 앙본부의 통제하에 운 하는 조직체로

앙집 리방법과 표 화 통일된 system을 가짐

- Regular chain 단일 소유권

- Voluntary chain 독립

- Franchise chain 계약에 의한 독립자본

- Cooperative chain 소비자 공동출자

1 2 치 별 구 분

- 심 상업지역 (Central Business District)

- 일반 지역

- 교외

1 3 략 인 분 류

가 회 률-마진률

회 율 매출액재고액

마진율 마진액 매액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나 서비스-마진률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1 4 상 품 구 색 에 의한 분 류

Variety(품종) 구색의 넓이

Assortment(품목) 구색의 깊이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2 농산물 소 매 업 태

2 1 업 태 의 개념

업태란 상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팔 것인가에 련된 업 내지 경 방

- 상품구성 가격 매방식 매장환경 업방식 입지 규모

매의 포인트 제조업자 rarr 소비자 (업종 - 업태로 개념 변화)

기존의 업종별 구분에서 소매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

소매업이 주체를 가지고 상품 편성(소비자 주의 머천다이징)

업태별로 머천다이징의 포인트가 다름

기존에는 업종별 ( 매하는 품목의 산업분류) 분류로 통계 집계 공표

해 왔으며 업태에 한 이해가 부족하 음

업태는 역사 으로 볼 때 항상 가변 임

2 2 업 태 별 분 류

가 구 멍가게( mo m a n d p o p s t o r e )

나 재래시장( t r a d i t i o n a l ma r k e t p l a c e )

다 백화 ( d e p a r t me n t s t o r e )

라 슈퍼마켓( s u p e r ma r k e t )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필요

농산물 유통론의 범

- 생산의 포함 여부 마 개념

- 자재산업의 포함 여부

lt그림 1-1gt 유통과정상의 흐름

소비자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소유권(title)

물류(physical flow)

판촉(promotion flow)

현금(cash)

정보(information)

상품정보

소비자정보

소비자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소유권(title)

물류(physical flow)

판촉(promotion flow)

현금(cash)

정보(information)

상품정보

소비자정보

1 2 농산물 유통론의 특수성

농산물 유통론은 주로 식품의 유통을 분석 상으로 하고 있음

- 일반 으로 식품은 사람에게 양을 공 하는 음식물을 총칭하는 것으

로 양소를 한 가지 이상 함유하고 유해한 물질을 함유하는 않은 천연

물이나 가공품을 말함

식품의 상품 특성

1) 부피와 량성 가치에 비해 부피가 크고 무거워 운반과 보 에 비용이

많이 발생

2) 계 성 생산은 계 이지만 소비는 연 발생하여 보 의 요성이

크며 수확기에는 홍수 출하가 발생하여 가격 하락

3) 부패성 식품은 수분이 많아 장성이 낮고 부패하거나 손상 용이하며

보 수송 에 부패 방지를 한 특수 시설이 필요

4) 질과 양의 불균일성 품질이나 크기가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표 화 등

화 곤란

5) 용도의 다양성 상황에 따라 쉽게 용도를 변경할 수 있고 체성이 큼

6) 수요와 공 의 비탄력성 소득 변화에 따른 수요의 변화가 작고 공 도

경지면 의 고정성으로 조 이 어려움

유통참여자의 특수성

- 농산물 유통론은 세하고 소득이 낮은 농업인이 여되기 때문에 일반

기업과는 다른 특수성 존재

- 소비 측면에서도 식품이 소비자의 건강에 지 한 향을 미침

- 이 때문에 농산물 유통에는 정부의 여가 높고 국가 표 이 필요하

게 됨

농업발 과 유통의 역할

- 소비자 요구사항의 신속한 달 소비자 지향 농업 발 에 필수

- 생산과 소비의 효율 연계

- 농산물의 경쟁력 생산 + 유통

2 농산물 유통의 기 능

1) 거래기능(상 기능) 상품소유권 이 에 련된 제반 활동

- 구매수집(buying assembling) 상품 매자를 찾는 활동(최종소비재

간재)

- 매(selling) 머천다이징(상품 개발 상품구색 진열 등) 홍보 상품

개발 등

2) 물 기능 상품의 이동 형태 변형과 련된 활동

- 보 (storage) 장시설을 이용하여 상품의 시간 가용성을 변화시키는

활동

- 수송(transportation) 운송기 을 활용하여 상품을 장소 으로 이동시키

는 활동

- 하역(loading and unloading) 각종 수송기 에 화물을 싣고 부리는 것

창고보 화물의 입출고 창고 내에서의 쌓기와 내리기 는 그것에 부

수하는 활동

- 포장(packaging) 상품을 수송 보 함에 있어서 가치 는 상태를 보

하기 해 한 재료 용기 등을 물품에 가하는 활동

- 가공(processing) 상품의 기본 인 형태를 변환시키는 제조 활동 유

통과정에서의 간단한 형태 변화

3) 유통조성 기능

- 표 화등 화(standardizationgrading) 거래의 단순화를 해 품질

수량을 일정한 기 에 의해 표 화시키는 활동 품질 리 활동도 포함

- 융(financing) 상품의 구입과 매간 시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자본

비용 부담

- 험부담(risk bearing) 상품의 유통과정 에 발생하는 물 상 험

을 부담하는 활동

- 유통정보(market information) 상품 유통의 제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한 정보의 수집 분산 활동

3 농산물 유통기

유통기 의 종류

1) 직 유통기

- 생산자

- 간상(도매상 소매상)

도매상(wholesaler) 소매상(retailer)은 상품 소유권을 가지고 거래에

참여하는 상인(merchant)과 소유권을 가지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개인 탁상(broker commision men 등)으로 구분

- 소비자

2) 유통조성기

- 정부기 (농림부 산업자원부 보건복지부 농산물품질 리원 수의과학

검역원 농수산물유통공사 농림수산정보센터 농 경제연구원 등)

- 수송업자(자동차운송업자 철도운송업자 선박운송업자 등)

- 보 업자( 장업자 등)

- 하역업자(항운노조 하역회사 등)

- 융회사(농 일반 융기 등)

- 보험회사

- 마 련회사( 고 디자인 랜드 시장조사 등)

도소매기 의 기능

- 거래효율성 제고 총거래수 최소화의 원칙(the principle of minimum

total transaction 그림 1-2)

- 구색갖춤 소비자들의 욕구를 단 한번의 거래로 충족시킬 수 있도록 가능

한 한 다양한 상품을 비하여 복잡한 거래를 단순화시킴

- 상품의 소량단 화 량생산된 상품을 소비자의 욕구에 맞추어 소량단

- 거래의 단순화 복잡한 거래조건의 단순화

- 정보탐색의 용이성 유통기 을 통한 정보수집의 효율성

lt그림 1-2gt 총거래수 최소화의 원칙

생 산 자

소 비 자

lt중 간 상 이 없 는 경 우 거 래 수 gt

P P P P

C C C C

생 산 자

소 비 자

lt중 간 상 이 없 는 경 우 거 래 수 gt

P P P P

C C C C

생산자

소비자

lt중간상이 있는 경우 거래수gt

P P P P

C C C C

M중간상

생산자

소비자

lt중간상이 있는 경우 거래수gt

P P P P

C C C C

M중간상

4 유통과 마

4 1 거 시 마 과 미 시 마

거시 마

- 농산물이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달되는 과정의 시스템 에서

의 근

- 체 유통과정의 효율화 등 국가 에서 근하며 농산물유통론은

일반 으로 거시 마 의 에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책을 강구함

미시마

- 생산자 도소매기 가공업체 등 유통참여자 입장에서 매 극 화를 통

한 이윤창출 과정에 심을 두는 일명 기업마 (business marketing)이

라고도 함

- 유통참여자의 이윤창출 과정에서 제기되는 문제 과 해결 방안에 주안

- 미시마 에서 유통은 4P Place에 해당

4 2 미 시 마 의 요성

생산과잉의 시 도래

- 생산이 수요를 과하는 만성 공 과 상 가속화

- 주산지간 경쟁 수입개방 등으로 소비자 선택기회 확

유통주체의 형성

- 과거 세 생산자 심의 유통에서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에

의한 유통 확 로 기업 마 리 기법에 한 요구 확

상품(commodity)에서 제품(product)으로의 환

- 수확후 다양한 리기술의 용으로 과거 차별화되지 않은 상품에서 차

별화된 제품으로의 농산물 성격 환

- 차별화된 제품의 경우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해 다양한 마 활

동 필요

제2 장 농산물 소 비 구 조

1 농산물 소 비 의 요성

소비자는 유통시스템의 지배자 조정자(ruler and coordinator)이며 푸

드 시스템의 목표는 소비자를 만족시키는데 있음

소비자 주권(sovereignty) 주의

- 소비자는 진정으로 왕인가

- 기업은 소비자의 요구에만 맞추어 활동하는가

- 소비자는 항상 옳은가

- 소비자가 주권을 가지기 한 조건은

2 소 비 품 목 의 변 화

경제발 과 소득수 에 따라 국민들의 식 품 소 비 형 태 는 lsquo물량rsquo과 lsquo 양rsquo을

추구하는 양 인 소비에서 5감에 의해 lsquo맛rsquo lsquo멋rsquo lsquo 술rsquo의 질 인 단계로

물 량

lt그림 2-1gt 경제발 과 소득증 에 따른 식품소비단계

소비자들의 소비구조가 다양화 고 화 개성화 간편화 안 화 는 건

강지향 으로 변모되고 있음 이러한 소비구조의 변화는 농산물에 한

선호도에 반 되고 구매패턴의 변화를 래하여 농산물 유통구조에 향

을 미쳐 궁극 으로 농산물 생산구조의 재편을 가져오게 됨

- 농산물의 소비도 경제발 과 소득증가에 따라 생산 장이 용이한 곡

류 서류 등 보 ( 低位保全) 식 품 에서 채소 과일 육류 등 신선한

고 보 ( 高位保全) 식 품 가공식품 편의식품 건강식품으로 변화하고

있음

3 가공식품 외식 소비 확

자녀 없는 부부가구의 증가 가족의 해체 등 핵가족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

으며 가구당 인원수가 1980년 45명에서 2000년에 31명으로 계속 감소하고 있

다 이러한 가족 구조의 변화는 외식 가공 조리식품 소포장 단 의 식품 구

매를 증가시키게 됨 한 식단계획자이자 조리자인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1980년 이후 늘어나면서 식생활은 더욱 간소화를 지향하게 되었음

경제가 지속 으로 발 함에 따라 가공식품에 한 수요가 증가하고 식생활

의 외부화가 계속 진행될 망임 이는 과거 농산물이 가공되지 않은 상태

에서 가공 혹은 외식형태로 유통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식품가공 외식산업

등을 포 하는 푸드시스템의 요성이 커지고 있음

- 도시가계의 농식품 지출액 가공식품의 비 은 lsquo70년의 18에서 2000년

에는 23로 증가하 으며 외식비 비 은 동기간 2에서 39로 증하

최근에는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 등의 요인으로 가정식과 외식(food

away from home)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으며 조리시간을 이기

해 미리 조리된 식품을 소매 에서 사서 집에서 먹는 형태의 소비가 증

가하고 있음

- 21세기에는 이러한 추세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망되며 짧은 조리

시간에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가정식 체식품(HMR Home Meal

Replacement)의 요성이 커질 망임

- HMR은 가정식을 체하는 미리 조리된 식품을 소매 에서 사서 식탁

에 그 로 올려놓는 즉석 조리식품을 의미하며 수퍼마켓의 반찬 델리

베이커리 스낵 샐러드바 코 등이 표 이며 최근에는 밥까지도 개

발되었음

- 아울러 컷트 과일 컷트 채소 등 쉬 컷(fresh cut) 제품의 소비도

증가

- 최근에는 세척고구마 세척 무 세척 당근 등 세척 소포장 농산물의 소

비 증가

이러한 소비자들의 소비구조의 변화는 농산물과 식품의 구매패턴에도 향을

주어 구매 장소 구매단 구매 형태 등에서 편의성 추구경향이 나타남

- 식품 구입장소의 경우 과거 재래시장 등이 부분을 차지하 으나 쾌 한 쇼

핑환경과 다양한 상품을 일 구매할 수 있는 편리성 등으로 형 할인 의

비 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4 고 품 질 안 농산물 소 비 확

소득 증 에 따라 소비자의 건강에 한 심이 높아지고 최근 유 자 변형농

산물의 유해성 논란 O-157의 발생 우병 확산 등으로 소비자들의 식품안

성에 한 인식은 더욱 고조되고 있음

- 소비자들은 안 한 농산물에 해서 일반농산물에 비해 15~35배나 높은 가

격을 지불하고서라도 구입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음

- 이에 따라 품질인증된 친환경농산물 생산량은 소비자의 안 농산물 수요 증

가에 힘입어 1994년 이후 연평균 86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음

소비자의 안 성에 한 높은 심으로 생산이력제 등에 한 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으며 생산이력제란 농산물의 추 가능성(traceability)

을 높이는 것으로 그 내용은 생산자 생산방법 농약의 종류 살표 시

기와 회수 시비의 시기와 회수 잔류농약 검사 등 소비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임(농진청 농산물생산이력정보시스템

wwwatracenet)

5 소 비 의 다 양 화

외환 기 이후에는 가격 서비스를 추구하는 집단과 고가격 고서비

스를 추구하는 집단으로 소비가 양극화되고 있음

- 특히 외환 기 이후 산층 서민층을 심으로 합리 인 소비행

가 정착되고 가격에 한 민감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편

승하여 가격을 주무기로 하는 할인 이 속히 발 하고 있음

2000년 에 들어서는 과거의 획일 소비추세를 탈피하여 연령 별 계

층별 라이 스타일별로 소비가 다양화되고 인구통계 구조가 변함에 따

라 실버마켓 마켓의 요성이 부각될 망임

- 우리 나라도 90년 이후 노년층의 인구가 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

들 노년층은 과거와 달리 구매력을 상당히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유통

시장에서 이들의 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 10 20 연령층도 막강한 구매력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은 새로운

트 드에 매우 민감한 구매 패턴을 보이고 있음

랜드 측면에서는 소비자들의 합리 인 소비가 증가하면서 유통업자상

표(PB Private Brand)의 요성이 커질 망임

- 이미 미국과 유럽 국가에서는 PB의 비 이 20를 넘고 있으며 우리

나라 농식품 분야에서도 돼지고기 등에서 유통업자 상표가 개발되

고 있음

- 하나로 한우 포크(농 ) 강진맥우(한화유통) 이 러스 우유(이마트)

6 소 포 장 품 소 비 확

구매단 에 있어서도 소포장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포장 유통이 크게 증가하

고 있음

- 특히 소비자용 소포장(consuemer package)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음

7 향 후 농식 품 소 비 망

∙곡류 소비감소와 육류소비 증가

∙김치장류 등 전통가공식품 수요 증가

∙세척커팅 등 전처리농산물 구매 증가

∙선별 포장 및 소분포장 수요 증가

∙친환경 안전 농산물 수요 증대

건강지향

시장개방 확대

고급화

편의성

다양화

대형할인점 증

전자상거래활성화

외식산업발전

서구화

lt그림 2-1gt 소비자 선호 시장 여건 변화와 농산물 소비 행태 망

향후 식품 소비는 고 화 다양화 편의성 건강추구 경향이 지속강화될 것이

며 식품 유통도 시장개방의 확 외식산업의 발 자상거래 활성화 등으로

여건 변화가 상됨 이에 따라 농산물 소비는 고품질농산물 친환경농산물 선

별세척소분포장 농산물 김치 등 통식품에 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망됨

제3 장 농산물 유통경 로

1 유통경 로 의 개념과 결 정 요인

유통경로 (distribution channel)란 ldquo매매의 과정과 련되는 유통기 사

이에 존재하는 계 시스템rdquo

- 사회경제 입장에서 생산물이 이 유통되어 가는 경로

) 의 유통경로 의약품의 유통경로

유통단계 (channel level) 제품 그 소유권이 이 될 때 계하는 간

업자의 수

유통경로의 길이(length) 유통단계가 많을수록 길이가 길어짐

lt그림 3-1gt 유통경로의 유형

0단계 경로

(P - C)

1단계 경로

(P ndash R ndash C)

2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R ndash C)

3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J ndash R ndash C)

생산자 소비자

생산자 소매상 소비자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소비자

0단계 경로

(P - C)

1단계 경로

(P ndash R ndash C)

2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R ndash C)

3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J ndash R ndash C)

생산자 소비자

생산자 소매상 소비자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소비자

lt표 3-1gt 유통경로 길이의 결정요인

구분 긴 유통경로 짧은 유통경로

제품

특성

동질 단

경량품

작은 크기

비부패성

기술 으로 단순

이질 단

량품

큰 크기

부패성

기술 으로 복잡

수요

특성

단 구매 작음

구매빈도 높고 규칙

고객수 많음

고객의 지역 분산

소비자 지식의 범 한 분산

단 구매량 큼

구매빈도 낮고 비규칙

고객수 음

고객의 지역 집

소비자 지식의 제한성 집 성

특성

생산자수 많음

지역 분산생산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

생산자수 음

지역 집 생산

제한 인 진입과 퇴출

통 유통경로 독립 인 유통기 이용

- 개개의 경로구성원이 타 구성원의 기능이나 역할에 여하지 않음

- 문 인 유통업자의 효율 이용

- 경로구성원간의 상이한 목표와 기 로 인해 갈등과 조정문제 야기

- 가격 상과 같은 시장 메카니즘에 의해 경로구성원간 계가 조정

수직 유통경로 경로간 수직 통합

-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 유통과정을 체계 으로 통합하고 조정하여

하나의 통합된 체제를 유지하는 것

- 경로 체를 하나의 계획과 모니터로 통제 가능

- 경로구성원간의 조정 가능

- 경로 내 조정 수 이 높아짐

- 복되는 노력이 통합되어 높은 경로성과 제고

- 비용이 많이 드는 단

2 농산물 유통경 로 황

농산물은 도매시장을 주로 하는 통 인 유통경로로 유통되어 왔으나

최근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의 산지직거래 자상거래 등의 확

로 새로운 유통경로가 두되고 있음

-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 산지유통센터 등을 통한 유통

은 통 인 도매시장 유통과는 질 으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

문에 편의상 신유통시스템으로 개념화

신유통시스템의 확산 결과로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는 lt그림 3-2gt와

같이 다원화되고 있음

- 도매시장의 경우도 통 인 도매시장법인 rarr 도매인의 경로뿐 아니

라 도매상 경로도 새롭게 부각되고 있으며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B2B B2C) 등에 의한 시장외 거래도 요한 유통경로로 부

신유통시스템은 수직 유통경로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단순한 유통경

로 변화 이상의 다양한 특징을 가짐(표 3-3)

신유통시스템은 유통마진 감 가격 안정성 제고 등 정 인 효과를 보

이고 있음

- 종합유통센터 형유통업체 경유시 유통단계 단축 물류합리화

등의 요인으로 유통마진이 감됨

- 형유통업체의 경우 산지직구입시 가격을 일주일에 2회 정도 조정하

고 구입물량을 사 에 시함으로써 도매시장에 비해 생산자 수취가격

의 안정성이 높음

- 아울러 신유통시스템에서는 장기 속 거래 계를 유지하기 때문

에 도매시장의 통 유통시스템보다 거래비용(transaction cost)을

감함

lt그림 3-2gt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

소 비 자

외 식 업 체소 매 상

식 재 가 공 업 체 대 형 유 통 업 체

중 도 매 인

도 매 상종 합

유 통 센 터

B 2 B

전 자 상 거 래

수 집 상생 산 자 조 직

(농 협 작 목 반 영 농 법 인 )

생 산 자

도 매 법 인

(

민시

장 B

2C)

lt표 3-2gt 통 유통시스템과 신유통시스템의 비교

구 분 통 유통시스템 신유통시스템

경로

경로구성원 수집상 도매시

장 재래시장

상호 독립 이며 일회성 거

경로구성원 산지유통센터 종합

유통센터 형유통업체

수직 유통시스템 장기 이고

속 인 거래

주체 세규모의 근 인 상인 형유통업체 산지유통조직

상품 비규격품 주

표 규격품 주

차별화되고 가공 처리된 농식품

(수확후 리기술의 용)

거래방식 장에서의 경매 혹은 상

거래 약상 거래 통명거래

물류 수작업에 의한 하역

단 화물화(Unit Load System)

에 의한 하역 기계화

포장 렛트 물류기기 표 화에

의한 물류합리화

정보 사후 정산 정보 POS EDI 등 유통정보화

인터넷쇼핑 등 자상거래 활용

주) 통 유통시스템은 공 도매시장과 유사도매시장을 포 한 것으로 공

도매시장의 경우 출하약정 등을 통한 속 거래 추진 도매시장법인

의 규모화 등 일부 신유통시스템 인 요소가 있기도 하나 반 인 특

성은 상기표와 같음

3 시 장 발 단 계 에 따 른 유통경 로 의 변 화 망

Blattberg교수는 시장 발 단계를 시장단계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

산된 시장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

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장의 5단계로 구분(표 3-3)

- 시장발 단계에 따라 주된 유통경로 유형이 결정됨

lt표 3-3gt 시장발 단계별 마 의 역할

시장단계 마 의 주안

시장단계 자 자족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구매자와 매자의 확인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효율 유통 시장에 의한 가격결정

차별화된 제품

집 된 시장

특화된 시장에서의 효율 유통 고객요구에 기 한 표

마 랜드 고차별화된 제품

분산된 시장

일방 에서 방 커뮤니 이션으로의 변환 마 은

기업과 고객간의 정보흐름 리

자료 Blattberg Robert C 외(주우진외 역) 21세기 마 정보 명 1996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 단계에서는 물물교환 혹은 지역단 의

소규모 시장에서의 거래가 주된 유통경로 음

우리 나라의 농산물유통은 5단계 제3단계 ldquo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rdquo에 있으나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차 으로 제4단계인 ldquo차별

화된 제품집 된시장rdquo으로 진화

- 산지에서 수확후 리기술의 용 랜드화 등이 진척됨에 따라 농산물

도 차별화되고 하나의 제품으로서 성격을 갖기 시작

- 이들 차별화 제품은 특정의 표 소비자를 상으로 한 표 마 활

동을 수행하고 소매업체에 한 직 납품 등 유통경로의 차별화 모색

제3단계에서는 비차별품을 량으로 신속하게 유통시키는데 있어 도매시

장의 역할과 기능이 지 하 으나 제4단계에서는 표 시장을 한 마

활동이 수행되므로 불특정다수를 한 도매시장의 역할과 기능이

하되며 유통업체와의 직거래가 확

최근 자상거래의 발 으로 농산물에 있어서도 제5단계인 ldquo차별화된 제

품분산된 시장rdquo으로의 진화가 미약하나마 진행 임

- IT의 발 으로 소비자들은 개별 으로 그들의 욕구와 선호를 표시할

수 있고 생산자는 그들에게 합한 제품을 개발하여 제공 가능

- 이러한 환경 하에서 마 의 역할은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계를

리하는 것이 요

- 농산물 자상거래(B2C)에 있어서도 효율성보다는 소비자와 생산자간

의 커뮤니 이션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이 되며 실제로도 렴한 가

격보다 소비자와의 계 혹은 유 감 형성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으

로 두

시장의 발 단계로 볼 때 농산물 유통도 집 화된 시장으로부터 차 차

별화되고 분산화되는 방향으로 환되고 있음

유통단계간 수직 조정(Vertical Coordination) 에서 보면 통 인

물시장(spot market) 주의 거래가 차 계약거래(contracts) 수직

통합(vertical integration) 등으로 환

- 를 들어 형유통업체들은 도매시장에서의 거래 주에서 도매단계

의 통합을 통한 산지 직구입 증가

- 축산물 유기농산물 등 산지 확인이 필요한 품목은 시장구입보다 계약

생산 등 선호

- 계약거래 수직 통합 등은 일회성의 물시장 거래보다 인근 유통단

계간의 조정과 통제가 용이하게 되어 효율 으로 됨

- 미국의 경우 육계 우유 계란 가공용 채소 일반 채소류 오 지류 등

은 계약거래 수직 통합의 비율이 체 유통량의 50를 상회함

(Henderson 1994)

제4 장 유통비 용

우리 나라에서는 미국과 같이 체 인 식품유통비용이 추계되지 않고

품목별 유통비용이 농수산물유통공사에 의해 매년 조사되고 있음

- 2001년 조사품목수 28품목 41종류

- 식량작물(6종) 두 감자( 고랭지 가을) 고구마

- 엽근채류(8종) 배추( 고랭지 가을) 무( 고랭지 가을) 상추 당근

- 과채류(6종) 수박 참외 오이 딸기 토마토(일반 방울)

- 조미채소류(9종) 풋고추 건고추 마을(난지형 한지형 장) 양 (일반

장) 생강

- 과일류(8종) 사과(일반 장) 배(일반 장) 단감 포도 감귤 복숭아

- 축산부류(4종)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1 유통마 진 과 마 크 업 ( m a r k u p )

가 유통마 진 ( 비 용 )

유통비용은 유통과정 감모분을 공제한 실제 매액 비 유통비용

- 유통마진률 = ( 매액-구입액) 매액

유통마진률에 향을 주는 요인

- 가공도 장여부 상품의 부패성 정도 계 요인 수송 비용

상품 가치 비 부피

나 마 크 업

마크업이란 매가격에서 구입가격을 뺀 차이를 말함

원 매가(original retail price) vs 실제 매가(sales retail price)

- 실제 매가 = 원 매가 - reduction(할인 로스 등)

최 마크업율 = ( 비+이익+reduction)( 매가+reduction)

실제마크업율 = ( 비+이익)( 매가)

계산

원 매가 102000

reduction 2000

실제 매가 100000

매입가 80000

------------------

실제마크업 20000 최 마크업 22000

최 마크업율 = 22000102000 = 216

실제마크업율 = 20000100000 = 200

최 계획된 마크업은 포의 성과 측정 면에서 요함

2 농산물 유통비용율

가 유통 단계별 내용별 유통비용률

유통마진률은 풍흉에 의한 매가에 의해 큰 향을 받기 때문에 연도별

일정한 추세를 발견하기 곤란

-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조사에 의하면 농산물 체의 유통마진률은 2001년

44로 2000년에 비해 약간 증가하 으나 추세라고 보기는 어려움

유통단계별 유통마진률은 출하 도매단계보다 소매단계가 높으며 비목별

로는 직 비용의 비 이 큼(표 4-2)

lt표 4-2gt 유통단계별 비목별 유통비용률

(단 )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유통비용율 410 398 387 404 437

출 하 137 93 97 88 117

도 매 76 97 88 93 94

소 매 197 208 202 223 226

직 비용 131 146 138 153 173

간 비용279

109 100 121 131

이 윤 143 146 130 133

주) 직 비 포장비 하역비 수송비 상장수수료 감모비 등 간 비 임 료 인건비 제세공과 감가상각비 등 이윤 유통비용에서 직 비와 간 비를 공제한 상인 이윤

나 부류별 유통비용율

품목별로는 엽근채류 서류 조미채소류의 유통마진률이 높고 축산물 곡

류의 마진률이 낮은 편임(표 4-1)

lt표 4-1gt 부류별 유통마진률

(단 )

구 분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체 평 균 410 398 387 404 437

엽 근 채 류

서 류

조 미 채 소 류

과 일 류

과 채 류

축 산 부 류

곡 물 류

761

647

427

499

562

-

193

722

535

500

476

471

364

167

731

566

482

521

449

305

165

722

608

559

503

447

333

177

778

625

588

548

430

345

199

다 주요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율

주요 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률은 일반 으로 도매시장 경유시 보다 낮

은 것으로 조사(표 4-2)

그러나 유통비용률이 낮다고 해서 유통이 반드시 효율 이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치 해석에 주의를 요함

lt표 4-2gt 주요 품목의 경로별 유통비용률 비교

(단 )

구 분 감자 고랭감자 고구마 고랭배추 무 수박방울토마

도매시장경유(A) 699 627 534 766 686 500 355

직 거 래(B) 456 346 195 499 478 254 164

A - B 243 281 339 267 208 246 191

라 외국과의 농산물 유통마진률 비교

유통마진률은 가공도 유통서비스 수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통

마진률의 단순한 비교로 유통의 효율성을 비교하기는 곤란

- 일반 으로 유통마진률은 선진국일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임

한국과 일본한국 546 일본 602

- 상품목당근 오이 토마토 양 복숭아 포도 수박 풋고추

한국과 미국한국 539 미국 749

- 상품목상추 감자 토마토 당근 사과 포도 복숭아 딸기

3 유통비 용 의 망

유통비용은 고정비용의 성격

- sticky marketing margin 유통비용은 생산물의 가액에 비례하여 발생

하는 것이 아니라 취 량에 의해 결정

-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면 유통마진율은 낮아지나 가격이 하락하면 유통

마진율이 높아짐

유통마진율의 증가 경향 원인

- 유통기능의 고도화 가공 편의성 콜드체인 고 등 마 활동 강화

- 투입요소(노동 수송 포장 에 지) 비용의 지속 증가(특히 노임)

- 정부 정책 유통과정상 안 성 확보(HACCP) 환경규제 강화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 해요소 리시스템

유통비용 감 방안

- 요소비용 감을 한 생산성 향상(특히 노동생산성)

- 불필요한 유통기능의 삭감 - 부작용 발생 주의 필요

- 유통참여자의 규모화

제5 장 농산물 소 매 기

1 소 매 업 의 분 류

소매업은 최종 고객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매하는 유

통기

1 1 소 유 형 태 별 구 분

- 독립 포

- 체인 선진국일수록 체인의 비 이 높음

미국 일반상품 93 식품 60

- 생산자 소유(농 매 )

- 소비자 소유(생 소비자 동조합)

체인 스토어 복수의 포망을 앙본부의 통제하에 운 하는 조직체로

앙집 리방법과 표 화 통일된 system을 가짐

- Regular chain 단일 소유권

- Voluntary chain 독립

- Franchise chain 계약에 의한 독립자본

- Cooperative chain 소비자 공동출자

1 2 치 별 구 분

- 심 상업지역 (Central Business District)

- 일반 지역

- 교외

1 3 략 인 분 류

가 회 률-마진률

회 율 매출액재고액

마진율 마진액 매액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나 서비스-마진률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1 4 상 품 구 색 에 의한 분 류

Variety(품종) 구색의 넓이

Assortment(품목) 구색의 깊이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2 농산물 소 매 업 태

2 1 업 태 의 개념

업태란 상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팔 것인가에 련된 업 내지 경 방

- 상품구성 가격 매방식 매장환경 업방식 입지 규모

매의 포인트 제조업자 rarr 소비자 (업종 - 업태로 개념 변화)

기존의 업종별 구분에서 소매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

소매업이 주체를 가지고 상품 편성(소비자 주의 머천다이징)

업태별로 머천다이징의 포인트가 다름

기존에는 업종별 ( 매하는 품목의 산업분류) 분류로 통계 집계 공표

해 왔으며 업태에 한 이해가 부족하 음

업태는 역사 으로 볼 때 항상 가변 임

2 2 업 태 별 분 류

가 구 멍가게( mo m a n d p o p s t o r e )

나 재래시장( t r a d i t i o n a l ma r k e t p l a c e )

다 백화 ( d e p a r t me n t s t o r e )

라 슈퍼마켓( s u p e r ma r k e t )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화 곤란

5) 용도의 다양성 상황에 따라 쉽게 용도를 변경할 수 있고 체성이 큼

6) 수요와 공 의 비탄력성 소득 변화에 따른 수요의 변화가 작고 공 도

경지면 의 고정성으로 조 이 어려움

유통참여자의 특수성

- 농산물 유통론은 세하고 소득이 낮은 농업인이 여되기 때문에 일반

기업과는 다른 특수성 존재

- 소비 측면에서도 식품이 소비자의 건강에 지 한 향을 미침

- 이 때문에 농산물 유통에는 정부의 여가 높고 국가 표 이 필요하

게 됨

농업발 과 유통의 역할

- 소비자 요구사항의 신속한 달 소비자 지향 농업 발 에 필수

- 생산과 소비의 효율 연계

- 농산물의 경쟁력 생산 + 유통

2 농산물 유통의 기 능

1) 거래기능(상 기능) 상품소유권 이 에 련된 제반 활동

- 구매수집(buying assembling) 상품 매자를 찾는 활동(최종소비재

간재)

- 매(selling) 머천다이징(상품 개발 상품구색 진열 등) 홍보 상품

개발 등

2) 물 기능 상품의 이동 형태 변형과 련된 활동

- 보 (storage) 장시설을 이용하여 상품의 시간 가용성을 변화시키는

활동

- 수송(transportation) 운송기 을 활용하여 상품을 장소 으로 이동시키

는 활동

- 하역(loading and unloading) 각종 수송기 에 화물을 싣고 부리는 것

창고보 화물의 입출고 창고 내에서의 쌓기와 내리기 는 그것에 부

수하는 활동

- 포장(packaging) 상품을 수송 보 함에 있어서 가치 는 상태를 보

하기 해 한 재료 용기 등을 물품에 가하는 활동

- 가공(processing) 상품의 기본 인 형태를 변환시키는 제조 활동 유

통과정에서의 간단한 형태 변화

3) 유통조성 기능

- 표 화등 화(standardizationgrading) 거래의 단순화를 해 품질

수량을 일정한 기 에 의해 표 화시키는 활동 품질 리 활동도 포함

- 융(financing) 상품의 구입과 매간 시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자본

비용 부담

- 험부담(risk bearing) 상품의 유통과정 에 발생하는 물 상 험

을 부담하는 활동

- 유통정보(market information) 상품 유통의 제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한 정보의 수집 분산 활동

3 농산물 유통기

유통기 의 종류

1) 직 유통기

- 생산자

- 간상(도매상 소매상)

도매상(wholesaler) 소매상(retailer)은 상품 소유권을 가지고 거래에

참여하는 상인(merchant)과 소유권을 가지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개인 탁상(broker commision men 등)으로 구분

- 소비자

2) 유통조성기

- 정부기 (농림부 산업자원부 보건복지부 농산물품질 리원 수의과학

검역원 농수산물유통공사 농림수산정보센터 농 경제연구원 등)

- 수송업자(자동차운송업자 철도운송업자 선박운송업자 등)

- 보 업자( 장업자 등)

- 하역업자(항운노조 하역회사 등)

- 융회사(농 일반 융기 등)

- 보험회사

- 마 련회사( 고 디자인 랜드 시장조사 등)

도소매기 의 기능

- 거래효율성 제고 총거래수 최소화의 원칙(the principle of minimum

total transaction 그림 1-2)

- 구색갖춤 소비자들의 욕구를 단 한번의 거래로 충족시킬 수 있도록 가능

한 한 다양한 상품을 비하여 복잡한 거래를 단순화시킴

- 상품의 소량단 화 량생산된 상품을 소비자의 욕구에 맞추어 소량단

- 거래의 단순화 복잡한 거래조건의 단순화

- 정보탐색의 용이성 유통기 을 통한 정보수집의 효율성

lt그림 1-2gt 총거래수 최소화의 원칙

생 산 자

소 비 자

lt중 간 상 이 없 는 경 우 거 래 수 gt

P P P P

C C C C

생 산 자

소 비 자

lt중 간 상 이 없 는 경 우 거 래 수 gt

P P P P

C C C C

생산자

소비자

lt중간상이 있는 경우 거래수gt

P P P P

C C C C

M중간상

생산자

소비자

lt중간상이 있는 경우 거래수gt

P P P P

C C C C

M중간상

4 유통과 마

4 1 거 시 마 과 미 시 마

거시 마

- 농산물이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달되는 과정의 시스템 에서

의 근

- 체 유통과정의 효율화 등 국가 에서 근하며 농산물유통론은

일반 으로 거시 마 의 에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책을 강구함

미시마

- 생산자 도소매기 가공업체 등 유통참여자 입장에서 매 극 화를 통

한 이윤창출 과정에 심을 두는 일명 기업마 (business marketing)이

라고도 함

- 유통참여자의 이윤창출 과정에서 제기되는 문제 과 해결 방안에 주안

- 미시마 에서 유통은 4P Place에 해당

4 2 미 시 마 의 요성

생산과잉의 시 도래

- 생산이 수요를 과하는 만성 공 과 상 가속화

- 주산지간 경쟁 수입개방 등으로 소비자 선택기회 확

유통주체의 형성

- 과거 세 생산자 심의 유통에서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에

의한 유통 확 로 기업 마 리 기법에 한 요구 확

상품(commodity)에서 제품(product)으로의 환

- 수확후 다양한 리기술의 용으로 과거 차별화되지 않은 상품에서 차

별화된 제품으로의 농산물 성격 환

- 차별화된 제품의 경우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해 다양한 마 활

동 필요

제2 장 농산물 소 비 구 조

1 농산물 소 비 의 요성

소비자는 유통시스템의 지배자 조정자(ruler and coordinator)이며 푸

드 시스템의 목표는 소비자를 만족시키는데 있음

소비자 주권(sovereignty) 주의

- 소비자는 진정으로 왕인가

- 기업은 소비자의 요구에만 맞추어 활동하는가

- 소비자는 항상 옳은가

- 소비자가 주권을 가지기 한 조건은

2 소 비 품 목 의 변 화

경제발 과 소득수 에 따라 국민들의 식 품 소 비 형 태 는 lsquo물량rsquo과 lsquo 양rsquo을

추구하는 양 인 소비에서 5감에 의해 lsquo맛rsquo lsquo멋rsquo lsquo 술rsquo의 질 인 단계로

물 량

lt그림 2-1gt 경제발 과 소득증 에 따른 식품소비단계

소비자들의 소비구조가 다양화 고 화 개성화 간편화 안 화 는 건

강지향 으로 변모되고 있음 이러한 소비구조의 변화는 농산물에 한

선호도에 반 되고 구매패턴의 변화를 래하여 농산물 유통구조에 향

을 미쳐 궁극 으로 농산물 생산구조의 재편을 가져오게 됨

- 농산물의 소비도 경제발 과 소득증가에 따라 생산 장이 용이한 곡

류 서류 등 보 ( 低位保全) 식 품 에서 채소 과일 육류 등 신선한

고 보 ( 高位保全) 식 품 가공식품 편의식품 건강식품으로 변화하고

있음

3 가공식품 외식 소비 확

자녀 없는 부부가구의 증가 가족의 해체 등 핵가족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

으며 가구당 인원수가 1980년 45명에서 2000년에 31명으로 계속 감소하고 있

다 이러한 가족 구조의 변화는 외식 가공 조리식품 소포장 단 의 식품 구

매를 증가시키게 됨 한 식단계획자이자 조리자인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1980년 이후 늘어나면서 식생활은 더욱 간소화를 지향하게 되었음

경제가 지속 으로 발 함에 따라 가공식품에 한 수요가 증가하고 식생활

의 외부화가 계속 진행될 망임 이는 과거 농산물이 가공되지 않은 상태

에서 가공 혹은 외식형태로 유통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식품가공 외식산업

등을 포 하는 푸드시스템의 요성이 커지고 있음

- 도시가계의 농식품 지출액 가공식품의 비 은 lsquo70년의 18에서 2000년

에는 23로 증가하 으며 외식비 비 은 동기간 2에서 39로 증하

최근에는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 등의 요인으로 가정식과 외식(food

away from home)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으며 조리시간을 이기

해 미리 조리된 식품을 소매 에서 사서 집에서 먹는 형태의 소비가 증

가하고 있음

- 21세기에는 이러한 추세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망되며 짧은 조리

시간에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가정식 체식품(HMR Home Meal

Replacement)의 요성이 커질 망임

- HMR은 가정식을 체하는 미리 조리된 식품을 소매 에서 사서 식탁

에 그 로 올려놓는 즉석 조리식품을 의미하며 수퍼마켓의 반찬 델리

베이커리 스낵 샐러드바 코 등이 표 이며 최근에는 밥까지도 개

발되었음

- 아울러 컷트 과일 컷트 채소 등 쉬 컷(fresh cut) 제품의 소비도

증가

- 최근에는 세척고구마 세척 무 세척 당근 등 세척 소포장 농산물의 소

비 증가

이러한 소비자들의 소비구조의 변화는 농산물과 식품의 구매패턴에도 향을

주어 구매 장소 구매단 구매 형태 등에서 편의성 추구경향이 나타남

- 식품 구입장소의 경우 과거 재래시장 등이 부분을 차지하 으나 쾌 한 쇼

핑환경과 다양한 상품을 일 구매할 수 있는 편리성 등으로 형 할인 의

비 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4 고 품 질 안 농산물 소 비 확

소득 증 에 따라 소비자의 건강에 한 심이 높아지고 최근 유 자 변형농

산물의 유해성 논란 O-157의 발생 우병 확산 등으로 소비자들의 식품안

성에 한 인식은 더욱 고조되고 있음

- 소비자들은 안 한 농산물에 해서 일반농산물에 비해 15~35배나 높은 가

격을 지불하고서라도 구입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음

- 이에 따라 품질인증된 친환경농산물 생산량은 소비자의 안 농산물 수요 증

가에 힘입어 1994년 이후 연평균 86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음

소비자의 안 성에 한 높은 심으로 생산이력제 등에 한 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으며 생산이력제란 농산물의 추 가능성(traceability)

을 높이는 것으로 그 내용은 생산자 생산방법 농약의 종류 살표 시

기와 회수 시비의 시기와 회수 잔류농약 검사 등 소비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임(농진청 농산물생산이력정보시스템

wwwatracenet)

5 소 비 의 다 양 화

외환 기 이후에는 가격 서비스를 추구하는 집단과 고가격 고서비

스를 추구하는 집단으로 소비가 양극화되고 있음

- 특히 외환 기 이후 산층 서민층을 심으로 합리 인 소비행

가 정착되고 가격에 한 민감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편

승하여 가격을 주무기로 하는 할인 이 속히 발 하고 있음

2000년 에 들어서는 과거의 획일 소비추세를 탈피하여 연령 별 계

층별 라이 스타일별로 소비가 다양화되고 인구통계 구조가 변함에 따

라 실버마켓 마켓의 요성이 부각될 망임

- 우리 나라도 90년 이후 노년층의 인구가 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

들 노년층은 과거와 달리 구매력을 상당히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유통

시장에서 이들의 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 10 20 연령층도 막강한 구매력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은 새로운

트 드에 매우 민감한 구매 패턴을 보이고 있음

랜드 측면에서는 소비자들의 합리 인 소비가 증가하면서 유통업자상

표(PB Private Brand)의 요성이 커질 망임

- 이미 미국과 유럽 국가에서는 PB의 비 이 20를 넘고 있으며 우리

나라 농식품 분야에서도 돼지고기 등에서 유통업자 상표가 개발되

고 있음

- 하나로 한우 포크(농 ) 강진맥우(한화유통) 이 러스 우유(이마트)

6 소 포 장 품 소 비 확

구매단 에 있어서도 소포장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포장 유통이 크게 증가하

고 있음

- 특히 소비자용 소포장(consuemer package)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음

7 향 후 농식 품 소 비 망

∙곡류 소비감소와 육류소비 증가

∙김치장류 등 전통가공식품 수요 증가

∙세척커팅 등 전처리농산물 구매 증가

∙선별 포장 및 소분포장 수요 증가

∙친환경 안전 농산물 수요 증대

건강지향

시장개방 확대

고급화

편의성

다양화

대형할인점 증

전자상거래활성화

외식산업발전

서구화

lt그림 2-1gt 소비자 선호 시장 여건 변화와 농산물 소비 행태 망

향후 식품 소비는 고 화 다양화 편의성 건강추구 경향이 지속강화될 것이

며 식품 유통도 시장개방의 확 외식산업의 발 자상거래 활성화 등으로

여건 변화가 상됨 이에 따라 농산물 소비는 고품질농산물 친환경농산물 선

별세척소분포장 농산물 김치 등 통식품에 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망됨

제3 장 농산물 유통경 로

1 유통경 로 의 개념과 결 정 요인

유통경로 (distribution channel)란 ldquo매매의 과정과 련되는 유통기 사

이에 존재하는 계 시스템rdquo

- 사회경제 입장에서 생산물이 이 유통되어 가는 경로

) 의 유통경로 의약품의 유통경로

유통단계 (channel level) 제품 그 소유권이 이 될 때 계하는 간

업자의 수

유통경로의 길이(length) 유통단계가 많을수록 길이가 길어짐

lt그림 3-1gt 유통경로의 유형

0단계 경로

(P - C)

1단계 경로

(P ndash R ndash C)

2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R ndash C)

3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J ndash R ndash C)

생산자 소비자

생산자 소매상 소비자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소비자

0단계 경로

(P - C)

1단계 경로

(P ndash R ndash C)

2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R ndash C)

3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J ndash R ndash C)

생산자 소비자

생산자 소매상 소비자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소비자

lt표 3-1gt 유통경로 길이의 결정요인

구분 긴 유통경로 짧은 유통경로

제품

특성

동질 단

경량품

작은 크기

비부패성

기술 으로 단순

이질 단

량품

큰 크기

부패성

기술 으로 복잡

수요

특성

단 구매 작음

구매빈도 높고 규칙

고객수 많음

고객의 지역 분산

소비자 지식의 범 한 분산

단 구매량 큼

구매빈도 낮고 비규칙

고객수 음

고객의 지역 집

소비자 지식의 제한성 집 성

특성

생산자수 많음

지역 분산생산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

생산자수 음

지역 집 생산

제한 인 진입과 퇴출

통 유통경로 독립 인 유통기 이용

- 개개의 경로구성원이 타 구성원의 기능이나 역할에 여하지 않음

- 문 인 유통업자의 효율 이용

- 경로구성원간의 상이한 목표와 기 로 인해 갈등과 조정문제 야기

- 가격 상과 같은 시장 메카니즘에 의해 경로구성원간 계가 조정

수직 유통경로 경로간 수직 통합

-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 유통과정을 체계 으로 통합하고 조정하여

하나의 통합된 체제를 유지하는 것

- 경로 체를 하나의 계획과 모니터로 통제 가능

- 경로구성원간의 조정 가능

- 경로 내 조정 수 이 높아짐

- 복되는 노력이 통합되어 높은 경로성과 제고

- 비용이 많이 드는 단

2 농산물 유통경 로 황

농산물은 도매시장을 주로 하는 통 인 유통경로로 유통되어 왔으나

최근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의 산지직거래 자상거래 등의 확

로 새로운 유통경로가 두되고 있음

-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 산지유통센터 등을 통한 유통

은 통 인 도매시장 유통과는 질 으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

문에 편의상 신유통시스템으로 개념화

신유통시스템의 확산 결과로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는 lt그림 3-2gt와

같이 다원화되고 있음

- 도매시장의 경우도 통 인 도매시장법인 rarr 도매인의 경로뿐 아니

라 도매상 경로도 새롭게 부각되고 있으며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B2B B2C) 등에 의한 시장외 거래도 요한 유통경로로 부

신유통시스템은 수직 유통경로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단순한 유통경

로 변화 이상의 다양한 특징을 가짐(표 3-3)

신유통시스템은 유통마진 감 가격 안정성 제고 등 정 인 효과를 보

이고 있음

- 종합유통센터 형유통업체 경유시 유통단계 단축 물류합리화

등의 요인으로 유통마진이 감됨

- 형유통업체의 경우 산지직구입시 가격을 일주일에 2회 정도 조정하

고 구입물량을 사 에 시함으로써 도매시장에 비해 생산자 수취가격

의 안정성이 높음

- 아울러 신유통시스템에서는 장기 속 거래 계를 유지하기 때문

에 도매시장의 통 유통시스템보다 거래비용(transaction cost)을

감함

lt그림 3-2gt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

소 비 자

외 식 업 체소 매 상

식 재 가 공 업 체 대 형 유 통 업 체

중 도 매 인

도 매 상종 합

유 통 센 터

B 2 B

전 자 상 거 래

수 집 상생 산 자 조 직

(농 협 작 목 반 영 농 법 인 )

생 산 자

도 매 법 인

(

민시

장 B

2C)

lt표 3-2gt 통 유통시스템과 신유통시스템의 비교

구 분 통 유통시스템 신유통시스템

경로

경로구성원 수집상 도매시

장 재래시장

상호 독립 이며 일회성 거

경로구성원 산지유통센터 종합

유통센터 형유통업체

수직 유통시스템 장기 이고

속 인 거래

주체 세규모의 근 인 상인 형유통업체 산지유통조직

상품 비규격품 주

표 규격품 주

차별화되고 가공 처리된 농식품

(수확후 리기술의 용)

거래방식 장에서의 경매 혹은 상

거래 약상 거래 통명거래

물류 수작업에 의한 하역

단 화물화(Unit Load System)

