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관리 시행계획 -...

366
2013년도 성과관리 시행계획 2013. 7

Upload: others

Post on 01-Feb-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2013년도

    성과관리 시행계획

    2013. 7

  • 보건복지부 성과관리 시행계획, 2013. 6.

    보건복지부 행정관리담당관실 (02-2023-7144)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75번지 현대빌딩 9층

  • 2013년도

    2013․7

  • 목 차

    Ⅰ. 그간의 정책성과 및 향후 정책 추진방향 ································· 1

    1. 그간의 정책성과 ········································································· 1

    2. 향후 정책 추진방향 ··································································· 6

    Ⅱ. 일반현황 및 계획의 개요 ··························································· 14

    1. 보건복지부 일반현황 ······························································· 14

    2. 성과관리 시행계획 개요 ························································· 20

    Ⅲ. 세부 추진계획 ··············································································· 28

    전략목표 Ⅰ ····················································································· 28

    전략목표 Ⅱ ·················································································· 116

    전략목표 Ⅲ ·················································································· 237

    Ⅳ. 환류 등 관련계획 ······································································· 330

    1. 이행상황 점검 계획 ······························································· 330

    2. 평가결과 환류체계 ································································· 333

    3. 변화관리 계획 ········································································· 334

    4. 갈등관리 전략 ········································································· 346

    【붙임】

    1. 성과지표 현황 ········································································· 338

    2. 관리과제와 국정과제․부처업무계획 등 연계 현황 ······· 353

  • − 1 −

    그간의 정책성과 및 향후 정책 추진방향Ⅰ

    1. 그간의 정책성과

    (1) 총론적 평가

    □ 우리나라는 그동안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주요 제도를 도입하여

    사회보장의 기본 틀을 마련

    ○ 1차 사회안전망으로서 산재보험(’64), 의료보험(‘77), 국민연금(’88),

    고용보험(’95)의 4대보험을 ’90년대에 이르러 완비하였고,

    - ’97년 말 IMF 외환위기 이후 4대보험의 보편적 적용*, 기초생활보

    장제도 도입(’00) 등 사회보장제도 내실화를 통해 위기 극복에 기여

    * 국민연금(’99년 전국민적용), 고용보험․산재보험(각각 ’98, ’00년에 모든

    사업장으로 확대), 건강보험(’00년 직장․지역 통합)

    ○ ’00년대는 각종 사회서비스, 노인․장애인 돌봄과 소득보장, 보육지원

    등을 빠르게 도입․안착시켜 국민의 생활안정과 삶의 질 향상 도모

    * ’08년 경제위기시 긴급복지․한시생계보호 등 적극적 대책으로 서민생활 안정에 큰 역할

    < ’98년 이후 복지제도 추이>

    ’98~’02 ’03~’07 ’08 ’09 ’10 ’11

    - 全국민연금- 기초생활보장

    - 긴급복지지원- 사회서비스

    바우처

    - 기초노령연금- 장기요양보험- EITC

    - 보육료대상 확대- 민생안정대책

    - 장애인연금- 행복e음

    -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 복지분야 재원 투자도 빠르게 증가, 수혜자 범위*를 크게 확대

    * 행복e음 개통 후 집계결과 ’12.7월 기준 1,434만명(전국민의 약 28%)

    < 분야별 정부지출 추이(%) >

  • − 2 −

    □ 저출산·고령화 문제가 공론화된 지난 10년간 적정 인구규모 유지를 위해

    재정투자를 확대(GDP 대비 가족지출: ’02 0.1 %→ ’11 0.96%)하고

    ○ 빠르게 변화하는 인구구조 변동에 대비해 ’05년 대통령 직속의 범정부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2차례(1․2차)의 기본계획을 수립

    - 연금, 의료·요양, 고령자 주택 등 고령사회의 제도적 기반을 확

    충함과 아울러 사회적 인식 전환의 계기를 마련

    합계출산율 노인인구비율

    □ 단기간에 튼튼하고 효율적인 보건의료체계를 구축

    ○ ’77년 건강보험 도입 후 12년만인 ’89년에 ‘전국민 의료보장제도’를 완성

    하고 단일보험자체계를 구축하여 시스템의 효율성 확보

    * OECD는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에 대해 단일 건강보험체계 및 선도적

    정보통신기술, 우수한 질 평가 등 높이 평가(’12.2월)

    ○ 민간 중심의 의료공급체계를 선택, 단기간에 보건의료 인프라 확보

    * 의료기관 / 의사 수 : ('80년) 11,022개 / 22,564명 → ('11년) 60,537개 / 104,332명

    ○ 상대적으로 낮은 국민의료비를 지출하면서도 높은 수준의 국민 건강

    수준 달성

    * 한국의 의료비 지출은 '09년에 GDP 대비 6.9%로 OECD 평균 9.6%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수준

    * 기대수명은 '60년 52.4세에서 80.3세로 27.9세 연장(OECD 평균 79.4세)

    인구 천 명당 영아사망율도 4.1명 수준(OECD 평균 4.7명)

  • − 3 −

    (2) 분야별 정책 성과

    □ 사회복지분야

    ① 사회안전망 강화와 복지사각지대 해소

    ○ 아동․노인․장애인 등 대상별 특성에 맞는 새로운 소득보장 및

    돌봄서비스 제도 도입 등을 완료하여 복지 제도의 기본 틀 완비

    * 노인장기요양보험 시행(’08.7월), 양육수당 도입(’09.7월), 장애인연금(’10.7월),

    장애인활동지원제도 시행(’11.10월), 5세 누리과정 도입(’12.3월),

    ○ ’08~’09년 경제위기시 복지 재정지출을 신속하게 확대(한시생계보호,

    긴급복지지원 등)하여 서민생활안정 및 위기 극복에 기여(243만가구 지원)

    ○ 기초생활보장제도 부양의무자 소득기준을 130%에서 185%로 대폭 완화

    하고, 복지소외계층 조사 실시(’11.5~6월)로 소외된 이웃 23,669명 발굴

    ○ 일을 통한 탈빈곤 지원 강화를 위하여 희망리본프로젝트 시행

    (’09), 희망키움통장 도입(’10) 등 자립지원 정책 강화

    ② 복지전달체계 확대․개편

    ○ 사회복지통합관리망(행복e음) 구축(’10.1월)을 통해 신속․편리한 맞춤

    서비스 제공 및 정확한 복지대상자 선정을 통한 재정효율화 개선

    ○ 복지담당공무원 충원(’14년까지 7천명) 및 시군구별 ‘희망복지지원단’

    구성을 통해 보건·복지·고용 등 통합 서비스 제공 기반 마련

    ○ 4대 사회보험 징수통합 실시(’11.1월)로 업무 효율화 및 사업비 절감,

    국민의 보험료 납부절차 간소화 등 달성

  • − 4 −

    □ 보건의료분야

    ① 지속가능성 제고와 미래 대비

    ○ 건강보험 재정안정대책 추진을 통하여 재정위험을 극복하고 ’11년 말

    당기흑자 전환(당기수지 '07년 △2,847억원→’11년 6,008억원→’12년 3조 157억원)

    * (지출절감) 기등재약 목록정비, 영상검사료․약국행위료 조정 등

    * (수입확충) 보험료 상한 인상, 고액재산 보유자 직장피부양자 제외 등

    ○ 약가인하, 약가제도 개선으로 국민부담 완화 및 약품비 절감

    ○ 7개 질병군 포괄수가제 확대를 통한 적정 진료 유도로 지출구조

    효율화(병․의원급 '12.7월부터 적용)

    ○ 해외환자 유치 확대, HT R&D 투자 및 제도개선 등 보건산업 육성

    * 해외환자 추이 : 09년 60,201명 → 11년 122,297명

    ② 국민부담 경감 및 편익 제고

    ○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의료급여 본인부담 완화 등 의료비 부담 경감

    * 암‧심뇌혈관질환('09) 및 희귀난치성질환('10) 본인부담 경감, 본인부담 상한액 인하('09) 등

    ○ 공공의료체계 개선, 응급의료기금 확충(연4백억원→2천억원 규모, '10~'17년)

    등을 통하여 국가가 책임지는 필수의료에 대한 투자 강화

    ○ 선택진료제 개선(’11.10월), 의료분쟁조정제도 시행(’12.4월), 안전상비

    의약품 약국외 판매(’12.11월) 등 국민중심 개혁과제 추진

  • − 5 −

    □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하여 인구구조 대응기반 마련

    ○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11~’15)‘ 수립, 지속적 제도개선 및

    재정투입(5년간 78.6조원)으로 출산율 하락 반전(’09년 1.15→’11년 1.24)

    ○ 「아이낳기 좋은세상 운동본부」 출범(’09.6월), 마더하세요 캠페인 등을

    통해 저출산 문제에 관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

    ○ 보육료 지원 대상을 만 0~5세아 全 계층으로 연차적 확대하여 보육에

    대한 국가역할 강화(보육재정 '07년 1조원 → '12년 3조원)

    □ 보건복지분야 신규 일자리 창출

    ○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는 일자리 창출의 핵심(Blue Ocean)으로서 그간

    ‘고용 없는 성장’ 추세 속에서도 일자리 창출을 주도

    - ’07~’11년간 보건복지취업자는 57.1만명으로, 전체 취업자(81.1만명)의

    70%를 차지

    < 최근 5년간 취업자 증감 규모 >

    전년 대비 ’08 ’09 ’10 ’11 ’07~’11

    전체 취업자 증감(만명) 14.4 △7.2 32.3 41.5 81.1보건복지 취업자 증감(만명) 10.3 15.6 15.6 15.8 57.1

    * 취업유발계수(명, ’09): 사회복지 45.5, 보건의료 16.0, 전 산업 14.2, 제조업 9.4

    - 또한 ①복지혜택 확대, ②종사자 일자리 창출, ③여성 등 가족의

    경제활동 참여 등 선순환구조를 통해 경제활력 강화에 기여

  • − 6 −

    2. 향후 정책추진 방향

    1. 국민건강 보장을 위한 보건의료체계 개선

    의료보장성 강화로 국민부담 경감 ○ 4대 중증질환 의료비 부담 경감을 위하여 급여 항목 및 적용기준

    확대 계획, 재정계획 로드맵 등 구체적인 보장성 계획 수립(6월)

    - 4대 중증질환 이외의 고부담 중증질환은 의료적 필요성, 재정상황

    등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단계적 급여화 추진

    ○ 환자 부담이 큰 3대 비급여(상급병실, 선택진료비, 간병비)에 대해 실태

    조사 및 환자부담 완화를 위한 종합대책 마련 추진

    ○ 본인부담 상한제를 세분화(3단계→7단계)하되 저소득층 상한액은 낮추고

    (200만원→120만원) 고소득층 상한액을 높여 형평성 제고(’13.6월 확정, ’14.1월 시행)

