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4%a9%c1%f8%… · web view위의 예처럼 비점수차가 + 0.09dc x 44 이고, 실체처방이 -...

19
누누누누누 누누누 누누누 누누누 누누누누 누 누 누 누누누누누누누 누누누누 / 누누누누누누누누누 누누누누누 누누누누 1. 누누누누누누누누 누누누 누누 누누누누 누누누누누 누누누누 누누누 누누누 누누 누누 누누누 누누누 누누 누누누누 누누 EX 누누 누누누누 누누누누 누누누누누누누 누누누누 누누누 누누누누 누누누 누누 누누. Ex 누누 누누누누누누누 누누누 누누누 누누누 누누 누 누누 누누누 누누누 누누누 누누누. 누누누누누 누누누 누누누 누누누 누누누누 누누누누 누누 누누누누 누누누 누누누 누누누누 누누누누 누누 누누누누 누누누누 누누누 누누누누누 누누누 누누누 누누누 누누 . 누누 1. EX 누 누누누누누누누 누누 누 누누 누누 누누 누누누 누누누 누누 누누누 누누누 누누누누누 누누누누누 누누누 누누누누 누누누 누누누. 누누누 누 누누누누누누 누누누누누 누누누 누누누 누누누 누 누누 누누누누 누누 누누누 누누 누누 누 누누누 누누누누 누누. 누누누 누누누 누누누 누누누 누누누누 누누누 EX 누 누누누 누누누누 누누누누. 누누누누누 누누누 누누 2 누누 누누누누누누누 누누누누 누누누 누누누 누누 누누누누 누누누 누누누누 누누누 누누 누누누누누. 누누누 누누 누누누누 누누누 누누누 누누누누누 누누누누누누 누누누누누누누누 누누누 누누누누누 누누누누누 누누누누 누누누누누 누누누 누누누누 누누누.

Upload: others

Post on 18-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B4%A9%C1%F8%… · Web view위의 예처럼 비점수차가 + 0.09DC x 44 이고, 실체처방이 - 1.00DS - 0.25DC x 180 이라면 전체 굴절력은 - 0.95DS - 0.26DC x 170이

누진굴절력 렌즈의 디자인 이해와 조제가공

전 인 철

대한안경사협회 학술이사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외래교수

1. 누진굴절력렌즈의 광학적 구조

대부분의 안경사들이 원거리와 근거리 도수의 영역 양쪽 모두가 표면에 넓게 분포되어

있는 EX 형과 프랭클린 스타일의 이중초점렌즈의 기하학적 형상의 장단점에 대하여 알고

있다. Ex 형의 이중초점렌즈의 구조는 표면의 커브가 다른 두 개의 반구의 결합이 조합된

것이다. 상대적으로 편평한 원형부 커브는 원용부를 명시하기 위한 영역이고 근용부 영역은

근거리를 명시하기 위한 가입도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파른 곡률을 가지게 된다

.

그림 1. EX 형 이중초점렌즈의 구조

두 개의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고 있는 렌즈가 만나는 중심부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져

단절되어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이 지점으로부터 멀어지면서 각각의 커브로 인하여 더 멀리

벗어나게 되고 원거리 곡률 보다 더 급속히 가파르게 된다. 이러한 결과로 인하여 생기는

가장자리 모양이 EX 형 스타일 전형적인 모양이다. 누진굴절력 렌즈는 그림 2 처럼

이중초점렌즈의 원용부와 근용부 사이에 점점 증가되는 곡률을 삽입하는 원리에 의해

고안되었다. 이렇게 중간 굴절력을 가지는 곡률을 지속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이중초점렌즈에서 생기는 중간영역의 불명시역이 없어지는 누진굴절력 렌즈가 탄생되는

것이다.

Page 2: B4%A9%C1%F8%… · Web view위의 예처럼 비점수차가 + 0.09DC x 44 이고, 실체처방이 - 1.00DS - 0.25DC x 180 이라면 전체 굴절력은 - 0.95DS - 0.26DC x 170이

그림 2. 누진굴절력렌즈의 구조

원용부과 근용부 사이에 좁은 수평 단면이 연속적으로 삽입된다면 각 단면 사이의 높이는

감소하게 된다. 수평단면이 무한대로 증가함에 따라 각 단면 사이의 높이는 ‘0’에 가까워지게

되고 높이가 ‘0’에 가까워 지면 표면은 부드럽고 연속적인 표면이 되어 각 곡률 사이에

교차점이 보이지 않게 된다. 이런 기본적인 누진렌즈 표면의 커브는 원거리에서 근거리

영역까지 부드럽게 증가하게 되고 중간영역의 시각과 마찬가지로 굴절력의 점진적인 변화를

제공하게 된다.

