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청정기인증(ca마크 및...

45
공기청정기 인증(CA마크) 공기청정기의 올바른 선택 2016. 12. 한국공기청정협회 차성일 전무

Upload: others

Post on 17-Sep-2019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공기청정기 인증(CA마크) 및

공기청정기의 올바른 선택

2016. 12.

한국공기청정협회차성일 전무

한국공기청정협회 소개

실내공기청정기 단체표준인증(CA마크)

공기청정기의 올바른 선택

CONTENTS

공기청정기의 시장동향 및 전망

해외표준 및 인증

한국공기청정협회 소개

클린룸, 공기청정 및 환경제어, 다중이용시설등의 실내 및 실내환경 제어산업 의 자

주적 개발과 도입 기술의 소화, 개량을 통하여 국가산업 발전과 국민복지 향상에 이

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 설립목적

■ 설립근거

본협회는 1987년에 설립된 한국공기청정연구조합을 모태로 하여 1997년 설립추진위원회

및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1998년 2월 환경부의 설립허가를 통해 설립되었습니다.

- 1996년 02월 : 제1회 공기청정협회 설립추진위 개최

- 1997년 10월 : 공기청정협회 설립 발기인대회 개최

- 1997년 11월 : 공기청정협회 창립총회 개최

- 1998년 02월 : 한국공기청정협회 설립(환경부 인가)

- 1998년 04월 : 협회 사무실 현판식(서울 여의도)

- 1999년 01월 : 협회 사무실 이전(서울 삼성동)

- 1998년 ~ 현재 : 제1 ~ 19회 공기청정협회 정기총회 개최

- 2015년 08월 : 협회 사무실 이전(서울 삼성동 현재위치)

▶ 공동기술개발 촉진사업

▶ 조사/연구사업

▶ 홍보출판사업

▶ 정부정책 및 관련사업

▶ 국제교류 및 국제 협력사업

▶ 학술대회 및 해외전시회 참가

▶ 클린룸 전문가 국제자격증

▶ 심포지엄 및 교육 사업

▶ 공기의 날 기념행사 개최

▶ 단체표준인증 (산업표준화법에 의한 법정임의 인증)

친환경건축자재단체표준인증

친환경생활용품단체표준인증

기능성건축자재단체표준인증

실내공기청정기단체표준인증

실내용가습기단체표준인증

실내용제습기단체표준인증

▶ 단체품질인증

에어콘용공기청정기단체품질인증

클린룸성능평가단체품질인증

에어필터단체품질인증

실내공기청정기 단체표준인증(CA마크)

9

한국공기청정협회에서 소비자에게 신뢰성 있는 실내공기청정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내공기청정기의

중요한 제품 성능에 대해서 실내공기청정기 단체표준(SPS-KACA002-132)의 인증심사기준에 따라 엄

격히 심사를 한 후 적합으로 판정을 받은 제품에게만 부여하는 단체표준 인증마크 입니다.

■ CA마크란?

■ 적용범위

본 인증시험은 KC 안전인증에 의거 제품안전시험(전기안전형식승인 취득)을 통과한 제품으로 정격풍량이

2㎥/min 이상 ~ 16㎥/min 이하인 주로 일반가정 및 사무실 등에 설치하여 미세먼지 제거 및 유해가스 제

거를 하는 실내공기청정기(이하 “공기청정기”라 한다)에 대하여 적용합니다.

10

1. 신청서제출 2. 접수 및 확인 3. 공장심사(시험체선정)

4. 인증 시험 진행

5. 시험결과 발행6. 심의위원회 개최

7. 시험성적서 발행

9. CA인증서 발행 10. CA마크사용 11. 인증제품 사후관리

신청업체 협회 협회 > 업체

시험기관

시험기관 > 협회협회

협회 > 업체

협회 > 업체 업체 협회

제품을 제조하는 공장의 기술적 생산조건이 인증심사기준에 적합한 지 여부를 심사

■ 공장심사

인증신청 공장심사 적부판정

■ 공장심사

공장심사 항목

심사사항 항목(핵심) 내용 비고

1. 품질경영 5(1)사내표준화 및 품질경영, 품질관리담당자 지정, 제품개선활

일반 항목(2.5점)