에 의한 하역 기계화

포장 렛트 물류기기 표 화에

의한 물류합리화

정보 사후 정산 정보 POS EDI 등 유통정보화

인터넷쇼핑 등 자상거래 활용

주) 통 유통시스템은 공 도매시장과 유사도매시장을 포 한 것으로 공

도매시장의 경우 출하약정 등을 통한 속 거래 추진 도매시장법인

의 규모화 등 일부 신유통시스템 인 요소가 있기도 하나 반 인 특

성은 상기표와 같음

3 시 장 발 단 계 에 따 른 유통경 로 의 변 화 망

Blattberg교수는 시장 발 단계를 시장단계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

산된 시장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

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장의 5단계로 구분(표 3-3)

- 시장발 단계에 따라 주된 유통경로 유형이 결정됨

lt표 3-3gt 시장발 단계별 마 의 역할

시장단계 마 의 주안

시장단계 자 자족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구매자와 매자의 확인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효율 유통 시장에 의한 가격결정

차별화된 제품

집 된 시장

특화된 시장에서의 효율 유통 고객요구에 기 한 표

마 랜드 고차별화된 제품

분산된 시장

일방 에서 방 커뮤니 이션으로의 변환 마 은

기업과 고객간의 정보흐름 리

자료 Blattberg Robert C 외(주우진외 역) 21세기 마 정보 명 1996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 단계에서는 물물교환 혹은 지역단 의

소규모 시장에서의 거래가 주된 유통경로 음

우리 나라의 농산물유통은 5단계 제3단계 ldquo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rdquo에 있으나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차 으로 제4단계인 ldquo차별

화된 제품집 된시장rdquo으로 진화

- 산지에서 수확후 리기술의 용 랜드화 등이 진척됨에 따라 농산물

도 차별화되고 하나의 제품으로서 성격을 갖기 시작

- 이들 차별화 제품은 특정의 표 소비자를 상으로 한 표 마 활

동을 수행하고 소매업체에 한 직 납품 등 유통경로의 차별화 모색

제3단계에서는 비차별품을 량으로 신속하게 유통시키는데 있어 도매시

장의 역할과 기능이 지 하 으나 제4단계에서는 표 시장을 한 마

활동이 수행되므로 불특정다수를 한 도매시장의 역할과 기능이

하되며 유통업체와의 직거래가 확

최근 자상거래의 발 으로 농산물에 있어서도 제5단계인 ldquo차별화된 제

품분산된 시장rdquo으로의 진화가 미약하나마 진행 임

- IT의 발 으로 소비자들은 개별 으로 그들의 욕구와 선호를 표시할

수 있고 생산자는 그들에게 합한 제품을 개발하여 제공 가능

- 이러한 환경 하에서 마 의 역할은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계를

리하는 것이 요

- 농산물 자상거래(B2C)에 있어서도 효율성보다는 소비자와 생산자간

의 커뮤니 이션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이 되며 실제로도 렴한 가

격보다 소비자와의 계 혹은 유 감 형성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으

로 두

시장의 발 단계로 볼 때 농산물 유통도 집 화된 시장으로부터 차 차

별화되고 분산화되는 방향으로 환되고 있음

유통단계간 수직 조정(Vertical Coordination) 에서 보면 통 인

물시장(spot market) 주의 거래가 차 계약거래(contracts) 수직

통합(vertical integration) 등으로 환

- 를 들어 형유통업체들은 도매시장에서의 거래 주에서 도매단계

의 통합을 통한 산지 직구입 증가

- 축산물 유기농산물 등 산지 확인이 필요한 품목은 시장구입보다 계약

생산 등 선호

- 계약거래 수직 통합 등은 일회성의 물시장 거래보다 인근 유통단

계간의 조정과 통제가 용이하게 되어 효율 으로 됨

- 미국의 경우 육계 우유 계란 가공용 채소 일반 채소류 오 지류 등

은 계약거래 수직 통합의 비율이 체 유통량의 50를 상회함

(Henderson 1994)

제4 장 유통비 용

우리 나라에서는 미국과 같이 체 인 식품유통비용이 추계되지 않고

품목별 유통비용이 농수산물유통공사에 의해 매년 조사되고 있음

- 2001년 조사품목수 28품목 41종류

- 식량작물(6종) 두 감자( 고랭지 가을) 고구마

- 엽근채류(8종) 배추( 고랭지 가을) 무( 고랭지 가을) 상추 당근

- 과채류(6종) 수박 참외 오이 딸기 토마토(일반 방울)

- 조미채소류(9종) 풋고추 건고추 마을(난지형 한지형 장) 양 (일반

장) 생강

- 과일류(8종) 사과(일반 장) 배(일반 장) 단감 포도 감귤 복숭아

- 축산부류(4종)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1 유통마 진 과 마 크 업 ( m a r k u p )

가 유통마 진 ( 비 용 )

유통비용은 유통과정 감모분을 공제한 실제 매액 비 유통비용

- 유통마진률 = ( 매액-구입액) 매액

유통마진률에 향을 주는 요인

- 가공도 장여부 상품의 부패성 정도 계 요인 수송 비용

상품 가치 비 부피

나 마 크 업

마크업이란 매가격에서 구입가격을 뺀 차이를 말함

원 매가(original retail price) vs 실제 매가(sales retail price)

- 실제 매가 = 원 매가 - reduction(할인 로스 등)

최 마크업율 = ( 비+이익+reduction)( 매가+reduction)

실제마크업율 = ( 비+이익)( 매가)

계산

원 매가 102000

reduction 2000

실제 매가 100000

매입가 80000

------------------

실제마크업 20000 최 마크업 22000

최 마크업율 = 22000102000 = 216

실제마크업율 = 20000100000 = 200

최 계획된 마크업은 포의 성과 측정 면에서 요함

2 농산물 유통비용율

가 유통 단계별 내용별 유통비용률

유통마진률은 풍흉에 의한 매가에 의해 큰 향을 받기 때문에 연도별

일정한 추세를 발견하기 곤란

-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조사에 의하면 농산물 체의 유통마진률은 2001년

44로 2000년에 비해 약간 증가하 으나 추세라고 보기는 어려움

유통단계별 유통마진률은 출하 도매단계보다 소매단계가 높으며 비목별

로는 직 비용의 비 이 큼(표 4-2)

lt표 4-2gt 유통단계별 비목별 유통비용률

(단 )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유통비용율 410 398 387 404 437

출 하 137 93 97 88 117

도 매 76 97 88 93 94

소 매 197 208 202 223 226

직 비용 131 146 138 153 173

간 비용279

109 100 121 131

이 윤 143 146 130 133

주) 직 비 포장비 하역비 수송비 상장수수료 감모비 등 간 비 임 료 인건비 제세공과 감가상각비 등 이윤 유통비용에서 직 비와 간 비를 공제한 상인 이윤

나 부류별 유통비용율

품목별로는 엽근채류 서류 조미채소류의 유통마진률이 높고 축산물 곡

류의 마진률이 낮은 편임(표 4-1)

lt표 4-1gt 부류별 유통마진률

(단 )

구 분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체 평 균 410 398 387 404 437

엽 근 채 류

서 류

조 미 채 소 류

과 일 류

과 채 류

축 산 부 류

곡 물 류

761

647

427

499

562

-

193

722

535

500

476

471

364

167

731

566

482

521

449

305

165

722

608

559

503

447

333

177

778

625

588

548

430

345

199

다 주요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율

주요 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률은 일반 으로 도매시장 경유시 보다 낮

은 것으로 조사(표 4-2)

그러나 유통비용률이 낮다고 해서 유통이 반드시 효율 이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치 해석에 주의를 요함

lt표 4-2gt 주요 품목의 경로별 유통비용률 비교

(단 )

구 분 감자 고랭감자 고구마 고랭배추 무 수박방울토마

도매시장경유(A) 699 627 534 766 686 500 355

직 거 래(B) 456 346 195 499 478 254 164

A - B 243 281 339 267 208 246 191

라 외국과의 농산물 유통마진률 비교

유통마진률은 가공도 유통서비스 수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통

마진률의 단순한 비교로 유통의 효율성을 비교하기는 곤란

- 일반 으로 유통마진률은 선진국일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임

한국과 일본한국 546 일본 602

- 상품목당근 오이 토마토 양 복숭아 포도 수박 풋고추

한국과 미국한국 539 미국 749

- 상품목상추 감자 토마토 당근 사과 포도 복숭아 딸기

3 유통비 용 의 망

유통비용은 고정비용의 성격

- sticky marketing margin 유통비용은 생산물의 가액에 비례하여 발생

하는 것이 아니라 취 량에 의해 결정

-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면 유통마진율은 낮아지나 가격이 하락하면 유통

마진율이 높아짐

유통마진율의 증가 경향 원인

- 유통기능의 고도화 가공 편의성 콜드체인 고 등 마 활동 강화

- 투입요소(노동 수송 포장 에 지) 비용의 지속 증가(특히 노임)

- 정부 정책 유통과정상 안 성 확보(HACCP) 환경규제 강화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 해요소 리시스템

유통비용 감 방안

- 요소비용 감을 한 생산성 향상(특히 노동생산성)

- 불필요한 유통기능의 삭감 - 부작용 발생 주의 필요

- 유통참여자의 규모화

제5 장 농산물 소 매 기

1 소 매 업 의 분 류

소매업은 최종 고객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매하는 유

통기

1 1 소 유 형 태 별 구 분

- 독립 포

- 체인 선진국일수록 체인의 비 이 높음

미국 일반상품 93 식품 60

- 생산자 소유(농 매 )

- 소비자 소유(생 소비자 동조합)

체인 스토어 복수의 포망을 앙본부의 통제하에 운 하는 조직체로

앙집 리방법과 표 화 통일된 system을 가짐

- Regular chain 단일 소유권

- Voluntary chain 독립

- Franchise chain 계약에 의한 독립자본

- Cooperative chain 소비자 공동출자

1 2 치 별 구 분

- 심 상업지역 (Central Business District)

- 일반 지역

- 교외

1 3 략 인 분 류

가 회 률-마진률

회 율 매출액재고액

마진율 마진액 매액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나 서비스-마진률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1 4 상 품 구 색 에 의한 분 류

Variety(품종) 구색의 넓이

Assortment(품목) 구색의 깊이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2 농산물 소 매 업 태

2 1 업 태 의 개념

업태란 상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팔 것인가에 련된 업 내지 경 방

- 상품구성 가격 매방식 매장환경 업방식 입지 규모

매의 포인트 제조업자 rarr 소비자 (업종 - 업태로 개념 변화)

기존의 업종별 구분에서 소매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

소매업이 주체를 가지고 상품 편성(소비자 주의 머천다이징)

업태별로 머천다이징의 포인트가 다름

기존에는 업종별 ( 매하는 품목의 산업분류) 분류로 통계 집계 공표

해 왔으며 업태에 한 이해가 부족하 음

업태는 역사 으로 볼 때 항상 가변 임

2 2 업 태 별 분 류

가 구 멍가게( mo m a n d p o p s t o r e )

나 재래시장( t r a d i t i o n a l ma r k e t p l a c e )

다 백화 ( d e p a r t me n t s t o r e )

라 슈퍼마켓( s u p e r ma r k e t )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하기 해 한 재료 용기 등을 물품에 가하는 활동

- 가공(processing) 상품의 기본 인 형태를 변환시키는 제조 활동 유

통과정에서의 간단한 형태 변화

3) 유통조성 기능

- 표 화등 화(standardizationgrading) 거래의 단순화를 해 품질

수량을 일정한 기 에 의해 표 화시키는 활동 품질 리 활동도 포함

- 융(financing) 상품의 구입과 매간 시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자본

비용 부담

- 험부담(risk bearing) 상품의 유통과정 에 발생하는 물 상 험

을 부담하는 활동

- 유통정보(market information) 상품 유통의 제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한 정보의 수집 분산 활동

3 농산물 유통기

유통기 의 종류

1) 직 유통기

- 생산자

- 간상(도매상 소매상)

도매상(wholesaler) 소매상(retailer)은 상품 소유권을 가지고 거래에

참여하는 상인(merchant)과 소유권을 가지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개인 탁상(broker commision men 등)으로 구분

- 소비자

2) 유통조성기

- 정부기 (농림부 산업자원부 보건복지부 농산물품질 리원 수의과학

검역원 농수산물유통공사 농림수산정보센터 농 경제연구원 등)

- 수송업자(자동차운송업자 철도운송업자 선박운송업자 등)

- 보 업자( 장업자 등)

- 하역업자(항운노조 하역회사 등)

- 융회사(농 일반 융기 등)

- 보험회사

- 마 련회사( 고 디자인 랜드 시장조사 등)

도소매기 의 기능

- 거래효율성 제고 총거래수 최소화의 원칙(the principle of minimum

total transaction 그림 1-2)

- 구색갖춤 소비자들의 욕구를 단 한번의 거래로 충족시킬 수 있도록 가능

한 한 다양한 상품을 비하여 복잡한 거래를 단순화시킴

- 상품의 소량단 화 량생산된 상품을 소비자의 욕구에 맞추어 소량단

- 거래의 단순화 복잡한 거래조건의 단순화

- 정보탐색의 용이성 유통기 을 통한 정보수집의 효율성

lt그림 1-2gt 총거래수 최소화의 원칙

생 산 자

소 비 자

lt중 간 상 이 없 는 경 우 거 래 수 gt

P P P P

C C C C

생 산 자

소 비 자

lt중 간 상 이 없 는 경 우 거 래 수 gt

P P P P

C C C C

생산자

소비자

lt중간상이 있는 경우 거래수gt

P P P P

C C C C

M중간상

생산자

소비자

lt중간상이 있는 경우 거래수gt

P P P P

C C C C

M중간상

4 유통과 마

4 1 거 시 마 과 미 시 마

거시 마

- 농산물이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달되는 과정의 시스템 에서

의 근

- 체 유통과정의 효율화 등 국가 에서 근하며 농산물유통론은

일반 으로 거시 마 의 에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책을 강구함

미시마

- 생산자 도소매기 가공업체 등 유통참여자 입장에서 매 극 화를 통

한 이윤창출 과정에 심을 두는 일명 기업마 (business marketing)이

라고도 함

- 유통참여자의 이윤창출 과정에서 제기되는 문제 과 해결 방안에 주안

- 미시마 에서 유통은 4P Place에 해당

4 2 미 시 마 의 요성

생산과잉의 시 도래

- 생산이 수요를 과하는 만성 공 과 상 가속화

- 주산지간 경쟁 수입개방 등으로 소비자 선택기회 확

유통주체의 형성

- 과거 세 생산자 심의 유통에서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에

의한 유통 확 로 기업 마 리 기법에 한 요구 확

상품(commodity)에서 제품(product)으로의 환

- 수확후 다양한 리기술의 용으로 과거 차별화되지 않은 상품에서 차

별화된 제품으로의 농산물 성격 환

- 차별화된 제품의 경우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해 다양한 마 활

동 필요

제2 장 농산물 소 비 구 조

1 농산물 소 비 의 요성

소비자는 유통시스템의 지배자 조정자(ruler and coordinator)이며 푸

드 시스템의 목표는 소비자를 만족시키는데 있음

소비자 주권(sovereignty) 주의

- 소비자는 진정으로 왕인가

- 기업은 소비자의 요구에만 맞추어 활동하는가

- 소비자는 항상 옳은가

- 소비자가 주권을 가지기 한 조건은

2 소 비 품 목 의 변 화

경제발 과 소득수 에 따라 국민들의 식 품 소 비 형 태 는 lsquo물량rsquo과 lsquo 양rsquo을

추구하는 양 인 소비에서 5감에 의해 lsquo맛rsquo lsquo멋rsquo lsquo 술rsquo의 질 인 단계로

물 량

lt그림 2-1gt 경제발 과 소득증 에 따른 식품소비단계

소비자들의 소비구조가 다양화 고 화 개성화 간편화 안 화 는 건

강지향 으로 변모되고 있음 이러한 소비구조의 변화는 농산물에 한

선호도에 반 되고 구매패턴의 변화를 래하여 농산물 유통구조에 향

을 미쳐 궁극 으로 농산물 생산구조의 재편을 가져오게 됨

- 농산물의 소비도 경제발 과 소득증가에 따라 생산 장이 용이한 곡

류 서류 등 보 ( 低位保全) 식 품 에서 채소 과일 육류 등 신선한

고 보 ( 高位保全) 식 품 가공식품 편의식품 건강식품으로 변화하고

있음

3 가공식품 외식 소비 확

자녀 없는 부부가구의 증가 가족의 해체 등 핵가족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

으며 가구당 인원수가 1980년 45명에서 2000년에 31명으로 계속 감소하고 있

다 이러한 가족 구조의 변화는 외식 가공 조리식품 소포장 단 의 식품 구

매를 증가시키게 됨 한 식단계획자이자 조리자인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1980년 이후 늘어나면서 식생활은 더욱 간소화를 지향하게 되었음

경제가 지속 으로 발 함에 따라 가공식품에 한 수요가 증가하고 식생활

의 외부화가 계속 진행될 망임 이는 과거 농산물이 가공되지 않은 상태

에서 가공 혹은 외식형태로 유통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식품가공 외식산업

등을 포 하는 푸드시스템의 요성이 커지고 있음

- 도시가계의 농식품 지출액 가공식품의 비 은 lsquo70년의 18에서 2000년

에는 23로 증가하 으며 외식비 비 은 동기간 2에서 39로 증하

최근에는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 등의 요인으로 가정식과 외식(food

away from home)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으며 조리시간을 이기

해 미리 조리된 식품을 소매 에서 사서 집에서 먹는 형태의 소비가 증

가하고 있음

- 21세기에는 이러한 추세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망되며 짧은 조리

시간에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가정식 체식품(HMR Home Meal

Replacement)의 요성이 커질 망임

- HMR은 가정식을 체하는 미리 조리된 식품을 소매 에서 사서 식탁

에 그 로 올려놓는 즉석 조리식품을 의미하며 수퍼마켓의 반찬 델리

베이커리 스낵 샐러드바 코 등이 표 이며 최근에는 밥까지도 개

발되었음

- 아울러 컷트 과일 컷트 채소 등 쉬 컷(fresh cut) 제품의 소비도

증가

- 최근에는 세척고구마 세척 무 세척 당근 등 세척 소포장 농산물의 소

비 증가

이러한 소비자들의 소비구조의 변화는 농산물과 식품의 구매패턴에도 향을

주어 구매 장소 구매단 구매 형태 등에서 편의성 추구경향이 나타남

- 식품 구입장소의 경우 과거 재래시장 등이 부분을 차지하 으나 쾌 한 쇼

핑환경과 다양한 상품을 일 구매할 수 있는 편리성 등으로 형 할인 의

비 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4 고 품 질 안 농산물 소 비 확

소득 증 에 따라 소비자의 건강에 한 심이 높아지고 최근 유 자 변형농

산물의 유해성 논란 O-157의 발생 우병 확산 등으로 소비자들의 식품안

성에 한 인식은 더욱 고조되고 있음

- 소비자들은 안 한 농산물에 해서 일반농산물에 비해 15~35배나 높은 가

격을 지불하고서라도 구입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음

- 이에 따라 품질인증된 친환경농산물 생산량은 소비자의 안 농산물 수요 증

가에 힘입어 1994년 이후 연평균 86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음

소비자의 안 성에 한 높은 심으로 생산이력제 등에 한 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으며 생산이력제란 농산물의 추 가능성(traceability)

을 높이는 것으로 그 내용은 생산자 생산방법 농약의 종류 살표 시

기와 회수 시비의 시기와 회수 잔류농약 검사 등 소비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임(농진청 농산물생산이력정보시스템

wwwatracenet)

5 소 비 의 다 양 화

외환 기 이후에는 가격 서비스를 추구하는 집단과 고가격 고서비

스를 추구하는 집단으로 소비가 양극화되고 있음

- 특히 외환 기 이후 산층 서민층을 심으로 합리 인 소비행

가 정착되고 가격에 한 민감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편

승하여 가격을 주무기로 하는 할인 이 속히 발 하고 있음

2000년 에 들어서는 과거의 획일 소비추세를 탈피하여 연령 별 계

층별 라이 스타일별로 소비가 다양화되고 인구통계 구조가 변함에 따

라 실버마켓 마켓의 요성이 부각될 망임

- 우리 나라도 90년 이후 노년층의 인구가 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

들 노년층은 과거와 달리 구매력을 상당히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유통

시장에서 이들의 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 10 20 연령층도 막강한 구매력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은 새로운

트 드에 매우 민감한 구매 패턴을 보이고 있음

랜드 측면에서는 소비자들의 합리 인 소비가 증가하면서 유통업자상

표(PB Private Brand)의 요성이 커질 망임

- 이미 미국과 유럽 국가에서는 PB의 비 이 20를 넘고 있으며 우리

나라 농식품 분야에서도 돼지고기 등에서 유통업자 상표가 개발되

고 있음

- 하나로 한우 포크(농 ) 강진맥우(한화유통) 이 러스 우유(이마트)

6 소 포 장 품 소 비 확

구매단 에 있어서도 소포장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포장 유통이 크게 증가하

고 있음

- 특히 소비자용 소포장(consuemer package)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음

7 향 후 농식 품 소 비 망

∙곡류 소비감소와 육류소비 증가

∙김치장류 등 전통가공식품 수요 증가

∙세척커팅 등 전처리농산물 구매 증가

∙선별 포장 및 소분포장 수요 증가

∙친환경 안전 농산물 수요 증대

건강지향

시장개방 확대

고급화

편의성

다양화

대형할인점 증

전자상거래활성화

외식산업발전

서구화

lt그림 2-1gt 소비자 선호 시장 여건 변화와 농산물 소비 행태 망

향후 식품 소비는 고 화 다양화 편의성 건강추구 경향이 지속강화될 것이

며 식품 유통도 시장개방의 확 외식산업의 발 자상거래 활성화 등으로

여건 변화가 상됨 이에 따라 농산물 소비는 고품질농산물 친환경농산물 선

별세척소분포장 농산물 김치 등 통식품에 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망됨

제3 장 농산물 유통경 로

1 유통경 로 의 개념과 결 정 요인

유통경로 (distribution channel)란 ldquo매매의 과정과 련되는 유통기 사

이에 존재하는 계 시스템rdquo

- 사회경제 입장에서 생산물이 이 유통되어 가는 경로

) 의 유통경로 의약품의 유통경로

유통단계 (channel level) 제품 그 소유권이 이 될 때 계하는 간

업자의 수

유통경로의 길이(length) 유통단계가 많을수록 길이가 길어짐

lt그림 3-1gt 유통경로의 유형

0단계 경로

(P - C)

1단계 경로

(P ndash R ndash C)

2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R ndash C)

3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J ndash R ndash C)

생산자 소비자

생산자 소매상 소비자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소비자

0단계 경로

(P - C)

1단계 경로

(P ndash R ndash C)

2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R ndash C)

3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J ndash R ndash C)

생산자 소비자

생산자 소매상 소비자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소비자

lt표 3-1gt 유통경로 길이의 결정요인

구분 긴 유통경로 짧은 유통경로

제품

특성

동질 단

경량품

작은 크기

비부패성

기술 으로 단순

이질 단

량품

큰 크기

부패성

기술 으로 복잡

수요

특성

단 구매 작음

구매빈도 높고 규칙

고객수 많음

고객의 지역 분산

소비자 지식의 범 한 분산

단 구매량 큼

구매빈도 낮고 비규칙

고객수 음

고객의 지역 집

소비자 지식의 제한성 집 성

특성

생산자수 많음

지역 분산생산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

생산자수 음

지역 집 생산

제한 인 진입과 퇴출

통 유통경로 독립 인 유통기 이용

- 개개의 경로구성원이 타 구성원의 기능이나 역할에 여하지 않음

- 문 인 유통업자의 효율 이용

- 경로구성원간의 상이한 목표와 기 로 인해 갈등과 조정문제 야기

- 가격 상과 같은 시장 메카니즘에 의해 경로구성원간 계가 조정

수직 유통경로 경로간 수직 통합

-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 유통과정을 체계 으로 통합하고 조정하여

하나의 통합된 체제를 유지하는 것

- 경로 체를 하나의 계획과 모니터로 통제 가능

- 경로구성원간의 조정 가능

- 경로 내 조정 수 이 높아짐

- 복되는 노력이 통합되어 높은 경로성과 제고

- 비용이 많이 드는 단

2 농산물 유통경 로 황

농산물은 도매시장을 주로 하는 통 인 유통경로로 유통되어 왔으나

최근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의 산지직거래 자상거래 등의 확

로 새로운 유통경로가 두되고 있음

-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 산지유통센터 등을 통한 유통

은 통 인 도매시장 유통과는 질 으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

문에 편의상 신유통시스템으로 개념화

신유통시스템의 확산 결과로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는 lt그림 3-2gt와

같이 다원화되고 있음

- 도매시장의 경우도 통 인 도매시장법인 rarr 도매인의 경로뿐 아니

라 도매상 경로도 새롭게 부각되고 있으며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B2B B2C) 등에 의한 시장외 거래도 요한 유통경로로 부

신유통시스템은 수직 유통경로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단순한 유통경

로 변화 이상의 다양한 특징을 가짐(표 3-3)

신유통시스템은 유통마진 감 가격 안정성 제고 등 정 인 효과를 보

이고 있음

- 종합유통센터 형유통업체 경유시 유통단계 단축 물류합리화

등의 요인으로 유통마진이 감됨

- 형유통업체의 경우 산지직구입시 가격을 일주일에 2회 정도 조정하

고 구입물량을 사 에 시함으로써 도매시장에 비해 생산자 수취가격

의 안정성이 높음

- 아울러 신유통시스템에서는 장기 속 거래 계를 유지하기 때문

에 도매시장의 통 유통시스템보다 거래비용(transaction cost)을

감함

lt그림 3-2gt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

소 비 자

외 식 업 체소 매 상

식 재 가 공 업 체 대 형 유 통 업 체

중 도 매 인

도 매 상종 합

유 통 센 터

B 2 B

전 자 상 거 래

수 집 상생 산 자 조 직

(농 협 작 목 반 영 농 법 인 )

생 산 자

도 매 법 인

(

민시

장 B

2C)

lt표 3-2gt 통 유통시스템과 신유통시스템의 비교

구 분 통 유통시스템 신유통시스템

경로

경로구성원 수집상 도매시

장 재래시장

상호 독립 이며 일회성 거

경로구성원 산지유통센터 종합

유통센터 형유통업체

수직 유통시스템 장기 이고

속 인 거래

주체 세규모의 근 인 상인 형유통업체 산지유통조직

상품 비규격품 주

표 규격품 주

차별화되고 가공 처리된 농식품

(수확후 리기술의 용)

거래방식 장에서의 경매 혹은 상

거래 약상 거래 통명거래

물류 수작업에 의한 하역

단 화물화(Unit Load System)

에 의한 하역 기계화

포장 렛트 물류기기 표 화에

의한 물류합리화

정보 사후 정산 정보 POS EDI 등 유통정보화

인터넷쇼핑 등 자상거래 활용

주) 통 유통시스템은 공 도매시장과 유사도매시장을 포 한 것으로 공

도매시장의 경우 출하약정 등을 통한 속 거래 추진 도매시장법인

의 규모화 등 일부 신유통시스템 인 요소가 있기도 하나 반 인 특

성은 상기표와 같음

3 시 장 발 단 계 에 따 른 유통경 로 의 변 화 망

Blattberg교수는 시장 발 단계를 시장단계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

산된 시장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

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장의 5단계로 구분(표 3-3)

- 시장발 단계에 따라 주된 유통경로 유형이 결정됨

lt표 3-3gt 시장발 단계별 마 의 역할

시장단계 마 의 주안

시장단계 자 자족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구매자와 매자의 확인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효율 유통 시장에 의한 가격결정

차별화된 제품

집 된 시장

특화된 시장에서의 효율 유통 고객요구에 기 한 표

마 랜드 고차별화된 제품

분산된 시장

일방 에서 방 커뮤니 이션으로의 변환 마 은

기업과 고객간의 정보흐름 리

자료 Blattberg Robert C 외(주우진외 역) 21세기 마 정보 명 1996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 단계에서는 물물교환 혹은 지역단 의

소규모 시장에서의 거래가 주된 유통경로 음

우리 나라의 농산물유통은 5단계 제3단계 ldquo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rdquo에 있으나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차 으로 제4단계인 ldquo차별

화된 제품집 된시장rdquo으로 진화

- 산지에서 수확후 리기술의 용 랜드화 등이 진척됨에 따라 농산물

도 차별화되고 하나의 제품으로서 성격을 갖기 시작

- 이들 차별화 제품은 특정의 표 소비자를 상으로 한 표 마 활

동을 수행하고 소매업체에 한 직 납품 등 유통경로의 차별화 모색

제3단계에서는 비차별품을 량으로 신속하게 유통시키는데 있어 도매시

장의 역할과 기능이 지 하 으나 제4단계에서는 표 시장을 한 마

활동이 수행되므로 불특정다수를 한 도매시장의 역할과 기능이

하되며 유통업체와의 직거래가 확

최근 자상거래의 발 으로 농산물에 있어서도 제5단계인 ldquo차별화된 제

품분산된 시장rdquo으로의 진화가 미약하나마 진행 임

- IT의 발 으로 소비자들은 개별 으로 그들의 욕구와 선호를 표시할

수 있고 생산자는 그들에게 합한 제품을 개발하여 제공 가능

- 이러한 환경 하에서 마 의 역할은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계를

리하는 것이 요

- 농산물 자상거래(B2C)에 있어서도 효율성보다는 소비자와 생산자간

의 커뮤니 이션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이 되며 실제로도 렴한 가

격보다 소비자와의 계 혹은 유 감 형성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으

로 두

시장의 발 단계로 볼 때 농산물 유통도 집 화된 시장으로부터 차 차

별화되고 분산화되는 방향으로 환되고 있음

유통단계간 수직 조정(Vertical Coordination) 에서 보면 통 인

물시장(spot market) 주의 거래가 차 계약거래(contracts) 수직

통합(vertical integration) 등으로 환

- 를 들어 형유통업체들은 도매시장에서의 거래 주에서 도매단계

의 통합을 통한 산지 직구입 증가

- 축산물 유기농산물 등 산지 확인이 필요한 품목은 시장구입보다 계약

생산 등 선호

- 계약거래 수직 통합 등은 일회성의 물시장 거래보다 인근 유통단

계간의 조정과 통제가 용이하게 되어 효율 으로 됨

- 미국의 경우 육계 우유 계란 가공용 채소 일반 채소류 오 지류 등

은 계약거래 수직 통합의 비율이 체 유통량의 50를 상회함

(Henderson 1994)

제4 장 유통비 용

우리 나라에서는 미국과 같이 체 인 식품유통비용이 추계되지 않고

품목별 유통비용이 농수산물유통공사에 의해 매년 조사되고 있음

- 2001년 조사품목수 28품목 41종류

- 식량작물(6종) 두 감자( 고랭지 가을) 고구마

- 엽근채류(8종) 배추( 고랭지 가을) 무( 고랭지 가을) 상추 당근

- 과채류(6종) 수박 참외 오이 딸기 토마토(일반 방울)

- 조미채소류(9종) 풋고추 건고추 마을(난지형 한지형 장) 양 (일반

장) 생강

- 과일류(8종) 사과(일반 장) 배(일반 장) 단감 포도 감귤 복숭아

- 축산부류(4종)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1 유통마 진 과 마 크 업 ( m a r k u p )

가 유통마 진 ( 비 용 )

유통비용은 유통과정 감모분을 공제한 실제 매액 비 유통비용

- 유통마진률 = ( 매액-구입액) 매액

유통마진률에 향을 주는 요인

- 가공도 장여부 상품의 부패성 정도 계 요인 수송 비용

상품 가치 비 부피

나 마 크 업

마크업이란 매가격에서 구입가격을 뺀 차이를 말함

원 매가(original retail price) vs 실제 매가(sales retail price)

- 실제 매가 = 원 매가 - reduction(할인 로스 등)

최 마크업율 = ( 비+이익+reduction)( 매가+reduction)

실제마크업율 = ( 비+이익)( 매가)

계산

원 매가 102000

reduction 2000

실제 매가 100000

매입가 80000

------------------

실제마크업 20000 최 마크업 22000

최 마크업율 = 22000102000 = 216

실제마크업율 = 20000100000 = 200

최 계획된 마크업은 포의 성과 측정 면에서 요함

2 농산물 유통비용율

가 유통 단계별 내용별 유통비용률

유통마진률은 풍흉에 의한 매가에 의해 큰 향을 받기 때문에 연도별

일정한 추세를 발견하기 곤란

-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조사에 의하면 농산물 체의 유통마진률은 2001년

44로 2000년에 비해 약간 증가하 으나 추세라고 보기는 어려움

유통단계별 유통마진률은 출하 도매단계보다 소매단계가 높으며 비목별

로는 직 비용의 비 이 큼(표 4-2)

lt표 4-2gt 유통단계별 비목별 유통비용률

(단 )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유통비용율 410 398 387 404 437

출 하 137 93 97 88 117

도 매 76 97 88 93 94

소 매 197 208 202 223 226

직 비용 131 146 138 153 173

간 비용279

109 100 121 131

이 윤 143 146 130 133

주) 직 비 포장비 하역비 수송비 상장수수료 감모비 등 간 비 임 료 인건비 제세공과 감가상각비 등 이윤 유통비용에서 직 비와 간 비를 공제한 상인 이윤

나 부류별 유통비용율

품목별로는 엽근채류 서류 조미채소류의 유통마진률이 높고 축산물 곡

류의 마진률이 낮은 편임(표 4-1)

lt표 4-1gt 부류별 유통마진률

(단 )

구 분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체 평 균 410 398 387 404 437

엽 근 채 류

서 류

조 미 채 소 류

과 일 류

과 채 류

축 산 부 류

곡 물 류

761

647

427

499

562

-

193

722

535

500

476

471

364

167

731

566

482

521

449

305

165

722

608

559

503

447

333

177

778

625

588

548

430

345

199

다 주요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율

주요 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률은 일반 으로 도매시장 경유시 보다 낮

은 것으로 조사(표 4-2)

그러나 유통비용률이 낮다고 해서 유통이 반드시 효율 이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치 해석에 주의를 요함

lt표 4-2gt 주요 품목의 경로별 유통비용률 비교

(단 )

구 분 감자 고랭감자 고구마 고랭배추 무 수박방울토마

도매시장경유(A) 699 627 534 766 686 500 355

직 거 래(B) 456 346 195 499 478 254 164

A - B 243 281 339 267 208 246 191

라 외국과의 농산물 유통마진률 비교

유통마진률은 가공도 유통서비스 수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통

마진률의 단순한 비교로 유통의 효율성을 비교하기는 곤란

- 일반 으로 유통마진률은 선진국일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임

한국과 일본한국 546 일본 602

- 상품목당근 오이 토마토 양 복숭아 포도 수박 풋고추

한국과 미국한국 539 미국 749

- 상품목상추 감자 토마토 당근 사과 포도 복숭아 딸기

3 유통비 용 의 망

유통비용은 고정비용의 성격

- sticky marketing margin 유통비용은 생산물의 가액에 비례하여 발생

하는 것이 아니라 취 량에 의해 결정

-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면 유통마진율은 낮아지나 가격이 하락하면 유통

마진율이 높아짐

유통마진율의 증가 경향 원인

- 유통기능의 고도화 가공 편의성 콜드체인 고 등 마 활동 강화

- 투입요소(노동 수송 포장 에 지) 비용의 지속 증가(특히 노임)

- 정부 정책 유통과정상 안 성 확보(HACCP) 환경규제 강화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 해요소 리시스템

유통비용 감 방안

- 요소비용 감을 한 생산성 향상(특히 노동생산성)

- 불필요한 유통기능의 삭감 - 부작용 발생 주의 필요

- 유통참여자의 규모화

제5 장 농산물 소 매 기

1 소 매 업 의 분 류

소매업은 최종 고객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매하는 유

통기

1 1 소 유 형 태 별 구 분

- 독립 포

- 체인 선진국일수록 체인의 비 이 높음

미국 일반상품 93 식품 60

- 생산자 소유(농 매 )

- 소비자 소유(생 소비자 동조합)

체인 스토어 복수의 포망을 앙본부의 통제하에 운 하는 조직체로

앙집 리방법과 표 화 통일된 system을 가짐

- Regular chain 단일 소유권

- Voluntary chain 독립

- Franchise chain 계약에 의한 독립자본

- Cooperative chain 소비자 공동출자

1 2 치 별 구 분

- 심 상업지역 (Central Business District)

- 일반 지역

- 교외

1 3 략 인 분 류

가 회 률-마진률

회 율 매출액재고액

마진율 마진액 매액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나 서비스-마진률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1 4 상 품 구 색 에 의한 분 류

Variety(품종) 구색의 넓이

Assortment(품목) 구색의 깊이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2 농산물 소 매 업 태

2 1 업 태 의 개념

업태란 상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팔 것인가에 련된 업 내지 경 방

- 상품구성 가격 매방식 매장환경 업방식 입지 규모

매의 포인트 제조업자 rarr 소비자 (업종 - 업태로 개념 변화)

기존의 업종별 구분에서 소매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

소매업이 주체를 가지고 상품 편성(소비자 주의 머천다이징)

업태별로 머천다이징의 포인트가 다름

기존에는 업종별 ( 매하는 품목의 산업분류) 분류로 통계 집계 공표

해 왔으며 업태에 한 이해가 부족하 음

업태는 역사 으로 볼 때 항상 가변 임

2 2 업 태 별 분 류

가 구 멍가게( mo m a n d p o p s t o r e )

나 재래시장( t r a d i t i o n a l ma r k e t p l a c e )

다 백화 ( d e p a r t me n t s t o r e )

라 슈퍼마켓( s u p e r ma r k e t )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 마 련회사( 고 디자인 랜드 시장조사 등)

도소매기 의 기능

- 거래효율성 제고 총거래수 최소화의 원칙(the principle of minimum

total transaction 그림 1-2)

- 구색갖춤 소비자들의 욕구를 단 한번의 거래로 충족시킬 수 있도록 가능

한 한 다양한 상품을 비하여 복잡한 거래를 단순화시킴

- 상품의 소량단 화 량생산된 상품을 소비자의 욕구에 맞추어 소량단

- 거래의 단순화 복잡한 거래조건의 단순화

- 정보탐색의 용이성 유통기 을 통한 정보수집의 효율성

lt그림 1-2gt 총거래수 최소화의 원칙

생 산 자

소 비 자

lt중 간 상 이 없 는 경 우 거 래 수 gt

P P P P

C C C C

생 산 자

소 비 자

lt중 간 상 이 없 는 경 우 거 래 수 gt

P P P P

C C C C

생산자

소비자

lt중간상이 있는 경우 거래수gt

P P P P

C C C C

M중간상

생산자

소비자

lt중간상이 있는 경우 거래수gt

P P P P

C C C C

M중간상

4 유통과 마

4 1 거 시 마 과 미 시 마

거시 마

- 농산물이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달되는 과정의 시스템 에서

의 근

- 체 유통과정의 효율화 등 국가 에서 근하며 농산물유통론은

일반 으로 거시 마 의 에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책을 강구함

미시마

- 생산자 도소매기 가공업체 등 유통참여자 입장에서 매 극 화를 통

한 이윤창출 과정에 심을 두는 일명 기업마 (business marketing)이

라고도 함

- 유통참여자의 이윤창출 과정에서 제기되는 문제 과 해결 방안에 주안

- 미시마 에서 유통은 4P Place에 해당

4 2 미 시 마 의 요성

생산과잉의 시 도래

- 생산이 수요를 과하는 만성 공 과 상 가속화

- 주산지간 경쟁 수입개방 등으로 소비자 선택기회 확

유통주체의 형성

- 과거 세 생산자 심의 유통에서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에

의한 유통 확 로 기업 마 리 기법에 한 요구 확

상품(commodity)에서 제품(product)으로의 환

- 수확후 다양한 리기술의 용으로 과거 차별화되지 않은 상품에서 차

별화된 제품으로의 농산물 성격 환

- 차별화된 제품의 경우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해 다양한 마 활

동 필요

제2 장 농산물 소 비 구 조

1 농산물 소 비 의 요성

소비자는 유통시스템의 지배자 조정자(ruler and coordinator)이며 푸

드 시스템의 목표는 소비자를 만족시키는데 있음

소비자 주권(sovereignty) 주의

- 소비자는 진정으로 왕인가

- 기업은 소비자의 요구에만 맞추어 활동하는가

- 소비자는 항상 옳은가

- 소비자가 주권을 가지기 한 조건은

2 소 비 품 목 의 변 화

경제발 과 소득수 에 따라 국민들의 식 품 소 비 형 태 는 lsquo물량rsquo과 lsquo 양rsquo을

추구하는 양 인 소비에서 5감에 의해 lsquo맛rsquo lsquo멋rsquo lsquo 술rsquo의 질 인 단계로

물 량

lt그림 2-1gt 경제발 과 소득증 에 따른 식품소비단계

소비자들의 소비구조가 다양화 고 화 개성화 간편화 안 화 는 건

강지향 으로 변모되고 있음 이러한 소비구조의 변화는 농산물에 한

선호도에 반 되고 구매패턴의 변화를 래하여 농산물 유통구조에 향

을 미쳐 궁극 으로 농산물 생산구조의 재편을 가져오게 됨

- 농산물의 소비도 경제발 과 소득증가에 따라 생산 장이 용이한 곡

류 서류 등 보 ( 低位保全) 식 품 에서 채소 과일 육류 등 신선한

고 보 ( 高位保全) 식 품 가공식품 편의식품 건강식품으로 변화하고

있음

3 가공식품 외식 소비 확

자녀 없는 부부가구의 증가 가족의 해체 등 핵가족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

으며 가구당 인원수가 1980년 45명에서 2000년에 31명으로 계속 감소하고 있

다 이러한 가족 구조의 변화는 외식 가공 조리식품 소포장 단 의 식품 구

매를 증가시키게 됨 한 식단계획자이자 조리자인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1980년 이후 늘어나면서 식생활은 더욱 간소화를 지향하게 되었음

경제가 지속 으로 발 함에 따라 가공식품에 한 수요가 증가하고 식생활

의 외부화가 계속 진행될 망임 이는 과거 농산물이 가공되지 않은 상태

에서 가공 혹은 외식형태로 유통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식품가공 외식산업

등을 포 하는 푸드시스템의 요성이 커지고 있음

- 도시가계의 농식품 지출액 가공식품의 비 은 lsquo70년의 18에서 2000년

에는 23로 증가하 으며 외식비 비 은 동기간 2에서 39로 증하

최근에는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 등의 요인으로 가정식과 외식(food

away from home)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으며 조리시간을 이기

해 미리 조리된 식품을 소매 에서 사서 집에서 먹는 형태의 소비가 증

가하고 있음

- 21세기에는 이러한 추세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망되며 짧은 조리

시간에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가정식 체식품(HMR Home Meal

Replacement)의 요성이 커질 망임

- HMR은 가정식을 체하는 미리 조리된 식품을 소매 에서 사서 식탁

에 그 로 올려놓는 즉석 조리식품을 의미하며 수퍼마켓의 반찬 델리

베이커리 스낵 샐러드바 코 등이 표 이며 최근에는 밥까지도 개

발되었음

- 아울러 컷트 과일 컷트 채소 등 쉬 컷(fresh cut) 제품의 소비도

증가

- 최근에는 세척고구마 세척 무 세척 당근 등 세척 소포장 농산물의 소

비 증가

이러한 소비자들의 소비구조의 변화는 농산물과 식품의 구매패턴에도 향을

주어 구매 장소 구매단 구매 형태 등에서 편의성 추구경향이 나타남

- 식품 구입장소의 경우 과거 재래시장 등이 부분을 차지하 으나 쾌 한 쇼

핑환경과 다양한 상품을 일 구매할 수 있는 편리성 등으로 형 할인 의

비 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4 고 품 질 안 농산물 소 비 확

소득 증 에 따라 소비자의 건강에 한 심이 높아지고 최근 유 자 변형농

산물의 유해성 논란 O-157의 발생 우병 확산 등으로 소비자들의 식품안

성에 한 인식은 더욱 고조되고 있음

- 소비자들은 안 한 농산물에 해서 일반농산물에 비해 15~35배나 높은 가

격을 지불하고서라도 구입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음

- 이에 따라 품질인증된 친환경농산물 생산량은 소비자의 안 농산물 수요 증

가에 힘입어 1994년 이후 연평균 86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음

소비자의 안 성에 한 높은 심으로 생산이력제 등에 한 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으며 생산이력제란 농산물의 추 가능성(traceability)

을 높이는 것으로 그 내용은 생산자 생산방법 농약의 종류 살표 시

기와 회수 시비의 시기와 회수 잔류농약 검사 등 소비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임(농진청 농산물생산이력정보시스템

wwwatracenet)

5 소 비 의 다 양 화

외환 기 이후에는 가격 서비스를 추구하는 집단과 고가격 고서비

스를 추구하는 집단으로 소비가 양극화되고 있음

- 특히 외환 기 이후 산층 서민층을 심으로 합리 인 소비행

가 정착되고 가격에 한 민감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편

승하여 가격을 주무기로 하는 할인 이 속히 발 하고 있음

2000년 에 들어서는 과거의 획일 소비추세를 탈피하여 연령 별 계

층별 라이 스타일별로 소비가 다양화되고 인구통계 구조가 변함에 따

라 실버마켓 마켓의 요성이 부각될 망임

- 우리 나라도 90년 이후 노년층의 인구가 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

들 노년층은 과거와 달리 구매력을 상당히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유통

시장에서 이들의 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 10 20 연령층도 막강한 구매력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은 새로운

트 드에 매우 민감한 구매 패턴을 보이고 있음

랜드 측면에서는 소비자들의 합리 인 소비가 증가하면서 유통업자상

표(PB Private Brand)의 요성이 커질 망임

- 이미 미국과 유럽 국가에서는 PB의 비 이 20를 넘고 있으며 우리

나라 농식품 분야에서도 돼지고기 등에서 유통업자 상표가 개발되

고 있음

- 하나로 한우 포크(농 ) 강진맥우(한화유통) 이 러스 우유(이마트)

6 소 포 장 품 소 비 확

구매단 에 있어서도 소포장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포장 유통이 크게 증가하

고 있음

- 특히 소비자용 소포장(consuemer package)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음

7 향 후 농식 품 소 비 망

∙곡류 소비감소와 육류소비 증가

∙김치장류 등 전통가공식품 수요 증가

∙세척커팅 등 전처리농산물 구매 증가

∙선별 포장 및 소분포장 수요 증가

∙친환경 안전 농산물 수요 증대

건강지향

시장개방 확대

고급화

편의성

다양화

대형할인점 증

전자상거래활성화

외식산업발전

서구화

lt그림 2-1gt 소비자 선호 시장 여건 변화와 농산물 소비 행태 망

향후 식품 소비는 고 화 다양화 편의성 건강추구 경향이 지속강화될 것이

며 식품 유통도 시장개방의 확 외식산업의 발 자상거래 활성화 등으로

여건 변화가 상됨 이에 따라 농산물 소비는 고품질농산물 친환경농산물 선

별세척소분포장 농산물 김치 등 통식품에 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망됨

제3 장 농산물 유통경 로

1 유통경 로 의 개념과 결 정 요인

유통경로 (distribution channel)란 ldquo매매의 과정과 련되는 유통기 사

이에 존재하는 계 시스템rdquo

- 사회경제 입장에서 생산물이 이 유통되어 가는 경로

) 의 유통경로 의약품의 유통경로

유통단계 (channel level) 제품 그 소유권이 이 될 때 계하는 간

업자의 수

유통경로의 길이(length) 유통단계가 많을수록 길이가 길어짐

lt그림 3-1gt 유통경로의 유형

0단계 경로

(P - C)

1단계 경로

(P ndash R ndash C)

2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R ndash C)

3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J ndash R ndash C)

생산자 소비자

생산자 소매상 소비자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소비자

0단계 경로

(P - C)

1단계 경로

(P ndash R ndash C)

2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R ndash C)

3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J ndash R ndash C)

