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봉-쇄골 관절 탈구에서 긴장대 강선을 이용한 phemister 변형 술식 · 2016. 7....

6
대한골절학회지 제 19 권, 제 4 호, 2006년 10월 Journal of the Korean Fractrure Society Vol. 19, No. 4, October, 2006 431 통신저자서울시 종로구 평동 108번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정형외과학교실 Tel02-2001-2168Fax02-2001-2176 E-mail[email protected] *본 논문의 요지는 2006년도 대한골절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되었음. Address reprint requests toHun-Kyu Shin,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Kangbuk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08, Pyeong-dong, Jong- no-gu, Seoul 100-634, Korea Tel+82-2-2001-2168Fax+82-2-2001-2176 E-mail[email protected] 견봉-쇄골 관절 탈구에서 긴장대 강선을 이용한 Phemister 변형 술식 김유진신헌규이지원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긴장대 강선을 이용한 Phemister 변형 술식으로 치료한 견봉-쇄골 관절 탈구의 술 후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견봉-쇄골 관절 탈구 환자 중 긴장대 강선을 이용한 Phemister 변형 술식으로 치료 후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술 후 임상적인 평가로 Constant score를 사용해 통증, 일상생활동작, 관절운동범위, 근력 등을 평가하였고, 방사선학적 평가로 수술 전후와 최종 추시 시의 방사선 사진을 비교 분석하였다. : 임상적 평가에서는 Constant score를 이용하여 최저 84점에서 최고 100점까지로 평균 92점의 결과를 얻었고, 환자의 주관적 느낌에서 우수가 11예 (65%), 양호가 6예 (35%),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우수가 9예 (53%), 양호가 6예 (35%), 보통이 2예 (12%)였다. 1예에서 핀의 이동이 관찰되었고, 2예에서 핀 삽입 부위의 경미한 염증소견이 보였으나 핀 제거 후에 소실되었다. : 견봉-쇄골 관절 탈구의 치료로 긴장대 강선을 이용한 Phemister 변형 술식은 견고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고 조기에 능동적인 견관절의 운동이 가능하고 재탈구 등의 주요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적인 수술법 중의 하나로 사료된다. 색인 단어: 견봉-쇄골 관절 탈구, 긴장대 강선, Phemister 변형 술식 Modified Phemister Technique with Tension Band Wiring in Acromioclaviculr Joint Dislocation Yu-Jin Kim, M.D., Hun-Kyu Shin, M.D., Ji-Won Lee,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angbuk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 of surgical treatment of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using modified Phemister technique with tension band wiring. Materials and Methods: We chose 17 patients who were able to follow up 1 year or more among th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in our hospital through January 2000 to Feburary 2005 and took modified Phemister technique with tension band wiring. Evaluation of the surgical results was done with the condition of pain, activity of daily living, range of motion, muscle tone by constant score system, and with preoperative, postoperative and last follow up radiographs. Results: Clinical evaluation was average 92 point by Constant score system from 84 point to 100 point. Subjective evaluation was 11 excellent (65%), 6 good (35%). Radiological evaluation was 9 excellent (54%), 6 good (38%), 2 fair (12%), and no poor group. On the final follow up, two cases showed inflammatory reaction at where pins were inserted, but after the removal of the pins, the inflammation was subsided. Conclusion: The modified Phemister surgery for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is one of effective techniques, we can obtain firm fixation, exercise full range of motion early and there is no complication of re-dislocation. Key Words: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Tension band wiring, Modified Phemister technique

Upload: others

Post on 17-Aug-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견봉-쇄골 관절 탈구에서 긴장대 강선을 이용한 Phemister 변형 술식 · 2016. 7. 8. · Evaluation of the surgical results was done with the condition of pain,

대한골절학회지 제 19 권, 제 4 호, 2006년 10월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Jo u r n a l o f th e K o r e a n F r a c t r u r e S o c ie t y

V o l . 1 9 , N o . 4 , O c to b e r , 2 0 0 6

431

통신저자:신 헌 규서울시 종로구 평동 108번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정형외과학교실Tel:02-2001-2168․Fax:02-2001-2176E-mail:[email protected]

*본 논문의 요지는 2006년도 대한골절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되었음.

