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천연가스 보급 확대 목표(13.5계획 기간 중) 및 실행계획 ·...

1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40호 2017.11.27 3 중국 천연가스 보급 확대 목표(13.5계획 기간 중) 및 실행계획 해외정보분석실 양의석 선임연구위원([email protected]) , 전희정([email protected]) 중국 정부는 13.5계획기간 중 석탄의존도를 축소하는 한편, 1차에너지 소비 중 천연가스 분담률 제고와 청정에너지 보급 확대 등을 통해 에너지믹스 조정을 추진하고 있음. 중국의 1차에너지 소비의 천연가스 비중은 2040년 석유 비중을 능가하고, 2050년 18%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정부는 천연가스 산업의 발전과 에너지 활용도 증진을 위해 석유 · 천연가스 체제개혁 심화를 위한 의견 ( 關於深化石油天然氣體制改革的若幹意見 , 국무원 2017.5) 을 제시하고 분야별 실행계획을 수립 이행하고 있음. 13.5계획에서 중국 정부는 해상 육지, 전통 비전통가스 공동개발( 海陸並進 , 常非並舉 ) 의 추진전략을 제시하고, 4대 천연가스 생산기지를 중심으로 탐사 개발 생산 활동 확대를 추진하고 있음. 천연가스 수입선 확보를 위하여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와 중국 본토를 연결하는 PNG 수송망을 확충하고 있으며, 천연가스 수입 다원화를 위해 LNG수입선 확보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또한, 중 미 자원외교 차원에서 미국산 LNG 수입 확대를 위한 다각적인 활동을 전개해 오고 있음. ▶‘ 13.5계획 기간 동안 정부는 국내 천연가스 매장 생산지 및 각 지역의 수요 등을 고려하여 천연가스 수송망 구축에 주력하고자 하며, 천연가스 인프라 건설에 대한 융자지원과 민간 투자에 대한 금융지원을 확대할 계획임. 또한, 정부는 천연가스 이용을 촉진시키고자 가정 상업, 발전, 산업, 수송 부분별로 보급 촉진사업을 추진 중임. 1. 중국 에너지정책 기조와 천연가스 보급 확대 목표 ▣‘에너지발전 13.5계획(2016~2020년)의 정책기조 및 전망 중국 정부는 13.5계획기간 중 석탄의존도를 축소하는 한편 , 1차에너지 소비 중 천연가스 분담률 제고 1) 와 청정에너지 보급 확대 등을 통해 에너지믹스 조정을 추진하고 있음 . 중국의 에너지발전 13.5계획 (2016~2020)’1차에너지 소비에서 석탄의존도 58%이하로 축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 특히 , 청정에너지 (비화석에 너지 ) 비중을 15% 이상으로 확대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음 . 석탄 대체에너지로 천연가스를 적극 활용하여 천연가스의 1차에너지 분담률을 20155.9%수준에서 2020년까지 10%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임 . 특히 , 도시지역의 천연가스 보급률은 2015 42.8% 에서 2020 57% 까지 확 대할 계획임 . 국가발전개혁위원회 (NDRC) 는 중국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난방용 청정에너지 1) NDRC는 대기오염방지행동계획, 에너지발전전략행동계획, 에너지발전 13.5계획’’에서 제시한 천연 가스 공급 목표 달성을 위해 천연가스 이용 촉진에 관한 의견(加快推进天然气利用的意见)을 발표 하였음(2017.6.23). “중국은 석탄의존도를 축소하고, 천연가스 및 청정에너지 보급을 확대하는 에너지믹스 조정을 추진”

Upload: others

Post on 13-Sep-2019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40호 2017.11.27 3

중국 천연가스 보급・확대 목표(13.5계획 기간 중)

및 실행계획

해외정보분석실 양의석 선임연구위원([email protected]), 전희정([email protected])

▶ 중국 정부는 13.5계획기간 중 석탄의존도를 축소하는 한편, 1차에너지 소비 중 천연가스 분담률 제고와

청정에너지 보급・확대 등을 통해 에너지믹스 조정을 추진하고 있음. 중국의 1차에너지 소비의 천연가스

비중은 2040년 석유 비중을 능가하고, 2050년 18%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 정부는 천연가스 산업의 발전과 에너지 활용도 증진을 위해 ‘석유·천연가스 체제개혁 심화를 위한 의견

(關於深化石油天然氣體制改革的若幹意見, 국무원 2017.5)’을 제시하고 분야별 실행계획을 수립・이행하고 있음.

▶ 13.5계획에서 중국 정부는 ‘해상・육지, 전통・비전통가스 공동개발(海陸並進,常非並舉)’의 추진전략을 제시하고,

4대 천연가스 생산기지를 중심으로 탐사・개발・생산 활동 확대를 추진하고 있음.

▶ 천연가스 수입선 확보를 위하여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와 중국 본토를 연결하는 PNG 수송망을 확충하고

있으며, 천연가스 수입 다원화를 위해 LNG수입선 확보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또한, 중・미 자원외교

차원에서 미국산 LNG 수입 확대를 위한 다각적인 활동을 전개해 오고 있음.