생산자 소비자

생산자 소매상 소비자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소비자

lt표 3-1gt 유통경로 길이의 결정요인

구분 긴 유통경로 짧은 유통경로

제품

특성

동질 단

경량품

작은 크기

비부패성

기술 으로 단순

이질 단

량품

큰 크기

부패성

기술 으로 복잡

수요

특성

단 구매 작음

구매빈도 높고 규칙

고객수 많음

고객의 지역 분산

소비자 지식의 범 한 분산

단 구매량 큼

구매빈도 낮고 비규칙

고객수 음

고객의 지역 집

소비자 지식의 제한성 집 성

특성

생산자수 많음

지역 분산생산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

생산자수 음

지역 집 생산

제한 인 진입과 퇴출

통 유통경로 독립 인 유통기 이용

- 개개의 경로구성원이 타 구성원의 기능이나 역할에 여하지 않음

- 문 인 유통업자의 효율 이용

- 경로구성원간의 상이한 목표와 기 로 인해 갈등과 조정문제 야기

- 가격 상과 같은 시장 메카니즘에 의해 경로구성원간 계가 조정

수직 유통경로 경로간 수직 통합

-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 유통과정을 체계 으로 통합하고 조정하여

하나의 통합된 체제를 유지하는 것

- 경로 체를 하나의 계획과 모니터로 통제 가능

- 경로구성원간의 조정 가능

- 경로 내 조정 수 이 높아짐

- 복되는 노력이 통합되어 높은 경로성과 제고

- 비용이 많이 드는 단

2 농산물 유통경 로 황

농산물은 도매시장을 주로 하는 통 인 유통경로로 유통되어 왔으나

최근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의 산지직거래 자상거래 등의 확

로 새로운 유통경로가 두되고 있음

-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 산지유통센터 등을 통한 유통

은 통 인 도매시장 유통과는 질 으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

문에 편의상 신유통시스템으로 개념화

신유통시스템의 확산 결과로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는 lt그림 3-2gt와

같이 다원화되고 있음

- 도매시장의 경우도 통 인 도매시장법인 rarr 도매인의 경로뿐 아니

라 도매상 경로도 새롭게 부각되고 있으며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B2B B2C) 등에 의한 시장외 거래도 요한 유통경로로 부

신유통시스템은 수직 유통경로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단순한 유통경

로 변화 이상의 다양한 특징을 가짐(표 3-3)

신유통시스템은 유통마진 감 가격 안정성 제고 등 정 인 효과를 보

이고 있음

- 종합유통센터 형유통업체 경유시 유통단계 단축 물류합리화

등의 요인으로 유통마진이 감됨

- 형유통업체의 경우 산지직구입시 가격을 일주일에 2회 정도 조정하

고 구입물량을 사 에 시함으로써 도매시장에 비해 생산자 수취가격

의 안정성이 높음

- 아울러 신유통시스템에서는 장기 속 거래 계를 유지하기 때문

에 도매시장의 통 유통시스템보다 거래비용(transaction cost)을

감함

lt그림 3-2gt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

소 비 자

외 식 업 체소 매 상

식 재 가 공 업 체 대 형 유 통 업 체

중 도 매 인

도 매 상종 합

유 통 센 터

B 2 B

전 자 상 거 래

수 집 상생 산 자 조 직

(농 협 작 목 반 영 농 법 인 )

생 산 자

도 매 법 인

(

민시

장 B

2C)

lt표 3-2gt 통 유통시스템과 신유통시스템의 비교

구 분 통 유통시스템 신유통시스템

경로

경로구성원 수집상 도매시

장 재래시장

상호 독립 이며 일회성 거

경로구성원 산지유통센터 종합

유통센터 형유통업체

수직 유통시스템 장기 이고

속 인 거래

주체 세규모의 근 인 상인 형유통업체 산지유통조직

상품 비규격품 주

표 규격품 주

차별화되고 가공 처리된 농식품

(수확후 리기술의 용)

거래방식 장에서의 경매 혹은 상

거래 약상 거래 통명거래

물류 수작업에 의한 하역

단 화물화(Unit Load System)

에 의한 하역 기계화

포장 렛트 물류기기 표 화에

의한 물류합리화

정보 사후 정산 정보 POS EDI 등 유통정보화

인터넷쇼핑 등 자상거래 활용

주) 통 유통시스템은 공 도매시장과 유사도매시장을 포 한 것으로 공

도매시장의 경우 출하약정 등을 통한 속 거래 추진 도매시장법인

의 규모화 등 일부 신유통시스템 인 요소가 있기도 하나 반 인 특

성은 상기표와 같음

3 시 장 발 단 계 에 따 른 유통경 로 의 변 화 망

Blattberg교수는 시장 발 단계를 시장단계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

산된 시장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

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장의 5단계로 구분(표 3-3)

- 시장발 단계에 따라 주된 유통경로 유형이 결정됨

lt표 3-3gt 시장발 단계별 마 의 역할

시장단계 마 의 주안

시장단계 자 자족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구매자와 매자의 확인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효율 유통 시장에 의한 가격결정

차별화된 제품

집 된 시장

특화된 시장에서의 효율 유통 고객요구에 기 한 표

마 랜드 고차별화된 제품

분산된 시장

일방 에서 방 커뮤니 이션으로의 변환 마 은

기업과 고객간의 정보흐름 리

자료 Blattberg Robert C 외(주우진외 역) 21세기 마 정보 명 1996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 단계에서는 물물교환 혹은 지역단 의

소규모 시장에서의 거래가 주된 유통경로 음

우리 나라의 농산물유통은 5단계 제3단계 ldquo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rdquo에 있으나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차 으로 제4단계인 ldquo차별

화된 제품집 된시장rdquo으로 진화

- 산지에서 수확후 리기술의 용 랜드화 등이 진척됨에 따라 농산물

도 차별화되고 하나의 제품으로서 성격을 갖기 시작

- 이들 차별화 제품은 특정의 표 소비자를 상으로 한 표 마 활

동을 수행하고 소매업체에 한 직 납품 등 유통경로의 차별화 모색

제3단계에서는 비차별품을 량으로 신속하게 유통시키는데 있어 도매시

장의 역할과 기능이 지 하 으나 제4단계에서는 표 시장을 한 마

활동이 수행되므로 불특정다수를 한 도매시장의 역할과 기능이

하되며 유통업체와의 직거래가 확

최근 자상거래의 발 으로 농산물에 있어서도 제5단계인 ldquo차별화된 제

품분산된 시장rdquo으로의 진화가 미약하나마 진행 임

- IT의 발 으로 소비자들은 개별 으로 그들의 욕구와 선호를 표시할

수 있고 생산자는 그들에게 합한 제품을 개발하여 제공 가능

- 이러한 환경 하에서 마 의 역할은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계를

리하는 것이 요

- 농산물 자상거래(B2C)에 있어서도 효율성보다는 소비자와 생산자간

의 커뮤니 이션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이 되며 실제로도 렴한 가

격보다 소비자와의 계 혹은 유 감 형성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으

로 두

시장의 발 단계로 볼 때 농산물 유통도 집 화된 시장으로부터 차 차

별화되고 분산화되는 방향으로 환되고 있음

유통단계간 수직 조정(Vertical Coordination) 에서 보면 통 인

물시장(spot market) 주의 거래가 차 계약거래(contracts) 수직

통합(vertical integration) 등으로 환

- 를 들어 형유통업체들은 도매시장에서의 거래 주에서 도매단계

의 통합을 통한 산지 직구입 증가

- 축산물 유기농산물 등 산지 확인이 필요한 품목은 시장구입보다 계약

생산 등 선호

- 계약거래 수직 통합 등은 일회성의 물시장 거래보다 인근 유통단

계간의 조정과 통제가 용이하게 되어 효율 으로 됨

- 미국의 경우 육계 우유 계란 가공용 채소 일반 채소류 오 지류 등

은 계약거래 수직 통합의 비율이 체 유통량의 50를 상회함

(Henderson 1994)

제4 장 유통비 용

우리 나라에서는 미국과 같이 체 인 식품유통비용이 추계되지 않고

품목별 유통비용이 농수산물유통공사에 의해 매년 조사되고 있음

- 2001년 조사품목수 28품목 41종류

- 식량작물(6종) 두 감자( 고랭지 가을) 고구마

- 엽근채류(8종) 배추( 고랭지 가을) 무( 고랭지 가을) 상추 당근

- 과채류(6종) 수박 참외 오이 딸기 토마토(일반 방울)

- 조미채소류(9종) 풋고추 건고추 마을(난지형 한지형 장) 양 (일반

장) 생강

- 과일류(8종) 사과(일반 장) 배(일반 장) 단감 포도 감귤 복숭아

- 축산부류(4종)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1 유통마 진 과 마 크 업 ( m a r k u p )

가 유통마 진 ( 비 용 )

유통비용은 유통과정 감모분을 공제한 실제 매액 비 유통비용

- 유통마진률 = ( 매액-구입액) 매액

유통마진률에 향을 주는 요인

- 가공도 장여부 상품의 부패성 정도 계 요인 수송 비용

상품 가치 비 부피

나 마 크 업

마크업이란 매가격에서 구입가격을 뺀 차이를 말함

원 매가(original retail price) vs 실제 매가(sales retail price)

- 실제 매가 = 원 매가 - reduction(할인 로스 등)

최 마크업율 = ( 비+이익+reduction)( 매가+reduction)

실제마크업율 = ( 비+이익)( 매가)

계산

원 매가 102000

reduction 2000

실제 매가 100000

매입가 80000

------------------

실제마크업 20000 최 마크업 22000

최 마크업율 = 22000102000 = 216

실제마크업율 = 20000100000 = 200

최 계획된 마크업은 포의 성과 측정 면에서 요함

2 농산물 유통비용율

가 유통 단계별 내용별 유통비용률

유통마진률은 풍흉에 의한 매가에 의해 큰 향을 받기 때문에 연도별

일정한 추세를 발견하기 곤란

-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조사에 의하면 농산물 체의 유통마진률은 2001년

44로 2000년에 비해 약간 증가하 으나 추세라고 보기는 어려움

유통단계별 유통마진률은 출하 도매단계보다 소매단계가 높으며 비목별

로는 직 비용의 비 이 큼(표 4-2)

lt표 4-2gt 유통단계별 비목별 유통비용률

(단 )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유통비용율 410 398 387 404 437

출 하 137 93 97 88 117

도 매 76 97 88 93 94

소 매 197 208 202 223 226

직 비용 131 146 138 153 173

간 비용279

109 100 121 131

이 윤 143 146 130 133

주) 직 비 포장비 하역비 수송비 상장수수료 감모비 등 간 비 임 료 인건비 제세공과 감가상각비 등 이윤 유통비용에서 직 비와 간 비를 공제한 상인 이윤

나 부류별 유통비용율

품목별로는 엽근채류 서류 조미채소류의 유통마진률이 높고 축산물 곡

류의 마진률이 낮은 편임(표 4-1)

lt표 4-1gt 부류별 유통마진률

(단 )

구 분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체 평 균 410 398 387 404 437

엽 근 채 류

서 류

조 미 채 소 류

과 일 류

과 채 류

축 산 부 류

곡 물 류

761

647

427

499

562

-

193

722

535

500

476

471

364

167

731

566

482

521

449

305

165

722

608

559

503

447

333

177

778

625

588

548

430

345

199

다 주요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율

주요 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률은 일반 으로 도매시장 경유시 보다 낮

은 것으로 조사(표 4-2)

그러나 유통비용률이 낮다고 해서 유통이 반드시 효율 이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치 해석에 주의를 요함

lt표 4-2gt 주요 품목의 경로별 유통비용률 비교

(단 )

구 분 감자 고랭감자 고구마 고랭배추 무 수박방울토마

도매시장경유(A) 699 627 534 766 686 500 355

직 거 래(B) 456 346 195 499 478 254 164

A - B 243 281 339 267 208 246 191

라 외국과의 농산물 유통마진률 비교

유통마진률은 가공도 유통서비스 수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통

마진률의 단순한 비교로 유통의 효율성을 비교하기는 곤란

- 일반 으로 유통마진률은 선진국일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임

한국과 일본한국 546 일본 602

- 상품목당근 오이 토마토 양 복숭아 포도 수박 풋고추

한국과 미국한국 539 미국 749

- 상품목상추 감자 토마토 당근 사과 포도 복숭아 딸기

3 유통비 용 의 망

유통비용은 고정비용의 성격

- sticky marketing margin 유통비용은 생산물의 가액에 비례하여 발생

하는 것이 아니라 취 량에 의해 결정

-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면 유통마진율은 낮아지나 가격이 하락하면 유통

마진율이 높아짐

유통마진율의 증가 경향 원인

- 유통기능의 고도화 가공 편의성 콜드체인 고 등 마 활동 강화

- 투입요소(노동 수송 포장 에 지) 비용의 지속 증가(특히 노임)

- 정부 정책 유통과정상 안 성 확보(HACCP) 환경규제 강화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 해요소 리시스템

유통비용 감 방안

- 요소비용 감을 한 생산성 향상(특히 노동생산성)

- 불필요한 유통기능의 삭감 - 부작용 발생 주의 필요

- 유통참여자의 규모화

제5 장 농산물 소 매 기

1 소 매 업 의 분 류

소매업은 최종 고객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매하는 유

통기

1 1 소 유 형 태 별 구 분

- 독립 포

- 체인 선진국일수록 체인의 비 이 높음

미국 일반상품 93 식품 60

- 생산자 소유(농 매 )

- 소비자 소유(생 소비자 동조합)

체인 스토어 복수의 포망을 앙본부의 통제하에 운 하는 조직체로

앙집 리방법과 표 화 통일된 system을 가짐

- Regular chain 단일 소유권

- Voluntary chain 독립

- Franchise chain 계약에 의한 독립자본

- Cooperative chain 소비자 공동출자

1 2 치 별 구 분

- 심 상업지역 (Central Business District)

- 일반 지역

- 교외

1 3 략 인 분 류

가 회 률-마진률

회 율 매출액재고액

마진율 마진액 매액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나 서비스-마진률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1 4 상 품 구 색 에 의한 분 류

Variety(품종) 구색의 넓이

Assortment(품목) 구색의 깊이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2 농산물 소 매 업 태

2 1 업 태 의 개념

업태란 상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팔 것인가에 련된 업 내지 경 방

- 상품구성 가격 매방식 매장환경 업방식 입지 규모

매의 포인트 제조업자 rarr 소비자 (업종 - 업태로 개념 변화)

기존의 업종별 구분에서 소매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

소매업이 주체를 가지고 상품 편성(소비자 주의 머천다이징)

업태별로 머천다이징의 포인트가 다름

기존에는 업종별 ( 매하는 품목의 산업분류) 분류로 통계 집계 공표

해 왔으며 업태에 한 이해가 부족하 음

업태는 역사 으로 볼 때 항상 가변 임

2 2 업 태 별 분 류

가 구 멍가게( mo m a n d p o p s t o r e )

나 재래시장( t r a d i t i o n a l ma r k e t p l a c e )

다 백화 ( d e p a r t me n t s t o r e )

라 슈퍼마켓( s u p e r ma r k e t )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4 유통과 마

4 1 거 시 마 과 미 시 마

거시 마

- 농산물이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달되는 과정의 시스템 에서

의 근

- 체 유통과정의 효율화 등 국가 에서 근하며 농산물유통론은

일반 으로 거시 마 의 에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책을 강구함

미시마

- 생산자 도소매기 가공업체 등 유통참여자 입장에서 매 극 화를 통

한 이윤창출 과정에 심을 두는 일명 기업마 (business marketing)이

라고도 함

- 유통참여자의 이윤창출 과정에서 제기되는 문제 과 해결 방안에 주안

- 미시마 에서 유통은 4P Place에 해당

4 2 미 시 마 의 요성

생산과잉의 시 도래

- 생산이 수요를 과하는 만성 공 과 상 가속화

- 주산지간 경쟁 수입개방 등으로 소비자 선택기회 확

유통주체의 형성

- 과거 세 생산자 심의 유통에서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에

의한 유통 확 로 기업 마 리 기법에 한 요구 확

상품(commodity)에서 제품(product)으로의 환

- 수확후 다양한 리기술의 용으로 과거 차별화되지 않은 상품에서 차

별화된 제품으로의 농산물 성격 환

- 차별화된 제품의 경우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해 다양한 마 활

동 필요

제2 장 농산물 소 비 구 조

1 농산물 소 비 의 요성

소비자는 유통시스템의 지배자 조정자(ruler and coordinator)이며 푸

드 시스템의 목표는 소비자를 만족시키는데 있음

소비자 주권(sovereignty) 주의

- 소비자는 진정으로 왕인가

- 기업은 소비자의 요구에만 맞추어 활동하는가

- 소비자는 항상 옳은가

- 소비자가 주권을 가지기 한 조건은

2 소 비 품 목 의 변 화

경제발 과 소득수 에 따라 국민들의 식 품 소 비 형 태 는 lsquo물량rsquo과 lsquo 양rsquo을

추구하는 양 인 소비에서 5감에 의해 lsquo맛rsquo lsquo멋rsquo lsquo 술rsquo의 질 인 단계로

물 량

lt그림 2-1gt 경제발 과 소득증 에 따른 식품소비단계

소비자들의 소비구조가 다양화 고 화 개성화 간편화 안 화 는 건

강지향 으로 변모되고 있음 이러한 소비구조의 변화는 농산물에 한

선호도에 반 되고 구매패턴의 변화를 래하여 농산물 유통구조에 향

을 미쳐 궁극 으로 농산물 생산구조의 재편을 가져오게 됨

- 농산물의 소비도 경제발 과 소득증가에 따라 생산 장이 용이한 곡

류 서류 등 보 ( 低位保全) 식 품 에서 채소 과일 육류 등 신선한

고 보 ( 高位保全) 식 품 가공식품 편의식품 건강식품으로 변화하고

있음

3 가공식품 외식 소비 확

자녀 없는 부부가구의 증가 가족의 해체 등 핵가족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

으며 가구당 인원수가 1980년 45명에서 2000년에 31명으로 계속 감소하고 있

다 이러한 가족 구조의 변화는 외식 가공 조리식품 소포장 단 의 식품 구

매를 증가시키게 됨 한 식단계획자이자 조리자인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1980년 이후 늘어나면서 식생활은 더욱 간소화를 지향하게 되었음

경제가 지속 으로 발 함에 따라 가공식품에 한 수요가 증가하고 식생활

의 외부화가 계속 진행될 망임 이는 과거 농산물이 가공되지 않은 상태

에서 가공 혹은 외식형태로 유통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식품가공 외식산업

등을 포 하는 푸드시스템의 요성이 커지고 있음

- 도시가계의 농식품 지출액 가공식품의 비 은 lsquo70년의 18에서 2000년

에는 23로 증가하 으며 외식비 비 은 동기간 2에서 39로 증하

최근에는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 등의 요인으로 가정식과 외식(food

away from home)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으며 조리시간을 이기

해 미리 조리된 식품을 소매 에서 사서 집에서 먹는 형태의 소비가 증

가하고 있음

- 21세기에는 이러한 추세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망되며 짧은 조리

시간에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가정식 체식품(HMR Home Meal

Replacement)의 요성이 커질 망임

- HMR은 가정식을 체하는 미리 조리된 식품을 소매 에서 사서 식탁

에 그 로 올려놓는 즉석 조리식품을 의미하며 수퍼마켓의 반찬 델리

베이커리 스낵 샐러드바 코 등이 표 이며 최근에는 밥까지도 개

발되었음

- 아울러 컷트 과일 컷트 채소 등 쉬 컷(fresh cut) 제품의 소비도

증가

- 최근에는 세척고구마 세척 무 세척 당근 등 세척 소포장 농산물의 소

비 증가

이러한 소비자들의 소비구조의 변화는 농산물과 식품의 구매패턴에도 향을

주어 구매 장소 구매단 구매 형태 등에서 편의성 추구경향이 나타남

- 식품 구입장소의 경우 과거 재래시장 등이 부분을 차지하 으나 쾌 한 쇼

핑환경과 다양한 상품을 일 구매할 수 있는 편리성 등으로 형 할인 의

비 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4 고 품 질 안 농산물 소 비 확

소득 증 에 따라 소비자의 건강에 한 심이 높아지고 최근 유 자 변형농

산물의 유해성 논란 O-157의 발생 우병 확산 등으로 소비자들의 식품안

성에 한 인식은 더욱 고조되고 있음

- 소비자들은 안 한 농산물에 해서 일반농산물에 비해 15~35배나 높은 가

격을 지불하고서라도 구입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음

- 이에 따라 품질인증된 친환경농산물 생산량은 소비자의 안 농산물 수요 증

가에 힘입어 1994년 이후 연평균 86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음

소비자의 안 성에 한 높은 심으로 생산이력제 등에 한 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으며 생산이력제란 농산물의 추 가능성(traceability)

을 높이는 것으로 그 내용은 생산자 생산방법 농약의 종류 살표 시

기와 회수 시비의 시기와 회수 잔류농약 검사 등 소비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임(농진청 농산물생산이력정보시스템

wwwatracenet)

5 소 비 의 다 양 화

외환 기 이후에는 가격 서비스를 추구하는 집단과 고가격 고서비

스를 추구하는 집단으로 소비가 양극화되고 있음

- 특히 외환 기 이후 산층 서민층을 심으로 합리 인 소비행

가 정착되고 가격에 한 민감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편

승하여 가격을 주무기로 하는 할인 이 속히 발 하고 있음

2000년 에 들어서는 과거의 획일 소비추세를 탈피하여 연령 별 계

층별 라이 스타일별로 소비가 다양화되고 인구통계 구조가 변함에 따

라 실버마켓 마켓의 요성이 부각될 망임

- 우리 나라도 90년 이후 노년층의 인구가 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

들 노년층은 과거와 달리 구매력을 상당히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유통

시장에서 이들의 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 10 20 연령층도 막강한 구매력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은 새로운

트 드에 매우 민감한 구매 패턴을 보이고 있음

랜드 측면에서는 소비자들의 합리 인 소비가 증가하면서 유통업자상

표(PB Private Brand)의 요성이 커질 망임

- 이미 미국과 유럽 국가에서는 PB의 비 이 20를 넘고 있으며 우리

나라 농식품 분야에서도 돼지고기 등에서 유통업자 상표가 개발되

고 있음

- 하나로 한우 포크(농 ) 강진맥우(한화유통) 이 러스 우유(이마트)

6 소 포 장 품 소 비 확

구매단 에 있어서도 소포장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포장 유통이 크게 증가하

고 있음

- 특히 소비자용 소포장(consuemer package)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음

7 향 후 농식 품 소 비 망

∙곡류 소비감소와 육류소비 증가

∙김치장류 등 전통가공식품 수요 증가

∙세척커팅 등 전처리농산물 구매 증가

∙선별 포장 및 소분포장 수요 증가

∙친환경 안전 농산물 수요 증대

건강지향

시장개방 확대

고급화

편의성

다양화

대형할인점 증

전자상거래활성화

외식산업발전

서구화

lt그림 2-1gt 소비자 선호 시장 여건 변화와 농산물 소비 행태 망

향후 식품 소비는 고 화 다양화 편의성 건강추구 경향이 지속강화될 것이

며 식품 유통도 시장개방의 확 외식산업의 발 자상거래 활성화 등으로

여건 변화가 상됨 이에 따라 농산물 소비는 고품질농산물 친환경농산물 선

별세척소분포장 농산물 김치 등 통식품에 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망됨

제3 장 농산물 유통경 로

1 유통경 로 의 개념과 결 정 요인

유통경로 (distribution channel)란 ldquo매매의 과정과 련되는 유통기 사

이에 존재하는 계 시스템rdquo

- 사회경제 입장에서 생산물이 이 유통되어 가는 경로

) 의 유통경로 의약품의 유통경로

유통단계 (channel level) 제품 그 소유권이 이 될 때 계하는 간

업자의 수

유통경로의 길이(length) 유통단계가 많을수록 길이가 길어짐

lt그림 3-1gt 유통경로의 유형

0단계 경로

(P - C)

1단계 경로

(P ndash R ndash C)

2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R ndash C)

3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J ndash R ndash C)

생산자 소비자

생산자 소매상 소비자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소비자

0단계 경로

(P - C)

1단계 경로

(P ndash R ndash C)

2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R ndash C)

3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J ndash R ndash C)

생산자 소비자

생산자 소매상 소비자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소비자

lt표 3-1gt 유통경로 길이의 결정요인

구분 긴 유통경로 짧은 유통경로

제품

특성

동질 단

경량품

작은 크기

비부패성

기술 으로 단순

이질 단

량품

큰 크기

부패성

기술 으로 복잡

수요

특성

단 구매 작음

구매빈도 높고 규칙

고객수 많음

고객의 지역 분산

소비자 지식의 범 한 분산

단 구매량 큼

구매빈도 낮고 비규칙

고객수 음

고객의 지역 집

소비자 지식의 제한성 집 성

특성

생산자수 많음

지역 분산생산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

생산자수 음

지역 집 생산

제한 인 진입과 퇴출

통 유통경로 독립 인 유통기 이용

- 개개의 경로구성원이 타 구성원의 기능이나 역할에 여하지 않음

- 문 인 유통업자의 효율 이용

- 경로구성원간의 상이한 목표와 기 로 인해 갈등과 조정문제 야기

- 가격 상과 같은 시장 메카니즘에 의해 경로구성원간 계가 조정

수직 유통경로 경로간 수직 통합

-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 유통과정을 체계 으로 통합하고 조정하여

하나의 통합된 체제를 유지하는 것

- 경로 체를 하나의 계획과 모니터로 통제 가능

- 경로구성원간의 조정 가능

- 경로 내 조정 수 이 높아짐

- 복되는 노력이 통합되어 높은 경로성과 제고

- 비용이 많이 드는 단

2 농산물 유통경 로 황

농산물은 도매시장을 주로 하는 통 인 유통경로로 유통되어 왔으나

최근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의 산지직거래 자상거래 등의 확

로 새로운 유통경로가 두되고 있음

-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 산지유통센터 등을 통한 유통

은 통 인 도매시장 유통과는 질 으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

문에 편의상 신유통시스템으로 개념화

신유통시스템의 확산 결과로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는 lt그림 3-2gt와

같이 다원화되고 있음

- 도매시장의 경우도 통 인 도매시장법인 rarr 도매인의 경로뿐 아니

라 도매상 경로도 새롭게 부각되고 있으며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B2B B2C) 등에 의한 시장외 거래도 요한 유통경로로 부

신유통시스템은 수직 유통경로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단순한 유통경

로 변화 이상의 다양한 특징을 가짐(표 3-3)

신유통시스템은 유통마진 감 가격 안정성 제고 등 정 인 효과를 보

이고 있음

- 종합유통센터 형유통업체 경유시 유통단계 단축 물류합리화

등의 요인으로 유통마진이 감됨

- 형유통업체의 경우 산지직구입시 가격을 일주일에 2회 정도 조정하

고 구입물량을 사 에 시함으로써 도매시장에 비해 생산자 수취가격

의 안정성이 높음

- 아울러 신유통시스템에서는 장기 속 거래 계를 유지하기 때문

에 도매시장의 통 유통시스템보다 거래비용(transaction cost)을

감함

lt그림 3-2gt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

소 비 자

외 식 업 체소 매 상

식 재 가 공 업 체 대 형 유 통 업 체

중 도 매 인

도 매 상종 합

유 통 센 터

B 2 B

전 자 상 거 래

수 집 상생 산 자 조 직

(농 협 작 목 반 영 농 법 인 )

생 산 자

도 매 법 인

(

민시

장 B

2C)

lt표 3-2gt 통 유통시스템과 신유통시스템의 비교

구 분 통 유통시스템 신유통시스템

경로

경로구성원 수집상 도매시

장 재래시장

상호 독립 이며 일회성 거

경로구성원 산지유통센터 종합

유통센터 형유통업체

수직 유통시스템 장기 이고

속 인 거래

주체 세규모의 근 인 상인 형유통업체 산지유통조직

상품 비규격품 주

표 규격품 주

차별화되고 가공 처리된 농식품

(수확후 리기술의 용)

거래방식 장에서의 경매 혹은 상

거래 약상 거래 통명거래

물류 수작업에 의한 하역

단 화물화(Unit Load System)

에 의한 하역 기계화

포장 렛트 물류기기 표 화에

의한 물류합리화

정보 사후 정산 정보 POS EDI 등 유통정보화

인터넷쇼핑 등 자상거래 활용

주) 통 유통시스템은 공 도매시장과 유사도매시장을 포 한 것으로 공

도매시장의 경우 출하약정 등을 통한 속 거래 추진 도매시장법인

의 규모화 등 일부 신유통시스템 인 요소가 있기도 하나 반 인 특

성은 상기표와 같음

3 시 장 발 단 계 에 따 른 유통경 로 의 변 화 망

Blattberg교수는 시장 발 단계를 시장단계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

산된 시장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

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장의 5단계로 구분(표 3-3)

- 시장발 단계에 따라 주된 유통경로 유형이 결정됨

lt표 3-3gt 시장발 단계별 마 의 역할

시장단계 마 의 주안

시장단계 자 자족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구매자와 매자의 확인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효율 유통 시장에 의한 가격결정

차별화된 제품

집 된 시장

특화된 시장에서의 효율 유통 고객요구에 기 한 표

마 랜드 고차별화된 제품

분산된 시장

일방 에서 방 커뮤니 이션으로의 변환 마 은

기업과 고객간의 정보흐름 리

자료 Blattberg Robert C 외(주우진외 역) 21세기 마 정보 명 1996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 단계에서는 물물교환 혹은 지역단 의

소규모 시장에서의 거래가 주된 유통경로 음

우리 나라의 농산물유통은 5단계 제3단계 ldquo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rdquo에 있으나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차 으로 제4단계인 ldquo차별

화된 제품집 된시장rdquo으로 진화

- 산지에서 수확후 리기술의 용 랜드화 등이 진척됨에 따라 농산물

도 차별화되고 하나의 제품으로서 성격을 갖기 시작

- 이들 차별화 제품은 특정의 표 소비자를 상으로 한 표 마 활

동을 수행하고 소매업체에 한 직 납품 등 유통경로의 차별화 모색

제3단계에서는 비차별품을 량으로 신속하게 유통시키는데 있어 도매시

장의 역할과 기능이 지 하 으나 제4단계에서는 표 시장을 한 마

활동이 수행되므로 불특정다수를 한 도매시장의 역할과 기능이

하되며 유통업체와의 직거래가 확

최근 자상거래의 발 으로 농산물에 있어서도 제5단계인 ldquo차별화된 제

품분산된 시장rdquo으로의 진화가 미약하나마 진행 임

- IT의 발 으로 소비자들은 개별 으로 그들의 욕구와 선호를 표시할

수 있고 생산자는 그들에게 합한 제품을 개발하여 제공 가능

- 이러한 환경 하에서 마 의 역할은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계를

리하는 것이 요

- 농산물 자상거래(B2C)에 있어서도 효율성보다는 소비자와 생산자간

의 커뮤니 이션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이 되며 실제로도 렴한 가

격보다 소비자와의 계 혹은 유 감 형성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으

로 두

시장의 발 단계로 볼 때 농산물 유통도 집 화된 시장으로부터 차 차

별화되고 분산화되는 방향으로 환되고 있음

유통단계간 수직 조정(Vertical Coordination) 에서 보면 통 인

물시장(spot market) 주의 거래가 차 계약거래(contracts) 수직

통합(vertical integration) 등으로 환

- 를 들어 형유통업체들은 도매시장에서의 거래 주에서 도매단계

의 통합을 통한 산지 직구입 증가

- 축산물 유기농산물 등 산지 확인이 필요한 품목은 시장구입보다 계약

생산 등 선호

- 계약거래 수직 통합 등은 일회성의 물시장 거래보다 인근 유통단

계간의 조정과 통제가 용이하게 되어 효율 으로 됨

- 미국의 경우 육계 우유 계란 가공용 채소 일반 채소류 오 지류 등

은 계약거래 수직 통합의 비율이 체 유통량의 50를 상회함

(Henderson 1994)

제4 장 유통비 용

우리 나라에서는 미국과 같이 체 인 식품유통비용이 추계되지 않고

품목별 유통비용이 농수산물유통공사에 의해 매년 조사되고 있음

- 2001년 조사품목수 28품목 41종류

- 식량작물(6종) 두 감자( 고랭지 가을) 고구마

- 엽근채류(8종) 배추( 고랭지 가을) 무( 고랭지 가을) 상추 당근

- 과채류(6종) 수박 참외 오이 딸기 토마토(일반 방울)

- 조미채소류(9종) 풋고추 건고추 마을(난지형 한지형 장) 양 (일반

장) 생강

- 과일류(8종) 사과(일반 장) 배(일반 장) 단감 포도 감귤 복숭아

- 축산부류(4종)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1 유통마 진 과 마 크 업 ( m a r k u p )

가 유통마 진 ( 비 용 )

유통비용은 유통과정 감모분을 공제한 실제 매액 비 유통비용

- 유통마진률 = ( 매액-구입액) 매액

유통마진률에 향을 주는 요인

- 가공도 장여부 상품의 부패성 정도 계 요인 수송 비용

상품 가치 비 부피

나 마 크 업

마크업이란 매가격에서 구입가격을 뺀 차이를 말함

원 매가(original retail price) vs 실제 매가(sales retail price)

- 실제 매가 = 원 매가 - reduction(할인 로스 등)

최 마크업율 = ( 비+이익+reduction)( 매가+reduction)

실제마크업율 = ( 비+이익)( 매가)

계산

원 매가 102000

reduction 2000

실제 매가 100000

매입가 80000

------------------

실제마크업 20000 최 마크업 22000

최 마크업율 = 22000102000 = 216

실제마크업율 = 20000100000 = 200

최 계획된 마크업은 포의 성과 측정 면에서 요함

2 농산물 유통비용율

가 유통 단계별 내용별 유통비용률

유통마진률은 풍흉에 의한 매가에 의해 큰 향을 받기 때문에 연도별

일정한 추세를 발견하기 곤란

-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조사에 의하면 농산물 체의 유통마진률은 2001년

44로 2000년에 비해 약간 증가하 으나 추세라고 보기는 어려움

유통단계별 유통마진률은 출하 도매단계보다 소매단계가 높으며 비목별

로는 직 비용의 비 이 큼(표 4-2)

lt표 4-2gt 유통단계별 비목별 유통비용률

(단 )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유통비용율 410 398 387 404 437

출 하 137 93 97 88 117

도 매 76 97 88 93 94

소 매 197 208 202 223 226

직 비용 131 146 138 153 173

간 비용279

109 100 121 131

이 윤 143 146 130 133

주) 직 비 포장비 하역비 수송비 상장수수료 감모비 등 간 비 임 료 인건비 제세공과 감가상각비 등 이윤 유통비용에서 직 비와 간 비를 공제한 상인 이윤

나 부류별 유통비용율

품목별로는 엽근채류 서류 조미채소류의 유통마진률이 높고 축산물 곡

류의 마진률이 낮은 편임(표 4-1)

lt표 4-1gt 부류별 유통마진률

(단 )

구 분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체 평 균 410 398 387 404 437

엽 근 채 류

서 류

조 미 채 소 류

과 일 류

과 채 류

축 산 부 류

곡 물 류

761

647

427

499

562

-

193

722

535

500

476

471

364

167

731

566

482

521

449

305

165

722

608

559

503

447

333

177

778

625

588

548

430

345

199

다 주요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율

주요 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률은 일반 으로 도매시장 경유시 보다 낮

은 것으로 조사(표 4-2)

그러나 유통비용률이 낮다고 해서 유통이 반드시 효율 이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치 해석에 주의를 요함

lt표 4-2gt 주요 품목의 경로별 유통비용률 비교

(단 )

구 분 감자 고랭감자 고구마 고랭배추 무 수박방울토마

도매시장경유(A) 699 627 534 766 686 500 355

직 거 래(B) 456 346 195 499 478 254 164

A - B 243 281 339 267 208 246 191

라 외국과의 농산물 유통마진률 비교

유통마진률은 가공도 유통서비스 수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통

마진률의 단순한 비교로 유통의 효율성을 비교하기는 곤란

- 일반 으로 유통마진률은 선진국일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임

한국과 일본한국 546 일본 602

- 상품목당근 오이 토마토 양 복숭아 포도 수박 풋고추

한국과 미국한국 539 미국 749

- 상품목상추 감자 토마토 당근 사과 포도 복숭아 딸기

3 유통비 용 의 망

유통비용은 고정비용의 성격

- sticky marketing margin 유통비용은 생산물의 가액에 비례하여 발생

하는 것이 아니라 취 량에 의해 결정

-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면 유통마진율은 낮아지나 가격이 하락하면 유통

마진율이 높아짐

유통마진율의 증가 경향 원인

- 유통기능의 고도화 가공 편의성 콜드체인 고 등 마 활동 강화

- 투입요소(노동 수송 포장 에 지) 비용의 지속 증가(특히 노임)

- 정부 정책 유통과정상 안 성 확보(HACCP) 환경규제 강화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 해요소 리시스템

유통비용 감 방안

- 요소비용 감을 한 생산성 향상(특히 노동생산성)

- 불필요한 유통기능의 삭감 - 부작용 발생 주의 필요

- 유통참여자의 규모화

제5 장 농산물 소 매 기

1 소 매 업 의 분 류

소매업은 최종 고객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매하는 유

통기

1 1 소 유 형 태 별 구 분

- 독립 포

- 체인 선진국일수록 체인의 비 이 높음

미국 일반상품 93 식품 60

- 생산자 소유(농 매 )

- 소비자 소유(생 소비자 동조합)

체인 스토어 복수의 포망을 앙본부의 통제하에 운 하는 조직체로

앙집 리방법과 표 화 통일된 system을 가짐

- Regular chain 단일 소유권

- Voluntary chain 독립

- Franchise chain 계약에 의한 독립자본

- Cooperative chain 소비자 공동출자

1 2 치 별 구 분

- 심 상업지역 (Central Business District)

- 일반 지역

- 교외

1 3 략 인 분 류

가 회 률-마진률

회 율 매출액재고액

마진율 마진액 매액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나 서비스-마진률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1 4 상 품 구 색 에 의한 분 류

Variety(품종) 구색의 넓이

Assortment(품목) 구색의 깊이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2 농산물 소 매 업 태

2 1 업 태 의 개념

업태란 상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팔 것인가에 련된 업 내지 경 방

- 상품구성 가격 매방식 매장환경 업방식 입지 규모

매의 포인트 제조업자 rarr 소비자 (업종 - 업태로 개념 변화)

기존의 업종별 구분에서 소매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

소매업이 주체를 가지고 상품 편성(소비자 주의 머천다이징)

업태별로 머천다이징의 포인트가 다름

기존에는 업종별 ( 매하는 품목의 산업분류) 분류로 통계 집계 공표

해 왔으며 업태에 한 이해가 부족하 음

업태는 역사 으로 볼 때 항상 가변 임

2 2 업 태 별 분 류

가 구 멍가게( mo m a n d p o p s t o r e )

나 재래시장( t r a d i t i o n a l ma r k e t p l a c e )

다 백화 ( d e p a r t me n t s t o r e )

라 슈퍼마켓( s u p e r ma r k e t )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제2 장 농산물 소 비 구 조

1 농산물 소 비 의 요성

소비자는 유통시스템의 지배자 조정자(ruler and coordinator)이며 푸

드 시스템의 목표는 소비자를 만족시키는데 있음

소비자 주권(sovereignty) 주의

- 소비자는 진정으로 왕인가

- 기업은 소비자의 요구에만 맞추어 활동하는가

- 소비자는 항상 옳은가

- 소비자가 주권을 가지기 한 조건은

2 소 비 품 목 의 변 화

경제발 과 소득수 에 따라 국민들의 식 품 소 비 형 태 는 lsquo물량rsquo과 lsquo 양rsquo을

추구하는 양 인 소비에서 5감에 의해 lsquo맛rsquo lsquo멋rsquo lsquo 술rsquo의 질 인 단계로

물 량

lt그림 2-1gt 경제발 과 소득증 에 따른 식품소비단계

소비자들의 소비구조가 다양화 고 화 개성화 간편화 안 화 는 건

강지향 으로 변모되고 있음 이러한 소비구조의 변화는 농산물에 한

선호도에 반 되고 구매패턴의 변화를 래하여 농산물 유통구조에 향

을 미쳐 궁극 으로 농산물 생산구조의 재편을 가져오게 됨

- 농산물의 소비도 경제발 과 소득증가에 따라 생산 장이 용이한 곡

류 서류 등 보 ( 低位保全) 식 품 에서 채소 과일 육류 등 신선한

고 보 ( 高位保全) 식 품 가공식품 편의식품 건강식품으로 변화하고

있음

3 가공식품 외식 소비 확

자녀 없는 부부가구의 증가 가족의 해체 등 핵가족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

으며 가구당 인원수가 1980년 45명에서 2000년에 31명으로 계속 감소하고 있

다 이러한 가족 구조의 변화는 외식 가공 조리식품 소포장 단 의 식품 구

매를 증가시키게 됨 한 식단계획자이자 조리자인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1980년 이후 늘어나면서 식생활은 더욱 간소화를 지향하게 되었음

경제가 지속 으로 발 함에 따라 가공식품에 한 수요가 증가하고 식생활

의 외부화가 계속 진행될 망임 이는 과거 농산물이 가공되지 않은 상태

에서 가공 혹은 외식형태로 유통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식품가공 외식산업

등을 포 하는 푸드시스템의 요성이 커지고 있음

- 도시가계의 농식품 지출액 가공식품의 비 은 lsquo70년의 18에서 2000년

에는 23로 증가하 으며 외식비 비 은 동기간 2에서 39로 증하

최근에는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 등의 요인으로 가정식과 외식(food

away from home)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으며 조리시간을 이기

해 미리 조리된 식품을 소매 에서 사서 집에서 먹는 형태의 소비가 증

가하고 있음

- 21세기에는 이러한 추세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망되며 짧은 조리

시간에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가정식 체식품(HMR Home Meal

Replacement)의 요성이 커질 망임

- HMR은 가정식을 체하는 미리 조리된 식품을 소매 에서 사서 식탁

에 그 로 올려놓는 즉석 조리식품을 의미하며 수퍼마켓의 반찬 델리

베이커리 스낵 샐러드바 코 등이 표 이며 최근에는 밥까지도 개

발되었음

- 아울러 컷트 과일 컷트 채소 등 쉬 컷(fresh cut) 제품의 소비도

증가

- 최근에는 세척고구마 세척 무 세척 당근 등 세척 소포장 농산물의 소

비 증가

이러한 소비자들의 소비구조의 변화는 농산물과 식품의 구매패턴에도 향을

주어 구매 장소 구매단 구매 형태 등에서 편의성 추구경향이 나타남

- 식품 구입장소의 경우 과거 재래시장 등이 부분을 차지하 으나 쾌 한 쇼

핑환경과 다양한 상품을 일 구매할 수 있는 편리성 등으로 형 할인 의

비 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4 고 품 질 안 농산물 소 비 확

소득 증 에 따라 소비자의 건강에 한 심이 높아지고 최근 유 자 변형농

산물의 유해성 논란 O-157의 발생 우병 확산 등으로 소비자들의 식품안

성에 한 인식은 더욱 고조되고 있음

- 소비자들은 안 한 농산물에 해서 일반농산물에 비해 15~35배나 높은 가

격을 지불하고서라도 구입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음

- 이에 따라 품질인증된 친환경농산물 생산량은 소비자의 안 농산물 수요 증

가에 힘입어 1994년 이후 연평균 86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음

소비자의 안 성에 한 높은 심으로 생산이력제 등에 한 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으며 생산이력제란 농산물의 추 가능성(traceability)

을 높이는 것으로 그 내용은 생산자 생산방법 농약의 종류 살표 시

기와 회수 시비의 시기와 회수 잔류농약 검사 등 소비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임(농진청 농산물생산이력정보시스템

wwwatracenet)

5 소 비 의 다 양 화

외환 기 이후에는 가격 서비스를 추구하는 집단과 고가격 고서비

스를 추구하는 집단으로 소비가 양극화되고 있음

- 특히 외환 기 이후 산층 서민층을 심으로 합리 인 소비행

가 정착되고 가격에 한 민감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편

승하여 가격을 주무기로 하는 할인 이 속히 발 하고 있음

2000년 에 들어서는 과거의 획일 소비추세를 탈피하여 연령 별 계

층별 라이 스타일별로 소비가 다양화되고 인구통계 구조가 변함에 따

라 실버마켓 마켓의 요성이 부각될 망임

- 우리 나라도 90년 이후 노년층의 인구가 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

들 노년층은 과거와 달리 구매력을 상당히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유통

시장에서 이들의 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 10 20 연령층도 막강한 구매력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은 새로운

트 드에 매우 민감한 구매 패턴을 보이고 있음

랜드 측면에서는 소비자들의 합리 인 소비가 증가하면서 유통업자상

표(PB Private Brand)의 요성이 커질 망임

- 이미 미국과 유럽 국가에서는 PB의 비 이 20를 넘고 있으며 우리

나라 농식품 분야에서도 돼지고기 등에서 유통업자 상표가 개발되

고 있음

- 하나로 한우 포크(농 ) 강진맥우(한화유통) 이 러스 우유(이마트)

6 소 포 장 품 소 비 확

구매단 에 있어서도 소포장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포장 유통이 크게 증가하

고 있음

- 특히 소비자용 소포장(consuemer package)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음

7 향 후 농식 품 소 비 망

∙곡류 소비감소와 육류소비 증가

∙김치장류 등 전통가공식품 수요 증가

∙세척커팅 등 전처리농산물 구매 증가

∙선별 포장 및 소분포장 수요 증가

∙친환경 안전 농산물 수요 증대

건강지향

시장개방 확대

고급화

편의성

다양화

대형할인점 증

전자상거래활성화

외식산업발전

서구화

lt그림 2-1gt 소비자 선호 시장 여건 변화와 농산물 소비 행태 망

향후 식품 소비는 고 화 다양화 편의성 건강추구 경향이 지속강화될 것이

며 식품 유통도 시장개방의 확 외식산업의 발 자상거래 활성화 등으로

여건 변화가 상됨 이에 따라 농산물 소비는 고품질농산물 친환경농산물 선

별세척소분포장 농산물 김치 등 통식품에 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망됨

제3 장 농산물 유통경 로

1 유통경 로 의 개념과 결 정 요인

유통경로 (distribution channel)란 ldquo매매의 과정과 련되는 유통기 사

이에 존재하는 계 시스템rdquo

- 사회경제 입장에서 생산물이 이 유통되어 가는 경로

) 의 유통경로 의약품의 유통경로

유통단계 (channel level) 제품 그 소유권이 이 될 때 계하는 간

업자의 수

유통경로의 길이(length) 유통단계가 많을수록 길이가 길어짐

lt그림 3-1gt 유통경로의 유형

0단계 경로

(P - C)

1단계 경로

(P ndash R ndash C)

2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R ndash C)

3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J ndash R ndash C)

생산자 소비자

생산자 소매상 소비자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소비자

0단계 경로

(P - C)

1단계 경로

(P ndash R ndash C)

2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R ndash C)

3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J ndash R ndash C)

생산자 소비자

생산자 소매상 소비자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소비자

lt표 3-1gt 유통경로 길이의 결정요인

구분 긴 유통경로 짧은 유통경로

제품

특성

동질 단

경량품

작은 크기

비부패성

기술 으로 단순

이질 단

량품

큰 크기

부패성

기술 으로 복잡

수요

특성

단 구매 작음

구매빈도 높고 규칙

고객수 많음

고객의 지역 분산

소비자 지식의 범 한 분산

단 구매량 큼

구매빈도 낮고 비규칙

고객수 음

고객의 지역 집

소비자 지식의 제한성 집 성

특성

생산자수 많음

지역 분산생산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

생산자수 음

지역 집 생산

제한 인 진입과 퇴출

통 유통경로 독립 인 유통기 이용

- 개개의 경로구성원이 타 구성원의 기능이나 역할에 여하지 않음

- 문 인 유통업자의 효율 이용

- 경로구성원간의 상이한 목표와 기 로 인해 갈등과 조정문제 야기

- 가격 상과 같은 시장 메카니즘에 의해 경로구성원간 계가 조정

수직 유통경로 경로간 수직 통합

-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 유통과정을 체계 으로 통합하고 조정하여

하나의 통합된 체제를 유지하는 것

- 경로 체를 하나의 계획과 모니터로 통제 가능

- 경로구성원간의 조정 가능

- 경로 내 조정 수 이 높아짐

- 복되는 노력이 통합되어 높은 경로성과 제고

- 비용이 많이 드는 단

2 농산물 유통경 로 황

농산물은 도매시장을 주로 하는 통 인 유통경로로 유통되어 왔으나

최근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의 산지직거래 자상거래 등의 확

로 새로운 유통경로가 두되고 있음

-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 산지유통센터 등을 통한 유통

은 통 인 도매시장 유통과는 질 으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

문에 편의상 신유통시스템으로 개념화

신유통시스템의 확산 결과로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는 lt그림 3-2gt와

같이 다원화되고 있음

- 도매시장의 경우도 통 인 도매시장법인 rarr 도매인의 경로뿐 아니

라 도매상 경로도 새롭게 부각되고 있으며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B2B B2C) 등에 의한 시장외 거래도 요한 유통경로로 부