Address reprint requests to:Hun-Kyu Shin, M.D.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Kangbuk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08, Pyeong-dong, Jong-no-gu, Seoul 100-634, KoreaTel:+82-2-2001-2168․Fax:+82-2-2001-2176E-mail:[email protected]

견봉-쇄골 관절 탈구에서 긴장대 강선을 이용한 Phemister 변형 술식

김유진․신헌규․이지원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정형외과학교실

목 적: 긴장대 강선을 이용한 Phemister 변형 술식으로 치료한 견봉-쇄골 관절 탈구의 술 후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견봉-쇄골 관절 탈구 환자 중 긴장대 강선을 이용한 Phemister 변형 술식으로 치료 후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술 후 임상적인 평가로 Constant score를 사용해 통증, 일상생활동작, 관절운동범위, 근력 등을 평가하였고,

방사선학적 평가로 수술 전후와 최종 추시 시의 방사선 사진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임상적 평가에서는 Constant score를 이용하여 최저 84점에서 최고 100점까지로 평균 92점의 결과를 얻었고, 환자의 주관적

느낌에서 우수가 11예 (65%), 양호가 6예 (35%),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우수가 9예 (53%), 양호가 6예 (35%), 보통이 2예 (12%)였다.

1예에서 핀의 이동이 관찰되었고, 2예에서 핀 삽입 부위의 경미한 염증소견이 보였으나 핀 제거 후에 소실되었다.

결 론: 견봉-쇄골 관절 탈구의 치료로 긴장대 강선을 이용한 Phemister 변형 술식은 견고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고 조기에 능동적인

견관절의 운동이 가능하고 재탈구 등의 주요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적인 수술법 중의 하나로 사료된다.

색인 단어: 견봉-쇄골 관절 탈구, 긴장대 강선, Phemister 변형 술식

Modified Phemister Technique with Tension Band Wiring in Acromioclaviculr Joint Dislocation

Yu-Jin Kim, M.D., Hun-Kyu Shin, M.D., Ji-Won Lee, M.D.Departm ent of Orthopedic Surgery, Kangbuk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 of surgical treatment of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using modified Phemister technique with tension band wiring.Materials and Methods: We chose 17 patients who were able to follow up 1 year or more among th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in our hospital through January 2000 to Feburary 2005 and took modified Phemister technique with tension band wiring. Evaluation of the surgical results was done with the condition of pain, activity of daily living, range of motion, muscle tone by constant score system, and with preoperative, postoperative and last follow up radiographs.Results: Clinical evaluation was average 92 point by Constant score system from 84 point to 100 point. Subjective evaluation was 11 excellent (65%), 6 good (35%). Radiological evaluation was 9 excellent (54%), 6 good (38%), 2 fair (12%), and no poor group. On the final follow up, two cases showed inflammatory reaction at where pins were inserted, but after the removal of the pins, the inflammation was subsided.Conclusion: The modified Phemister surgery for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is one of effective techniques, we can obtain firm fixation, exercise full range of motion early and there is no complication of re-dislocation.Key Words: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Tension band wiring, Modified Phemister technique

Page 2: 견봉-쇄골 관절 탈구에서 긴장대 강선을 이용한 Phemister 변형 술식 · 2016. 7. 8. · Evaluation of the surgical results was done with the condition of pain,

432 김유진, 신헌규, 이지원

서 론

견봉-쇄골 관절의 탈구는 견갑부 탈골 중 12%를 차지하며29)

견봉-쇄골인대와 오구-쇄골인대의 파열로 인해 발생하고 주

로 견관절의 운동장애와 기형, 그리고 관절통 등을 초래한

다.

견봉-쇄골 관절 탈구의 수술적 치료는 현재까지 수많은 방

법들이 소개되어 왔으나 각각 술식의 장단점들로 인해 아직

도 가장 확실하고 좋은 방법은 확정되지 않은 상태이다.

