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25
- 75 - 韓國敎員敎育硏究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009, Vol.26, No.2, pp. 7599.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효과분석*Effects of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모 경 환(서울대학교 교수)**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 구의 연수 프로그램은 서울대학교 중앙다문화교육센터에서 20088월에 1주일 30시간 실시 한 것으로, 대상은 수도권 초등학교 교사 115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Guyton & Welshe(2005)가 개발한 교사 다문화효능감 척도와 Ponterotto (1995)이 개발한 인종적 다양성에 대한 태도 문항을 우리 실정에 맞게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분석 가능한 68명의 자료에 대하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연수 후 세 명의 교사와 비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여 연 수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교사들 의 다문화적 효능감이 의미 있게 향상되었고, 참여 교사들이 인종적 다양성에 대하여 보다 개방적이고 관용적인 태도를 갖게 되었음이 나타났다. 면담 일지를 분석한 결과, 설문 결과와 마찬가지로 연수 프로그램은 교사들의 인식과 태도의 개선에 큰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고, 수업 기능 향상 측면에서도 개선의 기대를 나타내었다. 다문화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가 미흡 하고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에서 본 연구는 다문화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가능성과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주제어 : 다문화교육, 다문화적 효능감, 다양성에 대한 태도, 교사교육, 연수프로그램 * 이 논문은 2008118일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한 것을 수정 보완한 것임. ** [email protected] *** 원고접수(09.04.30). 심사(09.05.26). 수정완료(09.06.10)

Upload: others

Post on 26-May-2020

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75 -

韓國敎員敎育硏究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2009, Vol.26, No.2, pp. 75~99.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효과분석*1)

Effects of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모 경 환(서울 학교 교수)**2)

요 약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을 한 교사 연수 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한 것이다. 본 연

구의 연수 로그램은 서울 학교 앙다문화교육센터에서 2008년 8월에 1주일 30시간 실시

한 것으로, 상은 수도권 등학교 교사 115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수 로그램의 효과를

악하기 해 Guyton & Welshe(2005)가 개발한 교사 다문화효능감 척도와 Ponterotto 등

(1995)이 개발한 인종 다양성에 한 태도 문항을 우리 실정에 맞게 번역하여 사용하 다.

자료 분석을 해서는 사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 고 분석 가능한 68명의 자료에 하

여 paired t-test를 실시하 다. 한 연수 후 세 명의 교사와 비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여 연

수 로그램의 효과에 한 의견을 수집하 다. 연수 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교사들

의 다문화 효능감이 의미 있게 향상되었고, 참여 교사들이 인종 다양성에 하여 보다

개방 이고 용 인 태도를 갖게 되었음이 나타났다. 면담 일지를 분석한 결과, 설문 결과와

마찬가지로 연수 로그램은 교사들의 인식과 태도의 개선에 큰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고,

수업 기능 향상 측면에서도 개선의 기 를 나타내었다. 다문화 교사교육에 한 연구가 미흡

하고 교사연수 로그램의 효과에 한 연구가 무한 실정에서 본 연구는 다문화교사연수

로그램의 가능성과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주제어 : 다문화교육, 다문화 효능감, 다양성에 한 태도, 교사교육, 연수 로그램

* 이 논문은 2008년 11월 8일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국제학술 회에서 발표한 것을 수정 보완한 것임.

** [email protected]

*** 원고 수(09.04.30). 심사(09.05.26). 수정완료(09.06.10)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6권 제2호

- 76 -

Ⅰ. 문제제기

우리 사회는 격한 인구학 변화와 함께 다문화사회로 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구학 변화가 유발하는 과제와 문제에 응하는 교육 ․제도 노력은 미흡하다. 최근

우리 사회에 증하고 있는 다문화가정은 차 우리 사회 내의 소수 집단을 형성하고 있

다. 이들은 한국 사회에서 응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부분 경제 으로 하

계층에 속한다. 다문화가정 구성원을 한국 사회에 응시키고 정착시키기 한 정부 차

원의 다양한 정책이 실시되고 각종 시민단체의 활동이 다방면에서 개되고 있으나 여

히 편견과 차별, 낮은 소득, 사회부 응 등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새로운 교육 소외 계층으로 떠오르고 있다. 상당수가 기 학

습 능력이나 언어 능력 부족으로 학습 부진 학교 부 응 문제를 호소하고 있으며, 놀림

이나 따돌림, 정체성 혼란 등으로 인한 정서 고통을 경험하는 비율이 일반 학생 보다 높

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문화 다양성의 증가는 소수자 학생들의 건 한 발달을 지원하

기 한 정책 배려를 요구하고 있다(조 달, 2006). 동시에 우리 사회의 기존 시민들, 특

히 주류 청소년들에게 문화 ․민족 소수자들에 한 용 이고 개방 인 태도를 길러

주고 21세기 다문화사회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도록 하는 것이 요한 교육 과제

로 제기되고 있다.

다양성의 증가로 인한 이러한 교육 과제를 해결하기 해 각 학교의 교사들은 학

생들의 다양한 문화 ․민족 배경에 민감해야 하며, 이러한 다양성이 교육과정이나 교실

수업에서 야기하는 과제와 문제들에 하게 처할 수 있어야 한다. 교사들은 다문화가

정 자녀 학생들의 응을 돕고, 주류 학생들의 다문화 태도를 육성하는 책무를 이행해야

한다. 그런데 재 다수의 교사들은 교실의 문화 다양성이 요구하는 교사의 책무나 역

할에 한 교육이나 연수 경험이 없다. 교사교육과정을 운 하고 있는 다수 학에서 다

문화가정이나 다문화교육에 한 강좌를 개설하고 있지 않으며, 직 교사를 한 연수

로그램에서 다문화교육에 한 강좌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다문화 교실환경에 하게 되는 교사들이 경험과 인식 부족으로 당혹감과 어려움을 호

소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어려움은 단순히 교사 개인의 문제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

문화가정 학생의 학업 성취 학교 응, 다수 집단 학생들의 소수자에 한 인식과 태도,

학 역동 등에도 부정 인 향을 미치게 된다.

다문화교육을 한 교육과정과 교과서 학습 자료, 교수-학습 방법 등이 충분히 개발,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로그램 효과분석

- 77 -

보 되지 않은 상황에서 다문화교육에 한 교사의 역할은 단히 요하다. 국가 차원에

서 지원하고 제공하는 표 화된 자료가 미흡하여, 다문화교육의 방향과 실천 여부가 교사

의 인식과 노력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 연구는 교사의 인식과 실천 없이는

다문화교육이 성공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교사 연수 로그램을 기획하고

시행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 이를 해, 국내외 다문화 교사교육

로그램을 검토하고 다문화 교사연수를 희망하는 교사들의 요구를 반 하여 연수 로그

램을 기획하고 시행한 후, 그 효과를 교사의 다양성에 한 태도와 다문화 효능감의 측

면에서 분석하 다.

Ⅱ. 다문화교육을 한 교사교육

1. 교사 교육과 다문화 역량

최근 많은 연구들이 다문화 교육에서 교사가 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상당한 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Banks & Banks, 2004; Clark et al., 1996; Nieto, 2004; 권

순희, 2007; 박남수, 2007; 장원순, 2009; 장인실, 2008). 즉 교실 내 문화 다양성에 효과

으로 응하기 해서 교사들의 인식과 실천이 요함을 제기하고 교사교육과정의 개

선과 교사연수의 확 를 주장하는 연구가 꾸 히 증가하고 있다. 다문화교육을 한 교

육과정과 교과서 학습자료, 교수-학습방법에 한 국가 차원의 자료 개발과 보 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장의 다문화교육은 일선 교사의 개별 역량에만 의존하

고 있는 상태이다. 문제는 비 교사 직 교사를 상으로 하는 다문화 교사 교육

로그램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국 16개 사범 학 (일반)사회교육 공 학과의

2006년 교육과정을 조사해 본 결과 “다문화교육”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강좌는 인하 학

교의 “다문화교육론”이 유일하 다. 그 외 3-4개 학에서는 문화변동이나 사회․문화교

육을 다루는 과목에서 1-2주 혹은 2-3주에 걸쳐 다문화교육을 주제로 다루고 있는데(모

경환․황혜원, 2007), 이 같은 실정은 2009년 재 개선되지 않고 있다1).

