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2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5, No. 2, pp. 217~244, 2016.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 * 박 영 근 ** 이 한 얼 *** < 요 약 > 본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들의 성공적인 지역사회 통합을 위해 요구되어지는 적합한 수준의 적응능력과 그에 따른 실질적이면서도 생활 중심적인 지원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지적장애 학생들의 적응능력과 이들이 가지고 있는 지원요구를 심도 있게 알아봄으로써, 지적장애 학생들이 성공적인 성인으로 살아가기 위한 전환계획 수립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먼저 지적장애아교육 교사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적응능력 수준 및 지원요구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를 수행하고, 양적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현재 적응행동 수준, 부족한 적응행동 기술, 지원요구의 정도 및 구체적인 지원요구에 관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교사들은 지적장애학생들이 적응행동 수준이 많이 떨어지고 구체적으로 시간 이해 및 엄수, 이동기술, 작업기술, 경제생활부분에 있어서 적응능력 수준이 많이 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에 따른 구체적인 적응행동 수준에 대해서는 심층 면담을 통해 제시하였다. 또한 지적장애 학생들의 지원요구의 정도와 구체적인 지원요구를 알아본 결과 고용, 사회적 활동, 평생학습, 지역사회생활, 가정생활, 건강ㆍ안전 모든 하위척도에서 확장 적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인 지원 요구에 대해서는 심층면담을 통해 제시하였 다. 핵심어 : 지적장애, 적응행동, 지원요구, 혼합연구 * 이 논문은 2016년 세한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쓰여진 것임 ** 세한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Assistant Professor, Special Education, Sehan University *** 울산 명덕 초등학교 교사 (교신저자: [email protected]) Ulsan Myeongdeok Elementary School

Upload: others

Post on 29-Oct-2019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5, No. 2, pp. 217~244, 2016.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

박 영 근** ㆍ 이 한 얼***

< 요 약 >본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들의 성공적인 지역사회 통합을 위해 요구되어지는 적합한 수준의

적응능력과 그에 따른 실질적이면서도 생활 중심적인 지원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지적장애 학생들의 적응능력과 이들이 가지고 있는 지원요구를 심도 있게 알아봄으로써, 지적장애 학생들이 성공적인 성인으로 살아가기 위한 전환계획 수립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먼저 지적장애아교육 교사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적응능력 수준 및 지원요구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를 수행하고, 양적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현재 적응행동 수준, 부족한 적응행동 기술, 지원요구의 정도 및 구체적인 지원요구에 관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교사들은 지적장애학생들이 적응행동 수준이 많이 떨어지고 구체적으로 시간 이해 및 엄수, 이동기술, 작업기술, 경제생활부분에 있어서 적응능력 수준이 많이 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에 따른 구체적인 적응행동 수준에 대해서는 심층면담을 통해 제시하였다. 또한 지적장애 학생들의 지원요구의 정도와 구체적인 지원요구를 알아본 결과 고용, 사회적 활동, 평생학습, 지역사회생활, 가정생활, 건강ㆍ안전 모든 하위척도에서 확장적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인 지원 요구에 대해서는 심층면담을 통해 제시하였다.

핵심어 : 지적장애, 적응행동, 지원요구, 혼합연구

* 이 논문은 2016년 세한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쓰여진 것임 ** 세한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Assistant Professor, Special Education, Sehan University*** 울산 명덕 초등학교 교사 (교신저자: [email protected])

Ulsan Myeongdeok Elementary School

Page 2: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2호)218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한 개인은 살아가는 동안 다양한 전환의 형태를 경험하게 되고 그 과정을 통해 개인의 발전을 성취해 나간다. 즉,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기능과 역할을 배움으로써(조인수, 2005), 학교를 다니는 학령기 시기를 넘어 성인이 되어서도, 고용과 취업을 통해서 우리 사회의 생산성 있는 사회 구성원으로써 통합된 삶을 살아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사회의 구성원들은 평생을 살아가는 동안 개인의 삶에 요구되어지는 기능과 역할들을 배워가며 실질적인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준비를 해나가는데 이것이 바로 전환교육이다. 최근들어 지적장애인 교육의 이슈와 과제는 그들의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둔 결과중심 전환교육서비스와 통합교육에 강조점이 두고 있으며 각 개체마다의 요구와 특성에 중점을 둔 사회성 기술교수에 중점을 두고 있다(조인수, 2011). 지적장애인들이 지역사회에 통합되어 살아가기 위해서는 이러한 사회성 기술을 포함한 바람직한 적응행동 기술을 갖출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적응행동은 개인의 동년배와 그들이 속한 문화 집단이 기대하는 독립성이나 사회적 책임감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정도(Kneedler, 1989) 혹은 인간에게 요구되어지는 환경의 요구 및 사회적인 기대에 따라 한 개인이 보여주는 효율성이라 할 수 있다(Heber, 1992). 지적장애인의 적응행동기술은 학교 및 이후의 사회에서 비장애인과 통합되어 원만한 생활을 하는 데 필수적인 것으로 구체적으로 적응행동에는 “독립기능, 신체발달, 경제활동, 언어발달, 수와 시간, 직업적 활동, 자기관리, 책임, 사회화 등의 기술을 포함한 개인의 일상생활, 가정생활, 학교생활 및 직장생활을 하는데 필요로 하는 기술” 등이 포함되어 있다(김승국 등, 1990). 대부분의 지적장애인들은 이러한 적응행동 기술의 결핍으로 인하여 일상생활 및 직장생활에서의 어려움 뿐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위치와 역할 수행이 어렵게 되므로 지역사회에 통합되는 데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김경애, 2007; 조인수, 2005).

최근들어 적응행동을 바라보는 관점은 개인의 독립성과 사회적 책임에 중점을 두고 접근하기보다 사회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개인과 환경적, 맥락적 상황과의 상호작용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리고 개인의 특성과 요구를 충족시키고 개인의 기능성과 환경간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한 차원에서 지원이 강조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적응행동과 지원요구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Spreat, 1999).

지적장애학생은 개인이 살아가는 상황과 환경에 맞는 적응행동기술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영역의 지원을 받아야 하고, 개별화된 적절한 지원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지원을 요구하는

Page 3: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 219

적응행동의 영역을 분명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지원의 개념은 장애를 가진 사람을 바라보는 우리 사회의 관점 및 그와 관계를 맺는

방식이 변화함에 따라 점차 강조되어 온 것으로, 지적장애학생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실질적이며 성공적인 사회 통합을 위하여 더욱 강조되고 있다(조인수, 2005; Sitlington & Clark, 2006). 지원의 개념은 개별화 교육 계획을 세우는데도 중요하다. 개별화된 교육 계획을 개발할 때 학생이 필요로 하는 지원에 초점을 맞추게 되면, 지역 사회에 통합되어 개인이 참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지원을 확인하고 계획할 수 있으며, 장애인과 그들의 가정 모두에게 가치 있는 결과를 제공하여 미래 지향적이고 결과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장애와 장애를 가진 사람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면서 지적장애학생들의 지역사회 참여 기회를 촉진하고 실질적인 통합을 이룰 수 있는 지원 방안이 강구되어 왔다. 그에 따라 지적장애학생의 지역사회 적응에 초점을 맞춘 적응행동에 관한 연구가 비교적 일찍부터 시작되었으며(권회연ㆍ이미애, 2013; 윤치연, 2000; 이달엽 외, 2004; 유정희, 2008), 다양한 프로파일을 가지는 지적장애학생의 개개인에 적절한 지원을 하고자 하는 노력에서 지원요구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민천식, 2012; 이옥인ㆍ박은영, 2013; 이한얼, 2011, 2012; Bossaert et al., 2009; Karrie et al., 2015; Schalock et al., 2008; Smit et al., 2011). 지적장애인의 지원요구에 관한 초기 연구에서 개인의 특성에 따라 불안정하게 나타나는 지원요구 측정 결과를 보완하고자 표준화된 도구인 적응행동척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사이에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Brown et al., 2009; Claes et al., 2009; Harries et al., 2005; Wehmeyer et al., 2009). 하지만 지적장애인의 진로 선택에 따른 지원요구를 밝힌 연구(이한얼, 2012)에서는 유사한 범주의 적응행동 수준을 가진 대상이 표집되었지만 진로 선택에 따라 지원요구 수준의 차이가 나타났다. 다양한 프로파일을 가지는 지적장애인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의 관계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와의 관계를 실질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는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장점을 함께 살린 혼합연구를 통하여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학생들의 적응능력과 이들이 가지고 있는 지원요구를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두 차원에서 탐구함으로써, 지적장애 학생들이 성공적인 성인으로 살아가기 위한 전환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Page 4: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2호)220

2. 연구의 목적

지적장애인이 성공적으로 지역사회에 통합되어 살아가기 위해서는 적합한 적응능력을 가져야 하고, 인간의 기능성과 환경의 요구와의 불일치를 해소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개인의 특성 및 요구에 맞추어진 개별화교육계획과 전환교육계획이 수립되고 적용되어야 하며, 사회생태학적 차원이 고려된 실질적이고 생활중심적인 지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개인에게 맞추어진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지적장애인들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들의 적응능력과 이들이 가지고 있는 지원요구를 심도있게 알아봄으로써, 지적장애 학생들이 성공적인 성인으로 살아가기 위한 전환계획 수립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인의 적응행동 특성을 밝힌다.둘째, 지적장애인의 지원요구 특성을 밝힌다.