    ○ 건강한 식생활을 위하여 노인틀니 급여를 부분틀니까지 확대하고(7월),

    노인 임플란트 보장성 계획 수립(6월, 건강보험정책심의위 보고)

    수요자 중심 보건의료체계 개편 ○ 대형병원-중소병원-동네의원의 의료기관 종별 기능 재정립 촉진

    ○ 응급의료기관을 기능에 따라 개편(3단계→2단계, 법률 개정)하고 농어촌의

    응급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원을 확대

    ○ 지역별 의료자원 분포, 의료이용 실태 등을 조사(5월)하고, 농어촌을

    중심으로 의료취약지 지정 및 지원방안 마련(10월)

    ○ 호흡기, 류마티스․퇴행성 관절염 등 전문진료분야의 지역별 편차 해소를

    위해 공공전문진료센터 육성(’13년 4개소 개원, ’14년 6개소 완공 목표)

  • − 7 −

    예방적 건강관리체계 구축 ○ 경고그림 부착, 오도문구 사용 금지, 담배연기 성분 및 첨가물 공개

    등 금연정책 강화(국민건강증진법 개정 추진)

    ○ 공중이용시설(학교․의료기관 등)에서의 주류판매 및 음주금지, 대중교통

    시설․학교 주변 등의 주류 광고 제한(국민건강증진법 개정 추진)

    ○ 영유아․일반․생애․암검진 등 각종 검진사업을 「생애주기별 맞춤

    건강검진」사업으로 통합, 모든 연령에 대해 주기적인 검진을 제공

    ○ 보건소 기능을 질병예방 및 지역사회 건강증진 중심으로 개편하고

    (지역보건법 개정 추진), 지자체 건강증진 포괄보조금 확대 추진

    ○ 알코올, 인터넷 중독 등 예방을 위한 중독 종합대책을 마련(5월)하고,

    (가칭) 「중독 예방·관리 및 치료에 관한 법률」 제정 추진(7월 국회제출)

    보건의료의 지속가능성과 형평성 제고 ○ 종합병원 이상 의료기관에 7개 질병군 포괄수가제 확대 시행(7월~)

    ○ 약품비 지출 적정화를 위해 재정영향이 큰 약제에 대한 사후약가

    관리를 강화하고, 리베이트 약가인하 기준도 합리화(’13.下)

    ○ 연금소득 4천만원 초과자는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피부양자에서 제외(5월~)

    ○ 실직․은퇴로 직장→지역가입자로 전환되는 경우, 건강보험료 부담

    경감을 위해 임의계속가입 적용기간을 연장(1년→2년, 5월~)

    ○ 간호인력 적정배치 및 질관리를 위한 구체적 개편방안을 마련, 의료법

    등 관련 법령 개정 추진(’13.下~)

    ○ 농어촌 등 의료취약지 및 공공의료기관에 종사할 공공의료인력 양성

    방안을 수립(’13.下)

  • − 8 −

    2. 빈틈없고 튼튼한 사회안전망 구축

    맞춤형 개별급여체계 도입 및 사각지대 해소 ○ 기초생활보장제도의 통합급여체계를 개편하여 욕구별 맞춤형 개별

    급여로 전환 추진(~`14.下)

    - 주거․교육급여, 에너지 지원 등 관계부처 지원도 개별급여체계 개편에

    따라 통합, 연계․지원함으로써 수혜자 체감도를 제고

    ○ 부양의무자가 수급자를 부양하고도 중위소득 수준의 생활이 가능하도록

    부양의무자 소득기준 현실화 추진

    ○ 빈곤위험계층 보호를 위해 법정 차상위 기준을 상향 조정하고(최저

    생계비 120%→중위소득 50%) 각 부처 복지사업 지원을 확대

    근로유인 강화를 통한 ‘일하는 복지’ 도모 ○ 미취업수급자보다 취업자가, 보호된 시장에서 일하는 것보다 일반시장에서

    일할수록 더 유리한 급여체계로 개편

    - 자활급여의 임금현실화로 ‘일을 통한 소득보장’ 지원

    - 근로무능력 가구원이 있는 경우 등에는 최저생활보장을 위해 ‘근로연계

    급여’를 지급하는 방안 검토

    - 희망키움통장 등 자산형성 지원대상을 일반시장 취․창업 수급자에서

    자활사업 참여자 및 차상위층까지 확대

    ○ 수요자 맞춤형 일자리-복지 통합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지자체 일선

    전달체계에 (가칭)「내일행복지원단」 시범운영 추진(10월~)

    ○ 근로능력 있는 저소득층은 고용센터(취업성공패키지)에서 우선 지원하되,

    취업이 곤란한 경우 특화프로그램(희망리본, 자활센터)을 연계 지원

  • − 9 −

    전달체계 개편을 통한 복지체감도 제고 ○ 사회보장위원회를 중심으로 유사‧중복사업 단계적 조정 추진

    - 각 부처 및 지자체의 신설․변경 복지사업에 대해 복지부장관이

    타당성을 사전 검토하고 위원회를 통해 조정

    ○ 동(洞) 주민센터를 복지행정 중심으로 개편하여 지역 주민의 접근성․

    편의성을 고려한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체계 구축

    ○ 복지사업 중복․부적정 수급을 방지,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회보장정보시스템 구축

    장애인의 행복한 삶 지원 ○ 발달장애인법을 제정하고 발달장애인 부모교육 및 상담지원, 성년후견제

    이용지원 등 관련 서비스를 지속 확대(7월~)

    ○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장애인연금 급여 인상 및 대상 확대를 추진

    하되, 기초연금 제도 도입방향에 맞춰 시행

    ○ 장애등급제를 폐지하고 개인의 욕구 및 사회․환경적 요인을 반영한

    장애종합판정체계로 전환 추진(민관합동추진단 구성․운영, 3월~)

    ○ 심신상태, 생활환경, 일상․사회생활 등을 바탕으로 장애인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는 지역사회 기반 「중증장애인 보호 종합대책」 수립

    ○ 권역별 재활병원을 통해 입원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사회복귀 지원 프로그램,

    방문재활프로그램 등 공공재활프로그램 시행(3월~)

  • − 10 −

    3.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국가책임 강화

    국가의 보육책임 확대 ○ 보육료 지원 단가를 현실화하고, 누리과정 재원은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으로 일원화(‘15년)하여 안정적인 재정지원 체계 마련

    ○ 국공립․공공형 어린이집을 향후 5년간 총 2,175개소* 신규 확충,

    전체 보육아동의 30% 수준(’12년, 약 20%) 까지 확대

    ○ 일시보육서비스 시범사업을 실시(5월~)하고, 단계적 확대 추진

    ○ 육아정보 제공 및 상담, 일시보육 등 다양한 서비스를 수요자 중심

    으로 제공 가능한 육아종합지원센터 운영 확대(6월~, 5개소)

    임신․출산 지원 강화 ○ 저소득층 가구의 경제적 부담 경감을 위해 12개월 이하 영아에 대한

    기저귀․조제분유 지원사업(안) 마련(6월)

    ○ 고위험산모에게 고운맘카드(50만원)외 경비 추가 지원*을 위하여 지원

    대상 우선순위 설정(9월) 및 사업운영체계 구축(12월)

    * 전체 임산부 중 고위험군에게 진료비 추가 지원 추진('14.3월~)

    ○ 신생아집중치료실 추가 확충(’12년 18개소→‘13년 24개소)을 통해 고위험

    신생아의 진료접근성을 제고(‘13년 6개 기관 50병상 추가 확충)

    ○ 분만취약지에 분만산부인과 및 외래산부인과를 추가 확충하여 안정적

    분만환경 조성

    ○ 분만건수가 적은 산부인과에 대해 분만가산(최대200%) 시범사업 실시

  • − 11 −

    취약아동 돌봄․보호체계 강화 ○ 드림스타트 센터 추가 확충(’12년 181개→’13년 211개) 및 지역사회 복지

    자원 조정․연계를 통해 취약아동 발굴 및 지원 강화

    ○ 방과후 돌봄기관인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지원을 확대(’12년 3,500개→

    ’13년 3,742개)하고, 관계부처와의 연계 강화로 촘촘한 안전망을 구축

    ○ 지역아동보호전문기관(46개)을 통해 아동학대 신고접수, 현장조사, 사후

    관리, 상담 등 학대피해아동 보호 조치 강화

    ○ 요보호아동의 개인별 상황과 욕구에 따라 가정위탁, 입양 등 보호

    형태를 결정할 수 있는 판정체계를 구축하고 가정보호를 활성화

    ○ 입양인에 대한 체계적인 사후관리서비스 제공을 위해 국외입양인

    실태조사를 실시하고(5월) 입양정보통합관리시스템 개편(6월)

    든든한 노후 소득보장체계 구축 ○ 65세 이상 모든 노인에게 1인당 최대 20만원을 지급하는 기초연금

    도입 추진(’14.7월 시행 목표)

    * 사회적 합의를 위한 민관 합동의 「국민행복연금위원회」 설치 및 논의를 거쳐 추진

    ○ 제3차 재정계산을 통해 재정추계 결과 발표(3월) 및 중장기적인 국민

    연금 제도개선방안 수립(10월)

    ○ 국민연금 적용제외자 범위 축소 등 가입자 관리방안 개선 및 급여제도

    합리화 추진(국민연금법 개정 추진)

    ○ 현행 저임금 근로자 국민연금 보험료 지원사업의 지원대상 기준

    및 지원율을 상향 조정

  • − 12 −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생활 지원 ○ 치매 노인 및 가족의 요양부담 완화를 위해 노인장기요양보험 수혜규모를

    34만명에서 56만명(’17, 노인인구의 7.8% 수준)까지 확대

    ○ 경증 치매환자 보호를 위한 주․야간보호 시설을 확충하고(‘12. 13백개소 →

    ‘17. 19백개소), 치매거점병원 모델 개발 및 지원방안 마련 등 인프라 강화

    ○ 거동불편 독거노인의 경우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우선 지원대상자로

    선정(3월~)하여 보호 범위를 확대

    ○ 연간 5만개의 노인일자리 추가 확충, 참여 보수 및 기간 확대 등을

    내용으로 하는 「노인일자리 확충 종합계획」 수립(7월)

    ○ 전 생애에 걸쳐 스스로 미리 노후를 준비할 수 있도록 노후설계교육

    시행(4월~, 10만명 목표) 및 (가칭)「노후설계지원법」 제정 추진

    4. 보건복지분야 일자리 창출로 경제활력 제고

    고부가가치 사회서비스 활성화 ○ 돌봄, 건강관리, 상담 등 국민적 수요가 큰 유망사회서비스 및 부처간

    융‧복합 서비스를 발굴해 확대․제도화

    ○ 「사회서비스산업 진흥계획」을 수립하여(6월) 세제․금융, 컨설팅 지원,

    벤처 육성, 서비스 제공기관 전문화 촉진 등을 체계적으로 추진

    ○ 품질과 부가서비스에 따라 일정 범위 내 서비스 가격을 자율화하고,

    소득 수준에 따라 본인부담금 차등화 확대

    ○ 사회서비스 R&D 투자를 강화하여 고부가가치 사회서비스 개발 및

    기존 서비스의 품질․생산성 혁신 촉진(’12년 10억원→’13년 20억원)