핵심품질항목(5점)

2. 자재관리 6(1) 주요 자재관리, 자재에 대한 사내표준, 자재 품질 검사 등

3. 공정ㆍ제조설비 관리 8(1)공정별 관리, 중간검사, 공정에 대한 사내표준, 부적합품 관

리 등

4. 제품 관리 6(2) 제품 품질에 대한 사내표준, 제품의 품질 검사, 제품 분석 등

5. 시험ㆍ검사설비 관리 3(1) 시험 검사 장비 보유/관리 내용 및 시험기관 위탁내용,

6. 소비자보호및환경ㆍ자원관리 5(1)소비자 보호 및 불만/피해보상 규정, 제품 표시사항,

작업환경, 직원교육

계 33(7)

13

■ 제품심사

제품의 품질이 단체표준 인증기준에 적합한 지 여부를 심사

시 험 항 목 단 위 기 준 비 고

정격풍량 CMM - 최대운전

미세먼지 제거효율 % 80 0.3 ㎛

미세먼지 제거능력 ㎥/min - 0.3 ㎛

오존발생농도 ppm 0.03 이하 -

유해가스 제거효율 % 70최대운전, 챔버크기 : 8

소 음 dB

- 5 CMM 이하: 45dB이하

- 5 ~ 10 CMM : 50dB이하

- 10 ~ 20 CMM : 55dB이하

최대운전

14

■ 미세먼지 제거효율(집진효율)

공기청정기를 가동 후 일정양의 먼지를 통과시켜 집진 되어지는 효율시험

입자계수기

시험체

AIR AIR

청정용필터

에어로졸발생기

Ci CO

미세먼지 제거율 측정 시험장치 예

- 시험입자 및 크기 : KCL 0.3㎛

- 시험먼지농도 : 1~3 x 108㎥

- 측정방법

: 입구쪽 농도와 출구쪽 농도를 측정

하여 집진효율 산출

15

■ 유해가스 제거효율(탈취효율)

유해가스 대표 5개 물질에 대해 공기청정기가 제거 할 수 있는 효율시험

활성탄 필터

송풍기

가스 발생기

밀폐챔버

배기

시험체

교반팬

디퓨져

유해가스 제거시험 챔버 및 단면도

- 대상가스 : 폼알데히드, 톨루엔, 초산

아세트알데히드, 암모니아

- 가스농도 : 10ppm

- 챔버크기 : 8㎥ 챔버

- 시험방법

: 초기가스농도 측정 후 제품을 30분간

가동 후 가스농도를 측정하여 유해가스

제거효율 산출

16

■ 청정화능력

공기청정기의 대표 성능으로 공기정화능력 성능 시험

입자청정화 능력 시험 챔버 및 단면도

- 시험입자 및 크기 : KCL 0.3㎛

- 시험먼지농도 : 1~3 x 108㎥

- 챔버크기 : 30㎥ 챔버

- 제품설치 : 바닥위 70cm / 벽면 5~10cm

17

운전감소 입자농도곡선

자연감소 입자농도곡선

- 시험방법

: 제품을 가동하여 20분간 측정 또는 초기입자농도의 1/10이

되는 시점까지 측정(운전감소)

: 제품을 가동하지 않고 20분간 측정(자연감소)

: 운전감소와 자연감소의 측정결과를 통해

청정화능력(CADR) 산출

18

■ 적용면적

공기청정기의 적용면적은 실내에 설치하였을 경우 1시간당 1회의 자연환기조건에서 공기청정기를

10분동안 가동하여 실내입자농도를 초기입자농도의 50%로 낮출 수 있는 실내의 면적으로 정의하여

실내 천고는 평균 2.4m를 기준으로 적용하여 산출한다.

)( ne kkVP

A :적용면적(평)P :미세먼지 제거능력(㎥/min)

표준 사용면적 산출에 사용되는 미세먼지제거능력은 다음 공식으로 산출한다.