Ⅱ. 연구 방법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혼합연구방법(Mixed method design)의 한 종류인 등위통합방법설계(equal status mixed method design) (염시창, 2001)를 활용하였다. 이는 양적인, 질적인 연구 방법을 거의 동등한 수준으로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는 방법으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적 및 질적 접근 방법을 활용하여 상호보완 하도록 함으로써, 연구 문제에 관한 심도 있는 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황윤세, 2013).

1. 연구참여자

1) 양적연구

양적 연구의 대상은 경상도 지역의 특수학교 고등부 혹은 전공과에 재학 중인 전환기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표집하였다. 연구 대상의 구체적인 특성은 <표 2-1>과 같다.

Page 5: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 221

<표 2-1> 연구 대상자 특성

변 인 빈 도(N) 비 율(%)

성 별남 54 52.9여 48 47.1

소속고등부 52 51.0전공과 50 49.0

장애 정도경도 (50 이상) 34 33.3중등도 (35~49) 30 29.4

중도ㆍ최중도 (34 미만) 38 39.3전 체 102 100.0

2) 질적연구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경상도 지역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부 혹은 전공과에서, 실제로 장애 학생들을 5년 이상 가르쳐 오고 있는 교사 1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 선정과정을 위해 먼저 해당지역의 고등학교 3학년 혹은 전공과에서 근무하는 교사 현황을 파악하여 예비 목록을 준비하였고, 학생들의 적응행동 및 지원요구에 대해 질적 면담에 참여할 수 있는지를 전화를 통해 물어보았다. 경상도 지역 고등부 및 전공과 교사들을 면담 참여자로 선정한 이유는 양적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대상자들과 최대한 유사한 특성을 가진 참여자를 선정함으로써, 양적연구만으로는 심도 있게 알아보지 못하는 학생들의 적응행동 수준과 지원요구에 대해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 연구에 참여한 교사 현황은 <표 2-2> 에 제시되어 있다.

<표 2-2> 연구 참여자 현황

학교 구분 직업 경력 소속 면담날짜

특수학교

특수교사 1 7년 전공과 2015. 4. 3특수교사 2 15년 고3담임 2015. 4. 3특수교사 3 12년 전공과 2015. 4. 6특수교사 4 17년 전공과 2015. 4. 6특수교사 5 7년 전공과 2015. 4. 6특수교사 6 5년 고3담임 2015. 4. 17특수교사 7 10년 전공과 2015. 4. 17

특수학급

특수교사 8 13년 고3담임 2015. 4. 20특수교사 9 7년 고3담임 2015. 4. 20특수교사 10 7년 고3담임 2015. 5. 15특수교사 11 8년 고3담임 2015. 5. 15특수교사 12 10년 고3담임 2015. 5. 18

Page 6: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2호)222

2. 면담 문항

1) 양적연구

적응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미네소타 대학의 장애인 지역사회 통합 연구소에서 Robert Bruininks의 연구진이 개발한 SIB-R(Scale of Independent Behavior-revised)을 백은희 등(2007)이 국내 표준화한 한국판 적응행동검사(K-SIB-R)를 사용하였다. 한국판 적응행동검사(K-SIB-R)는 표준화된 규준지향 검사도구로 가정, 학교, 지역사회 및 직장에서의 기능적 독립성과 적응 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표 2-3>에서 보듯이 적응행동검사의 구성 영역 내적 일관성 신뢰도(Cronbach’s α)는 각 하위척도별로 .91 이상을 나타내어 사정 도구로서 충분한 신뢰도를 갖추었다.

<표 2-3> 적응행동검사의 구성과 내적 일관성 신뢰도

영역 하위척도 신뢰도 계수

운동 기술대근육 운동 .91소근육 운동 .93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기술

사회적 상호작용 .94언어 이해 .93언어 표현 .94

개인생활 기술

식사와 음식 준비 .93신변 처리 .95옷 입기 .94개인위생 .94

가사/적응행동 .93

지역사회 생활 기술

시간 이해 및 엄수 .96경제생활 .92작업 기술 .95이동 기술 .93

전 체 .99

적응행동검사의 구성은 14개의 하위 검사 내 259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독립적 적응행동 문항과 문제행동 문항으로 나누어져 있다. 지원요구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AAMR (Thompson 등, 2004)이 고안한 지원강도척도(Supports Intensity Scale: SIS) 중 제1부 지원요구척도(Supports Needs Scale)를 번안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지원강도척도(Supports Intensity Scale: SIS)는 지원체계에서 지원요구의 종류 및 강도를 결정하기 위해

Page 7: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 223

설계된 다차원적 척도로 특별한 의학적ㆍ행동적 지원요구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몇 가지 삶의 활동 영역에 걸친 개인의 지원요구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어진다(Thompson 등, 2004; Schalock 등, 2010). 지원강도척도는 지원요구의 사정, 지원요구 강도의 결정, 과정의 점검, 지적장애 및 이와 관련된 발달 장애인의 결과를 사정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제1부 지원요구척도(Support Needs Scale)의 6개의 하위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내적 일관성 신뢰도(Cronbach’s α) 분석 결과는 <표 2-4>과 같다.

지원요구척도는 6개의 하위척도 및 49개 생활 활동(life activities)으로 구성되어 있고, 지원요구척도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각 하위 척도별로 .92 이상으로 충분한 신뢰도를 갖추고 있다.

<표 2-4> 지원요구척도의 구성과 내적 일관성 신뢰도

하위 척도 신뢰도 계수가정 생활 .92

지역 사회 생활 .96평생 학습 .95

고용 .98건강과 안전 .97사회적 활동 .96

전체 .99

2) 질적연구

질적 연구를 수행한 이유는 지적장애 특수학교 학생들의 적응행동 및 지원요구를 리커트(Likert) 척도를 통한 설문 조사로만 알아보는데는 한계가 있어, 특수교사들로 하여금 직접 본인의 의견을 기술하도록 함으로써, 좀 더 심도 있게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질적 면담의 내용은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이 학교생활 가운데 학생들의 적응해동을 지켜보고, 필요한 지원요구에 대해 평소 많은 고민을 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이 되어 두 가지 질문에 초점을 두어 면담을 실시하였다. 반 구조화된 면담 질문을 구성할 때 학생들의 적응행동 및 지원요구를 파악하려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문성이 있는 교수와의 토론 과정을 거쳐, 전반적인 면담의 틀을 만들고, 다른 교수 두 명을 통하여 내용 타당도를 검토하도록 하였다. 특수교사 두 명을 통하여 면담 문항을 살펴보도록 한 후, 그들이 조언에 따라서 문항을 수정하였고, 피드백에 따라 수정된 면담 문항을 이후 면담에 활용하였다. 면담 질문의 영역 및 구성 요인은 <표 2-5>과 같다.

Page 8: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2호)224

<표 2-5> 면담 질문 구성 요인

질문 영역 질문 내용

적응능력학생들의 적응능력 정도는 어떻습니까?

학생들이 어려움을 많이 보이는 적응능력에는 구체적으로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지원학생들에게 주어지는 지원의 정도는 어떻습니까?

학생들의 적응능력 정도에 따른 구체적인 지원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습니까?

3. 자료 수집

1) 양적 연구

연구 절차는 사전 준비 단계, 검사 실시 단계로 구분된다.사전 준비 단계는 검사자들에게 적응행동검사와 지원요구척도의 검사지 작성 요령을 설명

하고 검사지 작성 요령을 충분히 익히게 훈련한 다음 연구자와 동행하였다. 검사자는 특수교육 전공자 또는 특수교육 관련 분야에 종사자로 구성하였으며, 세부 구성원을 살펴보면 박사학위 소지자 2명, 석사학위 소지자 2명으로 총4명이다.

검사 실시 단계는 먼저 특수학교에 전화를 걸어 검사의 의의를 설명하고 측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협조를 구하여 이에 수용 의사를 보인 표집 기관 및 대상자를 표집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검사대상의 특성에 대해 파악하고 있는 특수학교 교사가 측정 내용에 따른 응답을 하면 검사자가 검사지에 기록하였으며, 검사 실시 이전에 응답자가 검사 목적과 측정 내용을 충분히 숙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총 자료수집 시기는 2015년 4월 3일부터 5월 18일이다.

2) 질적연구

질적 분석을 위한 면담은 현장기록노트와 녹음기를 활용하여 기록하였다. 연구자는 해당 학교의 교실을 찾아가 반 구조화된 면담을 수행하였다. 면담 시간은 약 30분이었다. 먼저 연구자는 해당 지역의 고등부 나 전공과 교사 현황을 파악하여 예비 목록을 준비하였고, 이전에 면담한 교사의 추천을 받아 참여대상자를 넓혀갔다(snowball sampling). 실제로 면담을 시작하기 전에는 면담 내용을 연구자 외에 아무도 접근 하지 못하고, 연구의 결과로 제시될 때도 면담자의 신분을 알지 못하도록 익명으로 제시된다는 사실을 알려줌으로써, 자신의 어려움과 생각을 솔직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려 하였다. 면담 전에는 면담 내용을 전사하기 위해 녹음이 필요함을 알리고, 동의를 구한 뒤 녹음하였다. 질적연구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면담내용을 녹음하는 것 외에 교사의 비언어적 메시지와 특이사항을 메모하였고, 면담 이외의 시간에 교실상황을 관찰해 보았다. 면담을 실시한 후에는

Page 9: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 225

이틀 안에 면담 내용을 전사하였고, 면담 결과를 분석할때에는 녹음된 면담자료 외에 따로 메모해 두었던 교사의 비언어적 메시지, 특이사항 들과 교실상황을 관찰한 것들을 참고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면담내용은 일주일 안에 전사하였다. 이러한 질적면담 과정은 2015년 4월 3일부터 5월 18일에 걸쳐 수행되었다.

