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도국 이슈리포트 - kemco.or.kr · 개도국 이슈리포트 5 ㅇ 필리핀은...

25
개도국 이슈리포트 동남아권역 필리핀 2016. 08 2 0 1 6 한국에너지공단 개도국이슈리포트

Upload: others

Post on 12-Sep-2019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개도국 이슈리포트동남아권역

필리핀2016. 08

2 0 1 6 한국에너지공단 개도국이슈리포트

CONTENTS

CHAPTER 1 필리핀 에너지 현황 ····································· 02

CHAPTER 2 필리핀 에너지 기관 및 정책 ····················· 07

CHAPTER 3 필리핀 에너지원별 현황 및 정책 ············· 14

CHAPTER 4 평가 및 전망 ················································ 22

동남아권역

2

CHAPTER 1 필리핀 에너지 현황

1. 에너지 수급 현황

1) 에너지 공급 및 생산

ㅇ 2012년 필리핀 내 소비된 1차 에너지원은 총 42.09 MTOE (Million Tonnes of

Coal Equivalent)임

- 이는 2011년 총 소비량인 39.80 MTOE에서 7.2% 증가한 것으로, 필리핀 내 1차 에

너지 소비량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ㅇ 2012년 필리핀 내 소비된 1차 에너지원의 약 62% (26.39 TOE)를 화석연료가

차지했으며, 나머지 38% (16.51 MTOE)는 지열에너지, 수력, 바이오매스, 바이

오 연료, 태양에너지, 풍력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원으로 구성되어 있음

- 지열에너지원은 필리핀 1차 에너지 믹스 중 상당히 높은 비중 (20.55%)을 차지하고

있으며, 필리핀 정부는 지열에너지원 개발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에너지원별 1차 에너지 총 공급 비율 (TPES, Total Primary Energy Supply), 2012]

ㅇ 필리핀, 화석 연료 중심의 에너지 구조 보유

ㅇ 필리핀, 에너지부문 수입 연료 의존도 높아

ㅇ 필리핀, 에너지 안보 제고 노력 중

개도국 이슈리포트

3

ㅇ 필리핀은 약 100 MMbbl (Million Barrels) 규모의 석유, 33.3 bcm (Billion

Cubic Metres) 규모의 천연가스, 그리고 45만 8천 톤 규모의 석탄 자원을 보

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됨 (2012년 기준)

- 필리핀은 수입 화석 연료에 의존적인 에너지 구조를 보유하고 있으며, 필리핀 정부는 에

너지 안보 확립을 위해 2000년도 초부터 에너지 의존도 개선 정책을 펼쳐 온 바 있음

※ 정부 차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석탄 수입량 증가로 인해 필리핀 에너지 자립도는

2009년 60%에서 2012년 56%로 하락함

2) 에너지 수요

ㅇ 2012년 필리핀의 최종 에너지 총수요는 23.3 MTOE였음

ㅇ 필리핀 경제 부문 중 에너지 소비 비중이 가장 높은 부문은 수송부문으로, 필

리핀 최종 에너지 총수요의 3분의 1 가량 (8.4 MTOE)을 차지함

- 가정 부문 (6.0 MTOE), 산업 부문 (5.8 MTOE), 상업 부문 (2.8 MTOE)가 그 뒤를 따름

ㅇ 필리핀 경제 부문 중 가장 높은 에너지 소비 증가율을 보이는 부문은 산업 부

문으로, 동 부문 에너지 소비량은 2030년까지 연평균 5.2%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필리핀 부문별 최종에너지 총 소비 (Total Final Energy Consumption), 2012]

ㅇ 필리핀 정부는 지난 10년간 산업 및 상업 부문 에너지원 단위 (Energy

Intensity) 개선 정책을 추진해 왔음

- 필리핀 산업 및 상업 부문 에너지원 단위는 개선되고 있는 추세이나, 정부 정책과 개

선 현상 간 직접적인 연관성은 아직 증명된 바 없다고 함

동남아권역

4

[산업 및 상업 부문 에너지 원단위 개선 추이, 2000-2012]

2. 전력 수급 현황

1) 전력 공급 및 생산

ㅇ 1990년부터 2015년까지 필리핀 내 총 전력 생산량은 25,649 Gwh에서 82,413

Gwh로 매우 빠르게 증가해 왔음 (연평균 증가율 4.8%)