저자들은 술식이 간단하고, 기능적, 방사선적 결과에서 호

전을 보이고, 견고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어 견관절 운동이

조기에 가능하여 구축을 방지하고, 합병증이 적은 치료법을

고안하여 보고자 하였다.

저자들은 본원에서 견봉-쇄골 관절 탈구로 진단된 환자들

을 대상으로 긴장대 강선을 이용한 Phemister 변형 술식에

대한 치료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2000년 1월 1일부터 2005년 2월 28일까지 본원에서 견봉-

쇄골 관절 탈구로 진단받고 긴장대 강선을 이용한 Phemister

변형 술식을 시행했던 환자들 중 최소 1년 이상 추시 가능하

였던 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연령은 23세에서 59세로 평균 45.5세였고 총 17예

중 남자가 14예로 여자보다 많았다. 수상원인으로는 실족 8

예 (47%), 교통사고 4예 (23%), 스포츠 손상 3예 (17%), 추

락 2예 (11%)였다. 추시기간은 12개월부터 31개월로 평균

17개월이었다.

수상 후 수술하기까지의 기간은 3일부터 74일로 평균 10

일이었다. 저자들은 Rockwood 등26)의 분류를 이용하였으며,

분류상 제III형이 7예 (41%), 제V형이 10예 (59%)였다.

2. 연구방법

방사선학적 평가는 전후면 방사선 사진에서 오구쇄골간격

을 밀리미터 단위로 측정하여 수술 전 (Fig. 1A), 수술 후

(Fig. 1B), 마지막 추시 (Fig. 1C)에서의 결과를 건측과 비교

하였다.

최종 추시 시 건측과 비교하여 견봉-쇄골 관절의 전위나

아탈구의 소견을 보이지 않는 경우를 우수, 견봉-쇄골 관절

이 5 mm 이하의 전위를 보인 경우는 양호, 견봉-쇄골 관절

이 5∼10 mm의 전위를 보인 경우를 보통, 그 이상의 전위

를 보이는 경우를 불량으로 분류하였으며14)

, 우수와 양호로

판정된 경우를 만족할 만한 회복을 보인 것으로 판정하였다.

Fig. 1. (A) Stress X-ray shows upward displacement of left clavicle. (B) Postoperative X-ray shows reduction of acromioclavicular joint with modified Phemister technique with tension band wiring. (C) After removal of hardware, reduction of acromioclavicular joint is maintained.

A B C

Table 1. The constant score system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Distribution Score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Pain None 15

Mild 10Moderate 5Severe 0

Activities of daily living Work 4Recreation 4Sleep 2Position 10

Range of Motion Abduction 10Flexion 10Internal rotation 10External rotation 10

Power 25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Total 100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Page 3: 견봉-쇄골 관절 탈구에서 긴장대 강선을 이용한 Phemister 변형 술식 · 2016. 7. 8. · Evaluation of the surgical results was done with the condition of pain,

견봉-쇄골 관절 탈구에서 긴장대 강선을 이용한 Phemister 변형 술식 433

그리고 최종추시 시의 오구쇄골간격을 건측과 비교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통증, 일상생활동작, 관절운동범위, 근력 등

을 평가한 Constant score를 이용하여 판정하였다9)

(Table 1).

3. 수술방법 및 수술 후 재활치료

전신마취 하에 반좌위에서 완만한 사선상의 피부절개를

시행하여 파열된 견봉-쇄골 관절 및 오구쇄골인대를 노출시

켰다.

정복을 시행하기 위해 탈구된 부위를 수건겸자를 이용해

견봉-쇄골 관절의 상하면과 전 후면을 맞추어 해부학정복을

시행하였다.

2개의 1.6 mm K-강선을 견봉으로부터 견봉-쇄골 관절을

지나 쇄골의 외측단의 상전면 측으로 관절면을 통과시켜 고

정하였고 2개의 K-강선이 피부를 자극하지 않도록 K-강선의

쇄골쪽 끝부분을 쇄골 쪽으로 구부려 K-강선이 외측으로 밀

리지 않도록 하였다.

