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26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오대영 · 안진경

Upload: others

Post on 19-Jul-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오대영 · 안진경

Page 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한국언론진흥재단 수시과제 연구보고서 2011-1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책임 연구 │ 오대 (경원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공동 연구 │ 안진경(서울시 동작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팀장)

연구 보조 │ 유승현(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과정)

금현수(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과정)

발행인 │ 이성준

편집인 │ 선상신

발행일 │ 2011년 10월 31일 초판 제1쇄 발행

한국언론진흥재단

100-750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4

전화 (02)2001-7744 팩스 (02)2001-7740

www.kpf.or.kr

이 보고서는 2011년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언론진흥기금을 지원 받아 수행한 것입니다.

보고서의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공식 견해가 아닌 연구자의 연구 결과임을 밝힙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2011

비매품

Page 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책임 연구 │ 오대 (경원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공동 연구 │ 안진경(서울시 동작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팀장)

연구 보조 │ 유승현(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과정)

금현수(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과정)

Page 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Page 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본문 목차

요약문

Ⅰ. 서론 19

1. 문제제기 19

2. 연구목적 22

3. 연구방법 24

1)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의 미디어 이용 실태 조사 25

2)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의 미디어에 대한 인식 조사 25

3)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관련 미디어 실태 조사 26

4) 전문가 인터뷰 조사 26

Ⅱ. 다문화 가정과 미디어에 대한 선행 연구 28

1. 다문화 가정 28

1) 다문화 가정과 사회적 인식 28

2)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의 적응과 부적응 33

2. 다문화 가정과 미디어 38

1) 다문화 가정에서의 미디어 역할 38

2) 다문화 가정에서의 미디어 이용 42

3. 다문화 가정과 미디어 교육 48

1) 미디어 교육과 NIE 48

2) NIE의 현황과 성과 50

4. 다문화 가정에 대한 정책적 지원 및 미디어 정책 52

1) 다문화 가정에 대한 정책적 지원 52

2) 다문화 가정에 대한 미디어 정책 58

Page 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Ⅲ.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조사 74

1. 조사 개요 74

1) 조사 내용 74

2) 조사 대상 및 조사 방법 74

3)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74

2. 조사 결과 77

1)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개인적 특성 77

2)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이용 실태 82

3)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활용 122

4)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전문 미디어 활용 128

5)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교육 인식 135

3. 미디어 이용 실태 조사의 시사점 141

1) 미디어 이용 실태 141

2) 전문 미디어(에스닉 미디어) 이용 실태 149

3) 미디어 활용 교육 인식 149

Ⅳ.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의 미디어 인식 조사 152

1. 조사 개요 152

2. 조사 결과 153

1) 신문 154

2) 텔레비전 156

3) 잡지 159

4) 라디오 160

5) 인터넷 161

6) 전문 미디어(에스닉 미디어) 162

7) NIE 163

8) 한국어 교육과 교육 사이트 164

9) 기타 165

3. 결혼 이민자 인터뷰 조사의 시사점 166

1) 미디어 이용 실태 166

2) 정책적 지원 방안 166

Page 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Ⅴ. 다문화 가정 관련 미디어 서비스 실태 조사 169

1. 다문화 가정 관련 방송 서비스 실태 169

1) 아리랑 TV 169

2) 양방향 방송프로그램 VOD 서비스(다국어 서비스) 171

3) EBS의 두리안 사업 171

2. 지상파방송의 다문화 관련 프로그램 실태 172

1) 드라마 172

2) 시사·교양 프로그램 175

3) 오락 프로그램 180

3. 다문화 가정 관련 전문 미디어(에스닉 미디어) 실태 183

1) 전문 방송(에스닉 방송) 183

2) 전문 신문(에스닉 신문) 190

4. 다문화 가정 대상의 미디어 활용 교육 실태 195

1) 조사 개요 195

2) 조사 결과 195

3) NIE 및 DURIAN을 활용할 가능성에 대한 의견 196

4) 조사 결과의 요약 197

Ⅵ. 전문가 인터뷰 조사 200

1. 조사 개요 200

2. 조사 결과 200

1) 한국신문협회 관계자 200

2) NIE 전문가 204

3)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 207

4)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 209

5) 교육과학기술부 관계자 211

6) 여성가족부 관계자 212

3. 전문가 인터뷰 조사의 시사점 214

1) 정부 정책에서 미디어 활용 실태와 확대 방안에 대한 인식 214

2) 미디어 지원 정책에 대한 제언 216

3) 미디어 산업 발전 방안과의 연계 218

Page 8: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Ⅶ. 결론 및 제언 220

1. 미디어 매체별 이용 활성화 방안 220

1) 신문 221

2) TV 225

3) 인터넷 229

4) 미디어 활용 교육 231

5) 전문 미디어(에스닉 미디어) 235

2. 종합적인 정책적 지원 방안 236

1) ‘결혼 이민자 미디어 서비스 종합 포털 사이트’의 필요성 237

2) 종합 포털 사이트 운영 방안 237

3) 종합 포털사이트 활용 방안 238

4) 종합 포털사이트 구성 238

5) 기대 효과 238

참고문헌 240

부록 250

Page 9: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표 목차

<표1> 외국인 인구 규모 추이 30

<표2> 장래 인구 추계 및 외국인 증가 추세 31

<표3> 이민자 적응의 유형 34

<표4> 결혼 이민자의 한국생활에서 가장 힘든 점 35

<표5>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의 애로사항에 대한 사례 연구 37

<표6> NIE 교육 활용 경험 51

<표7> 다문화 관련 법 제도 54

<표8> 중앙부처의 다문화 정책 내용 55

<표9> 방송통신위원회의 EBS 다문화 가정 프로그램 제작지원 현황 60

<표10> 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프로그램 제작지원 사업 61

<표11> 방송통신위원회의 케이블TV 제작지원 현황 62

<표12> 문화관광체육부의 2011년 다문화 가정 지원 사업 63

<표13> 다문화 가정에 대한 신문 구독료 지원 현황 65

<표14> 2011년 문화관광체육부의 다문화 매체 지원 현황 65

<표15>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 지원 실적 66

<표16> 레인보우 플러스 관계자 인터뷰 내용(요약) 68

<표17>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센터사업 현황 69

<표18>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예산 현황 69

<표19> 다문화가족 지원센터의 한국어 교육 내용 70

<표20>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방문교육사업 현황 70

<표21>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 지원 현황 71

<표22>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연도별 한국어 교육 이용자 현황 71

<표23> 미디어 관련 지역별 다문화가족지원사업 현황 72

<표24>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76

<표25> 거주지 규모별 신문 이용 정도 차이 84

<표26> 거주년도별 텔레비전 이용 정도 차이 84

<표27> 소득별 신문 이용 정도 차이 85

<표28> 미디어 이용량 85

<표29>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신문 이용 동기 요인 분석 90

<표30>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잡지 이용 동기 요인 분석 96

<표31>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TV 이용 동기 요인 분석 101

<표32>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인터넷 이용동기 요인 분석 109

Page 10: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표33> 거주년도별 미디어 이용 만족도 차이 111

<표34> 미디어 이용의 중요도 127

<표35> 미디어의 신뢰도 및 교육적 효과 128

<표36> 전문미디어 인지도 129

<표37> 전문 미디어 이용 경험 129

<표38> 미디어 교육 수단 인지 136

<표39> 미디어 교육 수단 이용 경험 137

<표40> 미디어 이용 실태 142

<표41> 거주지역, 거주 기간, 소득과 미디어 이용 관계 143

<표42> 미디어별 이용 및 비이용 동기 비교 144

<표43> 미디어에서 얻는 주요 정보 146

<표44> 미디어에서 많이 이용하는 콘텐츠 및 서비스 147

<표45> 결혼이민자의 정보 습득 경로 147

<표46> 미디어 이용 정도와 미디어 신뢰도, 미디어 교육성의 상관관계 148

<표47> 미디어 신뢰도와 미디어 교육성의 상관관계 149

<표48> 미디어 교육적 효과와 미디어 이용의 상관관계 149

<표49> 미디어 활용 교육이 도움이 되는 이유 150

<표50> 미디어 활용 교육의 비도움 이유 151

<표51> 결혼 이민자 인터뷰 대상자 153

<표52> 아리랑 TV 주요 연혁 170

<표53> 두리안의 홈페이지 구성 172

<표54> 다문화 가족 TV 드라마의 양식적 특성 175

<표55> 시사·교양 프로그램 속의 다문화 이주여성 유형 180

<표56> 프로그램 속의 다문화 이주 여성의 이미지와 역할 분류 182

<표57> MNTV의 주요 연혁 184

<표58> MNTV 운영실태 및 애로사항에 대한 인터뷰 조사 186

<표59> 샐러드 TV의 주요 연혁 187

<표60> Kiss 운영실태에 대한 인터뷰 조사 189

<표61> 에스닉 방송 비교 190

<표62> 다문화 관련 전국 신문 현황 191

<표63> 한다문화신문 운영실태에 대한 인터뷰 조사 194

<표64>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대상의 한국어 교재 196

<표65> 23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관계자 인터뷰 주요 내용 197

<표66> 신문법 개정안 주요 내용 201

<표67> NIE로 쉽게 접근하는 한글 익히기 207

Page 1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그림 목차

<그림1> 연구방법 요약 27

<그림2>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한국어실력 77

<그림3>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TOPIK 성적 78

<그림4> 출신국 가족들과의 연락 빈도 79

<그림5> 여가 및 취미생활을 함께 하는 상대 80

<그림6> 한국생활에서의 힘든 점 81

<그림7>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개인적 감정 82

<그림8>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매체별 이용 정도 83

<그림 9> 신문 이용 유형 86

<그림10> 텔레비전 이용 유형 87

<그림11>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신문 이용 동기 89

<그림12>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신문 비이용 동기 92

<그림13>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잡지 이용 동기 94

<그림14>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잡지 비이용 동기 97

<그림15>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TV 이용 동기 99

<그림16>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라디오 이용 동기 103

<그림17>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라디오 비이용 동기 105

<그림18>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인터넷 이용 동기 107

<그림19> 미디어 이용 만족도 110

<그림20> 신문에서 얻는 정보 112

<그림21> 잡지에서 얻는 정보 113

<그림22> 텔레비전에서 얻는 정보 114

<그림23> 라디오에서 얻는 정보 115

<그림24> 인터넷에서 얻는 정보 116

<그림25> 신문 및 잡지 이용 콘텐츠 117

<그림26> 텔레비전 및 라디오 이용 프로그램 118

<그림27> 인터넷 이용 서비스 119

<그림28> 향후 미디어 이용 의향(1순위 중복응답) 120

<그림29> 향후 미디어 이용 의향(2순위 중복응답) 121

<그림30> 향후 미디어 이용 의향(3순위 중복응답) 122

<그림31> 가정 및 직장에서 활용하는 미디어 123

<그림32> 한국사회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 124

Page 1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그림33> 출신국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 125

<그림34> 출신국에서의 미디어 활용 126

<그림35> 한국어 및 한국문화 습득 시 미디어 활용 의향 127

<그림36> 전문 미디어 이용 정도 130

<그림37> 전문 미디어 습득 정보 131

<그림38> 전문 미디어 이용 만족도 132

<그림39> 향후 전문 미디어 이용 의향(1순위 중복응답) 133

<그림40> 향후 전문 미디어 이용 의향(2순위 중복응답) 134

<그림41> 향후 전문 미디어 이용 의향(3순위 중복응답) 135

<그림42> 미디어 교육 수단 도움 인지 138

<그림43> 미디어 교육 수단의 도움 이유 139

<그림44> 미디어 교육 수단의 비도움 이유 141

<그림45> 신문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제언 224

<그림46> TV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제언 229

<그림47> 인터넷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제언 231

<그림48> 미디어 활용 교육 활성화를 위한 제언 235

<그림49> 전문미디어 활성화를 위한 제언 236

<그림50> 결혼 이민자 미디어 전문 포털사이트 239

Page 1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요 약 문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조사를

통해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의 미디어 이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정책적 지원

방안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서 미디어 산업이 새롭게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자 하 다. 나아가 기존 미디어에서 제공되는 결혼 이민자들을

위한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현재 인터넷을 중심으로 태동하고 있는 에스닉 미디어

(ethnic media)에 대해서도 실태 및 현황, 결혼 이민자의 이용 실태 등을 연구해서

에스닉 미디어가 결혼 이민자를 위한 대안 미디어로 발전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하 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이용

실태와 정책적 지원 방안을 이민자의 미디어 이용 실태 조사,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 결혼 이민자에 대한 미디어 서비스 실태 조사,

전문가들의 인터뷰 조사를 통한 개선 방안 조사 등 네 단계로 나누어 실시하 다.

첫째,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300명의 설문조사를 통해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이용 실태를 조사하 다.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많이

활용하는 미디어와 콘텐츠, 미디어에서 주로 얻는 정보, 미디어에서 얻고자 하는

정보, 미디어를 이용하는 동기와 이용하지 않는 동기, 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

및 한국문화 교육 실태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 다.

둘째, 설문조사 결과 후에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인

터뷰 조사를 해서 미디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 다. 다문화 가정 결혼이민자

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이용

실태와 결혼 이민자들이 생각하는 미디어 이용 활성화 방안 등을 중심으로

조사함으로써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미디어 이용 실태를 보완하고, 현재의

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불만과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희망하는 개선

방안 등을 조사하 다.

셋째, 다문화 가정 결혼이민자의 미디어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지원 실태,

신문과 TV 등 일반 미디어에서 실시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 관련 서비스 실태,

서울의 23개 다문화가족 지원센터에서의 미디어를 활용한 결혼이민자 한국어 교육

Page 1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실태, 결혼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에스닉 미디어의 실태 등을 조사하 다.

문헌조사와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조사한 후에 관련 기관 관계자의 면담 또는

전화 인터뷰를 통해서 보완을 하 다.

넷째, 정부, 미디어업계 등의 전문가 6명의 심층인터뷰를 통해서 정부의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관련 미디어 지원 정책 실태와 향후 지원 계획 등을 조사하고

관련 미디어 업계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이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 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한국 생활에 빨리 적응하는데

미디어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고, 미디어에 대한 신뢰도와 교육적 효과에

대한 평가도 높아 수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면 미디어 이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미디어 이용실태를 보면 인터넷과 TV를 주로

이용하고, 라디오, 신문, 잡지는 이용이 매우 저조하 다. 인터넷과 TV는 인기

미디어인 반면 신문, 라디오, 잡지는 비인기 미디어라고 할 수 있었다.

미디어별로 살펴보면 신문의 경우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이용시간이

매우 적고, 유료 신문보다는 무료 신문을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인터뷰를 한

결혼 이민자들은 상당수가 애로사항으로 경제적 어려움과 시간 부족을 호소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경제적 부담으로 무료 신문을 많이 구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V와 인터넷 등 다른 미디어를 이용하기 때문에 굳이 신문을 볼 필요가 없었고,

평소에 신문을 보는 습관도 없었다. 또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한국어나

한국문화 습득과 한국 사회 적응이란 도구적 목적에서만 신문을 이용하고 있었다.

인터뷰 조사 결과에서 신문의 기사 내용과 단어가 너무 어렵다는 지적이 많았다.

특히 한문을 쓰지 않는 동남아시아 출신 결혼 이민자들은 신문에 한문과 한문식

표현이 너무 많아서 내용을 알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결혼 이민자들은

TV와 인터넷 다음으로는 신문을 이용하겠다는 생각이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신문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크게 네 가지로 제시하 다. 결혼 이민자들의 신문에 대한 접근성

확대, 결혼 이민자들을 위한 콘텐츠를 개발하서 새로운 독자층으로 유입, 결혼이민

자들을 새로운 시장으로 보는 인식 전환, 결혼 이민자들을 상대로 한 ‘신문읽기

캠페인’ 전개 등이었다.

Page 1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텔레비전의 경우는 하루에 평균 122.4분을 볼 정도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만족도는 인터넷 다음으로 높았고, 향후 이용하고 싶은 미디어에서도 인터넷 다음으

로 선정되었다. 시청 이유는 한국 정보 및 한국어 습득, 한국 문화에 빨리 적응하기

위해서나는 도구적 목적 이외에도 즐겁기 때문에 본다는 습관적 목적도 있기 때문에

결혼 이민자들의 TV 이용이 많았다. 남편 등 가족들과 같이 보는 경우가 많고,

가족과의 대화를 위해서도 보는 등 TV는 다문화 가정에서 가족통합적인 기능도

하고 있었다. 결혼 이민자들은 TV에서 언어 정보와 생활 정보를 많이 얻고, 드라마,

보도(뉴스), 연예오락 등의 콘텐츠를 주로 이용하고 있었다. TV 이용에 대한

만족도도 높았다. 특히 한국에 온지 5년 이하인 결혼 이민자가 5년 이상인 사람보다

TV를 더 많이 이용해 결혼 이민자들은 이주 초기부터 한국어 공부, 엔터테인먼트

등을 위해 TV를 즐겨 보고 있었다. 그래서 경제적인 부담에도 불구하고 무료

TV인 지상파보다 유료인 케이블 TV를 더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인터뷰

조사 결과, TV 프로그램에 대해 비현실적인 내용이 많고, 다문화 가정을 형식적으로

만 다룬다는 비판이 많았다. 또 육아, 교육 등과 같이 생활에 도움이 되거나 결혼

이민자를 위한 프로그램이 매우 적다고 지적하 다.

텔레비전 서비스와 프로그램 실태를 조사한 결과, 다문화 관련 TV 프로그램은

2005년 이후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 전체적으로 보면 편성 비율이 적은 실정이었다.

전반적으로 한국 TV의 다문화 가정 관련 프로그램은 결혼 이민자 시청자를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내국인 시청자를 위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따라서 결혼 이민자 시청자들

의 실정과는 맞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들이 더 공감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텔레비전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크게 네 가지로

제시하 다. 다문화 가정에 대한 방송사의 다양한 콘텐츠 제공과 편성 확대, 접근성

의 강화, 방송사의 다문화 가정 프로그램 제작에 대한 정부 지원 확대이다, 결혼

이민자 출신 국가 방송사와의 협력 강화로 글로벌화 촉진 전략 등이었다.

인터넷의 경우는 하루 평균 이용량이 112.5분으로 TV 다음으로 많았다. 미디어

가운데 이용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향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싶은 미디어 다.

이용 이유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다른 미디어와 달리 출신국가에 대한

그리움 때문에 인터넷을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출신국에 대한 정보는

Page 1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인터넷을 통해서 가장 많이 알고 있었고, 인터넷 서비스 가운데 정보 검색 다음으로

출신국 지인들과의 채팅 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했다. 그러나 결혼 이민자들은

육아, 자녀 입학, 병원 이용법 등 실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인터넷에서 찾는데

어려움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인터넷 이용 활성화를 위해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 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들을 모아서 무료로 제공하는 전문 인터넷 사이트를 정부가 운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 다.

그리고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별 이용 조사와 함께 미디어

활용 교육과 전문 미디어(에스닉 미디어)에 대해서도 조사하 다. 미디어

활용 교육에 대한 조사 결과,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대체로 TV와

인터넷 활용 교육에 대해서는 알고 있었으나 NIE를 알고 있는 사람은 매우

적었다. 전반적으로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을 받아보거나 해본 경험이 적었다.

따라서 미디어 활용 교육에 대한 평가는 낮았다. 그러나 NIE를 통해 한국어

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결혼 이민자들은 교육효과가 높다고 평가했다.

미디어 활용 교육의 제약 요인은 전반적으로 전문 교재 부족이 가장 큰 문제점

이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

의 미디어 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크게 여섯 가지로 제시하 다.

NIE에 대한 정부 지원 강화, NIE 전문 교재 제작, 신문사의 NIE 지면에

결혼 이민자 코너 마련, 한국어 교육 무료 사이트 운 , 퇴직 언론인들의

활용, 다문화가정 지원 단체에서의 미디어 활용 교육 활성화 등이었다.

에스닉 미디어의 경우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이용도,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이민자들도 에스닉 미디어에 대해서 실생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등의 이유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실태조사

에서도 에스닉 미디어들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어 세하고 콘텐츠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관계자들도 결혼 이민자에 대한 미디어 지원

정책을 일반 미디어와 에스닉 미디어로 구분하지 않고 일반 미디어 중심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따라서 에스닉 미디어에 대한

정책적 지원 방안은 아직 시기상조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에스닉

미디어는 일반 미디어와 달리 특정 지역 내의 결혼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Page 1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지역 정보 제공, 인권 보호 등의 특수 목적에서는 긍정적인 미디어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따라서 정부가 에스닉 미디어에 대해서는 프로그

램 중심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할 만하 다. 또 정부가 결혼 이민자를

위한 프로그램, 콘텐츠 제작을 지원할 때 에스닉 미디어의 우수한 프로그램,

콘텐츠에 대한 지원을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제시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종합적인 정책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 다. 우리 사회에서 결혼 이민자 규모는

급속도로 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이 우리 사회에 빨리 적응하고, 한국말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무엇보다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의 미디어 이용을 종합적으로 지원해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그 대안의 하나로 ‘결혼 이민자

미디어 서비스 종합 포털’을 만드는 방안을 제안하 다. 즉 결혼 이민자들이 다양한

미디어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미디어의 다양한 정보를 담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종합 포털을 만들 필요가 있었다. 종합포털의 기대 효과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결혼 이민자들이 미디어를 이용할 수

있는 기회가 대폭 확대돼 미디어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미디어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는 정부의 결혼 이민자에 대한 미디어 지원 정책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하게 돼 결혼 이민자 관련 미디어 정책과 행정이 발전할 수 있다.

셋째는 종합 포털의 운 과 관리, 결혼 이민자를 위한 콘텐츠 제작, NIE 등 미디어

교육에 퇴직 언론인들이 참여하게 하면 언론인들의 사회적 기여도를 높일 수 있다.

Page 18: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Page 19: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9

Ⅰ. 서론

1. 문제제기

2000년부터 우리나라에서 거주하는 외국인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면서

2011년 현재 국내 거주 외국인은 약 120만 명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법무부에 따르면, 2010년 11월 기준으로 국내 외국인의 수는 1,251,649명으로,

전체 인구의 2.48%를 차지하고 있다(법무부, 2011). 앞으로 국내 거주 외국인은

급격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30년에는 2,539,419명으로 인구 대비

5.1%, 2040년에는 3.056,828명으로 인구 대비 6.3%, 2050년에는 4,091,646

명으로 인구 대비 9.7%로 증가해 전체 인구의 약 10% 정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전광희․최슬기, 2010).

국내 거주 외국인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결혼 이민자의 수도 증가하 다. 국제결

혼은 1990년 4,710건으로 전체 결혼 건수의 1.2%이었으나 2000년대 들어 급증하

기 시작하여 2004년에는 35,447건으로 전체 결혼 건수의 11.4를 차지해 처음으로

10%를 넘어섰다. 이후 2005년에는 43,121건으로 전체 결혼의 13.6%, 2009년에

는 33,300건으로 전체 결혼의 10.8%를 차지했다(통계청, 2010). 법무부의 2010

년 발표에 따르면, 국내 결혼 이민자의 87%는 여성이었다. 이 중에서 중국 출신이

48.7%, 베트남이 23.8%를 차지하고 있었다(법무부, 2010).

국내 거주 외국인 수의 증가와 국제결혼을 통한 결혼 이민자의 유입은 한국이

단일 민족과 문화로 구성된 사회에서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국제결혼을 통한 결혼 이민자의 급증으로 다문화 가정이 늘어나는

것은 우리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매년

결혼하는 부부 중 14%에 해당하는 10만 여명이 아시아 여성과 결혼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다섯 가구 중에서 한 가구가 다문화 가정이 되고, 이로 인해 다문화

가정 아동이 전 국민의 3%에 이르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통계청,

2010). 즉 다문화 가정의 증가로 다문화 가정의 아동이 늘어나고, 이로 인해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하는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것이다.

Page 20: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0

흔히 다문화(multi-culture)는 언어, 문화, 관습, 종교, 인종, 계층, 직업 등의

차이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화를 의미한다. 이런 관점에서 다문화 가정은 다양한

문화가 혼재하고 있는 가정으로서 언어, 문화, 관습, 종교, 인종, 계층, 직업

등의 차이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화를 내포한 가정을 의미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다문화 가정은 가족구성원 중에서 이민자가 있거나 이민자로 구성된 가정을 의미한

다. 즉 국제결혼 등을 통하여 서로 다른 민족이 만나 결합된 가정 또는 이주를

위해 새로운 터전에 정착한 외국인 간의 결합을 통해 구성된 이민자가 포함된

가정을 지칭한다.

2008년 제정된 「다문화가족기본법」 제2조에서도 다문화 가정을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 제2조 제3호의 결혼 이민자와 「국적법」 제2조에 따라 출생 시부터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 제3조에 따라 인지에 의해 국적을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 제4조에 따라 귀화 허가를 받은 자로 이루어진 가족,

제4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 그리고

‘「국적법」 제3조 및 제4조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와 같은 법 제2조부터

제4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은 국제결혼 등을 통하여 서로 다른 인종을

만나 결합된 가정으로서, 한국 국적 소유자와 비소유자가 결혼하여 구성한 가족으로

파악된다.

다문화 가정은 현재 우리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하나의 요소로서 이해하고

바라보아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정부는 2000년대 중반부터 다문화 가정에 대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실시하고 있다. 먼저 다문화 가정에 관한 법과 제도는 2006년

4월 여성 결혼 이민자 가족 및 혼혈인․이주자사회통합지원 방안‘이 마련되면서

여성 결혼 이민자에 대한 기초생활 보장 및 보건서비스 지원이 이루어지면서 시작되

었다. 이후 2007년 5월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이 제정되면서 외국인 정책에

대한 기본 계획이 수립되었다. 2008년 3월 「다문화가족지원법」이 제정되면서

정부 차원의 관련 정책들이 시행되고, 다문화 가족 지원을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가 전국적으로 설치, 운 되게 되었다. 2009년에는 국무총리실에서 다문화 가족

지원 개선 종합 대책이 마련되었으며, 2010년에는 결혼 이민자를 한국인 배우자의

주민등록등본에 기재하는 방침이 발표되었다. 이외에도 여성가족부, 교육과학기술

Page 2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1

부,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행정안전부, 농림수산식품부, 보건복지부 등에서

다문화 가정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국제결혼이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한국 남성과 저발전 국가

출신의 여성 간에 이루어지는 상황이어서 다문화 가정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결혼 이주 여성의 인권보호, 한국어 및 한국 문화 교육, 자녀 양육 지원 등을

중심으로 결혼 이민자들을 한국 사회에 적응시켜 이주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사회 통합을 이루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이 급속하게 증가하는

현재의 상황에서는 다문화 가정에 대한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심층적인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또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언어와 문화적 차이, 한국 사회에 대한 이해

부족 등으로 정신적, 생활적 측면에서 여러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면서 태어난 2세에 대한 교육과 한국 사회에

대한 문화적 적응은 사회적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는 순혈주의 시각에서

다문화 가정을 부정적으로 인식하여 차별적인 태도를 보이는 일반 사람들의 경향도

큰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과 그들의 2세가 한국

사회에서 적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차원에서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사회적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문화 가정에 대한 보다 심도깊은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런 관점에서 미디어의 역할을 제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이창호․정의철, 2010; 조성호․박희숙, 2009). 다문화 가정의 결혼 이민자들과 구성원들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도 필수적이지만, 이와 함께

다문화 가정의 결혼 이민자들과 구성원들의 적응을 도울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안 중에서 실질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방안은 사회의

다양한 목소리를 대변하고 이들의 입장을 전달하는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미디어의 활용 방안이다. 달리 말해 사회통합적인 역할과 기능을 담당하는 미디어를

통해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고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의 증가로 인한 다문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서 미디어의 역할을 제고하고, 정부의 다문화 가정에 대한 미디어

지원 정책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 비판되어 왔던 동화주의나

Page 2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2

흡수주의가 아니라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우리 사회에서 공존하면서 진정한

구성원이 될 수 있는 실질적인 정책 방안도 수립될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목적

다문화 가정에 대한 보다 심층적이고 다양한 논의를 위한 기본적인 전제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과 그들의 2세가 한국 사회의 진정한 구성원으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다문화 가정에 대한 사회학과

교육학에서의 논의들은 이러한 본질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다문화 가정 구성원들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방안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관점에서 다문화 가정에 접근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구성원들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고 구성원으로 성장하기

위해 실제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의 접근과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런 관점에서 다문화 가정과 관련해서 미디어의 역할을 제고해야 한다는

논의를 주목하여야 한다.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 사회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 미디어가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역할을 수행하

여 사회통합적인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이창호․정의철, 2010). 즉 미디어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고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며,

일반 시민이 타 문화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고 그들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문화적

다양성을 확장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다문화 사회 및 다문화 가정과 미디어 관련 연구들은 크게 네 가지의

경향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미디어가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에 대한 담론의

장을 제공한다고 보는 연구들이다(이창호․정의철, 2010; Bauder, 2008; Hier

& Greenverg, 2002) 즉 미디어의 의제 설정이나 프레이밍 기능을 통해 다문화

사회 또는 다문화 가정의 문제들이 공론화되고, 이민자들은 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함

으로써 한국 사회에서 소속감을 높이고 그들의 빠른 적응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또 미디어가 보도하는 다문화 관련 의제가 공중이나 정책 의제에 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본다.

Page 2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3

둘째는 미디어가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정보 및 이미지 등을 어떻게

생산하고 전달하는지에 초점을 맞추는 연구들이다(김경희, 2009; 양정혜, 2007;

이경숙, 2006; 이동후, 2006; 이상길․안지현, 2007; 홍지아․김훈순, 2010). 즉

미디어가 다문화 사회나 다문화 가정을 어떻게 재현하는가 또는 미디어의 재현이

다문화 가정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에 어떤 효과를 가져다주는가를 탐구하는

연구 경향이다. 이러한 미디어 재현과 관련된 연구들은 이주 노동자와 결혼 이주

여성 등 인종적인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미디어 재현을 연구하고 있다.

셋째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이다(강진숙․이은비, 2010; 김 순․윤희진, 2010; 배현주, 2009; 정은주, 2010; 배무진,

2010). 이러한 연구들은 미디어가 다문화나 다양성에 대한 지식을 사회적으로

확산하는데 기여한다는 관점에서 다문화 사회의 소통과 통합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디어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즉 다문화 사회의 미디어는 공중의 다문화

인식 및 태도 형성에 중대한 향을 미치기 때문에 미디어의 교육적 역할이 강조되어

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신문활용교육(NIE)은 이러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에게 교육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대표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이용과 관련된 연구 경향이다

(김지연, 2010; 심보선, 2006; 조성호․박희숙, 2009; 채 길, 2009). 이러한

연구들은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 경향으로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면서

이들이 어떻게 미디어를 이용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연구들이다. 특히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과 관련된 연구의 결과들은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일반적인 미디어 이용 실태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외국인 수용자나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이용과

관련된 연구는 아직까지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들은 부족한 편이다. 이로 인해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을 증진시키는 방안에 대한 정부의 인식은 매우 낮고 일부 부처에서 다국어

자막 서비스 지원 등 단편적으로 하고 있을 뿐 정부의 종합적인 대책은 없는 상태이

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의식을 바탕으로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조사를 통해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의 미디어 이용을

Page 2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4

증진시킬 수 있는 정책적 지원 방안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서 미디어 산업이 새롭게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을

미디어 이용의 주체로 파악하여 이들이 미디어를 바라보는 인식과 기대를 알아보고,

이민자들이 미디어를 통해 우리 사회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부와 미디어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를 탐구하려

는 것이다. 나아가 기존 미디어에서 제공되는 결혼 이민자들을 위한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현재 인터넷을 중심으로 태동하고 있는 에스닉 미디어(ethnic media)1)

에 대해서도 실태 및 현황, 결혼 이민자의 이용 실태 등을 연구해서 에스닉 미디어가

결혼 이민자를 위한 대안 미디어로 발전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한다.

3. 연구방법

미디어 연구와 관련된 이용과 충족 이론에 따르면 미디어 수용자는 능동적

수용자로서 특정한 이용 동기를 갖고 미디어를 이용한다. 따라서 미디어 서비스가

수용자의 이용 동기를 충족시켜주지 못할 경우에 수용자는 그 미디어를 이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런 차원에서 본 연구는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이용 실태와 이용 욕구를 알아보고, 실제 미디어 서비스가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며, 이용 욕구와 실제의 미디어 서비스 간의 격차를 분석하여,

그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의 미디어 이용 실태 조사,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에

대한 미디어 서비스 실태 조사, 전문가들의 인터뷰를 통한 개선 방안 조사 등

네 단계로 연구를 실시하 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 양적인 설문조사, 질적인

인터뷰 조사 등을 활용하 다.

1) 에스닉 미디어는 특별한 문화적, 인종적 그룹에 서비스를 하는 인쇄, 방송, 디지털 매체로 정의된다

(Johnson, 2010). 외국인들이 이주한 국가의 주류 미디어에 대응되는 개념으로서 외국인 이민자(에스닉

그룹)들에게 서비스하기 위해 생긴 미디어다.

Page 2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5

1)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의 미디어 이용 실태 조사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300명의 설문조사를 통해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

의 미디어 이용 실태를 알아보았다.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많이 활용하는

미디어와 콘텐츠, 미디어에서 주로 얻는 정보, 미디어에서 얻고자 하는 정보,

미디어를 이용하는 동기와 이용하지 않는 동기, 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 및 한국문화

교육 실태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 다. 조사대상은 전국의 다문화가족 지원센

터를 도시규모별로 층위구분한 후 다문화가족 지원센터에 다니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300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표집하 다. 응답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라는 점을 고려하여 연령, 거주지 규모, 거주지역,

거주년도, 출신국가, 직업, 소득, 학력 등으로 구분하 으며, 거주지 규모나 거주년

도 등은 미디어 이용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었다. 조사 절차는 전문조사기관인

(주)디오피니언에 의뢰해 2011년 10월 4일부터 21일까지 전체 조사대상자를 대상

으로 대인 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에 대한 설문

항목은 기존 연구(이창호·정의철, 2010; 설동훈·이혜경·조성남, 2006; 정연구·송

현주·윤태일·심훈, 2011; 조성호·박희숙, 2009)를 바탕으로 구성하 다.

2)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의 미디어에 대한 인식 조사

설문조사 결과 후에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

조사를 해서 미디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다문화 가정 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이용 실태와

결혼 이민자들이 생각하는 미디어 이용 활성화 방안 등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미디어 이용 실태를 보완하고, 현재의

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불만과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희망하는 개선

방안을 알아보는 목적이었다. 국적이 서로 다른 5명을 대상으로 집단 인터뷰를

실시한 후에 부족한 부분은 미디어를 가장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2명을 상대로

추가로 조사를 했다.

Page 2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6

3)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관련 미디어 실태 조사

다문화 가정 결혼이민자의 미디어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지원 실태, 신문과

TV 등 일반 미디어에서 실시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 관련 서비스 실태, 서울의

23개 다문화가족 지원센터에서의 미디어를 활용한 결혼이민자 한국어 교육 실태,

결혼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에스닉 미디어의 실태 등을 알아봤다. 문헌조사

와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조사한 후에 관련 기관 관계자의 면담 또는 전화 인터뷰를

통해서 보완을 했다.정부 지원 실태는 우선 모든 정부 부처의 다문화 가정 지원

정책에 대해 문헌 조사를 해서 미디어 지원 정책이 있는 부처를 선정한 후에 집중

조사를 하고, 부족한 부분은 해당 부처의 담당 부서에 연구 목적을 밝힌 후에

관련 자료를 수집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일반 미디어에서 실시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 관련 서비스 실태에 대해서는

첫째, 다문화 관련 방송서비스는 ‘아리랑TV’, 양방향 방송프로그램 VOD 서비스

(다국어서비스), ‘EBS 두리안 사업’ 등으로 구분하여 조사하 다. 둘째, 지상파방

송 다문화 관련 프로그램 실태는 드라마, 시사교양프로그램, 오락프로그램 등으로

구분하여 조사하 다. 셋째, 다문화 관련 에스닉 미디어 실태는 에스닉 방송의

경우 ‘이주민방송 MNTV(Migrant Network Television)’, ‘다문화방송국 샐러드

TV’, ‘Kiss 다문화가족음악방송 1․2’에 대해 조사하 고, 에스닉 신문의 경우

다문화 관련 전국 신문 현황을 알아본 후에 경향매일의 자매지로서 다문화 가정

대상 신문인 ‘한다문화신문’에 대해 사례 조사를 하 다.

미디어 활용 교육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서울시내 23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의 다문화 관련 교육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2011년 10월 10일부터 14일까지 연구목적

을 밝히고 승낙을 받은 후에 전화 인터뷰를 실시해서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교육 실태와 NIE, 두리안 활용 의견 등에 대해 조사하 다.

4) 전문가 인터뷰 조사

정부, 미디어업계 등의 전문가 6명의 심층인터뷰를 통해서 정부의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관련 미디어 지원 정책 실태와 향후 지원 계획 등을 조사하고 관련

Page 2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7

미디어 업계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이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 다. 전문가는 미디어 업계 2명과 정부

기관 관련자 4명을 선정하 다.

미디어 업계에서는 신문을 대표하는 한국신문협회 고위 관계자와 NIE 전문가를

선정하 다. 정부에서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미디어 활용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방송통신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의 담당 부서 책임자,

그리고 결혼 이민자 지원 정책에서 가장 많은 역할을 하고 있는 여성가족부의

담당 부서 책임자, 결혼 이민자의 재학생 자녀와 학부모에 대한 지원정책을 맡고

있는 교육과학기술부의 담당 부서 책임자를 선정하 다. 인터뷰는 연구진이 사전에

연구목적을 밝히고 승낙을 받은 후에 2011년 10월 31일부터 11월 11일에 전문가들의

사무실을 찾아가서 개별적으로 약 1시간 동안 반구조화된 방식으로 질의 응답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그림1> 연구방법 요약

Page 28: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8

Ⅱ. 다문화 가정과 미디어에 대한 선행 연구

1. 다문화 가정

1) 다문화 가정과 사회적 인식

21세기 이후 전 세계적인 주요 변화 중의 하나는 인구의 국제이동에 따른 토착지의

사회적 변화이다. 국제 이주에 관한 세계위원회(Global Commission on

International Migration)의 보고서에 따르면 1년 이상 자국 외의 국가에서 산

사람만을 계산했을 때 국제 이주자의 수는 1970년 8200만 명에서 2005년에는

거의 2억 명으로 늘었다(Thussu, 2006). 특히 다국적 결혼은 20세기 중반 이후

여러 국가에서 일반화되고 있다(Pipe, 1997).

한국에서 인종적 소수자들이 거주한 역사는 화교로부터 시작된다. 화교로 불리는

중국인들이 본격적으로 한국에 정착해서 살기 시작한 것은 1882년 임오군란 이후다.

당시 조선의 정국에 개입한 청나라 군대를 따라 들어온 40여명의 중국 상인들이

화교의 선조로 여겨진다. 이후 화교 수는 1920년에는 2만명을 넘어섰고, 1942년에

는 8만명 이상이 됐다. 화교 다음은 해방이후 생겨난 미군 기지촌의 여성들과

미군 사이에 태어난 혼혈인들이다. 그리고 1992년 한중수교를 전후해서 시작된

중국동포들의 입국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외국인 노동자가 한국으로 들어오기 시작

했다(엄한진, 2011, 139~148쪽).

현재 한국에서는 이주노동자의 지속적인 유입,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인한

국제결혼의 증가, 국가적인 인재교류를 통한 유학생의 전입 등으로 인하여 현재

외국인 이민자의 수가 국내 인구의 2%인 약 120만 명 정도로 추산된다(2010,

행정안전부). 이는 국내의 저출산과 고령화 현상을 극복하고, 생산 가능한 경제

인구 부족 현상을 타개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주노동자, 결혼 이민자, 유학생 등을

유입하려고 하는 정부 정책과도 연관된다. l이로 인해 한국 사회는 이민자의 수가

증가하면서 점차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게 되었다.

Page 29: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9

‘다문화’에 대한 정의는 한 사회에 다양한 인종, 문화 등이 공존하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다문화는 여러 문화라는 의미를 가지며, 언어, 문화, 관습,

종교, 인종, 계층, 직업 등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것을

뜻한다. 다문화 사회에서는 성별, 종교, 계층, 인종 등에서 비롯되는 각 사회집단들

의 고유한 문화적 특성이 다양하게 존재하며 소수집단의 문화를 존중해야 한다.

그러므로 ‘다문화’는 공존하는 모든 문화의 가치를 인정하는 문화 간의 상호이해를

중요한 가치로 여긴다.

다문화 사회의 유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최성환, 2009). 첫째는

국, 독일, 프랑스 등의 유럽국가처럼 비교적 동질적인 문화를 가졌던 전통적인

국민국가들이 식민지 경 과 산업화 과정에서 자본과 노동의 세계화를 겪으면서

다문화 사회가 된 경우다. 둘째는 국가의 출범 초기부터 다양한 인종과 문화로

구성된 이민자의 나라 던 캐나다, 미국 등의 경우로서 이들은 상대적으로 다문화

사회에 익숙하다. 단일민족과 단일문화를 강조하던 우리나라는 첫 번째 유형에

가깝다.

서구사회에서 다문화에 대한 관심은 다른 나라로부터의 이민자가 급증하면

서 인구사회학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이들에 대한 인종 차별과 편견, 사회적

부적응, 사회 내 문화의 차이와 갈등 등의 문제가 나타나면서 부각되기 시작했다.

한국도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과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결혼 이주 외국인 여성이

늘어나면서 다문화 사회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 다. 2010년 국내 거주

외국인 주민의 수는 전체 인구의 2% 정도이다.2) 행정안전부의 외국인 주민 통계

조사 자료에 따르면, 2010년 국내 이민자의 수는 1,139,283명이며, 그 중 결혼

이민자의 수는 181,671명으로 집계되었다. 또 법무부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국내

체류 외국인은 2010년 11월 현재 1,251,649명으로 인구대비 2.48%를 차지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법무부 보도 자료, 2011.1.14). 이중에서 결혼 이민자의

87%가 여성이며, 중국이 48.7%, 베트남이 23.8%, 그리고 일본과 필리핀 출신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법무부 보도자료, 2010.7.7).

2) 2010년 외국인 주민현황에 관한 자료는 모두 상이하게 보고되고 있다. 통계청의 자료에서는 1.9%로,

행정안전부의 자료에서는 2.2%, 법무부 보도자료(2011.1.14)에서는 2.5%로 집계 발표되고 있다.

Page 30: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30

구분 200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체류외국인

491,324 747,467 910,149 1,066,273 1,158,866 1,168,477 1,251,649

인구(천명)

45,985 48,294 48,297 48,456 49,540 49,773 50,495

인구대비(%) 1.07 1.55 1.88 2.19 2.34 2.35 2.48

<표1> 외국인 인구 규모 추이

(단위: 명)

* 출처 : 법무부 보도자료(2011.1.14).

특히 2000년대 후반부터는 국제결혼을 통한 결혼 이민자의 증가로 인해 다문화

가정이 급속히 늘어나게 되었다. 국제결혼 부부 중에서 한국 남자와 외국인 여성의

결혼은 2002년 10,698건에서 2009년에는 25,142명으로 2.5배 정도 증가하 다

(통계청, 2010). 국제결혼은 부부 중 한명 혹은 부부 모두가 출신국가를 떠나

새로운 터전에서 새로운 삶에 적응해야 하는 과정이 수반된다. 즉 국제결혼 과정을

통하여 부부를 이루었다는 의미 속에는 ’이주‘라는 개인적 현상이 포함되며, 이주를

통하여 이민자의 수가 증가하게 되면서 원주민들이 보유하고 있던 기존 문화와

새로운 문화가 공존해야하는 상황 속에서 순기능과 역기능이 혼재되는 사회적

현상이 나타난다.

Page 3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31

구분 2005년 2009년 2020년 2030년 2040년 2050년

총인구 48,138,077 48,746,693 48,138,077 49,325,689 48,634,571 42,342,769

체류외국인

747,467 747,467 1,106,884 2,539,419 3,056,828 4,091,646

외국전문인력

24,644 24,644 39,440 177,756 305,683 818,329

결혼이민자

75,011 75,011 125,673 254,707 376,724 620,758

<표2> 장래 인구 추계 및 외국인 증가 추세

(단위: 명)

* 출처 : 전광희․최슬기(2010), 국제비교를 통해 바라본 한국의 장래인구추계 현황과 전망.

한국 사회에서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을 학문적으로는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다. 다문화 가정의 학문적 정의는 광의적 정의와 협의적 정의로 분류된

다. 광의적인 의미에서 다문화 가정은 다양한 여러 문화가 혼재하고 있는 가정을

뜻하며, 언어, 문화, 관습, 종교, 인종, 계층, 직업 등의 차이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화를 내포한 가정을 의미한다. 즉, 광의의 의미에서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가정은

다문화 가정이 된다. 하지만 이러한 광의적 의미에서의 다문화 가정에 대한 정의는

그 추상성으로 인해서 다문화 가정을 위한 사회적 제도를 마련하는데 있어서 관념적

수준에 그칠 수 있다는 한계를 가진다.

협의적 의미에서의 다문화 가정은 가족구성원 중 이민자가 섞여있거나 이민자로

구성된 가정을 의미한다. 국제결혼 등을 통하여 서로 다른 민족이 만나 결합된

가정 또는 이주를 위해 새로운 터전에 정착한 외국인 간의 결합을 통해 구성된

가정을 지칭한다. 국내에서는 다문화 가정을 미시적 의미에서 국제결혼으로 서로

다른 인종을 만나 결합된 부부로 이루어진 가정으로 이해되며, 한국 국적의 소유자와

비소유자가 결혼하여 구성한 가족으로 파악된다.

2008년 제정된 「다문화가족기본법」은 제2조는 이러한 협의의 개념보다 더 세분

화되어 있다. 2011년 4월 4일 개정된 제2조에서 다문화가족이란 첫째로 「재한외국

인 처우 기본법」 제2조 제3호의 결혼이민자와 「국적법」 제2조에 따라 출생 시부터

Page 3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32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 제3조에 따라 인지에 의해 국적을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 제4조에 따라 귀화허가를 받은 자로 이루어진 가족,

제4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으로 정의한

다. 둘째로 「국적법」 제3조 및 제4조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와 같은

법 제2조부터 제4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이라고 정의한다.

「다문화가족기본법」에서 다문화 가정을 협의의 개념으로 정의한 것은 다문화

가정은 속인주의 하에 유일하게 자동으로 국적을 취득할 수 있는 한국인 자녀를

출생하고, 장기적으로 국내에 정착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다른 이민자로 구성된

가정에 비해 주목의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문화 가정’을 한국인 배우자를

두고 있는 국제결혼 가정으로 제한하는 것에 대해 중도입국 자녀 등의 대상범위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비판이 나타나게 되었고, 2011년 「다문화가족지원법」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인지 또는 귀화허가를 받은 한국민’과 ‘외국인’으로 이루어진 가족까

지 확대되었다.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면서 나타나는 가장 큰 사회적인 문제는

다문화 가정과 그 구성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아직도 많다는데 있다.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일반시민의 배타적 시각은 순혈주의에서 비롯된 태도에서 시작된

것으로 다문화 가정의 한국생활 적응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러한 편견은

한국전쟁 전후로 주둔하 던 미군과 한국인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 자녀와

‘코리안 드림’을 위해 입국한 한국계 중국인(일명 조선족) 여성,3) 그리고 아시아권

의 이주노동자를 바라보는 부정적 인식에서 기인한다. 또 빈곤국 출신의 외국인

또는 갈색인종 및 흑인종과 같이 확연한 외모차이를 보이는 외국인에게 더욱 차별적

태도가 나타난다.

다문화 가정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국내의 결혼 경시 현상과 저출산율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된 국제결혼장려책으로 국제결혼이 증가되는 현상이 확대되면서 더욱

가중된 경향이 있다. 결혼 경시 현상은 2000년대에 들어서 고학력화 된 한국여성들

3) 1988년 이후 맺어진 국가 간 수교(한-러, 한-중)와 재외동포법의 선포 및 개정, 외국인 노동력 유입

정책 및 방문취업제 그리고 F4 비자 자격의 확대방침 등이 시행되면서 한국계 중국인 여성의 수는

더욱 증가하 다(이진 , 2011).

Page 3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33

이 자아성취, 육아 및 가사노동의 부담에서 벗어나기 위해 결혼의 시기를 늦추거나

자발적 독신을 선택하는 비율이 높아지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이는 만혼기가 된

남성 중, 배우자감으로서의 매력적인 조건을 갖추지 못한 남성(예를 들어, 만혼

연령, 불충분한 경제적 조건, 불안정한 직업계층군 등)의 지속적이고 비자발적인

독신현상을 초래하 다.

결국 정부는 농촌총각 장가보내기 운동을 시작으로 「노총각 혼인사업지원조례」

를 입법 예고하는 등 외국여성의 국내 유입을 국가사업의 일환의 행정주도형으로

진행하 다(김 옥 외, 2009). 그러나 충분한 준비단계 없이 진행된 국제결혼장려

활성화 정책은 비인가 결혼중매업체의 무분별한 활동을 부추기게 되었고, 업체의

사기행각 등으로 인한 여러 가지 사고들이 발생하면서, 국제결혼가정의 폐해로

이어지거나, 외국인 및 결혼 이민자에 대한 반대 온라인모임이 결성되는 등의

부작용 현상을 수반하게 되었다.

다문화 가정에 대한 우리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은 일반시민들에게 다문화 가정을

기피하거나 무시하는 등의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게 만드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고,

이러한 차별적 태도는 다문화 가정이 한국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게 하는

악순환 고리를 형성하게 되었다. 다문화 사회 역기능 중의 하나가 이민자의 유입으로

인해 이주민에 대한 반감이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사회통합이 저해될 수 있다고

지적되는 점을 고려한다면, 일반시민들이 다문화 가정을 올바르게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형성하는 것은 다문화 사회가 형성되는데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될 것이다.

2)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의 적응과 부적응

다문화 가정의 결혼 이민자는 익숙한 삶의 터전을 떠나 낯선 타지로 삶의 주거지를

변동했기 때문에 이들에게 ‘적응’이라는 문제는 서둘러 해결해야 하는 과제이다.

그리고 이민자 당사자인 결혼 이민자를 포함하여 ‘문화적응’과 ‘가족적응’을 이루

며 가정생활을 위해야 하는 한국인 배우자 및 한국인 가족에게도 적응은 주요한

관심사가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과 관련된 상황적 문제는 ‘적응’여부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

결혼 이민자의 ‘문화적응’은 문화적 근원이 다른 사람들 간의 지속적이고 직접적

Page 3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34

인 접촉의 결과로 일어나는 변화라는 중립적인 의미를 가진다(Redfield, Linton

& Herskovits, 1936). 그러나 상호작용하는 두 문화집단 중 어느 한쪽이 더 많은

변화를 겪는 경우가 많아 적응 수준에 따른 적응유형이 구분되어진다. 문화적

정체감과 특성을 유지할 것인지, 주류사회와의 관계를 유지할 것인지의 여부를

기준으로 적응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적응은 모국의 문화와 새로운 문화를 어떻게

내면화하는가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분리될 수 있다(Berry, 1997).

유형 내용

통합(integration) 모국문화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문화도 받아들임

동화(assimilation) 모국문화를 유지하지 않은 채 새로운 문화만을 받아들임

분리(segragation) 모국문화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이지 않음

주변화(marginalization) 모국문화를 유지 못 하면서 새로운 문화도 받아들이지 못함

<표3> 이민자 적응의 유형

* 출처 : Berry(1997), Psychology of acculturation.

이주민과 원주민이 결합되어 구성된 다문화 가정에서 가족 간의 적극적 노력을

통해 양호한 삶의 상태를 달성하는 것을 의미하는 ‘가족적응’도 매우 중요하다

(Barker, 1991; 설동훈 외, 2005 재인용). 국제결혼을 통해 형성된 다문화 가정의

적응은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가족구성원과 가족전체 그리고 가족을 둘러싼 주변

환경과의 상호관계 수준을 통해 살펴볼 수 있으며, 적응수준에 따라 결혼이민여성의

욕구는 상이할 수밖에 없다(설동훈 외 2006).