    ○ 사회서비스의 종합적․체계적 품질관리를 위한 (가칭)「사회서비스

    품질관리 및 사업지원 관리에 관한 법률」제정 추진(’13.下)

  • − 13 −

    복지 일자리 확충 및 처우개선 ○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보수 및 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13.下), 결과를

    토대로 생활시설 3교대 근무 도입방안 마련(12월)

    ○ 지방이양사업은 종사자 인건비 가이드라인 인상(1월) 및 지자체 준수를

    유도하여 시설 종사자 급여 수준을 현실화

    - 국고보조(지역자활센터, 지역아동센터 등) 및 보험수가 적용사업(노인장기

    요양)의 경우 시설 운영비 인상 및 수가 인상 등 지속 실시

    ○ 돌봄 종사자 표준 근로계약서 적용(’13년~) 및 다양한 유형의 종사자

    임금체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합리적 처우 유도(’13.下)

    보건산업 육성을 통한 성장동력 창출 ○ 해외환자 유치 활성화를 위해 보험사의 해외환자 유치활동을 허용(의료법

    개정 추진)하고, 해외환자 유치 전문인력을 양성

    ○ 병원 해외진출 사업을 기획․집행할 수 있는 전문기관 설립․육성

    ○ 세계 전통의약 시장 대표 브랜드 도약을 위한 「한의약 세계화 중장기

    계획」 수립(5월) 및 한방 병·의원 해외환자유치 컨설팅 실시(5월~)

    ○ 범부처 「제약산업 육성 지원 5개년 종합계획」을 수립하여(4월) 혁신형

    제약기업 육성, R&D 확대 등 추진

    * 정부 출자 「글로벌 제약산업 육성 펀드(약 1천억원 규모)」 조성(5월) 및 지원

    ○ 의료기기․화장품 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6월)

    ○ 「범부처 국민건강 R&D 중장기 추진계획」 수립(4월)을 통해 미래

    기술개발이 시급한 분야에 대한 투자 강화

    ○ 연구중심병원을 지정하고(3월), 산학연 연계를 통한 첨단의료 기술

    개발 허브로 육성

  • − 14 −

    일반현황 및 계획의 개요Ⅱ

    1. 보건복지부 일반현황

    (1) 조직

    ㅇ 본 부 : 4실 5국 13관 1대변인 64과(10담당관, 1센터 포함)

    - 소속기관 1차 12개, 2차 18개, 3차 10개

  • − 15 −

    (2) 인원 (2013. 4.1 기준)

    구 분 내 용

    본 부

    소속기관

    (12개기관)

    ∙ 4실(기획조정실, 보건의료정책실, 사회복지정책실, 인구정책실)

    ∙ 5국(건강보험정책국,건강정책국, 보건산업정책국, 장애인정책국, 연금

    정책국)

    ∙ 13관(감사관, 정책기획관, 국제협력관, 비상안전기획관, 보건의료정책관,

    공공보건정책관, 한의약정책관, 복지정책관, 복지행정지원관, 사회서비스

    정책관, 인구아동정책관, 노인정책관, 보육정책관)

    ∙ 1대변인(대변인)

    ∙ 53과, 10담당관, 1센터

    ∙ 질병관리본부(국립보건연구원, 검역소 13개포함) 정신병원(5), 소록도

    병원, 재활원, 결핵병원(2), 오송생명과학지원센터, 망향의동산관리소

    정 원 총 3,009명(본부 731, 소속기관 2,278)

    □ 정원현황

    구분 계정무직

    별정직

    일반직

    계약직

    기능직

    고공단별정직

    고공단계약직

    일반직

    고공단

    3․4급

    4급4․5급

    5급 6급 7급 8급 9급연구관

    연구사

    총계 3,009 2 74 2,309 2 613 1 8 34 23 167 62 323 467 449 527 54 89 114

    본부 731 2 6 690 2 30 1 22 17 51 46 238 186 83 46 1

    소속

    기관2,278 68 1,619 583 8 12 6 116 16 85 281 366 481 54 89 113

    * 소속 : 질병관리본부(636), 정신병원(920), 소록도병원(210), 재활원(312), 결핵병원

    (167), 오송생명과학단지지원센터(26), 망향의동산관리소(7)

  • − 16 −

    부 서 명 주 요 임 무

    대변인

    보도자료 배포 및 언론관계 총괄, 홍보계획 수립, 부내업무 대외

    정책발표사항 관리, 온라인홍보 및 주요정책 홍보기획, 부내업무

    대외 정책발표사항 관리 등

    감사관

    본부·소속기관·공공기관 및 법인 행정감사, 기강감사, 직무감찰,

    공무원범죄처분, 진정 및 비리사항 조사, 안전점검, 비리사항 요인

    분석, 장관특명사항 조사처리 등

    기획조정실 기획조정, 재정운용, 국제․통상 협력, 비상계획, 행정관리, 규제개혁․

    법무, 정책통계, 정보화 총괄, 보건복지 콜센터업무 총괄

    정책기획관

    각종 정책 및 계획의 총괄ㆍ조정, 주요정책현안과제의 발굴, 세입ㆍ

    세출예산 기금 편성 및 배정ㆍ집행, 재정운용계획 수립ㆍ종합

    및 조정 등

    국제협력관 보건복지 분야 국제협력 강화 및 통상협력의 추진 등

    비상안전기획관재난안전, 국가위기관리, 정부연습, 비상대비중점업체 지정 및 관리,

    국가동원자원관리, 국가지도통신망관리 등

    보건의료정책실 보건의료정책, 공공보건정책, 한의약정책 총괄

    보건의료정책관 보건의료․의약품정책 수립, 의료기관 관리, 보건의료자원관리

    공공보건정책관각종 질환 관련 정책수립․조정, 질환자 지원, 암 관련 정책수립․

    관리, 암조기검진체계의 구축․관리, 공공보건정책 등

    한의약정책관 한의약정책 수립, 한의약공공보건사업, 한의약산업 육성 등

    건강보험정책국건강보험정책, 산하단체관리(공단, 심평원), 건강보험보장, 의약품 약가

    재평가, 요양기관 현지조사, 건강보험 사후관리 등

    건강정책국건강정책, 건강증진, 구강보건, 공중위생관리, 정신질환자 편견해소․

    인권보호, 청소년 유해약물 등 중독 예방․치료․재활 등

    □ 부서별 임무

  • − 17 −

    부 서 명 주 요 임 무

    보건산업정책국보건의료산업정책 수립, 보건의료연구개발사업 추진, 생명윤리 및 안전

    혈액정책수립

    사회복지정책실 사회복지정책, 지역사회복지정책, 사회서비스정책 총괄

    복지정책관 사회복지정책, 국민기초생활보장, 자활지원, 의료급여 등

    복지행정지원관 지역사회 복지정책 및 사회복지 전달체계, 사회복지통합망 운영 등

    복지정보 및 복지 급여 관리

    사회서비스정책관사회서비스 정책 수립․조정, 전자바우처 시스템 구축, 민간복지자원

    육성, 나눔문화 확산, 사회서비스일자리 정책 등

    장애인정책국장애인복지정책, 장애인권익보장, 장애인재활지원, 장애인소득보장

    지원 등

    인구정책실 저출산고령사회정책, 아동복지정책 및 노인복지정책, 보육정책 총괄

    인구아동정책관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저출산고령사회정책개발

    및 관리, 고령친화특구 사업, 인구 관련 정책의 총괄 조정, 아동복지

    정책 수립 등

    노인정책관

    노인보건복지정책 종합계획 수립,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노인복지시설 운영지원, 노인학대예방, 장사제도 운영, 노인요양

    보장 종합계획 수립, 노인요양보험제도 운영 등

    보육정책관중장기 및 연도별 보육계획 수립․조정, 보육시설 및 종사자 관리, 보육료

    지원, 보육시설 확충 등

    연금정책국 국민연금제도․기금 운영, 국민연금공단 관리, 기초노령연금제도 운영 등

  • − 18 −

    구 분 ’12 ’13 ’14 ’15 ’16

    □ 재정사업 합계 ㅇ 총지출 366,928 410,673 430,046 456,270 495,375 (전년대비증가율, %)   (11.9) (4.7) (6.1) (8.6)

    ㅇ 총계 1,039,456 1,187,739 1,332,630 1,329,025 1,354,535 (전년대비증가율, %)   (14.3) (12.2) (△0.3) (1.9) □ 총지출 구분           ㅇ 인건비 5,188 5,326 5,721 6,010 6,317 (전년대비증가율, %)   (2.7) (7.4) (5.1) (5.1)

    ㅇ 기본경비 1,806 1,798 1,826 1,837 1,849 (전년대비증가율, %)   (△0.4) (1.6) (0.6) (0.7) ㅇ 주요사업비 359,934 403,549 415,983 440,582 478,944 (전년대비증가율, %)   (12.1) (3.1) (5.9) (8.7)

    □ 예산           ㅇ (총)지출 221,815 254,056 252,097 256,875 267,157 (전년대비증가율, %)   (14.5) (△0.8) (1.9) (4.0) ㅇ 총계 224,556 257,145 248,163 251,599 261,609 (전년대비증가율, %)   (14.5) (△3.5) (1.4) (4.0) 【일반회계】           ㅇ (총)지출 219,745 251,761 242,581 247,201 256,972 (전년대비증가율, %)   (14.6) (△3.6) (1.9) (4.0) ㅇ 총계 222,422 254,789 245,717 249,997 259,922 (전년대비증가율, %)   (14.6) (△3.6) (1.7) (4.0) 【농어촌구조개선특별회계】           ㅇ (총)지출 602 613 572 33 33 (전년대비증가율, %)   (1.8) (△6.7) (△94.2) (0.0) ㅇ 총계 602 613 572 33 33 (전년대비증가율, %)   (1.8) (△6.7) (△94.2) (0.0)

    (3) 재정현황

    (단위 : 억원)

  • − 19 −

    구 분 ’12 ’13 ’14 ’15 ’16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           ㅇ (총)지출 23 30 24 25 25 (전년대비증가율, %)   (30.4) (△20.0) (4.2) (0.0) ㅇ 총계 23 30 24 25 25 (전년대비증가율, %)   (30.4) (△20.0) (4.2) (0.0) 【책임운영기관특별회계】           ㅇ (총)지출 1,444 1,651 1,740 1,409 1,477 (전년대비증가율, %)   (14.3) (5.4) (△19.0) (4.8) ㅇ 총계 1,508 1,713 1,850 1,545 1,629 (전년대비증가율, %)   (13.6) (8.0) (△16.5) (5.4) □ 기금           ㅇ (총)지출 145,114 156,617 177,949 199,396 228,220 (전년대비증가율, %)   (7.9) (13.6) (12.1) (14.5)