- 필리핀은 보유 발전 설비 용량을 1990년 6,869 MW에서 2015년 18,765 MW까지 확

충하는데 성공하였으나, 빠르게 증가하는 전력 수요를 충당하기에는 부족한 상태로,

Visayas 제도와 Mindanao 지역은 아직도 빈번한 정전을 경험하고 있는 등 만성적인

전력 부족 문제에 시달리고 있음

- 필리핀은 최근 5년간 6%대의 경제 성장률을 보였으며, 향후 2년 경제 성장률또한 각

각 6,4%, 6.2%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바, 추가적인 전력 공급이 꾸준히 필

요할 것으로 전망됨

[총 전력 생산량 증가 추이, 2000-2012]

개도국 이슈리포트

5

ㅇ 필리핀은 화석연료 중심의 발전구조를 보유하고 있으며 (2015년 총 전력 생산

량 중 74.56%), 에너지원별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석탄임 (44.52%)

- 천연가스 (22.91%), 지열에너지 (13.40%), 수력 (10.41), 석유 (7.14%)가 그 뒤를 따르

며 풍력 · 태양에너지 · 바이오매스 등 그 외 신재생에너지원 비중은 미미한 상태 (합

계 1.525)임

ㅇ 2015년 필리핀의 총 발전 설비 용량은 18,765 MW로, 에너지원별 확보된 발전

설비 용량 비중이 가장 높은 것은 석탄이 아닌 천연가스임 (54.12%, 18,765 MW)

- 석탄 (17.20%, 5.963 MW), 석유 (19.41%, 3,610 MW), 수력 (10.38%, 3,600 MW), 지

열에너지 (5.53%, 1,917 MW)가 그 뒤를 따름

[에너지원별 발전량, 2015]

[에너지원별 발전 설비 용량, 2015]

동남아권역

6

ㅇ 필리핀의 총 발전 설비 용량은 2030년 25,800MW까지 증대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나 2030년 예상 전력 수요는 29,330MW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기에, 필리

핀은 지속적으로 전력 부족 문제를 겪을 것으로 보임

ㅇ 2015년 기준 필리핀 전력 공급률은 87.5%로 권역 내 국가 중 높은 편에 속하

나, 아직도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의 소규모 행정단위 (sitio)에는 정상적

인 전력이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ㅇ 2012년 필리핀은 전 세계에서 아홉 번째,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전력 가격이

높은 국가였음

- 높은 전력 가격은 필리핀 산업 경쟁력을 저해하는 주된 요소 중 하나이며, 필리핀 정

부는 전력 가격 인하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90년대부터 추진해 왔으나, 큰 효과를 거

두고 있지 못한 상태임

ㅇ 필리핀 에너지부는 국가의 전력생산을 크게 세 지역 (Luzon 섬, Visayas 제

도, Mindanao 지역)으로 나누어 구분, 분석함

- 2015년 Luzon 지역에서 생산된 전력이 전체 전력 생산량의 약 73%를 차지하며,

Visayas 제도 및 Mindanao 지역의 발전량은 각각 15%, 12% 차지하는 바, 지역별 발

전량 및 발전 시설 보유량 편차가 크게 나타남

※ 이러한 지역별 편차는 전력 수요와 지리적 특성에 기인하며, 석탄 화력 및 천연가스

발전소는 인구가 집중 된 Luzon 지역, 지열 발전소는 Visayas 제도에, 수력 발전소는

Mindanao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짐

2) 전력 수요

ㅇ 필리핀 가정, 상업, 산업 부문의 전력 소비량은 비슷한 편으로, 각 부문이

2015년 총 소비량의 33%, 30%, 33%를 차지함

- 20015년 전력 생산자 자체 소비분 (7,124 Gwh) 및 손실분 (7,481 Gwh)을 제외한 필

리핀 내 총 전력 소비량은 67,808 Gwh였음

[부문별 전력 소비량, 2015]

개도국 이슈리포트

7

CHAPTER 2 필리핀 에너지 기관 및 정책

1. 에너지 기관

ㅇ 에너지 탐사 · 개발 · 사용 · 공급 · 절약 등 필리핀 에너지 부문 전반을 아우

르는 계획, 프로그램 및 활동의 개발 · 조율 · 감독 · 평가 역할을 전담하고 있

는 기관은 1992년 필리핀 공공법 (Republic Act 7638)에 의해 설립된 필리핀

에너지부 (DOE, Department of Energy)임

- 필리핀 에너지부는 (i) 통합적이고 집약적인 자국 내 에너지원의 탐사 · 생산 · 관리 ·

개발 활동 및 에너지 절약 · 보존 및 에너지원의 효율적 활용을 통한 경제성 있는 가

격의 에너지의 지속적이고 충분한 공급, 이를 통한 지속적 경제 성장, (ii) 환경을 파

괴하지 않는 국가적 에너지 자립 및 전력 · 에너지부문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부 정