2. 누진굴절력 렌즈의 주요 측정점

1) 원용 굴절력 측정점(Distance Reference Point)

원용굴절력 측정점(DRP)은 처방된 렌즈의 원용부의 굴절력을 측정할 때 사용되는

위치이다. 원용부에 그려진 원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2) 피팅 포인트(Fitting Point)

피팅 포인트 또는 피팅 크로스라 불리는 이 십자선은 조제가공 시에 환자의 동공중심과

일치시키기 위한 참고점이다.

3) 근용 굴절력 측정점(Near Reference Point)

근용굴절력 측정점(NRP)은 원용부 굴절력과 가입도가 합해진 굴절력을 나타낸다. 근용부에 그려진 원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Page 3: B4%A9%C1%F8%… · Web view위의 예처럼 비점수차가 + 0.09DC x 44 이고, 실체처방이 - 1.00DS - 0.25DC x 180 이라면 전체 굴절력은 - 0.95DS - 0.26DC x 170이

그림 3. 누진굴절력렌즈에서 주요 측정점

4) 프리즘 참고점(Prism Reference Point)프리즘 참고점(PRP)은 프리즘 시닝(Prism Thining) 또는 처방된 프리즘 양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렌즈의 수평선상 좌우 양 옆에 각인되어 있는 마크의 중앙에

정확하게 위치하고 렌즈의 프리즘을 확인하는 것은 좌우 각 렌즈의 프리즘 참고점에서

프리즘의 불균형을 측정하게 된다. 누진굴절력렌즈 또는 세미피니시드(Semi-finished) 렌즈를 위해 각 제조사에서는 전면의 한 지점에서 제조된 렌즈의 프리즘

효과를 확인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 프리즘참고점은 두 음각 마크의 중간에

위치하는데 일반적으로 피팅크로스의 2~4mm 아래에 위치한다.

그림 4. 프리즘 참고점에서 수직 프리즘 불균형

위 그림은 수직프리즘의 불균형을 나타내고 있다. 우측 렌즈는 2 프리즘 BD, 좌측

렌즈는 1 프리즘 BD 이 존재하고 있어 양안에 1 프리즘의 불균형을 이루고 있다. 만일

안경 처방에서 의도적으로 수직 프리즘을 처방한 것이 아니라면 문제가 있다. 두 렌즈

Page 4: B4%A9%C1%F8%… · Web view위의 예처럼 비점수차가 + 0.09DC x 44 이고, 실체처방이 - 1.00DS - 0.25DC x 180 이라면 전체 굴절력은 - 0.95DS - 0.26DC x 170이

차이에서 발생된 불균형의 수직 프리즘은 착용하는 환자에게 수직 편위를 유발시켜

여러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니 조제가공 전 반드시 확인한 후 조제가공을 실시해야

한다.

5) 프리즘 시닝(Prism Thinning)

누진굴절력 렌즈는 원용부에서 근용부로 갈수록 표면의 곡률이 증가하게 됨을 위에서

설명한바 있다. 그러한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현상이 발생된다.

하단부의 가장자리 보다 상단 부분의 가장자리가 두껍다.

렌즈 전체의 두께가 두껍다.

가입도 두께의 결과로 렌즈가 무겁다.

그러나 다행히도, 누진굴절력렌즈의 무게와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이것은 ‘프리즘 시닝(Prism Thinning)’이란 기술인데 누진굴절력렌즈를 미용적으로

개선시키는 방법이다. 프리즘 시닝은 전체 두께를 줄이면서 렌즈의 하단과 상단 부분의

두께 차이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렌즈에 프리즘 가공을 실시하게 된다.

