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30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황해익 * · 김미진 ** · 탁정화 *** 본 연구에서는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만 세 유아들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한 이를 위해 만 세 유아 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 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그림 그리기 그림에 대한 묘사 개별 면담을 실시하 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유아들은 놀고 있는 상황 가족과 친구들과 함께 관계맺음을 하는 상황 하고 싶은 일에 집중하는 상황 통제력을 바탕으로 정해진 규율에서 벗어나 변이를 추 구하는 상황 힘든 상황을 극복하여 성취를 경험하는 상황에서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행복의 외적 조건으로 가족 건강 교육이 내적 조건으로는 양보하기 돕기 감사 하기로 범주화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 색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행복감이 한 순간의 정서가 아닌 삶의 포괄적인 정서로 작 용하여 유아의 정신건강을 도모하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제어 유아 행복한 상황 행복 조건 논문 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 승인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플러스 연구원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박사과정 교신저자

Upload: others

Post on 12-Feb-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2013. 제12권 제4호 , 93 - 122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황해익* · 김미진** · 탁정화***

요 약

본 연구에서는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만 5세 유아들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한

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13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

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그림 그리기, 그림에 대한 묘사, 개별 면담을 실시하

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유아들은 놀고 있는 상황, 가족과 친구들과 함께 관계맺음을 하는

상황, 하고 싶은 일에 집중하는 상황, 통제력을 바탕으로 정해진 규율에서 벗어나 변이를 추

구하는 상황, 힘든 상황을 극복하여 성취를 경험하는 상황에서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행복의 외적 조건으로 가족, 건강, 돈, 교육이, 내적 조건으로는 양보하기, 돕기, 감사

하기로 범주화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

색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행복감이 한 순간의 정서가 아닌 삶의 포괄적인 정서로 작

용하여 유아의 정신건강을 도모하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제어 유아(child)

행복한 상황(being happy)

행복 조건(condition of happiness)

※ 논문 접수 : 2013. 07. 31 / 수정본 접수 : 2013. 10. 01 / 게재 승인 : 2013. 10. 28*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플러스 연구원

***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박사과정(교신저자, [email protected])

Page 2: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9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Ⅰ. 서 론

심리학에서는 주로 부정적 정서나 정신병리학적 증상과 관련된 인간의 부정적인 심리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오다 Seligman이 인간의 강점과 잠재능력을 개발하고 삶의 질을 향

상시키며 인간의 보다 긍정적인 상태에 초점을 두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긍정심리학’이라

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한 심리학적 접근의 변화는 최근 국내․외에서 긍정

심리학이라는 학문적 동향으로, 인간을 이해함에 있어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Seligman,

2004/2009; Seligman & Csikszentmihalyi, 2000), 긍정심리학을 행복에 대한 탐구로 보는

관점(권석만, 2008)까지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이처럼 심리학계의 연구 경향이 긍정적인 삶

의 측면을 찾아 강화함으로써 행복하고 충실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조건 등에 관

한 연구로 변화하는 경향이 증가하면서 행복은 과거 어느 때보다 최근 10년간 사회, 심리,

교육, 경제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중요한 연구대상이 되고 있으며 유아, 아동, 청소년, 교사

의 행복에 관한 연구자들의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김도란, 김정원, 2008; 김미진, 김병만,

2012; 이경민, 2009; 황해익, 2013; Argyle, 2001/2005; Seligman, 2004/2009).

행복은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는 흐뭇한 상태(국립국어원, 2013)를 뜻하며,

행복감은 한순간의 긍정적인 정서를 의미하기보다는 자신의 삶에 대한 포괄적인 긍정적 느

낌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행복이란 긍정적인 사고방식이나 현재 생활에 대한 만족도와 같

은 정서적 또는 심리적으로 일상생활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특히

긍정적인 심리적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한국청소년상담원, 1993). 유아에게 있어서 행복감

은 부모와 가족, 또래와 교사 등과의 관계, 그리고 놀이와 같은 일상적인 생활경험을 통해

자신의 행동에 대해 만족감과 뿌듯함을 느끼는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유아의

행복감은 가정 경제 및 가족 구성원들과의 관계와 관련된 가정환경 요인, 자신의 가치에

대한 자존감 및 자아특성과 관련된 자아특성 요인, 친구들과의 관계 및 적응에 관련된 대

인관계 요인, 그리고 학습능력 및 신체능력과 관련된 능력 요인으로 구성된다(김도란, 김정

원, 2008; 이정화, 2005; Diener, 1984; Rosenberg, Schooler, Schoenbach, Rosanberg, 1995;

Veenhoven, 1991). 따라서 행복감은 자신의 삶에 대한 긍정적인 느낌을 토대로 삶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와 태도를 이끌어낼 수 있다(조경서, 남기원, 2011).

행복의 정의와 요소들은 시대와 문화, 개인의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모든 문화에

서 행복은 사람들 인생의 궁극적인 목표이며 중요하게 여겨지는 가치이다(김성숙, 2013; 황

해익, 2013). 유아교육에서도 교육철학 및 프로그램에 따라 추구하는 구체적인 목표는 각기

Page 3: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95

다르겠지만 유아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공통적으로 유아의 행복라고 할 수 있으며, 최근

고시된 누리과정의 구성 원칙에서도 행복을 인간 삶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정대련. 2012). 뿐만 아니라 최근 행복한 사람의 특성을

파악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중심으로 행복한 정서를 증진시키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게

하는 원리와 방법을 연구하는 행복학(Happiology)이라는 학문 분야까지 등장하면서(남인숙,

2007)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정신적, 심리적, 신체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사

회의 어린 세대들의 행복권에 관한 관심이 학계와 교육 현장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

이다(김도란, 김정원, 2008).

최근 행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내외에서 행복 관련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

고 있는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유아의 행복감과 행복개념에 대한 인식

연구(강영욱, 2009), 그림책 읽기 및 관련활동을 통한 유아의 행복에 대한 개념 확장 연구

(김세희, 강순미, 2008), 유아행복교육의 가능성 탐색 연구(이경민, 2009), 유아행복척도 개

발 연구(이은주, 2010), 아동의 행복감과 기질(Holder, Coleman, & Singh, 2012; Holder &

Klassen, 2010), 자아탄력성(조경서, 남기원, 2011), 영성(Holder, Coleman, & Wallace,

2010), 성격강점(Park & Peterson, 2006), 건강(Rogers & Zaragoza, 2003), 행동문제 및 대

인간 문제해결 전략(권기남, 성미영, 2010), 유치원 적응 및 문제행동(김지혜, 2011), 부모의

행복감(김도란, 김정원, 2008)과의 관계 연구 등이 있다. 유아의 행복감과 제 변인과의 관계

및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아가 인식하는 행복에 대한 연구와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유아의 행복감과 행복개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강영욱(2009)의 연구는 연령별, 성별로

유아의 행복이 어떠한지를 살펴봄으로써 유아가 인식하는 행복에 대한 이해 증진에 도움을

주었으나, 연령별, 성별 행복감과 행복개념을 빈도화하여 양적 차이를 살펴보았기 때문에

유아가 인식하는 행복을 심층적이고 구체적으로 드러내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정계숙,

최은아, 강인설(2008)도 만 5세 유아와 초등학교 1~6학년생을 대상으로 아동의 행복 상황

및 판단에 대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는데 아동이 보고한 행복한 상황에 대한 범주는 보

상, 일상활동/비일상활동, 사건의 3가지 범주로 나뉘어졌고, 이러한 상황범주 전체는 행복

경험 유형에 따라 다시 개인적 경험과 관계적 경험으로 재분류되었다. 이 연구는 행복에

관한 기존 담론에서 소외되었던 아동의 행복을 이해하기 위한 시도로서 유아와 아동이 어

떤 경험을 통해 행복을 경험하는가, 얼마나 행복하며 무엇에 의해 행복을 판단하는지에 대

한 이해를 높여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아동의 면담 내용을 빈도와 백분율로 분

석함으로써 유아들이 인식하는 행복한 상황에 대해 구체적이고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어려

Page 4: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9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우며, 특히 연구대상이 만 5세~초등학교 6학년생으로 발달단계가 매우 상이한 집단을 포

함하고 있기 때문에 연령에 따라 다를 수 있는 인식의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였다. 성인과

유아의 시각적 차이에서 야기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유아가

인식하는 행복의 의미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을 강조한 김성숙(2013)는 유아가 인식한 행복

의 의미를 물질이 주는 행복(부, 포만감), 기분이 주는 행복(유쾌함, 즐거움, 편안함), 관계

가 주는 행복(사랑, 우정, 친밀함), 보람이 주는 행복(뿌듯함, 성취감, 몰입)의 4가지로 범주

화하여 제시하였으나 연구대상이 지역적으로 편중되어 있으며 면담을 통한 단일 자료를 분

석함으로 언어적 표현력이 부족한 유아의 부분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만 5

세 유아가 인식하는 행복한 상황에 대한 인식을 충분히 드러내기 위해서는 유아의 면담내

용, 활동지 등 포괄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

한 이해를 도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진정한 행복은 개인이 생활 속에서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내면적이고 주관적인 요인(성