    ㅇ 총계 814,900 930,595 1,084,466 1,077,426 1,092,925 (전년대비증가율, %)   (14.2) (16.5) (△0.6) (1.4) 【건강증진기금】           ㅇ (총)지출 18,718 19,007 23,250 23,343 28,390 (전년대비증가율, %)   (1.5) (22.3) (0.4) (21.6)

    ㅇ 총계 20,213 20,748 25,186 26,058 33,473 (전년대비증가율, %)   (2.6) (21.4) (3.5) (28.5)

    【국민연금기금】           ㅇ (총)지출 124,405 135,534 153,421 174,406 198,200 (전년대비증가율, %)   (8.9) (13.2) (13.7) (13.6)

    ㅇ 총계 792,307 907,638 1,056,857 1,048,990 1,057,101 (전년대비증가율, %)   (14.6) (16.4) (△0.7) (0.8) 【응급의료기금】           ㅇ (총)지출 1,990 2,076 1,943 2,014 2,013 (전년대비증가율, %)   (4.3) (△6.4) (3.7) (0.0) ㅇ 총계 2,380 2,209 2,424 2,378 2,352 (전년대비증가율, %)   (△7.2) (9.7) (△1.9) (△1.1)

  • − 20 −

    2. 성과관리 시행계획 개요

    (1) 시행계획의 주요특성

    정책 여건 ㅇ 현재 우리나라는 ①저출산․고령화, ②잠재성장률 저하 및 고용없는 성장,

    ③사회통합 약화의 세 가지 주요 도전에 직면

    ㅇ 위기 요인을 극복하고 성장과 복지의 선순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회통합적 복지” 추진

    추진방향 ㅇ 전 생애에 걸쳐 안락하고 건강한 삶을 지원하는 포괄적․예방적인 보건

    복지서비스

    ㅇ 국민 중심의 맞춤형․통합적․효율적 보건․복지 전달체계

    ㅇ 보건의료 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을 통해 두터운 중산층을 형성하고

    미래를 대비

    추진전략

  • − 21 −

    주요 전략목표 및 ’13년 시행계획과의 연계 ㅇ (목표 1) 맞춤형 복지제공 및 일자리 창출로 평생 사회안전망 구축

    - 범부처 사회보장제도 총괄․조정을 위한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수요자 중심의 복지전달체계 개편

    ☞ (시행계획) 사회보장위원회 중심의 정책 총괄․조정체계를 수립

    하고, 주민센터 복지허브화 및 사회보장정보시스템 확대 추진

    - 기초생활보장제도를 맞춤형 개별급여로 개편하여 빈곤문제에 선제적․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일을 통한 탈수급 적극 지원

    ☞ (시행계획) 맞춤형 개별급여 개편을 위해 급여별 선정․수급기준을

    마련하고, 자활급여체계 개편 및 시장참여형 자활사업 참여 촉진

    - 사회서비스 시장 활성화로 일자리를 창출하면서 다양한 사회서비스

    수요에 대응하고, 장애인 소득보장과 사회참여 확대로 삶의 질 개선

    ☞ (시행계획) 범부처 사회서비스 일자리 창출방안 및 사회서비스

    품질관리 종합계획 마련, 장애등록제도 개선 및 장애인연금

    급여 확대 추진

    ㅇ (목표 2) 보건의료체계 개혁으로 국민의 건강한 삶 보장

    - 미래 환경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보건의료체계를 개편하고,

    의료서비스 질을 높여 신뢰성 제고

    ☞ (시행계획) 의료기관 간 기능 재정립 및 의료-요양 체계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의료기관 평가인증제 고도화 및 보호자 없는 병원 시범사업 추진

    - 중증질환자 의료비 및 3대 비급여 부담 경감방안을 마련하고, 건강보험

    재정 건전화를 위한 개혁을 통해 지속가능성 확보

    ☞ (시행계획) 4대 중증질환 보장성 강화 및 비급여 부담 완화방안

    마련과 함께 부과체계 개선, 약품비 적정관리로 재정건전성 강화

  • − 22 −

    - 사전예방적 건강관리 및 질병관리 강화 등 포괄적 건강관리체계를

    구축하고, 필수 보건의료 인프라 확충

    ☞ (시행계획) 담배규제 강화, 국가검진 개편, 보건소 건강증진 허브화 등

    예방적 건강관리체계를 확충하고 암․결핵․심뇌혈관질환 신속 발견․치료,

    의료 취약지 인프라 확대 및 응급․중증외상환자 치료체계 구축 추진

    - 한국의료의 글로벌화, 제약․화장품․의료기기 산업 선진화 등 보건

    산업을 창조경제의 원천으로 육성

    ☞ (시행계획) 해외환자 유치 및 의료서비스 해외진출 활성화, 한의약

    세계화, 보건산업 전문인력 양성 및 제약․의료기기․화장품

    산업 첨단화

    ㅇ (목표 3) 저출산 극복과 활력있는 노후생활 보장

    - 고령사회를 대비한 인프라 구축 및 출산양육에 유리한 환경 조성

    ☞ (시행계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위상 강화 및 범정부 출산․

    육아지원대책 수립 추진

    - 노후 소득보장 및 사회참여 활성화를 통해 편안하고 활력있는

    노후생활 보장

    ☞ (시행계획) 기초연금 도입과 노인일자리 확대를 통한 소득보장 강화 및

    치매예방․돌봄․장기요양 확대를 통한 맞춤형 노인복지체계 구축

    - 취약아동 보호 및 보육․양육에 대한 국가책임 강화로 아동의

    건강한 성장․발달 지원

    ☞ (시행계획) 학대․실종예방․입양 등 보호체계를 정비하고, 0~5세

    보육․양육 지원 대상 전계층 확대 및 보육서비스 품질 제고

  • − 23 −

    (2) 시행계획의 목표체계

    □ 기관의 임무

    ㅇ 빈곤․질병․노령 등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 일

    자리와 균등한 사회참여 기회를 제공하며, 평생복지를 위한 생애

    주기별 맞춤형 보건․복지 정책으로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

    킨다.

    □ 비 전

    ㅇ 국민 누구나 건강하고 행복이 넘치는 희망 사회 실현

    ※ 빈곤의 대물림을 방지하여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

    특정 계층만이 아니라 전 국민을 사회적 위험에서 보호할 수 있도록 생애

    주기별로 튼튼한 사회안전망 구축

    □ 전 략 목 표

    ㅇ 맞춤형 복지제공 및 일자리 창출로 평생 사회안전망 구축

    ㅇ 보건의료체계 개혁으로 국민의 건강한 삶 보장

    ㅇ 저출산 극복과 활력있는 노후생활 보장

  • − 24 −

    임무 : 빈곤․질병․노령 등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 일자리와 균등한

    사회참여 기회를 제공하며, 평생복지를 위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보건․복지 정책

    으로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비전 : 국민 누구나 건강하고 행복이 넘치는 희망 사회 실현

    전략목표 1 전략목표 2 전략목표 3

    맞춤형 복지제공 및

    일자리 창출을 통한

    평생 사회안전망 구축

    건강한 삶을 보장하는

    보건의료체계 개혁

    저출산 극복과

    활력있는 노후생활 보장

    성과목표 1-1 성과목표 2-1 성과목표 3-1

    맞춤형 복지급여 기반구축을 통한

    촘촘하고 효율적인 복지구현

    효과적 의료체계 구축 및

    의료서비스 질 향상

    저출산․고령사회

    대응 기반 구축

    성과목표 1-2 성과목표 2-2 성과목표 3-2

    효율성 높은 전달체계 운영 및

    소외계층 지원 강화로

    국민중심의 복지행정 구현

    국민의 의료비 부담 경감 및

    건강보험의 재정건전성 제고

    지속가능한 연금제도 운영으로

    안정적인 노후소득 보장

    성과목표 1-3 성과목표 2-3 성과목표 3-3

    사회서비스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확대필수 보건의료 인프라 확충 편안하고 활기찬 노후생활 보장

    성과목표 1-4 성과목표 2-4 성과목표 3-4

    장애인의 소득보장과 사회참여

    기회 확대로 삶의 질 개선사전예방적 건강관리 강화

    보육․양육 지원대상 확대 및

    투명하고 품질 높은

    보육시스템 구축

    성과목표 2-5 성과목표 3-5

    보건산업 육성 및 한의약

    세계화를 통한 창조경제 발전

    취약아동 보호를 강화하여

    건전한 성장환경 조성

  • − 25 −

    성과

    목표관리과제

    국정과제, 부처업무계획,

    대통령 지시사항

    Ⅰ. 맞춤형 복지 제공 및 일자리 창출을 통한 평생 사회안전망 구축 1. 맞춤형 복지급여 기반구축을 통한 촘촘하고 효율적인 복지구현

    ① 복지정책 총괄 및 기반조성② 범정부 사회보장정책 연계·조정 국정 44-1③ 국민의 기본적 생활 보장 내실화 국정 43④ 맞춤형 자활경로 설계를 통한 탈빈곤 지원 국정 57⑤ 의료급여의 효율적 관리․개별급여방안 마련 등 의료 안전망 강화

    2. 효율성 높은 전달체계 운영 및 소외계층 지원 강화로 국민중심의 복지행정 구현

    ① 수요자 중심의 지역복지전달체계 구축 국정 44-2, 44-4② 복지사업 기준관리 국정 44-3③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 확대 및 고도화

    국정 43-2, 44-3, 44-4, 47-1,

    50-2, 57-2, 58-4, 27-3,

    29-4, 63-4, 64-1, 74-1, 78-1

    ④ 범정부 사회보장정보시스템 확대 국정 44-3⑤ 소외계층 지원 활성화 및 복지급여 사후관리 국정 43-1, 업무

    3. 사회서비스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확대

    ① 사회서비스 정책 내실화 국정 59-4, 60-1, 60-3② 지역사회서비스 확충 및 인프라 조성 국정 60-2, 60-3, 62-1③ 사회서비스 일자리 확충 및 질 제고 국정 59-1, 59-3, 59-4, 60-1 ④ 나눔문화확산을 통한 민간자원 활성화 국정 44-4⑤ 사회복무요원 배정 확대 국정 59-2

    4. 장애인의 소득보장과 사회참여 기회 확대로 삶의 질 개선

    ① 장애인 등록제도 개선 및 서비스지원체계 구축 국정 50-1② 공공재활의료서비스 활성화 및 장애인 편의증진으로 실질적 권리보장 강화 국정 50-5③ 장애인연금 급여인상 및 대상 확대 국정 50-4④ 장애인일자리 창출 및 확대⑤ 발달장애인 지원체계 구축 국정 50-3⑥ 중증장애인 보호 강화를 위한 장애인활동지원제도 개선 국정 50-2