그림 5. 프리즘 시닝(Prism Thinning) 가공에 의한 두께의 감소

거의 대부분, 프리즘 시닝은 베이스 업(Base Up) 프리즘을 제거하기 때문에 생산된

렌즈에는 베이스 다운(base Down) 프리즘이 남게 된다. 프리즘 시닝은 특히 원용부가

플러스이고 가입도가 높을수록 효과적이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마이너스에서도 적용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리즘 시닝값은 보통 가입도의 2/3 또는 60%에 해당되고 이 프리즘은

처방된 프리즘으로 간주해야 한다. 예를 들어, 가입도가 +3.00D 인 누진굴절력 렌즈라면

Page 5: B4%A9%C1%F8%… · Web view위의 예처럼 비점수차가 + 0.09DC x 44 이고, 실체처방이 - 1.00DS - 0.25DC x 180 이라면 전체 굴절력은 - 0.95DS - 0.26DC x 170이

가입도의 2/3 정도인 2 BU 프리즘을 제거하여 두께를 감소 시키기 때문에 프리즘

참고점에서는 2 프리즘의 BD 를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프리즘 참고점에서 확인할 수 있고 양안의 렌즈에서 각각 발생된 프리즘의 양을

주목해야 한다. 좌우 두 렌즈의 수직프리즘의 차이가 있다면 프리즘 불균형이 발생된다. 이러한 이유로 누진렌즈는 가급적 한쪽렌즈만 주문하는 것에 주의 해야 하고 불가피하게

한쪽 렌즈만 새로이 주문하는 경우 프리즘시닝을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전의

렌즈가 프리즘시닝 가공이 되어 있지 않는데 새로운 렌즈가 프리즘 시닝이 되었거나 프리즘

시닝값이 다르다면 프리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된다.

그림 6. 프리즘 시닝 가공 후 프리즘 불균형

위 그림에서 우안의 프리즘 참고점에서는 1.75 △ BD, 좌안에서는 2.00 △ BD 이

측정되어 양안에 0.25△의 수직 불균형이 발생되었음을 나타낸다.

표 1. 프리즘 시닝 가공 전 후 비교프리즘 시닝 가공 전 프리즘 시닝 가공 후

렌즈 두께 차이 하단부와 상단부의 차이가 크다 상단부와 하단부 동일

전체 두께 매우 두껍다 상대적으로 얇다

렌즈 무게 무겁다 상대적으로 가볍다

2. 누진굴절력 렌즈의 디자인

Page 6: B4%A9%C1%F8%… · Web view위의 예처럼 비점수차가 + 0.09DC x 44 이고, 실체처방이 - 1.00DS - 0.25DC x 180 이라면 전체 굴절력은 - 0.95DS - 0.26DC x 170이

지형도는 렌즈 표면의 수평과 수직에 대하여 양 또는 광학적인 특성을 도식화 하여 나타내

준다. 렌즈의 분포된 굴절력에 대하여 동일한 굴절력을 이은 등고선의 형태로 표시되는데 그

간격은 일반적으로 0.25D 또는 0.50D 단위로 일정간격의 차이를 두고 그려지면서(예로,

0.50, 1.00, 1.50 등) 굴절력에 따라서 색상의 진하기가 다르게 표현된다. 대부분, 지형도는

표면의 난시와 평균 굴절력 등의 광학성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데 아래 그림 중

왼쪽은 비점수차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고 우측 그림은 평균 구면굴절력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그림 7).

그림 7. 누진굴절력 렌즈의 지형도

가입도가 높거나 누진영역대가 짧을수록 비점수차의 양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그림 8에서 가입도가 +1.00D 인 경우 비점수차 양이 작지만 가입도가 +3.00D 로 증가하자

비점수차의 분포가 3배 정도 증가하는 것을 보여준다(그림 8).

그림 8. 가입도에 따른 비점수차량의 분포 비교

1) 하드 디자인(Hard Design)

Page 7: B4%A9%C1%F8%… · Web view위의 예처럼 비점수차가 + 0.09DC x 44 이고, 실체처방이 - 1.00DS - 0.25DC x 180 이라면 전체 굴절력은 - 0.95DS - 0.26DC x 170이

하드 디자인은 렌즈 표면의 다소 작은 영역 안에 비점수차 영역이 집중되어 있다. 그래서 흐리거나 왜곡되어 보이는 부분이 적어 선명한 영역이 넓게 분포되어 있다. 그

결과, 하드 디자인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보인다.

넓은 원용과 근용부 시야 영역

좁은 중간 시야 영역

비점수차의 분포가 작은 영역 안에서 빠르고 높게 증가

그림 9. 하드 디자인의 지형도

일반적으로 하드 디자인은 선명한 시야영역이 넓은 반면에 흔들림, 왜곡, 흐림 현상이

심한 편이다. 이 디자인은 보다 양호한 중심와 시력을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누진대가

짧은 디자인이 이에 해당된다.