격, 자아존중감, 삶의 질 등)과 외현적이고 객관적인 요인(학력, 직업, 연봉 등)에 대한 이해

가 바탕이 되어야하므로(김명소, 김혜원, 한영석, 임지영, 2003) 유아가 인식하는 행복 조건

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하기 위해서는 주관적 요인과 객관적 요인을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행복의 조건에 대한 연구는 주로 초·중·고·대학생과 성인을 대상

으로 한국인의 토착적 특성을 밝히거나 동양 문화권에서 인식되는 경향성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졌다. 청소년과 부모가 지각한 행복의 조건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인의

토착적 특성을 분석한 연구(김의철, 박영신, 박선영, 2012)에 따르면 한국인은 화목한 가정

이 행복과 불행을 결정하는 가장 핵심적 요소로 인식하고 있으며 초등학생이 인식한 행복

조건은 가정의 화목, 자기조절, 원만한 인간관계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중·

고·대학생과 부모의 전체적 인식과 일치한다. 행복에 대한 내·외적 조건의 중요성을 살펴본

연구(이종한, 박은아, 2010)에 따르면 초·중·고·대학생은 타인의 인정, 집안배경, 직업, 돈,

외모, 일류대학과 같은 외형적이고 객관적인 외적조건보다 가족화목, 평안함, 건강, 웃음,

하고 싶은 일하기, 자신감과 같은 내적조건이 행복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

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외적조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고등학생이 가장 높고 초등학생이

가장 낮게 인식되었다. 한국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을 살펴보기 위하여 OECD국가 청소년과

국제 비교연구를 실시한 문상석과 염유식(2010)은 한국 청소년들은 물질적 행복, 보건과 안

전, 학업성취, 가족과 친구관계, 건강관련 행위의 항목에서 중간 수준 이상의 행복을 위한

조건이 보장되고 있음에 불구하고 주관적 행복지수에 있어서는 OECD국가의 청소년보다

낮은 인식을 보였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가정의 행복보다는 돈, 친구의 역할이 행복을 위

Page 5: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97

한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은 유전, 환경, 선택의 3가지 행복파이

의 비중에 따라 행복의 크기가 다양하며(Grant & Leigh, 2010/2013) 행복한 삶을 살고자

하는 개인의 노력에 따라 행복감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음에 근거해 볼 때(Hoggard,

2005/2006; Lyubomirsky, 2008/2012) 행복의 주관적 조건과 객관적 조건에 대한 인식의 경

향성을 알아보는 것은 보다 행복이 충만한 삶을 추구하고 긍정적 성취, 몰입, 의미, 긍정적

관계, 성취에 있어 플로리시(Flourish)를 증가시키는데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들어 가족 해체, 조기 영어교육 열풍 등과 같은 가정 및 사회 환경의 부정적인 요

인들의 증가로 인해 학령기 이후뿐만 아니라 나이 어린 유아의 행복감도 침해당할 가능성

이 크고, 최근 연구에 따르면 생의 초기에 경험하는 행복감 수준은 성인이 된 이후에도 지

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권기남, 성미영, 2010; Yang, 2008) 유아들이 인식하는 행복

한 상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현대 심리학자들은 단순히 우울증 치료에서 더 나아가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믿으며(Hoggard, 2005/2006), 행복은 누구나 개발 가능한 재능

과 같은 특성이며 따라서 교육현장에서 추구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이경민,

2009). 행복은 정의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언어적 표현 능력이 제한적인 유아에

게 행복의 의미나 개념에 대해 직접적으로 질문하는 것보다 유아가 인식하는 행복한 상황

과 조건을 살펴봄으로써 이를 통해 유아가 생각하는 행복의 개념 및 구성요소, 행복의 조

건에 대해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행복은 주관적인 개념이며 교사나 부모가 인식하

는 행복감과 유아가 인식하는 행복감은 다를 수 있으므로 유아의 행복을 개발시키고 증진

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유아가 인식하는 행복한 상황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유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을 때 행복하다고 느끼는지를 구체적으로 알아봄으로써 유아

의 행복 증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유아의 행복 증진을 위해 유

아들이 지각하는 행복 수준에 대한 이해는 기본적인 정보라고 할 수 있으며, 나아가 행복

증진의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유아들이 어떠한 때 실제로 행복을 느끼는지, 행복을 위

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에 대한 이해가 선행될 필요가 있으며 행복한 상황과 관련된 유아

들의 심리에 대한 이해의 토대로 유아 행복 증진의 실천 방법들을 효율적으로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행복한 상황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

를 통하여 유아의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아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동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선

정된 연구문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 5세 유아의 행복한 상황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Page 6: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9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둘째, 만 5세 유아의 행복 조건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유치원 3곳과 어린이집 3곳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13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심층적인 의미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추상

적인 개념에 대한 이해수준과 언어적 표현능력이 있는 만 5세 유아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

되어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132장의 활동지 중에서 활동내용이 부실한 15부를 제외

하고 총 117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면담대상은 그림그리기 활동에 참여한 유아 132명(62개

월~75개월, 남아 72명, 여아 60명)으로 담임교사가 개별면담 및 소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2. 자료수집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황해익, 탁

정화, 김미진, 2012; Mitchell & Weber, 1999; 조운주, 2007, 재인용)에 기초하여 그림그리

기, 그림에 대해 묘사하기, 개인면담을 실시하였다. 먼저 유아에게 가장 행복한 때와 행복

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그림으로 표현하도록 한 후 담임교사가 유아에

게 무엇을 하고 있는 그림인지, 왜 이런 그림을 그렸는지, 왜 행복했는지, 행복하기 위해서

는 무엇이 필요한지 등에 대해서 질문을 하고 유아의 반응을 기록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

써 표현능력이 부족한 유아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다소 추상적인

행복에 대한 유아의 반응을 적극적으로 이끌어내기 위하여 구체적인 질문에서 추상적인 질

문으로 질문 문항을 수정하였으며 편안한 환경과 충분한 시간을 제공해줌으로써 유아가 자

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그리기, 그림에 대해

묘사하기, 개인면담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유아들의 제한된 언어 능력으로 인해 구체적인

자료의 도움을 받지 않고서는 행복의 개념을 이끌어내기 어려운 부분을 보완하고자 하였으

며(김세희, 강순미, 2008),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그림을 매개로 하여 유아들이 가지고 있

는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한 구체적인 실제를 토대로 유아들이 인식하는 행복에

Page 7: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99

범주 내용

행복한상황

놀면서 자라고 놀면서 즐거운 행복

무대에서 뛰어놀 때, 연 날리기를 할 때, 달리기를 할 때,수영할 때, 축구와 농구를 할 때, 모래놀이를 할 때, 윷놀이를 할 때

가족과 친구 사이에서 느끼는 행복

아빠가 목마를 태워줄 때, 엄마가 만든 떡국을 먹을 때,엄마 아빠랑 같이 있을 때, 친구랑 있을 때, 동생을 돌볼 때, 친구 뱃살을 만질 때

하고 싶은 일에 몰입하며 느끼는 행복

책보기를 할 때, 실뜨기를 할 때, 장기를 둘 때, 종이접기를 할 때, 수놓기를 할 때

대한 개념을 고찰하였다.

3. 연구절차

본 연구에서는 ‘그림그리기 활동지’에 대해 유아교육 전문가 3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

받고 만 5세 유아 1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한 뒤, 유아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활

동지의 내용을 수정․보완하였다. 다음으로 연구자가 연구대상 유아들의 담임교사에게 그

림그리기 실시 방법과 유아 면담 및 기록 방법에 대한 사전교육을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유아교육기관에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거나 담임교사를 통하여 그림그리기 활동지를 배포하

고 직접 방문 또는 우편을 통해 회수하였다. 유아들의 그림 그리기 활동은 약 30~40분 정

도 소요되었으며, 담임교사가 유아들을 대상으로 그림에 대해 개별면담을 실시하고 면담내

용을 기록하였다.

4. 자료분석

유아들의 그림과 유아 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Spradley(1980/2006)가 소개한 바 있는 분

류체계분석(Taxonomic Analysis)방법을 적용하여 내용을 분석·정리하였으며 중심어구를

선정한 뒤 반복적으로 읽음으로써 의미를 유목화하였다. 분석범주는 분류체계분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 2명과 협의하여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자료를 조직하는 차원에서 일치하거나 일치하지 않는 의견에 대해서는 유아교육전문

가 3인의 검토를 받아 수정·보완하여 최종범주를 결정하였으며 관련 분석범주 내용은 표 1

과 같다.