다문화 가정의 적응 문제와 함께 부적응 현상은 사회문제로 연결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최근의 다문화 가정 증가와 함께 이슈가 되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이혼증가 현상이 이에 해당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비용의 증가와 가정해체로

인해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점들이 우리 사회의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을 구성하고 있는 결혼이민여성과 한국인 배우자의 적응과 부적응은 건강한

Page 3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35

다문화 가정을 유지하느냐, 다문화 가정의 불안정성을 높여 가족해체를 유도하느냐

를 결정짓는 요인이 된다(송지현·이태 , 2010).

다문화 가정이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고 있는 문제들에 관한 연구는 매우 많은

연구결과가 제시되고 있다. 우선 결혼 이민자들은 성별에 따라 한국생활의 어려움을

다르게 느끼고 있었다(보건복지부, 2009). 결혼 이민 여성은 ‘언어문제(22.5%)’

와 ‘경제적 어려움(21.1%)’을 가장 많이 지적하 으며, ‘자녀양육’ 또는 ‘자녀교

육과 관련된 자녀문제(14/2%)’를 한국 생활의 어려움으로 지적한 반면에 결혼

이민 남성들은 ‘경제문제(29.5%)’를 한국 생활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지적하 다.

구분 없다 외로움 가족갈등

자녀문제

경제문제

언어문제

문화차이

편견차별

음식·기후 기타 계(수)

여성 결혼이민자

12.5 9.9 3.5 14.2 21.1 22.5 7.0 3.4 2.4 3.5100.0

(117,370)

남성 결혼이민자

17.5 6.1 1.1 6.4 29.5 13.6 7.8 9.4 2.2 6.3100.0

( 11,211)

<표4> 결혼 이민자의 한국생활에서 가장 힘든 점

(단위: %)

* 출처 : 보건복지가족부(2009),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연구.

다음으로 외국인 여성들의 공통적인 문제로 지적되는 언어 불일치로 인한 의사소

통 문제(충남여성정책개발원, 2006; 한건수, 2006)와 함께 문화적 차이로 인한

적응문제, 정서적 문제, 취업문제 등이 지적되고 있다(김오남, 2006; 윤형숙,

2004), 김오남(2006)은 국제결혼 가정의 여성 결혼 이민자가 겪고 있는 부부갈등과

이에 따른 심리적, 신체적, 성적 학대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하 으며, 결혼 이민자가

부부적응을 하는 데 있어 결혼만족도 혹은 생활만족도를 분석한 연구들(윤형숙,

2004; 장은애·최 , 2010)에서는 대체로 한국인 남성배우자가 결혼이민여성에게

전통적인 성역할을 강요하거나, 배우자의 어려움에 무관심하고 가부장적인 태도를

취하여 결혼이민여성이 한국사회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한다고 주장한다.

Page 3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36

김유경(2005)은 다문화 가정이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는 불안정성은 부부 간

의사소통의 불편함, 문화배경과 가치관의 이질성, 한국인 부모나 친척들의 냉담

또는 거부적인 태도에 기인한다고 밝혔다. 채옥희 외(2006)도 다문화 가정의

부부적응에 있어 부부 간의 갈등을 인지하고 있는 정도가 높지는 않았지만, 결혼이민

여성은 자녀양육 및 교육, 직업, 친인척과의 관계, 여가활동에서의 어려움 등을

밝히고, 한국남성 배우자는 개인 차이와 일상생활분야, 친인척 관계 등에서의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부부적응 과정에서 나타나는 갈등의 주요원인으로 꼽히고 있는 결혼이민여성과

시댁식구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김상임, 2004; 심선진, 2004)은 고부간의 원만

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지적하고 있다. 시댁과의 갈등은 시댁 식구들이

결혼이민여성에게 일방적으로 한국문화에 적응할 것을 강요하는 태도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다문화 가정의 시부모 대부분은 며느리 나라와 문화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거나 관심이 없어, 외국인 며느리를 배려하려는 태도를 취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하 다.

한국의 가부장적 문화, 유교사상, 남성중심의 한국문화도 언어소통의 어려움과

더불어 한국 사회 적응에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타나고 있다(모경, 2010). 윤형숙

(2004)의 연구에서는 고부 간 갈등이 시어머니의 며느리 학대로 이어지고 있다고

하 다. 며느리를 구박하고 아들에게 며느리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며,

남존여비적 태도를 갖고 무조건적인 복종을 강요하면서 의사소통이 적절히 이루어

지지 않을 때 폭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며느리와의 문화차이로

인한 갈등을 결혼이민여성 개인의 부정적인 성격과 성향으로 치부시킴으로서,

며느리에게 과격한 표현으로 심리적 상처를 주거나 가족생활에 대한 적응의 어려움

을 가중시키고 있었다(장온정, 2007).

보건복지부(2009)에서 실시한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에 의하면 국제결혼

부부 중 90% 이상이 대화 시 한국어를 쓰며 필리핀 부인은 53%가 어를 한국어와

함께 쓰고 있다. 반면에 베트남 부인들은 다른 나라 출신에 비해 한국어 실력이

많이 떨어져 그로 인해 의사소통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김갑성. 2006; 김희정,

2011 재인용).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살펴볼 때 다문화 가정이 겪고 있는

갈등의 원인은 언어소통의 어려움이나 문화적 이질감에서 오는 차이로 발생하는

Page 3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37

총체적인 의사소통의 단절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다문화 가정의 본질적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언어소통의 어려움과 문화적 이질감의 차이라는 두

가지 원인을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본 연구의 연구팀은 하나의 사전 조사로서 2011년 10월 15일에 결혼 이민자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강사(1명)에게 결혼 이민자의 애로사항에 대해 서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아래에서 인터뷰 결과에 대해 간략히 요약하였다.

① 한국어의 문제점- 한국말을 잘 못하다 보니 사람들과 의사소통이 제대로 안 된다. - 엄마가 한국말을 잘 몰라서 자녀에게 말을 못 가르친다.- 아이의 한글 발음이 부정확하다.- 남편은 아내가 한국말을 잘 하기를 원한다.- 아내도 한국말을 잘 하고 싶어 한다.

② 가족 간의 갈등- 남편, 시댁식구들과 갈등이 있다.- 남편과 많이 싸운다. 부부간에도 의사소통이 잘 안 된다.- 아이가 아파서 울어도 남편이 무관심해 힘들고 답답하다.- 시부모님과 같이 살아서 힘들다. 시부모와 같이 사는 집이 7가구 중 3가구다.- 외국인이라는 편견으로 며느리가 아무리 노력해도 시어머니가 마음에 들어 하지 않는다.- 다문화가족 지원센터에서 한글수업을 받는 가정은 화목한 편이다.- 엄마 입장과 시어른의 입장이 달라 일관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③ 경제적인 어려움 - 경제적으로 힘들다.- 생활비를 하나도 안줘 부업을 하는 경우도 있다.- 경제적으로 힘들어 친정에 2년에 한번은 가보고 싶은데 못 가고, 친정을 돕고 싶은데 몸이 불편한 관계로 도움을 못 주고 있다. - 경제적으로 힘이 들어 중학교에 갈 아들이 걱정된다.- 7년 이상 된 어머니들은 다문화센터에 안 다니고 경제활동을 하고 싶어 한다. 7명중 1명은 아르바이트를 한다.

④ 개인적인 어려움- 처음에는 음식이 입에 안 맞아 음식을 따로 해 먹었다.- 친구들의 교류가 별로 없다.

⑤ 기타 -정부의 지원이 없어서 큰 아이 때 정보를 많이 놓쳤다.

<표5>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의 애로사항에 대한 사례 연구

Page 38: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38

2. 다문화 가정과 미디어

1) 다문화 가정에서의 미디어 역할

미디어는 사회구성원들이 사회 변화를 지각하고 그에 대한 태도와 가치관을

형성하는데 큰 향을 미치고 있다. 미디어는 사회화의 핵심 부분으로 다른 문화에

대해 알리고 교육한다(Cortes, 2001). 공공사안을 다루는 미디어는 시민적, 정치적

참여를 향상시키는 것들을 배우는데 적극적인 시민들에게 분명히 유용하고 이용가

능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고 있다(Carpini, 2004).

따라서 이민자들이 한국 사회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미디어가 정보 전달

뿐만 아니라 그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사회통합적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이창호․정의철, 2010). 이런 관점에서 미디어는 담론의 장을 제공해 이민자에 대한 여론과

태도의 형성, 정책 등에 향을 미친다(Bauder, 2008). 특히 미디어는 다문화나

이민자에 대한 다양한 문제들 중에서 특정 주제를 의제화하고, 문제화하며, 체계화

된 프레임을 통해 이를 정의하고 해결책을 제시한다(Hier & Greenberg, 2002).

즉 미디어는 의제설정과 프레이밍 기능을 통해 다문화 사회의 문제들을 공론화시키

고, 이민자들은 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한국 사회에서 소속감을 높이고

빠르게 적응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미디어가 보도하는 의제는 매우 중요한 사회적 역할을 한다. 첫째, 미디어

의제는 공중이나 정책 의제에 많은 향을 미친다. 아프리카 남부 국가들에서는

미디어가 5개 전염병 가운데 에이즈와 말라리아에 대해서만 비중있게 보도하고

한센병, 홍역, 결핵에 대해선 오랫동안 방치한 결과 이들 국가들의 전염병 예방

대책에 큰 향을 미쳤다(Pratt, Ha & Pratt, 2002). 따라서 미디어, 대중, 정책결

정자의 관계는 정치 커뮤니케이션과 정치의 중심에 있고, 의제설정은 미디어 연구,

공중 의견 분석, 공중정책 연구를 통합하는데 필요한 도구를 제공한다(Soroka,

2002).

둘째, 미디어 의제설정은 사회의 핵심 이슈에 대한 공중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Coleman & McCombs, 2007), 사회의 컨센서스를 구축하는 기능을 한다

Page 39: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39

(Takeshita, 2005). 자유주의자들의 시각에서 보면 사회의 기능은 사상의 자유시장

을 제공해 사람들이 이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McCombs & Becker,

1979, p.104). 이런 사회에서 미디어는 특히 아이디어를 선택하는데 뛰어나 사회의

의제설정을 주도하게 된다(Infante, Rancer & Womack, 2003, p.3). 미디어는

뉴스 가치를 판단해 주목 대상을 선정하고 이 대상에 대한 생각 방식을 제공해

강력한 의제설정자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McCombs & Shaw, 1993).

셋째, 미디어는 특정 사안에 대해 사회에서 공중의 의견이 분열될 경우 해결점을

제시해 갈등을 줄이고 상대적으로 조화로운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사회 통합

기능도 한다(Reese & Ballinger, 2001). 따라서 미디어가 어떤 이슈를, 어떻게

의제로 설정하는가는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된다(양선희, 2008). 특히 선거와 정책

결정, 사회적 쟁점과 갈등 이슈를 둘러싼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미디어는

여론의 형성과 변화에 향을 미친다(최원석·반현, 2006).

넷째, 미디어의 제4부 이론과 사회책임 이론을 수용한 입장에선 미디어의 중요한

역할은 국가의 권력 남용을 견제하고, 올바른 여론이 형성될 수 있도록 공정하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해 사회적 공론장을 구축하는 것이라고 본다(김성해, 2007).

이런 관점에서 보면 미디어의 역할은 단순히 사실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사회

적 환경을 감시하고, 정치적 사회적 개혁을 위해 유용한 의제를 사회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Kosicki, 1993).

다섯째, 의제설정 이론은 젊은 층의 정치사회화 발전 과정에도 기여한다. 초기

정치사회화 과정 연구는 가정, 교실, 친구들에 의해 형성된다는 모델링(modeling)

또는 보강(reinforcement) 이론으로 설명했다. 그러나 미디어의 의제설정은 정치적

이슈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지된 중요성을 증가시켰고, 그들이 투표할 때 정치적

견해를 결정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Kiousis & McDevitt, 2008; Kiousis,

McDevitt, & Wu, 2005).

의제 설정 이론에서 파악되는 것처럼 미디어가 이민자에 대해 어떻게 이슈화하고

틀 지우는 가는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 가정을 둘러싼 다양한 이슈의 해결과 관련해서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이창호․정의철, 2010).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하는 다문화 가정과 미디어의 역할과 관련된 연구들은 크게 두 가지 경향을 보이고

있다. 첫 번째 연구 경향은 미디어가 다문화 가정의 결혼 이민자들에 대한 정보나

Page 40: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40

지식 및 이미지를 어떻게 생산하고 전달해야 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연구들이

다. 이러한 경향의 연구들은 주로 우리 사회가 다문화 가정을 이해하기 위해 미디어가

다문화 사회 또는 다문화 가정을 어떻게 재현하는가 또는 미디어의 재현이 다문화

가정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에 어떤 효과를 주는가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김경

희, 2009; 양정혜, 2007; 오경석, 2007; 이경숙, 2006; 이동후, 2006; 이상길․안지현, 2007; 홍지아․김훈순, 2010).

미디어 재현과 관련된 연구들은 2000년대 들어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여성

등 인종과 문화적 차이와 관련한 사회적 소수자의 미디어 재현에 초점을

맞추었다(김경희, 2009; 양정혜, 2007; 오경석, 2007; 이경숙, 2006; 이동후,

2006). 오경석(2007)은 미디어가 다문화 현상을 문화상품화하면서, 다문화

사회에 대한 편협하고 왜곡된 이미지를 생산하고 유통시킨다는 점을 지적한

다. 아시아 출신의 결혼이주여성을 주인공으로 한 프로그램들은 결혼이주여

성들을 ‘문제화’와 ‘신비화’라는 두 가지 극단적인 이분법적 이미지로 재현되

며, 이 과정에서 수용자 반응은 ‘경계심’과 ‘온정주의’로 양극화되고 결혼이주

여성들의 존재 또한 ‘탈맥락화’되고 ‘타자화’된다. 결혼이주여성과 그 가족이

출현하는 대표적 텔레비전 프로그램 <러브 인 아시아>를 분석한 연구들도 멜로드라

마적 주제와 이야기 구조를 통해 ‘이산(diaspora)'이라는 사회적 문제가 개인적

차원의 휴머니즘으로 사사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보편적인 이야기 구조를 통해

다양한 배경과 문화를 지닌 주인공들이 동질화되며, 나아가 가부장적 가족 이데올로

기에 의해 문화적 다양성과 혼종성은 억압적 방식으로 ‘우리’ 안에 포섭된다고

비판한다(이경숙, 2006; 이동후, 2006).

텔레비전 드라마나 다큐멘터리 분석에서 지적된 결혼이주여성 재현의 문제점은

뉴스분석에서도 유사하게 제기되고 있다. 양정혜(2007)의 연구는 결혼 이주여성에

대한 뉴스는 언어 및 문화적 동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그러한 지원의 정당성은 주류 한국사회에 동화되지 못할 경우 위협이 된다는 논리에

근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결혼이주여성은 일관되게 ‘동화의 대상’, ‘혼란

을 겪는 대상’, 따라서 ‘도움을 필요로 하는 대상’으로 묘사되며, 그들 간의 차이는

무시되고 ‘동질적이고 집합적인 타자’로 제시된다는 것이다.

타자화와 동질화의 문제는 온정주의적 시선과도 연결되어 있다. 신문과 방송

Page 4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41

뉴스, 인터넷 뉴스를 분석한 김수정(2007)의 연구에 따르면,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온정적 논조의 뉴스가 전체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민자에 대한 텔레비전

뉴스의 내러티브를 분석한 김경희(2009)도 이민자는 건강에 문제가 있고 심리적으

로 불안해 보이며 어렵게 살아가는 모습으로, 피해자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으로

정형화되기 때문에 수용자의 온정주의를 유도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미디어의 재현을 통해 다문화 가정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을 살펴보는 연구들은

주로 이민자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형성하거나 강화시켰다는 점을 강조한다(김

경희, 2009; 양정혜, 2007; 이경숙, 2006; 이상길․안지현, 2007; 홍지아․김훈순,

2010, 한건수, 2003). 국내의 다문화 프로그램이나 이민자 관련 뉴스보도는 이민자

를 부정적으로 묘사하거나 타자화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민자와

관련된 방송 뉴스보도도 이민자에 대한 이분법적 인식, 정형화, 온정주의적 시선을

재현한 것으로 비판받았다(김경희, 2009). 즉 이민자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거나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모습으로 재현되는 경우가 많았고 한국인은 이민자를 보살펴

주는 존재로 묘사되었다. 이주여성에 관한 뉴스보도도 그들을 한국사회의 문화와

규범에 동화시키려는 경향이 강했고 이주여성이 겪는 혼란과 좌절에 대한 근본적

원인 파악 및 해결책 제시는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양정혜, 2007).

이 과정을 통해 결혼 이주여성, 이주노동자, 혼혈인 등의 인종적 소수자는

한국사회에 동화되어야 할 대상, 혹은 도와주어야 할 시혜의 대상으로 그려지면

결과적으로 한국사회를 구성하는 동등한 시민이 아닌 이질적 존재로 타자화된다(양

정혜, 2007; 정의철․이창호, 2007; 한건수, 2003). 또 미디어를 통한 재현에

대한 연구들의 공통된 결론은 미디어가 한국에 거주하는 타인종 이주노동자나

결혼이주여성, 혼혈인의 생물학적, 문화적 차이를 한국인과 비교되는 열등함으로

위치지우면서, 인종을 통한 계급의 형성과 재생산에 기여한다는 것이다(홍지아․김훈순, 2010).

두 번째 연구 경향은 다문화 가정의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한 미디어 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이다. 이러한 연구들은 다문화 사회에서의 미디어 교육을 강조한다.

즉 미디어가 다문화 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되어 다문화 사회의 소통 및 통합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이창호․정의철, 2010). 이는

Page 4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42

미디어가 다문화 지식이나 다양성에 관한 지식을 사회적으로 구성하는데 기여한다

는 주장을 전제로 한다(Cortes, 2001). 미디어는 다문화 지식, 다문화 신념,

다문화 가치를 구성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문화 사회의 미디어는 공중의

다문화 인식 및 태도 형성에 중대한 향을 미치기 때문에 교육적 역할이 강조된다.

이러한 견해를 바탕으로 미디어가 다문화 가정 이민자들의 교육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교육학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강진숙․이은

비, 2010; 배현주, 2009).

또 미디어 리터러시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구성과 실천을 연구하거나(정은주,

2010), 다문화 사회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 미디어 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배

무진, 2010) 등의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김 순․윤희진(2010)은 다문화

사회의 시민들이 갖추어야 할 ‘다문화 시민성’ 함양을 위한 문화교육 방안을 연구하

다. 특히 스토리텔링 과정을 통해 다문화 시민들의 자기문화 이해를 위한 문화교육

방안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다문화교육의 참여자가 단지 국내

거주 이민자나 외국인들만이 아니라 한국 시민들 역시 다문화에 대한 존중과 개방적

태도를 가져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제기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2) 다문화 가정에서의 미디어 이용

다문화 가정과 미디어에 관련된 두 가지의 연구 경향들과 달리 최근에는 점차

다문화 가정 이민자들의 미디어 이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탐구하는

연구들(김지연, 2010; 심보선, 2006; 조성호․박희숙, 2009; 채 길, 2009)이

나타나고 있다. 심보선(2006)은 이주노동자들이 사회적 악조건 속에서 어떻게

정체성을 구축해 나가고 있는가에 초점을 두고, 정체성의 발현 공간으로서 미디어를

적극 활용하고 있는 이주노동자 방송을 연구하 다.

조성호와 박희숙(2009)은 다문화 이민자들의 텔레비전 이용과 효과를 조사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조사결과, 여성 결혼 이주자의 텔레비전

시청 동기는 한국어 교육과 문화적응, 한류 향, 외로움과 일상 달래기, 향수,

시간 보내기, 사회적 수단 등 6가지이며, 하루 평균 텔레비전 시청시간은 3시간

50분으로 우리나라 여성보다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한국어

Page 4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43

교육과 한국문화 적응이 가능한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시청동기에 따른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프로그램 선호도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

편성과 제작의 필요성을 제기하 다. 이러한 연구들은 기본적으로 미디어 연구에서

의 수용자 연구를 바탕으로 한 이용과 충족 접근으로 파악된다.

미디어 연구에서 수용자는 미디어에 잘 향을 받는 ‘수동적인 수용자’와 미디어

에 향을 받지 않고 스스로 선택을 하는 ‘능동적인 수용자’로 구분된다

(Bauer,1964; Biocca, 1988). 수동적인 수용자는 효과 연구, 능동적인 수용자는

수용자 연구를 중심으로 발전돼 왔다(이은미, 2002). 1920년대부터 1940년대

초까지 대표적인 효과이론인 탄환이론, 피하주사 모델 등 강효과 이론에서는 미디어

의 향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수동적인 수용자로 간주했다. 그러나 라자스펠드

등에 의해 미디어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수용자의 의도와 행동에

눈을 돌리고, 미디어에 대한 수용자의 향력을 연구하게 됐다(Bauer, 1964).

이용과 충족 이론은 수용자를 특별한 관심, 수요, 행동 양식을 갖고 있는 시스템으

로 이해하고 있고(Walker, 1999), ‘사람들이 미디어를 갖고 무엇을 하는가’를

연구하는 것이다(Jensen & Rosengren,1990). 이용과 충족 연구에서 능동적인

수동자는 핵심적인 개념이며, 이용과 충족 연구는 수용자가 특정 매스 미디어에

왜 접근하는지를 설명하는데 이용된다(Conway & Rubin,1991).

루빈은 이용과 충족 이론을 다음의 다섯 가지로 요약하 다(김정기,2000)

첫째, 미디어 소비 행위는 의도적이고 목표 지향적이다. 둘째, 미디어 내용 선택은

수용자가 주도한다. 셋째, 수용자의의 다양한 사회적․심리적 변인이 다양하게 미디

어 이용 과정에 개입한다. 넷째, 미디어 이용을 통한 욕구 충족은 인간의 다양한

욕구 충족 활동과 경쟁 관계에 있다. 다섯째, 미디어는 수용자 개인의 특성과

사회적 구조에 대해 향을 미치고 있다. 또 보도인과 토슨(Beaudoin & Thorson,

2004)은 이용과 충족 연구의 네 가지 중요한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 다. 첫째,

수용자는 능동적이며 목적 지향적이다. 둘째, 미디어 이용 동기는 미디어 노출과

흥미를 설명하는데 도움을 준다. 셋째, 수용자는 미디어에 대한 의도와 기대를

형성한다. 넷째, 수용자는 동기를 달성하기 위해 미디어를 선택한다고 규정했다.

따라서 이용과 충족 연구의 핵심은 수용자가 어떤 사회적, 심리적 요인으로

인해 여러 변수 가운데 미디어를 선택하는지를 연구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Page 4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44

로젠그렌(Rosengren)은 매스로우(Maslow)가 1954년 규정한 사람의 5가지 욕구

(생리, 안전, 소유 및 사랑, 명예, 자기실현) 가운데 이용과 충족 연구자들이

관심을 갖는 것은 소유 및 사랑, 명예, 자기실현 욕구라고 규정했다. 이들 세

가지 욕구는 내재적이면서 동시에 사회의 향을 받기 때문에 내성적인 개인과

사회변수의 향관계를 연구하는 것이 매우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김정기(2000)

는 텔레비전의 이용과 충족 연구 과정을 4단계로 정리했다. 첫째, 미디어 이용,

특히 텔레비전 시청 동기 조사, 둘째, 수용자 시청 동기와 특정 프로그램 유형

간의 상관관계, 셋째, 수용자들의 미디어 이용 동기와 미디어 프로그램 소비에

따른 만족과 효과와의 상관관계 조사, 넷째, 미디어 메시지에 대한 수용자의 정보

처리 활동에 대한 개념화와 그 역할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수용자들이 같은 미디어를 이용하더라도 수용자의 여러 조건에 따라

효과는 달라진다. 신문 수용자의 경우에 같은 신문을 보더라도 각기 다른 메시지를

선택해서 읽는데 이것은 능동성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Levy & Windahl,

1984). 능동성은 미디어 이용 동기와 효과 사이에서 작용하는 촉매 중개 변인으로서

효과에 향을 미친다. 그러나 수용자들은 모두 동일한 수준으로 능동적이지 않고

동기와 태도는 텔레비전 시청과 관련된 행동에서 변수들을 설명한다(Rubin &

Perse, 1987). 즉 똑같은 미디어에 노출돼 있어도 능동성의 차이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다. 능동적인 수용자의 다양한 활동이 효과에 향을 미치는

중개변인으로 기능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은 이용과 충족 연구가 미디어 효과

설명에 매우 미흡하다는 비판을 극복할 수 있는 길을 제시했다(김정기, 2002)

수용자의 능동성은 미디어 효과를 촉진시키거나 억제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촉진적인 능동성은 선택성, 관심, 관여를 포함하지만 억제적인 행동은 회피, 일탈,

회의를 포함한다(Kim & Rubin, 1997). 이브랜드(Eveland, 2001)는 인지 매개

모델을 통해 수용자의 능동성이 효과에 향에 미치는 과정을 명확히 했다. 인지

매개 모델에 따르면 충족→관심→정교화→지식의 과정을 거친다. 정교화는 새로운

정보를 기존 정보와 연결시키는 과정이며, 새로운 지식 습득을 촉진시킨다. 또

트파티와 카펠라(Tsfati & Cappella, 2003)는 신뢰를 다양한 인간 행동을 이해하는

열쇠로 규정하면서 미디어에 대한 회의는 전국 방송 및 신문과 같은 주류 언론과는

부정적인 관계에 있는 반면 정치 토크 라디오나 인터넷 등 비주류 언론과는 긍정적인

Page 4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45

관계에 있다고 규정했다. 김유정(2002)은 이동 전화 문자 메시지를 대상으로

미디어 선택과 이용에 따른 이용자의 미디어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결과, 미디어를

선택하고 이용하는 것은 미디어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

개인적 성격이 미디어 이용 동기에 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개인의

성격이 미디어 이용 욕구와 동기에 향을 미치고, 이런 차이가 행위의 차이로

드러난다는 것이다(김병선, 2004). 핀(Finn, 1997)은 수용자의 성격을 신경질적,

외향적, 경험에 개방적, 이타적, 양심적 등 5가지(NEO-PI)로 분류하고, 성격에

따라 텔레비전, 라디오, 인쇄물, 화 가운데 선택하는 미디어가 다르다고 밝혔다.

나비(Nabi, 2003)는 두려움과 분노가 정보 접근, 정보 추구, 정책 선호에 차별적인

향을 준다고 밝혔다.

카나리와 스피츠버그(Canary & Spitzberg, 1993)는 고독과 미디어 이용 간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 습관적으로 고독한 사람은 고독하지 않거나 상황적으로 고독한

사람에 비해 미디어로부터 충족을 덜 얻고, 상황적으로 고독한 사람은 능동적으로

미디어를 활용한다고 주장했다. 최근의 연구들은 성격 요인과 사회구조가 수용자의

미디어 이용 수요에 향을 미치고, 그 수요는 개인이 매스 미디어 이용에서 요구하는

충족에 향을 미친다고 강조하고 있다(Greeene & Krcmar, 2005). 유세경(1998)

은 미디어, 사회, 개인 간의 관계가 점점 복잡해지고 상호 향을 미치는 현대사회에

서는 개인의 미디어 소비와 선택 행위를 개인의 자율적인 선택으로 보기보다는

미디어, 사회, 개인과의 관계의 산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이용과 충족 연구는 사회 심리학 분야의 ‘기대 가치 접근’ 이론 등과 접맥하고

있다(Jensen& Rosengren, 1990). 레이번과 팜그린(Rayburn & Palmgreen,

1984)은 이용과 충족 연구에서 핵심 개념은 ‘기대’라고 규정했다. 수용자가 여러

미디어와 미디어 이외의 것들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선 그 선택이 그들의

욕구를 만족시켜줄 것이란 신념을 갖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개라몬(Garramone,

1984)은 사람은 자신이 판단하고 결정하기를 기대해서 특별히 선택한 정보에 대해

관심을 갖고 각인한다고 밝혔다.

콘웨이와 루빈(Conway & Rubin, 1991)도 수용자는 필요를 충족시킬 것이란

기대에서 미디어와 내용을 선택하기 때문에 이용과 충족 이론은 수용자가 미디어,

미디어 메시지, 기능적인 대체물에 대한 기대를 어떻게 생산하는지를 고려한다고

Page 4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46

밝혔다. 바브로(Babrow, 1989)는 기대 가치 이론에 근거해서 행동은 수용자의

‘기대 X 평가’로 결정되며, 사회적 심리적인 힘에 대해 보여준다고 밝혔다. 최양호

(1998)는 기대가치론의 경우 사람의 행위는 그의 행위 결과에 대해 그가 지각하고

있는 가능성과 값어치에 의해 좌우된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기대는 이용과

충족의 세 가지 이론적 접근(기능주의, 구조/문화주의, 행위/동기적 접근)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이라고 주장했다. 최양호(2000)는 또 충족 개념이 TV뉴스 시청행

위를 설명하는데 그리 중요하지 않을 수 있지만 기대가치론적 충족모형은 일반적

미디어 이용을 설명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주장했다. 최환진(2004)

은 이용과 충족의 기대가치 이론에 근거해 인터넷 뉴스의 정보 처리 과정을 연구한

결과 인터넷 뉴스에 대한 상호 작용은 어포던스(affordances) 지각의 향을 받는다

고 밝혔다.

루빈과 퍼스(Rubin & Perse, 1987)는 미디어 이용 동기를 관습적 이용과

도구적 이용으로 구분했다. 도구적 이용은 의도적이며 선택적이고, 수용자가 특정

내용에 대해 의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의도성은 ‘기대 가치 모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도구적 미디어 이용 동기와 습관적 미디어 이용 동기는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차원에서 차별적인 효과를 가져온다(김정기, 2002; Rubin,1986;

Conway &Rubin, 1991). 이는 텔레비전 시청보다는 태도와 충족 추구의 결과로서

의 예상되는 행동 측정에 더 분석의 초점을 맞춘다면 기대-가치 연구의 분석적인

힘은 커질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이용과 충족 접근에서는 개인을 특별한 관심, 수요, 행동 양식을 갖고 있는

시스템으로 이해하고 있다(Walker, 1999). 그동안 미디어 관련 연구에서 수용자

중심의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외국인 수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조성호․박희숙, 2009). 이는 국내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

션 연구가 다른 커뮤니케이션 연구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과 주의를 끌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 정보원인 미디어 관련 연구도 미미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결혼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이용 행태 등에 관한 연구는

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조성호와 박희숙(2009)의 연구에서는 텔레비전은 이민자의 새로운 문화적응과

자아정체성 유지 및 강화에 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응은 현지 텔레비전

Page 4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47

을 통해 이루어지고, 자아 정체성과 관련된 이용은 주로 자국 텔레비전 이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민자들은 이민 기간에 따라 단계별로

미디어 이용이 달라지며, 특히 텔레비전은 여성결혼 이민자들이 가장 접하기 쉬운

매체이므로 문화 활동의 중요 요소가 될 수 있고, 여성 결혼 이민자들은 텔레비전을

통해 한국 사회를 간접적으로 경험하고 한국 문화에 좀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김경희, 2009). 그러나 이러한 여성 결혼 이민자들의 텔레비전 이용에

초점을 맞춘 연구 외에는 결혼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이용 관련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는 현재 상황에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이용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또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와 관련해서 주목을 받는 미디어는 에스닉

미디어다. 에스닉 미디어는 외국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모국어 등으로 진행하는

전문 미디어다. 이용과 충족 이론에 따르면 외국 이민자들은 새로 정착한 곳의

현지 미디어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에스닉 미디어를 더 이용하려는 동기가 강하게

된다. 이민자들은 언어적인 한계로 인해서 초기에는 에스닉 미디어에 많이 의존하게

된다. 또 소수인종 사회에 대해 이해하고 모국에 대한 정보를 얻으려는 욕구로

인해서 에스닉 미디어를 더 이용하게 된다. 에스닉 미디어는 문화변용을 하라는

외부 압력에 대항하는 방패로서의 역할도 한다. 외국인 이민자들은 모국에서 익숙했

다는 이유로 특정 미디어에 더 의존할 수도 있다(Lee & Tse, 1994).

그러나 체류 기간이 늘어나고 현지 언어에 익숙해지면서 에스닉 미디어 의존도는

낮아진다. 캐나다로 이주한 홍콩인들의 경우 7년 이상 거주를 하면 미디어 이용

시간의 41%를 에스닉 미디어에 할애하고, 나머지는 현지 미디어를 이용한다.

에스닉 미디어에서는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즐기고, 현지 미디어에서는 뉴스와

지역 행사에 대한 정보를 구한다. 정보를 구하려는 사람들은 에스닉 미디어와

현지 미디어를 모두 사용하고 더 좋은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미국에서

의 미래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에스닉 미디어만 사용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에스닉 미디어는 현지 미디어와 함께 사용될

때 적응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미국 미디어를 이용하는 헝가리

이민자는 더욱 빠르게 미국 문화에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Weinstock, 1964).

Page 48: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48

3. 다문화 가정과 미디어 교육

1) 미디어 교육과 NIE

미디어 활용은 그 사회의 언어와 문화를 습득하는데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미디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미디어 교육과 미디어 활용에 대한 교육이 매우 중요하

다. 이태종(2006)은 ‘미디어 교육은 바로보기와 접촉습관 개선, 모니터 교육,

제작 활동 등을 통해 미디어 그 자체를 가르치는 것이고, 미디어 활용 교육은

미디어가 담고 있는 정보를 가르치는 것’이라고 논의하 다.

미디어 교수법에 대한 연구는 1960년대에서 1970년대로 넘어오면서 점차 신문,

방송, 잡지 등의 미디어가 공공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서 뿐만 아니라 교수학습의

도구, 즉 교육적 미디어의 역할도 크다는 것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부터 시작되었

다. 미디어에 대한 미디어 교육 교사들의 평가는 사회감시와 정보 통합 기능보다는

오락 기능, 문화 교육 기능을 높게 평가했다. 미디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교사

8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미디어 교육을 실행해야 하는 주요 이유로

환경에 대한 대처 능력, 미디어 소비자로서의 올바른 자세, 비판적인 인식 능력

향상 등의 3가지를 들고 있다(문혜성 외, 2006, 98쪽).

여러 미디어 중에서 신문은 정부를 비롯해 사회의 주요 조직과 환경을 감시하고,

국내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과 향력있는 인물들의

동정을 알림으로써 환경 감시 기능과 정보 제공기능을 수행한다(설진아, 2007).

환경 감시 기능은 사회 제반 분야의 뉴스 취재를 통해서 주변에서 일어나는 사건이나

상황을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보도함으로써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환경을 조정하

며 감시하는 기능이다. 신문은 새로운 문화를 소화하고, 전통 문화를 포함한 사회적

유산을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달하는 역할도 한다. 오락 기능 역시 대중문화

및 문화산업과 연관되어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으로서 소설, 연예, 레저, 스포츠

등의 기사들로 독자에게 즐거움을 제공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신문활용교육(NIE)은 미디어 활용 교육의 대표적인 유형이다. NIE는 신문

활용 교육을 의미하며, ‘신문을 교재 또는 보조 교재로 활용해 지적 성장을 도모하며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교육’을 뜻한다. NIE의 목적은 신문에 실린 정보를 활용해

Page 49: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49

교육효과를 높임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건강한 사고능력과 교양을 갖추 민주시민을

양성하는데 있다.

NIE는 1930년대 미국의 일간지인 뉴욕 타임스가 신문을 교실에 배포하면서

시작된 이후, 1958년 미국신문발행인협회(ANPA)가 NIE의 전신인

NIC(newspaper in the classroom)를 주도하면서 본격적으로 확산되었다. 세계신

문협회(WAN)에 따르면, 2002년 말 이후 세계적으로 52개국에서 NIE를 도입했다.

우리나라에서는 NIE가 1985년 도입되어 처음에는 답보상태에 있다가 1995년

중앙일보가 본격적으로 NIE를 전개하면서 급속한 발전을 거듭하 다. 2004년

한국신문협회에서 NIE 한국위원회를 조직하면서 본격적인 보급운동이 전개되었

고, 한국신문협회 회원사 48개사 중에서 25개사가 NIE를 실천하고 있을 정도로

보편화되었다(정문성, 2008; 김경희․엄한진․윤태일, 2009에서 재인용).

NIE 교육의 필요성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4) 첫째, 양질의 뉴스

콘텐츠를 활용한 국민의 지식경쟁력 제고이다. 신문은 양질의 정보, 공공에 필요한

지식을 제공하는 종합미디어이며, 신문을 활용한 교육은 체계화 되고 국민의 지식경

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미디어 교육으로서의 NIE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기 때문이다. 다매체 다채널의 미디어 환경에서도 신문은 여전히

다양한 여론형성과 심도있는 사회적 논의를 가능하게 하는 기본 인프라이다. 신문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 정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등 신문에 대한 교육을 통해 사회적으

로 책임감있는 시민을 양성할 수 있다.

셋째, 미래의 독자 확보를 통한 신문 산업 위기의 극복 측면이다. 전 세계적으로

젊은 층의 신문 이탈 현상이 심화됨에 따라 읽기문화 진흥 차원에서 NIE의 가치에

대한 인식제고와 관련이 있다. 일본과 핀란드는 각각 2005년 활자문화진흥법과

2007년 미디어 교육 활성화 정책에 따라 NIE의 가치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읽기문화 진흥을 통한 문화 역량 강화이다. 신문읽기를 통해

창의적 사고와 표현 능력을 함양 시키고 문화 역량도 강화할 수 있다. 또 신문읽기는

타인과 사회에 대한 관심을 확대시킴으로써 사회적 나눔의 문화기반을 배양하고

성숙한 공동체 의식을 제고할 수 있다.

4) 문화체육관광부의 신문활용교육(NIE) 기본계획.

Page 50: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50

최근에는 NIE의 다양한 교육적 효과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응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있다(김경희․엄한진․윤태일, 2009). 즉 한국 사회의 구성원들

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사회문화적 적응 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이 거의 실시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NIE가 보완해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NIE가 언어능력 수준에

맞는 한국어 교육은 물론이고 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을 전달해주고 다양한

문화적 정보와 지식을 알려주며, 지역 정체성을 가지게 함으로써 사회문화적 적응

능력을 키우는데 기여하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NIE는 ‘사회구성원의 시민의식

함양과 사회적응능력 향상을 위해 신문을 활용하여 실시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으

로 정의할 수 있다(김경희․엄한진․윤태일, 2009).

그러나 한국에 이주해 온 결혼이주여성이 신문을 읽는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NIE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이 제기될 수 있다. 하지만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NIE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글을 잘 읽지 못하는 어린 아이와 장애가 있는

학생들에게도 NIE가 교육적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는 연구들(권순우․김병하․김남진,

2003; 이은희, 2003)에서 NIE의 교육적 효과가 검증되었기 때문이다. 즉 NIE는

결혼이주여성이 한국 사회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또 NIE는 공동체에 대한 관심과 적응능력을 제고시켜주고, 결혼이주여성이 공동체

의 일원으로서 주민들과 지역의 관심사를 나누며 지역문제를 해결하는데 동참할

수 있는 사회적 문화적응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도 다문화 가정의 결혼 이민자들의 NIE 활용방안을

미디어 교육적 차원에서 고찰하고자 하 다.

2) NIE의 현황과 성과

NIE는 1990년대 학교 현장에 처음 도입된 이후, 초·중·고 교사의 45.2%가

학교 수업 및 활동에 NIE를 활용한 경험이 있을 정도로 널리 활용되었다. NIE는

교과수업, 재량활동, 특별활동, 방과 후 활동 등 다양한 시간에 활용되었으며,

NIE 수업에는 신문기사, 사설칼럼, 이미지를 활용하고 있으며, 신문기사 출처

는 종이신문, 인터넷 포털, 신문사 홈페이지 순이었다.5)

Page 5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51

구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계

NIE 교육 활용 경험 64.1 35.8 33.8 45.2

<표6> NIE 교육 활용 경험

(단위: %)

또 지방자치단체 주관 사회교육 프로그램으로 NIE 활동이 증가하고 있으며,

시민단체 주도의 NIE 프로그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실제로 2010년

전국 260개 지자체 중 64개 지자체가 NIE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다. 신문사들도

1995년 NIE 도입 이후, 주요 전국지와 지역지로 확대되어 정기적인 NIE 지면을

운용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신문사 견학, 일일교사 프로그램, 학교 신문 구독

지원등 다양한 NIE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NIE 교육의 그 동안의 성과를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학교 대상 NIE 프로그램 지원은 전국 초·중·고 및 청소년 수련관

대상 NIE 전문가 강사 지원과 NIE 활용 교사들을 대상으로 NIE 교육, NIE 교재

개발 등이 있다. 둘째는 NIE 인프라 구축이다. 지난 2003년부터 2010년 까지

미디어 강사 양성 과정을 운 했으며, 광역단위 NIE 산학협력 포럼 및 온라인

포털 구축, 그리고 NIE 홍보 및 확산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운 등이다. 구체적인

프로그램은 ‘NIE 미디어 교육 교사 전국대회’, ‘신문제작체험 상설 교육’, ‘해외

NIE 미디어 교육현장 탐방 교육’, ‘교사 대상 NIE 수업 우수사례’, ‘학교 신문

및 교지, 청소년 신문 스크랩북 공모전’ 등을 개최하여 NIE 교육의 인프라를

구축하려는 시도들이 진행되었다. 이와는 별도로 학교 대상 NIE 신문 구독 지원

및 소외계층 구독료 지원도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지원에도 불구하고 NIE 교육은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신문의 유용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 저하이다. 이는 신문의 구독률, 열독률,

매체 신뢰도가 지속적으로 하락했기 때문이다. 2010년의 신문 정기구독률은

29.0%로 2008년의 36.8%보다 급격히 하락했음을 알 수 있다. 또 NIE에

5) 한국언론진흥재단(2010). 『학교 NIE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연구』.

Page 5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52

대한 신문사 참여 저조와 낮은 정책적 우선순위도 문제점으로 들 수 있다.

신문사의 10%만이 자체 NIE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으며, 전담인력은 거의

없는 상태이고 언론사의 NIE 사업에 대한 투자 자체가 미흡한 실정이다.

둘째는 체계화된 NIE 교육프로그램 및 교육 자원의 부족이다. 학교 현장에서

NIE는 교과보조, 논술 교육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신문’ 자체에 대한

교육은 활성화 되지 않은 상황이다. 2009년 교육과정 개편으로 정규 교과

시간의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NIE를 교육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으나,

전문적인 교과과정 및 교과서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그리고 그동안 NIE는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에 대해 집중적으로 교육한 반면, 사회 계층별, 주제별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미흡했다. 이에 소외계층의 정보 접근성 제고를 위한

구독료 지원 사업을 추진하 으나, 신문 상의 정보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NIE 교육과 연계되지 못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대상인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단계로 미디어 교육, 그 중에서도

NIE의 활용에 초점에 맞추어 그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4. 다문화 가정에 대한 정책적 지원 및 미디어 정책

1) 다문화 가정에 대한 정책적 지원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는 이주근로자, 외국인유학생, 난민, 북한이탈주민

등의 이주민과는 달리 한국인과의 결혼을 통해 한국에서 장기 거주한다. 그리고

속지주의 방식으로 국적을 부여하는 한국에서 유일하게 자동으로 국적을 취득할

수 있는 ‘한국국적의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대상이 된다.

이에 따라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가 국민의 자격을 갖추고 빠른 시일 내에 한국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다문화 가정의 적응을

도우려는 우리 사회의 국가적 대응은 한국의 단일민족주의 혹은 순혈주의에 대한

뿌리 깊은 우월감에서 기인하는 타자에 대한 ‘다름’을 ‘틀림’으로 인식하고, 이민

Page 5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53

정책에 있어서 차별 배재주의를 견지해 왔다는 점에서 볼 때는 매우 이례적인

일이라 볼 수 있다.

다문화 사회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개입으로 평가되는 다문화

정책은 크게 동화주의, 다문화주의, 차별 및 배제 모형으로 구분된다(원숙연․박진

경, 2009; 이창호․정의철, 2010). 동화주의는 이민자들의 고유한 문화나 정체성은

인정하지 않은 채 주류사회로의 동화나 편입만을 강조한다. 다문화주의는 이민자들

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문화나 정체성을 인정하는 등 다양한 집단의 문화나 가치체계

를 존중한다. 차별 및 배제모형은 외국인을 특정 노동시장에만 받아들이고 시민권이

나 선거권 부여 등 다른 차원에서는 수용하지 않는 정책을 의미한다. 우리 사회의

경우 형식적으로 다문화주의를 표방하고 있지만 현실은 동화주의 성향이 제도와

정책에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이창호․정의철, 2010).

국내에서 다문화 관련 법과 제도가 제정된 것은 2006년부터이다. 2006년 4월

여성결혼이민자가족 및 혼혈인․이주자 사회통합지원방안이 마련되면서 여성결혼이

민자에 대한 기초생활보장 및 보건서비스 지원이 이루어졌고, 이후 「재한외국인처

우기본법」, 「다문화가족지원법」이 통과되면서 다문화가족지원을 위한 법적 기반이

마련되기 시작하 다. 구체적으로 다문화 정책을 살펴보면, 일반 시민의 다문화

의식 함양보다는 다문화 가정에 대한 지원 위주로 정책이 실행되고 있다. 현재

다문화가족 관련 정책은 법무부, 여성가족부, 교육과학기술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여러 부처가 담당하고 있다. 법무부는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 시행으로 외국인

정책을 총괄하고 있으며, 여성가족부는 「다문화가족지원법」에 따라 전국에 200개

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설치해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와 자녀의 언어발달

지원과 한국어교육 실시 등의 사업을 펼치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는 2008년 중점사업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이중언어교육을

장려하는 사업을 진행하기도 하 다. 법무부는 기본적으로 이민규제정책 관점에서

다문화 관점을 바라보고 있다. 즉 다문화는 외국인 유입과 관련되어 있고 외국인

유입은 비자정책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법무부는 이민규제정책 차원에서 다문화

문제를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외국인 정책 내에 다문화 정책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법무부가 추진하고 있는 사업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외국인정책

5개년 계획’이다. 법무부은 각 부처를 총괄해서 5개년 계획을 세워 지난 2008년부터

Page 5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54

외국인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여성가족부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주여성긴급지원센터사업, 이주여성가정

폭력피해자보호시설, 국제결혼정보제공프로그램 등을 운 하고 있다. 교육과학기

술부는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재개발이나 멘토링 지원, 교사연수지원

등을 실시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민자와 일반 국민 사이의 상호 이해와

교류를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에 초점을 두고 있다. 또 한국어교육과 관련된 교재개발

등 콘텐츠 중심의 정책을 전개하고 있다.

제정 연도 법 제도 주요 내용

2006년 4월여성결혼이민자가족 및 혼혈인․이주자 사회통합지원방안

-여성 결혼 이민자에 대한 기초생활보장 및 보건서비스 지원-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국민들의 다문화 감수성을 함양하기 위한 사회적 인식 개선 사업 추진

2007년 1월 고용허가제 전면 시행

-기업이 적정 규모의 외국인 근로자를 합법적으로 고용할 수 있도록 허용-외국인 노동자의 인권 보호-기업이 필요로 하는 외국인력을 적기에 공급

2007년 5월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재한외국인의 인권 옹호 및 처우 개선-외국인정책에 관한 기본 계획 수립-외국인종합안내센터 설치 및 운영

2008년 3월 다문화가족지원법-다문화가족에 관한 실태 조사-다문화가족에 대한 이해 증진-다문화가족지원센터 지정

<표7> 다문화 관련 법 제도

* 출처 : 이창호․정의철(2010), 다문화사회 대중매체의 사회통합적 역할 탐구.

다문화 가정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정부정책 및 민간지원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다문화 사회가 진행되고 있던 선진국에서 최근 다문화사회 실패를 연이어

발표하는 것과 대비된다. 한국에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국내 거주 다문화

Page 5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55

부처 정책의 내용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지원정책 총괄-아동양육지원-한국생활정보제공 및 상담-취업역량 강화-한국인 배우자 교육

-취업연계-한국어 교육 및 임신출산지원-다문화사회 통합 선도자 육성-종합정보제공 및 통·번역서비스-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지원-위기개입, 가족통합 교육

교육과학기술부

-EBS 한국어 교육방송 프로그램 제작-한국어, 한국문화교육과정 개설-지역인적자원 개발사업-현행 교과서 민족주의 요소 발굴 삭제검토-지자체 지원 우수사례 발굴-다문화, 다인종 교육요소가 반영된 교육과정 개발-다문화 가정 방과후 프로그램

-대학생 멘토링-홈페이지 구축, 교육자료 제공-불법체류 자녀 교육권 보장-다문화 가정 자녀 상담교사 지정-교육부·시도교육청·각급학교·지자체·민간단체 등 협력제제 구축-유아를 위한 다문화 이해 자료개발 보급-교원연수

법무부

-외국인 출·입국 심사 및 입국 허가 -외국인 근로자 인권보호-외국인 및 재외동포 체류 지원-외국인 종합안내센터 및 hikorea.go.kr 운영

-외국인 산업연수 지원 -사회통합프로그램 실시 및 이수제 시행계획-외국인 사회통합정책과 국적취득요건 연계시행-이민자네트워크구축사업

문화체육관광부

-문화교육 지원 프로그램 개발, 실시-문화센터운영-농촌지역 가정방문 한국어 교육실시-이주 노동자 대상 문화프로그램 지원

-아시아 열린 문화축제 사업-한국어 교재개발 및 요리, 육아관련 생활정보제공,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가이드제제작-한국사회 적응을 위한 문화체험 프로그램 운영

<표8> 중앙부처의 다문화 정책 내용

가정의 생활 정착을 지원하기 위하여 초기에는 비정부기구 및 민간기관이 활동하기

시작한 이후 2008년 「다문화가족지원법」이 제정되면서 정부차원의 관련 정책들이

마련되고 다문화가족지원을 위한 전달체계로서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전국적으로

설치·운 되고 있다. 2009년에는 다문화가족지원개선 종합대책이 마련되었으며

(국무총리실, 2009), 2010년에는 결혼 이민자를 한국인 배우자의 주민등록등본에

기재하여야 하는 방침을 발표하는 등(행정안전부, 2008) 정부 차원의 적극적

지원 방안이 마련되고 있다.

Page 5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56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문화체육활동 시설지원

행정안전부

-지자체 담당공무원 전문성 함양 -결혼여성이민자 지도자 양성 교육-지자체 외국인업무 담당공무원 연찬회 개최-지자체 홈페이지 다국어 지원-외국인주민 현황조사

-주민자치센터를 이용한 한국어교육 운영강화-결혼여성이민자 친정부모 초청격려 -외국인주민 집중 거주지역 종합지원체계 구축 및 생활안정 지원

고용노동부

-외국인 상담 및 취업 알선 사업-고용허가제 운영, 불법고용 대책 지원-외국인 근로자 고용관리 및 권익 보호-고용안전센터 운영

-외국 인력 도입 및 송출국가 선정-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취업지원 프로그램-외국인 차별 금지 및 제한적 취업 허용정책 -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 운영

농림수산식품부

-양육지도사 및 한국어 교사 파견 -출산농가도우미, 농업인 영유아 양육비 지원-교육도우미를 통한 방문과 소그룹 형식의 교육 및 상담실시

-산하기관을 통한 영농교육, 생활예절 및 문화교육, 요리강습, 결연사업 추진-가족 통합 지원사업

보건복지부

-다문화사회 이행을 위한 기반 구축-영유아 보육·교육 강화-국제결혼 탈법 방지 및 결혼당사자 인권보호-부모·자녀 건강관리-결혼이민에정자 사전정보 제공-아동 언어·학습· 정서 발달 지원-한국인 예비배우자 사전교육 -아동·청소년 역량개발 지원-결혼이민자 의사소통 지원-빈곤·위기 아동·청소년 지원

-다양한 생활정보 제공 -부모의 자녀 교육 역량강화-다문화가족 생활보장-결혼이민자 경제적 자립 역량 강화-가족관계 증진 및 가족위기 예방-결혼이민자 사회연계 강화-임신·출산 지원-한부모가족 지원-부모의 자녀양육 능력 배양-요보호 아동 지원

그러나 정부의 빠른 대응과 대처에도 불구하고 관 주도적인 다문화 정책의

실시, 동화주의적 입장에서의 결혼 이민자에 대한 강요식 프로그램의 운용, 다문화

가정 관련 통합 정책 담당부처의 부재, 일관되지 못한 정책의 수립, 공급자 중심의

사업수행 행태 만연화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된 바 있다(모선희, 2008; 홍기원,

2009; 김양희․안진경, 2010; 조희원, 2010). 이러한 지적을 수렴하기 위해 국무총

리실 산하 ‘다문화가족정책위원회’가 2009년 발족되었으나, 이 위원회가 운 내용

에 대한 컨트롤타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지에 대한 자료를 찾기는 어렵다(아

시아투데이, 2011.2.8).