    (3) 목표 및 과제 현황

    (단위 : 개)

    전략목표 성과목표성과목표

    성과지표관리과제

    관리과제

    성과지표

    3 14 17 74 120

  • − 26 −

    성과

    목표관리과제

    국정과제, 부처업무계획,

    대통령 지시사항

    Ⅱ. 보건의료체계 개혁으로 국민의 건강한 삶 보장1. 효과적인 의료체계 구축 및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

    ① 의료체계 개선을 위한 정책 방향 수립 국정 49-2, 49-5② 의사 수련과정 개편 국정 49-6③ 신 의료‧융합서비스 발전을 위한 제도 및 정보화 기반 조성 국정 9-3④ 의약품 유통 구조 선진화 국정 9-1⑤ 보호자없는 병원 시범사업 국정 48-1⑥ 의료분쟁조정제도의 안정적 시행 ⑦ 의료기관 평가 인증제 확산 및 고도화

    2. 국민의 의료비 부담 경감 및 건강보험의 재정건전성 제고

    ① 건강보험료 부과체계 개선 국정 48-5②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지속 추진 및 보험급여제도 개선 국정 48-2, 48-3, 48-6③ 4대 중증질환 보장성 강화 국정 48-1④ 상급병실료․선택진료비 부담 완화를 위한 제도개선 국정 48-1⑤ 보험약품비의 적정관리 국정 48-6⑥ 건강보험 사후관리 및 적정성 평가 기능 강화

    3. 필수 국가 보건의료 인프라 확충

    ① 내실있는 결핵조기퇴치사업 추진② 중증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신속한 치료③ 균형잡힌 공공의료 제공체계 구축 국정 49-4, 국정 62-3④ 응급의료 인프라 강화 국정 49-3

    4. 사전예방적 건강관리 강화

    ① 흡연 예방 및 담배 규제 강화를 통한 흡연율 감소 국정 49-1② 국가건강검진제도 개편 국정 49-1③ 정신건강증진체계 강화 및 생명존중문화 확산 국정 49-1④ 보건소 건강증진 허브화를 통해 예방적 건강관리 기반 마련 국정 49-1⑤ 건강한 구강보건 인프라 환경조성⑥ 공중위생관리서비스 선진화⑦ 건강식생활사업 체계 구축

    5. 보건산업 육성 및 한의약 세계화를 통한 창조경제 발전

    ① 한국의료의 글로벌 진출강화 국정 9-5, 9-6② 제약산업 글로벌 10대 강국 도약 국정 9-1③ 전략적 보건의료(HT) R&D 강화 국정 9-4④ 효율적 인체자원 관리⑤ 글로벌 화장품 선도 기업 육성 국정 9-2⑥ 첨단 의료기기산업 육성 국정 9-2⑦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⑧ 한의약의 세계화를 위한 국제협력 확대 국정 9-7 ⑨ 한의약 연구 및 기술개발 국정 9-7

  • − 27 −

    성과

    목표관리과제

    국정과제, 부처업무계획,

    대통령 지시사항

    Ⅲ. 저출산 극복과 활력있는 노후생활 보장1. 저출산․고령사회 대응 기반 구축

    ① 출산정책거버넌스 및 노후설계인프라 구축 국정 47-3, 국정 62-9② 고령친화산업육성 국정 9-9, 9-10③ 출산양육에 유리한 환경조성 국정 62-1, 62-2

    2. 지속가능한 연금제도 운영으로 안정적인 노후소득 보장

    ① 국민연금 사각지대 해소 및 지속가능성 제고② 국민행복을 위한 기초연금 도입 국정 47-1③ 국민연금수급자 행복지원 프로젝트 강화④ 장기적 관점의 기금운용체계 구축 및 운용역량 강화 국정 25-3⑤ 기초노령연금 대상자 확대 및 운영 내실화

    3. 편안하고 활기찬 노후생활보장

    ① 국가치매관리체계 구축 국정 48-7② 독거노인 돌봄 강화 국정 48-8③ 노인 사회참여 확대 국정 47-2④ 노인장기요양보험 안정과 내실화 국정 48-7⑤ 장기요양기관 서비스 품질 제고 및 역량 강화

    4. 보육․양육 지원대상 확대 및 투명하고 품질 높은 보육시스템 구축① 보육․양육 지원 대상 확대 국정 64② 어린이집 운영의 투명성 제고 국정 64③ 어린이집 보육서비스 질 제고 국정 63, 64

    5. 취약아동보호를 강화하여 건전한 성장환경 조성

    ① 국내입양활성화를 위한 공적책임 및 국외입양인 사후관리강화 국정 78-4② 디딤씨앗통장 활성화 및 지원 확대 국정 78-3③ 아동통합서비스지원 강화를 위한 드림스타트 확대 국정 78-2④ 취약아동 돌봄서비스 내실화 부처 업무계획(임신․출산 지원 및

    취약아동 보호체계 개편)

  • − 28 −

    기 본 방 향

    ◇ 맞춤형 복지급여 기반구축을 통한 촘촘하고 효율적인 복지구현

    ㅇ 사회보장기본계획 수립, 복지사업 협의·조정, 사회보장 재정추계,

    통계관리, 평가 등 사 회 보장 위 원회 의 총괄·조 정기능 강화

    ㅇ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를 위한 사회보장기본법 시행기반 마련

    ㅇ 비수급빈곤층 발굴보호를 통한 사각지대 해소, 급여 적정관리

    강화 등을 통해 국민의 기본 생 활 보장 내실화

    ㅇ 근로빈곤층에 대한 맞춤형 자활경로 설계지원, 고용-복지

    연계 강화를 통해 자활성과 제고 및 탈수급․탈빈곤 지원

    ㅇ 기초생활수급자에 대한 근로인센티브 확대 및 탈수급 유인으로

    자립과 사회참여를 촉진하는 적극적 근 로 -복지 연계 추진

    ◇ 수 요자 중심의 지역복지전달체계 운영 및 복지소 외계층

    지원 강화를 통한 복지체감도 향상

    ㅇ 복지공무원․서비스 전문인력 확충, 희망복지지원단의 안정적

    정착 지원을 통한 지역복지 전달체계의 효과성 제고

    - 중장기적으로 주민센터를 복지서비스 허브로 개편 추진

    ㅇ 사회복지통합관리망 기능 고도화, 전부처 복지사업 정보연계와

    업무처리지원 확대를 통한 맞춤형 복지 기반 마련

    세부 추진계획Ⅲ

    전략목표Ⅰ 맞춤형 복지제공 및 일자리 창출을 통한 평생사회안전망 구축

  • − 29 −

    ㅇ 긴급복지, 노숙인 지원, 지역내 민관협력으로 도움이 필요한

    복지소외계층의 발굴·지원을 강화하여 복지사각지대 완화

    ◇ 생애주기별 사회서비스 확충 및 사회서비스 일자리 확대를

    통해 국민의 다양한 복지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

    ㅇ 사회서비스 품질관리 강화, 법․제도 개선 등 사회서비스

    정책의 내실화를 통한 고부가가치 사회서비스 활성화

    ㅇ 사회서비스 포괄보조 도입, 사회서비스 산업 특수분류 신설을

    통한 통계인프라 확충 등으로 지역 사회서비스의 자생력을

    강화하고 사회서비스 산업 발전 기반 조성

    ㅇ 돌봄 및 사회복지시설 종사 자 처우개선 , 고용 취약계층을

    통한 서비스 제공 확대로 적극적인 사회서비스 일자리 창출

    ㅇ 기부금 및 자원봉사 등 새롭게 증가하는 민간자원을 통해 평생

    사회안전망을 보완할 수 있도록 지속가능한 나눔환경 조성

    ◇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소득보장 및 사회참여 확대

    ㅇ 장애인등록제도의 합리적 개선 및 장애인서비스 연계 지원으로

    욕구에 기반한 지원체계 마련

    ㅇ 장애인일자리 확대 및 근로조건 개선, 장애인연금 내실화를

    통한 장애인 소득보장 강화

    ㅇ 발달장애인 지원 및 권리보호 추진,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수 요자 중심적 개편 을 통해 장애인 자립지원․보호 강화

  • − 30 −

    < 성과목표 및 관리과제·성과지표체계 >

    (단위 : 개)

    성과목표 성과목표 성과지표 관리과제 관리과제 성과지표

    4 4 21 34

    성과

    목표관리과제 성과지표

    Ⅰ-1. 맞춤형 복지급여 기반구축을 통한 촘촘하고 효율적인 복지구현 전국 세대수 대비 복지수혜 세대수 비율① 복지정책 총괄 및 기반조성 사회보장연구시리즈 발간 건수

    사회복지사 자격제도 개선 건수

    ② 범 정부 사회보장정책 연계․조정 사회보장정책 조정·연계 건수③ 국민의 기본적 생활 보장 내실화 신규 수급자 발굴률④ 맞춤형 자활경로 설계를 통한 탈빈곤 지원 자활성공률(%)⑤ 의료급여의 효율적 관리․개별급여방안 마련 등 의료 안전망 강화 1인당 진료비증가율

    Ⅰ-2. 효율성 높은 전달체계 운영 및 소외계층 지원 강화로 국민중심의 복지행정 구현

    ‘행복e음’을 통한 복지급여서비스 지급건수① 수요자 중심의 지역복지전달체계 구축 사회복지서비스 연계가구수

    사례관리 대상자 만족도

    ② 복지사업 기준관리 복지사업 기준 표준화사회보장제도 운영지침 마련 추진율

    ③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 확대 및 고도화 급여․서비스 적정성 관리 실적업무 프로세스 개선 및 추가 실적

    ④ 사회보장정보시스템(범정부) 확대 범정부 복지정보 통합DB 확대 실적⑤ 소외계층 지원 활성화 및 복지급여 사후관리 긴급복지 지원건수, 거리노숙인 감소

    복지급여 조정비율

    Ⅰ-3. 사회서비스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확대 사회서비스고용비중① 사회서비스 정책 내실화 사회서비스 품질관리종합계획 마련

    바우처시스템 중장기 발전방안 마련

    ② 지역사회서비스 확충 및 인프라 조성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사업 종사자수이용자 종합만족도

    ③ 사회서비스 일자리 확충 및 질 제고 범부처 고부가가치 사회서비스 일자리 창출계획 마련 추진율

    ④ 나눔문화확산을 통한 민간자원 활성화 나눔문화참여도⑤ 사회복무제도 배정 확대 ’14년도 사회복무요원의 사회복지분야 배정률

    사회복무요원 현업적용도

    Ⅰ-4. 장애인의 소득보장과 사회참여 기회 확대로 삶의 질 개선 장애인 사회참여 지원율① 장애인 등록제도 개선 및 서비스지원체계 구축 장애인서비스연계지원사업 참여율 및 지