책 조율 · 통합 · 합리화를 주 목표로 활동하고 있음

ㅇ 필리핀 에너지부 산하에는 다음과 같은 여섯 개 부서가 있음

⓵ 에너지자원 개발부 (Energy Resource Development Bureau)

⓶ 신재생에너지 관리부 (Renewable Energy Management Bureau)

③ 에너지사용 관리부 (Energy Utilization Management Bureau)

④ 석유산업 관리부 (Oil Industry Management Bureau)

⓹ 에너지정책 계획부 (Energy Policy and Planning Bureau)

⓺ 전력산업 관리부 (Electric Power Industry Management Bureau)

[필리핀 에너지부 조직도]

동남아권역

8

ㅇ 필리핀 에너지부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개 국영기업의 관리 역할 또한 담당하고

있음

⓵ 필리핀 국영 전력 회사 (NPC, National Power Corporation)

⓶ 필리핀 전력청 (NEA, National Electrification Administration)

③ 필리핀 석유공사 (PNOC, Philippine National Oil Company)

④ 필리핀 전력거래소 (PEMC, Philippine Electricity Marketing Corporation)

⓹ 필리핀 발전자산채무관리공사

(PSALM, Power Sector Assets and Liabilities Management Corporation)

ㅇ 필리핀 에너지부는 ‘에너지 데이터 센터 (EDCP, Energy Data Center of the

Philippines) 운영을 통해 에너지 공급자, 잠재적 투자자, 연구자 및 학생에게

(유료로) 에너지 부문 정보 또한 제공하고 있음

ㅇ 에너지부 외 필리핀 에너지 부문 개발 및 관리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기

관으로는 (i) 필리핀 과학기술부 (DoST, Depart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산하의 ‘필리핀 산업 및 에너지 연구개발 위원회 (PCIERD,

Philippine Council for Industry and Energy Research & Development), (ii) 필

리핀 산업통상부 (DTI,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산하의 ’제품표준

부 (BPS, Bureau of Product Standards), 그리고 (iii) 필리핀 환경자원부

(DENR,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등이 있음

ㅇ 필리핀 에너지 부문 전반의 규제, 감독 및 공정 경쟁 장려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2001년 ‘전력사업개혁법 (EPIRA, Electric Power Industry Reform Act)’ 통해 창

설된 필리핀 에너지 규제위원회 (ERC, Energy Regulatory Commission)임

개도국 이슈리포트

9

2. 에너지 정책

1) 기후변화 대응 정책

① UNFCCC 제출 자발적 감축목표 (NDC,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ㅇ 필리핀은 2030년까지 BAU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70% 감축하겠다는 내용의

자발적 감축목표 (NDC)를 UNFCCC에 제출함

- 필리핀의 자발적 감축목표 달성은 국제사회의 자금 지원, 기술 이전 및 역량 강화 지

원 제공에 조건적임

※ 전력망 효율성 개선, 에너지 효율 규범 개발, 비용 효율적 신재생에너지원 발전 기술

및 고효율 석탄화력 발전 시스템 개발 등 에너지 관련 기술 분야가 필리핀 자발적

감축목표를 통해 언급한 주요 기술 협력 필요 분야임

- 필리핀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 활동은 (i) 에너지, (ii) 수송, (iii) 폐기물, (iv) 임업, 그리

고 (v) 산업 부문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예정임

- 필리핀 자발적 감축목표 (NDC)는 상기 언급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명시하지 않음 (유관 내용은 2011년 발표한 ‘국가 기후변화 행동 전략

(NCCAP, National Climate Change Action Plan)'에서 찾아볼 수 있음)

- 필리핀은 자발적 감축목표 (NDC)에 2006년 ‘바이오연료법 (Biofuel Act)' 제정, 2008년 ’

