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28
악기학의 이해 1 악기학의 이해 * 1. 들어가면서 악기학은 그대로 악기에 대한 학문적인 연구를 뜻한다. 악기란 음악을 만드는 도구이므로 악기에 대한 연구는 음악학의 중요한 분과학이다. 1 ) 국의 음악학계에서 악기학은 흔히 언급되는 용어는 아니다. 이유는 한국 에서 음악학 또는 음악연구가 아직 총론적인 단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 악기에 대한 연구가 연주법이나 관현악법 등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악기를 연주 중심으로 접근하거나 연주기술적 지식을 추구하는 것으 로서만 접근하여 왔다. 이렇게 접근한 악기연구도 제한적이다. 또한 서양과 한국의 악기에만 한정시키는 경향도 악기학을 전체의 크기로 이해하기 어렵게 만든다. 세계에는 단순한 악기로부터 시작하여 구조에 있어서 * 논문은 계명대학교 1999년도 비사연구비의 지원에 의해 연구되었음. 1 ) 홍정수·조선우 편저, 『음악은이1(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90), 12-13. 여기에서 악기학은 음악학의 분과학으로 가장 먼저 설명되어 있다. 그리고 악기학은 음악학의 세가지 분야 역사음악학과 체계음악 학과 응용음악학 중에서 역사음악학으로 분류되어 있다. 그러나 악기는 소리를 내기 위한 적으로 만들어져 하나의 체계로서 연구할 수도 있고 악기의 기원을 비롯한 변천사를 연구할 있어서 그러한 분류는 문제가 있다. 1. 들어가면서 2. 악기학(organology)이란 무엇인가 3. 악기란 무엇인가: 악기의 정의 4. 악기학의 주요범위와 접근법 5. 악기분류법 연구 6. 나가면서

Upload: others

Post on 26-Mar-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악기학의 이해 1

악기학의 이해*

박 미 경

1. 들어가면서

악기학은 말 그대로 악기에 대한 학문적인 연구를 뜻한다. 악기란 음악을

만드는 도구이므로 악기에 대한 연구는 음악학의 중요한 분과학이다.1 ) 한

국의 음악학계에서 악기학은 흔히 언급되는 용어는 아니다. 그 이유는 한국

에서 음악학 또는 음악연구가 아직 총론적인 단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

고, 악기에 대한 연구가 연주법이나 관현악법 등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악기를 연주 중심으로 접근하거나 연주기술적 지식을 추구하는 것으

로서만 접근하여 왔다. 이렇게 접근한 악기연구도 제한적이다. 또한 서양과

한국의 악기에만 한정시키는 경향도 악기학을 그 전체의 크기로 이해하기

어렵게 만든다. 세계에는 단순한 악기로부터 시작하여 그 구조에 있어서 고

* 이 논문은 계명대학교 1999년도 비사연구비의 지원에 의해 연구되었음.1) 홍정수·조선우 편저,

『음악은이1』(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90), 12-13쪽. 여기에서 악기학은 음악학의 분과학으로 가장 먼저 설명되어 있다. 그리고 악기학은 음악학의 세가지 분야 즉 역사음악학과 체계음악

학과 응용음악학 중에서 역사음악학으로 분류되어 있다. 그러나 악기는 소리를 내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져 하나의 체계로서 연구할 수도 있고 악기의 기원을 비롯한 변천사를 연구할 수 있어서 그러한 분류는 문제가 있다.

1. 들어가면서

2. 악기학(organology)이란 무엇인가

3. 악기란 무엇인가: 악기의 정의

4. 악기학의 주요범위와 접근법

5. 악기분류법 연구 6. 나가면서

Page 2: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2 음악과 민족 제23호

도의 발전과정을 거치거나 인간의 놀라운 독창성을 반영하는 형태까지 많은

다양한 악기가 있다. 악기의 다양성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체계

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악기학의 영어 단어 organology는 organ이라는 단어

와 -ology라는 단어의 복합체인데, 이때 organ이란 우리 신체의 장기와 같이

유기적인 체계를 이루고 기능하는 것을 가리키며 -ology는 체계적 연구를

뜻한다. 악기란 그 자체로서 하나의 우주라고 할 수 있으며, 하나의 완결된

유기적 체계로서 연구대상이 된다.

2. 악기학(organology)이란 무엇인가

악기학의 영어단어 organology(독일어는 Instrumentenkunde)의 일반적인 의

미는 악기와는 무관하게 ‘식물이나 동물 조직의 연구로서 특히 그 형식·구

조·발전·기능과 관련한 것’(the study of plant or animal organs with reference to

their form, structure, development, an functions)이다.1) 그 용어는 원래 그리스어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그것이 음악과 관련하여 쓰이면서 음악적 도구(악기) 뿐만 아니라 인간의

목소리를 만드는 발성기관까지를 의미하기도 하였다. 이 단어가 ‘악기의 과

학’과 관련하여 처음 쓰인 용례는 17세기 이론가 프레토리우스(Praetorius)1)

의 저서명인 De organographia이다. Organology라는 단어는 영국에서 1814년경

에 생물안에 있는 조직을 구조적 기능과 관련하여 다루는 골상학과 관련하

여 처음 사용되었다. 19세기 중반에 음악학에서 인용되었으며 19세기 후반에

와서 실제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악기학이라는 의미의 organology는

그러므로 위에서 제시한 사전적 정의에서 연구대상을 음악으로 바꾸어 “악

2) Webster's New Universal Unabridged Dictionary(Simon & Schuster, a Division of Gulf & Western

Corporation, 1983), 1261쪽. 3 ) 프레토리우스(Michael Praetorius 1571∼1621): 독일의 음악이론가이자 작곡가이다. 그의

Syntagma Musicum은 17세기 음악의 지식을 위한 주요 자료이며, 루터교회음악 작품들은 17세기 초기 종교음악의 중요한 예들이다. Syntagma Musicum의 현존되는 세 부분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제2권인데, 이것은 고대로부터 잔존된 많은 악기들을 분류하고 묘사하였다. M. Praetorius, Syntagmatis musici tomus secundus (Wolfenb ttel, 1618, 2/1619/R1968); with Theatrum instrumentori (Wolfenb ttel, 1620/R1958)

Page 3: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악기학의 이해 3

기의 연구로서 특히 그 형식·구조·발전·기능과 관련한 것”으로 파악될 수 있

다.

악기학이라는 하나의 학문체계를 형성하고 어느 정도 독자적인 역사를 훑

어내릴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준 것은 종족음악학(ethnomusicology)이었다.

악기학의 성장이 종족음악학자들의 손에서 많이 이루어진 이유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그 한 가지 이유는 학문적 성격에서 온다. 종족음악학의 방법

론적 특징은 ‘음악을 그 원래의 문맥에서 연구하는 것’(study of music in its

own context), ‘문화로서의 음악연구’(study of music as culture)에 있다는 것은

일반적인 사실이다. 그러한 관점에서는 연구대상으로서의 음악의 종류에 차

별이나 제한이 없으며 악기 또한 그러하다. 또한 악기는 소리를 내기 위하

여 만들어진 도구이지만, 또한 그 악기를 만드는 인간의 창조적인 산물이자

그 문화적 특징을 보유한다. 그러므로 음악소리를 만드는 기능적인 요소에

대한 관심을 넘어서 인간과 문화사회의 전반적인 요소와 연결되어 악기가

연구된다. 음악연구에 있어서 악기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들의 중요성과 그

정보들의 과학적 탐구의 필요성이 종족음악학계에 잘 인식되어 있다.

악기학과 종족음악학의 관련성이 깊은 또 하나의 이유는 그 연구범위로

전세계의 음악을 설정하면서 악기연구도 당연히 전세계적 차원으로 확대된

다는데 있다. 서양의 종족음악학자들은 세계 곳곳에서 음악전문가 뿐만 아

니라 다른 분야의 학자나 여행가, 선교사들까지도 수집한 많은 낯선 악기들

을 상대하면서 악기에 대한 이해력을 늘려갔다. 종족음악학자들이 세계음악

을 연구하기 위해 음악과 관련한 많은 기존 개념들, 전제들을 재검토해야

했듯이 악기에 관련된 것들도 수정해야 했다. 이들은 자신들 앞에 놓여진

전세계의 수많은 다양한 낯선 악기를 다루기 위해서는 악기에 대한 보편적

개념과 용어를 추구하고 좀더 체계적인 접근방식을 개발해야 했던 것이다.

전세계의 악기를 대상으로 연구하는 악기학은 종족음악학에서 매우 풍요

로운 분야이다. 왜냐하면 세계음악연구에서 악기가 주는 정보는 그 음악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자원으로서 아주 중요하기 때문이다. 악기학은 악기

자체에 대한 연구, 예를 들어 악기관련 용어, 악기 분류, 구조와 모양 그리

고 연주기법의 묘사를 주분야로 갖는다. 그리고 악기의 역사, 악기의 기원

그리고 사라진 악기와 현존 악기와의 관계 또한 악기학에서 중요한 연구대

Page 4: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4 음악과 민족 제23호

상이다. 그리고 악기학의 일부는 악기를 만들어 사용하여 음악을 창작하는

인간과 그 사회에 대해 악기가 특별히 제공하는 정보가 차지한다. 그러므로

악기학은 소리를 내는 구조적·음향적 조건 등의 악기자체를 연구하는 분야

로부터 연주와 관련한 인간신체적 행위 그리고 악기가 담은 문화적 의미와

상징을 탐구하는 분야까지 모두 포함하여 매우 광범위하다.

