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일혁명 · Ⅲ. 천연가스시장의이해–비전통천연가스시장 4....

23
셰일 혁명 2013.02.20 대신경제연구소 경제조사실 선임연구원 김수인 [769-3108] [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07-Feb-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셰일혁명 · Ⅲ. 천연가스시장의이해–비전통천연가스시장 4. 셰일혁명의진원지미국: 미국은1990년대부터셰일가스개발을시작하여2000년대중반부터본격적인개발이이루어졌으며,

셰일 혁명

2013.02.20

대신경제연구소 경제조사실선임연구원 김수인 [769-3108] [email protected]

Page 2: 셰일혁명 · Ⅲ. 천연가스시장의이해–비전통천연가스시장 4. 셰일혁명의진원지미국: 미국은1990년대부터셰일가스개발을시작하여2000년대중반부터본격적인개발이이루어졌으며,

18Ⅷ. 아시아의 기회

17Ⅶ. 러시아의 위기

21Ⅸ. 셰일 혁명의 회의적 시각

16Ⅵ. 미국의 에너지 르네상스

22Ⅹ. 결론 및 생각해 볼 점

09V. 세계 에너지 시장의 변화

I. 에너지 혁명 03

II. 셰일 혁명 04

III. 천연가스 시장의 이해 05

IV. 원유 시장의 이해 08

Page 3: 셰일혁명 · Ⅲ. 천연가스시장의이해–비전통천연가스시장 4. 셰일혁명의진원지미국: 미국은1990년대부터셰일가스개발을시작하여2000년대중반부터본격적인개발이이루어졌으며,

3

Ⅰ. 에너지 혁명

석탄에서 석유로의 변화가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음

- 1차 세계 대전 당시 석탄 대신 석유를 군함 연료로 사용했던 연합군의 승리

- 경쟁 국가들보다 한 발 앞 서 에너지 시스템의 변화를 추진한 것이 전쟁의 승리로 이어졌음

에너지 밀도가 모든걸 바꿔 놓았음

- 석유는 석탄 대비 에너지 밀도가 약 2배 높음

셰일 혁명으로 천연가스의 시대가 열리고 있음

- 에너지 밀도

- 가격

천연가스 <<<<<< 석유

10,500kcal/kg10,750kcal/kg6,600kcal/kg

천연가스석유석탄

Page 4: 셰일혁명 · Ⅲ. 천연가스시장의이해–비전통천연가스시장 4. 셰일혁명의진원지미국: 미국은1990년대부터셰일가스개발을시작하여2000년대중반부터본격적인개발이이루어졌으며,

4

Ⅱ. 셰일 혁명

셰일 가스(Shale Gas)

- “미국은 앞으로 100년 가량 쓸 수 있는 천연가스를 가지고 있다.” – 오바마 미국 대통령

- 셰일 가스 개발은 미국의 에너지 자립은 물론 미국 경제의 새로운 황금기 부활을 예고

타이트 오일(Tight Oil)

- 셰일 가스에 이은 타이트 오일 개발 붐 → 미국은 2020년대 중반이면 세계 최대 석유생산국이 될 것

- 독자적 기술력을 갖고 있는 미국의 에너지 주도권은 더욱 커질 전망 → 미국은 2035년 순 에너지 자급국이 될 것

미국의 천연가스 생산 시나리오(1990 ~ 2040)

자료: EIA(미 에너지정보청), 대신경제연구소(DERI)

미국의 원유 생산 시나리오(1990 ~ 2040)

자료: EIA(미 에너지정보청), 대신경제연구소(DERI)

0

2

4

6

8

1990 2000 2020 2030 2040

History 2011 Projections

Tight oil

Other lower 48 onshore

Lower 48 offshore

Alaska

20100

2

4

6

8

1990 2000 2020 2030 2040

History 2011 Projections

Tight oil

Other lower 48 onshore

Lower 48 offshore

Alaska

20100

5

10

15

20

25

30

35

1990 2000 2010 2020 2030 2040

History 2011 Projections

Shale gas

Nonassociated offshore

Coalbed methane

Tight gas

Alaska

Associated with oilNonassociated onshore

0

5

10

15

20

25

30

35

1990 2000 2010 2020 2030 20400

5

10

15

20

25

30

35

1990 2000 2010 2020 2030 2040

History 2011 Projections

Shale gas

Nonassociated offshore

Coalbed methane

Tight gas

Alaska

Associated with oilNonassociated onshore

(TCF) (백만 bpd)