Page 5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57

다문화 가정에 대한 정부지원정책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있는 국내의 활발

한 움직임과는 대조적으로, 다원주의(Salad Bowl)6)에 입각한 다문화 사회를 표명

하고 있던 선진 국가에서는 소수민족의 억압에 대한 분출행위와 국가원수를 통한

다문화주의에 대한 반성 및 회의가 국제적으로 보도되는 등의 퇴행현상이 나타난

바 있다. 2010년 국 총리는 젊은 무슬림들의 극단주의에 대해 국의 ‘소극적인

관용’을 반성하면서 ‘근육질의 자유주의’를 강조하 으며, 2010년 10월 독일

총리는 ‘독일의 다문화사회 건설은 실패했다’는 연설을 발표하 고, 2011년 프랑스

대통령은 ‘이민자의 정체성에 사로잡혀 프랑스의 정체성에 소홀하 다’라는 연설을

통해 다문화정책의 확실한 본인의 이념을 밝힌 바 있다(연합뉴스. 2011.2.7).

이러한 정황을 미루어 볼 때, 한국 사회에서의 다민족의 적응에 대한 바람직한

대응책 마련은 매우 시급하고 중대한 사안이라 할 수 있다.

체계적인 다문화 사회에 대한 준비를 통해 얻게 되는 문화적 다양성은 글로벌

상호문화지향의 수준을 높일 수 있으며, 국가경쟁력을 강화시키는데 큰 향을

미치게 되는 생산적인 다문화 사회를 열게 될 것이다. 이러한 생산적인 다문화

사회를 마련하는데 중요한 정책대상이 바로 다문화 가정이다. 이들이 한국 사회에

살아가면서 순적응하는 것은 결국 생산적인 다문화 사회를 구현하는 것과 높은

관련성이 있기 때문이다.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 가정에 대한 정책은 다문화 사회의 구성원이 한국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정책적 배려와 지원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즉

다문화 사회 구성원이 한국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정책적 배려와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부의 다문화 정책은 다문화주의보다는 동화주의에

근거를 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적 대응으로는 다문화 사회와 급속도로

증가하는 다문화 가정을 지원하기에는 매우 미약하다.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에서

추진되는 기존의 사업들은 주로 다문화 가정의 자녀 혹은 어머니만을 대상으로

하며, 제공되는 교육내용 또한 주로 한국어 교육 및 한국 문화와 같은 특정 1~2개

6) 다문화주의는 다양성이 공존하고, 다양성의 공존이 시너지를 발휘한다는 의미에서 ‘샐러드 볼 주의’

· ‘모자이크 사회이론’ 등으로 불리고 있다. 그러나 ‘모자이크 사회이론’은 인접한 소수집단의 단위문화로

박혀있다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는 점에서 ‘샐러드 볼’ 주의가 상용화되고 있다. 이와는 달리 동화주의는

모든 문화를 주류사회에 녹인다는 의미에서 ‘용광로 주의(Melting pot)’라는 상징적 용어로 일컬어지고

있다.

Page 58: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58

프로그램에 편중되어 있어, 한국 사회 적응을 위해 일차적으로 요구되는 한국의

법 제도에 관한 지식이나 직업 교육, 정보화 교육 등 실질적 차원의 교육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형편이다(김태완. 2010).

또 최근 결혼 이주여성이나 이주노동자의 사회통합 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의

다문화 감수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정부와 민간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부각되고 있다. 즉 내국인 대상의 다문화 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야 이민자들에

대한 선입견이나 배타성, 관심 및 지식 결여 등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설

동훈, 2009).

2) 다문화 가정에 대한 미디어 정책

(1) 중앙부처

① 방송통신위원회

다문화 가정에 대한 미디어 정책은 방송통신위원회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이창호․정의철, 2010).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 매체를 통한 홍보 활동이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국내 정착과 사회 통합을 지원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

라고 보고 있다. 그래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국내 정착을 지원하고,

그들에게 국내 문화를 소개하고, 친화적인 이주여건 조성하기 위해서 크게 네

가지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첫 번째는 EBS의 다문화사회의 공존을 위한 프로그램

제작 지원, 두 번째는 공 , 공익 프로그램 지원이란 차원에서 지상파나 케이블TV의

다문화 관련 채널의 프로그램 지원, 세 번째는 IPTV나 케이블TV의 VOD 드라마

다시보기 서비스에서 다국어 지원, 네 번째는 방송통신 융합 환경에서 단말기

지원이나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대상 서비스 개발 등이다.

EBS 사업은 다문화 가정을 우리사회에 친화적으로 만드는데 목적이 있고,

공익 프로그램 제작지원은 한국인들에게 다문화를 소개해서 다문화에 대한 편견을

없애려는 교육적인 목적이 있다. 한국어 교육에 대한 콘텐츠들은 어린이를 목적으로

하고 있지만, 결혼 이민자들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콘텐츠들은 DVD로

판매되거나 방송에 편성되기도 한다. 드라마 다시보기의 다국어 지원 서비스는

Page 59: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59

우리 문화를 결혼 이민자에게 알리려는 교육적인 효과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나아가 결혼 이민자들을 통해서 한국의 문화를 결혼 이민자들의 고국에 소개하려는

문화 전파의 목적도 갖고 있다. 방송통신융합서비스는 국내의 정보통신 기반 방송통

신 환경을 통해서 다문화 결혼 이민자의 어려움을 풀어주고, 인적 교류를 만들어주려

는 목적이 있다.

이외에도 시청자권익증진과에서 미디어교육활동지원사업과 다문화 가정을 위한

미디어교육교재개발 사업을 펼치고 있다. 공모사업을 통해 외부단체가 다문화

가정에 대한 미디어 교육 사업을 신청해오면 심사를 통해 적합성 여부를 판단해

지원한다. 교재개발은 다문화 가정을 대상으로 이들이 한국의 미디어의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가. EBS의 다문화 관련 프로그램 제작비 지원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통신 발전 기금에서 교육방송이라는 특수 목적에 한해서

EBS의 프로그램 제작을 지원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는 “EBS에 대한

지원은 원래 KBS가 공 방송의 차원에서 직접 시행해야 하는데 KBS의 수신료

배분이 넉넉하지 않으니까 방통위가 지원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방송통신위원회의 EBS 프로그램 제작 지원은 유아 및 어린이 프로그램, 청소년

프로그램, 평생 교육 프로그램, 다문화 가정용 프로그램 등 크게 네 분야에서

이뤄지고 있다. 2009년부터 시작됐으며 2011년의 경우 방송통신위원회의 EBS

프로그램 제작비 지원 규모 191억원 가운데 유아 및 어린이 프로그램 지원은 약

63억원, 청소년 프로그램 지원은 약 63억원, 평생 교육 프로그램 지원은 약 41억원,

다문화가족 프로그램 지원은 약 24억원이었다. 다문화 가정 프로그램 지원 규모는

전체의 12.6%로서 가장 비중이 적었다.

다문화 가정 프로그램 제작 지원은 2009년부터 처음 시작됐다. 지원 규모는

2009년에 6억원, 2010년에 20억원, 2011년에 24억원으로 매년 증가했으며, 2012

년에는 24억원을 지원하는 방향을 예산을 편성했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의

EBS의 다문화 가정 프로그램 제작 지원 현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09년 ‘얼쑤! 한국어 쇼(3억 6,315만원)’, ‘한국어 쇼(2억 4,485만원)’,

2010년 ‘스크린 한국어(1억 3,040만원)’, ‘마주보며 웃어(13억 122만원)’, ‘초음

Page 60: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60

이의 풀잎학교(1억 2,790만원)’, ‘리얼리티쇼-유아독존(3억 3,563만원)’, ‘한

국어 쇼(1억 482만원)’, 2011년 ‘어린이 다문화 드라마(11억)’, ‘나눔 0700(4억

4,200만원)’, ‘유아독존(4억1,900만원)’, ‘한글기차 치포(1억 6,000만원)’,

‘세계의 아이들(2억 6,500만원)’ 등이다.

연도 프로그램

2009 얼쑤! 한국어 쇼(3억 6,315만원), 한국어 쇼(2억 4,485만원)

2010 스크린 한국어(1억 3,040만원), 마주보며 웃어(13억 122만원), 초음이의 풀잎학교(1억 2,790만원), 리얼리티쇼-유아독존(3억 3,563만원), 한국어 쇼(1억 482만원)

2011어린이 다문화 드라마(11억), 나눔 0700(4억 4,200만원), 유아독존(4억1,900만원), 한글기차 치포(1억 6,000만원), 세계의 아이들(2억 6,500만원)

<표9> 방송통신위원회의 EBS 다문화 가정 프로그램 제작지원 현황

* 출처 : 방송통신위원회.

나. 지상파나 케이블TV의 다문화 관련 채널의 프로그램 지원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통신발전기금으로 공모 등을 통해서 지역 방송 등이

제작하는 경쟁력 강화 우수 프로그램과 공공·공익 프로그램의 제작을 지원하고

있다. 경쟁력 강화 우수 프로그램 지원은 해외 수출 등을 포함한 고품질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비를 지원하는 것이며, 공공·공익 프로그램 지원은 문화유산,

환경·에너지·녹색성장, 장애우 등 사회적 소수자, 고령화·저출산·다문화 등 가족,

순수 예술·문화, 국제협력등과 관련된 프로그램의 제작을 지원하는 것이다.

Page 6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61

지원분야 지원내용 제작기간 제작규격 제작분량 신청금액

경쟁력강화 우수 프로그램

경쟁력 제고(해외수출 포함)을 위한 고품질 방송프로그램

1년 또는 2년 이내

HD급600분 이내

최대 10억원

공공·공익 프로그램

① 문화유산 ② 환경·에너지·녹색성장 ③ 사회적 소수자 대변(여성·청소년·노인·장애우)④ 가족(고령화․저출산․다문화)⑤ 순수예술·문화⑥ 국제협력⑦ 방송통신발전

1년 이내 HD급180분 이내

최대 1억원

<표10> 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프로그램 제작지원 사업

* 출처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공공·공익 프로그램 지원 규모는 연간 약 30억원인데, 다문화 가정 관련 프로그램

지원도 포함되어 있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의 케이블TV 제작지원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09년에는 ‘봉주르 서래’ 다문화가 국가경쟁력

이다(HCN 서초방송, 5,600만원), 2010년에는 ‘다문화가족을 위한

Speedy.Easy.Live.Fun 생활 한국어(Digital Radio, 1억 6,200만원)’, 2011년에

는 ‘우리 문화로 배우는 재미있는 한글교육 프로그램(애니원, 2억 4,000만원)’

등이다.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는 “EBS 뿐만 아니라 다른 지상파 방송에 대한

제작 지원을 통해 다문화 가정에 대한 프로그램이 확대되도록 노력해 왔으나,

관련 프로그램이 부족한 실정”이라고 밝혔다.

Page 6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62

연도 지원 내역

2009 ‘봉주르 서래’ 다문화가 국가경쟁력이다(HCN 서초방송, 5,600만원)

2010 다문화가족을 위한 Speedy.Easy.Live.Fun 생활 한국어(Digital Radio, 1억 6,200만원)

2011 우리 문화로 배우는 재미있는 한글교육 프로그램(애니원, 2억 4,000만원)

<표11> 방송통신위원회의 케이블TV 제작지원 현황

* 출처 : 방송통신위원회.

다. 다국어 자막 서비스 지원

프로그램 단위로 공공, 공익 프로그램 제작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주로 KBS에서

방송된 인기 드라마의 다국어 자막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자막 서비스는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의 분포를 고려해서 어,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등의 4개

외국어로 이루어지고 있다. 2009년에서 2011년까지 매년 10억씩 총 30억원을

지원했다.

라.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 시범사업

2011년 신규로 발굴한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 시범사업이다. 방송통신 융합

공공서비스 발굴 및 제공을 통해서 국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다문화를

포함한 교육, 농업, 농식품 등 4개 분야(컨소시엄)를 지원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미디어 커뮤니티 서비스’는 인천정보산업진흥원(LGU+)가 참여하여 7억

원의 지원금으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의 친정 화상 상봉 서비스, 다문화 주부

및 자녀 개상 원격 상 교육 제공(50여개 다문화 지원센터와 연계)등을 하고

있다.

Page 6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63

사업명 내용 지원액

다문화가족 한국어교육

진흥 및 교원양성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 대상 한국어교원 양성과정 운영-한국어교원 지도자 양성 과정(재교육) 운영

83

다문화자료실 설치 및

프로그램운영

-결혼이민자 및 외국인노동자가 밀집해있는 지역의 공공도서관내 다문화자료실을 조성하여 다문화가정 및 외국인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개선․확대

570

다문화체험 전시

-외국대사관ㆍ문화원 및 국내 다문화관련 기관 등과의 공동전시(2~3회)를 통해 외국의 다양한 청소년․아동문학 도서전시, 문화 및 풍물소개, 체험활동 프로그램 추진(주한프랑스대사관, 주한스웨덴대사관, 유니세프 등과 공동전시 추진)

60

다문화 가정을 위한 독서

진흥콘텐츠 개발

-다문화가정을 위한 아시아전래동화 및 우수그림책 동화구연 콘텐츠 개발-한국/아시아전래동화 등 우수 그림책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추어 애니메이션으로 제작

500

다문화교육 및 공연 프로그램

운영

-다문화대상자를 위한 전시연계교육 개발․운영․보급, 관람객을 위한 다문화 이해 전시연계교육 개발․운영(아시아관을 활용한 다문화 전시 연계 교육 개발 및 운영, 글로벌 인력 양성(박물관 교육 수료 후 도슨트 활동 등)

37

다문화 지식정보 -국내 거주 다문화인의 한국생활에 필요한 ‘다문화 정보’ 콘텐츠 제작(7개언 80

<표12> 문화관광체육부의 2011년 다문화 가정 지원 사업

(단위: 천만원)

② 문화관광체육부

가. 다문화 가정 지원 현황

전체 사회구성원의 다문화에 대한 감수성과 문화적 다양성을 높이는 사업을

중심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교육교재 개발, 다문화 강사 양성,

이민자의 도서관 서비스지원 등 제도적인 지원 사업으로 특화하고 있으며, 문화체육

관광부의 기능을 활용해서 국민들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홍보 등 새로운

사업을 개발하고 있다. 2011년에 57억원의 예산으로 문화예술을 매개로 한 다문화

환경 조성, 다문화 가정의 한국어 교육, 사회통합 분위기 조성, 다양한 문화 체험

행사, 다문화 지식 정보 구축 등 9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미디어국

내 세부 사업 중 다문화 가정만을 정책 대상으로 정해서 지원하는 사업은 없으며,

다른 일부 사업에 포함되어 추진하고 있다.

Page 6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64

사업명 내용 지원액

포털 구축

어) -일반인의 다문화에 대한 이해증진을 위한 ‘다문화 블로그’ 콘텐츠 제작-이민자의 문화 향유 및 일반 국민의 다문화 이해·연구를 위한 ‘다문화 책정보’ 콘텐츠 제작(국내도서, 국외도서)

다문화 가족 생활체육 지원

-생활체육어울림교실(100개소)-다문화가정어울림 생활체육축제(16회)-다문화가정페밀리데이운영(100개소)

1,500

다문화 사회 문화환경 조성

-다문화연극단 운영, 이주여성 미디어교육, 다문화가족 엄마나라 동화구연 등 지역사회에서 문화예술을 활용한 지역 다문화 프로그램 발굴·운영-다문화 교육인력 양성을 통한 일반 국민의 다문화 및 문화 다양성 관련 인식 개선 -다문화 지역순회공연 발굴 및 공연 지원을 통해 일반인의 다문화 인식 개선 및 다문화가족의 문화향수기회 확대, 지역 내 이민자와 내국인의 화합의 장 마련

2,120

다문화 가족 자녀 대상

한국어방문학습 교재 개발

-다문화가족 자녀 대상 한국어 방문 학습 자료 개발 750

계 5,700

* 출처 : 문화관광부.

나. 다문화 가정 관련 미디어 사업 지원 현황

첫째, 방송 프로그램 제작 지원이다. 2011년에 아리랑TV에서 프로그램 총

52편을 제작하고 있다. 주한 외국인, 다문화 가족이 출연해 본인이 체험한 한국의

다양한 모습들을 소개함으로써 외국인들의 한국사회에 대한 이해 와 한국 속 다문화

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프로그램이다. 주 1회 15분 동안 방송하는 프로그램이다.

UCC 형태로 제작되며, 정규 방송 프로그램에 편성됐다.

둘째, 다문화 가정의 신문 및 잡지 구독료 지원이다. 소외계층 지원사업의

정책 대상에 다문화 가정을 포함시켜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소외계층 구독료

지원 사업은 2007년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기관 중심으로 시행되다가 2010년부터

개인이 포함됐다. 지원대상자가 희망하는 신문을 개인당 1부씩 지원하는 형태다.

이에 따라 다문화 가정에 대한 신문 지원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을 통해서 2010년

Page 6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65

177개 가정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2011년에는 신문 이외에 잡지 구독도 지원하면서

지원받는 가정이 250개로 늘어나게 되었다.

구분 2010년 2011년

지원 대상자 수 177개 가정 약 250개 가정

선정기준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추천 지자체 및 중앙건강가정지원 센터 추천

지원 매체 전국 종합 일간지 전국 종합 일간지 및 잡지

<표13> 다문화 가정에 대한 신문 구독료 지원 현황

* 출처 : 한국언론진흥재단.

셋째, 다문화 매체 지원이다. 다문화 관련 온라인, 오프라인 매체들의 웹사이트

구축, 취재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2008년에는 500만원을 지원했으나 2011년에는

4개 매체에 대해 총 250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매체 이름 매체 종류 지원 내역 지원금

Asia Bridge News 잡지 웹사이트 구축 1000만원

무지개 세상 잡지 취재비 500만원

국제문예 잡지 취재비 500만원

복지방송신문 인터넷 취재비 500만원

<표14> 2011년 문화관광체육부의 다문화 매체 지원 현황

* 출처 : 문화관광체육부.

다문화 가정 구독료 지원과 다문화 가정 매체 지원을 합친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 지원 규모는 2008년 500만원에서 2011년에는 5900만원으로 증가하 다.

Page 6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66

사업명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다문화 가정 매체 지원 5 10 10 25

다문화 가정 구독료 지원 - - 20 34

합계 5 10 30 59

<표15>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 지원 실적

(단위: 백만원)

* 출처 : 문화관광체육부.

넷째, NIE 교육 지원이다. 2012년에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등을 대상으로 신문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을 하는 사업을 지원키로

하 다. 다문화 가정 NI E교육 교재 개발비로 1000만원, 전국의 20개 다문화가족지

원세터에 NIE 교육비로 총 3000만원을 지원한다는 계획을 수립하 다.

③ 여성가족부

여성가족부의 다문화 가정 지원정책은 결혼 이민자들의 의사소통문제 해결과

한국 사회에서의 조기 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통해서 결혼

이민자와 그 자녀를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미디어를 통한 다문화 가정 지원 정책으로는 다문화 가족의 초기 생활 안정을

위한 생활·정책정보를 제공하고, 다문화 가족이 우리 사회의 건실한 구성원으로

성장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 다문화 종합정보 잡지인

<Rainbow+>를 계간으로 발간하고 있다. 또 다문화 가족을 위한 가족교육·상담·문

화 프로그램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문화가정 지원 포털 사이트인 ‘다누리’를

운 하고 있다.

가. 레인보우 플러스(Rainbow+)

여성가족부에서는 2008년부터 온·오프라인 다문화 종합정보 잡지 <Rainbow+>

를 계간으로 발간하고 있다. 다문화 가족의 초기 생활 안정을 위한 생활·정책정보를

제공하고, 다문화 가족이 우리 사회의 건실한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는데 도움이

Page 6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67

되는 것을 발행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어, 어, 중국어, 베트남어, 필리핀어,

캄보디아어, 몽골어, 일본어 등 9개 언어로 제작되고 있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시·군·구청, 보건소, 출입국관리사무소 및 대학도서관 등에서 받아 볼 수 있으며,

다문화가족지원 포털 ‘다누리’에서도 웹진으로 볼 수 있다.

레인보우 플러스의 콘텐츠는 이민자 중에서도 결혼 이민자에 대해 초점을 두고,

결혼 생활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지역별 센터에 대한 소개와

요리, 육아에 대한 정보를 수록하고 있어 결혼 이민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집중적으로 소개함으로써 결혼 이주를 독려하고 있다. 또 매년 중점을 두는 분야를

정해서 특집 형태로 보도하고 있다. 올해의 테마는 다문화 가족의 ‘꿈’으로 정했다.

이에 따라 올해 봄 호에서는 ‘결혼이민자의 꿈’을 주제로 정하고 명사의 희망

에세이, 전문 분야 성공인, 다문화 가족의 멘토-멘티 인터뷰, 취업 관련 전문가

칼럼 등 다양한 내용으로 구성하 다.

올해부터는 한국 국민들의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몽골 출신의

국내 1호 다문화 정치인 이라 의원(한나라당, 경기도) 인터뷰, 결혼 이민자의

삶, 결혼 이민자 출신국의 문화 소개 등 일반인도 흥미롭게 볼 수 있는 내용을

실었다. 이외에도 레인보우 플러스는 웹 사이트에서 웹진 표지모델이나, 코너

인터뷰, 퀴즈 등을 통한 독자 참여형 이벤트를 진행하여, 선물을 주거나 구독권을

지급하고 있다.

레인보우 플러스의 운 실태는 다음 <표 16>에서 제시하고 있는 편집부 김대현

팀원 인터뷰 내용을 통해 알 수 있었다.

Page 68: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68

■ 발행 목표: 다문화 가정의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에서 생활을 하면서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한국생활정보와 정책적인 변화를 알리는데 주력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일반인들로 독자층을 확대하여 다문화 가정과 이민자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데도 힘쏟고 있다.

■ 발행규모: 계간지 형태이며, 한번에 7만부를 발행한다. 웹진은 <다누리> 홈페이지를 통해 발간되어 정확한 측정은 어렵다.

■ 어려움: 여성가족부 산하에서 업무를 진행하기 때문에 제작하는데 경제적인 어려움은 없는 편이다. 여성가족부의 다문화 관련 정책사업 중 하나라서 특별히 다른 정부 단체나 지방자치단체·시민단체의 지원을 받고 있지 않는다. 그러나 취재 대상을 섭외할 때 어려움이 많다. 특히 다문화 가정이 주 대상이어서 사진촬영 등을 할 때 저작권과 초상권에 관련한 문제가 제약이 되고 있다.

<표16> 레인보우 플러스 관계자 인터뷰 내용(요약)

나. 다누리(다문화포털사이트)7)

다누리는 여성가족부가 운 하고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지원하는 다문화가족지

원 포털 사이트로 다문화 가족을 위한 가족교육·상담·문화 프로그램 등 서비스

제공을 통해 결혼 이민자의 한국 사회 조기적응 및 안정적인 생활 지원을 목적으로

2010년에 개설되었다. 다누리는 전국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대한 종합적인 정보나

공지사항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지만, 다문화 이민자에 대한 방송이나 소식을 전달하

는 미디어 프로그램의 역할도 하고 있다.

구체적인 방송 콘텐츠로는 ‘한국살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과 한국문화에

대한 소개, 외국인 등록 및 주권 관련 문제, 생활정보, 출산 및 육아, 의료,복지에

대한 정보를 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교육적 프로그램으로는 포스코, 고려사이버

대학교와 협력으로 ‘한국어 배우기’를 통해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다누리 자체적으로 한국요리에 대한 교육 콘텐츠와 운전면허시험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도 이용할 수 있다.

다. 다문화가족 지원센터에서의 한국어 교육

결혼 이민자 가족의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제기됨에 따라 2005년 대통령이

외국인 이주 여성과 그 자녀의 인권 실태를 파악하고 차별대우를 개선할 수 있는

7) 다누리(다문화포털사이트). http://liveinkorea.mogef.go.kr/changelocale.do

Page 69: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69

방안을 추진하고 지시함에 따라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한국어 교육이 실시됐다.

2006년 전국에 21개 있던 다문화가정지원센터는 매년 증가해 2011년에는 200개로

늘어나게 되었다. 현재 여성가족부 산하의 한국건강가정진흥원에서 지자체별로

운 하고 있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사업은 <표 17>과 같이 분류되고 있으며,

관련된 예산현황은 <표 18>과 같다.

한국어교육

다문화사회이해

교육

가족교육 상담 취창업

교육통번역

자조모임협력

네트워크

다문화가족 자원

봉사단

395,091 85,501 92,898 19,720 75,360 10,041 26,689 28,561

<표17>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센터사업 현황

(단위: 명)

* 출처 : 주성훈(2010), 다문화가족지원사업 문제점과 개선과제.

사업총예산 한국어교육 다문화사회이해교육 취창업지원 자조모임

12,950 7,520 4,380 850 200

<표18>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예산 현황

(단위: 천원)

* 출처 : 주성훈(2010), 다문화가족지원사업 문제점과 개선과제.

다문화가족 지원센터에서 하고 있는 한국어교육은 국립어학원에서 발행하는

교재를 활용해 1~4단계로 실시되고 있다.

Page 70: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70

세부영역 교육내용 운영시간

1단계 기초적인 단어및 문장, 간단한 표현 40시간 × 연간 2회

2단계 기초적인 단어및 문장, 다양한 표현 40시간 × 연간 2회

3단계일상생활에 필요한 표준어 교육 등 일상적인 의사소통 가능하도록 교육

40시간 × 연간 2회

4단계 구체적이고 폭넓은 의사소통 가능 수준의 교육 40시간 × 연간 2회

<표19> 다문화가족 지원센터의 한국어 교육 내용

* 출처 :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는 농어촌 지역에 살거나, 임신 및 출산 등으로 센터

방문 교육을 받기 힘든 입국 5년 이하의 결혼 이민자들에 대해서는 방문 지도사가

결혼 이민자의 집을 찾아가서 교육하는 방문 한국어 교육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2010년 기준으로 하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방문교육지원사업의 현황은 <표 20>

과 같다.

구분한국어교육 부모교육

지도사 대상가정 지도사 대상가정

2010년(6월 기준) 1,279 5,518 1,141 4,629

<표20>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방문교육사업 현황

(단위: 명)

* 출처 : 주성훈(2010), 다문화가족지원사업 문제점과 개선과제.

그리고 전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공통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사업은 아니지

만, 특성화사업으로 운 되고 있는 자녀언어발달지원사업은 다문화가정의 자녀가

성장하는 과정에 있어 외국인 출신의 부 또는 모로 인하여 한국어 자극환경이

Page 7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71

다소 부족할 수 있음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언어발달지연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실시되고 있다. 2010년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 지원현황은 <표 21>과 같다.

구분 언어발달지도사 수진단 및 교육아동 수(‘10.2~6)

계 진단아동 수 교육아동 수

인원100

(92개 센터 배치)8,375 2,904 5,471

<표21>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 지원 현황

(단위: 명)

* 출처 : 주성훈(2010), 다문화가족지원사업 문제점과 개선과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한국어 교육 이용자는 2008년 1만7379명에

서 2010년에는 2.4배인 4만2118명으로 증가하 다.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합계

센터 한국어교육 11,114 14,617 23,205 48,936

방문 한국어교육 6,265 9,200 11,975 27,440

자녀 언어발달 지원 5,465 6,938 12,403

합계 17,379 29,282 42,118 88,779

<표22>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연도별 한국어 교육 이용자 현황

(단위: 명)

* 출처 : 여성가족부.

Page 7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72

구분 사업명 사업내용 수행기관 2008 2009 2010 2011

서울다문화가족

사회통합지원생활정보지발행(다국어 생활정보 수록)

서울시 100 50 50

대구

다문화가족 신문발행

월1회(15일)“무지개 세상”발행

매일신문 14.4 40.8 70 70

여성결혼이민자 친정엄마 맺어주기

다문화가족 정착과정 방송제작 주 1회 10분 방송

대구방송국

38 42.7

광주 다문화가족 안내책자제작배포, 광주MBC 27 18 18 20

<표23> 미디어 관련 지역별 다문화가족지원사업 현황

(단위: 백만원)

④ 기타

다문화 가정을 지원하고 있는 교육과학기술부, 법무부, 고용노동부 등은 미디어

관련 지원 정책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용노동부는 2005년 이주 노동자

를 위한 에스닉 방송 MNTV(Migrant Network Television)의 설립을 주관하고,

지금도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MNTV의 운 은 MNTV 측이 자체적으로

하고 있으며, 설립 목적이 결혼 이민자 지원 정책과는 거리가 멀어 MNTV에 대한

소개는 에스닉 방송 항목에서 설명하 다.

(2) 지방자치단체

다문화 가족을 위한 미디어 관련 사업은 각 지역별로도 다양하게 수행되고

있었다(<표 23> 참조). 미디어 관련 지원 사업의 운 방안은 정보지의 발간 및

배포, 방송 제작 및 다문화 전문 포털사이트 운 으로 크게 나뉠 수 있다. 이러한

지방자치단체의 미디어 관련 지원 사업은 다문화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내용과

일반인을 위한 다문화 가족 인식 개선에 관한 내용으로 다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전라남도 지역에서는 인터넷 요금 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있어, 미디어를

활용하기에 어려울 수 있는 경제적인 부담감을 해소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었다.

Page 7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73

인식전환홍보영상물배포, 방송캠페인 전개 등

KBC방송

경기결혼이민자 소식지제작

결혼이민자 지원사업 소개, 생활법률상식, 한글·의료 등 국내 정착에 필요한 정보제공을 5개 국어 발간

평택대학교 50 50 50 50

충북다문화소식지

발간다문화종합매거진 제작 배포

도시군(센터)

12 15

충남

다문화이해 DVD제작

프로덕션 20

다문화포털사이트운영

다문화포털사이트 운영충남여성

정책개발원85 30 30

전북

다문화가족차별편견 해소

캠페인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 해소를 위한 영상물 제작 및 홍보

JTV전주방송

30

외국인주민 정보제공사업

이주여성 조기사회 정착을 위해 홈페이지운영 및 정보지 제공

전북다문화가족지원

센터협의회42

전남다문화가정 인터넷사용 요금지원

다문화가정 인터넷 사용요금 70%지원

시군 106 271 271 271

경북

다문화가족 소식지발행

결혼이민여성에게 필요한 정보제공을 위한 소식지 발행

매일신문 96 140 140

다문화가족 인식개선사업

도민에게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 운영

TBC방송국

50 50

* 출처 : 주성훈(2010), 다문화가족지원사업 문제점과 개선과제.

Page 7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74

Ⅲ.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조사

1. 조사 개요

1) 조사 내용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을 바탕으로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를 실증적으로

조사하 다. 이를 위해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이용 실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활용 정도,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전문 미디어

활용 정도,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교육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 다.

2) 조사 대상 및 조사 방법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전문조사기관인

(주)디오피니언에 의뢰해 2011년 10월 4일부터 21일까지 전체 300명을 대상으로

대인 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 표본은 전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도시규모

별로 층위구분한 후에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300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표집하 다.

3)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본 조사의 응답자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체 응답자는 총 300명으로

이중에서 연령별로는 20대가 130명으로 43.4%, 30대가 111명으로 37.1%, 40대

가 43명으로 14.3%, 50대가 5명으로 1.6%, 60대 이상이 11명으로 3.6%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20~30대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거주지 규모별로는 대도시가 81명으로 27.0%,

중소도시가 115명으로 38.3%, 농촌지역이 103명으로 34.3%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의 결혼 이민자들은 대도시보다는 중소도시와 농촌지역에 많이

Page 7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75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역별로는 경남지역이 49명으로 16.3%, 경기지역이 38명으로 12.7%,

부산지역이 22명으로 7.3%, 충남지역이 27명으로 9.0%, 전북지역이 25명으로

8.3%, 경북지역이 24명으로 8.0%, 광주지역 20명으로 6.7%, 서울지역이 19명

으로 6.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출신국가별로는 베트남이 104명으로 34.7%,

중국이 53명으로 17.7%, 중국(조선족)이 53명으로 17.7%, 필리핀 46명으로

15.3%, 일본 32명으로 10.7% 등의 순이었다. 거주년도별로는 5년 미만이 199명

으로 66.2%, 5년 이상이 101명으로 33.5%로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고등학교 졸업이 133명으로 44.3%, 중학교 졸업이 57명으로

19.0%, 전문대학 졸업이 56명으로 18.7%, 대학교 졸업이 40명으로 13.3%,

초등학교 졸업 이하가 10명으로 3.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전업주부

가 118명으로 39.3%, 무직이 80명으로 26.7%, 비정규직이 73명으로 24.3%,

정규직이 22명으로 7.3%로 나타났다. 소득별로는 100~199만원이 95명으로

31.7%, 200~299만원이 62명으로 20.7%, 99만원 이하가 64명으로 21.3%,

300~399만원이 26명으로 8.7%로 나타났다.

Page 7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76

구분 빈도 구분 빈도

연령

20대 130(43.4)

출신국가

중국 53(17.7)

30대 111(37.1) 중국(조선족) 53(17.7)

40대 43(14.3) 베트남 104(34.7)

50대 5(1.6) 일본 32(10.7)

60대 이상 11(3.6) 필리핀 46(15.3)

합계 300(100.0) 캄보디아 1(0.3)

거주지 규모

대도시 81(27.0) 태국 3(1.0)

중소도시 115(38.3) 몽골 2(0.7)

농촌지역 103(34.3) 키르키즈스탄 1(0.3)

합계 299(99.7) 카자흐스탄 1(0.3)

거주지역

서울 19(6.3) 우즈베키스탄 2(0.7)

부산 22(7.3) 기타 2(0.7)

대구 11(3.7) 합계 300(100.0)

인천 7(2.3)

거주년도

5년 미만 199(66.5)

광주 20(6.7) 5년 이상 101(33.5)

대전 5(1.7) 합계 300(100.0)

울산 7(2.3)

소득

99만원 이하 64(21.3)

경기 38(12.7) 100~199만원 95(31.7)

강원 15(5.0) 200~299만원 62(20.7)

충북 15(5.0) 300~399만원 26(8.7)

충남 27(9.0) 400~499만원 4(1.3)

전북 25(8.3) 500~599만원 1(0.3)

전남 16(5.3) 600만원 이상 2(0.7)

경북 24(8.0) 합계 254(84.7)

경남 49(16.3)

학력

중학교 졸업 57(19.0)

합계 300(100.0) 고등학교 졸업 133(44.3)

직업

정규직 22(7.3) 전문대학 졸업 56(18.7)

비정규직 73(24.3) 대학교 졸업 40(13.3)

전업주부 118(39.3) 대학원 졸업 이상 1(0.3)

무직 80(26.7)합계 287(95.8)

합계 293(97.6)

<표24>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Page 7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77

2. 조사 결과

1)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개인적 특성

(1) 한국어실력 및 한국어능력시험 수준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개인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어실력 및

한국어능력시험 수준에 대해 조사하 다. 먼저 한국어실력에 대해 조사한 결과,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한국어 실력은 ‘듣기’ 실력이 3.4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읽기’ 실력이 3.45, ‘말하기’ 실력이 3.29, ‘쓰기’ 실력이

3.2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의 결혼 이민자들의 한국어실력은

‘듣기’와 ‘읽기’ 실력이 ‘말하기’와 ‘쓰기’ 실력보다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29 3.46

3.28 3.45

0.0

1.0

2.0

3.0

4.0

5.0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그림2>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한국어실력

Page 78: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78

다음으로 한국어능력시험(TOPIK) 성적에 대해 조사한 결과, ‘3급’이라는 응답

이 69명으로 23.0%를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4급’이 60명으로 20.0%, ‘2급'이

53명으로 17.7%, ‘1급’이 28명으로 9.3% ‘6급’이 17명으로 5.7%, ‘5급’이

16명으로 5.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 한국어능력시험에 대한 ‘성적이 없다’도

41명으로 13.7%를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대부분

한국어능력시험을 보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3급~4급의 성적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일반적인 급수임을 알 수 있었다.

9.3

17.7

23.0

20.0

5.3 5.7

13.7

0.0

10.0

20.0

30.0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없다

<그림3>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TOPIK 성적

(2) 출신국 가족들과의 연락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출신국 가족들과 얼마나 자주 연락하는지를 조사하

다. 조사 결과, ‘1주일에 1회 이상’이 144명으로 48.0%를 나타났다. 다음으로

‘1달에 1회 이상’이 93명으로 31.0%, ‘매일’이 33명으로 11.0%, ‘6개월에

Page 79: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79

1회 이상’이 19명으로 6.3%, ‘1년에 1회 이상’이 7명으로 2.3%, ‘거의 하지

않는다’가 3명으로 1.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

은 출신국 가족과의 연락 빈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어, 한국 사회에 정착하 지

만 지속적으로 출신국 가족과의 연락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1.0

48.0

31.0

6.3 2.3 1.0

0.0

10.0

20.0

30.0

40.0

50.0

60.0

매일 1주일에 1회

이상

1달에 1회

이상

6개월에 1회

이상

1년에 1회

이상

거의 하지

않는다

<그림4> 출신국 가족들과의 연락 빈도

(3) 여가 및 취미생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여가 및 취미 생활을 함께하는 상대에 조사하 다.

조사 결과, ‘모국인 위주’가 125명으로 41.7%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한국인 위주’가 114명으로 38.0%, ‘제3국인 위주’가 20명으로 6.7%, ‘아무도

없다’가 13명으로 4.3%, ‘기타’가 12명으로 4.0% 등의 순이었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모국인과 함께 여가나 취미 생활을 하는 비율이 높았지만,

한국인과 여가나 취미생활을 함께 하는 비율도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age 80: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80

41.7 38.0

6.7 4.3 4.0

0.0

10.0

20.0

30.0

40.0

50.0

모국인 위주 한국인 위주 제3국인 위주 아무도 없다 기타

<그림5> 여가 및 취미생활을 함께 하는 상대

(4) 한국 생활에서의 힘든 점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가장 힘든 점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언어 문제’가 93명으로 31.0%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경제

문제’가 66명으로 22.0%, ‘외로움’이 37명으로 12.3%, ‘자녀문제’가 36명으로

12.0%, ‘문화 차이’가 19명으로 6.3%, ‘가족갈등’이 15명으로 5.0%, ‘편견

및 차별’이 11명으로 3.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 생활에 적응하기 위해 가장 힘든 점은 언어문제와 경제문제 으며,

특히 언어문제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에게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Page 8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81

12.3

5.0

12.0

22.0

31.0

6.3 3.7

1.0 1.3 1.0 0.0

10.0

20.0

30.0

40.0

50.0

외로움 가족갈등 자녀문제 경제문제 언어문제 문화차이 편견 및

차별

음식 기후 직장 못

구함

<그림6> 한국생활에서의 힘든 점

(5) 한국 생활에서의 개인적 감정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느낄 수 있는 개인적 감정들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나는 더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싶다’가 3.8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나는 고국이 그립다’가 3.80, ‘나는 외로움을

느낀다’가 2.96, ‘나는 고국으로 돌아가고 싶다’가 2.67, ‘한국생활에 적응하지

못해 미래에 대화상대(친구)도 없이 혼자일까 걱정 된다’가 2.52, ‘나는 향수(고국

에 대한 그리움) 때문에 일상 생활하는 데 향이 있다’가 2.4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주위에서 많은 사람들을 만나지

못해 고립되면서, 고국으로 돌아가고 싶다거나 개인적인 외로움을 느끼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Page 8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82

3.82

2.97

2.52

3.80

2.44

2.68

0.00 1.00 2.00 3.00 4.00 5.00

더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싶다

외로움 체감

적응실패로 인한 고립에 대한 우려

고국에 대한 향수

향수로 인한 일상생활 영향 파급

귀국에 대한 희망

<그림7>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개인적 감정

2)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이용 실태

(1) 미디어 이용 정도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일반적인 미디어 이용 행태를 조사하 다.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이용 정도를 신문, 잡지, TV, 라디오, 인터넷 등으로

구분하여 조사하 다. 조사 결과, TV가 평균 4.36으로 가장 이용 정도가 높은

미디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인터넷이 4.34, 신문이 3.28, 잡지가

3.56, 라디오가 3.48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TV와 인터넷을 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문, 잡지, 라디오 등은

TV와 인터넷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8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83

3.29 3.56

4.37

3.48

4.35

0.00

1.00

2.00

3.00

4.00

5.00

신문 잡지 TV 라디오 인터넷

<그림8>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매체별 이용 정도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이용 정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따라 매체별 이용 정도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

다. 인구통계학적 요인 중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거주지 규모와 거주년도 그리고 소득에 따른 미디어 이용 정도 다.

먼저 거주지 규모에 따라 신문 이용 정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거주지 규모를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지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거주지 규모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도시나 중소도시 지역보다 농어촌 지역이

평균값이 높게 나타나, 농어촌 지역에 거주하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신문을 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age 8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84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지역유의확률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신문 2.99(2.06) 3.13(1.77) 3.71(2.56) .05

<표25> 거주지 규모별 신문 이용 정도 차이

다음으로 거주년도에 따라 텔레비전 이용 정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거주년도를

5년 미만과 5년 이상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5년 미만 거주 집단과 5년 이상

거주 집단 간의 텔레비전 이용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년 미만 거주 집단이 5년 이상 거주 집단보다 평균값이 높게 나타나, 5년

미만으로 거주하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텔레비전에 대한 이용 정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5년 미만 5년 이상T값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TV 4.62(1.05) 4.14(1.10) 3.07

<표26> 거주년도별 텔레비전 이용 정도 차이

마지막으로 소득에 따라 신문 이용 정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소득을 200만

원 미만과 200만원 이상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200만원 이하의 소득

집단과 200만원 이상의 소득 집단 간의 신문 이용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만원 이상 소득 집단이 200만원 이하 소득

집단보다 평균값이 높게 나타나, 200만원 이상의 소득을 가지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신문 대한 이용 정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Page 8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85

200만원 이하 200만원 이상T값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신문 3.04(2.03) 3.67(2.26) -2.31

<표27> 소득별 신문 이용 정도 차이

(2) 미디어 이용량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하루 평균 미디어 이용량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TV가 122.4분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터넷이 112.5분, 다음으로

라디오가 16.8분, 신문이 12.0분, 잡지가 11.1분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TV와 인터넷의 이용 시간이 가장 높으며, 신문과 잡지의 이용 시간이 가장 적게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TV와 인터넷에 비해 라디오, 신문, 잡지

등의 이용량이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평균

신문 12.0

잡지 11.1

TV 122.4

라디오 16.8

인터넷 112.5

<표28> 미디어 이용량

(단위: 분)

Page 8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86

(3) 신문 이용 유형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평소에 주로 이용하는 신문 유형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전혀 이용하지 않는다’가 29.3%로 가장 높았다. 구체적인 신문

이용 유형은 ‘무료일간지’ 유형이 24.7%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정부 또는

단체발간 무료 신문’ 유형이 11.7%, ‘유료 지방일간지’ 유형이 9.0%, ‘유료

종합일간지’ 유형이 8.0%, ‘출신국 언어로 발행되는 신문’ 유형이 3.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혀 신문을 읽지 않는 경우도 상대적으로 많았지만,

신문을 이용할 경우에는 무료일간지를 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0 9.0

24.7

11.7

3.0 1.3

29.3

0.0

10.0

20.0

30.0

40.0

50.0

유료

종합일간지

유료

지방일간지

무료 일간지 정부 또는

단체 발간

무료 신문

출신국

언어로

발행되는

신문

기타 전혀

이용하지

않는다

<그림 9> 신문 이용 유형

(4) 텔레비전 이용 유형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평소에 주로 이용하는 텔레비전 유형에 대해

Page 8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87

조사하 다. 조사 결과, ‘케이블방송’이 49.7%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지상

파방송’이 23.3%, ‘위성방송’이 16.3% 그리고 ‘출신국 언어 방송’이 5.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무료 방송인 지상파방송

보다는 유료 방송인 케이블방송을 주로 이용하고 있었으며, 위성방송이나 출신국

언어의 방송은 상대적으로 적게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3

49.7

16.3

5.7 1.3

0.0

10.0

20.0

30.0

40.0

50.0

60.0

지상파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출신국언어방송 기타

<그림10> 텔레비전 이용 유형

(5) 미디어 이용 및 비이용 동기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별 이용 동기 및 비이용 동기에 대해 조사하

다. 구체적으로 신문, 잡지, 라디오의 경우는 응답자들이 이용하는 경우와 이용하지

않는 경우로 구분되었기 때문에 이용 동기와 비이용 동기로 구분하여 조사하 다.

그러나 TV와 인터넷의 경우는 응답자들이 모두 이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용

동기만을 조사하 다. 즉 신문, 잡지, 라디오는 이용 동기와 비이용 동기를 모두

Page 88: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88

조사하 고, TV와 인터넷은 이용 동기만을 조사하 다. 각각의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신문 이용 동기 및 비이용 동기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신문 이용 동기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한국에 대한 정보가 많다’는 응답이 4.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한국어를 빨리 배우는데 도움이 된다’라는 응답이 4.19, ‘한국문화에 빨리 적응할

수 있다’는 응답이 4.11, ‘자녀교육을 위해 본다’는 응답이 3.73, ‘한국의 나와

같은 처지의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 알 수 있다’는 응답과 ‘신문을 이용하는

것이 재미있다’는 응답이 각각 3.68, ‘이야깃거리를 제공해준다’는 응답이 3.66,

‘내가 경험하지 못한 일을 간접경험 할 수 있다’는 응답이 3.60, ‘나를 즐겁게

해준다’는 응답이 3.5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신문 이용 동기는 한국에 대한 정보나, 한국어를 배우거나 또는 한국 문화에 적응하기

위해 신문을 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됐다.

Page 89: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89

3.57

3.68

3.51

3.29

3.02

3.35

3.66

3.25

3.18

2.92

2.78

2.89

2.99

3.48

3.21

3.53

3.13

3.24

3.17

3.73

4.19

4.11

4.21

3.33

3.60

2.87

3.68

0.00 1.00 2.00 3.00 4.00 5.00

나를 즐겁게 해준다

재미있다

편하게 해준다

습관적으로 본다

가족이나 남이 보니까

스트레스 해소, 기분전환을 위해서

대화거리 제공

심심풀이 해소

특별히 할 일 없어서

혼자 있는 것이 싫어서

외로움을 달래 주어서

고민과 걱정을 잊을 수 있어서

같이 이야기하거나 함께 시간 보낼 사람이 없어서

신문을 원래 좋아해서

좋아하는 연예인이 나와서

특별히 좋아하는 기사를 보기 위해

힘든 일상을 잊게 해줘서

여가생활의 수단

배우자와의 대화를 위해

자녀교육을 위해

한국어를 빨리 배우는데 도움이 되므로

한국문화에 빨리 적응할 수 있으므로

한국에 대한 정보가 많아서

출신국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

간접경험을 할 수 있어서

출신국에 대한 그리움 때문에

나와 같은 처지의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 알 수…

<그림11>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신문 이용 동기

Page 90: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90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신문 이용 동기 요인을 구분하기 위해 요인 분석한

결과,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로 ‘외로움 달래기’

요인으로 ‘혼자있는 느낌이 싫어서 본다’, ‘외로움을 달래준다’, ‘고민과 걱정을

잊을 수 있다’, ‘같이 이야기하거나 함께 시간을 보낼 사람이 없을 때 본다’ 등의

항목들이 포함되었다. 둘째로 ‘습관 및 재미’ 요인으로 ‘나를 즐겁게 해준다’,

‘재미있다’, ‘습관적으로 본다’, ‘나를 편하게 해준다’ 등의 항목들이 포함되었다.

셋째로 ‘한국생활 적응’ 요인으로 ‘한국어를 빨리 배우는데 도움이 된다’, ‘한국문

화에 빨리 적응할 수 있다’, ‘한국에 대한 정보가 많다’ 등의 항목이 포함되었다.

항목요인

외로움 달래기 습관 및 재미 한국생활 적응

혼자있는 느낌이 싫어서 본다 .765

외로움을 달래 준다 .779

고민과 걱정을 잊을 수 있다 .770

같이 이야기하거나 함께 시간을 보낼 사람이 없을 때 본다

.786

나를 즐겁게 해준다 .788

재미있다 .626

습관적으로 본다 .687

나를 편하게 해준다 .723

한국어를 빨리 배우는데 도움이 된다 .854

한국문화에 빨리 적응할 수 있다 .845

한국에 대한 정보가 많다 .847

<표29>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신문 이용 동기 요인 분석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신문 비이용 동기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Page 9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91

‘다른 미디어를 이용하고 있어서’라는 응답이 4.1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

로 ‘보는 습관이 들지 않아서’라는 응답이 4.02, ‘한국어가 서툴러 보기가 불편해

서’라는 응답이 3.76, ‘출신국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어서’라는 응답이 3.57,

‘재미가 없어서’라는 응답이 3.5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신문 비이용 동기는 TV나 인터넷 등의 다른 미디어를 이용하고

있어서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한국어에 대한 부담감 등으로 습관이 들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Page 9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92

3.50

3.41

3.39

3.47

3.15

3.31

3.76

3.57

3.25

3.37

4.02

4.15

3.71

3.41

3.34

3.32

3.33

0.00 1.00 2.00 3.00 4.00 5.00

재미가 없어서

이용할 수 있는 뉴스가 없어서

뉴스에 대한 관심또는 필요가 없어서

유익하고 흥미있는 읽을거리가 없어서

한국어를 배우는데 도움이 되지 않아서

한국문화에 적응하는데 도움이 되지…

한국어가 서툴러 보기에 불편해서

출신국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어서

자녀 교육을 위해 도움이 되지 않아서

내가 살고 있는 곳의 지역 정보가 적어서

보는 습관을 들지 않아서

다른 미디어를 이용하고 있어서

시간이 없어서

이용할 자신이 없거나 이용방법을 몰라서

이용 비용이 부담스러워서

쉽게 접할 수 없어서

신문구성이 읽기 불편해서

<그림12>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신문 비이용 동기

② 잡지 이용 동기 및 비이용 동기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잡지 이용 동기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Page 9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93

‘한국문화에 빨리 적응할 수 있다’는 응답이 4.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

로 ‘한국에 대한 정보가 많다’는 응답이 4.13, ‘한국어를 빨리 배우는데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4.10, ‘자녀교육을 위해 본다’는 응답이 3.82, ‘잡지를 이용하는

것이 재미있다’는 응답이 3.80, ‘내가 경험하지 못한 일을 간접 경험을 할 수

있다’는 응답이 3.79, ‘특별히 좋아하는 기사를 보기 위해 본다’는 응답이 3.74,

‘잡지를 원해 좋아한다’는 응답과 ‘배우자와의 대화를 위해 본다’는 응답이 각각

3.72, ‘나를 편하게 해준다’는 응답이 3.7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잡지 이용 동기는 신문 이용 동기와 마찬가지로 한국 문화에

적응하기 위해 또는 한국에 대한 정보나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 주고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age 9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94

3.74

3.80

3.36

3.70

2.96

3.40

3.72

3.44

3.23

3.06

3.00

3.01

3.18

3.72

3.58

3.74

3.12

3.61

3.39

3.82

4.10

4.21

4.13

3.51

3.79

2.95

3.66

0.00 1.00 2.00 3.00 4.00 5.00

나를 즐겁게 해준다

재미있다

습관적으로 본다

편하게 해준다

가족이나 남을 따라서

스트레스 해소, 기분전환을 위해서

대화거리 제공

심심풀이 해소

특별히 할 일 없어서

혼자 있는 것이 싫어서

외로움을 달래 주어서

고민과 걱정을 잊을 수 있어서

같이 이야기하거나 함께 시간 보낼 사람이 없어서

잡지를 원래 좋아해서

좋아하는 연예인이 나와서

특별히 좋아하는 기사를 보기 위해

힘든 일상을 잊게 해줘서

여가생활의 수단

배우자와의 대화를 위해

자녀교육을 위해

한국어를 빨리 배우는데 도움이 되므로

한국문화에 빨리 적응할 수 있으므로

한국에 대한 정보가 많아서

출신국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

간접경험을 할 수 있어서

출신국에 대한 그리움 때문에

나와 같은 처지의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 알 수…

<그림13>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잡지 이용 동기

Page 9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95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잡지 이용 동기 요인을 구분하기 위해 요인 분석한

결과,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로 ‘외로움과 일상

달래기’ 요인으로 ‘심심할 때 시간보내려고 본다’, ‘특별히 할 일이 없어서 본다’,

‘혼자 있는 느낌이 싫어서 본다’, ‘외로움을 달래준다’, ‘고민과 걱정을 잊을

수 있다’ 등의 항목들이 포함되었다. 둘째로 ‘한국생활 적응’ 요인으로 ‘자녀교육을

위해 본다’, ‘한국어를 빨리 배우는데 도움이 된다’, ‘한국문화에 빨리 적응할

수 있다’, ‘한국에 대한 정보가 많다’ 등의 항목이 포함되었다. 셋째로 ‘습관

및 재미’ 요인으로 ‘나를 즐겁게 해준다’, ‘재미있다’, ‘습관적으로 본다’, ‘나를

편하게 해준다’ 등의 항목들이 포함되었다.

