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성 모돈의 임신기 영양관리가 중요하다!! · 236 2018. 11월호 2. 임신기...

6
2018. 11월호 234 기획특집 다산성 모돈시대, 우리가 주도한다!! 다산성 모돈의 임신기 영양관리가 중요하다!! 다산성 모돈의 도입으로 산자수가 증가하였지만 생시체중 감소와 생시체중 균일도(CV)의 저하로 농장의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시키려면 모돈관리 전반에서 좀 더 세밀한 계획과 실행이 따라야 할 것이다. 모돈관리는 과학을 넘어 예술이라고 하는데 그만큼 어렵다는 뜻이다. 자돈의 생시체중이 너무 작거나 균일도가 좋지 못하면 임신기에 사료 및 관리에 더욱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사료회사와 협력하여 사료 급여 프로그램을 다시 한번 점검해 보는 것도 좋은 일이 될 것이다. 채 병 조 교수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2018. 11월호 234

Upload: others

Post on 31-Aug-2019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2018. 11월호234

기획특집

다산성 모돈시대, 우리가 주도한다!!

다산성 모돈의 임신기 영양관리가 중요하다!!

다산성 모돈의 도입으로 산자수가 증가하였지만

생시체중 감소와 생시체중 균일도(CV)의 저하로

농장의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시키려면 모돈관리 전반에서

좀 더 세밀한 계획과 실행이 따라야 할 것이다.

모돈관리는 과학을 넘어 예술이라고 하는데

그만큼 어렵다는 뜻이다.

자돈의 생시체중이 너무 작거나 균일도가 좋지 못하면

임신기에 사료 및 관리에 더욱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사료회사와 협력하여 사료 급여 프로그램을

다시 한번 점검해 보는 것도 좋은 일이 될 것이다.

채 병 조 교수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2018. 11월호234

234-239 기획특집-채병조.indd 234 2018-10-21 오전 10:10:01

2018. 11월호 235

1. 서론

모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근래 다산성 모돈이 도입되었고, 그 결과 산자수

가 실제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산자수 증가에 따른 생시체중 저하 및 포유자돈 폐사율

증가로 인해 다산성 모돈의 도입이 만족할 수준이라고 하기는 곤란하다. 한 예로 (그림

1, 2)(University of Alberta, 2012)를 보면, 산자수가 증가함에 따라 자돈의 생시체중

이 전반적으로 감소하였고, 생시체중이 낮은 자돈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자돈의 생시

체중별 비율을 보면, 산자수가 10~11두일 때 1.4kg 이하의 자돈수는 약 20% 정도이지

만, 산자수가 16두 이상일 경우 그 비율은 50% 이상 증가된다(Quesnel 등, 2008).

(표 1)을 보면, 산자수 증가로 생시체중 감소뿐만 아니라 한배 새끼들 간의 체중 균

일도(CV)도 떨어졌으며, 특히 1kg 미만의 자돈 발생률이 현저히 증가하였다(Quiniou

등, 2002). 생시체중 감소 및 균일도(CV) 저하는 포유자돈의 폐사율을 증가시키는 원

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번식단계별 사료 및 사양관리도

중요하지만, 임신기 영양관리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사항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기로 하겠다.

(그림 1, 2) 산자수 증가에 따른 생시체중의 감소(좌)와 생시체중별 자돈 비율(우)

(표 1) 산자수에 따른 생시체중과 체중 균일도의 차이

산자수 ≤11 12~13 14~15 ≥16

모돈수 324 262 230 149

생시체중(kg)

평균 1.59c 1.48d 1.37e 1.26f

균일도(CV, %)* 26c 27cd 28d 30e

1kg 미만 자돈(%) 7c 9c 14d 23e

cdefP<0.001. *CV가 낮을수록 체중변이가 작음.

234-239 기획특집-채병조.indd 235 2018-10-21 오전 10:10:01

2018. 11월호236

2. 임신기 영양관리 요점

(1) 사료 내 영양 수준

현재 사료회사에서 설정하는 임신돈의 영양소 수준은 NRC(2012)를 포함하여 각종

사양표준에서 제시하는 영양소 요구량이나 자체 사료 생산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사

용하고 있다. NRC(2012)에서 제시하고 있는 임신돈의 영양소 요구량은 산자수에 따

른 요구량을 확실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다산성 모돈에 대한 영양소 요구량

을 충분히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Ampaire과 Levesque, 2016; Buis 등,

2016; Greiner 등, 2016).