4. 자료 분석

1) 양적연구

가 연구에 반영된 검사 결과의 자료 처리는 채점과 통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1) 채 점

적응행동검사(K-SIB-R)의 각 항목별 점수는 과제를 전혀 또는 거의 수행하지 못함(0점), 수행하지만 잘하지는 못함-전체 과제 중 약 1/4 수행-과제수행을 요구할 필요가 있음(1점), 꽤 잘 수행함-전체 과제 중 약 3/4 수행-과제 수행을 요구할 필요가 있음(2점), 매우 잘 수행함-항상 또는 거의 항상 수행-과제 수행을 요구할 필요가 없음(3점)을 기준으로 채점하여 하위척도별로 점수를 합산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적응행동 기술의 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지원요구척도(SNS)의 각 항목별 점수는 빈도(frequency), 지원 유형(type of Support), 일일지원시간(daily support time)의 세 가지 차원에 따라 지원의 강도가 채점된다(0~4점).

빈도는 각각의 목표 활동을 위해 필요한 지원 횟수를 측정하며, 일일지원시간은 지원이 제공되는 날에 지원이 필요한 시간의 양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며, 지원 유형은 개인이 항목에 있는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의 속성을 측정한다. 세 가지 차원에서 각 항목의 점수를 나타내며, 세 항목을 합산하여 각 하위영역별 지원요구 점수를 산정한다. 지원요구 점수가 높을수록 더욱 많은 지원을 필요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

(2) 통 계

자료의 통계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첫째, 지적장애인의 적응행동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각 하위척도의 기술통계량인 총점, 평균,

비율, 표준편차, 편포도, 첨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변인별로 차이 검증(t 또는 F)과 사후 검증(Tukey’s HSD)을 실시하였다. 둘째, 지적장애인의 지원요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각 하위척도의 기술통계량인 총점, 평균, 비율, 표준편차, 편포도, 첨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변인별로 차이 검증(t 또는 F)과 사후 검증(Tukey’s HSD)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 분석 프로그램은 SPSS 22를 이용하였다.

Page 10: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2호)226

2) 질적연구

지적장애 특수교사 고등부 및 전공과 교사 12명의 면담을 전사한 자료는 총 A4 87장 분량이었다. 면담 자료의 전사는 연구자가 직접 수행하였고, 전사 실시 이후에는 면담자에게 자료를 보내어 실제 본인의 면담 내용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도록 하였다. 연구자는 면담 자료를 반복해서 읽어가며, 특수교사들이 사용한 용어 및 문장들을 자세하게 분석하고 도출된 개념들을 범주화해 나가면서 관련 개념들의 연관성을 찾아서 유목화 해 나갔다. 이러한 지속적인 비교법을 통하여 기존의 개념들과 유사 혹은 관련된 내용이 나오면, 관련 개념 속으로 편성시켰고, 새로운 개념이 도출되면 새로운 범주를 생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주제의 범주, 영역, 관계 등을 살펴 종합적으로 분석 및 정리하였다. 교사들의 응답을 통하여 자료들의 내용을 분석하고, 개념화 혹은 유목화 해 나가는 중에 지적장애 학생들의 적응행동 및 지원요구에 대하여 전문성을 가진 교수와의 지속적인 토론 및 자문을 통하여, 연구 자료의 범주화, 유목화 과정이 오류가 없으며, 타당성을 가지는지를 검토하도록 하였다. 1차 초안을 작성한 후에는 면담에 참여했던 교사 중 2명을 선정하여 연구 결과 해석을 읽게 하였고, 연구자가 분석한 원자료와 이를 토대로 내린 해석 및 결론이 타당성이 있는지를 평가(member checking)해 보도록 하였다(차은주, 김영재, 2012). 이러한 범주화 과정을 통해 도출된 주제는 크게 “적응행동 기술 부족, 제한된 적응행동 영역, 학생 배경변인에 따른 적응행동 수준차이, 학생들의 지원요구 영역, 큰 요구를 지닌 지원요구 영역, 학생 배경변인에 따른 지원요구의 차이, 적응행동 수준과 지원요구의 관계” 였다. 이렇게 범주화 과정을 통해 도출된 주제를 양적연구 결과와 상호보충의 형태로 결과에 제시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지적장애인의 적응행동 특성

지적장애인의 적응행동 하위척도는 각각 다른 총합을 가지고 있어 평균값으로 영역 및 척도 간의 상대적인 비교를 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각 하위척도의 총합을 기준으로 평균값을 나눈 비율을 구하여 적응행동 하위척도의 수준을 살펴보았다. 지적장애인의 적응행동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표 3-1>과 같다.

Page 11: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 227

<표 3-1> 적응행동 하위척도의 기술통계량 (N=102)

영역 하위척도 총점 평균 비율 표준편차 왜도 첨도

운동 기술

대근육 운동 57 35.6 62.5 10.97 -0.05 -0.48

소근육 운동 57 34.0 59.6 11.77 0.14 -0.79

계 114 69.6 61.1 22.31 0.06 -0.67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기술

사회적 상호작용 54 29.3 54.3 12.63 -0.04 -0.73

언어 이해 54 22.7 42.0 10.77 0.20 -0.67

언어 표현 60 24.8 41.3 13.12 0.13 -0.87

계 168 76.7 45.7 35.19 0.13 -0.82

개인생활 기술

식사와 음식 준비 57 27.3 47.9 10.94 0.12 -0.79

신변 처리 51 33.2 65.1 12.93 -0.48 -0.50

옷 입기 54 31.1 57.6 11.61 -0.47 -0.28

개인위생 48 24.8 51.7 11.38 -0.22 -0.46

가사/적응행동 54 22.4 41.5 11.94 -0.10 -0.63

계 264 38.8 52.6 56.23 -0.27 -0.61

지역사회생활 기술

시간 이해 및 엄수 57 17.4 30.5 14.01 0.58 -0.87

경제생활 60 13.0 21.7 11.58 0.73 -0.58

작업 기술 60 14.4 24.0 11.81 1.14 0.95

이동 기술 54 16.3 30.2 11.43 0.65 -0.46

계 231 61.1 26.5 46.96 0.76 -0.33

전 체 777 346.3 44.6 152.26 0.21 -0.72

Page 12: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2호)228

적응행동 전체의 비율은 44.6%로 지적장애인들이 갖추어야 할 것으로 기대되는 적응행동의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적응행동의 수준을 영역별로 살펴보면, 운동 기술(61.1%), 개인생활 기술(52.6%),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기술(45.7%), 지역사회생활 기술(26.5%) 순으로 나타났다. 적응행동의 하위척도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신변 처리(65.1%)에서 가장 높고, 대근육 운동(62.5%), 소근육 운동(59.6%), 옷 입기(57.6%), 사회적 상호작용(54.3%), 개인위생(51.7%), 언어 이해(42.0%), 가사/적응행동(41.5%), 언어 표현(41.3%), 시간 이해 및 엄수(30.5%), 이동 기술(30.2%), 작업 기술(24.0%), 경제생활(21.7%) 순으로 나타났다. 지적장애인들은 대근육 운동과 소근육 운동을 포함한 운동 기술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적응행동 수준을, 지역사회생활 기술 영역과 하위척도인 경제생활, 작업 기술, 시간 이해 및 엄수, 이동 기술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적응행동 수준을 나타낸다. 지적장애인은 그들이 가진 특성에 따라 시ㆍ공간 개념을 포함한 일정한 지적 수준이나 정교한 기술을 요구하는 적응행동 영역에서 제한점이 두드러지며, 상황과 환경이 요구하는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상대적으로 운동 기술 영역에서 강점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지적장애인의 적응행동에서 제한점으로 나타난 영역에 대해 적절한 중재 및 지원이 집중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다.

다음에서는 심층 면담을 통해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부 혹은 전공과 학생들의 적응행동 수준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고등부 혹은 전공과에서 전환기 학생들을 담당하고 있는 대부분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은 학생들의 적응행동 기술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그 수준이 많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적응기술이 부족할 경우 취업도 어렵고, 취업을 한 뒤에도 고요을 유지해 나가는 데도 많은 어려움을 보인다.

학교에서 아이들을 미리 준비하고 가르치고, 학습시키고 적응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특수교육에서 아이들을 지역사회에 통합시키고, 생활에 적응시키기 위해서 기술을 가르친

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 아닐까요. 적응기술이 부족하면 직장생활도 어려워요. 저희가 충분

히 훈련을 시키지 못해서겠죠. 얼마전에 제가 가르치던 아이를 홈플러스 제과, 제빵 하는 곳에 취

업을 시켰었는데요. 여러 가지 문제가 많았어요. 대부분이 적응행동이 부족해서 생겼던 문제였었

죠. (7)

설문을 통해서 가장 많은 제한점을 보이는 적응행동영역으로 알려진 경제생활 영역에 대해서 교사3은 다음과 같이 이야기해주었다. 경제생활 영역이 부족한 경우 부모들은 그것을 이유로 아이들 스스로 경제생활을 할 여지조차도 주지 않고 그 돈은 모두 가져가 버리게 되고, 학생은 일을 하면 육체적으로 힘만 들뿐 일을 해야 하는 이유를 찾지 못하게 될 수 있다.