▶ ‘13.5계획’ 기간 동안 정부는 국내 천연가스 매장・생산지 및 각 지역의 수요 등을 고려하여 천연가스 수송망

구축에 주력하고자 하며, 천연가스 인프라 건설에 대한 융자지원과 민간 투자에 대한 금융지원을 확대할 계획임.

▶ 또한, 정부는 천연가스 이용을 촉진시키고자 가정・상업, 발전, 산업, 수송 부분별로 보급 촉진사업을 추진 중임.

1. 중국 에너지정책 기조와 천연가스 보급 확대 목표

▣ ‘에너지발전 13.5계획(2016~2020년)’의 정책기조 및 전망

중국 정부는 13.5계획기간 중 석탄의존도를 축소하는 한편, 1차에너지 소비 중

천연가스 분담률 제고1)와 청정에너지 보급・확대 등을 통해 에너지믹스 조정을

추진하고 있음.

‒ 중국의 ‘에너지발전 13.5계획(2016~2020년)’은 1차에너지 소비에서 석탄의존도

를 58%이하로 축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특히, 청정에너지(비화석에

너지) 비중을 15% 이상으로 확대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음.

‒ 석탄 대체에너지로 천연가스를 적극 활용하여 천연가스의 1차에너지 분담률을

2015년 5.9%수준에서 2020년까지 10%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임.

・ 특히, 도시지역의 천연가스 보급률은 2015년 42.8%에서 2020년 57%까지 확

대할 계획임.

・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중국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난방용 청정에너지

1) NDRC는 ‘대기오염방지행동계획’, ‘에너지발전전략행동계획’, ‘에너지발전 ‘13.5계획’’에서 제시한 천연

가스 공급 목표 달성을 위해 ‘천연가스 이용 촉진에 관한 의견(加快推进天然气利用的意见)’을 발표

하였음(2017.6.23).

“중국은 석탄의존도를 축소하고, 천연가스 및 청정에너지 보급을 확대하는 에너지믹스 조정을 추진”

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40호 2017.11.27

보급・확대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난방용 가스요금을 인하하는 등의 가격

정책을 통해 난방용 에너지의 천연가스 대체를 추진하고 있음.

※ 북부지역은 헤이룽장省, 지린省, 랴오닝省, 베이징, 톈진, 허베이省, 산동省,

허난省, 산시省, 샨시省, 네이멍구 동부, 장수省 중원관화 지역, 안후이省 중원관화 지역, 간쑤省, 닝샤, 칭하이省, 신장 등임.

・ 2020년까지 천연가스 확대 목표(1차에너지 소비 비중: 10%)를 달성하기 위해

서는 연간 천연가스의 소비 증가폭이 15% 이상으로 유지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 2016년에는 천연가스 소비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면서 천연가스의 1차에

너지 분담률은 6.4%(2015년 5.9%)로 증가하였음.

지표2015년

(실적)

2020년

(계획)

연평균

증가율(%)

(2015~2020)

⋅1차에너지 중 소비비중(%) 5.9 8.3~10 -

⋅도시지역 천연가스 보급률*(%) 42.8 57.0 -

⋅천연가스 확인매장량 누계(만Bcm) 1.3 1.6 4.3

⋅총 생산량(Bcm/년) 135 207 8.9

⋅파이프라인 길이(만km) 6.4 10.4 10.2

⋅파이프라인 수송용량(Bcm/년) 280 400 7.4

⋅지하저장탱크 저장용량(Bcm) 5.5 14.8 21.9

주 : *도시지역 천연가스 보급률(%) =

(도시지역 농업 비종사자 중 천연가스 사용 인구)/(도시지역 농업 비종사자 총 인구)×100

자료 : 천연가스 발전 13.5계획

< 13.5계획 기간의 천연가스 부문 주요 지표 >

장기전망에 따르면, 중국의 1차에너지 소비의 천연가스 비중은 2040년 석유 비

중을 능가하고, 2050년 18%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2)

자료 : CNPC ETRI

< 중국 1차에너지 소비구조 변화 전망(1990~2050년) >

(단위 : 억toe)

2) 中石油经济技术研究院(2016.7.14), 2025年世界与中国能源展望

“1차에너지 소비 중 천연가스의 비중은 2050년 18%로 확대될 전망”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40호 2017.11.27 5

‒ 석탄감축 정책으로 석탄 소비비중은 2014년의 66%에서 2050년에는 37%까지

감소하는 반면, 청정에너지의 소비비중은 2050년 약 50%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2. 중국 천연가스 수급 현황

▣ 천연가스 공급

(공급) 2016년 중국의 천연가스 공급량은 209Bcm 규모로 전년대비 6.4%증가하

였으며, 이중 국내 생산량은 136.9Bcm이며 수입규모는 72.1Bcm에 달하였음.

