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이 투자ww2.mynewsletter.co.kr › kcplaa › 201805-4 › 5.pdf · 2018-05-25 ·...

100
,

Upload: others

Post on 28-May-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직장건강관리

    비용이

    아닌

    투자

    ,

  • Ⅰ. 프로필 ············································································· 1

    Ⅱ. 개회사 인사말 ·································································· 9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송 옥 주

    Ⅲ. 주제발표

    1. 우리나라 사업장 보건관리체계 현황과 다양한 접근전략 소개 ························ 15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주 영 수 교수

    2. 기업 건강관리체계의 패러다임 전환 ··························································· 39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윤 영 호 교수

    Ⅳ. 주제토론

    1. 직장 건강 관리, 4차산업혁명시대에 더 중요하다 ·········································· 67

    국민대학교 경영대학 고 현 숙 교수

    2. 2018년 대한민국 직장건강관리에 관한 토론문 ············································ 71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관리실장 조 용 기 실장

    3. 2018 대한민국 직장건강관리에 관한 국회 토론회 토론문 ····························· 79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윤 지 현 교수

    4. ················································································································ 83

    고용노동부 산업보건과장 고 동 우 과장

    5. 대한민국 직장인 건강관리에 대한 국회 토론문 ············································· 89

    한국경영자총협회 임 우 택 본부장

    6. 21세기와 미래에 부합하는 직장건강 관리 제도의 필요성 ······························ 93

    변 웅 재 변호사

    7. 2018년 대한민국 직장건강관리에 관한 토론문 ············································ 99

    매일경제신문 의료전문 기자 이 병 문 부장

    목 차

  • 축사: 신찬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장)

    ● 학력 사항: 1981~1987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박사1988~1990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석사~1987 서울대학교 의학 학사

    ● 경력 사항: 2017.12. ~ 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장2016.06~2016.12 서울대학교병원 진료부원장2014.08 ~ 2016.05 서울대학교병원 의료혁신실장

    축사: 김용익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

    ● 학력 사항: 1971~1977 서울 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의학학사1977~1979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 석사1979~1983 서울대학교 대학원 예방의학 박사1983~1984 리즈대학교 대학원 보건학 석사

    ● 경력 사항: 2016.11~2017.05 민주연구원 원장2016.09~2016.11 제5대 민주정책연구원 원장2014.03~2015.12 제19대 국회의원 (비례대표/새정치민주연합)

    개회사: 송옥주 (국회의원)

    ● 학력 사항: 2000~2002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지방자치도시행정전공 석사1983~1987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 학사

    ● 경력 사항:2017.11~ 제20대 국회 미세먼지대책특별위원회 위원2017.05~ 제20대 국회 전반기운영위원회 위원2017.05~ 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

    - 3 -

    축사: 신찬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장)

    ● 출생: 1962년 ● 학력 사항: ~1987 서울대학교 의학 학사 ● 경력 사항: 2016.06~2016.12 서울대학교병원 진료부원장 2016.06~ 서울대학교병원 정보화실장 2014.08~2016.05 서울대학교병원 의료혁신실 실장 2012.0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무부학장 2010.06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부원장

    축사: 김용익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 ● 출생: 1952년 10월 10일 (충청남도 논산) ● 학력 사항: 1971~1977 서울 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의학학사 1977~1979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 석사 1979~1983 서울대학교 대학원 예방의학 박사 1983~1984 리즈대학교 대학원 보건학 석사 ● 경력 사항: 2016.11~2017.05 민주연구원 원장 2016.09~2016.11 제5대 민주정책연구원 원장 2014.03~2015.12 제19대 국회의원 (비례대표/새정치민주연합) 2011~2012.05 한국미래발전연구원 원장 2006~2008 대통령비서실 사회정책수석비서관 ● 수상 내역: 2015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국정감사 우수의원 2014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국정감사 우수의원

    개회사: 송옥주 (국회의원)

    ● 학력 사항: 2000~2002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지방자치도시행정전공 석사 1983~1987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 학사 ● 경력 사항: 2017.11~ 제20대 국회 미세먼지대책특별위원회 위원 2017.05~ 제20대 국회 전반기운영위원회 위원 2017.05~ 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

    개회사: 송옥주 (국회의원)

    축사: 김용익(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축사: 신찬수(서울대학교의과대학학장)

    •학력 사항2000~2002 연세대학교행정대학원지방자치도시행정

    전공석사1983~1987 연세대학교신문방송학학사

    •경력 사항2017.11~ 제20대국회미세먼지대책특별위원회위원2017.05~ 제20대국회전반기운영위원회위원2017.05~ 더불어민주당원내부대표

    •학력사항1971~1977 서울고등학교/서울대학교의학학사1977~1979 서울대학교보건대학원보건학석사1979~1983 서울대학교대학원예방의학박사1983~1984 리즈대학교대학원보건학석사

    •경력사항2016.11~2017.05 민주연구원원장2016.09~2016.11 제5대민주정책연구원원장2014.03~2015.12 제19대국회의원(비례대표/새정치

    민주연합)

    •학력사항1981~1987 서울대학교의과대학내과학박사1988~1990 서울대학교의과대학내과학석사~1987 서울대학교의학학사

    •경력사항2017.12~ 현재서울대학교의과대학학장2016.06~2016.12 서울대학교병원진료부원장2014.08~2016.05 서울대학교병원의료혁신실장

  • 주제 발표자: 윤영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학력 사항: 2000~200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박사1998~2000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석사1984~1990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사

    ● 경력 사항: 2016.08~2017.02 서울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 단장2016.06~2016.08 서울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 부단장2015.01~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위원

    주제 발표자: 주영수 (한림의대 직업환경의학교실 교수)

    [약력]

    1984년-1990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1993년-1994년 서울대학교병원 수련의1994년-1999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전공의 및 전임의2005년-2006년 미국 Harvard 보건대학원 Takemi Fellow1999년-현재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좌장: 이철수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학력 사항: 1985~1992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원 법학 박사1982~1984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원 법학 석사1978~1982 서울대학교 법학 학사

    ● 경력 사항: 2008.10~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2006.03~2008.09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부교수2005.07~ 한국노사관계학회 수석부회장

    - 4 -

    주제 발표자: 윤영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출생: 1964년 ● 학력 사항: 2000~200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박사 1998~2000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석사 1984~1990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사 ● 경력 사항: 2016.08~2017.02 서울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 단장 2016.06~2016.08 서울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 부단장 2015.01~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위원 2014.01~2016.0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장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헬스케어 연구소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건강사회정책실 실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암연구소 홍보부장 ● 수상 내역: 2016 근정훈장 2013 제11회 화이자의학상

    주제 발표자: 주영수 (한림의대 직업환경의학교실 교수)

    ● 학력 사항: ~1999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 박사 ~1997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 석사 ~1990 서울대학교 의학 학사 ● 경력 사항: 2011~ 대한직업환경의학회 산업보건제도개선위원회 위원장 2011~ 비판과 대안을 위한 건강정책학회 이사 1999~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과장 ~1999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전임의 19994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전공의

    좌장: 이철수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학력 사항: 1985~1992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원 법학 박사 1982~1984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원 법학 석사 1978~1982 서울대학교 법학 학사 ● 경력 사항: 2008.10~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2006.03~2008.09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부교수 2005.07~ 한국노사관계학회 수석부회장

    좌장: 이철수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주제 발표자: 주영수 (한림의대 직업환경의학교실 교수)

    주제 발표자: 윤영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학력 사항1985~1992 서울대학교법과대학원법학박사1982~1984 서울대학교법과대학원법학석사1978~1982 서울대학교법학학사

    •경력 사항2008.10~ 서울대학교법과대학교수2006.03~2008.09 서울대학교법과대학부교수2005.07~ 한국노사관계학회수석부회장

    •학력 사항 ~1999 서울대학교의과대학의학박사~1997 서울대학교보건대학원보건학석사1984~1990 서울대학교의학학사

    •경력 사항1994~1999 서울대학교의과대학예방의학교실전공의

    및전임의2005~2006 미국Harvard보건대학원TakemiFellow1999~ 한림대학교의과대학교수/ 한림대학교성심병원직업환경의학과교수

    •학력 사항2000~2002 서울대학교의과대학원박사1998~2000 서울대학교의과대학원석사1984~1990 서울대학교의과대학학사

    •경력 사항2016.08~2017.02 서울대학교병원공공보건의료

    사업단단장2016.06~2016.08 서울대학교병원공공보건의료

    사업단부단장2015.01~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위원

  • 주제 발표자: 윤영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학력 사항: 2000~200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박사1998~2000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석사1984~1990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사

    ● 경력 사항: 2016.08~2017.02 서울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 단장2016.06~2016.08 서울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 부단장2015.01~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위원

    주제 발표자: 주영수 (한림의대 직업환경의학교실 교수)

    [약력]

    1984년-1990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1993년-1994년 서울대학교병원 수련의1994년-1999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전공의 및 전임의2005년-2006년 미국 Harvard 보건대학원 Takemi Fellow1999년-현재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좌장: 이철수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학력 사항: 1985~1992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원 법학 박사1982~1984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원 법학 석사1978~1982 서울대학교 법학 학사

    ● 경력 사항: 2008.10~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2006.03~2008.09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부교수2005.07~ 한국노사관계학회 수석부회장

    - 4 -

    주제 발표자: 윤영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출생: 1964년 ● 학력 사항: 2000~200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박사 1998~2000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석사 1984~1990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사 ● 경력 사항: 2016.08~2017.02 서울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 단장 2016.06~2016.08 서울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 부단장 2015.01~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위원 2014.01~2016.0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장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헬스케어 연구소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건강사회정책실 실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암연구소 홍보부장 ● 수상 내역: 2016 근정훈장 2013 제11회 화이자의학상

    주제 발표자: 주영수 (한림의대 직업환경의학교실 교수)

    ● 학력 사항: ~1999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 박사 ~1997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 석사 ~1990 서울대학교 의학 학사 ● 경력 사항: 2011~ 대한직업환경의학회 산업보건제도개선위원회 위원장 2011~ 비판과 대안을 위한 건강정책학회 이사 1999~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과장 ~1999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전임의 19994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전공의

