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162
기본연구보고서 03-08 제 1 차 년도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 - 제조업부문 에너지소비 요인분해 연구 - 2003. 12. 오진규

Upload: others

Post on 17-Oct-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기본연구보고서 03-08 제 1 차 년도

지속가능발 을 한 에 지부문

략 연구

- 제조업부문 에 지소비 요인분해 연구 -

2003. 12.

오진규

Page 2: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참여연구진

연구책임자 : 선임연구위원 오진규

연구참여자 : 선임연구위원 김종덕

책임연구원 권태규

책임연구원 신정수

Page 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요 약

‘지속가능발 에 한 세계정상회의’(WSSD, 2002년, 남아 리카 공화

국)의 개최를 후하여 지속가능한 발 과 에 지부문의 연계에 한 논

의가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지속가능발 을 한 에 지부문의 략을 도

출하기 해 연차 으로 수행되고 있는 연구의 ‘제 1 차’ 년도 연구로서

향후 후속 연구에 한 기반을 구축하기 한 연구이다. 이를 해,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과 에 지에 한 CSD, WSSD, IEA의 논의를 토 로

지속가능한 에 지에 한 개념을 정립하 다. 에 지 효율이 지속발

에 지 략의 최우선 과제로 두됨에 따라, 지난 20년에 걸쳐 음식료품

산업, 섬유가죽 산업, 목재종이 산업, 화학 산업, 비 속 물 산업, 제1차

속 산업, 조립 속 산업과 기타 산업의 8개 산업으로 구성된 제조업부

문의 에 지소비와 에 지효율을 분석하 다.

지속가능발 을 한 에 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 지공

(경제 지속가능성), ②환경친화 인 수 체계 (환경 지속가능성), ③

사회 수용성을 갖춘 시스템 (사회 지속가능성)으로 정의된다. 특히,

에 지효율의 극 화 략은 경제성과 환경성에 동시에 기여하는 략

으로서 지속가능성과 연계하여 가장 요한 과제 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에 지 시스템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기 해, 제

조업부문의 에 지효율을 분석하 다. 이는 제조업이 총에 지소비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경제성장의 직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Page 4: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981년~2001년 까지의 20년에 걸친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 변화를

로그 디비지아 요인분해 방식으로 분석하 다. 로그 디비지아 방식은 기

간간의 에 지소비 변화를 잔차 없이 세가지 효과로 완 히 분해한다.

표 으로, ①80년 (‘81~’90년), ②90년 ’(‘90~’97년), 그리고 ③외환

기 이후(‘97~2001년)의 3구간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를 보면, 80년

의 연평균 에 지소비 증가율은 8.3%이며, 이에 해 생산효과 기여도는

11.2%, 산업구조 효과 기여도는 0.8%, 에 지 원단 효과 기여도는

(-3.7)%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90년 의 연평균 에 지소비 증가율은

11.5%이며, 이에 해 생산효과 기여도는 8.0%, 산업구조 효과 기여도는

0.3%, 에 지 원단 효과 기여도는 (+3.3)%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첫째로, 80년 와 90년 모두 생산효과가 에 지소비 증

가에 압도 으로 큰 향을 행사하 다. 그런데, 90년 들어 생산효과

의 기여도가 낮아졌다. 둘째로, 산업구조 효과는 80년 와 90년 모두

(+)의 부호로서 에 지 다소비형 산업구조로 진행되었으나 그 크기는 그

리 크지 않다. 셋째로, 에 지 원단 효과의 부호가 80년 는 (-), 90년

는 (+)로 나타났다. 즉, 고유가가 지배했던 80년 에는 에 지 효율의

개선이 크게 이루어진 반면, 유가로 에 지효율에 한 의지가 약화된

90년 는 에 지 효율이 크게 악화되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90

년 의 에 지소비 증가는 생산증가 이외에도 에 지효율의 악화로 증

가폭이 확 되었다.

‘외환 기’ 이후의 결과는 그 이 과는 이하게 다른 결과가 나왔다.

외환 기 이후 4년간 연평균 에 지소비 증가율은 2.8%로서 매우 낮았

으며, 생산효과의 기여도가 7.3%, 산업구조 효과의 기여도는 (-5.7)%, 에

지 원단 효과의 기여도는 (+1.3)%로 나타났다. 동기간 에 제조업

Page 5: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체의 에 지원단 는 연평균 (-4.3)% 감소하 다. 그러나, 요인분해 결

과 에 지 원단 효과의 기여도가 (+)로 나타남에 따라, 이기간 에 에

지 효율은 오히려 악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외환 기 이후

의 낮은 에 지소비 증가율과 낮은 에 지․부가가치 탄성치의 요인은

산업구조가 에 지 소비형으로 속하게 환된 효과(-5.7%)이며, 동기

간 에 에 지효율은 오히려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지속발 에 지 략의 핵심이 되는 에 지 효율에 해 보

다 강한 정책 근이 요망된다. 이에 따라, 차년도 연구는 에 지효율

의 잠재량 추정과 에 지효율의 시 략 도출을 한 모형개발을 심

으로 진행될 정이다.

Page 6: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Abstract

After the World Summit on Sustainable Development, held in the

South Africa in 2002, the discussion on linkages betwee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ergy have been proliferating.

In order to establish energy strateg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Korea, multi-year study is being carried out. This 'first year'

study would play a role as foundation of the researches in the

coming years. The study discusses the concepts of sustainable energy

future based on discussion of CSD, WSSD, and IEA related to

sustainability. Considering the significance of energy efficiency in

relation to the sustainable energy, this study analyzes energy

consumption pattern and efficiency in manufacturing sector,

comprising eight sectors for the past 20 years in Korea.

Sustainable energy has to satisfy the following: safe and reliable

energy supply (economical sustainability), environmentally friendly

supply and demand system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socially receptive capacity (social sustainability). Particularly, the

energy efficiency,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es linked to

sustainability, will simultaneously contribute to economical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ies.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energy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sector as a way to assess the sustainability of energy

system in Korea. Manufacturing sector comprised more than half of

Page 7: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final energy consumption in Korea, while leading economic

development.

The past 20 years' changes in energy consumption in

manufacturing sector (1981~2001) have been anaylized using 'Log

Divisia' decomposition methodology. This study divided the historic

data into three periods, i.e. the 80's (1980~1990), the 90's (1990~1997),

and after the financial crisis (1997~2002).

The average annual energy consumption rate increased by 8.3% in

the 1980's. The decomposition analysis showed that contribution of

production effect was 11.2% to this increase rate of 8.3% while

industrial structural effect contributed 0.8%, and the energy intensity

effects contributed (-3.7)%. In 90's, the average rate of energy

consumption rate increased by 11.5% per annum where the

contribution of production effect was 8.0%, that of industrial

structural effect was 0.3%, and that of energy intensity effect was

(+3.3)%.

To summarize, firstly, production effect overwhelmingly had

influenced in increase in energy consumption in both 1980's and

1990's. However, contribution of production effect showed down from

the beginning of the 90's. Secondly, industrial structural effects are all

marked with positive sign (+) although the size is not large. This

implies industrial structure proceeded towards more energy intensive

structure. Thirdly and most importantly, the sign of the energy

intensity effect was negative (-) in the 80's, but positive (+) in the

Page 8: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90's. This indicates that the energy efficiency was improved when

high oil price maintained in the 80's; however, when the oil price

was very low in the 90's, the energy efficiency deteriorated.

The result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shows quite different

outcomes compared to the previous. Four years after the financial

crisis, the annual average energy consumption rate increase was as

low as 2.8%, where contribution of the production effect was 7.3%,

that of the industrial structure effect was (-5.7%), and that of the

energy intensity effectwas (+1.3)%. The overall energy intensity had

been decreasing at (-4.3%)/year. However, the result of

decomposi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ontribution of the energy

intensity was positive (+), which implies that the energy efficiency

has rather worsen. Therefore, the reason for the low energy

consumption rate and low elasticity of the energy․value added was

owing to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to the less energy intensive

structure in industrial structure (-5.7%).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on the whole, the energy efficiency has gone downhill during this

period.

In conclusion, the energy efficiency, which is the key feature in

establishing strateg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nowadays requires

strong political approaches, and the research in the coming years

would include the analysis of the energy efficiency and its potential

strategies for realizing energy efficiency potential,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analytical models.

Page 9: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목 차

제 1 장 서 언 ·························································································· 1

제 2 장 지속가능한 에 지 논의동향 ····················································· 5

1. 지속가능한 발 의 일반 개념 ·························································· 5

가. 지속가능한 발 논의 약사 ·························································· 5

나. 지속가능한 발 의 일반 개념 ······················································ 6

2. CSD의 지속가능한 에 지 논의사항 ············································· 11

가. 지속가능한 에 지의 개념 ·························································· 11

나. 지속가능한 에 지의 주요 과제 ················································· 13

다. 지속가능한 에 지 구축의 주요 수단 ········································ 15

라. CSD 논의의 시사 ···································································· 17

3. WSSD의 지속가능한 에 지 논의사항 ··········································· 19

가. WSSD 개 ················································································· 19

나. WSSD 에 지부문 논의 결과 ····················································· 20

4. IEA의 에 지부문의 지속가능성 논의사항 ···································· 26

가. 경제 지속가능성과 에 지공 의 안정성 ······························· 26

나. 에 지부문의 지속가능성과 기 리 ········································ 27

5. 우리나라 에 지부문의 지속가능발 의 과제 ······························· 29

가. 우리나라 에 지부문의 지속가능발 의 과제 ···························· 29

나. 제조업 부문의 에 지소비 요인 분석 ········································ 30

제 3 장 에 지소비 요인분해 방법론 ···················································· 32

1. 용어 정의 ·················································································· 32

2. 단순 요인분해 이론 ········································································ 34

가. 단순 요인분해 이론: Hankinson(1983) ······································· 34

Page 10: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ii

나. 단순 요인분해 이론: Reitler(1987) ·············································· 41

다. 단순 요인분해 이론: Park(1992) ················································· 47

3. 디비지아 요인분해 이론 ································································· 50

가. 디비지아 요인분해 이론의 도입 ················································· 50

나. 모수 디비지아 방식의 개발 ····················································· 56

다. 로그 디비지아 방식 ···································································· 62

4. 국내 요인분해 연구문헌 ································································· 64

제 4 장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 분석 ················································ 67

1. 분석 자료 ························································································ 67

2. 제조업 부가가치와 에 지소비 개 ············································· 68

3. 세부 산업별 분석 ··········································································· 75

가. 산업별 부가가치 변화 분석 ························································ 75

나. 산업별 에 지소비 변화 분석 ····················································· 79

다. 에 지다소비 산업의 변화 분석 ················································· 83

라. 에 지 원단 분석 ···································································· 86

마. 업종별 분석 요약 ········································································ 90

제 5 장 제조업부문 에 지소비 요인분해 결과 ···································· 93

1. 요인분해 방법론 ············································································· 93

2. 단일 기간 요인분해 결과: ’81~2001년 ·········································· 95

3. 두 기간 요인분해 결과 ··································································· 97

가. 외환 기 이 : ’81~’97년 ·························································· 97

나. 외환 기 이후: ’97~2001년 ························································ 99

다. 외환 기 ․후기의 비교 ······················································ 102

라. 80년 와 90년 의 요인분해 비교 ············································ 105

마. 1구간과 2구간의 요인분해의 비교 ············································ 107

Page 11: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iii

4. 다 기간 요인분해 결과 ································································· 109

5. 연도별 요인분해 결과 ··································································· 111

제 6 장 결 어 ······················································································· 118

[ 참 고 문 헌 ] ···················································································· 125

<부록 1> 세계 에 지소비 비교표 ······················································ 129

<부록 2>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 비교표 ·············································· 139

Page 12: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iv

표 차례

<표 2-1> WSSD의 빈곤탈피와 에 지 근성 제고 조항 ················· 23

<표 2-2> WSSD의 에 지부문 략 ·················································· 24

<표 2-3> WSSD의 에 지부문 략 (계속) ······································· 25

<표 4-1> 제조업부분의 에 지소비 추이 ··········································· 70

<표 4-2> 에 지․부가가치 탄성치 변화 ··········································· 71

<표 4-3> 에 지․부가가치 탄성치 변화 (계속) ······························· 72

<표 4-4> 외환 기 이후의 에 지부문의 변화 ·································· 72

<표 4-5> 외환 기 ․후의 에 지부문의 변화 ······························ 74

<표 4-6> 산업별 에 지소비 증가율 ·················································· 79

<표 4-7> 산업별 부가가치 증가율 ····················································· 79

<표 4-8> 주요 산업별 부가가치 에 지소비 ································ 83

<표 4-9> 주요 산업별 부가가치 에 지소비 비 ······················· 84

<표 4-10> 산업별 에 지 원단 변화 추이 ····································· 86

<표 4-11> 산업별 에 지 부가가치 비 (2001년) ······················· 88

<표 4-12> 에 지 원단 변화율 추이: 제조업 체 ························ 89

<표 4-13> 에 지 원단 연평균 변화율 ··········································· 89

<표 4-14> 산업별 상 에 지원단 추이 ···································· 92

<표 5-1> 에 지소비 요인분해: ‘81-’2001년 ······································· 95

<표 5-2> 에 지소비 요인분해: ‘81-’97년 ·········································· 98

<표 5-3> 에 지소비 요인분해: ‘97-2001년 ······································ 100

Page 1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v

<표 5-4> 외환 기 이후의 산업구조 변화 (부가가치 비 ) ············ 101

<표 5-5> 에 지소비 요인분해 비교: 외환 기 과 후 ················· 102

<표 5-6> 외환 기 이후의 에 지부문의 변화 ································ 104

<표 5-7> 에 지소비 요인분해의 구간별 비교: 80년 와 90년 ··· 105

<표 5-8> 요인분해 구간별 향 ······················································· 108

<표 5-9> 5년단 요인분해 결과 ····················································· 109

<표 5-10> 요인분해 구간별 향 ····················································· 110

<표 5-11> 연도별 요인별 효과: 부호 ··············································· 111

<표 5-12> 연도별 요인별 효과: 부호 (계속) ···································· 111

<부표 1-1> 각국의 에 지 소비량 ··················································· 131

<부표 1-2> 국가그룹별 에 지 소비량 ············································ 132

<부표 1-3> 1인당 에 지 소비 상 국 ············································ 133

<부표 1-4> 그룹별 1인당 에 지 소비량 ········································· 134

<부표 1-5> 주요 국가의 연도별 1인당 에 지 소비량 ···················· 135

<부표 1-6> 에 지원단 와 연평균 변화율: Annex II 국가 ··········· 136

<부표 1-7> 에 지원단 와 연평균 변화율: 개도국 ························ 137

<부표 1-8> 에 지원단 와 연평균 변화율: 동구권 국가 ··············· 138

<부표 2-1> 각국의 이산화탄소 배출 ················································ 139

<부표 2-2> 국가그룹별 이산화탄소 배출 ········································· 140

<부표 2-3>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 상 국 ····································· 141

<부표 2-4> 그룹별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 ····································· 142

<부표 2-5> 주요국가의 연도별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 ·················· 143

Page 14: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vi

<부표 2-6> 탄소집약도와 연평균 변화율: Annex II 국가 ··············· 144

<부표 2-7> 탄소집약도와 연평균 변화율: 개도국 ···························· 145

<부표 2-8> 탄소집약도와 연평균 변화율: 동구권 국가 ··················· 146

<부표 2-9> 이산화탄소 비 과 GDP의 비 : 2000년 ······················ 147

Page 15: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vii

그림차례

[그림 4-1] 최총에 지 제조업 에 지의 비 ································ 68

[그림 4-2] 에 지와 부가가치 증가추이 ············································· 69

[그림 4-3] 산업별 부가가치 추이 ······················································· 75

[그림 4-4] 산업별 부가가치 비 추이 ·············································· 76

[그림 4-5] 산업별 에 지소비 비 추이 ··········································· 80

[그림 4-6] 산업별 부가가치 에 지소비 비 : 1981년 ················· 81

[그림 4-7] 산업별 부가가치 에 지소비 비 : 2001년 ················· 82

[그림 4-8] 산업별 에 지 원단 변화 ············································· 87

[그림 5-1] 제조업부문 에 지소비 요인분해 ···································· 112

[그림 5-2] 생산효과 ·········································································· 112

[그림 5-3] 산업구조 효과 ·································································· 113

[그림 5-4] 연도별 에 지 원단 효과 ············································· 114

[그림 5-5] 요인별 효과 ······························································ 115

[그림 5-6] 에 지소비 연도별, 요인별 기여도 ································· 116

[그림 5-7] 요인별 기여도 ························································· 117

Page 16: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1장 서언 1

제 1 장 서 언

2002년 8월 남아 리카공화국의 요하네스버그에서 개최된 ‘지속가능발

에 한 세계정상회의’(WSSD: World Summit on Sustainable

Development)를 계기로 에 지부문이 각국의 지속가능한 발 을 해

요한 부문으로 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지속가능발 을 한 에 지부문의 략을 도

출하기 해 연차 으로 수행되고 있는 연구의 ‘제 1 차’ 년도 연구로서

향후 후속 연구에 한 기반을 구축하기 한 연구이다. 이를 해,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과 에 지에 한 CSD, WSSD, IEA의 논의를 토 로

지속가능한 에 지에 한 개념을 정립하 다. 에 지 효율이 지속발

에 지 략의 최우선 과제로 두됨에 따라, 지난 20년에 걸쳐 제조업부

문의 에 지소비와 에 지효율을 분석하 다. 이를 토 로 향후 후속 연

구가 수행될 것이다.

지속가능발 세계정상회의는 1992년 라질 리우에서 개최된 ‘유엔환

경개발회의’ 10주년을 맞아 개최된 정상회의로서, 21세기의 인류의 지속

가능한 발 을 달성하기 한 이행계획(Plan of Implementation)을 채택

하 다. 이는 보다 근원 으로 1972년 스톡홀름에서 개최된 ‘유엔인간환

경회의’의 연속선상에서 개최된 것이다. 한편, 유엔의 지속발 원회

(CSD: Commiss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는 2000년 부터 문가

의체를 구성하여 지속가능한 에 지에 한 논의를 진행하 으며,

2001년 제9차 CSD 총회에서 지속가능한 에 지에 한 결정문을 채택

Page 17: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2

하 다. 기후변화 약 련 사항도 반 을 거듭하고 있다. 1997년 교토

의정서가 채택된 이후, 2001년 교토메카니즘에 한 마라 쉬 합의문이

채택되었다. 교토의정서에 한 각국의 비 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2001

년 미국은 쿄토의정서에의 불참을 선언하고 나서 교토의정서의 미래가

불확실한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2000년 9월 통령 자문 ‘지속가능발

원회’의 출범을 계기로 지속가능한 발 에 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

다.

에 지부문은 WSSD에서 수자원, 농업, 생물다양성, 보건과 함께 5

핵심분야로 설정되어 지속가능한 발 을 해 요한 과제로 두되었

다. CSD는 2006년과 2007년에 에 지를 주제로 하여 이행결과를 논의

할 계획임에 따라, 지속가능한 발 과 에 지부문의 연계성이 강화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에 지부문은 지난 30년 동안 경제성장을 지원하는 과정

에서 양 팽창을 거듭하 으며 동시에 질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에 지 소비의 환경성 제고가 주요 과제로 두되고 있다. 동

시에, 환경에 한 인식이 강화됨에 따라 에 지 공 시설에 한 사회

수용성 제고가 요한 과제로 두되고 있다. 한편, 에 지의 수입의

존도와 원유의 동의존도가 높은 상황이 지속되면서 에 지원의 안정

인 공 기반의 확충과 에 지 기에 한 응능력의 향상은 여 히

에 지정책의 핵심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내외 변화를 감안

할 때, 향후 에 지 정책은 환경성, 경제성, 사회성, 안정성의 가치를 균

형 으로 조화시킴으로써 지속가능발 을 달성하는 방향으로 질 변화

를 도모해야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지속가능한 발 을 한 에 지부문의 략을

Page 18: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1장 서언 3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①개념의 정립, ② 상황에 한

지속가능성 분석, ③분석모델의 개발, ④DB의 구축, ⑤정책의 도출 등을

연차 으로 추진하는 다년도 연구 제 1 차 년도 연구이다.

제 1 차 년도 연구는 ①지속가능성에 한 개념 정립과 ②우리나라의

에 지부문에 한 지속가능성 평가를 양 목표로 추진되었다. 지속가

능성 평가의 일환으로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 증가의 요인을 분석하

고 이를 에 지 효율성의 에서 재조명하 다. 이 과정에서 요인분해

방법론(Decomposition)을 활용하 다. 제2장에서 자세히 논의하겠지만,

우리나라의 지속가능한 에 지 략의 핵심은 ①에 지 공 의 안정성

확보, ②에 지효율의 제고, ③신재생에 지의 경제성 확보, ④신에 지

기술의 개발로 요약된다. 이 에서도 ‘에 지 효율’은 경제 지속가능성

과 환경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제고시키는 매우 요한 략이다.

한편, 제조업 부문은 우리나라 최종에 지 소비의 반 이상을 차지하

고 있는 요한 부문이며, 경제성장의 견인차를 담당하고 있는 부문이기

때문에 경제와 환경이 가장 첨 하게 립되고 있는 부문이다. 지속가능

발 은 경제와 환경의 립 계 속에서는 해법이 도출되기 어렵다. 지속

가능발 은 경제와 환경의 조화 속에서 해법이 도출되어야 한다. 이와

련하여, 에 지부문에서 경제와 환경의 조화를 도모하는 략이 바로

에 지효율 략이다.

이에 따라, 제조업 부문에 하여 에 지효율의 에서 분석하 다.

특히, 요인분해 방법론을 활용하여 에 지효율을 포함하여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 요인을 분석하 다.

제2장은 지속가능한 에 지 략에 한 국제 논의 동향을 살펴 보

고 이를 토 로 지속가능성에 한 주요 개념들을 살펴 본다. CSD의 논

Page 19: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4

의동향, WSSD의 논의동향, 국제에 지기구의 논의동향을 살펴 보고 지

속가능한 에 지 략에 한 주요 요소들을 도출한다. 제3장은 우리나

라 에 지부문의 지속가능성과 에 지효율성 평가의 사 단계로서, 요

인분해 방법론에 해 살펴 본다. 제4장은 우리나라 에 지소비의 반

을 차지하는 제조업 부문에 해 과거 20년간에 걸친 에 지소비의 변

화와 부가가치 변화, 그리고 양자간의 계 에 지효율성을 분석한

다. 제5장은 제조업 부문에 요인분해 방법론을 용하여 에 지소비 증

가에 한 생산효과, 에 지 원단 효과, 그리고 산업구조 효과의 요인

별 향을 추정한다. 이를 토 로 제조업 에 지소비의 지속가능성, 특

히 에 지 효율성에 하여 분석한다. 제6장은 결어와 향후 연구방향에

해 논의한다. 부록으로 주요국별 에 지 이산화탄소 배출의 비교표

를 수록한다. 이는 제 2 차 년도 연구에서 활용하기 해 구축하고 있는

데이타베이스의 일부이다.

Page 20: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2장 지속가능한 에 지 논의동향 5

제 2 장 지속가능한 에 지 논의동향1)

1. 지속가능한 발 의 일반 개념

가. 지속가능한 발 논의 약사

‘지속가능한 에 지미래’(Sustainable Energy Future)는 어떠한 것일

까? 지속가능한 에 지미래를 논의하기 해서는 지속가능한 발 이란

무엇을 의미하는 지에 한 논의가 필요하다. 다음에 지속가능한 발 이

란 개념이 자리잡게 된 역사 과정을 간략히 살펴 본다.

지속가능한 발 (Sustainable Development)이라는 개념은 1972년 스웨

덴의 스톡홀롬에서 개최된 UN인간환경회의(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he Human Environment)에서 본격 으로 등장되었다.2) 그후, 1982

년 나이로비 선언이 채택되었으며, 1987년 세계인간환경 원회(World

Commission on Enviroment and Development)는 ‘Our Common

Future'를 발간하여 지속가능발 에 한 개념을 학문 으로 정립하 다.

이어서, 1992년 라질의 리우데자네이로에서 개최된 유엔환경개발회

의(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에서

1) 본 은 「지속가능한 에 지시스템 추진 략 연구」(오진규, 에 지경제연구원,

2002)의 제2장을 수정․보완하 다.

2) Sustainable Development는 ‘지속가능한 개발’, ‘지속가능한 발 ’ 는 ‘지탱가능한

발 ’ 등으로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지속가능한 발 ’으로 해석하

여 사용한다.

Page 21: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6

는 ‘환경 으로 건 하고 지속가능한 발 ’(ESSD: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이라는 개념으로 구체화되었다.3)

리우회의 10주년을 맞아, 2002년 요하네스버그에서 ‘지속가능발 에

한 세계정상회의’(WSSD: World Summit on Sustainable Development)

가 개최되어 21세기에 지속가능발 이 세계 으로 핵심 과제로

두되게 되었다. 1972, 1992, 2002년 회의의 명칭에서 암시되는 바와 같

이, 인류의 지속가능성 문제는 기에는 환경성이 강조되었으며 최근에

는 지속가능성이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 9월 통령 직속의 자문기구로 ‘지속가능발

원회’를 출범시키면서 지속가능한 발 이 국가의 주요 의제로 두

되고 있다.4)

나. 지속가능한 발 의 일반 개념5)

지속가능한 발 의 개념 특성은 무엇인가? 1987년의 ‘Our Common

Future' 보고서는 '지속가능한 발 이란 미래세 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한 잠재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재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발 ’을 의

미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Sustainable development is development that meets the needs of present

without compromising the ability of future generations to meet their own

needs'(WCED, 1987, p. 43)

3) 리우회의 이후 1993년에 UN산하에 지속가능발 원회(CSD: Commiss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가 설치되었으며, 매년 각료회의가 개최되고 있다.

4) 우리나라의 지속가능발 원회는 홈페이지: http://www.pcsd.go.kr/를 운 하고

있으며, 지속가능발 에 한 다양한 자료와 활동 황을 수록하고 있다.

5) 본 소 은 IEA의 종합보고서 「Toward a Sustainable Energy Future」 (2001)의 1

장과 2장을 요약하여 정리하 다.

Page 22: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2장 지속가능한 에 지 논의동향 7

이러한 지속가능한 발 의 개념에 해 다양한 해석과 논의가 진행되

었다. 이 본 소 에서는 두가지 의 논의를 요약한다. 첫째로, 지속

가능한 발 은 경제성, 환경성, 사회성의 3가지 요소를 포 하는 개념이

라는 이다. 둘째로, 지속가능한 발 은 시간 동태성, 공간 범지구

성, 그리고 정책 포 성을 가지는 개념이라는 이다.

1) 지속가능한 발 의 3 요소

지속가능한 발 은 경제성, 환경성, 그리고 사회성의 3가지 요소를 포

하는 개념이다. 지속가능한 발 은 경제성, 환경성, 사회성간의 연계성

을 강조하며, 동시에 삼자간의 보완성과 균형성을 시하는 개념이다.

경제 지속가능성은 강력하고 지속 인 경제성장을 의미한다. 이는

역사 으로 모든 나라에서 가장 요한 과제로 추진되고 있는 사안이다.

여기에 환경성과 사회성이 추가된 종합개념이 지속가능한 발 의 개념

이다. 환경 지속가능성은 생태계 그리고 물리시스템 안정성을 의

미하며, 동시에 건강한 환경의 보 을 의미한다. 사회 지속가능성은

비교 최근에 강조되고 있는 사항으로서, 형평성, 사회시스템의 안정성,

이해당사자들의 민주 인 참여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간 각국이 경제

성장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효율성이 강하게 강조되어 왔으나, 지속가능

발 이라는 종합개념이 차 요해지고 있다. 다시 말하면, 지속가능한

발 은 한 환경보 과 사회 형평성 제고를 고려하는 경제성장을

의미한다.

Page 2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8

2) 지속가능한 발 의 개념 정의6)

지속가능한 발 은 시간 으로는 동태성을 요구하는 반면, 공간 으로

는 범지구성을, 그리고 정책 으로는 통합성을 요구한다. 다시 말하면,

지속가능성은 미래지향성, 범지구성, 통합성의 특성을 가지는 개념이다.

이제 이들에 해 상세히 살펴 본다.

첫째로, 지속가능성은 미래지향 개념이다. 이는 ‘미래세 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능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세 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발

’이라는 정의에 잘 나타나 있다. 미래지향성은 정책의 평가시 새로운

을 요구한다. 어떤 정책이 지속가능한 발 에 기여했느냐에 한 평

가는 ① 동태 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과, ② 미래의 변화에

한 응력을 기 으로 평가되어야 한다는 이다. 어느 한 고정된 시

에서 정책의 목 달성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동태 인 에

서 평가해야 한다.

동태 의 의미는 정책이 ‘미래의 변화’에 하여 한 응 시

스템을 구축하는 데 기여하 느냐가 요한 평가기 이 된다. 미래의 변

화는 견된 변화일 수도 있으며 때로는 측이 불가능한 변화일 수도

있다. 지속가능성은 이러한 미래의 변화의 가능성에 한 응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때 달성될 수 있다. 한 국가시스템이 미래의

상되지 못한 변화로 탈선하게 되는 경우 이는 지속가능한 시스템이라

고 할 수 없다. 여기서 동태성과 미래의 시계는 사안에 따라 다른 것이

일반 이다.

6) 문맥의 뜻을 해하지 않는 경우 지속가능한 발 을 지속가능성으로 축약하여 병기

하기로 한다. 이는 어에서 Sustainable Development와 Sustainability를 혼용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이다.

Page 24: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2장 지속가능한 에 지 논의동향 9

지속가능성의 미래지향 특성과 에 지부문과의 계를 살펴 본다.

에 지부문의 지속가능성 시계는 체로 ‘장기’의 시계를 갖는다. 시계가

장기이기 때문에 ‘여건 변화’에 한 ‘신속한 응’이 어렵다. 따라서, 에

지부문의 정책은 여건변화에 한 신속한 응이 어렵다는 이 충분

히 고려되어 입안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응능력을 제고시키는 정

책이 지속가능성을 제고시키는 정책이 된다. 한, 에 지부문에서 미래

의 변화를 정확하게 측하는 경우, 이는 지속가능성을 제고시킨다.

를 들어, 석유 가스의 고갈성으로 인한 에 지원의 변화를 측할 수

있어야 한다. 한, 지역 편재성 우발 사태로 인한 단기 에

지공 의 단 기 등에 한 기 응능력을 강화하는 것도 지속가능

성을 제고하는 방안이다.

둘째로, 지속가능성은 범지구 특성을 가지는 개념이다. 최근, 한 나

라의 정책이 다른 나라에 미치는 향이 차 커지고 있다. 세계화는 지

역간, 국가간의 상호연계성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에서 세계화는

지속가능성에 해 요한 의미를 지닌다. 범지구성은 불가피하게 국가

간의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게 된다. 지속가능성이라는 동일한 목표에

해서도 선진국과 개도국간에 정책 시각이 다르게 된다. 일반 으로,

앞에서 살펴 본 경제성, 환경성, 사회성의 요소 선진국은 환경성을 강

조하나 개도국은 경제성 는 사회성을 강조한다.

에 지부문의 경우, 세계석유시장, 기후변화, 세계 빈곤층에 한

력공 문제는 범지구 에서 근해야 하는 문제이다. 최근에는 에

지산업의 구조변화도 범지구 으로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에 지산업

구조개편과 자유화, 신기술 개발, 환경이슈의 증 , 정보기술의 발 ,

자상거래 등은 앞으로 에 지부문에서 지구 인 지속가능성에 향을

Page 25: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0

미칠 것으로 상되는 요인들이다.

세째로, 지속가능성은 정책 통합성을 필요로 하는 개념이다. 지속가

능성의 3가지 목표, 즉 경제 , 환경 , 사회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달

성하고자 할 때, 이들 3가지 목표가 어떠한 분야에서 상충되며, 이를 극

복하기 한 방안은 무엇인지가 요한 사항이다. 일반 으로 에 지 서

비스간의 체성을 높이면 목표간의 상충을 일 수 있다. 에 지분야의

기술진보는 경제성, 환경성, 사회성을 동시에 개선시킬 수 있다. 를 들

어, 복합가스터빈의 활용은 경제 효율성을 제고시킴과 동시에 환경

피해를 감소시킴으로써 사회 폐혜도 최소화할 수 있다.

반면, 에 지부문에서 3가지 목표가 서로 상충되어 장애요인에 직면하

는 도 많다. 무엇보다 에 지소비시 부산물로 발생하는 환경오염물질

이 경제성과 환경성의 상충을 래하는 이다. 한, 정 에 지가격

의 설정도 쉽지 않다. 에 지가격을 낮게 하는 경우 에 지혜택을 리

확 하는 정 측면(사회성)이 있으나, 에 지소비의 증가를 래하여

환경에 악 향을 미치는 부정 측면(환경성)을 가진다. 반 로, 에 지

가격을 높게 하는 경우, 환경성은 제고되나, 에 지혜택의 수혜 범 가

작아지게 된다.

Page 26: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2장 지속가능한 에 지 논의동향 11

2. CSD의 지속가능한 에 지 논의사항7)

UN의 지속가능발 원회(CSD: Commiss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는8) ‘에 지와 지속가능발 에 한 정부간 문가 의체’

를 구성하여 2000년 3월과9) 2001년 3월10) 두차례에 걸쳐 지속가능발

을 한 에 지부문의 과제와 략에 해 논의하 다. 상기 논의를 토

로 2001년 4월 개최된 제9차 지속가능발 원회 총회에서 ‘지속가능

한 발 을 한 에 지’에 한 합의문을 채택하 다.11) 본 소 은 지속

가능발 원회 차원의 논의사항을 요약한다.