신유통시스템은 수직 유통경로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단순한 유통경

로 변화 이상의 다양한 특징을 가짐(표 3-3)

신유통시스템은 유통마진 감 가격 안정성 제고 등 정 인 효과를 보

이고 있음

- 종합유통센터 형유통업체 경유시 유통단계 단축 물류합리화

등의 요인으로 유통마진이 감됨

- 형유통업체의 경우 산지직구입시 가격을 일주일에 2회 정도 조정하

고 구입물량을 사 에 시함으로써 도매시장에 비해 생산자 수취가격

의 안정성이 높음

- 아울러 신유통시스템에서는 장기 속 거래 계를 유지하기 때문

에 도매시장의 통 유통시스템보다 거래비용(transaction cost)을

감함

lt그림 3-2gt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

소 비 자

외 식 업 체소 매 상

식 재 가 공 업 체 대 형 유 통 업 체

중 도 매 인

도 매 상종 합

유 통 센 터

B 2 B

전 자 상 거 래

수 집 상생 산 자 조 직

(농 협 작 목 반 영 농 법 인 )

생 산 자

도 매 법 인

(

민시

장 B

2C)

lt표 3-2gt 통 유통시스템과 신유통시스템의 비교

구 분 통 유통시스템 신유통시스템

경로

경로구성원 수집상 도매시

장 재래시장

상호 독립 이며 일회성 거

경로구성원 산지유통센터 종합

유통센터 형유통업체

수직 유통시스템 장기 이고

속 인 거래

주체 세규모의 근 인 상인 형유통업체 산지유통조직

상품 비규격품 주

표 규격품 주

차별화되고 가공 처리된 농식품

(수확후 리기술의 용)

거래방식 장에서의 경매 혹은 상

거래 약상 거래 통명거래

물류 수작업에 의한 하역

단 화물화(Unit Load System)

에 의한 하역 기계화

포장 렛트 물류기기 표 화에

의한 물류합리화

정보 사후 정산 정보 POS EDI 등 유통정보화

인터넷쇼핑 등 자상거래 활용

주) 통 유통시스템은 공 도매시장과 유사도매시장을 포 한 것으로 공

도매시장의 경우 출하약정 등을 통한 속 거래 추진 도매시장법인

의 규모화 등 일부 신유통시스템 인 요소가 있기도 하나 반 인 특

성은 상기표와 같음

3 시 장 발 단 계 에 따 른 유통경 로 의 변 화 망

Blattberg교수는 시장 발 단계를 시장단계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

산된 시장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

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장의 5단계로 구분(표 3-3)

- 시장발 단계에 따라 주된 유통경로 유형이 결정됨

lt표 3-3gt 시장발 단계별 마 의 역할

시장단계 마 의 주안

시장단계 자 자족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구매자와 매자의 확인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효율 유통 시장에 의한 가격결정

차별화된 제품

집 된 시장

특화된 시장에서의 효율 유통 고객요구에 기 한 표

마 랜드 고차별화된 제품

분산된 시장

일방 에서 방 커뮤니 이션으로의 변환 마 은

기업과 고객간의 정보흐름 리

자료 Blattberg Robert C 외(주우진외 역) 21세기 마 정보 명 1996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 단계에서는 물물교환 혹은 지역단 의

소규모 시장에서의 거래가 주된 유통경로 음

우리 나라의 농산물유통은 5단계 제3단계 ldquo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rdquo에 있으나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차 으로 제4단계인 ldquo차별

화된 제품집 된시장rdquo으로 진화

- 산지에서 수확후 리기술의 용 랜드화 등이 진척됨에 따라 농산물

도 차별화되고 하나의 제품으로서 성격을 갖기 시작

- 이들 차별화 제품은 특정의 표 소비자를 상으로 한 표 마 활

동을 수행하고 소매업체에 한 직 납품 등 유통경로의 차별화 모색

제3단계에서는 비차별품을 량으로 신속하게 유통시키는데 있어 도매시

장의 역할과 기능이 지 하 으나 제4단계에서는 표 시장을 한 마

활동이 수행되므로 불특정다수를 한 도매시장의 역할과 기능이

하되며 유통업체와의 직거래가 확

최근 자상거래의 발 으로 농산물에 있어서도 제5단계인 ldquo차별화된 제

품분산된 시장rdquo으로의 진화가 미약하나마 진행 임

- IT의 발 으로 소비자들은 개별 으로 그들의 욕구와 선호를 표시할

수 있고 생산자는 그들에게 합한 제품을 개발하여 제공 가능

- 이러한 환경 하에서 마 의 역할은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계를

리하는 것이 요

- 농산물 자상거래(B2C)에 있어서도 효율성보다는 소비자와 생산자간

의 커뮤니 이션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이 되며 실제로도 렴한 가

격보다 소비자와의 계 혹은 유 감 형성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으

로 두

시장의 발 단계로 볼 때 농산물 유통도 집 화된 시장으로부터 차 차

별화되고 분산화되는 방향으로 환되고 있음

유통단계간 수직 조정(Vertical Coordination) 에서 보면 통 인

물시장(spot market) 주의 거래가 차 계약거래(contracts) 수직

통합(vertical integration) 등으로 환

- 를 들어 형유통업체들은 도매시장에서의 거래 주에서 도매단계

의 통합을 통한 산지 직구입 증가

- 축산물 유기농산물 등 산지 확인이 필요한 품목은 시장구입보다 계약

생산 등 선호

- 계약거래 수직 통합 등은 일회성의 물시장 거래보다 인근 유통단

계간의 조정과 통제가 용이하게 되어 효율 으로 됨

- 미국의 경우 육계 우유 계란 가공용 채소 일반 채소류 오 지류 등

은 계약거래 수직 통합의 비율이 체 유통량의 50를 상회함

(Henderson 1994)

제4 장 유통비 용

우리 나라에서는 미국과 같이 체 인 식품유통비용이 추계되지 않고

품목별 유통비용이 농수산물유통공사에 의해 매년 조사되고 있음

- 2001년 조사품목수 28품목 41종류

- 식량작물(6종) 두 감자( 고랭지 가을) 고구마

- 엽근채류(8종) 배추( 고랭지 가을) 무( 고랭지 가을) 상추 당근

- 과채류(6종) 수박 참외 오이 딸기 토마토(일반 방울)

- 조미채소류(9종) 풋고추 건고추 마을(난지형 한지형 장) 양 (일반

장) 생강

- 과일류(8종) 사과(일반 장) 배(일반 장) 단감 포도 감귤 복숭아

- 축산부류(4종)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1 유통마 진 과 마 크 업 ( m a r k u p )

가 유통마 진 ( 비 용 )

유통비용은 유통과정 감모분을 공제한 실제 매액 비 유통비용

- 유통마진률 = ( 매액-구입액) 매액

유통마진률에 향을 주는 요인

- 가공도 장여부 상품의 부패성 정도 계 요인 수송 비용

상품 가치 비 부피

나 마 크 업

마크업이란 매가격에서 구입가격을 뺀 차이를 말함

원 매가(original retail price) vs 실제 매가(sales retail price)

- 실제 매가 = 원 매가 - reduction(할인 로스 등)

최 마크업율 = ( 비+이익+reduction)( 매가+reduction)

실제마크업율 = ( 비+이익)( 매가)

계산

원 매가 102000

reduction 2000

실제 매가 100000

매입가 80000

------------------

실제마크업 20000 최 마크업 22000

최 마크업율 = 22000102000 = 216

실제마크업율 = 20000100000 = 200

최 계획된 마크업은 포의 성과 측정 면에서 요함

2 농산물 유통비용율

가 유통 단계별 내용별 유통비용률

유통마진률은 풍흉에 의한 매가에 의해 큰 향을 받기 때문에 연도별

일정한 추세를 발견하기 곤란

-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조사에 의하면 농산물 체의 유통마진률은 2001년

44로 2000년에 비해 약간 증가하 으나 추세라고 보기는 어려움

유통단계별 유통마진률은 출하 도매단계보다 소매단계가 높으며 비목별

로는 직 비용의 비 이 큼(표 4-2)

lt표 4-2gt 유통단계별 비목별 유통비용률

(단 )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유통비용율 410 398 387 404 437

출 하 137 93 97 88 117

도 매 76 97 88 93 94

소 매 197 208 202 223 226

직 비용 131 146 138 153 173

간 비용279

109 100 121 131

이 윤 143 146 130 133

주) 직 비 포장비 하역비 수송비 상장수수료 감모비 등 간 비 임 료 인건비 제세공과 감가상각비 등 이윤 유통비용에서 직 비와 간 비를 공제한 상인 이윤

나 부류별 유통비용율

품목별로는 엽근채류 서류 조미채소류의 유통마진률이 높고 축산물 곡

류의 마진률이 낮은 편임(표 4-1)

lt표 4-1gt 부류별 유통마진률

(단 )

구 분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체 평 균 410 398 387 404 437

엽 근 채 류

서 류

조 미 채 소 류

과 일 류

과 채 류

축 산 부 류

곡 물 류

761

647

427

499

562

-

193

722

535

500

476

471

364

167

731

566

482

521

449

305

165

722

608

559

503

447

333

177

778

625

588

548

430

345

199

다 주요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율

주요 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률은 일반 으로 도매시장 경유시 보다 낮

은 것으로 조사(표 4-2)

그러나 유통비용률이 낮다고 해서 유통이 반드시 효율 이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치 해석에 주의를 요함

lt표 4-2gt 주요 품목의 경로별 유통비용률 비교

(단 )

구 분 감자 고랭감자 고구마 고랭배추 무 수박방울토마

도매시장경유(A) 699 627 534 766 686 500 355

직 거 래(B) 456 346 195 499 478 254 164

A - B 243 281 339 267 208 246 191

라 외국과의 농산물 유통마진률 비교

유통마진률은 가공도 유통서비스 수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통

마진률의 단순한 비교로 유통의 효율성을 비교하기는 곤란

- 일반 으로 유통마진률은 선진국일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임

한국과 일본한국 546 일본 602

- 상품목당근 오이 토마토 양 복숭아 포도 수박 풋고추

한국과 미국한국 539 미국 749

- 상품목상추 감자 토마토 당근 사과 포도 복숭아 딸기

3 유통비 용 의 망

유통비용은 고정비용의 성격

- sticky marketing margin 유통비용은 생산물의 가액에 비례하여 발생

하는 것이 아니라 취 량에 의해 결정

-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면 유통마진율은 낮아지나 가격이 하락하면 유통

마진율이 높아짐

유통마진율의 증가 경향 원인

- 유통기능의 고도화 가공 편의성 콜드체인 고 등 마 활동 강화

- 투입요소(노동 수송 포장 에 지) 비용의 지속 증가(특히 노임)

- 정부 정책 유통과정상 안 성 확보(HACCP) 환경규제 강화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 해요소 리시스템

유통비용 감 방안

- 요소비용 감을 한 생산성 향상(특히 노동생산성)

- 불필요한 유통기능의 삭감 - 부작용 발생 주의 필요

- 유통참여자의 규모화

제5 장 농산물 소 매 기

1 소 매 업 의 분 류

소매업은 최종 고객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매하는 유

통기

1 1 소 유 형 태 별 구 분

- 독립 포

- 체인 선진국일수록 체인의 비 이 높음

미국 일반상품 93 식품 60

- 생산자 소유(농 매 )

- 소비자 소유(생 소비자 동조합)

체인 스토어 복수의 포망을 앙본부의 통제하에 운 하는 조직체로

앙집 리방법과 표 화 통일된 system을 가짐

- Regular chain 단일 소유권

- Voluntary chain 독립

- Franchise chain 계약에 의한 독립자본

- Cooperative chain 소비자 공동출자

1 2 치 별 구 분

- 심 상업지역 (Central Business District)

- 일반 지역

- 교외

1 3 략 인 분 류

가 회 률-마진률

회 율 매출액재고액

마진율 마진액 매액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나 서비스-마진률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1 4 상 품 구 색 에 의한 분 류

Variety(품종) 구색의 넓이

Assortment(품목) 구색의 깊이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2 농산물 소 매 업 태

2 1 업 태 의 개념

업태란 상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팔 것인가에 련된 업 내지 경 방

- 상품구성 가격 매방식 매장환경 업방식 입지 규모

매의 포인트 제조업자 rarr 소비자 (업종 - 업태로 개념 변화)

기존의 업종별 구분에서 소매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

소매업이 주체를 가지고 상품 편성(소비자 주의 머천다이징)

업태별로 머천다이징의 포인트가 다름

기존에는 업종별 ( 매하는 품목의 산업분류) 분류로 통계 집계 공표

해 왔으며 업태에 한 이해가 부족하 음

업태는 역사 으로 볼 때 항상 가변 임

2 2 업 태 별 분 류

가 구 멍가게( mo m a n d p o p s t o r e )

나 재래시장( t r a d i t i o n a l ma r k e t p l a c e )

다 백화 ( d e p a r t me n t s t o r e )

라 슈퍼마켓( s u p e r ma r k e t )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 농산물의 소비도 경제발 과 소득증가에 따라 생산 장이 용이한 곡

류 서류 등 보 ( 低位保全) 식 품 에서 채소 과일 육류 등 신선한

고 보 ( 高位保全) 식 품 가공식품 편의식품 건강식품으로 변화하고

있음

3 가공식품 외식 소비 확

자녀 없는 부부가구의 증가 가족의 해체 등 핵가족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

으며 가구당 인원수가 1980년 45명에서 2000년에 31명으로 계속 감소하고 있

다 이러한 가족 구조의 변화는 외식 가공 조리식품 소포장 단 의 식품 구

매를 증가시키게 됨 한 식단계획자이자 조리자인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1980년 이후 늘어나면서 식생활은 더욱 간소화를 지향하게 되었음

경제가 지속 으로 발 함에 따라 가공식품에 한 수요가 증가하고 식생활

의 외부화가 계속 진행될 망임 이는 과거 농산물이 가공되지 않은 상태

에서 가공 혹은 외식형태로 유통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식품가공 외식산업

등을 포 하는 푸드시스템의 요성이 커지고 있음

- 도시가계의 농식품 지출액 가공식품의 비 은 lsquo70년의 18에서 2000년

에는 23로 증가하 으며 외식비 비 은 동기간 2에서 39로 증하

최근에는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 등의 요인으로 가정식과 외식(food

away from home)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으며 조리시간을 이기

해 미리 조리된 식품을 소매 에서 사서 집에서 먹는 형태의 소비가 증

가하고 있음

- 21세기에는 이러한 추세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망되며 짧은 조리

시간에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가정식 체식품(HMR Home Meal

Replacement)의 요성이 커질 망임

- HMR은 가정식을 체하는 미리 조리된 식품을 소매 에서 사서 식탁

에 그 로 올려놓는 즉석 조리식품을 의미하며 수퍼마켓의 반찬 델리

베이커리 스낵 샐러드바 코 등이 표 이며 최근에는 밥까지도 개

발되었음

- 아울러 컷트 과일 컷트 채소 등 쉬 컷(fresh cut) 제품의 소비도

증가

- 최근에는 세척고구마 세척 무 세척 당근 등 세척 소포장 농산물의 소

비 증가

이러한 소비자들의 소비구조의 변화는 농산물과 식품의 구매패턴에도 향을

주어 구매 장소 구매단 구매 형태 등에서 편의성 추구경향이 나타남

- 식품 구입장소의 경우 과거 재래시장 등이 부분을 차지하 으나 쾌 한 쇼

핑환경과 다양한 상품을 일 구매할 수 있는 편리성 등으로 형 할인 의

비 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4 고 품 질 안 농산물 소 비 확

소득 증 에 따라 소비자의 건강에 한 심이 높아지고 최근 유 자 변형농

산물의 유해성 논란 O-157의 발생 우병 확산 등으로 소비자들의 식품안

성에 한 인식은 더욱 고조되고 있음

- 소비자들은 안 한 농산물에 해서 일반농산물에 비해 15~35배나 높은 가

격을 지불하고서라도 구입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음

- 이에 따라 품질인증된 친환경농산물 생산량은 소비자의 안 농산물 수요 증

가에 힘입어 1994년 이후 연평균 86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음

소비자의 안 성에 한 높은 심으로 생산이력제 등에 한 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으며 생산이력제란 농산물의 추 가능성(traceability)

을 높이는 것으로 그 내용은 생산자 생산방법 농약의 종류 살표 시

기와 회수 시비의 시기와 회수 잔류농약 검사 등 소비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임(농진청 농산물생산이력정보시스템

wwwatracenet)

5 소 비 의 다 양 화

외환 기 이후에는 가격 서비스를 추구하는 집단과 고가격 고서비

스를 추구하는 집단으로 소비가 양극화되고 있음

- 특히 외환 기 이후 산층 서민층을 심으로 합리 인 소비행

가 정착되고 가격에 한 민감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편

승하여 가격을 주무기로 하는 할인 이 속히 발 하고 있음

2000년 에 들어서는 과거의 획일 소비추세를 탈피하여 연령 별 계

층별 라이 스타일별로 소비가 다양화되고 인구통계 구조가 변함에 따

라 실버마켓 마켓의 요성이 부각될 망임

- 우리 나라도 90년 이후 노년층의 인구가 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

들 노년층은 과거와 달리 구매력을 상당히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유통

시장에서 이들의 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 10 20 연령층도 막강한 구매력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은 새로운

트 드에 매우 민감한 구매 패턴을 보이고 있음

랜드 측면에서는 소비자들의 합리 인 소비가 증가하면서 유통업자상

표(PB Private Brand)의 요성이 커질 망임

- 이미 미국과 유럽 국가에서는 PB의 비 이 20를 넘고 있으며 우리

나라 농식품 분야에서도 돼지고기 등에서 유통업자 상표가 개발되

고 있음

- 하나로 한우 포크(농 ) 강진맥우(한화유통) 이 러스 우유(이마트)

6 소 포 장 품 소 비 확

구매단 에 있어서도 소포장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포장 유통이 크게 증가하

고 있음

- 특히 소비자용 소포장(consuemer package)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음

7 향 후 농식 품 소 비 망

∙곡류 소비감소와 육류소비 증가

∙김치장류 등 전통가공식품 수요 증가

∙세척커팅 등 전처리농산물 구매 증가

∙선별 포장 및 소분포장 수요 증가

∙친환경 안전 농산물 수요 증대

건강지향

시장개방 확대

고급화

편의성

다양화

대형할인점 증

전자상거래활성화

외식산업발전

서구화

lt그림 2-1gt 소비자 선호 시장 여건 변화와 농산물 소비 행태 망

향후 식품 소비는 고 화 다양화 편의성 건강추구 경향이 지속강화될 것이

며 식품 유통도 시장개방의 확 외식산업의 발 자상거래 활성화 등으로

여건 변화가 상됨 이에 따라 농산물 소비는 고품질농산물 친환경농산물 선

별세척소분포장 농산물 김치 등 통식품에 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망됨

제3 장 농산물 유통경 로

1 유통경 로 의 개념과 결 정 요인

유통경로 (distribution channel)란 ldquo매매의 과정과 련되는 유통기 사

이에 존재하는 계 시스템rdquo

- 사회경제 입장에서 생산물이 이 유통되어 가는 경로

) 의 유통경로 의약품의 유통경로

유통단계 (channel level) 제품 그 소유권이 이 될 때 계하는 간

업자의 수

유통경로의 길이(length) 유통단계가 많을수록 길이가 길어짐

lt그림 3-1gt 유통경로의 유형

0단계 경로

(P - C)

1단계 경로

(P ndash R ndash C)

2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R ndash C)

3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J ndash R ndash C)

생산자 소비자

생산자 소매상 소비자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소비자

0단계 경로

(P - C)

1단계 경로

(P ndash R ndash C)

2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R ndash C)

3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J ndash R ndash C)

생산자 소비자

생산자 소매상 소비자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소비자

lt표 3-1gt 유통경로 길이의 결정요인

구분 긴 유통경로 짧은 유통경로

제품

특성

동질 단

경량품

작은 크기

비부패성

기술 으로 단순

이질 단

량품

큰 크기

부패성

기술 으로 복잡

수요

특성

단 구매 작음

구매빈도 높고 규칙

고객수 많음

고객의 지역 분산

소비자 지식의 범 한 분산

단 구매량 큼

구매빈도 낮고 비규칙

고객수 음

고객의 지역 집

소비자 지식의 제한성 집 성

특성

생산자수 많음

지역 분산생산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

생산자수 음

지역 집 생산

제한 인 진입과 퇴출

통 유통경로 독립 인 유통기 이용

- 개개의 경로구성원이 타 구성원의 기능이나 역할에 여하지 않음

- 문 인 유통업자의 효율 이용

- 경로구성원간의 상이한 목표와 기 로 인해 갈등과 조정문제 야기

- 가격 상과 같은 시장 메카니즘에 의해 경로구성원간 계가 조정

수직 유통경로 경로간 수직 통합

-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 유통과정을 체계 으로 통합하고 조정하여

하나의 통합된 체제를 유지하는 것

- 경로 체를 하나의 계획과 모니터로 통제 가능

- 경로구성원간의 조정 가능

- 경로 내 조정 수 이 높아짐

- 복되는 노력이 통합되어 높은 경로성과 제고

- 비용이 많이 드는 단

2 농산물 유통경 로 황

농산물은 도매시장을 주로 하는 통 인 유통경로로 유통되어 왔으나

최근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의 산지직거래 자상거래 등의 확

로 새로운 유통경로가 두되고 있음

-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 산지유통센터 등을 통한 유통

은 통 인 도매시장 유통과는 질 으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

문에 편의상 신유통시스템으로 개념화

신유통시스템의 확산 결과로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는 lt그림 3-2gt와

같이 다원화되고 있음

- 도매시장의 경우도 통 인 도매시장법인 rarr 도매인의 경로뿐 아니

라 도매상 경로도 새롭게 부각되고 있으며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B2B B2C) 등에 의한 시장외 거래도 요한 유통경로로 부

신유통시스템은 수직 유통경로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단순한 유통경

로 변화 이상의 다양한 특징을 가짐(표 3-3)

신유통시스템은 유통마진 감 가격 안정성 제고 등 정 인 효과를 보

이고 있음

- 종합유통센터 형유통업체 경유시 유통단계 단축 물류합리화

등의 요인으로 유통마진이 감됨

- 형유통업체의 경우 산지직구입시 가격을 일주일에 2회 정도 조정하

고 구입물량을 사 에 시함으로써 도매시장에 비해 생산자 수취가격

의 안정성이 높음

- 아울러 신유통시스템에서는 장기 속 거래 계를 유지하기 때문

에 도매시장의 통 유통시스템보다 거래비용(transaction cost)을

감함

lt그림 3-2gt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

소 비 자

외 식 업 체소 매 상

식 재 가 공 업 체 대 형 유 통 업 체

중 도 매 인

도 매 상종 합

유 통 센 터

B 2 B

전 자 상 거 래

수 집 상생 산 자 조 직

(농 협 작 목 반 영 농 법 인 )

생 산 자

도 매 법 인

(

민시

장 B

2C)

lt표 3-2gt 통 유통시스템과 신유통시스템의 비교

구 분 통 유통시스템 신유통시스템

경로

경로구성원 수집상 도매시

장 재래시장

상호 독립 이며 일회성 거

경로구성원 산지유통센터 종합

유통센터 형유통업체

수직 유통시스템 장기 이고

속 인 거래

주체 세규모의 근 인 상인 형유통업체 산지유통조직

상품 비규격품 주

표 규격품 주

차별화되고 가공 처리된 농식품

(수확후 리기술의 용)

거래방식 장에서의 경매 혹은 상

거래 약상 거래 통명거래

물류 수작업에 의한 하역

단 화물화(Unit Load System)

에 의한 하역 기계화

포장 렛트 물류기기 표 화에

의한 물류합리화

정보 사후 정산 정보 POS EDI 등 유통정보화

인터넷쇼핑 등 자상거래 활용

주) 통 유통시스템은 공 도매시장과 유사도매시장을 포 한 것으로 공

도매시장의 경우 출하약정 등을 통한 속 거래 추진 도매시장법인

의 규모화 등 일부 신유통시스템 인 요소가 있기도 하나 반 인 특

성은 상기표와 같음

3 시 장 발 단 계 에 따 른 유통경 로 의 변 화 망

Blattberg교수는 시장 발 단계를 시장단계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

산된 시장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

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장의 5단계로 구분(표 3-3)

- 시장발 단계에 따라 주된 유통경로 유형이 결정됨

lt표 3-3gt 시장발 단계별 마 의 역할

시장단계 마 의 주안

시장단계 자 자족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구매자와 매자의 확인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효율 유통 시장에 의한 가격결정

차별화된 제품

집 된 시장

특화된 시장에서의 효율 유통 고객요구에 기 한 표

마 랜드 고차별화된 제품

분산된 시장

일방 에서 방 커뮤니 이션으로의 변환 마 은

기업과 고객간의 정보흐름 리

자료 Blattberg Robert C 외(주우진외 역) 21세기 마 정보 명 1996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 단계에서는 물물교환 혹은 지역단 의

소규모 시장에서의 거래가 주된 유통경로 음

우리 나라의 농산물유통은 5단계 제3단계 ldquo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rdquo에 있으나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차 으로 제4단계인 ldquo차별

화된 제품집 된시장rdquo으로 진화

- 산지에서 수확후 리기술의 용 랜드화 등이 진척됨에 따라 농산물

도 차별화되고 하나의 제품으로서 성격을 갖기 시작

- 이들 차별화 제품은 특정의 표 소비자를 상으로 한 표 마 활

동을 수행하고 소매업체에 한 직 납품 등 유통경로의 차별화 모색

제3단계에서는 비차별품을 량으로 신속하게 유통시키는데 있어 도매시

장의 역할과 기능이 지 하 으나 제4단계에서는 표 시장을 한 마

활동이 수행되므로 불특정다수를 한 도매시장의 역할과 기능이

하되며 유통업체와의 직거래가 확

최근 자상거래의 발 으로 농산물에 있어서도 제5단계인 ldquo차별화된 제

품분산된 시장rdquo으로의 진화가 미약하나마 진행 임

- IT의 발 으로 소비자들은 개별 으로 그들의 욕구와 선호를 표시할

수 있고 생산자는 그들에게 합한 제품을 개발하여 제공 가능

- 이러한 환경 하에서 마 의 역할은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계를

리하는 것이 요

- 농산물 자상거래(B2C)에 있어서도 효율성보다는 소비자와 생산자간

의 커뮤니 이션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이 되며 실제로도 렴한 가

격보다 소비자와의 계 혹은 유 감 형성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으

로 두

시장의 발 단계로 볼 때 농산물 유통도 집 화된 시장으로부터 차 차

별화되고 분산화되는 방향으로 환되고 있음

유통단계간 수직 조정(Vertical Coordination) 에서 보면 통 인

물시장(spot market) 주의 거래가 차 계약거래(contracts) 수직

통합(vertical integration) 등으로 환

- 를 들어 형유통업체들은 도매시장에서의 거래 주에서 도매단계

의 통합을 통한 산지 직구입 증가

- 축산물 유기농산물 등 산지 확인이 필요한 품목은 시장구입보다 계약

생산 등 선호

- 계약거래 수직 통합 등은 일회성의 물시장 거래보다 인근 유통단

계간의 조정과 통제가 용이하게 되어 효율 으로 됨

- 미국의 경우 육계 우유 계란 가공용 채소 일반 채소류 오 지류 등

은 계약거래 수직 통합의 비율이 체 유통량의 50를 상회함

(Henderson 1994)

제4 장 유통비 용

우리 나라에서는 미국과 같이 체 인 식품유통비용이 추계되지 않고

품목별 유통비용이 농수산물유통공사에 의해 매년 조사되고 있음

- 2001년 조사품목수 28품목 41종류

- 식량작물(6종) 두 감자( 고랭지 가을) 고구마

- 엽근채류(8종) 배추( 고랭지 가을) 무( 고랭지 가을) 상추 당근

- 과채류(6종) 수박 참외 오이 딸기 토마토(일반 방울)

- 조미채소류(9종) 풋고추 건고추 마을(난지형 한지형 장) 양 (일반

장) 생강

- 과일류(8종) 사과(일반 장) 배(일반 장) 단감 포도 감귤 복숭아

- 축산부류(4종)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1 유통마 진 과 마 크 업 ( m a r k u p )

가 유통마 진 ( 비 용 )

유통비용은 유통과정 감모분을 공제한 실제 매액 비 유통비용

- 유통마진률 = ( 매액-구입액) 매액

유통마진률에 향을 주는 요인

- 가공도 장여부 상품의 부패성 정도 계 요인 수송 비용

상품 가치 비 부피

나 마 크 업

마크업이란 매가격에서 구입가격을 뺀 차이를 말함

원 매가(original retail price) vs 실제 매가(sales retail price)

- 실제 매가 = 원 매가 - reduction(할인 로스 등)

최 마크업율 = ( 비+이익+reduction)( 매가+reduction)

실제마크업율 = ( 비+이익)( 매가)

계산

원 매가 102000

reduction 2000

실제 매가 100000

매입가 80000

------------------

실제마크업 20000 최 마크업 22000

최 마크업율 = 22000102000 = 216

실제마크업율 = 20000100000 = 200

최 계획된 마크업은 포의 성과 측정 면에서 요함

2 농산물 유통비용율

가 유통 단계별 내용별 유통비용률

유통마진률은 풍흉에 의한 매가에 의해 큰 향을 받기 때문에 연도별

일정한 추세를 발견하기 곤란

-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조사에 의하면 농산물 체의 유통마진률은 2001년

44로 2000년에 비해 약간 증가하 으나 추세라고 보기는 어려움

유통단계별 유통마진률은 출하 도매단계보다 소매단계가 높으며 비목별

로는 직 비용의 비 이 큼(표 4-2)

lt표 4-2gt 유통단계별 비목별 유통비용률

(단 )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유통비용율 410 398 387 404 437

출 하 137 93 97 88 117

도 매 76 97 88 93 94

소 매 197 208 202 223 226

직 비용 131 146 138 153 173

간 비용279

109 100 121 131

이 윤 143 146 130 133

주) 직 비 포장비 하역비 수송비 상장수수료 감모비 등 간 비 임 료 인건비 제세공과 감가상각비 등 이윤 유통비용에서 직 비와 간 비를 공제한 상인 이윤

나 부류별 유통비용율

품목별로는 엽근채류 서류 조미채소류의 유통마진률이 높고 축산물 곡

류의 마진률이 낮은 편임(표 4-1)

lt표 4-1gt 부류별 유통마진률

(단 )

구 분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체 평 균 410 398 387 404 437

엽 근 채 류

서 류

조 미 채 소 류

과 일 류

과 채 류

축 산 부 류

곡 물 류

761

647

427

499

562

-

193

722

535

500

476

471

364

167

731

566

482

521

449

305

165

722

608

559

503

447

333

177

778

625

588

548

430

345

199

다 주요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율

주요 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률은 일반 으로 도매시장 경유시 보다 낮

은 것으로 조사(표 4-2)

그러나 유통비용률이 낮다고 해서 유통이 반드시 효율 이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치 해석에 주의를 요함

lt표 4-2gt 주요 품목의 경로별 유통비용률 비교

(단 )

구 분 감자 고랭감자 고구마 고랭배추 무 수박방울토마

도매시장경유(A) 699 627 534 766 686 500 355

직 거 래(B) 456 346 195 499 478 254 164

A - B 243 281 339 267 208 246 191

라 외국과의 농산물 유통마진률 비교

유통마진률은 가공도 유통서비스 수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통

마진률의 단순한 비교로 유통의 효율성을 비교하기는 곤란

- 일반 으로 유통마진률은 선진국일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임

한국과 일본한국 546 일본 602

- 상품목당근 오이 토마토 양 복숭아 포도 수박 풋고추

한국과 미국한국 539 미국 749

- 상품목상추 감자 토마토 당근 사과 포도 복숭아 딸기

3 유통비 용 의 망

유통비용은 고정비용의 성격

- sticky marketing margin 유통비용은 생산물의 가액에 비례하여 발생

하는 것이 아니라 취 량에 의해 결정

-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면 유통마진율은 낮아지나 가격이 하락하면 유통

마진율이 높아짐

유통마진율의 증가 경향 원인

- 유통기능의 고도화 가공 편의성 콜드체인 고 등 마 활동 강화

- 투입요소(노동 수송 포장 에 지) 비용의 지속 증가(특히 노임)

- 정부 정책 유통과정상 안 성 확보(HACCP) 환경규제 강화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 해요소 리시스템

유통비용 감 방안

- 요소비용 감을 한 생산성 향상(특히 노동생산성)

- 불필요한 유통기능의 삭감 - 부작용 발생 주의 필요

- 유통참여자의 규모화

제5 장 농산물 소 매 기

1 소 매 업 의 분 류

소매업은 최종 고객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매하는 유

통기

1 1 소 유 형 태 별 구 분

- 독립 포

- 체인 선진국일수록 체인의 비 이 높음

미국 일반상품 93 식품 60

- 생산자 소유(농 매 )

- 소비자 소유(생 소비자 동조합)

체인 스토어 복수의 포망을 앙본부의 통제하에 운 하는 조직체로

앙집 리방법과 표 화 통일된 system을 가짐

- Regular chain 단일 소유권

- Voluntary chain 독립

- Franchise chain 계약에 의한 독립자본

- Cooperative chain 소비자 공동출자

1 2 치 별 구 분

- 심 상업지역 (Central Business District)

- 일반 지역

- 교외

1 3 략 인 분 류

가 회 률-마진률

회 율 매출액재고액

마진율 마진액 매액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나 서비스-마진률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1 4 상 품 구 색 에 의한 분 류

Variety(품종) 구색의 넓이

Assortment(품목) 구색의 깊이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2 농산물 소 매 업 태

2 1 업 태 의 개념

업태란 상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팔 것인가에 련된 업 내지 경 방

- 상품구성 가격 매방식 매장환경 업방식 입지 규모

매의 포인트 제조업자 rarr 소비자 (업종 - 업태로 개념 변화)

기존의 업종별 구분에서 소매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

소매업이 주체를 가지고 상품 편성(소비자 주의 머천다이징)

업태별로 머천다이징의 포인트가 다름

기존에는 업종별 ( 매하는 품목의 산업분류) 분류로 통계 집계 공표

해 왔으며 업태에 한 이해가 부족하 음

업태는 역사 으로 볼 때 항상 가변 임

2 2 업 태 별 분 류

가 구 멍가게( mo m a n d p o p s t o r e )

나 재래시장( t r a d i t i o n a l ma r k e t p l a c e )

다 백화 ( d e p a r t me n t s t o r e )

라 슈퍼마켓( s u p e r ma r k e t )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증가

- 최근에는 세척고구마 세척 무 세척 당근 등 세척 소포장 농산물의 소

비 증가

이러한 소비자들의 소비구조의 변화는 농산물과 식품의 구매패턴에도 향을

주어 구매 장소 구매단 구매 형태 등에서 편의성 추구경향이 나타남

- 식품 구입장소의 경우 과거 재래시장 등이 부분을 차지하 으나 쾌 한 쇼

핑환경과 다양한 상품을 일 구매할 수 있는 편리성 등으로 형 할인 의

비 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4 고 품 질 안 농산물 소 비 확

소득 증 에 따라 소비자의 건강에 한 심이 높아지고 최근 유 자 변형농

산물의 유해성 논란 O-157의 발생 우병 확산 등으로 소비자들의 식품안

성에 한 인식은 더욱 고조되고 있음

- 소비자들은 안 한 농산물에 해서 일반농산물에 비해 15~35배나 높은 가

격을 지불하고서라도 구입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음

- 이에 따라 품질인증된 친환경농산물 생산량은 소비자의 안 농산물 수요 증

가에 힘입어 1994년 이후 연평균 86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음

소비자의 안 성에 한 높은 심으로 생산이력제 등에 한 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으며 생산이력제란 농산물의 추 가능성(traceability)

을 높이는 것으로 그 내용은 생산자 생산방법 농약의 종류 살표 시

기와 회수 시비의 시기와 회수 잔류농약 검사 등 소비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임(농진청 농산물생산이력정보시스템

wwwatracenet)

5 소 비 의 다 양 화

외환 기 이후에는 가격 서비스를 추구하는 집단과 고가격 고서비

스를 추구하는 집단으로 소비가 양극화되고 있음

- 특히 외환 기 이후 산층 서민층을 심으로 합리 인 소비행

가 정착되고 가격에 한 민감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편

승하여 가격을 주무기로 하는 할인 이 속히 발 하고 있음

2000년 에 들어서는 과거의 획일 소비추세를 탈피하여 연령 별 계

층별 라이 스타일별로 소비가 다양화되고 인구통계 구조가 변함에 따

라 실버마켓 마켓의 요성이 부각될 망임

- 우리 나라도 90년 이후 노년층의 인구가 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

들 노년층은 과거와 달리 구매력을 상당히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유통

시장에서 이들의 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 10 20 연령층도 막강한 구매력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은 새로운

트 드에 매우 민감한 구매 패턴을 보이고 있음

랜드 측면에서는 소비자들의 합리 인 소비가 증가하면서 유통업자상

표(PB Private Brand)의 요성이 커질 망임

- 이미 미국과 유럽 국가에서는 PB의 비 이 20를 넘고 있으며 우리

나라 농식품 분야에서도 돼지고기 등에서 유통업자 상표가 개발되

고 있음

- 하나로 한우 포크(농 ) 강진맥우(한화유통) 이 러스 우유(이마트)

6 소 포 장 품 소 비 확

구매단 에 있어서도 소포장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포장 유통이 크게 증가하

고 있음

- 특히 소비자용 소포장(consuemer package)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음

7 향 후 농식 품 소 비 망

∙곡류 소비감소와 육류소비 증가

∙김치장류 등 전통가공식품 수요 증가

∙세척커팅 등 전처리농산물 구매 증가

∙선별 포장 및 소분포장 수요 증가

∙친환경 안전 농산물 수요 증대

건강지향

시장개방 확대

고급화

편의성

다양화

대형할인점 증

전자상거래활성화

외식산업발전

서구화

lt그림 2-1gt 소비자 선호 시장 여건 변화와 농산물 소비 행태 망

향후 식품 소비는 고 화 다양화 편의성 건강추구 경향이 지속강화될 것이

며 식품 유통도 시장개방의 확 외식산업의 발 자상거래 활성화 등으로

여건 변화가 상됨 이에 따라 농산물 소비는 고품질농산물 친환경농산물 선

별세척소분포장 농산물 김치 등 통식품에 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망됨

제3 장 농산물 유통경 로

1 유통경 로 의 개념과 결 정 요인

유통경로 (distribution channel)란 ldquo매매의 과정과 련되는 유통기 사

이에 존재하는 계 시스템rdquo

- 사회경제 입장에서 생산물이 이 유통되어 가는 경로

) 의 유통경로 의약품의 유통경로

유통단계 (channel level) 제품 그 소유권이 이 될 때 계하는 간

업자의 수

유통경로의 길이(length) 유통단계가 많을수록 길이가 길어짐

lt그림 3-1gt 유통경로의 유형

0단계 경로

(P - C)

1단계 경로

(P ndash R ndash C)

2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R ndash C)

3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J ndash R ndash C)

생산자 소비자

생산자 소매상 소비자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소비자

0단계 경로

(P - C)

1단계 경로

(P ndash R ndash C)

2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R ndash C)

3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J ndash R ndash C)

생산자 소비자

생산자 소매상 소비자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소비자

lt표 3-1gt 유통경로 길이의 결정요인

구분 긴 유통경로 짧은 유통경로

제품

특성

동질 단

경량품

작은 크기

비부패성

기술 으로 단순

이질 단

량품

큰 크기

부패성

기술 으로 복잡

수요

특성

단 구매 작음

구매빈도 높고 규칙

고객수 많음

고객의 지역 분산

소비자 지식의 범 한 분산

단 구매량 큼

구매빈도 낮고 비규칙

고객수 음

고객의 지역 집

소비자 지식의 제한성 집 성

특성

생산자수 많음

지역 분산생산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

생산자수 음

지역 집 생산

제한 인 진입과 퇴출

통 유통경로 독립 인 유통기 이용

- 개개의 경로구성원이 타 구성원의 기능이나 역할에 여하지 않음

- 문 인 유통업자의 효율 이용

- 경로구성원간의 상이한 목표와 기 로 인해 갈등과 조정문제 야기

- 가격 상과 같은 시장 메카니즘에 의해 경로구성원간 계가 조정

수직 유통경로 경로간 수직 통합

-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 유통과정을 체계 으로 통합하고 조정하여

하나의 통합된 체제를 유지하는 것

- 경로 체를 하나의 계획과 모니터로 통제 가능

- 경로구성원간의 조정 가능

- 경로 내 조정 수 이 높아짐

- 복되는 노력이 통합되어 높은 경로성과 제고

- 비용이 많이 드는 단

2 농산물 유통경 로 황

농산물은 도매시장을 주로 하는 통 인 유통경로로 유통되어 왔으나

최근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의 산지직거래 자상거래 등의 확

로 새로운 유통경로가 두되고 있음

-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 산지유통센터 등을 통한 유통

은 통 인 도매시장 유통과는 질 으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

문에 편의상 신유통시스템으로 개념화

신유통시스템의 확산 결과로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는 lt그림 3-2gt와

같이 다원화되고 있음

- 도매시장의 경우도 통 인 도매시장법인 rarr 도매인의 경로뿐 아니

라 도매상 경로도 새롭게 부각되고 있으며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B2B B2C) 등에 의한 시장외 거래도 요한 유통경로로 부

신유통시스템은 수직 유통경로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단순한 유통경

로 변화 이상의 다양한 특징을 가짐(표 3-3)

신유통시스템은 유통마진 감 가격 안정성 제고 등 정 인 효과를 보

이고 있음

- 종합유통센터 형유통업체 경유시 유통단계 단축 물류합리화

등의 요인으로 유통마진이 감됨

- 형유통업체의 경우 산지직구입시 가격을 일주일에 2회 정도 조정하

고 구입물량을 사 에 시함으로써 도매시장에 비해 생산자 수취가격

의 안정성이 높음

- 아울러 신유통시스템에서는 장기 속 거래 계를 유지하기 때문

에 도매시장의 통 유통시스템보다 거래비용(transaction cost)을

감함

lt그림 3-2gt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

소 비 자

외 식 업 체소 매 상

식 재 가 공 업 체 대 형 유 통 업 체

중 도 매 인

도 매 상종 합

유 통 센 터

B 2 B

전 자 상 거 래

수 집 상생 산 자 조 직

(농 협 작 목 반 영 농 법 인 )

생 산 자

도 매 법 인

(

민시

장 B

2C)

lt표 3-2gt 통 유통시스템과 신유통시스템의 비교

구 분 통 유통시스템 신유통시스템

경로

경로구성원 수집상 도매시

장 재래시장

상호 독립 이며 일회성 거

경로구성원 산지유통센터 종합

유통센터 형유통업체

수직 유통시스템 장기 이고

속 인 거래

주체 세규모의 근 인 상인 형유통업체 산지유통조직

상품 비규격품 주

표 규격품 주

차별화되고 가공 처리된 농식품

(수확후 리기술의 용)

거래방식 장에서의 경매 혹은 상

거래 약상 거래 통명거래

물류 수작업에 의한 하역

단 화물화(Unit Load System)

에 의한 하역 기계화

포장 렛트 물류기기 표 화에

의한 물류합리화

정보 사후 정산 정보 POS EDI 등 유통정보화

인터넷쇼핑 등 자상거래 활용

주) 통 유통시스템은 공 도매시장과 유사도매시장을 포 한 것으로 공

도매시장의 경우 출하약정 등을 통한 속 거래 추진 도매시장법인

의 규모화 등 일부 신유통시스템 인 요소가 있기도 하나 반 인 특

성은 상기표와 같음

3 시 장 발 단 계 에 따 른 유통경 로 의 변 화 망

Blattberg교수는 시장 발 단계를 시장단계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

산된 시장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

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장의 5단계로 구분(표 3-3)

- 시장발 단계에 따라 주된 유통경로 유형이 결정됨

lt표 3-3gt 시장발 단계별 마 의 역할

시장단계 마 의 주안

시장단계 자 자족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구매자와 매자의 확인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효율 유통 시장에 의한 가격결정

차별화된 제품

집 된 시장

특화된 시장에서의 효율 유통 고객요구에 기 한 표

마 랜드 고차별화된 제품

분산된 시장

일방 에서 방 커뮤니 이션으로의 변환 마 은

기업과 고객간의 정보흐름 리

자료 Blattberg Robert C 외(주우진외 역) 21세기 마 정보 명 1996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 단계에서는 물물교환 혹은 지역단 의

소규모 시장에서의 거래가 주된 유통경로 음

우리 나라의 농산물유통은 5단계 제3단계 ldquo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rdquo에 있으나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차 으로 제4단계인 ldquo차별

화된 제품집 된시장rdquo으로 진화

- 산지에서 수확후 리기술의 용 랜드화 등이 진척됨에 따라 농산물

도 차별화되고 하나의 제품으로서 성격을 갖기 시작

- 이들 차별화 제품은 특정의 표 소비자를 상으로 한 표 마 활

동을 수행하고 소매업체에 한 직 납품 등 유통경로의 차별화 모색

제3단계에서는 비차별품을 량으로 신속하게 유통시키는데 있어 도매시

장의 역할과 기능이 지 하 으나 제4단계에서는 표 시장을 한 마

활동이 수행되므로 불특정다수를 한 도매시장의 역할과 기능이

하되며 유통업체와의 직거래가 확

최근 자상거래의 발 으로 농산물에 있어서도 제5단계인 ldquo차별화된 제

품분산된 시장rdquo으로의 진화가 미약하나마 진행 임

- IT의 발 으로 소비자들은 개별 으로 그들의 욕구와 선호를 표시할

수 있고 생산자는 그들에게 합한 제품을 개발하여 제공 가능

- 이러한 환경 하에서 마 의 역할은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계를

리하는 것이 요

- 농산물 자상거래(B2C)에 있어서도 효율성보다는 소비자와 생산자간

의 커뮤니 이션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이 되며 실제로도 렴한 가

격보다 소비자와의 계 혹은 유 감 형성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으

로 두

시장의 발 단계로 볼 때 농산물 유통도 집 화된 시장으로부터 차 차

별화되고 분산화되는 방향으로 환되고 있음

유통단계간 수직 조정(Vertical Coordination) 에서 보면 통 인

물시장(spot market) 주의 거래가 차 계약거래(contracts) 수직

통합(vertical integration) 등으로 환

- 를 들어 형유통업체들은 도매시장에서의 거래 주에서 도매단계

의 통합을 통한 산지 직구입 증가

- 축산물 유기농산물 등 산지 확인이 필요한 품목은 시장구입보다 계약

생산 등 선호

- 계약거래 수직 통합 등은 일회성의 물시장 거래보다 인근 유통단

계간의 조정과 통제가 용이하게 되어 효율 으로 됨

- 미국의 경우 육계 우유 계란 가공용 채소 일반 채소류 오 지류 등

은 계약거래 수직 통합의 비율이 체 유통량의 50를 상회함

(Henderson 1994)

제4 장 유통비 용

우리 나라에서는 미국과 같이 체 인 식품유통비용이 추계되지 않고

품목별 유통비용이 농수산물유통공사에 의해 매년 조사되고 있음

- 2001년 조사품목수 28품목 41종류

- 식량작물(6종) 두 감자( 고랭지 가을) 고구마

- 엽근채류(8종) 배추( 고랭지 가을) 무( 고랭지 가을) 상추 당근

- 과채류(6종) 수박 참외 오이 딸기 토마토(일반 방울)

- 조미채소류(9종) 풋고추 건고추 마을(난지형 한지형 장) 양 (일반

장) 생강

- 과일류(8종) 사과(일반 장) 배(일반 장) 단감 포도 감귤 복숭아

- 축산부류(4종)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1 유통마 진 과 마 크 업 ( m a r k u p )

가 유통마 진 ( 비 용 )

유통비용은 유통과정 감모분을 공제한 실제 매액 비 유통비용

- 유통마진률 = ( 매액-구입액) 매액

유통마진률에 향을 주는 요인

- 가공도 장여부 상품의 부패성 정도 계 요인 수송 비용

상품 가치 비 부피

나 마 크 업

마크업이란 매가격에서 구입가격을 뺀 차이를 말함

원 매가(original retail price) vs 실제 매가(sales retail price)

- 실제 매가 = 원 매가 - reduction(할인 로스 등)

최 마크업율 = ( 비+이익+reduction)( 매가+reduction)

실제마크업율 = ( 비+이익)( 매가)

