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laimer · 2010-10-15 ·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7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Upload: others

Post on 16-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legalcod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都市計劃學碩士學位 請求論文

    산업단지의 쇠퇴성 분석 및 재생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Declines and

    Regeneration Strategies in Industrial Complex

    2010年 2月

    仁荷大學校 大學院

    都市計劃學科(都市計劃專攻)

    劉 相 民

  • 都市計劃學碩士學位 請求論文

    산업단지의 쇠퇴성 분석 및 재생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Declines and

    Regeneration Strategies in Industrial Complex

    2010年 2月

    指導敎授 邊 秉 卨

    이 論文을 都市計劃碩士 學位 請求論文으로 提出함

    仁荷大學校 大學院

    都市計劃學科(都市計劃專攻)

    劉 相 民

  • 이 論文을 劉相民의 碩士學位論文으로 認定함

    2010年 2月

    主審

    副審

    委員

  • - i -

    국 문 요 약

    1960년대부터 조성되기 시작한 산업단지는 국가 경제성장과 지역발전 측면에

    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급격한 산업환경 변화 속에서 기반시

    설 부족, 각종 시설의 노후화로 인해 기업 경쟁력이 저하되고 있는 산업단지에

    대한 재생이 필요하다.

    쇠퇴산업단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쇠퇴하거나 쇠퇴 중인 산업

    단지에 대한 물리적 환경 개선 위주의 단편적인 접근방식은 한계가 있을 것이

    다. 따라서 쇠퇴지역의 물리적 환경 재생만이 아니라 물리적, 경제적, 환경ㆍ복

    지적 측면 등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통합적 접근방식이 필요하다.

    그러나 성급한 재생방안 논의에 앞서 근본적으로 산업단지를 쇠퇴시키는 요

    인과 특성을 고찰해 보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고 보았다. 따라서 산업단지의 재

    생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쇠퇴 지표를 이용하여 쇠퇴 특성을 분석함으로 산업단

    지의 쇠퇴 현상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사용된 쇠퇴 지표를 통해 쇠퇴성 진단지표를 설정하고, 산업단

    지의 현황자료를 이용하여 지표간 관계 파악을 위한 요인분석, 인과관계 파악을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실행하여 실증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생산액, 가동율, 수출액, 입주계약업체의 증가는 고용의 성장을

    가져오고, 고용의 성장은 생산액의 증가로 이어지는 것을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

    다. 산업단지의 고용과 생산의 성장으로 인해 국가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할 수 있다면, 쇠퇴산업단지에 대한 적절한 재생 전략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쇠퇴산업단지의 재생을 위해 입주하는 기업에 경쟁력 있는 산업입지 제

    공, 변화하는 산업구조에 대응하는 업종구조 고도화 추진, 우수인력 확보를 위

    한 근로자 중심의 산업단지 조성, 녹색성장에 대비한 생태산업단지로의 전환 등

    주요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차후 산업단지 재생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함에 있어서 현재 진행

    되고 있는 산업단지 쇠퇴 특성을 반영한다면 그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는데 기

    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 점이 본 연구가 갖는 의의라고 생각된다.

    주요어 : 산업단지, 쇠퇴지표, 재생방안, 요인분석, 회귀분석

  • - ii -

    목 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1. 연구의 범위 ···········································································································3

    2. 연구의 방법 ···········································································································4

    제2장 이론적 고찰 ·············································································································6

    제1절 산업단지 관련 이론 ······················································································6

    1. 산업입지 관련 이론 ·····························································································6

    2. 산업단지 재정비 이론 ·························································································8

    제2절 산업단지 고찰 ·······························································································13

    1. 산업단지 개념과 분류 ·······················································································13

    2. 산업단지 현황 ·····································································································15

    3. 산업입지 정책의 성과와 과제 ·········································································18

    제3절 선행연구 고찰 ·······························································································19

    제3장 분석의 틀 ···············································································································28

    제1절 평가지표 선정 과정 ····················································································28

    제2절 평가지표 설명 ·······························································································35

    1. 물리적 부문 ·········································································································35

    2. 경제적 부문 ·········································································································36

    3. 환경․복지적 부문 ·····························································································37

    제3절 분석 방법 ········································································································38

    제4장 쇠퇴성 분석 결과 ·································································································41

    제1절 평가지표의 자료구축 ··················································································41

    제2절 지표별 요인 특성 분석 ·············································································45

  • - iii -

    1. 요인분석 결과 ·····································································································45

    2. 신뢰도 분석 결과 ·······························································································46

    제3절 다중회귀분석에 의한 쇠퇴성 분석 ·······················································48

    1. 분석모형 도출 ·····································································································48

    2. 분석모형에 의한 회귀분석 결과 ·····································································49

    제4절 분석의 종합 ···································································································53

    제5장 결론 ·························································································································56

    제1절 연구의 결과 및 정책적 제언 ··································································56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59

    참고문헌 ·····························································································································61

  • - iv -

    표 목 차

    연구 대상 산업단지 ·············································································3

    우리나라 산업단지의 유형 ······························································14

    산업단지 지정 및 분양 현황 ·························································16

    입주ㆍ고용 및 생산ㆍ수출 현황 ···················································17

    산업단지 재생 또는 활성화 선행연구 종합 ·····························21

    서울시 내부시가지 쇠퇴 현상 분석지표 ···································22

    도심 상업지역의 노후도 평가지표 ··············································23

    노후산업단지 재정비 분류지표 ·····················································23

    비성장형도시 특성분석을 위한 지표 ··········································24

    경기도 낙후도시 평가지표 ······························································25

    도시 및 산업단지의 쇠퇴성 진단 평가지표 ···························26

    산업단지 및 도시의 쇠퇴 지표에 관한 선행연구 종합 ·····26

    평가지표의 선정기준 ·········································································28

    산업단지 및 도시의 쇠퇴 지표에 관한 선행연구 종합 ·······30

    쇠퇴요소 별 대표지표 추출 ····························································31

    산업단지 쇠퇴성 평가지표의 적정성 검토기준 ······················33

    산업단지 쇠퇴성 평가지표 ······························································34

    물리적 부문 ··························································································35

    경제적 부문 ··························································································36

    환경․복지적 부문 ·············································································37

    각 도시의 산업단지 쇠퇴성 평가지표에 대한 평균증가율 41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44

    쇠퇴 지표의 주성분 부하량 ····························································46

    각 요인에 대한 신뢰도 분석 ·························································47

    분석모형 ·································································································49

    생산액 모형 요약 ···············································································50

    생산액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50

    종사자수 모형 요약 ···········································································51

    종사자수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52

  • - v -

    그 림 목 차

    연구의 흐름도 ····················································································5

    산업단지 쇠퇴성 평가지표의 선정 과정 ·······························29

  • - 1 -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의 산업단지는 1960년대 경제개발계획과 함께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이 산업단지는 경제성장정책에 편승하여 지난 50여년간 우리 경제의 고도성장

    을 견인하였으며,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의 주요 정책수단으로 활용, 지역 전략

    산업 육성, 신산업창출, 고용확대 등의 지역경제 활성화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산업단지는 기술의 혁신과 정보통신, 네트워크

    환경 발달 등 산업환경의 변화로 새로운 형태의 산업구조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특히, 수도권에 위치한 일부 산업단지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방 산업단지들

    은 1980년대 후반 이래 수도권에 고기술 산업이 집중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산

    업고도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고, 산업경쟁력도 취약한 상태에 있다. 고기술, 고

    부가가치의 다품종소량생산이 산업의 중심으로 떠오르면서 많은 분야에서 대량

    생산방식이 점차 경쟁력을 상실하고 일부 지방 산업단지는 분양 자체가 부진하

    며, 경쟁력과 생산성이 침체되어 가고 있다(김선기ㆍ권오혁, 1999). 산업단지의

    생산성 침체는 곧 지역 고용에 영향을 미쳤으며, 지역경제의 침체까지 이어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산업단지의 쇠퇴는 여러 요인에 의해 진행되지만, 우리

    나라 산업단지는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의 양적 성장으로 인한 부작용에서 비

    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산업단지의 활성화 정책은 부분적인 재개발 위주로 이루어져 노후

    산업단지1)의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쇠퇴한 단지의 물리

    적ㆍ경제적ㆍ사회적 활력 제고를 위한 산업단지 재생 정책은 아직 정립되지 않

    은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산업단지의 쇠퇴 원인 분석을 계량적으로 다루지 못

    함으로써 쇠퇴 원인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쇠퇴 원인 분석

    에 따른 적절한 정책적 대안마련과 집행이 없으면 시간이 경과할수록 점점 더

    1) 전체 산업단지에서의 노후 산업단지(조성후 20년 이상 57개) 비중 : 입주기업수 80%, 총생산

    액의 79%(한국산업단지공단, 2009).

  • - 2 -

    쇠퇴되어 결국은 회생가능성이 없어지게 될 것이다(송상열, 2007).