1) 국제이해교육이나 세계화교육은 포함시키지 않았다. 한편, 교육과학부의 지원 아래 2009학년도부터 국

교육 학에 다문화교육 로그램을 개설하고 있는 것은 매우 고무 인 일이다. 이화여 사회생활학과에

서는 "여성, 가족, 사회문화교육"라는 강좌명을 2009학년도부터 “여성, 가족, 다문화교육"로 바꾸어 개설하

고 있는데, 다문화주의와 다문화교육에 하여 강좌명 변경 과 마찬가지로 1주간 다루고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6권 제2호

- 78 -

이러한 직 교육의 미비는 곧바로 직 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한 비 상태에 직

인 향을 주고 있다. 경기도 내 ․ 등 교사를 상으로 실시한 조사연구에 따르

면, 다문화교육과 련된 학부 강의를 수강한 경험이 있는 교사는 설문 상자 294명

6명(2.2%)에 불과 하 으며, 교사 연수에서 다문화교육 련 강의 수강 경험이 있는 교

사는 단 4명(1.4%)뿐이었다(최충옥․모경환, 2007). 교사 스스로도 다문화가정 자녀를 지

도할 비가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는 경우가 부분이다(모경환․황혜원, 2007). 따라서

다문화교육을 한 교사교육과정의 변화와 직 비 사회과교사를 한 교사교육

과정의 개선과 로그램 개발이 무엇보다 시 히 요구된다.

다문화교육과 련하여 교사 교육의 목 은 문화 으로 다양한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도록 교사를 비시키는 것이다. 교사 자신의 다문화 태도를 고양시키고, 다문화

학 을 가르칠 수 있는 역량을 강화시켜야 한다. 한 교사 교육 로그램은 소수자 학

생들에 한 교사의 기 수 을 높이고 이러한 학생들의 문화 경험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교사의 다문화 자질 함양을 한 교사 교육은 다양한 근 방식

으로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교사 양성 과정에서 이론 강좌나 실습 연계 강좌를 제공하

거나, 교사 교육과정 체를 개편할 수도 있다(Sleeter, 2001). 동시에 다문화 교육과

련된 제반 이론과 실제와에 한 내용을 교사 교육과정에 포함시켜야 한다. 표 으로

문화의 정의, 문화 다양성, 문화상 주의와 보편주의, 문화내․문화간 차이 등에 한

역사 , 재 을 탐구하고 다문화 교실 수업을 한 수업 략, 반편견(anti-bias)

수업 략, 그리고 가족과 지역사회의 역할 등에 해 다루어야 한다. 한 비교사에

게 다문화교육 련 과목들을 수강하도록 하는 것 외에도 다문화가정 자녀들과 함께 교

육실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동안 교사들에게 요구되는 다문화교육 련 자질을 함양할 수 있

는 효과 인 교사 교육 과정을 구성하기 한 다양한 방식의 안들이 제시되어 왔다.

이들은 교사 개인의 다문화 역량의 향상에서부터 교육과정의 내용구성, 교사의 선발

과정까지 반 인 부분에 해 다루어 왔다. 컨 Bennett(1995)은 다문화 교사교육

모델을 구성하는 다섯 가지 핵심 요소를 제안하 다. 첫째, 인종 , 민족 , 언어 배경

이 상이한 아이들을 가르치는 데 필요한 자질을 기꺼이 배우려는 열망을 지닌 비 교

사를 선발해야 한다. 둘째, 교사 교육과정은 풍부한 역사 지식을 비 교사들에게

수해야 한다. 역사가 재의 사회 , 정치 , 경제 상황에 미치는 향에 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보다 넓은 역사 맥락 속에서 교사 자신과 가르치는 학생들

의 삶을 설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다양한 커뮤니 이션 방식을 이해하고 효과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로그램 효과분석

- 79 -

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문화 으로 갇힌(encapsulated) 삶에서 벗어나

시야를 넓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수 문가인 동시에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의사 결정 역량을 길러주어야 한다.

이처럼 다문화교육이 교사에게 요구하는 문성의 요소는 사회의 문화 다양성에

한 이해, 다문화가정 출신 학습자의 특성에 한 지식, 다문화교육 자료를 개발하고 활

용할 수 있는 능력, 소수자에 한 용 인 태도 등을 망라한다. 본 연구는 그 에서

도 다문화 효능감과 인종 다양성에 한 교사의 태도에 을 맞추어 그 요성과

이 들 요소에 한 교사 교육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가. 다문화 효능감

학생들을 잘 가르칠 수 있다는 자신감, 즉 교수에 한 효능감이 우수한 교사의 요

한 특성인 것처럼, 교사는 다문화 환경에서 효과 으로 가르칠 수 있다는 자신감, 즉

다문화 효능감(multicultural efficacy)이 필요하다(Guyton & Wesche, 2005: 23). 다문

화 효능감은 교사가 다문화 환경에서 학생들을 해 바람직한 결과를 산출하는 기

능과 능력을 소유하고 있다는 신념을 의미하며, 다문화교육을 실행하는 교사들에게 필요

한 자질 의 하나이다(Dembo & Gibson, 1985; Guskey & Passaro, 1994; 최충옥․모경

환, 2007).

Dilworth(2004)의 연구는 다문화 효능감이 다문화 수업 실행에 의미 있는 요인임

을 보여 다. 그녀의 연구에 따르면 학생들에게 다양성에 해 가르칠 수 있다는 자신감

이 있는 교사일수록 다문화 내용이 교육과정에 요한 요소라고 간주하는 경향이 있

어, 학생들의 능력, 문화, 흥미를 고려하여 수업을 설계한다. 이처럼, 교사의 효능감은 다

문화교육과정을 실행하는데 직 인 향을 미친다. 문제는 교사가 지니고 있는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한 인식과 이해도, 다문화 태도 수 은 반 으로 높은데 반하여,

실제 수업과 련된 효능감은 상 으로 매우 낮다는 것이다(최충옥․모경환, 2007). 이

는 문화 다양성과 련된 교사의 자기 계발 동기를 해하고 무력감으로 조장하여 다

문화교육과정 실천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교육과정과 교사연수 로그램을 통하

여 교사의 다문화 효능감을 증진시켜야 한다.

나. 다양성에 한 태도

다문화교육에서는 교육의 주체인 교사가 다양한 문화와 인종, 민족 등에 해 갖는 인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6권 제2호

- 80 -

식과 태도가 무엇보다 요하다. 따라서 교사 교육 로그램은 문화 다양성에 한 교

사의 자각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교사 자신의 편견이나 고정 념을 검하고 바로잡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편견이란 어떤 집단에 소속되어있다는 이유만으로 해당

집단의 구성원에게 갖는 이거나 부정 인 태도를 의미한다. 편견은 상에 한

정신 , 신체 공격 행 로 표 되기도 하며, 물리 해 행 나 사회구조 인 차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편견의 상이 되는 집단의 구성원들은 자존감의 감소

를 경험하게 될 수도 있다(Aronson, 1999).

그런데 사회과 비교사들을 상으로 타 인종, 타 민족에 해 가지고 있는 고정 념

을 조사한 이정우(2007)의 연구에 따르면, 백인과 일본인에 해서는 정 고정 념을,

국인에 해서는 부정 인 고정 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실에서 교사는

학습자에게 요한 학습 모델이 된다는 을 고려한다면, 교사의 문화 편견은 일차

으로 학습자에게 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문화 편견에 사로잡 다문화

가정 학생 일반 학생들에게 다문화와 련된 교수학습과정을 실행할 경우, 학생의 소

속 집단에 따라 차등 인 교수-활동 경험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교육 평등과 련된

문제를 낳을 수 있다.