    원체계 개선 여부

    ② 공공재활의료서비스 활성화 및 장애인 편의증진으로 실질적 권리보장 강화

    공공재활프로그램 이용자 만족도

    장애인편의시설 설치율

    ③ 장애인연금 급여인상 및 대상 확대 장애인연금법령개정 추진율장애인연금 수급율

    ④ 장애인일자리 창출 및 확대 중증장애인일자리 참여율근로장애인(직업재활시설) 평균 임금인상율

    ⑤ 발달장애인 지원체계 구축 발달장애인 지원제도 마련⑥ 중증장애인 보호 강화를 위한 장애인활동지원제도 개선 활동지원급여 이용자 만족도

  • − 31 −

    성과목표Ⅰ-1맞춤형 복지급여 기반구축을 통한 촘촘하고

    효율적인 복지구현

    (1) 주요 내용

    □ 사 회 보장 위 원회 중심의 정책 총괄·조 정기능 강화

    ㅇ 사회보장위원회에 사 회 각 계가 참 여토록 하여 사회적 합의구조를

    형성하고, 사 회 보장 분야 국정과제를 중심으로 통합적 안건 발굴

    및 논의

    ㅇ 생 애 주 기별 맞춤형 복지 구현을 목표로 범정부적 차원의 제1차

    사 회 보장 기본 계획( ’14∼’18) 수 립

    ㅇ 각 부처 및 지자체의 신설·변경 사업에 대해 협의·조정을 실시하되,

    국민체감도가 높은 분야(돌봄 등)를 중심으로 단계적 조정·연계 추진

    ㅇ 사회보장 중장기 재정추계, 통계 종합관리 등 사회보장제도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운영기반 마련

    ㅇ 차 상위 계층 범 위 확 대 및 우선 돌 봄 차 상위 가구 발 굴 등을 통한

    빈곤정책 사각지대 발굴․지원

    □ 국민의 기본적 생활보장 내실화

    ㅇ 부양의무자 기준의 합리적 완화, 이행급여 확대 및 근로유인체계

    강화 등을 통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에 대한 생활보장 내실화

    ㅇ 생계가 곤란하나 국가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계층에 대해서는 지방

    생 활보장 위 원회 활성화 등을 통해 적극 발굴 보호 추진

    ㅇ 맞춤형 복지급여 체계 구축을 위해 급여별 선 정 및 수 급기준 등

    세부 시행방안 마 련 등 추진

  • − 32 −

    □ 맞춤형 자활경로 설계를 통한 탈빈곤 지원

    ㅇ 근 로 빈 곤 층이 실질적으로 빈 곤 에 서 탈출할 수 있도록 자립 ․자활

    지원 대 상을 확 대 하고 시장 참 여형 자활사 업 참 여 촉 진

    ㅇ 미취업수급자보다 취 업자가, 보호된 시장에서 일하는 것보다 일반

    시장 에 서 일할 수 록 더 유 리한 급여체계로 개편

    ㅇ 수요자 맞춤형 고용-복지 통합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지자체 중심

    One-Stop & Multi-service 도입

    ㅇ 자활사업 참여대상 분류체계를 객관화하고, 다양한 자활인프라가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형․성과중심형 자활사 업 추진

    □ 의료급여 보장성 강화

    ㅇ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의료접근성 제고와 필수적인 의료이용 보장을 위해

    의료급여 보장범위 및 수준을 지속적으로 확대

    ㅇ 지자체 의료급여 관리운영 책임을 강화하고 의료급여 사 례관리를

    활성화하여 수급자의 적정의료 이용 및 건강수준 향상 도모

    ㅇ 의료급여기관 현지조 사 등을 통해 의료급여 관리운영 의식 제고

    및 적정의료 이용을 위한 홍보 강화

    (2) 성과지표

    성과지표실적 목표치

    ’13년 목표치 산출근거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자료수집 방법

    (또는 자료출처)’10 ’11 ’12 ’13

    전국 세대 수 대비 복지수혜 세대수 비율

    (%)

    신규 신규 신규 19 ‘13.12.31 기준 복지대상자 자격이 있는 행복e음에서 추출한 복지수혜 세대 수단, 소득수준에 상관없이 지원하는 보육료 지원대상은 제외

    (행복e음상 복지수혜 세대수*/전국 세대수**)*100*복지부 사업 중 최저생계비 120%까지- 기초생활수급자+본인부담경

    감대상자+차상위자활+기초노령연금+장애인연금+차상위장애수당+한부모지원+청소년특별지원+영유아보육+긴급지원+등록장애인(행복e음)

    **안전행정부 발표 전국세대수

    행복e음, 안전행정부

    * 보육료 지원 대상 제외, ** 보육료 지원 대상 포함

  • − 33 −

    (3) 외부환경・갈등요인 분석 및 갈등관리계획□ 그간 우리나라는 비교적 짧은 시간에 사회보장의 기본 틀을 마련하였고,

    장애인·노인 등 대상자별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

    ㅇ 그러나 사회보장제도가 분야별·부처별 각개약진( 各個躍進) 식으로

    도입되어 중복과 누락, 집행단 계에 서의 과부하 등 비효율성 발생

    ㅇ 고령화 등에 따라 복지지출의 급격한 증가가 예상되어 효율성과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 한 통합적 복지의 중요성 증 대

    □ 기초생활보장제도의 보충급여 원칙에 따른 근로유인 저해와 통합급여

    방식에 따른 탈수급 저해 및 복지수급 안주 경향에 대한 비판 존재

    ㅇ 비수급 빈곤층 적극 발굴․보호 및 적정급여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빈곤정책 제도개선 기획단」의 연구결과 등을 바탕으로 제도 개선 추진

    □ 의료급여비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정된 재원으로 보장성을 확대

    하는 데 어려운 상황

    * 진료비 지급액 : 46,452억원(’09)→48,656억원(’10)→50,542억원(’11)

  • − 34 −

    (4) 관리과제별 추진계획

    복지정책 총괄 및 기반조성( Ⅰ-1-①)□ 추진배경

    ㅇ 사회보장제도가 분야별·부처별 각개약진(各個躍進) 식으로 도입되어

    중복과 누락, 집행단계에서의 과부하 등 비효율성 발생

    - 이에 따라 국민이 필요한 서비스를 쉽게 지원받을 수 있도록 부처 간

    협력 및 조정 강화 필요

    ㅇ 다양한 수요자 욕구에 대응하고 질 높은 복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향상 필요

    ㅇ 차상위 계층 범위 확대 및 체계적인 발굴‧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복지사각지대를 발굴하고 지원할 필요

    ㅇ 최근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추진 등 복지개혁 논의가 확대됨에

    따라 유사한 사회경제적 여건에서 다른 선진국들이 단행한 복지개혁

    경험 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및 정책 활용 필요성 증대

    □ 주요내용 및 추진계획

    ㅇ 복지정책 관련 부내․외 협조 및 조정체계 강화

    - 고용(노사정위원회), 주거(주택정책심의위원회) 등 복지정책 관계

    부처 간 협조 강화

    - 농어촌주민의 보건복지 증진을 위한 농식품부(기본계획 운용 등),

    통계청(실태조사) 등 관계부처 및 부내 관련부서 협조 강화

    - 주요 복지 현안에 대한 부내 관련부서 간 조정기능 강화

  • − 35 −

    ㅇ 사회복지사의 자질 및 전문성 향상 등을 위한 제도개선 추진

    -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운영 지침 개정 등을 통한 보수교육 내실화

    - ‘사회복지사 교육과정 및 자격제도 개선 연구’ 및 ‘사회복지현장실습

    기관인증제 도입의 필요성과 활용방안 연구’ 결과 등을 토대로

    자격제도 개선 및 현장실습 관련 법령 개정(’13.12)

    ㅇ 차상위계층 범위 확대

    - 차상위계층 기준을 최저생계비 120% 이하에서 중위소득 50%로

    확대하여 빈곤층 보호 확대(국정과제)

    ㅇ 기초수급 탈락자, 비수급 빈곤층 등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저소득

    빈곤층을 ‘우선돌봄 차상위 가구’로 발굴하고 보호 강화

    - 발굴 가구에 정부지원(정부양곡, 각종 일자리 지원사업, 에너지지원 등),

    민간자원을 적극 연계하고 사례관리 추진

    ㅇ 국제 사회보장정책 현황 및 개혁 사례에 대한 체계적인 모니터링

    및 장기적 정책방향 수립 지원을 위해 주기적으로 자료를 정리·공유

    하고, 연차보고서를 발간

    - (주간 모니터링) 주간 ‘국제 사회보장정책 모니터링’을 통해 해외

    주요국 등의 최근 사회보장정책 동향을 정리·보고

    - (월간 정책분석) 월간 ‘사회보장 연구시리즈’를 통해 국내에서 최근

    쟁점이 되는 이슈나 향후 정책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외국사례를 보다 전문적으로 심층 분석

    - (연차보고서 발간) 모니터링 결과 및 관련 부서 의견을 바탕으로

    “2013년 국제 사회보장정책 동향” 발간(’13.12)

  • − 36 −

    구 분 추진계획 세부일정 비 고

    1/4분기

    사회복지사 자격관리 안내(지침) 개정 ’13.1월사회복지사 보수교육 운영지침 안내(지침) 개정 ’13.2월사회보장교육 수요분석 및 교육인프라 분석 실시 ’13.2월사회보장(실무)위원회 개최 ’13.3월

    2/4분기

    ’13년도 신설·변경 사업(제도) 협의·조정 추진 ’13.6월사회복지사 보수교육 실시기관 현장방문 ’13.6월사회보장교육 수요분석 및 교육인프라 개선방안 마련 ’13.6월

    3/4분기 사회복지사 양성과정 교육기관 현장방문 ’13.9월

    4/4분기

    ’14년 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 시행계획 승인 ’13.11월현행 복지사업 연계·조정방안 마련 ’13.11월국제 사회보장정책 동향 모니터링 연차보고서 발간 ’13.12월사회복지사업법률 개정 ’13.12월

    〈 ’13년도 과제추진 계획 〉

    □ 수혜자 및 이해관계집단

    ㅇ 수혜자 : 복지정책 수혜자, 차상위계층 등 빈곤층, 사회복지사, 복지

    정책 관련 부내․외 업무 담당자

    ㅇ 이해관계자 : 사회복지법인 또는 시설 설치․운영자, 사회복지 관련

    단체․협회, 복지정책 관련 부처 및 지방자치단체

    □ 기대효과

    ㅇ 복지정책 관련 부내․외 협조체계 강화를 통해 정책 칸막이 제거

    및 체감도 높은 맞춤형 복지제도 구축

    ㅇ 사회복지사 자격제도 및 보수교육 개선을 통하여 자격제도 안정성

    확보 및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향상

  • − 37 −

    ㅇ 차상위계층 범위 확대 및 우선돌봄가구 발굴․지원에 따른 빈곤층

    보호 확대 및 사각지대 해소

    ㅇ 해외 사회보장 동향 및 개혁 사례에 대한 체계적 모니터링을 통해

    복지 정책 수립의 기반 강화

    □ 관련 재정사업 내역

    (단위 : 억원)