    여전히 국가 경제성장과 지역발전 측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쇠

    퇴산업단지에 대해 기반시설 재정비와 업종구조 고도화를 통해 국가경쟁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산업단지 재생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 인식하에 도시 내 산업구조의 변화와 기능의 쇠

    퇴로 나타나는 쇠퇴산업단지의 쇠퇴 특성 분석과 재생을 위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 제기를 중심으로 논문을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산업단지란 무엇이고 쇠퇴산업단지는 어떻게 진단할 수 있는가?

    둘째, 우리나라 산업단지는 어떤 쇠퇴 정도와 특성을 보이고 있는가?

    셋째, 산업단지를 재생시킬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산업단지의 쇠퇴성을 진단할 수 있는 평가지표

    를 선정한다. 그리고 우리나라 전체 산업단지에 대해 쇠퇴성 진단 지표를 적용

    및 평가하여 쇠퇴 특성을 파악하고 재생방안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자 한다.

  • - 3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에 의한 산업단지를 대

    상으로 한다. 전국의 국가산업단지 및 일반산업단지, 농공단지 등을 모두 포함

    해야 하지만, 자료의 획득 및 가용성 측면상의 한계로 연구 대상을 일반산업단

    지로 한정하였다. 일반산업단지 중 성장과 쇠퇴 과정을 용이하게 분석하기 위해

    2001년을 기준으로 준공이 완료된 88개의 일반산업단지를 대상으로 하며, 자료

    의 취득 및 시계열 분석이 어려운 단지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연구 대상 산업

    단지는 다음 과 같다.

    권역 개수 산업단지 권역 개수 산업단지

    서울 1 온수 강원 4춘천지방, 원주우산, 원주문막,

    강릉중소

    부산 1 신평장림 충북 6청주, 충주1, 현도, 부용, 대풍,

    오창과학

    대구 3 검단, 염색, 달성 충남 8천안2, 천안3, 천흥, 마정기계,

    조치원, 금산, 전의, 소정

    인천 4인천기계, 인천지방, 인천서

    부, 강화화점전북 9

    전주1, 전주2, 완주, 익산2, 정읍

    1, 정읍2, 정읍3, 김제순동, 군산

    광주 4 하남, 본촌, 송암, 소촌 전남 4 여수오천, 나주문평, 순천, 삼호

    대전 2 대전1, 대전2 경북 9

    경산, 왜관, 다산, 경주외동, 영

    주, 고령개진, 경산2, 건천1, 성

    주월항

    경기 29

    성남, 송탄, 평택, 장당, 어

    연한산, 향남제약, 반월도금,

    문발1, 문발2, 신평, 양주상

    수, 양주도하, 동두천, 상봉

    암, 안성1, 안성2, 공도, 가

    율, 동항, 원곡, 미양2, 금산,

    덕산, 장원, 가평목동, 김포

    학운, 용현, 추팔, 칠괴

    경남 4 상평, 양산, 진사, 칠서

    연구 대상 산업단지

  • - 4 -

    시간적 범위로는 산업단지의 시계열적인 쇠퇴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산업

    단지 관련 기초통계 자료의 구득이 가능한 2001년부터 2008년까지의 각 년도로

    한다.

    본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산업단지의 쇠퇴성 평가 결과를 토대로 쇠퇴산업단

    지에 적용할 수 있는 재생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의 내용을 다

    음과 같이 5개의 장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제1장 서론은 연구의 배경과 목

    적, 연구범위 및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본 연구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설명하

    였다. 제2장에서 문헌, 선행연구 등을 통하여 산업입지 이론 및 재정비에 대한

    개념과 연구동향을 살펴보았으며, 국내 산업단지의 개념 및 현황 등을 조사하였

    다. 또한 선행연구를 산업단지 활성화 및 재생, 쇠퇴지표에 관한 연구로 구분하

    여 분석하였다. 제3장은 분석의 틀로 평가지표들의 특성을 분석하여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지표 선정기준을 고려하여 평가지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지

    표에 구체적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두 가지의 개량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앞에서 설계한 방법에 기초하여 산업단지의 쇠퇴성을 분석하고 분

    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5장은 결론의 장으로서 본 연구의 결과 요

    약 및 쇠퇴산업단지의 재생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으며, 연구의 한계를 기

    술하였다.

    2. 연구의 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크게 문헌분석과 계량분석방법을 중심으로 한다.

    첫째, 전문서적, 연구보고서나 선행연구 등 문헌분석을 통해서 산업입지이론,

    산업단지 재정비이론, 산업단지의 개념과 유형을 정리하고, 산업단지의 쇠퇴성

    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될 각종 계량분석기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

    해 산업단지 쇠퇴성 관련 지표를 도출하였으며, 기존 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

    보고 본 연구와의 차별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각종 통계자료를 활용한 계량분석방법을 통해 산업단지의 쇠퇴성을 실

    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사용된 분석기법으로는 요인분석(factor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등을 사용하였다. 각 지표별로 설명력 있는

    요인변수를 선정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요인간의 인과관계 분석을

  • - 5 -

    위해 산업단지의 쇠퇴 특성을 대변할 수 있는 변수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각

    쇠퇴 요인을 독립변수로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통계자료는 한국산업단지공단의「전국산업단지현황통계」자료

    와 산업입지정보센터에서 제공하는「산업입지정보시스템」자료를 이용하였으며,

    SPSS 17.0 for window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계량분석을 실행하였

    다. 본 연구의 구성은 과 같다.

    서론

    •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이론적 고찰

    산업입지이론 산업단지 선행연구

    분석의 틀

    평가지표 선정 분석방법 설정

    분석 결과

    요인분석 회귀분석

    산업단지 쇠퇴 특성분석

    결론

    • 결과 및 정책적 제언

    •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연구의 흐름도

  • - 6 -

    제2장 이론적 고찰

    제1절 산업단지 관련 이론

    1. 산업입지 관련 이론

    1) 산업화 시대 전통입지이론

    산업단지라는 개념이 산업화시대인 20세기 초부터 보편화되었기 때문에 산업

    단지에 대한 입지이론이 별도의 체계를 갖고 연구되지 못했으며, 산업단지가 집

    단화된 기업군이라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가 있어, 기업의 입지분석을 중심으로

    한 산업입지 이론과 포괄적으로 맥을 같이 해오고 있다(민태운, 2007). 그동안

    산업입지론은 기업이 어디에 입지해야 최적의 이윤을 창출해낼 수 있는가를 설

    명하기 위하여 발전해 왔다.

    대표적인 전통적 산업입지이론은 Weber의 최소비용이론, Lӧsch의 최대수요이론, Smith의 산업입지이론 등을 들 수 있다.

    Weber(1909)의 최소비용이론은 자본주의 경제 체제 하에서 공업의 공간적 분

    포 유형이 어떻게 형성되는가를 설명하였으며 이론의 전개를 위해 다음과 같은

    가정을 세웠다. 첫째, 원료, 동력, 소비시장은 알려져 있으며 운송비는 거리와

    중량에 비례한다. 둘째, 노동력은 지역에 따라 한정되어 분포하며 임금은 지역

    차가 있다. 셋째, 생산자는 합리적인 경제인이며 최대 이윤을 추구한다. 이와 같

    은 가정 하에 공업입지의 입지인자로서 운송비, 노동비, 그리고 집적

    (agglomeration)이익으로 보고, 이들을 고려하여 최소의 비용으로 공업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장소를 공업의 최적입지점이라고 하였다.

    Lӧsch(1940)는 산업입지결정에 중요한 변수로 시장수요를 도입하여 일반이론을 처음으로 전개하였다.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의 입지는 개별 시장권역의 중심

    부가 최적입지가 되고, 개개의 시장권역 형태는 자유경쟁을 통해 정육각형 패턴

    이 될 것이며 계층적인 상권이 나타나 전체적으로 보면 정육각형의 공간 구조

    로 나타날 것이라 추론하였다.

  • - 7 -

    한편 Smith(1966)의 산업입지이론은 Weber와 Lӧsch의 입지이론을 절충하여발전시킨 통합이론으로 총 수입곡선(TR, total revenue)이 총 비용곡선(TC,

    total cost)을 상회하는 지역에 공장이 입지할 경우 항상 순 이윤을 얻을 수 있

    다고 주장하였다. 결국 Smith의 통합이론은 이윤발생의 공간한계 범위 내에서

    기업가의 비경제적 요인에 의한 입지결정까지도 설명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입지변동의 행태적 속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Smith의 통합이론

    역시 합리적인 의사 결정자에 의한 최적입지선정이라는 점을 전제하고 있기 때

    문에 규범적 이론에 속한다(대한국토ㆍ도시계획학회, 1999).