    좌장: 이철수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학력 사항: 1985~1992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원 법학 박사 1982~1984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원 법학 석사 1978~1982 서울대학교 법학 학사 ● 경력 사항: 2008.10~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2006.03~2008.09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부교수 2005.07~ 한국노사관계학회 수석부회장

    토론자: 윤지현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 학력 사항: 1996~2001 퍼듀대학교 대학원 박사1995~1996 아이오와주립대학교 대학원 이학 석사1993~1995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학사1988~1993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학사

    ● 경력 사항: 2003.03~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조교수

    토론자: 조용기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관리실장)

    ● 학력 사항: 1981 진주고등학교 졸업1985 서울대학교 졸업

    ● 경력 사항: 2018.02.05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관리실장2016.07.01 국민건강보험공단 보험급여실장2015.07.01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금천 지사장

    토론자: 고현숙 (국민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 학력 사항: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경영학 박사헬싱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석사서울대학교 소비자학 학사

    ● 경력 사항: 현 대한리더십학회 부회장현 코칭경영원 대표코치전 한국리더십센터 대표전 한국코치협회 부회장

    - 4 -

    주제 발표자: 윤영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출생: 1964년 ● 학력 사항: 2000~200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박사 1998~2000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석사 1984~1990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사 ● 경력 사항: 2016.08~2017.02 서울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 단장 2016.06~2016.08 서울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 부단장 2015.01~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위원 2014.01~2016.0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장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헬스케어 연구소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건강사회정책실 실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암연구소 홍보부장 ● 수상 내역: 2016 근정훈장 2013 제11회 화이자의학상

    주제 발표자: 주영수 (한림의대 직업환경의학교실 교수)

    ● 학력 사항: ~1999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 박사 ~1997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 석사 ~1990 서울대학교 의학 학사 ● 경력 사항: 2011~ 대한직업환경의학회 산업보건제도개선위원회 위원장 2011~ 비판과 대안을 위한 건강정책학회 이사 1999~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과장 ~1999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전임의 19994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전공의

    좌장: 이철수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학력 사항: 1985~1992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원 법학 박사 1982~1984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원 법학 석사 1978~1982 서울대학교 법학 학사 ● 경력 사항: 2008.10~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2006.03~2008.09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부교수 2005.07~ 한국노사관계학회 수석부회장

    - 5 -

    토론자: 윤지현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 학력 사항: 1996~2001 퍼듀대학교 대학원 박사 1995~1996 아이오와주립대학교 대학원 이학 석사 1993~1995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학사 1988~1993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학사 ● 경력 사항: 2003.03~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조교수

    토론자: 조용기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관리실장)

    ● 생년월일: 1962. 06. 01 ● 학력 사항: 1981 진주고등학교 졸업 1985 서울대학교 졸업 ● 경력 사항: 2018.02.05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관리실장 2016.07.01 국민건강보험공단 보험급여실장 2015.07.01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금천 지사장 2014.01.01 국민건강보험공단 통합징수실장 2013.01.01 국민건강보험공단 자격부과실장 2012.02.01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동작 지사장 2011.04.01 국민건강보험공단 재정관리실장 ● 수상 내역: 2018 대통령 표창

    토론자: 고현숙 (국민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 학력 사항: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경영학 박사 헬싱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석사 서울대학교 소비자학 학사 ● 경력 사항: 현 대한리더십학회 부회장 현 코칭경영원 대표코치 전 한국리더십센터 대표 전 한국코치협회 부회장

    토론자: 고현숙 (국민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토론자: 조용기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관리실장)

    토론자: 윤지현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학력 사항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경영학박사헬싱키대학교대학원경영학석사서울대학교소비자학학사

    •경력 사항현대한리더십학회부회장현코칭경영원대표코치전한국리더십센터대표전한국코치협회부회장

    •학력 사항1981 진주고등학교졸업1985 서울대학교졸업

    •경력 사항2018.02~ 국민건강보험공단건강관리실장2016.07~2018.02 국민건강보험공단보험급여실장2015.07~2016.07 국민건강보험공단서울금천지사장

    •학력 사항1996~2001 퍼듀대학교대학원박사1995~1996 아이오와주립대학교대학원이학석사1993~1995 서울대학교경영학과학사1988~1993 서울대학교식품영양학과학사

    •경력 사항2003.03~ 서울대학교생활과학대학식품영양학과

    조교수

  • 토론자: 변웅재 (한국소비자보호단체협의회 자율분쟁조정위원회 조정위원장)

    ● 학력 사항: 2004 미국 Standford Law School 졸업(LL.M.)1995 사법연수원 제24기 수료1992 제34회 사법시험 합격1993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 경력 사항: 2016~현재 : 한국소비자보호단체협의회 자율분쟁조정위원회 위원장2012~현재 : 법무법인(유한) 율촌 변호사2017~현재 : 문화체육관광부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 조정위원장

    토론자: 임우택 (한국경영자총협회 안전보건본부장)

    ●학력 사항: 1994.03~1996.02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과 석사1930.03~1994.02 한양대학교 법학과 학사

    ●경력 사항: 2016.02~현재 한국경영자총협회 안전보건본부장2017.01~현재 대한산업보건협회 비상임이사2010.04~2016.02 한국경영자총협회 안전보건팀장

    토론자: 고동우 (고용노동부 산업보건과장)

    ● 경력 사항: 기술고시 (29회)사법시험 (53회)

    - 6 -

    토론자: 변웅재 (한국소비자보호단체협의회 자율분쟁조정위원회 조정위원장)

    ● 학력 사항: 2004 미국 Standford Law School 졸업(LL.M.) 1995 사법연수원 제24기 수료 1992 제34회 사법시험 합격 1993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 경력 사항: 2012~현재 법무법인(유) 율촌 2017~현재 문화체육관광부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 위원 2017~현재 경기도 투자유치자문단 자문위원 2016~현재 서울중앙지방법원 조정위원 2016~현재 한국소비자보호단체협의회 자율분쟁조정위원회 조정위원장 2016~2017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시스템 해외진출 컨설팅 지원사업 전문위원 2015~현재 경기도 외국인투자유치협의회 위원 2015~현재 제주도 국제관계 정책자문위원 2014~현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디지털콘텐츠 공정거래 법률자문위원 2014~현재 중국자본시장연구회 감사

    토론자: 임우택 (한국경영자총협회 안전보건본부장)

    토론자: 고동우 (고용노동부 산업보건과장) 토론자: 고동우 (고용노동부 산업보건과장)

    토론자: 임우택 (한국경영자총협회 안전보건본부장)

    토론자: 변웅재 (한국소비자보호단체협의회 자율분쟁조정위원회 조정위원장)

    •경력 사항기술고시(29회)사법시험(53회)

    •학력 사항1994.03~1996.02 한양대학교일반대학원법학과석사1990.03~1994.02 한양대학교법학과학사

    •경력 사항2016.02~ 한국경영자총협회안전보건본부장2017.01~ 대한산업보건협회비상임이사2010.04~2016.02 한국경영자총협회안전보건팀장

    •학력 사항2004 미국StandfordLawSchool졸업(LL.M.)1995 사법연수원제24기수료1992 제34회사법시험합격1993서울대학교

    법과대학졸업

    •경력 사항2016~ 한국소비자보호단체협의회자율분쟁

    조정위원회위원장2012~ 법무법인(유한)율촌변호사2017~ 문화체육관광부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

    조정위원장

  • 토론자: 변웅재 (한국소비자보호단체협의회 자율분쟁조정위원회 조정위원장)

    ● 학력 사항: 2004 미국 Standford Law School 졸업(LL.M.)1995 사법연수원 제24기 수료1992 제34회 사법시험 합격1993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 경력 사항: 2016~현재 : 한국소비자보호단체협의회 자율분쟁조정위원회 위원장2012~현재 : 법무법인(유한) 율촌 변호사2017~현재 : 문화체육관광부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 조정위원장

    토론자: 임우택 (한국경영자총협회 안전보건본부장)

    ●학력 사항: 1994.03~1996.02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과 석사1930.03~1994.02 한양대학교 법학과 학사

    ●경력 사항: 2016.02~현재 한국경영자총협회 안전보건본부장2017.01~현재 대한산업보건협회 비상임이사2010.04~2016.02 한국경영자총협회 안전보건팀장

    토론자: 고동우 (고용노동부 산업보건과장)

    ● 경력 사항: 기술고시 (29회)사법시험 (53회)

    - 6 -

    토론자: 변웅재 (한국소비자보호단체협의회 자율분쟁조정위원회 조정위원장)

    ● 학력 사항: 2004 미국 Standford Law School 졸업(LL.M.) 1995 사법연수원 제24기 수료 1992 제34회 사법시험 합격 1993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 경력 사항: 2012~현재 법무법인(유) 율촌 2017~현재 문화체육관광부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 위원 2017~현재 경기도 투자유치자문단 자문위원 2016~현재 서울중앙지방법원 조정위원 2016~현재 한국소비자보호단체협의회 자율분쟁조정위원회 조정위원장 2016~2017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시스템 해외진출 컨설팅 지원사업 전문위원 2015~현재 경기도 외국인투자유치협의회 위원 2015~현재 제주도 국제관계 정책자문위원 2014~현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디지털콘텐츠 공정거래 법률자문위원 2014~현재 중국자본시장연구회 감사

    토론자: 임우택 (한국경영자총협회 안전보건본부장)

    토론자: 고동우 (고용노동부 산업보건과장) 토론자: 이병문 [매일경제 부장(의료전문기자)]

    ●학력 사항: 핀란드 헬싱키 예술디자인대학교 연수연세대 졸업

    ●경력 사항: 2007~ 현재 매일경제 과학기술부 의료전문기자 (부장) 1991~ 2007 매일경제 신문 차장

    매일경제 신문 기자 (국제부, 사회부, 지식부, 중소기업부, 부동산부)

    - 6 -

    토론자: 변웅재 (한국소비자보호단체협의회 자율분쟁조정위원회 조정위원장)

