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laimer - s-space.snu.ac.krs-space.snu.ac.kr/bitstream/10371/127882/1/000000026531.pdf ·...

148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Upload: others

Post on 05-Feb-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저 시-비 리- 경 지 2.0 한민

는 아래 조건 르는 경 에 한하여 게

l 저 물 복제, 포, 전송, 전시, 공연 송할 수 습니다.

다 과 같 조건 라야 합니다:

l 하는, 저 물 나 포 경 , 저 물에 적 된 허락조건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 터 허가를 면 러한 조건들 적 되지 않습니다.

저 에 른 리는 내 에 하여 향 지 않습니다.

것 허락규약(Legal Code) 해하 쉽게 약한 것 니다.

Disclaimer

저 시. 하는 원저 를 시하여야 합니다.

비 리. 하는 저 물 리 목적 할 수 없습니다.

경 지. 하는 저 물 개 , 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교육학석사학위논문

대학 역전학습 온·오프라인

연계 전략에 관한 연구

2015년 2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공학전공

한 형 종

- i -

초 록

최근 통 인 수업의 한계 을 극복하기 해 안 교수학

습방법으로 역 학습(flipped learning)이 용되고 있다. 역 학습

은 일반 으로 강의실 밖에서 온라인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하

여 학습자가 개별 으로 강의를 듣고, 강의실에서는 과제를 포함

한 다양한 학습활동을 수행하는 교수학습 방법이다. 학 맥락에

서 역 학습 연구들은 교과목차원에서 다양한 강좌에 용되어 연

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와 만족도에 효과

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주로 도출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문제 에 한 지 도 이루어지고 있다. 문제 하나는 온라인

과 오 라인의 연계성이 낮다는 것이다. 역 학습에 한 이러한

문제 이 제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해결하기 한 구체

인 략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이는 학에서 역 학습이 효

과 으로 운 되기 해서는 온라인 학습 내용과 오 라인의 활동

이 유기 으로 연계될 수 있는 방안이나 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학교육에서 역 학습이 효과 으로 운 되기 한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활동의 유기 인 연계를 가능하게 하는

략을 탐색해보고자 했다. 한 이에 한 학습자 반응을 통해

본 략의 강 과 약 , 그리고 최 의 개선 방안을 분석하여

략에 한 최 화를 추구하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 목 을 달성하

기 해 본 연구는 기 실행 단계에서의 사용성 평가와 주 실행

단계에서의 형성 연구 방법론을 용하여 크게 다섯 단계의 과

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첫째, 역 학습 교수학습 방법의 연계의

측면과 련된 선행연구를 통해 기 설계 략을 도출하 다. 둘

- ii -

째, 이러한 기 설계 략에 한 기 실행 단계를 통해 학습자

들의 의견을 수집 분석하 으며 이와 동시에 교육공학 문가

의 타당화를 통해 이를 수정 보완한 설계 략을 도출하 다.

셋째, 수정된 설계 략에 해 수정사항이 반 되었는지를 문가

에게 검토 받았으며, 실제 역 학습을 운 한 교수자, 그리고 련

논문이나 발표실 이 있는 연구자를 상으로 문가 타당화를 받

은 후 이를 반 하여 최종 설계 략을 개발하 다. 넷째, 최종 으

로 도출된 설계 략을 본 연구가 진행된 서울 소재 S 학교의

교육공학 강좌에 용함으로써 학습자들의 반응을 강 , 약 , 개

선 의 측면에서 분석하 다. 다섯 째, 학습자 반응을 토 로 개선

된 연계 설계 략을 도출하 다.

도출된 최종 설계 략은 크게 두 가지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총

아홉 개의 일반 설계 략과 스물 한 개의 상세설계 지침으로 구

성되었다. 개념 탐색 용 측면에서는 1) 역 학습의 연계를

한 강의계획서 개발, 2) 사례를 통한 수업 설계, 3) 오류를 포함한

학습 자료 개발 오류찾기 활동, 4) 다음 차시의 연계성 안내가

포함되며, 의미 구성 측면에서는 5) 학습자 질문을 통한 연계, 6)

시각화 활동을 통한 온라인과 오 라인 연계, 7) 성찰일지를 통한

학습 종합, 8) 온라인 학습 여부 수 을 악할 수 있는 활동

설계, 9) 학습자 의견 기반의 보충 심화 학습 자료 제공이 포함

된다. 이러한 략은 용 방식에 따라 강좌 운 , 온라인 콘텐

츠 기반의 오 라인 연계, 오 라인 수업 기반의 온라인 콘텐츠

연계로 구분하여 제시하 다.

각각의 략에 해 학습자 반응을 분석한 결과, 다양한 략을

통해 학습 내용과 활동 간의 연계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

었으며, 이를 통해 효과 이고 유의미한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본 략을 통해 학습 내용을

- iii -

회상하고 이를 용 구조화에 있어서 정 인 향을 미친다

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특히 역 학습의 온라인과 오 라인 혹은

오 라인과 온라인을 연계함에 있어서 교수자의 피드백, 시각 인

자료 제시 시각화 활동, 학습자들의 의견이나 요구를 반 하는

것이 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략 연계를 안내하

는 략에 있어서 시각 으로 이를 나타내는 것이 연계를 함에 있

어서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과 연계를 안내하는 것 이외에 학습

내용과 활동과 련된 략은 한 차시에 복합 으로 두 개 이상

용되는 경우 학습자들은 학습과 연계성에 있어서 부담을 느끼며

학습에 한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된다는 의견 등을 제시하

다.

본 연구는 학 맥락에서 역 학습의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수업을 연계할 수 있는 설계 략을 제시하 다. 따라서 실제

학 교육에서 역 학습을 설계 운 하기 한 교수자 혹은 교수

설계자에게 련 지침을 제공하여 수업 설계를 안내하는 처방을

하 다는 에서 실질 인 의미를 지닌다.

주요어 : 역전학습, 온·오프라인 연계, 전략, 형성적 연구 방법론학 번 : 2013-21338

- v -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 ·································································1

2. 연구문제 ·························································································4

3.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6

1. 역 학습 개념과 특징 ···································································6

가. 역 학습 등장 배경 ··········································································6

나. 역 학습 개념 ····················································································8

다. 역 학습 특징 ··················································································8

라. 역 학습 구성 요소 ······································································10

마. 통 인 교수학습 방법, 블 디드 러닝, 역 학습 ··············11

2. 학에서의 역 학습 ···································································13

가. 학에서의 역 학습 선호도 ························································13

나. 학에서의 역 학습 수업 설계 교육 효과 ··················15

다. 학에서의 역 학습 문제 ························································21

3. 학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략 ···································22

- vi -

Ⅲ . 연구 방법 ·····································································24

1. 연구 차 ··············································································25

2. 연구 상자 도구 ··························································27

가. 연구 상 ··························································································27

나. 연구 도구 ··························································································27

3. 자료 수집 ··············································································29

가. 문헌 검색 ··························································································29

나. 기 실행 ··························································································30

다. 설계 략에 한 1차 문가 타당화 ··········································30

라. 설계 략에 한 2차 문가 타당화 ··········································32

마. 주 실행 ······························································································33

4. 자료 분석 ··············································································35

Ⅳ . 연구 결과 및 논의 ·······················································36

1. 기 설계 략 ····································································36

2. 학습자 문가 의견 분석 ············································42

가. 기 실행에서의 학습자 의견 ······················································42

나. 1차 문가 검토 결과 수정 방향 ··········································44

다. 2차 문가 검토 결과 수정 방향 ··········································52

3. 최종 설계 략 ····································································56

가. 강좌 운 ····················································································59

- vii -

나. 온라인 콘텐츠 기반의 오 라인 연계 ········································60

다. 오 라인 수업 기반의 온라인 콘텐츠 연계 ······························66

4. 학습자 반응 ··········································································69

가. 온·오 라인 연계 설계 략 반에 한 의견 ······················69

나. 연계 설계 략의 강 ··································································72

다. 연계 설계 략의 약 ··································································82

라. 연계 설계 략의 개선 ······························································86

5. 논의 ························································································90

가. 학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략 ······································91

나. 연계 략에 한 학습자 반응 ····················································92

다. 의견을 반 한 개선된 연계 설계 략 ······································95

Ⅴ . 결론 및 제언 ·······························································99

1. 결론 ························································································99

2. 제언 ······················································································101

참고 문헌 ···········································································103

부 록 ···········································································117

Abstract ············································································129

- viii -

표 목 차

<표 Ⅱ-1> 통 교수학습 방법과 역 학습 비교 ·····················12

<표 Ⅱ-2> 역 학습과 통 인 수업 방식에 한 학습자 선호도···14

<표 Ⅱ-3> 학교육에서의 역 학습 수업 설계 ···························15

<표 Ⅲ-1> 1차 문가 타당화에 참여한 상자 로필 ·············31

<표 Ⅲ-2> 기 설계 략에 한 문가 검토 문항 ···················32

<표 Ⅲ-3> 2차 문가 타당화에 참여한 상자 로필 ·············33

<표 Ⅲ-4> 연구 상자 특징 ·····························································34

<표 Ⅲ-5> 학습자 반응을 한 질문 문항 ·····································34

<표 Ⅳ-1> 선행문헌 검토를 통한 구성요소 도출 ·························37

<표 Ⅳ-2> 학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와 련된 일반

구성요소 ··········································································38

<표 Ⅳ-3>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기 설계 략 ················39

<표 Ⅳ-4> 기 설계 략 반에 한 문가 검토 결과 ·········45

<표 Ⅳ-5> 1차 문가 검토 의견 ·····················································46

<표 Ⅳ-6> 1차 문가 검토 의견 반 사항 ·································47

<표 Ⅳ-7> 학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2차 설계 략 ········48

<표 Ⅳ-8> 2차 설계 략 반에 한 문가 검토 결과 ···········53

<표 Ⅳ-9> 2차 일반 설계 략에 한 개별 검토 결과··················54

<표 Ⅳ-10> 2차 문가 검토 의견 ···················································55

- ix -

<표 Ⅳ-11> 2차 문가 검토 의견 반 사항 ·······························56

<표 Ⅳ-12> 학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최종 설계 략 ··56

<표 Ⅳ-13> 교육공학 강좌의 역 학습 강의 계획서 일부 ·········60

<표 Ⅳ-14>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략에 한 반 인

강 과 약 ····································································69

<표 Ⅳ-15> 개별설계 략에 한 강 ·········································72

<표 Ⅳ-16> 개별설계 략에 한 약 ·········································83

<표 Ⅳ-17> 설계 략에 한 개선 ·············································86

<표 Ⅳ-18> 개선된 학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략 ········96

- x -

그 림 목 차

[그림 Ⅱ-1] 역 학습의 구성요소와 구조 ······································10

[그림 Ⅱ-2] 역 학습의 구성요소 이론 틀 ····························11

[그림 Ⅲ-1] 연구 진행 차 ································································26

[그림 Ⅳ-1] 학습자 질문 활동 온라인 피드백 ··························63

[그림 Ⅳ-2] 력 개념도를 활용한 시각화 활동 ························64

[그림 Ⅳ-3] 교육용 어 리 이션(socrative)을 활용한 학습자 수

상태 악 ··································································66

- 1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

학에서는 학습자의 활동을 강조하면서 기존의 획일 이며 일방 인

교수 학습 방법이 지양되고 있다(김희배, 2012). 하지만 이와 달리, 여 히

학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에서는 교사가 학생에게 일방 으로 지식을

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오고 있다. 이는 지식이 학습자 외부에 존재하

며, 학습자가 이를 감각이나 의사소통에 의해 외부의 지식을 수동 으로

받아들인다는 에서 기인한 것이다(Cazden, 2001). 이러한 방식은 학습

자의 심도 있는 학습을 진시키기에는 효과 이지는 않다(Bates, &

Galloway, 2012).

최근 통 인 수업의 안 교수학습방법으로 역 학습(flipped

learning)이 두되고 있으며, 그 인기가 증가하고 있다(임철일 외, 2014).

역 학습은 일반 으로 강의실 밖에서 온라인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하

여 학습자가 개별 으로 강의를 듣고, 강의실에서는 과제를 포함한 다양

한 학습활동을 수행하는 것이다(Bergmann & Sams, 2012). 이는 블 디

드 러닝과 유사한 개념이긴 하지만 온라인 학습을 통해 선수 학습을 제공

하고, 이를 기반으로 오 라인에서는 별로 력 으로 활동을 한다는

에서 차이가 있다(Hamdan et al, 2013). 한, 차시마다 온라인과 오

라인을 독립 으로 사용하지 않고 통합 인 으로 활용한다.

재까지 학 맥락에서 이루어진 역 학습 련 연구들은 크게 세 가

지 측면에서 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교과목 차원의 연구에서는

기에는 주로 이공계 강좌에서 이루어졌지만 재 다양한 교과목에 용되

고 있다(김남익, 보애, 최정임, 2014; 임철일 외, 2014; Berrett, 2012;

Frydenberg, 2013; Gannod, Berge, & Helmick, 2008; Stone, 2012). 학습

효과 측면에서는 학업 성취도, 참여도, 만족도의 측면에서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고 있다(김보경, 2014; 신정숙, 2014; Bates &

- 2 -

Galloway, 2012; Frydenberg, 2012; Gannod et al., 2007; Johnson &

Renner, 2012; Murphree, 2014; Stone, 2012). 한 역 학습이 지니고 있

는 의미에 한 연구가 지속 으로 이루어지고 있다(이종연 외, 2014;

Bates & Galloway, 2012; Berrett, 2012; Frydenberg, 2013; Gannod,

Berge, & Helmick, 2008; Johnson & Renner, 2012; Stone, 2012). 이 외

에 다양한 교과목에서 학습자 수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통 인

수업 방식보다 학습자들의 선호도가 높았다는 연구결과가 있다(Butt,

2014; Davies, Dean, & Ball, 2013; Enfield, 2013; Findlay-Thompson &

Mombourquette, 2014; McLaughlin et al., 2013; Morin et al., 2013;

Murphee, 2014). 이를 통해 역 학습이 고등교육 분야에서 정 인 향

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의 학교육에서의 역 학습 교수학습 방식에 한 정 인 연구결

과가 제시되고 있음과 동시에 문제 에 한 지 도 이루어지고 있다(김

남익, 보애, 최정임, 2014; 임철일 외, 2014; Findlay-Thompson &

Mombourquette, 2014; Herreid, & Schiller, 2013; Mason et al., 2013;

Murphee, 2014; Strayer, 2007; Strayer, 2012). 문제 하나는 온라인

과 오 라인의 연계성이 낮다는 것이다. Strayer(2012)는 역 학습에서 해

결해야 할 주요 문제 하나로 온라인과 오 라인의 유기 인 연계에

해 언 하면서 학습자들이 온라인 학습 내용과 오 라인의 활동이 어떠한

계가 있는지를 악하려고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는 을 지 하 다.

이러한 연계성은 다양한 역 학습 련 연구(Bush, 2013; Covil et al.,

2013; Ginns & Ellis, 2007; Mason et al., 2013; Stannard, 2013; Strayer,

2012)에서 그 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학 맥락에서 역 학습에 한

문제 이 제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한 구체 인 략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이는 학 맥락에서 역 학습이 효과 으로 운 되기

해서는 온라인 학습 내용과 오 라인의 활동이 유기 으로 연계될 수

있는 방안이나 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학교육에서 역 학습이 효과 으로 운 되기

해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활동의 유기 인 연계를 할 수 있는 략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한, 이러한 략을 실제 학 강좌에 용하 을

- 3 -

때, 학습자의 반응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기반으로 본 략

에 한 최 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 4 -

2. 연구 문제

의 연구의 필요성을 토 로 연구문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학 맥락에서 역 학습의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활동을

연계하는 략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 2. 학 맥락에서 역 학습의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활동을

연계하는 략에 한 학습자 반응은 어떠한가?

- 5 -

3. 용어의 정의

가. 역 학습

역 학습은 Inverted classroon, Inverted learning, Flipped classroom,

Flipped learning 등 국외에서 다양하게 표 되고 있다. 한, 국내의 경우

거꾸로 학습, 역 학습, 역 진행학습 등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역 학습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표 들을 종합하여 통칭하는 것으로 기본

으로 강의실 밖에서 온라인 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이 선수지식을 습득하

고, 강의실에서는 과제를 포함한 다양한 학습활동을 력 으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나. 연계

학에서 이루어지는 역 학습은 온라인 학습 내용과 오 라인의 활동

이 연결되지 못하는 문제 (Findlay-Thompson & Mombourquette, 2014;

Murphee, 2014; Strayer, 2007, Strayer, 2012)이 있다. 본 연구에서 연계

의 의미는 이러한 온라인 동 상 학습 내용과 오 라인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자 활동을 유기 으로 조화 연결시키는 것으로 이를 통해 학습자

들의 학습 내용과 학습활동의 계를 강화시켜 주기 한 목 을 가지고

있다.

- 6 -

Ⅱ. 이론 배경

1. 역 학습 개념과 특징

가. 역 학습 등장 배경

역 학습이 등장하게 된 원동력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그

하나는 테크놀로지의 발달이다. 몇 세기 만 하더라도 교육을 한 도구

로써 주로 인쇄자료를 활용하 지만 다양한 기술 인 발 으로 인해 TV,

라디오 등이 등장하여 많은 사람들을 상으로 한 교육이 가능하게 되었

다. 이는 1940년 컴퓨터가 등장함에 따라 더욱 가속화 되었으며, 이후

인터넷과 월드 와이드 웹(World-wide web)으로 인해 온라인으로도 학습

이 가능하게 되었다(Bishop & Verleger, 2013). 재 우리사회는 다양한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인해 비용으로 많은 학습자들에게 시간과 공간에

제약없이 정보를 제공해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의 발달은 온라인 학습,

이러닝, 원격교육, 블 디드 러닝, 그리고 최근에 두되고 있는 역 학습

에 까지 그 향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원동력은 학습자 심 교육이다. 이는 구성주의와 련이 있다.

구성주의에서 학습은 학습자 스스로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과정이다

(Vygotsky, 1978). 학습자 심 교육은 학습자들이 학습에 극 으로 참

여함으로서 지식을 스스로 구성해 나가며, 학습은 참여와 다양한 상호작

용을 통해 보다 잘 일어난다. 이는 활동학습(Active Learning)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학습에 있어서 학습자의 다양한 활동을 기반으로 이

루어진다(Hamdan et al, 2013). 따라서 학습자 활동과 참여를 기반으로

한 문제 심 학습, 액션러닝, 토론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 가능하다. 이러

한 교수학습 방법에서 교수자는 질문, 경청 등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을

참여하게 유도하고, 지원하고 도와주며, 동기를 부여한다(Prober &

- 7 -

Heath, 2012).

이러한 두 요소는 재 역 학습이라 불리는 안 교수학습 방법이

나타나게 된 원동력이라 할 수 있다. 역 학습은 국외에서 1995년 Baker

에 의해 'The classroom Flipped'라는 용어로 처음 사용되었다(Baker,

2000). 그는 교사로써 학생들이 수업에 지루함을 느끼고 집 하지 못하는

을 걱정하 다. 그러던 에 우연히 강의 슬라이드를 웹 사이트에 공개

하면서 흥미로운 생각을 하 다. 즉, 학생들이 수업에 오기 에 학습 자

료를 미리 학습하고 수업에서는 학생들의 참여와 활동, 질의응답 등으로

이루어지면 아이들의 지루함을 극복하고 효과 일 것이라고 생각하 다.

1990년 처음으로 용어가 등장한 역 학습은 2007년 미국 콜로라도 주

에 치한 우드랜드 크 고등학교의 화학 교사인 Bergmann과 Sams에

의해 최 로 수업에 용되었다. 이 고등학교는 교외지역에 치해 있으

며, 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은 교내 지역에서의 직업 설계 등을 한 개인

인 사정으로 자주 학교를 빠지고 있는 문제 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학생들이 수업내용을 이해하고 진도를 따라가는 어려움으로 이어졌다. 두

명의 교사는 이러한 문제 을 해결하기 해 실제 자신이 수업의 내용을

동 상 강의 형태로 개발하고자 하 다. 이를 통해 아이들은 학습 내용을

보충할 수 있었으며, 학업 성취도의 향상을 이끌었다. 이러한 상을 보면

서, Bergmann과 Sams는 지식을 달하는 것을 온라인 동 상 형태로 제

공하고, 수업 시간에는 학습자의 수 에 따른 수업을 실시하 다

(Bergmann & Sams, 2012).

이러한 역 학습은 국내·외에서 그 인기가 증가하고 있다. 한, K-12

뿐만 아니라 고등교육에 있어서도 그 향력이 미치고 있다. 고등교육에

서 이루어진 다양한 역 학습 련 연구와 Flipped Learning Network 구

성원이 2011년에 약 2000명에서 다음 해인 2012년에 약 9000명으로 증가

한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Goodwin & Miller, 2013).

- 8 -

나. 역 학습 개념

역 학습은 기존의 통 교수학습 방법이 활발한 상호작용, 학습자

심의 활동 등의 한계 을 극복하기 한 안 인 교수학습방법으로 등

장하 다. 역 학습과 같이 다양한 교수학습방법과 기제들을 조합하려는

노력은 오래 부터 교수설계 분야에서 제기되었다(Dick & Carey, 1978;

Heinich & Molenda, 1998; Romiszowski, 1988). 이는 최근 인터넷과 다양

한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디지털 학습 환경이 등장함에 따라 그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역 학습은 기본 으로 교실 밖에서 학습자들이 선수 지식을 습득하기

해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하여 개별 으로 학습하고, 교실 안에서는 다

양한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학습자 심의 활동을 수행하는 안 교수학

습 방법이다(Bergmann & Sams, 2012). 역 학습의 개념에 해 학자마

다 다양한 정의를 내리고 있지만 역 학습에 제시되는 공통 은 기존의

통 인 수업 방식을 뒤집은 것으로 강의 자료를 강의실 밖으로 이동하

여 온라인으로 학습하고, 강의실에서는 이 의 과제로 제시되었던 것을

학습자 심으로 활동하는 것이다.(이종연 외, 2014; 임철일 외, 2014;

Bergmann & Sams, 2012; Gannod, Berge, & Helmick, 2008; Johnson &

Renner, 2012; Lage, Platt, & Treglia, 2000).

의의 범 에서 역 학습은 강의실 밖에서 온라인 동 상 강의뿐만 아

니라 다양한 인쇄 자료(Text)를 사용하고, 강의실 안에서는 다양한 학습

활동을 하는 것을 일컫는다(Berrett, 2012; Bishop & Verleger, 2012).

의의 의미로서 역 학습은 강의실 밖에서 온라인 학습 동 상을 사용하여

선수지식을 제공하고, 강의실 안에서는 그룹 기반의 상호작용 활동이 이

루어지는 것이다(Bishop & Verleger, 2012).

다. 역 학습 특징

역 학습은 크게 네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 첫 번째는 역 학

- 9 -

습은 강의실 밖에서 학습과 련된 테크놀로지와 매체를 통해 학습자들에

게 선수지식을 제공한다는 것이다(김남익, 보애, 최정임, 2014; 임철일

외, 2014; Bergamm & Sams, 2012; Berrett, 2012; Frydenberg, 2013;

Gannod, Berge, & Helmick, 2008; Papadapoulos & Roman, 2010;

Stone, 2012; Warter-Perez & Dong, 2012). 강의실 밖에서 사용되는 매체

는 인쇄 자료, 강의 노트뿐만 아니라 온라인 학습을 한 15분 내외의 교

수 동 상, 기존의 웹 사이트에 존재하는 다양한 강의 동 상이 활용된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선수지식을 습득한다.

둘째, 강의실 안에서는 그룹 기반의 학습자 활동이 이루어진다(임철일

외, 2014; Frydenberg, 2013; Gannod, Berge, & Helmick, 2008; Stone,

2012; Strayer, 2012). 이는 학습자 심 활동과 련이 있으며, 다양한 학

습자와 함께 의미를 구성하는 력학습과도 매우 한 련을 지닌다.

이 때, 교수자의 역할은 지식을 수하는 달자가 아니라 학생들의 학습

에 도움을 주는 조언자, 진자이다.

셋째, 수업의 주체가 학습자가 된다(이민경, 2014; Bergmann & Sams,

2012; Davies et al., 2013; Fulton, 2012). 통 인 수업 방식과 달리 역

학습에서의 학습자는 보다 능동 이며 주도 으로 학습하게 된다. 즉,

수업에서 능동 인 주체로서 학습자가 된다.

넷째, 상호작용이 진된다(Bergmann & Sams, 2012; Goodwin &

Miller, 2013; McLaughlin et al., 2013; Johnson & Renner, 2012; Wilson,

2013). 강의실 안에서 이루어지는 오 라인 활동의 경우, 교수자와 학습

자, 그리고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난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학

습자의 사고, 학습에 한 주의집 , 그리고 참여를 진시킬 수 있다(박

성익 외, 2012). 한,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 내용과 활동에 해 궁 증

이 있을 경우 즉각 으로 교수자에게 질문을 함으로써 도움을 받을 수 있

다(Fulton, 2012). 이러한 질문은 교수자와 학습자가 서로 상호작용하는데

도움을 다.

- 10 -

라. 역 학습 구성 요소

Strayer(2007)은 역 학습의 구성 요소를 총 세 가지로 보았다.

[그림 Ⅱ-1] 역 학습의 구성요소와 구조(Strayer, 2007)

먼 , 역 학습은 교육용 테크놀로지를 활용한다. 교육용 테크놀로지의

활용은 온라인 학습에 해당하는 것이다. 학습자들에게 여러 교육용 테크

놀로지를 통해 선수학습을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학습에 한 활동성이

다. 이는 오 라인에서의 학습 활동에 련되어 있는 것으로 학습은 학습

자들의 능동 인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강조한다. 셋째, 의 두

요소는 역 학습의 학습 환경을 구성한다. 역 학습은 교육용 테크놀로지

를 활용하여 온라인 학습이 이루어지고 오 라인에서는 학습자들에게 다

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 심 교육을

지향하는 것이다. 교육용 테크놀로지와 활동을 통한 학습은 모두 역 학

습이 이루어지기 한 학습 환경에 향을 미친다.

Bishop과 Verleger(2013)는 역 학습의 구성요소 이론 틀을 제시

- 11 -

하 다.

[그림 Ⅱ-2] 역 학습의 구성요소 이론 틀(Bishop & Verleger, 2013)

이는 교실 밖에서 이루어지는 컴퓨터 기반의 개인별 학습과 교실 안에

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 그룹 학습활동을 시하는 것이다. 보다 세부

으로 교실 밖의 경우, 학습자는 동 상, 강의 비디오 등과 같은 테크놀

로지를 활용하여 개인별로 주도 으로 학습 하게 된다. 이 때, 교수자는

의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상을 통해 학습 내용을 명확하게 설명하는

수업 방식을 활용하게 된다. 교실 안의 경우, 학습자 심의 상호작용

교실 활동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을 지닌다. 이는 구성주의와 매우 한

련을 지니는 것이다(Bishop & Verleger, 2013). 역 학습은 의 두 요

소가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온라인과 오 라인의 역을 어떻

게 연계시켜야 하는지에 한 설계가 필요함을 나타내기도 한다.

마. 통 인 교수학습 방법, 블 디드 러닝, 역 학습

1) 통 인 교수학습 방법과 역 학습

통 인 교수학습방식과 역 학습을 비교해 보면, 아래 <표 Ⅱ-1>과

같다.

- 12 -

<표 Ⅱ-1> 통 교수학습 방법과 역 학습

통 수업 방식과 역 학습은 학습자의 학습 차 혹은 순서, 운 되

는 방법, 그리고 교수자의 역할에 있어서 차이가 난다. 통 인 교수학습

방식은 강의실 안에서 교수자 심의 강의(Lecture)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업 후에 학습 내용과 련된 과제를 학습자가 강의실 밖에서 하는 구조

이다. 반면, 역 학습은 강의실 밖에서 온라인 학습 동 상을 통해 련된

내용을 습득하여 사 지식을 형성하고 강의실 안에서는 다양한 문제를

구성원들과 함께 해결하거나 이에 한 논의 토론 등의 학습자 활동이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따라서 교수자의 역할은 기존의 강의자에서 학습에

도움을 제공하는 조언자, 진자가 된다.