악기학은 크게 세 가지 분야, 즉 형태학적 측면, 음악적 측면, 그리고 문

화적 측면이라는 삼분법 틀로 나누어지기도 한다. 이 연구 모델에서는 악기

그 자체를 하나의 형태를 가진 물체로서 살펴보는 것과 그 물체가 생산하는

음악적 결과물과 관련된 분야, 그리고 악기가 투영하는 문화적 요소들이 모

두 결합하여 악기학을 이룬다. 또 이 틀을 다시 정비하면 악기가 음악과 인

간이라는 다른 두 개의 각과 함께 삼각형을 이루는 하나의 각으로서 악기학

핵심을 이룬다는 가설 하에 축적되는 모든 지식의 합이며 이 지식은 역사적

으로 지역적으로 접근될 수 있다.

3. 악기란 무엇인가: 악기의 정의

악기가 무엇인가라는 물음이 우문이라고 느껴질 수도 있다. 왜냐하면 누

구든 악기란 “음악을 만드는 기구”라고 쉽게 대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악

기의 정의는 그러나 음악의 정의가 무엇인가에 따라 그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1) 일정한 시대나 공간 안에서 무엇이 악음이고 무엇이 소음인가를 결

정내리기는 그리 어렵지 않겠지만, 음악을 통시적으로도 보고 세계의 다양

한 음악을 접하는 현대에서 그 구분이 어려워졌다. 우리 주위의 문화현상에

서 예를 들면, 풀먹인 옷을 다듬는 기구인 다듬이돌과 다듬이방망이가 만드

는 소리는 생활소음이지만 이들이 음악현장으로 들어오면 독특한 타악기 구

실을 할 수가 있으며, 부엌의 조리기구들의 산만한 소음도 무대에서 “난타”

되면서 “음악”으로 인지된다. 서양예술음악의 역사를 보면 오랜동안 악음과

4) 음악의 정의에 대한 쟁점논의는 Bruno Nettl, The Study of Ethnomusicology: The Twenty-nine

Issues and Concepts. Urban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83, 15-25; Alan Merriam, The Anthropology of Music. Evanston: Northwetern University Press, 1964, 26-32.

Page 5: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악기학의 이해 5

소음의 구별이 뚜렷하게 드러났으나 현대에 와서 이 둘 사이에 있었던 전통

적인 구분선이 무너지고 있다. 특히 서양 예술음악의 아방가르드 작품에서

소음도 중요한 요소를 점한다. 전통적으로 배제되던 소음이 현대음악에는

중요한 표현요소로 등장하는 것도 그러한 개념적 변화가 그 근저에 깔려있

기 때문이다.

소리를 내는 물체는 무엇이든 악기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어떠한

소리를 내는 것이 악기인가는 문화적 선택에 따라 정해지며 한 문화 안에서

도 기능에 따라 다르게 인식되기도 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악

기에 대한 정의도 끊임없이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제시되고 평가되어 왔다.

인간의 목소리도 일종의 악기이다. 악기란 인간이 만든 것이라는 정의에 입

각하면 목소리는 악기학의 범위에서 제외된다.

악기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악기는 의도적으로 생산된 소리의 근원이며, 음악적 생산을 위해 구조되고 사용되는 것이

며, 그 음향적 특질에 의해 객관적으로 음악 예술적인 효과에 관여한다. 그리고 그 특질은 역사의 특정 시기의 사람들이 가지는 문화적 표준에 부합한다. 뷔히너(Alexander B chner)1)

의도적으로 소리를 생산해낼 수 있는 모든 것은 악기로 생각해야 한다. 호른보스텔(Erich M. von Hornbostel)1)

악기란 순수하게 미적인 목표, 그리고 종교적·주술적·실제적 목표를 가지고 음 또는 소리

를 생산하기 위해 모든 인간 문명과 시대에 사용된 것으로 어떤 형태든 포함한다... 구체적

인 음높이를 생산하거나, 또는 적어도 리듬으로 설명될 수 있는 시간적 연속에서 잇달아 생산되는 소리(noise)를 만들기 위한 어떤 특징적인 음질을 갖는 것이다. 셰프너(Andr Schaeffner)1)

4. 악기학의 주요 범위와 접근법

5) Genevi ve Dournon, “Organology,” Ethnomusicology, An Introduction (New York: W.W. Norton &

Company, 1992), Ed. by Helen Myers. 204에서 재인용. 6) Genevi ve Dournon, “Organology,” Ethnomusicology, An Introduction (New York: W.W. Norton &

Company, 1992), Ed. by Helen Myers. 204에서 재인용. 7) A. Schaeffner, 'Les instruments de musique,' La musique des origines nos jours, ed. N. Dufourcq

(1946), 13.

Page 6: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6 음악과 민족 제23호

필자가 UCLA에서 악기학을 수강하던 첫 세미나를 지금까지 잊을 수가

없다. 당시 담당교수였던 영국학자 크로슬리-홀랜드(Prof. Peter Crosseley-Holland)는

대체 이 강의가 무엇을 다루는 것인가를 궁금해하고 있던 수강생들에게 악

기의 구성요소를 기능적으로 분류해 보고, 그 분류조건들을 다음 시간까지

생각해오라고 주문하였다. 한국의 주입식 교육환경에 깊이 물들어 있어 생

각하는 훈련이 덜 되어 있던 필자는 이게 무슨 주문일까를 고심하였던 기억

이 난다. 다음 시간에 그 주문에 대비해 나름대로 준비해 온 동료 수강생들

과 담당교수와의 토론을 관찰하면서 여러 가지 이전에 생각하지 않았던 사

실들을 알게 되었다. 악기란 음악을 연주하는 도구로 하나의 자족적인 물체

이지만 실제 악기가 악기이려면 어떤 부분은 필수적으로 있어야 하고 어떤

부분은 그렇지 않다. 또 악기에서 꼭 필요한 부분이든 아니든 각 부분은 고

유의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악기를 구성하는 수많은 요소들을 기능적으

로 살펴본다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었다. 그리고 나아가 그 기능의 성격을

구분해 본다는 것은 악기를 분석적으로 접근하는 신선한 방법이었다.1)

우리는 그 세미나에서 악기를 분해하되 기능적으로 살펴보고 그 안에서

체계나 조건을 끄집어내어 보았다. 악기가 소리를 내는 도구이려면 우선 소

리를 내는 장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그러므로 무슨 도구이든지 악기

가 되려면 소리를 내는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가 보통 소리

내는 장치라고 하는 것도 여러 가지 요소의 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요

소들을 세부적으로 하나하나 살펴보면서 기능을 분리해 보는 것이 악기에

대한 이해력을 넓혀준다. 악기의 소리내는 장치도 그 안에 소리내는 진동물

체, 그 물체를 고정시키는 기재, 진동을 야기시키는 물체, 진동을 전달하는

장치, 소리를 증폭시키는 공명체, 음량을 조절하는 기재, 음색을 변화시키거

나 강화시키는 물체, 여러 가지 음고를 낼 수 있도록 조정하는 장치 등으로

기능세분화가 가능하다. 악기는 주로 사람이 연주하도록 만들어지기 때문에

사람이 입이나 코로 공기를 불어넣거나 손이나 발로 악기를 작동시키는 활

동의 연장선에서 악기의 모양새를 완성한 부분이 필요하며, 이렇게 인간과

악기의 접촉이 용이하게 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는 물체도 필요하다. 그외 운

8) 필자가 UCLA에서 박사학위 과정 중 수강한 Organology의 강의록(1979)에서.

Page 7: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악기학의 이해 7

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붙인 장치, 그리고 비기능적이지만 순수한 미적

감각을 충족시키거나 상징을 담은 자료, 종교나 다른 기능을 위해 탑재시킨

자료 등도 무시할 수 없다.

그러므로 악기는 많은 종류의 물체가 합해서 만들어지며 각각은 그 총체

인 악기가 악기로서 존재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한 악기를 구

성하는 여러 부분이 각기 하는 기능을 사유하면서 자세히 살펴보면 악기가

담고 있는 정보의 풍부함을 알 수 있다. 우리가 음악을 진정으로 이해하려

면 분석이라는 방법을 통해서 다가가듯이 악기의 연구도 분석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악기의 구조를 분석적으로 접근하는 영역은 위에서 서술한 중

심 연구분야인 악기의 구조와 모양에 대한 묘사·용어·연주기법 등과 함께

악기학의 근간을 이룬다.