그러므로 다문화교육에서 교사는 자신이 지니고 있는 문화 태도를 스스로 성찰하고

문화 으로 상이한 집단과 효과 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간문화 능력, 학생․학부

모․지역사회 등에 한 심과 지식, 효과 인 교수 략 탐색, 학교 행정에 한 열정

등을 가져야 한다(Marshall, 2002). 무엇보다도 교사는 문화 가치 단에 입각하여 행동

하는 문화 존재임을 스스로 자각해야 한다. 교사는 특정 문화는 바람직하고 장려되어

야 하는 것으로, 다른 문화는 가치 없고 배제되어야 하는 것으로 단하고, 이에 입각하

여 교수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 교육을 통해 교사 자신이 ‘문화 편견을

지닌 존재로서의 교사’가 될 수 있음을 인식한 뒤, 이러한 고정 념을 극복하도록 할 필

요가 있다. 학생들에게 다문화사회의 시민으로서의 소양을 함양시키려면 교사 스스로가

자신의 문화 고정 념과 편견을 검하고 문화 으로 개방 인 태도를 함양하는 것에

서부터 출발하여야 한다.

2. 다문화 교사교육의 효과

최근 들어 문화 다양성과 교사 교육의 문제를 다룬 연구의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로그램 효과분석

- 81 -

다. 문화 다양성과 교사 교육과의 계에 한 연구를 분석한 문헌연구(review)들의

분석 상 수가 지속 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 이를 반 한다. 1990년에 Grant &

Secada가 다룬 연구는 23편에 불과했으나, Sleeter는 2001년 연구에서 119편을 다루었으

며, Cochran-Smith, Davis & Fires는 2003년 연구에서 153편을 다루었다. 그리고 2005년

Hollins & Guzman은 101편을 상으로 하 다(Furman, 2008). 각 연구의 분석 틀이나

선정 기 은 차이가 있지만, 연구자들은 분석 상이 계속 증가하고 있음을 일 되게 언

하고 있다.

그런데, Grant & Secada(1990)는 다문화 교사 교육을 다룬 문헌들을 리뷰하면서 아주

극소수 연구만이 실증 연구를 통해 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 다고 지 하

다. Ladson-Billings(1999) 역시 이러한 경향은 90년 반 이후에도 나타나고 있음을

강조하 다. 이는 다문화교육과 련된 다수의 교사교육 로그램들이 실증 자료를 바

탕으로 효과성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고 실행되어 왔음을 뜻한다. 이처럼 다문화 교사 교

육에 한 실증 연구는 아주 드물뿐더러 그 결과도 일 되지 않게 나타나지 않았다. 다

문화 교육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교사 교육 과정이 교사의 다문화 역량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 이었다는 연구가 다수이지만, 오히려 소수자에 한 고정 념을 강화하 다는

연구 결과도 존재한다(Webb-Johnson et al., 1998; McDiarmid, 1992).

이러한 경향은 Sleeter(2001)의 연구에서도 나타난다. Sleeter는 교사 교육 략의 효과

에 해 연구한 80여 편의 문헌을 분석하 다. 그녀는 교사와 학생 간 문화 격차로 인

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하고자 하는 교사 교육 로그램의 근방식을 크게 교사 임용

방식의 개선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근법과 교사 자질 향상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근법으로 구분하 다. 후자는 다시 간문화 참여 경험을 통한 자질 향상, 다문화교육

련 강좌 개설, 교육과정 자체의 개 등으로 세분화된다. Sleeter의 결론은 이처럼 다

양한 근 방식이 제시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어떤 략이 우수한 교사 양성에

효과 인가에 한 검토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즉 실증 자료를 통해

교사 교육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미흡하다. 특히 교사 교육 경험이 실제 교수 실행에

어떻게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무하다시피하다. 따라서 다문화교육 련 교사

교육이 교사의 수업에 어떠한 향을 미칠지에 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Webb-Johnson 등(1998)은 다문화 교사 교육에 한 연구가 갖는 문제 을 다음과 같

이 제시한 바 있다. 첫째, 다문화교육과 같은 기본 개념이 모호하다. 둘째, 교육과정에

다문화교육 련 내용을 통합시키는 것에만 하다. 셋째, 연구 자원이 부족하다. 넷

째, 연구의 방법론 한계와 설계상의 문제에 한 반성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다섯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6권 제2호

- 82 -

째, 인종이나 민족 문제에만 집 되어 있다. 여섯째, 교사 교육과정 로그램을 운 하고

있는 주체에 의한 연구가 부분이라 주 성에 한 비 에 취약하다.

국내 문헌에서도 주로 교사교육과정의 모형을 제시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왔고(장원순,

2009; 장인실, 2008) 로그램 시행이나 그 효과 분석에 한 연구는 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교사 교육 로그램의 효과에 하여 보다 많은 심과 연구 역량이 모아져야

한다. 한 연구 방법에 있어서도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양 연구뿐만 아니라 다양

한 질 근 방식을 활용해서 심층 인 연구가 보완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교육 로

그램이 가져올 수 있는 효과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효과 으로 악할 수 있을 뿐 아니

라, 앞으로 교육 로그램을 발 시키고 개선할 수 있는 방향을 탐색해 볼 수 있다.

Ⅲ. 연구 설계

1. 연수 로그램의 기획

이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을 한 교사연수 로그램을 구안하고

그 효과를 검증코자 하 다. 본 연구의 연수 로그램은 서울 학교 앙다문화교육센터

에서 2008년 8월에 일주일 30시간 실시한 다문화교육 로그램이다. 연수 로그램의 개

발을 하여 우선 국내외 문헌 분석을 통해 다문화 교사 교육의 요소를 추출하고, 해외

련 로그램 운 실태를 조사하는 한편, 다문화교육 시범학교 교사를 상으로 수요

조사를 한 인터뷰를 실시하 다. 이 게 수집된 자료를 종합하여 일차 인 연수 교과

목 목록을 작성하 다. 한 연수 로그램 등록을 해 앙다문화교육센터 홈페이지를

방문하는 교사들에게 이 목록을 제시하고 선호 과목을 조사하여 최종 로그램을 확정하

다.

가. 해외 로그램 조사

먼 , 해외 사례로는 다민족, 다문화 국가의 역사를 이미 체험해 온 미국의 다문화 교사

교육 로그램을 조사하 다. 미국교원교육인증 원회(National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Teacher Education: NCATE)는 1978년 이래 다문화 에서 가르칠 수 있는 교사의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로그램 효과분석

- 83 -

양성과정을 교사교육 로그램 평가 기 의 하나로 설정하고 있다(NCATE, 2006). 한

비교사 직 교사들이 교수-학습 과정에서 다양성과 평등성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

도록 다문화 학 에서의 장 경험과 임상 실습 이수를 권장하고 있다. 로그램 개발

을 한 기 자료를 얻기 하여 먼 미국의 9개 학의 다문화교육 로그램을 조사하

다2). NCATE의 기 에 따라 다수의 학에서는 다문화교육과 직 으로 련된 과목

을 개설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생들을 가르치기 한 기 소양인 인문학 과목을 필수

으로 이수하도록 한다. 일부 주(州)에서는 어와 소수 집단의 언어를 병행하여 가르치

는 교사와 제2언어로서의 어를 가르치는 교사(English as second language: ESL)를 문

으로 양성하기 해 지정 학제를 운 하고 있다.