2) 블 디드 러닝과 역 학습

재까지 역 학습과 블 디드 러닝을 구분하는 것은 학자마다 매우

상이하다. 가장 표 인 의견으로는 역 학습을 블 디드 러닝의 한 개

념으로 보고 있다(Bergmann & Sams, 2012; Strayer, 2012). 하지만 온라

인과 오 라인을 활용하는 측면에서 역 학습과 블 디드 러닝은 차이가

있다. 블 디드 러닝은 오 라인에서 교수자의 강의가 집 으로 이루어

지고, 온라인에서는 학생과 상호작용하거나 보충 심화학습의 차원에서

제공한다. 하지만 역 학습은 온라인 학습을 통해 선수 학습을 제공하고,

이를 기반으로 오 라인에서는 력 으로 활동을 한다(Hamdan et al.,

분류 기 통 인 교수학습 방법 역 학습

학습 차 강의실 안 -> 강의실 밖 강의실 밖 -> 강의실 안

방법

강의실 밖 과제 온라인 동 상 강의

강의실 안 오 라인 교수자 강의 과제를 포함한 그룹 활동

교수자의 역할 강의자 조언자, 진자

- 13 -

2013). 한, 역 학습은 강의실 밖에서 이루어지는 온라인 학습이 먼

이루어지는 일정한 순서가 있으며, 온라인과 오 라인 환경을 매 차시마

다 독립 으로 용하는 것이 아닌 한 차시에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활

동이 모두 포함되는 특징을 지닌다.

2. 학에서의 역 학습

가. 학에서의 역 학습 선호도

역 학습은 학교육에 있어 합한 형태라 볼 수 있다(Aronson &

Arfstrom, 2013). 역 학습의 교수학습 방법은 학습 내용을 강의실 밖에서

먼 사 에 학습자들에게 제시한다. 온라인 학습을 하는 경우, 학습자들

은 학습 내용에 한 이해가 되지 않았을 때 학습 내용이 이해될 때 까지

반복 인 학습이 가능하다. 이러한 온라인 학습은 강의실 안에서 이루어

지는 오 라인 활동 시간에 향을 미친다.

강의실 안에서 이루어지는 학습활동의 경우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문제

풀이 등의 활동에 한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활동은 21세기의 요한

비 인 사고, 창의력, 력성 등을 계발하는데 도움을 수 있다. 한,

학에서 이루어지는 형 강의의 경우, 학습자의 참여와 의사소통이 매

우 제한 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Aronson & Arfstrom, 2013).

학 교육에서 역 학습과 통 인 수업 방식에 한 학습자의 선호도

를 비교한 연구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14 -

<표 Ⅱ-2> 역 학습과 통 인 수업 방식에 한 학습자 선호도

Butt(2014)는 통계 강좌의 학습자 수 100명을 상으로 설문을 통한 선

호도를 조사한 결과, 약 80.0%의 학습자가 역 학습의 교수학습 방법을

선호한다고 응답하 다. 이러한 결과는 정보공학 강좌(Davies, Dean, &

Ball, 2013), 미디어 련 강좌(Enfield, 2013), 1학년 상의 형 강좌인

기 공학 교과목에 용한 Morin과 동료들(2013)의 연구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한, 학습자 면담 FGI를 실시한 Findlay-Thompson과

Mombourquette(2014), Murphree(2014)연구에서도 역 학습에 해 선호

한다는 응답을 하 다. 이는 학습자 수와 상 없이 학 교육에서의 역

학습 운 방식에 한 학습자 선호도가 높다는 것을 보여 다. 학습자

선호도와 더불어 학 맥락에서의 역 학습 련연구에서는 학업 성취도

와 만족도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주로 도출되고 있다(임철일,

2014; 임철일 외, 2014; Bates & Galloway, 2012; Frydenberg, 2012;

Gannod, Burge, & Helmick, 2008; Johnson & Renner, 2012). 이를 통해,

역 학습 운 이 학습과 련된 여러 요소에 정 인 향을 미치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연구자 학습자 수 교과목 특성 선호도(%)

Butt(2014) 100 자연과학 80.0

Davies, Dean, &

Ball(2013)53 공 과 85.0

Enfield(2013) 37 술 88.2

Findlay-Thompson &

Mombourquette(2014)108 경

역 학습 선호

(질 연구)

McLaughlin et

al..(2013)22 약 학

역 학습 선호

(질 연구)

Morin et al..(2013) 473 공 과 84.0

Murphee(2014) 106 인문사회역 학습 선호

(질 연구)

- 15 -

나. 학에서의 역 학습 수업 설계 교육 효과

재까지의 역 학습이 용된 학의 사례들은 온라인 학습의 경우 교

수자가 학습 내용을 설명하는 교수 동 상을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외에 읽기자료를 활용하기도 한다. 오 라인 수업의 경우는 질의응답,

퀴즈, 토론, 문제 풀이 등 각각의 사례에서 상이한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

다. 학교육에 용된 역 학습에 한 주요 수업 설계 사례 연구들을

종합하면 다음 <표 Ⅱ-3>와 같다.

<표 Ⅱ-3> 학교육에서의 역 학습 수업 설계

연구자 강좌 명 온라인 학습구성 오 라인 활동 구성

Gannod, Berge,

& Helmick(2008)

소 트웨어

공학

-읽기자료

-팟 캐스트

-질의응답

-토론

Frydenberg(2013)정보공학

입문교수 동 상

-퀴즈

-그룹 학습 활동

Berrett(2012)미 분학

입문읽기자료 그룹 토론

Stone(2012)

일반

질병학 7∼15분 교수

동 상

-개념지도 작성

-역할 놀이 활동

-문제 기반 학습

-토론

일반

생물학

Warter-Perez &

Dong(2012)

디지털

공학

-교수 동 상

-강의 노트, 퀴즈,

로젝트 일 등

력 로젝트

기반 학습

Papadapoulos &

Roman(2010)

공학

통계학

10∼20분 교수

동 상

-연습문제

-그룹 토론

Lemmer(2013) 법학 교수 동 상-퀴즈

- 동학습

- 16 -

국외의 경우 마이애미 학에서의 소 트웨어공학(Gannod, Berge, &

Helmick, 2008), 벤틀리 학에서의 정보공학 입문 강좌(Frydenberg,

2013), 미주리 학의 일반 생물학(Stone, 2012) 등에서 운 되었다. 국내의

경우도 재까지 이루어진 학에서의 역 학습은 동국 의 소 트웨어공

Murphree(2014)역사

조사학교수 동 상 -작문 활동

김남익, 보애,

최정임(2014)운동생리학 교수 동 상

-그룹별 문제해결

활동

-강의동 상, 교재

등을 활용한 문제

해결

-조별 발표

김보경(2014)

교육방법

교육공학

-강의교재

-강의비디오

-SNS, 온라인

게시

-이론학습 검 :

퀴즈, 소규모 강의,

질의응답, 사례 공유

- 장 응 활동 :

PBL, GBS, 로

젝트, 실험, 실습 등

-그룹 문제해결에

한 평가와 피드백

임철일 외(2014)

수학

연습2

교수 동 상

-질의응답

-그룹 토론

-문제풀이

-성찰일지 작성 등

비선형시스

템이론

-질의응답

-개인별 별

문제풀이

- 17 -

학 강좌(최은만, 2012), 서울 의 학원 강좌인 비선형시스템이론과 학부

강좌인 수학 연습 2(임철일 외, 2014), 2012년에 역 학습 교수학습 방

식을 도입하여 2013년도에는 62개 강좌에 용한 카이스트(Lee, 2013), 일

반화학, 실무 산 등의 강좌에 도입한 유니스트(임진 , 범수균, 2012) 등

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차 확 되고 있다.

역 학습에 한 국외 주요 사례연구를 살펴보면, 벤틀리 학의 정보

공학입문 강좌(Frydenberg, 2013)에서는 온라인 학습에 하여 교수자가

동 상을 촬 제작하여 학습자에게 주차별로 제공하 으며, 오 라인

에서는 수업 안내, 퀴즈, 학습 활동 설명 진행, 그룹 학습 활동을 실시

하 다. 수업이 종료된 후에 66명의 학습자를 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

문조사 결과, 학습자들은 교수자의 역할이 강의자로부터 멘토로 변화했다

고 답하 다. 한. 역 학습에 한 교수학습 방법, 온라인 학습에서의

동 상을 활용하는 것이 내용을 이해하는데 정 인 향을 미쳤다고 응

답하 다. 이는 온라인에서 제공되는 선수지식과 오 라인에서의 학습자

활동이 학의 신입생(novice)들에 있어서 학습 내용과 학습 활동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이해하는 측면에서 효과 이라고 말할 수 있다. 소 트웨

어 공학 련 강좌에 용된 마이애미 학교 사례(Gannod, Berge, &

Helmick, 2008)의 경우, 온라인 학습에서 팟 캐스트의 활용 읽기자료

(text)를 수업 시간 이 에 학습하라고 한 뒤, 오 라인 수업에서는 질의

응답 등의 활동을 통해 진행하 다. 오 라인 활동 교수자는 학습자의

학습에 한 즉각 인 피드백을 제공하 다. 미시간 학의 미 분학 입

문 사례(Berrett, 2012)도 이와 유사하게 진행되었다. 두 강좌 모두 역 학

습의 방식을 활용하는 것이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데 정 인 향을 미

쳤다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역 학습의 사례 연구 학습자 만족도, 학습자 성취도, 학습자 출석률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를 실시한 미주리 학의 사례(Stone, 2012)에서

는 30명 내외의 일반 질병학과 400명 내외의 일반 생물학 두 강좌에 역

학습의 방식을 용하 다. 두 강좌에서 교수자는 온라인 학습을 해 7

∼15분 정도의 동 상 강의 자료를 개발하 으며, 오 라인 활동으로 개

념 지도 작성, 역할놀이 활동, 문제 해결, 사례 연구, 게임 등 다양한 활동

- 18 -

을 하 다. 학습자의 만족도를 한 설문조사 결과 체로 만족하다고 응

답하 다. 만족도와 련하여 일반 질병학의 경우 강의식 수업보다 역

학습의 운 이 체 인 수업 개선의 측면에서 정 인 답을 한 학습자

가 90% 이상이었다. 이를 통해 역 학습의 교수학습 방식에 한 학습자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학업 성취도와 련해서는 지난학

기 일반 강의식 수업으로 이루어진 두 강좌에서의 성취도와 비교한 결과,

일반 질병학의 경우 간 고사 결과 78.5%에서 86.2%, 기말고사에서는

77.5%에서 90%로 높은 향상을 보 다. 일반 생물학의 경우도 비슷한 결

과가 나타났다. 이 외의 과제물 평가에서도 모두 학습자 성취도와 련하

여 큰 향상을 보 다. 한 학습자 출석률과 련해서 두 강좌 모두 출석

률이 상승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체로 기존의 통

인 수업 방식보다 역 학습 교수학습 방식에 만족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

며, 학습자 수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학업 성취도에 있어서 정 인 향

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한, 공과 학에 역 학습의 교수학습 방법을 도입한 Papadapoulos와

Roman(2010)은 교수자의 만족도와 련하여 학습활동을 통한 학습내용의

용의 측면과 수업 시간에 다양한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는 에서 교수

자의 만족도가 높다고 하 다. 이상의 선행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은 학

맥락에서 역 학습에 한 높은 만족도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법과 학에 용한 사례를 연구한 Lemmer(2013)는 역 학습이 학습자

들에게 동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학습에 한 형성평가 략으로 퀴즈

를 활용하는 것이 학습에 한 학습자들이 지닌 오 개념에 한 수정 기

회를 제공하는 장 이 있다고 하 다. 한, 이러한 은 학습자의 동기에

도 정 인 향을 미친다고 제시하 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Murphree(2014)가 실시한 역사 강좌에서의 쓰기 과제와 련해서도 동

일하 다. 그의 연구에서는 온라인 학습, 오 라인 활동이 각각 개별 으

로 학습에 도움이 되었는지에 한 인식을 조사하 다. 온라인에서의 학

습 동 상을 활용하는 것이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는 측면이 체

88.1%, 오 라인에서의 활동이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한 학습자가

91.6% 다. 이 외에 역 학습이 학습자의 참여를 야기했는지에 해서

- 19 -

정 인 향을 미쳤다고 응답한 학습자가 79% 다. 이를 통해 역 학습

의 교수학습방법이 학습에 한 학습자의 극 인 참여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온라인과 오 라인 측면에서 모두 학습에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국내의 경우, 신정숙(2014)은 필수 교양과목으로 사고와 표 강좌의 6

개 분반 총 199명 학습자 상으로 발표와 토론 활동 심의 역 학습을

용하 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의 수업 참여도와 흥미도가 증진하고 발

표 토론에 따른 복합 인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언 하 다.

이와 유사하게 김백희와 김병홍(2014)은 온라인 학습의 경우 주로 화나

EBS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고 오 라인 수업에서는 역할 교체식 토의수업

을 진행하 는데 학습자들의 사고력과 발표력 쓰기 능력에 있어서

향상이 나타났다. 한 별 활동을 통해 동심이 상승하 다는 연구결

과를 제시하 다. 이에 한 단 으로는 구체 인 수업 설계를 해서 교

수자의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을 언 하 다.

교직 수업의 22명을 상으로 역 학습을 용한 연구(김보경, 2014)에

서는 크게 다섯 가지 측면에서 역 학습의 효과성을 제시하 다. 첫째, 역

학습의 경우 오 라인 수업 이 에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활용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습을 유도하는 요인을 제공한다는 이다. 둘째, 수업 참여

도에 있어서 온라인 학습을 통해 선수지식을 습득한 뒤 오 라인 수업에

서 질문, 토론, 로젝트 보고 등을 통해 학습자들의 활동이 극 으로

이루어져 보다 수업 참여도가 향상된다는 것이다. 셋째, 동료를 경쟁상

가 아닌 동자로 보고 있는 것이다. 즉, 활동으로 인하여 학습자와 학

습자들의 상호작용에 한 인식이 정 으로 여겨지고 있다. 넷째, 역

학습의 수업 운 에 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끝으로 기존의 강의식 수업

과 달리 교육이론들을 실제 수업 활동을 통해 용함으로써 학습에 한

이가 강화되었다고 보고 있다.

체육교육과 학생을 상으로 한 연구(김남익, 보애, 최정임, 2014)에서

는 수업 후반 4주차를 역 학습 방식으로 진행하여 학습동기와 자아효능

감을 분석하 다. 자아효능감과 학습동기에 한 사 ·사후검사를 실시하

여 이를 비교한 결과, 학습 동기의 측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 20 -

자아효능감에서는 향상이 있음을 나타났다. 이는 도 인 과제의 선택과

이를 달성하기 한 자신의 학습 조 능력이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김남익, 보애, 최정임, 2014).

임철일 외(2014)는 학부 강좌와 학원 강좌, 난이도 차이 등의 다른 특

성을 지닌 두 강좌에 역 학습을 용 운 한 결과, 학습자의 특징, 강

좌의 성격 등에 따라 역 학습에 한 학습자의 반응이 상이하게 나타남

을 제시하 다. 이는 온라인 콘텐츠의 설계, 강좌의 특성 등의 다양한 요

소들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함을 나타내며 이에 따라 효과도 상이하게 나

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비록 재까지 학 맥락에서 이루어진 역 학습 련 연구는 그 수에

있어서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다양한 계열의 강좌에서 역 학습은 밝

은 망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기존 학에서 실시한

통 인 수업 방식에 한 안으로서 역 학습 교수학습 방법이 학습의

선호도와 학습 성취도, 학습 동기, 자아 효능감 등의 측면에서 효과 이라

볼 수 있으며 이는 학교육의 맥락에서 역 학습의 필요성을 실제로 보

여 다고 할 수 있다.

- 21 -

다. 학에서의 역 학습 문제

의 학교육에서의 역 학습 교수학습 방식에 한 효과성이 학업 성

취도와 만족도 등에 있어서 좋은 것과 동시에 이에 한 문제 도 지 되

고 있다. 문제 을 정리하면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제시되고 있다.

첫째, 효과 이고 매력 인 온라인 동 상을 설계 개발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김남익, 보애, 최정임, 2014; 임철일 외,

2014; Herreid, & Schiller, 2013; Mason et al., 2013; Strayer, 2012). 역

학습에서 온라인 동 상의 경우, 학습자의 사 지식을 습득하는데 활용

된다. 이는 오 라인 활동에 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 하나이다. 하지

만 효과 이고 매력 인 온라인 동 상을 개발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Herreid, & Schiller, 2013). 이는 온라인 동 상을 설계 개발함에 있

어 교수자는 강좌의 특성, 학습자의 상태 등을 고려한 학습 난이도, 동

상 길이, 화질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둘째, 재까지 이루어진 역 학습 련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문제 은

온라인과 오 라인의 연계성이 미흡하다는 것이다(Findlay-Thompson &

Mombourquette, 2014; Murphee, 2014; Strayer, 2007, Strayer, 2012;

Wilson, 2013). 역 학습은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의 활동이 통합 으로

제공되는 교수학습 방법이다. 이에 따라, 두 방식에서 제공하는 학습 내용

활동은 유기 으로 연계가 되어야 한다. 온라인과 오 라인을 혼합하

는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는 경우 온라인과 오 라인을 유기 으로 연계

시키는 것은 성공 으로 운 하는데 있어 매우 요하다(Ginns, & Ellis,

2007). 유기 으로 연계가 되지 않으면, 학습자는 온라인 학습 내용과 오

라인에서의 활동이 어떠한 계를 지니는지 쉽게 이해하기 어렵다.

Strayer(2012)는 이를 역 학습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 하나라고 언

하면서 학습자들이 온라인 학습 내용과 오 라인의 활동이 어떠한 계

가 있는지를 악하려고 다른 동료 학습자와 함께 논의 하 다고 언 하

다. 온라인과 오 라인이 연계가 되지 않은 경우 학습자들은 실제 온라

인 컨텐츠에서 제시된 학습 내용이 오 라인 학습과 어떠한 련이 있는

지를 이해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Strayer, 2012).

- 22 -

3. 학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략

역 학습에서 온라인과 오 라인의 유기 인 조화와 연계는 학습에 있

어서 매우 요하다. 이 두 가지 방식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학습

자는 자신이 학습한 내용과 활동을 통해 무엇을 배웠는지 혼란이 올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온라인과 오 라인을 통해 이루어진 학습이 서로 독

립 으로 존재한다고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역 학습은 학습 내용과 활

동을 기반으로 창의 으로 설계하되(Fulton, 2013), 온라인 학습 내용과

오 라인 활동에 한 유기 인 연결을 고려해야 한다.

재까지 이루어진 련 연구에서 역 학습의 온라인과 오 라인을 연

계하기 한 노력으로 Talley와 Scherer(2013), Morin과 동료들(2013),

Gannod, Burge와 Helmick(2008), Frydenberg(2013)의 연구에서는 온라인

혹은 오 라인에서 퀴즈를 활용하 다. 특히 온라인에서 퀴즈를 활용한

Tally와 Scherer(2013)은 ‘Quizlet'이라는 로그램을 온라인 학습과 연계

하여 사용하 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온라인 학습에 한 즉각 이고

형성 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었다. 퀴즈를 활용한 연계 략에 한 학

습자 반응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은 오 라인 활동 이 에 온라인 학습

에서 퀴즈를 사용하는 것은 학습자가 학습을 비하는데 요한 향을

미친다고 응답하 다. 한, 퀴즈의 결과에 따라 교수자는 오 라인 활동

을 계획하고 설계하 는데 이는 오 라인 활동에 있어서 학습자의 동기를

향상시키는데 요한 역할을 하 다.

다른 략으로써는 Warter-Perez와 Dong(2012)는 로젝트 기반의

역 학습을 공과 학 맥락에서 용하 다. 온라인에서는 로젝트 진행

단계에 따라 련 내용을 제공하고 오 라인에서는 로젝트 보고 활

동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로젝트 기반 학습을 역 학습에 활용한

략은 온라인과 오 라인을 유기 으로 연계시켜 수 있으며, 학습자가

온라인 학습 내용을 오 라인 활동에 더 잘 용할 뿐만 아니라 학습에

더 많은 참여를 하여 교실을 활기차게 하는데 요한 요인으로 작용하

다. 한, 이는 더 효과 인 학습을 이끌 수 있다고 제시하 다. 로젝트

- 23 -

심의 학습은 로젝트를 수행하는 학습자들이 력 학습 과정을 통해

공동의 학습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박성익 외, 2011) 력학습을

극 화 하는 학습 방법 에 하나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취지는 역

학습이 가지고 있는 오 라인 력 활동과 련성이 있으므로 하나의

략이 될 수 있다.

김보경(2014)의 연구에서는 역 학습이 연계되기 해서 교실 밖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에 기반 하여 교실 안의 활동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

다. 이 연구에서는 의 연구와 같은 맥락에서 연계 략으로 퀴즈를

실시하고, 한 학기 동안 연속 으로 이루어지는 로젝트나 문제해결활동

을 수행할 것을 제시하 다. 한 교수자가 온라인과 오 라인 모두 학습

자의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을

제안하기도 하 다.

하지만 여 히 학의 역 학습에 한 온라인과 오 라인의 유기 인

연계의 문제 에 한 구체 인 략을 제시한 연구는 그 수에 있어서도

매우 미흡하다. 학 맥락에서 역 학습이 효과 으로 운 되어 학습자에

게 최 의 학습을 제공하기 해서는 온라인 학습 내용과 오 라인 활동

에 한 유기 인 연계를 고려한 다양한 략이 필요하다.

- 24 -

Ⅲ. 연구 방법

본 연구의 목 은 학교육에서 역 학습의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활

동에 한 연계 략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 학습자의 반응을

통해 본 략의 강 과 약 , 그리고 최 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다. 이를 해 본 연구에서는 사례 연구(Stake, 1995; Yin, 1994)의 차원에

서 기실행(initial implementation) 단계를 통해 기 설계 략에 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 으며, 주 실행(main implementation) 단계에서는

형성 연구 방법론을 사용하 다.

먼 , 선행 연구를 통해 도출된 기 설계 략을 기 실행단계에

용하기 해 기 설계 략의 핵심 인 요소를 실제 용 가능한 형태로

구축하 다. 그리고 이를 용하여 학습자들의 의견을 수집 분석하

다. 이는 선행연구 검토 결과를 통해 도출된 설계 략과 이에 한 상세

지침 이외의 추가 인 설계 략이 도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Jang, 2011).

기 단계에서 일종의 실 가능한 로토타입을 개발하고 이를 학습자의

입장에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는 것은 사용자 심의 래피드 로토타입

방법론(임철일, 연은경, 2006)과 실제 장에서의 반복 인 용과 형성

인 순환 과정을 거치는 설계 기반 연구(강정찬, 이상수, 2011;

Design-Based Research Collective, 2003; Edelson, 2002; Van den

Akker, 1999; Wang & Hannafin, 2005)에서도 강조되는 특성이다. 이러한

기 실행 단계에서의 기 설계 략에 한 일종의 사용성 평가는 략

을 실제 장에 용하여 향후 최종 으로 도출할 략의 일반화 범 를

높이고자 하는 것이며, 이에 한 학습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본 략의

최 화를 목 으로 한다.

주 실행 단계에서 용한 형성 연구 방법론은 교수설계 이론 혹은 모

형을 개선하기 한 형성 평가의 개념이 용된 연구방법이다(임철일,

2012). 이는 교수활동을 개선하는 목 으로 교수 과정 혹은 용을 한

설계이론의 향상을 한 방법이다(Reigeluth & Frick, 1999). 형성 연

구 방법론은 어떠한 가설에 한 통계 인 효과성을 심으로 하는 양

- 25 -

연구의 제한 을 극복하는 방법론 에 하나로 이는 교육공학 인 교수

략의 처방성과 종합성에 을 두고 있다(임철일, 1998). 기에 형성 연

구는 교수설계이론에 한 개선에 을 두었지만, 이 후에는 새로운 이

론이나 략, 모형 등을 개발함에 있어서도 활용되고 있다(임철일, 2001;

Reigeluth, 1983).

본 연구에서는 학맥락에서 역 학습의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활동

의 유기 인 연계 략을 개발하기 해 선행 연구의 분석, 기 학습자

의견 수집, 문가 검토, 장 용을 하 다. 먼 , 선행 연구들의 문헌

분석을 토 로 략을 개발한 뒤, 해당 략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해

문가 검토를 실시하 다. 문가 검토는 해당 략의 타당성, 설명력,

유용성, 이해도, 보편성을 확인하는 것으로 이에 한 평가 문항은 나일

주, 정 미(2001)를 참조하여 이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 다. 이와 동

시에 기 설계 략에 한 학습자 의견을 수집하 다. 다음으로 1차

문가 검토 의견을 반 하여 2차 략을 개발한 뒤 학에서 역 학습을

운 해 본 경험이 있는 교수자를 상으로 2차 략에 한 검토를 실시

하 다. 략에 한 실제 교수자의 검토를 통해 나온 의견을 고려하여

최종 으로 략을 개발하여 이를 학에서의 역 학습이 이루어지는

장에 용하 다. 끝으로, 최종 도출된 략에 한 장 용을 통해 학습

자의 반응을 강 , 약 , 개선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 다.

1. 연구 차

본 연구는 학 교육에서 역 학습의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활동의

유기 인 연계를 한 략을 개발하고, 해당 략에 한 학습자의 반응

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에 한 본 연구의 진행 차는 다음 [그림

Ⅲ-1]과 같다.

- 26 -

[그림 Ⅲ-1] 연구 진행 차

- 27 -

2. 연구 상 도구

가. 연구 상

본 연구는 2014년 2학기 서울소재 S 학교 사범 학생의 공 강좌

하나인 ‘교육공학’ 강좌에 용하여 해당 학습자의 반응을 분석하고자

하 다. 역 학습 운 을 한 온라인 학습 자료는 온라인 컨텐츠 자료

형태로 개발되었으며, 학습자들에게 해당 컨텐츠와 학습 자료를 모두 제

공하 다. 보다 세부 으로 온라인 컨텐츠의 경우는 련 지식이나 정보

등을 효과 으로 제시하는 개인교수(tutorial) 형태이다(Alessi & Trollip,

1991). 해당 자료는 오 라인 수업이 이루어지기 최소 1주일 에 학습자

들에게 학습 리시스템(snuon.snu.ac.kr)을 통해 달되었다. 한, 본 강

좌는 3학 의 특징을 지니고 있지만 온라인 학습을 통해 약 100분 가량의

학습이 이루어짐에 따라 오 라인 수업은 2시간으로 운 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는 본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 총 5명이

다. 본 강좌와 해당 학습자를 선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강좌

는 2014년 2학기 사범 학에서 실시되는 역 학습 방식의 강좌이다. 둘째,

S 학교 사범 학습자의 경우 기본 으로 다양한 교수학습 방식에 익숙

하다. 사범 교육학과의 경우 이러한 교수학습 방식에 해 학습자들은

필수 교양 강좌 등을 통해 알고 있거나 해당 방식 혹은 이와 유사한 교수

학습 방법에 한 학습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

체 인 학습자 반응을 인터뷰를 통해 알 수 있다고 단된다.

나. 연구 도구

연구 도구는 크게 설계 략에 한 타당화를 한 타당화 검사지와 학

습자 면담을 한 질문지를 활용하 다.

문가 타당화의 경우, 문항은 나일주와 정 미(2001)의 평가 문항을 토

로 이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진행하 다. 이는 논리 으로 한

- 28 -

지를 보는 타당성, 구성요소를 잘 설명하는지에 한 설명력, 구성 요소가

유기 으로 련 있게 분류되었는지를 보는 성, 학 맥락에서의 역

학습에 보편 으로 용될 수 있는 보편성, 그리고 쉽게 이해될 수 있

게 표 되었는지를 보는 이해도로 구성되어 있다. 한, 구체 으로 구성

요소들이 보완해야 할 이 무엇인지 작성할 수 있는 기타 의견이 포함된

다.

다음으로, 학습자 반응을 수집 분석하기 해서는 학습자 면담에 따

른 질문지를 활용하 다. 기 실행에 있어서는 기 설계 략의 수정

보완과 더불어 기 설계 략 이외의 추가 인 설계 략이 필요한지

를 악하고자 하 다. 주 실행 단계에서는 2차 문가 검토를 받은 략

을 실제 장에 용함으로써 학습자의 반응을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

집하 다. 이를 해 온라인과 오 라인의 연계 략에 한 학습자 반응

을 강 , 약 , 개선 의 측면을 으로 인터뷰하 다.