    오늘날 교통통신기술의 발달과 기업규모의 확대는 전통적인 산업입지이론으

    로 설명하기 어려운 다양한 입지현상을 보여 주고 있다. 고속도로나 고속철도의

    등장과 같은 새로운 이동수단의 개발은 전체생산비 가운데 교통비의 비중을 급

    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통신수단의 발달은 교통수요를 대체하는 효과를

    낳았다. 이에 따라 입지결정에서 교통비용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운 이른바 ‘자

    유입지형 산업(footloose industry)’이 나타나게 되었다(김혜천 외, 2007).

    2) 상품 주기 이론

    산업은 성장과 쇠퇴2)의 순환주기를 기준으로 성장 산업, 순환 산업, 방어적

    산업 등으로 나뉜다.

    성장 산업이란 향후 지속적인 이익과 성장을 가져오는 산업이고, 순환 산업이

    란 호경기에는 실적이 크게 신장되는 반면에 불경기에는 실적감소 또는 적자가

    발생하는 산업을 말하며 방어적 산업이란 경기에 영향을 받지 않은 산업을 말

    한다. 산업쇠퇴는 성장 산업의 기능을 다하거나, 순환 산업의 불경기 침체가 지

    속되어 경쟁력을 잃게 됨으로써 발생한다.

    2) 일반적으로 쇠퇴를 이야기 할 때, ‘노후’, ‘쇠퇴’, ‘불량’ 등의 용어가 자주 사용된다. 노후는

    “오래되거나 낡아서 쓸모가 없음”을 의미하고, 쇠퇴는 “기세나 상태가 쇠하여 무너짐”을, 불

    량은 “질(質)이나 상태 따위가 좋지 않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노후와 쇠퇴는 본래의 기능

    은 괜찮으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 기능이 상실됨을 의미한다. 불량은 처음부터 그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함을 의미 한다(최상희, 2005). 즉, 일반적으로 ‘노후’는 시간 경과에 따른

    물리적 시설의 기능 저하를 의미하고, 사회 경제적인 부분에서 ‘쇠퇴’라는 말을 사용한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후’와 ‘불량’을 모두 ‘쇠퇴’의 범위 안에 포함한다.

  • - 8 -

    고도 경제 성장기에서의 산업단지는 도시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여 왔

    지만, 최근 들어 시설의 노후화, 산업구조의 재편, 시가지의 확산 등으로 토지이

    용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후산업단지의 부지는 도시규모에

    비해 너무 크고, 부동산 시장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불확실하여 토지이용의 전

    환에 따른 명확한 개발방향을 설정하지 못해 쇠퇴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은 도입기, 확산기, 성숙기, 쇠퇴기의 4단계를 거치는 상품 주기

    이론(product life cycle)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조진희, 2009).

    상품 주기 이론은 기술과 산업발전의 관계를 이해하려고 하는 접근법이다. 이

    것은 과거의 근대화 이론처럼 미국의 초국적 기업의 경험으로부터 추출된 것이

    다. Vernon(1966)은 미국 기업의 제품 생산 장소를 묘사하면서, 상품은 대개 출

    현, 폭발적 증가, 서행, 쇠퇴의 주기를 경험하는데 이 일련의 과정은 기술의 도

    입, 확산, 성숙 그리고 쇠퇴의 과정에 대응한다고 설명하고 있다(Vernon, 1966).

    우선, 초기단계에서는 발명과 혁신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가격의 탄력성이

    낮고, 원자재 수급조절이 용이하며, 시장잠재력이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시기에 기업은 신제품 개발에 필요한 전문인력과 단순노동자의 인력수급이 용

    이한 대도시에 입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성장단계에서는 원자재 수급의 조절에

    제약이 생기기 시작하고, 다른 상품과의 경쟁이 발생되면서 생산비용의 절감을

    목적으로 기업은 대도시 주변부나 해외로 생산관련 부분 등을 이전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성숙단계에서는 이전단계의 제품개발기술에 대한 투자와 새롭게 발

    생되는 타제품과의 경쟁 등이 감소하는 반면, 가격경쟁이 더욱 치열하게 된다.

    따라서 기업은 대량생산을 통한 가격의 경쟁력 강화를 꾀하게 되고, 좀 더 값이

    싼 다수의 미숙련공을 고용하려는 경향을 보이며, 생산비용이 저렴한 외곽지역

    으로 이동하게 된다는 이론이다.

    2. 산업단지 재정비 이론

    1) 산업재구조화

    산업화 이후 성장한 대부분의 도시들은 제조업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기술발

    전에 따라 새로운 산업이 발달하면 그 도시는 성장하는 반면, 제조업이 쇠퇴하

  • - 9 -

    거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 나가면서 급격하게 쇠퇴하였다. 교통통신기술이 발

    달하고 기업의 능력이 확대되면서 제조업은 더 이상 도시 내에 머무르지 않고

    도시외곽지역으로 옮겨 가기 시작하였으며, 도시의 기반산업은 제조업에서 서비

    스업으로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제조업의 쇠퇴와 서비스산업화에 대해

    여러 가지 해석이 나타났다. Bell(1973)은 후기산업사회론(post-industrial

    society)을 주장하는 대표적인 학자로, 제조업의 쇠퇴가 아주 자연스러운 발전과

    정인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기술 발달에 따라 전통적인 제조업이 정보 및 기술

    관련 산업으로 대체되고 있으며, 소득의 증가에 따라 서비스 수요가 높아지면서

    도시 내에서 서비스업이 확대된다는 것이다(김혜천 외, 2007).

    1970년대 중반 이후 서구 자본주의적 생산체제는 자체의 모순과 한계로 새로

    운 생산양식으로의 전환이 불가피하였다. 이러한 생산양식의 전환은 기업 및 경

    제활동 뿐만 아니라 자본과 노동의 사회적 관계 등 사회 전반적인 체제의 변화

    를 초래하였다. 이와 같은 생산관계의 질적 변화를 총칭하여 산업재구조화

    (industrial restructuring)라 한다.3)

    산업구조의 재구조화 관련이론 중 Scott(1988)의 신산업공간이론은 재구조화

    를 생산과 축적의 기술적ㆍ제도적 구조의 변화라고 보면서 재구조화는 자본주

    의의 끊임없는 유동성 때문에 발생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Lee(1987)는 재구조화

    를 자본주의 특유의 경쟁조건들을 통해 변화된 축적조건들에 대응한 자본의 부

    문적 변화와 지리적 변화 등을 함의하는 것으로 노동과정이나 노동분업의 변화

    와 관련되거나 또는 그런 변화를 통해 수행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Lovering,

    1989).

    산업재구조화(또는 산업구조 조정)는 한 산업의 성장과정에서 과잉투자와 이

    로 인한 경쟁의 심화가 사회경제적 위기로 연결되면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을 통해 새로운 축적체제로 전환하게 되면서 안정된 구조를

    가지고 고도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경쟁압력에 반응한 기업의 소유 및 통

    제에서의 변동이라는 좁은 의미의 산업재구조화와 상대적 불안정기 또는 위기

    때에 전체 자본주의 경제의 안정을 재도입하는데 필요한 경제적ㆍ사회적ㆍ기술

    적ㆍ정치적 변동의 총체를 함축하는(Marshall, 1987) 넓은 의미의 산업 재구조

    화로 구분할 수 있다. 이처럼 변화하는 경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과 산업

    3) 김용웅 외, 2003, 「지역발전론」, 한울아카데미, pp. 111.

  • - 10 -

    의 재구조화는 공간적으로 표출될 뿐만 아니라 공간을 매개로 전개되면서 공간

    을 재구조화시킨다. 즉 공간 재구조화는 산업 재구조화 과정을 반영ㆍ매개하면

    서 이의 성공적 실현에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최병두, 2003).4)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서구 선진국 등의 경제지리적 상황이

    급속하게 변화하였다. 이 시기 대도시를 중심으로 발달해 있었던 전통산업부문

    에서의 고용은 급속하게 감소하고, 신산업부문에서 새로운 일자리들이 급격히

    생겨나는 전환과정을 겪게 되었다(강현수, 1995). 이런 자본주의의 재구조화는

    1970년대 후반부터 미국을 중심으로 하여 산업경쟁력이 약화되었으며, 이로 인

    해 선진국의 자본주의 경제는 대규모 실업과 인플레이션을 겪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이들은 선진국 경제의 구조적인 측면에서

    비롯되었다는 주장이 차츰 설득력을 얻게 되었다. 선진국의 경기침체의 과정에

    서 수많은 기업들이 생산조직, 기술, 시장, 산업입지, 고용의 측면에서 산업구조

    재편을 단행하였기 때문이다(Clark, 1993; Hayter, 1997).

    상황은 국내에서도 유사하게 전개되었다. 과거 제조업을 중심으로 경제성장을

    주도했던 도시경제는 1980년대 후반 이후 산업구조재편 과정에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산업재구조화는 국외적 상황과 더불어 1980년대 후반에 절정을 이루었

    던 극심한 노사분규, 급격한 임금인상, 원화절상, 높은 금리와 기업의 취약한 재

    무구조, 그리고 생산직의 높은 이직률과 생산현장에서의 인력부족 등 국내의 요

    인이 작용하였기 때문이다(박삼옥, 1999).