상 학 워싱턴 학(University of Washington)은 다문화 교사 교육 과정을 가

장 체계 으로 운 하고 있는 곳 하나이다. 워싱턴 학은 다문화교육 센터(Center

for Multicultural Education)를 운 하는 한편, ‘교육과정 교수법’이라는 공 과정

안에 다문화교육과 련된 강의를 개설하고 있다. 워싱턴 학은 교사들이 자신들의 교

과 문성과 함께 다문화교육을 한 소양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석사 교육 과정을 운

하고 있다. 워싱턴 학 석사과정의 최소 이수 학 은 50학 이며, 이 교과 문성

역 학 이 24학 (수학, 언어학, 사회과학 등), 다문화교육 역 학 이 26학 이다. 다

문화교육 역은 교수법 교육과정 반을 주제로 하는 다문화 교육학 역(14학 )과

미국 사회의 문화 다양성의 실을 이해하기 한 역사학․문화인류학․사회학 등의

제 인문사회과학 역(12학 )으로 구성된다.

워싱턴 학을 포함한 9개 학에서 개설, 운 하고 있는 다문화 교육 련 교육과정

의 공통 역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① 학교 사회에서의 인종(민족 ) 불평등을 해소

하기 한 사회정의와 교육 형평성에 한 역 ② 다문화 교실 환경에서의 교수법

(다문화교육 입문) ③ 문화 간 이해교육(반편견 용교육) ④ 소수 민족의 문화 이해하

기 ⑤ 민족성 는 인종, 문화 등에 한 이론 ⑥ 언어 소수자들을 한 일반 인 교

수법 상담법 ⑦ 소수자와 학교 장 ⑧ 소수자들의 어(언어) 습득을 한 교수법

이론 ⑨ 소수자들의 읽고 쓰기(리터러시) 능력 함양을 한 교수법 이론.

2) 본 연구에서 다문화교육 로그램 자료 수집의 상으로 한 미국의 학은 University of Washington,

University of Arizona,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UCLA, Columbia University, Purdue University,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Northern Arizona University, 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이상 9

개 학이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6권 제2호

- 84 -

나. 국내 교사들의 요구 조사

미국의 문화 다양성의 실과 우리나라가 경험하고 있는 인구학 변화의 양상이

다른 만큼, 양국의 교사들이 경험하는 교실 내 다양성과 그로 인해 야기되는 교육 수

요의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 즉, 구체 이고 특수한 장의 요구를 악하여 교사 교육

로그램에 반 할 필요가 있다. 이를 해 2008년 4월~6월에 걸쳐, 다문화가정 자녀 학

생이 재학 인 등학교 3개교(서울 1개교, 경기도 2개교)를 방문하여 다문화가정 학생

들을 가르치는 담 교사들을 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 다. 연수 로그램에 포함되어

야 할 강좌 내용에 한 제언을 요구하는 질문에 하여 인터뷰에 참여한 교사들이 공

통 으로 강조한 부분은 우리사회가 추구해야 할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의의, 문화간 이

해교육, 다문화교실에서의 교사의 태도와 역할,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자아 정체성 확립

과 차이의 인정, 다문화사회에 비한 문화 다양성과 상호문화 이해교육, 다문화가정

자녀를 한 한국어 교수/학습 방법 탐구, 다문화교실에서의 반편견 교육의 내용과

근 방법, 다문화가정 자녀의 생활지도와 상담 등이었다.

이와 같이 미국 주요 학의 로그램과 우리 학교 다문화가정 자녀 담당 교사들의 의

견을 취합하여 <표 Ⅲ-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강좌 목록을 작성하 다. 한 서울 학교

앙다문화교육센터의 2008년 8월 연수 로그램 참여 교사들을 상으로 연수 실시

에 센터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강좌 요구 조사 설문에 응하도록 요청하 다. 다문화 상

과 정책, 다문화사회와 교육, 다문화교육의 실제 등 세 가지 역 아래 총 23개의 강

좌를 나열하고 교사들이 각각의 요도를 표시하도록 하 다.

<표 Ⅲ-1> 다문화교육 강좌 개설에 한 교사들의 요구

주요 항목 매우필요

약간필요 보통

별로 필요치 않음

불필요

1 다문화 상과 다문화주의 24(52%) 12(26%) 9(20%) 0(0%) 1(2%)

2 국내외 다문화(교육) 정책 비교 24(53%) 14(30%) 7(15%) 1(2%) 0(%)

3 외국의 문화 소수자 정책 소개 22(48%) 14(30%) 7(15%) 3(7%) 0(0%)

4 다문화 이해 교육의 필요성 28(61%) 8(17%) 6(13%) 3(7%) 1(2%)

5 다문화교육에 한 이론 개 - 정의, 목표, 내용 13(28%) 16(35%) 13(28%) 3(7%) 1(2%)

6 국내외 다문화교육 황 비교 13(28%) 22(48%) 10(22%) 1(2%) 0(0%)

7 우리사회가 추구해야 할 다문화교육의 목표 의미 19(41%) 20(44%) 5(11%) 2(4%) 0(0%)

8다문화교육 내용이 포함된 외국의 교육과정 소개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비 검토20(44%) 20(44%) 5(11%) 1(1%) 0(0%)

9문화 다양성에 한 제 사회과학의 이론 개(문화인류학, 사회학)

11(24%) 13(28%) 16(34%) 3(7%) 3(7%)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로그램 효과분석

- 85 -

주요 항목 매우필요

약간필요 보통

별로 필요치 않음

불필요

10 다문화교육을 한 교사 참고자료의 개발과 활용 방법 32(69%) 9(20%) 5(11%) 0(0%) 0(0%)

11 다문화 교실에서의 갈등 해결과 역차별 해소 방안 34(74%) 8(17%) 4(9%) 0(0%) 0(0%)

12문화간(cross-cultural) 이해교육(한국 사회 소수 집단의 문화 배경을 심으로)

27(59%) 14(30%) 4(9%) 1(2%) 0(0%)

13다문화학교 장 근무 유경험 교사 다문화가정

련 기 실무자 특강26(57%) 10(22%) 8(17%) 2(4%) 0(0%)

14 다문화교실에서의 교사의 태도와 역할 28(61%) 11(24%) 6(13%) 1(2%) 0(0%)

15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자아 정체성 확립과 차이의 인정 28(61%) 10(22%) 6(13%) 2(4%) 0(0%)

16다문화가정 자녀의 학업 부진 문제 반성 성찰(이론 , 교수-학습 방법 )

24(52%) 17(37%) 2(4%) 3(7%) 0(0%)

17다문화가정 자녀와 한국 학생들이 혼재하는 학교의 운 방안 탐색

27(59%) 13(28%) 4(9%) 2(4%) 0(0%)

18다문화사회에 비한 문화 다양성과 상호문화 이해 교육

21(46%) 17(37%) 6(13%) 2(4%) 0(0%)

19 다문화교육을 한 교수-학습 방법 26(57%) 14(30%) 6(13%) 0(0%) 0(0%)

20 다문화가정 자녀를 한 한국어 교수/학습 방법 탐구 26(57%) 12(26%) 7(15%) 0(0%) 1(2%)

21 다문화 교실에서의 반편견 교육의 내용과 근 방법 18(39%) 20(44%) 8(17%) 0(0%) 0(0%)

22다문화사회에 비하는 한국 학생들의 문화 용성 함양을 한 다문화교육에 한 탐색

25(54%) 16(35%) 3(7%) 2(4%) 0(0%)

23 다문화가정 자녀의 생활지도와 상담 35(76%) 9(20%) 2(4%) 0(0%) 0(0%)

강좌 역 세 가지 에서 ‘다문화 상과 정책’ 역에는 다문화 상과 이론(문항 1),

비교 다문화정책(문항 2,3,6,8)이 포함된다. ‘다문화사회와 교육’ 역은 다문화교육 입문

(문항 4,5,7)과 다문화교육과 학교문화(문항 11,14,16,17), 문화간 이해교육(문항 9,18,22)을

포함하며, ‘다문화교육의 실제’ 역은 다문화 한국어 교재 활용법(문항 20)과 다문화교

육 자료 활용법(문항 10), 다문화가정 자녀의 생활지도 상담(문항 15), 다문화교육

장의 이해(문항 13) 등으로 구성된다.