개별 면담은 개방형으로 이루어졌으며, 질문지를 면담 이 에 개발

정리하여 본 면담에 참여한 학습자들에게 제공하 다. 이는 학습자 자신

의 생각과 의견을 유도하기 때문이다(임철일, 2012). 주요 질문은 재까

지 이루어진 학 맥락에서의 역 학습의 문제 에 한 언 과 더불어

이러한 문제 을 해결하기 한 구체 인 략과 이에 한 수업의 용

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느낀 연계 략의 강 , 약 , 개선 으로 구성하

다. 이러한 개별 면담 자료는 체 내용을 사하여 분석자료로 활용하

다. 개별 면담 후에는 이에 한 결과를 요약하여 해당 상자들에게 각

각 달한 후 화 통화를 통해 추후 확인 면담을 실시하 다. 이를 통해

상자들이 말하고자 한 내용을 정확하게 기술 요약했는지를 확인하고

추가하고자 하는 내용이 있을 경우 이를 결과에 반 하 다. 한, 심층

면담 후에는 감사하다는 말과 함께 면담 내용이 본 연구 이외에는 사용되

지 않음과 비 이 엄수된다는 을 다시 한 번 언 하 다.

- 29 -

3. 자료 수집

자료 수집은 크게 네 가지 측면에서 련 자료가 수집되었다. 첫째,

기 설계 략 도출을 한 문헌 검색이 이루어졌다. 둘째, 기 설계 략

에 한 기 실행 단계에서의 학습자 면담을 통한 의견을 수집하 다.

셋째, 설계 략에 한 문가 검토가 이루어졌다. 설계 략에 한 1차

문가 검토는 기 실행 단계에서의 학습자 의견을 수집하는 단계와 동

시에 이루어졌으며, 교수설계 문가 총 4인에게 의뢰하여 이루어졌다. 이

를 바탕으로 수정 보완된 설계 략에 한 2차 문가 타당화의 경우

1차 문가 타당화에 참여한 교수설계 문가 2인에게 수정 보완 사항

이 제 로 반 되었는지 확인하 으며 추가 으로 역 학습을 실제로 운

해본 경험이 있거나 련 연구 실 이 있는 상 총 3인에게 추가로

문가 타당화가 이루어졌다. 넷째, 문가 타당화를 받은 설계 략을 용

한 주 실행 단계에서는 학습자 5명을 상으로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여

본 략의 강 , 약 , 개선 의 측면에서 의견을 수집하 다.

가. 문헌 검색

역 학습의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수업을 유기 으로 연계하기 한

설계 략을 도출하기 해 선행연구 등의 문헌연구를 실시하 다. 련

문헌을 수집 선정하기 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http://www.riss.kr),

구 학술검색(scholar.google.co.kr)을 통해 문헌을 검색하 다.

문헌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으로 역 학습 략을 규명하기 해

학 맥락에서 이루어진 역 학습 련 요소, 략 모형에 한 선행연

구와 온라인과 오 라인의 유기 인 연계를 어떻게 구 할 수 있을지를

살펴보기 한 내용과 련된 교수설계 략에 한 선행연구들을 종합하

다.

- 30 -

나. 기 실행

기 실행 단계에서는 해당 강좌의 역 학습 운 과 더불어 기 설계

략에 한 학습자 반응을 악하기 해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 다.

기 실행의 기간은 해당 강좌의 기설계 략이 개발된 9월 셋째 주부터

10월 첫째 주까지이다. 총 3주 동안 기 설계 략에 한 학습자 반응

을 수집하기 해 매주 1∼2명을 상으로 약 30분 정도 개별 인터뷰가

이루어졌으며 총 4명을 상으로 실시하 다. 기 실행 단계에서는 재

까지 진행된 략에 한 학습자의 의견을 수집하 으며, 해당 주차에서

활용하지 못한 ‘오류찾기를 통한 온·오 라인 학습 내용의 용’, ‘온라인

콘텐츠와 수업의 연계성을 시각 으로 표 ’하는 략은 면담 상자들에

게 설명 하는 것으로 체 하여 해당 략을 안내하 다.

다. 설계 략에 한 1차 문가 타당화

선행 연구를 통해 도출된 학 역 학습의 온·오 라인 연계 략에

한 1차 문가 타당화는 교수설계 문가 총 4인에게 검토를 받았다.

기 설계 략에 한 1차 문가 타당화의 목 은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

된 기 설계 략 반과 설계 략을 구성하고 있는 일반 설계 략과

상세설계 지침을 수정하는데 있다. 1차 문가 검토를 한 상자 선정

은 본 연구가 교수설계와 련이 있으므로 교육공학 분야의 자격증을 소

지하고, 교수설계 분야에서 련 연구 로젝트 등을 수행한 자를 선

정하 다. 1차 문가 타당화 검토에 참여한 문가 로필은 다음과 같

다.

- 31 -

<표 Ⅲ-1> 1차 문가 타당화에 참여한 상자 로필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기 략에 한 1차 문가 타당화 검사 문

항은 나일주와 정 미(2001)의 평가 문항을 수정하여 활용하 다. 크게 다

섯 가지 측면에서 문가 검토가 이루어졌으며, 이는 역 학습의 연계

략을 잘 설명하고 있는지에 한 설명력,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를

한 략에 한 타당성, 설계 략 상세설계지침이 서로 련이 있으

며 하게 분류되었는지에 한 성, 다양한 맥락에 용될 수 있는

지에 한 보편성, 쉽게 이해될 수 있게 표 되었는지에 한 이해도로

구성하 다. 한, 구체 으로 구성요소들이 보완해야 할 이 무엇인지

작성할 수 있는 기타 의견이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기 설계 략에 한 문가 검토 문항은 다음과

같다.

문가 최종 학력 소속 경력 문분야

A 박사(Ph.D)S 학교

연구교수9년

교수설계, 학습활동 심 이러닝

설계, 이러닝, 역 학습

B 박사(Ph.D)H 학교

빙교수9년 교수설계, 창의 인 문제해결

C 박사(Ph.D)

H 학교

연격교육연구소

연구원

11년웹 기반 교육, 교수설계, 사례

기반 학습

D 박사(Ph.D)

S 학교

교육연구소

객원연구원

6년

블 디드 러닝, 활동 심 교수

설계, 교육 로그램 개발, 역

학습

- 32 -

<표 Ⅲ-2> 기 설계 략에 한 문가 검토 문항

에 제시된 기 설계 략에 한 문가 검토 문항은 설계 략 반

에 걸쳐 5 척도(5: 매우 그 다, 4: 그 다, 3: 보통이다, 2: 그 지 않다,

1: 매우 그 지 않다)로 이루어졌으며, 각각의 개별 인 략 상세설계

지침의 타당화에 해서도 5 척도로 개발하여 타당성의 정도를 응답하

도록 하 다. 한 개별 면담을 통해 자세한 수정사항을 확인하 다.

라. 설계 략에 한 2차 문가 타당화

1차 문가 검토 사항을 반 한 수정된 2차 략에 한 검토 상자는

먼 , 기 설계 략에 한 수정 사항이 제 로 반 되었는지를 확인하

기 해 1차 문가 타당도에 해 응답해 상자 총 4인 2인을 통

해 이루어졌다. 한, 본 연구의 맥락에 맞게 본 연구 주제와 련된 논문

혹은 발표실 (Davis, 1992)을 가지고 있거나 실제로 학에서 역 학습

역 문 항

설명력역 학습(Flipped learning)의 온라인 오 라인 학습이 연계될 수

있는 략을 잘 설명하고 있다.

타당성역 학습(Flipped learning) 수업 설계 시 온라인 오 라인 학습

의 연계성을 고려할 설계 략으로 타당하다.

온·오 라인 연계를 한 각각의 일반설계 략에 포함된 상세설계

지침은 서로 유기 으로 련성을 지니며 해당 단계에 따라 하

게 분류되었다.

보편성 온·오 라인 연계 략은 보편 으로 용될 수 있다.

이해도 온·오 라인 연계 략은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표 되었다.

기타

의견

해당 략에 해 보완해야 할 은 무엇입니까?

- 33 -

을 운 해 본 경험이 있는 교수자 3명을 상으로 추가 실시하 다. 해당

교수자들은 각기 다른 학과와 맥락에서 역 학습을 운 해 본 경험이 있

거나 련 연구를 수행하 으며, 기존의 학에서 역 학습이 가지고 있

는 문제 에 해서도 인식하고 있었다. 2차 략에 한 문가 검토 역

시 1차 문가 검토에서 사용하 던 평가문항을 활용하 으며 개별면담이

함께 이루어졌다.

<표 Ⅲ-3> 2차 문가 타당화에 참여한 상자 로필

* 1차 문가 타당화에 참여한 상자 문가 A, D 포함

마. 주 실행

본 략이 용된 주 실행(main implementation) 단계는 체 15주 차

시 7주차에서 13주차에 이르기까지 약 7주 동안 이루어졌다. 주 실행

단계 이 에 교수자와 연구자는 본 략이 용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

한 뒤, 이를 진행하 다. 한, 본 연구가 이루어지는 동안 본 연구자는

해당 강좌에 참여하여 수업을 찰하 다. 본 략은 개별 략으로 각각

개별 으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기존의 역 학습 련 연구에서 두 세 개

문가 최종학력 소속 경력 문분야 비고

E박사

(Ph.D)

S 학교

교수15년

기 공학,

제어 이론,

동 시스템

· 2013년도 2학기 역

학습 강좌 운 : 1강좌

· 2014년도 2학기 역

학습 강좌 운 : 2강좌

F박사

(Ph.D)

S 학교

교수31년

수학교육,

수학교육연구

방법론 등

· 2013년도 2학기 역

학습 강좌 운

· 역 학습 련 논문

발표 실 다수

G박사

(Ph.D)

S 학교

교수학습

개발센터

연구교수

13년 교육정책

· 학 교수 상 역

학습 특강 심포지엄

발표 4회 이상

- 34 -

의 활동들이 한 차시마다 수업 , , 후의 시간 인 차이를 두고 용한

것과 같이 본 략은 한 차시마다 여러 략들이 다양하게 용되었다.

2차 문가 검토를 받은 략을 실제 장에 용함으로써 학습자의 반

응을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 다. 학습자 면담에 참여한 연구 상

자의 특징을 보면 아래와 같다.

<표 Ⅲ-4> 연구 상자 특징

본 략을 최 화 하기 해 온라인과 오 라인의 연계 략에 한 학

습자 반응을 강 , 약 , 개선 의 측면을 으로 인터뷰하 다. 학습자

의 반응을 알기 해 사용한 질문은 형성 연구 방법론을 활용한 연구

(임철일, 2001; 임철일, 2012; 임철일, 연은경, 2009; 임철일 외, 2013)에서

사용된 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 하 다. 본 연구에서 학습자 반응 자

료를 수집하기 한 질문 문항은 다음과 같다.

<표 Ⅲ-5> 학습자 반응을 한 질문 문항

항 목 질문 문항

강 학 역 학습의 온·오 라인 연계를 한 본 략의 강 은 무엇

입니까?

약 학 역 학습의 온·오 라인 연계를 한 본 략의 약 은 무엇

입니까?

개선학 역 학습의 온·오 라인 연계가 보다 이루어지기 해 본

략의 개선 은 무엇입니까?

연구 상 소 속 학 년 성 별

면담자 A S 학교 교육학과 2 남

면담자 B S 학교 교육학과 4 여

면담자 C S 학교 교육학과 3 남

면담자 D S 학교 교육학과 3 여

면담자 E S 학교 교육학과 석사과정 남

- 35 -

4. 자료 분석

문가 검토의 경우 이에 한 분석은 크게 내용 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와 평가자간 일치도 지수(Inter-Rater Agreement,

IRA)를 사용하 다. 내용 타당도 지수는 문가들의 단에 한 항목별

타당도를 확보하기 한 것이다(Rubio et al., 2003). 이는 .80 이상이 될

경우 타당하다고 해석이 가능하다(Davis, 1998). 평자자간 일치도 지수의

경우 각 설문 항목에 해 평가들이 어느 정도 일치하는 가를 보여주는

항목이다(Jang, 2011; Rubio et al., 2003). 이는 .08이상이 될 경우 문가

들의 평가를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있다고 단된다(Rubio et al., 2003).

주 실행에서의 형성 연구 방법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자 반응에 한

면담은 략에 한 강 , 약 , 개선 의 측면에서 으로 이루어진

다. 면담 자료 분석은 질 자료의 일반 인 분석 방식에 의해 이루어진

다(임철일, 2012).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학습자 반응에 한 수집된 자료

분석은 자료의 사, 코딩, 개념화, 범주화, 범주와 상충되는 의견 구분의

5단계 분석 과정으로 이루어진다(Strauss & Corbin, 1990). 자료 사의

경우, 면담 상자와의 면담 내용을 사하 다. 코딩 단계에서는 수집된

자료에 한 자료 축소를 실시하여 핵심 개념을 선별한다. 개념화 단계에

서는 학 역 학습의 온·오 라인 연계 략에 한 학습자의 장 , 단

, 개선 에 해당하는 내용을 심으로 여러 차례 반복되는 내용이나 의

미 그리고 주제에 이름을 붙인다. 이 과정을 통해 도출된 개념에 해 다

시 서로 의미 있는 련 역으로 범주화가 이루어진다. 이와 동시에 범주

화를 하면서 역이나 범주에 상충되는 내용은 따로 선별하여 이를 따로

구분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분석된 자료는 표의 형식을 이용하 다. 이

는 학습자들로 하여 제시된 교수 략의 측면에 한 반응 의견과 빈도

를 동시에 제시하여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기 때문이다(임철일, 2012).

- 36 -

Ⅳ. 연구 결과 논의

본 연구는 크게 다섯 단계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첫째, 역 학습

교수학습 방법의 연계의 측면과 련된 선행연구를 통해 기 설계

략을 도출하 다. 둘째, 이러한 기 설계 략에 한 기 실행 단계를

통해 학습자들의 의견을 수집 분석하 으며 이와 동시에 교수설계

문가의 타당화를 통해 이를 수정 보완한 설계 략을 도출하 다. 셋째,

수정된 설계 략에 해 수정사항이 반 되었는지를 문가에게 검토 받

았으며, 실제 역 학습을 운 한 교수자, 그리고 련 논문이나 발표실

이 있는 연구자를 상으로 문가 타당화를 받은 후 이를 반 하여 최종

설계 략을 개발하 다. 넷째, 최종 으로 도출된 설계 략을 본 연구가

진행된 서울 소재 S 학교의 교육공학 강좌에 용함으로써 학습자들의

반응을 강 , 약 , 개선 의 측면에서 분석하 다. 다섯 째, 학습자 반응

을 토 로 개선된 연계 설계 략을 도출하 다.

1. 기 설계 략

학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를 한 기 설계 략은 이와 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련 구성요소와 일반 설계 략 상세설계 지침을

구성하 다. 기 설계 략이 도출된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 , 기 설계 략 도출을 해 ‘역 학습’, ‘연계 교수설계 략’과

련된 문헌 연구 검토를 하 다. 련 문헌을 수집 선정하기 해 학술

연구정보서비스(http://www.riss.kr), 구 학술검색(scholar.google.co.kr)을 통

해 문헌을 검색하 다. 문헌 검색을 해 사용된 키워드는 ‘역 학습’,

‘flipped learning’, ‘flipped classroom’, ‘inverted learning’, ‘inverted

classroom’, ‘교수 학습 방식 연계’ 등을 사용하 다. 검색 결과 수업모

형이나 설계 략 등이 언 된 논문을 선정하여 검토 후 온라인과 오 라

인 연계 수업 설계를 구조화할 수 있는 연계 구성 요소를 도출하 다.

- 37 -

<표 Ⅳ-1> 선행문헌 검토를 통한 구성요소 도출

이를 통해 학 맥락에서의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략에 포함될

수 있는 구성요소는 크게 개념 탐색 용, 의미 구성이 도출되었다.

역 학습 요소 출처 공통내용 주요요소

온라인 매체 자료를 활용하라(Papadapoulos

& Roman, 2010).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해야 함

개념탐색

교육용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라(Strayer, 2007)

온라인 학습 내용을 용할 수 있는 수업을

구성하라(Bishop & Verleger, 2013) 학습 내용에

한 습득,

안내 용이

이루어져야 함

오 라인 수업을 해 온라인 선수지식을 제공

하라(Berrett, 2012)

수업을 안내하라(Bergmann & Sams, 2012)

사 학습과 련된 연습문제를 제공하라

(Papadapoulos, & Roman, 2010)

학습자가

능동 으로

의미를

구성해야 함의미

구성

학습자 심의 활동을 진행하라(Stone, 2012)

학습자가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활동을 모두

반추할 수 있게 하라(Wilson, 2013)

역동 인 학습이 이루어지게 하라(Rivero, 2013)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수업이 이루어질 경우,

질문을 통해 의미를 구성하라(Borich, 2010)

별 활동을 진행하라(Bishop & Verleger,

2013)별 활동

별 로젝트 기반 학습을 하라(Warter-Perez

& Dong, 2012)

- 38 -

<표 Ⅳ-2> 학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와 련된 일반 구성 요소

역 학습의 온라인과 오 라인의 연계 구성요소들을 크게 개념 탐색

용과 의미 구성 측면으로 이는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에서의 활동이

유기 으로 연결 종합하는 것과 련 있다.

첫째, 개념 탐색 용의 측면이다. 이 요소는 학습자가 학습 내용을

온라인을 통해 학습하며 오 라인 활동에서 학습 내용을 용할 수 있도

록 수업을 구성해야 한다는 원칙(Bergmann & Sams, 2012; Berrett,

2012; Bishop & Verleger, 2013; Hamdan et al, 2013; Papadapoulous &

Roman, 2010)을 역 학습의 경우에 반 한 것이다. 개념을 탐색하기 해

서 교수자는 련 내용을 온라인 콘텐츠를 개발하거나 기존의 Youtube,

Khan Academy, edx, Coursera 등과 같은 교육용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

는 온라인 학습 콘텐츠 등을 통해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개념 탐색

용은 학습자의 활동 심, 그리고 온라인 콘텐츠의 학습 내용과 오 라

인에서의 활동, 혹은 오 라인에서의 활동과 온라인 학습을 설계 혹은 안

내해야 하는 것이다.

둘째, 의미 구성의 측면이다. 이는 학습에 있어서 학습자의 능동성을 강

조한 것이다(Bishop & Verleger, 2013; Papadapoulous & Roman, 2010;

Rivero, 2013; Roehl, Reddy, & Shannon, 2013; Stone, 2012;

Warter-Perez & Dong, 2012; Wilson, 2013). 즉, 이는 학습자가 보다 학

습을 능동 이고 주체 으로 진행하고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활동 수업

을 통해 배운 내용을 주도 으로 련시킬 수 있도록 진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의미 구성은 학습자가 퀴즈, 온라인 토론, 블로그 활동 등

을 통해 학습한 개념을 교수자 는 동료와 함께 검 논의함으로써

온라인 학습 내용과 오 라인 수업을 주도 으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이

구성요소 내 용

개념 탐색 용학습자에게 학습 내용을 제공 안내하며 활동을 통

해 용해 보는 측면

의미 구성학습자가 능동 으로 학습 내용과 활동을 연계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측면

- 39 -

러한 의미 구성은 보다 학습자가 학습 내용과 활동을 이해하고 용하는

데 있어 도움을 수 있는 성찰도 포함된다.

다음으로, 기존 역 학습 련 선행 연구에서 진행된 수업 단계와 구성

요소를 기반으로 ‘역 학습 연계’, ‘온라인 오 라인 교수학습 방법에서

의 수업 설계’, ‘학습내용과 활동에 한 연계 략’과 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 분석하여 해당 략을 역 학습에 합하게 일부 수정 보완하

다. 이를 토 로 련 략들을 일반 설계 략 지침으로 유목화 하

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개발된 기 설계 략은 다음 <표 Ⅳ-3>과 같

다.

<표 Ⅳ-3>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기 설계 략

단계 일반 설계 략 상세 설계 지침

온라인

학습

1. 온라인 오 라인

연 성을 고려하여

역 학습에 합한

강의계획서를 설계

개발하라.

1.1. 각 차시마다 온라인 학습의 핵

심 개념을 제시하라(이 경,

2013; Merrill, 2000)..

1.2. 각 차시에서 제시한 온라인 학

습 개념을 용한 오 라인 학

습활동을 설계하고 이를 명시하

라(정 숙, 김정민, 2012;

Donald, 2002).

온라인

학습

2. 사례를 활용하여 수

업을 설계하라.

2.1. 온라인 학습 설계 시, 학습내용

련 사례를 제시하라(김보

경, 2014; 임철일, 연은경, 2009;

Kolodner, 1993; Williams, 1992).

2.2. 면 면 학습 상황에서 사례에

한 학습자 심 활동을 설계

하라(박성익 외, 2012; Leshin,

Pollock, & Reigeluth, 1992).

(가령, 교육 인 문제상황에

해 요구분석 활동을 수행함)

- 40 -

3. 오류찾기를 통해 학

습 내용을 용하

라.

3.1. 온라인 학습 개념과 더불어 이

와 상반되는 오류가 포함된 동

상 혹은 학습 자료를 제공하

라(신정숙, 2014; Borasi, 1996).

(가령, 멀티미디어 설계 원리가 용

되지 않는 자료를 개발하여 제공함)

3.2. 별 오류찾기 활동을 통해 학

습 개념을 용하게 하라

(Hartfield, 2010; Stone, 2012).

(가령, 학습자들이 을 이 학

습한 멀티미디어 원리에 따른

오류찾기 활동을 진행함)

3.3. 오류찾기 활동에 용된 학습

개념을 반 할 수 있는 실질

인 개발활동을 수행하라(노혜란,

2007; Hartfield, 2010).

온라인

학습 후

오 라인

학습

4. 온라인 학습에 한

학습자 질문을 오

라인 학습에 반

하라.

4.1. 오 라인 활동 이 에 학습자는

학습한 내용에 한 단순 회상이

아닌 도 인 질문을 1개 이상

하게 하라(김보경, 2014; Borich,

2010; King, 1995; Pedrosa,

Teixeria, & Watts, 2003).

4.2. 학습자 질문을 분석하여 학습자

의 재 상태를 악 한 뒤, 이

를 오 라인 활동 설계에 반

하라(Papadapoulos & Roman,

2010; Stone, 2012).

(가령, 온라인 학습 동 상에 한 질

문을 LMS 혹은 질의응답 게시 에

업로드 하게 한 뒤, 오 라인 수업

반에 학습자 질문에 해 논의함)

- 41 -

4.3. 학습자 질문에 한 활동을 오

라인 학습 에 다룰 경우,

오 라인 수업에서 각각의 질문

과 련 있는 학습 개념을 제공

하라(Berrett, 2012; Stone,

2012).

오 라인

학습

5. 실시간 응답이 가능

한 교육용 어 리

이션을 활용하

라.

5.1. 교육용 어 리 이션을 활용하

여 온라인 학습 내용에 한 퀴

즈를 실시하라(김보경, 2014;

Gannod, Burge, & Helmick,

2008; Frydenberg, 2013).

5.2. 오 라인 수업 에 실시간 응

답이 가능한 교육용 어 리 이

션을 활용하여 학습자 의견을

악하라(고 진, 2014; 김인수,

김진한, 2014).

5.3. 학습자 의견을 다음 차시 온

라인 학습 설계에 반 하라

(임철일, 2014).

6. 온라인과 오 라인

의 연계성을 표

하게 하라.

6.1. 오 라인 활동 에 교수자는

온라인 학습 내용과 활동이 어

떠한 련이 있는지를 학습자에

게 질문하라(강향림, 2009; 이윤

옥, 1999; King, 1994).

6.2. 학습자에게 온라인 학습 련

개념과 오 라인 활동이 어떠한

계를 지니는지 생각하고 표

할 기회를 제공하라(Wilson,

2013).

- 42 -

2. 학습자 문가 의견 분석

가. 기 실행에서의 학습자 의견

기 실행 단계에서는 해당 강좌의 역 학습 운 과 더불어 기 설계

6.3. 온라인과 오 라인의 주요 개념

의 연계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를 2차원 도식으로 나타나게 하

라(Jonassen, Beissner, & Yaci,

1993; Stone, 2012).

(가령, 온·오 라인이 어떠한 연

결 계가 있는지를 표 할 수

있는 컨셉맵(concept map) 등의

시각도구를 활용함)

7. 다음 차시와의 연계

성을 안내하라.

7.1. 수업 말미에 해당 차시의 학습

이 다음 온라인 학습 내용과 어

떠한 계가 있는지를 고하라

(Frydenberg, 2013).

오 라인

학습 후

8. 성찰을 통해 학습을

종합하라.

8.1.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활동에

서 다룬 학습내용을 종합 연

계시킨 한 성찰일지 시와

하지 못한 시를 모두 제

공하라(임철일 외, 2014).

8.2. 한 차시 수업에 한 온라인 학

습내용과 오 라인 활동이 모두

포함된 개인별 성찰일지를 작성

하게 하라(이경아, 석은조, 2012;

Brodle, 2007; Williams, 2006).

- 43 -

략에 한 학습자 반응을 악하기 해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 다.

학습자 의견을 분석 한 결과, 학습자들은 기 설계 략에 해 ‘성찰일

지, 사례 분석 등의 략을 통해 학습 내용과 활동을 연결시키는 것이 학

습 내용을 이해하고 용하는데 도움을 주었다’는 것을 강 으로 응답하

다. 반면, 기 설계 략에 한 단 으로는 첫째, 교육용 어 리 이션

을 활용한 학습자 수 상태에 있어 퀴즈 문제의 난이도가 높아 학습

내용을 용하기에 어렵다는 을 언 하 다.

“수업 시간 반에 교육용 어 리 이션을 통해 퀴즈를 실시하 는데 문

제의 난이도가 높아 의도를 알아내기가 힘들고, 수업 내용과의 연 성을

발견하기가 힘들었어요.”

이는 교육용 어 리 이션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수 상태를 악하

기 한 퀴즈를 실시하는 경우 이에 한 난이도 조 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한 퀴즈 문항을 개발할 시, 온라인 학습 내용에 한

확인차원과 더불어 오 라인 활동에서 다루고자 하는 학습 내용이 포함된

문항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질문 략과 련하여 학습자는 온라인 학습 내용에 한 도

인 질문을 확인하고 이와 련된 설명을 하는 것에 있어 학습자들은 지루

함을 나타내기도 하 다.

“모든 학생들의 질문에 한 이해를 돕기 해 질문 자체의 해명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게 되는 것 같아요.”

이는 략의 설계측면에서 학습주제와 련된 핵심 인 질문을 선별하

여 오 라인 활동에서 이를 논의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논의에 앞서 학습

자의 질문에 한 피드백이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

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사례와 성찰일지에 한 시를 활용하는 경우 이를 명확히 구분

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냈다.

- 44 -

“자료가 제공될 때 무엇이 좋은 시이고 무엇이 안 좋은 시인지 명확

히 구분이 되지 않아 참고자료로 활용하기가 힘들었어요.”

이러한 내용은 해당 시자료를 제공할 경우, 잘된 것과 잘못된 것에

한 조가 뚜렷한 시를 활용해야 함과 동시에 잘못된 시에 한 구

체 인 사항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오 라인 수업 후반 부에 다음 차시에 한 연계가 보다 부각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제공하 다.

“오 라인 수업에서 마무리 강의나...활동 같은 결론을 확실히 맺으면 좋

겠다. 수업 그 자체에 한 맺음이 있어야...”

이는 오 라인 수업 활동을 마무리(Wrap-up)하는 강의를 제공함과 동

시에 다음 차시에 해당하는 학습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어떠한 연

이 있는지를 명시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이 외에, 오 라인 기반 온라인 학습 연계를 한 추가 인 략으로

오 라인 활동을 통해 나온 학습자의 의문 을 악하여 보충 심화 학

습 자료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 다.