신재생에너지법 (Renewable Energy Act)'등 보완적 법률 제정을 통한 에너지 부문 기후

변화 대응 노력에 박차를 가해왔음을 언급함

ㅇ 필리핀의 자발적 감축목표 (NDC)는 ‘필리핀 개발계획 (Philippine Development

Plan)', ’기후변화대응 국가전략 (National Framework Strategy on Climate

Change)', '국가 재해 억제 및 관리계획 (National Disaster Reduction and

Management Plan)'에 의거하여 작성되었음

- 필리핀의 기후변화 정책 전반을 개발, 조율, 감독, 평가하는 주체는 2012년 창설된 ‘기

후변화 위원회 (CCC, Climate Change Commission)'이며, 정부 부처 간 조율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을 위한 내각 위원회 (CCAM, Cabinet Cluster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Mitigation 2011-2028)'임

② 국가 기후변화 행동 전략 (NCCAP, National Climate Change Action Plan 2011-2028)

ㅇ 필리핀이 ‘국가 기후변화 행동 전략’을 통해 정의한 주력 행동 분야는 다음과 같음

⓵ 식량 안보 (Food Security)

⓶ 수자원 확보 (Water Sufficiency)

③ 환경 및 생태 안정성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Stability)

④ 인간 안보 (Human Security)

⓹ 지속가능한 에너지 (Sustainable Energy)

⓺ 기후변화 산업 및 서비스 (Climate Smart Industries and Services)

⓻ 지식 및 능력 개발 (Knowledge and Capacity Development)

동남아권역

10

ㅇ 상기 언급된 주력 행동 분야 중 지속가능 에너지 부문 행동 목표는 다음과 같음

⓵ 국가적 에너지 효율 및 에너지 절약 장려

⓶ 지속가능한 에너지원 개발 촉진

③ 친환경 운송 수단 사용 장려

④ 에너지 시스템 및 인프라 개선

[필리핀 국가 기후변화 행동 전략 수록 에너지 부문 행동 전략]

*AO 110: Administrative Order No. 110 –Directing the Institutionalization of a Government Energy Management Program (GEMP) *AO 126: Administrative Order No. 126 –Strengthening the Measures to Address the Extraordinary Increase in World Oil Prices, Directing the Enhanced Implementation of the Government’s Energy Conservation Program, and for Other Purposes.

개도국 이슈리포트

11

2) 국가 에너지 정책

① 필리핀 에너지 계획 2012-2030 (PEP, Philippine Energy Plan 2012-2030)

ㅇ 현재 필리핀 에너지 부문 개발 방향을 규정하는 계획은 2012년 처음 반포되고

2013년 개정된 ‘필리핀 에너지 계획 2012-2030 (PEP, Philippine Energy Plan

2012-2030)’임

- 필리핀 에너지 계획 2012-2030의 구심점을 이루는 것은 보다 많은 국민에 대한 적정

가격의 에너지 서비스의 안정적 공급, 이를 통한 지역 생산성 개선 및 시골 지역 개

발 달성을 그 목표로 하는 ‘에너지 개혁 아젠다 (Energy Reform Agenda)’임

※ 표어: “Energy Access for More”

- 필리핀 ‘에너지 개혁 아젠다’ 3대 목표는 (i) 에너지 안보 확립, (ii) 에너지 가격 최적

화, (iii)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개발로, 필리핀 정부는 유관 부문 간 파트너쉽 구

축, 이해관계자 참여 촉진, 투명한 정책 개발 및 시행, ICT의 적극적인 활용 등 올바른

거버넌스 시스템 구축을 통해 목표 달성을 뒷받침할 계획임

[필리핀 에너지 개혁 아젠다 3대 목표 ]

- 필리핀 ‘에너지 개혁 아젠다’ 3대 목표 달성을 위한 계획 및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음

⓵ 자국 내 에너지원 개발

ü 화석연료 자원 탐사 장려

ü 국가 에너지믹스 중 신재생에너지원 비율 확충

⓶ 천연가스 이용 확대

ü 국가적 천연가스 마스터플랜 개발

(LNG 마스터플랜, 인프라 개발 마스터플랜, 시장 개발 마스터플랜, 산업부문 역

량 강화 마스터플랜 등)

③ 지속가능한 수송용 연료 사용 장려

ü 대체 연료 및 기술 도입 프로그램 시행 활성화

(바이오연료, CNG, Auto-LPG 차량, 전기차 등)

ü 대중교통 부문 전기자동차 기술 도입 장려

ü 대중교통 이용 장려

④ 에너지 효율 및 절약 의식 고취

ü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합리적 에너지 이용 장려 캠페인 (The Bright Now!