Page 13: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 229

우리 아이들이 스스로 노력해서 노력한 대가를 스스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해요. 그런데 이게 부족

하니깐 아이들이 돈을 벌면 부모님이 다 가지고 가 버려요. 부모님들 중에 아이들 월급을 자기들

통장으로 바로 받으려는 분들도 있어요. 저는 여기에 반대해요. 아이들이 일을 해서 스스로 돈을

관리하고, 자신을 위해 써 보고 해야 계속 일할 수 있는 동기부여도 되고 하거든요. (3)

적응행동 중 지역사회 생활기술과 관련해서 부족한 작업기술에 관해서 다음과 같이 교사들은 이야기해 주었다. 장애인들을 고용하고자 하는 업체들은 어느 정도 비효율적인 작업능력을 이해하고자 하지만 최소한 불량을 많이 내는 등 회사 재산에 피해를 입히는 정도는 아니라고 이야기 한다. 따라서 최소한의 작업수행능력은 꼭 필요한 적응능력이라 할 수 있겠다.

회사랑 연계해가지고. 그러니까 취직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해요. 또 일반

사업장은 보호작업장과 달리. 우리 애들은 주로 소규모 사업장에 많이 가니까 소규모에서 2~3개

일을 수행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1가지 일이 끝나면 다른 작업을 했을 때 할 수 있는 자발성이

있어야 해요. 우리같은 경우는 하나당 30원씩 받는데 불량내면 안되지요. 납기일를 지켜야 되거든

요. 그 과정속에서 불량이 나거나 하면 남의 재산에 피해를 입히니까 항상 신중히 하고. 남의 물건

을 소중히 지켜야 하구요. 이런 게 매우 중요합니다. (11)

하지만 작업기술에 관해서는 다른 의견을 가진 교사들도 많이 있었다. 어느 정도 작업능력이 되기만 하면, 고용을 유지하는데 있어 더 중요한 것은 인성 혹은 개인생활 능력, 자기관리 능력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일의 효율성이 조금 떨어지는 것은 이해가 될 수 있으나 인성적인 문제, 개인생활 및 자기관리 능력의 부재로 인해 다른 사람에게 피해가 가도록 하는 것은 고용주들이 이해하기가 어려운 부분으로 여겨진다.

일단은 기능보다는 인성이나 개인생활 능력이 중요해요.. 1시간에 100개를 조립할 수 있는 친구

가 있고, 200개를 조립할 수 있는 친구가 있는데, 어느정도 기초선만 넘으면 되요. 당연히 인성이

나 개인 생활능력, 자기관리 능력이 가장 우선인 것 같아요. 인성과 자기 관리 능력. (12)

적응행동 중에서 이동기술의 부족에 대해서 교사들은 다음과 같이 지적하였다. 지역사회 활동에 참여하거나, 취업을 위해서는 그곳까지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데 어느 정도는 옆에서 보조해 줄 수 있지만 일평생 그럴수는 없기 때문에 학령기 기간동안, 학령기 이후 최대한 빠르 시기에 이동기술과 관련된 적응행동은 갖출 필요가 있다.

저희반 아이들 경우에 기본적으로 이동하고 그런 게 불가능한 친구들이 있구요. 집에서 태워줘야

되고. 대중교통 이용할 수 없고. 그런데 취업을 하면 본인이 스스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

런 경우 많이 힘들어요. 부모님께서 아이를 위해 평생 직장까지 데려다 주고, 다시 집으로 데리고

오고 할 수는 없는 문제잖아요. (12)

Page 14: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2호)230

적응행동 영역 중 이동기술 다음으로 부족한 영역은 시간이해 및 엄수 와 언어표현 영역이었다. 특히 다른 사람과 어울려 살아가기 위해서는 주로 말을 통해서 의사소통을 하게 되기 때문에 언어능력의 부족은 부족할 경우 장애 학생들로 하여금 성공적으로 사회에 통합되어 살아가는데 큰 제약을 줄 수 있는 적응행동 기술이다.

학생들 중에 언어적인 능력이 떨어지는 아이들이 있어요. 혀의 구조상이라던가. 여러 가지 신체적

인 구조상 장애 때문에 말이 어려운 아이들이 많아요. 그런 학생들이 사회에 나가서 다른 사람들

과 통합해서 산다는 게 어렵잖아요. 학생들 중에 시간 관념이 부족한 아이들도 많이 있어요. 아무

데나 수업시간에 이탈하는 학생들, 약속시간을 지키지 않는 아이들, 그런 아이들은 시간 관념 부터

가르쳐야 해요. (1)

그 외에도 적응행동의 영역 중 부족한 영역으로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이 언급되었다. 학생들이 학교를 졸업한 이후에는 지역사회에서 통합되어 살아가야 하기 때문에 타인에 대한 배려심 부족, 협동심 부족은 주변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교육이 중요하다고 교사들은 인식하고 있다.

저희는 여러 가지 운동같은 활동을 다양하게 할 수 있게 하고 있어요. 아이들끼리 몸으로 부딪히

면서 서로 협조하고 양보하는 것도 배우게 합니다. 이런 걸 배워서 사회에 나가야지 다른 사람과

함께 원만하게 상호작용을 할 수 있어요. (5)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행동들이 학생들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련된 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 사회로의 통합을 저해하고 있다고 교사들은 인식하고 있다.

한 친구는 케익 만드는 곳에 취업을 시켰는데, 아주 우수한 친구와 부족한 친구를 함께 보냈어요.

그런데 같이 간 친구가 잔소리를 해서 자꾸 꼬집으니까 정말 잘하는 친구는 고용이 안됐어요. 자

꾸 꾀를 부리고 잘하긴 하는데 다른 친구를 꼬집고 그러니까. (6)

전체 지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분석에서 적응행동의 특성이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으므로 적응행동의 특성을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변인별로 차이 검증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적응행동 하위척도의 기술통계량 분석 결과에 따른 변인별(성별, 소속, 장애 정도) 차이 검증 결과는 <표 3-2>와 같다.

Page 15: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 231

<표 3-2> 변인별 적응행동 차이 검증 결과

영역별하위척도

성 별 소속 장애 정도

남(N=54)

여(N=48) t 고등부

(N=52)전공과(N=50) t 경도a

(N=34)중등도b(N=30)

중도ㆍ 최중도c(N=38)

F

운동기술

대근육 운동

34.6(10.89)

36.7(11.07) -.93 33.4

(10.38)37.8

(11.21) -2.06* 46.1(6.85)

36.1(6.88)

25.8(7.02)

77.26***

a>b>c

소근육 운동

32.9(12.44)

35.2(10.97) -.98 31.4

(11.75)36.7

(11.27) -2.34* 46.0(7.69)

33.9(6.96)

23.4(6.24)

94.81***

a>b>c

계 67.6(22.85)

71.9(22.71) -.97 64.8

(21.79)74.6

(21.97) -2.25* 92.1(14.02)

70.1(13.11)

49.1(12.46)

95.12***

a>b>c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기술

사회적 상호작용

29.0(12.09)

29.7(13.32) -.31 27.1

(12.84)31.6

(12.09) -1.84 40.7(8.80)

30.0(8.07)

18.6(8.78)

59.75***

a>b>c

언어 이해 21.7(10.52)

23.7(11.05) -.96 20.3

(10.68)25.1

(10.42) -2.28* 32.9(7.47)

23.9(6.46)

12.5(5.40)

90.83***

a>b>c

언어 표현 23.6(13.53)

26.0(12.68) -.91 22.5

(13.49)27.1

(12.44) -1.77 37.7(8.57)

25.7(7.20)

12.3(7.08)

99.40***

a>b>c

계 74.3(34.65)

79.5(35.96) -.74 69.9

(36.78)83.8

(33.47) -2.02* 111.4(23.40)

79.6(20.17)

43.4(17.94)

98.72***

a>b>c

개인 생활기술

식사와 음식 준비

26.1(11.22)

28.7(10.57) -1.23 24.8

(11.14)30.0

(10.17) -2.48* 38.0(7.47)

28.5(5.72)

16.8(5.57)

102.52***

a>b>c

신변 처리 32.2(13.13)

34.6(12.72) -.93 29.8

(14.18)36.9

(10.43) -2.88** 45.2(6.60)

35.5(6.34)

20.9(9.74)

87.14***

a>b>c

옷 입기 30.3(11.86)

32.0(11.38) -.72 28.3

(12.29)34.0

(10.16) -2.58* 41.7(6.63)

33.4(4.96)

19.8(8.50)

89.77***

a>b>c

개인 위생 23.5(11.78)

26.3(10.84) -1.25 22.2

(11.70)27.5

(10.47) -2.42* 36.2(6.17)

26.4(4.00)

13.3(7.19)

128.70***

a>b>c

가사/ 적응행동

21.3(12.43)

23.6(11.37) -.96 19.5

(11.86)25.3

(11.39) -2.53* 33.7(7.50)