가. 지속가능한 에 지의 개념

지속가능발 원회는 지속가능한 에 지시스템을 ①충분한 에 지

의 공 ․ 근과 ②지속가능성의 두가지 요소로서 정의하 다.

첫째로, 충분한 에 지의 공 은 충분한 근(Adequate access) 그리

고 경제 으로 감당가능한 기회(Affordable access)의 제공을 의미한다.

이는 곧 ‘에 지 빈곤’의 퇴치를 의미하며 개도국에 해당되는 사항이다.

7) UNCSD의 홈페이지: http://www.un.org/esa/sustdev/csd.htm.

8) UN의 CSD는 1992년 개최된 리우 환경회의의 결의에 따라, 1993년에 UN의 경제사

회이사회 산하에 설립되었으며, 국제 으로 지속가능발 에 한 사항을 장하는

기구이다.

9) 련문서의 번호는 ‘UN ESC, E/CD.17/ESD/2000/3'으로서 ’Energ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Key Issues'의 제하의 문서이다.

10) 련문서의 번호는 ‘E/CD.17/ESD/2001/2'으로서 ’Energ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ptions and strategies for action on key issues'의 제하의 문서이다.

11) 총회문서 번호는 'UN CSD, E/2001/29: E/CN.17/2001/19'이며 에 지부문은

'Decision 9/1'로서 총회문서의 1~14 페이지에 수록되어 있다.

Page 27: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2

재 60억명의 세계 인구 3분의 1인 20억명의 인구가 의미의

에 지를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에 지 비수혜자에 하여 충분하고 경

제 으로 감당가능한 에 지의 공 이 개도국의 지속가능발 을 해

시 한 에 지부문의 과제이다.

둘째로, 지속가능성은 에 지 공 양식과 소비양식에 한 것으로 주

로 선진국에 해당되는 사항이다. 지속가능한 에 지는 ①환경 으로 건

하며, ②사회 으로 수용성이 있어야 하며, ③경제 으로 발 할 수

있는 방식으로(environmentally sound, socially acceptable and

economically viable way) 공 되고 소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지속가능한 에 지는 에 지 효율 이며, 환경 으로 건

하며, 비용효과 인 에 지시스템(energy efficient, environmentally

sound, and cost-effective energy system)을 의미한다.12)

요약하면, 지속가능발 을 한 에 지는, ① 렴하고 충분한 에 지

의 공 , ② 환경 건 성, 사회 수용성, 경제성을 갖춘 에 지시스

템, ③ 효율 이며 비용효과 인 에 지시스템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지속가능한 에 지시스템의 두가지 요소인 ①충분한 에

지의 공 과 ②지속가능성에 있어서, 충분하고 렴한 에 지의 공 은

지난 30년간의 에 지 정책 추진을 통해 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제 우리나라의 과제는 지속가능성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에 지 수

에 있어서, 환경 건 성, 에 지 효율성, 비용효과성, 사회 형평성

과 수용성 제고를 추진하는 것이 요한 과제이다.

12) 문장의 정확성을 해 필요시 문을 병기한다.

Page 28: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2장 지속가능한 에 지 논의동향 13

나. 지속가능한 에 지의 주요 과제

지속가능발 원회는 지속가능발 을 한 에 지시스템 구축을

해 다음과 같은 일곱가지 과제를 제시하 다. 이는 범지구 에서의

과제이기 때문에 일반론 인 사항이며 각국의 여건에 따라 각 과제의

우선순 는 다르게 나타난다.

①에 지 혜택의 범 한 제공(Accessibility of energy), ②에 지효

율(Energy efficiency), ③재생에 지(Renewable energy), ④고도 화석

연료 기술(Advanced fossil fuel technologies), ⑤원자력 에 지

(Nuclear energy technologies), ⑥농 에 지(Rural energy), ⑦수송부

문 에 지(Energy and transport)

다음에 각 과제별로 주요사항을 개 한다. 첫째로, 세계 으로 지속

가능한 발 을 도모하기 해서는 개도국의 빈곤퇴치가 최우선 인 과

제이다. 이를 해, 렴하고 충분한 에 지에 한 근은 개도국의 빈

곤퇴치에 필수 인 사항이다. 이를 해, 력생산의 확 , 바이오매스의

이용, 지역 특성에 맞는 재생에 지의 활용이 필요하다. 최빈

국의 경우, 에 지공 을 확 하면 여성의 노동시간을 확 시킬

수 있다.

둘째로, 에 지효율은 선진국과 개도국 모두에 해 비용효과 인

략이다. 재 에 지효율은 그 잠재량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못하다.

에 지효율에 한 장애요인은 시장의 불완 성, 기술 근의 어려움,

자 의 부족, 개도국의 취약한 시스템 등이다. 에 지 효율을 증진시키

기 해 국가 지역단 의 에 지효율 로그램의 수립이 필수 이다.

그리고, 에 지효율 기술의 개발 보 을 확 해야 한다. 수송설비, 도

Page 29: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4

시건설, 산업부문, 농업부문 등 수명이 장기간인 에 지 련 인 라를

구축할 때, 에 지효율을 통합 으로 반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세째로, 지속가능한 에 지시스템의 구축에 있어서 재생에 지의 확

는 핵심 인 사안이다. 그러나, 태양, 풍력, 조력, 지열, 바이오매스, 수력

등의 비 을 획기 으로 증 시키는 데 있어서 선진국과 개도국 모두

상당한 장애요인이 존재한다. 특히, 비용이 가장 큰 장애요인이다. 따라

서, 재생에 지의 비용 감을 한 수단을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인센

티 규제제도를 통해 민간기업의 재생에 지기술 개발을 유도해야

한다. 한, 지역 고유의 재생에 지원을 개발해야 한다.

네째로, 화석에 지는 향후 수십년 동안 주 에 지원으로 활용될 것이

다. 따라서, 고도의 청정 화석에 지 기술의 개발 활용이 확 되어야

한다. 이를 해, 공해 화석연료기술에 한 연구개발을 확 해야 하

며, 고도의 화석연료 련 기술에 한 근 비용 감을 추진해야 한

다.

다섯째로, 지속가능한 에 지와 원자력에 지는 미묘한 문제이다. 원

자력은 세계 력생산의 16%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원자력발 은 안

, 원 연료, 방사성 폐기물 리에 해 상당한 우려가 있다. 원자력발

에 한 선택은 각국의 재량이다. 일부 국가는 원자력발 을 비용과

환경측면에서 지속가능한 에 지원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국가는 원자력을 갖고 있지 않으며, 원자력을 지속

가능한 에 지원으로 간주하고 있지 않다. 원자력 안 문제, 폐연료 문

제, 방사성 폐기물 리 문제에 효과 으로 응하기 해, 각국별로 연

구노력을 강화하고, 국제 으로 력을 강화해야 한다. 그리고, 공공참여

Page 30: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2장 지속가능한 에 지 논의동향 15

의 확 를 통해 원자력 안 문제와 련된 정책결정의 투명성을 개선해

야 한다.

여섯째로, 2015년 까지 하루에 1불 이하로 생존하는 인구를 반으로

이려는 국제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서, 농 지역에서 렴한 에

지에 한 근은 필수 요건이다. 농 지역의 에 지문제 해결에 한

장애요인은 자 의 제약, 기술의 부족, 높은 투자비, 심부족에 있다.

재의 바이오매스 사용방식을 개선함과 동시에, 존의 바이오매스에서

탈피하여 고 연료로의 환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난방과 취사부문에

서 가스 는 석유로 환해야 하며, 력 사용 확 를 실 해야 한다.

빈곤타 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 에 지에 한 연구개발을 강화해야

한다. 그리고, 농 지역에서 재생에 지 개발 활용을 진해야 한다.

한, 먼거리로부터 목재 연료를 운반하는 데 한 여성들의 과도한 노

역을 개선해야 한다.

일곱째로, 수송부문은 요한 에 지 소비부문이다. 수송부문은 향후

에 지소비가 빠르게 증가될 것으로 상되는 부문이다. 따라서, 지속가

능한 수송시스템의 구축을 해 통합 이며 종합 인 근을 추진해야

한다. 교통 시스템, 철도, 해상화물 시스템의 구축시 에 지문제를

반 해야 한다. 그리고, 각 수송수단별로 연료효율을 개선해야 하며, 연

료의 청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다. 지속가능한 에 지 구축의 주요 수단

지속가능발 원회는 지속가능발 을 한 에 지시스템 구축을

한 주요 수단으로서 다음의 여덟가지 수단을 제시하고 있다. 다음에 이

를 개 한다.

Page 31: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6

①연구개발, ② 능력배양, ③기술이 , ④정보확산, ⑤재정문제, ⑥가격

기구 활용, ⑦공공 이해집단 참여, ⑧지역 력

첫째로, 지속가능한 에 지사용을 달성하는 데 있어서, 국가 , 지역

, 세계 범 에서, 청정화석연료 기술, 선진화석연료 기술, 고효율

에 지 기술, 재생에 지 기술에 한 연구개발을 확 해야 한다. 정부

는 민간부문의 연구개발 투자를 확 하기 해 인센티 를 개발해야 한

다. 한, 에 지 련 연구개발은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이 한 역할

분담하에 추진되어야 한다.

둘째로, 개도국의 에 지 근 확 를 해 개도국 자체의 능력배양이

필수 이다. 개도국의 조직, 인 라, 제도, 인력 등이 강화되어야 하며,

이를 해 국제 력과 지원이 필수 이다.

세째로, 지속가능한 발 을 한 에 지 활용을 증 시키기 해, 친

환경 기술의 개도국으로의 이 이 필수 이다. 기술이 은 기술 력,

기술의 노하우의 이 , 이 된 기술의 효과 사용을 한 경제 , 기술

, 제도 능력의 배양을 포함한다. 기술 력은 기술공 자로서의 기업

과 기술수요자로서의 정부의 공동노력을 필요로 한다.

네째로, 에 지 계획수립과 에 지기술의 활용에 있어서, 정보와 지식

의 확산은 매우 요하다. 특히, 정책결정자들에 한 정보확산은

한 에 지공 의 옵션을 선택하는 데 요한 향을 미친다. 동시에, 인

터넷은 정보확산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다섯째로, 지속가능한 에 지시스템을 구축하기 해 개도국에 한

재정지원이 필수 이다. 재정지원을 해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t)의 확 에 노력해야 한다. 개도국은 에 지인 라 투자의 유치

를 해 노력해야 한다.

Page 32: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2장 지속가능한 에 지 논의동향 17

여섯째로, 가격기구는 지속가능한 에 지시스템 구축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가격시그날의 활용, 시장왜곡의 제거, 그리고 세제개편과 보조

의 진 폐지를 통해 환경비용을 내부화해야 한다. 각국은 에 지시

장의 기능을 개선하여 지속가능한 개발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

다.

일곱째로, 지속가능한 개발에 기여하는 에 지정책을 수립하기 해서

는 모든 이해당사자의 극 참여가 필수 이다. 특히, 여성을 포함하

여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조직들의 능력을 강화시켜야 한다.

여덟째로, 지역간 력을 통해, 지속가능한 에 지를 공 하기 해

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지역간 에 지

기구를 통해 지역간 에 지 력을 증진시켜야 한다. 경험의 공유, 지역

간 정보의 확산, 연구소간 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력융통 가스

이 라인의 공동 개발 등 지역간 에 지사업을 확 해야 한다.

아홉째로, 개도국들이 자국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달성하기 해 기울

이는 노력에 하여 국제사회의 지원이 필요하다. 국제 지원은 능력개

발, 교육, 기술이 , 정보공유, 연구개발, 재정자 의 동원 등에 효과 이

다. 국제 으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간의 력을 강화해야 한다. 이는

재원확보와 기술이 에 효과 인 방안이다.

라. CSD 논의의 시사

지속가능발 원회가 제시한 지속가능한 에 지시스템 구축을 한

과제는 ①신재생에 지 비 의 확 , ②에 지효율의 개선, ③고도에

지기술의 활용, ④개도국의 에 지혜택의 확 로 요약된다.

지속가능발 원회는 지속가능한 발 에 기여하는 에 지정책을 수

Page 3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8

립하고 시행하는 데 있어서 각국이 고려해야 할 옵션으로 다음의 사항

들을 권고하 다. 첫째로, 다양한 방안의 활용을 권고하 다. 신재생에

지의 비 확 , 에 지의 효율 사용, 고도에 지기술 확 , 화석연료

련 고도기술 용, 통 에 지자원의 활용을 권고하 다. 에 지효율

을 한 국내 로그램의 수립, 모든 경제부문에서 에 지 약 로그램

의 이행, 력 련 신재생에 지 이용 확 , 화석연료 련 고도기술의

개발 확 를 통해 화석연료의 효율 활용, 연구 개발의 강화를

권고하 다. 둘째로, 사회경제 발 로그램 수립시 에 지문제를 고려

할 것을 요구하 다. 에 지 다소비부문에 한 정책 수립시 에 지문제

의 반 , 농 지역의 에 지 공 여건 확충, 투자유치 환경의 개선, 선진

국의 소비행태의 지속가능성 제고, 개도국의 발 과정에서 소비행태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권고하 다. 세째로, 에 지 시장기능의 개선을 권고

하 다. 안정성과 측가능성을 증진시키기 한 에 지시장 기능의 개

선, 에 지 혜택을 확산시키기 한 에 지시장 기능의 개선을 권고하

다. 네째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트 쉽 강화를 강조하고 있다. 친

환경 기술과 설비에 한 정보 확산, 에 지공 련 정책결정과정에

한 공공의 참여 증진, 정책결정과정에서 여성 등 주요그룹의 역할 강

화, 존의 에 지 련 국가기 지방기 의 강화, 국제 력의 요

성을 강조하 다.

Page 34: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2장 지속가능한 에 지 논의동향 19

3. WSSD의 지속가능한 에 지 논의사항

2002년 8월 남아 리카 공화국의 요하네스버그에서 ‘지속가능한 발

에 한 세계 정상회의’(WSSD: World Summit on Sustainable

Development)가 개최되었다. WSSD는 1992년의 리우 환경정상회의 10

주년을 맞아, 지난 10년간의 성과를 평가하고 지속가능발 을 달성하기

한 구체 인 이행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 으로 개최되었다. 본 소

은 WSSD에서 논의된 에 지부문의 지속가능성 제고방안에 해 살펴

본다.

가. WSSD 개

WSSD는 2002년 8월 26일 부터 9월 4일 까지 남아공의 요하네스버그

에서 개최되었다.13) WSSD는 1992년 라질 리우에서 개최된 ‘유엔환경

개발회의’(UNCED) 이후 국제사회의 10년간의 지속가능발 추진성과를

평가하고, 후속조치로서 ‘이행계획’(Plan of Implementation)을 수립하는

것을 목 으로 개최된 정상회의이다. WSSD는 정부간 상회의이다. 따

라서, WSSD의 합의문은 각국 정부에 해 일정한 수 의 구속력을 가

진다.14) WSSD에서 채택된 ‘이행계획’은 각 분야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13) WSSD는 194개국, 86 국제기구, 민간단체 등 4만여명이 참가하 다. 수석 표는 국

가원수(52개국), 정부수반(36개국), 부통령(12개국), 부총리(20개국), 장 (63개국) 등

다양하 다. 우리나라는 외교부장 과 환경부장 을 비롯하여 정부, 국회, 지속가

능발 원회, 연구소, NGO 표 등 다수가 참가하 다.

14) WSSD에서는 ①지속가능한 발 에 한 요하네스버그 선언(Political Declaration),

②이행계획(Plan of Implementation), ③지속가능발 사업을 취합한 ‘ 트 쉽’의

3개 문서가 채택되었다.

Page 35: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20

발 을 달성하기 해 각국이 이행해야 할 의무사항을 담고 있다.

WSSD에서 에 지는 5 핵심분야의 하나로서 지속가능한 발 을 달

성하기 해 매우 요한 분야로 부각되었다. WSSD에서 설정한 2개 핵

심이슈는 ①개도국의 빈곤퇴치와 ②선진국의 지속가능한 생산/소비패턴

의 정착이다. 그리고, 5 핵심분야는 ①수자원, ②에 지, ③보건부문,

④농업, ⑤생물다양성이었다.15)

에 지부문과 련하여 다음의 사항들이 요하게 다루어졌다.

○ 에 지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20억명에 한 에 지공 문제

○ 에 지효율을 증 시키고 재생에 지의 활용을 증가시키는 문제

○ 교토의정서 비 문제

○ 에 지보조 제도와 조세제도의 개

○ 신에 지 기술의 개발 정책

나. WSSD 에 지부문 논의 결과16)

에 지부문은 WSSD 정상회의의 여러가지 의제 가장 늦게 합의가

이루어진 분야이다. 그만큼 지속가능한 에 지에 한 국가간의 입장이

다양하며 첨 하게 립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입장 립은 향후

에도 지속될 망이다. 본 소 은 WSSD의 에 지부문에 한 상결과

를 요약한다.

WSSD에서는 다음의 6개 사항에 해 상이 진행되었다. 이

재생에 지 비 확 를 한 목표설정 문제가 가장 요한 사항이었다.

15) 이들 5개부문의 어 단어 즉, Water, Energy, Health, Agriculture, Biodiversity의

첫 자들을 모은 단어로서 WEHAB이라는 약어가 통용되었다.

16) WSSD 에 지부문의 상과정은「지속가능한 에 지시스템 추진 략 연구」(오진

규, 에 지경제연구원, 2002)에 자세히 정리되어 있다.

Page 36: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2장 지속가능한 에 지 논의동향 21

① 재생에 지 비 확 목표설정

② 에 지 근(access) 개선을 한 행동 로그램 출범

③ 에 지보조 감축일정 설정

④ 정부-민간의 트 쉽 력의 증진

⑤ 9차 CSD 련 행동계획 수립

⑥ 교토의정서 비 문제

이 에서 ① 재생에 지 비 확 목표설정 문제에 해 국가간에 첨

한 입장 립을 보 다. EU는 2010년까지 세계 으로(globally) 재생

에 지의 비 을 15%까지 확 하는 목표를 설정할 것을 주장하 다. 동

시에, 선진국들은 각각 2010년까지 2000년의 재생에 지 비 보다 2%포

인트를 증가시켜야 한다고 주장하 다. 그러나, 이러한 EU의 제안에

해, 미국, 캐나다, 호주, 일본이 강력히 반 하 다. 한, 개도국들은 개

도국의 빈곤퇴치를 해서는 에 지에 한 근(access)의 강화를 한

로그램이 가장 요한 과제임을 주장하면서 재생에 지 확 에 해

미온 으로 근하 다. 결과 으로, 재생에 지에 한 수치 인 목표

의 설정은 삭제되었으며, 신에 ‘각국의 노력을 구’하는 선에서 타

이 이루어졌다.

<표 2-1>과 <표 2-2> 그리고 <표 2-3>은 WSSD에서 채택된 에 지부

문 략을 나타내고 있다. 에 지부문 략은 WSSD의 이행계획 문서의

8조와 19조에 규정되어 있다. 8조는 빈곤퇴치를 한 에 지 근성 제

고를 한 략으로서 주로 개도국을 한 략이 담겨져 있다. 19조는

에 지부문의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패턴을 구축하기 한 략을 담

고 있다. 이는 주로 선진국을 상으로 하는 조항이다.

WSSD에서 에 지는 지속가능한 발 을 한 5 핵심분야 의 하나

Page 37: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22

로 설정되어 심층 인 논의가 진행되었다. WSSD를 통해 지속가능한 에

지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서,

①신뢰성이 높으며(Reliable)

②경제 으로 렴하며(Affordable)

③경제 으로 지탱가능하며(Economically viable)

④사회 으로 수용가능하며(Socially acceptable)

⑤환경 으로 건 한(Environmentally sound) 에 지시스템의 개념이

정립되었다.

WSSD를 통해 에 지부문이 선진국과 개도국을 망라하고 세계 으

로 지속가능한 발 과 환경보 에 핵심 인 역할을 수행하는 분야임이

확인되었다. 그런데, 선진국과 개도국의 우선과제가 다르다. 개도국의 경

우, 아직도 기 등 에 지의 혜택을 받고 있지 못하는 20억명에

해 ‘에 지에 한 근을 강화’하고 이를 한 ‘인 라의 건설’이

요한 사항으로 두되었다. 선진국의 경우, 화석에 지를 친환경 으로

활용하기 해 ‘신에 지 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에 지사용의 환경

폐혜를 최소화하기 해 ’에 지효율을 극 화‘하고, ’에 지믹스를 청정

화‘하며, ‘재생에 지의 활용‘을 확 하는 것이 요한 과제로 두되었

다. 우리나라는 지속 인 경제성장을 뒷받침하기 해 ’안정 이며 신뢰

성있는 에 지공 의 확보‘가 요하며, 환경보 을 해 ’에 지원의 청

정화‘와 ‘에 지효율의 극 화‘가 요구되며, ‘신재생에 지의 확 ’를

한 기술개발이 시 한 과제로 단된다.

Page 38: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2장 지속가능한 에 지 논의동향 23

주: 이행계획(Plan of Implementation)의 제8조임.

<표 2-1> WSSD의 빈곤탈피와 에 지 근성 제고 조항

8. 빈곤층의 비율을 2015년까지 반으로 이는 새천년개발 목표

의 달성과 지속가능한 발 을 해, 신뢰성 있고 렴한 에

지 서비스에 한 근성을 제고시키기 해 각국은 공동조

치를 취해야 한다.

a. 국가는 에 지서비스에 한 근을 제고함. 특히, 농 지역

에 해 화사업과 분산형 에 지시스템을 강화함.

b. 바이오매스와 재생에 지의 사용을 확 함. 이와 련된 기

술에 한 근을 제고함.

c. 재의 바이오매스 사용패턴을 개선하여 지속가능한 활용을

진함.

d. 청정 화석연료로의 환을 지원함.

e. 에 지에 한 근을 개선하기 한 국가에 지정책과 규제

정책을 수립함.

f. 지속가능한 에 지에 한 근을 개선하기 해 여건조성과

능력형성을 한 국제 력과 지역 력을 증진함.

g. 개도국의 경우, 에 지공 이 빈곤퇴치와 생활수 향상에

필요요건임을 고려하여, 빈곤층의 에 지에 한 근을

진함.

Page 39: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24

주: 이행계획(Plan of Implementation)의 제19조임.

<표 2-2> WSSD의 에 지부문의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패턴을 한

략 조항

19. 각국 정부는 지속가능발 을 한 에 지에 한 제9차 CSD

총회의 권고사항과 결정문을 이행한다. 이는 특히 다음사항

들에 한 이행을 포함한다.

a. 제9차 CSD 총회의 권고사항과 결정문에 따라, 재정자 , 기

술이 , 능력형성, 기술확산을 해 추가 인 조치를 취함.

b. 에 지 다소비부문의 정책 수립시, 그리고 사회 인 라 건설

시 에 지문제를 통합 으로 고려함.

c. 신에 지 기술의 개발 확산에 노력함.

d. 통에 지의 지속가능한 활용을 제고함.

e. 에 지기술 개발을 통해 에 지공 원을 다원화함. 자발 인

지역목표의 역할을 인정하면서, 재생에 지의 총에 지공

상의 지구 비 을 상당한 수 으로 증가시키며, 이의 달

성정도를 주기 으로 평가함.

f. 원유생산과 련된 출가스를 임.

g. 지방의 토착 재생에 지원을 개발함.

h. 에 지효율기술의 확산 등 에 지효율 개선을 한 국내

로그램을 수립함.

i. 청정 에 지효율 기술과 에 지 약기술의 개발 확산을

가속화함.

j. 국제 융기구의 개도국 지원을 강화함.

Page 40: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2장 지속가능한 에 지 논의동향 25

주: 이행계획(Plan of Implementation)의 제19조의 후반부임.

<표 2-3> WSSD의 에 지부문의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패턴을 한

략 조항 (계속)

19. 각국 정부는 지속가능발 을 한 에 지에 한 CSD-9의

권고사항과 결정문을 이행한다. 이는 특히 다음사항들에

한 이행을 포함한다.

k. 에 지기술에 한 연구 개발과 이를 한 국제 력을 강화

l. 에 지 련 개도국 지원 국제기구간의 네트워킹 수립

m. 에 지 련 교육의 증진

n. GEF 등은 개도국의 에 지 련 교육 훈련에 해 지원

o. 에 지시장의 기능 투명성, 정보확산을 증진

p. 에 지시장의 왜곡, 특히 보조 개편을 추진

q. 비환경 보조 의 감축을 추진

r. 지속가능발 의 지원을 해 에 지시장의 기능을 개선

s. 국제 에 지 력 강화를 해 에 지 련 기 기구의

기능을 강화

t. 에 지 근 강화를 한 조치를 시행

u. 에 지 련 국제기구 지역기구간의 력을 강화

v. 경국경간 에 지교역을 활성화하기 한 지역 력을 강화

w. 에 지 생산국과 소비국간의 화포럼을 강화

Page 41: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26

4. IEA의 에 지부문의 지속가능성 논의사항

최근 국제에 지기구(IEA: International Energy Agency)도 에 지부

문에 지속가능한 발 의 개념을 반 하기 한 논의를 진행시키고 있다.

국제에 지기구는 에 지의 안정 공 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는 국제

기구로서, 에 지공 의 안정성을 지속가능발 의 에서 재해석하고

있다.17)

가. 경제 지속가능성과 에 지공 의 안정성

지속가능성은 경제 , 환경 , 사회 지속가능성을 포 한다. 그동안

3가지 지속가능성 경제 지속가능성을 한 정책이 주로 추진되어

왔다. 경제 지속가능성은 높은 경제성장과 지속 인 경제성장을 요구

하며, 1인당 GDP의 지속 인 증가를 말한다. 이경우, 에 지부문의 역

할은 자명하다. 지속 인 경제성장은 에 지공 의 안정성(security 는

affordability)이 보장되어야만 가능하다.

그런데, 두번에 걸친 석유 기를 계기로, 미래의 자원의 부존량에

해 상당한 회의론이 두되었으며, 자원의 고갈이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

에 결정 인 제약조건이 될 것이라는 회의론이 두되었다. 그러나,

IEA는 에 지 기의 험성은 충분히 인정하나, 에 지 자원의 고갈성

에 해서는 근거가 약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IEA는 석유의 가채매

장량, 주요국가의 원유비 , 그리고 에 지원의 다변화의 세가지 측면에

17) IEA는 2001년 ‘지속가능한 에 지미래를 향하여’(Toward a Sustainable Energy

Future)라는 종합보고서를 발간하 다. 본 소 은 본 보고서의 내용을 요약하 다.

Page 42: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2장 지속가능한 에 지 논의동향 27

서 에 지 고갈의 우려에 동의하고 있지 않다.

첫째로, 석유의 가채매장량과 련하여 IEA의 1998년 World Energy

Outlook에 따르면, 석유의 물리 인 매장량은 45년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나아가, 기술진보 등 동태 인 측면을 감안할 때 95년의 매장량을

가진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둘째로, OECD국가의 총에 지수입액 원

유가 차지하는 비 이 차 감소되고 있다. 1980년과 1997년 사이에,

OECD의 총에 지수입에서 원유가 차지하는 비 은 13%에서 4%로 크

게 감소하 다. 세째로, 70년 의 석유 기 이후 추진된 에 지원의 다

변화와 비상시 책 등은 에 지공 의 안정성을 크게 제고시켰다. 이러

한 사항을 근거로 하여, IEA는 에 지 고갈의 우려에 동의하고 있지 않

다. 다만, 단기 인 에 지 기가 지속가능한 에 지시스템을 훼손할

수 있다는 을 강조하고 있다.

나. 에 지부문의 지속가능성과 기 리

지속가능한 발 은 ‘ 기’에 한 응이 매우 요하다. 에 지의 고

갈성 문제는 장기 차원의 문제로 돌린다 하더라도, 단기 차원에서

에 지 기에 한 리는 지속가능한 에 지시스템 구축의 차원에서

요한 문제이다. 에 지 기는 에 지 공 상의 험, 환경 괴의

험, 탐사, 채굴과 련된 기술 는 재정 험 등을 들 수 있다. 이

가장 심각한 기는 석유공 단의 기이다. 고유가 보다 유가의

작스런 상승이 경제에 더 큰 악 향을 다.

기 리에 있어서 에 지는 두가지 측면에서 요하다. 첫째로, 에

지서비스는 인간생활에 불가결한 요소이다. 난방, 수송, 기 등은

인의 일상생활에 있어서 매우 요한 요소이다. 에 지부문에 기가 발

Page 4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28

생하는 경우 우리의 일상생활이 마비된다. 둘째로, 에 지 시스템은 신

축성이 매우 작기 때문에 외부 기에 한 응력이 약하다. 에 지

련 인 라는 계획, 건설, 운 에 있어서 매우 장기의 시간을 요하며,

에 지 련 인 라와 자본은 체의 속도가 극히 느리다. 따라서, 에

지 부문은 기에 한 응력이 약하다.

Page 44: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2장 지속가능한 에 지 논의동향 29

5. 우리나라 에 지부문의 지속가능발 의 과제

가. 우리나라 에 지부문의 지속가능발 의 과제

소 들의 논의를 감안할 때, 우리나라의 지속가능한 발 은 경제

지속가능성, 환경 지속가능성, 그리고 사회 지속가능성이 통합 이

며 균형 으로, 그리고 상호보완 으로 추진될 때 달성될 수 있다.

에 지의 거의 량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지속

가능한 에 지 략의 핵심은,

① 안정 이며 신뢰성있는 에 지공 체제를 구축하여 경제 지속

가능성을 달성하고,

② 환경친화 인 에 지수 체제를 구축하여 환경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고,

③ 사회 수용성이 높은 에 지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회 지속가능

성을 달성하는 데 있다.

이를 한 지속가능한 에 지 략은 ①에 지 공 의 안정성 확보,

②에 지효율의 제고, ③신재생에 지의 경제성 확보, ④신에 지 기술

의 개발로 요약된다. 이 에서 ‘에 지 효율’은 경제 지속가능성과 환

경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제고시키는 요한 략이다.

에 지효율은 에 지소비의 증가세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에 지수

입의 증가세를 억제함으로써 안정 에 지공 에 기여한다. 동시에, 에

지효율은 에 지소비의 억제를 통해 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함으로

써 환경 지속가능성을 제고시킨다. 한, 에 지효율은 동일한 생산에

Page 45: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30

드는 에 지투입을 최소화함으로써 에 지사용의 비용효과성을 제고하

여 경제성을 강화시킨다. 이에 따라, 에 지효율의 제고가 각국의 지속

가능한 에 지 략의 최우선 인 치를 차지하고 있다.

에 지의 안정 이며 신뢰성 있는 공 체제를 구축하기 한 과제는

‘안정 에 지공 ’을 한 장기 과제와 ‘에 지 기’에 한 단기

비상과제로 구분될 수 있다. 장기 으로 안정 에 지공 을 해

서는 에 지원의 다원화가 요한 과제이다. 에 지원의 다원화에는 에

지믹스에 한 석유비 의 하향화, 신․재생에 지 확 기반 조성 등

이 포함된다. 에 지 기에 한 응과제는 가격 기에 한 응과 물

량 기에 한 응으로 구분된다. 가격 기에 한 응방안으로 소비

시스템의 개선, 에 지효율 개선이 주요 수단이다. 물량 기에 한

응방안으로, IEA 비축목표 추진, 비상시 석유 기 응방안 유지 등이

주요 수단이다.

환경친화성을 담보하기 해서는 다양한 방안을 활용해야 한다. 에

지 련 환경기 의 강화, 체에 지 보 확 등 다양한 근방안이

있으나, 에 지 소비에서의 효율성 증 가 가장 핵심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다양한 에 지효율화 정책 수단이 시행되

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책효과의 분석 평가 기능, 그리고 이를 통

한 피드백 시스템이 취약하다.

나. 제조업 부문의 에 지소비 요인 분석

재 우리나라의 에 지 시스템의 지속가능성은 어떠한가? 우리나라

에 지시스템의 지속가능성에 한 평가와 분석, 그리고 략의 도출은

방 한 작업이다. 특히, 에 지안보의 달성, 에 지효율의 증진, 그리고

Page 46: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2장 지속가능한 에 지 논의동향 31

환경친화 에 지믹스의 구축이 모두 요한 과제이나, 앞에서 언 한

바와 같이 에 지효율의 증진은 비용효과 략임과 동시에, 경제 지

속가능성과 환경 지속가능성에 모두 기여하는 요소이다. 에 지 효율

이 높으면 에 지 수 의 환경성이 높아짐은 물론 에 지 수 의 안정

성도 제고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에 지 략 도출의 일환으로 우리나라

산업의 에 지 효율성에 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우리나라의 산업부

문이 에 지소비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산업이 경제성장의 견

인차 역할을 한다는 차원에서, 산업부문, 특히 제조업 부문의 에 지 효

율성이 매우 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제조업 부문의 과거와 재의 에 지 효율성에 한 분석을 수행함에

있어서 본 연구는 요인분해 방법론을 활용한다. 요인분해 방법론은 제조

업 부문의 에 지소비의 증가를 ①생산 증가의 향, ②산업구조 변화의

향, ③에 지 효율성 변화의 향의 세가지 요소로 그 향을 분해하

여 분석하는 방법론이다. 요인분해 방법론을 통한 분석은 과거와 재의

에 지소비 변화에 한 결정요인 그 향의 크기를 제시해 다.