악기의 역사적 연구는 음악의 역사연구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우리가 서

양음악사를 배울 때 음악의 역사적 흐름을 잘 정리된 무엇으로 이해하게 된

다. 왜냐하면 쟁점적인 역사적 사실들을 학자들이 천착하여 공인된 지식으

로 전환된 것만이 음악사 교과서에 들어가고 이를 통해 음악사를 배우기 때

문이다. 그러나 옛 음악의 역사는 소리 자체를 연구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

다. 소리는 그 특성상 한번 울리고 즉시 사라진다(현대에 와서 물론 축음하

는 기술이 그 특성을 변화시키긴 했지만). 옛 음악의 역사는 그러므로 악기

자체의 발굴이나 그림·설명 등의 연구를 통해 많이 이루어졌다. 음악의 역

사연구에서 연주실제, 연주 복원의 관심은 악기의 복원, 악기연주의 재구성

등에 대한 연구 분야로 확대된다. 현존하거나 사라진 옛 악기들의 역사·기

원 그리고 그들간의 관련성이나 어원학적 어의연구는 악기 역사연구의 주요

분야이다.1) 윈터니츠는 그의 논문 “예술사가에게 보조물로서의 악기에 대한

지식”에서 악기뿐만 아니라 악기의 그림조차 다른 자원에서 얻을 수 없는

지식을 얻는다고 말하고 있다. 악기의 역사적 연구는 옛 악기의 모양과 구

조 그리고 연주방법뿐만 아니라 그 악기의 사회적 종교적 의미와 기능·상징

9) 이러한 접근의 대표적인 연구물은 C. Sachs, Geist und Werden der Musikinstrumente (악기의 본질

과 생성), (Berlin, 1929/R1985); C. Sachs, The History of Musical Instruments(New York: W.W.Norton & Com., 1940) 등이다.

Page 8: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8 음악과 민족 제23호

성 등까지도 얻는다고 말한다.1)

악기의 역사적 연구와 함께 악기의 지역적 접근도 하나의 분야로 등장한

다. 한 지역에서 한 문화에서 그리고 구체적 사회-문화적인 집단에서 사용

하는 악기군의 연구, 그 목록화는 악기학에서 중요한 분야를 차지한다. 또한

악기의 지리적 접근은 악기가 한 나라나 문화에서 이동하는 루트와 흐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악기연구는 그러므로 문화권 연구의 중요한 자원이

된다, 전파연구(diffusion study)나 문화사 복원에 있어서 악기의 분포는 상당

한 중요성을 갖고 있으며 악기연구를 통해서 민족의 이동을 추측하거나 확

인할 수 있다.

악기연구에서 문화를 담은 소우주로 악기를 보면서 문화의 한 산물로 보

는 분야로도 확대된다. 이 분야는 악기의 사회적 기능과 상징적 의미를 찾

는 분야이다. 악기가 다른 종류의 문화적 사회적 활동을 상징하는가, 사회

전체에 일반적인 중요성을 가진 어떤 종류의 메시지를 드러내는가, 어떤 특

정한 정서·상태·의식·행동을 불러일으키는가, 악기의 경제적 역할은 무엇인

가 등의 물음들이 악기를 대상으로 제기될 수 있다.1)

악기학에서 아마도 가장 핵심적인 연구분야는 분류학과 용어학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어떠한 사물이나 현상을 이해하는 데에는 언제나 그 정체

파악이 기본이며 그 활동은 다른 것과 구분하는 작업에서 시작된다. 무엇을

구분하면서 우리는 일종의 분류법과 일련의 분류용어를 갖게 된다. 우리가

무엇을 다른 것과 구분하는 행위는 일상적인 행위이지만 그 구분 대상이 다

양하고 많으면 학문적인 관심으로 확대된다. 악기분류법은 음악학자나 수많

은 악기를 전시하는 박물관이나 자료실 같은 기관에서 일하는 큐레이터들이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도구이기 때문에 실용적 연구분야로 간주되지만,

어떠한 방법이든 결과가 도출되기 위한 학문적 논의 전개를 철저히 이해하

지 못하면 적용하는데 무리가 따른다. 따라서 악기분류법에 대한 논의와 연

구는 악기수집가·악기학자·음악학자·종족음악학자·인류학자들 모두에게 필수

10) Emanuel Winternitz, Musical Instruments and their Symbolism in Western Art. New York: W.W. Norton

& Company, Inc. 1967, 13 11) Alan Merriam, The Anthropology of Music. Evanston: Northwetern University Press, 1964, 45; 그 번역

은 박미경 편 『탈 서양중심의 음악학』(서울: 동아시아, 2000), 69쪽을 보라.

Page 9: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악기학의 이해 9

적인 분야이다.

종합하면 악기학은 여러 범주에서 다양한 접근법이나 방법론으로 학문화

한 지식의 합이다. 이는 역사적 연구, 분석적 연구와 분류법 그리고 사회학

적 연구를 포괄한다. 악기학은 주로 실제 악기들에 대한 연구(발명·용어·분

류법·구조·모양, 연주기법의 설명)이어야 하지만, 그 연구는 그 음악적 결과

(청각적 현상과 음계의 분석)와 악기를 어떻게 사용하는가도 포함한다. 그리

고 그 사용을 결정하는 사회-문화적 요소들과 개념들에 관한 자료, 연주자

들의 조건과 연습에 관한 자료도 악기학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심지

어 악기를 하나의 예술적 대상으로, 각 악기가 보여주는 상징과 미학적 요

소에 대한 연구까지도 악기학에 관련된다. 모든 악기학적 지식은 악기분류

법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거치는 논의에서 구체적으로 거론된다. 그러므로

악기학의 이해를 돕기 위해 쓰는 이 글의 후반부에서는 악기분류법이 갖는

가치와 의미 그리고 보편적 악기분류법 추구에서 치열하게 전개되어온 논의

를 집중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5. 악기분류법 연구

(1) 다양한 악기분류법의 가치와 의미

악기분류법은 왜 필요한가. 물론 소장한 악기를 분류하고 전시하기 위한

실용적인 목적이 앞선다. 그러나 악기분류법은 거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

니다. 악기의 체계적 정리나 올바른 용어법이 자료의 수집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그 자료의 연구와 해석을 위해서 필요하다. 체계적이고 보편적인 악

기분류법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거치는 논의는 악기를 정의내리고 유력한 일

련의 용어를 제시, 철저하고 과학적인 연구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념을 닦

는 것이다. 특히 악기의 유형과 그 하위유형을 차별화하는 기준을 위계질서

에서 확립하고 정리하는 작업, 예를 들어 구조·모양·재료·연주방법에 있어서

각기 주요악기유형을 정의한다는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악기나 악기구조에

붙여진 고유의 이름과 구별하여 분류에 필요한 적절한 용어를 확립하고, 체

Page 10: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10 음악과 민족 제23호

계성을 갖추기 위한 논의는 필수적이다. 악기의 구조적·형태적·기술적 복잡

성을 이해하게 하는 안내로서 표준적인 묘사가 사용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도 악기의 재료적·형식적 구조에 있어서의 세분화하는데, 논리적으로 완벽

하고 일관성있는 방법이 무엇인가를 찾아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악

기학적 정의를 거친 일반적 용어만이 한 국가나 종족집단에 특수한 고유의

용어들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의 해결, 즉 비슷하여 모호한 용어에서 탈피하

고, 문제의 용어를 수정하고, 용어의 혼란에서 벗어나게 한다.1)

전 세계의 악기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분류법은 근대적인 학문적

기반이 조성된 19세기에 도전된 과제이다. 그러나 악기의 분류는 역사적으

로 지역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한 문화권 안의 악기는 전 세계의 다양

한 악기의 크기와 다양성을 염두에 두고 보면 제한적이다. 그러나 전세계

악기를 대상으로 분류를 시도한 악기학자들은 각기 다른 문화권에서 역사적

으로 존재하는 분류법이 가진 나름대로의 의미와 가치를 인지하였다. 이러

한 분류법들은 광범위한 악기를 수용하도록 위계질서를 갖춘 도구는 아니었

지만, 분류기준의 논리를 갖춘 체계였다.

중국의 악기 분류법 속에는 고대 중국에서부터 내려온 세계에 관한 그리

고 우주의 힘과 요소에 관한 개념이 반영되어 있다. 기원전 8세기 무렵에

이미 중국은 악기를 8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중국 문화권에 속하는 한

국도 사용하였던 이 악기 분류법은 악기를 자연의 8요소로 구분하는 “8

음”(八音)으로서 비단·가죽·금속·나무·돌·대나무·진흙·박으로 나눈다. 1 ) 대개

악기라는 것이 분류가 지정하는 한가지 물질이 아니라 다양한 물질로 구성

되어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분법은 실제적이지 못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높은 수준의 음악전통을 이어온 인도의 악기분류법은 중국과 전혀 다른

방향에서 악기를 분류하였다. 진동하는 물체의 자질을 자연적 요소로 구분

12) “별명이나 대중적 명칭도 초보자를 혼돈케 한다. 독일의 물트롬멜(Multrommell)은 북이

아니며 영국의 유태인의 하프(jew's harp, 올바른 이름은 jaw's(턱의) harp)는 하프가 아니

며, 그리고 스웨덴의 문기가(mungiga)는 가이그(geige, 영어로 "fiddle"(깽깽이))가 아니며, 그리고 플랑드르의 트롬프(tromp)는 트럼펫이 아니다.” 박미경 편 『탈 서양중심의 음악

학』(서울: 동아시아, 2000), 97쪽에서. 13) “팔음”의 악기분류는 중국의 옛 문헌 『禮記』에 그리고 한국의 고문헌 『증보문헌비고』

에 기록되어 있다.