<표 1>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에 대한 분석범주

Page 8: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10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정해진 규율에서 벗어나 새로운 변이로 이끄는

행복이불을 뻥 찼을 때, 방문 찰 때, 잠자면서 가족을 괴롭힐 때

힘들어도 참고 어려워도 견디면 찾아오는 행복

금메달 받았을 때, 받아쓰기 100점 받았을 때, 구구단 외울 때

행복 조건

외적인 행복의 조건 가족, 건강, 돈, 교육

내적인 행복의 조건 양보하기, 돕기, 감사하기

Ⅲ. 연구결과

1. 행복한 상황

1) 놀면서 자라고 놀면서 즐거운 행복

유아들이 행복감을 느낄 때는 놀고 있는 상황이다. 유아들은 무대에서 뛰어놀 때, 연 날

리기를 할 때, 달리기를 할 때, 수영하기를 할 때, 축구와 농구 놀이를 할 때, 모래놀이를

할 때, 윷놀이를 할 때에 행복함을 느끼는 것으로 표현하였다. 놀이는 유아들이 내적인 자

발성을 바탕으로 또래들과 함께 상호교류하고 자발성을 바탕으로 유희를 추구하는 과정이

다. 이렇듯 놀이를 하는 경험은 유아들에게 긍정적인 정서를 가져오며 즐거움을 바탕으로

삶의 전반적인 부분에 행복이라는 감정이 발현되고 있다고 유아들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이 보인 반응에서 놀이를 통한 즐거움이 드러난 부분은 다음과 같다.

나는 그냥 놀 때가 좋아요. 자꾸 웃음이 나고 마음이 좋아지는 것 같아서요.

(2012. 2. 17. 남. 윤00)

나도 웃고 친구들도 웃고 하니까……. 하하하, 히히히 (웃음소리를 낸다)

(2012. 2. 15. 남. 이00)

유아들은 행복한 상황을 놀이를 할 때라고 응답을 하였으며 놀이를 하는 동안에는 즐거

운 감정, 웃음, 쾌의 감정이 느껴진다고 하였다. 행복이라는 정서는 복합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이므로 이해와 표현에 있어서 유아들이 자기보고식으로 행복에 관한 개념을 도출하는

데 어려움이 보고된다(Lopez & Snyder, 2003/2008).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대부

Page 9: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101

분의 유아들은 행복에 관한 인식을 놀이를 통해 느끼는 긍정적인 감정과 연결시켰다. 행복

이라는 것은 스트레스, 슬픔, 두려움과 같이 부정적인 개념(Schiffrin & Nelson, 2010)과는

상반되는 긍정적인 정서적 공감으로 나타난다고 유아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즉, 유아들은

긍정적인 정서적인 특성을 가지는 느낌으로 행복을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유아들은 흥미,

자발성, 적극성을 추구할 수 있는 놀이가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즐거움을 느끼고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의미를 도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친구랑 숨바꼭질, 잡기놀이를 하면 시간이 빨리 가요. 놀 때 만 더 빨리 가는 것 같아요.

(2012. 2. 28. 남. 김00)

신명마당에서 놀이하는 것은 진

짜 재미있고 행복해요. 선생님

이 “그만”이라고 말하기 전까지

는 행복하게 놀아요. 자유롭게

우리는…

(2012. 2. 10. 남. 최00)

모래놀이를 하면 그냥 행복하고 좋은

시간이에요.

(2012. 2. 28. 여. 김00)

윷놀이를 하면 시간이 어떻

게 가는지 모르겠어요. 행복

하고 신나고... 나는 매일 윷

놀이만 하면 좋겠다.

(2012. 2. 22. 남. 류00)

일반적으로 놀이는 많은 신체적 움직임 및 책임감과 협동심을 기르고 대인관계능력을 높

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발성을 바탕으로 하고 싶은 것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이숙재, 2007). 특히 놀이를 함께하는 사람과 긍정적인 정서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유아들은 결과보다는 과정을 즐기며 자유롭게 놀이를 추구해나갈 수 있다. 놀이가 가진 특

징 및 효과에 대해 유아들 또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유아들은 놀이를 하는 동안 내

적통제력을 바탕으로 가작놀이, 상징놀이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즐거운 감정을 느낀다고 응

답하였으며 놀이를 통한 만족감이 유아의 행복감과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족과 친구 사이에서 느끼는 행복

유아들이 행복감을 느낄 때는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관계맺음을 하는 상황이다. 유아

Page 10: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10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들은 아빠가 목마를 태워줄 때, 엄마가 만든 떡국 먹을 때, 엄마, 아빠랑 같이 있을 때, 친

구랑 있을 때, 동생 돌볼 때, 친구 뱃살을 만질 때와 같이 가족과 함께 정서적 유대감을 형

성하는 시간 및 같은 연령의 또래나 나이가 어린 동생과 함께 있는 상황에서 행복을 경험

한다고 하였다.

혼자서 침대에 뒹굴 때 재미있지만 아빠가 목마를 태워줄 때가 더 좋아요. 같이 있으니까 좋아

요. 가족이 사랑한다고 말해주면 나는 행복해요. (2012. 2. 16. 남. 황00)

맨날 바쁘니까 엄마랑 아빠가 밖에 있어서 잘 못 놀아주는데, 주말에 우리는 함께 있어요. 집에

서도 있고, 밥도 같이 먹고, 같이 놀러도 가고 (2012. 2. 28. 여. 이00)

가족은 부부를 중심으로 생겨난 아들, 딸, 손자, 손녀 등 가까운 혈육으로 이루어진 집단

을 말한다(국립 국어원, 2013). 가족은 유대감을 기반으로 정서적인 안녕감을 함께 공유하

고 뜻을 같이 하는 공동체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유아들은 가족 및 형제들과 함

께 보내는 시간 및 부모의 역할 속에서 만족감을 느낄 수 있으며 정서적 안녕감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역할에 기반하여 유아들은 행복한 순간을 가족과 함께 하는 시간으로 인식하

고 있었다. 특히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 가족응집력, 같은 관심사는 공유하고 서로

에 관한 긍정적인 메시지를 상호 교환하는 과정을 통하여 행복감을 느낄 수 있다고 유아들

은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유아들은 부모님이 아플 때, 엄마가 화가 났을 때, 아빠가 할머니한테 혼이 났을

때와 같이 가족의 스트레스, 부부의 갈등 상황은 불안감을 야기하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

에 행복하지 않다고 보고하였다. 뿐만 아니라 부모의 교육적인 관심, 유아와 나누는 대화는

유아에게 관심과 애착관계를 유지하는 요소로 작용함에 따라 행복감을 느끼게 하는 요소로

작용한다고 유아들은 반응을 보였다. 부모의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양육태도는 유아의 행복

감을 가져오는 요소이며 유아가 가족이라는 유대감 속에서 정서적인 안녕감을 느끼는 요소

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Page 11: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103

엄마랑 같이 달리기도 하고 집

에서 시간 보내는 것도 행복해

요.

(2012. 2. 17. 여. 김00)

아빠랑 주말에 축구할 때…이유

는 내랑 함께 있으니까

(2012. 2. 18. 남. 강00)

친구랑 장난치고 놀러가는 모

습이지요. 간질이고 놀이도 하

고…

(2012. 2. 26. 여. 최00)

가족 뿐만 아니라 유아들은 또래와의 관계를 통하여 유능감을 확인하고 행복감을 느낄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유아기는 1차적인 혈연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사회적인 관계집단인

가족 뿐만 아니라 또래집단을 통하여 사회성을 발달시킨다(유혜령, 2001; 이숙재, 2007). 또

래집단은 같은 문화를 공유하는 집단이다. 다음의 사례는 유아들이 원만한 또래관계를 통

하여 행복감을 느낄 수 있다는 면담결과이다.

00이 뱃살 만지는 게 재미있어요. 배를 만지면 보들하니까. 00이도 웃고 나도 웃고, 그리고 00이

가 “우우”하고 소리를 내면서 이상한 소리를 만들면 웃겨서 좋지요. (2012. 2. 15. 남. 김00)

친구는 어린이집에서 같이 있어서 좋고 엄마, 아빠, 동생은 집에서 같이 있어서 좋아요. 행복하

면 웃음이 나니까.. 우리는 같이 있어서 좋아요. 집에서 어린이집에서 (2012. 2. 23. 여. 황00)

또래관계는 원만한 관계를 이끌고 여가생활을 공유하며 또래의 지지를 이끈다. 게다가

원만한 관계를 기반으로 한 또래의 지지는 심리적 안녕감 및 아동의 탄력성을 매개로 하므

로(안지영, 오미경, 김지신, 2011) 유아들은 또래와의 친밀한 관계, 장난, 농담의 공유, 또래

의 지지를 통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관계성을 바탕으로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드러났다. 즐겁게 놀이를 할 때, 친구의 장난을 함께 느끼고 사회적인 지지를 이끌어내는

상호안정성에 기반을 둔 관계를 바탕으로 할 때 유아들은 행복감을 느낀다고 하였다.