    2) 쇠퇴산업단지의 개념

    전통적인 도시는 배후지역에 대한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중심지 기

    능수행에 따른 재화와 서비스의 공급지였다. 이 중에서 제조업은 제품을 생산하

    며 주변 배후지로 공급하고 고용을 창출함으로써 도시경제를 지탱하는 주요 기

    능이었다. 그러나 도시의 성장에 따른 도시의 규모가 확산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창고시설 및 도로, 주차장, 상하수도 등 기반시설이 부족하게 되고, 용지가격이

    급격히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외부이전이 이루어지지 못해 산업단지가

    4) 윤철, 2008, “서울디지털산업단지 재구조화 과정과 산업클러스터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서

    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 - 11 -

    쇠퇴함에 따라 도시성장에 방해가 되기 시작하였다.

    민태운(2007)은 지대차이론의 관점에서 산업단지의 재정비를 검토하였으며,

    유형별 노후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첫째, 물리적 노후화란 시설물의 사용과 시간이 지나면서 비정상적인 파손,

    파괴 등으로 인하여 가치가 소멸 또는 감소되거나, 환경변화와 입주자의 선호

    변화 등으로 기능적인 측면에서 더 이상 효용성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 상태를

    말한다. 둘째, 경제적 측면에서 기존 구조물들의 기회비용이 재정비에 투자하는

    자본비용보다 더 많이 들어가면 경제적 측면에서 노후화되었다고 보고 있다. 셋

    째, 사회적 노후화는 사회ㆍ제도적인 여건의 변화로 더 이상 해당 용도로서 기

    능하기 어렵게 된 상태라고 정의하였다.

    윤우진 외(2008)는 산업구조적으로 제조업에서는 높은 생산성 증가와 고용 감

    소를, 서비스산업에서는 낮은 생산성 향상과 고용 증가를 보였다. 이는 1980년

    대 이후 제조업이 자본ㆍ기술집약적 산업으로 이행되는 구조조정 과정에서 방

    출된 노동력이 생산성이 낮은 서비스산업으로 이동하면서 산업 전반의 생산성

    저하를 초래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변병설(2009)5)은 산업쇠퇴지역이란 물리적 환경이 불량하고, 산업의 생산성이

    현저히 감소하여 산업도시로서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지역으로써

    그 유형과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첫째, 산업ㆍ경제적으로 쇠퇴한 단지로써, 산업단지의 가동률이 현저히 낮아

    지고 종사자수가 줄어들어 결국 생산량이 줄어드는 유형, 둘째, 사회ㆍ문화ㆍ복

    지 측면에서 쇠퇴한 단지로서, 산업단지내 공동체의식이 낮아 사회적 정체성을

    느끼기 어렵고, 문화공간의 부재로 문화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정신적 만족감

    이 떨어지고, 보육원 등 복지 시설의 미비를 보이는 유형, 셋째, 물리ㆍ환경적으

    로 노후한 산업단지로서, 물리적 시설이 낙후하여 작업환경이 불량하고, 환경오

    염처리시설이 열악하여 각종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산업 및 산업단지의 쇠퇴로 이어지는 산업쇠퇴도시는 과거 산업기반

    에 의해 형성되어 발달했던 도시가 새로운 시대적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여 쇠

    퇴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쇠퇴산업단지 재생이란 노후된 산업쇠퇴지역

    의 물리적 환경적, 사회적인 상황을 개선시켜 도시의 기능을 회복시키고 경제의

    5) 도시재생사업단, 2009, “쇠퇴도시 유형별 재생전략 및 기법개발”, 워크샵 자료집.

  • - 12 -

    활성화 및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는 위에서 살펴본 기존이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쇠퇴산업단지의 개

    념을 “종사자수, 생산액의 감소로 인해 산업단지의 물리적, 경제적, 환경ㆍ복지

    적 측면이 복합적으로 쇠퇴하여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침체된 산업단지”

    로 정의하고자 한다.

    쇠퇴산업단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쇠퇴하거나 쇠퇴 중인 산업

    단지에 대한 물리적 환경 개선 위주의 단편적인 접근방식은 한계가 있다. 따라

    서 쇠퇴 지역의 물리적 환경 재생만이 아니라 물리적, 경제적, 환경ㆍ복지적 측

    면 등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통합적 접근의 산업단지 재생6)이 필

    요하다.

    6) ‘재생’이란 단어는 사전적으로 죽게 되었다가 다시 살아남, 낡거나 못 쓰게 된 물건을 가공하

    여 다시 쓰게 함 등의 의미를 가진다(국립국어원, 2009).

  • - 13 -

    제2절 산업단지 고찰

    1. 산업단지 개념과 분류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이하 “산입법”) 제2조에 의하면 “산업단지”라

    함은 공장ㆍ지식산업관련시설ㆍ문화산업관련시설ㆍ정보통신산업관련시설ㆍ자원

    비축시설 등과 이와 관련된 교육ㆍ연구ㆍ업무ㆍ정보처리ㆍ유통시설 및 이들 시

    설의 기능제고를 위하여 시설의 종사자와 이용자를 위한 주거ㆍ문화ㆍ의료ㆍ관

    광ㆍ체육ㆍ복지시설 등을 집단적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포괄적 계획에 따라 지

    정ㆍ개발되는 일단의 토지를 말한다.

    산업단지의 체계적 개발을 위하여 산업단지의 유형을 국가산업단지, 일반산업

    단지, 도시첨단산업단지, 농공단지로 구분하고 있는데 이러한 유형구분은 개발

    주체와 조성목적을 기준으로 분류한 것으로 국가산업단지는 국토해양부장관, 일

    반산업단지와 도시첨단산업단지는 시ㆍ도지사(시장ㆍ군수ㆍ구청장도 가능), 농

    공단지는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이 개발주체이다.

    이 법에 의하면 ‘국가산업단지’는 국가기간산업과 첨단과학기술산업 등 국가

    적인 전략산업을 육성하거나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개발촉진이 필요한 낙후지역

    또는 두 개 이상의 특별시ㆍ광역시 또는 도에 걸치는 지역에 지정된 산업단지

    를 말한다. ‘일반산업단지’는 산업의 적정한 지방 분산을 촉진하고 지역경제 활

    성화를 위하여 지정된 산업단지이다. ‘도시첨단산업단지’는 지식산업ㆍ문화산업

    ㆍ정보통신산업, 그 밖의 첨단산업 육성과 개발을 촉진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지정된 산업단지이며, ‘농공단지’는 농어촌지역에 농어민의 소득증대를 위한 산

    업을 유치ㆍ육성하기 위하여 지정된 산업단지라 할 수 있다.

    이밖에 ‘산입법’과는 별개로 조성되는 산업단지로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일단의 ‘공업지역’, 중소기업진흥 및 제품구매촉진에 관한 법

    률에 의한 ‘중소기업 협동화단지’ 등이 있다. 또한 외국인 투자 유치를 위한 산

    업단지로 외국인 투자 촉진법에 의한 ‘외국인 투자지역’, 자유무역지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한 ‘자유무역지역’, 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

    한 법률에 의한 ‘경제자유구역’ 등이 있다. 이를 요약하면 과 같다.

  • - 14 -

    구분 지정목적 지정권자 대상지역

    국가산업단지국가기간 산업 및 첨

    단과학기술산업 육성국토해양부 장관

    개발촉진이 필요한 낙

    후지역, 기간산업ㆍ첨

    단산업 입지로 양호한

    지역

    일반산업단지산업의 지방분산 촉

    진, 지역경제 활성화시ㆍ도지사

    시ㆍ도차원에서 균형

    발전을 위해 필요한

    지역

    도시첨단

    산업단지

    지식ㆍ문화ㆍ정보통

    신산업 등 첨단산업

    의 육성

    시ㆍ도지사첨단산업 육성에 양호

    한 도시지역

    농공단지 농어민 소득증대 시장ㆍ군수ㆍ구청장시ㆍ군내에서 입지 조

    건이 양호한 지역

    공업지역

    공장의 집단 설치를

    통해 도시의 건전한

    발전추구

    시ㆍ도지사 공업지역

    중소기업

    협동화단지

    중소기업의 근대화

    및 협동화 사업으로

    중소기업의 진흥도모

    시ㆍ도지사 -

    자유무역지역

    외국의 투자유치, 무

    역의 진흥, 국제물류

    원활화 및 지역개발

    등을 촉진

    지식경제부 장관 -

    외국인

    투자지역

    외국인 투자유치 촉

    진시ㆍ도지사

    산업단지 및 외국투자

    가가 투자를 희망하는

    지역

    경제자유구역

    외국인 투자기업의

    경영 및 생활여건 개

    기획재정부 장관외국인 유치 및 정주

    가능성이 높은 지역

    자료 : 한국산업단지공단, “산업입지요람”, 2008.