Page 11: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악기학의 이해 11

하는 것이 아니라 진동하도록 인위적으로 부여한 요소로 구분하여, 악기를

뻗은(tata) 악기, 덮인(avanaddha) 악기, 속이 뚫린(cushra) 악기, 고체(ghana)

악기로 나누었다. 이 구분은 기원전 2세기 고대 인도의 바라타 승려의 저술

로 알려진 나탸사스트라1)에 제안된 것으로 서양의 보편적인 악기분류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아랍세계에서도 일찍이 악기를 분류하는 데 관심을 두었다. 아랍의 이론

가들은 “소리발생의 도구는 인간의 손이기도 하고 호흡기관이기도 하다”고

설명하면서 악기그룹을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한 악기의 제일 처음 이분법

을 제시한 사람은 아랍의 이론가 알 파라비(Al-f r bi, 950년 사망)로, 타악

기와 부는 악기로 구분하였다.

서양은 전세계의 다양한 악기를 대상으로 분류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된

19세기 이전에는 주로 현악기·관악기·타악기로 구분하였다. 현·관·타악기 구

분은 오르간이나 피아노 같은 악기들이 건반악기로 따로 설정되어 보완되기

도 하였다. 이러한 구분은 총보의 악기성부의 그룹핑에서도 드러난다. 이 구

분법은 14세기 무리스(Johannes de Muris)가 제시한 것으로 그 단순함 때문에

그리고 오랫동안 사용하여 익숙하다는 점 때문에 최근까지도 학술적이거나

비학술적인 논저에 많이 쓰이고 있지만 이에 대한 비판도 만만치 않다. 이

분류법의 가장 큰 단점은 분류기준이 일정치 못하다는 것이다. 현악기는 물

질을, 타악기는 연주방법을 기준으로 구분하는데, 피아노는 현악기이면서 타

악기이지만 그 분류법에서 이 두 부문에조차 들어가지 않는다는 사실은 그

단점의 정도를 극적으로 보여주는 예이다. 서양의 가장 중심적인 악기에도

이 분류체계의 적용이 문제점을 낳는다면, 전 세계 악기들에다 적용할 때는

더 말할 나위가 없다.

종족음악학자들이 전세계의 음악현장을 다니며 악기분류법에 대한 또 다

른 사고를 보고한 경우도 있다. 메리암은 종족음악학자가 현장에서 무엇을

하는가를 여섯 분야로 제시하고 있는데, 그 첫 분야로 악기연구를 꼽고 있

14) 바하라티야가 쓴 나탸샤트트라(Bh ratiya n tya-sh stra, 바하라타에 바친 극예술의 가

르침)은 기원후 1세기에 쓰여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백과사전적 작품은 극과 그

에 관련된 예술들, 특히 시와 음악을 다룬다.

Page 12: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12 음악과 민족 제23호

다.1) 세네갈의 바싸리 종족은 악기를 그 소리내는 방식에 따라 ‘뿔모양의’

악기와 ‘울리는’ 악기, 그리고 ‘치는’ 악기, ‘건너지르는’ 악기 네 가지로 분

류한다고 한다.1 ) 솔로몬 섬의 아레아레 종족은 대나무음악을 치는 대나무

와 부는 대나무로 구분하고 개별적 연주와 집합적 연주로 세분한다고 한

다.1) 한국의 전통사회에서도 음악의 장르에 따른 또는 장르나 그 기원을 나

타내는 향악기·당악기·아악기의 분류가 있었다.1) 비록 보편적이지는 않지만

이러한 민속분류법들은 전혀 다른 개념에 기초를 두고 암시적으로 분류체계

를 드러내는 수많은 방법 중의 몇가지 예일 뿐이다.

다양한 악기분류법이 가진 가치와 의미를 새겨보는 일은 매우 유익한 일

이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한 문화 또는 사회 계층 안에서는 악기분류

법이 일관성이 없거나 비논리적인 문제가 그리 심각하지는 않다. 이 경우

구분이 모호한 악기나, 예외나 기타의 항목으로 들여보내는 악기가 있어도

그 용도에 있어서 그리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세계의 악기, 사라

진 악기, 현존 악기, 심지어 제작 가능한 악기까지를 다 포함한 모든 악기를

다루면서 인식의 질서를 찾을 수 있으려면 체계적 분류법이라는 틀을 구하

지 않으면 안된다. 가능한 모든 것을 분류하고 이름짓는 것은 발달한 문명

의 요소 중 하나이다. 자연계에서 동물과 식물을 위계질서를 가진 분류법으

로 정리하여 그 총체를 인식하는 것도 그 한 예이다. 그러나 악기분류법을

이렇게 위계질서를 갖는 체계로 개발하면서 본질적으로 갖는 어려움의 원인

을 작스는 다음과 같이 표현하였다.

분류법에 관한 논문들은 전반적으로 그 가치가 불확실하다. 원래 분류될 자료란 그것이 무엇이든지 간에 그러한 분류법이 있기 전에 먼저 존재하는 것이며, 어떤 개념적 틀과 관련

하여 증가하고 변화하는 것이 아니다. 분류될 대상은 생동하고 역동적이며, 엄격한 구분이

나 고정된 형태와는 무관한 반면 분류법은 정적이고 명확하게 그어진 구분과 범주에 의존

15) Alan Merriam, The Anthropology of Music. Evanston: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64, 45. 16) Dournon의 위의 책 ‘Oranology'에서 재인용; 박미경 역, “악기학,” 『음악과 문화』 제 5호

(2001), 209쪽. 출처는 M. -T. Lestrange and M. Gessain, Collections Bassari: S n gal, Guin e, xv/4, ser. C (Paris, 1976), 84, 258.

17) H. Zemp, ‘’Are’are Classification of Musical Types and Instruments,’ Ethnomusicology, xxii/1 (1978), 37-67. 18) 장사훈은 국악의 입문적 저서들인, 『국악개요』(서울: 정연사, 1961), 『최신국악총론』

(서울: 세광출판사, 1985) 등에서 전통악기를 음악계통에 의한 분류로 아악기·당악기·향

악기로 나누어 소개하였다.

Page 13: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악기학의 이해 13

한다.1)

종족음악학자 후드도 그의 논문 악기학에서

종족음악학도들은 악기분류의 논리적인 체계를 만드는 작업이 가지는 특유의 어려움 몇 가지를 이해하기 시작할 것이다....[그들은 기존] 체계를 개선하거나 다른 더 낳은 분류법을 고안하려는 시도들을 통해 계속해서 매혹적인 도전을 할 것이다. 악기분류법의 문제점들을 접해보는 학생은 자신의 비판능력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1)

고 하였다. 여기서는 여러 가지 악기분류법 중에서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쓰이는 혼보스텔-작스의 분류법의 논리와 체계, 문제점을 자세히 살펴

보는 것으로 미래에 있을 도전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혼보스텔-작스의

분류법은 논리와 과학이라는 한 축과 실용성이라는 또 다른 축 사이에서 어

느 정도 인정할 만한 타협점을 이루어 낸 것으로 평가된 최초의 분류법이다.

이 분류법은 진동체의 특성과 구조라는 일관성있는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2) 혼보스텔-작스 악기분류법의 논리와 체계

시빌 마르커스(Sibyl Marcuse)는 그의 『악기사전』(Musical Instruments: A

Comprehensive Dictionary)에서 쿠르트 작스의 『악기백과사전』(Reallexikon der

Musikinstrumente)을 전 세계 모든 인종과 시대의 악기들을 철저하게 다룬

최초의 역작으로 표현하면서 악기학의 역사의 주춧돌이자 이 학문의 새로운

시대의 여는 획을 그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흔히 우리는 악기학의

역사를 작스 이전시대와 그 이후로 나누기도 한다.1)

악기연구에 대한 작스의 공헌 중에서 무엇보다도 지대한 것은 혼보스텔과

같이 확립한 악기분류법일 것이다. 이 악기분류법은 그래서 흔히 두 학자의

19) Anthony Baines and Klaus P. Wachsmann, "Classification of Musical Instruments," Galpin Society

Journal XIV(1961), 4; 박미경 편 『탈 서양중심의 음악학』(서울: 동아시아, 2000), 97쪽에서. 20) M. Hood, The Ethnomusicologist (New York, 1971, 2/1982), 123-196; 박미경 편 『탈서양중심의

음악학』(서울: 동아시아, 2000), 133-134쪽. 21) Sibyl Marcuse, Musical Instruments: A Comprehensive Dictionary. New York: Norton Library, 1974, v;

C. Sachs, Real-Lexikon der Musikinsturmente, zugleich ein Polyglossar f r das gesamte Instrumentengebiet (Berlin, 1913/R1962).

Page 14: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14 음악과 민족 제23호

이름을 공유한 혼보스텔-작스 악기분류법으로 소개되는데, 1914년에 독일어

로 Zeitschrift f r Ethnologie에 발표되었다.1) 이 논문이 1961년에 영어로 번

역되어 종족음악학회지(Ethnomusicology)에 소개되었을 때 당시 번역자들이

50년이나 지난 논문을 주시하게 된 동기를 제시하였다. 그 설명을 통해 우

리는 그들이 이 분류법의 가치를 어떻게 평가하였는가를 가늠할 수 있다.