3) 하고 싶은 일에 몰입하며 느끼는 행복

유아들이 행복감을 느낄 때는 현재의 일에 집중하는 상황이다. 책보기를 할 때, 실뜨기를

Page 12: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10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할 때, 장기를 둘 때, 종이접기를 할 때, 수놓기를 할 때와 같이 현재의 작업에 주의를 기

울이며 현재 경험하는 일에 몰입하는 상황을 행복한 순간으로 유아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들은 흥미와 바탕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것, 관심 있는 것에 몰두하는 과정에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드러났다. 일반적으로 몰입은 개인이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경험하는 최적

의 경험상태를 말한다(Csikszentmihalyi, 1990/2004). 유아들이 현재의 일에 집중을 하는 상

황에서 행복감은 높아지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는 유아들이 몰두하는 경험을 통하여 즐거

움, 긍정적 정서를 느끼는 것과 관련이 된다고 볼 수 있다. 대부분의 유아들은 만들기, 종

이접기, 새총놀이 등 내적자발성을 기반으로 목표의식을 가지고 행동하는 과정에서 행복감

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은 유아들이 행복감을 느낀다고 보고한 아래의 상

황에서 드러난다.

동생반에서 새총을 만들었는데 우리도 새총을 만들게 되었을 때 좋았어요. 어떻게 만들어야 하

는지 동생들한테 물어보고 만들었어요. 새총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 드니까 빨리 만들고 싶

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2012. 2. 23. 남. 황00)

상자 뜨기 할 때 이쪽으로 넣고 저쪽으로 넣고... 처음에는 어려웠는데 실뜨기해서 내 목도리를

만들었을 때 좋았어요. 따뜻한 겨울이 되었어요. 내가 만든 걸로 따뜻해지니까 행복했어요. 자유

놀이 시간이 조금만 지나면 끝이 났어요. 더하고 싶어서 바깥에 가지고 나가서 산책을 했어요.

(2012. 2. 24. 여. 이00)

책을 보면 행복해요. 머리도 똑똑해지는 것

같고 내가 책을 다 읽으면 생각주머니도 커

지는 것 같아요. 책을 읽으면 시간가는 줄도

몰라요. 책을 다 읽을 때 까지...

(2012. 2. 17. 여. 김00)

연만들기는 힘들지만 내가 하고 싶은 것을

하고 만들기를 할 때 행복해요.

(2012. 2. 22. 남. 강00)

위에서 드러난 바와 같이 유아들은 현재의 일에 집중하는 상황에서 행복감을 느끼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몰입의 경험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고 보고되고 있다(김아영,

Page 13: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105

차정은, 2003; 박정주, 2010; 양난미, 이지연, 2008; 이혜란, 2011; Csikszentmihalyi,

1990/2004). 몰입은 도전과 기술이 균형을 이루어야하며 행위와 지각이 일치하여 활동이 자

연스럽게 이루어진다. 또한 사전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신속하고 정확한 피드백을 기

반으로 과제에 전적으로 집중하며 통제력을 발휘하는 경험을 가진다. 특히 몰입은 자의식

을 상실과 시간의 변형을 경험하며 즐거움, 만족감을 이끄는 자기목적적인 경험을 이끈다.

이렇듯 유아의 면담결과에서 행복의 경험은 시간의 변이, 긍정적 정서, 자기목적지향적인

경험, 도전의식 등이 드러남을 확인할 수 있다.

4) 정해진 규율에서 벗어난 새로운 변이로 이끄는 행복

유아들이 행복감을 느낄 때는 유아가 통제력을 발휘하여 일상생활의 규율에서 벗어나는

상황이다. 이불을 뻥 찼을 때, 방문 찰 때, 잠자면서 가족을 괴롭힐 때와 같이 사회적으로

용인되지 않는 상황으로 유아들이 변이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유아들은 스스로의 통제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순간에 행복감을 느낀다고 보고하였다.

달리기를 하는데 이쪽으로 달려야하는데 나는 달리기 할 때 반대로 달렸지요. 진짜 웃겨요. 선

생님 몰래 반대로 달리다가 다시 바로 달리고, 그때 웃음이 나왔어요.

(2012. 2. 15. 여. 곽00)

원래 침대에서는 누워서 자야하는데 혼자서 침대에서 뒹굴기를 할 때 재미있어요. 엄마한테 혼

날 때 까지 몰래 놀라게 해줄 때 까지 나는 혼자서 뒹굴거리며 놀아요. “그만해”라고 하면 나는

놀라서 바로 해요. 히히히 웃기지요. (2012. 2. 23. 여. 손00)

선생님이 책을 읽자고 했는데 내가 바깥놀이를 하자고 했어요. 그래서 우리는 바깥놀이를 하러

갔어요. 내가 말을 했는데 우리 놀이하는 곳이 변했어요. 내 생각 때문에 우리는 다른 것을 했

어요. (2012. 2. 21. 남. 배00)

나는 이불을 발로 뻥! 뻥 소리 나도 나는 좋

아요. 생각만 해도 좋아요.

(2012. 2. 14. 여. 최00)

문을 발로 뻥 찼을 때 행복해요. 엄마한테 안

들키고 나 혼자 뻥!! 히히히

(2012. 2. 23. 남. 홍00)

Page 14: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10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유아들은 정해진 규율의 틀 속에서 변이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드

러났다. 하지만 변이를 추구하는 범위는 사회적인 수용영역 내에서 이루어졌을 때로 제한적인

범위를 보였다. 이렇듯 유아들은 자신의 통제력을 바탕으로 변이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만족감

을 느끼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대부분의 유아들은 위험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새로운 규칙을

이끌거나 사회적 힘을 가진 대상을 속이거나 상호의견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유희 및 짜릿한

감정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힘과 권력 때문에 자신의 내적 통제력을 발휘하지 못

하는 것은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상황이라고 유아들은 인식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유

아들은 매개자와 상호 힘의 균형을 유발하는 관계를 마련하는 과정이 행복감을 이끄는 요소

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유아와 매개자가 서로 상호조절적인 과정에서 정해진 규

칙에 따라 힘의 균형을 조절하며 이끌 때 유아들은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드러났다.

5) 힘들어도 참고 어려워도 견디면 찾아오는 행복

유아들이 행복감을 느낄 때는 힘든 상황을 극복하고 성취를 경험하는 상황이다. 금메달

받았을 때, 퀴즈에서 답을 풀었을 때, 구구단을 외울 때, 줄넘기를 했을 때와 같이 유아에게

어려운 과제로 인식이 되었지만 포기하지 않고 유목적인 행동을 이루었을 때 유아들은 만

족감을 느끼며 자의식이 강화되는 것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이루고자 노력했던 경험 또한 행복을 느낄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마라톤 대회에 나갔는데, 달리기하면서 땀이 너무 많이 나서 힘들어서 포기하고 싶었어요. 그런

데 꾹 참으니까 금메달이, 달리기 잘 했다고 상을 줬어요. 땀도 나고 숨도 차고 했는데 나는 꾹

참으며 달리니까 잘 했다고 메달을 받았어요. (2012. 2. 21. 남. 유00)

퀴즈를 풀 때 100점을 받았어요. 처음에는 잘 모르고 떨리고 했는데 해야겠다는 마음을 먹었어

요. 이제는 내가 잘 하게 되었어요.. (2012. 2. 18. 남. 탁00)

처음에는 못했는데, 글자쓰기를 하기 싫었는데자꾸 하다보니까 잘 하게 되었을 때 행복했어요. 나는 못 할 줄 알았는데 잘 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어요.

(2012. 3. 6. 여. 황00)

하나 밖에 넘지 못했는데 시간이 가고 나도 연습을 하고 잘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드니까 나도 모르게 줄넘기를 잘 하게 되었어요. 그때 진짜 행복했어요. 처음 발에 걸리지 않고 줄을 넘었을 때 10번 쉬지 않고 줄을 넘었을 때 좋았어요.

(2012. 2. 28. 남. 구00)

Page 15: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107

유아들은 무조건적인 편안함이 행복감으로 이끌지는 않는다고 보고하고 있었으며 어려움

을 극복하고 만족감을 느낄 때 내적인 카타르시스를 느낀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과정

에서 유아들은 해냈다는 만족감, 내적 즐거움, 다른 사람으로부터 듣는 칭찬을 경험할 수

있으며 도전과 노력 이후에 고통이 없는 상태를 경험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극복과 고난을

참아낸 행복에 관한 경험은 긍정적인 정서를 유발하며 행복감을 느낄 수 있도록 안내하는

매개로 작용하며 개인적인 자아와 삶의 목적추구를 이끌고 자아실현으로 행복의 개념을 확

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고 보고하였다.

2. 유아들이 인식한 행복의 조건

1) 외적인 행복 조건: 가족, 건강, 돈, 교육

유아들은 정서적인 안정감을 제공해주는 가족, 아프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태인

건강, 물질적인 혜택을 누리며 필요한 재화를 얻을 수 있는 돈, 교육 경험을 행복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외적조건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첫째, 가족을 행복의 외적 조건이라고 인식한 유아들은 가족은 정서적인 안정감을 제공

하고 유아를 보호해주며 편안한 안식처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으므로 행복해지기 위해 필

요한 조건이라고 보고하였다. 즉, 심리적인 에너지를 상호관계를 바탕으로 교감을 하는 과

정 속에서 유아들은 행복을 느낄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부모의 무조건적인 수용과

사랑이 바탕이 되는 일차적인 가족의 역할과 유대감이 행복을 가져다주는 조건이라고 인식

하고 있었다. 특히 가족 간 사랑, 가정화목, 가족과 함께하는 것, 가족 간의 지속적인 대화

가 이루어질 경우 행복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나와 동생을 낳아주고 길러주시니까……, 함께 살고 편안하니까 가족이 있어야 행복해요. 가족

은 포근하고 아늑한 느낌이 들어요. (2012. 2. 15. 여. 옥00)

가족은 나를 보호해주니까 행복해 질 수 있어요. 가족이랑 같이, 함께 해야지 행복해지니까요.