2) 소프트 디자인(Hard Design)

소프트 디자인은 렌즈 표면의 넓은 영역에 비점수차 영역이 분포되어 있다. 그래서

원거리의 주변부에 비점수차가 상당수 분포되어 선명한 영역이 적은 편이다. 그 결과, 소프트 디자인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보인다.

좁은 원용과 근용부 시야 영역

넓은 중간 시야 영역

비점수차의 분포가 천천히 낮게 증가

Page 8: B4%A9%C1%F8%… · Web view위의 예처럼 비점수차가 + 0.09DC x 44 이고, 실체처방이 - 1.00DS - 0.25DC x 180 이라면 전체 굴절력은 - 0.95DS - 0.26DC x 170이

그림 10. 소프트 디자인의 지형도

소프트디자인은 선명한 시야의 영역은 비록 작지만 반면에 흔들림(swimming)과

비점수차가 감소되어 세밀한 작업을 하는 경우 보다는 주변부를 많이 보거나 활동적인

시야를 원하는 환자에게 알맞을 것이다. 소프트 디자인의 누진굴절력 렌즈는 길고 넓은

누진대를 선호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최근 누진렌즈들은 완전한 하드디자인이거나 소프트

디자인으로 좀처럼 만들지 않고 두 가지의 장점을 잘 조합하여 만드는 편이다.

3) 멀티 디자인

1980년대 중반까지 모든 누진굴절력 렌즈 디자인의 유형은 하드 디자인이나

소프트 디자인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소프트 디자인은 가입도가 낮은 초기

노안에서는 적응하기가 쉬운 장점이 있었지만 노안이 진행이 되어 갈수록 가입도가

높아지면서 비점수차가 상대적으로 많아지고 시야의 영역이 좁아지는 것이 불편해

지는 요인이 된다. 그리고 이미 누진굴절력 렌즈를 착용했던 경험자는 적응이 쉬운

누진굴절력 렌즈 보다는 시야의 영역이 넓은 렌즈를 선호하게 된다. 그래서 가입도가

높아 질수록 소프트 렌즈의 디자인 보다는 하드 디자인의 장점이 더 많아져서 하드

디자인으로 바꾸는 것이 필요해졌다.

소프트에서 하드로 변화시키는 것은 적응을 고려해야 한다. 가입도가 증가 함에

따라 주변부의 비점수차가 증가가 되는데 이것이 적응을 더 어렵게 만들기 때문이다.

그리고 가입도가 증가함에 따라 인셋량이 더 많아지는데 이를 맞추기 위해서 각

가입도 마다 다른 디자인이 필요하게 되었다.

모노 디자인은 가입도에 상관없이 한가지의 디자인으로 모든 처방의 누진 렌즈를

제작을 하는 것을 말한다.

Page 9: B4%A9%C1%F8%… · Web view위의 예처럼 비점수차가 + 0.09DC x 44 이고, 실체처방이 - 1.00DS - 0.25DC x 180 이라면 전체 굴절력은 - 0.95DS - 0.26DC x 170이

멀티 디자인은 가입도에 따라 인셋량이 달라지고 낮은 가입도에서는 소프트

디자인으로 하고 높은 가입도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용과 근용 시야를 넓히기 위해

하드 디자인으로 제작을 한다. 소프트와 하드의 최상 디자인을 통합하는

멀티디자인으로 제작함으로써 시각적인 편안함과 가입도의 정도에 따라 적응하기

쉽도록 하였다.

1990년 대 중반에 누진굴절력 렌즈의 광학적인 성질을 더 좋게 하기 위해서

가입도에 따라 디자인을 바꾸는 것에 추가로 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조정하기

시작했다. 각 가입도와 베이스 커브에 따라 다른 디자인을 사용하는 것을 처방에 따른

디자인이라 한다. 처방에 따른 디자인은 가입도에 따른 디자인의 변화 이외에 플러스

처방이 높아지면서 배율이 증가가 되고 시야가 줄어드는 것을 보상하기 위해 베이스

Page 10: B4%A9%C1%F8%… · Web view위의 예처럼 비점수차가 + 0.09DC x 44 이고, 실체처방이 - 1.00DS - 0.25DC x 180 이라면 전체 굴절력은 - 0.95DS - 0.26DC x 170이

커브를 스티프하게 해서 약간 넓은 근용 부분을 확보 할 수 있도록 하고 베이스 커브를

플랫트하게 만들어 마이너스 처방이 높아지면서 생기는 사광속 난시로 인한

비점수차로 인하여 줄어드는 원거리 시야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플러스 처방이 높으면 스티프한 베이스 커브로 디자인을 하고 마이너스 처방이

높아지면 플래트한 베이스 커브로 디자인을 하는데 보통 4 가지에서 6 가지의 베이스

커브로 누진굴절력 렌즈를 제작한다.