다문화교육 교사 연수 참여가 확정된 교사를 상으로 한 인터넷 설문조사에는 총 57

명의 교사가 참여하 고, 그 결측치가 많은 설문지 11부를 제외하고, 46명의 응답을

분석하 다. 그 결과 <표 Ⅲ-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부분의 교사들은 설문지에 제시된

부분의 다문화교육 강좌에 하여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문헌 연구, 교사 면담, 그리고 연수 참여 신청 교사들을 상으로 한 설문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으로 다문화교육에 우선 으로 필요하다고 간주된 11개

의 주제를 심으로 교사 연수 로그램을 구성하 으며, 구체 인 강좌 구성은 <표 Ⅲ

-2>와 같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6권 제2호

- 86 -

<표 Ⅲ-2>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로그램

* 호 안 숫자는 시수

역 교과목(30)

다문화 상과 정책 다문화 상과 이론(2) 비교 다문화정책(2)

다문화 사회와 교육다문화교육입문(2),

문화간 이해교육(3),

다문화교육과 학교문화(3),

한국사회의 소수 집단(3)

다문화교육의 실제 I

(다문화 교수-학습)다문화 한국어 교재 활용법(3) 다문화교육 자료 활용법(3)

다문화교육의 실제 I

(다문화교육 장)

다문화가정 자녀의 생활 지도 상담(3)

다문화교육 장의 이해 1 - 교사(3)

다문화교육 장의 이해 2 - 교육 센터(3)

2. 조사 상

본 연구는 서울 학교 앙다문화교육센터가 2008년 8월 4일부터 8월 8일까지 총 30

시간 실시한 일반교사 다문화교육 연수에 참여한 수도권 등학교 교사 115명을 상으

로 진행되었다. 연수 첫 시간과 연수 마지막 시간에 사 검사와 사후검사를 각각 실시하

으며, 106부의 사 검사 설문지와 84부의 사후검사 설문지가 수거되었다. 연수의 효과

를 검증하기 하여 사 -사후 설문지의 응답자 확인이 가능한 68부만을 상으로 응

표본 t검증 (paired t-test)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 다. 분석 상자의 기본 인 인

사항은 <표 Ⅲ-3>과 같다.

<표 Ⅲ-3> 설문 상자 인 사항

성별남자 11(16.2%)

여자 57(83.8%)

연령

20 11(16.6%)

30 25(37.9%)

40 17(25.8%)

50 13(19.7%)

학력학 졸업 32(76.2%)

석사 재학 10(23.8%)

*결측치 제외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로그램 효과분석

- 87 -

<표 Ⅲ-4>는 다문화 련 학부 강의나 연수 경험 여부 다문화가정 자녀와의

여부와 련된 내용을 나타낸다. 부분의 교사들이 학부 과정이나 교사 교육 과정

다문화교육과 련된 강의를 경험한 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에서 련 강의를

들었다고 응답한 교사는 체 응답 교사 2.9%(3명)에 지나지 않았고, 련 연수 경험

이 있다고 응답한 교사도 10.5%(11명)에 불과 했다. 이와 같이 교사들의 비는 부족한

데도 불구하고, 이들 교사들이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할 가능성은 매우 높았다. 교사들

이 재직하고 있는 학교 부분(85.2%)에 다문화가정의 자녀가 재학 인 것으로 나타

났다. 실제로 다문화가정 출신 학습자를 가르치거나 담임 지도를 맡아 본 경험이 있는

교사도 거의 반에 달했다(41.8%).

<표 Ⅲ-4> 다문화교육 련 경험 여부

신문, TV 등에서 다루는 다문화가정

련 내용에 한 심

매우 그 다 18(26.5%)

그 다 36(52.9%)

보통이다 13(19.1%)

그 지 않다 1(1.5%)

매우 그 지 않다 0(0%)

다문화 련 수업 학부 수강 경험 여부있다 2(2.9%)

없다 66(97.1%)

다문화교육 련 교사 연수 경험 여부있다 9(13.4%)

없다 58(86.6%)

근무 학교에 다문화가정 자녀 유무있다 58(85.3%)

없다 10(14.7%)

다문화가정 자녀를 수업 시간에 가르친 경험있다 32(50.0%)

없다 32(50.0%)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 담임을 맡은 경험있다 28(41.8%)

없다 39(58.2%)

*결측치 제외

한편, 다수 교사들은 교사를 한 다문화 인식 로그램이나 훈련이 부족하다고 느

끼고 있었다. 이들은 <표 Ⅲ-5>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다문화교육 연수 로그램이 다문

화가정 자녀를 교육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어, 다문화교육 연수에 한

강한 기 감을 나타내기도 했다. 다문화교육 연수가 자율연수 다는 을 고려한다면,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 다른 교사들보다 다문화교육에 심이 많을 것이라고 추측해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6권 제2호

- 88 -

수 있다. 한 학의 교사 교육 과정에 다문화교육에 한 내용을 포함시켜야 한다는

항목에 다수의 교사들의 동의하고 있어서, 향후 교사교육과정의 개선에 큰 시사 을

제공하고 있다.

<표 Ⅲ-5> 교사교육에 한 인식

매우그 지 않다

그 지 않다

보통이다

그 다매우

그 다.

교사를 한 다문화인식 로그램이나 훈련이 부

족한 편이다.0(0%) 0(0%) 0(0%) 49(72.1%) 19(27.9%)

교사를 한 다문화교육 연수 로그램은 다문화

가정 자녀를 교육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0(0%) 0(0%) 0(0%) 34(50.0%) 34(50.0%)

학의 교사교육 과정에 다문화교육 내용을 포함

시켜야 한다.0(0%) 0(0%) 10(14.7%) 39(57.4%) 19(27.9%)

*결측치 제외

3. 측정도구

본 연구에서는 교사 연수 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하여, 교사의 다문화 효능

감과 인종 다양성에 한 태도를 측정하 다. 먼 , 교사의 다문화 효능감을 측정하

기 해서 Guyton & Wesche(2005)가 개발한 다문화 효능감척도(Multicultural

Efficacy Scale: MES)를 활용하 다. 다문화 효능감이란 교사가 다문화 상황에 합

한 교수 방식과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다문화 사회에 합한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도록 지도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의미한다. 다문화 수업 상황에서 효과 일 수

있다는 교사의 신념이 다문화 수업과 한 련이 있는 요인이라는 에서 MES는

직 교사 비교사의 다문화교육 비도를 평가하여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이

며, 이를 통하여 다문화교원교육 로그램 개선을 가져올 수 있는 시사 을 얻을 수 있

다. 본 연구에서는 체 20문항 에서 미국 내 소수 인종에 한 문항을 제외하고 한국

실정에 맞는 14문항만 선택하여 사용하 다.

인종 다양성에 한 교사의 태도는 Ponterotto 등(1995)이 개발한 편견지수(Quick

Discrimination Index: QDI)를 이용하여 측정하 다. QDI는 청소년과 성인들이 가지고

있는 인종 다양성과 성 평등에 한 태도를 측정하기 해 개발된 것이다. 편견을 정확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로그램 효과분석

- 89 -

히 측정하고 편견 감소를 한 개입의 효과성을 안정 으로 평가하기 하여 Ponterotto

등은 편견 태도를 인지 , 감정 , 행동 요소로 구성된 다차원 인 것으로 제하고,

총 30문항으로 구성된 QDI를 개발하 다. QDI는 인종 다양성과 다문화주의에 한 일

반 태도 개인 삶과 련된 인종 다양성에 한 감정 태도, 그리고 여성 평등

이슈와 련된 일반 태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이번 교사 연수에서 주로 다루었던 것이

다인종, 다민족 사회로의 환에 있어 필요한 다문화 교사의 자질 함양과 련된 것이

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성차별과 련된 문항은 제외하 으며, 인종 다양성과

련된 문항 에서도 미국 내 소수 인종에 한 일부 문항은 한국의 상황과 합하지 않

아 제외하고 총 14문항을 사용하 다.