Campaign) 시행

ü 에너지 라벨링 프로그램 확대 및 표준화 촉진

ü 에너지절약 법안 (ENERCON Bill) 제정 지원

동남아권역

12

⑤ 전력설비용량 확충 및 전력 공급률 제고

ü 전력설비용량 확충

ü 송전 및 배전 네트워크 개선

ü Visayas - Mindanao 간 전력망 연결

ü Luzon - Visayas 까지 에너지 시장 확대

ü 스마트 그리드를 이용한 전력망 효율 개선

ü 가정 전력 공급율 개선

⑥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 설비 및 인프라 구축

ü 에너지 부문 기후변화 취약성 조사

ü 에너지 수요 및 공급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 조사

ü 설비 및 인프라 표준 조정 및 기후변화 대응 가이드라인 개발

ㅇ 필리핀 ‘에너지 개혁 아젠다‘ 는 다음과 같은 자국내 · 외 정책 시행 및 유관 목

표 달성 노력과 연계되어 시행되게 될 것임

⓵ 필리핀 대통령의 ’사회적 계약 (Social Contract)

ü 평등하고 참여적인 거버넌스 시스템을 바탕으로 한 에너지 계약 체결, 정보 전

달 및 교육 (IEC), 공공 협의 도출 활동 시행

ü 도서·산간 지역 전력 공급 확대, 에너지 효율 개선 및 에너지 절약, 정부 프젝트

대상 지역사회에 대한 지원 제공을 통한 빈곤 퇴치 및 역량 강화

ü 범국적인 에너지 제품 (석유) 및 에너지 서비스 (전력) 공급, 이를 통한 신속하고

평등하며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 달성

ü 에너지부의 적법하고 공평한 지역 에너지 개발계획 수립을 통한 법치 강화 및

평화 유지

ü 에너지 효율 개선 및 에너지 절약

ü 에너지 효율, 신재생에너지, 대체 연료 개발 프로젝트 시행을 통한 환경 보호,

기후변화 경감 및 적응

ü 양성 평등 실현 및 여성 역량 개발

⓶ ‘필리핀 개발 계획 2011-2016 (Philippines Development Plan 2011-2016)’

ü 포괄적 경제 성장

ü 빈곤 퇴치

⓷ UN의 ’모두를 위한 지속가능 에너지 (sustainable Energy for All)' 이니셔티브

ü 신식 에너지 서비스에 대한 보편적 접근권 보장

ü 2030년까지 전 세계 에너지 소비량 14% 절감, 이를 통한 에너지 효율 개선

ü 2030년까지 전 세계 에너지 믹스 중 신재생에너지원 비율 30% 달성

⓸ 아세안의 ‘2010-2015 에너지 협력 행동 계획 (APAEC, Plan of Action for Energy Cooperation 2010-2015)'

ü 아세안 파워그리드 (ASEAN Power Grid) 프로젝트 시행

ü 트랜스-아세안 가스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가스관 (Trans-ASEA Gas Pipeline) 프

로그램 시행

ü 석탄자원 개발 및 청정 석탄 기술 개발

ü 신재생에너지원 개발

개도국 이슈리포트

13

ü 에너지 효율 개선 및 에너지 절약

ü 범지역적 에너지 정책 및 계획 개발

ü 발전용 원자력에너지 개발

⓹ APEC의 ’녹색 성장 목표 (Green Growth Goals)'

ü 비효율적 석탄연료 보조금 단계적 철폐 및 합리화

ü 2030년까지 APEC 지역 에너지 원단위 (Energy Intensity) 25% (2005년 대비) 절

감, 2035년까지 45% 절감

ü 에너지 효율 개선 장려

ü 각국 경제 개발 계획에 저탄소 개발 전략 포함

[필리핀 에너지 개혁 아젠다 정책 프레임워크 ]

동남아권역

14

CHAPTER 3 필리핀 에너지원별 현황 및 정책

1. 석유 및 가스

ㅇ 필리핀은 2015년 1.2 MMbbl (Million Barrels)의 원유를 생산했으며, 53.38 BCF

(Billino Cubic Feet)의 가스 및 1.69 MMbbl의 콘덴세이트를 생산함

- 수입 화석연료 의존도 개선을 위해 필리핀 정부는 꾸준한 탐사, 생산 활동 확대 및

이를 위한 투자 장려 정책을 펼치고 있으나, 최근 저조했던 신규 석유 및 가스전 발

견으로 향후 10년간 필리핀 내 석유 및 가스 생산량은 크게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됨

