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자료의특징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chungbuk/kimborim2/... · 2016-09-09 ·...

Post on 06-Feb-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영상자료의특징

영상자료의종류/영상자료의수업에서활용방법

역사와 역사교육

영상자료를 활용한 역사교육의 필요성

포스트모던시대, 인터넷시대영상언어와 The visual

영상역사의 종류

기록필름기록 필름을 소재로 한 비교적 건조한 다큐멘터리내러티브 구조를 띤 다큐멘터리역사드라마영화역사 소재 코미디

사실재구성

문자 역사의 교육적 효용 영상 역사의 교육적 효용

추상적 사고나 개념을 명확히 하는데

적합

영상과 음향, 문자 등 다양한 통로로 직접

과거의 사실을 재구성, 다양한 사실 정보와 역사에 대한 흥미

와 학습 동기를 부여

통시대적 구성을 통한 체계적이고 분석적 역사 이해 가능

한 시대의 시대적 분위기와 사고방식,

인물들의 다양한 관계와 갈등 등을

종합적으로 구성 :

영상 장면과 이야기를 통해 한 시대의 맥락을 이해

많은 양의 역사적 지식을 효율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인지적 측면을 교육하는데 효과적

역사에 대한 ‘감동’과 ‘공감’ :

영상을 통해서 한 시대의 시대적 분위기를 감성적으로 이해

확인된 사실을 중심으로 틈새를 상상적 추론으로 메꾸어

‘객관적 역사’를 재구성

자유로운 상상력을 촉발하는 매개로

역사사실을 활용

기술기능학습경험구성

지각인지표현교수

정보전달신속정확대량

매개적보조주의집중동기유발

매체의기능

<교육매체의기능>

교육매체의 선택기준

2. 수업과정에 있어서 내용을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3. 학습자의 연령, 지능, 경험에 맞출 수 있다.

4. 시청각 교재나 교구의 정비상태가 양호하다.

5. 교재활용에 관한 안내서가 준비되어 있다.

1. 사고나 개념을 올바르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6. 사고력과 비판력을 함양할 수 있다.

7. 교재활용에 필요한 시간, 비용, 노동력, 효과 등이 적절하다.

Gerlach의교육매체의선택에 고려되는 5가지 기준

1) 적절성 : 매체가 학습과제에 적합한가에 관한 기준

2) 난이도 : 매체가 학습자의 지적 수준에 적합한가를 고려한 기준

3) 경제성 : 매체활용에 필요한 비용과 학습효과를 비교하는 기준

4) 이용가능성 : 매체활용이 가능한 시간을 측정하는 기준

5) 질적 양호도 : 학습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매체의 내용과 질이 우수한 가의 기준

언어적 상징

시간적 상징

사진 그림 라디오

영 화

T V

전 시

견 학

연 시

극 화 경 험

고안된 경험

직 접 경 험

상징적경험

시청각적경험

행동적경험

Dole의교육경험의원추도

직접경험을통한직접적학습

(현실의직접감각적학습)

면접, 실지견학, 조사, 작업, 체험,캠프,봉사활동

시청각교구를통한대리적학습

지도, 도표, 실물, 표본,모형등

언어를통한

대리적학습추상화구체화

시청각교구와학습지도와의관계표

Kinder의아동학습과정의 5단계

1. 감각적 운동기

2.. 조직적 충동기

3. 모방적 연령

4. 상상기

5. 표현 충동기

신체활동기회제공

조직활동기회제공

모방물도입학습

극화활동이용학습

표현교제도입및표현기회의확대

문제 및요구발견

매체종류의선택

제작 목적의결정

구상과 실제

제 작 적용과 수정 완 성 지침서 작성

활용, 보급

기초조사

이론연구

교육매체의체계적제작과정

아이디어

목 표

학습자

현장에서

구체화된목표로

교과와의 연결

학습자 특성고려(연령, 학습수준, 요구, 흥미 등)

기 본 설 계

구상과 설계

영상자료 활용의 유용성

의사소통 기술의 한계 보완

역사의식 함양, 역사적 사고력 함양역사적 사실과정보의이해, 역사적 시간성의이해맥락과상황의이해, 감정이입적ㆍ상상적이해, 영상자료에 대한비판적이해

다큐멘터리

과거의 역사적 진실에도달하기 위해

현재 남아 있는 다양한 사료와 관련자들의 증언,

역사가들의 연구성과를 텔레비전이라는 영상매체

형태로 창조적으로 재구성해 낸 방송의 한 장르

사실성(factuality) : 실제 세계를 소재

영상자료 활용의 의의와 한계

효과적인 내용전달과 상황설명

토의하는 기회 제공자신의 생각을 말하기감상문 쓰기

간접적인 평가 방법퀴즈나 쪽지시험, 레포트

영상자료 활용의 한계점

영상자료의 오용과 피해오개념

역사의 왜곡가능성

대책

사전 준비 철저

적절한 부연설명비판적 수용제작자의 역사관, 제작 의도

적극참여

드라마 명성황후, 왜 만들었나??

- 월드컵 개최에 앞서 우리역사에 대한

국민적 자긍심을 일깨워 줄 필요가 절실

- 명성황후는 식민지 사관의 대표적 희생자

(부정적인 인식이 매우 강하였다)

- 명성황후와 대원군의 정사적인 모습보다는

인간적인 면을 부각하여 드라마 전개

명성황후, 그녀는 누구인가?

- 조선 제 26대 고종의 비

- 16세 때 부대부인 민씨의 추천으로

왕비가 됨

- 대원군 실각 후 민씨 척족을 앞세워

정권을 장악, 개혁단행

- 1895년 10월 8일 일본공사 미우라가

일본의 조선병합에 가장 큰 장애를

일으키는 인물이라 하여 낭인들을 동원,

경복궁 건청궁 옥호루에서 시해

(을미사변)

조선 후기의 왕실계보

고종의 가계도

시대적 배경

1863년 12월 철종이 죽자 조대비는 이하응의 둘째 아들 명복을 양자로 삼아 수렴청정을 함

흥선대원군에게 섭정의 대권을 그에게 위임

→ 10년 동안 권력을 쥐고 정사를 운영

대원군은 먼저 세도 정치를 분쇄하여 쇠락한 왕권을 되찾고 외세에 대적하기 위한 과감한 개혁정책을 추진

시대적 배경

대원군 실각 이후, 민씨 척족의 등장과 함께

통상개화론의 대두

운요호 사건을 계기로 강화도 조약 (1875)

체결, 그 사건을 계기로 여러 나라들과

불평등 조약을 체결하게 됨

개화사상가들과 위정 척사가들의 대립

감사합니다.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