Ⅳ. 연수 로그램의 효과 분석

1. 다문화 효능감

본 연구는 일반교사를 한 다문화교육 연수를 계획, 실행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교사의 다문화 효능감과 인종 다양성에 한 태도가

다문화교육을 실행하는 교사에게 요한 요인이라고 생각되어 이를 측정하고자 하 다.

먼 , <표 Ⅳ-1>에는 다문화 효능감의 사 -사후 결과가 제시되어 있다. 다문화 효

능감을 측정하기 한 문항은 모두 5 척도로 제시되었으며, ‘매우 그 지 않다’에는 1

, ‘매우 그 다’에는 5 을 부여하 고, 총 14문항에 한 응답을 합산한 수를 분석

에 사용하 다.

<표 Ⅳ-1> 다문화 효능감 사 -사후 조사 결과

다문화 효능감평균

사 사후

1나는 학생들이 문화 다양성에 처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지도할 수 있다.

3.35 3.97

2나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필요에 부응하는 수업 방법을 용할 수 있다.

2.93 3.88

3 나는 다문화 교실에 합한 학습 자료를 개발할 수 있다. 3.06 3.80

4나는 교과서 내용에 나타난 인종 , 민족 고정 념과 편견을 찾아낼 수 있다.

3.81 4.12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6권 제2호

- 90 -

다문화 효능감평균

사 사후

5나는 학생들이 자신의 편견을 발견하고 반성할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다.

3.78 3.99

6나는 다양한 민족 집단의 학생들 간에 상호 존 심을 함양하도록 지도할 수 있다.

3.78 4.16

7 나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자신감을 갖도록 지도할 수 있다. 3.62 4.09

8 나는 다문화가정에 한 편견을 일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다. 3.82 4.15

9나는 다양한 민족 집단의 학생들이 서로 력할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다.

3.56 4.07

10나는 학교에서 다문화가정 자녀들 교육에 악 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낼 수 있다.

3.46 4.00

11나는 문화 다양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에 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

3.12 3.60

12 나는 다문화가정을 힘들게 하는 사회 요인들을 지 할 수 있다. 3.51 3.94

13나는 학생들이 타민족 집단의 가치 을 인정하고 존 할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다.

3.79 4.03

14나는 학생들이 다양한 에서 역사와 사회를 볼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다.

3.75 3.96

<표 Ⅳ-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교육 연수를 이수한 이후 교사들은 모든 항목에서 다

문화 효능감이 증가하 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다문화 자녀들의 필요에 부응하는

수업 방법을 용할 수 있다”는 문항에서 높은 증가(0.95)를 나타내고 있어, 연수 로그

램이 교수 역량을 강화하는데 기여하 음을 암시하고 있다. 다문화 효능감과 련된

문항 에서 “문화 다양성으로 인한 문제의 해결”에 해서는 다른 문항들에 비해 상

으로 낮은 수 의 수를 보이고 있다. 이는 문화 다양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

에 한 해결의 부담감이 단기 연수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어 향후 교사 교육 연수

로그램이 해결해야 할 과제임을 시사해 다. 그러나 교사들의 효능감은 연수 이후에

반 으로 향상되었고, <표 Ⅳ-2>는 교사들의 다문화 효능감이 통계 으로 유의미하

게 증가하 음을 나타내고 있다(p<.001).

<표 Ⅳ-2> 다문화 효능감의 변화

평균 표 편차 자유도 t값

다문화 효능감사 49.3231 8.65503

64 -5.973***사후 55.1385 6.40526

* p<.05, ** p<.01, *** p<.001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로그램 효과분석

- 91 -

성, 연령 등 사회인구학 변수에 따른 다문화 효능감에 한 로그램의 효과를 분석

한 결과, 반 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사 ․사후 수가 모두 높게 나타나 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다문화 상황을 맞이하여 교사로서의 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 으

로 유의하지 않았다. 교사의 성, 학력, 종교, 가입단체 역시 다문화 효능감의 변화에 통계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인종 다양성에 한 태도

<표 Ⅳ-3>에는 인종 다양성에 한 사 -사후 검사 결과가 나타나 있다. QDI 문항

은 모두 5 척도로 제시되었으며, ‘매우 그 지 않다’에는 1 , ‘매우 그 다’에는 5 을

부여하 고, 14문항에 한 응답을 합산한 수를 분석에 사용하 다. QDI의 경우에는

부정 으로 진술된 문항은 역코딩을 통해 수를 변환하 다.

<표 Ⅳ-3> 다양성에 한 태도 사 -사후 조사 결과

차 별 지 수평균

사 사후

1학에서 소수 인종 우 정책을 실행하는 것은 역차별을 만들어 낸

다고 생각한다.2.93 3.04

2 나는 다른 인종의 사람과 친 한 계를 형성할 수 있다. 3.65 3.96

3 나는 직장에서 소수 인종 우 정책을 실행하는 것에 반 한다. 2.88 2.76

4 내 자녀가 다른 인종의 사람과 데이트를 해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3.54 3.54

5 소수 인종 출신도 미래 한민국의 통령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3.32 3.73

6지난 몇 해 동안, 교육 분야에서 다문화 혹은 소수 인종 련 이슈들이 무 많은 주목을 받았다.

3.06 2.96

7나는 내 자녀가 다양한 인종의 학생들이 있는 학교에 다니는 것이

요하다고 생각한다.3.79 3.91

8반 으로, 우리나라에 사는 소수 인종 집단은 무 심하게 인종차

별에 해 불평한다.2.85 2.72

9소수인종집단에 한 우리나라 사람들의 인종차별주의는 사회의 큰 문제이다.

3.82 3.79

10등학교부터 학까지 학교에서는 소수 집단과 이민자 아동들이

통 인 한국 가치를 배우고 이를 완 히 받아들이도록 장려해야 한다.3.46 3.10

11만일 내가 아이를 입양한다면 입양 아동의 인종에 해서는 신경쓰지 않을 것이다.

2.78 2.91

12 등학교부터 학까지 학교에서는 다양한 문화 가치를 장려해야 한다. 4.38 4.35

13다양한 인종들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그들과 이웃이 되어 사는 것을 즐겁게 여길 것이다.

4.06 4.03

14나는 사람들이 자기와 같은 인종의 사람들과 결혼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

3.13 3.21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6권 제2호

- 92 -

<표 Ⅳ-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문화교육 연수는 교사들의 인종 다양성에 한 태

도를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하게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거의 모든 항목에

서 향상을 나타내고 있어, 연수 로그램이 인종 다양성에 한 보다 개방 인 태도를

형성하고 편견을 감소시키는데 상당한 효과를 거두었음을 나타낸다. 그런데 이러한 다양

성에 한 태도의 정 변화는 통계 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다문화 효능감에

비해 상 으로 향상의 폭이 작게 나타났다. 이는 30시간이라는 단기간의 연수를 통해

서 인종 다양성에 한 태도가 격하게 변화하기 힘들다는 측면을 반 하고 있다.