    ● 학력 사항: 2004 미국 Standford Law School 졸업(LL.M.) 1995 사법연수원 제24기 수료 1992 제34회 사법시험 합격 1993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 경력 사항: 2012~현재 법무법인(유) 율촌 2017~현재 문화체육관광부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 위원 2017~현재 경기도 투자유치자문단 자문위원 2016~현재 서울중앙지방법원 조정위원 2016~현재 한국소비자보호단체협의회 자율분쟁조정위원회 조정위원장 2016~2017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시스템 해외진출 컨설팅 지원사업 전문위원 2015~현재 경기도 외국인투자유치협의회 위원 2015~현재 제주도 국제관계 정책자문위원 2014~현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디지털콘텐츠 공정거래 법률자문위원 2014~현재 중국자본시장연구회 감사

    토론자: 임우택 (한국경영자총협회 안전보건본부장)

    토론자: 고동우 (고용노동부 산업보건과장)

    - 7 -

    토론자: 이병문 (매일경제 기자)

    ●학력 사항: 핀란드 헬싱키 예술디자인대학교 연수 연세대 졸업 ●경력 사항: 2007~ 현재 매일경제 과학기술부 의료전분기자 (부장) 1991~ 2007 매일경제 신문 차장 매일경제 신문 기자 (국제부, 사회부, 지식부, 중소기업부, 부동산부)

    토론자: 이병문 (매일경제 부장(의료전문기자))

    •학력 사항핀란드헬싱키예술디자인대학교연수연세대졸업

    •경력 사항2007~ 매일경제과학기술부의료전문기자(부장) 1991~2007매일경제신문차장 매일경제신문기자

    (국제부,사회부,지식부,중소기업부,부동산부)

  • - 11 -

    인 사 말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 국회의원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안녕하십니까.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 송옥주입니다.

    먼저, 오늘 ‘직장건강관리, 비용이 아닌 투자’ 토론회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과 함께

    공동주최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합니다. 또한, 본 토론회 개최를 위해 노고를 아끼지 않으

    신 많은 관계자분과 귀한 발걸음 해주신 귀빈 여러분께도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고령화 사회로 인한 건강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요즘입니다. 기대수명 증가로 인한 급격

    한 인구 고령화는 만성질환 유병률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는 개인과 사회에 큰

    부담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보고서를 통해, 건강을 결정짓는 요소로서 가족상태·교육수준·

    직업의 유무·직업의 종류·작업환경 등과 같은 ‘사회적 조건’이 무려 55%를 차지한

    다는 발표를 한 바 있습니다. ‘행동’ 30%, ‘의료’ 10%, ‘유전’ 5%에 비하면 상당

    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OECD국가 중 장시간 노동으로 상위를

    차지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하루 평균 11시간을 회사에서 보내고 있고, 일‧생활의 균형에 있어서도 아직 일에 더 치우쳐 있는 현실입니다. 특히 수면시간은 6시간에 불과한 우리

    나라 직장인들의 현실을 고려해볼 때 대한민국 직장 건강관리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시

    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이미 1980년대 초반 미국건강증진행위위원회(Health PAC)에서 ‘직장에서

    의 건강관리 서비스 효과성 평가를 위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워크숍·건강평가·금

    연에 관한 인센티브 등 ‘포괄적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한 결과 2년간 결근율은 14%

    감소했고, 11,726일 더 많이 일했으며, 결과적으로 1달러 투자로 3달러를 회수하는 성과

    를 거두었습니다. 또한, 1990년 미국 노동부 조사에 따르면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 - 12 -

    Employee Assistance Program)을 운영하는 데 총 7억 9,800만 달러의 경비를 들여 39억

    달러의 손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보았으며, 산업재해도 71% 감소하는 놀라운 결과를 얻었

    습니다. 이를 반영하듯이 미국 경제지 포춘(Fortune)에서는 2007년 미국 500대 기업의 약

    80%, 1,000명 이상 사업장의 76%, 50명 이상 사업장의 35%가 이 프로그램을 도입했다고

    전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근로복지공단에서 근로자지원프로그램을 도입하여 기업이 소속근로자

    의 직무만족이나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11개 분야의 문제에 대하여 전문상담

    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는 건강과 관련된 상담을 통해 근로자의 건강을

    증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도 운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안전보건공단에서는 기

    업들의 건강수준을 평가하고, 사업장에 필요하거나 취약한 건강 활동분야를 찾아 건강

    활동을 효과적으로 추진하도록 돕기 위한 도구로써 기업건강증진지수(EHP, Enterprise

    Health Promotion Index)를 개발하여 작년부터 기업들의 건강 증진 활동 실태조사를 시작

    했습니다. 유의미한 데이터가 나올 때까지 관심을 가지고 계속 지켜보겠습니다.

    이번 토론회는 우리나라의 직장 건강관리를 위해서도 시의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건설

    적인 논의를 통해 노동자들의 건강 증진을 위한 좋은 방안이 도출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

    다. 도출된 방안을 바탕으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으로서 제도적 뒷받침을 위해 더

    욱 노력하겠습니다.

    끝으로 오늘 토론회 발제를 해주신 한림의대 직업환경의학교실 주영수 교수님과 서울대

    학교 의과대학 윤영호 교수님을 비롯하여 토론에 참여해주시는 국민대학교 경영학과 고

    현숙 교수님, 국민건강보험공단 조용기 건강관리실장님,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윤지현

    교수님, 한국경영자총협회 임우택 안전보건본부장님, 한국소비자보호단체협의회 자율분쟁

    조정위원회 변웅재 조정위원장님, 고용노동부 고동우 산업보건과장님 그리고 매일경제

    이병문 기자님께 다시 한 번 감사 인사를 드립니다. 또한, 바쁘신 가운데서도 자리를 빛

    내주신 모든 분의 가정에 건강과 행운이 깃들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1 우리나라 사업장 보건관리체계 현황과 다양한 접근전략 소개

    · 한림대학교·의과대학 주 영 수 교수

  • - 16 -

    산업재해 발생현황 (고용노동부, 2016년)

    총계 5인 미만 5~49인 50~299인 300인 이상

    사업장수

    %

    1,950,338 1,200,656 708,318 38,006 3,358

    100.00 61.56 36.32 1.95 0.17

    근로자수

    %

    18,431,716 2,736,477 7,938,346 4,424,826 3,332,067

    100.00 14.85 43.07 24.01 18.08

    재해자수

    %

    90,656 29,540 44,654 11,409 5,053

    100.00 32.58 49.26 12.58 5.57

    사망자수

    %

    1,777 412 665 388 312

    100.00 23.19 37.42 21.83 17.56

    우리나라 사업장 보건관리체계

    현황과 다양한 접근전략 소개

    2018년 5월 9일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주 영 수

  • - 17 -

    [직업보건영역]

    직장인 대상 건강관리 접근전략

    [출처] 주영수 등. 미래사회 대비 평생건강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산업보건사업 강화방안 (대통령자문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 연구용역사업). 2005. 3. 주영수 등. 근로자건강센터 확대 설치에 따른 운영모델 정립 및 성과지표 개발 연구 (안전보건공단 연구용역사업). 2013. 11.

    ○ 대규모 사업장(300인 이상) : 전체 사업장수의 0.2% 정도가 이 범주에 포함됨. 주로 사업장내 간호사와 같은 전문적인 보건관리자를 채용하여 회사 내 전반적인 보건관리 및 건강증진사업을 수행하고 있음.

    ○ 중규모 사업장(50인 이상 ~ 300인 미만) : 전체 사업장수의 2.0% 정도가 이 범주에 포함됨. 상기한 전문적인 보건인력을 채용하는 대신에 ‘보건관리대행기관(산업안전보건법에 근거한)’으로 허가된 보건의료기관에 ‘위탁하는 방식’으로 보건관리를 받고 있음.

    ○ 소규모 사업장(5인 이상 ~ 50인 미만) : 전체 사업장수의 36.3% 정도가 이 범주에 포함됨. 현재의 산업안전보건법상 보건관리의 사각지역으로 자발적인 보건관리를 기대할 수 밖에 없는 경우이나, 다행스럽게도 최근에 주로 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21개(2018년 현재, 전국)의 ‘근로자건강센터’라는 공공적 직업예방보건서비스 제공체계가 설치되어 일부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임.

    ○ 소규모 사업장(5인 미만) : 전체 사업장수의 61.6% 정도가 이 범주에 포함됨. 자영업과 특수고용 등도 포함되며 현재의 산업안전보건법상 보건관리의 완전한 사각지역으로서 대부분 어떠한 직업예방보건서비스도 제공받지 못하고 있음. 이 규모 사업장들의 재해율과 사망률은 다른 규모의 사업장들보다 2배 이상 높아 가장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상황임.

    우리나라 사업장 보건관리 현황

  • - 18 -

    (1)지역 직업건강 네트워킹 ○ 지역 내 각종 자원(보건·복지·행정·시민 자원) 파악 ○ 지역자원 네트워킹을 통한 효과적·효율적 사업 수행. (2) 정보·다양한 상담·훈련 제공 ○ 정보제공, 콜 센터 운영 ○ 다양한 상담·훈련제공 (3) 업무상질병 감시체계 연계 중재 ○ 개인 - 개인별 업무상 질병 문제에 대한 정보수집, 분석, 환류 ○ 사업장 - 사업장별 업무상 질병 문제에 대한 정보수집, 분석, 환류 ○ 지역사회 - 지역사회 내 보건·행정·시민자원을 통한 정보수집, 분석, 환류 (4) 직접 직업건강서비스 ○ 사업장 이동형 직업건강서비스 ○ 근로자 내원형 직업건강서비스

    근로자건강센터 Core 기능 (2011-현재)

    [출처] 주영수 등. 근로자건강센터 확대 설치에 따른 운영모델 정립 및 성과지표 개발 연구 (안전보건공단 연구용역사업). 2013. 11.