23.9(5.79)

11.0(7.82)

90.48***

a>b>c

계 133.3(58.21)

145.1(53.84) -1.06 124.5

(58.71)153.8(49.84) -2.72** 194.7

(29.75)147.7(21.19)

81.9(35.09)

130.60***

a>b>c

지역사회 생활기술

시간 이해 및 엄수

15.9(14.29)

19.2(13.61) -1.20 14.7

(14.01)20.3

(13.56) -2.05* 33.0(9.29)

15.7(8.37)

4.9(4.23)

126.82***

a>b>c

경제생활 11.1(10.99)

15.1(11.98) -1.74 10.2

(11.59)15.9

(11.59) -2.54* 26.0(8.59)

11.2(5.70)

2.7(2.75)

133.83***

a>b>c

작업 기술 13.0(12.26)

15.9(11.21) -1.26 11.9

(11.33)16.9

(11.87) -2.18* 26.2(11.71)

13.2(5.38)

4.8(3.51)

70.33***

a>b>c

이동 기술 14.7(11.43)

18.1(11.27) -1.53 13.8

(10.90)18.8

(11.51) -2.24* 28.5(8.53)

14.8(6.52)

6.5(4.43)

100.20***

a>b>c

계 54.6(47.35)

68.3(46.93) -1.47 50.6

(45.39)71.9

(46.54) -2.33* 113.7(34.53)

54.8(22.71)

18.9(12.2)

134.95***

a>b>c

전 체 329.8(154.15)

364.7(149.55) -1.16 309.9

(153.16)384.0

(143.23) -2.52* 511.8(89.54)

352.2(60.15)

60.9(47.42)

173.54***

a>b>c

*p < .05, **p < .01, ***p < .001

Page 16: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2호)232

<표 3-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적응행동의 변인별 차이 검증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적응행동의 모든 영역과 하위척도를 포함한 전체(t=-1.16)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소속에 따른 차이는 언어표현을 제외한 하위척도와 모든 영역을 포함한 전체(t=-2.52)에서 5% 수준으로 유의차가 나타났으며, 고등부(M=309.9, SD=153.16)에 비하여 전공과(M=384.0, SD=143.23)의 적응행동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장애 정도에 따른 차이는 모든 하위척도와 영역을 포함한 전체에서 .1% 수준(F=173.54)의 통계적 유의차가 나타났으며, 경도(M=511.8, SD=89.54), 중등도(M=352.2, SD=60.15), 중도ㆍ최중도(M=60.9, SD=47.42) 순으로 장애 정도가 가벼울수록 적응행동 점수가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요약하면 변인별로 차이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적응행동 수준의 차이는 없다. 소속에 따른 적응행동 수준의 차이는 언어표현을 제외한 하위척도와 모든 영역, 전체에서 전공과가 고등부보다 높다. 모든 적응행동 영역과 하위척도, 전체에서 장애 정도에 따른 차이가 있으며, 경도, 중등도, 중도ㆍ최중도 순으로 적응행동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장애의 정도가 무거울수록 보다 많은 중재 및 지원을 필요로 한다.

심층 면담을 통해서도 전공과 학생들이 고등부 학생들에 비해서 대체로 적응행동 능력의 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고등부 학생들 중에서 대체로 적응행동 및 생활기술 능력이 다소 높은 학생들이 전공과에 선발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교사들은 이야기 한다. 지금 현재 지적장애 특수학교를 보면 고등학교를 졸업하면서 바로 취업이 되는 학생들은 극히 드문 일이라, 어느정도 장애가 심하지 않은 학생들의 부모들은 고등부를 졸업하고 전공과로 진학하는 것을 당연한 일로 생각하고 있는 듯하다. 그 이유는 직업에 초점을 맞춘 교육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는 전공과를 통해서 취업을 하는 사례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라고 이야기 한다.

대부분의 어머니들은 고등학교를 졸업한 자녀들이 전공과에 입학하기를 원해요. 그런데 전공과에

는 티오가 정해져 있어서 고등학교 모든 학생들이 전공과에 들어오지는 못해요. 고등학교를 졸업

하고 바로 취업을 하기는 사실상 힘들기 때문에 많은 부모님들이 자녀들을 전공과에 보내길 원해

요. 사실 전공과에 와서 취업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이 있어요. 좀더 많은 학생을 뽑았으면 하는

데 그게 쉽지 않은게 현실입니다(8)

뿐만 아니라 면담을 통해서 알아본 바로도 대체로 장애의 정도가 심해질수록 적응행동의 수준이 낮다고 교사들은 언급하였다. 장애가 심할수록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의 범위가 줄어들게 되고, 모든 영역에서 적절한 지원이 주어지지 않으면 생활자체가 어려운 학생들도 많이 있다.

실제로 중증장애를 가진 학생을 보면 굉장히 어려운감이 있어요. 그러니깐 거의 독립생활이 불가

능하고,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이 없어요. 대부분을 교사들이 도와주어야 하고 학교를 졸업한 이후

에 취업도 많이 힘들것으로 여겨지는 아이들이 있어요 어떤 지원을 해 주어야 하겠는데 모든 영역

에서의 지원이 필요해서 상당히 많은 인력 및 지원이 필요해요 (2)

Page 17: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 233

2. 지적장애인의 지원요구 특성

지적장애인의 지원요구 특성을 분석한 결과, 지원요구 하위척도의 기술통계량은 <표 3-3>과 같다.

<표 3-3> 지원요구 하위척도의 기술통계량 (N=102)

하위척도 총합 평균값 비율 표준편차 왜도 첨도

가정생활 92 47.6 51.7 20.82 -.070 -.779

지역사회생활 91 48.5 53.3 17.79 -.198 -.476

평생학습 104 56.3 54.1 19.76 -.092 -.619

고용 87 53.5 61.5 19.18 -.251 -.944

건강ㆍ안전 94 48.1 51.2 19.60 -.404 -.677

사회적 활동 93 51.6 55.5 18.56 -.299 -.685

전 체 542 305.5 56.4 106.58 -.167 -.789

AAIDD의 지원 강도에 따른 지적장애 분류 기준을 바탕으로 검사 결과에 따른 비율의 25% 미만은 간헐적 지원, 25% 이상 50% 미만은 제한적 지원, 50% 이상 75% 미만은 확장적 지원, 75% 이상은 전반적 지원으로 구분하여 지적장애인의 지원요구 수준을 살펴보았다.

지원요구 전체(56.4%)의 수준은 대체로 높고 확장적 지원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지원요구의 하위척도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고용(61.5%)의 지원요구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사회적 활동(55.5%), 평생학습(54.1%), 지역사회생활(53.3%), 가정생활(51.7%), 건강ㆍ안전(51.2%)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용, 사회적 활동, 평생학습, 지역사회생활, 가정생활, 건강ㆍ안전의 지원요구의 모든 하위척도가 확장적 지원에 해당된다. 모든 영역에 있어 충분한 지원이 제공되어야 하겠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높은 지원요구를 필요로 하는 고용 활동에 다른 척도보다 더 많은 지원이 집중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다.

다음에서는 심층 면담을 통해 얻을 자료를 바탕으로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부 혹은 전공과 학생들의 지원 요구를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많은 교사들은 지적장애를 가진 학생들에게 있어 가장 큰 지원이 필요한 영역을 고용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고용을 위한 지원들 중에서는 무엇보다도 이 일을 담당할 수 있는 충분한 인력이 중요하다고 교사들은 면담에서 언급하였다. 학생들을 취업 시키고, 고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 교사가 학교에서 업무를 보기 보다는 실제로 취업 현장에 가서 학생들을 직접 직무지도 하거나, 회사 관계자 및 실무자와 직접 접촉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Page 18: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2호)234

우리 아이들을 취업을 시켜서 고용이 유지되는 게 가장 중요하잖아요. 그러기 위해서는 인력이 필

요한데 적은 인력으로는 안되요. 직업 교육은 발품을 팔지 않고서는 안되요. 기관에 1번 갈 때 다

르고 2번 갈 때 달라요. 끝없이 설명해야 되구요. 직업지도를 하면서도 늘 가서 실질적으로 아이

가 같이 일하는 가장 근접한 사람과의 관계 유지가 중요해요. 실무자와의 관계가 나쁘면 굉장히

힘들어요. 그래서 직무지도라는 게 정말 그 아이에게 필요하지만 그거만큼 중요한 게 실무자와의

관계 유지. 그래서 전화나 수시로 물어보고 그럼 도움이 되죠. 그런 관계 유지가 굉장히 중요해요.

그래서 취업만 시키고 끝내는 게 아니라 그런 것들이 정말 중요해서. (5)

고용 지원을 위해 충분한 인력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에 대해 다음과 같이 교사 10은 이야기 하였다. 교사 10은 특별히 관계지향적인 면에서 교사의 지원이 필요함을 언급하였는데, 학생들이 취업 현장의 사람들 사이에서 있을 수 있는 관계적인 측면의 지원을 위해서 교사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좀 어려운 게 왜냐하면 애들이 장애가 있다보니까 한 두가지는 문제점이 있는 거에요. 사업체에

가면. 그걸 이제 적응시키기 위해서 일대일로 붙어있어야 되는 거에요. 사업체에 적응하는 동안에.