P :미세먼지 제거능력(m3/min)V :시험 챔버 체적(m3)ke :운전 감소시 감소 상수(min-1)kn :자연 감소시 감소 상수(min-1)

A 2.4 x P

19

- 현재 23개업체 131개제품 인증 취득

■ CA인증 취득 업체

번호 회사명 인증제품수

1 삼성전자(주) 15

2 코웨이(주) 21

3 LG전자(주) 19

4 (주)위닉스 14

5 (주)영우워터라인 1

6 블루스카이 5

7 청호나이스(주) 11

8 (주)교원 6

9 에코시스 1

10 (주)이엔드디 1

11 동양매직 4

번호 회사명 인증제품수

12 ㈜대유위니아 5

13 (주)뉴로시스 1

14 쿠쿠전자 12

15 ㈜원봉 1

16 ㈜경희 1

17 ㈜프렉코 3

18 대영전자㈜ 1

19 오텍캐리어㈜ 2

20 ㈜아트라젠 2

21 (주)디케이산업 2

22 ENVION LLC 1

23 세스코 2

- 국내 유통 제품 중 약 70% 이상 CA마크 취득

해외인증 현황

21

미국가전제품제조자협회에서 운영하고 있는 공기청정기 인증으로 공기청정능력을 먼지(Dust), 담배연

기(Tobacco smoke), 화분(Pollen)에 대하여 CADR(Clean Air Delivery Rate, 청정공기공급율)로 표시하

고 있으며, 법정임의인증이지만 북미로 제품을 수출할 경우 필수로 취득해야 하는 인증 입니다.

■ 미국 AHAM(미국가전제품제조자협회)

■ 중국 CQC 인증(중국자율인증)

CQC 인증은 중국 질량 인증 중심 인증기관에서 추진하는 자율성 제품 인증 중의 하나로 제품의 품질

안전 성능 전자파등 인증 요구 부합 여부 확인 하여 인증을 부여하는 인증으로 자율인증이지만 중국내

판매사 및 바이어 그리고 통관 등의 이유로 대다수의 공기청정기 제품이 중국 진출 시 취득하고 있는

인증입니다.

■ 일본 JEMA 인증(일본전기공업협회)

공기청정기의 성능에 관해서는 전압변동, 시동, 소비전력, 온도, 절연(절연저항, 내전압, 누설전류), 풍

량, 소음, 탈취성능, 스위치, 코드의 굴곡, 기계적 강도 등을 규정하고 있으며, 구조에 대해서는 구조일

반, 배선, 접지 등을 규정하고 있다. 부가적으로 사용재료에 대한 규정도 두고 있습니다.

22

PRR(Particulate Removal Rate)이란 영국의 규격 시험기관 Bsria에서 유럽 내의 공기청정기의 능력을

표시하고 관리하는 규격으로 공기청정기의 능력을 담배연기 제거 능력으로 평가하여, 시간당 청정한

공기를 얼마만큼 공급이 가능한가를 인정하는 유럽공인 규격이다.

■ 유럽 PRR 인증

■ 기타 해외인증

23

■ CA인증과 해외인증 비교표

일본 JEM

DOP 0.3마이크론

암모니아, 초산

아세트알데히드

(2018 )없음

국내표준과 유사

공기청정기의 시장동향 및 전망

25

■ 공기청정기 제조 및 판매업체 현황<약 100여개 업체>

<전기용품안전인증(KC인증) 취득업체 기준>

- 국내 공기청정기 제조업체는 약 100 여개 이다.

- 제조업체의 분류는 기계식(일반 필터식) 공기청정기가 가장 많으며, 습식과 음이온 방식 등이 있다.