<표 Ⅳ-4> 인종 다양성에 한 태도 변화

평균 표 편차 자유도 t값

인종 다양성에 한 태도

사 46.8125 5.079963 -2.037*

사후 48.2813 5.8077

* p<.05, ** p<.01, *** p<.001

사회인구학 변수의 향을 분석한 결과, 다문화교육 연수에 참여한 교사의 연령이

낮을수록 QDI의 값이 사 ․사후 모두 높아 교사의 연령이 낮을수록 인종 다양성에

해 개방 인 태도를 가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 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교

사의 성, 학력, 종교, 가입단체 등에 따라서는 인종 다양성에 한 태도 수 에 유의미

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연수 로그램의 효과

요컨 서울 학교 앙다문화교육센터에서 제공한 일주일 동안의 연수 로그램 경

험은 참여 교사들의 다문화 효능감을 증진시켜주었으며, 참여 교사들이 원래 가지고

있었던 다양성에 한 편견의 감소와 보다 개방 인 태도의 형성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

었다. 그런데 본 연구에서 실시한 사 , 사후 검사는 연수 시작 오리엔테이션 시간과

연수가 끝난 직후 수료식 시간에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진 것이어서, 연수 로그램이 참

여 교사들에게 과연 어떠한 향을 미쳤는지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 해 참여교사들을

면담하기로 하 다. 면담 교사를 선정할 때 학교 장의 교육 경력과 다문화 경험의

차이를 고려하 다. 즉 모두 교육 경력이 풍부하되, 그 에 다문화 는 다문화 교육

련 경험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나 어 피면담자를 섭외하 다. 2008년 10월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로그램 효과분석

- 93 -

에 악구에 있는 등학교에 재직 인 3명의 교사(A, B, C)와 면담을 비구조화된 실시

하 다.

교사 A는 교직 경력 20년 차 교사로 재 3학년 담임을 맡고 있다. 그녀가 재직 인

학교에는 다문화가정 학생이 없지만, 귀국자녀를 지도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한 교사

자신이 일본에서 학교를 다녔고, 독일과 인도에서 거주한 이 있었는데, 이러한 경험

을 통해 다문화 상황에 해 비교 개방 인 자세를 가지게 되었다고 이야기했다. 교

사 B는 교직 경력 38년차 교사로 재 2학년 담임을 맡고 있으며, 지 까지 다문화가정

학생을 지도해본 경험이나 다문화가정 자녀가 재학 인 학교에 재직했던 경험이

없었다. 교사 C는 교직 경력 14년차 교사로 재 6학년 담임을 맡고 있고, 서울시 교육

청에서 주도한 다문화교육 련 교재 개발에 참여한 경험이 있었으며, 주변에 국제결혼

가정 자녀가 있어 한국 사회의 다문화 상에 해 심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

업 시간에 다문화 요소를 활용하려고 노력한다고 답하 다. 한 이 학교에서 조

선족 학생의 담임을 맡았었던 경험을 이야기해주었다. 이 같은 학교에 재직 인 교

사 B와 C는 인터뷰를 함께 진행하 다.

가. 다문화 인식

다문화교육 연수 이후 다문화나 다문화교육에 한 인식의 변화를 묻는 질문에서 이

들 모두는 다문화교육 연수가 교사들에게 다문화교육의 필요성과 의미에 해 알려주고,

교사의 인식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했다. 교사 A와 교사 C는 개인 인 경

험에 근거하여 다문화교육에 한 심과 인식이 이미 평균 이상이었고, 다문화 상황

이나 타인종과의 에 하여 개방 인 태도를 가지고 있어서 이번 연수를 통해 인식

이 크게 변화했다고 느끼지는 못했다. 그러나 연수의 이론 강의를 통해 자신의 생각과

지식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고 응답하 다. 반면에 다문화나 다문화교육에 해 잘 몰랐

던 교사 B는 이번 연수를 통해 다문화가 무엇인지에 해 알게 되었고, 자신의 생각도

변화했음을 알려주었다. 교사 B는 다문화교육 연수를 받은 후 다문화에 해 가지고 있

던 생각에 변화가 있었는지를 묻는 질문에 다음과 같이 응답하 다.

연구자: 이번 다문화교육 연수를 받으신 후에, 다문화교육에 한 생각이 이 과 달라진

이 있나요?

교사B: 반 으로 체 강의에서 다문화에 해 확실한 걸 좀 배운 것 같아요. 다문화

가정이 없는 우리 반 아이들도 미리부터 그런 인식을 키워줘야 되겠구나. 난 옛날에는 진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6권 제2호

- 94 -

짜 우리 백의민족, 그 게 많이 교육을 시켰거든요. 10년 쯤 막 다문화가 들어올 때, 니

들 결혼할 때만은 외국 사람하고 하지마라. 우리나라의 자랑이 백의민족, 단일민족이

다, 막 그래가지고 걔들한테 했던 게 지 생각하면 아, 이게 그 게 변할 몰랐는데,

지 그 게 생각해서는 안 되는 거 요.... 그 때 그 얘기 했던 게 어떻게 보면 내가

좀 어리석은 생각 같았기도 하고. 이제 그러니까 아이들한테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는 마음을 열어줘야 되겠다는 그런 생각을 하게 어요. (2008년 10월 21일 면담 일지

에서)

나. 다문화 효능감

다문화교육 연수가 수업 자료를 개발하거나 수업 방법을 용하는 데 도움이 되었는

지에 한 질문에 체 으로 정하면서도, 실제 수업에 용할 기회가 없는 교사의 경

우에는 수업 기능의 향상에 해서는 확신을 가지지 못한 것으로 응답했다.

즉 면담에 응한 교사들 모두가, 반 으로 효과가 있다는 의견을 나타내었으나, 자신

의 학 에 다문화가정 학생이 없고, 수업에서 다문화 련 내용을 다룰 기회가 없어 아직

다문화 수업 방법을 용하거나 학습 자료를 개발할 계획은 없다고 응답하 다.

연구자: 연수를 받으신 후에, 다문화 교실에 합한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다문화가

정 자녀에게 필요한 수업 방법을 용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기셨어요?

교사A: 거기에 보면, 강의가 좋았던 게, 이론 인 말 도 해주셨고, 경험이 있으신

분들이 오셔가지고 말 을 해주셨어요. 그래서 만약에 진짜, 우리, 제가 당해보지 않았지

만, 우리반 아이는, 만약 그런 아이가 있다면 그 선생님들께서 말 해주신 자료 같은 거

있잖아요. 그걸 가지고서 내가 용을 해볼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은 들고...(2008년 10월

20일 면담일지 에서)

교사B: 아직 지도는 안 해봤으니까 그런 문제 은 아직 악하지 못했어요.... 우리는 아

직 상이 없었기 때문에 수업안을 짠다는 것 까지는 생각을 안하고. 야, 이런 걸 배웠기

때문에 내가 나 에 다문화학생을 가르친다면 아 런 을 이해해 줘야 되고 아 그런

을 참작해서 걔를 잘 도와줘야 되겠구나 하는 인식만 가졌지 아직 수업안을 어떻게 짜야

겠다는 생각은 안했어요... (2008년 10월 21일 면담 일지 에서)

다문화교육 교사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을 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는 교사들

의 다문화 효능감과 인종 다양성에 한 태도가 연수 참여 이 보다 유의미하게 개

선되었음을 나타내주었다. 특히 교사 면담 결과를 통해 구체 인 교사의 인식의 변화 양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로그램 효과분석

- 95 -

상과 그 과정에서 느끼는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과 한계 을 확인할 수 있었다. 를 들

어 교사 스스로 자신의 역할이 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다문화가정 자녀에

한 배려와 심이 필요함을 느끼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다문화교육 연수가 단일

민족주의를 강조하던 시각에서 개방 인 시각으로의 환에 기여하고, 다문화 인식을

증진시키는 하나의 기회가 됨을 알 수 있었다. 교사들은 다문화교육 교사 연수가 교사들

에게 다양한 자료와 이론 경험의 사례를 제시했으며 이것이 앞으로 도움이 될 것이

라는 에는 동의하 다. 그러나 수업 방법 용이나 학습자료 개발 등과 같은 수업 기

능의 측면에서는 아직 실행의 기회가 없어서 확신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V. 결론 논의

다문화 교육에 한 심과 교사 역할의 요성에 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다문화 교사