    기존 산업보건대상 사업장

    산재다발소규모 사업장

    노동부

    보건소지역노동건강센터

    안전보건관리자사업장노동건강센터

    -광업, 제조업, 건설업, 전기가스수도업, 운수 창고 통신업등

    -중규모이상사업장

    유형 I

    신체부담작업대상 사업장

    직장건강관리대상 사업장

    지역사회소규모 사업장

    -광업, 제조업, 건설업, 전기가스수도업, 운수 창고 통신업등

    -소규모사업장

    유형 II

    -금융보험업, 부동산임대업, 사업서비스업, 행정교육보건복지업등

    -중규모이상사업장

    유형 III

    -도매소매업, 숙박음식업기타서비스업

    -중규모이상사업장

    유형 IV

    -서비스업종

    -소규모사업장

    유형 V

    보건소 보건소보건소

    지역주민센터

    한국산업안전공단

    보건복지부

    시도보건과

    지역사회기반 직장인 건강관리 접근전략 (案)

    [출처] 주영수 등. 미래사회 대비 평생건강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산업보건사업 강화방안 (대통령자문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 연구용역사업). 2005. 3.

  • - 19 -

    근로자건강센터 Core 기능 조정(案)

    정보제공·교육훈련·상담 제공 -> 광역형 센터 – 정보제공(내용을 주도적으로 개발), 콜 센터 운영을 통한 직접서비스 제공 – 다양한 교육훈련·상담 제공 : PAOT 방식 / 1차, 2차, 3차 예방의 모든 단계에 관하여 – 관할지역 직업환경의학 전문의의 도움을 받거나, 반대로 그들에게 교육 등의 도움을

    줄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서도 기능

    업무상질병 감시체계 연계 중재 -> 광역형 센터 – 개인 - 개인별 업무상 질병(유소견자), 유해요인 문제에 대한 정보수집, 분석, 환류 – 사업장 - 사업장별 업무상 질병(유소견자), 유해요인 문제에 대한 정보수집, 분석, 환류 – 지역사회 - 지역사회 내 보건·행정·시민자원을 통한 정보수집, 분석, 환류

    지역 직업건강 네트워킹 -> 표준형 센터

    – 지역 내 각종 자원(보건·복지·행정·시민 자원) 파악 – 지역자원 네트워킹을 통한 효과적·효율적 사업 수행 : 특히, 1차 의료(산업보건)기관

    직접 직업건강서비스 -> 표준형 센터

    – 사업장 방문방식의 예방적 직업건강서비스 : 개인단위, 사업장단위 / 위험성평가 등 – 근로자 내원방식의 사후관리적 직업건강서비스 : 뇌심혈관계질환, MSD, 심리사회적문

    제 / 산재환자 직업복귀관련 지원 (case management module 개발) 등

    [출처] 주영수 등. 근로자건강센터 확대 설치에 따른 운영모델 정립 및 성과지표 개발 연구 (안전보건공단 연구용역사업). 2013. 11.

    현재 전국에 21곳(+분소)이 설치되어 있음

    근로자건강센터 운영현황 (2011-현재)

    네트워킹 정보·다양한 상담·훈련 서비스 (4개) 직업건강집단상담(교육), 직업건강전문인력 실무훈련, 홍보 및 전문집담회, 근무환경(작업관리) 사업장기술전수서비스 감시체계 (1개) 직업병감시체계 직접 직업건강서비스 근로자건강(질병)상담, 뇌심혈관질환관리(금연,영양,절주), 근골격계 질환예방(물리,운동요법), 근무환경(작업관리)상담, 직무스트레스예방(측정,평가,상담), 체력측정 및 운동처방, 업무적합성평가

    [출처] 주영수 등. 근로자건강센터 확대 설치에 따른 운영모델 정립 및 성과지표 개발 연구 (안전보건공단 연구용역사업). 2013. 11.

  • - 20 -

    기존 산업보건대상 사업장

    산재다발소규모 사업장

    노동부

    보건소지역노동건강센터

    안전보건관리자사업장노동건강센터

    -광업, 제조업, 건설업, 전기가스수도업, 운수 창고 통신업등

    -중규모이상사업장

    유형 I

    신체부담작업대상 사업장

    직장건강관리대상 사업장

    지역사회소규모 사업장

    -광업, 제조업, 건설업, 전기가스수도업, 운수 창고 통신업등

    -소규모사업장

    유형 II

    -금융보험업, 부동산임대업, 사업서비스업, 행정교육보건복지업등

    -중규모이상사업장

    유형 III

    -도매소매업, 숙박음식업기타서비스업

    -중규모이상사업장

    유형 IV

    -서비스업종

    -소규모사업장

    유형 V

    보건소 보건소보건소

    지역주민센터

    한국산업안전공단

    보건복지부

    시도보건과

    지역사회기반 직장인 건강관리 접근전략 (案)

    [출처] 주영수 등. 미래사회 대비 평생건강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산업보건사업 강화방안 (대통령자문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 연구용역사업). 2005. 3.

    년도 전략적 단계 목표가치

    2011년~2015년 1. 모색단계 - 기본형으로 총 20개까지 확대 - 광역형에 대한 시범사업

    가용성 (availability)

    제고

    2016년~2018년

    2. 조정단계 - 센터를 광역형과 표준형으로 역할 분담 - 지역에 적합한 모형의 추가확대설치를 통한 접근성 제고

    접근성 (accessibility)

    제고

    2019년~2021년 3. 확장단계 - 다양한 산업단계 혹은 지역사회의 요구 파악 - 다양한 시범사업을 통한 새로운 확장방안 모색

    수용성 (acceptability)

    제고

    2022년~ 4. 완성단계 - 우리나라의 공공적 지역기반 직업보건체계 구축 - ‘직업보건서비스(OHS) 단계적 발전체계’ 완성

    포괄성 (comprehensiv

    eness) 제고

    근로자건강센터 단계적 확대방안(案) (2011~)

    [출처] 주영수 등. 근로자건강센터 확대 설치에 따른 운영모델 정립 및 성과지표 개발 연구 (안전보건공단 연구용역사업). 2013. 11.

  • - 21 -

    필요성

    직장인들은 일터에서 업무와 관련된 다양한 건강위험에 노출되고, 또 일터 안팎에서 일반적인 생활 관련 건강 위험에 노출되고 있으며 이 둘은 상호 연관되어 있음. 직장인의 건강 증진을 위해서는 생활습관은 물론, 성별과 연령, 생물학적 위험요인, 그리고 노동조건 등 보다 포괄적인 사회경제적 맥락에 대한 고려와 중재가 필수적임.

    ‘중소규모 사업장이 밀집된 국가산업단지 내 근로자건강센터 설치’, ‘보건소의 사업장 지원 확대’ 등을 통해 중소규모 사업장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통해 포괄할 수 있는 사업장과 직장인 집단은 제한될 수 밖에 없어, 결국 그 동안 사업장 건강증진 프로그램들은 상대적으로 자원이 풍부한 대기업 위주로 시행되어 온 것이 사실임.

    이에, 보건소 등 지역사회에서 제공하는, ‘만성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직장인 대상의 건강증진프로그램’과 같은 생활터 기반 사업 등을 통해 전체 직장인들을 아우르는 전략은 상당히 유용할 듯. 이러한 전략은 우리나라 직장인 건강증진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임.

    [지역보건영역]

    생활터기반 직장인 건강관리 접근전략

    [출처]

    임준, 주영수, 나백주 등. 생애과정별 건강증진사업 모델 개발 연구 (보건복지부 연구용역사업). 2014. 11.

  • - 22 -

    보건 관리자

    대규모사업장

    보건(지)소

    대학

    시도

    보건 복지부

    보고

    보고 지침, 예산

    예산, 평가

    만성질환관리, 상담

    내과/가정의학과 보고

    보건 대행

    중규모사업장

    만성질환등록

    고용 노동부

    노동지청, 안전보건

    공단

    정보,교육,상담,예방서비스

    보고 지침, 예산

    지침 협력

    협력체계

    구축

    정보제공, 강사교육

    프로그램 협력

    기술지원

    정보제공, 강사교육

    의뢰, 예산 지원

    소규모 사업장 ( 5인 이상

    ~50인 미만)

    자영업, 특수고용, 소규모 사업장

    ( 5인 미만)

    근로자 건강센터

    보고 예산, 평가

    내소

    내소 정보제공, 직접교육, 직접상담, 예방서비스

    건강보험 협력체계

    구축

    등록 급여

    정보제공, 직접교육, 직접상담, 예방서비스

    정보,교육,상담,예방서비스

    [출처] 임준, 주영수, 나백주 등. 생애과정별 건강증진사업 모델 개발 연구 (보건복지부 연구용역사업). 2014. 11.

    생활터기반 직장인 건강관리 접근전략 (案)(2014)

    생활터기반 직장인 건강관리 접근전략 (案)(2014)

    보건 관리자

    대규모사업장

    보건(지)소

    대학

    시도

    보건 복지부

    보고

    보고 지침, 예산

    예산, 평가

    만성질환관리, 상담

    내과/가정의학과 보고

    보건 대행

    중규모사업장

    만성질환등록

    고용 노동부

    노동지청, 안전보건

    공단

    정보,교육,상담,예방서비스

    보고 지침, 예산

    지침 협력

    협력체계

    구축

    정보제공, 강사교육

    프로그램 협력

    기술지원

    정보제공, 강사교육

    의뢰, 예산 지원

    소규모 사업장 ( 5인 이상

    ~50인 미만)

    자영업, 특수고용, 소규모 사업장

    ( 5인 미만)

    근로자 건강센터

    보고 예산, 평가

    내소

    내소 정보제공, 직접교육, 직접상담, 예방서비스

    건강보험 협력체계

    구축

    등록 급여

    정보제공, 직접교육, 직접상담, 예방서비스

    정보,교육,상담,예방서비스

    [출처] 임준, 주영수, 나백주 등. 생애과정별 건강증진사업 모델 개발 연구 (보건복지부 연구용역사업). 2014. 11.