에 지소비의 세가지 요소 에 지 효율성은 에 지 원단 지표를

통해 분석한다.18) 에 지 원단 는 부가가치 한 단 생산에 소요되는

에 지 투입량을 나타낸다. 에 지 원단 는 에 지효율 는 에 지기

술의 진보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18) 에 지 원단 에 한 정의와 개념은 제3장의 1.과 2.에 정리되어 있다.

Page 47: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32

제 3 장 에 지소비 요인분해 방법론

1. 용어 정의

다음은 본 연구의 요인분해 방법론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에 한

정의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산업부문 에서도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 행태에 한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Et : 제조업 체의 t 기의 총 에 지소비

Yt : 제조업 체의 t 기의 총 부가가치

I t=EtYt : 제조업 체의 t 기의 에 지 원단

Ei, t : i 산업( 는 업종)의 t 기의 에 지소비19)

Yi, t : i 산업( 는 업종)의 t 기의 부가가치

I i, t=Ei, tY i, t : i 산업( 는 업종)의 t 기의 에 지 원단 20)

S i=Yi, tY t : i 산업의 t 기의 제조업 체 비 부가가치 비

19) 제조업의 세부업종에 해 문맥상 혼동이 없는 경우 업종 는 산업을 혼용한다.

를 들어, 화학업종 는 화학산업을 혼용한다.

20) 에 지 원단 는 한자로는 에 지 原單位로 표기되며, 어로는 Energy Intensity

이다. 이를 에 지 집약도라고 하기도 한다.

Page 48: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3장 에 지소비 요인분해 방법론 33

에 지 원단 는 부가가치 한단 생산을 하여 투입된 에 지소비

량으로서, 에 지소비를 부가가치로 나 값이다.21)

다음에는 에 지소비, 부가가치, 에 지 원단 간의 유용한 계식들

을 살펴 본다.

Et= I t Yt : 에 지 원단 의 정의에 따라, 에 지소비는 부가가치 생

산액( Yt)과 에 지 원단 ( I t)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Ei, t=Ei, tY i, t

Yi, t= I i, tY i, t : 특정 산업의 에 지소비는 그 산업의 부

가가치 생산액( Yi, t)과 에 지 원단 ( I i, t)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Ei, t=Ei, tY i, t

Y i, tY tY t= I i, tS i, tY t : 특정 산업의 에 지소비는 ①제조

업 체의 부가가치 생산액( Yt), ②그 산업의 비 ( S i, t), ③그 산업의

에 지 원단 ( I i, t)의 세가지 요소들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22)

Et=∑iE i, t=∑I i, tY i, t : 제조업 체의 에 지소비량은 각 산업의

에 지소비량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각 산업의 부가가치 생

산액과 에 지 원단 의 곱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I t=EtY t

=∑Ei, tY t

=∑Ei, tY t

=∑Ei, tY i, t

Y i, tY t

=∑S iI i, t : 제조업

체의 에 지 원단 는 각 산업별 에 지 원단 ( I i, t)를 해당 산업의 부

가가치 비 ( S i)으로 곱한 것을 합하여 도출할 수 있다.

21) 에 지 원단 산정시, 간재를 포함한 생산액을 분모로 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

서는 부가가치 생산액을 분모로 한다.

22) 본 계식은 앞으로 많이 활용되는 계식이다.

Page 49: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34

2. 단순 요인분해 이론

본 연구는 제조업 부문의 에 지소비 행태를 지속가능성의 에서

분석한다. 이는 과거와 재 우리나라 제조업 에 지소비를 에 지효율

의 에서 분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해 요인분해 방법론

(Decomposition methodology)을 활용한다. 요인분해 방법론은 '80년

이후 지난 20여년간 지속 으로 발 되어 왔다.23)

본 소 은 요인분해 이론의 발 에 획기 으로 기여한 표 인 논문

들을 심으로 요인분해 분석 방법의 도출과정을 정리하고 도출된 공식

들을 비교한다. 한, 표 인 논문들을 공통된 용어와 수식으로 재표

기하면서 체계 으로 요약하고, 새로운 해석이 가능한 경우 이를 추가한

다. 요인분해 이론은 80년 기에는 단순 방식이 사용되었다. 90년

들어 정치한 수리 이론을 도입한 디비지아 방법론으로 발 되었다.24)

가. 단순 요인분해 이론: Hankinson and Rhys(1983)

기의 요인분해 이론은 단순한 논리를 사용하 다. 본 소 은 기의

표 인 논문인 Hankinson and Rhys(1983)를 바탕으로 기의 단순

요인분해 이론에 해 살펴 본다.25)

Hankinson and Rhys는 국 산업부문의 력소비에 한 변화요인을

분석하 다. 일반 으로 산업체의 력소비는 산업체의 생산량에 비례한

23) 요인분해를 어로는 Decomposition으로 표기된다.

24) 80년 이후 재까지 약 120여편의 요인분해 련 논문들이 발표되었다.

25) Hankinson, G.A., Rhys, J.M.W, Electricity consumption, electricity intensity and

industrial structure, Energy Economics, July, 1983.

Page 50: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3장 에 지소비 요인분해 방법론 35

다. 산업체의 생산이 많아지면 력소비도 증가하는 비례성이 존재한다.

그런데, 이러한 ‘비례성’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하는 것을 발견하

다. 이러한 상을 설명하기 해, 이들은 력소비의 결정요인으로서

생산량 이외의 다른 요인들, 특히 산업구조와 기술변화의 향을 살펴

볼 것을 제안하 다.

이에 따라, 이들은 력소비의 결정요인으로서 산업생산량, 산업구조,

기술변화의 세가지 요인을 상정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 다. 이와 같이,

세가지 요인을 상정하는 방식은 추후의 부분의 산업부문 에 지소비

요인분해 연구에서 많이 원용되고 있다.

요인분해의 상지표는 두 기간( 0기 → T기)간의 ①에 지소비의 변

화와 ②에 지 원단 의 변화의 두가지가 된다.

본 에서는 에 지소비의 변화에 하여 요인분해를 하는 방안을

심으로 살펴 본다.26)

ΔE = ET - E 0 (1)

식 (1)은 0기에서 T기 까지의 두 기간 간의 에 지소비 변화량을 나

타내며, 요인분해의 상지표이다.

산업부문의 에 지소비 총변화를 ①생산효과, ②산업구조 효과, ③에

지 원단 효과의 세가지 요인으로 분해하기 해 다음과 같은 항등

식을 활용한다.27)

Ei, t=Ei, tY i, t

Y i, tY tY t= I i, tS i, tY t (2)

26) 기년도 는 기 년도를 ‘0’으로 표기하고 말기년도 는 비교년도를 ‘T’로 표

기한다.

27) Hankinson and Rhys는 력소비에 하여 요인분해 방식을 용하 으나, 본

에서는 총에 지 소비에 한 요인분해 방식으로 확 해석하여 기술한다.

Page 51: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36

에 지소비는 ①제조업 체의 부가가치 생산액(Yt), ②그 산업의 비

(Si,t), ③그 산업의 에 지 원단 (Ii, t)의 세가지 요소들의 곱으로 나

타낼 수 있다.

①생산효과(Production effects)는 '생산의 변화'로 인한 에 지소비의

변화를 말하며, 다른 여건은 기년도와 동일하며 생산만 말기년도 수

으로 변한다고 가정할 경우의 효과이다. 다시 말하면, 생산효과는 각 산

업의 비 이나 각 산업의 에 지 원단 는 변하지 않고, 단지 생산수

만 변했을 경우의 에 지소비의 변화를 의미한다. 일반 으로, 생산량이

증가하면 에 지소비는 증가한다.

②산업구조 효과(Industrial structural effects 는 Product mix

effects)는 다른 요인은 기년도와 동일하며 '산업의 구조'만 말기년도에

변모함에 따라 발생하는 에 지소비의 변화를 말한다. 일반 으로, 세부

산업 는 세부 업종별로 에 지 원단 28) 는 에 지 소요량(Energy

requirements)이 다르다. 그런데, 에 지 원단 가 높은 산업을 주로

하여 성장을 하는 경우와 그 지 않은 경우에 에 지 소비가 달라지게

된다. 에 지 원단 가 높은 에 지 다소비 산업을 주로 하여 성장

을 하는 경우에 산업 체로서는 동일한 부가가치를 생산하더라도 그

지 않은 경우에 비해 에 지소비량이 많아지게 된다. 산업구조 효과는

바로 이러한 효과를 추정하기 한 개념이다.

③에 지 원단 (Energy intensity effects) 효과는 다른 요인은 기년

도와 동일하며 '에 지 원단 ' 수 만 변한다고 가정할 경우의 에 지

소비 변화이다. 에 지 원단 는 부가가치 한 단 생산에 소요되는 에

지 투입량을 나타낸다. 즉, 에 지 소요량을 나타낸다. 그런데, 기술이

28) 에 지 원단 의 정의는 앞 소 의 용어 정의에 나와 있다.

Page 52: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3장 에 지소비 요인분해 방법론 37

진보하면 동일한 부가가치를 생산하면서도 에 지가 게 투입되게 된

다. 따라서, 에 지 원단 는 에 지 기술의 발 이나 기술진보를 표

하는 유사변수로 사용된다. 한, 에 지 약 정책이나 에 지효율화 정

책의 결과를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되는 변수이다.

1) 생산효과

Hankinson and Rhys는 에 지소비는 생산 는 산출에 비례하여 변

한다는 에 주목하 다. 특히, 에 지소비와 부가가치 생산에 해 다

음과 같이 ‘정비례 계’를(proportional) 상정하 다.

E t = α Y t

이때 α = E 0

Y 0 = I 0 로 추정한다.

따라서, ET = α YT = E 0

Y 0⋅YT = E 0⋅

YTY 0

따라서, 생산의 변화에 따른 에 지소비의 변화를 나타내는 생산효과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생산효과=ET-E 0=E 0⋅YTY 0

- E 0 (3)

식 (3)에 따르면, 생산효과는 부가가치의 증가( Y 0 → YT)에 비례하

여 증가되는 에 지소비량의 증가분을 말한다. 즉, ‘생산효과는 기 년도

의 여건으로 평가할 때, 생산의 증감으로 인한 에 지소비의 증감’을 의

미한다. 여기서 생산과 에 지소비간에 비례 계를 가정하고 있기 때문

에, T 년도에 부가가치 생산이 10% 증가한다면 에 지소비도 10% 증

가하게 된다.

그런데 식 (3)은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Page 5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38

생산효과 = E 0⋅(YT-Y 0)

Y 0 = I 0⋅(YT-Y 0) (4)

식 (4)에 따르면, 생산효과는 두 기간간의 생산량의 변화( YT-Y 0)와

에 지 원단 의( I 0) 곱으로 표시된다. 에 지 원단 는 기 년도의 에

지 원단 가 활용된다. 이경우, 에 지 원단 를 일종의 ‘가

치’(Weights)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산효과는 두 기간간의 부

가가치 생산의 증가에 비례하여 증가하되, 가 치는 기 년도의 에 지

원단 가 용된다. 따라서, 생산량의 변화(YT− Y0)뿐 만이 아니라 가

치(I0)도 생산효과에 큰 향을 미치는 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런데, 상기식에서 에 지 원단 는 기년도의 에 지 원단 를 사용하

고 있다. 이와 같이 기년도의 지표를 가 치로 한다는 면에서 이들의

방식은 ‘라스 이 스’(Laspeyre)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2) 산업구조 효과

산업구조 효과는 ‘세부산업별 생산변화(Yi,TY i, 0 )에 따른 에 지소비

변화의 총합’에서 ‘산업 체의 생산변화(YTY 0

)에 따른 에 지소비의 변

화’를 차감한 값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세부 업종별로 에 지소비는 생

산의 변화에 ‘비례’하여 변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산업구조 효과 = ∑iE i, 0⋅

Yi,TY i, 0

- E 0⋅YTY 0

(5)

식 (5)에서 항은 ‘세부산업별 생산변화에 따른 에 지소비의 변화’이

고, 후항은 ‘산업 체에 있어서 생산변화에 따른 평균 인 에 지소비

의 변화’를 의미한다. 즉, 생산변화로 인한 ‘평균 ’인 에 지소비의 변화

Page 54: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3장 에 지소비 요인분해 방법론 39

를 과하는 ‘세부산업별 효과’를 산업구조 효과로 정의한 것이다.

식 (5)를 다시 쓰면,

산업구조 효과 = ∑i (Ei, 0⋅

Yi,TY i, 0 )-E 0⋅

YTY 0

= ∑i( I i, 0⋅Yi,T )- I 0⋅YT (6)

식 (6)을 토 로 제조업 체의 생산(YT)이 동일하게 증가하는 두가

지 경우를 살펴 보자. 에 지 원단 가(Ii,T ) 높은 에 지 다소비 업종의

생산증가율(Yi,T)이 매우 큰 경우, 즉 에 지 다소비 산업구조의 경우

와 그 지 않은 경우를 비교해 보자. 에 지 다소비 산업구조의 경우,

∑i( I i,0⋅Yi,T ) 의 값이 커지게 되어 에 지소비가 그만큼 커지게 된

다. 다시 말하면, 산업 체로서는 부가가치 생산이 동일하게 증가하더

라도, 에 지 집약도가 높은 산업이 주가 되어 성장하는 경우 에 지소

비가 더 많아지게 된다. 이 부분이 산업구조 효과로서 나타나게 된다.

3) 에 지 원단 효과

에 지 원단 효과는 ‘말기년도의 실제 에 지소비량’에서, ‘세부산업

별 생산변화에 따른 에 지소비 변화의 총합’을 차감한 값으로 정의한

다.

에너지 원단위 효과 = ET - ∑iE i, 0⋅

Yi,TY i, 0 (7)

상기와 같이 생산효과, 산업구조효과, 그리고 에 지 원단 효과를

정의하면 세 효과의 합은 총변화와 같아지게 된다. 즉, 식 (3), 식 (5), 식

(7)을 합하면 식 (1)이 된다.

환언하면, {에 지 원단 효과 = 총변화 - (생산효과 + 구조효과)}이

Page 55: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40

다. 따라서, 에 지소비 총변화에서 ‘생산효과와 산업구조 효과의 합’을

뺀 ‘나머지’로서 에 지 원단 효과를 정의한다.

그런데 식 (7)을 다시 쓰면,

ET-∑i (Ei, 0⋅

Yi,TY i, 0 )= ET-∑

i( I i, 0⋅Yi,T )

= ∑Ei,T-∑i( I i, 0⋅Yi,T )

= ∑I i,TY i,T-∑i( I i, 0⋅Yi,T )

= ∑i( I i,T- I i, 0)Yi,T

(8)

식 (8)을 보면 에 지 원단 효과가 보다 명백해진다. 즉, ‘세부산업

별 에 지 원단 의 변화’( I i,T- I i, 0)에 해 말기년도의 생산량( Y i,T)

을 가 치로 용하여 에 지 원단 효과가 도출되며, 말기년도 수치를

가 치로 한다는 면에서 ‘ 쉐’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Hankinson and Rhys의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산업부문의 에

지 소비의 변화를 생산효과, 산업구조 효과, 그리고 에 지 원단 효

과의 세가지 요인상의 변화로 분해하여 설명하 다. 이 게 세가지 요인

으로 분해하는 방식은 그 후의 연구들에 해 형으로 자리잡게 되었

다.

이들의 분석방식의 특징을 보면, 첫째로, 두 기간동안의 에 지소비의

변화는 잔차(residual)가 없이 세가지 효과로 완 히 분해되어 설명되어

진다. 이는 세가지 요인을 정의한 방식에 기인하며, 앞에서 식 (3), 식

(5), 식 (7)을 합하면 식 (1)이 됨을 알 수 있다.

둘째로, 에 지 원단 효과를 나머지의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 다

시 말하면, {에 지 원단 효과 = 총효과 - (생산효과 + 산업구조 효

과)} 에서 보듯이, 에 지 원단 효과를 생산효과와 산업구조 효과에서

설명되지 않는 나머지로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에 지 원단 가 기

Page 56: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3장 에 지소비 요인분해 방법론 41

술진보 등을 변한다는 측면이 약하게 반 될 수 밖에 없다.

세째로, 두 기간간에 각 ‘요인별 변화’와 ‘가 치’가 요한 요소임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이는 후속 연구들에서 가 치에 한 심을 발

시키는 역할을 하 다.

나. 단순 요인분해 이론: Reitler(1987)29)

Reitler, Rudolph and Schaefer(1987)는 미분 방식을 원용하여 요인

분해 방법론의 도출과정을 보다 논리정연하게 발 시켰다. 이들은

Aggregate 요인분해와 Disaggregate 요인분해로 구분하여 요인분해 공

식을 도출하고 양자간의 차이로 부터 산업구조 효과를 도출하 다.

1) Aggregate 요인분해

특정 시 t 기에 산업부문의 총에 지소비는 에 지 원단 와 부가

가치 생산의 곱으로 표기된다. 이때 양자의 계는 ‘항등식’의 계이다.

Et= I t⋅Yt (9)

여기서, 식 (9)의 에 지소비 항등식에 해 ‘ 미분’(Total

differentials)을 용하여 요인분해를 수행한다. 상기식을 시간에 한

연속함수로 상정하고 미분을 용하면 다음의 식이 도출된다.30)

dE t= I t⋅dY t+dI t⋅Yt (10)

식 (10)에서 우변의 첫번째항은 생산효과를 나타내며 두번째항은 에

지 원단 효과를 나타낸다. 그런데, 미분은 연속함수의 ‘순간 변화’

29) Reitler, W., Rudolph, M., Schaefer, H.,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energy

consumption in industry: A revised method, Energy Economics, July, 1987.

30) 에 지 원단 ( I t)와 부가가치( Yt)가 독립변수 성격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한다.

Page 57: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42

의 경우에 타당하다. 따라서, 상기 미분을 불연속 인 두기간

( t=0, T)에 해 용하려면, 가 치인 It 와 Yt가 결정되어야 한다.

가) 생산효과

생산효과는 다음과 같이 두 기간간의 생산의 변화로 인한 에 지소비

의 변화로 표기된다.

ㅇ 생산효과: △E pdn= I t⋅dY t= I t⋅(YT-Y 0) (11)

이제, 생산효과의 가 치인 에 지 원단 ( I t)를 결정해야 하는 바,

기년도의 에 지 원단 ( I 0), 말기년도의 에 지 원단 ( IT), 는 평균

에 지원단 (( IT+ I 0)

2 )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년도의 에 지 원

단 를 사용하면 라스 이 스(Laspeyre) 형식이 되며, 말기년도의 에

지 원단 를 사용하면 쉐(Paasche) 형식이 된다. 한 양기간의 평균

에 지 원단 를 가 치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런데, 여기서 라스 이 스 형식과 쉐 형식 어떤 것이 선험 으

로 더욱 한가에 해서는 특별한 논리가 없다. 이에 따라, Reitler,

Rudolph and Schaefer는 기년도와 말기년도의 평균치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 다.

- 라스 이 스 형식: 기년도 원단 사용시의 생산효과

△E pdn= I t⋅dY t= I 0⋅(YT-Y 0)= I 0YT- I 0Y 0= I 0YT-E 0

(12)

- 쉐 형식: 말기년도 원단 사용시의 생산효과

△E pdn= I t⋅dY t= IT⋅(YT-Y 0)= ITYT- I TY 0=ET- ITY 0

(13)

- 평균 에 지 원단 사용시의 생산효과

Page 58: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3장 에 지소비 요인분해 방법론 43

△E pdn= I t⋅dY t=( IT+ I 0)

2⋅(YT-Y 0) (14)

나) 에 지 원단 효과

한편, 에 지 원단 효과는 다음과 같이 두 기간간의 에 지 원단

의 변화로 인한 에 지소비의 변화로 표기된다.

△E int=Yt⋅dI t=Yt⋅( IT- I 0) (15)

에 지원단 효과도 생산효과와 유사한 방식으로 도출할 수 있으며,

t 기의 생산량( Yt)이 가 치가 된다. 가 치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세가

지 방식이 가능하다.

- 라스 이 스 방식: 기년도 생산량을 가 치로 사용

△E int= Yt⋅dI t=Y 0⋅( IT- I 0)= YO⋅IT-Y 0⋅I 0=YO⋅IT-E 0

(16)

- 쉐 방식: 말기년도 생산량을 가 치로 사용

△E int=Yt⋅dI t= YT⋅( IT- I 0)= YT⋅IT-YT⋅I 0=ET-YT⋅I 0 (17)

- 평균 생산량 사용시의 에 지 원단 효과:

△E int=Yt⋅dI t=(YT+Y 0)

2⋅( IT- I 0) (18)

2) Disaggregate 요인분해

산업부문에서 세부 산업 는 세부 업종별로 에 지소비 자료와 부가

가치 자료가 존재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요인분해를 개하여,

생산효과, 산업구조 효과, 에 지 원단 효과의 세가지로 요인분해를

할 수 있다.

Page 59: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44

ㅇ 분석지표: Et= I t⋅Yt =∑Ei, t=∑I i, t S i, tY t (19) 31)

’세개의 요인들의 곱으로 이루어진 에 지소비 항등식’에 해 ‘ 미

분’을 용한 후, 한 가 치를 사용한다. 이 과정을 통해, Reitler,

Rudolph and Schaefer는 ‘산업구조 효과’ 도출의 논리를 정확하게 제시

하 다. 즉, 세부 산업별 자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aggregate 요인분

해를 통해 생산효과과 에 지 원단 효과의 두가지로 요인분해가 가능

하다. 그런데, 세부 산업별로 자료가 존재하는 경우 disaggregate 요인분

해를 통해, 생산효과와 원단 효과와 더불어 ‘산업구조 효과’의 도출이

가능해진다는 을 논리 으로 밝히고 있다.

가) 생산효과

세부 산업별 는 세부 업종별 자료가 존재하는 경우, 생산효과는 다

음과 같은 가 치를 통해 추정한다. 가 치는 에 지 원단 를 기 로

하되, ① 산업별 에 지원단 를 그 산업의 비 으로 가 평균하고, ②

기연도와 말기년도의 평균치를 사용한다.

ㅇ 생산효과 = 생산의 변화 * 가 치

가중치 = [∑m

i(12)( I i,T

Y i,TYT

+ I i, 0Yi, 0Y 0

)]그런데, 이와 같은 가 치를 활용하면 Aggregate시의 생산효과와

Disaggregate시의 생산효과가 서로 같아진다. 즉, Disaggregate시의 생산

효과를 나타내는 다음의 식 (20)은 Aggregate시의 생산효과를 나타내는

식 (14)와 같아짐을 알 수 있다.

31) 이는 식 (2)와 동일하다.

Page 60: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3장 에 지소비 요인분해 방법론 45

△Epdn= (YT-Y 0)⋅[∑m

i(12)( I i,T

Y i,TYT

+ I i, 0Yi, 0Y 0

)]= ∑

m

i(12)( I i,T

Y i,TYT

+ I i, 0Yi, 0Y 0 )⋅(YT-Y 0)

= ∑m

i (

12)( I i,TS i,T+ I i, 0S i, 0 )⋅(YT-Y 0)

=( IT+ I 0)

2(YT-Y 0)

(20)

나) 에 지 원단 효과

세부 산업별 는 세부 업종별 자료가 존재하는 경우, 에 지 원단

효과는 다음과 같이 추정한다.

ㅇ 에 지 원단 효과 = {세부산업별 원단 들의 변화 * 가 치}

이때, 가 치는 다음과 같이 양기간의 부가가치의 평균치를 사용한다.

즉, 가중치 = Yi,T+Yi, 0

2 를 사용한다.

그러면, 에 지 원단 효과는 식 (21)과 같이 표기된다.

△E int=∑m

i(Yi,T+Yi,0

2)⋅( I i,T- I i,0) (21)

그런데, 이와 같이 정의된 에 지 원단 효과(식 21)는 aggregate 요

인분해의 경우에 정의된 에 지 원단 효과(식 18)과 동일하지 않다.

다) 산업구조 효과

이제, {산업구조효과 = (aggregate의 에 지원단 효과 - disaggregate

의 에 지 원단 효과) }로 정의하자.

식으로 보면 {산업구조 효과 = 식(18) - 식(21) = 식(22) } 로 정의된다.

Page 61: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46

△E str= (YT+Y 0

2)( IT- I 0)

-∑m

i(Yi,T+Yi, 0

2)⋅( I i,T- I i, 0) (22)

산업구조 효과를 ‘aggregate 원단 효과’에서 ‘disaggregate 원단 효

과’를 뺀 ‘나머지’로서 정의한다.32)

Reitler, Rudolph and Schaefer(1987)는 요인분해 공식을 논리 으로

도출하는 과정에서, Hankinson and Rhys(1983)의 요인분해 공식이 생산

효과의 경우 라스 이 스 방식을 활용하 으며 에 지 원단 효과의

경우 쉐 방식을 활용하고 있음을 규명하 다. 즉, 생산효과의 경우,

Hankinson and Rhys의 식 (3)은 식 (4)로 변형되며 이는 Reitler,

Rudolph and Schaefer의 식 (12)와 동일하다. 에 지 원단 효과의 경

우, Hankinson and Rhys의 식 (7)은 식 (8)로 변형되며 이는 Reitler,

Rudolph and Schaefer의 식 (21)과 유사하나 말기년도의 부가가치 생산

을 가 치로 사용하 다.

Reitler, Rudolph and Schaefer의 방식의 특징은 첫째로, 미분 방식

을 차용한 에서, 요인분해의 공식 도출을 보다 논리 으로 만들었다.

둘째로, 3개효과의 총합은 총변화와 같다. 즉, ‘Aggregate 에 지 원단

효과’와 ‘Disaggregate 에 지 원단 효과’의 차이를 ‘산업구조 효과’로

정의함에 따라, 정의상 잔차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33) 세째로, 가 치에

해 두 기간의 평균지표들을 사용함에 따라, 0 → T 년도로의 효과와

T → 0 년도로의 효과가 서로 ‘동일’하다.34)

32) 이는 Hankinson and Rhys(1983)에서 에 지소비 총변화에서 ‘생산효과와 산업구

조 효과의 합’을 뺀 ‘나머지’로서 에 지 원단 효과를 정의한 것과 비된다.

33) 이를 ‘Perfect decomposition’이라고 한다.

34) Hankinson and Rhys 방식의 경우, 0 → T 년도로의 효과와 T → 0 년도로

Page 62: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3장 에 지소비 요인분해 방법론 47

다. 단순 요인분해 이론: Park(1992)35)

Park(1992)은 산업부문 에 지소비에 한 요인분해의 요성을 재삼

강조하고 있다. 산업부문은 주요 에 지소비 부문이기 때문에, 산업부문

의 에 지소비 패턴은 한 국가 체의 에 지수 에 큰 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산업부문 에 지소비에 향을 미치는 요소를 실증 으로

분석하는 것은 산업부문 에 지소비의 과거의 행태에 한 이해를 증진

시킴은 물론, 산업 에 지 수요의 망을 이해서도 요한 작업이다. 특

히, 여러가지 산업 략의 추진을 해 얼마나 에 지가 소요되는지를 추

정하는 데 있어서 요인분해는 요한 역할을 한다.

Park은 방법론 인 에서, 경제학에서 어떤 변수의 향은 다른 모

든 조건은 과 동일하다는 ‘Ceteris paribus' 제하에 추정되어야 한다

는 을 강조하 다. ‘Ceteris paribus' 개념에 부합하기 해서는, 다른

요인들, 즉 가 치들의 값은 기 년도의 값을 가져야 함을 주장하 다.

가 치에 해, 두 기간간의 평균값을 활용하는 것은 경제학 개념에 맞

지 않는다고 비 하 다. 를 들어, 산업구조 변화의 효과를 보기 해

서는 다른 모든 변수, 즉 에 지 원단 나 업종별 부가가치 생산량은 기

년도의 수 에서 동결하고 산업구조만 비교년도 수 으로 변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Park은 기본 으로 기 년도의 값을 가 치로 사용하는

‘라스 이 스’ 방식을 활용하는 요인분해 방식을 제안하 다. 후술하는

디비지아(Divisia) 방식이 방법론상 정교함에도 불구하고, 실증분석에서

의 효과가 서로 다르다.

35) Park, Se-Hark, Decomposition of industrial energy consumption - an alternative

method. Energy Economics October, 1992.

Page 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48

는 ‘라스 이 스’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라스 이 스’ 방

식의 경우 결과의 해석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한, Park은 Reitler, Rudolph and Schaefer(1987)에서 산업구조 효과

를 직 으로 도출한 것이 아니라, 총변화에서 생산효과와 에 지 원단

효과를 제외한 ’나머지‘로서 정의하고 있는 것에 해 의문을 제기하

다. 이경우, 산업구조 효과는 순수한 산업구조 효과 이외에 다른 효과

들도 포함하게 되어 부정확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에서 본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계식이 성립한다.

Ei, t=Ei, tY i, t

Y i, tY tY t= I i, tS i, tY t

Et=∑iE i, t=∑I i, tS i, tY t=Yt ∑I i, tS i, t (23)

식 (23)에서 부가가치 생산, 에 지 원단 , 산업구조의 세가지 요인들

을 ‘Ceteris paribus'의 가정하에 하나의 요인만 두 기간간에 변화하고

나머지 두 요인은 기 년도의 수 을 유지하도록 한다. 를 들어, 생산

효과는 부가가치 생산의 수 만 Y 0 에서 YT로 변하고 에 지 원단

( I i, 0)와 산업구조( S i, 0)는 기 년도의 수 을 유지하는 상황에서의 에

지소비의 변화를 측정한다. 그러면, 두 기간간의 에 지소비의 변화는

다음과 같이 요인분해가 이루어진다.

△E= ET-E 0

= YT∑iI i,TS i,T - Y 0∑

iI i, 0S i, 0

= (YT-Y 0) ∑ I i, 0 S i, 0 (생산효과)+ Y 0 ∑ ( I i,T- I i, 0) S i, 0 (에너지 원단위 효과)+ Y 0 ∑ I i, 0 (S i,T-S i, 0) (산업구조 효과)+ Residual (잔차)

(24)

Page 64: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3장 에 지소비 요인분해 방법론 49

에 지 원단 효과와 산업구조 효과도 유사한 방식으로 추정한다. 잔

차(Residual)는 생산, 에 지 원단 , 산업구조 두 항 는 세항의 곱

들로 이루어져 있다.

Residual= (YT-Y 0) ∑ ( I i,T-I i, 0) S i, 0+ (YT-Y 0) ∑ (S i,T-S i, 0) I i, 0+ Y 0 ∑ ( I i,T-I i, 0) (S i,T-S i, 0)+ (YT-Y 0) ∑ ( I i,T-I i, 0) (S i,T-S i, 0)

상기 방식의 특징을 보면, 다른 요인은 기 년도 수 으로 동결하고,

해당 변수만 두 기간에 변화하도록 하여 효과를 추정하고 있기 때문에

결과의 해석이 명확하다. 그러나, 잔차가 발생하는 단 을 가지고 있다.

Page 65: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50

3. 디비지아 요인분해 이론

가. 디비지아 요인분해 이론의 도입

Boyd, McDonald, Ross, and Hanson(1987)36)와 Boyd, Hanson, and

Sterner(1988)37)는 디비지아 지표(Divisia Index) 근방식을 도입하여 요

인분해 방법을 획기 으로 개선하 다. 이들은 디비지아 방식 에서도

산술평균 디비지아 방식을 용하 다.

앞 에서 지 한 바 로 요인분해시 가 치가 요한 문제가 된다.

기 년도의 변수를 가 치로 사용할 것인가, 아니면 말기년도의 변수를

가 치로 사용할 것인가, 는 양 기간의 평균을 사용할 것인가의 문제

에 착하게 된다. 문제는 어떤 가 치가 선험 으로 더 우월하다는 논

리가 없다는 데 있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편의에 따라 자의 으로 가충

치를 정하게 된다.

이에 해 Boyd 등은 경제학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경제지수’

(Economic index number) 방법론을 용할 것을 제안하 다. 경제지수

문제란 특정 재화의 매액의 변화를 그 재화의 매 수량의 변화와 그

재화의 가격의 변화로 요인분해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진행하고 있는

36) Boyd, G. A., Hanson, D.A., Sterner, T., Decomposition of changes in energy

intensity -a comparison of the Divisia index and other methods, Energy

Economics, October, 1988.

37) Boyd, G. A., McDonald, J.F., Ross, M., Hanson, D.A., Separating the Changing

Composition of U.S. Manufacturing Production from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s: A Divisia Index Approach, The Energy Journal, Vol. 8, No. 2,

1987.

Page 66: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3장 에 지소비 요인분해 방법론 51

에 지소비 변화에 한 요인분해는 한 산업의 에 지소비량이 변할 때

산업생산의 변화로 부터 기인하는 부분과 에 지 원단 의 변화로 부터

발생하는 변화, 그리고 산업구조의 변화로 부터 발생하는 요인으로 분해

하는 것이다. 이는 경제지수 문제와 매우 흡사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여기서 문제는 어떠한 수치를 가 치로 활용하는가에 있다. 기 년도

의 수치를 사용하면 라스 이 스 방식이 되며 말기년도의 수치를 사용

하면 쉐 방식이 된다. 는, 양기간의 평균을 사용할 수도 있다.38) 라

스 이 스 방식이건 쉐방식이건 가 치는 고정되어(fixed weight) 있

다. 그런데, 양기간에 변화가 아주 큰 경우에는 어느 한 연도의 수치로

가 치를 고정시키는 것은 왜곡을 래하게 된다. 이경우 가변 가 치

(variable weight index)가 보다 한 가 치가 된다.