교육과 련된 연구도 지속 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다문화교육 련 교사 양성

연수 로그램에 한 연구는 국내외 으로 극히 미흡하다. 그나마 교육 로그램에

한 연구는 주로 다문화 교사교육 로그램의 당 성이나 이념형 인 모형을 제시하는 수

에서 머무르고 있다. 결국 다문화 교사 교육 로그램에 해 실증 자료를 토 로 그

효과를 검증하거나, 질 연구를 통해 내부 인 메커니즘을 악하고자 하는 노력은 빈약

했다. 실증 자료를 기반으로 한 소수의 연구 역시 그 결과가 연구 주제 내용, 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서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로그램을 기획, 실행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여 다문화 교사교육 로그램의 연구와 실

천에 거름이 되고자 하 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의 핵심 주체인 교사들의 다문화 역량의 증진을

한 연수 로그램을 기획, 실행하 으며, 그 효과를 알아보기 해 교육 참가자를

상으로 설문 조사와 면담 결과 분석을 제시하 다. 먼 다문화교육 연수 로그램을 수

립하기 해 다문화 교사 교육이 정착되어 있는 미국을 주로 해외 로그램 조사와

다문화 학 지도 교사와의 면담, 연수 참여교사 요구조사 등을 실시하 다. 이를 통하

여 교육 로그램의 내용을 ‘다문화 상과 정책’, ‘다문화 사회와 교육’, ‘다문화 교육의

실제’라는 범주 속에 총 11개 주제로 구성하 다. 이후 총 30시간의 교육을 시행하고

이러한 로그램이 교사의 다문화 역량의 증진에 기여하는지를 분석하 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6권 제2호

- 96 -

다문화 연수 로그램의 효과를 실증 자료를 통해 확인하기 해 특히 다문화 학

환경에서 한 교수를 실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인 다문화 효능감과 인종 다양

성에 한 교사의 의견인 편견 지수를 사 -사후 검사를 통해 분석하 다. 분석 결과,

연수 로그램을 경험한 교사들은 교육을 받기 보다 다문화 효능감이 증진되었으며,

인종 다양성이라는 상황에 한 개방 태도가 향상되었으며 통계 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런데 다문화 효능감과 련된 문항 에서 “문화 다양성으로 인한 문제의 해

결”에 해서는 상 으로 낮은 수 의 자신감을 보이고 있는 , 그리고 반 인 효

능감의 변화보다 인종 다양성에 한 태도의 변화가 작게 나타난 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앞으로의 연수 로그램에서 태도나 인식의 변화를 해서는 보다 많은 시간

의 체계 교육이 필요하다는 , 그리고 다문화 학교·수업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력을 제고하는데 보다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시사해 다.

본 연구는 30시간의 다문화 연수를 시행하고 그 효과를 검증한 결과이다. 본 연구의

로그램은 단기 연수 다는 , 기존 연구가 극히 빈약한 상태에서 로그램을 구안했

다는 등 여러 가지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사의 다문화 효능감과 인종 다

양성에 한 인식을 정 으로 변화시키는 데 상당한 효과를 나타냈다. 편견 감소나 개

방 인 태도, 수업에 한 교사의 효능감 등은 단기간에 변화하기 어려운 이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매우 고무 인 결과이다. 한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사 ,

사후 검사를 실시하 을 뿐만 아니라 참여 교사를 상으로 면 을 실시하 다. 차후 연

수 로그램의 효과 연구는 양 연구 방법뿐만 아니라 질 연구 방법의 보완을 통해

보다 심층 인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교사들의 다문화 역량을 향상시키기 해서 다문화교육 연수 로그램의 기획과 실

행, 그리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 한 노력은 지속되어야 한다. 우리 사회의 다문화

변화에 따라 다문화교육 실행 능력 향상에 한 교사들의 요구는 증가하고 있다.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편견과 차별을 감소시키고 정 인 인종간 태도를 함양시키며 다문화

사회에 응할 수 있는 시민의 자질을 육성하도록 하기 해서는 교사의 다문화 역량

제고가 선무이며, 이를 해 체계 인 다문화교육연수는 더욱 확 되어야 한다.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로그램 효과분석

- 97 -

권순희(2007). 다문화 가정 자녀의 상담 지도 사례. 국어교육학연구, 29, 127-174.

모경환․황혜원(2007). 등 교사들의 다문화 인식에 한 연구-수도권 국어․사회과 교사를 심으

로. 시민교육연구, 39(3), 79-100.

박남수(2007). 등학교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한 인식과 실천. 사회과교육연구, 14(1), 213-233.

이정우(2007). 다양한 인종․민족 집단에 한 비교사의 고정 념: 사회과 비교사 교육에의 함의.

시민교육연구, 39(1), 153-178.

장원순(2009). 한국사회에 합한 다문화교사교육과정에 한 연구. 사회과교육, 48(1), 57-79.

장인실(2008). 다문화 교육을 한 교사 교육 교육과정 모형 탐구. 등교육연구, 21(2), 281-305.

조 달(2006).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실태조사. 교육인 자원부 정책연구과제

최충옥․모경환(2007). 경기도 ․ 등 교사들의 다문화 효능감에 한 조사 연구. 시민교육연구,

29(4), 163-182

Aronson, E.(1999). The Social Animal. 구자숙 외(2002) 역. 사회심리학: 사회 동물. 탐구당

Banks, J. A. & Banks, C. A. M. (2007).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 Wiley.

Bennett, C. I.(2007).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6th ed).

Massachusetts: Allyn and Bacon

Clark, E. R. et al.(1996). Language and Culture: Critical Components of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The Urban Review, 28(2), 185-197.

Dembo, M. H. & Gibson, S.(1985).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 Important Factor in School

Improvement.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6(2), pp.173-184.

Dilworth, P.(2004).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case studies from social studies classrooms.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32(2), 153-186.

Furman, J. S.(2008). Tensions in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Research: Demographics and the

Need to Demonstrate Effectiveness. Education and Urban Society, 41(1), 55-79.

Guskey, T. R. & Passaro, P. D.(1994). "Teacher Efficacy: A study of Construct Dimension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1(3), 627-643.

Guyton, E. M. & Wesche, M. V.(2005). The Efficacy: A study of Construct Dimension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1,(3), 153-186.

Ladson-Billings, G.(1999). Preparing Teachers for Diverse Student Population: A Critical Race

Theory Perspective.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24, 211-247.

Marshall, P. L.(2002). Cultural diversity in our schools. CA: Wadsworth.

McDiarmid, G. W.(1992). What to do about differences? A stu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eacher trainees in an L.A. united school district.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3(2), 83-93.

National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Teacher Education(2006). Professional Standards for the

Accreditation of Schools, Colleges, and Departments of Education (Revised Edition). Washington,

DC: Author.

▣ 참 고 문 헌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6권 제2호

- 98 -

Nieto, S.(2004). Affirming diversity: the sociopolitical context of multicultural education(4th ed.). Boston:

Allyn and Bacon

Ponterotto, J. G., Burkard A. & Rieger, B. P.(1995).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Quick Discrimination Index(QDI).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5(6), 1016-1031.

Sleeter, C. E.(2001). Preparing teachers for culturally diverse schools: research and the

overwhelming presence of whitenes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2(2), 94-106.

Webb-Johnson, G. et al.(1998). The status of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teacher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Remedial & Special Education, 19(1), 1-14.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로그램 효과분석

- 99 -

ABSTRACT

Effects of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Mo, Kyung Hwan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on teachers' multicultural efficacy and their attitudes towards diversity.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s of 115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30 hour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s Center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 questionnaire is comprised of questions regarding

multicultural efficacy and attitudes towards cultural and ethnic diversity. The pretest and

posttest scores were analyzed through paired t-test for 68 teachers' data,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data for three teachers were analyzed to complement the survey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both for

enhancing the teachers' multicultural efficacy and their positive attitudes regarding racial

diversity. Second, the program was found more effective for enhancing the teachers'

competence for multicultural instructions rather than their racial attitudes. Future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focus more attention on enhancing

teachers' attitudes toward racial diversity.

Key words :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efficacy, Attitudes regarding racial diversity,

Teacher training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