4) 프리폼(Free-Form) 가공 디자인

프리폼 가공이란 컴퓨터 수치제어(CNC) 기술을 사용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사항을

매우 빠르게 판단하여 가공하는 방법이다. 이것은 매우 정확한 가공을 위해 차원

다이어몬드 컷팅 회전툴을 사용하고 있어 렌즈의 양면 어느 쪽을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존의 대부분의 누진굴절력 렌즈는 전면에 가입도가 있고 필요한 원거리

굴절력을 후면에 가공하는 방법이었다. 프리폼 가공은 프리폼기기에 내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전면과 후면을 원하는 굴절력으로 가공하여 만드는 방식이다. 프리폼가공에 의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보인다.

Page 11: B4%A9%C1%F8%… · Web view위의 예처럼 비점수차가 + 0.09DC x 44 이고, 실체처방이 - 1.00DS - 0.25DC x 180 이라면 전체 굴절력은 - 0.95DS - 0.26DC x 170이

그림 11. 기존 렌즈와 프리폼 가공 디자인

개선된 광학적 성과

최소화된 사선의 난시와 모든 시야에서 굴절력 오류 감소

환자의 개인적이 환경을 고려하여 유효 시야 범위가 큰다는 것을 착용자가 경험

정확한 굴절력

쉬운 적응 : 착용 거부율 감소. 그리고 각 환자의 개인성향에 맞출 수 있도록 가능

안경테의 선택

얼굴 생김새

취미 그리고 안경사용 습관

안구 운동

정간거리

경사각

가공 장점

정확도(오차율이 ±0.12D 에서 ±0.05D 로 감소) 더 플랫하고나 휘어진 안경테에도 조제가능 하도록 렌즈의 커브 범위가

넓어짐

렌즈의 중심 또는 가장자리의 두께 지정의 제한이 적어짐

대부분의 어떤 렌즈 재질도 가공 가능

5) 용도에 따른 디자인

Page 12: B4%A9%C1%F8%… · Web view위의 예처럼 비점수차가 + 0.09DC x 44 이고, 실체처방이 - 1.00DS - 0.25DC x 180 이라면 전체 굴절력은 - 0.95DS - 0.26DC x 170이

직업적인 요구 또는 여가적인 시각 요구에 대한 차이점들이 존재한다. 운전기사나

외부 근로자들은 시 요구가 근거리 시각 보다는 원거리 시각에 더 많은 필요를 느낀다.

실내 근무자들과 같은 경우는 원거리 보다는 중간거리나 근거리에 더 많은 필요를

느끼게 된다. 보다 폭넓고 큰 원거리, 중간거리 그리고 근거리 광학영역을 가지고

있는 렌즈들은 각각의 시각 영역에 대하여 필요성을 느끼는 안경착용자들의 요구에

보다 적합하게 부합할 것이다. 여기서는 용도에 따라서 크게 다목적용, 실내용 그리고

근거리용으로 나누어서 설명하고자 한다.

A) 다목적용 B) 실내용 C) 근거리용

그림 12. 용도에 따른 누진굴절력 렌즈의 지형도 비교

가) 다목적용(Multi-Propose) 누진굴절력렌즈

대부분의 평상 시에 사용하는 누진굴절력 렌즈가 이에 해당된다. 무리없는 회선대와

누진대를 가지고 있어 원거리에서부터 근거리까지 무리 없게 볼 수 있도록 고려되어

있어야 한다.

나) 중근용 또는 실내용(Indoor) 누진

구면도수 분포도

비점수차 분포도

Page 13: B4%A9%C1%F8%… · Web view위의 예처럼 비점수차가 + 0.09DC x 44 이고, 실체처방이 - 1.00DS - 0.25DC x 180 이라면 전체 굴절력은 - 0.95DS - 0.26DC x 170이

누진영역 부분을 위로 당겨 놓은 모양으로 누진대 길이가 길어지는 모양을 가지고

렌즈의 중심 부위가 중간도수가 되어 중간부터 근거리 주시가 가능하다. 누진대가

길어 흔들림, 왜곡이 적어 실내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대략 2m 에서 40cm 영역이 편하게 보인다.