미국의 에너지 자립과 에너지 르네상스를 이끌고 있는 ‘셰일 혁명’이

세계 에너지 시장의 판도를 흔들고 있다

Page 5: 셰일혁명 · Ⅲ. 천연가스시장의이해–비전통천연가스시장 4. 셰일혁명의진원지미국: 미국은1990년대부터셰일가스개발을시작하여2000년대중반부터본격적인개발이이루어졌으며,

5

Ⅲ. 천연가스 시장의 이해 –전통 천연가스 시장

천연가스(LNG) 가격 결정 – 아시아 프리미엄이 큰 것이 특징

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 대신경제연구소(DERI)

PNG

LNG

아·태 시장(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 주요 LNG 수입국 집중 )

– 전체 가스 거래의 약 32%를 차지

- 유가 연동 가격공식하의 중장기 계약 형태로 거래

유럽 시장

– 러시아 PNG 의존도 감소를 위해 LNG 도입 확대 중

- 유가 또는 중유 등 대체연료의 바슼스켓에 연동하여 가격 결정

북미 시장

– 역내에서는 PNG 형태로 교역

- LNG 수입가격은 역내 시장가격(Henry Hub)에 연동하여 결정

Page 6: 셰일혁명 · Ⅲ. 천연가스시장의이해–비전통천연가스시장 4. 셰일혁명의진원지미국: 미국은1990년대부터셰일가스개발을시작하여2000년대중반부터본격적인개발이이루어졌으며,

6

Ⅲ. 천연가스 시장의 이해 –비전통 천연가스 시장

셰일 가스란?

-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셰일층인 근원암에서 형성된 가스가 저류암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근원암인 셰일층에 갇혀 있는 가스

특징

1. 광범위한 분포와 매장량 : 기존 전통 천연가스가 국지적으로 매장되어 있는 것과 달리 전 세계에 분포되어 있음

2. 개발비용 저렴 : 최근 3~6달러/MMBTU 수준(유가로 35달러/BBL 수준)까지 하락한 것으로 추정

3. 고도의 기술력 필요 : 수평정 시추기술과 수압파쇄기법이 핵심 → 고도의 기술력을 갖춘 미국이 주도

글로벌 셰일 가스 부존 현황 – 중국과 미국이 최대량 보유

자료: 대신경제연구소(DERI)

Page 7: 셰일혁명 · Ⅲ. 천연가스시장의이해–비전통천연가스시장 4. 셰일혁명의진원지미국: 미국은1990년대부터셰일가스개발을시작하여2000년대중반부터본격적인개발이이루어졌으며,

7

Ⅲ. 천연가스 시장의 이해 –비전통 천연가스 시장4. 셰일 혁명의 진원지 미국 : 미국은 1990년대부터 셰일 가스 개발을 시작하여 200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인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이

후 2009년부터는 러시아를 제치고 세계 최대 가스 생산국이 되었음. 셰일 가스 생산 증가에 힘입어 에너지 자립은 물론 미국 경제의

새로운 황금기 부활을 예고하고 있으며 미국에서 시작된 셰일 혁명은 전세계로 확산될 조짐임

※ 미국의 비전통 가스 개발 발달 배경

①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제도

② 전국적으로 갖춰진 파이프라인 개발에 필요한 설비와 용수공급 등이 발달되어 생산 비용 자체가 상대적으로 저렴

③ 미국 관습법상 석유/가스의 소유권이 토지 소유자에게 있어 가스 개발 기업과 계약 체결이 쉽고, 개발관련 규제도 주 정부가

관할하여 가스 개발을 위한 시간과 절차가 짧음

미국에서의 셰일 가스 생산량 추이

자료: EIA(미 에너지정보청), 대신경제연구소(DERI)

10

60

110

160

210

260

310

07.1 07.7 08.1 08.7 09.1 09.7 10.1 10.7 11.1 11.7

0

20

40

60

80

100

전체 천연가스 생산량

셰일 가스 생산량

셰일 가스 생산 비중(우)

(만 MMcf) (%)

주) MMCF (Million Cubic Feet) : 100만 입방피트(가스의 계량 단위)

Page 8: 셰일혁명 · Ⅲ. 천연가스시장의이해–비전통천연가스시장 4. 셰일혁명의진원지미국: 미국은1990년대부터셰일가스개발을시작하여2000년대중반부터본격적인개발이이루어졌으며,