국내 공기청정기 제조업체 현황

기계식 습식 음이온 및 기타

18%(습식)

12%(음이온 및 기타)

70%(기계식/필터식)

국내 주요 제조/판매업체

코웨이, 삼성전자, LG전자, 위닉스

청호나이스, 교원, 쿠쿠전자, 동양매직 등

수입 제품 판매 업체

샤오미, 샤프전자, 블루에어, 테팔

아이큐에어 등 20여개 업체

26

■ 국내 공기청정기 시장현황

- 2000년대 후반 신종플루를 비롯한 각종 바이러스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 짐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제품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임.

- 2011/12년 가습살균제파동을 비롯한 여론의 악영향으로 인해 에어솔루션 제품 전체 시장이 주춤

- 2013년 중국발 황사 및 초미세먼지의 영향으로 실내공기질에 대한 국민적인 이슈 및 관심도 증가

이로 인한 공기청정기 제품시장이 다시 성장세를 보임.

- 공기청정기의 신제품 개발과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공기청정기가 출시되어 소비자 구매욕구 상승

(먼지 및 유해가스 센서 탑재, IOT기술 접목, 제습/가습등의 복합 제품, 기타 여러가지 기능 탑재)

- 2016년 국내 공기청정기 내수시장이 100만대를 돌파 할 것으로 예상됨.

27

■ 국내 공기청정기 시장규모(내수 및 수출)

년 도

분 류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예상)

생산량(단위 : 만대) 60 70 75 85 80 70 90 130 150 180

판매량

내 수

수량(단위 : 만대) 50 50 55 60 50 30 60 80 90 100

금액(단위 : 백만원) 250,000 250,000 275,000 300,000 300,000 250,000 300,000 500,000 600,000 800,000

수 출

수량(단위 : 만대) 10 20 20 25 30 40 50 50 60 80

금액(단위 : 백만원) 30,000 6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5,000 150,000 200,000 300,000

※ 습식, 음이온 및 자동차용 공기청정기의 시장규모는 제외

28

■ 중국의 공기청정기 시장현황

- 중국의 도시화, 산업화에 따른 공기오염이 심화되면서 공기청정기 시장의 수요가 폭증

- 2013년과 2014년 중국 대도시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국가 기준치를 초과, 2015년 중국의 주요 74개

도시의 공기오염 측정결과 기준치 초과 일수가 56%에 다다름

- 중국의 공기청정기 시장은 2013년 부터 급속히 성장하기 시작하여 2014년 70억 위안(1조2천억)

이상으로 확대 되었으며, 2015년 전년도 대비 성장률이 약간의 감소 추이를 보이긴 하였으나,

제품의 판매량은 500만대 이상을 돌파.

- 2015년 공기청정기 시장의 성장률 감소는 증시폭락과 공기청정기에 대한 국가표준 발표에 따른

소비자들의 구매지체 현상이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2016년 다시 회복세로 돌아설 전망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증가

율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및 성장률112만대 10.9 126만대 12.5 240만대 90.5 300만대 25.2 500만대 66.6

[중국 공기청정기 시장 규모 및 성장율]

29

■ 미국의 공기청정기 시장현황

- 미국의 공기청정기 시장규모는 2014년 기준 7억716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5.9% 성장함.

- 2015년 400만대 이상의 공기청정기가 판매되면서 전년 대비 4.3% 증가했음.

- 미국 알레르기 및 천식센터 자료에 따르면, 현재 5천만~6천만 명의 미국인은 알레르기, 천식으로

고통을 받음. 알레르기 전문의 75% 이상이 알레르기 및 천식 치료를 위해 공기청정기를 추천하는 상황

- 일반적으로 실내공기가 실외공기보다 2~5배 정도 더 오염된 환경에서 미국인은 일생의 90%를 실내에서 생활하는

습관으로 인해 실내 공기청정기의 필요성이 높아질 전망

- 미국의 경기회복세로 소비심리가 회복되면서 생필품 외 건강과 관련 품목의 구매가 증가할 수 있다고 전망함.