다) 근거리용(Near-Task) 누진

근용부를 중근용 누진 보다 약간 더 위로 당긴 모양으로 근용부의 시야는 넓으면서

단초점 보다 더 멀리 볼 수 있어 사무실 내에서 컴퓨터를 보거나 업무를 보는 경우

적합하다.

3. 누진굴절력 렌즈의 조제가공

1) 착용자의 선택

적절한 자

기존에 누진렌즈를 착용하고 있는 사람

상대적으로 가입도가 낮은 초기 노안

누진렌즈 착용에 대하여 개인적이 동기부여가 있는 자

부적절한 자

상대적으로 높은 가입도(+2.50D 이상)를 가진 사람

현재 넓은 근용부를 가진 이중초점렌즈를 착용하고 있는 사람

평상시 현기증 또는 배멀미를 쉽게 느끼는 사람

시각의 변화에 대하여 민감한 사람

2) 누진굴절력렌즈의 피팅

누진렌즈를 피팅 시 다음 순서를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 안경테의 선택

조정한 상태가 잘 유지될 수 있는 경고한 테를 선택

안경테선택

안경테전피팅

피팅 높이 측정

원용 PD 측정

조제 가공

Page 14: B4%A9%C1%F8%… · Web view위의 예처럼 비점수차가 + 0.09DC x 44 이고, 실체처방이 - 1.00DS - 0.25DC x 180 이라면 전체 굴절력은 - 0.95DS - 0.26DC x 170이

차후 미세하게 높이가 조정될 수 있는 노크패드가 조정되는 테를 선택

환자가 큰 안경테를 선호한다면 안경렌즈의 주변부에 생기는 수차부에 노출이 될

수 있다. 누진렌즈 디자인의 최소 피팅 높이에 알맞은 지 확인(ex, 18mm) 피팅 크로스 윗 부분의 여분이 적당한지 확인

대부분의 누진렌즈는 일반적으로 수직 폭이 최소 25~30mm 인 안경테를

추천된다.

나) 안경테 전피팅

데모 렌즈가 장착된 상태의 안경테를 환자에게 얼굴에 알맞도록 사전에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정간거리, 경사각, 전경각을 알맞게 조정한다.

정간거리

정간거리의 크기에 따라 환자의 유효 시야각이 달라지게 된다. 정간거리가

너무 길면 안경렌즈를 통해서 보이는 시야가 감소되고, 정간거리가 짧을 수록

시야가 증가된다. 하지만 정간거리가 너무 짧게 되면 근용부의 위치가 환자의

얼굴과 밀착되어 하방으로 치우치는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적당한

정간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림 13. 정간거리 차이에 따른 시야 비교

경사각

경사각은 얼굴면과 안경면이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Page 15: B4%A9%C1%F8%… · Web view위의 예처럼 비점수차가 + 0.09DC x 44 이고, 실체처방이 - 1.00DS - 0.25DC x 180 이라면 전체 굴절력은 - 0.95DS - 0.26DC x 170이

피팅 시 반드시 경사각과 정간거리를 고려하여 피팅해야 하고 경사각이

부족할 경우 바닥이 굽어져 보이거나 근용시야가 좁아지고 반대로 과도할

경우 주변부가 흔들리고 원용부 시야에 문제가 생긴다. 최근 개발되는 누진렌즈들은 경사각에 의해 생기는 광학적인 요인을

최소화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근용부를 통해서 시야가 지나갈 때

대략 20 도 이상의 각도를 이루게 되는데 아래 그림의 결과는 이러한

경사각으로 인한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확연하게 수직의 시야 영역이

좁아져서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14. 경사각 차이에 따른 시야 비교

경사각은 약 7 도에서 10 도 정도의 경사각이 적당하다. 경사각은 렌즈의 근용부를 통해 보는 시야의 증가를 가져온다. 경사각이 너무 작거나 거의 없다면 근용부의 유효 시야면의 감소를 초래한다.