    우리나라 산업단지의 유형

  • - 15 -

    산업단지의 개념을 토대로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단지의 개발목적은 산업시설과 그 지원시설을 집단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기반시설 설치비용 등 입지 개발 비용의 절감과 집단화를 통한 시너지 효

    과 및 산업클러스터 형성, 환경관련 시설의 집단적 공급을 통한 환경관리를 위

    해서 집단화가 필요하다.

    둘째, 산업시설 뿐만 아니라 생산시설과 관련된 교육ㆍ연구ㆍ업무ㆍ정보처리

    ㆍ유통시설의 집단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들 시설의 기능제고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주거ㆍ문화ㆍ의료ㆍ관광ㆍ체육ㆍ복지시설 등의 입주도 허용하고

    있다. 이는 산업단지를 다양한 기능의 입지를 유도하기 위한 복합단지로 개발할

    수 있게 하는 근거가 된다.

    셋째, 산업단지는 포괄적 계획에 따라 지정ㆍ개발된다는 점이다. 산업단지 개

    발은 대단위 토지개발을 수반한다. 따라서 산업단지의 지정과 개발 및 관리는

    모두 종합적인 계획에 의거하여 추진된다. 이는 자연발생적인 개별입지 집적지

    역과 산업단지를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넷째, 산업단지는 위의 세 가지 목적과 기준에 의해 조성된 일단의 토지라는

    점이다. 우리나라는 산업단지를 시설물의 집단화를 위해 조성된 토지라는 관점

    에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산업단지의 지정과 개발 및 관리는 시설물을 포함

    하여 모두 종합적인 계획에 의해 추진되어야 한다(유승한ㆍ김광익, 2005).

    2. 산업단지 현황

    1) 산업단지 지정 및 분양 현황

    2008년 12월 말을 기준으로 전국의 산업단지 수는 총 742개로 국가산업단지

    35개, 일반산업단지 316개, 도시첨단산업단지 6개, 농공단지 385개가 조성되어

    있으며, 총 면적은 1,277,950천㎡에 이르고 있다.

    단지수로는 농공단지가 가장 많으나, 조성면적은 국가산업단지가 843,628천㎡

    로 전체 면적의 66%를 차지하고 있다. 조성이 완료된 산업단지를 기준으로 전

    체 분양면적은 387,163천㎡이며, 분양률은 2008년 말 기준 97.5%에 이르고 있

    다.

  • - 16 -

    단지유형별로 분양률은 국가산업단지 98.2%, 농공단지 98.5%, 도시첨단산업단

    지 100%, 일반산업단지 95.7% 순이다. 전반적으로 높은 분양률을 보이고 있으

    나, 일반산업단지의 분양률이 95.7%로 가장 저조한데, 이는 각 지자체가 공급자

    위주의 경쟁적 산업단지 개발에 따른 과잉공급이 주원인으로 판단된다.

    단지유형단지수

    (개)

    지정면적

    (천㎡)

    산업시설구역1)(천㎡)

    전체면적 분양대상 분양 미분양 분양률(%)

    국 가 35 843,628 256,023 227,872 223,773 4,099 98.2

    일 반 316 372,249 224,564 117,174 112,187 4,987 95.7

    도시첨단 6 730 376 67 67 - 100.0

    농 공 385 61,343 48,002 42,050 41,401 649 98.5

    계 742 1,277,950 528,965 387,163 377,428 9,735 97.5

    자료 : 한국산업단지공단, “전국산업단지현황통계”, 2008, 4/4분기.

    주) 전체면적은 미개발면적을 포함한 산업시설구역 총 면적을 의미하며, 분양대상은 산

    업시설구역 중 조성된 면적(미개발면적 제외), 분양률은 분양대상용지 중 분양된 면

    적의 비율임.

    산업단지 지정 및 분양 현황

    2) 입주ㆍ고용 및 생산ㆍ수출 현황

    입주계약 업체는 총 56,189개사 중 국가산업단지가 34,570개사로 61.5%를 차

    지해 가장 많은 업체가 입주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일반산업단지는 16,182

    개사로 28.8%, 농공단지와 도시첨단산업단지는 각각 5,372개사 65개사로 전체

    입주계약업체의 9.7%에 해당하는 입주계약 업체수를 보이고 있다.

    또한 고용에 있어서 전체 고용 1,403,175명 중 국가산업단지가 총 802,887명으

    로 57.2%를 점하고 있는 반면, 일반산업단지는 479,453명으로 34.2%, 농공단지

    와 도시첨단산업단지가 각각 120,171명, 664명으로 8.6%의 고용현황을 보여 국

    가산업단지가 가장 영향력이 크다고 판단할 수 있다.

    국가산업단지에 집중된 구조는 생산액과 수출액 항목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

    타나 생산액은 전체 대비 67.9%, 수출액은 67.4% 이상이 국가산업단지에 의해

  • - 17 -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일반산업단지는 전체 생산과 수출의 27.2%, 27.3% 수준

    에 머무르고 있다.

    단지유형

    입주 및 가동업체(개)

    고용(명) 생산(억원)수출

    (백만달러)입주계약 가동업체 가동률(%)

    국 가 34,570 30,207 87.4 802,887 4,516,641 3,745,093

    일 반 16,182 13,949 86.2 479,453 1,814,221 1,519,585

    도시첨단 65 60 92.3 664 620 414

    농 공 5,372 4,655 86.7 120,171 319,207 288,449

    계 56,189 48,871 86.9 1,403,175 6,650,689 5,553,541

    자료 : 한국산업단지공단, “전국산업단지현황통계”, 2008, 4/4분기.

    입주ㆍ고용 및 생산ㆍ수출 현황

    위의 산업단지 현황 자료를 통해 볼 때 계획적인 산업입지 정책이 우리경제

    가 제조업 중심의 고도ㆍ압축 성장을 하는데 원동력이 되었음은 부인할 수 없

    는 사실이다. 그 중에서도 재정투자 규모나 입주기업의 규모를 감안할 때 중앙

    정부가 관할하는 국가산업단지의 경우 국가 경제성장과 고용 창출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박원석, 2005). 또한 국가산업단지는

    국가경제의 핵심 인프라이면서 국가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수단이

    기 때문에 정부는 국가산업단지 조성에 많은 재정을 투입하고 있다.

    하지만 국토균형발전과 지역경제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일반산업단지,

    농공단지 등은 조성된지 오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쇠퇴하고 있으며, 열악한

    지방의 재정을 고려해볼 때 점점 더 침체될 수 있다. 따라서 국가경제와 지역경

    제의 바람직한 발전을 위해서는 국가산업단지를 제외한 약 434,322㎡의 산업단

    지 면적과 약 60만명 이상 종사하는 일반산업단지, 도시첨단산업단지, 농공단지

    등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될 것이다.

  • - 18 -

    3. 산업입지 정책의 성과와 과제

    1960년대부터 추진해온 산업입지 정책은 우리나라의 산업발전, 지역발전, 자

    원의 효율적 이용 차원에서 많은 기여를 해왔다. 그간 진행해온 산업입지 정책

    의 성과로 첫째, 제조업 성장을 위한 물적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해 왔다. 즉 생산공간의 물적 기반을 공업단지 형

    식으로 공급함으로써 하부구조 기반이 취약하고 투자재원이 제약된 상태에서

    급속한 산업성장을 뒷받침하는데 큰 기여를 해왔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산업입

    지정책은 산업화 부진지역에 산업기반을 구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효

    율성 위주의 입지정책 추진에 따른 지역적 불균형과 자원의 편중을 방지하기

    위하여 산업화 부진지역에 저렴한 공업단지를 조성함으로써 산업기반 조성에

    크게 기여 하였다.

    하지만 산업입지 정책은 많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니

    고 있다. 첫째, 대부분 중앙정부에 의해 주도되어왔기 때문에 지역의 고유한 특

    성과 잠재력이 반영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특히 국가보다 개인과 기업, 그리고

    중앙정부보다 지방자치단체의 창의와 선도가 필요한 세계화와 지방화 시대에는

    산업화 초기단계에 취해왔던 효율성 위주의 전략을 지속하는 데는 한계를 보이

    고 있다. 둘째, 기존의 산업입지정책은 산업단지 조성 시 단순 생산공간과 도로,

    상하수도 등 기초적 하부구조 등 물적 시설의 공급에만 치중하였다. 이에 따라

    기술, 정보, 인력, 각종 서비스 기능 등 종합적인 산업입지 여건을 형성하는 데

    큰 기여를 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입지수요에 대한 고려보다 지역발전촉진

    등 규범성을 강조하거나 사업추진 자체에 치중해 왔다. 따라서 국가 전체적으로

    공장용지의 과잉공급 현상을 초래한 반면, 개별기업 수준에서는 실질적으로 공

    장용지가 부족한 실정이다(김용웅 외, 2003).