계산

원 매가 102000

reduction 2000

실제 매가 100000

매입가 80000

------------------

실제마크업 20000 최 마크업 22000

최 마크업율 = 22000102000 = 216

실제마크업율 = 20000100000 = 200

최 계획된 마크업은 포의 성과 측정 면에서 요함

2 농산물 유통비용율

가 유통 단계별 내용별 유통비용률

유통마진률은 풍흉에 의한 매가에 의해 큰 향을 받기 때문에 연도별

일정한 추세를 발견하기 곤란

-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조사에 의하면 농산물 체의 유통마진률은 2001년

44로 2000년에 비해 약간 증가하 으나 추세라고 보기는 어려움

유통단계별 유통마진률은 출하 도매단계보다 소매단계가 높으며 비목별

로는 직 비용의 비 이 큼(표 4-2)

lt표 4-2gt 유통단계별 비목별 유통비용률

(단 )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유통비용율 410 398 387 404 437

출 하 137 93 97 88 117

도 매 76 97 88 93 94

소 매 197 208 202 223 226

직 비용 131 146 138 153 173

간 비용279

109 100 121 131

이 윤 143 146 130 133

주) 직 비 포장비 하역비 수송비 상장수수료 감모비 등 간 비 임 료 인건비 제세공과 감가상각비 등 이윤 유통비용에서 직 비와 간 비를 공제한 상인 이윤

나 부류별 유통비용율

품목별로는 엽근채류 서류 조미채소류의 유통마진률이 높고 축산물 곡

류의 마진률이 낮은 편임(표 4-1)

lt표 4-1gt 부류별 유통마진률

(단 )

구 분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체 평 균 410 398 387 404 437

엽 근 채 류

서 류

조 미 채 소 류

과 일 류

과 채 류

축 산 부 류

곡 물 류

761

647

427

499

562

-

193

722

535

500

476

471

364

167

731

566

482

521

449

305

165

722

608

559

503

447

333

177

778

625

588

548

430

345

199

다 주요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율

주요 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률은 일반 으로 도매시장 경유시 보다 낮

은 것으로 조사(표 4-2)

그러나 유통비용률이 낮다고 해서 유통이 반드시 효율 이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치 해석에 주의를 요함

lt표 4-2gt 주요 품목의 경로별 유통비용률 비교

(단 )

구 분 감자 고랭감자 고구마 고랭배추 무 수박방울토마

도매시장경유(A) 699 627 534 766 686 500 355

직 거 래(B) 456 346 195 499 478 254 164

A - B 243 281 339 267 208 246 191

라 외국과의 농산물 유통마진률 비교

유통마진률은 가공도 유통서비스 수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통

마진률의 단순한 비교로 유통의 효율성을 비교하기는 곤란

- 일반 으로 유통마진률은 선진국일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임

한국과 일본한국 546 일본 602

- 상품목당근 오이 토마토 양 복숭아 포도 수박 풋고추

한국과 미국한국 539 미국 749

- 상품목상추 감자 토마토 당근 사과 포도 복숭아 딸기

3 유통비 용 의 망

유통비용은 고정비용의 성격

- sticky marketing margin 유통비용은 생산물의 가액에 비례하여 발생

하는 것이 아니라 취 량에 의해 결정

-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면 유통마진율은 낮아지나 가격이 하락하면 유통

마진율이 높아짐

유통마진율의 증가 경향 원인

- 유통기능의 고도화 가공 편의성 콜드체인 고 등 마 활동 강화

- 투입요소(노동 수송 포장 에 지) 비용의 지속 증가(특히 노임)

- 정부 정책 유통과정상 안 성 확보(HACCP) 환경규제 강화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 해요소 리시스템

유통비용 감 방안

- 요소비용 감을 한 생산성 향상(특히 노동생산성)

- 불필요한 유통기능의 삭감 - 부작용 발생 주의 필요

- 유통참여자의 규모화

제5 장 농산물 소 매 기

1 소 매 업 의 분 류

소매업은 최종 고객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매하는 유

통기

1 1 소 유 형 태 별 구 분

- 독립 포

- 체인 선진국일수록 체인의 비 이 높음

미국 일반상품 93 식품 60

- 생산자 소유(농 매 )

- 소비자 소유(생 소비자 동조합)

체인 스토어 복수의 포망을 앙본부의 통제하에 운 하는 조직체로

앙집 리방법과 표 화 통일된 system을 가짐

- Regular chain 단일 소유권

- Voluntary chain 독립

- Franchise chain 계약에 의한 독립자본

- Cooperative chain 소비자 공동출자

1 2 치 별 구 분

- 심 상업지역 (Central Business District)

- 일반 지역

- 교외

1 3 략 인 분 류

가 회 률-마진률

회 율 매출액재고액

마진율 마진액 매액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나 서비스-마진률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1 4 상 품 구 색 에 의한 분 류

Variety(품종) 구색의 넓이

Assortment(품목) 구색의 깊이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2 농산물 소 매 업 태

2 1 업 태 의 개념

업태란 상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팔 것인가에 련된 업 내지 경 방

- 상품구성 가격 매방식 매장환경 업방식 입지 규모

매의 포인트 제조업자 rarr 소비자 (업종 - 업태로 개념 변화)

기존의 업종별 구분에서 소매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

소매업이 주체를 가지고 상품 편성(소비자 주의 머천다이징)

업태별로 머천다이징의 포인트가 다름

기존에는 업종별 ( 매하는 품목의 산업분류) 분류로 통계 집계 공표

해 왔으며 업태에 한 이해가 부족하 음

업태는 역사 으로 볼 때 항상 가변 임

2 2 업 태 별 분 류

가 구 멍가게( mo m a n d p o p s t o r e )

나 재래시장( t r a d i t i o n a l ma r k e t p l a c e )

다 백화 ( d e p a r t me n t s t o r e )

라 슈퍼마켓( s u p e r ma r k e t )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가 정착되고 가격에 한 민감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편

승하여 가격을 주무기로 하는 할인 이 속히 발 하고 있음

2000년 에 들어서는 과거의 획일 소비추세를 탈피하여 연령 별 계

층별 라이 스타일별로 소비가 다양화되고 인구통계 구조가 변함에 따

라 실버마켓 마켓의 요성이 부각될 망임

- 우리 나라도 90년 이후 노년층의 인구가 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

들 노년층은 과거와 달리 구매력을 상당히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유통

시장에서 이들의 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 10 20 연령층도 막강한 구매력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은 새로운

트 드에 매우 민감한 구매 패턴을 보이고 있음

랜드 측면에서는 소비자들의 합리 인 소비가 증가하면서 유통업자상

표(PB Private Brand)의 요성이 커질 망임

- 이미 미국과 유럽 국가에서는 PB의 비 이 20를 넘고 있으며 우리

나라 농식품 분야에서도 돼지고기 등에서 유통업자 상표가 개발되

고 있음

- 하나로 한우 포크(농 ) 강진맥우(한화유통) 이 러스 우유(이마트)

6 소 포 장 품 소 비 확

구매단 에 있어서도 소포장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포장 유통이 크게 증가하

고 있음

- 특히 소비자용 소포장(consuemer package)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음

7 향 후 농식 품 소 비 망

∙곡류 소비감소와 육류소비 증가

∙김치장류 등 전통가공식품 수요 증가

∙세척커팅 등 전처리농산물 구매 증가

∙선별 포장 및 소분포장 수요 증가

∙친환경 안전 농산물 수요 증대

건강지향

시장개방 확대

고급화

편의성

다양화

대형할인점 증

전자상거래활성화

외식산업발전

서구화

lt그림 2-1gt 소비자 선호 시장 여건 변화와 농산물 소비 행태 망

향후 식품 소비는 고 화 다양화 편의성 건강추구 경향이 지속강화될 것이

며 식품 유통도 시장개방의 확 외식산업의 발 자상거래 활성화 등으로

여건 변화가 상됨 이에 따라 농산물 소비는 고품질농산물 친환경농산물 선

별세척소분포장 농산물 김치 등 통식품에 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망됨

제3 장 농산물 유통경 로

1 유통경 로 의 개념과 결 정 요인

유통경로 (distribution channel)란 ldquo매매의 과정과 련되는 유통기 사

이에 존재하는 계 시스템rdquo

- 사회경제 입장에서 생산물이 이 유통되어 가는 경로

) 의 유통경로 의약품의 유통경로

유통단계 (channel level) 제품 그 소유권이 이 될 때 계하는 간

업자의 수

유통경로의 길이(length) 유통단계가 많을수록 길이가 길어짐

lt그림 3-1gt 유통경로의 유형

0단계 경로

(P - C)

1단계 경로

(P ndash R ndash C)

2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R ndash C)

3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J ndash R ndash C)

생산자 소비자

생산자 소매상 소비자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소비자

0단계 경로

(P - C)

1단계 경로

(P ndash R ndash C)

2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R ndash C)

3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J ndash R ndash C)

생산자 소비자

생산자 소매상 소비자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소비자

lt표 3-1gt 유통경로 길이의 결정요인

구분 긴 유통경로 짧은 유통경로

제품

특성

동질 단

경량품

작은 크기

비부패성

기술 으로 단순

이질 단

량품

큰 크기

부패성

기술 으로 복잡

수요

특성

단 구매 작음

구매빈도 높고 규칙

고객수 많음

고객의 지역 분산

소비자 지식의 범 한 분산

단 구매량 큼

구매빈도 낮고 비규칙

고객수 음

고객의 지역 집

소비자 지식의 제한성 집 성

특성

생산자수 많음

지역 분산생산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

생산자수 음

지역 집 생산

제한 인 진입과 퇴출

통 유통경로 독립 인 유통기 이용

- 개개의 경로구성원이 타 구성원의 기능이나 역할에 여하지 않음

- 문 인 유통업자의 효율 이용

- 경로구성원간의 상이한 목표와 기 로 인해 갈등과 조정문제 야기

- 가격 상과 같은 시장 메카니즘에 의해 경로구성원간 계가 조정

수직 유통경로 경로간 수직 통합

-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 유통과정을 체계 으로 통합하고 조정하여

하나의 통합된 체제를 유지하는 것

- 경로 체를 하나의 계획과 모니터로 통제 가능

- 경로구성원간의 조정 가능

- 경로 내 조정 수 이 높아짐

- 복되는 노력이 통합되어 높은 경로성과 제고

- 비용이 많이 드는 단

2 농산물 유통경 로 황

농산물은 도매시장을 주로 하는 통 인 유통경로로 유통되어 왔으나

최근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의 산지직거래 자상거래 등의 확

로 새로운 유통경로가 두되고 있음

-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 산지유통센터 등을 통한 유통

은 통 인 도매시장 유통과는 질 으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

문에 편의상 신유통시스템으로 개념화

신유통시스템의 확산 결과로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는 lt그림 3-2gt와

같이 다원화되고 있음

- 도매시장의 경우도 통 인 도매시장법인 rarr 도매인의 경로뿐 아니

라 도매상 경로도 새롭게 부각되고 있으며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B2B B2C) 등에 의한 시장외 거래도 요한 유통경로로 부

신유통시스템은 수직 유통경로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단순한 유통경

로 변화 이상의 다양한 특징을 가짐(표 3-3)

신유통시스템은 유통마진 감 가격 안정성 제고 등 정 인 효과를 보

이고 있음

- 종합유통센터 형유통업체 경유시 유통단계 단축 물류합리화

등의 요인으로 유통마진이 감됨

- 형유통업체의 경우 산지직구입시 가격을 일주일에 2회 정도 조정하

고 구입물량을 사 에 시함으로써 도매시장에 비해 생산자 수취가격

의 안정성이 높음

- 아울러 신유통시스템에서는 장기 속 거래 계를 유지하기 때문

에 도매시장의 통 유통시스템보다 거래비용(transaction cost)을

감함

lt그림 3-2gt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

소 비 자

외 식 업 체소 매 상

식 재 가 공 업 체 대 형 유 통 업 체

중 도 매 인

도 매 상종 합

유 통 센 터

B 2 B

전 자 상 거 래

수 집 상생 산 자 조 직

(농 협 작 목 반 영 농 법 인 )

생 산 자

도 매 법 인

(

민시

장 B

2C)

lt표 3-2gt 통 유통시스템과 신유통시스템의 비교

구 분 통 유통시스템 신유통시스템

경로

경로구성원 수집상 도매시

장 재래시장

상호 독립 이며 일회성 거

경로구성원 산지유통센터 종합

유통센터 형유통업체

수직 유통시스템 장기 이고

속 인 거래

주체 세규모의 근 인 상인 형유통업체 산지유통조직

상품 비규격품 주

표 규격품 주

차별화되고 가공 처리된 농식품

(수확후 리기술의 용)

거래방식 장에서의 경매 혹은 상

거래 약상 거래 통명거래

물류 수작업에 의한 하역

단 화물화(Unit Load System)

에 의한 하역 기계화

포장 렛트 물류기기 표 화에

의한 물류합리화

정보 사후 정산 정보 POS EDI 등 유통정보화

인터넷쇼핑 등 자상거래 활용

주) 통 유통시스템은 공 도매시장과 유사도매시장을 포 한 것으로 공

도매시장의 경우 출하약정 등을 통한 속 거래 추진 도매시장법인

의 규모화 등 일부 신유통시스템 인 요소가 있기도 하나 반 인 특

성은 상기표와 같음

3 시 장 발 단 계 에 따 른 유통경 로 의 변 화 망

Blattberg교수는 시장 발 단계를 시장단계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

산된 시장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

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장의 5단계로 구분(표 3-3)

- 시장발 단계에 따라 주된 유통경로 유형이 결정됨

lt표 3-3gt 시장발 단계별 마 의 역할

시장단계 마 의 주안

시장단계 자 자족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구매자와 매자의 확인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효율 유통 시장에 의한 가격결정

차별화된 제품

집 된 시장

특화된 시장에서의 효율 유통 고객요구에 기 한 표

마 랜드 고차별화된 제품

분산된 시장

일방 에서 방 커뮤니 이션으로의 변환 마 은

기업과 고객간의 정보흐름 리

자료 Blattberg Robert C 외(주우진외 역) 21세기 마 정보 명 1996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 단계에서는 물물교환 혹은 지역단 의

소규모 시장에서의 거래가 주된 유통경로 음

우리 나라의 농산물유통은 5단계 제3단계 ldquo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rdquo에 있으나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차 으로 제4단계인 ldquo차별

화된 제품집 된시장rdquo으로 진화

- 산지에서 수확후 리기술의 용 랜드화 등이 진척됨에 따라 농산물

도 차별화되고 하나의 제품으로서 성격을 갖기 시작

- 이들 차별화 제품은 특정의 표 소비자를 상으로 한 표 마 활

동을 수행하고 소매업체에 한 직 납품 등 유통경로의 차별화 모색

제3단계에서는 비차별품을 량으로 신속하게 유통시키는데 있어 도매시

장의 역할과 기능이 지 하 으나 제4단계에서는 표 시장을 한 마

활동이 수행되므로 불특정다수를 한 도매시장의 역할과 기능이

하되며 유통업체와의 직거래가 확

최근 자상거래의 발 으로 농산물에 있어서도 제5단계인 ldquo차별화된 제

품분산된 시장rdquo으로의 진화가 미약하나마 진행 임

- IT의 발 으로 소비자들은 개별 으로 그들의 욕구와 선호를 표시할

수 있고 생산자는 그들에게 합한 제품을 개발하여 제공 가능

- 이러한 환경 하에서 마 의 역할은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계를

리하는 것이 요

- 농산물 자상거래(B2C)에 있어서도 효율성보다는 소비자와 생산자간

의 커뮤니 이션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이 되며 실제로도 렴한 가

격보다 소비자와의 계 혹은 유 감 형성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으

로 두

시장의 발 단계로 볼 때 농산물 유통도 집 화된 시장으로부터 차 차

별화되고 분산화되는 방향으로 환되고 있음

유통단계간 수직 조정(Vertical Coordination) 에서 보면 통 인

물시장(spot market) 주의 거래가 차 계약거래(contracts) 수직

통합(vertical integration) 등으로 환

- 를 들어 형유통업체들은 도매시장에서의 거래 주에서 도매단계

의 통합을 통한 산지 직구입 증가

- 축산물 유기농산물 등 산지 확인이 필요한 품목은 시장구입보다 계약

생산 등 선호

- 계약거래 수직 통합 등은 일회성의 물시장 거래보다 인근 유통단

계간의 조정과 통제가 용이하게 되어 효율 으로 됨

- 미국의 경우 육계 우유 계란 가공용 채소 일반 채소류 오 지류 등

은 계약거래 수직 통합의 비율이 체 유통량의 50를 상회함

(Henderson 1994)

제4 장 유통비 용

우리 나라에서는 미국과 같이 체 인 식품유통비용이 추계되지 않고

품목별 유통비용이 농수산물유통공사에 의해 매년 조사되고 있음

- 2001년 조사품목수 28품목 41종류

- 식량작물(6종) 두 감자( 고랭지 가을) 고구마

- 엽근채류(8종) 배추( 고랭지 가을) 무( 고랭지 가을) 상추 당근

- 과채류(6종) 수박 참외 오이 딸기 토마토(일반 방울)

- 조미채소류(9종) 풋고추 건고추 마을(난지형 한지형 장) 양 (일반

장) 생강

- 과일류(8종) 사과(일반 장) 배(일반 장) 단감 포도 감귤 복숭아

- 축산부류(4종)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1 유통마 진 과 마 크 업 ( m a r k u p )

가 유통마 진 ( 비 용 )

유통비용은 유통과정 감모분을 공제한 실제 매액 비 유통비용

- 유통마진률 = ( 매액-구입액) 매액

유통마진률에 향을 주는 요인

- 가공도 장여부 상품의 부패성 정도 계 요인 수송 비용

상품 가치 비 부피

나 마 크 업

마크업이란 매가격에서 구입가격을 뺀 차이를 말함

원 매가(original retail price) vs 실제 매가(sales retail price)

- 실제 매가 = 원 매가 - reduction(할인 로스 등)

최 마크업율 = ( 비+이익+reduction)( 매가+reduction)

실제마크업율 = ( 비+이익)( 매가)

계산

원 매가 102000

reduction 2000

실제 매가 100000

매입가 80000

------------------

실제마크업 20000 최 마크업 22000

최 마크업율 = 22000102000 = 216

실제마크업율 = 20000100000 = 200

최 계획된 마크업은 포의 성과 측정 면에서 요함

2 농산물 유통비용율

가 유통 단계별 내용별 유통비용률

유통마진률은 풍흉에 의한 매가에 의해 큰 향을 받기 때문에 연도별

일정한 추세를 발견하기 곤란

-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조사에 의하면 농산물 체의 유통마진률은 2001년

44로 2000년에 비해 약간 증가하 으나 추세라고 보기는 어려움

유통단계별 유통마진률은 출하 도매단계보다 소매단계가 높으며 비목별

로는 직 비용의 비 이 큼(표 4-2)

lt표 4-2gt 유통단계별 비목별 유통비용률

(단 )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유통비용율 410 398 387 404 437

출 하 137 93 97 88 117

도 매 76 97 88 93 94

소 매 197 208 202 223 226

직 비용 131 146 138 153 173

간 비용279

109 100 121 131

이 윤 143 146 130 133

주) 직 비 포장비 하역비 수송비 상장수수료 감모비 등 간 비 임 료 인건비 제세공과 감가상각비 등 이윤 유통비용에서 직 비와 간 비를 공제한 상인 이윤

나 부류별 유통비용율

품목별로는 엽근채류 서류 조미채소류의 유통마진률이 높고 축산물 곡

류의 마진률이 낮은 편임(표 4-1)

lt표 4-1gt 부류별 유통마진률

(단 )

구 분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체 평 균 410 398 387 404 437

엽 근 채 류

서 류

조 미 채 소 류

과 일 류

과 채 류

축 산 부 류

곡 물 류

761

647

427

499

562

-

193

722

535

500

476

471

364

167

731

566

482

521

449

305

165

722

608

559

503

447

333

177

778

625

588

548

430

345

199

다 주요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율

주요 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률은 일반 으로 도매시장 경유시 보다 낮

은 것으로 조사(표 4-2)

그러나 유통비용률이 낮다고 해서 유통이 반드시 효율 이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치 해석에 주의를 요함

lt표 4-2gt 주요 품목의 경로별 유통비용률 비교

(단 )

구 분 감자 고랭감자 고구마 고랭배추 무 수박방울토마

도매시장경유(A) 699 627 534 766 686 500 355

직 거 래(B) 456 346 195 499 478 254 164

A - B 243 281 339 267 208 246 191

라 외국과의 농산물 유통마진률 비교

유통마진률은 가공도 유통서비스 수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통

마진률의 단순한 비교로 유통의 효율성을 비교하기는 곤란

- 일반 으로 유통마진률은 선진국일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임

한국과 일본한국 546 일본 602

- 상품목당근 오이 토마토 양 복숭아 포도 수박 풋고추

한국과 미국한국 539 미국 749

- 상품목상추 감자 토마토 당근 사과 포도 복숭아 딸기

3 유통비 용 의 망

유통비용은 고정비용의 성격

- sticky marketing margin 유통비용은 생산물의 가액에 비례하여 발생

하는 것이 아니라 취 량에 의해 결정

-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면 유통마진율은 낮아지나 가격이 하락하면 유통

마진율이 높아짐

유통마진율의 증가 경향 원인

- 유통기능의 고도화 가공 편의성 콜드체인 고 등 마 활동 강화

- 투입요소(노동 수송 포장 에 지) 비용의 지속 증가(특히 노임)

- 정부 정책 유통과정상 안 성 확보(HACCP) 환경규제 강화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 해요소 리시스템

유통비용 감 방안

- 요소비용 감을 한 생산성 향상(특히 노동생산성)

- 불필요한 유통기능의 삭감 - 부작용 발생 주의 필요

- 유통참여자의 규모화

제5 장 농산물 소 매 기

1 소 매 업 의 분 류

소매업은 최종 고객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매하는 유

통기

1 1 소 유 형 태 별 구 분

- 독립 포

- 체인 선진국일수록 체인의 비 이 높음

미국 일반상품 93 식품 60

- 생산자 소유(농 매 )

- 소비자 소유(생 소비자 동조합)

체인 스토어 복수의 포망을 앙본부의 통제하에 운 하는 조직체로

앙집 리방법과 표 화 통일된 system을 가짐

- Regular chain 단일 소유권

- Voluntary chain 독립

- Franchise chain 계약에 의한 독립자본

- Cooperative chain 소비자 공동출자

1 2 치 별 구 분

- 심 상업지역 (Central Business District)

- 일반 지역

- 교외

1 3 략 인 분 류

가 회 률-마진률

회 율 매출액재고액

마진율 마진액 매액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나 서비스-마진률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1 4 상 품 구 색 에 의한 분 류

Variety(품종) 구색의 넓이

Assortment(품목) 구색의 깊이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2 농산물 소 매 업 태

2 1 업 태 의 개념

업태란 상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팔 것인가에 련된 업 내지 경 방

- 상품구성 가격 매방식 매장환경 업방식 입지 규모

매의 포인트 제조업자 rarr 소비자 (업종 - 업태로 개념 변화)

기존의 업종별 구분에서 소매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

소매업이 주체를 가지고 상품 편성(소비자 주의 머천다이징)

업태별로 머천다이징의 포인트가 다름

기존에는 업종별 ( 매하는 품목의 산업분류) 분류로 통계 집계 공표

해 왔으며 업태에 한 이해가 부족하 음

업태는 역사 으로 볼 때 항상 가변 임

2 2 업 태 별 분 류

가 구 멍가게( mo m a n d p o p s t o r e )

나 재래시장( t r a d i t i o n a l ma r k e t p l a c e )

다 백화 ( d e p a r t me n t s t o r e )

라 슈퍼마켓( s u p e r ma r k e t )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7 향 후 농식 품 소 비 망

∙곡류 소비감소와 육류소비 증가

∙김치장류 등 전통가공식품 수요 증가

∙세척커팅 등 전처리농산물 구매 증가

∙선별 포장 및 소분포장 수요 증가

∙친환경 안전 농산물 수요 증대

건강지향

시장개방 확대

고급화

편의성

다양화

대형할인점 증

전자상거래활성화

외식산업발전

서구화

lt그림 2-1gt 소비자 선호 시장 여건 변화와 농산물 소비 행태 망

향후 식품 소비는 고 화 다양화 편의성 건강추구 경향이 지속강화될 것이

며 식품 유통도 시장개방의 확 외식산업의 발 자상거래 활성화 등으로

여건 변화가 상됨 이에 따라 농산물 소비는 고품질농산물 친환경농산물 선

별세척소분포장 농산물 김치 등 통식품에 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망됨

제3 장 농산물 유통경 로

1 유통경 로 의 개념과 결 정 요인

유통경로 (distribution channel)란 ldquo매매의 과정과 련되는 유통기 사

이에 존재하는 계 시스템rdquo

- 사회경제 입장에서 생산물이 이 유통되어 가는 경로

) 의 유통경로 의약품의 유통경로

유통단계 (channel level) 제품 그 소유권이 이 될 때 계하는 간

업자의 수

유통경로의 길이(length) 유통단계가 많을수록 길이가 길어짐

lt그림 3-1gt 유통경로의 유형

0단계 경로

(P - C)

1단계 경로

(P ndash R ndash C)

2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R ndash C)

3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J ndash R ndash C)

생산자 소비자

생산자 소매상 소비자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소비자

0단계 경로

(P - C)

1단계 경로

(P ndash R ndash C)

2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R ndash C)

3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J ndash R ndash C)

생산자 소비자

생산자 소매상 소비자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소비자

lt표 3-1gt 유통경로 길이의 결정요인

구분 긴 유통경로 짧은 유통경로

제품

특성

동질 단

경량품

작은 크기

비부패성

기술 으로 단순

이질 단

량품

큰 크기

부패성

기술 으로 복잡

수요

특성

단 구매 작음

구매빈도 높고 규칙

고객수 많음

고객의 지역 분산

소비자 지식의 범 한 분산

단 구매량 큼

구매빈도 낮고 비규칙

고객수 음

고객의 지역 집

소비자 지식의 제한성 집 성

특성

생산자수 많음

지역 분산생산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

생산자수 음

지역 집 생산

제한 인 진입과 퇴출

통 유통경로 독립 인 유통기 이용

- 개개의 경로구성원이 타 구성원의 기능이나 역할에 여하지 않음

- 문 인 유통업자의 효율 이용

- 경로구성원간의 상이한 목표와 기 로 인해 갈등과 조정문제 야기

- 가격 상과 같은 시장 메카니즘에 의해 경로구성원간 계가 조정

수직 유통경로 경로간 수직 통합

-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 유통과정을 체계 으로 통합하고 조정하여

하나의 통합된 체제를 유지하는 것

- 경로 체를 하나의 계획과 모니터로 통제 가능

- 경로구성원간의 조정 가능

- 경로 내 조정 수 이 높아짐

- 복되는 노력이 통합되어 높은 경로성과 제고

- 비용이 많이 드는 단

2 농산물 유통경 로 황

농산물은 도매시장을 주로 하는 통 인 유통경로로 유통되어 왔으나

최근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의 산지직거래 자상거래 등의 확

로 새로운 유통경로가 두되고 있음

-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 산지유통센터 등을 통한 유통

은 통 인 도매시장 유통과는 질 으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

문에 편의상 신유통시스템으로 개념화

신유통시스템의 확산 결과로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는 lt그림 3-2gt와

같이 다원화되고 있음

- 도매시장의 경우도 통 인 도매시장법인 rarr 도매인의 경로뿐 아니

라 도매상 경로도 새롭게 부각되고 있으며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B2B B2C) 등에 의한 시장외 거래도 요한 유통경로로 부

신유통시스템은 수직 유통경로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단순한 유통경

로 변화 이상의 다양한 특징을 가짐(표 3-3)

신유통시스템은 유통마진 감 가격 안정성 제고 등 정 인 효과를 보

이고 있음

- 종합유통센터 형유통업체 경유시 유통단계 단축 물류합리화

등의 요인으로 유통마진이 감됨

- 형유통업체의 경우 산지직구입시 가격을 일주일에 2회 정도 조정하

고 구입물량을 사 에 시함으로써 도매시장에 비해 생산자 수취가격

의 안정성이 높음

- 아울러 신유통시스템에서는 장기 속 거래 계를 유지하기 때문

에 도매시장의 통 유통시스템보다 거래비용(transaction cost)을

감함

lt그림 3-2gt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

소 비 자

외 식 업 체소 매 상

식 재 가 공 업 체 대 형 유 통 업 체

중 도 매 인

도 매 상종 합

유 통 센 터

B 2 B

전 자 상 거 래

수 집 상생 산 자 조 직

(농 협 작 목 반 영 농 법 인 )

생 산 자

도 매 법 인

(

민시

장 B

2C)

lt표 3-2gt 통 유통시스템과 신유통시스템의 비교

구 분 통 유통시스템 신유통시스템

경로

경로구성원 수집상 도매시

장 재래시장

상호 독립 이며 일회성 거

경로구성원 산지유통센터 종합

유통센터 형유통업체

수직 유통시스템 장기 이고

속 인 거래

주체 세규모의 근 인 상인 형유통업체 산지유통조직

상품 비규격품 주

표 규격품 주

차별화되고 가공 처리된 농식품

(수확후 리기술의 용)

거래방식 장에서의 경매 혹은 상

거래 약상 거래 통명거래

물류 수작업에 의한 하역

단 화물화(Unit Load System)

에 의한 하역 기계화

포장 렛트 물류기기 표 화에

의한 물류합리화

정보 사후 정산 정보 POS EDI 등 유통정보화

인터넷쇼핑 등 자상거래 활용

주) 통 유통시스템은 공 도매시장과 유사도매시장을 포 한 것으로 공

도매시장의 경우 출하약정 등을 통한 속 거래 추진 도매시장법인

의 규모화 등 일부 신유통시스템 인 요소가 있기도 하나 반 인 특

성은 상기표와 같음

3 시 장 발 단 계 에 따 른 유통경 로 의 변 화 망

Blattberg교수는 시장 발 단계를 시장단계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

산된 시장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

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장의 5단계로 구분(표 3-3)

- 시장발 단계에 따라 주된 유통경로 유형이 결정됨

lt표 3-3gt 시장발 단계별 마 의 역할

시장단계 마 의 주안

시장단계 자 자족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구매자와 매자의 확인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효율 유통 시장에 의한 가격결정

차별화된 제품

집 된 시장

특화된 시장에서의 효율 유통 고객요구에 기 한 표

마 랜드 고차별화된 제품

분산된 시장

일방 에서 방 커뮤니 이션으로의 변환 마 은

기업과 고객간의 정보흐름 리

자료 Blattberg Robert C 외(주우진외 역) 21세기 마 정보 명 1996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 단계에서는 물물교환 혹은 지역단 의

소규모 시장에서의 거래가 주된 유통경로 음

우리 나라의 농산물유통은 5단계 제3단계 ldquo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rdquo에 있으나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차 으로 제4단계인 ldquo차별

화된 제품집 된시장rdquo으로 진화

- 산지에서 수확후 리기술의 용 랜드화 등이 진척됨에 따라 농산물

도 차별화되고 하나의 제품으로서 성격을 갖기 시작

- 이들 차별화 제품은 특정의 표 소비자를 상으로 한 표 마 활

동을 수행하고 소매업체에 한 직 납품 등 유통경로의 차별화 모색

제3단계에서는 비차별품을 량으로 신속하게 유통시키는데 있어 도매시

장의 역할과 기능이 지 하 으나 제4단계에서는 표 시장을 한 마

활동이 수행되므로 불특정다수를 한 도매시장의 역할과 기능이

하되며 유통업체와의 직거래가 확

최근 자상거래의 발 으로 농산물에 있어서도 제5단계인 ldquo차별화된 제

품분산된 시장rdquo으로의 진화가 미약하나마 진행 임

- IT의 발 으로 소비자들은 개별 으로 그들의 욕구와 선호를 표시할

수 있고 생산자는 그들에게 합한 제품을 개발하여 제공 가능

- 이러한 환경 하에서 마 의 역할은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계를

리하는 것이 요

- 농산물 자상거래(B2C)에 있어서도 효율성보다는 소비자와 생산자간

의 커뮤니 이션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이 되며 실제로도 렴한 가

격보다 소비자와의 계 혹은 유 감 형성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으

로 두

시장의 발 단계로 볼 때 농산물 유통도 집 화된 시장으로부터 차 차

별화되고 분산화되는 방향으로 환되고 있음

유통단계간 수직 조정(Vertical Coordination) 에서 보면 통 인

물시장(spot market) 주의 거래가 차 계약거래(contracts) 수직

통합(vertical integration) 등으로 환

- 를 들어 형유통업체들은 도매시장에서의 거래 주에서 도매단계

의 통합을 통한 산지 직구입 증가

- 축산물 유기농산물 등 산지 확인이 필요한 품목은 시장구입보다 계약

생산 등 선호

- 계약거래 수직 통합 등은 일회성의 물시장 거래보다 인근 유통단

계간의 조정과 통제가 용이하게 되어 효율 으로 됨

- 미국의 경우 육계 우유 계란 가공용 채소 일반 채소류 오 지류 등

은 계약거래 수직 통합의 비율이 체 유통량의 50를 상회함

(Henderson 1994)

제4 장 유통비 용

우리 나라에서는 미국과 같이 체 인 식품유통비용이 추계되지 않고

품목별 유통비용이 농수산물유통공사에 의해 매년 조사되고 있음

- 2001년 조사품목수 28품목 41종류

- 식량작물(6종) 두 감자( 고랭지 가을) 고구마

- 엽근채류(8종) 배추( 고랭지 가을) 무( 고랭지 가을) 상추 당근

- 과채류(6종) 수박 참외 오이 딸기 토마토(일반 방울)

- 조미채소류(9종) 풋고추 건고추 마을(난지형 한지형 장) 양 (일반

장) 생강

- 과일류(8종) 사과(일반 장) 배(일반 장) 단감 포도 감귤 복숭아

- 축산부류(4종)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1 유통마 진 과 마 크 업 ( m a r k u p )

가 유통마 진 ( 비 용 )

유통비용은 유통과정 감모분을 공제한 실제 매액 비 유통비용

- 유통마진률 = ( 매액-구입액) 매액

유통마진률에 향을 주는 요인

- 가공도 장여부 상품의 부패성 정도 계 요인 수송 비용

상품 가치 비 부피

나 마 크 업

마크업이란 매가격에서 구입가격을 뺀 차이를 말함

원 매가(original retail price) vs 실제 매가(sales retail price)

- 실제 매가 = 원 매가 - reduction(할인 로스 등)

최 마크업율 = ( 비+이익+reduction)( 매가+reduction)

실제마크업율 = ( 비+이익)( 매가)

계산

원 매가 102000

reduction 2000

실제 매가 100000

매입가 80000

------------------

실제마크업 20000 최 마크업 22000

최 마크업율 = 22000102000 = 216

실제마크업율 = 20000100000 = 200

최 계획된 마크업은 포의 성과 측정 면에서 요함

2 농산물 유통비용율

가 유통 단계별 내용별 유통비용률

유통마진률은 풍흉에 의한 매가에 의해 큰 향을 받기 때문에 연도별

일정한 추세를 발견하기 곤란

-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조사에 의하면 농산물 체의 유통마진률은 2001년

44로 2000년에 비해 약간 증가하 으나 추세라고 보기는 어려움

유통단계별 유통마진률은 출하 도매단계보다 소매단계가 높으며 비목별

로는 직 비용의 비 이 큼(표 4-2)

lt표 4-2gt 유통단계별 비목별 유통비용률

(단 )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유통비용율 410 398 387 404 437

출 하 137 93 97 88 117

도 매 76 97 88 93 94

소 매 197 208 202 223 226

직 비용 131 146 138 153 173

간 비용279

109 100 121 131

이 윤 143 146 130 133

주) 직 비 포장비 하역비 수송비 상장수수료 감모비 등 간 비 임 료 인건비 제세공과 감가상각비 등 이윤 유통비용에서 직 비와 간 비를 공제한 상인 이윤

나 부류별 유통비용율

품목별로는 엽근채류 서류 조미채소류의 유통마진률이 높고 축산물 곡

류의 마진률이 낮은 편임(표 4-1)

lt표 4-1gt 부류별 유통마진률

(단 )

구 분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체 평 균 410 398 387 404 437

엽 근 채 류

서 류

조 미 채 소 류

과 일 류

과 채 류

축 산 부 류

곡 물 류

761

647

427

499

562

-

193

722

535

500

476

471

364

167

731

566

482

521

449

305

165

722

608

559

503

447

333

177

778

625

588

548

430

345

199

다 주요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율

주요 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률은 일반 으로 도매시장 경유시 보다 낮

은 것으로 조사(표 4-2)

그러나 유통비용률이 낮다고 해서 유통이 반드시 효율 이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치 해석에 주의를 요함

lt표 4-2gt 주요 품목의 경로별 유통비용률 비교

(단 )

구 분 감자 고랭감자 고구마 고랭배추 무 수박방울토마

도매시장경유(A) 699 627 534 766 686 500 355

직 거 래(B) 456 346 195 499 478 254 164

A - B 243 281 339 267 208 246 191

라 외국과의 농산물 유통마진률 비교

유통마진률은 가공도 유통서비스 수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통

마진률의 단순한 비교로 유통의 효율성을 비교하기는 곤란

- 일반 으로 유통마진률은 선진국일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임

한국과 일본한국 546 일본 602

- 상품목당근 오이 토마토 양 복숭아 포도 수박 풋고추

한국과 미국한국 539 미국 749

- 상품목상추 감자 토마토 당근 사과 포도 복숭아 딸기

3 유통비 용 의 망

유통비용은 고정비용의 성격

- sticky marketing margin 유통비용은 생산물의 가액에 비례하여 발생

하는 것이 아니라 취 량에 의해 결정

-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면 유통마진율은 낮아지나 가격이 하락하면 유통

마진율이 높아짐

유통마진율의 증가 경향 원인

- 유통기능의 고도화 가공 편의성 콜드체인 고 등 마 활동 강화

- 투입요소(노동 수송 포장 에 지) 비용의 지속 증가(특히 노임)

- 정부 정책 유통과정상 안 성 확보(HACCP) 환경규제 강화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 해요소 리시스템

유통비용 감 방안

- 요소비용 감을 한 생산성 향상(특히 노동생산성)

- 불필요한 유통기능의 삭감 - 부작용 발생 주의 필요

- 유통참여자의 규모화

제5 장 농산물 소 매 기

1 소 매 업 의 분 류

소매업은 최종 고객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매하는 유

통기

1 1 소 유 형 태 별 구 분

- 독립 포

- 체인 선진국일수록 체인의 비 이 높음

미국 일반상품 93 식품 60

- 생산자 소유(농 매 )

- 소비자 소유(생 소비자 동조합)

체인 스토어 복수의 포망을 앙본부의 통제하에 운 하는 조직체로

앙집 리방법과 표 화 통일된 system을 가짐

- Regular chain 단일 소유권

- Voluntary chain 독립

- Franchise chain 계약에 의한 독립자본

- Cooperative chain 소비자 공동출자

1 2 치 별 구 분

- 심 상업지역 (Central Business District)

- 일반 지역

- 교외

1 3 략 인 분 류

가 회 률-마진률

회 율 매출액재고액

마진율 마진액 매액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나 서비스-마진률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1 4 상 품 구 색 에 의한 분 류

Variety(품종) 구색의 넓이

Assortment(품목) 구색의 깊이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2 농산물 소 매 업 태

2 1 업 태 의 개념

업태란 상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팔 것인가에 련된 업 내지 경 방

- 상품구성 가격 매방식 매장환경 업방식 입지 규모

매의 포인트 제조업자 rarr 소비자 (업종 - 업태로 개념 변화)

기존의 업종별 구분에서 소매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

소매업이 주체를 가지고 상품 편성(소비자 주의 머천다이징)

업태별로 머천다이징의 포인트가 다름

기존에는 업종별 ( 매하는 품목의 산업분류) 분류로 통계 집계 공표

해 왔으며 업태에 한 이해가 부족하 음

업태는 역사 으로 볼 때 항상 가변 임

2 2 업 태 별 분 류

가 구 멍가게( mo m a n d p o p s t o r e )

나 재래시장( t r a d i t i o n a l ma r k e t p l a c e )

다 백화 ( d e p a r t me n t s t o r e )

라 슈퍼마켓( s u p e r ma r k e t )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제3 장 농산물 유통경 로

1 유통경 로 의 개념과 결 정 요인

유통경로 (distribution channel)란 ldquo매매의 과정과 련되는 유통기 사

이에 존재하는 계 시스템rdquo

- 사회경제 입장에서 생산물이 이 유통되어 가는 경로

) 의 유통경로 의약품의 유통경로

유통단계 (channel level) 제품 그 소유권이 이 될 때 계하는 간

업자의 수

유통경로의 길이(length) 유통단계가 많을수록 길이가 길어짐

lt그림 3-1gt 유통경로의 유형

0단계 경로

(P - C)

1단계 경로

(P ndash R ndash C)

2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R ndash C)

3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J ndash R ndash C)

생산자 소비자

생산자 소매상 소비자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소비자

0단계 경로

(P - C)

1단계 경로

(P ndash R ndash C)

2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R ndash C)

3단계 경로

(P ndash W ndash J ndash R ndash C)

생산자 소비자

생산자 소매상 소비자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소비자

lt표 3-1gt 유통경로 길이의 결정요인

구분 긴 유통경로 짧은 유통경로

제품

특성

동질 단

경량품

작은 크기

비부패성

기술 으로 단순

이질 단

량품

큰 크기

부패성

기술 으로 복잡

수요

특성

단 구매 작음

구매빈도 높고 규칙

고객수 많음

고객의 지역 분산

소비자 지식의 범 한 분산

단 구매량 큼

구매빈도 낮고 비규칙

고객수 음

고객의 지역 집

소비자 지식의 제한성 집 성

특성

생산자수 많음

지역 분산생산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

생산자수 음

지역 집 생산

제한 인 진입과 퇴출

통 유통경로 독립 인 유통기 이용

- 개개의 경로구성원이 타 구성원의 기능이나 역할에 여하지 않음

- 문 인 유통업자의 효율 이용

- 경로구성원간의 상이한 목표와 기 로 인해 갈등과 조정문제 야기

- 가격 상과 같은 시장 메카니즘에 의해 경로구성원간 계가 조정

수직 유통경로 경로간 수직 통합

-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 유통과정을 체계 으로 통합하고 조정하여

하나의 통합된 체제를 유지하는 것

- 경로 체를 하나의 계획과 모니터로 통제 가능

- 경로구성원간의 조정 가능

- 경로 내 조정 수 이 높아짐

- 복되는 노력이 통합되어 높은 경로성과 제고

- 비용이 많이 드는 단

2 농산물 유통경 로 황

농산물은 도매시장을 주로 하는 통 인 유통경로로 유통되어 왔으나

최근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의 산지직거래 자상거래 등의 확

로 새로운 유통경로가 두되고 있음

-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 산지유통센터 등을 통한 유통

은 통 인 도매시장 유통과는 질 으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

문에 편의상 신유통시스템으로 개념화

신유통시스템의 확산 결과로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는 lt그림 3-2gt와

같이 다원화되고 있음

- 도매시장의 경우도 통 인 도매시장법인 rarr 도매인의 경로뿐 아니

라 도매상 경로도 새롭게 부각되고 있으며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B2B B2C) 등에 의한 시장외 거래도 요한 유통경로로 부

신유통시스템은 수직 유통경로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단순한 유통경

로 변화 이상의 다양한 특징을 가짐(표 3-3)

신유통시스템은 유통마진 감 가격 안정성 제고 등 정 인 효과를 보

이고 있음

- 종합유통센터 형유통업체 경유시 유통단계 단축 물류합리화

등의 요인으로 유통마진이 감됨

- 형유통업체의 경우 산지직구입시 가격을 일주일에 2회 정도 조정하

고 구입물량을 사 에 시함으로써 도매시장에 비해 생산자 수취가격

의 안정성이 높음

- 아울러 신유통시스템에서는 장기 속 거래 계를 유지하기 때문

에 도매시장의 통 유통시스템보다 거래비용(transaction cost)을

감함

lt그림 3-2gt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

소 비 자

외 식 업 체소 매 상

식 재 가 공 업 체 대 형 유 통 업 체

중 도 매 인

도 매 상종 합

유 통 센 터

B 2 B

전 자 상 거 래

수 집 상생 산 자 조 직

(농 협 작 목 반 영 농 법 인 )

생 산 자

도 매 법 인

(

민시

장 B

2C)

lt표 3-2gt 통 유통시스템과 신유통시스템의 비교

구 분 통 유통시스템 신유통시스템

경로

경로구성원 수집상 도매시

장 재래시장

상호 독립 이며 일회성 거

경로구성원 산지유통센터 종합

유통센터 형유통업체

수직 유통시스템 장기 이고

속 인 거래

주체 세규모의 근 인 상인 형유통업체 산지유통조직

상품 비규격품 주

표 규격품 주

차별화되고 가공 처리된 농식품

(수확후 리기술의 용)

거래방식 장에서의 경매 혹은 상

거래 약상 거래 통명거래

물류 수작업에 의한 하역

단 화물화(Unit Load System)

에 의한 하역 기계화

포장 렛트 물류기기 표 화에

의한 물류합리화

정보 사후 정산 정보 POS EDI 등 유통정보화

인터넷쇼핑 등 자상거래 활용

주) 통 유통시스템은 공 도매시장과 유사도매시장을 포 한 것으로 공

도매시장의 경우 출하약정 등을 통한 속 거래 추진 도매시장법인

의 규모화 등 일부 신유통시스템 인 요소가 있기도 하나 반 인 특

성은 상기표와 같음

3 시 장 발 단 계 에 따 른 유통경 로 의 변 화 망

Blattberg교수는 시장 발 단계를 시장단계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

산된 시장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

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장의 5단계로 구분(표 3-3)

- 시장발 단계에 따라 주된 유통경로 유형이 결정됨

lt표 3-3gt 시장발 단계별 마 의 역할

시장단계 마 의 주안

시장단계 자 자족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구매자와 매자의 확인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효율 유통 시장에 의한 가격결정

차별화된 제품

집 된 시장

특화된 시장에서의 효율 유통 고객요구에 기 한 표

마 랜드 고차별화된 제품

분산된 시장

일방 에서 방 커뮤니 이션으로의 변환 마 은

기업과 고객간의 정보흐름 리

자료 Blattberg Robert C 외(주우진외 역) 21세기 마 정보 명 1996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 단계에서는 물물교환 혹은 지역단 의

소규모 시장에서의 거래가 주된 유통경로 음

우리 나라의 농산물유통은 5단계 제3단계 ldquo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rdquo에 있으나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차 으로 제4단계인 ldquo차별

화된 제품집 된시장rdquo으로 진화

- 산지에서 수확후 리기술의 용 랜드화 등이 진척됨에 따라 농산물

도 차별화되고 하나의 제품으로서 성격을 갖기 시작

- 이들 차별화 제품은 특정의 표 소비자를 상으로 한 표 마 활

동을 수행하고 소매업체에 한 직 납품 등 유통경로의 차별화 모색

제3단계에서는 비차별품을 량으로 신속하게 유통시키는데 있어 도매시

장의 역할과 기능이 지 하 으나 제4단계에서는 표 시장을 한 마

활동이 수행되므로 불특정다수를 한 도매시장의 역할과 기능이

하되며 유통업체와의 직거래가 확

최근 자상거래의 발 으로 농산물에 있어서도 제5단계인 ldquo차별화된 제

품분산된 시장rdquo으로의 진화가 미약하나마 진행 임

- IT의 발 으로 소비자들은 개별 으로 그들의 욕구와 선호를 표시할

수 있고 생산자는 그들에게 합한 제품을 개발하여 제공 가능

- 이러한 환경 하에서 마 의 역할은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계를

리하는 것이 요

- 농산물 자상거래(B2C)에 있어서도 효율성보다는 소비자와 생산자간

의 커뮤니 이션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이 되며 실제로도 렴한 가

격보다 소비자와의 계 혹은 유 감 형성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으

로 두

시장의 발 단계로 볼 때 농산물 유통도 집 화된 시장으로부터 차 차

별화되고 분산화되는 방향으로 환되고 있음

유통단계간 수직 조정(Vertical Coordination) 에서 보면 통 인

물시장(spot market) 주의 거래가 차 계약거래(contracts) 수직

통합(vertical integration) 등으로 환

- 를 들어 형유통업체들은 도매시장에서의 거래 주에서 도매단계

의 통합을 통한 산지 직구입 증가

- 축산물 유기농산물 등 산지 확인이 필요한 품목은 시장구입보다 계약

생산 등 선호

- 계약거래 수직 통합 등은 일회성의 물시장 거래보다 인근 유통단

계간의 조정과 통제가 용이하게 되어 효율 으로 됨

- 미국의 경우 육계 우유 계란 가공용 채소 일반 채소류 오 지류 등

은 계약거래 수직 통합의 비율이 체 유통량의 50를 상회함

(Henderson 1994)