그 후 K-강선의 견봉쪽 끝부분을 구부려서 내측으로의 K-

강선의 이동을 방지하였다.

18-gauge 강선을 이용하여 8자 모양으로 내측단과 외측단

을 견고하게 고정시킨 후 해부학적 정복이 잘 유지되는지 확

인한 후 파열된 오구쇄골인대를 2번 흡수성 봉합사로 봉합하

였다 (Fig. 2).

수술부위에 세척술을 시행한 후 층별로 피부를 봉합하였다.

수술 후에는 1주간 팔걸이로 고정하였으며 술 후 1주째부

터는 팔걸이를 사용한 추운동을 시행하였고 술 후 2주째부터

건측 팔을 이용한 보조적 수동 관절 운동을 시행하였으며 4

주째부터는 보조적 능동 관절 운동을 시작하였고 술 후 3개

월째에 K-강선을 제거하고 부분적인 일상생활 및 직업 활동

을 하도록 하였다.

Table 2. Results of treatment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Initial* Post OP† Last F/U‡ Subjective Constant RadiologicCase Type Cause interval (mm) interval (mm) interval (mm) result score result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M/31 III Slip down 5 0 1 Good 89 ExcellentM/53 III Slip down 6 1 1 Excellent 100 ExcellentM/52 III T.A 4 0 3 Fair 87 GoodF/52 V T.A 13 0 1 Good 90 ExcellentM/59 III Slip down 5 0 1 Good 88 ExcellentM/51 III Slip down 7 1 6 Good 88 FairM/23 V Snowboard 10 0 3 Excellent 94 ExcellentM/43 V Fall down 8 1 1 Excellent 98 ExcellentM/45 V Slip down 9 1 3 Excellent 97 GoodM/46 V T.A 10 2 5 Fair 84 FairF/48 III Slip down 6 1 1 Excellent 95 ExcellentM/55 V T.A 8 2 1 Excellent 97 ExcellentM/29 V Snowboard 11 1 3 Good 89 GoodF/54 III Slip down 6 0 1 Excellent 97 ExcellentM/46 V Fall down 11 1 3 Excellent 90 GoodM/45 V Slip down 11 1 1 Excellent 95 ExcellentM/28 V Snowboard 8 2 3 Good 88 Good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Initial coracoclavicular interval, †Postoperative coracoclavicular interval, ‡Last follow up coracoclavicular interval.

Fig. 2. This figure shows modified Phemister technique with tension band wiring.

Page 4: 견봉-쇄골 관절 탈구에서 긴장대 강선을 이용한 Phemister 변형 술식 · 2016. 7. 8. · Evaluation of the surgical results was done with the condition of pain,

434 김유진, 신헌규, 이지원

결 과

1.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

임상적 평가에서는 Constant score를 이용하여 최저 84점

에서 최고 100점까지로 평균 92점의 결과를 얻었고 임상적

결과에 대하여 환자의 주관적 느낌을 우수, 양호, 보통, 불량

의 4등급으로 분류하였다. 17예 중에서 우수가 9예 (53%),

양호가 6예 (35%), 보통이 2예 (12%)로 판정되었고 불량은

없었다. 방사선 평가 결과는 우수가 10예 (59%), 양호가 5예

(29%), 보통이 2예 (12%)였고 술 전 건측과의 오구쇄골간격

차이는 평균 6.8 mm에서 술 후 평균 0.8 mm로 교정되었고

K-강선 제거 후 마지막 추시 관찰 시 건측에 비해 평균 2.1

mm 증가한 소견을 보였으나 임상적 증상을 야기하는 경우

는 없었다 (Table 2).

2. 합병증

1예에서 핀의 이동이 관찰되었고, 2예에서 핀 삽입 부위의

경미한 염증소견이 보였으나 핀 제거 후에 소실되었다.