    이 문제를 해결하여 새로운 여건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중앙정부에서는 획

    일적인 공급보다 기업 및 지방자치단체가 필요한 용지와 생산여건을 효율적으

    로 공급해야 할 것이다. 또한 산업단지 지정ㆍ개발 제도를 체계적으로 통폐합하

    고 정책목적별로 지원정책을 차별화해서 경쟁력 있는 산업입지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 - 19 -

    제3절 선행연구 고찰

    산업단지의 쇠퇴성을 진단하고 재생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산업단지 재생 및

    활성화를 다룬 기존의 연구들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선행연구를 조사하기 위해 산업단지 재생 또는 활성화 연구와 산업단지의 쇠퇴

    성을 진단할 수 있는 지표에 대한 연구로 구분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첫째, 산업단지 재생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로 이성근ㆍ이관률(1998)은 대구

    시를 사례로, 도심공단의 기능적 측면에서 도심공단의 재정비 필요성과 재정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대구도심에 위치하고 있는 제3공단을 선정하여 기업적

    특성, 물리적 특성, 기능적 특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대구도심공단의 특성

    을 분석하였다. 도심공단에 입주하고 있는 업종별ㆍ업체별 정확한 분석을 바탕

    으로 비도심형 산업이나 도심공단에 부적격한 업종과 무등록 공장에 대한 정비

    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한편으로는 지역의 실정에 맞도록 도심공

    단의 생산환경 재정비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구양미(2002)의 연구에서는 구로공단을 대상으로, 신규 입주기업과 기술집약

    적 중소기업 유치를 통한 구 산업집적지의 산업구조재편 및 기존 입주업체와

    공간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산업구조재편에 있어서 기술집약적 중소

    기업은 고용창출력과 노동시장 고도화, 지역의 기술개발력 향상과 혁신성 증대,

    기업간 연계와 협력증진의 역할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환선(2002)은 김해지역 산업단지 중 지방산업단지와 농공단지를 연구 대상

    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김해지역 산업단지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문제

    점으로는 인력난, 기반시설 미비, 행정적 문제점, 산업단지 미분양, 관련산업집

    적 미비, 자금난을 지적하였으며, 각 분야별로 산업단지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최지환(2004)은 상평산업단지 이전 방향 설정을 위한 연구로 입주업체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산업단지로서의 기능 평가 후 입주업체 이전의사 등을 통

    해 토지이용 전환에 대한 적절한 방향을 찾아 도시구조상 적합한 정비방안을

    제시하였다. 산업단지의 이전 및 정비에 대하여 검토되어야 할 것은 이전 및 정

    비의 선별적인 수용, 용도의 복합화, 지역경제 활성화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 20 -

    이권형ㆍ박종민(2005)은 인천지역에 위치한 지방산업단지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지방산업단지의 혁신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지방산업단지의 구조고도

    화를 위한 정책과제를 수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인천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방

    안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지방산업단지 혁신체계 구축, 업종 구조고도화, 중

    소기업 간 협력모델 구축, 기업지원시설 강화, 친환경 산업단지 조성의 필요성

    을 강조하였다.

    국토해양부(2007)는 노후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재정비가 필요한 곳을 선정하

    여 설문조사 등을 통해 실태를 파악하고, 재정비의 효율적 시행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이를 위해 이전이 필요한 산업단지, 재정비

    가 필요한 산업단지, 구조고도화가 필요한 산업단지, 체계적 관리가 필요한 산

    업단지로 재정비의 유형을 설정하였다.

    민태운(2007)은 인천 남동산업단지를 대상으로 경쟁력 회복과 지속 성장이 가

    능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국내ㆍ외 산업단지의 재정비

    사례를 분석하여 남동산업단지의 재정비 기본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제시된 기본

    방향을 토대로 장ㆍ단기적인 산업구조고도화 정책의 필요성과 공공기관 주도의

    재정비, 입주기업의 의견 존중, 부지가격의 안정화를 주장하였다.

    최석진(2007)은 서울디지털산업단지의 구조고도화에 따른 개발이익, 증가되는

    생산액, 종사자 수, 그리고 지역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구조고도

    화 기본계획에서 제시한 사업수지 분석을 토대로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구조고

    도화는 개발이익, 생산액, 고용인구, 부가가치의 증가 등 많은 파급효과를 발생

    시킬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인명(2008)은 서울디지털산업단지가 앞으로 개선해야 할 단지관리의 문제점

    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로 입주업체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단지관

    리 개선을 위해 입주업체가 필요로 하는 사항이 무엇인지 파악하였고, 교통인프

    라의 부족, 지원시스템 부족, 호텔ㆍ비즈니스 센터ㆍ문화시설 부재 문제를 지적

    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 21 -

    연구자 논문명 연구 내용

    이성근ㆍ이관률

    (1998)

    도심공단의 재정비

    방안에 관한 연구

    도심공단의 기능적 측면에서 도심공단의 재정

    비 필요성과 재정비 방안 모색

    구양미

    (2002)

    구로공단산업구조

    재편에 관한 연구

    구로공단을 대상으로 신규 입주기업과 기술집

    약적 중소기업 유치를 통한 구 산업집적지의

    산업구조재편 및 기존 입주업체와 공간이용에

    미치는 영향 파악

    김환선

    (2002)

    산업단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해지역 산업단지 중 지방산업단지와 농공단

    지를 대상으로 문제점을 도출하여 각 분야별

    로 산업단지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

    최지환

    (2004)

    도시재생을 위한

    산업단지 정비방안

    상평산업단지의 이전 방향 설정을 위해 산업

    단지로서의 기능 평가, 입주업체 이전의사 등

    을 통해 토지이용전환에 대한 적절한 방향 및

    도시구조상 적합한 정비방안 제시

    이권형ㆍ박종민

    (2005)

    인천지역

    지방산업단지의

    실태와 혁신 방안

    인천지역에 위치한 지방산업단지를 대상으로

    구조고도화를 위한 정책과제 수립과 인천 제

    조업의 경쟁력 제고 방안 연구

    국토해양부

    (2007)

    노후산업단지

    재정비 실행방안

    연구

    노후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재정비가 필요한

    곳을 선정하여 재정비를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민태운

    (2007)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재정비 방안 연구

    인천 남동산업단지를 대상으로 국내ㆍ외 산업

    단지의 재정비 사례를 분석하여 남동산업단지

    의 재정비 기본방향 제시 및 제시된 기본방향

    을 토대로 재정비 방안과 과제 도출

    최석진

    (2007)

    서울디지털산업단

    지의 구조고도화에

    따른 지역적

    파급효과분석

    서울디지털산업단지에 구조고도화에 따른 개

    발이익, 증가되는 생산액, 종사자 수, 그리고

    지역적 파급효과 분석

    이인명

    (2008)

    산업단지

    구조고도화와

    단지관리 개선방안

    서울디지털산업단지를 대상으로 단지관리 개

    선을 위해 입주업체의 필요 사항을 파악하고

    개선방안 제시

    산업단지 재생 또는 활성화 선행연구 종합

  • - 22 -

    둘째, 산업단지의 쇠퇴성을 진단할 수 있는 지표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부분

    이다. 하지만 도시의 쇠퇴를 진단하는 지표 연구가 대부분이고 산업단지의 쇠퇴

    성 지표에 대한 연구의 수가 적으므로 도시 및 도심 등 각 공간의 쇠퇴 현상

    분석 연구를 일부 포함하여 진행하였다.

    이상대(1996)는 서울시 내부시가지 쇠퇴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

    시하였다. 사용된 지표로는 인구 측면에서 상주인구 밀도, 주간인구 밀도, 인구

    전출율, 노령인구 비율을, 물리ㆍ환경적 측면에서 개발밀도, 공공시설 면적비율,

    노후주택 비율, 재래식주택 비율, 협소주택 비율을, 도시 경제적 측면에서 사업

    체수, 종사자수, 공장연면적, 1인당 지방세징수액, 주거지역 지가, 사회 계층적

    측면에서 자가용승용차 보유율, 1인당 주거면적, 세대주 중 대학졸업자 비율, 자

    가점유 비율, 생활보호대상자 비율을 지표로 사용하였다.