나. 1차 문가 검토 결과 수정 방향

1차 문가 타당화 단계에서는 기 설계 략 반에 한 검토와 설

계 략을 구성하는 일반 설계 략 상세설계지침에 한 검토가 문가

타당화 검사 문항과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먼 , 문가 타당화 검사

문항(나일주, 정 미, 2001)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다섯 가지 측면에

서 5 척도를 활용하여 교수설계 문가 총 4명에게 타당화 검사를 실시

하 다. 기설계 략 반에 한 문가 검토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

<표 Ⅳ-4>와 같다.

- 45 -

<표 Ⅳ-4> 기 설계 략 반에 한 문가 검토 결과

* 5 척도(5: 매우 그 다, 4: 그 다, 3: 보통이다, 2: 그 지 않다, 1: 매우 그 지 않다)

본 연구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 역 학습의 온·오 라인 연계 략

반에 한 문가 타당화 결과, 역 학습 연계 략에 한 설명 내용

(평균 4.3)과 학 역 학습의 맥락에서 보편 으로 용할 수 있는지에

한 보편성(평균 4.5)에 해서는 ‘그 다’보다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반면, 본 략들이 역 학습 수업 설계에 한지에 한

타당성(평균 3.8), 일반 설계 략과 상세설계 지침이 서로 유기 으로 구

성되어 있는지에 한 성(평균 3.0), 그리고 역 학습 연계 략이 이

해하기 쉽게 표 되었는지에 한 이해도(평균 3.8)는 다소 낮게 평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타당성과 성, 그리고 이해도의 측면에서

수정 보완의 필요성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한, 타당성, 성,

보편성, 이해도에 있어서 내용타당도(CVI)가 다소 낮고 채 자간 일치도

지수(IRA)가 0.8미만으로 문가 간 평가결과가 일치한다고 해석하기 어

려우며, 설계 략 반에 한 수정 보완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

다.

타당성에 해서는 개별 설계 략에 한 타당화 질문지를 통해 각각의

개별 인 략에 한 타당화 검사도 이루어졌다. 이에 한 결과는 [부

록 2]에 제시하 다. 에서 나타난 결과는 구체 인 수 에서 개별 략

에 한 문가 타당화와 교수설계 문가들의 의견을 듣기 해 개별 면

담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별 면담을 실시한 결과, ‘표 의 부

합성’, ‘상세 설계 지침 시 수정’, ‘ 략에 한 계’, ‘용어 변경’, ‘구성

요소 제시’, ‘상세 설계 지침 추가’, ‘일반 략과 상세 설계 지침의 련성’,

‘단계의 재 설정의 필요’, ‘단계와 지침간 련성 고려’의 측면에서 의견이

항목문가

평균표

편차CVI IRA

A B C D

설명력 4 5 4 4 4.3 0.43 4/4=1

1/5=0.2

타당성 2 5 4 4 3.8 1.09 3/4=0.75성 2 4 3 3 3.0 0.71 1/4=0.25

보편성 5 5 5 3 4.5 0.87 3/4=0.75이해도 3 4 4 4 3.8 0.43 3/4=0.75

- 46 -

제시되었다. 1차 문가 타당화를 통해 나온 의견을 정리하면 <표 Ⅳ-5>

과 같다.

<표 Ⅳ-5> 1차 문가 검토 의견

역 학습의 온·오 라인 연계를 한 수정 사항은 기 설계 략에

기 문가 검토 의견 해당 사항

표 의

부 합성

복되거나 필요 없는 표

수정 표 을 명확하게 제시

·설계 략1, 8

·상세설계지침2.1 4.2, 4.3, 5.3,

6.1, 6.2, 6.3

시 수정설계 략의 상세 설계 지침

에 해당하는 시의 수정설계 략의 상세 설계 지침 3.1

략에 한

복된 상세설계 지침 통합

일부 단계와 지침간의 구조

재 설정

·설계 략 5

·설계 략의 상세설계지침 5.3,

5.4, 6.1, 6.2

용어 변경 사용자를 고려한 용어 변경· ‘온라인 학습’ 용어

· ‘오 라인 학습’ 용어

구성요소

제시

설계 략 상세설계지침

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별로

각각의 단계와 략 제시

이 선행문헌 검토를 통해

도출된 략에 해당하는 구성

요소 표에 제시

일반 략과

상세 설계

지침의

련성

설계 략과 련 없거나 모호

한 상세 설계 지침

·설계 략의 상세설계지침 3.3

·설계 략의 상세설계지침 5.3

상세설계지침

추가

학습자 활동을 명확하게 하기

한 학습 내용 련 사례 비

·설계 략 2

개인별 성찰일지를 작성하는

경우 연계성에 한 오개념

발생 가능성 있음

·설계 략 8

단계 재설정

수업 단계보다 온라인기반

오 라인 혹은 오 라인 기

반 온라인의 연계성이 부각

되기 한 방식으로 변경

기존 단계를 역 학습의 연계를

보다 부각하기 한 방식으로

용어 변경 설정

- 47 -

한 문가 의견을 통해 도출된 수정사항을 기에 개발한 략에 용하

여 이루어졌다. 1차 문가 검토를 통해 나온 의견에 한 반 사항을 정

리하면 다음 <표 Ⅳ-6>와 같다

<표 Ⅳ-6> 1차 문가 검토 의견 반 사항

1차 문가 검토를 통해 나온 의견에 따라 해당 설계 략과 상세 설계

기 검토 의견 반 사항

표 의

부 합성

·설계 략 1, 8 표 수정

·설계 략의 상세 설계 지침 2.1, 4.2, 4.3, 5.3, 6.1, 6.2,

6.3 표 수정

시 수정 ·설계 략의 상세 설계 지침 3.1에 해당하는 시 수정

략에 한 계

·설계 략 5를 하 략을 모두 포함하는 일반설계 략

으로 변경

·설계 략의 상세설계지침 5.3, 5.4의 순서 변경

·설계 략의 상세 설계 지침 6.1, 6.2 통합

용어

변경

· ‘온라인 학습’의 표 을 ‘온라인 컨텐츠 기반 수업’으로

변경

· ‘오 라인 학습’을 ‘오 라인 수업’으로 변경

구성요소 제시이 선행문헌 검토를 통해 도출된 략에 해당하는

구성요소 표에 제시

일반 략과 상세

설계 지침의

련성

·설계 략의 상세설계지침 3.3 삭제

·설계 략의 상세설계지침 5.3 삭제

상세설계 지침의

추가

·설계 략 2의 상세설계지침 추가(잘된 사례와 잘못된

사례를 모두 제공)

설계 략 8의 상세설계지침 추가(개인별 성찰일지에

한 동료 피드백을 실시)

단계의

재 설정

·기존 단계를 역 학습의 연계를 보다 부각하기 해 총

세 방식으로 구분함(강좌 운 , 온라인 콘텐츠 기반

의 오 라인 수업 연계, 오 라인 수업 기반의 온라인

콘텐츠 연계)

- 48 -

지침에 한 표 이 일부 수정되었다. 시 수정과 련하여 시 부

합하다고 여겨지는 시에 한 수정이 이루어졌으며 일반 략과 상세

설계 지침의 련성의 측면에서 두 개의 상세설계지침이 삭제되었다.

한 1차 문가 검토에서 언 된 략에 한 계 측면에서 일부 설계

략 상세설계 지침의 순서가 변경되거나 통합이 이루어졌다.

기 실행 단계에서의 학습자 의견과 1차 문가 검토를 통해 수정된 2

차 설계 략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표 Ⅳ-7> 학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2차 설계 략

구성요소 단계 일반 설계 략 상세 설계 지침

개념

탐색

강좌

1. 한 학기 다루어야 할

핵심 내용은 온라인

학습으로, 심화학습을

한 활동은 오 라인

학습으로 연결하는 강

의계획서를 작성하라.

1.1. 차시마다 온라인 학습

의 핵심 개념을 제시

하라

1.2. 차시에서 제시한 온라

인 학습 개념을 용한

오 라인 학습활동을

설계하고 이를 명시하

온라인

콘텐츠

기반의

오 라인

수업

연계

2. 사례를 활용하여 수업

을 설계하라.

2.1. 온라인 학습 설계 시,

련 사례를 제시하라

2.2. 학습 내용을 명확히

하기 해 한 사

례와 하지 못한

사례를 모두 제공하라

2.3. 오 라인 학습 상황에

서 사례에 한 학습자

심 활동을 설계하라

(가령, 교육 인 문제

상황에 해 요구분석

활동을 수행함)

3. 오류찾기를 통해 학습 3.1. 온라인 학습 개념과

- 49 -

내용을 용하라. 더불어 이와 상반되는

오류가 포함된 동 상

혹은 학습 자료를 제

공하라

(가령, 멀티미디어 설계

원리가 용되지 않는 자

료를 개발하여 제공함)

3.2. 별 오류찾기 활동을

통해 학습 개념을

용하게 하라

(가령, 학습자들이

을 이 학습한 멀티

미디어 원리에 따른

오류찾기 활동을 진행

함)

오 라인

수업

기반의

온라인

콘텐츠

연계

4. 다음 차시와의 연계성

을 안내하라.

4.1. 오 라인 활동에 한

핵심 사항을 요약하고,

다음 차시의 주요 학

습 내용을 소개하라

4.2. 수업 말미에 해당 차

시의 학습이 다음 온

라인 학습 내용과 어

떠한 계가 있는지를

고하라

의미

구성

온라인

콘텐츠

기반의

오 라인

수업

연계

5. 온라인 학습에 한

학습자 질문을 오

라인 수업에 반 하

라.

5.1. 오 라인 활동 이 에

학습자는 온라인 학습

콘텐츠에 한 단순

회상이 아닌 도 인

질문을 1개 이상 하게

하라

5.2. 오 라인 수업 반에

- 50 -

학습자 질문에 해

논의하는 시간을 제공

하라

(가령, 온라인 학습 동

상에 한 질문을 LMS

혹은 질의응답 게시 에

업로드 하게 한 뒤, 오

라인 수업 반에 학습자

질문에 해 논의함)

5.3. 질의응답 게시 을 활

용하여 학습자 질문을

정리하여 문서화하고

각각의 질문에 한

련 개념이 무엇인지를

제공하거나 제출한 질

문에 해 코멘트를 제

공하라

6. 온라인 컨텐츠와 수업

의 연계성을 표 하

게 하라.

6.1. 온라인 학습 내용이

활동과 어떠한 련이

있는지를 학습자에게

질문하고 이를 표 할

기회를 제공하라

6.2. 온·오 라인이 어떠한

연결 계가 있는지를

표 할 수 있는 컨셉

맵(concept map) 등의

시각도구를 활용하여

연계성을 나타나게 하

7. 성찰을 통해 학습을

종합하게 하라.

7.1. 온라인 학습과 오 라

인 활동에서 다룬 학

- 51 -

습내용을 종합 연

계시킨 한 성찰일

지 시와 하지

못한 시를 온라인

상에 모두 제공하라

7.2. 차시별 온라인 콘텐츠

학습 내용에 기반 한

수업 활동이 모두 포

함된 개인별 성찰일지

를 작성하게 하라

7.3. 개인별 성찰일지에

한 동료 피드백을 실

시하여 연계성을 검토

하게 하라

8. 온라인 학습 여부

수 을 악할 수 있

는 활동을 설계하라.

8.1. 교육용 어 리 이션

을 활용하여 온라인

학습 내용에 한 퀴

즈를 실시하라

8.2. 퀴즈 난이도의 경우,

온라인 학습 내용에

한 확인 차원의 문

제와 더불어 오 라인

학습 활동에 련 있

는 문항을 개발하여

진행하라

오 라인 9. 학습자의 의견을 악 9.1. 오 라인 수업 과

- 52 -

다. 2차 문가 검토 결과 수정 방향

2차 문가 검토는 기존 문가 상과 역 학습 운 련 연구자

측면에서 검토가 이루어졌다. 먼 , 1차 문가 검토를 통해 나온 의견을

기반으로 략의 수정 보완이 제 로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기 해 1

차 문가 검토를 의뢰한 교수설계 문가 4명에게 연락하여 2차 검토의

뢰를 하 다. 그 검토 응답을 2명의 교수설계 문가를 상으로 2

차 문가 검토가 이루어졌다. 이와 더불어 실제 학에서 역 학습을 운

하 거나 련 발표실 이 있는 상자 3명에게 추가로 문가 검토를

의뢰 후, 이를 실시하 다. 수정된 2차 설계 략 반에 한 문가 검

토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 <표 Ⅳ-8>와 같다.

수업

기반의

온라인

콘텐츠

연계

하여, 보충 심화

학습 자료를 제공

안내하라.

후에 질의응답을 통해

학습자 의견을 악하

9.2. 학습자가 제시한 결과

를 바탕으로 추가 인

자료가 필요할 경우,

이를 온라인 상에 제

공하고, 만약 련 개

념이 이 차시에서

나올 경우, 해당 개념

에 한 온라인 학습

을 안내하라

- 53 -

<표 Ⅳ-8> 2차 설계 략 반에 한 문가 검토 결과

* 5 척도(5: 매우 그 다, 4: 그 다, 3: 보통이다, 2: 그 지 않다, 1: 매우 그 지 않다)

수정된 설계 략과 련한 문가 검토 결과, 설명력, 타당성, 성,

보편성, 이해도 모두 문가들은 4 에 해당하는 ‘그 다’보다 높은 응답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5명의 문가에 의해 수행된 2차 검토 결과, 채 자

간 일치도 지수(IRA)와 내용타당도 지수(CVI)는 모두 0.8이상으로 설계

략 반이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를 하는 것에 있어 타당한 설계

략이라 해석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총 5명의 문가에게 각각 개별 설계

략에 한 타당화가 이루어졌다. 문가 검토 결과, 와 비슷하게 각각

의 개별 설계 략에 한 타당화가 평균 4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비

교 타당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각각의 일반설계 략에 한 타당화

검토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 <표 Ⅳ-9>와 같다. 상세지침에 한 타당화

결과는 [부록 3]에 제시하 다.

항목

문가

평균표

편차CVI IRA

기존 문가

역 학습 운

발표자 상

A D E F G

설명력 4 5 5 5 5 4.8 0.40 5/5=1

4/5=0.8

타당성 5 5 4 5 5 4.8 0.40 5/5=1

성 3 4 4 5 5 4.2 0.75 4/5=0.80

보편성 4 5 5 4 5 4.6 0.49 5/5=1

이해도 4 5 5 4 5 4.6 0.49 5/5=1

- 54 -

<표 Ⅳ-9> 2차 일반 설계 략에 한 검토 결과

각각의 개별 략에 한 평균 역시 설계 략 반에 제시된 것과 마찬

가지로 평균이 모두 4 에 해당하는 ‘그 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 자간 일치도와 내용타당도 지수가 모두 0.8이상으로 모든 설계 략이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를 함에 있어 타당한 설계 략으로 볼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의견을 듣기 해 문가 검토를 의뢰한 총 5명을 상으로

인터뷰를 통해 설계 략 반, 각각의 일반설계 략 상세설계 지침에

한 의견을 수집하 다. 2차 문가 검토에서 이루어진 문가들이 제안

한 의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 설계 략 평균표

편차CVI IRA

1. 한 학기 다루어야 할 핵심 내용은

온라인 학습으로, 심화학습을 한 활

동은 오 라인 학습으로 연결하는 강

의계획서를 작성하라

4.6 0.49 5/5=1

8/9=0.89

2. 사례를 활용하여 수업을 설계하라 4.6 0.49 5/5=1

3. 오류찾기를 통해 학습 내용을 용하라 4.6 0.49 5/5=1

4. 다음 차시와의 연계성을 안내하라 4.6 0.49 5/5=15. 온라인 학습에 한 학습자 질문을

오 라인 수업에 반 하라4.8 0.40 5/5=1

6. 온라인 컨텐츠와 수업의 연계성을 표

하게 하라4.2 0.40 5/5=1

7. 성찰을 통해 학습을 종합하게 하라 4.4 0.49 5/5=1

8. 온라인 학습 여부 수 을 악할

수 있는 활동을 설계하라4.8 0.40 5/5=1

9. 학습자의 의견을 악하여 보충

심화 학습 자료를 제공 안내하라4.6 0.80 4/5=0.80

- 55 -

<표 Ⅳ-10> 2차 문가 검토 의견

략에 한 문가들과 면담을 종합해 보면, 크게 네 가지 측면에서 수

정 보완이 이루어졌으면 하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첫째, 온라인과 오

라인의 연계성이 보다 부각되기 한 표 과 부 한 표 의 수정하여

이를 명확하게 제시했으면 하는 의견, 둘째, 몇 몇 상세설계지침에서 략

활용이 이루어졌을 때의 순서를 고려한 설계지침의 순서 변경, 셋째, 온라

인 학습 컨텐츠가 개발된 이후 본 략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침

을 보완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있었다. 넷째, 략을 제시함에 있어 개별

인 용이 가능함이 부각될 수 있도록 디자인 측면에서 수정이 필요하

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문가들의 검토 의견을 반 하여 본

략에 수정된 부분을 정리하면 다음 <표 Ⅳ-11>과 같다.

기 문가 검토 의견 해당 사항

표 수정

설계 략 표 에 온오 라인 연계의

의미가 드러나도록 수정

·설계 략 2,3,4,7,9

·상세설계지침5.1, 6.1

부 한 표 수정 의미를 명확

하게 제시

설계 략 1

상세설계지침 1.1, 1.2,

2.1, 2.3, 3.1, 7.1

설계 략

순서 변경

략의 실제 용 순서에 따라 설계

지침의 순서 변경상세설계지침 5.2와 5.3

안 인

설계 략

온라인 학습 콘텐츠가 개발된 이후

용할 수 있는 상세설계지침 보완상세설계지침 3.1

체 구성

략의 개별 인 용이 가능함을

부각할 수 있도록 체 인 구성

디자인 수정

-

- 56 -

<표 Ⅳ-11> 2차 문가 검토 의견 반 사항

기 검토 의견 반 사항

표 수정

·연계성이 드러나도록 설계 략 2, 3, 4, 7, 9의 표 수정

·설계 략의 상세 설계 지침 5.1, 6.1 표 수정

·설계 략 1의 합하지 않은 단어 수정

·보다 의미가 명확하게 드러나도록 상세설계지침 1.1, 1.2,

2.1, 2.3, 3.1, 7.1 표 수정

설계 략

순서 변경상세설계지침 5.2와 5.3의 순서 변경

안 인 설계 략 상세설계지침 3.1 보완

체 구성 략 제시에 있어 체 인 디자인 수정

3. 최종 설계 략

2차 문가 검토를 통해 제안된 의견을 수정하여 최종 으로 학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략을 도출하 다. 최종 으로 제안하는 본 략

은 개념 탐색 용, 의미 구성에 해당하는 총 9개의 일반 설계 략과

21개의 상세 설계 지침이 도출되었다. 학 역 학습을 한 온·오 라인

연계 최종 설계 략을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표 Ⅳ-12> 학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최종 설계 략

방식 일반 설계 략 상세 설계 지침

강좌

핵심 내용은 온라인 학습으

로, 심화학습을 한 활동

은 오 라인 학습으로 수행

하는 강의계획서를 작성하

라(개념 탐색 용)

· 차시마다 온라인 학습을 한 핵심

개념을 제시하라

· 차시에서 제시한 온라인 학습의 핵심

개념을 용한 오 라인 학습활동을 설

계하고 이를 명시하라

- 57 -

온라인

콘텐츠

기반의

오 라인

수업

연계

사례를 활용하여 온·오

라인 수업을 설계하라(개

념 탐색 용)

· 온라인 학습 개발 시, 련 사례를 제

시하라

· 학습 내용을 명확히 하기 해 한

사례와 하지 못한 사례를 모두 제공

하라

· 오 라인 학습 상황에서 별로 사례

분석 활동을 수행하라

(가령, 교육 인 문제상황에 해 요구분

석 활동을 수행함)

오류찾기를 통해 온·오

라인 학습 내용을 용하

라(개념 탐색 용)

· 온라인 학습의 개념에 상반되는 오류가

포함된 학습 자료(동 상 혹은 게시 자

료 등의 형태)를 제공하라

(가령, 멀티미디어 설계 원리가 용되지

않는 자료를 개발하여 제공함)

· 별 오류찾기 활동을 통해 학습 개념

을 용하게 하라

(가령, 학습자들이 을 이 학습한 멀티

미디어 원리에 따른 오류찾기 활동을 진

행함)

온라인 학습에 한 학습

자 질문을 오 라인 수업

에 반 하라(의미 구성)

· 오 라인 수업 이 에 학습자가 온라인 학

습 콘텐츠에 한 단순 회상이 아닌 도 인

질문을 1개 이상 하게 하라

· 온라인 상으로 학습자 질문을 정리하

여 문서화하고 각각의 질문에 한 련

개념이 무엇인지를 제공하거나 제출한

질문에 해 코멘트를 제공하라

· 오 라인 수업을 통해 핵심 질문에

한 논의하는 시간을 제공하라

(가령, 온라인 학습 동 상에 한 질문

을 LMS 혹은 질의응답 게시 에 업로드

하게 한 뒤, 오 라인 수업에 학습자 질

문에 해 논의함)

온라인 컨텐츠와 수업의

연계성을 표 하게 하라

(의미 구성)

· 온라인 학습 내용이 오 라인 수업 활동과

어떠한 련이 있는지를 학습자에게 질문하고

이를 표 할 기회를 제공하라

· 온·오 라인이 어떠한 연결 계가 있

는지를 표 할 수 있는 컨셉맵(concept

map) 등의 시각도구를 활용하여 연계성

을 나타나게 하라

- 58 -

성찰을 통해 온·오 라인

학습 내용을 연계 종

합하게 하라(의미 구성)

·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활동에서 다

룬 학습내용을 종합 연계시킨 한

성찰일지 시와 하지 못한 시를

제공하라

· 차시별 온라인 콘텐츠 학습 내용에 기

반 한 수업 활동이 모두 포함된 개인별

성찰일지를 작성하게 하라

· 개인별 성찰일지에 한 동료 피드백

을 실시하여 연계성을 검토하게 하라

온라인 학습 여부 수

을 악할 수 있는 활동을

설계하라(의미 구성)

· 교육용 어 리 이션 등을 활용하여

온라인 학습 내용에 한 퀴즈를 실시하

· 퀴즈 난이도의 경우, 온라인 학습 내

용에 한 확인 차원의 문제와 더불어

오 라인 학습 활동에 련 있는 문항을

개발하여 진행하라

오 라인

수업

기반의

온라인

콘텐츠

연계

다음 차시의 온라인 학습과

의 연계성을 안내하라(개념

탐색 용)

· 오 라인 활동에 한 핵심 사항을 요

약하고, 다음 차시의 주요 학습 내용을

소개하라

· 수업 말미에 해당 차시의 학습이 다음

온라인 학습 내용과 어떠한 계가 있는

지를 고하라

오 라인 수업에서의 학습

자 의견을 악하여, 온라

인 형태의 보충 심화

학습 자료를 제공 안내

하라(의미 구성)

· 오 라인 수업 과 후에 질의응답을

통해 학습자 의견을 악하라

· 학습자가 제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

가 인 자료가 필요할 경우, 이를 온라

인 상에 제공하고, 만약 련 개념이 이

차시에서 나올 경우, 해당 개념에

한 온라인 학습을 안내하라

- 59 -

가. 강좌 운

1) 역 학습의 연계를 한 강의계획서 개발

역 학습의 온·오 라인 연계를 한 략 하나는 역 학습에 합

한 강의계획서를 설계 개발하는 것이다. 수업은 매우 계획 인 활동으

로 강의계획서는 해당 강좌의 학습목표와 진행 방식 등의 교육 방법과

련된 매우 기본 인 사항이다(변 계, 김 환, 손미, 2007). 한 강의계획

서는 한 학기 동안 해당 강좌가 어떠한 내용과 방식으로 진행되는지를 포

함하며 수업과 련된 여러 구성 요소들의 의미 계를 일목요연하게 보

여 주는 설계 결과물이다(류은주, 박진희, 2013; 정 숙, 김정민, 2012). 즉,

강의계획서는 구체 인 학습 내용과 활동에 한 체 이고 종합 인 설

계를 보여주는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재까지 이루어진 역 학습 련 문헌의 경우, 과제 이외에 구체 인

학습활동에 한 설명이 포함된 강의계획서를 찾기 힘든 상황이다. 한,

역 학습과 유사한 블 디드 유형의 강좌에서도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활동에 한 안내를 모두 포함하는 강의계획서가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

서 역 학습에 합한 강의계획서를 개발하여 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학습과 련된 온라인과 오 라인의 핵심개념이 무엇이며, 이들이 어떠한

계가 있는지를 명시 으로 나타내어 학습자에게 안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강의계획서에 포함되는 핵심 인 요소들은 체 수업에 한 지식

구성체의 총집합이라고 볼 수 있다. 지식 구성체는 해당 과목이나 가르칠

지식에 한 핵심 인 요소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기반으로 합한 수업

설계와 교수학습 략이 사용될 수 있다(Merrill, 2000).

온라인 학습과 이와 련있는 오 라인 수업에 한 핵심 내용을 설계

하여 제시하는 강의계획서는 수업이 실시되기 이 에 교수자는 역 학습

에 합한 강의계획서를 개발함으로써 온라인 학습 내용과 오 라인 활동

에 한 구조화 정교화를 통해 수업 설계에 한 청사진을 그릴 수 있

다. 한 학습자들에게 요구되는 구체 인 활동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매

- 60 -

주 온라인 학습과 련된 학습 활동을 학습자들에게 안내해 수 있다

(Donald, 2002).

<표 Ⅳ-13> 교육공학 강좌의 역 학습 강의계획서 일부

나. 온라인 콘텐츠 기반의 오 라인 연계

1) 사례를 통한 수업 설계

사례를 학습에 활용하는 경우에는 련 지식이 어떻게 용되었는지,

과제를 어떻게 수행하 는지 등의 활동이 포함된다(임철일, 연은경, 2009;

Kolodner, 1993). 학습자들은 해당 사례에 한 분석을 통해 자신이 습득

한 지식이나 이론을 용하는 과정을 거쳐 어떠한 개념이 사례에 어떻게

용되었는지를 학습자가 능동 으로 악할 수 있다(Williams, 1992). 이

는 사례가 이 의 학습한 내용을 실제 활동과 유기 으로 연결시킬 수 있

는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사례는 개념 용을 한

제시 략으로도 활용되어 일상 방식에서는 결정 속성을 지닌 핵심

내용과 쉬운 사례를 제시하고, 심화 방식에서는 보다 어려운 사례를 제시

주 강의실 활동 온라인 학습 련 주제

4

(9/22)

· 교수체제설계 모형의 특성

이해와 용

√ 한 시간의 수업을 어떻게 설계

할 것인가?5

(9/29)· 교안 개발 실습

√ 의미있는 학습 환경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8

(10/20)

· 교수 매체 특성

· 교수 매체 교육 가능성

논쟁의 이해

√ 교육용 매체의 개발 원리와 기술

√ 워포인트, 비디오 편집, 촬

9

(10/27)· 간고사

10(11/3)

· 워포인트 자료 개발 실습

· 비디오 편집 실습√ 어떻게 수업을 실제로 할 것인가?

11

(11/10)

· 교수 실행 실습

· 비디오 촬 실습

√ 교수 로그램을 어떻게 평가

할 것인가?

- 61 -

를 통해 학습 개념에 한 용이 가능하다(박성익 외, 2012; Leshin,

Pollock, & Reigeluth, 1992). 한, 사례를 활용하는 사례기반학습

(Case-Based Learning, CBL)은 학습자의 활동을 심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을 지닌다(임철일, 연은경, 2009). 이는 학습자 심 활동을 강조하는

역 학습의 오 라인 활동 취지와 그 맥락이 같다고 볼 수 있다.

역 학습의 맥락에서 온·오 라인이 유기 으로 이루어지기 한 사례

의 활용은 온라인 학습의 경우, 개념과 련된 사례를 제시하고, 오 라인

에서는 이에 한 학습자의 실제 분석 활동을 통해 연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2) 오류를 포함한 학습 자료의 개발 이에 한 오류찾기 활동

교수자는 온라인 콘텐츠 등의 학습 자료를 개발함에 있어 핵심 개념과

더불어 련 자료를 의미 있게 구성해야 한다. 단순히 교수자의 설명 심

의 온라인 컨텐츠만 활용하는 경우 학습자들은 기계 으로 학습 내용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는 학습자들이 지식을 수동 으

로 받아들이게 될 뿐만 아니라 심도 있는 학습의 진, 그리고 학습내용

에 한 유의미화를 이끄는 것에 부정 인 향을 미칠 수 있다(Bates &

Galloway, 2012). 역 학습에서 선수지식을 제공하는 학습자료로 온라인

콘텐츠가 주로 활용된다. 콘텐츠를 개발함에 있어 다양한 시나 오류 등

의 요소를 활용하는 것은 학습 내용을 자세하고 명확하게 제시할 뿐만 아

니라 학습자들이 내용을 이해하는 것에 있어서 정 인 향을 미칠 수

있다.