Page 9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96

항목

요인

외로움과 일상 달래기 한국생활 적응 습관 및 재미

심심할 때 시간보내려고 본다 .733

특별히 할 일이 없어서 본다 .822

혼자 있는 느낌이 싫어서 본다 .833

외로움을 달래준다 .813

고민과 걱정을 잊을 수 있다 .809

같이 이야기하거나 함께 시간 보낼 사람이 없을 때 본다

.732

자녀교육을 위해 본다 .694

한국어를 빨리 배우는데 도움이 된다 .764

한국문화에 빨리 적응할 수 있다 .775

한국에 대한 정보가 많다 .778

출신국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664

나를 즐겁게 해준다 .772

재미있다 .785

습관적으로 본다 .724

편하게 해준다 .683

<표30>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잡지 이용 동기 요인 분석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잡지 비이용 동기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다른 미디어를 이용하고 있어서’라는 응답이 4.2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

로 ‘보는 습관이 들지 않아서’라는 응답이 4.03, ‘시간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4.00, ‘한국어가 서툴러 보기가 불편해서’라는 응답이 3.85, ‘이용 비용이 부담스

러워서’라는 응답이 3.78, ‘쉽게 접할 수 없어서’라는 응답이 3.65, ‘내가 살고

있는 곳의 지역 정보가 적어서’라는 응답이 3.62, ‘출신국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어서’라는 응답이 3.5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Page 9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97

이민자들의 잡지 비이용 동기는 신문 비이용 동기와 마찬가지로 TV나 인터넷

등의 다른 미디어를 이용하고 있어서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시간이 없거나

보는 습관이 적기 때문에 이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51

3.56

3.57

3.34

3.28

3.37

3.85

3.59

3.35

3.62

4.03

4.27

4.00

3.51

3.78

3.65

3.48

0.00 1.00 2.00 3.00 4.00 5.00

재미가 없어서

이용할 수 있는 정보가 없어서

정보에 대한 관심또는 필요가 없어서

유익하고 흥미있는 읽을거리가 없어서

한국어를 배우는데 도움이 되지 않아서

한국문화에 적응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아서

한국어가 서툴러 보기에 불편해서

출신국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어서

자녀 교육을 위해 도움이 되지 않아서

내가 살고 있는 곳의 지역 정보가 적어서

보는 습관을 들지 않아서

다른 미디어를 이용하고 있어서

시간이 없어서

이용할 자신이 없거나 이용방법을 몰라서

이용 비용이 부담스러워서

쉽게 접할 수 없어서

잡지구성이 읽기 불편해서

<그림14>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잡지 비이용 동기

Page 98: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98

③ TV 이용 동기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TV 이용 동기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한국에 대한 정보가 많다’는 응답이 4.4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한국어를 빨리 배우는데 도움이 된다’라는 응답이 4.39, ‘한국문화에 빨리 적응할

수 있다’는 응답이 4.38, ‘텔레비전을 이용하는 것이 재미있다’는 응답이 4.27,

‘나를 즐겁게 해준다’는 응답이 4.23, ‘특별히 좋아하는 프로그램을 보기 위해

본다’는 응답이 4.21, ‘텔레비전을 원해 좋아한다’는 응답이 4.16,‘배우자와의

대화를 위해 본다’는 응답이 4.08, ‘나를 편하게 해준다’는 응답이 4.07, ‘한국의

나와 같은 처지의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 알 수 있다’는 응답이 4.04, ‘자녀교육을

위해 본다’는 응답과 ‘습관적으로 본다’는 응답이 각각 4.0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TV 이용 동기는 신문, 잡지 등의 이용

동기와 유사하게 한국에 대한 정보를 얻거나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 또는 한국문화에

적응하기 위해 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TV 이용 동기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응답이 높게 나타나 응답자들이 다른 미디어에 비해 전반적으로 이용

동기가 높은 것으로 해석됐다.

Page 99: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99

4.23

4.27

4.00

4.07

3.20

3.84

4.08

3.68

3.47

3.29

3.47

3.53

3.53

4.16

3.79

4.21

3.58

3.88

3.72

4.00

4.39

4.38

4.46

3.75

3.97

3.33

4.04

0.00 1.00 2.00 3.00 4.00 5.00

나를 즐겁게 해준다

재미있다

습관적으로 본다

편하게 해준다

가족이나 남을 따라서

스트레스 해소, 기분전환을 위해서

대화거리 제공

심심풀이 해소

특별히 할 일 없어서

혼자 있는 것이 싫어서

외로움을 달래 주어서

고민과 걱정을 잊을 수 있어서

같이 이야기하거나 함께 시간 보낼 사람이…

TV를 원래 좋아해서

좋아하는 연예인이 나와서

특별히 좋아하는 프로그램을 보기 위해

힘든 일상을 잊게 해줘서

여가생활의 수단

배우자와의 대화를 위해

자녀교육을 위해

한국어를 빨리 배우는데 도움이 되므로

한국문화에 빨리 적응할 수 있으므로

한국에 대한 정보가 많아서

출신국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

간접경험을 할 수 있어서

출신국에 대한 그리움 때문에

나와 같은 처지의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 알…

<그림15>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TV 이용 동기

Page 100: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00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TV 이용 동기 요인을 구분하기 위해 요인 분석한

결과,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로 ‘한국생활 적응

및 사회적 수단’ 요인으로 ‘특별히 좋아하는 프로그램을 보기 위해 본다’, ‘배우자

와의 대화를 위해 본다’, ‘자녀교육을 위해 본다’, ‘한국어를 빨리 배우는데

도움이 된다’, ‘한국문화에 빨리 적응할 수 있다’, ‘한국에 대한 정보가 많다’,

‘출신국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내가 경험하지 못한 일을 간접경험 할

수 있다’, ‘한국의 나와 같은 처지의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 알 수 있다’ 등의

항목이 포함되었다. 둘째로 ‘시간보내기’ 요인으로 ‘심심할 때 시간 보내려고

본다’, ‘특별히 할일이 없어서 본다’, ‘혼자있는 느낌이 싫어서 본다’ 등의 항목이

포함되었다. 셋째로 ‘습관 및 재미’ 요인으로 ‘나를 즐겁게 해준다’, ‘텔레비전을

이용하는 것이 재미있다’, ‘습관적으로 본다’, ‘나를 편하게 해준다’ 등의 항목들

이 포함되었다.

Page 10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01

항목

요인

한국생활 적응 및 사회적 수단 시간보내기 습관 및 재미

특별히 좋아하는 프로그램을 보기 위해 본다

.727

배우자와의 대화를 위해본다 .743

자녀교육을 위해본다 .722

한국어를 빨리 배우는데 도움이 된다 .810

한국문화에 빨리 적응할 수 있다 .821

한국에 대한 정보가 많다 .774

출신국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738

내가 경험하지 못한 일을 간접경험 할 수 있다

.745

한국의 나와 같은 처지의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 알 수 있다

.774

심심할 때 시간 보내려고 본다 .677

특별히 할 일이 없어서 본다 .737.

혼자 있는 느낌이 싫어서 본다 .760

나를 즐겁게 해준다 .854

텔레비전을 이용하는 것이 재미있다 .815

습관적으로 본다 .733

나를 편하게 해준다 .742

<표31>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TV 이용 동기 요인 분석

④ 라디오 이용 및 비이용 동기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라디오 이용 동기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한국에 대한 정보가 많다’는 응답이 4.2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한국어를 빨리 배우는데 도움이 된다’라는 응답과 ‘한국문화에 빨리 적응할 수

있다’는 응답이 각각 4.23, ‘라디오를 이용하는 것이 재미있다’는 응답이 4.10,

Page 10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02

‘나를 즐겁게 해준다’는 응답이 4.07, ‘내가 경험하지 못한 일을 간접경험 할

수 있다’는 응답이 4.06, ‘라디오를 원해 좋아한다’는 응답이 4.00, ‘특별히

좋아하는 프로그램을 듣기 위해 듣는다’는 응답이 3.99, ‘배우자와의 대화를 위해

듣는다’는 응답이 3.95, ‘나를 편하게 해준다’는 응답이 3.94, ‘자녀교육을 위해

본다’는 응답이 3.8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라디오 이용 동기는 신문, 잡지, TV 등의 이용

동기와 유사하게 한국에 대한 정보를 얻거나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 또는 한국문화에

적응하기 위해 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V 이용 동기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Page 10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03

4.07

4.10

3.71

3.94

3.32

3.81

3.95

3.74

3.51

3.54

3.57

3.58

3.63

4.00

3.78

3.99

3.57

3.68

3.64

3.88

4.23

4.23

4.28

3.74

4.06

3.43

3.81

0.00 1.00 2.00 3.00 4.00 5.00

나를 즐겁게 해준다

재미있다

습관적으로 본다

편하게 해준다

가족이나 남을 따라서

스트레스 해소, 기분전환을 위해서

대화거리 제공

심심풀이 해소

특별히 할 일 없어서

혼자 있는 것이 싫어서

외로움을 달래 주어서

고민과 걱정을 잊을 수 있어서

같이 이야기하거나 함께 시간 보낼 사람이…

라디오를 원래 좋아해서

좋아하는 연예인이 나와서

특별히 좋아하는 프로그램을 듣기 위해

힘든 일상을 잊게 해줘서

여가생활의 수단

배우자와의 대화를 위해

자녀교육을 위해

한국어를 빨리 배우는데 도움이 되므로

한국문화에 빨리 적응할 수 있으므로

한국에 대한 정보가 많아서

출신국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

간접경험을 할 수 있어서

출신국에 대한 그리움 때문에

나와 같은 처지의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 알…

<그림16>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라디오 이용 동기

Page 10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04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라디오 비이용 동기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다른 미디어를 이용하고 있어서’라는 응답이 4.3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

며, 다음으로 ‘듣는 습관이 들지 않아서’라는 응답이 4.23, ‘시간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3.79,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 또는 필요가 없어서’라는 응답이 3.63,

‘한국어가 서툴러 보기가 불편해서’라는 응답이 3.61, ‘재미가 없어서’라는 응답이

3.57, ‘유익하고 흥미있는 들을 거리가 없어서’라는 응답이 3.5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라디오 비이용 동기는 신문과 잡지의

비이용 동기와 마찬가지로 다른 미디어를 이용하고 있어서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시간이 없거나 관심이 없어서 듣는 습관이 들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됐다.

Page 10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05

3.57

3.55

3.63

3.55

3.41

3.50

3.61

3.50

3.35

3.51

4.23

4.30

3.79

3.45

3.10

3.32

3.43

0.00 1.00 2.00 3.00 4.00 5.00

재미가 없어서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없어서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또는 필요가 없어서

유익하고 흥미있는 들을거리가 없어서

한국어를 배우는데 도움이 되지 않아서

한국문화에 적응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아서

한국어가 서툴러 보기에 불편해서

출신국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어서

자녀 교육을 위해 도움이 되지 않아서

내가 살고 있는 곳의 지역 프로그램이 적어서

보는 습관을 들지 않아서

다른 미디어를 이용하고 있어서

시간이 없어서

이용할 자신이 없거나 이용방법을 몰라서

이용 비용이 부담스러워서

쉽게 접할 수 없어서

프로그램 편성이나 방송시간대가 불편해서

<그림17>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라디오 비이용 동기

Page 10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06

⑤ 인터넷 이용 동기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인터넷 이용 동기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출신국에 대한 그리움 때문에 한다’는 응답과 ‘한국에 대한 정보가 많다’는 응답이

각각 4.2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한국문화에 빨리 적응할 수 있다’는

응답이 4.23, ‘나를 즐겁게 해준다’는 응답이 4.21, ‘한국어를 빨리 배우는데

도움이 된다’라는 응답이 4.20,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이 재미있다’는 응답이

4.19, ‘자녀교육을 위해 한다’는 응답이 4.12, ‘특별히 좋아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한다’는 응답이 4.10, ‘인터넷을 원래 좋아한다’는 응답이 4.09,

‘내가 경험하지 못한 일을 간접경험 할 수 있다’는 응답이 4.02, ‘나를 편하게

해준다’는 응답과 ‘습관적으로 한다’는 응답이 각각 3.97, ‘한국의 나와 같은

처지의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 알 수 있다’는 응답이 3.9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인터넷 이용 동기는 신문, 잡지, TV, 라디오

등과는 달리, 출신국에 대한 정보나 한국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또는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문화에 적응하기 위해 또는 인터넷이 즐겁거나 재미있기 때문에 이용하

는 등 이용 동기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Page 10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07

4.21

4.19

3.97

3.97

3.14

3.76

3.94

3.80

3.49

3.29

3.39

3.40

3.47

4.09

3.67

4.10

3.44

3.85

3.54

4.12

4.20

4.23

4.29

4.29

4.02

3.56

3.96

0.00 1.00 2.00 3.00 4.00 5.00

나를 즐겁게 해준다

재미있다

습관적으로 본다

편하게 해준다

가족이나 남을 따라서

스트레스 해소, 기분전환을 위해서

대화거리 제공

심심풀이 해소

특별히 할 일 없어서

혼자 있는 것이 싫어서

외로움을 달래 주어서

고민과 걱정을 잊을 수 있어서

같이 이야기하거나 함께 시간 보낼 사람이 없어서

인터넷을 원래 좋아해서

좋아하는 연예인이 나와서

특별히 좋아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힘든 일상을 잊게 해줘서

여가생활의 수단

배우자와의 대화를 위해

자녀교육을 위해

한국어를 빨리 배우는데 도움이 되므로

한국문화에 빨리 적응할 수 있으므로

한국에 대한 정보가 많아서

출신국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

간접경험을 할 수 있어서

출신국에 대한 그리움 때문에

나와 같은 처지의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 알 수…

<그림18>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인터넷 이용 동기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인터넷 이용 동기 요인을 구분하기 위해 요인

Page 108: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08

분석한 결과,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로 ‘한국생활

적응 및 사회적 수단’ 요인으로 ‘특별히 좋아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한다’, ‘배우자와의 대화를 위해 한다’, ‘한국어를 빨리 배우는데 도움이 된다’,

‘한국문화에 빨리 적응할 수 있다’, ‘한국에 대한 정보가 많다’, ‘출신국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내가 경험하지 못한 일을 간접경험 할 수 있다’, ‘한국의

나와 같은 처지의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 알 수 있다’ 등의 항목이 포함되었다.

둘째로 ‘시간보내기 및 외로움 달래기’ 요인으로 ‘심심할 때 시간 보내려고

본다’, ‘특별히 할일이 없어서 본다’, ‘혼자있는 느낌이 싫어서 본다’, ‘외로움을

달래준다’, ‘고민과 걱정을 잊을 수 있다’, ‘같이 이야기하거나 함께 시간보낼

사람이 없을 때 본다’ 등의 항목이 포함되었다. 셋째로 ‘습관 및 재미’ 요인으로

‘나를 즐겁게 해준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이 재미있다’, ‘습관적으로 한다’,

‘나를 편하게 해준다’ 등의 항목들이 포함되었다.

Page 109: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09

항목

요인

한국생활 적응 및 사회적 수단

시간보내기 및 외로움 달래기 습관 및 재미

특별히 좋아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702

배우자와의 대화를 위해 .719

한국어를 빨리 배우는데 도움이 된다 .845

한국문화에 빨리 적응 할 수 있다 .851

한국에 대한 정보가 많다 .838

출신국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734

내가 경험하지 못한 일을 간접 경험 .779

한국의 나와 같은 처지의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 알 수 있다

.787

심심할 때 시간 보내려고 한다 .726

특별히 할 일이 없어서 한다. .804

혼자 있는 느낌이 싫어서 한다 .847

외로움을 달래준다 .833

고민과 걱정을 잊을 수 있다 .846

같이 이야기하거나 함께 시간 보낼 사람이 없을 때 한다

.747

나를 즐겁게 해준다 .735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이 재미있다 .789

습관적으로 한다 .766

나를 편하게 해준다 .725

<표32>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인터넷 이용동기 요인 분석

(6) 미디어 이용 만족도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이용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 미디어별로

Page 110: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10

이용 만족도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인터넷의 만족도가 4.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텔레비전의 만족도가 4.08, 라디오의 만족도가 3.51, 신문의

만족도가 3.34, 잡지의 만족도가 3.3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별로 비교하여

보면, 인터넷과 텔레비전의 만족도가 다른 미디어의 만족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과 텔레비전의 이용정도와 이용량이 높게 나타난

결과와도 일치하 다. 즉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미디어 중에서 인터넷과

텔레비전을 주로 이용하고 있었으며, 이에 대한 만족도도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3.34 3.33

4.08

3.51

4.21

0.00

1.00

2.00

3.00

4.00

5.00

신문 잡지 TV 라디오 인터넷

<그림19> 미디어 이용 만족도

미디어 이용 만족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따라 미디어별 이용 만족도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 다. 인구통계학적

요인 중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거주년도에

따른 텔레비전 이용 만족도 다. 거주년도를 5년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Page 11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11

결과, 5년 미만 거주 집단과 5년 이상 거주 집단 간의 텔레비전 이용 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년 미만 거주 집단이 5년 이상

거주 집단보다 평균값이 높게 나타나, 5년 미만으로 거주하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텔레비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5년 미만 5년 이상T값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TV 4.22(.77) 3.99(.82) 2.03

<표33> 거주년도별 미디어 이용 만족도 차이

(7) 미디어 습득 정보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미디어에서 주로 어떤 정보를 얻고 있는지를

조사하 다. 미디어에서 얻고 있는 정보를 미디어별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첫째로

신문의 경우는 ‘한국 전통 등의 문화정보’가 26.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뉴스, 육아 등 생활정보’가 23.3%, ‘생활 용어나 유행서 등의 언어정보’가

16.7%, ‘한국어 교육’이 16.3%, ‘출신국가에 대한 정보나 뉴스’가 11.7%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신문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정보를 주로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1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12

26.7

23.3

16.7

16.3

11.7

44

0 10 20 30 40 50

한국전통 등의 문화정보

뉴스 육아 정보 등 생활정보

생활용어나 유행어 등의 언어 정보

한국어 교육

출신국가에 대한 정보나 뉴스

무응답

<그림20> 신문에서 얻는 정보

둘째로 잡지의 경우는 ‘한국 전통 등의 문화정보’가 18.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

며, 다음으로 ‘생활 용어나 유행서 등의 언어정보’가 18.0%로 한국에 대한 정보와

비슷하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뉴스, 육아 등 생활정보’가 16.3%, ‘한국어 교육’이

7.7%, ‘출신국가에 대한 정보나 뉴스’가 6.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신문과 마찬가지로 잡지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정보를

주로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1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13

18.3

18

16.3

7.7

6.7

52.3

0 10 20 30 40 50 60

한국전통 등의 문화정보

생활용어나 유행어 등의 언어 정보

뉴스 육아 정보 등 생활정보

한국어 교육

출신국가에 대한 정보나 뉴스

무응답

<그림21> 잡지에서 얻는 정보

셋째로 텔레비전의 경우는 ‘생활 용어나 유행서 등의 언어정보’가 47.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뉴스, 육아 등 생활정보’가 46.3%, ‘한국 전통

등의 문화정보’가 45.0%, ‘한국어 교육’이 42.0%, ‘출신국가에 대한 정보나

뉴스’가 29.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텔레비

전에서 언어 정보와 생활 정보를 주로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신문이나 잡지에서

얻는 정보와 텔레비전에서 얻는 정보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age 11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14

47

46.3

45

42

29

3

0 10 20 30 40 50

생활용어나 유행어 등의 언어 정보

뉴스 육아 정보 등 생활정보

한국전통 등의 문화정보

한국어 교육

출신국가에 대한 정보나 뉴스

무응답

<그림22> 텔레비전에서 얻는 정보

넷째로 라디오의 경우는 ‘생활 용어나 유행서 등의 언어정보’가 20.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한국 전통 등의 문화정보’가 13.3%, ‘뉴스, 육아

등 생활정보’가 12.7%, ‘한국어 교육’이 10.7%, ‘출신국가에 대한 정보나 뉴스’

가 5.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라디오에서

언어 정보를 주로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텔레비전에서 얻는 정보와

유사한 점을 보이고 있었다.

Page 11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15

20.7

13.3

12.7

10.7

5.7

57.3

0 10 20 30 40 50 60 70

생활용어나 유행어 등의 언어 정보

한국전통 등의 문화정보

뉴스 육아 정보 등 생활정보

한국어 교육

출신국가에 대한 정보나 뉴스

무응답

<그림23> 라디오에서 얻는 정보

마지막으로 인터넷의 경우는 ‘출신국가에 대한 정보나 뉴스’가 56.0%로 가장

높았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한국어 교육’이 44.7%, ‘뉴스, 육아 등 생활정보’

가 41.0%, ‘생활 용어나 유행어 등의 언어정보’가 39.7%, ‘한국 전통 등의

문화정보’가 37.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인터넷을 통해 출신국에 대한 정보와 한국어 정보를 주로 얻고 있었으며, 이는

신문, 잡지, 텔레비전, 라디오 등의 다른 미디어에서 얻는 정보와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age 11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16

56

44.7

41

39.7

37.3

7.3

0 10 20 30 40 50 60

출신국가에 대한 정보나 뉴스

한국어 교육

뉴스 육아 정보 등 생활정보

생활용어나 유행어 등의 언어 정보

한국전통 등의 문화정보

무응답

<그림24> 인터넷에서 얻는 정보

(8) 신문 및 잡지 이용 콘텐츠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신문과 잡지에서 주로 이용하는 콘텐츠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생활/문화’에 대한 콘텐츠가 47.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

며, 다음으로 ‘교육/육아’에 대한 콘텐츠가 35.7%, ‘디자인’에 대한 콘텐츠가

33.7%, ‘건강/레저’에 대한 콘텐츠가 29.7%, ‘사회(사건/사고)’에 대한 콘텐츠

가 29.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한국

생활에 적응하기 위해 신문이나 잡지에서 생활이나 문화와 관련된 콘텐츠를 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1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17

47.035.7

33.729.7

29.023.3

21.721.0

18.714.3

9.77.0

4.03.0

2.3

0.0 10.0 20.0 30.0 40.0 50.0생활/문화

디자인

사회(사건/사고)

속보

경제

스포츠

IT/과학

무응답

누적 %

<그림25> 신문 및 잡지 이용 콘텐츠

(9) 텔레비전 및 라디오 이용 프로그램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텔레비전과 라디오에서 주로 이용하는 프로그램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드라마’가 79.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보도(뉴스)’가 66.3%, ‘연예오락’이 55.3%, ‘교양 및 교육’이 47.7%, ‘만화

및 어린이’가 34.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에서 드라마 등의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뉴스 등의 보도 프로그램을 연예오락 프로그램보다 높게

이용하고 있었으며, 교양 및 교육 프로그램도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었다.

Page 118: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18

79.0

66.3

55.3

47.7

34.7

17.0

2.7

2.3

0.0 20.0 40.0 60.0 80.0 100.0

드라마

보도(뉴스)

연예오락

교양 및 교육

만화 및 어린이

스포츠

무응답

기타

누적 %

<그림26> 텔레비전 및 라디오 이용 프로그램

(10) 인터넷 이용 서비스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인터넷에서 주로 이용하는 프로그램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정보검색’이 61.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출신국과

의 채팅’이 60.3%, ‘한국어 교육 사이트’가 54.3%, ‘뉴스 검색’이 47.3%,

‘TV프로그램, 화 등’이 36.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인터넷에서 정보검색을 주로 이용하고 있었으며, 출신국과의

채팅 서비스도 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19: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19

61.7

60.3

54.3

47.3

36.3

8.7

2.7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정보검색

출신국과의 채팅

한국어 교육사이트

뉴스검색

TV프로그램, 영화등

이메일

무응답

누적 %

<그림27> 인터넷 이용 서비스

(11) 향후 미디어 이용 의향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향후에 이용하고 싶은 미디어에 대해 중복응답으로

조사하 다. 조사 결과, 1순위의 경우는 ‘인터넷’이 47.3%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

로는 ‘텔레비전’이 41.7%, ‘신문’이 4.3%, ‘잡지’가 2.3%, ‘라디오’가 1.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향후 인터넷을 주로

이용하고자 하는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20: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20

4.3 2.3

41.7

1.0

47.3

0.0

10.0

20.0

30.0

40.0

50.0

60.0

신문 잡지 텔레비전 라디오 인터넷

<그림28> 향후 미디어 이용 의향(1순위 중복응답)

2순위의 경우는 ‘텔레비전’이 41.3%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인터넷’이

30.7%, ‘신문’이 8.7%, ‘라디오’가 5.0%, ‘잡지’가 4.0% 등의 순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향후 인터넷 다음으로는 텔레비전을

주로 이용하고자 하는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2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21

8.7 4.0

41.3

5.0

30.7

0.0

10.0

20.0

30.0

40.0

50.0

60.0

신문 잡지 텔레비전 라디오 인터넷

<그림29> 향후 미디어 이용 의향(2순위 중복응답)

3순위의 경우는 ‘신문’이 35.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잡지’가 18.0%,

‘라디오’가 13.3%, ‘인터넷’이 12.3%, ‘텔레비전’이 5.3% 등의 순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향후 인터넷과 텔레비전 다음으로는

신문을 주로 이용하고자 하는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자면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향후에 이용하고자 하는 미디어의 순위는 인터넷, 텔레비전,

신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Page 12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22

35.7

18.0

5.3

13.3 12.3

0.0

10.0

20.0

30.0

40.0

50.0

60.0

신문 잡지 텔레비전 라디오 인터넷

<그림30> 향후 미디어 이용 의향(3순위 중복응답)

3)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활용

(1) 가정 및 직장에서 활용하는 미디어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이용을 보다 세부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미디어 활용 정도를 조사하 다. 먼저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가정이나

직장 내에서 활용하는 미디어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인터넷’이 83.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텔레비전’이 75.3%, ‘신문’이 35.7%, ‘라디

오’가 19.0%, ‘잡지’가 18.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가정이나 직장에서 활용하는 미디어는 인터넷과 텔레비전인 것으로

분석됐다.

Page 12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23

83.075.3

35.7

19.0 18.3

1.3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인터넷 텔레비전 신문 라디오 잡지 무응답

누적 %

<그림31> 가정 및 직장에서 활용하는 미디어

(2) 한국사회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 사회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로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텔레비전’이 81.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인터넷’

이 61.3%, ‘지인’이 24.0%, ‘신문’이 21.7%, ‘가족’이 20.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인터넷과 텔레비전 이용 정도가

높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한국 사회에 대한 정보도 이들 미디어를 통해 얻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Page 12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24

81.0

61.3

24.0

21.7

20.7

17.3

9.3

8.0

1.3

1.0

0.0 20.0 40.0 60.0 80.0 100.0

텔레비전

인터넷

지인

신문

가족

공공기관

잡지

라디오

무응답

누적 %

<그림32> 한국사회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

(3) 출신국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출신국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로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인터넷’이 74.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텔레비

전’이 39.3%, ‘지인’이 26.0%, ‘가족’이 23.0%, ‘신문’이 8.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인터넷과 텔레비전 이용

정도가 높기 때문에 출신국에 대한 정보도 이들 미디어를 통해 주로 얻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Page 12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25

74.7

39.3

26.0

23.0

8.7

4.0

3.3

2.3

1.7

0.0 20.0 40.0 60.0 80.0

인터넷

텔레비전

지인

가족

신문

잡지

무응답

공공기관

라디오

누적 %

<그림33> 출신국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

(4) 출신국에서의 미디어 활용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출신국에서 어떠한 미디어를 주로 활용하 는지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텔레비전’ 이용이 평균 4.3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인터넷’ 이용이 4.19, ‘신문’ 이용이 3.53, ‘잡지’ 이용이 3.49, ‘라디오’

이용이 3.4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출신국에

서 텔레비전을 가장 많이 이용하 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인터넷을 많이

이용하 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에서 주로 이용하는 미디어가

인터넷과 텔레비전이라는 결과와도 비교하여 이해될 수 있다. 즉 출신국에서 주로

이용하던 미디어 던 텔레비전과 인터넷을 한국에서도 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Page 12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26

3.53

4.39

3.49 3.40

4.19

0.00

1.00

2.00

3.00

4.00

5.00

신문 텔레비전 잡지 라디오 인터넷

<그림34> 출신국에서의 미디어 활용

(5) 한국어 및 한국문화 습득 시 미디어 활용 의향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어와 한국문화 습득 시에 어떠한 미디어를

주로 활용하고자 하는지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텔레비전’이 4.3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인터넷’이 4.19, ‘신문’이 3.53, ‘잡지’가

4.39, ‘라디오’가 3.4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한국 생활에 적응을 위해서 필수적인 한국어 교육 및 한국문화 습득을 위해 이용하고

자 하는 미디어는 주로 텔레비전과 인터넷임을 알 수 있었다.

Page 12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27

3.53

4.39

3.49 3.40

4.19

0.00

1.00

2.00

3.00

4.00

5.00

신문 텔레비전 잡지 라디오 인터넷

<그림35> 한국어 및 한국문화 습득 시 미디어 활용 의향

(6) 한국생활 적응 시 미디어 이용 중요도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에게 한국생활에 적응하기 위해 미디어를 이용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평균 4.56으로 매우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 생활에 적응할 때

미디어 이용을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었다.

구분 평균(표준편차)

미디어 이용의 중요도 4.56(.88)

<표34> 미디어 이용의 중요도

Page 128: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28

(7) 미디어의 신뢰도 및 교육적 효과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에 대해서 얼마나 신뢰하고 있는지에 대한

미디어의 신뢰도와 미디어에서 소개하는 내용이 얼마나 교육적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미디어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미디어의 신뢰도의

경우에는 평균 4.02로 나타나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에 대한 신뢰도는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미디어의 교육적 효과도

평균 4.08로 나타난 미디어의 교육적 효과도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미디어에 대해 신뢰하고 있으며,

그 교육적 효과도 높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구분 평균(표준편차)

미디어의 신뢰도 4.02(.99)

미디어의 교육적 효과 4.08(1.28)

<표35> 미디어의 신뢰도 및 교육적 효과

4)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의 전문 미디어(에스닉 미디어) 활용

(1) 전문 미디어 인지도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전문 미디어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 다. 전문 미디어의 인지도에 대한 조사 결과, ‘알고 있다’는

응답이 170명으로 56.7% 으며, ‘모른다’는 응답이 130명으로 43.3%로 나타나

전문 미디어를 알고 있다는 응답이 모른다는 응답보다 13.4%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전문 미디어의 인지도는 비교적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29: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29

구분 빈도

알고 있다 170(56.7)

모른다 130(43.3)

<표36> 전문미디어 인지도

(2) 전문 미디어 이용 경험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전문 미디어 이용 경험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이용해 본 적이 있다’는 응답이 128명으로 42.7% 으며,

‘이용해 본 적이 없다’는 응답이 171명으로 57.3%로 나타나 전문미디어 이용

경험이 없는 경우가 있는 경우보다 14.6%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전문 미디어의 이용 경험도 인지도와 마찬가지로 비교적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빈도

이용 경험이 있다 128(42.7)

이용 경험이 없다 171(57.3)

<표37> 전문 미디어 이용 경험

(3) 전문 미디어 이용 정도

전문 미디어 이용 경험이 있는 응답자에게 전문 미디어 이용 정도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대상의 전문 라디오’ 이용 정도가 평균

4.7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대상의 전문 잡지’

Page 130: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30

이용 정도가 4.64,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대상의 전문 신문’ 이용 정도가

4.34,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대상의 전문 방송’ 이용 정도가 3.67,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대상의 전문 인터넷’ 이용 정도가 3.2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전문 미디어는 일반적인 미디어

이용과는 달리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대상의 라디오, 잡지, 신문 등의 이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34 4.64

3.67

4.70

3.29

0.00

1.00

2.00

3.00

4.00

5.00

전문 신문 전문 잡지 전문 방송 전문 라디오 전문 인터넷

<그림36> 전문 미디어 이용 정도

(4) 전문 미디어에서 습득 정보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 중에서 전문 미디어 이용 경험이 있는 응답자에게

전문 미디어에서 주로 습득하는 정보 유형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뉴스,

육아 등 생활 정보’이 19.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한국 전통 등의

문화정보’가 13.3%, ‘한국어 교육’이 3.7%, ‘생활용어나 유행어 등의 언어

정보’가 3.3%, ‘출신국가에 대한 정보나 뉴스’가 0.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Page 13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31

그러나 전문 미디어에서 얻는 정보의 비율이 높지 않게 나타나, 전문 미디어에서는

제한적인 정보를 습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0

13.3

3.3 3.7

0.7

0.0

10.0

20.0

30.0

뉴스,육아 등

생활정보

한국전통 등의

문화정보

생활용어나 유행어

등의 언어 정보

한국어교육 다문화사회

<그림37> 전문 미디어 습득 정보

(5) 전문 미디어에 대한 만족도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 중에서 전문 미디어 이용 경험이 있는 응답자에게

전문 미디어의 만족도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인터넷이 4.0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방송이 3.89, 잡지가 3.64, 라디오가 3.60, 신문이

3.5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전문 미디어

중에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대상 인터넷’에 대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

으며, 다음으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대상 방송’에 대해서도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Page 13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32

3.55 3.64 3.89

3.60

4.03

0.0

1.0

2.0

3.0

4.0

5.0

신문 잡지 TV 라디오 인터넷

<그림38> 전문 미디어 이용 만족도

(6) 향후 전문 미디어 이용 의향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향후에 이용하고 싶은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대상 전문 미디어’에 대해 중복응답으로 조사하 다. 조사 결과, 1순위의 경우는

‘방송’이 38.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텔레비전’이 30.3%, ‘신문’이

13.3%, ‘잡지’가 6.3%, ‘라디오’가 1.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향후 다른 전문 미디어에 비해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대상 전문 방송’을 주로 이용하고자 하는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3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33

9.3 12.7

29.7

5.3

25.7

0.0

10.0

20.0

30.0

40.0

50.0

신문 잡지 방송 라디오 인터넷

<그림39> 향후 전문 미디어 이용 의향(1순위 중복응답)

2순위의 경우도 ‘방송’이 29.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인터넷’이

25.7%, ‘잡지’가 12.7%, ‘신문’이 9.3%, ‘라디오’가 5.3% 등의 순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향후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대상

전문 방송’을 주로 이용하고, 다음으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대상 전문 인터넷’

을 주로 이용하고자 하는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3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34

9.3 12.7

29.7

5.3

25.7

0.0

10.0

20.0

30.0

40.0

50.0

신문 잡지 방송 라디오 인터넷

<그림40> 향후 전문 미디어 이용 의향(2순위 중복응답)

3순위의 경우는 ‘신문’이 23.3%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잡지’가 20.3%,

‘인터넷’이 16.0%, ‘방송’이 11.0%, ‘라디오’가 8.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향후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대상 전문

방송’ 다음으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대상 전문 신문’을 주로 이용하고자

하는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자면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향후에 이용하고자 하는 전문 미디어의 순위는 방송, 인터넷, 신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Page 13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35

23.3 20.3

11.0 8.7

16.0

0.0

10.0

20.0

30.0

40.0

50.0

신문 잡지 방송 라디오 인터넷

<그림41> 향후 전문 미디어 이용 의향(3순위 중복응답)

5)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교육 인식

(1) 미디어 교육 수단 인지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어 및 한국 문화 배울 때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을 알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인터넷 강좌’에 대해 ‘알고

있다’는 응답이 71.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TV강좌’에 대해 ‘알고 있다’가

64.0%, ‘NIE’에 대해 ‘알고 있다’가 27.3%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한국어 및 한국 문화를 배울 때 활용할 수 있는 인터넷

강좌에 대해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13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36

구분 빈도

NIE알고 있다 82(27.3)

모른다 218(72.7)

TV 강좌알고 있다 192(64.0)

모른다 108(36.0)

인터넷 강좌알고 있다 213(71.0)

모른다 87(29.0)

<표38> 미디어 교육 수단 인지

(2) 미디어 교육 수단 이용 경험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어 및 한국 문화를 배울 때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을 이용한 경험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인터넷 강좌’에 대해 ‘배운

적이 있다’는 응답이 34.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TV강좌’를

활용하는 방법을 ‘배운 적이 있다’가 28.3%, ‘NIE’를 활용하는 방법을 ‘배운

적이 있다’가 14.3%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율이 높지 않아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어 및 한국문화를 배울 때 인터넷, NIE, TV 강좌를 이용한 경험이

상대적으로 적음을 알 수 있었다.

Page 13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37

구분 빈도

NIE경험이 있다 43(14.3)

경험이 없다 257(85.7)

TV 강좌경험이 있다 85(28.3)

경험이 없다 215(71.7)

인터넷 강좌경험이 있다 102(34.0)

경험이 없다 198(66.0)

<표39> 미디어 교육 수단 이용 경험

(3) 미디어 교육 수단 도움 인지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어 및 한국 문화를 배울 때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의 도움 정도를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 ‘NIE

강좌’가 2.7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TV 강좌’가 2.46, ‘인터넷강

좌’가 2.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어

및 한국 문화를 배울 때 활용할 수 있는 수단 중에서 가장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신문을 활용할 수 있는 ‘NIE 강좌’임을 알 수 있었으나, 평균값이 상대적으로

높지 않아 어떠한 수단도 상대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38: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38

2.722.46 2.38

0.0

1.0

2.0

3.0

4.0

5.0

NIE TV강좌 인터넷강좌

<그림42> 미디어 교육 수단 도움 인지

(4) 미디어 교육 수단의 도움 이유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어 및 한국 문화를 배울 때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의 도움 이유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NIE 강좌’의 경우는 도움 이유

중에서 ‘언제 어디서나 활용할 수 있다’가 16.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

로 ‘도구를 쉽게 구할 수 있다’가 14.3%, ‘혼자서도 공부할 수 있다’가 12.3%,

‘학습목표에 따라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11.3%, ‘가족과 같이 공부할 수

있다’가 11.0%, ‘배우기 쉽다’와 ‘한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다’ 그리고 ‘실생활

내용이어서 흥미가 생긴다’가 각각 9.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NIE

강좌의 도움 이유는 언제 어디서든 활용할 수 있다는 이유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V 강좌’의 경우는 도움 이유 중에서 ‘한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다’ 47.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실생활 내용이어서 흥미가 생긴다’가 43.7%,

‘배우기 쉽다’가 43.3%, ‘가족과 같이 공부할 수 있다’ 43.0%, ‘학습목표에

따라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가 30.3%, ‘혼자서도 공부할 수 있다’가 27.0%,

Page 139: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39

‘도구를 쉽게 구할 수 있다’가 23.0%, ‘언제 어디서나 활용할 수 있다’가 20.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TV 강좌의 도움 이유는 한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다

는 이유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강좌’의 경우는 도움 이유 중에서 ‘혼자서도 공부할 수 있다’ 49.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언제 어디서나 활용할 수 있다’가 48.7%, ‘도구

를 쉽게 구할 수 있다’가 44.3%, ‘학습목표에 따라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가

44.0%, ‘배우기 쉽다’가 35.3%, ‘가족과 같이 공부할 수 있다’가 34.7%,

‘실생활 내용이어서 흥미가 생긴다’가 31.7% ‘한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다’가

29.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터넷 강좌의 도움 이유는 혼자서도 공부할

수 있다는 이유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43> 미디어 교육 수단의 도움 이유

Page 140: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40

(5) 미디어 교육 수단의 비도움 이유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어 및 한국 문화를 배울 때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의 비도움 이유에 대해 조사하 다. 조사 결과,‘NIE 강좌’의 경우는 비도움

이유 중에서 ‘한국어를 모른다’가 39.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내용

이 어렵다’와 ‘재미없다’ 그리고 ‘내용이 수준에 안 맞는다’가 각각 33.0%, ‘활용

도구가 없다’가 32.3%, ‘교재와 내용이 현실과 안 맞는다’가 31.7%, ‘전문

교재가 없다’가 30.7%, ‘시간 여유가 없다’가 23.7%, ‘강의시간이 맞지 않는다’

가 22.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NIE 강좌의 비도움 이유는 한국어를

모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TV 강좌’의 경우는 비도움 이유 중에서 ‘강의시간이 맞지 않는다’가 30.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시간 여유가 없다’가 28.3%, ‘내용이 수준에

안 맞는다’가 26.7%, ‘전문 교재가 없다’가 24.0%, ‘활용도구가 없다’가 20.3%,

‘내용이 어렵다’가 17.7%, ‘교재와 내용이 현실과 다르다’가 17.3%, ‘재미없다’

와 ‘한국어를 모른다’가 각각 16.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터넷 강좌의

비도움 이유는 강의시간이 맞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강좌’의 경우는 비도움 이유 중에서 ‘교재와 내용이 현실과 맞지 않는다’

와 ‘전문 교재가 없다’가 각각 10.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내용이

어렵다’와 ‘강의시간이 맞지 않는다’ 그리고 ‘시간여유가 없다’가 각각 10.0%,

‘재미없다’가 9.3%, ‘활용도구가 없다’와 ‘한국어를 모른다’가 7.7%, ‘내용이

수준과 안 맞는다’가 6.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터넷 강좌의 도움

이유는 교재와 내용이 현실과 맞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4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41

<그림44> 미디어 교육 수단의 비도움 이유

3. 미디어 이용 실태 조사의 시사점

1) 미디어 이용 실태

(1) 미디어별 이용 정도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조사의 결과를 요약하면, 결혼 이민자들의 하루

평균 미디어 이용량은 TV > 인터넷 > 라디오 > 신문 > 잡지의 순으로 많았다.

시간적으로는 TV, 인터넷의 하루 이용량은 2시간 정도 으나 신문, 잡지, 라디오는

11.1~16.8분에 불과했다. 미디어 이용 만족도는 인터넷 > TV > 라디오 > 신문

> 잡지의 순이었으며, 인터넷과 TV에 대한 만족도가 라디오, 신문, 잡지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인쇄매체보다는 인터넷과

방송에서 더 많은 만족을 느끼고 있었다. 향후 이용하고 싶은 미디어에서는 인터넷

Page 14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42

> TV > 신문 > 잡지 > 라디오의 순이었다. 특히 인터넷과 TV를 이용하겠다는

응답이 전체의 90% 가까이를 차지하 으며 신문, 잡지, 라디오의 이용 의도는

매우 낮았다.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습득할 때 활용하려

는 미디어는 TV > 인터넷 > 신문 > 잡지 > 라디오의 순이었다.

결론적으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지금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고, 앞으로

도 많이 이용할 미디어는 TV와 인터넷이며, 신문, 잡지, 라디오에 대해서 이용량과

만족도, 향후 이용 의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 만족도에서는 인터넷이

TV보다 높았지만, 실생활에서 더 많이 활용하는 것은 TV로 나타났다. TV의

이용량이 많은 것은 한국 문화에 대한 정보 습득이나 한국어 학습과 관계가 있었다.

즉 TV의 교육적 효과가 인터넷보다 높은 것으로 해석되었다. 신문의 경우, 이용량과

만족도는 라디오보다 낮았지만, 향후 이용하고 싶은 미디어에서는 잡지와 라디오보

다 높게 나타나고 있어 지금보다는 더 많이 이용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신문의 경우 유료 독자는 17%에 불과하고 35.7%는 무료 신문을 보고

있어 유료 신문 이용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정부 지원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 다.

이용실태 구분 1순위 2순위 3순위 4순위 5순위

하루 평균 이용량(분) TV

(122.4)인터넷(112.5)

라디오(16.8)

신문(12.0)

잡지(11.1)

이용 만족도(점)인터넷(4.21)

TV(4.08)

라디오(3.51)

신문(3.34)

잡지(3.33)

향후 이용하고 싶은 미디어(%)

인터넷(47.3)

TV(41.7)

신문(4.3)

잡지(2.3)

라디오(1.0)

한국어·한국문화 학습 이용 미디어(점)

TV(4.39)

인터넷(4.19)

신문(3.53)

잡지(3.49)

라디오(3.40)

<표40> 미디어 이용 실태

미디어 중에서 신문, TV 등은 인구학적인 특성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문의 경우, 농어촌 지역에 거주하는 결혼 이민자들이 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결혼 이민자보다 더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또 가구당 월 평균 소득이 200만원

Page 14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43

이상인 결혼 이민자가 200만원 이하인 결혼 이민자보다 더 많이 신문을 읽고

있어 소득이 많을수록 신문을 더 보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또 도시지역에 있는

월 가구소득 200만원 이하의 결혼 이민자 가정이 가장 신문을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에 대해 신문 구독료를 지원할 경우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해석이 되었다. TV의 경우, 5년 미만 거주한 결혼 이민자가 5년 이상 거주한

결혼 이민자보다 TV를 더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TV는 이주 초기

결혼이민자들에게 많은 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었다.

구분 미디어 특징

거주지역 신문 농어촌지역 거주자가 도시 지역 거주자보다 더 많이 이용

거주기간 TV 5년 미만 거주자가 5년 이상 거주자보다 더 많이 이용

소득 신문가구당 월 소득 200만원 이상 결혼 이민자가 200만원 이하 결혼 이민자보다 더 많이 이용

<표41> 거주지역, 거주 기간, 소득과 미디어 이용 관계

(2) 미디어 이용 동기와 비이용 동기

신문, 잡지, TV, 라디오, 인터넷 등 5개 미디어의 이용 동기를 요인 분석한

결과, 모든 미디어에서 ‘한국 생활 적응 및 한국어 교육’, ‘외로움 달래기’, ‘습관

및 재미’ 등 3개 요인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 미디어를 이용하는 이유는 이국에서 외로움을 달래고, 한국 생활에 적응하기

위해, 그리고 즐거움을 얻거나 습관적으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습관적 이용보다

는 도구적 이용 동기가 많아 결혼 이민자들은 능동적으로 미디어를 적극 이용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미디어들의 이용 동기를 조사 항목별로 보면 신문, 잡지, 라디오에서는

‘한국 정보 및 한국어 습득, 한국 문화에 빨리 적응’이 주요 동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문, 잡지, 라디오에 대해선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과 한국어를 배우려는 도구적

Page 14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44

동기에 의해 이용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TV와

인터넷에 대해선 한국과 한국어를 배우려는 목적 이외에 미디어 자체를 즐기고

있고 습관적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TV와

인터넷에 대해선 도구적 동기와 습관적 동기 모두를 갖고 이용하는 것으로 해석되었

다. 특히 인터넷은 출신 국가에 대한 그리움을 해소하는 주요 미디어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들의 비이용 동기도 신문, 잡지, 라디오에서만 나타났는데,

TV와 인터넷 때문에 이용하지 않고, 이용하는 습관도 없는 점이 주요한 비이용

동기 다.

미디어 주요 이용 동기 주요 비이용 동기

신문 한국 정보 및 한국어 습득, 한국문화에 빨리 적응

다른 미디어 이용

읽는 습관이 없다

잡지 한국 정보 및 한국어 습득한국 문화에 빨리 적응,

다른 미디어 이용

읽는 습관이 없다

TV

한국 정보 및 한국어 습득 한국 문화에 빨리 적응

재미있고 즐겁다

배우자와의 대화자녀교육을 위해서

습관적으로

라디오 한국 정보 및 한국어 습득한국 문화에 빨리 적응

다른 미디어 이용

듣는 습관이 없어서

인터넷

출신국가에 대한 그리움 때문

한국 정보 및 한국어 습득한국 문화 빨리 적응

즐겁고 재미있다 좋아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습관적으로

<표42> 미디어별 이용 및 비이용 동기 비교

Page 14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45

(3) 미디어에서 주로 이용하는 정보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신문, 잡지, 방송, 라디오, 인터넷 등 5개 미디어에

서 얻는 정보는 한국 문화정보, 언어 정보, 생활 정보, 한국어 교육 정보, 출신국

정보 등 5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이민자들은 출신국 정보 이외에 한국문화와

한국어를 배우려는 욕구, 일상 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알려는 욕구가 강한 것을

해석되었다.

그러나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5개 미디어에서 주로 얻고 있는 정보는

미디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우선적으로 얻는 1순위 정보는 신문과 잡지 등

인쇄매체에서는 한국 문화 정보, TV와 라디오 등 방송매체에서는 언어 정보,

인터넷에서는 출신국 정보 다. 인쇄매체에서는 한국 전통 등 문화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방송매체에서는 생활용어나 유행어와 같은 언어를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나, 결혼 이민자들은 인쇄매체에서는 지식을 배우고 방송매체에서는 한국어를

익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인터넷에서는 출신국 정보를 1순위로 꼽혀 결혼 이민자

들은 모국에 대한 정보나 소식을 알기 위해 인터넷을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해석되었

다. 이는 결혼 이민자들의 인터넷 이용 동기에서 ‘출신국가에 대한 그리움 해소’가

1순위로 나타난 것과 일치하는 결과 다.