가족은 쓸쓸하지 않아요. 혼자이지 않게 해주니까 가족이 좋은 거지요.

(2012. 2. 21. 남. 김00)

가정은 유아를 둘러싼 인적 자원이므로 유아를 양육하고 보호, 지도하는 일차적인 집단

이다. 유아들은 가족이라는 공동체를 통하여 안녕감을 느끼며 부모의 양육태도 및 부모의

역할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모델링하며 자라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가정은 정서적, 사회

적, 심리적, 신체적으로 유아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유아들

Page 16: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10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은 행복하기 위해서 가족이라는 외적인 행복조건이 필요하다고 반응을 보였다. 유아들은

가족의 화목이 행복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며 보고받는 느낌, 포근한 느낌, 함께 있다는 심

리적인 공유감이 행복으로 이끌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건강이라는 것은 신체적, 정신적 안녕의 상태이므로 건강을 행복의 조건 중에 필수

적인 요소로 작용한다고 만 5세 유아들이 인식하고 있었다. 병에 걸리게 되면 달리기, 산책

하기, 바깥놀이 등 신체를 움직임으로써 느낄 수 있는 즐거움을 경험할 수 없기 때문에 건

강이 행복의 조건이 된다고 하였다. 즉, 유아들은 아플 경우 몸을 움직이면서 느끼는 성취

감을 느낄 수 없으므로 자연스럽게 건강은 행복과 연결된다고 하였다.

아프면 코가 막혀서 잘 때 힘이 드니까 안 행복해요. 건강하지 않으면 아프니까요. 열나고 콧물

이 나면 친구들이랑 함께 놀이를 할 수가 없어요. (2012. 2. 18. 여. 황00)

산책 가는 것이 좋아요. 계속 집에 있으면 답답하기도 하고 바깥에 나가면 곤충도 있고 산소도

있으니까 기분이 좋아져요. 자연을 만나면 몸도 마음도 건강해지니까 좋지요.

(2012. 2. 15. 남. 서00)

건강을 위해 달리기를 하면 몸도 튼튼해지고 체력도 좋아져요. 자기 몸에 힘도 기르기도 하구

요. 아프면 달리기도 못하고 누워만 있고, 어린이집도 못 오고 놀지도 못하니까요. 행복하려면

건강해야지요. (2012. 2. 15. 남. 황00)

이와 같이 유아들은 신체적으로 건강한 상태가 행복으로 이끄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을 인식하고 있었다. 건강은 기본적인 행복을 이끄는 동인으로 작용하며 신체적인 움직임

의 자유를 보장하고 아플 경우 놀지 못하기 때문에 긍정적인 정서를 느낄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게 되므로 건강은 행복을 위한 기본 조건이라고 인식되었다. 따라서 유아들은 행복

한 경험을 가질 수 있는 조건으로 건강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체력을 기르고 자생력을 기

르기 위한 꾸준한 노력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셋째, 행복의 조건 중의 하나로 돈이 필요하다고 만 5세 유아들이 인식하였다. 돈은 필요

한 재화를 얻을 수 있는 도구적인 수단이자 경제생활의 바탕이 되는 용어이다(Rath &

Harter, 2010/2011). 유아는 돈이 있으면 하고 싶은 일이나 갖고 싶은 것을 살 수 있는 재

정적 안정감이 보장되고 돈에 대한 걱정이 없기 때문에 행복을 위해서 필요한 조건으로 작

용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만 5세 유아들은 돈을 통하여 필요한 물건을 구매

하고 구매에 대한 만족감을 얻는 과정에서 긍정적인 정서를 더 많이 경험할 수 있기 때문

에 돈이 행복을 보장하는 충분 조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물질을 소유하기 보다는 돈을 다른 사람을 돕기 위해 사용할 때 행복을 높일 수 있는 계기

Page 17: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109

를 마련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돈이 있으면 사고 싶은 것을 살 수 있어요. 장난감도 1개에서 2개 더 살 수도 있고

(2012. 2. 17. 남. 윤00)

뭐든지 살 수 있어서 좋아요. 다른 사람을 도와줄 수 있어요. 우리가 후원하고 있는 실라스를

도와주면 밥도 먹고 할 수 있잖아요. 돈을 주면 실라스가 학교도 다닐 수 있고 물도 마실 수도

있으니까 행복하려면 돈이 필요해요. (2012. 2. 17. 여. 장00)

유아들은 돈은 원하는 재화를 구입하는 수단으로 작용한다고 인식하며 행복을 위해서는

필요한 물건을 구입하고 생활의 만족감을 도달할 수 있는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어야 한

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돈이 필요하며 재화는 생활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함과 동시에 돈이 많으면 생활의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인식

하였다.

넷째, 유아들은 행복의 조건을 교육이라고 보고하였으며, 이는 교육을 통하여 성취의 만

족감을 느끼고 교육을 많이 하면 좋은 곳으로 여행을 가거나 좋은 직업을 가질 수 있는 가

능성이 높게 작용하므로 교육이 행복을 위한 조건이라고 하였다.

책읽기를 하면 똑똑해지고 공부도 하면 더 좋은 생활을 할 수 있어요. 배우면 머리가 똑똑해지

고 내가 잘 했다는 생각이 들어서 내가 좋아져요. 그러니까 행복해지지요.

(2012. 2. 6. 여. 서00)

잘 알면…프랑스어, 영어도 잘 할 수 있고 다른 나라 여행도 할 수 있으니까 행복해지지요.

(2012. 2. 15. 여. 홍00)

공부하는 것은 어렵고 힘든데, 힘들어도 열심히 하면 자신 있게 하면, 기분도 좋아요. 배우면 꿈

이 이루어지니까요. 행복해지지요. (2012. 2. 16. 여. 정00)

유아들은 교육을 통하여 좋은 직업을 가질 수 있고 꿈을 이룰 수 있으며 언어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으므로 교육을 통하여 행복을 증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교육은 지식을 배울 수 있으며 새로운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생활의 만족도를

이끌고 앎에 대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Grant & Leigh,

2010/2013) 유아들은 행복을 가져오는 외재적인 조건으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Page 18: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11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2) 내적인 행복 조건: 양보하기, 돕기, 감사하기

유아들은 양보하기, 돕기, 감사하기와 같이,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도움을 청하거나 도움

을 받는 사회적인 관계 또한 행복을 가져다주는 조건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첫째, 양보하기는 행복을 가져다주는 내적 조건이다. 유아는 다른 사람을 위해 자신이 하

고 싶은만족을 지연하고 상대방을 위해 호의를 베풀기 위하여 양보를 할 때, 자기만족을

느끼고 타인에게도 행복을 가져다주는 과정에서 행복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행복을 위

한 조건으로 작용한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상호 호혜적인 행동이며 내 외적 보상을 제공하

므로 행복의 조건이라고 보고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내가 양보하면 좋고 뿌듯하고 누군가가 나를 위해 양보해주면 좋으니까요. 나도 양보하고 다른

사람도 양보하면 우리는 함께 행복해져요. 서로에게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는 거니까요.

(2012. 2. 15. 여. 홍00)

양보는 착한일이니까 행복해져요. 다른 사람도 행복하고 나도 행복하고. 착한 일을 하면 나도

기분이 좋고 다른 사람도 기분이 좋으니까 (2012. 2. 15. 남. 이00)

양보하기는 개인적인 행복을 추구하는 것에서 벗어나 다른 사람과 행복을 나누는 과정에

서 공동체의 행복과 안녕감을 추구하는 매개로 작용하는 사회적인 행동이다. 양보는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하여 자신의 주장이나 생각을 굽히는 과정에서 자신의 의견보다는 타인

의 뜻을 좇는 것을 의미하는데(국립 국어원, 2013), 양보는 자신의 주장을 맹목적으로 주장

하기 보다는 함께 원만한 사회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특히 유아들은 동생

들에게 양보를 하는 과정, 나 또한 다른 사람으로부터 양보를 받을 수 있다는 상황을 가정

하며 다른 사람을 위해 자신의 뜻을 굽히고 기다리는 과정이 자연스럽게 행복을 이끄는 과

정이 된다고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돕기는 행복의 내재적 조건으로 제시하였다. 유아들은 이타심을 바탕으로 다른 사

람을 돕는 과정에서 유아들은 내적으로 만족을 느끼며 관계를 돈독하게 만드는 자원을 경

험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다른 사람을 돕는 경험이 행복의 조건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다른 사람과 함께 해야지 좋으니까요. 좋은 세상은 함께 있을 때 더 행복해질 수 있어요.