- 이에 반해 향후 10년간 필리핀 내 석유 및 가스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

측되는 바, 필리핀은 석유 및 가스 수입국 지위를 유지하게 될 것임

ㅇ 현재 필리핀에는 총 면적 700,000 평방미터 규모의 16개 퇴적 분지가 존재하

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틀 퇴적 분지에는 4,777 MMbfoe (Million Barrels

of Fuel Equivalent)의 석유 및 가스 자원이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산됨

[필리핀 석유 및 가스 매장지]

개도국 이슈리포트

15

ㅇ 현재 필리핀에는 29개의 유효한 석유 및 가스전 개발 (Petroleum Service

Contract) 계약이 존재함

- 이 중 7개 계약은 생산 단계에 있으며, 나머지 22개 계약은 탐사 단계에 있음

※ 필리핀은 PECR (Philippine Energy Contracting Round)를 통해 석유 및 가스전 개발

권 입찰을 진행하며, 가장 최근 열렸던 입찰은 2015년의 PECR-5임

[현존 석유 및 가스전 계약 분포] [PECR-5 경매 대상 지역]

동남아권역

16

3. 석탄

ㅇ 필리핀은 석탄화력 중심의 발전 용량 확충 및 에너지안보 확립 정책을 펼치고

있는 바, 향후 필리핀 내 석탄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향후 필리핀 내 석탄 생산량은 연평균 4%로 증가하여 2020년 10.8 Mt (Million

Tonnes)에 이르게 될 것으로 추산됨

ㅇ 향후 필리핀 석탄 소비 증가율이 석탄 생산 증가율을 앞지를 것으로 전망되기

에 필리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석탄 생산 증대를 통한 에너지안보 확립 정

책에도 불구하고 필리핀의 석탄 수입 규모는 증가하게 될 것으로 예상됨

- 2012년 기준 필리핀의 석탄 총 소비량은 16,163 Mt으로, 2011년에 비해 약 13.6% 증

가한 바 있음

- 2012년 기준 필리핀의 석탄 총 소비량 중 약 42%가 자국내 생산분으로, 나머지 58%

는 수입분으로 충당됨

ㅇ 필리핀에는 12개의 확인된 석탄 매장지가 있으며, 그 부존량은 316 Mt에서 최

대 19 Bt (Billion Tonnes) 달하는 것으로 추산됨

[확인된 석탄 매장지]

개도국 이슈리포트

17

4. 전력

ㅇ 1980년대 말까지 필리핀 발전 및 송전 부문은 필리핀 국영전력회사 (NPC,

National Power Cooperation) 독점 체제로 운영되고 있었음

- 1986년 음마르코스 정부 몰락 이후 미진했던 정부 및 해외 투자자들의 전력 부문 투

자로 필리핀은 1992~93년 전국적으로 10~12시간 정전이 발생하는 등 심각한 전력

위기를 겪었음

- 필리핀 정부는 이에 대한 대응으로 1993년 ‘전력위기법 (Electric Power Crisis)' 및

1994년 'BOT 자금 조달 계약 확대법 (Expanded BOT Financing Law)’를 제정, 민간발

전사업자 (IPP) 참여 허용을 통한 발전 부문 투자 장려를 추진함

- 위와 같은 비상 정책의 추진 결과 90년대 필리핀 발전 설비 용량은 70% 확충되었으

나, 당시 건설된 발전소들은 낮은 자본비 대신 높은 운영비 투입이 필요한 타입으로

(e.x. 디젤 엔진 발전소 등)로, 운영비 대부분이 소비자에게 전가되게 되어 전력 가격

이 상승하는 결과를 낳음

ㅇ 필리핀 정부는 전력 가격 인하 및 안정된 전력 공급을 위해 2001년 ‘전력사업

개혁법 (EPIRA, Electric Power Industry Reform Act)’를 제정하여 전력 시장 개

혁을 시도했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⓵ 전력 부문 활동의 명확한 구분 (발전 · 송전 · 배전 · 서비스 4개 분야)

⓶ 국영전력회사 (NPC) 보유 발전소에 대한 점진적으로 매각을 통한 발전 부문 경쟁

체제 도입, 발전소 판매 수입을 이용한 국영전력회사 부채 청산

⓷ 필리핀 에너지 규제위원회 (ERC, Energy Regulatory Commission) 창설을 통한 에

너지부 규제 · 감독 및 공정 경쟁 장려

⓸ 공정하고 합리적인 전력 가격 책정

⓹ TRANSCO 창설을 통한 국영전력회사 (NPC) 송전 독점 종식 (역할 이전)