(생산) 2016년 천연가스 국내 생산량은 전년대비 1.7% 증가하였으며 특히, 셰일

가스 생산량이 전년대비 72% 증가 실적을 시현하였음.

※ 2016년 1~9월 기준 전체 천연가스 생산량 중 비전통가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12.3%로, 전년동기 대비 5.9%p 증가하였고, 그중 셰일가스가 6.3%, 석탄층

메탄가스가 5.5%를 차지하였음.3)

‒ 또한 합성천연가스(Synthetic Natural Gas) 생산량은 2.2Bcm으로 동기대비

15% 증가하였으며, 촨위(川渝, 쓰촨·충칭), 어얼둬쓰, 타리무, 해역 등 4대 가

스 생산지의 총 생산량이 111.6Bcm에 달하면서 전체 생산 중 83.2%를 차지함.

(수입) 천연가스 수입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LNG의 수입이 대폭 증가하였음.

‒ 중국의 2016년 천연가스 수입량은 72.1Bcm으로 전체 소비량의 35%를 기록하

였으며, 그중 PNG 수입은 2015년 대비 7.6% 증가한 38.3Bcm 규모이며, LNG

수입은 31% 증가한 33.8Bcm을 차지하였음.

자료 : 中国产业信息网

< 중국 천연가스 수입 현황(2010~2016년) >

(단위 : Bcm)

3) 统计局网站(2016.10.19), 统计局:1-9月份天然气产量同比增长2.2%

“2016년 중국의 천연가스 공급은 전년대비 6.4% 증가하였고, 생산은 전년대비 1.7% 증가하였음”

“천연가스 수입도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으며, 특히 LNG 수입이 대폭 증가함”

6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40호 2017.11.27

‒ (PNG) 중국의 PNG는 주로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미얀마

로부터 수입되고 있으며, 투르크메니스탄 의존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중앙아시아 PNG 수송망은 A, B, C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6년 수송규모

는 35Bcm에 달하였음.

※ 중앙아시아 가스관 A, B, C선은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중부지역과

카자흐스탄 남부지역을 거쳐 신장 훠얼궈스(霍爾果斯)를 통해 중국으로 공급

되며, A, B선은 2009년에, C선은 2012년에 가동되었음.4)

・ 미얀마 가스관은 2013년에 완공되었으며, 2017년 상반기에 수입된 가스량은

0.66Bcm임.5)

※ 미얀마 가스관은 벵갈만 차우크퓨(Kyaukpyu)항에서 시작되어 중국 윈난省과

구이저우省을 경유하여 광시省까지 연결되며 연간 수송능력은 12Bcm에 달함.6)

국가 수입량

투르크메니스탄 18.5

우즈베키스탄 0.81

카자흐스탄 0.23

미얀마 0.66

자료 : LNG行业信息

< 2017년 상반기 PNG 국가별 수입 규모>

(단위 : Bcm)

‒ (LNG) 2016년 중국의 LNG 수입 중 호주産 LNG가 4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하였으며, 카타르 18%,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11%, 파푸아 뉴기니 9% 순임.7)

자료 : 和讯名家

< 중국의 2016년 LNG 도입 국가 구성 >

4) 바이두(百度, 중국 검색 포털사이트), https://www.baidu.com/

5) LNG行业信息(2017.8.9), 我国2017年上半年天然气进口情况简报6)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13-20호(2013.5.31), p21-22

7) 和讯名家(2017.8.1), 6月天然气进口量继续增加 上半年进口LNG同比增长38% 

“중국의 PNG 수입처는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미얀마 등이 있음”

“호주는 2016년 중국의 LNG 수입 비중에서 47%를 차지하였음”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40호 2017.11.27 7

・ 2016년 호주産 LNG의 수입량은 1,198만 톤으로, 2015년 대비 116% 증가하

였으며, 미국産 LNG는 2016년 최초로 수입되었으며 수입량은 19.9만 톤을

기록하였음.

‒ 중국의 천연가스 수입은 주로 3대 국영석유가스기업8)이 담당하고 있으며, 2016

년 3대기업의 천연가스 수입량은 70.6Bcm 규모로 중국 전체 수입량의 97.9%

를 차지함.

▣ 천연가스 수요

2016년 중국의 천연가스 소비량은 205.8Bcm을 기록하면서 2015년 대비 6.6%

상승하였으며, 1차에너지 소비 중 천연가스 비중은 6.4%를 차지함.

‒ 중국의 도시화 추진에 따른 연료전환, 난방용 천연가스 이용 증대 등으로 가정・상업 부문의 천연가스(도시가스) 소비는 2016년 72.9Bcm(2015년 62.8Bcm)까

지 확대되었으며, 소비비중은 32.5%에서 35.4%로 상승하였음.

‒ 석탄화력 감축 정책에 따라 발전용 천연가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2016년

발전 부분의 천연가스 소비는 36.6Bcm까지(2015년 28.1Bcm) 증가하였으며,

발전부문의 소비비중은 14.7%에서 17.8%까지 상승하였음.