8

Ⅳ. 원유 시장의 이해 –전통, 비전통 석유 시장

미국의 에너지 생산과 소비 시나리오(1980~2040) – 미국은 비전통 가스, 석유 생산으로 에너지 자립국이 될 전망

자료: EIA(미 에너지정보청), 대신경제연구소(DERI)

전통 석유 시장

- 사우디아라비아, 러시아 등이 세계 최대 전통 석유 생산국

비전통 석유 시장 – 타이트 오일(Tight Oil)

1. 광범위한 분포와 매장량 : 기존 전통 석유가 국지적으로 매장되어 있는 것과 달리 전 세계에 분포되어 있음

- 세계적인 타이트 오일 가채매장량은 2,400억 배럴로 추산, 미국의 타이트 오일 가채매장량은 322억 배럴로 추산

2. 생산단가 저렴 : 최근 배럴당 50~80달러 수준까지 하락한 것으로 추정

3. 고도의 기술력 필요 : 수평정 시추기술과 수압파쇄기법이 핵심 → 고도의 기술력을 갖춘 미국이 주도

Production

19%

History 2011 Projections

0

25

50

75

100

125

1980 1990 2000 2020 2030 2040

Consumption9%

2010

2005

Net imports 30%

2035

10%

Production

19%

History 2011 Projections

0

25

50

75

100

125

1980 1990 2000 2020 2030 2040

Consumption9%

2010

2005

Net imports 30%

2035

10%

(1,000조 BTU)

주) BTU (British Themal Unit) : 1파운드의 물을 1°F만큼 높이는 데 소요되는 열량

Page 9: 셰일혁명 · Ⅲ. 천연가스시장의이해–비전통천연가스시장 4. 셰일혁명의진원지미국: 미국은1990년대부터셰일가스개발을시작하여2000년대중반부터본격적인개발이이루어졌으며,

9

Ⅴ. 세계 에너지 시장의 변화 - 1천연가스 시장의 주도권 이동

1. 전통가스 수출국(러시아, 중동) → 셰일 가스 보유국(미국, 중국, 유럽 등)

2. 셰일 가스 최대 생산국인 미국에서 셰일 가스 수출에 대하여 Henry Hub 가격에 연동 예정

: 미국(Henry Hub + 수송비 = 9$/MMBTU) vs 러시아(일본수출장기계약가격=17$/MMBTU)

– 2012.05 기준

→ 전통가스 수출국인 러시아와 중동의 입지는 더욱 악화될 예정

러시아 천연가스 수출이 줄어들고 있음

자료:EIA(미 에너지정보청), 대신경제연구소(DERI)

러시아의 대수출국인 미국의 천연가스 생산 증가와 수입 감소

자료: EIA(미 에너지정보청), 대신경제연구소(DERI)

50

55

60

65

70

75

80

85

90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러시아 천연가스 수출(백 BCF)

150

160

170180

190

200

210220

230

240

250260

270

280

00.1 02.2 04.3 06.4 08.5 10.6 12.7

0

1

2

3

4

5

6

7

8

9

10미 천연가스 생산량(좌)

미 천연가스 수입량(우)

(만 MMcf) (만 MMcf)

주) BCF (Billion Cubic Feet) : 10억 입방피트(가스의 계량 단위) 주) MMCF (Million Cubic Feet) : 100만 입방피트(가스의 계량 단위)

Page 10: 셰일혁명 · Ⅲ. 천연가스시장의이해–비전통천연가스시장 4. 셰일혁명의진원지미국: 미국은1990년대부터셰일가스개발을시작하여2000년대중반부터본격적인개발이이루어졌으며,

10

Ⅴ. 세계 에너지 시장의 변화 - 2세계 에너지 수급의 개편

1. 국제 원유 공급 구조의 재편

- 향후 10년간, 중동에서 미국으로의 석유공급 감소 → 미국의 탈중동화

- 중국이 미국을 밀어내고 OPEC의 최대 고객으로 급부상

2. 안전보장을 포함한 전략적 협력관계의 새로운 변화

- 미국은 ‘신국방전략’을 통해 아/태평양 지역을 새로운 군사 및 외교 전략지로 선택 : 중국에 대한 견제

- 중국은 중동 산 원유를 운반하는 해상 수송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 중

: 해상로 방위에 대하여 미국과 중국이 태평양과 인도양을 역할 분담할 가능성이 높음

석유 대외의존도(우측) 및 순수입량(좌측)의 비교(미국vs중국)