(2012. 2. 22. 여. 강00)

나는 혼자서는 살 수 없으니까 서로 도우면 살면 좋으니까요. (2012. 2. 18. 남. 양00)

Page 19: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111

유아들은 행복을 위해서는 인간관계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삶의 만족과 행복을

이끄는 수단이 바로 다른 사람과의 긍정적인 관계라고 볼 때(Russell, 2008; Seligman,

2011) 유아들이 사회적인 관계를 통하여 이타심을 가질 때 유아들은 행복을 느낄 수 있다

고 인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행복은 관계를 통하여 서로 전파가 되는 정서이며 인간은

혼자서 살아갈 수 없는 존재이므로 누군가와 함께 있을 때, 생활 속에서 행복이라는 정서

를 경험할 수 있다고 유아들은 인식할 수 있었다. 또한 나를 둘러싼 존재와의 관계맺음은

유아를 행복이라는 긍정성을 기반으로 배려, 교류, 정서적 지지를 이끌 수 있는 내재적 행

복 조건으로 작용한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셋째, 감사하기는 행복의 내재적 조건으로 인식되었다. 감사하는 마음은 생활의 작은 것

에서도 만족할 수 있게 해주며 도덕성이 길러질 수 있는 원천이 될 수 있다는 판단하게 유

아들은 감사하는 마음이 행복의 조건으로 인식하였다. 일반적으로 감사하기는 현재 자신에

게 주어진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특별하게 고맙게 여기는 마음을 의미하는데, 감

사하는 마음은 사람들을 행복하게 해주며 긍정적인 대인관계, 건강을 이끄는 요인으로 작

용하며 긍정적 특성을 보인다(권석만, 2008; Lopez & Snyder, 2003/2008; Seligman, 2011).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유아들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서 감사함을 표현하는 심리

적 특성이 행복의 내재적 조건으로 작용한다고 인식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할머니의 무거운 짐을 들어주기를 하면 행복한 마음이 들어요. 해냈다는 생각이 들어서 좋아요.

작은 것도 감사해요. 감사하다고 하면 진짜 감사할 것이 많아요.

(2012. 2. 15. 남. 황00)

달리기를 하다가 넘어진 친구를 도와주면 서로 좋은 마음이 들어요. (2012. 2. 15. 남. 김00)

감사하기는 표현적인 감정일 뿐만 아니라 마음이 따뜻해지고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과

정으로 연결이 되므로 유아들은 감사하기를 통하여 행복감을 느낄 수 있다고 하였으며 생

활 속에서 감사해야하는 것이 무엇인지, 감사하다고 표현하는 것이 삶을 바라보는 자세를

긍정적으로 이끌 수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Ⅳ. 논 의

유아들은 성장을 하면서 매순간 행복을 경험한다. 하지만 내 외부적인 조건에 의하여 유

Page 20: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11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아들이 통제력을 상실했을 때, 새로운 능력을 습득하는 과정 속에서 느끼는 희열을 유아들

은 느끼지 못한다.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한 만 5세 유아들의 인식을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 모색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은 삶 자체가 놀이이고, 놀이가 곧 유아들의 삶이라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만큼 유아의 삶에서 놀이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유아들은 혼자 혹은 친구나

가족들과 함께 놀이를 할 때 행복함을 느낀다고 표현하였다. 유아기 놀이행동에 있어서의 정

서표현에 관한 연구(김희연, 2001)에서도 놀이 행동 시에는 비놀이 행동시보다 긍정적 정서,

특히 흥미와 기쁨이 지배적인 정서로 표현된다고 보고하였으며, Csikszentmihalyi(1975)도 놀

이를 통해 경험하는 몰입(flow)이 진정한 즐거움의 경험을 수반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처럼

유아들이 놀이를 통해 즐거움과 기쁨을 느끼는 것은 그 놀이가 외부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

으며, 놀이의 방향이 결과 지향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임재택(2008)은 최근 유아들의 놀이

가 본래의 의미를 잃어버리고 유아교육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락하였다고 지

적하였으며, 유혜령(2001)은 발달적·교육적 접근에서 놀이를 바라볼 경우 놀이가 교육의 수

단이 되며, 놀이 활동 자체의 본질을 망각하게 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고 하였다. 이처럼 아

이들은 놀이밥을 먹고 자란다고 표현될 만큼(편해문, 2012) 놀이가 유아들에게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유아들이 놀이에서 진정한 행복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놀이를 통해 유아

들이 스스로 행복이 무엇인지를 깨닫고 유아들의 행복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유아들에게

진정한 놀이를 찾아주어야 하며, 가능한 한 교사가 유아들의 놀이 활동에 개입하거나 활동

을 지시하는 것을 피하고 유아들 스스로 놀이를 만들어 가도록 권장해야 한다(조채영, 임재

택, 2006).

둘째, 유아들은 가족과 함께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시간 및 같은 연령의 또래나 나

이가 어린 동생과 함께 있는 상황에서 행복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아

들에게 타인들과의 긍정적인 대인 관계 형성은 행복을 산출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성보훈과 윤선아(2010)는 좋은 인간관계는 우리의 행복에 큰 영향을 주며

사회적 지지체제나 자원에 대한 지각을 높여 우울이나 불안을 감소시키고 행복을 높여주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하며 긍정적인 대인관계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그림책 읽기 및 관련

활동을 통해 유아의 행복에 대한 개념을 살펴본 김세희와 강순미(2008)의 연구에서도 행복

을 긍정적인 대인관계에서 사랑을 주고받고, 물질을 주고받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유아들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아동이 생각하는 행복에 대해 분석한 김연화와 강문희(2008)

의 연구에서도 좋은 대인관계에 대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Page 21: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113

들을 대상으로 행복감을 조사한 신명덕(2007)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친구와의 관계에 대한

인간관계에서의 행복한 수준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부모, 형제와의 관계에 대한 가정환

경에서의 행복감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성인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김경순, 김정남,

박원모, 천성문, 2006; 김혜원, 김명소, 2000; 이미란, 김정원, 2011)에서도 가족이나 친구와

의 정이나 유대감과 같은 관계적 정서 경험 즉, 긍정적인 대인관계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의 맥을 같이한다고 할 수

있다. 긍정적 대인관계의 중요성은 국내에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서도 나타난

바 있는 결과로, 이는 우리나라 집단주의 문화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추측된다(구재선, 김

의철, 2006; 김경순 외, 2006;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김혜원, 김명소, 2000; 차경호,

1999, 2004). 즉, 집단주의적 문화가 강한 동양 문화권에 속하는 우리나라에서는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서 타인들과의 원만한 관계가 행복에 중요한 요소가 되며 긍정적인 대

인관계를 유지함으로써 긍정적인 정서를 더 자주 경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행복한 사

람들은 대부분 주변 사람들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만족감과 뿌듯함을 경험하는데

(Russell, 2008), 유아의 행복 증진을 위해 부모와 교사는 유아들에게 충분한 정서적 지원과

지지를 통해 유아가 심리적으로 안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바람직한 관계 지향

적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셋째, 유아들은 현재의 일에 집중하는 상황에서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는 현재의 작업에 주의를 기울이며 관심과 흥미를 바탕으로 경험하는 일에 몰입하는 상황

을 행복한 순간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일은 몰입의 경험과 다양하게 결합되며 무언가에 흠

뻑 빠져서 집중을 하는 상태를 의미하는데(Csikszentmihalyi, 1990/2004; Seligman,

2004/2009), 유아들 또한 행복한 순간을 몰입을 경험하는 상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구체

적으로 살펴보면 유아들은 책보기, 실뜨기, 장기 등 고도의 집중력을 발휘하여 과제를 수행

하는 과정에서 물 흐르는 것 같은 편안한 느낌을 경험하고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

는데, 이는 몰입의 경험은 행복한 순간을 확인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시간 개념의 왜곡현

상을 경험한다고 보고한 Csikszentmihalyi(1990/2004), Lopez와 Snyder(2003/2008), Seligman

(2004/2009)의 견해와 맥을 같이 한다. 이렇듯 몰입을 경험하는 것은 인생을 즐겁고 행복하

게 만드는 동인으로 작용하며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기틀을 마련한다. 유아들이 인식

한 몰입과 행복감의 정적 관련성이 있으며, 하루 중 몰입 시간이 많을수록 생활 경험의 질

이 향상되는데 특히 외재적 동기보다는 내재적 동기가 부여된 활동을 할수록 행복감의 정

도가 높아진다고 하였다(권석만, 2008). 또한 즐거운 몰두 상태인 몰입은 의미와 적극적인

태도가 함께 융합될 때 자신과 대상과의 강인한 연결감을 느끼며 생활 속에서 의미와 즐거

Page 22: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11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움을 발견하고 열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게 된다(박정주, 2010; Argyle, 2001/2005; Hoggard,

2005/2006). 이러한 맥락에서 살펴볼 때 본 연구에서 유아들이 인식한 현재의 일에 집중하

는 상황인 몰입은 행복감과 심리적, 정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

들의 행복감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유아들이 내적동기화를 통하여 자신과 대상에 열정적

인 연결감을 느끼고 대상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하며 분절된 교육과정의

운영보다는 시간과 공간이 통합되고 유아들이 자율성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함에 있