제4 장 유통비 용

우리 나라에서는 미국과 같이 체 인 식품유통비용이 추계되지 않고

품목별 유통비용이 농수산물유통공사에 의해 매년 조사되고 있음

- 2001년 조사품목수 28품목 41종류

- 식량작물(6종) 두 감자( 고랭지 가을) 고구마

- 엽근채류(8종) 배추( 고랭지 가을) 무( 고랭지 가을) 상추 당근

- 과채류(6종) 수박 참외 오이 딸기 토마토(일반 방울)

- 조미채소류(9종) 풋고추 건고추 마을(난지형 한지형 장) 양 (일반

장) 생강

- 과일류(8종) 사과(일반 장) 배(일반 장) 단감 포도 감귤 복숭아

- 축산부류(4종)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1 유통마 진 과 마 크 업 ( m a r k u p )

가 유통마 진 ( 비 용 )

유통비용은 유통과정 감모분을 공제한 실제 매액 비 유통비용

- 유통마진률 = ( 매액-구입액) 매액

유통마진률에 향을 주는 요인

- 가공도 장여부 상품의 부패성 정도 계 요인 수송 비용

상품 가치 비 부피

나 마 크 업

마크업이란 매가격에서 구입가격을 뺀 차이를 말함

원 매가(original retail price) vs 실제 매가(sales retail price)

- 실제 매가 = 원 매가 - reduction(할인 로스 등)

최 마크업율 = ( 비+이익+reduction)( 매가+reduction)

실제마크업율 = ( 비+이익)( 매가)

계산

원 매가 102000

reduction 2000

실제 매가 100000

매입가 80000

------------------

실제마크업 20000 최 마크업 22000

최 마크업율 = 22000102000 = 216

실제마크업율 = 20000100000 = 200

최 계획된 마크업은 포의 성과 측정 면에서 요함

2 농산물 유통비용율

가 유통 단계별 내용별 유통비용률

유통마진률은 풍흉에 의한 매가에 의해 큰 향을 받기 때문에 연도별

일정한 추세를 발견하기 곤란

-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조사에 의하면 농산물 체의 유통마진률은 2001년

44로 2000년에 비해 약간 증가하 으나 추세라고 보기는 어려움

유통단계별 유통마진률은 출하 도매단계보다 소매단계가 높으며 비목별

로는 직 비용의 비 이 큼(표 4-2)

lt표 4-2gt 유통단계별 비목별 유통비용률

(단 )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유통비용율 410 398 387 404 437

출 하 137 93 97 88 117

도 매 76 97 88 93 94

소 매 197 208 202 223 226

직 비용 131 146 138 153 173

간 비용279

109 100 121 131

이 윤 143 146 130 133

주) 직 비 포장비 하역비 수송비 상장수수료 감모비 등 간 비 임 료 인건비 제세공과 감가상각비 등 이윤 유통비용에서 직 비와 간 비를 공제한 상인 이윤

나 부류별 유통비용율

품목별로는 엽근채류 서류 조미채소류의 유통마진률이 높고 축산물 곡

류의 마진률이 낮은 편임(표 4-1)

lt표 4-1gt 부류별 유통마진률

(단 )

구 분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체 평 균 410 398 387 404 437

엽 근 채 류

서 류

조 미 채 소 류

과 일 류

과 채 류

축 산 부 류

곡 물 류

761

647

427

499

562

-

193

722

535

500

476

471

364

167

731

566

482

521

449

305

165

722

608

559

503

447

333

177

778

625

588

548

430

345

199

다 주요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율

주요 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률은 일반 으로 도매시장 경유시 보다 낮

은 것으로 조사(표 4-2)

그러나 유통비용률이 낮다고 해서 유통이 반드시 효율 이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치 해석에 주의를 요함

lt표 4-2gt 주요 품목의 경로별 유통비용률 비교

(단 )

구 분 감자 고랭감자 고구마 고랭배추 무 수박방울토마

도매시장경유(A) 699 627 534 766 686 500 355

직 거 래(B) 456 346 195 499 478 254 164

A - B 243 281 339 267 208 246 191

라 외국과의 농산물 유통마진률 비교

유통마진률은 가공도 유통서비스 수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통

마진률의 단순한 비교로 유통의 효율성을 비교하기는 곤란

- 일반 으로 유통마진률은 선진국일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임

한국과 일본한국 546 일본 602

- 상품목당근 오이 토마토 양 복숭아 포도 수박 풋고추

한국과 미국한국 539 미국 749

- 상품목상추 감자 토마토 당근 사과 포도 복숭아 딸기

3 유통비 용 의 망

유통비용은 고정비용의 성격

- sticky marketing margin 유통비용은 생산물의 가액에 비례하여 발생

하는 것이 아니라 취 량에 의해 결정

-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면 유통마진율은 낮아지나 가격이 하락하면 유통

마진율이 높아짐

유통마진율의 증가 경향 원인

- 유통기능의 고도화 가공 편의성 콜드체인 고 등 마 활동 강화

- 투입요소(노동 수송 포장 에 지) 비용의 지속 증가(특히 노임)

- 정부 정책 유통과정상 안 성 확보(HACCP) 환경규제 강화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 해요소 리시스템

유통비용 감 방안

- 요소비용 감을 한 생산성 향상(특히 노동생산성)

- 불필요한 유통기능의 삭감 - 부작용 발생 주의 필요

- 유통참여자의 규모화

제5 장 농산물 소 매 기

1 소 매 업 의 분 류

소매업은 최종 고객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매하는 유

통기

1 1 소 유 형 태 별 구 분

- 독립 포

- 체인 선진국일수록 체인의 비 이 높음

미국 일반상품 93 식품 60

- 생산자 소유(농 매 )

- 소비자 소유(생 소비자 동조합)

체인 스토어 복수의 포망을 앙본부의 통제하에 운 하는 조직체로

앙집 리방법과 표 화 통일된 system을 가짐

- Regular chain 단일 소유권

- Voluntary chain 독립

- Franchise chain 계약에 의한 독립자본

- Cooperative chain 소비자 공동출자

1 2 치 별 구 분

- 심 상업지역 (Central Business District)

- 일반 지역

- 교외

1 3 략 인 분 류

가 회 률-마진률

회 율 매출액재고액

마진율 마진액 매액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나 서비스-마진률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1 4 상 품 구 색 에 의한 분 류

Variety(품종) 구색의 넓이

Assortment(품목) 구색의 깊이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2 농산물 소 매 업 태

2 1 업 태 의 개념

업태란 상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팔 것인가에 련된 업 내지 경 방

- 상품구성 가격 매방식 매장환경 업방식 입지 규모

매의 포인트 제조업자 rarr 소비자 (업종 - 업태로 개념 변화)

기존의 업종별 구분에서 소매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

소매업이 주체를 가지고 상품 편성(소비자 주의 머천다이징)

업태별로 머천다이징의 포인트가 다름

기존에는 업종별 ( 매하는 품목의 산업분류) 분류로 통계 집계 공표

해 왔으며 업태에 한 이해가 부족하 음

업태는 역사 으로 볼 때 항상 가변 임

2 2 업 태 별 분 류

가 구 멍가게( mo m a n d p o p s t o r e )

나 재래시장( t r a d i t i o n a l ma r k e t p l a c e )

다 백화 ( d e p a r t me n t s t o r e )

라 슈퍼마켓( s u p e r ma r k e t )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lt표 3-1gt 유통경로 길이의 결정요인

구분 긴 유통경로 짧은 유통경로

제품

특성

동질 단

경량품

작은 크기

비부패성

기술 으로 단순

이질 단

량품

큰 크기

부패성

기술 으로 복잡

수요

특성

단 구매 작음

구매빈도 높고 규칙

고객수 많음

고객의 지역 분산

소비자 지식의 범 한 분산

단 구매량 큼

구매빈도 낮고 비규칙

고객수 음

고객의 지역 집

소비자 지식의 제한성 집 성

특성

생산자수 많음

지역 분산생산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

생산자수 음

지역 집 생산

제한 인 진입과 퇴출

통 유통경로 독립 인 유통기 이용

- 개개의 경로구성원이 타 구성원의 기능이나 역할에 여하지 않음

- 문 인 유통업자의 효율 이용

- 경로구성원간의 상이한 목표와 기 로 인해 갈등과 조정문제 야기

- 가격 상과 같은 시장 메카니즘에 의해 경로구성원간 계가 조정

수직 유통경로 경로간 수직 통합

-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 유통과정을 체계 으로 통합하고 조정하여

하나의 통합된 체제를 유지하는 것

- 경로 체를 하나의 계획과 모니터로 통제 가능

- 경로구성원간의 조정 가능

- 경로 내 조정 수 이 높아짐

- 복되는 노력이 통합되어 높은 경로성과 제고

- 비용이 많이 드는 단

2 농산물 유통경 로 황

농산물은 도매시장을 주로 하는 통 인 유통경로로 유통되어 왔으나

최근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의 산지직거래 자상거래 등의 확

로 새로운 유통경로가 두되고 있음

-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 산지유통센터 등을 통한 유통

은 통 인 도매시장 유통과는 질 으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

문에 편의상 신유통시스템으로 개념화

신유통시스템의 확산 결과로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는 lt그림 3-2gt와

같이 다원화되고 있음

- 도매시장의 경우도 통 인 도매시장법인 rarr 도매인의 경로뿐 아니

라 도매상 경로도 새롭게 부각되고 있으며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B2B B2C) 등에 의한 시장외 거래도 요한 유통경로로 부

신유통시스템은 수직 유통경로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단순한 유통경

로 변화 이상의 다양한 특징을 가짐(표 3-3)

신유통시스템은 유통마진 감 가격 안정성 제고 등 정 인 효과를 보

이고 있음

- 종합유통센터 형유통업체 경유시 유통단계 단축 물류합리화

등의 요인으로 유통마진이 감됨

- 형유통업체의 경우 산지직구입시 가격을 일주일에 2회 정도 조정하

고 구입물량을 사 에 시함으로써 도매시장에 비해 생산자 수취가격

의 안정성이 높음

- 아울러 신유통시스템에서는 장기 속 거래 계를 유지하기 때문

에 도매시장의 통 유통시스템보다 거래비용(transaction cost)을

감함

lt그림 3-2gt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

소 비 자

외 식 업 체소 매 상

식 재 가 공 업 체 대 형 유 통 업 체

중 도 매 인

도 매 상종 합

유 통 센 터

B 2 B

전 자 상 거 래

수 집 상생 산 자 조 직

(농 협 작 목 반 영 농 법 인 )

생 산 자

도 매 법 인

(

민시

장 B

2C)

lt표 3-2gt 통 유통시스템과 신유통시스템의 비교

구 분 통 유통시스템 신유통시스템

경로

경로구성원 수집상 도매시

장 재래시장

상호 독립 이며 일회성 거

경로구성원 산지유통센터 종합

유통센터 형유통업체

수직 유통시스템 장기 이고

속 인 거래

주체 세규모의 근 인 상인 형유통업체 산지유통조직

상품 비규격품 주

표 규격품 주

차별화되고 가공 처리된 농식품

(수확후 리기술의 용)

거래방식 장에서의 경매 혹은 상

거래 약상 거래 통명거래

물류 수작업에 의한 하역

단 화물화(Unit Load System)

에 의한 하역 기계화

포장 렛트 물류기기 표 화에

의한 물류합리화

정보 사후 정산 정보 POS EDI 등 유통정보화

인터넷쇼핑 등 자상거래 활용

주) 통 유통시스템은 공 도매시장과 유사도매시장을 포 한 것으로 공

도매시장의 경우 출하약정 등을 통한 속 거래 추진 도매시장법인

의 규모화 등 일부 신유통시스템 인 요소가 있기도 하나 반 인 특

성은 상기표와 같음

3 시 장 발 단 계 에 따 른 유통경 로 의 변 화 망

Blattberg교수는 시장 발 단계를 시장단계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

산된 시장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

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장의 5단계로 구분(표 3-3)

- 시장발 단계에 따라 주된 유통경로 유형이 결정됨

lt표 3-3gt 시장발 단계별 마 의 역할

시장단계 마 의 주안

시장단계 자 자족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구매자와 매자의 확인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효율 유통 시장에 의한 가격결정

차별화된 제품

집 된 시장

특화된 시장에서의 효율 유통 고객요구에 기 한 표

마 랜드 고차별화된 제품

분산된 시장

일방 에서 방 커뮤니 이션으로의 변환 마 은

기업과 고객간의 정보흐름 리

자료 Blattberg Robert C 외(주우진외 역) 21세기 마 정보 명 1996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 단계에서는 물물교환 혹은 지역단 의

소규모 시장에서의 거래가 주된 유통경로 음

우리 나라의 농산물유통은 5단계 제3단계 ldquo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rdquo에 있으나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차 으로 제4단계인 ldquo차별

화된 제품집 된시장rdquo으로 진화

- 산지에서 수확후 리기술의 용 랜드화 등이 진척됨에 따라 농산물

도 차별화되고 하나의 제품으로서 성격을 갖기 시작

- 이들 차별화 제품은 특정의 표 소비자를 상으로 한 표 마 활

동을 수행하고 소매업체에 한 직 납품 등 유통경로의 차별화 모색

제3단계에서는 비차별품을 량으로 신속하게 유통시키는데 있어 도매시

장의 역할과 기능이 지 하 으나 제4단계에서는 표 시장을 한 마

활동이 수행되므로 불특정다수를 한 도매시장의 역할과 기능이

하되며 유통업체와의 직거래가 확

최근 자상거래의 발 으로 농산물에 있어서도 제5단계인 ldquo차별화된 제

품분산된 시장rdquo으로의 진화가 미약하나마 진행 임

- IT의 발 으로 소비자들은 개별 으로 그들의 욕구와 선호를 표시할

수 있고 생산자는 그들에게 합한 제품을 개발하여 제공 가능

- 이러한 환경 하에서 마 의 역할은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계를

리하는 것이 요

- 농산물 자상거래(B2C)에 있어서도 효율성보다는 소비자와 생산자간

의 커뮤니 이션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이 되며 실제로도 렴한 가

격보다 소비자와의 계 혹은 유 감 형성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으

로 두

시장의 발 단계로 볼 때 농산물 유통도 집 화된 시장으로부터 차 차

별화되고 분산화되는 방향으로 환되고 있음

유통단계간 수직 조정(Vertical Coordination) 에서 보면 통 인

물시장(spot market) 주의 거래가 차 계약거래(contracts) 수직

통합(vertical integration) 등으로 환

- 를 들어 형유통업체들은 도매시장에서의 거래 주에서 도매단계

의 통합을 통한 산지 직구입 증가

- 축산물 유기농산물 등 산지 확인이 필요한 품목은 시장구입보다 계약

생산 등 선호

- 계약거래 수직 통합 등은 일회성의 물시장 거래보다 인근 유통단

계간의 조정과 통제가 용이하게 되어 효율 으로 됨

- 미국의 경우 육계 우유 계란 가공용 채소 일반 채소류 오 지류 등

은 계약거래 수직 통합의 비율이 체 유통량의 50를 상회함

(Henderson 1994)

제4 장 유통비 용

우리 나라에서는 미국과 같이 체 인 식품유통비용이 추계되지 않고

품목별 유통비용이 농수산물유통공사에 의해 매년 조사되고 있음

- 2001년 조사품목수 28품목 41종류

- 식량작물(6종) 두 감자( 고랭지 가을) 고구마

- 엽근채류(8종) 배추( 고랭지 가을) 무( 고랭지 가을) 상추 당근

- 과채류(6종) 수박 참외 오이 딸기 토마토(일반 방울)

- 조미채소류(9종) 풋고추 건고추 마을(난지형 한지형 장) 양 (일반

장) 생강

- 과일류(8종) 사과(일반 장) 배(일반 장) 단감 포도 감귤 복숭아

- 축산부류(4종)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1 유통마 진 과 마 크 업 ( m a r k u p )

가 유통마 진 ( 비 용 )

유통비용은 유통과정 감모분을 공제한 실제 매액 비 유통비용

- 유통마진률 = ( 매액-구입액) 매액

유통마진률에 향을 주는 요인

- 가공도 장여부 상품의 부패성 정도 계 요인 수송 비용

상품 가치 비 부피

나 마 크 업

마크업이란 매가격에서 구입가격을 뺀 차이를 말함

원 매가(original retail price) vs 실제 매가(sales retail price)

- 실제 매가 = 원 매가 - reduction(할인 로스 등)

최 마크업율 = ( 비+이익+reduction)( 매가+reduction)

실제마크업율 = ( 비+이익)( 매가)

계산

원 매가 102000

reduction 2000

실제 매가 100000

매입가 80000

------------------

실제마크업 20000 최 마크업 22000

최 마크업율 = 22000102000 = 216

실제마크업율 = 20000100000 = 200

최 계획된 마크업은 포의 성과 측정 면에서 요함

2 농산물 유통비용율

가 유통 단계별 내용별 유통비용률

유통마진률은 풍흉에 의한 매가에 의해 큰 향을 받기 때문에 연도별

일정한 추세를 발견하기 곤란

-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조사에 의하면 농산물 체의 유통마진률은 2001년

44로 2000년에 비해 약간 증가하 으나 추세라고 보기는 어려움

유통단계별 유통마진률은 출하 도매단계보다 소매단계가 높으며 비목별

로는 직 비용의 비 이 큼(표 4-2)

lt표 4-2gt 유통단계별 비목별 유통비용률

(단 )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유통비용율 410 398 387 404 437

출 하 137 93 97 88 117

도 매 76 97 88 93 94

소 매 197 208 202 223 226

직 비용 131 146 138 153 173

간 비용279

109 100 121 131

이 윤 143 146 130 133

주) 직 비 포장비 하역비 수송비 상장수수료 감모비 등 간 비 임 료 인건비 제세공과 감가상각비 등 이윤 유통비용에서 직 비와 간 비를 공제한 상인 이윤

나 부류별 유통비용율

품목별로는 엽근채류 서류 조미채소류의 유통마진률이 높고 축산물 곡

류의 마진률이 낮은 편임(표 4-1)

lt표 4-1gt 부류별 유통마진률

(단 )

구 분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체 평 균 410 398 387 404 437

엽 근 채 류

서 류

조 미 채 소 류

과 일 류

과 채 류

축 산 부 류

곡 물 류

761

647

427

499

562

-

193

722

535

500

476

471

364

167

731

566

482

521

449

305

165

722

608

559

503

447

333

177

778

625

588

548

430

345

199

다 주요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율

주요 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률은 일반 으로 도매시장 경유시 보다 낮

은 것으로 조사(표 4-2)

그러나 유통비용률이 낮다고 해서 유통이 반드시 효율 이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치 해석에 주의를 요함

lt표 4-2gt 주요 품목의 경로별 유통비용률 비교

(단 )

구 분 감자 고랭감자 고구마 고랭배추 무 수박방울토마

도매시장경유(A) 699 627 534 766 686 500 355

직 거 래(B) 456 346 195 499 478 254 164

A - B 243 281 339 267 208 246 191

라 외국과의 농산물 유통마진률 비교

유통마진률은 가공도 유통서비스 수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통

마진률의 단순한 비교로 유통의 효율성을 비교하기는 곤란

- 일반 으로 유통마진률은 선진국일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임

한국과 일본한국 546 일본 602

- 상품목당근 오이 토마토 양 복숭아 포도 수박 풋고추

한국과 미국한국 539 미국 749

- 상품목상추 감자 토마토 당근 사과 포도 복숭아 딸기

3 유통비 용 의 망

유통비용은 고정비용의 성격

- sticky marketing margin 유통비용은 생산물의 가액에 비례하여 발생

하는 것이 아니라 취 량에 의해 결정

-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면 유통마진율은 낮아지나 가격이 하락하면 유통

마진율이 높아짐

유통마진율의 증가 경향 원인

- 유통기능의 고도화 가공 편의성 콜드체인 고 등 마 활동 강화

- 투입요소(노동 수송 포장 에 지) 비용의 지속 증가(특히 노임)

- 정부 정책 유통과정상 안 성 확보(HACCP) 환경규제 강화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 해요소 리시스템

유통비용 감 방안

- 요소비용 감을 한 생산성 향상(특히 노동생산성)

- 불필요한 유통기능의 삭감 - 부작용 발생 주의 필요

- 유통참여자의 규모화

제5 장 농산물 소 매 기

1 소 매 업 의 분 류

소매업은 최종 고객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매하는 유

통기

1 1 소 유 형 태 별 구 분

- 독립 포

- 체인 선진국일수록 체인의 비 이 높음

미국 일반상품 93 식품 60

- 생산자 소유(농 매 )

- 소비자 소유(생 소비자 동조합)

체인 스토어 복수의 포망을 앙본부의 통제하에 운 하는 조직체로

앙집 리방법과 표 화 통일된 system을 가짐

- Regular chain 단일 소유권

- Voluntary chain 독립

- Franchise chain 계약에 의한 독립자본

- Cooperative chain 소비자 공동출자

1 2 치 별 구 분

- 심 상업지역 (Central Business District)

- 일반 지역

- 교외

1 3 략 인 분 류

가 회 률-마진률

회 율 매출액재고액

마진율 마진액 매액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나 서비스-마진률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1 4 상 품 구 색 에 의한 분 류

Variety(품종) 구색의 넓이

Assortment(품목) 구색의 깊이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2 농산물 소 매 업 태

2 1 업 태 의 개념

업태란 상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팔 것인가에 련된 업 내지 경 방

- 상품구성 가격 매방식 매장환경 업방식 입지 규모

매의 포인트 제조업자 rarr 소비자 (업종 - 업태로 개념 변화)

기존의 업종별 구분에서 소매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

소매업이 주체를 가지고 상품 편성(소비자 주의 머천다이징)

업태별로 머천다이징의 포인트가 다름

기존에는 업종별 ( 매하는 품목의 산업분류) 분류로 통계 집계 공표

해 왔으며 업태에 한 이해가 부족하 음

업태는 역사 으로 볼 때 항상 가변 임

2 2 업 태 별 분 류

가 구 멍가게( mo m a n d p o p s t o r e )

나 재래시장( t r a d i t i o n a l ma r k e t p l a c e )

다 백화 ( d e p a r t me n t s t o r e )

라 슈퍼마켓( s u p e r ma r k e t )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2 농산물 유통경 로 황

농산물은 도매시장을 주로 하는 통 인 유통경로로 유통되어 왔으나

최근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의 산지직거래 자상거래 등의 확

로 새로운 유통경로가 두되고 있음

-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 산지유통센터 등을 통한 유통

은 통 인 도매시장 유통과는 질 으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

문에 편의상 신유통시스템으로 개념화

신유통시스템의 확산 결과로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는 lt그림 3-2gt와

같이 다원화되고 있음

- 도매시장의 경우도 통 인 도매시장법인 rarr 도매인의 경로뿐 아니

라 도매상 경로도 새롭게 부각되고 있으며 형유통업체 종합유통센터

자상거래(B2B B2C) 등에 의한 시장외 거래도 요한 유통경로로 부

신유통시스템은 수직 유통경로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단순한 유통경

로 변화 이상의 다양한 특징을 가짐(표 3-3)

신유통시스템은 유통마진 감 가격 안정성 제고 등 정 인 효과를 보

이고 있음

- 종합유통센터 형유통업체 경유시 유통단계 단축 물류합리화

등의 요인으로 유통마진이 감됨

- 형유통업체의 경우 산지직구입시 가격을 일주일에 2회 정도 조정하

고 구입물량을 사 에 시함으로써 도매시장에 비해 생산자 수취가격

의 안정성이 높음

- 아울러 신유통시스템에서는 장기 속 거래 계를 유지하기 때문

에 도매시장의 통 유통시스템보다 거래비용(transaction cost)을

감함

lt그림 3-2gt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

소 비 자

외 식 업 체소 매 상

식 재 가 공 업 체 대 형 유 통 업 체

중 도 매 인

도 매 상종 합

유 통 센 터

B 2 B

전 자 상 거 래

수 집 상생 산 자 조 직

(농 협 작 목 반 영 농 법 인 )

생 산 자

도 매 법 인

(

민시

장 B

2C)

lt표 3-2gt 통 유통시스템과 신유통시스템의 비교

구 분 통 유통시스템 신유통시스템

경로

경로구성원 수집상 도매시

장 재래시장

상호 독립 이며 일회성 거

경로구성원 산지유통센터 종합

유통센터 형유통업체

수직 유통시스템 장기 이고

속 인 거래

주체 세규모의 근 인 상인 형유통업체 산지유통조직

상품 비규격품 주

표 규격품 주

차별화되고 가공 처리된 농식품

(수확후 리기술의 용)

거래방식 장에서의 경매 혹은 상

거래 약상 거래 통명거래

물류 수작업에 의한 하역

단 화물화(Unit Load System)

에 의한 하역 기계화

포장 렛트 물류기기 표 화에

의한 물류합리화

정보 사후 정산 정보 POS EDI 등 유통정보화

인터넷쇼핑 등 자상거래 활용

주) 통 유통시스템은 공 도매시장과 유사도매시장을 포 한 것으로 공

도매시장의 경우 출하약정 등을 통한 속 거래 추진 도매시장법인

의 규모화 등 일부 신유통시스템 인 요소가 있기도 하나 반 인 특

성은 상기표와 같음

3 시 장 발 단 계 에 따 른 유통경 로 의 변 화 망

Blattberg교수는 시장 발 단계를 시장단계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

산된 시장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

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장의 5단계로 구분(표 3-3)

- 시장발 단계에 따라 주된 유통경로 유형이 결정됨

lt표 3-3gt 시장발 단계별 마 의 역할

시장단계 마 의 주안

시장단계 자 자족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구매자와 매자의 확인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효율 유통 시장에 의한 가격결정

차별화된 제품

집 된 시장

특화된 시장에서의 효율 유통 고객요구에 기 한 표

마 랜드 고차별화된 제품

분산된 시장

일방 에서 방 커뮤니 이션으로의 변환 마 은

기업과 고객간의 정보흐름 리

자료 Blattberg Robert C 외(주우진외 역) 21세기 마 정보 명 1996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 단계에서는 물물교환 혹은 지역단 의

소규모 시장에서의 거래가 주된 유통경로 음

우리 나라의 농산물유통은 5단계 제3단계 ldquo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rdquo에 있으나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차 으로 제4단계인 ldquo차별

화된 제품집 된시장rdquo으로 진화

- 산지에서 수확후 리기술의 용 랜드화 등이 진척됨에 따라 농산물

도 차별화되고 하나의 제품으로서 성격을 갖기 시작

- 이들 차별화 제품은 특정의 표 소비자를 상으로 한 표 마 활

동을 수행하고 소매업체에 한 직 납품 등 유통경로의 차별화 모색

제3단계에서는 비차별품을 량으로 신속하게 유통시키는데 있어 도매시

장의 역할과 기능이 지 하 으나 제4단계에서는 표 시장을 한 마

활동이 수행되므로 불특정다수를 한 도매시장의 역할과 기능이

하되며 유통업체와의 직거래가 확

최근 자상거래의 발 으로 농산물에 있어서도 제5단계인 ldquo차별화된 제

품분산된 시장rdquo으로의 진화가 미약하나마 진행 임

- IT의 발 으로 소비자들은 개별 으로 그들의 욕구와 선호를 표시할

수 있고 생산자는 그들에게 합한 제품을 개발하여 제공 가능

- 이러한 환경 하에서 마 의 역할은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계를

리하는 것이 요

- 농산물 자상거래(B2C)에 있어서도 효율성보다는 소비자와 생산자간

의 커뮤니 이션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이 되며 실제로도 렴한 가

격보다 소비자와의 계 혹은 유 감 형성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으

로 두

시장의 발 단계로 볼 때 농산물 유통도 집 화된 시장으로부터 차 차

별화되고 분산화되는 방향으로 환되고 있음

유통단계간 수직 조정(Vertical Coordination) 에서 보면 통 인

물시장(spot market) 주의 거래가 차 계약거래(contracts) 수직

통합(vertical integration) 등으로 환

- 를 들어 형유통업체들은 도매시장에서의 거래 주에서 도매단계

의 통합을 통한 산지 직구입 증가

- 축산물 유기농산물 등 산지 확인이 필요한 품목은 시장구입보다 계약

생산 등 선호

- 계약거래 수직 통합 등은 일회성의 물시장 거래보다 인근 유통단

계간의 조정과 통제가 용이하게 되어 효율 으로 됨

- 미국의 경우 육계 우유 계란 가공용 채소 일반 채소류 오 지류 등

은 계약거래 수직 통합의 비율이 체 유통량의 50를 상회함

(Henderson 1994)

제4 장 유통비 용

우리 나라에서는 미국과 같이 체 인 식품유통비용이 추계되지 않고

품목별 유통비용이 농수산물유통공사에 의해 매년 조사되고 있음

- 2001년 조사품목수 28품목 41종류

- 식량작물(6종) 두 감자( 고랭지 가을) 고구마

- 엽근채류(8종) 배추( 고랭지 가을) 무( 고랭지 가을) 상추 당근

- 과채류(6종) 수박 참외 오이 딸기 토마토(일반 방울)

- 조미채소류(9종) 풋고추 건고추 마을(난지형 한지형 장) 양 (일반

장) 생강

- 과일류(8종) 사과(일반 장) 배(일반 장) 단감 포도 감귤 복숭아

- 축산부류(4종)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1 유통마 진 과 마 크 업 ( m a r k u p )

가 유통마 진 ( 비 용 )

유통비용은 유통과정 감모분을 공제한 실제 매액 비 유통비용

- 유통마진률 = ( 매액-구입액) 매액

유통마진률에 향을 주는 요인

- 가공도 장여부 상품의 부패성 정도 계 요인 수송 비용

상품 가치 비 부피

나 마 크 업

마크업이란 매가격에서 구입가격을 뺀 차이를 말함

원 매가(original retail price) vs 실제 매가(sales retail price)

- 실제 매가 = 원 매가 - reduction(할인 로스 등)

최 마크업율 = ( 비+이익+reduction)( 매가+reduction)

실제마크업율 = ( 비+이익)( 매가)

계산

원 매가 102000

reduction 2000

실제 매가 100000

매입가 80000

------------------

실제마크업 20000 최 마크업 22000

최 마크업율 = 22000102000 = 216

실제마크업율 = 20000100000 = 200

최 계획된 마크업은 포의 성과 측정 면에서 요함

2 농산물 유통비용율

가 유통 단계별 내용별 유통비용률

유통마진률은 풍흉에 의한 매가에 의해 큰 향을 받기 때문에 연도별

일정한 추세를 발견하기 곤란

-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조사에 의하면 농산물 체의 유통마진률은 2001년

44로 2000년에 비해 약간 증가하 으나 추세라고 보기는 어려움

유통단계별 유통마진률은 출하 도매단계보다 소매단계가 높으며 비목별

로는 직 비용의 비 이 큼(표 4-2)

lt표 4-2gt 유통단계별 비목별 유통비용률

(단 )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유통비용율 410 398 387 404 437

출 하 137 93 97 88 117

도 매 76 97 88 93 94

소 매 197 208 202 223 226

직 비용 131 146 138 153 173

간 비용279

109 100 121 131

이 윤 143 146 130 133

주) 직 비 포장비 하역비 수송비 상장수수료 감모비 등 간 비 임 료 인건비 제세공과 감가상각비 등 이윤 유통비용에서 직 비와 간 비를 공제한 상인 이윤

나 부류별 유통비용율

품목별로는 엽근채류 서류 조미채소류의 유통마진률이 높고 축산물 곡

류의 마진률이 낮은 편임(표 4-1)

lt표 4-1gt 부류별 유통마진률

(단 )

구 분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체 평 균 410 398 387 404 437

엽 근 채 류

서 류

조 미 채 소 류

과 일 류

과 채 류

축 산 부 류

곡 물 류

761

647

427

499

562

-

193

722

535

500

476

471

364

167

731

566

482

521

449

305

165

722

608

559

503

447

333

177

778

625

588

548

430

345

199

다 주요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율

주요 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률은 일반 으로 도매시장 경유시 보다 낮

은 것으로 조사(표 4-2)

그러나 유통비용률이 낮다고 해서 유통이 반드시 효율 이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치 해석에 주의를 요함

lt표 4-2gt 주요 품목의 경로별 유통비용률 비교

(단 )

구 분 감자 고랭감자 고구마 고랭배추 무 수박방울토마

도매시장경유(A) 699 627 534 766 686 500 355

직 거 래(B) 456 346 195 499 478 254 164

A - B 243 281 339 267 208 246 191

라 외국과의 농산물 유통마진률 비교

유통마진률은 가공도 유통서비스 수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통

마진률의 단순한 비교로 유통의 효율성을 비교하기는 곤란

- 일반 으로 유통마진률은 선진국일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임

한국과 일본한국 546 일본 602

- 상품목당근 오이 토마토 양 복숭아 포도 수박 풋고추

한국과 미국한국 539 미국 749

- 상품목상추 감자 토마토 당근 사과 포도 복숭아 딸기

3 유통비 용 의 망

유통비용은 고정비용의 성격

- sticky marketing margin 유통비용은 생산물의 가액에 비례하여 발생

하는 것이 아니라 취 량에 의해 결정

-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면 유통마진율은 낮아지나 가격이 하락하면 유통

마진율이 높아짐

유통마진율의 증가 경향 원인

- 유통기능의 고도화 가공 편의성 콜드체인 고 등 마 활동 강화

- 투입요소(노동 수송 포장 에 지) 비용의 지속 증가(특히 노임)

- 정부 정책 유통과정상 안 성 확보(HACCP) 환경규제 강화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 해요소 리시스템

유통비용 감 방안

- 요소비용 감을 한 생산성 향상(특히 노동생산성)

- 불필요한 유통기능의 삭감 - 부작용 발생 주의 필요

- 유통참여자의 규모화

제5 장 농산물 소 매 기

1 소 매 업 의 분 류

소매업은 최종 고객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매하는 유

통기

1 1 소 유 형 태 별 구 분

- 독립 포

- 체인 선진국일수록 체인의 비 이 높음

미국 일반상품 93 식품 60

- 생산자 소유(농 매 )

- 소비자 소유(생 소비자 동조합)

체인 스토어 복수의 포망을 앙본부의 통제하에 운 하는 조직체로

앙집 리방법과 표 화 통일된 system을 가짐

- Regular chain 단일 소유권

- Voluntary chain 독립

- Franchise chain 계약에 의한 독립자본

- Cooperative chain 소비자 공동출자

1 2 치 별 구 분

- 심 상업지역 (Central Business District)

- 일반 지역

- 교외

1 3 략 인 분 류

가 회 률-마진률

회 율 매출액재고액

마진율 마진액 매액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나 서비스-마진률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1 4 상 품 구 색 에 의한 분 류

Variety(품종) 구색의 넓이

Assortment(품목) 구색의 깊이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2 농산물 소 매 업 태

2 1 업 태 의 개념

업태란 상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팔 것인가에 련된 업 내지 경 방

- 상품구성 가격 매방식 매장환경 업방식 입지 규모

매의 포인트 제조업자 rarr 소비자 (업종 - 업태로 개념 변화)

기존의 업종별 구분에서 소매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

소매업이 주체를 가지고 상품 편성(소비자 주의 머천다이징)

업태별로 머천다이징의 포인트가 다름

기존에는 업종별 ( 매하는 품목의 산업분류) 분류로 통계 집계 공표

해 왔으며 업태에 한 이해가 부족하 음

업태는 역사 으로 볼 때 항상 가변 임

2 2 업 태 별 분 류

가 구 멍가게( mo m a n d p o p s t o r e )

나 재래시장( t r a d i t i o n a l ma r k e t p l a c e )

다 백화 ( d e p a r t me n t s t o r e )

라 슈퍼마켓( s u p e r ma r k e t )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lt그림 3-2gt 21세기 농산물 유통경로

소 비 자

외 식 업 체소 매 상

식 재 가 공 업 체 대 형 유 통 업 체

중 도 매 인

도 매 상종 합

유 통 센 터

B 2 B

전 자 상 거 래

수 집 상생 산 자 조 직

(농 협 작 목 반 영 농 법 인 )

생 산 자

도 매 법 인

(

민시

장 B

2C)

lt표 3-2gt 통 유통시스템과 신유통시스템의 비교

구 분 통 유통시스템 신유통시스템

경로

경로구성원 수집상 도매시

장 재래시장

상호 독립 이며 일회성 거

경로구성원 산지유통센터 종합

유통센터 형유통업체

수직 유통시스템 장기 이고

속 인 거래

주체 세규모의 근 인 상인 형유통업체 산지유통조직

상품 비규격품 주

표 규격품 주

차별화되고 가공 처리된 농식품

(수확후 리기술의 용)

거래방식 장에서의 경매 혹은 상

거래 약상 거래 통명거래

물류 수작업에 의한 하역

단 화물화(Unit Load System)

에 의한 하역 기계화

포장 렛트 물류기기 표 화에

의한 물류합리화

정보 사후 정산 정보 POS EDI 등 유통정보화

인터넷쇼핑 등 자상거래 활용

주) 통 유통시스템은 공 도매시장과 유사도매시장을 포 한 것으로 공

도매시장의 경우 출하약정 등을 통한 속 거래 추진 도매시장법인

의 규모화 등 일부 신유통시스템 인 요소가 있기도 하나 반 인 특

성은 상기표와 같음

3 시 장 발 단 계 에 따 른 유통경 로 의 변 화 망

Blattberg교수는 시장 발 단계를 시장단계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

산된 시장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

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장의 5단계로 구분(표 3-3)

- 시장발 단계에 따라 주된 유통경로 유형이 결정됨

lt표 3-3gt 시장발 단계별 마 의 역할

시장단계 마 의 주안

시장단계 자 자족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구매자와 매자의 확인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효율 유통 시장에 의한 가격결정

차별화된 제품

집 된 시장

특화된 시장에서의 효율 유통 고객요구에 기 한 표

마 랜드 고차별화된 제품

분산된 시장

일방 에서 방 커뮤니 이션으로의 변환 마 은

기업과 고객간의 정보흐름 리

자료 Blattberg Robert C 외(주우진외 역) 21세기 마 정보 명 1996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 단계에서는 물물교환 혹은 지역단 의

소규모 시장에서의 거래가 주된 유통경로 음

우리 나라의 농산물유통은 5단계 제3단계 ldquo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rdquo에 있으나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차 으로 제4단계인 ldquo차별

화된 제품집 된시장rdquo으로 진화

- 산지에서 수확후 리기술의 용 랜드화 등이 진척됨에 따라 농산물

도 차별화되고 하나의 제품으로서 성격을 갖기 시작

- 이들 차별화 제품은 특정의 표 소비자를 상으로 한 표 마 활

동을 수행하고 소매업체에 한 직 납품 등 유통경로의 차별화 모색

제3단계에서는 비차별품을 량으로 신속하게 유통시키는데 있어 도매시

장의 역할과 기능이 지 하 으나 제4단계에서는 표 시장을 한 마

활동이 수행되므로 불특정다수를 한 도매시장의 역할과 기능이

하되며 유통업체와의 직거래가 확

최근 자상거래의 발 으로 농산물에 있어서도 제5단계인 ldquo차별화된 제

품분산된 시장rdquo으로의 진화가 미약하나마 진행 임

- IT의 발 으로 소비자들은 개별 으로 그들의 욕구와 선호를 표시할

수 있고 생산자는 그들에게 합한 제품을 개발하여 제공 가능

- 이러한 환경 하에서 마 의 역할은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계를

리하는 것이 요

- 농산물 자상거래(B2C)에 있어서도 효율성보다는 소비자와 생산자간

의 커뮤니 이션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이 되며 실제로도 렴한 가

격보다 소비자와의 계 혹은 유 감 형성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으

로 두

시장의 발 단계로 볼 때 농산물 유통도 집 화된 시장으로부터 차 차

별화되고 분산화되는 방향으로 환되고 있음

유통단계간 수직 조정(Vertical Coordination) 에서 보면 통 인

물시장(spot market) 주의 거래가 차 계약거래(contracts) 수직

통합(vertical integration) 등으로 환

- 를 들어 형유통업체들은 도매시장에서의 거래 주에서 도매단계

의 통합을 통한 산지 직구입 증가

- 축산물 유기농산물 등 산지 확인이 필요한 품목은 시장구입보다 계약

생산 등 선호

- 계약거래 수직 통합 등은 일회성의 물시장 거래보다 인근 유통단

계간의 조정과 통제가 용이하게 되어 효율 으로 됨

- 미국의 경우 육계 우유 계란 가공용 채소 일반 채소류 오 지류 등

은 계약거래 수직 통합의 비율이 체 유통량의 50를 상회함

(Henderson 1994)

제4 장 유통비 용

우리 나라에서는 미국과 같이 체 인 식품유통비용이 추계되지 않고

품목별 유통비용이 농수산물유통공사에 의해 매년 조사되고 있음

- 2001년 조사품목수 28품목 41종류

- 식량작물(6종) 두 감자( 고랭지 가을) 고구마

- 엽근채류(8종) 배추( 고랭지 가을) 무( 고랭지 가을) 상추 당근

- 과채류(6종) 수박 참외 오이 딸기 토마토(일반 방울)

- 조미채소류(9종) 풋고추 건고추 마을(난지형 한지형 장) 양 (일반

장) 생강

- 과일류(8종) 사과(일반 장) 배(일반 장) 단감 포도 감귤 복숭아

- 축산부류(4종)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1 유통마 진 과 마 크 업 ( m a r k u p )

가 유통마 진 ( 비 용 )

유통비용은 유통과정 감모분을 공제한 실제 매액 비 유통비용

- 유통마진률 = ( 매액-구입액) 매액

유통마진률에 향을 주는 요인

- 가공도 장여부 상품의 부패성 정도 계 요인 수송 비용

상품 가치 비 부피

나 마 크 업

마크업이란 매가격에서 구입가격을 뺀 차이를 말함

원 매가(original retail price) vs 실제 매가(sales retail price)

- 실제 매가 = 원 매가 - reduction(할인 로스 등)

최 마크업율 = ( 비+이익+reduction)( 매가+reduction)

실제마크업율 = ( 비+이익)( 매가)

계산

원 매가 102000

reduction 2000

실제 매가 100000

매입가 80000

------------------

실제마크업 20000 최 마크업 22000

최 마크업율 = 22000102000 = 216

실제마크업율 = 20000100000 = 200

최 계획된 마크업은 포의 성과 측정 면에서 요함

2 농산물 유통비용율

가 유통 단계별 내용별 유통비용률

유통마진률은 풍흉에 의한 매가에 의해 큰 향을 받기 때문에 연도별

일정한 추세를 발견하기 곤란

-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조사에 의하면 농산물 체의 유통마진률은 2001년

44로 2000년에 비해 약간 증가하 으나 추세라고 보기는 어려움

유통단계별 유통마진률은 출하 도매단계보다 소매단계가 높으며 비목별

로는 직 비용의 비 이 큼(표 4-2)

lt표 4-2gt 유통단계별 비목별 유통비용률

(단 )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유통비용율 410 398 387 404 437

출 하 137 93 97 88 117

도 매 76 97 88 93 94

소 매 197 208 202 223 226

직 비용 131 146 138 153 173

간 비용279

109 100 121 131

이 윤 143 146 130 133

주) 직 비 포장비 하역비 수송비 상장수수료 감모비 등 간 비 임 료 인건비 제세공과 감가상각비 등 이윤 유통비용에서 직 비와 간 비를 공제한 상인 이윤

나 부류별 유통비용율

품목별로는 엽근채류 서류 조미채소류의 유통마진률이 높고 축산물 곡

류의 마진률이 낮은 편임(표 4-1)

lt표 4-1gt 부류별 유통마진률

(단 )

구 분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체 평 균 410 398 387 404 437

엽 근 채 류

서 류

조 미 채 소 류

과 일 류

과 채 류

축 산 부 류

곡 물 류

761

647

427

499

562

-

193

722

535

500

476

471

364

167

731

566

482

521

449

305

165

722

608

559

503

447

333

177

778

625

588

548

430

345

199

다 주요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율

주요 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률은 일반 으로 도매시장 경유시 보다 낮

은 것으로 조사(표 4-2)

그러나 유통비용률이 낮다고 해서 유통이 반드시 효율 이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치 해석에 주의를 요함

lt표 4-2gt 주요 품목의 경로별 유통비용률 비교

(단 )

구 분 감자 고랭감자 고구마 고랭배추 무 수박방울토마

도매시장경유(A) 699 627 534 766 686 500 355

직 거 래(B) 456 346 195 499 478 254 164

A - B 243 281 339 267 208 246 191

라 외국과의 농산물 유통마진률 비교

유통마진률은 가공도 유통서비스 수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통

마진률의 단순한 비교로 유통의 효율성을 비교하기는 곤란

- 일반 으로 유통마진률은 선진국일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임

한국과 일본한국 546 일본 602

- 상품목당근 오이 토마토 양 복숭아 포도 수박 풋고추

한국과 미국한국 539 미국 749

- 상품목상추 감자 토마토 당근 사과 포도 복숭아 딸기

3 유통비 용 의 망

유통비용은 고정비용의 성격

- sticky marketing margin 유통비용은 생산물의 가액에 비례하여 발생

하는 것이 아니라 취 량에 의해 결정

-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면 유통마진율은 낮아지나 가격이 하락하면 유통

마진율이 높아짐

유통마진율의 증가 경향 원인

- 유통기능의 고도화 가공 편의성 콜드체인 고 등 마 활동 강화

- 투입요소(노동 수송 포장 에 지) 비용의 지속 증가(특히 노임)

- 정부 정책 유통과정상 안 성 확보(HACCP) 환경규제 강화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 해요소 리시스템

유통비용 감 방안

- 요소비용 감을 한 생산성 향상(특히 노동생산성)

- 불필요한 유통기능의 삭감 - 부작용 발생 주의 필요

- 유통참여자의 규모화

제5 장 농산물 소 매 기

1 소 매 업 의 분 류

소매업은 최종 고객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매하는 유

통기

1 1 소 유 형 태 별 구 분

- 독립 포

- 체인 선진국일수록 체인의 비 이 높음

미국 일반상품 93 식품 60

- 생산자 소유(농 매 )

- 소비자 소유(생 소비자 동조합)

체인 스토어 복수의 포망을 앙본부의 통제하에 운 하는 조직체로

앙집 리방법과 표 화 통일된 system을 가짐

- Regular chain 단일 소유권

- Voluntary chain 독립

- Franchise chain 계약에 의한 독립자본

- Cooperative chain 소비자 공동출자

1 2 치 별 구 분

- 심 상업지역 (Central Business District)

- 일반 지역

- 교외

1 3 략 인 분 류

가 회 률-마진률

회 율 매출액재고액

마진율 마진액 매액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나 서비스-마진률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1 4 상 품 구 색 에 의한 분 류

Variety(품종) 구색의 넓이

Assortment(품목) 구색의 깊이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2 농산물 소 매 업 태

2 1 업 태 의 개념

업태란 상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팔 것인가에 련된 업 내지 경 방

- 상품구성 가격 매방식 매장환경 업방식 입지 규모

매의 포인트 제조업자 rarr 소비자 (업종 - 업태로 개념 변화)

기존의 업종별 구분에서 소매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

소매업이 주체를 가지고 상품 편성(소비자 주의 머천다이징)

업태별로 머천다이징의 포인트가 다름

기존에는 업종별 ( 매하는 품목의 산업분류) 분류로 통계 집계 공표

해 왔으며 업태에 한 이해가 부족하 음

업태는 역사 으로 볼 때 항상 가변 임

2 2 업 태 별 분 류

가 구 멍가게( mo m a n d p o p s t o r e )

나 재래시장( t r a d i t i o n a l ma r k e t p l a c e )

다 백화 ( d e p a r t me n t s t o r e )

라 슈퍼마켓( s u p e r ma r k e t )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lt표 3-2gt 통 유통시스템과 신유통시스템의 비교

구 분 통 유통시스템 신유통시스템

경로

경로구성원 수집상 도매시

장 재래시장

상호 독립 이며 일회성 거

경로구성원 산지유통센터 종합

유통센터 형유통업체

수직 유통시스템 장기 이고

속 인 거래

주체 세규모의 근 인 상인 형유통업체 산지유통조직

상품 비규격품 주

표 규격품 주

차별화되고 가공 처리된 농식품

(수확후 리기술의 용)