  • - 23 -

    [3 종류의 사업모형]

    ○ 대․중규모 사업장(50인 이상) - 사업장내 보건관리자 혹은 보건관리대행기관과 연계한, ‘만성질환에 대한

    정보제공 및 강사교육’ 등의 지원형(supportive) 사업 ○ 소규모 사업장(5인 이상 ~ 50인 미만) - 지역사회 내 ‘근로자건강센터 등’과 연계한, ‘만성질환에 대한 직접서비스

    (정보제공, 교육, 상담, 예방서비스) 제공’ 사업 : 사업장 방문 / 보건소 내소형 병행

    ○ 자영업, 특수고용, 소규모 사업장(5인 미만) - 보건소가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만성질환에 대한 직접서비스(정보제공, 교

    육, 상담, 예방서비스) 제공’ 사업 : 사업장 방문 / 보건소 내소형 병행

    보건 관리자

    대규모사업장

    보건(지)소

    대학

    시도

    보건 복지부

    보고

    보고 지침, 예산

    예산, 평가

    만성질환관리, 상담

    내과/가정의학과 보고

    보건 대행

    중규모사업장

    만성질환등록

    고용 노동부

    노동지청, 안전보건

    공단

    정보,교육,상담,예방서비스

    보고 지침, 예산

    지침 협력

    협력체계

    구축

    정보제공, 강사교육

    프로그램 협력

    기술지원

    정보제공, 강사교육

    의뢰, 예산 지원

    소규모 사업장 ( 5인 이상

    ~50인 미만)

    자영업, 특수고용, 소규모 사업장

    ( 5인 미만)

    근로자 건강센터

    보고 예산, 평가

    내소

    내소 정보제공, 직접교육, 직접상담, 예방서비스

    건강보험 협력체계

    구축

    등록 급여

    정보제공, 직접교육, 직접상담, 예방서비스

    정보,교육,상담,예방서비스

    [출처] 임준, 주영수, 나백주 등. 생애과정별 건강증진사업 모델 개발 연구 (보건복지부 연구용역사업). 2014. 11.

    생활터기반 직장인 건강관리 접근전략 (案)(2014)

  • - 24 -

    사업목표

    [궁극적 목표] ○ 직장인들의 건강생활 실천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동시에 작업장의 각종

    유해요인으로부터 직장인의 건강을 보호함. 그 결과로서 직장인들의 육체적∙정신적∙사회적 안녕을 향상시킴.

    [구체적 목표] ○ 일반 직장인 -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에 대한 건강문제 인식 제고 - 근골격계 부담작업 및 질환예방에 대한 인식 제고 ○ 심뇌혈관계 질환의 기초질환들(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과 관련하

    여 관리가 필요한 직장인 -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에 대한 건강문제 인식 제고 - 영양이나 운동 등 생활습관개선 프로그램 참여율 및 지속율 제고 ○ 근골격계 질환 유증상자 혹은 근골격계 부담작업 수행자 - 근골격계 부담작업 및 질환예방에 대한 인식 제고 - 증상저감 및 기능회복을 위한 프로그램 참여율 및 지속율 제고

    [심뇌혈관계 질환 / 근골격계 질환]

    ○ 직장인들이 호소하는 가장 주요한 문제를 보면, 과로(업무의 양, 시간, 강도

    측면 모두에서)와 업무상 스트레스 등으로 요약할 수 있음. ○ 본래 심뇌혈관계 질환의 경우, 발병이전의 기초질환들(예,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은 업무와의 관련성을 밝히기는 어렵지만 진행된 심뇌혈관계 질환들은 상기한 ‘업무와 관련된 요인들’로 인하여 유발 혹은 악화될 수 있다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으며, 근골격계 질환의 경우도 상기한 ‘업무와 관련된 요인들’과 더불어 ‘과도한 중량물, 부적절한 자세, 반복적인 동작 등’으로 유발되거나 악화될 수 있음이 잘 알려져 있음. 게다가 이들이 유발하는 사회경제적 부담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선진국에서도 상당히 심각한 수준임은 주지의 사실임.

    ○ 따라서, 질환부담의 크기와 동원 가능한 예방적 조치수단들 측면에서 이들

    질환을 선정하여 관리하는 것은 시급하고도 적절한 상황임.

  • - 25 -

    사업내용 및 방법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진행 과정 – 고려해야 할 사항

    1) 준비 및 계획 – 생산형태, 작업장 특징 등

    2) 작업 환경 파악 –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인간공학적 등

    3) 직장인 건강상태 파악 – 배치 전, 일반, 특수 건강진단 등

    4) 직업적인 건강위험에 대한 평가 – Risk Assessment 등

    5) 위험요인에 대한 정보 제공, 교육, 예방 및 통제

    6) 건강 및 안전 유해인자와 위험요인에 관한 관리와 통제

    7) 업무관련성 질환의 진단

    8) 전반적인 건강관리 및 재활 서비스

    사업추진 체계

    ○ 인력 : 의사, 간호사, 운동처방사, 영양사 등으로 구성되며, 직업보건

    에 관하여 충분한 사전교육이 필요함. 상황에 따라서 외부의 안전보

    건전문가로부터 지원을 받을 수 있음.

    구 분 업 무

    팀장 직장인 건강증진사업 총괄(계획, 운영, 평가), 지역사회 자원연계

    의사 1명 심뇌혈관계 질환(기초질환들) 및 근골격계 질환 평가 및 계획 / 교육

    간호사 3명 심뇌혈관계 질환(기초질환들) 및 근골격계 질환 주기적 관리, 상담 / 교육

    운동처방사 1명 질환관리(증상저감) 및 기능회복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운영 / 교육

    영양사 1명 심뇌혈관계 질환(기초질환들)관리를 위한 영양프로그램 운영 / 교육

  • - 26 -

    2) ‘근골격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

    ○ 검사 항목

    Factor Data Needed 자료

    기본자료

    1. 근골격계 질환 증상조사표 작성 (VAS 등) 2. 인바디(체지방 측정) 3. 기초 체력 측정 (악력, 심폐지구력 등) 4. 자세평가 및, 이학적 검사(ROM 등)

    Visual Analogue Scale (VAS)

    1.대상자에게 10 등분선의 양끝을 ‘통증없음(0)과 이제까지 경험한 가장 심한 통증(10) 으로 놓고 현재 느끼는 통증의 정도를 환자 스스로 점수화 하여 표기하도록 함

    참고 : 조사표

    Anthropometric data 1. Current wt, BMI, 근육량, 평가 참고 : 인바디

    physical fitness

    1. 악력 2. 종합기능체력 3. 근지구력 4. 유연성 5. 심폐지구력

    기초체력 측정장비 결과 해석

    Special physical Test 1. 자세평가 2. ROM 측정 3. Special Test

    구체적인 사업 내용 (例)

    1) ‘심뇌혈관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

    ○ 검사 항목

    - 혈액검사 (당뇨, 당화혈색소, 고지혈증) - 혈압측정 - 호기 중 일산화탄소 측정 (흡연자) - 하루 섭취 열량 및 영양소 분석

    ○ 프로그램 내용

    세부주제 내용

    기초검사 키, 몸무게, 비만도, 혈압, 혈당, 혈중지질 측정

    심뇌혈관계질환 발병위험도 평가

    심뇌혈관질병 발병위험도 평가 결과 (정상군, 저위험군, 중등도 위험군, 고위험군)

    의사 상담 기초검사 및 발병위험도 평가를 바탕으로 의사 상담 및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 등록 관리

    생활습관개선 개인 생활습관에 맞는 금연, 절주, 운동, 영양 상담 프로그램 시행

  • - 27 -

    지역사회 연계 및 자원 활용방안

    구 분 연계 내용

    사업장 보건관리자 사업장내 전문인력으로서, 질환관련 정보공유 및 교육프로그램 제공

    보건관리대행기관 사업장 바깥 기관으로서, 질환관련 정보공유 및 교육프로그램 제공

    근로자건강센터 사업장 종류 및 특성에 따른 ‘관리/상담/교육’관련 역할분담 혹은 조정

    사업장 보건담당자 사업장내 비전문인력으로서, 질환관련 정보공유 및 교육프로그램 제공

    지역 병의원 질환관련 정보공유 및 진료의뢰

    ○ 프로그램 내용

    업무 분류 (주단위) 업무 내용

    기초 자료 및 설문지 조사

    및 평가 (1주)

    인바디(체성분검사), 영양진단, 기초 체력 측정 , 근

    골격계 질환 증상조사표 등을 통한 조사 및 상태 평가

    운동치료 및 지도 계획 수

    립 (2주) 자료에 기초하여 적절한 운동 처방계획 수립

    운동지도 및 관리 (~12주) 상기 자료에 근거한 운동지도 수행 및 호전도 체크

    추후관리 (12~32주) 상기 과정 및 내용에 대한 운동 차트 기록지 작성

    및 증상 호전도 및 만족도 파악

  • - 28 -

    [외국사례]

    영국의 직업보건 접근전략

    Fit-For-Work 프로그램

    The Workplace Well-being Charter

    투입 예산

    구 분 내 용

    팀장 보건소 직원으로서 인건비 산정제외

    의사 1명 보건소 직원으로서 인건비 산정제외

    인건비 2,750천원 x 5명(간호3,운동처방1,영양1) x 12개월 = 165,000천원

    심뇌혈관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 운영비 : 1,000천원 x 12개월 = 12,000천원

    근골격계 질환 예방관리

    장비구입비 : 50,000천원 프로그램 운영비 : 500천원 x 12개월 = 6,000천원

    기타 방문여비, 자료구입비, 회의비 등 : 1,000천원 x 12개월 = 12,000천원

    합계 245,000천원

  • - 29 -

    1. 병원(Hospital)시스템 - 17,000여개 - 신체적, 정신적 질환의 임상적 진료 - 교육, 연구 (with 의과대학 등) 2. 1차 진료(Primary Care)시스템 - 일반의(GP, General Practioner) in NHS - Fit Note 3. 공중보건(Public Health)시스템 - NHS와는 법적 기반이 다른 시스템임 - Central PH Center, Local Authority 등 있음 4. Proactive 직업보건(Occupational Health)프로그램 - NHS가 담당하지 않음 (현재는, 계약을 통해 구매)

    영국의 직업보건과 관련된 시스템

    영국의 고용과 건강 실태

    DWP. Labour Force Survey of UK men and women aged 16-64. 2012.9.