어 적극적인 참여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풀리지 않는 문제에 대해 생

각해보는 몰입의 경험의 기회를 유아에게 제공함으로써 몰입을 통하여 삶 속에서 행복감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넷째, 유아들은 정해진 규율에서 벗어나 새로운 변이를 이끄는 과정에서 행복감을 느끼

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는 교실에서 정해진 규칙에서 벗어난 행동을 하거나 일상적인

규율에서 주체성을 가지고 일탈을 경험하는 경우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기는 다양한 관계망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양방향성을 바탕으로 부모와 협력적인 관계를 추

구하고 사회적인 수용력 안에서 자신만의 변이를 추구함에 따라 유아들은 불공평한 힘의

관계에 있어 변형을 추구한다(곽영순, 2010; 정계숙, 김명애, 김혜금, 문혁준, 심희옥, 2007).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유아들은 매개효능감을 바탕으로 부모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

고, 힘을 조절하는 관계에서 자율성을 경험하고 권력의 관계를 새롭게 재구성하는 과정에

서 행복감을 느끼는 것이다. 또한 푸코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유아는 편재성과 일반성을 바

탕으로 문화, 규칙, 교육과정, 관계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통하여 유아들은 보다 힘을 많

이 가진 권력에 의해 주체의 맹목적 순응의 과정을 거치게 되어 통제소재가 약화된다(박병

락, 2000). 하지만 유아들은 자신이 발전과 심리적인 안녕감에 대해 통제를 행사할 수 있는

통제소재를 가질 경우 유아는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낙관성을 가지고 행복감을 느끼게

됨에 근거해 볼 때(권석만, 2008; Argyle, 2001/2005; Lopez & Snyder, 2003/2008;

Seligman, 2004/2009) 유아들은 내적통제소재를 바탕으로 자기조절의 기회를 가질 때 행복

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유아의 행복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권력과 제도, 훈육,

고정된 규범과 책임을 강요하는 과정에서 약한 힘을 행사는 수동적인 존재로 유아를 인식

하는 관점에서 벗어나 담론을 번복할 수 있는 통제소재를 가진 능동적인 존재로 유아를 바

라보는 관점을 가질 때 유아의 행복권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권력 체제가

규정하는 부분을 답습하기 보다는 저항하는 주체로서 유아의 생명을 살릴 수 있는 있는 교

육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겠다.

다섯째, 유아들은 힘든 상황을 극복하고 성취를 경험하는 상황에서 행복감을 느끼는 것

Page 23: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115

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들에게 어려운 과제로 인식이 되었지만 만족지연을 통한 노력 이

후에 느끼는 쾌감과 목표를 이룬 뒤 느끼는 만족감이 행복감으로 연결되어 나타났다. 김주

환(2011)과 Walsh(1998/2002)는 스트레스나 역경의 상황을 극복하고 성공적으로 이끄는 긍

정적인 힘의 하나로 회복탄력성이라는 개념을 소개하며 기존 체계의 변화와 도전적인 상황

에서 긍정적으로 적응하고 발달을 도모하는 역동적인 힘인 회복탄력성을 통하여 사람들은

행복감을 느낄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회복탄력성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삶을 긍정적

으로 바라보는 안목을 기를 수 있는데(이민규, 2004) 목표를 성취하는 경험, 지속적으로 노

력함으로써 실력이 향상되는 과정, 줄넘기를 할 때 줄을 넘지 못하거나 축구를 할 때 골을

넣지 못하는 등의 실패경험 이후에 느꼈던 긍정적인 성공의 경험이 긍정적인 정서와 연결

됨에 따라 행복한 상황으로 인식되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듯 유아들 또한 행

복감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시련과 고통 이후에 성공의 경험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행복감은 역경의 상황에서 역동적이고 탄력적인 기제를 발휘함으로써 느낄 수 있

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아에게 스트레스 상황을 극

복하고 행복감으로 느낄 수 있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회복탄력성과 관련된 내용을 교

육과정에 포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여섯째, 유아가 인식한 외적인 행복 조건은 가족, 건강, 돈, 교육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성은 한국인의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가족의 행복이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보고한

연구(김의철 외, 2012; 이종한, 박은아, 2010)와 맥을 같이하며 엄마, 아빠의 존재를 통하여

사랑하는 사람들과 친밀한 행복을 경험함으로써 ‘관계가 주는 행복’을 유아가 경험하며, 예

쁜 옷과 장난감을 소유하는 등 물질적인 풍요를 통해 ‘물질적 행복’을 유아들이 인식한다는

김성숙(2013)의 견해와 일치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건강과 교육이라는 외적인 요인이 유

아가 인식한 추가적인 행복의 조건으로 작용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행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7가지 요소 중의 하나로 가족관계, 재정, 건강이 중요하다고 보고한 미국의

종합사회조사결과(Gneral Social Survey) 및 건강, 가족관계의 감소가 행복 하락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게 보고된 세계가치관조사(World Values Survey)를 지지하는 결과이다(Layard,

2005/2011; Rath & Harter, 2010/2011). 하지만 Seligman(2011)과 Lyubomirsky(2008/2012)

는 연봉, 자산, 소유와 같은 물질적인 부는 최소 생활이 보장되는 일정한 수준이 보장될 경

우 더 이상 부는 행복과 정적인 상관을 가지는 요인으로 작용하지 못하며 교육, 학력 또한

행복을 보장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Vaillant, 2002/2010) 유아들이 인

식한 조건과는 다소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행복은 외적인 요인보다는 비교의 딜레

마에서 벗어나 삶을 낙관적으로 인식하고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기 위해 노력할 때 행복의

Page 24: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11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수준을 높일 수 있으므로, 유아기부터 행복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 및 생활태도

형성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일곱째, 유아가 인식한 내적인 행복 조건은 양보하기, 돕기, 감사하기로 나타났다. 양보하

기와 돕기는 긍정적인 사회관계를 보장하는 이타적 행동으로, 삶의 만족과 행복을 보장하

며(Lyubomirsky, 2008/2012; Russell, 2008; Walsh, 2002), 감사하기는 행복을 달성하기 위

한 메타 전략의 하나로, 긍정적인 대인관계와 정신적 건강을 이끄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권

석만, 2008; Lopez & Snyder, 2008/2003; Seligman, 2011).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성으로 인

해 만 5세 유아들은 양보하기, 돕기, 감사하기가 내재적 행복의 조건으로 인식하였음을 유

추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행복에 내적인 조건으로 주위화합, 평안함이 중요하다고

보고한 이종한과 박은아(2010)의 연구와 맥을 같이하며, 행복해지기 위하여 상대방을 배려

하고 사람들과 어울리는 등의 원만한 인간관계가 보장되어야 한다고 한국인의 토착적 심리

를 보고한 연구(김의철 외, 2012)를 타당화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감사하기는 현재의 순

간에 경이감, 고마움을 느끼는 것으로 주어진 삶을 음미하고 인정하며 통찰함으로써 자존

감이 높아지고 스트레스나 정신적 외상에 긍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도덕적 행동을 촉

진하는데 기여하며(Emmons & McCullough, 2003; Grant & Leigh, 2010/2013; Lopez &

Snyder, 2003/2008) 양보하기와 돕기와 같은 이타적 행동이 도덕지능을 높여 사회의 건강

한 성장과 행복의 지속성을 보장하는데 기여함에 근거해 볼 때(Seligman, 2011) 양보하기,

돕기, 감사하기와 같은 행복의 내적 조건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

가 있을 것이다. 긍정적 정서는 인지적, 사회적, 신체적 자원을 형성하고 축적할 수 있는

토대가 되기 때문에(Seligman, 2004/2009) 어릴 때부터 행복한 감정과 정서, 몰입에 대한

경험을 증진시키는 행복의 가치를 심어줄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결과 및 논의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

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므로 언어적 표현력이 부족하여 유아들이 인식한

행복한 상황에 대해 보다 풍부한 자료를 수집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부모 및 교

사를 대상으로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에 대한 내용을 수집한다면 유아가 경험하는 행

복의 특성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행복이라는 것은 주관적인 경험이며

개인마다 느끼는 행복의 강도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유아를 대상으로 행복한

상황과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면담과 활동지 분석방법

이외에도 심도 있는 관찰 및 현상학적 고찰을 통하여 유아가 경험하는 행복한 상황을 이해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Page 25: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117

참고문헌

강영욱(2009). 유아의 행복감과 행복개념에 대한 인식. 한영논총, 13, 451-477.

곽영순(2010). 질적연구-철학과 예술 그리고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2012). 5세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구재선, 김의철(2006). 한국인의 행복 경험에 대한 토착문화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2), 77-100.

국립 국어원(2013). http://stdweb2.korean.go.kr에서 2013년 3월 5일 인출.

권기남, 성미영(2010). 유아의 행복감이 행동문제 및 대인간 문제해결 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지, 19(2), 257-270.

권석만(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김경순, 김정남, 박원모, 천성문(2006).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구성개념 분석. 인문학논총,

11(1), 1-23.

김도란, 김정원(2008). 유아의 행복감과 부모의 행복감간의 관계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311-333.