‒ 2016년 산업용 천연가스 소비는 총 96.3Bcm 수준으로 그 중 산업연료용

(industrial fuel)이 34.6%를 차지하였고, 화학원료용(chemical industry)은

25.1Bcm 수준으로 2015년 14.6% 비중에서 2015년 12.2%로 감소하였음.

천연가스 소비의 지역별 구성은 주로 환보하이(環渤海), 장삼각(長三角), 동남부

연해지역에 집중되었으며, 3개 지역의 2016년 소비량은 101.9Bcm로 전체 소비

에서 49.5%를 차지함.

‒ 천연가스 소비가 10Bcm을 초과한 지역은 장쑤省, 광시, 쓰촨省, 신장, 베이징,

산동省이었으며 그중 산동성의 경우 처음으로 10Bcm을 초과하였음.

3. 중국의 천연가스 보급・확대를 위한 실행계획9)

중국정부는 천연가스 산업의 발전과 에너지 활용도 증진을 위해 ‘석유・천연가스

체제개혁 심화를 위한 의견(關於深化石油天然氣體制改革的若幹意見, 국무원

2017.5월)’을 제시하고 분야별 실행계획을 수립・이행하고 있음.

8) 중국 3대 석유가스회사는 중국석유그룹(PetroChina), 중국석유화학그룹(Sinopec), 중국해양석유그

룹(China National Offshore Oil Corporation)을 의미함.

9)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가 발표한 ‘천연가스발전 13.5계획’, ‘천연가스 이용 촉진을 위한

의견’ 및 국가에너지국(NEA), 국무원, 국토자원부가 공동으로 발표한 ‘중국 천연가스 발전 보고서

(2017)’ 에 기초하여 실행계획을 정리하였음.

“2016년 중국의 천연가스 소비량은 전년대비 6.6% 증가하였음”

“발전 부문에서 천연가스 소비 비중은 2016년 17.8%를 차지함”

8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40호 2017.11.27

▣ 제도정비 및 시장규제 완화

(제도정비) 중국 정부는 천연가스 산업 규제제도를 정비하여 지역 및 산업의 천

연가스 보급・이용과 관련된 행정절차를 간소화・최적화하는 한편, 지원제도 확충

을 추진하고 있음.

‒ 정부는 2016년에 베이징, 상하이, 광동 등 7개 지역에서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시범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2017년에 전국 규모의 통일된 시장을 개설할

계획을 수립한 바 있음.10)

‒ 또한 정부는 발전, 석유화학, 철강, 비철금속, 제지, 건축자재 산업 등에서 천연

가스를 연료 및 원료로 하는 기업에 대해 탄소배출권 할당량을 우선 배분할 계

획임.

(시장 정비 및 가격 자유화) 정부는 공정한 천연가스 시장 환경을 조성하기 위

하여 시장 진출입, 거래, 독점, 납세, 가격결정, 환경보호 등의 부문에서 관리감

독을 강화하는 한편, 공정하고 투명한 관리감독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있음.

‒ 전국 범위의 천연가스 현물시장을 육성하여 천연가스 거래가 실질적인 시장요인

(수급 변화, 대체 에너지의 가격변화, 계절성)에 반영되어 책정될 수 있도록 할

계획임.

‒ 천연가스 가격결정 방식을 빠른 시일 내에 완비하고 가정용 가스가격을 합리적

으로 책정하여 가정용과 비가정용의 가스가격에 대한 보조금이 중복되는 현상

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계획임.

・ 정부는 천연가스 가격결정 방식을 개선하는 한편, 발전용 및 산업용 가스의

가격 자유화를 추진할 계획임.

・ 천연가스 가격 결정을 전력 가격과 연동하는 체제로 전환하고, 조건을 갖춘

지역에 한해 재정보조 등 관련 조치들을 적극적으로 취함으로써 발전 부분

의 가스연료 가격 경쟁력을 제고시킬 계획임.

・ 가스 공급의 유통단계를 간소화함으로써 공급비용을 감축시키고, 유통단계에

서 가격 인상 요인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계획임.

‒ 정부는 민영기업의 천연가스 상류부문 및 인프라 부문에 대한 진출 기준을 완화

하고, 각 지방정부로 하여금 지역 내의 가스관 이용료 및 공급 가격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토록 할 계획임.

・ 특히, 정부는 쓰촨, 충칭, 신장, 구이저우, 장수, 상하이 등을 시범지역으로

선정하여, LNG 인수기지 및 배관망에 대한 제 3자 접속을 허용할 예정임.11)

10) 北京理工大学能源与环境政策研究中心(2017.1.8), 2017年我国碳市场预测与展望11)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17-24호(2017.7.17), p19

“정부는 천연가스 보급・이용과 관련된 행정절차를 간소화하고, 지원제도의 확충을 추진함”

“정부는 공정한 천연가스 시장 환경 조성에도 노력하고 있음”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40호 2017.11.27 9

‒ 정부는 가스 공급기업간 담합을 통해 가격을 인상하거나, 강매 및 독점 등 부당

한 행위에 대해서는 관리 강화를 추진하고 있음.