고 찰

견봉-쇄골 관절은 원위 쇄골과 견봉 사이를 연결하는 가동

성 관절 (diarthroidal joint)로서 섬유성 연골 및 얇은 관절낭

으로 형성되어 있다.

견봉-쇄골 관절 탈구는 전체 견관절 탈구의 약 12%를 차

지하며29)

임상에서 비교적 흔히 접할 수 있는 질환이다.

손상기전은 Horn15)이 보고한 대로 직접손상이 대부분이며

진단은 임상증상과 방사선소견으로 가능하고, 임상증상으로

는 견봉-쇄골 관절부위의 압통, 동통, 견관절의 운동장애, 견

관절 외측단의 융기 및 가동성 등이 있다. 방사선 소견으로

는 단순 방사선 촬영 이외에 긴장성 사진이 중요하며, Mo-

seley22)

는 양쪽 손목에 25 Lb, Allman2)은 10∼15 Lb의 힘을

하방으로 가해서 긴장성 방사선 사진을 찍었으며, 저자들의

경우에는 10 Lb추를 사용하였다.

Imatani 등16)

은 긴장 방사선 사진상 견봉-쇄골 관절의 관

절면 높이가 50% 이상 수직 전위되어 있을 때, Rockwood

등26)

은 쇄골하단부와 오구돌기 상부 사이의 거리가 건측과

비교하여 5 mm 이상 증가되어 있을 때를 완전탈구라 했다.

본원에서는 평균 6.8 mm로 측정되었고 안 등1), 최와 조7,)

신 등27)

에 의해 보고된 예와 비슷하였다.

견봉-쇄골 관절 탈구의 치료는 보존적 치료2∼3,16,17,20)

와 수

술적 치료4,10,17,19,23)로 나뉘며 견봉-쇄골 관절 탈구의 수술적

치료는 보존적 치료를 하는 것에 비해 명백히 좋은 결과를

증명할 수 있거나 보존적 치료를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증

상의 명백한 완화를 얻는 데 실패한 경우에 요구된다.

보존적 치료는 대부분 Rockwood의 분류 제I형, 제II형,

제III형에서 시행하며, 수술적 치료는 제IV형, 제V형, 제VI형

에서 대부분의 저자들이 시행하고 있다.

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이 되는 경우를 Bannister 등3)은 심

한 탈구 즉 1 inch 이상 전위 시에는 수술적 치료를 요한다

고 하였으며, Larsen 등20)도 쇄골 원위 단이 두드러진 마른

체격의 환자, 중노동을 하는 환자, 견관절을 90° 이상 굴곡

및 외회전한 자세로 매일 작업을 해야 하는 환자들의 경우에

서 수술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Rockwood 등26)도 중노동

자나 25세 이하의 젊은 환자, 활동적인 노인의 경우 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이 될 수 있다고 하였으며, 그 이유로서는 반

복된 stress와 무거운 하중에 견딜 수 있는 내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고 하였다. 저자들은 제III형에서도

Rockwood의 적응증에 따라 수술을 시행하였다.

견봉-쇄골 관절손상은 대부분 10대 내지 30대에서 발생하

며 남자에서 더 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26)

저자들의 경우

도 대부분의 환자들이 젊고 활동기인 20∼40대였다. 이런

환자들에서 보존적 치료보다는 수술적 방법으로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여 수술적 치료를 하였다. 견봉-쇄

골 관절의 치료의 원칙은 관절을 해부학적으로 정복하며, 얻

어진 정복을 손상된 연부조직이 치유될 때까지 유지시켜 주

는 것으로서, 이러한 원칙하에 수많은 수술방법들이 보고되

어 있다.

수술적 방법으로는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소개되었으

며 일차적 고정방법으로 견봉-쇄골 관절의 정복 및 내고

정술2,24,25)

, 이차적 고정방법으로 견봉-쇄골 관절의 정복 및

오구-쇄골 관절의 봉합 및 고정술4,5,23), 기능적 고정방법으로

역동적 근육 이전술 등8)이 있다.