디비지아(Divisia) 지수는 상 인 증가율에 한 가 평균으로서 정

의된다. 디비지아 지수는 여러가지 면에서 바람직한 특성을 가지고 있

다. 가장 요한 특성으로서 라스 이 스 방식이나 쉐 방식은 고정

가 치인데 반해 디비지아 지수는 가변가 치의 성격을 지닌다는 이

다. 디비지아 지수는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앞에서 본 식 (2)를 다시 쓰면,

Ei, t=Ei, tY i, t

Y i, tY tY t= I i, tS i, tY t (2)

한, 앞의 식 (23)을 다시 쓰면,

Et=∑iE i, t=∑I i, tS i, tY t (=Yt ∑I i, tS i, t) (23)

식 (23)을 시간 t 에 해 미분하고, 다시 일정 기간에 해 분한

38) Reitler, Rudolph and Schaefer(1987)는 양 기간의 수치에 한 산술평균을 사용하

다. 양 수치에 한 기하평균을 사용할 수도 있다.

Page 67: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52

후, 이를 근사화시키는 방식을 통해 디비지아 요인분해 공식이 도출된

다. 이를 순서 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① 식 (23)의 모든 변수들이 시간의 함수라고 가정하고, 양변을 t 로

미분하여 순간 변화량을 도출한다.

dE tdt

=∑dI i, tdtS i, tY t+∑I i, t

dS i, tdt

Y t+∑I i, tS i, tdY tdt

② 우변을 증가율 형태로 바꾼다.

dE tdt

= ∑dI i, tdt

1I i, t

I i, t S i, t Yt

+ ∑I i, t dS i, tdt

1S i, t

S i, t Yt

+ ∑I i, t S i, t dY tdt

1YtY t

=∑i

dlnI i, tdt

E i, t+∑i

dlns i, tdt

E i, t+∑i

dlnY tdt

E i, t

=∑i

dlnI i, tdt

E i, t+∑i

dlnS i, tdt

E i, t+EtdlnY tdt

=∑iI i, t̂E i, t+∑

is i, t̂E i, t+Et Y t̂ (24) 39)

여기서, 증가율은dlnI i, tdt

= I i, t̂ 으로 표기되어 있다.

식 (24)를 살펴 보면, 에 지소비량의 순간 변화량은 ①에 지 원단

의 증가율, ②세부업종 비 의 증가율, ③생산의 증가율 등 ‘3가지 요소’

들의 ‘증가율’의 ‘합’으로 표시되게 된다.

③ 이제 일정 기간 동안( 0 → t )의 에 지소비의 변화량을 구하기

해서 식 (24)를 ‘ 0 ’ 에서 ‘ t ’ 까지 분한다.

39) 여기서 좌변은 편미분, 우변은 증가율로 표기되어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Page 68: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3장 에 지소비 요인분해 방법론 53

⌠⌡

t

0

dE tdt

dt= ⌠⌡

t

0 (∑i I i, t̂ E i, t + ∑

is i, t̂ E i, t + Y t̂ E t)dt

=⌠⌡

t

0 (∑i I i, t̂E i, t)dt+⌠⌡

t

0 (∑i S i, t̂E i, t)dt+⌠⌡

t

0( Yt̂E t)dt

이들을 다시 정리하면,

△E =E t-E 0

= ⌠⌡

t

0

dE tdtdt

= ⌠⌡

t

0 (∑i I i, t̂ Ei, t)dt

+ ⌠⌡

t

0 (∑i S i, t̂ E i, t )dt+ ⌠⌡

t

0 ( Y t̂ Et)dt

(25)

즉, 식 (25)는 일정기간 동안의 에 지소비 변화량에 한 명시 인

공식을 ‘에 지 원단 효과 + 구조효과 + 산출효과‘의 형식으로 분해하

여 도출한 것이다. 그런데, 시간은 연속 이나 자료는 불연속 으로 존

재한다. 따라서, 시간에 해 불연속 인 자료(discrete data)를 활용하려

면 상기식을 근사화(approximation)해야 한다.

④ 먼 , 에 지 원단 효과를 근사화하는 과정을 살펴 본다.

⌠⌡

t

0 (∑i I i, t̂ Ei, t)dt = ⌠⌡

t

0 (∑id ln I i, tdt

Ei, t)dt = ∑

i

⌠⌡

t

0 (d ln I i, tdt

Ei, t)dt ≈ ∑

i (Ei, t+Ei, 0

2 )( ln I i, t- ln I i, 0)

= ∑i (Ei, t+Ei, 0

2 )( lnI i, tI i, 0

) (26)

식 (26)을 보면, 에 지 원단 효과는 두 기간간의 세부산업별 에

지 원단 의 ‘log 차이’에 기 하고 있다. 그리고, ‘근사화’시키는 과정에

서 두 기간의 에 지소비의 ‘평균’을 가 치로 사용한다.40)

유사한 방법으로 산업구조 효과와 생산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에

Page 69: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54

지 원단 효과와 마찬가지로, 산업구조 효과는 두 기간의 산업별 비

의 log 차이에 기 하고 있으며 두 기간의 산업별 에 지소비량을 가

치로 하여 근사화한다.

⌠⌡

t

0 (∑i S i, t̂ Ei, t)dt = ⌠⌡

t

0 (∑id lnS i, tdt

Ei, t)dt = ∑

i

⌠⌡

t

0 (d lnS i, tdt

Ei, t)dt ≈ ∑

i (E i, t+Ei, 0

2 )( lnS i, t- lnS i, 0)

= ∑i (E i, t+Ei, 0

2 )( lnS i, tS i, 0

) (27)

생산효과도 두 기간의 생산의 log 차이에 기 하고 있으며, 두 기간의

에 지소비량의 평균을 가 치로 하여 근사화한다.

⌠⌡

t

0( Y t̂ Et)dt = ⌠⌡

t

0 (d lnYtdt

Et)dt ≈ (

Et+E 0

2 )( lnYt- lnY 0)

= (Et+E 0

2 )( lnYtY 0

) (28)

요약하면,

△E = Et-E 0 =⌠⌡

t

0

dE tdtdt

≈ ∑i (Ei, t+Ei,0

2 )( lnI i, tI i, 0

) (에너지원단위효과)

+ ∑i (Ei, t+Ei,0

2 )( lnS i, tS i, 0

) (산업구조 효과)

+ (Et+E 0

2 )( lnYtY 0

) (생산효과)(29)

상기 디비지아 요인분해 방식의 특성을 살펴 본다. 첫째로, 기 요인

40) 이에 따라, 이를 단순평균(simple average Divisia) 디비지아 방식이라고 칭한다.

Page 70: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3장 에 지소비 요인분해 방법론 55

분해 이론에서는 각 요인의 차이 ( YT-Y 0)가 결정요인으로 작

용하나, 디비지아 방식에서는 log 차이 ( ln (YT)- ln (Y 0 ))가 결정요인

으로 작용한다. 이는 식 (23)과 식 (24)에서 보듯이 에 지소비 변화의

요인을 증가율 형태로 도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이다. 둘째로,

에 지소비량이 가 치로 작용한다. 특히, 기연도와 말기연도의 ‘산술

평균치’(arithematic mean Divisia method)를 사용하고 있다. 세째로, 단

으로서, 비연속 자료(discrete data)를 용하기 해 근사화를 수행

하는 과정에서 잔차가 불가피하게 발생하게 된다. 즉, 총변화 설명이

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다시 요약하면, 에 지소비량을 합의 방식으로 요인분

해하기 해 에 지소비량을 t로 미분한 후, 좌변은 미분 상태로 두고,

우변만을 증가율 형태로 만든 후에 평균가 치를 사용하여 근사화시킴

으로써 요인분해 공식을 도출하 다.

Page 71: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56

나. 모수 디비지아 방식의 개발

Liu, Ang, and Ong (1992)41), Ang and Lee (1994)42) 등은 디비지아

요인분해 방식을 방법론 인 면에서 보다 정치화하 다. 이들은 디비지

아 방식에 해 분선 문제(integral path problem)를 제기하고, 이를

우회하기 한 방안으로 모수 디비지아 방식(parametric divisia

index)을 제안하 다.43) 동시에, 모수(parameter)의 선택에 따라 무한히

많은 요인분해 방식이 가능함을 보이고 있다. 무한히 많은 요인분해 방

식 특정한 모수를 가지는 몇개의 디비지아 방식을 제안하 다. 본 은

이들의 이론을 심으로 모수 디비지아 요인분해 이론을 살펴 본다.

디비지아 지수는 여러가지 바람직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가 치가 변할 수 있다. 그런데, 디비지아 지수는 선 분(line

integral)의 결과이기 때문에 분경로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난다.

디비지아 지수 자체는 특정한 분경로를 명시 으로 정의하지 않는다.

따라서, 동일한 자료에 해서도 어떤 분경로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무

수히 많은 결과가 도출되게 된다. Boyd 등 (1987, 1988)은 디비지아 지

수의 선 분에 해 평균가 치를 통해 근사화했다.

앞의 식 (23)을 다시 쓰면,

Et=∑iE i, t=∑I i, tS i, tY t (=Yt ∑I i, tS i, t) (23)

41) Liu, X.Q., Ang, B.W., Ong, H.L., The application of the Divisia index to the

decomposition of changes in industrial energy consumption. Energy Journal

13(4), 1992.

42) Ang, B.W., Lee, S.Y., Decomposition of industrial energy consumption: some

methodological and application issues. Energy Economics 16(2), 1994.

43) 앞서 살펴 본 Boyd, McDonald, Ross, Hanson(1987)의 디비지아 방식은 산술평균

지표를 사용하여 근사화하고 있으나, 이에 해 특별한 수리 논거는 없다.

Page 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3장 에 지소비 요인분해 방법론 57

식 (23)을 시간 t 에 해 미분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이 두가지 종

류의 공식을 도출할 수 있다.

① 좌변은 편미분 상태로 두고 우변을 증가율 형태로 변형시킨다. 이

를 모수 디비지아 방식 (1) (Parametric Divisia Method 1, PDM 1) 이

라고 하자.

(△Etot) 0,T=⌠⌡

T

0E'τdτ

= ⌠⌡

T

0(∑iI i, τ̂Ei, τ )dτ

+ ⌠⌡

T

0(∑is i, τ̂Ei, τ )dτ

+ ⌠⌡

T

0( Y

τ̂E τ )dτ(30)

(총효과 = 에 지 원단 효과 + 산업구조효과 + 생산효과)

② 좌변과 우변 모두 편미분 형태로 변형시킨다. 이를 모수 디비지

아 방식 (2) (Parametric Divisia Method 2, PDM 2) 라고 하자.

(△Etot) 0,T=⌠⌡

T

0E'τdτ

= ⌠⌡

T

0(∑iI'i,τYi, τ)dτ

+ ⌠⌡

T

0(∑is 'i,τ I i, τY τ )dτ

+ ⌠⌡

T

0( I τY

'τ)dτ

(31)

여기서 편미분을 dE tdt

=E't 로 표기한다.44)

그런데, 분과정에서 분선(integral path problem)문제가 발생한다. 상

기식 모수 디비지아 방식 (2)의 마지막 항을 로 하여 분선 문제

44) dI i, tdt

= I'i, t , dlnI i, tdt

= I i, t̂ 로 표기한다.

Page 7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58

의 해결방안을 개 한다. 이 방식의 생산효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된다.

(△Epdn) 0,T=⌠⌡

T

0( I τY

'τ)dτ (32)

여기서, Y τ와 I τ는 시간, τ, 의 함수이며, 0≤ τ ≤T 이다.

만일 Y τ와 I τ의 τ에 한 함수의 형태가 명시 으로 알려져 있으면

상기 분의 값은 바로 구해진다. 그런데, Y τ와 I τ의 시간 τ 에 한

명시 인 함수형태가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분값을 구할 수 없

다. 함수 자체는 알 수 없으며, 단지 기년도와 말기년도의 데이타 값

만 알 수 있다. 즉, 기년도의 에 지 원단 와 부가가치( I 0,Y 0) 그리

고 말기년도의 에 지 원단 와 부가가치( I T,YT)에 한 데이타 값만

존재한다.

이제, 기년도의 값과 말기년도의 값 사이를 연결하는 연속선은 ‘무

한히 많이 존재’하며, 따라서 경로(path)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

에서는 경로 도출을 우회 으로 해결해야 한다. Liu, Ang, Ong (1992)는

‘경로 도출 문제’가 '모수(parameter) 도출 문제'로 환될 수 있음을 증

명하 다. 이들은 분선 문제를 우회하기 해, 모수 방식으로의 환

을 제시하고 다음과 같은 환이 수리 으로 가능함을 증명하 다. 즉,

다음의 식 (33)이 등식으로서 만족되는 모수, α가 존재함을 증명하 다.

식 (32)의 분선 문제를 식 (33)의 모수 문제로 변형시킨 것이다. 결론

으로, 식 (32)를 근사화시키지 않고 식 (33)의 등식을 만족시키는 모수

를 찾는 것이다.

: ⌠⌡

T

0( I τY

'τ)dτ= [ I 0+α ( IT- I 0)] (YT-Y 0) (33)

여기서 0 ≤ α ≤ 1

Page 74: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3장 에 지소비 요인분해 방법론 59

이제 동일한 방식을 식 (30)에 용하면 다음의 식이 도출된다.45)

[ 모수 디비지아 방식 (1) (PDM 1) ]

(△Epdn) 0,T= [E 0+α(ET-E 0)] ln (YT/Y 0) (34) 46)

(△Estr) 0,T=∑i[E i, 0+β i(E i,T-E i, 0)] ln (S i,T/S i, 0) (35)

(△ E int ) 0,T=∑i[E i, 0+γ i(E i,T-E i, 0)] ln (I i,T/I i, 0) (36)

그런데, 모수 디비지아 방식 (1)의 방식을 용할 때, 자료 값이 ‘0’

인 경우 로그 값의 계산상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47)

식 (31)을 환하면 다음의 식이 도출된다.48)

[ 모수 디비지아 방식 (2) (PDM 2) ]

(△Epdn) 0,T=[ I 0+α ( I T- I 0)](YT-Y 0) (37)

(△Estr) 0,T=∑i[ I i, 0Y 0+β i(I i,TYT- I i, 0Y 0)](S i,T-S i, 0) (38)

(△ E int ) 0,T=∑i[Yi, 0+γ i(Yi,T-Yi, 0)](I i, t- I i, 0) (39)

여기서 모수들, α, β i, γi 에 한 가정에 따라 요인분해의 결과가 달

라지게 된다. 그리고, 모수들, α, β i, γi 을 결정하는 것은 바로 특정한

분경로를 선택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α= β i=γ i=0로 선택

하면 기 년도의 수치에 ‘1’의 가 치를 주고 말기년도의 수치에 ‘0’의

가 치를 주게 되며, 따라서 라스 이 스 방식이 된다. 반면,

α= β i=γ i=1로 선택하면 기 년도의 수치에 ‘0’의 가 치를 주고 말

기년도의 수치에 ‘1’의 가 치를 주게 되며, 따라서 쉐 방식이 된다.

45) 우변이 증가율의 형태이다.

46) Liu, Ang, Ong (1992)의 논문에서 식 (9)에 해당된다.

47)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다음 소 에서 설명한다.

48) 우변이 편미분의 형태이다.

Page 75: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60

한편, α= β i=γ i=0.5를 선택하면 Boyd 등에서 활용하고 있는 산술

평균 방식이 된다.

Liu, Ang, Ong (1992)는 무수히 많은 모수 다음의 5종류의 모수를

제안하 다. 즉, 기 년도의 값을 가 치로 하는 라스 이 스 방식과

기 년도와 말기년도의 평균 값을 가 치로 하는 산술평균 방식, 그리고

가 치를 내생 으로 결정하는 adaptive 방식의 5가지를 제안하 다.

① 라스 이 스 모수 디비지아 방식 (1): LAS-PDM 1 (40)

[E 0] ln (YTY 0

) (생산 효과),

∑i [E i, 0] ln (

S i, tS i, 0

) (산업구조 효과),

∑i [E i, 0] ln (

I i, tI i, 0

) (에 지 원단 효과)

② 라스 이 스 모수 디비지아 방식 (2): LAS-PDM 249) (41)

∑YTS i, 0I i, 0-E 0 (생산 효과),

∑Y 0S i,TI i, 0-E 0 (산업구조 효과),

∑Y 0S i, 0I i,T-E 0 (에 지 원단 효과)

③ 산술평균 모수 디비지아 방식 (1): AVE-PDM 1 50) (42)

0.5 [E 0+ET] ln (YTY 0

) (생산 효과),

0.5∑i [E i, 0+E i,T] ln (

S i,TS i, 0

) (산업구조 효과),

49) Hankinson and Rhys(1983)과 Park(1992) 연구가 이와 유사하다.

50) Boyd et al (1988)가 이에 해당된다.

Page 76: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3장 에 지소비 요인분해 방법론 61

0.5∑i [E i, 0+E i,T] ln (

I i,TI i, 0

) (에 지 원단 효과)

④ 산술평균 모수 디비지아 방식 (2): AVE-PDM 2 51) (43)

0.5[ I 0+ I T](YT-Y 0) (생산 효과),

0.5∑i[ I i, 0Y 0+ I i,TYT](S i,T-S i, 0) (산업구조 효과),

0.5∑i[Yi, 0+Y i,T](I i,T- I i, 0) (에 지 원단 효과)

⑤ Adaptive weighting 모수 디비지아 방식52) (44)

α=[ I 0(YT-Y 0)-E 0ln(YT/Y 0 )]

[ ( I 0- I T)(YT-Y 0)-(E 0-ET) ln (YT/Y 0)]

β i=[ I i, 0Y 0( s i,T- s i, 0)-Ei, 0ln(s i.T/s i, 0)]

[ ( I i, 0Y 0- I i,TYT)( s i,T- s i, 0)-(Ei, 0-Ei,T) ln (s i,T/s i, 0)]

γ i=[Yi, 0( I i,T- I i, 0)-Ei, 0ln ( I i,T/I i, 0)]

[ (Yi, 0-Yi,T)( I i,T- I i, 0)-(Ei, 0-Ei,T) ln ( I i,T/I i, 0)]

상기 모수 디비지아 요인분해 방식의 특징을 요약하면, 첫째로,

분선 문제(integral path)를 모수 선택의 문제로 수리 으로 환하여 디

비지아 요인분해의 수리 논거를 완성하 다. 둘째로, 무한히 많은 요

인분해 방식 특정한 모수를 가지는 몇개의 디비지아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세째로, 그러나, 상기 5가지의 구체 모수 디비지아 방식은 ‘잔

차’를 발생시킨다.53) 잔차가 없는 모수화 방식은 다음에서 논의된다.

51) Reitler et al (1987)가 이에 해당된다.

52) Liu et al (1992)가 이에 해당된다. Adaptive weighting 모수 디비지아 방식에서

는 모수들, α, β i , γi 이 내생 으로 결정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53) 이는 앞 에서 근사화 과정에서 잔차가 발생하는 것과는 다르다.

Page 77: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62

다. 로그 디비지아 방식

Ang, Zhang, and Choi (1998)54)는 모수 디비지아 방식에서 해결하

지 못한 잔차 문제와 '0'의 값의 문제를 해소하기 해, 다음과 같은 로

그평균 가 치 함수를 도입하 다. 이들의 방식은 잔차가 발생하지 않으

며, log 값 계산시의 ‘0’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식이다.

앞 에서 ③ 산술평균 모수 디비지아 방식 (1)은 다음과 같았다.

0.5 [E 0+ET] ln (YTY 0

) (생산 효과),

0.5∑i [E i, 0+E i,T] ln (

S i,TS i, 0

) (산업구조 효과),

0.5∑i [E i, 0+E i,T] ln (

I i,TI i, 0

) (에 지 원단 효과)

이제 이러한 로그 값에 산술평균 가 치 공식이 아니라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로그 가 치 함수를 용한다.

로그 가 치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L(E i,T,E i, 0)=(E i,T-E i, 0)

ln (E i,T/E i, 0) (45)

그리고, 다음과 같이 로그 디비지아 방식을 정의한다.

∑iL(Ei,T,Ei, 0) ln (

YTY 0

) (생산 효과) (46)

∑iL(E i,T,Ei, 0) ln (

S i,TS i, 0

) (산업구조 효과) (47)

54) Ang, B.W., Zhang, F.Q., Choi, K.H., Factorizing changes in energy and

environmental indicators through decomposition. Energy 23(6), 1998.

Page 78: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3장 에 지소비 요인분해 방법론 63

∑iL(Ei,T,Ei, 0) ln (

I i,TI i, 0

) (에 지 원단 효과) (48)

이제 생산효과, 산업구조 효과, 에 지 원단 효과를 더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iL(Ei,T,Ei, 0){ ln (

YTY 0

)+ ln (S i,TS i,0

)+ ln (I i,TI i, 0

)}= ∑

iL(Ei,T,E i, 0){ ln

(YT S i,T I i,T)

(Y 0 S i, 0 I i, 0) }= ∑

iL(Ei,T,E i, 0){ ln

E i,TE i, 0 }

= ∑i

(Ei,T-Ei, 0)

ln (Ei,T/Ei, 0) { lnE i,TE i, 0 }

= ∑i (E i,T-Ei, 0)

= ET-E 0

= △E

(49)

여기서, 두번째와 세번째 의 등식은 식 (2)를 활용하 다. 이에 따

라, 두기간의 에 지소비의 변화는 세가지 요소로 잔차 없이 완 히 분

해됨이 증명되었다.

Page 79: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64

4. 국내 요인분해 연구문헌

본 소 은 국내에서 요인분해 방법론을 활용한 연구 표 인 연구

문헌을 간략히 살펴 본다.

정 식․이해춘(2000)은55) 요인분해 방법론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분

석에 용하 다. 이들은 라스 이 스 지수나 단순평균지수의 사용시

발생하는 잔차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 다. 동시에 로그평균지수 방식에

서 해당 변수가 음수(-)를 가질 때 문제가 발생한다는 에 주목하 다.

이에 따라 잔차 문제와 음수 문제를 해결하기 해 변화율지수(Mean

rate of change index)를 제안하 다. 이를 통해 산업연 분석을 이용하

여 1990~1995년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변화요인을 산출하 다. 이들

은 산업연 표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원유와 같이 량을 수입하는 산업

은 수입이 많을 경우, 는 소비나 투자보다 재고감소가 상 으로 큰

경우 국내최종수요가 음의 값을 가질 수 있다는 데 주목하 다.

이들은 음의 값을 가진 변수가 존재할 경우에도 부분 으로 확장할

수 있으며, 요인분해시 잔차가 발생하지 않는 요인분해 지수로서 평균

변화율지수를 제안하 다. 이들은 1990년과 1995년의 두해의 이산화탄소

배출증가에 해 요인분해를 수행하 다. 이산화탄소의 배출요인을 분해

하는 과정에서, 배출계수, 경제규모, 수요구조, 투입기술의 4가지 요인으

로 분해하 다. 그런데, 이들의 방식은 산업연 표를 활용하고 있기 때

문에 다년도에 한 분석으로서는 제약이 있다.

55) 정 식․이해춘, 평균 변화율지수에 의한 CO2 배출요인 분해방법, 자원․환경경제

연구, 제9권 제3호, 2000년 8월.

Page 80: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3장 에 지소비 요인분해 방법론 65

정해식․이기훈(2001)도56)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변화를 요인분해하

다. 이들은 1970년부터 1998년 까지의 기간에 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변화와 이산화탄소 배출집약도를 분석하 다. 이를 해 이들은 잔차가

발생하지 않는 로그 평균 디비지아 지수 기법을 활용하 다. 이들은 화

석연료의 탄소배출계수, 화석연료의 비 , 에 지 집약도, 일인당 GDP,

인구의 다섯가지 요인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의 변화를 분해하 다.

이들은 에 지소비량을 합계하는 경우 통상 으로 열량을 기 으로

합계하는 것에 해 문제를 제기하 다. 에 지소비량을 합계할 때, 에

지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합계하는 경우 문제가 있다고 보았다.

를 들어, 석유나 석탄이 열량기 으로 완 체재가 아니며, 같은 열

량이라도 기는 석탄보다 비 뿐 만 아니라 생산에 기여하는 바도 훨

씬 크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해 이들은 열량단 로 단

순합계하는 신, 로그 평균 디비지아 총에 지 소비량 지수를 제안하

다. 이경우, 비용의 비 이 높은 에 지는 더 큰 가 치를 갖게 되므로

경제 가치가 반 된다는 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이들은 이산

화탄소 배출량의 변화를 5개의 요인으로 분해하 다. 이들은 소득의 증

가와 인구의 증가가 이산화탄소 배출증가의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하 다. 그리고, 1990년 들어 에 지 효율의 하락이 심화

되어 이산화탄소 증가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 다.

김경술․신정수(2002)는57) 북한의 에 지소비 변화에 해 요인분해를

수행한 에서 주목할 만하다. 북한의 생산수 의 변화(감소)가 연료소

56) 정해식․이기훈, 로그 평균 디비지아 지수 기법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변화

의 요인분해, 자원․환경경제연구, 제10권 제4호, 2001년 12월.

57) 김경술․신정수, 북한의 연료소비 변화에 한 요인 분석, 에 지경제연구, 제1권

제1호, 2002년 12월.

Page 81: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66

비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 다. 한, 에 지소비 원단 의 변화

와 연료 체 등의 변화요인을 분석하 다. 자료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북

한의 에 지소비량에 한 분석을 수행하 다. 1990년~2000년의 북한의

에 지소비량 변화를 산업생산수 의 변화, 연료소비 원단 의 변화, 연

료 체 효과로 요인분해를 수행하 다. 특이한 은 산업구조 효과 신

에 연료 체 효과를 분석한 이다. 그리고, 에 지소비를 석탄, 석유,

신탄을 별도로 구분하여 요인분해를 수행하 다. 한, 산업부문, 수송부

문, 가정부문, 상업․공공부문으로 구분하여 요인분해를 수행하 다.

에 지경제연구원(2002)은58) 경제활동규모, 에 지원단 , 원별 에 지

소비비 의 세가지로 에 지소비에 한 요인분해를 수행하 다. 여기서

특이한 은 구조변수가 산업구조가 아니라 원별 에 지소비구조라는

이다. 이는 소 들에서 살펴 본 연구방식과 상이한 부분이다. 이들

의 연구는 에 지 원별소비구조의 변화가 에 지소비 변화에 미치는

향을 주로 분석하 다. 즉, 석유, 석탄, 도시가스, 력, 지역난방의 소비

요인 변화를 각각 분석하 다.

한, 부가가치 비 에 지소비의 탄성치로 정의되는 에 지계수

(Energy Coefficient)의 변화를 생산효과, 원단 효과, 산업구조효과로 요

인분해하 다. 에 지소비 총량의 변화가 아니라 에 지탄성치의 변화를

요인분해한 이 다른 연구들과 다른 이다. 그리고, 주요 업종에 해

서는 에 지원단 를 분해목표 지수로 하여 요인분해를 수행하 다. 이

를 해 체의 에 지원단 지표를 연료 체 효과와 실질 에 지원단

효과의 2가지 요인으로 분해하 다. 한, 수송부문과 가정 상업

부문의 에 지소비 변화에 해서도 요인분해를 수행하 다.

58) 에 지경제연구원, 기후변화 약 교토의정서 응 략 연구, 2003년 5월.

Page 82: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4장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 분석 67

제 4 장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 분석

1. 분석 자료

에 지부문의 지속발 략을 도출하기 해서는 재의 에 지수

상황에 한 정확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재의 에 지수

상황에 해 지속가능발 의 에서의 평가가 필요하다. 에 지수

에 한 평가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평가의 분야도 다

양하다.

본 장에서는 에 지부문의 지속발 략도출의 일환으로, 에 지수요

의 증가요인을 살펴 보고 이를 에 지 효율성의 에서 재조명한다.

이는 에 지효율이 경제 지속가능성과 환경 지속가능성 모두를 달

성하는 핵심 요소이기 때문이다.

특히, 제조업 부문의 에 지소비 증가요인을 살펴 본다. 이는 제조업

부문이 경제성장 차원에서 가장 요할 뿐 만 아니라, 우리나라 최종에

지 수요의 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해 우선 제조업 부문의 에 지소비와 동시에 부가가치 황을

심층 으로 분석한다.59)

본 소 은 분석 자료의 개요에 해 살펴 본다. 에 지소비와 부가가

치에 한 분석자료는 1981년~2001년 까지의 20년을 상으로 한다. 분

석 상은 산업부문 농림어업, 업, 건설업 등을 제외한 제조업만을

59) 에 지소비 자료는 에 지통계연보 각연도 에 지경제연구원의 내부자료를 활

용하 다. 그리고, 제조업의 부가가치 자료는 한국은행의 자료를 활용하 다.

Page 8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68

상으로 살펴 본다.

제조업은 음식료품 산업, 섬유가죽 산업, 목재종이 산업, 화학 산업,

비 속 물 산업, 제1차 속 산업, 조립 속 산업과 기타 산업의 8개 산

업으로 세분화된다.60) 부가가치는 1995년 기 의 불변가격으로 표시된

다.

2. 제조업 부가가치와 에 지소비 개

본 소 은 제조업의 부가가치 생산과 이로 인한 에 지소비의 증가를

총 으로 살펴 본다.

[그림 4-1] 최총에 지 제조업 에 지의 비

(단 : %)

0%

10%

20%

30%

40%

50%

60%

81 83 85 87 89 91 93 95 97 99 '01

60) 화학제품 산업은 석유화학 기 제품을 포함하며, 비 속 물 산업은 시멘트를 포

함하며, 1차 속 산업은 선철을 포함한다. 이들은 에 지 투입이 많은 산업들이다.

Page 84: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4장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 분석 69

요인분해 방법론 분석시 명백해진 것처럼 에 지소비는 부가가치 생

산, 에 지 원단 , 그리고 산업구조에 의해 향을 받는다. 본 소 은

제조업 체의 부가가치 생산, 에 지소비, 그리고 에 지 원단 를 살

펴 본다.61)

우리나라 제조업 부문의 에 지소비가 최종에 지에서 차지하는 비

은 [그림 4-1]와 같이 ‘81년의 41.0%에서 2001년 51.3%로 증해 왔다.

80년 에는 제조업 에 지소비의 최종에 지 비 비 이 40% 내외

에 머물 으나, 90년 들어 48% 내외로 크게 증가하 으며, 외환 기

이후 50%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제조업 부문에 한 분석은 매

우 요하다.

1981년 부터 2001년 까지 20년간 제조업 부문의 에 지소비는 ‘81년의

61) 업종별 분석은 다음 소 에서 살펴본다.

[그림 4-2] 에 지와 부가가치 증가추이 (‘81=1.0)

Page 85: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70

16.0 백만 TOE에서 2001년의 78.4 백만 TOE로 20년간 4.9배 증가하

다. 이에 따라, 동 기간의 연평균 에 지소비 증가율은 8.3%에 달했다.

한편, 지난 20년간 제조업 부문의 부가가치는 ‘95년 불변가격으로 ‘81년

의 28 조원에서 2001년의 168 조원으로 6배 증가하 으며, 동 기간의 연

평균 부가가치 증가율은 9.4%에 달했다.

에 지 원단 는 ‘81년 0.573 (TOE/ '95년불변 백만원)에서 2001년

0.467 로 낮아졌다.62) 이는 수 을 기 으로 할 때 20년간 19%의

감소를 의미한다. 부가가치 증가율이 에 지소비 증가율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남에 따라, 에 지소비의 부가가치 탄성치는 0.88을 기록하 다.63)

즉, 에 지소비의 부가가치 탄성치는 ‘1’ 보다 다소 낮은 수 을 나타냈

다. [그림 4-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리나라에서 제조업부문의 에 지

소비와 부가가치의 변화는 정비례의 계를 보여 왔다.

<표 4-1> 제조업부분의 에 지소비 추이

1981 1990 1997 2001

연평균 증가율(%)

’81-

’97

’97-

’01

‘81-

’90

‘90-

’01

‘81-

’01

총에 지 소비(백만TOE) 16.0 32.8 70.3 78.4 9.7 2.8 8.3% 8.3% 8.3%

부가가치(’95불변 조원) 27.9 74.0 126.1 168.1 9.9 7.5 11.4% 7.7% 9.4%

에 지/부가가치(TOE/’95불변백만원)

0.573 0.443 0.557 0.467 -0.17 -4.3 -2.8% 0.5% -1.0%

에 지․ 부가가치 탄성치 0.98 0.37 0.73 1.07 0.88

자료: 에 지 련 자료는 에 지통계연보, 부가가치는 한국은행.

62) 에 지 원단 의 단 는 ‘TOE/ '95년불변 백만원’로 한다.

63) 에 지소비의 부가가치 탄성치는 ‘에너지소비 증가율부가가치 증가율 ’로 정의된다.