    고용인구의 28.5%, 비활동인구의 49%, 실업인구의 31% 정도가 건강상 문제가

    있거나 장해가 있는 것으로 파악(정신건강문제 또는 근골격계질환) 고용인구(2,760만 명) = 공공영역(550만 명,20%) + 사적영역(2,210만 명,80%) 전체 사기업(454만 개) = 1인 기업(336만 개) + 피고용자 고용기업 (118만 개) 피고용자 고용기업 중 97%가 1~49인 정도의 소규모(small) 사업체, 그 중에서

    도 피고용자 숫자가 1~9인 정도의 극소규모(micro) 사업체가 전체의 4/5를 차지

  • - 30 -

    ‘Fit Note‘ 란?

    일반의들(GPs)이나 다른 의사들이 ‘해당 환자의 일에 대한 적합성(fitness for work)’에 관하여 정보나 조언을 제공하는 도구

    ‘Fit Note’의 역할과 특징 – “다음의 조언에 따를 경우에 환자들이 일에 적합할 수 있다”거나, “일에

    적합하지 않다”고 조언 – 환자의 작업 복귀를 도와주기 위한 ‘통상적인 접근방식을 표시하는 체

    크박스’를 이용하여, 환자의 기능적 상태들에 관하여 코멘트 함 – 의사에 의해서만 작성될 수 있으며, 내용에 대하여 전화를 이용한 자문

    가능 – 환자들은 이 ‘Fit Note’를 자신의 ‘일에 대한 적합성’, ‘상병수당’ 그리고

    ‘기타 수당’ 등의 근거로서 사용 – ‘Fit Note’는 질병에 이환된 첫 6개월 중에서, 일단 3개월의 기간만을 책

    임을 짐

    영국의 직업보건(Occupational Health in

    NHS)에 대한 고민: ‘Fit-For-Work’ 프로그램

    NHS의 1차 진료를 담당하는 GP와 연계된 직업보건적 접근전략인 ‘Fit-For-Work’ 프로그램을 고려

    모형의 핵심: ‘조기개입(early intervention)’을 통하여 건강하고 활발한 ‘직업으로의 복귀(Return to Work)’를 꾀하는 것

    2010년부터 11개 지역에 ‘Fit-For-Work’ Team을 구성하여 시범사업을 진행

  • - 31 -

    영국의 직업보건서비스(‘Fit-For-Work’) 시범사업의 세부 프로그램

    프로그램의 세 개의 영역 – 직업재활 (Vocational Rehabilitation) – 작업장보건 (Work Place Health) – 연구개발훈련 (Research Development Training)

    각 영역 안에 있는 핵심적인 프로그램

    – FFWS (LFFWS, Leicester ‘Fit-For-Work’ Service) – Health and Work Advice and Assessment Service (2014년 봄부터 시작될 다양

    한 직업보건평가서비스) – Macmillan vocational rehabilitation (암환자 대상의 직업재활프로그램) – DWP Work Programme (6개월 이상 실업상태인 사람들에게 구직노력의 결과에

    따른 금전적 지원을 하는 payment 프로그램) – JCP service (Job Center Plus service, 주로 만성통증 혹은 만성질환이 장애요인

    으로 작용하여 실업상태에 있는 사람들을 직업을 갖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 –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 심리치료 접근성 확대 프로그램)

    – IOSH project (Instiution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가 연구비를 지원해주는 연구사업)

    영국의 직업보건서비스(‘Fit-For-Work’) 시범사업의 개요

    DWP(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의 시범사업 ‘Fit-For-Work’ 팀: 총 15명으로 구성 1년 예산: 약 60만 파운드(대략 10억 원) 정도 Leicester 지역사업의 특징: SMEs(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이 주요 사업대상

  • - 32 -

    Leicester 지역의 FFWS 시범사업의 특징

    DWP pilot 범위 • 조기개입이 직업복귀를 향상시키

    는지를 평가 • 생물학적-심리사회적 접근 • 사례관리방식의 집중적인 지원 • 조기개입 방식 • GP로부터 의뢰 • 피고용자 또는 자영업자 대상 • 4-12주 정도로 긴 질병으로 인한

    결근 혹은 그럴 위험이 있는 사람 대상

    • 대상자의 75%를 결근자/ 25%를 일하고 있는 사람

    • 1-250명 크기의 소-중규모 사업장를 대상

    GP로부터 의뢰받을 범위 • 현재 일하고 있거나 자영업자 • 직업복귀가 불확실한 ‘비계획적인

    질병결근’이 발생 • ‘뭔가가 일어나기’를 기다리는 오

    랫동안의 질병상태 • 노동능력에 영향을 주는 다른 문

    제를 가진 경우

  • - 33 -

    Leicester 지역의 FFWS 시범사업의 특징 Fit-For-Work’ Service의 기본흐름(flow)

    1. 일반의(GP)로부터 의뢰 -> 대상자로 적절한지 여부를 평가 -> 사례관리자에게 배정 됨

    Leicester 지역의 FFWS 시범사업의 특징 ‘Fit-For-Work’ Service(FFWS)의 내용

    Core team 구성 – 4명의 사례관리자 – 1명의 직업보건간호사 – 1명의 일반의

    Core team의 주요 역할

    – 피의뢰자에 대한 요구도 평가 – 일반의(GP)와의 의사소통 – 각종 자원들과의 네트워킹

    사례관리자가 연계하는 주요개입(main intervention) 내용 – 근골격계 증상치료 – 정신건강치료 – 중개/협상 – 학습 – 부채문제/법적문제/주거문제/개인

    문제 – 지지/신뢰형성 – 이직/구직지원 – 통증관리

  • - 34 -

    Leicester 지역의 FFWS 시범사업의 특징 Fit-For-Work’ Service의 기본흐름(flow)

    3. 개입 진행(core team에 의한 개입이나 제공자 네트워크에 의한 개입) -> 진행과정에 대한 평가

    Leicester 지역의 FFWS 시범사업의 특징 Fit-For-Work’ Service의 기본흐름(flow)

    2. 사례관리자에 의한 초기평가 -> 직업복귀의 장애요인이 확인 -> 실행계획과 의뢰/계획에 대한 동의 얻음

  • - 35 -

    Leicester 지역의 FFWS 시범사업의 특징 사업의 성과

    의뢰를 받은 1,655명 중 사업의 범주(DWP Criteria)를 만족하는 사람들은 1,257명 (76%)

    정신보건적 문제(59%), 근골격계 문제(30%), 다른 문제(11%) 총 GP 153명 중 실제로 참여한 GP는 144명(94%)

    – 2번 이상 의뢰하거나 5번 이상 의뢰한 GP수는 각각 125명(87%)과 90명(63%)

    FFWS를 받았던 기간

    Leicester 지역의 FFWS 시범사업의 특징 Fit-For-Work’ Service의 기본흐름(flow)

    4. 매주 core team 회의를 통하여 평가 시행 -> 개입이 성공적이었을 경우에는 정상적인 직업복귀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면서 서비스를 종결 또는 다른 직업복귀 서비스 지원 받도록 함 -> 개입이 성공적이지 않았을 경우에는, 직업복귀의 장해요인을 문서화하여 다시 의뢰할 수 있도록 GP에게 연락

  • - 36 -

    국가가 인증하는 자율관리프로그램

    그 달성수준에 따라서 Commitment, Achievement,

    Excellent 로 구분되는 인정기준을 갖고 있으며, 본 헌장

    에 충실한 사업체들의 경우는 재정적 측면 등을 포함한 여

    러 혜택(incentives)을 받을 수 있음.

    The Workplace Well-being Charter

    Leicester 지역의 FFWS 시범사업의 특징 사업의 성과

    • 작업으로의 복귀율

  • - 37 -

    The Workplace Well-being Charter

    본 프로그램은 본래 사업장 규모와 상관없이 기획되었으나, SMEs에 보다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

    Commitment : Your organisation has addressed each area and provides employees with the tools to help themselves to improve their health and well-being

    Achievement : Having put the building blocks in place, steps are being taken to actively encourage employees to improve their lifestyle and some basic interventions are in place to identify serious health issues Excellent : Not only is information easily accessible and well publicised, but the leadership of the organisation is fully engaged in well-being and employees have a range of intervention programmes and support mechanisms to help them prevent ill-health, stay in work or return to work as soon as possible.

    Fully Met(FM), Partially Met(PM), Not Met(NM),

    Not Applicable(NA) 으로 평가

    The Workplace Well-being Charter

  • - 38 -

    감사합니다.

    주 영 수 ([email protected])

    10개의 자가평가기준(Self assessment standards) 중에서 ‘leardership’영역 예제...

    The Workplace Well-being Charter

  • 2 기업 건강관리체계의 패러다임 전환

    · 서울대학교·의과대학·윤 영 호 교수

  • - 40 -

    배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윤영호 교수

    기업건강관리체계의패러다임전환

    2018대한민국 직장건강관리에 관한 국회 토론회

    직장 건강,비용이 아닌 투자

  • - 41 -

    4

    직장인의 활동 공간별 체류시간 분석 결과- 직업․성별․연령 등의 특성에 따라 활동공간별 체류시간에

    차이를 보임

    - 평일 주택체류는 미국인에 비해 2.79시간 짧고, 직장․학교

    등 기타실내 체류와 이동시간은 각각 2.46, 0.67시간 길었음

    - 특히 오후 10시 주택체류는 외국에 비해 15% 이상 낮은 것으

    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직업관련 활동, 학업관련 활동, 가족

    외 사람과의 교제 등 직장 및 학교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음

    을 나타냄.