일차적 고정방법으로 견봉-쇄골 관절의 정복에 사용하는

술식으로는 Phemister 술식과 Wolter 금속판 고정술 등이 있

으며, K-강선 고정술인 Phemister 술식은 단순하고,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이 가능하며, 단기간의 고정 후 능동적 관절

운동 및 내고정물을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K-강

선의 절단, 이주, 고정실패, 골 침식 현상, 피부 자극, 견봉-

쇄골 관절의 외상성 관절염 등의 합병증의 위험과 금속 내고

정물을 제거하기 위한 2차 수술의 필요, 긴 재활기간, 동통

이 남을 수도 있다고 한다31)

.

Wolter 금속판 고정술은 수술 후 조기 관절 운동을 시행

할 수 있고 관절 운동범위의 회복이나 일상생활의 복귀가 원

활하며 외상 후 관절염의 빈도도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지

만14)

단점으로는 수술 조작 중 골절의 위험성, 금속판의 탈

구, 수술 부위의 염증 및 피부 괴사, 금속판 제거를 위한 이

차 수술의 필요성, 광범위한 피부 절개 등의 단점이 있으며,

Page 5: 견봉-쇄골 관절 탈구에서 긴장대 강선을 이용한 Phemister 변형 술식 · 2016. 7. 8. · Evaluation of the surgical results was done with the condition of pain,

견봉-쇄골 관절 탈구에서 긴장대 강선을 이용한 Phemister 변형 술식 435

갈고리 구멍이 넓어져서 장기간 고정 시에 견봉의 골절이나

금속자극에 의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게 된다고 Sim 등28)은

보고하였다.

이차적 고정방법으로 오구-쇄골 관절의 고정 방법은 경식

(rigid)의 방법과 연식 (nonrigid)의 방법이 있으며, 경식의

방법에는 나사못을 이용한 방법과 강선을 이용한 고정 방법

이 있으며, 연식의 방법에는 흡수성 봉합사나 비흡수성 봉합

사를 이용한 고정 방법이 있다.

Modified Bosworth 술식은 경식의 고정 방법으로 쇄골의

수평적, 수직적 이동을 동시에 막을 수 있어 조기에 견관절

의 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80% 이상의 환

자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한다6,14,18,19,24)

.

그러나 Weitzman32)

이 보고한 내고정물의 파손 및 골 침식

현상 등의 합병증으로 인해 cotton tape이나 mersilen tape와

같은 연식의 고정방법 등을 사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고 있

다.

견봉-쇄골 관절의 관혈적 고정술 후에 핀의 고정기간에 대

하여 Bannister 등3)은 관절이 안정되기 위해서는 최소한 6주

이상의 기간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전 등8)은 K-강선을 6주

이내에 빨리 제거한 경우에 오구쇄골 간격이 증가하였다고

보고한 바 있다.

저자들은 오구쇄골인대 고정방법으로 일차적 봉합을 사용

하였으며 K-강선 제거 시기는 3개월 이후에 K-강선을 제거

하려고 하였고, 제거 후 6개월까지는 무리한 작업을 피해야

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Larsen 등20)은 관절에서 발생하고 관절이 안정된 후에 일

어나는 threaded wire의 파열은 수술 후 4∼5주에 시작하는

운동 때문이라 하였고, Eskola 등

13)은 평활상 혹은 나선상

K-강선, 피질골 나사못을 이용하여 견봉-쇄골 관절을 고정한

86예의 연구에서 임상적 결과는 사용한 고정물의 종류에 관

계가 없다고 하였다.

Eskola 등12)은 퇴행성 관절염은 나선상 K-강선을 사용했

을 때 많이 발생하였으며, 또한 나선상 K-강선은 파열빈도가

높아 반드시 술 후 8주 이전에 제거해야 한다고 보고하였다.