- Euromonitor 자료에 의하면, 2013~2018년 동안 미국 내 공기청정기 판매량은 연평균 2.84%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나갈 전망

30

■ 일본의 공기청정기 시장현황

- 대기 및 실내공기오염으로 인한 건강 피해에 대한 우려 확대

- 각종 공기 중 바이러스 예방 등의 목적으로 공기청정기 구매 확대

- 일본내 공기청정기의 출하 금액은 2001년부터 2012년도까지 약 10년간 3배이상 증가

- 2009년부터 다소 성장이 침체되었으나 2012년부터 회복되어 점차 확대되고 있음

- 2012년 이후 감소세는 전혀 없으며 향후에도 수요의 확대가 늘어가 날것으로 판단

- 2014년 봄이후 꽃가루, 황사, 초미세먼지등에 대한 이슈로 인해 다시 한번 시장 확대

- 내수시장을 비롯한 해외수출도 활발해 지고 있으며 수출확대를 위한 국가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공기청정기도 제작하고 있음

- 일본전기공업협회 통계에 의하면 2012년도 일본내 공기청정기 판매대수는 전년대비 18% 증가한

약 290만대이며, 2016년까지 350만대 이상으로 증가 될 것으로 예상.

31

■ 중동지역의 공기청정기 시장현황

중동지역의 공기청정기 보급률은 현재까지 미미한 수준이지만 중동지역 자체의 환경요인으로 인해 점

차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중동지역은 1년 내내 모래폭풍으로 인해 황사를 비롯한 각종 유해물질이 대

기와 실내 공기질을 오염시키고 있어 공기청정기의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2015년은 3월과 5월에 수차례에 걸쳐 최악의 모래폭풍이 발생하여 수천명의 환자가 발생하기도

하였으며 공기오염으로 인한 질병과 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미세먼지의 심각성과 공기청정기의

필요성을 실감하여 공기청정기의 수요가 큰폭으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 된다.

2013년 시장 수요 10만대

2014년 시장 수요 20만대

2015년 시장 수요 예상 50만대 이상 예측

32

공기청정기의 올바른 선택

34

35

■ 기계식 공기청정기

기계식 공기청정기는 보통 필터를 이용하여 공기의 먼지나 불순물을 걸러서 정화하는 방식을

기계식 공기청정기라고 하며 공기청정기중 가장 보편적인 방식이다.

필터는 초미세먼지 제거가 가능한 공기청정기 헤파필터와 유해가스 제거용인 탈취필터가 기본구성을

이루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업체에 따라 제품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 필터가 장착되어 있다.

기계식 공기청정기의 구조

36

■ 전기식 공기청정기

전기식 공기청정기는 전기적인 방전 원리를 이용한 방식으로 강력한 집진력을 가진 집진판으로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방식이며, 집진판의 방전사에 고압의 직류전압이 흘러 흡입된 공기가 전위계

를 통과하면서 부유 물질을 순간적으로 소각 하는 방식이다.

전기식 공기청정기의 구조

37

1.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집진부가 있는 공기청정기!

공기청정기라면 반드시 먼지를 여과시키는 집진부(필터 등)가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집진부는 일반 부직포필터, 전기집진필터, 기타 워터필터 등이 있으며, 이 장치를 통해 먼지를 걸러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게 됩니다.

집진부가 없는 유사 공기청정기 유의!

2. 냄새 및 유해가스 제거 기능이 있는 공기청정기!

공기청정기는 먼지와 더불어 불쾌감을 일으키는 냄새나 인체에 유해한 유해가스를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CA인증을 취득한 제품은 5대가스에 대한 유해가스제거율 기준을

통과한 제품이기에 안심하고 선택 할 수 있습니다.

38

3. 오존이 발생되지 않는 공기청정기!

오존은 살균작용이 뛰어난 반면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인체에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오존의 살균 방

식은 세포막을 파괴하여 균을 제거하는 방식이기에, 우리의 인체도 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특히 중요

기관지인 허파는 직접 공기와 접촉되는 부위이기 때문에 유아 및 노약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공기청정기 구매 시 오존 발생량을 꼭 확인 후 구매 해야 합니다.

4. 공기청정기의 소음도 확인!

