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문화ocw.sogang.ac.kr/rfile/2014/chinese culture with chinese...행 중 언어는 사유가...

17
중국 언어로 보는 중국문화 1*

Upload: others

Post on 22-Feb-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중국 언어로 보는 중국문화

    제1강

    *

  • *

    1) 물질문화: 건축물, 식품, 도구

    2) 제도문화: 제도, 법규, 풍속습관

    3) 정신문화: 가치관, 사유형태, 심미관

    언어는 문화의 탑재자이며, 문화를 보여주는 거울. 아이는 언어를 배우는 동시에 문화를 습득.

  • *

    1) 사물관찰의 과정: 신념,가치관,태도,세계관,사회조직

    2) 언어과정: 언어와 사유 형태

    *외국어교육은 서로 다른 문화배경자간의 교제하는 인재양성.

    3) 비언어과정: 비언어행위, 시간관념, 공간의 사용.

  • *

    *L.A. Seneca : 인간은 사유하는 동물. 언어는 소통도구, 사유도구.

    *언어와 사유의 관계에 대한 3가지 견해

  • *

    *미국 행동주의 심리학자 J.B. Watson : “말하면서 얻은 근육의 습관이 잠재적 혹은 내부언어의 진행을 담당한다 ”

    *신행동주의자 B.F. Skinner : “생각은 단지 행위일 뿐, 언어적 혹은 비언어적, 공개적 혹은 은폐적인”

  • *

    *아리스토텔레스: 언어는 사유범주의 제경험의 표현.

    *17세기 언어학자: 인간이 이성적 사유적 동물로서 언어를 창조한 것은 생각을 표현하기 위해서.

    *스위스 심리학자 J. Piaget :언어는 논리로 구성된 것. 논리사유가 언어 보다 이르고, 더 깊으므로 사유가 언어를 결정.

  • *

    *사피에르, 오우푸: 종의 발전 중에 노동과 언어는 사유와 의식 생성의 가장 주요한 추동력. 활동과 언어는 개체 사유 생성의 기초.

  • *

    1) 언어와 사유는 다른 범주.

    사유는 인간 뇌 기능의 하나. 대뇌가 객관세계를 반영하는 과정. 논리과정으로 표현. 즉 개념,판단과 추리의 사유규칙을 따라 주관세계의 객관세계에 대한 인식과 파악을 실현. 사유과정의 진행 중 언어는 사유가 의지하는 재료. 즉 사유는 언어의 재료를 빌어야 진행이 가능. 언어 자체는 형식만인 것도 아니고, 형식과 내용(의미)의 통일체.

    2) 언어와 사유는 밀접한 관계.

    사유는 과정이나 결과형식인 생각의 표현까지 언어재료를 떠날 수 없다. 형상사유와 직관사유에서도 단어의 참여가 필수적. 단지 논리사유에 비하여 이런 참여가 본인에게 쉽게 느껴지지 못할 뿐.

  • *

    1) 사유방식과 문화형식

    2) 사유방식과 어음

    3) 사유방식과 어휘

    ① 어휘의 개괄 정도에 반영된 사유방식

    ② 어원구조에 반영된 사유방식

    4) 사유방식과 어법

    ① 원시논리 사유방식

    ② 인구어 추상사유

    ③ 중국어

  • *

    사유방식은 자연조건과 사회역사조건하에 생긴 것이며, 이에 근거하여 지식을 획득하고 자신의 문화세계를 건립한다.

    * 원시사유기-- 자신과 사물을 본질적으로 구분X. 인간을 출발점으로 하여 자연물을 인간과 같이 영혼이 있다고 믿음. 애니미즘이 사물을 대하는 출발점, 원시사유 의인화 방법 형성.

    * 상고시대-– 중국: 西周 오행을 섞어 만물을 만듬.

    서구: 그리스 물, 공기, 불, 흙으로 만물이 구성.

    * 발전변화기— 중국: 산과바다, 서고동저, 한서유절, 계절풍--자연현상-음양학설-천인합일, 천인감응 > 경험종합형의 주체의향성사유----사회관리

    서구: 자연의 은혜, 수공업,상업,항해술의 발달—자연과학발전 > 실증분석형의 객체대상성사유

  • *

    * 중국어 어음조합특징

    ① 음절은 성모와 운모로 구성

    ② 성조변화가 있고, 성조는 의미를 변별.