Page 86: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4장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 분석 71

이와 같은 정비례 계를 다른 에서 보기 해 에 지․부가가치

탄성치 지표의 변화를 살펴 본다. 에 지․부가가치 탄성치는 부가가치

1% 증가에 한 에 지소비의 증가율을 나타낸다. 에 지․부가가치 탄

성치를 두가지 방식으로 살펴 본다. 첫째로, 매년의 탄성치를 살펴 본다.

이는 매년의 에 지소비 증가율을 부가가치 증가율로 나 값이다. 이경

우 연도별로 편차가 크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둘째로, 연도별 편차를

완만하게 하는 차원에서 ‘81년 부터 해당연도까지의 에 지소비와 부가

가치 증가에 해 연평균 증가율을 각각 구하고, 양자를 나 값을 살펴

본다. 를 들어, ’81년 부터 ‘90년 까지의 연평균 에 지소비 증가율을

동기간의 연평균 부가가치 증가율로 나 값을 살펴 본다. 이는 일종의

’다년도 탄성치‘의 의미를 가진다. 이는 <표 4-2>와 <표 4-3>에 나타나

있다. 연도별 탄성치를 보면, ’88년 부터 ’1‘ 이상을 기록한 후 ’93년까지

지속 으로 ’1’ 이상을 기록하 다. 그후 ‘94년과 ’95년의 하락기를 거쳐

‘96년 1.08, ’97년 2.30을 기록한 후 외환 기를 맞았다. 외환 기 이후

연도별 탄성치는 크게 낮아져 ‘98년의 0.22, 2001년의 0.47 등을 기록하

다. ’81년 부터 해당연도까지의 ‘다년도 탄성치’는 90년 들어 ‘1.0’에

가까운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자료: 에 지 련 자료는 에 지통계연보, 부가가치는 한국은행.

<표 4-2> 에 지․부가가치 탄성치 변화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매년 -0.13 0.44 0.34 0.29 0.46 0.75 1.18 2.80 1.82 2.01

‘81부터-해

당연도-0.13 0.27 0.30 0.30 0.35 0.44 0.54 0.62 0.73 0.83

Page 87: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72

자료: 에 지 련 자료는 에 지통계연보, 부가가치는 한국은행.

다음에는 총량상의 특징을 외환 기 사태 이 과 이후로 구분하여 살

펴 본다. 먼 외환 기 이 인 ‘81~1997년 까지의 제조업부문의 에

지 소비와 부가가치 생산을 살펴 본다. ‘81년 부터 외환 기 이 인 ’97

년 까지 16년간 제조업 부문의 에 지소비는 ‘81년의 16.0 백만 TOE에

서 1997년의 70.3 백만 TOE로 4.4배 증가하 다.

자료: 에 지 련 자료는 에 지통계연보, 부가가치는 한국은행.

<표 4-3> 에 지․부가가치 탄성치 변화 (계속)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매년 3.28 1.81 0.73 0.43 1.08 2.30 0.22 0.22 0.45 0.47

‘81부터-해

당연도0.94 0.98 0.96 0.92 0.92 0.98 1.02 0.93 0.89 0.88

<표 4-4> 외환 기 이후의 에 지부문의 변화

‘97 ‘98 ‘99 '00 '01 81-'97 97-'01

에 지소비

(천 TOE)70,263 69,093 72,239 77,790 78,428 9.7% 2.8%

부가가치

('95불변 10억

원)

126117 116735 141295 165206 168115 9.9% 7.5%

에 지원단

( T O E / ' 9 5 년

백만원)

0.56 0.59 0.51 0.47 0.47 -0.2% -4.3%

연 증가율

에 지소비 15.1% -1.7% 4.6% 7.7% 0.8%

부가가치 6.6% -7.4% 21.0% 16.9% 1.8%

에 지원단 8.0% 6.2% -13.6% -7.9% -0.9%

에 지․ 부가

가치 탄성치2.30 0.22 0.22 0.45 0.47 0.98 0.37

Page 88: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4장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 분석 73

동기간의 연평균 에 지소비 증가율은 9.7%을 기록하 다. 이는 ’81~

2001년간의 연평균 8.3%의 증가율 보다 1.4% 포인트 높은 수 이다. 제

조업의 부가가치는 ‘81년의 28 조원에서 1997년의 126 조원으로 4.5배

증가하여, 연평균 9.9%의 증가율을 기록하 다. 이는 ’81~2001년간의 연

평균 9.4%의 증가율 보다 0.5% 포인트 높은 수 이다. 이에 따라, 에

지원단 는 ‘81년 0.573 (TOE/ '95년불변 백만원)에서 ’97년 0.557로 거

의 변하지 않았다. 이는 2001년의 0.467 과는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이로 인해, 에 지탄성치는 0.98을 기록하여 거의 ‘1’의 수 을 보 다.

다음에는 외환 기 이후인 ‘97~2001년 까지의 제조업부문의 에 지

소비와 부가가치 생산을 살펴 본다. ‘97년 말에 발생한 외환 기 후로

제조업 부문의 에 지소비와 부가가치 생산은 큰 변화를 보이고 있다.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는 ‘97년에 15.1%의 증가에서 ‘98년에 (-) 1.7%

의 감소를 보 다. 제조업부문의 부가가치는 ’97년에 6.6%의 증가에서

‘98년에 (-) 7.4%의 감소를 보 다.

그후 부가가치는 외환 기의 극복과 경기회복에 따라 ‘99년에 21.0%,

2000년에 16.9%의 속한 증가를 보 다. 반면, 에 지소비는 ‘99년에

4.6%, 2000년에 7.7%의 증가에 그쳤다. 이에 따라, 에 지․부가가치 탄

성치는 ‘99년에 0.22, 2000년에 0.45, 2001년에 0.47을 기록하 으며, ’9

7~2001년간 0.37을 나타냈다. 이는 1981~’97년간의 에 지․부가가치

탄성치가 0.98을 기록한 것에 비하면 크게 낮아진 것이다.

다음에는 외환 기 이 인 ‘81~’97년(외환 기 이 )과 외환 기 이후

인 ‘97~2001년(외환 기 이후)을 간략히 비교한다. 에 지소비는 외환

기 이 에 연평균 9.7%에서 이후에 2.8%로 증가율이 락하 다. 부가

가치 생산은 외환 기 이 에 연평균 9.9%에서 외환 기 이후에 7.5%로

Page 89: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74

증가율이 약간 낮아졌다.

에 지 원단 는 외환 기 이 에 연평균 -0.2% 감소에서 외환 기

이후에 -4.3% 감소로 에 지원단 개선율이 크게 높아졌다.64) 이에 따

라 에 지․부가가치 탄성치는 외환 기 이 에 0.98에서 이후에 0.37로

크게 낮아졌다. 특히 ‘90~’97년간 에 지․부가가치 탄성치는 1.45로 매

우 높았었다.

자료: 에 지 련 자료는 에 지통계연보, 부가가치는 한국은행.

64) 에 지 원단 는 에 지소비를 부가가치로 나 값이다. 따라서, 에 지 원단 의

수치가 작아질 수록 에 지가 효율 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나아가, 에

지 원단 의 변화율이 (-)라는 것은 에 지 원단 의 수치가 작아진다는 것을 의미

한다. 에 지문헌에서는 이를 에 지효율이 개선된다고 말한다.

<표 4-5> 외환 기 ․후의 에 지부문의 변화

외환 기 이 외환 기 이후

‘81~'97년 ‘97~'2001

에 지소비 연증가율 9.7% 2.8%

부가가치 연증가율 9.9% 7.5%

에 지원단 연변화율 -0.2% -4.3%

에 지․부가가치 탄성치 0.98 0.37

Page 90: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4장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 분석 75

3. 세부 산업별 분석

본 소 에서는 제조업을 8개부문으로 세분화하여 살펴 본다. 세부 산

업별 행태를 살펴 보면 제조업 체를 볼 때에는 드러나지 않는 여러가

지 사실들을 추가 으로 분석할 수 있다.

가. 산업별 부가가치 변화 분석

지난 20년간 업종별 부가가치 비 은 커다란 변화를 보여 주었다.

주: 그림의 아래에서 부터 ①음식료, ②섬유, ③목재, ④화학, ⑤비 속 물, ⑥1차

속, ⑦조립 속, ⑧기타 산업을 나타낸다.

[그림 4-3] 산업별 부가가치 추이

(단 : 10억원)

Page 91: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76

주: 그림의 아래에서 부터 ①음식료, ②섬유, ③목재, ④화학, ⑤비 속 물, ⑥1차

속, ⑦조립 속, ⑧기타 산업을 나타낸다.

[그림 4-3]은 제조업 체의 부가가치 생산과 업종별 부가가치 생산을

보여 주고 있다. 앞에서 언 하 듯이, 지난 20년간 제조업 체의 부가

가치는 ‘95년 불변가격으로 ‘81년의 28 조원에서 2001년의 168 조원으로

6배 증가하 으며, 동 기간의 연평균 부가가치 증가율은 9.4%에 달했다.

[그림 4-4]는 업종별 부가가치의 비 을 보여 주고 있는 바, 지난 20년

간 우리나라 제조업의 부가가치 비 은 커다란 변화를 겪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제조업 부가가치의 특징을 보면, 우리나라는 기 경공업 심의 산업

구조에서 80년 반들어 조립 속 산업과 화학공업 심의 산업구

조로 이행되었다. 80년 반까지 섬유산업과 음식료 산업이 주력산업

[그림 4-4] 산업별 부가가치 비 추이

(단 : %)

Page 92: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4장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 분석 77

이었으나, 80년 반들어 조립 속산업이 주력산업을 담당하게 되었

다.

‘81년의 경우, 섬유산업의 비 이 26.2%로 가장 높았으며, 음식료 산

업은 19.7%로 그 뒤를 이었으며, 조립 속 산업은 19.1%, 화학산업은

15.4%를 차지하 다. 목재산업은 6.6%, 1차 속산업은 6.2%, 그리고 비

속 물산업이 3.9%를 차지하 다. 그런데, 2001년 재, 조립 속산업

의 비 이 57.5%로 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 뒤를 이어, 화학산업

이 17.3%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섬유산업의 비 은 3.5%, 음식료산업

의 비 은 7.6%를 차지하고 있다.

20년간의 시계열 변화를 보면, 조립 속 산업의 확 는 기록 인 것

이다. ‘81년에 19.1%를 차지하 던 조립 속산업은 ’88년에 31.3%로 30%

를 넘어서고, 이어서 ‘95년에 41.9%로 40% 를 넘어섰고, ’99년에

51.0%로 체산업 비 의 반을 넘어섰다. 2001년 재 57.5%의 비

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 20년에 걸쳐 섬유산업과 음식료 산업의 축소도 기록 인 것이

다. 섬유산업의 비 은 큰 폭으로 계속 감소하 다. ‘81년에 26.2%로 가

장 큰 비 을 차지하 던 섬유산업은 ‘88년에 17.8%로 20% 미만으로

축소되었고, ’93년에 9.8%로 10% 미만으로 축소되었다. 2001년 재

섬유산업의 비 은 단지 3.5%에 불과하다. 20년 사이에 섬유산업은 우리

나라의 주력산업에서 재는 명맥만 유지하는 상황으로 변하 다.

음식료 산업의 비 도 큰 폭으로 계속 감소하 다. 음식료 산업은 ‘81

년에 19.7%로 섬유산업에 이어 두번째로 큰 비 을 차지하 다. 그후 매

년 비 이 하락하여 97년에 9.7%로 떨어졌으며, 2001년 재 7.6%의 비

을 차지하고 있다.

Page 9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78

1차 속산업의 비 은 90년 까지 미미하게 증가한 후 다시 감소

하 다. 1차 속산업은 20년간 내내 6~8% 내외의 비 을 차지하고 있

다. ‘81년에 6.2%에서 ’93년에 8.7%까지 증가하 으며 2001년 재 6.6%

를 차지하고 있다.

비 속 물산업의 비 도 90년 까지 미미하게 증가한 후 다시 감

소하 다. 비 속 물은 20년간 내내 2~5% 내외의 비 을 차지하고 있

다. ‘81년에 3.9%의 비 을 차지하 으며, ’91년에 5.0%까지 비 이 증가

한 후 지속 으로 감소하여 2001년 재 2.8%의 비 을 차지하고 있다.

목재산업의 비 은 80년 까지 미미하게 증가하다가 지속 으로

감소하 다. 목재산업의 비 은 ‘81년에 6.6%에서 ’83년에 7.3%로 정

을 이룬 후 지속 으로 미미하게 감소하여 2001년 재 3.6%의 비 을

차지하고 있다.

화학산업의 비 은 90년 반에 크게 증가하여 93년에 정 을 이룬

후 등락을 반복하 다. 화학산업의 비 은 ‘81년에 15.4%에서 큰 변화를

보이지 않다가 ’91년 17.6%, ‘92년에 19.6%, ’93년에 20.3%까지 증가하

다. 그 후 계속하여 20% 의 비 을 보이다가 ‘98년에 21.6%로 정 에

달한후 미미하게 감소하기 시작하여 2001년 재 17.3%를 차지하고 있

다.

우리나라의 산업은 제조업 체에 한 비 을 기 으로 할 때, 비

이 지속 으로 증가하는 산업과, 지속 으로 감소하는 산업, 그리고 등

락을 반복하는 산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지속 으로 비 이 증가하는

산업으로 조립 속산업이 있으며, 비 이 지속 으로 감소하는 산업으로

음식료, 섬유, 목재 산업이 있다. 비 이 일정수 을 심으로 등락을 반

복하는 산업으로 화학산업, 비 속산업, 1차 속산업이 있다.

Page 94: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4장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 분석 79

나. 산업별 에 지소비 변화 분석

다음의 표는 8개 세부 산업별로 에 지소비와 부가가치의 연평균 증

가율을 외환 기 이 과 이후, 그리고 기간으로 나타낸 것이다.

자료: 에 지통계연보 각 연도.

자료: 한국은행.

제조업 부문의 에 지소비는 ‘81년의 16.0 백만 TOE에서 2001년의

<표 4-6> 산업별 에 지소비 증가율

‘81-’97 ‘97-’01 ‘81-’01

음식료 5.4% -4.1% 3.4%

섬유 3.7% 4.3% 3.8%

목재 8.9% -2.3% 6.6%

화학 13.2% 3.9% 11.3%

비 속 6.6% -4.0% 4.4%

1차 속 7.1% 3.5% 6.4%

조립 속 13.6% 3.3% 11.4%

기타 16.5% 5.2% 14.2%

합계 9.7% 2.8% 8.3%

<표 4-7> 산업별 부가가치 증가율

‘81-’97 ‘97-’01 ‘81-’01

음식료 5.1% 1.2% 4.3%

섬유 -0.1% -4.5% -1.0%

목재 8.4% -2.3% 6.2%

화학 12.2% 1.7% 10.0%

비 속 10.3% -2.2% 7.6%

1차 속 11.9% 1.7% 9.8%

조립 속 15.8% 14.9% 15.6%

기타 5.2% -2.5% 3.6%

합계 9.9% 7.5% 9.4%

Page 95: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80

78.4 백만 TOE로 20년간 4.9배 증가하 다. ’81년~2001년의 20년간 연

평균 에 지소비 증가율은 8.3%에 달하 다. 동 기간 동안 우리나라

체의 최종에 지의 연평균 증가율은 7.1%을 기록하 다. 이에 따라, 제

조업의 에 지소비는 최종에 지 소비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하 다.

특히, 97년 말의 외환 기 이 까지의 제조업 부문의 에 지소비는 연

평균 9.7%의 매우 높은 증가율을 보 다. 연도별 에 지소비 증가율을

보면, ‘80년 후반 부터 '90년 반 까지 매우 높은 수치를 보 다.

를 들어, ’87년(13.8%), ‘88년 (14.3%), ’91년(19.2%), ‘92년(17.3%)의 증

가율은 매우 높은 수 을 나타냈다. 외환 기로 ‘98년도는 년도 비

마이 스의 증가율을 보 으며, 그 이후 증가율이 크게 둔화되었다.

주: 그림의 아래에서 부터 ①음식료, ②섬유, ③목재, ④화학, ⑤비 속 물, ⑥1차

속, ⑦조립 속, ⑧기타 산업을 나타낸다.

[그림 4-5] 산업별 에 지소비 비 추이

(단 %)

Page 96: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4장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 분석 81

제조업 업종별 에 지소비 비 도 부가가치 비 과 마찬가지로 큰 변

화를 보 다. 제조업의 에 지 소비 가 요한 은 화학 산업, 비

속 물 산업, 1차 속 산업의 3 에 지다소비 산업의 에 지 소비에

있다. 이들 3 에 지다소비 산업의 에 지소비 비 은 2001년 재

79%를 차지하고 있다. 에 지소비 증가율의 특징을 보면, ‘81년~2001년

간 제조업 체의 연평균 에 지소비 증가율은 8.3%를 나타냈다. 동 기

간에 조립 속 산업은 연평균 11.4%, 화학산업은 연평균 11.3%의 높은

증가율을 보 다.

업종별 부가가치 비 과 에 지소비 비 을 다음의 그림을 통해 1981

년과 2001년의 횡단면으로 간략히 종합해 본다.

주: 각 산업에서, 좌측의 막 그래 가 에 지 비 , 우측의 막 그래 는 부가가치

비 을 나타낸다.

[그림 4-6] 산업별 부가가치 에 지소비 비 : 1981년

(단 : %)

Page 97: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82

1981년에 부가가치의 비 은 섬유산업(26%)과 음식료 산업(20%), 그리

고 조립 속 산업(19%)의 순이었다. 한편 에 지소비 비 은 1차 속

(32%), 화학(28%), 그리고 비 속 물(15%)의 순이있다. 조립 속 산업

의 에 지소비 비 은 4%로 매우 낮았다.

주: 각 산업에서, 좌측의 막 그래 가 에 지 비 , 우측의 막 그래 는 부가가치

비 을 나타낸다.

2001년에 부가가치의 비 은 조립 속이 58%로 반 이상을 차지하

고 그 뒤를 화학산업이 17%를 기록하 다. 섬유산업의 비 은 4%로 축

소되었다. 한편 에 지소비 비 은 화학이 49%로 반을 차지하고 그

뒤를 1차 속(23%)과 비 속 물(7%)이 잇고 있다. 조립 속 산업은 제

조업 체 부가가치의 반 이상을 생산함에도 불구하고 6%의 에 지소

비 비 만을 차지하 다.

[그림 4-7] 산업별 부가가치 에 지소비 비 : 2001년

(단 : %)

Page 98: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4장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 분석 83

다. 에 지다소비 산업의 변화 분석

화학 산업, 비 속 물 산업, 1차 속 산업의 3 에 지 다소비 산업

의 행태는 에 지소비 결정에 요한 역할을 한다. 본 소 은 이들에

해 부가가치 구조와 에 지소비 구조의 변화를 종합 으로 살펴 본다.

<표 4-8> 주요 산업별 부가가치 에 지소비

(단 : ‘95년 불변 조원, 백만TOE)

1981 1990 1995 2001연평균 증가율(%)

'81-’90 '90-’01

화학 산업

부가가치

에 지

4.3

4.5

12.0

10.1

21.8

24.0

29.0

38.2

12.1

9.4

8.4

12.8

비 속 물산업

부가가치

에 지

1.0

2.5

3.4

4.1

4.8

6.3

4.7

5.9

13.7

5.9

2.9

3.2

1차 속 산업

부가가치

에 지

1.7

5.1

5.7

9.8

9.4

14.5

11.1

17.7

14.1

7.4

6.3

5.5

3 다소비산업

부가가치

에 지

7.1

12.1

21.1

24.0

36.0

44.8

44.8

61.7

12.9

7.9

7.1

9.0

조립 속 산업

부가가치

에 지

5.3

0.6

24.7

2.0

46.4

3.4

96.7

5.1

18.6

14.9

13.2

8.7

제조업 체

부가가치

에 지

28.0

16.0

74.0

32.8

110.8

56.9

168.1

78.4

11.4

8.3

7.7

8.3

자료: 한국은행, 에 지경제연구원

주: 에 지 다소비산업은 화학 산업, 비 속 물 산업, 1차 속 산업을 말한다.

Page 99: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84

<표 4-8>은 3 에 지 다소비 산업의 부가가치와 에 지소비, 그리고

10년 단 의 연평균 증가율을 보여 주고 있다. 3 에 지 다소비 산업

을 체 으로 보면, 80년 에는 부가가치 증가율(12.9%)이 에 지소비

증가율(7.9%) 보다 높았다. 그러나, 90년 에는 에 지소비 증가율(9.0%)

이 부가가치 증가율(7.1%) 보다 높았다.

<표 4-9> 주요 산업별 부가가치 에 지소비 비

(단 : %)

1981 1990 1995 2001

화학 산업

부가가치 비

에 지 비

15.4

28.2

16.2

30.9

19.7

42.2

17.3

48.7

비 속 물 산업

부가가치 비

에 지 비

3.9

15.4

4.6

12.6

4.3

11.1

2.8

7.5

1차 속 산업

부가가치 비

에 지 비

6.2

32.0

7.7

29.8

8.5

25.5

6.6

22.5

3 다소비산업

부가가치 비

에 지 비

25

76

29

73

32

79

27

79

조립 속 산업

부가가치 비

에 지 비

19.1

3.6

33.3

6.2

41.9

6.0

57.5

6.5

제조업 체

부가가치 비

에 지 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표 4-9>는 제조업 체 비 에 지 다소비 산업의 부가가치 비 과

Page 100: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4장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 분석 85

에 지소비 비 을 보여 주고 있다. 화학 산업, 비 속 물 산업, 1차

속 산업의 3 에 지다소비 산업의 ‘부가가치 비 ’은 ‘81년 25%에서

2001년 27%의 수 을 보여 비슷한 수 을 유지하 다. 한편, 이들 3

에 지다소비 산업의 ’에 지소비 비 ‘은 지난 20년간 큰 변화 없이

75% 내외의 수 을 보이고 있으며, ‘81년 76%에서 2001년 79%로 다소

증가하 다.

그러나, 에 지다소비 산업도 개별 산업별로 부가가치와 에 지 비

에 있어서 큰 변화를 보이고 있다. ‘81년과 2001년간, 화학 산업의 부가

가치의 비 은 15%에서 17%로 소폭 증가한 데 반해, 에 지소비의 비

은 28%에서 49%로 크게 증가하 다. 이는 상 으로 에 지투입이

많은 제품의 생산이 증가하 거나, 는 에 지효율이 악화됨을 시사한

다.

동기간에, 비 속 물 산업의 부가가치의 비 은 4%에서 3%로 소폭

감소한 반면, 에 지소비의 비 은 15%에서 8%로 큰 폭으로 하락하

다. 이는 부가가치율이 높은 제품의 생산이 증가하 거나, 에 지효율이

개선됨을 시사한다.

동기간에, 1차 속 산업의 부가가치상의 비 은 6.2%에서 6.6%로 거

의 변하지 않은 반면, 에 지소비의 비 은 32%에서 23%로 큰 폭으로

하락하 다. 이는 부가가치율이 높은 제품의 생산이 증가하 거나, 에

지효율이 개선됨을 시사한다.

즉, 비 속 물 산업과 1차 속 산업은 부가가치 비 의 하락폭 보다

훨씬 크게 에 지소비 비 이 감소하 다. 이는 이들 업종내에서 상

으로 부가가치가 높거나 는 에 지투입이 은 제품의 생산이 증가함

을 시사한다. 는, 이들 업종의 에 지효율성이 높아짐을 시사한다.

Page 101: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86

한편, 표 인 에 지 소비형 산업인 조립 속 산업은 부가가치 비

이 ‘81년 19%에서 2001년 58%로 크게 증가하 다. 반면, 에 지소비

비 은 동기간에 3.6%에서 6.5%로 소폭 증가하 다.

라. 에 지 원단 분석

에 지 원단 는 에 지소비 변화와 부가가치 변화를 통합 으로 나

타내는 지수이다. 본 소 에서는 업종별로 에 지원단 의 변화를 살펴

본다.65)

<표 4-10> 산업별 에 지 원단 변화 추이

(단 : TOE/‘95년 불변 백만원)

1981 1990 1995 2001연평균 증가율(%)

’81-’90 ’90-’01

음식료 산업 0.143 0.144 0.163 0.120 0.05 -1.6

섬유 산업 0.220 0.257 0.342 0.571 1.7 7.5

목재 산업 0.327 0.285 0.315 0.354 -1.5 2.0

화학 산업 1.049 0.843 1.100 1.317 -2.4 4.1

비 속 산업 2.286 1.206 1.312 1.247 -6.9 0.3

1차 속 산업 2.961 1.719 1.541 1.588 -5.9 -0.7

조립 속 산업 0.109 0.082 0.074 0.052 -3.1 -4.0

기타 산업 0.384 0.420 0.876 2.650 1.0 18.2

제조업 체 0.573 0.443 0.513 0.467 -2.8 0.5

자료: 에 지경제연구원

65) 에 지원단 의 단 는 ‘TOE/ '95년불변 백만원‘이다.

Page 102: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4장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 분석 87

먼 제조업 체의 에 지원단 의 변화가 요하다. 제조업 체로

서 구간별로 에 지 원단 가 개선되었는지 는 악화되었는지 여부가

제조업 체의 에 지효율 에 지소비에 큰 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제조업 체의 에 지원단 는 ‘81년 0.573에서 ’90년 0.443, 그리고 2001

년 0.467로 변하 다. 이에 따라, 80년 에는 연평균 -2.8%의 에 지원단

개선을 보 다. 그러나, 90년 에는 연평균 0.5%의 에 지원단 악

화를 보 다.

주: ‘81년을 기 으로 그림의 아래에서 부터 ①조립 속, ②음식료, ③섬유, ④목재,

⑤ 체, ⑥화학, ⑦비 속 물, ⑧1차 속 산업을 나타낸다. 기타 산업은 제외하

다.

<표 4-1>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81~’97년간의 에 지 원단 의 연

평균 변화율은 -0.17, ‘97~2001년간 -4.3%, 그리고, ’81~‘2001년간 -1.0%

의 연평균 변화율을 보 다. 한편, ’81~‘90년간 -2.8%, ’90~‘97년간 0.5%

[그림 4-8] 산업별 에 지 원단 변화

Page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88

의 연평균 변화율을 보여, 90년 에 에 지원단 는 악화되었다.

제조업 체의 에 지원단 는 어느 정도의 주기를 보이며 감소와 증

가를 반복하 다. 에 지원단 는 ‘81~’87년간 감소, ‘88~’93년간 증가,

‘94~’95년간 감소, ‘96~’98년간 증가, ‘99~2001년간 감소를 보 다. 에

지원단 는 ‘81년 0.573에서 계속 감소하여 ’87년 0.383으로 최 치를

기록한 후, 차 증가하여 ‘93년 0.559까지 증가하 으며, 그 후 증감이

반복되었다. 지난 20년간 에 지원단 의 극소 은 ‘87년 0.383과 ’95년

0.513, 그리고 2001년의 0.467이다. 극 은 ‘81년의 0.573, ’93년의

0.559, 그리고, ‘98년의 0.592이다. 제조업 체의 에 지원단 는 80년

에 연평균 2.8%로 높은 개선율을 보 다. 반면, 90년 에는 연평균 0.5%

씩 악화되었다는 것은 앞서 살펴 본 바와 같다.

다음으로 업종별 에 지원단 를 살펴 본다. 업종별 에 지원단 의

분석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업종별로 에 지 원단 의 수 이 매우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이다.

<표 4-11> 산업별 에 지 부가가치 비 (2001년)

음식

료섬유 목재 화학

1차

조립

속기타 합계

3개

다소

에 지

소비

2.0% 4.3% 2.7% 48.7% 7.5% 22.5% 6.5% 5.8% 100.0% 78.7%

부가가

치비7.6% 3.5% 3.6% 17.3% 2.8% 6.6% 57.5% 1.0% 100.0% 26.7%

에 지

원단0.120 0.571 0.354 1.317 1.247 1.588 0.052 2.650 0.467 1.377

Page 104: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4장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 분석 89

2001년의 경우를 로 들면, 조립 속 산업의 에 지원단 는 0.052인

데 반해 1차 속의 에 지원단 는 1.588로서 조립 속 산업의 30배에

달하고 있다. 화학, 비 속 물, 1차 속의 3 에 지다소비산업의 에

지원단 는 다른 산업에 비해 에 지원단 가 매우 높다. 2001년의 경

우, 1차 속산업의 에 지원단 는 1.588, 화학산업은 1.317, 비 속 물

산업은 1.247을 기록하 다. 이는 <표 4-11>에서 분명히 나타난다.

<표 4-12> 에 지 원단 변화율 추이: 제조업 체

(단 : %)

연도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변화율 -6.1 -7.1 -9.3 -4.0 -8.5 -3.8 2.0 6.1 6.9

연도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변화율 8.8 11.4 4.1 -2.6 -5.7 0.5 8.0 6.2 -13.6 -7.9 -0.9

<표 4-13> 에 지 원단 연평균 변화율

(단 : %)

년도 81-85 85-90 90-95 95-01 90-97 97-0181-

90

90-

01

81-

01

81-

97

음식료 -4.0 3.4 2.5 -4.9 0.5 -5.2 0.0 -1.6 -0.9 0.3

섬유 -4.1 6.7 5.9 8.9 6.6 9.3 1.7 7.5 4.9 3.8

목재 -7.0 3.1 2.0 1.9 3.1 0.0 -1.5 2.0 0.4 0.5

화학 -6.7 1.2 5.5 3.0 5.3 2.1 -2.4 4.1 1.1 0.9

비 속 -10.7 -3.7 1.7 -0.8 1.5 -1.8 -6.9 0.3 -3.0 -3.3

1차 속 -10.0 -2.4 -2.2 0.5 -2.1 1.8 -5.9 -0.7 -3.1 -4.2

조립 속 -4.5 -1.9 -2.1 -5.6 -0.3 -10.1 -3.1 -4.0 -3.6 -1.9

기타 -4.0 5.1 15.8 20.3 24.6 7.9 1.0 18.2 10.1 10.7

합계 -6.6 0.4 3.0 -1.6 3.3 -4.3 -2.8 0.5 -1.0 -0.2

Page 105: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90

마. 업종별 분석 요약

다음에는 업종별 부가가치 에 지소비에 한 앞 소 의 분석을

요약한다. 주로 3 에 지 다소비 산업과 조립 속 산업에 해 살펴

본다.

1차 속 산업은 부가가치 비 이 ‘81년 6.2%에서 2001년 6.6%로 거의

변하지 않았다. 한편, 에 지소비 비 은 동기간에 32.0%에서 22.5%로

하락하 다. 에 지원단 는 업종 가장 높다. 에 지원단 는 ‘81년

2.961에서 지속 으로 하락하여 ’90년에 1.719, 2001년에 1.588을 기록하

으며, 외환 기 직 인 ‘97년에는 1.479까지 낮아졌다.

화학 산업은 부가가치 비 이 ‘81년 15%에서 2001년 17%로 다소 증

가하 다. 반면, 에 지소비 비 은 동기간에 28%에서 49%로 크게 증가

하 다. 에 지원단 는 비교 높은 수 이다. 에 지원단 는 ‘88년 까

지 지속 으로 감소한 후, 증가세를 보 다. 에 지원단 는 ‘81년 1.049

에서 ’88년 0.702까지 하락하 으며, 이는 33%의 원단 하락을 의미한

다. 그러나, 그 이후 원단 가 증가하여 ‘98년에는 ’88년의 약 2배에 달

하는 1.348로 높아졌다.

비 속 물제품 산업은 부가가치 비 이 ‘81년 3.9%에서 2001년 2.8%

로 다소 감소하 다. 반면, 에 지소비 비 은 동기간에 15%에서 7.5%

로 반감되었다. 비 속 물제품 산업의 에 지원단 는 ‘81년의 2.186에

서 지속 으로 감소하여 ’88년 최 인 1.177에 이르 다. 이는 ‘81년

비 49%의 하락을 의미한다. 그후, ‘96년 1.355 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

여 2001년 1.247을 기록하 다. 반 으로 보면, ‘86년 까지 에 지원단

가 속히 감소한 이후, 약간의 증감을 포함하여 에 지원단 안정화

Page 106: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4장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 분석 91

상을 보 다.

화학 산업, 비 속 물 산업, 1차 속 산업의 3 에 지다소비 산업

에 해 총 인 에 지원단 를 살펴 본다. 3 에 지다소비 산업의

총 에 지원단 는 ‘81년 1.70 에서 ’88년 1.07 까지 낮아졌다. 그후

90년 들어 다시 높아져서 2001년 재 1.38을 기록하 다.

조립 속 산업은 부가가치 비 이 ‘81년 19%에서 2001년 58%로 크게

증가하 다. 반면, 에 지소비 비 은 동기간에 3.6%에서 6.5%로 소폭

증가하 다. 조립 속 산업의 에 지원단 는 ‘81년 0.109로서 체 업종

가장 낮은 수 을 보 다. 조립 속 산업의 에 지원단 는 ‘81년의

0.109에서 지속 으로 감소하여 ’88년 극소 인 0.079 까지 감소하 다.

이후 ‘93년 0.086까지 소폭 증가한 후 ’95년 다시 극소 인 0.074를 기록

하 다. 이후 외환 기 이후 속히 낮아져서 2001년 최 인 0.052를

기록하 다.