한 예로 (표 2)를 보면, 초산돈의 임신기간 동안 사료 내 라이신(lysine) 수준을

0.43%, 0.52%, 0.60%, 0.70%, 0.80%로 달리하였을 때 0.70% 사료를 급여한 모돈

의 생시체중 균일도(CV)가 가장 좋게 나타났으며(12.3%), 이는 NRC(2012)가 제시한

수준(0.52%)보다 높다(Shi 등, 2015).

또한 생시체중에 관한 예로 Wang 등(2016)의 연구 결과를 보면, NRC(1998) 요구량

대비 사료 내 에너지 수준을 75%, 100%, 125%, 150%로 증가시켜 초산돈에 급여하였

더니 사료 내 에너지 수준이 증가할수록 생시체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표 3).

(표 2) 임신돈 사료 내 라이신(lysine) 수준에 따른 생시체중과 체중 균일도의 변화

구분표준회장소화율 기준 라이신(%)

유의성0.43 0.52 0.60 0.70 0.80

모돈수 25 26 24 23 24 -

산자수(두)

총산자수 12.1 11.3 12.3 11.4 11.8 0.871

실산자수 11.5 11.2 11.6 11.4 11.8 0.633

생시체중(kg) 15.3 15.1 16.7 15.0 15.2 0.654

생시체중 균일도(CV, %)* 18.6 15.9 14.0 12.3 14.4 0.036

*CV(%)가 낮을수록 체중변이가 작음.

(표 3) 임신돈 사료 내 에너지 수준에 따른 모돈의 번식성적

구분사료 내 에너지 수준(%)

유의성75 1001 125 150

총산자수(두) 14.4 15.1 15.2 13.3 0.55

실산자수(두) 13.4 14.2 14.5 12.5 0.65

평균 생시체중(kg) 1.17 1.28 1.30 1.38 <0.01

생시체중 균일도(CV, %)* 16.8 15.6 17.8 16.1 0.58

1NRC (1998) 에너지 요구량. *CV(%)가 낮을수록 체중변이가 작음.

234-239 기획특집-채병조.indd 236 2018-10-21 오전 10:10:01

2018. 11월호 237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참고해 보면, 사료 내 에너지나 아미노산 수준은 자돈의 생시

체중이나 자돈 균일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료 급여 시 영양 수준을 파악해야 한

다는 점을 강조하는 바이다. 사료공장에서 생산하는 사료는 영양 수준이 서로 다르다.

(2) 사료 급여량

임신기에는 사료 내 영양 수준보다 급여량이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모돈이 사료 섭취량을 스스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한 사양을 실시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표준 급여량을 정하고 임신기에 따라 증감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신기 사료 급여량을 증량하는 경우를 살펴보겠다. 급여량을 증량하는 목적으로는

모돈의 체평점이 낮아 체형관리가 필요할 경우와 산자수, 생시체중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경우이다. Hoving 등(2012)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임신초기에 증량 급여하였을

때 등지방 두께가 0.9mm 증가하였으며, 5주차 배아생존율 및 수태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실산자수에 있어서도 1.8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4).

임신중기-말기의 사료 증량은 태아의 발달 증진에 목적이 있다. 임신기 태아가 발

달해야 생시체중 증가로 이어지며 강건한 자돈을 생산할 수 있다. (표 5)(최 등, 2016)

를 보면 임신말기에 증량 급여할 경우 복당체중이 약 1kg 증가했으며, 생시체중은 대

조구 대비 120g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임신초기 증량 급여 효과(사료 에너지 함량, 정미 에너지 2,350kcal/kg)

구분임신초기 급여량(교배 후 3~32일)

2.5kg/일 3.25kg/일

증체량(kg) 14.9 20.3

등지방 두께 증가(mm) 0.8 1.7

5주차 배아생존율(%) 79.2 82.3

수태율(%) 87 95

총산자수(두) 13.2 15.2

실산자수(두) 12.6 14.4

생시체중(kg) 1.45 1.42

(표 5) 임신말기 증량 급여 효과(사료 에너지 함량, 대사 에너지 3,200kcal/kg)

구분임신말기 급여량(임신 80일령)

2.4kg/일 2.8kg/일

복당체중(kg) 13.24 14.14

생시체중(kg) 1.30 1.42

234-239 기획특집-채병조.indd 237 2018-10-21 오전 10:10:01

2018. 11월호238

일반적으로 농장에서 임신돈의 사

료 급여 방식은 (사진 1)과 같은 사료

급이통의 눈금으로 무게를 예측하여

급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사료의 부피에 따른 무게를 고려하지

않은 방식으로 사료의 부피에 따라 실

제 급여량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영양소 과부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사료급이통의 눈

금 1개가 얼마만큼 무게가 나가는지

수시로 파악하여 정확한 양을 급여해

야 한다.