거래방식 장에서의 경매 혹은 상

거래 약상 거래 통명거래

물류 수작업에 의한 하역

단 화물화(Unit Load System)

에 의한 하역 기계화

포장 렛트 물류기기 표 화에

의한 물류합리화

정보 사후 정산 정보 POS EDI 등 유통정보화

인터넷쇼핑 등 자상거래 활용

주) 통 유통시스템은 공 도매시장과 유사도매시장을 포 한 것으로 공

도매시장의 경우 출하약정 등을 통한 속 거래 추진 도매시장법인

의 규모화 등 일부 신유통시스템 인 요소가 있기도 하나 반 인 특

성은 상기표와 같음

3 시 장 발 단 계 에 따 른 유통경 로 의 변 화 망

Blattberg교수는 시장 발 단계를 시장단계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

산된 시장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

장 차별화된 제품집 된 시장의 5단계로 구분(표 3-3)

- 시장발 단계에 따라 주된 유통경로 유형이 결정됨

lt표 3-3gt 시장발 단계별 마 의 역할

시장단계 마 의 주안

시장단계 자 자족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구매자와 매자의 확인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효율 유통 시장에 의한 가격결정

차별화된 제품

집 된 시장

특화된 시장에서의 효율 유통 고객요구에 기 한 표

마 랜드 고차별화된 제품

분산된 시장

일방 에서 방 커뮤니 이션으로의 변환 마 은

기업과 고객간의 정보흐름 리

자료 Blattberg Robert C 외(주우진외 역) 21세기 마 정보 명 1996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 단계에서는 물물교환 혹은 지역단 의

소규모 시장에서의 거래가 주된 유통경로 음

우리 나라의 농산물유통은 5단계 제3단계 ldquo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rdquo에 있으나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차 으로 제4단계인 ldquo차별

화된 제품집 된시장rdquo으로 진화

- 산지에서 수확후 리기술의 용 랜드화 등이 진척됨에 따라 농산물

도 차별화되고 하나의 제품으로서 성격을 갖기 시작

- 이들 차별화 제품은 특정의 표 소비자를 상으로 한 표 마 활

동을 수행하고 소매업체에 한 직 납품 등 유통경로의 차별화 모색

제3단계에서는 비차별품을 량으로 신속하게 유통시키는데 있어 도매시

장의 역할과 기능이 지 하 으나 제4단계에서는 표 시장을 한 마

활동이 수행되므로 불특정다수를 한 도매시장의 역할과 기능이

하되며 유통업체와의 직거래가 확

최근 자상거래의 발 으로 농산물에 있어서도 제5단계인 ldquo차별화된 제

품분산된 시장rdquo으로의 진화가 미약하나마 진행 임

- IT의 발 으로 소비자들은 개별 으로 그들의 욕구와 선호를 표시할

수 있고 생산자는 그들에게 합한 제품을 개발하여 제공 가능

- 이러한 환경 하에서 마 의 역할은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계를

리하는 것이 요

- 농산물 자상거래(B2C)에 있어서도 효율성보다는 소비자와 생산자간

의 커뮤니 이션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이 되며 실제로도 렴한 가

격보다 소비자와의 계 혹은 유 감 형성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으

로 두

시장의 발 단계로 볼 때 농산물 유통도 집 화된 시장으로부터 차 차

별화되고 분산화되는 방향으로 환되고 있음

유통단계간 수직 조정(Vertical Coordination) 에서 보면 통 인

물시장(spot market) 주의 거래가 차 계약거래(contracts) 수직

통합(vertical integration) 등으로 환

- 를 들어 형유통업체들은 도매시장에서의 거래 주에서 도매단계

의 통합을 통한 산지 직구입 증가

- 축산물 유기농산물 등 산지 확인이 필요한 품목은 시장구입보다 계약

생산 등 선호

- 계약거래 수직 통합 등은 일회성의 물시장 거래보다 인근 유통단

계간의 조정과 통제가 용이하게 되어 효율 으로 됨

- 미국의 경우 육계 우유 계란 가공용 채소 일반 채소류 오 지류 등

은 계약거래 수직 통합의 비율이 체 유통량의 50를 상회함

(Henderson 1994)

제4 장 유통비 용

우리 나라에서는 미국과 같이 체 인 식품유통비용이 추계되지 않고

품목별 유통비용이 농수산물유통공사에 의해 매년 조사되고 있음

- 2001년 조사품목수 28품목 41종류

- 식량작물(6종) 두 감자( 고랭지 가을) 고구마

- 엽근채류(8종) 배추( 고랭지 가을) 무( 고랭지 가을) 상추 당근

- 과채류(6종) 수박 참외 오이 딸기 토마토(일반 방울)

- 조미채소류(9종) 풋고추 건고추 마을(난지형 한지형 장) 양 (일반

장) 생강

- 과일류(8종) 사과(일반 장) 배(일반 장) 단감 포도 감귤 복숭아

- 축산부류(4종)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1 유통마 진 과 마 크 업 ( m a r k u p )

가 유통마 진 ( 비 용 )

유통비용은 유통과정 감모분을 공제한 실제 매액 비 유통비용

- 유통마진률 = ( 매액-구입액) 매액

유통마진률에 향을 주는 요인

- 가공도 장여부 상품의 부패성 정도 계 요인 수송 비용

상품 가치 비 부피

나 마 크 업

마크업이란 매가격에서 구입가격을 뺀 차이를 말함

원 매가(original retail price) vs 실제 매가(sales retail price)

- 실제 매가 = 원 매가 - reduction(할인 로스 등)

최 마크업율 = ( 비+이익+reduction)( 매가+reduction)

실제마크업율 = ( 비+이익)( 매가)

계산

원 매가 102000

reduction 2000

실제 매가 100000

매입가 80000

------------------

실제마크업 20000 최 마크업 22000

최 마크업율 = 22000102000 = 216

실제마크업율 = 20000100000 = 200

최 계획된 마크업은 포의 성과 측정 면에서 요함

2 농산물 유통비용율

가 유통 단계별 내용별 유통비용률

유통마진률은 풍흉에 의한 매가에 의해 큰 향을 받기 때문에 연도별

일정한 추세를 발견하기 곤란

-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조사에 의하면 농산물 체의 유통마진률은 2001년

44로 2000년에 비해 약간 증가하 으나 추세라고 보기는 어려움

유통단계별 유통마진률은 출하 도매단계보다 소매단계가 높으며 비목별

로는 직 비용의 비 이 큼(표 4-2)

lt표 4-2gt 유통단계별 비목별 유통비용률

(단 )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유통비용율 410 398 387 404 437

출 하 137 93 97 88 117

도 매 76 97 88 93 94

소 매 197 208 202 223 226

직 비용 131 146 138 153 173

간 비용279

109 100 121 131

이 윤 143 146 130 133

주) 직 비 포장비 하역비 수송비 상장수수료 감모비 등 간 비 임 료 인건비 제세공과 감가상각비 등 이윤 유통비용에서 직 비와 간 비를 공제한 상인 이윤

나 부류별 유통비용율

품목별로는 엽근채류 서류 조미채소류의 유통마진률이 높고 축산물 곡

류의 마진률이 낮은 편임(표 4-1)

lt표 4-1gt 부류별 유통마진률

(단 )

구 분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체 평 균 410 398 387 404 437

엽 근 채 류

서 류

조 미 채 소 류

과 일 류

과 채 류

축 산 부 류

곡 물 류

761

647

427

499

562

-

193

722

535

500

476

471

364

167

731

566

482

521

449

305

165

722

608

559

503

447

333

177

778

625

588

548

430

345

199

다 주요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율

주요 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률은 일반 으로 도매시장 경유시 보다 낮

은 것으로 조사(표 4-2)

그러나 유통비용률이 낮다고 해서 유통이 반드시 효율 이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치 해석에 주의를 요함

lt표 4-2gt 주요 품목의 경로별 유통비용률 비교

(단 )

구 분 감자 고랭감자 고구마 고랭배추 무 수박방울토마

도매시장경유(A) 699 627 534 766 686 500 355

직 거 래(B) 456 346 195 499 478 254 164

A - B 243 281 339 267 208 246 191

라 외국과의 농산물 유통마진률 비교

유통마진률은 가공도 유통서비스 수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통

마진률의 단순한 비교로 유통의 효율성을 비교하기는 곤란

- 일반 으로 유통마진률은 선진국일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임

한국과 일본한국 546 일본 602

- 상품목당근 오이 토마토 양 복숭아 포도 수박 풋고추

한국과 미국한국 539 미국 749

- 상품목상추 감자 토마토 당근 사과 포도 복숭아 딸기

3 유통비 용 의 망

유통비용은 고정비용의 성격

- sticky marketing margin 유통비용은 생산물의 가액에 비례하여 발생

하는 것이 아니라 취 량에 의해 결정

-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면 유통마진율은 낮아지나 가격이 하락하면 유통

마진율이 높아짐

유통마진율의 증가 경향 원인

- 유통기능의 고도화 가공 편의성 콜드체인 고 등 마 활동 강화

- 투입요소(노동 수송 포장 에 지) 비용의 지속 증가(특히 노임)

- 정부 정책 유통과정상 안 성 확보(HACCP) 환경규제 강화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 해요소 리시스템

유통비용 감 방안

- 요소비용 감을 한 생산성 향상(특히 노동생산성)

- 불필요한 유통기능의 삭감 - 부작용 발생 주의 필요

- 유통참여자의 규모화

제5 장 농산물 소 매 기

1 소 매 업 의 분 류

소매업은 최종 고객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매하는 유

통기

1 1 소 유 형 태 별 구 분

- 독립 포

- 체인 선진국일수록 체인의 비 이 높음

미국 일반상품 93 식품 60

- 생산자 소유(농 매 )

- 소비자 소유(생 소비자 동조합)

체인 스토어 복수의 포망을 앙본부의 통제하에 운 하는 조직체로

앙집 리방법과 표 화 통일된 system을 가짐

- Regular chain 단일 소유권

- Voluntary chain 독립

- Franchise chain 계약에 의한 독립자본

- Cooperative chain 소비자 공동출자

1 2 치 별 구 분

- 심 상업지역 (Central Business District)

- 일반 지역

- 교외

1 3 략 인 분 류

가 회 률-마진률

회 율 매출액재고액

마진율 마진액 매액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나 서비스-마진률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1 4 상 품 구 색 에 의한 분 류

Variety(품종) 구색의 넓이

Assortment(품목) 구색의 깊이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2 농산물 소 매 업 태

2 1 업 태 의 개념

업태란 상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팔 것인가에 련된 업 내지 경 방

- 상품구성 가격 매방식 매장환경 업방식 입지 규모

매의 포인트 제조업자 rarr 소비자 (업종 - 업태로 개념 변화)

기존의 업종별 구분에서 소매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

소매업이 주체를 가지고 상품 편성(소비자 주의 머천다이징)

업태별로 머천다이징의 포인트가 다름

기존에는 업종별 ( 매하는 품목의 산업분류) 분류로 통계 집계 공표

해 왔으며 업태에 한 이해가 부족하 음

업태는 역사 으로 볼 때 항상 가변 임

2 2 업 태 별 분 류

가 구 멍가게( mo m a n d p o p s t o r e )

나 재래시장( t r a d i t i o n a l ma r k e t p l a c e )

다 백화 ( d e p a r t me n t s t o r e )

라 슈퍼마켓( s u p e r ma r k e t )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lt표 3-3gt 시장발 단계별 마 의 역할

시장단계 마 의 주안

시장단계 자 자족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구매자와 매자의 확인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효율 유통 시장에 의한 가격결정

차별화된 제품

집 된 시장

특화된 시장에서의 효율 유통 고객요구에 기 한 표

마 랜드 고차별화된 제품

분산된 시장

일방 에서 방 커뮤니 이션으로의 변환 마 은

기업과 고객간의 정보흐름 리

자료 Blattberg Robert C 외(주우진외 역) 21세기 마 정보 명 1996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분산된 시장 단계에서는 물물교환 혹은 지역단 의

소규모 시장에서의 거래가 주된 유통경로 음

우리 나라의 농산물유통은 5단계 제3단계 ldquo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집

된 시장rdquo에 있으나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차 으로 제4단계인 ldquo차별

화된 제품집 된시장rdquo으로 진화

- 산지에서 수확후 리기술의 용 랜드화 등이 진척됨에 따라 농산물

도 차별화되고 하나의 제품으로서 성격을 갖기 시작

- 이들 차별화 제품은 특정의 표 소비자를 상으로 한 표 마 활

동을 수행하고 소매업체에 한 직 납품 등 유통경로의 차별화 모색

제3단계에서는 비차별품을 량으로 신속하게 유통시키는데 있어 도매시

장의 역할과 기능이 지 하 으나 제4단계에서는 표 시장을 한 마

활동이 수행되므로 불특정다수를 한 도매시장의 역할과 기능이

하되며 유통업체와의 직거래가 확

최근 자상거래의 발 으로 농산물에 있어서도 제5단계인 ldquo차별화된 제

품분산된 시장rdquo으로의 진화가 미약하나마 진행 임

- IT의 발 으로 소비자들은 개별 으로 그들의 욕구와 선호를 표시할

수 있고 생산자는 그들에게 합한 제품을 개발하여 제공 가능

- 이러한 환경 하에서 마 의 역할은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계를

리하는 것이 요

- 농산물 자상거래(B2C)에 있어서도 효율성보다는 소비자와 생산자간

의 커뮤니 이션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이 되며 실제로도 렴한 가

격보다 소비자와의 계 혹은 유 감 형성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으

로 두

시장의 발 단계로 볼 때 농산물 유통도 집 화된 시장으로부터 차 차

별화되고 분산화되는 방향으로 환되고 있음

유통단계간 수직 조정(Vertical Coordination) 에서 보면 통 인

물시장(spot market) 주의 거래가 차 계약거래(contracts) 수직

통합(vertical integration) 등으로 환

- 를 들어 형유통업체들은 도매시장에서의 거래 주에서 도매단계

의 통합을 통한 산지 직구입 증가

- 축산물 유기농산물 등 산지 확인이 필요한 품목은 시장구입보다 계약

생산 등 선호

- 계약거래 수직 통합 등은 일회성의 물시장 거래보다 인근 유통단

계간의 조정과 통제가 용이하게 되어 효율 으로 됨

- 미국의 경우 육계 우유 계란 가공용 채소 일반 채소류 오 지류 등

은 계약거래 수직 통합의 비율이 체 유통량의 50를 상회함

(Henderson 1994)

제4 장 유통비 용

우리 나라에서는 미국과 같이 체 인 식품유통비용이 추계되지 않고

품목별 유통비용이 농수산물유통공사에 의해 매년 조사되고 있음

- 2001년 조사품목수 28품목 41종류

- 식량작물(6종) 두 감자( 고랭지 가을) 고구마

- 엽근채류(8종) 배추( 고랭지 가을) 무( 고랭지 가을) 상추 당근

- 과채류(6종) 수박 참외 오이 딸기 토마토(일반 방울)

- 조미채소류(9종) 풋고추 건고추 마을(난지형 한지형 장) 양 (일반

장) 생강

- 과일류(8종) 사과(일반 장) 배(일반 장) 단감 포도 감귤 복숭아

- 축산부류(4종)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1 유통마 진 과 마 크 업 ( m a r k u p )

가 유통마 진 ( 비 용 )

유통비용은 유통과정 감모분을 공제한 실제 매액 비 유통비용

- 유통마진률 = ( 매액-구입액) 매액

유통마진률에 향을 주는 요인

- 가공도 장여부 상품의 부패성 정도 계 요인 수송 비용

상품 가치 비 부피

나 마 크 업

마크업이란 매가격에서 구입가격을 뺀 차이를 말함

원 매가(original retail price) vs 실제 매가(sales retail price)

- 실제 매가 = 원 매가 - reduction(할인 로스 등)

최 마크업율 = ( 비+이익+reduction)( 매가+reduction)

실제마크업율 = ( 비+이익)( 매가)

계산

원 매가 102000

reduction 2000

실제 매가 100000

매입가 80000

------------------

실제마크업 20000 최 마크업 22000

최 마크업율 = 22000102000 = 216

실제마크업율 = 20000100000 = 200

최 계획된 마크업은 포의 성과 측정 면에서 요함

2 농산물 유통비용율

가 유통 단계별 내용별 유통비용률

유통마진률은 풍흉에 의한 매가에 의해 큰 향을 받기 때문에 연도별

일정한 추세를 발견하기 곤란

-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조사에 의하면 농산물 체의 유통마진률은 2001년

44로 2000년에 비해 약간 증가하 으나 추세라고 보기는 어려움

유통단계별 유통마진률은 출하 도매단계보다 소매단계가 높으며 비목별

로는 직 비용의 비 이 큼(표 4-2)

lt표 4-2gt 유통단계별 비목별 유통비용률

(단 )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유통비용율 410 398 387 404 437

출 하 137 93 97 88 117

도 매 76 97 88 93 94

소 매 197 208 202 223 226

직 비용 131 146 138 153 173

간 비용279

109 100 121 131

이 윤 143 146 130 133

주) 직 비 포장비 하역비 수송비 상장수수료 감모비 등 간 비 임 료 인건비 제세공과 감가상각비 등 이윤 유통비용에서 직 비와 간 비를 공제한 상인 이윤

나 부류별 유통비용율

품목별로는 엽근채류 서류 조미채소류의 유통마진률이 높고 축산물 곡

류의 마진률이 낮은 편임(표 4-1)

lt표 4-1gt 부류별 유통마진률

(단 )

구 분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체 평 균 410 398 387 404 437

엽 근 채 류

서 류

조 미 채 소 류

과 일 류

과 채 류

축 산 부 류

곡 물 류

761

647

427

499

562

-

193

722

535

500

476

471

364

167

731

566

482

521

449

305

165

722

608

559

503

447

333

177

778

625

588

548

430

345

199

다 주요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율

주요 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률은 일반 으로 도매시장 경유시 보다 낮

은 것으로 조사(표 4-2)

그러나 유통비용률이 낮다고 해서 유통이 반드시 효율 이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치 해석에 주의를 요함

lt표 4-2gt 주요 품목의 경로별 유통비용률 비교

(단 )

구 분 감자 고랭감자 고구마 고랭배추 무 수박방울토마

도매시장경유(A) 699 627 534 766 686 500 355

직 거 래(B) 456 346 195 499 478 254 164

A - B 243 281 339 267 208 246 191

라 외국과의 농산물 유통마진률 비교

유통마진률은 가공도 유통서비스 수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통

마진률의 단순한 비교로 유통의 효율성을 비교하기는 곤란

- 일반 으로 유통마진률은 선진국일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임

한국과 일본한국 546 일본 602

- 상품목당근 오이 토마토 양 복숭아 포도 수박 풋고추

한국과 미국한국 539 미국 749

- 상품목상추 감자 토마토 당근 사과 포도 복숭아 딸기

3 유통비 용 의 망

유통비용은 고정비용의 성격

- sticky marketing margin 유통비용은 생산물의 가액에 비례하여 발생

하는 것이 아니라 취 량에 의해 결정

-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면 유통마진율은 낮아지나 가격이 하락하면 유통

마진율이 높아짐

유통마진율의 증가 경향 원인

- 유통기능의 고도화 가공 편의성 콜드체인 고 등 마 활동 강화

- 투입요소(노동 수송 포장 에 지) 비용의 지속 증가(특히 노임)

- 정부 정책 유통과정상 안 성 확보(HACCP) 환경규제 강화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 해요소 리시스템

유통비용 감 방안

- 요소비용 감을 한 생산성 향상(특히 노동생산성)

- 불필요한 유통기능의 삭감 - 부작용 발생 주의 필요

- 유통참여자의 규모화

제5 장 농산물 소 매 기

1 소 매 업 의 분 류

소매업은 최종 고객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매하는 유

통기

1 1 소 유 형 태 별 구 분

- 독립 포

- 체인 선진국일수록 체인의 비 이 높음

미국 일반상품 93 식품 60

- 생산자 소유(농 매 )

- 소비자 소유(생 소비자 동조합)

체인 스토어 복수의 포망을 앙본부의 통제하에 운 하는 조직체로

앙집 리방법과 표 화 통일된 system을 가짐

- Regular chain 단일 소유권

- Voluntary chain 독립

- Franchise chain 계약에 의한 독립자본

- Cooperative chain 소비자 공동출자

1 2 치 별 구 분

- 심 상업지역 (Central Business District)

- 일반 지역

- 교외

1 3 략 인 분 류

가 회 률-마진률

회 율 매출액재고액

마진율 마진액 매액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나 서비스-마진률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1 4 상 품 구 색 에 의한 분 류

Variety(품종) 구색의 넓이

Assortment(품목) 구색의 깊이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2 농산물 소 매 업 태

2 1 업 태 의 개념

업태란 상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팔 것인가에 련된 업 내지 경 방

- 상품구성 가격 매방식 매장환경 업방식 입지 규모

매의 포인트 제조업자 rarr 소비자 (업종 - 업태로 개념 변화)

기존의 업종별 구분에서 소매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

소매업이 주체를 가지고 상품 편성(소비자 주의 머천다이징)

업태별로 머천다이징의 포인트가 다름

기존에는 업종별 ( 매하는 품목의 산업분류) 분류로 통계 집계 공표

해 왔으며 업태에 한 이해가 부족하 음

업태는 역사 으로 볼 때 항상 가변 임

2 2 업 태 별 분 류

가 구 멍가게( mo m a n d p o p s t o r e )

나 재래시장( t r a d i t i o n a l ma r k e t p l a c e )

다 백화 ( d e p a r t me n t s t o r e )

라 슈퍼마켓( s u p e r ma r k e t )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 농산물 자상거래(B2C)에 있어서도 효율성보다는 소비자와 생산자간

의 커뮤니 이션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이 되며 실제로도 렴한 가

격보다 소비자와의 계 혹은 유 감 형성이 보다 요한 성공요인으

로 두

시장의 발 단계로 볼 때 농산물 유통도 집 화된 시장으로부터 차 차

별화되고 분산화되는 방향으로 환되고 있음

유통단계간 수직 조정(Vertical Coordination) 에서 보면 통 인

물시장(spot market) 주의 거래가 차 계약거래(contracts) 수직

통합(vertical integration) 등으로 환

- 를 들어 형유통업체들은 도매시장에서의 거래 주에서 도매단계

의 통합을 통한 산지 직구입 증가

- 축산물 유기농산물 등 산지 확인이 필요한 품목은 시장구입보다 계약

생산 등 선호

- 계약거래 수직 통합 등은 일회성의 물시장 거래보다 인근 유통단

계간의 조정과 통제가 용이하게 되어 효율 으로 됨

- 미국의 경우 육계 우유 계란 가공용 채소 일반 채소류 오 지류 등

은 계약거래 수직 통합의 비율이 체 유통량의 50를 상회함

(Henderson 1994)

제4 장 유통비 용

우리 나라에서는 미국과 같이 체 인 식품유통비용이 추계되지 않고

품목별 유통비용이 농수산물유통공사에 의해 매년 조사되고 있음

- 2001년 조사품목수 28품목 41종류

- 식량작물(6종) 두 감자( 고랭지 가을) 고구마

- 엽근채류(8종) 배추( 고랭지 가을) 무( 고랭지 가을) 상추 당근

- 과채류(6종) 수박 참외 오이 딸기 토마토(일반 방울)

- 조미채소류(9종) 풋고추 건고추 마을(난지형 한지형 장) 양 (일반

장) 생강

- 과일류(8종) 사과(일반 장) 배(일반 장) 단감 포도 감귤 복숭아

- 축산부류(4종)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1 유통마 진 과 마 크 업 ( m a r k u p )

가 유통마 진 ( 비 용 )

유통비용은 유통과정 감모분을 공제한 실제 매액 비 유통비용

- 유통마진률 = ( 매액-구입액) 매액

유통마진률에 향을 주는 요인

- 가공도 장여부 상품의 부패성 정도 계 요인 수송 비용

상품 가치 비 부피

나 마 크 업

마크업이란 매가격에서 구입가격을 뺀 차이를 말함

원 매가(original retail price) vs 실제 매가(sales retail price)

- 실제 매가 = 원 매가 - reduction(할인 로스 등)

최 마크업율 = ( 비+이익+reduction)( 매가+reduction)

실제마크업율 = ( 비+이익)( 매가)

계산

원 매가 102000

reduction 2000

실제 매가 100000

매입가 80000

------------------

실제마크업 20000 최 마크업 22000

최 마크업율 = 22000102000 = 216

실제마크업율 = 20000100000 = 200

최 계획된 마크업은 포의 성과 측정 면에서 요함

2 농산물 유통비용율

가 유통 단계별 내용별 유통비용률

유통마진률은 풍흉에 의한 매가에 의해 큰 향을 받기 때문에 연도별

일정한 추세를 발견하기 곤란

-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조사에 의하면 농산물 체의 유통마진률은 2001년

44로 2000년에 비해 약간 증가하 으나 추세라고 보기는 어려움

유통단계별 유통마진률은 출하 도매단계보다 소매단계가 높으며 비목별

로는 직 비용의 비 이 큼(표 4-2)

lt표 4-2gt 유통단계별 비목별 유통비용률

(단 )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유통비용율 410 398 387 404 437

출 하 137 93 97 88 117

도 매 76 97 88 93 94

소 매 197 208 202 223 226

직 비용 131 146 138 153 173

간 비용279

109 100 121 131

이 윤 143 146 130 133

주) 직 비 포장비 하역비 수송비 상장수수료 감모비 등 간 비 임 료 인건비 제세공과 감가상각비 등 이윤 유통비용에서 직 비와 간 비를 공제한 상인 이윤

나 부류별 유통비용율

품목별로는 엽근채류 서류 조미채소류의 유통마진률이 높고 축산물 곡

류의 마진률이 낮은 편임(표 4-1)

lt표 4-1gt 부류별 유통마진률

(단 )

구 분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체 평 균 410 398 387 404 437

엽 근 채 류

서 류

조 미 채 소 류

과 일 류

과 채 류

축 산 부 류

곡 물 류

761

647

427

499

562

-

193

722

535

500

476

471

364

167

731

566

482

521

449

305

165

722

608

559

503

447

333

177

778

625

588

548

430

345

199

다 주요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율

주요 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률은 일반 으로 도매시장 경유시 보다 낮

은 것으로 조사(표 4-2)

그러나 유통비용률이 낮다고 해서 유통이 반드시 효율 이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치 해석에 주의를 요함

lt표 4-2gt 주요 품목의 경로별 유통비용률 비교

(단 )

구 분 감자 고랭감자 고구마 고랭배추 무 수박방울토마

도매시장경유(A) 699 627 534 766 686 500 355

직 거 래(B) 456 346 195 499 478 254 164

A - B 243 281 339 267 208 246 191

라 외국과의 농산물 유통마진률 비교

유통마진률은 가공도 유통서비스 수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통

마진률의 단순한 비교로 유통의 효율성을 비교하기는 곤란

- 일반 으로 유통마진률은 선진국일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임

한국과 일본한국 546 일본 602

- 상품목당근 오이 토마토 양 복숭아 포도 수박 풋고추

한국과 미국한국 539 미국 749

- 상품목상추 감자 토마토 당근 사과 포도 복숭아 딸기

3 유통비 용 의 망

유통비용은 고정비용의 성격

- sticky marketing margin 유통비용은 생산물의 가액에 비례하여 발생

하는 것이 아니라 취 량에 의해 결정

-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면 유통마진율은 낮아지나 가격이 하락하면 유통

마진율이 높아짐

유통마진율의 증가 경향 원인

- 유통기능의 고도화 가공 편의성 콜드체인 고 등 마 활동 강화

- 투입요소(노동 수송 포장 에 지) 비용의 지속 증가(특히 노임)

- 정부 정책 유통과정상 안 성 확보(HACCP) 환경규제 강화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 해요소 리시스템

유통비용 감 방안

- 요소비용 감을 한 생산성 향상(특히 노동생산성)

- 불필요한 유통기능의 삭감 - 부작용 발생 주의 필요

- 유통참여자의 규모화

제5 장 농산물 소 매 기

1 소 매 업 의 분 류

소매업은 최종 고객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매하는 유

통기

1 1 소 유 형 태 별 구 분

- 독립 포

- 체인 선진국일수록 체인의 비 이 높음

미국 일반상품 93 식품 60

- 생산자 소유(농 매 )

- 소비자 소유(생 소비자 동조합)

체인 스토어 복수의 포망을 앙본부의 통제하에 운 하는 조직체로

앙집 리방법과 표 화 통일된 system을 가짐

- Regular chain 단일 소유권

- Voluntary chain 독립

- Franchise chain 계약에 의한 독립자본

- Cooperative chain 소비자 공동출자

1 2 치 별 구 분

- 심 상업지역 (Central Business District)

- 일반 지역

- 교외

1 3 략 인 분 류

가 회 률-마진률

회 율 매출액재고액

마진율 마진액 매액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나 서비스-마진률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1 4 상 품 구 색 에 의한 분 류

Variety(품종) 구색의 넓이

Assortment(품목) 구색의 깊이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2 농산물 소 매 업 태

2 1 업 태 의 개념

업태란 상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팔 것인가에 련된 업 내지 경 방

- 상품구성 가격 매방식 매장환경 업방식 입지 규모

매의 포인트 제조업자 rarr 소비자 (업종 - 업태로 개념 변화)

기존의 업종별 구분에서 소매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

소매업이 주체를 가지고 상품 편성(소비자 주의 머천다이징)

업태별로 머천다이징의 포인트가 다름

기존에는 업종별 ( 매하는 품목의 산업분류) 분류로 통계 집계 공표

해 왔으며 업태에 한 이해가 부족하 음

업태는 역사 으로 볼 때 항상 가변 임

2 2 업 태 별 분 류

가 구 멍가게( mo m a n d p o p s t o r e )

나 재래시장( t r a d i t i o n a l ma r k e t p l a c e )

다 백화 ( d e p a r t me n t s t o r e )

라 슈퍼마켓( s u p e r ma r k e t )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제4 장 유통비 용

우리 나라에서는 미국과 같이 체 인 식품유통비용이 추계되지 않고

품목별 유통비용이 농수산물유통공사에 의해 매년 조사되고 있음

- 2001년 조사품목수 28품목 41종류

- 식량작물(6종) 두 감자( 고랭지 가을) 고구마

- 엽근채류(8종) 배추( 고랭지 가을) 무( 고랭지 가을) 상추 당근

- 과채류(6종) 수박 참외 오이 딸기 토마토(일반 방울)

- 조미채소류(9종) 풋고추 건고추 마을(난지형 한지형 장) 양 (일반

장) 생강

- 과일류(8종) 사과(일반 장) 배(일반 장) 단감 포도 감귤 복숭아

- 축산부류(4종)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1 유통마 진 과 마 크 업 ( m a r k u p )

가 유통마 진 ( 비 용 )

유통비용은 유통과정 감모분을 공제한 실제 매액 비 유통비용

- 유통마진률 = ( 매액-구입액) 매액

유통마진률에 향을 주는 요인

- 가공도 장여부 상품의 부패성 정도 계 요인 수송 비용

상품 가치 비 부피

나 마 크 업

마크업이란 매가격에서 구입가격을 뺀 차이를 말함

원 매가(original retail price) vs 실제 매가(sales retail price)

- 실제 매가 = 원 매가 - reduction(할인 로스 등)

최 마크업율 = ( 비+이익+reduction)( 매가+reduction)

실제마크업율 = ( 비+이익)( 매가)

계산

원 매가 102000

reduction 2000

실제 매가 100000

매입가 80000

------------------

실제마크업 20000 최 마크업 22000

최 마크업율 = 22000102000 = 216

실제마크업율 = 20000100000 = 200

최 계획된 마크업은 포의 성과 측정 면에서 요함

2 농산물 유통비용율

가 유통 단계별 내용별 유통비용률

유통마진률은 풍흉에 의한 매가에 의해 큰 향을 받기 때문에 연도별

일정한 추세를 발견하기 곤란

-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조사에 의하면 농산물 체의 유통마진률은 2001년

44로 2000년에 비해 약간 증가하 으나 추세라고 보기는 어려움

유통단계별 유통마진률은 출하 도매단계보다 소매단계가 높으며 비목별

로는 직 비용의 비 이 큼(표 4-2)

lt표 4-2gt 유통단계별 비목별 유통비용률

(단 )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유통비용율 410 398 387 404 437

출 하 137 93 97 88 117

도 매 76 97 88 93 94

소 매 197 208 202 223 226

직 비용 131 146 138 153 173

간 비용279

109 100 121 131

이 윤 143 146 130 133

주) 직 비 포장비 하역비 수송비 상장수수료 감모비 등 간 비 임 료 인건비 제세공과 감가상각비 등 이윤 유통비용에서 직 비와 간 비를 공제한 상인 이윤

나 부류별 유통비용율

품목별로는 엽근채류 서류 조미채소류의 유통마진률이 높고 축산물 곡

류의 마진률이 낮은 편임(표 4-1)

lt표 4-1gt 부류별 유통마진률

(단 )

구 분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체 평 균 410 398 387 404 437

엽 근 채 류

서 류

조 미 채 소 류

과 일 류

과 채 류

축 산 부 류

곡 물 류

761

647

427

499

562

-

193

722

535

500

476

471

364

167

731

566

482

521

449

305

165

722

608

559

503

447

333

177

778

625

588

548

430

345

199

다 주요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율

주요 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률은 일반 으로 도매시장 경유시 보다 낮

은 것으로 조사(표 4-2)

그러나 유통비용률이 낮다고 해서 유통이 반드시 효율 이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치 해석에 주의를 요함

lt표 4-2gt 주요 품목의 경로별 유통비용률 비교

(단 )

구 분 감자 고랭감자 고구마 고랭배추 무 수박방울토마

도매시장경유(A) 699 627 534 766 686 500 355

직 거 래(B) 456 346 195 499 478 254 164

A - B 243 281 339 267 208 246 191

라 외국과의 농산물 유통마진률 비교

유통마진률은 가공도 유통서비스 수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통

마진률의 단순한 비교로 유통의 효율성을 비교하기는 곤란

- 일반 으로 유통마진률은 선진국일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임

한국과 일본한국 546 일본 602

- 상품목당근 오이 토마토 양 복숭아 포도 수박 풋고추

한국과 미국한국 539 미국 749

- 상품목상추 감자 토마토 당근 사과 포도 복숭아 딸기

3 유통비 용 의 망

유통비용은 고정비용의 성격

- sticky marketing margin 유통비용은 생산물의 가액에 비례하여 발생

하는 것이 아니라 취 량에 의해 결정

-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면 유통마진율은 낮아지나 가격이 하락하면 유통

마진율이 높아짐

유통마진율의 증가 경향 원인

- 유통기능의 고도화 가공 편의성 콜드체인 고 등 마 활동 강화

- 투입요소(노동 수송 포장 에 지) 비용의 지속 증가(특히 노임)

- 정부 정책 유통과정상 안 성 확보(HACCP) 환경규제 강화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 해요소 리시스템

유통비용 감 방안

- 요소비용 감을 한 생산성 향상(특히 노동생산성)

- 불필요한 유통기능의 삭감 - 부작용 발생 주의 필요

- 유통참여자의 규모화

제5 장 농산물 소 매 기

1 소 매 업 의 분 류

소매업은 최종 고객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매하는 유

통기

1 1 소 유 형 태 별 구 분

- 독립 포

- 체인 선진국일수록 체인의 비 이 높음

미국 일반상품 93 식품 60

- 생산자 소유(농 매 )

- 소비자 소유(생 소비자 동조합)

체인 스토어 복수의 포망을 앙본부의 통제하에 운 하는 조직체로

앙집 리방법과 표 화 통일된 system을 가짐

- Regular chain 단일 소유권

- Voluntary chain 독립

- Franchise chain 계약에 의한 독립자본

- Cooperative chain 소비자 공동출자

1 2 치 별 구 분

- 심 상업지역 (Central Business District)

- 일반 지역

- 교외

1 3 략 인 분 류

가 회 률-마진률

회 율 매출액재고액

마진율 마진액 매액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나 서비스-마진률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1 4 상 품 구 색 에 의한 분 류

Variety(품종) 구색의 넓이

Assortment(품목) 구색의 깊이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2 농산물 소 매 업 태

2 1 업 태 의 개념

업태란 상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팔 것인가에 련된 업 내지 경 방

- 상품구성 가격 매방식 매장환경 업방식 입지 규모

매의 포인트 제조업자 rarr 소비자 (업종 - 업태로 개념 변화)

기존의 업종별 구분에서 소매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

소매업이 주체를 가지고 상품 편성(소비자 주의 머천다이징)

업태별로 머천다이징의 포인트가 다름

기존에는 업종별 ( 매하는 품목의 산업분류) 분류로 통계 집계 공표

해 왔으며 업태에 한 이해가 부족하 음

업태는 역사 으로 볼 때 항상 가변 임

2 2 업 태 별 분 류

가 구 멍가게( mo m a n d p o p s t o r e )

나 재래시장( t r a d i t i o n a l ma r k e t p l a c e )

다 백화 ( d e p a r t me n t s t o r e )

라 슈퍼마켓( s u p e r ma r k e t )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계산

원 매가 102000

reduction 2000

실제 매가 100000

매입가 80000

------------------

실제마크업 20000 최 마크업 22000

최 마크업율 = 22000102000 = 216

실제마크업율 = 20000100000 = 200

최 계획된 마크업은 포의 성과 측정 면에서 요함

2 농산물 유통비용율

가 유통 단계별 내용별 유통비용률

유통마진률은 풍흉에 의한 매가에 의해 큰 향을 받기 때문에 연도별

일정한 추세를 발견하기 곤란

-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조사에 의하면 농산물 체의 유통마진률은 2001년

44로 2000년에 비해 약간 증가하 으나 추세라고 보기는 어려움

유통단계별 유통마진률은 출하 도매단계보다 소매단계가 높으며 비목별

로는 직 비용의 비 이 큼(표 4-2)

lt표 4-2gt 유통단계별 비목별 유통비용률

(단 )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유통비용율 410 398 387 404 437

출 하 137 93 97 88 117

도 매 76 97 88 93 94

소 매 197 208 202 223 226

직 비용 131 146 138 153 173

간 비용279

109 100 121 131

이 윤 143 146 130 133

주) 직 비 포장비 하역비 수송비 상장수수료 감모비 등 간 비 임 료 인건비 제세공과 감가상각비 등 이윤 유통비용에서 직 비와 간 비를 공제한 상인 이윤

나 부류별 유통비용율

품목별로는 엽근채류 서류 조미채소류의 유통마진률이 높고 축산물 곡

류의 마진률이 낮은 편임(표 4-1)

lt표 4-1gt 부류별 유통마진률

(단 )

구 분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체 평 균 410 398 387 404 437

엽 근 채 류

서 류

조 미 채 소 류

과 일 류

과 채 류

축 산 부 류

곡 물 류

761

647

427

499

562

-

193

722

535

500

476

471

364

167

731

566

482

521

449

305

165

722

608

559

503

447

333

177

778

625

588

548

430

345

199

다 주요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율

주요 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률은 일반 으로 도매시장 경유시 보다 낮

은 것으로 조사(표 4-2)

그러나 유통비용률이 낮다고 해서 유통이 반드시 효율 이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치 해석에 주의를 요함

lt표 4-2gt 주요 품목의 경로별 유통비용률 비교

(단 )

구 분 감자 고랭감자 고구마 고랭배추 무 수박방울토마

도매시장경유(A) 699 627 534 766 686 500 355

직 거 래(B) 456 346 195 499 478 254 164

A - B 243 281 339 267 208 246 191

라 외국과의 농산물 유통마진률 비교

유통마진률은 가공도 유통서비스 수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통

마진률의 단순한 비교로 유통의 효율성을 비교하기는 곤란

- 일반 으로 유통마진률은 선진국일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임

한국과 일본한국 546 일본 602

- 상품목당근 오이 토마토 양 복숭아 포도 수박 풋고추

한국과 미국한국 539 미국 749

- 상품목상추 감자 토마토 당근 사과 포도 복숭아 딸기

3 유통비 용 의 망

유통비용은 고정비용의 성격

- sticky marketing margin 유통비용은 생산물의 가액에 비례하여 발생

하는 것이 아니라 취 량에 의해 결정

-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면 유통마진율은 낮아지나 가격이 하락하면 유통

마진율이 높아짐

유통마진율의 증가 경향 원인

- 유통기능의 고도화 가공 편의성 콜드체인 고 등 마 활동 강화

- 투입요소(노동 수송 포장 에 지) 비용의 지속 증가(특히 노임)

- 정부 정책 유통과정상 안 성 확보(HACCP) 환경규제 강화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 해요소 리시스템

유통비용 감 방안

- 요소비용 감을 한 생산성 향상(특히 노동생산성)

- 불필요한 유통기능의 삭감 - 부작용 발생 주의 필요

- 유통참여자의 규모화

제5 장 농산물 소 매 기

1 소 매 업 의 분 류

소매업은 최종 고객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매하는 유

통기

1 1 소 유 형 태 별 구 분

- 독립 포

- 체인 선진국일수록 체인의 비 이 높음

미국 일반상품 93 식품 60

- 생산자 소유(농 매 )

- 소비자 소유(생 소비자 동조합)

체인 스토어 복수의 포망을 앙본부의 통제하에 운 하는 조직체로

앙집 리방법과 표 화 통일된 system을 가짐

- Regular chain 단일 소유권

- Voluntary chain 독립

- Franchise chain 계약에 의한 독립자본

- Cooperative chain 소비자 공동출자

1 2 치 별 구 분

- 심 상업지역 (Central Business District)

- 일반 지역

- 교외

1 3 략 인 분 류

가 회 률-마진률

회 율 매출액재고액

마진율 마진액 매액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나 서비스-마진률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1 4 상 품 구 색 에 의한 분 류

Variety(품종) 구색의 넓이

Assortment(품목) 구색의 깊이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2 농산물 소 매 업 태

2 1 업 태 의 개념

업태란 상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팔 것인가에 련된 업 내지 경 방

- 상품구성 가격 매방식 매장환경 업방식 입지 규모

매의 포인트 제조업자 rarr 소비자 (업종 - 업태로 개념 변화)

기존의 업종별 구분에서 소매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

소매업이 주체를 가지고 상품 편성(소비자 주의 머천다이징)

업태별로 머천다이징의 포인트가 다름

기존에는 업종별 ( 매하는 품목의 산업분류) 분류로 통계 집계 공표

해 왔으며 업태에 한 이해가 부족하 음

업태는 역사 으로 볼 때 항상 가변 임

2 2 업 태 별 분 류

가 구 멍가게( mo m a n d p o p s t o r e )

나 재래시장( t r a d i t i o n a l ma r k e t p l a c e )

다 백화 ( d e p a r t me n t s t o r e )

라 슈퍼마켓( s u p e r ma r k e t )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나 부류별 유통비용율

품목별로는 엽근채류 서류 조미채소류의 유통마진률이 높고 축산물 곡

류의 마진률이 낮은 편임(표 4-1)

lt표 4-1gt 부류별 유통마진률

(단 )

구 분 rsquo97 rsquo98 rsquo99 rsquo00 rsquo01 체 평 균 410 398 387 404 437

엽 근 채 류

서 류

조 미 채 소 류

과 일 류

과 채 류

축 산 부 류

곡 물 류

761

647

427

499

562

-

193

722

535

500

476

471

364

167

731

566

482

521

449

305

165

722

608

559

503

447

333

177

778

625

588

548

430

345

199

다 주요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율

주요 품목의 직거래 유통비용률은 일반 으로 도매시장 경유시 보다 낮

은 것으로 조사(표 4-2)

그러나 유통비용률이 낮다고 해서 유통이 반드시 효율 이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치 해석에 주의를 요함

lt표 4-2gt 주요 품목의 경로별 유통비용률 비교

(단 )

구 분 감자 고랭감자 고구마 고랭배추 무 수박방울토마

도매시장경유(A) 699 627 534 766 686 500 355

직 거 래(B) 456 346 195 499 478 254 164

A - B 243 281 339 267 208 246 191

라 외국과의 농산물 유통마진률 비교

유통마진률은 가공도 유통서비스 수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통

마진률의 단순한 비교로 유통의 효율성을 비교하기는 곤란

- 일반 으로 유통마진률은 선진국일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임

한국과 일본한국 546 일본 602

- 상품목당근 오이 토마토 양 복숭아 포도 수박 풋고추

한국과 미국한국 539 미국 749

- 상품목상추 감자 토마토 당근 사과 포도 복숭아 딸기

3 유통비 용 의 망

유통비용은 고정비용의 성격

- sticky marketing margin 유통비용은 생산물의 가액에 비례하여 발생

하는 것이 아니라 취 량에 의해 결정

-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면 유통마진율은 낮아지나 가격이 하락하면 유통

마진율이 높아짐

유통마진율의 증가 경향 원인

- 유통기능의 고도화 가공 편의성 콜드체인 고 등 마 활동 강화

- 투입요소(노동 수송 포장 에 지) 비용의 지속 증가(특히 노임)

- 정부 정책 유통과정상 안 성 확보(HACCP) 환경규제 강화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 해요소 리시스템

유통비용 감 방안

- 요소비용 감을 한 생산성 향상(특히 노동생산성)

- 불필요한 유통기능의 삭감 - 부작용 발생 주의 필요

- 유통참여자의 규모화

제5 장 농산물 소 매 기

1 소 매 업 의 분 류

소매업은 최종 고객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매하는 유

통기

1 1 소 유 형 태 별 구 분

- 독립 포

- 체인 선진국일수록 체인의 비 이 높음

미국 일반상품 93 식품 60

- 생산자 소유(농 매 )

- 소비자 소유(생 소비자 동조합)

체인 스토어 복수의 포망을 앙본부의 통제하에 운 하는 조직체로

앙집 리방법과 표 화 통일된 system을 가짐

- Regular chain 단일 소유권

- Voluntary chain 독립

- Franchise chain 계약에 의한 독립자본

- Cooperative chain 소비자 공동출자

1 2 치 별 구 분

- 심 상업지역 (Central Business District)

- 일반 지역

- 교외

1 3 략 인 분 류

가 회 률-마진률

회 율 매출액재고액

마진율 마진액 매액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나 서비스-마진률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1 4 상 품 구 색 에 의한 분 류

Variety(품종) 구색의 넓이

Assortment(품목) 구색의 깊이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2 농산물 소 매 업 태

2 1 업 태 의 개념

업태란 상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팔 것인가에 련된 업 내지 경 방

- 상품구성 가격 매방식 매장환경 업방식 입지 규모

매의 포인트 제조업자 rarr 소비자 (업종 - 업태로 개념 변화)

기존의 업종별 구분에서 소매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

소매업이 주체를 가지고 상품 편성(소비자 주의 머천다이징)

업태별로 머천다이징의 포인트가 다름

기존에는 업종별 ( 매하는 품목의 산업분류) 분류로 통계 집계 공표

해 왔으며 업태에 한 이해가 부족하 음

업태는 역사 으로 볼 때 항상 가변 임

2 2 업 태 별 분 류

가 구 멍가게( mo m a n d p o p s t o r e )

나 재래시장( t r a d i t i o n a l ma r k e t p l a c e )

다 백화 ( d e p a r t me n t s t o r e )

라 슈퍼마켓( s u p e r ma r k e t )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라 외국과의 농산물 유통마진률 비교

유통마진률은 가공도 유통서비스 수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통

마진률의 단순한 비교로 유통의 효율성을 비교하기는 곤란

- 일반 으로 유통마진률은 선진국일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임

한국과 일본한국 546 일본 602

- 상품목당근 오이 토마토 양 복숭아 포도 수박 풋고추

한국과 미국한국 539 미국 749

- 상품목상추 감자 토마토 당근 사과 포도 복숭아 딸기

3 유통비 용 의 망

유통비용은 고정비용의 성격

- sticky marketing margin 유통비용은 생산물의 가액에 비례하여 발생

하는 것이 아니라 취 량에 의해 결정

-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면 유통마진율은 낮아지나 가격이 하락하면 유통

마진율이 높아짐

유통마진율의 증가 경향 원인

- 유통기능의 고도화 가공 편의성 콜드체인 고 등 마 활동 강화

- 투입요소(노동 수송 포장 에 지) 비용의 지속 증가(특히 노임)

- 정부 정책 유통과정상 안 성 확보(HACCP) 환경규제 강화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 해요소 리시스템

유통비용 감 방안

- 요소비용 감을 한 생산성 향상(특히 노동생산성)

- 불필요한 유통기능의 삭감 - 부작용 발생 주의 필요

- 유통참여자의 규모화

제5 장 농산물 소 매 기

1 소 매 업 의 분 류

소매업은 최종 고객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매하는 유

통기

1 1 소 유 형 태 별 구 분

- 독립 포

- 체인 선진국일수록 체인의 비 이 높음

미국 일반상품 93 식품 60

- 생산자 소유(농 매 )