・ 천연가스 수송 및 판매 업무를 분리하여, 수송 기업은 수송 서비스를 제공하

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익만 취하도록 하고, 천연가스 판매 등의 업무를 할

수 없도록 금지할 계획임.

▣ 탐사・개발・생산 능력제고

중국 정부는 13.5계획에서 ‘해상・육지, 전통・비전통가스 공동개발(海陸並進,常非

並舉)’의 추진전략을 제시하고, 4대 천연가스 생산기지를 중심으로 탐사・개발・생산 활동 확대를 추진하고 있음.

※ 중국의 4대 천연가스 생산지역은 타리무, 어얼둬쓰, 쓰촨, 남부 해역지역을

의미함.

‒ 2020년까지 천연가스, 셰일가스 및 석탄층 메탄가스(CBM)의 신규 확인매장량

을 추가적으로 발굴하여 공급역량을 확충할 계획이며, 국내 천연가스 공급(수입

포함)을 360Bcm/년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임.

‒ 정부는 계획기간 중 천연가스 매장량(3,000Bcm), 셰일가스(1,000Bcm), CBM

(420Bcm)을 신규 확보하여, 누계 확인매장량 규모를 각각 16,000Bcm,

1,500Bcm, 1,000Bcm 수준으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를 설정하고 있음.

‒ 특히, 정부는 셰일가스, 석탄층 메탄가스 등 비전통 가스 개발과 관련된 핵심기

술을 개발함으로써 가스 생산능력을 제고할 계획임.

・ 석탄 가스화 사업에 대한 시범 프로젝트도 추진할 계획이며, 이미 추진 중인

프로젝트의 경우 시스템을 최적화하여 안정성과 친환경성을 제고할 계획임.

‒ 쓰촨, 어얼둬스, 타리무 분지를 중점 탐사하여 미개발 확인매장량을 증대하는

한편, 신규 확인매장량에 대한 개발 확대, 기존 가스전에서의 생산 확대 등을 통

해, 2020년의 천연가스 생산량을 120Bcm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 친수이(沁水), 어얼둬쓰 분지지역을 중심으로 석탄층 메탄가스에 대한 탐사

를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석탄층 메탄가스의 지면 시추를 가속화함으로써

2020년까지 석탄층 메탄가스 생산량을 10Bcm에 달하도록 할 계획임.

‒ 또한 동부 심해 지역에 대한 탐사·개발을 강화하여 생산규모를 37Bcm까지 확

대하는 한편, 남부지역 해역의 셰일가스 매장지를 집중 탐사・개발하고, 수평정

시추를 확대하여 2020년까지 셰일가스 생산량을 30Bcm에 달하도록 할 계획임.

유가스전 탐사・개발에 대한 시장 진입 장벽을 철폐하여 조건을 구비한 기업이

탐사개발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임.

‒ 유가스전 탐사・개발에 대한 재정지원을 강화하고, 심해지역 개발에 대한 보조금

“정부는 4대 천연가스 생산기지를 중심으로 탐사・ 개발・생산 활동 확대를 추진 중임”

“정부는 13.5 계획기간 중 천연가스, 셰일가스, CBM에 대하여 누계 확인매장량 규모를 확대하는 목표를 설정함”

10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40호 2017.11.27

정책 및 셰일가스 및 석탄층 메탄가스 개발에 대한 보조금 정책을 완비할 계획임.

▣ 천연가스 수입선 확보

(중・러 천연가스 협력) 중국은 천연가스 수입선 확보를 위하여 러시아 및 중앙

아시아와 중국 본토를 연결하는 PNG 수송망을 확충하고 있으며, 천연가스 수입

다원화를 위해 LNG수입선 확보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 중국 시진핑 주석의 러시아 공식 방문(모스크바, 2017.7.4)기간 중, 중국 CNPC와

러시아 Gazprom은 러시아 가스의 對중국 수출용 동부노선(Sila Sibiri) 가스관을

통한 가스 공급 개시 시점을 확정한 협약을 체결하였음.12)

‒ 同협약에 따라 중국은 2019년 12월 20일부터 Sila Sibiri 가스관을 통해 30년

간 연간 38Bcm의 러시아 PNG를 공급받을 예정임.

자료 : Oxford Institute for Energy Studies(2016.8), 「Energy Relations between Russia and

China: Playing chess with the Dragon」

< 건설 및 계획 중인 러시아-중국 간 가스관 노선도 >

‒ 중국은 Sila Sibiri PNG 이외에 러시아의 서부노선(Sila Sibiri-2, 일명 알타이

가스관) 프로젝트와 기존 사할린-하바로프스크-블라디보스톡 가스관을 통한

PNG 도입사업을 추진하여 왔음.

・ 2015년 5월 CNPC는 서부노선을 통해 PNG를 도입하기 위한 공급협정(향후

30년간 연간 30Bcm 공급)’을 체결하였으나 2017년 11월 현재까지 최종 계약

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음.