전경각

전경각은 환자의 얼굴을 향해 안경테의 다리연결 부분이 얼마만큼 들어간

것을 말한다. 안경테의 적당한 전경각은 원거리 유효 시야면의 증가와 환자가 느끼는

주변부의 수차부를 감소시킨다.

다) 피팅 높이의 측정

환자와 검사자의 눈높이를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마주 앉는다. 단안 피팅 높이를 측정하여 더미렌즈 또는 기존렌즈에 표시한다.

Page 16: B4%A9%C1%F8%… · Web view위의 예처럼 비점수차가 + 0.09DC x 44 이고, 실체처방이 - 1.00DS - 0.25DC x 180 이라면 전체 굴절력은 - 0.95DS - 0.26DC x 170이

동공 중심점에 직접 표시한다. 피팅 높이의 측정 시 유의점

선택한 안경테의 좌우 모양이 기형이거나 휘어진 상태가 아닌지 확인

착용자에게 안경테를 착용시켰을 때 자연스러운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정면을

주시하고 있는지 확인

만일 이전에 누진렌즈를 착용하고 있다면, 기존 렌즈의 피팅 상태를 평가한다. 피팅 포인트를 측정한 후 환자에게 주변을 주시하거나 잠시 움직이도록

지시한 후 피팅포인트를 재확인 하도록 한다. 가능하다면, 미러테스트(mirror test)를 통해 재확인 한다. 재확인 후 약간 수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면 착용자의 높이와 습관적인

위치를 고려하여 수정한다. 측정하는 동안 환자는 경직되어 본인의 습관적인 자세와 다르게 하고 있을 수

있다.

검사자와 환자간의 시차 오류

시차오류는 피팅 높이 측정 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40cm 에서 측정 시 검사자와 환자간의 시선의 높이가 1 인치 정도의 차이가

있다면 최종 측정 결과에서 1.7mm 정도 오류가 발생된다.

Page 17: B4%A9%C1%F8%… · Web view위의 예처럼 비점수차가 + 0.09DC x 44 이고, 실체처방이 - 1.00DS - 0.25DC x 180 이라면 전체 굴절력은 - 0.95DS - 0.26DC x 170이

위 그림 중 우측은 환자의 동공 중심과 렌즈의 피팅크로스가 일치된것이고

좌측의 그림은 검사자와 환자의 시선 정렬 오류로 인하여 근용부가 협소해진 것을

보여준다.

라) 동공간 거리의 측정

환자와 검사자의 눈높이를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마주 앉는다. 각막 반사점을 이용하여 단안 동공간 거리를 측정한다. 만일, 환자가 사시라면 단안 pd 측정 시 한 쪽 눈을 가린 상태에서 각각 측정해야

한다. 대부분의 제조사에서 단안 원용 PD 를 사용하도록 권하고 있다. 일부 안경사들이

대신에 근용 pd 에서 2.5mm 더한 값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높은 원용 도수를

가지는 경우 근용 pd 를 사용하는 것은 원용부에서 프리즘을 유발 시킬 수 있다. 최근의 많은 렌즈들은 근용부 인셋양을 2.5mm 고정시키지 않고 굴절력에 따라

인셋양에 변화를 주어 제작하고 있다. 부정확한 원용 pd 측정은 렌즈를 통해서 볼 수 있는 유효 시야면을 제한하게

되어 환자가 각 거리에 대한 시야부 영역을 찾는데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마) 누진굴절력 렌즈의 조제가공

원거리 처방, 가입도, 축 정렬 그리고 각 렌즈의 프리즘을 확인한다. 피팅 크로스를 재 표시하고 필요하다면, 렌즈의 수평과 수직의 중심을 확인한다. 피팅크로스가 적당한 위치에 있는지 그리고 안경테가 환자의 얼굴에 알맞게

조정이 되었는지 확인한다. 수정이 필요하다면 재조정한다. 각 렌즈의 피팅크로스가 각 눈의 동공 중심과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환자에게 착용 시의 주의사항에 관하여 알려준다.

Page 18: B4%A9%C1%F8%… · Web view위의 예처럼 비점수차가 + 0.09DC x 44 이고, 실체처방이 - 1.00DS - 0.25DC x 180 이라면 전체 굴절력은 - 0.95DS - 0.26DC x 170이

환자의 교육

처음 누진렌즈를 착용하는 환자는 눈을 움직이기 보다 머리를 움직이는

것에 익숙해져야 한다고 해야 한다. 누진렌즈의 대략적인 광학적 구조가 어떠한지 설명하여 주변부 영역에

시야가 제한되는 부분이 있다는 것을 이해시켜야 한다. 수평과 수직 머리운동이 근거리와 중간거리를 주시할 때 필요하다는

것은 설명하도록 한다. 환자에게 원용, 중간, 근용 세가지 시야 영역을 통해 직접 보도록 하면서

설명한다.