- 소비자 소유(생 소비자 동조합)

체인 스토어 복수의 포망을 앙본부의 통제하에 운 하는 조직체로

앙집 리방법과 표 화 통일된 system을 가짐

- Regular chain 단일 소유권

- Voluntary chain 독립

- Franchise chain 계약에 의한 독립자본

- Cooperative chain 소비자 공동출자

1 2 치 별 구 분

- 심 상업지역 (Central Business District)

- 일반 지역

- 교외

1 3 략 인 분 류

가 회 률-마진률

회 율 매출액재고액

마진율 마진액 매액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나 서비스-마진률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1 4 상 품 구 색 에 의한 분 류

Variety(품종) 구색의 넓이

Assortment(품목) 구색의 깊이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2 농산물 소 매 업 태

2 1 업 태 의 개념

업태란 상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팔 것인가에 련된 업 내지 경 방

- 상품구성 가격 매방식 매장환경 업방식 입지 규모

매의 포인트 제조업자 rarr 소비자 (업종 - 업태로 개념 변화)

기존의 업종별 구분에서 소매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

소매업이 주체를 가지고 상품 편성(소비자 주의 머천다이징)

업태별로 머천다이징의 포인트가 다름

기존에는 업종별 ( 매하는 품목의 산업분류) 분류로 통계 집계 공표

해 왔으며 업태에 한 이해가 부족하 음

업태는 역사 으로 볼 때 항상 가변 임

2 2 업 태 별 분 류

가 구 멍가게( mo m a n d p o p s t o r e )

나 재래시장( t r a d i t i o n a l ma r k e t p l a c e )

다 백화 ( d e p a r t me n t s t o r e )

라 슈퍼마켓( s u p e r ma r k e t )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제5 장 농산물 소 매 기

1 소 매 업 의 분 류

소매업은 최종 고객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매하는 유

통기

1 1 소 유 형 태 별 구 분

- 독립 포

- 체인 선진국일수록 체인의 비 이 높음

미국 일반상품 93 식품 60

- 생산자 소유(농 매 )

- 소비자 소유(생 소비자 동조합)

체인 스토어 복수의 포망을 앙본부의 통제하에 운 하는 조직체로

앙집 리방법과 표 화 통일된 system을 가짐

- Regular chain 단일 소유권

- Voluntary chain 독립

- Franchise chain 계약에 의한 독립자본

- Cooperative chain 소비자 공동출자

1 2 치 별 구 분

- 심 상업지역 (Central Business District)

- 일반 지역

- 교외

1 3 략 인 분 류

가 회 률-마진률

회 율 매출액재고액

마진율 마진액 매액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나 서비스-마진률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1 4 상 품 구 색 에 의한 분 류

Variety(품종) 구색의 넓이

Assortment(품목) 구색의 깊이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2 농산물 소 매 업 태

2 1 업 태 의 개념

업태란 상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팔 것인가에 련된 업 내지 경 방

- 상품구성 가격 매방식 매장환경 업방식 입지 규모

매의 포인트 제조업자 rarr 소비자 (업종 - 업태로 개념 변화)

기존의 업종별 구분에서 소매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

소매업이 주체를 가지고 상품 편성(소비자 주의 머천다이징)

업태별로 머천다이징의 포인트가 다름

기존에는 업종별 ( 매하는 품목의 산업분류) 분류로 통계 집계 공표

해 왔으며 업태에 한 이해가 부족하 음

업태는 역사 으로 볼 때 항상 가변 임

2 2 업 태 별 분 류

가 구 멍가게( mo m a n d p o p s t o r e )

나 재래시장( t r a d i t i o n a l ma r k e t p l a c e )

다 백화 ( d e p a r t me n t s t o r e )

라 슈퍼마켓( s u p e r ma r k e t )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회 율 매출액재고액

마진율 마진액 매액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저 회 전 고 회 전

고 마 진

저 마 진

보 석 상 식 품 편 의 점

손 실 할 인 점

나 서비스-마진률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저 가 격 고 가 격

고 서 비 스

저 서 비 스

저 이 익 서 비 스 지 향 적 소 매 업

가 격 지 향 적 소 매 업 잘 못 된 전 략

1 4 상 품 구 색 에 의한 분 류

Variety(품종) 구색의 넓이

Assortment(품목) 구색의 깊이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얕 은 품 목 깊 은 품 목

넓 은 품 종

좁 은 품 종

W al-M art(D S) 백 화 점

Kentucky F ried Ch icken 전 문 점

2 농산물 소 매 업 태

2 1 업 태 의 개념

업태란 상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팔 것인가에 련된 업 내지 경 방

- 상품구성 가격 매방식 매장환경 업방식 입지 규모

매의 포인트 제조업자 rarr 소비자 (업종 - 업태로 개념 변화)

기존의 업종별 구분에서 소매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

소매업이 주체를 가지고 상품 편성(소비자 주의 머천다이징)

업태별로 머천다이징의 포인트가 다름

기존에는 업종별 ( 매하는 품목의 산업분류) 분류로 통계 집계 공표

해 왔으며 업태에 한 이해가 부족하 음

업태는 역사 으로 볼 때 항상 가변 임

2 2 업 태 별 분 류

가 구 멍가게( mo m a n d p o p s t o r e )

나 재래시장( t r a d i t i o n a l ma r k e t p l a c e )

다 백화 ( d e p a r t me n t s t o r e )

라 슈퍼마켓( s u p e r ma r k e t )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2 농산물 소 매 업 태

2 1 업 태 의 개념

업태란 상품을 어떠한 방식으로 팔 것인가에 련된 업 내지 경 방

- 상품구성 가격 매방식 매장환경 업방식 입지 규모

매의 포인트 제조업자 rarr 소비자 (업종 - 업태로 개념 변화)

기존의 업종별 구분에서 소매업이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

소매업이 주체를 가지고 상품 편성(소비자 주의 머천다이징)

업태별로 머천다이징의 포인트가 다름

기존에는 업종별 ( 매하는 품목의 산업분류) 분류로 통계 집계 공표

해 왔으며 업태에 한 이해가 부족하 음

업태는 역사 으로 볼 때 항상 가변 임

2 2 업 태 별 분 류

가 구 멍가게( mo m a n d p o p s t o r e )

나 재래시장( t r a d i t i o n a l ma r k e t p l a c e )

다 백화 ( d e p a r t me n t s t o r e )

라 슈퍼마켓( s u p e r ma r k e t )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마 문 ( s p e c i a l t y s t o r e )

바 편의 ( c o n v e n i e n c e s t o r e )

사 할인 ( d i s c o u n t s t o r e )

아 무 포 소매상( n o n - s t o r e r e t a i l i n g )

① 자동 매기(vending machine)

② 방문 매(sales personnetwork marketing)

③ 통신 매(catalog home-shopping)

④ TV 홈쇼핑(TV home-shopping)

⑤ 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3 신 유통업 태 황 과 망

3 1 형 유통업 체

가 형 유통업 체 황

농산물 유통에서 비 이 큰 형유통업체는 수퍼마켓 백화 할인 으

로 이들 황은 lt표 5-1gt과 같음

lt표 5-1gt 형유통업체 황

구 분 슈퍼마켓 백화 할인2005매출액(조원) 105(82) 167(126) 288(184)

식품의

매출구성비()791 157 586

신선농수산물의

매출구성비()310 90 270

경쟁포인트 품질 품질(집객효과) 품질 가격

주요업체 GS유통 롯데수퍼 롯데 신세계이마트 삼성테스

코 롯데마트

주) ( )내는 소매업 총매출액에서의 업태별 비 임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신업태 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업태는 할인 으로 식품소매업의

형화를 선도하고 있음

- 재 우리 나라 할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업체는 E-Mart 홈 러스

(삼성-Tesco) 롯데 마트 등임

- 2006년 들어 외국계 할인 업체들인 까르푸 월마트가 E-Land

E-Mart에 의한 인수 합병됨

- 외국계 할인 의 실패요인은 머천다이징 경 리 등에서 지화에 실

패하 기 때문임

수퍼마켓은 할인 과의 경쟁에 려 성장세가 주춤했으나 홈 러스 롯데

수퍼가 출 을 가속화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음

- 기존 LG유통이 GS수퍼마켓으로 상호를 변경하 으며 한화유통의 수퍼

마켓 부분이 롯데에 인수되어 롯데수퍼로 개칭되었음

앞으로 할인 시장이 포화단계에 근 하면서 형화된 수퍼마켓인 수퍼

수퍼마켓(SSM)이 발달할 것으로 망

- 수퍼수퍼마켓(super supermarket)은 매장면 이 500~700평 정도로 기

존 수퍼마켓보다는 크고 할인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상품구색도 식품

주로 구성

- 표 인 업체로는 E-Mart의 Everyday와 롯데의 Lemon

나 형 유통업 체 매 구 매 특성

(1) 농산물 매의 새로운 동향

처리 소포장 농산물 선호도 상승

- 당근 무 고구마 등 세척농산물 매 증가

- 비용 감 차원에서 포내 처리 소분포장 작업의 최소화

- 간편채소(미리커트된 샐러드 등) 매 확

식품 안 성 리 강화

- 안 성이 확보된 특정지역과의 거래 선호

- 품질인증품 매 확

고품질 상품과 품질 상품 매의 이원화 략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 렴한 세일 상품 고품질 상품의 차별화

백화 에서는 고품질 상품 매 확

- 품질고 화 차원에서 유기농산물 농약농산물 매 추진

할인 에서는 가의 기획상품 매 확

- 가격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추진

신선식품 만족제 운

- 고객이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교환 환불해주는 리콜제도 운

(2) 농산물 구매의 요소

품질 향상 합리 인 구매

- 일정 품질 이상의 농산물을 정한 가격에 구매

농산물의 안 성 확보

- 사고 험에 비(제조물책임법) 유기농산물 등 자연친화 인 농산물개발

- 상품 검사 기능 활성화

거래의 안정성 확보

- 업체의 잦은 변경이나 지나친 가 주의 구매 지양

- 출하 규모가 크고 안정 인 공 자 요구

rArr 공 자의 문화 규모화 효율화로 품질 안 성의 보장과 비용 감

경쟁력 있는 구매력 확보

- 도매시장구매 산지비축구매 산지포 구매 농가계약재배 등 다양한 거래

방식 채택

lt1차식품 구매 행태gt

1차식품 구매 포인트

- 구매단가(18) 안 성(202) 당도색깔(247)

출하능력 (124) 규격화포장화 수 (236)

자체 검품 기 유무

- 유(78) 무(22)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3 2 외식 식 자 재 유통업

체식품소비지출 외식비 지출이 40에 달해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외식의 요성이 매우 크나 외식업이 기업화되지 않아 련 자료 부족으

로 실태 악 곤란

기업형 외식시장은 체 규모 약 15조원(패 리 스토랑 2천억원 패스

트푸드 1조 3천억원)이며 소득 수 향상으로 시장 지속 으로 확

- 패 리 스토랑 TGIFridays 푸드빌 베니건스 등

- 패스트 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BBQ KFC 등

단체 식 시장은 총 시장규모 54조원

- 주요 업체 LG아워홈 삼성에버랜드 CJ 푸드시스템 신세계푸드시스템

푸드머스 등

한식 식 일식 등 비기업형 외식 시장규모 12조원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서 취 하는 농산물은 백화 할인 수퍼마켓

과 같은 유통업체와 달리 품질보다는 가격 선호

- 낮은 식단가 소비자의 품질식별 능력 부족 등의 요인

외식 식자재유통업체의 농산물 구매 특성

- 식자재 질의 일정한 유지(센트럴키친 운 으로 맛의 통일)

- 계 별 메뉴별 신규 식자재의 지속 개발 요구

- 수입 식자재 사용 증

- 앙집 구매와 업장 직 구매의 조화

최근에는 업장에서의 노동력 감 쓰 기 문제 때문에 산지에서 일정부

분 가공하는 처리 농산물에 한 수요 증

3 3 자 상 거 래 ( 인 터 넷 쇼 핑 ) T V 홈 쇼 핑 황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우리 나라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비약 으로 증가하여 2005년말 재 3천

3백만 돌 (lsquo94 14만명 rsquo98 310만명 lsquo99 680만 2000 1900만 2001 24백만

명 2002년말 28백만)

2005년의 사이버쇼핑몰의 거래규모는 총 10조 7천억 규모( 체 소매 매

액의 50 수 )

식품 농산물을 매하는 인터넷쇼핑 사이트는 약 600여개 정도이며

체 매출액은 체 자상거래 매출의 약 7 수

- 식음료 건강식품 381 꽃 59 농수산물 559

- 농림부에서는 통합쇼핑몰(wwwa-peacecom)을 운 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경기도 kgfarmcokr) 농 앙회(인터넷 하나로클럽

shoppingnonghyupcokr)와 우체국(ePost) 등에서 쇼핑몰 운

- 재 홈페이지 수는 4600여개(개인 농업인 조직 포함)

산지와 형 구매처간의 거래를 개하는 B2B는 아직 보단계임

- 비교 표 화가 잘 되어있는 수입축산물을 심으로 2001년 1717억원

매출 달성

- 수요처로는 형유통업체 단체 식업체 가공업체 등임

- 농산물 b2bhanarocom LG유통 Foodmerce

- 축산물 DreamXfarm Mearmartauction iDeli 등

2005년 TV 홈쇼핑 시장 규모는 38조원

- LG홈쇼핑 CJ쇼핑 농수산TV 우리 홈쇼핑(롯데에 인수) 홈쇼핑

등 신규로 3개 채 인가

- 식품의 비 은 5 이내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제6 장 농산물 도 매 기

1 도매상의 기능

도매상은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조달하여 이를 소매상 혹은 다른 도매상에게

매하는 유통기

- 도매상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요한 기능은 수집과 분산임

- 수집 분산 기능은 소매상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지리 으로 소하

고 제조업자의 유통지배력이 강력한 국내 유통산업의 경우 이러한 상이

- 최근 들어 형할인 이 체인화 되면서 이들 포의 본부가 도매상 기능을

수행

외국의 경우에는 다양한 상품의 수집분산과 물류를 담당하는 형도매상이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우리 나라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상품만을 취 하는 소

규모의 속도매상만이 존재하며 수집기능이 부족하고 규모의 세성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음

도매상은 유통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유권이 물류 진 융 험부담

상 주문 지불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

생산자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도매상 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985103 소매상

uarr uarr

시장확 기능 구색갖춤 기능

재고유지 기능 소단 매 기능

주문처리 기능 신용 융 기능

시장정보제공 기능 소매상서비스 기능

고객서비스 행 기능 기술지원 기능

lt그림 6-1gt 도매상의 기능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2 도매상의 유형

도매상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반 으로 제조업자 도매상 상

인 도매상 리인 개인( 로커) 등으로 분류

- 도매상과 리인 개인의 차이 은 도매상이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는데

반해 리인 개인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단지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

수행

2 1 생산자 도매상

생산자 도매상은 독립 인 도매상이 아니라 생산자에 의해 운 되는 도매상

을 의미

- 농산물의 경우 농 이 운 하는 공 장 종합유통센터가 여기에 해당

2 2 상인 도매상

상인 도매상(merchant)은 자신들이 취 하는 상품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제조

업체 는 소매상과는 련 없는 독립된 사업체

가 완 서비스 도매상

완 서비스 도매상(full-line wholesale merchant)은 유통경로 상에서 물 소

유 진 상 융 험부담 주문 지불 등 거의 모든 활동 수행

- 한 재고유지 매원의 이용 신용제공 배달 경 지도와 같은 종합 인 서

비스를 소매상에게 제공

-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 에서 매되는 상품을 종합 으로 조달하여 배송해

주는 종합도매상이 이러한 유형에 속함

나 한정서비스 도매상

한정서비스 도매상(limited-line wholesale merchant)은 그들의 고객에게 소수

의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유형의 도매상

- 한정서비스 도매상에는 거래 도매상 트럭도매상 직송도매상 등이 있음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거래 도매상은 회 이 빠른 한정된 계열의 상품만을 소규모의 소매상에게

지불을 조건으로 매 하며 배달은 하지 않음

- 종합유통센터의 장 도매가 이 부류에 속함

트럭도매상은 트럭 개상이라고도 하며 주로 매와 배달기능을 심으로 업

- 식당에 납품하는 도매상이 이 부류에 속함

직송도매상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수하면 거래 조건에 합한 제조업자를

찾게 되며 상품은 제조업자로부터 고객에게 직 운송

- 이들은 재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주문을 수한 이후에서부터 상품의 배달

까지만 험을 부담하게 되므로 일반 으로 렴한 비용으로 매 가능

2 3 리인 개인( 로커)

리인과 개인( 로커)은 거래되는 상품에 한 소유권을 보유하지 않고 단

지 상품의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수행

- 이들의 주 기능은 상품매매를 용이하게 하고 그에 한 가로 일반 으로

매가격의 2~6 정도의 수수료를 받음

가 리인

리인은 일시 인 거래가 아니라 장기 이고 지속 인 거래를 해 구매자나

매자 한 쪽을 표

- 리인은 제조업자 혹은 매인을 리하거나 구매인을 리하여 특정 상품

의 매나 구매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

나 개인( 로커)

개인의 주 기능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 상을 도와주는 데 있음

- 개상은 재고를 보유하지 않고 융에 여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거래에

한 험을 부담하지 않게 됨

- 그들은 구매자와 매자 사이에서 거래를 진시키는 역할만을 하고 고용한

측으로부터 일정액의 보수를 받음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제7 장 산지 유통

1 산지 출 하 체 계

1 1 출 하 경 로

농가의 세성 생산자 단체의 조직화 미흡으로 공동출하선별계산이

조하며 이로 인해 농가의 교섭력 취약

- 채소류의 경우 평균 수확면 이 003~038로 세하며 상업 농

형태를 갖춘 양 고추의 경우도 호당 평균 수확면 은 01~04에

불과

- 2000년말 재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 비율은 약 35로 추정되나

공동출하는 공동수송과 정산 행 수 에 불과하고 상품화 로개척 홍

보 과 같은 마 활동 수행에는 미흡

- 농가의 개별 매 비율이 높은 품목은 밭떼기 비율이 높은 무 배추 등

엽근채류와 수확 장후 상인에게 매되는 양념채소류이며 과채류와

과일류는 농 작목반 농조합 법인 등에 의한 공동 출하의 비율이

높음

재의 유통시스템 하에서 집하 선별 등 화 포장 로선택 장 출하

등 산지유통기능과 마 기능은 주로 생산자 개인 혹은 작목반 수집상

에 의해 수행되며 농 농법인과 같은 생산자조직의 활동 미약(그림

7-1)

lt그림 7-1gt 농 공동출하 실태

기능

생산기능 산지유통기능

종 재배 수확 집하 선별등

화포장

선택장 출하 수송 정산

담당

주체

생 산 자농

생 산 자 작 목 반생산자 수 집 상

농 농조합법인 등 생산자조직을 통한 공동출하의 제약 요인은

- 경 마인드 부족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 고비용 효율 구조

- 규모의 세성

- 문인력 부족

- 조합원의 의식 미비

- 직선조합장의 한계

- 인센티 시스템 도입 제약

- 연 공 체계 미비

- 품목의 제한

- 장기 투자의 제약

생산자조직의 공동출하시 출하방식은 부분 농가가 선별 포장하여 출하

하는 형태이며 공동선별출하의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함

1 2 밭 떼 기 실 태 와 문 제

수집상이 농가로부터 상품을 확보하는 방법은 밭떼기와 농가가 선별한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로 구분되며 채소류의 경우 밭떼기의 비율이 높음

(표 7-1)

- 특히 배추 무 양배추 등 엽근채류에서의 밭떼기 비 이 매우 높음

- 반면 포장규격화와 경매체제가 정착된 과일과 과채류의 경우 생산자에

의한 도매시장 출하비율이 높음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lt표 7-1gt 주요 품목의 밭떼기 거래 실태

품목 주산지 조사

지역

거래비 1) 계약시기 거래단

배추 남경남 북

충남경기

서산 평택 90~95 종 ~수확

20일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배

강원 지리산 평창 정선 80~85 정식~수확

10일

300평

가을배추 충청호남 고창 나주 85~90 종이후~수확

10 20일

무 경기강원

경남

부여 고창 95 이상 종시기~4월 비닐하우스

1동(200평)

고랭지

강원 북

경남

정선 평창 80~85 정식~수확10일

가을 무 충청호남 고창 나주 90~92 수확

10~20일

양배추 제주 남

강원

제주 진도 제주90

진도100

수확10~30일 평

당근 제주 제주 60~65 정식~수확 평

마늘 호남(난지형)

남(한지형)

무안고흥의

성서산

난지10~20

한지1~5

수확

20~60일

평 는

마지기(200

평)

양 제주호남 남 무안 창녕 무안10~15

창녕5

수확

20~60일

마지기(200

평)

식량작물

남경남

경기충남

진도 90 수확

2~4개월

감자 제주 남

경남

보성 창녕 60~63 수확

10~30일

Kg

고랭지감

강원 평창 정선 40~45 수확

20~60일

가을감자 제주 제주 50~55 수확

10~30일

고구마 남경기 해남 여주 해남 70

여주 10

정식~

수확30일

1) 조사지역 총 출하량 밭떼기 거래에 의해 출하되는 물량의 비

자료 농수산물 유통공사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밭떼기의 경제 성격

- 밭떼기는 수확 농작물을 상으로 산지수집상 혹은 향수요처가 농

민에게 계약 을 주고 정해진 가격에 일정 물량을 수확해 가기로 계약

하는 일종의 선도거래 방식

- 계약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거래와는 달리 선도거래(forward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contracts)는 일정량의 상품(commodity)을 정해진 기간 후에 약속된 가

격에 매매하기로 당사자간에 약정하는 계약

- 즉 가격 수량 결제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계약은 지 시 에 이루어

지나 상품과 의 교환은 나 에 이루어짐

밭떼기의 경제 기능

- 가격 험(price risk)의 회피수단

- 미래가격 발견효과 출하기 가격 측

- 간상인에게 투기 수익기회제공

- 산지유통경로 제공

- 수확노동력 감(특히 세소농의 경우)

- 융기능(선도 지 )

밭떼기 문제

- 상인의 계약 기(계약 20~30 수 )

rArr 옵션형거래 추진

옵션거래형 밭떼기계약은 계약 기를 자유로이 허용하는 신에

정한 수 의 법정 계약 을 설정

1 3 생 산자 조 직 산지 유통시 설 황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은 작목반 농조합법인 지역농 품목농

품목별 국 의회이며 이들 황은 lt표 7-2gt와 같음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lt표 7-2gt 산지유통 련 생산자 조직

구 분 조 직 수 주 요 기 능

작목반

농조합 법인(rsquo00)

농업회사 법인(rsquo00)

지역농

인삼농

회원품목 농

비회원품목 농

품목별 국 의회

17747

3852

1356

1130

14

46

55

26

(1251조합)

공동생산 공동출하

업 농업경 (유통 가공 수출)

기업 농업경 (농작업 행 유통

가공 매)

신용 경제 공제사업

신용 구매 매

공동구매 매

생산출하자율 조정

주) 축산계통 조합은 제외

산지유통 련 시설로 2005년말 재 운 인 것은 미곡종합처리장(RPC)

330 산지유통센터(APC) 232 축산물종합처리장(LPC) 10 간이집하장

3065개소 산지공 장 64 온 장고 3076 선과장 651개소 등임

산지유통센터는 과거 청과물종합유통시설 청과물종합처리장 포장센터

등을 포함한 산지유통의 거 시설

간이집하장은 농산물의 단순한 수집 출하 기능을 담당하기 해 작목반

농 등 생산자 조직에 지원된 50~200평 규모의 시설이나 창고 등 타용

도로 환되는 사례 많음

- 운 주체별로는 작목반 1299(424) 농법인 356(116) 농회

698(228) 농 628(205) 기타 84(27) 임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산지유통센터 간이집하장 이외에 산지에서 경매형태로 운 되는 공 장

이 64개소 운 (청과물 기 )

- 산지 공 장에서 거래되는 품목은 주로 과일류 과채류이며 지역별로

도 경남북에 집 분포

- 산지공 장은 도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에 의해 상품이 거래되고 있

으며 경매 주 은 운 조합의 경매사가 담당함

- 생산자들은 자체차량을 이용하여 출하하거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농

차량을 통한 순회수집이 일반 임

이들 산지유통시설은 정부의 농어 구조개선 사업에 의해 거 건립되었

으나 시설 활용도가 미진한 문제 을 보임

- 가동 부진의 요인은 부 한 품목 사업자 선정 작목반 등에 한

계열화체계 미약 조합원 주의 폐쇄 운 등

2 산지 유통센 터 운 황 과 발 방 안

2 1 산지 유통센 터 의 개념

APC는 청과물 유통의 핵심시설로 생산자조직의 물 기반

- 집하 세척 선별 포장 장 가공 등 상품화와 매 기능 수행

lsquo98년이 까지 청과물종합유통시설 포장센터라는 이름으로 지원

lsquo98년부터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로 명칭 변경 2005년까지 232개소 지원

- 2005년까지 232개소에 1955억원 지원(거 APC포함)

2004년부터 FTA과실기 에 의해 규모 거 APC 지원

- 거 APC는 100억 이상 규모 재원이 투입되고 시군 단 이상의 지역

을 상으로 운 되는 규모 시설임

- 2005년까지 7개소에 325억원이 지원되었으며 2006년에 신규로 4개소 설

치 정

2 2 운 실 태 와 문 제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① 시 설 의 가 동 률 이 낮 고 운 부 실 화

- 선별기의 연간 가동일수는 932일에 불과하며 형시설인 청과물종합처

리장의 가동일수는 45일에 불과함(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자료)

- 온 장고의 연간 평균 가동일수는 2653일로 조사되었으나 장용량

비 가동률은 50 이하

- 농 의 경우 일반 리비를 포함할 때 산지유통센터당 약 1억정도의 손

실로 추정

② 능 력 없 는 사 업 자 선 정

- 연도별 사업량을 설정함으로써 능력 없는 사업자가 선정되는 경우가 있

으며 사업 부실화의 요인

③ 패 키 지 지 원 에 의한 과다 시 설 장 비 설 치

- 시설 장비가 패키지로 지원됨으로써 일부 사업자에게는 불필요한 시

설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음

④ 수확 후 리 체 계 미 구 축

- 산지유통센터에서 수집 선별 등 화 포장 냉 건 온 장 수송

등의 기능이 효과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다양한 수확후 리기술이

용되어야 하나 우리의 여건에 맞는 기술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장지도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시설활용에 문제 을 보이고 있음

- 특히 고가의 기계식선별기 등이 철 한 경제성 검토없이 도입됨으로써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냉 온 장 등도 기술부족으로 소

기의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2 3 산지 유통센 터 의 역 할 과 기 능 정 립

산지유통센터는 생산자들이 생산한 원료농산물을 수집하여 세척 단등

단순가공처리후 선별 등 화하고 표 규격용기에 담아 포장하고 여기에

이름(상표)을 붙여 신속한 통명거래가 가능 하며 냉 등 온처리를

통해 신선도를 유지시키고 온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함

- 이는 농산물을 차별화도지 않은 상품(commodity)에서 표 규격화되고

자기이름(상품)을 가진 제품(product)으로 바꾸는 제2의 생산기술이라

고 부를 수 있으며 비용을 수반하는 부가가치의 창출과정임

이러한 생산과정에는 신기술도입에 따른 막 한 자본투자가 일어나기 때

문에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게 생산된 신제품의 가격을 제 로 받아야 하

고 유통 매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에서 기업 에서의

마 과 경 의 상이 됨

이러한 에서 보았을 때 산지유통센터는 표 규격화된 신제품을 생산

하는 생산공장이며 기업과 같은 경 체라고 말할 수 있음

- 따라서 일부에서 산지유통센터를 마치 공공서비스시설로 생각하는 것

은 잘못된 시각임

- 만일 이러한 에서 산지유통센터가 도입되고 운 된다면 막 한 국

고손실은 물론 개인자본의 손실까지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특히 산

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일부 지역농 에서 회원조합원을 한 환원서

비스산업차원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 하는 것은 시 히 시정되어야

함)

신제품 생산과 더불어 산지유통센터는 팔 트를 이용한 ULS(Unit Load

System 단 화물화) 구축으로 물류비 감에 기여하고 EDI를 통한 수

발주 체계 구축으로 정보화 수 을 높이고 장차 자상거래 에 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함

산지유통센터는 생산되는 신제품의 마 을 제로 운 되어야 하며 특

히 경 체의 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의 확립이 필요함

- 시장지향 마 은 lt그림 7-2gt와 같이 고객만족을 한 제품

(product)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한 가격(price)에 유통 매(place)

시키고 소비를 진(promotion)하는 4P의 마 믹스를 의미함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lt그림 7-2gt 생산지향에서 시장(고객)지향 마 으로

생산 자원

재무 연구 개발

기술

제품

유통 가격 촉진

마케팅표적시장

고객

재 무 자 원

판 매

생 산

생산지향 마케팅 시장(고객)지향 마케팅

결국 산지유통센터는 하나의 독립된 경 체로서 마 략 하에 원료

농산물 조달 제품생산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제품 매

진등에 한 여러 가지 련과제들에 한 경제 이고 합리 인 의사결

정을 내려야 함 (표 7-3)

lt표 7-3gt 「산지유통센터」의 바람직한 기능

구분 기 능

마 경 략

∘시장지향형 마 략 수립

- 마 믹스(4P)

∘표 시장 표 고객에 한 시장정보조사

∘시장세분화 포지셔닝

∘상품차별화(상표도입 랜드화)

∘ 험과 불확실성 리

∘소비 매 진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원료농산물

조달(구매)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생산계약인도계약)

- 품종 종 수확 재배(사육)조건 물량인

도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생산자의 계약이행 불이행에 한 제재

∘공동생산 공동계산(pooling)

제품생산

∘선별(등 ) 규격 포장(표 규격상품)

∘가공처리(세척 박피 단 등)

∘ 냉 등 수확후 처리

∘ 온 장

∘ 온수송

∘품질 리(식품안 성조사 등)

제품 매 진

∘유통경로 매방식 선택(시장 매 계약약

정 매)

∘인도상품 규격 수량

∘인도시기 매시기

∘가격수 가격결정방식

∘계약조건에 한 교섭력

수확후 리기술

가공처리설비

∘ 정 기술과 시설규모 단(선별기 냉기

장시설 가공시설 등)

∘ 리운 의 효율성 (운 기법)

∘시설배치(layout)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제8 장 동 조 합 유통

1 동 조 합 유통의 개념과 효 과

1 1 개념

푸드시스템의 단계상 인근 단계에 한 인테그 이션(통합)

- 생산자재의 통합 rarr Backward Integration

- 농산물 수집 가공 도매 참여 rarr Forward Integration

게임이론 모형(Sexton Vitaliano) cooperative game

U( 동) gt U(개별) + U(개별)

1 2 동 조 합 유통의 효 과

가 거 래 비 용 감 ( 유통마 진 감 )

규모화 Pooling에 의한 정보탐색 비용 감

나 독 화 에 의한 시 장 교 섭 력 제고 일 종 의 C a r t e l 화

미국에서는 Capper-Volstead Act에 의해 농업생산자에 의한 독 화는 합

법화됨

- 독 화에 의한 시장교섭력제고는 free rider 문제 발생 rarr 정부의 정책

지원(marketing order) 필요

- 시장교섭력 제고에 의한 가격인상효과 한 실증 분석 결과 실제 효과의

존재여부는 회의 임

다 민 간 업 체 의 독 과 이 윤 견 제 C o m p e t i t i v e Ya r d s t i c k

유통 가공 등에 동조합이 참여함으로써 민간업체의 시장지배력 응

라 농업 생 산자 의 경 다 각 화

유통 가공 단계의 통합에 따른 소득원 창출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2 공 동 계 산제의 효 과 추 진 략

2 1 정 의

공동계산(pooling)이란 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주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농가들의 상품을 혼합하여 등 별로 구분하고

리 매하여 그 등 에 따라 비용과 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

는 방법

-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매가격의 차이에도 불구

하고 총 매 을 등 별 출하물량에 따라 배분

- 농가별 배분 액 = (등 별 매 - 매제비용) divide (등 별 출하물

량)times(농가의 등 별 수량)

2 2 공 동 계 산의 유리 성

개별농가의 험 분산

- 품질 하 감량 발생 가격변동출하시장출하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험 경감

- 농산물 가격은 출하시장과 출하시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

고 심지어는 같은 시장 내에서도 경매시간 에 따라 가격차가 발생함

유통비용 감

- 다수 농가의 물량을 수집하여 공동수송을 하더라도 거래가 농가별로 이

루어지면 소비지에서의 하차 진열 경매 등을 농가별로 일일이 구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발생함

- 공동계산을 하게 되면 농가별 구분없이 등 별로만 거래하기 때문에 1회

거래물량이 커지고 거래 상품 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약하고

상품성 하를 방지하게 됨

시장교섭력 확보

- 생산자 조직이 공동계산을 통해 많은 물량을 출하하게 되면 도매인 등

시장참여자들로부터 무시당하지 않고 가격교섭 등에 있어서도 등한 힘

을 행사할 수 있음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출하조 용이

- 단순 공동출하 시에는 반원간의 이해조정이 어려워 출하조 이 곤란하지

만 공동계산을 할 경우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출하물량을 시장별로

히 조 할 수 있음

상품성 제고

- 개별 출하에 비해 엄격한 선별과 등 화로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고 조직

단 공동 랜드를 사용함으로 써 소비지 지명도를 높이고 랜드 가치

를 향상시킴

2 3 공 동 계 산제 실 시 사 례 ( 상 주 외서 농 )

공동계산제 실시 배경

- 상주는 배 생산에 있어 조건 불리지역으로 도매시장에서 항상 낮은 가격

을 받아 와 공동계산제 실시(나주보다 2000원 조치원보다 4000원 낮게

가격 형성)

- 시장공략시에는 물량의 확보가 요한데 공동선별 공동계산을 통해 조합

이 물량을 확보하여 지속 으로 공 할 경우 도매인으로부터 높은 가

격을 수취할 수 있음

공동계산 방법

- 농가생산량 량 수탁

- 3불 원칙 출하처(어디) 출하시기(언제) 출하가격(얼마)에 해 으로

조합에 임하며 선별과정에 생산농가 참여 불가

- 수확도 농 이 통제하며 수출 장 직출하 등의 선택은 생산자가 함

- 수확 후 농 이 운송하며 입고과정에서 등 을 정함

추석 직후 구정 장기 장분 등 3차례로 나 어 정산

- 정산가격은 등 별 크기별 거래처 평균단가 용

- 소포장의 경우 15Kg으로 환산하여 용

- 정산 시간이 소요되는 때문에 조합에서는 8월말 작목반장 회의에서

평균단가를 상하고 그것에 기 를 두어 상 정산 액의 50를 무이

자 선도 으로 지 함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하여 차츰 참여농가 확

- lsquo98년에 10명으로 시작하여 생산량 량을 물류센터에 출하하 음

- lsquo99년에는 70명이 참여하 으며 확 된 물량으로 가락동 시장에 진입 조

치원 가격수 수취

- 특히 가락동 시장에는 팔 트로 출하함으로써 하역료 면제(팔 트당 42

박스 출하)

- 공동계산제 참여 생산자들은 조합과 약서를 작성하여 계약의 의무를

지게 됨

출하규격은 5Kg 75Kg 15Kg이며 농 유통 풀무원 동화청과 농 공

장 등에 출하하고 있음

- 2000년부터 비 괴 당도선별기를 도입하여 명품 랜드를 육성하여

백화 에 납품

선별 입고작업에는 27명이 투입되며 리하는 조합 직원은 정규직 1인

트타임 1인(6개월 계약)임

- 선별작업료는 박스당 1000원(인건비) + 재료비(박스 난좌 등)이며 장

비는 박스당 1500원임

- 장시에는 감모율 데이터가 없어 월별로 일정 비율을 공제함

- 조합은 공동계산제 실시로 3의 수수료를 징구함(일반 공동출하의 경우

수수료율는 025 도매법인의 환원수수료임)

공동계산제의 효과

- 가격상승 공동계산 실시 2개월만에 나주 가격수 으로 상향되었고 3개

월만에 조치원 가격을 상회하 음

- 농가 개별 출하에 비해 가격이 20 상승되는 효과를 보임

- 직거래 확 로 농가 소득 증

애로 사항

- 장시 감모분 계산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가격 정산이 어려움

- 도매시장 도매인들이 공동선별품을 선호하지 않음

- 형유통업체와의 직거래시 회수의 안 성 문제

공동계산제는 조합 유통사업이 지향해야 할 목표이고 핵심 인 사항은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조합이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한 수수료를 징구하는 것임 지 까지

농 매사업은 부가가치의 제공이 없어 수수료를 제 로 징구하지 못

하여 매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음 앞으로

부가가치 증 로 유통사업을 환원사업에서 수익사업으로 환시켜야 할

것임

2 4 공 동 계 산제 추 진 략

가 성 공 요인

1 ) 종 합 임 직 원 조 합 원 의식 환

공동계산제 성공 조직의 특성이 조합임직원의 헌신 인 노력과 설득이

뒷받침되었음을 볼 때 안성과수도 조합장을 시한 조합 임직원들의 확

고한 신념과 의지가 필요함

- 한 조사에 의하면 공동계산 조직 88가 리더의 설득에 의해 공동계

산에 참여하 다고 응답하 고 52의 조직은 공동계산제 성공요인을

매담당자 작목반장 등의 헌신 인 노력에서 찾고 있음

의식 환과 함께 매담당자의 공동계산제 련 업무 능력을 높이기

해 외부 탁교육 등을 실시해야 하고 업무 자율성을 부여해야 함

- 상주외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들 소수 참여자들이 공동계산제로

좋은 성과를 보게 되면 추후 다수의 농가들이 참여하게 될 것임

2 ) 참 여 농가 에 한 지 도 서 비 스 강 화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조합에서 농자 출 농자재 매

등에 있어서 혜택을 주고 생산과정에서부터 엄격한 지도와 리를 하여

생산기술수 이 평 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에 해서는 유통 약(marketing

agreement)을 체결하여 생산자의 책임과 의무 사항 혜택사항을 문서

로 명시해야 함

- 유통 약에는 인도물량 인도시기 인도방법 인도장소 정산방법 매방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법 등에 한 구체 인 사항이 명시되고 계약당사자간 강제력을 가지고

실천되어야 함

3 ) 합 리 인 정 산기 개발

생산자의 매가격은 등 크기 이외에 과일의 경도 외 등 여러 가

지 물리 화학 특성에 향을 받고 있으며 출하시기에 따른 감량이 발

생하여 매가격과 수익이 향을 받고 있어 이에 한 과학 인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이를 해서는 등 크기 이외의 조정계수와 출하시기별 조정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는 과학 인 조사가 필요함

일본에서 개발된 농가별 평가 수에 의해 정산방식을 하나의 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 농가별 평가 수는 조합원이 생산물을 산지유통센터에 출하할 때 조합의 평

가원이 행하는 검량 품질등 평가 크기 등 평가 종합평가(종합 정에 의

한 조정계수) 출하 시기별 평가(출하시기에 따른 평가의 조정계수) 등에 기

하여 평가됨

- 농가별 평가 수 = 출하수량 times 품질등 수 times 크기등 수 times 종합평가조

정계수 times 출하시기별 조정계수

- 평가 수 1 당 수익 = ( 매총수익 - 매필요경비)평가 수총계

- 농가 개인별 배분액 = 개인별 평가 수 합계 times 평가 수 1 당 수익

나 추 진 자

1 ) 교 육 실 시

공동계산의 유리성 필요성 실시방법 등 교육

공동계산 선지농 장 견학

2 ) 참 여 농가 선 정

공동계산제 참여 농가 모집 선정

3 ) 등 기 설 정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엄격한 기 에 의해 출하등 을 설정하며 등 은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

는 기 에 따라야 함

4 ) 공 동 계 산기 간 설 정

정산 주기를 1개월로 할 것인가 혹은 연간 몇 회를 할 것인가 결정

5 ) 선 별 포 장

선별방법 선별장소 등 결정

포장방법 포장장소 품질검사 주체 방법 결정

6 ) 정 산

정산 소 트웨어의 확보 정산의 공정성 유지

7 ) 추 진 결 과 공 개 효 과분 석

공동계산제 추진의 성과를 참여 농가에게 공개하고 개선보완할 사항

악하여 다음 해 공동계산제 추진에 반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제9 장 등 화 표 화

1 등 화 표 화 의 개념 기 능

표 (standard) 동의된 일정 기

- 도량형 표 KS규격(산자부 기술표 원) 친환경농산물 규격 식품공

(가공식품 표 ) CODEX(국제식품규격) 등

등 화(grading)

- 농산물을 특정한 기 에 의해 몇 개의 동질 인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

표 화 등 화의 기능

- 상품의 통명 거래(marketing by description) 가능

- 시장 정보의 유용성 제고

- 거래의 효율화(탐색 거래 비용 감)

- 효율 인 가격 발견(price discovery)

- 선물시장의 개설 가능성

- 물류비(수송비) 감 고품질 원격지 수송 품질 인근에서 소비

- 시장 경쟁 진 동질 상품화로 가격경쟁 진

- 가격효율성 제고

1) 정확한 가격 시그 - 소비자의 합리 인 선택 유도

2) 품질과 가격간 계 형성 - 고품질 생산의 유인 제공

- 공동계산(pool) 효과로 유통효율 증진

- 소비 확 품질에 한 신로로 수요 확

- 품질별로 다른 가격을 수취하게 되면 생산자에게는 이득 (price

discrimination)

- 수출확 에도 도움

정부 규격 vs 기업의 규격

- 정부 규격의 범용성으로 국가 표 설정

- 미국의 경우 주별 규격도 운용

-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 민간업체의 비 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독자

인 규격이 국가 규격보다 우 에 서게 됨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3 우 리 나 라 의 농산물 표 규 격 화 ( 농산물품 질 리 원 )

3 1 개 념

농산물 표 규격화란 농산물을 국 으로 통일된 기 즉 표 규격에 맞도록

품질 크기 쓰임새에 따라 등 을 매겨 분류하고 규격포장재에 담아 출하함으로

써 내용물과 표시사항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임

규격 표 의 조건

- 소비자들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한 제품특성(characteristics)에 의거

설정되어야 함

- 정확하고 일 되게 측정되고 해석되는 제품속성에 기 를 두어야 함

- 규격에 한 용어가 거래 참여자에게 일반 으로 공유될 수 있어야 함

- 규격이 보통의 생산 상황을 반 해야 함

- 규격화 등 화의 비용이 렴해야 함

2 표 규 격 화 의 문 제

품질 기 의 문제

- 품질이라는 것이 주 이기 때문에 객 인 기 을 만들기 어려움

- 품질규격이 소비자 선호도를 잘 반 하지 못함

- 소비자의 편익보다는 상인의 편리성 주로 설정

둥 의 정 설정

- 객 인 정 기 의 어려움(sensory test)

- 등 수의 결정 근거

- 연도별 작황의 차이에 따른 등 별 분포의 차이

- 부패성 때문에 한 시 에서의 등 이 변화될 수 있음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농산물 표준화규격화 모식도]

3 2 문 제 필 요성

농산물은 품종 재배지역 등이 다양하여 생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부패 변질 등으로 선도유지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시장거래의 효율성을 높

일 수 없는 구조 인 제약이 있음

따라서 유통능률을 향상시키고 신속middot공정한 거래를 진하며 상품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해 유통농산물의 표 규격화가 필수 임

- 신용도와 상품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증

- 품질에 따른 가격차별화로 정확한 정보제공 공정거래 진

- 수송 재 등 유통비용 감으로 유통의 효율성 제고

- 선별middot포장출하로 소비지에서의 쓰 기 발생 억제

3 3 법 근 거

- 농산물품질 리법 제4조(표 규격화)

- 동법 시행령 제32조 제3항(권한의 임)

- 동법 시행규칙 제3조(표 규격의 제정) 제4조(표 규격의 시험의뢰)

제5조(표 규격의 고시) 제6조(표 규격품의 출하 표시방법)

3 4 추 진 경 과

70년 이 곡물과 수출농산물의 수매 심의 국정검사 규격

70~rsquo80년 농 에서 농산물 표 규격화 사업 추진

- 농 자체 농산물 표 규격 제정middot보 - 정부가 표 거래단량 제정middot고시 포장middot등 규격 보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90년 이후 rsquo92 농 에서 농 원(구 농검)으로 표 규격 제정업무를 이

- 종 의 포장재질 포장단량 포장치수 등 포장규격만을 규정하던 것에서 품질을 객 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기 도입

97~rsquo98년 국가물류표 화 정책에 부응하기 해 농산물 포장규격을 물류표

화기 에 맞게 개편

- 한국산업규격(KS A1002) 수송포장계열치수 용 69개 모듈

농산물유통에 물류 표 화 도 입 배 경 ( rsquo 9 7 )

농산물을 유통시킴에 있어 표 화된 처리시스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물류비용

의 감과 유통효율성을 제고하고

농산물의 포장규격을 단 화물 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통칙에

맞도록 정비 보강하여 하역 보 수송의 기계화middot 화 기반을 마련하기 함

- 물류표 화기 KS규격의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1100times1100)

농산물을 산지에서 도매시장까지 수송을 목 으로 포장규격 제정

rsquo00년~ 소비생활 수 향상 자상거래가 진 됨에 따라 등 규격을 소비자 지

향 디지털유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편

- 소비자기 호에 맞는 품질기 정비 소포장 규격 제정

3 5 표 규 격 제middot 개정 차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3 6 표 규 격 의 구 성

lt등 규격gt

등 규격은 고르기 색택 모양 당도 등의 다양한 품질요소와 크기

무게에 의하여 「특」「상」「보통」3단계로 구분

- 고르기 모양 색택 무게 숙도 신선도 당도 맛 향기 꼭지 가벼운 결 과

껍질뜬 것 등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크기는 무게 직경 길이를 계량기 으로 해서 특 소(특소)의 4~5단계

로 구분《참 고 일 반 인 등 분 류 방 법 》

등 은 크기와 무게를 기 으로 1차 선별한 후 외 에 나타난 색택 모양 신선

도 결 유무 등으로 2차 선별하여 등 을 정하는데

- 1 2차 요소가 등 기 에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특」

- 「특」에 다소 미달하는 것은 「상」

- 「특middot상」이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보통」으로 분류

등 을 3단계로 나 고 있으나 특middot상을 제외한 보통은 상품으로서 거래가 가능

한 최소한의 품질임

lt포장규격gt

포장규격은 보 middot수송 등 유통과정의 편리성과 폐기물 처리문제를 고려하고

물류표 화 기 을 반 하여 규정

- 포장요소포장재질 포장치수 거래단량을 규정하고 겉포장을 기 으로 속포장 거

래단량 규정

lt표시사항gt

농산물품질 리법 제6조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표시사항으로 규정

- 표시항목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산년(곡류에 한함)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항 목특 상 보 통

고 르 기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무게 구분표상 무게가 다

른 것이 섞이지 않은 것

특middot상에 미달하

는 것

무 게 이상인 것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고유의 색택으로60

이상 착색된 것

품종고유의 색택으로 40

이상 착색된 것

당 도14

bx이상인 것

12

bx이상인 것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윤기는 다소 약하나 껍질

의 수축 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

가벼운 결 없는 것 낱개비율로 5이하

호 칭

구분특 소

1개의 무게(g)375이상 375미만

300이상

300미만

250이상

250미만

215이상

거래단위 포장재종류포장치수()

길이 너비 높이

3 골판지(산물용) 366 275 110

lt 부 록 gt 사 과( 후 지 ) 의 표 규 격

1 등 규 격

【 정 의 】

색택비율()은 낱개에 한 면 비율을 말한다

당도(bx)는 낱개에 한 당도를 말한다

가벼운 결 (輕缺點)은 다음 사항을 말한다

- 모양이 좋지 않거나 농약피해 등으로 외 이 떨어지는 것

- 병해충의 피해 상처 등이 껍질에 그친 것

- 기타 결 의 정도가 경미한 것

【무게구분】

소이하는 특소로 표시 할 수 있다

2 포 장 규 격

가 겉포장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5골판지(산물용) 314 235 170

골판지(속받침 틀용) 550 366 110

10 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190

15골판지(속받침 틀용) 510 360 280

골판지(산물용) 440 330 270

나 속포장 1개 2개 3개 2 3kg

다 표시사항

품목 산지 품종 등 무게 는 개수 생산자 는 생산자단체 명칭 화번호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