자료: BP통계, 한국석유공사, 대신경제연구소(DERI)자료: 대신경제연구소(DERI)

전략적협력관계의

재편중국 미국

중동

셰일 혁명은 단순한 수급 펀더멘탈의 변화를 넘어지정학적 역학관계에도 변화를 주고 있음

Page 11: 셰일혁명 · Ⅲ. 천연가스시장의이해–비전통천연가스시장 4. 셰일혁명의진원지미국: 미국은1990년대부터셰일가스개발을시작하여2000년대중반부터본격적인개발이이루어졌으며,

11

Ⅴ. 세계 에너지 시장의 변화 - 3

석유 → 천연가스로의 에너지 혁명

1. 미국 내에서 생산된 천연가스는 원유보다도 열량 당 가격이 약 1/6로 상당히 낮음

- 메이져 석유 회사들은 이미 국제 LNG 시장을 70년대 전반의 석유시장과 같이 LNG 과점 체제 확립을 꾀하고 있음

또한 이미 각 사 모두 상류 부문 생산량의 절반이 천연가스로 대체되었음

2. 자동차용 엔진, 헬리콥터, 민간항공기, 군용제트기, 선박용 엔진까지 천연가스로의 연료 대체가 이루어지고 있음

3. 미국은 자동차, 항공기, 군용제트기 등의 분야에서 가스관련 기술 표준 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자국 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는 셰일가스를 기반으로 에너지 순수출국으로의 도약을 꾀하고 있음

4. 미국 오바마 정부는 천연가스와 바이오연료 사용 확대 및 자동차 연비향상에 따라 원유 수입 물량을 2025년까지

1/3로 감축한다는 미래 에너지안보를 위한 청사진을 발표함

5. 에너지 구세주로서 천연가스가 핵심 에너지 공급원으로 선택될 경우, 천연가스 비축제도의 정비, 해외 천연가스

개발 지분의 확보 등을 비롯해 천연가스 공급량과 공급가격에서의 안정 공급 확보가 에너지 정책상 중대 핵심

과제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

Page 12: 셰일혁명 · Ⅲ. 천연가스시장의이해–비전통천연가스시장 4. 셰일혁명의진원지미국: 미국은1990년대부터셰일가스개발을시작하여2000년대중반부터본격적인개발이이루어졌으며,

12

Ⅴ. 세계 에너지 시장의 변화 - 4

세계 석유 수요 증대는 중국 수요 증대가 견인하게 될 것

자료:EIA(미 에너지정보청), 대신경제연구소(DERI)

미국의 원유 생산 증가와 원유 수입 감소

자료: EIA(미 에너지정보청), 대신경제연구소(DERI)

-2

-1

0

1

2

3

4

5

05 06 07 08 09 10 11 12 13

74

76

78

80

82

84

86

88

90

92중국 미국

기타 세계

(백만 b/d, 전년대비 증감분) (백만 b/d)

국제원유시장에 미치는 영향(셰일 혁명이 국제유가 하락으로 이어질 것인가?)

1. 타이트 오일이란?

전통적인 원유와 달리 원유가 생성되는 근원암인 셰일층에서 뽑아내는 원유. 생성된 뒤 지표면 부근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셰일층에

갇혀있는 원유로 수평시추, 수압파쇄 등과 같은 고도의 기술력이 발달하며 개발이 시작됨

2. 셰일 혁명이 국제 원유 수급에 끼치는 영향

① 국제 원유 수요 : 미국의 원유수입은 비전통원유(타이트 오일) 생산 증가로 감소할 예정이나, 중국의 원유수입은 공업화, 도시화

정책으로 증가할 전망 → 세계 석유 수요를 중국의 수요 증대가 견인하게 될 것

700

800

900

1000

1100

02.1 03.1 04.1 05.1 06.1 07.1 08.1 09.1 10.1 11.1 12.1

1000

1100

1200

1300

1400

1500미국의 원유 생산량(좌)

미국의 원유 수입량(우)

(만 배럴) (만 배럴)

Page 13: 셰일혁명 · Ⅲ. 천연가스시장의이해–비전통천연가스시장 4. 셰일혁명의진원지미국: 미국은1990년대부터셰일가스개발을시작하여2000년대중반부터본격적인개발이이루어졌으며,