    구분 관련지표

    인구 측면 상주인구 밀도, 주간일구 밀도, 인구 전출율, 노령인구 비율

    물리ㆍ환경적 측면개발밀도, 공공시설 면적비율, 노후주택 비율, 재래식주택 비

    율, 협소주택 비율

    도시 경제적 측면사업체수, 종사자수, 공장연면적, 1인당 지방세징수액, 주거지

    역 지가

    사회 계층적 측면자가용승용차 보유율, 1인당 주거면적, 세대주중 대학졸업자

    비율, 자가점유 비율, 생활보호대상자 비율

    서울시 내부시가지 쇠퇴 현상 분석지표

    강민정 외(2007)는 도심재생을 위하여 도심 상업지역의 노후도를 평가하기 위

    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도심 상업지역의 노후도 평가지표는 선행연구를 고찰하

    여 1회 이상 이용된 노후 평가요소들을 추출한 후 주택에서만 한정되는 평가요

    소를 제거하고 각각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요소로 재분류하였다. 이에 따라 물

    리적 요소는 토지이용, 도로 폭, 주차장, 건물의 연수 및 구조, 층수, 건폐율과

    용적률, 필지규모, 접도율을, 사회적 요소는 실업률, 반달리즘, 방치상태 지속,

    인구밀도, 화재 발생률, 노령화 지수로, 경제적 요소는 지가의 변화와 사업체ㆍ

    종사자 수 감소, 임대가 및 건물 가격, 수입의 감소, 산업시설 분포로 구성하여

  • - 23 -

    노후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구분 관련지표

    물리적 지표토지이용, 도로 폭, 주차장, 건물 연수, 건물 구조, 층수, 건폐율,

    용적률, 필지규모 및 형태, 공공용지, 접도율

    사회적 지표실업률, 반달리즘, 방치상태 지속, 인구밀도, 화재 발생률, 노령

    화 지수

    경제적 지표지가변화, 사업체ㆍ종사자 수 감소, 임대가ㆍ건물가 하락, 수입

    감소, 산업시설 분포

    도심 상업지역의 노후도 평가지표

    국토해양부(2007)는 노후산업단지 재정비 목적에 부합하는 지표를 물리적 노

    후도, 입지업체 생산성, 재정비 사업성으로 분류하였다. 물리적 노후도 부분에서

    는 부지면적당 종사자, 부지면적당 업체수, 녹지비율을 이용하였고, 입지업체 생

    산성에서는 가동율, 종업원 1인당 생산액, 종업원 1인당 수출액, 휴폐업면적을,

    재정비 사업성 부분에서는 도심에서의 거리, 배후도시 인구규모, 주변 공시지가

    와의 격차, 면적당 업체수로 지표를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산업단지별로 유형

    구분 및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구분 관련지표

    물리적 노후도 부지면적당 종사자, 부지면적당 업체수, 녹지비율

    입지업체 생산성 가동율, 종업원 1인당 생산액, 종업원 1인당 수출액, 휴폐업면적

    재정비 사업성도심에서의 거리, 배후도시 인구규모, 주변 공시지가와의 격차,

    면적당 업체수

    노후산업단지 재정비 분류지표

    송상열(2007)은 서울특별시와 6대 광역시를 제외한 159개의 시ㆍ군 지역을 대

    상으로 각종 도시지표를 적용하여 추출된 비성장형 도시의 특성을 요인별로 분

  • - 24 -

    석하였다. 비성장형도시 특성분석을 위해 인구통계 측면, 도시경제 측면, 도시공

    간구조 측면, 사회환경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인구통계 측면의 세부지표로 인구

    밀도, 전출율, 가구당 세대원, 가구당 아동수, 노령화 지수, 인구 증감률, 노령화

    지수 증감, 가구당 세대원 증감률, 가구당 아동수 증감을 사용하였다. 도시경제

    측면의 세부지표로 총 사업체수, 총 종사자수, 제조업체당 종사자, 2차산업 종사

    자, 1인당 지방세 부담액, 승용차 보유율, 재정자립도, 총 사업체수 증감률, 총

    종사자수 증감률, 제조업체 증감률, 제조업체당 종사자 증감, 재정자립도 증감을

    사용하였다. 도시공간구조 측면의 세부지표로 도시계획구역, 도로밀도, 상수도

    보급률, 하수도 보급률, 인구당 공원수, 도로밀도 증감률, 상수도 보급 증감률,

    하수도 보급 증감률을 사용하였다. 사회환경 측면의 세부지표로 기초생활보호대

    상가구 비율, 기초생활보호대상자 비율, 노후주택 비율, 아파트가구 비율, 재래

    시장수, 승용차당 주차면수, 재래시장 증감, 승용차 보유율 증감을 사용하여 요

    인분석 및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구분 현황지표 추세지표

    인구통계

    측면

    인구밀도, 전출율, 가구당 세대원, 가

    구당 아동수, 노령화 지수

    인구 증감률, 노령화 지수 증

    감, 가구당 세대원 증감률, 가

    구당 아동수 증감

    도시경제

    측면

    총 사업체수, 총 종사자수, 제조업체

    당 종사자, 2차산업 종사자, 1인당

    지방세 부담액, 승용차 보유율, 재정

    자립도

    총 사업체수 증감률, 총 종사

    자수 증감률, 제조업체 증감

    률, 제조업체당 종사자 증감,

    재정자립도 증감

    도시공간구조

    측면

    도시계획구역, 도로밀도, 상수도 보

    급률, 하수도 보급률, 인구당 공원수

    도로밀도 증감률, 상수도 보급

    률 증감, 하수도 보급률 증감

    사회환경

    측면

    기초생활보호대상가구 비율, 기초생

    활보호대상자 비율, 노후주택 비율,

    아파트가구 비율, 재래시장수, 승용

    차당 주차면수

    재래시장 증감, 승용차 보유율

    증감

    비성장형도시 특성분석을 위한 지표

    김도영(2008)은 경기도 낙후도시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 특성분석을 통하여

  • - 25 -

    향후 수도권 낙후도시에 대한 도시재생전략에 대한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낙후

    특성분석을 위한 경기도 낙후도시 평가지표는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지표를

    추출하고, 이를 표적집단면적법(FGI)을 활용하여 지표를 도출하였다. 지표는 인

    구ㆍ사회적 측면의 인구규모, 인구변화율, 인구밀도, 고령자 비율(노령자 지수),

    면적을 이용하였고, 경제ㆍ산업 측면의 재정력 지수, 총 사업체 종사자 비율, 소

    득세할 주민세, 개별공시지가 평균지가, 총 사업체 종사자수 증가율, 1인당 지방

    세 징수액, 지방세 징수율 증가율을 이용하였으며, 정주환경의 대도시와의 이격

    거리, 농가비율, 1,000명당 의료병상수, 1,000명당 공공도서관 좌석수, 상ㆍ하수

    도 보급률, 도로율을 이용하였다. 이를 통해 경기도내 낙후도시를 선정하고, 낙

    후도시의 특성에 부합하는 도시재생전략을 수립하였다.

    구분 지표

    인구ㆍ사회 인구규모, 인구변화율, 인구밀도, 고령자 비율(노령자 지수), 면적

    경제ㆍ산업

    재정력 지수, 총 사업체 종사자 비율, 소득세할 주민세, 개별공시

    지가 평균지가, 총 사업체 종사자수 증가율, 1인당 지방세 징수

    액, 지방세 징수율 증가율

    정주환경대도시와의 이격거리, 농가비율, 1,000명당 의료병상수, 1,000명

    당 공공도서관 좌석수, 상ㆍ하수도 보급률, 도로율

    경기도 낙후도시 평가지표

    도시재생사업단(2009)은 도시쇠퇴를 진단하기 위해 복합쇠퇴지수를 개발하여

    도시쇠퇴 현상을 분석하고 각각의 도시들의 종합 쇠퇴 순위를 산출하였다. 지방

    도시들의 쇠퇴를 진단하기 위한 평가지표로 인구․사회, 산업․경제, 문화․복

    지, 도시공간의 4개 주요 부문과 각 부문의 대표지표 17개를 선정하여 지방도시

    의 쇠퇴를 진단하였다. 또한 산업단지의 쇠퇴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가동율, 종

    사자수의 변화, 생산액의 변화, 수출액의 변화 지표를 사용하여 전국의 일반산

    업단지와 농공단지의 쇠퇴성을 분석하였다.