3) 누진굴절력 렌즈의 확인

난시 굴절력 변화

원용부와 근용부 굴절력 측정점에서 굴절력을 측정해 보면 처방과는 다른

난시양과 축이 검출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몇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데

안경사가 조제가공 전 확인이 필요하다. 이것은 ANSI Z80.1-2005 규정에서

누진렌즈의 굴절력 오류 허용치를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 허용치를 참고하도록

한다. 누진굴절력렌즈의 높은 비구면 형상은 캐스팅 과정에서 일부 난시를 생기게

할 수 있고 표면의 수차는 특히 근거리영역에서 불필요한 난시를 유발할 수

있다. 광학중심으로부터 측정 서클의 거리는 프리즘과 경사각의 효과를

증가시킨다.

난시축 변화

전면 또는 프리즘의 결과와 경사각으로서 생기는 불필요한 난시는 처방된

난시량과 조합되어 측정될 수 있는데 낮은 난시양에서 비점수차의 발생은 난시축

변화를 가져온다. 그러나, 이 효과는 일반적으로 작고, 대부분의 경우에서

문제되지 않는다.

Page 19: B4%A9%C1%F8%… · Web view위의 예처럼 비점수차가 + 0.09DC x 44 이고, 실체처방이 - 1.00DS - 0.25DC x 180 이라면 전체 굴절력은 - 0.95DS - 0.26DC x 170이

Example) 비점수차양 + 0.09DC x 44 실제 처방 - 1.00DS - 0.25DC x 180 전체 굴절력 - 0.95DS - 0.26DC x 170

위의 예처럼 비점수차가 + 0.09DC x 44 이고, 실체처방이 - 1.00DS - 0.25DC

x 180 이라면 전체 굴절력은 - 0.95DS - 0.26DC x 170 이 될 것이다. 이것은

실제 처방과 비교하여 허용오차 안에 포함이 되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표 2. ANSI Z80.1-2005

누진굴절력렌즈의 허용오차

측정값측정 굴절력 범위 허용오차

구면굴절력≥ 0.00 D, ≤ ± 8.00 D ±0.16 D

> ± 8.00 D ±2%

난시굴절력≥ 0.00 D, ≤ 2.00 D ±0.16 D> 2.00 D, ≤ 3.50 D ±0.18 D

> 3.50 D ±5%

난시축

> 0.00 D, ≤ 0.25 D ±14°> 0.25 D, ≤ 0.50 D ±7°> 0.50 D, ≤ 0.75 D ±5°> 0.75 D, ≤ 1.50 D ±3°

> 1.50 D ±2°가입도

≤ 4.00 D ±0.12 D> 4.00 D ±0.18 D

프리즘 참고점≥ 0.00 D, ≤ ±3.37 D 0.33 Δ

> ±3.37 D 1.0 mm수직프리즘 불균형

≥ 0.00 D, ≤ ±3.37 D ±0.33 Δ Total> ±3.37 D 1.0 mm Difference

수평 프리즘 불균형≥ 0.00 D, ≤ ±3.37 D ±0.67 Δ Total

> ±3.37 D ±1.0 mm Each

처방 오류의 효과

미교정되거나 부정확한 교정에 의한 잔여난시는 누진렌즈 표면의 난시와 함께

서로 광학적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러한 영향은 좁고, 왜곡된 누진렌즈의

시야영역을 초래하여 환자가 중심부 시야영역 보다 선명한 영역을 찾도록 만들게

된다.

Page 20: B4%A9%C1%F8%… · Web view위의 예처럼 비점수차가 + 0.09DC x 44 이고, 실체처방이 - 1.00DS - 0.25DC x 180 이라면 전체 굴절력은 - 0.95DS - 0.26DC x 170이

원거리 처방에서 과도한 플러스 처방은 원거리 부분에 불필요한 가입도를

처방하는 효과를 가져와 시야 흐림을 악화시킬 수 있다.

부족한 원거리의 플러스 처방은 근용부를 통해 보는 동안 근거리의 기능을

감소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