13

Ⅴ. 세계 에너지 시장의 변화 - 4② 국제 원유 공급

- 미국의 타이트 오일 생산 증가로 원유 공급이 늘어날 예정이나, 세계 석유 공급량에 미치는 영향은 미국의

에너지 수출 정책이 관건

⑴ 미국은 에너지 안보를 이유로 원칙적으로 에너지 수출을 금지하며 수출 시에는 에너지부 허가가 필요함

⑵ 현재 미국은 약 4만 b/d(미국 원유 수요의 0.2% 가량)의 원유를 수출하고 있으나, 글로벌 오일 메이져들이 미국의 원유 수출

승인을 확대하고 있음

⑶ 2011년 5월 미국 에너지부가 40년만에 처음으로 LNG 수출을 허가함. 현재 FTA체결국과 비FTA체결국에 대한 수출허가 요

청 물량을 합하면 현재 미국 생산량의 64%에 달함. 현재 미국은 천연가스의 수출을 원칙적으로 자유무역 협정(FTA)를 체결한

국가에 한한다는 입장이며, 현재까지 한국, 영국, 스페인, 인도에 수출하는 계약만이 허가됐음

→ 미국은 장기적으로 셰일 가스를 수출하게 되겠지만, 국내 화학약품, 석유 화학 등의 산업계뿐만 아니라 국회의원, 환경 단체 등

이해관계자도 많고 또한 에너지안전보장에 관련된 안건이므로 LNG 대수출국이 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전망

-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OPEC이 국제 원유 가격을 지지하기 위해 적극적인 생산 조절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

할 수 없음

Page 14: 셰일혁명 · Ⅲ. 천연가스시장의이해–비전통천연가스시장 4. 셰일혁명의진원지미국: 미국은1990년대부터셰일가스개발을시작하여2000년대중반부터본격적인개발이이루어졌으며,

14

Ⅴ. 세계 에너지 시장의 변화 - 43. 결론

① 미국의 원유 수입 감소로 발생하게 될 중동 및 북서아프리카의 잉여원유가 아시아로 추가 공급되면서 전세계 원유수급

은 장기간에 걸쳐 균형을 이어갈 전망

② 미국의 타이트 오일 생산 증가로 원유공급이 증가할 전망이나, 미국 원유시장이 유입만 가능할 뿐, 유출은 거의 불가능

한 시장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전세계 원유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

→ 미국을 제외한 Non-OPEC 생산량은 하락, 전세계 원유수급은 여전히 타이트할 전망

③ 환경오염 문제, 수송 인프라 부족 등 제약요인이 상존하고 있으며, 투자 및 기술력 등을 감안하면 북미지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의 빠른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

→ 셰일 혁명으로 국제 유가의 강세국면이 종료될 수 있지만 이는 곧 유가 하락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셰일 혁명의

미래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도 존재하고 있어 이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견지할 필요가 있음

세계 석유 수급 현황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미국을 제외한 Non-OPEC 생산량은 하락

자료: 한국석유공사, 대신경제연구소(DERI)

78

80

82

84

86

88

90

92

07.1Q 08.1Q 09.1Q 10.1Q 11.1Q 12.1Q 13.1Q

-3

-2

-1

0

1

2

3재고 변화(우)

세계 공급

세계 수요

(백만 b/d) (백만 b/d)

3.5

3.7

3.9

4.1

4.3

4.5

4.7

4.9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Non-OPEC 생산량

미국을 제외한 Non-OPEC 생산량

(만 배럴)

Page 15: 셰일혁명 · Ⅲ. 천연가스시장의이해–비전통천연가스시장 4. 셰일혁명의진원지미국: 미국은1990년대부터셰일가스개발을시작하여2000년대중반부터본격적인개발이이루어졌으며,

15

Ⅴ. 세계 에너지 시장의 변화 - 5

아태 LNG 시장에서의 가격하락과 경직적인 계약 방식의 변화

1. 아시아 천연가스 시장의 경직성 완화 예정

- 현재는 Take or pay 조항을 엄격히 적용하여 제 삼자에게 판매할 수 없고(prohibition on reselling), 목적지도 변경할 수 없게 되어

있으며(locked to one destination) 구매자의 수급에 따라 물량조절(no quantity tolerance)도 할 수 없음

- 한국가스공사는 2012년 미국 Cheniere사의 Sabine Pass Liquefaction과 2017년부터 20년간 연간 350만 톤의 LNG를 Henry Hub