⓺ 전력도매시장(Wholesale Electricity Spot Market, WESM) 또한 창설을 통한 생산자

가 전력 직접 판매 허용

[필리핀 발전 부문 구조 - 전력사업개혁법 시행 後]

ERC: 에너지 규제위원회

(Energy Regulatory Commission)

PSLAM Corp: 전력자산 매각공사

NPC: 국영 전력회사 (National Power Corporation)

NEA: 국영 전력화 관리국

(National Electrification Administration)

WESM: 전력 도매시장

(Wholesale Electricity Spot Market)

SPUG: NPC 산하 소규모 전력설비 그룹

(Small Power Utilities Group)

TRANSCO: 국영 송전공사

(National Transmission Corporation)

DUs: 배전 설비업체 (Distribution Utilities)

PUs: 민간 설비업체 (Private Utilities)

ECs: 배전 협동조합 (Electric Cooperatives)

동남아권역

18

ㅇ 그러나 전력사업개혁법 제정을 시작으로 지난 15년 간 필리핀 정부가 펼쳐온

에너지 부문 개혁 정책은 성공적이지 않았던 것으로 평가됨

- 2015년 필리핀 전력 가격은 전력사업개혁법 제정 당시 (2001년) 대비 132% 증가함

※ 2012년 필리핀 평균 전력 가격은 kWh 당 미화 0.2026 달러를 기록함 (세계 9번째,

아시아 2번째로 높은 가격)

- 필리핀 전력 시장 구조는 국영전력회사 (NPC) 독점 체제에서 영리를 추구하는 소수의

대기업 중심의 과점 체제로 전환됨

※ 필리핀 발전자산채무관리공사 (PSALM) 점유율 및 국영전력회사 (NPC) 점유율은 각

각 18%, 6%로, 발전부문 국영기업 점유율은 총 24%에 불과함 (2012년 기준)

[발전 시장 점유 구도]

- 전력부문 활동 (발전 · 송전 · 배전 · 서비스) 구분 정책에도 불구하고 발전 및 송전

부문 설비의 동시 소유는 암묵적으로 허용되고 있는 관계로, Lopez, Aboitiz 등 소수

의 재벌가가 시장 지배력 (vertical & horizontal)을 행사하고 있음

- 전력도매시장 (WESM) 실패로 인해, 전력도매시장 外 거래 및 생산자간 담합이 성행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전력 가격 인하 정책이 실패로 돌아감

- 송전 부문 사업 권한은 TRANSCO로 성공적으로 이전되으며, 2009년 중국 국영기업

이 포함된 컨소시엄 National Grid Corp이 TRNASCO 운영권을 25년간 획득, 현재 운

영 중에 있음

- 배전 시장은 19개의 배전사 및 119개의 배전협동 조합회사로 구성되어 운영되고 있음

개도국 이슈리포트

19

5. 원자력

ㅇ 필리핀이 건설한 최초이자 유일한 원자력 발전소는 1976년 마르코스 정권 시절

에 착공하여 1984년에 완공이 된 621 MW급 Bataan 원자력 발전소이나, 마르코

스 정권의 부패 스캔들 및 부실시공 논란, 지진 안정성 우려 등의 문제로 완공

후 현재까지 가동되지 못하고 있는 상태임

- 전력난 심화에 따라 2009년경 Bataan 원전을 복구해 가동하는 방안이 논의되었으며,

복구 가능성 조사를 한국전력(KEPCO)이 맡아 시행한 바 있음,

- 조사 결과 Bataan 원전 복구 가동은 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었고, 그 비용은 10억 달러

(미화)가량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 바 있으나, 필리핀 정부는 복구를 위한 가시적인 움

직임을 보이고 있지 않은 상태임

동남아권역

20

6. 신재생에너지

ㅇ 필리핀은 2015년 자국 내 생산한 전력의 25.4% (20,962 Gwh)를 신재생에너지

원을 이용하여 생산함

- 에너지원별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지열 발전 (7.1%, 11,044 Gwh)로, 그 뒤

를 수력 발전 (10.51%, 8,664 Gwh) 과 풍력 · 태양에너지 · 바이오매스 등 그 외 신재

생에너지 발전분이 (1.5%, 1,254 Gwh)가 따름

ㅇ 필리핀은 2010년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9,865 MW 확충하는 내

용의 전력 개발 계획을 발표한 바 있음

- 필리핀이 보유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수력 발전

소로 (2010년 총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용량의 62.5%), 그 뒤를 지열 발전소