・ 중국이 러시아 서부노선 및 사할린-하바로프스크-블라디보스톡 PNG사업을

최종적으로 추진할지 여부는 아직 불투명한 상태임.

12)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17-13호(2017.4.17), p30

“중국은 천연가스 수입선 확보를 위해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PNG 수송망 확충을 추진 중임”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40호 2017.11.27 11

(中・중앙아시아 천연가스 협력)

‒ 중국은 중앙아시아 국가(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등)과 천연

가스 협력을 통해 PNG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고자, 기존의 중앙아시아 가스관

A・B・C선에 더하여 D선을 추가로 건설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음.

‒ 현재 건설 중인 중앙아시아 가스관 D선은 투르크메니스탄에서 우즈베키스탄, 타

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을 거쳐, 신장 우차(烏恰)를 통해 중국으로 연결되며, 연간

수송량은 약 30Bcm 규모로 14.5차 계획(2021~2025) 기간 중 완공될 예정임.13)

(中・美 천연가스 협력) 중국은 중・미 자원외교 차원에서 미국산 LNG 수입 확대

를 위한 다각적인 활동을 전개하여 왔음. 이에 따라 2016년 이후부터 미국産

천연가스의 수입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2017년 상반기 기준, 미국産 LNG 수입량은 46만 톤을 기록

‒ 2017년 11월 中・美 정상회담에서 양국은 LNG부문 협력사업 추진을 위해

1,494억 달러에 달하는 협약을 체결하였음.14)

・ Sinopec은 미국 “알래스카 가스라인 개발사(AGDC)”와 430억 달러 규모의 알

래스카州 LNG 개발 추진 관련 협약을 체결하였으며 신규 증설할 LNG 생산

설비 규모는 2,000만 톤/년 수준에 달하고 있음.

・ 국가에너지투자그룹(國家能源投資集團)은 웨스트버지나아州와 837억 달러

규모의 협력사업 추진 협약을 체결하였으며, ‘셰일가스 산업망 개발 시범 프

로젝트’를 선추진하고, 향후 20년간 웨스트버지나아州의 셰일가스 개발 및

하류부문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하였음.

※ 국가에너지투자그룹은 중국의 최대 국영 석탄기업인 선화그룹과 5대 국영 발

전기업 중 하나인 궈뎬그룹의 합병을 통해 설립된 국영기업임(2017.8.28).

・ CNPC는 체니에르 에너지(Cheniere Energy)와 110억 달러 규모의 ‘LNG 장기

매매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였으며 양사는 멕시코灣의 천연가스 액화 관

련 프로젝트에 대한 협력을 추진하기로 하였음.

▣ 천연가스 수송망 확충

‘13.5계획’ 기간 동안 국내 천연가스 매장・생산지 및 각 지역의 수요 등을 고려

하여 천연가스 수송망 구축에 주력할 계획임.

‒ 중국은 2020년까지 국내 천연가스 공급규모를 360Bcm/년 수준으로 확대하고자

4만Km의 신규 수송망을 확충하여 총 파이프라인 길이를 10.4만Km로 확장할

계획임.

13) 바이두(百度, 중국 검색 포털사이트), https://www.baidu.com/

14) 21世纪经济报道(2017.11.15), 中美能源合作大单盘点:天然气成为基石

“기존 중앙아시아 가스관 A・B・C선에 더하여 D선을 추가로 건설하는 것을 추진 중임”

“중국은 중・미 자원외교 차원에서 미국산 LNG 수입을 확대하고 있음”

12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40호 2017.11.27

구간길이

(km)

직경

(mm)

수송용량

(Bcm/년)