김명소, 김혜원, 한영석, 임지영(2003).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분

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2(2), 1-33.

김명소, 성은현, 김혜원(1999). 한국 기혼여성(아줌마)들의 성격특성과 주관적 삶의 질. 한국

심리학회지 여성, 4(1), 41-55.

김미진, 김병만(2012). 생태유아교육현장에서 경험하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1(2), 29-55.

김성숙(2013). 유아가 인식하는 행복의 의미탐색. 유아교육연구, 33(3), 377-400.

김세희, 강순미(2008). 그림책 읽기 및 관련활동을 통한 유아의 행복에 대한 개념 확장. 어

린이문학교육연구, 9(2), 119-139.

김아영, 차정은(2003). 교사효능감 및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한 다측분석. 교육심리연구, 17(2), 25-34.

김연화, 강문희(2008). 아동의 성격유형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 아

동학회지, 29(6), 1-20.

김의철, 박영신, 박선영(2012). 청소년과 부모가 지각한 행복과 행복의 조건 및 불행에 대한

토착심리분석. 인간발달연구, 19(2), 197-225.

김주환(2011). 회복탄력성-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서울: 위즈덤하우스.

Page 26: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11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김지혜(2011). 어머니와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행복과 유치원 적응 및 문제행동과의 관계.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혜원, 김명소(2000). 우리나라 기혼여성들의 심리적 안녕감의 구조분석 및 주관적 안녕감

과의 관계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5(1), 27-41.

김희연(2001). 유아기 놀이행동에 있어서의 정서표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1(2),

319-341.

남인숙(2007). 행복감 계발에 관한 소고. 사회이론, 31, 217-248.

문상석, 염유식(2010). 학벌과 불행: 한국청소년의 주관적 행복도. 현대사회와 문화, 31,

73-136.

박병락(2000). 푸코의 권력과 주체 문제의 교육적 논의. 교육철학, 18, 73-89.

박정주(2010). 교사공동체가 교사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8(2), 191-211.

성보훈, 윤선아(2010). 행복의 정의와 발달단계별 결정요인. 뇌교육연구, 9(6), 103-134.

신명덕(2007).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 양육태도와 아동의 행복감간의 관계. 공주교

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지영, 오미경, 김지신(2011). 애착이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친구지지의 매개 역할. 아동학회지, 32, 63-89.

양난미, 이지연(2008). 교사들의 내적 외적 동기, 교수몰입과 행복감의 관계. 상담학연구,

9(1), 1-14.

유혜령(2001). 전통 아동 놀이 연구의 대안적 접근: 의미론적 해석. 교육인류학연구, 4(3),

153-177.

이경민(2009). 유아행복교육의 가능성 탐색 연구. 어린이미디어연구, 8(1), 165-181.

이미란, 김정원(2011). 영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헌신.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2),

243-260.

이민규(2004). 현대생활의 적응과 정신건강. 서울: 교육과학사.

이숙재(2007).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이은주(2010). 어머니와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행복과 유치원 적응 및 문제행동과의 관계.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화(2005). 초등학생의 행복감 측정을 위한 도구의 개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이종한, 박은아(2010). 내외적 자기개념, 행복조건, 사회비교와 자기존중감의 관계: 초·중·고·

Page 27: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119

대학생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6(4), 423-445.

이혜란(2011). 학교조직풍토, 교사효능감 및 교수몰입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재택(2008). 생태유아교육개론. 서울: 양서원.

정계숙, 김명애, 김혜금, 문혁준, 심희옥(2007). 부모교육. 서울: 창지사.

정계숙, 최은아, 강인설(2008). 아동의 행복 상황 및 판단에 대한 조사 연구: 문화적 특수성

접근. 아동학회지, 29(6), 1-17.

정대련(2012). 행복론의 관점에서 본 그림책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3), 325-354.

조경서, 남기원(2011). 유아의 행복감과 자아탄력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5(4), 161-178.

조운주(2007). 유아교사와 유아가 인식한 유아교사의 이미지 이해. 유아교육연구, 27(3),

315-335.

조채영, 임재택(2006). 생태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들의 놀이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열

린유아교육연구, 11(3), 145-168.

차경호(1999). 대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사회과학연구, 18,

575-595.

______(2004). 한국과 미국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1(3), 321-337.

편해문(2012). 아이들은 놀이가 밥이다. 서울: 소나무.

한국청소년상담원(1993). 청소년들의 행복도: 우리 청소년, 얼마나 행복한가. 청소년문제 토

론광장 자료집.

황해익(2013).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생태유

아교육연구, 12(2), 157-180.

황해익, 탁정화, 김미진(2012). 유아가 인식한 생태유아교사 이미지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1(1), 95-121.

Argyle, M.(2005). 행복심리학. (김동기 역). 서울: 학지사(원저 2001년 출판).

Csikszentmihalyi, M. (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cisco: Jossey-Bass,

Inc.

___________________(2004). 몰입: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난다. (최인수 역). 서울: 한울림.

(원저 1990년 출판).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Page 28: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12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Emmons, R. A., & McCullough, M. E. (2003). The Psychology of Gratitude. Oxford:

university press.

Grant, A., & Leigh, A. (2013).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정지현 역). 서울: 비즈니스북스.

(원저 2010년 출판).

Hoggard, L. (2006). 행복. (이경아 역). 서울: 예담. (원저 2005년 출판).

Holder, M. D., Coleman, B., & Singh, K. (2012). Temperament and happiness in

children in India.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3(2), 261-274.

Holder, M. D., Coleman, B., & Wallace, J. M. (2010). Spirituality, religiousness, and

happiness in children aged 8-12 year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1(2),

131-150.

Holder, M. D., & Klassen, A. (2010). Temperament and happiness in children.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1(4), 419-439.

Layard, R. (2011). 행복의 함정. (정은아 역). 서울: 북하이브. (원저 2005년 출판).

Lopez, S. J., & Snyder, C. R. (2008). 긍정심리평가 모델과 측정. (이희경, 이영호, 조성호,

남종호 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03년 출판).

Lyubomirsky, S. (2012).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오혜경 역). 서울: 지식노마드. (원저

2008년 출판).

Mitchell, C., & Weber, S. (1999). Reinventingourselvesas teacher. Philadelphia: Taylor

& Francis

Park, N., & Peterson, C. (2006). Character strengths and happiness among young

children: Content analysis of parental description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7(3), 323-341.

Rath, T., & Harter, J. (2011). 웰빙 파인더. (성기홍 역). 서울: 위너스북. (원저 2010년 출

판).

Rosenberg, M., Schooler, C., Schoenbach, C., & Rosanberg, F.(1995). Global self-esteem

and specific self-esteem: Different concepts, different outcom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0, 141-156.

Rogers, M. A. M., & Zaragoza-Lao, E. (2003). Happiness and children's health: An

investigation of art, entertainment, and recreatio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3(2), 288.

Russell, J. E. A. (2008). Promoting subjective well-being ar work. Journal of Career

Page 29: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121

Assessment, 16(1), 117-151.

Schiffrin, H. H., & Nelson, S. K. (2010). Stressed and happy? Investigating the

relatonship between happiness and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appiness Stuides,

11(1), 33-39.

Seligman, M. (2009). 마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 (김인자 역). 경기: 물푸레. (원저 2004

년 출판).

____________(2011).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NY: Free press.

Seligman, M. E. P., & Csikszentmihaly,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y, 55, 5-14.

Spradley, J. P. (2006). 참여관찰법. (신재영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저 1980년 출판).

Vaillant, G. E. (2010). 행복의 조건. (이덕남 역). 서울: 프런티어. (원저 2002년 출판).

Veenhoven, R. (1991). Questions on happiness: Classical topics, modern answers, blind

spots. In F. Strack, M. Argyle, & N. Schwarz(Eds.), Subjective well-being: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pp.7-26). Oxford: Pergamon Press.

Walsh, F. (2002). 가족과 레질리언스. (양옥경, 김미옥, 최명민 공역). 서울: 나남. (원저

1998년 출판).

Yang, Y. (2008). Social Inequalities in Happiness in the U.S. 1972~2004: An

Age-Period-Cohort Analysi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73(2), 204-226.

Page 30: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

12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Abstract

A study of five-year-old children’s happiness as measured by

the cognition of being happy and the condition of happiness

Hae Ik Hwang, Mi Jin Kim, Jeong Hwa Ta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gnition of being happy and the

condition of happiness in order to increase happiness in preschoolers’ lives. The participants

were 132 children aged five years old who attended kindergarten and a daycare center, For

the interview, all the objects were used for the image draw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cognition of being happy was classified into several different

categories: the happiness in play, the happiness relationship between family and friends, the

happiness in the flow of desirable experiences, the happiness of making the mutation process

in order to refuse to follow the rules, and the bearable happiness resulting from being able

to withstand difficult things. In addition, the condition of happiness was sorted by external

aspects(family, health, money, education) and internal aspects(making concessions, helping,

and expressing gratitude). This study established some ground rules for making desirable

happiness images and the results were characteristic with children’s recognition of the

cognition of happiness situ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