<표 4-14>는 제조업 체의 평균 에 지원단 를 ‘100’으로서 기 으

로 할 때 업종별 상 에 지원단 를 나타낸다. 2001년을 기 으로

할 때, 1차 속 산업의 에 지원단 는 제조업 평균 에 지원단 의 3.4

배를 기록하 다. 화학산업은 2.8배 비 속 산업은 2.7배에 달하 다. 반

면 조립 속 산업은 제조업 평균 에 지원단 의 10분의 1에 불과하

다. 에 지다소비 산업 비 속 물 산업과 1차 속 산업의 상 에

지원단 는 지난 20년간 지속 으로 감소하 다. 반면, 화학산업의 상

에 지원단 는 지속 으로 증가해 왔다.

여기서 유념해야 될 사항으로서, 에 지원단 를 분석할 때 특정한 두

해를 기 으로 하면 왜곡이 있을 수 있으며 많은 정보를 잃을 수 있다

는 이다. 를 들어, ‘81년과 IMF사태 이 인 ’97년을 비교하면 에

Page 107: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92

지원단 는 0.573에서 0.557로 별 차이가 없다. 그러나, 이기간 에 에

지원단 는 0.383(‘87년) 까지 하락하 다. 이는 ’81년을 기 으로 할 때

33%의 큰 폭의 하락을 의미한다. 따라서, 에 지원단 에 해 다년간에

걸친 시계열 분석이 필요하다.

<표 4-14> 산업별 상 에 지원단 추이: 제조업 평균 비

음식

료섬유 목재 화학 비 속

1차

조립

속기타 체

‘81 25 38 57 183 399 517 19 67 100

‘82 22 40 50 181 417 494 19 64 100

‘83 24 42 48 192 386 454 20 56 100

‘84 26 43 53 188 345 456 20 61 100

‘85 28 43 56 183 335 446 21 75 100

‘86 30 44 61 195 327 441 21 80 100

‘87 32 45 65 193 325 463 21 78 100

‘88 32 51 67 180 301 462 20 86 100

‘89 33 55 65 173 289 430 20 86 100

‘90 32 58 64 190 272 388 19 95 100

‘91 29 54 60 196 245 363 17 113 100

‘92 27 52 57 209 221 325 16 116 100

‘93 26 59 60 201 240 310 15 113 100

‘94 27 54 63 206 247 301 15 189 100

‘95 32 67 61 214 256 300 14 171 100

‘96 31 70 66 199 263 300 15 295 100

‘97 27 72 64 217 241 265 14 351 100

‘98 23 86 63 228 218 274 14 358 100

‘99 25 102 76 243 247 306 14 363 100

2000 27 112 80 274 265 343 12 481 100

2001 26 122 76 282 267 340 11 568 100

Page 108: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5장 제조업부문 에 지소비 요인분해 결과 93

제 5 장 제조업부문 에 지소비 요인분해 결과

1. 요인분해 방법론

3장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지난 20여년간 다양한 요인분해 방법론이

제시되었다. 이들은 다음과 같은 세가지 방식으로 요약된다. 라스 이

스 방식, 산술평균 디비지아 방식, 그리고 로그 디비지아 방식이 많이

활용되고 있는 유형이며 이들에 한 기본식들은 다음과 같다.

□ 분해목표지수: Et=∑iE i, t=∑

iI i, tS i, tY t

□ 라스 이 스 방식

ET-E 0= (∑iI i, 0S i, 0Y T-E 0)

+ (∑iI i, 0 S i,TY 0-E 0)

+ (∑iI i,TS i, 0Y 0-E 0)

□ 산술평균 디비지아 방식

ET-E 0= 0.5∑i(E i,T+E i, 0) ln (

YTY 0

)

+ 0.5∑i(E i,T+E i, 0) ln (

S i,TS i, 0

)

+ 0.5∑i(E i,T+E i, 0) ln (

I i,TI i, 0

)

Page 109: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94

□ 로그 디비지아 방식

ET-E 0= ∑iL(E i,T,E i, 0) ln (

YTY 0

)

+ ∑iL(E i,T,E i, 0) ln (

S i,TS i, 0

)

+ ∑iL(E i,T,E i, 0) ln (

I i,TI i, 0

)

여기서, L(E i,T,E i, 0)=(E i,T-E i, 0)

ln (E i,T/E i, 0)

본 연구는 이들 요인분해 방법론에 한 비교분석을 토 로 ‘로그 디

비지아 방식’을 활용하여 제조업 부문의 에 지소비 변화의 요인들에

해 요인분해를 하 다.66) ‘로그 디비지아 방식’은 에 지소비의 변화를

잔차 없이 완 히 분해하며 ‘0’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요인분해 목표지수는 에 지소비량으로 한다.

66) 라스 이 스 방식과 산술평균 디비지아 방식을 활용한 결과는 로그 디비지아 방

식의 결과와 유사하다. 단, 잔차가 존재한다.

Page 110: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5장 제조업부문 에 지소비 요인분해 결과 95

2. 단일 기간 요인분해 결과: ’81~2001년

다음은 지난 20년간의 에 지소비 변화를 ‘81년과 2001년의 두 해의

자료만을 활용하여 요인분해를 한 결과이다.

‘81~2001년 사이에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는 총 62.4백만 TOE가

증가하 다. 요인분해 결과 생산효과는 68.6백만 TOE, 산업구조 효과는

(-4.8)백만 TOE, 에 지 원단 효과는 (-1.4)백만 TOE로 나타났다. 동기

간의 에 지 총증가를 100%으로 할 때, 생산효과는 110%, 산업구조 효

과는 (-8)%, 그리고 에 지 원단 효과는 (-2)%에 달한다.67)

주: 표기상의 편의를 해 산업구조 효과는 구조효과로, 에 지 원단 효과는 원단

효과로 표기한다.

한편, 에 지소비 증가율을 반 하기 해 ‘기여도’를 다음과 같이 정

의한다. 기여도는 ①양 기간간의 에 지소비상의 총증가를 100%으로 할

때의 각 요인의 효과에 ②양 기간간의 연평균 에 지소비 증가율을 곱

한 것으로 정의한다. <표 5-1>을 기 으로 하면, 각 요인별 비 과 연평

균 에 지소비 증가율, 즉 8.3%를 곱하여 산출한다.68) 요인별 비 이 큰

67) 로그 디비지아 방식을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총효과는 각효과의 합과 동일하다.

즉, 잔차가 발생하지 않고 총효과가 완 히 분해되게 된다.

<표 5-1> 에 지소비 요인분해: ‘81-’2001년

구분 량(천TOE) 비 요인별 기여도

구조 효과 -4794 -8% -0.6%

원단 효과 -1376 -2% -0.2%

생산 효과 68614 110% 9.1%

총 변화 62443 100% 8.3%

Page 111: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96

경우라도 양기간의 연평균 에 지소비 증가율이 작으면 체 인 기여

도는 작아진다. 반 로, 요인별 비 은 작더라고 에 지소비의 연증가율

이 크면 기여도는 커진다. 따라서, 기여도는 에 지소비 요인을 정규화

하는 의미를 가진다.

‘81~2001년의 양 기간에 연평균 에 지소비 증가율은 8.3%에 달했다.

따라서, 각 요인별 효과에 8.3%를 곱하여 기여도를 산출한다. 생산효과

기여도는 9.1%, 산업구조 효과 기여도는 (-0.6)%, 에 지 원단 효과 기

여도는 (-0.2)%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효과가 에 지소비 증가를

으로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20년간의 변화를 2개년도 자료만을 기 으로 하여 요인분해를

하는 것은 간년도의 요한 상황변화를 반 하기 어렵다. 이러한 은

여러 문헌에서 지 되고 있다. 간년도의 요한 상황변화를 반 하지

않는 경우, 요인분해 결과가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소 의 결과에 하여 추가 인 해석은 하지 않고 다음 소

에서 보다 상세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다음 소 에서는 외환 기를

후하여 제조업 부문의 에 지소비 여건이 크게 변한 것으로 보고 20

년의 구간을 나 어서 분석한다.

68) 이러한 ‘기여도’ 정의를 아래에서 계속 사용한다.

Page 112: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5장 제조업부문 에 지소비 요인분해 결과 97

3. 두 기간 요인분해 결과69)

가. 외환 기 이 : ’81~’97년

지난 20년을 외환 기를 기 으로 하여 외환 기 이 인 ①‘81~’97년

과 외환 기 이후인 ②‘97~2001년의 두 기간으로 나 어 요인분해를 하

다.

‘81~’97년 사이에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는 총 54.3백만 TOE가 증

가하 다. 요인분해 결과 생산효과는 54.1백만 TOE, 산업구조 효과는

3.8백만 TOE, 에 지 원단 효과는 (-3.6)백만 TOE로 나타났다. 동기간

의 에 지 총증가를 100%로 할 때, 생산효과는 100%, 산업구조 효과는

7%, 그리고 에 지 원단 효과는 (-7)%에 달한다.

양기간의 연평균 에 지소비 증가율은 9.7%이며, 이에 해 생산효과

기여도는 9.7%, 산업구조 효과 기여도는 0.7%, 에 지 원단 효과 기여

도는 (-0.6)%가 된다.

이제 이러한 수치들의 의미는 무엇인가? ‘81~’97년의 양기간에 증가

된 에 지소비에 해 생산효과가 가장 크며 그 크기는 에 지소비량의

100%에 해당되는 크기이다. 이는 제조업 생산과 에 지 투입간의 계

가 정비례임을 말해 주는 것이며, 정비례의 정도도 일 일의 계임을

말해 주는 것이다. 한편, 산업구조 효과는 7% 정도로서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구조의 효과가 (+)로 나타남에 따라, 동기간에 걸

69) 요인분해 결과표에서 표기의 편의상, 산업구조 효과는 구조효과로, 에 지 원단

효과는 원단 효과로 표기한다.

Page 11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98

쳐 산업구조가 다소 에 지다소비형으로 진행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에 지 효율을 나타내는 에 지 원단 효과는 (-7%)로서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에 지 원단 효과의 부호가 (-)로 나타남

에 따라, 동기간에 에 지 효율은 다소 개선된 것으로 해석된다. 요약하

면, ‘81~’97년의 16년간 우리나라의 에 지소비는 연평균 9.7%의 매우

높은 증가를 보 으며, 생산효과는 9.7%의 기여도를 보여 제조업의 부가

가치 생산의 증가가 에 지소비 증가에 해 인 요인으로 작용하

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다소 개선된 에 지 효율의 개선효과는

산업구조의 에 지 다소비화로 인해 모두 상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의 발 단계상 상된 결과이다. 그러나, 경제성장과 에

지소비간의 De-coupling을 추구하는 지속가능 략에 해 도 을 야

기하는 사항이기도 하다.

<표 5-2> 에 지소비 요인분해: ‘81-’97년 (외환 기 이 )

구분 량(천TOE) 비 요인별 기여도

구조 효과 3804 7.0% 0.7%

원단 효과 -3619 -6.7% -0.6%

생산 효과 54093 99.7% 9.7%

총 변화 54278 100% 9.7%

Page 114: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5장 제조업부문 에 지소비 요인분해 결과 99

나. 외환 기 이후: ’97~2001년

외환 기 이후인 ‘97~2001년에 한 요인분해 결과 외환 기 이 과

는 이하게 다른 결과가 나왔다.

‘97~2001년간의 4년 사이에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는 총 8.2백만

TOE가 증가하 다. 요인분해 결과 생산효과는 21.3백만 TOE, 산업구조

효과는 (-16.8)백만 TOE, 에 지 원단 효과는 (+3.7)백만 TOE로 나타

났다. 동기간의 에 지 총증가를 100%로 할 때, 생산효과는 261%, 산업

구조 효과는 (-206)%, 그리고 에 지 원단 효과는 (+45)%에 달한다.

외환 기 이후 4년간의 연평균 에 지소비 증가율은 2.8%로서 매우

낮았다. 동기간의 연평균 2.8% 증가에 해 요인별 기여도는 생산효과의

기여도가 7.3%, 산업구조 효과의 기여도는 (-5.7)%, 에 지 원단 효과

의 기여도는 (+1.3)%로 나타났다.70)

외환 기 이후의 요인분해 결과에 한 특징을 살펴 본다. 첫째로 생

산효과가 총증가의 26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조업의 부

가가치 증가에 정비례하여 에 지소비가 증가했더라면 실제의 증가분

보다 2.6배 더 많은 에 지소비의 증가가 발생했을 것이라는 것이다. 다

시 말하면, 에 지소비가 부가가치 증가분 보다 훨씬 작게 증가했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은 에 지소비 증가율을 부가가치 증가율로 나

에 지․부가가치 탄성치를 보면 명백해진다. ‘97~2001년 사이에 부가

가치의 연평균 증가율은 7.5%를 기록한 반면, 에 지소비의 증가율은

2.8%를 기록한 것이다. 이에 따라, 에 지․부가가치 탄성치는 0.37로서

70) 기여도는 5장 2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요인별 비 과 연평균 증가율의 곱으로 계

산된다.

Page 115: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00

’1‘보다 훨씬 낮은 수 을 보 다. 생산효과의 기여도를 보면 실제 에

지소비 연평균 증가율인 2.8% 보다 훨씬 높아 7.3%를 기록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다른 요소가 작용을 하지 않았더라면 에 지소비는 실제의

2.8% 보다 훨씬 높은 연평균 7.3%의 높은 증가율을 보 을 것이다.

그 다면 부가가치 증가로 표시되는 경제성장과 에 지소비간에 '분리

‘(De-coupling) 상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인가? 만일 그 다면 그 요인

은 무엇인가? 이는 매우 요한 질문이다. 에 지․부가가치 탄성치가

0.37로서 에 지소비 증가율이 부가가치 증가율 보다 훨씬 낮은 상의

요인은 무엇인가?

이에 한 해답은 산업구조 효과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산업구조

효과의 부호는 (-)로서 에 지 소비의 감소를 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수치로 보면, 실제 에 지소비 증가량인 8.16 백만 TOE

의 약 2배(-16.83 백만 TOE)에 해당되는 양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 것

으로 나타났다. 기여도로 보면 (-5.7)%로서 매우 강하게 에 지소비를 감

소시키는 힘으로 작용하 다.

반면, 에 지 원단 효과는 부호는 (+)이며 기여도의 크기는 1.3%로

나타났다. 이는 동 기간에 에 지 효율이 악화되었음을 의미한다. 다음

소 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동기간에 제조업 체의 에 지원단 는

<표 5-3> 에 지소비 요인분해: ‘97-2001년 (외환 기 이후)

구분 량(천TOE) 비 요인별 기여도

구조 효과 -16828 -206% -5.7%

원단 효과 3665 45% 1.3%

생산 효과 21329 261% 7.3%

총 변화 8165 100% 2.8%

Page 116: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5장 제조업부문 에 지소비 요인분해 결과 101

0.56 (‘97년), 0.59 (‘98년), 0.51 (‘99년), 0.47 (2000년), 0.47 (2001년) 로서

계속 작아졌다. 에 지원단 가 낮아지면 보통 에 지 효율이 개선되었

다고 이야기 한다. 그러나, 제조업 체의 에 지 원단 하락에 해

반드시 에 지 효율의 개선이라고 결론지을 수 없다. 요인분해 결과 에

지 효율은 오히려 악화되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낮은 에 지소비 증가율의 요인은 산업구조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나

타났다. 다시 말하면, 외환 기 이후에, 우리나라의 산업구조가 격히

에 지 소비형으로 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즉, 에 지 다소비 산

업의 비 이 감소하고 에 지 소비 산업의 비 이 증가하고, 그 요

인이 에 지소비 증가의 둔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표

5-4>에 나타나듯이 화학산업, 비 속 물산업, 1차 속산업의 3 에

지다소비 산업의 비 의 합계는 ‘97년에 34%에서 2001년에 27%로 크게

감소하 다. 27%의 수치는 지난 20년 매우 낮은 비 이다. 이러한 에

지 소비 산업으로의 이행이 속 인 상인지 아니면 일시 인

상인지는 좀 더 두고 보아야 할 것이다.

<표 5-4> 외환 기 이후의 산업구조 변화 (부가가치 비 )

’97 ’98 ’99 2000 2001

음식료 10% 10% 9% 8% 8%

섬유 6% 5% 5% 4% 4%

목재 5% 5% 4% 4% 4%

화학 21% 22% 20% 18% 17%

비 속 4% 3% 3% 3% 3%

1차 속 8% 8% 7% 7% 7%

조립 속 44% 45% 51% 57% 58%

기타 2% 1% 1% 1% 1%

합계 100% 100% 100% 100% 100%

3개 다소비 34% 33% 30% 27% 27%

Page 117: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02

다. 외환 기 ․후기의 비교

<표 5-5>에서 외환 기 이 의 16년과 외환 기 이후의 4년을 비교하

다. 가장 요한 변화는 산업구조 효과와 련된 사항이다. 외환 기

이 에는 구조효과의 부호가 (+)이었으나, 외환 기 이후에는 구조효과

의 부호가 (-)로 바 었다. 구조효과의 비 은 각기간에 7.0%와 (-206)%

를 기록하 다. 구조효과의 기여도는 각 기간에 0.7%와 (-5.7)%를 기록

하 다. 외환 기 이후에, 산업구조는 에 지 소비형으로 진행되었으

며, 그 크기도 (-5.7)%로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에 지 원단 효과는 외환 기 후의 양 기간 사이에 부호는 (-)에

서 (+)로 변하 으며, 기여도는 각기 (-0.6)%와 +1.3%를 기록하 다. 즉,

외환 기 이 에는 에 지 효율이 다소 개선되었으나, 그 후 에 지 효

율이 악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생산효과의 기여도는 외환 기 이 에 +9.7%, 이후에 +7.3%를 기록하

다. 외환 기 이 에는 실제 총변화(+9.7%)와 비슷한 크기의 생산효과

(+9.7%)가 나타난 반면, 외환 기 이후에는 실제 총변화(2.8%)보다 훨씬

<표 5-5> 에 지소비 요인분해 비교: 외환 기 과 후

기간 ‘81-’97 ‘97-2001

구분량

(천TOE)비

요인별

기여도

(천TOE)비

요인별

기여도

구조 효과 3804 7.0% 0.7% -16828 -206% -5.7%

원단 효과 -3619 -6.7% -0.6% 3665 45% 1.3%

생산 효과 54093 99.7% 9.7% 21329 261% 7.3%

총 변화 54278 100% 9.7% 8165 100% 2.8%

Page 118: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5장 제조업부문 에 지소비 요인분해 결과 103

높은 +7.3%를 기록한 것이다.

요약하면, 외환 기 이후 에 지소비의 총변화는 연평균 2.8%로서 매

우 낮아졌다. 그리고, 이에 한 주 요인은 에 지효율의 개선에서 연유

하는 것이 아니라, 산업구조가 에 지 소비형으로 변모하고 있기 때문

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에 에 지효율은 오히려 악화되고 있

다. 제조업 체의 에 지 원단 는 외환 기 이후 연평균 (-4.3)%로 낮

아졌지만, 이것이 에 지 효율의 개선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에 유의

해야 한다. 즉, 산업구조를 사상한 후의 에 지 원단 변화가 진정한

에 지 효율과 련된 지표라는 이다. 한, 외환 기 이후의 낮은 에

지․부가가치 탄성치(0.37), 그리고, 낮은 실제 에 지소비 증가(2.8%)

에 해 조심스런 해석이 요구된다. 낮은 에 지․부가가치 탄성치와 낮

은 에 지소비 증가율이 에 지효율의 개선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을 유념해야 한다.

이는 외환 기 후의 에 지 원단 의 변화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새로운 시각이 요구됨을 의미한다. 외환 기 이 의 16년간에 걸쳐 에

지 원단 는 연평균 (-0.2)%로 개선되었다. 한편 외환 기 이후의 4년에

걸쳐 에 지원단 개선율은 (-4.3%)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

나, 높은 에 지 원단 개선율이 바로 에 지효율의 개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에 지 원단 라는 지표는 분명히 개선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에 지효율은 외환 기 이후 오히려 악화되고 있음을 요

인분해 결과는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거시 에 지원단 의 개선을 에 지효율의 개선으로 바로

연결하는 경우 오류가 발생한다는 이다. 제조업 체로서의 에 지원

단 의 개선을 에 지효율의 개선 는 에 지 약 정책의 효과로 해석

Page 119: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04

할 수 없다는 이다. 이는 바로 요인분해를 통해 산업구조 효과를 사상

시키고 난 후의 ‘에 지 원단 효과’가 진정한 에 지 효율 개선 여부

를 이야기 해주기 때문이다.

주 1: 신속한 비교를 해 앞장의 표를 다시 사용하 다.주 2: 에 지원단 의 단 는 ‘TOE/'95년 백만원’이다.

상기 표에서 보듯이, 에 지원단 는 ’98년 0.59에서 2001년 0.47로 감

소하여 연평균 감소율은 (-4.3)%를 기록하 다. 제조업 체로서는 에

지 원단 가 개선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런데, 에 지 원단 는 에

지소비량을 부가가치로 나 값이다. 따라서, 에 지소비의 증가보다

부가가치 증가속도가 더 빠른 경우, 에 지원단 는 감소한다. 그런데,

에 지 원단 가 감소하는 경우 일견 에 지효율이 개선된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실질 인 에 지효율은 산업구조 효과를 사상시키

고 난 후의 ‘에 지 원단 효과’를 통해 도출되어야 한다고 단된다.

<표 5-6> 외환 기 이후의 에 지부문의 변화

‘97 ‘98 ‘99 '00 '01 81-'97 97-'01

에 지소비

(천 TOE)70,263 69,093 72,239 77,790 78,428 9.7% 2.8%

부가가치

('95불변 10억원)126117 116735 141295 165206 168115 9.9% 7.5%

에 지원단 0.56 0.59 0.51 0.47 0.47 -0.2% -4.3%

연 증가율 ‘97 ‘98 ‘99 '00 '01 81-'97 97-'01

에 지소비 15.1% -1.7% 4.6% 7.7% 0.8%

부가가치 6.6% -7.4% 21.0% 16.9% 1.8%

에 지원단 8.0% 6.2% -13.6% -7.9% -0.9%

에 지․ 부가가

치 탄성치2.30 0.22 0.22 0.45 0.47 0.98 0.37

Page 120: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5장 제조업부문 에 지소비 요인분해 결과 105

라. 80년 와 90년 의 요인분해 비교

지난 20년을 ①‘81~’90년, ②‘90~’97, ③‘97~2001년의 세 기간으로

나 어 요인분해를 하 다. 이때 ③‘97~2001년의 요인분해 결과는

소 의 ②‘97~2001년의 요인분해 결과와 같으므로 기술은 생략한다. 이

와 같이 80년 와 90년 를 구분한 이유는 IMF 이 의 16년을 한 기간

으로 보기에는 많은 변화가 이 사이에 일어났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여

요인분해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81~’90년 사이에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는 총 16.8백만 TOE가 증

가하 다. 요인분해 결과 생산효과는 22.7백만 TOE, 산업구조 효과는

(+1.6)백만 TOE, 에 지 원단 효과는 (-7.5)백만 TOE로 나타났다. 동기

간의 에 지 총증가를 100%로 할 때, 생산효과의 비 은 135%, 산업구

조 효과의 비 은 10%, 그리고 에 지 원단 효과의 비 은 (-45)%에

달한다. ‘81~’90년 사이의 연평균 에 지소비 증가율은 8.3%이며, 이에

해 생산효과 기여도는 11.2%, 산업구조 효과 기여도는 0.8%, 에 지

<표 5-7> 에 지소비 요인분해의 구간별 비교: 80년 와 90년

기간 ‘81-’90 ‘90-’97

구분량

(천TOE)비

요인별

기여도

(천TOE)비

요인별

기여도

구조 효과 1601 10% 0.8% 914 2% 0.3%

원단 효과 -7547 -45% -3.7% 10673 28% 3.3%

생산 효과 22732 135% 11.2% 25904 69% 8.0%

총 변화 16787 100% 8.3% 37491 100% 11.5%

Page 121: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06

원단 효과 기여도는 (-3.7)%가 된다.

‘90~’97년 사이에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는 총 37.58백만 TOE가 증

가하 다. 요인분해 결과 생산효과는 25.9백만 TOE, 산업구조 효과는

(+0.9)백만 TOE, 에 지 원단 효과는 (+10.7)백만 TOE로 나타났다. 동

기간의 에 지 총증가를 100%로 할 때, 생산효과의 비 은 69%, 산업구

조 효과의 비 은 2%, 그리고 에 지 원단 효과의 비 은 (+28)%에

달한다. ‘90~’97년 사이의 연평균 에 지소비 증가율은 11.5%이며, 이에

해 생산효과 기여도는 8.0%, 산업구조 효과 기여도는 0.3%, 에 지 원

단 효과 기여도는 (+3.3)%가 된다.

이제 이들 수치를 비교해 보자. 첫째로, 80년 와 90년 모두 생산효

과가 압도 으로 큰 향을 미치고 있다. 그런데, 80년 는 생산효과의

비 이 135%인데 반해, 90년 는 생산효과의 비 이 70%로 80년 에

비해 작은 수 이다. 90년 의 에 지소비 증가는 생산증가 이외에 다른

요인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로, 구조효과는 80년

와 90년 모두 (+)의 부호로서 에 지 다소비형 산업구조로 진행되었

음을 나타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조효과의 크기는 그리 크지 않다.

즉, 구조효과의 기여도는 90년 에 0.8%, 90년 에 0.3%로 낮은 수 이

다. 셋째로, 에 지 원단 효과의 부호가 80년 는 (-), 90년 는 (+)로

나타났다. 80년 는 에 지 원단 개선의 효과가 매우 커서 비 으로

보면 (-45)%, 기여도로 보면 (-3.7)%의 높은 수치를 보 다. 90년 는 에

지 원단 가 악화되었으며 비 으로 보면 28%, 기여도로 보면 3.3%를

나타냈다. 이는 80년 에 에 지 효율의 개선이 크게 이루어진 반면, 90

년 는 에 지 효율이 크게 악화되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이는 90년

의 에 지가격을 생각하면 당연한 귀결이라고 할 수 있다. 에 지 원

Page 122: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5장 제조업부문 에 지소비 요인분해 결과 107

단 효과의 차이가 첫 번째의 분석에서 제기한 의문에 해답을 다. 90

년 의 에 지소비 증가는 생산증가 이외에 에 지 효율의 악화가 에

지소비의 증가에 크게 작용하 으며, 이 때문에 생산효과 보다 더 크게

에 지소비가 증가하게 되었다.

마. 1구간과 2구간의 요인분해의 비교

“가. 외환 기 이 : ’81~‘97년”의 요인분해의 기간은 외환 기 이

인 ‘81~’97년을 한 구간으로 하여 분석하 다. 이를 1구간 요인분해라고

명명하자. 한편, “라: 80년 와 90년 의 요인분해 비교”의 구간은 ’81~

‘97년을 ①‘81~’90년과 ②‘90~’97년으로 2구간으로 나 어 분석하 다.

이를 2구간 요인분해라고 명명하자. 이제, 1구간 요인분해와 2구간 요인

분해의 결과를 비교해 보자.

이를 해서는 2구간 요인분해의 결과를 해야 한다. ①‘81~’90년

과 ②‘90~’97년의 각 요인별 효과를 두 기간에 걸쳐 하고, 이를 1구

간 요인분해(’81~‘97년)와 비교한다. 앞 소 의 <표 5-7>의 수치를 요인

별로 두 기간에 걸쳐 시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1구간 요인분해

는 ’81년의 자료와 ‘97년의 자료를 바탕으로 요인분해를 수행한 것이고,

2구간 요인분해는 ’81년의 자료, ‘90년의 자료, 그리고 ‘97년의 3개 연도

의 자료를 토 로 요인분해를 수행하는 것이다. 직 으로 간연도의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체 으로 자료를 더 많이 활용하는 2구간 요인

분해의 결과가 보다 더 정확한 수치를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Page 12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08

2구간 요인분해를 한 결과, 1구간 요인분해에 비해 원단 효과의

부호가 (+)로 바 었다. 즉, 기간에 걸쳐 에 지 효율이 다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 크기는 그리 크지 않았다. 생산효과

와 구조효과는 2구간 요인분해 시 약간씩 작아져서, 생산효과의 기

여도는 8.7%, 구조효과의 기여도는 0.4%를 기록하 다.

<표 5-8> 요인분해 구간별 향

2구간 요인분해 1구간 요인분해

기간 ‘81-’90 과 ‘90-’97 ‘81-’97

구분량

(천TOE)비

요인별

기여도

(천TOE)비

요인별

기여도

구조 효과 2515 5% 0.4% 3804 7.0% 0.7%

원단 효과 3126 6% 0.6% -3619 -6.7% -0.6%

생산 효과 48637 90% 8.7% 54093 99.7% 9.7%

총 변화 54278 100% 9.7% 54278 100% 9.7%

Page 124: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5장 제조업부문 에 지소비 요인분해 결과 109

4. 다 기간 요인분해 결과

본 소 은 외환 기 이 의 기간을 5년 단 로 구분하여 ①‘81~’86년,

②‘86~’91, ③‘91~’97년의 세 기간으로 나 어 요인분해 한 결과를 기술

한다. ‘81년과 ’97년의 간연도의 정보를 많이 이용할 수록 보다 정확한

요인분해가 가능해지며, 세부 구간별 효과도 보다 정확해진다.

①‘81~’86년, ②‘86~’91, ③‘91~’97년의 세 기간으로 구분한 요인분해

결과는 <표 5-9>와 같다. <표 5-9>는 기간별로 생산효과, 산업구조 효과,

에 지원단 효과를 량, 비 , 기여도의 3가지 지표로 요약하 다.

<표 5-9> 5년단 요인분해 결과

량(천TOE) '81-'86 '86-'91 '91-'97

구조효과 525 2265 -798

원단 효과 -6972 3155 8679

생산효과 10116 13977 23332

총변화 3669 19396 31212

비 '81-'86 '86-'91 '91-'97

구조효과 14% 12% -3%

원단 효과 -190% 16% 28%

생산효과 276% 72% 75%

총변화 100% 100% 100%

기여도 '81-'86 '86-'91 '91-'97

구조효과 0.6% 1.7% -0.3%

원단 효과 -8.0% 2.4% 2.9%

생산효과 11.6% 10.6% 7.7%

총효과 4.2% 14.7% 10.3%

Page 125: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10

<표 5-10>은 3구간으로 요인분해 한 결과를 요인별로 하 다. 이

는 ‘81~’97년간을 2구간으로 구분한 것 보다 정확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르면, ‘81~97년간 에 지소비의 연평균 증가율은 9.7%에

달하며, 이에 해 생산효과는 8.5%의 기여도로 압도하고 있으며, 구조

효과의 기여도는 +0.4%, 에 지 원단 효과는 +0.9%를 나타내고 있다.

규모는 크지 않지만, 산업구조는 에 지 다소비형으로 진행되었으며, 에

지 효율은 악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런데, 여기서 구간을 몇 개로 구분하는 것이 합리 이냐 하는 문제

가 발생한다. 구간을 세분화 할수록 보다 많은 정보를 활용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요인별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해를 기 으

로 구분하며, 구간을 몇 개로 하느냐에 해 특별한 논리 근거를 제시

하기는 어렵다. 다만, 주요 사건이 있었던 해를 기 으로 할 수 있다. 결

국, 자료가 존재하는 한 각 2개년을 기 으로 구분하고 그 결과를

히 해석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다음 소 에서 이를 시도하

다.

<표 5-10> 요인분해 구간별 향

3구간 요인분해 2구간 요인분해

기간 ‘81-’86, ‘86-91, ‘91-’97 ‘81-’90 과 ‘90-’97

구분량

(천TOE)비

요인별

기여도

(천TOE)비

요인별

기여도

구조 효과 1992 4% 0.4% 3804 7.0% 0.7%

원단 효과 4861 9% 0.9% -3619 -6.7% -0.6%

생산 효과 47425 87% 8.5% 54093 99.7% 9.7%

총 변화 54278 100% 9.7% 54278 100% 9.7%

Page 126: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5장 제조업부문 에 지소비 요인분해 결과 111

5. 연도별 요인분해 결과

본 소 에서는 앞 소 의 말미의 문제 제기에 따라, 매 2개년을 기

으로 연속 으로 요인분해(Yearly decomposition)를 수행하 다. 즉, ‘8

1~2001년의 20년간의 자료에 해 총 19번의 요인분해를 수행함을 의미

한다.

주: 음 이 있는 곳은 효과가 (-)의 부호를 보인 연도이다.

주: 음 이 있는 곳은 효과가 (-)의 부호를 보인 연도이다.

<표 5-11>과 <표 5-12>는 연도별로 세가지 요인의 부호를 나타내고

있다. 장에서 살펴 보았듯이, 우리나라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는 지

난 20년간 ‘82년과 ’98년을 제외하고는 매년 증가하 다. ‘82년에는 년

비 0.7%의 감소, 외환 기 시기인 ’98년에는 년 비 1.7%의 감소를

보 다. 이와 같이, 에 지소비는 매년 증가하 음에도 불구하고 각 요

인은 증가요인을 보이기도 하고 감소요인을 보이기도 하 다.

<표 5-11> 연도별 요인별 효과: 부호

년도 82 83 84 85 86 87 88 89 90

구조효과 + + + + - - + + +

원단 효과 - - - - - - + + +

생산효과 + + + + + + + + +

<표 5-12> 연도별 요인별 효과: 부호 (계속)

년도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구조효과 + + + - - - - - - - -

원단 효과 + + + - - + + + - + +

생산효과 + + + + + + + - + + +

Page 127: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12

[그림 5-1]은 연도별로 요인분해를 한 결과로서 19개 구간에 한 요

인분해 결과를 생산효과, 산업구조 효과, 에 지 원단 효과별로 보여

주고 있다.