그러니까 생소한 사업장에 우리 친구도 그곳이 생소하겠지만, 선생님도 생소하고, 거기 계시는 분

들도 생소하고. 그게 참 불편하더라구요. 그 사람들한테 불편함을 주잖아요. 그걸 극복하고 우리

아이가 거기서 친하게 지내기 위해서는 첫 번째 그사람들하고 친화력을 만들어야 되는 거에요. 그

걸 교사가 해야되는 거에요. 그리고 우리 아이들이 갖고 있는 문제점들을 그분들이 이해하기 위해

서는 설명도 해줘야 되고. 이런 문제가 있을 땐 어떻게 해라. 그런 것 까지 다 이야기 해줘야 되니

까. 그래서 계획 없이는 우리 아이들을 취업 시키기가 그런 부분들이 있어요. (10)

지적장애 학생들의 고용을 위한 지원에서는 단순히 개인적인 지원이 아니라 체계적인 사회적 시스템이 구축될 필요가 있다. 학교 현장의 교사, 장애인 고용공단 등의 관계자들 간의 적극적인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일단 첫째 나 혼자 힘으로 못하니까. 연계를 통해서 공단이든 관련 기관 연계가 되어야 할 것이고.

회사가 일정 이상되면 고용을 해야 되잖아. 그래서 공단하고 계속 연계를 하고. 그럼 공단에 요청

을 하고. 우리 애들을 공단에서 평가하니까. 여러가지 프로그램에 우리 애들을 등록해놨다고. 포장

을 하든 조립을 하든 회사에 고용이 필요하면 이런 애가 괜찮다. 이런 걸 알려주고 부모하고 같이

가보기도 하지. 면접도 보고, 통과가 되면 3주 훈련을 하지. 훈련 기간엔 나도 들어가는거지. (11)

지적장애를 가진 학생들의 사회적 활동을 위한 지원으로 많이 언급되는 부분은 여가활동에 관한 것이었다. 학생들이 일을 하게 되더라도 주말에는 시간이 많이 남게 되고, 그 시간을 여가활동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보낼 필요가 있다. 그래야 학생들도 삶의 만족도도 올라갈 뿐만 아니라 자존감도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여가활동은 학령기 동안 해보지 않은 경우 성인이 되었을 때 갑자기 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학령기 동안 학생들이 할 수 있을 만한 여가

Page 19: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 235

생활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

우리가 나이가 들어서도 삶의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여가 생활에 대한 지원이 많이 필요해요. 얘

들이 뭘 하면 즐거워서 혼자서 찾아가고 즐길 수 있는 여가 생활에 대한 지도를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그래서 동아리 활동 시간을 통해서 사진 관련 수업을 받자. 그래서 사진 강사

를 불러가지고 학생들한테 사진을 찍게 했어요. 사진을 가지고 놀 수 있는거. 그래서 자기가 그걸

쳐다보고 하는 그런 여가생활에 대한 기술들이 필요합니다. 시간을 잘 보낼 수 있는 것들을 가르

치는 게 매우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1)

전체 지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분석에서 지원요구의 특성이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으므로 지원요구의 특성을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변인별로 차이 검증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지원요구 하위척도의 기술통계량 분석 결과에 따른 변인별(성별, 연령별, 장애 정도) 차이 검증 결과는 <표 3-4>와 같다.

<표 3-4> 변인별 지원요구 차이 검증 (N=102)

하위 척도

성 별 소속 장애 정도

남(N=54)

여(N=48) t 고등부

(N=52)전공과(N=50) t 경도a

(N=34)중등도b(N=30)

중도ㆍ 최중도c(N=38)

F

가정생활 48.1(21.06)

46.9(20.76) .29 57.8

(17.15)36.9

(18.99) 5.83*** 31.9(16.82)

46.9(19.36)

62.1(13.97)

29.57***

c>b>a

지역사회생활 49.2(18.22)

47.6(17.44) .47 55.7

(14.22)40.9

(18.13) 4.58*** 35.1(14.84)

48.8(15.91)

60.2(12.77)

27.12***

c>b>a

평생학습 57.3(19.89)

55.2(19.75) .53 64.8

(17.37)47.4

(18.26) 4.92*** 42.7(17.13)

55.1(16.85)

69.5(15.22)

24.15***

c>b>a

고용활동 55.3(18.66)

51.5(19.74) 1.00 63.0

(16.05)43.7

(17.21) 5.86*** 41.8(16.25)

51.3(19.50)

65.8(13.62)

19.61***

c>b>a

건강ㆍ 안전 48.2(20.08)

48.0(19.26) .03 57.8

(15.41)38.1

(18.53) 5.85*** 36.4(17.53)

45.2(19.35)

60.9(13.38)

20.07***

c>b>a

사회적 활동 53.8(18.03)

49.1(19.02) 1.27 59.4

(16.54)43.4

(17.09) 4.80*** 41.3(15.29)

49.0(19.78)

62.8(13.91)

16.16***

c>b>a

전 체 311.9(106.85)

298.3(106.95) .64 358.4

(85.90)250.4(97.33) 5.91*** 229.1

(87.27)296.3(98.17)

381.2(73.11)

28.45***

c>b>a

***p < .001

지원요구의 변인별 차이 검증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지원요구의 모든 영역과 하위척도를 포함한 전체(t=.64)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소속에 따른 차이는 지원요구 모든 하위척도를 포함한 전체(t=-5.91)에서 .1% 수준으로

Page 20: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2호)236

유의차가 나타났으며, 고등부(M=358.4, SD=85.90)에서 전공과(M=250.4, SD=97.33)에 비하여 지원요구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지원요구 전체에서 장애 정도에 따라 .1% 수준(F=28.45)의 통계적 유의차가 나타났으며, 중도ㆍ최중도(M=381.2, SD=73.11), 중등도(M=296.3, SD=98.17), 경도(M=229.1, SD=87.27) 순으로 장애 정도가 무거울수록 지원 요구 강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양적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지원요구 하위척도의 기술통계량 분석 결과에 따른 변인별로 차이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다. 지원요구 전체와 모든 하위척도에서 소속에 따른 차이가 있으며, 고등부 학생들이 전공과 학생들보다 지원요구 수준이 높다. 장애 정도에 따라 지원요구의 수준의 차이가 있으며, 장애 정도가 무거울수록 높은 지원을 필요로 한다. 중도, 최중도의 학생의 경우, 특히 평생학습, 고용, 가정생활에서 지원요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높은 지원요구 수준을 보이는 활동 요인의 특성을 파악하여 개인의 요구에 들어맞는 지원을 제공하여야 한다.

교사들에 따르면 지원요구에 있어서 성별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교사4는 이야기 하였다.

남자 아이들과 여자아이들은 필요한 지원의 종류가 조금씩 달라요. 예를 들면 남자 아이들은 굉장

히 활동적이고 여자 아이들은 정적인 편이에요. 그래서 그에따른 지원의 종류가 달라지는 것 같아

요. 하지만 모두 아이들이 다 많은 지원이 필요하고 그 정도에는 큰 차이가 없어요(4)

교사들에 따르면 지원요구에 있어서 소속에 있어서는 고등부 학생들의 지원요구가 전공과 학생의 지원요구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과 학생들 보다 고등부 학생들의 지원필요가 높아요. 왜냐하면 고등부 아이들 중에서 잘 하는

아이들이 전공과로 올라와서 아이들의 수준이 많이 높아요. 대체적으로 지원의 정도는 많이 줄어

드는 편입니다. 아이들도 전공과는 고등부 아이들보다 한 반에 훨씬 많이 소속되어 있어요. 고등부

아이들만큼 많이 도와주어야 하면 그렇게 많은 학생들을 한 반에서 가르치지도 못해요(9)

장애 정도에 있어서는 장애의 정도가 무거울수록 지원의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애의 정도가 심할수록 고등학교를 졸업한 이후 대학기관과 같은 곳에서 교육을 계속 받아나가는 평생학습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교사3은 언급하였다.

거기 분위기가 물론 그 아이에게 학생들이 주위에서 도와주면 되는데. 과제를 낸다거나.. 왜냐하면

우리가 대학교 들어가면 교양 과목부터 다 이수를 해야되잖아요. 그런 것도 그렇고, 또 한 영역에

서 잘하면 다행인데 그런 애들이 지금까지 졸업한 애들 중에 몇 명 되요. 굳이 나쁘다고 표현은

안하는데, 가서 본인도 즐거워하고, 부모님도 만족하면 좋은데 학생이 전화가와서 그만둔다. 1년만

Page 21: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 237

하고 그만두는 애들도 있고. 지금은 또 다를수도 있어요. 미래대나 대구대는 장애인 전형으로 뽑기

때문에. 근데 몇 년 전에는 그랬어요. (3)

3. 적응행동과 지원요구와의 관계

대체적으로 장애학생들의 적응행동 수준이 낮을수록 지원요구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적응행동 수준은 기능성의 저하를 가져오게 되고, 기능성의 저하를 막기 우해서는 적절한 수준의 지원이 동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을 살펴보면 적응영역 중에서도 경제생활 영역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보이고 있었고 그에따른 지원요구가 큼을 면담을 통해 들을 수 있었다.