2순위 정보로는 신문과 TV에서는 생활 정보, 잡지에서는 언어 정보, 라디오에서

는 한국 문화정보, 인터넷에서는 한국어 교육 정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신문과 TV의 경우 생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특히 결혼 이민자들은 한국어 교육을 위해서는

5개 미디어 가운데 인터넷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4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46

미디어 1순위 2순위 3순위

신문 한국 문화 정보 생활정보 언어정보

잡지 한국 문화 정보 언어정보 생활정보

TV 언어 정보 생활정보 한국 문화정보

라디오 언어 정보 한국 문화정보 생활정보

인터넷 출신국 정보 한국어 교육 생활정보

<표43> 미디어에서 얻는 주요 정보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5개 미디어에서 주로 이용하는 콘텐츠나 서비스(인

터넷)를 비교해 보면, 신문과 잡지 등의 인쇄매체에서는 1순위가 생활 및 문화

관련 콘텐츠, 2순위가 교육 및 육아 관련 콘텐츠 다. 이는 결혼 이민자들이 신문과

잡지에서 많이 얻는 정보와도 어느 정도 일치하고 있다. 이는 결혼 이민자들은

인쇄매체에서는 한국의 문화, 생활 및 교육과 같이 실생활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 콘텐츠를 많이 이용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TV와 라디오 등의 방송매체에서 많이

이용하는 콘텐츠는 1순위가 드라마, 2순위가 보도(뉴스) 다. 결혼 이민자들은

즐겁고, 시사정보를 제공하는 방송콘텐츠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또 결혼 이민자들이 방송매체에서 1순위로 얻는 정보가 언어 정보인 점을 고려하면

드라마와 보도를 보면서 한국어를 많이 학습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인터넷에서 많이 이용하는 서비스는 1순위가

정보 검색, 2순위가 출신국과의 채팅이었다. 결혼 이민자들은 뉴스와 같은 시사

정보 검색, TV 프로그램이나 화 등의 오락 콘텐츠 즐기기보다는 실생활 정보를

찾아보거나 출신국과의 교류를 위해서 인터넷을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또 3순위로

이용하는 서비스가 한국어교육사이트로 나타나 결혼 이민자들은 체계적인 한국어

학습을 위해선 인터넷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결혼 이민자들

은 오락성보다는 실생활에 도움이 되고 모국과의 연결을 유지하는 것과 같은 실용적

인 서비스를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Page 14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47

미디어 종류 1순위 2순위 3순위

신문 및 잡지 콘텐츠 생활및 문화 교육및 육아 디자인

TV 및 라디오 콘텐츠 드라마 보도(뉴스) 연예오락

인터넷 서비스 정보검색 출신국과의 채팅 한국어 교육사이트

<표44> 미디어에서 많이 이용하는 콘텐츠 및 서비스

(4) 정보 습득 경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 사회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는 경로는 TV

> 인터넷 > 지인 > 신문 > 가족 > 공공기관 > 잡지 >라디오 등의 순이었다. 결혼

이민자들이 출신국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로는 인터넷 > TV > 지인 > 가족 >

신문 > 잡지 > 공공기관 > 라디오의 순이었다. TV와 인터넷이 중요한 정보 전달

경로 는데, 한국 사회에 대한 정보 습득에서 가장 중요한 경로는 TV이고, 출신국에

대한 정보 습득에서는 인터넷이었다. 신문, 잡지, 라디오는 지인, 가족 등 주변

인물들보다 정보 전달 속도가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잡지와 라디오는 정보

전달 기능을 거의 하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반면 결혼 이민자들에게는

지인과 가족이 중요한 정보 전달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혼 이민자들이

미디어에서 얻는 정보가 한국 문화정보, 언어 정보, 생활 정보, 한국어 교육 정보,

출신국 정보 등으로 제한되어 있어 그 밖의 정보 전달에서는 지인과 가족의 역할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분 1순위 2순위 3순위 4순위 5순위 6순위 7순위 8순위

국내정보

TV 인터넷 지인 신문 가족공공기관

잡지 라디오

출신국 정보

인터넷 TV 지인 가족 신문 잡지공공기관

라디오

<표45> 결혼이민자의 정보 습득 경로

Page 148: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48

(5) 미디어에 대한 평가

대다수의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한국 생활에 적응하는데 미디어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미디어에 대한 신뢰도와 교육적 효과도 높게

평가하고 있어 향후 미디어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설문조사 결과를 2차 분석한 결과, 미디어의 중요도, 신뢰도 ,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에서는 관련성이 있었다.

우선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의 미디어 중요도에 대한 인식과 미디어 신뢰도

및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간의 상관관계 분석한 결과, 중요도에 대한 인식은

신뢰도 및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과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미디어에

대한 신뢰도가 높고, 교육적 효과가 높다고 평가할수록 미디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디어 신뢰도 미디어 교육적 효과

미디어의 중요도 인식 .612** .422**

<표46> 미디어 이용 정도와 미디어 신뢰도, 미디어 교육성의 상관관계

*P<0.05, **P<0.01

다음으로 미디어에 대한 신뢰도와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적인 관계로 나타났다. 미디어에 소개되는 내용의 교육적 효과가

높다고 인식할수록 미디어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미디어가 신뢰할 만하고 교육적 효과가 높은 콘텐츠를 제공해야만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미디어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많이 이용할 것이라는 점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었다.

Page 149: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49

미디어 교육적 효과

미디어 신뢰도 .511**

<표47> 미디어 신뢰도와 미디어 교육성의 상관관계

*P<0.05, **P<0.01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에 대한 중요도, 신뢰도,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이 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향을 분석한 결과, 교육적 효과만이 신문과

잡지와 관계가 있었다. 신문과 잡지의 경우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

결혼 이민자들이 더 많이 이용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신문 잡지 TV 라디오 인터넷

미디어 교육적 효과 .194** .161** - - -

<표48> 미디어 교육적 효과와 미디어 이용의 상관관계

*P<0.05, **P<0.01

2) 전문 미디어(에스닉 미디어) 이용 실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전문미디어에 대해선 인지도가 높지 않고, 이용한

경험이 없는 결혼 이민자가 경험이 있는 결혼 이민자보다 많아 전문미디어는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문미디어가 국내에서 시작된 역사가

짧고 세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3) 미디어 활용 교육 인식

TV와 인터넷 활용 교육에 대해서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절반 이상이

알고 있었으나, NIE에 대해서는 알고 있는 결혼 이민자가 27.3%에 불과해 NIE의

Page 150: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50

인지도가 낮게 나타났다.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을 해본 경험도 적었으며 도움이

될 것이란 인식도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미디어 활용 교육에 대한 평가는 낮은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및 한국문화를

가르치는 기관 등에서 NIE, 인터넷 강좌, TV 강좌를 활용한 학습 방식에 대해

많이 교육하지 않은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디어 활용 교육이 도움이 된다고 결혼 이민자들이 생각하는 이유는 편리한

이용 접근성(언제 어디서나 활용할 수 있다, 도구를 쉽게 구할 수 있다), 자율적인

학습 가능(혼자서도 공부할 수 있다, 학습목표에 따라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가족과 같이 공부할 수 있다), 실생활에 밀접한 콘텐츠로 흥미 유발(실생활 내용이어

서 흥미가 생긴다, 한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다) 등의 세 가지로 요약되었다.

미디어가 이러한 세 가지 요인을 강화하면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활용 교육이

활성화될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미디어별로는 도움이 되는 이유가 달랐다.

NIE에서는 편리한 이용 접근성, TV 강좌에서는 실생활에 밀접한 콘텐츠로 흥미

유발, 인터넷 강좌에서는 자율적인 학습 가능이 1순위 이유로 지적되었다.

미디어 도움 이유

NIE편리한 이용 접근성

자율적인 학습 가능

TV강좌실생활에 밀접한 콘텐츠로 흥미유발

자율적인 학습 가능

인터넷 강좌 자율적인 학습 가능

실생활에 밀접한 콘텐츠로 흥미 유발

<표49> 미디어 활용 교육이 도움이 되는 이유

미디어 활용 강좌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미디어에 따라

차이가 났다. NIE에서는 한국어 실력 부족이 가장 큰 이유 고, 교재의 문제점(어렵

Page 15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51

고 재미없다)과 활용 도구 미비가 그 다음 이유 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혼 이민자들의 한국어 실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고, 콘텐츠

개발 등 전문교재 마련과 결혼 이민자들의 신문 구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TV 강좌에 대해서는 접근성 문제(강의시간이 맞지 않고, 시간여유가 없다)와

교재 문제(내용이 수준에 맞지 않고, 전문교재 부족)가 지적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방송시간 조정 등 접근 확대 방안을 마련하고 콘텐츠 개발 등 전문교재

제작일 필요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인터넷에서는 교재 문제(교재 내용과 현실이

맞지 않음)가 주요 이유로 지적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실생활에 맞는

유익한 콘텐츠를 담은 전문교재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디어 비도움 주요 이유 해결 방안

NIE

한국어 실력 부족 한국어 교육 강화 방안 마련

교재가 어렵고 재미없다 콘텐츠 개발 등 전문교재 제작

활용도구가 없다 정부 등의 신문 구독 지원

TV강좌강의시간이 맞지 않고 시간여유 없다 방송 시간 조정 등 접근 확대 방안 마련

내용이 수준에 맞지 않고 전문교재 부족 콘텐츠 개발 등 전문교재 제작

인터넷강좌

교재내용과 현실이 맞지 않고 전문교재 부족 실생활에 유익한 콘텐츠 개발

<표50> 미디어 활용 교육의 비도움 이유

Page 15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52

Ⅳ.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의 미디어 인식 조사

1. 조사 개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한 미디어 이용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내용을 구성하고, 설문조사 결과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결혼

이민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 다. 인터뷰 대상자들은 서울시

동작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하는 중국, 일본, 베트남, 캄보디아, 필리핀

출신 결혼 이민자 5명으로 모두 국적이 달랐다(<표 51>). 한국 거주 기간은

3년 8개월(캄보디아 출신)에서 16년(필리핀 출신) 등으로 다양하 고, 모두

한국 남성과 가정을 이루고 있었다. 5명 가운데 중국, 베트남 출신 여성은

계약직으로 근무를 하고 있었고 나머지 3명은 전업주부 다.

심층 인터뷰는 2011년 11월 2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1시까지 3시간 동안

서울시 동작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5명과 집단 인터뷰 형식으로 실시됐

다. 인터뷰는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미디어 이용 실태와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이용 활성화 방안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인터뷰는 연구자가

질문을 하고 결혼 이민자들이 자유롭게 대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5명

모두 한국어로 대화하는데 문제가 없었기 때문에 한국어로 진행됐으며, 인터

뷰를 하기 전에 인터뷰의 취지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동의를 구한 뒤 실시됐다.

심층 인터뷰를 한 후에 부족한 내용에 대해서는 미디어 이용이 가장 많은

중국, 베트남 출신 결혼 이민자 등 2명을 대상으로 추가로 2회에 걸쳐 인터뷰를

실시해 보완했다.

Page 15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53

구분 이름 출신국가 거주시기 동거가족 취업여부 미디어이용정도

A 딩티라이 베트남 7년배우자, 시부모, 자녀(아들 6세)

계약직 근무신문, TV(드라마), 라디오, 인터넷

B 이옥희 중국 10년자녀

(딸 6세)계약직 근무

신문, 인터넷, TV(자녀교육프로그램)

C코타게토

모코일본 9년 6개월

배우자, 자녀 4명(아들 8세, 6세, 딸 5세 쌍생아)

전업주부인터넷,

TV(자녀교육 및 만화)

D 문보아 캄보디아 3년 8개월배우자, 자녀 1명

(딸 3세)전업주부

인터넷,TV(드라마, 오락)

E마르셀로

자넷필리핀 16년

배우자, 자녀 2명(아들 8세, 9세)

전업주부 인터넷, TV(드라마)

<표51> 결혼 이민자 인터뷰 대상자

2. 조사 결과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미디어가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 사회와 실생활

정보를 얻는데 큰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미디어 이용 실태는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A는 “아침에 회사에 출근하면 인터넷을 사용하고,

지하철을 타면 신문을 보고, 집에 와서는 밥을 먹으면서 TV를 보고, 설거지하는

시간에는 싱크대 앞에 있는 라디오를 듣는다”고 하 다.나머지 사람들은 TV,

인터넷, 신문 등을 이용하고 있었다.

또 결혼 이민자들은 한국에 익숙해질수록 한국의 미디어를 더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A는 “처음에 한국에 왔을 때는 한국을 모르고 한국어로 대화도 안되니

모국 친구들이 반갑고 베트남어를 많이 이용했지만, 한국 문화와 한국말에 익숙해지

면서 거의 한국의 것을 보게 된다”고 밝혔다. B는 “결혼이민자의 경우 보통 한국말을

못하면 자기들끼리 어울리는 경우가 더 많다”고 설명하 다.

Page 15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54

1) 신문

(1) 이용 실태

한국어 실력이 부족할 때는 신문을 읽지 않지만, 한국어를 알기 시작하면 신문을

읽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이민자들은 신문을 읽을 때 가장 문제점으로

내용과 단어가 너무 어렵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래도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 사회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연예와 같이 재미있거나 관심있는 기사들도 있기 때문에

신문을 읽게 된다고 밝혔다. 또 지하철 등에서 배포하는 무료신문을 즐겨 읽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문을 보기 시작한 지 2년 밖에 안돼요. 한국어 단어를 배우기

위해서 신문을 봐요. 신문을 보니까 한국어 단어를 인터넷 사전에

서 찾아보게 되요. 또 신문에는 인간생활의 이야기가 많이 실려

있어서 재미가 있어요. 같은 이야기가 반복해서 보니까, 어제 본

것을 오늘 또 보면 재미가 있는 것 같아요. 처음에는 한국말 배우

기 위해서 봤는데 요즘에는 찾아서 보는 것 같아요. (A)

처음에는 신문을 별로 안 보는데 한국에 온지 4년 후인 2003년

정도부터 봤어요. 요즘에는 매일 봐요. 특히 연예 면을 많이 봐요.

처음 오신 이민자는 한국말을 제대로 못하니까 신문으로 정보를

얻는다는 것은 어려운 것 같아요. 그래도 신문은 시사 문제와 사

회를 공부하고, 한국어 단어를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 같아

요. (B)

한국어 공부를 위해서 경제신문을 매일 보는데 내용은 잘 안보고

그림만 봐요. 그래도 점점 단어를 보기 시작했어요. (D)

Page 15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55

무료신문이 좋은 것 같아요. 무료이고, 출퇴근 시간에 배포가 되

고, 센터에서 무료로 배포하는 조선일보나 경향신문보다 쉬워서

그런 것 같아요. (B)

그러나 C는 “일본에 있을 때도 신문을 잘 보지 않았고, 한국에서도 잘 보지

않는다”고 말해 모국에서의 미디어 이용 습관이 한국에서도 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콘텐츠

신문의 내용이나 단어가 너무 어렵다는 평가들이 많았다. 신문 1페이지를 읽는데

1~3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문에는 너무 어려운 말이 많아서 보기 너무 힘들어요. 조선일보

는 글이 너무 많아 읽는 것이 부담스러워요. (A)

어려운 한국말 밑에 해석이 있었으면 좋겠어요. (C) / 신문에 한

자가 너무 많아서 보기 힘들어요. (D) / 신문 1페이지를 읽는데

1시간이 걸려요. (B, D) / 저는 3시간도 걸려요. (A)

(3) 요망 사항

정부가 다문화 가정의 신문 구독을 지원하면 좋겠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 결혼

이민자들에게 필요한 정보와 시사 뉴스를 주간으로 전달하는 신문이 있으면 도움이

될 것이란 의견도 제시되었다.

다문화지원센터에서 무료배포되고 있는 조선일보, 경향신문 등을

집으로 가져가기도 하는데, 매우 도움이 돼요. (B)

Page 15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56

한국 정부가 다문화 가정의 신문구독비를 일부나마 지원하면 효

과가 있을 것 같아요. 한국어를 모르면 보고 싶어도 못 보지만,

한국어를 좀 알아도 비싸면 사서 볼 수 없잖아요. 모두를 지원할

수 없다면 TOPICS(한국어능력시험) 성적이 일정 등급이면 3년

정도 지원을 해주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A)

2) 텔레비전

(1) 이용 실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이주 초기부터 한국어 공부, 엔터테인먼트 등을

위해 TV를 즐겨 보고 있었다. 남편 등 가족들과 같이 보는 경우가 많고, 가족과의

대화를 위해서도 보고 있었다.

처음부터는 드라마를 많이 봤고, 애기 키우면서 인터넷고 보고,

TV도 보고, 요즘은 인터넷을 많이 활용해요. (A) / TV를 매일

봐요. 드라마나 뉴스를 보려고요. 보고 싶어서 봐요. 주말드라마는

기다리기도 해요. 남편하고도 같이 봐요. (E)

한국에 처음 왔을 때부터 TV를 많이 봤어요. 지금은 남편이 보는

프로그램을 많이 봐요. 요즘은 ‘나는 가수다’를 보고, 야구나 농구

게임도 봐요. 같이 봐야 대화가 되잖아요. 스포츠 경기를 보면서

선수가 어느 편이냐고 묻기도 해요. 애들이 만화, 개그콘서트를

볼 때는 ‘바보같다’고 하면서도 같이 봐요. (C)

Page 15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57

(2) 콘텐츠

TV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수준이 낮다는 비판이 많았다. 또 육아, 교육 등과

같이 생활에 도움이 되거나 결혼 이민자를 위한 프로그램이 매우 적다고 지적했다.

드라마는 지겹고, 볼만한 가치가 별로 없다고 생각해요. 실생활하

고 너무 거리가 멀고, 내용이 똑같아요. 시작을 보면 끝을 다 알

것 같아요. EBS 방송, 다큐멘터리, 동물의 세계, 뉴스 정도만 보

고 있어요. 프로그램의 질을 더 높여줬으면 좋겠어요. 그리고 실

제적인 것을 해줬으면 좋겠어요. (B)

EBS는 괜찮지만 대체로 TV를 보고 있으면 짜증날 때가 많아요.

제가 있으면 우리 집에서는 TV 거의 틀지 않아요. 결혼 이민자들

을 위한 프로그램이 거의 없어요. (A)

결혼 이민자를 위한 프로그램이 있다고 해도 설 명절 때 외국인

이 나와서 춤추고 노래 부르고 그런 거죠. 안본지 10년 된 것 같

아요. (B) / 설날 프로그램을 보면 꼭 외국인들이 나오잖아요. 처

음에는 재미있었는데 매년 너무 똑같고 형식적인 것 같아요. (C)

EBS의 한국어 방송을 봤어요. 우리 외국 사람들이 많이 봐요. 교

육이 많이 나와서 좋아요. 그러나 드라마는 한국생활하고 너무 거

리가 멀어요. (D)

(3) 요망사항

① 콘텐츠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실제 생활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이 많아졌으면

Page 158: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58

좋겠다는 지적이 많았다.

결혼 이민자가 처음 왔을 때에는 한국말, 한국요리를 TV에서 보

고 배울 수 있으면 제일 좋을 것 같아요. 부동산과 같은 경제 정

보도 전달했으면 좋겠어요. 이런 것들은 주로 엄마들이 하는데,

외국인들은 잘 알 수가 없잖아요. (C)

저희가 한국에 올 때는 나이가 다 어리잖아요. 그러니까 아이를

낳으면 어떻게 양육을 해야 하는지, 교육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한국의 문화는 무엇인지 등을 담은 프로그램이 많아지면 도움이

많이 되지 않을까요. 다문화가정을 위한 프로그램을 만들면 많은

도움이 될 거에요. 제가 아는 엄마들은 자녀가 3살이 되면 대부분

걱정이 많아요, 학교에서 친구도 없고 심리적으로 안 좋아요. 그

러면 엄마 입장에서 어떻게 해야 되는지 상담을 하는 프로그램도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또 요즘에 TV에 나오는 ‘미녀들의 수다’

와 같이 다문화에 관한 정보를 같이 나누면 좋을 것 같아요. (A)

‘우리 아이 달라졌어요’라는 프로그램은 아이들 키울 때 도움이

많이 되요. 이런 프로그램이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D)

② 방송 서비스 방식 개선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TV를 통해 한국어를 익히거나 한국 사회를 더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뉴스나 주요 드라마에 한글 자막을 넣어주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많았다.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화서비스와 같은 형태의 서비스

다. 어, 중국어 등 외국어 자막 서비스는 불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뉴스는 알아듣지 못하지만 자기 나라 사이트에 들어가면 금방 확

인되니까 제 생각에는 중국어 자막을 넣을 필요는 없는 것 같아

Page 159: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59

요. 저는 배우기 위해서 뉴스를 보니까 한글 자막이 나은 것 같아

요. 그러면 뉴스 내용을 잘 못 들어도 자막을 읽고, 메모를 하면

이해가 많아질 것 같아요. 한국에는 어떤 사건이 터지면 미디어가

온종일 그것을 말하잖아요. 모든 매체에서 그러니까 한번 정확히

알고 찾아볼 수 있는 기회를 주면 좋을 것 같아요. (B)

배우기 위해서 TV를 보니까 천천히 이야기하면 좋겠지만, 그렇게

할 수 없으니까 한글자막을 넣으면 좋겠죠. 드라마에서도 한글 자

막이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드라마에 나오는 단어는 우리 생활

에서 많이 사용하잖아요. (D)

드라마를 보면서 한글 공부를 하려고 해도 말이 너무 빨라 어려

울 때가 많아요. 외국 영화를 보면 영어 자막이 나오잖아요. 그렇

게 드라마에도 한글 자막을 넣으면 인터넷에서 TV드라마를 다운

받아서 보면서 한국어를 공부할 때 많은 도움될 것 같아요. (A)

3) 잡지

(1) 이용 실태

잡지는 거의 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료로 배포되는 레인보우 플러스를

접하기는 해도 잡지를 읽을 시간이 없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 다.

한국 잡지는 많이 안 봐요. (A) /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레인보

우 플러스를 받을 수 있지만 시간이 없어서 안 봤어요. (B, E) /

집에서는 잡지를 읽지 않고, 병원에 갔을 때 기다리는 동안 잡지

가 있으면 보는 정도예요. (C)

Page 160: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60

(2) 콘텐츠 및 요망사항

레인보우 플러스가 한국어와 외국어로 모두 기사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높았다. 그러나 기사 내용이 너무 다문화 가정 중심으로 되어 있는 점에

대해서는 “한국 사회의 이해를 위해서는 한국 사회에 관한 내용이 많아졌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또 계간지인 레인보우 플러스가 보다 자주 발행됐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있었다.

한 면은 한글로 나오고 한 면은 베트남어로 나오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요. 그러나 레이보우 플러스는 세 달에 한번 나오잖아

요. 좀 더 자주 나왔으면 좋겠어요. (A)

레인보우플러스 잡지가 좋기는 한데 대부분 다문화에 관한 내용

만 들어 있잖아요. 한국 사회에 관한 내용이 있어서 우리가 좀 더

배울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A, D)

4) 라디오

라디오 시청이 한국어를 배우거나 일상생활에 도움이 된다는 결혼 이민자도

있었지만, 대체로 라디오의 이용 빈도는 매우 낮았다. 이용할 때도 특정 콘텐츠를

즐기기보다는 운전을 하거나 주방에서 일할 때 습관적으로 듣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디오를 들으면 일상생활에 많이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우리가

사는 것과 더 가깝게 느껴지고 한국말을 빨리 배우는 것 같아요.

그래도 시간이 없어서 주말에만 들어요. (A) / 라디오를 들을 시

간이 없어요. (B) / 제가 자동차를 몰고 다니기 때문에 차에 타고

있을 때 들어요. (C)

Page 16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61

5) 인터넷

(1) 이용 실태

인터넷은 한국에서의 생활 정보나 모국에 대한 정보를 알고 싶을 때, 한국어

공부를 할 때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주로 이용하는 사이트는 네이버, 다음,

네이트와 같은 포털사이트 또는 EBS에서 운 하는 교육용 사이트 다.

저는 베트남, 한국과 관련해서 살고 있잖아요. 그래서 한국의 뉴

스에서 베트남과 관련된 소식이 있으면 야후 사이트에서 베트남

어로 된 사이트를 찾아서 베트남에 관한 정보를 찾아봐요. (A) /

한국어 공부할 때 주로 활용해요. (B) / 필리핀에 관한 정보를 알

고 싶을 때 활용해요. (E)

(2) 요망사항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육아, 자녀 입학, 병원 이용법 등 결혼 이민자들을

위한 정보들을 모아서 제공하는 사이트가 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밝혔다.

한국의 사이트에 가서 일일이 찾아보기에는 어려움이 많아요. 한

국 사람이라면 쉽게 알 수 있겠지만 한국에 온 지 얼마 안 되는

결혼 이민자들로서는 그런 정보들을 찾아보기가 쉽지 않아요. 결

혼 이민자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모아놓은 사이트가 있으면 크

게 도움이 될 것 같아요. (A, B, C)

Page 16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62

6) 전문 미디어(에스닉 미디어)

(1) 이용 실태

한국에서 운 되는 에스닉 미디어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고, 거의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 B, E는 “이름은 들어서 알고 있지만 이용해본 적이

없다”고 밝혔다. C는 에스닉 미디어를 이용하는 대신 한국의 일본 전문 방송을

이용하고 있었다.

채널J에서 하는 일본 드라마와 스포츠를 많이 봐요. 채널 J는 한

국 사람을 위해서 하는 채널 같은데, 일본에 대해서 관심있는 한

국인들을 위해서 일본여행이나 이벤트에 대해 많이 보도를 해요.

일본말로 하는데 한글자막도 나오니까 그것을 보면서 한국말도

배우게 돼요. (C)

(2) 콘텐츠

B는 “중국 사람의 경우 실제 생활에 도움이 안 되면 두 번 보지 않는다.”고

말해 에스닉 미디어의 콘텐츠가 결혼 이민자들의 실생활에 도움이 되지 않는 점을

시사했다.

(3) 요망사항

본격적인 다문화 전문 미디어가 탄생할 경우 TV가 가장 이용하기 쉽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러나 5명 모두 케이블TV보다는 지상파TV 방송을 더 원하 다. 케이블

TV는 별도의 이용료를 내고 가입을 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이 있기 때문이었다.

Page 16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63

7) NIE

NIE에 대해선 “들어본 적이 없다”(A, D, E)는 의견이 많았다. 그러나 NIE를

통해서 한글 수업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B와 C는 교육 효과가 높다고 평가했으며,

NIE에 대해 처음 들어온 결혼 이민자들도 “NIE의 한글 교육효과가 높을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한글을 배울 때 아나운서 선생님

들이 와서 신문을 읽어주면서 가르친 적이 있어요. 그날 집에서

TV를 볼 때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들이 나오니까 쉽게 이해가 되

고 TV를 열심히 보게 되더군요. (C)

한국의 큰 사건들에 대해서 다른 사람에게 물어봐도 자세하게 들

을 기회가 많지 않아요. 그런데 한글 수업시간 때 아나운서 선생

님들이 새만금 문제를 이야기하면서 뉴스가 된 배경을 자세하게

설명을 해주니까 쉽게 알 수 있었어요. NIE를 통해서 한글을 공

부하니까, 한국 사회에 대해서도 좀 더 깊게 알 수 있었던 것 같

아요. (B)

선생님들이 그날에 나온 뉴스를 설명하면서 한글 교육을 하면 재

미있게 공부하면서 한국 사회를 빨리 알 수 있을 것 같아요. (A)

그러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의 NIE를 통한 한글 교육은 오래 지속되지 못했

다. 학생 수가 갈수록 줄어들었기 때문이었다. 그 이유에 대해 B는 “한글 초보자들이

교육 내용을 너무 어려워해서 그런 같다. 한국에 온 지 최소 3년은 되어야 한글과

선생님의 설명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Page 16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64

8) 한국어 교육과 교육 사이트

(1)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미디어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교육이 최우선으로 중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특히 다문화 가정 2세의

교육을 위해서라도 다문화 가정 1세대 결혼 이민자 여성들에 대한 한국어 교육이

보다 강화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모든 것이 한국어부터 시작돼요. 한국어가 근본이에요. 한국어를

못하면 모든 것이 다 둘째에요. 특히 아이들보다 엄마를 더 많이

챙겨주어야 합니다. 아이들은 학교에 가면 한국어를 금방 배우잖

아요. 그런데 엄마들은 아무리 배워도 아이들의 눈높이에 따라가

지 못하는 것 같아요. 어떤 분들은 돈 때문에 일을 해야 되는 경

우가 있어요. 그러면 한국에 온지 7~8년이 지나도 한국어를 못해

서 아이들한테 한국어를 배우라는 소리를 들어요. 나중에는 아이

들까지 엄마를 무시해요. 한국 사람들의 학벌에 대한 편견은 매우

깊은 것 같아요. 편견받기 싫으면 헤쳐 나가야 되요. 그러니까 자

녀에게도 스스로 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게 제일 도움이 되

는 것 같아요. 그러기 위해선 엄마가 잘해야 아이들한테도 쉬워지

지 않겠어요. (B)

(2) 교육 사이트

EBS 등에서 운 하는 교육사이트들이 몇 년 전부터 유료화가 되면서 경제적인

부담이 커졌다는 불만이 많았다. 그래서 이들은 정부가 결혼 이민자들의 한국어

교육, 자녀 교육에 필요한 질 높은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하는 사이트를 운 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Page 16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65

다문화 가정은 대부분 경제적인 어려움이 있어서 시간이나 경제

적인 여유가 없어요. 한국 사람의 경우에는 시댁식구들이 도움을

주지만 다문화 가정은 시댁식구들도 도움을 안주는 경우가 많이

있어요. 그래서 유료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도 경제적으로 부담이

돼요. (B)

평일에는 일을 해야 하거나 가정 일을 하다보면 개인적으로 한국

어를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은 저녁 11시에나 가능해요. (C) / 한국

문법, 어휘, 기초 등을 반복적으로 시간제한을 받지 않고 공부할

수 있는 사이트가 있었으면 좋겠는데 모두 유료예요. 7만5천원~8

만원 정도 해요. EBS도 전부 유료여서 TV 이외에는 볼 것이 없

어요. (B)

3년 전에는 EBS 방송교육의 무료 한글 강좌를 보고 한글을 공부

했는데, 요즘에는 없어졌어요. 전부다 유료에요. 제일 싼 것이 5천

원이예요. (D) / 한국의 문화, 요리, 육아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정보나 한국의 전통문화 등을 쉽게 배울 수 있는 무료 사이트가

있었으면 좋겠어요. 그러면 초기 결혼이민자들도 쉽게 한글과 한

국문화, 한국 사회에 대해 배울 수 있을 거예요. 방송통신대학교,

연세대 등 대학의 교육 프로그램도 있지만 모두 유료여서 부담이

많아요. (A)

9) 기타

미디어와 여러 기관에서 운 하는 사이트의 외국어 번역에 오류가 많다는 지적이

있었다. 그래서 방송에서 외국어 자막을 넣을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있었다.

Page 16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66

작년에 의료관광 공부를 해서 사이트에 들어가 봤는데 삼성병원,

서울대병원의 외국어 번역 내용 가운데 틀린 것들이 너무 많은

거예요. (B) / 이화여대와 서울대에서 홍보물이 왔는데 번역된 내

용이 무슨 뜻인지는 알 수는 있겠는데, 사실은 잘 사용하지 않는

단어들이었어요. (C)

3. 결혼 이민자 인터뷰 조사의 시사점

1) 미디어 이용 실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TV, 인터넷, 신문의 순으로 많이 이용하고 라디오

와 잡지의 이용 빈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주 초기에는 TV를 많이 보지만

한국어를 익히면서 신문도 보기 시작했다. 특히 결혼 이민자들은 미디어가 한국어

공부, 생활 정보 습득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고, 한국어에 익숙해지고 한국

사회에 많이 접할수록 한국 미디어를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제적인 어려움과 자녀 교육, 시간 부족 등으로 미디어, 특히 유료 미디어를

이용하는 데는 한계가 많았다. 또 결혼 이민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미디어 콘텐츠가

매우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아 결혼 이민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미디어 콘텐츠

개발과 전달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정책적 지원 방안

(1) 신문

① NIE에 대한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

NIE에 대해선 접할 기회가 적지만, NIE가 한국어 교육과 한국 사회 이해 증진에

큰 도움이 된다는 점은 모두 공감하고 있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지원센터 등에서

Page 16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67

결혼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교육할 때 NIE를 활용하는 방안을 확대시킬

필요성이 있다.

② 다문화 가정의 신문 구독 지원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어느 정도 한국어에 익숙해지면 신문을 읽기

시작하고, 이를 통해서 한국어를 공부하고 한국 사회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는 결혼 이민자들의 한국어 학습 능력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략 한국에 온지 3년 후부터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많은 결혼 이민자들이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어 유료 신문을 구독하기는 쉽지 않은 형편이다. 그래서

이들은 무료 신문으로 신문 읽기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으나, 직장이 없는

사람의 경우 일부러 무료신문 배포 장소로 가지 않는 한 입수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정부가 결혼 이민자 가운데 한국어 실력이 어느 정도 갖춰진 결혼 이민자

가정에 대해 일정 기간을 정해서 신문 구독료를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한국어능력시험의 취득 등급을 기준으로 지원 대상을 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NIE 교육과 연계해서 신문을 읽는 독자층을 확대시킬 수 있어 신문 산업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2) TV

① TV의 뉴스 및 드라마에 대한 한글 자막 서비스 제공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 사회를 이해하기 위해

가장 많이 활용하는 미디어는 지상파 TV 다. 이들이 TV에서 많이 이용하는

콘텐츠는 뉴스와 인기 드라마 다. 따라서 지상파 TV에서 뉴스와 주요 드라마에

대해서 한글 자막을 제공할 경우, 결혼 이민자의 TV 이용에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방송사로서도 새로운 수용자층을 발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방송

산업의 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② TV 콘텐츠의 질 향상 필요성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을 위한 TV 콘텐츠를 늘릴 필요가 있다. 현재 TV에서

Page 168: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68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과 관련해서 제공하는 프로그램 가운데는 한국 국민을

대상으로 다문화 가정을 이해시키려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런 프로그램이 갖고

있는 역할도 중요하지만,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TV를 보다 많이 활용하도록

하기 위해선 다문화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담은 콘텐츠

가 필요하다.

(3) 인터넷

① 결혼 이민자를 위한 공익적 무료사이트 운 의 필요성

EBS와 같은 공익적 성격의 방송사나 교육기관들은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을

위해서 한국어 교육, 육아, 자녀 교육 등에 필요한 정보를 담은 무료사이트를

운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결혼 이민자들은 미디어 활용을 늘리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

한국어 능력을 지적했다. 한국어를 알지 못한다면 한국 미디어를 활용하기 힘든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최소한 한국어 교육사이트에 대해서는 EBS와 같은 공익적

성격의 기관들이 무료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②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를 위한 정보제공 창구 마련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 생활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손쉽게

찾아볼 수 있는 사이트를 정부가 운 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 한국의 신문과 방송에서

보도된 주요 기사나 다문화 가정 관련 정책 등을 게재하면 결혼 이민자들은 미디어를

자주 접하고 한국 사회를 빠르게 이해할 것으로 기대된다.

Page 169: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69

Ⅴ. 다문화 가정 관련 미디어 서비스 실태 조사

1. 다문화 가정 관련 방송 서비스 실태

1) 아리랑 TV

(1) 연혁

아리랑 TV는 1997년 한국 정부가 대통령령에 의해 주한 외국인을 대상을 한

국내 케이블TV로 개국했다. 방송의 국제교류협력 사업을 통해 한국에 대한 국제사

회의 올바른 이해와 국제적 우호 친선의 증진을 도모하는 한편, 방송 상물의

질적 향상을 위한 사업을 수행, 지원함으로써 방송· 상·광고 산업의 진흥 및

문화·예술의 선양에 이바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1999년에는 아시아 태평양 권역을 대상으로 한국 최초의 해외 위성방송을 개국했

다. 2000년에는 미주, 유럽 및 아프리카를 포함한 전세계 방송네트워크를 완성해

현지 외국인 및 교포를 대상으로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해 오고 있다. 현재 아리랑 TV는 전세계 188여 개국 약 8250만 시청자들이

시청하고 있다. 그러나 아리랑TV는 제작비용이 부족하고 국내 지상파 방송들의

지원 부족으로 인해 콘텐츠가 빈약해서 해외 시청자들에게 더 강력하게 어필할

수 있는 콘텐츠를 경제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김명중, 2008).

(2) 주요 사업

2010년에는 총 예산이 533억원인데, 방송발전기금 291억원(54.6%)과 자체수

입 242억원(45.4%)으로 구성됐다. 국가 이미지 제고 및 국제 사회의 이해 증진을

위한 해외 위성방송 사업, 주한 외국인의 한국 이해 증진 및 내국인의 세계화

의식 제고를 위한 국내 방송사업, 방송 상물의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한 지원

사업, 해외매체를 통한 우리 방송물의 방송 지원 사업, 해외방송사와의 국제교류협

Page 170: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70

력 사업 등을 하고 있다. 이런 차원에서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들이나 다문화

가족들이 출연해서 다양한 자국 문화를 소개하는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연도 내용

1996년 국제방송교류재단 설립

1997년 아리랑 TV 국내방송 개국

1998년해외홍보방송 운영주체로 지정(문화관광부)

영상물수출지원센터 설립

1999년 아리랑 TV 해외방송 개국(아시아, 태평양 권역)

2000년통번역센터 설립

아리랑 TV 해외방송 개국(유럽, 북아프리카, 북남미 권역)

2001년 (주)아리랑 TV 미디어 설립

2002년 국내 위성방송(Sky Life)에 채널공급 개시

2003년 아리랑 제주 영어 FM 개국

2004년

아리랑 TV 방송권역 전 세계로 확대

아리랑 TV 아랍어 위성방송 개시(아랍연합22개국 및 그 주변국가)

프랑스 TPS와 재전송 계약 체결

2005년위성 DMB방송 개국

지상파 DMB방송 개국

2006년서유럽권 대상 아스트라(Astra)위성과 재전송 계약 체결

인터넷 라디오 플레이어 'Arirang Cast'를 통한 인터넷 방송서비스 실시

2008년 국내방송사 최초 다언어 서비스 실시(7개 언어)

2009년

미국 디지털지상파 본방송 개시(LA지역)

미국 디지털지상파 본방송 개시(뉴욕, 애틀란타 지역)

국내 IPTV방송 서비스 시작(myLGTV, QookTV)

2010년 국내 IPTV방송 서비스 확대 (SK Broad&TV)

<표52> 아리랑 TV 주요 연혁

Page 17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71

2) 양방향 방송프로그램 VOD 서비스(다국어 서비스)

KBS, SK브로드밴드는 2010년 10월부터 다문화 가족의 안정적인 한국생활

정착을 위하여 한국을 대표하는 방송콘텐츠를 선정하여 어,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등 4개 언어로 번역해서 자막을 제공하는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여성가족부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100곳에 장비를 무상 지원해

이 서비스를 이용률을 높이고 있다.

주요 내용을 보면 ‘공부의 신’, ‘추노’, ‘제빵왕 김탁구’, ‘차마고도’, ‘인간극

장’, ‘생로병사의 비밀’, ‘미녀들의 수다’, ‘연예가 중계’, ‘스타 골든벨’ 등

드라마와 예능, 교양 등 약 2,000여 편의 프로그램에 VOD서비스를 제공했다.

또 초기 입국자를 위한 생활정보 안내 프로그램인 ‘한국생활 길라잡이’, 한식을

소개하는 ‘비법공개 한식의 세계’, 다문화가정 자녀의 성장교육을 돕는 ‘생생

와일드’, 취업과 창업을 지원하는 ‘한국생활 완전정착, 취업과 창업’, 한국의

신성장동력 사업을 소개하는 ‘업그레이드 코리아’를 신규로 제작했다.

3) EBS의 두리안 사업

두리안은 EBS가 2011년 6월부터 다문화 가족 및 한국어 학습에 관심 있는

사람이 보다 쉽게 교육할 수 있도록 기존 인기 방송프로그램 및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다국어 홈페이지이다.8) 현재 한국어, 어, 중국어, 베트남어로 서비스되

고 있으며, 향후 일본어, 러시아어, 몽골어로도 서비스될 예정이다. 홈페이지는

한국어 배움터, 우리아이 놀이터, 문화 나눔터, 커뮤니티, 자료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8) http://www.ebsd.co.kr

Page 17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72

항목 주요 내용

한국어 배움터 한국어를 초급, 중급, 고급 단계별 학습 지원

우리 아이 놀이터 아이와 함께 공부할 수 있는 뽀로로 등 유아 애니메이션 번역 지원

문화나눔터지식채널e, 최고의 요리비결, 세계테마기행 등의 문화소개 및 다큐 프로그램 번역 지원

커뮤니티 이용자의 소통을 지원하는 공간

자료실한국 거주에 필요한 생활정보와 외국인을 위한 민원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사이트 정보 등을 공유

<표53> 두리안의 홈페이지 구성

2. 지상파방송의 다문화 관련 프로그램 실태

1) 드라마

(1) 장편 드라마

① SBS 주말드라마 <황금신부>

<황금신부>는 SBS에서 2007년 6월부터 2008년 2월까지 방 했던 다문화 이주

여성이 주인공으로 설정된 최초의 방송 드라마이다. 다문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실제 사회에서 늘어나고 있었던 베트남 결혼 여성 이민자인 주인공 ‘누엔 진주’와

가족들이 국제결혼으로 인한 에피소드를 위주로 내용의 전개가 이루어졌다. 방송당

시 시청률이 최고 30.2%를 기록했으며, 이러한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는 것은

여러 인종, 여러 민족이 모여 살기 시작한 ‘대한민국’의 현실을 시청자들이 받아들이

기 시작했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 제작진은 드라마를 시청하는 베트남

이민자 여성들에게 이주여성이 가지는 사연을 공모하기도 했다.

② EBS 월화드라마 <마주보며 웃어>

<마주보며 웃어>는 EBS에서 2010년 8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방 된 다문화

Page 17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73

이주 여성에 대한 내용의 드라마이다. 본 방송은 결혼 이민자 17만 시대를 맞아

다문화 가정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차별과 문화적 갈등을 줄이려는 시도로 제작되었

다. 당시 ‘미녀들의 수다’에 출연해 유명해진 베트남 여성 ‘하이엔’이 출연하여

이주여성을 연기했다. 드라마의 내용은 한국에 돈을 벌기 위해 왔다가 한국 어촌의

남자와 만나 결혼을 하게 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③ KBS 전원드라마 <산너머 남촌에는>

<산너머 남촌에는>은 KBS1에서 2007년 10월 24일부터 현재까지 방 중인

일요일 아침 편성 드라마이다. 전원드라마로서 현재 농촌지역 현실을 반 한 서사구

조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동남아 이주 여성과 그의 2세가 늘어나는 상황을

서정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베트남 신부 하이엔은 드라마에서 중요인물은 아니지만,

몇몇 에피소드에서 주요한 등장인물로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결혼으로 인해 한국

농촌사회로 편입하게 되면서 일어나는 사건을 주로 다루고 있다.

(2) 단편 드라마

① SBS 2005년 추석특집극 <하노이 신부>

<하노이 신부>는 2005년 9월 19일 추석특집극으로 편성된 드라마로서 베트남

여성과 한국 남성의 멜로 형식을 띄고 있다. 베트남에서 의료봉사를 하고 있는

한국 남성과 현지 통역을 하고 있는 베트남 여성이 결혼과정과 그에 대한 갈등

서사 구조를 가지고 있다.

② SBS 2006년 추석특집극 <깜근이 엄마>

<깜근이 엄마>는 2006년 10월 7일 추석특집 드라마로 방 된 드라마로서,

다문화 가정의 2세를 일컫는 코시안9)이 한국사회를 살아가는데 부딪히는 문제와

에피소드에 대해 다루고 있다. 순수 한국인이 아닌 혼혈인이라는 이유로 배타적

풍토 속에서 소외 받는 코시안들의 삶을 표현하고, 그들에 대해 이해를 증진시킬

9) 코시안[Kosian]은 한국인(korean)과 아시아인(Asian)을 합성어.

Page 17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74

수 있는 의도로 제작되었다.

(3) 다문화 가정 TV 드라마의 특성

TV드라마는 ‘가족의 화합과 행복한 가정’을 목표로 두고 갈등 양상의 수위를

조절한다. 그러므로 갈등과 대립의 양상이 극단적인 사건보다는 일상에서 일어나는

작은 오해나 편견을 다룬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제기되고 있는 다문화 드라마에

대한 입장은 ‘경계심’과 ‘온정주의’라는 두 가지 극단적인 반응을 유도하는 아시아

출신의 여성 결혼 이민자들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들로 인해 이주여성들의 삶은

‘탈맥락화’되고 한국 사회의 그들의 존재는 ‘타자화’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오경

석, 2007).

한국 다문화 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드라마는 모두 다문화 이주 여성과 그녀들이

한국사회에서 느끼는 소외감과 갈등, 그리고 내국문화에 대한 적응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드라마 속의 다문화 이주 여성은 권력을 지니기를 포기하거나

권력과 관계없는 인물로 재현됨으로써 타인과 순정적이고 이타적인 인간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극 중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지만 긍정적으로 보상받거나 주인공

으로부터 사랑받는 존재로 재생산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는 실질적으로 한국인과

동등한 주체로서의 외국인이 아니라 한국인에 의존하는 수동적 인간관계 및 정체성

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이경숙, 2008).

김주미(2009)는 <황금신부>의 내용분석을 통해 드라마 속에 비춰진 여성 결혼이

민자 아내와 한국인 남편의 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여성 결혼 이민자는 결혼

전부터 밝고 온순하며 여러 어려움을 만나도 헤치고 나가는 집념과 의지가 강하고

어머니나 남편, 시댁 식구들을 위해 자기희생을 마다하지 않는 배려심이 깊은

긍정적인 인물로 재현됨을 밝혀냈다. 또 여성 결혼 이민자가 직업과 역할을 선택함에

있어서, 자신의 특기나 능력이 기준이 되는 것이 아니라, 시댁의 회사에 도움이

되고 가정을 화목하게 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 기준이 됨을 발견했다. 이는 순종적

아내, 착한 며느리로 대변되는 한국 사회의 전통적 여성관은 여성 결혼 이민자에게

투 한 것으로 보인다.

황 미(2010)는 <하노이 신부>와 <산 넘어 남촌에는>의 내용분석 결과, 외국인

Page 17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75

신부가 한국 사회에 편입될 때 한국 사회의 이중적 시선이 드러나고 있음을 설명한다.

한국 사회에서 결혼 이민자 여성을 수용하고 있지만, 이방인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한국 남성과 결혼하는 것이 신분의 차이로 여기며 절대로 환대할 수

없는 우리의 편견을 통해 이중적 시선을 지닌다고 설명했다. 또 <깜근이 엄마>에서는

타자에 대한 환대의 과정이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외국인이나 혼혈인을 가족으로

맞게 되면서 어쩔 수 없이 환대되는 경우도 있고, 주체의 타자되기가 바로 환대의

과정을 거쳐야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콘텐츠 양식적 특성

SBS 주말드라마 <황금신부> 타자의 주체적 편입 과정

KBS 전원드라마 <산너머 남촌에는> 타자에 대한 이중적 시선

SBS 2005년 추석특집극 <하노이 신부> 타자에 대한 이중적 시선

SBS 2006년 추석특집극 <깜근이 엄마> 타자에 대한 환대의 과정

<표54> 다문화 가족 TV 드라마의 양식적 특성

* 출처 : 황 미(2010), 한국 다문화가족 TV드라마의 특성 연구.

2) 시사·교양 프로그램

(1) 정기 시사·교양 프로그램

① KBS <러브 아시아>

<러브 아시아>는 2005년 11월부터 방송된 교양프로그램으로 주로 국제결혼을

통해 한국에 온 이민자들과 외국인 노동자들의 애환 등을 담고 있다. 주로 다문화

가족들을 등장시켜 외국인의 정체성을 재현하고 있으며, 스튜디오에서 진행되는

Page 17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76

토크쇼 형식의 리얼리티 프로그램이다. 주인공과 그들의 가족, MC와 패널, 방청객

이 이야기를 나누는 형태로 진행되며 인종적 소수자와 이산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고취시키고자 함을 엿볼 수 있다.

② MBC <다문화 희망 프로젝트>

<다문화 희망 프로젝트>는 MBC에서 2010년 7월부터 현재까지 방송되고 있는

다문화 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양 프로그램이다. 내용은 한국의 낯선 음식과

문화, 전통을 이해하기 위해 다문화 가정 여성들이 직접 현장으로 찾아가 체험하는

<체험 프로젝트, 헬로우 코리아>와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정착하기 위해 노력하는

다문화인 및 새터민의 이야기를 통해 이민자들의 사연을 소개하는 <희망프로젝트>,

<꿈꾸는 가족>의 코너와 또 다문화 가정의 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들의 주택개

보수를 도와주는 <소원 성취 프로젝트 희망 충전소>의 코너로 이루어져 있다.

방송의 특징은 종래의 다문화 이민자들이 단순히 방송을 시청하는 것을 넘어 참여할

수 있는 장을 마련했다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으며, 그 대상이 오직 다문화 이민자라

는 것이다.

(2) 특집형 시사·교양 프로그램

① KBS 스페셜 <외국인 100만 시대, 국경 없는 대한민국>

<KBS 스페셜>은 2007년 7월에 다문화 특집으로 <외국인 백만 시대, 국경없는

대한민국>을 주제로 방송했다. 이제 다문화 이민자들은 신기한 외국인이 아닌

기업에서의 노동자, 유학생, 배우자 등 각 곳에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살아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이민자들이 밀집해 거주하고 있는 서래마을, 안산 원곡동

은 다문화가 함께 하는 지역이지만, 이로 인한 주민들의 인식과 피해에 대해서도

조명하고 있다. 또 사회의 구성으로 크게 자리 잡고 있는 다문화 이민자들이 한국

문화를 체험하고, 한국 사회와 이민자 사회가 다른 구성이 아닌 국경 없는 하나임을

강조하는 방송으로 구성되었다.

Page 17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77

② MBC 스페셜 <나는 한국남자와 결혼했다>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MBC 스페셜에서 2010년 7월에 한국인 남편에게 살해된

베트남 이주여성 ‘탓티황옥’의 이야기와 4명의 이주여성을 소개하며 그녀들의

다문화 가정을 이끈 사례들을 방송했다. 특히 단일민족이라는 국가적 분위기 아래

이주생활의 불편함과 정책적인 문제 등을 방송하고 있다. 다문화 사회를 표방하면서

실질적으로 이름만 다문화인 한국 사회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③ KBS 생방송 심야토론 <외국인 100만 시대와 단일민족>

KBS 토론 프로그램인 ‘생방송 심야토론’에서 2007년 8월 26일 <외국인 100만

시대와 단일민족>이라는 주제의 토론이 방송되었다. UN 인종차별철폐위원회가

한국에 대해 ‘단일민족’이라는 관념에서 벗어나라고 권고한 시점이었다. 이러한

권고는 한국이 이미 가입한 인종차별철폐조약에 관한 한국 정부의 이행보고서에

대한 심사 결과에서 나온 것이므로, 사실상 한국의 인종차별을 우려하는 내용이었

다. 따라서 우리 사회가 인종문제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국민들의 의식에

어떠한 변화가 필요한지를 토론하는 방송이었다. 토론방송은 범국민적인 사안을

토론하기 때문에 토론프로그램에서 이러한 다문화와 관련된 주제를 가지고, 방송이

된다는 것은 한국 사회도 점차 다문화사회로의 이동을 보여주고 있는 사례로 볼

수 있다.

④ KBS <아침마당>

KBS의 아침마당은 다문화 이민자에 대한 내용이 주기적으로 편성된다. 휴먼다큐

멘터리의 성격이 강한 프로그램이라 유명 다문화 이민자나 이민자 2세 아이들에

대한 이야기를 직접 방송 스튜디오에 초대해 토크쇼 형식의 인터뷰를 하기도 하며,

명절에는 다문화 이민자들의 노래자랑을 개최하기도 한다. 2007년 9월에는 5000회

특집으로 외국인에 관한 주제를 선택하여, 이주 여성들의 일상과 국제결혼의 문제

점, 다문화 가정 자녀들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프로그램의 시청자는 아침시간대

의 주부들 타깃으로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깊은 다문화 사회적 문제를 이끌어내지

는 않고, 감정적인 인터뷰와 상을 많이 방송하고 있다.

Page 178: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78

⑤ KBS 인간극장

<인간극장>은 KBS 1TV에서 방송되는 휴먼다큐멘터리로 ‘드라마 같은 삶의

무대에 시청자를 초대한다’는 기획의도 아래 평범한 사람들의 흥미로운 일상을

다루는 일일 편성 프로그램이다. <인간극장>에서는 2001년부터 다문화 이민자들에

대한 에피소드들을 약 25차례 편성하 다. 한국 사회에 결혼으로 편입하는 동남아시

아 이주 여성부터 서구권의 남성들까지 다양한 다문화 가정의 에피소드를 다큐멘터

리 형식으로 방송하고 있다.