    ③ 성모와 운모의 결합은 엄격한 규칙.

    ④ 각 어음범주가 통일성과 대칭성의 대립.

    - ‘一陰一陽之謂道’

    * 인구어계 언어 어음조합특징

    ① 모음과 자음의 결합이 다양

    ② 복자음이 많고, 음절의 어느 부위에나 가능.

    ③ 모음 없이 음절형성(러시아어의 일부 전치사)

    ④ 음절 길이의 차이가 크다.

    - 발산식 사유 영향. 한 문제에 대한 다양한 해결방식 용인

  • *

    *어휘개괄도: 초기는 일반 개념에 부합하는 屬명이 없고 사람 혹은 사물을 표시하는 전문용어가 특히 풍부.

    -호주 원주민-나무,물고기,새라는 개괄단어가 없고, 악어,붕어,피래미 등등으로 세분.

    -태즈매니아인-딱딱한(돌같은),긴(다리같은),둥근(달같은,공같은)

    -아랍어-낙타를 표현하는 단어가 5,6천개. 생물학개념의 낙타 개념의 단어는 없음.

    -미국인디언-손으로 때리기, 주먹으로 때리기, 채찍으로 때리기, 손바닥으로 때리기. 추상개괄적 사유능력의 부재.

    -중국고대-牛,羊의 단어가 많다. 그러나 갑골에 개괄사인 牛가 출현한다. 은상이전의 개괄능력이 없을 시기의 흔적.

  • *

    *어원구조: ‘단어의 내부형식’ 혹은 ‘단어의 理據’, ‘得名之由’

    *고대 중국인 사물 명명: 직관적 파악 후, 인간과 사물을 類比하여 사물을 인격화하고 인간과 사물의 유사한 외관 특징을 뽑아 近似하게 명명.

    *현대: 線은 본래 방직물의 실. 철로,도로의 노선, 전선, 상상중의 비행기 노선.

  • *

    *어법은 단어를 조합하여 문장을 이루는 규칙 *어법은 사회성원 집단활동의 공동산물 *생각은 개인의 즉시적 구체 사유의 결과; 어법은 민족 사유의 장기적 추상화 결과물-집체무의식

    *어법범주와 어법형식은 어휘의 차용 보다 어려움.

    *러시아어 명사: 음양중성; 일본어 빈어전치.

  • *

    *발달한 언어에서 표현되지 않는 구체적인 세절을 주의해 표현. 인디언“누가 집토끼를 때려 죽였다.”--사람, 그(사람), 한 개, 살아있는 것, 저있는 것(주격), 고의로 때려 죽였다. 화살을 쏘다. 집토끼, 그(사물), 한 개, 동물, 앉아있는 것(목적격)

    *인칭대명사 혹은 지시대명사가 여러 형식을 가짐. 주어보어간의 거리, 상대위치, 소재.

  • *

    *어법범주로 어법의미를 개괄, 어법의미와 어법형식의 고정적 결합을 통해 어법수단 형성.

    *어법수단의 목표는 객관현상에 대한 정확한 표현.

    *어법의미는 직접 바깥으로 드러나는 풍부한 형태변화로 표시.(어순이나 語境으로 표현하지 않음.菜燒好了)

    *어법규칙의 외재형식이 뚜렷해 쉽게 파악, 엄격 적용.

  • *

    隱喩식 형상사유능력이 발달한 고대 중국인들은 철리적 개념에 대하여 형상묘사의 방법으로 해석(仁者愛人;克己復禮爲仁), 우언고사로 투영(장자의 소요유). -깨달음 중시, 실증분석 중시하지 않음.

    *형태의 결핍: 특정 어법의미를 표시하는 외재형식 무. 실사는 개념만 표시, 품사 표시 형식 무.

    *自由성: 무품사, 어순과 허사로 어법성분 표시, 비고정적어순(飯做好了). 생략이 많음.

    *意合성: 형식분석을 중시하지 않고, 의합을 중시. 단어는 합성사 많고, 파생사 적음. 東西, 聰明, 頭痛; 문장에 판단사 불필요. 今天星期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