저자들은 Phemister 술식의 중요한 문제점인 관절을 통과

하여 관절판에 상해를 주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1.6 mm

smooth K-강선을 사용하였고 2차적인 고정효과를 얻기 위해

견봉-쇄골 인대와 오구-쇄골 인대 봉합을 시행하여 나사못

고정방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골 침식현상이나 내고정

물의 파손 등의 합병증을 줄이고 좀 더 강한 고정력을 얻기

위해 K-강선을 이용하여 2개를 반대편 쇄골의 피질 골을 통

과시켜 견봉-쇄골 관절 정복 및 고정하는 modified Phemis-

ter 술식을 전 례에서 사용하였으며, K-강선의 이동을 막기

위해 외측 끝을 구부려 내측으로의 핀 이동을 방지하였다.

몇몇의 예에서 금속 핀의 피부 자극 현상으로 표재성 감염과

핀의 외측 이동을 경험하였으나 그로 인한 불안정성이나 고

정실패는 없었고, 추시 기간 동안 견봉-쇄골 관절의 관절염

은 경험하지 못했다.

보존적 치료 방법 중에는 sling 및 harness를 착용시키는

법30)과 짧은 기간 sling을 착용시킨 뒤 조기에 관절운동을 시

키는 skillful neglect 방법이 있다. Dias 등11)

은 skillful ne-

glect 방법으로 치료하여 90% 이상의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

었다고 하였다.

저자들은 재활방법은 skillful neglect 방법을 택하였으며

조기 재활이 장기간의 고정보다 기능 및 치료 효과 및 환자

만족도가 더 좋다고 판단하여 술 후 1주 후부터 진자운동을

이용하여 수동적 관절가동범위 증진 운동을 시작하였고

Constant score 평균 92점의 결과를 얻었다.

결 론

2000년 1월부터 2005년 2월까지 견봉-쇄골 관절 탈구에

대하여 긴장대 강선을 이용한 Phemister 변형 술식으로 치료

한 환자 17예에 대한 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

다.

견봉-쇄골 관절 탈구의 치료로 긴장대 강선을 이용한 Phe-

mister 변형 술식은 기능적, 방사선적 결과에서 좋은 결과를

보이고 K-강선 이동을 막고, 견고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고

조기에 능동적인 견관절의 운동이 가능하고 재탈구 등의 주

요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으며 고정 실패 같은 Phemister 술

식의 단점을 보완한 술식으로 견봉-쇄골 관절 탈구의 간단하

면서도 효과적인 치료법 중의 하나로 사료된다.

참 고 문 헌

1) Ahn JI, Kang KS, Oh HY, Kang YS and Yoon YS: Treatment of complet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by Weaver and Dunn method. J Korean Orthop Assoc, 18: 733-736, 1983.

2) Allman FL Jr: Fractures and ligamentous injuries of the clavicle and its articulation. J Bone Joint Surg, 49-A: 774-784, 1967.

3) Bannister GC, Wallace WA, Stableforth PG and Hustson MA: The management of acut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A randomised prospective controlled trial. J Bone Joint Surg, 71-B: 848-850, 1989.

4) Bosworth BM: Complet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New England J Med, 241: 221-225, 1949.

5) Breslow MJ, Jazrawi LM, Bernstein AD, Kummer FJ and Rokito As: Treatment of acromioclavicular joint separation:

Page 6: 견봉-쇄골 관절 탈구에서 긴장대 강선을 이용한 Phemister 변형 술식 · 2016. 7. 8. · Evaluation of the surgical results was done with the condition of pain,

436 김유진, 신헌규, 이지원

suture or suture anchor? J Shoulder Elbow Surg, 11: 225-229, 2002.

6) Byun YS, Park JH, Lee SH and Jeon SJ: Operative treat-ment of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comparative study bet-ween two operative methods. J Korean Orthop Assoc, 30: 410-415, 1995.

7) Choi HJ and Cho SR: Treatment of complet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by Weaver and Dunn method. J Korean Orthop Assoc, 15: 760-764, 1980.

8) Chun CH, Park KH, Han HJ and Cho DM: Clinical analysis of th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treated with modified Phemister method. J Korean Orthop Assoc, 27: 1052-1059, 1992.

9) Constant CR and Murley AH: A clinical method of func-tional assessment of the shoulder. Clin Orthop, 214: 160-164, 1987.