기준가격으로 도입하기로 구매계약을 체결했으며, 구매자가 100% 처분권을 갖게 되며 재판매에 따른 이익도 취할 수 있게 되었음

한국가스공사는 구매물량의 80만 톤을 프랑스의 Total사에 재판매 하기로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짐

2. 아시아 천연가스 수입 가격 하락 안정화 될 것

- 미국으로부터의 천연가스 수입에 대하여 Henry Hub 가격에 연동 예정

- 가격경쟁을 위하여 기존 유가 연동 가격결정방식에서도 가격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

- 아시아지역 LNG 무역허브 설치를 추진 중 → 현물시장 활성화를 통해 수입가격 추가 하락 가능

Page 16: 셰일혁명 · Ⅲ. 천연가스시장의이해–비전통천연가스시장 4. 셰일혁명의진원지미국: 미국은1990년대부터셰일가스개발을시작하여2000년대중반부터본격적인개발이이루어졌으며,

16

Ⅵ. 미국의 에너지 르네상스비전통가스의 생산비용 하락과 기술 노하우로 미국 제조업 부활의 신호탄

- 전국적으로 갖춰진 파이프라인 개발에 필요한 설비와 용수공급 등이 발달되어 생산 비용 저렴

- 수평시추법, 수압파쇄법과 같은 고도의 기술력을 갖춤

- 천연가스를 연료로 하는 자동차, 헬리콥터, 민간항공기, 군용제트기, 선박 개발

무역수지, 경상수지 적자가 대폭 개선되면서 균형재정 달성

- 현재 미국 무역적자의 약 절반은 원유 수입임

- 미 에너지부 조사에 따르면, 미국의 에너지 소비구조에서 차지하는 수입비중은 2010년 55%에서 2035년 13%로 급감할

것으로 전망. 이는 주로 셰일 가스 및 타이트 오일의 생산 증가에 의한 원유 수입 감소에 기인함

- 2012년 4월 미 재정수지는 591억1,700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 이는 2008년 9월 이래로 3년 7개월 만에 흑자달성임. 재정

수지 흑자의 주된 이유는 세수증가, 국방비 감축, 사회보장비 억제 등을 들 수 있지만 최근 몇 년간 계속된 원유 수입량의 감소

가 재정적자 완화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됨

에너지 자립의 가능성 : 중동에 대한 석유의존도가 점차 감소하면서, 중동 내 군사 주둔과중동으로부터의 해상로 방위의 중요성이 감소되어 에너지 안전보장 관련 비용 감소

- 미 자동 지출 삭감(시퀘스터)로 인해 미 국방예산이 급감

→ 국방예산과 육군병력을 감축하면서 새롭게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는 ‘신국방전략’ 수립

Page 17: 셰일혁명 · Ⅲ. 천연가스시장의이해–비전통천연가스시장 4. 셰일혁명의진원지미국: 미국은1990년대부터셰일가스개발을시작하여2000년대중반부터본격적인개발이이루어졌으며,

17

Ⅶ. 러시아의 위기주요 수요처 이동

- 주요 수요처인 미국이 천연가스 수출국으로 전환됨에 따라 잉여 공급분을 아시아 및 유럽에 추가 판매해야 하는 상황

- 러시아는 450억 달러를 투입해 동부 시베리아 가스전에서 블라디보스토크까지 3200Km의 가스관과 액화설비를 건설해

아시아 가스시장에 LNG를 공급하기로 결정함(2012.10.29)

천연가스 가격 조정 불가피 → 러시아 재정에 상당한 어려움이 될 수 있음

- 현재 러시아는 유가연동 천연가스 가격을 고수하고 있음

- 미국에서 생산되는 셰일 가스가 Henry Hub에 연동하여 수출될 경우, 가격경쟁력을 위하여 가격 결정 방식이 변화가 불가피함

- 유럽의 주요 가스 수입회사들로부터 가격인하의 압력을 받고 있으며, 이미 러시아 가즈프롬은 42억 5000만 달러에 달하는

가스가격의 할인으로 인해 2012년 2분기 이익이 50% 감소했다고 발표함(2012.11.02)

러시아의 재정수입에서 석유 및 가스수입의 비중

자료: 대신경제연구소(DERI)