1 서부 3선* 3,807

동쪽 구간(지안-푸저우)** 817 1,219/1,016 15

중간 구간(중웨이-지안) 2,062 1,219 30

푸젠성-광동성 지·간선 575 813 5.6

중웨이-징볜 지·간선 353 1,219 30

2 서부 4선(이닝-중웨이) 2,431

이닝-투루판 구간 760 1,219 30

투루판-중웨이 구간 1,671 1,219 30

3 서부 5선(우차-중웨이) 3,200

우차-롄무친 구간 1,495 1,219 30

롄무친-중웨이 구간 1,705 1,219 30

4 중앙아시아 D선(국외 구간 포함) 1,000 1,219 30

5 샨징 4선(징볜-베이징) 1,274 1,219 30

6 중-러시아 동부노선

헤이허-창링(창춘 지선 포함) 737/115 1,422/1,016 38

창링-융칭 1,110 1,422/1,219 15

안핑-타이안 321 1,219 20

타이안-타이싱 715 1,219 20

7 추슝-판즈화 파이프라인 186 610 2

8 신장 석탄가스 외부 수송 파이프라인 8,972 1,219/1,016 30

9 어얼둬쓰-안핑-창저우 파이프라인 2,422 1,219/1,016 30

푸양-바오딩 지·간선 443 1,016 10

10 칭다오-난징 파이프라인 553 914 8

11 쓰촨 가스 동부지역 수송 파이프라인(복선) 550 1,016 12

12 멍시 석탄가스 외부 수송 파이프라인 1,200 1,219 30

13 츙위에하이커우-쉬원 파이프라인 265 914 10

14 칭짱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1,140 610 1.27

15 충칭-구이저우-광시 파이프라인 780 1,016 10

16 광시 LNG 보조 파이프라인** 1,106 813/610 4

17 톈진 LNG 보조 파이프라인** 475 1,016/813 4

우칭-통저우 지선 56 711 3

18선전 LNG 피크조절 터미널 보조

파이프라인65 813 10.7

19탕산 LNG 터미널 외부 수송

파이프라인(복선)161 1,219 20

20 웨이위안-롱창-난촨-푸링 440 711/813/1,016 5/6/8

주 :*서부 3,4,5선은 서부지역의 가스를 동부지역으로 수송하기 위해 구축된 파이프라인임.

** 표시된 부분은 건설 중인 구간임

자료 : 天然气发展十三五规划

< ‘13.5 계획’ 기간의 주요 가스수송망 건설계획 >

“중국은 4만Km의 신규 수송망을 확충하여 총 파이프라인 길이를 10.4만Km로 확장할 계획임”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40호 2017.11.27 13

정부는 천연가스 인프라 건설에 대한 융자지원과 민간 투자에 대한 금융지원을

확대할 계획임. 또한 인프라 구축에 민관합작투자(PPP) 방식을 적극 도입하고,

각 지방정부가 지역 실정에 맞는 재정지원을 할 수 있도록 독려할 계획임.

‒ 정부의 금융지원 방안은 융자, 기금, 증권, 채권 등의 다양한 금융정책 방법이

망라되어 있음. 특히, 징진지, 산시성, 산동성 등 오염이 심각한 지역을 중심으

로 금융지원 정책을 우선적으로 추진할 계획임.

중국정부는 천연가스 수송망 확충에 민간기업들의 참여를 촉진하는 한편, 관리

감독을 강화할 계획임.

‒ 징진지(京津冀, 베이징, 톈진, 허베이省) 지역에 가스공급을 위한 파이프라인

건설을 가속화하고, 창장(長江)경제구역의 가스관 구축 계획을 완비하는 한편,

주요 도시에 대한 가스공급 능력을 제고하도록 할 계획임.

※ 창장경제구역은 창장(長江) 인근지역 경제권을 가리키며, 상하이, 장수, 저장, 안

후이, 장시, 후베이, 후난, 충칭, 쓰촨, 윈난, 구이저우 등 11개의 지역이 포함됨.

‒ 수송망은 천연가스 多수요지역을 중심으로 우선적으로 확충하되, 주요 도시를

연계하는 수송망을 구축할 계획이며, 지하 가스저장시설 구축을 동시에 추진할

계획임.

・ 서북채널: 서기동수(西氣東輸) 3선⋅4선⋅5선 및 중아아시아 D선 건설

・ 동북채널: 중-러시아 동부노선 가스관 구축

・ 서남채널: 중-미얀마 가스관을 통해 윈난, 구이저우, 광시, 쓰촨 지역에 가스

를 공급할 수 있는 지선을 건설

・ 해상채널: LNG 터미널 관련 인프라 구축

‒ 한편, 석탄층 메탄가스, 셰일가스, 석탄가스화를 통해 생산된 천연가스 수송을

위한 파이프라인 건설도 추진할 계획임.

▣ 저장설비 확충

정부는 천연가스 공급역량 강화를 위해 천연가스 저장시설을 확충하는 한편,

지하 가스저장시설과 LNG터미널이 천연가스 수송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함

으로써 도시 지역의 천연가스 피크조절 능력을 강화할 계획임.

‒ 징진지, 서북, 서남, 동북, 장삼각, 중서남, 중남, 주삼각 등 8대 가스저장기지를

중점으로 하여 지하저장시설의 저장용량 확대 및 신규 건설을 강화함으로써

2020년까지 지하저장시설 규모를 14.8Bcm에 달하도록 할 예정임.

・ 천연가스 多소비 지역인 환보하이, 장삼각, 동남부 연해지역의 경우 우선적

으로 LNG 터미널의 접속능력 제고를 위해 LNG 터미널을 신규 건설하여 피

“정부는 천연가스 수송망 확충에 민간기업들의 참여를 촉진하는 한편, 관리감독을 강화할 계획임”

“정부는 저장시설 확충 등을 통해 도시 지역의 천연가스 피크조절 능력을 강화하고자 함”

1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40호 2017.11.27

크조절 능력을 갖추고자 함.

‒ 한편, 중국은 LNG 벙커링 수요 등을 고려하여, 중점지역 항구에 LNG 벙커링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선박용 연료의 LNG전환도 추진할 계획임.