특히 이 분류법이 다른 어떤 종류의 분류법보다 학계에 많이 인용되었고,

이후에 학계에 제시된 분류법의 시작점은 거의 모두 이 분류법이라는 사실

이 그들에게는 중요했던 것이다.1)

사실 혼보스텔-작스 악기분류법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

구하고 그 이후에 많은 학자나 박물관 큐레이터들이 새로운 분류법을 시도

하였다. 몬탄돈(G. Montandon 제네바 민족학박물관), 쉐프너(A. Schaeffner 프

랑스 인류박물관), 드뢰거(H. Dr ger), 베싸라보프(Bessaraboff 보스톤 미술박

물관), 몬타그와 버톤(J. Montagu and J. Burton), 라이네케, 맘(W. Malm 미시건

대학악기박물관), 헤이데(H. Heyde)1) 등의 분류법은 혼보스텔-작스에서 제기

한 악기 분류에 있어서의 문제점들 그리고 자신들이 선택한 해결방법, 그리

고 미해결점이나 타협점 등에서부터 한걸음씩 각자의 방향으로 찾아나간 것

이라고 볼 수 있으며.1) 최근에도 새로운 분류법이 학계에 제시되고 있다(예

22) E. M. von Hornbostel and C. Sachs, 'Systematik der Musikinstrumente: ein Versuch,' Zeitschrift f r

Ethnologie, xlvi (1914), 553-90. 23) A. Baines and K. P. Wachsmann, 'Classification of Music Instruments,' Galpin Society Journal, xiv

(1961), 3; 박미경 역, “악기분류법,” 『탈 서양중심의 음악학』(서울: 동아시아, 2000), 95쪽. 24) 이들은 유럽이나 미국의 유수한 악기박물관의 규레이터(curator)들이며, 이들이 제

시한 분류법은 다음의 논문에 발표되었다. G. Montandon, La g n alogie des instruments des musique et les cycles de civilisation: Etude suivie du Catalogue raisonn des instruments de musique du Mus e ethnographique de Gen ve (Geneva, 1919): A. Schaeffner, 'Project d'une classification nouvelle des instruments de musique,' Bulletin du Mus e d'Ethnographie du Trocad ro, i (1931); A. Schaeffner, 'D'une nouvelle classification m thodique des instruments de musique,' La revue musicale, xiii/129 (1932); N. Bessaraboff, Ancient European Musical Instruments (Cambridge, MA, 1941); H. -H. Dr ger, Prinzip einer Systematik der Musikinstrumente (Habilitationsschrift, U. of Kiel, 1946; Kassel, 1948); J. Montagu and J. Burton, 'A Proposed New Classification System for Musical Instruments,' Ethmomusicology, xv/1 (1971); W. P. Malm, 'A Computer Aid in Musical Instruments Research,' Festschrift to Ernst Emsheimer (Stockholm, 1974); H. Heyde, Grundlagen der nat rlichen Systeme der Musikinstrumente (Leipzig, 1975).

25) 쿤스트는 자신의 글 종족음악학이라는 글에서 이 다양한 분류법들이 갖는 특징을 살

펴보고 평가하였다. J. Kunst, Ethnomusicology. The Hague: Martinus Nijhoff, Third Edition. 1959,

Page 15: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악기학의 이해 15

를 들면 라이스로프 외(R. Lysloff and J. Matson)의 컴퓨터를 이용한 분류법

제안이 있다).1) 가장 흥미로운 시도는 후드(Mantle Hood)가 하였는데, 그 역

시 혼보스텔-작스의 체계를 기반으로 악기도감이라는 그림묘사체계를 개발

하였다. 이 체계는 상징적 분류법이라고 칭할 수 있는 것으로 혼보스텔-작

스의 체계와 덧붙여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1) 혼보스텔-작스 분류법

이후에 나온 새로운 악기분류법 제안들에 대한 검토는 악기학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와 분석력을 요하기 때문에 입문 성격의 이 글에서 시도하지는 않

았지만, 앞으로 도전해야 할 매우 흥미로운 과제이다.

1914년에 혼보스텔-작스가 발표한 악기분류법은 완전히 새로운 창조는 아

니었다. 이들은 30여년 전에 마히용이 발표한 악기분류법(1880)1)에서 그 기

본 틀을 인용하여 자신들의 체계를 만들었다고 밝히고 있다.1) 마히용은 브

뤼셀 음악원의 박물관 관장으로 당시에 유럽에서 비교적 규모가 큰 악기소

장품을 관리하고 있었다. 마히용은 서양의 관례적인 현·관·타악기 3분법에서

벗어나 좀더 체계적인 분류를 만들어 적용하였다. 여기서 체계적이라 함은

분류기준에 있어서 일관성이 있어서 한 악기가 이중 삼중으로 한 부문에 소

속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전제된다.

마히용의 분류법을 혼보스텔-작스가 기본틀로 채용은 하였지만 유럽악기

중심의 성격은 문제라고 보았다. 새로운 악기분류법은 현재 통용되고 있거

나 사라진 어떠한 악기라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안내할 수 있어야 했

다. 실제로 그들 앞에 축적된 전세계의 악기는 마히용의 시대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확장되었다. 유럽인들의 전세계에 대한 관심은 17세기 이후

식민지 지배의 훨씬 이전에서부터 시작되었고 이러한 관심은 낯 선 악기를

55-62.

26) T. A. Ren Lysloff and Jim Matson, "A New Approach to the classification of Sound-producing Instrument". Ethnomusicology, spring/summer, 1985 213-236.

27) 후드의 상징적인 악기분류법은 M. Hood, The Ethnomusicologist (New York, 1971, 2/1982), 3장을 보라; 박미경 편 “악기학” 『탈 서양중심의 음악학』(서울: 동아시아, 2000).

28) V.-C. Mahillon, Catalogue descriptif et analytique du Mus e instrumental et Conservatoire royal de musique de Bruxelles (Ghent, 1880-1912; i, 2/1893; 11, 2/1909).

29) Anthony Baines and Klaus P. Wachsmann, "Classification of Musical Instruments," Galpin Society Journal XIV(1961), 8; 박미경 편 “악기분류법,” 『탈 서양중심의 음악학』(서울: 동아시아, 2000), 102쪽.

Page 16: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16 음악과 민족 제23호

수집하여 “진기한 방”같은 부유한 가문의 과시용 소장품으로 축적되었다.1)

이러한 호기심의 수준에서 수집된 악기에서 학자들의 학문적인 수준으로 현

장에서 수집한 악기까지 더해져 수많은 다양한 악기들로 유럽의 박물관이

채워졌던 것이다.

혼보스텔-작스의 분류법은 이러한 포괄적이면서도 체계적인 분류 가능성

에 대한 요구에 맞춰 구상되었다. 이 분류법은 악기의 자체적 특성, 즉 ‘다

양한 물질의 조합으로 그 중 어떤 진동매체가 외부에서 자극이 되어 소리를

내는 것’을 전제로 그 구조를 분석적으로 접근하게 한다. 악기의 연주에 있

어서 꼭 있어야 하는 것은 ‘소리를 내는 물체’와 ‘외부의 자극’이다. 악기의

체계적인 분류는 그러므로 악기의 가장 필수적인 이 두 가지 요소 즉 구성

요소와 연주방법에 근거하여 체제가 짜여져야 한다. 위에서 잠깐 언급하였

지만 악기를 구성하는 부분들에 대한 기능적 분석은 악기의 체계적 분류를

향해 사고하는 훈련의 기본이다. 소리내는(진동하는) 물체와 그 소리를 양적

으로 질적으로 변화시키는(소리생산의 부가적 요소를 가미하는) 물체, 그리

고 이러한 물체가 바람직하게 설치되기 위한 물체 그리고 장식적인 물체 등

을 구분하는 능력은 섬세한 분석도구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어야 한다. 이

러한 구조적으로 세분되는 물체들을 모양과 재료의 관점에서 인식하는 능력

도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악기의 연주방법에 있어서 치고, 불고, 긁고,

마찰하고, 뜯고, 퉁기고, 흔들고, 두드리고 등 표준적인 형태를 기반으로 이

들을 섬세한 분석도구로 사용하려면 악기 구조와 연주주체인 인간의 신체와

운동의 관련성에 대한 이해 또한 따라야 한다.

위와 같은 분석도구로 악기를 분석하여 수많은 특징들을 찾을 수 있지만

이러한 특징들을 근거로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데에는 우선순위와 질서가 필

요하다. 그 특징이 광범위할수록 질서체계에 있어서 우선순위를 점한다. 예

를 들어 진동하는 물체는 어느 악기든 꼭 있어야 하므로 그 물체의 특징은

상위에 놓인다. 가죽을 몸통에 대는 방법의 특징은 북종류의 악기 중에서도

특수한 사례에만 적용되어 비교적 하위에 놓일 것이다. 이렇게 악기를 체계

적으로 분류하려면 악기의 유형과 그 하위유형을 차별화하는 기준이 마련되

30) 루이 13세의 “로얄캐비넷”(Cabinet du Roy)이 그 한 예이다.