그 하나의 요소로 오류를 활용할 수 있다. 구성주의에 있어서 오개

념과 오류는 제거되어야 하는 부정 인 것으로만 여겨지지 않는다. 즉, 오

류는 학습자들의 학습 과정에서 련 지식을 어떻게 습득하여 용하는지

등의 지식 구성과 련하여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Borasi, 1996). 한,

학습자들이 개념과 원리를 습득하고 련 자료에서 오류를 분석하고 수정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학습 내용의 이해 용의 측면에서

효과 이며 상하지 못했던 추가 인 결과를 찾아내게 함으로써 탐구의

- 62 -

기회를 제공한다(Borasi, 1996). 이는 오류가 역 학습에서 이루어지는 온

라인 학습 내용과 오 라인 활동을 연계시키는 하나의 요소로 활용되어

학습자들이 지식을 구성 하는 것에 있어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면모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활용한 략에 해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 온라인 컨텐츠를

통해, 교수자는 학습 내용에 해당하는 가장 요하면서도 두드러진 오류

를 학습자들에게 명확히 제시한다. 학습자들은 이러한 내용을 학습한 뒤,

이를 오 라인 활동에서 한 연습(Practice)를 통해 연계시키는 것이

다. 오 라인에서의 오류 분석 활동을 통해 학습 내용과 응하지 않는

요소 반과 세부사항을 을 구성하여 검토 분석하여 발표하게 한다.

잘못된 혹은 학습 내용에 응하지 않는 오류가 무엇인지를 스스로 수

행하는 분석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은 해당 학습 개념에 한 정확한 연합

을 이끌 수 있을 것이다.

3) 학습자 질문을 통한 연계

수업 상황에서 교수자는 학습자의 학습 내용에 한 이해와 용이 제

로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특히 역 학습의 경우, 한 차시에 온

라인 학습과 오 라인 활동이 모두 이루어짐에 따라 두 방식에서의 학습

내용과 활동이 별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온라인

학습에서 오 라인 활동으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핵심 개념들에 한 검

이 필요하다. 역 학습에서 이러한 검과 연계는 질문을 활용함에 따라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임철일, 2014).

학습자의 질문은 온라인과 오 라인 학습 환경에서 하나의 의사소통 수

단과 매개체로 활용할 수 있다(강향림, 2009; 임철일, 2014). 한 학습한

내용을 이해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련 내용에 한 심층 인

사고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학습 내용이나 활동을 학습자가 능동 으로 이

경험, 사고, 정보, 학습한 지식 등과 연결시켜 학습자의 지식 구성 능

력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King, 1994).

역 학습에서 온라인과 오 라인을 연계하기 한 략으로 학습자 질

- 63 -

문을 활용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순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먼 , 학

습자는 오 라인 수업 이 에 온라인 학습에 한 도 인 질문을 LMS

게시 을 활용해 제기하고 이를 공유한다. 이에 해 교수자는 온라인 피

드백을 제공하여 련 학습 내용에 한 이해를 향상시킨다. 오 라인 수

업에는 학습자들이 제기한 주요 질문을 선별하여 질문에 한 논의 과정

을 거친다. 이러한 학습자 질문을 활용한 수업 설계는 연계뿐만 아니라

역 학습이 추구하는 학습자 심 교육을 통한 지식 구성이 가능하다.

[그림 Ⅳ-1] 학습자 질문 활동 온라인 피드백

4) 온라인 학습 자료와 오 라인 수업의 연계성에 한 시각 인 표

학습한 내용들을 서로 연계시키는 것은 수업이 이루어지는 학습 환경

에서 요하다(박성익, 2003). 특히 역 학습과 같이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수업이 모두 한 차시에 이루어져 방 한 양을 학습하는 경우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수업의 련 내용들이 서로 유기 으로 연계 조직되

어 있는지를 고려하는 것은 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계는 시각

인 표 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시각 인 표 즉, 시각화 활동은 어떠한 의미, 사고, 생각 등을 에

- 64 -

보이는 그림이나 도형 등으로 표 하여 이에 한 의미 구조를 이끌어 내

는 것이다(Rha & Park, 2010). 이는 학습한 내용에 한 이해를 증진시키

고 이를 명료화 할뿐만 아니라 여러 정보나 내용을 하나로 종합하는 기본

수단이 된다.

시각 으로 내용을 조직하고 련시키는 것 하나로 개념도가 있다.

개념도는 어떠한 내용 역에 속하는 련 요소나 핵심 아이디어를 2차원

도식으로 나타내어 연계시키는 것이다(Jonassen, Beissner, & Yaci,

1993). 이러한 개념도는 학습자들의 사 지식을 검하는 기능을 하며

(Cho, Lee, & Jonassen, 2011), 학습자가 학습 내용을 서로 연 통합

할 때에도 유용하게 활용되며 이를 통해 유의미 학습을 야기한다(Novak,

2010; Roth, 1994). 특히, 개별이 아닌 별로 력 으로 개념을 구성하게

되면 련 학습 내용을 통합하는데 정 인 향을 야기한다(김 수,

2011). 이는 개념도 등을 포함한 시각화 활동이 역 학습의 온라인 학습

과 오 라인 수업에 한 련 내용들을 서로 연결시키고 통합시킬 수 있

는 하나의 략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 새로운 지식들 사이

의 계 혹은 새로운 지식과 학습자의 기존 지식과의 계를 연결시켜

으로써 주요 아이디어나 사실을 기억하도록 도와주는 역할과 동시에 수업

의 체 인 윤곽 속에서 아이디어들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나타냄

으로써 학습의 의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본다.

[그림 Ⅳ-2] 력 개념도를 활용한 시각화 활동

- 65 -

5) 성찰일지를 통한 학습 종합

성찰은 이 지식과 경험, 그리고 새로운 지식과 경험을 련시키는 특

징을 지니는 것으로 학습에 있어서 매우 요하다(강인애, 유승 , 강연

경, 2011; 이 태, 임철일, 2013; Brodie, 2007; Williams, 2006). 특히, 역

학습의 경우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활동이 모두 한 차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의 교수학습 방식보다 많은 학습 개념과 지식을 포함한다.

역 학습 강좌를 운 한 Wilson(2013)은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활동

을 연계하기 해서 학습자들이 해당 차시의 수업과 련하여 되돌아보는

반추 인 활동이 필요함을 언 하 다. 성찰은 학습자가 학습 경험을 조

망하고 경험한 활동들에 해 최종 으로 반추하는 활동이다(Dewey,

1997). 이는 학습자가 여러 방법을 통해 하게 되는 정보를 의미 있는

학습의 과정으로 환시켜 다. 즉 성찰 활동을 통해 이론과 실제의 통

합이 일어난다(Buckingham, 2003).

이를 통해 보아 역 학습에서 학습자 성찰이 온라인과 오 라인을 연계

시킬 수 있는 략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성찰을 지원하는 도구 가장 표 인 것으로 성찰일지를 활용

할 수 있다(강인애, 정은실, 2009; Williams, 2006; Brodie, 2007),

학습자 심의 활동으로써 성찰일지를 통한 온·오 라인 연계 략을

활용하면 학습자가 한 차시(온라인 학습 내용과 오 라인 활동)를 모두

되돌아 으로써 무엇을 학습하 는지, 그리고 학습 개념이 학습 활동과

어떠한 연 이 있는지를 반추하여 종합할 수 있다. 한, 개인별 성찰일지

에 한 동료 피드백을 통해 자신의 과 타인의 을 서로 비교, 분

석, 종합이 가능하다.

6) 온라인 학습 여부 수 을 악할 수 있는 활동 설계

온라인과 오 라인의 연계가 이루어지기 해서는 온라인 학습 여부

수 을 악해야 한다(임철일 외, 2014; Gannod, Burge, & Helmick,

2008; Frydenberg, 2013). 학습자의 수 과 학습을 검하는 기능으로써

- 66 -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퀴즈를 활용하는 것이다. 기존의 역 학

습 련 연구에서 퀴즈는 학습 내용을 확인함과 동시에 오 라인을 연결

시켜 주는 주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Frydenberg, 2013; Gannod,

Burge, & Helmick, 2008; Morin et al., 2008; Talley, & Scherer, 2013).

최근에는 이러한 퀴즈를 용이하게 만들고 퀴즈의 결과까지 즉각 으로 보

여주는 다양한 교육용 어 리 이션이 지속 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용 어 리 이션을 활용한 퀴즈 략은 학습자의 온라인 학습 여부

수 을 악하기에 용이하며, 이를 통해 오 라인 수업 활동의 난

이도 조 이 가능하다(고 진, 2014).

[그림 Ⅳ-3] 교육용 어 리 이션(socrative)을 활용한 학습자 수 상태 악

다. 오 라인 수업 기반의 온라인 콘텐츠 연계

1) 다음 차시의 연계성 안내

단순히 해당 차시에 한 요약 정리를 제공하는 것은 학습자가 해

당 차시의 내용에만 심을 가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오 라인 수업 시간에 해당 차시가 다음 온라인 콘텐츠와 어떠한 계를

지니는지를 제시하는 것은 체 인 큰 주제와 방향을 유지함과 동시에

- 67 -

련 주제들에 한 련성을 악하는 것에 있어서 안내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다시 말해, 다음 차시의 학습을 안내하는 것은 학습자들이 수업을

통해 배운 내용과 앞으로 학습할 내용을 연계하여 학습에 한 결과를 지

속 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는 수업 후반부에 용되는 략으로 본 시간에 배운 내용을 상기시

키고 다음 수업에서 배울 학습 내용에 한 암시나 단서 혹은 연 성을

함께 제공하는 것으로 오 라인 기반의 다음 주차 온라인 학습 내용 간

연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2) 학습자 의견 기반의 보충 심화 학습 자료 제공

학교육에서 온라인과 오 라인을 통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

에 한 활용 혹은 용을 도와주는 교수 략이 필요하다(이혜정, 이성혜,

2007). 역 학습과 같은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의 경우 이에 한 교수자의

경험의 많지 않기 때문에 온라인과 오 라인을 유기 으로 연계하여 설계

용하는데 문제 이 발생할 수 있다. 역 학습을 포함한 블 디드 러

닝은 단순히 통 으로 진행되던 오 라인 수업에 온라인 학습자료를 병

행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의 요구를 기반으로 여러 방법이나 매체들을

유기 으로 연계하는 교수학습 방법 혹은 략이다(오인경, 2004;

Driscoll, 2002). 한, 교수학습의 패러다임의 변화로 교수설계와 이에

련된 략 등에 한 연구에 있어서 학습, 그리고 학습자는 그 요성을

지니고 있는 상황이다(Kim, Lee, Merrill, Spector, & van Merrienboer,

2008). 이러한 들은 모두 학습자의 요구가 교수설계 련 연구에 있

어 요한 요인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역 학습의 연계를 한 략으

로 학습자의 요구와 필요, 그리고 그들의 의견을 기반으로 히 혼합하

는 경우, 보다 더 한 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오 라인 수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학습자들의 의견을 실시간으로 악

하는 것은 학습 수업의 안내와 설계에 있어서 어떠한 보완이 필요한지

를 알 수 있게 해 다. 이러한 은 역 학습의 맥락에서 학습자들의 의

견을 바탕으로 온라인 수업의 난이도 등의 설계와 추가 인 학습 안내가

- 68 -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역 학습에서 온라인과 오 라인의 유기 인 연계를 해 학습자의 의

견을 악하는 것은 오 라인 수업 기반의 온라인 컨텐츠 연계에 속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는 오 라인 수업에서 학습자의 의견을

악하여 온라인 형태의 보충 심화 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 이와 더불어 학습자가 오 라인 수업 이나 후에 제시한 의견을 수렴

하여 련 참고 자료를 온라인상의 학습 리시스템(LMS)에 제시하는 경

우, 교수자는 온라인과 오 라인을 조화롭게 연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

라 학습자는 이에 한 자료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69 -

4. 학습자 반응

학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역 학습의 온·오 라인 연계 략에 한 학

습자 반응을 악하기 해 총 5명의 학습자를 상으로 개별 으로 면담

을 실시하 다. 이러한 면담을 통해 본 설계 략 반에 의견, 설계 략

의 강 , 약 , 개선 의 측면에서 련 자료를 분석하 다.

가. 온·오 라인 연계 설계 략 반에 한 의견

학습자 인터뷰 결과에 한 분석을 통해 본 략에 한 반 인 강

과 약 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표 Ⅳ-14>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략에 한 반 인 강 과 약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략에 한 반 인 강 은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다양한 연계 략으로 인한 학습의 효과성, 그

구분 범주 학습자 반응 빈도

다양한

연계 략에

따른 학습의

효과성

온라인 학습 내용과 연계된 다양한 학습활동을

할 수 있었음3

다양한 략으로 효과 인 학습이 이루어짐 2

유의미한

학습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보다 잘 이루어짐 2

학생들의 많은 참여가 이루어짐 2

학습이 유기 으로 연결됨 2

학습자의 주체성이 강조됨 1

수업 자체에 한 부담감이 어 활동을 즐기게 됨 1

학습 시간과

노력에 한

부담감

학습에 한 노력이 많이 듬 2

다양한 략이 한 차시에 모두 이루어지는 경우

학습 시간이 많이 소요됨2

- 70 -

리고 유의미한 학습의 측면으로 나타났다.

첫째, 한 학기 동안 이루어진 역 학습의 수업 방식에서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수업을 연계하기 한 본 략으로 인해 다양한 학습활동이 이

루어졌으며 온라인과 오 라인이 유기 으로 연결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계를 하는 것에 있어서 여러 가지 략을 쓰고...교육공학에서 배운 내

용에 한 지식들을 실제로 경험하면서 제가 교육공학을 배우는데 있어

서 도움이 되었어요.”(면담자 A)

학습자들은 이러한 다양한 연계 략으로 인한 학습 내용과 활동의 유

기 인 연결이 학습에 정 인 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일단 온라인에서 배운 내용을 오 라인에서 활동을 하는 것이 학습에 있

어서 효과 이었던 것 같고, 반 으로 희가 했던 활동에 한 연계에

한 부분은 잘 이루어진 것 같아요.” (학습자 C)

“온오 라인 연계를 통해 한 과목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학습을 하게 된다

는 이 가장 큰 장 이에요. 스스로 속도를 조 해가면서 원하는 시간에

듣는 온라인 강의, 질문과 퀴즈로 연결되는 오 라인 설명, 사례를 바탕으

로 한 오 라인 활동, 조별 토론.., 그리고 이후의 성찰과 과제, 각종 교육

자료 개발까지 사실상 거의 모든 형태를 거치면서 교육공학의 개념을 학

습하게 되어서 효과 일 수밖에 없다고 생각해요.”(학습자 D)

이러한 의견들을 통해 학교육에서 이루어진 역 학습에서의 온·오

라인 연계 략이 학습자들과 학습에 있어서 유용하 음을 확인할 수 있

었다.

둘째, 학습자들은 역 학습에 한 본 략으로 인해 유의미한 학습이

발생한 을 강 으로 제시하고 있다. 즉, 온라인과 오 라인을 연계하기

한 본 략들은 학습자가 학습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이끈 것이다.

유의미한 학습이 발생하는 것에는 온라인과 오 라인의 양방향 인 유기

- 71 -

인 흐름이 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일단 온라인에서 강의를 듣고 퀴즈도 풀고, 질문도 올려야 되고, 성찰일

지도 해서..강의만 들으면 그냥 지나갈 수 있는데 희는 뭔가 유기 으

로 이어진 활동을 한 거잖아요. 그래서 의미를 부여하게 되고 의미 있는

학습이 많이 충족이 되었던 것 같아요.” (학습자 B)

한, 이러한 온라인 학습과 연계된 오 라인 활동은 학습자가 오 라

인 학습에 한 부담감을 어들게 하고, 오히려 수업 그 자체를 즐기고

자 하는 마음을 나타내기도 하 다.

“온라인 학습을 듣고 활동을 하러 오니까 그거 자체는..수업 자체는 부담

이 었어요. 수업 자체는 가벼운 마음으로 제가 공부했던 것을 확인하

고, 조별로 활동을 하고 해서 수업 자체는 즐거운 마음으로 왔었어요.”

(학습자 B)

이 외에 ‘무엇보다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진 수업’, ‘다른 과목에 비해서

많이 참여한 수업’, ‘수업에서 주도하는 사람이 나’라는 응답을 한 것으로

보아, 본 략을 포함한 역 학습 수업 운 으로 인해 교수자와 학습자의

지속 인 상호작용이 나타나고 학습자의 능동 인 참여를 유도하여 체

으로 유의미한 학습을 이끌었다고 볼 수 있다.

“교수님이랑 학생들이랑 상호작용이 바로바로 일어나잖아요 피드백이...그

니까 이거에 해서 이 부분 괜찮지 않아요? 이 부분에서 어떤 이 잘

못되어 있다고 생각하느냐고 교수자가 질문하고 이거에 해 답 하고,

그리고 바로바로 피드백을 주니까 바로 와 닿더라구요.” (학습자 A)

반면, 이러한 강 과 달리 본 략에 한 반 인 약 으로는 학습자

들이 다양한 략으로 인하여 학습 시간과 노력의 측면에서 부담감을 보

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72 -

“교육공학과 더불어 다른 과목도 비슷비슷한 기여를 하며 듣고 싶은 사람

들에게는 온오 라인 연계와 각 수 의 학습활동으로 이루어진 이번 수

업이 소요되는 노력이 무 많아지는 구조인 것 같아요.“(학습자 D)

한, 한 차시에 여러 략이 동시에 용된 경우, 이에 한 학습 부담

감을 나타내기도 하 다.

“다양한 략이 한 차시에 많이 이루어지니까...질문도 올리고, 성찰일지도

올리고, 개별 보고서도 올리고.. 그러니까 시간이 부족했어요..부담감이

좀...“(학습자 B)

이러한 의견을 보아, 학습자의 학습 시간과 노력을 고려하여 학습자의

부담을 야기하지 않게끔 본 략이 개별 으로 한 차시마다 용되어야

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나. 연계 설계 략의 강

설계 략에 한 학습자 면담 자료를 분석하여 도출된 강 을 정리하

면 아래와 같다.

<표 Ⅳ-15> 개별 설계 략에 한 강

설계 략 학습자 반응 빈도

역 학습의

연계를 한

강의계획서

개발

안내 역할수업 운 과 연계를 한 안내를 제공함 5

참고자료로 활용 가능함 1

용이성강의계획서가 구체 으로 제시되어 있어

용이함4

사례를 통한

수업 설계

학습 내용

습득 용

사례를 통해 학습 내용을 명확히 획득하여

용할 수 있었음5

온라인과 오 라인 모두에 걸쳐 다양한 사례

가 제시되어 도움이 됨2

- 73 -

연습 기회

제공

온라인과 오 라인 두 방식으로 인해 반복학습

연습이 이루어짐1

오류를 포함한

학습자료 개발

오류 찾기

활동

학습 유도

오류를 찾기 한 기 과 근거를 세우기

해 온라인 컨텐츠와 더불어 련 자료를

주도 으로 찾게 됨

3

내용 이해

용의

명확성

오류 찾기가 학습 내용을 회상하고 이해

용하는데 보다 명확성을 제공함3

수용다른 사람의 을 통해 추가 인 원칙을

확인함1

학습 동기

향상참여도나 흥미가 높음 1

학습자 질문을

통한 연계

피드백을

통한

학습 증진

질문을 만들고 이에 한 피드백 제공을 통해

생각이 명확해짐4

학습에 한 책임감과 동기가 향상됨 2

수용 련 생각을 공유할 수 있음 1

시각화 활동을

통한 온라인

오 라인

학습 연계

학습 내용

회상지식을 회상하고 검하는데 도움을 4

정보 구조화 내용과 활동의 구조화가 용이함 3

성찰일지를

통한 학습

종합

학습의

내면화보다 학습내용을 종합하여 내면화가 이루어짐 3

작성의

용이성

좋은 시와 나쁜 시를 통해 작성에 한

어려움이 어듬1

온라인 학습

여부

수 을 악할

수 있는 활동

설계

매개 역할

학습 내용을 확인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함 3

학습 활동을 집 하는데 도움이 됨 1

다음 차시의

연계성 안내

사고 기회

제공

미리 다음 학습 주제에 해 생각하는 기회를

제공함2

학습자 의견

기반의 보충

심화학습

자료 제공

학습 유도오 라인 수업을 보완하고 수업 외 학습을

유도함4

매개 역할

의견이 반 되어 정말 필요로 하는 자료를

얻을 수 있었음3

상호작용 이 많이 반 됨 2

- 74 -

1) 역 학습의 연계를 한 강의계획서 개발

역 학습에 합한 강의계획서에 해 학습자들이 느끼는 강 하나

는 수업 연계에 한 안내를 제공한다는 이다. 한, 이에 해 학습자

들은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활동에 한 참고자료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게 연계를 하기 한 안내를 해 주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기존의 일반 인 강의계획서보다 더 구체 이고 온라인 학습

내용과 오 라인 활동을 모두 제시해 주니까... 그리고 진행방법, 평가방

법, 뒤에 보면 실습활동을 하는 등의 세부 으로 안내가 되어 있잖아요.

활동을 하는 등의 유용한 참고가 되었고..." (면담자 E)

"이런 구성은 좋은 것 같아요. 온라인 강의만 들어라가 아니라 이것도

계획서상에 들어있으니까 제가 뭘 하는지 알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

고... 반 으로 수업 설계 계획서는 정교화하게 만들어졌다는 에서 좋

았어요." (면담자 B)

이러한 의견은 구체 인 강의계획서가 역 학습에서 이루어지는 온라인

과 오 라인 간의 계에 한 안내 학습 진행과 련된 사항을 제공

하는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온라인과 오 라인의 연계를 고려한

강의계획서를 교수자가 개발하여 학습자들에게 제공하는 것은 학습자들에

게 수업이 어떻게 연계될 수 있는지에 한 련 정보를 주어 학습자에게

유용하 다고 볼 수 있다.

한 역 학습에 합한 강의계획서 개발은 다른 강좌보다 자세하게 기

술되어 있고, 해당 내용과 활동에 한 세부 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는

측면이 학습하는 과정에 있어서 정 인 향을 미치고 있다.

“교육공학이라는 과목 특성상 각 주제어들이 공부하기 에는 비슷비슷해

보인다는 어려움이 있는데...다른 강의계획서에 비해서 해당 주차의 내용

이 구체 으로 제시되어 있어서 좋았고, 어떤 주제를 다루는지 내용별로

- 75 -

명시해놓은 이 편리했다” (면담자 D)

2) 사례를 통한 수업 설계

온라인에서 련 사례를 제시하고, 오 라인에서 실제 사례에 한 분

석활동을 하는 사례를 통한 수업 설계 략의 가장 큰 장 으로 학습자들

은 학습 내용을 명확하게 획득하게 되며 실제 학습한 내용을 용하는데

있어 좋다는 의견이 많았다.

“개념을 용하고 어떠한 이 요한지를 다시 한 번 볼 수 있는 게 좋

은 것 같아요. 그거를 듣기만 했으면 그 구나...하고 넘어갈 수 있는데

사례를 보면서 개념을 좀 더 확실하게 습득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되었던

것 같아요." (면담자 C)

이러한 온라인과 오 라인에서 사례를 모두 제시하는 략은 학습자들

이 활동 사례 분석에 한 연습을 하는 차원에서 학습 내용에 한 반

복 학습을 이끌게 되고, 보다 학습 내용에 한 충분한 연습의 기회를 제

공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온라인에서 사례를 제시하고, 오 라인에서 다른 사례를 제시하니까

연습차원에서 한 번 더 수행차원에서 도움이 된 것 같아요. 온라인에서

는 달만 받게 되는데 오 라인에서는 희가 연습할 기회를 갖게 되니

까...한 번 해보고 실제 으로 원리를 배운 것을 용해 본 거 잖아요.”

(학습자 A)

한 의 의견과 유사하게 온라인과 오 라인의 학습 환경에서 모두

사례를 제공하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다양한 련 사례를 할 수 있는 부

분이 좋았다는 의견을 제시한 응답자도 있었다.

“온오 라인 양쪽에 걸쳐 사례가 제시되어 훨씬 풍부한 사례를 할 수

있다는 이 좋았어요.” (면담자 D)

- 76 -

이러한 의견들은 종합하면 사례를 활용하여 역 학습 수업을 설계 하는

경우, 학습 내용이 실제 분석 활동에 용되는 측면에서의 용이함을 주고

학습자들이 과제 수행에 있어서 다양한 사례들이 도움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3) 오류를 포함한 학습 자료의 개발 이에 한 오류찾기 활동

오류를 포함한 학습 자료의 개발 오류찾기 활동 략에 하여 다

수의 학습자들은 오 라인에서의 오류 찾기 활동이 온라인 학습 내용을

회상하고 이를 이해 한 뒤, 실제 활동에 용하는데 있어 학습한 내용이

보다 명확해진다는 을 장 으로 보고 있다.

“원리를 용해서 무언가를 개발해야 하는 활동의 경우, 오류 찾기 방식의

수업이 상당히 도움이 되었어요. 원리가 보통 ‘이 게 해야 한다’인 반면

오류 찾기는 ‘이 게 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를 가르쳐주는데, ‘수많은 원리

를 다 용해야지’ 하는 생각에 긴장하고 있다가도 ‘이런 하지 말아야 할

것들’을 하면 훨씬 머릿속이 간단해지는 느낌이에요.” (면담자 D)

이와 더불어 오류를 찾기 한 확실한 기 과 근거를 세우기 해 온라

인 학습내용뿐만 아니라 필요한 자료를 주도 으로 찾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하여 능동 인 학습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강 으로 제시하 다.

“이번 수업에서 오류 찾기 활동의 경우 내가 모르는 부분에 한 근거를

더 찾으려고 책도 더 보고 그러더라구요. 활동 에 온라인 강좌를 기반

으로 무엇을 기 으로 본다는 것을 배울 수 있는 느낌이 있었고...” (면

담자 E)

이는 오류를 포함한 자료의 개발 오류찾기 활동이 역 학습의 온라

인과 오 라인의 유기 인 연결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자기 주도

으로 학습을 하는데 도움을 것으로 볼 수 있다.

- 77 -

이 외에도 오류찾기 활동이 학생들의 주의집 을 높이고 참여를 유도하

으며, 학습에 한 흥미가 높았다고 응답하 으며, 별 오류찾기 활동

으로 인해 다른 사람의 에서는 다른 오류를 발견하여 학습 내용을

서로 공유할 수 있는 것이 강 이라고 응답하 다.

“온라인 상에서도 잘못된 오류에 해 설명해 주셨고, 직 찾아보는 활

동이 학생들의 주의나 집 을 높이고 학생들의 참여도나 흥미도 높았던

것 같아요." (면담자 C)

“제가 온라인으로 들었을 때는 약간 수동 으로 봤잖아요. 이게 오류네

오류... 근데 짝지어서 보니까 는 경향이 있잖아요. 내가 생각했을 때,

이거는 정말 오류다..근데 다른 사람은 다른 것을 으로 보니까

그런 것 들을 확인해 볼 수 있어서 좋았어요.” (면담자 B)

4) 학습자 질문을 통한 연계

학습자의 질문을 통한 연계 략에 해서 가장 큰 강 으로는 학습자

질문 생성과 이에 한 피드백으로 나타났다. 연계를 함에 있어 학습자들

이 오 라인 수업 이 에 질문을 생성하고 교수자가 온라인 상에서 련

피드백을 제공한 뒤, 오 라인 수업에서는 학습자들의 질문에 해 교수

자 학습자들이 모두 논의하는 과정이 학습자들이 느끼는 가장 핵심

인 연계 략이라고 보고 있다.