    회계구분1」

    ’12 ’13

    사회복지사업지원(Ⅰ-2-일반재정②) ① 사회복지사업지원(2631) 일반 30 33

    ▪사회복지사관리(300) 일반 9 9 ▪사회복지협의회운영(302) 17 20 ▪사회복지정책수립 및 관리활동(305) 4 4

    □ 성과지표 및 측정방법

    성과지표실적 목표치

    ’13 목표치 산출근거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자료수집 방법

    또는 자료출처

    (성과측정시 유의사항)’10 ’11 ’12 ’13

    사회보장연구시리즈

    발간 건 수(공통)

    - - 5 6 사회보장위원회 기능의 확대·강화에 따른 조사·연구 기능 강화를 위해 주기적으로 국내외 사회보장제도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분석(전년 대비

    20% 상향 조정)

    발간건수

    (내부보고)

    OECD 등 국제기구 및

    주요 선진국의

    정책동향 모니터링

    사회복지사 자격제도

    개선건수

    - - - 5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등 전문가 단체

    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고려

    법률개정안 국회

    상정/법령개정/

    관련 기준 마련

    법률국회상정문서/

    법령공포문서/

    관련 기준마련 보고서

  • − 38 −

    범 정부 사회보장정책 연계․조정(Ⅰ-1-②)

    □ 추진배경

    ㅇ 개정 사 회 보장 기본 법 의 기본 이념과 새 정부의 국정운영 방향에

    부합하는 사 회 보장 정책 수 립 추진

    -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구현을 목표로 하는 개정 사회보장기본법의

    차 질없는 시행(’13.1.27)을 위한 기본계획 및 세부 추진과제 마련

    ㅇ 고령화, 저성장, 양극화 등 거시문제와 복지지출의 가파른 증가에

    따른 사 회 보장 제도 및 복지재 정의 운영 효율화 필요

    - 복지사업간 연계‧조정, 중장기 사회보장 재정추계 및 통계관리 등을

    통한 사회보장제도의 안정성 및 재정의 지속가능성 제고

    □ 주요내용 및 추진계획

    ㅇ 사회적 합의구조 형성을 위해 사회보장위원회에 사회각계 전문가를

    참여(’13.4)시키고, 맞춤형 복지실현을 위한 통합적 안건 발굴·논의

    ㅇ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구현을 목표로 범정부적 차원의 제1차 사회

    보장 기본 계획( ’14∼’18) 수 립 (’13.11)

    - 소득보장, 출산‧양육, 고용‧환경, 주거‧에너지 등 분야별 T/F를 구성

    (’13.4), 각 부처 정책을 생 애 주 기별 맞춤형으 로 통합·연계

    * 경영계·노동계 등이 참여하는 민관합동 기획단을 구성(’13.4)하여 중장기 복지

    확충, 재원확보 방안 등에 대한 사회적 합의 추진

    ㅇ 각 부처 및 지자체의 신설·변경 사업(제도)에 대해 협의·조정을 추진하되,

    현행사 업에 대해서도 단 계적으 로 조 정·연계 추진(’13.하반기)

    * 심층평가(’13.4∼8)를 통해 분야별 중복여부 검토 및 세부 조정방안 마련

  • − 39 −

    ㅇ 관계분야 전문가로 추계소위를 구성('13.4), OECD 공공사회지출 범위

    내에서 재정추계를 실시하여 국민부담과 지출수준에 대한 합의 유도

    * 전망전제·추계모형 협의(’13.5∼7), 추계실시(’13.5∼10), 공청회(’13.11), 위원회(’13.12)

    ㅇ 국가·지자체의 사회보장통계 전체에 대해 국제비교, 정책성과 측정이

    용이한 OECD SOCX 기준 등으로 체계적인 정비 추진

    * 국민의 이해도 제고를 위해 통계 DB화, 연보, 분석보고서 발간(’13.12)

    〈 ’13년도 과제추진 계획 〉

    구분 추진계획 세부일정 비 고

    2/4분기사회보장위원회(실무위원회, 전문위원회) 구성 ’13.4월사회보장기본계획 수립 민관합동기획단 구성 ’13.4월

    3/4분기 신설·변경사업 협의·조정 결과 보고 ’13.7월

    4/4분기

    제4차 사회보장기본계획(’14~’18) 수립 ’13.11월신설·변경사업 협의·조정 결과 및 현행 복지사업 연계·조정방안 위원회 보고

    ’13.12월사회보장통계 연보 및 분석보고서 발간 ’13.12월사회보장 중장기 재정추계 결과 위원회 보고 ’13.12월

    □ 수 혜자 및 이해 관계집단

    ㅇ 수혜자 : 일반 국민

    ㅇ 이해관계자 : 관계부처, 지자체

    □ 기대효과

    ㅇ 사회보장정책의 제 분야를 포함한 범 부처적 장 기비 전 수 립 으로,

    부처간 정책 정합성 제고 및 국민의 복지체감도 향상

    ㅇ 사회보장제도의 운영 효율성 제고 및 수요자 중심의 복지체계 확립

  • − 40 −

    ㅇ 사회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지속가능한 사회보장체계 구축

    ㅇ 향후 변화된 정책여건과 다양한 복지확충 논의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공론의 장으로 활용

    □ 관련 재정사업 내역

    (단위 : 억원)

    회계구분1」

    ’13 ’14

    사회복지사업지원(Ⅰ-2-일반재정②) ① 사회복지사업지원(2631) 일반 9 26 ▪평생사회안전망 구축 및 사회보장위원회 운영지원(304) 9 26

    □ 성과지표 및 측정방법

    성과지표실적 목표치

    ’13 목표치 산출근거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자료수집 방법

    또는 자료출처

    (성과측정시 유의사항)’10 ’11 ’12 ’13

    사회보장정책 연계·조정 건수

    - - - 30 사회보장제도 국정과제 건수 등을

    종합 고려하여 설정

    사회보장기본계

    획 수립/사회보

    장위원회 회의안

    건 상정/관계부

    처 회의 결과

    내부 문서

  • − 41 −

    국민의 기본적 생활 보장 내실화( Ⅰ-1-③ )

    □ 추진배경 ( 목적)

    ㅇ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거 보호가 필요한 비수급빈곤층의 발굴‧

    보호 등 기초생활보장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적정급여 관리 및

    탈수급 지원 강화로 국민의 기본적 생활 보장을 내실화할 필요

    □ 주요내용 및 추진계획

    ㅇ 부양의무자 기준의 합리적 완화, 이행급여 확대 및 근로유인체계

    강화 등을 통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에 대한 생활보장 내실화

    - 부양의무자 기준의 합리적 완화, 탈수급 촉진을 위한 이행급여

    확대 및 취약계층에 대한 근로인센티브 강화(’13.1월∼)

    - 보장시설 급여기준 적정화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추진(’13.2월∼6월)

    - 생계가 곤란하나 국가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계층에 대해서는

    지방생활보장위원회 활성화 등을 통해 적극 발굴 보호(’13.1월∼)

    ○ 맞춤형 복지급여 체계 구축을 위한 기반 마련

    - 개편관련 주요 사항의 집중적 업무 수행, 법령 개정 및 제도 이행

    준비를 위한 ‘맞춤형 복지급여 TF’ 구성 운영(’13.3월)

    - 맞춤형 급여체계 개편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 추진(’13.4월∼11월)

    - ‘맞춤형 급여체계 개편방향’을 국무총리 주재 ‘사회보장위원회’

    상정 및 심의를 통해 확정(’13.5월)

    - 중앙생활보장위원회 논의를 거쳐 급여별 선정 및 수급기준 등

    세부 시행방안 마련(’13.10월)

  • − 42 −

    〈 ’13년도 과제추진 계획 〉

    구 분 추진계획 세부일정 비 고

    1/4분기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이행급여 확대 등 ’13년 제도개선사항 시행 ’13.1월 보장시설 급여기준 적정화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 추진 ’13.2월 맞춤형 복지급여 TF 구성‧운영 ’13.3월

    2/4분기

    기초생활보장제도 운영 관련 현장점검 ’13.4월 맞춤형 급여체계 개편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 추진 ’13.4월 ‘맞춤형 급여체계 개편방향’ 사회보장위원회 심의‧확정 ’13.5월

    3/4분기 ’14년 최저생계비 결정 ’13.8월 ’14년 제도 개편을 위한 예산 확보 추진 ’13.9월

    4/4분기

    급여별 선정 및 수급기준 등 세부 시행방안 마련 ’13.10월 지방생활보장위원회 활성화실적 분석․평가 ’13.12월 ’14년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지침 개정안 마련 ’13.12월

    □ 수혜자 및 이해관계집단

    ㅇ 수혜자는 소득인정액이 최저생계비 이하인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이며, 이해관계인은 부양의무자와 소득인정액이 최저생계비의

    120% 이하인 차상위계층 및 비수급빈곤층

    □ 기대효과

    ㅇ 비수급빈곤층 발굴‧보호, 적정 급여관리 및 탈수급 지원, 맞춤형

    복지급여체계 전환 기반 마련 등을 통한 국민의 기본적 생활보장

    내실화

  • − 43 −

    □ 관련 재정사업 내역

    * ’12년도 시행계획의 ‘관련 예산사업’ 항목을 ‘관련 재정사업’ 항목으로 변경

    (단위 : 억원)

    회계구분 ’12 ’13

    기초생활급여(Ⅰ-1-일반재정①) ① 기초생활급여(1131) 일반회계 30,320 33,108

    (31,279) (34,050)

    ▪생계급여(300) 23,618 25,902 ▪주거급여(301) 5,194 5,692 ▪교육급여(302) 1,356 1,294 ▪해산장제급여(303) 152 220

    □ 성과지표 및 측정방법

    성과지표실적 목표치

    ’13 목표치 산출근거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자료수집 방법또는 자료출처

    (성과측정시 유의사항)’10 ’11 ’12 ’13

    신규수급자 발굴률

    (공통)

    6.94 8.94 9.32 9.62 행복e음을 통해 파악된 과거 실적

    치 증가율의 감소 추세 등을 감안

    하여, ’13년 목표치를 ’12년 실적치보다 0.3% 상향 조정

    (신규수급자수/

    총 수 급 자 수 )

    ×100

    행복e음

  • − 44 −

    맞춤형 자활경로 설계를 통한 탈빈곤 지원(Ⅰ-1-④)