Page 17: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악기학의 이해 17

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세밀한 분석도구를 가질 수 있는 훈

련을 거쳐야 한다. 세계의 다양한 악기들을 위계질서에서 어떻게 확립하고

정리하는가 하는 작업은 그 질서에 놓이는 악기유형들을 정의한다는 문제와

함께 분류법의 유용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것이다.

혼보스텔-작스의 분류법은 세계의 수많은 악기를 포용하도록 위계질서를

갖추었으며, 체계안의 구분의 위계를 구체적인 용어로 제시한다. 다만 이들

은 위계질서를 동식물계의 위계처럼 구체적인 용어로 제시하지 않고1) 악기

의 유형을 일반화하는 새로운 제목을 붙이고 필요하면 간단한 정의도 덧붙

였다. 혼보스텔-작스의 분류법에서 위계질서의 가장 상위에 위치한 분류는

악기의 진동물체의 성격에 따른 구분에 의해서이다. 두 학자는 진동매체의

특징에 따라 모든 악기를 네 부문으로 나누어 몸울림악기( 鳴樂器)·막울림

악기(皮鳴樂器)·줄울림악기(絃鳴樂器)·공기울림악기(空鳴樂器)라는 악기유형

용어로 지칭하였다. 그들은 이 네 용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다음과 같

이 제시하였다.1)

몸울림악기(idiophone)는 ‘악기의 물체 자신이 소리내는 악기’로 그 자료가 충분히 경직

되어 있지만 동시에 충분히 탄력이 있어서 팽팽히 당긴 막이나 줄 없이 규칙적인 진동을 할 수 있는 것

막울림악기(membranophone)는 ‘가죽이 울리는 악기’로, 팽팽히 늘려진 가죽을 통해 소리

진동이 유발되는 것 줄울림악기(chordophone)는 ‘현이 진동하는 악기’로, 팽팽히 늘려진 현을 통해 소리진동

이 유발되는 것

공기울림악기(aerophone)는 ‘공기가 진동하는 악기’로, 주로 공기기둥이 만들어진다.

위와 같은 설명을 통해 우리는 그 분류조건을 진동매체의 특성으로 추출

해 낼 수 있다. 그러므로 정리하면 혼보스텔-작스 분류법의 위계질서에 있

어서 가장 상위의 분류는 몸울림악기·막울림악기·줄울림악기·공기울림악기

31) 동식물계 위계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용어로는 각 계(界 system) 이하 문(門 phylum), 강

(綱 class), 목(目 order), 과(科 family), 속(屬 genus), 종(種 species)이 있다. 혼보스텔-작스 두 학자는 분류법의 일러두기에서 가장 상위 단계를 강으로, 다음 단계의 구분을 속강

(sub-class), 다음을 목, 그리고 다음을 속목(sub-order)으로 말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박미경 역, “악기분류법,” 『탈서양중심의 음악학』 104쪽.

32) Anthony Baines and Klaus P. Wachsmann, "Classification of Musical Instruments," Galpin Society Journal XIV(1961), 14-29; 박미경 편, “악기분류법,” 『탈 서양중심의 음악학』(서울: 동아시

아, 2000), 110-127쪽.

Page 18: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18 음악과 민족 제23호

의 용어로 표현되는 네 갈래의 악기그룹을 형성하고 그 분류조건은 진동매

체의 특성이다. 다음의 도표들은 혼보스텔-작스의 분류법안으로 제시된 항

목들을 이와 같은 방식으로 분석하여 추출한 것이다. 이들은 상위에서 하위

각 단계의 분류들에 적용된 조건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한 것을 담고

있으며, 최상위의 네 부문 이하 세 분류들은 각기 다른 도표로 만들어졌다.

이들을 따로 정리한 이유는 나란히 같이 놓고 비교해야 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이다. 두 학자는 모든 위계에서 같은 분류조건이 일괄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여겨 상위단계의 분류이하 세 분류는 각기 독자적

방식으로 하였다. 이 도표들은 혼보스텔-작스 분류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지만, 분류법 자체와 일대일 대조하여야 잘 이해할 수 있다.

그 자체는 이미 필자에 의해 다른 지면에 번역 출판되었기 때문에,1) 이 글

에서는 제공하지 않았다.

혼보스텔-작스의 분류법을 그 영역된 논문에서 중역하여 소개하면서, 분

류항목을 전부 다 번역하지 않고 대부분 영어표현 그대로 남겼다. 그러한

결정의 근거로 필자는

분류법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 그리고 세 번째 위계의 항목만 번역을 하고 그 밑의 위계

의 항목은 번역하지 않았다. 상위 세단계 항목들의 번역은 분류법을 이해하기 위한 최소단

위라고 생각한다. 그외 악기의 일면을 묘사하는 수많은 단어들을 일일이 하나의 한정된 의미로 번역할 때 발생하는 문제가 일단 더 크다고 여겼기 때문이다.1)

라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사실 술잔·술통·그릇·솥·냄비·막대·작대기·토막·가지·틀

같이 악기의 모양을 나타내는 단어들이 문화적으로 전혀 다른 형태를 생각할

수밖에 없는 우리에게 더욱 문제가 될 수 있다. 그 번역작업은 악기학이 한국에

서 어느 정도 성장하고, 박물관에서 분류법을 실제 적용할 필요가 있거나 학자

들의 중론을 거치면서 마무리될 것으로 생각된다.

<표 1> 몸울림악기의 하위 4단계 분류체계 악기유형용어1)

33) 박미경 역, “악기분류법,” 『탈 서양중심의 음악학』(서울: 동아시아, 2000), 91-127쪽. 34) 박미경 역, “악기분류법,” 『탈 서양중심의 음악학』(서울: 동아시아, 2000), 110의 역주15. 35) 6단계 이하 분류는 도표에 포함하지 않았다. 실제 악기가 발견되는 경우에만 불규칙적

으로 세분되기 때문이다. 다음 도표들도 마찬가지로 5단계까지만 정리되었다.

Page 19: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악기학의 이해 19

몸울림악기의 하위단계에서의 악기유형이름을 보면 분류조건을 끌어낼 수

있다. 2단계 분류조건은 ‘치고, 뜯고, 문지르고, 부는’ 구분으로 연주방법이

일관성 있게 적용되었다. 그러나 3단계에서는 일관성을 버리고 각 유형에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진동체가 맞치는 concussion stick or clapper

막대기stick 토막plaque 나무통trough 그릇vessel 직접치는

struck directly 진동체를 치는

percussion idio 막대기stick 토막plaque 관tube 그릇vessel

흔들어 shaken idio, rattle

매달은suspension 틀에 낀frame 그릇 안에 넣은vessel

긁어 scraped idio 막대기stick 관tube 그릇vessel 바퀴wheel 톱니cog

치는 struck idio

간접치는 indirectly struck

벌려split idio *

한 개의 서를 껍질에 새긴 clack idio *

틀 in the form of frame 한 개의 서를 가진

jew's harp 서를 틀에다 새긴carved in the frame 서를 얹은attached to a frame

서들을 끈으로 맨 with laced-on lamellae *

뜯는 plucked idio

나무판 in board or comb-form 서들이 양각으로 새겨진

with cut-out lamellae *

하나individual * 막대기 friction stick 세트sets of

막대기를 문지르는 sticks are rubbed 막대기연결물체를 문지르는sticks are connected by vibrated others

하나individual 토막 friction plaque 세트sets

*

하나idividual

문지르는friction idio

그릇 friction vessel 세트sets of

*

하나individual 막대기 blown stick 세트sets of

*

하나individual

부는 blown idio 토막

blown plaque 세트sets of *

Page 20: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20 음악과 민족 제23호

적절한 조건으로 분류되었다. ‘치는’ 악기는 연주방법(진동을 일으키는)으로,

‘뜯는’ 악기는 진동물체와 다른 물체간에 형성된 구조나 모양에 따라 구분

되었다. 4단계와 5단계에서도 실제 존재하는 악기유형을 대상으로 유연하게

연주방법, 구조와 모양을 조건으로 일관성없이 분류되어 있다. 분류법에서는

6단계 이하의 세분류가 계속 이어졌지만. 그 악기유형을 도표에다 정리하지

않았으며, 다만 별표표기는 그 이하의 단계의 악기유형이 없음을 의미한다.

Page 21: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악기학의 이해 21

<표 2> 막울림악기의 하위 4단계 분류체계 악기유형용어

막울림악기의 도표 역시 몸울림악기의 것과 비슷하여 2단계 악기유형이름

에 나타난 분류조건은 연주방법으로 ‘치고, 뜯고, 문지르고, 노래하는’이다.