“온라인 학습이 자칫 잘못하면 ‘나는 강의봤으니까 끝’ 같은 느낌이 될 수

도 있는데, 질문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서 온라인 학습이 오 라인으로

책임감 있게 연계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그리고 무엇보다 학습한 것들

에 한 생각이 명확해졌어요. 사실상 연계된다는 느낌을 주는 핵심 과

정이 질문과 피드백 같아요.” (면담자 D)

학습자들이 온라인 학습 내용에 한 질문을 생성하고 이에 해 교수

자가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자신의 질문에 한 쟁 , 그리고 학습한

- 78 -

내용에 한 생각을 명확하게 하는데 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한, 이러한 학습자 질문 생성과 피드백에 해 ‘학습에 한 책임감과

동기가 향상되었다.’ 등의 의견이 언 된 것으로 보아 교수자가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학습자들에게 인지뿐만 아니라 정서에도 향을 미쳐 학습

에 한 동기를 부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외에 온라인 상에 학습자들이 생성한 질문을 정리한 문서 공유를 통

해 ‘다른 사람들의 질문을 보면서도 많이 느끼게 된 것 같아요’. ‘이 학생

은 이런 생각까지 하고 이런 생각을 할 수도 있는 거구나.’ 등을 언 하면

서 학습 내용과 생각에 한 공유도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시각화 활동을 통한 온라인과 오 라인 연계

온라인 학습 자료 오 라인 수업의 연계성에 해 시각 인 표 으

로 본 연구에서는 력 개념도를 만드는 활동을 하 다. 해당 략에

해 학습자들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강 을 제시하 다.

첫째, 내용과 활동을 모두 연계하여 구조화하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것

이다. 이는 시각화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이 학습 내용과 활동의 의미 구

조를 이끌어 냈다고 볼 수 있다.

“컨셉맵 작성 등으로 표 하게 하는 방식은 우리가 온라인과 오 라인 수

업을 슬그머니 떼어 놓고 생각하다가도 다시 연결해서 생각하게끔 했어

요. 이 때 부담스럽고 긴장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런 활동을 통해서 온

라인 강의로 스쳐 지나갔던 내용과 오 라인 활동이 제 로 조직화된 것

같아요.” (면담자 D)

이는 시각화 활동이 학습한 내용에 한 회상을 야기하고 여러 정보

내용을 하나로 종합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지식을 다시 회상하는 것에 있어서 도움을 주었다고 응답하 다.

- 79 -

“일단 어떤 개념이 있었는지를 확인하고 왜 필요한지 검하는데 도움이

되었어요” (면담자 C)

“직 하니까 기억에도 많이 남는 것 같고...그런 기억을 활성화시키는 측

면에서 연계가 이루어진 것 같아요." (면담자 B)

이는 시각화 활동이 학습한 내용을 회상하여 기억하도록 도와 으로써

련 지식들을 서로 연결시키는데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낸

다.

6) 성찰일지를 통한 학습 종합

성찰일지를 활용하여 성찰을 통한 학습 내용의 종합 략의 경우, 성찰

일지를 작성하는 것인 학습 내용을 통합하여 학습의 내면화를 이끌게 되

었다는 이 좋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장 은 일단 그냥 지나갔으면 스쳐 지나갔을 내용도 다시 생각을 하고

의미를 찾아야 되니까 의미를 구성하게 되고, 의미 있는 학습으로 남는

다는 장 이 있는 것 같아요" (면담자 B)

“느낌으로 가지고 있던 것을 로 쓰면서 의식화 하니까 보다 더 면 하

게 살펴보게 되더라구요. 온라인에서 배운 내용들을 오 라인에서 활동

을 하면서 성찰일지에 련 내용을 썼었는데 이거에 해 제 자신을 메

타 으로 상화 시켜서 살펴볼 수 있잖아요.” (학습자 A)

이는 성찰일지를 통해 자신의 학습 과정 체를 반추함으로써 학습자가

온라인 컨텐츠와 오 라인 활동을 통해 습득한 학습 내용들을 보다 더 의

미있는 학습과정으로 변화시켜 주는 것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이 외

에, 학습자들이 성찰일지를 작성함에 있어 이에 한 좋은 시와 좋지

않은 시를 모두 제공하는 것이 참고자료로 활용되어 성찰일지를 쓰는

어려움을 여주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의견을 제시하 다.

- 80 -

7) 온라인 학습 여부 수 을 악할 수 있는 활동 설계

교육용 어 리 이션 등을 활용한 학습자 수 상태 악하는 략

의 강 으로는 학습 내용을 확인하는 매개체의 역할이 되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배운 것을 풀어본다는 게 되게 좋았던 것 같아요. 하면서 다른 질문

들도 나오기 때문에 간의 매개체의 역할을 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면담자 E)

학습자의 수 상태를 악하는 것은 온라인과 오 라인을 직 으

로 연계시켜 주기 보다는 두 학습 환경 사이에서 유기 인 연결을 도와주

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온라인 학습 내용 기반의 오 라인 활

동을 설계함에 있어 학습자의 수 상태를 악하는 것은 교수자가 오

라인 활동에서 미리 계획한 활동과 련 있는 문항을 통해 검함으로

써 오 라인 활동이 이루어지기 에 련 학습 내용을 확인해 볼 수 있

는 것이다. 한, 퀴즈에 해 학습자들이 오답을 제시한 경우, 오 라인

활동에 보다 집 하게 된다는 을 강 으로 제시하 다.

“이거를 하면서 내 수 을 확인해 보고...그래서 반 으로 학습 분 기

도 그려지면서 어느 정도 수 까지 맞고 그런 것들이 그려지면서 학습

내용을 집 시키는 효과가 있었던 것 같아요.” (면담자 B)

이는 퀴즈의 결과로 나온 자신의 수 상태를 확인하고 이에 한

오개념의 수정이 오 라인 학습활동 에서 야기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8) 다음 차시의 연계성 안내

다음 차시에 한 연계성을 안내하는 략에 한 강 으로 두 명의 학

- 81 -

습자는 본 략이 다음 학습 주제에 해 좀 더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안내하 다고 응답하 다.

“미리 그거에 해 생각해 보고 다음에 올 때는 무언가를 생각해 와야 되

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어서 학습에 있어서 좋은 안내가 되었던 것 같아

요. 미리 다음 학습 주제에 해서 생각해 보는 기회가 되는 것 같아요.”

(면담자 C)

이는 한 차시에 한 수업에서의 온라인과 오 라인이 연계되는 측면뿐

만 아니라 다음 차시에 한 안내가 학습할 내용에 한 심을 높이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한 차시 내에서의 온라인과 오 라인의 연계뿐만 아

니라 다음 차시에 한 수업이 유기 으로 연결될 필요성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9) 학습자 의견 기반의 보충 심화 학습 자료 제공

오 라인 수업 과 후에 학습자의 의견을 악하여 보충 심화학습

자료를 온라인 상에 제공하는 략에 해 학습자들의 의견을 분석한 결

과,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강 을 제시하 다. 먼 , 학습자 의견 기반의

보충 심화학습 자료 제공은 오 라인 활동 외 학습을 유도한다는 것이

다. 즉, 보충 심화자료가 오 라인 활동 후 련 온라인 학습으로 이어

지게 하여 학습 내용을 보완하는 보조 기능으로서 역할을 한 것이다.

“ 희가 많이 틀린 부분, 학습자 분석해서 반 하니까...ISD에 한 이해

가 부족해서...그리고 MOOCs도 호기심이 생겨서 etl에 들어가서 보충자

료를 다 봤었어요. 오 라인 기반해서 그 게 하니까 희의 반응을 가

지고 만든 자료라 그런지 학습을 좀 더 유도시키는 것 같더라구요.” (면

담자 B)

“보충, 심화자료가 추가 으로 제공되어 학습하게끔 하는 것은 좋은 아이

디어 인 것 같아요. 이게 부 다 오 라인 수업시간에 다룰 수 없는 거

- 82 -

니까 그거를 온라인으로 올려 놓는 것은 좋은 것 같아요.” (면담자 C)

이러한 의견을 통해 학습자의 요구가 역 학습의 온라인과 오 라인을

연계하는 것에 있어서 매우 요한 요인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다시 오 라인 활동 외에 학습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습자의 입장에서 그들이 실제 필요로 하는 자료에 한 확보

용이성을 지닌다.

“학습자의 의견이 수렴되어 반 되었다는 에서는 정 으로 생각해요.

한 평소에도 오 라인 수업 시간에 나온 의견에 한 추가 인 자료를

올려주셔서 학습하기에 편하고 좋았어요.” (면담자 D)

이는 수업에 한 설계 즉, 교수설계를 함에 있어 학습자의 요구를 분

석하여 이를 반 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보다 상호작용 인 수업이 이루어졌다. 실제로 학습자들은 자신의

궁 한 이나 필요로 하는 자료를 교수자가 LMS에 해당 자료를 업로드

하여 제공하는 경우에 있어서 자신들의 의견이 수업에 많이 반 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방 이지 않고 수업 설계 운 의 측면에서 상호작용 인 이 많

이 반 되었던 것 같아요” (면담자 E)

다. 연계 설계 략의 약

본 설계 략에 한 학습자 반응을 분석한 결과, ‘역 학습에 합한 강

의계획서 개발’, ‘사례를 통한 수업 설계’, ‘오류를 포함한 학습 자료 개발

오류찾기 활동’, ‘학습자 질문을 통한 연계’, ‘성찰일지를 통한 학습 종

합’, ‘다음 차시의 연계성 안내’ 총 여섯 가지 략에서의 약 이 도출되었

다. 학습자 반응을 분석한 설계 략에 한 약 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83 -

<표 Ⅳ-16> 개별 설계 략에 한 약

첫째, 역 학습에 합한 강의계획서 개발 략에 있어서 학습자들은

강의계획서에 제시된 구조의 측면에서 약 을 언 하 다. 즉, 강의계획서

에서 제시된 온라인 학습 주제와 오 라인 활동이 보다 가시 으로 한

에 알아보기 힘든 이 있다는 것이다. 이에 해 학습자들은 소셜 네트

워크 서비스 메신 를 활용하여 해당 차시의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활

동에 해 서로 의논하는 모습을 나타내기도 하 다.

“ 희들끼리 따로 소셜네트워크 메신 를 사용하거든요. 그때 우리 매주

나온 질문이 ‘우리 몇 주차 강의들어야 하는거야?’ 이거 어요. 구조 때

문에 혼선이 조 있었어요. " (면담자 B)

이는 강의계획서에서 제시된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활동을 명시하는

것에 있어서 학습자들이 이를 즉각 으로 악하는데 어려움을 수 있

설계 략 학습자 반응 빈도

역 학습의

연계를 한

강의계획서 개발

구조의

불편함

강의계획서상 연계성을 안내하는 구조의

불편함4

사례를 통한

수업 설계

사례 활동지

제공 시기

오 라인 학습활동에 한 사례가 미리 공지

되지 않아 생각할 시간이 부족함1

오류를 포함한

학습자료 개발

오류 찾기

활동

학습 자료

개발다양한 오류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활용함 1

학습자 질문을

통한 연계

질문 공유

제약

학생들끼리의 질문 내용에 한 공유 교

류가 많이 없었음2

성찰일지를 통한

학습 종합

동료 피드백

부족

다른 사람은 어떻게 내용과 활동을 연계 했

는지에 한 구체 인 의견이 부족함2

다음 차시의

연계성 안내

안내의

불명확성다음 차시의 연계성에 한 안내가 불명확함 3

- 84 -

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단된다. 즉, 보다 가시성을 고려한 강

의계획서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둘째, 사례를 통한 수업 설계 략의 경우, 오 라인 활동에 이루어지는

사례 분석과 련하여 사례분석이 이루어질 자료 제시의 시간 측면에서

약 을 언 하 다.

“사례들이 올라올 때, 수업 시간에 임박해서 올라온 것 같은데...그래서 사

에 생각할 시간이 부족했어요” (면담자 C)

이는 사례 분석 활동과 련된 자료가 사 에 제공되지 않아 학습활동

이 에 충분한 생각을 할 수 없었음을 나타내며, 학습 자료의 제시 시기

가 학습자의 활동에 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학습 활동 이 에

련 자료나 지지정보를 사 에 제공하는 것이 학습자가 문제해결이나 사

례 분석 등의 활동을 함에 있어 정 인 향을 수 있는 것으로 보인

다.

셋째, 오류를 포함한 학습 자료 개발 오류찾기 활동 략에 해서

는 학습 자료 자체에 한 약 이 언 되었다. 본 략이 용된 수업에

서는 멀티미디어 학습 원리와 련하여 실제성을 지니는 학습 자료를 활

용하여 마다 상이한 자료선택이 이루어졌으며 이에 한 오류를 분석하

는 활동이 수행되었다. 이에 해 학습자는 오류를 포함하고 있는 학습

자료에 한 분석 난이도가 낮다고 여기고 있다.

“ 희 조는 충분히 검토할 만한 내용이 포함된 자료가 아니었던 것 같아

요. 무 간단해서 시간 으로 빨리 끝난 것 같아요...” (학습자 A)

이는 오 라인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오류찾기 활동에 있어서 련 자료

의 난이도가 일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단된다. 따라서, 마다 상이

한 자료를 오류찾기 활동에 활용할 경우, 일정 수 이상의 오류가 포함

된 학습 자료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질문을 통한 수업 연계 략의 경우 학습자 질문에 한 공유 측

- 85 -

면에서 약 이 나타났다. 면담자들은 ‘학습자들끼리 질문에 해 많이 교

류가 없었는데...’라는 언 을 하면서 질문에 한 공유가 미흡하게 이루어

진 을 제시하 다.

“원래 취지는 다른 사람들의 질문도 공유하고 읽어 본 다음에 나도 나름

로 그 사람의 질문에 해서 생각을 해 야 되는데 여유가 없어서..내

가 질문한 게 아니라 다른 사람 질문이 오 라인 수업에서 다루어지니까

별로 생각해 본 이 없기 때문에 참여 잘 안하게 되거나...교수님 이야

기하면 아...그 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면담자 B)

이는 온라인 수업 내용에 한 학습자 생성 질문이 서로 공유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오 라인에서 선별 으로 다루어지는 경우, 온라인과 오

라인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한, 학습자

질문을 서로 확인 공유를 유발할 수 있는 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다섯 째, 성찰을 통한 학습 내용의 종합 략에 해서 몇몇 학습자는

다른 학습자가 어떻게 연계하 는지에 한 비교 종합이 원활히 이루

어지지 않았음을 언 하 다. 즉, 단순히 동료 피드백이 연계성의 측면이

아닌 오탈자, 문법 인 부분에서 피드백이 이루어지고 있는 약 에 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개인별 성찰일지에 한 동료 피드백이 이루어졌는데 동료 피드백을 활

용하는 경우, 보통 오탈자나 문법 인 부분에서 피드백을 주기 때문에...

다른 사람은 어떻게 연계했는지 알기 어렵더라구요” (면담자 E)

이는 연계성의 측면에서 성찰일지가 효과 인 략으로 사용되기 해

서는 동료 피드백에 있어서 타인의 성찰을 비교, 분석하여 이를 종합하기

한 추가 인 방안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여섯 째, 다음 차시의 연계성을 안내하는 략의 경우, 뚜렷한 안내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 약 으로 나타났다.

“교수님이 이야기했다는 것은 기억에 남는데, 정확히 무슨 내용이었는지

- 86 -

기억이 안날 때가 많았어요 수업 끝나가는 말미에 속사포로 그냥 확 지

나간 것 같았어요" (면담자 B)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오 라인 수업 말미에 제공되는 다음 차시에

한 안내를 통한 연계가 이루어진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해 보다 뚜렷한 다음 차시의 연계성에 한 안내가 있

으면 다음 차시의 온라인 컨텐츠를 학습하는 것에 있어서 도움이 될 것으

로 본다.

라. 연계 설계 략의 개선

학습자 면담에 한 결과를 분석하여 학 역 학습 온·오 라인의 연

계 략에 한 개선 을 정리하면 <표 Ⅳ-17>와 같다.

<표 Ⅳ-17> 설계 략에 한 개선

구분 학습자 반응 빈도

설계 략 반 개별 략 용한 차시에 각각의 개별 인 략 용을

통한 학습 부담감 감소2

역 학습의

연계를 한

강의계획서 개발

구조 개선강의계획서의 구조 변경

(차시, 온라인 학습, 오 라인 수업 순)4

사례를 통한

수업 설계

사례 제시

활동지 제공

시기

오 라인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사례 분석

활동지 사 제공1

온라인 컨텐츠에서 제시된 사례 이외의 다

양한 사례 제시1

오류를 포함한

학습자료 개발

오류 찾기

활동

피드백 제시오 라인 수업 활동 과정에 한 교수자나

조교의 다양한 조언2

학습 자료

구조화

다양한 오류가 포함된 오 라인 학습 자료

개발 제공1

성찰일지를 통한

학습 종합성찰일지 구조화

연계성에 해 동료의 을 수용할 수

있는 성찰일지 구조화2

- 87 -

개선 에 한 의견을 정리하면 크게 략에 한 반 인 측면, 역

학습 연계를 한 강의계획서 개발, 사례를 통한 수업 설계, 오류를 포함

한 학습 자료 개발 오류찾기 활동, 성찰일지를 통한 학습 종합, 교육용

어 리 이션 등을 활용한 학습자 수 상태 악, 다음 차시의 연계

성 안내 총 일곱 가지 측면에서 개선 에 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본 략의 반 인 측면에서의 개선 에 해서 부분의 략

을 유지하면서 체 인 부담을 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함을 언 하

다. 즉, 한 차시에 두 가지 이상의 략이 함께 병행되어 수업 , , 후

에 용되는 경우 학습자들은 이에 해 부담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다양한 활동을 하기 해서 해야 되는 활동이 많아서...한 차시에 여러

략을 용하기 보다는 한 차시에 략을 하나씩 용했으면 좋겠어요”

(면담자 B)

둘째, 역 학습에 합한 강의계획서 개발의 경우 약 에서 제시된 의

견과 같은 맥락에서 구조상의 개선 에 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즉, 보다

한 에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수업의 연계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가시

성을 고려하여 강의계획서의 구조를 수정하 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

하 다.

“SNUON 강의 상이 있다는 것을 오른쪽 과제 칸에 표시해놓아서 온오

라인 연계가 에 띄지 않게 돼 있다는 것이 아쉬워요. 온라인 활동이

사 학습인 만큼 온라인 활동을 좌측 열로, 오 라인 활동을 우측 열로,

온라인 학습

여부 수 을

악할 수 있는

활동 설계

난이도 조

추가 문항 개발

높은 낮이도의 퀴즈 문항 추가 1

틀린 문제에 한 오 라인 수업 활동 설계 2

다음 차시의

연계성 안내안내 자료 제공

다음 차시와의 연계성에 한 자료(문서

혹은 시각 자료) 제공2

- 88 -

그로 인한 다음 주까지의 과제를 오른쪽 끝의 열로 분류해서 표시한다면

보기 쉬울 것 같다.” (면담자 D)

셋째, 사례를 통한 수업을 설계 하는 것의 개선 에 해서는 먼 오

라인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사례 분석활동을 하기 한 련 자료의 사

제시가 이루어졌으면 좋겠다는 응답이 나왔다. 학습자의 입장에서 온

라인 컨텐츠에서 제시된 사례에 한 학습 후, 오 라인 활동 에 련

사례 분석이 이루어질 활동지가 사 에 제공되면 구체 인 생각이나 의견

을 좀 더 도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업을 집 함에 있어서 정 인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사 에 미리 련 사례들을 제공해 주면 구체 으로 어떤 활동을 하는

지..미리 인지하게 되니까...그리고 온라인 수업을 들을 때, 좀 더 집 해

서 들을 수 있었을 것 같아요.” (면담자 C)

한, 학습 주제와 련하여 다양한 련 사례를 제시해 주면 학습 내

용을 이해하고 이를 용함에 있어 좋겠다는 응답이 제시되었다.

“교수자나 조교가 사례를 다양하게 제시해 주면 학습활동에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생각돼요.” (면담자 E)

넷째, 오류를 포함한 학습 자료 제공 이에 한 오류찾기 활동을 하

는 것에 있어서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개선 이 제시되었다. 그 하나

는 오 라인 활동에서 교수자나 조교의 코칭이 좀 더 활발히 이루어졌으

면 하는 의견이다. 온라인 컨텐츠에서 학습한 내용을 기반으로 잘못된 부

분을 찾는 오류 찾기 활동에 해 교수자나 조교의 한 도움은 연계성

에 있어서 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의견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오류 찾기 활동에 한 교수자나 조교가 에서 구체 으로 조언을 해

주었으면 좋겠어요.“ (면담자 D)

- 89 -

다른 의견은 오류찾기 활동에 있어서 사용되는 학습 자료의 측면이

다. 오 라인에서 오류찾기 활동을 함에 있어 학습자들이 일정 시간 동안

활동이 지속 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오류가 포함된 오 라인

학습 자료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오류찾을 때 더 많이 용해서 찾을 수 있는 자료 으면 좋겠어요. 충분

히 검토할 수 있게끔 내용이 풍부했으면 좋겠어요.” (학습자 A)

다섯 째, 성찰일지를 활용하여 학습 내용과 활동을 종합하는 략에

해서 학습자는 동료 피드백의 측면에서 개선 을 제시하 다. 즉, 성찰일

지를 통해 다른 사람은 어떻게 연계를 하 는지에 한 의견을 참고하여

이루어지면 보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생각과 의견이 체계화되고 정교화

된다는 것이다. 이는 성찰을 통해 다른 학습자의 을 수용하는 것이

자신의 성찰 과정에 향이 미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는 연계가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기 해 학습내용과 학습활동에서 다루어진 핵심 개념에

해 키워드를 제공해 다면 학습 내용을 용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다른 사람의 의견을 볼 수 있게끔 칸을 마련해 주는 것은 도움이 될 것

같아요. 혹은 일종의 키워드를 제시해 주어서 온라인과 오 라인이 연계

될 수 있게끔 분명히 제시하면 배운 내용과 오 라인 연계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 (면담자 C)

여섯 째, 온라인 학습 여부 수 을 악할 수 있는 활동 설계에 있

어서 난이도가 비교 높은 퀴즈 문항이 추가될 필요성을 언 하 다. 난

이도가 높은 퀴즈를 통해 자신의 학습 내용을 면 하게 살펴보고 왜 틀렸

는지에 해 동료 학습자들과 논의를 통해 자신의 오 개념을 수정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는 퀴즈를 통해 동료 학습자와 커뮤니 이션과 력

이 이루어지는 활동으로 오 라인 수업을 구성할 수 있는 략으로 나아

갈 수 있다.

- 90 -

“ 는 어려운 문제가 하나쯤 필요하다고 생각되는데...사람들이 문제를 풀

고 그것을 틀리면서 자기의 잘못된 개념을 짚어볼 수 있잖아요. 약간 헷

갈릴 수 있는 부분에 해서... 그리고 나름 틀린 사람들은 틀린 이유를

설명하면서 커뮤니 이션 하고, 자기가 잘못 생각했던 부분을 확인하면

서 그런 측면의 문제도 하나쯤 필요한 것 같아요. 오 개념을 찾아낼 수

있는..이런 부분에 있어서는 헷갈릴 수 있고, 틀릴 수 있게구나.. 하는 그

런 것을 발견할 수 있는 문제가 하나 정도 필요한 것 같아요. (면담자

C)"

일곱 째, 다음 차시의 연계성을 안내하는 략의 경우 이에 한 개선

으로 보다 명확한 안내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언 하 다. 다음 차

시에 어떠한 학습 내용이 다루어지는지 그리고 이번 차시에 학습한 내용

과 어떠한 련성이 있는지를 단순히 음성을 통해서 제시하기보다는 이를

구체 인 문서 혹은 시각화를 통해 제시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를 통

해 해당 차시와 다음 차시의 연계성에 해 보다 명료해질 뿐만 아니라

학습 내용과 활동을 기억하고 다음 차시의 수업을 집 함에 있어 정

인 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차라리 마지막에 슬라이드같이 만들어서 주었으면 어땠을까?...그러면 좀

더 기억에 남을 것 같아요.” (면담자 B)

“오 라인 수업을 마친 후에 다음 수업에서는 무엇을 할지 보기 쉽게 제

시해 주셨으면 도움이 되겠다...라고 생각했었거든요. 그 게 제시를 명확

히 해주면 다음 강의를 들을 때 으로 듣게 되고 좀 더 집 할 것

같아요.” (학습자 A)

5. 논의

본 연구는 학교육에서 역 학습이 효과 으로 운 되기 한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활동의 유기 인 연계를 가능하게 하는 략을 탐색해보

고, 이에 해 학습자의 강 , 약 , 개선 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 91 -

서 이루어진 두 개의 연구 문제에 한 결과를 기반으로 이에 한 시사

에 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가. 학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략

먼 첫 번째 연구 문제는 학 역 학습 온·오 라인을 연계하기 한

략이 무엇인가를 밝히는 것이었다. 이를 해 련 문헌 연구를 통해

기 설계 략을 도출하고 이를 문가 검토 기 실행 단계에 용

함으로써 학습자 의견을 수집 하여 2차 설계 략을 도출하 다. 2차 설

계 략에 해서는 추가 으로 문가 타당화를 거쳐 본 주 실행 단계에

용되었으며, 이에 한 학습자 의견을 반 한 개선된 연계 략을 도출

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략은 크게 개념 탐색 의미 구성의

측면에서 역 학습의 연계를 한 강의계획서 개발, 사례를 통한 수업 설

계, 오류를 포함한 학습 자료 개발 이에 한 오류찾기 활동, 다음 차

시의 연계성 안내, 학습자 질문을 통한 연계, 시각화 활동을 통한 온라인

과 오 라인 연계, 성찰일지를 통한 학습 종합, 온라인 학습 여부 수 을

악할 수 있는 활동 설계, 학습자 의견 기반의 보충 심화 학습 자료

제공 총 아홉 개의 략이다. 본 략들은 기존의 역 학습 련 선행 문

헌들 연계성을 강조한 연구(김보경, 2014; Frydenberg, 2013; Gannod,

Burge, & Helmick, 2008; Morin et al., 2013; Talley & Scherer, 2013)와

같이 두 개 이상의 략들이 한 차시에 용되었다. 하지만 연계성을 해

한 차시에 두 개 이상의 략이 동시에 활용되는 측면에 있어서는 기존

연구와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다.

학습자들의 의견을 종합해 보면 역 학습의 연계를 해서는 차시마다

하나의 략을 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연계성을 강조하여 차시마

다 퀴즈, 학습자 활동, 성찰 등의 략을 복합 으로 용해야 하는 것과

상이한 것으로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활동을 한 차시에 하는 경우 학습

자들은 이에 한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학 맥락에서 역 학습의 온라인과 오 라인이 유기 으로 연

- 92 -

계되기 해서는 학습자들의 정 수 을 고려하여 차시마다 개별 으로

략이 용될 필요가 있으며 단순한 형태에서 보다 복합 인 형태로 나

아가야 한다.

나. 연계 략에 한 학습자 반응

두 번째 연구문제는 학 역 학습의 온·오 라인 연계 략에 한 학

습자 반응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해 총 다섯 명의 학습자를 상

으로 개별 면담이 진행되었으며, 이를 본 략의 강 , 약 , 개선 의 측

면에서 분석하 다. 본 략에 한 학습자 반응을 종합하여 역 학습의

온라인과 오 라인의 유기 인 연계를 함에 있어 핵심 으로 강조되고 사

항을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역 학습에서 온라인과 오 라인의 연계를 보다 활성화하는 것에

있어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포함한 스 폴딩이 제공되어야 한다. 피드백은

일반 으로 학습자의 학습 과정 혹은 결과에 한 교수자의 정보 혹은 문

제에 한 정답과 오답의 여부 제공, 추가 인 설명을 의미한다(Butler &

Winne, 1995; Sims-Knight & Upchurch, 2001). 이는 학습이 발생하는 과

정에서 교수자 혹은 조교의 조언이나 도움을 제공하는 스 폴딩과 련

있다(Greenfield, 1984). 스캐폴딩은 학습자의 인지 인 활동을 보다 진

하기 해 제공되는 모든 종류의 지원으로 교사, 동료, 컴퓨터 등의 매체

로도 제공될 수 있다(최정임 외, 2011). 이러한 스캐폴딩은 학습자의 이해

를 향상시키기 한 설명, 교사의 시연, 질문, 단서의 제공, 학습과정에

한 피드백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다(Jonassen et al., 2003; Smith &

Ragan, 2005). 교육과 련하여 스캐폴딩은 학습자의 수 향상 혹은 교

육 성과를 높이기 해 교수자가 학습자와 서로 상호작용하여 피드백 등

을 통해 련 도움을 하게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조성문,

송해덕, 2013).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학습자 면담을 분석한 결과 교수자

의 피드백과 질문, 그리고 한 조언이나 단서의 제공 등의 스캐폴딩이

역 학습의 온라인과 오 라인의 유기 인 연계에 있어서도 정 인

- 93 -

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수님이랑 학생들이랑 상호작용이 바로바로 일어나잖아요 피드백이...그

니까 이거에 해서 이 부분 괜찮지 않아요? 이 부분에서 어떤 이 잘

못되어 있다고 생각하느냐고 교수자가 질문하고 이거에 해 답 하고,

그리고 바로바로 피드백을 주니까 바로 와 닿더라구요.”