    □ 추진배경(목적)

    ㅇ 자활사업을 통해 기초수급자, 차상위층 등에 대한 일자리 제공으로

    사회통합에 기여하고, ‘일하는 복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대

    - 자활사업 수혜자 확대, 대상별 프로그램 다양화(희망리본, 희망

    키움통장 등), 인프라 확충 등으로 자활성과가 지속적으로 향상

    * 자활성공률 : 자활사업에 참여한 기초수급자 중 탈수급하였거나, 취·창업에

    성공한 비율 [16.9%(’09) → 19.7%(’10) → 21.8%(’11) → 28.3%(’12)]

    - 다만, 통합․보충형 급여체계에서 근로유인이 낮고, 보호된 자활

    사업에 안주하려는 경향이 높으며, 자립․자활지원 정책대상 협소

    ㅇ 근로빈곤층에 대한 맞춤형 자활경로 설계지원, 고용-복지 연계

    강화를 통해 자활성과 제고 및 탈수급․탈빈곤 촉진 필요

    * 기초수급자 139만명(’12년말) 중 근로능력수급자 23만명(조건부수급자 4.7만명, 취업

    수급자 10만명, 가구여건․학생 등 조건부과제외․유예자 9만명 등)

    □ 주요내용 및 추진계획

    ㅇ 근 로 빈 곤 층이 실질적으로 빈 곤 에 서 탈출할 수 있도록 자립 ․

    자활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시장참여형 자활사업 참여 촉진

    - 근로빈곤층이 실질적으로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차상위 기준을

    최저생계비 120%에서 중위 소 득 50% 이하로 확 대 개편

    * 급여체계 개편과 병행하여 자립․자활지원대상(차상위층 기준) 확대, 근로

    유인형 급여체계 구축 추진

    ㅇ 미취업수급자보다 취업자가, 보호된 시장에서 일하는 것보다 일반

    시장에서 일할수록 더 유리한 급여체계로 개편

    - 자산형성지원사업(희망키움통장) 자활참여자, 차상위층으로 확대 추진

  • − 45 −

    - 기초수급자 맞춤형 개별급여체계 개편, EITC 확대와 연계하여,

    근 로 능력자 근 로 연계급여체계, 자활장 려 금 개편 방안 마 련

    ㅇ 수요자 맞춤형 고용-복지 통합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지자체

    중심 One-Stop & Multi-service 도입

    - 고용센터(취업성공패키지)와 지자체(희망리본, 자활센터 등)간 유기적

    연계를 통하여 맞춤형 고용-복지 선 순환 체계 구축

    - 고용-복지 연계 강화를 위해 ‘ 내일행복지원단’ 시범설치․운영

    ㅇ 자활사업 참여대상 분류체계를 객관화하고, 다양한 자활인프라가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형․성과중심형 자활사업 추진

    - 근로능력․자활역량판정 인프라 개선 및 사회적 협동조합, 사회적

    기업 등으로 자활센터 기능 단계적 전환 방안 모색

    〈 ’13년도 과제추진 계획 〉

    구 분 추진계획 세부일정 비 고

    1/4분기

    ◦ 희망리본 전국사업 확대실시 및 대상자 모집 ’13.1월◦ 희망키움통장 대상확대 모집 및 내일키움통장 신규실시 ’13.1월◦ 일을 통한 빈곤탈출 지원 관계부처 협의체 구성 및 Kick-off '13.3월

    2/4분기

    ◦ ’13년 종합자활지원계획 수립․시행 ’13.4월◦ 일을 통한 빈곤탈출 지원 추진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 실시 ’13.4월◦ 취업성공패키지-희망리본 대상자 선정, 맞춤형 고용-복지서비스

    연계 방안 마련’13.5월

    3/4분기 ◦ 자산형성지원사업 확대․개선(안) 마련 ’13.9월

    4/4분기

    ◦ 내일행복지원단 시범설치(안) 마련 및 시범사업 실시 ’13.10월◦ 자활센터 기능개편 방안, 자활사업의 사회적경제 개방 및 민간시장 연계

    방안 마련’13.11월

    ◦ 자활사업 이력관리․통계 선진화 ’13.12월◦ 빈곤예방과 탈출 지원을 위한 저소득층 자립지원법(안) 마련 ’13.12월

  • − 46 −

    □ 수혜자 및 이해관계집단

    ㅇ (수혜자) 근로능력있는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자

    ㅇ (이해관계집단) 지역자활센터 종사자

    □ 기대효과

    ㅇ 자활근로사업 활성화를 통한 근로의욕․직업역량 향상으로 근로능력

    있는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자의 탈빈곤․탈수급 촉진

    □ 관련 재정사업 내역(단위 : 억원)

    회계구분1」

    ’12 ’13

    자활지원(Ⅰ-1-일반재정②) 2」자활지원(1137) 5,328 5,790

    ▪자활사업(300) 4,429 4722▪자활지원센터 운영지원(301) 72 150▪생업자금 이차 및 손실보전금(306) 10 9▪자활장려금(307) 374 389▪근로능력있는 수급자의 적극적 탈수급 지원(309) 374 434▪근로능력 심사 및 평가운영(311) 69 86

    □ 성과지표 및 측정방법

    성과지표실적 목표치

    ’13 목표치 산출근거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자료수집 방법

    또는 자료출처

    (성과측정시 유의사항)’10 ’11 ’12 ’13

    자활성공률(%) 19.7% 21.8% 28.3% 30% ’12년 조건수급자 선정 소득기준 변경에 따른 자활참여자 모수 증가를

    감안하여 목표치 산출

    [탈수급자(자활

    특례포함)+취업․창업자]/자활사

    업참여수급자(근

    로유지형,사회적

    응프로그램등제

    외) × 100

    시도별 자활사업

    통계자료 취합

  • − 47 −

    의료급여의 효율적 관리․개별급여방안 마련 등 의료 안전망 강화(Ⅰ-1-⑤)□ 추진배경( 목적)

    ㅇ 빈곤정책이 통합급여에서 욕구별 맞춤급여로 전환됨에 따라 이에

    맞는 의료급여제도(개별급여) 운영방안을 마련하여 수급권자의

    의료접 근 성 제고와 필수적인 의료이용 보장을 위해 의료급여

    보장 범 위 및 수 준을 지속적으로 확대

    ㅇ 의료급여 관리운영 체계 개선․사례관리를 활성화하여 수급자의

    적정의료 이용 및 건강수준 향상 도모

    ㅇ 의료급여기관에 대한 현지조사를 통해 공급자의 적정진료 유도 및

    의료급여 재정누수 방지

    □ 주요내용 및 추진계획

    ㅇ 기초생활보장제도 급여체계가 통합급여에서 개별급여로 전환됨에

    따라 의료급여 운영체계 방안 마련

    ㅇ 의료급여 보장성 강화

    - 의료급여수급권자 대상 희귀난치 성 질환 대 상 확 대 (107→

    144개)하여 해당 환자의 모 든 진료( 급여) 에 본 인부담 면제,

    전수급자 일반건강검진 실시 및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노 인 부분틀니 급여화 등 보장범위 확대

    ㅇ 지자체 의료급여 관리운영 체계를 강화하고 의료급여 사례관리를

    활성화하여 수급자의 적정의료 이용 및 건강수준 향상 도모

    - 건강생활유지비 지원 제도(先 차감제 도입) 및 연장승인제도

    개선(누적방식→ 차감방식), 타법수급자 선정 및 자격관리 개선,

    중복투약 관리 강화(제재예외자 범위 축소)등 의료급여 관리운영

    체계 개선

  • − 48 −

    - 사례관리 실시(고위험군, 집중군, 장기입원자 사례관리․심사연계사업

    전국 확대) 및 평가

    ㅇ 의료급여기관 현지조사(160개소)를 통해 의료공급자의 적정진료 유도

    〈 ’13년도 과제추진 계획 〉

    구 분 추진계획 세부일정 비 고

    1/4분기

    의료급여 건강생활유지비 의무 선차감제 실시 ’13.1월현지조사 계획 수립 및 현지조사 실시 ’13.1월∼의료급여법 정부개정안 국회 상정 ’13.2월의료급여 산정특례 개선안 및 관련 법령·고시 개정안 마련 ’13.2월장기입원자 사례관리․심사연계사업 추진 계획 수립 및 설명회 개최 ’13.2월의료급여보장기관 현장점검 계획 수립 및 점검 실시 ’13.3~4월타법수급자 자격 정비 ’13.3월

    2/4분기

    의료급여제도 발전을 위한 시도 및 시군구 관계자 워크숍 개최 ’13.4월의료급여 산정특례 개선안 확정 및 관련 법령·고시 개정 추진 ’13.5월개별급여체계 도입 및 세부실행 방안 연구용역 추진 ’13.6월의료급여 중장기 발전방안 공청회 개최(연구용역) ’13.6월

    3/4분기

    임신․출산진료비 등 의료급여 기준 정비(1일 한도액 폐지, 한방기관 확대) ’13.7월의료급여 부분틀니 확대 적용 ’13.7월장애인보장구 지급품목 확대(자세유지보조 기구) ’13.7월의료급여 동일성분 의약품 중복투약자 관리 강화 ’13.8월

    4/4분기

    의료급여보장기관 하반기 현장점검 계획 수립 및 점검 실시 ’13.10~11월의료급여사업 시도 및 시군구 평가대회(워크숍)개최 ’13.12월장기입원자 사례관리․심사연계사업 추진 결과 보고 ’13. 12

  • − 49 −

    □ 수혜자 및 이해관계집단

    ㅇ 수혜자

    - 기초생활수급자와 국가유공자․북한 이탈주민 등 타법에서

    정하는 의료급여 수 급권 자

    ㅇ 이해관계집단

    - 의료기관, 의료인 등 의료기관 종사자, 의약품‧치료재료 및

    보장구 제조업자 등

    □ 기대효과

    ㅇ 의료급여 수 급권 자의 의료접 근 성 제고 및 건강권 강화

    ㅇ 의료급여의 효율성 제고를 통한 재 정안 정화 및 제도의 지속

    가능성 확보

    □ 관련 재정사업 내역

    * ’12년도 시행계획의 ‘관련 예산사업’ 항목을 ‘관련 재정사업’ 항목으로 변경

    (단위 : 억원)

    회계구분 ’12 ’13

    의료급여지원-수급자 건강상태점수(Ⅰ-1-일반재정②) ① 의료급여(1132) 일반회계 39,817 42,483

    (39,817) (42,483)

    ▪의료급여관리(300) 5 5 ▪의료급여경상보조(302) 39,812 42,478

    □ 성과지표 및 측정방법

    성과지표실적 목표치

    ’13 목표치 산출근거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자료수집 방법

    또는 자료출처

    (성과측정시 유의사항)’1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