(3) 다문화 가정 시사·교양 프로그램의 특성

한국 다문화 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교양프로그램은 주로 현재 한국에서 살고

있는 이민자들의 생활을 취재하는 다큐멘터리 형식이나 한국에서의 삶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모금 및 지원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며, 그 밖으로는 인권과

사건 등 사회적인 문제를 논의하는 프로그램으로 분류된다. 내용적으로는 다문화

이민자가 한국 사회에서 적응하고 생활하는 실제적인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내국인

과의 다른 생활방식과 어려움을 이야기하고 있다.

또 경제적으로나 사회 인식적으로나 힘든 부분을 미디어를 통해 방송하여 사회적

차원의 도움과 정책적인 한계를 지적하기도 하고, 다문화 이민자들을 외부인이

아닌 한국 사회의 같은 구성원으로 정체성을 인식시키려 하기도 하고, 다문화

사회로 거듭나는 단계에 있어서 다문화 사회에 대한 중요성과 필수성을 강조해서

내국인에게도 그러한 인식을 전달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다문화 가정에게 경제적인

지원을 하고, 모금을 하는 것 그리고 방송에서 다문화 가정이 자주 출연하고,

그에 대한 시청자도 가한다는 것은 내국인들의 이민자들에 대한 인식에도 변화가

되고 있고, 그러한 변화를 이끌어 낸다는 것 자체가 다문화 사회의 발전을 위해

미디어가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경숙(2006)은 러브 인 아시아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러브 인 아시아>가

혼종적인 토크쇼 방식의 리얼리티 프로그램 형식을 취하면서, 멜로드라마적 주제와

이야기 구조를 통해 이산인의 정체성을 재현함을 밝혀냈다. 이주 여성을 감동적인

사랑이야기의 구조를 통해 아시아에서 이주해온 외국인의 타자성보다는 가족의

Page 179: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79

포섭된 역으로 정체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미디어에서 이산이라는 소수성을

일부는 승인하고 있지만 사회적 이슈로 제기하고 현실을 통합적으로 제시하려

한다. 이로 인해 공익적 프로그램을 재현된 이산인에 대한 의미화 실천과정을

통해 이산인에 대한 한국사회의 시선을 알아볼 수 있었다.

홍지아와 김훈순(2010)은 <인간극장>의 다문화 가정 재현 사례 가운데 네 개의

에피소드를 살펴본 결과 방송에 비춰진 내용은 다문화 가정에서 벌어질 수 있는

다양한 갈등이 제도나 정책 등의 공적 역이 아닌 가정의 공간에서 해결하는

가정의 보편적 역할과 가치를 강조함을 발견했다. 이는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이

기존 순혈주의적 단일민족 가치로 세워진 가족의 개념을 우선적을 해제해야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조수본(2008)은 <KBS 스페셜 : 외국인 100만 시대, 국경 없는 대한민국>외

5개 다문화관련 다큐멘터리를 통해 등장인물의 유형을 이미지화 시켰다. 이러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속에 등장하는 다문화 이주여성은 ‘갈등형’, ‘순종형’, ‘희생

자형’, ‘본보기형’ 으로 분류된다. ‘갈등형’은 주로 언어 소통이나 경제적인 어려움

등 현실적인 문제에 부딪쳐 고통받는 유형이며, ‘순종형’은 한국 사회의 한 일원으로

서, 한 가정의 아내로서 한국 농촌 가정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유형이다.

‘희생자형’은 가정 불화로 이혼을 하거나 버림받은 유형으로 낮선 환경과 언어

장벽, 그리고 경제적 어려움과 가정에서의 불화까지 이어져 사회적으로 소외당한

유형이며, 마지막으로 ‘본보기형’은 다른 이민자 여성들에게 본보기가 될 만한

여성으로 언어 구사 능력도 높으며, 라디오 프로그램을 직접 연출·진행하거나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자연스럽게 자신들의 설 자리를 만들어가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Page 180: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80

구분 내용

갈등형 언어 소통이나 경제적인 어려움 등 현실적인 문제에 부딪쳐 고통받는 유형

순종형한국 사회의 한 일원, 한 가정의 아내로서 한국 농촌 가정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유형

희생자형 가정불화로 이혼을 하거나 버림받은 유형으로 낮선 환경과 언어 장벽, 그리고 경제적 어려움과 가정에서의 불화까지 이어져 사회적으로 소외당한 유형

본보기형다른 이민자 여성들에게 본보기가 될 만한 여성으로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자연스럽게 자신들의 설 자리를 만들어가는 모습

<표55> 시사·교양 프로그램 속의 다문화 이주여성 유형

* 출처 : 조수본(2008), 미디어의 ‘다문화’ 현실 구성 방식에 관한 연구.

3) 오락 프로그램

(1) 정기 오락 프로그램

① KBS <미녀들의 수다>

<미녀들의 수다>는 각기 다른 국적을 가진 외국인 미혼 여성들이 등장하는

토크쇼 오락프로그램이다.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여성들이 출연하여 그들의

눈을 통해 본 한국인들의 모습을 다양한 시각으로 설명한다. 문화와 법률 그리고

사람들의 인식까지 토크쇼의 형태로 진행되었다. 비슷한 동아시아권의 여성들뿐만

아니라 유럽, 북미 등의 시각으로 토론되는 한국 사회의 분위기는 이민자들 뿐만

아니라 내국인에게도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들 이주 여성들은 결혼 이민자보다

유학생이 대부분이며, 상대적으로 젊은 여성들이다. 다른 다문화 관련 프로그램은

동남아시아의 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상대적으로 약소하고

경제적으로 어려운 이미지를 싣고 있지만, 프로그램은 서구권 국가의 문화와도

비교가 되기 때문에 다양성을 갖춘 시각으로 한국 문화에 대해 설명되어진다.

Page 18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81

② MBC 느낌표 <아시아 아시아>

<아시아 아시아>는 MBC 오락 프로그램인 <느낌표>에서 2003년 2월 22일부터

한 꼭지로 방송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어려운 생활을 하고 있는 외국인 노동자의

사례를 소개하고 그 가족을 만나게 해 주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코너는 ‘휴먼

다큐’ 성격을 가미하여 외국인 노동자들의 인권 보장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체류 노동자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 문제들에 지속적인 사회적 관심을 유도하는

것이 기획 의도 다. 이 프로그램은 한국 내에서 아시아를 둘러보는 기회를 제공했

다. 프로그램의 의의는 그 동안 국내 방송 프로그램에서 다문화 이민자가 주인공으로

하는 방송은 없었던 가운데 최초로 아시아 지역 외국인을 주인공으로 기획했다는

것이다.

(2) 다문화 오락 프로그램의 특성

다문화 관련 오락 프로그램에서 이민자들은 프로그램 별로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드라마의 극적인 요소와 시사·교양 프로그램의 인권과 사회적 인식이 적절히

혼합되어 있으며, 오락 프로그램만의 흥미요소가 가미되어 있다. 다른 장르들에

비춰진 다문화 이주 여성이 주로 동남아시아의 이민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오락 프로그램에서는 동남아시아 이민자와 서구권 이주 여성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장르와는 다르게 오락 프로그램에서는 이주 여성이 선망의 대상으로

표현되는 사례도 있다. 또 오락 프로그램에는 한국 사회가 본 이민자의 인식과

반대로 이민자가 본 한국 사회나 한국인의 인식을 제공함으로서 문화적 다양성을

담아내기도 한다.

홍숙 (2007)은 TV 프로그램에 외국인에 관한 담론을 분석한 결과 <미녀들의

수다>에 등장하는 이민자는 세련미, 외모, 학벌 등 물적 조건을 갖춘 선망의 대상으로

차별화되고, 시사·교양 프로그램의 등장하는 이민자는 가사노동력과 2세의 생산력

이라는 물적 조건을 갖춘 동정의 대상으로 타자화 된다고 결론지었다. 김인

등(2009)은 <러브 인 아시아>와 <미녀들의 수다>에서 나타난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특수성에 관한 담론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외국인 이산자들의

이산의 계기가 다름을 발견했으며, 특히 <미녀들의 수다>에서는 한국 사회, 한국

Page 18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82

문화에 대해 날카롭고 냉철한 비판을 제기하기도 하는 ‘적극적 비판자’로 명명하

다. 이들은 한국 사회에 적응하며 역경과 고난을 극복하는 주체로 그려지기보다는

한국 사회를 평가하고 비판하는 주체로서 등장한다. 이들을 통해 묘사되는 한국

사회의 허와 실을 시청자들은 다시 생각하게 되며, 이를 통해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장르 내용

드라마 주체적 편입, 타자에 대한 이중적 시선, 타자에 대한 환대

시사·교양 갈등형, 순종형, 희생자형, 본보기형

오락 세련미, 외모, 학벌 등 물적 조건을 갖춘 선망의 대상

<표56> 프로그램 속의 다문화 이주 여성의 이미지와 역할 분류

외국인 대상 프로그램 등은 전체 편성비율이 많지 않으며, 2005년 이후로 증가하

는 추세이지만, 아직도 다문화 관련 프로그램은 일반적인 내국인 프로그램과 달리

특집 형식의 편성을 하고 있다. 장르의 구분으로는 주로 교양 프로그램에서 다문화

가정의 실태를 보여주는 다큐멘터리 형식이 주를 이룬다. 이는 다문화 사회가

되어 가면서 생기는 사회 소수계층의 소외감과 고립됨을 주로 보도하는 형식이다.

드라마에서는 실제로 한국 사회에서 늘어나고 있는 다문화 이주 여성을 그리는

내용으로, 한국 결혼생활에서 느끼는 문화적, 언어적 이질성을 보여준다.

전반적으로 다문화 이민자 관련 프로그램에서는 이민자들은 나약하거나, 보호의

대상이며, 도움 없이는 한국생활이 순탄하지 않은 대상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이는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콘텐츠의 내용만 다문화일 뿐 실질적인 시청자는

한국 내국인의 시청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까지 지상파

TV의 다문화 관련 프로그램은 대다수가 한국인들에게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측면이 강했다. 하지만 이러 한 측면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미디어가 시청자들로 하여금 이주여성을 다문화·다민족적 공존의 대상으로 보기보

Page 18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83

다는 타자화, 동질화, 정형화하는 문제이다.

반면에 이민자 시청자를 대상으로 다문화 관련 프로그램을 상대적으로 미약한

편이다. 게다가 외국인 이민자의 경우에는 미디어를 이용 시에 언어적인 문제도

존재한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에 지원은 없으며 외국인 이민자만을 위한 콘텐츠도

부족하여, 다문화 사회의 실정에 맞는 프로그램 제작과 지원이 필요하다.

3. 다문화 가정 관련 전문 미디어(에스닉 미디어) 실태

1) 전문 방송(에스닉 방송)

(1) 이주민 방송 MNTV(Migrant Network Television)10)

① 사업 개요

MNTV는 2005년 다문화 이주민을 위해 설립된 이주민 종합 방송 사이트이다.

노동부의 주관으로 설립되었으며,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농림수산검역검사

본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함께움직이는세상>, <현대자동차그룹>의 후원으

로 운 되고 있다. 사이트는 모두 11개 언어( 어, 중국어, 몽골어, 베트남어,

우즈벡어, 파키스탄어, 태국어, 스리랑카어, 인도네시아어, 캄보디아어, 미얀마

어)로 번역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방송콘텐츠는 2011년 현재 11개 언어( 어,

중국어, 몽골어, 베트남어, 우즈벡어, 필리핀어, 파키스탄어, 태국어, 스리랑카어,

캄보디아어, 네팔어, 인도네시아어)로 서비스되고 있다.

10) MNTV(Migrant Network Television) 홈페이지는 http://www.mntv.net

Page 18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84

구분 내용

2005년이주민방송 MNTV 개국 (한, 영, 중 3개국 다국어 뉴스 시작)

한국어, 영어, 중국어와 몽골어, 베트남어 5개국 다국어 뉴스 시작

2006년 우즈벡, 필리핀을 추가 7개국 다국어 뉴스 시작

2007년 파키스탄, 태국 추가 9개국 다국어 시작

2008년 스리랑카 추가 10개국 다국어 시작

2009년총 13개국 다국어 뉴스 시작(한, 영, 중국, 몽골, 베트남, 우즈벡, 필리핀, 파키스탄, 태국, 스리랑카, 캄보디아, 네팔, 인도네시아)

<표57> MNTV의 주요 연혁

② 콘텐츠

MNTV 방송 콘텐츠는 다문화 뉴스와 생활정보, 쇼·오락 프로그램, 그리고

한국 문화와 한국어 교육, 미디어 교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문화 가정에게 필요한

정보는 종합적으로 1주일에 1회씩 주간방송의 형식으로 제공하고 있다. 다문화

뉴스는 다문화 이민자에 대한 한국 정부의 정책, 신설 법률, 다문화 관련 행사,

사건·사고 보도 등이 주요 내용을 이루고 있으며 취재요청과 시청자 제보까지

접수를 받고 있다. 생활정보에 관련한 콘텐츠는 이민자에게 필요한 구인·구직에

대한 정보와 무상 의료서비스, 출입국 관련 절차와 방법, 이민자 행사 소개 등과

같은 내용으로 제공된다.

쇼·오락 프로그램으로는 다문화 이민자들의 토크쇼나 이민자가 제작·출연하는

이민자 드라마, 시트콤, 뮤직비디오를 방송하고 있다. 교육적인 콘텐츠로는 한국

문화와 한국어교육방송이 있다. 한국 문화는 직접 체험신청을 한 이민자 여성들이

한국만의 문화를 체험하는 과정과 소감을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제작하여 방송되고

있으며, 한국어교육은 한국어 강사의 진행으로 생활한국어회화나 한국어쓰기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이러한 콘텐츠들도 모두 6개 국어로 자막서비스가

되고 있다. 뉴스의 경우는 MNTV에서 교육과정을 거친 각 나라의 앵커들을 통해

방송되고 있다. 그리고 일반 한국인을 대상으로 다문화 인식에 대한 방송콘텐츠도

Page 18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85

제작되어 다문화 이민자와 일반 내국민에게도 다문화 사회와 관련한 교육을 실시하

고 있다.

③ 오프라인 활동

MNTV에서는 방송 콘텐츠뿐만 아니라 다문화 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이벤트나

행사도 주최하고 있다. ‘이주민 가요제’나 ‘이주민 미디어 교육’, ‘외국인 근로자

창업교육 훈련’을 운 하며, 이민자들의 자긍심을 고취시키고, 한국 생활의 만족도

를 높이기 위해 내국인과 외국인이 함께 참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최근까지

개최하고 있다.

④ 운 실태

MNTV의 진교준 PD와 2011년 10월 19일에 전화인터뷰를 통해 운 실태와

애로사항 등에 대해 조사하 다. 그 결과는 다음 <표 58>과 같다.

Page 18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86

■ 이용방법: MNTV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주민들이 최대한 많이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 진입 장벽을 없앤다는 차원에서 회원가입이 필요 없는 형태로 방송서비스를 하고 있다.

■ 이용자 수: 한 달에 약 30만명 정도 방문을 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 콘텐츠: 기본적으로 방송뉴스와 생활정보 방송이다. 방송사의 설립취지가 ‘이주민을 위한 방송’이기 때문에 이주민을 위한 각종 정보나 오락을 제공한다.

■ 활성화 전략: 이주민이 직접 방송제작에 참여하는 방송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방송과 함께 2년 전부터 다문화 이주민을 위한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올해 8월에는 성남시청과 공동으로 세 번째 행사를 열었다. 다문화 가정, 외국인 근로자, 유학생 등 모든 다문화 이주민을 대상으로 한 가요제였다. 당시 성남시청을 통째로 임대하여 2만명 정도가 참여했다.

■ 애로사항: 가장 큰 문제는 자본문제이다. MNTV는 MPO의 개념을 가지고 운영하고 있는데 정부의 지원이 부족하다. 기본적으로 기업이나 후원단체에게 제안서를 제출하고 지원을 받는 형식으로 운영이 되고 있는데, 이로서는 많이 부족하다. 예산은 필요하고, 다문화 관련하여 하고 싶은 방송은 많으나 예산의 제약 때문에 규모도 작아질 수밖에 없고 완성도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 작년까지 정부 예산을 일부 지원받아서 운영했지만 올해는 삭감됐다. 그래서 방송국이 폐지될 뻔 한 위기도 있었다.

■ 정부 지원 요망 사항: 방송을 유지할 수 있는 예산이 필요하다. 바람직한 지원형태는 정부의 지원이 생길 때 예산이 탄력적으로 운용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지원은 예산 분배에서도 제약이 많이 생기는데 이에 대한 자율성이 보장되는 형태의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

<표58> MNTV 운영실태 및 애로사항에 대한 인터뷰 조사

(2) 다문화방송국 샐러드 TV11)

① 사업 개요

다문화방송국 샐러드 TV는 2005년 이주노동자방송국을 개국으로 시작하여

현재까지 다문화 이민자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진보네트워크>와 <한국노동네트워크>의 후원과 <신문발전위원회>, <건강가정지

원센터>, <노동넷>, <다음세대재단>, <동북아신문>과 제휴를 통해 운 되고 있다.

홈페이지는 6개 언어( 어, 중국어, 베트남어, 러시아어, 네팔어, 몽골어)로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콘텐츠는 신문의 경우 6개 국가별로 번역해서 볼 수

11) 다문화방송국 샐러드TV 홈페이지는 http://www.saladtv.kr

Page 18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87

있지만 방송은 한국어로만 제공되며, 라디오는 중국어와 러시아어 2개 국어 방송을

청취할 수 있다.

구분 내용

2005년·이주노동자방송국 한국어사이트 개국 ·계간 소식지 ‘이주노동자’ 신문 제 1호 발행·제 1회 시민기자 양성을 위한 미디어 교육실시

2006년

·다국어 라디오 방송 개국·제 2회 시민기자 양성을 위한 미디어 교육실시·다음세대재단 문화다양성 기금 지원 단체 선정(네팔어 사이트 개국 프로젝트)·제 3회 시민기자 양성을 위한 미디어 교육 실시

2007년

·신문발전위원회 소외계층매체 지원사업자 선정·제 4회 시민기자 양성을 위한 미디어 교육실시·인터넷 언론 특별상 수상·배화여자대학 통합교육지원센터 협정체결

2008년·신문발전위원회 소외계층매체 지원사업자 선정·다문화가정 문화예술 치유 캠프 지원선정(경기문화재단)·예비 사회적 기업 인증

2009년·이주여성 극단 ‘샐러드’ 창단·다문화 방송국 Salad TV로 명칭 변경

<표59> 샐러드 TV의 주요 연혁

② 콘텐츠

샐러드 TV의 주요 콘텐츠는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뉴스 기사를 중심으로 하며,

부가적으로 TV, 라디오 방송과 네트워크,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른

다문화 관련 프로그램과는 차별적으로 뉴스에 초점을 맞춘 방송이기 때문에 타

프로그램보다 기사의 수도 상대적으로 많으며, 주제도 다양하다. 뉴스는 주제별로

사회, 노동, 여성, 교육, 국제, 단신, 포토, 만평, 칼럼, 인터뷰, 기획 등으로

분류되고 있고, 모두 6개 국어의 번역을 지원한다.

TV 방송은 주로 상뉴스와 캠페인, 그리고 오락방송을 서비스하고 있다.

상중심의 상뉴스와 각국의 음식과 조리법을 소개하는 ‘밥은 먹고 다니냐?’,

Page 188: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88

다문화 이민자의 공연이나 행사 등을 방송하는 프로그램과 유명 다문화 이민자를

인터뷰하는 ‘다문화 인물열전’ 등을 방송한다. 또 각국의 음악을 소개하는 ‘아시아

뮤직넷’ 등이 제공된다.

라디오 방송은 기본적으로 한국어로 방송을 하며, 중국어 그리고 이민자 진행자

를 통해 러시아어로 통역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방송 프로그램은 다문화 이민자에

관련된 소식을 종합적으로 소개하는 ‘다문화 코리아’와 각국의 문화와 음악을

소개하는 ‘조이뮤직’ 그리고 샐러드 TV에서 교육받은 이민자가 진행하는 프로그램

등이 방송되고 있다. 또 샐러드 TV에서는 특별히 네트워크·커뮤니티라는 주제로

지역별 다문화 이민자의 소식을 전하고 있다.

③ 오프라인 활동

다문화 이민자들만을 위한 행사나 교육시설, 세미나 등을 서울, 경기, 충청,

경상, 전라, 강원, 제주 등으로 나누어 체육행사나 창업, 교실 등의 소식을 회원들과

공유하고 있다.

(3) Kiss 다문화가족 음악방송 1·212)

① 사업개요

Kiss 다문화가족 음악방송은 웅진재단과 케이블 채널 사업자 (주)디지털스카이

넷이 위성으로 제공하는 디지털 라디오 방송 콘텐츠 중 하나로서 다문화 음악만을

전문으로 방송하는 프로그램이다. 2008년에 채널 1이 처음 개국되었으며, 2009년

에 채널 2가 개국되었다. 채널 1은 베트남, 중국, 태국, 필리핀 이주민을 대상으로

하며, 채널 2는 러시아, 몽골, 일본, 아랍을 대상으로 방송된다. 음악방송의 특성

상 하루 24시간 방송을 하며, 방송 언어별로 해당언어와 한국어를 동시에 구사하는

원어민 진행자가 직접 진행한다(방송언어별 1회 90분의 본 방송과 3회 재방송).

12) Kiss 다문화가족 음악방송의 홈페이지는 http://www.radiokiss.co.kr

Page 189: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89

② 콘텐츠

해당국 또는 문화권의 전통음악, 현대음악이며, 1~2시간의 프로그램으로 제작

된다. 음악과 함께 해당국의 커뮤니티와 소식을 전달하는 포럼의 역할까지 하고

있다. 또 다문화가족, 노동이주민의 한국 사회 적응에 도움이 되는 생활정보를

제공하고, 한국 및 해당국가의 속담, 시, 간단한 일상 회화 등 생활문화까지 소개하고

있다. 현재는 비정치적인 순수 음악 문예물이나 드라마 프로그램 방송도 추진하려고

하고 있다.

③ 운 실태

Kiss 다문화가족 음악방송의 최규용 차장과 2011년 10년 18일에 전화인터뷰를

통해 운 실태에 대해 조사하 다. 그 결과는 다음 <표 60>과 같다.

■ 방송 목적: 한국 사회는 점점 다문화 사회가 되어가고 있는데 한국 사회에는 다문화 사회와 관련된 제대로 된 정책도 없고 방송 관련 제도도 없기 때문에 시작했다. 또 한국어로만 방송하는 것도 진정한 다문화 방송이라 하기 어려워 다국어로 방송을 시작하게 됐다. 그동안 다문화 관련 신문과 방송은 있어도 오디오 방송은 없었다. 가끔 노동 이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방송은 있지만 비정기적이었다. 우리가 최초로 라디오 방송을 한 것은 그래서 의미가 크다.

■ 방송 방향: 다문화 이주민들의 한국어 교육과 한국 사회의 적응도 도우려고 하지만, 각 나라의 정체성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강대국에서는 한국인 여성이 그 나라의 남성과 결혼을 할 경우 자녀에게 한국어를 가르치지만 한국에서 동남아 여성이 이주해서 한인가족을 형성할 경우 그들의 자녀들은 왕따나 부당한 대우를 받는 경우가 많다. 물론 결혼 이주민들도 2차적으로 소외감을 받는다. 따라서 온전한 한국 아이로 키우기 위해 한국어만 가르치는데, 그러다 보면 어머니의 국가에 대한 정체성을 잃을 수도 있는 등 여러모로 힘이 들게 된다. 따라서 원어 방송을 통해 각 국가의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게 돕는 것이다.

■ 청취율: 정확히 집계내지는 않았지만, 홈페이지의 접속자의 수는 한 달에 1만~2만 단위다. 현재는 스마트폰 서비스도 시작했기 때문에 한 달 2만 정도 접속하고 있다.

■ 어려움: 홍보가 많이 어려웠다. 다문화 가정의 경우 언어 문제에다 미디어 이용률이 낮아서 홍보가 가장 큰 문제였고 지금도 그렇다. 또 우리 방송은 수익 사업이 아니어서 양질의 콘텐츠를 만드는데 제약이 있다. 정부 기관이나 공공단체의 지원은 거의 없다. 가끔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실시하는 소외계층 공모사업에 선정이 되서 지원을 받았던 적이 있지만, 그것마저 꾸준한 지원이 아닌 단발성 지원이라 큰 도움은 되지 못한다. 방송기획과 운영에 경제적 지원이 있으면 좋겠다.

<표60> Kiss 운영실태에 대한 인터뷰 조사

Page 190: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90

미디어 출범연도 운영주체 후원및 지원 콘텐츠 내용 제공 언어

MNTV 2005년 노동부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함께움직이는세상현대자동차그룹

다문화 뉴스,생활정보, 쇼·오락프로그램,

한국문화, 한국어 교육, 미디어

교육

11개 언어(영어 중국어 몽골어

베트남어 우즈벡어 필리핀어

파키스탄어 태국어

스리랑카어캄보디아어네팔어

인도네시아어)

다문화방송국

샐러드 TV2005년 자체운영

진보네트워크한국노동네트워크

텍스트 기반 뉴스 기사,

부가적으로 TV, 라디오네트워크,

커뮤니티

6개 언어(영어중국어

베트남어러시아어 네팔어 몽골어)

Kiss 다문화가족 음악방송

2008년(주)디지털스카이넷

웅진재단

해당국 또는 문화권의 전통음악, 현대음악

<채널 1>베트남 중국 태국

필리핀

<채널 2>러시아 몽골 일본아랍

<표61> 에스닉 방송 비교

2) 전문 신문(에스닉 신문)

(1) 다문화 관련 전국 신문 현황

문화관광체육부에 따르면 2001년 8월말 기준으로 전국에 24개의 다문화 관련

신문이 등록돼 있다. 서울이 9개로 가장 많았으며, 그 밖에 경기 6개, 호남 지역

Page 19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91

순번 제호명 지역 종별 발행목적 등록일자

1 부안저널 전북특수

주간신문

지역의 문화와 부안사람들의 생활향상을 위하여 소외계층과 다문화가족과 더불어 잘 살아가도록 하며 NIE(신문활용교육)에 주력함

1998.10.14

2대한사회복지신문

경기특수

주간신문

대한민국 장애인을 포함한 노인, 여성, 다문화가정의 인권 등 사회복지와 관련한 각종정보 및 소식을 전달(정치기사 제외)

2009.11.06

3다문화뉴스

cyn경기

인터넷신문

다문화가정 및 이주 노동자들의 권익보호와 인권 신장을 위한 언론매체

2009.11.19

4다문화포커스

전남인터넷신문

다문화세대의 건강한 사회적응과 사회일원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다문화포커스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협력하는것을 목적으로 함

2009.11.20

5엠씨코리아뉴스(mckorean

ews)서울

인터넷신문

결혼이민자와 소수 소외계층의 권익을 도와 다문화공동체를 실현하여 사회통합에 기여함

2009.12.14

6한국미션타임즈

서울특수

주간신문한국교회 본질인 기독교 다문화의 정책과 세계선교의 확립으로 복음전파와 인재양성을 위함

2010.02.08

7한민족

연합신문서울

특수주간신문

국내외 한민족을 위한 문화, 역사, 홍보제공, 다문화 가족 생활정보 제공

2010.04.05

8국제문화

신문서울

인터넷신문

우리나라는 이미 다문화사회로 진입하여 많은 사람들이 국제문화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에 소비자에게 국제문화에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함

2010.05.04

<표62> 다문화 관련 전국 신문 현황

4개, 남지역 3개, 충청지역 2개 으며 강원도와 제주 지역에는 없었다. 종류는

13개가 인터넷 신문, 6개가 특수 주간 신문, 5개가 일반 주간신문 형태 다.

전북의 부안저널이 1998년에 발간돼 가장 오래 됐으며, 나머지 23개 매체는 모두

2009년 이후에 생겨나 최근 1-2년 사이에 다문화 가정을 대상으로 한 에스닉

신문이 활성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은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와 이주 노동자를

위한 지역내 정보 제공, 그들의 인권보호 또는 내국인의 다문화 가정 이해를 높이기

위한 정보 제공 등 다양했다.

Page 19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92

순번 제호명 지역 종별 발행목적 등록일자

9국악디지털신

문서울

인터넷신문

전통예술의 보존 및 전승과 국가브랜드 창출을 위해 전력하고 신인 발굴사업과 국악캠프를 통해 다문화가정과 우리국민이 함께 국악예술발전에 기여, 국악인의 삶의 질 향상에 노력

2010.06.17

10 김해타임즈 경남인터넷신문

김해시민의 구석구석을 알려 다문화적인 지역공동체를 만들어 지역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함

2010.06.17

11 뉴스뷰 충북인터넷신문

도시마을 공동체의 의미를 다문화가정 시민 한국유학생 청소년의 시각에서 조명해보는 신문

2010.08.06

12다문화가족신

문서울

특수주간신문

국내에 다문화 가족이 늘면서 사회, 문화, 민속에 대한 상호 이해와 다문화 가족에게 한국 생활정착과 최신 소식을 전달하기 위함

2010.10.06

13다문화가족뉴

스서울

인터넷신문

국내 다문화가족의 한국생활정착, 사회, 문화, 민속에 대한 상호 이해와 최신소식을 전달하기 위함

2010.10.06

14 스포츠저널 광주일반

주간신문

다문화, 장애인과 등 소수자들에 대한 생활체육의 국민건강에 대한 홍보 및 안내가 절대적으로 부족함에 따라 정보소통의 장과 더불어 정책개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함

2010.11.04

15서부산문화신

문부산

인터넷신문

지역주민의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뉴스와 특히 서부산의 다문화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010.11.17

16한국다문화뉴스신문

울산인터넷신문

다문화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게 하기 위해 정치, 경제, 사회, 문화교류, 교육 등 전 분야의 기사 제공

2010.12.28

17한다문화

방송서울

인터넷신문

다문화 가정에 알권리를 충족시키기 위함 2011.03.02

18다문화투데이

서울특수

주간신문다문화 사회를 위한 경제, 사회, 시사, 문화 등 기사 게재, 다양한 정보를 제공

2011.03.11

19 복지일보 경기일반

주간신문다문화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들에 정책홍보 문화전달로 삶의 질 향상

2010.06.24

20한국다문화신

문경기

일반주간신문

정부 다문화 관련 정책홍보 및 대안제시,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과 한글, 음식 등 문화정보 전달, 다문화 가정의 안정적 정착에 기여

2011.05.06

21다문화여성신

문경기

일반주간신문

정부 다문화 관련 정책홍보, 다문화여성 권익대변,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정보, 우리문화 및 생활정보 전달, 다문화여성의 안정적 정착 기여

2011.05.06

Page 19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93

순번 제호명 지역 종별 발행목적 등록일자

22전남다문화신

문전남

일반주간신문

전남도민들에게 정치, 경제, 다문화 등 정론직필을 통한 알권리 부여

2011.06.13

23한국다문화복지인터넷신문

경기인터넷신문

한국 다문화복지관련 정보제공, 교육제공, 취업정보제공, 자원봉사, 문화행사 홍보 등을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함

2011.07.13

24다문화뉴스충

청대전

인터넷신문

대전 충청지역에 기반하여 다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여론을 형성하여 내 외국인이 함께 공존하는 건전한 사회 발전에 기여

2011.08.16

* 출처 : 문화관광체육부.

(2) 에스닉 신문 사례 연구: 한다문화신문13)

① 사업개요

한다문화신문은 경향매일의 자매지로서, 갈수록 증가하는 다문화 가정을 위해

사회통합을 이루려는 목적으로 2011년 4월에 창간되었다. 한다문화신문은 주간지

의 형식으로 지면 신문과 온라인을 병행해서 발간한다. 기사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복지, 종교 등 다양한 다문화 이민자 관련 기사가 기재되어 있으며

한국어로만 발간되고 있다. 온라인 홈페이지에는 한다문화신문의 지면을 볼 수

있으며, 이외에 온라인만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② 콘텐츠

온라인 전용 신문인 <한메트로>와 상뉴스, 다문화센터 소식, 특집·기획 기사들

을 제공한다. <한메트로>와 상뉴스는 다문화 관련 단체나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관련 행사 및 지원 등을 주요 주제로 기사를 제공한다. 다문화센터 소식은 각

지역의 다문화센터들이 매주 주최하는 프로그램이나 이주민을 소개하는 칼럼을

제공하고 있다. 특집·기획 기사에는 다문화 관련 학계 교수·전문가·단체들의 인터

뷰를 통해 다문화 이민자에 대한 고충과 문제점을 토론하는 기사를 포함하고 있다.

13) 한다문화신문의 홈페이지 www.han-tv.com

Page 19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94

이외에 한다문화신문은 다문화 관련 기사를 실시간으로 게재하고 있으며, 이주민

참여자의 게시판도 활발하게 운 되고 있다.

③ 운 실태

한다문화신문의 권경순 부장(다문화 팀장)과 2011년 10월 18일에 전화인터뷰를

통해 운 실태를 조사하 다. 그 결과는 다음 <표 63>과 같다.

■ 발행 현황: 매주 월요일에 2000~3000부를 발행한다. 온라인으로 홈페이지를 운영하기도 하지만, 지면신문 발행을 주요 매체로 활용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용하는 이주민의 구독률은 파악하기가 어렵다. 직접적으로 구독하는 독자층 보다는 다문화센터를 통해 구독되는 숫자가 많다.

■ 발행 목적: 이주민들의 신문을 표방하고, 다문화 가정 뿐만이 아닌 이주노동자 그리고 다문화 2세까지 모든 이주민을 대상으로 한다.

■ 기사 내용: 기사 대상자체가 다문화 이주민에 관한 기사뿐만이 아닌 내국인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 정보, 인식 등을 주제로 하는 기사 또는 칼럼도 개재되고 있다. 이번에 구의회에서 다문화 가정과 관련하여 다문화 이주민을 위한 행사의 진행과 기획을 요청해 각종 행사를 기획 중에 있다.

■ 어려움: 가장 큰 에로사항은 당연히 금전적인 문제다. 매주 한번 신문을 발행하고 있는데 소외계층은 경제적인 어려움이 있다. 구독하고 싶다는 이주여성들은 많지만, 실질적으로 도울 수 있는 방안이 없다. 실제로 동대문의 다문화 가정에게 무료로 신문을 배부를 했던 적이 있는데 경비 부담이 많았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은 전혀 없다. 또 사회의 일반적인 인식이 크게 좋지는 않은 편이어서 다문화 가정을 위한 신문에는 광고가 전혀 들어오지 않는다. 광고 수익이 없기 때문에 다문화 가정에 신문을 무료 배포하기 어렵다. 게다가 한다문화신문은 아직 발간된 지 1년이 채 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문화 이주민들에게도 널리 알려지지 않아 독자 수를 늘리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다문화 이주민들은 내국인 보다 현저히 떨어지는 미디어 이용률 때문에 미디어를 통한 홍보도 쉽지가 않다.

■ 정부 지원 요망 사항: 언론진흥재단에서 소외계층 지원사업과 콘텐츠개발사업 지원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런 사업들을 다문화 관련 미디어에 지원해준다면, 가장 큰 문제인 회사 운영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 지방자치단체가 지원을 해주면 다문화 가정이 신문을 구독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표63> 한다문화신문 운영실태에 대한 인터뷰 조사

Page 19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95

4. 다문화 가정 대상의 미디어 활용 교육 실태

1) 조사 개요

서울시내 23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한국어교육을 실시할 때 신문을 이용한 NIE나 EBS에서 제공하고 있는 한국어배움

터 ‘두리안(DURIAN)’을 얼마나 활용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 다. 이를 위해

2011년 10월 10일부터 14일까지 23개 센터의 사업 담당자들과 전화인터뷰를 실시했

다. 구체적인 23개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동대문구(서울권역 거점센터), 성북

구, 종로구, 용산구, 광진구, 중랑구, 강북구,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구로구,

금천구, 강동구, 강남구, 동작구, 노원구, 등포구, 관악구, 강서구, 도봉구,

성동구, 양천구, 송파구 등이었다.

2) 조사 결과

23개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모두 NIE와 두리안을 활용하지 않고 있었다.

인터뷰 내용을 분석한 결과 그 이유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사회통합이수제(이하

사통제) 실시로 인하여 정해진 교과서를 통한 교육과정을 시행하여야 하며, 사통제

실시만으로도 매우 빠듯한 한국어교육 일정을 소화해야 하기 때문에 실시할 여력이

없었다. 법무부가 2009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사회통합이수제는 귀화신청 대상자가

한국어와 문화, 제도 등 법무부장관이 인정하는 소정의 교육과정을 이수하면 국적

취득 등에서 편의를 주는 제도이다.

둘째, 한국어교육은 정기적으로 교육을 제공하는 전담 한국어 강사의 재량에

따라 실시되고 있기 때문에 NIE전문강사를 추가 배치하는 것은 다양한 측면에서

무리가 있었다. 셋째, 23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가운데 1곳은 과거에 신문사의

후원을 통하여 신문사 자체 소속 NIE 강사와 함께 한국어 취미반을 개설한 바가

있었다. 그러나 신문활자가 외국인이 읽기에 작고, 배열간격이 좁아 흥미를 갖지

못한 채 폐강된 바 있었다. 제목 우선의 큰 활자를 활용하고자 하 음에도 불구하고,

신문의 많은 글자 배열 자체가 결혼이민여성에게 부담감으로 작용하 다.

Page 19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96

넷째, 한국어교육을 한 대학의 한국어교육원에서 전담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 개발된 교재를 우선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NIE를 활용하지 않게

되었다. 다섯째, EBS를 활용한 교육은 한국어 강사의 재량에 따라 이용할 수도

있지만, 센터 실무자가 모든 한국어교육 내용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자세한

사항을 모르겠다고 하 다. 여섯째, NIE에 관심이 없으며, 추가 교육을 시행할

만한 시간·예산·인력·공간 상의 여력이 전혀 없는 상황이었다.

■ 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국립국어원 편): 이 교재는 국립국어원에서 발간하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교육에 주교재로 활용되고 있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경우 결혼이민이라는 특수한 환경에 처한 점을 고려하여 생활적응 등에 유용할 수 있는 맞춤교재가 요구되었기 때문에 “언어편”과 “문화편”이 통합 제시되어 총 4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학습하여 한국의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에 적응하고, 한국 사회의 구성원들과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언어편”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자주 접하는 주제, 상황, 기능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문화편”에서는 단순히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것에서 확장되어 상호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문화상대주의 원칙에 따라 자국 문화와의 차이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교재 머리말 중 일부발췌).

■ Topic시험 관련 교재: 교육진흥연구회 등에서 발간되고 있는 한국어능력시험(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대비 교재들은 취업을 준비하고자 하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자격증 대비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국어능력시험은 국가에서 이주민들을 대상으로 유학 및 취업에 활용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시험이며, 매년 2회 일반한국어능력시험과 실무한국어능력시험으로 나뉘어 시행되고 있다. 초급, 중급, 고급의 평가등급으로 시험이 구분되며, 각 단계는 다시 2단계로 구분되어 등급이 결정된다. 어휘문법, 쓰기, 듣기, 읽기 영역으로 문항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험대비반은 관련 교재를 활용한 연습이 필요하게 된다.

<표64>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대상의 한국어 교재

3) NIE 및 DURIAN을 활용할 가능성에 대한 의견

첫째, 결혼 이민 여성의 반응에 따라 시행가능성은 있다고 생각되지만, 여성가족

부의 사업 메뉴얼 혹은 법무부 사회통합이수제 실시 매뉴얼에 따라 사업을 진행하다

보면, NIE를 시행할 만한 시간이 부족할 것이라 하 다. 둘째, 시중에 나와 있는

한국어교재와 CD 혹은 DVD등의 교육 교제들이 매우 잘 나와 있기 때문에 신문을

Page 19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97

센터 인터뷰 주요 내용

A “미디어나 NIE를 활용한 교육을 시행하지 않고 있다. 앞으로도 어렵다.“

<표65> 23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관계자 인터뷰 주요 내용

활용한 NIE는 한국어 수업의 단회기성 프로그램 정도로만 시행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의견이었다. 셋째, 여성가족부에서 배포하고 있는 한국어교재를 위주로

교육을 실시해야 하므로 활용가능성이 적다고 생각하 다.

넷째, 결혼 이민여성들에게 한국어교육은 실생활에 빨리 적응하기 위한 한국적응

필수 언어 위주로 진행되어야 관심을 모을 수 있다. 그러나 NIE로 그런 부분을

활용하기에는 신문의 구성 내용이 매우 고차원적임. 따라서 NIE 활용 교육은

한국 거주기간이 오래되었거나, 한국어를 기존에 잘 구사하고 있는 결혼 이민

여성에게 실시되어야 반응이 있을 듯 하다는 의견이었다. 하지만 센터에는 대다수

입국 초기에서 중기의 결혼이민여성이 밀집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활용하기에

쉽지 않을 것이라고 하 다. 다섯째, EBS 등의 동 상 프로그램이 한국적응과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되기에는 빈약하기 때문에 각 가정에서 활용하는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의견이었다.

4) 조사 결과의 요약

NIE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실시에 관한 조사 응답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문화가족

지원센터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정해진 매뉴얼과 한국어교재

등의 활용으로 인하여 현실성이 부족함을 지적하 다. 또 현재 한국어교육 외의

많은 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있어 극소인원의 담당자 배치와 적은 예산, 부족한

공간 등으로 인한 고충을 호소하기도 하 다. 이러한 점들을 미루어 볼 때, NIE

교육 등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시행기관들과 결혼이민여성들과의 면접을 통한 자문을 바탕으로 하는 개발과

정이 필요할 것이다.

Page 198: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198

B“NIE를 잘 모른다. 앞으로도 시행 여부는 모르지만, 센터에서 회의를 한 후에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C “NIE를 모른다. 두리안은 활용하지 않는다.”

D “NIE를 모른다. 두리안은 활용하지 않는다. 교육할 수 있는 기자재도 없다.”

E “시행할 여력이 없다.”

F“NIE를 모른다. 여성가족부에서 배포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를 위주로 교육을 실시해야 하므로 NIE교육을 실시할 가능성이 적다.”

G “NIE나 두리안을 활용한 교육을 실시한 적이 없다.”

H “NIE를 모른다. 두리안은 활용하지 않는다.”

I“EBS등의 동영상 프로그램은 한국 적응과 관련된 내용이 빈약하기 때문에 교육용으로는 활용하지 못하고, 각 가정에서 활용하는 수준에 그칠 것으로 생각한다. 대신 최근 여성가족부의 책자(국립국어원 발간)의 내용이 꽤 좋아졌다.”

J

“NIE가 무엇인지 잘 모른다. 할 수 있을지는 현재 결정할 수 없으며, 센터회의를 한 후에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결혼이주민의 반응에 따라 시행할 가능성은 있다고 생각되지만, 여성가족부의 사업메뉴얼 등에 따라 사업을 진행하다 보면, NIE를 시행할 만한 시간이 부족할 것이다. 시중에 있는 한국어교재와 CD 나 DVD등의 교육 교재들이 매우 잘 나와 있기 때문에 NIE는 한국어 수업의 단회성 프로그램 정도로만 시행할 수 있을 것 같다.”

K“NIE에 관심이 없다. 앞으로도 NIE교육을 시행할 만한 시간·예산·인력·공간상적인 여력이 전혀 없다.”

L “NIE를 잘 모른다. 다른 교육시간이 많아 활용하기 어렵다.”

M“NIE에 대하여는 들은 적이 있지만, EBS를 활용한 교육은 국립국어원에서 발간된 교재(여성가족부의 주교재)로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NIE는 활용하지 않고 있다.”

N“한국어 강사의 재량으로 교육하기 때문에 잘 모르겠다. 인터넷 미디어 교육은 한국어 선생님이 결정해서 실시할 수 있으나, 교재와 관련된 CD만을 활용하고 있다.”

O

“과거에 신문사의 후원을 받아서 신문사 소속 NIE강사와 함께 한국어 취미반을 개설한 적이 있다. 그러나 신문활자가 외국인이 읽기에는 작고, 배열 간격이 좁아 결호이주민들이 흥미를 갖지 못한 채 폐강됐다. 제목의 큰 활자를 활용하려고 했음에도 신문의 많은 글자배열 자체가 결혼이주민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했다. 두리안은 가정에서 각자 활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결혼이주민들에게 한국어교육은 실생활에 빨리 적응하기 위한 한국적응 필수언어 위주로 진행되어야 관심을 모을 수 있다. 그러나 NIE로 그런 부분을 활용하기에는 신문의 구성내용이 매우 고차원적이다. 따라서 NIE활용 교육은 한국거주 기간이 오래되었거나,한국어를 잘 구사하고 있는 결혼이주민에게 실시되어야 반응이 좋을 것 같다. 하지만 다문화가정 지원센터를 찾는 결혼이주민의 대다수는 입국 초기에서 중기의 여성이기 때문에 NIE를 활용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P“NIE교육을 실시할 여력이 없다. 또 실시간으로 미디어 교육을 할 기자재가 없고, 구입할 예산도 없다.”

Q “정해진 교과서와 강사를 활용해야 하기 때문에 NIE교육을 실시할 여력이 없다.”

Page 199: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199

R“한국어 교육을 언어교육전문기관에 위탁하고 있는데, 이 기관은 자체 개발한 교재를 우선적으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NIE를 활용하지 않다.”

S “NIE나 두리안을 활용한 교육을 실시한 적이 없다.”

Y “NIE나 두리안을 활용한 교육을 실시한 적이 없다.”

U “NIE나 두리안을 활용한 교육을 실시한 적이 없다.”

V“NIE나 두리안을 활용한 교육을 실시한 적이 없다. 한국어 강사가 여성가족부 교재를 사용하고 있다. 앞으로도 NIE나 두리안을 활용할 예정은 없다.”

W“NIE나 두리안을 활용한 교육을 실시한 적이 없다. 한국어 강사가 여성가족부 교재를 사용하고 있어서 앞으로도 어려울 것이다.”

Page 200: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00

Ⅵ. 전문가 인터뷰 조사

1. 조사 개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300명의 설문조사 결과와 5명의 심층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지원 방안과 미디어 업계의 산업 발전 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했다. 전문가는 미디어 업계와 정부 기관에서 선정을 하 다. 미디어

업계에서는 신문을 대표하는 한국신문협회 주요 관계자를 인터뷰했다. 또 결혼

이민자의 한국어 교육에서 NIE의 활용방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NIE 전문가를 심층 인터뷰하 다. 정부에서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미디어 활용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방송통신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의 담당 부서

책임자, 그리고 결혼 이민자 지원 정책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 여성가족부의 담당

부서 책임자, 결혼 이민자의 재학생 자녀와 학부모에 대한 지원정책을 맡고 있는

교육과학기술부의 담당 부서 책임자 등을 인터뷰하 다.

전문가 인터뷰 대상자는 미디어 업계 2명, 정부 4명 등 총 6명이었다. 인터뷰는

연구진이 2011년 10월 31일부터 11월 11일 사이에 1명씩 사무실로 찾아가서 1시간

정도 인터뷰를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인터뷰는 연구진의 연구 결과와 현재

시행중인 정책 내용을 토대로 향후 지원가능한 정책 방안을 알아보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2. 조사 결과

1) 한국신문협회 관계자

(1)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의 신문 구독을 정부가 지원하는 방안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소외계층의 신문 구독료 지원 사업 차원에서

Page 20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01

조문 주요 내용

제6조 2항(신문읽기진흥)

제6조 2(신문읽기 진흥)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청소년을 포함한 국민의 신문읽기 진흥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②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청소년 및 소외계층의 신문접근성 제고 및 읽기문화 확산을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③ 문과체육관광부장관은 제2항에 따른 시책의 수립·시행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관계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초·중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학교, 특별시·광역시·도·특별자치도 교육청 및 공공단체의 장에게 협조를 요청할

<표66> 신문법 개정안 주요 내용

다문화 가정의 신문 구독료를 지원하고 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

방송통신위원회는 9월 6일 전체회의에서 신문지원 관련법률 4건

을 통합·조정한 대안법률(신문법 개정 법률안)을 통과시키고 법사

위에 상정시켰다. 신문법 개정안은 신문을 하나의 공공재로 보고

정부가 국가 차원에서 지원을 해서 위기에 처한 신문을 진흥시키

고 살려야 한다는 취지에서 만든 것이다. 글로벌 시대를 맞아서

국제사회와의 소통과 다문화 이해증진을 위해 외국어일간신문을

육성하고 지원해야 한다는 내용도 들어있다. 다문화 가정의 신문

구독을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포함돼 있지 않지만 시행령에

서 넣으면 될 것이다. 사실 농촌에 사는 다문화 가정은 돈에 대해

매우 민감하다. 돈을 내고 신문을 보라고 하면 구독할 시골 사람

은 많지 않다. 정부가 국민통합적 차원에서 시골에 있는 다문화가

정의 신문 구독료의 전부 또는 최소 절반이라도 본격적으로 지원

할 필요가 있다. 정부 예산에 부담이 많다면 3년 단위로 지원을

하거나 매년 등록을 받아서 지원하면 된다. 다문화가정 이주민들

은 한국 이해와 한국어 공부를 위해서 신문을 봐야 한다. 한국언

론진흥재단이 결혼이주민의 EBS 사이트 이용료 등을 지원하는 방

안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Page 20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02

수 있음. 이 경우 협조를 요청 받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장 등은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따라야 한다.④ 제2항에 따른 시책을 추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비용은 국고 또는 언론진흥기금에서 지원할 수 있다.

제28조 2항~7항

제28조의2(신문발전지원기본계획의 수립 등)①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매 3년마다 신문의 진흥과 여론다양성 보장을 위하여 신문발전지원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 이라 한다)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다.③ 제1항에 따른 기본계획의 수립·시행에 필요한 경우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중앙행정기관의 장, 지방자치단체의장 및 공공기관의 장에게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협조를 요청받은 중앙행정기관의 장 등은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따라야 한다.④ 그 밖에 제1항에 따 른 기본계획의 수립·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28조의3(경영여건 개선 지원)①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신문사업자 또는 인터넷 신문사업자(이하 “신문사업자 등”이라 한다)의 경영여건 개선을 위한 다음 각호의 사업게 국고 또는 언론진흥기금을 지원할 수 있다. 1. 경영구조 개선을 위한 사업 2. 신문의 제작지원을 위한 사업 3.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제28조의4(신문의 제작 및 유통 지원)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신문의 제작 및 유통을 지원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②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제1항에 따라 신문사업자의 신문제작시설 설치·운영에 필요한 경비를 지원할 수 있다.③ 그밖에 신문의 제작 및 유통 지원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28조의6(외국어일간신문 진흥)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국제사회와의 소통과 다문화 이해증진을 위해 외국어일간신문(단, 외국신문의 내용을 변경하지 아니하고 국내에서 그대로 인쇄·배포하는 신문을 제외한다)의 육성·지원에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 출처 : 한국신문협회.