    구분한국

    (통계청, 2004)미국

    (S exton등, 2007)영국

    (Lai 등, 2004)

    실내(%)주택실내 14.23(59.2) 17.02(70.9) 16.46(68.6)기타실내 6.80(28.3) 4.34(18.1) 5.02(20.9)

    실외(%) 1.26(5.0) 1.56(6.5) 0.91(3.8)

    이동(%) 1.75(7.5) 1.08(4.5) 1.61(6.7)

    [한국과 외국의 실내․외, 이동시간 비교]

    배경 및 필요성

    직장인의 하루 평균 근무 시간 및 수면시간- 직장인들이회사에서일하는시간은하루평균 11시간에 달

    하는것으로나타난반면,

    - 수면시간은업무시간의절반수준인 6시간에불과

    (직장인 1,461명 대상 ‘직장인의 평균 일상’ 조사)

    3배경 및 필요성

    • 기대수명 증가로 인한 급격한 인구 고령화는 만성질환 유병률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는 개인과 사회에 큰 부담을 초래하고 있음

    출처: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2014)

    • 만성질환의 결정요인은 유전적 요인 10%, 환경적 요인 10%, 의료적 요인 10%, 생활습관 요인 60% (캐나다 라론드 보고서, 1974)

    • 건강은 유전 5 %, 의료 10 %, 행동 30 % 및 사회적 조건 55 %에 의해 결정 (세계보건기구(WHO) 위원회)

    노인의 건강 및 의료이용실태와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012)

  • - 42 -

    6기업 임직원 건강 관리(Corporate Wellness) 연구

    Health PAC (미국건강증진행위위원회) 건강관리 프로그램 연구

    (출처: Robert L. Bertera, “The Effects of Workplace Health Promotion on Absenteeism and Employment Costs in a Large Industrial Population”, AJPH, September 1990, Vol. 80, No.9)

    29,315명 실험군

    14,573명 대조군

    워크숍, 건강평가, 그룹토론, 건강관련 잡지배송, 체중관리, 금연에 관한 인센티브

    • 2년 간 결근율 14% 감소• 2년 간 11,726일 더 많이 작업• 1달러 투자로 3달러 회수

    ◎ 미국 건강증진행위위원회 프로그램은 1980년대 초반 직장에서의 건강관리 서비스 효과성 평가를 위한연구에서 “포괄적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다음과 같은 성과를 거두었음.

    5

    ◎ 2017년 대한민국 과로 리포트 [서울신문]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 회원국 중 멕시코에 이어 두 번째로 연간 노동시간이 김.• 민간과 공공부문을 포함해 한 해 평균 350명, 하루에 1명꼴로 과로사한다고 함• 이외에도 과로는 비만, 당뇨, 고지혈증, 고혈압 등의 여러 만성질환의 원인이 되며, 우울증에도 영향을

    주기도 함. 직업별로 질병 관리를 위한 예방 시스템을 만들어야 함. • 근로시간 단축과 일자리 창출, 소득 감소 문제는 노사정이 머리를 맞대고 해법을 모색해야 할 것임

    배경 및 필요성

  • - 43 -

    8

    • 미국의 경우, 1990년 노동부 조사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총 7억 9800만 달러의 경비를 들여 39억 달러의 손비(損費)를 절감하는 효과를 보았으며, 산업재해도 71% 감소

    • 미국의 경제지 《포춘 Fortune》에 따르면, 2007년 미국 500대 기업의 약 80%, 1000명 이상 사업장의 76%, 50명 이상사업장의 35%가 이 프로그램을 도입

    EAP (Employee Assistance Program) 기대효과

    직원• 직무 스트레스 감소• 직장 가정 생활의 원만함• 자기계발

    기업• 노사간 화합• 이직율 감소• 생산성 향상

    “우울증 늪에 빠진 직장인”, (2010.09.03) 『한국경제신문』, “임직원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개념과 전망” (2007) 『딜로이트 안전 리뷰』 3월호

    7작업장 건강 프로그램 실시로 얻은 비용 절감 효과

    ◎ Baicker 등이 실시한 2010 Harvard Wellness Program Meta Study 에서는, 작업장 건강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얻은 비용 절감을 주제로 문헌리뷰를 실시하였으며. 의료비용 투자 수익 (ROI)는 1 달러당 3.27 달러이고, 결근으로 인해 발생하는 ROI는 1달러 지출당 2.73 달러인 것으로 나타남.

    $2.73Return on Investment

    On average, the absenteeism ROI to be $2.73 for every dollar

    spent.

  • - 44 -

    10국내 기업건강증진지수 (EHP) 사례

    ◎ 안전보건공단에서는 기업건강증진지수를 통해 기업들의 건강 증진 활동 실태조사를 시행하고 있으며, 근로자들의 특성 및 건강 실태, 건강증진 활동 실태, 인프라 구축 실태를 평가함.

    ◎ 기업들의 건강수준을 평가하고, 사업장에 필요 하거나 취약한 건강활동분야를 찾아 건강 활동을 효과적으로 추진하도록 돕기 위한 도구로 개발되었으나, 주로 신체적인 건강 증진 및 질병 과 관련된 평가에초점이 맞추어져 있음.

    Total Quality Management에 입각한 총체적 평가체계 부재

    9국내에서도 적용되고 있는 EAP

    ◎ 국내에서도 근로복지공단에서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를 도입하여 기업이 소속근로자의 직무만족이나 생산성에 부정적인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11개 분야의 문제를 전문상담제공을 통해 근로자가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기업복지제도를운영하고 있음. 이에 더하여 기업복지가 취약한 중소기업의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도입 촉진과 근로자 사기진작, 생산성제고, 산업 재해율 감소 효과를 기대함

  • - 45 -

    2017년 작업장 건강 관련 대국민 인식조사

    11

    기업 차원에서 직원들 대상의 체계적인 투자를 하는 건강관리가 필요

    기업생산성에 ‘직원건강’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기업의 직원의 건강 및 체력을 측정하여 이를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임.- Harvard Business School, Michael

    Porter

    대국민 조사 실시 결과, 사회적 건강문제 해결방안을 묻는 질문에 대해 ‘기업들의 건강 측면 평가’가 73.3%로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의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하고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기업을 ‘건강 사회공헌 지수’로 평가할 경우 소비자 구매과정에 영향을 준다는 응답이 77.3%로 매우 높으며 코즈 마케팅의 개념으로 기업이건강이라는 가치를 고려한 제품/서비스를 개발하고, 건강사회공헌 활동을 펼치는 것을 소비자들이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직원건강과 생산성의 상관관계 사회적 건강문제 해결방안에 대한 인식 ‘건강 사회공헌지수’의 구매 영향력

    작업장 건강 관리 및 건강사회공헌의 중요성

  • - 46 -

    14직원 건강관리 관련 가장 부족한 부분 (2017년 대국민 인식조사)

    ◎ 기본적으로 과로 방지와 개인 맞춤형 건강검진 등이 가장 부족한 부분으로 나타남◎ 스트레스 관리나 가치 있는 삶에 대한 배려 등 무형적인 요소에 대한 지적 또한 높게 나타남

    27.1

    16.2 14.8 12.4 10.3 8.7 6.2 4.2

    과도한업무

    방지및충분한

    휴식제공

    형식적건강

    검진이아닌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직원의운동/ 건강관련재정

    지원

    직장내

    스트레스

    /우울증관리

    직원들의가치

    있는삶에대한

    관심과배려

    웰빙식단및

    간식제공

    금연구역설정

    등근무환경

    개선

    직원가족관련

    건강프로그램

    지원

    (단위 : %)

    2017년 사례수과도한 업무방지 및 충분한 휴식 제공

    형식적 건강검진이 아닌개인 맞춤형건강관리

    직원의 운동/ 건강 관련 재

    정 지원

    직장 내 스트레스/우울증

    관리

    직원들의 가치 있는 삶에대한 관심과

    배려

    웰빙식단 및간식제공

    금연구역 설정 등 근무환

    경 개선

    직원 가족 관련 건강 프로그램 지원

    ▩전체▩ (1200) 27.1 16.2 14.8 12.4 10.3 8.7 6.2 4.2

    ◎성별남성 (586) 27.1 17.2 14.2 11.9 9.9 9.7 6.3 3.7

    여성 (614) 27.1 15.2 15.4 12.8 10.7 7.8 6.2 4.7

    ◎연령별

    20대 (211) 26.3 17.9 17.5 13.2 7.1 9.9 3.8 4.2

    30대 (252) 27.8 15.5 16.3 14.3 8.7 8.3 6.7 2.4

    40대 (222) 30.2 16.2 14.4 10.8 11.7 8.1 5.0 3.6

    50대 (230) 23.9 16.1 12.6 13.0 13.5 9.1 8.7 3.0

    60세이상 (285) 27.3 15.6 13.6 10.8 10.4 8.4 6.6 7.2

    13기업의 직원에 대한 체계적 건강 관리 (2017년 대국민 인식조사)

    ◎ 직원의 건강관리 중요성은 7.91점으로 높지만 기업/기관의 현재 수준은 5.95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편◎ 성별이나 연령에 관계없이 고른 응답을 보이고 있음

    중요도

    현재수준

    0.5

    11.5

    11.0

    44.1

    88.5

    44.3

    부정(0-3) 보통(4-6) 긍정(7-10)(단위 : %)

    7.91점

    2017년 사례수 중요성 평가 기업의 현재 수준 평가

    ▩전체▩ (1200) 7.91 5.95

    ◎성별남성 (586) 7.92 5.95

    여성 (614) 7.89 5.95

    ◎연령별

    20대 (211) 7.92 5.81

    30대 (252) 7.94 5.92

    40대 (222) 7.86 6.02

    50대 (230) 7.93 6.00

    60세이상 (285) 7.88 5.99

    5.95점

  • - 47 -

    작업장 건강지수 및 건강관리 현황

    2018년 작업장 건강 관련 대국민 인식조사

  • - 48 -

    18건강사회공헌지표 개념

    ◎ 신체적 ․ 사회적 ․ 정신적 ․ 영적인 건강을 추구할 수 있는 다차원적이고 통합적인 파트별건강사회 공헌지수 개발

    1. 건강사회공헌 기업/학교 인증기준 개발 및 모범 모델 제시2. 건강사회공헌 기업/학교 인증기준 적용을 통한 모범모델 확산3. 건강사회공헌 기업 인증 기업/학교 선정 발표 및 컨설팅 제공 및 교육 실시

    Part 1

    Part 2

    Part 3

    “평가할 수 있어야 관리할 수 있고, 관리할 수 있어야 변화시킬 수 있다.”