10) Dewar FP and Barrington TW: The treatment of chronic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J Bone Joint Surg, 47-B: 32-35, 1965.

11) Dias JJ, Steingold RF, Richardson RA, Tesfayohannes B and Gregg PJ: The conservative treatment of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Review after five years. J Bone Joint Surg, 69-B: 719-722, 1987.

12) Eskola A, Vainionpaa S, Korkala S, Santavirta S, Gronblad M and Rokkanen P: Four-year outcome of operative treat-ment of acut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J Orthop Trauma, 5: 9-13, 1991.

13) Eskola A, Vainionpaa S and Rokkanen P: Acute complet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of fixation with smooth or threaded Kirschner wires or cortical screw. Ann Chir Gynaecol, 76: 323-326, 1987.

14) Habemek H, Weinstabl R, Schmid L and Fialka C: A crook plate for treatment of acromioclavicular joint separation: indication, technique, and results after one year. J Trauma, 35: 893-901, 1993.

15) Horn JS: The traumatic anatomy and treatment of acut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J Bone Joint Surg, 36-B: 194-201, 1954.

16) Imatani RJ, Hanlon JJ and Cady GW: Acute, complete acromioclavicular separation. J Bone Joint Surg, 57-A: 328- 332, 1975.

17) Kennedy JC and Cameron H: Complete dislocation of the acromio-clavicular joint. J Bone Joint Surg, 36-B: 202-208, 1954.

18) Kim BH, Shin KS, Kim JH and Kim DJ: Treatment of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with modified Bosworth method.

J Korean Orthp Assoc, 26: 145-151, 1991.19) Kim BS, Cho SD and Kim KB: Operative treatment for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J Korean Fracture Soc, 11: 1-7, 1998.

20) Larsen E, Bjerg-Nielsen A and Christensen P: Conservative or surgical treatment of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A pro-spective, controlled, randomized study. J Bone Joint Surg, 68-A: 552-555, 1986.

21) Morrison DS and Lemos MJ: Acromioclavicular separation. Reconstruction using synthetic loop augmentation. Am J Sports Med, 23: 105-110, 1995.

22) Moseley HF: Athletic injuries to the shoulder region. Am J Surg, 98: 401-422, 1959.

23) Mumford EB: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J Bone Joint Surg, 23: 799-802, 1941.

24) Park JY, Lyu SJ, Moon KH and Kim MH: Results following the surgical treatment of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s: A comparison of Phemister with Bosworth opera-tion. J Korean Fracture Soc, 11: 8-15, 1998.

25) Phemister DB: The treatment of dislocation of the acromio-clavicular joint by open reduction and threaded-wire fixation. J Bone Joint Surg, 24: 166-168, 1942.

26) Rockwood CA, Green DP, Buchole RW and Heckman JD: Fracture in adults. 6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331-1364, 2005.

27) Shin DB, Ahn JY, Lee YK and Hur DU: A clinical result of modified Phemister method for acut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J Korean Orthop Assoc, 29: 1185-2375, 1994.

28) Sim E, Schwarz N, Hocker K and Berzlanovich A: Repair of complete acromioclavicular separations using the acromio-clavicular-hook plate. Clin Orthop, 314: 134-142, 1995.

29) Thomas GH and Scott AL: Acromioclavicular joint separa-tions: Update, diagnosis, classification, and treatment. Curr Opin Orthop, 14: 255-261, 2003.

30) Varney JH, Coker JK and Cawley JJ: Treatment of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by means of a harness. J Bone Joint Surg, 34-A: 232-233, 1952.

31) Verhaven E, DeBoeck H, Haentjens P, Handelberg F, Casteleyn PP and Opdecam P: Surgical treatment of acute type-V acromioclavicular injuries in athletes. Arch Orthop Trauma Surg, 112: 189-192, 1993.

32) Weitzman G: Treatment of acut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by a modified Bosworth method. Report on twenty-four cases. J Bone Joint Surg, 49-A: 1167-1178, 19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