“온라인 학습이 자칫 잘못하면 ‘나는 강의봤으니까 끝’ 같은 느낌이 될 수

도 있는데, 질문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서 온라인 학습이 오 라인으로

책임감 있게 연계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그리고 무엇보다 학습한 것들

에 한 생각이 명확해졌어요. 사실상 연계된다는 느낌을 주는 핵심 과

정이 질문과 피드백 같아요.”

따라서 역 학습에서 온라인과 오 라인의 연계성을 강화시키기 해서

는 온라인과 오 라인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자들의 학습 활동에 해서 지

속 인 피드백을 제공해 필요가 있다.

둘째, 역 학습의 온·오 라인 연계에 있어 요한 요소 하나는 시

각 인 자료의 제시와 시각화 활동이라 볼 수 있다. 학습자 반응을 분석

한 결과, 강의계획서와 같은 체 인 학습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시각

인 자료로 제시하는 것이 온라인과 오 라인의 연계성에 한 안내를 제

공하는 측면에서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강

의계획서는 일련의 구조화된 개 을 보여 주는 하나의 시각 조직자의

역할을 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화된 개 은 학습내용을 회상하고 기억할

뿐만 아니라 학습 내용의 이 활용, 그리고 추론 발견에 있어 도

움이 된다(Beissner, Jonassen, & Grabowski, 1993). 한 이와 더불어 다

음 차시의 연계성에 한 개선 으로 이를 ‘명시 으로 나타낼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해 주었으면 좋겠다’ 와 같은 의견에서도 볼 수 있듯이 연계

를 안내하기 해서는 해당 차시와 다음 차시의 학습 내용 간의 계에

해 시각 인 표 으로 나타내는 것이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교수자가 다음 차시의 안내를 청각 인 상태로 달하는 것보다 온라

인과 오 라인을 연계하는 측면에서는 으로 명시 으로 볼 수 있는 시

- 94 -

각자료가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안내의 측면 이외에 학습자들이 직 온라인 학습 내용과 오 라인 활

동을 통해 습득한 련 지식들의 계를 도식으로 나타내는 개념도 등의

그래픽 조직자가 학습 과제를 수행하는 것에 있어서 도움이 되었다는 것

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픽 조직자는 시각 조직화에 속하는 하 요

소로 련 개념들 간의 계를 시각 으로 제시하고 보여주는 것은 시각

조직자(나일주, 한안나, 2006)에서 강조되고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활

동에 해 학습자들은 ‘지식을 회상하고 검하는데 도움을 다.’, ‘내용

과 활동의 구조화가 용이하다.’와 같은 의견에서 볼 수 있다. 이는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에서 이루어진 활동에 해 정보를 구조화시키고 련 내

용을 서로 연결시키는데 정 인 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즉, 그래

픽 조직자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학습자가 이와 련된 학습에 한 기존

스키마를 활성화 시키는데 도움을 것이다. 따라서 역 학습에서 보다

온라인과 오 라인 혹은 오 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연계가 보다 효과 으

로 이루어지기 해서는 이를 시각 인 형태로 명시 으로 보여주는 것이

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연계의 측면에서 학습자의 학습과정에 한 의견을 반 하는 것

은 요하다. 즉, 연계가 이루어지기 해서는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있어서 일종의 요구분석과 같이 학습자가 필요한 자료 등에 한 의견을

수집 분석하여 이를 반 해야 한다. 수업은 학습자, 내용, 학습 환경

등의 다양한 요소들이 서로 복합 으로 련이 있으며, 그 학습자는

학습의 주체로서 요한 요소이다(Kim, Lee, Merrill, Spector, & van

Merrienboer, 2008). 학습에 한 주체가 학습자임을 고려한다면 연계성에

있어서 그들의 의견이 반 되어야 한다. 이는 성공 인 연계를 한 기본

인 요소라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학습자들의 의견을 악하

기 해서 어 리 이션을 활용하여 퀴즈를 실시하고 이에 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한, 수업에 참 하는 도 학습자들이 궁 증가지고 있는

부분을 검하고 수업이 끝난 후 학습자들에게 보충 혹은 심화가 필요한

부분에 해 질의하면서 학습자들의 의견에 기반 하여 련 자료를 제공

하 다. 이는 연계를 해 교수자의 다른 개입(intervention)이 이루어

- 95 -

진 것이다. 이에 해 학습자들은 ‘의견이 반 되어 정말로 필요한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오 라인 수업을 보조하는 것 같다’, ‘수업 외 학습을 유

도한다’, ‘수업 자체에 우리들의 의견이 반 되어 있어서 좋았다.’ 와 같은

응답을 들을 수 있었다. 이는 연계를 함에 있어 학습자들의 의견이 핵심

인 기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한 제한된 수업 시간의 한계를

극복하는 연계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다. 의견을 반 한 개선된 연계 설계 략

이상의 학습자 반응을 분석하여 개선된 학 역 학습 온·오 라인 연

계 략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96 -

<표 Ⅳ-18> 개선된 학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략

방식 일반 설계 략 상세 설계 지침

강좌

핵심 내용은 온라인

학습으로, 심화학습

을 한 활동은 오

라인 학습으로 수행

하는 강의계획서를

작성하라(개념 탐색

용)

· 차시마다 온라인 학습을 한 핵심 개념을

제시하라

· 차시에서 제시한 온라인 학습의 핵심 개념

을 용한 오 라인 학습활동을 설계하고 이

를 차시, 온라인학습 주제, 오 라인 활동

순으로 구조화하여 제시하라

온라인

콘텐츠

기반의

오 라인

수업

연계

사례를 활용하여 온·

오 라인 수업을 설계

하라(개념 탐색

용)

· 온라인 학습 개발 시, 련 사례를 제시하라

· 학습 내용을 명확히 하기 해 한 사례

와 하지 못한 사례를 다양하게 제공하라

· 오 라인 학습 에 사례 분석 활동지를

제공하라

· 오 라인 수업에서 사례 분석 활동을 수

행하고 교수자나 조교가 조언 등의 피드백

을 제공하라

오류찾기를 통해 온·

오 라인 학습 내용

을 용하라(개념 탐

색 용)

· 온라인 학습의 개념에 상반되는 오류가 포함

된 학습 자료(동 상 혹은 게시 자료 등의 형

태)를 제공하라

(가령, 멀티미디어 설계 원리가 용되지 않

는 자료를 개발하여 제공함)

· 다양한 오류가 포함된 오 라인 활동 자

료를 설계하라

· 별 오류찾기 활동을 통해 학습 개념을

용하게 하고, 교수자나 조교가 조언 등의 피

드백을 제공하라

온라인 학습에 한

학습자 질문을 오

라인 수업에 반 하라

(의미 구성)

· 오 라인 수업 이 에 학습자가 온라인 학습 콘

텐츠에 한 단순 회상이 아닌 도 인 질문을 1

개 이상 하게 하라

· 온라인 상으로 학습자 질문을 정리하여 문서

화하고 각각의 질문에 한 련 개념이 무엇인

지를 제공하거나 제출한 질문에 해 코멘트를

제공하라

· 오 라인 수업을 통해 핵심 질문에 한 논

의하는 시간을 제공하라

- 97 -

(가령, 온라인 학습 동 상에 한 질문을

LMS 혹은 질의응답 게시 에 업로드 하게

한 뒤, 오 라인 수업에 학습자 질문에 해

논의함)

온라인 컨텐츠와 수

업의 연계성을 표

하게 하라(의미 구

성)

· 온라인 학습 내용이 오 라인 수업 활동과 어떠한

련이 있는지를 학습자에게 질문하고 이를 표 할

기회를 제공하라

· 온·오 라인이 어떠한 연결 계가 있는지를

표 할 수 있는 컨셉맵(concept map) 등의

시각도구를 활용하여 연계성을 나타나게 하

성찰을 통해 온·오

라인 학습 내용을 연

계 종합하게 하라

(의미 구성)

·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활동에서 다룬 학

습내용을 종합 연계시킨 한 성찰일지

시와 하지 못한 시를 제공하라

· 차시별 온라인 콘텐츠 학습 내용에 기반 한

수업 활동이 모두 포함된 개인별 성찰일지를

작성하게 하라

· 성찰일지에 학습내용과 활동에 한 핵심

키워드를 제시하라

· 개인별 성찰일지에 한 동료 피드백을 실

시하라

· 성찰일지 하단을 구조화하여 연계성에

한 동료 피드백의 의견을 작성하게 하라

온라인 학습 여부

수 을 악할 수 있

는 활동을 설계하라

(의미 구성)

· 교육용 어 리 이션 등을 활용하여 온라인 학습

내용에 한 퀴즈를 실시하라

· 온라인 학습 내용에 한 확인 차원의 문

제, 오 라인 학습 활동과 련있는 문항,

높은 난이도의 문항을 개발하여 학습 여부

수 을 악하라

· 오 라인 수업시간에 오답에 해 논의하

는 활동을 통해 오개념을 수정하게 하라

오 라인

수업

기반의

온라인

콘텐츠

연계

다음 차시의 온라인 학

습과의 연계성을 안내

하라(개념 탐색

용)

· 오 라인 활동에 한 핵심 사항을 요약하

고, 다음 차시의 주요 학습 내용을 소개하라

· 해당 차시의 학습이 다음 학습 내용과 어

떠한 계가 있는지를 시각 으로 나타내라

오 라인 수업에서의

학습자 의견을 악

하여, 온라인 형태의

· 오 라인 수업 과 후에 질의응답을 통해

학습자 의견을 악하라

· 학습자가 제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가

- 98 -

* 수정 변경된 사항은 굵은 이탤릭체로 표시함

보충 심화 학습

자료를 제공 안내

하라(의미 구성)

인 자료가 필요할 경우, 이를 온라인 상에 제

공하고, 만약 련 개념이 이 차시에서 나

올 경우, 해당 개념에 한 온라인 학습을 안

내하라

- 99 -

Ⅴ. 결론 제언

1. 결론

재까지 역 학습 련 연구들에서 공통 으로 강조되고 있는 것 에

하나는 온라인과 오 라인의 연계성이다(Bush, 2013; Covil et al., 2013;

Ginns & Ellis, 2007; Mason et al., 2013; Stannard, 2013; Strayer, 2012).

하지만 이러한 요성과 달리 학 맥락에서의 역 학습 련 연구들에서

온·오 라인 연계성이 낮다는 문제 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역 학습이 확 용되는 상황에서 역 학습이 보다 효

과 으로 운 되기 한 온·오 라인의 유기 인 연계 략을 탐색해 보

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이번 연구는 어떠한 교육 인 신, 략, 방법들

이 처음부터 최 화된 형태로 장에 용되지 않는 을 고려하여(임철

일, 2014; Richey & Klein, 2007), 용 과정에서의 학습자의 반응을 기반

으로 략에 한 최 화를 추구하고자 했다. 이를 해 략에 한

문가 타당화와 더불어 기 실행과정에서 학습자 상으로 기 설계

략에 한 일종의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 으며 략을 수정 보완하는

것에 있어 이를 반 하 다. 한 주 실행과정에서의 형성 연구 방법론

을 통합하여 활용함으로써 최 의 략을 도모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목 은 역 학습에서 온라인과 오 라인을 연계하는 략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것과 이를 서울 소재 S 학교 교육공학 강좌에

용하여 학습자의 반응을 토 로 본 략을 최 화하는데 있다. 본 연구

목 을 달성하기 해 먼 , 연계 략을 탐색하는 것에 있어서 역 학습

선행 연구와 블 디드 등을 포함한 교수학습 방법에서의 연계 략에

한 련 문헌을 통해 역 학습에서의 연계성을 한 일반 설계 략

상세 설계 지침을 도출하 다. 다음으로 이를 최 화하기 해 기 실행

단계에서 기 설계 략에 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여 본 략의 수정

보완에 있어 학습자들의 의견을 수렴하 다. 한 주 실행 단계에서는

- 100 -

교수설계 문가와 역 학습을 운 한 경험이 있는 교수자 련 학술

인 실 이 있는 문가를 상으로 한 문가 타당화 기 설계

략에 한 학습자들의 의견을 통해 수정된 설계 략을 장에 용함으

로써 본 략에 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강 , 약 , 개선 의 측면에서

확인하 다. 문가 타당화에 한 검사지는 나일주, 정 미(2001)의 평가

문항을 참조하여 이를 수정하여 사용하 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

와 논의를 심으로 연구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이루어진 학 역 학습의 온·오 라인 연계

략은 문가 타당화와 실제 장 용을 기 실행 단계와 주 실행 단계

를 통해 용함으로써 보다 실제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효과 으로 역

학습의 온라인과 오 라인을 유기 으로 연결하기 한 설계 략으로서

지침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기존의 학 맥락에서 역 학습의 수업 설계 연구(김남익, 보

애, 최정임, 2014; 김백희, 김병홍, 2014; 김보경, 2014; 신정숙, 2014; 이지

, 2013; 임철일 외, 2014; Berrett, 2012; Frydenberg, 2013; Gannod,

Berge, & Helmick, 2008; Lemmer, 2013; Murphree, 2014; Papadapoulos

& Roman, 2010; Stone, 2012; Warter-Perez & Dong, 2012)에서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수업에서의 퀴즈, 미니 강의, 문제해결 활동, 성찰 등 여

러 략이 동시에 용되는 것과 달리 각 차시마다 개별 으로 략을

용하는 것이 연계성의 측면에서 보다 더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 학습의 온라인과 오 라인을 유기 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

에 있어서 교수자의 피드백 등의 스캐폴딩이 요한 기제 역할을 한다.

한 차시에 한 온라인과 오 라인의 유기 인 연계에 해 학습자들은

온라인과 오 라인의 두 학습 환경 모두에 있어서 교수자가 조언, 도움,

피드백 등의 스캐폴딩을 제공하는 경우 연계가 잘 이루어진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개념을 탐색 용하고 학습자들이 연계성에 한 의미를 구성

하는 것에 있어서 공통 으로 시각화 활동과 시각 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온라인과 오 라인의 연계를 함에 있어서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

- 101 -

할 수 있었다. 즉, 온라인 콘텐츠를 통해 학습한 내용과 오 라인 활동을

연결함에 있어 자료를 시각화 하는 것은 온라인과 오 라인을 연결시켜

주고 내용 간의 계를 보다 명시 으로 나타내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이

를 명확하게 악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단된다.

다섯 째, 학습자의 수 상태를 악하고 학습자의 의견을 반 하

는 것이 연계에 있어서 정 인 향을 미쳤다. 이는 연계성을 해 기

존의 온라인 학습 여부 수 을 악하기 해 이루어진 퀴즈 등의 활

동에 한 요성(임철일 외, 2014; Gannod, Burge, & Helmick, 2008;

Frydenberg, 2013)뿐만 아니라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한 그들의 의

견을 분석하여 이를 반 하는 것이 온라인과 오 라인의 연계에 있어 학

습자들이 느끼는 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제언

본 연구를 함에 있어서의 제한 과 추후 연구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사범 학 교육학과 강좌를 수강하는 학습자 총 5명을

상으로 이루어졌다. 즉 특정 사례에서 연계 략을 개발하고 이에 한

학습자의 반응을 분석한 것으로 이는 연구 결과의 일반화의 한계를 지닌

다고 볼 수 있다. 앞으로 본 연계 략이 역 학습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공 교과와 규모의 학습자들이 수강하는 강좌를 상으로 용하는 연

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즉, 수업 맥락과 교과, 그리고 학습자의 수가

상이한 강좌들에 지속 으로 용하여 이에 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용된 활동을 포함하고 있는 각각의

략들은 일반 인 학습 내용에 용되었다. 이는 보다 최 으로 용될

수 있는 특수한 맥락과 문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활동과 련하여 보다

최 으로 용될 수 있는 맥락을 탐색하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도출된 략에 한 형성 연구방법론을 용한 것으로

학습의 효과성의 측면에서 비교 연구를 실시하여 연계성에 한 차이를

확인해 보아야 할 것이다.

- 102 -

본 연구는 설계 략을 개발함에 있어 학습자의 요구를 기반 하여 정교

화 최 화를 추구하는 에서 의의가 있다. 한, 실제 학교육에서

역 학습을 설계 운 하기 한 교수자 혹은 교수설계자에게 련 지

침을 제공하여 수업 설계를 안내하는 처방을 하 다는 에서 실질 인

의미를 지닌다.

- 103 -

참 고 문 헌

강명희, 김미 , 김민정, 박효진, 구진아(2009). 학습자의 사 지식, 인지부

하, 몰입, 학업성취도 간의 계 규명. 교과교육학연구, 13(2),

369-391.

강인애, 유승 , 강연경(2011). 학습성찰도구로서 e-포트폴리오 활성화를

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1(2), 495-506.

강인애, 정은실(2009). ‘성찰 (Reflection Journal)’이 지닌 교육 의미

에 한 탐구: 학에서의 수업사례. 교육방법연구, 21(2), 93-117.

강정찬, 이상수(2011). 수업 개선을 한 장연구방법으로서

설계기반연구. 교육방법연구, 23(2), 323-354.

강향림(2009). 수업과정에서의 교사의 질문 략과 그 효과. 부산교육학연

구, 22, 1-23.

고 진(2014). 수학 수업에서 소통을 한 스마트 기기의 활용방안 연구.

성균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김 수(2011). 원격 력 개념도 구성 환경에서의 학습자 상호작용 패턴

분석. 사고개발, 7(2), 37-59.

김남익, 보애, 최정임(2014). 학에서의 거꾸로 학습(Flipped learning)

사례 설계 효과성 연구: 학습동기와 자아효능감을 심으로. 교

육공학연구, 30(3), 467-402.

김백희, 김병홍(2014). 립드 러닝을 기반으로 한 역할 교체식 토의 수업

방안 연구. 우리말연구, 37, 141-166.

김보경(2014). 교직수업을 한 역진행 수업모형 개발. 교육종합연구,

12(2), 25-56.

김희배(2012). 학제간 통합교과 개발 블 디드형 동학습 모형 용

연구. 교육공학연구, 28(4), 907-924.

나일주, 정 미(2001). 웹기반 가상교육 로그램 설계를 한 활동모형

개발. 교육공학연구, 17(2), 27-52.

나일주, 한안나(2006). 자 텍스트 설계에서 시각지능 이론을 용한 시

- 104 -

각 조직자 로토타입 개발 연구. 평생학습사회, 2(2), 137-162.

노혜란(2007). 학교육에서의 실천학습 설계 요인 탐색. 교육정보미디어

연구, 13(3), 53-78.

류은주, 박진희(2013). 강의계획서 련 학습자 만족도 활용도에 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9(2), 101-111.

박성익(2003). 교수·학습 방법의 이론과 실제. 주: 교육과학사.

박성익, 임철일, 이재경, 최정임(2011). 교육방법의 교육공학 이해 제 4

. 주: 교육과학사.

박성익, 임철일, 이재경, 최정임, 임정훈, 정 미, 송해덕, 장수정, 장경원,

이지연, 이지은(2012). 교육공학의 원리와 용. 주: 교육과학사.

변 계, 김 환, 손미(2007). 교육방법 교육공학. 주: 학지사.

선종삼, 최욱(2013). 웹기반 문제 심학습에서 인지지원도구 활용 략 탐

색 인지부하에 미치는 효과 분석. 교육공학연구, 29(2),

349-382.

신정숙(2014). 발표·토론 동 상을 활용한 ‘거꾸로’ 교수법의 교육 효과 사

례 분석. 교양교육연구, 8(3), 133-163.

엄미리(2010). e-포트폴리오 성찰일지 작성활동의 학습효과에 향을 미

치는 학습자 련 변인에 한 연구. 고려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오인경(2004). Blended Learning의 실시 황 분석. 기업교육연구, 6(1),

41-62.

이경아, 석은조(2012). 블 디드 러닝에 기 한 장연계 학습활동이

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력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

학회지, 16(4), 71-92.

이 태, 임철일(2013). 성찰 을 활용한 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

발. 공학교육연구, 16(3), 42-50.

이종연, 박상훈, 강혜진, 박성열(2014). Flipped learning의 의의 교육환

경에 한 탐색 연구. Flipped learning의 의의 교육환경에 한

탐색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12(9), 313-323.

이지 (2013). 반 학습(Flipped learning) 수업 모형 개발: 미 분학

- 105 -

강의 사례를 심으로. 2013 한민국 수학교육 련 학회 연합 학

술 회 자료집. 91-111.

이 경(2013). 학 교양교육의 체제 교수학습 실천 방안에 한 고찰.

교양교육연구, 10(7), 343-376.

이혜정, 이성혜(2007). 학교육의 질 제고를 한 블 디드 이러닝 활성

화 방안.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4), 77-102.

임진 , 범수균(2012). e-Education을 통한 학교육 신. 정보과학회지,

30(5), 48-55.

임철일(1998). 문제해결 시나리오 ‘교수학습환경 설계 모형에 한 형성

연구’. 교육공학연구, 14(2), 137-165.

임철일(2001). 제시용 소 트웨어의 상호작용 활용을 한 교수설계

략의 형성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7(1), 29-57.

임철일(2012). 교수설계 이론과 모형 제 2 . 주: 교육과학사.

임철일(2014). 역 학습을 한 교수설계. 스마트교육학회 하계 페스티벌

자료집, 17-22.

임철일, 김선 , 이지 , 김 수, 한형종(2014). 학에서의 역 학습 설계

용 사례 비교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춘계학술 회 자료집,

396-406.

임철일, 김성욱, 최소 , 김선희(2013). 문화다양성 교육을 한 지속 성

찰 심 교수설계 모형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9(4), 751-782.

임철일, 연은경(2009). 사례기반 시뮬 이션 설계 원리에 한 형성 연구.

교육공학연구, 26(2), 117-149.

임철일, 연은경(2006). 기업교육 로그램 개발을 한 사용자 심의 래

피드 로토타입 방법론에 한 연구. 기업교육연구, 8(2), 27-50.

정 숙, 김정민(2012). 이러닝 환경의 학습효과 향상을 한 통합 학습 온

톨로지 설계.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10(8), 105-116.

조성문, 송해덕(2013). 블 디드 학습 환경에서 성찰 수 과 스캐폴딩 유

형이 인지 실재감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연구,

51(3), 219-242.

최은만 (2012). Inverted Classroom 개념을 이용한 창의 S/W 엔지니어

- 106 -

교육. 정보과학회지, 30(3), 28-34.

홍혜숙 (2013). 공 어강의의 언어 상호작용 분석. 울산 학교 학

원 석사학 논문.

Alessi, S. M., & Trollip, S. R. (1991). Multimedia for learning:

Methods and development. NJ: Prentice Hall.

Applebee, A., & Langer, J. A. (1983). Instructional scaffolding: Reading

and writing as natural language activities. Language Arts, 60(2),

168-175.

Aronson, N. & Arfstrom, K. M. (2013). Flipp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flippedlearning.org/cms/lib07/VA01923112/Centricity/Domain/

41/HigherEdWhitePaper FINAL.pdf

Baker, J. W. (2000). The "Classroom Flip": Using web course

management tools to become the guide by the side. In selected

papers from the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llege

Teaching and Learning. Jacksonville, Florida.

Bates, S., & Galloway, R. (2012). The inverted classroom in a large

enrolment introductory physics course: a case study. In

Proceedings of the Higher Education Academy STEM conference,

Londen, United Kingdom.

Beissner, K. L., Jonassen, D. H., & Grabowski, B. L. (1994). Using and

selecting graphic techniques to acquire structural knowledge.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7(4), 20-38.

Bergmann, J., & Sams, A. (2012). Flip your classroom: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day. Washington, DC: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Berrett, D. (2012). How ‘Flipping’ the classroom can improve the

traditional lecture.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58(25),

16-18.

Bishop, J. L., & Verleger, M. A. (2013). The flipped classroom: A

- 107 -

survey of the research. In proceedings of the ASEE National

Conference. Atlanta, GA.

Borasi, R. (1996). Reconceiving mathematics instruction: A focus on

errors. Norwood, NJ: Ablex Publishing.

Borich, G. D. (2010). Observation skills for effective teaching. NY:

Allyn & Bacon.

Brodie, L. M.(2007). Reflection writing by distance education student in

an engineering problem based learning course. Australasian

Associ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13(2), 31-40.

Buckingham, D. (2003). Making media education happen.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Conference.

Bush, M. D. (2013). Educational technology points of inflection: What

MOOCs, flipped classrooms, and OLPC teach us about

individualization of learning. Educational Technology, 53(6),

60-63.

Butler, D. L., & Winne, P. H. (1995). Feedback and self-regulated

learning: A theoretical synthe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5(3), 245-281.

Butt, A. (2014). Student views on the use of a flipped classroom

approach: evidence from Australia. Business Education &

Accreditation, 6(1), 33-43.

Cazden, C. B. (2001). Classroon discourse: The language of teaching

and learning. London: Heinemann.

Cho, Y. H., Lee, J., & Jonassen, D. H. (2011). The role of tasks and

epistemological beliefs in online peer questioning. Computers &

Education, 56(1), 112-126.

Collins, A., Joseph, D., & Bielaczyc, K. (2004). Design research: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13(1), 15-42.

- 108 -

Covil, D., Patel, B. A., & Gill, D. S. (2013). Flipping the classroom to

support learning: An overview of flipped class from science,

engineering and product design. School Science Review, 95(350),

73-80.

Craft, M. (2005). Reflective writing and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4, 53-57.

Dasgupta, S. & Charon, R. (2004). Personal illness narratives: Using

reflective writing to teach empathy. Academic medicine, 79(4),

351-356.

Davies, R. S., Dean, D. L., & Ball, N. (2013). Flipping the classroom

and instructional technology integration in a college-level

information systems spreadsheet course.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61(4), 563-580.

Davis, L. L. (1992). Instrument review: Getting themost from a panel

of experts. Applied Nursing Research, 5(4), 194-197.

Design-Based Research Collective. (2003). Design-based research: An

emerging paradigm for educational inquiry. Educational

Researcher, 32(1), 5-8.

Dewey, J. (1933). How we think: A restatement of the relation of

reflective thinking to the educational process. Lexington, MA:

Heath.

Dick, W. & Carey, L. (1978).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NJ:

Addsion Wesley.

Donald, J. G. (2002). Learning to think: Disciplinary perspective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e-laerning, 3(3), 54-56.

Edelson, D. C. (2002). Design research: What we learn we engagin in

design.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1(1), 105-121.

Enfield, J. (2013). Looking at the impact of the flipped classroom model

of instruction on undergraduate multimedia students at CSUN.

- 109 -

Tech trends: Linking Research & Practice To Improve

Learning, 57(6),14-27.

Findlay-Thompson, S., & Mombourquette, P. (2014). Evaluation of a

flipped classroom in an undergraduate business course. Business

Education & Accreditation, 6(1), 63-71.

Frydenberg, M. (2013). Flipping Excel. Information Systems Education

Journal, 11(1), 63-73.

Fulton, K. P. (2012). 10 reasons to flip. Phi Delta Kappan, 94(2),

20-24.

Gannod, G., Burge, J., & Helmick, M. (2008). Using the inverted

classroom to teach software engineering. In Proceedings of the

3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ftware engineering, ACM.

Ginns, P., & Ellis, R. (2007). Quality in blended learning: Explo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on-line and face-to-face teaching and

learning.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10(1), 53-64.