    -피터 드래커

    17Worksite Health Scorecard, CDC

    • 미국 질병관리본부의 HSC는 기업들이 작업장의 건강관리 수준을 자가 평가하도록 고안된 지수• 미션 및 전략/개별영역의 실행상태/평가 등 구조-실행-결과의 측면을 모두 반영하고 있음

    점수에 따른 Health Coaching 및 예산 수립안 제공

    ◎ 미국의 질병관리본부 CDC에서는 직장내의 심장질환, 뇌졸증, 암, 당뇨병등의 만성질환 유병율을 낮추고자 이를 자가적으로 측정하여 플랜을 세울 수 있는Worksite Health Score Card 개발

  • - 49 -

    20작업장 건강관리 지수의 구성 체계 및 주요 평가 지표

    ◎ 확정된 작업장 건강지수의 영역은 아래와 같으며, 기업 담당자가 기업 전반에 걸친 기업 현 상태를 파악하는 기업 자가평가 설문지와 개임 임직원들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임직원들의 참여와 인지를 묻는 임직원 건강상태 평가 설문지를구성하였으며, 30개의 국내 대기업, 총 2,413명의 개인 임직원들이 지표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본 연구에 참여함

    작업장건강지수 (Worksite Health Index, WHI), 2016

    19건강사회공헌지표 구성 (Part 별 구분)

    Part 1. 임직원 건강관리 Part 2. 건강친화제품/서비스 Part 3. 건강사회공헌활동

    Domain 1. 구조조직Subscale 1-1. 기업철학

    1-2. 정책1-3. 인프라

    Domain 2. 수요조사 및 계획수립Subscale 2-1. 예산

    2-2. 가이드라인2-3. 수요조사2-4. 현황조사2-5. 계획2-6. 소통

    Domain 3. 실행Subscale 3-1. 신체적건강

    3-2. 정신적건강3-3. 사회적∙영적건강

    Domain 4. 산업안전보건Subscale 4-1. 산업안전보건

    4-2. 응급 및 사고예방

    Domain 5. 평가 및 피드백Subscale 5-1. 평가시스템

    5-2. 모니터링5-3. 재계획반영5-4. 평가시스템

    Domain 1. 구조조직Subscale 1-1. 기업철학

    1-2. 정책1-3. 인프라

    Domain 2. 수요현황조사Subscale 2-1. 수요조사

    2-2. 현황조사

    Domain 3. 계획수립Subscale 3-1. 계획

    3-2. 예산3-3. 참여와 협력

    Domain 4. 실행Subscale 4-1. 기획/ R&D

    4-2. 원료/ 구매4-3. 제품/ 서비스생산4-4. 홍보/ 마케팅4-5. 포장/ 유통4-6. 판매/ 폐기/ 사후관리4-7. 정보공개4-8. 제품/ 서비스를 통한

    건강가치 창출

    Domain 5. 평가 및 피드백Subscale 5-1. 평가시스템

    5-2. 모니터링5-3. 재계획반영

    Domain 6. 결과

    Domain 1. 구조조직Subscale 1-1. 기업철학

    1-2. 지배구조1-3. 건강사회공헌 인파

    Domain 2. 수요현황조사Subscale 2-1. 수요조사

    2-2. 현황조사

    Domain 3. 계획수립Subscale 3-1. 계획

    3-2. 예산3-3. 의사결정 과정

    Domain 4. 실행Subscale 4-1. 사전조사 및 연구

    4-2. 기획4-3. 참여4-4. 파트너십4-5. 커뮤니케이션

    Domain 5. 평가 및 피드백Subscale 5-1. 평가시스템

    5-2. 모니터링5-3. 피드백5-4. 재계획반영

    Domain 6. 결과

  • - 50 -

    22연구결과 1) 작업장건강지수 (WHI) Validation Study

    신뢰도의 분포는 Chronbach’s alpha 계수가 0.793~0.987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WHI의 각 도메인 점수, 임직원의 건강상태,결근율과의 관련성이 유의미하게 나타남

    ◎ 기업의 작업장건강지수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WHI 점수가 높을수록 신체적(2.8배), 정신적(2.2배), 사회적(1.7배), 영적(1.8배) 건강 및 전반적 건강(2.0배)에서 양호하였으며, 50점 이상 기업은 그 이하보다 결근율에서 45%의 차이를 보였으며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20%) △평가 및 피드백(23%) 항목에서도 차이가 있었음.

    Yun YH, et al. J Occup Environ Med. 2016 Jun;58(6):623-30

    21

    Structure

    순차적 평가

    Process Outcomes(Health)Impact

    (Financial, Social)

    • 기업철학• 지배구조• 정책• 건강인프라• 건강한 환경 등

    • 건강교육• 신체적 활동• 건강서비스• 영양서비스• 상담 서비스• 건강증진프로그램• 맞춤형건강관리• 건강정보제공• 가족/지역사회

    의 참여 등

    • 신체적 건강(영양, 운동 비율, 비만율, 만성질환 발생비율, 건강검진 참여율, 금연 및 절주비율)• 정신적 건강(우울증 유무, 직무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등)• 사회적 건강(가족친화, 직업만족도사회적 소통 및 근무환경)• 영적 건강(자기개발, 봉사활동 및종교활동참여율 등)

    • 건강관리비용• 1인당 생산성• 시장점유율• 고객만족도• ROE• ROI• 매출• 순이익

    작업장건강지수 (Worksite Health Index, WHI)

  • - 51 -

    24

    임직원들의 건강 습관 별 실천단계의 일반인과 비교 %

    일반인과 비교해보았을 때, 임직원들의 건강습관 실천 단계는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제외한 모든 건강습관에서유의미하게 낮음. 직장인의 건강습관 별 6개월 이상 실천율은 금연이 61.1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항목은 모두50%를 밑도는 낮은 비율을 보여줌

    a. p

  • - 52 -

    26

    직장 내 건강시스템, 건강예방 및 증진 프로그램 실행 현황을 1) 생활 습관 관리 2)질병 관리 3)건강 위험도 평가 4)웰니스 관련프로그램 등으로 나누어 A) 기업의 특성 및 B) 기업 순위에 따라 프로그램의 누적 개수를 살펴본 결과는 아래와 같으며, 전반적으로 서비스업 보다는 제조업, 공기업에서 전반적인 프로그램을 잘 운영하는 것으로 보였으며, 기업 순위는 100대 기업 안에 들 경우, 더 많은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연구결과 4) 기업의 건강 시스템 및 건강프로그램 실행 현황 조사

    ◎ 직장 내 건강 시스템, 건강 예방 및 증진 프로그램◎ (1) 생활 습관 관리 2)질병 관리 3)건강 위험도 평가 4)웰니스 관련 프로그램) 실행 누적 개수

    미 발표자료

    25연구결과 4) 기업의 건강 시스템 및 건강프로그램 실행 현황 조사

    ◎ 직장 내 건강시스템, 건강예방 및 증진 프로그램 실행율(%)

    미 발표자료

    30개 기업의 직장 내 건강시스템 실행율은 기업철학부분이 86.7%로 가장 높았고, 예산 부분에서도 76.7%로 비교적 높은 실행율을 보임.실행율이 50%에 미치지 못하는 항목은 수요조사, 현황조사, 가이드라인 부분으로 나타남.

  • - 53 -

    28[현황조사] 미국 RAND, Worksite Wellness Program

    ◎ 기업들의 임직원 건강관리 프로그램 제공 비율 및 참여율을 살펴본 결과는 아래와 같음.

    영양, 운동, 체중감량의 비중이 높았고금연과 금주가 그 다음을 차지했음

    1차 생활습관 건강관리 프로그램 제공 비율 만성질환 및 질병 예방 프로그램 제공 비율 건강검진 vs,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 참여율

    당뇨병에 대한 질병 예방 프로그램을가장 많이 제공하고 있음.

    검진 프로그램은 잘 이루어 지나실제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의 참여율은 적음

    27연구결과 5) 임직원들의 기업의 건강 시스템 인지율 및 건강프로그램 참여율 비교

    ◎ 건강 시스템 및 건강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실제 임직원들의 참여율/인지율을 비교해 보았을 떄, 시스템및 프로그램에 대한 임직원들의 인지율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실제 참여율에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 보다 실질적인 임직원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홍보하는 것이 중요함을 밝힘

    ◎ R은 주로 기업의 건강 시스템에 대한 내용이며, P는 건강 관리 프로그램들을 명시함

    미 발표자료

    인지

    실행

  • - 54 -

    30[법] 미국 근로자 복지법 (2009년)

    “제 45R조 복지 프로그램 세액 공제.

    “(a) 공제액—

    “(1) 원칙—제 38조의 목적상, 본 조의 복지프로그램 세액 공제는사용자에게 세액공제가 적용되는 전 과세기간 동안 공제 대상 복지프로그램 운영과 관련하여 당해 과세연도에 사용자가 지불하거나사용자에게 발생한 비용의 50퍼센트에 해당하는 가액으로 한다. 전문의목적상, 공제 대상 복지 프로그램이 사용자가 제공하는 관련 건강 보험을포함한 단체 건강 프로그램의 일부에 해당하는 경우, 동 단체 건강프로그램이나 건강 보험에 관한 비용이 아닌 오직 공제 대상 복지프로그램과 관련한 비용만이 고려된다.

    “(2) 한도—제 1호에 의한 공제액은 전 과세기간 동안 아래 합계를 넘지못한다—“(A) 200달러의 상품과 사용자의 피용자 수가 200명 미만, 이에 더하여“(B) 100달러의 상품과 사용자의 피용자 수가 200명 초과

    29[법] 미국 근로자 복지법 (2009년)

    제 1조 약칭.이 법은 “2009년 근로자 복지법”이라 약칭한다.제 2 조 확인.의회는 아래 사항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