(2) 결혼 이민자를 위한 NIE 활성화 방안

신문들이 매주 만드는 NIE지면에 결혼이민자를 위한 코너를 만들

면 좋을 것이다. 독자 수는 많지 않겠지만, 언론의 공익적 기능을

감안하면 현재 청소년만을 대상으로 한 NIE 지면의 일부를 이민

Page 20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03

자에게 할애하면 새로운 독자층이 생길수도 있다. 그것은 신문과

결혼이민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윈-윈 게임이다. 신문협회 차원

에서 정부에 결혼이민자를 위한 NIE 지원책을 정부에 건의할 수

도 있다. 그동안 NIE는 청소년 교육에 중점을 둬왔지만, 이제는

결혼이민자도 NIE 제공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 우리 사회의 새

로운 중요한 구성인자로 등장하고 있는 결혼이민자들이 한국에서

빠르게 정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선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데 신문이 가장 그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도 다문화가정이 신문을 NIE용으로 구독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

원해야 한다. 그것은 언론을 위한 것이 아니라 국민을 위한 것이

다. 신문협회에서는 NIE담당 기자들을 위한 세미나도 하고 있는

데, 앞으로 이민자를 위한 NIE 교육에 대해 알려주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3) 신문의 보도와 판매에서 결혼 이민자를 새로운 독자층으로 끌어내는 전략

사실 신문산업에서는 독자에 대한 파일 분석이 안 되어있다. 우리

신문의 독자가 인구통계학적으로 어떻게 분포돼있는지, 그들의 특

징은 무엇인지 등의 독자 프로파일 조사가 중요하다. 앞으로 독자

특성 조사를 할 때 결혼이민자의 현황을 조사해서 그들을 새로운

독자층으로 만들어내는 전략이 필요하다. 그동안 우리 신문들은

다문화가정에 대해 사건이 나야 보도했을 뿐이며 일반적으로는

잘 쓰지 않았다. 그러나 앞으로는 다문화가정을 새로운 독자층으

로 보고 거기에 맞는 기사를 개발해야 한다. 다문화가정이 가장

많은 전라남도에 있는 광주일보에서 상당히 오랫동안 다문화가정

에 대해 시리즈 기사를 보도해서 좋은 평가를 받기도 했다. 신문

사들은 또한 판매 차원에서도 결혼이민자들을 타겟으로 한 판매

전략을 세울 필요도 있다.

Page 20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04

(4) 지방의 다문화 가정에 대한 신문 구독지원은 신문 산업 발전에 도움

현재 지방에는 신문이 거의 들어가지 않는다. 이전에는 주요 신문

사들이 우편으로 지방에 신문을 보냈는데 비용이 많이 들어가 거

의 포기한 상태였다. 그러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지방으로 신문을

보내는 우편료에 대해 지원을 하면서 주요 신문사들이 지방 배포

를 재개했다. 지방의 다문화 가정 이민자에 대해 신문 구독을 지

원한다면 지방의 신문 구독을 살리는 불씨가 될 수도 있다.

(5) 다문화 가정을 위한 별도 신문 제작 방안

다문화 가정이 밀접해 있는 지역이나 학교에서는 다문화가정 자

녀들이 한국 학생들보다 더 많다. 이런 지역에서는 중학생 수준이

면 볼 수 있을 정도로 쉽게 쓰면서 결혼이민자에게 도움이 되는

내용을 많이 담은 시사 잡지나 주간 신문을 만들어 배포하면 결

혼이민자와 자녀가 함께 볼 수 있어 결혼이민자가 한국을 이해하

고, 한국에 적응하는 것은 물론 자녀 교육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

다.

2) NIE 전문가

(1) 다문화 가정과 한국어 능력 부족의 문제점

다문화 가정의 결혼 이민자 배우자는 언어, 문화적 차이로 고통을

겪는다. 언어의 문제는 가정 내의 문제만이 아니다. 부모가 의사

소통이 떨어지면 부모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가 없다. 취학 전 아

이들의 언어 습득은 가정에서 먼저 기초가 이루어진다. 한국 문화

와 한국 언어를 잘 알지 못하는 부모로부터 아이는 제대로 된 교

Page 20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05

육을 받을 수가 없다. 아동은 어머니와 같이 있는 시간이 많다.

외국인 어머니일 경우 어머니가 한국어를 잘 사용하지 못하면 자

녀 역시 한국어를 잘 사용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언어 능력이

안 되면 학교 적응도 어려우며 또래간의 집단에서 어울리지 못하

고 소외된다. 결국 대인관계의 문제까지 만들 수 있다. 이처럼 다

문화 가정은 부모 세대뿐만 아니라 자녀 세대까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래서 다문화 가정의 외국인 배우자와 자녀들에게 우리 사

회에서 적응해 살 수 있는 언어 교육이 절실하다. 그러나 언어 교

육은 대상자에 따라 교육 방법이나 범위가 다르게 가르쳐야 한다.

특히 외국인들에게는 생활 속에서 언어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

도록 연령을 고려한 단계적인 쉬운 교육 방법이 필요하다. 다문화

가정의 외국인 배우자와 자녀들이 쉽고 빠르게 언어를 습득한다

면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자존감도 높이고, 지금보다 한국

문화에도 익숙해져 자신이 원하는 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2) 다문화 가정의 한국어 능력 해결방안으로 NIE가 매우 효율적

다문화 가정에서 외국인 배우자가 겪는 가장 큰 문제는 언어 소

통의 어려움이다. 생활 속에서 말이 통하지 않아 답답하고 힘들어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인은 노력하지

만 실용적인 언어를 배우는 것이 쉽지는 않다. 다문화센터에서도

외국인 배우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은 진행된다. 이들은 이론적으

로 배우는 한국어는 어렵다고 말한다. 외국인이 단시간에 한글을

체계적으로 다 배울 수는 없다. 동화를 통해 다문화 가정 아이들

에게 한글을 가르쳐 본 경험으로 가장 어려워하는 것이 조사, 연

결어미이다. 어휘력도 부족하고 같은 말의 의미적인 것도 쉽게 이

해되지 않아 어렵다고 한다. 발음도 정확하게 되지 않고 문법은

더욱 힘들어 한다. 글을 자음, 모음 순으로 반복해서 쓰고 익힌다

Page 20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06

면 지루하고 재미없어 할 수 있다. 하지만 놀이로 신문을 이용하

여 한글을 단계적으로 가르친다면 재미있게 읽고, 쉽게 이해하며,

잘 기억하고 활용할 수 있다. 이같이 쉽게 언어를 생생하게 익히

는 방법으로 NIE 교육법을 추천하고 싶다. 신문으로 매일 새로운

소식과, 실제 다양한 사례를 보고, 사회 현상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다. 신문으로 하는 교육은 같은 기사를 가지고도 자신에게 맞는

수준별, 맞춤식 개인별 수업이 가능하다. 신문에서 사용되는 언

어는 당대에 실제로 사용되는 말로 표기되기 때문에 신문 읽기를

통해 그 사회의 문화와 정확한 언어를 익힐 수 있다.

(3) NIE를 활용한 결혼 이민자 한국어 교육 방법

NIE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중 대표

적인 방법을 소개해 본다. 첫째, 한글을 익히는 데에 적응할 수

있도록 신문의 제목에서 단어 찾기, 짧은글 짖기, 자음, 모음 찾아

보기 단어 모아 스토리 꾸미기, 같은 글자 찾아보기 등을 활용한

다. 둘째, 각 나라의 문화를 알기 위해 신문에서 의 ‧식 ‧주에 연관

된 기사를 찾아본다. 각 나라의 전통의상과 상징하는 색깔, 전통

음식과 특징, 지리적인 여건을 알아본다. 각 나라의 환경이 주거

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대륙별로 나라를 구분

하고, 국기와 언어, 종교, 화폐 단위 등을 알아본다. 우리나라의

자랑거리, 세계문화유산 등을 소개한다. 셋째, 우리나라의 전통 음

식과 만드는 방법을 신문에서 찾아본다. 신문에서 내가 가장 좋아

하는 음식 만드는 방법 알아보기, 신문에서 계절별 대표 음식 만

드는 방법 알아보기, 한국의 명절 알아보기, 한국의 예절 알기, 주

요 가정 행사 알아보기 등을 해본다.

Page 20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07

구분 내용

자음자 익히기 신문에서 자음자 14개 찾기

모음자 익히기 신문에서 모음자 10개 찾기

한글 기본 음절표 익히기 신문에서 찾아보기

글자 알기 한 글자, 두 글자, 세 글자로 된 낱말 찾기

문장 알기 두 낱말, 세 낱말로 된 문장 찾기

글자 놀이 한글 순서대로 ㄱ부터 ㅎ까지로 시작하는 낱말 찾기

끝말잇기 단어를 끝말잇기로 익히기

말의 순서 알기 뜻이 통하는 낱말들 순서 정하기

이어주는 말 알기 두 문장 사이에 이어주는 말 찾기

문장의 짜임새 알기 주어와 서술어 알기

시간에 맞게 표현하기 시간에 맞는 표현 알기

짧은 글 짓기

소리는 같지만 뜻이 다른 낱말 알기 발음은 같지만 다른 뜻을 나타내는 단어 알기

비슷한 말과 반대말 알기 비슷한 말과 반대말 찾기

높임말과 예사말 알기상대방의 나이, 지위에 따라서 사용하는 높임말과 예사말 알기

<표67> NIE로 쉽게 접근하는 한글 익히기

3)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

(1) 출신국가 방송사와 한국 방송사가 결혼 이민자 대상 프로그램 공동 제작

① 결혼 이민자의 삶을 담은 방송 콘텐츠 개발로 한국을 해외에 소개

결혼 이민자들이 우리나라의 적응하는 것이 가장 기본이라고 생

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거꾸로 결혼 이민자들이 갖고 있는 장점

Page 208: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08

은 우리에게 중요한 자산이 된다. 그런데 그것을 지원하는 정부정

책이 없다. 국내 방송시장은 한계가 있고, 글로벌로 나가야 하는

데 안정적인 현지화와 현지기반이 없으면 매우 어렵다. 실질적으

로는 우리 프로그램이 현지의 채널 방송에 편성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렇게 진출을 하려고 하면 현지 방송법이나 규제에 많이

걸린다. 정부가 직접 나설 수는 없지만 민간 차원에서 하면 가능

하고 정부도 지원할 수 있다. 그 방법의 하나가 결혼 이민자의 출

신국 방송과 국내 방송이 협력해서 결혼 이민자가 출연하는 프로

그램을 제작하는 것이다.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에서 잘 적응하고

있다는 것을 프로그램을 통해서 모국에서 알게 하려면 공동 제작

의 형태가 돼서 현지에서 방송되어야 한다. 결혼 이민자가 한국의

유명한 유적을 소개하는 프로그램도 만들 수 있다. 반대로 결혼

이민자의 친척이나 가족들이 현지의 풍경이나 경치를 우리말로

우리 방송에 소개할 수도 있다. 이같이 양국이 문화적으로 교류하

고, 협력하는 것을 미디어로 담으면 양국 민간교류에도 도움이 되

고, 우리 문화를 결혼 이민자의 나라에 소개하는데도 큰 도움이

된다.

② 결혼 이민자 출신국 방송과 우리 방송사 교류는 결혼 이민자 2세에게 도움

결혼이민자 2세에게는 ‘아빠의 나라와 엄마의 나라’의 관계를 어

떻게 설정하는가가 매우 중요하다. 양국 방송의 프로그램 공동 제

작과 보도를 통해서 양국 간 문화 교류가 활성화되면 2세들은 양

국에서 적응하기가 한층 좋아진다. 예를 들어 ‘아빠의 나라’에서

잘 적응하지 못하면 ‘엄마의 나라’에서 교육을 받게 하거나 현지

에 진출한 외국기업에 취업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Page 209: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09

(2) 방송의 뉴스, 드라마의 한글 자막 서비스는 가능

지상파는 한글 자막 서비스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기술

상 문제가 없기 때문에 결혼 이민자가 필요로 하는 한글 자막 서

비스도 가능할 것이다.

(3) 에스닉 미디어에 대한 별도의 지원은 고려하지 않음

한국과 미국을 비교하면 미국은 연방국가이고 워낙 멀티컬쳐(다문

화)여서 에스닉 채널들이 많다. 방송 설립도 자유로운 편이다. 그

것을 소구하는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제도적 여건을 열어주었다.

다만 돈이 문제가 될 뿐이다. 우리나라는 해외 방송들이 국내에

재송신을 하는 방식으로 채널들을 허용하고 있다. 그것을 케이블

이나 IPTV가 편성을 한다. 그런 형태의 제도로 외국 방송을 지원

하고 있다. 거기에 대해서 따로 지원은 하지 않는다. 결혼 이민자

들이 모국의 채널의 볼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해 한국사회에 적

응할 수 있는 환경만 조성하고 있는 것이다. 국내 업자들과 사실

상의 경쟁 관계여서 승인만 해주고, 광고 영업은 막고 있다.

4)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

(1) 지상파 방송에서 다문화 가정 프로그램의 편성 비율을 늘려야 함

KBS월드도 있고, 아리랑TV도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들이

나 다문화가족들이 출연해서 다양한 자국 문화를 소개하거나 살

아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지상파에서도 일부 프로그램들이 편성이

되는데, 방송에서 편성 비율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Page 210: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10

(2) NIE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활성화

NIE 교육은 학교 내에서 신문을 통해서 교육하는 방식이고, 사회

NIE는 사회단체들이 신문을 활용해서 사회에 대한 이해를 시키는

교육이다.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에서 인지가 되는 것이다. 그동안

우리가 지원하고 있는 사업들이 사실 좀 미미한 상황이었다. 그래

도 올해 처음으로 NIE 3개년 계획을 수립했다. 내년에는 모든 학

교에서 토요일을 쉬게 된다. 이를 감안해서 토요일에 학생이 스스

로 공부할 수 있는 ‘토요 NIE' 프로그램도 시행할 계획이다. 이

계획 속에 일부 다문화 가정을 위한 정책이 일부 들어가 공식적

으로 내년부터 실행이 될 것이다. 다문화가정을 위한 NIE를 어떻

게 프로그래밍을 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이 고민

해야 할 것이다. NIE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 때 퇴직한 언론인들

을 활용하면 언론산업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3) 외국 미디어와 한국 미디어의 국제 교류를 확대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는 우리 미디어와 외국

미디어의 국제교류를 활성화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방송 쪽에서

는 외국의 방송 PD들을 초청해서 지원하는 사업들도 있다. 올해

는 몽골 쪽에서 왔고, 내년에는 아시아 쪽으로 확대하려고 한다.

(4)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이용 수요를 정확히 파악해서 지원

다문화 가정이 실제로 미디어를 통해 어떤 정보를 얻고 있고, 어

떤 정보를 얻기를 원하는지, 그리고 그런 정보들은 어떤 루트를

통해서 제공되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니즈

분석을 하고 이것을 어떻게 만족시킬 수 있는지를 분석해야 한다.

Page 21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11

그리고 1차적으로는 미디어가 그 수요를 충족시켜야 하겠지만, 혼

자서는 할 수 없다. 정부가 할 일이 있고, 사회의 NGO(비정부기

구) 들이 해야 할 영역도 있다. 이 영역들을 어떻게 잘 구분할 지

에 대해 전체적인 윤곽을 잡은 후 각 영역에서 지원 방식을 찾아

서 실행해야 한다. 특히 미디어 학계에서는 어떻게 지원을 해야

하는가에 대해 방향을 제시해 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5) 교육과학기술부 관계자

(1) 결혼 이민자 학부모들을 대상의 교육 정책에서 NIE는 효과적

결혼 이민자 1세는 여성가족부가 담당하고, 교육과학기술부는 재

학중인 결혼 이민자 2세와 학부모에 대한 정책을 맡고 있다. 최근

다문화가정 결혼 이민자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강의에서 “언론

의 기사 내용을 이해하는 것은 어려우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하는 우리 문화 이해 프로그램 일부를 NIE처럼 활용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이 있었다. 학부모들은 또 교육과학기술부

프로그램은 우리문화 이해보다는 자녀진학·진로, 교육체제 등의

내용과 남편·시부모교육을 주로 요구했다. 학부모 프로그램을 운

영할 때 이런 내용을 담은 NIE를 시행하면서 동시에 언론 이해

과정도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2) 일반 국민의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미디어가 효과적

다양성, 다문화에 대한 일반국민의 인식 개선이 무엇보다 시급한

사안이다. 이는 언론매체를 통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다.

예를 들어 다문화 이해 릴레이 기고나 인터뷰, 공익광고 게재 등

이다.

Page 21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12

(3) 다문화 가정에 대한 미디어의 재현 방식의 개선

올 3월 학교에서 방과 후 교육을 하는 대졸 출신 결혼 이민자들

을 만났을 때 “나는 KBS의 ‘러브인 아시아’를 통해서 아시아를

이해하려 한다고 말했더니 그들은 그것이 우리 국민들에게 다문

화 가정을 잘못 이해시킨다. 60년대 못사는 나라, 눈물 질질 짜는

모습을 보이는데, 사실 고국에 살 때는 그런 인식을 하지 않았

다.”는 말을 들었다. 실제로 그들은 독립성이 강했고, 가난을 인식

하고 살지 않았다. 그런데 그들은 “한국에 와보니까 우리가 불쌍

하게 보이고 있고, 구호의 대상으로 비춰지고 있어 당황스러웠다”

고 말했다. 특히 이런 방송은 아이들에게 나쁜 영향을 준다. 결혼

이민자 자녀들이 친구들로부터 “너의 엄마는 못사는 나라에서 왔

지”라는 말을 듣고, 스스로도 그렇게 생각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

래서 한 교수가 이런 이야기를 KBS사장에게 전해서 요즘은 ‘러브

인 아시아’의 컨셉이 달라졌다고 한다. 사실 동남아시아의 출신

결혼이민자 중에는 학력이 좋은 사람들도 많다. 베트남 출신중에

는 호치민 대학 출신도 있다. 미디어가 다문화를 어떻게 재현하고

있는가는 매우 중요하다.

6) 여성가족부 관계자

(1) TV 뉴스, 드라마 등에 한글 자막을 충실하게 넣는 것은 큰 도움

최근 미국에 갔더니 TV에서 드라마 등에 영어 자막을 넣고 있어

서 깜짝 놀랐다. 공항에서 본 TV도 마찬가지였다. 과거에는 없었

는데, 처음 봤다. 미국에도 영어를 못하는 외국 이민자가 늘면서

미국 TV에서 영어 자막서비스를 하는 법이 통과돼 시행되고 있다

는 말을 들었다. 우리나라의 TV들도 뉴스나 드라마에 한글 자막

Page 21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13

을 충실하게 넣어주면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2) 결혼 이민자들을 위해 기존 방송에서 좋은 콘텐츠를 제공

우리 방송의 다문화 가정 관련 프로그램에 대해 불만을 갖고 있

는 결혼 이민자들이 있다. 드라마 속에서 결혼 이민자들이 돈 때

문에 한국에 왔다는 식으로 비춰지는 경우가 많아 결혼 이민자들

이 피해의식을 갖게 된다고 한다. 결혼 이민자들을 삶을 다양하게

보여주는 프로그램이 많아졌으면 한다. 그리고 결혼 이민자도 우

리 사회의 구성원이기 때문에 그들을 위한 별도의 채널을 만들어

따로 하기보다는 커뮤니티 차원에서 함께 해야 한다.

(3) 미디어를 활용해서 결혼 이민자에게 한국어 교육 등을 시키는 방안 강구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으로 온 초기에는 무엇보다 한국어 능력을

습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야 한국 사회에 빠르게 적응을 한

다. 그래서 여성가족부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통해서 한국어 교

육을 실시하고 통역과 번역 서비스도 하고 있다.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에 대해서는 그동안 생각하지 못했지만, 미디어가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4) 결혼 이민자들과 한국인들 간의 소통 기회를 확대

결혼 이민자는 이제 외국인이 아니다.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생각

을 해야 한다. 결혼 이민자들이 우리 사회에 빠르게 정착할 수 있

도록 해야 한다. 여성가족부가 결혼 이민자를 위해 발행하는 잡지

인 레인보우 플러스는 결혼 이민자들의 초기 애로사항을 해소하

Page 21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14

고, 한국 사회에 대한 이해를 높여서 소통의 길을 확대하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국내 미디어가 이런 역할을 많이 해줬으면 좋

겠다.

3. 전문가 인터뷰 조사의 시사점

1) 정부 정책에서 미디어 활용 실태와 확대 방안에 대한 인식

(1) 미디어 활용 지원정책 실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에 대한 정부의 정책에서 미디어를 활용한 정책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가 일부 지원을

하고 있으나 대부분 소외계층 지원 정책의 일환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도 없는 상황이다.

지금 다문화 가정 지원현황을 보면 크게 네 분야로 되어있다. 문

화 예술을 통해서 문화다양성을 확대하는 관점에서 고민을 하고

있고, 한국어 교육부분과 생활체육 부문도 들어가고 있다. 기타

다문화 지식정보 구축이나 문화체험 행사 개최 지원들이 예산들

이 편성이 되어 있다. 그러나 미디어 부분에 대해서 크게 사업들

이 진척이 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문화관광부체육부 관계자)

특히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지원정책에서 가장 비중이 큰 여성가족부와

결혼 이민자 2세 자녀 및 학부모에 대한 정책을 담당하는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는 미디어를 활용한 지원 정책에 대해서 깊게 생각하지 않았다는 의견을

밝혔다.

Page 21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15

(2) 미디어 활용 지원정책에 대한 인식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에 대한 정부의 정책에서 미디어를 활용한 정책이

중요하고 효과적이라는 점에는 모두 동의했다. 한국인들의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이해, 그리고 결혼 이민자들의 한국어 습득과 한국사회 이해를 높이는 데는 미디어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즉 미디어가 결혼 이민자와 한국인 간의 소통

창구 역할을 함으로써 한국 사회의 새로운 공동체를 구성하는 기반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문화 가정의 이해를 위해서는 미디어의 역할이 크다고 생각한

다. (교육과학기술부 관계자)

앞으로의 다문화 사회와 관련해 미디어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이 앞으로 교육받고 군대에 가야하는 문제

등 사회적인 이슈들이 많아질 것이다. 여기서 생기는 문제들을 원

활하게 풀어나는데 있어 미디어의 역할이 중요하다. (문화관광체

육부 관계자)

우리 사회의 새로운 중요한 구성인자로 등장하고 있는 결혼 이민

자들이 한국에 정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선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데 신문이 가장 그 역할을 할 수 있다. (한국신문협

회 관계자)

교육과학기술부는 올해 처음 다문화 가정 학부모 교육을 시작했는데, 그

효과를 보고 지원 방향을 정하기로 했다. 또 앞으로 NIE를 활용해서 결혼

이민자 2세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교육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여성가족부도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NIE를 활용한 교육을 강화하는 방안을

비롯해서 미디어를 활용해서 결혼 이민자들의 한국어 교육과 한국사회 이해

Page 21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16

를 돕는 정책적 지원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는 미디어

를 활용한 정책적 지원방안을 마련하는데 매우 적극적이었다.

(3) 정부 지원정책의 통합 필요성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에 대해서는 여러 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서 다양한

지원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정부 기관들의 지원정책이 중복되는

경우도 있고, 새로운 지원 정책이 발굴되지 못한다는 지적도 많았다. 예를 들어

결혼 이민자 1세에 대한 지원정책은 여성가족부가 담당하고, 결혼 이민자 2세와

학부모에 대한 지원정책은 교육과학기술부가 담당하고 있다. 미디어에서 상과

통신을 활용한 지원정책은 방송통신위원회가 담당하고 인쇄매체는 문화관광체육부

에서 맡고 있다. 그 결과, 정부 차원의 미디어 활용 결혼 이민자 지원정책은 수립되기

힘든 상황이며,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미디어 활용 지원정책은 사실상

사각지대에 머물러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문가들은 그래서 결혼 이민자에

대한 종합적인 미디어 활용 지원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결혼 이민자 정책에 너무 많은 부처가 관여돼 있다. 이제는 독립

적으로 관리할 부처가 필요하다. 그래서 법무부 중심으로 이민청

을 만들자는 이야기도 나왔다. (교육과학기술부 관계자)

2) 미디어 지원 정책에 대한 제언

(1) 정부의 다문화 가정 신문 구독 지원 확대

국민 통합적 차원에서 정부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의 신문 구독을 지원해야

한다. 신문은 결혼 이민자들의 한국어 습득과 한국 이해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결혼 이민자들의 상당수는 경제적인 여건으로 인해 유료 신문을 구독하지

Page 21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17

않는다. 특히 지방에 있는 결혼 이민자들은 신문을 구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신문법 개정안의 시행령 또는 정부 정책으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정부의

다문화 가정 신문 구독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2) 다양한 방송 콘텐츠 개발과 편성 확대

다문화 가정에 대한 방송 프로그램 가운데는 결혼 이민자를 부정적으로 묘사해서

나쁜 향을 미치기도 한다. 또한 다문화 가정에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도 많지

않다. 방송에서는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편성 시간을 늘려야 한다.

(3) 방송에서의 한글 자막 서비스 확대

미국에서 TV들이 어 자막서비스를 하고 있듯이 우리 TV들도 결혼 이민자의

한국어 습득과 한국 이해를 돕기 위해 뉴스나 주요 드라마에서 한글 자막 서비스를

충실하게 할 필요가 있다.

(4) NIE 활성화 방안

NIE는 한국어 습득과 한국 사회 이해를 위한 좋은 교육 도구가 될 수 있다.

결혼 이민자의 교육 현장에서 NIE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정책을 개발해야 한다.

(5) 결혼 이민자를 위한 종합 서비스 포털 마련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어 학습, 한국 사회의 각종 정보 취득 등을

할 수 있는 종합 서비스 포털을 만들 필요가 있다.

(6) 결혼 이민자를 위한 주간신문 제작 방안 검토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신문을 읽을 때의 문제점으로 단어와 문장의

Page 218: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18

어려움, 이해하지 못하는 내용 등을 들고 있다. 이들의 한국어 실력을 감안할

때 결혼 이민자와 자녀들이 함께 읽을 수 있도록 중학교 수준으로 쉽게 쓰고,

내용은 결혼 이민자 자녀에게 모두 도움이 되는 시사와 교육 문제 등을 다룬 주간신문

을 정부에서 제작해서 배포하는 방안도 검토해볼 만하다. 전국적인 배포에 어려움이

있다면 우선은 결혼 이민자가 많이 거주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시범적으로 시행한

후에 평가를 해서 단계적으로 확대 시행할 수도 있다. 현재 결혼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한 에스닉 신문과 방송이 있지만 매우 세해서 효과는 미지수다.

3) 미디어 산업 발전 방안과의 연계

(1) 결혼 이민자를 새로운 미디어 수요층으로 이끌어내는 전략 필요

그동안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우리 사회에 동화되어야할 대상으로 인식되

고, 미디어에서도 타자화해서 재현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결혼 이민자들은

우리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이 되고 있다. 그들을 위한 기사 발굴, 콘텐츠 개발,

신문 판매 전략 수립, 광고 전략 수립 등을 통해서 결혼 이민자들을 미디어 시장으로

유도해내면 위기에 처한 신문이나 방송의 발전에 새로운 전기가 될 수 있다.

미국에서는 에스닉 그룹을 위한 광고 시장이 커지면서 에스닉 미디어가 광고주들

에게 니치마켓을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많다(Johnson,

2010). 에스닉 미디어의 증가는 국제적인 마켓 시장을 키울 수 있다. 상대적으로

규모는 작으면서도 다양한 니치 수용자들을 겨냥한 특별한 벤처기업들의 확산을

유인할 수 있다(Deuze, 2006).

(2) 한국 미디어 산업의 글로벌화를 촉진하는 전략이 필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의 출신국 방송사 등 미디어와 한국 미디어, 특히

양국 방송 간의 협력을 통해서 한국 방송 산업의 글로벌화가 보다 활발해지고,

해외로 진출하는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외국 방송사와의 공동 콘텐츠 개발

및 보도·방송을 통해서 우리 미디어의 콘텐츠 개발 역량도 커질 수 있다.

Page 219: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19

(3) 퇴직 언론인의 새로운 활용 방안

퇴직 언론인들에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를 위한 NIE 교육 등의 연수를 한

후에 이들에게 결혼 이민자 대상 교육을 담당하게 하는 등 결혼 이민자의 지원

대책에서 미디어 활용 방안이 본격적으로 시행될 경우 퇴직 언론인들의 역할이

커질 것이다.

Page 220: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20

Ⅶ. 결론 및 제언

1. 미디어 매체별 이용 활성화 방안

본 연구는 결혼 이민자의 미디어 이용 실태를 알아보고, 그들의 미디어

이용을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이용과 충족 이론에 근거해서 결혼 이민자의 미디어 이용 실태 조사,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 결혼 이민자에 대한 미디어 서비스

실태 조사, 전문가들의 인터뷰 조사를 통한 개선 방안 조사 등 네 단계의 연구를

실시하 다.

대부분의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한국 생활에 빨리 적응하는데 미디어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고, 미디어에 대한 신뢰도와 교육적 효과에 대한

평가도 높아 수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면 미디어 이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미디어 이용실태를 보면 인터넷과 TV를 주로 이용하고,

라디오, 신문, 잡지는 이용이 매우 저조했다. 인터넷과 TV는 인기 미디어인 반면

신문, 라디오, 잡지는 비인기 미디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의 미디어 이용을 활성화시키는 정책적 방안은

인기 미디어와 비인기 미디어를 구분해서 차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인기 미디어

의 경우 결혼 이민자의 이용을 더욱 활성화해서 산업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고, 비인기 미디어에 대해서는 결혼 이민자의 이용을 활성화시

키는 동시에 산업 발전에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비인기 미디어

가운데는 신문이 집중적으로 거론됐기 때문에 신문에 대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알아보았다.

Page 22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21

1) 신문

(1) 신문 이용의 특징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이용시간이 매우 적고, 유료 신문보다는 무료

신문을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인터뷰를 한 결혼 이민자들은 상당수가 애로사항으로

경제적 어려움과 시간 부족을 호소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경제적 부담으로 무료

신문을 많이 구독하는 것으로 해석됐다. TV와 인터넷 등 다른 미디어를 이용하기

때문에 굳이 신문을 볼 필요가 없었고, 평소에 신문을 보는 습관도 없었다.

(2) 신문 이용 이유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한국어나 한국문화 습득과 한국 사회 적응이란

도구적 목적에서만 신문을 이용하고 있었다. 신문에서 주로 얻는 정보는 한국

문화정보, 생활 정보 등이며, 주로 활용하는 콘텐츠는 생활 및 문화, 교육 및

육아에 관한 콘텐츠 다.

(3) 신문에 대한 불만

인터뷰 조사 결과에서 신문의 기사 내용과 단어가 너무 어렵다는 지적이 많았다.

특히 한문을 쓰지 않는 동남아시아 출신 결혼 이민자들은 신문에 한문과 한문식

표현이 너무 많아서 내용을 알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신문 1페이지를 읽는데 1시간

정도 걸린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결혼 이민자들은 TV와 인터넷 다음으로는 신문을

이용하겠다는 생각이다. 또 결혼 이민자들은 한국어 실력이 부족할 때는 신문을

읽지 않지만, 한국어를 알기 시작하면 신문을 읽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나 신문의

전망이 완전히 어두운 것은 아닌 것으로 해석됐다.

Page 22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22

(4) 정책적 제언

① 결혼 이민자들의 신문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신문 구독에 대한 정부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결혼 이민자들은 한국어능력시험(TOPICS) 성적이 신문을

읽을 수준이 되는 결혼 이민자의 가정에는 정부가 기간을 정해서 구독료를 지원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현재도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소외계층의 신문 구독료 지원 사업

차원에서 다문화 가정의 신문 구독료를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신문은 사회의 공공재이며, 결혼 이민자의 한국사회 적응에 매우 중요한

사회적 도구라는 점에서 정부는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특히 신문 읽기는

특별히 정보에 소외된 사람을 제외하고는 TV 뉴스 시청보다 지식 습득에 강한

향을 미친다. 인터넷이 정치적 정보원으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적다. 신문의 강한 학습 효과는 형식(인쇄된 것은 독자들에게 자신의 페이스에

따라 읽도록 해 줌)과 내용(인쇄 뉴스는 보다 많은 맥락을 제공함) 측면에서 차별성을

띤다(Sotirovic & Mcleod, 2004). 이렇게 본다면 신문은 결혼이민자들이 한국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데 가장 유용한 도구라고 할 수 있다.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신문법 개정안이 이번 국회에서 통과될 경우 시행령에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에 대한 신문 구독료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특히 연구 결과, 도시 지역과 저소득층에서 신문 이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신문 구독료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② 결혼 이민자들을 위한 콘텐츠를 개발하서 새로운 독자층으로 유입

미디어 환경이 크게 달라진 만큼 신문도 달라져야 한다. 소셜 미디어 시대를

맞아서 미디어의 환경은 미디어 중심에서 이용자 중심으로 변하고 있다. 콘텐츠

유통 방식은 미디어의 일방적인 콘텐츠 내보내기에서 수용자가 콘텐츠를 끌어당기

는 형태로 바뀌고 있으며, 이용자는 매스 미디어를 바라보던 원자적 이용자에서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유기적 이용자로 달라지고 있다(허의도, 2011).

이런 시대를 맞아서 신문사들도 결혼 이민자들을 새로운 독자층으로 인식

Page 22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23

하고 기사 보도에서 이들을 새로운 독자층으로 끌어들이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그동안 결혼 이민자들은 우리 사회에 동화되거나 보호받아야할 대상으

로 인식되고, 미디어에서도 우리 사회의 소수그룹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

다. 그러나 결혼 이민자들은 우리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이 되고 있다. 그들을

위한 콘텐츠를 개발해 많이 보도해야 한다.

가. 결혼 이민자들이 원하는 한국 문화, 생활정보 제공 확대

결혼 이민자들의 신문 이용 동기로 나타난 한국 문화정보, 생활 정보 습득에

필요한 정보를 많이 제공하면 이들의 신문 이용이 늘어날 것이다.

나. 동남아시아에 대한 다양한 정보 제공

결혼 이민자들 가운데 동남아시아 출신들이 많고, 결혼 이민자들이 모국에

대한 정보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동남아시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수시로 제공하는 것도 결혼 이민자들의 신문 이용도를 높이는 방법이 될

수 있다. 그 결과, 결혼 이민자들이 신문을 ‘자신의 미디어’로 생각하게 되면

위기에 처한 신문산업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다.

다. 기사 문체의 개선

기사의 문체도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도록 고치고, 내용도 알기 쉽도록 구성해서

결혼 이민자들이 신문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③ 결혼이민자들을 새로운 시장으로 보는 인식 전환이 필요

신문 산업적인 측면에서 보면 신문사들은 판매와 광고 전략에서도 결혼 이민자들

을 겨냥한 새로운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결혼 이민자들은 이미 우리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이 됐고, 새로운 비즈니스 대상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커졌다. 신문사

들은 이들을 대상으로 비즈니스 전략을 수립하면 판매와 광고에서도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다.

Page 22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24

④ 결혼 이민자들을 상대로 한 ‘신문읽기 캠페인’ 전개

신문협회나 신문들도 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신문읽기 캠페인’을 하고

있듯이, 결혼 이민자들을 주요한 홍보 대상으로 정해서 ‘신문읽기 캠페인’을 진행하

고, 홍보 자료들을 만들어 다문화가정 지원센터 등에 배포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미국에서는 많은 대학들, YMCA,적십자사와 같은 비 리 기관과

정부 기관들도 20세기 초반부터 홍보활동을 시작했다. 이들은 향력 확대 이외에도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 홍보를 적극적으로 활용을 하는 것이다(박기순․박정순․최윤희 공역, 2006). 우리 신문협회나 신문들도 마찬가지로 적극적으로 신문읽기

홍보를 하는 것은 신문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림45> 신문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제언

Page 22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25

2) TV

(1) TV 이용의 특징

하루에 평균 122.4분을 볼 정도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만족도는 인터넷 다음으로

높았고, 향후 이용하고 싶은 미디어에서도 인터넷 다음으로 선정되었다.

(2) TV 이용 이유

한국 정보 및 한국어 습득, 한국 문화에 빨리 적응하기 위해서나는 도구적

목적 이외에도 즐겁기 때문에 본다는 습관적 목적도 있기 때문에 결혼 이민자들의

TV 이용이 많았다. 남편 등 가족들과 같이 보는 경우가 많고, 가족과의 대화를

위해서도 보는 등 TV는 다문화 가정에서 가족통합적인 기능도 하고 있었다. 결혼

이민자들은 TV에서 언어 정보와 생활 정보를 많이 얻고, 드라마, 보도(뉴스),

연예오락 등의 콘텐츠를 주로 이용하고 있었다. TV 이용에 대한 만족도도 높았다.

특히 TV는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사회에 대한 정보를 얻는 제1의 경로 다.

특히 한국에 온지 5년 이하인 결혼 이민자가 5년 이상인 사람보다 TV를 더 많이

이용해 결혼 이민자들은 이주 초기부터 한국어 공부, 엔터테인먼트 등을 위해

TV를 즐겨 보고 있었다. 그래서 경제적인 부담에도 불구하고 무료 TV인 지상파보다

유료인 케이블 TV를 더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3) TV에 대한 불만

인터뷰 조사 결과, TV 프로그램에 대해 비현실적인 내용이 많고, 다문화 가정을

형식적으로만 다룬다는 비판이 많았다. 또 육아, 교육 등과 같이 생활에 도움이

되거나 결혼 이민자를 위한 프로그램이 매우 적다고 지적했다.

Page 22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26

(4) 방송 서비스와 프로그램 실태

다문화 관련 TV 프로그램은 2005년 이후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 전체적으로

보면 편성 비율이 적은 실정이다. 고정적인 편성보다는 특집 형태의 편성이 더

많은 편이다. 다문화 프로그램의 형태는 주로 드라마, 시사·교양, 오락 프로그램으

로 제작되었다.

드라마의 경우는 다문화 결혼 이주 여성을 등장시켜 한국 사회의 적응과 사회적

편입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며, 시사·교양 프로그램에서는 다문화 이주 여성이나

외국인 노동자들의 삶을 취재하거나 한국 사회의 적응을 돕는 형태의 포맷을 갖고

있다. 사회통합과 사회적 약자를 돕는다는 공익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문화 관련 오락 프로그램에서는 드라마와 교양 프로그램과는 다르게 이민자

여성들이 타자나 보호의 대상으로 재현하기 보다는 선망의 대상으로 표현되어

한국 사회가 갖고 있는 이민자 여성에 대한 이미지를 다양하게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전반적으로 한국 TV의 다문화 가정 관련 프로그램은 결혼 이민자 시청자를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내국인 시청자를 위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따라서 결혼

이민자 시청자들의 실정과는 맞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들이 더 공감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될 필요가 있다.

(5) 정책적 제언

① 다문화 가정에 대한 방송사의 다양한 콘텐츠 제공과 편성 확대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실제 생활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다문화 가정 관련 콘텐츠를 늘려야 한다. 다문화 가정을 형식적으로만 다룬다는

비판이 많은 점을 고려해서 다문화 가정을 우리 사회의 중요한 일원으로 인정하고

이들의 일면만을 단순히 보여주는 차원을 넘어서 다양한 각도에서 재현하는 프로그

램을 늘려야 한다. 지나치게 공익성을 강조한 프로그램만을 전달할 경우 결혼

이민자를 우리 사회의 구성원이 아니라 제3자 또는 이방인이라는 이미지를 심어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일방적인 내용의 프로그램보다는 결혼 이민자들의 삶을

Page 22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27

다양하게 조명하는 프로그램을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

② 접근성의 강화

결혼 이민자들이 TV를 통해 한국어를 익히거나 한국 사회를 더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뉴스나 주요 드라마에 한글 자막을 충실하게 넣어야 한다.

결혼 이민자들은 오히려 어, 중국어, 베트남어 등 외국어 자막 서비스는 불필요하

다고 생각을 할 정도로 한국에 빨리 적응해야 한다는 의식이 강했다. 많은 결혼

이민자들은 이 서비스가 시행될 경우 한국어 학습에 매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현재도 일부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쉽게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③ 방송사의 다문화 가정 프로그램 제작에 대한 정부 지원 확대

다문화 관련 프로그램이 2005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은 다문화 사회로

전환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한국인들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향을 미칠 수 있다. 정부는 이런 프로그램 제작에 대한 지원을 늘려야 한다.

정부도 방송사의 프로그램 제작을 지원하고 있으나 규모가 매우 적은 실정이다.

방송통신위원회의 경우 경쟁력 제고 우수 프로그램의 경우 한편 당 제작 지원금이

최대 10억원인데, 다문화 가정 프로그램의 지원 규모는 최대 1억원에 불과하다.

또 다문화 가정 프로그램은 별도로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 관련 프로그램’의

하나로 포함돼 있다. 이제는 다문화 가정을 국내의 가족 문제 가운데 하나로

볼 것이 아니라 별도의 단일 사안으로 인식하고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그러면

5년 이상 결혼이민자들의 TV 이용률도 높아져 TV 산업 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④ 결혼 이민자 출신 국가 방송사와의 협력 강화로 글로벌화 촉진 전략

일반적으로 국가 간의 프로그램 유통에 가장 중요한 향을 미치는 문화적

요인은 지리적 근접성, 국가 간의 언어적 공통성, 역사적 경험들을 통해 구성된

두 나라간의 유사한 문화적 배경, 여행자수, 국제결혼 등과 같은 두 나라간의

교류로 요약될 수 있다. 국내 지상파 텔레비전의 프로그램 수출에 가장 강력한

Page 228: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28

향을 미치는 변인은 우리나라와 수입국 간의 인구 이동량이며, 국내 방송프로그램

의 수출은 우리나라와 수출국간의 정치, 경제적 요인보다는 문화적 요인에 의해

그 판매량이 결정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유세경․ 정윤경, 2008).

다문화 가정 결혼이민자 출신국가와 한국 간에는 이미 문화적 교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결혼 이민자의 출신국가 방송사와 한국 방송사가 결혼 이민자

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제작해서 해외로 진출하면 우리 방송산업의

발전은 물론 한류 수출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에서 어떻게

살고 있는가는 한국 뿐만 아니라 결혼 이민자 출신국가에서도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이들 국가에서는 대체로 한류가 인기를 끌고 있기 때문에 결혼 이민자들을

통해서 한국 사회의 모습을 현지에 전달하면 한국 소개 효과가 더욱 크고 한류

확산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우리 방송산업은 민간 차원에서

현지에 진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콘텐츠를 수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이와 같은 교류를 통해서 결혼 이민자 2세들이 ‘아빠의 나라’ 이외에도 ‘엄마의

나라’에 관심을 갖고 교류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날 것이다. 이는 결혼 이민자

2세의 정체성 확보와 성장 후 진로 모색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로 인해서 많은 개발도상국들의 방송사들이 그들의

미디어 제품을 성공적으로 수출하고 있다(Thussu, 2006). 터키의 TRT는 1990년

유텔새트를 통해서 서유럽의 터키어 사용자들에게 프로그램을 전송하기 위해

TRT-INT를 설립했다. 2년 뒤인 1992년에는 중앙아시아의 터키어 사용자를 겨냥

해서 초국경 방송 채널인 TRT AVRASYA TV(나중에 TRT Turk로 바뀜)를

설립했다. 이러한 확장은 위성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게 되면서 가능해졌다. 우리도

이미 있는 아리랑 TV나 KBS 월드와 같은 해외 위성 TV를 통해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모국에 한국과 결혼 이민자들의 삶을 전달함으로써 한국에 대한

인지도와 친밀도를 높이면 한류 콘텐츠의 현지 진출에도 큰 힘이 될 것이다.

Page 229: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29

<그림46> TV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제언

3) 인터넷

(1) 인터넷 이용 특징

하루 평균 이용량이 112.5분으로 TV 다음으로 많았다. 미디어 가운데 이용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향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싶은 미디어 다.

(2) 인터넷 이용 이유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다른 미디어와 달리 출신국가에 대한 그리움

때문에 인터넷을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인터넷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서 커뮤니케

이션을 할 수 있고, 상호작용성이란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결혼 이민자들은

Page 230: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30

한국에서의 생활 정보나 모국에 대한 정보를 알고 싶을 때, 한국어 공부를 할

때 인터넷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어, 미디어 가운데 가장 실용적이고 교육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로 인해 출신국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을 통해서

가장 많이 알고 있었고, 인터넷 서비스 가운데 정보 검색 다음으로 출신국 지인들과의

채팅 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했다.

(3) 인터넷에 대한 불만

결혼 이민자들은 육아, 자녀 입학, 병원 이용법 등 실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인터넷에서 찾는데 어려움을 갖고 있었다.

(4) 정책적 제언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 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들을 모아서 무료로 제공하는

전문 인터넷 사이트를 정부가 운 할 필요가 있다. 이 사이트에서 한국의 미디어에

보도된 주요 기사나 다문화 가정 관련 정책 등을 상세하게 소개하고 결혼 이민자들이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하면 결혼 이민자들은 미디어를 자주 접하고 익숙해져

실생활에서 미디어 이용도가 높아지고 한국 사회를 빠르게 이해할 것으로 기대된다.

Page 23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31

<그림47> 인터넷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제언

4) 미디어 활용 교육

(1) 미디어 활용 교육 실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은 대체로 TV와 인터넷 활용 교육에 대해서는 알고

있었으나 NIE를 알고 있는 사람은 매우 적었다. 전반적으로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을 받아보거나 해본 경험이 적었다. 따라서 미디어 활용 교육에 대한 평가는

낮았다.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및 한국문화를 가르치는 기관 등에서

미디어 활용 교육을 거의 실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됐다. 그러나

NIE를 통해 한국어 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결혼 이민자들은 교육효과가 높다고

평가했다. 현실적인 내용을 깊이 있게 알 수 있어서 한국을 좀더 이해하게 되고

한국어 교육 효과도 높다는 것이었다.

Page 23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32

(2) 미디어 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

미디어 활용 교육이 도움이 되는 이유는 편리한 이용 접근성, 자율적인 학습

가능, 실생활에 밀접한 콘텐츠로 흥미 유발 등의 세 가지로 요약됐다. NIE에서는

편리한 이용 접근성, TV 강좌에서는 실생활에 밀접한 콘텐츠로 흥미 유발, 인터넷

강좌에서는 자율적인 학습 가능이 가장 큰 이유 다.

(3) 미디어 활용 교육의 제약 요인

설문조사 결과, NIE에서는 한국어 실력 부족, 재미있는 전문 교재 부족, 활용도

구 부족 등이 문제 다. TV 강좌는 강의시간에 맞춰서 시청할 수 없다는 점,

강의 내용이 수준에 맞지 않고 전문교재가 없다는 점이 제약요인이었다. 인터넷

강좌는 교재 내용과 현실이 맞지 않고 전문교재가 부족하다는 점이었다. 전반적으로

전문 교재 부족이 가장 큰 문제점이었다. 인터뷰 조사 결과, 결혼 이민자들은

교육 사이트를 많이 이용하고 있으나, EBS 등에서 운 하는 교육사이트들이 몇

년 전부터 유료화를 하면서 경제적인 부담을 안고 있었다.

(4) 정책적 제언

① NIE에 대한 정부 지원 강화

여성가족부, 교육과학기술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결혼 이민자 지원 부처들이

협력해서 NIE 교육 확대 방안을 마련해 시행을 해야 한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올해 NIE 3개년 계획을 수립했는데, 학교에서의 청소년 교육 뿐만 아니라 다문화가

족지원센터에서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NIE 교육을 실시하는 방안을 여성가족부와

공동으로 추진해야 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학교에서 결혼 이민자 2세 학생들의

학부모들을 상대로 NIE 교육을 실시하는 방안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② NIE 전문 교재 제작

결혼 이민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전문 교재를 정부와 한국신문협회, NIE 전문기

Page 23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33

관 등이 협의를 해서 만들어 배포하는 것이 필요하다. NIE 전문 교재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새롭게 만들어야 하므로 한국언론진흥재단 등 정부 기관에서 월간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교재의 내용을 말로 발음한 MP3 등을

첨부한다면 말과 글을 동시에 공부할 수 있어 효과가 클 것이다.

③ 신문사의 NIE 지면에 결혼 이민자 코너 마련

주요 신문사들은 매주 한차례 NIE 지면을 제작하고 있다. NIE 지면의 여러

기사 가운데 하나는 결혼 이민자를 위해 그들에게 관심있는 실생활 정보를 싣고,

기사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쓰는 결혼 이민자 코너를 만들면 결혼 이민자들에게

도움이 되고 NIE 활성화는 물론 신문 이용에도 기여할 것이다. 한국신문협회에서도

회원 신문사들에게 이의 필요성을 알려서 설득하고, NIE 지면 담당자들을 상대로

결혼 이민자를 위한 기사 제작 방법 등의 연수를 시킬 필요가 있다.

④ 한국어 교육 무료 사이트 운

결혼 이민자들이 경제적 부담을 느끼지 않고 한국어, 한국문화에 대한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정부가 이와 관련한 질 높은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하는 사이트를

운 해야 한다.

⑤ 퇴직 언론인들의 활용

한국언론진흥재단 등에서 정부 지원을 받아서 퇴직 언론인들을 상대로 NIE

교육을 실시한 후에 이들을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강사로 파견하면 퇴직 언론인들

의 전문성을 활용하고, NIE 교육을 활성화하는 이중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전문 교재를 제작하거나 한국어 교육 무료 사이트를 운 할 때도 퇴직 언론인들을

활용할 수 있다.

➅ 다문화가정 지원 단체에서의 미디어 활용 교육 활성화

국내에서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같은 정부 기관 이외에도 수많은 비 리기구,

종교단체 등이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이 결혼이민자

들을 위한 다양한 교육을 실시할 때 신문, 방송 프로그램 등 미디어 콘텐츠를

Page 23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34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원하면 결혼이민자들이 미디어에 친숙해지고, 이용방법

도 알 수 있게 돼 자연스럽게 일상생활에서의 활용도가 높아질 것이다.

비 리기구의 역할이 정착된 선진국의 경우는 비 리기구가 사회의 거대 담론을

주도하기도 하지만 일반 시민의 생활 속으로 파고 들어가서 시민 스스로 자신의

권리를 찾고 지역사회의 발전을 주도해 가는 자생적인 시민협의체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비 리기구의 이런 기능은 기본적으로 커뮤니케이션 기능과 연결되고

있다(김 욱, 2011).

비 리기구는 성격, 활동 대상에 따라 다양한 미디어 교육을 통해서 목표를

달성하려고 한다. 여성단체는 주로 ‘텔레비전 속의 여성상’이나 ‘소비자’에 대한

주제를 설정하여 접근하는 경우가 많고, 화단체나 신문연합 등은 화, 신문

등을 채택하고 있고, 가톨릭단체의 경우에는 주로 가톨릭 신념의 실천과 텔레비전

속의 가치라는 주제를 교육의 중심에 둔다. 이런 시민단체들은 토론이나 강연회

개최, 워크숍 등으로 구성되며, 그 내용은 단일 강좌의 형식으로 일주일 단위의

교육이 보통이다(김양은, 2009). 따라서 정부와 언론기관에서는 이런 교육에 필요

한 자료를 제작해서 이들 비 리기구에 지원하면 미디어 활용 교육이 활성화될

것이다.

Page 23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35

<그림48> 미디어 활용 교육 활성화를 위한 제언

5) 전문 미디어(에스닉 미디어)

전문 미디어에 대해서는 결혼 이민자들의 이용도,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

다. 결혼 이민자들도 전문 미디어에 대해서 실생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등의

이유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실태조사에서도 전문 미디어들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어 세하고 콘텐츠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관계자들도

결혼 이민자에 대한 미디어 지원 정책을 일반 미디어와 전문 미디어로 구분하지

않고 일반 미디어 중심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따라서

전문 미디어에 대한 정책적 지원 방안은 아직 시기상조인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실태조사 결과, 전문미디어는 일반 미디어와 달리 특정 지역 내의 결혼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지역 정보 제공, 인권 보호 등의 특수 목적에서는 긍정적인

미디어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따라서 정부가 전문 미디어에 대해서는

Page 23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36

프로그램 중심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할 만하다. 또 정부가 결혼 이민자를

위한 프로그램, 콘텐츠 제작을 지원할 때 전문 미디어의 우수한 프로그램, 콘텐츠에

대한 지원을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있다.