(36.7%)가 따름

- 필리핀은 수력 발전소 (2030년까지 5,394.1 MW 확충) 및 지열 발전소 (2030년까지

1,495 MW 확충) 중심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확충을 계획하고 있으며, 현재는 미

미한 수준 (2010년 기준 총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용량의 0.6%) 에 머무르는 풍력

발전설비 용량 또한 크게 확충할 (2030년까지 2,345 MW) 예정임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확충 계획, 2015-2030]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개발 현황, 2015]

개도국 이슈리포트

21

ㅇ 필리핀은 2012년부터 신재생에너지 발전차액제도 (FIT, Feed-In-Tariff)를 운영

하고 있음

※ 지열 발전 부문은 이미 필리핀이 충분히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바, 신

재생에너지 발전차액제도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었음

[신재생에너지 발전차액제도 현황, 2015]

동남아권역

22

CHAPTER 4 평가 및 전망

□ 필리핀 에너지 정책 검토 진행 중

ㅇ 현재 6개월 소요 예정의 필리핀 에너지 정책 재검토가 필리핀 기후변화위원회

(Climate Change Commission)를 중심으로 시행되고 있음 (지난 6월 시작)

- 위원회 결의안 No. 2016-001의 체결에 따라 결정된 본 재검토 계획은 필리핀의 석탄

의존도를 낮추고 신재생에너지원 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나, 전력 수요 충당과 전

력 가격 인하라는 난제를 동시에 해결해야 하는 필리핀의 상황 상, 국가 에너지 계획

에서 석탄화력 발전은 배제될 수 없을 것으로 보임

※ 지난 달 에너지부 장관으로 새로이 임명된 Afonso Cusi 역시 석탄화력과 신재생에너

지원간 균형 잡힌 개발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음 (이는 신규 석탄화력 발전소 건립

에 회의적인 입장을 피력한 신규 환경부장관 Gina Lopez의 발언에 대한 대응으로,

두 부처 간 석탄화력 발전소 건립을 둘러싼 대립 구조는 당분간 유지될 전망임)

□ 수입 연료 의존도 개선 어려울 전망

ㅇ 필리핀 정부는 에너지안보 확립을 위해 석탄을 중심으로 한 자국 내 화석 연

료 생산량 증대 정책을 펼치고 있으나, 예정된 다수의 신규 석탄화력 발전소

건립 계획으로 인해 향후 필리핀 내 석탄 소비 증가율은 석탄 생산 증가율을

크게 앞지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필리핀의 석탄 수입 규모는 증가하게

될 것으로 전망됨

※ 필리핀 광산협회 (COMP, Chamber of Mines of the Philippines) 관계자의 발표에

따르면, 필리핀 석탄 소비량은 2020년까지 연평균 1백만 톤의 속도로 증가하게 될

것으로 추산됨

□ 발전 용량 확충 노력 계속돼

ㅇ 금년 상반기 필리핀 정부는 총 49개 발전 프로젝트를 승인했으며, 신규 화석

연료 매장지 탐사 및 신재생에너지 개발 대상지 탐사에도 노력을 기울이는 등

자국 내 전력 수요 충당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음

개도국 이슈리포트

23

Reference

▐ 필리핀

구분 기관명

유관기관

Department of Energy

-Energy Resource Development Bureau

-Renewable Energy Management Bureau

-Energy Utilization Management Bureau

-Oil Industry Management Bureau

-Energy Policy and Planning Bureau

-Electric Power Industry Management Bureau

Depart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Philippine Council for Industry and Energy Research & Development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Bureau of Product Standards

Energy Regulatory Commission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National Power Corporation

National Electrification Administration

Philippine National Oil Company

Philippine Electricity Market Corporation

Power Sector Assets and Liabilities Management Corporation

National Transmission Corporation

Energy Data Center of the Philippines

Climate Change Commission

Cabinet Cluster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Mitigation

현지 정보처 The Philippine Star

Climate Change Commission

Department of Energy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Makati Business Club

Manila Broadcasting Corporation

동남아권역

24

국내 정보처 KOTRA 해외비즈니스 정보포털

기타 정보처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The Institute of Energy Economics, Japan

International Enterprise, Singapore

KPMG

Commercial Economic Consulting

World Coal

ASD Reports

Gulf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