Page 18: 셰일혁명 · Ⅲ. 천연가스시장의이해–비전통천연가스시장 4. 셰일혁명의진원지미국: 미국은1990년대부터셰일가스개발을시작하여2000년대중반부터본격적인개발이이루어졌으며,

18

Ⅷ. 아시아의 기회Ⅰ. 중국

셰일 가스 최대 보유국임에도 기술적인 제약 때문에 개발이 미미

- 중국의 셰일 가스 매장층이 미국보다 깊고 지질구조도 다양하여 미국의 가스 개발 기술을 그대로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음

- 미국처럼 인프라나 용수가 풍부하지도 않으므로 다른 나라보다 높은 개발 비용과 환경적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상황

- 2020년 이후에야 중국의 셰일 가스 생산이 가시화 될 전망임

중국 정부의 셰일 가스 본격 활용 의지 표명으로 역내 영향력 파급 확대 전망

- 2012년 11월 중국 정부는 셰일 가스 개발에 1㎥ 당 0.4위안의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결정함

- 2020년까지 35Tcf 매장량 발견 및 연간 500~1,000Bcf 개발/생산으로 중국 총 가스 생산의 8~12%를 목표로 함

- 2020년까지 에틸렌 생산량의 25%(700만톤)를 가스원료로 대체 계획이어서 중국의 천연 가스 생산 확대는 중국 석유화학

산업의 성장 및 경쟁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중국은 최대 원유 수입국이 될 예정

- 세계 경기침체의 여파에도 중국은 신속하게 반등을 시작, 원유 수입을 늘리고 있음

- 미국의 원유 수입 감소로, 중동과의 전략적인 협력관계에 놓이게 될 것으로 예상됨

Page 19: 셰일혁명 · Ⅲ. 천연가스시장의이해–비전통천연가스시장 4. 셰일혁명의진원지미국: 미국은1990년대부터셰일가스개발을시작하여2000년대중반부터본격적인개발이이루어졌으며,

19

Ⅷ. 아시아의 기회Ⅱ. 일본

일본은 셰일 혁명의 수혜국이 될 수 있을까?

→ 일본의 천연가스 소비는 꾸준히 지속될 것으로 판단되나, 가스발전소의 평균효율 증가로 그 수요가 급증

하지는 않을 전망

일본은 저렴한 천연가스를 공급받는 것이 관건

- 미국의 중국에 대한 견제로, 미일 양국의 동맹이 강화되고 있음 → 미국으로부터 저렴한 셰일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을까?

- 현재는 원칙적으로 FTA 체결국에 한하여 수출을 허용하겠다는 미국의 에너지 수출 금지 정책이 걸림돌

- FTA 체결국인 우리나라 기업과 읿일본 기업의 협력구매, 셰일 가스 재판매 물량 구매 등의 해결책 마련 필요

- 2012년 9월 도쿄에서 아시아지역의 천연가스 가격구조의 변경을 위한 소비국과 생산국 간의 회의를 개최하는 등 천연가스

가격구조 변경에 적극적인 대응 중

원전사고이후 천연가스

수요 급증

•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가격으로 천연가스를 공급받을필요성이 증가함

유가연동가격 결정

방식

2014년사우디아라비아는

재정적자국

인도네시아는석유 순수입국으로 변모 중

• 현재 미, 유럽에 비해 거의2배에 달하는 높은 가격으로천연가스를 조달 받고 있음

• 일본의 원유 수입량 중 30%를사우디아라비아에서 수입 중→ 원유가격 상승으로 새로운대체에너지로의 전환이 시급

• 일본은 발전용 원유의 거의 절반을 인도네시아 산 원유 사용 →새로운 대체에너지로의 전환이시급

Page 20: 셰일혁명 · Ⅲ. 천연가스시장의이해–비전통천연가스시장 4. 셰일혁명의진원지미국: 미국은1990년대부터셰일가스개발을시작하여2000년대중반부터본격적인개발이이루어졌으며,

20

Ⅷ. 아시아의 기회

Ⅲ. 한국

저가격 가스, 저유가 시대의 개막

- 셰일 가스 공급량 증대에 따라 장기적으로 세계 천연가스 가격 하향 안정화 될 것

- 셰일 가스 개발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미국의 에너지 수출이 현실화될 경우 국제 유가의 하향 안정화 가능