사료 급여 시 급여하는 사료의 에너지 함량을 정확히 파악하고 급여량을 정하는 것

이 중요하다.

사료의 부피는 사료회사, 계절 등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임신기 사

료 급여량에 주의해야 한다. 본인이 여러 농장을 방문해서 임신사 사료 급이량 조절

상황을 살펴본 결과 이런 사항을 지키는 농장이 많지 않았다.

(3) 임신돈 사료 내 영양소 보충

자돈의 생시체중은 중요하다. 그러나 생시체중의 균일도는 생시체중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 생시체중의 균일도 저하는 태아의 수가 증가하는 만큼 태반 혈류의 흐름이

증가하기 어려워 산소와 영양소의 공급이 원활치 못해 결국 자궁 내 발육지연(intra-

uterine growth retardation, IUGR)된 자돈 발생률을 높이는 데 한 원인으로 알

려졌다. 이러한 문제는 임신기간 특정 원료(영양소)를 첨가해 줌으로써 최소화시킬 수

있다.

첫째로 모돈의 여포성숙단계(재귀발정기간)에 덱스트로스(dextrose) 같은 원료

를 급여하면 생시체중의 균일도(CV)를 증진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고 한다. Van den

Brand 등(2009)의 연구에 의하면 재귀발정기간(WEI) 동안 덱스트로스와 락토오스

(lactose)를 각각 150g씩 사료 내 첨가하여 급여하였을 때 다음 산차에서 자돈의 평균

생시체중이 증가하였고, 생시체중 균일도(CV)도 개선되었다(표 6).

이는 덱스트로스와 락토오스가 혈중 인슐린과 IGF-1을 증가시켜 여포 발달에 영향

을 미쳤기 때문이라고 한다.

▲ (사진 1) 임신돈의 사료급이통

234-239 기획특집-채병조.indd 238 2018-10-21 오전 10:10:01

2018. 11월호 239

두 번째는 아지닌의 급여이다. 아지닌은 산화질소(nitric oxide)의 전구체로 산화질

소는 임신기간 태반의 혈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태아의 성장을 도와 생시체중의 균

일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Wu와 Morris, 1998; Wu 등, 2006).

(표 7)을 보면, 임신 77일부터 아지닌을 하루 25g씩 모돈의 사료 내에 첨가하였

을 때 생시체중 균일도(CV)가 유의적으로 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Quesnel 등, 2014).

3. 결론

다산성 모돈의 도입으로 산자수가 증가하였지만 생시체중 감소와 생시체중 균일도

(CV)의 저하로 농장의 어려움이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문제를 완화시

키려면 모돈관리 전반에서 좀 더 세밀한 계획과 실행이 따라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모돈관리는 과학을 넘어 예술이라고 하는데 그만큼 어렵다는 뜻이다. 자돈의 생시

체중이 너무 작거나 균일도가 좋지 못하면 임신기에 사료 및 관리에 더욱 심혈을 기울

여야 한다. 사료회사와 협력하여 사료 급여 프로그램을 다시 한번 점검해 보는 것도

좋은 일이 될 것이다.

(표 6) 모돈의 재귀발정기간 덱스트로스(dextrose)와 락토오스(lactose)의 급여 효과

구분 대조구 첨가구 유의성

산자수 71 62 -

평균 산차 5.21 5.10 -

임신기간(일) 114.5 114.6 0.76

총산자수(두) 14.25 14.40 0.84

평균 생시체중(g) 1,465 1,554 0.05

생시체중 균일도(CV, %)* 23.7 17.22 0.04

포유자돈 폐사율(%) 20.40 17.22 0.09

*CV(%)가 낮을수록 체중변이가 작음.

(표 7) 생시체중의 균일도에 대한 임신기 아지닌 급여 효과

구분 대조구 첨가구 유의성

총산자수(두) 15.1 16.2 0.57

실산자수(두) 13.8 14.9 0.49

평균 생시체중(kg)

총산자수 1.45 1.51 0.55

실산자수 1.46 1.52 0.45

생시체중 균일도(CV, %)*

총산자수 25.7 21.4 0.08

실산자수 25.4 20.6 0.03

1kg 미만 자돈1(%) 16.8 14.5 0.42

1총산자수 기준. *CV(%)가 낮을수록 체중변이가 작음.

234-239 기획특집-채병조.indd 239 2018-10-21 오전 10: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