뜯는 악기의 유형은 더 이상의 세분화된 악기가 발견되지 않아서 그쳤으나

다른 2단계 악기유형의 세분화는 역시 일관성을 버리고 각 유형에 적절한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캐틀 kettle 독자적인separate 세트sets

관의 tublar

원통형cylinderical 술통형barrel 이중원추형doble conical 모래시계형hour-glass 원추형conical 술잔형goblet-shaped

직접 directly

틀모양의 frame

손잡이없이without handle 손잡이를 가진with handle

치는 struck drums

간접 rattle * *

뜯는 plucked drum

* * *

막대기가 내장된 with inserted stick

고정된with flexed stick 반고정된with semi-fixed stick 자유로운 with free stick 막대기로

friction drum with stick

달아맨 with tied stick *

자리고정된 stationary with cord 일면의single-skin 양면의doble-skin 끈으로

friction drum with stick 휘도는

with whirling stick *

문지르는 friction drums

손으로 hand friction drum * *

자유 free kazoos * *

노래하는 singing membrane (kazoos)

관 또는 그릇모양의 tube or vessel-kazoos

* *

Page 22: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22 음악과 민족 제23호

조건으로 분류되었다. ‘치는’ 악기와 ‘문지르는’ 악기는 연주방법(진동을 일

으키는)으로, ‘노래하는’ 막울림악기는 악기의 구조나 모양에 따라 구분되었

다. 4단계와 5단계에서도 주로 구조와 모양을 조건으로 일관성없이 여기서도

분류되어 있다. 분류법에서는 6단계 이하의 세분류가 한두가지 유형에 계속

이어졌지만. 그 악기유형을 도표에다 정리하지 않았다.

<표 3> 줄울림악기의 하위 4단계 분류체계 악기유형용어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음악활 musical bows

동질의idiochord 이물질의heterochord 널

bar zlther 막대기 stick

막대기활musical bow cum stick 정형의true

온관 whole tube

동질의idiochord 이물질의heterochord 관

tube 반관 half-tube

동질의idiochord 이물질의heterochord

동질의 idiochord *

뗏목 raft 이물질의

heterochord *

정형의 true

공명체없이without resonater 공명체 있는 with resonater 넓은 판

board 변형의 variation

땅치더grouond zithers 하프치더harp zithers

공명통 없는 without resonater *

통나무 trough

공명통이 있는 with resonater *

공명통 없는 without resonater *

단일구조의 (찌더) zithers

틀 frame

공명통이 있는 with resonater *

Page 23: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악기학의 이해 23

줄울림악기는 다른 과의 악기유형과는 달리 2단계에서 연주방법을 분류조

건으로 취하지 않았다. 2단계에서 진동매체인 줄을 팽팽히 매단 구조적인 측

면에서 단순구조와 복합구조의 유형을 갈랐는데, 단순구조는 현을 당긴 물

체로 악기를 구성하는 것과 복합구조는 현을 당긴 물체와 공명체가 구조적

으로 하나로 나눌 수 없는 것으로 구분되었다. 그 다음 단계에서는 악기의

모양이든지 세부구조의 조건을 적용하였다. 5단계까지도 연주방법에 따른 구

분이 적용되지 않았는데, 이는 줄울림악기의 연주방법의 다양성, 다시 말해

서 한 악기를 연주하는 방법이 한가지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특성 때문인 듯

보인다.

<표 4> 공기울림악기의 하위 4단계 분류체계 악기유형용어

활모양의 bow lutes *

요크모양의 yoke lutes

사발bowl 상자box

류트 lutes

손잡이있는 handle lutes

못spike 목달린necked

열린 open

아취형의arched 각이진angular 하프

harps 틀가진 frame

조율기재없이w/o tuning action 조율기재with tuning action

복합구조의 composite chordophones

하프류트 harp-lutes * *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가르는 displacement free * *

idiophonic interruptive aero

마주치는concusion reeds 치는percussion reeds 자유free reeds 리본ribbon reeds

간헐적인 interruptive free

non-idiophonic 도는rotating aero 휘도는shirling aero

자유 free aero

파열되는 plosive * *

Page 24: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24 음악과 민족 제23호

공기울림악기는 우리가 상식적으로 알고 있듯이 대부분 관악기이다. 이

분류법에서는 이러한 ‘정식’(proper) 관악기를 비관악기 즉 진동할 공기를 일

정한 관에 담아 공기기둥을 형성하지 않는 ‘자유’(free) 악기와 구분하여 2단

계에서 분류한다. 정식 관악기는 3단계에서 공기의 진동을 유발시키는 방법

에 따라 분류된다. 공기기둥에 비스듬히 숨을 불어넣어 파동을 일으키거나,

홑서나 겹서를 입에 물고 공기의 흐름을 간헐적으로 넣어 파동을 일으키나,

팽팽히 다문 입술로 간헐적 공기흐름을 일으키거나에 따라, 각기 플루트·오

보에·트럼펫으로 분류한다. 4단계 이하의 분류는 각 악기 유형의 특징에 의

해 기준이 세워져 분류된다. 자유악기는 허공에다 충분한 속도로 악기를 작

동하면 주변공기를 자극하여 소리를 내는 원리에 근거한다. 채찍·사이렌·소

울음악기(bull-roarer) 등이 구체적인 사례이다. 다른 과의 악기와 마찬가지로 4

단계와 5단계에서도 실제 존재하는 악기유형을 대상으로 유연하게 연주방법,

구조와 모양을 조건으로 일관성없이 분류되어 있다. 여기서도 6단계 이하

의 세분류가 계속 이어졌지만. 그 악기유형을 도표에다 정리하지 않았다.

위 네 종류의 악기의 세분류의 분석을 통해 우리는 혼보스텔-작스의 분류

취관이 없는 flutes without duct

끝에서 부는endblown flutes 옆에서 부는side-blown flutes 그릇모양의 vessel flutes

끝머리를 깍은 edge instrument, flutes

취관을 가진 flutes with duct

외부의with external duct 내부의with internal duct

겹서의 oboes(double reeds)

하나의single 세트의sets

홑서의 clarinets(single reeds)

하나의single 세트의sets

서를 가진 reedpipes

자유리드의 관 reed pipes with free reed

하나의single 쌍의double

자연적인 natural trumpets

소라conch 관트럼펫tubular

정식관악기wind- instrument proper

입술을 진동시키는 trumpets 변음기를 탑재한

chromatic trumpets

지공을 가진with fing holes 미닫이slide 발브를 가진with valves

Page 25: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악기학의 이해 25

법의 특징을 좀더 확실히 알 수 있다. 이 분류법은 논리와 일관성을 추구하

면서도 악기 샘플을 놓고 실용성을 염두에 두고 타협을 시도하여 유연한 체

계를 갖는다. 두 학자도 이것을 의도적으로 하였음을 분류법의 일러두기 성

격의 글에서 밝히고 있다.1)

우리는 일관성있는 제목을 전체 항목을 통해 유지하는 것이 그리 바람직하지 않다고 보

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세분류의 수가 너무 많아서 제목의 불필요한 잉여를 가져오

기 때문이다. 더구나 어떠한 체계이든 특별한 경우를 대비하여 그 이상의 구분을 위한 여유

가 있도록, 그래서 세분류의 수가 막힘 없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우리는 주요그룹

을 한 개의 통일된 원칙을 따라 분류하지 않았으며, 각 구분 원칙을 해당된 종류의 성격에 맞는 것을 선택해서, 한 그룹에서 주어진 자리의 위계가 다른 그룹에서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게 하였다.

위에서 예시하지 않은 특징이 몇 개 더 있다. 그 중의 하나가 듀이 십진

법을 사용하여 악기분류와 저장, 식별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문자와 기호를

활용하도록 만든 것이다.

악기에 대한 묘사와 목록화에 있어서... 듀이(Dewey) 숫자체계의 사용에 의해 상당히 힘입

었다. 큰 규모의 소장품을 관리하는 사람들이 발간할 카탈로그에 우리의 숫자배열을 수용하

기로 결정한다면 한 주어진 악기가 자신의 소장품에 들어있는지를 일별에 발견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다... 듀이의 아이디어가 가진 독창성은 그 숫자의 철저한 사용에 있으며, 숫

자, 문자, 이중문자의 혼합체로 기존표기의 소수로 대치할 수 있다. 이들은 매 번의 세분류

가 새로운 숫자를 숫자열 오른쪽 끝에다 첨가되어 제시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소수점 앞

의 0은 언제나 생략된다. 그래서 누구든 원하는 만큼의 구체성을 추구할 수 있고 숫자의 조작에 문제가 없을 뿐만 아니라 그 마지막 숫자의 위치로부터 그 항의 위계를 직접 인식할 수 있다.

6. 나가면서

전세계 악기 소장처가 전혀 없는 한국에서 악기학은 독자적인 학문으로

존립한다고 할 수는 없다.1) 다만 한국에 전문적인 악기박물관 설치의 필요

36) 박미경 편, “악기분류법,” 『탈 서양중심의 음악학』(서울: 동아시아, 2000), 103-105쪽. 37 ) 한국에서의 세계악기를 겨냥한 전문적인 악기박물관은 없다. 국립국악원은 국악박물

관을 독자적인 부서로 두고 있어서 악기를 소장하고 있으며, 박물관의 전형적인 기능

을 하도록 전시실과 음향영상실·고문헌실·강습실 등을 갖추고 전시와 교육에 임하고

Page 26: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26 음악과 민족 제23호

성 인식과 세계음악 연구와 교육에 대한 기반 조성1)을 위해 악기학의 이해

와 논의가 필요하다. 악기를 전문적으로 다룬 글은 최근에 와서 여러 학자

들과 필자에 의해 조금씩 학계에 발표되어 왔다.1) 비록 이들이 대부분 한국

의 악기를 전문적으로 다룬 것들이지만, 이제 이들을 하나의 독자적인 학문

의 테두리 안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필자는 종족음악학의 이론과 방법론

을 다룬 책인 『탈(脫) 서양중심의 음악학』(서울: 동아시아, 2000)에, 혼보스

텔-작스가 그들의 보편적인 악기분류법을 처음 제안한 논문을 번역 소개하

면서 역자서문을 다음과 같이 달았다.