석유화학산업 : 수익성 개선

- 석유화학산업의 원료가 비싼 석유 부산물 중심에서 저렴한 셰일 가스 부산물(프로판, 에탄) 중심으로 변화되어 수익성 개선

발전 산업 : 가스 발전 비중 확대

- 저가격, 환경 친화적 가스발전이 석탄발전을 대체할 전망

※ 한국가스공사는 2012년 미국 Cheniere사의 Sabine Pass Liquefaction과 2017년부터 20년간 연간 350만톤의 LNG를 Henry

Hub 기준가격으로 도입하기로 구매계약을 체결했으며, 이는 미국정부가 영국, 스페인, 인도와 함께 가스공사에 수출을 최초로

허가한 것임

Page 21: 셰일혁명 · Ⅲ. 천연가스시장의이해–비전통천연가스시장 4. 셰일혁명의진원지미국: 미국은1990년대부터셰일가스개발을시작하여2000년대중반부터본격적인개발이이루어졌으며,

21

Ⅸ. 셰일 혁명의 회의적 시각셰일 가스와 관련된 환경이슈들

미국 외 지역 개발 부진에 대한 부정적 시각

미국의 정치적인 의도로 셰일 가스의 매장량이 부풀려 진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 제기

• 전통가스에 비해 3.5~12% 많이

배출

• 석탄대비 절반 배출

• 가스방출 및 누출로 인한 온실가스 증가

• 전통가스보다 많은 가스정 시추

• 가스정 완결과정에서 추가적인 가스방출

가스누출과

온실가스

• 수평정 개발로 지표면 부지 최소화

• 다른 에너지에 비해 유리

• 소음, 불쾌, 혼잡, 대기오염, 삼림훼손 등 환경파괴

• 개발기간 : 부지정리(60일), 시추(15~60일), 수압파쇄 및 완결

(15~30일)

주변

환경파괴

• 다른 산업에 비해 낮은 비율

• 재활용으로 용수절감

• 수압파쇄 용수 사용으로 인한 수자원 고갈

• 셰일가스 정당 1~5백만 갤런 용수 사용수자원

고갈

• 일반 산업용수와 동일

• 하수처리로 예방 가능

• 불충분한 하수 처리로 지표면 수질오염

• 가스정에 주입된 물의 1/3 정도가 생산과정에서 회수

• 2010년 펜실베니아 : 대량 하수 유출 사례

지표면

수질오염

• 대수층 가스 침투는 일반적 현상

이며 가스전 개발로 인한 경우는

희박함

• 식수원 대수층으로 가스 침투 가능성

• 2010년 펜실베니아 : 불완전한 케이싱으로 인해 누출된 가스로

식수정 폭발 및 오염

식수원

가스침투

• 대량 희석 시 인체에 무해

• 심도가 깊어서 무관

• 케이싱으로 침투방지 가능

• 수압파쇄 화학물질의 대수층 침투로 인한 식수원 오염

• 수압파쇄 유체 중 0.5%미만인 화학물질 성분 미공개

• 2009년 루이지에나 : 화학물질 유출로 소 17마리 사망

수압파쇄

화학물질

Page 22: 셰일혁명 · Ⅲ. 천연가스시장의이해–비전통천연가스시장 4. 셰일혁명의진원지미국: 미국은1990년대부터셰일가스개발을시작하여2000년대중반부터본격적인개발이이루어졌으며,

22

Ⅹ. 결론 및 생각해 볼 점

장기적으로 셰일 가스의 생산은 에너지원으로써 천연가스의 확대를 촉진시킬 것

→ 경쟁국가들과 비굫교하여, 셰일 혁명으로 인한 천연가스로의 에너지 개혁을 어떻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인가?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아시아권의 가스수요는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예상되므로 역내 협력강화를 통해 불필요한 구매

가격 경쟁을 피하고 적정가격을 관철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

→ 지정학적으로 천연가스 수입국인 아시아는 향후 수입 가격 안정화를 위한 노력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전망

미국의 셰일 가스 개발로부터의 교훈 : 미국의 비전통 가스개발은 에너지 안보를 확보, 개발 기술에서 우위를 점했으

며 관련 인프라 확대와 고용창출 등 경제적 파급효과도 상당한 것으로 평가됨

→ 자원개발이 단순한 자원개발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님

Page 23: 셰일혁명 · Ⅲ. 천연가스시장의이해–비전통천연가스시장 4. 셰일혁명의진원지미국: 미국은1990년대부터셰일가스개발을시작하여2000년대중반부터본격적인개발이이루어졌으며,

23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