Goodwin, B., & Miller, K. (2013). Evidence on flipped classrooms is

still coming in. Educational Leadership, 70(6), 78-80.

Greenfield, P. M. (1984). A theory of the teacher in the learning

activities of every day life. In B. Rogoff & J. Laave (Eds.),

Everyday cognition: Its development in social contex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Hamdan, N., McKnight, P., McKnight, K., & Arfstorm, K. M. (2013).

A review of flipped learning. Retrieved from

http://researchnetwork.pearson.com/wpcontent/uploads/ExecSumma

ryFlippedLearnig.pdf

Hartfield, P. J. (2010). Reinforcing constructivisit teaching in advanced

level biochemistry thrrough the introduction of case-based

learning activities. Journal of Learning Design, 3(3), 20-31.

Heinich, R. & Molenda, M. (1998). Instructional media and

technologies for learning. NJ: Prentice Hall.

- 110 -

Herreid, C. F., & Schiller, N. A. (2013). Case studies and the flipped

classroom.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42(5), 62-66.

Jang, S. (2011). An Instructional Suport System Design Model for

Il-structured Problem-Solving in Online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Johnson, L, W., & Renner, J. D. (2012). Effect of the flipped classroom

model on a secondary computer applications course: student and

teacher perceptions, questions and student achieve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Louisville.

Jonassen, D. H., Beissner, K., & Yacci, M. (1993). Structural

knowledge: Techniques for representing, conveying, and

acquiring structural knowledg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Jonassen, D. H., Howland, J., Moore, J., & Marra, R. M. (2003).

Learning to sole problems with technology: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Kolodner, J. L. (1993). Case-based learning.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Kim, C., Lee, J., Merrill, M. D., Spector, J. M., & van Merriënboer, J.

(2008). Foundations for the future. In Bishop, M. J. (Ed.),

Handbook of research on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King, A. (1994). Guiding knowldege construction in the classroom:

Effects of teaching children how to question and how to explai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1(2), 338-368.

Lage, M. J., Platt, G. J., & Treglia, M. (2000). Inverting the classroom:

A gateway to creating an inclusive 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Economic Education, 31(1), 30-43.

Lee, T. (2013). Open, online & digital education: Transforming

teaching & learning. In Proceeding of Global Engineering Deans

Council, Chicago, Illinois, USA.

- 111 -

Lemmer, C. (2013). A view from the flip side: using the "inverted

classroom" to enhance the legal information literacy of the

international LL.M. student. Law Library Journal, 105(4),

461-491.

Leshin, C. B., Pollock, J., & Reigeluth, C. M. (1992).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and tactics. Englewood Cliffs, NJ: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Mason, G., Shuman, T. R., & Cook, K. E. (2013).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an inverted classroom to a traditional classroom

in an upper-division engineering course. IEEE Transactions on

Education, 56(4), 430-435.

McLaughlin, J. E., Griffin, L. M., Esserman, D. A., Davidson, C. A,

Glatt, D.M. Roth, M.T., Gharkholonarehe, N., & Mumper, R. J.

(2013). Pharmacy student engagement, performance, and

perception in a flipped satellite classroom.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77(9), 196.

Merrill, M. D. (2000). Knowledge objects. Retrieved from

http://mdavidmerrill.com/Papers/KnowledgeObjects.PDF

Moreno, R., & Mayer, R. (2010). Techniques that increase generative

processing in multimedia learning: Open questions for cognitive

load research. Cognitive load theory, 153-177.

Morin, B., Kecskemety, K. M., Harper, K. A., & Clingan, P. A. (2013).

The inverted classroom in a first-year engineering course. Paper

presented at 120th Americ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Atlanta, GA.

Murphree, D. S. (2014). "Writing wasn't really stressed, accurate

historical analysis was stressed": Student perceptions of in-class

writing in the inverted, general education, university history

survey course. History Teacher, 47(2), 209-219.

Novak, J. D. (2010). Learning, creating, and using knowledge: Concept

- 112 -

maps as facilitative tools in schools and corporation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aas, F., Tuovinen, J. E., Tabbers, H., & Van Gerven, P. W. (2003).

Cognitive load measurement as a means to advance cognitive

load theory. Educational psychologist, 38(1), 63-71.

Papadapoulos, C., & Roman, A. S. (2010). Implementing an inverted

classroom model in engineering statistics: Initial results.

American Society for Engineering Statistics. In Proceedings of

the 40th ASEE/IEEE Frontiers in Education Conference,

Washington, DC.

Prober, C. G. & Heath, C. (2012). Lecture halls without lectures: A

proposal for medical educatio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6(18), 1657-1659.

Reigeluth, C. M., & Frick, T. W. (1999). Formative research: A

methodology for creating and improving design theories. In C. M.

Reigeluth(Ed.).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A new

paradigm of instructional theory.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Reigeluth, C., & Stein, F. (1983). The elaboration theory of instruction.

In C. Reigeluth(ed.),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Hillsdale, NJ: Erlbaum Associates.

Rha, I., & Park, S. (2010). The effect of visual and verbal scaffoldings

on web-based problem solving performance.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11(2), 97-113.

Richey, R. C., & Klein, J. D. (2007).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 strategies and issu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 Publishers.

Rivero, V. (2013). Flipping out: A new model to reach all students all

ways. Internet at schools, 20(1), 14-16.

Roehl, A., Reddy, S. L., & Shannon, G. J. (2013). The flipped

- 113 -

classroom: An opportunity to engage millennial students through

active learning strategies. Journal of Family & Consumer

Sciences, 105(2), 44-49.

Roth, W. M. (1994). Student views of collaborative concept mapping:

An emancipatory research project. Science Education, 78(1), 1-34.

Romisjowski, A. J. (1988). The selection and use of instructional

media: For improved classroom teaching and for interactive,

individualized instruction. London: Kogan Page.

Rubio, D. M., Berg-Weger, M., Tebb, S. S., Lee, E. S., & Rauch, S.

(2003). Objectifying content validity: Conducting a content

validity study in social work research. Social work research,

27(2), 94-104.

Sims-Knight, J. E., & Upchurch, R. L. (2001). What’s Wrong with

Giving Students Feedback?. In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Annual Conference.

Smith, P. L., & Ragan, T. J. (2005). Instructional design(3rd Ed). New

York: Wiley Publishing Inc.

Stake, R. (1995). The art of case research. Newbury Park, CA: Sage.

Stannard, R. (2012). The flipped classroom or the connected classroom?

Looks at the benefits of putting more input online. Modern

English Teacher, 21(1), 35-37.

Strauss, A. L., &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Strayer, J. F. (2012). How learning in an inverted classroom influences

cooperation, innovation and task orientation. Learning

Environments Research, 15(2), 171.

Strayer, J. F. (2007). The effects of the classroom flip on the learning

environment: A comparison of learning activity in a traditional

classroom and a flip classroom that uses an intelligent tutoring

- 114 -

system. Unpu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Stone, B. B. (2012). Flip your classroom to increase active learning

and student engagement. Retrieved from

http://www.uwex.edu/disted/conference/Resource_library/proceedin

gs/56511_2012.pdf

Sweller, J., Ayres, P., & Kalyuga, S. (2011). Cognitive load theory.

NY: Springer.

Talley, C., & Scherer, S. (2013). The enhanced flipped classroom:

increasing academic performance with student-recorded lectures

and practice testing in a 'flipped' stem course. Journal Of Negro

Education, 82(3), 339-347.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n.d.). Teaching and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etrieved from

http://uq.edu.au/tediteach/flipped-classroom/what-is-fc.html

Van den Akker, J. (1999). Principles and methods of development

research. In Van den Akker, J., Nieveen, N., Branch, R. M.,

Gustfson, K. L., & Pomp, T. (Eds.), Design methodology and

development research in education and training(pp. 1-14).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van Merriënboer, J. J. G., & Kirschner, P. A. (2007) Ten steps to

complex learning: A systematic approach to four-component

instructional design. NY: Routledge.

Yin, R. (1994).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Thousand

Oaks, CA: Sage.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gresses. New York, NY: Harvard University

Press.

- 115 -

Wang, F., & Hannafin, M. J. (2005). Design-based research and

technology-enhanced learning environment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54(4), 5-23.

Warter-Perez, N., & Dong, J. (2012). Flipping the classroom: How to

embed inquiry and design projects into a digital enginerring

lecture. In Proceedings of ASEE/PSW Section Conference,

Califonia, Polytechnic State University, San Luis Obispo.

Williams, N.(2006). Reflection journal writing as an alternative

assessment. Journal of Teacher Initiated Research, 3, 1-15.

Williams, S. (1992). Putting case-based instruction into context:

Examples from legal and medical education.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2(4), 367-427.

Wilson, S. G. (2013). The flipped class: a method to address the

challenges of an undergraduate statistics course. Teaching of

Psychology. 40, 193-199.

- 117 -

부 록

부록 1학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략에 한 타당화

설문지

부록 2학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략에 한 1차 문가

타당화 결과

부록 3학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략에 한 2차 문가

타당화 결과

- 118 -

<부 록1> 학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략에 한 타당화 설문지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략

문가 타당도 설문지

안녕하세요. 는 서울 학교 교육학과 교육공학 공 석사 4학기 한형종

입니다. 는 재 최근 부각되고 있는 역 학습(Flipped Learning)의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학습의 연계 략에 한 주제로 석사 학 논문을

진행 에 있습니다. 본 설문은 역 학습(Flipped Learning) 온·오 라인

연계 략에 한 문가 타당도 설문지로 문가로서의 선생님들의

검토의견은 역 학습의 연계 략 타당화를 해 매우 요하게 활용

될 것입니다. 본 설문지에 제시된 의견은 연구 목 이외에는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여러분의 익명성을 보장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아래의

질문에 해 성심 성의껏 응답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소 한 시간을

내어 주셔서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한형종 드림

([email protected])

서울 학교 학원 교육학과 교육공학 공

- 119 -

1. 학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략 반에 한 문가 검토

* 다음 질문은 앞에서 제시한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략에 한 타당

성을 묻는 것입니다. 다음 질문을 읽고 해당하는 곳에 √(체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구 분매우

그 다

(5 )

그 다

(4 )

보통

이다

(3 )

그 지

않다

(2 )

그 지

않다

(1 )

설명력

역 학습(Flipped learning)의 온라인

오 라인 학습이 연계될 수 있는

략을 잘 설명하고 있다.

타당성

역 학습(Flipped learning) 수업 설계

시 온라인 오 라인 학습의 연계성

을 고려할 설계 략으로 타당하다.

온·오 라인 연계를 한 각각의 일반

설계 략에 포함된 상세설계 지침은

서로 유기 으로 련성을 지니며 해

당 단계에 따라 하게 분류되었다.

보편성온·오 라인 연계 략은 보편 으로

용될 수 있다.

이해도온·오 라인 연계 략은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표 되었다.

기타

의견

해당 략에 해 보완해야 할 은 무엇입니까?

- 120 -

2. 학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략에 한 개별 타당화

(2차 문가 타당화 시)

* 다음 질문은 앞에서 제시한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략 각각에 해

타당성을 묻는 것입니다. 다음 질문을 읽고 해당하는 곳에 √(체크)하여 주

시기 바랍니다.

항목

척도

매우

그 다

(5 )

그 다

(4 )

보통

이다

(3 )

그 지

않다

(2 )

매우

그 지

않다

(1 )

1. 한 학기 다루어야 할 핵심 내용은 온라인 학

습으로, 심화학습을 한 활동은 오 라인 학

습으로 연결하는 강의계획서를 작성하라.

1.1. 차시마다 온라인 학습을 한 핵심 개념

을 제시하라

1.2. 차시에서 제시한 온라인 학습의 핵심 개

념을 용한 오 라인 학습활동을 설계

하고 이를 명시하라

2. 사례를 활용하여 수업을 설계하라

2.1. 온라인 학습 설계 시, 련 사례를 제시

하라

2.2. 학습 내용을 명확히 하기 해 한

사례와 하지 못한 사례를 모두 제

공하라

2.3. 오 라인 학습 상황에서 사례에 한 학

습자 심 활동을 설계하라

(가령, 교육 인 문제상황에 해 요구

분석 활동을 수행함)

3. 오류찾기를 통해 학습 내용을 용하라.

3.1. 온라인 학습 개념과 더불어 이와 상반되

는 오류가 포함된 동 상 혹은 학습 자

료를 제공하라

(가령, 멀티미디어 설계 원리가 용되지 않

는 자료를 개발하여 제공함)

- 121 -

3.2. 별 오류찾기 활동을 통해 학습 개념을

용하게 하라

(가령, 학습자들이 을 이 학습한 멀

티미디어 원리에 따른 오류찾기 활동을

진행함)

4. 다음 차시와의 연계성을 안내하라.

4.1. 오 라인 활동에 한 핵심 사항을 요약

하고, 다음 차시의 주요 학습 내용을 소

개하라

4.2. 수업 말미에 해당 차시의 학습이 다음

온라인 학습 내용과 어떠한 계가 있

는지를 고하라

5. 온라인 학습에 한 학습자 질문을 오 라인

수업에 반 하라.

5.1. 오 라인 활동 이 에 학습자는 온라인

학습 콘텐츠에 한 단순 회상이 아닌

도 인 질문을 1개 이상 하게 하라

5.2. 오 라인 수업 반에 학습자 질문에

해 논의하는 시간을 제공하라

(가령, 온라인 학습 동 상에 한 질문을

LMS 혹은 질의응답 게시 에 업로드 하게

한 뒤, 오 라인 수업 반에 학습자 질문에

해 논의함)

5.3. 질의응답 게시 을 활용하여 학습자 질문

을 정리하여 문서화하고 각각의 질문에

한 련 개념이 무엇인지를 제공하거나

제출한 질문에 해 코멘트를 제공하라

6. 온라인 컨텐츠와 수업의 연계성을 표 하게

하라.

6.1. 온라인 학습 내용이 활동과 어떠한 련

이 있는지를 학습자에게 질문하고 이를

표 할 기회를 제공하라

6.2. 온·오 라인이 어떠한 연결 계가 있는

지를 표 할 수 있는 컨셉맵(concept

map) 등의 시각도구를 활용하여 연계성

을 나타나게 하라

7. 성찰을 통해 학습을 종합하게 하라.

7.1.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활동에서 다룬

학습내용을 종합 연계시킨 한

성찰일지 시와 하지 못한 시를

온라인 상에 모두 제공하라

- 122 -

7.2. 차시별 온라인 콘텐츠 학습 내용에 기반

한 수업 활동이 모두 포함된 개인별 성

찰일지를 작성하게 하라

7.3. 개인별 성찰일지에 한 동료 피드백을

실시하여 연계성을 검토하게 하라

8. 온라인 학습 여부 수 을 악할 수 있는

활동을 설계하라

8.1. 교육용 어 리 이션을 활용하여 온라인

학습 내용에 한 퀴즈를 실시하라

8.2. 퀴즈 난이도의 경우, 온라인 학습 내용에

한 확인 차원의 문제와 더불어 오

라인 학습 활동에 련 있는 문항을 개

발하여 진행하라

9. 학습자의 의견을 악하여, 보충 심화 학

습 자료를 제공 안내하라.

9.1. 오 라인 수업 과 후에 질의응답을 통

해 학습자 의견을 악하라

- 123 -

[부록 2] 학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략(개별)에 한 1차 문가

타당화 결과

항목

교수설계 문가

A B C D

1. 온라인 오 라인 연 성을 고려하여 역 학습에 합한 강의

계획서를 설계 개발하라.4 4 4 4

1.1. 각 차시마다 온라인 학습의 핵심 개념을 제시하라 4 4 4 4

1.2. 각 차시에서 제시한 온라인 학습 개념을 용한 오 라인 학

습활동을 설계하고 이를 명시하라5 5 4 4

2. 사례를 활용하여 수업을 설계하라. 4 4 3 5

2.1. 온라인 학습 설계 시, 학습내용 련 사례를 제시하라 4 4 3 5

2.2. 면 면 학습 상황에서 사례에 한 학습자 심 활동을 설계

하라

(가령, 교육 인 문제상황에 해 요구분석 활동을 수행함)

3 3 3 4

3. 오류찾기를 통해 학습 내용을 용하라 5 4 3 5

3.1. 온라인 학습 개념과 더불어 이와 상반되는 오류가 포함된 동

상 혹은 학습 자료를 제공하라

(가령, 멀티미디어 설계 원리가 용되지 않는 자료를 개발

하여 제공함)

5 4 3 5

3.2. 별 오류찾기 활동을 통해 학습 개념을 용하게 하라

(가령, 학습자들이 을 이 학습한 멀티미디어 원리에 따

른 오류찾기 활동을 진행함)

3 4 3 5

3.3. 오류찾기 활동에 용된 학습 개념을 반 할 수 있는 실질

인 개발활동을 수행하라4 3 3 4

4. 온라인 학습에 한 학습자 질문을 오 라인 학습에 반 하라 5 5 4 5

4.1. 오 라인 활동 이 에 학습자는 학습한 내용에 한 단순 회

상이 아닌 도 인 질문을 1개 이상 하게 하라5 5 4 4

4.2. 학습자 질문을 분석하여 학습자의 재 상태를 악 한 뒤,

이를 오 라인 활동 설계에 반 하라

(가령, 온라인 학습 동 상에 한 질문을 LMS 혹은 질의

응답 게시 에 업로드 하게 한 뒤, 오 라인 수업 반에

학습자 질문에 해 논의함)

5 4 4 4

4.3. 학습자 질문에 한 활동을 오 라인 학습 에 다룰 경우, 4 3 4 4

- 124 -

오 라인 수업에서 각각의 질문과 련 있는 학습 개념을

제공하라

5. 실시간 응답이 가능한 교육용 어 리 이션을 활용하라. 3 3 3 4

5.1. 교육용 어 리 이션을 활용하여 온라인 학습 내용에 한

퀴즈를 실시하라4 4 3 4

5.2. 오 라인 수업 에 실시간 응답이 가능한 교육용 어 리

이션을 활용하여 학습자 의견을 악하라4 4 3 4

5.3. 학습자 의견을 다음 차시 온라인 학습 설계에 반 하라 3 3 3 5

6. 온라인과 오 라인의 연계성을 표 하게 하라 5 5 5 5

6.1. 오 라인 활동 에 교수자는 온라인 학습 내용과 활동이 어

떠한 련이 있는지를 학습자에게 질문하라4 5 3 5

6.2. 학습자에게 온라인 학습 련 개념과 오 라인 활동이 어떠

한 계를 지니는지 생각하고 표 할 기회를 제공하라4 5 4 5

6.3. 온라인과 오 라인의 주요 개념의 연계가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를 2차원 도식으로 나타나게 하라

(가령, 온·오 라인이 어떠한 연결 계가 있는지를 표 할

수 있는 컨셉맵(concept map) 등의 시각도구를 활용함)

4 4 3 4

7. 다음 차시와의 연계성을 안내하라 5 5 3 4

7.1. 수업 말미에 해당 차시의 학습이 다음 온라인 학습 내용과

어떠한 계가 있는지를 고하라5 5 3  4

8. 성찰을 통해 학습을 종합하라. 5 3 3 4

8.1.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활동에서 다룬 학습내용을 종합

연계시킨 한 성찰일지 시와 하지 못한 시를 모

두 제공하라

4 3 3 4

8.2. 한 차시 수업에 한 온라인 학습내용과 오 라인 활동이 모

두 포함된 개인별 성찰일지를 작성하게 하라5 5 3 4

- 125 -

[부록 3] 학 역 학습 온·오 라인 연계 략(개별)에 한 2차 문가

타당화 결과

항목

문가

기존 문가

역 학습 운

발표자 상

A D E F G

1. 한 학기 다루어야 할 핵심 내용은 온라인 학습으로, 심화학

습을 한 활동은 오 라인 학습으로 연결하는 강의계획서

를 작성하라.

4 5 5 5 4

1.1. 차시마다 온라인 학습을 한 핵심 개념을 제시하라 4 5 5 5 4

1.2. 차시에서 제시한 온라인 학습의 핵심 개념을 용한

오 라인 학습활동을 설계하고 이를 명시하라5 4 4 5 5

2. 사례를 활용하여 수업을 설계하라 4 5 5 4 5

2.1. 온라인 학습 설계 시, 련 사례를 제시하라 4 5 4 4 5

2.2. 학습 내용을 명확히 하기 해 한 사례와 하

지 못한 사례를 모두 제공하라5 5 4 5 5

2.3. 오 라인 학습 상황에서 사례에 한 학습자 심 활

동을 설계하라

(가령, 교육 인 문제상황에 해 요구분석 활동을

수행함)

4 5 5 4 5

3. 오류찾기를 통해 학습 내용을 용하라. 4 5 5 4 5

3.1. 온라인 학습 개념과 더불어 이와 상반되는 오류가

포함된 동 상 혹은 학습 자료를 제공하라

(가령, 멀티미디어 설계 원리가 용되지 않는 자료를 개

발하여 제공함)

4 5 5 3 5

3.2. 별 오류찾기 활동을 통해 학습 개념을 용하게 하

(가령, 학습자들이 을 이 학습한 멀티미디어 원

리에 따른 오류찾기 활동을 진행함)

4 5 5 5 5

4. 다음 차시와의 연계성을 안내하라. 4 5 4 5 5

4.1. 오 라인 활동에 한 핵심 사항을 요약하고, 다음

차시의 주요 학습 내용을 소개하라5 4 4 4 5

4.2. 수업 말미에 해당 차시의 학습이 다음 온라인 학습

내용과 어떠한 계가 있는지를 고하라4 5 4 5 5

5. 온라인 학습에 한 학습자 질문을 오 라인 수업에 반

하라.4 5 5 5 5

- 126 -

5.1. 오 라인 활동 이 에 학습자는 온라인 학습 콘텐츠

에 한 단순 회상이 아닌 도 인 질문을 1개 이

상 하게 하라

4 5 5 4 5

5.2. 오 라인 수업 반에 학습자 질문에 해 논의하는

시간을 제공하라

(가령, 온라인 학습 동 상에 한 질문을 LMS 혹은 질의

응답 게시 에 업로드 하게 한 뒤, 오 라인 수업 반에

학습자 질문에 해 논의함)

4 5 5 5 5

5.3. 질의응답 게시 을 활용하여 학습자 질문을 정리하여

문서화하고 각각의 질문에 한 련 개념이 무엇인

지를 제공하거나 제출한 질문에 해 코멘트를 제공

하라

4 5 4 5 5

6. 온라인 컨텐츠와 수업의 연계성을 표 하게 하라. 4 4 4 4 5

6.1. 온라인 학습 내용이 활동과 어떠한 련이 있는지를

학습자에게 질문하고 이를 표 할 기회를 제공하라4 4 4 5 5

6.2. 온·오 라인이 어떠한 연결 계가 있는지를 표 할

수 있는 컨셉맵(concept map) 등의 시각도구를 활

용하여 연계성을 나타나게 하라

5 5 5 3 5

7. 성찰을 통해 학습을 종합하게 하라. 4 4 5 4 5

7.1. 온라인 학습과 오 라인 활동에서 다룬 학습내용을

종합 연계시킨 한 성찰일지 시와 하지

못한 시를 온라인 상에 모두 제공하라

4 5 4 4 5

7.2. 차시별 온라인 콘텐츠 학습 내용에 기반 한 수업 활

동이 모두 포함된 개인별 성찰일지를 작성하게 하라4 5 5 4 5

7.3. 개인별 성찰일지에 한 동료 피드백을 실시하여 연

계성을 검토하게 하라5 5 5 5 5

8. 온라인 학습 여부 수 을 악할 수 있는 활동을 설계

하라4 5 5 5 5

8.1. 교육용 어 리 이션을 활용하여 온라인 학습 내용에

한 퀴즈를 실시하라4 5 5 5 5

8.2. 퀴즈 난이도의 경우, 온라인 학습 내용에 한 확인

차원의 문제와 더불어 오 라인 학습 활동에 련

있는 문항을 개발하여 진행하라

4 5 5 5 4

9. 학습자의 의견을 악하여, 보충 심화 학습 자료를 제

공 안내하라.3 5 5 5 5

9.1. 오 라인 수업 과 후에 질의응답을 통해 학습자 의

견을 악하라4 5 4 5 5

- 127 -

9.2. 학습자가 제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가 인 자료가

필요할 경우, 이를 온라인 상에 제공하고, 만약 련

개념이 이 차시에서 나올 경우, 해당 개념에 한

온라인 학습을 안내하라

4 5 5 5 5

- 129 -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Integrating Online and Offline

Modes of Flipped Learning in a

Collegiate Course

A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by

Han, Hyeong Jong

Major Advisor: Lim, Cheolil, Ph.D.

Major in Educational Technology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130 -

Abstract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Integrating Online and Offline

Modes of Flipped Learning in a

Collegiate Course

Han, Hyeong Jong

Major in Educational Technology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Recently, flipped learning has becomes an issue as an alternative

teaching-learning metho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traditional teaching. The interest in its application is increasing. The

flipped learning is generally defined as a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utilizes not only online or digital contents outside the classroom, but

also various learning activities, such as an assignment, inside the

classroom. A large number of studies on the flipped learning in a

university setting indicate that the learning method is effective to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learners. However, several

problems along with implementing the flipped learning have also

- 131 -

arisen. One of the problems is a low integration of online and offline.

Although it is important to link online and offline modes of flipped

learning, studies on detailed strategies are yet insufficient to solve

them. This suggests that strategies to connect online learning contents

and offline activities must be explored and developed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flipped learning in a university set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rategies that integrate

online and offline modes of learning to successfully operate the flipped

learning in a university setting. Furthermore, it is to analyz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se strategies and look for optimal improvements

through analyzing learner's responses to the strategies.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two major research questions were investigated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design strategies of integrating online and offline

modes for flipped learning in a university?

Second, what are the strengths, weaknesses and improvements that

can be attained by analyzing learners' responses on the design

strategies of integrating online and offline modes for flipped learning in

a university?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rmative

research methodology was applied and went through a five-stage

process. First, an initial design strategy was derived from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he flipped learning and the integration aspects of

teach-learning methods. Second, the opinions of learn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an initial implementation stage on the initial

design strategies. Simultaneously, revised and supplemented design

strategies were derived from the propriety of instructional design

experts. Third, experts reviewed whether the revised parts of the

revised design strategy were reflected. Also, professors and

researchers that actually operated the flipped learning or published

- 132 -

related papers examined these strategies so that they could be

reflected to develop final design strategies. Fourth, the finally derived

design strategies were applied to the Educational Technology lecture of

'S' University located in Seoul to analyze the response of learners in

the aspects of strengths and weaknesses as well as improvements.

Fifth, based on the analysis of learner's responses, design strategies

were proposed.

The strategies were composed of two components, nine general

design strategies and twenty-one detailed design instructions. These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spects of explo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ept, 1)

syllabus development to integrate online and offline modes of the

flipped learning, 2) lecture design through cases, 3) learning material

including errors and error finding activity, 4) information on

connectivity for next lecture were included.

Second, with respect to the meaning making, 5) integration through

learners’ questions, 6) online and offline connection through

visualization activity, 7) synthesis of learning through reflection

journals, 8) design for activity that identifies students' learning

progress and level, 9) provision of supplementary or in-depth learning

materials based on learner's opinion was included. These strateg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ways: prior to course operation, and offline

class based on online learning, and online learning founded on offline

class.

As a result of analysis of learners’ responses to strategies, it was

confirmed that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were integrated through

various strategies so it helped make learning effective and significant.

In addition, opinions suggested that these strategies gave positive

effects on the recollection of learning contents, its application and

organizatio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instructor’s feedback,

- 133 -

visual data provision and visualization activity, the reflection of

learner’s opinion and demand are important in integrating the online

and offline modes of the flipped learning. However, learners appealed

that they felt a heavy burden of learning and connectivity. They

perceived that it was effort and time consuming in terms of

application of two or more strategies to a single lesson.

This study suggested design strategies that enable the integration of

the online learning and the offline activities of the flipped learning in a

university. These strategies were revised based on the analysis of

learner's responses. Accordingly, this study had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various integration strategies to teachers and

instructional designers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flipped

learning. So, it prescribed a learning design. This study was important

because it also reflected on pursuing optimization of design strategies

based on the analysis of learner's opinions and responses.

keywords : Flipped Learning, Integration, Strategies, Formative

Research

S t u d e n t N u m b e r : 2013-21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