[그림 5-1] 제조업부문 에 지소비 요인분해

(단 : 천TOE)

[그림 5-2] 생산효과

Page 128: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5장 제조업부문 에 지소비 요인분해 결과 113

[그림 5-2]의 생산효과는 기간에 해 에 지소비를 증가시키는 요

인으로 작용하 다. 단, ‘98년의 경우 생산의 감소로 에 지소비가 감소

하 다.71)

[그림 5-3]은 연도별로 산업구조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산업구조 효과

는 에 지 증가요인으로 작용한 해와 감소요인으로 작용한 해로 구분된

다. 구조효과가 증가요인으로 작용한 해는 ‘82~’85년, 그리고 ‘88~’93년

까지로서, 이 기간동안 구조효과가 매년 에 지소비를 증가시키는 요인

으로 작용하 다. 반면, 구조효과가 감소요인으로 작용한 해를 보면, ‘86,

’87년, 그리고 ‘94년~2001년 까지로서 구조효과가 매년 에 지소비를 감

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 다. 따라서, 80년 반(‘82~’85년), 그리고

80년 말 부터 90년 반 기간(‘88~’93년) 동안 우리나라의 제조업의

71) 그림의 그래 의 단 는 모두 ‘천TOE'이다.

[그림 5-3] 산업구조 효과

(단 : 천TOE)

Page 129: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14

산업구조는 총계 의미에서 에 지 다소비 산업구조로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94년 이후 우리나라의 산업구조는 에 지 소비형으

로 변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환 기 이후에 에 지 소

비형으로의 환이 격히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5-4]는 연도별로 에 지 원단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81년에

서 ’87년까지는 매년 에 지 효율이 개선되어 왔다. ‘88년부터 ’93년까지

에 지효율은 악화되었으며, 특히 ‘89년부터 에 지효율은 격히 악화

되었다.

[그림 5-5]는 요인별로 연도별 효과를 보여 다. 량이기 때

문에 그림의 우측으로 갈 수록 막 그래 의 길이가 길어지고 있다. 이

는 ‘81년 부터의 효과를 각 연도까지 한 결과이다. ‘81〜2001년 사이

의 각 요인의 기여도를 모두 한 결과, 생산효과는 (+), 원단 효과는

[그림 5-4] 연도별 에 지 원단 효과

(단 : 천TOE)

Page 130: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5장 제조업부문 에 지소비 요인분해 결과 115

(+), 구조효과는 (-)로 나타났다. ‘81~2001년간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

는 62.4 백만 TOE 증가하 다. 생산효과는 68.3 백만 TOE의 증가요인으

로 작용하 으며, 원단 효과는 9.1 백만 TOE의 증가요인, 구조효과는

15.0 백만 TOE의 감소요인으로 작용하 다. 요인별 상 향도는, 생

산효과는 총증가량의 109%, 에 지원단 는 15%의 증가요인으로 작용

하 다. 반면, 구조효과는 총증가량의 24%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

하 다.

에 지원단 효과는 으로 보면 ‘91년까지 에 지소비의 감소요

인으로 작용하 다. 즉, ’91년까지 제조업부문의 에 지효율은 차

원에서 개선되어 왔다. 환언하면, 에 지 원단 효과는 ’91년까지 (-)를

기록함에 따라, 동기간까지 에 지 효율이 개선되었음을 보여 다. 그

후, 계속해서 에 지 효율은 의 에서 악화되었다.

[그림 5-5] 요인별 효과

(단 : 천TOE)

Page 131: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16

산업구조 효과는 의 의미에서는 ‘97년까지 (+)의 부호로서 에 지

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 다. 그후, ’98년 부터 산업구조 효과가

(-)로서 에 지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 음을 보여 주고 있다.

한편, 2001년까지 한 결과, 생산효과가 에 지증가에 해 압도

인 향을 주고 있다.

외환 기 이 인 ‘97년까지 살펴 보면, 생산효과, 원단 효과, 구조효

과 모두 에 지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 다.

[그림 5-6]은 생산효과, 구조효과, 원단 효과의 총증가에 한 퍼센

트 기여도를 보여 주고 있다. 80년 에는 에 지 원단 효과가 (-)를 기

록하여 에 지 효율이 개선되다가 80년 후반에서 90년 반까지 (+)

를 기록하여 에 지 효율이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80년 후

반에서 90년 반까지는 3가지 효과 모두 (+)로서 에 지 증가를 견인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림 5-6] 에 지소비 연도별, 요인별 기여도

Page 132: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5장 제조업부문 에 지소비 요인분해 결과 117

[그림 5-7]은 생산효과, 구조효과, 원단 효과의 총증가에 한 퍼센

트 기여도를 ‘ ’의 에서 보여 주고 있다. 즉, ‘81년 부터 특정 연

도까지의 에 지소비 연평균 증가량과 요인별 향을 곱하여 구한다.

80년 에는 에 지 원단 효과가 (-)를 기록하여 에 지 효율이 개선

되다가 80년 후반에서 90년 반까지 (+)를 기록하여 에 지 효율이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80년 후반에서 90년 반까지는 3

가지 효과 모두 (+)로서 에 지 증가를 견인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

다.

지난 20년간 에 지소비는 연평균 8.3%로 증가하 다. 이에 해, 생

산효과의 에 지소비 증가에 한 기여율은 9.0%, 원단 효과는 1.2%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구조효과는 (-2.0)%의 감소요인으로 작용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5-7] 요인별 기여도

Page 13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18

제 6 장 결 어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지속가능발 을 한 에 지부문의 략을 도

출하기 해 연차 으로 수행되고 있는 연구의 ‘제 1 차’ 년도 연구로서

향후 후속 연구에 한 기반을 구축하기 한 연구이다. 지속가능한 발

에 한 개념을 정립하고 지속가능한 발 을 한 에 지부문의 과제

와 략을 도출하기 한 연구이다.

지속가능한 발 이란 개념은 1972년 유엔인간환경회의에서 등장한 이

후 1992년 리우 환경회의에서 ‘환경 으로 건 하고 지속가능한 발 ’이

라는 개념으로 발 하 으며, 2002년 남아공의 ‘지속가능발 에 한 세

계정상회의’를 통해 21세기에 인류의 발 의 명제로 자리 잡게 되었다.

'미래세 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한 잠재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재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발 ‘으로 정의되는 지속가능한 발 의 개념은

두가지 특성을 가진다. 첫째로, 지속가능한 발 은 경제성, 환경성, 사회

성의 3가지 요소를 포 하는 개념이다. 지속가능한 발 은 한 환경

보 과 사회 형평성 제고를 고려하는 경제성장을 의미한다. 둘째로,

지속가능한 발 은 시간 동태성, 공간 범지구성, 그리고 정책 포

성을 가지는 개념이다.

그러면 우리나라의 경우, 지속가능한 발 에 기여하는 에 지 략은

무엇인가? 지속가능한 에 지시스템을 구축하기 한 략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경우 지속가능한 에 지 략의 핵심은 ① 안정 이며 신뢰

성있는 에 지공 체제의 구축(경제 지속가능성), ② 환경친화 인

Page 134: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6장 결어 119

에 지수 체제의 구축(환경 지속가능성), ③ 사회 수용성이 높은

에 지 시스템의 구축(사회 지속가능성)에 있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에 지시스템 구축을 한 과제는 ①에 지 믹스의 환경성 제고, ②에

지효율의 개선, ③에 지 공 의 안정성 확보, ④신에 지기술의 개발로

요약된다.

이 에서 ‘에 지 효율’은 환경 지속가능성과 경제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략으로서 지속가능한 에 지 략의 핵심을 이

루고 있다.

이러한 에서,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에 지 략 도출의 사 단계

로서 우리나라 제조업부문의 지속가능성을 에 지 효율성의 지표를 활

용하여 분석하 다. 우리나라 제조업 부문의 에 지소비가 최종에 지에

서 차지하는 비 은 ‘81년의 41.0%에서 2001년 51.3%로 증해 왔다. 따

라서, 제조업 부문의 에 지 효율에 한 분석은 요한 과제이다.

우리나라에서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와 부가가치의 변화는 매우 강

한 정비례의 계를 보여 왔다. ‘81년 부터 2001년 까지 20년간 제조업

부문의 에 지소비는 연평균 8.3%, 부가가치는 9.4%씩 증가하여, 에 지

소비의 부가가치 탄성치는 0.88을 기록하 다. 외환 기 이 에는 0.98을

기록하 으며, 외환 기 이후에는 0.37로서 정비례 계가 약화되었다.

산업별 분석 결과, 2001년 재, 화학 산업, 비 속 물 산업, 1차 속

산업의 3 에 지다소비 산업의 부가가치 비 은 27%인 데 반해, 이들

산업의 에 지소비 비 은 79%를 기록하여 이들 3 산업의 에 지소비

행태가 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 에 지원단 의 경우, 조립 속

산업은 0.052인데 반해, 1차 속은 1.588로서 조립 속 산업의 30배에 달

하고 있다. 화학산업의 에 지원단 는 1.317, 비 속 물 산업은 1.247

을 기록하 다.

Page 135: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20

에 지효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간주되고 있는 에 지 원단 는 외환

기 이 에 연평균 -0.2% 감소에서 외환 기 이후에 연평균 -4.3% 감소

로 감소의 폭이 훨씬 커졌다. 그러나, 요인분해 결과 외환 기 이후의

에 지 원단 감소는 에 지효율 개선의 결과가 아니라, 산업구조의 에

지 소비형으로의 진 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요인분해 결과 에

지효율은 오히려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81년~2001년 까지의 20년에 걸친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 변화를

로그 디비지아 요인분해 방식으로 분석하 다. 로그 디비지아 방식은 기

간간의 에 지소비 변화를 생산효과, 산업구조 효과, 에 지 원단 효

과의 세가지 효과로 완 히 분해하며 잔차가 없다. 요인분해 결과는 구

간의 세분화 정도에 따라 수치와 정확도 그리고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다음에 구간의 구분에 따라 요인분해 결과와 의미를 요약한다.

(1) 외환 기 이 인 ‘81~’97년 사이에 제조업부문의 에 지소비는 총

54.3백만 TOE가 증가하 으며, 이에 해 생산효과는 100%, 산업구조

효과는 7%, 그리고 에 지 원단 효과는 (-7)%로 분석되었다. 동기간의

연평균 에 지소비 증가율은 9.7%이며, 이에 해 생산효과 기여도는

9.7%, 산업구조 효과 기여도는 0.7%, 에 지 원단 효과 기여도는

(-0.6)%로 분석되었다. 즉, 생산효과가 에 지소비 증가에 인 향

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경제성장과 에 지소비 증가의 정비례

계를 단 하고자 하는 지속가능성 략에 커다란 도 을 의미한다. 산

업구조 효과와 에 지 원단 효과는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

다.

최근의 에 지소비에 한 에 지효율성의 평가는 외환 기 이후의

기간에 한 요인분해 결과에서 극명하게 나타난다. 외환 기 이후 낮은

Page 136: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6장 결어 121

에 지․부가가치 탄성치에도 불구하고 에 지 효율은 악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즉, 외환 기 이후인 ‘97~2001년에 한 요인분해 결과 외환 기

이 과는 이하게 다른 결과가 도출되었다. 외환 기 이후 4년간의 연

평균 에 지소비 증가율은 2.8%로서 매우 낮았다. 동기간의 연평균

2.8% 증가에 해 요인별 기여도는 생산효과의 기여도가 7.3%, 산업구

조 효과의 기여도는 (-5.7)%, 에 지 원단 효과의 기여도는 (+1.3)%로

분석되었다. 동기간의 에 지․부가가치 탄성치가 0.37로서 에 지소비

증가율이 부가가치 증가율 보다 훨씬 낮은 상의 요인은 에 지효율

개선의 결과가 아니라 산업구조 효과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외환 기 이

후에, 우리나라의 산업구조가 격히 에 지 소비형으로 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에 지 원단 효과의 기여도는 (+1.3)%를 나

타냄에 따라, 에 지 효율은 오히려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요인분해 결과는 에 지 원단 의 해석에 있어서 요한 시사

을 제기하고 있다. 제조업 체로서의 에 지원단 의 개선을 에 지

효율의 개선 는 에 지 약 정책의 효과로 해석할 수 없다는 이다.

요인분해를 통해 산업구조 효과를 사상시키고 난 후의 ‘에 지 원단

효과’가 진정한 의미에서 에 지 효율 개선 여부를 결정짓는 요소라는

이다.

(3) 한편, 외환 기 이 인 ‘81~’97년을 ①80년 (‘81~’90년)와 ②90년

’(‘90~’97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를 보면, 80년 의 연평균 에 지

소비 증가율은 8.3%이며, 이에 해 생산효과 기여도는 11.2%, 산업구조

효과 기여도는 0.8%, 에 지 원단 효과 기여도는 (-3.7)%로 분석되었

다. 그리고, 90년 의 연평균 에 지소비 증가율은 11.5%이며, 이에 해

Page 137: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22

생산효과 기여도는 8.0%, 산업구조 효과 기여도는 0.3%, 에 지 원단

효과 기여도는 (+3.3)%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첫째로, 80년 와 90년

모두 생산효과가 에 지소비 증가에 압도 으로 큰 향을 행사하 다.

그런데, 90년 들어 생산효과의 기여도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로, 산업구조 효과는 80년 와 90년 모두 (+)의 부호로서 에 지 다

소비형 산업구조로 진행되었으나 그 크기는 그리 크지 않다. 셋째로, 에

지 원단 효과의 부호가 80년 는 (-), 90년 는 (+)로 나타났다. 즉,

고유가가 지배했던 80년 에는 에 지 효율의 개선이 크게 이루어진 반

면, 유가로 에 지효율에 한 의지가 약화된 90년 는 에 지 효율이

크게 악화되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90년 의 에 지소비 증가

는 생산증가 이외에도 에 지효율의 악화로 증가폭이 확 되었다.

(4) 한, ‘5년단 구간’의 요인분해 결과, 에 지 효율은 80년 반

기에 크게 개선되었고, 80년 후반에는 에 지 효율이 악화되었으며,

90년 이후에도 에 지 효율은 악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72)

(5) ‘연도별 요인분해’ 결과를 보면, 첫째로 생산효과는 기간에 해

에 지소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 다. 둘째로, 80년 반(‘8

2~’85년), 그리고 80년 말 부터 90년 반 기간(‘88~’93년) 동안 우

리나라의 제조업의 산업구조는 총계 의미에서 에 지 다소비 산업

구조로 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94년 이후 우리나라의 산업구

조는 에 지 소비형으로 변하기 시작하 으며, 특히, 외환 기 이후에

에 지 소비형으로의 환이 격히 진행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째

로, 에 지 효율은 ‘81년에서 ’87년까지는 매년 개선되어 왔다. 그후, ‘95

년과 ’99년을 제외하고 에 지효율은 계속 악화되었으며, 특히 외환 기

72) 구체 인 수치는 <표 5-9>에 나타나 있다.

Page 138: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제6장 결어 123

이후에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6) 연도별 요인분해 결과를 ‘ ’하면 총체 의미에서의 요인별 효

과를 나타낸다. 에 지 원단 효과를 으로 보면 ’91년까지 에

지 효율이 개선되었다. 그후, 계속해서 에 지 효율은 의 에서

악화되었다. 산업구조 효과는 의 의미에서는 ‘97년까지 에 지소비

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 다. 그후, ’98년 부터 산업구조 효과가

에 지소비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 20년간 에 지

소비는 연평균 8.3%로 증가하 다. 의 에서 볼 때, 생산효과의

에 지소비 증가에 한 기여율은 9.0%, 원단 효과는 1.2% 기여한 것

으로 나타났다. 반면, 산업구조효과는 ‘97년까지 에 지를 증가시키는 요

인으로 작용하 으나, ’98년 부터 에 지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

다. 결과 으로 산업구조효과는 20년간 (-2.0)%의 에 지소비 감소요인

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의 의의 주요 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지난 20년간의 제조업 에 지 소비에 해 생산효과, 산업구조 효과, 에

지 원단 효과를 여러가지 구간으로 구분하여 각 효과의 방향과 크

기를 추정하 다. 둘째로, 외환 기 이후의 에 지소비 황을 에 지효

율의 차원에서 분석하 다. 세째로, 지난 20년 ‘88년 이후 이후 우리나

라 제조업부문의 에 지 효율성은 지속 으로 악화되었다. 특히 외환

기 이후에는 낮은 에 지소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에 지 효율성은 악화

되었다. 네째로, ‘94년 이후 우리나라의 산업구조는 에 지 소비형으로

변모하 으며, 특히, 외환 기 이후에 에 지 소비형으로의 환이

격히 진행되었다. 의 에서 보면 산업구조 효과는 ‘97년까지 에

지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 으나, ’98년 부터 에 지를 감소시

Page 139: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24

키는 요인으로 작용하 다. 다섯째로, 생산증가는 에 지소비 증가에 압

도 인 향력을 행사하 다. 여섯째로, 에 지효율의 악화는 에 지부

문의 지속가능성에 부정 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최근의 산업구조 효과

는 에 지부문의 지속가능성에 정 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한계 향후 연구방향에 해 논하고자 한다. 1장에서 언

하 듯이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에 지부문의 략을 도출하기 한

연차 연구사업의 제 1 차 년도 연구이다. 연차사업의 성격상 년도 연

구의 한계는 바로 향후 연구방향에 한 시사 을 제시해 다.

과거 재의 에 지 수요 상황을 지속가능성의 , 특히 에 지

효율의 에서 분석하고자 요인분해 방법론을 활용하 다. 본 연구는

제조업으로 범 가 한정되었다. 향후, 요인분해 방식을 수송부문과 가

정․상업부문으로 확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요인분해는 인과 계에

한 설명으로서는 부족한 면이 많다. 따라서, 향후 각 요인 자체에 해

인과 계를 설정하는 회귀분석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지속가능성 개념

의 에 지부문에 한 목의 논리 연계가 약한 바, 양자의 연계부문

에 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 향후 지속가능한 에 지 략 에 지

효율 자체에 한 연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에 지소비의 요

인분해를 이산화탄소 배출의 요인분해로 확장하여 환경과의 계를 구

체화할 필요가 있다. 한, 지속발 에 지 략의 핵심이 되는 에 지

효율에 해 보다 강한 정책 근이 요망되며 에 지효율의 잠재량,

에 지효율의 시 략, 이를 한 모형개발이 요망된다.

Page 140: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참고문헌 125

[ 참 고 문 헌 ]

□ 국내 문헌

김경술․신정수, 북한의 연료소비 변화에 한 요인 분석, 에 지경제연

구, 제1권 제1호, 2002. 12.

산업자원부․에 지경제연구원,「2010 에 지비 : 에 지정책방향과 발

략」, 2002. 12.

에 지경제연구원,「21세기 에 지부문의 여건변화 장기 정책 연

구」, 2001. 3.

에 지경제연구원,「기후변화 약 교토의정서 응 략 연구」, 2003. 5.

오진규,「지속가능한 에 지시스템 추진 략 연구」, 정책연구보고서

02-05, 에 지경제연구원, 2002. 12.

오진규,「형평성을 고려한 국가간 온실가스 감축 분담에 한 연구」,

기본연구보고서 02-18, 에 지경제연구원, 2002. 12.

오진규․조경엽,「지속가능한 개발을 한 에 지․탄소세 활용방안 연

구」, 에 지경제연구원, 2001. 12.

정 식․이해춘, 평균 변화율지수에 의한 CO2 배출요인 분해방법, 자

원․환경경제연구, 제9권 제3호, 2000. 8.

정해식․이기훈, 로그평균 디비지아 지수기법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배출

량 변화의 요인분해, 자원․환경경제연구, 제10권 제4호, 2001. 12.

지속가능발 원회 에 지 책분과 원회,「지속가능한 에 지 약

효율향상 책」, 2001. 12.

Page 141: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26

□ 해외 문헌

Ang, B.W., Decomposition of industrial energy consumption: the

energy intensity approach. Energy Economics 16(3), 163-174,

1994.

Ang, B.W., Choi, K.H., Decomposition of aggregate energy and gas

emission intensities for industry: a refined Divisia index method.

Energy Journal 18(3), 59-73, 1997.

Ang, B.W., Lee, S.Y., Decomposition of industrial energy consumption:

some methodological and application issues. Energy Economics

16(2), 83-92, 1994.

Ang, B.W., Liu, F.L., A new energy decomposition method: perfect in

decomposition and consistent in aggregation. Energy 26(6),

537-548, 2001.

Ang, B.W., Zhang, F.Q., A survey of index decomposition analysis in

energy and environmental studies. Energy 25(12), 1149-1176,

2000.

Ang, B.W., Zhang, F.Q., Choi, K.H., Factorizing changes in energy

and environmental indicators through decomposition. Energy

23(6), 489-495, 1998.

Asia Pacific Energy Research Centre, Energy Efficiency Indicators - A

Study of Energy Efficiency Indicatorsin APEC Economies, Tokyo,

Japan, 2001.

Page 142: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참고문헌 127

Boyd, G., McDonald, J.F., Ross, M, Hanson, D.A., Separating the

changing composition of US manufacturing production from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s: a Divisia index approach.

Energy Journal 8(2),77-96, 1987.

Boyd, G. A., Hanson, D.A., Sterner, T., Decomposition of changes in

energy intensity -a comparison of the Divisia index and other

methods. Energy Economics, 10(4), 309-312, 1988.

Chung, H.S., Rhee, H.C., A residual-free decomposition of the sources

of carbon dioxide emissions: a case of the Korean industries.

Energy 26(1), 15-30, 2001.

EC, Energy Efficiency Indicators: The European Experience, ADEME,

Paris, 1999.

Hankinson, G.A., Rhys, J.M.W, Electricity consumption, electricity

intensity and industrial structure, Energy Economics, July, 1983.

IEA, CO2 Emissions from Fuel Combustion, Paris, 2002.

IEA, Energy Balances of Non-OECD countries, Paris, 2002.

IEA, Energy Balances of OECD countries, Paris, 2002.

IEA, Toward a Sustainable Energy Future, OECD/IEA, Paris., 2001.

Jenne, J., Cattell R., Structural change and energy efficiency in

industry. Energy Economics 5(2), 114-123, 1983.

Liu, X.Q., Ang, B.W., Ong, H.L., The application of the Divisia index

to the decomposition of changes in industrial energy

consumption. Energy Journal 13(4), 161-177, 1992.

Office of Energy Efficiency, Energy Efficiency Trends in Canada 1990

Page 14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28

to 2000. Natural Resources Canada, Ottawa, 2002.

Park, S.H., Decomposition of industrial energy consumption - an

alternative method. Energy Economics 14(4), 265-170, 1992.

Reitler, W., Rudolph, M., Schaefer, H.,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energy consumption in industry: a revised method.

Energy Economics 14(1), 49-56, 1987.

Schipper L., Unander, F., Marie-Lilliu, C., The IEA Energy Indicators

Effort: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nergy/Emissions

Link. IEA, 2000.

Sun, J.W., Changes in energy consumption and energy intensity: a

complete decomposition model. Energy Economics 20(1), 85-100,

1998.

UN CSD, Report on the ninth session, Decision 9/1, E/2001/29:

E/CN.17/2001/19, 2001.

UN ESC, ’Energ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Key Issues',

E/CD.17/ESD/2000/3, 1 February 2000.

(http://www.un.org/esa/sustdev/enrexpert.htm)

UN ESC, ’Energ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ptions and strategies

for action on key issues', E/CD.17/ESD/2001/2, 7 December

2000.

UNDP, UNDESA and WEC, World Energy Assessment: Energy and

the Challenge of Sustainability, New York, 2000.

Page 144: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부록 1 세계 에 지 소비표 129

<부록 1> 세계 에 지소비 비교표

<부록 1>과 <부록 2>73)는 주요국과 국가그룹별로 에 지와 이산화탄

소 배출에 한 비교표를 수록하 다. 이들 자료는 본 연구의 진행과정

에서 국별 비교분석을 해 구축한 자료의 일부로서 후속연구에서 활용

될 정이다.

이산화탄소는 화석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바, 지구온난화를 야

기하는 온실가스로서 범세계 으로 지속가능발 을 하고 있는 요소

이다. 한, 국제 으로 우리나라에 한 이산화탄소 감축압력이 강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문제는 우리나라의 지속가능발 을 한

에 지부문 략 수립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다.

본 부록에서 사용된 자료는 국제에 지기구(IEA)에서 매년 발간하는

통계자료로서 IEA(2002) 자료를 사용한다.74) IEA는 1961년부터 2000년

까지 135개 국가의 에 지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 등을 추정하고

있다. 개도국에 한 자료와 구소련 동구권에 한 자료는 1971년 부

터 수록하고 있다. 분석의 일 성을 기하기 해 1961년부터 10년 단

로 1971, 1981, 1991, 2000년을 심으로 요약한다.

국가 그룹은 기후변화 약과 교토의정서의 구분을 따른다. 기후변화

73) <부록 2>의 이산화탄소 자료는「형평성을 고려한 국가간 온실가스 감축 분담에

한 연구」(오진규, 에 지경제연구원, 2002.12.)의 제5장에서 1999년도 수치를

2000년도 수치로 갱신한 자료이다.

74) 2002년 IEA 자료 에 지 자료는 ‘Energy Balances of Non-OECD countries’와

‘Energy Balances of OECD countries’, 이산화탄소 자료는 ‘CO2 Emissions from

Fuel Combustion’을 활용하 으며, 자료원은 일 으로 IEA(2002)로 표기한다.

Page 145: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30

약은 Annex I, Annex II, Non-Annex I으로 국가를 구분하고 있다. 개략

으로 볼 때, Annex II 국가는 1992년 기후변화 약 채택 당시의 24개

OECD 국가들이다. Annex I 국가는 Annex II 국가와 14개의 동구권 국

가를 포 한다. 교토의정서는 Annex B를 별도로 구분하고 있다. Annex

B는 기후변화 약의 Annex I과 구성 국가가 거의 동일하다. Non-Annex

I 국가는 Annex I에 포함되지 않은 개도국들을 말한다. 구체 으로 이들

국가는 다음과 같다.

Annex II: 호주, 오스트리아, 벨기에, 카나다, 덴마크, 핀란드, 랑스,

독일, 그리스, 아이스랜드, 아일랜드, 이태리, 일본, 룩셈부르그, 네덜란

드, 뉴질랜드, 노르웨이, 포르투갈, 스페인, 스웨덴, 스 스, 국, 미국,

터키의 24개국.

Annex I: Annex II 국가에 벨라루스,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체코, 에

스토니아, 헝가리,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폴란드, 루마니아, 러시아, 슬로

바키아, 슬로베니아, 우크라이나의 14개국이 포함된다.

Annex B: 교토의정서상 구분으로서 기후변화 약상의 Annex I 국가

터키와 벨라루스가 제외된 국가들로 구성되어, 총 38개 국가와 EU로

구성되어 있다.75)

75) 즉, 호주, 오스트리아, 벨기에, 카나다, 덴마크, 핀란드, 랑스, 독일, 그리스, 아이

스랜드, 아일랜드, 이태리, 일본, 룩셈부르그, 네덜란드, 뉴질랜드, 노르웨이, 포르투

갈, 스페인, 스웨덴, 스 스, 국, 미국의 23개국(Annex II 터키가 제외됨.)과 리

히텐스타인, 모나코가 포함된다. 그리고, 동구권 국가 벨라루스가 제외된 13개국,

즉,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체코, 에스토니아, 헝가리,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폴란

드, 루마니아, 러시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우크라이나가 포함된다.

Page 146: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부록 1 세계 에 지 소비표 131

주: Ⅰ은 Annex I 국가, Ⅱ는 Annex II를 나타냄. Annex I은 Annex II 포함. 자료: IEA(2002)

<부표 1-1> 각국의 에 지 소비량

(단 : 백만 TOE)

구분 1961 1971 1981 1990 1991 2000 순 비

미국 II 1,033 1,593 1,762 1,927 1,942 2,300 1 22.8% 22.8%

국 - 391.7 594.0 870.4 873.1 1,142 2 11.3% 34.1%

러시아 I - - - - - 614.0 3 6.1% 40.1%

일본 II 91.5 269.6 337.6 438.9 448.7 524.7 4 5.2% 45.3%

인도 - 183.2 254.5 359.1 373.4 501.9 5 5.0% 50.3%

독일 II 146.9 307.9 348.2 355.5 347.4 339.6 6 3.4% 53.7%

랑스 II 82.8 154.5 183.9 226.0 238.6 257.1 7 2.5% 56.2%

카나다 II 79.6 142.7 188.1 209.1 208.8 251.0 8 2.5% 58.7%

국 II 160.7 211.0 194.0 212.4 218.8 232.6 9 2.3% 61.0%

한국 - 17.0 40.8 92.6 100.5 193.6 10 1.9% 62.9%

라질 - 69.6 106.3 132.5 134.3 183.2 11 1.8% 64.7%

이태리 II 44.8 114.1 135.6 151.6 155.9 171.6 12 1.7% 66.4%

멕시코 - 45.6 105.7 124.0 129.3 153.5 13 1.5% 68.0%

인도네시아 - 36.3 63.0 92.8 99.9 145.6 14 1.4% 69.4%

우크라이나 I - - - - - 139.6 15 1.4% 70.8%

스페인 II 17.1 43.1 69.6 90.5 94.3 124.9 16 1.2% 72.0%

이란 - 18.6 43.1 67.2 73.7 112.7 17 1.1% 73.1%

호주 II 32.7 52.2 70.8 87.5 86.7 110.2 18 1.1% 74.2%

남아공 - 45.3 72.1 91.2 95.4 107.6 19 1.1% 75.3%

사우디 - 6.2 42.4 60.8 71.4 105.3 20 1.0% 76.3%

나이제리아 - 36.2 55.3 70.9 74.2 90.2 21 0.9% 77.2%

폴란드 I 56.8 86.3 113.3 99.9 98.5 90.0 22 0.9% 78.1%

만 - 10.6 26.5 48.1 52.3 83.0 23 0.8% 78.9%

터키 II 10.9 19.5 31.7 52.7 52.1 77.1 24 0.8% 79.7%

네덜란드 II 22.1 51.3 61.5 66.5 70.0 75.8 25 0.8% 80.4%

태국 - 14.1 23.0 43.2 46.5 73.6 26 0.7% 81.2%

키스탄 - 17.4 27.1 43.4 44.8 64.0 27 0.6% 81.8%

아르헨티나 - 33.7 40.9 45.0 46.4 61.5 28 0.6% 82.4%

베네수엘라 - 20.1 38.3 44.9 46.7 59.3 29 0.6% 83.0%

벨기에 II 23.8 39.9 43.0 48.4 51.4 59.2 30 0.6% 83.6%

우즈벡 - - - - - 50.2 31 0.5% 84.1%

말 이시아 - 6.0 13.1 22.5 26.2 49.5 32 0.5% 84.6%

스웨덴 II 21.0 36.5 41.9 46.7 48.2 47.5 33 0.5% 85.0%

세계 - 5,565 7,209 8,732 8,845 10,102 100% 100%

Page 147: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32

주 1: - 는 자료 없음을 의미함.주 2: G7은 미국, 캐나다, 국, 랑스, 독일, 이태리, 일본을 말함.