가스공급 기업 및 파이프라인 운영기업에 천연가스저장 피크조절시설 건설에 대

한 의무 및 책임을 명확히 하여 피크조절용 가스저장설비 건설을 촉진하고 있음.

‒ 지하저장탱크 저장용량에 대한 개조 및 신규 건설을 확대하고, 연해지역의

LNG 터미널에 저장탱크 및 피크조절시설을 증설함으로써 피크 부하 시, 공급

차질 발생을 대비토록 하고 있음.

‒ 가스저장 및 피크조절 의무에 대한 이행여부, 천연가스 직구매(direct purchase)

계약 체결에 대한 관리・감독을 추진하는 한편, 소규모 및 공급능력 부족 가스기

업은 퇴출시킬 계획임.

▣ 천연가스 이용 촉진

정부는 천연가스 이용을 촉진시키기 위해 가정・상업, 발전, 산업, 수송 부분별로

보급 촉진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 (가정・상업 부문) 북부 지역에서는 난방용 에너지를 천연가스로 대체하는 프로

젝트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중소도시 및 농촌지역까지 천연가스 공급을 확대

할 계획임.

・ 특히, 징진지 및 주변 지역의 대기오염이 심각한 주요 도시 지역에 난방용

에너지의 청정화(도시가스 및 신재생에너지로 전환)를 향후 5년 내 추진할

계획임.

・ 도시화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지역에 대해 가스설비 설치를 지원하고,

농촌지역의 노후 가스관 교체 및 신규 증설을 지원하는 한편, 소형 LNG 저

장탱크를 건설하여 도시가스 공급을 추진할 계획임.

・ 특히, 농촌지역의 가스 공급 능력 제고를 위해 압축천연가스(CNG), 액화천연

가스(LNG), 액화석유가스(LPG) 저장 및 수송시설을 구축할 계획임.

‒ (발전 및 산업 부문) 2020년까지 가스발전 설비 규모를 110GW까지 확대시킴

으로써 발전설비 비중을 5%까지 확대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음.

・ 분산형 전원개발 차원에서 열병합발전소(Combined Heat and Power, CHP) 건

설을 추진하여, 스마트그리드, 마이크로그리드 등 새로운 전원공급 구조를

발전시킬 계획임. 특히, 징진지 및 주변지역, 장삼각, 주삼각, 동북지역 등 대

기오염이 심각한 지역을 중점으로 열병합발전 설비를 확충하고 있음.

・ 신재생에너지와 천연가스가 결합된 상호보완적 전원개발 시범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전력 공급의 안전성을 제고시키는 한편, 기풍・기광 문제 해소

“정부는 천연가스 이용을 촉진시키기 위해 가정・상업, 발전, 산업, 수송 부분별로 보급 촉진사업을 추진 중임”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40호 2017.11.27 15

를 추진하고 있음.

・ ‘고오염(高汚染) 연료 규제 지역’에 20T/h 이하의 산업용 석탄보일러를 가스

보일러로 대체하도록 하고, 신규 산업용 보일러는 석탄, 중유, 석유코크스 등

의 연료 사용을 금지할 계획임.

‒ (수송 부문) 대중 육상교통, 화물차, 선박 등에서의 천연가스 사용을 확대하고

징진지 등 대기오염방지 중점지역에서는 자동차 연료를 경유에서 천연가스로

대체를 추진하고 있음.

・ 정부는 2020년까지 가스연료 자동차 보급목표를 1,000만 대 이상으로 설정하

고, 2020년까지 차량용 및 선박용 가스충전소를 각각 12,000개 및 200개 이

상 설치를 추진하고 있음.

16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40호 2017.11.27

참고문헌

에너지경제연구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 13-20호, 2013.5.31

_______________,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 17-3호, 2017.2.6

_______________,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 17-13호, 2017.4.17

_______________,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 17-24호, 2017.7.17

_______________,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 17-27호, 2017.8.7

_______________,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 17-29호, 2017.8.28

_______________,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 17-35호, 2017.10.16

_______________,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 17-36호, 2017.10.23

国家发展和改革委员会, 天然气发展“十三五”规划, 2016.12.24

____________________, 加快推进天然气利用的意见, 2017.6.2

北京理工大学能源与环境政策研究中心 2017年我国碳市场预测与展望, 2017.1.8

中石油经济技术研究院, 2025年世界与中国能源展望, 2016.7.14

统计局网站, 统计局:1-9月份天然气产量同比增长2.2%, 2016.10.19

和讯名家, 6月天然气进口量继续增加上半年进口LNG同比增长38%, 2017.8.1

国家能源局, 中国天然气发展报告(2017), 2017.8.19

中国产业信息网, 2017年中国天然气行业发展前景分析, 2017.9.22

______________, 2017年中国天然气供需情况及发展前景分析, 2017.10.9

国资委网站, 中石油与切尼尔签署协议 加强天然气液化项目方面的合作, 2017.11.13

21世纪经济报道, 中美能源合作大单盘点:天然气成为基石, 2017.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