공기청정기는 제품의 특성상 24시간 가동해서 사용해야 하는 가전 제품이기 때문에 소음이 클 경우

사용하기에 불편할 수 있습니다. 취침시에도 가동해야하는 공기청정기의 특성상 소음도가 작은 제품

을 선택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을 최소화 하는 것이 좋습니다.

39

5. 우리집 평수에 알맞은 공기청정기!

공기청정기는 제품의 성능에 따라 적용면적이 다릅니다.

사용하고자 하는 평수에 적당한 제품을 선택해서 사용해야만 공기청정기의 성능을 100% 활용 할 수

있습니다.

6. 청소 및 유지관리가 간편한 공기청정기!

먼지를 여과시켜 공기정화를 하는 공기청정기 제품의 특성상 제품 내부에 많은 오염물질들이 쌓이게

됩니다. 이러한 오염물질은 주기적인 청소를 통해 제거 해야되기 때문에 청소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공기청정기를 선택하는 것이 좋으며, 또한 공기청정기에 사용되는 필터는 소모품

이기 때문에 필터의 교체가 용이해야 하며, 유지관리비용도 적당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

으로 제품을 사용 할 수 있습니다.

40

7. 성능을 검증 받은 공기청정기!

공기청정기 선택시 마지막으로 확인해야 할 사항은 “검증 받은 제품인가?” 입니다.

판매업자가 광고 및 설명하는 내용으로는 명확한 검증이 힘들기 때문에 신뢰할 만한 기관에서

검증을 받은 제품인지를 꼭 확인 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내공기청정기 단체표준인증(CA마크, 법정임의인증)

공기청정기의 제조공장과 제품성능에 대해 엄격히 심사하여 적합제품에만 부여하는 인증제도

KC인증(전기용품안전인증, 강제인증)

공기청정기를 생산 및 판매를 위해서 필수로 취득해야 하는 국가 강제인증

에너지소비효율등급표시(강제인증)

공기청정기의 소비효율과 에너지 사용량에 따라 1~5등급을 부여받아 표시하는 의무제도

41

1. 외관세척 2. 필터세척 3. 센서세척 4. 필터점검

5. 필터교체 6. 내부세척 7. 작동확인

■ 공기청정기 청소 및 관리

42

공기청정기는 필터관리가 필수 이다. 사용중인 필터의 종류와 교환방법을 미리 확인하여 오염된 필터

를 관리해주어야 한다. 또한 제품 구매시 필터의 수명(교체주기)을 꼭 확인하여 교환 및 청소를 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필터는 교환이나 청소를 제때 하지 않으면 오히려 오염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꼭 관리를 해주어야 한다.

■ 공기청정기 필터 관리

43

프리필터 관리

프리필터는 공기청정기 필터중 가장 앞쪽에 설치되는 필터로 머리

카락이나 털 등의 큰먼지를 걸러주는 필터로 대부분 플라스틱의 재

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물세척이 가능하며, 세척주기는 1주~2주 1

회이상 해주는 것이 좋다.

집진필터 관리

공기청정기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터로, 눈에 보이지

않는 초미세먼지를 비롯하여 황사, 진드기, 곰팡이 까지 걸러

주는 기능을 하는 필터 이다. 집진필터는 교체가 가장 보편적이며

교체주기는 제조사별로 상이 하나 보통 6개월 ~ 1년안에

교체 해주는 것이 가장 좋다

44

탈취필터 관리

탈취필터는 활성탄 또는 카본필터로 부르기도 하며, 제품마다 다른 형태로

되어 있으나 보통 검정색 필터가 탈취 필터이다.

탈취 필터는 여러가지 냄새 및 유해가스를 제거해주는 역할을 하는 필터로

집진필터와 마찬가지로 교체주기에 따라 꼭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인 교체주기는 6개월 ~ 1년 이다.

공기청정기의 청소

공기청정기는 필터관리 뿐만 아니라 제품의 외관과 내부를 깨끗이

관리하는것도 아주 중요하다. 제품의 청소는 깨끗한 걸레나 제품내에

동봉되어 있는 청소솔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청소를 하는 것이 좋다.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