  • - 26 -

    구분 관련지표

    지방

    도시

    인구ㆍ사회 연평균 인구 증감률, 노령화 지수

    산업ㆍ경제

    총 사업체수 증감률, 1000명당 종사자수, 사업체당

    종사자수, 제조업체 증감률, 재정자립도, 1인당 지방세

    징수액

    문화ㆍ복지1000명당 도서관 좌석수, 1000명당 병상수, 의료인원

    증감률, 기초생활보호대상자 증감, 소년소녀가장 세대 증감

    도시공간 도로포장율, 상수도 보급률, 노후주택 비율, 농가 비율

    산업단지의 쇠퇴성 가동율, 종사자수의 변화, 생산액의 변화, 수출액의 변화

    도시 및 산업단지의 쇠퇴성 진단 평가지표

    연구자 논문명 연구 내용

    이상대

    (1996)

    서울시 내부시가지 쇠퇴

    현상의 진단에 관한 연구

    요인분석을 통해 서울시 내부시가지 쇠퇴

    현상 분석

    강문정

    (2007)

    도심 상업지구의 노후도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도심재생을 위하여 도심 상업지역의 노후

    도 평가

    국토해양부

    (2007)

    노후산업단지 재정비

    실행방안 연구

    노후산업단지의 효율적 재정비를 위해 산

    업단지별로 유형구분 및 군집분석 실시

    송상열

    (2007)

    비성장형도시의 쇠퇴원인

    분석과 도시재생 방안에

    관한 연구

    159개의 시ㆍ군 지역을 대상으로 요인분

    석을 통해 비성장형 도시의 특성 분석 및

    시계열적 분석

    김도영

    (2008)

    경기도 낙후도시

    특성분석을 통한

    도시재생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경기도 낙후도시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

    특성분석을 통하여 향후 수도권 낙후도시

    에 대한 도시재생전략 방향 설정

    도시재생

    사업단

    (2009)

    지방도시 재생기법 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

    도시쇠퇴를 진단하기 위해 복합쇠퇴지수

    를 개발하여 도시쇠퇴 현상을 분석하고

    각각의 도시들의 종합 쇠퇴 순위를 산출

    산업단지 및 도시의 쇠퇴 지표에 관한 선행연구 종합

  • - 27 -

    선행 연구들을 종합해 봤을 때, 최근 들어 쇠퇴하는 대도시, 중소도시, 도심,

    산업단지 등에 대한 재생 또는 활성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산업단지 재생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들의 경우 대부분 특정 산업단지를 선정하고 입주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통해 문제점을 지적한 후 그에 적절한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 연구가 대

    부분이었다. 또한 산업단지 및 도시의 쇠퇴 지표에 관한 연구는 최근의 연구가

    대부분이고 그 수가 적으며, 대부분 도시의 쇠퇴 현상을 진단하는 연구가 주류

    를 이루고 있었다. 산업단지의 쇠퇴성을 진단할 수 있는 진단지표에 관한 연구

    는 미진한 실정이다.

    이를 종합해 볼 때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은 크게 두 가지를 들 수 있

    다. 첫째, 산업단지에 대한 연구는 물리적 환경개선에 중점을 둔 연구가 대부분

    이었다. 이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주거지의 재개발 사업처럼 많은 문제점과 한

    계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업단지의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물

    리, 경제, 환경․복지 측면까지를 고려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산업단지 쇠퇴

    현상파악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둘째, 대부분의 기존 연구는 산업단지의 쇠퇴 현상을 단순히 하나의 산업단지

    에 국한하여 그 현상을 분석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전국 일반산업단지를

    대상으로 하며, 2001년부터 2008년까지 8년간을 분석함으로써 시계열상 나타나

    는 쇠퇴 특성과 쇠퇴 원인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도출된 요인들이 서로간

    에 얼마만큼 상관성을 지니고 있는지, 또한 쇠퇴 특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는데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이 있고, 그 원인을

    토대로 쇠퇴한 산업단지를 재생 및 재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의미가 있다.

  • - 28 -

    제3장 분석의 틀

    제1절 평가지표 선정 과정

    지표 설정에 있어서 객관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보편타당한 방법은 없다.

    다만, 지표 설정 목적과 설정 대상의 이슈에 부합하는 지표를 최대한 객관적이

    고 타당하게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이용우 외, 2003). 따라서 산

    업단지, 도시의 쇠퇴 및 재생을 연구하였던 선행연구들에서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받은 지표들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지표 선정이 이루어졌다.

    지표 선정 기준 세부내용

    측정 가능성계량화가 가능한가?

    1년 혹은 5년 단위의 정기적 측정이 가능한가?

    객관성정부공식통계에 의해 지표선정이 가능한가?

    지표산출공식이 객관적인가?

    이해 용이성지표가 제공하는 정보가 이해하기 쉽고, 설득력이 높아 일반 대

    중이 이해할수 있는가?

    이론적 근거기존의 쇠퇴지표와 관련한 해외 및 국내 연구논문 검토에서 쇠

    퇴지표로서 중요도가 높다고 언급하는 지표인가?

    대표성부문별 유형을 포괄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대표성을 지닌 지표

    인가?

    출처 : 이용우 외(2003), 지속가능한 국토개발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인용.

    평가지표의 선정 기준

    첫째, 자료의 수집단계로 기존 산업단지, 도시 및 도심 등에 관련된 연구에서

    제시된 지표 등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지표의 분류단계로 산업단지의 쇠퇴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했던 3개 부

    문(물리적 측면, 경제적 측면, 환경ㆍ복지적 측면)으로 재분류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산업단지 관련지표 추출, 3개 부문에 관련 없는 지표의 정리, 개념이 모호

  • - 29 -

    한 지표의 표현 명확화와 각 지표별 용어 통일을 위해 산업단지의 용어에 맞도

    록 대표지표를 선정하였다.

    셋째, 분류된 지표들을 대상으로 위의 와 같이 국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측정 가능성, 객관성, 이해용이성, 명확성, 대표성 등 선정기준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여 평가지표를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산업단지의 쇠퇴성을 진단하기 위한 평가지표 선정 과정은 과 같은 흐름으로 진행하였다.

    1단계

    • 산업단지ㆍ도시관련 7개 분야 129

    개 지표 제시

    기존연구에서 제시된 산업단지 및

    도시 관련 지표 종합

    2단계

    • 산업단지 관련지표 추출

    • 3개 부문에 관련 없는 지표의 정리

    • 개념이 모호한 지표의 표현 명확화

    • 산업단지의 용어에 맞는 대표지표

    선정

    3개 부문 13개 후보지표 1차 선정

    물리(5), 경제(5), 환경ㆍ복지(3)

    3단계

    • 측정가능성, 객관성, 이해의 용이

    성, 명확성, 대표성 5개 지표선정

    기준 적합성 검토

    3개 부문 11개 지표 선정

    물리(3), 경제(5), 환경ㆍ복지(3)

    평가지표의 최종 선정

    1, 2, 3단계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3개 부문 11개 지표

    선정

    산업단지 쇠퇴성 평가지표의 선정 과정

  • - 30 -

    연구자 부분 쇠퇴 지표

    이상대

    (1996)

    인구 상주인구 밀도, 주간일구 밀도, 인구 전출율, 노령인구 비율

    물리ㆍ환경개발밀도, 공공시설 면적 비율, 노후주택 비율, 재래식주택 비율,

    협소주택 비율

    도시 경제사업체수, 종사자수, 공장연면적, 1인당 지방세징수액, 주거지역

    지가

    사회 계층자가용승용차 보유율, 1인당 주거면적, 세대주중 대학졸업자 비율,

    자가점유 비율, 생활보호대상자 비율

    강문정

    (2007)

    물리토지이용, 도로 폭, 주차장, 건물 연수, 건물 구조, 층수, 건폐율,

    용적률, 필지규모 및 형태, 공공용지, 접도율

    사회실업률, 반달리즘, 방치상태 지속, 인구밀도, 화재 발생률, 노령화

    지수

    경제지가변화, 사업체ㆍ종사자 수 감소, 임대가ㆍ건물가 하락, 수입감

    소, 산업시설 분포

    국토해양부

    (2007)

    물리적

    노후도부지면적당 종사자, 부지면적당 업체수, 녹지비율

    입지업체

    생산성가동율, 종업원 1인당 생산액, 종업원 1인당 수출액, 휴폐업면적

    재정비

    사업성

    도심에서의 거리, 배후도시 인구규모, 주변 공시지가와의 격차, 면

    적당 업체수

    송상열

    (2007)

    인구통계

    인구밀도, 전출율, 가구당 세대원, 가구당 아동수, 노령화 지수, 인

    구 증감률, 노령화지수 증감, 가구당 세대원 증감률, 가구당 아동

    수 증감

    도시경제

    총 사업체수, 총 종사자수, 제조업체당 종사자, 2차산업 종사자, 1

    인당지방세 부담액, 승용차 보유율, 재정자립도, 총 사업체수 증감

    률, 총 종사자수 증감률, 제조업체 증감률, 제조업체당 종사자 증

    감, 재정자립도 증감

    도시공간

    구조

    도시계획구역, 도로밀도, 상수도 보급률, 하수도 보급률, 인구당

    공원수, 도로밀도 증감률, 상수도보급률 증감, 하수도보급률 증감

    산업단지 및 도시의 쇠퇴 지표에 관한 선행연구 종합

    산업단지 및 도시의 쇠퇴ㆍ재생에 관련된 선행 연구 등을 통해 얻은 지표는

    크게 인구, 물리, 경제ㆍ산업, 사회, 환경, 문화․복지, 도시공간 등의 7개 중점

    부문에 대한 129개의 지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부문과 세부지표는 아래의

    와 같다.

  • - 31 -

    부문 대표지표이상대

    (1996)

    강문정

    (2007)

    국토해양부

    (2007)

    송상열

    (2007)

    김도영

    (2008)

    도시재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