아이들 스스로 돈을 관리할 수 있는 아이들이 많지 않아요. 학교에서 가르치기는 하는데 배운데로

수행할 수 있는 아이들은 그렇게 많지 않아요. 대부분은 부모님들이 경제관리를 대신 해주고 있어

요. 그런데 부모님들이 돈을 한번 가져가고 아이들한테 전혀 환원되지 않으니깐, 아이들이 관리하

는게 제일 좋은데 어려워요. 근데 돈이라는게 중요하잖아요. 우리 아이들이 돈을 잘못 관리하면 분

실이나 사기의 위험도 많구요. 그래서 주 책임은 아이들이 맡더라도, 경제적인 관리에 있어서 적절

한 지원은 필수라고 봅니다.

작업 기술에 있어서도 부족한 작업기술은 어느정도 인지하고 있었고 이해할 수 있다고 했다. 우리아이들이 작업을 잘 하지 못할때는 주변의 동료들이 많이 도와줌으로써 부족한 작업기술로 인한 어려움들을 보충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어떤 동료들이 우리 아이들의 부족한 작업기술을 가장 잘 지원해 주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이야기 해 주었다.

우리 아이들이 일하는 곳에 가보면 주변에 분들이 잘 도와주어요. 작업이 많이 서툴거든요. 그분들

이 아니면 이 아이들이 잘 적응할 수 있었을까? 할 정도로 친절하게 도와주는 분들이 많아요. 사

실 주변에서 우리 아이들이 일을 효율적으로 하지 못하는거 알고는 있었겠지만 막상 같이 일해보

면 많이 답답할 거에요. 가장 잘 도와 주시는 분들은 아주머니들이세요. 아주머니들은 자기 아이들

처럼 가엽게 여기시도 하고, 엄마처럼 잘 봐주시는 것 같아요. 그래서 옆에 일하는 분들이 아주머

니들일 때 계속 일을 유지하는 정도가 크더라구요.

적응기술 중에서도 이동기술은 작업기술 만큼 아이들의 고용 및 유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수준의 능력을 가지지 못해서 직장까지 스스로 가지 못하는 학생이 많다. 이 경우 누군가는 학생이 직장까지 찾아갈 수 있도록 도와 주어야 하는데 이 경우 대부분 부모님들이 이동을 위한 지원을 제공해 주고 있었다.

Page 22: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2호)238

아이들이 직장까지 혼자 찾아갈 수 있어야 고용이 유지가 됩니다. 우리가 일일이 데려다 줄수도

없구요. 가장 많은 도움을 주는 분들이 부모님들이세요. 아이의 취업에 매우 적극적인 분들은 매일

아이들을 직장까지 데려다주고 데리고 오는 분들도 있어요. 결국은 아이가 혼자 다닐수 있어야 하

겠지만 그 전까지는 누군가 도와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아이들의 이동기술을 가르치는 것도 부모

님들이 결국 도와주셔야 합니다.

언어표현 능력이 많이 부족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도 많이 있었다. 사회에 적응해서 살아가는 동안 상호작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적절한 의사소통 능력인데 이것이 부족해서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가 많이 있었고, 이 경우 의사소통을 대신할 수 있는 보완대체 의사소통판 등의 도움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들의 도움이 많이 필요하다고 교사들은 언급하였다.

사회생활을 하는데 가장 필요한 것이 말하는 능력이에요. 말이 안 통하면 사회적 상호작용이 원활

하지 못해요. 지역사회에 적응하는데, 직장에서 일을 하는데, 여가생활을 하는데도 모두 적절한 언

어능력이 중요해요. 말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 요즘에는 스마트폰이나 보완대체의사소통 판 등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판도 사용하는 아이들이 있어요.

문자로 쳐서 의사소통을 하기도 하구요. 어쨌든 어떤 방법을 써서라도 적절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

도록 해 주는게 필요하다고 봐요.

Ⅳ. 논의 및 제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통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지적장애인의 적응행동 특성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적응행동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생활연령에 따라 갖추어야 할 것으로 기대되는 적응행동의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적장애인들은 지역사회생활 기술 영역의 하위척도인 경제생활, 작업 기술, 이동 기술, 시간 이해 및 엄수 영역에서 특히 취약함을 드러내고 있어 관련 적응행동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절한 중재 및 지원이 집중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와의 심층면담을 통해서 알아본 바에 의하면 학생들의 적응기술이 성공적인 성인사회로의 전환을 위해서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그 수준이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행동기술이 떨어지면 지역사회 통합뿐만 아니라 직장생활에서도 어려움을 보이고, 취업을 한 후에도 직장생활을 유지해 나가는 것이 어려움을 알 수 있었다. 많은 부모님들이 아이들의 경제생활에 관한 적응능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학생들이 스스로 재정 관리 등 경제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보다 그 일을 대신해 주다보니 아이들은 지속적으로

Page 23: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 239

경제적인 적응행동 기술을 발달시킬 기회를 갖지 못하고 있었다. 그 외에도 많은 학생들이 인지능력의 부족으로 인하여 직장에서 요구하는 최소한의 작업기술을 갖추지 못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적장애인의 적응행동 수준을 교사들의 배경 변인에 따라 세부적으로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성별에 따라 적응행동기술의 향상 정도에 차이가 나타난다는 류현주(2003), 박상희(2006)의 연구 결과와는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소속에 따라서는 전공과 학생들의 적응행동 수준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공과에 소속된 학생들이 고등부 학생 중에서 선발에 의해서 전공과 프로그램에 들어갔기 때문일 수도 있고, 개인이 환경에 적응해 나가는 가운데 여러 가지 기술을 습득하고 성숙해 나간 결과 적응행동 수준이 높아졌을 수도 있다. 이는 대부분의 연구에서도 연령이 높을수록 학생들의 적응행동 수준이 높다는 연구 결과들과 맥을 함께 한다(유정희, 2008; 윤형진 2009). 적응행동의 수준은 장애 정도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경도, 중등도, 중도ㆍ최중도 순으로 갈수록 적응행동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장애의 정도가 심할수록 낮은 적응행동 수준을 보이며, 장애 정도가 심할수록 적응행동의 결핍을 나타낸다는 많은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Harries, 2008 등). 심층면담을 통해서 알아본 바에 의해서도 고등부 학생들보다 전공과 학생들의 적응행동 수준은 대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부 학생들은 대부분 고등 학교를 졸업 후 바로 취업이 어려운 상황이었고, 전공과로의 진학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의 정도가 심할수록 적응행동의 수준은 많이 낮아져서 중증장애 학생의 경우 취업이 어려울뿐만 아니라 독립생활 자체도 많이 힘든 경우가 있었다.

둘째, 지적장애를 가진 학생들의 지원요구는 대체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조사 연구의 결과 학생들의 전반적인 지원요구 수준이 높을 뿐만 아니라 모든 지원요구

영역에서 확장적 지원의 수준을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는 고용(59.0%)의 지원요구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사회적 활동(55.5%), 평생학습(54.1%), 지역사회생활(53.3%), 가정생활(51.7%), 건강ㆍ안전(51.2%) 순으로 나타났다. 지원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난 고용 활동에 다른 척도보다 더 많은 지원이 집중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심층면담에서도 대부분의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있어 취업이 중요하고 이를 위해서 가장 많은 지원이 요구되어 진다고 언급 하였다. 학생들이 취업을 하고 이를 유지해 나가는 것이 학생 혼자만의 능력이나 힘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직업현장 사람들과의 끊임없는 관계유지와 문제행동 해소를 위한 노력 등이 필요하다고 이야기 한다. 또한 교사 차원의 지원이 아니라 사회적 차원에서의 체계적인 지원이 있어야지만 학생들의 고용을 유지할 수 있다고 교사들은 이야기 해 주었다. 고용과 관련한 지원에 있어서는 많은 교사들이 고용 관련 일을 도와 줄 수 있는 인력지원이 중요하다고 하나같이 이야기 하였다. 장애를 가진 학생들의 고용은 단순히 누구 한 사람의 노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체계적인 시스템 하에서 이루어져야 고용 창출 및

Page 24: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2호)240

유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충분한 인력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취업할 장소를 찾고, 직무지도를 하고, 행동지도를 하고, 직장 적응을 돕기 위해서 많은 인력들이 요구되어 지는 것이다.

지적장애 학생들의 지원 요구를 변인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에서는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소속 및 장애 정도에 있어서 차이를 보여주었다. 소속에 있어서는 가정생활, 지역사회생활, 평생학습, 고용활동, 건강 및 안전, 사회적 활동 모든 영역에서 전공과 학생들의 지원 요구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전공과에 진학가기 위해서 고등부 학생들 중에 선발되기 때문에 지원요구가 많은 아이들은 전공과 진학 자체가 어렵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장애 정도에 따라 장애가 심해질수록 중도ㆍ최중도, 중등도, 경도 순으로 지원요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장애 정도가 지원요구의 수준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장애의 정도가 심할수록 더 높은 수준의 지원요구를 필요로 한다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Buntinx, 2008).