이 분류법이 한국에 소개되는 것은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시기상조인 듯이 느껴진다. 왜

냐하면 한국에서 악기소장에 대한 관심도가 부끄러울 정도로 낮기 때문이다. Helen Myers가 편집한 [종족음악학 입문서], Ethnomusicology: An Introduction (Macmillan Press 1992)의 부록에 들어간 세계의 괄목할 만한 악기소장처 목록(430-443쪽)을 보면 미국에만 38 곳의 악기박물

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중 Ann Arbor 소재 University of Michgan의 Sterns Collections에는 2000여 개의 유럽과 동아시아 악기를 소장하고 있으며, Los Angeles 소재 University of California(UCLA)에는 1000여 개의 비서구 악기를 소장하고 있다고 한다. 그 목록에 한국은 단 한 개의 악기소장처가 들어 있는데, 그곳은 국립국악원의 국악박물관으로 한국전통악기

만 70여 점을 소장하고 있다고 소개되어 있다[현재에는 세계 악기를 포함하여 180여 점 소

장].1)

악기에 대한, 특히 ‘전세계’ 악기에 대한 이러한 철저한 무관심은 우리 학

문의 현주소를 알 수 있게 해 준다. 본문에서 많이 강조하였지만 악기는 음

악학에서 중요한 기본 정보제공물이다. 지극히 다양한 전세계 악기를 실제

로 보지도, 그 연주를 듣지도 못하는 열악한 환경에서, 분류법의 논의조차

하는 것이 무의미해 보인다. 중요한 정보제공물로서 악기를 학문적으로 논

있다. 그리고 국악원의 지방 분원인 남원국악원에도 국악전시실에 악기가 전시되어 있

다. 그러나 그외 악기를 전문적으로 소장한 기관은 없다. 다른 형태의 박물관으로 현용 전통악기나 유적지에서 발굴된 고악기를 보관 전시하는 기관들이 있으며, 이들은 국립

민속박물관·국립광주박물관·국립전주박물관·국립대구박물관 등이다. 서울 소재 지구촌

민속박물관은 KBS 세계대탐험을 통해 수집한 세계 오지의 유물들은 전시하는 비국립

기관으로 세계의 악기의 소장처로 발돋음할 가능성을 갖고 있다. 한국예술종합학교나 계명대학교를 비롯해 몇몇 대학교에서도 악기전시를 하고 있으나 미미한 수준이다.

38) 박미경. “세계음악 연구와 교육의 기반조성 연구,” 『음악과 문화』(대구: 세계음악학회, 2002), 제6호.

39) 악기를 전문적으로 다룬 글은 장사훈·이종구·Keith Howard·송혜진·박미경·박범훈의 논저

들이 있으며, 각각의 제목과 출판정보는 참고문헌을 보라. 40) 박미경 편, “악기분류법,” 『탈 서양중심의 음악학』(서울: 동아시아, 2000), 95-96쪽.

Page 27: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악기학의 이해 27

의하는 분위기가 없는 것도 문제이지만, 더 큰 문제는 우리의 학술적 논저

에 악기와 관련하여 논의가 전개될 때 일관성이 없거나 보편적 분류용어에

대한 이해가 없는 것이다.

악기는 음악을 만들어내는 가장 필수적이며 직접적인 도구이다. 음악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악기의 철저한 이해가 전제되지 않으면 소기의 성과를

얻기 어렵다. 악기의 접근을 체계적으로 학문적으로 추구하는 악기학은 악

기에 대한 정의적, 분석적 논의에서 실제 악기를 분류하기 위한 실용적 목

적의 논의까지 이론과 방법론을 갖춘 학문적 모델을 제공한다. 이는 한국에

서 음악학의 균형적인 발전이 요청되는 시점에서 집중 조명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제 우리는 분류하고 연구할 대상이 눈앞에 다 모일 때에나 생겨날

미래의 학문으로서 악기학을 접근할 것이 아니라 음악학의 균형 발전을 위

해 우리가 당면한 학문현황의 평가작업의 하나로 그 실체를 점검해 보아야

만 한다.

[email protected]

⊙ 검색어:악기, 악기분류법, 종족음악학, 악기론, 악기박물관

참고문헌

Bessaraboff, N. Ancient European Musical Instruments (Cambridge, MA, 1941). B chner, A. Encyclop die des instruments de musique (Prague, 2/1982). De Vale, S. C. 'Musical Instruments and Ritual: a Systematic Approach,' Journal of American

Musicological Society, v (1988). Dr ger, H. -H. Prinzip einer Systematik der Musikinstrumente (Habilitationsschrift, U. of Kiel, 1946; Kassel,

1948). Heyde, H. Grundlagen der nat rlichen Systeme der Musikinstrumente (Leipzig, 1975) Hood, M. The Ethnomusicologist (New York, 1971, 2/1982). Hornbostel, E. M. von and C. Sachs. 'Systematik der Musikinstrumente: ein Versuch,' Zeitschrift f r

Ethnologie, xlvi (1914), 553-90; Eng. trans. by A. Baines and K. P. Wachsmann, as 'Classification of Music Instruments,' Galpin Society Journal, xiv (1961).

Howard, Keith. Korean Musical Instruments: A Practical Guide.(Seoul: Se-kwang Music Publishing Co, 1988).

Kartomi, Margaret. On Concepts and Classifications of Musical Instruments (Chicago 1990) Mahillon, V.-C. Catalogue descriptif et analytique du Mus e instrumental et Conservatoire royal de

musique de Bruxelles (Ghent, 1880-1912; i, 2/1893; 11, 2/1909)

Page 28: 악기학의 이해 - DONG-Ahome.donga.ac.kr/swcho/Text/23/02.pdf · 2004. 10. 12. · organon에서 온 것으로 인간 활동이나 교역에서 사용되는 도구를 뜻하였다

28 음악과 민족 제23호

Malm, W. P. 'A Computer Aid in Musical Instruments Research,' Festschrift to Ernst Emsheimer (Stockholm, 1974).

Marcuse, S. Musical Instruments: a Comprehensive Dictionary (Garden City, NY, 1964/R1975) Histoire de la musique, Encyclop die de la Pl iade (Paris, 1960).

Montagu, J. and J. Burton. 'A Proposed New Classification System for Musical Instruments,' Ethnomusicology, xv/1 (1971).

Montandon, G. La g n alogie des instruments des musique et les cycles de civilisation: Etude suivie du Catalogue raisonn des instruments de musique du Mus e ethnographique de Gen ve (Geneva, 1919).

Praetorius, M. Syntagmatis musici tomus secundus (Wolfenb ttel, 1618, 2/1619/ R1968); with Theatrum instrumentori (Wolfenb ttel, 1620/R1958).

Rouget, G. La musique et la transe: Esquisse d'une th orie g n rale des relations de la musique et de la possession (Paris, 1980); Eng. trans. as Music and Trance: a Theory of the Relations between Music and Possession (Chicago and London, 1985).

Sachs, C. Geist und Werden der Musikinstrumente (Berlin, 1929/R1985). Sachs, C. Real-Lexikon der Musikinsturmente, zugleich ein Polyglossar f r das gesamte

Instrumentengebiet (Berlin, 1913/R1962). Sachs, C. The History of Musical Instruments(New York: W.W.Norton & Com., 1940). Sadie, S. ed.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New York and London, 1980). Sadie, S. ed.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al Instruments (London, 1984). Schaeffner, A. 'D'une nouvelle classification m thodique des instruments de musique,' La revue

musicale, xiii/129 (1932). Schaeffner, A. 'Project d'une classification nouvelle des instruments de musique,' Bulletin du Mus e

d'Ethnographie du Trocad ro, i (1931). Wachsmann, K. P. 'Classification,'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al Instruments, i (1984). Winternitz, Emanuel. Musical Instruments and their Symbolism in Western Art. (New York: W.W.

Norton & Company, Inc. 1967). Zemp, H. ‘’Are’are Classification of Musical Types and Instruments,' Ethnomusicology, xxii/1 (1978),

37-67. 김영운, “한국 토속악기의 악기론적 연구,” 『한국음악연구』(서울: 한국국악학회, 1990), 제17

·18 합병호, 31-107쪽. 박미경, “세계음악 연구와 교육의 기반조성 연구,” 『음악과 문화』(대구: 세계음악학회, 2002),

제6호, 9-34쪽. 박미경, “악기학,” 『음악과 문화』(대구: 세계음악학회, 2001), 제5호, 199-243쪽. 박미경 편역, 『탈 서양중심의 음악학: 종족음악학의 이론과 방법론 1』(서울: 동아시아, 2000) 박범훈, 『작곡 편곡을 위한 국악기의 이해』(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92) 송혜진, 『한국악기』(서울: 열화당, 2001) 이종구, 『악기백과』(서울: Artsource, 1989) 장사훈, 『한국악기대관』(서울: 한국국악학회, 1969) 홍정수·조선우 편역(Ulrich Michels), 『음악은이』(서울: 음악춘추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