<그림49> 전문미디어 활성화를 위한 제언

2. 종합적인 정책적 지원 방안

여러 중앙정부 기관과 지방자치단체가 다양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지원정책

을 실시하면서 중복되는 정책이 많다는 지적이 있다. 그래서 다문화 관련 정부의

예산 규모는 2006년 12억원에서 2010년에는 629억원으로 4년 동안 52배 증가했고,

2010년 정부과 지방자치단체가 마련한 다문화가족지원사업은 3000여건에 예산이

853억원에 이르지만 정부 부처별로 지원사업이 비슷하거나 중복되는 사업이 많아서

다문화가족 결혼이민자들이 피부로 느끼는 혜택 효과는 적다고 한다(동아일보,

Page 23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37

2011.2.8.) 정부 기관들의 다문화가족 지원사업이 연계되지 않은 채 중복 지원되면

서 결혼 이민자의 미디어 이용을 활성화하려는 정책적 지원은 아직 초보단계에

있다. 대부분 정부 기관들이 미디어 관련 지원 정책을 갖고 있지 않거나 소외계층

지원과 같은 일반적인 지원 정책의 일부에 포함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우리 사회에서 결혼 이민자 규모는 급속도로 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이

우리 사회에 빨리 적응하고, 한국말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결혼 이민자를 담당하는 정부기관을 청

단위로 만들고, 이곳에서 결혼 이민자 지원정책을 총괄적으로 실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기관이 생기면 결혼 이민자의 미디어 이용 지원정책도 본격적으로

시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기관의 설립 필요성은 정부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으나

아직 본격적으로 논의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그 이전에는 결혼 이민자의 미디어

이용을 종합적으로 지원해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그 방법의

하나로 ‘결혼 이민자 미디어 서비스 종합 포털’을 만드는 방안을 제안한다.

1) ‘결혼 이민자 미디어 서비스 종합 포털 사이트’의 필요성

결혼 이민자들이 다양한 미디어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미디어의

다양한 정보를 담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종합 포털을 만들 필요가 있다.

2) 종합 포털 사이트 운영 방안

문화체육관광부가 설립하고 재정을 지원한다. 운 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직접

하거나 민간에 위탁 경 을 할 수 있다. 방송통신위원회, 교육과학기술부, 여성가족

부는 포털사이트에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방송사와 신문사의 포털사이트용 콘텐츠

제작을 지원한다. 방송사와 신문사는 콘텐츠를 포털에 제공한다. 방송사들은 한국

방송협회, 신문사들은 한국신문협회를 통해서 정부 및 포털과 협의해서 지원을

한다.

Page 238: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38

3) 종합 포털사이트 활용 방안

여성가족부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교육과학기술부는 각 학교에서 결혼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교육할 때 이 사이트를 통해서 미디어 활용 교육을 할 수

있다. 그 밖의 다른 기관이나 지방정부, 또는 민간기관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또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도 개인적으로 언제 어디서든 활용할 수 있다.

4) 종합 포털사이트 구성

한글 자막이 있는 뉴스, 드라마 등의 방송콘텐츠, 교육, 육아, 경제 등 생활정보를

담은 신문기사와 한글 발음 서비스, NIE와 방송 강좌 등 미디어 교육 콘텐츠,

전문미디어를 연결할 수 있는 에스닉 미디어 코너, 결혼 이민자들이 자신들끼리

대화하고 정보를 나눌 수 있는 다문화 커뮤니케이션 카페 등으로 구성한다.

5) 기대 효과

첫째, 결혼 이민자들이 미디어를 이용할 수 있는 기회가 대폭 확대돼 미디어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미디어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정부의 결혼

이민자에 대한 미디어 지원 정책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하게 돼 결혼

이민자 관련 미디어 정책과 행정이 발전할 수 있다. 셋째, 종합 포털의 운 과

관리, 결혼 이민자를 위한 콘텐츠 제작, NIE 등 미디어 교육에 퇴직 언론인들이

참여하게 하면 언론인들의 사회적 기여도를 높일 수 있다.

Page 239: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39

<그림50> 결혼 이민자 미디어 전문 포털사이트

Page 240: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40

참고문헌

강진숙·이은비(2010). ‘차이의 정체성’을 위한 이주노동자 미디어교육 연구. 『교

육문화연구』, 16권 3호, 139~162.

곽정래·박승관(2006). 새터민의 매스미디어 이용과 사회적응: 신뢰, 네트워크,

그리고 사회정치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0권 6호, 415~439.

김경희(2009). 텔레비전 뉴스 내러티브에 나타난 재한 이민자의 특성. 뉴스초점이

주민과 주변인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3권 3호, 7~46.

김경희·엄한진·윤태일(2009). 신문활용교육(NIE)을 통한 다문화사회교육의 가

능성과 조건. 강원지역 결혼이주여성 교육사례를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문화』 , 12호, 5~45.

김명중(2008). 해외 위성TV에 관한 연구: 외국인 대상의 비상업적 TV방송을

중심으로. 황상재․전범수․정윤경(편역). 『국제 커뮤니케이션』(487-529

쪽). 경기도 파주시: 나남신서.

김병선(2004). 웹 이용 행위에 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 『한국언

론학보』, 48권 1호, 112~141.

김상임(2004). 『상담사례를 통해서 본 한국 남성과 결혼한 이주여성의 삶』. 이주여

성인권센터 창립 3주년 기념 심포지움. 이주의 여성화와 국제결혼. 이주여성

인권센터, 17~48.

김성해(2007). 국제공론장과 민주적 정보질서: 미국 헤게모니 관점에서 본‘신국제

정보질서운동’의 이론적 한계와 대안 모색. 『한국언론학보』, 51권 2호,

82~104.

김승권 외(2009). 『2009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연구』. 보건복지가족부·법무

부·여성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2010-06.

김양은(2009).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김 순·윤희진(2010). 다문화시민성을 위한 스토리텔링 활용 문화교육 방안. 『언

어와 문화』, 6권 1호, 27~46.

김 옥 외(2009). 『국경을 넘는 아시아 여성들-다문화사회를 만들다』. 아시아여성

Page 24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41

총서.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김 욱(2011). 『비 리 커뮤니케이션』.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김오남(2006).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김인 ·박관 ·이인희(2009). TV 프로그램에 나타난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특수

성에 관한 미디어 담론: KBS <러브 인 아시아>와 <미녀들의 수다>를 중심으

로. 『The Journal of Social Pradadigm Studies』.

김주미(2009). 『TV 드라마의 여성 결혼이민자 재현에 관한 연구: SBS <황금신부>

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부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정기(2000). 대학생 수용자의 텔레비전 시청 동기 연구. 김정기(편), 『한국

시청자의 텔레비전 이용과 효과 연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김정기(2002). 수용자의 반란에 대한 인식:이용과 충족 연구의 관점. 김정기·박동

숙 외(편), 『매스 미디어와 수용자』.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김양희·안진경 (2010). 수요자 관점의 결혼이민자가족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실태 분석- 서울시 거주 결혼이민여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

회』, 28권 4호, 1~13.

김유정(2002).미디어 선택과 이용에 따른 이용자의 미디어에 대한 태도 분석:

이동 전화 문자 메시지를 대상으로. 『한국방송학보』, 16권 3호, 105~135.

김현주·전광희·이혜경 (1997). 국내 거류 외국인의 한국사회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문화간 커뮤니케이션과 사회적 연결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40호, 105~139.

모선희(2008). 『다문화가정의 문제점과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충남발전연구원.

문혜성 외(2006). 『미디어 교육과 교수법』.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박기순․박정순․최윤희 공역(2006).『PR의 역사와 개념』.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박소라(2003). 경쟁도입이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 다양성에 미치는 향에

관한 연구: 1989년 이후 지상파 방송 편성 분석을 통하여. 『한국언론학보』,

47권 2호, 222~250.

배현주(2009). 미디어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가능성 모색. 『교육문화연구』, 15권

1호, 139~164.

Page 24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42

설동훈·윤홍식(2005). 국내 거주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적응과 사회복지

정책.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5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

247~265.

설동훈·이혜경·조성남(2006). 『결혼이민자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연구보고 2005-55.

설진아(2007). 『미디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에피스테메.

송지현·이태 (2010). 다문화가족 부부의 결혼적응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

연구』, 30권 2호, 164~192.

심선진(2004). 『국제결혼과 여성폭력 -국제결혼한 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국제결혼 이주여성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한 워크숍, 전라남도 여성정책과.

양정혜(2007). 소수 민족 이주여성의 재현: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관한 뉴스보도

분석. 『미디어, 젠더 &문화』, 7호, 47~164.

양선희(2008). 새로운 미디어 환경과 의제설정 효과: 신문, TV, 포털의 비교.

『한국언론학보』, 52권 4호, 81~104.

엄한진(2011). 『다문화 사회론』. 서울: 소화.

유세경(1998). 청소년의 TV 의존 유형과 시청 행위와의 상호 관련성 연구. 『한국언

론학보』, 43권 2호, 142~178.

윤형숙(2004), 외국인 출신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 -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심포지엄 자료집.

오경석(2007). 어떤 다문화주의인가?: 다문화사회 논의에 관한 비판적 조망.

오경석 외(편).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현실과 쟁점』. 2~15. 서울: 한울

아카데미.

유세경․ 정윤경(2008). 국내 지상파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해외판매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황상재․전범수․정윤경(편역). 『국제 커뮤니케이션』(215-246

쪽). 경기도 파주시: 나남신서.

이경숙(2006). 혼종적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포섭된 ‘아산인’의 정체성: <러브

인 아시아>의 텍스트분석. 『한국방송학보』, 20권 3호, 239~274.

이동후(2006). 텔레비전이 재현하는 아시아. 『방송문화연구』, 18권 1호, 9~35.

이상길·안지현(2007). 다문화주의와 미디어 문화연구: 국내 연구동향의 검토와

Page 24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43

새로운 전망의 모색. 『한국언론학보』, 51권 5호, 58~83.

이은미(2002a). 수용자상의 변화: 미디어 효과 연구의 관점. 김정기·박동숙 외

(편),『매스미디어와 수용자』.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이은미(2002b). 『방송정책과 시청자 운동』. 한국언론정보학회 학술발표자료.

이진 (2011). 『중국 동포 사회와 문화이해』. 2011 다문화사회전문가 2급 보수교

육교재.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221~259.

이창호·정의철(2010). 다문화사회 대중매체의 사회통합적 역할 탐구. 다문화정책

담당자 및 다문화방송 제작자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4

권 5호 370 ~ 414.

장온정(2007). 『국제 결혼한 한국남성의 결혼 적응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장은애·최 (2010). 결혼이민여성의 문화정체성 유형과 생활만족도. 『경성통일논

총』, 26집 3호, 1~25.

전광희·최슬기(2010). 국제비교를 통해 바라본 한국의 장래인구추계 현황과 전망.

『한국인구학회』, 33권 2호, 85~111.

정연구·송현주·윤태일·심훈(2011). 뉴스 미디어의 결혼이주여성 보도가 수용자의

부정적 고정관념과 다문화지향성에 미치는 향. 『한국언론학보』, 55권

2호, 405~444.

정은주(2010). 『미디어 리터러시를 통한 다문화교육 교수-학습의 구성과 실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의철·이창호(2007). 혼혈인에 대한 미디어 보도 분석: 하인스 워드의 성공

전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1권 5호, 84~110.

조성호·박희숙(2009).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텔레비전 이용 동기와 만족. 대도시

거주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한국방송학보』, 23권 6호, 243~283.

조수본(2008). 『미디어의 ‘다문화’ 현실 구성 방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희원(2010). 지구화과정을 통해 본 한국의 다문화주의: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

로. 『사회과학연구』, 36권 2호, 23~42.

주성훈(2010). 『다문화가족지원사업 문제점과 개선과제』, 국회예산정책처.

Page 24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44

채 길(2009). 다문화사회 변화과정의 재해석. 『언론과 사회』, 17권 2호, 49~86.

채옥희·홍달아기·김정훈·이남주(2006). 국제결혼가족의 가정생활 적응 전략: 다

양성과 공존을 향하여, 『한국가정관리학회』. 2006년 추계 학술대회 자료집,

45~106.

최성환(2009). 다문화주의의 개념과 전망.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다문화콘첸츠연

구사업단(편).『다문화의 이해』(10-28쪽). 서울: 경진.

최양호(1998). 텔레비전 뉴스 수용과정 분석에서 이용 충족 이론과 기대가치론의

통합 모형 모색. 『한국언론학보』, 42권 4호, 200~238.

최양호(2000). 미디어 이용에 관한 기대가치론적 충족모형의 경험적 분석: 로컬

TV뉴스 시청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14권 2호, 187~210.

최원석·반현(2006). 공중 의견과 행동에 대한 의제설정 효과 모형의 검증: 부동산

이슈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0권 1호, 406~435.

최혜지(2009).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관련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

학보』, 60권 1호, 163~194.

최환진(2004). 인터넷 뉴스의 정보처리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48권

1호, 5~27.

통계청(2010).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통계청.

한건수(2003). 타자만들기: 한국사회와 이주노동자의 재현. 『비교문화연구』, 9권

2호, 157~183.

한건수(2006). 농촌지역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

류학』, 39권 1호, 195~243.

행정안전부(2010). 『2010년 지방자치단체 외국계 주민 현황 조사결과』. 행정안전

부.

허의도(2011). 『미디어 혁신에 관한 거의 모든 시선 M-everything』. 서울: 프리스

마.

홍기원(2009). 한국다문화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한국공공관리학보』, 23권

3호, 169~189.

홍숙 (2007). 외국인에 관한 TV 담론과 다문화주의. 『프랑스문화 예술연구』,

제22집, 1~20.

Page 24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45

홍지아·김훈순(2010). 다인종 가정 재현을 통해 본 한국사회의 다문화 담론. TV다

큐멘터리 인간극장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24권 5호, 544~583.

황 미(2010). 한국 다문화가족 TV드라마의 특성 연구. 『한국문예비평연구』.

제31집, 295-318.

Babrow, A. S. (1989). An expectancy-value analysis of the student soap

opera audience. Communication research, 16(2), 155-178.

Bauer, R. A. (1964). The obstinate audience: The influence process from

the point of view of social communication. American psychologist,

19(5), 319-328

Beaudoin, C. E. & Thorson, E. (2004). Testing the cognitive mediation

model the roles of news reliance and three gratifications sought.

Communication research, 31(4),446-471.

Berry, J. W.(1990). Psychology of acculturation: Understanding individuals

moving between culture. In R. Brislin(Ed.). Applied crosscultural

psychology. 232~253. Newbury PARK. CA. Sage.

Berry, J. W., and Sam, D. L.(1997). Acculturational and adaptation In

J. W. Berry, M. H. Segal, & C. Kagitcibasi(Eds.), Handbook of

cross-cultural Psychology. Vol.3: Social behavior and applications (2nd

ed.). Needham Heights, MA: Boston: Allen and Bacon. 291~326.

Biocca, F. A. (1988). Opposing conceptions of the Audience: The active

and passive hemispheres of mass communication theory. Communication

yearbook, 11, 51-80.

Canary, D. J. & Spitzberg, B. H. (1993). Loneliness and media gratifications.

Communication research, 20(6), 800-821.

Carpini, M. X. D.( 2004). 민주적 참여에 대한 중재: 시민의 정치와 시민생활

참여에 커뮤니케이션이 미치는 향. 송종길․이호 (편역), 『현대 정치커뮤

니케이션』(569-629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2006).

Chaffee, S, Nass C., & Yang. S. (1991). The bridging role of television

Page 24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46

in immigrant political socializ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17(2), 266-288.

Cobb, R. W. & Elder, C. D. (1983). Participation in american politics :

The dynamics of agenda-building.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Coleman, R. & McCombs, M. (2007). The young and agenda-less? Exploring

age-related differences in agenda setting on the youngest generation,

baby boomers, and the civic gendration.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84(3), 495~508.

Conway, J. C. & Rubin, A. M. (1991). Psychological predictors of television

viewing motivation. Communication research, 18(4), 443-463.

Eveland, W. P. (2001). The cognitive mediation model of learning from

the news. Communication research, 28(5), 571-601.

Finn, S. (1997). Origins of media exposure linking personality traits to TV,

radio, print, and film use. Communication research, 24(5), 507-529.

Garramone, G. M. (1984), Audience motivation effects more evidence.

Communication research, 11(1), 79-96.

Greene, K. & Krcmar, M. (2005). Predicting exposure to and Liking of

media violence : A uses and gratifications approach. Communication

studies, 56(1), 71-94.

Infante, D. A., Rancer, A. S., & Womack, D. F. (2003). Building

communication theory. Prospect Heights, IL: Waveland.

Jensen, K. B. & Rosengren, K. E. (1990). Five traditions in search of

the audience. 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5, 207-238.

Johnson, M. A. (2010). Incorporating self-categorization concepts into ethnic

media research. Communication theory, 20, 106–125.

Kim, J. & Rubin, A. M. (1997). The Variable influence of audience activity

on 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24(2), 107-135.

Kiousis, S., McDevitt, M., & Wu, X. (2005). The genesis of civic awareness

Page 24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47

: Agenda setting in political socializa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Dec. 756-774.

Kiousis, S., & McDevitt, M. (2008). Agenda setting in civic development

development: Effects of curricula and issue importance on youth voter

turnout. Communication research, 35, 481~502.

Kosicki, G. M. (1993). Problems and opportunities in agenda-setting

research. Journal of communication, 43(2), 100~127.

Lee, W., & Tse, D. K. (1994). Changing media consumption in a new

home : Acculturation patterns among Hong Kong immigrants to Canada.

Journal of advertising, 23(1), 57-70.

Levy, M. R. & Windahl, S. (1984). Audience activity and Gratifications

a conceptual clarification and exploration. Communication research,

11(1), 51-78.

Nabi, R. L. (2003). Exploring the framing effects of emotion. Communication

research, 30(2), 224-247.

Piper, N. (1997). International marriage in Japan: 'race' and 'gender'

perspectives. Gender, place and culture, 4(3), 321-338.

Pratt, C. B., Ha, L., & Pratt, C. A. (2002). Setting the public health

agenda on major diseases in sub-Saharan Africa: African popular

magazines and medical journals, 1981-1997. Journal of communication,

ICA, 889~904.

Rayburn, J. D. & Palmgreen, P. (1984). Merging uses and gratificatons

and expectancy-value theory. Communication research, 11(4),

537-562.

Redfield, R., Linton, R., and Herskovits, M. (1936). Insanity , memorandum

on the study of acculation. American anthropolosist, 49, 701-708.

Reese, S. D., & Ballinger, J. (2001). The roots of a sociology of news:

Remembering Mr. Gates and social control in the newsroom.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78(4), 641~658.

Page 248: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48

Rubin, A. M. &Perse, E. M. (1987). Audience activity and television news

gratifictions. Communication research, 14(1), 58-84.

Soroka, S. N. (2002). Issue attributes and agenda-setting by media, the

public, and policymakers in Canada.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ch, 14(3), 264~85.

Sotirovic, M., & Mcleod, J.M. (2004). 이해로서의 지식: 정치 학습의 정보처리

방법. 송종길․이호 (편역), 『현대 정치커뮤니케이션』(513-568 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2006).

Subervi-Velez, F. A. (1986). The mass media and ethnic assimilation and

pluralism. Communication research, 13(1), 71-96.

Takeshita, T. (2005). Current critical problems in agenda-setting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18(3), 275~296.

Thussu, D. K. (2006). International communication: Continuity and change,

배현석 역(2009), 『국제커뮤니케이션』. 경기도 파주시: 한울 아카데미.

Tsfati, Y. & Cappella, J. N. (2003). Do people watch what they do not

trust? Communication Research, 30(5), 504-529.

Walker , D. (1999). The media's role in immigrant adaptiation : How first-year

Haitians in Miami use the media. Journalism & communication

Monographs, 1(3). 157-196.

Weinstock, S. A.(1964). Some factors that retard or accelerate the rate

of acculturation with specific reference to Hungarian immigrants. Human

relations, 17(4), 321-342.

법무부 보도자료(2010.7.7). 국내 체류외국인 120만명 첫 돌파.

국무총리실 보도자료(2009.6.19). 건전한 국제결혼 풍토조성을 위해 입국 전

검증시스템 강화키로.

동아일보(2011. 2.8.). 8개 부처 따로 다문화 연 850억 써도 표 안나.

아시아투데이(2011.2.8). 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

seq=447271

Page 249: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49

연합뉴스 (2011.02.07). http://www.yonhapnews.co.kr/international

/2011/02/07

Page 250: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50

부록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조사

안녕하십니까?

는 디오피니언에서 면 원으로 일하는 ○○○입니다. 이번에 희는 한국언론진

흥재단의 지원과 여성가족부 산하 (재)한국건강가정진흥원의 조를 받아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실태와 정책 지원방안 연구>를 한 조사를 수행하고 있습

니다. 본 조사의 목 은 다문화 가정의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이용 실태를 악

하여, 이에 한 실제 인 정책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습니다. 이를 해 다문화

가정의 결혼 이민자들을 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귀하의 답변은

향후 다문화 가정의 결혼 이민자들이 미디어를 보다 더 많이 효율 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을 수립하는데 반 될 것입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법 제33조에 의해 철 하게 비 이 보장되며, 체 인 통계를

내는 데만 사용됩니다. 잠시만 시간을 내시어 조해 주시면 단히 감사하겠습니

다.

2011년 9월

설문조사에 앞서 표본 상을 선정하기 해 몇 가지 여쭈어 보겠습니다

SQ1) 귀하의 성별은 어떻게 되십니까?

1. 남성 ☞ 남성 면 단 2. 여성

SQ2) 귀하는 결혼하셨습니까?

1. 미혼 ☞ 미혼 면 단 2. 기혼

3. 기타( 어 주십시오 : )

SQ2) 실례지만 귀하의 연세는 만으로 어떻게 되십니까?

SQ3) 귀하가 재 거주하시는 지역의 규모는 다음 어디에 해당되십니까?

1. 도시 2. 소도시 3. 농 지역

SQ4) 귀하가 거주하시는 지역은 어떻게 되십니까?

1. 서울 2. 부산 3. 구 4. 인천 5. 주 6.

7. 울산 8. 경기 9. 강원 10. 충북 11. 충남 12. 북

13. 남 14. 경북 15. 경남 16. 제주

Page 25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51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개인적 특성

문1. 귀하의 재 한국어 실력은 어떠한 수 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거의 못 한다 조 한다 보통이다 잘 한다 매우 잘 한다

1) 말하기 1 2 3 4 5

2) 듣기 1 2 3 4 5

3) 쓰기 1 2 3 4 5

4) 읽기 1 2 3 4 5

문2. 귀하의 한국어능력시험(TOPIK) 성 은 어떠한 수 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 1 2. 2

3. 3 4. 4

5. 5 6. 6 7. 없다

문3. 귀하는 출신국의 가족들과 얼마나 자주 연락을 하십니까?

1. 매일 2. 1주일에 1회 이상 3. 1달에 1회 이상

4. 6개월에 1회 이상 5. 1년에 1회 이상 6. 거의 하지 않는

문4. 귀하는 여가나 취미생활을 주로 구와 함께 하십니까?

1. 모국인 주 2. 한국인 주

3. 제3국인 주 4. 아무도 없다

5. 기타 ( 어주십시오 : )

문5. 귀하가 재 한국생활을 하면서 가장 힘든 은 무엇입니까?

1. 외로움 2. 가족 갈등 3. 자녀 문제

4. 경제 문제 5. 언어 문제

6. 문화 차이 7. 편견 차별 8. 음식

9. 기후 10. 기타( 어주십시오 : )

Page 25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52

문6. 한국 사회에 살면서 느낄 수 있는 다음의 개인 감정들에 해서 얼마나 느끼고 계십니

까?

그 지 않다

별로그 지 않다

보통이다

조그 다

매우그 다

1) 나는 더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싶다 1 2 3 4 5

2) 나는 외로움을 느낀다 1 2 3 4 5

3) 한국생활에 응하지 못해 미래에 화상 (친구)도 없이혼자일까 걱정된다 1 2 3 4 5

4) 나는 고국이 그립다 1 2 3 4 5

5) 나는 향수(고국에 한 그리움) 때문에 일상생활 하는데 향이 있다 1 2 3 4 5

6) 나는 고국으로 돌아가고 싶다 1 2 3 4 5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이용 실태

문7. 귀하는 평상시에 다음의 미디어를 어느 정도 이용하고 계십니까?

이용하지 않는다

별로이용하지 않는다

보통이다

가끔이용한다

매우 자주이용한다

1) 신문 1 2 3 4 5

2) 잡지 1 2 3 4 5

3) 텔 비 1 2 3 4 5

4) 라디오 1 2 3 4 5

5) 인터넷 1 2 3 4 5

문8. 귀하는 다음의 미디어들을 하루 평균 얼마나 이용하고 계십니까?

시간 시간

1) 신문 ( )분 4) 라디오 ( )분

2) 잡지 ( )분 5) 인터넷 ( )분

3) 텔 비 ( )분

문9. 귀하는 다음 어떠한 신문을 주로 이용하고 있습니까?

1. 유료 종합일간지

2. 유료 지방일간지 3. 무료 일간지

4. 정부 는 단체 발간 무료 신문 5. 출신국 언어로 발행되는 신문

6. 기타 ( 어주십시오 : ) 7. 이용하지 않는다

Page 25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53

문10. 귀하는 주로 어떠한 텔 비 방송을 이용하고 있습니까?

1. 지상 방송 2. 이블방송

3. 성방송 4. 출신국 언어 방송

5. 기타 ( 어주십시오 : )

6. 이용하지 않는다

문11. 다음은 신문의 이용 는 비이용 동기에 한 질문입니다. 신문을 재 이용하고 있는 경

우 문11-1번(이용동기)에 체크해 주시고, 이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 문11-2번(비이용 동기)

에 체크해 주십시오.

문11-1. 신문의 이용 동기에 한 질문입니다. 동의하시는 정도에 따라 체크해 주십시오.

그 지 않다

별로그 지 않다

보통이다

조그 다

매우그 다

1) 나를 즐겁게 해 다 1 2 3 4 5

2) 신문을 이용하는 것이 재미있다 1 2 3 4 5

3) 습 으로 본다 1 2 3 4 5

4) 나를 편하게 해 다 1 2 3 4 5

5) 가족이나 남이 보니까 그냥 본다 1 2 3 4 5

6) 스트 스 해소, 기분 환용으로 본다 1 2 3 4 5

7) 이야깃거리를 제공해 다 1 2 3 4 5

8) 심심할 때 시간 보내려고 본다 1 2 3 4 5

9) 특별히 할 일이 없어서 본다 1 2 3 4 5

10) 혼자 있는 느낌이 싫어서 본다 1 2 3 4 5

11) 외로움을 달래 다 1 2 3 4 5

12) 고민과 걱정을 잊을 수 있다 1 2 3 4 5

13) 같이 이야기하거나 함께 시간 보낼 사람이 없을 때 본다 1 2 3 4 5

14) 신문을 원래 좋아한다 1 2 3 4 5

15) 좋아하는 연 인이 나와서 본다 1 2 3 4 5

16) 특별히 좋아하는 기사를 보기 해 본다 1 2 3 4 5

17) 힘든 일상을 잊게 해 다 1 2 3 4 5

18) 여가 생활의 수단이다 1 2 3 4 5

19) 배우자와의 화를 해 본다 1 2 3 4 5

20) 자녀교육을 해 본다 1 2 3 4 5

21) 한국어를 빨리 배우는데 도움이 된다 1 2 3 4 5

22) 한국문화에 빨리 응할 수 있다 1 2 3 4 5

23) 한국에 한 정보가 많다 1 2 3 4 5

24) 출신국에 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1 2 3 4 5

25) 내가 경험하지 못한 일을 간 경험 할 수 있다 1 2 3 4 5

26) 출신국에 한 그리움 때문에 본다 1 2 3 4 5

27) 한국의 나와 같은 처지의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 알 수 있다 1 2 3 4 5

Page 25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54

문11-2. 신문의 비이용 동기에 한 질문입니다. 동의하시는 정도에 따라 체크해주십시오.

그 지 않다

별로그 지 않다

보통이다

조그 다

매우그 다

1) 재미가 없어서 1 2 3 4 5

2) 이용할 수 있는 뉴스가 없어서 1 2 3 4 5

3) 뉴스에 한 심 는 필요가 없어서 1 2 3 4 5

4) 유익하고 흥미 있는 읽을거리가 없어서 1 2 3 4 5

5) 한국어를 배우는데 도움이 되지 않아서 1 2 3 4 5

6) 한국문화에 응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아서 1 2 3 4 5

7) 한국어가 서툴러 보기에 불편해서 1 2 3 4 5

8) 출신국에 한 정보를 얻을 수 없어서 1 2 3 4 5

9) 자녀교육을 해 도움이 되지 않아서 1 2 3 4 5

10) 내가 살고 있는 곳의 지역 정보가 어서 1 2 3 4 5

11) 보는 습 이 들지 않아서 1 2 3 4 5

12) 다른 미디어를 이용하고 있어서 1 2 3 4 5

13) 시간이 없어서 1 2 3 4 5

14) 이용할 자신이 없거나 이용방법을 몰라서 1 2 3 4 5

15) 이용 비용이 부담스러워서 1 2 3 4 5

16) 쉽게 할 수 없어서 1 2 3 4 5

17) 신문 구성( 자크기, 지면 배정 등)이 읽기에 불편해서 1 2 3 4 5

Page 25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55

문12. 다음은 잡지의 이용 는 비이용 동기에 한 질문입니다. 잡지를 재 이용하고 있는 경

우 문12-1번(이용 동기)에 체크해 주시고, 이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 문12-2(비이용 동기)

에 체크해 주십시오.

문12-1. 잡지의 이용 동기에 한 질문입니다. 동의하시는 정도에 체크해 주십시오.

그 지 않다

별로그 지 않다

보통이다

조그 다

매우그 다

1) 나를 즐겁게 해 다 1 2 3 4 5

2) 잡지를 이용하는 것이 재미있다 1 2 3 4 5

3) 습 으로 본다 1 2 3 4 5

4) 나를 편하게 해 다 1 2 3 4 5

5) 가족이나 남이 보니까 그냥 본다 1 2 3 4 5

6) 스트 스 해소, 기분 환용으로 본다 1 2 3 4 5

7) 이야깃거리를 제공해 다 1 2 3 4 5

8) 심심할 때 시간 보내려고 본다 1 2 3 4 5

9) 특별히 할 일이 없어서 본다 1 2 3 4 5

10) 혼자 있는 느낌이 싫어서 본다 1 2 3 4 5

11) 외로움을 달래 다 1 2 3 4 5

12) 고민과 걱정을 잊을 수 있다 1 2 3 4 5

13) 같이 이야기하거나 함께 시간 보낼 사람이 없을 때 본다 1 2 3 4 5

14) 잡지를 원래 좋아한다 1 2 3 4 5

15) 좋아하는 연 인이 나와서 본다 1 2 3 4 5

16) 특별히 좋아하는 기사를 보기 해 본다 1 2 3 4 5

17) 힘든 일상을 잊게 해 다 1 2 3 4 5

18) 여가 생활의 수단이다 1 2 3 4 5

19) 배우자와의 화를 해 본다 1 2 3 4 5

20) 자녀교육을 해 본다 1 2 3 4 5

21) 한국어를 빨리 배우는데 도움이 된다 1 2 3 4 5

22) 한국문화에 빨리 응할 수 있다 1 2 3 4 5

23) 한국에 한 정보가 많다 1 2 3 4 5

24) 출신국에 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1 2 3 4 5

25) 내가 경험하지 못한 일을 간 경험 할 수 있다 1 2 3 4 5

26) 출신국에 한 그리움 때문에 본다 1 2 3 4 5

27) 한국의 나와 같은 처지의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 알 수 있다 1 2 3 4 5

Page 25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56

문12-2. 잡지의 비이용 동기에 한 질문입니다. 동의하시는 정도에 체크해 주십시오.

그 지 않다

별로그 지 않다

보통이다

조그 다

매우그 다

1) 재미가 없어서 1 2 3 4 5

2) 이용할 수 있는 정보가 없어서 1 2 3 4 5

3) 정보에 한 심 는 필요가 없어서 1 2 3 4 5

4) 유익하고 흥미 있는 읽을거리가 없어서 1 2 3 4 5

5) 한국어를 배우는데 도움이 되지 않아서 1 2 3 4 5

6) 한국문화에 응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아서 1 2 3 4 5

7) 한국어가 서툴러 보기에 불편해서 1 2 3 4 5

8) 출신국에 한 정보를 얻을 수 없어서 1 2 3 4 5

9) 자녀교육을 해 도움이 되지 않아서 1 2 3 4 5

10) 내가 살고 있는 곳의 지역 정보가 어서 1 2 3 4 5

11) 보는 습 이 들지 않아서 1 2 3 4 5

12) 다른 미디어를 이용하고 있어서 1 2 3 4 5

13) 시간이 없어서 1 2 3 4 5

14) 이용할 자신이 없거나 이용방법을 몰라서 1 2 3 4 5

15) 이용 비용이 부담스러워서 1 2 3 4 5

16) 쉽게 할 수 없어서 1 2 3 4 5

17) 잡지 구성( 자크기, 지면 배정 등)이 읽기에 불편해서 1 2 3 4 5

Page 25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57

문13. 다음은 텔 비 의 이용 동기에 한 질문입니다. 동의하시는 정도에 따라 체크해 주십시

오.

그 지 않다

별로그 지 않다

보통이다

조그 다

매우그 다

1) 나를 즐겁게 해 다 1 2 3 4 5

2) 텔 비 을 이용하는 것이 재미있다 1 2 3 4 5

3) 습 으로 본다 1 2 3 4 5

4) 나를 편하게 해 다 1 2 3 4 5

5) 가족이나 남이 보니까 그냥 본다 1 2 3 4 5

6) 스트 스 해소, 기분 환용으로 본다 1 2 3 4 5

7) 이야깃거리를 제공해 다 1 2 3 4 5

8) 심심할 때 시간 보내려고 본다 1 2 3 4 5

9) 특별히 할 일이 없어서 본다 1 2 3 4 5

10) 혼자 있는 느낌이 싫어서 본다 1 2 3 4 5

11) 외로움을 달래 다 1 2 3 4 5

12) 고민과 걱정을 잊을 수 있다 1 2 3 4 5

13) 같이 이야기하거나 함께 시간 보낼 사람이 없을 때 본다 1 2 3 4 5

14) 텔 비 을 원래 좋아한다 1 2 3 4 5

15) 좋아하는 연 인이 나와서 본다 1 2 3 4 5

16) 특별히 좋아하는 로그램을 보기 해 본다 1 2 3 4 5

17) 힘든 일상을 잊게 해 다 1 2 3 4 5

18) 여가 생활의 수단이다 1 2 3 4 5

19) 배우자와의 화를 해 본다 1 2 3 4 5

20) 자녀교육을 해 본다 1 2 3 4 5

21) 한국어를 빨리 배우는데 도움이 된다 1 2 3 4 5

22) 한국문화에 빨리 응할 수 있다 1 2 3 4 5

23) 한국에 한 정보가 많다 1 2 3 4 5

24) 출신국에 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1 2 3 4 5

25) 내가 경험하지 못한 일을 간 경험 할 수 있다 1 2 3 4 5

26) 출신국에 한 그리움 때문에 본다 1 2 3 4 5

27) 한국의 나와 같은 처지의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 알 수 있다 1 2 3 4 5

Page 258: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58

문14. 다음은 라디오의 이용 는 비이용 동기에 한 질문입니다. 라디오를 재 이용하고 있

는 경우 문14-1번(이용 동기)에 체크해 주시고, 이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 문14-2(비이용

동기)에 체크해 주십시오.

문14-1. 라디오의 이용 동기에 한 질문입니다. 동의하시는 정도에 체크해 주십시오.

그 지 않다

별로그 지 않다

보통이다

조그 다

매우그 다

1) 나를 즐겁게 해 다 1 2 3 4 5

2) 라디오를 이용하는 것이 재미있다 1 2 3 4 5

3) 습 으로 듣는다 1 2 3 4 5

4) 나를 편하게 해 다 1 2 3 4 5

5) 가족이나 남이 보니까 그냥 듣는다 1 2 3 4 5

6) 스트 스 해소, 기분 환용으로 듣는다 1 2 3 4 5

7) 이야깃거리를 제공해 다 1 2 3 4 5

8) 심심할 때 시간 보내려고 듣는다 1 2 3 4 5

9) 특별히 할 일이 없어서 듣는다 1 2 3 4 5

10) 혼자 있는 느낌이 싫어서 듣는다 1 2 3 4 5

11) 외로움을 달래 다 1 2 3 4 5

12) 고민과 걱정을 잊을 수 있다 1 2 3 4 5

13) 같이 이야기하거나 함께 시간 보낼 사람이 없을 때 듣는다 1 2 3 4 5

14) 라디오를 원래 좋아한다 1 2 3 4 5

15) 좋아하는 연 인이 나와서 듣는다 1 2 3 4 5

16) 특별히 좋아하는 로그램를 듣기 해 듣는다 1 2 3 4 5

17) 힘든 일상을 잊게 해 다 1 2 3 4 5

18) 여가 생활의 수단이다 1 2 3 4 5

19) 배우자와의 화를 해 듣는다 1 2 3 4 5

20) 자녀교육을 해 듣는다 1 2 3 4 5

21) 한국어를 빨리 배우는데 도움이 된다 1 2 3 4 5

22) 한국문화에 빨리 응할 수 있다 1 2 3 4 5

23) 한국에 한 정보가 많다 1 2 3 4 5

24) 출신국에 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1 2 3 4 5

25) 내가 경험하지 못한 일을 간 경험 할 수 있다 1 2 3 4 5

26) 출신국에 한 그리움 때문에 듣는다 1 2 3 4 5

27) 한국의 나와 같은 처지의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 알 수 있다 1 2 3 4 5

Page 259: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59

문14-2. 라디오의 비이용 동기에 한 질문입니다. 동의하시는 정도에 체크해 주십시오.

그 지 않다

별로그 지 않다

보통이다

조그 다

매우그 다

1) 재미가 없어서 1 2 3 4 5

2) 이용할 수 있는 로그램이 없어서 1 2 3 4 5

3) 로그램에 한 심 는 필요가 없어서 1 2 3 4 5

4) 유익하고 흥미 있는 들을 거리가 없어서 1 2 3 4 5

5) 한국어를 배우는데 도움이 되지 않아서 1 2 3 4 5

6) 한국문화에 응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아서 1 2 3 4 5

7) 한국어가 서툴러 듣기에 불편해서 1 2 3 4 5

8) 출신국에 한 정보를 얻을 수 없어서 1 2 3 4 5

9) 자녀교육을 해 도움이 되지 않아서 1 2 3 4 5

10) 내가 살고 있는 곳의 지역 로그램이 어서 1 2 3 4 5

11) 듣는 습 이 들지 않아서 1 2 3 4 5

12) 다른 미디어를 이용하고 있어서 1 2 3 4 5

13) 시간이 없어서 1 2 3 4 5

14) 이용할 자신이 없거나 이용방법을 몰라서 1 2 3 4 5

15) 이용 비용이 부담스러워서 1 2 3 4 5

16) 쉽게 할 수 없어서 1 2 3 4 5

17) 로그램 편성이나 방송시간 가 불편해서 1 2 3 4 5

Page 260: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60

문15. 다음은 인터넷의 이용 동기에 한 질문입니다. 동의하시는 정도에 따라 체크해 주십시오.

그 지 않다

별로그 지 않다

보통이다

조그 다

매우그 다

1) 나를 즐겁게 해 다 1 2 3 4 5

2)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이 재미있다 1 2 3 4 5

3) 습 으로 한다 1 2 3 4 5

4) 나를 편하게 해 다 1 2 3 4 5

5) 가족이나 남이 보니까 그냥 한다 1 2 3 4 5

6) 스트 스 해소, 기분 환용으로 한다 1 2 3 4 5

7) 이야깃거리를 한 정보를 제공해 다 1 2 3 4 5

8) 심심할 때 시간 보내려고 한다 1 2 3 4 5

9) 특별히 할 일이 없어서 한다 1 2 3 4 5

10) 혼자 있는 느낌이 싫어서 한다 1 2 3 4 5

11) 외로움을 달래 다 1 2 3 4 5

12) 고민과 걱정을 잊을 수 있다 1 2 3 4 5

13) 같이 이야기하거나 함께 시간 보낼 사람이 없을 때 한다 1 2 3 4 5

14) 인터넷을 원래 좋아한다 1 2 3 4 5

15) 좋아하는 연 인의 정보가 있어서 한다 1 2 3 4 5

16) 특별히 좋아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해 한다 1 2 3 4 5

17) 힘든 일상을 잊게 해 다 1 2 3 4 5

18) 여가 생활의 수단이다 1 2 3 4 5

19) 배우자와의 화를 해 한다 1 2 3 4 5

20) 자녀교육을 해 한다 1 2 3 4 5

21) 한국어를 빨리 배우는데 도움이 된다 1 2 3 4 5

22) 한국문화에 빨리 응할 수 있다 1 2 3 4 5

23) 한국에 한 정보가 많다 1 2 3 4 5

24) 출신국에 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1 2 3 4 5

25) 내가 경험하지 못한 일을 간 경험 할 수 있다 1 2 3 4 5

26) 출신국에 한 그리움 때문에 한다 1 2 3 4 5

27) 한국의 나와 같은 처지의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 알 수 있다 1 2 3 4 5

Page 261: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61

문16. 다음은 미디어 이용 만족도에 한 질문입니다. 동의하시는 정도에 따라 체크해 주십시오.

만족하지 않는다

별로만족하지 않는다

보통이다

조만족한다

매우만족한다

1) 신문 1 2 3 4 5

2) 잡지 1 2 3 4 5

3) 텔 비 1 2 3 4 5

4) 라디오 1 2 3 4 5

5) 인터넷 1 2 3 4 5

문17. 귀하는 미디어를 통해 주로 어떤 정보를 얻고 계십니까? 해당하는 정보에 모두 체크해주

십시오.

뉴스, 육아 등생활정보

한국 통 등의문화 정보

생활용어나 유행어

등의 언어 정보

출신국가에 한

정보나 뉴스

한국어교육

1) 신문 1 2 3 4 5

2) 잡지 1 2 3 4 5

3) 텔 비 1 2 3 4 5

4) 라디오 1 2 3 4 5

5) 인터넷 1 2 3 4 5

문18. 귀하가 신문이나 잡지에서 많이 이용하는 콘텐츠는 다음 무엇입니까? 해당하는 콘텐츠

에 모두 체크해주십시오.

1. 속보 2. 정치 3. 경제

4. 주식/증권 5. 사회(사건/사고)

6. 생활/문화 7. 국제 8. IT/과학

9. 방송/연 10. 사설/칼럼

11. 교육/육아 12. 스포츠 13. 건강/

14. 기타( 어주십시오 : )

문19. 귀하가 텔 비 이나 라디오에서 주로 즐겨보는 로그램은 무엇입니까? 해당하는 로그

램 모두 모두 체크해주십시오.

1. 드라마 2. 교양 교육(다큐멘터리 등)

3. 보도(뉴스) 4. 연 오락(버라이어티 등)

5. 스포츠 6. 만화 어린이

7. 기타( 어주십시오 : )

Page 262: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62

문20. 귀하가 인터넷에서 주로 이용하는 서비스는 무엇입니까? 해당하는 서비스 모두 체크해주

십시오.

1. 뉴스검색

2. 정보검색

3. 출신국과의 채

4. TV 로그램, 화 등의 동 상 다시 보기

5. 한국어 교육 사이트

6. 기타( 어주십시오 : )

문21. 귀하가 향후 이용하고 싶은 미디어는 무엇입니까? 우선 순 에 따라 3가지만 선택해 주십

시오.

1순 2순 3순

1. 신문 2. 잡지 3. 텔 비

4. 라디오 5. 인터넷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활용 정도

문22. 재 귀하가 집이나 직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미디어는 무엇입니까? 해당되는 미디어 모

두 체크해주십시오

1. 신문 2. 잡지 3. 텔 비

4. 라디오 5. 인터넷 6. 기타

문23. 귀하는 한국사회에 한 정보를 주로 어디서 얻습니까?

1. 신문 2. 잡지 3. 텔 비

4. 라디오 5. 인터넷

6. 가족 7. 지인 8. 공공기

9. 기타( 어주십시오 : )

문24. 귀하는 귀하의 출신국에 한 정보를 주로 어디서 얻습니까?

1. 신문 2. 잡지 3. 텔 비

4. 라디오 5. 인터넷

6. 가족 7. 지인 8. 공공기

9. 기타( 어주십시오 : )

Page 263: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63

문25. 귀하는 본국에서 다음의 미디어를 어느 정도 활용하고 있었습니까?

사용하지 않았다

별로사용하지 않았다

보통이다

조사용했다

많이사용했다

1) 신문 1 2 3 4 5

2) 잡지 1 2 3 4 5

3) 텔 비 1 2 3 4 5

4) 라디오 1 2 3 4 5

5) 인터넷 1 2 3 4 5

문26. 귀하는 한국어나 한국문화를 배울 때 다음의 미디어를 어느 정도 활용하길 원하십니까?

활용하고싶지 않다

별로 활용하고싶지 않다

보통이다

조 활용하고 싶다

매우 많이활용하고 싶다

1) 신문 1 2 3 4 5

2) 잡지 1 2 3 4 5

3) 텔 비 1 2 3 4 5

4) 라디오 1 2 3 4 5

5) 인터넷 1 2 3 4 5

문27. 귀하는 한국 생활에 응하기 해 미디어 이용이 얼마나 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요하지 않다 2. 별로 요하지 않다 3. 보통이다

4. 조 요하다 5. 매우 요하다

문28. 귀하는 미디어를 얼마나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1. 신뢰할 수 없다 2. 별로 신뢰할 수 없다 3. 보통이다

4. 조 신뢰할 수 있다 5. 매우 신뢰할 수 있다

문29. 귀하는 미디어에서 소개하는 내용이 얼마나 교육 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 교육 이지 않다

2. 별로 교육 이지 않은 편이다 3. 보통이다

4. 다소 교육 인 편이다 5. 매우 교육 이다

Page 264: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64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전문 미디어 활용 정도

※ 최근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 가정이 늘어남에 따라 다문화 가정의 결혼 이민자들

을 상으로 하는 문 인 미디어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노동부가 설립한 이주

민 방송 MNTV와 MWTV, 다문화 방송국 샐러드TV(www.saladtv.kr), 여성가족부에

서 운 하고 있는 다 리(다문화포털사이트, www.liveinkorea.mogef.go.kr) 등이

표 인 다문화 가정 이주민 상 문 미디어입니다. 이러한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 상의 문미디어에 해 질문을 드리고자 하오니 솔직히 답변해 주시

기 바랍니다.

문30. 귀하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을 상으로 하는 문 미디어를 알고 있습니까?

1. 있다 2. 없다

문31. 귀하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을 상으로 하는 문 미디어를 이용한 이 있습니

까?

1. 있다 ☞Q문32번으로 2. 없다 ☞ 문35번으로

문32. (문31번에서 1번 응답자만) 귀하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을 상으로 하는 문 미

디어를 평상시 어느 정도 이용하고 계십니까?

매일3일에

1번

1주일에

1번

1달에

1번없다

1)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상 신문 1 2 3 4 5

2)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상 잡지 1 2 3 4 5

3)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상 방송 1 2 3 4 5

4)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상 라디오 1 2 3 4 5

5)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상 인터넷 1 2 3 4 5

문33. (문31번에서 1번 응답자만) 귀하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을 상으로 하는 문 미

디어에서 주로 어떤 정보를 얻고 계십니까?

1. 뉴스, 육아 등 생활정보

2. 한국 통 등의 문화 정보 3. 생활용어나 유행어 등의 언어 정보

4. 출신국가에 한 정보나 뉴스 5. 한국어교육

6. 기타( 어주십시오 : )

문34. (문31번에서 1번 응답자만) 귀하는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을 상으로 하는 문 미

디어에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습니까? 동의하시는 정도에 따라 체크해 주십시오.

Page 265: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65

만족하지 않는다

별로 만족하지 않는다

보통이다

조만족한다

매우만족한다

1)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상 신문 1 2 3 4 5

2)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상 잡지 1 2 3 4 5

3)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상 방송 1 2 3 4 5

4)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상 라디오 1 2 3 4 5

5)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상 인터넷 1 2 3 4 5

문35. 귀하가 향후 가장 이용하고 싶은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 상 문 미디어는 무엇입

니까? 우선 순 에 따라 3가지만 선택해 주십시오.

1순 2순 3순

1.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상 신문

2.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상 잡지

3.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상 텔 비

4.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상 라디오

5.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 상 인터넷

다문화 가정 결혼 이민자들의 미디어 교육

문36. 귀하는 한국어나 한국문화를 배울 때 다음의 수단을 활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

니까?

알고 있다 모른다(처음 들었다)

1) NIE 1 2

2) TV 강좌 1 2

3) 인터넷 강좌 1 2

Page 266: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266

문37. 귀하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 공공기 에서 한국어나 한국문화를 배울 때 다음의 수단을

활용하는 방법에 해 배운 이 있습니까?

배운 이 있다 배운 이 없다

1) NIE 1 2

2) TV 강좌 1 2

3) 인터넷 강좌 1 2

문38. 귀하는 한국어나 한국문화를 배울 때 다음의 수단이 얼마나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매우도움이 된다

조도움이 된다

보통이다

거의 도움이안된다

도움이안된다

1) NIE 1 2 3 4 5

2) TV 강좌 1 2 3 4 5

3) 인터넷 강좌 1 2 3 4 5

문39. 귀하는 한국어나 한국문화를 배울 때 다음의 수단이 도움이 되는 이유를 무엇이라고 생각

하십니까?

NIE TV 강좌 인터넷 강좌

1) 배우기 쉽다 1 2 3

2) 한국에 한 심이 높아진다 1 2 3

3) 실생활 내용이어서 흥미가 생긴다 1 2 3

4) 학습목표에 따라 난이도를 조 할 수 있다 1 2 3

5) 언제 어디서든 활용할 수 있다 1 2 3

6) 혼자서도 공부할 수 있다 1 2 3

7) 가족과 같이 공부할 수 있다 1 2 3

8) 도구를 쉽게 구할 수 있다 1 2 3

문40. 그 다면, 한국어나 한국문화를 배울 때 다음의 수단이 도움이 되지 않는 이유를 무엇이

라고생각하십까?

NIE TV 강좌 인터넷 강좌

1) 한국어를 모른다 1 2 3

2) 내용이 내 수 에 안 맞는다 1 2 3

3) 문 교재가 없다 1 2 3

4) 교재와 내용이 실과 안 맞는다 1 2 3

5) 활용할 도구가 없다 1 2 3

6) 시간여유가 없다 1 2 3

7) 강의시간이 맞지 않는다 1 2 3

8) 재미없다 1 2 3

9) 내용이 배우기 어렵다 1 2 3

Page 267: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download.kpf.or.kr/MediaPds/UETHAJLDECVIQKO.pdf ·  문화관광체육부의 미디어 관련

다문화 가정의 미디어 이용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267

자료 분류를 위한 질문

DQ1. 귀하의 출신 국가는 어떻게 되십니까? 기타에 해당하는 경우 직 써주시기 바랍니다.

1. 국 2. 국(조선족) 3. 베트남

4. 일본 5. 필리핀 6. 캄보디아

7. 태국 8. 몽골 9. 키르키즈스탄

10. 카자흐스탄 11. 우즈베키스탄

12. 기타( 어주십시오 : )

DQ2. 귀하는 언제 한국에 입국하여 재 얼마 동안 거주하고 계십니까? 직 써주시기 바랍니

다.

년 입국하여, 년 개월 거주

DQ3. 귀하의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1. 등학교 졸업 이하

2. 학교 졸업 3. 고등학교 졸업

4. 문 학 졸업

5. 학교 졸업 6. 학원 졸업 이상

DQ4. 귀하는 직업을 가지고 있습니까?

1. 정규직 2. 비정규직

3. 업주부 4. 무직(직업이 없음)

DQ5. 귀하 가정의 월평균 가구소득은 어떻게 되십니까?

1. 99만원 이하 2. 100~199만원 이하 3. 200~299만원 이하

4. 300~399만원 이하 5. 400~499만원 이하 6. 500~599만원 이하

7. 600만원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