연구의 제한점에 따른 후속연구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양적연구 및 질적연구 모두 경상도 지역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부 혹은 전공과 교사들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우리나라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전반적인 인식이라고 보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어 보인다. 따라서 후속 연구를 통해서는 좀더 포괄적인 지역의 교사들을 통해 양적 연구 및 질적인 면담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권회연, 이미애(2013). 정신지체아동의 적응행동발달에 관한 종단연구. 정신지체연구, 15(4), 197-214.김경애(2007). 개인ㆍ사회적기술 적용에 따른 정신지체학생의 자기결정능력수준.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김승국, 박원희, 전병운, 신현기, 이민식(1990). 적응행동검사 표준화 연구. 서울: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김은영, 유구종(2008). K-SIB-R을 통한 정신지체 아동 적응행동의 이론적 구조 탐색. 특수교육학연구,

43(1), 127-144. 김정희, 손인봉, 이은영(2009). 발달장애인 가족지원체계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장애인개발원.김형일, 신현기(2003). 정신지체아의 부적응 행동에 관한 사회적 정보처리 조정단서 활용 효과. 정서ㆍ행동

장애연구, 19(1), 163-185.류현주(2003). 여가활동 중심의 전환교육이 정신지체학생의 대인관계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Page 25: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 241

민천식(2003). 정신지체 정의의 역사적 변천과정 특징에 관한 연구. 정신지체연구, 5, 173-187. 민천식(2012). 지적장애청소년의 사회적응을 위한 지원 요구 특성. 청소년학연구, 19(7), 295-314.박경옥, 임경원, 유재연, 고등영(2009). 정신지체 초등학생의 적응행동 실제적 기술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43(4), 157-174.박상희(2006). 지역사회중심 전환교육활동이 정신지체학생의 적응행동기술과 자기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박영근(2014). 전환교육 프로그램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프로그램 질 분석: 혼합연구. 특수

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2), 69-90. 박영근, 윤형진(2015). 지적장애 학생들을 위한 효과적인 진로 및 직업교육 실행방안에 관한 교사인식. 특수

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3), 213-233.박영근, 이한얼(2014). 중등특수교사의 전환교육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장의 리더십 특성. 특수교육재활

과학연구소, 53(4), 71-90.방명애(2006). 역할놀이 중심의 자기결정 활동프로그램의 적용이 정신지체 학생의 자기결정기술과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 13(1), 179-200.백은희, 이병인, 조수제(2005). 정신지체 아동을 위한 적응행동 평가도구 (SIB-R)의 한국 표준화 연구. 특수

교육학연구, 40(2), 75-102.백은희, 이병인, 조수제 (2007). 한국판 적응행동검사. 서울: 학지사.송준만, 유효순(2004). 특수아교육.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신진숙(2010). 지적장애아 교육. 경기: 양서원.신종호, 김동일, 신현기, 이대식(2010). 정신지체. 서울: 시그마프레스.신현기(1995). 정신박약아의 대인문제 해결 특성.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유정희(2008). 생활자립훈련중심 전환교육활동이 정신지체학생의 적응행동기술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

문, 대구대학교 대학원.윤형진(2009). 다중지능특성에 따른 강점기반 자기결정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자율성과 사회적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이영철(2010). ‘지적장애’ 용어의 변화와 최근 동향. 지적장애연구, 12(3), 1-24.염시창 역(2001). 통합연구방법론: 질적 양적 접근방법의 통합. 서울: 학지사유정희(2008). 생활자립훈련중심 전환교육활동이 정신지체학생의 적응행동기술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윤치연(2000). 한국판-적응행동검사(K-ABI)의 표준화 예비연구. 정서ㆍ학습장애연구, 16(2), 53-65.이달엽, 이성일, 김윤봉(2004). 정신지체인 지역사회 적응기술 평가척도 연구.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5(1), 127-156.이옥인, 박은영(2013). 지적장애인을 위한 지원정도척도의 신뢰도 및 문항변별도 분석. 지적장애연구, 15(3),

57-72. 이영철(2010). ‘지적장애’ 용어의 변화와 최근 동향. 지적장애연구, 12(3), 1-24.이한얼(2011). 지적장애인의 지원요구 수준 및 요인 구조. 통합교육연구, 6(2), 245-264.

Page 26: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2호)242

이한얼(2012). 학령기 이후 지적장애인의 진로 선택에 따른 지원요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4(3), 339-353.전보성(2006). 대인ㆍ사회적기능 중심의 전환교육 활동이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능력과 지역사회 적응기술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조인수(2005). 전환교육. 대구: 대구대학교출판부.조인수(2011). 전환교육 실행과정에 따른 실천적 과제분석. 지적장애연구, 13(2), 97-122.차은주, 김영재(2012). 인문, 사회과학편: 운동중단 학생선수의 직업경로 탐색. 한국체육학회지, 51(4), 125-136.최선경(2006). 성인 정신지체인 가족의 부양부담과 가족지원 서비스 연구: 소비자와 제공자의 종합적 관점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최성규(2010). 정신지체아동의 장애정도 결정을 위한 진단ㆍ평가 퍼지 프로그램 개발. 특수교육학연구,

45(1), 291-316.허승준, 장유정, 안재영(2009).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정착수업이 특수교육요구아동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11(1), 51-75.황윤세(2013). 실외놀이 통합 과학 활동이 유아의 자연탐구 지능과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595-596.Bossaert, G., Kuppens, S., Buntinx. W., Molleman, C., Van den Abeele, A., & Maes, B. (2009).

Usefulness of the Supports Intensity Scale (SIS) for persons with other than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0, 1306-1316.

Brown, H. K., Ouellette-Kuntz, H., Bielska, I., & Elliott, D. (2009). Choosing a measure of support need: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olicy.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53(11), 949-954.

Buntinx, W., Cobigo, V., McLaughin, C., Morin, D., Tasse. M. J., & Thompson, J. R. (2008).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upports Intensity Scale. AAIDD SIS White Paper Series, June, 1-12.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Claes, C., Van Hove, G., van Loon, J., Vandevelde, S., & Schalock, R. L. (2009). Evaluating the inter-respondent (consumer vs. staff)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SIS vs. Vineland) of the Supports Intensity Scale on a Dutch sample.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53(4), 329-338.

Harries, J. A. (2008). Supports needs assessment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 investigation of the nature of the support needs construct and disability factors the impact on support need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chool of Psychology, University of Adelaide, Australia.

Heber, R. F. (1992). A manual on terminology and classification in mental retardation.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on Mental Retardation.

Karrie A. Shogren, K. A., Seo, H., Wehmeyer, M. L., Palmer, S. B., Thompson, J. R., Hughes, C., & Little, T. D. (2015). Suppport need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ge-related implications for assessment. Psychology in the Schools, 52(9), 874-891.

Page 27: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 243

Kneedler, R. D. (1989). The use of cognitive training to change social behavior. Exceptional Education Quarterly, 1(1), 65-73.

Schalock, R. L., Borthwick-Duffy, S. A., Bradley, V. J., Buntinx, W. H. E., Coulter, D. L., Craig, E. M., Gomez, S. C., Lachapelle, Y., Luckasson, R., Reeve, A., Shogren, K. A., Snell, M. E., Spreat, S., Tasse, M. J., Thompson, J. R., Verdugo-Alonso, M. A., Wehmeyer, M. L., & Yeager, M. H. (2010). Intellectual Disability. Definition, classification, and systems of supports (11th ed).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Sitlington, P. L., & Clark, G. M. (2006).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4th ed.). Boston: Allyn & Bacon.

Schalock, J. R., Thompson, J. R., & Tass, M. J. (2008). International Implementation of the Supports Intensity Scale.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Smit, W., Sabbe, B., & Prinzie, P. (2011).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upports Intensity Scale (SIS) Measured in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Developmental and Physical Disabilities, 23, 277-287.

Spreat, S. (1999). Psychometric standards for adaptive behavior assessment. In R. L. Schalock (Ed.), Adaptive behavior and its measurement: Implications for the field of mental retardation (pp. 103-117).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on Mental Retardation.

Thompson, J. R., Bryant, B., Campbell, E. M., Craig, E. M., Hughes, C., Rotholz, D. A., Schalock, R. L., Silverman, W. P., Tasse, M. J., & Wehmeyer, M. L. (2004). Supports Intensity Scale (SIS).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on Mental Retardation.

Wehmeyer, M. L., Chapman, T. E., Little, T. D., Thompson J. R., Schalock, R. L., & Tasse, M. J. (2009). Efficacy of the Supports Intensity Scale (SIS) to Predict Extraordinary Support Needs. American Journal 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114(1), 3-14.

Page 28: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지원요구 관계분석: 혼합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B9%DA%BF%B5%B1%D9,%C0… ·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5권 제2호)244

<Abstract>

The Relation Analysis of Adaptive Behavior and Support Need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Mixed Method Study

Park, Yung-Keun ㆍ Lee, Han E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daptive behaviors for successful inclus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to community and practical and living based support need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implemented mixed method study including survey and in depth interview.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individualized transition pla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live independent adult life by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daptive behavior and support needs in depth. Firth, the researcher conducted survey study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behavior and support needs, then conducted in depth interview about the degree of adaptive behavior, deficient adaptive behavior, the degree of support needs, and specific support nee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degree of adaptive behavior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low in general and they had limitation in the sense of time & punctuality, moving skills, working skills, and economic life skills. The in depth interview about specific adaptive behaviors were presented. In addition, the degree of support need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high in general and they had extensive support needs for employment, social activities, lifelong learning, community living, family living, and heath & safety. The in depth interview about specific support needs were presented.

Key Words : intellectual disabilities, adaptive behavior, support needs, mixed method study

논문접수 : 2016. 04. 30 / 논문심사일 : 2016. 05. 26 / 게재승인 : 2016. 06. 13