자료: IEA(2002)

<부표 1-2> 국가그룹별 에 지 소비량

(단 : 백만 TOE, %)

1961 1971 1981 1990 1991 2000비

(2000년)

세계 - 5,565 7,209 8,732 8,845 10,102 100%

Annex I - - - - - 5,832 57.7%

Annex B - - - - - 3,321 32.9%

OECD 합계 - 3,386 3,975 4,515 4,574 5,317 52.6%

IEA 합계 - 3,239 3,734 4,267 4,324 5,053 50.0%

Annex II 1,832 3,158 3,619 4,101 4,156 4,797 47.5%

Non-OECD - 2,072 3,133 4,103 4,150 4,641 45.9%

Non-Annex I - - - - - 4,125 40.8%

EU 564 1,042 1,179 1,323 1,354 1,460 14.5%

동구권 - - - - - 1,035 10.2%

구소련 - 788 1,148 1,348 1,341 921 9.1%

아시아

( 국제외)- 349 519 774 810 1,123 11.1%

동 - 50 146 223 239 380 3.8%

남미 - 203 288 338 343 455 4.5%

아 리카 - 200 301 398 413 508 5.0%

한 일 - 678 972 1,402 1,422 1,861 18.4%

G7 1,639 2,793 3,149 3,521 3,560 4,076 40.3%

Page 148: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부록 1 세계 에 지 소비표 133

주: Ⅰ은 Annex I 국가, Ⅱ는 Annex II를 나타냄. 자료: IEA(2002)

<부표 1-3> 1인당 에 지 소비 상 국 (단 : TOE/인)

구분 1961 1971 1981 1990 1991 2000순

(2000년)

카타르 - 7.75 16.76 13.44 15.61 27.00 1

아이스란드 II 3.00 4.67 6.91 8.08 7.65 12.25 2

쿠웨이트 - 6.20 8.23 3.95 3.51 10.55 3

아랍에미 - 4.08 6.51 9.57 10.36 10.19 4

바 인 - 7.05 10.26 9.66 8.61 9.26 5

룩셈부루크 II 10.44 12.12 8.86 9.39 9.77 8.36 6

미국 II 5.62 7.67 7.66 7.71 7.68 8.35 7

카나다 II 4.36 6.50 7.58 7.55 7.45 8.16 8

트리니다드 - 2.76 3.74 4.75 4.66 6.66 9

핀란드 II 2.27 4.00 5.09 5.77 5.86 6.40 10

싱가폴 - 1.40 2.48 4.38 4.61 6.12 11

루네이 - 1.29 7.85 5.62 6.26 5.82 12

벨기에 II 2.60 4.13 4.37 4.86 5.14 5.78 13

호주 II 3.04 3.99 4.75 5.12 5.02 5.75 14

노르웨이 II 2.02 3.55 4.51 5.06 5.16 5.71 15

스웨덴 II 2.79 4.50 5.04 5.45 5.59 5.35 16

지 랄타 - 1.33 1.00 2.33 2.67 5.33 17

사우디 - 1.04 4.28 3.85 4.38 5.08 18

뉴질랜드 II 1.81 2.51 2.89 4.17 4.09 4.86 19

네덜란드 II 1.89 3.89 4.32 4.45 4.64 4.76 20

랑스 II 1.75 2.94 3.31 3.90 4.09 4.26 21

러시아 I - - - - - 4.22 22

일본 II 0.97 2.57 2.87 3.55 3.62 4.13 23

독일 II 2.00 3.93 4.44 4.48 4.34 4.13 24

한국 - 0.52 1.05 2.16 2.32 4.10 25

오만 - 0.12 0.97 2.66 3.38 4.06 26

체코 I - 4.64 4.59 4.58 4.16 3.93 27

국 II 3.04 3.77 3.44 3.69 3.78 3.89 28

아일랜드 II 1.43 2.37 2.47 2.98 2.97 3.86 29

만 - 0.71 1.46 2.36 2.54 3.74 30

스 스 II 1.47 2.69 3.18 3.73 3.72 3.70 31

덴마크 II 2.08 3.88 3.49 3.52 3.95 3.64 32

오스트리아 II 1.56 2.54 2.87 3.27 3.40 3.52 33

에스토니아 I - - - - - 3.30 34

세계 - 1.49 1.61 1.67 1.66 1.68

Page 149: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34

자료: IEA(2002)

<부표 1-4> 그룹별 1인당 에 지 소비량

(단 : TOE/인)

1961 1971 1981 1990 1991 2000

세계 - 1.49 1.61 1.67 1.66 1.68

Annex I - 0.00 0.00 0.00 0.00 4.75

Annex B - 0.00 0.00 0.00 0.00 3.88

OECD 합계 - 3.84 4.09 4.33 4.34 4.74

IEA 합계 - 4.08 4.32 4.65 4.67 5.15

Annex II 2.75 4.26 4.50 4.80 4.82 5.25

Non-OECD - 0.73 0.89 0.98 0.97 0.95

Non-Annex I - 0.00 0.00 0.00 0.00 0.86

EU 1.76 3.03 3.29 3.62 3.69 3.86

동구권 - 0.00 0.00 0.00 0.00 3.30

구소련 - 3.22 4.28 4.66 4.62 3.18

아시아

( 국제외)- 0.33 0.39 0.49 0.50 0.59

동 - 0.75 1.53 1.71 1.78 2.30

남미 - 0.86 0.97 0.96 0.95 1.10

아 리카 - 0.54 0.62 0.64 0.64 0.64

Page 150: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부록 1 세계 에 지 소비표 135

주: 국가 구분은 상기표의 주를 참조할 것.

자료: IEA(2002)

<부표 1-5> 주요 국가의 연도별 1인당 에 지 소비량

(단 : TOE/인)

구분 1961 1971 1981 1990 1991 2000순

(2000년)

미국 II 5.62 7.67 7.66 7.71 7.68 8.35 7

호주 II 3.04 3.99 4.75 5.12 5.02 5.75 14

카나다 II 4.36 6.50 7.58 7.55 7.45 8.16 8

핀란드 II 2.27 4.00 5.09 5.77 5.86 6.40 10

사우디 - 1.04 4.28 3.85 4.38 5.08 18

네덜란드 II 1.89 3.89 4.32 4.45 4.64 4.76 21

러시아 I - - - - - 4.22 23

독일 II 2.00 3.93 4.44 4.48 4.34 4.13 25

일본 II 0.97 2.57 2.87 3.55 3.62 4.13 24

국 II 3.04 3.77 3.44 3.69 3.78 3.89 29

한국 - 0.52 1.05 2.16 2.32 4.10 26

뉴질랜드 II 1.81 2.51 2.89 4.17 4.09 4.86 20

오스트리아 II 1.56 2.54 2.87 3.27 3.40 3.52 34

이태리 II 0.89 2.11 2.40 2.67 2.75 2.97 43

스페인 II 0.55 1.26 1.84 2.33 2.42 3.13 41

랑스 II 1.75 2.94 3.31 3.90 4.09 4.26 22

스웨덴 II 2.79 4.50 5.04 5.45 5.59 5.35 16

말 이시아 - 0.54 0.93 1.23 1.41 2.13 56

아르헨티나 - 1.38 1.43 1.38 1.41 1.66 63

멕시코 - 0.91 1.56 1.52 1.53 1.58 66

터키 II 0.38 0.53 0.70 0.94 0.91 1.15 78

태국 - 0.38 0.48 0.78 0.82 1.21 74

국 - 0.47 0.60 0.77 0.76 0.90 86

라질 - 0.71 0.86 0.90 0.89 1.07 81

인도네시아 - 0.30 0.42 0.52 0.55 0.69 94

인도 - 0.33 0.36 0.42 0.43 0.49 112

필리핀 - 0.39 0.39 0.46 0.45 0.56 105

방 라데시 - 0.08 0.10 0.12 0.11 0.14 136

세계 - 1.49 1.61 1.67 1.66 1.68

Page 151: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36

자료: IEA(2002)

<부표 1-6> 에 지원단 와 연평균 변화율: Annex II 국가

(단 : TOE/'95 1000$)

1960 1971 1980 1990 2000 60-'71 71-'80 80-'90 71-'90 90-2000

미국 0.43 0.44 0.38 0.30 0.26 0.3% -1.7% -2.5% -2.1% -1.4%

일본 0.10 0.12 0.10 0.09 0.09 1.5% -1.5% -1.6% -1.6% 0.4%

독일 0.16 0.21 0.20 0.16 0.13 2.8% -0.9% -2.3% -1.6% -2.1%

국 0.32 0.31 0.25 0.20 0.18 -0.2% -2.4% -2.1% -2.2% -1.3%

카나다 0.47 0.50 0.47 0.39 0.36 0.6% -0.7% -1.9% -1.3% -0.9%

이태리 0.12 0.19 0.17 0.15 0.14 4.6% -1.6% -1.3% -1.4% -0.3%

랑스 0.16 0.18 0.16 0.15 0.15 0.7% -0.9% -0.6% -0.7% -0.5%

호주 0.30 0.29 0.30 0.28 0.24 -0.4% 0.3% -0.8% -0.3% -1.2%

스페인 0.11 0.14 0.17 0.17 0.18 2.0% 1.7% -0.1% 0.8% 0.7%

터키 0.32 0.32 0.36 0.36 0.38 -0.1% 1.5% 0.1% 0.8% 0.3%

네덜란드 0.15 0.22 0.22 0.18 0.15 3.2% -0.1% -2.0% -1.1% -1.5%

벨기에 0.25 0.26 0.22 0.19 0.19 0.2% -1.7% -1.6% -1.6% -0.1%

그리스 0.09 0.13 0.15 0.20 0.20 3.5% 1.9% 2.6% 2.3% 0.2%

폴투갈 0.12 0.14 0.14 0.17 0.19 0.9% 0.6% 1.9% 1.3% 0.9%

오스트리아 0.15 0.15 0.14 0.12 0.11 0.4% -1.3% -1.3% -1.3% -1.0%

핀란드 0.22 0.26 0.26 0.22 0.20 1.4% -0.1% -1.8% -1.0% -0.7%

덴마크 0.12 0.16 0.14 0.11 0.09 2.7% -1.5% -2.4% -2.0% -1.6%

스웨덴 0.21 0.23 0.21 0.20 0.17 1.0% -1.0% -0.6% -0.8% -1.6%

아일랜드 0.24 0.29 0.23 0.20 0.14 1.7% -2.7% -1.5% -2.0% -3.6%

스 스 0.05 0.07 0.08 0.08 0.08 2.9% 1.3% -0.2% 0.5% -0.3%

노르웨이 0.17 0.22 0.19 0.18 0.15 2.1% -1.2% -1.0% -1.1% -1.5%

뉴질랜드 0.16 0.19 0.21 0.27 0.27 1.6% 1.3% 2.4% 1.8% 0.1%

룩셈부루크 0.67 0.58 0.41 0.26 0.15 -1.4% -3.8% -4.5% -4.2% -5.3%

아이스란드 0.31 0.31 0.28 0.31 0.39 -0.1% -1.0% 0.9% 0.0% 2.3%

Annex II 0.27 0.27 0.24 0.20 0.18 0.1% -1.5% -2.0% -1.7% -0.7%

세계 - 0.39 0.36 0.33 0.30 - -0.7% -0.9% -0.8% -1.1%

Page 152: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부록 1 세계 에 지 소비표 137

자료: IEA(2002)

<부표 1-7> 에 지원단 와 연평균 변화율: 개도국

(단 : TOE/'95 1000$)

1971 1980 1990 2000 71-'80 80-'90 71-'90 90-2000

국 3.78 3.64 2.20 1.10 -0.4% -4.9% -2.8% -6.7%

인도 1.55 1.55 1.31 1.08 0.0% -1.7% -0.9% -1.9%

한국 0.22 0.28 0.27 0.31 2.9% -0.2% 1.2% 1.5%

멕시코 0.37 0.45 0.47 0.41 2.0% 0.5% 1.2% -1.3%

남아공 0.47 0.51 0.63 0.63 0.9% 2.1% 1.5% 0.0%

라질 0.27 0.22 0.22 0.23 -2.6% 0.2% -1.1% 0.6%

이란 0.41 0.72 0.96 1.07 6.5% 2.8% 4.5% 1.2%

인도네시아 0.97 0.80 0.67 0.70 -2.1% -1.8% -1.9% 0.4%

사우디 0.13 0.29 0.54 0.76 8.9% 6.6% 7.6% 3.4%

북한 8.64 5.22 4.77 5.55 -5.4% -0.9% -3.1% 1.5%

만 0.27 0.32 0.26 0.24 2.1% -2.4% -0.3% -0.5%

태국 0.50 0.44 0.39 0.43 -1.5% -1.2% -1.3% 1.1%

아르헨티나 0.19 0.19 0.24 0.21 -0.2% 2.3% 1.1% -1.4%

베네수엘라 0.43 0.60 0.69 0.74 3.8% 1.4% 2.5% 0.8%

이집트 0.48 0.53 0.63 0.59 1.2% 1.6% 1.4% -0.6%

말 이시아 0.38 0.38 0.40 0.44 0.0% 0.3% 0.2% 1.1%

키스탄 1.04 0.97 0.90 0.90 -0.8% -0.8% -0.8% 0.0%

구유고 0.42 0.40 0.56 0.50 -0.8% 3.5% 1.5% -1.1%

이라크 0.03 0.04 0.18 0.34 3.8% 17.6% 10.9% 6.6%

알제리 0.24 0.39 0.58 0.60 5.7% 4.1% 4.8% 0.3%

아랍에미 0.14 0.16 0.46 0.60 1.5% 11.1% 6.5% 2.8%

필리핀 0.44 0.38 0.42 0.48 -1.6% 1.2% -0.1% 1.2%

칠 0.36 0.33 0.32 0.30 -1.2% -0.3% -0.7% -0.6%

콜롬비아 0.43 0.36 0.34 0.30 -1.7% -0.8% -1.2% -1.3%

이스라엘 0.22 0.19 0.19 0.19 -1.6% -0.1% -0.8% 0.1%

싱가폴 0.23 0.23 0.25 0.22 -0.3% 0.9% 0.3% -1.3%

세계 0.39 0.36 0.33 0.30 -0.7% -0.9% -0.8% -1.1%

Non-OECD 0.85 0.79 0.89 0.73 -0.9% 1.3% 0.3% -2.0%

남미 0.31 0.28 0.29 0.28 -1.3% 0.4% -0.4% -0.1%

아 리카 0.69 0.71 0.84 0.86 0.3% 1.7% 1.0% 0.2%

Page 15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38

주: - 는 자료 없음을 의미함. 자료: IEA(2002)

<부표 1-8> 에 지원단 와 연평균 변화율: 동구권 국가

(단 : TOE/'95 1000$)

1971 1980 1990 2000 71-'80 80-'90 71-'90 90-2000

폴란드 1.00 1.07 0.88 0.55 0.7% -2.0% -0.7% -4.5%

체코 1.21 0.98 0.87 0.74 -2.2% -1.2% -1.7% -1.6%

루마니아 2.31 1.65 1.58 1.11 -3.7% -0.5% -2.0% -3.5%

헝가리 0.67 0.66 0.56 0.46 -0.2% -1.6% -0.9% -2.1%

불가리아 3.00 2.43 1.93 1.53 -2.3% -2.3% -2.3% -2.3%

슬로바크 1.04 1.21 1.07 0.78 1.7% -1.2% 0.2% -3.2%

세계 0.39 0.36 0.33 0.30 -0.7% -0.9% -0.8% -1.1%

동구권 - - 0.00 1.24 - - - -

구소련 1.40 1.32 1.68 1.80 -0.7% 2.4% 1.0% 0.7%

Page 154: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부록 2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 비교표 139

<부록 2>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 비교표

주: Ⅰ은 Annex I 국가, Ⅱ는 Annex II를 나타냄. Annex I은 Annex II 포함. 자료: IEA(2002)

<부표 2-1> 각국의 이산화탄소 배출 (단 : 백만 탄소톤, %)

국가 구분 1961 1971 1981 1990 1991 2000 순 비

미국 II 779.4 1,174.4 1,258.6 1,323.4 1,319.7 1,559.5 1 23.9% 23.9%

국 - 236.6 402.1 651.6 648.6 866.2 2 13.3% 37.2%

러시아 I - - - - - 415.7 3 6.4% 43.6%

일본 II 80.5 206.1 243.3 286.0 291.0 323.0 4 5.0% 48.5%

인도 - 55.5 90.4 161.2 171.9 262.0 5 4.0% 52.6%

독일 II 142.1 271.0 283.3 264.2 255.7 223.7 6 3.4% 56.0%

국 II 153.4 175.8 153.1 155.4 158.5 150.6 7 2.3% 58.3%

카나다 II 52.7 91.9 112.8 114.9 112.6 140.5 8 2.2% 60.5%

한국 - 15.0 34.0 64.6 68.0 121.2 9 1.9% 62.3%

이태리 II 32.1 82.9 98.6 108.4 109.9 116.5 10 1.8% 64.1%

멕시코 - 27.7 70.4 81.0 84.2 100.7 11 1.5% 65.7%

랑스 II 74.0 120.3 115.8 99.2 104.2 96.4 12 1.5% 67.1%

우크라이나 I - - - - - 94.3 13 1.4% 68.6%

남아공 - 40.6 65.3 79.4 83.3 92.8 14 1.4% 70.0%

호주 II 26.3 42.9 57.7 71.1 71.0 89.6 15 1.4% 71.4%

라질 - 25.8 47.2 54.8 57.5 84.1 16 1.3% 72.7%

폴란드 I 57.8 84.6 109.9 96.0 95.6 80.8 17 1.2% 73.9%

이란 - 13.5 33.0 49.3 53.4 78.0 18 1.2% 75.1%

스페인 II 15.0 33.0 53.7 57.7 59.8 78.0 19 1.2% 76.3%

인도네시아 - 6.9 21.8 37.8 42.5 74.2 20 1.1% 77.4%

사우디 - 3.9 30.5 39.6 47.4 70.1 21 1.1% 78.5%

만 - 8.5 18.1 30.8 34.1 59.3 22 0.9% 79.4%

터키 II 4.6 11.9 20.0 37.7 37.2 56.2 23 0.9% 80.3%

네덜란드 II 19.5 35.3 41.6 42.7 44.8 47.2 24 0.7% 81.0%

북한 - 19.3 31.2 54.6 55.5 45.1 25 0.7% 81.7%

태국 - 4.7 9.0 21.7 23.8 43.4 26 0.7% 82.4%

아르헨티나 - 23.5 26.6 28.4 29.3 36.9 27 0.6% 82.9%

베네수엘라 - 12.2 26.6 29.3 30.0 36.1 28 0.6% 83.5%

카작스탄 - - - - - 33.6 29 0.5% 84.0%

체코 I - 46.0 45.0 41.0 37.5 33.3 30 0.5% 84.5%

벨기에 II 22.7 32.6 31.6 29.1 31.3 33.1 31 0.5% 85.0%

세계 - 4,000.5 5,008.6 5,803.0 5,838.1 6,518.5 100.0% 100.0%

Page 155: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40

주 1: - 는 자료 없음을 의미함.

주 2: G7은 미국, 캐나다, 국, 랑스, 독일, 이태리, 일본을 말함.자료: IEA(2002)

<부표 2-2> 국가그룹별 이산화탄소 배출

(단 : 백만 탄소톤, %)

1961 1971 1981 1990 1991 2000

(2000

년)

세계 - 4,000.5 5,008.6 5,803.0 5,838.1 6,518.5 100%

Annex I - - - 3,770.6 3,752.1 3,774.0 57.9%

Annex B - - - 2,306.8 2,293.0 2,052.7 31.5%

OECD 합계 - 2,587.3 2,880.4 3,030.0 3,042.2 3,416.5 52.4%

IEA 합계 - 2,461.4 2,682.7 2,837.4 2,848.4 3,224.7 49.5%

Annex II 1,461 2,384.9 2,581.8 2,713.9 2,725.5 3,055.8 46.9%

Non-OECD - 1,274.0 1,985.2 2,595.9 2,614.5 2,882.7 44.2%

Non-Annex I - - - 1,855.2 1,904.7 2,525.2 38.7%

EU 505 835.8 866.7 854.8 867.6 857.3 13.2%

동구권 - - - 1,056.7 1,026.6 718.2 11.0%

구소련 - 642.5 886.5 966.6 954.3 625.2 9.6%

아시아

( 국제외)- 120.8 209.1 370.3 396.0 607.0 9.3%

동 - 34.9 105.8 155.1 168.1 263.5 4.0%

남미 - 102.5 153.8 171.3 175.0 240.7 3.7%

아 리카 - 66.7 122.2 163.9 172.7 204.1 3.1%

한 일 - 457.7 679.4 1,002.2 1,007.6 1,310.4 20.1%

G7 1,314 2,122.3 2,265.5 2,351.4 2,351.4 2,610.1 40.0%

Page 156: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부록 2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 비교표 141

주: Ⅰ은 Annex I 국가, Ⅱ는 Annex II를 나타냄. 자료: IEA(2002)

<부표 2-3>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 상 국

(단 : 탄소톤/인)

구분 1961 1971 1981 1990 2000순

(2000년)

카타르 - 4.93 10.27 7.88 16.26 1

쿠웨이트 - 3.77 5.92 2.68 7.92 2

아랍에미 - 2.67 4.31 6.19 6.51 3

미국 II 4.24 5.65 5.47 5.29 5.66 4

바 인 - 3.81 5.56 5.56 5.43 5

룩셈부루크 II 12.32 12.26 7.77 7.50 4.99 6

호주 II 2.44 3.28 3.87 4.16 4.68 7

카나다 II 2.88 4.19 4.54 4.15 4.57 8

지 랄타 - 0.91 0.82 1.82 4.36 9

싱가폴 - 0.91 1.61 2.60 4.04 10

트리니다드 - 1.44 2.36 2.74 3.72 11

루네이 - 0.78 4.94 3.45 3.62 12

사우디 - 0.65 3.07 2.51 3.38 13

체코 I - 4.68 4.37 3.96 3.24 14

벨기에 II 2.48 3.37 3.21 2.91 3.23 15

아일랜드 II 1.37 2.06 2.08 2.50 2.99 16

네덜란드 II 1.67 2.68 2.92 2.85 2.97 17

핀란드 II 0.91 2.39 2.69 2.92 2.94 18

에스토니아 I - - - - 2.93 19

러시아 I - - - - 2.86 20

오만 - 0.09 0.59 1.73 2.74 21

독일 II 1.94 3.46 3.61 3.33 2.72 22

만 - 0.57 1.00 1.51 2.67 23

이스라엘 - 1.53 1.48 2.07 2.60 24

덴마크 II 1.88 3.10 2.80 2.63 2.57 25

한국 - 0.46 0.88 1.51 2.56 26

일본 II 0.86 1.97 2.07 2.31 2.54 27

국 II 2.90 3.14 2.72 2.70 2.52 28

뉴질랜드 II 1.25 1.39 1.47 1.90 2.29 29

사이 러스 - 0.80 1.13 1.56 2.27 30

카작스탄 - - - - 2.26 31

그리스 II 0.27 0.78 1.25 1.85 2.19 32

남아공 - 1.80 2.31 2.26 2.17 33

세계 II - 1.07 1.12 1.11 1.08

Page 157: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42

자료: IEA(2002)

<부표 2-4> 그룹별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

(단 : 탄소톤/인)

1961 1971 1981 1990 2000

세계 - 1.07 1.12 1.11 1.08

Annex I 국가 - - - 3.21 3.08

Annex B 국가 - - - 2.74 2.40

OECD 합계 - 2.93 2.96 2.90 3.04

IEA 합계 - 3.10 3.10 3.09 3.29

Annex II 2.19 3.22 3.21 3.17 3.35

Non-OECD - 0.45 0.56 0.62 0.59

Non-Annex I - - - 0.46 0.53

EU 1.58 2.43 2.42 2.34 2.27

동구권 - - - 3.29 2.29

구소련 - 2.62 3.31 3.34 2.16

아시아

( 국제외)- 0.12 0.16 0.23 0.32

동 - 0.52 1.11 1.19 1.59

남미 - 0.43 0.52 0.49 0.58

아 리카 - 0.18 0.25 0.26 0.26

Page 158: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부록 2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 비교표 143

주: 국가 구분은 상기표의 주를 참조할 것.

자료: IEA(2002)

<부표 2-5> 주요국가의 연도별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

(단 : 탄소톤/인)

구분 1961 1971 1981 1990 2000순

(2000년)

미국 II 4.24 5.65 5.47 5.29 5.66 4

호주 II 2.44 3.28 3.87 4.16 4.68 7

카나다 II 2.88 4.19 4.54 4.15 4.57 8

핀란드 II 0.91 2.39 2.69 2.92 2.94 19

사우디 - 0.65 3.07 2.51 3.38 13

네덜란드 II 1.67 2.68 2.92 2.85 2.97 18

러시아 I - - - - 2.86 21

독일 II 1.94 3.46 3.61 3.33 2.72 23

일본 II 0.86 1.97 2.07 2.31 2.54 28

국 II 2.90 3.14 2.72 2.70 2.52 29

한국 - 0.46 0.88 1.51 2.56 27

뉴질랜드 II 1.25 1.39 1.47 1.90 2.29 30

오스트리아 II 1.24 1.87 1.93 2.02 2.10 37

이태리 II 0.63 1.53 1.74 1.91 2.02 41

스페인 II 0.49 0.97 1.42 1.49 1.95 43

랑스 II 1.56 2.29 2.09 1.71 1.60 49

스웨덴 II 1.74 2.88 2.20 1.54 1.46 55

말 이시아 - 0.34 0.60 0.80 1.38 57

아르헨티나 - 0.96 0.93 0.87 1.00 67

멕시코 - 0.55 1.04 0.99 1.04 66

터키 II 0.16 0.32 0.44 0.67 0.84 73

태국 - 0.13 0.19 0.39 0.71 79

국 - 0.28 0.40 0.57 0.69 80

라질 - 0.26 0.38 0.37 0.49 86

인도네시아 - 0.06 0.14 0.21 0.35 92

인도 - 0.10 0.13 0.19 0.26 100

필리핀 - 0.18 0.13 0.18 0.25 103

방 라데시 - 0.01 0.02 0.04 0.06 124

세계 - 1.07 1.12 1.11 1.08

Page 159: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44

자료: IEA(2002)

<부표 2-6> 탄소집약도와 연평균 변화율: Annex II 국가

(단 : 탄소톤/백만불)

1960 1971 1980 1990 2000 60-'71 71-'80 80-'90 71-'90 90-2000

미국 326 328 272 203 174 0.0% -2.0% -2.9% -2.5% -1.6%

일본 92 92 75 58 57 0.0% -2.2% -2.6% -2.4% -0.2%

독일 154 188 161 116 83 1.8% -1.7% -3.2% -2.5% -3.3%

국 310 261 199 149 115 -1.6% -3.0% -2.8% -2.9% -2.5%

카나다 311 324 286 214 199 0.4% -1.4% -2.9% -2.1% -0.7%

이태리 84 141 123 105 97 4.8% -1.5% -1.5% -1.5% -0.8%

랑스 148 138 112 67 55 -0.6% -2.3% -4.9% -3.7% -2.0%

호주 242 238 245 224 198 -0.2% 0.3% -0.9% -0.3% -1.2%

스페인 101 110 128 106 111 0.8% 1.7% -1.9% -0.2% 0.5%

터키 139 192 230 261 274 3.0% 2.0% 1.3% 1.6% 0.5%

네덜란드 138 151 141 114 95 0.8% -0.8% -2.1% -1.5% -1.8%

벨기에 240 209 164 113 104 -1.3% -2.7% -3.7% -3.2% -0.8%

그리스 71 97 120 170 167 2.9% 2.3% 3.6% 3.0% -0.2%

폴투갈 72 85 94 111 126 1.5% 1.1% 1.7% 1.4% 1.3%

오스트리아 116 113 92 73 64 -0.2% -2.2% -2.2% -2.2% -1.4%

핀란드 93 156 164 109 92 4.8% 0.6% -4.0% -1.9% -1.7%

덴마크 112 130 119 83 67 1.3% -0.9% -3.6% -2.3% -2.1%

스웨덴 133 149 100 57 47 1.0% -4.3% -5.6% -5.0% -2.0%

아일랜드 237 254 194 166 106 0.6% -2.9% -1.6% -2.2% -4.4%

스 스 35 47 43 37 32 2.6% -0.9% -1.6% -1.3% -1.3%

노르웨이 90 104 82 63 55 1.3% -2.5% -2.6% -2.6% -1.4%

뉴질랜드 114 105 110 122 128 -0.7% 0.5% 1.1% 0.8% 0.4%

룩셈부루크 795 584 365 205 89 -2.8% -5.1% -5.6% -5.3% -8.0%

아이스란드 187 125 95 80 67 -3.6% -3.0% -1.7% -2.3% -1.8%

Annex II 216 206 172 130 116 -0.4% -2.0% -2.8% -2.4% -1.1%

세계 - 279 254 220 192 - -1.0% -1.4% -1.2% -1.4%

Page 160: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부록 2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 비교표 145

주: 순 는 2000년 이산화탄소 총배출량 순 임.자료: IEA(2002)

<부표 2-7> 탄소집약도와 연평균 변화율: 개도국

(단 : 탄소톤/백만불)

1971 1980 1990 2000 순 71-'80 80-'90 71-'90 90-2000

국 2,282 2,478 1,644 833 2 0.9% -4.0% -1.7% -6.6%

인도 470 522 588 561 5 1.2% 1.2% 1.2% -0.5%

한국 189 229 189 196 9 2.1% -1.9% 0.0% 0.4%

멕시코 227 300 305 269 11 3.1% 0.2% 1.6% -1.3%

남아공 425 459 548 544 14 0.9% 1.8% 1.4% -0.1%

라질 101 100 91 107 16 -0.1% -0.9% -0.5% 1.6%

이란 298 545 702 743 18 6.9% 2.6% 4.6% 0.6%

인도네시아 184 268 273 355 20 4.2% 0.2% 2.1% 2.7%

사우디 84 206 353 503 21 10.5% 5.6% 7.9% 3.6%

북한 8,344 4,945 4,581 5,426 25 -5.6% -0.8% -3.1% 1.7%

만 217 233 163 173 22 0.8% -3.5% -1.5% 0.6%

태국 167 179 196 255 26 0.8% 0.9% 0.8% 2.7%

아르헨티나 136 127 151 126 27 -0.8% 1.8% 0.6% -1.8%

베네수엘라 261 408 449 453 28 5.1% 1.0% 2.9% 0.1%

이집트 346 384 442 400 34 1.1% 1.4% 1.3% -1.0%

말 이시아 240 247 257 288 33 0.3% 0.4% 0.4% 1.2%

키스탄 279 281 346 387 35 0.1% 2.1% 1.1% 1.1%

구유고 342 321 468 382 36 -0.7% 3.8% 1.7% -2.0%

이라크 19 26 129 260 39 3.6% 17.3% 10.6% 7.3%

알제리 175 266 384 391 40 4.7% 3.7% 4.2% 0.2%

아랍에미 91 105 294 383 42 1.7% 10.8% 6.4% 2.7%

필리핀 198 162 161 214 41 -2.2% -0.1% -1.1% 2.9%

칠 240 199 194 178 52 -2.1% -0.2% -1.1% -0.9%

콜롬비아 224 199 180 167 47 -1.3% -1.0% -1.2% -0.7%

이스라엘 163 140 150 152 46 -1.7% 0.7% -0.4% 0.2%

싱가폴 151 145 147 143 45 -0.4% 0.1% -0.1% -0.3%

세계 279 254 220 192 -1.0% -1.4% -1.2% -1.4%

Non-OECD 525 502 566 455 -0.5% 1.2% 0.4% -2.2%

남미 157 150 146 150 -0.5% -0.3% -0.4% 0.3%

아 리카 231 277 346 344 2.1% 2.2% 2.2% -0.1%

Page 161: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146

주: - 는 자료 없음을 의미함.

자료: EIA(2002)

<부표 2-8> 탄소집약도와 연평균 변화율: 동구권 국가

(단 : 탄소톤/백만불)

1971 1980 1990 2000 71-'80 80-'90 71-'90 90-2000

폴란드 983 1,041 841 495 0.6% -2.1% -0.8% -5.2%

체코 1,214 937 751 610 -2.8% -2.2% -2.5% -2.1%

루마니아 1,669 1,229 1,184 730 -3.3% -0.4% -1.8% -4.7%

헝가리 562 517 366 277 -0.9% -3.4% -2.2% -2.8%

불가리아 2,712 1,945 1,388 969 -3.6% -3.3% -3.5% -3.5%

슬로바크 958 985 747 430 0.3% -2.7% -1.3% -5.4%

세계 279 254 220 192 -1.0% -1.4% -1.2% -1.4%

동구권 - - 1,012 861 - - - -1.6%

구소련 1,143 1,029 1,205 1,225 -1.2% 1.6% 0.3% 0.2%

Page 162: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는 ①안정성․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경제적 지속가능성),

부록 2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 비교표 147

주: 순 는 2000년의 이산화탄소 배출총량 순 임.

자료: IEA(2002)

<부표 2-9> 이산화탄소 비 과 GDP의 비 : 2000년

구분CO2

(백만톤)

(%)

GDP

('95십억불)

(%)

탄소집약도

(탄소톤/백만불)순

미국 II 1,559.5 23.9% 8,987 26.4% 174 1

국 866.2 13.3% 1,040 3.1% 833 2

러시아 I 415.7 6.4% 357 1.1% 1163 3

일본 II 323.0 5.0% 5,681 16.7% 57 4

인도 262.0 4.0% 467 1.4% 561 5

독일 II 223.7 3.4% 2,687 7.9% 83 6

국 II 150.6 2.3% 1,304 3.8% 115 7

카나다 II 140.5 2.2% 705 2.1% 199 8

한국 121.2 1.9% 618 1.8% 196 9

이태리 II 116.5 1.8% 1,205 3.5% 97 10

멕시코 100.7 1.5% 374 1.1% 269 11

랑스 II 96.4 1.5% 1,756 5.2% 55 12

우크라이나 I 94.3 1.4% 44 0.1% 2126 13

남아공 92.8 1.4% 171 0.5% 544 14

호주 II 89.6 1.4% 452 1.3% 198 15

라질 84.1 1.3% 788 2.3% 107 16

폴란드 I 80.8 1.2% 163 0.5% 495 17

이란 78.0 1.2% 105 0.3% 743 18

스페인 II 78.0 1.2% 704 2.1% 111 19

인도네시아 74.2 1.1% 209 0.6% 355 20

사우디 70.1 1.1% 139 0.4% 503 21

만 59.3 0.9% 344 1.0% 173 22

터키 II 56.2 0.9% 205 0.6% 274 23

네덜란드 II 47.2 0.7% 497 1.5% 95 24

북한 45.1 0.7% 8 0.0% 5426 25

태국 43.4 0.7% 170 0.5% 255 26

아르헨티나 36.9 0.6% 294 0.9% 126 27

베네수엘라 36.1 0.6% 80 0.2% 453 28

카작스탄 33.6 0.5% 22 0.1% 1493 29

체코 I 33.3 0.5% 55 0.2% 610 30

벨기에 II 33.1 0.5% 318 0.9% 104 31

우즈벡 32.5 0.5% 12 0.0% 2709 32

말 이시아 32.2 0.5% 112 0.3% 288 33

이집트 31.4 0.5% 78 0.2% 400 34

세계 6,518.5 100.0% 3,4026 100.0%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